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0

2 어떤 생물을 미생물이라 부르는가?

3 미생물: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생물(작고 구조가 간단한 생물)


과찰 방법: 현미경
공부 방법: - 생리(physiology): 무엇을 먹고, 어떻게 증식하고, 어디에서 사는가?
- 생화학: 미생물의 대사 과정, 물질 대사
- 분자생명학: 미생물이 가진 유전자가 어떻게 기능하는가?
- 생태: 미생물이 어떤 환경에서 자라나고, 그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4 미생물 연구의 시작=현미경의 발견=400 년전
- 광학 현미경: 가시관선 사용 (대물렌즈, 대안렌즈)
- 전자 현미경: 전자파 사용
5 현미경의 원리: 대물렌즈로 확대된 물체의 상을 접안렌즈(대안렌즈)가 다시 확대하여 관찰함
(광학/전자 동일)
눈 - 접안렌즈 - 대물렌즈로 확대된 상 - 대물렌즈 - 관찰대상 - 현미경을 통해 보는 상
6 전자현미경의 구조: 샘플을 관찰하는 스크린(눈) , 자석으로 된 렌즈 2 개 (유리 x)
7 현미경 3 가지의 원리: 배율(magnification)+분해능(resolution)+대조(contrast)
8 광학 현미경 배율: 1000 배
전자 현미경 배율: 10 만배<=

분해능이 안좋은 현미경: spot 이 하나로 뭉쳐서 보임


분해능이 좋은 현미경: spot 이 떨어져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음
*분해능=이미지의 명확도
사용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됨 = (광학)가시광선은 (전자)전자파보다 파장이 커,
광학현미경은 한계가 있음
10 대조/대비: 배경과 미생물을 구별할 수 있는 정도
-시료를 염색하여 배경과 구별되게 함
- 위상차 현미경 사용: 세포 속 다양한 물질들의 빛의 산란 정도가 다른 것을
이용한 구별 방법
11 생물: 살아있는 물질/살아있다?
12 생물의 주요 특징:
- 물질 대사(metabolism)을 할 수 있는 것: 음식물을 먹고 대사를 함
- 생식/증식(reproduction)을 할 수 있는 것
*대사/생식을 하기 위해 유전 정보를 가지고 있음 + 세포막으로 둘러 쌓여 있어 외부와 구분됨

13 동물, 식물, 미생물


연구 방법: 형태, 생리, 생화학, 분자생물학적 연구
- 구분 (Classification →Taxonomy, 분류학)
형태, 유전정보,… 에 따라 구분함
- 이름 짓기
속명+종명 - 린네( Carl von Linne)가 개발한 이름 현재까지 사용
ex).
Homo sapiens
(속명) + (종명)
Escherichia coli (대장균)
(속명)+(종명)
지구상의 생물을 3 가지로 분류함 = 3 Domains (영역, 역).
14
계>>>종

Kingdom: 계 Animalia

Chordata (척삭동물)
Phylum: 문
=척추가 있는 동물

Class: 강 Mammalia (포유류)

Order: 목 Primates (영장류)

Suborder: Haplorhini

Infraorder: Simiiformes

Family: 과 Hominidae

Subfamily: Homininae

Tribe: Hominini

Genus: 속 Homo

Species: 종 H. sapiens

사람과(Hominidae)는 사람, 고릴라, 침팬지, 오랑우탄 등의 대형 유인원을 포함하는 영장류의 한


과이다
= 대형 유인원류(great apes)
15 3 domains of life (3 영역 이론):진핵생물/고균/세균
진핵생물: 동물, 식물, 곰팡이, 조류 인간
고균/세균: 원핵 생물
미생물이란? 동물과 식물이 아닌 생물 (전체 생물-
(식물+동물))
18 미생물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Antoni van Leewenhoek (1684)
Robert Hooke(1664) 자신이 발명한 현미경으로 작은 생물 관찰하여 묶어 책으로 발간 =
micrographia
-이 과정 중 세포(cell)을 관찰
19 Antoni van Leewenhoek (1684) 현미경(당시에는 배율이 좋은 돋보기 수준)을 이용하여 시료
관찰
-자신이 관찰한 극미동물을 animacule 이라고 부름
- 미생물학을 시작한 사람
20 미생물의 종류
-맨눈으로 볼 수 없는 미생물: 세균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미생물 : 버섯
21 미생물의 종류: (진정)세균 (bacteria), 고세균 (archaea)
-종류가 수만가지로 예상되지만 배양이 어려워 16000 종만 분류됨
원생동물 (protozoa), 점균류 (slime mold), 조류(藻類, algae), 진균(眞菌, fungi) =
곰팡이 (mold), 버섯 (mushroom), 효모 (yeast)
= 세포막이 있음. 즉 생명체
바이러스 (virus), 바이로이드 (viroid), 새털라이트 (satellite), 프리온 (prion)
= 세포막이 없음. 즉 생명체은 아니지만 생명체를 감염시키기 때문에 미생물로 분류
22 DNA, RNA, protein(단백질).
-DNA (deoxyribonucleic acids)
DNA 는 polymer(중합체), 즉 DNA 는 (deoxyribo)nucleotides 가 쭉 붙어 있는 복합체
nucleotide(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타이드):
인산 + 당(리보오스) + 염기
인산: phosphoric acids
당: deoxyribose
염기: Adenine (A), Guanine (G), Thymine (T), Cytosine (C). *공통점: 탄소-질소 고리모양 화합물
dATP (A) dGTP (G)

dCTP (C) dTTP (T)

24 Ribose (당) : 탄소 다섯개로 만들어진 당


Deoxyribose: DNA 성분의 Ribose 는 수소만 붙어있음, 즉 산소가 없는 Ribose

25 세포 내에 존재하는 DNA 는 전부 이중 나선 (Double stranded); 두 가닥이 서로 마주보고


결합된 상태
방향성: 두가닥의 DNA 는 서로에게 역평행이다. = 수소의 방향이 다름
26 A-T/C-G 와 항상 상보적인 것과 결합함

29 DNA 한턴에 10 개의 상보적 결합이 나타남


-한 턴의 길이는 3.4 nm
30 DNA polymerases (DNA 중합효소)가 DNA 를 합성
- Deoxynucleoside triphosphates. (dNTPs)
N(염기) = A, G, T, C
DNAP 의 공통점
- 모두 같은 방향으로 합성함
= 5 프라임에서 ->3 프라임으로 합성된다
- 프라이머를 요구한다
- Template(주형)이 있어야만 합성할 수 있다
31 DNA 중합효소가 DNA 를 합성하는 모습
짧게 끝난 DNA 조각이 프라이머
주형 DNA 에 맞는 Nucleoside 를 결합함
= 5 프라임에서 3 프라임 방향으로 DNA 합성

Primer
Template

dNTPs

32 DNA 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한 것: 유전정보 저장


유전정보 저장하는 방법: 세포 속 dna 는 굉장히 긴 molecule.
Ex).대장균 DNA 는 430 만 nucleotide 로 구성
-이 nucleotide 의 순서가 대장균의 유전정보
즉, 유전정보=단백질의 합성 정보.
단백질: -몸의 구성성분
-생체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반응을 수행함.
-아미노산의 중합체 (Polymer of amino acids)
33 아미노산의 종류: 20 가지
-지구상의 생물은 이를 공유함
즉, 사람의 단백질과 대장균의 단백질 구성 요소는 똑같다.
34 단백질이 다양한 이유: 단백질의 기능/종류에 따라 아미노산의 수가 다름
아미노산의 결합 순서가 각자 다름
-20 가지의 아미노산이 있으니까 20 의 20 승
35 DNA 유전정보-특정한 기능을 하는 단백질을 합성하기 위한 것
즉, 유전정보가 단백질의 합성을 결정함
DNA 와 단백질 사이에는 RNA(Ribonucleic Acids)라는 분자가 필요함
RNA 의 특징: DNA 와 같은 polymer 구조 = polymer of ribonucleotides
ribonucleotide 는 DNA 를 구성하는 것과 같은 종류 = Phosphate – ribose –base
합성이 되려면 RNA 중합효소(RNA polymerase)가 필요함
염기의 차이

당의 차이

36
한가닥의 DNA=한가닥의 nucleic acid=RNA
DNA 와 RNA 구별방법: -염기의 종류가 다르다: RNA 의 염기는 Cytosine(C), Adenine(A),
Guanine(G)는 동일하지만 Thymine(T) 대신 Uracil(U)이 존재
-당의 차이: DNA 의 당은 Deoxyribose RNA 의 당은 Ribose
37 RNA 가 합성되는 방법: RNA 중합효소
DNA 의 이중나선이 풀어져 한쪽이 주형으로 작동 - 주형의 염기 순서에 따라서 RNA 중합효소가
RNA 를 합성
*DNA 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페어링 됨: A-U(T 대신)/ C-G
RNA 는 3 개의 염기에 의해 아미노산이 결정됨: U-G-G: 트립토판
U-U-U: 페닌알라닌
G-G-C: 글라이신
U-C-A: 세린
DNA->RNA->단백질
37

-DNA (Double stranded)

-RNA(주형) 하나로 풀어짐

-RNA(주형) + RNA 중합효소 =


RNA 합성

39 RNA 의 염기서열: 3 개의 nucleotide = 1 아미노산 = 코돈


즉, 염기의 종류가 4 개이기 때문에 64(43)개의 코돈이 존재하며 이는 20 가지 단백질을 만들 수
있다.
ex). 300 개의 nucleotide = 100 아미노산 = 20100 단백질
유전정보의 발현: DNA 의 염기서열(유전정보) → RNA → Protein

42 세포의 구조에 따른 분류: 원핵 세포/진핵세포


-원핵세포(prokaryote): 크기가 작음, DNA 가 엉켜잇음, 세포벽이 있음, 핵이 없음
ex). (진정)세균, 고세균
-진핵세포(Eukaryote): 크기가 큼, 핵이 있음, 세포벽 일부 있음
ex). 원생동물, 점균류, 조류, 곰팡이, 버섯, 효모
43 원핵세포: 핵이 없음, DNA 뭉쳐 있음
진핵세포: 핵이 존재, 막으로 쌓인 핵 안에 DNA 존재
44 원핵세포 + 진핵세포의 유전 물질: DNA
원핵세포: 대부분 원형 DNA- 이중나선 DNA 의 끝이 연결됨 - 세포 안에서 이가 뒤엉켜 3 차
구조를 이룸

45 원핵세포내의 DNA 위치 = Nucleoid (핵양체)


대장균 길이: ~2 mm
(DNA 길이: 1,300 μm)
46 원핵(전핵)세포(Prokaryotic cell): 진정세균(Bacteria), 고세균(Archea)
Archaea (고균, 고세균)의 유래: archaeo-, 원시의 , 고대의 많은 archaea 의 서식지가 원시지구
환경과 비슷하기 때문
ex). 뜨거운 물, 사해
고세균은 세균과 진핵생물과는 전혀 다른 별개의 생물군.
47 고세균의 특징: 세균과 진핵생물과 다르므로 한개의 domain(역)
-세포막의 화학성분이 다름: 세포막이 글리세롤 에테르(glycerol ethers)로 이루어져있다
= 글리세롤과 에테르가 결합된 이소프렌
* 세균, 진핵세포: 인지질(글리세롤 디에스터(glycerol diesters)로 이루어진 이중막.
-세포벽의 화학성분 차이
-고세균은 오히려 징핵생물과 더 가까움: DNA packing mechanism, RNA 합성(Transcription
mechanism).
-현재까지 병원균으로 작용하는 고세균은 발견 x
- 험한 환경에도 살아남는 특성 때문에 생명공학의 응용에 주목해야 함.
ex). Methane 의 합성, DNA polymerase for PCR.
——————————————————————————————————————————
4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 100nm
하지만 대부분 1 micrometer 까지 사용
* 일반적인 세균은 1~4 micrometer
전자현미경은 훨씬 작은 것도 관찰 가능 - 바이러스 관찰에 이용됨
5 광학현미경-1000 배의 배율로 생명체 관찰
전자현미경-수십만의 배율로 생명체 관찰
* 일반적인 생물은 3 micrometer 광학 현미경에서는 작은 점으로 관찰 됨 - 즉, 자세한 관찰은
할 수 없음
6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1

A <두개의 분열하려는 세포>


C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

7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2

A <진정세균>
B <고세균>
C <진핵세포>
9 세균이 작은 이유: 세포의 크기 제한의 이유: 양분의 흡수 - 노폐물의 배출이 표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10

-작을 수록 표면적/체적의 비가 커짐.


= 확산을 통한 양분의 흡수와 노폐물의 배출이 용이

11 증발이 가능한 표면적:

A B

동일한 양의 물(체적) 100ml, 하지만 A 가 B 에 지해 노출된 표면적이 적다


= 물의 증발은 표면적에 비례, B 의 물이 A 보다 빨리 증발함
*증발을 확산의 일종이라하면
물질의 세포로의 이동은 막을 통한 확산에 의해 일어남 = 표면적/체적의 비가 클수록 물질의
이동이 쉬움
12

(양분의 흡수와 노폐물의 배출)확산의 이동거리 단축: 작은


세포가 유리함
*세포 정중앙-외부 와 같이 이동거리가 멀면 특정 기작
(mechanism)이 필요하다
ex). 진핵세포

14 거대세균
평균 세균의 크기: 0.5 micrometer~10 micrometer
15 거대세균의 종류:

A Epulopiscium fishelsoni
(600 x 75 µm)

B Thiomargarita nambiensis(400 µm
wide).

16 Epulopiscium fishelsoni 단점 극복 방법: 1985 년 홍해의 검은 쥐치 창자에서 발견


사람 (3 x 109 DNA)보다 25 배 많은 DNA.
= 즉, 동일한 DNA 가 수 많이 존재
세포의 여러 부위에서 필요한 단백질 합성
-필요한 곳에서 단백질을 합성 할 수 있음
= 즉, 단백질 운반의 필요성 감소.
17Thiomargarita nambiensis 단점 극복 방법:

세포의 대부분을 액포가 채우고 있다


-노폐물을 액포에 저장 = 넓은 표면적

20 세균의 다양한 형태: 구균, 간균(막대균), 나선균, 스피로헤타(나선상균), 출아균, 부속지균,


사상균
21 그람 염색: 1884 년 덴마크 의사 그람 (Hans Christian Gram, 1853-1938)이 고안한 특수 염색법
그람양성균: 자주색/그람음성균: 붉은색
색깔이 다른 이유: 세포벽의 차이
Gram 양성: 두꺼운 peptidoglycan layer
Gram 음성: 얇은 peptidoglycan layer 외막 + 1 or 2 층으로
이루어짐
22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24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

A 세균이 모여있는 것
B 하나의 세균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 구균).
피부(특히 콧구멍)에 서식
이상 증식시→식중독.
*항생제 내성균

25 Lactococcus lactis (연쇄상구균): 줄줄이 붙어있음


26 Sacrina: 8 개의 세균이 하나로 뭉쳐있음
27 Deinococcus: 방사선에 저항력이 좋음

Tetrads: 4 개가 하나의 단위

28 간균

A. Lactobacillus acidophilus
프로바이오틱의 일종

B. Lactobacillus brevis
젖산균의 일종으로 주로 김치의 발효 후기에 많이
나타난다.

C. Lactobacillus delbrueckii
여성의 외부 생식기에 주로 서식하는 젖산균.

29 나선균 (Spirillum)
-꼬여있는 듯한 세균
-양끝에 편모다발

편모다발
30 스피로헤트 (Spirochetes)
spiro’는 라틴어로 나선형 코일을 뜻하며 ‘chaeta’는 머리카락을 의미한다. 한자권 학자들은
스피로헤타 문을 나선상균(螺旋狀菌) 또는 나선체문(螺旋體門)이라 부르기도 한다. = 굉장히 가는
나선균
* 편모가 밖으로 돌출되지 않음

Spirochaeta 같은 배율
stenostrepta

Spirochaeta
plicatilis

31 Trepenoma and Borellia (질병을 일으키는 나선균)

Irregularl
Regularly y coiled
coiled

Treponema saccharophilum (매독)

Borrelia burgdorferii (라임병의 주요 원인균.)


A. 매독은 사람을 죽이는 병이었음
B. 라임병: 진드기가 물어서 생김

32 부속지균: 세균이 몸통에 다양한 부속지를 지님


로제트: 마치 꽃송이와 같은 모양
33 부속지를 지녀 로제트를 형성한 planctomyces

34 hyperthermophilic archaea (고세균): 부속지 속에 세포질이 연결되어 있음


36 수환경에 서식하는 세균 중 다양한 형태의 돌기(prostheca)를 가지는 종류들이 있으며, 싹(bud)
또는 균사(hypha), 자루(stalk) 및 기타 형태의 부속지(appendage) 등으로 구분된다.
-돌기는 일반적으로 세포질로 채워져 있다.
-돌기 세균은 자루를 형성하는 세균군을 제외하고는 주로 Alphaproteobacteria 내의 다양한
분류군에 산재함.
37 Verrucomicrobium spinosum: tubulin 과 같은 부속지를 지님.
——————————————————————————————————————————
2 Stigmatella aurantiaca: Fruiting body(자실체, 포자형성체)

3 Myxobacteria(점액세균): 자실체를 형성하는 세균들이 모두 다름


-생긴건 다르지만 모여서 형태를 만든다 (포도상구균보다 훨씬 많다)
4 자실체 형성과정: 수많은 세균이 모여서 봉우리 형성 - 봉우리가 위로 솟음 - 자실체 만들어짐
-세균의 종류에 따라 자실체의 형태가 다름
5. 사상균: 세균이 길게 붙어 하나의 큰 실과 같은 형태의 세균
6. Thiothrix(티오트릭스): 자분천의 지하수 안에 황성분이 많아서 주로 자분천에 서식함,
매끌매끌한 껍질

7. Actinomycetes(방선균): mycelium (균사)와 긴 자실체를 만듬


8 Streptomyces: 방선균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속(genus).
방선균: 균사가 방사상의 형태로 자람
-흙냄새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물질인 지오스민(geosmin)을 생성
-천연 항생물질 (ex.스트렙토마신) 등 다양한 이차대사산물과 유용 효소를 생산함
=산업적으로 아주 유용한 미생물 군

9 Streptomyces 가 자란 곳에 다른 세포가 죽어 투명대를 형성함


-스트렙토마신과 같은 항생물질에 의한 형상
10 Mycoplasma mycoides: 소의 폐렴의 기인균.
현재 알려져 있는 독립생활을 하는 생물 중에서는
가장 단순한 원시세포 병원균으로 작동

14 진핵세포 DNA 양 > 세균의 DNA 양


진핵세포의 DNA 보관법: 가늘고 긴 DNA 를 복잡하게 감아서 제한된 공간(핵)에 존재
사람세포의 DNA 보관법: 사람세포 속 DNA 의 전체 길이
3.4 nm X 6 X 108 = ~2.0 X 109 nm
= ~2 m
이를 46 조각(2N)으로 보관 *1N = 23 (22 체염색체 + 1 성염색체)
길이를 짧게 만들어 핵에 보관.
15 프로토조아(Protozoa) 1

아프리카 수면병 발생

16 프로토조아(Protozoa) 2
A. 짚신벌레
B.삼일열 말라리아의 병원체
Malaria (mal, 나쁜 + aria, 공기)
4 종류의 Plasmodium
P. vivax (삼일열원충)
P. ovale (난형열원충)
P. malariae (사일열원충)
*P. falciparum (열대열원충)
*가장 위험

C.아메바
18 Paramecium(짚신벌레)

-섬모라고 불리는 가는 돌기들이 무수히 많음


-Yeast 는 짚신 벌레의 먹이

19 Amoeba

-정상형태가 없음
-미족을 만들어 이동
-세포의 모양이 지속하여 변함

20 Myxomycete(점균류)
Slime Mold: 단세포의 생활사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응집하여 다세포의 생활사를 보이는
진핵미생물

21 조류(algae): 물속에 살고 있는 광합성 생물을 아우르는 용어


원색생물: 세균에 속하는 남색균 단세포성 광합성 진핵생물: 유글레나(Euglena),
클로렐라(Chlorella), 돌말류 (diatom)
다세포 진핵생물: 파래(Ulva), 우뭇가사리(Gelidium), 미역(Undaria), 다시마(Saccharina)
22 녹조류(green algae): 광합성을 하는 녹조류

Single-celled,
Flagellated
Micras Scene
24 유글레나

25 홍조류: ex). 김. 무뭇가사리

26 홍조류 특징: -대부분 연안 해역에 서식함


-광합성 보조색소로 홍조소(phycoerythrin)를 다량 함유함
=몸체가 홍색 내지 암홍색을 띤다.
-단세포/다세포 모두 존재하지만 대부분이 우뭇가사리처럼 복잡한 다세포
체제로 진화함
-화석학적 증거에 의하면 홍조류는 12 억년 전 이미 다세포 체제를 갖춘 종류가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어 진핵생물 중 가장 오래된 생물군 중 하나
27 갈조류: ex). 미역. Kelp
28 갈조류의 특징: -갈조류는 연안 해역에 주로 서식함
-다세포성 체제
-엽록소-a, 엽록소-c, 외에 보조색소물질로 갈조소(fucoxanthin)를
함유하여몸체가 연갈색 내지 진한 갈색을 띰
-주로 암반에 부착 서식하며 연안해역의 중요한 1 차 생산자 역할
29 돌말/규조류(Diatoms)

-황조식물(黃藻植物)의 1 강으로
분류하기도 함
-규조식물문으로 독립시키기도 함

-민물과 바닷물에 널리 분포하는


플랑크톤
-수중생태계의 생산자로서 어패류의
먹이로도 중요함
-단세포
-규산질로 된 단단한 껍질
32 와편모충류(Dinoflagellates) : 편모가 옆으로 뻗어있다

33 적조: 특정 와편모충류로 인해 적조 발생

-수중 산소가 부족
-독소를 분비해 물고기를 죽임
34 녹조와 적조
공통점:
- 특정 미세조류의 급증에 의해 일어남.
- 물(강, 호수, 바다)의 양분이 부족 - 조류가 천천히 자람 - 물의 부영양화 발생
ex). 오폐수의 유입: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 부영화된 수계 + 늘어난 일사량 (여름이라는 가정 하에)
→ 수온 증가
→ 조류의 광합성 증가 → 조류 대증식 (녹조 or 적조)

- 광합성 증가 →일시적 산소 증가
- 과증가한 조류 사멸 & 세균에 의한 분해: 산소의 소비→ 산소부족 → 물고기 폐사.
- 일부 조류는 독소 분비.
ex).Gonyaulax (적조),
Pfiesteria (적조)
35 진균류 (fungi): 곰팡이, 효모, 버섯
36 곰팡이(mold):
-균사로 이루어짐
-두꺼운 세포벽
-식물과 비슷 but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살아갈 수 없는 종속영양생물
37

-균사(Hypae)의 끝에 포자 형성
-곰팡이의 종류에 따라 포자의 양식이 다름

38 균사: 우리가 실제로 보는 곰팡이


- 균사는 곰팡이나 토양세균인 방선균(actinomycetes)에서 관찰되는 긴 사상성(끈) 구조
- 대부분의 곰팡이에서 영양생장(vegetative growth)의 주된 형태이다.
-균사가 총체적으로 모인 것을 균사체(mycelium)라 한다
39 곰팡이의 균사체가 모여있는 그림
41 효모 (yeast)

<엄마와 딸세포>

딸 세포가 떨어져
나간 자국 ( bud

42 버섯 (mushrooms)
버섯이 다 자라면 포자가 떨어져 균사가 다시 자라 버섯이 됨

44 바이러스 (virus):
바이러스는 DNA 나 RNA 를 유전체(genome)로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로 둘러 싸여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capsid). 바이러스는 혼자서 증식이 불가능하여 숙주 세포(host cell)내에서 복제를
하며, 세포 간에 감염(infection)을 통해서 증식한다. 동물, 식물, 박테리아 등 거의 모든 생명체에는
각각 감염되는 바이러스가 존재하며, AIDS 나 독감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세포막이 없음
-유전물질을 capsid 라는 껍질이 둘러 싸고 있음
Nucleic acid (genome) + capsid + envelope
-------------- All viruses -----
---------------------- Some viruses ———
45 바이러스의 분류:
-숙주에 따른 분류: 세균 바이러스 (Bacteriophage)
동물 바이러스 (Animal virus)
식물 바이러스 (Plant virus)

-유전물질에 따른 분류: DNA virus


RNA virus
46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바이러스: (bacteriophage/phage)
RNA 파즈도 있고 DNA 파즈도 있음
(Single-strand, double-strand)
ex). T4
47 Bacteriophage T4: 대장균에 감염, 복잡한 구조

48 SSV1 virus: dsDNA 유전물질


숙주: Crenarchaeota (고세균의 일종)

49 A virus of Crenarchaeota: SSV1 virus: 두겹의 capsid

ATV virus (ds DNA)


50 Bacteriophage (Bacteria + phagein (먹는다))
많은 bacteriophage(or Phage) (BUT NOT ALL)는 숙주박테리아 세포에 침입 - 숙주 내에서 증식
- 숙주세포를 파괴하면서 방출됨.
=즉, 숙주세포를 죽임.

