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제3장 저항회로

3-1
(a) 1메시, 2노드 (b) 2메시, 4노드 (c) 3메시, 4노드

3-2
(a)     [V]일 때,

그림으로부터,                   = 6+(-3)+1+4= 8[V],


          = 6+(-3)= 3[V], 또한               =
6+(-3)+1=4[V],                      =6+(-3)+1+4+(-8)=0[V].
(b)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나머지는 모름.
3-3

위의 그림에서
(a) 노드 A에서 KCL에 의하여,        , 그러므로     
또한, 노드 C에서         이므로, 위의 결과를 대입하여,
      그러므로      , 또한 노드 B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b) 만약     라면,      이고,      이다. 그러므로, 노드 C에서,
KCL에 의하여,           이므로,     , 또한, 노드 D에서,
        이 된다.

3-4
 × 
5, 9, 1  저항을 더하고 10 저항을 병렬로 하면,  = 6 .
  
 × 
다시, 이 6 저항과 4, 2 저항을 더하고 4 저항과 병렬로 연결하면,  = 3 
  
그러므로, 최종         

3-5

위의 그림에서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따라서 전체


 
전류        이 된다. 그러므로 구하려고 하는   는 전류분배 법칙에 따라,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           

3-6
 
     로 주어졌으므로,         , 이때   이 3+2=5 에 흐르고, 역시   도
 
5 저항에 흐르므로,      이 되고 따라서,                가 된다. 또한,
 를 찾기위해서, 전체 저항   을 찾으면,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3-7

회로로부터, 4 에 흐르는 전류  와 3 , 5 에 흐르는 전류      의 관계를 표시하면,


              이 되고, 또한      는 같은 저항값에 흐르므로      가 된다. 즉,
       . 여기에 옴의 법칙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에   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이 되고, 결국,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3-8

회로를 수정하여 전류분배법칙을 적용하면,


   
  이 되고,    를 대입하여 R 에 대한 수식으로 정리하면,
       
   
  이 되어 결국,       이 된다.
      

3-9
 
옴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 된다. 또한 30 에 흐르는 전류         따라서, 노드
  
  
d 에서의 전류는,                 이다.
  
또한,         와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가 되고, 15 에 흐르
   
는 전류         이므로, 노드 b에서의 전류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  
   
이때,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가 된
   
  
다. 이제 먼저 얻은 결과인         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결국,       으로 부터                의 관계를 얻는다,
    

3-10
회로의 가장 가장자리 루프에 대한 KVL를 적용하면,

(전압강하분의 합)=(전압상승분의 합) 즉,                  이 되므로,


    가 된다.

3-11

위의 회로에서 메쉬전류         에 대한 수식을 찾으면, 문제로부터      이 되고,


메쉬 3에서 KVL :               이 되고, 이 수식에       을 대입하면,
 
    이 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3-12
 × 
(a)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c)     ×    
   

3-13
              에 의한 5개의 연립방정식을 세우면, 먼저, KCL에 의하여

노드 A에서,         , 노드 B에서,     , 노드 C에서     
   
KVL에 의하여, 루프       에서,       , 루프
         에서,             이 되고, 이들로부터,
  
   ,     ,     가 되고, 에 흐르는 전류     가 된다. 즉, 전
  
체 회로에 흐르는 전류 I= 61/5 [A] 이다.

3-14
(a) 회로에 흐르는 전류 I를 시계방향으로 정의하고, 이를 구하기 위한 KVL 식을 구하면,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소자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은 p=vi 이므로,
  전 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 원       ,          

3-15
(a) 2개의 노드 중, 아래 노드를 접지하고, 위 노드의 노드전압 v 에 대한 KCL식을 쓰면,
 ×   
          ×    이 되고, 이로부터,      , 옴의 법칙을
 ×   
전도값으로 표현한     로부터,  저항에 대하여 전류를 구하면,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에 대하여
     
(b) 각 소자에서 소비하는 전력은 p=vi 로부터,
         ,   전 원       ,
        ,  전 원       ,
       

3-16

전류 분배법칙에 의하여, 과   에 흐르는 전류는 같고, 각각  가 흐른다.

 
그러므로, 에 흐르는 전류는      가 되고, 걸리는 전압은
 

           , 전력은           가 된다.

3-17
전력은 에너지를 미분한 값이므로, 0.1A전원에서의 전력은,
     
        이 되고, 또한 p=vi 로부터, 전압        ,
  분 × 초   
즉, 0.1A 전원에 걸리는 전압은 40V 이므로, 위의 노드에서의 KCL식

         으로부터, 임의의 전류 전원 값     가 된다.


3-18

     


회로를 다시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다시 직렬 저항을 합하여 회로를 구성하면,

하나의 메쉬로부터 KVL :        , 그러므로,       을 얻는다. 따라서,

가운데 있는 10 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             이 된다.
또한,            가 되고, 따라서 회로에서 50 에 흐르는 전류는
 
         가 된다,
 

  
위의 회로로부터, 우측의 10 에 흐르는 전류         가 되고, 결국,
   
10 에서 소비하는 전력            이 된다.

3-19

KVL을 적용하면, (전압전원들의 합)=(전압강하분의 합) 즉,             


이때, 100 에 걸리는 전압은 100i 가 되므로   대신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가 된다.

(a) 따라서, 100 저항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은             
(b) 300V 전원에 의하여서는 생산되는 전력이므로, 소비되는 전력은 음수값을 가진다.
즉,          을 소비한다.
(c) 마찬가지로 종속 전원 역시 음수값의 전력을 소비함으로,
        , 이때,           이므로, 대입하면,
         을 소비한다.

3-20
(a) 위의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얻은 회로에서,          , 그러므로
전류전원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력은         가 되고,
  
(b) 900 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은         이다,
 

3-21[도전문제]
비선형저항의 전류와 전압의 값은 아래의 5V 전압과 2 저항의 직렬회로에 흐르는 전류
와 전압과 같으므로, 이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     가 되고, 이 것을 iv 곡선상
에 그리면,

그러므로,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  는 원래의 비선형소자의 iv 곡선과 이 직선과 만나는


점에서만 가능한 값을 가진다.

 
즉, 3개의 포인트,        의 값이 가능하다.
 

3-22[도전문제]

노드1에서, KCL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즉,       
위의 메쉬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따라서, 종속전원에서 발생하는 전력은       ×  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