You are on page 1of 294

II THE BASIC SIMPLICITY

PART I
일반생물학, 일반생물학 실험, 생체고분자, 세포막과 물질수송, 효소, 세포소기관, 세포호흡

총 8회 : 3 ~ 18p, 정답과 해설 : 133 ~ 163p

PART II
세포주기, 유전학, 분자생물학, 유전공학, 세균과 바이러스

총 9회 : 19 ~ 40p, 정답과 해설 : 164 ~ 201p

PART III
인체생리학, 세포신호전달계, 생식과 발생, 신경계, 내분비계, 순환계, 근골격계, 감각계

총 14회 : 41 ~ 75p, 정답과 해설 : 202 ~ 256p

PART IV
면역계, 배설계, 호흡계, 소화계, 식물계, 생태계, 분류학, 진화학

총 15회 : 76 ~ 108p, 정답과 해설 : 257 ~ 293p

BIOLOGY 2020 2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1회
1. 생물의 적응이란 생물이 주어진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생식하도록 하는 유전적 특징이나 행동이다. ( )

2. 등전점이란 아미노산이나 단백질의 순전하가 0이 되는 pH를 의미한다. ( )

3. 질소는 가장 흔한 원소 중 하나지만 질소 기체의 안정한 삼중결합으로 인해 지구 생태계에서 순환하지 않는다.

( )

4. 수용액 상에서 극성 아미노산들은 수용성 단백질의 내부에 주로 위치한다. ( )

5. 단백질의 a-나선 구조는 둘 이상의 폴리펩티드 사슬로 이루어진다. ( )

6. 단백질의 2차 구조는 산성 아미노산과 염기성 아미노산 사이의 이온결합으로 이루어진다. ( )

7. 구형 단백질은 a-나선과 b-병풍을 모두 포함한다. ( )

8.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자량이 큰 단백질일수록 나중에 용출된다. ( )

9. 글루탐산, 발린, 리신을 pI가 작은 것부터 나열하면 글루탐산 – 발린 - 리신의 순서이다. ( )

10. 헤모글로빈을 구성하는 a-소단위체의 유전자에 넌센스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겸형 적혈구 빈혈증이 나타난다. ( )

11. 이황화결합은 시스테인 잔기의 싸이올기(-SH) 사이에 형성되는 공유결합이다. ( )

12. b-머캅토에탄올은 산화제로 이황화결합을 절단한다. ( )

13. 미토콘드리아는 세포호흡의 중심기관으로 이중막 구조이다. ( )

14. 진핵세포의 자유 리보솜은 80s의 침강계수를 가지며, 단백질 번역을 담당한다. ( )

15. 원형질 연락사는 식물세포벽과 세포벽을 이어주는 구조로 세포막은 관통하지 않는다. ( )

16. 식물세포의 리소좀은 소포체와 액포에서 생성된 소낭이다. ( )

17. 세포에서 지방산은 b-산화에 의해 아세틸 CoA로 분해된 후 미토콘드리아의 TCA회로로 전달된다. ( )

18. 식물세포의 지방산 합성은 엽록체의 스트로마에서 일어난다. ( )

19. 미토콘드리아는 전자전달계를 통해서 H+을 기질 내부로 이동시킨다. ( )

20. GLUT1, GLUT2, GLUT3, GLUT4는 모두 2차 능동수송체로 작용한다. ( )

21. SDS-PAGE에서 전기영동 시 단백질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한다. ( )

22. 동물세포 세포막에 있는 콜레스테롤은 극성물질의 투과를 억제하고 막 유동성을 완충한다. ( )

23. 지질뗏목은 스핑고지질과 콜레스테롤이 밀집된 지역으로 세포막의 유동성이 제한되는 곳이다. ( )

24. 튜불린 단위체에 결합한 콜히친은 미세소관 말단에서 다른 튜불린의 중합을 억제한다. ( )

25. 효소가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기질 농도가 증가할 수록 반응속도가 증가한다. ( )

BIOLOGY 2020 3 ©THE BASIC SIMPLICITY


26. 조효소는 기질선택성이 있어 하나의 조효소는 하나의 주효소에만 반응한다. ( )

27. 전자전달계의 우비퀴논은 보결분자단으로 Fe를 포함한다. ( )

28. 엽록체는 화학삼투적 인산화 과정으로 ATP를 생성한다. ( )

29. 엽록소 a, b는 가시광선의 청색과 적색을 주로 흡수한다. ( )

30. 진핵세포에서 엽록소는 엽록체의 스트로마에 위치한다. ( )

31. 광합성 색소 분리 실험에서 색소의 분자량과 전개지에 대한 흡착력에 의해 각 색소의 전개율이 다르게 나타난다.

( )

32. 순환적 광인산화는 NADPH를 생성하지 못하는 대신 ATP 생성을 촉진한다. ( )

33. 암반응의 주된 산물은 엽록체에서 만들어지는 녹말과 세포질에서 합성되는 설탕이다. ( )

34.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탄소의 유일한 공급원으로 사용한다. ( )

35. 빛이 있는 상태에서 루비스코의 산소화효소 활성에 의해 산소가 흡수되고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 )

36. 광합성의 최종 전자수용체는 NADP+이다. ( )

37. 전자전달계의 전자 전달 과정은 흡열 과정으로 진행된다. ( )

38. 포화지방산은 활면소포체에서 불포화지방산으로 전환된다. ( )

39. 세포호흡에서 포도당이 젖산으로 전환되면, 최종적으로 2분자의 ATP와 2분자의 NADH가 얻어진다. ( )

40. 세포호흡을 통해 포도당 한 분자의 에너지 전환효율은 약 40%이며, 나머지는 열 에너지로 방출된다. ( )

41. 발리노마이신은 짝풀림 단백질로 H+ 누출을 촉진한다. ( )

42. 이자의 b세포와 간에서 발견되는 GLUT는 GLUT4이다. ( )

43. 해당과정을 통해 NAD+와 이산화탄소는 생성되지 않는다. ( )

44. 식물성 지방은 대부분 상온에서 고체로 존재한다. ( )

45. 피루브산 탈수소효소는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며 피루브산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 ( )

46. 갈색지방세포는 주로 성인에서 많이 관찰되며, 갈색지방의 미토콘드리아는 써모제닌이라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열을 발생시킨다. ( )

47. 전자전달계에서 로테논에 의한 억제는 복합체 I에서 일어난다. ( )

48. 절대 호기성 세균은 이화작용을 위해 반드시 산소를 필요로 하는 세균이다. ( )

49. 팔미트산은 퍼옥시좀에서 스테아르산으로 전환된다. ( )

50. 단백질의 3차구조는 이온 결합, 수소 결합, 소수성 결합 등이 관여한다. ( )

BIOLOGY 2020 4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2회
1. 리소좀의 내부는 산성 상태로 세포질에 비해 수소 이온의 농도가 높다. ( )

2. 분비성 단백질의 경우 조면소포체에 부착된 결합 리보솜에 의해 합성된다. ( )

3. 골지체는 동물세포와 식물세포 모두에 존재하는 세포소기관이다. ( )

4. 셀룰로오스는 가지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식물세포벽의 주성분이다. ( )

5. 녹말은 식물의 양분 저장형태이며, 글리코겐은 동물의 양분 저장 형태이다. ( )

6. 글리코겐과 키틴은 다당류에 포함된다. ( )

7. 수용액에서 포도당은 사슬형 보다 고리형으로 더 많이 존재한다. ( )

8. 글리코겐은 포도당 사이의 a(1→4) 결합과 b(1→4) 결합으로 형성되는 다당류이다. ( )

9. 프로테오글리칸은 단백질과 양전하성 이당류 연속체가 결합된 구조이다. ( )

10. 트레오닌과 세린은 극성 아미노산이다. ( )

11. 일반적으로 이화과정은 발열반응, 동화과정은 흡열반응이다. ( )

12. 효소는 기질을 감싸고 있는 물 분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 )

13. NAD+와 FAD는 물질들 사이에 수소 이온과 전자를 전달한다. ( )

14. 인체의 효소는 주로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 온도와 pH에 민감하다. ( )

15. 리보자임의 RNA는 단백질 효소의 보조인자로 촉매 기능을 수행하진 않는다. ( )

16. 한 개의 효소에 의해 단위 시간 당 생성물로 바뀌는 기질 분자의 수를 촉매 효율이라 한다. ( )

17. 아미노산 서열은 서로 다르지만 같은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를 동종 효소라 한다. ( )

18. 페니실린과 아스피린은 비가역 억제제로 작용한다. ( )

19. 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의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다른 자리에 결합하는 저해제이다. ( )

20. 알로스테리 물질이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알로스테리 자리에 결합하면 효소 구조가 바뀌어 활성 변화가 생긴다.

( )

21.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는 전하에 따라 단백질을 분리한다. ( )

22. SDS는 환원제로 단백질 내부의 이황화결합을 분해한다. ( )

23. SDS-PAGE에서 단백질의 분자량이 작을 수록 겔 상에서 더 멀리 전개된다. ( )

24. 상온에서 세포막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면 세포막의 유동성이 증가한다. ( )

25. 막단백질 번역 시 소포체와 골지체에서 첨가된 당은 언제나 세포막의 안쪽에서 관찰된다. ( )

BIOLOGY 2020 5 ©THE BASIC SIMPLICITY


26. 삼투현상은 세포막을 사이로 농도 기울기에 따라 용질이 이동하는 수송수송의 형태이다. ( )

27. 촉진 확산은 특정 물질을 특이적으로 수송하는 기질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 )

28. 1차 능동 수송은 ATP와 같은 에너지를 직접 소모해 물질을 수송한다. ( )

29. 파고시토시스는 고형의 큰 물질을 특이적 수용체에 결합시켜 흡수하는 과정이다. ( )

30.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환형 DNA는 마굴리스의 세포내공생설로 설명된다. ( )

31. 크리스탈 바이올렛은 염기성 염료로 핵산과 같은 음전하의 분자를 염색한다. ( )

32. 고세균의 인지질은 글리세롤과 가지 친 지방산이 에테르 결합을 하고 있다. ( )

33. 진정세균과 진핵세포에는 히스톤이 발견되며 고세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 )

34. 세균의 선모는 필린 단백질로 구성되며, 편모는 플라젤린 단백질로 구성된다. ( )

35. 세균의 성선모는 핵양체의 DNA의 유전정보로부터 합성된다. ( )

36. 그람 음성균의 얇은 펩티도글리칸 세포벽에서 테이코산이 관찰된다. ( )

37. 식물에서는 중간섬유가 발견되지 않는다. ( )

38. 조면소포체는 단백질 분비를 활발히 하는 이자 세포, B세포 등에서 많이 발달되어 있다. ( )

39. 조면소포체와 활면소포체의 막은 종종 서로 연결되어 있다. ( )

40.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는 포린 단백질이 존재해서 작은 크기의 분자들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 )

41. 녹색 식물의 엽록체에서 발생한 산소는 이산화탄소에서 유래한다. ( )

42. DNA의 질소 염기는 DNA 이중 가닥의 안쪽에 위치한다. ( )

43. DNA가 음전하를 띠는 이유는 아데닌, 구아닌과 같은 질소 염기 때문이다. ( )

44. 단순 확산은 물질이 인지질 이중층을 직접 통과하며 에너지는 필요하지 않다. ( )

45. 동물세포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주변에 분비한 단백질이나 다당류로 구성된 층을 세포외 기질(ECM)이라 한다.

( )

46. 용질이 원형질 연락사를 통해 살아있는 세포의 세포질을 통과하는 방식은 아포플라스트 방식이다. ( )

47. 1차 세포벽은 2차 세포벽 보다 세포질 쪽에 위치한다. ( )

48. 세포벽과 리보솜은 효모와 세균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 )

49. 시토크롬 P450은 주로 활면소포체에서 발견할 수 있다. ( )

50. 해당과정은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 )

BIOLOGY 2020 6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3회
1. 생체는 광학이성질체를 구분할 수 있으며, 광학 이성질체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 )

2. 아스피린은 위에서 전하를 띠지 않은 형태로 대부분 흡수된다. ( )

3. 수산기는 극성을 나타내며, 물과 수소 결합을 하여 분자가 물에 녹는 것을 도와준다. ( )

4. 효소 반응의 KM값은 효소가 기질 한 분자를 생성물 한 분자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 )

5. 1차 능동수송에서 막 단백질이 인산화된다. ( )

6. 유비퀴논은 전자전달계의 유일한 비단백질성 소수성 분자이다. ( )

7. 여러 효소가 관여하는 대사를 조절하기 위해서 속도결정단계를 조절한다. ( )

8. 대부분의 속도결정단계는 비가역과정이다. ( )

9. 단백질의 이황화결합은 골지체 내강에서 생성된다. ( )

10. 엽록체는 미토콘드리아와 마찬가지로 외막에 포린 단백질이 있다. ( )

11. 조면소포체에서 O당화, 골지체에서 N당화 과정이 일어난다. ( )

12. 핵막은 라민이라는 미세섬유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 )

13. 데스모좀은 오클루딘과 클라우딘 단백질로 구성된다. ( )

14. 소장 융털의 미세융모는 미세섬유 다발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 )

15. 짝풀림제는 전자전달계를 통해서 형성된 수소 이온의 농도기울기를 파괴한다. ( )

16. 식물세포에서 이산화탄소는 기공을 통해서 세포 내로 확산된다. ( )

17. C4 식물에서 이산화탄소를 최초로 고정하는 효소는 루비스코이다. ( )

18. CAM 식물은 밤에 이산화탄소를 유기산에 고정하고, 낮에 이산화탄소를 유리하여 암반응을 수행한다. ( )

19. 광호흡 기작은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에서만 일어난다. ( )

20. 빛이 없는 곳에서 광호흡은 일어나지 않는다. ( )

21. 식물에서 광합성 산물은 물관을 통해 이동한다. ( )

22. C4식물의 최초의 이산화탄소 고정 산물은 3PG(3-phosphoglycerate)이다. ( )

23. 로테논은 NADH로부터 유비퀴논으로의 전자 전달을 억제한다. ( )

24. 세균에서 젖당 투과효소는 H+ 농도 기울기를 이용해 젖당을 흡수한다. ( )

25. 포도당 신생합성은 인간에서 간과 뇌에서만 일어난다. ( )

26. 동물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16탄소 지방산까지만 합성된다. ( )

BIOLOGY 2020 7 ©THE BASIC SIMPLICITY


27.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퍼옥시좀에서 지방산의 b-산화가 일어난다. ( )

28. 무산소호흡에서 생성되는 ATP의 대부분은 화학삼투적 인산화에 의하여 생성된다. ( )

29. 잎에 지나치게 많은 빛이 들어오면 페레독신으로부터 활성산소들이 만들어지는 광저해 현상이 나타난다. ( )

30. 루비스코는 약산성 환경에서 최적의 활성을 갖는다. ( )

31. C4식물은 증산비가 낮아 C3식물에 비해 고온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기 유리하다. ( )

32. 젖산발효의 최종전자수용체는 피루브산이며, 알콜발효의 최종전자수용체는 아세트알데히드다. ( )

33. 진정세균의 세포벽 성분은 키틴, 곤충의 외골격 성분은 펩티도글리칸이다. ( )

34. 프로테오글리칸은 분비형과 막관통형이 존재한다. ( )

35. 뷰렛 반응 시 단백질이 존재하면 청록색이 나타난다. ( )

36. 단백질에 티로신과 트립토판이 없으면 A280 흡광을 측정할 수 없다. ( )

37. 샤페론은 ATP를 소모하여 다른 단백질의 접힘을 도와준다. ( )

38. 콜라겐의 생합성에는 비타민 K가 필수적이다. ( )

39. 하나의 핵 속에 인은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 )

40. 헤모글로빈은 4차구조 단백질이다. ( )

41. 변성된 단백질은 소수성 R기 끼리 결합하여 침전될 수 있다. ( )

42. 단백질의 용해도는 등전점에서 가장 높다. ( )

43. 스핑고마이엘린은 적혈구 표면에서 ABO 혈액형을 결정한다. ( )

44. 인지질은 글리세롤과 지방산 두 개 + R기 + 인산기로 구성된다. ( )

45. 포화 지방산은 탄소 사슬에 이중결합이 없으며, 체내에서 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 )

46. 중성지질은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구성된다. ( )

47. 루코트리엔은 백혈구, 비만세포 등에서 생산되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한다. ( )

48. 녹말은 식물의 뿌리 및 저장조직에 저장된다. ( )

49. 오랜 기간 단식 중인 사람의 간세포에서 옥살아세트산의 고갈로 시트르산 생성이 감소한다. ( )

50. 포도당의 고리형과 사슬형 전환반응은 효소가 관여하며, 가역적인 반응이다. ( )

BIOLOGY 2020 8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4회
1.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작아 세균 여과기를 통과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세포성 생물이다. ( )

2. 미생물과 질병과의 원인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을 코흐의 가설이라 한다. ( )

3. 다운 증후군과 스크래피는 변성 프리온으로 발병할 수 있다. ( )

4. 리보오스와 디옥시리보오스는 6탄당이다. ( )

5. 포도당의 a-아노머와 b-아노머는 수용액 상태에서 자유롭게 전환이 불가능하다. ( )

6. 녹말은 아밀로오스와 아가로오스의 중합체로 구성된다. ( )

7. 생체 내 대부분의 당은 D-형, 아미노산은 L-형으로 존재한다. ( )

8. 이당류에는 젖당, 설탕, 셀로비오스가 있다. ( )

9. 환원당이란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면서 자기 자신은 산화되는 당을 말한다. ( )

10. 이당류는 단당류 사이의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 )

11. 동물은 포도당의 삼투압 영향을 무시하기 위해 글리코겐을 저장당으로 사용한다. ( )

12. 중성지방은 글리세롤 1개와 지방산 3개가 에테르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 )

13. 자연계에서 trans-지방산은 cis-지방산에 비해 낮은 존재 비율을 보인다. ( )

14. 오메가-6 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으로 cis-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이다. ( )

15. 막지질은 모두 한쪽 끝은 소수성, 다른 쪽 끝은 친수성을 띤다. ( )

16. 미리스트산은 포화지방산으로 14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다. ( )

17. 인지질은 생체 내에서 미셸(micelle)이나 지질 이중층 구조를 형성한다. ( )

18. 테이-삭스 병은 헥소사미니데이스 A의 축적으로 발병한다. ( )

19. 스핑고지질은 성호르몬과 부신피질 호르몬의 전구체이다. ( )

20. 스테롤은 네 개의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며, 평면 구조이다. ( )

21. 효모의 세포막에서 콜레스테롤이 발견된다. ( )

22. 항생제 퓨로마이신은 고세균 세포벽의 에테르 결합을 저해한다. ( )

23. 비타민은 혈액 응고에 필요하다. ( )

24. 고세균의 세포벽에서 펩티도글리칸이 발견된다. ( )

25. RNA는 리보자임으로서 촉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유전 정보 보존의 기능은 없다. ( )

26. 대부분의 비타민은 인체에서 합성하지 못해 섭취해야만 한다. ( )

BIOLOGY 2020 9 ©THE BASIC SIMPLICITY


27. 비타민 A는 시각에 관여하며 결핍되면 야맹증에 걸릴 수 있다. ( )

28. 엽산은 장내 세균이 합성할 수 있어 결핍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 )

29. 소수성 상호작용이란 무극성 분자들이 물에 존재할 때 생기는 열역학적 힘이다. ( )

30. RNA는 NTP가 인산다이에스테르 결합으로 일렬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중합체이다. ( )

31. 호열성 세균은 진정세균으로 고온에서 단백질을 안정화 하기 위해 단백질에 수소 결합, 이온 결합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 ( )

32. 스트로마는 남세균의 세포질에서 유래된다. ( )

33. 미세섬유의 기본 단위체는 선형의 G-액틴 단백질이다. ( )

34. 그람 음성균은 그람 양성균에 비해 크리스탈 바이올렛에 더 진하게 염색된다. ( )

35. 파고시토시스와 피노시토시스는 엔도시토시스의 한 종류로 특이적 수용체를 통해 물질을 수송시킨다. ( )

36. 채널은 물질 수송 시 구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막단백질이다. ( )

37. 위에서 아세트산과 에탄올은 막단백질의 도움 없이 단순확산으로 수송된다. ( )

38. 활면 소포체의 시토크롬 P-450은 외인성 물질의 산화적 대사를 수행한다. ( )

39. 적혈구는 세포질만 존재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얻기 위해 해당과정만 수행하고, 젖산발효는 수행할 수 없다. ( )

40. 전자전달계에 짝풀림제를 처리하면 산소 소모는 감소하고 열 발생은 증가한다. ( )

41. 인체는 피루브산 디카복실레이스가 없어 알코올 발효를 진행할 수 없다. ( )

42. 유산소 호흡은 전자전달계의 최종 전자 수용체로 산소를 사용한다. ( )

43. 2개의 피루브산이 포도당으로 전환되기 위해선 총 6개의 ATP가 필요하다. ( )

44. 동물세포에서 탄소 18개의 스테아르산은 세포질에서 합성된다. ( )

45. 당신생합성 과정 중 피루브산이 PEP로 전환되는 과정은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 )

46. 포도당과 지방산의 호흡률은 0.7이다. ( )

47. 세포막의 지질은 소수성 장벽을 형성해 세포를 구획화하고, 막 안팎의 전위차를 유지한다. ( )

48. 바이러스와 세균은 모두 핵산을 가지고 있으며, 물질대사를 수행한다. ( )

49. 효소의 작용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은 효소의 입체성이 다른 자리에 결합한다. ( )

50. 효소는 반응의 평형상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BIOLOGY 2020 10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5회

1. 지방산 합성 시 반복적으로 2C의 탄소를 연결하므로 생체 내 지방산은 대부분 짝수 탄소이다. ( )

2. 밀착연접은 장 상피층을 경계로 서로 다른 화학적 환경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 )

3. 소장 상피세포의 미세융모 내부에는 미세소관이 다발을 이루고 있다. ( )

4. 간극연접은 심근 사이에 전기신호를 전파하는데 중요하다. ( )

5. 뇌하수체 전엽에는 성장호르몬을 분비하기 위해 골지체와 조면소포체가 풍부하다. ( )

6. 소장 상피세포에서 정단면과 기저면에서 포도당의 이동 기작은 서로 다르다. ( )

7. 핵은 메틸렌 블루에 의해 염색되지 않는다. ( )

8.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작용으로 유입된 막 수용체는 리소좀에서 모두 파괴된다. ( )

9. 리보자임은 단백질의 생합성 과정에서 작용한다. ( )

10. ATP는 RNA를 만들 때 기질로 사용될 수 있다. ( )

11. 효소는 반응의 전이상태로 반응분자를 변형시킴으로써 활성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 )

12. 리가아제는 가수분해효소로 물을 부가시켜 결합을 끊는다. ( )

13. 효소 반응의 마이켈리스-멘텐 식은 반응에 한 가지 기질만을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 )

14. 비경쟁적 억제제는 기질을 분해하여 효소의 작용을 억제한다. ( )

15. 시토크롬 산화효소는 전자전달계와 해당과정에서 모두 작용한다. ( )

16. 단백질 접힘에 대한 정보는 3차 구조에 내재되어 있으며, 리보솜에서 번역되면서 자발적으로 접힐 수 있다. ( )

17. 나이아신과 리보플라빈은 산화환원효소의 조효소로 작용한다. ( )

18. 녹말의 아밀로펙틴과 글리코겐은 모두 하나의 비환원말단과 여러 개의 환원 말단을 가지고 있다. ( )

19. 글리신은 비대칭 탄소를 가지지 않아 a-나선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 )

20. 단백질의 4차 구조란 두 개 이상의 폴리펩티드 배열을 의미한다. ( )

21. 핵산은 뉴클레오티드의 포스포다이에스테르 결합으로 구성된다. ( )

22. 필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될 수 없으므로 음식물로 섭취해야만 한다. ( )

23. 콜라겐은 생물체의 물리적 형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단백질이다. ( )

24. 콜레스테롤과 아포단백질 B는 저밀도 지방단백질(LDL)의 구성성분이다. ( )

25. 포도당이 피루브산으로 분해되는 해당과정에서 엔트로피는 감소한다. ( )

26. 정상 상태에서 DNA 염기 사이의 결합은 언제나 퓨린과 피리미딘 계열 사이에서만 일어난다. ( )
BIOLOGY 2020 11 ©THE BASIC SIMPLICITY
27. 페닐알라닌과 트립토판 만을 가진 단백질은 280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진다. ( )

28. 프리온은 단백질로만 구성된 병원체로 열에 안정하며 인체 면역계도 회피할 수 있다. ( )

29. 모든 아미노산은 닌히드린 반응에서 동일한 색을 나타낸다. ( )

30. 리신과 아르기닌은 음전하성 단백질로 DNA와 결합하는 히스톤 단백질의 주요 구성 인자이다. ( )

31. 바이러스는 동물 뿐만 아니라 식물도 감염시킬 수 있다. ( )

32. 효소의 기질과 구조가 비슷한 물질은 효소의 작용을 비경쟁적으로 억제한다. ( )

33.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자량은 비슷하지만 등전점이 상이한 두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다. ( )

34. 일반적으로 생성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효소의 반응속도는 빨라진다. ( )

35. 식세포작용(phagocytosis)에서, 세포는 위족으로 입자 주위를 둘러싸고 식포라고 불리는 막 모양의 주머니로 입자를

집어 삼킨다. ( )

36. 식물은 광합성에 의해서 생성된 설탕을 잎맥 내의 세포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탕-H+ 공동수송을 사용한다. ( )

37. 막관통 단백질 박테리오로돕신의 N-말단은 세포 바깥쪽으로 C-말단은 세포 안쪽으로 향하고 있다. ( )

38. 활면소포체는 시스와 트랜스면의 극성을 가지고 있다. ( )

39. 모든 세포는 세포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 )

40. 인테그린은 세포막의 바깥쪽에서 붙어있으며 피브로넥틴에 연결되어 있다. ( )

41. DNA의 Tm 값은 DNA 내에 GC 염기쌍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 )

42. DNA는 알칼리 조건에서 염기 사이의 수소 결합이 방해되어 단일 가닥화 된다. ( )

43. 복합단백질효소는 주효소와 비단백물질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 )

44. 효소에 경쟁적 억제제 처리시 기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저해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 )

45. 미오글로빈은 3차 구조 단백질이며, 헤모글로빈은 4차구조 단백질이다. ( )

46. 식물 엽록체의 광계 I과 광계 II의 반응 중심 엽록소는 같다. ( )

47. 진핵생물 편모의 운동에는 운동단백질 디네인이 필요하다. ( )

48. 진핵생물 편모의 운동에 양성자 농도 기울기가 필요하다. ( )

49. Na+-K+ 펌프는 ATP를 사용하여 세포 안쪽의 Na+를 세포 밖으로 수송한다. ( )

50. 시안화물 처리 시 수송체를 통한 촉진확산을 이용하는 물질의 수송은 영향 받지 않는다. ( )

BIOLOGY 2020 12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6회
1. 사프라닌과 크리스탈 바이올렛은 서로 다른 전하를 띠는 염색약이다. ( )

2. 콜레스테롤 합성에는 퍼옥시좀과 미토콘드리아가 관여한다. ( )

3. 루비스코 산소화 효소 활성에 의해 생성된 물질은 4탄소 화합물이다. ( )

4. 표준 아미노산은 생리적 pH에서 아미노기는 양성자를 잃고, 카르복실기는 양성자를 얻어 음전하와 양전하를 모두

갖는다. ( )

5. 모든 표준 아미노산은 생체 내에서 주로 L-형으로 존재한다. ( ).

6. C4 식물은 이산화탄소 고정반응과 캘빈회로 반응을 다른 장소에서 진행한다. ( )

7. C4 식물은 C3 식물에 비해 한 분자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데 더 적은 ATP를 소모한다. ( )

8. DNA의 4종류 염기는 아데닌, 구아닌, 티민, 시토신이다. ( )

9. 벼, 보리, 밀, 사탕무 등은 대표적인 C4 식물이다. ( )

10. 리보솜은 단백질의 합성장소로 단백질과 snRNA로 이루어져 있다. ( )

11. 골지체는 핵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mRNA를 안정화시키고 가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

12. 조효소는 주효소와 공유 결합을 하고 보결 분자단은 주효소와 비공유 결합을 한다. ( )

13. 메틸렌블루, 아세트산카민 등은 양전하의 염색약으로 음전하의 DNA 인산과 결합한다. ( )

14. 체내 일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미토콘드리아 내의 NADH 양이 증가할 수 있다. ( )

15. 샤페론은 미토콘드리아 기질 또는 엽록체 스트로마 안에서 단백질의 접힘을 도와준다. ( )

16. 고세균은 리소자임과 페니실린에 내성이 있다. ( )

17. 바이러스는 숙주 특이성과 세포 특이성이 없어 광범위한 생물 종에 감염한다. ( )

18. 미세소관에서 키네신은 음성말단으로 디네인은 양성말단으로 이동한다. ( )

19. 골지체에서 세포막에 가까운 쪽은 시스(cis)면, 조면소포체와 가까운 쪽을 트랜스(trans)면으로 구분한다. ( )

20. 골지체의 cis/trans 면은 각각 다른 효소를 지니고 있다. ( )

21. 단백질 분해효소들은 보통 효소원 상태로 분비된다. ( )

22. 효소, 저해제의 존재 유무에 관계 없이 기질이 산물로 전환된 양은 동일하다. ( )

23. 녹조류는 적색보다 녹색 파장의 빛을 잘 흡수한다. ( )

24. 광계 I은 틸라코이드 막에 존재한다. ( )

25. 비순환적 광인산화에서 광계 II의 1차 전자수용체는 반응 중심 색소로부터 고에너지 전자를 받는다. ( )

BIOLOGY 2020 13 ©THE BASIC SIMPLICITY


26. 광계 I은 순환적 광인산화 반응과 비순환적 광인산화 반응에 모두 관여한다. ( )

27. 중성지질이 탄수화물에 비해 더 환원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 )

28. 간에서 만들어진 케톤체는 뇌와 골격근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 )

29. 로테논은 양성자 농도 구배는 형성케 하지만 ATP 생성을 억제한다. ( )

30. UCP-1을 과발현시키면 갈색지방세포가 백색지방세포로 전환될 수 있다. ( )

31. 결합조직과 근육조직에서 중간섬유인 비멘틴이 발견된다. ( )

32. 인에서 rRNA의 합성과 리소좀의 조립이 일어난다. ( )

33. 유미입자의 크기는 LDL에 비해 작으나 밀도는 더 크다. ( )

34. 콜레스테롤은 코르티졸, 알도스테론의 전구체이다. ( )

35. 헤파린은 항트롬빈의 입체 구조를 변형시켜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 )

36. SDS-PAGE에서 SDS는 분리하려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일괄적으로 음전하를 띠게 한다. ( )

37. SDS-PAGE에서 전기 영동 후 단백질 염색 시 보통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를 염색약으로 사용한다. ( )

38. 프리온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서만 불활성화가 일어나는 병원체이다. ( )

3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샤가프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다. ( )

40. DNA는 5탄당으로 리보오스를 가지기 때문에 RNA에 비해 알칼리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하다. ( )

41. DNA에 NaCl을 첨가하면 DNA 인산 음전하끼리의 반발력이 중화되어 Tm값이 증가한다. ( )

42. DNA는 우라실 대신 티민을 가지기 때문에 염기가 바뀔 가능성이 RNA에 비해 낮다. ( )

43. a-나선은 소수성 아미노산들이 많아 막관통 구조에서 발견되기 쉽다. ( )

44. 정액에서 정자의 주요 에너지원은 과당이다. ( )

45. 단백질 전기영동 시 전류를 높이면 단백질의 이동 속도는 느려진다. ( )

46. 고세균에서 인트론, 히스톤, 오페론이 발견된다. ( )

47. 진화적으로 볼 때 고세균은 진정세균보다 먼저 발생했다. ( )

48. 고세균과 진핵생물의 유연관계는 고세균과 진정세균보다 가깝다. ( )

49. 고세균에는 세포 내막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 )

50.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이분법에 의해 증식한다. ( )

BIOLOGY 2020 14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7회
1. 진핵세포의 리보솜은 평소에는 40s, 60s 소단위체로 존재하다가 mRNA에 결합하면 80s 리보솜이 되어 번역을

진행한다. ( )

2. 리소좀, 골지체로 이동할 단백질과 막관통 단백질은 결합 리보솜에서 합성된다. ( )

3. 포도당과 설탕은 베네딕트 용액의 Cu2+를 Cu+로 환원시킨다. ( )

4. 식물세포에서 녹말은 스트로마, 설탕은 세포질에서 발견된다. ( )

5. 녹말을 구성하는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에 각각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반응을 진행하면 모두 청남색이 나타난다.

( )

6. 동물의 양분 저장 형태인 글리코겐보다 식물의 양분 저장 형태인 아밀로펙틴에서 더 많은 곁가지가 관찰된다. ( )

7. 원핵생물은 콜레스테롤 대신 호파노이드를 합성한다. ( )

8. 티로신은 멜라토닌, 세로토닌, 옥신의 전구체 아미노산이며, GABA의 전구체 아미노산은 글루탐산이다. ( )

9. 프로테아좀은 유비퀴틴이 결합된 폴리펩티드를 인식해 분해한다. ( )

10. 샤페론의 작용에는 GTP가 필요하다. ( )

11. 채널은 물질 수송 시 단백질의 구조 변화가 일어나며 수송 물질에 의해 포화되지 않는다. ( )

12. 삼투 농도가 300mOsm/L인 적혈구 현탁액에 0.2M의 NaCl을 처리하면 용혈현상이 일어난다. ( )

13. 설탕은 육탄당 2개가 a(1→2)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 )

14. 인테그린은 세포 내의 액틴 미세섬유를 세포 외부의 기질 단백질과 연결 시키는 역할을 한다. ( )

15. 동물세포막 인지질 이중층에서 포스파티딜 세린은 주로 세포질 쪽, 포스파티딜 콜린은 세포 외부쪽에 존재한다. ( )

16.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은 폐에서 계면활성제로 작용하여 폐포의 표면장력을 낮춰준다. ( )

17. 세포막에 존재하는 내재성 단백질의 존재를 증명한 실험은 동결파쇄법이다. ( )

18. 식물의 액포막에서 발견되는 능동수송 펌프는 V-class 펌프로 ATP를 사용하여 H+를 이동시킨다. ( )

19. 1차 능동수송은 용질의 농도구배 역행과정이 ATP의 가수분해로 수행되며, 2차 능동수송은 1차 능동수송으로 생성된

용질의 농도구배를 이용하여 다른 용질이 농도에 역행해 운반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 )

20. 미토콘드리아에 짝풀림물질을 처리하면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NADH의 소비가 감소한다. ( )

21. 미토콘드리아의 FoF1의 기저부를 통한 H+ 이동에 의해 ATP 합성효소의 구조변화가 유도된다. ( )

22. 미토콘드리아의 기질에서 기질 수준 인산화가 일어난다. ( )

23.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작용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 )

BIOLOGY 2020 15 ©THE BASIC SIMPLICITY


24. 아미노산 사이의 펩티드결합 형성은 물이 첨가되는 반응이다. ( )

25. 포도당 2분자를 엿당으로 만드는데 에너지가 필요하다. ( )

26. 경쟁적 저해제를 처리하면 효소의 KM은 증가하지만 Vmax는 일정하다. ( )

27. 비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와 기질 간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지만 효소의 대사회전수를 감소시킨다. ( )

28. 비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의 KM은 일정하지만, Vmax는 감소시킨다. ( )

29. 페니실린은 펩티도글리칸의 교차결합을 촉매하는 펩티드전이효소를 가역적으로 억제시킨다. ( )

30. 심바스타틴과 같은 스타틴계 약물은 HMG-CoA 환원효소를 경쟁적으로 억제한다. ( )

31. AMP, ADP, F-2,6-BP는 해당과정의 속도제한단계에 작용하는 PFK-1을 경쟁적으로 촉진한다. ( )

32. 기질로 작용하는 ATP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FK-1에 대해 알로스테릭 촉진제로 작용한다. ( )

33. 티아민의 결핍은 각기병의 원인이 된다. ( )

34. 해당과정으로 생성된 피루브산은 채널 단백질을 이용해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동한다. ( )

35. 해당과정과 달리 시트르산 회로는 혐기성 조건에서 일어날 수 없다. ( )

36. 전자전달계는 NADH와 같은 전자공여체로부터 전자수용체로 전자를 전달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 )

37. 동물에서 PPP회로는 스테로이드 합성이 활발한 부신피질, 지방조직 등에서 활발히 일어난다. ( )

38. 순환적 광인산화 반응에는 산소가 생성되지 않는다. ( )

39. 광계 II는 Cu를 보조인자로 가지는 단백질이다. ( )

40. 세포골격은 미세소관, 미세섬유, 중간섬유 등으로 이루어진다. ( )

41. 인은 핵 안의 막성 소기관으로 전사가 활발한 간기의 경우 1개 이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 )

42. 지방의 분해 산물인 글리세롤은 인글리세르산, 글리세르 알데히드로 전환되어 해당과정으로 유입된다. ( )

43. 전자전달계의 최종수용체는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에서 다르다. ( )

44. 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균은 대표적인 그람 양성균에 속한다. ( )

45. 살모넬라, 남세균, 연쇄상구균은 대표적은 그람 음성균이다. ( )

46. 내독소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 성분이며, 외독소는 그람 음성, 양성균의 성장 시 세포 내에서 형성되는 독소이다.

( )

47. 원핵생물의 DNA 중합효소의 종류는 3종류이며, RNA 중합효소는 1종류이다. ( )

48. 물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기질쪽에서 산화적 인산화 과정으로 생성된다. ( )

49. 미토콘드리아의 주름 구조는 심근세포보다 후각세포에서 더 발달되어 있다. ( )

50. 식물세포의 보상점은 엽록체들의 CO2 흡수량과 미토콘드리아의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같은 지점이다. ( )

BIOLOGY 2020 16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8회
1.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글리코겐을 사람이 섭취했을 때 모두 소화될 수 있다 ( )

2. 같은 질량의 셀룰로오스와 글리코겐의 비환원 말단의 수는 동일하다. ( )

3. 글리코겐과 셀룰로오스는 모두 a-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 )

4. 근육세포에 존재하는 활면소포체에서 칼슘이 방출되면 근육이 수축한다. ( )

5. 조면소포체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신호서열에 따라 리소좀, 미토콘드리아, 핵으로 이동한다. ( )

6. 간세포에 존재하는 골지체는 당신생합성으로 혈당량 조절에 관여한다. ( )

7. 카드헤린의 작용에는 마그네슘 이온이 필요하다. ( )

8. 카드헤린은 동종의 세포모임을 가능하게 하여 조직형성과정에 기여한다. ( )

9. 심한 운동 후 2개의 젖산을 다시 포도당으로 회복하는 데에는 6분자의 ATP가 소모된다. ( )

10. 글리옥실산 회로는 세포 내의 NADH 비가 감소했을 때 신장 세포에서 주로 일어난다. ( )

11. 퍼옥시좀은 골지체로부터 유래하며 글리옥실산 회로에 관여한다. ( )

12. 글리옥실산 회로는 혈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졌을 때 활성화된다. ( )

13. 살아있는 세포는 죽어있는 세포에 비해 트랜스시토시스 등 막을 가로지르는 물질 수송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 )

14. 알로스테릭 효소는 2개 이상의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 )

15. 간세포에서 ATP의 농도가 낮고 AMP의 농도가 높을 때 PFK-1의 반응은 촉진될 것이다. ( )

16. 세포소기관의 원심분리를 위해 수행하는 균질기는 세포소기관 막을 파괴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 )

17. 세포 호흡 저해제를 처리하면 엔도시토시스와 같은 작용이 억제된다. ( )

18. 세포 내막계를 통한 단백질의 지속적인 세포외 분비는 세포막 면적을 감소시킨다. ( )

19. 조면소포체에 결합되어 있는 리보솜은 단백질과 각종 rRNA로 구성되며, 핵의 인에서 만들어진다. ( )

20. 정상인에서 세포자살 시 세포외 기질에서 리소좀의 b-D-헥소사미니데이스 농도는 세포괴사에 비해 높을 것이다.

( )

21. DCMU는 광계 II에서 플라스토퀴논으로의 전자전달, 파라쿼트는 페레독신으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산소에 전달하는

광합성 저해제이다. ( )

22. 광호흡 경로에서 세린과 글리신이 발견되며, 이 아미노산들은 미토콘드리아에서 발견된다. ( )

23. 광호흡 경로는 엽록체 – 퍼옥시좀 – 미토콘드리아 – 퍼옥시좀 – 엽록체를 순환하며 일어난다. ( )

24. 광호흡 경로 중 미토콘드리아 구간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 )

BIOLOGY 2020 17 ©THE BASIC SIMPLICITY


25. 발리노마이산과 DNP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전위차를 증가시킨다. ( )

26. 올리고마이신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전위차를 감소시킨다. ( )

27. 전자전달계에 로테논을 처리하면 전자전달계 복합체 I의 환원 정도가 증가한다. ( )

28. 나트륨-칼륨 펌프는 장 상피세포의 기저부에 위치하여 막전위를 형성한다. ( )

29. 위 벽세포의 H+/K+ 펌프는 역방향 교환체이다.. ( )

30. 시토크롬 C를 지표인자로 가지는 세포소기관은 모계유전을 나타낸다. ( )

31. 세균의 편모 운동의 원동력은 막 안팎의 수소 이온 농도의 차이이며, 편모 운동 시 수소 이온은 세포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온다. ( )

32. 엽록체의 ATP 합성효소는 엽록체 내막에 존재한다. ( )

33. 미토콘드리아의 ATP 합성효소는 세포 내막에서 기질 쪽에 존재한다. ( )

34. 식물세포에서 카로티노이드 등의 색소는 액포에 존재한다. ( )

35. 단백질의 3차 구조에 대한 정보는 단백질이 변성되면 사라진다. ( )

36. 원핵생물은 조면소포체가 없기 때문에 원핵생물에서 생합성되는 효소에서 이황화결합이 발견되지 않는다. ( )

37. 효소의 안정성은 이황화결합 수에 비례한다. ( )

38. 그람 음성균은 그람 양성균에 비해 숙주세포에서 병원성을 더 높게 나타낸다. ( )

39. 그람 양성균의 세포벽 구조를 안정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화학결합 중 하나는 펩티드 결합이다. ( )

40. 페니실린과 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함께 처리하면 페니실린의 항균력을 높일 수 있다. ( )

41. 단백질의 2차구조는 이황화결합으로 안정화된다. ( )

42. 단백질의 변성요인이 제거되면 다시 본래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 )

43. 구형 단백질의 내부는 소수성, 외부는 친수성이다. ( )

44. 단백질의 변성으로 용해도가 감소한다. ( )

45. 단백질에 SDS를 첨가하면 용해도는 증가한다. ( )

46. 단백질에 DTT와 SDS를 처리하면 단백질의 이황화결합은 파괴되고, 단백질이 아미노산 수에 비례한 음전하를 가지게

된다. ( )

47. 단백질에 황산암모늄과 같은 염을 과량 처리하면 단백질의 용해도는 감소한다. ( )

48. 비경쟁적 억제자와 불경쟁적 억제자는 모두 효소의 Kcat 값을 감소시킨다. ( )

49. 아밀로오스는 식물에서 에너지 저장 기능을 하며, 나선형 구조를 가진다. ( )

50. 효소 라인위버-버크 그래프의 X절편이 0보다 작은 구간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수록 KM 값은 증가한다. ( )

BIOLOGY 2020 18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1회
1. 체세포 분열은 유전물질의 증폭, 유전 물질의 분배, 세포질 분열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 )

2. 상동염색체는 모양, 무늬, 밴드가 동일하며, 같은 좌위에서 대립유전자쌍이 발견된다. ( )

3. 핵의 염색질은 메틸렌 블루, 아세트산 카민, 헤마톡실린 등으로 염색된다. ( )

4. 진정염색질은 유전자가 활발히 발현되는 구조로 DNA의 메틸화가 감소되어 있다. ( )

5. 이질염색질은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는 부위로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증가되어 있다. ( )

6. 염색분체는 S기에 서로 복제된 쌍을 이루는 각각의 염색체 한 가닥을 의미한다. ( )

7. 염색체가 최대로 응축되어 핵형 분석에 가장 좋은 시기는 M기의 중기이다. ( )

8. 후기에서 성상체 방추사는 자매 염색분체를 양극으로 끌고 가는 역할을 한다. ( )

9. 리보솜과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등은 정확히 같은 수가 양쪽 딸세포로 나뉘어진다. ( )

10. MPF는 G2 → M기 진행을 유도한다. ( )

11. 사이클린은 특정 시기에 따라 양이 증감하고, CDK는 세포 주기 내내 존재하는 세포주기 조절인자이다. ( )

12. PDGF, EGF, FGF 등은 대표적인 분열 촉진 인자이다. ( )

13. MPF는 S기에 핵막의 라민을 인산화하여 핵막이 일시적으로 소실되게 한다. ( )

14. MPF는 미오신을 탈인산화하여 수축환의 조기 생성을 억제한다. ( )

15. 양성종양은 악성종양과 달리 천천히 자라며, 성장이 멈추는 휴지기가 나타날 수 있다. ( )

16. 암은 고유의 기능을 잃고 탈분화 된 미성숙 상태이다. ( )

17. 산소 고갈이나, DNA 파손 등의 스트레스 상황이 오면 p53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해 세포자살이 촉진된다. ( )

18. cDNA는 mRNA를 주형으로 역전사효소를 이용해 상보적으로 합성한 DNA를 의미하며, 인트론 서열을 포함한다.

( )

19. 세포자살이 일어나면 세포막 내층의 포스파티딜 세린이 세포 표면으로 노출된다. ( )

20. 세포괴사의 DNA 파손은 규칙적으로 절편화된다. ( )

21. 세포자살 후 남은 세포 파편은 주변의 식세포나 세포들이 섭식하여 재활용한다. ( )

22. 세포 내부의 Fas 리간드는 세포자살을 일으키는 신호 전달을 촉진한다. ( )

23. 세대를 거치면서 각 생물들이 고유한 염색체를 유지하기 위해 배우자를 만드는 과정을 감수분열이라 하며, 이는

원핵생물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 )

24. 접합사복합체를 통해 상동 염색체가 짝을 이룬 구조를 사분 염색체라 한다. ( )

BIOLOGY 2020 19 ©THE BASIC SIMPLICITY


25. 제1감수분열 중기에 상동 염색체 사이에 키아스마 구조가 형성되어 딸세포의 유전적 다양성이 증가한다. ( )

26. 염색체의 역위란 염색체 내의 유전 정보 배열 순서가 뒤바뀌는 현상이다. ( )

27. 돌연변이 물질은 DNA의 구조 변성 및 염기 이상을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의 시토크롬 P-450에 의해 산화되면서

반응성이 극대화되기도 한다. ( )

28. AA, aa 순종끼리 교배했을 때 F1 세대에서 나타나는 형질을 우성, 나타나지 않는 나머지 형질을 열성이라 한다.

( )

29. 분리의 법칙에 따라 두 이형접합자를 교배하면 자손의 표현형의 분리비는 9:3:3:1이 된다. ( )

30. 혼합 유전설은 여러 세대에 걸쳐 형질이 혼합되더라도 극단적인 형질을 지닌 개체들의 존재를 설명할 수 없다. ( )

31. 독립의 법칙에 따라 배우자를 형성할 때 다른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32. 한 개의 유전자가 여러 형질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복대립이라 하며 겸상 적혈구 빈혈증이 대표적이다. ( )

33. 우성인자와 달리 열성인자는 열성인자의 표현형이 불리한 환경조건에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 )

34. 열성 치사 유전자에 대해 표현형과 유전형 비율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 )

35. 복대립유전자란 한 좌위에 세 개 이상의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 )

36. 한성 유전과 종성 유전은 상염색체에 관련 유전자가 존재한다. ( )

37. 사람의 성 결정은 X염색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XXY의 경우 여성으로 남성의 특징이 나타난다. ( )

38. 초파리의 거대 침샘 염색체는 세포 분열 없이 DNA만 복제된 결과이다. ( )

39. 하디-바인베르크 집단이 유지되기 위해선 자연 선택이 일어나야 하며, 교배가 무작위로 일어나야 한다. ( )

40. 초파리의 성은 Y염색체와 상염색체의 비율이 결정한다. ( )

41. 그리피스의 형질전환 실험으로 유전물질의 존재를 증명했으며, 유전물질이 DNA임을 증명하였다. ( )

42. 초파리의 성염색체 양적 보정은 수컷 X 염색체의 발현 증가로 이루어진다. ( )

43. B형 DNA는 물이 풍부한 상황에서 관찰되는 구조로 DNA가 왼 나선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 )

44. 원핵과 진핵세포의 DNA 중합효소는 언제나 5’→3’ 방향으로 복제를 진행하며, 5’-OH가 있어야 합성이 개시될 수

있다. ( )

45. 클레나우 절편은 5’→3’ 핵산말단가수분해효소 활성을 지니고 있다. ( )

46. 대장균의 헬리케이스는 DNA를 단일 가닥으로 풀어주는 역할을 하며, ATP를 소모하지 않는다. ( )

47. 지연가닥의 오카자키 절편은 DNA 중합효소 I이 합성한다. ( )

48. 대장균의 자이레이스는 복제분기점 앞 부분에 형성되는 양성 초나선을 완화시켜준다. ( )

49. 대장균과 달리 진핵세포는 다수의 복제원점을 가지고 있다. ( )

50.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자체 DNA는 텔로미어를 가지고 있다. ( )

BIOLOGY 2020 20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2회
1. 텔로머레이스는 RNA+단백질 복합체로 RNA를 주형으로 DNA를 합성하는 역전사 효소이다. ( )

2. F 플라스미드는 성 플라스미드로 성선모를 형성해 다른 세균에 접합할 수 있게 한다. ( )

3. PCR은 시험관에서 특정 DNA 절편을 증픅하고자 할 때 수행한다. ( )

4. PCR은 변성-재결합-합성의 순서로 순환 반복하며, 이때 변성 단계의 설정 온도를 가장 낮게해야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 온전한 복제 DNA 가닥을 얻을 수 있다. ( )

5. PCR 진행 후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원하는 DNA 절편만 추출할 수 있다. ( )

6. DNA의 마주보는 가닥의 염기 중 아데닌은 우라실과 구아닌은 시토신과 서로 상보적인 구조이다. ( )

7. DNA의 이중가닥의 염기는 서로 수소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 )

8. 솔염색체의 루프 형태는 DNA의 복제가 활발한 지역에서 잘 나타난다. ( )

9. 유전자는 DNA 서열 가운데 유전 정보를 갖고 있는 부위로 조절 부위와 암호화 부위로 이루어진다. ( )

10. 조절 부위 중 RNA 합성효소가 실질적으로 결합하는 부위는 프로모터이다. ( )

11. 대장균의 RNA 중합효소는 1개가 존재하며, 고세균과 진핵세포는 3개가 존재한다. ( )

12. 진핵세포의 RNA 중합효소가 결합하여 전사를 개시하는 부위의 DNA 서열은 프리나우 박스이다. ( )

13. 대장균의 σ인자는 RNA 합성효소와 프로모터 서열의 특이적 결합을 도와준다. ( )

14. 진핵세포에서 mRNA를 합성하는 중합효소는 RNA 중합효소 II로 mRNA와 miRNA, snRNA 등도 전사한다. ( )

15. 진핵세포의 인에서 가공 전의 rRNA가 전사되며, rRNA는 가공 후 리보솜의 성분이 된다. ( )

16. 5s rRNA는 RNA 중합효소 I에 의해 전사된다. ( )

17. 진핵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인자는 DNA 결합 도메인과 조절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 )

18. 진핵세포의 전사인자는 보통 인산화에 의해 그 활성이 조절되며, 단량체 형태로 DNA 서열에 결합한다. ( )

19. 원핵생물 RNA 합성효소의 핵심효소는 단독으로는 DNA에 결합하는 힘이 약하여 σ인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 )

20. ⍴-의존성 종결과 ⍴-비의존적 종결은 모두 원핵생물의 전사 종결 방법이다. ( )

21. 원핵생물의 mRNA는 mRNA 하나에 여러 개의 단백질 정보가 담긴 구조이다. ( )

22. 원핵생물의 40s 리보솜은 전사된 mRNA의 샤인-달가노 서열을 인식하여 단백질 번역을 시작한다. ( )

23. 진핵세포와 달리 원핵생물은 전사된 mRNA의 가공을 하지 않는다. ( )

24. 진핵세포의 5’-모자 구조는 mRNA는 분해를 막아 안정화시키며, 핵 밖으로의 수송을 조절한다. ( )

25. 오페론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은 아미노산 중 트립토판 생합성에만 관여한다. ( )

BIOLOGY 2020 21 ©THE BASIC SIMPLICITY


26. 원핵생물은 소기관이 없기 때문에 DNA에서 전사가 일어나는 동시에 번역이 진행된다. ( )

27. 진핵세포의 번역 시 첫번째 아미노산은 메티오닌이며, 대장균은 포밀메티오닌이다. ( )

28. 퓨로마이신은 아미노아실-tRNA 유사체로 원핵생물와 진핵세포에서 단백질의 번역을 억제한다. ( )

29. 번역 과정이 끝난 리보솜은 재활용되지 않고 프로테아좀에서 분해된다. ( )

30. 리보솜은 mRNA의 5’→3’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폴리펩티드 사슬을 신장시킨다. ( )

31. DNA 발자국 법(footprinting)은 전사 인자가 결합한 DNA 부분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 )

32. 박테리오파지 중 T4 파지는 용균주기를 진행하며, 감염된 바이러스가 숙주를 파괴하고 자손을 방출하는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 )

33. PFU는 단위 부피당 플라크를 형성할 수 있는 감염성 입자의 수를 의미하며, 실제로 살아있는 바이러스의 수와 같다.

( )

34. 인플루엔자는 독감의 원인이 되는 RNA 바이러스이다. ( )

35.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숙주에서 유래한 RNA 복제효소를 이용해 복제된다. ( )

36.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프로바이러스의 형태로 숙주 DNA에 삽입되어 긴 잠복기를 가진다. ( )

37. HIV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을 일으키며, 바이러스 고유의 역전사효소를 가지고 있는 RNA 바이러스이다. ( )

38. HIV는 CD4 막단백질을 가지는 TH 세포를 선택적으로 감염시킨다. ( )

39. 형질전환은 외래 DNA를 열충격과 같은 방법으로 세균에 주입시키는 것이고, 형질도입은 바이러스를 통해 DNA를

세균에 주입시키는 방법이다. ( )

40. 헥소카이네이스와 같은 세포질에서 작용하는 단백질에는 신호서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 )

41. tRNA는 전사 후 가공과정을 통해 일반 RNA에서 발견되지 않는 특이 염기 서열이 관찰된다. ( )

42. 한 종류의 아미노산은 여러 개의 코돈에 의해서 암호화될 수 있다. ( )

43. mRNA의 스플라이싱은 진핵세포에서는 핵, 원핵생물에서는 세포질에서 일어난다. ( )

44. 스플라이싱은 번역과 동시에 일어나며, 엑손이 올가미 형태로 제거되는 과정이다. ( )

45. 진핵세포의 mRNA poly A tail은 mRNA의 안정성 증진 보다는 번역 촉진 및 세포질로의 이동에 관여한다. ( )

46. RNA는 효소와 같은 촉매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촉매 기능을 수행하는 RNA를 리보자임이라 한다. ( )

47. DNA 복제는 모든 DNA 서열이 복제되지만 RNA 전사는 일부의 DNA 서열만 전사된다. ( )

48. 리팜피신은 원핵생물의 전사를 저해하는 항생제이다. ( )

49. 염색체를 구성하는 물질은 염색사로 DNA와 RNA로 구성된다. ( )

50. 전체 게놈의 크기가 클수록 DNA 상의 유전자 비율도 증가한다. ( )

BIOLOGY 2020 22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3회
1. DNA 복제는 반 불연속적, 반보존적이다. ( )

2. 대장균의 DNA의 복제원점은 G-C 염기쌍이 풍부한 특정 서열로 이루어져 있다. ( )

3. 대장균은 오직 하나의 복제개시점을 지닌다. ( )

4. 세포에 유사분열촉진제 처리 후 시토칼라신을 처리하면 분열기의 중기 세포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 )

5. RNA 편집과정으로 전사가 끝난 mRNA에 염기를 치환하거나 결실 혹은 삽입시킨다. ( )

6. 하나의 유전자로부터 조직 및 기능에 따라 다른 형태의 mRNA들이 합성될 수 있다. ( )

7. 한 유전자에 대해 대립유전자는 반드시 2개만 존재한다. ( )

8. 대립유전자는 유전자 여분의 복제본으로 원본이 소실되면 발현된다. ( )

9. 유전형을 모르는 유전자형의 개체를 열성 동형의 유전자형을 갖는 개체와 교배시키는 방법을 검정교배라 한다. ( )

10. 대립유전자 간의 우열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불완전우성을 나타낼 수 있다. ( )

11. 사람의 MN 혈액형은 대립유전자들이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발현되는 형질이다. ( )

12. 연관 유전자들은 언제나 감수분열 시 독립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함께 이동하여 같은 배우자에게 전달된다. ( )

13. 보통 두 유전자간 재조합 빈도가 높을수록 유전자간의 거리는 멀다. ( )

14. A, B 유전자 사이의 재조합 빈도가 2%일 때, 정자 100개당 2개의 정자에서 A,B 유전자 사이에 재조합이 일어난다.

( )

15. DNA 염기의 구성은 생물종에 따라 다르며, 이는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주장을 증명한다. ( )

16. 50개의 뉴클레오솜을 포함하는 염색질에는 50개의 H2B 단백질이 존재한다. ( )

17. DNase I은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는 제한효소로 작용한다. ( )

18. 히스톤은 진정세균과 진핵세포에 존재하여 DNA를 안정화시키는 염기성 단백질이다. ( )

19. 뉴클레오솜은 8개의 히스톤 단백질과 DNA로 구성된다. ( )

20. 히스톤의 양이온과 DNA 염기의 음이온은 정전기적 인력을 형성하여 결합을 형성한다. ( )

21. 원핵생물의 유전체에서 대부분의 DNA가 단백질, tRNA, rRNA 등을 암호화하고 있으며, 비암호화 DNA 부분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

22. 비암호화 DNA는 유전자간의 간격을 형성하여 진화 및 유전자의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 )

23. 진핵생물 간의 유전체 크기와 생물 표현형의 복잡성은 비례 관계이다. ( )

24. 한 개체에서 서로 다른 조직 세포 내 염색체 수는 언제나 동일하다. ( )

BIOLOGY 2020 23 ©THE BASIC SIMPLICITY


25. 진핵생물에서 스플라이싱 복합체 내에 존재하는 hnRNP가 스플라이싱 될 RNA 부위를 결정한다. ( )

26. 대장균의 DNA는 환형이기 때문에 진핵세포와 달리 반불연속적 복제대신 연속적 복제를 진행한다. ( )

27. 사람의 체세포 DNA에는 텔로머레이스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 )

28. 척추동물의 근육세포는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텔로머레이스의 발현 수준이 낮을 것이다. ( )

29. 원핵과진핵 모두에서 프로모터 서열은 보통 전사 개시점에 상류에 위치하며 수 십개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 )

30. 원핵생물의 핵심 RNA 중합효소는 σ인자를 포함한다. ( )

31. 원핵생물와 진핵생물 모두 전사과정에서 전사인자와 인핸서와 같은 조절인자가 관여한다. ( )

32. 진핵세포의 mRNA는 전사 후 인트론 부위를 제거하기 위해 snRNP가 관여한다. ( )

33. 유전자의 처음과 끝은 엑손으로 구성되며, 엑손의 개수는 언제나 인트론의 개수보다 많다. ( )

34. 3개의 인트론을 가진 pre-mRNA에는 4개의 엑손이 존재한다. ( )

35. 대부분의 인트론은 GU에서 시작하여 AG서열로 끝난다. ( )

36. 진핵세포에서 분비 단백질 번역 중 SRP가 단백질의 신호서열에 결합하면 단백질 번역이 중지된다. ( )

37. 소포체 막에서 전좌통로를 통해 내강으로 이동하는 단백질은 3차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 )

38. 환상의 폴리리보솜과 80S 리보솜은 원핵생물의 단백질 합성과 관련된다. ( )

39. 스트렙토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은 원핵생물에 작용하는 단백질 번역 억제제이다. ( )

40. 인트론은 유전자 내 비번역부위로 엑손과 인트론이란 용어는 RNA와 DNA에서 모두 사용된다. ( )

41. mRNA 전구체로부터 엑손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한 유전자로부터 다양한 mRNA와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 )

42. 원핵생물에서 mRNA 및 rRNA의 전사 후 가공은 일어나지 않는다. ( )

43. 진핵세포의 인에서 전구체 rRNA가 RNA 중합효소 I에 의해 전사 후 가공될 때 아세틸기가 붙는 과정을 거친다.

( )

44. 핵으로 이동하는 단백질은 자유리보솜에서 합성된 후 핵으로 이동한다. ( )

45. X염색체 불활성화는 동물 암수의 성염색체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기작이다. ( )

46. 증폭자(enhancer)와 유전자간의 거리가 멀수록 증폭자의 전사조절 능력히 급격히 약화된다. ( )

47. 원핵 세포 벡터 중 플라스미드의 삽입 가능한 DNA 크기가 가장 작다. ( )

48. 벡터는 다양한 제한효소에 의해 인식되는 자리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하나의 제한효소에 대해서는 다양한 자리를

지니는 것이 좋다. ( )

49. DNA의 회복과 교정은 S기에 동시에 일어난다. ( )

50. 특정 mRNA에 상보적인 안티센스 RNA를 통해 mRNA의 번역을 저해할 수 있다. ( )

BIOLOGY 2020 24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4회
1. tRNA는 mRNA의 코돈에 상보적으로 수소 결합하는 안티코돈이 있어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해주는 역할을

한다. ( )

2. 성숙한 tRNA는 3개의 고리를 가지는 꼬인 L자를 가지며, 이 구조는 뉴클레오티드 염기와 리보오스의 -OH기

사이에서 공유결합이 일어나기 때문에 생긴다. ( )

3. tRNA 3’ 말단에 존재하는 아데닌의 3’-OH와 아미노산의 -COOH기 간에 공유결합 형성으로 아미노아실-tRNA가

합성된다. ( )

4. 아미노아실 tRNA 합성과정에는 ATP가 사용되며, 인산기 2개가 사용되어 ATP는 AMP로 전환된다. ( )

5. 모계효과는 모체의 mRNA나 단백질이 자손에게 전달되어 자손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 )

6. 모계효과는 오직 모체의 유전형에만 의존하여 자손의 표현형이 결정되며, 모체의 표현형은 무시된다. ( )

7. 모계효과에 의해 자손의 표현형은 모두 동일하다. ( )

8. 검정교배를 통해 얻은 자손의 표현형을 관찰하면, 열성동형접합체와 교배했던 개체의 유전형을 결정할 수 있다. ( )

9. 대장균의 프리메이스는 RNA 중합효소로 DNA 중합을 위한 3’-OH를 제공하는 프라이머를 합성한다. ( )

10. 대장균의 DNA 자이레이스는 위성이성질화효소 II로 dsDNA를 절단하여 초나선을 제거한다. ( )

11. 헬리케이스와 DNA 자이레이스는 그 작용에 ATP를 소모하지 않는다. ( )

12. DNA 중합효소 III은 5’→3’의 exonuclease 활성을 갖는다. ( )

13. 프리메이스는 선도가닥과 지연가닥의 비주형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 )

14. 헬리케이스는 DNA 외가닥에 붙어 이동하면서 DNA의 이중가닥을 풀어준다. ( )

15. 클레나우 절편은 DNA 중합효소 활성과 교정기능을 모두 갖는다. ( )

16. 디데옥시뉴클레오티드는 2’-OH가 없기 때문에 DNA 중합반응이 일어날 수 없다. ( )

17. 오카자키 절편은 DNA의 합성이 오직 5’→3’ 방향으로만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 )

18. 멘델의 독립의 법칙은 서로 같은 염색체의 비대립 유전자가 독립적으로 분리됨을 의미한다. ( )

19. 완두 종자의 우성형질인 WWGG와 열성형질 wwgg를 교배하면 F1은 WwGg만 나오고, 이를 교배하면 F2는 표현형이

9:3:3:1로 분리된다. ( )

20. 분리의 법칙은 유전자가 2쌍이고, 이 대립유전자들이 분리되어 다음 세대로 전해진다는 것을 가정한다. ( )

21. DNA chip은 DNA-RNA 혼성화 원리를 이용하여 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의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다. ( )

BIOLOGY 2020 25 ©THE BASIC SIMPLICITY


22. DNA chip에서 cDNA 라이브러리는 최대한 다양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 )

23. 각각 다른 두 세포에 같은 cDNA를 대상으로 DNA chip을 수행하면 chip의 동일한 지점에서 혼성화가 될 것이다.

( )

24. 돌연변이는 게놈을 구성하는 염색체나 DNA 분자 일부에 발생하는 영속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 )

25. 돌연변이는 돌연변이 유발원의 작용없이, 단순 DNA 복제과정의 실수로도 야기될 수 있다. ( )

26. 침묵(silent)과 중립(neutral) 돌연변이는 염기서열은 변하지만 표현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27. 변화된 유전암호가 동일한 아미노산을 암호화는 경우는 중립 돌연변이이다. ( )

28. 변화된 유전암호가 다른 아미노산을 지정하지만, 동일 성질의 아미노산으로 변화됨에 따라 단백질의 입체구조와

기능이 유지되는 경우는 침묵 돌연변이이다. ( )

29. 변화된 염기서열이 종결코돈인 경우 넌센스 돌연변이가 유발된다. ( )

30. 대개 코돈의 3번째 염기에서 일어나는 치환의 경우가 침묵 돌연변이로 나타난다. ( )

31. 염기의 첨가나 결실에 비해 격자이동 돌연변이는 번역된 단백질의 기능이 온전한 경우가 많다. ( )

32. 염색체 절편의 위치가 동일 염색체상의 원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변화되거나, 아예 다른 염색체로 이동하는

것을 염색체의 전좌라 한다. ( )

33. 클라인펠터 증후군, 터너 증후군 등은 염색체 돌연변이의 일종이다. ( )

34. 에임스 테스트는 복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돌연변이원(mutagen)을 검출하는 실험 방법이다. ( )

35. 5-BU(bromouracil)은 티민 유사체로 전위(transition)을 유발한다. ( )

36. 대장균의 접합은 F 플라스미드를 가진 F+ 세균에서 F 플라스미드가 없는 F- 세포로 F 플라스미드와 유전자가

전달되어 형질이 바뀌는 현상이다. ( )

37. F 플라스미드가 세균의 염색체에 삽입된 것을 Hfr 균주라 한다. ( )

38. Hfr 균주와 F- 균주가 서로 접합하면 F- 균주는 Hfr 균주로 전환된다. ( )

39. 한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유전자들은 생식세포가 형성될 때 같이 움직이게 되고 이를 연관되어 있다라고 한다. ( )

40. 두 유전자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생식세포 형성 시 절대 분리되지 않는 경우 완전연관되어 있다 할 수 있으며,

교차에 의해 분리되는 경우 불완전 연관되어 있다 한다. ( )

41. 교차가 일어난 곳은 키아즈마이며, 키아즈마의 수는 염색체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 )

42. 다인자 유전은 표현형이 연속적인 분포를 나타낸다. ( )

43. 반성유전은 유전자가 Y염색체에 있을 때 유전되는 현상이다. ( )

44. 남성의 Y 염색체 관련 반성유전은 아버지의 형질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 )

45. 척추동물에서 M기에 증가하는 사이클린 단백질은 사이클린 D이다. ( )

BIOLOGY 2020 26 ©THE BASIC SIMPLICITY


46.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Cdk)는 사이클린과 결합한 경우에만 활성을 가지며 인산화효소로 작용한다. ( )

47. 체세포 분열에서 후기 촉진 복합체(APC)는 M기 후기 부터 활성을 가져 코헤신을 분해시킨다. ( )

48. 게놈 각인이란 특정유전자가 유전될 때 반드시 부모 한 쪽에서만 오는 유전자만 발현되는 현상이다. ( )

49. 게놈 각인은 염색체의 아세틸화로 발생하며, 아세틸화된 유전자는 발현되지 않는다. ( )

50. 자손의 생식선 배세포에서 각인이 풀리며, 다시 자손의 성별에 맞춰 각인이 새롭게 일어난다. ( )

BIOLOGY 2020 27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5회
1. S기의 확인점에서 출발신호가 주어지면 세포는 M기를 지나 분열까지 마치게 되며, 출발신호가 주어지지 않으면

G0기로 불리는 분열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된다. ( )

2. M기의 확인점은 모든 염색체가 중기판에 적절하게 배열되었는지를 확인한다. ( )

3. 세퍼레이스는 코헤신을 분해시켜 염색분체의 분리가 일어나게 한다. ( )

4. 고세균과 진정세균은 히스톤을 가지지만 오페론은 진정세균만이 가지고 있다. ( )

5. DNA가 응축되기 위해선 히스톤 단백질이 필요하다. ( )

6. 사람의 경우 46개의 염색체를 지니며, 22쌍의 상염색체와 1쌍의 성염색체로 구성된다. ( )

7. 사람의 자매 염색분체 상에서 텔로미어와 중심절을 확인할 수 있다. ( )

8. 오페론의 조절 유전자는 다른 DNA 서열의 번역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이다. ( )

9. 오페론의 구조 유전자는 대사, 생합성 세포에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암호화 한다. ( )

10. 유전자 발현 조절은 음성조절만 사용하며, 단백질 번역 조절은 음성과 양성조절을 모두 한다. ( )

11. 진핵생물의 유전자 발현 조절은 오직 전사단계에서만 수행한다. ( )

12. 오페론은 억제유전자, 조절부위, 구조유전자로 구성된다. ( )

13. 오페론의 작동자는 조절부위에 있으며, 촉진자가 결합하는 부위다. ( )

14. 오페론의 억제단백질은 작동자 서열에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RNA 중합효소의 결합을 방해한다. ( )

15. 젖당 오페론의 억제자는 젖당 오페론의 작동자에 특이성을 가진다. ( )

16. 젖당 오페론은 젖당 존재하에 유전자 발현이 억제된다. ( )

17. 젖당 오페론의 억제자에 의한 조절은 음성조절이다. ( )

18. 젖당의 변형체인 알로락토오스(allolactose)는 젖당 오페론에서 유도자로 작용한다. ( )

19. 대장균 주위에 포도당과 젖당이 동시에 존재하면 젖당을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 )

20. 대장균이 젖당을 소비하기 위해 포도당 대사를 억제하는 것을 이화억제라 한다. ( )

21. 대장균의 cAMP는 포도당 농도와 반비례하며, cAMP의 증가는 이화촉진단백질(CAP)을 활성화 시킨다. ( )

22. 트립토판 오페론에서 트립토판은 공동억제자로 작용한다. ( )

23. 트립토판 오페론은 젖당 오페론과 달리 트립토판이 없을 때 발현된다. ( )

24. 트립토판 오페론의 억제자는 트립토판이 존재해야만 생산된다. ( )

25. 트립토판 오페론의 조절 단백질은 활성이 없는 억제자 형태로 합성된다. ( )

BIOLOGY 2020 28 ©THE BASIC SIMPLICITY


26. 트립토판 오페론의 전사감쇄는 원핵생물에서 전사와 번역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한다. ( )

27. 전사감쇄에 의한 전사 종결은 ρ인자 의존성 종결이다. ( )

28. 5’-UTR에서 2번과 3번 영역이 짝을 이루면 전사감쇄 기작으로 전사가 종결된다. ( )

29. 세포주기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해선 검문지점을 통과해야 한다. ( )

30. 암세포의 경우 G2기가 상실됨으로써 세포분열이 멈추지 않고 지속된다. ( )

31. G1에서 세포의 성장이 일어나며, 전사와 번역이 가장 활발한 시기이다. ( )

32. M기는 핵분열과 세포질분열이 일어나며 세포주기 중 가장 긴 시간이 소요된다. ( )

33. MPF의 활성은 사이클린 B 농도가 최대일 때 가장 높다. ( )

34. 후기 촉진 복합체(APC)는 사이클린-Cdk 복합체이다. ( )

35. APC는 모든 염색체의 방추사 부착점이 방추사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을 때 활성화된다. ( )

36. APC는 세포가 M기 후기에서 말기로 진입하도록 유도한다. ( )

37. 자외선은 DNA에 존재하는 아데닌 사이에 아데닌 이량체를 형성하게하여 돌연변이를 유발한다. ( )

38.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시토크롬 C의 유출은 세포자살을 매개한다. ( )

39. p53은 산소 고갈, DNA 파손 등의 상황에 활성화 되어 세포자살을 유도한다. ( )

40. 세포골격의 파괴는 p53의 활성화를 일으킬 수 있다. ( )

41. Rb 단백질의 탈인산화는 Rb와 E2F를 분리시킨다. ( )

42. 분리되어 활성화된 E2F는 세포의 S기로의 진행을 촉진한다. ( )

43. 카스파아제는 세포괴사를 촉진한다. ( )

44. 세포자살은 DNA가 단편화되고 핵이 응축되는 반면, 세포괴사는 DNA가 무작위적으로 파괴된다. ( )

45. 세포괴사의 경우 포스파티딜 세린이 세포막 표면으로 노출되지만, 세포 자살의 경우 변화 없다. ( )

46. 세포자살은 세포괴사와 달리 ATP를 필요로 하는 과정이다. ( )

47. 세포괴사가 세포자살에 비해 더 높은 염증반응을 유도한다. ( )

48. 세포자살은 세포괴사와 달리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소기관이 팽창한다. ( )

49. 교차에 의한 상동재조합은 감수 제1분열 전기에 일어난다. ( )

50. 염색체 비분리는 세포분열 동안 염색체가 양극으로 나뉘지 않고 한 쪽으로만 이동하는 현상이다. ( )

BIOLOGY 2020 29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6회
1. 유전자는 DNA의 특정 부분으로 유전 형질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 )

2. 핵산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는 뉴클레오티드이다. ( )

3. 뉴클레오솜에는 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되어 있다. ( )

4. 뉴클레오솜에는 RNA가 포함되어 있다. ( )

5. 히스톤 단백질에는 인산이 포함되어 있어 DNA 염기와의 상호작용으로 DNA가 히스톤에 감긴다. ( )

6. 진핵생물의 mRNA는 폴리시스트론성이며, 원핵생물의 mRNA는 모노시스트론성이다. ( )

7. 보통 염색체의 수는 동원체 수와 같다. ( )

8. 일반적으로 DNA 상대량은 염색분체 수에 비례한다. ( )

9. 염색체의 동원체는 세포가 분열할 때 방추사가 붙는 부분이다. ( )

10. 염색사는 염색체에 비해 이동이 편리하고, 유전정보가 손실되기 쉽다. ( )

11. 사람의 성별은 X 염색체 수에 따라 결정된다. ( )

12. 사람의 X 염색체와 Y 염색체는 크기와 모양이 다르나 상동염색체로 간주한다. ( )

13. 정상적인 수정 과정에서 아버지의 X 염색체는 아들과 딸에게 모두 전달될 수 있다. ( )

14. 정상적인 수정 과정에서 아들의 Y 염색체는 아버지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 )

15. 일반적으로 아버지와 아들의 Y 염색체 유전자 구성은 100% 일치한다. ( )

16. 정상인에 비해 염색체가 1개 많거나 적은 사람은 일반적으로 불임이다. ( )

17. 사람의 적혈구를 통해 핵형과 유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 )

18. 염색체의 개수가 같은 두 개체는 같은 생물 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 )

19. 일반적으로 체세포 염색체 수가 같은 두 생물은 생식 세포의 염색체 수가 같다. ( )

20. 하나의 동원체에 연결된 두 염색분체는 유전자 구성이 서로 같다. ( )

염색체 수
21. 사람의 생식세포에서 = 23이다. ( )
성염색체 수

22. 세포의 G1기에서 세포 소기관의 수가 증가한다. ( )

23. 세포의 S기에서 방추사가 합성된다. ( )

24. 세포의 S기에서 핵막이 발견된다. ( )

25. 동물세포의 G2기에서 2개의 중심체가 관찰된다. ( )

BIOLOGY 2020 30 ©THE BASIC SIMPLICITY


26. 식물세포의 S기에서 DNA가 복제되어 염색체의 수가 2배로 늘어난다. (

27. 세포는 G1기에서만 생장하며 S기, G2기에서는 생장하지 않는다. ( )

28. 신경세포나 근육세포는 활발하게 분열한다. ( )

29. 발생 초기의 수정란에서는 분열이 거듭될수록 질량 당 DNA 상대량이 증가한다. ( )

30. 암세포의 세포 분열에는 접촉 저해가 존재하지 않아 세포가 여러 층으로 분열한다. ( )

31. 감수 1분열 전기 세포의 염색분체 수는 체세포의 염색체 수의 2배이다. ( )

32. 감수 1분열 이후 염색체는 염색사로 풀어진다. ( )

33. 생식 세포가 수정되면 G1기의 모세포와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수정란이 생성된다. ( )

34. 방추사 형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처리하면 세포 주기는 G2기에 멈춰있게 된다. ( )

35. 같은 수의 세포를 관찰할 때 세포의 수와 세포 주기에 걸린 시간은 비례한다. ( )

36. 같은 수의 세포를 관찰할 때 S기가 길어지면 DNA 복제 전 세포의 수가 늘어난다. ( )

37. 단성 잡종 교배 실험의 F1에서 얻은 자손은 모두 이형접합이다. ( )

38. 단성 잡종 교배 실험의 F2에서 우성 형질의 자손과 열성 형질의 자손은 1:1 비로 나타난다. ( )

39. 단성 잡종 교배 실험에서 분리의 법칙, 우열의 원리를 확인할 수 없다. ( )

40. 부모 세대가 모두 잡종일 때 순종인 자손이 나올 확률은 25%이다. ( )

41. 양성 잡종 교배 실험의 F1에서 우성 형질이 나타난다. ( )

42. 양성 잡종 교배 실험에서 독립의 법칙을 확인할 수 있다. ( )

43. 양성 잡종 교배 실험의 F2에서 얻은 자손은 모두 이형 접합이다. ( )

44. 독립인 AaBb를 자가 교배하였을 때 자손의 유전자형의 비는 9:3:3:1이다. ( )

45. 중간 유전은 멘델의 독립의 법칙과 분리의 법칙을 위배한다. ( )

46. 독립인 AaBb에서 4가지 종류의 생식 세포가 형성된다. ( )

47. 반성 열성 유전에서 유전 형질을 가진 어머니로부터 정상인 아들이 태어날 수 없다. ( )

48. 반성 열성 유전에서 정상인 아버지로부터 열성 표현형을 보이는 딸이 태어날 수 있다. ( )

49. 반성 열성 유전에서 정상인 남자와 보인자인 여자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유전병을 가질 확률은 25%이다. ( )

50. 아들이 적록 색맹이면 정상인 어머니는 보인자이다. ( )

BIOLOGY 2020 31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7회
1. 페닐케톤뇨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염색체 구성은 정상인과 동일하지 않다. ( )

2. 유전자 치료에서 면역 거부 반응을 줄이기 위해 환자의 체세포를 사용한다. ( )

3.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염색체 구조 이상으로 9번과 22번 염색체가 전좌된 것이다. ( )

4. 염색체 비분리 현상은 감수 1분열과 2분열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 )

5. 묘성 증후군은 염색체 일부의 결실로 발생한다. ( )

6. 유전병 환자 부부 사이에 정상 자손이 태어났다면, 유전병 대립유전자는 열성이다. ( )

7. 반성 유전은 유전자가 성염색체 상에 있는 유전현상으로 X-연관 유전과 Y-연관 유전이 모두 있다. ( )

8. 페닐케톤뇨증은 티로신이 페닐알라닌으로 전환되지 못해 발생한다. ( )

9. 염기 치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제한효소 처리 후 DNA 절편의 패턴 변화를 RFLP라 한다. ( )

10. 헌팅턴 병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 )

11. 불완전 우성은 우성 형질이 열성 형질에 대해 완전한 우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이다. ( )

12. 불완전 우성에서 동형접합자와 이형접합자는 서로 같은 표현형을 나타낸다. ( )

13. 공동우성이란 한 좌위에 존재하는 두 개의 대립 유전자가 모두 열성으로 발현되는 경우를 말한다. ( )

14. 종성 유전은 상염색체 유전이면서 성에 따라 우열 관계가 다르게 나타난다. ( )

15. 유전자의 각인은 생식선에서 일어나며, 메틸화가 일어난다. ( )

16. 유전자의 각인은 수정 후 배아 발생 과정 중 성특이적으로 형성된다. ( )

17. 진핵세포의 DNA 리가아제는 지연가닥에서 새로 합성된 가닥과 기존 가닥 사이를 ATP를 소모하여 결합시킨다. ( )

18. DNA 복제에 선도가닥은 오직 한 개의 프라이머만을 필요로 하며, 지연 가닥은 여러 개의 프라이머로 합성된

오카자키 절편을 필요로 한다. ( )

19. 원핵 생물은 전사와 변역이 세포질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 )

20. 번역에 의해 단백질은 C-말단 → N-말단으로 합성된다. ( )

21. 원핵생물의 번역은 70S 리보솜에서 일어난다. ( )

22. 염색질면역침전법은 특정 전사인자와 조절 요소의 직접적인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다. ( )

23. 진핵생물의 유전자는 유전자의 아래쪽에 전사조절인자가 결합하는 전사조절요소를 가지고 있다. ( )

24. 진핵생물의 RNA Pol I은 28S, 18S, 5S rRNA를 전사한다. ( )

25. 진핵생물의 RNA Pol II는 rRNA를 전사하지 않는다. ( )

BIOLOGY 2020 32 ©THE BASIC SIMPLICITY


26. 진핵생물의 RNA Pol III는 하나의 rRNA와 tRNA를 전사한다. ( )

27. 페리틴은 철을 저장하는 세포내 단백질이다. ( )

28. 원핵생물에서 펩티드 결합의 형성은 28S rRNA에 의해 촉매된다. ( )

29. 원핵생물의 30S 소단위체가 16S rRNA와의 상보적 서열을 이용하여 mRNA의 샤인-달가노 서열을 인식 후 mRNA와

결합한다. ( )

30. 원핵생물의 번역에서 대단위체 리보솜의 A자리에 종결코돈이 오면, 방출인자가 A자리에 결합한 후 tRNA와

폴리펩티드를 가수분해시키며 번역을 종결시킨다. ( )

31. 진핵생물의 40S 소단위체는 mRNA의 5’-cap에 결합하여 번역을 개시한다. ( )

32. 일반 형질도입은 용균성 생활사를 영위하는 파지에 의해 일어나는 형질도입이다. ( )

33. 일반 형질도입은 숙주의 특정 DNA만 전달될 수 있다. ( )

34. 특별 형질도입은 용원성 생활사를 영위하는 파지에 의해서 일어난다. ( )

35. 특별 형질도입은 일반 형질도입에 비해서 더 큰 크기의 숙주 DNA를 운반할 수 있다. ( )

36. 특별 형질도입은 불완전한 프로파지의 절제에 의해 프로파지 주위의 숙주 DNA만을 전달할 수 있다. ( )

37. 형질도입에 의해 세균의 DNA와 감염된 세균의 DNA 사이에 재조합이 일어날 경우 반드시 2의 배수로 교차가

일어난다. ( )

38. 형질도입에서 한 개의 외래유전자와의 교차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형질전환체의 빈도가 증가한다. ( )

39. 형질도입에서 두 유전자가 가까이 존재할수록 두 유전자 모두가 치환된 형질전환체의 빈도는 감소한다. ( )

40. 대장균에서 포도당의 존재는 대장균 내의 cAMP 농도를 낮추어 CAP이 작용할 수 있게 한다. ( )

41. 대장균에서 포도당의 존재는 젖당의 이용을 방해한다. ( )

42. 젖당 오페론은 유도성 음성조절 오페론이다. ( )

43. IPTG는 알로락토오스처럼 억제자와 결합하여 억제자가 작동자에 결합하지 못하게 하는 젖당 오페론 유도물질이다.

( )

44. 트립토판 오페론은 억제성 양성조절 오페론이다. ( )

45. 시료에 존재하는 RNA를 확인하거나 정량하기 위해 노던 블로팅을 수행한다. ( )

46. 노던 블로팅에는 항체가 부착된 탐침자가 사용된다. ( )

47. RNA 편집은 이미 전사된 RNA의 서열은 변화시킬 수 없다. ( )

48. RNA 편집으로 같은 mRNA로부터 서로 다른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다. ( )

49. RNA 편집으로 종결코돈이 새로운 자리에 생성될 수 있다. ( )

50. 시티딘 탈아미노효소는 RNA 편집과정에서 시토신을 티민으로 전환시킨다. ( )

BIOLOGY 2020 33 ©THE BASIC SIMPLICITY


BIOLOGY 2020 34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8회
1. 리소좀 가수분해효소, 막단백질 등의 모든 분비성 단백질은 자유리보솜에서 번역을 시작한다. ( )

2. 동물과 식물세포에서 핵분열과 세포질 분열은 동시에 일어난다. ( )

3. 세균의 접합을 통해 유전물질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 )

4. 복대립유전은 하나의 형질을 결정하는데 3개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관여하며, 이 중에서 2개의 대립유전자에 의해

형질이 결정된다. ( )

5. 트립토판 오페론의 선도부위에서 전사되는 mRNA를 선도 전사체라 하며, 선도 전사체에 존재하는 4개의 상보적인

영역에서 조건에 따라 3종류의 머리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 )

6. 선도 전사체의 영역 I의 Trp 코돈이 종결코돈으로 바뀐 대장균을 트립토판이 있는 배지에서 배양하면, 전사감쇄가

일어난다. ( )

7. 선도 전사체의 영역 I의 Trp 코돈이 모두 제거된 대장균을 트립토판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하면, 전사감쇄가 일어난다.

( )

8. 뉴클레오솜은 세포가 분열할 때 사라진다. ( )

9. 뉴클레오솜에는 디옥시리보오스가 포함되어 있다. ( )

10. 히스톤 단백질에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유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 )

11. 히스톤 단백질의 기본 단위는 뉴클레오티드이다. ( )

12. 유전 정보의 발현에 관여하는 효소는 염색체를 직접 이용할 수 있다. ( )

13. 어머니와 딸의 X 염색체 구성은 100% 일치한다. ( )

14. Y 염색체에 있는 대부분의 유전자는 남자에게만 존재한다. ( )

15. 상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세포 당 DNA 상대량의 합은 남녀에서 동일하다. ( )

16. 핵형 분석을 통해 ABO식 혈액형과 당뇨병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 )

17. 중심립이 처음으로 관찰되는 시기는 분열기의 전기이다. ( )

18. 감수 1분열을 마친 세포가 S기를 거쳐 G2기로 돌아갈 수 있다. ( )

19. 감수 1, 2분열 결과 생성된 4개의 딸세포에서는 대립 유전자가 쌍을 이룬다. ( )

20. 감수 2분열 전후의 세포는 핵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 )

21. 열성 순종과의 교배를 통해 우성 표현형을 가지는 개체의 유전자형을 알 수 있다. ( )

22. 양성 잡종에서 4개의 생식 세포가 형성되면 두 유전자는 연관되어 있다. ( )

BIOLOGY 2020 35 ©THE BASIC SIMPLICITY


23. 상인연관(AaBb)에서 유전자형이 AB, ab인 생식 세포를 얻을 수 있다. ( )

24. 교차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상인연관(AaBb)을 자가 교배하였을 때 자손의 표현형의 비는 3:1이다. ( )

25. 교차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상인연관(AaBb)을 자가 교배하였을 때 자손의 유전자형의 비는 3:1이다. ( )

26. 교차가 없을 때 상인연관(AaBb)과 상반연관(AaBb)의 교배로 얻은 자손에서 표현형의 비는 2 : 1 : 1 이다. ( )

27. 교차가 없을 때 상인연관(AaBb)과 상반연관(AaBb)의 교배로 얻은 자손에서 4가지 유전자형이 나타난다. ( )

28. 상인연관(AaBb)과 상반연관(AaBb)의 교배로 얻은 모든 자손에서 유전자형이 ab인 생식세포를 얻을 수 있다. ( )

29. AaBb의 자가교배에서 A_B_는 독립, 상인연관, 상반연관에서 모두 얻을 수 있다. ( )

30. 교차가 없을 때 AaBb의 자가교배에서 aabb는 독립, 상반연관에서만 얻을 수 있다. ( )

31. 교차가 일어나면 유전적 다양성이 증가한다. ( )

32. 독립인 AaBbDd에서 생성되는 생식세포의 유전자형은 모두 8가지이다. ( )

33. 독립인 AaBbDdEe의 자가 교배에서 얻은 자손의 표현형은 모두 16가지이다. ( )

34. 독립인 AaBb를 검정교배하였을 때 4가지 표현형의 자손이 나타난다. ( )

35. 이란성 쌍둥이의 유전자 구성은 서로 동일하다. ( )

36. 일란성 쌍둥이는 모든 형질이 서로 동일하다. ( )

37. AaBb의 자가교배에서 자손의 표현형이 4가지가 나오면 대립유전자는 서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여 우열의 원리와

독립의 법칙을 따른 것이다. ( )

38. 상염색체 유전에서 우성 표현형을 가진 개체와 열성 표현형을 가진 개체 사이에서 우성 순종인 개체가 태어날 수

있다. ( )

39. 부모가 가지지 않은 형질을 가진 딸은 상염색체 유전의 열성 순종이다. ( )

40. 부모가 가지지 않은 형질을 가진 아들은 상염색체 유전의 열성 순종이다. ( )

41. 감수 1분열에서 비분리가 일어나면 정상인 생식 세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 )

42. 감수 2분열에서 비분리가 일어나면 정상인 생식 세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 )

43. 대립유전자 구성이 Aa인 세포에서 감수 1분열 비분리가 일어나면 A와 a를 모두 가진 생식세포가 형성될 수 있다.

( )

44. 대립유전자 구성이 Aa인 세포에서 감수 2분열 비분리가 일어나면 A와 a를 모두 가진 생식세포가 형성될 수 있다.

( )

45. 겸형적혈구빈혈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핵형은 정상이다. ( )

46. 클라인펠터 증후군인 사람은 적록 색맹의 보인자가 될 수 있다. ( )

BIOLOGY 2020 36 ©THE BASIC SIMPLICITY


47. X 염색체 유전에서 정상인 부모로부터 터너증후군이며 유전병을 가진 딸이 태어날 때 유전병은 정상에 대하여

열성이다. ( )

48. 배수성 돌연변이는 주로 식물에서 관찰되고 인위적으로 만들 수 없다. ( )

49. 상동염색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교차는 염색체 구조 이상의 한 종류이다. ( )

50. 유전자 치료가 성공하면 유전병은 유전되지 않는다. ( )

BIOLOGY 2020 37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9회
1. X 염색체 불활성화는 동물 암수의 성염색체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파리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 )

2. X 염색체 불활성화는 XIST 유전자가 존재하는 불활성화중심에서 시작된다. ( )

3. XIST 유전자는 단백질로 번역되지 않는 XIST RNA를 발현하며, 이는 응축될 X 염색체에 결합한다. ( )

4. XIST RNA의 결합은 시토신의 아세틸화를 유래해 DNA의 응축을 초래한다. ( )

5. DNA의 아세틸화, 인산화, 메틸화는 유전자 발현 조절과 관련된다. ( )

6. 증폭자는 유전자 내부에도 존재할 수 있다. ( )

7. 증폭자에 결합하는 단백질 대부분은 전사를 촉진하는 활성자로 모든 세포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 )

8. 증폭자의 방향은 중요치 않아 증폭자 서열의 방향을 거꾸로 놓아도 전사를 활성화하는 능력에는 영향이 없다. ( )

9. 선택적 스플라이싱에 의해 하나의 유전자에서 하나의 폴리펩티드만 만들어질 수 있다. ( )

10. 유전자에는 mRNA의 폴리 A 서열에 대응하는 폴리 T 서열이 존재한다. ( )

11. 5’-capping, 3’-poly A 형성은 mRNA와 tRNA에서 나타난다. ( )

12. mRNA 서열 중 아미노산을 코딩하지 않는 부위를 UTR이라 한다. ( )

13. mRNA 서열 중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를 CDS라 한다. ( )

14. 유전자 각인은 유전자가 어느 부모 쪽에서 유래했냐에 따라 발현이 달라지는 현상으로 유전자는 성염색체에

위치한다. ( )

15. 모계로부터 유래된 15번 염색체 일부의 결실은 프레더-윌리 증후군을 초래한다. ( )

16. 부계와 모계로부터 전달된 IGF-2 유전자 중 부계 쪽 유전자가 발현된다. ( )

17. 유전자 각인은 후생유전학 현상에 속한다. ( )

18. 전사가 활발히 일어나는 유전자들은 전사가 비활성인 유전자들에 비해 염색질의 구조가 더 치밀하다. ( )

19. 연관된 기능의 유전자들이 함께 발현되는 것은 각각의 유전자들이 같은 조절 서열을 가지고 있기에 가능하다. ( )

20. 유전자 발현 조절 단백질들은 세포에 따라 특이적이다. ( )

21. miRNA는 RNA 간섭현상을 일으키며, RNA 간섭은 바이러스나 외부유전자의 침입을 막고 자신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기전이다. ( )

22. pri-miRNA는 핵 내부에서 Drosha에 의해 절단된다. ( )

23. RISC와 결합한 miRNA는 목적 mRNA에 결합하여 상보성이 완벽할 때 목적 mRNA의 분해를 유도한다. ( )

BIOLOGY 2020 38 ©THE BASIC SIMPLICITY


24. 제한효소는 곰팡이와 같은 균류에서 발현되며, ds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당-인산 골격의 인산이에스테르

결합을 가수분해한다. ( )

25.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한 말단은 DNA 리가아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 )

26. 각 단일 가닥 DNA를 같은 방향으로 읽었을 때 동일한 염기서열을 지니는 배열을 회문배열이라 한다. ( )

27. 제한효소에 의한 절단 부위는 점착성말단(sticky end)만을 형성한다. ( )

28. DNase I은 DNA의 내부를 절단하는 내부핵산분해효소로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한다. ( )

29. Taq DNA 중합효소는 고온에서 안정적이며 PCR에 사용된다. ( )

30. 플라스미드 분리법에서 페놀/클로로포름은 단백질을 변성, 침전시키는 시약이다. ( )

31. 플라스미드 분리법에서 70% 알콜이나 이소프로판올은 RNA만 농축시킨다. ( )

32. 플라스미드 분리법에서 SDS는 세포벽을 파괴한다. ( )

33. 재조합 DNA에서 벡터는 복제개시점, MCS, 선별표시자를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 ( )

34.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효모에 형질전환할 경우 테트라사이클린 저항성 유전자를 선별표시자로 사용할 수 있다. ( )

35. 특정 제한효소자리의 점 돌연변이로 인해 제한효소 절단 시 생성되는 DNA 절편의 길이와 개수가 다른 현상을

STR라 한다. ( )

36. SSLP, RFLP, SNP는 게놈 상 특징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유전적 표지자이며, 유전적 다형성을 나타낸다. ( )

37.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두 세포를 융합할 때 사용한다. ( )

38. 유전체는 한 생명체가 지니는 모든 유전자의 집합을 의미한다. ( )

39. RNA 간섭 현상을 유전자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 ( )

40. 효모 이중 혼성화법은 단백질간의 결합력을 추정하거나 결합하는 분자를 탐색하는 기술이다. ( )

41. 녹아웃 마우스와 RNA 간섭은 유전자 발현, 불활성과 관련되는 실험이다. ( )

42. 박테리아에서 rRNA, tRNA, m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은 서로 다른 RNA 중합효소에 의해 전사된다. ( )

43. 대부분의 DNA 결합 단백질은 이중나선의 주 홈에 결합한다. ( )

44. 역분화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만들며, 모든 신체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 )

45. 기능 획득 돌연변이는 일반적으로 열성으로 작용한다. ( )

46. 아데닌이 티민으로 전환된 것은 전이 돌연변이이다. ( )

47. 체세포에서 생성된 돌연변이는 후대로 유전되지 않는다. ( )

48. 생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돌연변이는 모두 개체에 유해하여 개체를 치사시킨다. ( )

49. 정상적인 종양 억제 유전자를 동형접합으로 지니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기능 상실 돌연변이는 우성으로 작용한다.

