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과학(생물,물질특성)

1.생물의 구성
1. 생물체의 유기적인 구성단계(동물)
세포-조직-기관-기관계-개체
세포: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 근육세포, 적혈구 등등
조직:세포들이 모여서 모양, 기능을 갖춘 집단. 균육조직, 신경조직 등등
기관:조직들이 모여서 고유한 모양, 기능을 갖춘 집단. 폐, 심장 등등
기관계:기관들이 모여서 유기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
개체:기관, 기관계들이 모여서 하나의 독립된 생명체를 이루는 것사람, 강아지 등등
기관계(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
식물의 구성단계
세포-조직-조직계-기관-개체
2. 동물의 기관계
소화계: 음식물을 섭취하고 영양소를 몸 속으로 흡수함.
순환계: 혈액을 통해 산소, 영양소, 노폐물 등 물질 운반.
호흡계: (기체교환)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 탄소를 내보냄.
배설계: 노폐물(오줌) 배설
3.영양소
영양소:음식물 속에 들어있고, 에너지를 내거나, 몸을 구성, 생명활동을 조절함.
3대 영양소-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있음
탄수화물:주된 에너지원 ,남은 것은 지방으로 바뀌어 저장 , 녹말, 엿당, 설탕 등등
" 밥, 국수, 빵, 고구마, 감자
단백질:주로 몸을 구성, 에너지원으로 이용, 몸의 기능 조절
세 살코기, 생선, 달걀, 두부, 콩
지방:몸을 구성, 에너지원으로 사용
땅콩, 깨, 참기름, 버터

"
무기염류, 바이타민, 물-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않는 영양소 …

무기염류:뼈, 이, 혈액 등을 구성, 몸의 기능을 조절, 몸의 구성 성분, 나트륨, 철, 칼


슘, 칼륨. 멸치, 버섯, 다시마, 우유
바이타민: 몸의 구성 성분이 아님, 적은 양으로 몸의 기능을 조절
과일, 채소
물:몸의 구성 성분 중 가장 많음, 영양소와 노폐물 등 여러가지 물질은 운반. 체온 조
절에 도움을 줌.
4.영양소 검출 방법
1. 탄수화물-녹말: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
연한 갈색-청람색 D

2. 탄수화물-포도당:베네딕트 용액 (가열 필요-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

푸른색-황적색. =색 변화를 빠르게 관찰 가능)


3. 단백질-뷰렛용액(5%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황산구리(2)수용액)
연한 푸른색(투명색+푸른색)-보라색
4.지방-수단(3)용액
암적색-선홍색
5.소화
소화:음식물 속 크기가 큰 영양소를 크기가 작은 영양소로 분해하는과정
(녹말, 단백질, 지방)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소화계:우리 몸에서 소화기능을 장담하는 기관계
소화효소: 음식물 속의 크기가 큰 영양소를 크기가 작은 영양소로 분해하는 것을 도
와주는 물질 아밀레이스, 라이페이스 등등
소화의 필요성: 우리 몸이 음식물 속 영양소를 이용하려면, 영양소가 몸 속으로 흡수
되어야한다.소장 안쪽 벽 세포의 세포막을 통과하여 흡수될 수 있을 만큼, 영양소의
크기가 작게 분해되어야 한다.
소화과정
입 식도 위 소장 대장 항문 몸밖
녹말 아밀레이스 X X 아밀레이스 X X X
-엿당 -엿당
말테이스-포도당

단백질 X X 펩신 트립신 X X X
-작은 단백질 -작은 단백질
펩티데이스-아미노산
지방 X X X 쓸개즙(유화)
-작은덩어리의 지방
라이페이스 X X X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소화액:음식물의 소화를 도와주는 액체,
소화효소를 가지고 있는 소화액- 침:아밀레이스
-위액:펩신
이자에서 생성,소장에서철 분비 # -이자액:아밀레이스, 트립신, 라이페이스
m~

(펩신은 염산의 도움을 받아 작용. 염산은 세균을 제거하는 역할도 함.)


