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현 시점 규제 R&D 연구 범위

1950 1970 1990 2010 2030 2050 2070 2090


Generation I
Generation II
Generation III/III+
Generation IV
대형 경수로
소형(모듈형) 경수로
비경수로형(대형/소형 포함)

➢ Technology Readiness Level (TRL) 및 Licensing Readiness level (LRL) 고려 필요


➢ 현 시점에서는 소형(모듈형)경수로 규제체계 개선이 우선
1 SMR개요

2 미국NuScale사례를통한규제체계개발현황

3 미국Advanced Reactor 규제체계개발현황

4 국내SMR R&D 사업소개및과제연구내용

5 결론및시사점
1 SMR 개요
SMR 정의

➢ 중소형원자로(Small and Medium Sized Reactors)→ 소형 모듈 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

700 MWe 300 MWe 10 MWe


전기출력 대형 원자로 중형 원자로 소형 원자로 초소형원자로 우주용 원자로 동위원소
(사이즈)

대형원전주기기 다목적
격납건물

모듈화

노후석탄화력발전소 교체 중공업 고온증기

경수형 Advanced
SMR Reactor
(LWR) (non-LWR) NuScale SMR 건물내부
수소생산 해수 담수화
국내 개발 중인 소형원자로 현황

이름 개발주체 종류 용량 목적 현재 기술수준 인허가단계

SMART 경수로 전기생산, 2019년표준설계인가신청


KAERI 107MWe 예비설계완성(TRL5)
100 (일체형 PWR) 해수담수화 현재 심사 중

경수로 2026년표준설계인가 경수형


iSMR KHNP 170MWe 해외수출용 개념설계단계
(PWR) 신청예정 소형모듈
AR 원자로
MMR KAIST 12MWe 사막,오지 개념연구수준(TRL1~2) 미정
(일체형 SCO2-cooled)
AR
MiHTR KAERI 10MWth 수소생산 개념설계단계 미정
(HGTR)
BANDI- 경수로 부유식
한전 200MWth 개념설계단계 미정
60S (부유식 PWR) 해양용
경수로
REX-10 SNU 10MWth 섬 전력망 개념설계단계 미정
(PWR, MMR)
상선추진,
Micro
UNIST AR(LFR) 20MWe 해상 개념설계단계 미정
URANUS
전기 발전
열전도관 냉각
Micro KAERI &한국 개념연구수준(TRL1 ~ 2)
원자로 수 kWe 우주용 미정
SMR 항공우주연구원
(MMR)
MiHTR(Macro modular High Temperature gas-cooled Reactor)
REX(Regional Energy Reactor)
Micro URANUS(Universal, Robust, Incident-forgiving, No Ultra-posing and Ulasting)
SMR R&D 규제 연구 범위

Micro
reactor
Gen III+
SFR, VHTR, GCR, 비경수형 경수형
선진원자로 소형모듈
MSR, LFR 소형모듈원자로
(Advanced Reactor) 원자로 NuScale

Gen IV iSMR

구분 SMART SMART100 i-SMR


출력 100MWe 110MWe 170MWe급
일체형 일체형 일체형
노형
가압경수로 가압경수로 가압경수로
모듈유무 X X O
주제어실,
냉각수조 등 X X O
공유여부
안전계통 부분피동 완전피동 완전피동
경수로형 경수로형
심사지침
안전심사지침 안전심사지침
?
규제체계 개선(안) 마련을 위한 R&D 추진
2 미국NuScale사례를통한규제체계개발현황
NuScale사례로 본 미국 규제기관(NRC) 및 개발자의 대응

➢ 2008-2016년
✓ 사업자 DCA 제출 전부터 NRC는 Pre-Application Review(PAR)을 통해 잠재적 인허가문제를 식별하고자 함
✓ 이를 통해 2016년 Design-Specific Review Standards(DSRS)을 발표함
➢ 2016-2020년
✓ DC검토기간 동안, 2000개가 넘는 DC관련 Request for Additional Information(RAI)와 400개의 TR관련 RAI 생성
✓ 14개의 Topical Report(TR) 및 17개 면제조항 승인
NEI18-06
✓ 10 CFR 52 Appendix G Rulemaking Regulatory
Engagement
NuScale Plan(REP) 지침 개발 NuScale NPM20
DCA 제출 SDA REP 제출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Pre-Application Review NuScale DC 검토

