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7

Team 6조

전기소설
P.01 PPT PRESENTATION

전기소설의 특징과 금오신화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


★★★★★ ★★★★★ 73% ★★★★★ ★★★★★ 73% ★★★★★ ★★★★★ 73%
P.01 PPT PRESENTATION

전기소설
[傳奇]
기이(奇)한 이야기를 전(傳)한다
P.01 PPT PRESENTATION

좁은 의미; 현실의 인간생활을 떠나 천상(天上)·명부(冥府)


·용궁(龍宮) 등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다룬 소설

넓은 의미; 환상적인 세계를 무대로 하여 기이한 사건이


풍부하게 전개되는 소설은 물론이고, 비현실적인
무용담(武勇譚)이나 연애담의 요소를 지닌 소설
P.01 PPT PRESENTATION

전기소설 특징
내용상 특징; 초현실적 애정 서사, 초현실적

명혼 소설
P.01 PPT PRESENTATION

전기소설 특징
인물 및 구성상 특징;

재자가인형 인물
P.01 PPT PRESENTATION

전기소설 특징
인물 및 구성상 특징

<
전기적 인물
P.01 PPT PRESENTATION

전기소설 특징
인물 및 구성 상 특징

+현실 비판적, 다양한 문


장 형태
P.01 PPT PRESENTATION

금오신화 (by 김시습)

•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단편 소설집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취유부벽정기」·「용궁부연록」·「남염부주지」

• “이게 전기소설이다"를 보여주는 소설

Q.금오신화는 이름이 신화인데 왜 소설?


A. 이름만 신화일 뿐 구성이 소설
P.01 PPT PRESENTATION

금오신화
금오신화 내용 「이생규장전」
재자가인형 인물,전기적 인물,명혼소설(초현실적),비극적
‘얼굴이 말끔하고,재주가 비범한 이생이라는 총각이 있었다’, ‘아름답고 수예에 익숙하여
시문의 능통한 최랑이라는 처녀가 살고 있었다.’
“육체는 진흙탕에 찢겼사오나 이승에 다시태어나 남은 인연을 맺어…”
‘이생은 최랑의 뼈를 찾아 묻어주고난 후 하루같이 그리워하다 병을 얻어 죽게되었다.’
P.01 PPT PRESENTATION

금오신화
금오신화 내용 「만복사저포기」
명혼소설(초현실적),비극적
‘양생은약속한 장소에서 기다리던 중 딸의 대상을 치르러 가는 양반집 행차를 만났다.
양생은 자신과 사랑을 나눈 여자가 그집 딸의 혼령임을 알게되었다’
‘양생은 여자를 그리워 하며 다시 장가들지 않고, 지리산으로 들어가 약초를 캐며 지냈다. 그 후로
그의 생사를 아는 사람은 없었다’
P.01 PPT PRESENTATION

금오신화
금오신화 내용 「취유부벽정기」
명혼 소설(초현실적), 비극적인 결말
“저는 기자조선의 왕이었던 준왕의 딸로,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자 자살하려다
단군의 도움으로 천녀가 되었습니다”
‘홍생은 기랑을 그리워 하던중 자신이 상제의 명으로 선관이 되었다는 꿈을 꾸고 이를 기다리다
세상을 떠났다’
P.01 PPT PRESENTATION


금오신화
금오신화 내용 「용궁부연록」
재자가인형 인물 ,현실 비판적 성격을 지님,비극적
‘글솜씨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한생이…’
‘잠에서 깬 한생은 가산을 정리하여 산으로 들어가 버리고 다시는 볼 수 없게 된다’
P.01 PPT PRESENTATION

금오신화
금오신화 내용 「남염부주지」
초현실적, 현실비판적
‘박생은 어느날 저승사자의 인도로 염부주라는 지옥에 가게된다’
“나라를 맡은 이들은 폭력으로 나라를 다스리지 못할 것이며, 덕이 없이 자위를 차지 하지 못한 더라
도 그 명령은 엄한 것 이오…”
P.01 PPT PRESENTATION

전기소설의 특징과 금오신화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


★★★★★ ★★★★★ 73% ★★★★★ ★★★★★ 73% ★★★★★ ★★★★★ 73%
P.01 PPT PRESENTATION

이생규장전(by 김시습)
Who is 김시습??

생육신의 한 사람인 조선 전기의 문인!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인 금오신화의 작가!

이생규장전이란 제목의 의미는?