소화효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쓸개즙 간에서 생성, 쓸개에 저장, 소장으로 분비

6. 영양소의 흡수
영양소의 흡수:영양소는 소장 안쪽 벽을 통해 몸 속으로 흡수된다.
소장:안쪽 벽은 주름이져 있고, 작은 돌기인 융털이 많이 있어 영양소와 닿는 표면적이
매우 넓다.-따라서 (영양소를 짧은 시간안에 많이) 효율적으로 흡수 할 수 있다.
(융털은 암죽관과 암죽관을 둘러싼 모세혈관으로 구성되어있다.)
물에 잘 녹는 영양소(수용성 영양소)-포도당, 아미노산, 무기염류 등
-융털의 모세혈관으로 흡수된다.K
물에 잘 녹지 않는 영양소(지용성 영양소)-모노글리세리드, 지방산등
-융털의 암죽관으로 흡수된다. K
흡수된 영양소의 이동
흡수된 영양소는 심장으로 이동하고, 심장박동에 의해 현관을 따라 온몸 으로 전달됨
온몸에 있는 세포(조직세포)로 전달된 영양소는 세포호흡에 사용되어 에너지를 만듦
모세혈관에 들어간 영양소는 간을 거쳐 심장에 가고 암죽관에 들어간 영양소는 바로
심장으로 이동함+대장에서는 주로 수분을 흡수하고 대장균이 섬유소를 분해함.
7.순환

혈액 순환 경로
온몸순환:좌심실-대동맥-온몸 모세혈관-대정맥-우심방

폐순환:우심실-폐동맥-폐 모세혈관-폐정맥-좌심방
+정맥과 심장에 판막이 존재한다.

현관의 종류와 구조
동맥: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혈관벽이 광장이 두껍고 탄력성이 강하
다-좌심실에서 나와는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다.
정맥: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 현관벽이 동맥보다 얇고 탄력성이 약하
다. 판막이 존재한다.
모세혈관:온몸 전체에 퍼져 있는 가느다란 혈관,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액과 주변세
포 (조직세포)사이에 물질교환이 일어난다.
+판막:피가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아줌
혈액의 구성과 기능
혈장:주성분이 물이다, 옅은 노란색-물질 운반(영양소, 노폐물, 이산화탄소)
혈구-적혈구:가운데가 오목한 원반 모양, 핵이 없다, 헤모글로빈이 들어있음(붉은색
색소), 세포임, 수가 제일 많다.-산소 운반
?수가 제일 적음, 세포임
-백혈구:일정한 모양이 없음 크기가 제일 큼, 핵이 있음,
-식균 작용. 김사액-백혈구만 보라색으로 염색(핵이 있기 때문)
-혈소판:세포의 조각(세포가 아님), 일정한 모양이 없음, 크기가 제일 작음, 핵이
없음.-혈액 응고 작용
심장:주먹만 한 크기로 근육들이 두껍게 발달해 있음, 수축과 이완을 반복-혈액 순환
의 원동력.(심방은 정맥과 연결 심실은 동맥과 연결)
8.호흡
호흡계:숨을 쉬면서 산소를 흡수하고, 탄소를 배출함. 코, 기관, 기관지, 폐, 폐포, 갈
비뼈, 가로막등으로 이루어짐.
기관: 공기가 드나드는 통로
(폐는 왼족폐가 오른쪽 폐보다 작다.-왼쪽에 심장이 있기 때문)
폐포:한 겹의 세포들을 둘러싸여 있고, 수가 많아 효율적으로 기체교환이 일어난다.
(수가 많다-표면적이 넓다) 폐를 구성하는 작은 공기주머니로, 표면이 모세혈관으로
둘러싸여있다.
폐:수 많은 폐포로 이루어져 있어 공기와 닿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기체
교환을 할 수 있다.
흉강: 사람의 몸통에서 가로막 위쪽 공간. 흉강에는 심장, 폐등 기관이 존재.
들숨(숨을 들이쉴 때)
갈비뼈가 올라감, 가로막이 내려감- 흉강의 부피가 커짐,-폐의 부피가 커짐-폐의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짐.-공기가 몸밖에서 폐 안으로 들어옴.
(보일 법칙:부피가 커지면 압력이 작아짐. 부치기 작아지면 압력이 커짐)
날숨:갈비뼈가 내려감.가로막이 올라감-흉강의 부피가 작아짐.-폐의 부피가 커짐.-
폐의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커짐-공기가 폐 안에서 몸 밖으로 나감.

