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이중언어학 제83호(2021.6.30).

二重言語學會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1)

노 정 은⋅이 인 혜⋅최 윤 정⋅곽 혜 윤⋅김 지 예**

Abstract

Jung-eun Noh Inhye Lee Yunjung Choi Hyeyoon Kwark Jiyea Kim. 2021. 6.
30. Analysis on the Manage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t the King Sejong
Institute. Bilingual Research 83, 39-64. The present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faculty management at the King Sejong Institute through an analysis of the data
of the past three years. The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1) the total number of
Korean teachers has increased over the past three years; 2) the number of dispatch
teachers has also increased, especially at the lowest level, and 3) the number of
locally hired teachers also increased; however, the ratio of the experienced teachers
and the teachers holding Korean language teachers’ certificates remained largely
unchanged. In the light of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as ways
to improve faculty management at the King Sejong Institute: 1) a clear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should be provided through job analysis, 2) the current faculty
rank system should be subdivided and teacher education should be redesigned in
accordance to the system, and 3)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education
for locally hired teachers. (Hansung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Harvard University Korea University)

【Key words】 King Sejong Institute(세종학당), Korean language teachers(한국어


교사), Dispatch Korean teacher(파견 교원), Locally hired teachers
(현지 교원), Faculty management(교원 운영)

* 이 논문은 2020년도 세종학당재단의 연구 용역으로 수행된 <세종학당 교원 중장기


재교육 체계 개발 연구>의 일부임을 밝힌다.
** 노정은: 제1저자, 이인혜: 교신저자, 최윤정: 참여저자, 곽혜윤: 참여저자, 김지예:
참여저자
40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1. 서론

본고는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종학당 교원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종학당은 국외 한국어교육과 한국 문화 보급에 앞장서며 외국인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 오고 있다. 세종학당
은 매년 그 개소수를 확장해 나가면서 한국어교육의 지평을 넓히는 데에
도 기여하였다. 2007년 몽골에서의 세종학당 설립을 첫 시작으로 2020년
에는 76개국 213개소에서 세종학당이 운영되었는데, 이러한 사실은 세종
학당이 해외 한국어교육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임을 보여 준다.
한국어 학습자 수의 증가는 세종학당의 개소수 확장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으며, 세종학당의 양적, 질적 성장으로 인해 세종학당은 보다
전문성을 갖춘 교원이 필요하게 되었다.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수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파견 교원과 현지
채용 교원의 수가 모두 증가하였는데, 파견 교원, 현지 교원은 그 특성과
역량이 서로 상이한 점이 있다. 또한 한국어 교원의 경력 역시 경력이 적
은 교원에서부터 경력이 많은 교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
어, 교원 간의 특성 및 역량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세종학당 교육과
정 운영의 안정화는 교원의 전문성에서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원
운영 현황과 그 특징을 살펴보고 전문성 신장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3년간의 자료를 바탕으로 세종학당 교원 운영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서 대륙별 교원의 분포 변화, 파견 교원의 비율 변화, 파
견 교원의 자격증 급수 변화, 현지 교원의 비율 변화, 현지 교원의 자격증
소지 비율 변화 등을 분석하여 세종학당 교원의 운영 현황을 종적, 횡적으
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자료는 추후 교원
운영 방향 및 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도 기여하게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41

될 것이다.

2. 세종학당 및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의 운영

2.1. 세종학당 운영

세종학당 사업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


로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널리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2007년 몽골 울란바토르 세종학당을 시작으로 3개국 13개소가 개설되었
으며, 2008년에는 4개국 14개소, 2009년 6개국 17개소, 2010년 13개국 23
개소, 2011년 31개국 60개소로 증가하였고, 2012년에는 43개국 90개소로
증가하였다. 이후 국어기본법 개정안을 바탕으로 국외 한국어교육과 한국
문화 보급 사업 총괄을 위해 세종학당재단이 출범하였다.1) 출범 이후
2015년에 54개국 138개소, 2016년 58개국 174개소, 2017년에는 54개국
171개소가 운영되었다. 2020년 6월 기준으로 세종학당은 아시아에 24개
국 114개소, 유럽에 26개국 53개소, 아메리카 14개국 32개소, 아프리카
10개국 10개소, 오세아니아 2개국 4개소로 76개국에서 213개소가 운영되
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학습자들이 특
정 지역에만 몰려 있는 것이 아니라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으며, 세종학당을 통한 한국어교육이 전 대륙에 걸쳐 시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많은 세종학당이 개설된 대륙은 아시아이며 국가별로는 중
국이 28개소, 일본이 17개소, 베트남이 15개소 순으로 세종학당 수가 많

1) 국어기본법 제19조의2 제1항은 다음과 같다.


‘국가는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서의 국어 보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세종
학당재단(이하 “재단”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42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다. 유럽은 러시아가 11개소로 가장 많으며 아메리카는 미국이 12개소로


가장 많은 세종학당이 분포하고 있다. 아프리카는 이집트, 나이지리아 등
10개국에 각각 1개소의 세종학당이 있으며 오세아니아는 호주에 3개소,
뉴질랜드에 1개소가 개설되어 있다.
세종학당은 운영 유형에 따라 <표 1>과 같이 독립형, 연계형, 협업형,
거점 세종학당으로 구분된다. 세종학당의 유형에 따라 운영 방식의 차이
를 보이므로 파견 교원 및 현지 채용 교원 현황은 운영 유형에 따라 차이
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표 1> 세종학당 운영 유형 및 운영 방식(세종학당재단, 2020:7)

