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운동의 에너지원

1.교과 내용 중 관련 있는 부분의 단원명

-> 생명시스템

2.탐구 조사 내용

학교에서 진행하는 체대입시반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운동을 배웠는데,문득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사용되는 에너지원의 차이가 궁금해서 조사하게 되었다.

교과서에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호흡이 일어나는 장소로,포도당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여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든다고 나와있다.

에너지란 일이나 활동을 할 수있는 힘을 제공해 주는 원동력으로,인체가 움직이고 활동하는 것은 근육

수축작용에 의해서 일어나며 atp 와 같은 화학물질의 주 에너지원 이다.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세포호흡을 통해 포도당과 산소를 물과 이산화 탄소,에너지가 발생한다.

이때 에너지의 60%를 체온유지에 사용되고,40%정도가 atp 를 합성하는데 사용된다.

atp 는 아데노신삼인산(아데닌+리보스+3 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인산과 인산은 고에너지

인산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atpase 라는 효소에 의해 atp-> adp(아데닌+리보스+2 인산)+인산+에너지로 분해되는데


이 과정에서 고에너지 결합이 해체되어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런 atp 를 생성하는 과정은 크게 3 가지 과정이 있다.

유산소운동:운동수행에 요구되는 대부분의 에너지 공급이 유산소성 대사로서 이루어지는 운동을

말한다. 대체로 산소 글리코겐과 지방 등이 필요로 하며,강도가 낮고 오랜 시간 지속할수 있는

운동이다.

무산소운동:산소의 이용없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상태를 말하며, 짧은 시간에 큰 부하,단거리 달리기

처럼 심박수와 운동강도가 높다.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은 상대적인 운동 강도에 따라 달라진다.

운동시 에너지 공급에 atp 의 관련된 대사를 할때 산소의 필요 유무에 따라 구분한다.

무산소 운동시 pcr 시스템(크레아틴 인산),해당작용(포도당을 분해)을 통해 atp 를 생산하는데 이때

주 에너지원은 글리코겐(탄수화물)이다.

그런데 유산소 운동시 글리코겐과 지방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운동시간을 늘릴수록 지방을 사용하여 atp 를 만드는 비율이 증가한다.

유산소 운동시 탄수화물과 지방이 미토콘드리아로 들어와 atp 를 생성하게 된다.

3.탐구하며 알게된 점과 더 알고싶은점

atp 와 생성과정에 미리 이해하게 되었고,유산소 운동과 무산소운동시 사용되는 에너지원이 다른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유산소 활동에서의 미토콘드리아에서 atp 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의

차이를 알게되어 두운동이 왜 구별되고,역할이 다른지도 이해하게 되었다.

앞으로 더 알고싶은 점은 유산소와 무산소 운동시 atp 에 의해 운동할때 어떤점이 달라지는지,

운동수행능력에 변화는 어떠한지등을 조사해보고싶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