DSRS 개발
Design
Certified
(2020/6/30)
NuScale의 노력(개발자의 노력)

NuScale Plant Design NuScale Reactor


Gap Analysis Report NuScale Code and
Overview Qualification
Methods Framework
Test Plans
2012 2013 2013 2013

✓ 잠재적 규제현안과 이에 ✓ NuScale 설계철학 및 개요 ✓ 상업화를 위한 FOAK설계 ✓ 안전성분석보고서


대한 인허가 초기단계의 ✓ 모듈과 관련한 주요 설계 리스크 감소 (SAR) 준비
해결방안 보고서 특징, TTR 보고서 ✓ 통합(Integrated), 모듈, ✓ 개발된 안전해석 코드
✓ 면제 신청(Exemption 피동과 관련한 설계특징과 및 평가방법론의 사용
Request) 보고서 개발 관련 49개의 Test program
3 미국Advanced Reactor 규제체계개발현황
미국 의회의 선진원자로(AR) 규제선진화
기반마련을 위한 노력

진흥+안전법
진흥법 진흥법 진흥법
R&D 규제선진화 장기예산 원자력 수출 전략 사무소
추진기반 추진기반 투입 인허가체계 표준화
2017 2019 2020 2022

원자력혁신 원자력혁신 에너지법 국제원자력법


역량강화법 현대화법 2020 2022
(NEICA) (NEIMA) (Energy Act) (International
Nuclear Act)

➢ 미 의회는 신형원자로 관련 입법 3축 (NEICA, NEIMA, Energy Act 2020)과 International Nuclear Act 2022을 제정
✓ 장기간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선진원자로 개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데 있어 사업 추진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신뢰
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됨
AR사례로 본 미국 규제기관(NRC) 및 개발자의 대응

➢ NRC 2008년 AR 규제를 위한 정책성명서 발표

➢ NRC 2016년 12월, NRC 비전 및 전략, 미래 규제정책 방향 발표

✓ 규제전략 목표: 기술적 대비(Readiness)태세의 향상, 규제


대비태세의 최적화, 소통 최적화
✓ 규제전략

✓ 전략 1. 규제자 역량개발 및 지식관리

✓ 전략 2. 원자로 해석코드의 개발

✓ 전략 3. 규제체계의 변경

✓ 전략 4. 산업기술기준의 적용

✓ 전략 5. 정책현안의 해결

✓ 전략 6. 개발자-규제자 소통강화
AR사례로 본 미국 규제기관(NRC) 및 개발자의 대응

전략 3. 규제체계의 변경

➢기존 원자로와 다른 노형 설계자/규제자 상호정보 교류를 위한 절차화 기반 마련


✓ 2017년 12월 “A Regulatory Review Roadmap for Non-LWRs (Flexible Licensing Processes)”

➢Technology-Inclusive, Risk-Informed, and Performance-Based(TIRIPB) 규제지침 개발


✓2019년 TIRIPB 방법론에 관한 규제지침(안)을 개발, 공표(RG 1.233)
✓10CFR53: Risk-Informed, Technology-Inclusive Regulatory Framework for Advanced Reactors의
Rulemaking 중

➢ 신형원자로 기술에 적용 가능한 General Design Criteria(GDC) 개발


✓RG 1.232, “Guidance for Developing Principal Design Criteria(PDC) for Non-LWRs”를 개발·제시
4 국내SMR R&D 사업소개및과제연구내용
미국 인허가 절차 vs 국내 인허가 절차 비교

➢ 국내 SMR의 도입을 위해,

✓ Regulatory Engagement Plan(REP)

✓ PAR 또는 VDR 등의 규제 프로그램 마련이 필수적


DSRS 개발
예외사항(Exemptions) 도출 결과물 ➢ SMR 설계특성기반 현행 규제체계 분석 및 개선 방안 수립 필요
통합인허가심사
인허가계획 사전신청검토
미국
(Regulatory (Pre-Application 부지허가심사 설계인증심사 건설허가심사 운영허가심사
인허가절차
Engagement Plan) Review, PAR)
캐나다 공급자설계검토
(Vendor Design Review,
VDR)

[국내 예외조항] 원자로시설등의 기술기준에 관한규칙


원자로시설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거나 적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안전상 지장이 없다
고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일부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표준설계인가