빨대:기관,기관지
고무풍선:폐
고무막:가로막
플라스틱 컵 속:흉강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기체교환


(가):폐 동맥 (나):폐 정맥 A:이산화탄소 B:산소
폐포는 모세혈관으로 부터 이산화 탄소를 받고
산소를 모세현관에게 준다.
조직세포와 온몸 모세혈관 사이의 기체 교환

조직세포가 모세혈관으로 부터
산소를 얻고, 조직세포는
모세현관에게 이산화 탄소를 준다.
9. 배설
배설계: 콩팥에서 오줌을 만들어 요소와 같은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기관계
콩팥: 요소와 같은 노폐물을 걸러 오줌을 만드는 기관으로, 콩팥 겉질과
콩팥 솔질에는 오줌을 만드는 기본 단위인 네프론이 존재.
오줌관:콩팥과 방광을 연결하는 기관 /방광:콩팥에서 만들어진 오줌을모우는 기관
요도:방광에 모인 오줌을 내보내는 통로/콩팥:오줌을 만드는 곳
콩팥 동맥
콩팥으로 들어가는 A:콩팥 겉질(콩팥의 바깥 부분)
혈액이 흐르는 혈관. B:콩팥 속질(콩팥의 중간 부분)
콩팥 정맥 1 C:콩팥 깔대기:콩팥에서 가장 안쪽
콩팥에서 나가는 의 빈 공간,
혈액이 흐르는 혈관

네프론:오줌을 생성하는 단위(사구체+보먼주머니+세뇨관)


(가) 여과
크기가 작은 물질이 사구체
를 통해서 보먼주머니로
내려오는 과정(물, 아미노
산, 포도당, 요소, 무기염류)
(나)재흡수
포도당과 아미노산이 세뇨
관-모세혈관으로 이동함. 물질교환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면 영양소(포도당 아
미노산)와 물(수분)이 오줌에서 많이 검출됨.
(다) 분비
사구체에서 여과되지 못한 요소와 같은 노폐물들이 세뇨관으로 이동하는 과정
사구체:모세혈관이 실뭉치처럼 뭉쳐 있는 부분
보먼주머니: 사구체를 둘러싼 주머니 모양의 구조
세뇨관:보먼주머니와 연결된 가늘고 긴 관
이동과정
콩팥동맥- 사구체- 보먼주머니- 세뇨관-콩팥 깔대기- 오줌과-방광-요도-몸밖
(세뇨관에서 재흡수와 분비가 일어남.) 인 L
여노폐물
6 o m*
o N d k K
MIH
*

*
제포
00600
.
(NDA
포 체포 그 @
10.세포호흡과 기관계 물 E

세포에서 영양소가 산소와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면 에너지를 얻는


과정.-세포 호흡으로 얻은 에너지는 여러가지 생명황동에 이용되거나 열로 방출.
(가) 소화계:음식물 속 영양소를 소화하여 흡수
흡수되지 않은 물질을 대변으로 내보냄
(나)호흡계: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 배출
(다)배설계:혈액 속 노폐물
오줌으로 배설(조직세포가 세포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노폐물이 생김)
순환계:조직 세포에 산소, 영양소 운반
조직세포에서 생긴 이산화탄소 및 노폐물 운반
11. 시험

포도당 검출 할 때 가열하는 이유
반응 속도를 높여 빠르게 관찰하기 위해서
융털
소장 안쪽 벽은 주름과 융털이 많기 때문에 영양소와 닿는 표면적이 넓어
영양소를 효율적으로 흡수 할 수 있다.
물에 잘 녹는 수용성 영양소는 (포도당, 아미노산, 무기염류 등)-모세혈관
물에 잘 안 녹는 지용성 영양소는 (모노 글리세리드, 지방산)-암죽관
쓸개즙
간에서 생성-쓸개에 저장-소장으로 분비
이자액
이자에서 생성-소장으로 분비
혈구
적혈구 헤모글로빈이 들어 있어 붉은 색을 띔
백혈구 핵이있기 때문에김사액을 넣으면 보라색으로 핵만 염색됨.
(적혈구, 혈소판은 핵이 없어 염색 되지 않음)
판막:피가 거꾸로 흐르지 않게 한다.
폐포:한 겹의 세포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수가 많아 표면적이 넓어 효율적으로 기체
교환이 일어남. 폐를 구성하는 공기 주머니.표면이 모세혈관으로 둘러싸임.
들숨
갈비뼈 올라감, 가로막 내려감-흉강의 부피가 커짐- 폐의 부피가 커짐-
폐의 압력이 대기압 보다 작아짐-공기가 외부에서 폐 안으로 들어옴
날숨
갈비뼈 내려감, 가로막 올라감-흉강의 부피가 작아짐- 폐의 부피가 작아짐
-폐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짐-공기가 폐 안에서 외부로 나감.