유형 정의 운영방식
세종학당을 현지운영기관이 단독으 현지운영기관이 지원금을 교부받
독립형
로 운영하는 유형의 세종학당 아 직접 운영 정산
현지운영기관과 국내운영기관이
일반 현지운영기관과 국내운영기관이 기
협력해 공동으로 세종학당을 운영
연계형 관 간 업무 협약 체결을 통해 공동으
하되, 국내운영기관이 재단의 지원
로 운영하는 유형의 세종학당
금을 교부받아 관리 및 정산
공간, 인력을 보유한 기관과 재단이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운영하는 유 재단에서 교육적인 부분을 지원받
형의 세종학당 아 운영 및 결과 보고
협업형
※협약의 주체: 지방자치단체, 재외 ※재단이 지원금을 교부하지 않는
공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것을 원칙으로 함
에 따른 공공기관, 기업, 공익법인
재단이 타 세종학당에 모범이 될 수
있는 표준을 정립하고 운영 사례를
거점 재단에서 직접 운영
확산하기 위해 직접 설치하거나 지
정해 운영하는 세종학당

세종학당은 국외 한국어교육을 통한 한국 문화의 확산,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의 교류를 통한 국가 간 협력 확대, 국제적인 언어, 문화 교류 확
대를 통한 언어와 문화의 다양한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에 다양한 유형의 세종학당을 운영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보급하고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43

있다. 다음 절에서는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원이 어떠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2.2.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세종학당 사업이 시작된 이후 세종학당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지금까지 세종학당 교육과정 및 평가(강현화, 2011; 김지혜 외,
2018; 김현진 외, 2018; 이준호 외, 2018; 김정숙 외, 2019; 이정희 외,
2019; 장소원 외, 2019), 교재 개발(김정숙 외, 2011; 이해영 외, 2011; 김
정숙, 2014; 김현진 외, 2018), 교수 방안(이승연 외, 2015; 윤영・신유진,
2020), 정책(변지영・정헌주, 2018; 성혜진, 2019), 국가별 세종학당 운영
(김재욱, 2013; 이관식, 2016; Tran Thi Huong・이윤진, 2017) 연구 등이
진행된 바 있다.
세종학당 교원 운영에 관한 연구로는 방성원 외(2015), 방성원 외
(2017), 최윤정(2017)이 있다. 방성원 외(2015)에서는 세종학당 한국어 교
원의 재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재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로 세종학당 교원의 체계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성원 외
(2017)에서는 2016년에 운영된 7개 지역의 12개 세종학당을 선정하여 교
원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파견 교원과 현지 교원의 비율 및 채용 조건
등을 분석하여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최윤정(2017)에서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의 파견 교원 수가 5.5배
확대되었음을 밝히고, 현지에서 필요로 하는 수요자 중심의 탄력적 파견,
유관기관별 파견 사업의 효율성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에
서는 파견 교원 수의 증가에 대해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있으나 현지
교원에 대한 논의는 제외되어 있어 파견 교원과 현지 교원의 운영 현황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기는 어렵다. 세종학당재단이 파견 교원과 현지 교원으
로 이원화하여 교원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파견 교원 운영 및 현지 교원
44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운영에 대해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세종학당의 구성원은 학당장, 한국어 교원, 운영요원으로 구분할 수 있
다. 학당장은 운영 신청기관을 대표할 수 있는 직위에 있으며 실질적으로
세종학당 운영을 총괄・관리한다. 운영요원은 현지 관련 법률에 따라 근로
활동이 가능한 자로서 학당장의 관리・감독 아래 학당 운영 실무를 수행한
다(세종학당재단, 2020:6). 한국어 교원은 세종학당재단에서 현지로 파견
하는 파견 교원과 현지 교원으로 구분된다.
파견 교원은 세종학당 한국어교육 관리 및 교육과정 운영 안정화를 도
우며 세종학당 한국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및 학당 행정
업무 지원, 권역 내 세종학당 교원 재교육 등을 담당한다. 파견 교원은 세
종학당재단에서 직접 선발하여 2년간 계약을 체결하여 파견한다. 이는 한
국어 교원 자격증을 소지하고 교육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파견함으로써
세종학당의 한국어교육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현지 교원의 역량 강
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세종학당재단에서는 2012년에 한국어 교원
인턴 파견 사업으로 20명을 파견한 것을 계기로 국외 한국어 교원 파견
사업을 2013년부터 시행하였으며 2019년에는 140명을 40개국 83개소 학
당에 파견하여 지난 7년간 약 7배로 파견 규모가 확대되었다(장미경・최윤
정, 2021:215-216).2) 또한 2016년부터는 무기 계약직 파견 교원을 선발하
여 한국어 수업 외에도 세종학당 운영 및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로
활용하고 있다(장미경・최윤정, 2021:216).
파견 교원은 한국어 교원 자격증 및 교육 경력에 따라 ‘가’, ‘나’, ‘다’,
‘라’급으로 구분하여 선발한다. 급별 선발 자격은 아래와 같다.

2) 성혜진(2019:233)에서는 2015년~2017년 3년간 세종학당 파견 교원 수를 제시하면서


(50명, 90명, 119명), 세종학당이 파견 교원의 수를 늘림으로써 강의의 질을 강화하
는 데 역점을 두었으나, 교원 1명당 수강생 수는 2015년 866명, 2016년 550명, 2017
년 472명으로 여전히 교원 수가 부족함을 지적하고 있다.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45

<표 2> 파견 교원 선발 자격(세종학당재단, 2021)

선발 자격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사람
- 국외에서 한국어 교원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심신이 건강한 사람
- 국외 파견에 결격 사유가 없는 사람
- 남자의 경우 선발 공고일 당시 군복무를 필했거나 면제된 사람
- 「국어기본법」에 따라 한국어 교원 3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 다음의 선발 자격 조건에 모두 해당하는 자
가급 나급 다급 라급
한국어 교원 자격증 소지 한국어 교원 자격증 한국어 교원 자격증 한국어 교원 자
자(2급 이상) 소지자(2급 이상) 소지자(3급 이상) 격증 소지자(3
관련 전공 (한국어교육학, 경력 3년 (1,200시간) 경력 1년 (400시간) 급 이상)
국어교육학, 국어학, 언어 이상~8년(3,200시 이상~3년(1,200시 한국어교육 경
학)석사 학위 이상 간) 미만 간) 미만 력 1년(400시
경력 8년(3,200시간) 이상 간) 미만