( )

BIOLOGY 2020 39 ©THE BASIC SIMPLICITY


50. 유도 돌연변이는 돌연변이원에 의해 발생하는 돌연변이이다. ( )

BIOLOGY 2020 40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회
1. 세포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최소단위이다. ( )

2. 세포는 유전자의 차등적 발현을 통해 세포마다 다른 구조와 기능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 )

3. 조직은 기능적으로 유사한 세포들의 집단으로 조직이 모이면 기관이 된다. ( )

4. 상피조직은 각 구조의 경계면을 이루고, 주변 환경에 대한 감각, 통합, 반응에 관여한다. ( )

5. 모세혈관, 폐포 등에는 단층편평상피를 발견할 수 있다. ( )

6. 단층입방상피는 외분비선이나 신장 등에서 관, 분비세포 등을 형성한다. ( )

7. 단층원주상피에 술잔세포나 분비샘들이 발달하여 점액 분비와 이물질 제거를 수행한다. ( )

8. 입, 위, 소장, 대장 간 등은 기관계(organ system)이다. ( )

9. 피부의 각질층과 기저층은 결합조직을 구성한다. ( )

10. 섬유아세포, 대식세포, 형질세포, 비만세포 등은 대표적인 결합조직 구성 세포들이다. ( )

11. 동물과 식물은 모두 기관과 기관계가 발달되어 있다. ( )

12. 신호가 세포 내에서 전달되는 과정에서 신호는 기하급수적으로 증폭된다. ( )

13. 이차전달자는 단백질성 물질로 짧은 시간동안 작용하여 신호 전달 과정을 매개한다. ( )

14. 내분비 신호물질은 국소분비 신호물질에 비해 안정성이 작다. ( )

15. 효소 연결 수용체와 개폐성 이온 채널은 세포 표면 수용체의 일종이다. ( )

16. 효소 연결 수용체는 수용체 도메인과 효소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세포막을 2번 관통한다. ( )

17. 구아닐릴 고리화효소 수용체의 수용체 도메인은 세포 외부에 존재한다. ( )

18. 구아닐릴 고리화효소 수용체에 리간드가 결합하면 수용체의 구조 변화가 나타난다. ( )

19. NO-활성 구아닐릴 고리화효소는 소동맥의 평활근 확장, 장기 기억에 관여한다. ( )

20. 비아그라는 cGMP PDE를 활성화시켜 소동맥 평활근의 이완을 유지시킨다. ( )

21. 티로신 카이네이스 수용체에서 리간드가 결합하지 않은 평소의 수용체는 수용체 도메인이 효소 도메인의 활성을

억제한다. ( )

22. 수정은 부모 각각에서 물려받은 염색체를 가진 배우자가 서로 접합하는 과정이다. ( )

23. 성게의 ZP3 당단백질은 종특이성을 나타낸다. ( )

24. 포유류의 정자는 암컷의 몸속에서 완전한 수정능을 얻는다. ( )

25. 포유류는 다수정의 느린 차단 기전은 존재하지만 빠른 차단 기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 )

BIOLOGY 2020 41 ©THE BASIC SIMPLICITY


26. 포유류 수정 시 정자의 중심립은 수정란에서 방추사 형성에 기여한다. ( )

27. 수정란의 난할은 체세포분열 보다 G1기와 G2기가 더 길게 나타나 세포 분열 전 세포의 충분한 성장이 일어난다.

( )

28. 중심황란은 적당히 많은 난황이 수정란에 골고루 분포하며, 대부분의 곤충의 수정란이 해당된다. ( )

29. 포유류는 등황란으로 방사형 난할을 진행한다. ( )

30. 극피동물과 조류, 파충류는 불완전 난할을 진행한다. ( )

31. 축삭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의 대부분은 신경세포체에서 만들어지며, 미세소관을 통해 축삭말단으로

수송된다. ( )

32. 수상돌기는 다른 세포들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여 활동전위를 발생시킨다. ( )

33. 막전위에는 각 이온의 세포 안팎 농도와 세포막 투과도가 모두 영향을 미친다. ( )

34. 일반적으로 휴지막 전위는 전압 개폐성 나트륨 채널에 의해 유지된다. ( )

35. 일반적으로 Na+ 누설 채널은 K+ 누설 채널 보다 더 많이 존재한다. ( )

36. 휴지막 전위는 각 이온의 동적 평형 상태이다. ( )

37. 유수 신경의 축삭돌기는 도약 전도의 형태로 활동전위가 전달된다. ( )

38. 대부분의 연합뉴런에는 랑비에 결절이 존재하지 않는다. ( )

39. 중추신경계의 수초는 축삭돌기가 변형된 것이다. ( )

40. 축삭돌기의 수초로 둘러쌓인 부분의 이온의 투과도가 더 높다. ( )

41. 뉴런이 역치 이상의 자극을 받으면 나트륨 이온의 막 투과도가 증가한다. ( )

42. 자극을 1회 받았을 때 상대적 불응기는 절대적 불응기보다 먼저 나타난다. ( )

43. 자극의 세기가 커지면 활동전위의 빈도는 더 잦아지고, 활동전위의 크기는 일정하다. ( )

44. 자극의 세기가 커지면 채널을 통한 이온의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 )

45. 정상 휴지막 전위에서 내향성 전류는 칼륨 이온에 의해, 외향성 전류는 나트륨 이온에 의해 생성된다. ( )

46. 전기적 시냅스에서의 흥분전도는 이온 전달 방식이며, 흥분이 일방적인 방향으로 전달된다. ( )

47. 전기적 시냅스에서 여러 세포들이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으며, 앞 뒤 세포간 신호의 변형은 일어날 수 없다. ( )

48. 화학적 시냅스는 전기적 시냅스에 비해 전도 속도가 느리고, 신호는 한 방향으로만 전달된다. ( )

49. 화학적 시냅스는 신경전달물질을 통한 흥분의 전달로 신호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 )

50. 화학적 시냅스의 작용 시 칼슘 이온이 필요하다. ( )

BIOLOGY 2020 42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2회
1. 대뇌는 척추동물 내분비계 조절에 관여하고, 성욕, 즐거움 배고픔과 같은 감정 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

2. 대뇌 우반구와 좌반구 사이의 의사소통은 망상체를 통해 일어난다. ( )

3. 소뇌는 뇌간의 일부로 운동의 자세와 균형 유지 등에 관여한다. ( )

4. 뇌교는 연수와 함께 호흡 운동을 조절한다. ( )

5. 양극 신경은 수상돌기와 축삭이 양 쪽으로 뻗어있는 구조이며, 거짓단극 신경은 한 개의 축삭이 두 개의 가지로

갈라진 구조를 하고 있다. ( )

6. 척추동물의 신경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뉴런은 다극 신경이다. ( )

7. 신경계를 대부분 차지하는 세포는 뉴런이 아니라 신경교세포이다. ( )

8. 성상세포는 중추신경계에서 신경 축삭말단을 둘러싸 수초를 형성하며, 동시에 뇌-혈관 장벽을 형성한다. ( )

9. 성상세포는 혈액의 포도당을 흡수해 신경세포들에게 젖산의 형태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 )

10. 슈반세포는 말초신경계의 수초를 형성하고 슈반세포 한 개가 한 개의 축삭만을 둘러 싼다. ( )

11. 슈반세포와 위성세포는 중추신경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 )

12. 뇌-혈관 장벽에는 간극연접이 존재해 혈액의 여러가지 물질이 선택적으로 투과된다. ( )

13. 대뇌의 피질은 백색질이며, 대뇌의 수질은 회백질이다. ( )

14. 대뇌의 후두엽은 시각 정보를 처리하고, 측두엽은 체성감각과 후각 정보를 처리한다. ( )

15. 대뇌의 전두엽은 수의적 운동, 생각의 구성을 담당한다. ( )

16. 사람의 대뇌는 신경관이 분화하여 형성된다. ( )

17. 세로토닌이 결핍되면 수전증과 같은 파킨슨병이 나타날 수 있다. ( )

18. 체성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부분 크기는 신체 면적에 비례하며, 넓은 신체부위를 담당 할수록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면적이 증가한다. ( )

19. 기저핵은 대뇌 수질 속에 존재하며, 수의 운동과 자세와 균형에 관련된 운동을 조정한다. ( )

20. 기저핵의 손상이나 이상은 헌팅턴 무도병과 파킨슨 병을 야기할 수 있다. ( )

21. 해마는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시킨다. ( )

22. 연수는 눈의 정보를 인식해 홍채와 안구 운동을 조절한다. ( )

23. 심장 박동과 삼키키, 구토 반사, 침분비는 시상하부에 의해 조절된다. ( )

24. 변연계는 감정을 생성하며, 감각 및 기억 정보의 통합은 대뇌 피질의 연합영역에서 일어난다. ( )

BIOLOGY 2020 43 ©THE BASIC SIMPLICITY


25. 내이 전정기관의 균형과 관련된 특수 감각 정보는 소뇌로 전달되어 처리된다. ( )

26. 척수의 안쪽인 수질부는 백질로 축삭돌기의 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인 피질부는 회백질로 신경세포체가

밀집되어 있는 부위이다. ( )

27. 통각과 온도 정보는 척수에서 교차가 일어나며, 나머지 감각은 연수에서 교차가 일어난다. ( )

28. 척수의 움츠림 반사 시 무의식적으로 굴근은 이완되고 신근은 수축되어 위험을 회피한다. ( )

29. 근방추가 근육이 지나치게 신장하면 이를 인식해 무의식적으로 근수축을 일으키며 이를 신전반사라한다. ( )

30. 척수에 의한 무릎 반사도 일종의 신전반사에 속한다. ( )

31. 골격근은 체성신경계 운동뉴런에 의한 조절만 받으며, 호르몬의 자극으로 수축하거나, 자체적으로 수축할 수 없다.

( )

32. 골격근에 작용하는 아세틸콜린은 항상 흥분성이다. ( )

33. 자율신경계는 체내에서 항상성을 유지하며 대뇌의 조절을 받는다. ( )

34. 주위 온도가 올라가면 부교감 신경은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땀샘을 자극한다. ( )

35. 세동맥과 대부분 정맥의 평활근은 오직 교감 신경 신호에만 반응한다. ( )

36. 다른 일반적인 혈관과 달리 생식기의 발기 관련 혈관은 부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평활근 이완이 일어난다. ( )

37. 니코틴 수용체는 부교감 신경의 표적세포에서 발견되며, G-단백질 연결 수용체이다. ( )

38. 무스카린 수용체의 길항제는 아트로핀이다. ( )

39. 교감과 부교감 신경은 모두 2개의 세포로 구성되며, 절전 신경의 신경세포체는 두 신경에서 모두 중추신경내에

존재한다. ( )

40. 교감 신경의 절후 신경의 길이는 절전 신경에 비해 짧다. ( )

41. 부교감 신경의 절전 신경의 길이는 절후 신경에 비해 길다. ( )

42. 교감 신경은 체성신경계에 속한다. ( )

43. 콜린성 수용체에는 니코틴성 수용체와 무스카린성 수용체가 있다. ( )

44. 교감 신경은 지방분해를 증가시키고, 이자의 소화효소액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 )

45. 긴장성 수용체는 빠르게 적응하는 반면, 위상성 수용체는 느리게 적응한다. ( )

46. 압각과 통각 수용체는 대표적인 긴장성 수용체, 후각 수용체는 대표적인 위상성 수용체이다. ( )

47. 신경전달물질은 혈관을 따라 이동하여 표적세포에 도달한다. ( )

48. 신경전달물질은 축삭말단의 미토콘드리아나 핵에서 합성된다. ( )

49. 신경전달물질은 생성된 후 소낭에 저장되었다가 활동전위 발생 시 세포 밖으로 칼슘과 함께 배출된다. ( )

BIOLOGY 2020 44 ©THE BASIC SIMPLICITY


50. 방출된 신경전달물질은 수용체와 결합하여 2차 전달계를 자극하거나 이온통로를 변화시켜 표적세포의 생리적 반응을

일으킨다. ( )

BIOLOGY 2020 45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3회
1. 자율신경계는 주로 평활근, 심근, 외분비선에 작용하며,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은 일반적으로 서로 길항적이다.

( )

2. 자율신경계의 절전신경섬유는 모두 유수신경이며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을 방출하여 니코틴성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 ( )

3. 부교감 신경의 절후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은 무스카린성 수용체를 자극한다. ( )

4. 동공과 기관지가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사람에게서 침 분비의 억제를 관찰할 수 있다. ( )

5. 남성의 사정은 교감 신경, 발기는 부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 )

6. 체성신경계의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아제가 억제된다면 골격근은 수축할 수 없다. ( )

7. 보톨리눔 독소는 말초신경의 아세틸콜린 방출을 억제해 골격근의 이완을 야기 및 골격근을 퇴화시킨다. ( )

8. 큐라레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경쟁적 저해제이다. ( )

9. 도파민, 세로토닌은 티로신 유도체로 모노아민 계열 신경전달물질이다. ( )

10. 신경전달물질 글루탐산은 NMDA, AMPA 수용체 개폐 조절로 기억에 관련된다. ( )

11. 코카인은 도파민 재흡수를 억제시키고, 암페타민은 도파민 분비를 촉진해 정신 분열증을 유도하는 마약이다. ( )

12. 아세틸콜린은 골격근에서는 흥분성이지만 다른 부위는 흥분성 또는 억제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 )

13. 서브스탠스 P는 고통 인식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폴리펩티드 형태이다. ( )

14. 스테로이드 계열 호르몬은 콜레스테롤 유도체로 부신 수질과 생식기 등에서 분비된다. ( )

15. 멜라토닌과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은 모두 트립토판 유도체 호르몬이다. ( )

16. 뇌하수체 전엽에서 한 개의 폴리펩티드가 합성된 후 단계적인 단백질 분해효소 작용에 의해 여러가지 호르몬이

생성될 수 있다. ( )

17. 모든 아민 계열 호르몬은 친수성으로 분비 소낭을 통해 세포 외 배출된다. ( )

18. 갑상선 호르몬과 스테로이드 계열 호르몬은 약물 투여 시 경구 투여하고, 인슐린과 같은 펩티드 계열 호르몬은 정맥

투여한다. ( )

19. 송과샘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은 지용성 호르몬으로 하루주기리듬을 조절한다. ( )

20.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된다. ( )

21. 알도스테론은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지용성 호르몬으로 나트륨과 칼륨 이온의 항상성을 조절한다. ( )

BIOLOGY 2020 46 ©THE BASIC SIMPLICITY


22. 간뇌의 시상하부 주위에는 뇌-혈관 장벽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혈액 속의 생리적 변화가 시상하부에 쉽게 전달된다.

( )

23. 뇌하수체 전엽은 신경조직에서 유래되며, 뇌하수체 후엽은 상피조직에서 유래한다. ( )

24.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전엽 사이에는 문맥이 발달해 시상하부의 호르몬 신호가 뇌하수체 전엽으로 전달된다. ( )

25. IGF-1은 성장호르몬에 의해 간에서 분비되어 성장과 관련된 직접적 효과를 보인다. ( )

26.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은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체에서 합성되어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된다. ( )

27. 옥시토신은 자궁 평활근을 수축시켜 분만을 유도하며, 음성피드백 기전으로 분만을 조절한다. ( )

28. 뇌하수체 후엽은 혈장 삼투압의 증가를 인식해 바소프레신을 분비하며, 바소프레신은 원위 세뇨관과 집합관의

아쿠아포린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 )

29. 티록신은 혈장에서 혈장 단백질에 결합한 채로 운반된다. ( )

30. 갑성선 호르몬의 주 분비형태는 요오드가 4개인 T4이지만, 표적세포에서 T3로 바뀌어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한다.

( )

31. 그레이브스 병은 갑상선 항진증으로 TSH 수용체에 대한 자가 항체의 생성으로 발병한다. ( )

32. 갑상선 기능 저하증 중 일부는 요오드 섭취가 부족할 때 발병하며, 보상기전으로 갑상선 축소증이 나타난다. ( )

33.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불안, 땀 과다 분비, 고혈압 등이 나타나며, 갑상선 비대증이 나타난다. ( )

34. 부갑상선은 갑상선 등 쪽 표면에 존재하며 혈중 칼슘 이온 농도를 직접 인식해 파라토르몬 분비를 조절한다. ( )

35. 고칼슘 혈증으로 신경 세포의 흥분 빈도가 증가하고, 근육 경련이 올 수 있다. ( )

36. 칼슘 이온의 부족은 혈액 응고 과정을 억제하며, 카드헤린을 통한 동종 세포들 사이의 연결을 저해할 수 있다. ( )

37. 칼시토닌은 파골세포의 활성을 낮춰 뼈 분해를 감소시킨다. ( )

38. 파라토르몬은 파골세포를 활성화하며, 신장과 소장에서 칼슘 이온의 흡수를 직접적으로 촉진한다. ( )

39. 비타민 D는 간과 신장에서 활성화되어 소장에서 칼슘과 PO43-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 )

40. 에스트로겐은 파골세포를 억제하므로 폐경기의 여성은 골다공증 발병 위험성이 증가한다. ( )

41. 이자 랑게르한스 섬의 b세포는 혈당의 증가를 인식한 뇌하수체의 신호로 인슐린을 분비한다. ( )

42. 글루카곤은 지방세포의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간에서 중성지방 합성을 억제해 케톤체 생산을 증가시킨다. ( )

43. 인슐린은 골격근 세포의 GLUT4 발현을 촉진해 포도당 수송을 촉진시킨다. ( )

44. 2형 당뇨병은 자가면역질환으로 대사성 산증과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 )

45. 소마토스타틴은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를 모두 억제한다. ( )

46. 알도스테론은 혈장 삼투압이나 혈압 감소에 의해 부신 피질에서 분비된다. ( )

47. 알도스테론은 근위세뇨관에서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와 칼륨 이온의 분비를 촉진한다. ( )

BIOLOGY 2020 47 ©THE BASIC SIMPLICITY


48. 부신 피질은 외배엽에서, 부신 수질은 중배엽에서 유래된다. ( )

49. 에디슨 병은 부신 피질 부족증으로 부신 피질이 자가면역질환으로 파괴되어 발생한다. ( )

50. 부신 수질은 카테콜 아민계열의 호르몬을 분비하여 스트레스 상황에 대응한다. ( )

BIOLOGY 2020 48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4회
1. 아이코사노이드 계열 호르몬은 20개의 탄소를 갖는 지방산 유도체로 지용성이다. ( )

2. 아이코사노이드 계열 호르몬은 불안정한 구조로 보통 국부호르몬으로 작용한다. ( )

3. COX 1 효소에 의해 합성되는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 시 대식세포와 염증세포에서 합성되어 열과 고통을 일으킨다.

( )

4. COX 2 효소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은 항시 합성되어 위장관의 점막 상태를 유지한다. ( )

5. 아스피린은 COX 1, COX 2를 모두 비가역적으로 저해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한다. ( )

6. 타이레놀은 시상하부의 COX 3를 억제함으로써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한다. ( )

7. 렙틴은 시상하부의 식욕 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며, 비만인 환자는 렙틴의 농도가 낮게 나타난다. ( )

8. 렙틴은 시상하부 뿐만아니라 교감 신경을 흥분시켜 체내 물질의 분해를 촉진한다. ( )

9. 페로몬은 동종의 동물들 사이에 의사소통을 위해 외분비선에서 분비하는 휘발성 물질이다. ( )

10. 펩티드 호르몬은 2차 전달자를 통해 활성을 나타낸다. ( )

11. 대부분의 호르몬들은 쉽게 분해되지 않아 인체에서 효과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 ( )

12. 호르몬은 내분비선에서 생성되어 혈액이나 조직액으로 바로 분비된다. ( )

13. 호르몬은 항원성이 있어 척추동물 사이에서 동일 내분비선의 호르몬을 서로 이용할 수 없다. ( )

14. 호르몬은 혈관을 통해 모든 인체기관에 도달할 수 있으나 표적세포에만 작용한다. ( )

15. 내분비 조절 호르몬은 신경계에 비해 빠른 생리조절이 가능하다. ( )

16. 혈당조절에 관여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동일한 내분비세포에서 분비된다. ( )

17. 트롬복산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소판을 활성화하여 혈전을 생성한다. ( )

18. 류코트리엔은 기관지의 섬모에서 생성되어 기관지의 수축, 천식 등을 일으킨다. ( )

19. 프로스타사이클린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소판의 응고를 방지한다. ( )

20. 아스피린은 혈전 생성을 억제하며, 위장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 )

21. 1차 수용기 세포는 적합자극의 신호를 받아 활동전위로 바꾸어 준다. ( )

22. 1차 수용기 세포는 보통 상피세포가 감각을 인식하도록 분화되어 있는 상태이고 2차 수용기 세포는 감각신경 말단이

직접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변형된 형태이다. ( )

23. 자극에 대한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비율의 값을 베버 상수라 하며, 베버 상수 값이 작을수록 더 예민한 감각

기관이된다. ( )

BIOLOGY 2020 49 ©THE BASIC SIMPLICITY


24. 미각, 청각, 시각은 2차 수용기 세포를 통해 감각을 인지한다. ( )

25. 후각의 사구체는 같은 종류의 냄새 수용기 세포들끼리만 시냅스를 이루고 있다. ( )

26. 후각 신경은 시상을 거치지 않고 바로 대뇌 측두엽의 후각피질로 감각정보를 전달한다. ( )

27. 후각 수용체는 개폐성 이온 채널이며, 대립 유전자 배제로 각 세포마다 한 개의 후각 유전자를 발현한다. ( )

28. 하나의 냄새 분자는 여러 개의 후각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다. ( )

29. 한 개의 수용체에 구조가 유사한 다른 냄새 분자가 결합하면 각 분자의 결합력에 따라 활동전위의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 )

30. 후각의 활동전위의 생성에 cAMP가 관여하며, 마지막 단계에 Cl- 채널이 열리면서 활동전위가 발생된다. ( )

31. 후각의 순응은 칼슘 이온과 칼모듈린이 관여한다. ( )

32. 미각의 미뢰는 다섯 가지 맛에 모두 반응하지만 미뢰의 세포 구성에 따라 특정 맛을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 )

33. 시상하부는 혀의 압력, 화학 수용기의 정보를 받아 침 분비를 조절한다. ( )

34. 짠맛의 미각 수용체는 평소에 닫혀 있으며, 나트륨 이온이나 아밀로라이드라는 리간드에 의해서 열린다. ( )

35. 짠맛 수용체에서 나트륨 이온의 유입으로 탈분극이 생성되어 세포막을 따라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세로토닌이 짠맛

수용체에서 미각 신경으로 분비된다. ( )

36. 단맛, 쓴맛, 우마미맛은 G-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의해서 감각 신호가 전달된다. ( )

37. 짠맛, 신맛, 쓴맛, 단맛, 우마미맛의 수용체는 모두 감각 신호 전달에 칼슘 이온을 사용한다. ( )

38. 짠맛과 신맛은 구심성 미각 신경으로 세로토닌을 분비하지만, 단맛과 쓴맛, 우마미맛은 ATP를 분비해 감각 신호를

전달한다. ( )

39. 미뢰의 각 세포들은 5가지의 맛 수용체를 모두 발현한다. ( )

40. 피부 감각 수용기는 기계적 감각과 화학적 감각을 모두 감지한다. ( )

41. 피부의 기계적 수용기(촉각)는 유수 신경을 통해 감각을 대뇌로 전달한다. ( )

42. 피부의 기계적 수용기(촉각)의 신경 경로는 척수에서 교차한 뒤 시상에서 시냅스를 이룬다. ( )

43. 기계적 수용기는 감각신경이 직접 압력이나 진동을 인식한다. ( )

44. 메르켈 소체는 루피니 소체 보다 표면에 위치하며, 가볍고 지속적인 촉감을 감지한다. ( )

45. 파치니 소체는 마이스너 소체에 비해 피부 깊은 곳에 위치하며 진동을 인식한다. ( )

46. 파치니 소체는 대표적인 위상성 수용기 중 하나이다. ( )

47. 피부의 통각 수용기 자극 신경 경로는 척수에서 교차한 뒤 시상으로 이어진다. ( )

48. 피부의 통각 수용기와 기계적 수용기는 모두 두정엽의 체성 감각 피질로 감각을 전달한다. ( )

49. 엔돌핀과 엔케팔린은 통각 수용기의 자극을 더욱 증폭시킨다. ( )

BIOLOGY 2020 50 ©THE BASIC SIMPLICITY


50. 수용 범위는 각 수용기가 인식할 수 있는 피부의 범위를 의미하며, 존재하는 수용기의 밀도가 높을수록 수용 범위의

크기가 작아진다. ( )

BIOLOGY 2020 51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5회
1. 청각 수용기는 기계적 개폐성 채널을 가지고 있다. ( )

2. 소리의 음파는 외이 – 중이 – 내이의 순으로 전달되며, 청소골이 있는 중이에서 증폭된다. ( )

3. 유스타키오관은 달팽이관 내부와 외부의 기압을 맞추기 위한 중이의 작은 관이다. ( )

4. 와우(cochlea)는 전정기관과 함께 내이를 구성하며, 가운데에 달팽이관과 위 아래로 림프액으로 채워져 있는 진정계,

고실계가 있다. ( )

5. 달팽이관은 내림프로 채워져 있으며, 진정계와 고실계는 외림프로 채워져 있다. ( )

6. 외림프는 혈장 성분과 비슷하며, 내림프는 외림프보다 칼륨 이온의 농도가 더 낮다. ( )

7. 코르티 기관은 기저막 윗부분에 존재하며 많은 유모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 )

8. 코르티 기관 유모세포의 섬모는 미세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유모세포는 청각수용기, 외유모세포는 기저막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 )

9. 달팽이관의 난원창에 가까운 곳이 진동할수록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진 소리이며, 더 먼 쪽이 진동할수록 낮은

주파수를 갖는 소리이다. ( )

10. 내유모세포의 섬모들이 긴 섬모(운동선모) 쪽으로 구부러질 때 기계적 개폐성 K+ 채널이 닫히면서 활동전위가

생성되어 소리의 신호가 뇌로 전달된다. ( )

11.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은 평형감각을 감지하며, 반고리관은 직선가속과 머리의 위치, 전정 기관은 회전감각을 인지한다.

( )

12. 전음성 난청은 외이 또는 중이 부분이 차단되어 음파가 전도되지 못해 발병하며, 골전도로는 청각 회복이 일어날 수

없다. ( )

13. 감각 신경성 난청은 내이와 청각신경의 문제로 발병하며, 소음성 및 노인성 난청이 대표적인 예이다. ( )

14. 우주에서는 중력이 없기 때문에 반고리관은 회전 감각을 인식할 수 없다. ( )

15. 공막은 눈의 최외곽을 감싼 부분으로 콜라겐과 결합조직이 풍부해 눈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

16. 맥락막은 카메라의 암상자와 같은 역할을 하며 멜라닌 색소와 모세혈관이 풍부하게 발달되어 있다. ( )

17. 망막은 간상세포와 원추세포의 광수용기가 있어 시각 성립에 관여한다. ( )

18. 각막은 맥락막이 변형된 것으로 눈의 앞쪽에서 빛의 초점을 맞추는데 도움을 준다. ( )

19. 각막은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영양분 공급이 필요 없으며, 면역세포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쉽게 각막 이식이 가능하다.

( )

BIOLOGY 2020 52 ©THE BASIC SIMPLICITY


20. 망막은 뇌와 동일한 배아조직에서 발생한다. ( )

21. 맹점은 망막에서 시신경과 혈관이 빠져나가는 부위에 생기며, 광수용기가 없기 때문에 상이 맺히지 않는다. ( )

22. 간상세포가 가장 밀집해 있는 곳은 황반으로 상이 가장 선명하게 맺히는 부위이다. ( )

23. 수정체를 통과한 물체의 상은 위아래가 반대로 망막에 맺히며, 뇌에서 이를 다시 뒤집어 인식하게 된다. ( )

24. 부교감 신경은 홍채의 방사근을 수축시켜 동공을 수축시킨다. ( )

25. 교감 신경은 어두운 환경에서 홍채의 원형근을 수축시켜 동공을 확장시킨다. ( )

26. 부교감 신경은 가까운 곳을 볼 때, 밝은 환경에 있을 때 작용한다. ( )

27. 가까운 물체를 바라볼 때, 부교감 신경은 모양체근을 수축시키고 진대(걸이인대)를 이완시켜 수정체를 두껍게 만든다.

( )

28. 근시는 먼 물체의 상이 망막 앞에 맺히는 것이고, 원시는 가까운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 맺힐 때 발생한다. ( )

29. 망막의 세포들은 빛이 들어오는 방향으로 신경절세포, 쌍극세포, 광수용기 세포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 )

30. 간상세포는 광수용체는 옵신과 레티날로 구성된 로돕신이다. ( )

31. 로돕신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색 구분을 할 수 없으며, 오직 빛의 양에 따른 명암만

구분할 수 있다. ( )

32. 원추세포의 광수용체는 옵신과 레티날로 구성된 포톱신이며, 옵신의 종류에 따라 최대로 흡수하는 빛의 파장이

다르다. ( )

33. 간상세포는 한 개의 세포가 한 개의 신경절에 연결되며, 원추세포는 한 개의 세포가 여러 개의 신경절 세포에

연결되어 원추세포가 더 선명한 상을 맺을 수 있다. ( )

34. 암조건에서 광수용기는 신경전달물질로 글루탐산을 방출하며, 명조건에서는 글루탐산의 분비가 감소하고 광수용기의

과분극이 유도된다. ( )

35. 명조건에서는 광수용기 디스크의 cis-레티날이 trans-레티날로 바뀌어 로돕신에서 trans-레티날이 방출된다. ( )

36. 명조건에서 cGMP 포스포다이에스터라아제의 활성이 증가해 cGMP의 농도가 높아지며, 증가된 cGMP는 세포막의

과분극을 유도한다. ( )

37. 레티날은 카로티노이드가 절단되어 만들어진 구조로, 만약 비타민 A가 결핍되면 간상세포의 로돕신 합성이 저해되어

야맹증에 걸릴 수 있다. ( )

38. 명순응은 로돕신이 지나치게 합성되어 명암 차이를 구분할 수 없는 상태이다. ( )

39. 절지동물은 표피에서 분비된 키틴이 외골격을 이루며, 조개와 같은 연체동물은 외투막에서 탄산칼슘을 분비해

외골격을 이룬다. ( )

40. 해면동물과, 극피동물, 척삭동물은 유체골격만 가지고 있다. ( )

BIOLOGY 2020 53 ©THE BASIC SIMPLICITY


41. 골아세포는 섬유아세포에서 유래되어 뼈구조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 )

42. 뼈세포는 골아세포가 뼈기질에 갇힌 상태이며, 분열능을 가지고 있어 뼈의 손상을 복구한다. ( )

43. 파골세포는 에스트로겐에 의해 촉진되며, 단백질분해효소를 분비해 뼈조직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 )

44. 적색골수는 조혈모세포를 가지고 있어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을 생성한다. ( )

45. 황색골수는 적색골수가 변형된 형태로 어린이의 뼈는 적색골수보다 황색골수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 ( )

46. 골다공증은 뼈의 무기질 등이 빠져나가 골밀도가 감소하는 질병으로 파라토르몬의 투여는 파골세포를 활성화해

골다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 )

47. 비타민 D의 결핍으로 소장에서 칼슘 이온의 흡수가 충분하지 못하면, 구루병과 골연화증에 걸릴 수 있다. ( )

48. 하버스 계는 뼈에 혈관, 림프관, 신경 등이 배열되어 뼈조직이 동심원 모양을 이룬 것이다. ( )

49. 하버스 계에는 밀착연접이 발달되어 물질교환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 )

50. 뼈조직은 결합조직의 일종이며, 에스트로겐은 뼈의 용출을 억제한다. ( )

BIOLOGY 2020 54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6회
1. 골격근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는 근원섬유로 액틴과 미오신으로 구성된다. ( )

2. 근섬유는 근세포로 근형질에 하나의 핵과 근소포체, 글리코겐, 미토콘드리아 등이 존재한다. ( )

3. 근원섬유에서 미오신은 굵은 필라멘트이며, 액틴은 가는 필라멘트이다. ( )

4. A대는 굵은 필라멘트만 존재하는 영역이며, H지역은 굵은 필라멘트가 존재하는 전체 영역을 의미한다. ( )

5. I대는 가는 필라멘트만 존재하는 영역이며, 어둡게 보여 암대라 불린다. ( )

6. 근절은 근수축의 기본단위로 M선과 M선 사이를 의미한다. ( )

7. 가는 필라멘트의 트로포닌에 칼슘 이온이 결합하면 트로포미오신의 위치가 조절되어 미오신 머리 결합 자리가

노출된다. ( )

8. 근수축에 필요한 칼슘 이온은 세포 외부로부터 유래된다. ( )

9. 근육이 수축하면 근절의 길이와 I대, H대의 길이는 모두 짧아진다. ( )

10. 액틴과 미오신의 교차가 최대로 되는 근절 길이에서 수축력이 가장 높다. ( )

11. 근육 수축 시 A대의 길이는 일정하다. ( )

12. 근육에 역치 이상의 단일 자극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근수축의 양상은 연축이다. ( )

13. 등력성 수축은 근육의 길이 변화 없이 매달린 물체를 지탱하는 수축 과정이다. ( )

14. 등척성 수축은 근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근육의 길이가 짧아져 물체를 들어올리는 과정이다. ( )

15. 활발한 운동 시 부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인슐린의 분비량이 증가한다. ( )

16. 코르티솔,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은 운동을 하는 동안 분비되어 혈당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 )

17. 운동 시 저장된 ATP → 크레아틴 인산 → 젖산발효 → 유기호흡 순으로 에너지를 사용한다. ( )

18. 유산소 운동을 반복할수록 미토콘드리아, 모세혈관, 미오글로빈의 양이 늘어나 지구력이 상승된다. ( )

19. 속근(백근)은 지근(적근)에 비해 직경이 더 작으며, 미오글로빈을 더 많이 함유한다. ( )

20. 미토콘드리아의 수는 속근에 비해 지근에서 더 많다. ( )

21. 혈관 분포와 지방 함량은 지근에 비해 속근이 더 크다. ( )

22. 운동단위란 한 개의 체성 신경에 연결되어 동시에 수축하는 근섬유를 의미한다. ( )

23. 하나의 체성 신경은 하나의 근섬유에 연결되어 있지만, 하나의 근섬유는 여러 개의 체성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 )

24. 동원되는 운동단위 수가 늘어날수록 수축 강도는 늘어난다. ( )

25. 여러 개의 근섬유가 연결된 운동단위일수록 정교한 조절이 가능해진다. ( )

BIOLOGY 2020 55 ©THE BASIC SIMPLICITY


26. 평활근과 심장근 수축에 필요한 칼슘 이온은 모두 근소포체에서 유래된다. ( )

27. 평활근에서 칼슘 이온은 미오신을 인산화시켜 액틴과 결합할 수 있게 한다. ( )

28. 평활근에는 근절과 T-소관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 ( )

29. 평활근은 단핵세포로만 구성되며, 심장근은 다핵세포로 구성된다. ( )

30. 평활근과 심장근은 모두 트로포닌과 트로포미오신을 가지고 있다. ( )

31. 평활근은 자율 신경계, 심장근은 체성 신경계의 지배를 받는다. ( )

32. 평활근의 수축은 골격근과 달리 자율신경, 근육 자체의 신장, 호르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 )

33. 다단위 평활근은 골격근과 유사하며, 자율신경이 평활근 각각을 자극해 개별적으로 수축하게 한다. ( )

34. 단일 단위 평활근은 심장근과 유사하며, 간극연접이 발달해 조율기 세포에서 발생한 활동전위가 모든 세포로

전달되어 동시 수축할 수 있다. ( )

35. 대부분의 연체동물과 절지동물은 개방형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 )

36. 척추동물과 연체동물의 두족류는 폐쇄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 )

37. 인체에서 순환계는 운반, 체온조절, 방어 기작을 수행한다. ( )

38. 파충류는 2심방 불완전 2심실, 조류와 포유류는 2심방 2심실을 가지고 있다. ( )

39. 인체에서 체순환을 위한 압력은 폐순환보다 낮은 압력이 필요하다. ( )

40. 삼천판은 오른쪽 방실판막이며, 이첨판은 왼쪽의 방실판막이다. ( )

41. 반월판은 3개의 엽으로 이루어지며, 심장이 대동맥 혹은 폐정맥과 연결된 부위에서 발견된다. ( )

42. 심장은 간극연접이 발달하였으나, T-소관은 골격근에 비해 덜 발달되어 있다. ( )

43. 심장근에는 미토콘드리아와 미오글로빈이 풍부하게 존재한다. ( )

44. 심장근은 가지 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밀착연접으로 구성된 개재판이 발달되어 있다. ( )

45. 심장의 자동 조율세포는 신경세포이다. ( )

46. 심장의 자동 조율세포 중 가장 빠르게 활동전위를 생성하는 것은 동방결절이다. ( )

47. 동방결절에서 발생한 활동전위는 방실결절 → 히스색 → 푸르키녜 섬유로 퍼져 나간다. ( )

48. 활동전위가 방실결절을 천천히 지나기 때문에 심방의 혈액이 심실로 충분히 전달된다. ( )

49. 자동 조율세포는 수축과 동시에 활동전위를 발생시킨다. ( )

50. 자동 조율세포 중 활동전위를 가장 빠르게 전달하는 것은 푸르키녜 섬유이다. ( )

BIOLOGY 2020 56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7회
1. 심장의 자동 조율세포의 웃긴(funny) Na+ 채널은 과분극 자극에 의해 열린다. ( )

2. 심장의 자동 조율세포에서 Ca2+ 채널은 두 종류가 있으며 모두 전압 개폐성 이온 채널이다. ( )

3. T-형 칼슘 이온 채널은 L-형 칼슘 이온 채널보다 늦게 열리며, T-형 칼슘 채널이 열림으로써 자동 조율세포의

탈분극이 완료된다. ( )

4. 심근의 자동 조율세포와 심근 세포는 모두 약-70mV의 휴지막 전위를 보인다. ( )

5. 자동 조율세포에서 전도된 활동전위에 의한 전압 개폐성 Ca2+ 채널의 열림으로 심근 수축세포의 활동전위가

생성된다. ( )

6. 심근 수축세포 막전위의 고평부는 T-형 전압 개폐성 Ca2+ 채널에 의해 유지된다. ( )

7. 심근 수축세포 막전위의 고평부에서 전압 개폐성 K+ 채널은 열려있다. ( )

8. 심근 수축세포 활동전위 기간 동안 세포로 유입된 칼슘 이온은 트로포닌에 결합해 근수축을 일으키는데 사용된다.

( )

9. 수축세포에서 나타는 막전위의 고평부는 자극의 불응기 기간을 늘려 심근의 강축과 강직 현상을 억제한다. ( )

10. 심근 수축세포의 막전위 활동전위 발생 후 전압 개폐성 K+ 채널은 전압 개폐성 Ca2+ 채널보다 먼저 닫힌다. ( )

11. 부교감 신경인 미주신경은 심근 수축세포의 무스카린 수용체를 자극해 수축세포가 느리게 수축하도록 한다. ( )

12. 교감 신경의 에피네프린은 동방결절의 b1 수용체에 결합해 심장의 분당 박동수를 증가시킨다. ( )

13. 심박출량은 분당 박동수 X 1회 박출량으로 계산된다. ( )

14. 체온이 올라가면 열을 줄이기 위해 분당 박동수가 감소한다. ( )

15. 정맥 환류량이 증가하면 심근 섬유의 이완말기 용적이 증가해 심실의 수축력이 증가하게 된다. ( )

16. 정맥 환류량에 의한 1회 박출량의 조절은 외인성 조절이다. ( )

17. 교감 신경은 정맥 환류량에 관계없이 심근 세포의 수축력을 증가시키며, 이는 내인성 조절이다. ( )

18. 교감 신경은 심실 수축세포의 L-형 칼슘 이온 채널의 투과도를 증가시키고, 근소포체의 칼슘 펌프를 활성화시킨다.

( )

19. 교감 신경은 심장뿐만아니라 정맥을 수축시켜 정맥환류량을 증가시킨다. ( )

20. 심전도(ECG)에서 P파의 발생은 심방의 수축을 의미한다. ( )

21. 심전도에서 QRS파가 나타나면 심실의 수축이 개시되고 반월판이 열리면서 제1심음이 발생한다. ( )

BIOLOGY 2020 57 ©THE BASIC SIMPLICITY


22. 방실판막이 닫히고, 반월판막이 열리기 전 까지 심실의 부피는 일정한채 압력만 증가하는 등용적성 수축이 일어난다.

( )

23. 심실에서 혈액이 충분히 방출되면 T파가 발생하고 심실의 이완기가 시작된다. ( )

24. 심실이 이완하면서 심실의 압력이 동맥의 압력보다 낮아지면 반월판이 닫히고, 제2심음이 발생한다. ( )

25. 방실판막과 반월판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심실은 이완하지 않는다. ( )

26. 우심실이 뿜어낸 피의 양과 좌심실이 뿜어 낸 피의 양은 같다. ( )

27. 심실 압력의 변화는 우심실보다 좌심실이 더 크다. ( )

28. 피를 뿜어내기 위한 일의 양은 좌심실과 우심실에서 같다. ( )

29. 심장의 전부하(이완기말 용적)가 증가하면 좌심실이 뿜어낸 혈액의 양과 좌심실의 최대 압력이 모두 증가한다. ( )

30. 심장의 후부하(대동맥의 압력)이 증가하면 좌심실이 뿜어낸 혈액의 양은 감소하고, 좌심실의 최대 압력은 증가한다.

( )

31. 심장에 쓰이는 영양분을 전달하기 위한 혈액은 관상동맥을 통해 심장의 이완기에 공급된다. ( )

32. 심장의 수축에 쓰이는 에너지원은 대부분 포도당이다. ( )

33. 디기탈리스는 심근 섬유를 더 강하게 수축하게 만드는 강심제이다. ( )

34. 관상동맥의 막힘으로 인한 협심증은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혈관 이완 약물을 투여하여 증세를 완하시킨다. ( )

35. 동맥은 혈관 반지름이 커서 혈관 저항이 작기 때문에 혈액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 )

36. 정맥에는 엘라스틴보다 콜라겐이 풍부해 많은 양의 혈액을 저장할 수 있다. ( )

37. 소동맥은 혈관 스스로와 호르몬, 산소 분압, 열, ATP 등의 물리적 인자에 의해 수축과 이완을 조절할 수 있다. ( )

38. 프로스타글란딘과 히스타민은 소동맥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을 수축시킨다. ( )

39. 바소프레신과 안지오텐신 II는 소동맥을 이완시켜 혈압을 증가시킨다. ( )

40. 소동맥 수축, 이완 기작에서 부교감 신경과 교감 신경은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한다. ( )

41.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혈관 내피세포에 결합하면 NO가 생성되어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 )

42. NO에 의한 평활근 이완 기작에 구아닐릴 고리화효소와 칼슘 이온이 필요하다. ( )

43. 혈관 내피세포는 평활근 보다 혈관의 안 쪽에 위치한다. ( )

44. 모세혈관에는 평활근이 없어 혈류 속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없다. ( )

45. 동맥, 모세혈관, 정맥 중 혈류의 속도는 정맥에서 가장 느리며, 혈압은 모세혈관에서 가장 낮다. ( )

46. 모세혈관의 앞 쪽에서 혈액은 조직으로 이동하며, 모세혈관 뒤 쪽에서 혈액은 조직에서 혈관으로 이동한다. ( )

47. 모세혈관 앞 쪽에서 혈압+조직내 교질삼투압의 크기는 혈장 교질삼투압+조직액압 보다 작다. ( )

48. 림프관과 정맥에는 판막이 존재한다. ( )

BIOLOGY 2020 58 ©THE BASIC SIMPLICITY


49. 정맥은 신축성인 낮으나 신장력이 커서 많은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 저장고의 역할을 한다. ( )

50. 림프관에는 백혈구, 혈장 단백질, 유미입자 등의 크기가 큰 물질들도 유입될 수 있다. ( )

BIOLOGY 2020 59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8회
1. 모세혈관의 혈압이 증가하고, 혈장 단백질의 농도가 감소하면 부종이 생길 수 있다. ( )

2. 정맥환류량이 감소하고, 조직의 교질 삼투압이 감소하면 부종이 생길 수 있다. ( )

3. 부종이 생기면 혈관과 조직 세포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물질 교환이 어려워진다. ( )

4. 경동맥동과 대동맥궁의 압력 수용기는 혈압의 정보를 심혈관 조절의 중추인 연수로 전달한다. ( )

5. 휴식할 때 교감 신경이 활성화 되면 심박출량과 말초 저항은 동시에 증가한다. ( )

6. 운동할 때 교감 신경이 활성화 되면 심박출량은 증가하고, 말초 저항은 감소한다. ( )

7. 인체에 각 기관들에게 공급되는 혈류량은 국소적으로 조절될 수 없다. ( )

8. 출혈로 인해 혈액량이 감소하면 심박출량은 증가하고, 위장관의 소동맥의 말초저항을 감소시켜 혈액량을 유지시킨다.

( )

9. 1차성 고혈압은 불명확한 원인들로 발생하며, 2차성 고혈압은 특정한 원인에 의해 발병한다. ( )

10. 혈액은 인체에서 운반, 항상성 유지, 출혈 방지, 방어 작용을 수행한다. ( )

11. 혈장에서 피브리노겐을 제거한 것을 혈청이라 한다. ( )

12. 물은 혈장의 90%를 차지하며, 조직에서 생성된 열을 보존하거나 피부 근처에서 불필요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기작으로 체온을 유지시킨다. ( )

13. 혈장 단백질은 pH를 조절하고 삼투압에 영향을 준다. ( )

14. 혈장 단백질인 알부민과 피브리노겐, a,b,g-글루불린은 간에서 합성된다. ( )

15. 피브리노겐은 빌리루빈, 지방산 등과 결합해 이들 물질을 전신으로 수송한다. ( )

16. 알부민은 페니실린과 결합해 전신으로 페니실린을 운반한다. ( )

17. 성숙한 적혈구는 헤모글로빈에 결합한 산소를 이용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 )

18. 적혈구는 핵과 기타 소기관이 없기 때문에 혈구 중 가장 적은 수명을 가지고 있다. ( )

19.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등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 )

20. 적혈구의 오목한 모양은 미세소관으로 인해 형성되며, S/V 비율을 높여 기체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 )

21. 적혈구는 태아에서 간이나 비장에서 생성되지만, 출생 후에는 골수에서 주로 생성된다. ( )

22. 태아의 헤모글로빈은 a2g2형으로 성인의 a2b2형보다 산소에 대한 친화력이 높다. ( )

23. 시상하부는 저산소증을 인식해 EPO를 분비하며, EPO는 골수 조혈모세포로부터 적혈구의 분화를 촉진한다. ( )

24. 성숙한 적혈구는 혈액에서 필요한 헤모글로빈을 지속적으로 생성한다. ( )

BIOLOGY 2020 60 ©THE BASIC SIMPLICITY


25. 오래된 적혈구는 비장에서 파괴되며, 헤모글로빈의 파괴로 생성된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된다. ( )

26. 노란색을 나타내는 빌리루빈은 헤모글로빈의 헴 구조에서 유래된다. ( )

27. 위에서 내인성 인자가 분비되지 못할 경우 재생 불량성 빈혈에 걸릴 수 있다. ( )

28. 악성 빈혈은 비타민 B12의 흡수가 부족하여 발생한다. ( )

29. 겸상 적혈구증은 용혈성 빈혈의 원인이 된다. ( )

30. 심한 설사나 많은 양의 땀을 배출한 경우 상대적 헤마토크리트 값은 감소한다. ( )

31. 혈소판은 적혈구와 달리 핵은 없으나 세포소기관은 가지고 있다. ( )

32. 간에서 TPO가 분비되면 골수의 조혈 모세포로부터 혈소판 분화가 촉진된다. ( )

33. 혈소판은 거핵세포의 세포 파편이며, 거핵세포는 핵 내에 여러 벌의 DNA를 지닌 세포이다. ( )

34. 손상된 혈관의 평활근에서 근섬유가 노출되면 혈소판이 달라붙어 혈소판 응집이 활성화된다. ( )

35. 혈관 손상 부위에서 혈소판은 트롬복산을 분비해 혈전 생성을 촉진한다. ( )

36. 혈관 손상 부위 주변의 정상 내피세포들은 프로스타사이클린을 분비해 혈액의 응집이 손상 부위에만 일어날 수 있게

한다. ( )

37. 혈관의 섬유아세포들은 PDGF를 분비해 상처의 봉합을 촉진한다. ( )

38. 혈액 응고의 내인성 경로는 손상된 혈관에서 (-) 전하에 의한 인자들의 활성화로 시작된다. ( )

39. 혈액 응고의 외인성 경로는 조직에서 유리된 트롬보플라스틴에 의해 응고 인자들이 활성화됨으로써 시작된다. ( )

40. 혈액 응고의 내인성 경로와 외인성 경로에는 칼슘 이온이 필요하다. ( )

41. 프로트롬빈은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시킨다. ( )

42. 피브리노겐은 펩티드 계열 효소로 피브린으로 활성화된 후 혈전 생성을 촉진한다. ( )

43. 상처 조직에서 방출되는 플라스민은 혈전 생성을 촉진한다. ( )

44. 시트르산 나트륨과 옥살산 나트륨은 칼슘 이온을 제거하여 혈액 응고를 방지한다. ( )

45. 헤파린과 트롬빈은 프로스타사이클린의 활성을 억제한다. ( )

46. 와파린은 비타민 K의 경쟁적 저해제로 간에서 응고인자의 합성을 저해한다. ( )

47. 혈액을 유리막대로 저으면 유리막대의 (-)전하 표면에 피브린과 같은 응고인자들이 결합해 제거된다. ( )

48. 호중구는 백혈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여러 개의 핵을 가지고 있다. ( )

49. 호산구는 골수계 백혈구로 기생충 방어에 관여하며,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시 붉은색 과립이 관찰된다. ( )

50. 호염구는 주로 세균을 섭식하여 알레르기 반응에 대응하며, 히스타민을 분비한다. ( )

BIOLOGY 2020 61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9회
1. 수지상세포와 비만세포는 골수계 세포이다. ( )

2. 비만세포는 호염구와 함께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한다. ( )

3. 호중구는 혈액을 순환하다 조직에 침투해 대식세포가 되며, 대식세포는 조직 내에서 세균과 찌꺼기들을 섭식한다.

( )

4. 수지상세포는 단핵구에서 유래되며, 림프절에서 적응 면역 반응을 개시한다. ( )

5. NK세포, T세포, B세포는 림프계 세포이다. ( )

6. NK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세포막 표면에 MHC II의 발현이 감소한 세포나 암세포를 제거한다. ( )

7. T세포는 표면에 TCR을 가지고 있으나, B세포와 달리 기억세포를 형성하지 않는다. ( )

8. B세포는 3차원의 항원을 인식해 항체를 생성하는 적응 면역 반응을 수행한다. ( )

9. TH1 세포는 IL-2, IFN-g, IFN-b 등을 생성하여 세포성 면역 반응에 관여한다. ( )

10. TH2 세포는 IL-4, IL-5, IL-6 등을 분비해 B세포 활성화에 관여한다. ( )

11. G-단백질은 a, b, g 3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 )

12. IP3는 2차 전달자로 신호 전달 시 단백질 카이네이스를 활성화 한다. ( )

13. ATP는 호르몬에 대한 표적세포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2차 전달자이다. ( )

14. 이노시톨삼인산은 막지질로부터 유도된 2차전달자이다. ( )

15. Gq에 의한 신호전달에는 PLC, PKC, DAG 등이 2차 신호전달자로 사용된다. ( )

16. G-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G-단백질은 2차 전달자 중 하나이다. ( )

17. A → B → 세포분열로 이어지는 신호전달계에서 A가 B에 대해 상위성을 가진다. ( )

18. PDGF는 활성화된 혈소판에서 생성되어 혈관의 형성과 성장에 관여한다. ( )

19. 기능 상실 돌연변이는 보통 열성으로 나타난다. ( )

20. 기능 획득 돌연변이는 보통 우성으로 나타난다. ( )

21. 뇌하수체 후엽과 운동뉴런은 신경관에서 유래된다. ( )

22. 모든 말초신경은 신경능선 세포에서 유래된다. ( )

23. 뇌하수체 전엽은 표피에서 유래된다. ( )

24. 양서류의 발생에서 정자는 동물반구로 침입하며, 정자의 중심체에 의해 미세소관이 재배열되게 된다. ( )

25. 정자 침입지점의 아래쪽 식물 반구에서 피층 회전이 일어나 회색신월환이 생긴다. ( )

BIOLOGY 2020 62 ©THE BASIC SIMPLICITY


26. GSK3에 의해 분해되지 못한 b-카테닌은 양서류 배아의 등쪽 구조를 형성하며, BMP-4는 배쪽구조를 형성하게 한다.

( )

27. 양서류의 뉴쿱 센터는 포배 배아의 등쪽 식물 반구 세포들로 형성체가 포함된 등쪽 중배엽을 유도한다. ( )

28. 동물의 낭배 형성과정에서 포배의 세포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3종류의 배엽층을 형성하게 된다. ( )

29. 척추동물의 골격과 근육은 중배엽, 순환계와 생식계는 내배엽에서 분화된다. ( )

30. 동물의 신경기관 형성과정에서 신경관은 척삭에서 나온 신호에 의해 척삭 바로 위에 있는 외배엽으로부터

만들어진다. ( )

31. 포유류의 난할은 매우 느린 속도로 일어나며, 모든 할구들이 동시에 분열하지 않는다. ( )

32. 난할 시 카드헤린 단백질이 발현되어 세포들 사이에 밀착 연접을 발생시킨다. ( )

33. 포유류의 안세포 덩어리는 배아로 발달하며, 영양세포는 융모막을 형성한다. ( )

34. 영양막 세포들은 내부방향으로 Na+/K+ 펌프를 작동시켜 삼투압을 형성하고, 포배강을 만드는데 관여한다. ( )

35. 낭배기에 안세포 덩어리는 상배엽과 하배엽으로 나뉘게 되며, 상배엽에서 외, 중, 내배엽이 모두 발생한다. ( )

36. 융모막은 외배엽에서만 기원하며 가장 바깥쪽 막으로서 배아와 다른 배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

37. 양막은 중배엽 + 외배엽에서 기원하며, 배아를 건조로부터 보호하고 외부 충격을 완화한다. ( )

38. 난황막과 요막은 외배엽 + 내배엽에서 기원한다. ( )

39. 난황막은 난황을 통해 배아에 영양분을 공급하며, 태반이 발달한 인간의 경우에는 난황막이 퇴화되어 있다. ( )

40. 요막은 가스교환과 노폐물의 저장 역할을 담당하지만, 인간의 경우는 퇴화되어 탯줄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 )

41. 줄기세포는 상대적으로 미분화된 세포를 의미하며, 일부 기관의 줄기세포는 특수한 상황에서만 분열한다. ( )

42. 전능세포(totipotent cell)은 수정란부터 카드헤린의 발현으로 밀착화가 일어나기 전의 초기 할구 세포들로 태반을

비롯한 모든 세포를 형성할 수 있다. ( )

43. 만능세포(pluripotent cell)는 포배의 내세포괴에서 유래한 줄기세포로 태반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세포가 될 수 있다.

( )

44. 다능세포(multipotent cell)은 낭배기의 배아에서 유래한 줄기세포로 발생이 완료되면 출생 후 퇴화한다. ( )

45. 단능세포(unipotent cell)은 특정 조직에서만 발견되며 단 한 종류의 세포 재생에만 관여하는 줄기세포이다. ( )

46. 유도만능 줄기세포(iPSC)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만들어낸 역분화 줄기세포이다. ( )

47.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만들기 위해선 DNA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성체 줄기세포가 필요하다. ( )

48. 초파리의 앞-뒤축을 결정하는 bicoid mRNA는 디네인에 결합해 난자 앞쪽에 존재하며, nanos mRNA는 키네신에

붙어 난자 뒤쪽에 분포하게 된다. ( )

49. Hunchback mRNA와 caudal mRNA는 모계 유전자로 난자에 전체적으로 퍼져서 분포한다. ( )

BIOLOGY 2020 63 ©THE BASIC SIMPLICITY


50. Bicoid 단백질은 caudal mRNA의 번역을 억제하고, Nanos 단백질은 hunchback mRNA의 번역을 억제한다. ( )

BIOLOGY 2020 64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0회
1. 신경관 형성 과정 중 축옆 중배엽은 골격근으로 분화한다. ( )

2. 중간 중배엽은 신장, 생식소, 부신 피질로 분화한다. ( )

3. 측판 중배엽은 부신 수질과 체강을 형성한다. ( )

4. 자동적 예정화는 모자이크 발생설로 설명되며, 세포의 분화 상태를 결정하는 유전자들이 이미 발현되어 있다. ( )

5. 조건부 예정화는 세포의 운명이 결정되어 있지 않아 주변 세포들의 신호에 의해 분화가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 )

6. 정원세포는 체세포분열을 통해 1차 정모세포를 형성한다. ( )

7. 1차 정모세포가 제2 감수분열 까지 끝내면 4개의 2차 정모세포가 형성된다. ( )

8. 인간의 성결정은 Y염색체의 SRY 유전자에 의해 일어난다. ( )

9. 안드로겐 수용체는 DHT에 비해 테스토스테론에 친화력이 더 크다. ( )

10. 정소의 발달로 세르톨리 세포에서 항-뮬러 호르몬이 분비되면, 뮬러관이 퇴화된다. ( )

11. 정소의 발달로 세르톨리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면 볼프관이 남성 내부 생식기를 형성하게 된다. ( )

12. 테스토스테론의 일부가 5a-리덕테이스에 의해 DHT로 전환되며, DHT는 남성의 외부생식기 형성을 촉진한다. ( )

13. 정소의 레이디히 세포의 유전자는 테스토스테론 번역 mRNA를 전사한다. ( )

14. 세르톨리 세포는 세정관 벽을 이루며, 밀착연접이 발달해 뇌혈관 장벽과 유사한 혈관-정소 장벽을 형성한다. ( )

15. 세르톨리 세포는 인히빈과 정자를 생성하며, 인히빈은 시상하부의 FSH 분비를 음성 피드백한다. ( )

16. 레이디히 세포는 테스토스테론과 ABP를 분비한다. ( )

17. 세르톨리 세포는 정자에 양분을 공급하며, 식세포 역할을 수행한다. ( )

18. 정자는 부정소에서 운동성과 수정 능력의 일부를 가지며, 세정관 내의 정자는 운동성과 수정능력이 모두 없다. ( )

19. 정낭은 2개가 존재하며, 사정관으로 과당,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정액 성분을 분비한다. ( )

20. 전립선은 1개만 존재하며, 사정관으로 산성 물질을 분비해 여성의 질 내 환경을 중화시킨다. ( )

21. 테스토스테론은 출생 전과 사춘기에 주로 분비된다. ( )

22. 테스토스테론은 털 성장, 변성기 유도, 근육 성장의 이차 성징을 일으킨다. ( )

23. 테스토스테론은 이차 성징이 끝난 성인에서는 더 이상 분비되지 않는다. ( )

24. 태아의 원시 여포는 제1 감수분열 전기에서 멈춘 상태로 출생하며, 사춘기에 감수분열이 다시 시작된다. ( )

25. 사춘기가 되면 뇌하수체 전엽의 FSH 자극으로 여포가 성숙하게 된다. ( )

BIOLOGY 2020 65 ©THE BASIC SIMPLICITY


26. 성장하는 여포에서 에스트로겐 분비가 증가하면, 인히빈과 함께 시상하부의 GnRH, 뇌하수체 전엽의 FSH 분비를

억제하여 다른 여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 )

27. 뇌하수체 전엽의 LH 분비는 에스트로겐 분비에 음성 피드백과 양성 피드백 조절을 받는다. ( )

28. 고농도의 혈중 에스트로겐은 LH의 분비를 크게 증가시키고, LH는 1차 난모세포의 감수분열을 진행하게 하고 배란을

촉진한다. ( )

29. 난자의 배란 후 파열된 여포는 황체로 전환되며 에스트로겐에 의해 황체가 유지된다. ( )

30. 황체는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을 분비한다. ( )

31.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자궁 내막을 발달시키고, 태아 성장 환경을 조성한다. ( )

32. 프로게스테론은 FSH와 LH 분비를 억제하여 새로운 여포의 성숙을 억제한다. ( )

33. 배란된 난자가 수정되지 않으면 황체는 퇴화하고 난자는 체외 배출된다. ( )

34. 난자가 자궁내막에서 수정되면 세포질 내 칼슘 이온 농도가 증가되고, 감수분열이 모두 완료된다. ( )

35. 임신 초기 태아를 둘러싼 태반에서 분비되는 hCG는 황체의 퇴화를 억제한다. ( )

36. hCG에 의해 황체가 유지되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어 임신이 유지된다. ( )

37. 난자의 배란은 28일의 난소 주기 중 14일 째에 양 쪽 난소중 하나에서 무작위로 일어난다. ( )

38. 정자는 여성의 생식기 내에서 수일간 생존할 수 있다. ( )

39. 영양막의 Fas 리간드 발현은 모계 T세포를 사멸시켜 태아가 면역학적 면제를 받게한다. ( )

40. 고농도의 GnRH와 FSH의 투여는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억제해 배란을 막을 수 있다. ( )

41. 수정란은 난할을 진행하면서 자궁 쪽으로 이동해 포배기 상태로 자궁벽에 착상된다. ( )

42. 태반은 임신 기간 동안 태아의 호흡계, 소화계, 비뇨계, 내분비계의 역할을 한다. ( )

43. 탯줄의 정맥은 태아의 정맥혈이 나가는 혈관이며, 탯줄의 동맥은 태아로 동맥혈이 들어가는 혈관이다. ( )

44. 태반에서 태아와 모체의 혈액이 서로 직접 접촉해 물질교환이 일어난다. ( )

45. IgG는 모체에서 태아로 넘어가 면역 작용을 할 수 있다. ( )

46. 이란성 쌍둥이는 두 개의 난자가 배란되어 수정된 경우이다. ( )

47. 일란성 쌍둥이는 한 개의 수정란에 두 개의 정자가 수정되어 각각의 배아로 발달하는 경우이다. ( )

48. 이란성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동일할 확률이 없다. ( )

49.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완벽하게 일치하며, 초기 난할 중 수정란이 둘로 나뉘어지면 1개의 양막과 1개의

융모막을 두 명의 태아가 공유한다. ( )

50. 체내 인공 수정은 주로 남성 정자에 이상이 있을 경우, 체외 인공 수정은 주로 여성의 수란관 등에 이상이 있을 경우

실시한다. ( )

BIOLOGY 2020 66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1회
1. 전압 개폐성 K+ 채널의 돌연변이로 절대 불응기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과분극이 아예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 )

2. 다발성 경화증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자기 항원에 의해 활성화된 TH1 세포가 대식 세포들을 활성화시켜 수초가

파괴되는 질병이다. ( )

3. 수초가 있는 축삭 돌기에는 결절 부위에만 이온 채널들이 밀집되어 있다. ( )

4.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일부는 외분비선을 자극한다. ( )

5. 뇌하수체 전엽은 시상하부 신경 세포의 조절 작용으로 호르몬을 생성, 분비한다. ( )

6.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 신경 세포에서 생성된 호르몬을 저장하였다가 분비한다. ( )

7. 옥시토신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생성되어 자궁을 수축시키고 유선세포를 자극한다. ( )

8. 뇌하수체 전엽에 이상이 생길 경우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한다. ( )

9. 뇌하수체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이자나 부갑상선 호르몬은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 )

10. 분비되기 전 펩티드 호르몬은 분비소포에 저장된다. ( )

11. 펩티드 호르몬은 운반체의 도움으로 혈액에서 운반되며,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혈장에 용해된 채로 운반된다. ( )

12. 펩티드 호르몬의 반감기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비해 길다. ( )

13. 펩티드 호르몬은 표적세포에서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 시키고,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유전자 발현을 직접 조절한다.

( )

14. 남성의 정소에서 감수분열만 일어나며 체세포분열은 일어나지 않는다. ( )

15. 정자의 첨체에는 수정막을 녹이는 효소가 있다. ( )

16. 에스트로겐은 여포와 황체에서 모두 분비된다. ( )

17. 배란 이후 14일이 경과하면 난소에서 황체가 자연히 퇴화한다. ( )

18.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자궁과 뇌하수체에 모두 영향을 준다. ( )

19. 폐경기 여성은 음성피드백에 의해 FSH와 LH의 분비량이 감소한다. ( )

20. FSH와 LH의 표적기관은 자궁과 난소이다. ( )

21. 난관 수술을 하더라도 FSH, LH,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분비에는 영향이 없다. ( )

22. 에스트로겐은 제1 난모세포의 형성을 억제한다. ( )

23. 임신은 월경 시작일로부터 약 14일 되는 날에 이루어진다. ( )

BIOLOGY 2020 67 ©THE BASIC SIMPLICITY


24. 수정란이 자궁으로 이동하는 동안 태반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한다. ( )

25. 어머니가 세균성 콜레라에 감염되면 태아도 감염된다. ( )

26. 태반은 모체와 태아의 조직으로 구성된다. ( )

27. 태아의 헤모글로빈은 모체의 헤모글로빈 보다 산소 해리도가 높다. ( )

28. 체외 수정을 통한 인공 수정에서 난자 채취는 FSH, LH로 과배란을 유도하여 실시한다. ( )

29. 체외 수정을 통한 인공 수정에서 배아 주입 시기는 LH의 분비가 최고조인 배란기가 적당하다. ( )

30. 체외 수정을 통한 인공 수정은 난관 절제 수술을 한 여성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 )

31.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는 자기인산화를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 )

32. G-단백질 연결 수용체는 전사인자 기능을 가지고 있다. ( )

33. 사람의 유전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세포 수용체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이다. ( )

34. 인두, 식도, 위 등의 소화기관은 내배엽에서 유래된다. ( )

35. 신경계 발생은 신경관 형성(neurulation)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 ( )

36. 근육조직, 골격조직 등은 중배엽에서 유래되며, 중배엽은 간충직(mesnchyme)으로 알려진 세포들을 유도한다. ( )

37. 심장, 혈관, 혈액 세포를 포함한 혈관계는 중배엽 및 외배엽에서 유래된다. ( )

38. 호메오 유전자는 발생과정 동안 다른 유전자 그룹의 발현을 조절한다. ( )

39. 호메오 유전자는 발생과정 동안 D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을 억제한다. ( )

40. 정자의 중편에는 핵과 미토콘드리아가 존재하며, 정자는 에너지원으로 주로 과당을 사용한다. ( )

41. 난자의 표층립 내용물 분비는 세포질의 칼슘 이온 증가에 의해서 일어난다. ( )

42. 중배엽 세포층이 응축되어 형성된 척삭의 유도에 따라 내배엽으로부터 신경관이 형성된다. ( )

43. 성게의 다수정 방지를 위해 세포 밖 칼슘 이온이 난자 안으로 들어와 피층 반응을 유도한다. ( )

44. 성게의 다수정 방지를 위해 난자는 내부의 나트륨 이온을 증가시켜 막의 탈분극을 유도한다. ( )

45. 사람의 발생에서 안세포 덩어리로부터 난황막이 형성된다. ( )

46. 사람의 발생도 조류와 같이 상배엽으로부터 원조가 형성된다. ( )

47. 사람의 발생에서 두 번째 난할에서 보통 위할과 경할이 동시에 나타난다. ( )

48. hCG는 황체를 자극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도록 한다. ( )

49. 사람의 정자형성과정 동안 생식세포는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세정관의 기저부로부터 내강으로 이동한다. ( )

50. 1차 정모세포는 제1 감수분열을 통해 2차 정모세포가 되며, 2차 정모세포는 제2 감수분열을 통해 정세포가 된다.

( )

BIOLOGY 2020 68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2회
1. 인체의 진피는 결합조직으로 진피에 섬유아세포, 혈관, 면역세포, 지방 세포 등이 존재한다. ( )

2. 중층편평상피는 피부의 표피, 구강 등에 존재한다. ( )

3. 단층원주상피는 소장의 상피를 구성한다. ( )

4. 치밀 결합조직의 콘드로이틴 황산염이 신장력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여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보호한다. ( )

5. 뼈세포는 뼈에서 신호전달과 파골세포, 골아세포의 활성을 조절한다. ( )

6. 혈액은 결합조직의 한 예이다. ( )

7. 신경조직이 손상되면 신경세포는 활발히 분열하여 손상을 복구한다. ( )

8. 간에 존재하는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7개의 막관통 부위를 가진 세포막 수용체이다. ( )

9. ATP는 아드레날린의 신호를 전달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자이다. ( )

10. 콜레라균은 소장의 상피세포를 통해 혈관으로 침투하여 설사병을 유발한다. ( )

11. 콜레라균은 그람 음성균에 속하고 편모를 가진다. ( )

12. FSH와 LH는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한다. ( )

13. 에스트로겐은 세포질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한다. ( )

14. 호르몬과 결합한 세포막 수용체는 핵 안으로 들어가 신호를 전달한다. ( )

15. 성게의 수정에서 수정란의 칼슘 이온 증가는 세포막의 전압의존성 Ca2+ 이온통로가 개방되어 나타난다. ( )

16. 성게의 수정 시 수정란의 H+ 유출은 수정란 내 pH를 증가시켜 첫 번째 난할에 필요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 ( )

17. 성게의 다수정 방지 과정에서 느린 차단은 칼슘 이온의 증가에 따라 수정막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 )

18. 성게의 수정에서 정자의 머리가 난자의 젤리층에 닿을 경우 젤리층의 분자들이 정자의 첨체반응을 유도한다. ( )

19. 초파리의 배쪽 형성은 모계에서 전달된 전사인자인 dorasal의 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 )

20. 경할은 세포질 분열면이 동, 식물극 축과 수직이다. ( )

21. 위할은 세포질 분열면이 동, 식물극 축과 수평이다. ( )

22. 난할의 결과 세포 1개당 세포질의 양은 감소하지만, 세포수와 전체 DNA 양은 증가한다. ( )

23. 난황의 양과 분포는 난할 유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난황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단황란은 불완전한 세포질

분열을 한다. ( )

BIOLOGY 2020 69 ©THE BASIC SIMPLICITY


24. 개구리 발생에서 액티빈은 형태형성 인자로 작용하며, 동물반구에서 분비되어 농도 기울기에 따라 외배엽 세포의

종류를 결정한다. ( )

25. 포유류의 포배강 형성에 Na+ 펌프와 삼투압에 따른 물의 유입이 작용한다. ( )

26. 포배는 영양외배엽세포와 내세포괴로 구성된다. ( )

27. 양서류 신경외배엽의 운명은 초기 낭배에 결정된다. ( )

28. 척추동물의 신경관 초기 형성 과정에 미세섬유와 미세소관이 모두 관여한다. ( )

29. 세포골격단백질의 재조직화는 세포의 형태형성 기전의 한 예이다. ( )

30. 신경관은 뇌와 척수로 분화한다. ( )

31. 체절은 척삭 주변의 중배엽에서 분화하며, 후에 척추, 갈비뼈, 골격근 등으로 분화한다. ( )

32. 척삭은 신경관 형성이 끝나면 퇴화되어 사라진다. ( )

33. 척삭은 배쪽 신경관에서 감각신경을 유도하며, 등쪽 신경능선세포는 운동신경을 유도한다. ( )

34. 척추동물만이 호메오틱 유전자를 지녀 몸의 각 부위 정체성을 결정한다. ( )

35. 호메오박스 DNA 서열은 나선 대 나선 구조의 호메오 도메인으로 번역된다. ( )

36. Hox 유전자의 염색체상 배열은 몸의 앞-뒤축 순서와 관련 없다. ( )

37. 같은 부위에서 Hox 유전자가 중복 발현될 경우, 보통 먼저 발현되는 Hox 유전자에 의해 정체성이 결정된다. ( )

38. 남성의 세르톨리 세포는 여포자극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수용체를 모두 가지고 있다. ( )

39. 정세포는 정자 형태형성과정 동안 전사활동이 전체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상태이다. ( )

40. 사춘기 이전의 여자아이 난소에 있는 난모세포는 제1 난모세포이고 세포 분열 단계는 제1감수분열 중기이다. ( )

41. 샴쌍둥이는 내세포괴가 불완전하게 분리될 경우 발생한다. ( )

42. 일부 일란성 쌍둥이는 할구가 포배기 이전에 나뉘어져서 태어난다. ( )

43. 신경 세포체는 핵과 대부분의 소기관을 포함한다. ( )

44. 신경 세포체의 니슬소체는 산성 염료에 염색된다. ( )

45. 수상돌기는 복잡한 가지상의 구조를 가지며 다른 신경세포로부터 정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 )

46. 수상돌기는 시냅스의 신호전달을 통해서 활동전위를 만들어 축삭으로 신호를 전파한다. ( )

47. 신경 세포체에서 생성된 신경전달물질 분비소낭은 축삭의 미세섬유를 따라 축삭 말단으로 이동한다. ( )

48. 축삭 말단의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외 분비를 위한 ATP를 공급하고, 신호 전달에 의해 축삭 말단으로 유입된 칼슘

이온을 제거한다. ( )

49. 수초는 전기적 절연체로 중추신경계의 수초는 희소돌기신경교세포가 만든다. ( )

50. 뇌에서 성상세포가 제거되면 활동전위의 속도가 느려진다. ( )

BIOLOGY 2020 70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3회
1. 세포막의 평형전위는 막을 사이에 둔 이온의 농도차로 결정되며, 전기적인 세포막의 전위차가 이온의 농도 기울기와

평형을 이룰 때의 막전위를 의미한다. ( )

2. 세포막의 휴지막 전위의 계산은 K+ 채널과 Na+ 채널만의 투과도를 고려한다. ( )

3. 평형전위일 때 세포막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세포막의 전류는 평형전위가 되도록 흐른다. ( )

4. 시냅스 후 전위는 축삭둔덕으로 전달되어 활동전위의 발생 유무가 결정되며, 시냅스후 전위의 합에는 시간합과

공간합이 존재한다. ( )

5. 활동전위의 크기는 자극의 크기와 무관하며, 단지 자극이 클수록 활동전위의 빈도만 증가한다. ( )

6. 전압개폐성 칼륨 채널에 이상이 생기면 탈분극 후 재분극이 나타나지 않는다. ( )

7. 신경세포는 1초에 수백 번의 높은 빈도로 활동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 )

8.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모두 대사성 수용체이다. ( )

9. 양이온이 세포 밖으로 이동하면 전류는 외향성 전류이다. ( )

10. 양이온이 세포 안으로 이동하면 전류는 내향성 전류이다. ( )

11. 음이온이 세포 밖으로 이동하면 전류는 내향성 전류, 세포 안으로 이동하면 전류는 외향성 전류이다. ( )

12. GABA는 뇌에서 작용하는 흥분성 시냅스의 신경전달물질이다. ( )

13. 글루탐산은 억제성으로 작용하며, 시냅스 후 신경세포에 수용체에 결합하여 Cl-에 대한 막투과성을 증가시켜 과분극을

유도한다. ( )

14. GABA는 장기 기억 강화 작용에 작용한다. ( )

15. 시냅스 후 전위의 공간합이란 서로 다른 수상돌기에서 발생한 여러 EPSP나 IPSP가 동시에 축삭둔덕에 도달하는

경우이다. ( )

16. 공간합의 경우 시간합과 달리 시냅스 후 전위의 증폭은 가능하지만, 상쇄는 불가능하다. ( )

17.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은 흥분성과 억제성으로 모두 작용하지만, 운동신경에서는 무조건 흥분성으로만 작용한다.

( )

18. 과분극은 양전하 이온이 세포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면서 음전하 이온도 함께 세포 내부로 유입되어, 세포 내부의

음전하가 커지는 현상이다. ( )

19. 세포막이 과분극되면 막전위는 휴지막 전위보다 더 낮아진다. ( )

20. 탈분극은 세포 내부의 음전하가 작아지는 현상이다. ( )

BIOLOGY 2020 71 ©THE BASIC SIMPLICITY


21. 탈분극 되면 막전위는 휴지막 전위보다 더 높아진다. ( )

22. 뇌의 발생 시 전뇌는 대뇌와 간뇌, 소뇌로 분화한다. ( )

23. 뇌의 발생 시 후뇌는 뇌교, 연수로 분화한다. ( )

24. 대뇌는 골격근의 수축을 조절하며, 학습 감정, 기억, 인지 작용의 중추이다. ( )

25. 소뇌는 운동과 균형을 조절하며, 연하반사의 중추이다. ( )

26. 간뇌는 시상과 시상하부로 구성되며, 시상은 대뇌로 가는 모든 감각정보의 입력 중추이다. ( )

27. 중뇌는 시각반사의 중추이며, 홍채와 안구운동을 조절한다. ( )

28. 해마는 변연계의 일부이며, 해마가 손상되면 자전거 타는 법과 같은 절차 기억이 만들어지기 어렵다. ( )

29. 해마는 장기 기억으로 전환된 서술기억이 저장되는 부위이다. ( )

30. 해마가 손상되면 단기기억의 형성이 억제된다. ( )

31. 장기강화(LTP)는 일시적인 시냅스의 강화를 의미한다. ( )

32. 장기강화(LTP)는 두 뉴런 사이의 길고 일시적인 신호전달의 증가로 이어진다. ( )

33. 장기강화 작용에 글루탐산, Ca2+, NO 등이 관여한다. ( )

34. 장기강화 작용 시 시냅스에서 AMPA 수용체가 NMDA 수용체보다 먼저 열린다. ( )

35. 장기강화 작용 시 NMDA 수용체를 막고 있는 것은 Mn2+이다. ( )

36. 장기강화 작용 시 AMPA 수용체는 Na+를 NMDA 수용체는 Ca2+를 유입시킨다. ( )

37. 알츠하이머병은 대뇌 피질에 b-아밀로이드가 침착하여 발병한다. ( )

38.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대뇌 피질이 확장 되면서 뇌실이 작아지며, 해마는 수축된다. ( )

39. 척수의 등쪽에는 감각신경이 지나며, 배쪽에는 운동신경이 지난다. ( )

40.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제는 부교감 신경의 작용을 억제한다. ( )

41.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축삭이 이어진 곳이다. ( )

42. 뇌하수체 전엽은 외분비세포들로 채워져 있어 시상하부 호르몬에 자극받아 각종 호르몬을 분비한다. ( )

43. 뇌하수체 전엽과 후엽의 호르몬은 자극 호르몬과 비자극 호르몬으로 구분된다. ( )

44. 프로락틴과 멜라닌세포자극 호르몬(MSH)는 비자극 호르몬이다. ( )

45. 여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 갑상선자극호르몬(TSH),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는 자극 호르몬이다.

( )

46. 성장호르몬(GH)은 비자극 호르몬으로만 작용한다. ( )

47. 성장호르몬은 단백질 호르몬으로 뼈의 생장과 지방 조직의 지방 분해 같은 물질대사의 기능을 촉진할 수 있다. ( )

48. 성장호르몬은 뼈에서 IGF-1의 분비를 유도하여 뼈 생장을 촉진한다. ( )

BIOLOGY 2020 72 ©THE BASIC SIMPLICITY


49. 프로스타글란딘은 국소 조절자로 세포막에 존재하는 아라키돈산의 유도체이다. ( )

50. 프로스타글란딘은 정액의 분비물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분만 시 옥시토신과 함께 자궁벽의 수축을 유도한다.

( )

BIOLOGY 2020 73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4회
1. 프로스타글란딘은 열과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통각에 대한 역치를 높여 통증을 증가시킨다. ( )

2. 아스피린의 부작용으로 위장관 질환, 혈액 응고 억제가 있다. ( )

3.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티록신은 거의 모든 세포를 표적세포로 한다. ( )

4. 티록신은 지용성 아민계열 호르몬으로 혈액에 용해된 채로 운반된다. ( )

5. 티록신은 일정한 주기에 따른 주기성 분비 양상을 보인다. ( )

6. 그레이브스 병은 갑상선 항진증으로 자가면역질환이다. ( )

7. 칼시토닌은 혈중 Ca2+ 농도가 높아지면 갑상선에서 분비되며, 신장의 Ca2+ 배출을 증가시킨다. ( )

8. 칼시토닌과 파라토르몬은 시상하부의 신호에 의해 분비가 조절된다. ( )

9. 칼시토닌과 파라토르몬은 모두 갑상선에서 분비된다. ( )

10. 칼시토닌과 파라토르몬은 모두 펩티드 호르몬이다. ( )

11. 칼시토닌과 티록신은 갑상선의 같은 세포에서 분비된다. ( )

12. 파라토르몬은 신장에서 비타민 D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 )

13.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골다공증과 요로 결석 등이 생길 수 있다. ( )

14. 체성신경계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구성된다. ( )

15. 중추신경계에서 소교세포는 손상된 세포를 제거한다. ( )

16. 체온이 증가하면 시상하부는 체온조절을 위해 교감신경의 에피네프린 분비를 촉진하여 땀분비를 증가시킨다. ( )

17. 신경 신호의 전도속도는 세포 내에서 이동할 때보다 시냅스를 통과할 때 더 빠르다. ( )

18. 별아교세포(astrocyte, 성상세포)는 주로 신경재생에 관여하고, 위성세포(satelite cell)는 신경절의 신경섬유를

둘러싸는 피막을 형성한다. ( )

19. 미세아교세포(microglia, 소교세포)는 단핵구와 기원이 같아 중추신경계에서 면역세포 역할을 한다. ( )

20. 뇌실막세포는 모세혈관 벽과 접촉하여 신경세포와 혈관 사이의 물질운반에 관여한다. ( )

21. 차등성 전위의 경우 자극의 강도는 빈도로서 나타난다. ( )

22. 자극과 신호의 종합화는 축삭언덕에서 일어나며, 활동전위의 생성은 실무율을 따른다. ( )

23. 프로작(prozac)은 항우울제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 )

24. 파상풍 독소는 글리신, GABA 등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촉진해 근육 운동을 억제한다. ( )

25. 뉴런의 휴지상태에서 세포 내부의 Na+, K+ 농도가 바깥보다 높게 유지된다. ( )

BIOLOGY 2020 74 ©THE BASIC SIMPLICITY


26. 뉴런의 휴지상태에서는 신경자극이 오기 전에는 뉴런 내외부의 전위 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 )

27. 뉴런의 휴지상태에서는 휴지전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소비한다. ( )

28. 원추세포는 양극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한다. ( )

29. 로돕신은 막대세포의 디스크에 존재한다. ( )

30. 황반에는 막대세포가 원추세포보다 더 많이 존재한다. ( )

31. 적은 양의 빛에서 막대세포는 원추세포보다 더 잘 기능한다. ( )

32. 실무율이란 역치 이상의 자극에 대해서도 동일크기의 반응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 )

33. 간상세포는 원추세포에 비해 빛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색깔을 인식하지 못한다. ( )

34. 어두운 밤에 사물을 잘 보기 위해서는 사물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것 보다 비스듬히 바라보는 것이 더 유리하다.

( )

35. 빛을 받았을 때 간상세포 내에는 cGMP가 다량 존재한다. ( )

36. 달팽이관을 채우는 림프액의 조성이 바뀌면 기저막 진동이 사라져 소리를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 )

37. 반고리관의 회전 감각 인식은 회전 자극에 의한 활동 전위의 빈도수 변화를 뇌에서 인식, 해석함으로서 가능하다.

( )

38. 반고리관의 유모세포(hair cell)는 신경 세포가 특수 자극에 반응하기 위해 변형된 것이다. ( )

39. 유모세포의 감각모의 휘어짐을 억제하는 약품을 처리한다면 균형감과 청각을 모두 상실한다. ( )

40. 유모세포의 감각모가 휘어지면 리간드 개폐성 이온 채널이 열리고 과분극이 형성된다. ( )

41. 미세포와 후세포는 화학수용기로서 물에 용해된 화학물질에 의해서만 자극된다. ( )

42. 후세포와 미세포는 변형된 뉴런이다. ( )

43. 미세포와 후세포의 섬모에 존재하는 수용체 단백질은 리간드-의존성 이온채널이다. ( )

44. 치밀뼈에는 하버스골 공동계라는 동심원 형태의 무늬가 반복되어 있다. ( )

45. 에스트로겐은 뼈의 용출을 촉진한다. ( )

46. 뼈조직은 상피조직의 일부이다. ( )

47.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를 용해하여 칼슘 이온의 방출을 촉진한다. ( )

48. 평활근은 근절이 퇴화되어 있고, 낮은 미오신 ATPase 활성을 가진다. ( )

49. 심장근은 근절이 없는 대신 가지(branch)와 개재판을 가지고 있어 근육 조직을 지탱한다. ( )

50. 골격근은 체성신경계의 조절을 받아 수축할 수 있는 원통형의 다핵세포이다. ( )

BIOLOGY 2020 75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회
1. 인체에서 바이러스는 세포내 증식을 하며, 대부분의 세균과 균류, 원생동물, 기생충은 세포외 증식을 한다. ( )

2. 내재면역은 선천적 면역 반응으로 면역에 관련된 세포와 물질들이 감염이 일어나기 전부터 존재하다가 병원균이

침투하면 병원균에 대항한다. ( )

3. 적응면역은 B세포와 T세포가 활성화되어 작용하는 방어기작이다. ( )

4. 내재면역은 병원균에 비특이적이며, 적응면역은 병원균에 특이적으로 반응한다. ( )

5. 적응면역은 내재면역이 일어난 후 반응을 시작하며, 내재면역은 적응면역 작용 시점에는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다.

( )

6. 피부와 내부 상피세포들의 방어벽은 기계적 장벽에 해당한다. ( )

7. 대장의 정상 세균총(normal flora)은 서라이어신(psoriasin)과 같은 살균 단백질을 분비하여 병원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한다. ( )

8. 입, 위, 소장, 소장은 항체를 분비하여 내재면역을 수행한다. ( )

9. 보체는 내재면역의 화학적 반응을 담당하며, 인체의 각 조직에서 필요한 만큼 주기적으로 분비된다. ( )

10. 보체는 열에 매우 약한 혈장 단백질로 효소원 상태로 혈액을 떠돌다가 세균 침입 시 효소들의 연쇄 반응에 의해

활성화된다. ( )

11. 보체의 활성화는 카스파아제, 혈액응고 인자, 소화효소의 활성화와 같이 가역적 효소 조절의 하나이다. ( )

12. 보체의 활성화 기작 중 대체 경로는 대식세포의 신호에 의해 활성화 되는 과정이다. ( )

13. 보체의 활성화 기작 중 고전경로는 B세포와 항체에 의한 활성화로, 혈장을 떠돌아 다니던 항체가 보체와

결합함으로써 시작된다. ( )

14. 보체의 활성화 기작은 표적 세포에 막공격 복합체를 형성해 공격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 )

15. 히스타민은 비만세포, 호염구에서 방출되어 소동맥을 이완시키고, 열과 발적 현상을 일으킨다. ( )

16. 히스타민은 분비된 후 모세혈관의 투과도를 감소시켜 혈액의 유출과 염증의 확산을 억제한다. ( )

17. 기관지에서 분비된 히스타민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 )

18. 호중구는 상처 조직에 가장 먼저 침투하는 백혈구 세포이다. ( )

19. 호중구는 조직으로 침투해 식세포 작용을 수행하고 항체를 분비한다. ( )

20. 사이토카인은 세포에서 분비되어 수용체를 지닌 주변 세포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이다. ( )

21. 케모카인은 호중구, 단핵구를 같은 세포들을 유인하는 물질이다. ( )

BIOLOGY 2020 76 ©THE BASIC SIMPLICITY


22. 백혈구에서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을 인터류킨이라 한다. ( )

23. 대식세포는 조직에 상주하지 않으며, 감염반응 시 호염구에 의해 분화된다. ( )

24. 톨-유사 수용체(TLR)는 병원체의 특정 패턴과 관계없이 외래 단백질들에 대해 일련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 )

25. 바이러스 dsRNA를 인식하는 TLR3와 세균의 DNA 조각을 인식하는 TLR9은 세포 내부 구획에 존재한다. ( )

26. TLR4는 세균의 편모를 인식하고 TLR5는 세균의 LPS를 인식한다. ( )

27. TLR은 적응면역이 아닌 내재면역에 관여한다. ( )

28. 인터페론(IFN) - a, b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들에서 분비된다. ( )

29. 인터페론 - a, b는 주변 면역세포들의 전사, 번역을 촉진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시킨다. ( )

30. 인터페론 - a, b는 주변 일반 세포들의 세포막에 MHC I 발현을 늘려 적응면역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 )

31. 인터페론 - a, b는 수지상세포와 대식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 ( )

32. 인터페론 - g는 NK세포, TH세포 등이 분비한다. ( )

33. NK세포는 바이러스 감염세포나 암세포화 되어 세포막 표면에 MHC I의 발현이 증가된 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해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 )

34. 적응면역의 1차 면역기관은 B세포와 T세포의 생성, 성숙 장소로 골수와 흉선이 있다. ( )

35. B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성숙 과정을 거치며, T세포는 흉선에서 생성되고 성숙한다. ( )

36. 적응면역은 면역 기억을 통해 같은 병원체의 재감염에 대해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 )

37. 적응면역의 2차 면역기관은 B세포와 T세포의 활성화 장소이다. ( )

38. 2차 면역기관에는 림프절이 있으며 B세포 및 T세포, 항원제시세포의 상호 작용의 가능성을 증가시켜준다. ( )

39. 림프절은 인체에서 간과 지라에만 존재한다. ( )

40. 림프절은 구획화 되어 있으며 각 구획에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구분되어져 있다. ( )

41. 비장은 적혈구와 2차 면역기관에서 활성화되지 못한 면역세포들을 파괴한다. ( )

42. 항원은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분자량이 작을수록 면역세포에 인식되기 쉽다. ( )

43. 한 가지 당이나 한 가지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분자는 항원으로 작용하기에 불리하다. ( )

44. 에피톱(epitope)은 항원의 분자 구조 중 개별 항체나 항원 수용체가 인식하는 부위로, 하나의 항원은 하나의

에피톱만 가질 수 있다. ( )

45. 에피톱은 항원에서 실제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부위이다. ( )

46. 합텐(hapten)은 단독으로 존재 시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못하는 물질을 말한다. ( )

47. 합텐은 고분자의 운반 단백질인 캐리어(carrier)와 함께 존재해야만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 )

BIOLOGY 2020 77 ©THE BASIC SIMPLICITY


48. 황산 알루미늄 칼륨과 같은 보강제(adjuvant)는 항원과 함께 투여 시 항원을 빠르게 확산되게 하여 면역 반응을

증가시킨다. ( )

49. 항체는 혈청에 존재하는 g-글로불린 당단백질로, 공유결합을 통해 에피톱과 특이적 결합을 한다. ( )

50. 항체는 4개의 폴리펩티드가 이황화결합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 )

BIOLOGY 2020 78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2회
1. 항체에 펩신을 처리하면 보체 활성화와 항체의존적 세포매개 세포독성 반응(ADCC)이 일어날 수 없다. ( )

2. 항체의 불변부위는 고정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다. ( )

3. 항체의 가변부위는 중쇄와 경쇄의 N-말단의 다양성이 높은 110여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 )

4. CDR은 가변부위 내에서 가장 다양성이 높은 부분으로 분비형 항체에서만 발견된다. ( )

5. 분비형 항체의 모양은 가변부위 경쇄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

6. IgG 항체는 2차 면역 반응 시 주요 항체로, 항체 중 혈액에 가장 많은 수로 존재한다. ( )

7. IgG는 이량체 구조로 보체를 활성화시키고, 대식세포의 Fc 수용체와 결합해 옵소닌화를 일으킨다. ( )

8. IgG는 태반을 통과할 수 있어 태아의 수동 면역에 관여하고, 동시에 적아세포증을 일으킬 수 있다. ( )

9. 신생 B세포의 세포막에 막관통형으로 발견되는 항체에는 IgD와 IgM이 있다. ( )

10. IgM은 1차 면역 반응 시 가장 처음 발현되는 항체로 세포막에서 5량체를 형성한다. ( )

11. IgA는 혈청에서는 주로 이량체로 존재하나 체외 배출되는 IgA는 단량체로 존재한다. ( )

12. IgE는 호산구, 단핵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Fc 수용체에 결합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 )

13. 항체는 체성 재조합 → 접합부 다양성 → 대립 유전자 배제 → 개별형 전환 → 체성 과변이 의 5단계의 생성 과정을

거친다. ( )

14. 항체의 체성 재조합 과정에 작용하는 RAG 1, 2 복합체는 DNA를 절단하고 연결하는 반응을 수행한다. ( )

15. 접합부 다양성과 대립 유전자 배제는 RNA 스플라이싱 과정으로 진행된다. ( )

16. 성숙 B세포는 항원과 접촉 전 개별형 전환(class switching)을 진행하며, 항원과 접촉 후 체성 과변이를 진행한다.