국내
부지사전승인 건설허가심사 운영허가심사
인허가절차
특정기술주제
보고서(TR) 승인
Regulatory Engagement Plan

✓ 예비 신청자와 원자력 규제기관 (원안위, KINS) 직원 간


의 의사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도구

✓ 예상되는 인허가 접근 및 규제 접근 방식, 문제 해결, 일


정 및 기타 주제(선택한 기술에 대한 요약)에 관한 신청
자와 KINS 직원 간 공유문서

✓ FSAR 내용 최적화, 설계변경, 정책적 이슈, 커뮤니케이


션 유형 및 빈도, 일상적인 프로젝트 관리논의, 스케줄,
예산을 포함하여 작성함
Pre-Application Review

➢ 미국 NRC PAR 프로그램

✓ 공식적인 인허가 프로세스(국내 기준: 표준설계인가)를 밟기 전에


미리 주요 규제현안을 도출하고, 개발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선제
적인 규제체계 마련을 위한 절차

➢ 캐나다 CNSC Vender Design Review(VDR) 절차

✓ 법적 인허가 신청이 아닌 개발자-규제기관 별도 협약에 의해 시행

✓ 설계개발단계에서 개념설계에 대한 규제기관의 사전안전성을 검토


받을 수 있어 개발자에게 유용한 제도

✓ 캐나다 VDR 절차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음

·Phase 1: 현존하는 설계 기준에 근거한 평가 (12-18개월)


규제-격차(Gap)분석 프로세스 ·Phase 2: 향후 인허가에서 문제가 예상되는 현안 도출 (24개월)
·Phase 3: 개발자 후속조치
SMR R&D 연구기획 의도

경수형 SMR 인허가를 위한 국내 규제체계 개선(안) 개발

국내 PAR절차(안) 국내 경수형 SMR 경수형 SMR 소형/모듈화


SMR관련 규제정책
개발 규제체계(안) 개발 설계특성 관련 규제기술개발
및 전략(안) 개발

국내 규제불일치 사항에 대한
예외조항 상세 절차(안) 개발
SMR R&D규제연구 (KINS)
경수형 SMR 인허가를 위한 규제체계 개선(안)개발
5 결론및시사점
결론 및 시사점

➢ iSMR을 비롯한 국내 소형모듈원자로에 대한 개발에 대비하여 규제요건 재정비 및 제도개선이


필요함. 이를 위해 미국 NuScale 및 AR 경험을 토대로 규제기관과 개발자의 역할과 준비사항
을 살펴봄
✓ NRC는 PAR 절차, DSRS, AR 규제를 위한 정책성명, AR을 위한 NRC 비전 및 전략 발표
✓ 개발자들도 소형모듈원자로에 대한 REP를 제출
✓ 미국 의회는 신형원자로 규제선진화 추진 기반을 마련하고자 입법(NEIMA, NEICA, 에너
지법2020)
결론 및 시사점

➢ 미국 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 규제기관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음

✓ (규제기관의 역할 1) 소형모듈원전에 대한 규제체계 및 규제지원 절차/프로그램 개선 준


비가 필요
✓ (규제기관의 역할 2) SMR 개발 규제 효율성을 위해 SMR에 대한 정책적 의지 선언을 통
해 소형원전에 대한 정책 방향, 원칙 및 전략 제시가 필요
✓ (규제기관의 역할 3) 규제기술 확보, 규제제도/절차 마련, 이해관계자 소통 3가지 모두가
종합적으로 어우러진 규제전략을 세우고, 전략 달성을 위한 중단기적인 이행계획을 수
립할 필요가 있음
✓ (규제기관의 역할 4) NuScale 인허가 사례에서의 기술적 정보에 대한 이해가 요구됨
결론 및 시사점

➢ 미국 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 개발자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음

• (개발자의 역할 1) 미국 사례를 바탕으로 SMR 인허가 단계는 1) REP, 2) PAR, 3)


SDA/DC 신청 및 검토의 순서로 요약할 수 있음. 개발자는 설계개념과 REP를 잘 수립하
며, 규제기관과의 상호작용 전략을 세워야 함
• (개발자의 역할 2) 개발자는 설계와 인허가 잠재현안들을 안전기능/성능 요건의 관점 등
기술적 측면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해야 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