현지 교원은 파견 교원과 달리 한국어 교원 자격이나 경력에 따른 교원


유형 분류나 담당 업무 등에 대한 구체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각 학당에서 세종학당 교원 자격 요건 충족 기준에 맞는 교원을 현지 사정
을 고려하여 채용한다. 현지 교원의 채용은 주로 공개 채용 방식이며 대부
분 아래와 같은 세종학당재단 운영 규정에 따라 채용한다.3)

전체 교원의 100%가 다음 각 요건 중 1가지 이상 충족


①한국어 교원 자격증 소지자 (국어기본법 제19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3~14조,
문화체육관광부 고시[한국어 교원 자격심사위원회, 한국어 교원 자격 심사 신
청 및 한국어 교원 자격증 발급 규정]에 의거)
②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이수자 (국어기본법 시행령 [별표 1]에 의거)
③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로 한국어교육 경력이 최소 1년 이상인 자
(한국어교육 경력이 인정되는 기관 또는 단체는 국어기본법 시행령에 의거)

3) 세종학당재단 홈페이지
(https://www.ksif.or.kr/com/cmm/EgovContentView.do?menuNo=20101910)
46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그러나 이러한 교원의 자격 요건을 갖춘 현지 교원이 없거나 현지인과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교원 선발이 필요한 지역의 경우 세종학당재
단의 운영 규정 외 별도 자격 기준을 요구하기도 한다(방성원 외, 2017:52).
일례로 Tran Thi Huong・이윤진(2017:240)에서는 하노이2 세종학당의 현지
교원은 하노이 국립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의 교원 중 경험이 풍부하고
학습자들의 선호가 높은 사람을 우선 선발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세종학당 운영에 있어 한국어 교원 운영은 세종학당 한국어교육의 질과
직결된다. 파견 교원을 통한 한국어교육의 질 향상뿐 아니라, 우수한 현지
교원의 채용을 통해 학당 운영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해야 할 시점이다. 또
한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재교육으로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세종학당의 파견 교원과 현지 교원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이러한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운영의 방향을 모색
해 보고자 한다.

3. 교원 운영 현황 분석

본 장에서는 최근 3년간의 자료를 분석하여 세종학당의 교원 운영 현황


을 횡적, 종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세종학당 교원 운영 현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선점을 도출하여, 교원 재교육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3.1. 전체 교원 운영 현황

세종학당 교원 수는 최근 3년간 꾸준한 양적 성장세를 보이며, 2020년


6월을 기준으로 146개소에 총 711명의 교원이 근무하고 있다.4) <표 3>을

4) 이는 2020년 6월 기준으로 전체 세종학당 수는 213개소이나 교육원과 문화원 세종학


당, 일부 미운영 세종학당은 제외한 수치임을 밝힌다.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47

통해 최근 3년간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전체 교원 수는 2018년 539명,


2019년 668명, 2020년 711명으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파견 교원의 수 역시
연도별로 각각 125명, 140명, 159명으로 증가하였으며, 현지 교원의 수는
각각 414명, 528명, 552명으로 늘어났다. 교원 수의 증가는 세종학당의 양적
성장을 보여 주는 객관적 지표이다. 이러한 종적인 변화를 고려할 때, 세종학
당 교원 수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전체 교원 수는 대륙별로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아시아는 2018년에
360명, 2019년에 438명, 2020년에 467명으로 전체 교원 수가 증가하였다.
유럽은 3년간 각각 111명, 129명, 136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아메리카는 3
년간 57명, 85명, 91명으로 증가하였다. 오세아니아도 2명, 3명, 4명으로
전체 교원의 수가 조금씩 증가하였다. 교원의 수가 많은 아시아, 유럽, 아
메리카에서는 대부분 파견 교원 비율은 20%대인 반면 현지 교원 비율은
70%~80%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전체 교원 대비 현지 교원의 비
율이 높아졌다는 결과는 파견 교원뿐 아니라 현지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
원 운영 및 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표 3> 대륙별 세종학당 교원의 수(2018년~2020년)


연도 2018년 2019년 2020년
파견 현지 총 파견 현지 총 파견 현지 총
교 교 교
채용 유형 수 비율 수 비율
원 수 비율 수 비율 원 수 비율 수 비율 원
(명) (%) (명) (%) (명) (명) (%) (명) (%) (명) (명) (%) (명) (%) (명)

아시아 85 23.6 275 76.4 360 92 21.0 346 79.0 438 104 22.3 363 77.7 467
유럽 22 19.8 89 80.2 111 28 21.7 101 78.3 129 28 20.6 108 79.4 136
아메리카 16 28.1 41 71.9 57 17 20.0 68 80.0 85 22 24.2 69 75.8 91
아프리카 1 11.1 8 88.9 9 2 15.4 11 84.6 13 4 30.8 9 69.2 13
오세아니아 1 50.0 1 50.0 2 1 33.3 2 66.7 3 1 25.0 3 75.0 4
합계 125 23.2 414 76.8 539 140 21.0 528 79.0 668 159 22.4 552 77.6 711
2020년 6월 기준
48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다음으로 교원 운영의 질적인 양상을 파악하고자, 교원 1인당 학생 수


를 분석하였다.5) <표 4>를 통해 2019년 말 기준으로 세종학당 전체 교원
1인당 학생 수를 살펴보면, 총 144개소 708명의 교원이 연간 72,713명의
학생을 담당하여,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평균 약 103명인 것으로 나타났
다.6) 대륙별로 살펴보면 오세아니아의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약 225명으
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럽이 약 120명, 아메리카가 약 105명, 아시아 98
명, 아프리카가 약 57명 순으로 나타났다.