( )

17. 개별형 전환으로 하나의 B세포는 하나의 항원에 대해 IgG, IgE, IgA 항체를 모두 분비한다. ( )

18. 개별형 전환이 일어난 B세포의 유전자는 다시 이전의 개별형으로 돌아갈 수 없다. ( )

19. 체성 과변이는 중쇄, 경쇄 가변부위에 염기 치환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 )

20. 체성 과변이에서 친화력 성숙(affinity maturation)이란 특정 염기 서열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후 항원에 노출 될수록

더 강한 결합력을 지닌 세포들만 선별되는 현상이다. ( )

21. 항체는 보체와 달리 NK세포, 대식 세포 등이 표적세포를 죽이도록 유도하는 기능은 없다. ( )

22. 항체는 고전 경로로 보체를 활성화시켜 표적 세포를 파괴하게 한다. ( )

23. MHC는 유핵세포의 세포막에 발현되는 당단백질이다. ( )

BIOLOGY 2020 79 ©THE BASIC SIMPLICITY


24. MHC는 당이나 단백질 성분의 항원을 제시해 T세포들이 적응 면역을 일으키도록 유도한다. ( )

25. MHC I은 모든 유핵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되며, 항원을 Tc세포에 제시한다. ( )

26. MHC I의 항원 제시에는 리소좀이 관여한다. ( )

27. MHC II는 수지상세포, 대식세포와 같은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발현된다. ( )

28. MHC II는 항원을 B세포에게 제시하여 B세포가 항원을 인식해 체성 과변이를 일으킬 수 있게 한다. ( )

29. T세포 수용체(TCR)은 T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되며, MHC와 제시 항원을 함께 인식한다. ( )

30. TCR의 성숙은 체성 재조합, 접합부 다양성, 체성 과변이 과정을 거친다. ( )

31. 항체는 항원의 3차원적 구조를 인식하는 반면에 TCR은 1차원적인 가공된 선형 펩티드와 결합한다. ( )

32. B세포의 성숙과정에서 Pre-B세포가 경쇄 재배열을 거치면 Pro-B세포가 되며, Pro-B세포는 중쇄 재배열을 거쳐

미성숙 B세포가 된다. ( )

33. 미성숙 B세포는 세포막에 IgM을 발현하며, 골수에서 자기 항원 결합 시 클론 삭제된다. ( )

34. 미경험 B세포는 분비형 항체를 생산하며, 몸을 순환하다 자기 항원 결합 시 클론 삭제된다. ( )

35. 보조 T세포는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TH2세포로 분화되고, IL-4 신호를 통해 B세포를 활성화 시킨다. ( )

36. 활성화된 B세포는 IgG를 분비할 수 있으며, 일부 세포는 기억세포로 전환된다. ( )

37. Rh식 혈액형은 흉선 의존성 항원이다. ( )

38. ABO식 혈액형은 흉선 비의존성 항원이다. ( )

39. 흉선 비의존성 항원에 의해 개별형 전환과 친화력 성숙이 일어난다. ( )

40. 태아는 출생 전 뿐만아니라 출생 후에도 모체에 의한 수동 면역이 필요하다. ( )

41. 능동 면역은 수동 면역과 달리 면역 기억을 유도함으로써 병원균에 저항하는 방법이다. ( )

42. 골수에서 막 생성된 T세포는 모두 CD4와 CD8을 발현하지 않는 이중음성 흉선 세포이다. ( )

43. 흉선에서 T세포는 양성선택을 거쳐 단일양성 흉선 세포가 된다. ( )

44. 혈액을 떠돌다 자기 항원에 결합하는 T세포를 제거하는 것을 음성선택이라 한다. ( )

45. 활성화된 T세포는 TCR을 통해 [자기MHC와 비자기 펩티드]를 동시에 제시하는 표적세포를 공격한다. ( )

46. 조직 이식 거부 반응은 주로 T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성 면역 반응에 의해 일어난다. ( )

47. 각막과 안구는 혈관과 림프관이 없어 조직 이식 시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 )

48. 뇌, 정소 및 자궁은 침입한 T세포와 B세포의 사멸을 유도해 면역학적 면제 상태를 유지한다. ( )

49. 음식을 통해 정상적으로 흡수된 항원은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 )

50. 이식편대 숙주 반응(GVH)은 공여자의 조직 세포가 수여자의 혈구 세포를 공격하는 현상으로 골수 이식 과정에서

나타난다. ( )

BIOLOGY 2020 80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3회
1. 제1형 과민반응은 호염구와 IgE에 의해 일어난다. ( )

2. 제1형 과민반응 시 프로스타글란딘이 분비되어 기도가 수축되어 호흡 장애가 올 수 있다. ( )

3. 제1형 과민반응 관련 질환에는 전신성 아나필락시스 쇼크, 건초열,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이 있다. ( )

4. 제1형 과민반응 치료제로 히스타민, 코르티솔을 투여한다. ( )

5. 제2형 과민반응은 IgG와 IgM이 매개하는 반응으로 ADCC(항체 의존적 세포 독성 반응)이나 보체 활성화로

비정상적인 세포 파괴가 일어난다. ( )

6. 그레이브스 병, 에디슨 병이 제2형 과민 반응으로 발병할 수 있다. ( )

7. 제3형 과민반응은 용해성 항원에 대해 IgD 항체가 복합체를 이루어 나타난다. ( )

8. 제4형 과민반응은 지연성 과민반응으로 주로 B세포의 느린 항체 생성에 의해 일어난다. ( )

9. 제4형 과민반응 관련 질환에는 투베르쿨린 반응, 결핵, 접촉성 피부염, 조직 이식 거부 반응이 있다. ( )

10. 선천성 면역 결핍은 면역 관련 유전자들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 )

11. 후천성 면역 결핍은 HIV가 보조 T세포에 특이적으로 감염되어 발생한다. ( )

12. 후천성 면역 결핍으로 적응 면역과 내재 면역이 모두 결핍된다. ( )

13. 그레이브스 병은 자가 항체가 갑상선 수용체에 결합하여 티록신의 분비가 감소되는 질병이다. ( )

14. 하시모토 병은 대식세포에 의해 갑상선 세포가 파괴되어 나타나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다. ( )

15. 제1형 당뇨병은 세포독성 T세포에 의해 이자의 a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의 분비가 억제되는 질병이다. ( )

16. 다발성 경화증은 항체에 의한 자가 면역 질환으로, 자가 항체가 축삭을 파괴하여 마비 등이 나타난다. ( )

17. 중증 근무력증은 자가 항체가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해 리간드의 정상적인 결합을 방해하고, 보체를 활성화시켜

수용체를 지닌 세포를 파괴하는 질환이다. ( )

18. 중증 근무력증은 아세틸콜린의 신호를 받지 못해 근육 약화가 일어난다. ( )

19. 악성 빈혈은 비타민 B12의 흡수를 도와주는 내인성 인자에 대한 자가 항체로 발생한다. ( )

20. 바이러스를 암세포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 )

21. 백혈병은 골수 조혈모세포의 악성 종양으로 골수 이식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 )

22. 곤충의 호흡계는 순환계와 별도로 발달되어 있으며, 주로 피부 호흡을 통해 산소를 흡입한다. ( )

23. 어류의 아가미는 혈액을 물 흐름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기체교환을 효율적으로 만든다. ( )

24. 인간의 기도는 점액층으로 덮여 있어 섬모 운동을 통해 흡입 공기의 불순물을 여과하고, 가습한다. ( )

BIOLOGY 2020 81 ©THE BASIC SIMPLICITY


25. 입으로 호흡할 경우 코로 흡입할 경우보다 가온, 가습력이 떨어질 것이다. ( )

26. 기관지는 기관에서 분지되어 연골에 의해 지지되지만, 세기관지는 연골 대신 평활근에 의해 지지된다. ( )

27. 부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세기관지는 이완하며, 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세기관지는 수축한다. ( )

28. 세기관지가 수축하면 기도 저항은 감소한다. ( )

29. 폐포는 자체 근육이 있어 스스로 확장, 수축이 가능하다. ( )

30. 폐포는 공기와 혈액 사이에 기체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제1형 폐포 세포가 폐포를 벽처럼 둘러 싸고 있다. ( )

31. 폐의 결합조직은 신축성을 위해 엘라스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호흡 경계면은 물로 덮여 있다. ( )

32. 호흡 경계면의 표면장력을 높이기 위해 제2형 폐포 세포는 계면활성제인 레시틴을 분비한다. ( )

33. 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은 레시틴의 부족으로 발생하며 주로 미숙아들에게 나타난다. ( )

34. 흡기 시 횡경막과 외늑간근은 모두 수축하며, 횡경막과 외늑간근은 모두 골격근이다. ( )

35. 늑막 내압은 폐포 내압 보다 항상 높게 형성된다. ( )

36. 폐환기량이 일정할 때, 기도저항과 폐포 탄성력은 서로 비례 관계이다. ( )

37. 연수는 프리 뵈칭거 복합체를 통해 흡기 신경이 주기적으로 흥분하도록 활동전위를 생성한다. ( )

38. 뇌교는 연수의 신호를 미세조정 하여 부드러운 흡기와 호기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 )

39. 시상하부에 위치한 중추 화학 수용기는 동맥의 이산화탄소 분압에 의해 발생한 H+ 농도 변화를 측정한다. ( )

40. 말초 화학 수용기는 경동맥체, 대동맥체에 위치한다. ( )

41. 말초 화학 수용기는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통해 H+ 농도 변화를 인식할 수 있지만, 산소 분압과 산성 물질에 의한 H+

농도 변화는 인식하지 못한다. ( )

42. 일정 시간당 호흡량은 혈중 이산화탄소 분압보다 산소 분압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 )

43. 일정 폐환기량일 때 호흡 속도가 빠를수록 폐포 환기량은 증가한다. ( )

44. 폐기종으로 인한 폐포의 파괴는 기체 교환을 위한 표면적을 감소시킨다. ( )

45. 폐포막이 두꺼워지는 섬유증 폐질환은 기체 교환을 저하시킬 수 있다. ( )

46. 천식은 폐부종을 일으켜 기체 교환을 감소시킨다. ( )

47. 산소는 대부분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상태로 운반된다. ( )

48. 헤모글로빈은 협동성을 나타내며, 2,3-BPG는 산소 부족 시 증가되어 산소의 해리를 증가시킨다. ( )

49. 체온이 올라가면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 )

50. 혈중 pH가 감소되면 산소의 해리가 증가되며, 이를 보어 효과라 한다. ( )

BIOLOGY 2020 82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4회
1. 중추 화학 수용기는 뇌-혈관 장벽으로 인해 케톤체와 같은 산성물질에 의한 pH 감소를 직접 인식하지 못한다. ( )

2.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의 헴(heme)기에 결합해 운반된다. ( )

3. 일산화탄소와 헤모글로빈의 결합력은 산소와 헤모글로빈 결합력의 200배로, 일산화탄소 결합 시 다른 결합자리에

붙은 산소의 해리가 증가되어 조직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진다. ( )

4. 일산화탄소 중독 시 일산화탄소를 헤모글로빈에서 강제로 분리시키기 위해 고압 산소법을 사용한다. ( )

5. 이산화탄소의 운반량 중 60%는 혈장에 용해된 채 운반된다. ( )

6. 이산화탄소의 혈장 용해에 적혈구 내부의 탄산무수화 효소가 필요하다. ( )

7. 탄산무수화 효소에 의해 이산화탄소는 HCO3-로 전환되며, HCO3-는 혈장 pH 조절 효과를 보인다. ( )

8. 보어 효과는 산소의 농도가 헤모글로빈의 이산화탄소 결합력에 미치는 효과를 의미한다. ( )

9. 산소 농도가 낮은 곳에서는 이산화탄소가 헤모글로빈에서 잘 해리되며, 산소 농도가 높은 곳에서는 이산화탄소가

헤모글로빈과 쉽게 결합한다. ( )

10. 폐기종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중 하나로 기도 저항이 증가하여 흡기보다 호기가 어려워지는 특징을 가진다.

( )

11. 천식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코르티졸의 분비가 증가하여 기관지를 흐르는 공기의 저항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 )

12. 천식의 치료제로 히스타민, 에피네프린 등을 처리한다. ( )

13. 폐섬유증은 폐조직이 손상된 부위를 결합 조직이 대체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 )

14. COPD와 천식은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과 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은 제한성 폐질환에 해당한다. ( )

15. 폐쇄성 폐질환으로 기능적 잔기용량은 감소하는 반면, 잔기용적은 증가한다. ( )

16. 제한성 폐질환으로 폐용량은 증가하나 흡기용량과 폐활량은 감소한다. ( )

17. 감압병은 잠수부들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급격한 압력 변화의 따른 기체의 용해도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 )

18. 높은 압력으로 인한 질소의 용해는 신경 세포막의 신경 흥분을 감소시켜 심해 황홀증을 유발할 수 있다. ( )

19. 잠수부의 공기통에 질소 대신 헬륨을 채워주면, 감압병 증세가 더욱 악화될 것이다. ( )

20. 높은 고도의 초기 적응으로 호흡 수와 심박출량이 감소해 조직에서 사용되는 산소량을 감소시킨다. ( )

21. 높은 고도의 후기 적응으로 신장에서 EPO 분비량이 증가하고, EPO에 의해 골수에서 적혈구 생산량이 증가한다.

( )

22. 후기 적응으로 조직에서 2,3-BPG 양이 증가해 산소 해리가 증가한다. ( )

BIOLOGY 2020 83 ©THE BASIC SIMPLICITY


23. 후기 적응으로 미토콘드리아와 모세혈관 수가 모두 증가할 수 있다. ( )

24. 높은 고도에서 호흡의 감소에 대한 보상 작용으로 신장에서 산 배출이 증가한다. ( )

25. 생물체에서 모세혈관과 조직세포 사이의 기체교환은 확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 )

26.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은 1분자당 4개의 산소 분자를 운반한다. ( )

27. 영양 과다로 인해 고혈압과 심장병, 당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

28. 각 식물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채식주의자들은 일부 식물만 먹어도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공급받을 수 있다. ( )

29. 인은 위산 생성, 산-염기 균형, 수분 균형 등에 관여하는 무기질이다. ( )

30. 칼슘은 치아, 뼈, 혈액 응고, 신경 및 근육 기능에 관여한다. ( )

31. 코발트는 엽산의 구성 성분으로 적혈구 성숙에 필요하다. ( )

32. 요오드는 갑상샘 호르몬을 생성하는데 필요하며, 부족 시 갑상샘 비대증이 나타날 수 있다. ( )

33. 비타민은 체내에서 효소의 보조인자로 작용하는 무기질이다. ( )

34. 비타민의 대부분은 동물 스스로 합성할 수 없어 식이를 통해 섭취해야만 한다. ( )

35. 비타민 A, D, E, K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결핍증을 나타내지 않는다. ( )

36. 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에 관여하며, 결핍 시 각기병이 나타난다. ( )

37. 소화기관인 위와 장에는 조율기 세포가 존재하여 주기적인 서파 전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

38. 서파 전위는 음식물, 신경 등의 자극과 합쳐져 활동전위를 생성한다. ( )

39. 침의 아밀라아제는 녹말을 엿당과 덱스트린으로 분해한다. ( )

40. 침에는 리소자임이 있어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할 수 있다. ( )

41. 인간의 침샘은 교감과 부교감 신경 자극에 길항적으로 작용한다. ( )

42. 교감 신경의 자극은 끈적한 마른 침을 분비하게 한다. ( )

43. 부교감 신경의 자극은 묽고 젖은 침 분비를 촉진한다. ( )

44. 침의 분비에는 무조건 반사와 조건 반사가 모두 작용할 수 있다. ( )

45. 음식물 덩어리가 혀에 의해 인두를 자극하면 대뇌의 연하중추의 활성화로 음식물이 삼켜지게 된다. ( )

46. 식도는 위와 달리 점액을 분비하지 않기 때문에 위산 역류에 취약하다. ( )

47. 위는 상부부터 기저부 – 위체부 – 유문동 – 유문 괄약근으로 구성된다. ( )

48. 유문동은 위에서 가장 두꺼운 근육층을 가지고 있어 가장 격렬한 운동을 한다. ( )

49. 위는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흡수되는 장소이다. ( )

50. 위의 벽세포는 HCl을 분비하며, HCl은 살균, 단백질 변성, 펩시노겐 활성화에 관여한다. ( )

BIOLOGY 2020 84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5회
1. 위의 점액분비세포와 술잔 세포는 점액과 중탄산염을 분비하며, 내분비성 세포이다. ( )

2. 위 점액의 당단백질(뮤신, mucin)은 위 점막에 보호장벽을 형성한다. ( )

3. 위의 주세포는 펩시노겐을 분비하며, 펩시노겐은 효소원(zymogen)상태로 분비된다. ( )

4. 펩시노겐의 HCl에 의한 활성화는 양성피드백 기전을 보인다. ( )

5. 위의 장크롬성친화세포(ECL cell)은 내인성 인자를 분비하며, 내인성 인자는 위의 비타민 B12 흡수에 관여한다. ( )

6. 내인성 인자의 결핍은 용혈성 빈혈의 원인이 된다. ( )

7. 내인성 인자에 의한 비타민 B12 흡수는 수용체 매개 세포내 유입으로 일어난다. ( )

8. 위의 G세포는 위 내강으로 가스트린을 분비해 벽세포의 위산 분비를 촉진한다. ( )

9. G세포의 가스트린 분비 자극인자는 펩티드와 아미노산이다. ( )

10. 위의 D세포에서 분비하는 히스타민은 위산 분비를 억제한다. ( )

11. 위는 일부 알콜과 아스피린을 흡수하지만 음식물을 흡수하지는 않는다. ( )

12. 지방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위 배출 속도는 증가하고, 위 운동은 촉진된다. ( )

13. 위 내강의 산성상태는 아스피린과 같은 약산성물질을 비이온화상태로 존재하게 만들어 위의 상피 세포막을 통해

흡수될 수 있게 한다. ( )

14. 위에서 분비된 그렐린은 시상하부를 자극해 식욕을 억제한다. ( )

15. 위산은 펩시노겐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한편, 소마토스타틴 분비를 억제시켜 위산, 가스트린 등의 분비를 촉진한다.

( )

16.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요소분해효소를 통해 산성의 위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 )

17.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 점막의 점액층을 파괴하고, 위산을 중화시켜 가스트린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 )

18. 이자는 내분비세포와 외분비세포를 모두 가지고 있다. ( )

19.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은 외분비세포, 선방세포(aciner cell)는 내분비세포이다. ( )

20. 이자의 내분비세포는 각종 호르몬을 분비하며, 담관세포는 수용성 알칼리액을 분비한다. ( )

21. 십이지장의 세크레틴 신호에 의해 이자는 위에서 들어온 산성 유미즙을 중화시키는 NaHCO3를 분비한다. ( )

22. 이자의 내분비는 세크레틴과 콜레시스토키닌에 의해 조절된다. ( )

23. 간은 양분의 동화와 저장 기능을 담당하며, 혈장단백질, 헤파린, 보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 )

24. 간세포에서 요소와 요산이 분해된다. ( )

BIOLOGY 2020 85 ©THE BASIC SIMPLICITY


25. 간세포는 비타민 D를 합성하여 칼슘의 흡수를 촉진한다. ( )

26. 쓸개즙은 담즙염과 담즙색소 + 콜레스테롤 등으로 구성된다. ( )

27. 담즙염은 콜레스테롤 유도체로 양친매성 특징을 가져 지방을 미셸 형태로 유화시킨다. ( )

28. 쓸개즙의 분비 촉진인자는 부교감 신경과 콜레시스토키닌이다. ( )

29. 쓸개즙은 산성 물질로 간에서 생성된 후 쓸개에 저장된다. ( )

30. 소장은 대부분의 소화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 )

31. 이자의 십이지장으로의 소화효소 분비는 각 영양소 자극에 반응하여, 한 번에 한 종류의 소화효소만 분비된다. ( )

32. 담즙염의 재흡수는 주로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일어난다. ( )

33. 십이지장에서 생성되는 소화효소는 이자의 소화효소와 달리 장 정단막에 박힌 상태로 작용한다. ( )

34. 십이지장의 융모의 미세융모는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며, 내부에는 암죽관과 모세혈관이 존재한다. ( )

35. 장수축을 일으키는 카잘 세포는 평활근 세포로 느린 차등성 전위를 주기적으로 생성한다. ( )

36. 부교감 신경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카잘 세포의 느린 파동의 크기와 지속을 증가시킨다. ( )

37. 대장에는 소화효소가 없으므로 어떠한 종류의 물질도 흡수되지 않는다. ( )

38. 대장에 서식하는 균류는 비타민 K와 비오틴 등을 합성하여 인체에 제공한다. ( )

39. 소장에서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는 2차 능동 수송에 의해 흡수된다. ( )

40. 소장에서 과당은 촉진확산에 의해 흡수된다. ( )

41. 소장에서 아미노산은 촉진확산에 의해 흡수된다. ( )

42. 소장에서 아미노산 단위로 소화되지 않은 펩티드는 트랜시토시스를 통해 흡수될 수 있다. ( )

43. 소장에서 수용성 비타민은 단순확산으로 흡수된다. ( )

44. 중성지방(트리글리세리드)은 담즙염에 의해 미셸화된 후 이자의 리파아제에 의해 모노글리세리드와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된다. ( )

45. 모노글리세리드와 지방산은 소장 상피세포에 능동수송으로 흡수된 후, 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으로 재합성된다. ( )

46. 콜레스테롤은 소장 상피세포 정단막에서 수용체 매개 세포내 유입 과정으로 흡수된다. ( )

47. 소장 상피세포 내에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킬로미크론(chylomicron)이 되어 암죽관을 통해 흡수된다. ( )

48. 암죽관으로 흡수된 지용성 물질은 림프관만을 통해 전신을 순환한다. ( )

49. 비타민 A, D, E, K는 흡수 후 간문맥을 통해 간으로 들어가 저장된다. ( )

50. 십이지장으로 유입된 담즙은 회장에서 대부분 재흡수 되어 간으로 이동한다. ( )

BIOLOGY 2020 86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6회
1.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트립시노겐, 키모트립시노겐은 이자에서 분비된다. ( )

2. 아밀라아제와 리파아제는 활성형, 트립시노겐, 키모트립시노겐은 효소원 상태로 분비된다. ( )

3. 섭취한 대부분의 물은 대장에서 흡수된다. ( )

4. 삼투 순응자는 주변 환경과 비슷한 체내 삼투압을 유지하는 동물이다. ( )

5. 삼투 순응자에는 해양 척추동물과 담수 어류가 해당한다. ( )

6. 삼투 조절자는 외부 삼투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체내 삼투압을 유지하는 동물이다. ( )

7. 육상동물은 건조한 환경에서 수분 증발을 막는 외피 구조가 발달되어 있으며, 체내 수분과 염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신장에서 배설을 조절한다. ( )

8. 수생동물은 질소 노폐물을 요산의 형태로 배설한다. ( )

9. 포유류와 양서류는 질소 노폐물을 요소의 형태로 배설한다. ( )

10. 요소와 암모니아는 수용성 질소 노폐물이다. ( )

11. 요산은 불용성 질소 노폐물로 배출하는데 수분이 손실이 크다. ( )

12. 암모니아, 요소, 요산 중 가장 강한 독성을 가지는 것은 요산이며, 배출하는데 가장 많은 물이 필요한 것은

암모니아이다. ( )

13. 외온동물은 내온동물에 비해 더 많은 질소 노폐물을 만든다. ( )

14. 환형동물의 배설기관은 후신관이며, 절지동물의 배설기관은 말피기관이다. ( )

15. 인간의 신장은 혈압과 삼투압을 조절하고, 비타민 E 활성화에 관여한다. ( )

16. 신장은 EPO와 레닌을 생산하고, 요소와 이물질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 )

17. 네프론은 뇨를 생성하는 신장의 기본 단위로 사구체, 보우먼 주머니, 세뇨관, 집합관으로 구성된다. ( )

18. 배설되는 오줌의 양은 여과량 – 재흡수량 + 분비량과 같다. ( )

19. 혈관과 네프론 사이에서 여과, 재흡수, 분비의 세 가지 과정이 일어난다. ( )

20. 사구체를 지나는 혈액의 20%가 여과된다. ( )

21. 혈액 성분 중 세포와 크기가 큰 단백질은 여과되지 않으며,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여과된다. ( )

22. 사구체 모세혈관은 단층의 혈관 내피세포로 구성된다. ( )

23. 사구체 여과부의 기저막은 음전하성 당단백질로 구성된 비세포성 구획으로 혈장 단백질의 투과를 억제한다. ( )

24. 사구체 여과력은 모세혈관 혈압 + 보우만 주머니 정수압 – 혈장 내 교질 삼투압으로 계산할 수 있다. ( )

BIOLOGY 2020 87 ©THE BASIC SIMPLICITY


25. 사구체 여과력이 증가할수록 사구체 여과율(GFR)은 증가한다. ( )

26. 수입세동맥이 확장되면 GFR은 감소하고, 수입세동맥이 수축하면 GFR은 증가한다. ( )

27. 신장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수입세동맥 평활근과 사구체 옆장치를 이용해서 사구체 모세혈관의 혈류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 )

28. GFR 자가조절에서 수입세동맥 내 압력이 증가하면 수입세동맥은 이완하여 압력을 낮춘다. ( )

29. 여과액의 양이 증가하면 수입세동맥은 수축하여 GFR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 )

30. 몸 전체의 혈압이 증가하면 부교감 신경 활성이 증가해 GFR과 소변량을 증가시킨다. ( )

31. 근위세뇨관에서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ATP 펌프에 의해 재흡수 된다. ( )

32. 근위세뇨관에서 물은 재흡수되지 않는다. ( )

33. 근위세뇨관으로 들어오는 초기여과액의 삼투몰농도는 혈장과 같다. ( )

34. 수질인접네프론은 긴 헨레고리를 가지는 네프론으로 포유동물과 조류에서만 발견된다. ( )

35. 모세혈관과 보먼주머니 사이에 존재하는 내피세포 막 표면의 음전하가 감소하면 단백뇨가 생성될 수 있다. ( )

36. 헨레고리 하행지는 물에 대해서만 투과성을 가진다. ( )

37. 헨레고리 상행지의 두꺼운 부분에서 NaCl은 확산으로 흡수되며, 얇은 부분에서는 능동수송으로 흡수된다. ( )

38.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서 알도스테론의 조절을 받아 K+가 능동 재분비된다. ( )

39. 항이뇨호르몬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어 집한관의 아쿠아포린 발현을 증가시킨다. ( )

40. 항이뇨호르몬의 분비 부족으로 소량의 뇨가 생성되는 요붕증이 나타날 수 있다. ( )

41. 방사구체장치는 저혈압, 세포외액량의 감소, 혈중 나트륨 이온 농도 감소를 감지하여 레닌을 분비한다. ( )

42. 레닌은 신장에서 합성된 안지오텐시노겐을 절단하여 안지오텐신 I을 생성한다. ( )

43. 안지오텐신 I은 폐 혈관 내피세포의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ACE)에 의해 절단되어 안지오텐신 II가 된다. ( )

44. 안지오텐신 II는 세동맥 수축 물질로 갈증을 유발하고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한다. ( )

45. 알도스테론은 안지오텐신 II 자극에 의해 부신 피질에서 분비된다. ( )

46. 알도스테론은 원위세뇨관에 작용하여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 )

47. ANP는 심장의 심방에서 분비된다. ( )

48. ANP는 레닌, 안지오텐신 II와 시너지(synergy)효과를 나타낸다. ( )

49. 혈장에서 농도가 높은 용질일수록 사구체에서 많이 투과된다. ( )

50. 뇨에 배출된 칼륨 이온은 여과된 것 보다는 재분비된 것이 대부분이다. ( )

BIOLOGY 2020 88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7회
1. 항이뇨 호르몬은 혈장 삼투압의 증가와 혈액량 감소에 의해 분비된다. ( )

2. 혈압 또는 혈액량의 증가로 좌심방의 용적이 증가하면 ANP가 분비되어 Na+와 물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 )

3. 항이뇨 호르몬은 아쿠아포린 유전자의 전사와 번역을 함께 촉진한다. ( )

4. 같은 혈장 삼투 농도라도 혈액량이 적으면 항이뇨 호르몬이 더 적게 분비된다. ( )

5. 연수의 심혈관 조절 중추는 좌심방 혈압 수용기를 자극 및 ANP 분비를 촉진하여 혈압을 단기적으로 조절한다. ( )

6. 신장의 사구체 옆장치는 Na+의 재흡수와 안지오텐신 II를 통해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 )

7. 신장에서 대부분의 H+는 근위세뇨관의 ATPase에 의해 재흡수되며, HCO3-는 Na+와의 공동수송으로 분비된다. ( )

8.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의 타입 A, B 세포는 혈액의 산, 염기 평형에 관여한다. ( )

9. 타입 A 세포는 혈액 산증 시 H+를 분비, HCO3-를 재흡수한다. ( )

10. 타입 B 세포는 혈액 알칼리증 시 H+를 재흡수하고, HCO3-를 분비한다. ( )

11. 타입 A, B 세포를 통해 혈액 산증 시 K+는 분비되며, 알칼리증 때는 재흡수된다. ( )

12. 혈액 H+ 농도는 주로 백혈구의 탄산무수화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 )

13. 탄산, 인산, 단백질, 적혈구에 의한 H+ 농도 조절은 인체의 화학 완충 시스템이다. ( )

14. 호흡성 산증은 폐의 이산화탄소 배출 이상으로 나타나며, 혈장의 H+와 HCO3-가 동시에 증가한다. ( )

15. 대사성 산증은 구토, 설사, 젖산, 케톤체 축적 등을 나타난다. ( )

16. 대사성 산증의 보상기전으로 신장의 타입 A 세포 작동 + 호흡 촉진에 의한 이산화탄소 제거가 증가한다. ( )

17. 대사성 알칼리증으로 혈장 H+ 와 HCO3- 농도가 동시에 감소한다. ( )

18. 단백질과 혈구세포는 사구체에서 거의 여과되지 않으며, 여과되더라도 근위 세뇨관에서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스에

의해 대부분 재흡수 된다. ( )

19. 이눌린과 크레아티닌은 여과가 일어난 후 재흡수와 분비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 )

20. 요소는 여과 후 근위세뇨관에서 단순 확산으로 재흡수된다. ( )

21. 요소는 신장 피질부 간질액의 삼투 농도 기울기를 형성해 헨레고리에서 요의 농축에 기여한다. ( )

22. 정상인에서 여과된 포도당은 모두 재흡수되나, 당뇨병 환자의 경우 신장의 재흡수 최대치를 초과한 당이 소변으로

배출된다. ( )

23. 당뇨병 환자의 소변량은 정상인에 비해 증가한다. ( )

24. PAH는 사구체에서 여과된 후, 세뇨관에서 분비만 일어난다. ( )

BIOLOGY 2020 89 ©THE BASIC SIMPLICITY


25. 칼슘 이온은 여과 후 근위세뇨관에서 대부분 재흡수 되며, 파라토르몬에 의해 원위세뇨관에서 분비될 수 있다. ( )

26. 저칼륨혈증은 과도한 땀 배출 후 이온의 불충분한 보충과 타입 A 세포의 과도한 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 )

27. 고칼륨혈증 시 신경세포의 휴지막 전위가 상승해 잦은 탈분극이 일어나 근육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 )

28. 신장 청소율은 신장이 혈장 내에서 어떤 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으로 물질의 소변 배설율(mg/min) / 물질의 혈장

농도(mg/ml)로 계산할 수 있다. ( )

29. 이눌린은 재흡수의 분비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눌린의 청소율은 곧 사구체 여과율(GFR)이다. ( )

30. 여과 후 분비되는 물질의 청소율 값은 GFR 보다 작다. ( )

31. 사구체 여과율(GFR)을 통해 약물의 적정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 )

32. 방광은 이행상피로 되어 있어 소변 양에 따라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 )

33. 투석은 인공적으로 체액의 염 균형을 유지시키고 노폐물을 제거시키는 방법으로 주로 신부전 환자에게 사용된다.

( )

34. 투석 시 반투막을 통해 단백질과 노폐물이 확산에 의해 제거된다. ( )

35. 투석 시 혈액과 투석액은 일반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흐르게 설정한다. ( )

36. 중심성 요붕증은 뇌하수체 후엽의 바소프레신 분비에 이상이 생긴 것이며, 신성 요붕증은 신장의 바소프레신

수용체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 )

37. 변온동물은 일정한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동물로 주로 양서류, 파충류, 어류 등이 해당된다. ( )

38. 변온동물은 체온이 낮아지면 대사율을 감소시키고 수면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 )

39. 변온동물은 내온동물에 비해 많은 먹이 섭취가 필요하다. ( )

40. 변온동물은 내온동물에 비해 표면적 대 부피비가 높은 구조가 가능하다. ( )

41. 내온동물은 물질대사에 의해 얻은 열을 체온 유지에 사용한다. ( )

42. 갈색지방이나 근육의 떨림은 내온동물에게 열을 제공할 수 있다. ( )

43. 내온동물에서 혈관의 역류 교환이 관찰된다. ( )

44. 알렌의 법칙은 추운 기후에 살수록 말단의 크기가 커지는 법칙이다. ( )

45. 툰드라 지방에 사는 동물은 베르그만의 법칙에 따라 표면적이 작고 둥근 구조를 가지기 쉽다. ( )

46. 몸집이 큰 동물일수록 작은 동물에 비해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고, 단위 체중 당 더 높은 대사율을 보인다. ( )

47. 인간은 피부의 말단 수용기를 통해 주변 환경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 )

48. 내독소에 의해 대식세포는 IL-1을 분비해 시상하부의 설정점을 감소시켜, 열을 발생시킨다. ( )

49. IL-1은 시상하부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방출을 촉진해 설정점을 변화시킨다. ( )

50. 몸의 온도가 설정점보다 높을 때 교감 신경은 체온이 설정점 온도까지 내려가도록 작용한다. ( )

BIOLOGY 2020 90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8회
1. Toll-유사 수용체(TLR)는 내재면역에 관여하며, 병원체의 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 )

2. 바이러스 특이적인 핵산을 인식하는 TLR은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의 세포막에서 주로 발견된다. ( )

3. T세포의 양성선택과 음성선택은 혈관 내피세포에 의해 일어난다. ( )

4. 자연살해세포(NK 세포)는 골수에서 림프구의 한 종류로 생산된다. ( )

5. 활성화된 NK 세포는 항원 특이성을 획득한다. ( )

6. 활성화된 NK 세포는 T 세포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 ( )

7. NK 세포는 세포 표면에 TCR을 발현하지 않으며, 표적인식도 MHC에 제한받지 않는다. ( )

8. 보체는 C1 등 30여 종의 혈장 단백질로 간에서 생성되고, 평소에는 불활성화된 상태이다. ( )

9. 보체는 열에 약해 가열 시 쉽게 변성된다. ( )

10. 보체는 인산화에 의해 활성화된다. ( )

11. IgG는 2차 면역의 주요 항체이다. ( )

12.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항체의 구조는 5량체이다. ( )

13. 이량체의 IgA와 오량체의 IgM 항체는 J 사슬을 가지고 있다. ( )

14. IgE는 항원과의 결합을 통해 히스타민을 분비한다. ( )

15. 보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항체의 Fc 부위가 있어야 한다. ( )

16. 항원의 침강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항원결합부위를 가져서 항체가 교차결합을 해야한다. ( )

17. ABO식 혈액형의 거부반응은 IgG에 의해 일어나는 항원-항체 반응이다. ( )

18. ABO식 혈액형의 항원은 적혈구 표면의 다당류이다. ( )

19. Rh식 혈액형의 거부반응은 IgM에 의해 일어나는 항원-항체 반응이다. ( )

20. 모체가 Rh-이고, 태어나는 아이가 Rh+일 경우 첫 번째 출산 시 적아세포증이 유발될 수 있다. ( )

21. 임신 중 산모의 항-B 항체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의 적혈구에 있는 B 항원과 응집 반응을 할 수 있다. ( )

22. Rh- 형인 산모가 첫 번째 아기의 분만 전후 Rh 항원에 대한 항체를 맞는다면, 두 번째로 임신하는 아기에 대한

용혈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 )

23. 성숙한 B 세포는 항원과 결합하여 클론 선택 과정을 거치고, 보조 T 세포의 도움으로 개별형 전환을 수행한다. ( )

24. 면역기억은 항원접촉이 일어나지 않으면 생성되지 않는다. ( )

25. 면역기억은 기억 T 세포와 기억 B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 ( )

BIOLOGY 2020 91 ©THE BASIC SIMPLICITY


26. IgM은 1차 면역 후에는 단량체로 분비되나, 면역기억에 의한 2차 면역 때에는 오량체로 분비된다. ( )

27. 1차 면역 때의 IgG는 다중클론항체 군집이지만, 2차 면역 때의 IgG는 단일클론항체 군집이다. ( )

28. 1차 면역에 비해 2차 면역 때 IgG의 항원 결합력이 증가하는 이유는 B 세포가 돌연변이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

( )

29. CDR(complementartiy determining region)은 항체나 TCR에서 다양성이 관찰되는 부분으로, 특이 항원과 실제로

결합하는 부분이다. ( )

30. 체성 과변이는 항체의 CDR 부위에서 주로 일어난다. ( )

31. 체성 과변이로 항체의 보체 활성화 능력이 생긴다. ( )

32. 개별형 전환(클래스변환 재조합)을 통해 항체의 항원 인식 부위가 변한다. ( )

33. T 세포 성숙 과정 중 연결다양성(접합부 다양성)은 일어난다. ( )

34. IgA, IgE, IgG를 생산하기 위한 개별형 전환은 RNA 스플라이싱에 의해 일어난다. ( )

35. 체성 과변이는 T 세포 항원수용체의 항원에 대한 친화도를 증가시킨다. ( )

36. 자가항원에 반응하는 B세포와 T세포는 성숙되기 전에 제거된다. ( )

37. 림프구는 항원과 반응하기 전부터 다양한 항원에 대한 세포 집단을 형성한다. ( )

38. 하나의 림프구는 다양한 항원에 반응 할 수 있는 수용체를 동시에 발현한다. ( )

39. B 세포의 항체 유전자 재조합에 RAG1, RAG2 단백질이 관여한다. ( )

40. 변성된 항원은 B 세포의 항원으로 작용할 수 없다. ( )

41. B 세포 수용체는 항원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인지한다. ( )

42. 2차 면역반응에서 B 세포는 수지상세포의 도움으로 항원을 인지한다. ( )

43. T 세포 수용체는 항원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성된 펩티드의 1차 구조를 인지한다. ( )

44. Treg 세포는 TH 세포의 작용과 증식을 억제해 면역을 억제하는 T 세포로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한다. ( )

45. Treg 세포는 CD8+ 세포이다. ( )

46. 항원의 유입량에 따라 B 세포의 항원 인식 능력은 다르다. ( )

47. MHC I은 유핵세포에서 발견되며, 세포질에서 프로테아좀에 의해 분해된 세포 내부 유래 펩티드를 세포막에서

제시한다. ( )

48. MHC II는 리소좀에서 분해된 세포 외부 유래 펩티드를 세포막에서 제시한다. ( )

49. MHC II는 B 세포와 수지상세포, 대식세포가 발현한다. ( )

50. MHC II 펩티드 제시 과정에 엔도시토시스가 관여할 수 있다. ( )

BIOLOGY 2020 92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9회
1. MHC I이 발현되지 않는 흉선에서는 양성선택에 의해 CD8+ Tc 세포가 거의 만들어지지 않을 것이다. ( )

2. IL-4는 TH1의 분화를 억제하고 TH2의 분화를 촉진한다. ( )

3. IL-12, IL-18, IFN-g는 TH2의 분화를 억제하고 TH1의 분화를 촉진한다. ( )

4. IL-7은 흉선에서 T세포의 발달을 촉진하고, 이미 성숙한 T세포는 생존 기간을 증진한다. ( )

5. 이미 이식된 적이 있는 MHC 분자가 서로 다른 조직을 재이식할 경우 조직 거부는 일어나지 않는다. ( )

6. 골수이식을 하면 수여자의 혈구세포와 면역세포가 공여자의 세포로 바뀐다. ( )

7. 이식편대숙주병(GVHD)는 골수의 공여자와 수여자의 TCR이 달라서 발생한다. ( )

8. TH1은 IFN-g를 분비하여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킨다. ( )

9. 대식세포는 NO 등 각종 살균 물질을 분비하여 미생물을 파괴한다. ( )

10. IFN-g은 NK세포, TH1, TH2, Tc 세포가 주로 분비한다. ( )

11. 대식세포는 TNF-a와 IL-12를 분비하여 NK 세포를 유인하고, NK세포는 IFN-g를 분비하여 대식세포의 식세포 작용을

활성화 한다. ( )

12. 기관계 표면에 있는 지질 성분에 공기 중 이물질이나 먼지가 붙어 제거된다. ( )

13. 폐포의 표면에는 백혈구가 존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 )

14. 폐포의 표면에 석탄 먼지가 쌓이면 섬유성 결합조직이 많아져 천식이 유발될 수 있다. ( )

15. 사람은 양압 숨쉬기를 하며, 숨을 들이쉴 때 폐의 기압은 대기압보다 높아진다. ( )

16. 폐의 팽창성이 클수록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 )

17. 기도저항이 클수록 흡기 속도는 빨라지고 흡입할 수 있는 공기량은 적어진다. ( )

18. 혈중 이산화탄소 분압이 증가할수록 호흡량은 증가한다. ( )

19. 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과 산화 방지에 관여하며, 결핍 시 괴혈병을 야기할 수 있다. ( )

20. 엽산과 코발라민의 부족은 빈혈로 이어질 수 있다. ( )

21. 리보플라빈은 조효소 FAD, 나이아신은 조효소 NAD+, NADP+의 성분이다. ( )

22. 비타민 E는 세포막 손상을 방지하며, 세포 흡수 시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를 이용한다. ( )

23. 담석은 레시틴이 결정화된 것이다. ( )

24. 이자 소화효소의 분비는 교감 신경계에 의해 조절된다. ( )

25. 중탄산나트륨의 분비로 인해 펩신의 활성이 없어지고 NaCl의 농도는 증가한다. ( )

BIOLOGY 2020 93 ©THE BASIC SIMPLICITY


26. 이자의 소화효소 분비는 위 소화물의 영양성분 보다는 pH에 의해 조절된다. ( )

27. 단백질의 펩신 분해산물인 펩톤에 의해 분비된 이자 효소들은 주로 단백질분해효소이며, 지방에 의해 분비된 이자

효소들은 지방 분해효소이다. ( )

28. 음식물은 대부분 소장에서 소화가 종결된다. ( )

29. 음식물은 십이지장 – 공장 – 회장을 차례로 통과한다. ( )

30. 간에서 적혈구를 통해 빌리루빈을 얻고, 콜레스테롤로부터 담즙산과 담즙염을 합성한다. ( )

31. 대장은 결장, 맹장, 직장으로 구성된다. ( )

32. 기저막의 음전하 당단백질로 인해 Na+ 보다 Cl-의 사구체 여과율이 낮게 나타난다. ( )

33. 혈장에 존재하는 글리신은 모두 여과액으로 여과된다. ( )

34. 모세혈관과 보먼주머니 사이에 존재하는 내피세포 막 표면의 음전하가 감소하면 단백뇨가 생성될 수 있다. ( )

35. 헨레고리 하행지에서 확산을 통해 오직 물만을 재흡수한다. ( )

36. 알도스테론은 근위세뇨관과 원위세뇨관에서 모두 작용한다. ( )

37. 헨레고리의 두꺼운 상행지에서 Na+ 이온의 능동수송을 억제하면 오줌량이 증가한다. ( )

38. 단백질의 농도는 사구체 보다 보우만 주머니에서 낮다. ( )

39. 심방성 나트륨 이뇨펩티드(ANP)는 집합관의 NaCl 재흡수를 억제하고, 수입 세동맥을 확장시켜 사구체 여과율을

증가시킨다. ( )

40. 짠 음식을 먹은 경우 신장의 사구체 여과율은 증가할 것이다. ( )

41. 사구체 옆장치는 방사구체세포, 치밀반으로 구성된다. ( )

42. 방사구체세포는 수입세동맥에 존재하는 변형된 신경세포이다. ( )

43. 치밀반은 레닌을 생산하고 분비한다. ( )

44. 치밀반은 여과액의 NaCl 농도가 감소하면 NO와 프로스타글란딘을 분비하여 수입세동맥을 이완하고 레닌의 분비를

촉진한다. ( )

45. 알도스테론은 원위세뇨관 상피세포의 세포질 수용체와 결합한다. ( )

46. 근위세뇨관은 타입 A세포와 타입 B세포를 이용해 혈액의 산-염기 평형을 조절한다. ( )

47. 내온성 동물은 외온성 동물보다 동화된 총에너지 중에서 성장과 번식에 높은 비율의 에너지를 분배한다. ( )

48. 내온성 동물은 몸 크기의 최소 한계가 있다. ( )

49. 내온성 동물은 외온성 동물보다 지리적 분포에 제한이 적다. ( )

50. 갈색지방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는 ATP를 대신하여 열을 생산한다. ( )

BIOLOGY 2020 94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0회
1. 생태계는 무기 환경과 생물 군집으로 이루어져 있다. ( )

2. 광합성을 하는 식물은 생태계에서 생산자의 지위를 차지하며, 버섯류와 이끼류는 모두 분해자에 해당한다. ( )

3. 1차 소비자가 생산자를 섭취하는 것은 상호 작용에 해당한다. ( )

4. 2차 소비자에서 1차 소비자로 유기물이 이동한다. ( )

5. 세균과 곰팡이는 분해자에 해당한다. ( )

6. 보상점에서 호흡량은 양지 식물이 음지 식물보다 높다. ( )

7. 보상점에서 총 광합성량은 양지 식물이 음지 식물보다 높다. ( )

8. 광포화점에서 순 광합성량은 양지 식물이 음지 식물보다 높다. ( )

9. 순 광합성량에서 호흡량을 뺀 값은 총 광합성량이다. ( )

10. 음지 식물의 잎은 양지 식물의 잎보다 두껍고 넓다. ( )

11. 장일 식물과 단일 식물의 개화 여부는 낮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 )

12. 장일 식물은 암기가 한계 암기 미만일 때 개화한다. ( )

13. 온도에 의한 작용으로 국화는 가을에 개화한다. ( )

14. 빛에 의한 작용으로 해조류는 수심에 따라 분포 정도가 다르다. ( )

15. 녹조류는 갈조류보다 수심이 얕은 지역에서 주로 서식한다. ( )

16. 식물 세포에 존재하는 녹말의 양이 많을수록 삼투압이 높아진다. ( )

17. 굴광성은 식물의 생장 호르몬인 옥신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 )

18. 빛에 의한 작용으로 단풍나무는 가을이 되면 단풍이 들고 낙엽이 진다. ( )

19. 철새의 이동이나 변온 동물의 겨울잠은 온도에 대한 적응이다. ( )

20. 종내 생존 경쟁은 개체수가 많아질수록 심화된다. ( )

21. 이론적 생장 곡선과 실제 생장 곡선의 차이는 환경 저항 때문이다. ( )

22. 개체 수가 최대가 되면 더 이상 개체 사이에 경쟁이 일어나지 않는다. ( )

23. 일반적으로 개체군의 크기가 클수록 유전적 다양성이 크다. ( )

24. 개체군은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종으로 구성된다. ( )

25. 동일한 종이라면 서로 다른 지역에 사는 개체라도 하나의 개체군에 속한다. ( )

26. 개체군의 밀도는 개체군이 생활하는 공간의 면적에 반비례한다. ( )

BIOLOGY 2020 95 ©THE BASIC SIMPLICITY


27. 개체군의 밀도는 출생과 이입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 )

28. 환경 저항의 크기는 개체군의 밀도와 무관하다. ( )

29. 먹이와 생활 공간이 증가하면 환경 저항이 감소한다. ( )

30. 먹이의 양에 따른 개체군 간의 사망률 차이는 밀도가 높을 때보다 낮을 때 크다. ( )

31. 어류는 출생한 대부분의 개체가 성체로 생장하기 쉽다. ( )

32. 생존 곡선이 II형인 히드라는 시간에 따른 사망률이 비교적 일정하다. ( )

33. 사람 등의 대형 포유류는 초기 사망률에 비해 후기 사망률이 크다. ( )

34. 안정형 피라미드의 개체군은 개체수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 )

35. 생식 전 연령층이 생식 후 연령층에 비해 많을 때 개체수 감소가 예상된다. ( )

36. 수온이 감소할 때 식물성 플라크톤인 돌말 개체군의 크기는 커진다. ( )

37. 토끼와 스라소니의 개체수 변화는 1년 주기로 반복된다. ( )

38. 텃세와 분서는 개체군 간의 상호 작용이다. ( )

39. 상리 공생을 하는 두 개체군은 상호 작용을 통해 한 개체군만 이익을 본다. ( )

40. 흰동가리와 말미잘의 상호 작용은 상리 공생이다. ( )

41. 편리 공생을 하는 두 개체군은 상호 작용을 통해 한 개체군만이 이익을 본다. ( )

42. 해삼과 숨이고기의 상호 작용은 편리 공생이다. ( )

43. 기생은 서로 다른 개체군 사이에서 일어난다. ( )

44. 뿌리혹박테리아와 콩과 식물은 상리 공생을 할 수 있다. ( )

45. 겨우살이와 나무의 상호 작용에서 겨우살이는 이익을 얻고 나무는 손해를 본다. ( )

46. 꿀벌과 개미는 개체들이 생식, 방어, 먹이 획득 등의 일을 분담한다. ( )

47. 게와 산호의 상리 공생에서 게는 산호가 광합성을 통해 얻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 )

48. 일반적으로 포식자의 개체수가 피식자의 개체수보다 많다. ( )

49. 피식자의 개체군 크기 변화는 포식자의 개체군 크기 변화보다 먼저 일어난다. ( )

50. 포식자와 피식자 사이에는 경쟁 배타 원리가 적용된다. ( )

BIOLOGY 2020 96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1회
1. 생태적 지위에는 먹이 지위와 서식지 지위가 있다. ( )

2. 우점종은 군집 내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종이다. ( )

3. 중요도는 밀도와 빈도, 피도를 모두 더한 값이다. ( )

4. 양수림에서는 양수 묘목이 음수 묘목보다 더 빨리 자란다. ( )

5. 2차 천이의 극상은 1차 천인의 극상보다 광포화점이 높다. ( )

6. 건성 1차 천이의 개척자는 지의류, 극상은 음수림이다. ( )

7. 습성 천이가 시작되고 관목림이 형성된 이후 건성 천이와 같은 천이를 보인다. ( )

8. 습성 1차 천이와 건성 2차 천이의 극상은 모두 음수림이다. ( )

9. 2차 천이는 음수림에 산불이 발생한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다. ( )

10. 2차 천이가 진행될수록 지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세기는 증가한다. ( )

11. 식물 군집이 극상에 도달하게 되면 순생산량이 0이 되어 안정한 생태를 이룬다. ( )

12. 천이는 먹이 사슬에 의해 생물 군집이 달라지는 현상이다. ( )

13. 삼림은 초원에 비해 강수량이 많다. ( )

14. 수평 분포는 위도에 따른 것으로 온도와 강수량에 따라 군집의 분포가 달라진다. ( )

15. 수직 분포는 고도에 따른 것으로 강수량에 따라 군집의 분포가 달라진다. ( )

16. 상록 활엽수림은 낙엽 활엽수림에 비해 기온이 높은 곳에서 분포한다. ( )

17. 침엽수림이 분포할 수 있는 최저 고도는 북쪽 사면에 비해 남쪽 사면에서 낮다. ( )

18. 광합성으로 저장된 에너지는 동, 식물의 호흡을 통해서 열에너지로 방출된다. ( )

19. 식물 군집의 생체량은 현재 식물 군집이 가지고 있는 유기물의 총량이다. ( )

20. 식물에서 질소 동화 작용이 일어나면 아미노산이 합성될 수 있다. ( )

21. 질소는 생태계에서 유기물의 형태로 순환한다. ( )

22. 생산자의 총생산량과 1차 소비자가 이용한 에너지의 총량은 서로 같다. ( )

23. 일반적으로 1차 소비자의 총 에너지의 양은 2차 소비자의 총 에너지의 양보다 많다. ( )

24. 생장량 + 고사량 + 피식량 = 순 생산량이다. ( )

25. 생산자의 피식량은 1차 소비자의 섭식량과 같다. ( )

26. 생산자의 순 생산량은 1차 소비자의 동화량보다 크다. ( )

BIOLOGY 2020 97 ©THE BASIC SIMPLICITY


27. 1차 소비자의 섭식량은 동화량에서 배출량을 뺀 값이다. ( )

28. 일반적으로 상위 영양 단계로 갈수록 에너지 효율이 높아진다. ( )

29. 일반적으로 하위 영양 단계로 갈수록 생체량이 작아진다. ( )

30. 두 생태계가 인접한 지역에서는 생태계 다양성이 매우 높다. ( )

31. 산지에 도로를 건설할 때 산을 깎는 대신 터널을 만들면 서식지 단편화를 막을 수 있다. ( )

32. 현화 식물의 기본 구조는 세포 → 조직 → 조직계 → 기관 → 개체로 동물과 달리 기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 )

33. 유세포는 식물체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세포이다. ( )

34. 옥수수 낱알, 감자 등의 식물 저장조직은 유세포로 구성되며, 영양분을 녹말 형태로 저장한다. ( )

35. 유세포는 보통 얇은 일차벽만 지니며, 액포가 발달되어 있지 않다. ( )

36. 유세포는 분열 능력이 있어 탈분화, 재분화를 통해 쉽게 다른 세포로 전환될 수 있다. ( )

37. 후각세포와 후벽세포는 모두 식물 지지를 위한 세포들로 유세포와 달리 죽어 있는 세포이다. ( )

38. 후각세포는 두껍고 비목질화된 일차벽을 가진다. ( )

39. 후벽세포는 일차벽과 함께 두껍고 목질화된 이차벽을 지닌다. ( )

40. 물관세포는 살아있는 세포로 식물체 내에서 물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만든다. ( )

41. 헛물관은 속씨, 겉씨, 양치류에 존재하며, 물관요소는 속씨 식물과 일부의 겉씨 식물과 양치류에만 존재한다. ( )

42. 벽공은 헛물관과 물관요소에 모두 존재하지만 천공판은 헛물관에만 존재한다. ( )

43. 벽공은 원형질 연락사의 밀도가 높아 세포 간 물과 무기질의 이동이 활발하다. ( )

44. 체관세포의 체관요소에는 핵, 액포, 골지체, 리보솜 등이 없고, 일부의 변형된 미토콘드리아와 색소체, 활면소포체만

존재한다. ( )

45. 체관요소의 세포 유지는 반세포의 도움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 )

46. 체관요소의 세포벽은 목질화 되어 있으며, 체관요소 끝에 체판이 발달해 수크로오스, 단백질, RNA 등을 수송한다.

( )

47. 하나의 체관요소는 하나의 반세포와만 짝을 이룬다. ( )

48. 단일 모세포가 분열해 체관요소와 반세포를 만들며, 두 세포 사이에는 많은 간극연접이 발달해 있어 물질 교환이

활발히 일어난다. ( )

49. 반세포는 잎에서 생성된 광합성 산물을 체관요소로 수송한다. ( )

50. 체관요소는 속씨 식물에만 존재한다. ( )

BIOLOGY 2020 98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2회
1. 대부분의 쌍떡잎 식물과 겉씨식물의 뿌리 모양은 하나의 원뿌리와 여러 개의 곁뿌리를 가진 주근계를 나타낸다.

( )

2. 주근계와 달리 여러 개의 수염뿌리로 구성된 수근계는 양치식물과 외떡잎 식물에서 발견된다. ( )

3. 표피는 다세포의 뿌리털을 형성하여 흡수 기능을 수행한다. ( )

4. 피층은 후각 조직에서 분화하며, 뿌리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 )

5. 내피에는 세포벽에 수베린이 침착된 카스파리대가 있어 아포플라스트 경로를 차단한다. ( )

6. 내초는 중심주 제일 바깥을 이루는 한 겹으로 이루어진 세포층으로 곁뿌리를 형성한다. ( )

7. 쌍떡잎 식물의 중심부에는 물관부, 그 주변부에는 체관부가 존재한다. ( )

8. 외떡잎 식물의 중심의 수 주변에 물관부와 체관부가 환상으로 존재한다. ( )

9. 당근, 무, 카사바 등은 저장근으로 잎이 없는 계절에 식물의 생장을 위한 탄수화물을 저장한다. ( )

10. 균근은 외생균근 및 내생균근과 콩과 식물의 뿌리혹은 리조비움과 편리공생 한다. ( )

11. 리조비움(뿌리혹 박테리아)은 콩과 식물에게 질소 화합물을 공급한다. ( )

12. 리조비움이 콩과 식물 뿌리에 침투하기 위해 형성된 감염사는 식물 세포의 세포벽에서 유래한다. ( )

13. 줄기에서 마디는 잎이 나 있는 곳을 의미하며, 곁눈은 줄기와 잎 사이에서 생긴 분열 조직을 의미한다. ( )

14. 줄기의 피층은 2차 세포벽의 유세포들로 이루어진다. ( )

15. 피층의 바깥층은 후각조직과 후벽조직에 의해 지지된다. ( )

16. 수는 줄기 중앙의 후각조직으로 구성된 기본조직이다. ( )

17. 쌍떡잎 식물과 달리 외떡잎 식물의 경우 피층과 수를 구별하기 힘들다. ( )

18. 쌍떡잎 식물은 관다발 형성층이 없어 2기 생장을 하지 못한다. ( )

19. 줄기의 관다발 형성층은 부피 성장을, 코르크 형성층은 표피를 대체하는 수베린이 침착된 주피를 형성한다. ( )

20. 포복경과 덩굴손, 경침, 엽상경은 변형된 줄기의 일종이다. ( )

21. 덩굴손에는 선인장, 딸기, 주엽나무, 산사 등이 해당한다. ( )

22. 지하경은 땅 속에서 수직으로 자라는 줄기로 양분을 저장한다. ( )

23. 인경은 납작한 원반 모양의 줄기 둘레로 영양물질이 저장된 여러 개의 변형된 잎이 붙어 있는 구조로 양파, 마늘,

백합 등이 해당한다. ( )

24. 구경은 땅 속에서 얇은 잎으로 싸여 있으며, 짤막하고 둥근 줄기 구조를 지닌다. ( )

BIOLOGY 2020 99 ©THE BASIC SIMPLICITY


25. 변재는 최근 생긴 물관부 층으로, 물관부가 생기는 속도에 차이로 나이테가 생성된다. ( )

26. 심재는 가장 중심부에 위치하며, 2기 생장이 오래된 체관부 부위이다. ( )

27. 감자는 녹말이 저장된 줄기의 팽창 부위인 괴경의 일종이다. ( )

28. 잎의 기공을 통해 산소와 물이 배출되고, 이산화탄소가 잎 내부로 들어간다. ( )

29. 기공은 주로 잎의 앞쪽에 존재한다. ( )

30. 기공은 표피로부터 공변세포가 분화함으로써 생성된다. ( )

31. 책상조직은 양지의 잎에서 음지의 잎보다 두껍게 발달한다. ( )

32. 잎은 건생식물에 비해 수생식물에서 더 작고 두껍게 발달한다. ( )

33. 가시는 보호 작용을 위해 변형된 잎으로, 리그닌이 침착되어 있는 죽은 세포로 구성된다. ( )

34. 포충엽은 질산염이 부족한 곳에서 자라는 식물들에게서 발견되며, 곤충을 유인하고 포획한 후 소화시킨다. ( )

35. 자엽은 떡잎으로 발아 시에 필요한 에너지를 저장하는 씨 속의 잎이다. ( )

36. 잎이 오래되면 지베렐린의 양이 감소하면서 잎 아래 탈리대 세포들의 앱시스산 민감도가 증가해 잎이 탈리된다.

( )

37. 속씨식물의 꽃은 수술, 암술, 꽃잎, 꽃받침잎으로 구성된다. ( )

38. 속씨식물 암술의 S 유전자가 RNase를 합성해 자신과 일치하는 꽃가루 유전형의 RNA를 분해해 화분관 성장을

억제하는 현상은 배우자체 자가불화합성이다. ( )

39. 속씨식물 꽃가루에 포자체의 S 유전자 산물들이 리간드로 발현된 채 생성되어, 암술머리의 동일 유전형 수용체에

결합하여 화분관 성장이 억제되는 현상을 포자체 자가불화합성이라 한다. ( )

40. 배우자체 자가불화합성과 포자체 자가불화합성은 속씨식물의 자가수분에서 나타난다. ( )

41. 속씨식물의 꽃가루가 수정되면 형성되는 꽃가루관은 암술머리의 GABA 등의 농도 기울기에 의존한다. ( )

42. 두 개의 정핵은 각각 난세포, 배젖 형성 세포와 수정을 해 2n의 배와 4n의 배젖을 형성한다. ( )

43. 쌍떡잎 식물의 종자에서 떡잎은 2n으로 식물 생장을 위한 배젖을 지속적으로 생성한다. ( )

44. 외떡잎 식물의 종자에서 단일 떡잎은 2n으로 배젖을 흡수하여 종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

45. 속씨식물의 열매는 보통 꽃받침이 발달한 구조로 씨를 보호하고, 씨를 효율적으로 산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 )

46. 식물에서 탄소, 수소, 질소, 인, 마그네슘, 황은 다량 원소로 분류된다. ( )

47. 식물에서 염소, 철, 붕소, 망간 등은 미량 원소로 분류된다. ( )

48. 마그네슘과 철은 결핍되면 잎의 황백화를 일으킨다. ( )

49. 뿌리는 양이온을 흡수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H+를 세포 밖으로 배출하거나 호흡으로 H+를 생성한다. ( )

50. 뿌리는 음이온을 H+와 함께 공동수송으로 흡수한다. ( )

BIOLOGY 2020 100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3회
1. 심플라스트 경로는 원형질 연락사를 통해 세포질을 통과하는 경로이다. ( )

2. 아포플라스트는 세포벽의 공간을 통해 물과 이온이 이동하는 경로이다. ( )

3. 내피의 카스파리대는 수베린이 침착되어 물과 이온의 통과를 도와준다. ( )

4. 일액 현상은 아침의 활발한 증산 작용으로 식물의 잎 가장 자리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이다. ( )

5. 물관의 이동은 낮에는 주로 증산 작용 + 모세관 현상 + 물의 응집력에 의해 일어나고, 밤에는 근압에 의해 일어난다.

( )

6. 지베렐린은 씨와 눈의 발아를 촉진하고, 줄기 세포의 분열과 신장에 관여한다. ( )

7. 지베렐린은 씨의 호분층 세포에서 a-아밀레이스 전사를 촉진해 녹말을 분해하게 하고, 분해된 양분은 배로 흡수되어

성장에 이용된다. ( )

8. 옥신은 줄기 정단에서 티로신-인돌 유도체로 생산된다. ( )

9. 정단에서 생성된 옥신은 세포의 아래쪽에만 존재하는 수송체를 통해 줄기 아래로 수송된다. ( )

10. 옥신은 줄기 아래로 이동하면서 세포들의 Na+/H+ 공동 수송체를 활성화 시킨다. ( )

11. 옥신으로 인한 세포벽의 알칼리화는 익스펜신(expansin)을 활성화시키고, 익스펜신은 세포벽 셀룰로오스의

수소결합을 약화시킨다. ( )

12. 옥신과 익스펜신은 세포 분열을 촉진해 줄기의 성장을 유도한다. ( )

13. 줄기 정단에서 옥신의 재분포는 빛(청색광)에 의해 조절된다. ( )

14. 옥신은 중력과 상관없이 식물 줄기의 정단에서 기부 쪽으로 이동한다. ( )

15. 옥신은 줄기에서와 달리 뿌리에서는 성장을 억제한다. ( )

16. 옥신은 생리적 농도에서 줄기의 성장을 촉진하고, 뿌리의 성장을 억제시켜 각각 굴광성과 굴중성을 나타내게 한다.

( )

17. 옥신은 정단 우성을 유도하고, 어린 잎과 열매의 탈락을 촉진한다. ( )

18. 브라시노스테로이드는 콜레스테롤 유도체 호르몬으로 식물의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된다. ( )

19. 브라시노스테로이드는 에틸렌과 기능적으로 유사하다. ( )

20. 에틸렌은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래한 기체로 식물의 모든 기관에서 생산한다. ( )

21. 메티오닌은 노쇠한 조직이나 성숙한 열매에서 주로 생산되며, 상처나 가뭄 등의 스트레스 시에도 생산된다. ( )

22.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처리는 에틸렌을 억제하여 열매들의 호흡 급등 현상을 억제한다. ( )

BIOLOGY 2020 101 ©THE BASIC SIMPLICITY


23. 에틸렌은 옥신을 생성을 유도하고, 옥신에 의해 기능이 억제된다. ( )

24. 에틸렌은 유식물에서 중간섬유의 재배열을 통해 삼중반응을 유도한다. ( )

25. 시토키닌은 아미노퓨린 유도체로 뿌리에서 생성되어 물관을 따라 위로 이동한다. ( )

26. 시토키닌은 세포 분열과 발아를 촉진하고, 옥신의 작용을 도와 곁눈 생산을 촉진한다. ( )

27. 앱시스산은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수분 부족 시 기공을 닫는 역할을 한다. ( )

28. 앱시스산은 수분 부족 시 종자의 휴면을 유지시키고, 에틸렌의 생산을 저해한다. ( )

29. 적생광 수용체인 포토트로핀은 기공 개폐를 조절하고, 옥신의 이동을 조절한다. ( )

30. 크립토크롬은 생체 시계의 일주기성을 확립해 개화를 유도하고, 유식물의 줄기 신장을 조절한다. ( )

31. 제아크산틴은 광보호, 기공 개폐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 )

32. 단일 식물은 임계 밤 길이보다 짧은 조건에서 개화한다. ( )

33. 식물 표피의 왁스층과 주피의 코르크 조직은 병원균에 대한 식물의 1차 방어벽으로 기능한다. ( )

34. 살리실산은 식물의 방어기작을 활성화하는 호르몬으로, 체관을 통해 이동하여 전신성 획득 저항을 일으킨다. ( )

35. 카나바닌은 아세틸콜린 유사체로 초식 동물에 대한 식물의 방어 기작을 수행한다. ( )

36. 린네는 생물들의 DNA와 RNA 서열 비교를 통해 ‘종속과목강문계’의 생물 분류를 완성했다. ( )

37. 라마르크는 원시 생물이 내부의 요인으로 인해 고등 생물로 진화한다는 ‘내적 요구’의 개념을 확립했다. ( )

38.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은 획득 형질의 유전 현상을 통해 ‘내적 요구’의 가설을 증명한다. ( )

39. 다윈의 자연 선택설은 적자 생존의 원칙을 내세우며, 특정 형질이 자손에게 더 잘 전달됨으로써 개체군의 구성이

점진적으로 변화함을 설명한다. ( )

40. 상동기관은 외형은 달라도 발생 기원이 같은 기관이다. ( )

41. 새, 박쥐, 모기의 날개는 상동기관이다. ( )

42. 세대를 거듭할수록 크기가 작은 개체군보다 크기가 큰 개체군의 유전자 빈도가 더 많이 바뀐다. ( )

43. 병목현상은 유전적 부동 현상 중 하나로 지신, 홍수 등으로 짧은 기간에 개체군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이다. ( )

44. 창시자 효과는 원래의 개체군으로부터 분리된 일부가 새로운 지역에서 스스로 개체군을 이루는 현상으로, 창시자

효과는 사건 이후 세대가 거듭해도 유전자 빈도가 바뀌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 )

45. 자연선택은 표현형에 영향을 줘서 개체군의 대립 유전자 빈도를 바꾼다. ( )

46. 자연선택은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다. ( )

47. 자연선택은 개인에게 작용하나 개인의 특성을 바꾸진 못하며, 대신 개체군의 특성을 변화시킨다. ( )

48. 분단성 선택은 중간 형질이 도태되고 양극 형질을 지닌 개체가 적응에 유리하게 되는 현상이다. ( )

BIOLOGY 2020 102 ©THE BASIC SIMPLICITY


49. 여러 환경 조건에 적합한 변이들이 미리 발생해 존재하다가, 특정 환경 조건이 되었을 때 그 환경에 적합한 변이체의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전적응(preadaptation)이라 한다. ( )

50. 안정화 선택은 형질의 다양성을 감소시키지만 평균값은 변화시키지 않는다. ( )

BIOLOGY 2020 103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4회
1. 표준화석은 생존 기간이 짧아 특정 지층에서만 발견되며, 지층의 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화석이다. ( )

2. 시상화석은 당시 지층의 환경을 알려준다. ( )

3. 표준화석에는 삼엽충, 암모나이트, 공룡 등이 해당한다. ( )

4. 단계통군은 공통 조상과 공통 조상으로부터 파생된 모든 종들을 포함한다. ( )

5. 다계통군은 고통 조상으로부터 파생된 종들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은 군을 의미한다. ( )

6. 자연선택은 새로운 변이를 창조할 수 있다. ( )

7. 어떤 한 종이 새로운 생태적 지위로 퍼져나가 적응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르게 변화하는 현상을 평행진화라 한다.

( )

8. 서로 다른 종이 오랜 세월 동안 같은 환경에 노출되어 비슷하게 적응하는 현상을 역진화라 한다. ( )

9. 포식자와 피식자, 숙주와 기생체 처럼 서로 의존 관계에 있는 두 종 사이에 상호작용으로 진화의 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공동진화라 한다. ( )

10. 린네는 종을 형태학적으로 구분한 반면, 마이어는 교배하여 생식 능력이 있는 자손을 낳을 수 있는 개체군 그룹을

종으로 규정하였다. ( )

11. 일반적으로 배수성 돌연변이를 통해 이소적 종분화가 일어난다. ( )

12. 세대 기간이 길수록 종 분화가 가속된다. ( )

13. 환경 변화가 클수록 다양한 종으로 분화될 수 있다. ( )

14. 배우자 격리, 행동 격리, 시간적 격리 등은 생식적 격리 메커니즘 중 수정 전 장벽에 해당한다. ( )

15. 잡종치사, 잡종불임, 잡종약세는 생식적 격리 메커니즘 중 수정 후 장벽에 해당한다. ( )

16.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에서 적응도란 주어진 환경에서 한 유전자형이 다른 유전자형에 비해 다음 세대 자손에

공헌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생존력+생식력으로 나타낸다. ( )

17. 개체들의 발생과정은 초기에는 유사구조를 가지나 발생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게된다. ( )

18. 여러 종 사이에서 특정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의 유사성을 조사하면 진화상 유연관계를 밝힐 수 있다. ( )

19. 생물학적 종의 개념은 모든 생물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 ( )

20. 격리된 집단에서 특정 유전병들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현상은 병목 현상이다. ( )

21. 반복된 근친 상간으로 인해 희귀 대립유전자가 증가하는 현상은 창시자 효과이다. ( )

22. 환경적 경험에 의한 습관화는 반복적인 동일 자극에 무감각해지는 것으로 단기기억 현상이다. ( )

BIOLOGY 2020 104 ©THE BASIC SIMPLICITY


23. 출생 직후 특정 시간 동안 인식된 정보가 학습되어 뇌에 남는 현상은 각인이다. ( )

24. 동물의 행동은 성숙하는 과정 중 내분비계의 발달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 )

25. 동물 출생 시 존재하는 성호르몬은 행동 양식의 발달을 결정하고, 성체에 존재하는 성호르몬은 행동 양식의 발현

시기를 결정한다. ( )

26. 동물의 행동은 이익-비용 값이 가장 작은 지점에서 결정된다. ( )

27. 생존곡선의 I형은 어린 시기에 생존율이 높고 일정 연령에 이르면 사망률이 높아지는 개체군이다. ( )

28. 생존곡선의 II형은 일생동안 사망률이 일정한 개체군이다. ( )

29. 생존곡선의 III형은 어린 시기에 사망률이 높고 성장기가 지나면 사망률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는 개체군이다. ( )

30. 안정한 환경의 일년생 식물, 변태를 거듭하는 곤충 개체군은 생존곡선 II형에 해당한다. ( )

31. 다년생 목본 식물, 알을 낳는 어류, 거북이 개체군의 경우 생존곡선 I형에 해당한다. ( )

32. 인간을 비롯한 거대 포유류의 경우 생존곡선 I형에 해당한다. ( )

33. r-선택종의 경우 환격 적응이 우선시 되기 때문에 종내 경쟁이 K-선택종에 비해 적다. ( )

34. r-선택종의 생존곡선은 보통 II형을 나타내고, K-선택종의 경우 I형을 나타낸다. ( )

35. 일반적으로 개체의 수명은 r-선택종에 비해 K-선택종에서 길게 나타난다. ( )

36. 일반적으로 개체의 생식 횟수는 r-선택종이 K-선택종에 비해 많다. ( )

37. 기온, 강수량, 자연재해 등은 개체군의 성장을 조절하는 밀도 비의존적 요인에 해당하고, 자원 양, 먹이 양 등은 밀도

의존적 요인에 해당한다. ( )

38. 사망률, 출생률의 그래프는 밀도 의존적 요인에 따라 좌우로 평행이동하게 된다. ( )

39. 넓은 지역에서 상호 작용하는 국지 개체군들의 집합을 메타 개체군이라 한다. ( )

40. 개체군의 밀도가 너무 높으면 개체들 사이의 지나친 경쟁이 발생해 개체 성장율이 떨어지는 현상을 알리 효과라

한다. ( )

41. 바테시 의태는 맛있는 종이 맛없고 해로운 종을 흉내내는 현상이다. ( )

42. 뮬러 의태는 맛없는 종들이 서로 닮아감으로써 포식자에게 확실한 회피를 유발한다. ( )

43. 일반적으로 위도가 증가할수록 종의 수는 증가한다. ( )

44. 중간 수준의 교란을 받은 지역이 교란이 적은 지역보다 더 풍부한 종 수를 갖는다. ( )

45. 생태계는 어떤 지역 안에서 사는 생물군과 무생물적 환경 요인의 복합체를 의미한다. ( )

46. 빈영양호는 부영양호에 비해 대체로 수심이 얕고 수온이 높으며 산소가 부족한 특징을 보인다. ( )

47. 툰드라는 북극 지역으로 영구 동토층이 발달해 있고, 지의류, 다년생 초본 등이 자란다. ( )

48. 사막은 위도 30도 부근 또는 산에서 비가 내린 반대쪽 면에 발달한다. ( )

BIOLOGY 2020 105 ©THE BASIC SIMPLICITY


49. 열대우림은 적도 부근에서 발달하며, 강수량이 높고 종 다양성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 )

50. 온대활엽수림은 북반구에만 존재하며, 종 다양성이 높고, 활엽수가 우점하는 특징을 가진다. ( )

BIOLOGY 2020 106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5회
1. 열대우림의 연간 단위면적당 평균 순1차 생산량은 대양에 비해 낮다. ( )

2. 1차 생산자의 총 1차 생산량은 일정 시간 동안의 총 광합성량을 의미한다. ( )

3. 순 1차 생산량은 총 1차 생산 – 1차 생산자의 호흡량으로 단위 시간 동안 식물 건조량의 증가분을 의미한다. ( )

현 영양단계 생물 보유 에너지 총량
4. 에너지 효율 = X 100 으로 구한다. ( )
전 영양단계 생물 보유 에너지 총량

체내 유입량
5. 소비 효율 = 으로 구한다. ( )
섭취량

6. 영양 효율 = 소비 효율 X 동화 효율 X 생산 효율로 구할 수 있다. ( )

7. 질소고정세균은 나이트로제네이스를 이용해 N2를 암모니아로 전환한다. ( )

8. 질소고정세균에는 아조토박터, 리조비움, 남세균 등이 있으며, 모두 호기성 화학독립 영양생물이다. ( )

9. 질화 세균은 호기성 화학 독립 영양생물로 아질산균과 질산균이 해당한다. ( )

10. DO는 용존 산소량을 의미하며, BOD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의미한다. ( )

11. 프로테오박테리아는 고세균의 일종으로 메탄 생성균과 극호열성 세균을 포함한다. ( )

12. 원생생물에는 독립영양 생물과 종속영양 생물을 모두 포함한다. ( )

13. 유글레나는 담수 연못이나 하천에 서식하는 원생생물로 대부분 광합성을 수행할 수 있다. ( )

14. 와편모조류는 대부분 단세포 해양 식물 플랑크톤으로 종속영양 생물이다. ( )

15. 와편모조류는 해양 생태계의 1차 생산자 역할을 하며, 과다 증식시 녹조 현상을 일으킨다. ( )

16. 규조류는 해양 플랑크톤의 광합성 생물로 과다 증식시 적조 현상을 일으킨다. ( )

17. 갈조류 해양에 서식하는 식물의 실종으로 육상의 고등식물과 유사한 상동기관을 가진다. ( )

18. 홍조류는 독립 영양생물로 다세포 생물이다. ( )

19. 갈조류는 엽록소 a, b를 가지며, 홍조류는 엽록소 a, c를 가진다. ( )

20. 녹조류는 엽록소 a, b를 가지는 독립 영양생물이다. ( )

21. 이끼를 비롯한 선태식물은 관다발이 없으며 헛뿌리를 가진다. ( )

22. 선태류, 양치류, 겉씨, 속씨 식물은 모두 세대 교번을 하며, n과 2n 모두 다세포 생활사를 가진다. ( )

23. 외떡잎 식물은 쌍떡잎 식물과 달리 밑씨가 노출되어 있다. ( )

24. 선태류와 양치류는 밑씨가 존재하지 않으며, 중복수정은 속씨 식물만 가능하다. ( )

BIOLOGY 2020 107 ©THE BASIC SIMPLICITY


25. 균류는 단순다당류인 키틴으로 구성된 세포벽을 지니며, 세포가 균사 형태로 자란다. ( )

26. 균류는 주로 생태계에서 분해자로 기능하며, 종속 영양생물이다. ( )

27. 해면동물은 조직이 발달하지 않았으며, 내골격을 가지고 세포 내 소화를 진행한다. ( )

28. 자포동물은 위수강과 촉수를 가지고 외배엽이 없는 2배엽성 동물이다. ( )

29. 편형동물은 좌우대칭, 비체절성, 무체강, 3배엽의 구조를 지닌다. ( )

30. 윤형동물은 좌우대칭, 비체절성, 진체강의 특징을 가진다. ( )

31. 선형동물에는 예쁜 꼬마 선충이 있으며, 탈피를 진행하고, 유체 골격, 원체강, 좌우대칭의 특징을 가진다. ( )

32. 선형동물, 편형동물, 윤형동물은 모두 후구동물이다. ( )

33. 연체동물의 일부는 담륜자 유생을 거치고 외골격과 패각, 치설 등을 지닌다. ( )

34. 환형동물에는 지렁이가 있으며, 체절화되어 있고 피부 호흡을 수행한다. ( )

35. 환형동물과 절지동물은 모두 탈피동물이며, 외골격을 가지고 있다. ( )

36. 대부분의 극피동물의 유생은 좌우대칭형이고, 성체는 방사대칭이다. ( )

37. 척색동물은 중배엽성 척삭을 지니고, 항문 뒤쪽에 근육성 꼬리를 지닌다. ( )

38. 창고기는 미색동물로 꼬리에만 척색이 존재하고, 미색동물의 척색은 성장 과정 중 척수로 발달한다. ( )

39. 어류는 1심방 1심실을 가지고, 조류와 포유류는 2심방 2심실을 가진다. ( )

40. 생물의 5계 중 모네라계는 고세균과 진정세균, 단세포 진핵생물을 모두 포함한다. ( )

41. 생물의 5계 중 원생생물계는 동물, 식물, 균류를 제외한 진핵생물을 모두 포함한다. ( )

42. 원생생물계는 하나의 단계통군이 아니다. ( )

43. 단상 생활사를 진행하는 생물의 성체는 이배체(2n)이다. ( )

44. 성체가 감수분열을 통해서 배우자를 생산하고, 생산된 배우자는 접합자를 형성해서 체세포분열을 통해 성체가 되는

생활사는 복상 생활사이다. ( )

45. 세대 교번 생활사 생물의 반수체와 이배체는 모두 다세포이다. ( )

46. 세대 교번 생활사에서 반수체는 체세포분열을 통해 배우자를 생산하고, 이배체는 감수분열을 통해 포자를 생산한다.

( )

47. 대부분의 육상 식물은 세대 교번 생활사를 진행한다. ( )

48. 메탄생성균은 늪지, 매립장 등 산소가 없는 혐기성 환경에서 서식한다. ( )

49. 극호열성균은 당단백질의 두꺼운 세포벽이 있어 방사선에 내성을 지닌다. ( )

50. 극호염성균은 세포 내 칼슘 이온을 고농도로 유지하여 환경과 삼투균형을 이룬다. ( )

BIOLOGY 2020 108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1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X 40 O
2 O 15 X 28 O 41 X
3 X 16 X 29 O 42 X
4 X 17 O 30 X 43 O
5 X 18 O 31 O 44 X
6 X 19 X 32 O 45 O
7 O 20 X 33 O 46 X
8 X 21 X 34 O 47 O
9 O 22 O 35 O 48 O
10 X 23 O 36 O 49 X
11 O 24 O 37 X 50 O
12 X 25 O 38 O
13 O 26 X 39 X

PART I – 2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X
2 O 15 X 28 O 41 X
3 O 16 X 29 X 42 O
4 X 17 O 30 O 43 X
5 O 18 O 31 O 44 O
6 O 19 X 32 O 45 O
7 O 20 O 33 X 46 X
8 X 21 O 34 O 47 X
9 X 22 X 35 X 48 O
10 O 23 O 36 X 49 O
11 O 24 X 37 O 50 X
12 O 25 X 38 O
13 O 26 X 39 O

BIOLOGY 2020 109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3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O 15 O 28 X 41 O
3 O 16 O 29 O 42 X
4 X 17 X 30 X 43 X
5 O 18 O 31 O 44 O
6 O 19 X 32 O 45 O
7 O 20 O 33 X 46 O
8 O 21 X 34 O 47 O
9 X 22 X 35 X 48 O
10 O 23 O 36 X 49 O
11 X 24 O 37 O 50 X
12 X 25 X 38 X
13 X 26 X 39 O

PART I – 4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X 14 O 27 O 40 X
2 O 15 O 28 X 41 O
3 O 16 O 29 O 42 O
4 X 17 O 30 O 43 O
5 X 18 X 31 X 44 X
6 X 19 X 32 O 45 O
7 O 20 O 33 X 46 X
8 O 21 X 34 X 47 O
9 O 22 X 35 X 48 X
10 O 23 O 36 O 49 X
11 O 24 X 37 O 50 O
12 X 25 X 38 O
13 O 26 O 39 X

BIOLOGY 2020 110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5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O 40 X
2 O 15 X 28 O 41 X
3 X 16 X 29 X 42 O
4 O 17 O 30 X 43 O
5 O 18 X 31 O 44 O
6 O 19 O 32 X 45 O
7 X 20 O 33 O 46 O
8 X 21 O 34 X 47 O
9 O 22 O 35 O 48 X
10 O 23 O 36 O 49 O
11 O 24 O 37 O 50 O
12 X 25 X 38 X
13 O 26 O 39 O

PART I – 6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X 14 O 27 O 40 X
2 X 15 O 28 O 41 O
3 X 16 O 29 X 42 O
4 X 17 X 30 X 43 O
5 X 18 X 31 O 44 O
6 O 19 X 32 X 45 X
7 X 20 O 33 X 46 O
8 O 21 O 34 O 47 X
9 X 22 O 35 O 48 O
10 X 23 X 36 O 49 O
11 X 24 O 37 X 50 O
12 X 25 O 38 O
13 O 26 O 39 O

BIOLOGY 2020 111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7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O 15 O 28 O 41 X
3 X 16 X 29 X 42 O
4 O 17 O 30 O 43 O
5 X 18 O 31 X 44 O
6 X 19 O 32 X 45 X
7 O 20 X 33 O 46 X
8 X 21 O 34 X 47 O
9 O 22 O 35 O 48 O
10 X 23 O 36 O 49 X
11 X 24 X 37 O 50 O
12 X 25 O 38 O
13 O 26 O 39 X

PART I – 8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X
2 X 15 O 28 O 41 X
3 X 16 X 29 O 42 O
4 O 17 O 30 O 43 O
5 X 18 X 31 O 44 O
6 X 19 O 32 X 45 X
7 X 20 X 33 O 46 O
8 O 21 O 34 X 47 O
9 O 22 O 35 X 48 O
10 X 23 O 36 X 49 O
11 X 24 O 37 X 50 O
12 X 25 X 38 O
13 O 26 X 39 O

BIOLOGY 2020 112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1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X 40 X
2 O 15 O 28 O 41 X
3 O 16 O 29 X 42 O
4 O 17 O 30 O 43 X
5 X 18 X 31 O 44 X
6 O 19 O 32 X 45 X
7 O 20 X 33 O 46 X
8 X 21 O 34 O 47 X
9 X 22 X 35 O 48 O
10 O 23 O 36 O 49 O
11 O 24 O 37 X 50 X
12 O 25 X 38 O
13 X 26 O 39 X

PART II – 2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O 15 O 28 O 41 O
3 O 16 X 29 X 42 O
4 X 17 O 30 O 43 X
5 O 18 X 31 O 44 X
6 X 19 O 32 O 45 X
7 O 20 O 33 O 46 O
8 X 21 O 34 O 47 O
9 O 22 X 35 X 48 O
10 O 23 O 36 X 49 X
11 X 24 O 37 O 50 X
12 X 25 X 38 O
13 O 26 O 39 O

BIOLOGY 2020 113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3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X 40 O
2 X 15 O 28 O 41 O
3 O 16 X 29 O 42 X
4 X 17 X 30 X 43 X
5 O 18 X 31 X 44 O
6 O 19 O 32 O 45 O
7 X 20 X 33 O 46 X
8 X 21 O 34 O 47 O
9 O 22 O 35 O 48 X
10 O 23 X 36 O 49 O
11 O 24 X 37 X 50 O
12 X 25 X 38 X
13 O 26 X 39 O

PART II – 4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X 40 O
2 X 15 O 28 X 41 X
3 O 16 X 29 O 42 O
4 O 17 O 30 O 43 X
5 O 18 X 31 X 44 O
6 O 19 O 32 O 45 X
7 O 20 O 33 O 46 O
8 O 21 X 34 O 47 O
9 O 22 O 35 O 48 O
10 O 23 O 36 O 49 X
11 X 24 O 37 O 50 O
12 X 25 O 38 X
13 X 26 O 39 O

BIOLOGY 2020 114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5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X 14 X 27 X 40 O
2 O 15 O 28 X 41 X
3 O 16 X 29 O 42 O
4 X 17 O 30 X 43 X
5 O 18 O 31 O 44 O
6 O 19 X 32 X 45 X
7 O 20 X 33 O 46 O
8 O 21 O 34 X 47 O
9 O 22 O 35 O 48 X
10 X 23 O 36 X 49 O
11 X 24 X 37 X 50 O
12 X 25 O 38 O
13 X 26 O 39 O

PART II – 6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X 40 X
2 O 15 O 28 X 41 O
3 O 16 O 29 O 42 O
4 X 17 X 30 O 43 X
5 X 18 X 31 O 44 X
6 X 19 O 32 X 45 X
7 O 20 O 33 X 46 O
8 O 21 O 34 X 47 O
9 O 22 O 35 O 48 X
10 X 23 X 36 X 49 X
11 X 24 O 37 O 50 O
12 O 25 O 38 X
13 X 26 X 39 X

BIOLOGY 2020 115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7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X 14 O 27 O 40 X
2 O 15 O 28 X 41 O
3 O 16 X 29 O 42 O
4 O 17 O 30 O 43 O
5 O 18 O 31 O 44 X
6 X 19 O 32 O 45 O
7 O 20 X 33 X 46 X
8 X 21 O 34 O 47 X
9 O 22 O 35 X 48 O
10 X 23 X 36 O 49 O
11 O 24 X 37 O 50 X
12 X 25 O 38 X
13 X 26 O 39 X

PART II – 8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X
2 X 15 O 28 X 41 O
3 O 16 X 29 O 42 X
4 O 17 X 30 X 43 O
5 O 18 X 31 O 44 X
6 X 19 X 32 O 45 O
7 O 20 O 33 O 46 O
8 X 21 O 34 O 47 O
9 O 22 X 35 X 48 X
10 X 23 O 36 X 49 X
11 X 24 O 37 O 50 X
12 X 25 X 38 X
13 X 26 O 39 O

BIOLOGY 2020 116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9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X 40 O
2 O 15 X 28 X 41 O
3 O 16 O 29 O 42 X
4 X 17 O 30 O 43 O
5 X 18 X 31 X 44 X
6 O 19 O 32 X 45 X
7 X 20 O 33 O 46 X
8 O 21 O 34 X 47 O
9 X 22 O 35 X 48 X
10 X 23 O 36 O 49 X
11 X 24 X 37 O 50 O
12 O 25 O 38 O
13 O 26 O 39 O

BIOLOGY 2020 117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X 40 X
2 O 15 O 28 X 41 O
3 O 16 X 29 X 42 X
4 X 17 O 30 X 43 O
5 O 18 O 31 O 44 X
6 O 19 O 32 X 45 X
7 X 20 X 33 O 46 X
8 X 21 O 34 X 47 O
9 X 22 O 35 X 48 O
10 O 23 X 36 O 49 O
11 X 24 O 37 O 50 O
12 O 25 O 38 O
13 X 26 O 39 X

PART III – 2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X 14 X 27 O 40 X
2 X 15 O 28 X 41 O
3 X 16 O 29 O 42 X
4 O 17 X 30 O 43 O
5 O 18 X 31 O 44 O
6 O 19 O 32 O 45 X
7 O 20 O 33 X 46 O
8 X 21 O 34 X 47 X
9 O 22 X 35 O 48 X
10 O 23 X 36 O 49 X
11 O 24 O 37 X 50 O
12 X 25 O 38 O
13 X 26 X 39 O

BIOLOGY 2020 118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3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X 40 O
2 O 15 X 28 X 41 X
3 O 16 O 29 O 42 O
4 O 17 X 30 X 43 O
5 O 18 O 31 O 44 X
6 X 19 O 32 X 45 O
7 O 20 X 33 O 46 O
8 O 21 O 34 O 47 X
9 X 22 O 35 X 48 X
10 O 23 X 36 O 49 O
11 O 24 O 37 O 50 O
12 O 25 O 38 X
13 O 26 O 39 O

PART III – 4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X 40 O
2 O 15 X 28 O 41 O
3 X 16 X 29 O 42 X
4 X 17 O 30 O 43 O
5 O 18 X 31 O 44 O
6 O 19 O 32 O 45 O
7 X 20 O 33 X 46 O
8 O 21 O 34 X 47 O
9 O 22 X 35 O 48 O
10 O 23 O 36 O 49 X
11 X 24 O 37 O 50 O
12 O 25 O 38 O
13 X 26 O 39 X

BIOLOGY 2020 119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5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O 40 X
2 O 15 O 28 O 41 O
3 X 16 O 29 O 42 X
4 O 17 O 30 O 43 X
5 O 18 X 31 X 44 O
6 X 19 X 32 O 45 X
7 O 20 O 33 X 46 X
8 O 21 O 34 O 47 O
9 O 22 X 35 O 48 O
10 X 23 O 36 X 49 X
11 X 24 X 37 O 50 O
12 X 25 X 38 X
13 O 26 O 39 O

PART III – 6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X 40 O
2 X 15 X 28 O 41 X
3 O 16 O 29 X 42 X
4 X 17 O 30 X 43 O
5 X 18 O 31 X 44 X
6 X 19 X 32 O 45 X
7 O 20 O 33 O 46 O
8 X 21 X 34 O 47 O
9 O 22 O 35 O 48 O
10 O 23 X 36 O 49 X
11 O 24 O 37 O 50 O
12 O 25 X 38 O
13 X 26 X 39 X

BIOLOGY 2020 120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7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O 40 X
2 O 15 O 28 X 41 O
3 X 16 X 29 X 42 O
4 X 17 X 30 O 43 O
5 O 18 O 31 O 44 O
6 X 19 O 32 X 45 X
7 O 20 O 33 O 46 O
8 O 21 X 34 O 47 X
9 O 22 O 35 O 48 O
10 X 23 O 36 O 49 O
11 X 24 O 37 O 50 O
12 O 25 X 38 X
13 O 26 O 39 X

PART III – 8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X 40 O
2 X 15 X 28 O 41 X
3 O 16 O 29 O 42 X
4 O 17 X 30 X 43 X
5 O 18 X 31 O 44 O
6 O 19 O 32 O 45 X
7 X 20 O 33 O 46 O
8 X 21 O 34 X 47 O
9 O 22 O 35 O 48 X
10 O 23 X 36 O 49 O
11 O 24 X 37 X 50 X
12 O 25 O 38 O
13 O 26 O 39 O

BIOLOGY 2020 121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9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O 15 O 28 X 41 O
3 X 16 X 29 X 42 O
4 O 17 X 30 O 43 O
5 O 18 O 31 O 44 X
6 X 19 O 32 X 45 O
7 X 20 O 33 O 46 O
8 O 21 O 34 O 47 X
9 O 22 X 35 O 48 O
10 O 23 O 36 X 49 O
11 O 24 O 37 O 50 O
12 X 25 X 38 X
13 X 26 O 39 X

PART III – 10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X 40 X
2 O 15 X 28 O 41 O
3 X 16 X 29 X 42 O
4 O 17 O 30 O 43 X
5 O 18 O 31 O 44 X
6 O 19 O 32 O 45 O
7 X 20 X 33 O 46 O
8 O 21 O 34 X 47 X
9 X 22 O 35 X 48 O
10 O 23 X 36 O 49 X
11 X 24 O 37 O 50 O
12 O 25 O 38 O
13 X 26 O 39 O

BIOLOGY 2020 122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1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X 40 X
2 O 15 X 28 O 41 O
3 O 16 O 29 X 42 X
4 O 17 O 30 X 43 X
5 O 18 O 31 O 44 O
6 O 19 X 32 X 45 O
7 X 20 X 33 O 46 O
8 O 21 O 34 O 47 X
9 O 22 X 35 O 48 O
10 O 23 X 36 O 49 O
11 X 24 X 37 X 50 O
12 X 25 X 38 O
13 O 26 O 39 X

PART III – 12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X 40 X
2 O 15 X 28 O 41 O
3 O 16 X 29 O 42 O
4 X 17 O 30 O 43 O
5 O 18 O 31 O 44 X
6 O 19 O 32 X 45 O
7 X 20 X 33 X 46 X
8 O 21 X 34 X 47 X
9 X 22 O 35 O 48 O
10 X 23 O 36 X 49 O
11 O 24 X 37 X 50 X
12 O 25 O 38 O
13 O 26 O 39 X

BIOLOGY 2020 123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3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O 40 X
2 X 15 O 28 X 41 O
3 O 16 X 29 X 42 X
4 O 17 O 30 X 43 X
5 O 18 X 31 X 44 O
6 X 19 O 32 X 45 O
7 O 20 O 33 O 46 X
8 X 21 O 34 O 47 O
9 O 22 X 35 X 48 X
10 O 23 O 36 O 49 O
11 O 24 O 37 O 50 O
12 X 25 X 38 X
13 X 26 X 39 O

PART III – 14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X 14 O 27 O 40 X
2 O 15 O 28 O 41 O
3 O 16 X 29 O 42 X
4 X 17 X 30 X 43 X
5 X 18 X 31 O 44 O
6 O 19 O 32 O 45 X
7 O 20 X 33 X 46 X
8 X 21 X 34 O 47 O
9 X 22 O 35 X 48 O
10 O 23 O 36 X 49 X
11 X 24 X 37 O 50 O
12 O 25 X 38 X
13 O 26 X 39 O

BIOLOGY 2020 124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O 15 O 28 O 41 X
3 O 16 X 29 X 42 X
4 O 17 X 30 O 43 O
5 X 18 O 31 O 44 X
6 O 19 X 32 O 45 O
7 X 20 O 33 X 46 O
8 X 21 O 34 O 47 O
9 X 22 O 35 X 48 X
10 O 23 X 36 O 49 X
11 X 24 X 37 O 50 O
12 X 25 O 38 O
13 O 26 X 39 X

PART IV – 2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O 15 X 28 X 41 O
3 O 16 X 29 O 42 O
4 X 17 X 30 X 43 O
5 X 18 O 31 O 44 X
6 O 19 O 32 X 45 O
7 X 20 X 33 O 46 O
8 O 21 X 34 X 47 O
9 O 22 O 35 O 48 X
10 X 23 O 36 O 49 O
11 X 24 X 37 O 50 X
12 X 25 O 38 O
13 O 26 X 39 X

BIOLOGY 2020 125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3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X 40 O
2 X 15 X 28 X 41 X
3 O 16 X 29 X 42 X
4 X 17 O 30 O 43 X
5 O 18 O 31 O 44 O
6 X 19 O 32 X 45 O
7 X 20 O 33 O 46 X
8 X 21 O 34 O 47 O
9 O 22 X 35 X 48 O
10 O 23 X 36 X 49 X
11 O 24 O 37 O 50 O
12 X 25 O 38 O
13 X 26 O 39 X

PART IV – 4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X 15 X 28 X 41 X
3 X 16 X 29 X 42 O
4 X 17 O 30 O 43 O
5 X 18 O 31 X 44 O
6 O 19 X 32 O 45 X
7 O 20 X 33 X 46 X
8 X 21 O 34 O 47 O
9 X 22 O 35 X 48 O
10 O 23 O 36 X 49 X
11 X 24 X 37 O 50 O
12 X 25 O 38 O
13 O 26 O 39 O

BIOLOGY 2020 126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5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X 14 X 27 O 40 O
2 O 15 X 28 O 41 X
3 O 16 O 29 X 42 O
4 O 17 O 30 O 43 X
5 X 18 O 31 X 44 O
6 X 19 X 32 X 45 X
7 O 20 O 33 O 46 O
8 X 21 O 34 O 47 O
9 O 22 X 35 O 48 X
10 X 23 O 36 X 49 X
11 O 24 X 37 X 50 O
12 X 25 X 38 O
13 O 26 O 39 O

PART IV – 6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X
2 O 15 X 28 X 41 O
3 X 16 X 29 O 42 X
4 O 17 O 30 O 43 O
5 X 18 O 31 X 44 X
6 O 19 O 32 X 45 O
7 O 20 X 33 O 46 X
8 X 21 X 34 O 47 O
9 O 22 O 35 O 48 X
10 O 23 O 36 O 49 X
11 X 24 X 37 X 50 O
12 X 25 O 38 O
13 X 26 X 39 O

BIOLOGY 2020 127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7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O 15 X 28 O 41 O
3 O 16 O 29 O 42 O
4 X 17 X 30 X 43 O
5 X 18 O 31 X 44 X
6 O 19 O 32 O 45 O
7 X 20 O 33 O 46 X
8 O 21 X 34 X 47 O
9 O 22 O 35 X 48 X
10 O 23 O 36 O 49 O
11 X 24 O 37 X 50 O
12 X 25 X 38 O
13 O 26 X 39 X

PART IV – 8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X 14 O 27 X 40 X
2 X 15 O 28 O 41 O
3 X 16 O 29 O 42 X
4 O 17 X 30 O 43 O
5 X 18 O 31 X 44 O
6 O 19 X 32 X 45 X
7 O 20 X 33 O 46 X
8 O 21 X 34 X 47 O
9 O 22 O 35 X 48 O
10 X 23 O 36 O 49 O
11 O 24 O 37 O 50 O
12 X 25 O 38 X
13 O 26 X 39 O

BIOLOGY 2020 128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9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X 40 O
2 O 15 X 28 O 41 O
3 O 16 O 29 O 42 X
4 O 17 X 30 O 43 X
5 X 18 O 31 O 44 O
6 O 19 O 32 X 45 O
7 X 20 O 33 X 46 X
8 O 21 O 34 O 47 X
9 O 22 X 35 O 48 O
10 O 23 X 36 X 49 O
11 O 24 X 37 O 50 O
12 X 25 O 38 O
13 O 26 X 39 O

PART IV – 10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X 15 O 28 X 41 O
3 O 16 X 29 O 42 O
4 X 17 O 30 X 43 O
5 O 18 X 31 X 44 O
6 O 19 O 32 O 45 O
7 O 20 O 33 O 46 O
8 O 21 O 34 O 47 X
9 X 22 X 35 X 48 X
10 X 23 O 36 X 49 O
11 X 24 X 37 X 50 X
12 O 25 X 38 X
13 X 26 O 39 X

BIOLOGY 2020 129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1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X 40 X
2 O 15 X 28 O 41 O
3 X 16 O 29 X 42 X
4 X 17 X 30 O 43 O
5 X 18 O 31 O 44 O
6 O 19 O 32 O 45 O
7 X 20 O 33 O 46 X
8 O 21 X 34 O 47 X
9 O 22 X 35 X 48 X
10 X 23 O 36 O 49 O
11 O 24 O 37 X 50 O
12 X 25 O 38 O
13 O 26 O 39 O

PART IV – 12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X 27 O 40 X
2 O 15 O 28 O 41 O
3 X 16 X 29 X 42 X
4 X 17 O 30 O 43 X
5 O 18 X 31 O 44 X
6 O 19 O 32 X 45 X
7 O 20 O 33 O 46 O
8 O 21 X 34 O 47 O
9 O 22 X 35 O 48 O
10 X 23 O 36 X 49 O
11 O 24 O 37 O 50 O
12 X 25 O 38 O
13 O 26 X 39 O

BIOLOGY 2020 130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3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O
2 O 15 O 28 O 41 X
3 X 16 O 29 X 42 X
4 X 17 X 30 O 43 O
5 O 18 X 31 O 44 X
6 O 19 X 32 X 45 O
7 O 20 O 33 O 46 X
8 X 21 O 34 X 47 O
9 O 22 O 35 X 48 O
10 X 23 X 36 X 49 O
11 X 24 X 37 O 50 O
12 X 25 O 38 X
13 O 26 X 39 O

PART IV – 14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O 14 O 27 O 40 X
2 O 15 O 28 O 41 O
3 O 16 O 29 O 42 O
4 O 17 O 30 X 43 X
5 X 18 O 31 X 44 O
6 X 19 X 32 O 45 O
7 X 20 X 33 O 46 X
8 X 21 X 34 X 47 O
9 O 22 O 35 O 48 O
10 O 23 O 36 X 49 O
11 X 24 X 37 O 50 X
12 X 25 O 38 X
13 O 26 X 39 O

BIOLOGY 2020 131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5회 정답표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문항 번호 정답
1 X 14 X 27 O 40 X
2 O 15 X 28 X 41 O
3 O 16 O 29 O 42 O
4 O 17 X 30 X 43 X
5 X 18 O 31 O 44 X
6 O 19 X 32 X 45 O
7 O 20 O 33 O 46 O
8 X 21 O 34 O 47 O
9 O 22 O 35 X 48 O
10 O 23 X 36 O 49 X
11 X 24 O 37 O 50 X
12 O 25 O 38 X
13 O 26 O 39 O

BIOLOGY 2020 132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1회 정답과 해설

1. 생물의 적응이란 생물이 주어진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생식하도록 하는 유전적 특징이나 행동이다. ( O )

2. 등전점이란 아미노산이나 단백질의 순전하가 0이 되는 pH를 의미한다. ( O )

3. 질소는 가장 흔한 원소 중 하나지만 질소 기체의 안정한 삼중결합으로 인해 지구 생태계에서 순환하지 않는다.