李生(이생): 이생이라는 주인공을 뜻함


窺 엿볼 규 牆 담 장
>> 이생이 담장 안을 엿보는 이야기
P.01 PPT PRESENTATION

이생규장전 줄거리

개성에 살던 이생이란 젊은이가 글공부를 다니다 하루는 선죽교 근처를 지나면서


귀족 집안의 최씨라는 아름다운 처녀를 발견하고 매혹된 나머지 사랑의 글을 써서
담 너머로 던진다. 그 뒤 그들은 사랑하는 사이가 되었지만 이생 부모의 반대로
시련을 겪게 된다. 최씨 부모의 노력으로 결국 두 사람은 부부가 되고 이생은 과거
에 오른다. 그러나 얼마 안되어 홍건적의 난으로 여인이 도적이 칼에 맞아 죽고 만
다. 그런데 하루는 그 여인이 이생을 찾아와 둘은 다시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3년
이 지난 뒤 어느 날 여인은 아직도 들에 뒹구는 자신의 해골을 거두어 장사지내 줄
것으로 부탁하며 자신의 몸이 환신임을 말하고 이생과 작별한다. 이생은 아내의
말대로 시체를 거두어 장사 지낸 후 그 길로 병이 들어 신음하다가 아내의 뒤를 따
라 세상을 떠나고 만다.
P.01 PPT PRESENTATION

이생규장전 해석

최씨의 환생이 갖는 의미
이생과의 사랑을 다시 성취하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 장치임
죽음도 갈라놓을 수 없는 사랑을 통해 부당한 현실에 대한 저항 의지를 드러냄

담(장)의 상징적 의미
가문의 차이를 나타내는 사회적 관점

이생을 지방으로 보내고, 최 씨는 상사병을 얻는다는 첫번째 이별의 원인:


봉건적 사회 제도
P.01 PPT PRESENTATION

이생규장전의 특징

성격: 전기적, 낭만적, 비극적

특징:
1.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애정소설이다
2.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사랑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명혼 소설이라 부른다.
3. 현실의 제도, 전쟁, 운명과 대결하는 인간의 의지가 드러남.
4. 죽은 여인과 사랑을 이루는 후반부에 전기적 특성이 드러남.
5. 삽입 시를 활용하여 등장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6. ‘만남 – 이별’을 반복하는 구조로 사건이 전개됨.
P.01 PPT PRESENTATION

이생규장전이 전기소설인 이유는?


1
피난에서 돌아온 이생은 죽은 최 씨의 환신을 만난다

>인귀 교환(인간과 죽은 귀신이 서로 사랑하는 것)과 이생과 최씨가 모두 죽은 후 저승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낸 일과 같은 비현실적 상황이 전개

2
경기도 개성 낙타교 밑에, 이생이라는 18세의 총각이 살았다. 얼굴이 말끔하고 재주가 비범하며
학문에 뜻이 있어, 국학에 다닐 때 길가에서도 부지런히 글을 외우곤 하였다. 선죽리에 최랑이라는
귀족 집안의 처녀가 살고 있었는데, 나이는 17세였고, 태도가 아름답고 수예에 익숙하며 시문에
능통하였다. 동네 사람들은 두 사람을 찬미하였다

>재자가인형 인물: 이생은 공부를 잘하고, 최씨는 아름다운 인물로 나옴

*제자가인이란? 재주가 있는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를 일컫는 말


P.01 PPT PRESENTATION

이생규장전이 전기소설인 이유는?


3
경기도 개성 낙타교 밑에, 이생이라는 18세의 총각이 살았다. 얼굴이 말끔하고 재주가 비범하며 학문에
뜻이 있어, 국학에 다닐 때 길가에서도 부지런히 글을 외우곤 하였다.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의 사랑을 다루었다는 비현실적인 명혼소설이다

4
죽은 후에 이생에게 환신으로 돌아온 최씨와 같이 전기적 인물이 등장한다
P.01 PPT PRESENTATION

전기소설의 특징과 금오신화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


★★★★★ ★★★★★ 73% ★★★★★ ★★★★★ 73% ★★★★★ ★★★★★ 73%
P.01 PPT PRESENTATION

만복사저포기
P.01 PPT PRESENTATION

줄거리

R 149
G 168
B 252
양생
P.01 PPT PRESENTATION

줄거리
외롭게 지내던 양생은 만복사에서 배필이 없는 것을 슬퍼했지만 부처님과 사저 놀이를 해서
이긴 후 좋은 배필을 구해 달라는 기도를 올립니다. 잠시 후 아름다운 여인이 나타나 축원문을 꺼내
불상 앞 테이블 위에 올리는데, 그 축원문에는 여인의 원망스러운 사연과 운명적인 인연을 만나게 해달라는
바람이 담겨 있습니다. 양생과 여성은 날이 샐 때까지 술을 마시고 시를 나눕니다.

날이 밝으려고 하자 여성은 양생을 자신이 있는 곳으로 데려가고 둘은 즐거운 시간을 보냅니다.


며칠 뒤 여성은 양생에게 은주발을 주고 재회를 약속합니다. 다음날 양생은 여자가 말한 대로
보련사로 가는 길에 여인의 부모를 만나게 되고, 왜구가 침입하여 난리가 났을 때 여인이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후 양생은 여성과 약속한 시간에 절에서 만난 뒤 헤어지게 됩니다. 이후, 여성은 다른 나라에
서 남성으로 환생하고 이 소식을 들은 양생은 지리산에 들어가 약초를 캐며 행방을 감춥니다.
P.01 PPT PRESENTATION

‘은주발’의 기능

양생-여인
양생-여인의 부모

사건 전개에 필연성을 부여(매개체)


양생과 여인의 혼인 관계를 승낙받기 위한 사물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