<표 4> 대륙별 세종학당 교원 1인당 학생 수

지역 수강생 수 (명) 교원 수 (명) 교원 1인당 학생 수 (명)


아시아 45,465 464 98.0
유럽 16,970 142 119.5
아메리카 8,689 83 104.7
아프리카 913 16 57.1
오세아니아 676 3 225.3
합계 72,713 708 102.7
2019년 12월 기준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 수업 운영이나 학생 관리에


대한 교사의 업무 부담이 커질 수 있다. 현재 전반적으로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많은 편이므로 교원 인력 충원이 필요해 보이며, 세종학당의 교원 1
인당 적정 학생 수에 대한 연구도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뿐만 아
니라,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많은 학당의 경우, 강의 이외의 업무에 대한
교원의 부담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강의 외 업무를 조정하고

5)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교원 운영의 질적인 양상을 모두 보여 줄 수 있는 것은 아니나,


교원당 학생 수가 교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6) 교원 1인당 학생 수 현황은 교원 수가 확인되지 않았거나 2019년 수강생이 0명인
학당은 제외하고 산출한 수치이다. 또한 이 자료는 2019년 말을 기준으로 하여, 2020
년 6월 교원 수와는 차이를 보임을 밝힌다.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49

관리할 수 있는 책임급 교원의 역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지


교원의 경우 파견 교원과 달리 자격에 따른 교원 유형 분류나 담당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교원이 수
행해야 할 직무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2. 파견 교원 운영 현황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세종학당의 파견 교원 수는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 9월을 기준으로 180명의 교원이 근무하였다.7) 2018년
부터 2020년까지 3년간 대륙별 파견 교원 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표
5>와 같이 오세아니아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파견 교원의 수가 꾸
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대륙별 전체 교원 대비 파견 교원의 비율(2018년~2020년)

2018년 2019년 2020년


지역 파견교원(명) 비율(%) 파견교원(명) 비율(%) 파견교원(명) 비율(%)
아시아 85 20.8 92 21.2 115 25.0
유럽 22 18.8 28 20.5 37 25.7
아메리카 16 24.2 17 20.2 22 23.8
아프리카 1 9.1 2 15.4 5 33.3
오세아니아 1 50.0 1 33.3 1 25.0
합계 125 20.7 140 20.9 180 25.2
2020년 9월 기준

7) <표 3>에서는 2020년 파견 교원의 수를 159명으로 제시하고 있다(2020년 6월 기준).


파견 교원은 상반기, 하반기로 나뉘어 파견이 되며 159명은 상반기 파견 교원의 수치
이다. <표 5>에서는 파견 교원의 수가 180명으로 되어 있는데(2020년 9월 기준),
이는 하반기 파견 교원 21명이 추가된 수치임을 밝힌다.
50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전체 교원 중 파견 교원의 비율은 대륙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표 5>를


보면, 아시아 지역의 파견 교원 비율은 2018년에 20.8%(85명), 2019년에
21.2%(92명), 2020년에 25.0%(115명)로 증가하였다. 유럽 역시 2018년
18.8%(22명), 2019년 20.5%(28명), 25.7%(37명)로 증가하였다. 아메리카
는 2019년에는 20.2%까지 파견 교원의 비율이 떨어졌으나, 2020년에는
23.8%로 증가하였다. 교원 수가 적은 아프리카의 경우, 파견 교원의 비율은
2018년 9.1%에서 2020년 33.3%로 세 배 가량 증가하였다. 오세아니아는
3년간 파견 교원의 수가 1명으로 동일했으나, 현지 교원 수의 증가로 인해
파견 교원의 비율이 50%에서 25%로 감소했다. 이를 통해 교원 수가 적은
대륙은 그 비율의 증감이 크나, 교원 수가 많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대륙의 경우 파견 교원의 비율은 대체로 20%~25%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파견 교원은 자격 조건과 담당 직무에 따라 ‘가’급, ‘나’급, ‘다’급, ‘라’
급으로 구분된다. 이에 파견 교원의 운영 현황 변화를 세부적으로 파악하
고자 등급 및 자격증 유형에 따른 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표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파견 교원 수는 2019년과 2020년 2년간 ‘가’급은 10명
에서 17명, ‘나’급은 57명에서 61명, ‘다’급은 49명에서 50명, ‘라’급 22명
에서 52명으로 증가하여, 모든 급의 파견 교원의 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라’급 교원의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급의 파
견 교원의 수는 증가하였으나 전체 파견 교원 수 대비 급별 비율을 살펴보
면 그 증감의 정도가 다르다. 2019년과 2020년 사이 전체 파견 교원 중
‘가’급 교원의 비율은 7.2%에서 9.4%로 약간 증가하였고 ‘나’급은 41.3%
에서 33.9%로, ‘다’급은 35.5%에서 27.7%로 감소하였다. 반면 ‘라’급 교
원의 비율이 15.9%에서 28.9%로 크게 늘어났다.
<표 6>을 보면, 대륙별로도 ‘라’급 파견이 증가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아시아는 ‘라’급 교원이 15명에서 33명으로, 유럽은 2명에서 8명으로, 아
메리카는 4명에서 10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51

<표 6> 대륙별 파견 교원의 등급(2019년~2020년)


단위: 명(%)
19년 20년 19년 20년 19년 20년 19년 20년
지역
가급 가급 나급 나급 다급 다급 라급 라급
6 10 39 39 32 33 15 33
아시아
(60.0) (58.8) (68.4) (63.9) (65.3) (66.0) (68.2) (63.5)
2 5 12 13 10 11 2 8
유럽
(20.0) (29.4) (21.1) (21.2) (20.4) (22.0) (9.1) (15.4)
2 2 6 6 5 4 4 10
아메리카
(20.0) (11.8) (10.5) (9.8) (10.2) (8.0) (18.2) (19.2)
0 0 0 3 2 2 0 0
아프리카
(0.0) (0.0) (0.0) (4.9) (4.) (4.0) (0.0) (0.0)
0 0 0 0 0 0 1 1
오세아니아
(0.0) (0.0) (0.0) (0.0) (0.0%) (0.0) (4.5) (1.9)
10 17 57 61 49 50 22 52
합계
(7.2) (9.4) (41.3) (33.9) (35.5) (27.7) (15.9) (28.9)
2020년 9월 기준