(X)

- 물처럼 질소 역시 대기와 생물 사이를 순환합니다. 질소의 삼중결합은 리조비움과 같은 질소고정 세균에 의해 쪼개져 생물체에

이용되며 다시 탈질화 작용으로 질소는 대기로 돌아갑니다.

4. 수용액 상에서 극성 아미노산들은 수용성 단백질의 내부에 주로 위치한다. ( X )

- 극성 아미노산은 친수성이므로 수용성 단백질의 외부에 위치하고, 비극성 아미노산은 내부에 위치합니다.

5. 단백질의 a-나선 구조는 둘 이상의 폴리펩티드 사슬로 이루어진다. ( X )

- 둘 이상의 폴리펩티드 사슬로 구성된 것은 4차구조입니다. a-나선은 아미노산의 수소결합에 의한 2차구조입니다.

6. 단백질의 2차 구조는 주로 산성 아미노산과 염기성 아미노산 사이의 이온결합으로 이루어진다. ( X )

- 2차 구조는 주로 C=O의 산소와 -NH의 H가 수소결합 함으로써 생성됩니다.

7. 구형 단백질은 a-나선과 b-병풍을 모두 포함한다. ( O )

8.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자량이 큰 단백질일수록 나중에 용출된다. ( X )

- 크기가 클수록 더 먼저 용출됩니다.

9. 글루탐산, 발린, 리신을 pI가 작은것부터 나열하면 글루탐산 – 발린 – 리신의 순서이다. ( O )

- 글루탐산은 산성 아미노산으로 등전점이 가장 작고, 리신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등전점이 가장 큽니다.

10. 헤모글로빈을 구성하는 a-소단위체의 유전자에 넌센스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겸형 적혈구 빈혈증이 나타난다. ( X )

- 겸상 적혈구 빈혈증은 헤모글로빈 b-소단위체 유전자의 점돌연변이에 의한 아미노산 변화(글루탐산→발린)로 발생합니다.

11. 이황화결합은 시스테인 잔기의 싸이올기(-SH) 사이에 형성되는 공유결합이다. ( O )

- 단백질 전기영동 시 시스테인의 이황화결합을 제거하기 위해 환원제(b-머탑토에탄올)를 처리합니다. 환원제를 처리하면 단백질의

3차, 4차 구조가 제거될 수 있습니다.

12. b-머캅토에탄올은 산화제로 이황화결합을 절단한다. ( X )

- 산화제가 아닌 환원제입니다.

13. 미토콘드리아는 세포호흡의 중심기관으로 이중막 구조이다. ( O )

14. 진핵세포의 자유 리보솜은 80s의 침강계수를 가지며, 단백질 번역을 담당한다. ( O )

- 원핵은 70s, 진핵은 80s입니다.

BIOLOGY 2020 133 ©THE BASIC SIMPLICITY


15. 원형질 연락사는 식물세포벽과 세포벽을 이어주는 구조로 세포막은 관통하지 않는다. ( X )

- 원형질 연락사는 식물세포벽이 아닌 세포막과 세포막을 이어주는 구조입니다.

16. 식물세포의 리소좀은 소포체와 액포에서 생성된 소낭이다. ( X )

- 식물세포에는 리소좀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액포가 존재합니다.

17. 세포에서 지방산은 b-산화에 의해 아세틸 CoA로 분해된 후 미토콘드리아의 TCA회로로 전달된다. ( O )

18. 식물세포의 지방산 합성은 엽록체의 스트로마에서 일어난다. ( O )

- 지방산의 합성은 동물세포에서 주로 세포질과 활면소포체, 식물세포에서는 스트로마에서 일어납니다.

19. 미토콘드리아는 전자전달계에서 전자 에너지를 이용하여 H+을 기질 내부로 이동시킨다. ( X )

- 미토콘드리아 내막과 외막 사이 공간으로 이동시킵니다. 사이 공간의 H+는 다시 기질로 이동하면서 ATP를 생성하게 됩니다.

20. GLUT1, GLUT2, GLUT3, GLUT4는 모두 2차 능동수송체로 작용한다. ( X )

- 농도 기울기를 따라 포도당을 이동시키는 촉진확산 단백질입니다.

21. SDS-PAGE에서 전기영동 시 단백질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한다. ( X )

- SDS 처리는 모든 단백질을 음전하를 띠게 하므로 전기영동 시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합니다.

22. 동물세포 세포막에 있는 콜레스테롤은 극성물질의 투과를 억제하고 막 유동성을 완충한다. ( O )

23. 지질뗏목은 스핑고지질과 콜레스테롤이 밀집된 지역으로 세포막의 유동성이 제한되는 곳이다. ( O )

24. 튜불린 단위체에 결합한 콜히친은 미세소관 말단에서 다른 튜불린의 중합을 억제한다. ( O )

25. 효소가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까지는 기질 농도가 증가할 수록 반응속도가 증가한다. ( O )

26. 조효소는 기질선택성이 있어 하나의 조효소는 하나의 주효소에만 반응한다. ( X )

- 조효소는 기질 특이성이 없어 하나의 조효소가 여러 종류의 주효소에 작용할 수 있습니다.

27. 전자전달계의 우비퀴논은 보결분자단으로 Fe를 포함한다. ( X )

- 우비퀴논은 소수성 분자로 Fe를 포함하는 것은 시토크롬 복합체입니다.

28. 엽록체는 화학삼투적 인산화 과정으로 ATP를 생성한다. ( O )

- 엽록체는 광인산화 과정으로 ATP를 만들며, 광인산화는 산화적 인산화와 함께 화학삼투적 인산화 과정 중 하나입니다 .

29. 엽록소 a, b는 가시광선의 청색과 적색을 주로 흡수한다. ( O )

30. 식물세포에서 엽록소는 엽록체의 스트로마에 위치한다. ( X )

- 틸라코이드 내막에 존재합니다. 엽록체의 내막도 아닙니다.

31. 광합성 색소 분리 실험에서 색소의 분자량과 전개지에 대한 흡착력에 의해 각 색소의 전개율이 다르게 나타난다.

(O)

- 비극성 용매에서 전개시킬 때, 카로틴 – 크산토필 – 엽록소 a – 엽록소 b 순으로 올라갑니다.

32. 순환적 광인산화는 NADPH를 생성하지 못하는 대신 ATP 생성을 촉진한다. ( O )

33. 암반응의 주된 산물은 엽록체에서 만들어지는 녹말과 세포질에서 합성되는 설탕이다. ( O )


BIOLOGY 2020 134 ©THE BASIC SIMPLICITY
34.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탄소의 유일한 공급원으로 사용한다. ( O )

35. 빛이 있는 상태에서 루비스코의 산소화효소 활성에 의해 산소가 흡수되고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 O )

36. 비순환적 광인산화의 최종 전자수용체는 NADP+이다. ( O )

37. 전자전달계의 전자 전달 과정은 흡열 과정으로 진행된다. ( X )

- 전자의 에너지를 단계적으로 방출시키는 발열 과정입니다.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이 흡열 과정입니다.

38. 포화지방산은 활면소포체에서 불포화지방산으로 전환된다. ( O )

- 지방산의 불포화와 16C 이상의 연장은 활면소포체가 담당합니다.

39. 세포호흡에서 포도당이 젖산으로 전환되면, 최종적으로 2분자의 ATP와 2분자의 NADH가 얻어진다. ( X )

- NADH는 젖산탈수소효소에 의해 소모되어 NAD+로 돌아갑니다. 젖산발효는 해당을 위한 NAD+의 재생산을 위한 과정입니다.

40. 세포호흡을 통해 포도당 한 분자의 에너지 전환효율은 약 40%이며, 나머지는 열 에너지로 방출된다. ( O )

41. 발리노마이신은 짝풀림 단백질로 H+ 누출을 촉진한다. ( X )

- 발리노마이신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통과해 K+의 농도기울기를 감소시켜, 막의 전기적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짝풀림제입니다.

DNP가 친지질성 H+수송체입니다.

42. 이자의 b세포와 간에서 발견되는 GLUT는 GLUT4이다. ( X )

- GLUT4는 인슐린에 의해 합성이 촉진되므로 골격근, 지방세포 등에 많습니다. 이자의 b-세포는 혈당을 직접 인식하고 인슐린을 분비하므로 KM값이

상대적으로 큰 GLUT2가 있습니다. 간 역시 GLUT2를 가지고 있습니다.

43. 해당과정을 통해 NAD+와 이산화탄소는 생성되지 않는다. ( O )

44. 식물성 지방은 대부분 상온에서 고체로 존재한다. ( X )

- 식물성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되므로 액체로 존재합니다.

45. 피루브산 탈수소효소는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며 피루브산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 ( O )

- 피루브산 탈수소효소는 피루브산을 아세틸 CoA로 전환시키며 NADH와 CO2를 생성하고, 미토콘드리아 기질에 존재합니다.

46. 갈색지방세포는 주로 성인에서 많이 관찰되며, 갈색지방의 미토콘드리아는 써모제닌이라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열을 발생시킨다. ( X )

- 갈색지방은 성인보다 영유아에서 더 많이 발견됩니다.

47. 전자전달계에서 로테논에 의한 억제는 복합체 I에서 일어난다. ( O )

48. 절대 호기성 세균은 이화작용을 위해 반드시 산소를 필요로 하는 세균이다. ( O )

49. 팔미트산은 퍼옥시좀에서 스테아르산으로 전환된다. ( X )

- 퍼옥시좀은 지방산 b-산화의 장소입니다. 16C 팔미트산에서 18C 스테아르산으로의 연장은 활면소포체가 담당합니다.

50. 단백질의 3차구조는 이온 결합, 수소 결합, 소수성 결합 등이 관여한다. ( O )

BIOLOGY 2020 135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2회 정답과 해설
1. 리소좀의 내부는 산성 상태로 세포질에 비해 수소 이온의 농도가 높다. ( O )

2. 분비성 단백질의 경우 조면소포체에 부착된 결합 리보솜에 의해 합성된다. ( O )

-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은 결합 리보솜에 의해 번역되며, 핵이나 미토콘드리아 등의 세포 소기관에서 쓰이는 단백질은

세포질의 자유 리보솜에 의해 번역됩니다.

3. 골지체는 동물세포와 식물세포 모두에 존재하는 세포소기관이다. ( O )

- 중심체와 리소좀은 동물세포, 세포벽과 액포는 식물세포에 존재합니다.

4. 셀룰로오스는 가지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식물세포벽의 주성분이다. ( X )

- 셀룰로오스는 비분지성 다당류입니다.

5. 녹말은 식물의 양분 저장형태이며, 글리코겐은 동물의 양분 저장 형태이다. ( O )

6. 글리코겐과 키틴은 다당류에 포함된다. ( O )

- 단당류(monosaccharide)는 대표적으로 6탄당인 포도당, 갈락토오스, 과당이 있으며 탄소 : 수소 : 산소 = 1 : 2 : 1의 비율을

가집니다. 단당류는 수용액 상에서 주로 환상구조(99%)를 띠고 있으며, 자연계에는 3탄당, 5탄당, 6탄당이 흔하게 발견됩니다.

- 이당류(disaccharide)는 두 개의 단당류 복합체로 엿당, 셀루비오스, 젖당, 설탕 등이 있으며, O-글리코시드 결합을 형성할 때

결합에 참여하는 탄소가 a, b인지에 따라서 a, b 결합이 형성됩니다.

- 올리고당류(oligosaccharide)는 3-20여개의 단당류의 복합체로 세포의 외부 표면에서 막단백질, 막지질 등과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세포인식 물질로 작용합니다. 이런 작용을 하는 이용하는 대표적인 현상이 ABO식 혈액형입니다.

- 다당류(polysaccharide)는 수 많은 단당류의 복합체로 하나의 단량체로 구성된 단순다당류(전분, 글리코겐, 셀룰로오스, 키틴)와

2개 이상의 단량체로 구성된 복합다당류(GAG, 펙틴, 헤미셀룰로오스, 펩티도글리칸)가 있습니다.

7. 수용액에서 포도당은 사슬형 보다 고리형으로 더 많이 존재한다. ( O )

8. 글리코겐은 포도당 사이의 a(1→4) 결합과 b(1→4) 결합으로 형성되는 다당류이다. ( X )

- 글리코겐은 동물의 탄수화물 저장 형태로, a-포도당 단위체가 a(1→4) 결합과 분기 지점에서의 a(1→6) 결합을 통해 형성한 가지가

있는 형태의 중합체입니다.

9. 프로테오글리칸은 단백질과 양전하성 이당류 연속체가 결합된 구조이다. ( X )

- 프로테오글리칸은 중심 단백질에 음전하성 이당류 연속체(GAG)가 결합된 구조입니다. 프로테오글리칸은 대표적인 세포외 기질

구성 물질이며, GAG(glycosaminoglycan)는 황산기와 카르복실기를 지녀 산성(음전하)을 띠고 있습니다.

10. 트레오닌과 세린은 극성 아미노산이다. ( O )

- 세린과 트레오닌은 -OH기를 가지기 때문에 극성 비하전 아미노산입니다. 다른 극성 비하전 아미노산으로는 시스테인과

아스파라긴, 글루타민이 있습니다.

BIOLOGY 2020 136 ©THE BASIC SIMPLICITY


11. 일반적으로 이화과정은 발열반응, 동화과정은 흡열반응이다. ( O )

12. 효소는 기질을 감싸고 있는 물 분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 O )

- 이를 비용매화(desolvation)라고 합니다. 비용매화 과정 중 효소는 물 분자를 제거해 기질의 작용기를 노출 시킵니다.

13. NAD+와 FAD는 물질들 사이에 수소 이온과 전자를 전달한다. ( O )

14. 인체의 효소는 주로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 온도와 pH에 민감한다. ( O )

15. 리보자임의 RNA는 단백질 효소의 보조인자로 촉매 기능을 수행하진 않는다. ( X )

- 리보자임은 효소 기능을 하는 RNA로 RNA 스플라이싱, tRNA 합성 등의 생화학 반응을 촉매합니다. 리보자임의 발견으로 모든

효소는 단백질이라는 명제가 부정되었습니다. 또한 리보자임은 중심원리 이전의 RNA 월드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 중 하나입니다.

16. 한 개의 효소에 의해 단위 시간 당 생성물로 바뀌는 기질 분자의 수를 촉매 효율이라 한다. ( X )

- 위의 설명은 Kcat으로 Kcat은 촉매전환율, 대사회전수, 교체수라고도 합니다.

- 생리적 조건 하에서 효소 반응의 속도상수는 Kcat 보다 훨씬 작아 실제 반응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Kcat/KM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촉매 효율이라 합니다. 촉매 효율은 효소-기질 복합체가 산물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반응을 진행하려는 경향 값으로

정의됩니다.

17. 아미노산 서열은 서로 다르지만 같은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를 동종 효소라 한다. ( O )

- 동종 효소들 간에 기능적 동질성은 매우 높으며, 약간의 아미노산 차이는 효소가 작용하는 각 환경 조건에 맞는 효소의 활성을

도와줍니다.

18. 페니실린과 아스피린은 비가역 억제제로 작용한다. ( O )

- 아주 대표적인 비가역 억제제들입니다. 페니실린은 세균의 트랜스펩티다아제 효소를 저해해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며, 아스피린은

COX 1, 2 효소를 억제해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19. 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의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다른 자리에 결합하는 저해제이다. ( X )

- 경쟁적 저해는 효소의 기질 결합 부위에 결합하며, 저해제 자체가 기질과 비슷한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비경쟁적 저해제는 효소

또는 효소-기질 복합체의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다른 자리에 결합하며, 불경쟁적 복합체는 효소-기질 복합체에 대해서만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다른 자리에 결합합니다.

20. 알로스테리 물질이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알로스테리 자리에 결합하면 효소 구조가 바뀌어 활성 변화가 생긴다.

(O)

- 알로스테리 조절의 특징입니다. ①알로스테리 효소는 일반적으로 4차 구조이며, 여러 개의 기질 결합 부위를 지니고 있습니다.

기질의 결합으로 효소 구조와 활성이 변하는 것은 협동성이라 하며, 협동성에 의해 효소 반응 속도 그래프가 S자형을 나타내게

됩니다. 또한 ②알로스테리 물질(조절자)이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알로스테리 자리에 결합해도 효소 구조가 바뀌어 활성 변화가

나타납니다. 알로스테리 물질의 결합은 S자형 그래프를 좌우로 이동시킵니다.

21.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는 전하에 따라 단백질을 분리한다. ( O )

BIOLOGY 2020 137 ©THE BASIC SIMPLICITY


22. SDS는 환원제로 단백질 내부의 이황화결합을 분해한다. ( X )

- 이황화결합을 파괴하는 환원제에는 b-머캅토에탄올, DTT 등이 있습니다. SDS는 계면활성제로 단백질을 변성시키며,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음전하로 일정하게 코팅시킵니다. SDS는 아미노산 R기들의 전하를 상쇄시켜 전기영동에서 단백질이 오직 분자량에

의해서만 분리되도록 합니다.

23. SDS-PAGE에서 단백질의 분자량이 작을 수록 겔 상에서 더 멀리 전개된다. ( O )

24. 상온에서 세포막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면 세포막의 유동성이 증가한다. ( X )

- 콜레스테롤은 저온에서 세포막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상온과 고온에서는 세포막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세포막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긴 포화지방산의 스핑고지질과 콜레스테롤이 밀집된 세포막 구조를 지질 뗏목이라 합니다. 지질 뗏목에는

특정 단백질들이 밀집되어 있어 단백질의 상호 작용과 신호 전달 등에 유리합니다.

25. 막단백질 번역 시 소포체와 골지체에서 첨가된 당은 언제나 세포막의 안쪽에서 관찰된다. ( X )

- 소포체와 골지체의 막을 관통하고 있는 단백질의 세포질 부분은 세포막에서도 세포질 부분을 유지하고, 소포체와 골지체의 내강

부분은 세포 외부로 향하게 됩니다.

26. 삼투현상은 세포막을 사이로 농도 기울기에 따라 용질이 이동하는 수송수송의 형태이다. ( X )

- 삼투현상은 용질이 아닌 용매(물)가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27. 촉진 확산은 특정 물질을 특이적으로 수송하는 기질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 O )

28. 1차 능동 수송은 ATP와 같은 에너지를 직접 소모해 물질을 수송한다. ( O )

29. 파고시토시스는 고형의 큰 물질을 특이적 수용체에 결합시켜 흡수하는 과정이다. ( X )

- 파고시토시스는 고형의 작은 물질이 비특이적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송되며 기질 특이성이 없습니다. 거대 분자의 수송 방법 중에서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스 만이 특정 분자를 특이적 수용체에 결합시켜 수송합니다.

30.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환형 DNA는 마굴리스의 세포내공생설로 설명된다. ( O )

- 자체 환형 DNA, 70S 리보솜, 일부 필요한 효소의 자체 번역 및 합성 등이 세포내공생설의 증거입니다.

31. 크리스탈 바이올렛은 염기성 염료로 핵산과 같은 음전하의 분자를 염색한다. ( O )

- 크리스탈 바이올렛은 염기성 염료로 음전하를 가지는 산성의 세포벽과 핵산 등을 염색시킬 수 있습니다.

32. 고세균의 인지질은 글리세롤과 가지 친 지방산이 에테르 결합을 하고 있다. ( O )

33. 진정세균과 진핵세포에는 히스톤이 발견되며 고세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 X )

- 고세균에서 히스톤, 인트론, 오페론이 모두 발견됩니다.

34. 세균의 선모는 필린 단백질로 구성되며, 편모는 플라젤린 단백질로 구성된다. ( O )

- 세균과 진핵생물의 선모와 편모는 이름만 같지 구성 성분은 전혀 다릅니다.

35. 세균의 성선모는 핵양체의 DNA의 유전정보로부터 합성된다. ( X )

- 성선모에 대한 유전정보는 F 플라스미드에 담겨 있습니다.

BIOLOGY 2020 138 ©THE BASIC SIMPLICITY


36.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에서 테이코산이 관찰된다. ( X )

- 테이코산은 그람 양성균에서 발견됩니다.

37. 식물에서는 중간섬유가 발견되지 않는다. ( O )

- 중간섬유는 동물세포에서 세포 형태를 유지하거나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 세포골격단백질입니다. 식물에는 중간섬유 대신 세포벽이

세포 형태 유지 및 지지 역할을 합니다. 세포벽이 있기 때문에 식물에서는 중간섬유가 필요없습니다.

38. 조면소포체는 단백질 분비를 활발히 하는 이자 세포, B세포 등에서 많이 발달되어 있다. ( O )

39. 조면소포체와 활면소포체의 막은 종종 서로 연결되어 있다. ( O )

40.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는 포린 단백질이 존재해서 작은 크기의 분자들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 X )

- 포린 단백질은 수용성 통로로 미토콘드리아나 세균의 지질 외막에서 발견됩니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에는 카르디올리핀이라는

산성인지질이 존재하여 수소 이온에 대해 불투과성을 나타냅니다.

41. 녹색 식물의 엽록체에서 발생한 산소는 이산화탄소에서 유래한다. ( X )

- 산소는 광계 II에 존재하는 산소 발생 복합체가 빛에너지로 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전자와 함께 발생합니다.

42. DNA의 질소 염기는 DNA 이중 가닥의 안쪽에 위치한다. ( O )

- DNA는 역평행한 이중가닥으로 바깥쪽에는 당-인산 골격이 존재하고, 안 쪽에는 질소 염기가 두 가닥의 DNA 사이에서 서로 수소

결합을 취하고 있는 구조입니다.

43. DNA가 음전하를 띠는 이유는 아데닌, 구아닌과 같은 질소 염기 때문이다. ( X )

- 인산 때문에 음전하를 나타냅니다.

44. 단순 확산은 물질이 인지질 이중층을 직접 통과하며 에너지는 필요하지 않다. ( O )

45. 동물세포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주변에 분비한 단백질이나 다당류로 구성된 층을 세포외 기질(ECM)이라 한다.

(O)

46. 용질이 원형질 연락사를 통해 살아있는 세포의 세포질을 통과하는 방식은 아포플라스트 방식이다. ( X )

- 아포플라스트는 세포질 외부의 간극을 통과하는 방식이며, 세포질을 통과하는 방식은 심플라스트 방식입니다.

47. 1차 세포벽은 2차 세포벽 보다 세포질 쪽에 위치한다. ( X )

- 세포질 – 2차 세포벽 – 1차 세포벽 – 중엽 순입니다.

48. 세포벽과 리보솜은 효모와 세균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 O )

49. 시토크롬 P450은 주로 활면소포체에서 발견할 수 있다. ( O )

- 시토크롬 P450은 해독 작용을 하며, 간의 활면소포체에서 발견됩니다. P450은 방향족 화합물을 친수성으로 전환시켜 몸 밖으로

배출되게 합니다.

50. 해당과정은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 X )

- 해당과정은 세포질에서 시작하고 완료됩니다.

BIOLOGY 2020 139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3회 정답과 해설
1. 생체는 광학이성질체를 구분할 수 있으며, 광학 이성질체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 O )

- 생체의 당은 주로 D-형으로 존재하며, 아미노산은 L-형으로 존재합니다.

2. 아스피린은 위에서 전하를 띠지 않은 형태로 대부분 흡수된다. ( O )

- 위벽의 세포막을 통과하기 위해선 아스피린은 전하를 띠지 않아야 하며, 헨더슨-하셀바흐 식에 따라 아스피린은 산성의 위

내강에서 대부분은 비이온화 상태로 존재합니다.

3. 수산기는 극성을 나타내며, 물과 수소 결합을 하여 분자가 물에 녹는 것을 도와준다. ( O )

4. 효소 반응의 KM 값은 효소가 기질 한 분자를 생성물 한 분자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 X )

- KM 값은 미카엘리스 상수로 최대 효소 반응 속도의 절반이 되는 지점의 기질 농도입니다. KM 값은 효소와 기질의 친화력을

나타냅니다.

5. 1차 능동수송에서 막 단백질이 인산화된다. ( O )

- 대부분의 1차 능동수송은 용질의 농도구배 역행과정이 ATP의 가수분해와 연계되어 일어납니다.

6. 유비퀴논은 전자전달계의 유일한 비단백질성 소수성 분자이다. ( O )

7. 여러 효소가 관여하는 대사를 조절하기 위해서 속도결정단계를 조절한다. ( O )

- 추가로 속도결정단계는 보통 비가역과정입니다.

8. 대부분의 속도결정단계는 비가역과정이다. ( O )

- 만약 생성물질이 음성피드백으로 대사 과정을 조절한다면 속도결정단계에 작용하는 효소를 억제하여 전체 반응을 조절합니다.

9. 단백질의 이황화결합은 골지체 내강에서 생성된다. ( X )

- 분비성 단백질의 이황화결합은 조면소포체 내부의 샤페론 단백질의 일종인 PDI에 의해 생성됩니다.

10. 엽록체는 미토콘드리아와 마찬가지로 외막에 포린 단백질이 있다. ( O )

11. 조면소포체에서 O당화, 골지체에서 N당화 과정이 일어난다. ( X )

- 조면소포체에서 아스파라긴 잔기에 당이 추가되는 N당화, 골지체에서 N당화의 수정과 세린, 트레오닌 잔기에 당을 추가하는

O당화가 일어난다.

12. 핵막은 라민이라는 미세섬유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 X )

- 라민은 중간섬유입니다. 라민은 핵막의 내막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13. 데스모좀은 오클루딘과 클라우딘 단백질로 구성된다. ( X )

- 오클루딘과 클라우딘 단백질은 밀착연접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데스모좀에서는 카드헤린 단백질, 간극연접에서는 콘넥신

단백질이 발견됩니다.

14. 소장 융털의 미세융모는 미세섬유 다발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 O )

BIOLOGY 2020 140 ©THE BASIC SIMPLICITY


15. 짝풀림제는 전자전달계를 통해서 형성된 수소 이온의 농도기울기를 파괴한다. ( O )

- 대표적으로 발리노마이신, DNP가 있습니다.

16. 식물세포에서 이산화탄소는 기공을 통해서 세포 내로 확산된다. ( O )

17. C4 식물에서 이산화탄소를 최초로 고정하는 효소는 루비스코이다. ( X )

- 루비스코는 C3 식물에서 작용하며, C4 식물과 CAM 식물의 이산화탄소 고정 효소는 PEP 카르복시화 효소입니다.

18. CAM 식물은 밤에 이산화탄소를 유기산에 고정하고, 낮에 이산화탄소를 유리하여 암반응을 수행한다. ( O )

- CAM 식물은 이산화탄소의 고정과 암반응의 진행이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면 C4 식물은 유관속초세포와 엽육세포 즉,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 C4 식물의 엽육세포 : 비순환적 광인산화와 최초의 이산화탄소 고정(PEP 카르복실레이스)

- C4 식물의 유관속초세포 : 순환적 광인산화와 캘빈회로

19. 광호흡 기작은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에서만 일어난다. ( X )

- 광호흡은 엽록체 스트로마, 퍼옥시좀, 미토콘드리아를 거치며 일어납니다.

20. 빛이 없는 곳에서 광호흡은 일어나지 않는다. ( O )

- 광호흡을 일으키는 루비스코는 빛이 있을때 루비스코 활성화효소에 의해 활성화됩니다. 광호흡은 빛의 세기가 매우 강하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은 조건에서 잘 일어납니다.

21. 식물에서 광합성 산물은 물관을 통해 이동한다. ( X )

- 암반응을 통해 포도당, 설탕 등이 생성되며 체관을 통해 식물 각 부위로 운반됩니다.

22. C4식물의 최초의 이산화탄소 고정 산물은 3PG(3-phosphoglycerate)이다. ( X )

- C4식물과 CAM식물 모두 최초의 이산화탄소 고정 산물은 옥살로아세트산입니다.

23. 로테논은 NADH로부터 유비퀴논으로의 전자 전달을 억제한다. ( O )

- 로테논은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복합체 I의 기능을 억제합니다.

24. 세균에서 젖당 투과효소는 H+ 농도 기울기를 이용해 젖당을 흡수한다. ( O )

25. 포도당 신생합성은 인간에서 간과 뇌에서만 일어난다. ( X )

- 간과 신장입니다.

26. 동물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는 16탄소 지방산까지만 합성된다. ( X )

- 세포질에서 16탄소 지방산까지 합성되며, 미토콘드리아와 활면세포체에서 연장 및 불포화가 진행됩니다.

27.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퍼옥시좀에서 지방산의 b-산화가 일어난다. ( O )

- 동물세포에서 16탄소 이상의 지방산과 가지 친 지방산은 퍼옥시좀에서 먼저 b-산화가 일어난 후, 16탄소 이하의 지방산이 되면

미토콘드리아에서 나머지 b-산화를 진행합니다. 식물세포에서는 지방산의 b-산화를 오직 퍼옥시좀에서만 진행합니다.

BIOLOGY 2020 141 ©THE BASIC SIMPLICITY


28. 무산소호흡에서 생성되는 ATP의 대부분은 화학삼투적 인산화에 의하여 생성된다. ( X )

- 주로 해당과 발효과정을 통해 생성됩니다. 핵이 없는 적혈구는 약 120일의 생존 기간 동안 해당과 젖산발효를 통해서 필요한

에너지를 조달합니다.

29. 잎에 지나치게 많은 빛이 들어오면 페레독신으로부터 활성산소들이 만들어지는 광저해 현상이 나타난다. ( O )

30. 루비스코는 약산성 환경에서 최적의 활성을 갖는다. ( X )

- 루비스코는 pH 8.0의 약 염기성 환경에서 최적의 활성을 갖습니다.

31. C4식물은 증산비가 낮아 C3식물에 비해 고온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기 유리하다. ( O )

32. 젖산발효의 최종전자수용체는 피루브산이며, 알콜발효의 최종전자수용체는 아세트알데히드다. ( O )

33. 진정세균의 세포벽 성분은 키틴, 곤충의 외골격 성분은 펩티도글리칸이다. ( X )

- 반대입니다. 진정세균의 세포벽에서 펩티도글리칸, 곤충의 외골격에서 키틴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34. 프로테오글리칸은 분비형과 막관통형이 존재한다. ( O )

35. 뷰렛 반응 시 단백질이 존재하면 청록색이 나타난다. ( X )

- 보라색이 나타납니다.

36. 단백질에 티로신과 트립토판이 없으면 A280 흡광을 측정할 수 없다. ( X )

- 단백질의 280nm 흡광은 방향족 아미노산 때문에 일어납니다. 방향족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이 없더라도 페닐 알라닌 등이 존재하면

280nm에서 흡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단, 방향족 고리를 2개 가지는 트립토판의 흡광도가 가장 높습니다.

37. 샤페론은 ATP를 소모하여 다른 단백질의 접힘을 도와준다. ( O )

38. 콜라겐의 생합성에는 비타민 K가 필수적이다. ( X )

- 비타민 K가 아닌 비타민 C가 필요합니다. 비타민 K는 혈액 응고 인자 합성에 필수적입니다. 쥐약의 성분인 와파린이 비타민 K의

유사체로 혈액 응고를 방해합니다.

39. 하나의 핵 속에 인은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 O )

40. 헤모글로빈은 4차구조 단백질이다. ( O )

- 미오글로빈은 3차구조, 헤모글로빈은 4차 구조 단백질로 산소 결합에 대한 알로스테리 효과(S자 곡선)는 헤모글로빈에서만

나타납니다. 미오글로빈의 산소포화곡선은 마이켈리스-멘텐 식을 따릅니다.

41. 변성된 단백질은 소수성 R기 끼리 결합하여 침전될 수 있다. ( O )

- 수용액 상 단백질의 변성은 곧 침전입니다.

42. 단백질의 용해도는 등전점에서 가장 높다. ( X )

- 등전점에서 단백질의 내부 전하가 상쇄되므로 단백질의 용해도는 등전점에서 가장 낮습니다.

43. 스핑고마이엘린은 적혈구 표면에서 ABO 혈액형을 결정한다. ( X )

- 스핑고미엘린은 수초 막지질의 주성분인 스핑고지질로 ABO식 혈액형은 당 구조 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44. 인지질은 글리세롤과 지방산 두 개 + R기 + 인산기로 구성된다. ( O )

BIOLOGY 2020 142 ©THE BASIC SIMPLICITY


45. 포화 지방산은 탄소 사슬에 이중결합이 없으며, 체내에서 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 O )

46. 중성지질은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구성된다. ( O )

47. 루코트리엔은 백혈구, 비만세포 등에서 생산되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한다. ( O )

48. 녹말은 식물의 뿌리 및 저장조직에 저장된다. ( O )

49. 오랜 기간 단식 중인 사람의 간세포에서 옥살로아세트산의 고갈로 시트르산 생성이 감소한다. ( O )

- 간의 미토콘드리아에서 TCA 회로를 통해 생산된 옥살로아세트산(옥살초산)은 포도당 신생합성을 위해 소비되므로 시트르산의

생산을 위한 옥살아세트산의 양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시트르산의 생성도 감소됨이 맞습니다.

- 단식 상태에서 간은 뇌와 적혈구 등에 공급할 포도당을 만들기 위해 비탄수화물로부터 포도당 신생합성을 수행합니다. 포도당

신생합성의 전구체는 젖산, 글리세롤, 아미노산(류신, 리신 제외), TCA회로의 중간 산물이 해당됩니다. 이중 TCA 중간 산물은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전환되어 포도당 신생합성에 쓰입니다.

- 지방산은 아세틸-CoA가 되어 TCA 회로를 돌면 유입된 탄소만큼 이산화탄소 방출이 일어나기 때문에 포도당 신생합성 전구체가

되지 못합니다. 아미노산 류신과 리신의 경우도 분해되면 아세틸-CoA를 생성하기 때문에 포도당 신생합성의 전구체가 될 수

없습니다.

50. 포도당의 고리형과 사슬형 전환반응은 효소가 관여하며, 가역적인 반응이다. ( X )

- 수용액 상태에서 포도당은 고리형과 사슬형으로 자유롭고 매우 빠르게 전환될 수 있으며, 효소가 필요한 과정이 아닙니다.

BIOLOGY 2020 143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4회 정답과 해설
1.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작아 세균 여과기를 통과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세포성 생물이다. ( X )

- 바이러스는 세포를 갖지 않습니다.

2. 미생물과 질병과의 원인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을 코흐의 가설이라 한다. ( O )

3. 다운 증후군과 스크래피는 변성 프리온으로 발병할 수 있다. ( O )

- 프리온은 변성된 단백질로 오직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서만 불황성화가 일어나는 병원체입니다. 프리온은 아밀로이드 덩어리를

형성해 신경세포를 사멸시키는 기작으로 질환을 일으킵니다. 프리온성 질환으로는 광우병, 스크래피, 다운 증후군, 알츠하이머,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등이 있습니다.

4. 리보오스와 디옥시리보오스는 6탄당이다. ( X )

- 대표적인 5탄당으로 각각 RNA와 DNA의 구성성분입니다.

5. 포도당의 a-아노머와 b-아노머는 수용액 상태에서 자유롭게 전환이 불가능하다. ( X )

- a, b 포도당은 수용액 상태에서 자유롭게 전환 가능합니다.

6. 녹말은 아밀로오스와 아가로오스의 중합체로 구성된다. ( X )

- 녹말은 식물의 양분 저장 형태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됩니다. 아가로오스는 홍조류의 세포벽 성분으로 가공된 형태인

아가로오스 겔은 핵산을 분리하는 전기영동 실험에 사용합니다.

7. 생체 내 대부분의 당은 D-형, 아미노산은 L-형으로 존재한다. ( O )

8. 이당류에는 젖당, 설탕, 셀로비오스가 있다. ( O )

- 이당류는 2개의 단당류 사이에 글리코시드 결합이 형성된 형태입니다. 젖당은 갈락토오스와 포도당이 b(1→4), 엿당은 포도당과

포도당이 a(1→4), 설탕은 포도당이 과당과 a1⟷b2 결합으로 연결된 형태입니다. (젖갈포, 엿포, 설포과) 셀로비오스는

셀룰로오스의 단위체 이당류로 포도당과 포도당이 b(1→4)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9. 환원당이란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면서 자기 자신은 산화되는 당을 말한다. ( O )

10. 이당류는 단당류 사이의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 O )

11. 동물은 포도당의 삼투압 영향을 무시하기 위해 글리코겐을 저장당으로 사용한다. ( O )

- 세포내 삼투압 유지와 단량체(포도당)의 농도 기울기 유지를 위해 세포는 다당류를 양분 저장 형태로 사용합니다.

12. 중성지방은 글리세롤 1개와 지방산 3개가 에테르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 X )

- 에테르 결합이 아닌 에스테르 결합입니다.

13. 자연계에서 trans-지방산은 cis-지방산에 비해 낮은 존재 비율을 보인다. ( O )

- Trans-지방산은 보통 cis-불포화지방산을 인공적으로 수소 첨가 반응 시킬 때 만들어지며, 자연 상태에서는 소량 존재합니다.

BIOLOGY 2020 144 ©THE BASIC SIMPLICITY


14. 오메가-6 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으로 cis-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이다. ( O )

-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은 지방산 사슬의 9번 이상의 탄소에 이중결합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식품을 통해 불포화지방산을 섭취해야

합니다. 이러한 불포화지방산을 필수지방산이라 하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이 대표적인 필수지방산입니다. 오메가-6, 오메가-3는

이중결합의 위치를 나타낸 표현법으로 오메가-6는 지방산 끝 부분부터 6번째 탄소에 처음 이중결합이 나타난 형태입니다.

15. 막지질은 모두 한쪽 끝은 소수성, 다른 쪽 끝은 친수성을 띤다. ( O )

- 이를 양친매성이라 하며, 막지질의 소수성 상호작용을 통해 이중층 막구조를 만들게 됩니다.

16. 미리스트산은 포화지방산으로 14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다. ( O )

- 14C – 미리스트산, 16C – 팔미트산, 18C – 스테아르산, 20C – 아라키드 산, 인체에서는 지방산 합성효소가 탄소를 2개씩 연장하므로

대부분 짝수 탄소 지방산이 발견됩니다.

17. 인지질은 생체 내에서 미셸(micelle)이나 지질 이중층 구조를 형성한다. ( O )

- 미셸 형태보다는 지질 이중층 구조를 좀 더 잘 형성합니다.

18. 테이-삭스 병은 헥소사미니데이스 A의 축적으로 발병한다. ( X )

- 테이 삭스 병은 리소좀 저장병 중 하나로 헥소사미니데이스 A의 결핍으로 뇌세포에 갱글리오사이드가 축적되어 발생합니다. 리소좀

관련 저장병에는 테이 삭스 이외에도 I 세포 질환, 폼페병이 있습니다.

19. 스핑고지질은 성호르몬과 부신피질 호르몬의 전구체이다. ( X )

- 성호르몬(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과 부신피질 호르몬(코르티졸, 알도스테론)의 전구체는 콜레스테롤입니다.

20. 스테롤은 네 개의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며, 평면 구조이다. ( O )

- 스테롤은 6탄소 고리가 3개, 5탄소 고리가 1개인 평면구조 화합물로 그 종류에는 콜레스테롤(동물), b-시토스테롤(식물),

피토스테롤(식물), 에르고스테롤(균류)가 있습니다.

21. 효모의 세포막에서 콜레스테롤이 발견된다. ( X )

- 콜레스테롤은 동물에서만 발견됩니다. 효모와 같은 균류는 콜레스테롤 대신 에르고스테롤을 가지고 있습니다.

22. 항생제 퓨로마이신은 고세균 세포벽의 에테르 결합을 저해한다. ( X )

- 퓨로마이신은 원핵과 진핵에 모두 작용하는 단백질 번역 억제제입니다.

23. 비타민은 혈액 응고에 필요하다. ( O )

- 인체에서 비타민 K는 혈액 응고 인자 생성에 관여하며, 결핍 시 혈액 응고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4. 고세균의 세포벽에서 펩티도글리칸이 발견된다. ( X )

- 펩티도글리칸은 진정세균의 고유한 특징으로 고세균에서는 유사-펩티도글리칸이 발견됩니다.

25. RNA는 리보자임으로서 촉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유전 정보 보존의 기능은 없다. ( X )

- 인플루엔자나 HIV 모두 RNA를 사용하여 유전 정보를 보존합니다.

26. 대부분의 비타민은 인체에서 합성하지 못해 섭취해야만 한다. ( O )

- 비타민 K와 비타민 B12 등은 장내 세균이 생성하기에 섭취가 불필요할 수 있습니다.

27. 비타민 A는 시각에 관여하며 결핍되면 야맹증에 걸릴 수 있다. ( O )


BIOLOGY 2020 145 ©THE BASIC SIMPLICITY
28. 엽산은 장내 세균이 합성할 수 있어 결핍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 X )

- 엽산은 비타민 B9으로 핵산 형성에 관여하며, 특히 임산부가 필수적으로 섭취해야 할 비타민 중 하나입니다. 초기 임신 기간에

엽산이 결핍되면 신경관 발달이 저해되어 무뇌증을 가진 아이가 태어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29. 소수성 상호작용이란 무극성 분자들이 물에 존재할 때 생기는 열역학적 힘이다. ( O )

30. RNA는 NTP가 인산다이에스테르 결합으로 일렬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중합체이다. ( O )

- DNA는 dNTP, RNA는 NTP가 인산다이에스테르 결합으로 연결되어 생성됩니다.

31. 호열성 세균은 진정세균으로 고온에서 단백질을 안정화 하기 위해 단백질에 수소 결합, 이온 결합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 ( X )

- 호열성 세균은 극한의 환경에서 살아가는 고세균입니다.

32. 스트로마는 남세균의 세포질에서 유래된다. ( O )

- 엽록체는 세포내 공생설로 그 기원이 설명되며, 기원이 되는 세균의 가장 유력한 후보가 남세균입니다. 남세균은 지구 역사상

최초로 광합성으로 산소를 발생시킨 세균이며, 엽록소 a와 카로티노이드 등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33. 미세섬유의 기본 단위체는 선형의 G-액틴 단백질이다. ( X )

- 미세섬유는 구형의 G-액틴 단량체의 모임인 선형의 F-액틴 필라멘트로 구성됩니다.

34. 그람 음성균은 그람 양성균에 비해 크리스탈 바이올렛에 더 진하게 염색된다. ( X )

- 세포벽이 두꺼운 그람 양성균이 더 진하게 염색되며, 에탄올에 탈색도 쉽게 되지 않습니다.

35. 파고시토시스와 피노시토시스는 엔도시토시스의 한 종류로 특이적 수용체를 통해 물질을 수송시킨다. ( X )

- 비특이적 수송 방법입니다.

36. 채널은 물질 수송 시 구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막단백질이다. ( O )

37. 위에서 아세트산과 에탄올은 막단백질의 도움 없이 단순확산으로 수송된다. ( O )

38. 활면 소포체의 시토크롬 P-450은 외인성 물질의 산화적 대사를 수행한다. ( O )

39. 적혈구는 세포질만 존재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얻기 위해 해당과정만 수행하고, 젖산발효는 수행할 수 없다. ( X )

- 성숙한 적혈구는 해당과정과 젖산발효를 통해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받으며, 미토콘드리아를 비롯한 소기관이 없기 때문에 유산소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40. 전자전달계에 짝풀림제를 처리하면 산소 소모는 감소하고 열 발생은 증가한다. ( X )

- 짝풀림제를 처리하면 산소 소모와 열 발생이 모두 증가하며, ATP의 생성이 억제됩니다.

41. 인체는 피루브산 디카복실레이스가 없어 알코올 발효를 진행할 수 없다. ( O )

- 피루브산 디카복실레이스는 피루브산 탈탄산효소로 인간에게 없는 효소입니다. 알코올 발효를 진행하는 대표적인 생물은 효모로,

효모는 조건에 따라 산소호흡과 알코올 발효를 모두 진행할 수 있습니다.

42. 유산소 호흡은 전자전달계의 최종 전자 수용체로 산소를 사용한다. ( O )

- 유산소 호흡은 산소, 알코올 발효는 아세트 알데히드, 젖산 발효는 피루브산을 최종 전자 수용체로 사용합니다.

BIOLOGY 2020 146 ©THE BASIC SIMPLICITY


43. 2개의 피루브산이 포도당으로 전환되기 위해선 총 6개의 ATP가 필요하다. ( O )

44. 동물세포에서 탄소 18개의 스테아르산은 세포질에서 합성된다. ( X )

- 16C 까지만 세포질에서 합성되며, 지방산의 연장과 불포화는 활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납니다.

45. 당신생합성 과정 중 피루브산이 PEP로 전환되는 과정은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난다. ( O )

46. 포도당과 지방산의 호흡률은 0.7이다. ( X )

- 호흡률은 생체가 산소 호흡을 할 때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부피와 흡입한 산소와의 비를 의미합니다. 포도당은 1, 지방은 0.7,

단백질은 0.8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47. 세포막의 지질은 소수성 장벽을 형성해 세포를 구획화하고, 막 안팎의 전위차를 유지한다. ( O )

48. 바이러스와 세균은 모두 핵산을 가지고 있으며, 물질대사를 수행한다. ( X )

- 바이러스는 물질대사를 수행하지 않습니다.

49. 효소의 작용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은 효소의 입체성이 다른 자리에 결합한다. ( X )

- 경쟁적 억제자는 효소의 기질 결합 부위에 결합합니다.

50. 효소는 반응의 평형상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O )

BIOLOGY 2020 147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5회 정답과 해설

1. 지방산 합성 시 반복적으로 2C의 탄소를 연결하므로 생체 내 지방산은 대부분 짝수 탄소이다. ( O )

2. 밀착연접은 장 상피층을 경계로 서로 다른 화학적 환경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 O )

- 밀착연접은 세포 사이의 틈을 막아 세포 간극을 통한 이온이나 물의 이동을 억제합니다.

3. 소장 상피세포의 미세융모 내부에는 미세소관이 다발을 이루고 있다. ( X )

- 미세섬유는 복잡한 미세융모 구조를 형성해 세포 표면적을 넓혀 물질 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킵니다.

4. 간극연접은 심근 사이에 전기신호를 전파하는데 중요하다. ( O )

- 간극연접은 막관통 단백질인 콘넥손 채널로 구성되며, 두 세포의 세포질을 연결시켜 작은 분자나 이온이 쉽게 교환될 수 있습니다.

심장근과 평활근의 간극연접은 세포 사이에 빠른 활동전위 전도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5. 뇌하수체 전엽에는 성장호르몬을 분비하기 위해 골지체와 조면소포체가 풍부하다. ( O )

- 뇌하수체 후엽과 달리 전엽은 각종 호르몬을 직접 생성 & 분비하므로 조면소포체 및 골지체가 풍부합니다.

6. 소장 상피세포에서 정단면과 기저면에서 포도당의 이동 기작은 서로 다르다. ( O )

- 소장 상피세포의 정단면에서는 나트륨 이온과 2차 능동수송으로 유입되며, 기저면에서는 GLUT에 의한 촉진확산으로 세포를

빠져나갑니다.

7. 핵은 메틸렌 블루에 의해 염색되지 않는다. ( X )

- 메틸렌블루는 염기성 염색약으로 산성 물질을 염색시키므로 핵산을 많이 가지고 있는 핵은 메틸렌블루에 의해 쉽게 염색됩니다.

8.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작용으로 유입된 막 수용체는 리소좀에서 모두 파괴된다. ( X )

- 세포 내부로 유입된 수용체는 다시 세포막으로 이동하여 재사용됩니다.

9. 리보자임은 단백질의 생합성 과정에서 작용한다. ( O )

- 리보자임은 RNA가 효소처럼 촉매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단백질 생합성 시 리보솜에서 펩티드 결합을 형성과 mRNA

스플라이싱 때 작용합니다.

10. ATP는 RNA를 만들 때 기질로 사용될 수 있다. ( O )

- ATP는 아데노신 삼인산으로 RNA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DNA의 합성에는 5탄당이 리보오스가 아닌 디옥시리보오스의

dATP가 필요합니다.

11. 효소는 반응의 전이상태로 반응분자를 변형시킴으로써 활성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 O )

- 기질이 효소에 의해 전이 상태 모양으로 바뀌게 되면 산물의 생성 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이를 전이 상태 인식이라 합니다.

12. 리가아제는 가수분해효소로 물을 부가시켜 결합을 끊는다. ( X )

- 리가아제는 ATP나 다른 고에너지 화합물의 분해 에너지를 이용하여 두 물질을 결합시키는 효소로 가수분해와는 상관없습니다.

13. 효소 반응의 마이켈리스-멘텐 식은 반응에 한 가지 기질만을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 O )

BIOLOGY 2020 148 ©THE BASIC SIMPLICITY


14. 비경쟁적 억제제는 기질을 분해하여 효소의 작용을 억제한다. ( X )

- 비경쟁적 억제제는 효소나 효소-기질 복합체의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다른 자리에 결합합니다.

15. 시토크롬 산화효소는 전자전달계와 해당과정에서 모두 작용한다. ( X )

- 전자전달계에서만 작용합니다.

16. 단백질 접힘에 대한 정보는 3차 구조에 내재되어 있으며, 리보솜에서 번역되면서 자발적으로 접힐 수 있다. ( X )

- 단백질 접힘에 대한 정보는 1차 구조 속에 있습니다. 1차 구조에 따라 자발적으로 접히거나, 샤페론과 같은 단백질의 도움으로 접힐

수 있습니다.

17. 나이아신과 리보플라빈은 산화환원효소의 조효소로 작용한다. ( O )

- 나이아신(NAD+)은 비타민 B3로 ADP + 리보오스 + 니코틴아마이드로 구성됩니다. 리보플라빈(FAD)은 비타민 B2이며, 나이아신과

리보플라빈 모두 수소 이온과 전자를 전달하는 조효소로 작용합니다. 추가로 CoA-SH는 판토텐산, 즉 비타민 B5로 아실기와

고에너지를 전달합니다.

18. 녹말의 아밀로펙틴과 글리코겐은 모두 하나의 비환원말단과 여러 개의 환원 말단을 가지고 있다. ( X )

- 아밀로펙틴과 글리코겐 모두 한 개의 환원말단과 여러 개의 비환원 말단을 가지고 있으며, 비환원 당입니다.

19. 글리신은 비대칭 탄소를 가지지 않아 a-나선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 O )

- 글리신의 작은 R기는 나선을 안정화시키지 못하고 불안정하게 만들어 a-나선 구조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프롤린 역시

나선을 꼬이게 만들어 a-나선에서 잘 관찰되지 않는 아미노산 중 하나입니다.

20. 단백질의 4차 구조란 두 개 이상의 폴리펩티드 배열을 의미한다. ( O )

21. 핵산은 뉴클레오티드의 포스포다이에스테르 결합으로 구성된다. ( O )

22. 필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될 수 없으므로 음식물로 섭취해야만 한다. ( O )

- 성인의 필수 아미노산에는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리신, 발린의 총 8가지가 있으며, 유아기에는

8종에다 히스티딘이 추가됩니다.

23. 콜라겐은 생물체의 물리적 형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단백질이다. ( O )

- 콜라겐은 인체에서 가장 흔한 단백질 중 하나로 피부, 힘줄, 연골, 인대 등을 구성하는 단백질입니다. 콜라겐 합성에는 비타민 C가

필요합니다.

24. 콜레스테롤과 아포단백질 B는 저밀도 지방단백질(LDL)의 구성성분이다. ( O )

25. 포도당이 피루브산으로 분해되는 해당과정에서 엔트로피는 감소한다. ( X )

- 엔트로피는 증가합니다.

26. 정상 상태에서 DNA 염기 사이의 결합은 언제나 퓨린과 피리미딘 계열 사이에서만 일어난다. ( O )

27. 페닐알라닌과 트립토판 만을 가진 단백질은 280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진다. ( O )

- 단백질의 280nm에서의 흡광 현상은 방향족 아미노산에 의해 발생합니다. 페닐알라닌과 트립토판은 방향족 아미노산이므로 이

둘만 가지는 단백질이라도 280nm에서 흡광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흡광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은 티로신과 트립토판이며

이황화결합도 약간의 흡광을 가집니다.


BIOLOGY 2020 149 ©THE BASIC SIMPLICITY
28. 프리온은 단백질로만 구성된 병원체로 열에 안정하며 인체 면역계도 회피할 수 있다. ( O )

- 병원성의 비정상 프리온은 정상 프리온의 3차 구조가 변성된 상태입니다. 프리온은 끓여도 불활성화 되지 않으며, 인체 소화

효소에 내성이 있어 분해도 안되며, 자기 단백질이 변성된 것이므로 면역계가 항원으로 인식해 제거할 수도 없습니다.

29. 모든 아미노산은 닌히드린 반응에서 동일한 색을 나타낸다. ( X )

- 닌히드린 반응은 아미노기를 검출하는 반응으로 아미노산에 아미노기가 있다면 파란색을 나타냅니다. 프롤린의 경우 아미노기가

고리형태를 이루고 있어서 닌히드린 반응에서 파란색이 아닌 노란색을 나타냅니다.

30. 리신과 아르기닌은 음전하성 단백질로 DNA와 결합하는 히스톤 단백질의 주요 구성 인자이다. ( X )

- 리신과 아르기닌은 단백질도 아니며, 히스톤을 구성하는 양전하성 아미노산입니다. 단, 아세틸화는 리신의 아미노기에서만

일어납니다.

31. 바이러스는 동물 뿐만 아니라 식물도 감염시킬 수 있다. ( O )

- 최초로 발견된 바이러스가 식물을 감염시키는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입니다.

32. 효소의 기질과 구조가 비슷한 물질은 효소의 작용을 비경쟁적으로 억제한다. ( X )

- 경쟁적으로 억제합니다.

33.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자량은 비슷하지만 등전점이 상이한 두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다. ( O )

34. 일반적으로 생성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효소의 반응속도는 빨라진다. ( X )

- 생성물이 많아질수록 효소와 반응물이 충돌할 확률은 감소하므로 반응속도는 느려집니다.

35. 식세포작용(phagocytosis)에서, 세포는 위족으로 입자 주위를 둘러싸고 식포라고 불리는 막 모양의 주머니로 입자를

집어 삼킨다. ( O )

- 이때 미세섬유가 관여합니다.

36. 식물은 광합성에 의해서 생성된 설탕을 잎맥 내의 세포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탕-H+ 공동수송을 사용한다. ( O )

37. 막관통 단백질 박테리오로돕신의 N-말단은 세포 바깥쪽으로 C-말단은 세포 안쪽으로 향하고 있다. ( O )

38. 활면소포체는 시스와 트랜스면의 극성을 가지고 있다. ( X )

- 활면소포체가 아닌 골지체가 이러한 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39. 모든 세포는 세포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 O )

- 원핵부터 진핵세포까지 모두 세포막에 둘러싸여 있으며, 바이러스는 세포가 아닙니다.

40. 인테그린은 세포막의 바깥쪽에서 붙어있으며 피브로넥틴에 연결되어 있다. ( X )

- 인테그린은 막관통 단백질입니다. 피브로넥틴은 인테그린과 결합해 세포외기질의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의 연결 및 이동을

도와줍니다.

41. DNA의 Tm 값은 DNA 내에 GC 염기쌍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 X )

- GC 염기쌍은 삼중 수소결합을 만드므로 GC 염기쌍이 많을수록 DNA의 변성온도(Tm)가 높아집니다.

BIOLOGY 2020 150 ©THE BASIC SIMPLICITY


42. DNA는 알칼리 조건에서 염기 사이의 수소 결합이 방해되어 단일 가닥화 된다. ( O )

- DNA는 RNA에 비해 알칼리 조건에서 단일가닥화 될 수는 있으나 분해는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산성과 알칼리성 pH에서 Tm 값은

감소하고, NaCl의 농도가 적당히 올라가면 Tm 값도 증가합니다. NaCl에 의해 값이 증가하는 이유는 DNA의 당-인산 골격의

음전하를 NaCl이 안정화시켜줘 DNA가 상대적으로 안정되기 때문입니다.

43. 복합단백질효소는 주효소와 비단백물질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 O )

- 복합단백질효소는 전효소(holoenzyme)로 단백질의 주효소 + 비단백질(조효소, 금속이온) 물질로 구성됩니다. 대부분의 효소는

전효소로 작용하지만, 아밀라아제, 트립신 등의 소화가수분해효소는 단백질로만 구성됩니다.

44. 효소에 경쟁적 억제제 처리시 기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저해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 O )

- 기질의 농도에 따라 저해제의 영향이 감소되므로 Vmax가 일정합니다.

45. 미오글로빈은 3차 구조 단백질이며, 헤모글로빈은 4차구조 단백질이다. ( O )

46. 식물 엽록체의 광계 I과 광계 II의 반응 중심 엽록소는 같다. ( O )

- 둘다 엽록소 a 입니다.

47. 진핵생물 편모의 운동에는 운동단백질 디네인이 필요하다. ( O )

48. 진핵생물 편모의 운동에 양성자 농도 기울기가 필요하다. ( X )

- 진핵생물의 편모 운동에는 ATP가 소모되며, 원핵생물의 편모 운동에 H+ 농도 기울기가 필요합니다.

49. Na+-K+ 펌프는 ATP를 사용하여 세포 안쪽의 Na+를 세포 밖으로 수송한다. ( O )

- 세포막의 휴지막 전위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기전 중 하나입니다.

50. 시안화물 처리 시 수송체를 통한 촉진확산을 이용하는 물질의 수송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 O )

- 시안화물(CN-)은 전자전달계 복합체 4번에서 산소가 전자를 받는 것을 저해하여 처리 결과 ATP 생성이 억제됩니다. 촉진확산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물질을 수송하는 능동수송 방식이 아니므로 ATP 유무에 직접적으로 영향 받지 않습니다.

BIOLOGY 2020 151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6회 정답과 해설
1. 사프라닌과 크리스탈 바이올렛은 서로 다른 전하를 띠는 염색약이다. ( X )

- 그람 염색법에 쓰이는 사프라닌과 크리스탈 바이올렛은 모두 염기성 염색약입니다.

2. 콜레스테롤 합성에는 퍼옥시좀과 미토콘드리아가 관여한다. ( X )

- 콜레스테롤 합성은 세포질과 활면세포체에서 일어납니다. 퍼옥시좀과 미토콘드리아는 지방산 b-산화의 장소입니다.

3. 루비스코 산소화 효소 활성에 의해 생성된 물질은 4탄소 화합물이다. ( X )

- 대기중의 산소의 비율이 높아지거나 온도가 상승한 조건에서 루비스코는 기질로 이산화탄소 대신 산소와 결합해 광호흡 반응을

진행합니다. 광호흡 반응에 의해 RuBP는 2탄소의 2인산 글리콜산과 3탄소의 3PGA가 되므로 4탄소 화합물은 광호흡으로

생성되지 않습니다.

4. 표준 아미노산은 생리적 pH에서 아미노기는 양성자를 잃고, 카르복실기는 양성자를 얻어 음전하와 양전하를 모두

갖는다. ( X )

- 생체 내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을 표준 아미노산이라 하며 총 20종이 있습니다. 아미노산의 아미노기는 생리적 pH에서

R 그룹에 따라 다양한 전하를 가질 수 있으며, 등전점에는 전하를 갖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R기가 비극성 중성인 아미노산의 경우

등전점에서 아미노기가 양성자를 얻고, 카르복실기가 양성자를 잃어 음전하와 양전하를 모두 갖습니다. 문제와 같이 모든 표준

아미노산이 일정한 pH에서 아미노기가 양성자를 잃고 카르복실기가 양성자를 얻어 양전하와 음전하를 모두 갖는 비정상적인

상태는 일어나지 않으므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5. 모든 표준 아미노산은 생체 내에서 주로 L-형으로 존재한다. ( X )

- 표준 아미노산 중 글리신은 R기가 H로 비대칭 탄소가 존재하지 않아 L-형, D-형 구분이 없습니다.

6. C4 식물은 이산화탄소 고정반응 장소와 캘빈회로 반응을 다른 장소에서 진행한다. ( O )

- C4 식물은 탄소 최초 고정 반응과 암반응을 공간적으로 분리해 광호흡을 극복합니다. 엽육세포에서는 C4 회로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며 유관속초세포에서 캘빈회로를 진행합니다. 이러한 엽육세포와 유관속초세포의 분리는 비순환적 광인산화

과정에서 생성된 산소가 루비스코 효소와 반응할 확률을 줄여줍니다.

7. C4 식물은 C3 식물에 비해 한 분자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데 더 적은 ATP를 소모한다. ( X )

- C4 식물이 더 많은 ATP를 소모하기 때문에 유관속초세포에서 광계 I만을 이용한 순환적 광인산화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8. DNA의 4종류 염기는 아데닌, 구아닌, 티민, 시토신이다. ( O )

9. 벼, 보리, 밀, 사탕무 등은 대표적인 C4 식물이다. ( X )

- 벼, 보리는 대표적인 C3 식물입니다. C4 식물에는 옥수수, 수수, 사탕수수 등이 있습니다.

10. 리보솜은 단백질의 합성장소로 단백질과 snRNA로 이루어져 있다. ( X )

- snRNA는 mRNA의 스플라이싱 가공에 관여하는 RNA로 리보솜이랑 관련 없습니다.

BIOLOGY 2020 152 ©THE BASIC SIMPLICITY


11. 골지체는 핵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mRNA를 안정화시키고 가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X )

- 골지체는 조면소포체에서 번역된 단백질을 가공하는 세포소기관입니다.

12. 조효소는 주효소와 공유 결합을 하고 보결 분자단은 주효소와 비공유 결합을 한다. ( X )

- 조효소(coenzyme)가 주효소와 비공유 결합을 하고, 보결 분자단(prosthetic group)이 주효소와 공유결합을 합니다.

13. 메틸렌블루, 아세트산카민 등은 양전하의 염색약으로 음전하의 DNA 인산과 결합한다. ( O )

- 메틸렌블루, 아세트산카민은 대표적인 염기성 염색약으로 동물세포의 핵을 염색하는데 사용하며, DNA 인산과 결합합니다.

14. 체내 일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미토콘드리아 내의 NADH 양이 증가할 수 있다. ( O )

- 일산화탄소는 산소에 비해 헤모글로빈 친화력이 훨씬 더 높으며, 체내 일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헤모글로빈에 의한 산소

운반이 원할하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산소가 없으면 전자전달계가 멈추므로 NADH가 소모되지 않아 그 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15. 샤페론은 미토콘드리아 기질 또는 엽록체 스트로마 안에서 단백질의 접힘을 도와준다. ( O )

- 자유리보솜에서 번역된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단백질은 1차 구조를 유지한채 각 소기관 내부로 유입되며, 소기관 내부에서 샤페론의

도움을 받아 접혀 3차 구조를 형성합니다.

16. 고세균은 리소자임과 페니실린에 내성이 있다. ( O )

- 고세균은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 대신 슈도 펩티도글리칸을 가지므로 페니실린과 리소자임에 내성을 가집니다.

17. 바이러스는 숙주 특이성과 세포 특이성이 없어 광범위한 생물 종에 감염한다. ( X )

- 바이러스는 숙주 특이성을 가지고 있어 각 바이러스마다 제한된 생물 종에만 감염할 수 있습니다.

18. 미세소관에서 키네신은 음성말단으로 디네인은 양성말단으로 이동한다. ( X )

- 키네신과 디네인은 미세소관에서 작용하는 운동 단백질로 키네신은 세포 외부로 향하는 (+)말단, 디네인은 세포 핵 방향의 (-)말단

쪽으로 이동합니다.

19. 골지체에서 세포막에 가까운 쪽은 시스(cis)면, 조면소포체와 가까운 쪽을 트랜스(trans)면으로 구분한다. ( X )

- 골지체의 시스터나 성숙 모델에 따르면 시스 면이 조면소포체와 가깝습니다.

20. 골지체의 cis/trans 면은 각각 다른 효소를 지니고 있다. ( O )

- 골지체 시스터나 성숙 모델에 따르면 각각의 시스/트랜스 면은 구조적 기능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작용하는 효소도 다릅니다.

21. 단백질 분해효소들은 보통 효소원 상태로 분비된다. ( O )

- 효소원은 자이모겐(zymogen)으로 펩신과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들은 염산 등에 의한 절단 과정을 거쳐야 활성을 가집니다.

22. 효소, 저해제의 존재 유무에 관계 없이 기질이 산물로 전환된 양은 동일하다. ( O )

- 효소와 저해제는 촉매로 반응의 자유에너지 변화, 평형상수 등을 변경시키지 못합니다. 따라서 효소가 없다고 해도 반응 시간만

오래 걸릴 뿐 기질이 산물로 전환된 양은 변하지 않습니다.

23. 녹조류는 적색보다 녹색 파장의 빛을 잘 흡수한다. ( X )

- 녹조류는 엽록소 a, b를 가지므로 청색과 적색을 강하게 흡수하고 녹색 파장의 빛은 반사합니다.

BIOLOGY 2020 153 ©THE BASIC SIMPLICITY


24. 광계 I은 틸라코이드 막에 존재한다. ( O )

- 엽록체 내막이 아님을 주의합니다.

25. 비순환적 광인산화에서 광계 II의 1차 전자수용체는 반응 중심 색소로부터 고에너지 전자를 받는다. ( O )

- 광계 II의 반응 중심은 엽록소 a 한 쌍과 단백질로 구성되며, 광수확복합체에 의해 전달된 광자는 엽록소 a의 전자를 들뜨게 하여

1차 전자수용체로 이동하게 합니다. 광계 II의 1차 전자수용체는 페오피틴(pheophytin)입니다.

26. 광계 I은 순환적 광인산화 반응과 비순환적 광인산화 반응에 모두 관여한다. ( O )

27. 중성지질이 탄수화물에 비해 더 환원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 O )

28. 간에서 만들어진 케톤체는 뇌와 골격근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 O )

- 케톤체에는 아세톤, 아세토아세트산 등이 있으며 당뇨병이나 기아 시 증가합니다. 케톤체는 골격근, 뇌, 신장 등의 말초조직에서

아세틸-CoA로 전환된 후 에너지로 이용됩니다.

29. 로테논은 양성자 농도 구배는 형성케 하지만 ATP 생성을 억제한다. ( X )

- 로테논은 전자전달계 복합체 I에서 유비퀴논으로의 전자전달을 억제하므로 양성자 농도 구배 형성과 ATP 생성을 모두 억제합니다.

30. UCP-1을 과발현시키면 갈색지방세포가 백색지방세포로 전환될 수 있다. ( X )

- UCP-1은 짝풀림단백질로 주로 갈색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발견됩니다.

31. 결합조직과 근육조직에서 중간섬유인 비멘틴이 발견된다. ( O )

- 중간 섬유는 각 조직마다 다른 종류가 발견되며, 신경조직은 신경섬유, 상피조직은 케라틴, 결합조직과 근육조직은 비멘틴,

핵에서는 라민이 발견됩니다.

32. 인에서 rRNA의 합성과 리소좀의 조립이 일어난다. ( X )

- 인은 rRNA의 합성과 리보솜의 조립이 일어나는 곳으로 단백질의 합성이 활발한 세포일수록 인이 잘 관찰됩니다. 인은 막이 없는

소기관으로 핵 내에 1개 이상 존재할 수 있습니다.

33. 유미입자의 크기는 LDL에 비해 작으나 밀도는 더 크다. ( X )

- 크기 : 유미입자 > VLDL > LDL > HDL

- 밀도 : HDL > LDL > VLDL > 유미입자

34. 콜레스테롤은 코르티졸, 알도스테론의 전구체이다. ( O )

35. 헤파린은 항트롬빈의 입체 구조를 변형시켜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 O )

- 헤파린은 GAG(glycosaminoglycan)의 일종입니다.

36. SDS-PAGE에서 SDS는 분리하려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일괄적으로 음전하를 띠게 한다. ( O )

- SDS는 계면활성제로 단백질들을 변성시키고 두 개의 아미노산당 SDS 한 분자가 결합해 아미노산 R기들의 전하를 상쇄시키고

단백질을 음전하로 일정하게 코팅시킵니다. 이러한 SDS의 작용은 단백질을 오직 크기에 따라 분리될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BIOLOGY 2020 154 ©THE BASIC SIMPLICITY


37. SDS-PAGE에서 전기 영동 후 단백질 염색 시 보통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를 염색약으로 사용한다. ( X )

-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tBr)은 이중나선 DNA 의 염기쌍 사이에 끼어들어가는 형광성 물질로 단백질 염색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단백질 염색에는 주로 쿠마시 블루(coomassic brilliant blue)가 사용됩니다.

38. 프리온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서만 불활성화가 일어나는 병원체이다. ( O )

3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샤가프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다. ( O )

- 인플루엔자의 유전체는 단일가닥의 RNA이므로 샤가프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추가로 인플루엔자의 유전체는 8조각의

(-)RNA이며 각각의 유전정보는 다 다릅니다.

40. DNA는 5탄당으로 리보오스를 가지기 때문에 RNA에 비해 알칼리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하다. ( X )

- DNA는 리보오스의 2’-OH가 2’-H로 변형된 디옥시리보오스를 구조로 가지기 때문에 알칼리 조건에서 쉽게 가수분해되지 않습니다.

41. DNA에 NaCl을 첨가하면 DNA 인산 음전하끼리의 반발력이 중화되어 Tm값이 증가한다. ( O )

42. DNA는 우라실 대신 티민을 가지기 때문에 염기가 바뀔 가능성이 RNA에 비해 낮다. ( O )

- RNA는 우라실과 시토신 염기 사이에 전환이 쉽게 일어나 정보가 불안정한 반면, DNA는 티민을 가지기 때문에 염기가 바뀔

가능성이 더 적습니다.

43. a-나선은 소수성 아미노산들이 많아 막관통 구조에서 발견되기 쉽다. ( O )

44. 정액에서 정자의 주요 에너지원은 과당이다. ( O )

- 포도당이나 지방산이 아니라 과당이 정자의 주요 에너지원입니다.

45. 단백질 전기영동 시 전류를 높이면 단백질의 이동 속도는 느려진다. ( X )

- 전기영동 자체가 음전하로 코팅된 단백질을 전하에 따라 끌려가게 만드는 원리이므로 전류가 세지면 당연히 이동 속도도

빨라집니다.

46. 고세균에서 인트론, 히스톤, 오페론이 발견된다. ( O )

47. 진화적으로 볼 때 고세균은 진정세균보다 먼저 발생했다. ( X )

- 현존 생명체의 공통조상에서 진정세균이 가장 먼저 분기했습니다.

48. 고세균과 진핵생물의 유연관계는 고세균과 진정세균보다 가깝다. ( O )

49. 고세균에는 세포 내막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 O )

50.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이분법에 의해 증식한다. ( O )

BIOLOGY 2020 155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7회 정답과 해설
1. 진핵세포의 리보솜은 평소에는 40s, 60s 소단위체로 존재하다가 mRNA에 결합하면 80s 리보솜이 되어 번역을

진행한다. ( O )

- 원핵은 30s + 50s = 70s, 진핵은 40s + 60s = 80s입니다.

2. 리소좀, 골지체로 이동할 단백질과 막관통 단백질은 결합 리보솜에서 합성된다. ( O )

- 리소좀을 포함한 분비성 단백질은 모두 조면소포체의 결합 리보솜을 통해 합성됩니다.

3. 포도당과 설탕은 베네딕트 용액의 Cu2+를 Cu+로 환원시킨다. ( X )

- 베네딕트 용액은 환원성을 가진 탄수화물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청색 → 적색의 침전물을 생성합니다. 환원당은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면서 자신은 산화될 수 있는 당으로 포도당과 같은 모든 단당류와 엿당, 젖당과 같은 일부 이당류가 환원당에 해당됩니다.

설탕은 이당류이지만 비환원 당이며 다른 모든 다당류도 비환원 당입니다.

- 모든 단당류 : 환원당

- 젖당, 엿당 : 환원당, 설탕 : 비환원 당

- 모든 다당류 : 비환원당

4. 식물세포에서 녹말은 스트로마, 설탕은 세포질에서 발견된다. ( O )

- 암반응으로 고정된 탄소는 엽록체의 스트로마에서 녹말로 합성되어 저장되거나, 세포질로 이동하여 설탕으로 전환됩니다. 설탕은

엽육세포에서 방출되어 체관부에 적재되고 에너지원이나 다른 저장기관으로 이동해 다당류 형태로 전환됩니다.

5. 녹말을 구성하는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에 각각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반응을 진행하면 모두 청남색이 나타난다.

(X)

- 아밀로오스의 긴 나선 구조에 요오드 분자가 결합하여 청남색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아밀로펙틴은 나선의 길이가 짧아 요오드

분자가 결합하지 못해 본래 색인 갈색을 띠게 됩니다. 녹말은 20%의 아밀로오스와 80%의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므로 요오드-

요오드화 칼륨 처리 시 아밀로오스에 의한 청남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 다당류에 각각 요오드-요오드화 칼륨 시약을

처리하면 아밀로펙틴에서는 청남색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6. 동물의 양분 저장 형태인 글리코겐보다 식물의 양분 저장 형태인 아밀로펙틴에서 더 많은 곁가지가 관찰된다. ( X )

- 글리코겐은 중심 다당류에서 8~12 잔기마다, 아밀로펙틴은 24~30 잔기마다 a(1→6) 곁가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두 다당류 모두

하나의 환원 말단과 곁가지 끝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비환원 말단을 가지며, 다당류를 분해하는 효소는 비환원 말단 쪽에서 부터

포도당을 절단하기 때문에 곁가지가 더 많은 글리코겐에서 아밀로펙틴에 비해 더 빠르게 포도당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7. 원핵생물은 콜레스테롤 대신 호파노이드를 합성한다. ( O )

- 스테롤의 일종인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로 식물이나 균류, 원핵생물에서는 합성되지 않고 동물에서만

합성됩니다. 특히 원핵생물은 스테롤 대신 스테롤과 비슷한 물질인 호파노이드(hopanoid)를 합성할 수 있습니다.

BIOLOGY 2020 156 ©THE BASIC SIMPLICITY


8. 티로신은 멜라토닌, 세로토닌, 옥신의 전구체 아미노산이며, GABA의 전구체 아미노산은 글루탐산이다. ( X )

- 멜라토닌과 세로토닌, 옥신은 모두 트립토판에서 유래됩니다. 티로신은 티록신, 에피네프린의 전구체 아미노산입니다.

9. 프로테아좀은 유비퀴틴이 결합된 폴리펩티드를 인식해 분해한다. ( O )

- 프로테아좀은 세포소기관이 아니라 단백질 분해효소입니다.

10. 샤페론의 작용에는 GTP가 필요하다. ( X )

- ATP가 필요합니다.

11. 채널은 물질 수송 시 단백질의 구조 변화가 일어나며 수송 물질에 의해 포화되지 않는다. ( X )

- 채널은 단백질 구조 변화 없이 물질을 수송 시키며, 다른 수송 단백질과 달리 수송 물질로 포화되지 않습니다.

12. 삼투 농도가 300mOsm/L인 적혈구 현탁액에 0.2M의 NaCl을 처리하면 용혈현상이 일어난다. ( X )

- 정상 적혈구 삼투압은 약 300mOsm/L으로 0.9% NaCl 생리식염수와 같습니다. 0.2M의 NaCl은 0.4M=400mOsm/L로 고장액

상황이라 적혈구는 용혈되지 않고 수축만 됩니다.

13. 설탕은 육탄당 2개가 a(1→2)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 O )

14. 인테그린은 세포 내의 액틴 미세섬유를 세포 외부의 기질 단백질과 연결 시키는 역할을 한다. ( O )

- 인테그린은 막관통 단백질로 세포질 쪽에 미세섬유가 연결되어 세포와 세포외 기질(ECM)을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15. 동물세포막 인지질 이중층에서 포스파티딜 세린은 주로 세포질 쪽, 포스파티딜 콜린은 세포 외부쪽에 존재한다. ( O )

- 세포막의 인지질의 분포는 비대칭적이며 플립파아제(flippase)와 플롭파아제(floppase)가 ATP를 소모해 이런 비대칭성을

유지합니다. 또 다른 세포막 효소인 스크램블에이스(scramblase)는 칼슘 신호 시 인지질의 비대칭성을 제거합니다.

스크램블에이스의 작용으로 세포사멸 시 포스파티딜 세린이 세포막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스크램블에이스 작용에는 ATP가

소모되지 않습니다.

16.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은 폐에서 계면활성제로 작용하여 폐포의 표면장력을 낮춰준다. ( X )

- 폐포에서 계면활성제 작용을 하는 인지질은 레시틴(포스파티딜 콜린)입니다.

17. 세포막에 존재하는 내재성 단백질의 존재를 증명한 실험은 동결파쇄법이다. ( O )

18. 식물의 액포막에서 발견되는 능동수송 펌프는 V-class 펌프로 ATP를 사용하여 H+를 이동시킨다. ( O )

19. 1차 능동수송은 용질의 농도구배 역행과정이 ATP의 가수분해로 수행되며, 2차 능동수송은 1차 능동수송으로 생성된

용질의 농도구배를 이용하여 다른 용질이 농도에 역행해 운반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 O )

- 1차 능동 수송의 대표적인 예로는 세포막의 Na+/K+ 펌프, 근소포체의 Ca2+ 펌프 등이 있으며, 2차 능동 수송의 대표적인 예로는

소장 상피 세포의 포도당 흡수 기작이 있습니다.

20. 미토콘드리아에 짝풀림물질을 처리하면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NADH의 소비가 감소한다. ( X )

- 짝풀림제에 의해 ATP 생성이 억제되지만 전자전달계는 더 활발히 진행되므로 NADH 소비는 증가합니다.

BIOLOGY 2020 157 ©THE BASIC SIMPLICITY


21. 미토콘드리아의 FoF1의 기저부를 통한 H+ 이동에 의해 ATP 합성효소의 구조변화가 유도된다. ( O )

- 미토콘드리아의 FoF1 복합체는 ATP 구동 펌프 중 하나입니다. 전자전달계에 의해 H+의 농도 기울기가 생기면 H+의 이동 추진력에

의해 Fo 부위가 회전하면서 F1 내에 존재하는 3개의 a, b 소단위체들의 구조가 바뀌면서 ATP 합성이 유도됩니다.

22. 미토콘드리아의 기질에서 기질 수준 인산화가 일어난다. ( O )

- TCA 회로에서 숙시닐-CoA 신테테이스는 기질 수준 인산화를 통해 GTP를 생성합니다.

23.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작용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 O )

- 디나민(dynamin) 단백질이 코트 단백질을 제거할 때 GTP가 소모됩니다.

24. 아미노산 사이의 펩티드결합 형성은 물이 첨가되는 반응이다. ( X )

- 펩티드결합은 2개의 아미노산 간의 공유 결합으로 아미노산의 아미노 그룹과 카복실 그룹이 탈수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결합입니다.

25. 포도당 2분자를 엿당으로 만드는데 에너지가 필요하다. ( O )

- 동화과정은 대체로 흡열과정으로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화과정은 발열과정으로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26. 경쟁적 저해제를 처리하면 효소의 KM은 증가하지만 Vmax는 일정하다. ( O )

- 경쟁적 저해제의 효과는 기질을 과량 넣음으로써 극복될 수 있습니다.

27. 비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와 기질 간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지만 효소의 대사회전수를 감소시킨다. ( O )

- 대사회전수는 한 개의 효소에 의해 단위 시간당 생성물로 바뀌는 기질 분자의 수인 Kcat 값을 의미합니다. 비경쟁적 저해제는

효소나 효소-기질 복합체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다른 자리에 저해제가 결합하며, Kcat 값이 감소시킵니다.

28. 비경쟁적 저해제는 효소의 KM은 일정하지만, Vmax는 감소시킨다. ( O )

29. 페니실린은 펩티도글리칸의 교차결합을 촉매하는 펩티드전이효소를 가역적으로 억제시킨다. ( X )

- 페니실린은 대표적인 비가역 억제제입니다.

30. 심바스타틴과 같은 스타틴계 약물은 HMG-CoA 환원효소를 경쟁적으로 억제한다. ( O )

- 스타틴계 약물은 대표적인 고지혈증 치료제입니다. HMG-CoA는 콜레스테롤 합성 과정의 속도제한단계에서 작용하는 효소 중

하나입니다.

31. AMP, ADP, F-2,6-BP는 해당과정의 속도제한단계에 작용하는 PFK-1을 경쟁적으로 촉진한다. ( X )

- 알로스테릭 촉진자로 경쟁적으로 촉진한다라는 말은 틀렸습니다.

32. 기질로 작용하는 ATP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FK-1에 대해 알로스테릭 촉진제로 작용한다. ( X )

- ATP와 시트르산은 PFK-1의 알로스테릭 억제자입니다.

33. 티아민의 결핍은 각기병의 원인이 된다. ( O )

- 티아민은 비타민 B1으로 a-케토산의 탈카르복시화 반응에 관여하여 티아민이 결핍되면 정상적인 피루브산 산화를 진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특히 필요한 대부분의 에너지를 포도당 산화를 통해 얻는 뇌세포가 큰 피해를 입게되며, 다른 신체 여러 부위에서도

이상이 생기는 각기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4. 해당과정으로 생성된 피루브산은 채널 단백질을 이용해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동한다. ( X )

- 세포질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은 H+와 공동 수송으로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동합니다.


BIOLOGY 2020 158 ©THE BASIC SIMPLICITY
35. 해당과정과 달리 시트르산 회로는 혐기성 조건에서 일어날 수 없다. ( O )

- 시트르산 회로는 전자전달계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시트르산 회로 과정은 일어날 수 없습니다.

36. 전자전달계는 NADH와 같은 전자공여체로부터 전자수용체로 전자를 전달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 O )

37. 동물에서 PPP회로는 스테로이드 합성이 활발한 부신피질, 지방조직 등에서 활발히 일어난다. ( O )

- 오탄당 인산 경로의 생성물인 NADPH는 해독과정이나 지방산, 콜레스테롤 합성 과정에 필요하므로 부신피질, 지방조직 등에서

PPP회로가 활발히 진행됩니다.

38. 순환적 광인산화 반응에는 산소가 생성되지 않는다. ( O )

- 물의 광분해가 일어나지 않으며, NADPH의 생성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39. 광계 II는 Cu를 보조인자로 가지는 단백질이다. ( X )

- 광계 II의 반응 중심에는 마그네슘(Mg)을 가지는 엽록소 a와 망간(Mn)을 지니는 산소 발생 복합체가 있습니다. 구리(Cu)는 광계

II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40. 세포골격은 미세소관, 미세섬유, 중간섬유 등으로 이루어진다. ( O )

- 이들을 묶어 세포골격단백질이라 합니다.

41. 인은 핵 안의 막성 소기관으로 전사가 활발한 간기의 경우 1개 이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 X )

- 인에는 막이 없습니다.

42. 지방의 분해 산물인 글리세롤은 인글리세르산, 글리세르 알데히드로 전환되어 해당과정으로 유입된다. ( O )

43. 전자전달계의 최종수용체는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에서 다르다. ( O )

-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산소, 비순환적 광인산화의 경우는 NADPH입니다.

44. 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균은 대표적인 그람 양성균에 속한다. ( O )

45. 대장균, 살모넬라, 연쇄상구균은 대표적은 그람 음성균이다. ( X )

- 연쇄상구균은 대표적인 그람 양성균입니다.

46. 내독소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 성분이며, 외독소는 그람 음성, 양성균의 성장 시 세포 내에서 형성되는 독소이다.

(X)

- 내독소는 그람 음성균의 LPS 층이 떨어져 나온 구조입니다.

47. 원핵생물의 DNA 중합효소의 종류는 3종류이며, RNA 중합효소는 1종류이다. ( O )

48. 물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기질쪽에서 산화적 인산화 과정으로 생성된다. ( O )

49. 미토콘드리아의 주름 구조는 심근세포보다 후각세포에서 더 발달되어 있다. ( X )

- 미토콘드리아의 주름 구조를 크리스테라고 합니다. 크리스테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전자전달계가 더 많이

일어날 수 있게 해줍니다. 심근세포가 후각세포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의 크리스테도 더 발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50. 식물세포의 보상점은 엽록체들의 CO2 흡수량과 미토콘드리아의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같은 지점이다. ( O )

BIOLOGY 2020 159 ©THE BASIC SIMPLICITY


PART I – 8회 정답과 해설
1.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글리코겐을 사람이 섭취했을 때 모두 소화될 수 있다 ( O )

2. 같은 질량의 셀룰로오스와 글리코겐의 비환원 말단의 수는 동일하다. ( X )

- 글리코겐은 곁가지가 많은 구조로 하나의 환원 말단과 다수의 비환원 말단을 가지는 반면, 셀룰로오스는 선형의 다당류이므로 질량

대비 더 적은 비환원 말단 수를 갖습니다.

3. 글리코겐과 셀룰로오스는 모두 a-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 X )

-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이 b(1→4)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4. 근육세포에 존재하는 활면소포체에서 칼슘이 방출되면 근육이 수축한다. ( O )

- 근소포체는 근육 수축을 위한 칼슘 이온의 저장 장소입니다. 운동 신경의 아세틸콜린 신호에 의해 근소포체에서 칼슘 이온이

방출됩니다.

5. 조면소포체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신호서열에 따라 리소좀, 미토콘드리아, 핵으로 이동한다. ( X )

- 미토콘드리아와 핵 등에서 사용되는 단백질은 세포질의 자유리보솜에서 합성됩니다. 따라서 조면소포체 내강에서 PDI에 의해

형성되는 이황화결합은 미토콘드리아, 핵 단백질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으며, 단백질의 접힘도 번역과 동시에 스스로 접혀지거나

샤페론의 도움을 받아 접혀집니다.

6. 간세포에 존재하는 골지체는 당신생합성으로 혈당량 조절에 관여한다. ( X )

- 골지체는 분비성 단백질을 가공하는 장소로 당신생합성과는 관련없습니다. 당신생합성은 주로 간과 신장에서 미토콘드리아 –

세포질 – 활면소포체를 경유하여 일어납니다.

7. 카드헤린의 작용에는 마그네슘 이온이 필요하다. ( X )

- 카드헤린(cadherin)이란 이름은 칼슘의존접착(calcium-dependent adhesion)에서 나왔으며, 이름처럼 작용에 칼슘 이온이

필수적입니다. 마그네슘은 카드헤린의 작용과 직접적 관련이 없습니다.

8. 카드헤린은 동종의 세포모임을 가능하게 하여 조직형성과정에 기여한다. ( O )

- 카드헤린은 발생 과정, 데스모좀 등에서 흔히 발견되는 단백질입니다.

9. 심한 운동 후 2개의 젖산을 다시 포도당으로 회복하는 데에는 6분자의 ATP가 소모된다. ( O )

- 포도당이 근육에서 젖산으로 발효되고, 다시 간에서 포도당으로 회복하는 이 과정을 코리 회로라 부릅니다.

10. 글리옥실산 회로는 세포 내의 NADH 비가 감소했을 때 신장 세포에서 주로 일어난다. ( X )

- 글리옥실산 회로는 식물 종자에서 지방산의 아세틸 CoA를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반응으로 동물에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11. 퍼옥시좀은 골지체로부터 유래하며 글리옥실산 회로에 관여한다. ( X )

- 글리옥실산 회로는 글리옥시좀에서 일어나며 글리옥시좀은 후에 퍼옥시좀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다만, 퍼옥시좀은 골지체에서

유래되지 않으며,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처럼 이분법을 통해 자가 증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소포체와 골지체로부터 유래되는

소기관은 리소좀입니다.
BIOLOGY 2020 160 ©THE BASIC SIMPLICITY
12. 글리옥실산 회로는 혈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졌을 때 활성화된다. ( X )

- 동물세포에서는 글리옥시좀이 없기 때문에 혈중 포도당 농도와 관계없이 글리옥실산 회로 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13. 살아있는 세포는 죽어있는 세포에 비해 트랜스시토시스 등 막을 가로지르는 물질 수송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 O )

14. 알로스테릭 효소는 2개 이상의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 O )

15. 간세포에서 ATP의 농도가 낮고 AMP의 농도가 높을 때 PFK-1의 반응은 촉진될 것이다. ( O )

- ATP는 알로스테릭 억제자, AMP는 알로스테릭 촉진자입니다.

16. 세포소기관의 원심분리를 위해 수행하는 균질기는 세포소기관 막을 파괴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 X )

- 세포막, 세포벽 등을 파괴하는 용도입니다.

17. 세포 호흡 저해제를 처리하면 엔도시토시스와 같은 작용이 억제된다. ( O )

-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스와 같이 물질 흡수에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억제됩니다.

18. 세포 내막계를 통한 단백질의 지속적인 세포외 분비는 세포막 면적을 감소시킨다. ( X )

- 단백질의 분비는 분비 소낭에 포장되어 분비되는데, 분비할 때마다 분비 소낭이 세포막에 융합되므로 세포막 면적은 증가합니다.

19. 조면소포체에 결합되어 있는 리보솜은 단백질과 각종 rRNA로 구성되며, 핵의 인에서 만들어진다. ( O )

20. 정상인에서 세포자살 시 세포외 기질에서 리소좀의 b-D-헥소사미니데이스 농도는 세포괴사에 비해 높을 것이다. ( X )

- 세포가 무분별하게 파괴되는 세포괴사와 달리 세포자살은 세포가 분절화되며 세포 내액이 누출되지도 않습니다.

21. DCMU는 광계 II에서 플라스토퀴논으로의 전자전달, 파라쿼트는 페레독신으로 부터 전자를 빼앗아 산소에 전달하는

광합성 저해제이다. ( O )

- 특히 파라쿼트는 고엽제의 성분으로 활성산소를 만들어 지질막을 파괴합니다.

22. 광호흡 경로에서 세린과 글리신이 발견되며, 이 아미노산들은 미토콘드리아에서 발견된다. ( O )

- 글리신은 글리콜산→글리옥실산→글리신 과정으로 퍼옥시좀에서 처음 만들어집니다. 생성된 글리신은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해 세린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합니다.

23. 광호흡 경로는 엽록체 – 퍼옥시좀 – 미토콘드리아 – 퍼옥시좀 – 엽록체를 순환하며 일어난다. ( O )

24. 광호흡 경로 중 미토콘드리아 구간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 O )

25. 발리노마이산과 DNP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전위차를 증가시킨다. ( X )

- 짝풀림제이므로 전위차를 감소시킵니다.

26. 올리고마이신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전위차를 감소시킨다. ( X )

- ATP의 합성이 억제되므로 전위차가 증가하고 결국에는 전자전달계가 멈추게 됩니다.

27. 전자전달계에 로테논을 처리하면 전자전달계 복합체 I의 환원 정도가 증가한다. ( O )

- 로테논은 전자전달계 복합체 I에서 유비퀴논으로의 전자전달을 억제하므로 복합체 I의 환원 정도가 올라갑니다.

28. 나트륨-칼륨 펌프는 장 상피세포의 기저부에 위치하여 막전위를 형성한다. ( O )

BIOLOGY 2020 161 ©THE BASIC SIMPLICITY


29. 위 벽세포의 H+/K+ 펌프는 역방향 교환체이다. ( O )

- ATP가 사용되고, H+는 위 내강으로, K+는 위 벽세포 안으로 들어옵니다.

30. 시토크롬 C를 지표인자로 가지는 세포소기관은 모계유전을 나타낸다. ( O )

- 미토콘드리아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31. 세균의 편모 운동의 원동력은 막 안팎의 수소 이온 농도의 차이이며, 편모 운동 시 수소 이온은 세포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온다. ( O )

- 원핵생물의 편모운동은 수소 이온 농도차, 진핵생물은 ATP를 사용합니다.

32. 엽록체의 ATP 합성효소는 엽록체 내막에 존재한다. ( X )

- 광계 I, II 와 함께 틸라코이드 내막에 존재합니다.

33. 미토콘드리아의 ATP 합성효소는 세포 내막에서 기질 쪽에 존재한다. ( O )

34. 식물세포에서 카로티노이드 등의 색소는 액포에 존재한다. ( X )

- 엽록소와 함께 틸라코이드 내막에 존재합니다.

35. 단백질의 3차 구조에 대한 정보는 단백질이 변성되면 사라진다. ( X )

- 단백질 3차 구조에 대한 정보는 1차의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변성으로 사라지지 않습니다. 변성 조건이 사라지면

단백질의 3차 구조가 회복될 수 있으며, 이를 입증한 실험이 안핀센의 실험입니다.

36. 원핵생물은 조면소포체가 없기 때문에 원핵생물에서 생합성되는 효소에서 이황화결합이 발견되지 않는다. ( X )

- 세포질에 존재하는 효소로 이황화결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37. 효소의 안정성은 이황화결합 수에 비례한다. ( X )

- 단백질의 이황화결합은 효소의 입체구조와 활성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효소의 안정성이 단순히 이황화결합 수에 비례한다고

할 수 없습니다.

38. 그람 음성균은 그람 양성균에 비해 숙주세포에서 병원성을 더 높게 나타낸다. ( O )

39. 그람 양성균의 세포벽 구조를 안정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화학결합 중 하나는 펩티드 결합이다. ( O )

40. 페니실린과 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함께 처리하면 페니실린의 항균력을 높일 수 있다. ( X )

- 페니실린은 펩티도글리칸의 형성을 억제하여 세균이 생장이나 물질대사를 하면서 만들어내는 삼투압 등에 의해 터져 죽게 만드는

항생제입니다. 따라서 활발히 성장하는 세균에 페니실린을 처리해야 더 높은 항균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41. 단백질의 2차 구조는 이황화결합으로 안정화된다. ( X )

- 2차 구조는 수소결합에 의해 안정화되며, 이황화결합은 3차 구조에 관여합니다.

42. 단백질의 변성요인이 제거되면 다시 본래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 O )

- 안핀센의 실험이 이를 입증했습니다.

43. 구형 단백질의 내부는 소수성, 외부는 친수성이다. ( O )

- 체내는 대부분 친수성 환경이므로 구형 단백질의 경우 외부에는 주로 친수성 아미노산이, 내부에는 소수성 아미노산이 위치합니다.

BIOLOGY 2020 162 ©THE BASIC SIMPLICITY


44. 단백질의 변성으로 용해도가 감소한다. ( O )

45. 단백질에 SDS를 첨가하면 용해도는 증가한다. ( X )

- 단백질이 변성되면 용해도가 감소합니다.

46. 단백질에 DTT와 SDS를 처리하면 단백질의 이황화결합은 파괴되고, 단백질이 아미노산 수에 비례한 음전하를 가지게

된다. ( O )

- DTT는 환원제로 이황화결합을 파괴하고, SDS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단백질이 음전하를 띠도록 합니다.

47. 단백질에 황산암모늄과 같은 염을 과량 처리하면 단백질의 용해도는 감소한다. ( O )

- 적당한 양의 염은 단백질의 용해도를 증가시키지만, 고농도의 염을 처리할 경우, 염이 단백질 전체를 둘러싸 물분자가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단백질의 용해도가 감소합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한 단백질 분리 실험이 염석(salting out)입니다.

48. 비경쟁적 억제자와 불경쟁적 억제자는 모두 효소의 Kcat 값을 감소시킨다. ( O )

49. 아밀로오스는 식물에서 에너지 저장 기능을 하며, 나선형 구조를 가진다. ( O )

- 녹말의 구성성분인 아밀로오스는 나선 구조를 가지며, 나선 사이로 요오드 분자가 결합하여 요오드 시약 반응 시 청남색을 띠게

합니다. 동물의 에너지 저장 다당류는 글리코겐입니다.

50. 효소 라인위버-버크 그래프의 X절편이 0보다 작은 구간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수록 KM 값은 증가한다. ( O )

BIOLOGY 2020 163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1회 정답과 해설
1. 체세포 분열은 유전물질의 증폭, 유전 물질의 분배, 세포질 분열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 O )

2. 상동염색체는 모양, 무늬, 밴드가 동일하며, 같은 좌위에서 대립유전자쌍이 발견된다. ( O )

3. 핵의 염색질은 메틸렌 블루, 아세트산 카민, 헤마톡실린 등으로 염색된다. ( O )

- 핵에는 핵산이 풍부하므로 염기성 염색약에 염색됩니다.

4. 진정염색질은 유전자가 활발히 발현되는 구조로 DNA의 메틸화가 감소되어 있다. ( O )

- 염색체 부위에서 진정염색질과 이질염색질(이형염색질) 상태를 결정하는 마커는 히스톤의 아세틸화와 DNA의 메틸화입니다. 히스톤

N-말단 꼬리의 아세틸화는 진정염색질 상태로 만들어주며, DNA 메틸화는 메틸화된 부위를 소수성으로 만들어 친수성 환경에서

DNA가 뭉쳐지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활발히 전사가 진행중인 진정염색질은 히스톤은 아세틸화 되어 있고, DNA의 메틸화는

감소되어 있습니다.