박테리오파아지와 숙주세균: 특이적 관계.


한 종류의 파아지는 한 종류(혹은 연관된 몇 종류)의 세균에만 감염.
→파아지 요법: 특정 병원균에 대한 치료제로 연구.

박테리오파아지를 소독제(살충제)로 이용
ListShield: Listeria monocytogenes 에 감염하는 박테리오파아지 용액.
51 Diversity of Animal Viruses: DNA Viruses

Envelope 이 있는 바이러스가 있고 없는
바이러스가 있다.

52 코로나는 envelope ssDNA 바이러스


53 Picornavirus: 굽을 가진 포유류들이 감염되는 바이러스

54 Coronavirus:

-호흡기 질환 (예: 일반 감기의 15%)


-CoVid 19: 현재 발견된 새로운 코로나

55 Rhabdovirus

-광견병 바이러스
-Rhabdo: 막대모양
-주로 동물 감염 하지만 식물도 감염됨

56 Influenza: 인플루엔자 (독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57 Reoviruses (ds DNA)

-어린이 설사, 호흡기 감염


-식물감염도 발견

58 Polyomavirus (ds DNA)

-“oma”: 종양 (tumor)
-피부암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
59 Pox Virus (ds DNA)

-가장 크고 복잡한 구조의 동물바이러스 (400 nm)


-(사상자 많음)천연두 (small pox) 유발
-일부는 종양도 유발

60 Hepatitis B Virions (partially ds DNA)

-가장 작은 동물바이러스 중의 한 종류
-급성 및 만성 간염 유발, 종양 유발 가능성이 높음.
-전염: 혈액 또는 성적 접촉
61 Zika Virus (ssRNA): 소두증 유발 (모기에 의해 전파)

62 Tobacco Mosaic Virus: 식물 감염

63 바이러스의 다양성: 현재 5000 개의 바이러스가 연구됨 하지만 바이러스는 지구의 생명체


만큼이나 많음
64 바이로이드 (viroid)
- 병을 일으키는 것 중 가장 작음
- 짧은 원형 RNA 를 genome 으로 가짐
- 단백질 껍질이 없음 =/ 바이러스
- 고등 식물에서 존재, 식물 속 병원의 원인

새털라이트 (satellite)
- 식물에 많이 발생하지만, 식물, 동물, 박테리아에도 발생함
- capsid 와 비슷한 껍질은 있지만 유전자 복제를 못하고 helper virus 가 필요함
65 프리온 (prion)
- 비정상적으로 접힌 단백질
-섭취시 다른 개체 감염
- 퇴행성 신경 질환을 일으킴 ex). 광우병
-상성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연구 미비
ppt 2-1
2. 미생물들은 어떤 곳에서 살고 있는가? (= 지구상에 다양한 환경시스템에 어떤 미생물이 살고 있는가?
3 저수지, 빨간색부분 : 저수지에 있는 홍색황세균(purple photosynthetic sulfur bacteria in the bug)
-자주색의 광합성하는 박테리아가 붉은 색소를 합성해서, 저수지 표면에 빨갛게 물감을 뿌린것처럼 보임

4 지구상에서 환경을 나눠보자.


1) 공기(산소)가 있는 곳과 없는 곳
2) 매우 뜨거운 곳 ( 100도이상) 과 차가운 곳( 0도 이하)
3) 강한 산성 또는 염기성인 곳 ex) pH2, pH10
4) 소금의 농도가 매우 높은 곳 ex) 바닷물 소금 농도의 6배 되는 곳 – 민물은 소금농도낮
5) 압력이 높은 곳 ex) 500-800기압
미생물은 지구상 거의 모든 곳에서 살 수 있음. 다양한 미생물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살고 있음. 환경에 따
라서 다른 미생물들이 산다.
5. 산소(O2)의 양면성
* 산소: 산소호흡을 하는 생명체(사람, 대다수 동물) 에 필수적
유기물의 에너지(high E electron)-> 전자(높은 에너지에서 낮은 에너지로 전자가 운반됨. 이것이 ATP 합성)-
> Electron acceptor(전자수용체) : 낮은 에너지의 전자를 받아들임
여기서 산소가 바로 전자수용체
산소호흡을 하는 생명체는 산소가 없으면 살 수 없음.

*산소의 독성: 산소가 가지고 있는 문제는 산소는 매우 반응적이고 생물체를 구성하는 화학물질들을 파
괴(산화)한다 는 것이다. 밀러(Miller) 실험과 유사한 실험들로 유명해진 아미노산을 비롯한 생명체의 다른
기본 구성분자 (building blocks of life)들은 산소의 존재 하에서는 자연상태에서 어떠한 것도 형성될 수 없

6 에너지를 어떻게 얻는가

Cf)자연상태 : 수소가스를 산소와 반응시키면 열, 빛, 폭발하듯이 에너지 방출, 물 형성

<산소호흡을 하는 세포>안에서는 (수소를 직접 물과 반응 아님)


수소가스를 분해해서 두개의 수소원자를 만듬. 수소원자가 수소 이온과 수소전자로 나눠짐.
이때의 수소전자는 강한 에너지를 가짐. 이 전자에서 단계적으로 에너지를 뽑아내면서 atp 합성
전자가 에너지를 다 잃으면 수소이온, 산소(전자수용체)와 결합해서 물 형성

8. 밀러(Miller)의 실험
지구상의 생명체의 기원에 대한 중요한 실험
지구상에서 자연적으로 유기물이 합성, 뭉쳐서 원시세포, 이래서 생명체가 합성됐다라는 설 있음..
이 설의 첫째전제조건 : 지구상에서 유기물이 자연적으로 합성가능한가
->이를 증명해주는게 밀러의 실험

원시지구의 대기 : 수증기,메탄가스, 암모니아가스, 수소가스(H2O, CH4, NH3, H2),


Energy (lightening, UV)번개,자외선을 이용한 에너지 가 존재했음
이러한 간단한 무기물들로부터 유기물(생물을 이루는 물질)이 자연적으로 합성될 수 있는가?

밀러의 실험장치
커다란 원형플라스크에 물을끓임,원시지구의 상황형성(매우뜨거움, 수증기)
수증기가 위로 올라가서 만나는 원형유리에 원시대기형성 ,:메탄가스,암모니아가스,수고가스
전극양쪽에 꽂아 방전이일어나게 만듦. 에너지원으로 작동하게 번개처럼
반응을 계속 진행해나가면서, 샘플체취, 분석

다음과 같은 유기물들이 합성됨


CH O(탄수화물), 2HCN(시안화 수소) Amino acids(아미노산), Hydrocarbons(탄화수소).
특히, 아미노산이 중요

원시대기에는 광합성 생명체가 나타나기 전, 산소가 없었다.


만일 산소가 존재했다면, 이러한 유기물들은 합성되지 않았을것임(산소의 독성)

9. 호기성(aerobic):산소가 있어야 살 수 있는VS 혐기성(anaerobic): 산소가 없어야 살 수 있는


작은 흙 덩어리에도 산소농도 차이가 있다.->미세환경(microenvironment)의
차이-> 존재하는 미생물의 차이, 산소를 좋아하는 미생물은 표면에, 산소를 싫어하는 미생물은 안쪽에 산
다.
Ex) 직경이 1센치미터 되는 흙덩어리로 실험, 흙의 표면은 대기상태와 똑같이 산소가 약 21퍼센트중심부
로 갈수록 상소농도가 낮아져 중심부에는 산소가 거의 없음.
표면 20프로 정도, 안으로 들어갈수록 산소가 없는, 흙덩어리 속에 세균이 산다면 산소 좋아하는 놈은 표
면에 살고 싫어하는 놈은 안에 산다.
10. 미생물들이 산소에 어떻게 반응하느나.
튜브 5개 안에 똑같은 물질 Thioglycolate broth (영양분이 많은 고깃국물)with agar(액체를 묵같이 변하게
해줌) and a redox dye (resazurin)(산화환원반응을 나타내주는 염료, 산소가 있는 곳에서는 진한분홍색으로
색나타나게 해줌.)
A:산소가 있는 쪽에서만 자람, B;산소가 없는 쪽에서만 자람, C:산소가 있는 쪽에서도 자라고, 없는 쪽에서
도 자라지만, 있는 쪽에 좀더 밀도있게 자람. D:산소 있는 쪽에서는 거의 안자라고 산소농도가 살짝 낮춰
진 그 다음 단계에서 거의 자람E:산소가 있거나 없거나 균일하게 자람
ABCDE순서대로 Obligate aerobes (절대호기성) Anaerobes (혐기성) Facultative aerobes (조건혐기성)
Microaerophiles (저산소성 ) Aerotolerant anaerobes (내기성)

A)Obligate aerobes (절대호기성) need oxygen(산소호


흡) because they cannot ferment or respire anaerobically. They gather at the top of the tube where the oxygen
concentration is highest
b) Obligate anaerobes (혐기
성) are poisoned by oxygen, so they gather at the bottom of the tube where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owest. 

c) Facultative anaerobes (조건혐기
성) can grow with or without oxygen because they can metabolise energy aerobically or anaerobically. They gat
her mostly at the top because aerobic respiration generates more ATP than either fermentation or anaerobic re
spiration. 

d) Microaerophiles (저산소성
) need oxygen because they cannot ferment or respire anaerobically. However, they are poisoned by high conc
entrations of oxygen. They gather in the upper part of the test tube but not the very top. 

e) Aerotolerant organisms (내기성) do not require oxygen as they metabolise energy anaerobically (use
fermentation). Unlike obligate anaerobes however, they are not poisoned by oxygen. They can be found evenly
spread throughout the test tube.
절대호기성 세균들은. 산소를 반드시 요구, 발효 하지 못함, 비산소성 호흡 하지 못함.
혐기성 세균은 산소가 독으로 작동 산소가 있으면 죽음
조건혐기성 세균은. 산소를 이용해서도 다른방법으로도 에너지 대상가능, 다만 산소를 이용한 호흡이 더
많은 에너지 만들긴 함
저산소성 세균은 산소를 필요로 왜냐면 발효를 할 수 없고 비산소성 호흡 하지 못함. 하지만 높은 농도의
산소에서는 죽음
내기성 세균은 산소를 요구하지 않음 왜냐면 산소가 없어도 발효와 같은 에너지 대사 가능 하지만 산소가
독성으로 작용하지도 않(혐기성과의 차이점)아 산소 있,없 상관 없
12. 온도
온도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
- 미생물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
- 세포막 유동성을 변화시킴, 양분 흡수에 영향 - 유전물질의 안정성에 영향(DNA구조에도 영향)
-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도 영향
최적 온도 (Optimal temperature) : 생명체마다 각자 잘 자랄 수 있는 온도를 가짐
13. 저온성세균(Psychrophile); 4도에서 잘자람. 10도 넘어가면 자라지 못함
중온성세균(Mesophile) 38-39도에서 가장 자 자람, 10도이하,45도 넘어가면 자라지 못함
고온성세균(Thermophile) 60도 정도에서 가장 잘자람. 40도이하,, 60도보다 높아지면 또 안 자람
초고온성세균(hyperthermophile) 88도정도에서 가장 잘 자람. 이것 중에서 Pyrolobus fumarii는 이것보다 더
높은 온도(106도)에서 잘 자람.
=>이렇게 추운지역부터 뜨거운 지역까지 다양한 세균들이 그 온도에 적응해서 살아갈 수 있다.

14. 추운 지역 : 북극해 (북극해 바닷물을 체취해서 시료염색후 관찰, 다양한 생물, 원생생물, 조류들이 살
고 있)
15. 남극 (남극 빙산에서 구멍 뚫어 꺼낸 얼음조각, 시추한 얼음의 색이 진한 이유? 미생물들이 많이 존재,
미생물들이 색소 만들어냈기 때문, 이를 현미경으로관찰해보니 조류들(돌말, 녹조류) 많)
=> 추운 곳에도 다양한 미생물들 살고있어
16. 고산지대 ( 이사진은 캘리포니아 시에라 네바다 산맥(Sierra Nevada), 여름에 남아있는 얼음, 빨갛게 보
임, 왜? 진핵미생물인 녹조류의 일종(Chlamydomonas nivalis)때문, 여름에 자외선(많은 세포들DNA에 손상
입힘)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시스트cyst 형성, 시스트에는 빨간 색소가 많음, 물론 조류의 종류에 따라 초
록,주황, 갈색, 빨강 등 색은 다양)

17. 더운 지역: Self-Heating (자연발열) Coal Refuse (석탄폐석) Pile->Habitat of Thermoplasma(고세균의 서식


지)
(석탄채굴하면 다른 돌멩이들도 많이 나옴, 잡석들을 모아놓면 압력이 생겨 열이 생기고 고세균이 많이 만
들어짐. 고세균들이 열을 더 많이 만들어 냄. 김이 나는 곳처럼 보임. )
18. 화산활동이 심한 지역(화산활동이 심해서 유황이 많이 축적된 지역, 김이 펄펄나는, )
온천지역
19 간헐천(온천에서 압력이 축적되면, 일정한 시간마다 물이 솟구쳐오름)
20 뜨거운 지표에 있는 온천
21 화산활동 근처 뜨거운 물이 흐르는 개천, 노랗게 표면이 침식, 온천수의 황을 이루는 세균(박테리아)들
이 자라서 황색으로 축적된 것.
22. 뜨거운 물인데 물바닥에 빨간 페인트처럼 매끈한 물질로 덮여있는 모습, 바위 표면에 물에서 나온 철
을 산화시키는 원핵세포(미생물)들이 많이 자란것, Biofilm , 일부 온천에서 나타남
=> 뜨거운 곳에서도 세균이 산다.
Ppt 2-2
1. pH (-log[H+]): 수용액의 수소이온 농도
산성 <pH7 <염기성
<수소이온의 농도의 영향>
1)세포막의 기능에 영향. 2)단백질의 구조 변화
강산 혹은 강염기성 조건 -> 3)세포구성 물질 (DNA, RNA,인지질 등)의 분해
외부 pH의 변화->영양분의 이온화에 영향->4)영양원 섭취에 영향 (미생물의 생존에 영향을 준다)
<수소이온 농도에 따른 세균의 분류>
Acidophile(호산성균)~pH 3
Neutrophile((호)중성세균) ~pH 7
Akalophile(호염기성) ~pH 10
2 산성이 높은 물은 어디에 있을까?
Acid Mine Drainage (산성 광산 폐수) from a Bituminous Coal(역청탄) Region
광산폐수,, 역청탄을 채광한후 흘러나온 물, 산성이 아주 높음, 노랗게 보이는 물, 이건 물이 노란게 아니라
그 아래 표면에 물에 사는 박테리아가 붙어서 노랗게 보이는 것
3 Ferroplasma acidarmanus 이 세균들은 철을 산화시키는 고세균의 일종, 조건혐기성(facultative anaerobes)
인 세균, 산성이 아주 높은(=수소이온농도는 낮은) 강산화조건에서 살 수 있음.(pH ranges from 0.0 to 2.0)-
> 위 안의 산성과 같음. 온도에는 크게 영향 받지 않음.(They are also mesophilic to moderately thermophilic
with optimal temperatures ranging from 35-55°C.)
4 Spirulina : 염기성 조건에 사는, 녹조류(시아노 박테리아)가 많이 모여서 나선형의 덩어리를 만든 것, 사
람들이 이것을 보조영양소로 먹기도 함, 전세계적으로 이걸 키워서 건강식품으로도 팔고 있음. 양식(닭,
오리 등의 가금류)을 할 때, 사료로 사용함. pH8.5 이상의 알칼리성 조건에서 살고, 온도는 30도정도에서
산다.
5 Spirulina is a biomass of cyanobacteria (blue-
green algae) that can be consumed by humans and other animals. The two species are Arthrospira platensis a
nd A. maxima.
Cultivated worldwide, Arthrospira is used as a dietary supplement or whole food. It is also used as a feed sup
plement in the aquaculture, aquarium, and poultry industries.
Spirulina thrives at a pH around 8.5 and above, which will get more alkaline, and a temperature around 30 °C
(86 °F).
Provided in its typical supplement form as a dried powder, a 100-g amount of spirulina supplies 290 Calories and
is a rich source (20% or more of the Daily Value, DV) of numerous essential nutrients, particularly protein, B
vitamins (thiamin and riboflavin, 207% and 306% DV, respectively), and dietary minerals, such as iron (219% DV)
and manganese (90% DV) (table). The lipid content of spirulina is 8% by weight (table) providing the fatty acids,
gamma-linolenic acid,[39] [40] alpha-linolenic acid, linoleic acid, stearidonic acid,[41] eicosapentaenoic acid
(EPA),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arachidonic acid.

6. 염도
일반 세균 : 0.1~1.0 M NaCl (0.5 ~ 5%), 해수의 염도 ~3.5%
민물에 사는 생물들은 바닷물에서 잘 살지 못함.
7 다양한 세균들이 이렇게 염분의 농도에 따라서 내염성, 호염성, 극호염성으로 나눌 수 있음. + 비호염성
은 염도가 있으면 살 수 없는 것.
비호염성(Nonhalophile) 세균에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이 있음. 대장균은 소금물이 0.1퍼센트 이상에서
는 살 수 없음. 대장균이 사는 척추동물의 대장은 염도가 높지 않음. 내염성(Halotolerant)인 세균
ex) Staphylococcus aureus은 농도가 낮은곳에서 잘 삼. 7-8퍼센트에서도 잘살아.(염도에 저항성이 있음) 호
염성(Halophile)은 5퍼센트 이상되야지 잘 살 수 있는
것. Ex)Aliivibrio fischeri (also called Vibrio fischeri) is a Gram-negative, rod-
shaped bacterium found globally in marine environments 이건 바닷물에 사는 세균, 극호염성
(Extreme halophile)은 소금물의 농도가 10퍼센트 이상, 20퍼센트까지도 잘 자
람. Ex) Halobacterium salinarum is an extremely halophilic marine obligate aerobic archaeon.이건 고균의 일

8 염도 높: 갯벌, 염전 ex) 염전에서 소금 결정 생긴 모습인데 군데군데 보이는 미생물


 염도 높은 곳에서도 미생물은 자란다.
9 압력
지표면은 1 기압 ( 우리가 보통 살아가는)
수심 10 m 증가할때마다 1기압씩 증가, 심해에 가면 매우 높은 600-1000 기압.
Barotolerant(내압성) : 미생물들 중에 압력이 높아도 살 수 있는 것.
Piezophilic(호압성): 심해 무척추 동물의 내장에 서식. 높은 압력 조건에서만 생장.
10 내압성세균(Piezotolerant) 압력이 낮은 조건에서도 살지만 200기압 정도 되도 잘 자람. 호압성세균
(Piezophile)은 400기압정도 될 때 잘 자람. 극호압성 세균(Extreme piezophile)은 600기압정도 될 때 가장 잘
자람.

11 깊은 바다 속(압력이 높은 곳)에 사는 세균을 어디서 볼 수 있을까.: 심해, Black smoker chimney


바닷물이 안으로 들어가서 뜨겁게 데워진 다음다른 물질과 함께 위로 분출, Black smoker(=Hot vent): 350
도 가까이되는 굉장히 높은 온도의 물이 나옴. 이 뜨거운 물이 끓지 않는 이유는 압력이 높기 때문임. 이 물
안에는 많은 무기물들이 들어 있어 까만 연기처럼 보임
Cf) 안 속 깊이 가지 않고 표면에서 흐르는 warm vent(6도-23도)도 있음.