이러한 ‘라’급 교원 수의 증가는 세종학당의 양적 성장과 함께 강의 인


력에 대한 수요 역시 늘어난 결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라’급 교원의 자
격 요건은 한국어교육 경력 1년(400시간) 미만으로, 교육 경력이 상대적
으로 적은 편이기 때문에 세종학당 진입 초기에 ‘라’급의 신입 교사를 중
심으로 강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원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표 6>을 통해 대륙별 파견 교원의 등급을 살펴보면, 모든 급에서 전체
파견 교원의 약 60%가 아시아 지역에 파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럽
은 모든 급에서 파견 교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반면 아메리카의 경우,
다른 급의 교원 비율은 2019년과 2020년이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가’급
교원의 비율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아프리카 및 오세아니아는 2년 동안
모든 급의 파견 비율이 매우 낮았는데, 두 대륙 모두 ‘가’급 파견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이를 통해 교육 자료 개발이나 교원 재교육 등의 업무를 수
행할 수 있는 ‘가’급 인력이 특정 대륙에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해당 인력이 부족한 대륙의 경우, 현지 교원의 전문
52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성 강화를 통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원 자격별 파견 교원의 수는 <표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19년과 2020년 모두 2급 자격 보유자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1급, 3급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전체 파견 교원 중 1급 자격 소지자는 2019년 22명
에서 2020년 30명으로 증가하였고 2급은 105명에서 134명으로 증가하였
다. 3급 역시 11명에서 16명으로 증가하여 2019년과 2020년 사이에 모든
급의 자격 보유자 수가 증가하였다.
대륙별로는 아시아와 아메리카 지역에서 1급 및 3급 자격 보유자의 비
율이 증가하였으며,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2급 보유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한국어 교원 자격을 보유한 교원이 증가하고 있
다는 것은 긍정적인 현상이며, 파견 교원의 수가 적은 아프리카 대륙에 2
급 교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앞서 아프리카와 오세
아니아 지역에 ‘가’급 교원이 파견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바 있는데, 1급을
보유한 ‘가’급 교원이 파견되지 못할 경우 2급을 보유한 ‘나’급 교원이 현
지 교원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 자료 개발 및 교원 교육 등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원 교육 역시 필요할 것이다.

<표 7> 대륙별 파견 교원의 한국어 교원 자격증 등급(2019년~2020년)


단위: 명(%)
19년 20년 19년 20년 19년 20년
지역
1급 보유 1급 보유 2급 보유 2급 보유 3급 보유 3급 보유
아시아 12(54.5) 17(56.7) 73(68.6) 86(64.1) 7(63.6) 12(75.0)
유럽 8(36.4) 8(26.7) 15(14.3) 27(20.1) 3(27.3) 2(12.5)
아메리카 2(9.1) 5(16.7) 14(13.3) 15(11.2) 1(9.1) 2(12.5)
아프리카 0(0.0) 0(0.0) 2(1.9) 5(3.7) 0(0.0) 0(0.0)
오세아니아 0(0.0) 0(0.0) 1(0.9) 1(0.7) 0(0.0) 0(0.0)
22 30 105 134 11 16
합계
(15.9) (16.7) (76.1) (74.4) (8.0) (8.8)
2020년 9월 기준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53

3.3. 현지 교원 운영 현황

시간 강사의 형태로 세종학당에 고용되는 현지 교원의 전체 수는 2018


년~2020년 사이에 꾸준히 증가하였다. <표 8>을 보면 현지 교원의 수는
2018년에 414명, 2019년에는 528명으로, 2020년에는 552명으로 크게 증가
하였다.8) 전체 교원 중 현지 교원의 비율도 2018년에는 66.8%였으나 2019
년과 2020년에 각각 79.0%, 77.6%로 증가하였다. 특히, 2018년과 2019년
사이에는 아메리카 지역과 아시아 지역의 전체 교원 대비 현지 교원 비율
변화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메리카는 2018년 62.1%(41명)에서
80.0%(68명)으로 현지 교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아시아는 66.7%(275명)
에서 79.0%(346명)로 증가하였다. 또한 2020년의 현지 교원 비율을 보면,
유럽은 전체 교원의 79.4%가 현지 교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시아 지역
은 77.7%,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도 각각 75.8%, 75.0%로 현지 교원의
비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세종학당이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질적으로
도 꾸준히 성장하기 위해서는 현지 교원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전문성 강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세종학당 학생들이 현지 교원을
통해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학습하는 경우가 더 많으므로, 현지 교원의
다중언어 및 상호문화적 장점을 활용하는 교원 교육 방안이 마련될 필요

8) <표 8>의 현지 교원이 비율은 2020년 6월 기준의 자료를 통해 보여 주고 있다. <표


5>의 파견 교원 비율 변화는 2020년 9월 기준의 자료를 사용하였는데, 파견 교원의
경우 상반기 파견, 하반기 파견으로 2회에 걸쳐 파견을 보내고 있어 자료의 기준
시점이 6월 기준인지, 9월 기준인지에 따라 파견 교원의 수치가 달라진다. 그러나
현지 교원의 경우 상반기 채용, 하반기 채용에 대한 별도의 통계를 내지 않으므로
현지 교원에 대한 수치가 들어간 정보는 2020년 6월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음을 밝힌
다. 파견 교원 정보, 현지 교원 정보의 기준 시점이 각기 상이하게 제시되어 있는
한계가 있으나 현지 교원 정보가 들어간 표는 2020년 6월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고,
파견 교원에 대한 정보만 있는 표의 경우 2020년 9월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음을
밝힌다.
54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가 있으며, 교원 교육에 대한 현지 교원의 요구조사를 반영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표 8> 대륙별 전체 교원 대비 현지 교원의 비율(2018년~2020년)

