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3장 연습문제 풀이 (적당히 풀었음.

3-1
(풀이) 고유진동수   
  
  
   rads

비감쇠 자유진동의 운동방정식     의 해    cos   sin에서

초기 조건   을 적용하여 상수   을 구하면


   cos   sin이 된다.



즉   ⋅ cos   sin    ×  sin m

3-2
(풀이)

운동방정식  ↓:    로부터
     (   
  
   rads   Hz)
 

운동방정식의 해    cos     sin 


    sin      cos  
     

초기조건    cm,    을 대입하여      을 얻는다.


따라서    cos 
(답) 1.95 Hz,    cos 
3-3
(풀이) 물탱크를 점하중이며, 기둥의 단면이 균일하다고 가정하고, 물탱크와 기둥을
일자도계의 외팔보로 볼 수 있다.
   
(a) 기둥의 스프링 상수는      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면적관성모멘트  는
 
 
                 m
 
이므로 등가강성은

- 1 -
   ⋅ ×⋅
     Nm
 
이다. 따라서 물탱크의 고유진동수와 주기는 각각 다음과 같다.
 
    


  rads

  
         s
  

(b) 식 (3.15)에 초기변위    m, 초기속도  를 대입하여 운동방정식의 해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tan    tan    
 

따라서 해는 다음과 같다.


   cos      cos m

(c) 속도식 (3.19)와 가속도식 (3.20)으로부터 속도의 최대값과 가속도의 최대값을 각


각 구하면
max     ⋅   ms

max     ⋅   ms


3-4

(풀이) (a) 막대의 질량중심에서의 질량관성모멘트  ,    



막대의 한 끝을 중심으로 질량관성모멘트  ,      
      이다

.


회전중심 O에 대한 모멘트 식에서    sin   


 ≅,      

 
따라서 고유진동수   


이며 , 주기    


이다 .


(b) 단진자의 주기     


에서    

3-5

(a) (풀이) 단진자의 주기     



에서


    


, 즉,    m

- 2 -

(b) (풀이) 막대 단자의 주기    


에서


    

⋅
, 즉    m

3-6
(풀이)   
  
   rads,   
  
⋅⋅  이다.

  
   에서   
     rads

 
따라서        Hz
 
3-7

(풀이)   
   에서   
  

  
  
따라서   
3-8

(풀이)   
   에서   
     

3-9

(풀이)   
   ⋅⋅ ×   N sm

3-10
(풀이)   
 에서
  
⋅⋅ , 즉 c=202 Ns/m

3-11

(풀이)   
   에서

  
   , 따라서    rads

  
변위식   
  

 cos    sin  에서
 

   ⋅⋅
   ⋅   cos   sin
 
    cos   sin m
3-12

(풀이)   
   에서

- 3 -
  
   , 따라서    rads

  
변위식   
  
 
 cos    sin  에서


   ⋅⋅
   ⋅  ⋅ cos    sin
 
    sin m
3-13
 
(풀이) 대수감소율    에서

  
 ⋅
   

  
3-14

(풀이) 감쇠비    에서

  

 
 
  
3-15
(풀이)   
  
   rads

 
    에서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3-16

   
(풀이) 대수 감소율    ln  에서    ln   
     

 
따라서 감쇠비   
   

     

주기         s

감쇠 고유진동수         rads
 
비감쇠 고유진동수            rads

- 4 -
3-17
(풀이) 그림에서 2 주기 후 1/4로 감소됨을 알았다.
  
대수감소율    ln  에서    ln  
    

 
따라서 감쇠비   
   

     
감쇠주기는 1 초이므로 감쇠 고유진동수         rads
 
비감쇠 고유진동수            rads

따라서 스프링     ⋅   Nm

감쇠   
   
⋅⋅   N sm

MATLAB 연습문제 풀이는 추후 공개여부 검토...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