12 Hydrothermal vents(열수분출공, 열수구)= Black smoker


심해에 잠수정을 보내서 찍은 사진, 물인데 물 안에 많은 무기물들이 들어 있고 밀도가 달라서 마치 연기
가 뿜어져 나오는 것처럼 보임.
13 열수분출공 주변에 무척추동물들이 살고 있는 모습. 까만 물에는 다양한 환원상태의 무기물들과 황 성
분이 들어있어, 미생물들이 에너지원으로 사용가능.
14 Phylogenetic FISH Staining of Black Smoker Chimneys
열수분출공 근처에서 잠수함이 샘플을 체취해서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 녹색으로 보이는 박테리아(세균),
주황색으로 보이는 고세균, 즉 다양한 원핵생물들이 살고 있구나.
15 원핵생물 뿐만 아니라 무척추동물들도 함께 삶. Tube worm(관벌레)는 무척추동물임. 관벌레는 혼자 살
아가지 못하고 Plume과 박테리아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산다. Plume(깃털)은 아가미와 비슷하게 바닷물
필터 역할을 한다. 열수분출공에 많은 무기물들과 같은 걸 필터로 걸려서, 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들에게
거른 무기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관벌레가 어떻게 사는지 보면, Plume이 황화수소를 받아들이고,
공생하는 박테리아에게 보내서, 박테리아가 황화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해서 유기물 합성, 이걸 관벌
레에게 줌. 즉 관벌레는 혼자서 살아가지 못함.
그림(c) 관벌레 옆에 홍합이 자란 모습인데 홍합이 노랗게 보이는 이유는 홍합 안에도 황화수소를 이용하
는 세균, 고세균이 살기 때문이다..
16 관벌레와 같은 심해동물들이 공생하는 세균으로부터 유기물을 공급받아 산다. 이 세균들은 어디에 사
는가. 관벌레와 같이 공생하는 무척추동물의 몸 안 에는 영양체(trophosome)라는 기관이 있음. 굉장히 많
은 세균이 하나의 영양체 안에 들어 있어 이들이 황화수소와 같은 에너지원을 받아들이고 유기물을 합성
해 공생하는 무척추동물들에게 유기물들 공급해주는 역할을 함.
A trophosome (영양체) is an organ found in some animals that houses symbiotic bacteria that provide food for
their host. Trophosomes are located in the coelomic cavity in the vestimentiferan tube worms (Sibloglinidae, e.g.
the giant tube worm Riftia pachyptila) and in symbiotic flatworms of the genus Paracatenula

17 Methanotrophic Symbionts of Marine Mussels


메테인 가스를 합성해서 사는 세균들. 이러한 세균들이 바닷속에 산다.
18 로보트 팔이 바닷속에서 시료를 체취하는 모습
19 지금까지 산소, 온도, pH, 염도, 압력을 배우면서 다양한 조건에서 다양한 미생물들이 산다는 걸 배움.
다른 환경 : 사막, 사막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음.
Filaments of cyanobacterium on desert crust 그림 속 가는 실은 시아노박테리아의 일종이 필라멘트(실)을 형
성한 모습

Ppt 2-3
1 다른 생물과 어울려 사는 미생물
미생물 – 미생물, 미생물 – 식물, 미생물 - 동물
2 지의류(Lichens): 미생물 – 미생물(식물?), 지의류는 이끼와 비슷하지만 이끼가 아님!
균류(곰팡이류)와 조류(algae)가 복합체가 되어 생활하는 생물군
. -균류는 자낭균류 또는 담자균류의 1종이고, 식물 뿌리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공생체를 지탱하고 더불어
수분과 무기 영양분을 흡수.
-조류는 남조류 또는 녹조류의 1종으로 광합성을 함.
양자의 결합으로 조류나 균류가 혼자서는 살 수 없는 환경에서도 살아감
3 다양한 종류의 지의류 모습.죽은 나무, 돌에서도 자람.
4,5 석조상에 있는 지의류 모습.
6 미생물 – 식물 (Plants and microorganisms)
미생물-식물 사례 배우기 전에, 용어 공부
Phyllosphere (엽권, 지상식생권)
Phyllosphere는 미생물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식물체에서 지상에 존재하는 부위를 말하며, 이것에많은
미생물들이 존재함.
Phyllosphere 좀 더 세분화하면
caulosphere (stems), phylloplane (leaves), anthosphere (flowers), carposphere (fruits).
Rhizosphere (근권): 미생물이 살고 있는 지하의 뿌리(뿌리주변의 토양). Laimoshpere: 미생물이 살고 있는
지하의 줄기(줄기주변의 토양).

많은 식물이 세균, 진균, 고세균, 원생생물과 같이 살고 있음. 미생물은 식물 생장에 도움-공생하기도 하


고, 병원균도 있지만 대부분의 미생물은 식물에 영향을 주지 않음.

7 엽권에 살고 있는 곰팡이의 모습. Examples of Phyllosphere (葉


圏) Microbial Life, Fungus growing on the surface of a leaf
8 근권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모습Examples of Rhizosphere (根圈) Microbial Life
클로버 뿌리에 살고 있는 박테리아Bacteria on the rhizosphere/rhizoplane of clover, Bacteria attached to the
surface of root hair of clover

9 식물과 미생물의 공생
Mycorrhizae (菌根) 균근은 진균의 균(myco-)과 식물 뿌리의 근(rhiz-)을 합한 명칭으로 곰팡이 균사와 식물
뿌리가 공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식물의 뿌리에 곰팡이가 자라고 있는 모습
10 균근은 공생관계이다.
식물은 곰팡이에게 당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기물을 곰팡이에게 제공한다.
곰팡이는 균사가 수분과 다양한 미네랄 원소를 흡수하여 식물에게 제공한다.
균근이 식물뿌리와 공생하는 미세구조에 따라 외생균근(ectomycorrhiza)과 내생균근(endomycorrhiza)으로
나눈다.
외생균근은 식물뿌리의 세포주변을 균사가 감싸는 구조로 되었으며 곰팡이와 뿌리세포 사이
에서 물질교환이 일어난다.
내생균근은 균사가 식물의 세포벽을 뚫고 들어가 세포막을(통과하지 않고) 밀면서 균사끝부분이 넓게 발
달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균사끝부분의 표면적을 넓혀 식물과 물질교환을 원활하기 하기 위함이다
11 Ectomycorrhizae (外生菌根) as found on roots of pine tree, 외생균근의 일종이며 소나무 뿌리에 살고 있
는 곰팡이의 균사체를 보여주는 모습
12 Endomycorrhizae 내생균근으로 식물 세포 안에 곰팡이의 균사가 자라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13 <식물과 곰팡이의 공생이 존재한 배경은> 영양분의 지원 외에도 많은 이익이 있기 때문이다.
1) 식물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한다.
2) 진균의 균사가 식물의 뿌리 길이에 준할 정도로 길게 뻗어 있으므로 가뭄에 대한 저항성도 크게 향상됨
은 물론 염분에 대한 저항성도 증가.
3)또한 균근과 공생하는 식물은 곤충에 대한 저항성도 증가.
곤충에 의하여 공격받은 식물은 균근의 곰팡이에 의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을 분비하는데 이 VOC가 곤충의 천적을 모으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
니라 자신의 주변에 있는 식물에게도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14 Effect of Mycorrhizal Fungi on Plant Growth
동일한 식물2개에 대하여 하나는 균근이 형성되서 곰팡이와 공생, 하나는 공생관계가 없는 상태에서 실
험 진행. 곰팡이와 공생관계인 경우에 식물의 생장이 빨리 진행되는 것을 보여줌.
15 Soybean Root Nodules (뿌리혹): 식물-미생물 공생
세균이 고등식물(주로 콩과 식물)의 뿌리에 침입하여 그 자극에 의해 이상 발육하여 생긴 혹 모양의 조직
으로 질소고정 박테리아를 가지고 있음.
뿌리혹 박테리아는 질소고정세균의 하나로 주로 콩과 식물의 뿌리에 공생하는 세균이다.
16 )뿌리혹
- 식물의 뿌리에 질소고정 세균이 공생하며 형성되는 뿌리조직의 혹모양 형태.
- 뿌리혹은 주로 대두, 완두, 강낭콩과 같은 콩과식물에 형성된다.
- 콩과식물과 공생하는 뿌리혹세균(Rhizobia)은 공기 중에 있는 질소를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질소원의 형
태인 암모니아로 고정시킨다.
-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당을 생성하고, 이의 분해 산물인 말산(malate)은 세균의 성장을 위한 에너지원으
로 사용된다.
- 이러한 공생관계를 통해 콩과식물은 다른 식물들이 자라지 못하는 질소가 부족한 토양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는 매년 수백만 달러의 질소 비료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다 주고 있다.
17 뿌리털에 세균(뿌리혹 박테리아)이 붙어있는 모습.
18 뿌리혹 형성
1) 인식(recognition)과 부착(attachment): 식물과 세균의 상호 특이적 인식을 통해 세균이 뿌리털에
부착한다.
2) 식물과 세균의 상호 신호전달
- 뿌리에서 플라보노이드 분비
- 플라보노이드는 세균의 유전자 발현(nod 유전자)
- 특정 플라보노이드 <—> 특정세균
뿌리혹세균과 콩과식물 사이에서 관찰되는 공생의 특이성은 식물에서 분비되는 플라보노이
드의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3) 세균의 침입.
- Nod 인자는 식물 뿌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결합. 뿌리혹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생화
학적 형태의 변화
- 뿌리털이 구부러지면서 세균을 감싸게 되고, 어느 정도 증식한 세균은 감염사(infection thread)
라는 섬유소 관을 통해 뿌리혹 생성장소로 이동한다.
4) 박테로이드(bacteroid) 형성 및 질소고정
- 세균은 식물 세포 내에서 빠르게 증식하고 변형된 세균 세포 형태인 박테로이드로 전환된다.
박테로이드는 식물세포막에 의해 둘러싸여 심비오솜(symbiosome) 구조를 형성하고 이후 질
소고정이 시작된다.

19 뿌리혹세균(root nodule bacteria)의 감염과정 ( 아래 그림에 대한 설명 없었음)

A symbiosome(식물의 세포벽으로 둘러 싸여 있고 안에 박테리아가 많이 있는 형


태) is a specialized compartment in a host cell that houses an endosymbiont in a symbiotic relationship.

20 Root Nodule(뿌리혹) Structure 뿌리혹은 역시 symbiosome이여서 그 안에 많은 박테리아가 살고 있다.


21 Effect of Nodulation on Plant Growth
동일한 식물에서 뿌리혹 박테리아에 의해서 식물의 생장이 촉진 됨을 보여주는 사진
22 Stem-nodulating Rhizobia(근류근)
뿌리뿐만 아니라 줄기에 뿌리혹과 비슷한 구조를 형성하는 세균도 있다.
23 <콩과식물 이외의 식물과 세균과의 공생관계>
Water fern(물고사리) Azolla 와 nitrogen-fixing cyanobacteria(질소고정 시아노박테리아인) Anabaena
Anabaena : 사상균의 일종인 시아노박테리아로, 플랑크톤으로 많이 존재, 광합성을 할 뿐만 아니라 질소
고정가능 , 많은 식물과 공생관계를 형성, 신경독을 생성해 식물을 먹는 동물이 식물을 먹지 않도록 억제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Anabaena is a genus of filamentous cyanobacteria that exist as plankton. They are known for nitrogen-fixing
abilities, and they form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certain plants.
Anabaena produce neurotoxins, which are harmful to local wildlife, as well as farm animals and pets.
Production of these neurotoxins is assumed to be an input into its symbiotic relationships, protecting the plant
from grazing pressure.
24 미생물-동물
1) 곤충에 기생
25 Wolbachia : gram-negative bacteria이고 많은 수의 절지동물(곤충포함)과 선충에 감염하고, 75퍼센트 이
사이 곤충이나 선충에 감염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됨.
Wolbachia is a genus (속) of gram-negative bacteria that infects arthropod(절지동
물) species, including a high proportion of insects, and also some nematodes (조사한 곤충, 선충의 ~75%).
- Walbachia는 숙주를 다양한 바이러스로 부터 보호. - Walbachia는 암컷에서 후손(알)로 전달됨.
수컷에 감염한 Walbachia는 자신의 후손을 남길 수 없음. - 이들은 숙주의 생식과정을 자신에 유리하도록
변화시킴. 만약, 수컷을 감염시키면-> 남성호르몬 분비억제-> 암컷으로 변화시킴.
만약, 암컷을 감염시키면, -> 모든 알이 암컷으로 태어나게 함.(수컷 알은 낳지 못하도록)

Reproductive Parasite 생식기생


Walbachia is the most common reproductive parasite in the biosphere. Wolbachia는 가장 대표적인 생식기생
중에 하나이다.
그림은 말벌의 알에 존재하는 wolbachia 세균임.
26 Termite(흰개미), Protozoa (원생동물), and Methanogenic Bacteria (메탄생성세균)
썩은 나무, 흰개미 탑 안에 살고 있는 흰개미들의 모습
27 흰개미
- 잔사식생물(생물체의 유기물 조각을 먹고 사는 생물)로, 죽은 나무, 대변, 식물과 같은 쓰레기 를 재활용
하여 생태계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 흰개미는 셀룰로오스를 소화하면서 주요 온실가스 중 하나인 메탄을 방출하여, 대기 중의 메 탄의 주요
원천으로 (11%) 지목되고 있다(?)(최근 연구결과는 이보다 적다고 알려짐)
- 셀룰로오스 섬유 구조를 파괴하는데 전문화된 중간창자를 가지고 있다.
- 셀룰로오스를 소화하기 위해 주로 흰개미의 위장에서 공생하는 메타모나드와 같은 원생동물 및 편모충
류와 같은 다른 원생생물에 의존하여, 미생물들의 최종산물을 흡수한다.
- 흰개미의 장에 서식하는 원생생물 (예, 여정편모충)은 필수 셀루로오스 등의 먹이를 소화하 는 효소를 자
신의 표면에서 살아가는 공생 박테리아의 의존한다.

+) 교수님 설명,
흰개미는 실제로는 진화적으로많이 다르고 분류에서는 잠자리와 같음.

셀룰로오스는 나무의 주성분으로써, 쉽게 분해되지 않음. 따라서 대부분의 동물은 셀룰로오스를 분해하
지 못함. 흰개미가 실제로 분해하는 셀룰로오스를 소화하는 양은 소량이고 대부분은 흰개미 장 안에 있는
미생물(원생동물, 편모충 등)이 분해시킴. 이때 , 더 자세히는 원생생물과 공생하는 박테리아들이 분해시
킨다고 볼 수 있다..

28 Figure 1. Collaboration of the host and the symbionts in lignocellulose digestion.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digestive tract are labeled: esophagus (E), salivary glands (SG), foregut (FG),
midgut (MG), Malpighian tubules (MT), and hindgut (HG)
이 그림은 흰개미의 장을 찍은 모습과 그림,
흰개미의 중간창자(midgut)와, 뒷창자(hindgut)를 보여주고 있음.
29 흰개미가 나무를 갉아먹으면, 나무 속 셀룰로오스는 일차적으로 흰개미의 중간창자(midgut)에서 소화
됨. 중간창자에 있는 소화효소는 숙주인 흰개미가 만들어서 공급하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셀룰로오
스는 소화되지 않고, 후장(뒷창자)(hindgut)에서 소화됨. 이 후장 내에는 다양한 원생생물과 원생생물에 기
생하는 박테리아가 존재한다. 이들의 기능에 의해서 셀룰로오스가 완전히 소화되서 흰개미가 양분을 흡
수할 수 있음

Termites and methanogenic bacteria


1. Hydrolysisofcellulose begins with endoglucanases released by the host in midgut.
2. Hindgut. The flagellates and Bacteria.
30 X
31 . Rickettsias. They Grow Within Host Cells
Rickettsia is a genus of nonmotile, Gram-negative, nonspore-forming, highly pleomorphic (다형성) bacteria that
may occur in the forms of cocci 0.1 μm in diameter, rods 1–4 μm long, or threads up to about 10 μm long.
Rickettsias : 숙주세포(Host cell) 안에서만 살 수 있음. 움직일 수 없는 gram negative박테리아고, spore는 형
성하지 않음.(nonespore-forming) 다양한 형태를 보여줌, 즉, 구균형, 간균형, 때로는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도 함.딱정벌레의 혈구세포 안의 vacuole(포)안에 많은 수의 Rickettsias가 살고 있는 모습.
32 Rickettsias : obligate intracellular parasites 절대 세포 내 기생세균임. 세포 밖에서는 자라지 못하고, 세포
안에서만 살아갈 수 있음. 다양한 절지동물(진드기의 유충, 진드기, 이, 벼룩)에 의해서 사람이나 다른 포
유류로 전염됨
They depend on entry, growth, and replication within the cytoplasm of living
eukaryotic host cells.
Rickettsia species are transmitted by numerous types of arthropod, including chigger(진드기 유충, 양충),
ticks(진드기), fleas, and lice, and are associated with both human and plant diseases.
Rickettsia species are the pathogens responsible for typhus, rickettsialpox, boutonneuse fever, African tick-bite
fever, Rocky Mountain spotted fever, Flinders Island spotted fever, and Queensland tick typhus
Rickettsia (bacteria) – 절지동물 – 사람 : Rickettsias의 감염형태
33 Chlamydia : 역시 절대세포 내 기생세균임.. 이 사진은 Chlamydia psittaci의 모습
34 세포내 기생세균
Chlamydia 3종은 모두 인간에 대해 병원성을 갖는다. 인간의 세포안에서만 살 수 있음.
1) Chlamydia trachomatis : 결막염 및 성병의 일종을 일으킴
STD와 trachoma(전염성 만성 각막결막염)의 병원균이다. 골반장기와 눈의 손상. <질환>
 • trachoma

• (신생아)봉입체결막염

• 요도염

• 자궁경관염(불임의 원인으로서 최근에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 기타 비뇨생식기의 염증

• 서혜림프육아종증
2) Chlamydia psittaci
앵무새병의 원인균이다. 앵무새병은 비정형 폐렴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3) Chlamydia pneumoniae
최근에 밝혀진 종으로 폐렴을 비롯한 호흡기 감염증을 일으키는데 비전형 폐렴을 일으킨다.

35 미생물 – 어류
Bioluminescent bacteria (생물 발광 세균) are light-producing bacteria. 자기자신이 빛을 만들어 냄.
- 주로 해수, 바다 침전물, 부폐하는 어류의 표면, 해양동물의 창자 등에 존재.,
- 육상이나 담수에 존재하는 세균 중에서도 발견됨.
- 독립생활 (such as Vibrio harveyi)을 하거나 해양 동물과 공생하는 종도 있음.
공생(생물발광세균-어류)
숙주동물은 이들 세균에게 안전한 서식지(home)와 영양분을 제공.
공생하는 세균이 내는 빛은 숙주가 위장을 하거나 먹이를 잡거나, 또는 생식을 위
한 배우자를 찾는데 이용됨.
36 두종류의 빛을 내는 발광 세균의 사진
한 종류의 세균을 키운 것.다른 조명 없이 세균이 내는 빛을 이용해 찍은 사진
물고기의 특정한 부위에 발광세균이 많이 모여 있는 발광기관이 있음을 보여줌
물고기내 빛을 내는 기관을 이용해 찍은 사진
물 속에서 유영하는 물고기들의 모습
물고기내 발광기관 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모습, 많은 수의 박테리아가 살고 있다.
37 오징어도 표면에 미생물이 존재해서 빛을 낸다.
38 Squid-Aliivibrio Symbiosis ( 설명 아예 없음)
39 X
40 . 미생물 –포유류.
대표적인 예가 반추동물과 미생물의 공생임.
반추동물을 되새김동물이라고도 한다. 낙타과·애기사슴과·사슴과·기린과·소과의 동물에서 볼 수 있다. 어
느 것이나 위(胃)가 4∼5방(구획)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개의 위를 반추위라고 한다. 


소의 반추위는 먹은 음식물을 넣어두는 큰 첫째위(혹위:rumen)와 벌집과 같은 모양의 벽이 있는 둘째위
(벌집위:reticulum), 점막이 주름 모양으로 된 셋째위(겹주름위:omasum), 위선(胃 腺)이 분포된 넷째위(주
름위:abomasum) 등의 4개 방으로 되어 있다. 

41 Diagram of the Rumen and Gastrointestinal System of a Cow

첫째위는 4방 중에서 가장 큼. (소의 경우 용량이 150∼200l). 모든 음식물을 먼저 이곳에 모아둔다. 이 내용


물을 토해내서
40∼60회 정도 씹은 다음 다시 삼키는데, 소는 40∼50분 사이에 이 동작을 반복하면서 하루 종일 몇 번이고
되풀이한다. 첫째위 속에는 많은 세균이 있어서 셀룰로오스를 분해시킨다. 또 이것과는 별도로 어떤 종류
의 원생동물이 존재하고 있는 데, 이것을 단백질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씹어서 되돌아온 첫째 위의 내용물
은 둘째 위로 간다. 


둘째 위에서는 수축이완 운동을 하여 내용물을 첫째 위로 보내거나 첫째 위로부터 받아들인다. 이 내용물
은 셋째 위에서 가 늘게 부셔져서 넷째 위로 이동하게 되는데, 넷째위에서 비로소 위선으로부터 위액이 분
비된다.
42 소의 위에서 음식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그림.
43 사람과 미생물 , 치아와 미생물
입(oral cavity) 안에는 수많은 종류의 세균이 존재. 약 1000종 이상의 세균이 존재.
세균 뿐만 아니라 다른 세포들, leukocytes(백혈구), neutrophils(호중구), macrophages(대식 세포), and lymp
hocytes (임파구) 등이 입안에 존재
이러한 세균과 다른 세포들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구강의 건강에 중요.
입 안에는 박테리아가 자라서 만들어지는 Dental plaque (치태,치구) 도 존재함.
44 Dental plaque (치태, 치구)
Dental plaque (치태 또는 치구)는 일종의 생물막(biofilm, 균과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는 얇은 점액의 막) 또
는 입안 의 표면에 자라는 세균 군집이라고 설명 가능하다.
- 치태 무게의 약 80–90% 는 물. 치태 건조 중량의 70%는 세균이고 나머지는 다당류와 당 단백질로 구성되
어 있다.
-치태가 처음 만들어질 때는 무색의 끈끈한 물질이나, 치석(Tartar)이 형성되면서 갈색(또는 흐린 황색)으
로 변 함.
- 치태는 이와이사이, 이의앞과뒤, 잇몸과이사이, 잇몸아래에 주로 만들어짐.
- 치태는 microbial plaque, oral biofilm, dental biofilm, dental plaque biofilm or bacterial plaque
biofilm라고도 불리움.
- 치태는 충치와 잇몸 질환의 중요 원인
45 . Distribution of Dental Plaque
이 그림은 치태가 형성되는 것을 보여줌. 이를 깨끗히 닦고 하루만 지나면 치태가 형성됨. 열흘이 지나면
이 전체가 치태로 뒤덮이는 것을 볼 수 있음.
46 Electron Micrographs of Thin Sections of Dental Plaque
Biofilms represent biological systems.치태는 biofilm이고 biological system이다.
(한종류의 세균이 아닌)많은(다양한 종류의) 세균들이 조직적으로 존재.
특정 구조를 만들고 서로 협력하는 일종의 사회를 만든 것.
• In essence, biofilms represent an interdependent community- based
existence.
따라서, bioflm(치태)는 서로 독립적인 community들이 서로 협조해서 이루어진 것
다양한 세균들이 이룬 작은 colony(=미소집락)들로 구성된 치태의 모습
47 Microcolonies of Bacteria
Microcolony (미소집락)은 세균의 작은 집락으로 맨 눈으로 잘 보이지 않고 현미경의 저배율에서 보일 정
도의 크기를 가진 집락을 의미하며, 흔히 최적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 자라는 세균의 작은 집락이나 생장
초기의 작은 집락을 지칭한다.
이 사진은 미소집락을 확대해서 찍은 사진, 여러개의 세균의 모여서 특정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48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Streptococcus mutans
치태를 만드는 대표적인 세균. 충치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treptococcus mutans is a facultatively anaerobic (조건혐기성), gram-positive coccus (round bacterium)
commonly found in the human oral cavity and i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ooth decay.

49 인체의 여러 부위에는 무수하게 많은 미생물들이 존재한다.


Microbiome(Microbiota)-> 우리 몸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균들을 총칭하는 말
소화기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세균들. 소화기는 식도에서 위, 작은창자, 큰창자, 항문으로 이뤄짐. 각 부위
마다 다른 종류의 미생물들이 존재함.
50 Microbiome,Microbiota(미생물군유전체)는 "우리의 인체에 존재하며 공생하거나 질병을 유발하는 미
생물들의 생태계 지도"를 일컫는다. 사람의 microbiome은 수 조 마리의 미생물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전
체 체질량의(무게의) 1~3%가 된다.
51 호흡기관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균들. 공기안에 들어있는 세균들이 폐안으로 들어와서 많은 세균들이
우리의 호흡기관 안에서 살고 있다.
52 여성, 남성의 비뇨생식기에도 많은 종류의 미생물들이 살고 있다. 일부 세균은 항상 존재해서 별로 해
가 없지만, 때에 따라서는 새로운 세균이 감염되서 병을 일으키곤 함. 때론, 원래 존재하던 세균도 너무 많
이 증식하면 병을 일으키기도 함.
53 Lactobacillus acidophilus
사진상 파랗게 보이는 긴 세균들
사춘기와 갱년기 사이에 있는 여성의 질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미생물이다.
PPT 3-1

2. 첫번째 주제 : 미생물은 무엇을 먹고 사는가? = 미생물은 어떤 양분을 흡수하는가? = 흡수한


양분을 어떻게 이용하는가?