2018년 2019년 2020년


지역 현지교원(명) 비율(%) 현지교원(명) 비율(%) 현지교원(명) 비율(%)
아시아 275 66.7 346 79.0 363 77.7
유럽 89 69.0 101 78.3 108 79.4
아메리카 41 62.1 68 80.0 69 75.8
아프리카 8 72.7 11 84.6 9 69.2
오세아니아 1 50.0 2 66.7 3 75.0
합계 414 66.8 528 79.0 552 77.6
2020년 6월 기준

현지 교원은 학당 내에서 세종학당 교원의 자격 기준에 맞춰 자체적으


로 선발한다. 이 때문에 같은 현지 교원이더라도 교원 자격 소지 여부, 교
원 양성과정 이수 여부, 교육 경력 등에 차이를 보인다. 전체 현지 교원
중에서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자의 수는 <표 9>와 같이 2018년 155명에
서 2019년 206명, 2020년 6월 기준 209명으로 증가하였다. 교원 양성과정
이수자의 수는 <표 10>과 같이 2018년 151명에서 2019년 201명, 2020년
6월 기준 206명으로,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자의 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표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교육 경력자 수는 2018년 108명에
서 2019년 121명, 2020년 6월 기준 137명으로 증가하였다.
이처럼 자격 또는 경력을 보유한 현지 교원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전
체 현지 교원 대비 비율은 그리 높지 않다. 전체 현지 교원 중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자의 비율은 2018년 37.4%, 2019년 39.0%, 2020년 6월 기준
37.9%였으며 교원 양성과정 이수자는 36.5%, 38.1%, 37.3%였다. 경력자
의 비율은 각각 26.1%, 22.9%, 24.6%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그림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55

1>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 자격 유형별 현지 교원 비율(2018년~2020년)

이렇듯 현지 교원의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자 및 교원 양성과정 이수자


의 수는 2018년에서 2019년 사이에 비교적 크게 증가했으나 2019년에서
2020년 사이에는 증가폭이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2020년 6월
기준으로 수치가 완전히 반영되지 못하였기 때문일 수도 있으나 2020년
증가폭이 이전에 비해 줄어든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와 비교하여 현지 교
원 중 교육 경력자의 수는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으며, 전체 교원 대비
현지 교원의 비율은 감소하는 양상도 보였다. 이를 통해 전체 현지 교원
중 전문적인 교원 교육을 받거나 전문적인 교육 능력을 지닌 현지 교원의
수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지 교원의 전문성 강화 방안을 다양
한 차원에서 마련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 현지 교원의 수의 변화를 대륙별로 살펴보면
<표 9>와 같다. 모든 대륙에서 한국어 교원 자격 보유자의 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교원 수가 적은 아프리카는 2018년에는 자격 소지자
56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없었으나 2019년 2명으로 늘어났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전체 현지 교원


중 한국어 교원 자격 보유자의 수를 비율로 살펴보았을 때도, 아시아는 3
년간 각각 41.1%, 42.8%, 41.0%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유럽도 각각 32.6%, 35.6%, 34.3%로 다른 대륙에 비해 높았다.

<표 9> 대륙별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 현지 교원의 수 (2018년~2020년)

2018년 2019년 2020년


현지 교원 소지 비율 현지 교원 소지 비율 현지 교원 소지 비율
지역
(명) (명) (%) (명) (명) (%) (명) (명) (%)
아시아 275 113 41.1 346 148 42.8 363 149 41.0
유럽 89 29 32.6 101 36 35.6 108 37 34.3
아메리카 41 12 29.3 68 19 27.9 69 19 27.5
아프리카 8 0 0.0 11 2 18.2 9 2 22.2
오세아니아 1 1 100 2 1 50.0 3 2 66.7
합계 414 155 37.4 528 206 39.0 552 209 37.9
2020년 6월 기준

한편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이수 현지 교원 수의 변화를 대륙별로 살펴


보면 <표 10>과 같다. 양성과정 이수 교원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아
메리카로, 2020년에 56.5%가 양성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메
리카의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자 비율이 2020년에 27.5%에 그쳤다는 점
을 감안할 때, 아메리카 지역은 교원 자격뿐 아니라 양성과정 이수 여부를
채용 시 자격 요건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아
시아는 자격 소지자의 비율(41.0%)보다 양성과정 이수자의 비율(33.6%)
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시아에서는 한국어 교원 자격이 보다 중요
한 현지 교원 채용의 기준이 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57

<표 10> 대륙별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이수 현지 교원의 수(2018년~2020년)

2018년 2019년 2020년


현지 교원 이수 비율 현지 교원 이수 비율 현지 교원 이수 비율
지역
(명) (명) (%) (명) (명) (%) (명) (명) (%)
아시아 275 87 31.6 346 115 33.2 363 122 33.6
유럽 89 39 43.8 101 40 39.6 108 41 38.0
아메리카 41 22 53.7 68 39 57.4 69 39 56.5
아프리카 8 3 37.5 11 6 54.5 9 3 33.3
오세아니아 1 0 0.0 2 1 50.0 3 1 33.3
합계 414 151 36.5 528 201 38.1 552 206 37.3
2020년 6월 기준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 경력자 현지 교원의 수의 변화를 대륙별로 살


펴보면 <표 11>과 같다. 전체 현지 교원 중 경력자의 비율은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자 및 양성과정 이수자 비율에 비해서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과정 이수자의 비율이 높았던 아메리카의 경우 경력자의
비율은 15.9%로 낮게 나타났다. 2020년 기준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자
비율이 66.7%, 양성과정 이수자 비율이 33.3%로 나타난 오세아니아 지역
은 경력자인 교원이 없었다. 반면 아프리카는 한국어 교원 자격 소지자나
양성과정 이수자의 비율은 낮은 편이나 경력자 비율은 비교적 높게 나타
났다.
대부분의 대륙에서 한국어교육 경력이 있는 현지 교원이 적다는 것은
그만큼 교육 경력을 가진 파견 교원의 역할이 중요하며, 경력이 적은 현지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원 교육도 충분히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58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표 11> 대륙별 한국어교육 경력자 현지 교원의 수(2018년~2020년)