5. 이질염색질은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는 부위로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증가되어 있다. ( X )

- 히스톤의 아세틸화 → 염색체 탈응축(진정염색질), 히스톤의 탈아세틸화 → 염색체 응축(이질염색질)

6. 염색분체는 S기에 서로 복제된 쌍을 이루는 각각의 염색체 한 가닥을 의미한다. ( O )

- 복제된 동일한 2개의 염색체를 자매 염색분체(sister chromatid)라 합니다.

7. 염색체가 최대로 응축되어 핵형 분석에 가장 좋은 시기는 M기의 중기이다. ( O )

- 염색체는 분열기 이외에는 염색사 형태로 풀려있어 염색체를 관찰하기 어렵고, 분열기 중기에 자매 염색분체가 세포의 적도면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관찰하기가 가장 좋습니다.

8. 후기에서 성상체 방추사는 자매 염색분체를 양극으로 끌고 가는 역할을 한다. ( X )

- 성상체 방추사는 성상체에서 세포 외부로 뻗어 있는 방추사로 염색체에 결합되어 있지 않습니다. 각각의 자매 염색분체와 결합해

염색체를 세포의 양극으로 끌고 가는 방추사는 동원판 방추사입니다.

9. 리보솜과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등은 정확히 같은 수가 양쪽 딸세포로 나뉘어진다. ( X )

- 핵을 제외한 세포 소기관은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습니다. 특히 자체 DNA를 가지는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의 경우 불균등한 분배로

인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의 형태를 세포질 유전이라 하며, 자손의 표현형은 모계 형질을 따르고 분배 비율에 따라

표현형의 변이가 넓게 나타납니다. 세포질 유전을 나타내는 미토콘드리아성 질병으로는 레버 유전성 시신경 장애, 미토콘드리아성

근육병증 등이 있습니다.

10. MPF는 G2 → M기 진행을 유도한다. ( O )

- MPF는 사이클린 B + CDK 1으로 M기 촉진자입니다.

11. 사이클린은 특정 시기에 따라 양이 증감하고, CDK는 세포 주기 내내 존재하는 세포주기 조절인자이다. ( O )

12. PDGF, EGF, FGF 등은 대표적인 분열 촉진 인자이다. ( O )

BIOLOGY 2020 164 ©THE BASIC SIMPLICITY


13. MPF는 S기에 핵막의 라민을 인산화하여 핵막이 일시적으로 소실되게 한다. ( X )

- MPF는 G2기 후반부 부터 작용하며 M기의 전기에 라민을 인산화하여 핵막이 소실되게 합니다.

14. MPF는 미오신을 탈인산화하여 수축환의 조기 생성을 억제한다. ( X )

- MPF는 보통 단백질을 인산화 시킴으로써 그 작용을 조절합니다. MPF에 의해 미오신은 인산화되어 조기 수축환 형성이 억제되고,

콘덴신도 인산화되어 DNA 응축을 촉진합니다. 또한 라민도 인산화시켜 핵막의 소실을 유도합니다.

15. 양성종양은 악성종양과 달리 천천히 자라며, 성장이 멈추는 휴지기가 나타날 수 있다. ( O )

16. 암은 고유의 기능을 잃고 탈분화 된 미성숙 상태이다. ( O )

17. 산소 고갈이나, DNA 파손 등의 스트레스 상황이 오면 p53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해 세포자살이 촉진된다. ( O )

18. cDNA는 mRNA를 주형으로 역전사효소를 이용해 상보적으로 합성한 DNA를 의미하며, 인트론 서열을 포함한다.

(X)

- 원핵생물의 cDNA에는 아예 인트론 서열이 없으며, 진핵세포의 경우에도 핵에서 전사되자마자 스플라이싱 가공 과정을 거치므로

성숙 mRNA를 이용한 cDNA에는 인트론 서열이 포함될 수 없습니다.

19. 세포자살이 일어나면 세포막 내층의 포스파티딜 세린이 세포 표면으로 노출된다. ( O )

20. 세포괴사의 DNA 파손은 규칙적으로 절편화된다. ( X )

- DNA가 무분별하게 파괴되는 세포괴사와 달리 세포자살은 깔끔하게 규칙적으로 절단됩니다.

21. 세포자살 후 남은 세포 파편은 주변의 식세포나 세포들이 섭식하여 재활용한다. ( O )

- 세포괴사 역시 남은 잔해물이 식세포에 유입되고 섭식되지만 세포 구성 물질이 주변 세포들로 흡수되어 재활용되지는 않습니다.

22. 세포 내부의 Fas 리간드는 세포자살을 일으키는 신호 전달을 촉진한다. ( X )

- Fas 리간드는 세포 외부에서 오는 세포자살 신호로 캐스페이스를 활성화 해 DNA가 절단되게 만듭니다. 세포 내부가 손상된다면

p53이 활성화되어 미토콘드리아에서 시토크롬 C를 세포질로 방출하게 하고, 시토크롬 C는 캐스페이스를 활성화 해 DNA를

절단되게 만듭니다.

23. 세대를 거치면서 각 생물들이 고유한 염색체를 유지하기 위해 배우자를 만드는 과정을 감수분열이라 하며, 이는

원핵생물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 O )

- 일반적으로 대장균 등의 원핵생물은 성선모를 통해 유전물질을 전달하거나, 이분법을 통해 증식합니다.

24. 접합사복합체를 통해 상동 염색체가 짝을 이룬 구조를 사분 염색체라 한다. ( O )

- 사분 염색체 또는 이가 염색체라 합니다. 접합사복합체는 키아즈마랑은 다른 구조이며 제1감수분열 전기 때 상동 염색체를 염색체

전체에 걸쳐서 하나로 묶는 작용을 합니다. 이때 대립 유전자들은 서로 동일한 순서로 나란히 배열됩니다.

25. 제1감수분열 중기에 상동 염색체 사이에 키아스마 구조가 형성되어 딸세포의 유전적 다양성이 증가한다. ( X )

- 키아스마에 의한 교차 현상 역시 제1 감수분열 전기에 나타납니다. 교차는 4개의 염색분체 중 어느 두 개 사이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교차 위치도 무작위적으로 일어납니다.

BIOLOGY 2020 165 ©THE BASIC SIMPLICITY


26. 염색체의 역위란 염색체 내의 유전 정보 배열 순서가 뒤바뀌는 현상이다. ( O )

- 결실, 중복, 역위, 전좌는 모두 염색체 구조 이상 돌연변이입니다.

27. 돌연변이 물질은 DNA의 구조 변성 및 염기 이상을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의 시토크롬 P-450에 의해 산화되면서

반응성이 극대화되기도 한다. ( X )

- 시토크롬 P-450은 간세포의 활면소포체에서 해독 작용을 담당합니다. 돌연변이 물질은 체내에서 시토크롬 P-450에 의해

대사되면서 반응성이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28. AA, aa 순종끼리 교배했을 때 F1 세대에서 나타나는 형질을 우성, 나타나지 않는 나머지 형질을 열성이라 한다. ( O )

- F1 세대에서는 유전자형이 Aa인 개체 밖에 나오지 않으므로 A가 우성 형질일때, 모든 자손은 A 표현형을 따르게 됩니다.

29. 분리의 법칙에 따라 두 이형접합자를 교배하면 자손의 표현형의 분리비는 9:3:3:1이 된다. ( X )

- 단순 이형접합자를 교배하면 자손의 표현형의 분리비는 3:1이 나옵니다. 양성 잡종의 자가교배 시 두 유전자가 독립되어 있는

경우(AaBb)에 9:3:3:1의 표현형이 나타납니다.

30. 혼합 유전설은 여러 세대에 걸쳐 형질이 혼합되더라도 극단적인 형질을 지닌 개체들의 존재를 설명할 수 없다. ( O )

31. 독립의 법칙에 따라 배우자를 형성할 때 다른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 O )

32. 한 개의 유전자가 여러 형질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복대립이라 하며 겸상 적혈구 빈혈증이 대표적이다. ( X )

- 한 개의 유전자가 여러 표현형에 영향을 주는 유전 현상은 다면발현(pleiotropy)입니다. 겸상 적혈구 빈혈증은 빈혈 이외에도 골수

문제, 심장 기능 부전, 류마티즘,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겸상 적혈구 이외의 대표적인 다면발현에는

페닐케톤뇨증, 마르판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복대립유전자(multiple allele)는 한 유전자에 대해 3개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하는

형태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ABO식 혈액형이 있습니다.

33. 우성인자와 달리 열성인자는 열성인자의 표현형이 불리한 환경조건에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 O )

- 우성과 달리 열성은 이형 접합자인 보인자 형태면 표현형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열성 인자의 표현형에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도

살아 남을 수 있습니다.

34. 열성 치사 유전자에 대해 표현형과 유전형 비율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 O )

- 열성 치사는 열성 대립 유전자가 동형 접합자로 존재할 때 개체가 사망하는 현상입니다.

- 표현형의 비는 AA : Aa : aa = 3 : 0, 유전형의 비는 1 : 2 : 0으로 나타나므로 표현형과 유전형의 비율은 서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35. 복대립유전자란 한 좌위에 세 개 이상의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 O )

- ABO식 혈액형에서 A, B는 공동우성의 특징을 가지고, A, B, O는 복대립유전자의 특징을 가집니다.

36. 한성 유전과 종성 유전은 상염색체에 관련 유전자가 존재한다. ( O )

- 한성 유전은 생식기관의 차이로 하나의 성에서만 표현형이 나타나는 상염색체성 유전이며, 종성 유전은 다른 여러 원인들로 인해

성에 따라 우열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 상염색체성 유전 현상입니다. 한성 유전은 종성 유전의 극단적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성염색체가 관여하는 유전은 반성 유전입니다.

37. 사람의 성 결정은 X염색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XXY의 경우 여성으로 남성의 특징이 나타난다. ( X )

- 사람의 성결정은 Y염색체의 SRY 유전자에 의해 정해지며, XXY는 남성이지만 여성의 특징을 가지는 클라인펠터 증후군 환자입니다.
BIOLOGY 2020 166 ©THE BASIC SIMPLICITY
38. 초파리의 거대 침샘 염색체는 세포 분열 없이 DNA만 복제된 결과이다. ( O )

- 거대 침샘 염색체는 세포 분열 없이 복제된 동일한 염색분체가 천개 이상 접합해 거대한 띠 모양의 염색체를 형성한 것을

말합니다. 거대 염색체에서 유전자 발현이 활발하여 염색체가 부푼 부분을 퍼프라 합니다.

39. 하디-바인베르크 집단이 유지되기 위해선 자연 선택이 일어나야 하며, 교배가 무작위로 일어나야 한다. ( X )

-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이 유지되기 위해선 자연선택이 일어나선 안됩니다.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이 유지되기 위해선 개체군이

충분히 커야하며, 교배가 무작위로 일어나고 유입과 유출 등의 유전자 흐름이 일어나지 않고,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이 없어야

합니다.

40. 초파리의 성은 Y염색체와 상염색체의 비율이 결정한다. ( X )

- 초파리는 사람과 달리 X 염색체와 상염색체의 비율이 성을 결정합니다. X/A가 1 이상이면 암컷, X/A가 0.5 이하 이면 수컷입니다.

만약 상염색체가 3n, 성염색체가 XXXXY인 경우 X/A의 비율은 1.33로 암컷입니다.

41. 그리피스의 형질전환 실험으로 유전물질의 존재를 증명했으며, 유전물질이 DNA임을 증명하였다. ( X )

- 그리피스의 형질전환 실험은 폐렴 쌍구균의 S형과 R형으로 진행한 실험으로 유전물질의 존재를 증명했지만, 유전물질이 무엇으로

구성됐는지에 대해선 증명하지 못했습니다. DNA가 유전물질임을 확립한 것은 허시, 체이스의 T2 파지를 이용한 실험입니다.

42. 초파리의 성염색체 양적 보정은 수컷 X 염색체의 발현 증가로 이루어진다. ( O )

- 바소체에 의한 사람의 성염색체 양정 보정과 달리 초파리의 경우는 수컷 X 염색체의 발현량을 암컷 발현량 만큼 늘려 X 염색체

개수 차이를 극복합니다.

43. B형 DNA는 물이 풍부한 상황에서 관찰되는 구조로 DNA가 왼 나선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 X )

- B형 DNA는 체내에서 주로 발견되는 DNA 형태로 왼 나선이 아닌 오른 나선으로 회전하는 형태입니다. 왼 나선으로 회전하는 것은

Z-형 DNA입니다.

44. 원핵과 진핵세포의 DNA 중합효소는 언제나 5’→3’ 방향으로 복제를 진행하며, 5’-OH가 있어야 합성이 개시될 수

있다. ( X )

- 5’-OH가 아닌 3’-OH 입니다.

45. 클레나우 절편은 5’→3’ 핵산말단가수분해효소 활성을 지니고 있다. ( X )

- 클레나우 절편은 DNA Pol이 쪼개져 생성된 절편입니다. 5’→3’ 핵산말단가수분해효소 활성은 프라이머를 제거하는 기능으로

클레나우 절편은 이 기능이 없어 프라이머를 제거하지 못합니다.

46. 대장균의 헬리케이스는 DNA를 단일 가닥으로 풀어주는 역할을 하며, ATP를 소모하지 않는다. ( X )

- 헬리케이스(DnaB)는 ATP를 소모해 DNA를 단일 가닥으로 풀어줍니다.

47. 지연가닥의 오카자키 절편은 DNA 중합효소 I이 합성한다. ( X )

- 오카자키 절편 역시 DNA 중합효소 III가 합성합니다. DNA 중합효소 I은 오카자키 절편의 RNA 프라이머를 제거하고 DNA를

채워넣는 역할을 하며, 리가아제는 오카자키 절편의 닉(nick)을 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48. 대장균의 자이레이스는 복제분기점 앞 부분에 형성되는 양성 초나선을 완화시켜준다. ( O )

- 자이레이스는 대장균의 위상이성질화 효소입니다.

BIOLOGY 2020 167 ©THE BASIC SIMPLICITY


49. 대장균과 달리 진핵세포는 다수의 복제원점을 가지고 있다. ( O )

50.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자체 DNA는 텔로미어를 가지고 있다. ( X )

-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자체 DNA는 세균과 유사한 환형의 DNA 이므로 텔로미어가 없으며, DNA 말단이 짧아질 염려가 없어

텔로미어도 필요 없습니다.

BIOLOGY 2020 168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2회 정답과 해설
1. 텔로머레이스는 RNA+단백질 복합체로 RNA를 주형으로 DNA를 합성하는 역전사 효소이다. ( O )

- 텔로머레이스는 텔로미어를 복원시켜주는 역전사 효소의 일종으로 암세포, 골수, 정소 등 분열이 활발한 세포에서 높은 활성을

보입니다.

2. F 플라스미드는 성 플라스미드로 성선모를 형성해 다른 세균에 접합할 수 있게 한다. ( O )

3. PCR은 시험관에서 특정 DNA 절편을 증폭하고자 할 때 수행한다. ( O )

4. PCR은 변성-재결합-합성의 순서로 순환 반복하며, 이때 변성 단계의 설정 온도를 가장 낮게해야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 온전한 복제 DNA 가닥을 얻을 수 있다. ( X )

- 변성 단계의 온도는 약 94℃로 DNA가 단일 가닥화 되어야 하므로 가장 높은 온도로 설정됩니다.

5. PCR 진행 후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원하는 DNA 절편만 추출할 수 있다. ( O )

6. DNA의 마주보는 가닥의 염기 중 아데닌은 우라실과 구아닌은 시토신과 서로 상보적인 구조이다. ( X )

- 아데닌은 티민과 상보적이며, 우라실은 RNA에서 발견되는 염기입니다.

7. DNA의 이중가닥의 염기는 서로 수소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 O )

8. 솔염색체의 루프 형태는 DNA의 복제가 활발한 지역에서 잘 나타난다. ( X )

- 솔염색체의 루프는 DNA의 전사가 활발한 부위에서 발견됩니다.

9. 유전자는 DNA 서열 가운데 유전 정보를 갖고 있는 부위로 조절 부위와 암호화 부위로 이루어진다. ( O )

10. 조절 부위 중 RNA 합성효소가 실질적으로 결합하는 부위는 프로모터이다. ( O )

11. 대장균의 RNA 중합효소는 1개가 존재하며, 고세균과 진핵세포는 3개가 존재한다. ( X )

- 원핵생물과 고세균의 RNA 중합효소 개수는 1개입니다.

12. 진핵세포의 RNA 중합효소가 결합하여 전사를 개시하는 부위의 DNA 서열은 프리나우 박스이다. ( X )

- 프리나우 박스(pribnow box)는 대장균 등의 원핵생물의 RNA 중합효소가 결합하는 염기서열로 전사개시부위 위쪽에 존재하는

프로모터의 일부분입니다.

13. 대장균의 σ인자는 RNA 합성효소와 프로모터 서열의 특이적 결합을 도와준다. ( O )

- 시그마 인자는 RNA 중합효소가 프로모터를 인지하게 하고, 프로모터에 대한 친화력 및 결합력을 증가시켜주는 보조인자입니다.

시그마 인자는 재사용되며, a2bb’ω + σ를 완전 RNA 중합효소, a2bb’ω 만을 핵심 RNA 중합효소라 합니다. 완전효소가 핵심효소에

비해 프로모터에 대한 친화력이 높으며, 전사가 개시되고 시그마 인자가 떨어져 나가면 완전효소는 핵심효소가 되어 전사를

진행합니다.

14. 진핵세포에서 mRNA를 합성하는 중합효소는 RNA 중합효소 II로 mRNA와 miRNA, snRNA 등도 전사한다. ( O )

15. 진핵세포의 인에서 가공 전의 rRNA가 전사되며, rRNA는 가공 후 리보솜의 성분이 된다. ( O )

BIOLOGY 2020 169 ©THE BASIC SIMPLICITY


16. 5s rRNA는 RNA 중합효소 I에 의해 전사된다. ( X )

- 5s rRNA, tRNA 등은 RNA 중합효소 III에 의해 전사됩니다.

17. 진핵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인자는 DNA 결합 도메인과 조절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 O )

18. 진핵세포의 전사인자는 보통 인산화에 의해 그 활성이 조절되며, 단량체 형태로 DNA 서열에 결합한다. ( X )

- 전사인자는 DNA의 특정 서열에 결합해 RNA 중합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인자로 진핵생물 유전자의 시간적, 공간적 발현을

조절합니다. 전사인자는 인산화 등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며, 이량체를 형성해 DNA의 특정 서열에 결합합니다.

19. 원핵생물 RNA 합성효소의 핵심효소는 단독으로는 DNA에 결합하는 힘이 약하여 σ인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 O )

20. ⍴-의존성 종결과 ⍴-비의존적 종결은 모두 원핵생물의 전사 종결 방법이다. ( O )

21. 원핵생물의 mRNA는 mRNA 하나에 여러 개의 단백질 정보가 담긴 구조이다. ( O )

- 이를 폴리시스트론성이라 하며, 진핵생물은 모노시스트론성입니다.

22. 원핵생물의 40s 리보솜은 전사된 mRNA의 샤인-달가노 서열을 인식하여 단백질 번역을 시작한다. ( X )

- 원핵생물의 30s 리보솜이 mRNA의 샤인-달가노 서열을 인식합니다.

23. 진핵세포와 달리 원핵생물은 전사된 mRNA의 가공을 하지 않는다. ( O )

- mRNA의 스플라이싱, 5’-캡 형성, 폴리 A 꼬리 형성 등의 가공 과정은 진핵생물의 특징입니다.

24. 진핵세포의 5’-모자 구조는 mRNA는 분해를 막아 안정화시키며, 핵 밖으로의 수송을 조절한다. ( O )

25. 오페론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은 아미노산 중 트립토판 생합성에만 관여한다. ( X )

- 트립토판 뿐만 아니라 다른 아미노산에 대해서도 오페론에 의한 조절이 일어납니다.

26. 원핵생물은 소기관이 없기 때문에 DNA에서 전사가 일어나는 동시에 번역이 진행된다. ( O )

27. 진핵세포의 번역 시 첫번째 아미노산은 메티오닌이며, 대장균은 포밀메티오닌이다. ( O )

- 진핵세포의 경우 번역 시 첫번째 아미노산은 메티오닌이지만 분비성 단백질이나 일부 단백질의 경우, N-말단이 조면소포체로

이동하는 과정에 잘려 폴리펩티드 N-말단의 첫 아미노산이 메티오닌이 아닙니다. 즉, 진핵생물에서 발견되는 모든 단백질의 N-

말단의 첫 아미노산은 메티오닌이라 할 수 없습니다.

28. 퓨로마이신은 아미노아실-tRNA 유사체로 원핵생물와 진핵세포에서 단백질의 번역을 억제한다. ( O )

29. 번역 과정이 끝난 리보솜은 재활용되지 않고 프로테아좀에서 분해된다. ( X )

- 재활용됩니다.

30. 리보솜은 mRNA의 5’→3’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폴리펩티드 사슬을 신장시킨다. ( O )

31. DNA 발자국 법(footprinting)은 전사 인자가 결합한 DNA 부분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 O )

32. 박테리오파지 중 T4 파지는 용균주기를 진행하며, 감염된 바이러스가 숙주를 파괴하고 자손을 방출하는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 O )

33. PFU는 단위 부피당 플라크를 형성할 수 있는 감염성 입자의 수를 의미하며, 실제로 살아있는 바이러스의 수와 같다.

(O)
BIOLOGY 2020 170 ©THE BASIC SIMPLICITY
34. 인플루엔자는 독감의 원인이 되는 RNA 바이러스이다. ( O )

35.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숙주에서 유래한 RNA 복제효소를 이용해 복제된다. ( X )

- 바이러스 유래 RNA 복제효소(replicase)를 이용합니다.

36.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프로바이러스의 형태로 숙주 DNA에 삽입되어 긴 잠복기를 가진다. ( X )

- 인플루엔자는 긴 잠복기를 가지는 바이러스가 아닙니다. 긴 잠복기를 가지는 렌티 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바이러스에는 HIV가

있습니다.

37. HIV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을 일으키며, 바이러스 고유의 역전사효소를 가지고 있는 RNA 바이러스이다. ( O )

- HIV는 고유의 역전사효소와 바이러스 유전체가 숙주 염색체에 무작위로 삽입되게 하는 삽입효소(integrase)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38. HIV는 CD4 막단백질을 가지는 TH 세포를 선택적으로 감염시킨다. ( O )

39. 형질전환은 외래 DNA를 열충격과 같은 방법으로 세균에 주입시키는 것이고, 형질도입은 바이러스를 통해 DNA를

세균에 주입시키는 방법이다. ( O )

40. 헥소카이네이스와 같은 세포질에서 작용하는 단백질에는 신호서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 O )

- 핵이나 미토콘드리아 등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신호서열이 필요없습니다.

41. tRNA는 전사 후 가공과정을 통해 일반 RNA에서 발견되지 않는 특이 염기 서열이 관찰된다. ( O )

- tRNA는 리보솜까지 아미노산을 전달해주는 RNA로 안티코돈에 따라 수십 개의 tRNA 유전자가 존재합니다. tRNA 역시 mRNA

전사 후 염기가 첨가되거나 절단, 변형, 스플라이싱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칩니다. 염기 변형 과정에서 슈도 유리딘, 메틸 시토신

등의 특이한 염기 서열들이 추가됩니다.

42. 한 종류의 아미노산은 여러 개의 코돈에 의해서 암호화될 수 있다. ( O )

43. mRNA의 스플라이싱은 진핵세포에서는 핵, 원핵생물에서는 세포질에서 일어난다. ( X )

- 원핵생물은 스플라이싱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44. 스플라이싱은 번역과 동시에 일어나며, 엑손이 올가미 형태로 제거되는 과정이다. ( X )

- 스플라이싱은 전사와 동시에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RNA 중합효소 II에 의해 1차 전사체가 합성되고 동시에 5’-캡, 3’-꼬리,

스플라이싱 등의 가공 과정이 일어나며, 가공이 끝나면 성숙 mRNA가 됩니다.

45. 진핵세포의 mRNA poly A tail은 mRNA의 안정성 증진 보다는 번역 촉진 및 세포질로의 이동에 관여한다. ( X )

- 3’-꼬리는 mRNA의 분해를 억제해 안정화 시키고, 핵 밖으로 수송을 조절하며, 폴리 A 꼬리 길이에 따라 단백질 번역이 조절 될

수 있습니다. 3’-꼬리가 안정성 유지에도 관여하므로 틀린 설명입니다.

46. RNA는 효소와 같은 촉매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촉매 기능을 수행하는 RNA를 리보자임이라 한다. ( O )

47. DNA 복제는 모든 DNA 서열이 복제되지만 RNA 전사는 일부의 DNA 서열만 전사된다. ( O )

48. 리팜피신은 원핵생물의 전사를 저해하는 항생제이다. ( O )

BIOLOGY 2020 171 ©THE BASIC SIMPLICITY


49. 염색체를 구성하는 물질은 염색사로 DNA와 RNA로 구성된다. ( X )

- 염색사는 염색체가 풀어진 형태로 간기에 존재하며, DNA와 히스톤 단백질로 구성됩니다. 히스톤과 DNA는 정전기적 인력을 통한

이온결합을 합니다.

50. 전체 게놈의 크기가 클수록 DNA 상의 유전자 비율도 증가한다. ( X )

- 인트론, 비번역부위, 반복서열 등의 존재비가 더 크게 증가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단순히 유전자 비율이 증가한다는 말은 틀렸습니다.

BIOLOGY 2020 172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3회 정답과 해설
1. DNA 복제는 반 불연속적, 반보존적이다. ( O )

- DNA의 복제는 선도가닥에서는 연속적, 지연가닥에서 불연속적으로 진행되며, 또한 DNA 한 가닥을 주형으로 하여 나머지 가닥을 새로 합성하는

반보존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보존적 복제 방식은 메셀슨과 스탈에 의해 증명되었습니다.

2. 대장균의 DNA의 복제원점은 G-C 염기쌍이 풍부한 특정 서열로 이루어져 있다. ( X )

- 쉽게 벌어져야 하기 때문에 A-T 염기쌍이 풍부합니다.

3. 대장균은 오직 하나의 복제개시점을 지닌다. ( O )

- 일반적으로 원핵생물은 하나의 복제개시점, 진핵생물은 여러 개의 복제개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4. 세포에 유사분열촉진제 처리 후 시토칼라신을 처리하면 분열기의 중기 세포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 X )

- 시토칼라신은 미세섬유 억제제로 분열기 중기 세포를 얻기 위해선 방추사의 분해를 억제하는 미세소관 억제제를 처리해야 합니다.

5. RNA 편집과정으로 전사가 끝난 mRNA에 염기를 치환하거나 결실 혹은 삽입시킨다. ( O )

- RNA 편집(RNA editing)은 게놈 템플릿(genome template)에 명시된 염기서열을 변형시켜 원래 RNA와 다른 염기서열을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RNA 편집은 단일 유전자로부터 다른 단백질 생산물을 생산하여 유전자 가소성을 증폭시키는 유전자 조절 기작입니다.

RNA 편집은 mRNA, tRNA, rRNA에서 모두 확인되었으며, RNA 편집의 종류에는 염기가 삽입 또는 제거되는 기작과 특정 염기가

치환, 변환되는 기작이 있습니다. 포유류 소장에서 일어나는 Apo-B 단백질의 mRNA에서 특정 시티딘(C)이 유리딘(U)으로

변형되는 것이 두 번째 기작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6. 하나의 유전자로부터 조직 및 기능에 따라 다른 형태의 mRNA들이 합성될 수 있다. ( O )

- RNA 편집, 선택적 스플라이싱 등에 의해 다양한 mRNA와 단백질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7. 한 유전자에 대해 대립유전자는 반드시 2개만 존재한다. ( X )

- ABO식 혈액형과 같이 복대립유전자는 3개 이상의 대립유전자를 갖습니다.

8. 대립유전자는 유전자 여분의 복제본으로 원본이 소실되면 발현된다. ( X )

- 대립유전자는 염색체 같은 좌위에 있는 유전자를 말하며, 복제본도 아니고 원본이 소실되어야 발현되는 것도 아닙니다.

대립유전자는 발현되고 있으며, 발현이 표현형으로 나타나는걸 우성, 나타나지 않는걸 열성 인자라 합니다.

9. 유전형을 모르는 유전자형의 개체를 열성 동형의 유전자형을 갖는 개체와 교배시키는 방법을 검정교배라 한다. ( O )

- 검정교배는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형의 개체를 열성 동형의 유전자형을 갖는 개체와 교배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검정교배를 통해

우성표현형을 지니는 개체의 유전자형을 알 수 있으며, 생식 세포의 유전자형 분리비를 알 수 있습니다.

10. 대립유전자 간의 우열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불완전우성을 나타낼 수 있다. ( O )

11. 사람의 MN 혈액형은 대립유전자들이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발현되는 형질이다. ( O )

- MN 혈액형은 대표적인 공우성 형질입니다.

BIOLOGY 2020 173 ©THE BASIC SIMPLICITY


12. 연관 유전자들은 언제나 감수분열 시 독립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함께 이동하여 같은 배우자에게 전달된다. ( X )

- 교차가 일어나면 연관 유전자라도 분리됩니다. 이를 불완전 연관이라 하며, 유전자간의 거리가 멀수록 교차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13. 보통 두 유전자간 재조합 빈도가 높을수록 유전자간의 거리는 멀다. ( O )

14. A, B 유전자 사이의 재조합 빈도가 2%일 때, 정자 100개당 2개의 정자에서 A,B 유전자 사이에 재조합이 일어난다.

(O)

15. DNA 염기의 구성은 생물종에 따라 다르며, 이는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주장을 증명한다. ( O )

16. 50개의 뉴클레오솜을 포함하는 염색질에는 50개의 H2B 단백질이 존재한다. ( X )

- 뉴클레오솜은 핵 속의 DNA가 히스톤 단백질을 감싸 뭉친 단위체입니다. 1개의 뉴클레오좀에는 H2A, H2B, H3, H4 단백질이 각각

두 분자씩 결합해 있습니다. 따라서 뉴클레오솜은 8량체 구조로 50개의 뉴클레오솜에는 100개의 H2B 단백질이 존재합니다.

17. DNase I은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는 제한효소로 작용한다. ( X )

- DNase I은 제한효소와 달리 DNA를 무작위로 절단, 분해합니다.

18. 히스톤은 진정세균과 진핵세포에 존재하여 DNA를 안정화시키는 염기성 단백질이다. ( X )

- 히스톤은 음전하의 DNA와 결합하기 위해 리시, 아르기닌 등의 양전하성 염기성 아미노산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히스톤은

고세균과 진핵생물에서 발견되며, 원핵생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19. 뉴클레오솜은 8개의 히스톤 단백질과 DNA로 구성된다. ( O )

- 뉴클레오좀 + H1 단백질을 크로마토좀(chromatosome)이라 합니다.

20. 히스톤의 양이온과 DNA 염기의 음이온은 정전기적 인력을 형성하여 결합을 형성한다. ( X )

- DNA가 음전하를 띠는 이유는 염기가 아니라 인산 때문입니다.

21. 원핵생물의 유전체에서 대부분의 DNA가 단백질, tRNA, rRNA 등을 암호화하고 있으며, 비암호화 DNA 부분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O )

- 원핵생물의 유전체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비암호화 부분이 매우 적습니다.

22. 비암호화 DNA는 유전자간의 간격을 형성하여 진화 및 유전자의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 O )

23. 진핵생물 간의 유전체 크기와 생물 표현형의 복잡성은 비례 관계이다. ( X )

- 정확히 비례 관계라 할 수 없습니다.

24. 한 개체에서 서로 다른 조직 세포 내 염색체 수는 언제나 동일하다. ( X )

- 생식세포는 감수분열되기 때문에 염색체 수가 반으로 줄어듭니다.

25. 진핵생물에서 스플라이싱 복합체 내에 존재하는 hnRNP가 스플라이싱 될 RNA 부위를 결정한다. ( X )

- 스플라이스좀 복합체에서 스플라이싱에 관여하는 RNA는 snRNA로 다른 단백질과 함게 스플라이싱 복합체인 snRNP를 구성합니다.

hnRNP는 스플라이싱이 일어난 후 제거된 인트론을 잡아 분해 과정으로 넘기는 RNP입니다.

BIOLOGY 2020 174 ©THE BASIC SIMPLICITY


26. 대장균의 DNA는 환형이기 때문에 진핵세포와 달리 반불연속적 복제대신 연속적 복제를 진행한다. ( X )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에서 모두 반불연속적 복제를 진행합니다. DNA의 복제는 양 끝에서 일어나는게 아니라 DNA의 중간에

존재하는 복제개시점에서 시작되므로 필연적으로 지연가닥이 만들어지는 반불연속적 복제가 일어납니다.

27. 사람의 체세포 DNA에는 텔로머레이스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 X )

- 하나의 개체에서 조직마다 발현되는 유전자는 다르지만 유전자 자체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게 갖고 있습니다.

28. 척추동물의 근육세포는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텔로머레이스의 발현 수준이 낮을 것이다. ( O )

- 근육세포는 거의 분열하지 않는 세포기 때문에 텔로머레이스의 발현 수준이 낮습니다.

29. 원핵과 진핵 모두에서 프로모터 서열은 보통 전사 개시점에 상류에 위치하며 수 십개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O)

30. 원핵생물의 핵심 RNA 중합효소는 σ인자를 포함한다. ( X )

- 완전효소가 시그마 인자를 포함합니다. 핵심효소는 a2bb’ω로 구성됩니다.

31. 원핵생물와 진핵생물 모두 전사과정에서 전사인자와 인핸서와 같은 조절인자가 관여한다. ( X )

- 원핵생물은 프로모터만 조절부위로 작용하며, 진핵생물의 경우 프로모터, 조절서열, 증폭자(인핸서), 침묵자(사일랜서) 등이 모두

작용합니다. 이러한 전사인자는 진핵생물 유전자의 공간적, 시간적 발현을 조절합니다.

32. 진핵세포의 mRNA는 전사 후 인트론 부위를 제거하기 위해 snRNP가 관여한다. ( O )

- snRNP는 리보자임으로 snRNA + 단백질로 구성됩니다.

33. 유전자의 처음과 끝은 엑손으로 구성되며, 엑손의 개수는 언제나 인트론의 개수보다 많다. ( O )

34. 3개의 인트론을 가진 pre-mRNA에는 4개의 엑손이 존재한다. ( O )

- 5’- 엑손 – 인트론 – 엑손 – 인트론 – 엑손 – 인트론 – 엑손 -3’으로 총 4개의 엑손이 존재합니다.

35. 스플라이스좀이 인식하는 대부분의 인트론은 GU에서 시작하여 AG서열로 끝난다. ( O )

- 스플라이스좀 복합체는 인트론의 5’-GU, AG-3’ 서열을 인식해 올가미 형태로 제거합니다. 단, 모든 인트론은 GU-AG 서열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스플라이스좀이 관여하지 않고 자가절단되는 경우도 있으며, 올가미 형태가 아닌 선형으로 제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험을 위한 일반생물학 범위 내에서는 스플라이스좀이 관여하는 스플라이싱과 인트론에 대해서 주로

알아두시고, 다른 내용은 참고 사항으로만 알아두세요. 또한 스플라이싱에는 snRNA+단백질(snRNP, 리보자임)가 관여합니다.

36. 진핵세포에서 분비 단백질 번역 중 SRP가 단백질의 신호서열에 결합하면 단백질 번역이 중지된다. ( O )

- 신호서열에 SRP(signal recognition particle)이 부착되면 리보솜의 번역이 멈추고, 조면소포체 막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SRP가

조면소포체 막의 SRP 수용체에 결합하면 신호서열과 분리되며, SRP는 재활용됩니다. 폴리펩티드의 N-말단이 조면소포체로

들어가면서 번역이 재개됩니다. SRP에 재사용에는 GTP가 필요합니다.

37. 소포체 막에서 전좌통로를 통해 내강으로 이동하는 단백질은 3차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 X )

- 조면소포체 막에 부착된 리보솜에서 계속 번역이 진행되고 있으므로 3차 구조가 아닌 1차 구조를 띠고 있습니다. 1차 구조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샤페론의 도움을 받는다고 합니다. 번역된 후에 조면소포체 내강에서 PDI 등에 의해 이황화결합과 당화, 접힘

등의 가공이 일어납니다.
BIOLOGY 2020 175 ©THE BASIC SIMPLICITY
38. 환상의 폴리리보솜과 80S 리보솜은 원핵생물의 단백질 합성과 관련된다. ( X )

- 80S 리보솜은 진핵생물에서 발견됩니다.

39. 스트렙토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은 원핵생물에 작용하는 단백질 번역 억제제이다. ( O )

- 스트렙토마이신은 포르밀 메티오닌 tRNA와 30S 리보솜의 결합을 방해하여 단백질의 번역 개시를 억제하며, 원핵생물에 작용하는

항생제입니다. 테트라사이클린 역시 원핵생물에 작용하는 번역 억제제입니다.

40. 인트론은 유전자 내 비번역부위로 엑손과 인트론이란 용어는 RNA와 DNA에서 모두 사용된다. ( O )

41. mRNA 전구체로부터 엑손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한 유전자로부터 다양한 mRNA와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 O )

42. 원핵생물에서 mRNA 및 rRNA의 전사 후 가공은 일어나지 않는다. ( X )

- rRNA의 가공은 원핵과 진핵생물 모두에서 일어납니다.

43. 진핵세포의 인에서 전구체 rRNA가 RNA 중합효소 I에 의해 전사 후 가공될 때 아세틸기가 붙는 과정을 거친다. ( X )

- 아세틸기가 아니라 메틸기가 붙는 과정을 거칩니다.

44. 핵으로 이동하는 단백질은 자유리보솜에서 합성된 후 핵으로 이동한다. ( O )

- 핵으로 이동하는 단백질은 자유리보솜에서 번역이 완료되며, 번역된 폴리펩티드 중간에 아르기닌과 리신이 포함된 핵 이동

신호서열(NLS)이 위치합니다. 신호서열이 폴리펩티드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른 N-말단 신호서열들과 달리 NLS는 핵으로

이동되는 과정 중에 절단되지 않습니다. 핵 단백질은 번역되면서 3차 구조로 접히고, 3차 구조가 유지된 채 핵공을 통과합니다.

핵공 통과에는 임포틴(importin) 단백질과 GTP가 필요합니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로 이동하는 단백질과 달리 핵으로 이동하는

단백질은 3차 구조가 계속 유지되고, 신호서열도 절단되지 않습니다.

45. X 염색체 불활성화는 동물 암수의 성염색체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기작이다. ( O )

46. 증폭자(enhancer)와 유전자간의 거리가 멀수록 증폭자의 전사조절 능력히 급격히 약화된다. ( X )

- 증폭자와 침묵자는 원거리 조절자로 전사인자가 결합하면 DNA가 휘어지면서 프로모터 근처로 오기 때문에 거리에 크게 구애받지

않습니다.

47. 원핵세포 벡터 중 플라스미드의 삽입 가능한 DNA 크기가 가장 작다. ( O )

- 벡터(vector)는 플라스미드나 박테리오 파지와 같은 DNA로서 특정 외래 DNA를 자신에 삽입시켜 재조합 DNA를 만든 후 이를

숙주 세포 내로 전달하여 많은 수로 복제될 수 있도록 하거나 단백질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운반체를 의미합니다. 벡터는

숙주에 따라 크게 원핵세포 벡터와 진핵세포 벡터로 나뉩니다.

- 원핵세포 벡터에는 플라스미드, 파지, 코스미드, 세균인공염색체(BAC)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플라스미드에 삽입 가능한 DNA

크기(약 15kb)가 가장 작으며, BAC에 삽입 가능한 DNA 크기(약 300kb)가 가장 큽니다.

- 진핵세포 백터에는 효모인공염색체(YAC), 레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식물의 Ti 플라스미드가 있습니다.

48. 벡터는 다양한 제한효소에 의해 인식되는 자리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하나의 제한효소에 대해서는 다양한 자리를

지니는 것이 좋다. ( X )

- 클로닝에 사용되는 특정 제한효소자리는 유일한 것이 좋습니다. 만약 벡터가 다수의 제한효소 자리에 의해 여러 부위에서 잘리게

되면 원래의 순서로 다시 연결하기가 어렵게 됩니다.

BIOLOGY 2020 176 ©THE BASIC SIMPLICITY


49. DNA의 회복과 교정은 S기에 동시에 일어난다. ( O )

- 회복과 교정은 DNA 복제 과정 중에 일어나므로 옳은 문제입니다.

50. 특정 mRNA에 상보적인 안티센스 RNA를 통해 mRNA의 번역을 저해할 수 있다. ( O )

- 이를 RNAi (RNA간섭)이라 하며, 진핵생물의 유전자 발현 조절 기작 중 하나입니다.

BIOLOGY 2020 177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4회 정답과 해설
1. tRNA는 mRNA의 코돈에 상보적으로 수소 결합하는 안티코돈이 있어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해주는 역할을

한다. ( O )

2. 성숙한 tRNA는 3개의 고리를 가지는 꼬인 L자를 가지며, 이 구조는 뉴클레오티드 염기와 리보오스의 -OH기

사이에서 공유결합이 일어나기 때문에 생긴다. ( X )

- 공유결합이 아니라 수소결합입니다.

3. tRNA 3’ 말단에 존재하는 아데닌의 3’-OH와 아미노산의 -COOH기 간에 공유결합 형성으로 아미노아실-tRNA가

합성된다. ( O )

- 아미노산이 tRNA에 결합하는 아미노산의 활성화는 각각의 아미노산 종류(20개) 마다 존재하는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에 의해

일어납니다.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는 아미노산(-COOH)과 tRNA(아데닌 3’-OH) 사이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합니다. 이

에스테르 결합은 공유결합으로 tRNA가 리보솜으로 가는 도중에 아미노산이 쉽게 떨어지지 않게 해줍니다.

4. 아미노아실 tRNA 합성과정에는 ATP가 사용되며, 인산기 2개가 사용되어 ATP는 AMP로 전환된다. ( O )

- ATP 뿐만아니라 Mg2+도 필요합니다.

5. 모계효과는 모체의 mRNA나 단백질이 자손에게 전달되어 자손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 O )

6. 모계효과는 오직 모체의 유전형에만 의존하여 자손의 표현형이 결정되며, 모체의 표현형은 무시된다. ( O )

7. 모계효과에 의해 자손의 표현형은 모두 동일하다. ( O )

- 모계효과 유전(maternal effect inheritance)는 자손의 표현형이 어머니의 핵 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되는 현상으로, 난자 세포질에

존재하는 모계 효과 유전자 산물이 초기 배 발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때 주로 나타납니다. 모계효과 유전은 세포질 유전과

달리 자손의 표현형이 오직 어머니의 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달팽이 패각 회적의 유전이 모계효과 유전

현상에 해당합니다.

- 모계효과 유전과 비슷한 세포질 유전(cytoplasmic inheritance)의 경우 유전자가 세포질에 위치한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DNA에

암호화 되어 있는 경우 자손의 표현형이 모계 형질을 따르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세포질 유전자는 대부분 난자로부터

물려 받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세포질 유전 형질은 감수분열의 미토콘드리아 분배와 관련되고, 핵분열과 달리 미토콘드리아의

분배가 균등하게 되는 기작이 없으므로 물려받은 돌연변이 미토콘드리아 비율에 따라 다양한 표현형의 변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세포질 유전을 나타내는 주요 질병으로 레버 유전성 시신경 장애, 미토콘드리아성 근육병증이 있습니다.

8. 검정교배를 통해 얻은 자손의 표현형을 관찰하면, 열성동형접합체와 교배했던 개체의 유전형을 결정할 수 있다. ( O )

9. 대장균의 프리메이스는 RNA 중합효소로 DNA 중합을 위한 3’-OH를 제공하는 프라이머를 합성한다. ( O )

10. 대장균의 DNA 자이레이스는 위성이성질화효소 II로 dsDNA를 절단하여 초나선을 제거한다. ( O )

11. 헬리케이스와 DNA 자이레이스는 그 작용에 ATP를 소모하지 않는다. ( X )

- 모두 ATP를 필요로 합니다.


BIOLOGY 2020 178 ©THE BASIC SIMPLICITY
12. DNA 중합효소 III은 5’→3’의 exonuclease 활성을 갖는다. ( X )

- 5’-3’ 엑소뉴클레이스 활성은 RNA 프라이머를 제거하는 기능으로 DNA 중합효소 I이 가지고 있습니다.

13. 프리메이스는 선도가닥과 지연가닥의 비주형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 X )

- 프리메이스는 RNA 프라이머를 만드는 효소로 선도가닥과 지연가닥의 주형 가닥에 결합합니다. 비주형 가닥은 새로 생성되는 DNA

가닥을 의미합니다. 프리메이스가 작용하는 시점에는 비주형 가닥은 존재하지도 않습니다.

14. 헬리케이스는 DNA 외가닥에 붙어 이동하면서 DNA의 이중가닥을 풀어준다. ( O )

15. 클레나우 절편은 DNA 중합효소 활성과 교정기능을 모두 갖는다. ( O )

- DNA 중합효소 I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면 두 개의 폴리펩티드가 되는데, 그 중 큰 조각을 클레나우 절편이라 합니다.

클레나우 절편은 중합(5’→3’ pol)과 교정(3’→5’ exo)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조각은 5’→3’ exo 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클레나우 절편은 DNA 중합반응 실험에 사용할 수 있지만 주형 DNA의 프라이머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순 없습니다.

16. 디데옥시뉴클레오티드는 2’-OH가 없기 때문에 DNA 중합반응이 일어날 수 없다. ( X )

- 디데옥시뉴클레오티드는 3’-OH가 없기 때문에 디데옥시뉴클레오티드가 신생가닥의 DNA 합성 과정에 첨가되면 합성은 종결됩니다.

생어는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DNA의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디데옥시 법을 고안했습니다.

17. 오카자키 절편은 DNA의 합성이 오직 5’→3’ 방향으로만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 O )

- DNA 합성이 3’→5’ 방향으로도 일어나면 지연가닥이 나올일이 없고, 오카자키 절편도 생성되지 않습니다.

18. 멘델의 독립의 법칙은 서로 같은 염색체의 비대립 유전자가 독립적으로 분리됨을 의미한다. ( X )

- 독립의 법칙은 상동 염색체 쌍의 같은 좌위에 존재하는 대립 유전자가 독립적으로 분리됨을 의미합니다. 같은 염색체의 비대립

유전자 관계를 연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19. 완두 종자의 우성형질인 WWGG와 열성형질 wwgg를 교배하면 F1은 WwGg만 나오고, 이를 교배하면 F2는 표현형이

9:3:3:1로 분리된다. ( O )

20. 분리의 법칙은 유전자가 2쌍이고, 이 대립유전자들이 분리되어 다음 세대로 전해진다는 것을 가정한다. ( O )

21. DNA chip은 DNA-RNA 혼성화 원리를 이용하여 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의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다. ( X )

- DNA chip assay는 어떤 세포에서 발현되는 많은 mRNA들을 한꺼번에 분석하고 세포들 사이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비교하는 실험

기법으로 실험 결과 나타나는 형광의 진하기 비교를 통해 상대적 발현량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정성적 분석만 가능하며, 정량적

분석은 불가능합니다.

22. DNA chip에서 cDNA 라이브러리는 최대한 다양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 O )

23. 각각 다른 두 세포에 같은 cDNA를 대상으로 DNA chip을 수행하면 chip의 동일한 지점에서 혼성화가 될 것이다.

(O)

- 같은 cDNA이기 때문에 동일한 지점에서 혼성화가 일어납니다.

24. 돌연변이는 게놈을 구성하는 염색체나 DNA 분자 일부에 발생하는 영속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 O )

BIOLOGY 2020 179 ©THE BASIC SIMPLICITY


25. 돌연변이는 돌연변이 유발원의 작용없이, 단순 DNA 복제과정의 실수로도 야기될 수 있다. ( O )

- 이런 경우를 자연 돌연변이(spontaneous mutation)이라 하며, DNA 복제 과정 중 실수, 염기 이성질화 반응, 탈퓨린 반응,

탈아미노 반응 등이 있습니다. 상기된 돌연변이 원인은 모두 염기 치환 돌연변이를 유발합니다.

26. 침묵(silent)과 중립(neutral) 돌연변이는 염기서열은 변하지만 표현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O )

- 침묵 돌연변이는 염기서열이 변경되어도 아미노산이 달라지지 않는 돌연변이를 의미하며, 중립 돌연변이는 염기서열의 변화로

아미노산이 달라졌으나 우연히 같은 기능을 하는 아미노산으로 바뀐 경우입니다. 두 돌연변이 모두 단백질의 기능에는 큰 이상이

없어 표현형에도 영향이 없습니다.

27. 변화된 유전암호가 동일한 아미노산을 암호화는 경우는 중립 돌연변이이다. ( X )

- 염기 변화로 아미노산이 바뀌었으나 단백질 기능에 차이가 없는 경우가 중립 돌연변이입니다. 보통 같은 극성의 아미노산으로

바뀌면 중립 돌연변이가 될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28. 변화된 유전암호가 다른 아미노산을 지정하지만, 동일 성질의 아미노산으로 변화됨에 따라 단백질의 입체구조와

기능이 유지되는 경우는 침묵 돌연변이이다. ( X )

- 변화된 염기 서열이 번역 시 동일 아미노산을 암호화 하는 경우 침묵 돌연변이라 합니다. 주로 워블가설에 따라 코돈의 3번째

염기가 달라진 경우 많이 발생합니다.

29. 변화된 염기 서열이 종결코돈인 경우 넌센스 돌연변이가 유발된다. ( O )

- 변화된 염기 서열이 종결 코돈이 되는 경우 단백질 합성이 조기에 종료되는 넌센스 돌연변이가 됩니다. 이 경우 단백질의 기능은

상실됩니다.

30. 대개 코돈의 3번째 염기에서 일어나는 치환의 경우가 침묵 돌연변이로 나타난다. ( O )

31. 염기의 첨가나 결실에 비해 격자이동 돌연변이는 번역된 단백질의 기능이 온전한 경우가 많다. ( X )

- 암호화 부위 중 중간의 염기가 치환이나 결실, 첨가 되는 경우 리보솜이 번역할 때 번역틀이 달라지는데, 이를 틀이동 돌연변이라

합니다. 일반적으로 틀이동 돌연변이가 일어난 지점 뒤로 번역되는 아미노산이 모두 달라지므로 단백질의 기능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32. 염색체 절편의 위치가 동일 염색체상의 원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변화되거나, 아예 다른 염색체로 이동하는

것을 염색체의 전좌라 한다. ( O )

- 염색체의 전좌(translocation)란 염색체 이상의 하나로서 염색체 일부분에 절단이 일어나 그 단편이 같은 염색체의 다른 부분 또는

다른 염색체에 결합하여 염색체의 형태를 바꾸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33. 클라인펠터 증후군, 터너 증후군 등은 염색체 돌연변이의 일종이다. ( O )

- 클라인펠터 증후군의 핵형은 XXY, 터너 증후군 환자의 핵형은 XO로 감수분열 시 염색체의 비분리로 인한 염색체 수준의

돌연변이가 일어난 경우입니다.

34. 에임스 테스트는 복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돌연변이원(mutagen)을 검출하는 실험 방법이다. ( O )

- 복귀 돌연변이로 콜로니가 더 많이 생길수록 더 강력한 돌연변이원입니다.

BIOLOGY 2020 180 ©THE BASIC SIMPLICITY


35. 5-BU(bromouracil)은 티민 유사체로 전위(transition)을 유발한다. ( O )

- 5-BU는 복제 중인 DNA의 염기 사이로 삽입되어 전위를 일으킵니다.

36. 대장균의 접합은 F 플라스미드를 가진 F+ 세균에서 F 플라스미드가 없는 F- 세포로 F 플라스미드와 유전자가

전달되어 형질이 바뀌는 현상이다. ( O )

37. F 플라스미드가 세균의 염색체에 삽입된 것을 Hfr 균주라 한다. ( O )

- F 플라스미드가 세균 주 염색체에 아예 삽입되어 있는 것을 Hfr 균주라 하며, 접합을 통해 다른 세균에게 유전자를 전해줄 수

있습니다.

38. Hfr 균주와 F- 균주가 서로 접합하면 F- 균주는 Hfr 균주로 전환된다. ( X )

- 전환되지 못합니다. 세균 주 염색체의 크기는 F 플라스미드에 비해 훨씬 크기 때문에 전체가 접합으로 전달되지 못합니다.

39. 한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유전자들은 생식세포가 형성될 때 같이 움직이게 되고 이를 연관되어 있다라고 한다. ( O )

40. 두 유전자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생식세포 형성 시 절대 분리되지 않는 경우 완전연관되어 있다 할 수 있으며,

교차에 의해 분리되는 경우 불완전 연관되어 있다 한다. ( O )

41. 교차가 일어난 곳은 키아즈마이며, 키아즈마의 수는 염색체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 X )

- 유전자간 거리가 멀어야 교차율이 증가하므로, 염색체의 길이가 길수록 키아즈마 수도 증가합니다.

42. 다인자 유전은 표현형이 연속적인 분포를 나타낸다. ( O )

43. 반성유전은 유전자가 Y염색체에 있을 때 유전되는 현상이다. ( X )

- 반성유전은 유전자가 X, Y 염색체에 있을 때 유전되는 현상으로, 색맹, 혈우병 등이 대표적입니다.

44. 남성의 Y염색체 관련 반성유전은 아버지의 형질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 O )

45. 척추동물에서 M기에 증가하는 사이클린 단백질은 사이클린 D이다. ( X )

- 사이클린 B입니다. 사이클린 B + CDK 1이 M기의 활성을 조절하는 MPF로써 기능합니다.

46.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Cdk)는 사이클린과 결합한 경우에만 활성을 가지며 인산화효소로 작용한다. ( O )

47. 체세포 분열에서 후기 촉진 복합체(APC)는 M기 후기 부터 활성을 가져 코헤신을 분해시킨다. ( O )

- 체세포 분열 후기에 인산화된 APC는 Cdc20과 복합체를 형성해 세퍼레이스(separase)와 결합해 있는 시큐린(securin) 단백질에

유비퀴틴을 붙이는 방식으로 시큐린 분해를 유도합니다. 시큐린의 분해로 활성화된 세퍼레이스는 코헤신 복합체를 분해해 자매

염색체가 분리될 수 있게 합니다. 감수분열의 경우 제1분열 후기에 같은 방식으로 상동 염색체 사이에서 분리가 일어나지만, 자매

염색분체 쌍은 슈고신(shugoshin)에 의해 분리가 억제되어 제2 감수분열에서야 분리가 됩니다.

48. 게놈 각인이란 특정유전자가 유전될 때 반드시 부모 한 쪽에서만 오는 유전자만 발현되는 현상이다. ( O )

- 게놈 각인은 식물, 곤충, 포유류 등에서 발견되며, 모계나 부계로부터 유래한 특정 유전자가 항상 메틸화되어 있어 자손에서 그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49. 게놈 각인은 염색체의 아세틸화로 발생하며, 아세틸화된 유전자는 발현되지 않는다. ( X )

- 게놈 각인은 메틸화로 발생합니다. 메틸화된 유전자는 발현되지 않습니다.

BIOLOGY 2020 181 ©THE BASIC SIMPLICITY


50. 자손의 생식선 배세포에서 각인이 풀리며, 다시 자손의 성별에 맞춰 각인이 새롭게 일어난다. ( O )

- 각인 유전자는 상염색체상에 존재하며, 각인은 DNA 염기가 메틸화되면서 나타납니다. 자손에서 새로 만들어지는

배세포=생식세포(정자, 난자)에서 탈메틸화가 일어나 각인이 모두 지워지고, 다시 자손의 성에 맞춰 해당 유전자에 메틸화가 새롭게

일어납니다. 각인된 유전자들은 암컷과 수컷의 배세포에서 다르게 메틸화됩니다.

BIOLOGY 2020 182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5회 정답과 해설
1. S기의 확인점에서 출발신호가 주어지면 세포는 M기를 지나 분열까지 마치게 되며, 출발신호가 주어지지 않으면

G0기로 불리는 분열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된다. ( X )

- S기 확인점이 아닌 G1기 검문지점(check point)에 대한 설명입니다. G1기 검문지점에서 세포의 크기, 성장인자 여부, DNA 손상

여부, 영양 조건과 사이클린 D + CDK 4의 신호를 받아 세포 분열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때 출발신호가 주어지지 않으면

세포의 휴지기인 G0기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G0기는 세포가 영구적 혹은 일시적으로 분열을 멈춘 시기로 세포의 분화된 특징은

유지한 채 DNA 복제와 세포 분열만 하지 않을 뿐 세포 활동은 수행하는 시기입니다.

2. M기의 확인점은 모든 염색체가 중기판에 적절하게 배열되었는지를 확인한다. ( O )

3. 세퍼레이스는 코헤신을 분해시켜 염색분체의 분리가 일어나게 한다. ( O )

4. 고세균과 진정세균은 히스톤을 가지지만 오페론은 진정세균만이 가지고 있다. ( X )

- 진정세균은 히스톤이 없고, 고세균도 오페론을 가지고 있으며, 예쁜꼬마선충과 같은 극히 일부의 진핵생물도 오페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5. DNA가 응축되기 위해선 히스톤 단백질이 필요하다. ( O )

- 히스톤 단백질의 리신과 아르기닌이 아세틸화되면 DNA가 탈응축, 탈아세틸화되면 DNA는 응축됩니다.

6. 사람의 경우 46개의 염색체를 지니며, 22쌍의 상염색체와 1쌍의 성염색체로 구성된다. ( O )

7. 사람의 자매 염색분체 상에서 텔로미어와 중심절을 확인할 수 있다. ( O )

8. 오페론의 조절 유전자는 다른 DNA 서열의 번역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이다. ( O )

- 조절 유전자(regulatory gene)는 유전자의 RNA 또는 단백질산물이 다른 서열과 결합하여 유전자의 전사나 번역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입니다.

9. 오페론의 구조 유전자는 대사, 생합성 세포에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암호화 한다. ( O )

- 대표적으로 젖당 오페론의 Z, Y A 유전자, 트립토판 오페론의 E,D,C,B,A 유전자가 있습니다.

10. 유전자 발현 조절은 음성조절만 사용하며, 단백질 번역 조절은 음성과 양성조절을 모두 한다. ( X )

- 상황에 따라 유전자 발현은 증가 또는 억제될 수 있으므로 양성과 음성 조절이 모두 가능합니다.

11. 진핵생물의 유전자 발현 조절은 오직 전사단계에서만 수행한다. ( X )

- 원핵생물의 경우 유전자 발현 조절은 주로 전사단계에서의 조절이지만, 진핵생물의 경우는 유전자 발현 조절 이외에도 mRNA

가공, 번역 후 단백질 변형 등 여러 조절 단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12. 오페론은 억제유전자, 조절부위, 구조유전자로 구성된다. ( X )

- 오페론은 프로모터, 작동자, 구조 유전자로 구성되며, 억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조절부위는 오페론의 일부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BIOLOGY 2020 183 ©THE BASIC SIMPLICITY


13. 오페론의 작동자는 조절부위에 있으며, 촉진자가 결합하는 부위다. ( X )

- 작동자는 억제 단백질이 결합하는 부위로 프로모터와 구조 유전자 사이에 위치합니다.

14. 오페론의 억제단백질은 작동자 서열에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RNA 중합효소의 결합을 방해한다. ( X )

- 억제 단백질은 작동자 서열에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RNA 중합효소의 작용을 방해하는 음성조절을 수행합니다.

15. 젖당 오페론의 억제자는 젖당 오페론의 작동자에 특이성을 가진다. ( O )

- 젖당 오페론의 억제자는 젖당 오페론에만 작용하며, 트립토판 오페론 등의 다른 오페론 작동자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16. 젖당 오페론은 젖당 존재하에 유전자 발현이 억제된다. ( X )

- 젖당 오페론은 젖당의 이성질체가 억제 단백질에 결합하여 억제 단백질을 비활성형으로 만들어 오페론의 발현을 유도합니다.

17. 젖당 오페론의 억제자에 의한 조절은 음성조절이다. ( O )

- 억제자에 의해 발현이 감소되므로 음성조절입니다.

18. 젖당의 변형체인 알로락토오스(allolactose)는 젖당 오페론에서 유도자로 작용한다. ( O )

- 젖당 오페론의 Z 유전자에서 b-갈락토시다아제가 일부 전사되어 젖당을 이성질체인 알로락토오스(allolactose) 전환시킵니다. 이

알로락토오스가 젖당 오페론의 실질적인 유도자로 억제자와 결합해 억제자를 비활성형으로 만듭니다. 실험에서는 알로락토오스

대신 IPTG를 사용하며, IPTG는 알로락토스와 달리 b-갈락토시다아제에 의해 분해되지 않아 젖당 오페론을 안정적으로 유도합니다.

19. 대장균 주위에 포도당과 젖당이 동시에 존재하면 젖당을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 X )

- 포도당을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

20. 대장균이 젖당을 소비하기 위해 포도당 대사를 억제하는 것을 이화억제라 한다. ( X )

- 포도당을 먼저 사용하므로 젖당이나 다른 당류의 분해가 억제되는데, 이를 이화억제(catabolite repression)이라 합니다.

21. 대장균의 cAMP는 포도당 농도와 반비례하며, cAMP의 증가는 이화촉진단백질(CAP)을 활성화 시킨다. ( O )

- CAP은 cAMP와 결합한 후 활성화되어 프로모터 내의 CAP 결합자리(CBS)에 결합해 RNA 중합효소의 프로모터 결합을 촉진합니다.

이를 CAP에 의한 양성(positive)조절이라 합니다.

22. 트립토판 오페론에서 트립토판은 공동억제자로 작용한다. ( O )

- 각각의 오페론에서 젖당(알로락토오스)는 유도자, 트립토판은 공동억제자로 작용합니다.

23. 트립토판 오페론은 젖당 오페론과 달리 트립토판이 없을 때 발현된다. ( O )

- 트립토판 오페론은 트립토판이 존재하지 않을 때 발현됩니다. 그 이유는 억제자 단독으로는 불황성화 상태이기 때문에 작동자에

결합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억제자-트립토판이 작동자에 결합해 RNA 중합효소 결합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24. 트립토판 오페론의 억제자는 트립토판이 존재해야만 생산된다. ( X )

- 불활성화 상태로 계속 발현되고 있습니다.

25. 트립토판 오페론의 조절 단백질은 활성이 없는 억제자 형태로 합성된다. ( O )

26. 트립토판 오페론의 전사감쇄는 원핵생물에서 전사와 번역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한다. ( O )

BIOLOGY 2020 184 ©THE BASIC SIMPLICITY


27. 전사감쇄에 의한 전사 종결은 ρ인자 의존성 종결이다. ( X )

- 트립토판 오페론의 작동자와 E 구조유전자 사이의 5’-UTR 위치의 선도서열(leader sequence)에서 3-4영역이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해 헤어핀 구조가 형성되면 전사감쇄에 의한 전사종결이 일어납니다. 이는 ρ인자 비의존성 종결입니다.

28. 5’-UTR에서 2번과 3번 영역이 짝을 이루면 전사감쇄 기작으로 전사가 종결된다. ( X )

- 선도서열의 3-4번 영역이 짝을 이루어야 전사가 종결됩니다.

29. 세포주기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해선 검문지점을 통과해야 한다. ( O )

30. 암세포의 경우 G2기가 상실됨으로써 세포분열이 멈추지 않고 지속된다. ( X )

- 암세포는 G2기가 아니라 G1기가 상실되거나 극도로 짧아져 세포분열이 끊임없이 일어납니다.

31. G1에서 세포의 성장이 일어나며, 전사와 번역이 가장 활발한 시기이다. ( O )

- 세포 물질 대사 및 성장이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전사와 번역이 가장 활발히 일어납니다.

32. M기는 핵분열과 세포질분열이 일어나며 세포주기 중 가장 긴 시간이 소요된다. ( X )

- 보통 G1기가 가장 긴 시간이 걸립니다.

33. MPF의 활성은 사이클린 B 농도가 최대일 때 가장 높다. ( O )

- MPF는 사이클린 B + CDK 1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34. 후기 촉진 복합체(APC)는 사이클린-Cdk 복합체이다. ( X )

- APC는 인산화되어 Cdc20과 복합체를 형성한 형태로 후기를 촉진하며, 사이클린-CDK 복합체 형태가 아닙니다.

35. APC는 모든 염색체의 방추사 부착점이 방추사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을 때 활성화된다. ( O )

- APC는 M기의 중기에 염색체와 방추사가 제대로 결합되어 있을때 활성화되어 후기 진행을 유도합니다.

36. APC는 세포가 M기 후기에서 말기로 진입하도록 유도한다. ( X )

- 중기에서 후기를 유도합니다.

37. 자외선은 DNA에 존재하는 아데닌 사이에 아데닌 이량체를 형성하게하여 돌연변이를 유발한다. ( X )

- 자외선은 시토신, 티민에서 피리미딘 이량체를 형성합니다. 주로 티민 이량체를 형성하며, 이로 인해 색소성건피증이 나타납니다.

자외선의 조사는 DNA의 틀이동 돌연변이를 유발합니다.

38.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시토크롬 C의 유출은 세포자살을 매개한다. ( O )

39. p53은 산소 고갈, DNA 파손 등의 상황에 활성화 되어 세포자살을 유도한다. ( O )

- 세포가 손상되는 다양한 환경에서 p53의 반감기가 증가해 세포내 축적되고 활성화되어 세포주기, 세포자살 등을 조절합니다.

40. 세포골격의 파괴는 p53의 활성화를 일으킬 수 있다. ( O )

- 미세소관의 파괴도 p53을 활성화 시킬 수 있습니다.

41. Rb 단백질의 탈인산화는 Rb와 E2F를 분리시킨다. ( X )

- 인산화된 Rb 단백질은 불활성화되어 E2F와 분리되며, 분리된 E2F는 활성화되어 DNA 합성 및 S기 진행을 촉진하게 됩니다.

42. 분리되어 활성화된 E2F는 세포의 S기로의 진행을 촉진한다. ( O )

BIOLOGY 2020 185 ©THE BASIC SIMPLICITY


43. 카스파아제는 세포괴사를 촉진한다. ( X )

- 카스파아제는 세포자살을 유도합니다.

44. 세포자살은 DNA가 단편화되고 핵이 응축되는 반면, 세포괴사는 DNA가 무작위적으로 파괴된다. ( O )

45. 세포괴사의 경우 포스파티딜 세린이 세포막 표면으로 노출되지만, 세포 자살의 경우 변화 없다. ( X )

- 세포자살의 경우에 세포막 내층의 포스파티딜 세린이 외부층으로 노출됩니다.

46. 세포자살은 세포괴사와 달리 ATP를 필요로 하는 과정이다. ( O )

47. 세포괴사가 세포자살에 비해 더 높은 염증반응을 유도한다. ( O )

48. 세포자살은 세포괴사와 달리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소기관이 팽창한다. ( X )

- 각종 세포소기관이 팽창해 파괴되는 것은 세포괴사의 경우입니다.

49. 교차에 의한 상동재조합은 감수 제1분열 전기에 일어난다. ( O )

50. 염색체 비분리는 세포분열 동안 염색체가 양극으로 나뉘지 않고 한 쪽으로만 이동하는 현상이다. ( O )

BIOLOGY 2020 186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6회 정답과 해설
1. 유전자는 DNA의 특정 부분으로 유전 형질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 O )

2. 핵산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는 뉴클레오티드이다. ( O )

3. 뉴클레오솜에는 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되어 있다. ( O )

4. 뉴클레오솜에는 RNA가 포함되어 있다. ( X )

- 뉴클레오솜은 DNA + 히스톤 단백질 8량체로 구성됩니다.

5. 히스톤 단백질에는 인산이 포함되어 있어 DNA 염기와의 상호작용으로 DNA가 히스톤에 감긴다. ( X )

- 히스톤 단백질의 양전하 아미노산인 리신과 아르기닌에 의해 DNA에서 음전하를 띠는 인산의 상호작용으로 DNA가 히스톤에

감깁니다.

6. 진핵생물의 mRNA는 폴리시스트론성이며, 원핵생물의 mRNA는 모노시스트론성이다. ( X )

- 시스트론은 구조유전자 내에 유전적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를 의미합니다. 구조유전자 내의 1개의 시스트론은 한 종의 폴리펩티드를

결정합니다. 즉, 1개의 폴리펩티드에 대응하는 유전암호부위를 시스트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원핵생물의 mRNA는 여러 개의

단백질 정보를 가지는 폴리시스트론성이며, 진핵생물 mRNA는 1개의 단백질 정보를 갖는 모노시스트론성입니다.

7. 보통 염색체의 수는 동원체 수와 같다. ( O )

- 동원체는 염색체의 분열에서 핵심적인 방추사 부착점(kinetochore)을 형성하여 자매 염색체와 방추사가 연결되는 곳입니다.

정상적인 경우 동원체의 수로 염색체의 수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8. 일반적으로 DNA 상대량은 염색분체 수에 비례한다. ( O )

9. 염색체의 동원체는 세포가 분열할 때 방추사가 붙는 부분이다. ( O )

10. 염색사는 염색체에 비해 이동이 편리하고, 유전정보가 손실되기 쉽다. ( X )

- 염색사는 염색체가 실처럼 풀어진 형태로 주로 간기 상태의 핵에서 발견됩니다. 세포분열 때 염색사가 꼬여서 응축된 덩어리가

염색체이며, 염색체는 원래 길이의 1만분의 1까지 짧아지므로 이동이 더 용이하게 됩니다.

11. 사람의 성별은 X 염색체 수에 따라 결정된다. ( X )

- 사람의 성별은 Y 염색체 존재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초파리의 경우는 X 염색체와 상염색체세트의 비율에 의하여 결정되며, 벌과

개미는 반수체(n, 수컷) – 배수체(2n, 암컷)로 결정됩니다.

12. 사람의 X 염색체와 Y 염색체는 크기와 모양이 다르나 상동염색체로 간주한다. ( O )

13. 정상적인 수정 과정에서 아버지의 X 염색체는 아들과 딸에게 모두 전달될 수 있다. ( X )

- 아버지의 X 염색체는 아들에게 전달될 수 없습니다.

14. 정상적인 수정 과정에서 아들의 Y 염색체는 아버지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 O )

15. 일반적으로 아버지와 아들의 Y 염색체 유전자 구성은 100% 일치한다. ( O )

BIOLOGY 2020 187 ©THE BASIC SIMPLICITY


16. 정상인에 비해 염색체가 1개 많거나 적은 사람은 일반적으로 불임이다. ( O )

17. 사람의 적혈구를 통해 핵형과 유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 X )

- 성숙한 적혈구는 핵을 비롯한 세포소기관이 없습니다.

18. 염색체의 개수가 같은 두 개체는 같은 생물 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 X )

- 염색체의 개수가 같더라도 염색체의 모양이 다르면 서로 다른 종입니다. 대표적으로 침팬지(48개)와 감자(48개)가 있습니다.

19. 일반적으로 체세포 염색체 수가 같은 두 생물은 생식 세포의 염색체 수가 같다. ( O )

20. 하나의 동원체에 연결된 두 염색분체는 유전자 구성이 서로 같다. ( O )

- 자매염색분체 관계이기 때문에 유전자 구성이 같습니다.

염색체 수
21. 사람의 생식세포에서 = 23이다. ( O )
성염색체 수

22. 세포의 G1기에서 세포 소기관의 수가 증가한다. ( O )

23. 세포의 S기에서 방추사가 합성된다. ( X )

- S기에는 DNA, 중심체, 히스톤 단백질 등이 복제됩니다. 튜불린의 합성은 G2기, 방추사의 조립은 M기 전기 기간에 일어납니다.

24. 세포의 S기에서 핵막이 발견된다. ( O )

25. 동물세포의 G2기에서 2개의 중심체가 관찰된다. ( O )

- 중심체는 S기에 복제되므로 G2기에 2개의 중심체가 발견됩니다.

26. 식물세포의 S기에서 DNA가 복제되어 염색체의 수가 2배로 늘어난다. ( X )

- S기에는 염색체가 발견되지 않습니다.

27. 세포는 G1기에서만 생장하며 S기, G2기에서는 생장하지 않는다. ( X )

- G1기 뿐만아니라 S기, G2기에도 세포는 정상적인 물질대사 및 활동을 합니다.

28. 신경세포나 근육세포는 활발하게 분열한다. ( X )

- 신경세포, 근육세포, 혈구세포는 성숙한 뒤에는 G0 상태로 분열하지 않습니다.

29. 발생 초기의 수정란에서는 분열이 거듭될수록 질량 당 DNA 상대량이 증가한다. ( O )

- 난할에서는 G1기와 G2기가 매우 짧아 세포가 생장을 거의 하지 않고 분열을 거듭하기 때문에 세포 질량 당 DNA 상대량이

증가합니다.

30. 암세포의 세포 분열에는 접촉 저해가 존재하지 않아 세포가 여러 층으로 분열한다. ( O )

31. 감수 1분열 전기 세포의 염색분체 수는 체세포의 염색체 수의 2배이다. ( O )

- 세포분열 시 하나의 동원체에 염색체가 두 개로 갈라진 모양을 보이며 붙어있는 염색체 각각 한 가닥을 염색분체라 합니다. 또한

감수분열 때 상동염색체가 접합한 2가염색체는 총 4개의 염색분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상동염색체가 분리되기 전의

염색분체 수는 체세포에 비해 2배입니다.

BIOLOGY 2020 188 ©THE BASIC SIMPLICITY


32. 감수 1분열 이후 염색체는 염색사로 풀어진다. ( X )

- 보통의 경우 감수 1분열 이후 염색체는 염색사로 풀어지지 않습니다.

33. 생식 세포가 수정되면 G1기의 모세포와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수정란이 생성된다. ( X )

- 생식세포가 수정되면 G1기의 모세포와 유전정보를 제외한 나머지가 일치하는 수정란이 생성됩니다.

34. 방추사 형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처리하면 세포 주기는 G2기에 멈춰있게 된다. ( X )

- 콜히친과 같은 방추사 형성 억제제를 처리하면 세포 주기는 G2기가 아닌 M기 중기에 멈춥니다.

35. 같은 수의 세포를 관찰할 때 세포의 수와 세포 주기에 걸린 시간은 비례한다. ( O )

36. 같은 수의 세포를 관찰할 때 S기가 길어지면 DNA 복제 전 세포의 수가 늘어난다. ( X )

- 같은 수의 세포를 관찰할 때 S기가 길어지면 DNA 복제 전 세포의 수가 감소합니다.

37. 단성 잡종 교배 실험의 F1에서 얻은 자손은 모두 이형접합이다. ( O )

- 부모세대가 각각 순종형의 유전자형(AA, aa)을 갖는 경우, 이들 부모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단성잡종이라 합니다.

38. 단성 잡종 교배 실험의 F2에서 우성 형질의 자손과 열성 형질의 자손은 1:1 비로 나타난다. ( X )

- Aa를 자가교배한 것이므로 우성과 열성의 비는 3:1로 나옵니다.

39. 단성 잡종 교배 실험에서 분리의 법칙, 우열의 원리를 확인할 수 없다. ( X )

- 분리의 법칙과 우열의 원리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40. 부모 세대가 모두 잡종일 때 순종인 자손이 나올 확률은 25%이다. ( X )

- 잡종 Aa를 자가교배한 결과 AA나 aa가 나올 확률은 50%입니다.

41. 양성 잡종 교배 실험의 F1에서 우성 형질이 나타난다. ( O )

42. 양성 잡종 교배 실험에서 독립의 법칙을 확인할 수 있다. ( O )

43. 양성 잡종 교배 실험의 F2에서 얻은 자손은 모두 이형 접합이다. ( X )

- 양성잡종은 대립인자의 두가지 특성이 모두 다른 부모끼리 양성잡종 교배하여 얻어진 자손을 의미합니다. 두 유전자 잡종의 경우,

2쌍의 대립유전자(AA, aa / BB, bb)가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는 경우에 멘델의 분리의 법칙에 따라 잡종 2세대(F2)에서는 9(AB) :

3(Ab) : 3(aB) : 1(ab)의 비율로 분리됩니다. F2에서 동형 접합과 이형 접합이 모두 발견됩니다.

44. 독립인 AaBb를 자가 교배하였을 때 자손의 유전자형의 비는 9:3:3:1이다. ( X )

- 유전자형의 비가 아닌 표현형의 비가 9:3:3:1입니다.

45. 중간 유전은 멘델의 독립의 법칙과 분리의 법칙을 위배한다. ( X )

- 중간 유전은 정상적인 감수 분열과 수정이 일어나므로 분리의 법칙과 독립의 법칙에 위배되지 않으며, 우열의 법칙만 위배됩니다.

46. 독립인 AaBb에서 4가지 종류의 생식 세포가 형성된다. ( O )

- AB, Ab, aB, ab가 형성됩니다.

47. 반성 열성 유전에서 유전 형질을 가진 어머니로부터 정상인 아들이 태어날 수 없다. ( O )

BIOLOGY 2020 189 ©THE BASIC SIMPLICITY


48. 반성 열성 유전에서 정상인 아버지로부터 열성 표현형을 보이는 딸이 태어날 수 있다. ( X )

- 어머니에게서 열성 형질을 받아도 아버지에게서 우성의 정상 형질을 받기 때문에 보인자가 됩니다.

49. 반성 열성 유전에서 정상인 남자와 보인자인 여자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유전병을 가질 확률은 25%이다. ( X )

- 아들이라는 조건이 붙어있음으로 50%입니다. 그냥 자식 중 유전병을 가질 확률이 25%입니다.

50. 아들이 적록 색맹이면 정상인 어머니는 보인자이다. ( O )

BIOLOGY 2020 190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7회 정답과 해설
1. 페닐케톤뇨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염색체 구성은 정상인과 동일하지 않다. ( X )

- 페닐케톤뇨증은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염색체 구조 이상 돌연변이로 발생하지 않으므로 염색체 구성은 정상인과 동일합니다.

2. 유전자 치료에서 면역 거부 반응을 줄이기 위해 환자의 체세포를 사용한다. ( O )

3.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염색체 구조 이상으로 9번과 22번 염색체가 전좌된 것이다. ( O )

4. 염색체 비분리 현상은 감수 1분열과 2분열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 O )

5. 묘성 증후군은 염색체 일부의 결실로 발생한다. ( O )

6. 유전병 환자 부부 사이에 정상 자손이 태어났다면, 유전병 대립유전자는 열성이다. ( X )

- 유전병의 대립유전자는 우성이어야 정상 자손이 태어날 수 있습니다.

7. 반성 유전은 유전자가 성염색체 상에 있는 유전현상으로 X-연관 유전과 Y-연관 유전이 모두 있다. ( O )

8. 페닐케톤뇨증은 티로신이 페닐알라닌으로 전환되지 못해 발생한다. ( X )

- 페닐케톤뇨증은 페닐알라닌이 티로신으로 분해되지 못해 발생합니다.

9. 염기 치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제한효소 처리 후 DNA 절편의 패턴 변화를 RFLP라 한다. ( O )

10. 헌팅턴 병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 X )

- 헌팅턴 병은 상염색체 우성 질환입니다. 헌팅턴 병은 일반적으로 30~50세에 중추신경계의 퇴행이 시작되어 운동능력 상실과 함께

사망하는 병입니다. 헌팅턴 병은 병의 발현이 성인 이후에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치사 유전자와는 달리 다음 세대로 전달이 잘

일어나는 편입니다.

11. 불완전 우성은 우성 형질이 열성 형질에 대해 완전한 우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이다. ( O )

12. 불완전 우성에서 동형접합자와 이형접합자는 서로 같은 표현형을 나타낸다. ( X )

- 전부 다른 표현형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분꽃의 경우 AA는 붉은색, Aa는 분홍색, aa는 흰색을 나타냅니다.

13. 공동우성이란 한 좌위에 존재하는 두 개의 대립 유전자가 모두 열성으로 발현되는 경우를 말한다. ( X )

- 공동우성은 대립유전자들이 서로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 이형접합체의 경우 대립유전자가 모두 표현형에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사람의 MN 혈액형, ABO식 혈액형의 A, B 대립유전자가 있습니다.

14. 종성 유전은 상염색체 유전이면서 성에 따라 우열 관계가 다르게 나타난다. ( O )

- 종성 유전은 멘델의 유전법칙에 따라 유전되나, 남, 녀에서 다르게 발현됩니다. 예를 들어 탈모유전자는 남성에게는 우성,

여성에게는 열성으로 작용합니다.

15. 유전자의 각인은 생식선에서 일어나며, 메틸화가 일어난다. ( O )

16. 유전자의 각인은 수정 후 배아 발생 과정 중 성특이적으로 형성된다. ( X )

- 각인은 수정란이 아닌 정자와 난자 즉, 생식세포 형성 과정에서 모두 풀린 후 다시 성특이적으로 재각인됩니다.

BIOLOGY 2020 191 ©THE BASIC SIMPLICITY


17. 진핵세포의 DNA 리가아제는 지연가닥에서 새로 합성된 가닥과 기존 가닥 사이를 ATP를 소모하여 결합시킨다. ( O )

- 대장균의 리가아제는 활성을 위해 NAD+를 사용하며, 진핵세포의 리가아제는 ATP를 사용합니다.

18. DNA 복제에 선도가닥은 오직 한 개의 프라이머만을 필요로 하며, 지연 가닥은 여러 개의 프라이머로 합성된

오카자키 절편을 필요로 한다. ( O )

19. 원핵 생물은 전사와 변역이 세포질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 O )

20. 번역에 의해 단백질은 C-말단 → N-말단으로 합성된다. ( X )

- N-말단에서 C-말단으로 번역이 진행됩니다.

21. 원핵생물의 번역은 70S 리보솜에서 일어난다. ( O )

- 진핵은 80S 리보솜입니다.

22. 염색질면역침전법은 특정 전사인자와 조절 요소의 직접적인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다. ( O )

23. 진핵생물의 유전자는 유전자의 아래쪽에 전사조절인자가 결합하는 전사조절요소를 가지고 있다. ( X )

- 전사조절요소는 유전자 위쪽=상류에 주로 존재합니다. 진핵생물의 핵심 프로모터는 유전자 바로 위쪽에 존재하여 일반 전사인자가

결합하는 부위이며, TATA 박스와 같은 공통서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조절 프로모터는 핵심 프로모터의 위쪽에 특수전사인자가

결합하며, GC 박스, CAAT 박스 등의 다양한 공통서열이 결합하는 자리입니다.

24. 진핵생물의 RNA Pol I은 28S, 18S, 5S rRNA를 전사한다. ( X )

- 5s는 RNA Pol III에 의해 전사됩니다. Pol I은 5.8s rRNA를 전사합니다. RNA Pol I은 인에서 45s 전구 rRNA를 전사하며, 45s

rRNA는 절단되어 28S, 18S, 5.8S rRNA가 됩니다.

25. 진핵생물의 RNA Pol II는 rRNA를 전사하지 않는다. ( O )

- Pol II는 mRNA, snRNA, miRNA를 전사합니다.

26. 진핵생물의 RNA Pol III는 하나의 rRNA와 tRNA를 전사한다. ( O )

- Pol III는 5s rRNA, tRNA 등을 전사합니다. 5s rRNA는 인 밖에서 따로 합성되며, 세포질에서 번역된 다른 단백질과 함께 인에서

40s, 60s 소단위체로 조립됩니다.

27. 페리틴은 철을 저장하는 세포내 단백질이다. ( O )

28. 원핵생물에서 펩티드 결합의 형성은 28S rRNA에 의해 촉매된다. ( X )

- 원핵생물에서 23S rRNA가 펩티드 결합 형성을 촉매하는 리보자임입니다.

29. 원핵생물의 30S 소단위체가 16S rRNA와의 상보적 서열을 이용하여 mRNA의 샤인-달가노 서열을 인식 후

mRNA와 결합한다. ( O )

30. 원핵생물의 번역에서 대단위체 리보솜의 A자리에 종결코돈이 오면, 방출인자가 A자리에 결합한 후 tRNA와

폴리펩티드를 가수분해시키며 번역을 종결시킨다. ( O )

- 아미노산이 없는 tRNA는 P 자리에서 분리되고, 70S 리보솜도 해체됩니다.

BIOLOGY 2020 192 ©THE BASIC SIMPLICITY


31. 진핵생물의 40S 소단위체는 mRNA의 5’-cap에 결합하여 번역을 개시한다. ( O )

- 5’-cap에 40S 리보솜 소단위체가 결합하고, mRNA를 따라 이동하다 코작서열을 만나면 AUG 코돈에 메티오닌을 삽입하면서

번역이 개시됩니다. 이때 60S 리보솜이 결합합니다.

32. 일반 형질도입은 용균성 생활사를 영위하는 파지에 의해 일어나는 형질도입이다. ( O )

33. 일반 형질도입은 숙주의 특정 DNA만 전달될 수 있다. ( X )

- 특별 형질도입은 삽입 부위에 인접한 특정 DNA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일반 형질도입은 염색체 상의 어떤 유전자도 도입이

가능합니다.

34. 특별 형질도입은 용원성 생활사를 영위하는 파지에 의해서 일어난다. ( O )

- 일반 형질도입은 용균회로, 특수 형질도입은 용원회로에서 일어납니다. 형질도입의 효율은 일반 형질도입보다 특수 형질도입에서

더 높습니다.

35. 특별 형질도입은 일반 형질도입에 비해서 더 큰 크기의 숙주 DNA를 운반할 수 있다. ( X )

- 삽입 부위에 인접한 DNA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형질도입에 비해 더 작은 DNA만 운반할 수 있습니다.

36. 특별 형질도입은 불완전한 프로파지의 절제에 의해 프로파지 주위의 숙주 DNA만을 전달할 수 있다. ( O )

37. 형질도입에 의해 세균의 DNA와 감염된 세균의 DNA 사이에 재조합이 일어날 경우 반드시 2의 배수로 교차가

일어난다. ( O )

38. 형질도입에서 한 개의 외래유전자의 교차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형질전환체의 빈도가 증가한다. ( X )

- 세균의 게놈 DNA는 원형이므로 선형의 DNA 절편과 유전자 재조합이 일어나면 항상 2의 배수로 교차가 일어나며, 교차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형질전환체의 빈도는 감소합니다. 또한 두 유전자가 가까이 위치할수록 동시 형질전환체의 빈도는 증가합니다.

39. 형질도입에서 두 유전자가 가까이 존재할수록 두 유전자 모두가 치환된 형질전환체의 빈도는 감소한다. ( X )

- 형질전환체의 빈도는 가까이 존재할수록 증가합니다.

40. 대장균에서 포도당의 존재는 대장균 내의 cAMP 농도를 낮추어 CAP이 작용할 수 있게 한다. ( X )

- 포도당과 cAMP의 양은 반비례합니다. 포도당이 모두 소모된 후 cAMP가 증가하면 CAP이 활성화되어 젖당 오페론 활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41. 대장균에서 포도당의 존재는 젖당의 이용을 방해한다. ( O )

- 포도당을 먼저 소모하고 젖당을 비롯한 다른 당류를 포도당이 다 소모되고 사용하는 것을 이화억제, 혹은 대사억제라 합니다.

42. 젖당 오페론은 유도성 오페론이다. ( O )

- 젖당 오페론은 평소에는 억제자에 의해 음성조절을 받으며, 젖당 존재하에 유전자 발현이 유도됩니다.

43. IPTG는 알로락토오스처럼 억제자와 결합하여 억제자가 작동자에 결합하지 못하게 하는 젖당 오페론 유도물질이다.

(O)

BIOLOGY 2020 193 ©THE BASIC SIMPLICITY


44. 트립토판 오페론은 억제성 양성조절 오페론이다. ( X )

- 트립토판 오페론은 억제자에 의해 음성조절을 받으며, 보조 억제자(corepressor)인 트립토판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됩니다.

트립토판과 같은 보조 억제자가 존재할 때 전사가 억제되는 오페론을 억제성 오페론(repressible operon)이라 합니다.

45. 시료에 존재하는 RNA를 확인하거나 정량하기 위해 노던 블로팅을 수행한다. ( O )

46. 노던 블로팅에는 항체가 부착된 탐침자가 사용된다. ( X )

- 항체 탐침자는 단백질을 확인하는 웨스턴 블로팅에 사용합니다.

47. RNA 편집은 이미 전사된 RNA의 서열은 변화시킬 수 없다. ( X )

- RNA 편집을 통해 시토신을 우라실로 변환시키는 등 RNA 서열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48. RNA 편집으로 같은 mRNA로부터 서로 다른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다. ( O )

49. RNA 편집으로 종결코돈이 새로운 자리에 생성될 수 있다. ( O )

50. 시티딘 탈아미노효소는 RNA 편집 과정에서 시토신을 티민으로 전환시킨다. ( X )

- 티민이 아니라 우라실입니다. 이를 치환 편집이라 하며 CAA 염기가 탈아미노화 반응으로 UAA, 즉 종결코돈으로 변환되어 다른

종류의 단백질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소장에서 ApoB 유전자의 전사체가 RNA 편집으로 Apo B-48 단백질로 번역되고,

간에서는 같은 ApoB 유전자가 RNA 편집 없이 그대로 번역되어 Apo B-100 단백질이 생성됩니다.

BIOLOGY 2020 194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8회 정답과 해설
1. 리소좀 가수분해효소, 막단백질 등의 모든 분비성 단백질은 자유리보솜에서 번역을 시작한다. ( O )

- 자유리보솜에서 번역이 시작된 후 신호서열에 의해 조면소포체로 이동해 조면소포체 내강에서 번역을 마무리합니다.

2. 동물과 식물세포에서 핵분열과 세포질 분열은 동시에 일어난다. ( X )

- 핵분열이 세포질 분열에 앞서 일어납니다.

3. 세균의 접합을 통해 유전물질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 O )

- F 플라스미드 혹은 Hfr 균주에 의해 유전자의 수평적 전달이 이루어집니다.

4. 복대립유전은 하나의 형질을 결정하는데 3개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관여하며, 이 중에서 2개의 대립유전자에 의해

형질이 결정된다. ( O )

- ABO식 혈액형이 대표적입니다.

5. 트립토판 오페론의 선도부위에서 전사되는 mRNA를 선도 전사체라 하며, 선도 전사체에 존재하는 4개의 상보적인

영역에서 조건에 따라 3종류의 머리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 O )

- 선도서열은 1, 2, 3, 4 영역이 있으며, 1-2 영역, 2-3 영역, 3-4영역이 서로 상보적인 서열로 이루어져 3종류의 머리핀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6. 선도 전사체의 영역 1의 Trp 코돈이 종결코돈으로 바뀐 대장균을 트립토판이 있는 배지에서 배양하면, 전사감쇄가

일어난다. ( X )

- 영역 1의 트립토판 코돈이 종결코돈으로 바뀌게 되면 리보솜이 종결을 위해 1번 영역에 머물게되어 2-3 헤어핀이 생성되고, 따라서

전사감쇄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7. 선도 전사체의 영역 1의 Trp 코돈이 모두 제거된 대장균을 트립토판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하면, 전사감쇄가

일어난다. ( O )

- 트립토판 코돈이 모두 제거되면, 배지의 트립토판의 농도와 관계없이 선도펩티드의 번역이 쭉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리보솜이 1번

영역에서 지체하지 않고 2번 영역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2번 영역이 리보솜에 의해 가려지므로 어쩔 수 없이 3번과 4번 영역이

상보적으로 결합하게 됩니다. 이는 곧 전사종결 신호로 작용하여 전사감쇄가 일어납니다. 전사감쇄가 일어나지 않기 위해선

리보솜이 선도 전사체의 1번 영역에서 머물러있어야 합니다.

8. 뉴클레오솜은 세포가 분열할 때 사라진다. ( X )

- 뉴클레오솜이 더욱 응축해 염색체로 모일 뿐 없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뉴클레오솜의 구성성분인 DNA와 히스톤은 S기 때

분열기를 위해 모두 복제됩니다.

9. 뉴클레오솜에는 디옥시리보오스가 포함되어 있다. ( O )

- 뉴클레오솜은 DNA + 히스톤 8량체이므로 당연히 디옥시리보오스도 포함합니다.

BIOLOGY 2020 195 ©THE BASIC SIMPLICITY


10. 히스톤 단백질에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유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 X )

- 히스톤 단백질은 뉴클레오솜과 염색체를 구성하기 위해 DNA를 안정화시키고,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유전정보는

DNA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11. 히스톤 단백질의 기본 단위는 뉴클레오티드이다. ( X )

- 뉴클레오티드는 DNA와 RNA 같은 핵산의 단위체입니다. 뉴클레오티드는 오탄당 + 염기 + 인산으로 구성됩니다.

12. 유전 정보의 발현에 관여하는 효소는 염색체를 직접 이용할 수 있다. ( X )

- 염색체는 뭉쳐져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효소와 같은 단백질이 접근하기 위해선 염색사 형태로 풀어져야 합니다.

13. 어머니와 딸의 X 염색체 구성은 100% 일치한다. ( X )

- 딸은 XX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부, 모로부터 하나씩 받기 때문에 딸의 X 염색체 구성은 어머니와 50% 일치합니다.

14. Y 염색체에 있는 대부분의 유전자는 남자에게만 존재한다. ( O )

- 예를 들어 Y 염색체의 SRY 유전자는 남자라는 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 Y 염색체에만 존재합니다. X 염색체는

1100여개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사람에서 8번째로 큰 염색체이고, Y 염색체는 70여개의 유전자를 가진 전체에서 3번째로

작은 염색체입니다. X 염색체가 생존에 필요한 중요한 유전자를 많이 포함하기에 Y 염색체와 달리 X 염색체가 결실되면 개체는

사망하거나 발생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Y 염색체 퇴화론이 주목 받기도 했습니다.

- 또한 X, Y 염색체가 세포 분열 시 짝을 이루는 이유는 의사상동염색체 영역(pseudoautosomal region, PAR)입니다. 상동을 이루기

위한 중복되는 영역이 존재하기에 모든 Y 염색체 유전자가 Y 염색체에만 존재한다는 문제는 정확하게는 틀린 문제입니다. 추가로

감수분열 시 X와 Y 염색체는 PAR 부위에서 교차가 일어날 수 있으나, 남성의 성을 결정하는 SRY 부위에서는 교차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15. 상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세포 당 DNA 상대량의 합은 남녀에서 동일하다. ( O )

16. 핵형 분석을 통해 ABO식 혈액형과 당뇨병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 X )

- 핵형은 염색체의 수, 크기, 모양 등을 판별하는 것으로, ABO식 혈액형과 당뇨병은 염색체 이상 형질이 아니므로 핵형 검사로 알 수

없습니다.

17. 중심립이 처음으로 관찰되는 시기는 분열기의 전기이다. ( X )

- 2개의 중심립은 중심체를 구성하며 튜불린 미세소관 형성에 관여합니다. 중심체는 세포 주기 내내 존재하며, S기에 복제되어

분열기에 방추사를 형성하므로 처음 관찰되는 시기가 분열기의 전기란 말은 틀렸습니다.

18. 감수 1분열을 마친 세포가 S기를 거쳐 G2기로 돌아갈 수 있다. ( X )

- 감수 분열을 진행한 세포가 중간에 다시 감수분열 전의 시기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19. 감수 1, 2분열 결과 생성된 4개의 딸세포에서는 대립 유전자가 쌍을 이룬다. ( X )

- 감수 1분열에서 상동염색체가 분리되고, 감수 2분열에서 자매염색체가 분리되므로 각 딸세포에서 대립 유전자가 쌍을 이루지

않습니다.

20. 감수 2분열 전후의 세포는 핵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 O )

- 감수 2분열에서 자매염색체만 분리되므로 핵상은 n으로 유지됩니다.

BIOLOGY 2020 196 ©THE BASIC SIMPLICITY


21. 열성 순종과의 교배를 통해 우성 표현형을 가지는 개체의 유전자형을 알 수 있다. ( O )

- 이를 검정교배라 합니다.

22. 양성 잡종에서 4개의 생식 세포가 형성되면 두 유전자는 연관되어 있다. ( X )

- 모두 독립일 때 AB, Ab, aB, ab 4개의 생식세포가 1 : 1 : 1 : 1로 나옵니다.

23. 상인연관(AaBb)에서 유전자형이 AB, ab인 생식 세포를 얻을 수 있다. ( O )

24. 교차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상인연관(AaBb)을 자가 교배하였을 때 자손의 표현형의 비는 3:1이다. ( O )

- A_B_ : aabb = 3 :1 입니다.

25. 교차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상인연관(AaBb)을 자가 교배하였을 때 자손의 유전자형의 비는 3:1이다. ( X )

- 상인연관을 자가 교배하였을 때 자손의 유전자형의 비는 AABB : AaBb : aabb = 1 : 2 : 1 입니다.

26. 교차가 없을 때 상인연관(AaBb)과 상반연관(AaBb)의 교배로 얻은 자손에서 표현형의 비는 2 : 1 : 1 이다. ( O )

- A_B_ : A_bb : aaB_ = 2 : 1 : 1 입니다.

27. 교차가 없을 때 상인연관(AaBb)과 상반연관(AaBb)의 교배로 얻은 자손에서 4가지 유전자형이 나타난다. ( O )

- AaBB, AABb, Aabb, aaBB 4가지가 나타납니다.

28. 상인연관(AaBb)과 상반연관(AaBb)의 교배로 얻은 모든 자손에서 유전자형이 ab인 생식세포를 얻을 수 있다. ( X )

- 자손 중 AABb와 AaBB에서는 유전자형이 ab인 생식세포를 얻을 수 없습니다.