빨대-기관,기관지
고무 풍선-폐
고무막:가로막
내부 공간:흉강
(갈비뼈 없음)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의 기체 교환
폐포가 모세혈관에게 산소 주고 모세혈관이 폐포에게 이산화탄소 줌.

온몸 모세혈관과 조직세포 사이의 기체 교환


조직세포가 모세혈관에게 이산화 탄소를 주고 온몸세포는 조직세포에게 산소 줌.
소화계에서 영양소를 소화, 흡수 하고 순환계가 세포로 운반
호흡계에서 산소를 흡수하고 순환계가 세포로 운반
세포에서 나온 이산화 탄소와 물(수증기)는 순환계에서 호흡계로 운반
호흡계에서 이산화탄소와 물(수증기)를 몸 밖으로 이동
세포에서 나온 노폐물을 배설계 순환계가 운반
배설계에서 노폐물을 오줌으로 바꾸어 몸밖으로 배설
세포 호흡으로 생긴 에너지를 체온유지, 생장, 운동, 공부 등으로 사용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의 유기적인 관계

소화계-영양소 물(수분), 이산화탄소-호흡계


: >
운반

세포 :
운반
호흡계-산소 노폐물-배설계
운반
~
운반~~

순환계 순환계

네프론:오줌을 생성하는 단위
사구체+보먼주머니+세뇨관

A 에서 산소를 받은 혈액이
심장의 좌심방에 간 후 좌심실에서
나와 c로 가 산소를 조직세포에게
주고 이산화 탄소를 받는다.
이산화 탄소를 받은 D에서 심장의
우심방으로 간 후 우 심실에서
나와B로 가 폐포에서 이산화
탄소를주고 산소를 받아
A로 가 반복한다.
2. 물질의 특성
1.물질의 분류
순물질:한 가지 물질로 이루어진 물질
-홑원소: 한 종류의 원소로 이루어진 물질
예)구리, 다이아몬드, 금, 수은, 산소 등
-화합물:두 종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 물질
예)물, 염화나트륨, 이산화 탄소, 에탄올 등
순물질은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나타낸다.
혼합물:두 가지 이상의 순물질이 섞여 있는 물질
-균일 혼합물:성분 물질이 고르게 섞인 물질
예)설탕물, 식초, 공기, 탄산 음료, 합금,등
-불 균일 혼합물: 성분 물질이 고르지 않게 섞인 혼합물
예)과일 주스, 흙탕물, 우유, 암석 등
혼합물은 성분 물질의 성질을 그대로 가지고, 성물 물질의 혼합 비율에 따라 끓는
점, 녹는점, 어는 점 밀도 등이 달라진다.
2. 물질의 특성
물질의 특성:물질의 여러가지 성질 중 그 물질만이 나타내는 고유한 성질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물질의 종류를 구별하는데 이용 가능
같은 물질인 경우 물질의 양에 관계없이 일정
물질의 특성을 이용하면 순물질과 혼합물을 구별 가능
색깔, 냄새, 맛, 촉감 등(겉보기 성질), 끓는 점, 녹는 점, 어는 점, 밀도, 용해도 등
3. 녹는 점, 끓는 점, 어는 점
순물질의 녹는점과 끊는 점, 어는점은 일정하지만 혼합물은 일정하지 않다.
끓는점
순물질의 끓는 점은 물질의 양에 관계없이 같은 물질에세는 일정하고, 다른 물질
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물질을 구별할 수 있는 물질의 특성이다.
끓는점이 높을 수록 입자 사이의 인력도 크다.
같은 물질의 끓는점은 같다.
물질의 양에 많아 양이 적은 물질 보다 늦게
끓기 시작한다.(끓는점은 같음)
+끓는점은 같지만 시간이 다를 때
물질의 양의 차이, 불꽃세기의 차이 때문
+압력이 높아지면 끓는점도 높아지고, 압력이
낮아지면 끓는점도 내려간다.

순물질의 끓는 점은 일정하지만 혼합물의 끓는 점은


일정하지 않다.(소금이 물의 기화를 방해하고,
물만 기화되어 고름물의 농도가 점점 커지기 때문)
끓는 점과 압력의 관계
외부 압력이 높아지면 기화되기 어려워 많은 양의 열이 필요해 끓는 점이 높아진다
외부 압력이 낮아지면 기화되기 쉬워 적은 양의 열이 필요해 끓는 점이 낮아진다.