2018년 2019년 2020년


현지 교원 경력 비율 현지 교원 경력 비율 현지 교원 경력 비율
지역
(명) (명) (%) (명) (명) (%) (명) (명) (%)
아시아 275 75 27.3 346 83 24.0 363 92 25.3
유럽 89 21 23.6 101 25 24.8 108 30 27.8
아메리카 41 7 17.1 68 10 14.7 69 11 15.9
아프리카 8 5 62.5 11 3 27.3 9 4 44.4
오세아니아 1 0 0.0 2 0 0.0 3 0 0.0
합계 414 108 26.1 528 121 22.9 552 137 24.8
2020년 6월 기준

이와 같이 아시아는 자격 소지자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아메리카


지역은 양성교육 이수자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력자의 채용
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이처럼 대륙별로 현지 교원의 채
용 양상이 다른 만큼, 대륙별 교원 운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원 연수
및 교원 워크숍 운영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4. 결론 및 제언

세종학당재단은 2007년 몽골에 울란바토르 1,2 세종학당을 세운 이후


에 지속적으로 그 지평을 넓히며 2020년 6월 기준 76개국의 세종학당에
서 한국어교육을 제공하고 있다.9) 이러한 변화는 세종학당 교원 수의 증
가로 이어졌으며, 파견 교원 및 현지 교원의 수가 모두 증가 추세를 보이
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2018년~2020년의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과 추이

9) 세종학당재단의 전신은 한국어세계화재단이며, 최초의 세종학당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에서 시작한 후 한국어세계화재단이 세종학당재단 설립 전까지 세종학당
사업을 지원하였다.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59

를 살펴보고, 지난 3년간의 전체 교원 수의 꾸준한 증가를 통해 세종학당


의 양적 성장세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교원 1인당 평균 학생 수는 약 103
명임도 확인하였는데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많을 경우 교원의 업무 부담
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정 수준의 학생 수에 대한 연구 및 교원의
담당 업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파견 교원의 수 역시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각 급의 교원 수가 대체로
모두 증가하였으나 특히 ‘라’급 교원 수의 증가가 두드러졌다는 것이 특징
적이었다. 이는 세종학당의 양적 성장세와 함께 한국어 강의에 대한 수요
가 증가하면서 ‘라’급 교원의 충원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기에서 생각해 볼 것은 ‘라’급 교원은 한국어교육 경력이 1년
(400시간) 미만이기 때문에 이들의 전문성에 대한 지원책이 동시에 마련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라’급 교원은 한국어 경력이 짧아 해외 현지 상황에 대한 이해, 해외
학습자에 대한 이해,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 사항 등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라’급 교원 수가 증가한 것을 고려할 때, 이들이
한국어 수업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원
교육을 동시에 지원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현지 교원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었는데, 그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세종학당에서 현지 교원의 역할이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학당마다 현지 교원의 자격 요건이 상이한 경향이 있고, 한국어 교원 자격
증 취득률이 높지 않다는 점, 현지 교원의 경력이 높지 않다는 점을 감안
할 때, 현지 교원의 전문성 강화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륙에 따라
현지 교원의 자격증 소지 비율에서도 차이가 났는데, 이를 통해 현지의 특
성을 반영해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교원 운영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제언하
고자 한다.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세종학당의 개소수가 확장된 추이를 고려할 때,
60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앞으로도 세종학당의 개소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교원의 증


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무엇보다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경력이 낮은 교원에 대한 연수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라’급에서 파견 교원이 많이 이루
어지고 있었는데 경력이 많지 않은 ‘라’급 교원이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
록 특화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세종학당에서 제공하는 한국어 교원 온라인 재교육 교육과정의 내용
에는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이 있는데, 필수 과목으로는 ‘세종한국어 초
급/중급의 실제,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의 이해’가 있고, 선택과목으로 네
과목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들 과목만으로 충분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에 교원의 경력을 고려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보다 상세하게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경력이 많지 않아 아직 수업 전문성이 안정화 단
계에 진입하지 못한 교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수업 및 교육 자료
개발, 학생 관리 및 학급 운영, 평가 관리,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 등의
내용을 보다 세분화하여 이들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에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라’급 교원의 전문성 신장뿐만 아니라 ‘다’급 교원, ‘나’급 교
원, ‘가’급 교원의 전문성 신장도 이루어질 수 있는 교원 교육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선행되어야 할 것은 급수별로 교원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가 무엇인가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다. 교원의 경력에 따라 교원이 수
행해야 할 주요 담당 업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급수별 업무
내용이 제시되고 있으나 경계가 모호하거나 추상적으로 기술된 부분들이
있다. 따라서 교원이 담당해야 할 직무를 명확히 구분하여 제공해야 할 것
이다.
예를 들면, 경력이 낮은 교원들은 우선적으로 한국어 수업을 안정적으
로 운영하는 데 집중해야 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경력이 많아 한국어 수업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61