29. AaBb의 교배에서 A_B_는 독립, 상인연관, 상반연관에서 모두 얻을 수 있다. ( O )

30. 교차가 없을 때, AaBb의 교배에서 aabb는 독립, 상반연관에서만 얻을 수 있다. ( X )

- 교차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aabb는 독립과 상인연관에서만 얻을 수 있습니다.

31. 교차가 일어나면 유전적 다양성이 증가한다. ( O )

32. 독립인 AaBbDd에서 생성되는 생식세포의 유전자형은 모두 8가지이다. ( O )

33. 독립인 AaBbDdEe의 자가 교배에서 얻은 자손의 표현형은 모두 16가지이다. ( O )

34. 독립인 AaBb를 검정교배하였을 때 4가지 표현형의 자손이 나타난다. ( O )

35. 이란성 쌍둥이의 유전자 구성을 서로 동일하다. ( X )

- 다른 정자와 난자에서 각각 수정이 일어나므로 유전자 구성이 다릅니다. 유전자 구성이 동일한 것은 일란성 쌍둥이입니다.

36. 일란성 쌍둥이는 모든 형질이 서로 동일하다. ( X )

- 유전자 발현은 유전자 구성 뿐 아니라 환경에 영향을 받기도 하므로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7. AaBb의 자가교배에서 자손의 표현형이 4가지가 나오면 대립유전자는 서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여 우열의 원리와

독립의 법칙을 따른 것이다. ( O )

38. 상염색체 유전에서 우성 표현형을 가진 개체와 열성 표현형을 가진 개체 사이에서 우성 순종인 개체가 태어날 수

있다. ( X )

- 우성 순종은 태어날 수 없으며, 우성인 개체의 유전자형에 따라 우성 잡종(Aa)인 개체와 열성 순종(aa)이 태어날 수 있습니다.
BIOLOGY 2020 197 ©THE BASIC SIMPLICITY
39. 부모가 가지지 않은 형질을 가진 딸은 상염색체 유전의 열성 순종이다. ( O )

40. 부모가 가지지 않은 형질을 가진 아들은 상염색체 유전의 열성 순종이다. ( X )

- 성염색체 유전으로 부모에게 없는 형질을 가진 아들이 태어날 수 있습니다.

41. 감수 1분열에서 비분리가 일어나면 정상인 생식 세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 O )

- n+1, n+1, n-1, n-1 4개의 생식 세포가 모두 비정상입니다.

42. 감수 2분열에서 비분리가 일어나면 정상인 생식 세포가 형성되지 않는다. ( X )

- 2개의 감수 1분열 후 세포 중 하나에서만 감수 2분열에서 비분리가 나타나면, 다른 정상 감수 2분열을 진행한 생식세포는

정상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n+1, n-1, n, n)

43. 대립유전자 구성이 Aa인 세포에서 감수 1분열 비분리가 일어나면 A와 a를 모두 가진 생식세포가 형성될 수 있다.

(O)

- 감수 1분열에서 상동염색체가 분리되므로 감수 1분열에서 비분리가 일어나고, 감수 2분열에서 자매염색체 분리만 일어나면 Aa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44. 대립유전자 구성이 Aa인 세포에서 감수 2분열 비분리가 일어나면 A와 a를 모두 가진 생식세포가 형성될 수 있다.

(X)

- 감수 1분열에서 비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한 Aa를 모두 가진 생식세포는 형성될 수 없습니다.

45. 겸형적혈구빈혈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핵형은 정상이다. ( O )

- 염기 치환 돌연변이로 헤모글로빈을 이루는 아미노산이 하나만 바뀐 것이므로(글루탐산→발린) 핵형은 정상입니다.

46. 클라인펠터 증후군인 사람은 적록 색맹의 보인자가 될 수 있다. ( O )

- XXY 염색체이므로 보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47. X 염색체 유전에서 정상인 부모로부터 터너증후군이며 유전병을 가진 딸이 태어날 때 유전병은 정상에 대하여

열성이다. ( O )

- 유전병이 우성이라면 부모에게서 유전병이 표현형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48. 배수성 돌연변이는 주로 식물에서 관찰되고 인위적으로 만들 수 없다. ( X )

- 인위적으로 만들어 식물의 품종개량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49. 상동염색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교차는 염색체 구조 이상의 한 종류이다. ( X )

- 교차는 유전자의 다양성을 증가시켜주는 기작으로 구조 이상과는 관련 없습니다.

50. 유전자 치료가 성공하면 유전병은 유전되지 않는다. ( X )

- 유전자치료는 크게 체세포 유전자치료와 생식세포 유전자 치료가 있습니다. 체세포 유전자 치료법은 시험관내에서 각종 체세포에

정상 유전인자를 넣고 배양한 후 다시 사람에게 주입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체세포가 수명이 짧고 세포분열도 잘 일어나는

세포가 아니므로 치료법이 영구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생식세포 유전자치료법은 수정란이나 발생 초기의 배아에 유전자를

삽입하는 것으로 일생동안 유전자가 체내에 존재하고 그 후 자손들에게까지 지속적으로 유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BIOLOGY 2020 198 ©THE BASIC SIMPLICITY


PART II – 9회 정답과 해설
1. X 염색체 불활성화는 동물 암수의 성염색체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파리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 O )

- X 염색체의 불활성화를 통한 성염색체 보정은 포유류에서 일어납니다. 초파리의 경우는 수컷에서 X 염색체 2개 만큼의 유전자가

발현되는 방식으로 성염색체 보정을 합니다.

2. X 염색체 불활성화는 Xist 유전자가 존재하는 불활성화중심에서 시작된다. ( O )

3. XIST 유전자는 단백질로 번역되지 않는 Xist RNA를 발현하며, 이는 응축될 X 염색체에 결합한다. ( O )

- XIST가 발현된 그 X 염색체가 불활성화되어 바소체가 됩니다.

4. Xist RNA의 결합은 시토신의 아세틸화를 유래해 DNA의 응축을 초래한다. ( X )

- 합성된 Xist RNA가 자신을 발현한 X 염색체를 감싸서 메틸화를 일으켜 바소체 형성을 초래합니다. 이 때 바소체의 Xist 유전자

부분은 메틸화가 감소되어 있습니다. 바소체에서는 전체적으로 DNA의 메틸화는 증가되어 있고, 히스톤의 아세틸화는 감소되어

있습니다.

5. DNA의 아세틸화, 인산화, 메틸화는 유전자 발현 조절과 관련된다. ( X )

-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합니다.

6. 증폭자는 유전자 내부에도 존재할 수 있다. ( O )

7. 증폭자에 결합하는 단백질 대부분은 전사를 촉진하는 활성자로 모든 세포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 X )

- 인체의 모든 조직에서 공통으로 발현되지 않습니다.

8. 증폭자의 방향은 중요치 않아 증폭자 서열의 방향을 거꾸로 놓아도 전사를 활성화하는 능력에는 영향이 없다. ( O )

9. 선택적 스플라이싱에 의해 하나의 유전자에서 하나의 폴리펩티드만 만들어질 수 있다. ( X )

- 선택적 스플라이싱(alternative splicing)은 유전자의 전사 후 엑손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하나의 유전자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폴리펩티드가 만들어질 수 있는 기작입니다.

10. 유전자에는 mRNA의 폴리 A 서열에 대응하는 폴리 T 서열이 존재한다. ( X )

- 폴리 A 서열은 mRNA가 전사되면서 폴리 A 합성효소에 의해 형성되므로 유전자에는 폴리 T 서열이 없습니다.

11. 5’-capping, 3’-poly A 형성은 mRNA와 tRNA에서 나타난다. ( X )

- tRNA 역시 전사 후 일부 서열의 절단, 염기 첨가, 변형, 스플라이싱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치지만, 5’-모자, 3’-꼬리 가공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12. mRNA 서열 중 아미노산을 코딩하지 않는 부위를 UTR이라 한다. ( O )

- UTR은 비번역 부위(untranslated region)입니다.

13. mRNA 서열 중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를 CDS라 한다. ( O )

- 코딩 서열(conding sequence)의 약자입니다.

BIOLOGY 2020 199 ©THE BASIC SIMPLICITY


14. 유전자 각인은 유전자가 어느 부모 쪽에서 유래했냐에 따라 발현이 달라지는 현상으로 유전자는 성염색체에

위치한다. ( X )

- 상염색체에서 유전자 각인이 나타납니다.

15. 모계로부터 유래된 15번 염색체 일부의 결실은 프레더-윌리 증후군을 초래한다. ( X )

- 15번 염색체에 일부에 대해 부계 유래 결실 + 모계 유전자 각인으로 프레더-윌리 증후군이 나타나며, 모계 유래 유전자의 결실 +

부계 유전자 각인으로 엥겔만 증후군이 나타납니다.

16. 부계와 모계로부터 전달된 IGF-2 유전자 중 부계 쪽 유전자가 발현된다. ( O )

17. 유전자 각인은 후생유전학 현상에 속한다. ( O )

18. 전사가 활발히 일어나는 유전자들은 전사가 비활성인 유전자들에 비해 염색질의 구조가 더 치밀하다. ( X )

- 더 느슨하여 각종 전사인자 등의 단백질이 DNA와 쉽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19. 연관된 기능의 유전자들이 함께 발현되는 것은 각각의 유전자들이 같은 조절 서열을 가지고 있기에 가능하다. ( O )

20. 유전자 발현 조절 단백질들은 세포에 따라 특이적이다. ( O )

21. miRNA는 RNA 간섭현상을 일으키며, RNA 간섭은 바이러스나 외부유전자의 침입을 막고 자신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기전이다. ( O )

22. pri-miRNA는 핵 내부에서 Drosha에 의해 절단된다. ( O )

23. RISC와 결합한 miRNA는 목적 mRNA에 결합하여 상보성이 완벽할 때 목적 mRNA의 분해를 유도한다. ( O )

- 상대적으로 불완전하면 mRNA의 분해보다는 번역을 억제합니다.

24. 제한효소는 곰팡이와 같은 균류에서 발현되며, ds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당-인산 골격의 인산이에스테르

결합을 가수분해한다. ( X )

- 제한효소는 원핵생물에서 발견되고 추출되며, DNA의 염기배열을 인식하고 이중가닥을 절단하는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입니다. 대부분의 진핵생물에서 제한효소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25.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한 말단은 DNA 리가아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 O )

26. 각 단일 가닥 DNA를 같은 방향으로 읽었을 때 동일한 염기서열을 지니는 배열을 회문배열이라 한다. ( O )

27. 제한효소에 의한 절단 부위는 점착성말단(sticky end)만을 형성한다. ( X )

- 무딘말단(blunt end)도 제한효소가 인식하는 염기서열에 따라 얼마든지 형성될 수 있습니다.

28. DNase I은 DNA의 내부를 절단하는 내부핵산분해효소로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한다. ( X )

- DNase I은 DNA를 무작위로 절단하는 효소입니다.

29. Taq DNA 중합효소는 고온에서 안정적이며 PCR에 사용된다. ( O )

30. 플라스미드 분리법에서 페놀/클로로포름은 단백질을 변성, 침전시키는 시약이다. ( O )

- 페놀/클로로포름이나 실리카 흡착법을 이용해 단백질을 제거시키고 DNA만 분리합니다.

BIOLOGY 2020 200 ©THE BASIC SIMPLICITY


31. 플라스미드 분리법에서 70% 알콜이나 이소프로판올은 RNA만 농축시킨다. ( X )

-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판올을 처리하면 DNA를 농축시키고 침전시킬 수 있습니다.

32. 플라스미드 분리법에서 SDS는 세포벽을 파괴한다. ( X )

- 세포벽 파괴는 EDTA 때문이며, SDS는 세포막을 파괴하고 기타 단백질을 변성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33. 재조합 DNA에서 벡터는 복제개시점, MCS, 선별표시자를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 ( O )

- 숙주 내에서 자발적으로 복제되어 증식하기 위해선 복제개시점이 필요하며, 제한효소 작용을 위한 MCS(multiple cloning site),

외래 DNA의 벡터 삽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선별표시자가 필요합니다. 선별표시자에는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 보고자 유전자

등이 있습니다.

34.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효모에 형질전환할 경우 테트라사이클린 저항성 유전자를 선별표시자로 사용할 수 있다. ( X )

- 테트라사이클린은 원핵에 사용되는 항생제이므로 효모 형질전환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35. 특정 제한효소자리의 점 돌연변이로 인해 제한효소 절단 시 생성되는 DNA 절편의 길이와 개수가 다른 현상을

STR라 한다. ( X )

- RFLP입니다. STR은 단순직렬반복 서열을 의미합니다.

36. SSLP, RFLP, SNP는 게놈 상 특징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유전적 표지자이며, 유전적 다형성을 나타낸다. ( O )

37.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두 세포를 융합할 때 사용한다. ( O )

38. 유전체는 한 생명체가 지니는 모든 유전자의 집합을 의미한다. ( O )

39. RNA 간섭 현상을 유전자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 ( O )

40. 효모 이중 혼성화법은 단백질간의 결합력을 추정하거나 결합하는 분자를 탐색하는 기술이다. ( O )

41. 녹아웃 마우스와 RNA 간섭은 유전자 발현, 불활성과 관련되는 실험이다. ( O )

42. 박테리아에서 rRNA, tRNA, m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은 서로 다른 RNA 중합효소에 의해 전사된다. ( X )

- 원핵생물의 RNA 중합효소는 1개이며, 1개의 RNA 중합효소에서 모든 종류의 RNA를 전사합니다.

43. 대부분의 DNA 결합 단백질은 이중나선의 주 홈에 결합한다. ( O )

- 모티프 단백질은 이중나선의 주(major) 홈에 결합하며, 히스톤 단백질은 부(minor) 홈에 결합합니다.

44. 역분화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만들며, 모든 신체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 X )

- 역분화 줄기세포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라고도 불리며, 성체에서 얻은 세포를 역분화 시켜 줄기세포를 얻어낸 것을 말합니다.

성체의 세포는 섬유아세포나 다른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5. 기능 획득 돌연변이는 일반적으로 열성으로 작용한다. ( X )

- 기능 획득 돌연변이는 유전자 돌연변이로 산물의 조절 부위가 사라져 활성이 계속 나타나는 경우로 일반적으로 우성으로

작용합니다. 유전자 돌연변이로 산물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열성으로 작용하는 것은 기능 상실 돌연변이입니다.

BIOLOGY 2020 201 ©THE BASIC SIMPLICITY


46. 아데닌이 티민으로 전환된 것은 전이 돌연변이이다. ( X )

- 전이(transition)는 퓨린계열에서 퓨린으로 피리미딘계열에서 피리미딘으로 전환되는 돌연변이이고, 퓨린계열이 피리미딘 계열로

전환되는 것은 전좌(transversion)라 합니다.

47. 체세포에서 생성된 돌연변이는 후대로 유전되지 않는다. ( O )

48. 생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돌연변이는 모두 개체에 유해하여 개체를 치사시킨다. ( X )

- 자연 돌연변이에는 DNA 복제의 실수, 이성질화 반응, 탈퓨린 반응, 탈아미노 반응 등이 있으며, 모두 치사되는 것은 아닙니다.

49. 정상적인 종양 억제 유전자를 동형접합으로 지니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기능 상실 돌연변이는 우성으로 작용한다.

(X)

- 종양 억제 유전자는 기능 상실형 돌연변이로 우성이 아니라 열성으로 작용합니다. 원암 유전자(proto-oncogene)가 기능 획득형

돌연변이로 우성으로 작용합니다.

50. 유도 돌연변이는 돌연변이원에 의해 발생하는 돌연변이이다. ( O )

- 유도 돌연변이에는 BrdU 와 같은 유사 염기의 첨가, 화학적 돌연변이, 삽입 물질, 자외선이나 방사선과 같은 물리적 돌연변이, 전이

인자에 의한 돌연변이 등이 해당됩니다.

BIOLOGY 2020 202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회 정답과 해설
1. 세포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최소단위이다. ( O )

2. 세포는 유전자의 차등적 발현을 통해 세포마다 다른 구조와 기능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 O )

- 기능적으로 유사한 세포의 집단은 조직이며, 조직은 기능에 따라 상피, 신경, 근육, 결합조직으로 분류됩니다.

3. 조직은 기능적으로 유사한 세포들의 집단으로 조직이 모이면 기관이 된다. ( O )

- 동물의 경우 세포 – 조직 – 기관 – 기관계로 갈수록 집단의 크기가 커지고 식물에는 기관계가 없습니다.

4. 상피조직은 각 구조의 경계면을 이루고, 주변 환경에 대한 감각, 통합, 반응에 관여한다. ( X )

- 주변 환경 자극에 대한 감각, 통합, 반응에 관여하는 것은 신경조직입니다.

5. 모세혈관, 폐포 등에는 단층편평상피를 발견할 수 있다. ( O )

- 단층편평상피는 두께가 매우 얇아 세포막을 투과하는 수송에 적합합니다. 사구체, 폐포, 모세혈관 등에서 발견됩니다.

6. 단층입방상피는 외분비선이나 신장 등에서 관, 분비세포 등을 형성한다. ( O )

7. 단층원주상피에 술잔세포나 분비샘들이 발달하여 점액 분비와 이물질 제거를 수행한다. ( X )

- 단층원주상피는 소화 산물의 흡수, 위산, 효소 점액 물질 분비를 수행합니다. 술잔세포나 분비샘들이 발달한 상피는

거짓중층상피입니다.

8. 입, 위, 소장, 대장, 간 등은 기관계(organ system)이다. ( X )

- 입, 위, 소장, 대장, 간 등은 소화계라는 기관계를 이루는 기관들입니다. 기관계는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는 일련의 기관들의

집합이며, 기관은 조직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독립된 기능을 담당하는 집단을 의미합니다.

9. 피부의 각질층과 기저층은 결합조직을 구성한다. ( X )

- 상피를 구성합니다. 피부의 진피층과 피하지방은 결합조직입니다.

10. 섬유아세포, 대식세포, 형질세포, 비만세포 등은 대표적인 결합조직 구성 세포들이다. ( O )

11. 동물과 식물은 모두 기관과 기관계가 발달되어 있다. ( X )

- 식물은 기관만 있고 기관계는 없습니다.

12. 신호가 세포 내에서 전달되는 과정에서 신호는 기하급수적으로 증폭된다. ( O )

13. 이차전달자는 단백질성 물질로 짧은 시간동안 작용하여 신호 전달 과정을 매개한다. ( X )

- 이차전달자는 모두 비단백질성 물질입니다. 짧은 시간 동안 확산으로 작용하고 사라집니다. 대표적인 이차전달자에는 DAG, PIP3,

cAMP, cGMP, IP3, NO, CO 등이 있습니다.

14. 내분비 신호물질은 국소분비 신호물질에 비해 안정성이 작다. ( X )

- 내분비 신호물질은 몸 전체를 혈관을 따라 순환하는 호르몬을 말하는 것으로 근거리에서만 작용하는 국소분비 신호물질에 비해

안정성이 훨씬 큽니다.

BIOLOGY 2020 203 ©THE BASIC SIMPLICITY


15. 효소 연결 수용체와 개폐성 이온 채널은 세포 표면 수용체의 일종이다. ( O )

16. 효소 연결 수용체는 수용체 도메인과 효소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세포막을 2번 관통한다. ( X )

- 효소 연결 수용체는 세포막을 한 번 관통하는 구조입니다. 효소 연결 수용체에는 구아닐릴 고리화 효소, 티로신 카이네이스 수용체

등이 있습니다.

17. 구아닐릴 고리화효소 수용체의 수용체 도메인은 세포 외부에 존재한다. ( O )

18. 구아닐릴 고리화효소 수용체에 리간드가 결합하면 수용체의 구조 변화가 나타난다. ( O )

19. NO-활성 구아닐릴 고리화효소는 소동맥의 평활근 확장, 장기 기억에 관여한다. ( O )

- NO는 NO 신테이스에 의해 아르기닌에서 생성됩니다. NO는 단순한 기체이기 때문에 세포막을 단순확산으로 통과해 옆 세포로

전달되며, 세포 내부에서 NO-구아닐릴 고리화효소와 결합해 cGMP를 통한 세포 내 신호전달을 일으킵니다. NO-구아닐릴

고리화효소는 예외적으로 세포질에 존재하는 효소 연결 수용체입니다. NO는 소동맥 평활근의 확장, 장기 기억, 발기에 관여하며,

비아그라는 PDE의 저해제로서 cGMP의 농도를 높게 유지시켜 NO에 의한 신호 전달이 지속되게 합니다.

20. 비아그라는 cGMP PDE를 활성화시켜 소동맥 평활근의 이완을 유지시킨다. ( X )

- 비아그라는 PDE를 억제시켜 cGMP의 농도를 유지시킵니다.

21. 티로신 카이네이스 수용체에서 리간드가 결합하지 않은 평소의 수용체는 수용체 도메인이 효소 도메인의 활성을

억제한다. ( O )

22. 수정은 부모 각각에서 물려받은 염색체를 가진 배우자가 서로 접합하는 과정이다. ( O )

23. 성게의 ZP3 당단백질은 종특이성을 나타낸다. ( X )

- 성게의 종특이성은 빈딘이 나타나며, ZP3는 포유류에서 종특이성을 나타냅니다. 정자 세포막의 단백질인 퍼틸린(fertilin)은 난자

투명대의 ZP3와 결합해 첨체 반응을 일으킵니다.

24. 포유류의 정자는 암컷의 몸속에서 완전한 수정능을 얻는다. ( O )

- 남성의 몸에서는 정자는 완전한 수정능이 없으며, 여성의 몸속 환경에 노출되어야 수정능을 갖게됩니다.

25. 포유류는 다수정의 느린 차단 기전은 존재하지만 빠른 차단 기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 O )

- 빠른 차단은 주로 체외 수정을 하는 동물들에서 발견됩니다.

26. 포유류 수정 시 정자의 중심립은 수정란에서 방추사 형성에 기여한다. ( O )

- 정자의 중심립은 수정 후 퇴화되거나 분해되지 않습니다.

27. 수정란의 난할은 체세포분열 보다 G1기와 G2기가 더 길게 나타나 세포 분열 전 세포의 충분한 성장이 일어난다.

(X)

- 빠른 세포 분열을 진행하므로 G1기와 G2기가 축소되거나 진행하지 않습니다.

BIOLOGY 2020 204 ©THE BASIC SIMPLICITY


28. 중심황란은 적당히 많은 난황이 수정란에 골고루 분포하며, 대부분의 곤충의 수정란이 해당된다. ( X )

- 적당히 많은 난황이 수정란에 골고루 분포하는 동물은 없습니다.

- 완전난할을 진행하는 등황란은 난황이 거의 없거나 있더라도 균등하게 분포합니다. (극피동물, 포유류)

- 완전난할을 진행하는 중황란은 적당히 많은 난황이 식물반구에 존재합니다. (양서류)

- 불완전 난할을 진행하는 단황란은 매우 많은 난황이 식물반구에 존재합니다. (어류, 파충류, 조류)

- 불완전 난할(표할)을 진행하는 중심황란은 수정란 중앙에 매우 많은 난황이 분포합니다. (곤충)

29. 포유류는 등황란으로 방사형 난할을 진행한다. ( X )

- 등황란 중 방사형 난할을 진행하는 동물은 극피동물입니다. 포유류는 회전형 난할을 진행합니다.

30. 극피동물과 조류, 파충류는 불완전 난할을 진행한다. ( X )

- 극피동물은 등황란으로 완전난할을 진행합니다.

31. 축삭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의 대부분은 신경세포체에서 만들어지며, 미세소관을 통해 축삭말단으로

수송된다. ( O )

32. 수상돌기는 다른 세포들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여 활동전위를 발생시킨다. ( X )

- 수상돌기는 신호를 받아들여 차등전위를 만들어냅니다. 역치 이상의 차등전위는 축삭 둔덕에서 활동전위를 발생시킵니다.

33. 막전위에는 각 이온의 세포 안팎 농도와 세포막 투과도가 모두 영향을 미친다. ( O )

34. 일반적으로 휴지막 전위는 전압 개폐성 나트륨 채널에 의해 유지된다. ( X )

- 세포막의 휴지전위는 주로 K+와 Na+의 농도 구배에 의해 유지되며, 두 이온의 농도차를 위해 Na+/K+ 펌프가 ATP를 소모하며

작동합니다. 전압 개폐성 나트륨 채널은 활동전위를 일으킬 때 작용합니다.

35. 일반적으로 Na+ 누설 채널은 K+ 누설 채널 보다 더 많이 존재한다. ( X )

- K+ 누설(leak) 채널이 Na+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K+ 누설 채널이 더 많기 때문에 휴지막 전위는 K+의 평형전위(-90mV)에

가까운 -70mV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36. 휴지막 전위는 각 이온의 동적 평형 상태이다. ( O )

37. 유수 신경의 축삭돌기는 도약 전도의 형태로 활동전위가 전달된다. ( O )

- 유수 신경에는 랑비에 결절에만 이온 채널들이 밀집되어 있어 도약전도가 일어납니다. 도약 전도로 인해 유수 신경에서의 신경

전도 속도가 무수 신경보다 빠릅니다.

38. 대부분의 연합뉴런에는 랑비에 결절이 존재하지 않는다. ( O )

39. 중추신경계의 수초는 축삭돌기가 변형된 것이다. ( X )

- 중추신경계의 수초는 희소돌기세포가 만들며, 축삭 돌기가 변형된 것이 아닙니다.

40. 축삭돌기의 수초로 둘러쌓인 부분의 이온의 투과도가 더 높다. ( X )

- 수추로 둘러쌓인 부분은 이온 투과도가 낮고, 이온 채널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41. 뉴런이 역치 이상의 자극을 받으면 나트륨 이온의 막 투과도가 증가한다. ( O )

BIOLOGY 2020 205 ©THE BASIC SIMPLICITY


42. 자극을 1회 받았을 때 상대적 불응기는 절대적 불응기보다 먼저 나타난다. ( X )

- 절대적 불응기 이후 상대적 불응기가 나타납니다.

43. 자극의 세기가 커지면 활동전위의 빈도는 더 잦아지고, 활동전위의 크기는 일정하다. ( O )

- 활동전위는 실무율에 따르므로 자극의 세기가 커진다고 활동전위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습니다. 자극의 세기 변화는 활동전위의

빈도만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44. 자극의 세기가 커지면 채널을 통한 이온의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 X )

- 자극의 세기와 이온 이동 속도는 관련없습니다.

45. 정상 휴지막 전위에서 내향성 전류는 칼륨 이온에 의해, 외향성 전류는 나트륨 이온에 의해 생성된다. ( X )

- 정상 휴지막 전위는 -70mV이므로 평형전위가 -90mV인 칼륨 이온은 세포 밖으로 나가려 하며, 평형전위가 +60mV인 나트륨은

안으로 세포 들어오려고 합니다. 휴지막 전위는 이와같이 나가는 K+양과 들어오는 Na+양이 같은 지점으로 막전위의 변화가 없는

동적 평형 상태입니다. 또한 (+) 이온이 세포 안으로 들어올 때의 전류는 내향성 전류, (+) 이온이 밖으로 나갈 때의 전류는 외향성

전류로 정의합니다. 따라서 정상 휴지막 전위에서 칼륨 이온에 의해 외향성 전류, 나트륨 이온에 의해 내향성 전류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46. 전기적 시냅스에서의 흥분전도는 이온 전달 방식이며, 흥분이 일방적인 방향으로 전달된다. ( X )

- 전기적 시냅스에서 흥분전도는 간극 연접을 통한 직접 적인 이온의 확산을 통해 일어납니다. 전기적 시냅스에서 신호는 양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신호의 변형을 불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47. 전기적 시냅스에서 여러 세포들이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으며, 앞 뒤 세포간 신호의 변형은 일어날 수 없다. ( O )

- 전기적 시냅스는 신호가 매우 빠르게 전달되어 여러 세포가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지만, 신호의 변형은 일어날 수 없습니다.

48. 화학적 시냅스는 전기적 시냅스에 비해 전도 속도가 느리고, 신호는 한 방향으로만 전달된다. ( O )

- 화학적 시냅스는 축삭 말단의 신경 전달 물질 방출에 의해 신호 전달이 일어납니다. 화학적 시냅스는 전기적 시냅스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신호가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49. 화학적 시냅스는 신경전달물질을 통한 흥분의 전달로 신호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 O )

- 화학적 시냅스는 방출된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에 따라 신호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50. 화학적 시냅스의 작용 시 칼슘 이온이 필요하다. ( O )

- 활동전위가 축삭 말단에 도달하면 전압 개폐성 Ca2+ 채널이 열리고 Ca2+가 유입되면 축삭 말단에 신경 전달 물질을 담은 소낭과

세포막의 융합을 촉진합니다. 소낭과 세포막의 융합 시 신경 전달 물질이 시냅스 사이로 방출되게 됩니다.

BIOLOGY 2020 206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2회 정답과 해설
1. 대뇌는 척추동물 내분비계 조절에 관여하고, 성욕, 즐거움, 배고픔과 같은 감정 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X )

- 인체 항상성 중추로서 내분비계와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것은 대뇌가 아닌 시상하부입니다.

2. 대뇌 우반구와 좌반구 사이의 의사소통은 망상체를 통해 일어난다. ( X )

- 뇌량을 통해 우반구와 좌반구 사이에 정보교환이 일어납니다.

3. 소뇌는 뇌간의 일부로 운동의 자세와 균형 유지 등에 관여한다. ( X )

- 뇌간은 중뇌, 연수, 뇌교를 이르는 말로 소뇌는 뇌간이 아닙니다.

4. 뇌교는 연수와 함께 호흡 운동을 조절한다. ( O )

- 연수는 호흡의 주기적 흐름, 뇌교는 세부적인 리듬 조절합니다.

5. 양극 신경은 수상돌기와 축삭이 양 쪽으로 뻗어있는 구조이며, 거짓단극 신경은 한 개의 축삭이 두 개의 가지로

갈라진 구조를 하고 있다. ( O )

- 양극 신경을 통해 시각, 평형감각, 후각, 청각 등의 특수감각이 뇌로 전달되며, 거짓단극 신경(pseudounipolar neuron)을 통해

촉각, 압각, 통각 등의 몸의 감각이 척수로 들어갑니다.

6. 척추동물의 신경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뉴런은 다극 신경이다. ( O )

- 다극 신경은 한 개의 축삭과 여러 개의 수상돌기를 가진 구조입니다.

7. 신경계를 대부분 차지하는 세포는 뉴런이 아니라 신경교세포이다. ( O )

8. 성상세포는 중추신경계에서 신경 축삭말단을 둘러싸 수초를 형성하며, 동시에 뇌-혈관 장벽을 형성한다. ( X )

- 중추신경계에서 수초를 형성하는 신경교세포는 희소돌기교세포입니다.

9. 성상세포는 혈액의 포도당을 흡수해 신경세포들에게 젖산의 형태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 O )

- 성상세포는 BBB형성과 양분 공급 이외에도, 세포외액의 과량의 K+ 제거, 신경전달물질을 흡수하는 등 항상성 유지에 관여합니다.

10. 슈반세포는 말초신경계의 수초를 형성하고 슈반세포 한 개가 한 개의 축삭만을 둘러 싼다. ( O )

- 중추에서 한 개의 희소돌기세포가 여러 개의 축삭을 감싸고, 말초에서는 한 개의 슈반세포가 한 개의 축삭만을 둘러싸 수초를

생성합니다.

11. 슈반세포와 위성세포는 중추신경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 O)

- 슈반세포와 위성세포는 말초신경계에 존재합니다.

12. 뇌-혈관 장벽에는 간극연접이 존재해 혈액의 여러가지 물질이 선택적으로 투과된다. ( X )

- BBB에는 밀착연접이 발달해 있어 수용성 물질의 투과가 억제됩니다. BBB의 LNAAT는 아미노산 수송에 관여하며, GLUT1은 포도당

수송에 관여합니다. 뇌-혈관 장벽은 뇌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BIOLOGY 2020 207 ©THE BASIC SIMPLICITY


13. 대뇌의 피질은 백색질이며, 대뇌의 수질은 회백질이다. ( X )

- 대뇌의 피질은 회백질, 수질은 백질입니다. 회백질에는 신경세포체, 백질에는 축삭이 다발로 존재합니다.

14. 대뇌의 후두엽은 시각 정보를 처리하고, 측두엽은 체성감각과 후각 정보를 처리한다. ( X )

- 체성감각은 주로 두정엽에서 처리됩니다. 측두엽은 청각과 후각 정보 처리를 담당합니다.

15. 대뇌의 전두엽은 수의적 운동, 생각의 구성을 담당한다. ( O )

16. 사람의 대뇌는 신경관이 분화하여 형성된다. ( O )

17. 세로토닌이 결핍되면 수전증과 같은 파킨슨병이 나타날 수 있다. ( X )

- 파킨슨 병의 원인 신경전달물질은 도파민입니다.

18. 체성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부분 크기는 신체 면적에 비례하며, 넓은 신체부위를 담당 할수록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면적이 증가한다. ( X )

- 뇌의 정보 처리 부위의 면적과 신체부위 면적은 비례관계가 아닙니다.

19. 기저핵은 대뇌 수질 속에 존재하며, 수의 운동과 자세와 균형에 관련된 운동을 조정한다. ( O )

- 기저핵은 대뇌 수질 속에 신경세포체가 높은 밀도로 모여 있는 회백질 덩어리들입니다. 기저핵은 수의 운동과 자세와 균형을

조절합니다.

20. 기저핵의 손상이나 이상은 헌팅턴 무도병과 파킨슨 병을 야기할 수 있다. ( O )

- 헌팅턴 무도병은 기저핵의 세포들이 손상되는 상염색체 우성질병, 파킨슨 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결핍으로 나타나는 퇴행성

질병입니다.

21. 해마는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시킨다. ( O )

- 반복적인 강한 신경 자극으로 뇌의 시냅스 연결 구조가 확장되는 것을 장기 기억이라하며 절차 기억과 서술 기억이 있습니다.

해마는 절차 기억과는 무관하며, 서술 기억에만 관여합니다. 절차 기억은 주로 소뇌에 의해서 생성됩니다. 단순히 장기 기억

생성이 아닌 절차 기억과 서술 기억이란 용어를 사용한 문제는 해마의 관여 여부를 구분해주셔야 합니다.

22. 연수는 눈의 정보를 인식해 홍채와 안구 운동을 조절한다. ( X )

- 눈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인식, 분석하고 홍채 및 안구 운동을 조절하는 것은 중뇌입니다.

23. 심장 박동과 삼키기, 구토 반사, 침분비는 시상하부에 의해 조절된다. ( X )

- 심장, 혈관, 구토, 침분비는 연수에 의해 조절됩니다.

24. 변연계는 감정을 생성하며, 감각 및 기억 정보의 통합은 대뇌 피질의 연합영역에서 일어난다. ( O )

25. 내이 전정기관의 균형과 관련된 특수 감각 정보는 소뇌로 전달되어 처리된다. ( O )

- 소뇌(cerebellum)은 중추신경계의 일부분으로 대뇌의 기능을 보조하여 자발적 운동의 조절과 평형을 유지하는 기관입니다.

26. 척수의 안쪽인 수질부는 백질로 축삭돌기의 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인 피질부는 회백질로 신경세포체가

밀집되어 있는 부위이다. ( X )

- 척수는 대뇌와 반대로 안 쪽이 회백질, 바깥쪽이 백질로 구성됩니다.

BIOLOGY 2020 208 ©THE BASIC SIMPLICITY


27. 통각과 온도 정보는 척수에서 교차가 일어나며, 나머지 감각은 연수에서 교차가 일어난다. ( O )

- 온통반대로 외우시면 됩니다.

28. 척수의 움츠림 반사 시 무의식적으로 굴근은 이완되고 신근은 수축되어 위험을 회피한다. ( X )

- 움츠림 반사 시 굴근은 수축하고 신근은 이완하여 위험을 회피합니다. 이때 척수의 통합부위에서 흥분성, 억제성 뉴런이 동시에

반응합니다.

29. 근방추가 근육이 지나치게 신장하면 이를 인식해 무의식적으로 근수축을 일으키며 이를 신전반사라한다. ( O )

- 근방추는 근육의 지나친 신장을 억제하고, 골지건은 근육의 수축을 억제(건반사)합니다. 신전반사와 건반사는 모두 척수 반사의

일종입니다.

30. 척수에 의한 무릎 반사도 일종의 신전반사에 속한다. ( O )

31. 골격근은 체성신경계 운동뉴런에 의한 조절만 받으며, 호르몬의 자극으로 수축하거나, 자체적으로 수축할 수 없다.

(O)

- 골격근의 이완을 자극하는 신호는 없으며, 운동뉴런에서 아세틸콜린이 방출되지 않아야 근육은 이완됩니다.

32. 골격근에 작용하는 아세틸콜린은 항상 흥분성이다. ( O )

- 언제나 흥분성입니다.

33. 자율신경계는 체내에서 항상성을 유지하며 대뇌의 조절을 받는다. ( X )

- 자율신경계는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습니다.

34. 주위 온도가 올라가면 부교감 신경은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땀샘을 자극한다. ( X )

- 한선(땀샘)은 예외적으로 교감 신경의 아세틸콜린에 의해 자극 받습니다.

35. 세동맥과 대부분 정맥의 평활근은 오직 교감 신경 신호에만 반응한다. ( O )

36. 다른 일반적인 혈관과 달리 생식기의 발기 관련 혈관은 부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평활근 이완이 일어난다. ( O )

37. 니코틴 수용체는 부교감 신경의 표적세포에서 발견되며, G-단백질 연결 수용체이다. ( X )

- 부교감 신경의 절후 신경에서 발견되는 니코틴 수용체는 아세틸콜린에 의해 Na+, K+ 통로가 열려 탈분극을 일으킵니다. 부교감

신경의 표적세포에서 발견되는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무스카린성 수용체로 모두 G-단백질 연결 수용체입니다.

38. 무스카린 수용체의 길항제는 아트로핀이다. ( O )

- 큐라레는 골격근 니코틴 수용체의 저해제, 아트로핀은 무스카린 수용체의 길항제입니다.

39. 교감과 부교감 신경은 모두 2개의 세포로 구성되며, 절전 신경의 신경세포체는 두 신경에서 모두 중추신경내에

존재한다. ( O )

- 교감신경은 신체가 위급한 상황일 때 이에 대처하는 기능을 하며, 척수에서 시작하여 장기, 혈관, 땀샘에 광범위하게 분포합니다.

교감신경은 가슴분절부터 허리분절까지의 척수의 회백질 기둥에서 유래합니다.

- 부교감 신경은 신체의 에너지를 보존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며, 주로 뇌줄기(brainstem)의 뇌신경과 엉덩이쪽 척수의 회백질에서

유래합니다.

BIOLOGY 2020 209 ©THE BASIC SIMPLICITY


40. 교감 신경의 절후 신경의 길이는 절전 신경에 비해 짧다. ( X )

- ‘교짧부길’로 교감 신경의 절전 신경이 절후 신경에 비해 짧고, 부교감 신경의 절전 신경은 절후 신경에 비해 깁니다.

41. 부교감 신경의 절전 신경의 길이는 절후 신경에 비해 길다. ( O )

42. 교감 신경은 체성신경계에 속한다. ( X )

- 교감과 부교감 신경은 자율신경계입니다.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이 체성신경계에 속합니다.

43. 콜린성 수용체에는 니코틴성 수용체와 무스카린성 수용체가 있다. ( O )

44. 교감 신경은 지방분해를 증가시키고, 이자의 소화효소액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 O )

45. 긴장성 수용체는 빠르게 적응하는 반면, 위상성 수용체는 느리게 적응한다. ( X )

- 긴장성 수용기(tonic receptor)는 자극이 지속되는 동안 계속해서 활동전위가 발생하는 수용기입니다. 위상성 수용기는 처음

자극에 흥분했다가, 자극이 일정하게 지속되면 활동전위가 사라져 자극의 변화를 인식하는 수용기입니다. 적응의 속도는 위상성

수용기에서 더 빠르게 나타납니다.

46. 압각과 통각 수용체는 대표적인 긴장성 수용체, 후각 수용체는 대표적인 위상성 수용체이다. ( O )

47. 신경전달물질은 혈관을 따라 이동하여 표적세포에 도달한다. ( X )

- 혈관을 따라 이동하여 표적세포에 도달하는 것은 호르몬입니다. 신경전달물질은 짧은 거리에서 작용합니다.

48. 신경전달물질은 축삭말단의 미토콘드리아나 핵에서 합성된다. ( X )

- 신경세포체에서 만들진 후 소낭에 포장되어 미세소관을 통해 축삭말단으로 이동됩니다. 단, 아세틸콜린의 경우는 콜린성 뉴런 축삭

말단에서 콜린(choline)과 아세틸-CoA(acetyl-CoA)으로부터 콜린아세틸전환효소(choline acetyltransferase)라는 효소를 이용해

합성됩니다.

49. 신경전달물질은 생성된 후 소낭에 저장되었다가 활동전위 발생 시 세포 밖으로 칼슘과 함께 배출된다. ( X )

- 칼슘 이온의 유입으로 신경전달물질은 소낭이 세포막과 융합되는 방식으로 방출됩니다.

50. 방출된 신경전달물질은 수용체와 결합하여 2차 전달계를 자극하거나 이온통로를 변화시켜 표적세포의 생리적 반응을

일으킨다. ( O )

BIOLOGY 2020 210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3회 정답과 해설
1. 자율신경계는 주로 평활근, 심근, 외분비선에 작용하며,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은 일반적으로 서로 길항적이다.

(O)

- 예외적으로 남성의 발기와 사정에 관여하는 교감과 부교감 신경은 서로 시너지(synergy) 효과를 나타냅니다.

2. 자율신경계의 절전신경섬유는 모두 유수신경이며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을 방출하여 니코틴성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 ( O )

3. 부교감 신경의 절후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은 무스카린성 수용체를 자극한다. ( O )

4. 동공과 기관지가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사람에게서 침 분비의 억제를 관찰할 수 있다. ( O )

- 동공과 기관지의 확대는 교감 신경의 작용입니다.

5. 남성의 사정은 교감 신경, 발기는 부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 O )

6. 체성신경계의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아제가 억제된다면 골격근은 수축할 수 없다. ( X )

- 아세틸콜린이 분해되지 않아 더 오랫동안 근육을 수축하게 합니다.

7. 보톨리눔 독소는 말초신경의 아세틸콜린 방출을 억제해 골격근의 이완을 야기 및 골격근을 퇴화시킨다. ( O )

- 보톨리눔 독소는 혐기성 세균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말초신경의 시냅토브래빈(synaptobrevin)을 억제해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억제합니다. 아세틸콜린의 결핍으로 근육은 이완되며, 사용되지 않는 근육은 결국 퇴화됩니다.

8. 큐라레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경쟁적 저해제이다. ( O )

- 큐라레는 식물에서 추출한 알칼로이드의 일종입니다.

9. 도파민, 세로토닌은 티로신 유도체로 모노아민 계열 신경전달물질이다. ( X )

- 도파민은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과 함께 티로신 유도체이며, 세로토닌은 트립토판 유도체입니다.

10. 신경전달물질 글루탐산은 NMDA, AMPA 수용체 개폐 조절로 기억에 관련된다. ( O )

- AMPA와 NMDA는 장기 기억에 관여하는 수용체입니다.

11. 코카인은 도파민 재흡수를 억제시키고, 암페타민은 도파민 분비를 촉진해 정신 분열증을 유도하는 마약이다. ( O )

12. 아세틸콜린은 골격근에서는 흥분성이지만 다른 부위는 흥분성 또는 억제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 O )

13. 서브스탠스 P는 고통 인식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폴리펩티드 형태이다. ( O )

14. 스테로이드 계열 호르몬은 콜레스테롤 유도체로 부신 수질과 생식기 등에서 분비된다. ( X )

- 부신 수질에서는 아민 계열인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며, 부신 피질에서 스테로이드 계열 호르몬인 알도스테론과

코르티졸이 분비됩니다.

BIOLOGY 2020 211 ©THE BASIC SIMPLICITY


15. 멜라토닌과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은 모두 트립토판 유도체 호르몬이다. ( X )

- 세로토닌, 멜라토닌, 옥신이 트립토판 유도체입니다. 도파민,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은 모두 티로신 유도체입니다.

16. 뇌하수체 전엽에서 한 개의 폴리펩티드가 합성된 후 단계적인 단백질 분해효소 작용에 의해 여러가지 호르몬이

생성될 수 있다. ( O )

- POMC에 해당하는 설명입니다. POMC는 하나의 전구체 폴리펩티드로 번역된 후 단계적인 절단 과정을 거쳐 MSH, ACTH 등의

다양한 호르몬을 생성합니다.

17. 모든 아민 계열 호르몬은 친수성으로 분비 소낭을 통해 세포 외 배출된다. ( X )

- 아민 계열 호르몬에는 카테콜 아민, 인돌 아민, 갑상선 호르몬이 존재합니다. 카테콜 아민(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은 친수성

호르몬이지만, 인돌 아민 계열 호르몬(멜라토닌)과 갑상선 호르몬(티록신)은 소수성입니다. 소수성 호르몬은 확산으로 분비됩니다.

18. 갑상선 호르몬과 스테로이드 계열 호르몬은 약물 투여 시 경구 투여하고, 인슐린과 같은 펩티드 계열 호르몬은 정맥

투여한다. ( O )

- 펩티드 호르몬은 위를 비롯한 소화관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투여가 불가능합니다.

19. 송과샘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은 지용성 호르몬으로 하루주기리듬을 조절한다. ( O )

- 멜라토닌은 트립토판 유도체로 인돌아민 계열의 지용성 호르몬입니다. 멜라토닌은 신체의 일주기성을 확립해주며, 낮에는 분비가

억제되고 밤에 분비가 촉진됩니다.

20.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된다. ( X )

-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ADH)는 시상하부에서 생성된 후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됩니다.

21. 알도스테론은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지용성 호르몬으로 나트륨과 칼륨 이온의 항상성을 조절한다. ( O )

22. 간뇌의 시상하부 주위에는 뇌-혈관 장벽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혈액 속의 생리적 변화가 시상하부에 쉽게 전달된다.

(O)

23. 뇌하수체 전엽은 신경조직에서 유래되며, 뇌하수체 후엽은 상피조직에서 유래한다. ( X )

- 뇌하수체 전엽은 신경조직이 아닌 상피조직에서 유래된 분비조직입니다. 신경조직에서 유래된 시상하부와는 독립된 조직이기

때문에 시상하부-뇌하수체 문맥계를 통해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신호를 받아 다른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가 길게 내려온 구조로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체에서 합성된 호르몬이 뇌하수체 후엽의 축산 말단에 저장되어

있다가 자극에 따라 분비되게 됩니다.

24.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전엽 사이에는 문맥이 발달해 시상하부의 호르몬 신호가 뇌하수체 전엽으로 전달된다. ( O )

25. IGF-1은 성장호르몬에 의해 간에서 분비되어 성장과 관련된 직접적 효과를 보인다. ( O )

- 성장호르몬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구분해서 알아야 합니다.

- 직접효과는 지방조직의 지방 분해 촉진, 근육의 포도당 흡수를 낮춰 혈당을 높이는 것이고

- 간접효과는 간에서 IGF-1을 분비해 세포분열, 뼈 성장, 단백질 합성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 따라서 성장과 관련된 직접적 효과를 일으키는 것은 성장호르몬이 아닌 IGF-1입니다.

BIOLOGY 2020 212 ©THE BASIC SIMPLICITY


26.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은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체에서 합성되어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된다. ( O )

27. 옥시토신은 자궁 평활근을 수축시켜 분만을 유도하며, 음성피드백 기전으로 분만을 조절한다. ( X )

- 옥시토신은 자궁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작용으로 분만을 유도하고, 모유 수유 기간 동안에는 유즙의 배출을 촉진하는 호르몬입니다.

옥시토신은 분만 시 양성 피드백 기전으로 자궁 수축 빈도, 강도, 기간을 증가시킵니다.

28. 뇌하수체 후엽은 혈장 삼투압의 증가를 인식해 바소프레신을 분비하며, 바소프레신은 원위 세뇨관과 집합관의

아쿠아포린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 X )

- 혈장 삼투압은 뇌하수체 후엽이 직접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시상하부의 삼투 수용기가 인식합니다.

29. 티록신은 혈장에서 혈장 단백질에 결합한 채로 운반된다. ( O )

- 티록신은 지용성 호르몬으로 혈장 단백질에 결합해 각 조직으로 운반됩니다.

30. 갑성선 호르몬의 주 분비형태는 요오드가 4개인 T4이지만, 표적세포에서 T3로 바뀌어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한다.

(X)

- 주된 분비 형태는 T4(티록신), 주된 표적세포 결합 형태는 T3(삼요오드티로닌)입니다. 핵 수용체는 T3, T4와 모두 결합할 수

있습니다. 세포질 수용체가 아닌 핵 수용체임을 알아두세요.

31. 그레이브스 병은 갑상선 항진증으로 TSH 수용체에 대한 자가 항체의 생성으로 발병한다. ( O )

- 그레이브스 병은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입니다. 그레이브스 병은 바제도 병이라고도 불리며 안구돌출이 특징적입니다.

32. 갑상선 기능 저하증 중 일부는 요오드 섭취가 부족할 때 발병하며, 보상기전으로 갑상선 축소증이 나타난다. ( X )

- 갑상성 기능 항진증 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서 모두 갑상선 비대가 나타납니다.

33.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불안, 땀 과다 분비, 고혈압 등이 나타나며, 갑상선 비대증이 나타난다. ( O )

34. 부갑상선은 갑상선 등 쪽 표면에 존재하며 혈중 칼슘 이온 농도를 직접 인식해 파라토르몬 분비를 조절한다. ( O )

- 갑상선과 부갑상선은 혈중 칼슘 이온 농도를 직접 인식해 칼시토닌과 파라토르몬 분비를 조절합니다. 두 기관은 자율신경계의

조절을 받지 않습니다.

35. 고칼슘 혈증으로 신경 세포의 흥분 빈도가 증가하고, 근육 경련이 올 수 있다. ( X )

- 고칼슘혈증은 고칼륨혈증과는 반대로 전압 개폐성 Na+ 채널의 역치가 증가해 신경 세포의 흥분 빈도가 낮아지고, 근육이

약화됩니다. 신경 세포의 흥분 빈도 증가와 근육 경련은 저칼슘 혈증에서 나타납니다.

36. 칼슘 이온의 부족은 혈액 응고 과정을 억제하며, 카드헤린을 통한 동종 세포들 사이의 연결을 저해할 수 있다. ( O )

- 혈액 응고와 카드헤린의 작용에는 칼슘 이온이 필수적입니다. 칼슘은 이 밖에도 근수축, 신경전달물질의 시냅스 방출, 간극 연접

개폐 조절, 치아, 뼈의 구성, 세포신호전달계의 이차 전달자로서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37. 칼시토닌은 파골세포의 활성을 낮춰 뼈 분해를 감소시킨다. ( O )

- 칼시토닌은 높은 혈중 칼슘 이온에 대응하여 갑상선의 C세포에서 분비합니다. 칼시토닌은 신장의 칼슘 이온 재흡수를 억제하고

파골세포의 활성을 낮춰 혈중 칼슘 이온 농도를 감소시킵니다.

BIOLOGY 2020 213 ©THE BASIC SIMPLICITY


38. 파라토르몬은 파골세포를 활성화하며, 신장과 소장에서 칼슘 이온의 흡수를 직접적으로 촉진한다. ( X )

- 파라토르몬은 소장의 칼슘 이온 흡수를 직접적으로 촉진하지 않으며, 신장에서 비타민 D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칼슘 이온 흡수를 촉진합니다.

39. 비타민 D는 간과 신장에서 활성화되어 소장에서 칼슘과 PO43-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 O )

- 추가로 뼈에 대한 파라토르몬의 반응성을 높여주기도 합니다.

40. 에스트로겐은 파골세포를 억제하므로 폐경기의 여성은 골다공증 발병 위험성이 증가한다. ( O )

41. 이자 랑게르한스 섬의 b세포는 혈당의 증가를 인식한 뇌하수체의 신호로 인슐린을 분비한다. ( X )

- 이자 랑게르한스 섬의 a, b세포 모두 혈당의 변화를 직접 인식합니다. 최근 연구로 시상하부도 혈당 변화를 인식한다고 합니다.

42. 글루카곤은 지방세포의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간에서 중성지방 합성을 억제해 케톤체 생산을 증가시킨다. ( O )

- 글루카곤은 간에서 글리코겐 분해와 포도당 신생합성을 촉진하고,

- 지방세포의 지방 분해 촉진과 간의 중성 지방 합성 억제, 케톤체 생성을 유도합니다.

43. 인슐린은 골격근 세포의 GLUT4 발현을 촉진해 포도당 수송을 촉진시킨다. ( O )

- 인슐린 역시 이자의 b세포가 혈당 증가를 직접 인식해 분비하며, 골격근을 비롯한 세포에 GLUT4 발현을 촉진해 포도당 수송을

증가시킵니다.

44. 2형 당뇨병은 자가면역질환으로 대사성 산증과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 X )

- 1형 당뇨병이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자의 b세포가 Tc세포에 의해 파괴되어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는 질병입니다. 인슐린의

결핍때문에 글루카곤에 의한 과량의 지방산이 간에서 케톤체로 전환되어 대사성 산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형 당뇨병 역시

글루카곤에 의해 혈중 지방산이 높아지나, 케톤체를 비롯한 대사성 산증이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45. 소마토스타틴은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를 모두 억제한다. ( O )

- 소마토스타틴은 혈중 아미노산과 포도당이 증가하면 이자의 δ 세포에서 분비되며,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를 모두 억제합니다.

46. 알도스테론은 혈장 삼투압이나 혈압 감소에 의해 부신 피질에서 분비된다. ( O )

47. 알도스테론은 근위세뇨관에서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와 칼륨 이온의 분비를 촉진한다. ( X )

- 알도스테론은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 작용합니다.

48. 부신 피질은 외배엽에서, 부신 수질은 중배엽에서 유래된다. ( X )

- 부신 피질이 중배엽, 부신 수질은 외배엽에서 유래됩니다.

49. 에디슨 병은 부신 피질 부족증으로 부신 피질이 자가면역질환으로 파괴되어 발생한다. ( O )

- 에디슨 병은 1차 부신 피질 부족증으로 자가면역질환으로 부신 피질이 파괴되어 발생합니다. 뇌하수체나 시상하부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2차 부신 피질 부족증이라 하며, 이 경우에는 ACTH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알도스테론 분비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50. 부신 수질은 카테콜 아민계열의 호르몬을 분비하여 스트레스 상황에 대응한다. ( O )

- 부신 수질에서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며, 부신 수질은 중추신경계에서 나온 절전 신경과 연결된 변형된 절후 신경의

역할을 합니다.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스트레스 상황에 분비되어 혈당과 혈중 지방산의 농도를 높이고, 골격근 등의

혈관을 이완시키는 등 다양한 작용을 합니다.


BIOLOGY 2020 214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4회 정답과 해설
1. 아이코사노이드 계열 호르몬은 20개의 탄소를 갖는 지방산 유도체로 지용성이다. ( O )

- 아이코사노이드 계열 호르몬은 탄소 20개의 아라키돈산에서 유래되며, 불안정한 구조로 주로 국소조절자로 작용합니다.

2. 아이코사노이드 계열 호르몬은 불안정한 구조로 보통 국부호르몬으로 작용한다. ( O )

3. COX 1 효소에 의해 합성되는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 시 대식세포와 염증세포에서 합성되어 열과 고통을 일으킨다.

(X)

- COX 1은 항상 발현되는 효소(항구성)로 COX 1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스타글란딘은 위를 비롯한 소화기관의 점막을 유지합니다.

4. COX 2 효소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은 항시 합성되어 위장관의 점막 상태를 유지한다. ( X )

- COX 2는 체내 염증 반응 때 발현되어 프로스타글란딘을 합성합니다. COX 2에 의해 합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 부위와

시상하부에서 염증, 열, 통증을 일으킵니다.

5. 아스피린은 COX 1, COX 2를 모두 비가역적으로 저해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한다. ( O )

- 아스피린은 COX 1, 2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며, 셀레콕시브는 COX 2, 타이레놀은 COX 3를 억제합니다.

6. 타이레놀은 시상하부의 COX 3를 억제함으로써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한다. ( O )

7. 렙틴은 시상하부의 식욕 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며, 비만인 환자는 렙틴의 농도가 낮게 나타난다. ( X )

- 렙틴은 지방 세포에서 분비하는 펩티드 호르몬으로 시상하부 식욕 조절 중추에 존재하는 렙틴 수용체에 결합하여 식욕을

억제합니다. 비만인 환자의 경우 체내 지방 세포에 중성지방 저장량이 증가한 상태이므로 혈중 렙틴의 농도는 높은 상태입니다.

8. 렙틴은 시상하부 뿐만아니라 교감 신경을 흥분시켜 체내 물질의 분해를 촉진한다. ( O )

- 렙틴은 혈압을 상승시키고, 미토콘드리아의 짝풀림 단백질을 활성화시켜 지방을 열로 전환시키는 작용을 촉진합니다.

9. 페로몬은 동종의 동물들 사이에 의사소통을 위해 외분비선에서 분비하는 휘발성 물질이다. ( O )

- 페로몬은 성 페로몬과 영역 페로몬이 있으며, 분자량은 성 페로몬이 영역 페로몬 보다 더 작습니다. 페로몬은 호르몬도 아니고

체액도 아닙니다.

10. 펩티드 호르몬은 2차 전달자를 통해 활성을 나타낸다. ( O )

11. 대부분의 호르몬들은 쉽게 분해되지 않아 인체에서 효과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 ( X )

- 호르몬은 필요할 때마다 분비됩니다. 펩티드 호르몬은 쉽게 분해되고 소변으로 배출되어 체내에서 그 적정량을 유지합니다.

12. 호르몬은 내분비선에서 생성되어 혈액이나 조직액으로 바로 분비된다. ( O )

- 호르몬은 내분비작용으로 분비되며, 소화효소나 땀, 눈물 같은 경우는 외분비선에서 외분비로 분비됩니다.

13. 호르몬은 항원성이 있어 척추동물 사이에서 동일 내분비선의 호르몬을 서로 이용할 수 없다. ( X )

- 호르몬은 분자량도 작고 종 사이에 유사하여 종특이성이 없습니다.

14. 호르몬은 혈관을 통해 모든 인체기관에 도달할 수 있으나 표적세포에만 작용한다. ( O )

BIOLOGY 2020 215 ©THE BASIC SIMPLICITY


15. 내분비 조절 호르몬은 신경계에 비해 빠른 생리조절이 가능하다. ( X )

- 호르몬의 의한 작용은 신경계 작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16. 혈당조절에 관여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동일한 내분비세포에서 분비된다. ( X )

-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모두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에서 분비되나, 글루카곤은 a세포, 인슐린은 b세포에서 분비됩니다.

17. 트롬복산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소판을 활성화하여 혈전을 생성한다. ( O )

- 트롬복산은 활성화된 혈소판의 COX 1에 의해 합성됩니다.

18. 류코트리엔은 기관지의 섬모에서 생성되어 기관지의 수축, 천식 등을 일으킨다. ( X )

- 류코트리엔은 백혈구의 LOX에 의해 생성됩니다.

19. 프로스타사이클린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소판의 응고를 방지한다. ( O )

- 프로스타사이클린은 혈관 내피세포의 COX 2에 의해 생성됩니다.

20. 아스피린은 혈전 생성을 억제하며, 위장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 O )

21. 수용기 세포는 적합자극의 신호를 받아 활동전위로 바꾸어 준다. ( O )

22. 1차 수용기 세포는 보통 상피세포가 감각을 인식하도록 분화되어 있는 상태이고 2차 수용기 세포는 감각신경 말단이

직접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변형된 형태이다. ( X )

- 1차 수용기 세포가 감각신경 말단이 자극을 받도록 변형된 구조입니다.

23. 자극에 대한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비율의 값을 베버 상수라 하며, 베버 상수 값이 작을수록 더 예민한 감각

기관이된다. ( O )

24. 미각, 청각, 시각은 2차 수용기 세포를 통해 감각을 인지한다. ( O )

25. 후각의 사구체는 같은 종류의 냄새 수용기 세포들끼리만 시냅스를 이루고 있다. ( O )

- 각 사구체에서 같은 종류의 냄새 수용기 세포들만 시냅스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사구체는 다양한 냄새 분자들을 분류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26. 후각 신경은 시상을 거치지 않고 바로 대뇌 측두엽의 후각피질로 감각정보를 전달한다. ( O )

- 대부분의 감각은 시상으로 전달된 뒤 시상에서 각 대뇌 부위로 중계됩니다. 그러나 후각만은 시상을 거치지 않고 바로 대뇌

측두엽으로 정보가 전달됩니다.

27. 후각 수용체는 개폐성 이온 채널이며, 대립 유전자 배제로 각 세포마다 한 개의 후각 유전자를 발현한다. ( X )

- 후각 수용체는 개폐성 이온 채널이 아닌 G-단백질 연결 수용체입니다. 인간은 후각 수용체의 유전자를 염색체 1개에 대략 천 여개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 약 300개의 유전자가 실제로 발현되며, 각 후각 세포는 대립 유전자 배제 현상으로 하나의 유전자만

발현시킵니다.

28. 하나의 냄새 분자는 여러 개의 후각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다. ( O )

- 냄새 분자는 그 분자 구조에 따라 동시에 여러 개의 후각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세포를 통해 들어온 신호는 뇌에서

분석해 다양한 냄새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BIOLOGY 2020 216 ©THE BASIC SIMPLICITY


29. 한 개의 수용체에 구조가 유사한 다른 냄새 분자가 결합하면 각 분자의 결합력에 따라 활동전위의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 O )

- 활동전위 패턴은 냄새 분자와 수용체의 결합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30. 후각의 활동전위의 생성에 cAMP가 관여하며, 마지막 단계에 Cl- 채널이 열리면서 활동전위가 발생된다. ( O )

31. 후각의 순응은 칼슘 이온과 칼모듈린이 관여한다. ( O )

- Golf가 활성화되면 a-GTP가 막을 따라 이동해 아데닐릴 고리화효소(AC)를 활성화 시키고, 활성화된 AC는 cAMP를 생성하게

됩니다. cAMP는 세포막의 리간드 개폐성 채널을 열어 Na+와 Ca2+를 유입시키고, Ca2+는 세포막의 Cl- 채널을 열어 활동전위를

발생시킵니다. 이때 Na+와 Ca2+는 세포 안으로 들어오며, Cl-는 세포 밖으로 유출되어 축삭돌기의 활동전위를 만들게됩니다. 냄새가

지속되면 Ca2+는 칼모듈린과 결합해 Na+, Ca2+ 이온 채널을 닫아 감각 순응을 일으킵니다.

32. 미각의 미뢰는 다섯 가지 맛에 모두 반응하지만 미뢰의 세포 구성에 따라 특정 맛을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 O )

33. 시상하부는 혀의 압력, 화학 수용기의 정보를 받아 침 분비를 조절한다. ( X )

- 침분비 조절 중추는 연수에 있습니다.

34. 짠맛의 미각 수용체는 평소에 닫혀 있으며, 나트륨 이온이나 아밀로라이드라는 리간드에 의해서 열린다. ( X )

- 짠맛 수용체는 아밀로라이드 민감성 Na+ 채널로 평소에는 열려 있으며, 아밀로라이드라는 리간드에 의해서 닫힙니다.

35. 짠맛 수용체에서 나트륨 이온의 유입으로 탈분극이 생성되어 세포막을 따라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세로토닌이 짠맛

수용체에서 미각 신경으로 분비된다. ( O )

- 짠맛과 신맛에서는 세로토닌, 단맛, 쓴맛, 우마미맛 수용체에서는 ATP가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됩니다.

36. 단맛, 쓴맛, 우마미맛은 G-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의해서 감각 신호가 전달된다. ( O )

37. 짠맛, 신맛, 쓴맛, 단맛, 우마미맛의 수용체는 모두 감각 신호 전달에 칼슘 이온을 사용한다. ( O )

38. 짠맛과 신맛은 구심성 미각 신경으로 세로토닌을 분비하지만, 단맛과 쓴맛, 우마미맛은 ATP를 분비해 감각 신호를

전달한다. ( O )

39. 미뢰의 각 세포들은 5가지의 맛 수용체를 모두 발현한다. ( X )

- 하나의 미뢰는 5가지 맛을 모두 감지할 수 있으나, 미뢰의 각 세포는 하나의 맛 수용체만을 발현합니다. 미뢰를 구성하는 세포의

비율에 따라 미뢰는 특정 맛을 더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40. 피부 감각 수용기는 기계적 감각과 화학적 감각을 모두 감지한다. ( O )

41. 피부의 기계적 수용기(촉각)는 유수 신경을 통해 감각을 대뇌로 전달한다. ( O )

- 촉각은 Ab 신경 섬유에 의해 전달되며, Ab 섬유는 유수 신경입니다.

42. 피부의 기계적 수용기(촉각)의 신경 경로는 척수에서 교차한 뒤 시상에서 시냅스를 이룬다. ( X )

- 촉각은 연수에서 교차한 뒤 시상으로 전달되고, 다시 시상에서 두정엽 체성 감각 피질로 전달됩니다.

43. 기계적 수용기는 감각신경이 직접 압력이나 진동을 인식한다. ( O )

BIOLOGY 2020 217 ©THE BASIC SIMPLICITY


44. 메르켈 소체는 루피니 소체 보다 표면에 위치하며, 가볍고 지속적인 촉감을 감지한다. ( O )

- 메르켈 소체와 루피니 소체는 보통 압력을 감지하며, 메르켈 소체가 루피니 소체에 비해 피부 표면에 위치합니다.

45. 파치니 소체는 마이스너 소체에 비해 피부 깊은 곳에 위치하며 진동을 인식한다. ( O )

- 파치니 소체는 위상성 수용기이며, 피부 깊은 곳에서 진동을 인식합니다.

46. 파치니 소체는 대표적인 위상성 수용기 중 하나이다. ( O )

- 위상성 수용기는 일정한 자극으로 감각 순응이 일어나며, 자극의 변화를 인식합니다.

47. 피부의 통각 수용기 자극 신경 경로는 척수에서 교차한 뒤 시상으로 이어진다. ( O )

- 온도 감각과 통각은 연수가 아닌 척수에서 교차합니다.

48. 피부의 통각 수용기와 기계적 수용기는 모두 두정엽의 체성 감각 피질로 감각을 전달한다. ( O )

49. 엔돌핀과 엔케팔린은 통각 수용기의 자극을 더욱 증폭시킨다. ( X )

- 엔돌핀, 엔케팔린은 통증을 억제하는 진통제의 역할을 합니다.

50. 수용 범위는 각 수용기가 인식할 수 있는 피부의 범위를 의미하며, 존재하는 수용기의 밀도가 높을수록 수용 범위의

크기가 작아진다. ( O )

BIOLOGY 2020 218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5회
1. 청각 수용기는 기계적 개폐성 채널을 가지고 있다. ( O )

- 내이 코르티 기관의 유모세포에 기계적 개폐성 채널이 있습니다.

2. 소리의 음파는 외이 – 중이 – 내이의 순으로 전달되며, 청소골이 있는 중이에서 증폭된다. ( O )

3. 유스타키오관은 달팽이관 내부와 외부의 기압을 맞추기 위한 중이의 작은 관이다. ( X )

- 유스타키오관은 고막을 사이로 외이와 중이의 압력을 같게 조정하는 공간으로 인두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4. 와우(cochlea)는 전정기관과 함께 내이를 구성하며, 가운데에 달팽이관과 위 아래로 림프액으로 채워져 있는 진정계,

고실계가 있다. ( O )

5. 달팽이관은 내림프로 채워져 있으며, 진정계와 고실계는 외림프로 채워져 있다. ( O )

6. 외림프는 혈장 성분과 비슷하며, 내림프는 외림프보다 칼륨 이온의 농도가 더 낮다. ( X )

- 달팽이관을 채우는 내림프는 다른 체액과 달리 K+ 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습니다.

7. 코르티 기관은 기저막 윗부분에 존재하며 많은 유모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 O )

- 유모세포의 끝에 미세섬유로 구성된 섬모가 있으며, 섬모는 코르티 기관 덮개막에 닿아 있습니다.

8. 코르티 기관 유모세포의 섬모는 미세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유모세포는 청각수용기, 외유모세포는 기저막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 O )

- 유모세포 중 내유모세포가 청각 수용기의 역할을 합니다.

9. 달팽이관의 난원창에 가까운 곳이 진동할수록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진 소리이며, 더 먼 쪽이 진동할수록 낮은

주파수를 갖는 소리이다. ( O )

10. 내유모세포의 섬모들이 긴 섬모(운동선모) 쪽으로 구부러질 때 기계적 개폐성 K+ 채널이 닫히면서 활동전위가

생성되어 소리의 신호가 뇌로 전달된다. ( X )

- 유모세포의 기계적 개폐성 K+ 채널은 평소에는 열려 있습니다. 만약 섬모들이 운동섬모 쪽으로 기울어지면 K+ 채널이 더 크게

열려 탈분극이 일어나게 됩니다. 반대로 섬모들이 운동섬모 반대로 기울어지면 K+ 채널은 닫혀 과분극 상태가 됩니다.

11.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은 평형감각을 감지하며, 반고리관은 직선가속과 머리의 위치, 전정 기관은 회전감각을 인지한다.

(X)

- 전정기관(이석기관)은 직선가속과 몸의 기울임, 반고리관은 회전감각을 인지합니다. 전정기관과 반고리관의 평형감각은 소뇌,

망상체 등으로 전달됩니다.

BIOLOGY 2020 219 ©THE BASIC SIMPLICITY


12. 전음성 난청은 외이 또는 중이 부분이 차단되어 음파가 전도되지 못해 발병하며, 골전도로는 청각 회복이 일어날 수

없다. ( X )

- 전음성 난청은 외이도 이상, 중이염 등의 문제로 발생하므로 내이 및 청신경의 기능은 정상입니다. 따라서 골전도로 난청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13. 감각 신경성 난청은 내이와 청각신경의 문제로 발병하며, 소음성 및 노인성 난청이 대표적인 예이다. ( O )

- 감각 신경성 난청은 골전도로 난청을 극복할 수 없습니다.

14. 우주에서는 중력이 없기 때문에 반고리관은 회전 감각을 인식할 수 없다. ( X )

- 반고리관은 회전 운동에 의한 림프액의 관성을 이용하므로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도 정상적으로 회전 감각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전정기관 역시 우주에서 수평, 수직 가속력을 인지할 수 있으나 중력 그 자체는 인지할 수 없습니다.

15. 공막은 눈의 최외곽을 감싼 부분으로 콜라겐과 결합조직이 풍부해 눈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O )

- 공막에서 콜라겐과 같은 탄력성 섬유와 결합 조직이 많이 발견됩니다.

16. 맥락막은 카메라의 암상자와 같은 역할을 하며 멜라닌 색소와 모세혈관이 풍부하게 발달되어 있다. ( O )

- 맥락막의 모세혈관을 통해 영양분이 안구로 공급됩니다.

17. 망막은 간상세포와 원추세포의 광수용기가 있어 시각 성립에 관여한다. ( O )

- 망막에는 시신경 다발이 지나는 맹점과 원추세포들이 밀집되어 있는 황반(macula)이 존재합니다.

18. 각막은 맥락막이 변형된 것으로 눈의 앞쪽에서 빛의 초점을 맞추는데 도움을 준다. ( X )

- 각막은 공막이 변형된 구조로 혈관이 없어 물질교환을 위해 간극 연접이 발달해 있습니다.

19. 각막은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영양분 공급이 필요없으며, 면역세포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쉽게 각막 이식이 가능하다.

(X)

- 각막은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빠르게 재생하고 자라는 각막 상피와 기타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각막에는

모세혈관이 없어 물질교환은 세포 사이의 간극연접을 통해 일어나고, 면역계도 작용하지 않아 이식이 쉬운 편입니다.

20. 망막은 뇌와 동일한 배아조직에서 발생한다. ( O )

- 망막은 뇌와 함께 외배엽에서 유래됩니다.

21. 맹점은 망막에서 시신경과 혈관이 빠져나가는 부위에 생기며, 광수용기가 없기 때문에 상이 맺히지 않는다. ( O )

22. 간상세포가 가장 밀집해 있는 곳은 황반으로 상이 가장 선명하게 맺히는 부위이다. ( X )

- 황반에는 간상세포가 아닌 원추세포가 밀집되어 있어 가장 예민한 시각을 갖는 지점입니다.

23. 수정체를 통과한 물체의 상은 위아래가 반대로 망막에 맺히며, 뇌에서 이를 다시 뒤집어 인식하게 된다. ( O )

24. 부교감 신경은 홍채의 방사근을 수축시켜 동공을 수축시킨다. ( X )

- 부교감 신경은 홍채 원형근을 수축시켜 동공을 축소시키고, 교감 신경은 홍채의 방사근을 수축시켜 동공을 확장합니다.

25. 교감 신경은 어두운 환경에서 홍채의 원형근을 수축시켜 동공을 확장시킨다. ( X )

26. 부교감 신경은 가까운 곳을 볼 때, 밝은 환경에 있을 때 작용한다. ( O )

BIOLOGY 2020 220 ©THE BASIC SIMPLICITY


27. 가까운 물체를 바라볼 때, 부교감 신경은 모양체근을 수축시키고 진대(걸이인대)를 이완시켜 수정체를 두껍게 만든다.

(O)

- 가까운 곳을 볼 때 부교감은 ‘수두진이모수’, 교감은 먼 곳을 바라 볼 때 부교감 신경과 반대로 작용하여 수정체를 얇게 만듭니다.

28. 근시는 먼 물체의 상이 망막 앞에 맺히는 것이고, 원시는 가까운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 맺힐 때 발생한다. ( O )

29. 망막의 세포들은 빛이 들어오는 방향으로 신경절세포, 쌍극세포, 광수용기 세포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 O )

30. 간상세포는 광수용체는 옵신과 레티날로 구성된 로돕신이다. ( O )

31. 로돕신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색 구분을 할 수 없으며, 오직 빛의 양에 따른 명암만

구분할 수 있다. ( X )

- 로돕신은 가시광선의 영역을 흡수하지 못해서 색 구분을 못하는게 아니라 반대로 다양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색 구분을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32. 원추세포의 광수용체는 옵신과 레티날로 구성된 포톱신이며, 옵신의 종류에 따라 최대로 흡수하는 빛의 파장이

다르다. ( O )

- 레티날이 아닌 옵신 단백질에 따라 흡수할 수 있는 최대 파장 영역이 다릅니다.

33. 간상세포는 한 개의 세포가 한 개의 신경절에 연결되며, 원추세포는 한 개의 세포가 여러 개의 신경절 세포에

연결되어 원추세포가 더 선명한 상을 맺을 수 있다. ( X )

- 여러 개의 간상세포가 한 개의 신경절에 연결되며, 원추세포는 한 개의 세포가 한 개의 신경절 세포에 연결됩니다. 따라서

간상세포의 수용범위가 원추세포에 비해 넓으며, 빛에 대한 민감도가 더 높습니다.

34. 암조건에서 광수용기는 신경전달물질로 글루탐산을 방출하며, 명조건에서는 글루탐산의 분비가 감소하고 광수용기의

과분극이 유도된다. ( O )

- 특이하게 빛이 있을 때 광수용기는 과분극화 됩니다.

35. 명조건에서는 광수용기 디스크의 cis-레티날이 trans-레티날로 바뀌어 로돕신에서 trans-레티날이 방출된다. ( O )

36. 명조건에서 cGMP 포스포다이에스터라아제의 활성이 증가해 cGMP의 농도가 높아지며, 증가된 cGMP는 세포막의

과분극을 유도한다. ( X )

- 명조건에서 cGMP 포스포다이에스터라아제가 활성화되어 cGMP가 분해되며, cGMP가 분해되면 cGMP 개폐성 채널이 닫혀

광수용기 세포가 과분극 됩니다.

37. 레티날은 카로티노이드가 절단되어 만들어진 구조로, 만약 비타민 A가 결핍되면 간상세포의 로돕신 합성이 저해되어

야맹증에 걸릴 수 있다. ( O )

- 카로티노이드(b-카로틴)가 절단되면 레티놀(비타민 A)가 되고 레티놀의 알코올기가 알데하이드로 산화되면 레티날이 됩니다.

따라서 비타민 A가 결핍되면 로돕신 활성이 저해되어 야맹증에 걸릴 수 있습니다.

BIOLOGY 2020 221 ©THE BASIC SIMPLICITY


38. 명순응은 로돕신이 지나치게 합성되어 명암 차이를 구분할 수 없는 상태이다. ( X )

- 명순응은 어두운 곳에 있다가 갑자기 밝은 곳으로 나오면 로돕신이 빛에 의해 지나치게 분해되어 명암 차이를 구분할 수 없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암순응은 분해되었던 로돕신이 다시 합성되면서 빛이 서서히 인식되는 현상입니다.

39. 절지동물은 표피에서 분비된 키틴이 외골격을 이루며, 조개와 같은 연체동물은 외투막에서 탄산칼슘을 분비해

외골격을 이룬다. ( O )

- 키틴은 동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다당류입니다.

40. 해면동물과, 극피동물, 척삭동물은 유체골격만 가지고 있다. ( X )

- 유체골격은 뼈와 같은 단단한 조직 대신 액체가 몸을 지탱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유체골격 동물에는 자포동물, 편형동물,

선형동물, 환형동물 등이 있습니다.

41. 골아세포는 섬유아세포에서 유래되어 뼈구조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 O )

42. 뼈세포는 골아세포가 뼈기질에 갇힌 상태이며, 분열능을 가지고 있어 뼈의 손상을 복구한다. ( X )

- 뼈세포(osteocyte)는 골아세포에서 유래된 세포로 분열능이 없어 뼈 형성을 못하는 대신, 칼슘 이온과 같은 물질의 세포간

물질교환을 수행합니다.

43. 파골세포는 에스트로겐에 의해 촉진되며, 단백질분해효소를 분비해 뼈조직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 X )

- 파골세포는 섭식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카텝신 K와 같은 효소를 분비해 골아세포가 만든 수산화인회석과 콜라겐을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파골세포는 에스트로겐에 의해 억제되며, 이 때문에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부족한 폐경기 여성들에게 골다공증의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44. 적색골수는 조혈모세포를 가지고 있어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을 생성한다. ( O )

45. 황색골수는 적색골수가 변형된 형태로 어린이의 뼈는 적색골수보다 황색골수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 ( X )

- 적색골수의 조혈세포가 감소하고 지방세포가 증가하면 황색골수가 되며, 나이가 어릴 수록 적색골수를 더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46. 골다공증은 뼈의 무기질 등이 빠져나가 골밀도가 감소하는 질병으로 파라토르몬의 투여는 파골세포를 활성화해

골다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 X )

- 파라토르몬은 파골세포를 활성화하지만 소장에서 Ca2+ 재흡수 촉진과 혈중 Ca2+ 농도 유지 능력이 더 크기 때문에 골다공증

증세를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47. 비타민 D의 결핍으로 소장에서 칼슘 이온의 흡수가 충분하지 못하면, 구루병과 골연화증에 걸릴 수 있다. ( O )

48. 하버스 계는 뼈에 혈관, 림프관, 신경 등이 배열되어 뼈조직이 동심원 모양을 이룬 것이다. ( O )

- 하버스 계는 뼈의 장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동심원이 배열되어 있습니다.

49. 하버스 계에는 밀착연접이 발달되어 물질교환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 X )

- 밀착연접이 아니라 간극연접입니다. 뼈조직 내부는 모세혈관이 통과하기 어려우므로 간극연접을 통해 양분을 전달 받습니다.

50. 뼈조직은 결합조직의 일종이며, 에스트로겐은 뼈의 용출을 억제한다. ( O )

- 에스트로겐은 파골세포를 억제합니다.

BIOLOGY 2020 222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6회 정답과 해설
1. 골격근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는 근원섬유로 액틴과 미오신으로 구성된다. ( O )

- 근원섬유 – 근섬유 – 근육다발 – 골격근으로 발달합니다.

2. 근섬유는 근세포로 근형질에 하나의 핵과 근소포체, 글리코겐, 미토콘드리아 등이 존재한다. ( X )

- 근세포는 여러 개의 핵을 가진 다핵세포입니다. 핵과 미토콘드리아, 근소포체 등은 근세포의 근형질(sarcoplasm)에 존재합니다.

3. 근원섬유에서 미오신은 굵은 필라멘트이며, 액틴은 가는 필라멘트이다. ( O )

4. A대는 굵은 필라멘트만 존재하는 영역이며, H지역은 굵은 필라멘트가 존재하는 전체 영역을 의미한다. ( X )

- 색이 어두워 암대라 불리는 A대는 굵은 필라멘트가 존재하는 영역이며, H지역 굵은 필라멘트만 존재하는 영역입니다. H대는 A대에

가운데에 있으며 A대에 비해 밝게 보입니다.

5. I대는 가는 필라멘트만 존재하는 영역이며, 어둡게 보여 암대라 불린다. ( X )

- I대는 가는 필라멘트만 존재하는 영역으로 A대와 A대 사이에 Z원반을 포함한 영역입니다. I대는 가늘어서 밝게 보이므로 명대라

부릅니다.

6. 근절은 근수축의 기본단위로 M선과 M선 사이를 의미한다. ( X )

- M선은 굵은 필라멘트가 연결되어 있는 H대 중앙의 선을 말합니다. 근수축의 기본 단위인 근절은 Z원반과 Z원반의 사이를

의미합니다.

7. 가는 필라멘트의 트로포닌에 칼슘 이온이 결합하면 트로포미오신의 위치가 조절되어 미오신 머리 결합 자리가

노출된다. ( O )

- 가는 필라멘트는 F-액틴 섬유와 트로포미오신, 트로포닌으로 구성됩니다. 트로포미오신은 나선형으로 액틴을 감아 액틴과 미오신

결합 자리를 가립니다. 칼슘 이온과 결합한 트로포닌은 이 트로포미오신의 위치를 조정하여 미오신과 액틴이 결합할 수 있게

합니다.

8. 근수축에 필요한 칼슘 이온은 세포 외부로부터 유래된다. ( X )

- 골격근 수축에 필요한 칼슘은 모두 근형질의 근소포체에서 유래됩니다. 이와 반대로 심장근 수축에 필요한 칼슘은 근소포체 및

세포 외부에서 유래될 수 있습니다.

9. 근육이 수축하면 근절의 길이와 I대, H대의 길이는 모두 짧아진다. ( O )

- I대와 H대의 길이는 짧아지고, A대의 길이는 변화없습니다.

10. 액틴과 미오신의 교차가 최대로 되는 근절 길이에서 수축력이 가장 높다. ( O )

- 미오신은 한 쌍의 폴리펩티드가 꼬인 구조이며, 미오신의 머리는 ATPase 부위와 액틴 결합 부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1. 근육 수축 시 A대의 길이는 일정하다. ( O )

12. 근육에 역치 이상의 단일 자극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근수축의 양상은 연축이다. ( O )

BIOLOGY 2020 223 ©THE BASIC SIMPLICITY


13. 등력성 수축은 근육의 길이 변화 없이 매달린 물체를 지탱하는 수축 과정이다. ( X )

- 등력성 수축은 등장성 수축(isotonic contraction)으로 근장력은 유지되면서 근육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14. 등척성 수축은 근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근육의 길이가 짧아져 물체를 들어올리는 과정이다. ( X )

- 등척성 수축은 제길이 수축(isometric contraction)으로 근육의 길이의 변화가 없는 수축입니다. 등력성 수축의 경우 물체를

들어올리는 상황, 등척성 수축의 경우는 매달린 물체를 지탱하는 상황에 나타납니다.

15. 활발한 운동 시 부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인슐린의 분비량이 증가한다. ( X )

- 에너지 생성을 위해 혈당이 높아져야 하므로 글루카곤의 분비량이 증가합니다.

16. 코르티솔,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은 운동을 하는 동안 분비되어 혈당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 O )

17. 운동 시 저장된 ATP → 크레아틴 인산 → 젖산발효 → 유기호흡 순으로 에너지를 사용한다. ( O )

18. 유산소 운동을 반복할수록 미토콘드리아, 모세혈관, 미오글로빈의 양이 늘어나 지구력이 상승된다. ( O )

- 유산소 운동의 반복은 지구력을 상승시키고, 무산소 운동의 고강도 반복은 근비대를 일으킵니다.

19. 속근(백근)은 지근(적근)에 비해 직경이 더 작으며, 미오글로빈을 더 많이 함유한다. ( X )

- 미오글로빈은 백근에 비해 적근에 더 많이 분포합니다.

20. 미토콘드리아의 수는 속근에 비해 지근에서 더 많다. ( O )

- 적근(지근)이 미오글로빈과 혈관, 미토콘드리아, 지방을 더 많이 가져 장거리 운동에 더 적합합니다.

21. 혈관 분포와 지방 함량은 지근에 비해 속근이 더 크다. ( X )

- 지근에 더 많이 분포합니다.

22. 운동단위란 한 개의 체성 신경에 연결되어 동시에 수축하는 근섬유를 의미한다. ( O )

- 작용하는 운동단위의 수가 많아질수록 전체 근육의 수축 강도는 증가합니다.

23. 하나의 체성 신경은 하나의 근섬유에 연결되어 있지만, 하나의 근섬유는 여러 개의 체성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 X )

- 하나의 체성 신경에 여러 개의 근섬유가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근섬유는 오직 한 개의 체성 신경의 지배만을 받습니다.

24. 동원되는 운동단위 수가 늘어날수록 수축 강도는 늘어난다. ( O )

25. 여러 개의 근섬유가 연결된 운동단위일수록 정교한 조절이 가능해진다. ( X )

- 정교한 조절 대신 더 강한 수축이 가능합니다.

26. 평활근과 심장근 수축에 필요한 칼슘 이온은 모두 근소포체에서 유래된다. ( X )

- 세포 외부에서 유래될 수 있습니다.

27. 평활근에서 칼슘 이온은 미오신을 직접 인산화시켜 액틴과 결합할 수 있게 한다. ( X )

- 평활근에서 칼슘 이온은 칼모듈린 단백질과 결합해 MLCK(myosin-light chain kinase)를 활성화하고 MLCK가 미오신 머리의

경사슬을 인산화해 미오신 머리와 액틴의 결합을 촉진합니다.

28. 평활근에는 근절과 T-소관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 ( O )

- 평활근 세포는 골격근에 비해 세포 크기도 작고, 근절이 없어 민무늬근이며, T-소관도 없습니다.

BIOLOGY 2020 224 ©THE BASIC SIMPLICITY


29. 평활근은 단핵세포로만 구성되며, 심장근은 다핵세포로 구성된다. ( X )

- 평활근과 심장근은 단핵세포입니다.

30. 평활근과 심장근은 모두 트로포닌과 트로포미오신을 가지고 있다. ( X )

- 골격근과 심장근이 트로포닌과 트로포미오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31. 평활근은 자율 신경계, 심장근은 체성 신경계의 지배를 받는다. ( X )

- 심장근은 기본적으로 조율기 세포인 동방결절의 신호에 따라 수축이 일어나며, 자율 신경계인 교감 신경의 조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평활근 역시 자율 신경계의 조절을 받으며, 체성 신경계의 조절을 받는 것은 골격근입니다.

32. 평활근의 수축은 골격근과 달리 자율신경, 근육 자체의 신장, 호르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 O )

- 교감, 부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평활근 세포질 내 cAMP, IP3 등의 농도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평활근이 수축되면 세포막 표면의

인장 개폐성 Ca2+ 채널이 열려 세포질 내 칼슘 농도가 증가되어 수축 강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르몬의 영향으로

세포막이나 소포체막의 Ca2+ 채널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습니다.

33. 다단위 평활근은 골격근과 유사하며, 자율신경이 평활근 각각을 자극해 개별적으로 수축하게 한다. ( O )

- 다단위 평활근은 간극연접이 거의 없어 개별적으로 수축하는 골격근과 유사한 평활근이며, 단일단위 평활근은 심장근과 유사하게

간극연접이 발달되어 있어 조율기 세포에서 발생한 활동전위가 주위의 세포들에게 전파되어 동시에 수축될 수 있습니다.

34. 단일 단위 평활근은 심장근과 유사하며, 간극연접이 발달해 조율기 세포에서 발생한 활동전위가 모든 세포로

전달되어 동시 수축할 수 있다. ( O )

35. 대부분의 연체동물과 절지동물은 개방형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 O )

- 개방형 순환계는 동맥과 정맥 사이에 모세혈관이 없이 혈림프가 조직으로 직접 유출되어 산소와 물질들을 교환하는 구조입니다.

혈림프 속에는 헤모글로빈 대신 구리 이온을 가지는 헤모시아닌(hemocyanin)이 존재합니다. 헤모시아닌은 붉은색의 헤모글로빈과

달리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36. 척추동물과 연체동물의 두족류는 폐쇄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 O )

- 폐쇄 순환계는 동맥과 정맥 사이에 모세혈관이 존재해 혈액이 혈관으로만 이동하는 구조입니다. 페쇄 순환계는 개방형 순환계에

비해 영양분과 노폐물을 더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습니다.

37. 인체에서 순환계는 운반, 체온조절, 방어 기작을 수행한다. ( O )

38. 파충류는 2심방 불완전 2심실, 조류와 포유류는 2심방 2심실을 가지고 있다. ( O )

- 파충류는 2심방 불완전 2심실, 양서류는 2심방 1심실로 심장에서 동맥혈과 정맥혈이 서로 섞여 산소 운반 효율성은 2심방 2심실을

가진 조류, 포유류에 비해 낮습니다.

39. 인체에서 체순환을 위한 압력은 폐순환보다 낮은 압력이 필요하다. ( X )

- 더 많은 거리를 돌아야 하므로 더 큰 압력이 필요합니다.

40. 삼천판은 오른쪽 방실판막이며, 이첨판은 왼쪽의 방실판막이다. ( O )

- 삼천판은 우방실판막, 이첨판은 좌방실판막입니다.

BIOLOGY 2020 225 ©THE BASIC SIMPLICITY


41. 반월판은 3개의 엽으로 이루어지며, 심장이 대동맥 혹은 폐정맥과 연결된 부위에서 발견된다. ( X )

- 반월판은 심장이 대동맥, 폐동맥과 연결된 부위의 판막으로 심장에 2개가 존재합니다.

42. 심장은 간극연접이 발달하였으나, T-소관은 골격근에 비해 덜 발달되어 있다. ( X )

- 심근세포에는 간극연접으로 구성된 개재판이 발달되어 있으며, T-소관도 골격근에 비해 더 발달되어 있습니다. 또한 심근세포의

소포체는 골격근보다 작기 때문에 수축을 위한 칼슘 이온은 근소포체 뿐만 아니라 세포 외부에서도 유입됩니다.

43. 심장근에는 미토콘드리아와 미오글로빈이 풍부하게 존재한다. ( O )

44. 심장근은 가지 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밀착연접으로 구성된 개재판이 발달되어 있다. ( X )

- 심근세포는 가지 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개재판은 간극연접으로 구성되고 데스모좀에 의해 지지되고 있습니다.

45. 심장의 자동 조율세포는 신경세포이다. ( X )

- 동방결절을 비롯한 자동 조율세포는 모두 심근세포의 일종입니다.

46. 심장의 자동 조율세포 중 가장 빠르게 활동전위를 생성하는 것은 동방결절이다. ( O )

- 동방결절, 방실결절, 히스색, 푸르키녜 섬유 등의 자동 조율세포 모두가 각자의 활동전위를 만들어내지만 동방결절의 활동전위

생성 주기가 가장 빨라 심박동수는 동발결절에 의해 정해집니다.

47. 동방결절에서 발생한 활동전위는 방실결절 → 히스색 → 푸르키녜 섬유로 퍼져 나간다. ( O )

48. 활동전위가 방실결절을 천천히 지나기 때문에 심방의 혈액이 심실로 충분히 전달된다. ( O )

- 이를 방실결절 지연이라 합니다. 방실결절 지연과 심방과 심실 사이의 간극연접의 부재는 심방과 심실이 동시에 수축하지 않게

합니다.

49. 자동 조율세포는 수축과 동시에 활동전위를 발생시킨다. ( X )

- 자동 조율세포는 수축하지 않고 활동전위를 만들어 다른 심근세포의 수축을 유도합니다. 자동 조율세포는 심근세포지만 수축하지

않습니다.

50. 자동 조율세포 중 활동전위를 가장 빠르게 전달하는 것은 푸르키녜 섬유이다. ( O )

- 푸르키녜 섬유는 심실 근육 전체에 퍼져있기 때문에 가장 넓은 범위의 심근세포를 커버해야 하므로 활동전위가 가장 빠르게

전달됩니다.

BIOLOGY 2020 226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7회 정답과 해설
1. 심장의 자동 조율세포의 웃긴(funny) Na+ 채널은 과분극 자극에 의해 열린다. ( O )

- 다른 조직에서 탈분극 자극에 열리는 Na+ 채널과 달리 자동 조율세포의 웃긴 Na+ 채널은 과분극에 열려 막전위를 역치 전위까지

상승시킵니다.

2. 심장의 자동 조율세포에서 Ca2+ 채널은 두 종류가 있으며 모두 전압 개폐성 이온 채널이다. ( O )

- T-형과 L-형 전압개폐성 Ca2+ 채널이 있으며, T-형은 일시적, L-형은 지속적으로 열려 자동 조율세포의 활동전위를 만들어냅니다.

3. T-형 칼슘 이온 채널은 L-형 칼슘 이온 채널보다 늦게 열리며, T-형 칼슘 채널이 열림으로써 자동 조율세포의

탈분극이 완료된다. ( X )

- L-형이 T-형에 비해 늦게 열립니다.

4. 심근의 자동 조율세포와 심근 세포는 모두 약-70mV의 휴지막 전위를 보인다. ( X )

- 자동 조율세포는 휴지기 없이 활동전위 생성을 반복하므로 휴지막 전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심근세포의 휴지막 전위는 대략

-90mV입니다.

5. 자동 조율세포에서 전도된 활동전위에 의한 전압 개폐성 Ca2+ 채널의 열림으로 심근 수축세포의 활동전위가

생성된다. ( O )

6. 심근 수축세포 막전위의 고평부는 T-형 전압 개폐성 Ca2+ 채널에 의해 유지된다. ( X )

- L-형 전압 개폐성 칼슘 이온 채널과 전압 개폐성 칼륨 이온 채널의 열림으로 막전위의 고평부가 유지됩니다.

7. 심근 수축세포 막전위의 고평부에서 전압 개폐성 K+ 채널은 열려있다. ( O )

8. 심근 수축세포 활동전위 기간 동안 세포로 유입된 칼슘 이온은 트로포닌에 결합해 근수축을 일으키는데 사용된다.

(O)

9. 수축세포에서 나타는 막전위의 고평부는 자극의 불응기 기간을 늘려 심근의 강축과 강직 현상을 억제한다. ( O )

- 고평부로 인해 불응기가 길어져 심근세포에서 강축 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10. 심근 수축세포의 활동전위 발생 후 전압 개폐성 K+ 채널은 전압 개폐성 Ca2+ 채널보다 먼저 닫힌다. ( X )

- L-형 전압 개폐성 Ca2+ 채널이 닫힌 후에도 K+ 채널은 열려있어 막전위를 과분극 상태로 만듭니다.

11. 부교감 신경인 미주신경은 심근 수축세포의 무스카린 수용체를 자극해 수축세포가 느리게 수축하도록 한다. ( X )

- 심근세포에는 교감 신경만 작용합니다. 부교감 신경은 동방결절에 작용하여 박동 주기를 느리게 합니다.

12. 교감 신경의 에피네프린은 동방결절의 b1 수용체에 결합해 심장의 분당 박동수를 증가시킨다. ( O )

13. 심박출량은 분당 박동수 X 1회 박출량으로 계산된다. ( O )

14. 체온이 올라가면 열을 줄이기 위해 분당 박동수가 감소한다. ( X )

- 체온이 증가하면 기본적으로 대사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심장 박동수도 증가합니다.

BIOLOGY 2020 227 ©THE BASIC SIMPLICITY


15. 정맥 환류량이 증가하면 심근 섬유의 이완말기 용적이 증가해 심실의 수축력이 증가하게 된다. ( O )

16. 정맥 환류량에 의한 1회 박출량의 조절은 외인성 조절이다. ( X )

- 정맥 환류량과 그에 따른 심실의 용적 변화로 1회 박출량이 조절되므로 내인성 조절입니다.

17. 교감 신경은 정맥 환류량에 관계없이 심근 세포의 수축력을 증가시키며, 이는 내인성 조절이다. ( X )

- 심장 외부, 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으므로 외인성 조절입니다.

18. 교감 신경은 심실 수축세포의 L-형 칼슘 이온 채널의 투과도를 증가시키고, 근소포체의 칼슘 펌프를 활성화시킨다.

(O)

19. 교감 신경은 심장 뿐만 아니라 정맥을 수축시켜 정맥환류량을 증가시킨다. ( O )

20. 심전도(ECG)에서 P파의 발생은 심방의 수축을 의미한다. ( O )

21. 심전도에서 QRS파가 나타나면 심실의 수축이 개시되고 반월판이 열리면서 제1심음이 발생한다. ( X )

- 제1심음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삼첨판과 이첨판이 닫히면서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반월판이 닫히면서 발생하는 소리는

제2심음입니다.