녹는점, 어는점
순물질의 녹는점과 어는점은 같다.
(녹는 점일 경우 다해준 열이 상태변화에
사용되고, 어는 점은 상태변화하면서
액체가 되기 위해 열을 방출하지 때문)
녹는점과 어는 점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지므로, 물질의 특성이 될 수 있다.

순물질인 경우 어는 점이 일정하지만,
혼합물은 일정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계속해서 온도가 내려간다.
(소금이 물의 응고를 방해, 물만 응고되어
소금물의 농도가 점점 찐해짐)
+녹는점의 경우도 비슷함.

고체+고체 혼합물의 경우
순물질 보다 혼합물의 녹는점이
더 낮아진다.
(고체+액체와 반대)
(입자 사이의 인력이 고체가 되어 작아지기
때문)

제시된 온도가 녹는점 보다 낮을 경우


고체 상태, 녹는점 보다 높고 끓는점
보다 낮으면 액체 상태, 끓는 점보다
높으면 기체 상태이다.

눈이 내릴 때 도로에 염화나트륨을 뿌리는 이유


눈과 염화나트륨이 섞여 혼합물이 되어 어는 점을 낮추기 위해서
4.밀도
밀도: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 즉 단위 부피랑 질량
질량 3

밀도= 부피 (g/ml, g/cm 등)


밀도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같은 물질인 경우 양에 관계없이 인정함으로
써 물질의 특성이다.
밀도는 물질의 상태에 따라 밀도가 변한다.
고체-액체-기체가 될때
고체 보다 액체가, 액체보다 기체의 부피가 더 커지지만 질량이 변하지 않아
고체의 밀도가 제일 크고 액체, 기체 순으로 밀도가 크다.
(예외, 물)
부피 측정방법
-모양이 규칙적인 고체
세로, 가로, 높이를 측정하여 부피를 계산한다.
-모양이 불규칙한 고체
고체를 녹이지 않는 액체가 들어있는 눈금실린더에 고체를 넣고, 늘어난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여 고체의 부피를 계산한다.
기체의 밀도
기체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하므로 기체의 밀도를 나타낼 때는
꼭 온도와 압력을 함께 표시해야한다.
밀도가 작은 물질은 밀도가 큰 물질 위로 뜨고, 밀도가 큰 물질은 밀도가 작은 물질
아래로 가라앉는다. 물질이 뜨고 가라 않는 현상으로 밀도를 비교할 수 있다.
밀도의 변화
고체,액체의 밀도 변화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약간 증가-밀도 약간 감소
(압력의 영향의 거의 받지 않음)
기체의 밀도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크게 증가-밀도 감소
압력이 높아지면 부피가 크게 감소-밀도 증가
(기체의 밀도는 온도, 압력과 함께 표시)
물질의 상태(상태변화)
열을 받아 고체가 액체가 되고, 액체가 기체가 되면 부피가 증가-밀도 감소
(예외-물 얼음이 물에 뜸) 3
부피 고체 액체 기체 점 A 밀도-4g/cm
3
밀도 고체 액체 기체 점 B밀도-1g/cm
3
점 E밀도-1g/cm
그래서 E,B는 같은
물질
5.용해도
용질이 용매에 용해되면 용액이 된다.
용질:용매에 녹는 물질/용매:용질을 녹이는 물질/용해:물질이 다른 물질에게 녹아
고르게 섞이는 현상/용액:고르게 섞인 물질(균일 혼합물)
용해도:일정한 온도에서 용매 100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g수
용해도는 온도와 용매가 같을 때 용해도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며, 물질의 종류에따
라 다르다. 따라서 용해도는 물질의 특성이다.
고체의 용해도
온도가 높으면 용해도가 높다.(입력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
포화 용액:어떤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용매에 용질이 더 이상 녹을 수 없을 만큼 최대
로 놀아 있는 용액
불포화 용액:포화 용액보다 용질이 적게 녹아 있는 용액
과포화 용액: 포화 용액보다 어떠한 경우에 의해서 용질이 많이 녹아있는 불완전한
상태의 용액
용해도 표시
물질의 용해도를 나타낼 때에는 용매의 종류와 온도를 함께 표시해야 한다.
석출:용액에 녹아 있던 용질이 고체 상태로 용액에서 분리되는 현상
질산 나트륨의 용해도는 90도에 160g이다. C
질산 나트륨의 온도를 80도 낮출시
00