3.
* 대사(Metablism)란? : 생물에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화학 반응
- 효소에 의해 반응이 촉매 됨.
- 대사는 생물의 성장, 생식, 형태 유지, 환경에 대한 반응.
- 대사는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 반응을 의미하기도 한다.

* 대사의 종류 두 가지
1) 동화작용(anabolism) : Simple → Complex. 간단한 분자에서 복잡한 분자로.
예시(광합성) - 6CO2 + 6H2O + Energy → glucose (C6H12O6) + 6O2
2) 이화작용(catabolism) :Complex → Simple. 복잡한 분자에서 간단한 분자로. E. g. Glucose +
예시(호흡) – glucose + 6O2→ 6CO2 + 6H2O + Energy
<참고 : glucose 는 포도당>

4.
* 단순분자를 거대분자로 만들려면 에너지 필요. 반대로 거대분자(복잡한 것)을 단순분자(단순한
것)으로 쪼개면 에너지가 나온다.
- 예컨대 인간은 음식물 섭취를 통해 5대 영양소(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얻음.
섭취한 음식물(거대분자) 를 소화시키면서 포도당, 지방산, 글리세롤, 아미노산과 같은 간단한 분
자로 바뀌고, 이걸 세포 내로 흡수함.
- 밥의 탄수화물은 포도당으로 바뀌고, 포도당은 “해당작용, TCA cycle”을 통해 “에너지
+CO2+H2O+열” 로 분해됨. 이걸 세포호흡이라고 함.
이런 대사과정 중에 나오는 중간대사물은 아미노산, 다른 물질의 합성에 사용.
- 지방산, 글리세롤은 분해되어 세포호흡의 기질로도 사용되고
지방산은 세포막의 합성에도 이용이 됨.
- 아미노산으로 다시 단백질 합성하려면 에너지 필요.
- 양분을 이용하여 핵산(DNA, RNA) 등을 합성할 때도 에너지 필요.

7.
* 음식물(양분, 영양소)는 무엇(어떤 원소)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밥(녹말)은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단당류가 여러 개 붙어있는 형태. 탄수화물은 C, O, H로 이루어
져 있음.
- 고기의 지방은 중성지방. 중성지방 또한 C, O, H로 이루어져 있음.
-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음. 아미노산은 C, H, O, N(질소), S(황) 으로 이루어져 있음.
- 핵산을 만드는 뉴클레오타이드(ATP, GTP, CTP, TTP 등이 있음). 핵산의 주성분은 C, H, O, N, P(인).
10.

* 음식물의 중요구성 원소 = C, H, O, N + P, S. 이 밖에도 무기물인 Na(natrium, sodium), K(kalium,


potassium), Fe(iron) 이 있음.
➔ 세포의 중요구성 원소 = C, H, O, N +P, S 가 됨. 여기서 C, H, O, N이 95%이고, P랑 S까지 합치
면 98%

11.

* 미생물은 무엇을 먹고 사는가? 왜?


- 생물이 살아나가고 생장, 증식하기 위해서는
1) 에너지가 필요
2) 세포 구성 성분의 합성  재료가 필요

12.

* 모든 미생물에 필요한 원소 : H, C, N, O, P, S, Se(셀레늄)


대부분의 미생물에 필요한 원소 : Na, Mg, K, Ca, Cl(염소)

13.

* Macronutrients(많이 필요) : C(Carbon), H(Hydrogen), O(Oxygen), N(Nitrogen), P(Phosphorus),


S(Sulfur), K(Potassium), Mg(Magnesium), Na(Sodium), Ca(Calcium), Fe(Iron)
Micronutrients(미량원소, 조금 필요) : B(Boron), Cr(Chromium), Co(Cobalt), Cu(Copper),
Mn(Manganese), Mo(Molybdenum), Ni(Nickel), Se(Selenium), W(Tungsten), V(Vanadium), Zn(Zinc) ~
많이 요구하진 않지만 생명체에 따라 반드시 필요한 생명체도 있음.

16.

* 비타민 : 비타민은 미생물 의 종류에 따라 합성(synthesize)되거나 밖에서 흡수(absorb)해야 한다.


비타민들은 소량이지만 대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18.

* 미생물이 양분 이외에 생존에 꼭 필요로 하는 것 : 에너지(Energy source), 탄소원(Carbon


source). 탄소원 필요로 하는 이유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이 탄소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기 때문.
- 에너지 만드는 방법
1) 빛 : 광합성
2) 화학물질
(1) 유기물 (포도당 등)
(2) 무기물 (수소, 유황, 암모니아, 철, 일산화탄소 등). 이 때 무기물은 “환원상태”.
- 탄소원 만드는 방법
1) 유기탄소 : 유기물에 있는 탄소. (예 : 포도당의 탄소) → 대부분 생명체가 무기탄소 아닌 유기탄
소로 탄소원 만듦.
2) 무기탄소 : 이산화탄소. 광합성 가능한 생명체만 쓸 수 있음.

19. 영양학적 관점에 따른 생명체의 분류

탄소원 유기물질 Heterotroph(종속영양 동물, 균류, 미생물


생물)
이산화탄소 Autotroph(독립영양생 식물, 미생물
물)
에너지원 유기물질 Chemoorganotroph(화 동물, 균류, 미생물
학유기영양생물)
무기물질 Chemolithotroph(화학 미생물
무기영양생물)
빛에너지 Phototroph(광영양생 식물, 미생물
물)
- Heterotroph (종속영양생물): 다른 생물이 합성한 물질을 섭취
- Autotroph (독립영양생물): 자신이 필요한 물질을 스스로 합성

- 사람: 종속영양생물 & 화학유기영양생물


- 식물: 독립영양생물 & 광영양생물

20. 두번째 주제 : 미생물은 어떤 방법으로 먹이를 이용하는가? = 어떤 방법으로 에너지와 몸의


구성성분(세포 구성 물질)을 만드는가?

21.

* 에너지 만드는 방법.


- 에너지원 : 유기물, 무기물(환원상태), 빛. ~여기서 빛은 광합성 하는 애들이 사용.
- 전자에너지(고에너지 전자, 환원상태) 가 “단계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거치면서 에너지를 잃게
되고, 그 에너지가 생물에너지(ATP) 합성에 사용됨.

* 산화-환원 반응 (Redox Reactions) : 산화(Oxidation) 와 환원(Reduction)


- 전자의 이동(높은 에너지 상태 → 낮은 에너지 상태)은 유기물에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고, 이
에너지가 궁극적으로는 ATP 합성에 이용됨.
- 즉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의 이동을 유발하는 반응”
산화(Oxidation=전자를 잃음)
환원(Reduction=전자를 얻음)
둘은 반드시 함께 일어남.
- 예시: X는 전자를 잃었고, Y는 전자를 얻음. 여기서
X(산화됨)= electron donor(전자의 공여체), reducing agent(Y를 환원시키는 환원제)
Y(환원됨) = electron acceptor(전자의 수용체), oxidizing agent(X를 산화시키는 산화제)

* 세포에서의 에너지 생산
- 세포호흡 기간 중, 유기물의 산화가 일어남.

(C6H12O6 : 포도당)
포도당은 이산화탄소로 산화, 산소는 물로 환원.
이 과정에서 포도당에 있던 고에너지 전자들이 점점 에너지를 잃어감. 그리고 그 에너지가 방출
되고, 이 에너지가 ATP 합성에 사용되는 것.

25.

- 왼쪽 그림은 수소를 산소로 태우는 것. 수소분자와 산소분자 결합시키면 열, 빛에너지가 나옴.


수소에 있던 고에너지 전자가 물과 합쳐져서 에너지를 잃음. 즉, 수소에 있는 환원된 전자가 가진
에너지가 열과 빛 에너지로 방출된 것. = 수소의 연소
- 세포에서 일어나는 반응도 원리는 비슷. 차이는 반응이 천천히 일어난다는 것. 우리는 음식물에
있는 환원상태의 수소를 뜯어냄. 이 환원상태의 수소가 효소의 작용에 의해 두 개의 수소 이온,
두 개의 전자로 갈라짐. 이 전자는 환원상태의 전자라 에너지 많음. 그래서 이 전자가 단계적인
전자 전달계를 거치면서 에너지를 점점 잃어감. 그러면서 잃어버린 에너지량에서 ATP가 합성됨.
전자가 에너지를 다 잃으면 산소분자, 수소이온과 합쳐져서 다시 물이 됨. 즉, 세포 내 유기물이
산화되는 과정에서 수소를 빼앗기는 현상이 나타나고, 이 빼앗긴 수소에서 전자를 꺼내서 전자전
달계를 거쳐 ATP를 합성하는 것.

27.

* 생물에너지(ATP)를 만드는 과정 (공통: High energy electron (e*) ----→ ATP)


1) 광합성 (光合成, Photosynthesis)에서 ATP 합성 = Photophosphorylation(광인산화) → 빛에너지
2) 호흡 (呼吸, Respiration)에서 ATP 합성 = Oxidative phosphorylation (산화적 인산화) → 유기물
의 산화

이 때 세포호흡 (細胞 呼吸, cellular respiration)은 산소호흡, 무산소호흡으로 나뉘어짐.


산소호흡(酸素呼吸, aerobic respiration): 산소가 전자 수용체
무산소호흡(無酸素呼吸, anaerobic respiration): 산소 아닌 다른 분자가 전자 수용체로 역할

3) 발효(醱酵, Fermentation)에서 ATP 합성 = Substrate level phosphorylation (기질 수준 인산화)

28.

* 고에너지 전자(e*) 공급원


1) 광합성 (Photosynthesis)
(1) 식물, 조류(藻類), 시아노세균(cyanobacteria, 남세균) → 물 (엽록소)에서 전자가 옴. 그래서 산
소가 발생.

~ 원리 : H2O → 2 H+ + 2e + O
e → 엽록소+light → e* (전자가 엽록소로 전달. 엽록소가 빛에너지를 이용해서 고에너지 전자
로 만듦)
(2) 광합성세균 → 수소, 유황, 철 등에서 전자를 얻음. 원리는 앞과 같음. 이 때 사용되는 엽록소
는 “세균엽록소” 라고 부름. 여기서는 산소 발생X.
2) 호흡 (Respiration) : 유기물, 무기물에서 전자를 얻음. 유기물/무기물 전자는 그 자체가 높은 에
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걸 분해해서 고에너지 전자 얻을 수 있음.
Xe* ---------→ X+ + e*
3) 발효 (Fermentation) : 유기물 분해해서 전자 얻음.
PPT 3-2 + 3-3 (광합성, 호흡, 발효에 대해 알아봄)
(설명 다음 그림 붙였어요!)

1. 광합성 (Photosynthesis)

* 엽록소(chlorophyll)를 이용한 광합성 : 식물, 광합성 조류, 남세균에서 일어남.


- 식물과 광합성 조류에는 엽록체(광합성을 하는 세포 내 소기관)가 있음. 엽록체에는 3개의 막
구조가 존재.(외막Outer membrane, 내막Inner membrane, 틸라코이드막Thylakoid membrane)
~틸라코이드막이 층층이 쌓인걸 그라나(grana) 라고 함.

- 남세균 : 바깥에 끈끈한 코트가 있고 그 안쪽에 외막, 내막, 틸라코이드막. 남세균에서도 엽록소
는 틸라코이드에 존재.

- 광계(Photosystem) : 틸라코이드 막에 존재. 빛 에너지 흡수 기관. 엽록소+단백질로 이루어짐.


이 그림은 엽록소의 기본 구조. 중심에 마그네슘(Mg) 존재. 광계에는 많은 엽록소가 존재.

그래서 각각의 엽록소가 빛에너지(포톤, Photon)을 받아들이고, 그 에너지를 인접한 엽록소에 전해


서 궁극적으로 어떤 특정한 엽록소에 전달. 그럼 이 엽록소가 가진 전자가 빛 에너지를 이용해
흥분해서, reaction center로 올라감. 흥분된 고에너지의 전자가 점차 에너지를 잃으면서 ATP 합성
에 필요한 일이 일어남.
- 이것이 ATP 합성에 필요한 일을 그린 것인데, P680(포토시스템2=광계2)이랑 P700(포토시스템1=
광계1)이 포토시스템임. 식물이나 광합성을 하는 조류에는 두 개의 포토시스템(포토1,2)이 있음.
그래서 포토2에서 빛을 받으면 전자가 빛 에너지에 의해 흥분되어 에너지 준위가 높아짐. 그런
다음 전자가 옆길로 빠져서 점차적으로 에너지를 잃으면서 산화-환원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남.
그래서 포토1까지 내려옴. 그러면 다시 빛이 쪼여져서 전자가 다시 흥분해서 똑같이 에너지를 잃
으면서 점점 내려옴. 궁극적으로 NADPH로 합성됨. 전자가 에너지 준위가 높아졌다가 단계적으로
산화-환원반응 거치면서 내려오면서 그 과정에서 ATP 합성.
빛이 쪼여지면 P680에 있는 전자가 흥분해서 올라감. 근데 흥분돼서 올라간 전자는 다시 돌아오
지 않기 때문에, 여기에는 전자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함. 그 전자의 소스가 바로 물. 즉, 광합
성을 하는 엽록체 안에는 물 분해 효소가 있어서 물을 분해함. 물을 분해해서 O2와 두 개의 수소
원자로 나누고, 거기서 전자가 P680로 계속 공급됨. 물을 분해해서 나온 전자가 이용되기 위해서
는 빛 에너지에 의해 에너지 준위가 높아져야 하는 것.
엽록소 이용한 광합성은 식물,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 광합성 조류에서 일어나는데, 전자
가 흥분해서 올라갔다 내려오면서 ATP와 다른 에너지를 많이 가진 NADPH가 합성됨.
★ 식물 광합성 시 산소가 나오는 이유는 물이 분해되기 때문이다!

- 엽록소의 기본구조 : 식물에는 엽록소a 와 엽록소b의 종류가 존재. 네 개의 고리가 중앙에 Mg


를 두고 연결된 고리구조를 하고 있음.

* 세균엽록소를 이용한 광합성


- 세균엽록소(bacteriochlorophyll): 세균의 광합성 (특히 산소비발생 광합성세균의 광합성)에 필요
한 색소.
- green sulfur bacteria (GSB), red and green filamentous phototrophs (FAPs e.g. Chloroflexi), purple
bacteria, Acidobacteria, and heliobacteria.
- 녹색식물의 엽록소와 마찬가지로 테트라피롤의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고 고리 가운데에 마그네
슘(Mg)이 위치한다.

광합성을 하는 박테리아.

- 세균 엽록소 위치
1) 많은 작은 주머니를 가진 경우 → 주머니 막에 엽록소 존재. 이 때 이 주머니 이름은
Chromatophores (색소포).
2) 주머니가 아닌 얇은 막 층이 쌓인 구조(=방막, Lamellar) 이 막에 엽록소 존재.
★ 광합성을 하는 색소들은 세포 안에 둥둥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막 구조에 존재!

- 세균엽록소를 이용한 광합성 원리 : 엽록체 이용한 광합성이랑 거의 비슷. 광계가 적외선을 받


아들여, 전자가 높은 에너지 가지게 되고, 이게 단계적인 산화-환원 반응으로 에너지 잃고, 이를
통해 ATP 합성.
★ 차이점은 산소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 (이유 : 전자를 공급해주는 물질이 황화수소, 철, 황이
라서.)

- ATP 합성 되는 반응(Synthesis of ATP) = “화학삼투 (Chemiosmosis)”


포토시스템이 빛을 받아들여 물이 분해되고 나온 전자가 흥분해 높이 올라갔다가 에너지 잃으면
서 점점 내려오고 이걸 반복. 궁극적으로 전자는 NADPH로 떨어짐. 전자가 잃어버린 에너지는 밖
에 있는 수소 이온을 틸라코이드 멤브레인(Thylakoid membrane) 안쪽으로 운반시키는 데 사용.
틸라코이드 스페이스(Thylakoid Space) 안 쪽에 있는 수소 농도가 높아짐. 높아진 수소 이온들은
특정한 구조물 통해서만 밖으로 나갈 수 있음. 밖으로 나가는 통로가 ATP합성효소(ATP synthase).
즉, 수소가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 나가는 위치에너지 이용해서 ADP에서 ATP 합성. 즉 전자
전달계 거치면서 전자가 잃어버린 에너지가 밖에 있는 수소를 안쪽으로 농축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 농축된 수소가 제한된 통로를 통해 빠져나가서 이 에너지 이용해 합성되는 것. 나중에 ATP는
Calvin Cycle 돌려서 탄소 고정하는 데 사용.
2. 호흡 (Respiration) = 세호 호흡 (Cellular respiration)

* 호흡 종류
1) 산소호흡 (Respiration)
- 동물, 원생동물, 곰팡이, 버섯, 효모, 대부분의 세균이 함.
- 최종 전자수용체: 산소
2) 무산소호흡 (Anaerobic respiration)
- 일부 세균이 함.
- 다양한 비산소 전자수용체(CO2, SO42-, NO2-..)

*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on)
- 거의 모든 진핵 세포에 존재하는 세포 소기관.
- 구조 : 두 층의 막으로 되어 있음.(외막, 내막) 외막(Porous outer membrane)에는 작은 구멍 뚫
려 있음. 내막(Inner membrane)은 중간중간 복잡한 구조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음. 이 구조를 크
리스테(Cristae)라고 함. 이 빈 공간은 매트릭스(matrix)라고 함. 세포에 따라 미토콘드리아의 구조
는 다양하지만, 기본 구조는 이 그림.

- 진핵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이용해서 산소호흡하는 반면, 세균은 세포막에 있는 전자전달계


이용해서 산소호흡.

* 호흡과 전자전달계(electron transport system, ETS)


- 호흡과정의 전자전달계는 광합성에서 본 전자전달계랑 하는 일이 유사. (연속적인 산화환원 반
응 일으키기)
- 미토콘드리아에는 내막 크리스테에 전자전달계 이루는 단백질 존재. 세균에는 세균의 cell
membrane에 전자전달계 이루는 단백질 존재.

- 진핵세포에 있는 미토의 전자전달계를 보면서 ATP 합성 원리를 알아보자 : NAD가 수소 두 개


를 떼어 하나는 자기가 갖고 하나는 옆에 있음. FeS→Q→Cyt BL→Cyt BH 로 가면서 산화-환원 반
응 거침. 궁극저으로 전자는 산소와 두 개의 수소와 결합해 물이 만들어짐. 즉, 산소가 최종 전자
수용체인 것. 전자가 잃어버린 에너지 상당부분이 수소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관여. 그래
서 수소의 농도가 한 쪽만 높아지고, 이 높은 수소이온들은 농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 함. 이
동 통로는 ATP합성효소로 제한. 밖에 있던 높은 농도의 수소들이 제한된 통로로 들어오는 힘 이
용해 ADP와 인산을 합쳐 ATP 합성. (ADP+인 →ATP)

- 세균에서도 산소 좋아하는 호기성 세균은 다 산소호흡 함. 전자전달계 원리는 진핵세포의 미토


랑 비슷. (수소 분해되면서 전자 나오고, 이 전자가 단계적으로 에너지 잃어가면서 산화-환원 반복
하고, 궁극적으로 산소에 전달에 되어서 물이 합성. 전자가 잃어버린 에너지는 다 수소를 밖으로
이동시키는 데 관여. 밖의 많이 모인 수소가 ATP합성효소 통해 안으로 이동할 때 이 힘 이용해서
ATP 합성. → 읽어보면 위에꺼랑 똑 같은 말임.)
- 이런 균의 예는 “수소 이용 화학무기영양세균 (수소세균, hydrogen bacteria)” : 수소에서 전자가
나오는 것. 어떤 세균은 유기물 이용, 하지만 유기물 이용해도 효소를 이용해 수소를 떼어낸 다음,
그 수소에서 전자를 떼어내, 전자전달계 돌리는 건 동일.

* 무산소호흡(anaerobic respiration) : 산소를 사용하지 않는 것. 다양한 물질들이 산소 대신 전자


를 받아들이는 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 다양한 세균들이 다양한 물질들을 전자전달계에 전자 수
용체로 사용.
- 무산소호흡의 전자전달계도 원칙은 거의 동일. 최종전자수용체는 질산염(Natrate)임.
- 원리(앞이랑 비슷) : NADH에서 전자가 나와서 전자가 각 단계별로 지속적으로 에너지 잃으면서
최종적으로는 질산염에 전달이 되어 아질산과 물로 만들어짐. 똑같이 전자가 잃어버린 힘들이 수
소를 밖으로 이동시키는데 관여하고, ATP합성효소 통과해서 들어오는 힘으로 ATP 합성.
★ 결과적으로 광합성, 세포호흡에서 ATP 합성원리는 거의 동일

* Chemotroph (화학영양생물) ~ 빛 에너지로 전자를 고에너지 전자로 만드는 Phototroph랑 다름.


1) 화학유기영양생물 (chemoorganotroph)
- 동물, 원생동물, 곰팡이, 버섯, 효모, 대부분의 세균
- 전자공급원(에너지원): 유기물 → 유기물 분해에서 나온 고에너지 전자
2) 화학무기영양생물 (chemolithotroph)
- 일부 세균
- 전자공급원(에너지원): 무기물 (수소, 일산화탄소, 환원된 질소, 환원된 철, 환원된 유황 등) → 환
원상태의 무기물에서 나온 고에너지 전자.

(고에너지전자가 전자전달계 거치면서 전자수용체로 전달돼서, 잃어버린 에너지 써서 ATP합성)

* 합성된 ATP 어디에 사용? : 생명체가 생명현상 유지하는 데에 사용


1) 단순분자를 거대분자로 만드는 데에 사용 (ex : 식물에서 탄소동화작용, 동물에서 아미노산을
합성해서 단백질 만들기)
2) 탄소나 질소 고정
3) 세포 운동, 생물이 양분을 흡수할 때 사용
* 발효로 넘어가기 전, 광합성이랑 호흡 정리 (앞에서 다 한 내용임)
(키워드 정리; 광합성(광인산화, Photophosphorylation), 호흡(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
3. 발효 (Fermentation) :
일부 세균(유산균 등) 과 효모가 함. ATP합성함과 동시에 유기물 생성함.

* 발효의 종류
1) Homolactic fermentation(동형젖산발효) : 거의 젖산만 생기는 젖산발효. 대표적인 것은 젖산균류
및 이와 생리학적으로 가까운 그람염색양성 구균류의 발효.
2) Heterolactic fermentation(이형젖산벌효) : 당을 발효적으로 분해하여 젖산을 주생성물로 하지만,
다른 여러 가지 생성물도 동시에 상당량 형성되는 발효.

* PMF(Proton motive force, 수소를 이동시키는 힘)을 쓰는 광합성/호흡과 달리,


발효는 SLP(Substrate level phosphorylation, 기질수준인산화) 사용.