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교원들은 한국어 수업을 포함해 업무의 범


위가 확장된다.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기획하는 업무, 특별 수업 및 세종학
당의 행사를 기획하는 업무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규모가 큰
세종학당에서는 동료 교원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역할도 수행해야 하는 경
우가 있다. 이는 교원이 수행해야 하는 직무가 한국어 수업 이외에도 다양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원의 직무가 다양하다면 교원이 어떤 업무를 수
행해야 하는가, 교원의 경력에 따라 업무의 비중은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교원의 직무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직무에 대한 연구는 직무 수행 능력과도 연관된다. 세종학당의
진입 초기에 있는 교원들이 수행해야 하는 직무와 경력 교원에게 요구되
는 직무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며, 직무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직무 연수 등을 제공하여 직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체계의 마련이 요구
된다.
다음으로는 현지 교원의 교원 교육 강화에 대한 논의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세종학당에서 현지 교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자격증 소지자 비율 또는 양성과정 이수자 비율을 높여
나가는 지원 정책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원 교
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현지 교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
과 현지 교원들의 강점을 부각할 수 있는 부분을 살펴보고, 이들을 지원해
주는 교원 교육의 내용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외국 국적을 지닌
현지 교원의 한국어 구사 능력이 부족하다면 고급 수준의 한국어능력을
갖출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며, 교수 내용에 대한 언어학적 지식이
부족한 것이라면 이를 지원해 주는 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 교재의 현지
화,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는 상대적으로 현지 교원들이 잘 알고 있는 내
용으로, 현지 교원의 강점을 활용해 교수·학습 자료 개발 등에 현지 교원
의 참여를 확대하면서 현지 교원의 전문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파견 교원과 한국인 현지 교원에게는 현지 학습자
62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와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현지어 교육이 지원된다면 해외


한국어교육자로서의 타문화에 대한 소통 역량이 강화될 것이다.
아울러, 교원 운영 현황은 대륙별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는
데, 대륙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원 교육을 통해 현지 상황을 고려한
교원 운영 지원을 도모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추후에는 교원의 직무 수
행 실태 분석 및 직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것도 효과적인 교원 운영을
위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후속 연구로 제언하면서 본
고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현화(2011). 한국 문화 교수요목 설계: 세종학당학습자를 위한 원형적 교수요목 개발


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7권 3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쪽~27쪽.
김재욱(2013).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의 현황과 발전 방안, <동남아연구> 22권 3호, 한
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387쪽~409쪽.
김정숙 이준호 장미라(2011).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
목 설계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46호, 이중언어학회. 19쪽~43쪽.
김정숙(2014). 세종한국어 1~8의 교수요목 설계 및 단원 구성 방안, <이중언어학> 57
호, 이중언어학회. 25쪽~47쪽.
김정숙 강현주 이준호 노정은(2019). 누리-세종학당 온라인 한국어 레벨 테스트 개발
연구, <어문논집> 85집, 민족어문학회. 163쪽~186쪽.
김지혜 이선영 박진욱 노정은(2018).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응시 현황 및 결과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29권 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5쪽~82쪽.
김현진 강승혜 홍윤혜 한상미 박수연(2018). 세종학당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분석, <언어사실과 관점> 44집,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93쪽~321쪽.
노정은 외(2020). 세종학당 교원 중장기 재교육 체계 개발 연구. 세종학당재단.
방성원 서진숙 진정란(2017). 세종학당 교원의 체계적 지원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방성원 정명숙 진정란(2015).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재교육과정. 세종학당재단.
변지영 정헌주(2018). 한국의 공공외교와 세종학당: 2007-2015년 국가별 지정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정치학회보> 52권 2호, 한국정치학회. 173쪽~201쪽.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63

성혜진(2019). 한국어 국외보급 활성화를 위한 세종학당 정책집행의 효율화 방안 연구


-집행기관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6권 1호, 국제한국언어
문화학회. 213쪽~240쪽.
세종학당재단(2020). 2020 세종학당 운영 지침서.
세종학당재단(2021). https://www.ksif.or.kr
윤영 신유진(2020). 세종학당 결혼이민자반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교수요
목 설계 및 단원 구성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63권 2호,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65쪽~98쪽.
이관식(2016). 중국 내 세종학당의 문화 교육 현황-항저우 세종학당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77쪽~79쪽.
이승연 김희선 이동은(2015). 국외 한국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세종학당
체험중심문화프로그램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이중언어학> 59호, 이중언어학
회. 197쪽~220쪽.
이정희 장미정 장문정 김정숙(2019). 세종학당 표준 교육과정 운영 재정비 연구, <한
국어교육> 30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5쪽~282쪽.
이해영 박선희 최은지(2011).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의 단원모형 개발 연
구, <이중언어학> 46호, 이중언어학회. 321쪽~345쪽.
장미경 최윤정(2021). 한국어 교원 해외 파견 현황 분석을 통한 정책 제언 연구, <한국
어교육> 32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9쪽~231쪽.
장소원 원미진 김은애 김수영(2019). 세종학당 여행한국어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설계, <언어와 문화> 15권 2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47쪽~270쪽.
최용기(2007).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세종학당 운영 방향, <문법교육> 6호, 한국문법
교육학회, 213쪽~246쪽.
최윤정(2017). 세종학당재단 한국어 교원 파견 사업 현황과 전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59쪽~61쪽.
Tran Thi Huong 이윤진(2017).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의 운영 현황과 향후 발전을 위
한 제언 -하노이2 세종학당의 사례를 중심으로, <어문논총> 30호,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29쪽~255쪽.

노정은(제1저자)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조교수
서울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 한성대학교
전화번호: 02-760-4035
전자우편: sada204@hansung.ac.kr
64 이중언어학 제83호(2021)

이인혜(교신저자)
전남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부 조교수
전라남도 여수시 대학로 50 전남대학교
전화번호: 061-659-7631
전자우편: leei@jnu.ac.kr

최윤정(참여저자)
세종학당재단 교육지원부장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2 서초평화빌딩 11층
전화번호: 02-3276-0750
전자우편: femipol@ksif.or.kr

곽혜윤(참여저자)
하버드 대학교 강사
5 Bryant Street, Cambridge, MA, USA
전화번호: +1-319-512-1410
전자우편: hyeyoonkwark@fas.harvard.edu

김지예(참여저자)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서울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전화번호: 02-3290-1591
전자우편: kjy806608@korea.ac.kr

접수일자: 2021년 5월 1일
심사(수정)일자: 2021년 6월 10일
게재확정: 2021년 6월 17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