@
A

80도의 용해도는 80g 이므로


B
160-80=80, 80g이 석출된다. 4

점 A는 포화 상태 점 B는 불포화 상태
점 C는 과포화 상태이다.
90도, 물 100g에 물질 A를 120g녹인 후 10도로
냉각 시키면 석출되는 양은?
90도 100g120g(불포화 상태)20도 100g80g
120-80=40 40g석출된다.
90도 물질 A의 포화용액 135g을 10도로 냉각할 때 석출되는 양은?
90도 물 ?+ A?=235/90도 물 50g A80g/10도 물 50g A40g
90도 물 100g+A160g=270
그래서 물?=50g, A?=80/80-40=40/ 40g석출된다.
기체의 용해도
기체의 용해도는 압력과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온도가 낮고, 압력이 강할 수록 용해도가 많아진다.

용해도가 가장 큰 것:B
가장 온도가 낮고 압력이 강하기 때문
용해도가 가장 낮은 것:E
가장 온도가 높고 압력이 높기 때문
(탄산음료의 기포는 물이 녹을 수 없는 (석출)
기체가 기포가 되는 것이구려 용해도가 작아지는 것이다.
탄산음료-뚜껑을 천천히 열면 압력이 서서히 낮아져 이산화탄소 기체가 조금씩 빠져
나와 기포가 적게 발생하지만, 빠르게 열면 압력이 급격히 낮아져 이산화 탄소 기체
가 빠르게 빠져나와 기포가 많이 발생한다.)
6.밀도 차를 이용한 분리
고체물질을 녹이지 않고 밀도가 두 고체 물질의
중간 정도인 액체 물질을 이용하여 분리한다.

액체
-스포이트를 이용한 분리(양이 적을 때)
-분별 깔 대기를 이용한 분리(양이 많을 때)
분별깔대기-밀도가 큰 아래층의 액체 물질을 먼저 분리하고, 밀도가 작은 위층
의 액체 물질을 나중에 분리한다.
분리 시킬 때는 마개를 열고 하며
꼭지의 긴 부분을 벽면에 닿게 해야 한다.
경계면 부근의 액체 물질은 따로 받아 낸다.
위쪽 입구를 이용하여 위층의 액체 물질을 분리한다.

7.끓는 첨 차를 이용한 분리
증류:액체 상태의 혼합물을 가열 할 때 끓어 나오는 기체 물질을 냉각하여 액체
물질을 얻는 방법.

끓임쪽:액체 물질이 갑자기 끓어오르는 것을 방지


찬물:끓어 나온 기체 물질을 냉각시킨다.
끓는 점이 낮은 물질이 먼저 끓어 나오고. 끓어 나온
기체 물질은 냉각되어 찬물 속에 들어있는 시험관에
모인다.

-증류탑
원유를 가열하여 증류탑으로 보내면 원유의
성분 물질이 끓는 온도에 따라
증류탑의 각 층에서 분리된다.

-소줏거리
밑에서 가열되어
기화 되고,
찬물에 닿아
액화가 된 후
소주가 된다.
8. 재결정을 이용한 분리
고체물질을 용매에 녹인 다음, 용액의 온도를 낮추거나 용매를 증발시켜 순수한 고
체 물질을 얻는 방법

용질을 용매에 용액의 온도를 낮추어 석출된 물질을 분리한다.


녹인다. 용질을 석출시키다.
예)합성한 약품을 정제 할 때 등등
불순물이 섞인 고체 물질에서 순수한 고체 물질을 얻을 때 이용
+땀에 젖은 옷이 마르면 하얀 얼룩이 지는 이유
땅속 녹은 염화나트륨이 옷이 마르면서 다시 결정으로 석출되었기때문.

9.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
혼합물을 이루는 성분 물질이 용매에 따라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것을 이용하여 혼
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잉크 색소가 물과 함께 기름종이를 따라 퍼져 나가면서
여러가지 색소로 나누어 진다.
예)약품의 품질을 확인하는데 이용
운동선수들은 금지 약품을 복용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약물 검사에 이용-도핑 검사.

크로마토그래피의 장점
성질이 비슷하여 분리하기 어려운 혼합물을 분리 할 수 있다.
매우 적은 양의 물질이 섞여 있는 혼합물도 간단히 분리 가능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