* 기질수준인산화 이해 위해 먼저 “해당작용(Glycolysis)” 알아보기


- 포도당에 있는 에너지 추출 위한 첫 단계
- 기질 수준 인산화에 의해 두 개의 ATP 합성.
- 해당작용도 기질에 인산기를 붙여야 함. 인산기가 몇 단계에서 붙는데, 첫 번째가 “Hexokinase”
이라는 효소. 이 효소의 기능에 의해서 ATP가 ADP로 분해되면서 인산기가 이 글루코스에 결합.
그 다음에 세 번째 단계에서 “phosphofructokinase”라는 효소에 의해서도 ATP가 ADP로 분해되고,
글루코스에 두 개의 인산기가 결합하게 되는 것. 그래서 3단계를 지나 만들어진 “Fructose-1,6-
bisphosphate”는 두 개의 강한 에너지 가진 인산기 가진 물질이 되는 것. “Fructose-1,6-
bisphosphate”는 탄소가 6개 짜리인데, “aldolase”에 의해 두 개로 갈라져서 탄소 3개 짜리가 됨.
근데 이 두 분자는 실제로 아주 비슷해서 바로 서로 치환 가능(reversible). 그래서 이
Glyceraldehyde-3-phosphate라는 물질에 또 다른 효소가 기능해서 인산기를 하나 더 갖다 붙임.
→ 환원이 되면서 두 개의 인산기가 더 붙음. 여기까지가 기질에 에너지가 많은 phosphate를 갖
다붙이는 과정. → 다음 단계에서 “기질 수준 인산화” 일어남. → 몇 단계 거치면 비슷한 작용 또
일어나서 하나씩 인산기 떼어내서 ATP 합성.

(PPT 3-3에 p6,7 부분인데… 굉장히 너무 복잡하고 교수님 횡설수설하심… 그래도 최대한 받아적
어 봤어요… 아래는 그 피피티 부분 사진)
* 기질수준인산화
- 원리 : 어떤 효소의 기질에 이미 강한 에너지를 가진 인산기가 결합된 상태로 존재. 효소가
ADP와도 결합. 이 효소의 기능은 기질에 붙어 있는 인산기를 떼어내서 ADP로 전달한 다음, ATP
를 합성하는 것.

* 진핵세포에서의 산소호흡
- 사람이 밥을 먹으면 녹말(다당류)이 장에서 소화. → 단당류인 glucose로 분해. → glucose가 세
포 안으로 들어가서 세포의 기질에서 Pyruvate 2개로 1차 분해가 됨. 그 작용을 “해당작용” 이라
한다 했음. 그리고 이 작용에서 ATP가 2개 소량 만들어짐. (이 까지는 산소 유무 상관없이 다 일
어남.)
→ 산소가 있으면 Pyruvate가 몇 단계를 거쳐서 미토콘드리아 안으로 들어감. 여기서 Pyruvate가
완전히 분해돼서 많은 ATP가 합성.(약 30~32개)
- 전체로 보면 산소 호흡을 통해, 글루코스가 산소 이용해서 여섯 분자의 CO2와 여섯 분자의 물,
많은 에너지가 나오게 됨.
- 미토콘드리아가 없는 종류에서는 이런 과정이 다 세포질 안에서 일어남.
- 만약 위의 과정에서 산소가 없으면, Pyruvate까지 진행.
: 해당작용은 탄소 6개로 이루어진 “Glucose”를 분해해서 → 탄소 3개로 이루어진
“Glyceraldehyde” 를 두 분자 만듦 → 탄소 3개로 이루어진 “1, 3-bisphosphoglycerate” 로 바뀜
→ 최종적으로 탄소 3개로 이루어진 “Pyruvate”로 바뀜. → 두 분자의 ATP 만들어짐.
만약 몸의 세포에서 산소가 없으면 여기까지. 근데 산소가 없으면, 근육 세포에서 발효 일어나서
“Pyruvate”가 “Lactate”로 바뀜. 즉, 젖산 발표는 박테리아 뿐 아니라 근육세포에서도 일어남.
결과적으로, 발효라는 것은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소량의 에너지를 얻도록 하는 것.
- 산소가 있을 때 30~32개의 ATP 만들어낼 수 있는 것과 달리, 발효로는 2개 밖에 못 만들어냄
★ 중요한 건 발효의 시발점이 Pyruvate 라는 것.
(위의 과정 요약 : 해당작용 거쳐 Pyruvate까지 1차 만들어지고, 2개의 ATP 만들어짐.)

* 호흡과 발효의 차이

Respiration Fermentation
유기물의 완전 분해 → 무기물 : 많은 에너지 유기물 불완전 분해 → 그대로 유기물 : 적은
에너지

* 세포의 에너지 대사
- 지금까지 배운 것 : ATP 합성은 단계적 반응으로 일어난다 → 합성된 ATP는 세포가 하는 여러
일에 사용됨
* ATP를 이용해서 어떻게 세포구성물질을 합성하는가?
- 세포구성물질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핵산 → 세포막 세포벽, 세포의 구조를 구성함
- 기본원리 : 간단한 분자(simple molecutes)를 ATP를 사용해서, 큰 분자(large molecules)로 만듦.
- 세포구성물질의 재료를 원소성분으로 보면, C, H, O, N, P, S + 미네랄임. 이 중에서도 탄소(C) 가
가장 중요.
- 탄소원 (C) 을 어디에서 얻느냐?
1) 유기물: Heterotrophy
- 모든 동물
- 원생동물, 곰팡이, 효모, 버섯, 대부분의 세균
2) 무기물(無機物)
- CO2 이용
- 자가영양(Autotrophy)
- 식물, 조류 (algae), 일부 세균 (시아노세균, 일부 광합성세균, 일부 화학무기영양세균 등)

* 탄소동화작용 : CO2를 유기물로 전환


- 아래 그림이 Calvin Cycle : 식물, 조류, 시아노세균, 일부 광합성세균, 일부 화학무기영양세균에서
일어남.
- 그림 외울필요는 없고, 중요한 건 “여섯 분자의 CO2합성해 한 분자의 포도당을 만드는 데에,
여기에 18개 분자의 ATP가 사용된다는 것”

- 아래는 다른 탄소동화작용의 경로.


Reverse TCA cycle에서는 여섯 분자의 CO2합성해 glyceraldehyde 만드는 데에 5개의 ATP 사용.
Hydroxypropionate pathway에서는 두 분자의 CO2합성해 glyoxylate 만드는 데에 3개의 ATP 사용.
Acetyl-CoA pathway에서는 특이하게도 ATP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그 과정에서 다시 합성되기도.
* 탄소 아닌 다른 영양분은 어떻게 얻음? 예를 들어 질소는 어떻게 얻을까? : 다른 데에서 흡수.
극히 일부 생명체만이 질소를 고정할 수 있음. 나머지는 미생물 중에서 질소를 고정하는 사용해
서 자기가 나중에 그 질소를 이용함.
- 질소고정 세균: 대기 중의 질소 가스 → 암모늄, 염 등

* 저장물질 : 미생물이 자랄 때, 환경 조건이 좋으면 지속해서 번식하게 됨. 하지만 환경 조건이


나쁘면 흡수한 물질을 나중에 쓰기 위해 몸에 저장을 해둠.
- 미생물의 저장물질 : Glycogen, Poly-β-hydroxybutyrate (PHB), Polyphosphate (PP), Cyanophycin,
Sulfur, Magnetosome
- 글루코스 저장 형태
1) 동물 : glycogen(글리코겐, glucose 중합체), 지방
2) 식물 : 녹말(starch, glucose 중합체)
미생물 중에서도 glycogen으로 저장하는 애들이 존재.
- Bacillus megaterium 이라는 박테리아 : 안에 PHB 덩어리가 있음.
Anacystis nidulans라는 박테리아 : 까만건 PP이고, 흐린건 Cyanophycin임.
* Polyphostate (PP)
- 발견된 것은 1890년 Liberman이라는 학자가 많은 생명체들이 인산기가 쭉 붙어있는 PP를 저장
하고 있단 걸 발견.
- 한동안 PP가 단순히 에너지원으로 저장되어 있거니 생각. 하지만 지금은 PP가 세균 안에서 조
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간주. 세균 뿐 아니라 대부분 생명체들이 PP 형태로 인산기 저장.
- 세균에서는 PP가 세균이 왕성하게 성장을 하다가, 성장이 느려지는 기간(a life in the slow lane)
에 유전자 발현 조절에도 관여한다는 것이 발견됨.
즉, 주변 환경이 적합하지 않아 생명체가 왕성하게 번식하지 못할 때, PP를 만들어 저장해 둠
- PP가 세균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이나 다른 조절 메커니즘에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짐.

* Cyanophycin
- 아미노산의 polymer임. 이 때, Cyanophycin을 만드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arginine” 두
종류. 즉, 두 가지 molecule이 쭉 붙어서 Cynaophycin이라는 물질을 만드는 것.
- 이런 Cyanophycin는 세포질 안에 granules(덩어리) 형태로 저장. 저장할 때는 인산기나 황 같은
영양물질이 부족할 때 Cyanophycin를 만들어 저장.
- Cyanophycin의 역할은 영양조건이 좋지 않을 때, 질소나 Carbon을 저장해 두는 것.

* Poly--hydroxybutyric acid (PHB) : 탄소가 쭉 붙어있는 hydroxybutyric acid가 여러 개 붙어 있


는 형태.
- 성장조건이 썩 좋지 않을 때 세균이 PHB 만들어서 자기가 가지고 있던 탄소원(carbon) 저장해
둠.
- 급할 때 쓸려고 PHB형태로 에너지 저장해 두는 것.

* 황(Sulfur globules)
- 모든 생명체가 요구하는 중요한 원소. 하지만 특별히 혐기성 미생물(anaerobic microorganisms )
에게 더 중요함.
이런 미생물들은 sulfide (S2-) 를 sulfate (SO42-) 로 산화시켜 에너지를 얻음.
- 다른 영양조건이 충족하지 않을 때 황을 원소상태로 globules라는 주머니에 저장.

* Magnetosome(자기체, 자소체) : 미생물 중 일부는 안에 나침반 가지고 있는데 그걸


Magnetosome이라 함.
- 이걸 가진 세균을 magnetotactic bacteria (MTB, 주자성 세균) 이라고 함.
- Magnetosome 안에는 15~20개의 magnetite(자철석)이 들어 있음. 이 자철석이 membrane으로
쌓여 있음. Magnetosome이 길게 연결되어 나침반 역할을 하는 것.
- 이런 나침반 이용해서 세균들이 지구의 자장을 감지하는 게 아닐까? 더 좋은 환경으로 이동할
때 나침반 쓰지 않을까? (아직 이거 기능 정확히 밝혀지진 않음)
-
** 빨간 표시는 족보에 빨간 줄 쳐진 부분, 파란 부분은 수업엔 안 나왔지만 족보에 빨간 표시가
있어서 추가한 부분

PPT (part 1) 4-1~3 – 광합성, 호흡, 발효 복습

4 (인간의 삶과 역사 속의 미생물)

5 미생물은 어떤 방법으로 성장하고 증식하는가? 성장하고 증식한다는 것은 각 개체의 크기가 증


가하는 과정과 개체의 수가 증가하는 과정, 이 두가지를 합쳐서 말한다.

6 세균의 성장과 증식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자.

7 세균은 굉장히 많은 종류가 존재, 세균이 성장하고 증식하는 여러 종류 방법

이분법- 대부분의 세균들이 이분법에 의해서 증식함. 크기가 점점 커지다가 세포 중앙 부위에 격


벽이라는 구조가 생겨서 두개의 세포로 갈라짐. 이분법으로 증식하면 무엇이 엄마 mother, 딸
daughter 세포인지 알 수 없음

출아법- 엄마 세포에서 한 부위가 계속 자라다가 세포가 되어 떨어져 나감. 엄마세포와 딸 세포


구별가능

출아법 균사- 세포의 일부분이 길게 자라남 (균사가 자라남), 그러다 그 세포의 끝부분이 더 많이
생장을 해서 딸세포로 떨어져 나감. 먼저 키우고 균사의 끝부분에서 딸 세포가 나감

비대칭 세포분열- 이 세포는 일단 어떠한 표면에 붙어서 고착되어 있음. 이러한 세포에서 한 쪽
끝에서 새로운 딸 세포 형성됨 딸세포가 떨어져 나가고, 또다른 딸 세포 만듬

출아법/이분법 차이점- 이분법과 다르게 출아법은 엄마세포와 딸 세포 구별가능

<<족보내용- 어떤 세균이 어떻게 자라는가는 안물어봄 중요한 것은 **미생물이 세포분열 할 때


다양한 방법있고 *dna복제 되어야 세포분열 가능 이건 모든 생명체가 다 똑같다 >>

8 Hyphomicrobium 세포(출아법 균사) 주기-균사가 자라나기 시작하고, 끝부분이 커지기 시작하면


서 복제된 DNA가 세포 끝으로 옮겨가게 되고, 이후 격벽이 생기면서 세포가 떨어져 나가게 됨.
이 세포는 나중에 엄마 세포가 되고 딸 세포를 만들어 낼 수 있음

9 Hyphomicrobium의 광학 현미경 사진- 균사가 길게 자라나고 일부 세포에서 균사의 끝이 점점


크게 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음

10 Hyphomicrobium의 전자 현미경 사진- 균사(Hypha) 자라나는 것 볼 수 있음

11 Caulobacter 세포의 세포 주기이다. 편모를 통해 헤엄치는 세포이다. 편모가 떨어져 나가고 그


부분에 부착기가 생기고 부착기를 통해 다른 곳에 부착될 수 있다. 고착되는 과정에서 그 세포의
말단 부위가 점점 자라나고 말단 부위에 편모가 생기게 되고 중앙 부위가 끊어져서, 편모가 있는
세포는 또 다시 이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12 Bdellevibrio bacteriovorus-다른 세균을 잡아먹고 사는 세균이다.

13 Bdellevibrio는 숙주세균에 붙어서 숙주세균의 세포벽을 뚫고 들어가서 길게 늘어나며 성장하


게 된다. 그리고 이것들이 여러 조각으로 끊어지게 되고 여러 마리의 Bdellevibrio가 생기게 된다.

14 Bdellevibrio의 특성 때문에 사람들이 치료제로 사용하려는 시도를 해왔지만 아직 제대로 진행


되지 않음.

15 Bdellevibrio 가 세포벽을 뚫고 들어가는 전자현미경 사진

16 Bdellevibrio가 길게 자라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

17 [원생동물의 증식]

18 원생동물의 증식도 이분법이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며, 무성생식이다. 대접벌레는 아메바속에


속하는 원생동물인데, 점점 커지다가 중간이 끊어진다. 붕어벌레도 이분법으로 생식하며, 가로 세
로 모양에 따라 횡단 이분법, 종단 이분법으로 나뉜다.

19 집신벌레(Parameciun)는 커지면서 자신의 유전물질을 복제한 후 두 마리가 형성되어 두 마리


로 나뉘어지는 무성생식을 한다. 소핵이 정보를 가지고 있고, 대핵은 소핵이 증식해서 여러 개 들
어가 있는 핵이다. 영양조건이 좋을 때는 대핵도 갈라지고 소핵도 갈라진다. 이분법에 의해 증식
할 때는 똑 같은 개체가 두 마리이다. 짚신벌레는 횡으로 분열이 일어난다.

20 경우에 따라 환경적 요인이 좋지 않으면 집신벌레는 경우에 따라 유성생식을 하기도 한다. 두


마리의 집신벌레가 만나 감수분열을 하고 자기가 가진 유전정보를 교환하고 여러 마리가 만들어
낸다.

21 [점균류(slime mold)의 증식]—증식할 수 있는 상태 Vegitative state

22 단배체(Haploid, 1N)와 이배체(Diploid, 2N)에 대한 설명

사람은 이배체로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22개의 똑같은 2개의 염색체와 여자는 XX, 남
자는 XY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사람은 거의 동일한 염색체를 2세트씩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배
체(Diploid)이다.

정자와 난자는 22개의 한 세트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단배체(1N)이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 사람


이 되면 이배체(2N)가 된다. 많은 동물들은 이배체이지만, 많은 생명체들을 단배체 상태이다 (1N).

한 세트의 유전자를 가진 상태에서 1N 상태로 증식하면 무성 생식이라고 한다. 1N과 1N이 만나


서 이배체를 만들어 증식하는 것을 유성 생식이라고 한다. 1N상태, 2N상태를 통해 무성 생식과 유
성 생식 둘 다 가능한 생명체들도 있다.

23 다양한 slime mold의 사진- 이것은 자라서 다양한 색소도 만들어 냄

24 Acellular/True Slime Mold 진점균류 – 많은 스포아를 형성하고 스포아가 터지면서 그 안에서


아메바가 살금살금 기어나옴. 편모를 가진 세포, 아메바 상태의 세포들이 세포 분열을 하면서 수
를 증가시킴. 다른 세포들이 서로 합쳐지면서 2N 상태가 되어 세포분열을 하여, 큰 덩어리에서
포자 주머니들이 생기고 또 다른 사이클을 이루어간다. 즉, 진점균류는 1N, 2N상태에서 둘 다 세
포분열 가능.

25 cellular slime Mold 세포점균, 세포성 점균는, 스포아가 터져서 아메바가 나온다. 아메바가 세포
분열을 하여 증식한다. 아메바가 신호를 받아서 모이면 큰 포자 주머니를 만들고 그 안에서 여러
포자들이 형성된다. 주머니가 터져서 포자들이 나오면 또 다른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를 아메바
상태인 cell에서만 생식하며 이를 영양생식이라고 한다.

<<족보내용-중요한 것은 어떤 생물이든 유전정보 교환이 있어야 한다.>>

26 [조류의 증식]

27 Euglena는 이분법에 의해서 종분열 (종단 분열)을 한다. 많은 조류는 이분법으로 생식을 한다.

28 [효모의 증식]

29 효모는 출아법에 의해서 생식한다. 엄마 세포에서 딸세포가 자라나온다. 엄마세포는 딸세포를


낳은 후의 흔적을 가지고 있다.

30 효모가 출아하는 과정을 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31 효모는 두가지 타입을 가지고 있다. a 타입, 알파 타입

a타입 혼자서 1N 상태로 계속 분열 가능, 알파 타입도 영양 상태가 좋으면, 출아를 해서 계속 알


파 타입 셀을 만든다.

에이와 알파 타입이 만나면 이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배체가 분열해서 새로운 이배체를 만들
수도 있고 감수 분열을 할 수도 있다. 즉, 효모는 단수체와 이배체 상태에서 모두 살 수 있다. 효
모도 자기가 가진 것으로 유성생식이 가능하다.

32 에이와 알파 모두가 가능한 이유- 이스트(Yeast)의 유전체 안에는 에이와 알파를 만드는데 필
요한 것을 컨트롤하는 마스터 gene이 있다. 그리고 이 두 유전자 사이에 MAT(Mating type) locus
가 있다. 거기에 어떤 유전자가 있느냐에 따라 에이 알파 타입으로 나뉜다. 만약 에이 타입 gene
이 있었다가 그것을 잘라 버리고 알파타입 gene을 넣으면 알파 타입으로 변한다. 일종의 이스트
가 성전환을 할 수 있다.

33 [실곰팡이(filamentous fungi, mold)의 증식]

34 어떤 곰팡이는 균사가 자라고 분열되면서 새로운 균사가 나와서 증식하는 것도 있고, 어떤 곰


팡이는 균사의 끝부분이 계속 떨어져 나와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것도 있다. 어떤 곰팡이는 균사
를 만드는 포자를 가지고 있는 주머니를 가지고 있어서 주머니가 터져서 곰팡이를 증식하는 것도
있고, 주머니가 없이 아예 과일이 열리듯이 생기는 것도 있다. 즉 포자를 형성하는 방식이 곰팡이
분류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35 균사가 자라올라 포자가 생기고, 포자가 떨어져 포자가 발아해서 균사를 형성하고, 균사가 자
라서 또 다른 포자를 형성하는 무성생식을 한다.

36 끝에 포자가 많이 형성된 사진

37 유성생식이 가능한 곰팡이도 있다. 타입이 다른 두개의 균사가 만나서 유전정보를 교환하면서
유성생식을 할 수도 있다. 곰팡이도 효모처럼 무성생식도 할 수 있고 유성생식을 할 수도 있다.

지구상 생물은 유전정보 교환하는 것을 가지고 있다.

4주차 part 2

1 버섯의 증식

2 버섯이 자라면 갓이 생기고, 갓 사이에 주름이 생긴다. 주름 사이에 포자가 생기고 포자가 땅에
떨어져 균사를 만들고 균사가 자라서 버섯이 된다. 즉 버섯은 균사가 자란 것이다.

3 포자가 나와서 핵이 합쳐지고 분열해서 핵이 떨어져 나가서 이배체가 된 후 균사가 되어 자라


서 버섯이 되는 것이다. 버섯도 곰팡이처럼 포자를 만들어서 증식한다는 정도만 이해하면 된다.
우리가 먹는 버섯은 균사체다.

4 바이러스의 증식- 바이러스와 숙주사이의 관계-바이러스는 감염 할 수 있는 숙주가 제한되어


있다. 바이러스가 가진 protein과 숙주가 가진 protein이 서로 인지하지 못하면 감염시키지 못함.

5 Bacteriophage

6 Bacteriophage의 라이프 스타일, 박테리오파지가 숙주 박테리아에 접합 후 자신의 유전물질을


주입하고 파지는 떨어져 나간다. 세균 안의 유전 정보가 발현되어서 protein, 파지가 다시 재조립
되고 마지막에 그것들이 숙주를 터트리고 밖으로 나온다.

7 박테리아 파지의 T4의 경우, 숙주세균인 대장균에 터치 다운을 하고, 자신의 DNA를 대장균 안
에 집어넣는다. 그 유전자가 속에서 발현되기 시작하고, 세균의 DNA는 파괴되기 시작하고, 파괴
된 DNA는 파지 DNA가 발현되는데 사용된다. 파지 프로테인이 많이 합성되고, 파지의 머리와 꼬
리부분이 만들어진다. 그런 후 머리부분으로 만들어진 DNA가 들어가고, 꼬리가 붙어서 파지가 만
들어진다. 만들어진 파지들은 대장균을 터트리며 나온다. 이러한 과정은 20여분 밖에 걸리지 않고
많은 경우 200개 이상의 파지가 대장균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장균 안에서 파지가 만들어지는
과정.

8 T4 파지가 대장균을 터트리고 나오는 사진

9 파지가 꼬리와 다리를 이용해 대장균의 표면에 결합, 그 뒤에 파지 끝에 뾰족한 구조가 단단하
게 결합. 그 다음에 세균 세포막을 뚫으면서 조직이 튀어나오고 DNA가 CELL안으로 들어와서 꼬
리를 통해 DNA를 집어넣음.

10 복잡한 그림인데, 다 이해할 필요는 없고, 파지가 숙주세균에 붙으면 주사를 놓듯이 수축되면
서 DNA가 주입되는 것이다.

11 T4파지가 조립되는 과정이고, 외울 필요는 없으며 듣기만 하세요. 파지 T4는 복잡한 구조를 가
졌다. 다양한 단백질들이 만들어지며 체계적인 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3가지 조합-머리를 만드
는 조합, 머리를 만들면 그 안에 DNA가 들어가면서 조립된다. 튜브와 시스(tube and sheath) 중간
부분 조합, 마지막 다리들이 조합되어 다른 것들과 합쳐진다.