22. 방실판막이 닫히고, 반월판막이 열리기 전 까지 심실의 부피는 일정한채 압력만 증가하는 등용적성 수축이 일어난다.

(O)

- 반월판막이 열리는 시점은 심실 내압이 대동맥압 보다 높을 때입니다. 반월판막이 열리면 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피가 분출됩니다.

23. 심실에서 혈액이 충분히 방출되면 T파가 발생하고 심실의 이완기가 시작된다. ( O )

24. 심실이 이완하면서 심실의 압력이 동맥의 압력보다 낮아지면 반월판막이 닫히고, 제2심음이 발생한다. ( O )

25. 방실판막과 반월판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심실은 이완하지 않는다. ( X )

- 제2심음 발생 후 방실판막, 반월판막이 닫힌 상태로 심실이 이완하는 등용적성 심실 이완 구간이 있습니다.

26. 우심실이 뿜어낸 피의 양과 좌심실이 뿜어 낸 피의 양은 같다. ( O )

- 피를 뿜어내는 압력은 좌심실이 더 크지만 피의 양은 두 심실에서 같습니다.

27. 심실 압력의 변화는 우심실보다 좌심실이 더 크다. ( O )

28. 피를 뿜어내기 위한 일의 양은 좌심실과 우심실에서 같다. ( X )

- 일의 양은 압력-부피 곡선의 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압력(P) X 부피변화량(𝜟V)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일의 크기는 압력이 더

큰 좌심실에서 더 큽니다.

29. 심장의 전부하(이완기말 용적)가 증가하면 좌심실이 뿜어낸 혈액의 양과 좌심실의 최대 압력이 모두 증가한다. ( X )

- 전부하가 증가하면 좌심실의 부피는 증가하지만 좌심실 최대 압력은 변하지 않습니다.

BIOLOGY 2020 228 ©THE BASIC SIMPLICITY


30. 심장의 후부하(대동맥의 압력)이 증가하면 좌심실이 뿜어낸 혈액의 양은 감소하고, 좌심실의 최대 압력은 증가한다.

(O)

- 후부하의 증가는 피가 좌심실에서 나가기 어렵게 만드므로 좌심실의 최대 압력은 증가시키고, 뿜어낸 혈액 양은 감소시킵니다.

31. 심장에 쓰이는 영양분을 전달하기 위한 혈액은 관상동맥을 통해 심장의 이완기에 공급된다. ( O )

32. 심장의 수축에 쓰이는 에너지원은 대부분 포도당이다. ( X )

- 심근은 유리 지방산을 주로 사용합니다. 유리 지방산 이외에 소량의 포도당과 젖산 등도 사용합니다.

33. 디기탈리스는 심근 섬유를 더 강하게 수축하게 만드는 강심제이다. ( O )

- 디기탈리스와 와베인은 심근의 Na+/K+ 펌프 저해제로, 심근세포 내에 Ca2+의 축적을 증가시켜 심근 섬유의 수축력을 강화시킵니다.

34. 관상동맥의 막힘으로 인한 협심증은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혈관 이완 약물을 투여하여 증세를 완하시킨다. ( O )

35. 동맥은 혈관 반지름이 커서 혈관 저항이 작기 때문에 혈액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 O )

36. 정맥에는 엘라스틴보다 콜라겐이 풍부해 많은 양의 혈액을 저장할 수 있다. ( O )

- 엘라스틴은 신축력을 담당하며, 콜라겐은 신장력을 담당합니다. 정맥은 신장에 강한 콜라겐을 탄력성 결합조직으로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분의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 저장고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37. 소동맥은 혈관 스스로와 호르몬, 산소 분압, 열, ATP 등의 물리적 인자에 의해 수축과 이완을 조절할 수 있다. ( O )

- 혈관 스스로 혈압을 조절하는 것을 자가 조절이라 합니다. 소동맥은 혈압의 증가 시 일련의 반응으로 MLCK 활성을 높여 소동맥의

수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절은 소동맥이 평소 일정한 혈압과 혈류를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38. 프로스타글란딘과 히스타민은 소동맥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을 수축시킨다. ( X )

- 혈관을 이완시킵니다.

39. 바소프레신과 안지오텐신 II는 소동맥을 이완시켜 혈압을 증가시킨다. ( X )

- 바소프레신과 안지오텐신 II는 소동맥을 수축시켜 혈압을 증가시킵니다.

40. 소동맥 수축, 이완 기작에서 부교감 신경과 교감 신경은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한다. ( X )

- 소동맥의 조절은 교감신경만 작용합니다. 교감신경이 a1 수용체를 자극하면 내장 기관 소동맥은 수축하며, b2 수용체를 자극하면

심장, 골격근 소동맥은 확장합니다. 예외적으로 발기 관련 혈관만 교감과 부교감 신경의 작용을 받습니다.

41.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혈관 내피세포에 결합하면 NO가 생성되어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 O )

- 아세틸콜린은 G-단백질 연결 수용체와 결합하며, NO는 작은 기체이므로 확산으로 주변 평활근으로 전파됩니다.

42. NO에 의한 평활근 이완 기작에 구아닐릴 고리화효소와 칼슘 이온이 필요하다. ( O )

- 구아닐릴 고리화효소는 세포질에 존재합니다.

43. 혈관 내피세포는 평활근 보다 혈관의 안 쪽에 위치한다. ( O )

- 위치를 종종 물어보는데, 혈관 내피가 혈액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혈액을 떠돌던 아세틸콜린이 쉽게 혈관 내피세포와 결합할 수

있습니다. 중심부 부터 혈관 – 내피 세포 – 탄력성 결합조직 – 평활근 순서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BIOLOGY 2020 229 ©THE BASIC SIMPLICITY


44. 모세혈관에는 평활근이 없어 혈류 속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없다. ( O )

- 모세혈관은 원활한 물질 교환을 위해 단층편평상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45. 동맥, 모세혈관, 정맥 중 혈류의 속도는 정맥에서 가장 느리며, 혈압은 모세혈관에서 가장 낮다. ( X )

- 혈류 속도는 모세혈관, 혈압은 정맥에서 가장 낮습니다.

46. 모세혈관의 앞 쪽에서 혈액은 조직으로 이동하며, 모세혈관 뒤 쪽에서 혈액은 조직에서 혈관으로 이동한다. ( O )

47. 모세혈관 앞 쪽에서 혈압+조직내 교질삼투압의 크기는 혈장 교질삼투압+조직액압 보다 작다. ( X )

- 혈압 + 조직 내 교질 삼투압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혈액에서 조직액으로 혈장이 이동합니다.

48. 림프관과 정맥에는 판막이 존재한다. ( O )

49. 정맥은 신축성인 낮으나 신장력이 커서 많은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 저장고의 역할을 한다. ( O )

50. 림프관에는 백혈구, 혈장 단백질, 유미입자 등의 크기가 큰 물질들도 유입될 수 있다. ( O )

BIOLOGY 2020 230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8회 정답과 해설

1. 모세혈관의 혈압이 증가하고, 혈장 단백질의 농도가 감소하면 부종이 생길 수 있다. ( O )

2. 정맥환류량이 감소하고, 조직의 교질 삼투압이 감소하면 부종이 생길 수 있다. ( X )

- 조직의 교질 삼투압의 감소는 부종을 감소시키는 원인입니다.

3. 부종이 생기면 혈관과 조직 세포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물질 교환이 어려워진다. ( O )

- 부종으로 조직 세포의 부피가 커지면 물질 교환을 하지 못해 죽을 수 있습니다.

4. 경동맥동과 대동맥궁의 압력 수용기는 혈압의 정보를 심혈관 조절의 중추인 연수로 전달한다. ( O )

- 호흡 및 심혈관 조절의 중추는 시상하부가 아닌 연수입니다.

5. 휴식할 때 교감 신경이 활성화 되면 심박출량과 말초 저항은 동시에 증가한다. ( O )

6. 운동할 때 교감 신경이 활성화 되면 심박출량은 증가하고, 말초 저항은 감소한다. ( O )

7. 인체에 각 기관들에게 공급되는 혈류량은 국소적으로 조절될 수 없다. ( X )

- 교감신경에 의해 소동맥의 수축이 조절될 수 있습니다.

8. 출혈로 인해 혈액량이 감소하면 심박출량은 증가하고, 위장관의 소동맥의 말초저항을 감소시켜 혈액량을 유지시킨다.

(X)

- 정맥환류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심박출량이 감소합니다. 또한 위장관의 소동맥 말초저항을 증가시켜 중심 혈압을 유지시킵니다.

9. 1차성 고혈압은 불명확한 원인들로 발생하며, 2차성 고혈압은 특정한 원인에 의해 발병한다. ( O )

10. 혈액은 인체에서 운반, 항상성 유지, 출혈 방지, 방어 작용을 수행한다. ( O )

- 혈액은 삼투 농도를 유지하고, 탄산, 인산, 알부민, 헤모글로빈 등으로 pH를 유지합니다.

11. 혈장에서 피브리노겐을 제거한 것을 혈청이라 한다. ( O )

- 피브리노겐은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장 단백질입니다.

12. 물은 혈장의 90%를 차지하며, 조직에서 생성된 열을 보존하거나 피부 근처에서 불필요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기작으로 체온을 유지시킨다. ( O )

13. 혈장 단백질은 pH를 조절하고 삼투압에 영향을 준다. ( O )

14. 혈장 단백질인 알부민과 피브리노겐, a,b,g-글루불린은 간에서 합성된다. ( X )

- g-글로불린은 항체 성분으로 간이 아닌 B세포가 합성합니다.

15. 피브리노겐은 빌리루빈, 지방산 등과 결합해 이들 물질을 전신으로 수송한다. ( X )

- 피브리노겐은 혈액 응고에 관여하며, 위 물질의 수송을 담당하는 혈장 단백질은 알부민입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BIOLOGY 2020 231 ©THE BASIC SIMPLICITY


16. 알부민은 페니실린과 결합해 전신으로 페니실린을 운반한다. ( O )

- 알부민은 빌리루빈, 지방산, 담즙산, 페니실린, 수은을 비롯한 다양한 물질들과 결합해 이들의 수송을 도와줍니다.

17. 성숙한 적혈구는 헤모글로빈에 결합한 산소를 이용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 X )

- 적혈구는 핵과 소기관이 없기 때문에 해당과 무산소 호흡을 이용해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18. 적혈구는 핵과 기타 소기관이 없기 때문에 혈구 중 가장 적은 수명을 가지고 있다. ( X )

- 적혈구의 수명은 120일 정도이며, 혈소판의 수명은 10일, 백혈구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수 시간에서 수 주간 생존합니다. 따라서

적혈구는 혈구 중 비교적 긴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19.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등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 O )

- 산소는 헤모글로빈의 Heme기에 결합, 이산화탄소는 글로빈 단백질의 아미노기에 결합해 운반될 수 있습니다. 글로빈 단백질과

이산화탄소가 결합된 형태를 카바미노헤모글로빈(carbaminohemoglobin)이라 합니다. 기체 중 Heme기에 직접 결합하는 건

산소와 일산화탄소(CO)임을 주의합니다.

20. 적혈구의 오목한 모양은 미세소관으로 인해 형성되며, S/V 비율을 높여 기체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 O )

- 쉽게 말하면 적혈구의 오목한 모양이 표면적을 증가시킵니다.

21. 적혈구는 태아에서 간이나 비장에서 생성되지만, 출생 후에는 골수에서 주로 생성된다. ( O )

- 사람의 경우 발생초기에 난황액의 조혈모세포에서 적혈구가 생산되며, 태아에서는 간과 비장, 출생 후에는 골수에서 주로

생성됩니다.

22. 태아의 헤모글로빈은 a2g2형으로 성인의 a2b2형보다 산소에 대한 친화력이 높다. ( O )

- 태아의 헤모글로빈은 2,3-BPG에 대한 친화력도 낮습니다.

23. 시상하부는 저산소증을 인식해 EPO를 분비하며, EPO는 골수 조혈모세포로부터 적혈구의 분화를 촉진한다. ( X )

- EPO(erythropoietin)은 신장이 저산소증을 직접 인식해 분비합니다. EPO는 골수 조혈모세포의 적혈구 분화를 촉진합니다.

24. 성숙한 적혈구는 혈액에서 필요한 헤모글로빈을 지속적으로 생성한다. ( X )

- 성숙한 적혈구는 세포소기관이 없기 때문에 헤모글로빈의 전사 및 번역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25. 오래된 적혈구는 비장에서 파괴되며, 헤모글로빈의 파괴로 생성된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된다. ( O )

- 노화된 적혈구는 세포막을 복구하지 못해 파괴되기 쉬운 상태가 되며, 이런 노화된 적혈구는 혈액이 비장 세포를 비집고 통과하는

과정에서 마치 으스러지듯이 파괴됩니다. 파괴된 적혈구의 찌꺼기는 대식세포에 의해 제거됩니다.

26. 노란색을 나타내는 빌리루빈은 헤모글로빈의 헴 구조에서 유래된다. ( O )

- Heme 구조가 대사된 형태가 빌리루빈이며, 빌리루빈은 소변이나 대변을 통해 배출됩니다.

27. 위에서 내인성 인자가 분비되지 못할 경우 재생 불량성 빈혈에 걸릴 수 있다. ( X )

- 내인성 인자는 비타민 B12 흡수를 도와주는 물질로 비타민 B12의 결핍은 DNA 합성을 저해하여 빈혈을 일으킵니다. 내인성

인자의 결핍으로 발생한 빈혈은 악성 빈혈입니다. 내인성 인자에 결합한 비타민 B12는 소장의 회장에서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스로 흡수됩니다.

28. 악성 빈혈은 비타민 B12의 흡수가 부족하여 발생한다. ( O )


BIOLOGY 2020 232 ©THE BASIC SIMPLICITY
29. 겸상 적혈구증은 용혈성 빈혈의 원인이 된다. ( O )

- 용혈성 빈혈은 파괴되는 적혈구가 생성된 적혈구보다 많을 때 발생합니다. 겸상 적혈구증이 대표적인 용혈성 빈혈입니다.

30. 심한 설사나 많은 양의 땀을 배출한 경우 상대적 헤마토크리트 값은 감소한다. ( X )

- 헤마토크리트는 전혈액 중 적혈구 용적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설사를 비롯한 탈수로 체액이 배출되면 혈장 부분이 감소하므로

상대적 헤마토크리트 값은 증가합니다.

31. 혈소판은 적혈구와 달리 핵은 없으나 세포소기관은 가지고 있다. ( O )

- 혈소판은 거핵세포에서 떨어져 나온 세포 파편들로 거핵세포에서 떨어져 나오면서 세포소기관을 함께 들고 나옵니다.

32. 간에서 TPO가 분비되면 골수의 조혈 모세포로부터 혈소판 분화가 촉진된다. ( O )

- TPO는 호르몬으로 간에서 분비되어 골수에서 혈소판 분화를 촉진합니다.

33. 혈소판은 거핵세포의 세포 파편이며, 거핵세포는 핵 내에 여러 벌의 DNA를 지닌 세포이다. ( O )

34. 손상된 혈관의 평활근에서 근섬유가 노출되면 혈소판이 달라붙어 혈소판 응집이 활성화된다. ( X )

- 혈소판 응집은 손상된 혈관의 결합조직에서 콜라겐이 노출되면서 시작됩니다. 응집된 혈소판 내에서는 액틴-미오신 교차가 생겨

세포가 수축하면서 혈소판 간의 단단한 결합을 형성합니다.

35. 혈관 손상 부위에서 혈소판은 트롬복산을 분비해 혈전 생성을 촉진한다. ( O )

36. 혈관 손상 부위 주변의 정상 내피세포들은 프로스타사이클린을 분비해 혈액의 응집이 손상 부위에만 일어날 수 있게

한다. ( O )

- 트롬복산은 혈전 생성, 프로스타사이클린은 혈전을 억제합니다.

37. 혈관의 섬유아세포들은 PDGF를 분비해 상처의 봉합을 촉진한다. ( X )

- PDGF는 혈소판에서 유래되어 섬유아세포, 평활근을 유인해 상처 봉합을 촉진합니다.

38. 혈액 응고의 내인성 경로는 손상된 혈관에서 (-) 전하에 의한 인자들의 활성화로 시작된다. ( O )

39. 혈액 응고의 외인성 경로는 조직에서 유리된 트롬보플라스틴에 의해 응고 인자들이 활성화됨으로써 시작된다. ( O )

40. 혈액 응고의 내인성 경로와 외인성 경로에는 칼슘 이온이 필요하다. ( O )

41. 프로트롬빈은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전환시킨다. ( X )

- 트롬빈이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활성화시킵니다. 간에서 합성되는 피브리노겐은 글로불린에 속하는 단백질로 섬유소원이라고

하며, 혈액 응고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합니다.

42. 피브리노겐은 펩티드 계열 효소로 피브린으로 활성화된 후 혈전 생성을 촉진한다. ( X )

- 피브린은 활성화된 후 그물망 구조를 형성해 혈전을 생성합니다. 피브린은 효소가 아닌 단백질입니다.

43. 상처 조직에서 방출되는 플라스민은 혈전 생성을 촉진한다. ( X )

- 플라스민은 혈전 생성을 억제하며, 상처 조직에서 느리게 분비됩니다.

44. 시트르산 나트륨과 옥살산 나트륨은 칼슘 이온을 제거하여 혈액 응고를 방지한다. ( O )

BIOLOGY 2020 233 ©THE BASIC SIMPLICITY


45. 헤파린과 트롬빈은 프로스타사이클린의 활성을 억제한다. ( X )

- 헤파린과 히루딘은 트롬빈의 활성을 억제하여 혈액 응고를 방지합니다.

46. 와파린은 비타민 K의 경쟁적 저해제로 간에서 응고인자의 합성을 저해한다. ( O )

47. 혈액을 유리막대로 저으면 유리막대의 (-)전하 표면에 피브린과 같은 응고인자들이 결합해 제거된다. ( O )

48. 호중구는 백혈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여러 개의 핵을 가지고 있다. ( X )

-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는 모두 핵이 한 개지만, 여러 개의 엽으로 보이는 구조입니다.

49. 호산구는 골수계 백혈구로 기생충 방어에 관여하며,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시 붉은색 과립이 관찰된다. ( O )

50. 호염구는 주로 세균을 섭식하여 알레르기 반응에 대응하며, 히스타민을 분비한다. ( X )

- 호염구는 알레르기 반응 시 히스타민을 분비하지만 섭식능은 없습니다. 호염구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시 붉은색 과립이

관찰됩니다.

BIOLOGY 2020 234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9회 정답과 해설

1. 수지상세포와 비만세포는 골수계 세포이다. ( O )

2. 비만세포는 호염구와 함께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한다. ( O )

3. 호중구는 혈액을 순환하다 조직에 침투해 대식세포가 되며, 대식세포는 조직 내에서 세균과 찌꺼기들을 섭식한다.

(X)

- 대식세포는 단핵구로부터 유래됩니다.

4. 수지상세포는 단핵구에서 유래되며, 림프절에서 적응 면역 반응을 개시한다. ( O )

- 단핵구에서 유래되는 수지상세포는 항원제시세포(APC) 중 하나로 적응 면역에 관여합니다.

5. NK세포, T세포, B세포는 림프계 세포이다. ( O )

6. NK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세포막 표면에 MHC II의 발현이 감소한 세포나 암세포를 제거한다. ( X )

- NK세포는 MHC I 발현량이 감소한 세포나 암세포를 제거합니다.

7. T세포는 표면에 TCR을 가지고 있으나, B세포와 달리 기억세포를 형성하지 않는다. ( X )

- T세포 역시 기억세포를 형성합니다.

8. B세포는 3차원의 항원을 인식해 항체를 생성하는 적응 면역 반응을 수행한다. ( O )

9. TH1 세포는 IL-2, IFN-g, IFN-b 등을 생성하여 세포성 면역 반응에 관여한다. ( O )

10. TH2 세포는 IL-4, IL-5, IL-6 등을 분비해 B세포 활성화에 관여한다. ( O )

11. G-단백질은 a, b, g 3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 O )

12. IP3는 2차 전달자로 신호 전달 시 단백질 카이네이스를 활성화 한다. ( X )

- IP3는 활면소포체의 IP3-gated Ca2+ 채널을 열어 칼슘 이온이 방출되게 합니다.

13. ATP는 호르몬에 대한 표적세포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2차 전달자이다. ( X )

- ATP가 아데닐릴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에 의해 cAMP로 전환되면, cAMP가 2차 전달자로 기능합니다.

14. 이노시톨삼인산은 막지질로부터 유도된 2차전달자이다. ( O )

15. Gq에 의한 신호전달에는 PLC, PKC, DAG 등이 2차 신호전달자로 사용된다. ( X )

- PLC와 PKC가 Gq 신호전달을 매개하긴 하지만, 단백질이므로 2차 신호전달자는 아닙니다. 위 3개 중에서 DAG만이 2차

신호전달자입니다.

16. G-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G-단백질은 2차 전달자 중 하나이다. ( X )

- 2차 전달자는 비단백질성 물질입니다.

17. A → B → 세포분열로 이어지는 신호전달계에서 A가 B에 대해 상위성을 가진다. ( X )

- 신호전달에서 하위의 신호 단계가 상위성이 있습니다.


BIOLOGY 2020 235 ©THE BASIC SIMPLICITY
18. PDGF는 활성화된 혈소판에서 생성되어 혈관의 형성과 성장에 관여한다. ( O )

19. 기능 상실 돌연변이는 보통 열성으로 나타난다. ( O )

20. 기능 획득 돌연변이는 보통 우성으로 나타난다. ( O )

21. 뇌하수체 후엽과 운동뉴런은 신경관에서 유래된다. ( O )

22. 모든 말초신경은 신경능선 세포에서 유래된다. ( X )

- 운동뉴런은 말초신경이지만 신경관에서 유래됩니다.

23. 뇌하수체 전엽은 표피에서 유래된다. ( O )

- 뇌하수체 후엽과 달리 전엽은 외배엽 표피에서 유래됩니다.

24. 양서류의 발생에서 정자는 동물반구로 침입하며, 정자의 중심체에 의해 미세소관이 재배열되게 된다. ( O )

25. 정자 침입지점의 아래쪽 식물 반구에서 피층 회전이 일어나 회색신월환이 생긴다. ( X )

- 회색신월환은 정자 침입지점의 반대쪽 식물반구에서 생깁니다.

26. GSK3에 의해 분해되지 못한 b-카테닌은 양서류 배아의 등쪽 구조를 형성하며, BMP-4는 배쪽구조를 형성하게 한다.

(O)

27. 양서류의 뉴쿱 센터는 포배 배아의 등쪽 식물 반구 세포들로 형성체가 포함된 등쪽 중배엽을 유도한다. ( O )

28. 동물의 낭배 형성과정에서 포배의 세포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3종류의 배엽층을 형성하게 된다. ( X )

- 낭배기의 형성체에서 병세포가 원구를 형성하며 회절 운동으로 바깥에서 안 쪽으로 밀려 들어갑니다. 병세포가 밀려 들어가는

자리에서 원구 상순부가 만들어집니다. 원구 상순부는 동물반구와 식물반구가 접히는 위치에 있으며, 낭배 과정의 결과로 외배엽은

외부 전체, 중배엽과 내배엽은 안으로 들어간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29. 척추동물의 골격과 근육은 중배엽, 순환계와 생식계는 내배엽에서 분화된다. ( X )

- 순환계와 생식계는 중배엽에서 유래됩니다.

30. 동물의 신경기관 형성과정에서 신경관은 척삭에서 나온 신호에 의해 척삭 바로 위에 있는 외배엽으로부터

만들어진다. ( O )

- 척삭은 중배엽, 신경관은 외배엽 유래입니다.

31. 포유류의 난할은 매우 느린 속도로 일어나며, 모든 할구들이 동시에 분열하지 않는다. ( O )

32. 난할 시 카드헤린 단백질이 발현되어 세포들 사이에 밀착 연접을 발생시킨다. ( X )

- 포유류의 경우 세 번째 난할 이후 E-카드헤린의 발현으로 밀착화됩니다. 이 밀착화 과정에서 간극연접이 발달하며, 밀착화된

배아는 다시 분열해 16 세포기의 상실배가 형성됩니다.

33. 포유류의 안세포 덩어리는 배아로 발달하며, 영양세포는 융모막을 형성한다. ( O )

34. 영양막 세포들은 내부방향으로 Na+/K+ 펌프를 작동시켜 삼투압을 형성하고, 포배강을 만드는데 관여한다. ( O )

35. 낭배기에 안세포 덩어리는 상배엽과 하배엽으로 나뉘게 되며, 상배엽에서 외, 중, 내배엽이 모두 발생한다. ( O )

BIOLOGY 2020 236 ©THE BASIC SIMPLICITY


36. 융모막은 외배엽에서만 기원하며 가장 바깥쪽 막으로서 배아와 다른 배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X )

- 융모막은 배아에서 유래된 중배엽과 영양세포층에서 유래한 외배엽에서 유래됩니다.

37. 양막은 중배엽 + 외배엽에서 기원하며, 배아를 건조로부터 보호하고 외부 충격을 완화한다. ( O )

38. 난황막과 요막은 외배엽 + 내배엽에서 기원한다. ( X )

- 중배엽 + 내배엽에서 기원됩니다.

39. 난황막은 난황을 통해 배아에 영양분을 공급하며, 태반이 발달한 인간의 경우에는 난황막이 퇴화되어 있다. ( X )

- 태반이 발달한 포유류는 난황막 안에 난황 대신 난황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난황액은 발생 초기에 혈구 세포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40. 요막은 가스교환과 노폐물의 저장 역할을 담당하지만, 인간의 경우는 퇴화되어 탯줄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 O )

41. 줄기세포는 상대적으로 미분화된 세포를 의미하며, 일부 기관의 줄기세포는 특수한 상황에서만 분열한다. ( O )

- 골수 등의 줄기세포는 주기적으로 분열하지만, 심장 등의 줄기세포는 특수한 상황에서만 분열합니다.

42. 전능세포(totipotent cell)은 수정란부터 카드헤린의 발현으로 밀착화가 일어나기 전의 초기 할구 세포들로 태반을

비롯한 모든 세포를 형성할 수 있다. ( O )

43. 만능세포(pluripotent cell)는 포배의 내세포괴에서 유래한 줄기세포로 태반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세포가 될 수

있다. ( O )

- 만능세포는 태반을 형성하는 영양막(=태반으로 발달)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세포가 될 수 있습니다.

44. 다능세포(multipotent cell)은 낭배기의 배아에서 유래한 줄기세포로 발생이 완료되면 출생 후 퇴화한다. ( X )

- 다능세포는 성체 줄기세포로 발생이 완료되더라도 퇴화하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조혈 줄기세포와 유방 줄기세포가 있어 각각

혈구 생성, 젖샘 세포 생성에 관여합니다.

45. 단능세포(unipotent cell)은 특정 조직에서만 발견되며 단 한 종류의 세포 재생에만 관여하는 줄기세포이다. ( O )

- 단능세포에는 정원세포가 있으며, 정원세포는 오직 정자만 생성합니다.

46. 유도만능 줄기세포(iPSC)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만들어낸 역분화 줄기세포이다. ( O )

47.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만들기 위해선 DNA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성체 줄기세포가 필요하다. ( X )

-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 없이 다른 종류의 세포들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48. 초파리의 앞-뒤축을 결정하는 bicoid mRNA는 디네인에 결합해 난자 앞쪽에 존재하며, nanos mRNA는 키네신에

붙어 난자 뒤쪽에 분포하게 된다. ( O )

49. Hunchback mRNA와 caudal mRNA는 모계 유전자로 난자에 전체적으로 퍼져서 분포한다. ( O )

50. Bicoid 단백질은 caudal mRNA의 번역을 억제하고, Nanos 단백질은 hunchback mRNA의 번역을 억제한다. ( O )

BIOLOGY 2020 237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0회 정답과 해설

1. 신경관 형성 과정 중 축옆 중배엽은 골격근으로 분화한다. ( O )

- 축옆 중배엽은 신경관과 척삭의 유도신호를 받아 체절이 되며, 체절은 갈비뼈, 척추뼈, 골격근, 등쪽 진피 등으로 분화합니다.

2. 중간 중배엽은 신장, 생식소, 부신 피질로 분화한다. ( O )

- 중간 중배엽에서는 신장, 생식소, 부신 피질 등이 분화합니다.

3. 측판 중배엽은 부신 수질과 체강을 형성한다. ( X )

- 부신 수질은 외배엽인 신경 능선 세포에서 유래됩니다. 측판 중배엽은 체강, 심장, 배쪽 진피, 배외 중배엽 등을 형성합니다.

4. 자동적 예정화는 모자이크 발생설로 설명되며, 세포의 분화 상태를 결정하는 유전자들이 이미 발현되어 있다. ( O )

5. 조건부 예정화는 세포의 운명이 결정되어 있지 않아 주변 세포들의 신호에 의해 분화가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O)

6. 정원세포는 체세포분열을 통해 1차 정모세포를 형성한다. ( O )

- 정원세포가 체세포분열을 통해 만들어진 2개의 딸세포 중 하나는 정원세포로 남고, 다른 하나는 1차 정모세포가 되어 감수분열을

진행합니다.

7. 1차 정모세포가 제2 감수분열 까지 끝내면 4개의 2차 정모세포가 형성된다. ( X )

- 1차 정모세포(2n)이 제1 감수분열을 끝내면 2차 정모세포(n)가 되며, 제2 정모세포가 2차 감수분열을 끝내면 정세포(n)가 됩니다.

1차 정모세포는 2번의 감수분열로 4개의 정세포를 만들며, 정세포는 정자가 됩니다.

8. 인간의 성결정은 Y염색체의 SRY 유전자에 의해 일어난다. ( O )

- SRY 유전자에 의해 미분화 생식소가 정소로 발달합니다.

9. 안드로겐 수용체는 DHT에 비해 테스토스테론에 친화력이 더 크다. ( X )

- 테스토스테론의 일부는 DHT(dihydro testosteron)으로 전환되어 외부생식기를 남성형으로 전환시킵니다. 안드로겐 수용체는

테스토스테론 보다 DHT에 친화력이 더 큽니다. 안드로겐 수용체에 이상이 있는 거짓 남녀한몸증 환자(XY)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의

일부가 DHT로 전환되어도 수용체가 없어 외부 생식기가 여성형으로 발달합니다.

10. 정소의 발달로 세르톨리 세포에서 항-뮬러 호르몬이 분비되면, 뮬러관이 퇴화된다. ( O )

11. 정소의 발달로 세르톨리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면 볼프관이 남성 내부 생식기를 형성하게 된다. ( X )

- 테스토스테론은 레이디히 세포에서 분비햅니다.

12. 테스토스테론의 일부가 5a-리덕테이스에 의해 DHT로 전환되며, DHT는 남성의 외부생식기 형성을 촉진한다. ( O )

13. 정소의 레이디히 세포의 유전자는 테스토스테론 번역 mRNA를 전사한다. ( X )

- 테스토스테론은 단백질 호르몬이 아니기 때문에 테스토스테론 번역 mRNA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레이디히 세포는 테스토스테론

합성 효소의 번역을 촉진하여 테스토스테론을 생산합니다.

BIOLOGY 2020 238 ©THE BASIC SIMPLICITY


14. 세르톨리 세포는 세정관 벽을 이루며, 밀착연접이 발달해 뇌혈관 장벽과 유사한 혈관-정소 장벽을 형성한다. ( O )

- 테스토스테론은 지용성 호르몬이기 때문에 단순확산으로 혈관-정소 장벽(BTB)를 문제없이 통과합니다. BTB는 정자에 대한

면역관용을 일으키는 역할도 합니다.

15. 세르톨리 세포는 인히빈과 정자를 생성하며, 인히빈은 시상하부의 FSH 분비를 음성 피드백한다. ( X )

- FSH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며, 인히빈의 음성피드백 대상도 뇌하수체 전엽입니다.

16. 레이디히 세포는 테스토스테론과 ABP를 분비한다. ( X )

- ABP는 안드로겐 바인딩 단백질이며 세르톨리 세포에서 세정관 내강으로 분비됩니다. ABP는 테스토스테론이 높은 농도로 유지되게

합니다.

17. 세르톨리 세포는 정자에 양분을 공급하며, 식세포 역할을 수행한다. ( O )

18. 정자는 부정소에서 운동성과 수정 능력의 일부를 가지며, 세정관 내의 정자는 운동성과 수정능력이 모두 없다. ( O )

- 정자의 운동성과 1차적 수정능은 부정소에서 얻으며, 완전한 수정능은 여성의 몸 속에서 얻습니다.

19. 정낭은 2개가 존재하며, 사정관으로 과당,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정액 성분을 분비한다. ( O )

- 정자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 대신 과당을 주로 사용합니다.

20. 전립선은 1개만 존재하며, 사정관으로 산성 물질을 분비해 여성의 질 내 환경을 중화시킨다. ( X )

- 전립선은 알칼리성 물질을 분비해 여성의 질 내 산성 환경을 중화합니다.

21. 테스토스테론은 출생 전과 사춘기에 주로 분비된다. ( O )

- 사춘기에 분비되는 테스토스테로는 2차 성징을 일으킵니다.

22. 테스토스테론은 털 성장, 변성기 유도, 근육 성장의 이차 성징을 일으킨다. ( O )

23. 테스토스테론은 이차 성징이 끝난 성인에서는 더 이상 분비되지 않는다. ( X )

- 테스토스테론은 남성 호르몬으로 정사 생산을 위채 이차 성징이 끝나도 일생 동안 꾸준히 분비됩니다.

24. 태아의 원시 여포는 제1 감수분열 전기에서 멈춘 상태로 출생하며, 사춘기에 감수분열이 다시 시작된다. ( O )

25. 사춘기가 되면 뇌하수체 전엽의 FSH 자극으로 여포가 성숙하게 된다. ( O )

26. 성장하는 여포에서 에스트로겐 분비가 증가하면, 인히빈과 함께 시상하부의 GnRH, 뇌하수체 전엽의 FSH 분비를

억제하여 다른 여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 O )

27. 뇌하수체 전엽의 LH 분비는 에스트로겐 분비에 음성 피드백과 양성 피드백 조절을 받는다. ( X )

- 여포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은 인히빈과 함께 뇌하수체 전엽의 FSH 분비를 억제합니다. 그러나 혈중

에스트로겐이 혈중 고농도로 증가하면 반대로 GnRH의 분비를 자극해 FSH의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즉, 에스트로겐은 FSH 분비를

음성, 양성 피드백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LH의 경우는 에스트로겐의 농도와 상관없이 천천히 분비량이 증가하고, 배란이

가까워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최고조에 오르면 LH의 분비도 급격하게 증가해 배란이 일어나게 합니다.

28. 고농도의 혈중 에스트로겐은 LH의 분비를 크게 증가시키고, LH는 1차 난모세포의 감수분열을 진행하게 하고 배란을

촉진한다. ( O )

BIOLOGY 2020 239 ©THE BASIC SIMPLICITY


29. 난자의 배란 후 파열된 여포는 황체로 전환되며 에스트로겐에 의해 황체가 유지된다. ( X )

- LH는 황체형성 호르몬으로 황체를 유지하고 발달시켜, 황체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게 합니다.

30. 황체는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을 분비한다. ( O )

- 황체가 분비하는 에스트로겐은 자궁근과 자궁내막을 성장시키고, 자궁 내막의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발현을 유도합니다.

프로게스테론은 자궁내막의 팽배, 혈관 발달, 글리코겐 저장 등 태아 성장 환경을 조성하며, FSH와 LH의 분비를 막아 새로운

여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또한 프로게스테론은 시상하부의 설정점을 상승시켜 체온이 올라가는 효과를 보입니다.

31.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자궁 내막을 발달시키고, 태아 성장 환경을 조성한다. ( O )

32. 프로게스테론은 FSH와 LH 분비를 억제하여 새로운 여포의 성숙을 억제한다. ( O )

33. 배란된 난자가 수정되지 않으면 황체는 퇴화하고 난자는 체외 배출된다. ( O )

- 수정이 되지 않으면 LH가 감소하면서 황체도 백체라는 조직으로 전환되며, 난자는 자궁 탈락막과 함께 체외 배출됩니다. 이

과정을 월경이라 합니다.

34. 난자가 자궁내막에서 수정되면 세포질 내 칼슘 이온 농도가 증가되고, 감수분열이 모두 완료된다. ( X )

- 난자가 정자와 수정되는 장소는 자궁내막이 아닌 수란관입니다. 수란관은 섬모 상피가 존재하는 관으로 배란된 운동성이 없는

난자를 섬모 운동과 평활근 수축으로 자궁 쪽으로 이동하게 합니다. 자궁내막은 수정란이 착상하는 장소입니다.

35. 임신 초기 태아를 둘러싼 태반에서 분비되는 hCG는 황체의 퇴화를 억제한다. ( X )

- hCG는 인간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입니다. hCG는 수정 후 초기(4-5일) 영양세포 층에서 분비가 시작됩니다. hCG는 영양세포

층이 융모막으로 발달해도 계속 분비되며, 황체가 퇴화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게 합니다. 임신

유지 호르몬으로서 hCG는 LH와 비슷한 기능을 합니다. 임신 후 3개월이 지나면 hCG의 분비가 감소하고 태반에서 직접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기 시작합니다.

36. hCG에 의해 황체가 유지되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어 임신이 유지된다. ( O )

37. 난자의 배란은 28일의 난소 주기 중 14일 째에 양 쪽 난소중 하나에서 무작위로 일어난다. ( O )

- 보통의 난소 주기는 월경 첫날을 자궁주기 1일로 취급합니다. 배란은 보통 14일째에 일어나며 배란 이전을 여포기, 이후를

황체기라 합니다.

38. 정자는 여성의 생식기 내에서 수일간 생존할 수 있다. ( O )

- 배란된 난자는 24시간 안에 수정되어야 하며, 정자는 여성의 생식기 내에서 대략 5일간 생존할 수 있습니다.

39. 영양막의 Fas 리간드 발현은 모계 T세포를 사멸시켜 태아가 면역학적 면제를 받게한다. ( O )

- 이를 태반 장벽(placenta barrier)라 합니다.

40. 고농도의 GnRH와 FSH의 투여는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억제해 배란을 막을 수 있다. ( X )

- 고농도의 에스트로겐이 GnRH와 FSH의 분비를 억제해 배란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는 경구 피임법으로 활용됩니다.

41. 수정란은 난할을 진행하면서 자궁 쪽으로 이동해 포배기 상태로 자궁벽에 착상된다. ( O )

- 대략 배란 후 일주일이 지나면 자궁내막이 충분히 발달하여 착상이 가능하게 됩니다.

BIOLOGY 2020 240 ©THE BASIC SIMPLICITY


42. 태반은 임신 기간 동안 태아의 호흡계, 소화계, 비뇨계, 내분비계의 역할을 한다. ( O )

- 태반은 영양세포 유래 외배엽 + 중배엽인 융모막과 자궁내막에서 유래된 탈락막이 결합하여 생성되며, 특이하게 태아의 내분비계

역할도 수행합니다.

43. 탯줄의 정맥은 태아의 정맥혈이 나가는 혈관이며, 탯줄의 동맥은 태아로 동맥혈이 들어가는 혈관이다. ( X )

- 탯줄의 정맥은 태아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관으로 태반에서 모체 혈액과 물질교환을 마친 상태로 산소가 풍부한 동맥혈이 흐릅니다.

탯줄의 동맥은 태아 심장에서 나와 태반으로 들어가는 혈관으로 노폐물이 많은 정맥혈이 흐릅니다.

44. 태반에서 태아와 모체의 혈액이 서로 직접 접촉해 물질교환이 일어난다. ( X )

- 태반에서 모체의 혈액과 태아의 혈액은 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섞이지도 않습니다.

45. IgG는 모체에서 태아로 넘어가 면역 작용을 할 수 있다. ( O )

- IgG는 단량체로 태반을 통과할 수 있기에 적아세포증의 원인이 됩니다. IgM은 5량체이기 때문에 태반을 통과할 수 없습니다.

46. 이란성 쌍둥이는 두 개의 난자가 배란되어 수정된 경우이다. ( O )

47. 일란성 쌍둥이는 한 개의 수정란에 두 개의 정자가 수정되어 각각의 배아로 발달하는 경우이다. ( X )

- 한 개의 수정란이 발생 과정 중에 나뉘어져 각각의 배아로 발달한 경우가 일란성 쌍둥이입니다. 하나의 난자는 절대로 2개의

정자와 동시에 수정하지 않습니다.

48. 이란성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동일할 확률이 없다. ( O )

- 생식세포 형성 과정 중 무작위 교배, 제1 감수분열에서의 교차, 상동 염색체의 분리 등으로 2개의 난자와 2개의 정자가 유전적으로

모두 동일한 확률은 없다고 보는게 상식적으로 맞습니다.

49.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완벽하게 일치하며, 초기 난할 중 수정란이 둘로 나뉘어지면 1개의 양막과 1개의

융모막을 두 명의 태아가 공유한다. ( X )

- 난할 초기에 배아가 분리되면 2개의 양막과 2개의 융모막을 가집니다. 난할 후기에 배아가 분리되면 1개의 융모막과 1개의 양막을

가지게 되며, 분리 시기가 늦을수록 샴 쌍둥이가 태어날 확률이 증가합니다.

50. 체내 인공 수정은 주로 남성 정자에 이상이 있을 경우, 체외 인공 수정은 주로 여성의 수란관 등에 이상이 있을 경우

실시한다. ( O )

- 체외 인공 수정은 체외에서 수정 시킨 후 자궁 내막에 착상 시키는 것으로 수란관이 폐쇄되어 물리적으로 난자와 정자가 만날 수

없는 여성에게 시술할 수 있습니다.

BIOLOGY 2020 241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1회 정답과 해설

1. 전압 개폐성 K+ 채널의 돌연변이로 절대 불응기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과분극이 아예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 O )

2. 다발성 경화증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자기 항원에 의해 활성화된 TH1 세포가 대식 세포들을 활성화시켜 수초가

파괴되는 질병이다. ( O )

3. 수초가 있는 축삭 돌기에는 결절 부위에만 이온 채널들이 밀집되어 있다. ( O )

- 이온 채널이 모여 있는 부위가 랑비에 결절이며, 이때문에 축삭 돌기에서 활동전위는 도약전도로 전파됩니다.

4.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일부는 외분비선을 자극한다. ( O )

- 대표적으로 프로락틴은 여성의 젖샘 발달과 유즙 분비량을 증가시킵니다.

5. 뇌하수체 전엽은 시상하부 신경 세포의 조절 작용으로 호르몬을 생성, 분비한다. ( O )

- 뇌하수체 전엽과 시상하부는 혈관인 문맥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 전엽 자극 호르몬을 분비하면 문맥을

통해 뇌하수체 전엽으로 이동해 호르몬 분비를 촉진합니다.

6.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 신경 세포에서 생성된 호르몬을 저장하였다가 분비한다. ( O )

-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의 연장으로 신경 세포체는 시상하부에 축삭은 뇌하수체 후엽에 존재하는 구조입니다.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생성되었다 소낭에 담겨 미세소관 따라 축삭 말단으로 이동 및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분비됩니다.

7. 옥시토신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생성되어 자궁을 수축시키고 유선세포를 자극한다. ( X )

-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의 생성 장소는 시상하부이며 분비 장소가 뇌하수체 후엽입니다. 옥시토신은 자궁 평활근을 수축시켜 분만을

유도하고 이 과정은 분만이 완료될 때까지 양성 피드백으로 진행됩니다.

8. 뇌하수체 전엽에 이상이 생길 경우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한다. ( O )

- 성장 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뇌하수체 전엽에 이상이 생기면 분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성장 호르몬은

직접적으로 지방조직의 분해를 촉진하고, 근육의 포도당 흡수를 낮춰 혈당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간에서 IGF-1 분비를 유도해

세포분열, 뼈 성장, 단백질 합성 등을 ‘간접적’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사춘기에 분비되는 성장 호르몬은 급격한 성장을 일으키게

합니다.

9. 뇌하수체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이자나 부갑상선 호르몬은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 O )

- 이자는 혈당 수치를 직접 인식해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할 수 있으며, 부갑상선도 혈중 칼슘 농도를 직접 인식해 파라토르몬을

분비할 수 있습니다.

10. 분비되기 전 펩티드 호르몬은 분비소포에 저장된다. ( O )

- 기체인 NO나 지용성 호르몬은 합성 즉시 분비됩니다.

11. 펩티드 호르몬은 운반체의 도움으로 혈액에서 운반되며,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혈장에 용해된 채로 운반된다. ( X )

-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알부민과 같은 혈장 단백질과 결합한 채로 운반됩니다.

BIOLOGY 2020 242 ©THE BASIC SIMPLICITY


12. 펩티드 호르몬의 반감기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비해 길다. ( X )

-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반감기가 펩티드 호르몬에 비해 더 깁니다.

13. 펩티드 호르몬은 표적세포에서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 시키고,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유전자 발현을 직접 조절한다.

(O)

- 지용성 호르몬의 경우 수용체로 동형이합 수용체와 이형이합 수용체가 존재합니다.

- 동형이합 수용체(homodimeric receptor)는 코르티졸, 에스트로겐 등의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결합하는 수용체로 평소에는

세포질에 존재합니다. 동형이합 수용체가 리간드와 결합 후 핵 속으로 이동해 특정 유전자의 전사를 일으킵니다.

- 이형이합 수용체(heterodimeric receptor)는 비타민 D, 티록신, 레티노산(비타민 A) 등의 분자들과 결합하며, 평소에 핵 내에

존재합니다. 이형이합 수용체는 리간드가 없는 경우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하고 리간드와 결합하면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합니다.

14. 남성의 정소에서 감수분열만 일어나며 체세포분열은 일어나지 않는다. ( X )

- 정원세포는 체세포 분열을 통해 두 개의 딸세포를 생성하며, 하나는 계속 정원세포로 남고 다른 하나는 정자를 생성하기 위해

감수분열을 진행합니다.

15. 정자의 첨체에는 수정막을 녹이는 효소가 있다. ( X )

- 수정막은 느린 차단 반응 후 생성된 수정란의 차단막입니다. 정자의 첨체효소는 수정막을 녹일 수 없지만, 수정 초기에 성게의

젤리층, 포유류의 투명대를 각각 녹일 수 있습니다.

16. 에스트로겐은 여포와 황체에서 모두 분비된다. ( O )

- 배란기 이전 FSH의 자극으로 발달한 여포는 에스트로겐을 분비하며, 배란 후 및 임신 초기에는 황체에서 에스트로겐을

분비합니다. 임신 3개월 이후에는 태반에서 에스트로겐이 분비됩니다.

17. 배란 이후 14일이 경과하면 난소에서 황체가 자연히 퇴화한다. ( O )

- 수정이 되지 않으면 감소된 LH로 인해 황체가 퇴화하며, 수정이 되면 수정란을 감싼 영양막에서 hCG가 분비되어 황체 퇴화를

억제합니다.

18.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자궁과 뇌하수체에 모두 영향을 준다. ( O )

19. 폐경기 여성은 음성피드백에 의해 FSH와 LH의 분비량이 감소한다. ( X )

- FSH와 LH의 분비의 음성 피드백은 여포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에 의합니다. 폐경기의 여성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지 않으므로 음성피드백 또한 작용하지 않습니다.

20. FSH와 LH의 표적기관은 자궁과 난소이다. ( X )

- FSH와 LH의 표적기관은 난소로 자궁은 표적기관이 아닙니다.

21. 난관 수술을 하더라도 FSH, LH,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분비에는 영향이 없다. ( O )

- 모두 호르몬으로 혈관을 통해 분비되므로 난관과는 관련 없습니다.

22. 에스트로겐은 제1 난모세포의 형성을 억제한다. ( X )

- 제1 난모세포는 출생 전부터 태아의 난소 속에 존재하므로 에스트로겐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제1 난모세포는 제1 감수분열

전기에 멈춘 상태로 사춘기까지 이 상태가 유지됩니다.

BIOLOGY 2020 243 ©THE BASIC SIMPLICITY


23. 임신은 월경 시작일로부터 약 14일 되는 날에 이루어진다. ( X )

- 임신은 수정 후 착상한 시점 이후를 의미합니다. 보통 수정 후 대략 7일 후 착상이 되므로 임신은 월경 개시 후 대략 20~21일

째에 이루어집니다. 임신 기간은 월경 개시일로부터 280일, 수정일로부터 266일 간입니다.

24. 수정란이 자궁으로 이동하는 동안 태반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한다. ( X )

- 태반은 임신 후 대략 3개월 후 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기 시작합니다.

25. 어머니가 세균성 콜레라에 감염되면 태아도 감염된다. ( X )

- 세균을 태반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태아는 모체로 인한 세균성 질병에 쉽게 걸리지 않습니다.

26. 태반은 모체와 태아의 조직으로 구성된다. ( O )

27. 태아의 헤모글로빈은 모체의 헤모글로빈 보다 산소 해리도가 높다. ( X )

- 태아의 헤모글로빈은 산소 친화도가 모체의 헤모글로빈보다 높으며, 2,3-BPG에 대한 친화력도 더 낮습니다.

28. 체외 수정을 통한 인공 수정에서 난자 채취는 FSH, LH로 과배란을 유도하여 실시한다. ( O )

- 인공수정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과배란을 유도하여 한 번에 여러 개의 난자를 얻습니다.

29. 체외 수정을 통한 인공 수정에서 배아 주입 시기는 LH의 분비가 최고조인 배란기가 적당하다. ( X )

- 체외 수정을 통해 수정란을 포배기까지 성장 시킨 후 에스트로겐을 통해 자궁을 비후화시킨 후 착상시킵니다.

30. 체외 수정을 통한 인공 수정은 난관 절제 수술을 한 여성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 X )

- 수정 장소인 수란관의 이상이 있는 여성들에게 체외 인공 수정을 시행합니다.

31.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는 자기인산화를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 O )

32. G-단백질 연결 수용체는 전사인자 기능을 가지고 있다. ( X )

- G-단백질 연결 수용체는 신호를 하위 단백질로 전달하며, 직접적인 전사인자 기능은 없습니다.

33. 사람의 유전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세포 수용체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이다. ( O )

34. 인두, 식도, 위 등의 소화기관은 내배엽에서 유래된다. ( O )

35. 신경계 발생은 신경관 형성(neurulation)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 ( O )

- 척삭은 신경관 형성을 유도합니다.

36. 근육조직, 골격조직 등은 중배엽에서 유래되며, 중배엽은 간충직(mesnchyme)으로 알려진 세포들을 유도한다. ( O )

- 간충직 세포는 다세포 동물의 발생기에 나타나는 상피조직 사이의 유리세포 집단과 세포간질로 된 결합조직을 의미합니다.

37. 심장, 혈관, 혈액 세포를 포함한 혈관계는 중배엽 및 외배엽에서 유래된다. ( X )

- 순환계는 측판 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됩니다.

38. 호메오 유전자는 발생과정 동안 다른 유전자 그룹의 발현을 조절한다. ( O )

- 호메오 유전자는 하나의 염색체상에 몸의 앞뒤를 결정하는 순서대로 배열되어 발현됩니다. 또한 같은 부위에서 호메오 유전자가

중복해서 발현되면 나중에 발현되는 유전자에 의해 정체성이 결정됩니다.

BIOLOGY 2020 244 ©THE BASIC SIMPLICITY


39. 호메오 유전자는 발생과정 동안 D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을 억제한다. ( X )

- 호메오 유전자는 나선 대 나선(helix-turn-helix) 구조를 가지는 전사 인자인 호메오 도메인으로 번역됩니다.

40. 정자의 중편에는 핵과 미토콘드리아가 존재하며, 정자는 에너지원으로 주로 과당을 사용한다. ( X )

- 정자의 중편에는 미토콘드리아와 중심립이 있습니다. 정자의 핵(전핵)은 머리에 존재합니다.

41. 난자의 표층립 내용물 분비는 세포질의 칼슘 이온 증가에 의해서 일어난다. ( O )

42. 중배엽 세포층이 응축되어 형성된 척삭의 유도에 따라 내배엽으로부터 신경관이 형성된다. ( X )

- 신경관은 척삭의 유도신호에 따라 외배엽이 변형되어 형성됩니다.

43. 성게의 다수정 방지를 위해 세포 밖 칼슘 이온이 난자 안으로 들어와 피층 반응을 유도한다. ( X )

- 수정란 내부 칼슘 이온의 증가는 느린 다수정 방지를 일으킵니다. 이 과정의 칼슘은 세포 내에서 유래되며 세포 외부에서 유입되지

않습니다.

44. 성게의 다수정 방지를 위해 난자는 내부의 나트륨 이온을 증가시켜 막의 탈분극을 유도한다. (O )

- 나트륨을 유입시켜 일시적으로 탈분극이 일어나 다른 정자들의 접근이 억제됩니다. 다수정의 빠른 차단은 포유류에서 나타나지

않으며, 체외 수정을 하는 동물에서만 나타납니다.

45. 사람의 발생에서 안세포 덩어리로부터 난황막이 형성된다. ( O )

46. 사람의 발생도 조류와 같이 상배엽으로부터 원조가 형성된다. ( O )

47. 사람의 발생에서 두 번째 난할에서 보통 위할과 경할이 동시에 나타난다. ( X )

- 포유류의 수정란은 등황란으로 회전형 난할을 진행합니다. 회전형 난할의 두 번째 난할 시 할구의 축이 서로 수직으로 꺾인채 각각

난할을 진행해 하나는 경할, 하나는 위할을 하게됩니다. 하지만 위할과 경할은 동시에 일어나지 않고 순차적으로 일어납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포유류의 난할은 다른 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편입니다.

48. hCG는 황체를 자극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도록 한다. ( O )

49. 사람의 정자형성과정 동안 생식세포는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세정관의 기저부로부터 내강으로 이동한다. ( O )

50. 1차 정모세포는 제1 감수분열을 통해 2차 정모세포가 되며, 2차 정모세포는 제2 감수분열을 통해 정세포가 된다.

(O)

BIOLOGY 2020 245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2회
1. 인체의 진피는 결합조직으로 진피에 섬유아세포, 혈관, 면역세포, 지방 세포 등이 존재한다. ( O )

2. 중층편평상피는 피부의 표피, 구강 등에 존재한다. ( O )

3. 단층원주상피는 소장의 상피를 구성한다. ( O )

4. 치밀 결합조직의 콘드로이틴 황산염이 신장력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여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보호한다. ( X )

- 치밀 결합조직은 콜라겐 섬유가 치밀하게 연결된 조직입니다. 대표적으로 힘줄, 인대, 안구의 공막 등이 있습니다.

5. 뼈세포는 뼈에서 신호전달과 파골세포, 골아세포의 활성을 조절한다. ( O )

6. 혈액은 결합조직의 한 예이다. ( O )

7. 신경조직이 손상되면 신경세포는 활발히 분열하여 손상을 복구한다. ( X )

- 일반적으로 신경과 근육세포는 분열능이 없습니다.

8. 간에 존재하는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7개의 막관통 부위를 가진 세포막 수용체이다. ( O )

9. ATP는 아드레날린의 신호를 전달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자이다. ( X )

- ATP는 2차 신호전달자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ATP는 활성화된 아데닐릴 고리화효소에 의해 cAMP로 전환되고, cAMP가 2차

전달자로 기능합니다.

10. 콜레라균은 소장의 상피세포를 통해 혈관으로 침투하여 설사병을 유발한다. ( X )

- 콜레라는 소장 상피 세포의 Gs 단백질 as 소단위체에 ADP-리보실화를 만들어 as 소단위체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킵니다. as에

의해 활성화된 아데닐릴 고리화효소는 설사를 유발합니다. 이와 같은 기작으로 소장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물질은 콜레라 독소와

대장균에서 분비되는 내열성 장독소가 있습니다.

11. 콜레라균은 그람 음성균에 속하고 편모를 가진다. ( O )

12. FSH와 LH는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한다. ( O )

- 펩티드 호르몬이므로 여포의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합니다.

13. 에스트로겐은 세포질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한다. ( O )

14. 호르몬과 결합한 세포막 수용체는 핵 안으로 들어가 신호를 전달한다. ( X )

- 세포막 수용체는 움직이지 않고 2차 전달자를 통해 신호를 전달합니다.

15. 성게의 수정에서 수정란의 칼슘 이온 증가는 세포막의 전압의존성 Ca2+ 이온통로가 개방되어 나타난다. ( X )

- 칼슘 이온은 세포 내부의 소포체에서 유래됩니다.

BIOLOGY 2020 246 ©THE BASIC SIMPLICITY


16. 성게의 수정 시 수정란의 H+ 유출은 수정란 내 pH를 증가시켜 첫 번째 난할에 필요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 ( X )

- 첫 번째 난할에 필요한 유전자는 모계 영향 유전자로 이미 mRNA의 형태로 세포질에 존재합니다. 수정란 내 pH의 증가는 모계

유래 mRNA의 전사가 아닌 번역을 촉진해 사이클린 B를 합성시켜 MPF 활성을 나타나게 합니다. 또한 모계 유래 mRNA의

단백질은 난할을 조절하고 난할 속도와 할구 위치도 결정합니다.

17. 성게의 다수정 방지 과정에서 느린 차단은 칼슘 이온의 증가에 따라 수정막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 O )

18. 성게의 수정에서 정자의 머리가 난자의 젤리층에 닿을 경우 젤리층의 분자들이 정자의 첨체반응을 유도한다. ( O )

19. 초파리의 배쪽 형성은 모계에서 전달된 전사인자인 dorasal의 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 O )

20. 경할은 세포질 분열면이 동, 식물극 축과 수직이다. ( X )

- 경할은 수정란이 세로로 잘리므로 세포 분열면이 동, 식물극 축과 수평입니다.

21. 위할은 세포질 분열면이 동, 식물극 축과 수평이다. ( X )

- 위할은 세포질 분열면이 동, 식물극 축과 수직입니다. 또한 위할과 경할의 세포질 분열면과 방추사 축 방향은 서로 언제나

수직입니다.

22. 난할의 결과 세포 1개당 세포질의 양은 감소하지만, 세포수와 전체 DNA 양은 증가한다. ( O )

- 난할은 G1, G2기 없이 진행되므로 전체 배아의 세포질의 양은 일정하지만, 세포 1개당 세포질의 양은 감소합니다.

23. 난황의 양과 분포는 난할 유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난황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단황란은 불완전한 세포질

분열을 한다. ( O )

- 조류, 파충류에서 보이는 단황란은 많은 난황이 식물반구에 몰려 있어 난할이 굉장히 좁은 범위에서만 일어납니다.

24. 개구리 발생에서 액티빈은 형태형성 인자로 작용하며, 동물반구에서 분비되어 농도 기울기에 따라 외배엽 세포의

종류를 결정한다. ( X )

- 액티빈은 수정란의 초기 발생 단계에 작용하는 단백질로 세포의 분화 및 증식에 관계하는 인자입니다. 액티빈은 식물반구에서

분비되어 농도 기울기에 따라 중배엽의 종류를 결정합니다.

25. 포유류의 포배강 형성에 Na+ 펌프와 삼투압에 따른 물의 유입이 작용한다. ( O )

- 포배강 안쪽에는 안세포 덩어리(내세포괴)가 존재하며, 밖에는 영양막 층이 존재합니다. 또한 포배강의 삼투압은 영양막 세포의

Na+/K+ 펌프에 의해 형성됩니다. 자궁으로의 착상은 포배강이 형성된 후 이루어지며 영양막에서 단백질분해효소를 분비해

투명대와 자궁내막의 ECM(세포외기질)을 분해해 배아가 자궁벽을 파고들 수 있게 합니다.

26. 포배는 영양외배엽세포와 내세포괴로 구성된다. ( O )

- 영양외배엽세포가 영양막 세포입니다. 영양막은 후에 융모막을 형성하게 됩니다.

27. 양서류 신경외배엽의 운명은 초기 낭배에 결정된다. ( X )

- 초기 낭배는 조건부 예정화 상태이며 낭배 후기에 운명이 결정됩니다.

28. 척추동물의 신경관 초기 형성 과정에 미세섬유와 미세소관이 모두 관여한다. ( O )

BIOLOGY 2020 247 ©THE BASIC SIMPLICITY


29. 세포골격단백질의 재조직화는 세포의 형태형성 기전의 한 예이다. ( O )

30. 신경관은 뇌와 척수로 분화한다. ( O )

31. 체절은 척삭 주변의 중배엽에서 분화하며, 후에 척추, 갈비뼈, 골격근 등으로 분화한다. ( O )

32. 척삭은 신경관 형성이 끝나면 퇴화되어 사라진다. ( X )

- 척삭의 일부는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로 남아있습니다.

33. 척삭은 배 쪽 신경관에서 감각신경을 유도하며, 등 쪽 신경능선세포는 운동신경을 유도한다. ( X )

- 신경관의 배 쪽에서 운동신경, 등 쪽에서 각종 개재 신경이 발달합니다. 이러한 구분은 등배 축 형성에 관여합니다.

34. 척추동물만이 호메오틱 유전자를 지녀 몸의 각 부위 정체성을 결정한다. ( X )

- 초파리를 비롯한 다른 동물에서도 호메오틱 유전자가 발견됩니다.

35. 호메오박스 DNA 서열은 나선 대 나선 구조의 호메오 도메인으로 번역된다. ( O )

- 호메오 유전자는 전사인자로 번역되며, 전사인자의 유전자 BD(binding domain)이 나선 대 나선(helix turn helix)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36. Hox 유전자의 염색체상 배열은 몸의 앞-뒤축 순서와 관련 없다. ( X )

- 호메오 유전자는 몸의 앞뒤를 결정하는 순서대로 염색체 상에 배열되어 있습니다.

37. 같은 부위에서 Hox 유전자가 중복 발현될 경우, 보통 먼저 발현되는 Hox 유전자에 의해 정체성이 결정된다. ( X )

- 나중에 발현되는 Hox 유전자에 의해 정체성이 결정됩니다.

38. 남성의 세르톨리 세포는 여포자극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수용체를 모두 가지고 있다. ( O )

- FSH와 테스토스테론은 모두 세르톨리 세포를 자극해 정자 생성을 촉진시킵니다. 또한 세르톨리 세포는 인히빈을 분비해 FSH에

대한 음성 피드백을 수행하고, ABP(androgen-binding protein)를 세정관 내강으로 분비해 테스토스테론이 높은 농도로 유질될 수

있게합니다.

39. 정세포는 정자 형태형성과정 동안 전사활동이 전체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상태이다. ( X )

- 감수분열을 끝낸 정세포는 n상태이며, 이 시기의 정세포는 불필요한 세포소기관들을 버리고 크기를 줄이므로 전사활동이 증가되어

있지 않습니다.

40. 사춘기 이전의 여자아이 난소에 있는 난모세포는 제1 난모세포이고 세포 분열 단계는 제1감수분열 중기이다. ( X )

- 제1 감수분열 전기입니다.

41. 샴쌍둥이는 내세포괴가 불완전하게 분리될 경우 발생한다. ( O )

42. 일부 일란성 쌍둥이는 할구가 포배기 이전에 나뉘어져서 태어난다. ( O )

- 포배기 이전 난할 중인 세포가 쪼개져 각각 배아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43. 신경 세포체는 핵과 대부분의 소기관을 포함한다. ( O )

- 축삭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은 신경 세포체에서 만들어진 후 소낭에 담겨져 미세소관을 통해 축삭 말단으로 이동 및

저장되어 칼슘 이온 자극에 따라 시냅스로 분비됩니다.

BIOLOGY 2020 248 ©THE BASIC SIMPLICITY


44. 신경 세포체의 니슬소체는 산성 염료에 염색된다. ( X )

- 니슬소체는 신경 세포체에 존재하는 호염기성 과립으로 주 성분은 리보솜 RNA입니다. 니슬소체는 조면소포체 또는 폴리리보솜의

집합체에 해당합니다.

45. 수상돌기는 복잡한 가지상의 구조를 가지며 다른 신경세포로부터 정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 O )

46. 수상돌기는 시냅스의 신호전달을 통해서 활동전위를 만들어 축삭으로 신호를 전파한다. ( X )

- 수상돌기는 차등전위를 생성하여 축삭 둔덕으로 차등전위를 전달시킵니다. 축삭 둔덕에 도착한 차등전위가 역치 이상이라면

활동전위가 생성되어 축삭 말단으로 전파됩니다.

47. 신경 세포체에서 생성된 신경전달물질 분비소낭은 축삭의 미세섬유를 따라 축삭 말단으로 이동한다. ( X )

- 미세소관을 따라 이동합니다. 이 과정에는 운동 단백질은 키네신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48. 축삭 말단의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외 분비를 위한 ATP를 공급하고, 신호 전달에 의해 축삭 말단으로 유입된 칼슘

이온을 제거한다. ( O )

49. 수초는 전기적 절연체로 중추신경계의 수초는 희소돌기신경교세포가 만든다. ( O )

- 말초신경계의 수초는 슈반세포, 중추신경계의 수초는 희소돌기신경교세포가 만듭니다.

50. 뇌에서 성상세포가 제거되면 활동전위의 속도가 느려진다. ( X )

- 성상세포는 세포외액에서 과량의 K+를 흡수해 뇌의 고칼륨혈증을 억제하고, 필요 이상의 신경전달물질을 흡수해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성상세포와 활동전위의 속도는 관련없습니다.

BIOLOGY 2020 249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3회
1. 세포막의 평형전위는 막을 사이에 둔 이온의 농도차로 결정되며, 전기적인 세포막의 전위차가 이온의 농도 기울기와

평형을 이룰 때의 막전위를 의미한다. ( O )

2. 세포막의 휴지막 전위의 계산은 K+ 채널과 Na+ 채널만의 투과도를 고려한다. ( X )

- 막전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각 이온의 세포 안팎 농도와 투과도를 고려합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낸게 골드만 방정식이며 칼륨,

나트륨 뿐만 아니라 염소 등 다른 이온의 농도와 투과도를 모두 고려합니다.

3. 평형전위일 때 세포막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세포막의 전류는 평형전위가 되도록 흐른다. ( O )

4. 시냅스 후 전위는 축삭둔덕으로 전달되어 활동전위의 발생 유무가 결정되며, 시냅스후 전위의 합에는 시간합과

공간합이 존재한다. ( O )

- 시간합은 짧은 간격으로 인한 신경전달물질 방출에 의한 시냅스 후 전위의 가중이며, 공간합은 두 개의 시냅스 전 신경에서 동시에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되어 나타나는 시냅스 후 전위의 가중을 의미합니다.

5. 활동전위의 크기는 자극의 크기와 무관하며, 단지 자극이 클수록 활동전위의 빈도만 증가한다. ( O )

6. 전압개폐성 칼륨 채널에 이상이 생기면 탈분극 후 재분극이 나타나지 않는다. ( X )

- 전압개폐성 칼륨 채널에 이상이 생겨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재분극이 나타나기까지 상대적으로 오래걸립니다. 또한 과분극은

나타나지 않으며, 절대 불응기가 상대적으로 길어집니다.

7. 신경세포는 1초에 수백 번의 높은 빈도로 활동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 O )

8.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모두 대사성 수용체이다. ( X )

- 두 수용체는 모두 아세틸콜린 수용체지만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이온을 투과시키는 이온성 채널이고, 무스카린 수용체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로 이차 전달자를 통해 세포 내 반응을 일으키는 대사성 수용체입니다.

9. 양이온이 세포 밖으로 이동하면 전류는 외향성 전류이다. ( O )

10. 양이온이 세포 안으로 이동하면 전류는 내향성 전류이다. ( O )

- 이 특성을 이용한 실험이 테트로도톡신, 테트라에틸암모늄 실험입니다. 테트로도톡신은 Na+의 흐름을 억제하기 때문에

테트로도톡신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K+ 유출에 의한 외향성 전류만 관찰됩니다. 반대로 테트라에틸암모늄은 K+의 흐름을 저해하기

때문에 테트라에틸암모늄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Na+ 유입에 따른 내향성 전류만 관찰됩니다.

11. 음이온이 세포 밖으로 이동하면 전류는 내향성 전류, 세포 안으로 이동하면 전류는 외향성 전류이다. ( O )

- 음이온의 이동으로 인한 전류 특성은 양이온과 반대입니다.

12. GABA는 뇌에서 작용하는 흥분성 시냅스의 신경전달물질이다. ( X )

- GABA는 글리신과 함께 대표적인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K+의 유출이나 Cl-를 유입시켜 과분극을 일으킵니다.

BIOLOGY 2020 250 ©THE BASIC SIMPLICITY


13. 글루탐산은 억제성으로 작용하며, 시냅스 후 신경세포에 수용체에 결합하여 Cl-에 대한 막투과성을 증가시켜 과분극을

유도한다. ( X )

- 글루탐산은 대표적인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특히 NMDA, AMPA 수용체 개폐를 조절하여 장기 강화 작용(LTP) 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합니다.

14. GABA는 장기 기억 강화 작용에 작용한다. ( X )

- 장기 기억 강화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이 주로 담당합니다.

15. 시냅스 후 전위의 공간합이란 서로 다른 수상돌기에서 발생한 여러 EPSP나 IPSP가 동시에 축삭둔덕에 도달하는

경우이다. ( O )

16. 공간합의 경우 시간합과 달리 시냅스 후 전위의 증폭은 가능하지만, 상쇄는 불가능하다. ( X )

- 증폭과 상쇄가 모두 가능합니다.

17.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은 흥분성과 억제성으로 모두 작용하지만, 운동신경에서는 무조건 흥분성으로만 작용한다.

(O)

18. 과분극은 양전하 이온이 세포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면서 음전하 이온도 함께 세포 내부로 유입되어, 세포 내부의

음전하가 커지는 현상이다. ( X )

- 과분극은 양전하 이온(K+)이 세포 밖으로 나가거나, 음전하 이온(Cl-)이 세포 내부로 유입될 때 나타납니다.

19. 세포막이 과분극되면 막전위는 휴지막 전위보다 더 낮아진다. ( O )

20. 탈분극은 세포 내부의 음전하가 작아지는 현상이다. ( O )

21. 탈분극 되면 막전위는 휴지막 전위보다 더 높아진다. ( O )

22. 뇌의 발생 시 전뇌는 대뇌와 간뇌, 소뇌로 분화한다. ( X )

- 전뇌는 대뇌와 간뇌로 발달하고, 소뇌는 후뇌에서 발달됩니다.

23. 뇌의 발생 시 후뇌는 뇌교, 연수로 분화한다. ( O )

- 후뇌는 뇌교, 연수, 소뇌로 발달합니다.

24. 대뇌는 골격근의 수축을 조절하며, 학습 감정, 기억, 인지 작용의 중추이다. ( O )

25. 소뇌는 운동과 균형을 조절하며, 연하반사의 중추이다. ( X )

- 연하반사(swallowing reflex)는 음식물을 삼킬 때의 구강, 인두, 식도의 여러 근에 의한 일련의 반사 작용을 의미합니다.

연하반사의 중추는 연수입니다.

26. 간뇌는 시상과 시상하부로 구성되며, 시상은 대뇌로 가는 모든 감각정보의 입력 중추이다. ( X )

- 시상은 대뇌 피질로 들어가는 상행로 중 후각을 제외한 다른 감각 정보들이 시냅스를 이루는 장소입니다.

27. 중뇌는 시각반사의 중추이며, 홍채와 안구운동을 조절한다. ( O )

BIOLOGY 2020 251 ©THE BASIC SIMPLICITY


28. 해마는 변연계의 일부이며, 해마가 손상되면 자전거 타는 법과 같은 절차 기억이 만들어지기 어렵다. ( X )

- 절차 기억은 기계적 행동에 대한 기억으로 해마와는 무관한 대신 소뇌, 주 운동 피질, 시각 영역, 체성 감각 피질 등이 관여합니다.

해마가 제거되면 새로운 서술 기억은 획득할 수 없으나 이미 이전에 기억했던 내용들을 떠올리거나 새로 절차 기억을 획득하는

것은 문제 없습니다.

29. 해마는 장기 기억으로 전환된 서술기억이 저장되는 부위이다. ( X )

- 해마는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장소이고, 장기 기억은 해마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며 영구적인 저장 공간은 대뇌

피질입니다.

30. 해마가 손상되면 단기기억의 형성이 억제된다. ( X )

- 해마는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시켜 주므로 해마와 단기 기억의 형성은 무관합니다.

31. 장기강화(LTP)는 일시적인 시냅스의 강화를 의미한다. ( X )

32. 장기강화(LTP)는 두 뉴런 사이의 길고 일시적인 신호전달의 증가로 이어진다. ( X )

- 장기 강화에 의한 시냅스 변화는 영구적인 변화입니다.

33. 장기강화 작용에 글루탐산, Ca2+, NO 등이 관여한다. ( O )

34. 장기강화 작용 시 시냅스에서 AMPA 수용체가 NMDA 수용체보다 먼저 열린다. ( O )

- NMDA 수용체는 AMPA 수용체와 달리 마그네슘 이온 플러그로 닫혀 있다가, 반복적인 자극으로 AMPA 수용체 채널에 의해 큰

수용기 전위가 만들어지면 마그네슘 이온 플러그가 방출되어 칼슘 이온이 NMDA 수용체를 통해 유입되기 시작합니다.

35. 장기강화 작용 시 NMDA 수용체를 막고 있는 것은 Mn2+이다. ( X )

- 망간이 아닌 마그네슘(Mg2+)입니다.

36. 장기강화 작용 시 AMPA 수용체는 Na+를 NMDA 수용체는 Ca2+를 유입시킨다. ( O )

37. 알츠하이머병은 대뇌 피질에 b-아밀로이드가 침착하여 발병한다. ( O )

38.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대뇌 피질이 확장 되면서 뇌실이 작아지며, 해마는 수축된다. ( X )

-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의 뇌는 뇌실이 확장되어 있으며 대뇌 피질은 수축된 모습이 특징입니다.

39. 척수의 등쪽에는 감각신경이 지나며, 배쪽에는 운동신경이 지난다. ( O )

40.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제는 부교감 신경의 작용을 억제한다. ( X )

- 분해되지 않는 아세틸콜린에 의해 무스카린성 수용체가 계속 자극 받으므로 부교감 신경의 작용이 계속됩니다.

41.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축삭이 이어진 곳이다. ( O )

42. 뇌하수체 전엽은 외분비세포들로 채워져 있어 시상하부 호르몬에 자극받아 각종 호르몬을 분비한다. ( X )

- 뇌하수체 전엽은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입니다. 외분비세포는 점액이나 소화효소 등을 분비하는 세포들로 호르몬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BIOLOGY 2020 252 ©THE BASIC SIMPLICITY


43. 뇌하수체 전엽과 후엽의 호르몬은 자극 호르몬과 비자극 호르몬으로 구분된다. ( X )

- 자극 호르몬(tropic hormone)은 영양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며 다른 내분비샘을 표적으로 하여 다른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을 지칭합니다. 대부분의 자극 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만들어지고, 레닌, 부갑상선 호르몬(PTH), 융모 생식샘 자극

호르몬(hCG) 등이 다른 내분비기관에서 분비되는 자극 호르몬입니다. 뇌하수체 후엽은 옥시토신과 항이뇨 호르몬만을 분비하며,

이들은 모두 비자극 호르몬입니다.

44. 프로락틴과 멜라닌세포자극 호르몬(MSH)는 비자극 호르몬이다. ( O )

- 프로락틴은 여성의 유즙, MSH는 멜라닌 색소 분비를 자극합니다. 유즙과 멜라닌 색소는 호르몬이 아니므로 프로락틴과 MSH는

비자극 호르몬입니다.

45. 여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 갑상선자극호르몬(TSH),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는 자극 호르몬이다.

(O)

- FSH와 LH는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고, TSH는 티록신, ACTH는 알도스테론과 코르티졸의 분비를 자극합니다.

46. 성장호르몬(GH)은 비자극 호르몬으로만 작용한다. ( X )

- 성장호르몬은 간에서 IGF-1의 분비를 촉진하므로 비자극 + 자극 호르몬으로 작용합니다.

47. 성장호르몬은 단백질 호르몬으로 뼈의 생장과 지방 조직의 지방 분해 같은 물질대사의 기능을 촉진할 수 있다. ( O )

48. 성장호르몬은 뼈에서 IGF-1의 분비를 유도하여 뼈 생장을 촉진한다. ( X )

- IGF-1은 성장호르몬에 의해 간에서 분비되는 펩티드 호르몬입니다.

49. 프로스타글란딘은 국소 조절자로 세포막에 존재하는 아라키돈산의 유도체이다. ( O )

50. 프로스타글란딘은 정액의 분비물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분만 시 옥시토신과 함께 자궁벽의 수축을 유도한다.

(O)

- 옥시토신과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만 시 자궁벽 수축 과정은 양성 피드백으로 일어납니다.

BIOLOGY 2020 253 ©THE BASIC SIMPLICITY


PART III – 14회
1. 프로스타글란딘은 열과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통각에 대한 역치를 높여 통증을 증가시킨다. ( X )

- 염증 반응 시 분비되는 프로스타글란딘은 통각에 대한 역치를 낮춰 통증을 증가시킵니다.

2. 아스피린의 부작용으로 위장관 질환, 혈액 응고 억제가 있다. ( O )

- 항구성인 COX 1에 의해 발현되는 프로스타글란딘은 위장관 점막 상태를 유지하는데 기여합니다. 아스피린은 COX 1을

비가역적으로 저해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막아 위장관 점막 관련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스피린은 또한 혈소판의

트롬복산 생성도 억제하여 혈액 응고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3.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티록신은 거의 모든 세포를 표적세포로 한다. ( O )

- 티록신은 갑상선의 소포 세포에서 분비됩니다. 티록신은 뼈 성장에 관여하고 세포의 산소 소모량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입니다. 또한

배아의 뇌발생 과정에도 작용합니다.

4. 티록신은 지용성 아민계열 호르몬으로 혈액에 용해된 채로 운반된다. ( X )

- 펩티드 호르몬과 같은 친수성 물질이 혈액에 용해된 채로 운반되고 티록신 같은 지용성 물질은 혈장 단백질(글로불린, 알부민)에

결합한 채로 운반됩니다.

5. 티록신은 일정한 주기에 따른 주기성 분비 양상을 보인다. ( X )

- 주기성 분비란(phasic secretion)란 호르몬이 일정한 주기에 따라 분비되는 것을 말하고(예: 하루주기), 긴장성 분비(tonic

secretion)란 호르몬이 꾸준히 일정한 양으로 분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티록신은 긴장성 분비 양상을 보이고, 아민 계열

호르몬으로서 거의 모든 세포의 핵 수용체와 결합하여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6. 그레이브스 병은 갑상선 항진증으로 자가면역질환이다. ( O )

7. 칼시토닌은 혈중 Ca2+ 농도가 높아지면 갑상선에서 분비되며, 신장의 Ca2+ 배출을 증가시킨다. ( O )

- 갑상선의 C세포는 혈중 칼슘 이온의 고농도를 직접 인식하여 칼시토닌을 분비합니다. 칼시토닌은 뼈의 칼슘 용출을 억제하고

신장의 칼슘 배출을 증가시켜 혈중 칼슘 농도를 감소시킵니다.

8. 칼시토닌과 파라토르몬은 시상하부의 신호에 의해 분비가 조절된다. ( X )

- 갑상선과 부갑상선은 칼슘 농도를 직접 인식하여 각각 칼시토닌과 파라토르몬을 분비합니다. 인간의 표준 혈중 칼슘 농도는

10mg/100ml입니다. 이 농도를 기점으로 높으면 칼시토닌, 낮으면 파라토르몬이 분비됩니다.

9. 칼시토닌과 파라토르몬은 모두 갑상선에서 분비된다. ( X )

- 파라토르몬은 부갑상선에서 분비됩니다.

10. 칼시토닌과 파라토르몬은 모두 펩티드 호르몬이다. ( O )

11. 칼시토닌과 티록신은 갑상선의 같은 세포에서 분비된다. ( X )

- 티록신은 갑상선의 소포세포, 칼시토닌은 C세포에서 분비됩니다.

BIOLOGY 2020 254 ©THE BASIC SIMPLICITY


12. 파라토르몬은 신장에서 비타민 D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 O )

- 비타민 D는 콜레스테롤 유도체로 소장에 직접 작용하여 칼슘과 인산의 흡수를 촉진합니다. 파라토르몬은 원위세뇨관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인산의 재흡수는 억제합니다.

13.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골다공증과 요로 결석 등이 생길 수 있다. ( O )

14. 체성신경계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구성된다. ( O )

15. 중추신경계에서 소교세포는 손상된 세포를 제거한다. ( O )

- 소교세포는 특수한 형태의 식작용 세포로서, 백혈구와 비슷한 작용을 합니다.

16. 체온이 증가하면 시상하부는 체온조절을 위해 교감신경의 에피네프린 분비를 촉진하여 땀분비를 증가시킨다. ( X )

- 더울 때 교감신경은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땀샘(한선)의 땀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교감신경의 절후신경 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이

분비되는 것은 땀샘이 예외적인 케이스입니다.

17. 신경 신호의 전도속도는 세포 내에서 이동할 때보다 시냅스를 통과할 때 더 빠르다. ( X )

- 신경전달물질의 방출과 자극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므로 시냅스에서가 세포 내에서 보다 느립니다.

18. 별아교세포(astrocyte, 성상세포)는 주로 신경재생에 관여하고, 위성세포(satelite cell)는 신경절의 신경섬유를

둘러싸는 피막을 형성한다. ( X )

- 성상세포의 주 기능은 뉴런을 지지하고, 칼륨 이온 등의 항상성을 유지하며, 뇌-혈관 장벽을 생성입니다. 특히 성상세포는 혈액의

포도당을 흡수한 후 신경세포들에게 젖산의 형태로 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성상세포는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로 작용한다고 일부 보고되어 있습니다.

- 위성세포는 말초신경계 신경절의 신경세포체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19. 미세아교세포(microglia, 소교세포)는 단핵구와 기원이 같아 중추신경계에서 면역세포 역할을 한다. ( O )

20. 뇌실막세포는 모세혈관 벽과 접촉하여 신경세포와 혈관 사이의 물질운반에 관여한다. ( X )

- 뇌실막세포는 중추신경계의 내강을 따라 존재하고, 뇌척수액(CSF)을 형성 및 흐르게 도와줍니다. 뇌실막세포 역시 신경줄기세포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문제에 신경세포와 혈관 사이의 물질운반에 관여하는 것은 성상세포입니다.

21. 차등성 전위의 경우 자극의 강도는 빈도로서 나타난다. ( X )

- 빈도가 아닌 전위의 크기로 나타납니다. 빈도로 나타나는 것은 활동전위입니다.

22. 자극과 신호의 종합화는 축삭언덕에서 일어나며, 활동전위의 생성은 실무율을 따른다. ( O )

23. 프로작(prozac)은 항우울제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 O )

- 프로작은 세로토닌 특정 재흡수 억제제(SSRI)로 작용하고, 마약인 LSD는 세로토닌 유사체로 작용합니다.

24. 파상풍 독소는 글리신, GABA 등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촉진해 근육 운동을 억제한다. ( X )

- 파상풍 독소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억제하여 근육의 과도한 수축과 경련성 마비를 일으킵니다.

BIOLOGY 2020 255 ©THE BASIC SIMPLICITY


25. 뉴런의 휴지상태에서 세포 내부의 Na+, K+ 농도가 바깥보다 높게 유지된다. ( X )

- Na+/K+ 펌프로 인해 세포 내부에서는 K+, 세포 밖은 Na+ 농도가 높게유지됩니다.

26. 뉴런의 휴지상태에서는 신경자극이 오기 전에는 뉴런 내외부의 전위 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 X )

- 이온의 농도차로 휴지막 전위는 대략 -70mV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7. 뉴런의 휴지상태에서는 휴지전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소비한다. ( O )

- Na+/K+ 펌프는 ATP를 소모하는 1차 능동수송체입니다.

28. 원추세포는 양극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한다. ( O )

- 양극세포(쌍극세포)는 광수용기세포와 신경절세포를 연결합니다.

29. 로돕신은 막대세포의 디스크에 존재한다. ( O )

30. 황반에는 막대세포가 원추세포보다 더 많이 존재한다. ( X )

- 원추세포는 황반에 주로 밀집되어 있으며, 간상세포는 망막의 주변부에 위치합니다.

31. 적은 양의 빛에서 막대세포는 원추세포보다 더 잘 기능한다. ( O )

- 약한 빛에서 간상세포는 명암과 형태를 구별합니다.

32. 실무율이란 역치 이상의 자극에 대해서도 동일크기의 반응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 O )

33. 간상세포는 원추세포에 비해 빛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색깔을 인식하지 못한다. ( X )

- 간상세포가 원추세포에 비해 빛에 더 민감하며, 옵신 분자의 종류에 따라 색 흡수 여부가 달라집니다. 원추세포는 총 녹색, 적색,

청색의 3종류의 옵신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각각 서로 다른 파장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뇌는 3종류의 원추세포에서 오는 신호의

조합을 해석해 신호를 구별합니다.

34. 어두운 밤에 사물을 잘 보기 위해서는 사물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것 보다 비스듬히 바라보는 것이 더 유리하다. ( O )

- 어두울 때 주로 시각을 인지하는 간상세포가 망막 주변부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35. 빛을 받았을 때 간상세포 내에는 cGMP가 다량 존재한다. ( X )

- 빛을 받으면 cGMP는 감소되고, 나트륨 채널이 닫혀 글루탐산의 방출이 억제됩니다.

36. 달팽이관을 채우는 림프액의 조성이 바뀌면 기저막 진동이 사라져 소리를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 X )

- 기저막의 진동은 음파에 의한 것으로 림프액의 조성과는 무관합니다. 코르티 기관의 유모세포는 부동섬모와 운동섬모를 가지며

기저막 진동으로 유모세포가 덮개막과 접촉하여 발생한 기계적 이온채널의 열림으로 소리의 신호를 전달합니다. 추가로 달팽이관의

전정계와 고실계는 혈장의 이온조성과 유사한 외림프액을 포함하고, 코르티 기관은 세포내액과 유사한 내림프액(낮은 나트륨 이온

농도, 높은 칼륨 이온 농도)을 포함합니다.

37. 반고리관의 회전 감각 인식은 회전 자극에 의한 활동 전위의 빈도수 변화를 뇌에서 인식, 해석함으로서 가능하다.

(O)

38. 반고리관의 유모세포(hair cell)는 신경 세포가 특수 자극에 반응하기 위해 변형된 것이다. ( X )

- 유모세포는 미각세포처럼 비신경성 세포입니다.

BIOLOGY 2020 256 ©THE BASIC SIMPLICITY


39. 유모세포의 감각모의 휘어짐을 억제하는 약품을 처리한다면 균형감과 청각을 모두 상실한다. ( O )

40. 유모세포의 감각모가 휘어지면 리간드 개폐성 이온 채널이 열리고 과분극이 형성된다. ( X )

- 기계적 개폐성 이온 채널이 열리게됩니다.

41. 미세포와 후세포는 화학수용기로서 물에 용해된 화학물질에 의해서만 자극된다. ( O )

42. 후세포와 미세포는 변형된 뉴런이다. ( X )

- 후세포와 달리 미각세포는 비신경성 세포입니다.

43. 미세포와 후세포의 섬모에 존재하는 수용체 단백질은 리간드-의존성 이온채널이다. ( X )

- 후각 수용체 및 단맛, 쓴맛, 우마미맛의 미각 수용체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입니다.

44. 치밀뼈에는 하버스골 공동계라는 동심원 형태의 무늬가 반복되어 있다. ( O )

45. 에스트로겐은 뼈의 용출을 촉진한다. ( X )

- 에스트로겐은 파골세포를 억제해 뼈의 분해를 억제합니다.

46. 뼈조직은 상피조직의 일부이다. ( X )

- 뼈조직은 결합조직입니다.

47.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를 용해하여 칼슘 이온의 방출을 촉진한다. ( O )

48. 평활근은 근절이 퇴화되어 있고, 낮은 미오신 ATPase 활성을 가진다. ( O )

49. 심장근은 근절이 없는 대신 가지(branch)와 개재판을 가지고 있어 근육 조직을 지탱한다. ( X )

- 심장근에도 근절이 존재합니다.

50. 골격근은 체성신경계의 조절을 받아 수축할 수 있는 원통형의 다핵세포이다. ( O )

BIOLOGY 2020 257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1회 정답과 해설

1. 인체에서 바이러스는 세포내 증식을 하며, 대부분의 세균과 균류, 원생동물, 기생충은 세포외 증식을 한다. ( O )

- 대부분의 병원균의 증식법은 세포외 증식입니다.

2. 내재면역은 선천적 면역 반응으로 면역에 관련된 세포와 물질들이 감염이 일어나기 전부터 존재하다가 병원균이

침투하면 병원균에 대항한다. ( O )

- 내재면역은 병원균에 대한 초기 방어 기작입니다.

3. 적응면역은 B세포와 T세포가 활성화되어 작용하는 방어기작이다. ( O )

- 적응면역은 내재면역으로 제거할 수 없는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4. 내재면역은 병원균에 비특이적이며, 적응면역은 병원균에 특이적으로 반응한다. ( O )

- 보통 적응면역은 병원균의 특이적 인지, 제거 기억 반응의 순으로 진행됩니다.

5. 적응면역은 내재면역이 일어난 후 반응을 시작하며, 내재면역은 적응면역 작용 시점에는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다.

(X)

- 적응면역 반응이 내재면역에 비해 늦게 개시되는 것은 맞으나 내재면역이 적응면역 작용 시점에 기능하지 않는 것은 틀립니다.

내재면역은 지속적으로 방어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6. 피부와 내부 상피세포들의 방어벽은 기계적 장벽에 해당한다. ( O )

- 피부의 상피세포는 밀착연접을 통해 외부 물질이 세포 틈새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어하고, 내부 상피세포는 섬모, 효소, 점액

등을 분비해 감염 세균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7. 대장의 정상 세균총(normal flora)은 서라이어신(psoriasin)과 같은 살균 단백질을 분비하여 병원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한다. ( X )

- 대장의 정상 세균총은 새로 들어온 병원성 균과 경쟁하여 병원성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라이어신과 같은 살균

단백질은 피부에서 분비되어 화학적 장벽을 형성합니다. 이밖에 화학적 장벽에는 눈물, 침 등의 리소자임, 입, 위, 소장의 각종

소화효소가 있습니다.

8. 입, 위, 소장, 소장은 항체를 분비하여 내재면역을 수행한다. ( X )

- 항체는 적응면역에 관여합니다. 입, 위, 소장 등은 소화효소를 이용해 화학적 장벽을 구축합니다.

9. 보체는 내재면역의 화학적 반응을 담당하며, 인체의 각 조직에서 필요한 만큼 주기적으로 분비된다. ( X )

- 보체는 주로 간에서 효소원(zymogen) 상태로 분비됩니다.

BIOLOGY 2020 258 ©THE BASIC SIMPLICITY


10. 보체는 열에 매우 약한 혈장 단백질로 효소원 상태로 혈액을 떠돌다가 세균 침입 시 효소들의 연쇄 반응에 의해

활성화된다. ( O )

- 보체가 연쇄 반응으로 활성화되는 과정은 효소의 비가역 조절로 비슷한 활성화 기작을 가진 물질에는 혈액응고 인자, 소화효소,

카스파아제 등이 있습니다. 보체는 열에 매우 약하므로 약 60℃에서 30분만 가열해도 쉽게 변성됩니다.

11. 보체의 활성화는 카스파아제, 혈액응고 인자, 소화효소의 활성화와 같이 가역적 효소 조절의 하나이다. ( X )

- 절단되어 활성화 되는 기작으로 효소의 비가역 조절 중 하나입니다.

12. 보체의 활성화 기작 중 대체 경로는 대식세포의 신호에 의해 활성화 되는 과정이다. ( X )

- 보체의 활성화 기작은 대체 경로, 렉틴 경로, 고전 경로가 있습니다. 대체 경로는 세균의 세포벽 성분으로 C3 단백질이 스스로

깨져 활성화되는 기작입니다.

13. 보체의 활성화 기작 중 고전경로는 B세포와 항체에 의한 활성화로, 혈장을 떠돌아 다니던 항체가 보체와

결합함으로써 시작된다. ( O )

- 고전 경로는 항체에 의한 활성화로 적응면역 과정에서 나타납니다. 세균 표면에 IgM, G 항체가 결합하면 Fc 부분에 보체인 C1이

부착하고 뒤이어 C3가 활성화됩니다. IgM은 오량체이므로 한 분자 만으로 C1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단량체인 IgG는 두 개의

항체가 가까운 거리에 존재해야 C1을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14. 보체의 활성화 기작은 표적 세포에 막공격 복합체를 형성해 공격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 O )

- 세균과 바이러스 표면의 만노오스에 렉틴이 결합해 활성화되는 렉틴 경로 및 나머지 모든 보체 활성화 경로는 공통적으로 C3를

활성화시킵니다. C3 이후 일련의 보체 단백질들이 순차적으로 작용해 표적 세포에 막공격 복합체를 형성해 세포를 공격합니다.

15. 히스타민은 비만세포, 호염구에서 방출되어 소동맥을 이완시키고, 열과 발적 현상을 일으킨다. ( O )

16. 히스타민은 분비된 후 모세혈관의 투과도를 감소시켜 혈액의 유출과 염증의 확산을 억제한다. ( X )

- 히스타민은 모세혈관의 투과도를 증가시켜 부종과 염증 반응을 일으킵니다.

17. 기관지에서 분비된 히스타민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 X )

- 히스타민은 세기관지 평활근을 수축시킵니다.

18. 호중구는 상처 조직에 가장 먼저 침투하는 백혈구 세포이다. ( O )

- 호중구는 조직에 상주하는 대식세포에 의해서 가장 먼저 유도되는 백혈구입니다. 호중구는 식세포 작용과 분해 과립을 분비하여

면역반응을 수행합니다. 호중구가 병원체를 섭식 후 죽으면 고름이 되고, 대식세포가 리조솜을 형성해서 이 고름을 제거합니다.

19. 호중구는 조직으로 침투해 식세포 작용을 수행하고 항체를 분비한다. ( X )

- 호중구는 항체를 분비하지 않습니다.

20. 사이토카인은 세포에서 분비되어 수용체를 지닌 주변 세포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이다. ( O )

- 사이토카인은 신체의 방어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로 사용되는 당단백질입니다.

21. 케모카인은 호중구, 단핵구를 같은 세포들을 유인하는 물질이다. ( O )

- 사이토카인과 마찬가지로 케모카인도 케모카인 수용체를 가진 세포들을 유인합니다.

BIOLOGY 2020 259 ©THE BASIC SIMPLICITY


22. 백혈구에서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을 인터류킨이라 한다. ( O )

23. 대식세포는 조직에 상주하지 않으며, 감염반응 시 호염구에 의해 분화된다. ( X )

- 대식세포는 보통 조직에 상주하고 있거나 감염반응 시 단핵구에서 유도됩니다. 대식세포는 주로 섭식 작용을하고 호중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식세포와 호중구는 호흡 돌발을 통해 H2O2와 NO 등의 방어용 독성 물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24. 톨-유사 수용체(TLR)는 병원체의 특정 패턴과 관계없이 외래 단백질들에 대해 일련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 X )

- TLR은 내재면역에 관여하지만 병원체의 특정 분자 패턴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25. 바이러스 dsRNA를 인식하는 TLR3와 세균의 DNA 조각을 인식하는 TLR9은 세포 내부 구획에 존재한다. ( O )

- TLR3와 TLR9은 세포막 표면이 아닌 내부 엔도좀 구획에 위치합니다.

26. TLR4는 세균의 편모를 인식하고 TLR5는 세균의 LPS를 인식한다. ( X )

- TLR5가 세균 편모인 플라젤린 단백질을 인식하고, TLR4가 그람음성균의 LPS를 인식합니다. 두 TLR은 세포막 표면에 위치합니다.

27. TLR은 적응면역이 아닌 내재면역에 관여한다. ( O )

28. 인터페론(IFN) - a, b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들에서 분비된다. ( O )

29. 인터페론 - a, b는 주변 면역세포들의 전사, 번역을 촉진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시킨다. ( X )

- 인터페론은 주변 세포들의 전사, 번역을 억제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습니다.

30. 인터페론 - a, b는 주변 일반 세포들의 세포막에 MHC I 발현을 늘려 적응면역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 O )

31. 인터페론 - a, b는 수지상세포와 대식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 ( O )

32. 인터페론 - g는 NK세포, TH세포 등이 분비한다. ( O )

-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생체의 방어 기구 인자의 하나이고 바이러스의 증식저지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입니다. 당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성은 단백질 부분에 있습니다.

33. NK세포는 바이러스 감염세포나 암세포화 되어 세포막 표면에 MHC I의 발현이 증가된 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해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 X )

- 바이러스는 세포에서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느라 MHC I 합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암세포는 적응면역을 회피하기 위해

MHC 발현이 억제되어 있습니다. NK세포는 세포막 표면에 MHC I 발현량이 줄어든 바이러스 감염 및 암세포를 비특이적으로

인식해 제거합니다.

34. 적응면역의 1차 면역기관은 B세포와 T세포의 생성, 성숙 장소로 골수와 흉선이 있다. ( O )

- 적응면역은 B세포와 T세포가 관여하는 특정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면역반응입니다. 적응면역의 1차 면역기관은 B세포와 T세포의

생성, 성숙 장소입니다.