12 T4 파지의 프로테인의 종류들인데, 굉장히 많은 프로테인들이 관여한다는 것만 알면 된다.

13 [Animal virus 동물 바이러스의 증식]

14 동물 바이러스도 세포를 간염하기 위해 세포로 들어가야 한다. 이 바이러스는 캡시드 안에 자


신의 유전물질을 가지고 있고 스파이크 프로테인들이 삐죽삐죽 튀어나와 있다. 이 바이러스의 스
파이크 프로테인들이 숙주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게 된다. 셀 표면에 바이러스와 결합 가능
한 프로테인이 있어야 함. 결합하면 바이러스와 숙주세포 사이에 융합이 일어나게 되어 바이러스
가 숙주세포의 일부분처럼 보이게 되고 캡시드로 둘러싸인 채 숙주세포로 들어가게 된다.

몇 가지 안으로 오는 방법이 있다. 1)퓨전되어서 . 2)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 번째는 엔벨롭과 셀이


붙어서 셀 안으로 들어가는 것. = 엔도사이토시스

15 또 다른 바이러스는 Endocytosis 세포내섭취 방식으로 숙주세포에 들어간다. 이 경우에 숙주


세포막의 특정한 부위에 특정한 단백질이 많이 존재하는 표면에 바이러스가 가진 스파이크 프로
테인 수용체들이 있다. 이것들이 인식되어서 서로 결합하면, 숙주세포의 세포막이 전체 바이러스
를 둘러싸게 된다. 다 둘러싸게 되면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인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들어온다.
세포 안에 들어오면 수소이온이 들어와서 ph가 낮아지게 되고, 캡시드로 둘러싸인 바이러스가 세
포 안쪽으로 더욱 들어가게 된다.

16 어떤 바이러스는 인벨롭(envelop)이 없고 캡시드로만 이루어진 것이다. 이 경우에 캡시드에 있


는 프로테인과 숙주세포의 리셉터(receptor) 프로테인이 서로 인식하여 결합한다. 그러면 아까와
비슷하게 숙주세포가 이 바이러스 파티클들을 둘러싸서 잡아들이게 된다. 이것도 일종의 세포내
섭취이다. 이 과정에서 유전물질이 밖으로 나온다. 바이러스들이 어떻게 숙주세포로 들어가는 지
는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17 세포 안에 들어온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우리는 herpes simplex virus를 살펴


보겠다. Envelop을 가진 바이러스로, 캡시드로 둘러싸인 DNA가 들어와서 핵으로 이동하게 되고,
핵 안으로 들어간다. 선형의 모양으로 들어왔다가 고리형으로 바뀌어 유전자 발현이 처음일어난
다. 초기 유전물질이라 부른다. 이것들이 핵 밖으로 나가서 프로테인들이 만들어진다. 이것들을
알파 프로테인이라 부른다. 이것들이 다시 핵 안으로 들어가서 바이러스의 DNA와 결합하여 또다
른 유전물질을 만들고, 이것들이 나가서 또다른 프로테인들을 만들고 베타 프로테인이라고 부른
다. 베타 프로테인이 다시 핵으로 들어가 다음 세트의 유전자들을 만든다. 자신의 DNA를 많이 복
제하고 일부 프로테인들은 감마 프로테인을 만든다. 감마 프로테인은 캡시드를 만드는 것들이다.
캡시드가 조립되어 캡시드로 된 바이러스 파티클은 핵 막을 뚫고 나와서 소포체 쪽으로 간다. 이
바이러스가 가진 인벨롭은 숙주세포의 핵막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소포체로 간 바이러스는 소
포체 안에서 둘러쌓여서 이동하여 골지체로 이동하게 된다. 골지체에서 소포체로 둘러싸인 바이
러스는 밖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을 특별히 다 외울 필요는 없고,

중요한 것은 바이러스와 숙주세포의 특이한 관계가 있어서 특정한 바이러스는 특정한 숙주에만
감염하며,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이 숙주세포로 들어가면 유전자 발현이 몇 단계로 일어나면서 한
일군의 유전자는 캡시드를 만들고, 다른 유전자는 유전물질을 증식하는데 관여하며, 만들어진 많
은 유전물질들이 캡시드와 결합하게 되면서 파지 파티클이 만들어지고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다
양한 방법을 통해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된다.

18 influenza 바이러스는 조금 다른 방식이다. RNA 프로테인 상태를 하고 있고 캡시드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파티클이 숙주세포의 원형질막으로 가게 되고 원형질막에 둘러쌓였다가
뚝 끊어져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숙주세포에는 이 바이러스가 코딩하는 유전정보에 의해서 합성
된 단백질들이 있다. 인벨롭에 둘러싸이게 되면 그 안에 이러한 다양한 단백질들이 존재한다.

어셈블리가 핵 안에서 캡시드가 만들어진다 그 다음에 핵막으로 싸인채로 골지와 이알로 들어간
다 이알에서 나와서 골지로 가고 다시 세포막으로 싸여서 밖으로 배출된다 그래서 애니멀 바이러
스는 여러개의 바이러스가 나와서 셀을 터뜨리는 것도 있고 어떤 것은 조금씩 나와서 셀을 죽이
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바이러스가 멤브레인 뚫고 나올 때 이 프로테인들이 있어야 바이러스가
다음에 포스트 셀에 감염 가능 근데 독감 약 중에 타미플루. 이게 뉴라미데이즈의 기능 억제해서
바이러스가 다음 세포 감염 못하게 하는 것이다.

레트로 바이러스. 얘는 rna rna 를 제놈으로 가지고 있는데 바이러스가 감염해서 증식하기 위해
가 일단 dna 로 바뀐다 그래서 레트로이다. rna . 숙주의 효소에 의해 만 남는다 여기 남은게 역전
사 효소라서 rna 가 일단 가 만들어지고 그리고 상보적인 , dna dna . dna 더블스탠드 가 만들어
진다 만들어진 더블 스탠스 는 핵안으로 들어가서 그 세포의 크로모좀의 일부로 들어간다 바이러
스 가 크로모 dna 좀으로 끼어들어갔을 때 이를 Provirus라고 부른다 이는 몇 년동안 발현 안할
수도 발현 할 수도 있다 바이러스가 더 많이 발현하거나 할 때 유전자 반응이 시작된다. rna . 그
럼 기업에 전사가 일어나서 가 합성되기 시작한다 세포에서 단백질 합성이 일어나고 그 다음에
많이 만들어지면 . rna . 밖으로 튀어나온다 어셈블리된 다음에 세포질 밖으로 다시 튀어나온다.---
족보에 빨간것으로 표시되어있지만, 수업에서 다루지 않은 바이러스.

19 (ppt-5) 이번 주제는 미생물의 운동입니다.

20 미생물은 어떤 방법으로 이동하는가? 먼저 왜 미생물의 이동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면, 미


생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 그 곳으로 이동하기도 하고,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이동하기도 하고, 더
나은 환경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동하기도 하는데, 생존을 위해 이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
다.

21 제일 먼저 편모를 이용한 이동은 많은 미생물이 사용하는 방법이며, 보면적인 이동방법 중 하


나이다. 박테리아와 진핵세포의 편모는 기능은 비슷하나 구조나 이런 것은 완전히 다르다.

22 녹농균에 셀 바디가 있고 편모가 한 쪽에 길게 나와 있다. 이 편모를 움직여서 미생물이 이동


한다.

23 편모가 미생물에서 어떻게 분포하느냐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편모가 몸의 여러 곳


에서 형성된 것을 주모성(Peritrichous)이라 부른다. 하나의 편모가 한 쪽에서만 나는 것을 극성
(Polar)의 편모이라고 부른다. 한 쪽에 여러 개 편모가 나오는 것은 총생의(Lophotrichous) 편모라
고 부른다.

24 편모를 전자현미경으로 본 사진이다. 편모의 끝이 휘어져 있고 또 다른 구조물이 존재한다. 이


구조물을 기저체, 바잘 바디(basal body)라고 부르며, 편모를 회전하게 하는 모터 역할을 한다. 편
모는 일종의 폴리모라고 하고 단백질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25 이것은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본 것이고, 편모 끝에 또다른 구조물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6 편모가 약간 휘어서 자동차의 기어 박스처럼 붙어 있는데, 편모가 회전하게 하는 모터이다. 그


모터가 기저체, 바잘 바디이다. 세균의 세포질막 안에 막구조가 있고, 그 안에 공간이 있다. 세균
이 하는 일은 전자전달계를 통해 수소 이온을 많이 펌프 아웃하여 수소 이온을 높게 하는 것이다.
수소이온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할 때, 모터를 돌리는 힘이 나온다. 수소 이온이 안으로
들어오는 힘으로 모터가 회전하는 것이다.

27 basal body/bacterial flagellar moter는 시계방향, 역시계방향으로 둘 다 돌 수 있으며 필요에 따


라 다른 방향으로 간다. 모터가 회전하는 힘은 수소, 혹은 나트륨/소듐 이온을 펌프 아웃하고 이
이온들이 다시 안으로 들어오는 힘을 이용해서 모터를 회전시킨다. 모터는 초당 몇백번이상 회전
하면서 매우 빠르게 회전한다. 이 방향을 계속해서 바뀔 수 있다.

28 플라젤라와 바잘 바디의 사진이다.

29 플라젤라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플라젤라를 만드는 플라젤린 단백질이 세포 안에서 라이보


존이라 불리는 단백질을 만드는 소기관에서 만들어진다. 만들어진 플라젤린 단백질은 모터의 작
은 관을 통해 플라젤라의 끝부분에 가서 붙게 된다. 점점 플라젤라가 길어지게 되고 플라젤라 끝
에는 플라젤라가 너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캡이 존재한다.

30 플라젤라는 어떻게 이동하는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으로 나가고, 역시계방향으로 회전


하면, 계속 몸을 뒤집는 것처럼 보인다. 플라젤라가 여러 개가 있을 때에도 이것들이 다 시계방향
으로 돌면 앞으로 나가고 역시계방향으로 돌면 뒤집히는 것처럼 보인다. 편모를 통해 박테리아가
이동한다는 것

31 스피로헤차는 플라젤라를 통해 이동하는데, 스피로헤차가 가진 플라젤라는 다른 것들과 좀 다


르다.

32 스피로헤차는 플라젤라가 외막 안에 존재하며, 내편모(Endoflagellum)라고 부른다. 절단면을 보


면,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에서 또다른 막으로 쌓여있다. 밖에있는 세포와 안에 있는 세포
사이에 플라젤라가 존재하고, 이 플라젤라는 스피로헤차가 나선형으로 꿈틀꿈틀 이동하게 한다.

33 스피로헤차의 내편모가 여러 개 있는데, 바잘 바디가 셀에 박혀있다. 수소가 이동하는 힘을 통


해 내 편모들이 회전하고 전체가 나선형으로 이동하게 만든다. 이것의 전체 직경이 0.1 마이크로
메타 정도 된다.

34 세균이 움직이는 사진을 보여준다. 장내세균 중 하나를 찍은 사진을 보면, 각 세균의 여러가지
플라젤라가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플라젤라가 여러 개가 나와 있는데 한 쪽으로 몰려있기
때문에 하나인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특정 영향 물질을 군데군데 주었고, 세균들이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때문에 동심원 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주차 part 3

1 세균이 이동하는 또다른 방법은 미끄럼 운동(gliding motility)이다. 편모 없이 고체 표면에서 이


동하는 것이다.

2 미끄럼 운동을 하는 대표적인 것은 점액세균이다. 이 세균이 분열을 해서 계속 수를 증가시키


다가 수천, 수만개가 모여 형태 변화를 통해 덩어리를 만든다. 스포아를 만드는 구조를 만들어 내
며, 이 세균들이 어떠한 운동을 통해 모이는가 알아보고자 한다.

3 세균들이 모이는 사진이다. 이 경우에 점액세균이 먹이를 주지 않으면 이것들이 모이기 시작한
다. 프루팅 바디 (fruiting body)를 형성하는 세포들은 막대형에서 구형 세균으로 변하게 된다. 세
균들이 모이게 되면 세균의 형태가 변하게 되고, 일부는 계속 분열을 하기도 한다.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은 이것들이 어떻게 모이게 되는가이다.

4 점액세균이 모인 흔적이다. 까맣게 보이는 것들이 세균이고 하얀 것들은 세균이 지나가면서 남


긴 흔적들이다.

5 점액세균이 모이는 것은 두가지 운동방법을 사용한다. 하나는 A motility(adventurous) 인데, 이


것은 셀 들이 하나만 혼자서 움직이는 것이다. 각각의 셀들이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S
motility(social) 는 인접한 세균들이 같이 움직이는 것이고, 모여있는 것들이 움직이는 것이다.

6 A motility 시스템은 굉장히 많은 유전자가 관여하는 매우 복잡한 운동이다. 많은 motor element


가 관여를 한다. motor element는 periplasmic space에 위치해 있다. motor element가 내는 힘에
의해 셀이 미끄러진다. 그러기 위해 motor element가 표면에 흡착하기 위해 adhesion site와 연결
되어있다.

7 파랑색 동그라미가 되어있는 부분의 빨간 선이 가상적이 세포 골격 편모들이다. 그 아래 동그


라미들은 moter과 adhesion site이 연결된 것이다.

8 A motility / motor element은 수소 이온이 이동할 때의 힘을 이용해서 이동을 한다. 다른 단백질


을 이용해서 표면에 붙어있다. motor element 이것들이 에너지를 내서 힘을 내면 adhesion site에
전달이 된다. 전체가 미는 힘을 내면 셀이 이동하려고 한다. adhesion protein이 표면이 붙어있더
라도 아우터 맨브레인(outer membrane)에 있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움직일 수 있다.

9 S motility 는 꿈틀거림 운동과 비슷하다. 필리(phili)가 셀 바디를 당기는 것이다.

10 S motility는 (Fimbria)선모에 의해서 하는 것이다. 선모의 끝이 표면에 흡착된 후 선모가 짧아


지고 셀 바디가 끌려오면서 이동한다.

11 조금 다른 미끄럼 운동이다. 포리미디움 언시나트륨 시아노 박테리아의 셀 표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작은 구멍을 통해 물질이 튀어나온다. 세균이 작은 구멍을 통해 다당류를 분비해서 다
당류가 길어지면서 셀을 이동시킨다.

12 Gas vesicle-가스 소포를 이용한 이동이다. 물고기가 부레를 이용해 이동하는 것과 비슷하다.

13 가스 소포는 미생물이 갖고 있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방추형 모양의 주머니이다. 속은 비어있


지만 구조가 견고하며 크기와 지름의 길이는 생물 종에 따라 다양하다. 미생물 내에서 다양한 기
능을 갖는데 주로 부력을 조절하여 물속에서 최적의 위치에 미생물을 위치하게 함. 미생물의 종
류에 따라서 가스소포의 길이는 300~1000 nm이며 폭은 45~120 nm로 다양하지만, 각 미생물 내
에 존재하는 가스소포의 크기는 대체로 일정하다. 가스소포는 세포당 수개에서 수 백개에 이르며
이들의 물질적 성질 때문에 용질과 물은 투과할 수 없는 반면에 가스는 투과할 수 있다.

14 녹조가 생긴 사진이다. 시아노 박테리아가 표면에 떠올라 전체가 초록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15 가스 소포가 보이는 사진이다. 각 세균안에 가스 소포가 존재한다.

16 전자 현미경 사진인데, 안에 있는 것들이 가스 소포들이다.

17 다른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18 가스 소포를 순화해서 가스 소포를 전자 현미경으로 쓴 것이다. 방추형은 양 쪽이 뾰족하고


가운데가 통통한 것이다. 그래서 각각의 가스 소포가 100나노미터 정도된다.

19 [진핵미생물의 운동]- 일부는 편모나 섬모를 이용해 운동한다.

20 편모와 섬모는 기본 구조는 비슷하지만, 길이와 수가 다르다. 편모는 하나의 셀에 제한된 수의


긴 것을 말한다. 섬모는 한 셀에 굉장히 많은 개수의 짧은 것들을 말한다. 편모와 섬모를 잘라서
본 횡단면이다. 가운데 두개의 튜브가 있고, 그 둘레에 9개의 튜브가 있는 형태로, 거의 모든 편
모와 섬모 모두 구조가 동일하다.

21 유글레나(Euglena)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잘 보이지 않는 매우 짧은 편모 하나와 긴 편


모 하나를 가지고 있다.

22 유글레나가 이동하는 비디오이다.

23 유글레나가 이동하는 비디오이다

24 짚신벌레(Paramecium)가 섬모를 이용해 이동하는 것이다.

25 Diatom은 돌말, 규조라 하는 것인데 이것의 대부분은 실제로 움직이지 못하고 주변의 물이 움
직일 때 피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대부분이다.

26 아메바 운동-진핵 미생물 중에 편모나 섬모가 없는 것은 아메바 운동을 한다. 아메바가 운동


할 때는 세포질의 일부가 앞으로 돌출하면서 길게 뻗어나간다. 어느 정도로 나가면 뒷부분이 따
라온다. 앞으로 돌출된 부분을 위족=Psedopodium 이라고 한다.

27 아메바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비디오

28 아메바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비디오

29 아메바가 운동하는 것을 옆에서 본 사진이다. 돌출해서 나와서 길이가 어느 정도가 되면 바닥


에 붙게 된다. 뒷부분이 떨어지면서 앞으로 당겨오게 되면서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3 지구에서 생명이 어떻게 태어났는가?
-정확한 답은 모름
-가설: 오랜시간에 걸쳐 무생물에서 유생물이 생겨남, 자연발생하였다
(1) 아미노산, nitrogen base 와 같은 유기물질들이 무생명적으로 합성됨
(2) 작은 분자들이 스스로 결합하여 단백질, 핵산과 같은 큰 분자를 구성함
(3) 거대분자(macromlecule) 막(membrane)으로 둘러쌓여 원시세포(protocells)로
만들어짐, membrane 내부의 화학적 구조와 외부의 화학적 구조가 달라짐.
(4) 스스로 복제하는 분자가 형성됨, 자기증식(self-replicating)

5 (1)단계 설명:
-지구는 46 억년전 형성됨
-태양계 형성될 때 남은 여러가지 물질 (먼지덩어리, 바위)가 합쳐져서 지구가 만들어짐.
-태양계 찌꺼기 게속되어 지구에 떨어짐 - 충돌 에너지로 인해 뜨거운 지구
물도 수증기 상태 (호수, 바다, 물이 고여있는 곳 x)
물질이 지구에 떨어지는 현상: 40 억년 전에 끝남 = 생명이 태어날 수 있는 환경
6 The first atmosphere
-원시 지구의 대기: 산소가 적음, 잦은 화산 폭발로 인한 가스가 많은 상태 (nitrogen, CO2,
methane, ammonia, hydrogen…)
-지구가 식어가면서 수증기가 물로 응축이 되어 바다가 만들어지고 수소 가스는 우주로 탈출
7 A.I. Oparin (Russian) and J. B. S. Haldane (British). 1920
-가설: 초기지구의 대기가 환원성 대기였음: 단순한 분자들이 자외선, 번개와 같은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organic compound 를 합성 할 수 있었음. - 비와 함께 원시 바다로 떨어짐 = 원시바다는
다양한 유기물질이 섞여있는 용액이었을 것이다.
-1953 Miller and H. Urey 실험에 의해 재연됨
8 1953 Miller and H. Urey 실험
-플라스크에 물을 넣어 끓임: 원시
지구의 바다
-수증기가 대기(환원성) 중에 있는
메테인, 수소, 암모니아와 결합, 전압을
가함(번개)
-합성된 물질이 비로 냉각되어 비로
내려옴

-결과: CH2O (탄수화물), HCN, Amino


acids, Hydrocarbons (탄화수소)
- 비슷한 실험이 시행되었지만 역시나 다양한 유기 물질이 합성됨,
=원시 대기에서 작은 유기물질이 무생물적 합성이 가능함
9
-과학적인 증거에 의해 원시 대기는 환원성 또는 산성이 아닌 질소와 CO2 로 구성된 중성의
대기였다.
-하지만 중성의 대기 환경에도 유기 물질은 합성 될 수 있음이 증명됨.
-화산 분화구 근처의 대기는 환원성의 대기였을 것이다. = 첫 유기 물질의 발생은 화산 분화구
근처였을 것이다.

10 Miller and H. Urey 재실험

아미노산의 양
-오렌지색: 밀러의 실험
-초록색: 화산 분화구와 밀접한 조건에서의 밀러의
실험
= 화산 분화구 조건에서 아미노산이 두배 이상 발견
11 가설 2
-유기 물질은 대기가 아닌 해저에서 만들어짐: 열수구(hydrothermal vent)
근처에서 유기물이 합성되었을 것.
-하지만 이 열수구들의 물은 300-400°C 의 물이 나오기 때문에 유기물질이 유지되기 힘들다.
-alkaline vent: 40-90°C 의 물이 나와 비교적 다른 열수구보다는 유기물이 안정적으로 합성될 수
있음.
=유기물질은 다양한 환경에서 무생물적인 합성이 가능하다
12 열수구

-지각에서 뜨거운 물이 솟아 나오면서 황화 수소, 수소가 섞여있음


-주변의 흙, clay 가 쌓여서 분출구 모양을 갖춤

14 가설 3
-운석을 통해 유기 물질이 합성되었다
-45 억년전 지구와 충돌한 Murchison 운석의 조각을 분석했더니 80 종의 아미노산이 일부는
다량으로 존재함.
-아미노산이 지구의 것이 아닌 증거:
운석에 존재하던 아미노산을 분석하니 D isomer L isomer 가 동량으로 존재함
But 지구상의 아미노산은 L isomer 만 만든다: 지구의 아미노산은 효소로인해 만들어지는데, 이
효소는 L isomer 만 만들기 때문.
17 (2)단계 설명
-생명체는 모두 거대분자로 만들어짐 : 단백질(아미노산), DNA 와
RNA(nucleotide),Polysaccharides, Lipids
-거대분자들이 무생물적 조건에서 합성의 증거:
-2009 년 실험으로 인하여 증명: ribonucleotide 는 인산기와 당과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합성되면 자연적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이 증명됨
-아미노산, ribonucleotide 용액을 바위나 뜨거운 모래에 떨어트리면 중합체(polymer)가
자연적으로 합성됨
=즉, 거대분자가 무생물적 조건에서 합성될 수 있음
16 (3)단계 설명
-모든 생명체는 생식과 대사를 수행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모든 생명체는 외부 환경과 어느정도
격리가 되어야 함.
-생명의 기본 단위를 세포라한다.
-세포에 막이 생김: 소낭 소수포 (vesicle)
19 Abiotic formation of vesicles
-지질, 지방과 같은 지용성
유기 물질을 물과 섞으면
소낭(vesicle) 이 자연히
형성됨
-마이셀: 머리 부분이 물을
향하고 꼬리가 안쪽으로
-분자의 양측내성: 한쪽은 친수성(물과 친하다), 다른 한쪽은 소수성(물을 싫어한다) = 소낭이 쉽게
형성된다 (ex. 인지질-세포막의 주성분)
-물에 녹은 것은 아니고 물에 녹은 것처럼 잘 섞여있는

인지질의 구조: 머리는 친수성, 꼬리는 소수성


크릴 새우의 인지질: 물과 지방이 분리되지 않음:
인지질이 마이셀을 형성하기 때문.
인지질의 농도를 잘 조절하면 단층막을 이중으로 만들
수 있음. 하나의 막은 밖이 친수성 안이 소수성, 다른
하나의 막은 밖이 소수성 안이 친수성 - lipid bilayer:
지방의 이층막
20 소낭이 인지질과 같은 지질이 있으면 자연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montomorillonite 과
같은 성분을 더해주면 소낭의 형성이 더욱 잘 이루어진다.
montomorillonite: 화산재의 풍화로 인해 만들어진 고운 진흙

-A 빨간 줄: 인지질만 섞었을때 소낭의 수


파란 줄: montomorillonite 을 인지질과 섞었을 때 소낭의 수
-montomorillonite 는 원시지구에 매우 풍부했다
: 유지질의 농도가 높은 환경 제공
-B 소낭은 간단한 형태의 생식도 가능하다. 두개의 소낭이
붙어 커지거나, 큰 소낭에서 작은 소낭이 발생하거나.
-C 소낭이 RNA 와 다른 유기물질을 포함한
montomorillonite 흡수
-선택적 투과성을 보이는 소낭이 발견 = 간단한 배출활동
-소낭이 간단한 형태의 생식과 대사 생명현상의 기본 모습을
보여준다
22 Self-replicating RNA: 유전물질을 만들었는가?
-현재 대부분의 생물이 DNA 를 유전물질로 사용함, 하지만 초기의 유전물질은 RNA 일 것이다.
RNA 의 역할:단백질 합성
유전자 발현
효소로 쓰임 (ribozymes) - 자신의 염기 서열과 상보적인 염기 서열을 지닌 RNA 만들
수 있음
23 DNA RNA 의 구조

DNA: Double strand helix, uniform 3D structure = 똑같은 구조가 게속


반복되는 구조, 유전정보 저장에 발달되어 있지만, 다른 역할은 하지
못함(이유: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RNA: Single strand Intrastrand, 다양한 2 차 3 차 구조 가능 (그림은 t
RNA 의 구조)

24 RNA 는 3 차 구조가 가능하다 = 효소 기능을 가질 수 있음


효소 기능을 가지고 있는 RNA 중 자기 복제가 가능한 RNA 존재
-원시 RNA 도 이러한 기능을 지녔을거라고 가정:
자기 복제가 가능했던 RNA 중에 복제 능력이 뛰어난 RNA 가 많은
자손 RNA 를 남김
-에러가 일어나면 복제의 효율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음
-RNA 를 흡수한 소낭의 유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음
=이런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이유: 3 차 구조이기 때문에
26 RNA world: RNA 가 최초의 유전물질인 세계
Dr. J. Szostak and colleagues 의 실험: 소낭을 RNA 와 합성함
- 자기 복제와 효소적 기능을 가진 소낭은 그렇지 못한 것들에 비해 많은 개체가 살아남음.\
- 소낭이 자라고 갈라지면서 그 RNA 분자를 전달할 수 있다면, 그 daughter 들이 protocell
(원세포)
- 원세포가 합성된 뒤 돌연변이로 인해 다양한 유전정보를 저장할 수 있었다면 원세포는 많은
변화를 겪었을 것이고 이 과정에서 DNA 가 형성되었을 것이다.
27 montmorillonite 위에서 형성된 소낭

-큰 소낭 안에 작은 소낭이 있다
-montmorillonite 에서 농축된 RNA 가 큰 소낭
안에 들어있는 것
-이것은 원세포일 수도 있음

——————————————————————————————————————————
1 원시지구
45 억년전
가장 오래된 화석: 38 억년전 그린란드 지역의 바위 화석

고대바위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

3.45 billion-
2 화석은 대부분 퇴적암 형태로 존재한다.
화석을 발견할 때 퇴적암 중에서 Stromatolites 을 가장 많이 이용함
Stromatolites: 원핵세포(prokaryotes)들이 얇은 층을 이루어 바위를 형성함
100 여 년에 걸쳐서 수㎝, 즉 연간 1 ㎜ 이하 밖에 성장하지 않는다고 한다
*흔히 보는 지름 50-100 ㎝ Stromatolites 는 최소 1000 년이 된 것
3 Stromatolite 를 잘라서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원시세포 형태의
구조를 관찰 할 수
있음

-A 서부 호주에서 발견된 35 억년 전 바위
-B 16 억년전 바위
-C
-D
-E
C,D,E 는 비교적 현대에 발견 됨

6 우리나라의 고대 바위

소청도 분바위(6-10 억년전) 대구카톨릭대학교에 있는 Stromatolite


7

<10 억년전 바위에서 얻은 화석>


-A Stromatolite 에서 고대 박테리아의 화석 발견
-B Stromatolite 에서 초기 세포 화석 발견
8 지구의 미생물이 우주에서부터 왔다는 가설

나클라 Nakhla 운석: 1911 년 이집트에 떨어진 화성 운석


이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니: 지구 원시 박테리아 사진과 흡사

9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 38 억년전 -박테리아와 Archea(고세균)의 조상


초기지구: 환원성의 산소가 부족한 대기 상태- 현기성 에너지 대사
-화학무기영양 (CO2 에서부터 탄소를 얻고, 수소를 산화시키는 것을 에너지원으로 삼아 생존)
10 지구의 역사를 표로 만든 것

지구가 45 억년전 생김
-태고대, 명왕누대:
첫 세포로 된 생명체는 40~38 억년전
산소가 부족한 대기에 의해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대사를 함
-시생누대:
35 억년전: purple, green bacteria: 산소를 사용하지
않은 광합성
28 억년전:cyanobacteria: 산소를 이용한
광합성(대기 중 산소 농도 조금씩 높아짐)
-원생누대:
20 억년전: 최초의 진핵세포
대기 중 산소 농도 1%: 오존쉴드 생김
10 억년전: 다세포의 진핵생명체
5 억년전: 동물이 생김
-현생누대

11
-태고대, 명왕누대
지구 탄생(지질시대)~40 억년전: 엄청난 열 발생, 운석과의 충돌
-Archean(시생누대)
40 억년전~25 억년전:초기 지대가 만들어짐
12
-Proterozoic(원생누대):25 억년전~5 억 4 천백만년전
명왕누대, 시생누대, 원생누대를 합쳐 선캄브리아시대라고 통칭
-Phanaerozoic(현생이언): 발견되어 지질 시대 구분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시기로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가 여기에 속한다.
5 억 4 천백만년~현재
13 지구 생명의 발달

Cyanobacteria: 산소를 이용한 광합성을 하는 첫


생물
=산소의 농도 증가
Eukarytotes: 진핵생물
Agal: 조류
Shelly: 껍질을 가진 무척추동물
Vascular plants: 원시 식물

14 지구 초기에 나타난 생물: 화학무기영양으로 인해 생존하는 생명체 - 이들이 죽거나


대사하면서 유기물의 축적
=원시해양과 지각에 유기축적물이 많아짐 - 환원상태의 탄소/유기물로 인해 생존하는
화학유기영양 생물 생김.
-화학무기영양(anoxygenic) 생물
산소를 이용하지 않고 광합성을 하는 생명체가 있었을거임
이들이 죽으면서 유기축적물이 해양에 쌓임
화학유기영양생물 출현
산소를 이용하여 광합성하는 생명체들의 출현 - 산소 생성 - 진핵세포
15 Microbial Diversification
-40 억년전에 박테리아와 아케아로 세분화됨
-다양한 대사활동을 하는 세균, 원핵세포들이 진화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합성을 하는 (cyanobacteria) 지구의 대기에 큰 변화
-cyanobacteria 27 억년전 출현: 황화수소 대신 물을 분해해서 전자를 사용하는 광합성 = 산소
축적
- 현재 산소 농도의 1/백만 = great oxidation event(산소급증사건)
16 대기 중에 산소가 축적하는 방법
-처음 발생한 산소는 대부분 물에 녹아있는 형태로 존재했을 것
-녹아있는 산소가 증가하면서 산소가 원시해양에 환원 상태의 철과 화학반응을 일으킴
= 산화철: 물에 녹지 않아 바닥에 가라앉으면서 층 구조로 나타남 - 층상철광층 이룸 (중요한
지질학적 기록):
=산소가 존재했다는 증거
철층-다른물질-청층
환원철이 다 가라앉고 산소가 더 녹음 - 산소 포화 - 산소 대기로 출현
17 층상철광철 산소 농도

24 억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산소 농도 (현재


10%가깝게)
-산소혁명(Oxygen Revolution)
2.7 B – 2.4 B : 점진적 →급속한 증가.
현재 대기 산소 농도의 1%이상 →10%
5-3

* Banded Iron Formations (층상철광층) : 까맣게 보이는 줄이 Iron oxides 로, 산소 존재의 증거.
- 퇴적암에서 나타나는 특정한 구조. 캄브리아 시대 이전에 형성.
- 특징 : 얇은 두께의 은색/까만색의 산화철이 밴드로 나타나고, magnetite (Fe3O4) or hematite
(Fe2O3) 형태로 나타남.
- 이런 산화철이 철이 없는 shales나 cherts랑 번갈아 나타나는 구조. shales이랑 cherts는 둘 다
퇴적암의 일종.
Shale (셰일, 이판암). 얇은 층으로 되어 있어 잘 벗겨지는 퇴적암
Chert (처트) 규질의 화학적 퇴적암으로 각암.
- 이런 층상철광층의 퇴적암은 아주 오래된 바위가 있는 쪽에서 나타나고, 지구상 철의 60%가 저
장됨.

- great oxygenation event가 나타난 24억년 전 가장 많이 나타나고, 18억년 전 이후로는 관찰되지


않음. 7억 5천만년 전 다시 나타남. 이건 Snowball Earth 때문이라 추측
(Snowball Earth : 선캄브리아 누대 말에 해당하는 약 8억 5천만 년 전부터 5억 5천만 년 전까지
수차례에 걸쳐 발생했던 지구 역사상 최대 냉각기 상태를 의미함.)
- 형성과정 : 산성인 원시 바다에는 철분, 니켈 성분이 많이 녹아 있었다 추정. 바다 속 시아노박
테리아(photosynthetic cyanobacteria)가 산소를 발생하기 시작하면서(tipping point) → 철, 산소가
결합해 바다 밑 바닥에 가라앉아 퇴적암 형성. → 진흙 위 산화철(iron oxide)이 층층이 쌓임. → 이
렇게 층이 생기면서 층상 구조가 나타나는데, 산소 농도의 차이가 주기적으로 변한 흔적이 아닐
까 추측된다. 각각의 밴드는 varve(호상점토)와 비슷하다.
(Tipping point: 갑자기 뒤집히는 점’이란 뜻으로 때로는 엄청난 변화가 작은 일들에서 시작될 수
있고 대단히 급속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 산소가 계속 대기 중으로 계속 방출되면서 산소호흡이 생기기 시작. 이전에 있던 무산소호흡보


다 더 많은 에너지 생산할 수 있게 됨. 이것으로 진핵미생물(eukaryotic microorganisms) 성장. 가
장 오래된 진핵미생물의 화석은 20억년 전의 것. 19억~14억년 전에는 다세포(multicellular)의 진핵
미생물 나타나기 시작.

산소의 발생은 산소호흡을 하는 생물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오존층도 발생시킴. 오존층은 태양의
자외선(UV radiation) 차단. → 육상생물의 생존이 가능해짐.
* 지구의 역사 : 45억년 전 탄생 → 40억년 전 최초의 생명체(원핵세포) → 20억년 전 진핵세포

* 진핵세포의 탄생은 “Endosymbiosis (세포 내 공생, 내부공생)” 에 의한 것


- mitochondrion와 유사한 미생물과 chloroplast와 비슷한 미생물이 공생하면서 지금의 진핵세포
가 생긴 것이 아닐까?
- 과학적 증거
1) mitochondrion와 chloroplast가 자기 자신의 DNA 보유
2) 진핵세포 내 유전자를 보면 일부는 세균에서 유래한 것. = 공생을 하는 관계에서 어떤 세균의
DNA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진핵세포가 되는 다른 세균(host)의 DNA 안으로 끼어 들어간 것
3) mitochondrion와 chroloplast는 자기 자신의 ribosome을 가지고 있음. Ribosome 내부 RNA 분
석에서도 이 가설이 증명되고 있음.
4) 진핵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항생물질들이 mi나 ch에는 영향을 줌

* Ribosomes: 세포 내에서 단백질 합성하는 기관


- RNA성분, 단백질 성분으로 구성
- 하나의 Ribosome은 두 뭉치(subunits)으로 구성.
큰 덩어리를 Large Subunit 이라고 함. Prokaryote(박테리아)의 large subunit에는 2개의 RNA+단백
질, Eukaryotype에는 3개의 RNA+단백질이 있음.
작은 덩어리인 Small subunit에는 1개의 RNA+단백질
- 중요한 건 ribosome은 모든 생명체에 존재하고, 그 구조 기능이 모든 생명체에 잘 보존되어 있
음. = 처음 ribosome이 만들어진 이래 큰 변화없이 유지되어 옴.
- ribosome 안에 있는 RNA = ribosomal RNAs

- 동물세포(animal cell), 식물세포(plant cell), 박테리아세포(bacteria cell) 세 종류 세포 모두 내부에


ribosome이 존재. 차이는 크기.
박테리아세포 내의 ribosome 을 70S ribosome이라고 함. 이것은 30S ribosome(small subunit)과
50S ribosome(large subunit)이 합쳐진 것. → 30S 안에는 16S rRNA
동물/식물(진핵)세포 내의 ribosome 을 80S ribosome 이라고 함. 이것은 40S ribosome(small
subunit)과 60S ribosome(large subunit)이 합쳐진 것. → 40S 안에는 18S rRNA
- 진핵세포, 박테리아세포 내 ribosome에서 상당부분이 비슷하게 겹침.

- Ribosomal RNAs 을 이용해 진화를 측정하기도 함. RNA는 단일가닥으로 되어 있어 특정한 3차


구조를 가짐. 다양한 organism에서 ribosomal RNA를 뽑아 비교해봤더니, 실질적인 염기서열은 좀
달라도 2차, 3차 구조는 거의 동일했음. (=기능의 거의 동일)
RNA의 염기서열의 차이 → 염기서열의 차이가 크면 그 변화는 아주 오래전에 생겼을거라 생각,
차이가 작으면 변화가 최근에 생겼을거라 생각.
→ 이걸 분석해 분자시계(Molecular clocks ,chronometers)로 사용.
→ 결과적으로 이걸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Mitochondrion 이나 chloroplast의 rRNA 는
prokaryotype(bacteria)의 rRNA와 비슷.

* eukaryotic cell (진핵세포) 형성에 대한 두 가지 가설  앞의 “세포내공생” 설명하는 두 가지 가



a) 핵이 생기고 나서 → mitochondria와 chroloplast가 들어갔다.

1단계 : 진핵세포 조상이 되는 고세균류 세포. (핵, 다른


membrane구조 존재)
2단계 : 산소호흡을 하는 세균이 들어감. 이 세균은 나중
에 mitocondrion이 됨. → 동물세포
3단계 : 광합성을 하는 세균이 들어감. 이 세포는 나중에
엽록체(chloroplast)가 됨. → 식물세포
cf) 동물세포는 mitocondrion만, 식물세포는
mitocondrion과 chloroplast 둘 다 가지고 있음.

b) 커다란 고세균(archaea) 안에
mitochondria 되려는 세균 먼저 들어가고→ 핵이 생겼다 → 그 다음 chroloplast가 먼저 들어갔다.
아래 그림 (a)와 (b)를 보면, 갈라진 이후에 미토콘드리아 조상이 들어갔냐 아니면 갈라지기 전에
미토콘드리아 조상이 들어갔냐의 차이임. 현재로서는 두 가지 가설을 입증할 수 없음.

* 위 그림에서 보듯이, 공통조상세포에서 Bacteria와 Archaea가 갈라져서 따로 진화를 했다. 그럼


진화는 왜 일어났을까? → 돌연변이 때문. 즉, 염기서열의 변화. 이런 돌연변이는 DNA복제 과정에
서 실수가 생기거나 UV같은 자외선으로 생긴 DNA에 손상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음.
이 때, 살기에 더 적합한 방향으로 돌연변이 일어나면 생존 가능성 높아짐.
이 밖에서 gene duplication(유전자 완전복제), horizontal gene transfer(유전자 이전), and gene
loss(유전자 손실) 통해서도 돌연변이 생길 수 있음.

* 분자시계 : 특정한 유전자의 염기서열이나 아미노산을 이용해서 분자시계로 사용


- 이 때, 염기서열의 변화는
1) 비교적 일정한 빈도로 일어난다
2) neutral 하다 (=거의 모든 유전자에 비슷하게 일어난다)
3) random 하다
- 가장 널리 사용하는 분자시계는 small subunit에 있는 rRNA (=ribosomal RNA)임. 모든 생명체에
다 있고, 기능상 일정하고, 충분히 conserved되어 있고, 관찰하기에 충분한 length를 가지고 있음.
cf) 이 때 rRNA는 prokaryotes 에서는 16S rRNA 로, eukaryotes에서는 18S rRNA로 나타남.

* Universal Phylogenetic Tree as Determined by rRNA Genes : rRNA 로 분석한 계통수

공통조상에서 분화되어 세균류, 고세균류, 진핵세포로 나뉘어짐. 일단 먼저 세균류, 고세균류로 나


뉘어지고, 후에 고세균류에서 진핵세포로 갈라진 것. 이런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진핵세포에
존재하는 mitocondrion에 존재하는 small subunit 의 rRNA는 세균류의 rRNA와 상당히 비슷.
식물 엽록체 있는 small subunit의 rRNA는 시아노박테리아(광합성 하는 박테리아)의 rRNA와 상당
히 유사함.
즉, mitocondrion의 rRNA와 chroloplast의 rRNA는 진핵세포와는 완전히 다르고, 박테리아와는 비
슷. → (제가 이해하기로는 박테리아, 진핵세포의 rRNA가 완전히 다른데 이게 앞에 봤던 박테리아
세포가 진핵세포에 들어간 증거가 된다는 뜻 같아요. 진핵세포 외부의 박테리아에서 들어온 거니
까 둘의 rRNA 가 완전히 다른 것.)
6-1

* 지금부터는 “미생물이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가” 에 대해 알아보겠음

* 우리가 미생물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


1) 질병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
2) 농업에서 중요한 미생물 (특히 질소고정과 축산에서)
3) 음식 (보존, 발효음식, 식품첨가제)
4) 에너지/환경 (석유가 부족해 미생물 이용해 Biofuels 만들기도 함.) (미생물 이용해 환경오염 청
소) (광업에도 사용되는 미생물)
5) 생명공학의 재료

1. 음식물과 미생물

* 발효음식 (Fermented foods)


- 탄수화물을 분해시키는, 일종의 혐기성 이화작용(anaerobic catabolism).
- 음식물을 발효에 의해 만들기에는 특히 lactic acid bacteria (젖산균), propionic acid bacteria (프로
피온산균), and acetic acid bacteria(초산균)이 사용됨.
- 발효음식의 예 : 빵, 치즈, 요거트, 버터밀크, 소세지, 사워크러스트(독일식 김치, sauerkraut), 된
장 등의 장류

Cf) Propionic acid


- 프로판산이라고도 한다. 화학식 CH3CH2COOH.
-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액체로, 분자량 74.1, 끓는점 141.35℃, 비중 0.9987(15℃, 물 1, 15℃)
이다.
- 순수한 상태에서 색이 없으며 부식성을 가지고 있다. 물과 잘 섞이지만, 폼산이나 아세트산과
달리 염석(鹽析)하면 기름 모양으로 석출한다.
- 프로피오나이트릴을 가수분해하거나, 프로판올을 산화시키면 얻을 수 있다. 염류는 음식물에
대하여 살균력과 보존력을 지니므로 그 방면에서 많이 이용된다. 또 아연염은 백선(白癬) 등 피
부병 치료에 사용된다.

Cf) 염석

친수기를 가지고 있어서 물과 잘 섞이는 콜로이드는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그러나 다량의 전


해질(예. NaCl)을 넣어 주면 콜로이드가 가진 전하가 중화되어 서로 엉기므로 가라앉는다. 이러
한 현상을 염석이라고 한다. 이러한 원리는 비누의 제조나 두부의 제조에 이용된다. 콩 단백질
은 친수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물과의 친화력이 강하여 쉽게 엉기지 않는다. 그러나 전해질인
간수(염화마그네슘)를 다량으로 넣어 주면 서로 엉겨서 두부가 된다.
Butter milk: 탈지유에 유산균을 가해 발효시킨 것. 유당의 일부가 유산이 되고 있으며 종래 치
료유로서 많이 사용되었다. 산도가 높고 지방분이 적은데 단백질, 미네랄은 모든 유(乳)와 같
은 정도의 농도이다.

* Alcoholic beverages
포도당(탄소 6개) → 피루브산(탄소 3개) → 아세트알데하이드(탄소2개) → 에탄올

1) 와인 : 포도로 만듦. 200~200,000 리터까지 다양한 크기의 통 사용(발효조=fermenters).