35. B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성숙 과정을 거치며, T세포는 흉선에서 생성되고 성숙한다. ( X )

- T세포의 전구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흉선에서 성숙합니다.

BIOLOGY 2020 260 ©THE BASIC SIMPLICITY


36. 적응면역은 면역 기억을 통해 같은 병원체의 재감염에 대해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 O )

- 면역기억은 항원 특이성과 함께 내재면역과 구별되는 적응면역의 특징입니다.

37. 적응면역의 2차 면역기관은 B세포와 T세포의 활성화 장소이다. ( O )

38. 2차 면역기관에는 림프절이 있으며 B세포 및 T세포, 항원제시세포의 상호 작용의 가능성을 증가시켜준다. ( O )

- 인체의 전체 혈관은 너무 넓기 때문에 다양한 면역세포들이 상호작용하기 어렵습니다. 림프절은 특정 구역을 한정하여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를 위해 상호작용할 공간을 제공합니다. 림프절은 포유류에서 발견되고 편도, 흉선, 사타구니 등 림프관의

중간 중간에 위치합니다.

39. 림프절은 인체에서 간과 지라에만 존재한다. ( X )

- 지라(비장) 역시 중요한 2차 면역기관 중 하나입니다. 지라는 적혈구가 파괴되는 장소인 적색펄프와 면역세포가 활성화 되는

백색펄프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림프절은 림프관을 따라 몸 전체에 걸쳐 존재합니다.

40. 림프절은 구획화 되어 있으며 각 구획에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구분되어져 있다. ( O )

41. 비장은 적혈구와 2차 면역기관에서 활성화되지 못한 면역세포들을 파괴한다. ( X )

- 비장은 적혈구가 파괴되고,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되는 2차 면역기관입니다.

42. 항원은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분자량이 작을수록 면역세포에 인식되기 쉽다. ( X )

- 항원은 분자량이 크고, 화학적 복잡성이 클수록 면역 반응을 일으키기 유리합니다.

43. 한 가지 당이나 한 가지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분자는 항원으로 작용하기에 불리하다. ( O )

- 복잡한 구조와 구성물질을 가진 항원이 항원으로 작용하기에 더 유리합니다.

44. 에피톱(epitope)은 항원의 분자 구조 중 개별 항체나 항원 수용체가 인식하는 부위로, 하나의 항원은 하나의

에피톱만 가질 수 있다. ( X )

- 하나의 항원은 여러 개의 에피톱을 가질 수 있습니다.

45. 에피톱은 항원에서 실제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부위이다. ( O )

- 에피톱은 항원 결정기로 항원에서 실제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부위입니다.

46. 합텐(hapten)은 단독으로 존재 시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못하는 물질을 말한다. ( O )

- 합텐은 면역 반응을 일으키기엔 너무 작고 간단한 구조의 항원을 의미합니다. 합텐은 홀로는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없으나

캐리어라는 운반 단백질에 결합시켜 투여하면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7. 합텐은 고분자의 운반 단백질인 캐리어(carrier)와 함께 존재해야만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 O )

48. 황산 알루미늄 칼륨과 같은 보강제(adjuvant)는 항원과 함께 투여 시 항원을 빠르게 확산되게 하여 면역 반응을

증가시킨다. ( X )

- 보강제는 항원을 느리게 확산시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킵니다. 보강제에는 황산 알루미늄 칼륨, 프로인트 보강제 등이 있습니다.

49. 항체는 혈청에 존재하는 g-글로불린 당단백질로, 공유결합을 통해 에피톱과 특이적 결합을 한다. ( X )

- 항체는 가역적인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에피톱과 결합합니다.

BIOLOGY 2020 261 ©THE BASIC SIMPLICITY


50. 항체는 4개의 폴리펩티드가 이황화결합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 O )

- 항체는 기본적으로 2개의 경쇄, 2개의 중쇄 폴리펩티드로 구성되어 있고, 폴리펩티드는 이황화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BIOLOGY 2020 262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2회 정답과 해설
1. 항체에 펩신을 처리하면 보체 활성화와 항체의존적 세포매개 세포독성 반응(ADCC)이 일어날 수 없다. ( O )

- 항체에 펩신을 처리하면 Fc 부위가 분해됩니다. Fc 부분이 소실되면 Fc 부분을 이용하는 보체 활성화와 ADCC 및 옵소닌화 반응이

모두 일어날 수 없습니다. 또한 항체에 펩신을 처리하면 항원에 결합해 항원을 침전시킬 수 있지만 파파인(papain)을 처리하면

침전도 되지 않습니다.

2. 항체의 불변부위는 고정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다. ( O )

3. 항체의 가변부위는 중쇄와 경쇄의 N-말단의 다양성이 높은 110여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 O )

4. CDR은 가변부위 내에서 가장 다양성이 높은 부분으로 분비형 항체에서만 발견된다. ( X )

- CDR은 항원과 결합하는 부위로 막관통 항체인 IgM과 IgD에서도 발견됩니다.

5. 분비형 항체의 모양은 가변부위 경쇄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X )

- 분비형 항체의 구조는 중쇄 아미노산과 불변부위의 차이로 구별됩니다.

6. IgG 항체는 2차 면역 반응 시 주요 항체로, 항체 중 혈액에 가장 많은 수로 존재한다. ( O )

7. IgG는 이량체 구조로 보체를 활성화시키고, 대식세포의 Fc 수용체와 결합해 옵소닌화를 일으킨다. ( X )

- IgG는 단량체 구조입니다. 옵소닌화란 항체의 Fc 부분이 대식세포의 Fc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옵소닌화가 일어나면

항원의 식작용이 더 수월하게 일어납니다.

8. IgG는 태반을 통과할 수 있어 태아의 수동 면역에 관여하고, 동시에 적아세포증을 일으킬 수 있다. ( O )

9. 신생 B세포의 세포막에 막관통형으로 발견되는 항체에는 IgD와 IgM이 있다. ( O )

10. IgM은 1차 면역 반응 시 가장 처음 발현되는 항체로 세포막에서 5량체를 형성한다. ( X )

- IgM은 세포막에서는 단량체지만, 분비되면 5량체를 형성하게 됩니다.

11. IgA는 혈청에서는 주로 이량체로 존재하나 체외 배출되는 IgA는 단량체로 존재한다. ( X )

- IgA는 혈청에서 단량체로 존재하고 눈물, 모유, 점액 등에 섞여 체외로 분비될 때는 이량체 구조를 취합니다.

12. IgE는 호산구, 단핵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Fc 수용체에 결합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 X )

- IgE의 Fc는 호산구, 비만세포의 Fc 수용체에 결합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과립을 분비하게 합니다.

13. 항체는 체성 재조합 → 접합부 다양성 → 대립 유전자 배제 → 개별형 전환 → 체성 과변이 의 5단계의 생성 과정을

거친다. ( O )

14. 항체의 체성 재조합 과정에 작용하는 RAG 1, 2 복합체는 DNA를 절단하고 연결하는 반응을 수행한다. ( O )

- RAG 1, 2는 DNA의 신호서열을 인식해 유전자 재조합을 진행시키는 효소입니다.

BIOLOGY 2020 263 ©THE BASIC SIMPLICITY


15. 접합부 다양성과 대립 유전자 배제는 RNA 스플라이싱 과정으로 진행된다. ( X )

- 두 과정 모두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항체의 다양성을 증가시킵니다.

16. 성숙 B세포는 항원과 접촉 전 개별형 전환(class switching)을 진행하며, 항원과 접촉 후 체성 과변이를 진행한다.

(X)

- 항원과 접촉 후 개별형 전환과 체성 과변이를 진행합니다.

17. 개별형 전환으로 하나의 B세포는 하나의 항원에 대해 IgG, IgE, IgA 항체를 모두 분비한다. ( X )

- 항원에 노출된 후 B세포는 TH 세포가 분비한 사이토카인에 의해 개별형 전환을 수행합니다. 개별형 전환은 중쇄의 불변부위에서

DNA 재조합이 일어나는 것으로 재조합이 끝난 B세포는 IgG, IgE, IgA 중 한가지 항체만을 생성하게 됩니다.

18. 개별형 전환이 일어난 B세포의 유전자는 다시 이전의 개별형으로 돌아갈 수 없다. ( O )

- DNA 재조합으로 중간 서열이 제거되는 것으로 결실된 DNA 절편은 다시 연결될 수 없기 때문에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19. 체성 과변이는 중쇄, 경쇄 가변부위에 염기 치환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 O )

20. 체성 과변이에서 친화력 성숙(affinity maturation)이란 특정 염기 서열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후 항원에 노출 될수록

더 강한 결합력을 지닌 세포들만 선별되는 현상이다. ( X )

- 친화력 성숙 과정 중 염기 치환 돌연변이는 무작위로 일어납니다.

21. 항체는 보체와 달리 NK세포, 대식 세포 등이 표적세포를 죽이도록 유도하는 기능은 없다. ( X )

- 항체는 ADCC를 통해 NK 세포, 대식 세포, 호중구, 호산구 등이 표적 세포를 죽이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는 항체의

Fc 부분이 필요합니다.

22. 항체는 고전 경로로 보체를 활성화시켜 표적 세포를 파괴하게 한다. ( O )

23. MHC는 유핵세포의 세포막에 발현되는 당단백질이다. ( O )

- 사람의 MHC 유전자는 HLA(Human Leukocyte Antigen)이라 불립니다. MHC에는 Class I, Class II, Class III가 있으며, Class I과

Class II는 모두 a, b 사슬로 구성되며, 유전적 다형성이 아주 크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골수이식을 위해선 Class I과 Class II가 모두

일치해야 합니다.

- Class I은 MHC I이며 거의 모든 유핵세포가 발현합니다. 세포 내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을 제시하고 CD8 세포에 의해 인지됩니다.

- Class II는 MHC II이며 항원제시세포(APC)인 수지상세포, 대식세포, B세포가 발현합니다. 세포 외부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을

제시하고, CD4에 의해 인지됩니다.

- Class III는 보체나 사이토카인 등을 암호화합니다.

24. MHC는 당이나 단백질 성분의 항원을 제시해 T세포들이 적응 면역을 일으키도록 유도한다. ( X )

- MHC는 펩티드 항원만을 제시합니다.

25. MHC I은 모든 유핵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되며, 항원을 Tc세포에 제시한다. ( O )

26. MHC I의 항원 제시에는 리소좀이 관여한다. ( X )

- 리소좀이 관여하는 것은 MHC II입니다. MHC I에는 소포체와 프로테아좀 등이 관여합니다.

BIOLOGY 2020 264 ©THE BASIC SIMPLICITY


27. MHC II는 수지상세포, 대식세포와 같은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발현된다. ( O )

- MHC II는 MHC I과 달리 일반 유핵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습니다.

28. MHC II는 항원을 B세포에게 제시하여 B세포가 항원을 인식해 체성 과변이를 일으킬 수 있게 한다. ( X )

- MHC II는 펩티드 항원을 보조 T세포에게 제시합니다. MHC II에 의한 항원 인지 후 보조 T세포는 적응면역을 개시합니다.

29. T세포 수용체(TCR)은 T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되며, MHC와 제시 항원을 함께 인식한다. ( O )

- TCR은 자기 MHC와 비자기 항원을 동시에 인식합니다.

30. TCR의 성숙은 체성 재조합, 접합부 다양성, 체성 과변이 과정을 거친다. ( X )

- TCR 성숙 과정에서 체성 재조합, 접합부 다양성, 대립 유전자 배제의 과정을 거치나 개별형 전환, 체성 과변이는 거치지 않습니다.

31. 항체는 항원의 3차원적 구조를 인식하는 반면에 TCR은 1차원적인 가공된 선형 펩티드와 결합한다. ( O )

32. B세포의 성숙과정에서 Pre-B세포가 경쇄 재배열을 거치면 Pro-B세포가 되며, Pro-B세포는 중쇄 재배열을 거쳐

미성숙 B세포가 된다. ( X )

- B세포는 골수 줄기 세포에서 생성 된 직후인 Pro-B 세포 상태에서 중쇄 재조합을 통해 Pre-B 세포가 되고, Pre-B 세포 상태에서

경쇄 재배열을 수행하여 IgM을 세포막에 발현하는 미성숙 B세포가 됩니다. 중쇄, 경쇄 재조합은 항체 가변 부위의 재배열로 체성

재조합, 접합부 다양성, 대립 유전자 배제 과정에 해당합니다. 재조합이 끝난 미성숙 B세포는 혈액으로 방출되며 혈액에서 IgM과

IgD를 모두 발현하는 성숙 B세포가 됩니다. 성숙 B세포는 2차 림프 기관을 방문하다 보조 T세포에 의해 활성화됩니다.

33. 미성숙 B세포는 세포막에 IgM을 발현하며, 골수에서 자기 항원 결합 시 클론 삭제된다. ( O )

- 미성숙 B세포 상태에서 항체 가변부위가 골수 속의 자기 항원과 결합하면 클론 삭제가 일어납니다.

34. 미경험 B세포는 분비형 항체를 생산하며, 몸을 순환하다 자기 항원 결합 시 클론 삭제된다. ( X )

- 미경험 B세포는 막관통 항체인 IgM과 IgD를 발현하고 혈액에서 자기 항원과 결합 시 클론 무감작화 됩니다.

35. 보조 T세포는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TH2세포로 분화되고, IL-4 신호를 통해 B세포를 활성화 시킨다. ( O )

36. 활성화된 B세포는 IgG를 분비할 수 있으며, 일부 세포는 기억세포로 전환된다. ( O )

37. Rh식 혈액형은 흉선 의존성 항원이다. ( O )

38. ABO식 혈액형은 흉선 비의존성 항원이다. ( O )

- 지질 성분의 LPS, ABO식 혈액형을 나타내는 다당류는 모두 흉선 비의존성 항원입니다.

39. 흉선 비의존성 항원에 의해 개별형 전환과 친화력 성숙이 일어난다. ( X )

- 흉선 의존성 항원에 의해 개별형 전환과 친화력 성숙이 일어납니다. 흉선 비의존성 항원에 의한 B세포 활성화는 보조 T세포의

도움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반응이 미약하고, 개별형 전환, 친화력 성숙, 기억 B세포의 성숙이 모두 일어나지 않습니다. 흉선

비의존성 항원에 의한 항체는 IgM입니다.

40. 태아는 출생 전 뿐만아니라 출생 후에도 모체에 의한 수동 면역이 필요하다. ( O )

- 태아는 출생 후에도 모유로부터 IgA 등의 항체를 얻어 면역을 강화시킵니다.

BIOLOGY 2020 265 ©THE BASIC SIMPLICITY


41. 능동 면역은 수동 면역과 달리 면역 기억을 유도함으로써 병원균에 저항하는 방법이다. ( O )

- 수동 면역은 다른 개체의 항체를 주입해 면역을 얻는 방법이고, 능동 면역은 백신 등으로 면역 기억을 유도하여 강화된 면역을

얻는 방법입니다.

42. 골수에서 막 생성된 T세포는 모두 CD4와 CD8을 발현하지 않는 이중음성 흉선 세포이다. ( O )

- 이중음성 → 흉선에서 TCR 재배열로 이중양성 → 흉선 피질 세포에 의한 양성선택 → 흉선 수질 세포에 의한 음성선택 → 혈액에서

미경험 T세포 및 클론 무감작 → 2차 림프 기관에서 활성화

43. 흉선에서 T세포는 양성선택을 거쳐 단일양성 흉선 세포가 된다. ( O )

- 양성선택은 MHC에 결합할 수 있는 T세포를 추려내는 과정입니다. MHC I에 결합하면 Tc세포(CD8), MHC II에 결합하면

TH세포(CD4)가 됩니다. 양성선택에는 흉선 피질 세포가 관여합니다.

44. 혈액을 떠돌다 자기 항원에 결합하는 T세포를 제거하는 것을 음성선택이라 한다. ( X )

- 음성 선택은 흉선 수질에서 수지상 세포, 대식 세포가 자기 항원을 제시하는데, 단일양성 T세포 중 이를 인식해 MHC와 강한

결합을 하는 T세포를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혈액을 떠돌다 자기 항원에 결합하는 T세포가 제거되는 것은 클론 무감작(clonal

anergy)입니다.

45. 활성화된 T세포는 TCR을 통해 [자기MHC와 비자기 펩티드]를 동시에 제시하는 표적세포를 공격한다. ( O )

- [자기 MHC + 자기 항원]을 인식하는 T세포는 음성선택과 클론 무감작으로 조기에 모두 제거됩니다.

46. 조직 이식 거부 반응은 주로 T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성 면역 반응에 의해 일어난다. ( O )

47. 각막과 안구는 혈관과 림프관이 없어 조직 이식 시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 O )

48. 뇌, 정소 및 자궁은 침입한 T세포와 B세포의 사멸을 유도해 면역학적 면제 상태를 유지한다. ( X )

- 뇌에는 BBB, 정소는 BTB, 자궁은 태반 장벽이 있어 면역 세포의 침입을 봉쇄합니다.

49. 음식을 통해 정상적으로 흡수된 항원은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 O )

- 이를 경구관용이라 합니다.

50. 이식편대 숙주 반응(GVH)은 공여자의 조직 세포가 수여자의 혈구 세포를 공격하는 현상으로 골수 이식 과정에서

나타난다. ( X )

- 이식편대 숙주반응은 공여자의 혈구가 수여자의 조직을 공격하는 현상입니다.

BIOLOGY 2020 266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3회 정답과 해설
1. 제1형 과민반응은 호염구와 IgE에 의해 일어난다. ( O )

- 과민반응은 특정 항원에 대해 과도한 면역 반응이 일어난 것으로 특징별로 1형부터 4형까지 있습니다. 1형 과민 반응은 알레르기

항원(allergen)에 의해 IgE가 과도하게 분비되어 발생합니다.

2. 제1형 과민반응 시 프로스타글란딘이 분비되어 기도가 수축되어 호흡 장애가 올 수 있다. ( X )

- 기도를 수축시키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 부종을 일으키는 물질은 히스타민입니다. 히스타민 이외에도 류코트리엔이 기도 평활근을

강하게 수축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 열 고통을 유발하는 국소조절자입니다.

3. 제1형 과민반응 관련 질환에는 전신성 아나필락시스 쇼크, 건초열,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이 있다. ( O )

4. 제1형 과민반응 치료제로 히스타민, 코르티솔을 투여한다. ( X )

- 항히스타민제, 코르티솔, 에피네프린 등이 제1형 과민 반응의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5. 제2형 과민반응은 IgG와 IgM이 매개하는 반응으로 ADCC(항체 의존적 세포 독성 반응)이나 보체 활성화로

비정상적인 세포 파괴가 일어난다. ( O )

6. 그레이브스 병, 에디슨 병이 제2형 과민 반응으로 발병할 수 있다. ( X )

- 그레이브스 병, 에디슨 병은 자가면역질환입니다. 제2형 과민 반응에는 ABO식 혈액형에 따른 수혈 거부 반응, 적아 세포증,

페니실린에 의한 용혈성 빈혈이 있습니다.

7. 제3형 과민반응은 용해성 항원에 대해 IgD 항체가 복합체를 이루어 나타난다. ( X )

- 제3형 과민반응은 용해성 항원에 대해 IgG 항체가 복합체를 이룬 후 조직에 침착되어 보체를 활성화시켜서 나타납니다.

8. 제4형 과민반응은 지연성 과민반응으로 주로 B세포의 느린 항체 생성에 의해 일어난다. ( X )

- 제4형 과민반응은 기억 T세포가 조직에 머물러 있다가, 반복적인 항원 노출로 느린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9. 제4형 과민반응 관련 질환에는 투베르쿨린 반응, 결핵, 접촉성 피부염, 조직 이식 거부 반응이 있다. ( O )

10. 선천성 면역 결핍은 면역 관련 유전자들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 O )

11. 후천성 면역 결핍은 HIV가 보조 T세포에 특이적으로 감염되어 발생한다. ( O )

12. 후천성 면역 결핍으로 적응 면역과 내재 면역이 모두 결핍된다. ( X )

- HIV에 의한 후천성 면역 결핍증은 보조 T세포만을 무력화 시키므로 내재 면역은 정상적으로 기능합니다.

13. 그레이브스 병은 자가 항체가 갑상선 수용체에 결합하여 티록신의 분비가 감소되는 질병이다. ( X )

- 그레이브스 병은 티록신의 과다 분비에 의한 갑상선 항진증입니다.

14. 하시모토 병은 대식세포에 의해 갑상선 세포가 파괴되어 나타나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다. ( O )

BIOLOGY 2020 267 ©THE BASIC SIMPLICITY


15. 제1형 당뇨병은 세포독성 T세포에 의해 이자의 a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의 분비가 억제되는 질병이다. ( X )

- 제1형 당뇨병은 b세포가 세포독성 T세포나 대식세포에 의해서 파괴되는 질병으로 제2형 당뇨병과 달리 주로 어릴 때 나타납니다.

16. 다발성 경화증은 항체에 의한 자가 면역 질환으로, 자가 항체가 축삭을 파괴하여 마비 등이 나타난다. ( X )

- 다발성 경화증은 축삭이 아닌 수초 세포(미엘린 단백질)가 파괴되어 신경 전도가 약화되는 질병입니다. 또한 항체가 아닌 TH1에

의한 대식세포 및 Tc 세포에 의해 수초가 파괴됩니다.

17. 중증 근무력증은 자가 항체가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해 리간드의 정상적인 결합을 방해하고, 보체를 활성화시켜

수용체를 지닌 세포를 파괴하는 질환이다. ( O )

18. 중증 근무력증은 아세틸콜린의 신호를 받지 못해 근육 약화가 일어난다. ( O )

19. 악성 빈혈은 비타민 B12의 흡수를 도와주는 내인성 인자에 대한 자가 항체로 발생한다. ( O )

20. 바이러스를 암세포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 O )

- 일부 바이러스는 빠른 분열을 진행하는 암세포에 감염해 암세포를 사멸시킵니다.

21. 백혈병은 골수 조혈모세포의 악성 종양으로 골수 이식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 O )

- 골수 이식은 MHC의 일치가 중요하며, 일란성 쌍둥이는 100% 일치, 부모는 50% 일치, 형제는 형제 중 일부가 100% 일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수 이식의 대상자는 부모보다 형제가 더 적합합니다.

22. 곤충의 호흡계는 순환계와 별도로 발달되어 있으며, 주로 피부 호흡을 통해 산소를 흡입한다. ( X )

- 사람과 달리 곤충의 호흡계는 순환계와 별도로 발달되어 있습니다. 곤충의 복부 측면의 기문(spiracle)을 통해 들어온 공기는

기관(treacha)을 통해 전신으로 확산됩니다. 피부 호흡이란 피부 주변을 촉촉한 상태로 유지시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호흡 방법으로 주로 얇은 피부를 가진 양서류, 편형동물, 환형동물 등에서 발견됩니다.

23. 어류의 아가미는 혈액을 물 흐름과 같은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기체교환을 효율적으로 만든다. ( X )

- 혈액과 물 흐름은 반대 방향으로 흘러야 기체교환 효율성이 증가됩니다. 이를 역류교환이라 합니다.

24. 인간의 기도는 점액층으로 덮여 있어 섬모 운동을 통해 흡입 공기의 불순물을 여과하고, 가습한다. ( O )

25. 입으로 호흡할 경우 코로 흡입할 경우보다 가온, 가습력이 떨어질 것이다. ( O )

26. 기관지는 기관에서 분지되어 연골에 의해 지지되지만, 세기관지는 연골 대신 평활근에 의해 지지된다. ( O )

- 세기관지는 평활근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조절이 가능합니다. 세기관지의 평활근은 자율신경계, 호르몬, 국소 조절물질에 반응해

세기관지를 수축하거나 이완시킬 수 있습니다.

27. 부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세기관지는 이완하며, 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세기관지는 수축한다. ( X )

- 부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세기관지가 수축해 기도 저항이 증가하고, 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세기관지가 이완되어 기도 저항이

감소합니다.

28. 세기관지가 수축하면 기도 저항은 감소한다. ( X )

- 기도 저항이 증가합니다.

BIOLOGY 2020 268 ©THE BASIC SIMPLICITY


29. 폐포는 자체 근육이 있어 스스로 확장, 수축이 가능하다. ( X )

- 폐포는 자체 근육이 없어 스스로 운동이 불가합니다. 폐포는 흉강 압력에 의해 확장, 수축합니다.

30. 폐포는 공기와 혈액 사이에 기체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제1형 폐포 세포가 폐포를 벽처럼 둘러 싸고 있다. ( O )

- 제1형 폐포 세포는 매우 얇기(단층편평상피) 때문에 공기와 혈액 사이의 기체 교환이 용이합니다.

31. 폐의 결합조직은 신축성을 위해 엘라스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호흡 경계면은 물로 덮여 있다. ( O )

32. 호흡 경계면의 표면장력을 높이기 위해 제2형 폐포 세포는 계면활성제인 레시틴을 분비한다. ( X )

- 레시틴은 포스파티딜 콜린이라는 인지질로 표면 장력을 감소시켜 폐가 쉽게 오그라들지 않게 합니다.

33. 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은 레시틴의 부족으로 발생하며 주로 미숙아들에게 나타난다. ( O )

- 미숙아들에겐 제2형 페포 세포가 충분히 발달할 때까지 계면활성제와 제2형 폐포 세포의 성숙을 촉진하는 약물을 투여합니다.

34. 흡기 시 횡경막과 외늑간근은 모두 수축하며, 횡경막과 외늑간근은 모두 골격근이다. ( O )

35. 늑막 내압은 폐포 내압 보다 항상 높게 형성된다. ( X )

- 항상 낮게 형성됩니다.

36. 폐환기량이 일정할 때, 기도저항과 폐포 탄성력은 서로 비례 관계이다. ( X )

- 폐환기량이 일정할 때 호흡률이 증가하면 1회 환기량과 폐포 탄성력은 감소하고, 기도저항은 증가합니다. 반대로 호흡률이

감소하면 1회 환기량과 폐포 탄성력은 증가하고, 기도저항은 감소합니다. 기도저항과 폐포 탄성력은 서로 반비례 관계입니다.

37. 연수는 프리 뵈칭거 복합체를 통해 흡기 신경이 주기적으로 흥분하도록 활동전위를 생성한다. ( O )

38. 뇌교는 연수의 신호를 미세조정 하여 부드러운 흡기와 호기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 O )

39. 시상하부에 위치한 중추 화학 수용기는 동맥의 이산화탄소 분압에 의해 발생한 H+ 농도 변화를 측정한다. ( X )

- 중추 화학 수용기는 연수에 위치합니다. 말초 화학 수용기가 동맥혈의 산소, 이산화탄소 분압, 산성 물질에 의한 H+ 농도 변화를

인식하는 반면에 중추 화학 수용기는 뇌-혈관 장벽(BBB)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분압에 의한 H+ 변화만 감지할 수 있습니다.

40. 말초 화학 수용기는 경동맥체, 대동맥체에 위치한다. ( O )

- 말초 화학 수용기는 동맥혈의 PO2 와 PCO2, 케톤체 등의 산성물질에 의한 H+ 농도 변화를 감지합니다.

41. 말초 화학 수용기는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통해 H+ 농도 변화를 인식할 수 있지만, 산소 분압과 산성 물질에 의한 H+

농도 변화는 인식하지 못한다. ( X )

- 연수에 위치한 중추 화학 수용기에 대한 설명입니다.

42. 일정 시간당 호흡량은 혈중 이산화탄소 분압보다 산소 분압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 X )

- 이산화탄소 분압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43. 일정 폐환기량일 때 호흡 속도가 빠를수록 폐포 환기량은 증가한다. ( X )

- 폐포 환기량은 실제로 교환되는 공기의 양을 말하고, 폐환기량은 단순히 1회 호흡용적에 호흡속도를 곱한 값입니다. 폐의 해부학적

무효공간 부피로 인해 폐환기량이 일정할 때 호흡속도가 빠를수록 폐포 환기량은 감소합니다. 폐포 환기량(ml/min)은 (1회 호흡

용적 – 무효공간 부피) X 호흡속도로 구합니다.

BIOLOGY 2020 269 ©THE BASIC SIMPLICITY


44. 폐기종으로 인한 폐포의 파괴는 기체 교환을 위한 표면적을 감소시킨다. ( O )

- 폐기종은 여러 개의 폐포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으로 표면적이 감소됩니다.

45. 폐포막이 두꺼워지는 섬유증 폐질환은 기체 교환을 저하시킬 수 있다. ( O )

- 두꺼워진 폐포막은 폐신전성을 감소시켜 폐포 환기량을 감소시킵니다.

46. 천식은 폐부종을 일으켜 기체 교환을 감소시킨다. ( X )

- 폐부종은 간질액으로 인해 폐포와 모세혈관 거리가 증가된 경우입니다. 폐부종은 기체의 확산 거리를 길게하여 기체 교환 효율이

감소됩니다. 천식은 기도 저항이 증가된 경우입니다.

47. 산소는 대부분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상태로 운반된다. ( O )

48. 헤모글로빈은 협동성을 나타내며, 2,3-BPG는 산소 부족 시 증가되어 산소의 해리를 증가시킨다. ( O )

- 2,3-BPG는 적혈구 해당 과정의 부산물로 헤모글로빈과 산소에 결합에 대해 음성 알로스테리 작용을 나타냅니다. 2,3-BPG는 산소

부족 시 증가되어 헤모글로빈의 산소 해리를 증가시킵니다. 2,3-BPG는 적혈구에서만 특이적으로 생산되며 조직 세포에서는

생산되지 않습니다.

49. 체온이 올라가면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 X )

- 온도가 증가되면 헤모글로빈과 산소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해리가 더 잘되게 됩니다.

50. 혈중 pH가 감소되면 산소의 해리가 증가되며, 이를 보어 효과라 한다. ( O )

- 할데인 효과는 보어 효과와는 반대로 헤모글로빈에 산소가 결합하면 이산화탄소 방출이 증가되는 현상입니다.

BIOLOGY 2020 270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4회 정답과 해설
1. 중추 화학 수용기는 뇌-혈관 장벽으로 인해 케톤체와 같은 산성물질에 의한 pH 감소를 직접 인식하지 못한다. ( O )

2.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의 헴(heme)기에 결합해 운반된다. ( X )

- 헴기에 직접 결합하는 기체는 산소와 일산화탄소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적혈구 글로빈 단백질의 N-말단에 결합합니다. 4개의

폴리펩티드로 이루어진 헤모글로빈에 산소와 일산화탄소는 최대 4분자가 결합하며, 이산화탄소는 1분자만 결합할 수 있습니다.

3. 일산화탄소와 헤모글로빈의 결합력은 산소와 헤모글로빈 결합력의 200배로, 일산화탄소 결합 시 다른 결합자리에

붙은 산소의 해리가 증가되어 조직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진다. ( X )

- 일산화탄소가 결합하면 다른 결합 자리에 붙은 산소의 이탈이 감소되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4. 일산화탄소 중독 시 일산화탄소를 헤모글로빈에서 강제로 분리시키기 위해 고압 산소법을 사용한다. ( X )

- 고압산소 치료법은 산소를 고압으로 공급해 산소의 혈장 용해를 증가시켜 뇌와 조직에 산소를 원활히 공급하도록 하는

치료법입니다. 이 방법은 산소 부족으로 인한 뇌와 조직의 손상을 막는 방법으로 일산화탄소를 헤모글로빈으로부터 강제로

해리시키는 방법은 아닙니다.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일산화탄소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산소로 치환되게 됩니다.

5. 이산화탄소의 운반량 중 60%는 혈장에 용해된 채 운반된다. ( X )

- 이산화탄소의 약 60%는 적혈구 내에서 탄산무수화 효소에 의해 HCO3- 형태로 전환된 후 혈장에 용해된 채로 운반됩니다. 나머지

30%는 헤모글로빈에 글로빈 단백질 N-말단에 직접 결합한 카르바미노헤모글로빈 형태, 10%는 혈장에 직접 용해된 채로

운반됩니다. 혈장에 용해된 채 운반되는 이산화탄소는 총 60% 이상(대략 70%)입니다.

6. 이산화탄소의 혈장 용해에 적혈구 내부의 탄산무수화 효소가 필요하다. ( O )

- 탄산무수화 효소는 적혈구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세포에서 발견됩니다.

7. 탄산무수화 효소에 의해 이산화탄소는 HCO3-로 전환되며, HCO3-는 혈장 pH 조절 효과를 보인다. ( O )

8. 보어 효과는 산소의 농도가 헤모글로빈의 이산화탄소 결합력에 미치는 효과를 의미한다. ( X )

9. 산소 농도가 낮은 곳에서는 이산화탄소가 헤모글로빈에서 잘 해리되며, 산소 농도가 높은 곳에서는 이산화탄소가

헤모글로빈과 쉽게 결합한다. ( X )

- 할데인 효과(haldane effect)에 대한 설명입니다. 산소의 농도가 낮은 곳에서 이산화탄소가 헤모글로빈에 잘 결합하고, 산소 농도가

높은 곳에선 이산화탄소가 헤모글로빈에서 쉽게 해리됩니다.

10. 폐기종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중 하나로 기도 저항이 증가하여 흡기보다 호기가 어려워지는 특징을 가진다.

(O)

- 흡연, 분진 등으로 인해 대식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염증을 초래한 경우 폐기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폐기종은 폐포벽이

붕괴되어 폐포가 커지고 수는 작아져 호기가 어려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BIOLOGY 2020 271 ©THE BASIC SIMPLICITY


11. 천식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코르티졸의 분비가 증가하여 기관지를 흐르는 공기의 저항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 X )

- 천식은 히스타민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기관지 협착 등이 나타나 공기 흐름이 폐쇄되는 질환입니다. 코르티졸은 천식을 치료하는

염증 반응 억제제입니다.

12. 천식의 치료제로 히스타민, 에피네프린 등을 처리한다. ( X )

- 항히스타민제, 코르티졸, 에피네프린, 항류코트리엔 약물 등이 천식 환자에게 처방됩니다.

13. 폐섬유증은 폐조직이 손상된 부위를 결합 조직이 대체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 O )

14. COPD와 천식은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과 신생아 호흡장애 증후군은 제한성 폐질환에 해당한다. ( O )

15. 폐쇄성 폐질환으로 기능적 잔기용량은 감소하는 반면, 잔기용적은 증가한다. ( X )

- 폐쇄성 폐질환은 흡기보다 호기가 어렵게 되며, 기능적 잔기용량과 잔기용적이 모두 상승합니다.

16. 제한성 폐질환으로 폐용량은 증가하나 흡기용량과 폐활량은 감소한다. ( X )

- 제한성 폐질환은 폐의 신전성이 감소하므로 흡기용량과 폐활량, 폐용량이 모두 감소합니다.

17. 감압병은 잠수부들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급격한 압력 변화의 따른 기체의 용해도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 O )

- 잠수부가 표면으로 갑자기 올라오면 용해되었던 기체들이 급격히 팽창하여 혈관 속에서 기포를 만드는 공기 색전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공기 색전증은 혈류를 방해해 뇌 손상을 일으킵니다.

18. 높은 압력으로 인한 질소의 용해는 신경 세포막의 신경 흥분을 감소시켜 심해 황홀증을 유발할 수 있다. ( O )

19. 잠수부의 공기통에 질소 대신 헬륨을 채워주면, 감압병 증세가 더욱 악화될 것이다. ( X )

- 헬륨은 질소에 비해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감압병 예방을 위해 질소 대신 헬륨을 채웁니다.

20. 높은 고도의 초기 적응으로 호흡 수와 심박출량이 감소해 조직에서 사용되는 산소량을 감소시킨다. ( X )

- 고지대의 초기 적응으로 호흡 수와 심박출량이 증가합니다.

21. 높은 고도의 후기 적응으로 신장에서 EPO 분비량이 증가하고, EPO에 의해 골수에서 적혈구 생산량이 증가한다.

(O)

22. 후기 적응으로 조직에서 2,3-BPG 양이 증가해 산소 해리가 증가한다. ( O )

23. 후기 적응으로 미토콘드리아와 모세혈관 수가 모두 증가할 수 있다. ( O )

24. 높은 고도에서 호흡의 감소에 대한 보상 작용으로 신장에서 산 배출이 증가한다. ( X )

- 고지대에선 과호흡으로 호흡성 알칼리증이 나타납니다. 호흡성 알칼리증에 대한 보상 작용으로 신장에서 산 배출은 감소됩니다.

25. 생물체에서 모세혈관과 조직세포 사이의 기체교환은 확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 O )

26.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은 1분자당 4개의 산소 분자를 운반한다. ( O )

- 1개의 헤모글로빈에는 4개의 Heme기가 존재합니다.

27. 영양 과다로 인해 고혈압과 심장병, 당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O )

BIOLOGY 2020 272 ©THE BASIC SIMPLICITY


28. 각 식물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채식주의자들은 일부 식물만 먹어도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공급받을 수 있다. ( X )

- 한 종류의 식물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모두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채식주의자들은 곡식류+콩류를 함께 섭취해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공급 받아야 합니다.

- 필수 아미노산은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는 아미노산으로 성인의 경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리신, 발린,

트레오닌의 총 8종이고, 어린이에게는 히스티딘의 추가되어 총 9종입니다.

- 필수 지방산은 오메가-6, 오메가-3 계열 불포화 지방산을 의미합니다.

29. 인은 위산 생성, 산-염기 균형, 수분 균형 등에 관여하는 무기질이다. ( X )

- 위의 기능은 염소(Cl)에 대한 설명입니다. 인(P)은 뼈와 치아, 핵산, ATP, 인지질의 구성요소입니다.

30. 칼슘은 치아, 뼈, 혈액 응고, 신경 및 근육 기능에 관여한다. ( O )

31. 코발트는 엽산의 구성 성분으로 적혈구 성숙에 필요하다. ( X )

- 비타민 B12는 코발라민입니다. 비타민 B12가 결핍되면 악성 빈혈에 걸릴 수 있습니다. 엽산(비타민 B9)은 핵산과 아미노산 대사의

조효소로 임산부에서 결핍되면 태아의 무뇌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32. 요오드는 갑상샘 호르몬을 생성하는데 필요하며, 부족 시 갑상샘 비대증이 나타날 수 있다. ( O )

33. 비타민은 체내에서 효소의 보조인자로 작용하는 무기질이다. ( X )

- 비타민은 동물체에서 영양소가 아니면서 동물의 생리와 성장에 필수적인 유기 화합물을 이르는 말입니다.

34. 비타민의 대부분은 동물 스스로 합성할 수 없어 식이를 통해 섭취해야만 한다. ( O )

- 비타민 합성 능력은 동물마다 조금씩 다르며, 사람의 경우 비타민 K, B12 등은 장내 세균에 의해 합성될 수 있습니다.

35. 비타민 A, D, E, K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결핍증을 나타내지 않는다. ( X )

- 비타민 A,D,E,K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과다 섭취하면 체지방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결핍증 역시 나타낼 수 있습니다.

36. 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에 관여하며, 결핍 시 각기병이 나타난다. ( X )

- 각기병은 비타민 B1(티아민)이 결핍되면 나타나고, 비타민 C가 결핍되면 괴혈병이 나타납니다.

37. 소화기관인 위와 장에는 조율기 세포가 존재하여 주기적인 서파 전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O )

- 변형된 평활근 세포인 카잘(cajal) 세포가 내인성 박동원으로 작용하여 서파 전위(slow wave)라 부르는 차등성 전위를 생성합니다.

38. 서파 전위는 음식물, 신경 등의 자극과 합쳐져 활동전위를 생성한다. ( O )

39. 침의 아밀라아제는 녹말을 엿당과 덱스트린으로 분해한다. ( O )

- 덱스트린은 녹말을 효소, 열 등으로 가수분해 시킬때 분해되어져 나오는 다당류의 총칭입니다.

40. 침에는 리소자임이 있어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할 수 있다. ( O )

41. 인간의 침샘은 교감과 부교감 신경 자극에 길항적으로 작용한다. ( X )

- 침샘의 침 분비는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 자극에 의해 분비될 수 있지만, 교감과 부교감 신경은 서로 다른 종류의 침 분비만

촉진 할 뿐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BIOLOGY 2020 273 ©THE BASIC SIMPLICITY


42. 교감 신경의 자극은 끈적한 마른 침을 분비하게 한다. ( O )

43. 부교감 신경의 자극은 묽고 젖은 침 분비를 촉진한다. ( O )

44. 침의 분비에는 무조건 반사와 조건 반사가 모두 작용할 수 있다. ( O )

45. 음식물 덩어리가 혀에 의해 인두를 자극하면 대뇌의 연하중추의 활성화로 음식물이 삼켜지게 된다. ( X )

- 연하반사는 대뇌가 아닌 연수에 의해 일어납니다.

46. 식도는 위와 달리 점액을 분비하지 않기 때문에 위산 역류에 취약하다. ( X )

- 식도에서도 점액질을 분비하여 음식물의 이동과 위산에 대한 보호 작용을 수행합니다.

47. 위는 상부부터 기저부 – 위체부 – 유문동 – 유문 괄약근으로 구성된다. ( O )

- 두꺼운 근육층을 이루어진 유문동에서 주 소화작용이 일어나고, 유문 괄약근은 십이지장으로 음식물이 내려가는 것을 조절합니다.

위는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어 음식물의 양에 따른 부피 변화가 가능합니다.

48. 유문동은 위에서 가장 두꺼운 근육층을 가지고 있어 가장 격렬한 운동을 한다. ( O )

49. 위는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흡수되는 장소이다. ( X )

- 단백질이 분해되는 장소입니다. 탄수화물은 입과 소장에서 소화된 후 소장에서 흡수됩니다.

50. 위의 벽세포는 HCl을 분비하며, HCl은 살균, 단백질 변성, 펩시노겐 활성화에 관여한다. ( O )

BIOLOGY 2020 274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5회 정답과 해설
1. 위의 점액분비세포와 술잔 세포는 점액과 중탄산염을 분비하며, 내분비성 세포이다. ( X )

- 내분비성 세포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입니다. 점액분비세포와 술잔 세포와 같이 점액이나 침, 눈물, 효소를 분비하는 세포는

외분비성 세포입니다.

2. 위 점액의 당단백질(뮤신, mucin)은 위 점막에 보호장벽을 형성한다. ( O )

- 위 점액세포에서 분비된 점액은 윤활 작용과 염산을 중화시켜 산과 펩신의 소화 작용으로부터 위벽을 보호합니다.

3. 위의 주세포는 펩시노겐을 분비하며, 펩시노겐은 효소원(zymogen)상태로 분비된다. ( O )

- 탄수화물이나 지방분해 효소와는 달리 자가 세포 소화를 막기 위해 위와 소장, 이자의 단백질 분해효소는 불활성화 상태인 효소원

상태로 분비됩니다.

4. 펩시노겐의 HCl에 의한 활성화는 양성피드백 기전을 보인다. ( O )

- HCl에 의해 활성화된 펩신은 다시 펩시노겐을 절단 및 활성화시켜 펩신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양성피드백 기전을 보입니다.

5. 위의 장크롬성친화세포(ECL cell)은 내인성 인자를 분비하며, 내인성 인자는 위의 비타민 B12 흡수에 관여한다. ( X )

- 내인성 인자의 분비는 위의 벽세포에 이루어지지만 내인성 인자와 비타민 B12의 흡수는 소장에서 일어납니다. 내인성 인자에 의한

비타민 B12의 흡수는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스로 이루어집니다.

6. 내인성 인자의 결핍은 용혈성 빈혈의 원인이 된다. ( X )

- 용혈성 빈혈이 아닌 악성 빈혈의 원인입니다. 용혈성 빈혈은 적혈구가 생성되는 것보다 파괴되는 양이 많은 경우로 겸상

적혈구증이 용혈성 빈혈의 원인이 됩니다.

7. 내인성 인자에 의한 비타민 B12 흡수는 수용체 매개 세포내 유입으로 일어난다. ( O )

8. 위의 G세포는 위 내강으로 가스트린을 분비해 벽세포의 위산 분비를 촉진한다. ( X )

- 가스트린은 호르몬으로 위 내강으로 분비되지 않고 혈관으로 분비됩니다. 가스트린은 벽세포, 주세포, ECL 세포를 자극해 위산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9. G세포의 가스트린 분비 자극인자는 펩티드와 아미노산이다. ( O )

- 단백질 산물 이외에도 부교감 신경(미주 신경)의 아세틸콜린이 가스트린 분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10. 위의 D세포에서 분비하는 히스타민은 위산 분비를 억제한다. ( X )

- 히스타민은 위의 장크롬 친화성 유사세포(ECL 세포)에서 분비되어 벽세포를 자극합니다. D세포는 산에 의해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고, 소마토스타틴은 벽세포, G세포, ECL 세포를 억제합니다.

BIOLOGY 2020 275 ©THE BASIC SIMPLICITY


11. 위는 일부 알콜과 아스피린을 흡수하지만 음식물을 흡수하지는 않는다. ( O )

- 지용성 분자는 위 상피세포를 통해 단순확산으로 흡수될 수 있으며, 알코올도 소량은 위벽을 통해 흡수됩니다. 알코올의 대부분은

넓은 표면적을 가진 소장에서 흡수됩니다. 또한 아스피린과 같은 약산성 약물들은 위의 산 조건(대략 pH 2.0)에서 비이온화 되어

위에서 소량 흡수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흡수된 아스피린은 위의 프로스타글란딘 분비를 억제해 위장관 질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12. 지방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위 배출 속도는 증가하고, 위 운동은 촉진된다. ( X )

- 지방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십이지장이 위 운동을 억제합니다. 이 때문에 알코올 섭취 시 지방질의 음식을 먹으면 위 배출

속도를 늦춰 늦게 취하게 됩니다.

13. 위 내강의 산성상태는 아스피린과 같은 약산성물질을 비이온화상태로 존재하게 만들어 위의 상피 세포막을 통해

흡수될 수 있게 한다. ( O )

14. 위에서 분비된 그렐린은 시상하부를 자극해 식욕을 억제한다. ( X )

- 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그렐린은 시상하부의 식욕 유발 중추에 결합해 식욕을 촉진합니다.

15. 위산은 펩시노겐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한편, 소마토스타틴 분비를 억제시켜 위산, 가스트린 등의 분비를 촉진한다.

(X)

- 위산의 축적은 D세포로 하여금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게 하여 벽세포, G세포, ECL 세포를 모두 억제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위산

분비를 억제합니다.

16.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요소분해효소를 통해 산성의 위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 O )

17.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 점막의 점액층을 파괴하고, 위산을 중화시켜 가스트린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 O )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요소분해효소(urease)를 분비해 알칼리성의 암모니아를 만들어 위산을 중화시킵니다. 이 세균은 위 점막의

점액층을 파괴하여 위궤양을 일으키고, 중화된 위산으로 가스트린 분비가 증가되어 위산 분비는 계속해서 증가되게 됩니다.

18. 이자는 내분비세포와 외분비세포를 모두 가지고 있다. ( O )

19.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은 외분비세포, 선방세포(aciner cell)는 내분비세포이다. ( X )

- 이자의 선방세포는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세포이고, 랑게르한스섬은 인슐린과 글루카곤, 소마토스타틴의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세포입니다.

20. 이자의 내분비세포는 각종 호르몬을 분비하며, 담관세포는 수용성 알칼리액을 분비한다. ( O )

- 이자의 선방세포는 소화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트립시노겐, 키모트립시노겐, 프로카르복시펩티다아제)를 분비하는 외분비

세포이고, 담관세포는 NaHCO3를 분비하는 외분비 세포입니다.

21. 십이지장의 세크레틴 신호에 의해 이자는 위에서 들어온 산성 유미즙을 중화시키는 NaHCO3를 분비한다. ( O )

- 위에서 내려온 산성 미즙은 십이지장의 세크레틴 분비를 촉진하고, 지방 음식물은 콜레시스토키닌, 포도당은 GIP(glucose-

dependent insulinotropic peptide) 분비를 촉진합니다. 세크레틴은 NaHCO3, 콜레시스토키닌은 쓸개즙과 이자의 소화효소, GIP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합니다.

BIOLOGY 2020 276 ©THE BASIC SIMPLICITY


22. 이자의 내분비는 세크레틴과 콜레시스토키닌에 의해 조절된다. ( X )

- 내분비는 호르몬 분비를 의미합니다. 세크레틴과 콜레시스토키닌은 이자의 외분비(NaHCO3, 소화효소)를 조절합니다.

23. 간은 양분의 동화와 저장 기능을 담당하며, 혈장단백질, 헤파린, 보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 O )

24. 간세포에서 요소와 요산이 분해된다. ( X )

- 단백질의 질소 노폐물은 간의 오르니틴 회로에서 요소로 전환되어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25. 간세포는 비타민 D를 합성하여 칼슘의 흡수를 촉진한다. ( X )

- 비타민 D의 합성 장소는 피부입니다. 간은 신장과 함께 비타민 D를 활성화하는 기관입니다.

26. 쓸개즙은 담즙염과 담즙색소 + 콜레스테롤 등으로 구성된다. ( O )

27. 담즙염은 콜레스테롤 유도체로 양친매성 특징을 가져 지방을 미셸 형태로 유화시킨다. ( O )

28. 쓸개즙의 분비 촉진인자는 부교감 신경과 콜레시스토키닌이다. ( O )

29. 쓸개즙은 산성 물질로 간에서 생성된 후 쓸개에 저장된다. ( X )

- 쓸개즙은 약알칼리성 물질로 간에서 생성된 후 쓸개에 저장됩니다. 간에서 쓸개의 생성은 꾸준히 일어나며, 분비는 뇌상이나

호르몬 자극이 있을 때 분비됩니다. 이 때 십이지장과 담관 사이의 오디 괄약근이 이완되어 쓸개즙이 십이지장 내부로 분비됩니다.

30. 소장은 대부분의 소화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 O )

- 소장은 십이지장, 공장, 회장의 세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가 주로 일어나는 장소입니다.

31. 이자의 십이지장으로의 소화효소 분비는 각 영양소 자극에 반응하여, 한 번에 한 종류의 소화효소만 분비된다. ( X )

- 각 소화효소는 섭취한 영양소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같은 분비소낭에 담겨 있다가 신호에 의해 한꺼번에 분비됩니다.

32. 담즙염의 재흡수는 주로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일어난다. ( X )

- 담즙염의 재흡수(장간순환)은 주로 회장에서 일어납니다.

33. 십이지장에서 생성되는 소화효소는 이자의 소화효소와 달리 장 정단막에 박힌 상태로 작용한다. ( O )

34. 십이지장의 융모의 미세융모는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며, 내부에는 암죽관과 모세혈관이 존재한다. ( O )

- 미세융모는 미세섬유 액틴에 의해 지지됩니다.

35. 장수축을 일으키는 카잘 세포는 평활근 세포로 느린 차등성 전위를 주기적으로 생성한다. ( O )

36. 부교감 신경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카잘 세포의 느린 파동의 크기와 지속을 증가시킨다. ( X )

- 부교감 신경의 말단은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합니다.

37. 대장에는 소화효소가 없으므로 어떠한 종류의 물질도 흡수되지 않는다. ( X )

- 대장은 물과 NaCl 등을 주로 흡수합니다. 대장이 물을 주로 흡수하지만, 물이 가장 많이 흡수되는 장소는 대장이 아닌 소장입니다.

38. 대장에 서식하는 균류는 비타민 K와 비오틴 등을 합성하여 인체에 제공한다. ( O )

- 장내세균은 비타민 K와 비오틴, 엽산 등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

39. 소장에서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는 2차 능동 수송에 의해 흡수된다. ( O )

40. 소장에서 과당은 촉진확산에 의해 흡수된다. ( O )


BIOLOGY 2020 277 ©THE BASIC SIMPLICITY
41. 소장에서 아미노산은 촉진확산에 의해 흡수된다. ( X )

- 아미노산은 나트륨 또는 수소 이온과 2차 능동 수송으로 흡수됩니다.

42. 소장에서 아미노산 단위로 소화되지 않은 펩티드는 트랜시토시스를 통해 흡수될 수 있다. ( O )

43. 소장에서 수용성 비타민은 단순확산으로 흡수된다. ( X )

- 비타민 B12는 내인성 인자와 결합 후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스로 흡수되고, 비타민 B12를 제외한 나머지 수용성 비타민은 나트륨

이온에 의한 2차 능동 수송으로 흡수됩니다.

44. 중성지방(트리글리세리드)은 담즙염에 의해 미셸화된 후 이자의 리파아제에 의해 모노글리세리드와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된다. ( O )

45. 모노글리세리드와 지방산은 소장 상피세포에 능동수송으로 흡수된 후, 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으로 재합성된다. ( X )

- 모노글리세리드와 지방산은 지용성이므로 단순확산으로 흡수됩니다.

46. 콜레스테롤은 소장 상피세포 정단막에서 수용체 매개 세포내 유입 과정으로 흡수된다. ( O )

- 자유 콜레스테롤은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스 되기 전 소화효소에 의해 소화되지 않습니다.

47. 소장 상피세포 내에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킬로미크론(chylomicron)이 되어 암죽관을 통해 흡수된다. ( O )

48. 암죽관으로 흡수된 지용성 물질은 림프관만을 통해 전신을 순환한다. ( X )

- 지용성 물질은 림프관을 따라 이동하다 림프관과 혈관이 합쳐지는 쇄골하정맥에서 혈관으로 유입된 후 심장을 거쳐 전신으로

순환됩니다.

49. 비타민 A, D, E, K는 흡수 후 간문맥을 통해 간으로 들어가 저장된다. ( X )

- 간문맥은 소장에서 흡수된 수용성 물질이 이동하는 통로입니다. 지용성 비타민인 A, D, E, K는 지방과 함께 흡수된 후 암죽관과

림프관으로 들어갑니다.

50. 십이지장으로 유입된 담즙은 회장에서 대부분 재흡수 되어 간으로 이동한다. ( O )

BIOLOGY 2020 278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6회 정답과 해설
1.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트립시노겐, 키모트립시노겐은 이자에서 분비된다. ( O )

2. 아밀라아제와 리파아제는 활성형, 트립시노겐, 키모트립시노겐은 효소원 상태로 분비된다. ( O )

- 위와 소장 및 이자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는 다른 소화효소와 달리 불황성화 상태로 분비됩니다.

3. 섭취한 대부분의 물은 대장에서 흡수된다. ( X )

- 소장에서 흡수됩니다.

4. 삼투 순응자는 주변 환경과 비슷한 체내 삼투압을 유지하는 동물이다. ( O )

5. 삼투 순응자에는 해양 척추동물과 담수 어류가 해당한다. ( X )

- 해양 척추동물과 담수 어류는 삼투 조절자입니다. 이들은 외부 삼투 변화와는 관계없이 일정한 ECF 삼투압을 유지합니다.

삼투순응자에는 해양 무척추동물과 연골어류가 있습니다.

6. 삼투 조절자는 외부 삼투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체내 삼투압을 유지하는 동물이다. ( O )

7. 육상동물은 건조한 환경에서 수분 증발을 막는 외피 구조가 발달되어 있으며, 체내 수분과 염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신장에서 배설을 조절한다. ( O )

8. 수생동물은 질소 노폐물을 요산의 형태로 배설한다. ( X )

- 물이 풍부한 환경에서 사는 동물은 보통 질소 노폐물을 암모니아 형태로 배설합니다. 진화적으로 동물이 배출하는 질소 노폐물의

종류는 물의 풍족도를 반영합니다. 물이 부족할수록 암모니아 → 요소 → 요산의 형태로 배설합니다.

9. 포유류와 양서류는 질소 노폐물을 요소의 형태로 배설한다. ( O )

10. 요소와 암모니아는 수용성 질소 노폐물이다. ( O )

11. 요산은 불용성 질소 노폐물로 배출하는데 수분이 손실이 크다. ( X )

- 요산은 반고체 상태로 배설되어 수분 손실이 가장 적은 질소 노폐물입니다.

12. 암모니아, 요소, 요산 중 가장 강한 독성을 가지는 것은 요산이며, 배출하는데 가장 많은 물이 필요한 것은

암모니아이다. ( X )

- 3종류의 질소 노폐물 중 가장 독성이 높고, 물을 많이 소비하는 것은 암모니아입니다.

13. 외온동물은 내온동물에 비해 더 많은 질소 노폐물을 만든다. ( X )

- 노폐물의 생성량은 에너지 소모량과 관련있습니다. 내온동물이 외온동물에 비해 높은 비율로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질소 노폐물도

더 많이 생성합니다.

14. 환형동물의 배설기관은 후신관이며, 절지동물의 배설기관은 말피기관이다. ( O )

15. 인간의 신장은 혈압과 삼투압을 조절하고, 비타민 E 활성화에 관여한다. ( X )

- 비타민 E가 아닌 비타민 D 활성화에 관여합니다.


BIOLOGY 2020 279 ©THE BASIC SIMPLICITY
16. 신장은 EPO와 레닌을 생산하고, 요소와 이물질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 X )

- 레닌은 방사구체장치(juxaglomerular complex)가 혈압 감소, 세포외액량 감소, 나트륨 이온 농도의 감소를 인지한 후

방사구체장치의 과립세포에서 혈액으로 분비됩니다. 방사구체장치는 세뇨관을 통과하는 여과액의 속도를 감지하는 치밀반 및 수입

세동맥 평활근인 과립세포(granular cell)로 구성됩니다.

17. 네프론은 뇨를 생성하는 신장의 기본 단위로 사구체, 보우먼 주머니, 세뇨관, 집합관으로 구성된다. ( O )

- 네프론의 혈관요소에는 수입 세동맥, 수축세동맥, 세뇨관 모세혈관과 사구체가 포함됩니다.

- 네프론의 세뇨관요소에는 보먼 주머니, 근위세뇨관, 헨레고리, 원위세뇨관, 집합관이 포함됩니다.

18. 배설되는 오줌의 양은 여과량 – 재흡수량 + 분비량과 같다. ( O )

19. 혈관과 네프론 사이에서 여과, 재흡수, 분비의 세 가지 과정이 일어난다. ( O )

20. 사구체를 지나는 혈액의 20%가 여과된다. ( X )

- 혈액이 아닌 혈장의 20%가 여과됩니다.

21. 혈액 성분 중 세포와 크기가 큰 단백질은 여과되지 않으며,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선택적으로 여과된다. ( X )

-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사구체에서 비특이적으로 여과되며, 근위세뇨관에서 선택적으로 재흡수됩니다.

22. 사구체 모세혈관은 단층의 혈관 내피세포로 구성된다. ( O )

23. 사구체 여과부의 기저막은 음전하성 당단백질로 구성된 비세포성 구획으로 혈장 단백질의 투과를 억제한다. ( O )

- 사구체 여과부의 기저막은 콜라겐, 음전하성 당단백질로 구성되어 크기가 큰 혈장 단백질의 투과를 막고 특히 음전하성 단백질의

여과를 제한합니다.

24. 사구체 여과력은 모세혈관 혈압 + 보우만 주머니 정수압 – 혈장 내 교질 삼투압으로 계산할 수 있다. ( X )

- 사구체 여과력은 모세혈관 혈압 – 보우만 주머니 정수압(조직액압) – 혈장 내 교질 삼투압으로 계산합니다.

25. 사구체 여과력이 증가할수록 사구체 여과율(GFR)은 증가한다. ( O )

- 사구체 여과율은 여과 상수(Kf) X 여과력으로 계산하므로 여과력이 증가하면 사구체 여과율은 증가합니다. 여과상수는 사구체

표면적 이나 사구체 막의 투과성을 의미합니다.

26. 수입세동맥이 확장되면 GFR은 감소하고, 수입세동맥이 수축하면 GFR은 증가한다. ( X )

- 수입세동맥이 확장하면 GFR 증가. 수축세동맥이 확장하면 GFR 감소

- 수입세동맥이 수축하면 GFR 감소. 수출세동맥이 수축하면 GFR 증가

27. 신장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수입세동맥 평활근과 사구체 옆장치를 이용해서 사구체 모세혈관의 혈류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 O )

- 수입세동맥 혈관 내 압력이 증가하면 수입세동맥은 수축하고, 혈관 내 압력이 감소하면 수입세동맥이 확장하여 일정한 GFR을

유지합니다.

BIOLOGY 2020 280 ©THE BASIC SIMPLICITY


28. GFR 자가조절에서 수입세동맥 내 압력이 증가하면 수입세동맥은 이완하여 압력을 낮춘다. ( X )

- 수입세동맥 자가조절의 가장 큰 목적은 사구체 여과율(GFR)입니다. 수입세동맥의 혈관 내 압력이 증가하면 GFR이 증가하고 이를

낮추기 위해 수입세동맥은 수축합니다. 즉, 수입세동맥은 신장으로 유입되는 혈류량 자체를 감소시켜 GFR을 감소시키고자 아예

입구를 틀어 막는 것입니다. 혈관 내 압력이 감소된 경우는 이와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9. 여과액의 양이 증가하면 수입세동맥은 수축하여 GFR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 O )

- 방사구체장치의 과립세포와 치밀반은 여과액의 증가를 감지하여 수입세동맥을 수축시키고, 여과액의 감소를 감지하면 수입세동맥을

이완시켜 GFR을 일정하게 유지시킵니다. GFR 자가조절의 한 기작입니다.

30. 몸 전체의 혈압이 증가하면 부교감 신경 활성이 증가해 GFR과 소변량을 증가시킨다. ( O )

- GFR의 외부조절은 대동맥궁, 경동맥동의 압력 수용체를 이용해 혈압을 감지하여 소변의 배출량을 조절해 체액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작입니다.

- 몸 전체의 혈압 증가 → 부교감 신경 활성 → GFR 증가 → 소변량 증가

- 몸 전체의 혈압 감소 → 교감 신경 활성 → GFR 감소 → 소변량 감소

31. 근위세뇨관에서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ATP 펌프에 의해 재흡수 된다. ( X )

- 근위세뇨관의 상피세포의 정단면에서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나트륨 이온과 공동수송됩니다. 포도당 수송의 포화는 이 공동수송체를

기준으로 설명됩니다.

32. 근위세뇨관에서 물은 재흡수되지 않는다. ( X )

- 근위세뇨관은 느슨한 밀착연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이 재흡수될 수 있습니다.

- 근위세뇨관에서 Na+, K+ 등은 기저면의 Na+/K+ 펌프에 의해 재흡수 되고, 요소는 단순확산으로 재흡수됩니다.

33. 근위세뇨관으로 들어오는 초기여과액의 삼투몰농도는 혈장과 같다. ( O )

- Na+, K+ 등이 사구체에서 비특이적으로 여과되므로 삼투몰 농도는 혈장과 같습니다.

34. 수질인접네프론은 긴 헨레고리를 가지는 네프론으로 포유동물과 조류에서만 발견된다. ( O )

35. 모세혈관과 보먼주머니 사이에 존재하는 내피세포 막 표면의 음전하가 감소하면 단백뇨가 생성될 수 있다. ( O )

36. 헨레고리 하행지는 물에 대해서만 투과성을 가진다. ( O )

- 헨레고리 하행지는 헨레고리 상행지에서 형성된 삼투 기울기를 이용해 물을 재흡수합니다. 헨레고리 하행지에서 물 이외의 다른

물질은 재흡수되지 않습니다.

37. 헨레고리 상행지의 두꺼운 부분에서 NaCl은 확산으로 흡수되며, 얇은 부분에서는 능동수송으로 흡수된다. ( X )

- 헨레고리 상행지의 얇은 부분에서 NaCl이 확산으로 재흡수되고, 두꺼운 부분에서 능동수송으로 흡수됩니다. 헨레고리의 두꺼운

상행지에서 단단한 밀착연접으로 인해 물은 재흡수되지 않습니다.

38.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서 알도스테론의 조절을 받아 K+가 능동 재분비된다. ( O )

- 알도스테론은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 작용하여 Na+의 재흡수 K+ 분비를 촉진합니다.

39. 항이뇨호르몬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어 집한관의 아쿠아포린 발현을 증가시킨다. ( O )

BIOLOGY 2020 281 ©THE BASIC SIMPLICITY


40. 항이뇨호르몬의 분비 부족으로 소량의 뇨가 생성되는 요붕증이 나타날 수 있다. ( X )

- 요붕증은 다량의 오줌이 생성되는 질병입니다. 요붕증에는 뇌하수체 후엽의 문제로 발생하는 중심성 요붕증과 신장의 ADH

수용체의 이상으로 생기는 신성 요붕증이 있습니다.

41. 방사구체장치는 저혈압, 세포외액량의 감소, 혈중 나트륨 이온 농도 감소를 감지하여 레닌을 분비한다. ( O )

- 방사구체장치의 과립세포가 레닌을 분비합니다. 레닌-안지오텐신 II-알도스테론을 이용한 혈압과 혈장 삼투압을 증가시키는 전체

시스템을 RAAS(Renin-Angiotensin-Aldosteron System)이라 합니다.

42. 레닌은 신장에서 합성된 안지오텐시노겐을 절단하여 안지오텐신 I을 생성한다. ( X )

- 안지오텐시노겐은 간에서 합성된 후 혈액에서 레닌에 의해서 절단되어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됩니다.

43. 안지오텐신 I은 폐 혈관 내피세포의 안지오텐신 변환 효소(ACE)에 의해 절단되어 안지오텐신 II가 된다. ( O )

44. 안지오텐신 II는 세동맥 수축 물질로 갈증을 유발하고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한다. ( X )

- 안지오텐신 II는 세동맥을 수축시키고, 시상하부를 통해 갈증을 자극하며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45. 알도스테론은 안지오텐신 II 자극에 의해 부신 피질에서 분비된다. ( O )

46. 알도스테론은 원위세뇨관에 작용하여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 X )

-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를 촉진합니다.

47. ANP는 심장의 심방에서 분비된다. ( O )

48. ANP는 레닌, 안지오텐신 II와 시너지(synergy)효과를 나타낸다. ( X )

- 서로 반대의 효과를 보입니다.

49. 혈장에서 농도가 높은 용질일수록 사구체에서 많이 투과된다. ( X )

- 혈장 단백질 특히 음전하를 띠는 혈장 단백질은 농도가 아무리 높더라도 사구체에서 여과될 수 없습니다.

50. 뇨에 배출된 칼륨 이온은 여과된 것 보다는 재분비된 것이 대부분이다. ( O )

- 정상인에서 여과된 칼륨은 대부분 근위세뇨관에서 재흡수되고, 원위세뇨관에서 알도스테론과 타입 B 세포에 의해 뇨로 분비됩니다.

BIOLOGY 2020 282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7회
1. 항이뇨 호르몬은 혈장 삼투압의 증가와 혈액량 감소에 의해 분비된다. ( O )

2. 혈압 또는 혈액량의 증가로 좌심방의 용적이 증가하면 ANP가 분비되어 Na+와 물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 O )

3. 항이뇨 호르몬은 아쿠아포린 유전자의 전사와 번역을 함께 촉진한다. ( O )

- 항이뇨 호르몬은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의 상피세포에서 아쿠아포린의 발현을 증가시킵니다.

4. 같은 혈장 삼투 농도라도 혈액량이 적으면 항이뇨 호르몬이 더 적게 분비된다. ( X )

- 부족한 혈액을 보존해야하기 때문에 더 많이 분비됩니다.

5. 연수의 심혈관 조절 중추는 좌심방 혈압 수용기를 자극 및 ANP 분비를 촉진하여 혈압을 단기적으로 조절한다. ( X )

- ANP의 분비는 좌심방 용적의 증가를 심방이 직접 인식해 분비되며 연수의 조절을 받지 않습니다.

6. 신장의 사구체 옆장치는 Na+의 재흡수와 안지오텐신 II를 통해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 O )

- 사구체 옆장치와 방사구체 장치는 같은 뜻입니다.

7. 신장에서 대부분의 H+는 근위세뇨관의 ATPase에 의해 재흡수되며, HCO3-는 Na+와의 공동수송으로 분비된다. ( X )

- 신장에서 H+의 재흡수와 분비는 주로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의 타입 A와 타입 B 세포에 의해 조절됩니다.

8.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의 타입 A, B 세포는 혈액의 산, 염기 평형에 관여한다. ( O )

9. 타입 A 세포는 혈액 산증 시 H+를 분비, HCO3-를 재흡수한다. ( O )

10. 타입 B 세포는 혈액 알칼리증 시 H+를 재흡수하고, HCO3-를 분비한다. ( O )

11. 타입 A, B 세포를 통해 혈액 산증 시 K+는 분비되며, 알칼리증 때는 재흡수된다. ( X )

- 칼륨 이온은 수소 이온과 반대로 움직입니다. 산증 때 칼륨 이온은 재흡수되고, 알칼리증 때는 분비됩니다.

12. 혈액 H+ 농도는 주로 백혈구의 탄산무수화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 X )

- 탄산무수화효소는 주로 적혈구에 존재합니다.

13. 탄산, 인산, 단백질, 적혈구에 의한 H+ 농도 조절은 인체의 화학 완충 시스템이다. ( O )

14. 호흡성 산증은 폐의 이산화탄소 배출 이상으로 나타나며, 혈장의 H+와 HCO3-가 동시에 증가한다. ( O )

15. 대사성 산증은 구토, 설사, 젖산, 케톤체 축적 등을 나타난다. ( X )

- 구토로 인해 위액이 대량으로 배출되므로 대사성 알칼리증이 유발됩니다.

16. 대사성 산증의 보상기전으로 신장의 타입 A 세포 작동 + 호흡 촉진에 의한 이산화탄소 제거가 증가한다. ( O )

17. 대사성 알칼리증으로 혈장 H+ 와 HCO3- 농도가 동시에 감소한다. ( X )

- 대사성 알칼리증으로 HCO3-의 농도는 증가합니다.

BIOLOGY 2020 283 ©THE BASIC SIMPLICITY


18. 단백질과 혈구세포는 사구체에서 거의 여과되지 않으며, 여과되더라도 근위 세뇨관에서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스에

의해 대부분 재흡수 된다. ( O )

19. 이눌린과 크레아티닌은 여과가 일어난 후 재흡수와 분비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 O )

- 이눌린은 식물의 다당류로 여과 후 재흡수와 분비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눌린의 물질 청소율은 사구체 여과율(GFR)과

같습니다. 크레아티닌은 아주 소량만 재흡수됩니다.

20. 요소는 여과 후 근위세뇨관에서 단순 확산으로 재흡수된다. ( O )

- 요소는 근위세뇨관에서 단순 확산으로 재흡수 되고, 집합관에서 막단백질에 재흡수 된 후 헨리고리에서 다시 분비됩니다. 요소의

재흡수는 신장 수질부 간질액의 삼투 농도 기울기를 형성해 요의 농축에 기여합니다.

21. 요소는 신장 피질부 간질액의 삼투 농도 기울기를 형성해 헨레고리에서 요의 농축에 기여한다. ( X )

- 신장 수질부 간질액의 삼투 농도 기울기를 형성합니다.

22. 정상인에서 여과된 포도당은 모두 재흡수되나, 당뇨병 환자의 경우 신장의 재흡수 최대치를 초과한 당이 소변으로

배출된다. ( O )

23. 당뇨병 환자의 소변량은 정상인에 비해 증가한다. ( O )

- 소변의 당으로 인해 삼투압이 증가하고, 삼투성 이뇨 작용으로 소변 배출량이 증가합니다.

24. PAH는 사구체에서 여과된 후, 세뇨관에서 분비만 일어난다. ( O )

- PAH(Para-Aminohippuric acid)는 대표적인 분비만 일어나는 물질입니다.

25. 칼슘 이온은 여과 후 근위세뇨관에서 대부분 재흡수 되며, 파라토르몬에 의해 원위세뇨관에서 분비될 수 있다. ( X )

- 파라토르몬은 원위세뇨관에서 칼슘 이온의 재흡수를 촉진합니다.

26. 저칼륨혈증은 과도한 땀 배출 후 이온의 불충분한 보충과 타입 A 세포의 과도한 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 X )

- 혈액 산증 시 작용하는 타입 A 세포는 수소 이온을 분비하고, 칼륨 이온과 HCO3-는 재흡수 합니다.

27. 고칼륨혈증 시 신경세포의 휴지막 전위가 상승해 잦은 탈분극이 일어나 근육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 O )

- 고칼륨혈증 때는 휴지막 전위가 상승하고, 저칼륨혈증 때는 휴지막전위가 하강합니다.

28. 신장 청소율은 신장이 혈장 내에서 어떤 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으로 물질의 소변 배설율(mg/min) / 물질의 혈장

농도(mg/ml)로 계산할 수 있다. ( O )

29. 이눌린은 재흡수의 분비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눌린의 청소율은 곧 사구체 여과율(GFR)이다. ( O )

30. 여과 후 분비되는 물질의 청소율 값은 GFR 보다 작다. ( X )

- GFR 보다 큽니다.

31. 사구체 여과율(GFR)을 통해 약물의 적정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 X )

- 사구체 여과율이 아닌 물질 청소율을 바탕으로 약물의 적정 투여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32. 방광은 이행상피로 되어 있어 소변 양에 따라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 O )

BIOLOGY 2020 284 ©THE BASIC SIMPLICITY


33. 투석은 인공적으로 체액의 염 균형을 유지시키고 노폐물을 제거시키는 방법으로 주로 신부전 환자에게 사용된다.

(O)

34. 투석 시 반투막을 통해 단백질과 노폐물이 확산에 의해 제거된다. ( X )

- 단백질이나 각종 세포는 반투막을 통과할 수 없습니다.

35. 투석 시 혈액과 투석액은 일반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흐르게 설정한다. ( X )

-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설정해야 교환 효율이 증가합니다.

36. 중심성 요붕증은 뇌하수체 후엽의 바소프레신 분비에 이상이 생긴 것이며, 신성 요붕증은 신장의 바소프레신

수용체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 O )

37. 변온동물은 일정한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동물로 주로 양서류, 파충류, 어류 등이 해당된다. ( X )

- 변온동물은 열을 주로 외부에서 얻는 동물이며, 온도가 변하는 환경에 살기 때문에 체온이 환경에 의해 변하게 됩니다.

38. 변온동물은 체온이 낮아지면 대사율을 감소시키고 수면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 O )

39. 변온동물은 내온동물에 비해 많은 먹이 섭취가 필요하다. ( X )

- 지속적인 물질대사를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내온동물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먹이 섭취를 필요로 합니다.

40. 변온동물은 내온동물에 비해 표면적 대 부피비가 높은 구조가 가능하다. ( O )

41. 내온동물은 물질대사에 의해 얻은 열을 체온 유지에 사용한다. ( O )

42. 갈색지방이나 근육의 떨림은 내온동물에게 열을 제공할 수 있다. ( O )

- 성인의 체온 유지는 주로 골격근에 의해 이루어지고, 근육이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는 갈색지방에 써모제닌이라는 물질을 통해 열을

발생시킵니다.

43. 내온동물에서 혈관의 역류 교환이 관찰된다. ( O )

- 역류 교환은 체 중심의 열을 주변 환경에게 뺏기지 않도록 진화된 구조입니다.

44. 알렌의 법칙은 추운 기후에 살수록 말단의 크기가 커지는 법칙이다. ( X )

- 말단으로 방출되는 열을 줄이기 위해 말단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법칙입니다.

45. 툰드라 지방에 사는 동물은 베르그만의 법칙에 따라 표면적이 작고 둥근 구조를 가지기 쉽다. ( O )

- 열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진화되었습니다.

46. 몸집이 큰 동물일수록 작은 동물에 비해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고, 단위 체중 당 더 높은 대사율을 보인다. ( X )

- 몸집이 큰 동물일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지만, 단위 체중 당 더 낮은 대사율을 보입니다.

47. 인간은 피부의 말단 수용기를 통해 주변 환경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 O )

48. 내독소에 의해 대식세포는 IL-1을 분비해 시상하부의 설정점을 감소시켜 열을 발생시킨다. ( X )

- IL-1은 시상하부에서 프로스타글란딘에 합성을 증가시키며, 프로스타글란딘은 시상하부의 설정점을 증가시켜 체내 열 발생을

증가시킵니다.

49. IL-1은 시상하부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방출을 촉진해 설정점을 변화시킨다. ( O )


BIOLOGY 2020 285 ©THE BASIC SIMPLICITY
50. 몸의 온도가 설정점보다 높을 때 교감 신경은 체온이 설정점 온도까지 내려가도록 작용한다. ( O )

BIOLOGY 2020 286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8회 정답과 해설
1. Toll-유사 수용체(TLR)는 내재면역에 관여하며, 병원체의 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 X )

- TLR은 병원체의 분자 패턴을 비특이적으로 인식합니다. 항원의 특이적 인식은 적응면역입니다.

2. 바이러스 특이적인 핵산을 인식하는 TLR은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의 세포막에서 주로 발견된다. ( X )

- 바이러스의 이중가닥 RNA나 메틸화되지 않은 CpG 다이뉴클레오티드를 인식하는 TLR은 각각 TLR3와 TLR9입니다. 이들은 모두

세포 내부 구획에 위치합니다.

3. T세포의 양성선택과 음성선택은 혈관 내피세포에 의해 일어난다. ( X )

- 양성선택은 흉선 피질 세포에 의해, 음성 선택은 흉선 수질의 항원 제시 세포(APC)에 의해 일어납니다.

4. 자연살해세포(NK 세포)는 골수에서 림프구의 한 종류로 생산된다. ( O )

- NK세포는 B세포나 T세포가 겪는 유전자 재조합 과정이 없으므로 한 종류로 생산됩니다.

5. 활성화된 NK 세포는 항원 특이성을 획득한다. ( X )

- 내재면역에 관여하는 NK 세포는 항원 특이성이 없습니다.

6. 활성화된 NK 세포는 T 세포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 ( O )

- NK 세포는 IFN-g, THF-a 등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비특이성 면역과 특이성 면역 모두에 영향을 끼치며 특히 IFN-g는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보조 T 세포의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7. NK 세포는 세포 표면에 TCR을 발현하지 않으며, 표적인식도 MHC에 제한받지 않는다. ( O )

- 위 사실 외에도 NK 세포는 기억세포를 형성하지 않고, T세포와 달리 흉선이 없어도 성숙 및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8. 보체는 C1 등 30여 종의 혈장 단백질로 간에서 생성되고, 평소에는 불활성화된 상태이다. ( O )

9. 보체는 열에 약해 가열 시 쉽게 변성된다. ( O )

10. 보체는 인산화에 의해 활성화된다. ( X )

- 보체는 절단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활성화됩니다.

11. IgG는 2차 면역의 주요 항체이다. ( O )

12.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항체의 구조는 5량체이다. ( X )

- 1차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IgM이 5량체(분비형)이며,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IgE는 단량체입니다.

13. 이량체의 IgA와 오량체의 IgM 항체는 J 사슬을 가지고 있다. ( O )

14. IgE는 항원과의 결합을 통해 히스타민을 분비한다. ( O )

- IgE는 항원과 결합 후 Fc 부분이 비만세포, 호염구 세포막의 Fc 수용체와 결합합니다. 같은 항원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비만세포와 호염구가 히스타민과 여러 시토카인이 들어 있는 과립을 분비하게 됩니다.

15. 보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항체의 Fc 부위가 있어야 한다. ( O )

BIOLOGY 2020 287 ©THE BASIC SIMPLICITY


16. 항원의 침강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항원결합부위를 가져서 항체가 교차결합을 해야한다. ( O )

17. ABO식 혈액형의 거부반응은 IgG에 의해 일어나는 항원-항체 반응이다. ( X )

- ABO식 혈액형의 거부반응은 주로 IgM에 의해 일어납니다.

18. ABO식 혈액형의 항원은 적혈구 표면의 다당류이다. ( O )

19. Rh식 혈액형의 거부반응은 IgM에 의해 일어나는 항원-항체 반응이다. ( X )

- IgG에 의해 일어납니다. IgG는 태반을 통과할 수 있으나 IgM은 태반을 통과할 수 없습니다.

20. 모체가 Rh-이고, 태어나는 아이가 Rh+일 경우 첫 번째 출산 시 적아세포증이 유발될 수 있다. ( X )

- 이 경우 첫 번째 아이는 무사하지만 출산과정에서 모체에서 Rh+ 항원에 대한 항체가 생기게 됩니다. Rh+에 대한 항체로 인해 두

번째 아이가 Rh+일 경우 적아세포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21. 임신 중 산모의 항-B 항체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의 적혈구에 있는 B 항원과 응집 반응을 할 수 있다. ( X )

- 항-B 항체는 태반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태아의 적혈구와 응집 반응을 할 수 없습니다.

22. Rh- 형인 산모가 첫 번째 아기의 분만 전후 Rh 항원에 대한 항체를 맞는다면, 두 번째로 임신하는 아기에 대한

용혈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 O )

- 첫째 아이 임신 때와 출산 시 항Rh항체를 주입하면 모체에서 항체를 제거하면 둘째 아이(Rh+)를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습니다. 이

항체 주사를 로감(rhogam)주사라 합니다.

23. 성숙한 B 세포는 항원과 결합하여 클론 선택 과정을 거치고, 보조 T 세포의 도움으로 개별형 전환을 수행한다. ( O )

- 미경험 B세포는 보조 T 세포의 신호에 따라 개별형 전환과 친화도 성숙 과정을 거칩니다.

24. 면역기억은 항원접촉이 일어나지 않으면 생성되지 않는다. ( O )

25. 면역기억은 기억 T 세포와 기억 B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 ( O )

26. IgM은 1차 면역 후에는 단량체로 분비되나, 면역기억에 의한 2차 면역 때에는 오량체로 분비된다. ( X )

- IgM의 분비 형태가 오량체이며, 세포막 BCR일 때 단량체입니다.

27. 1차 면역 때의 IgG는 다중클론항체 군집이지만, 2차 면역 때의 IgG는 단일클론항체 군집이다. ( X )

- 단일클론항체란 하나의 항원결정기(epitope)에만 항체 반응을 하는 항체로 하나의 B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항체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다클론항체는 서로 다른 B세포들에 의해 만들어진 서로 다른 항원결정기를 인식하는 항체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항원에 대해서 항원결정기는 여러 개이며, 1차 면역반응과 2차 면역반응은 다양한 항원결정기를 인식하는 IgG들의 집합에 의한

반응이므로 모두 다중클론항체입니다. 단일클론항체는 하이브리도마(hybridoma)를 통한 실험을 통해 인공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BIOLOGY 2020 288 ©THE BASIC SIMPLICITY


28. 1차 면역에 비해 2차 면역 때 IgG의 항원 결합력이 증가하는 이유는 B 세포가 돌연변이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

(O)

- 항원에 노출된 후 일어나는 체성 과변이 및 친화력 성숙은 염기 치환 돌연변이에 의해 일어납니다. 친화력 성숙 과정은 항원에

노출될수록 점점 강한 결합력을 지니는 세포들만 선별되기 때문에 1차 면역에 비해 2차 면역 때 IgG의 항원에 대한 결합력과

친화력이 더욱 상승합니다.

29. 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은 항체나 TCR에서 다양성이 관찰되는 부분으로, 특이 항원과 실제로

결합하는 부분이다. ( O )

30. 체성 과변이는 항체의 CDR 부위에서 주로 일어난다. ( O )

31. 체성 과변이로 항체의 보체 활성화 능력이 생긴다. ( X )

- 체성 과변이는 중쇄 및 경쇄 가변 부위에 염기 치환 돌연변이가 발생해 항원과의 친화력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2. 개별형 전환(클래스변환 재조합)을 통해 항체의 항원 인식 부위가 변한다. ( X )

- 개별형 전환을 통해 중쇄 불변부위 DNA 서열의 재조합만이 일어나므로 항원 인식 부위(가변부위)는 변하지 않습니다.

33. T 세포 성숙 과정 중 연결다양성(접합부 다양성)은 일어난다. ( O )

34. IgA, IgE, IgG를 생산하기 위한 개별형 전환은 RNA 스플라이싱에 의해 일어난다. ( X )

- 항체와의 접촉 후 IgA, IgE, IgG를 생산하기 위한 개별형 전환은 DNA 재조합에 의해 일어납니다.

35. 체성 과변이는 T 세포 항원수용체의 항원에 대한 친화도를 증가시킨다. ( X )

- 체성 과변이는 B세포에서만 일어납니다.

36. 자가항원에 반응하는 B세포와 T세포는 성숙되기 전에 제거된다. ( O )

- B세포에 경우 클론 삭제와 클론 무감작, T세포의 경우 음성 선택과 클론 무감작으로 제거됩니다.

37. 림프구는 항원과 반응하기 전부터 다양한 항원에 대한 세포 집단을 형성한다. ( O )

38. 하나의 림프구는 다양한 항원에 반응 할 수 있는 수용체를 동시에 발현한다. ( X )

- 성숙이 끝난 B세포나 T세포는 하나의 항원에 반응하는 수용체만을 발현하게 됩니다.

39. B 세포의 항체 유전자 재조합에 RAG1, RAG2 단백질이 관여한다. ( O )

40. 변성된 항원은 B 세포의 항원으로 작용할 수 없다. ( X )

- 변성된 항원은 또 다른 항원으로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1. B 세포 수용체는 항원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인지한다. ( O )

- 항체 및 BCR은 항원의 3차원적 구조, TCR은 가공된 선형(1차원적)의 펩티드를 인식합니다.

42. 2차 면역반응에서 B 세포는 수지상세포의 도움으로 항원을 인지한다. ( X )

- 수지상세포는 보조 T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며, B 세포의 항원 인지에는 수지상세포의 도움이 필요 없습니다.

43. T 세포 수용체는 항원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성된 펩티드의 1차 구조를 인지한다. ( O )

44. Treg 세포는 TH 세포의 작용과 증식을 억제해 면역을 억제하는 T 세포로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한다. ( O )
BIOLOGY 2020 289 ©THE BASIC SIMPLICITY
45. Treg 세포는 CD8+ 세포이다. ( X )

- CD8+은 세포 독성 T세포이며, Treg는 CD4+CD25+ 세포입니다.

46. 항원의 유입량에 따라 B 세포의 항원 인식 능력은 다르다. ( X )

- 항원의 양과 항원 인식 능력은 관련 없습니다. 친화력 성숙과 체성 과변이에 따라 항원의 양 보다는 접촉 횟수가 더 중요합니다.

47. MHC I은 유핵세포에서 발견되며, 세포질에서 프로테아좀에 의해 분해된 세포 내부 유래 펩티드를 세포막에서

제시한다. ( O )

48. MHC II는 리소좀에서 분해된 세포 외부 유래 펩티드를 세포막에서 제시한다. ( O )

49. MHC II는 B 세포와 수지상세포, 대식세포가 발현한다. ( O )

50. MHC II를 통한 펩티드 제시 과정에 엔도시토시스가 관여할 수 있다. ( O )

BIOLOGY 2020 290 ©THE BASIC SIMPLICITY


PART IV – 9회 정답과 해설
1. MHC I이 발현되지 않는 흉선에서는 양성선택에 의해 CD8+ Tc 세포가 거의 만들어지지 않을 것이다. ( O )

- 양성선택은 흉선 피질의 MHC와 자기 항원을 동시에 인식한 T세포가 CD4+ 혹은 CD8+ 둘 중 하나로 분화되는 과정입니다. 만약

흉선 피질 세포가 MHC I을 발현하지 못하면 CD8+ Tc 세포는 발생하지 못합니다.

2. IL-4는 TH1의 분화를 억제하고 TH2의 분화를 촉진한다. ( O )

3. IL-12, IL-18, IFN-g는 TH2의 분화를 억제하고 TH1의 분화를 촉진한다. ( O )

4. IL-7은 흉선에서 T세포의 발달을 촉진하고, 이미 성숙한 T세포는 생존 기간을 증진한다. ( O )

5. 이미 이식된 적이 있는 MHC 분자가 서로 다른 조직을 재이식할 경우 조직 거부는 일어나지 않는다. ( X )

- 이식 거부 반응이 더 빠르고 격렬하게 일어납니다.

6. 골수이식을 하면 수여자의 혈구세포와 면역세포가 공여자의 세포로 바뀐다. ( O )

7. 이식편대숙주병(GVHD)은 골수의 공여자와 수여자의 TCR이 달라서 발생한다. ( X )

- 이식편대숙주병은 골수 공여자와 수여자의 MHC가 달라서 발생하는 거부반응으로 골수 이식 시 함께 유입된 T 세포가 수여자의

조직을 공격하여 발생합니다.

8. TH1은 IFN-g를 분비하여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킨다. ( O )

9. 대식세포는 NO등 각종 살균 물질을 분비하여 미생물을 파괴한다. ( O )

10. IFN-g은 NK세포, TH1, TH2, Tc 세포가 주로 분비한다. ( O )

- IFN-g는 면역 인터페론으로 활성화된 T림프구와 대식세포, NK세포가 주로 분비합니다. 이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세균 감염 시에

사용되며 항암제로도 사용되는 사이토킨(cytokine)입니다. 바이러스 복제 직접적으로 억제 + 면역조절, 면역자극 능력이 감마

인터페론의 주된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서 NK 세포에 의해 생성되며,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이후 적응 면역이 일어날 수 있게 T 세포의 성숙을 도와줍니다.

11. 대식세포는 TNF-a와 IL-12를 분비하여 NK 세포를 유인하고, NK세포는 IFN-g를 분비하여 대식세포의 식세포 작용을

활성화 한다. ( O )

12. 기관계 표면에 있는 지질 성분에 공기 중 이물질이나 먼지가 붙어 제거된다. ( X )

-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분비한 점액질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붙어 제거되며, 이 과정에서 운동섬모가 이용됩니다. 점액질은 지질

성분이 아닙니다.

13. 폐포의 표면에는 백혈구가 존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 O )

- 폐포에는 대식세포가 존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합니다.

BIOLOGY 2020 291 ©THE BASIC SIMPLICITY


14. 폐포의 표면에 석탄 먼지가 쌓이면 섬유성 결합조직이 많아져 천식이 유발될 수 있다. ( X )

- 천식은 기도 저항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폐의 섬유화와 큰 관계 없습니다. 폐가 섬유화되면 천식 대신 진폐증과 같은 폐 질환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15. 사람은 양압 숨쉬기를 하며, 숨을 들이쉴 때 폐의 기압은 대기압보다 높아진다. ( X )

- 사람은 음압 숨쉬기를 하며, 숨을 들이쉴 때 횡경막과 외늑간근을 수축하여 흉강의 부피를 크게하고, 폐의 기압을 대기압보다 낮춰

공기가 폐로 흘러 들어올 수 있게 합니다.

16. 폐의 팽창성이 클수록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 O )

17. 기도저항이 클수록 흡기 속도는 빨라지고 흡입할 수 있는 공기량은 적어진다. ( X )

- 기도 저항이 클수록 흡기를 위해 더 큰 압력차가 요구되므로 흡기의 속도는 느려집니다.

18. 혈중 이산화탄소 분압이 증가할수록 호흡량은 증가한다. ( O )

19. 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과 산화 방지에 관여하며, 결핍 시 괴혈병을 야기할 수 있다. ( O )

20. 엽산과 코발라민의 부족은 빈혈로 이어질 수 있다. ( O )

- 엽산(B9)은 핵산과 아미노산의 조효소이며, 코발라민(B12)은 엽산과 함께 핵산 생산에 관여합니다.

21. 리보플라빈은 조효소 FAD, 나이아신은 조효소 NAD+, NADP+의 성분이다. ( O )

- 리보플라빈은 비타민 B2입니다.

22. 비타민 E는 세포막 손상을 방지하며, 세포 흡수 시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를 이용한다. ( X )

- 비타민 E는 토코페롤로 지용성 비타민이므로 단순 확산으로 흡수됩니다. 수용체 매개 엔도시토시스를 이용하는 비타민은

코발라민(B12)입니다.

23. 담석은 레시틴이 결정화된 것이다. ( X )

- 담석은 담즙의 콜레스테롤이 결정화된 것입니다. 레시틴은 인지질 포스파티딜 콜린입니다.

24. 이자 소화효소의 분비는 교감 신경계에 의해 조절된다. ( X )

- 이자에서 소화효소의 분비는 콜레시스토키닌에 의해 조절됩니다.

25. 중탄산나트륨의 분비로 인해 펩신의 활성이 없어지고 NaCl의 농도는 증가한다. ( O )

- 중화반응으로 pH가 증가해 펩신의 활성은 없어지고 중화반응 후 남은 NaCl의 농도가 증가합니다.

26. 이자의 소화효소 분비는 위 소화물의 영양성분 보다는 pH에 의해 조절된다. ( X )

- 위 소화물의 낮은 pH는 주로 중탄산나트륨의 분비를 촉진하고, 이자 소화효소 분비는 위 소화물의 지방과 단백질 성분에 의해

촉진됩니다.

27. 단백질의 펩신 분해산물인 펩톤에 의해 분비된 이자 효소들은 주로 단백질분해효소이며, 지방에 의해 분비된 이자

효소들은 지방 분해효소이다. ( X )

- 이자 소화효소 분비는 영양소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두 한 번에 분비됩니다.

28. 음식물은 대부분 소장에서 소화가 종결된다. ( O )

BIOLOGY 2020 292 ©THE BASIC SIMPLICITY


29. 음식물은 십이지장 – 공장 – 회장을 차례로 통과한다. ( O )

30. 간에서 적혈구를 통해 빌리루빈을 얻고, 콜레스테롤로부터 담즙산과 담즙염을 합성한다. ( O )

- 간에서 노화된 적혈구를 파괴하여 담즙 색소인 빌리루빈을 생산합니다.

31. 대장은 결장, 맹장, 직장으로 구성된다. ( O )

- 대장의 결장은 NaCl과 물을 재흡수 하는 부위입니다. 대장에 서식하는 장내세균은 비오틴, 엽산, 비타민 K 등을 생산해 인체에

제공합니다.

32. 기저막의 음전하 당단백질로 인해 Na+ 보다 Cl-의 사구체 여과율이 낮게 나타난다. ( X )

- 나트륨 이온과 염소 이온은 모두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기저막의 음전하 당단백질과 상관없이 모두 여과됩니다.

33. 혈장에 존재하는 글리신은 모두 여과액으로 여과된다. ( X )

- 중성 아미노산 글리신은 농도차에 따른 단순 확산으로 여과되므로 혈장에서 여과액으로 전부 여과되지 않습니다.

34. 모세혈관과 보먼주머니 사이에 존재하는 내피세포 막 표면의 음전하가 감소하면 단백뇨가 생성될 수 있다. ( O )

- 단백질의 투과를 제한하는 음전하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단백질 투과가 증가되어 단백뇨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35. 헨레고리 하행지에서 확산을 통해 오직 물만을 재흡수한다. ( O )

36. 알도스테론은 근위세뇨관과 원위세뇨관에서 모두 작용한다. ( X )

- 알도스테론은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서 작용합니다.

37. 헨레고리의 두꺼운 상행지에서 Na+ 이온의 능동수송을 억제하면 오줌량이 증가한다. ( O )

38. 단백질의 농도는 사구체 보다 보우만 주머니에서 낮다. ( O )

- 크기가 큰 단백질이나 음전하를 띤 단백질은 사구체를 통과하기 어려우므로 단백질의 농도는 사구체에서 더 높습니다.

39. 심방성 나트륨 이뇨펩티드(ANP)는 집합관의 NaCl 재흡수를 억제하고, 수입 세동맥을 확장시켜 사구체 여과율을

증가시킨다. ( O )

40. 짠 음식을 먹은 경우 신장의 사구체 여과율은 증가할 것이다. ( O )

- 정상인의 혈장 삼투압이 증가하면 삼투압은 낮춰야 하고 혈액량의 증가는 막아야 합니다. 따라서 심장에서 ANP가 분비되어

신장의 수입소동맥은 이완되고, 신장의 사구체 여과율은 증가합니다.

41. 사구체 옆장치는 방사구체세포, 치밀반으로 구성된다. ( O )

- 방사구체세포는 수입세동맥에 존재하는 변형된 평활근 세포로 레닌을 생산하고 분비합니다.

- 치밀반은 여과액의 NaCl 농도의 감소를 인지하여 수입소동맥을 이완하고, 레닌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42. 방사구체세포는 수입세동맥에 존재하는 변형된 신경세포이다. ( X )

- 변형된 평활근 세포입니다.

43. 치밀반은 레닌을 생산하고 분비한다. ( X )

- 방사구체의 과립세포에서 레닌을 생산하고 분비합니다.

BIOLOGY 2020 293 ©THE BASIC SIMPLICITY


44. 치밀반은 여과액의 NaCl 농도가 감소하면 NO와 프로스타글란딘을 분비하여 수입세동맥을 이완하고 레닌의 분비를

촉진한다. ( O )

45. 알도스테론은 원위세뇨관 상피세포의 세포질 수용체와 결합한다. ( O )

- 지용성 호르몬이므로 세포질 수용체와 결합 후 전사인사로 작용합니다.

46. 근위세뇨관은 타입 A세포와 타입 B세포를 이용해 혈액의 산-염기 평형을 조절한다. ( X )

- 타입 A세포와 타입 B세포는 원위세뇨관에서 혈액의 산-염기 평형을 조절합니다.

47. 내온성 동물은 외온성 동물보다 동화된 총에너지 중에서 성장과 번식에 높은 비율의 에너지를 분배한다. ( X )

- 성장과 번식에 높은 비율의 에너지를 분배하는 것은 외온성 동물입니다.

48. 내온성 동물은 몸 크기의 최소 한계가 있다. ( O )

49. 내온성 동물은 외온성 동물보다 지리적 분포에 제한이 적다. ( O )

50. 갈색지방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는 ATP를 대신하여 열을 생산한다. ( O )

BIOLOGY 2020 294 ©THE BASIC SIMPLICITY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