Fermenters는 oak, cement, glass-lined steel, stone으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
화이트 와인은 청포도. 레드 와인은 몇 달~년 숙성시키지만 화이트 와인은 숙성 없이 팔기도 함
- 만드는 과정
화이트 와인 : 포도 따기 → 즙 만들기(Must) →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첨가 → 하루 정
도 보관 → 압착해야 즙 짜냄 → 껍질(pomance) 버리고 효모(yeast) 첨가 → 10~15일 동안 발효
→ 다시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첨가 → 5개월 aging(숙성) → racking(통 옮겨서 보관) → 다양한 침
전물 제거 위해 clarifying agents 같은 약품 섞고, 침전물 가라앉혀 filteration → 병에 담기
(bottling)
레드 와인 : 포도 따기 → 즙 만들기(Must) →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효모 첨가 → 3주
발효 → 압착해야 즙 짜냄 → 껍질(pomance) 버리기 → 숙성(aging) 시키기 → racking → 1년에
3번 깨끗한 통(barrel)로 바꾸기 +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첨가 → 2년 뒤 settling tank(탱크로 옮기기)
→ filteration → bottling 한 뒤에도 6개월 이상 숙성필요

Vat : 사전적 의미로 “참나무통으로 만든 저장용 탱크, (큰


통에) 넣다, 저장하다.”의 뜻이며, 와인용어로 직역을 하면
Winery에서 따로 보관해야 할 와인을 말하는 것

Pomace: 포도 등을 압착하여 주스나 와인을 얻어내고 남


은 찌꺼기
- 메타중아황산나트륨 (Sodium Metabisulfite)
○ 식품가공과정에서 일반색소와 발색성 물질을 무색의 화합물로 변화시키고 식품의 보존 중
일어나는 갈변, 착색 등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물이다.
○ 방부제, 항산화제, 환원표백제 등으로 사용된다. 다이아황산나트륨(Sodium disulfite)이라고도
한다. 화학식 Na2S2O5. 흰색의 결정 또는 결정성 가루로서 이산화황의 냄새가 있다.
- Must
○ Must는 사전적 의미로 “포도주가 되기 전에 포도액, 발효되지 않은 포도즙”의 뜻이며, 와인
용어로 Red Wine인 경우 포도껍질, 씨, 펄프 등도 함께 포함하고 있다.
○ Must는 포도를 으깨서 와인이 완성되기 전까지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술덧”
이라는 말과 같은 뜻이다. 즉 포도 혹은 주스 상태도 아닌 어정쩡한 상태를 통틀어 Must라고
한다.
- Racking
○ Racking은 사전적 의미로 “고문하는, 몸을 괴롭히는, 심한(두통 · 기침 · 치통)” 뜻이며, 와인
용어로 찌꺼기 제거와 공기접촉을 위해서 “와인을 다른 저장통으로 옮기는 것”을 말하며, 불어
로는 “Soutirage”라고 부른다.
○ 와인용어에서는 발효가 끝난 와인을 정화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침전물이 가라앉은 발효
통 속에서 침전물이 없는 윗부분의 와인만 빨아올려 다른 통으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다른
방법들에 비해 손이 많이 가는 방법이지만, 비교적 와인의 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
점이 있다. 단점은 작업 도중 공기와 많이 접할 수 있어서 산화의 위험이 크다.
○ 음료용어로 “맥즙(Wort)이나 맥주를 하나의 용기로부터 다른 용기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2) Brewing, distilling (증류) and commodity alcohol


* Brewing(양조) 는 malted grains(발아 시킨 곡물) 을 발효시켜 술을 만드는 과정. 미생물의 발효
에 의하여 주류나 된장 ·간장 ·식초 등을 제조하는 일로 세계 각국 또는 지방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원료나 생활습성이 달라, 양조의 종류도 다르다
* Yeast 는 맥주를 만들 때 사용. 어떤 Yeast 사용하는지에 따라 ales(top yeast, 이스트가 상층에
존재), lagers(bottom yeast, 이스트가 바닥에 존재) 로 나뉜다.
* Malt (맥아, 엿기름): 겉보리에 수분 · 온도 · 산소를 작용시켜 발아시킨 보리의 낟알.
맥주 양조의 원료로서 중요하고, 미생물의 배양기를 조제하는 데도 많이 쓰인다.
녹말과 같은 당류, 비타민류가 들어 있으며, 아밀라아제(녹말을 포도당과 엿당으로 분해하는 기능)
가 있음.
영양제 · 소화제(디아스타아제 등), 때로는 가축의 사료, 엿당의 제조원료 등으로 이용된다.
* lager 맥주와 ales 맥주
(1) Lager beer
- bottom yeasts 사용Use bottom yeasts (이스트 종류 : Saccharomyces pastorianus, S. carlsbergensis)
- 발효 : 8-14 days at 6-12oC
- 숙성 : several weeks at -1oC
(2) Ales 당 곰팡이 맥주
- top yeasts 사용 (Saccharomyces cerevisiae)
cf) Saccharo = 당, myces= 곰팡이, cerevisiae = 맥주
- 발효 : 5-7 days at 14-23 C
o

- 숙성 : short periods at 4-8oC (기간은 라거보다 짧고, 온도는 더 높게)

* 효모의 발효 중에도 CO2가 만들어 지지만 실제 bottling 과정에서 CO2 첨가함


* yeast 가 살아있는 맥주도 있지만 yeast 가 있으면 장기간 유통이 불가능해서, 저온 살균/필터를
통해 yeast를 제거한 후 bottling 해서 상품화

* 맥주 만드는 과정
보리에 싹이 나게 만들어서 보리 안 효소의 작용에 의해 전분이 분해되게 함(malting floor) →
malting 이 끝난 맥아를 말리고 빻음 → mashing (담금; 곡류를 물과 섞어 배양하여 녹말과 같은
복함 탄수화물이 단순당과 같은 사용 가능한 형태로 분해하는 과정)
mashing 은 커다란 통에 물 넣고 섞는 건데, 이 과정에서 효소작용이 더 많이 일어나서 녹말이
더 많이 분해돼서 씨에 저장된 양분들이 나옴
→ hops를 섞어줌 → 큰 통에 넣어 가열해서 다른 미생물 죽이고, 다양한 효소작용 억제, 집어 넣
은 hop에 의해 맥주의 향이 생김. Hop의 성분은 단백질을 엉기게 만들어 제거. Yeast 집어넣기 →
발효(글루코스를 에탄올과 CO2로 나눔) → 라거 비어는 장시간 저장해서 aging 하고(이스트 가라
앉음), 이 과정에서 맥주 향이 더 생김. → packaging

- 효모(yeast) 가 상당히 나중에 첨가되는 이유 : 효모(yeast)는 곡물(보리)에 있는 전분(starch)을


분해할 수 없다. 따라서 malt에 있는 아밀라아제에 의해 전분이 일차 분해된 후 효모를 첨가한
다.
- Hop: 유럽과 아시아 온대산이며 길이 6~12m로 자라고 줄기의 단면은 속이 빈 육각형이다. 잎
은 마주달리고 큰 잎은 3~5개, 때로는 7개까지 갈라진다. 작은 잎은 심장형으로 모두 톱니가 있
고 덩굴과 더불어 잔 가시가 있으며 뒷면에 향기가 있는 황색 선점 있다. 홉은 온대 중부지방에
서 잘 자라고 뿌리가 깊게 들어간다.
맥주의 원료로서 심기 시작한 것은 8세기 후반부터이며 14세기 후반에는 독일에서 널리 재배되
었다. 홉을 수확하는 부인들이 작업 중 잠이 오는 데서 착안하여 부작용이 없는 최면작용이 있음
이 밝혀졌다. 유럽의 민간에서는 진정 · 진경 · 진통 및 건위제로 사용하고 있다.
맥주의 원료로 사용하는 이유는 맥주 특유의 향기와 쓴맛을 주며, 맥아즙의 단백질을 침전시켜
제품을 맑게 하고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여 저장성을 높여주는 여러 가지 효능이 있다
- Wort(워트) : 사전적 의미로 “맥아즙(맥주의 원료)”을 말한다. 분쇄한 맥아에 더운 물을 부어
60~70℃로 높여서 당화시킨 후 여과하여 액체에 녹지 않는 물질을 제거한 액을 말한다
→ 위에 맥주 만드는 과정 중에서 “큰 통에 넣어 가열해 미생물 죽이는….” 여기에 넣는거라고 함

* 저칼로리 맥주(Light Beer)


- 맥아에 아밀라아제 추가 → 맥아에 있는 녹말이 더 많이 당분으로 분해 → 더 많은 당분 → 더
많은 alcohol 발효. → 발효 종료(더 높은 농도의 alcohol, 발효되지 않은 녹말이 더 적게 남음) →
물 첨가(알코올 농도 조정). → 일반 맥주보다 탄수화물 낮음.
Ppt6-2
1 Distilled alcoholic beverages (증류주)
증류주는 맥주와 같이 알콜발효가 끝난 용액을 가열해서, 증발한 알코올을 모아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만든 것이다. .
• Distilled alcoholic beverages are made by heating previously fermented liquid to a temperature that
volatilizes most of the alcohol
• 증류주의 종류 : Whiskey, rum, brandy, vodka, gin • 안동소주, 문배주 등
100% 보리(맥아)만을 증류한 위스키를 ‘몰트 위스키’로,
그 중에서도 한 증류소에서만 나온 몰트 위스키를 ‘싱글몰트 위스키(Single Malt Whisky)’라고 부른
다. 스코틀랜드 지역에서 증류 한 싱글몰트 위스키인 ‘스카치 위스키’가 가장 유명하다.
2 Distilled spirits(알콜음료): Dark rum, Brandy, and whiskey (left to right)
증류주의 종류에는 rum, brandy, whiskey 등이 있는데 이들의 특징은 도수가 매우 높다.
3 지금까지 이스트를 사용하는 알코올 발효를 설명했는데., 이스트 말고 세균을 사용하는 것도 있
다.
Zymomonas라는 세균은 굉장히 강한 알코올 발효를 하는 세균이다. 이걸 이용해서 만든 음료가
Pulque이다.
Ethanol production using Zymomonas • Zymomonas
• A bacterium that carry out vigorous fermentation of sugars to ethanol
• Used in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e.g. pulque in Mexico)
Pulque: Agave란 용설란의 뿌리(줄기 아님 주의!)로 만든 멕시코산 토속주이며, 도수가 그리 높지
않다.멕시코 사람들은 이 술을 맥주처럼 널리 음용하며 여기에 레몬이나 소금 또는 콜라 등을 타
서 마시기도 한다. 이 술을 증류하면 테킬라 (Tequila)라는 증류주가 된다. 테킬라는 도수가 높다.
4 agave 뿌리의 모습
5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우리나라의 술 매우 여러가지 있다. 이때, 주로 누룩을 이용함
다양한 우리나라의 술 종류 : 막걸리, 동동주, 기타 전통주: 홍로주, 문배주, 안동소주, 이강주, 복
분자주, 가양주 등
누룩:밀이나 콩 등을 찐 다음, 굵게 갈아 반죽하여 덩이를 만들어 띄운 것. 뛰운다는 건 곰팡이가
피어나는 과정을 말한다.
누룩이 익어가면서 곰팡이가 핌.
누룩곰팡이(국균): 황국, 흑국, 백국 등 <—누룩에 피는 곰팡이의 종류:
누룩곰팡이의 종류는 분쇄된 곡물의 입자크기 수분,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짐.
입자크기 : 밀이나 콩을 찐 다음 어떻게 으깨느냐에 따라 누룩 내의 산소 함유량이 달라지는데,.
이 누룩 내의 산소 함유랑에 따라서 입자크기(덩이의 모양)가 달라짐.
누룩곰팡이가 하는 일: 술 빚는 과정에서 알코올 발효의 원료가 되는 당분을 만듬.(녹말-> 당)
6 막걸리( 누룩 이용)
술밥 + 누룩 -> 누룩 곰팡이가 전분을 분해해서 당분으로 만듬.
당분이 효모에 의해 알콜발효가 되어 막걸리가 만들어짐.
누룩에는 곰팡이 외에 효모, 유산균, 고초균....등 다양한 미생물이 들어있으며, 어떤 지역에서 만
들어졌냐에 따라 포함된 미생물이 달라짐.
(참고) 장( 간장, 고추장, 된장)을 만들 때도 누룩과 비슷한 것(삶은 메주콩)을 사용함.
메주: 삶은 메주콩을 으깬 후 특정 모양을 만든 것, 볏짚으로 매달아 띄움.
잘 띄어진 메주의 미생물: ~ 800 종 이상, 지역에 따라 미생물의 조성이 다름. 누룩곰팡이, 유산균,
고초균 등 다양하다.
7 우리가 숙취를 느끼는 주 원인은 물론 술 때문이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때문이다. 알코올은 간에서 알코올분해효소(Alcohol De- Hydrogenase, ADH)에 의해 아
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는데, 이 아세트알데히드가 미주신경, 교감신경 내의 구심성신경섬유를 자
극하여 구토 및 어지러움, 동공확대, 심장박동 및 호흡 의 빨라짐 등 흔히 말하는 숙취를 일으키
는 것이다.
숙취 제거용 음료나 약품도 많이 있는데, 음료 자체에 알데히드 분해효소를 넣은 제품도 있고, 호
박산이 아세트알데히드를 체내에 생성되는 것을 억제한다는 점을 이용해 호박산을 넣은 제품도
있다. 또 유산균을 이용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돕는 요구르트도 개발되었다
숙취가 안나게 하기 위해서는 마시는 알코올의 양을 조절하는게 답이다.
8 Citric acid and other organic compounds
발효를 이용해 만드는 물질
• Citric acid (구연산)는 신진 대사(TCA cycle)의 핵심 중간체이며 감귤류에서 발견되는 산 화합물.
• 구연산의 염(구연산염) 은 칼슘 킬레이트로 인해(칼슘을 결합시켜, 칼슘을 제거) 혈액의 항응고
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혈액의 응고는 칼슘을 필요로 하는데, 칼슘을 제거시키므로)
구연산은 음료(신 맛 추가), ,과자, 다양한 음식물, 의약, 화장품, 빵 발효(부풀리기) 다양한 곳에 사
용됨
• A widely used food industry additive
• Supplement in beverages, confections (과자류), and
other foods. 의약, 화장품...
• Used in leavening(발효시키기) of bread
구연산의 구조

9 구연산 발효(=시트리산 발효)


- 당류를 기질로 사용하여 미생물과 배양하면 배양액 속에 시트르산이 축적, 이를 시트르산 발효
또는 구연산 발효라고 한다.
- 현재 세계에서 생산되는 시트르산의 90% 이상이 이 발효법에 의해 생산된다.
- 공업적으로는 당밀을 기질로 사용하고 시트르산 발효를 일으키는 미생물로 검정 곰팡
이 (Aspergillus niger)를 를 주로 사용한다.
- 당밀: 사탕수수나 사탕무의 즙을 졸여서 만든 자당(흑당이라고도 한다)에서 설탕을 정
제했을 때 남는 액체. 혹은 옥수수나 감귤, 수수, 목재 등에서 시럽을 채취해서 당을 정제했을 때
남은 액들을 말하기도 한다.
10 Fermented milks 우유를 발효
우유를 발효시키는데 많이 사용되는 미생물들 : Lactobacillus, Lactococcus, Leuconostoc, Streptococcus,
and Bifidobacterium
• Majority of fermented milk products rely on lactic acid bacteria belonging to the genera (속) Lactobacillus,
Lactococcus, Leuconostoc, Streptococcus, and Bifidobacterium
11 4.1 Cheese production
치즈는 우유를 발효시켜서 만드는 것
<치즈의 제조과정>
1. 우유에 latic acid bacteria(젖산균)와 rennin(단백질분해효소 중 일종)을 첨가
2. Curd가 생기고 나면 whey라는 액체 제거
3.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숙성 후, 치즈가 된다
Rennin: 프로테아제의 일종으로 치즈의 조제과정에서 우유를 응고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그 역할 은 우유카세인을 파라카세인으로 변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것임. 되세김질하는 동물
의 위(Abomasum)에 많이 존재한다.
Curd: 커드는 우유의 주요 단백질인 카세인이 응고된 것으로, 탈지하지 않은 우유를 사용하면 우
유지방의 대부분이 흡착하여 포함된다. 이때 응고되지 않고 분리되는 용액을 훼이(whey)(유청)라
하는데, 여기에는 카세인 이외의 단백질·락토스 등이 남게 된다.


12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전파된 치즈는 그리스와 로마시대를 거치면서 제조법이 완성되었다.


- 고대 그리스인들은 치즈의 좋은 맛을 하늘이 내린 것으로 생각하였지만, BC 900년경의 작품인
호메로스의 '오딧세이아'에 이미 치즈의 제조와 관련된 묘사가 나온다. (아주 옛날부터 치즈가 만
들어 졌구나) 율리시스가 양치기인 외눈박이 거인 폴리페모스의 까브(cave) 안에서 발견한 젖 담
는 통들, 뿌옇게 흐르는 훼이,거르는 체와 쌓인 치즈들은 당시의 양젖치즈제조법을 짐작하게 해준

.
- 로마에서 'caseus'로 일컬어지던 치즈는 고대영어 'cese'와 중세영어 'chese'를 거쳐 지금
의 'cheese'로 되었다.
- 프랑스어: 라틴어 'formaticus(곰팡이로 만들어진)'를 어원으로 하는 'formage‘
가 변하여 치즈를 가리키는 '프로마주(fromage)'로 쓰이고 있다.

<치즈 숙성>
제조 직후의 그린 치즈는 일반적으로 조직이 고무모양으로 딱딱하고 풍미도 부족하다. 이 치즈는
일정 기간 숙성시킴으로써 주성분인 단백질, 지방, 당이 미생물이나 효소의 작용으로 분해되어 특
유의 풍미를 생성하여 조직이 부드럽게 변화한다.
-숙성을 어떻게 시키냐에 따라 치즈의 종류가 달라진다. 치즈의 종류에 따라 3주에서 2년 이상까
지 다양한 숙성 기간을 거치며, 이 과정에서 치즈의 독특 한 색과 질감, 맛, 향이 결정된다.
-숙성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는 사용한 원유, 레닌, 접종하거나 원래부터 존재했던 미생물
들 등이 있다.
-숙성실의 환경은 80~90%의 습도를 유지하여 치즈 표면의 건조를 막고, 온도는 10°C 정도로 유
지하여 미생물의 지나친 성장을 방지하여야 하며, 환기가 잘 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13 치즈의 종류
치즈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자연치즈와 가공치즈로 구분.
- 자연치즈는 양, 소, 염소 등의 젖을 원료로 해서 단백질, 효소 또는 여러 응고제로 응고를 하고
숙성을 시킨 치즈.
젖의 종류나 숙성을 하는 방식과 정도에 따라서 맛이 다양하게 나타남.
- 가공치즈는 자연치즈를 가열하고 용해, 분쇄를 하고 유화해서 만든 제품으로 숙성에 따른 맛 의
변화는 적지만 품질이나 영양적인 부분에서 적정한 기준을 가짐.
가공치즈는 자연치즈를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것이고 견과류나 과일 등의 재료를 넣어서 다 양
한맛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흔히 우리가 많이 사먹는 슬라이스 치즈가 가공치즈의 대표적인 예.
14 치즈에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것에 사용되는 미생물들도 여러가지가 있다.
15 고다치즈, 체다치즈 등 다양한 치즈의 종류
16 체다치즈를 만드는 공장의 모습
17 Yogurt 요거트
수분을 증발시킨 (~1/4) 우유 + 유산균 의 조합으로 발효시킨게 요거트이다.
2가지 종류의 균이 사용되는데 다음과 같다.
Streptococcus thermophiles : 산을 만들어 시큼하게 만듬
Latobacillus bulgaricus : 맛과 향을 결정한다.
두 미생물 간의 균형에 따라 만들어지는 요거트의 맛이 달라짐.
18 Fermented meat and fish 육류나 어류를 발효시킨 식품
• Sausages(소세지) • Hams(햄)
• Bologna(소세지의 일종)
• Salami(소세지의 일종)
• Funazushi(물고기와 밥을 섞어서 발효시킨) – fish and rice (Lactobacillus spp.)
• Katsuobushi (참치를 발효시킨, 가츠오부시)– tuna (Aspergillus glaucus)
• 가자미 식해
• 젖갈
19 Sausages: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곱게 갈아 동물의 창자 또는 인공 케이싱(casing) 에 채운 고
기 가공품.
〈역사〉 소시지는 원래 상등육(上等肉)을 얻을 수 없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정육 이외의 먹을 수
있는 부분, 즉 골·혀·귀·염통·콩팥·코·창자·피 등의 부산물을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만들게 된 제
품으로, 오래 전부터 있었던 고기의 가공품이다.
Hams:본래는 돼지고기의 넓적다리살을 일컫는 말로, 그 가공품도 아울러 햄이라고 하였는데, 현
재는 다리살 이외의 고기를 사용한 제품도 햄이라고 한다.
햄은 훈연과정에서 연기 속에 포함된 알데하이드류나 페놀류가 고기 속에 침투하여 방부 효과가
증가되는 동시에 독특한 풍미를 가지게 된다.

Bologna:이탈리아 도시 Bologna에서 유래한 양념된 소시지. 얇게 썰어 샌드위치나 차가운 요리
에 제공한다.
Salami:살라미, 훈제가 아닌 이탈리아식 드라이 소시지.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등심살에 돼지 기름
을 넣고, 소금과 향신료를 많이 넣어 간을 세게 맞추고 럼주를 가한 후 건조시킨 것이다. 이 소시
지는 훈연법을 쓰지 않고, 저온에서 장시간에 걸쳐 건조시키는 것이므로, 보존성이 좋다. 매달아
놓으면 2년쯤은 충분히 보존할 수 있는데, 단단해지는 것이 흠이다
Funazushi – fish and rice (Lactobacillus spp.): 붕어초밥 또는 후나즈시 ( 일본어: 鮒寿 司 )는 일본
의 발효 식품인 나레즈시( なれずし )의 일종으로, 붕어를 이용해 만드는 삭힌 초밥이다. 시가현
의 향토 요리다.
Katsuobushi – tuna (Aspergillus glaucus): 가츠오부시(鰹節)는 손질한 가다랑어를 삶아 훈연한 후
곰팡이를 피워 만든 것이다. 인공조미료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일본에서 가츠오부시를 조미료로
많이 사용했다.
21 Production of breads 빵 제조
밀가루와 빵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섞어서, 효모가 호기성조건(aerobic)에서 발효가
일어나게 맏든것, CO2가 많이 나와서 빵이 부풀게끔.
빵 효모 외에 다른 미생물을 섞어서 특별한 맛을 나게끔 할 수 있음.
대표적인 Ex) Sordough bread : 효모 외에 lactobacilli 종을 섞은 것, 젖산균이 들어가 시큼한 맛이
나게 됨. 보통 빵보다 보존성이 좋게 됨(젖산 때문에)
• Involves growth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aker’s yeast) under aerobic conditions
• maximizes CO2 production, which leavens bread
• Other microbes used to make special breads (e.g., sourdough bread: fermented in the presence of
both baker’s yeast and Lactobacillus sp.)
• Sourdough bread is made by the fermentation of dough using naturally occurring lactobacilli and yeast.
Sourdough bread has a more sour taste and better inherent keeping qualities than breads made with
baker's yeast, due to the lactic acid produced by the lactobacilli
22 다양한 발효식품들. 커피도 커피빈을 1차 발효시킨 후 숙성시킨 것, 김치, 미소(일본), 피클,
올리브, 각종 장,, 어떤 나라에서는 코코아를 발효시키기도 한다
Fermented foods produced from fruits, vegetables, beans, and related substrates
된장, 청국장, 고추장, 간장 등/ fermented cocoa
23 Vinegar 양조식초
Ethyl acohol을 acetic acid로 발효시킨 것(산화시켜서 초산으로 만든 것)
• Results from conversion of ethyl alcohol to acetic acid • Incomplete oxidation of ethyl alcohol
Ubiquinon (CoQ, UQ, Qn). 보조효소의 일종. 호흡사슬 속의 효소인 숙신산 -CoQ 환원효소, NADH-
CoQ 환원효소, CoQ-시토 크롬환원효소 등의 보조효소 가 된다. 보조효소 Q [coenzyme Q]

24 Acetic acid bacteria


• 에틸알코올을 산화하여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그람음성의 절대호기성 간균의 1군(群). 포자를 형
성하지 않고
내산성이며, 내알코올성이 높고, 고농도의 당에도 내성이 강하다.
• Commonly found in alcoholic juices
• Some can synthesize cellulose(Acetobacter xylinum)
Bacterial or microbial cellulose (also sometimes known as nanocellulose) i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biofilms. It is chemically identical to plant cellulose, but has distinct physical structure and properties.
Microbial cellulose의 실생활 예, 젤리같은 것을 만들거나, 피부질에 상처가 생겼을 때, 덮어서
치료의 목적으로 쓰거나 피부 팩에도 쓰임.
25 Diagram of a vinegar generator 양조(초산발효를 하는) 통의 모습, 양조식초는 여러방법으로 공
업적으로 제조 가능, 다음 그림은 속양법으로 만든 것
속양법(速釀法):
나무제 또는 내산성 재료로 만든 탑 내부에 미리 종초(이미 박테리아가 섞인)를 충분히 흡수시킨
너도밤나무의 대팻밥이나 자작나무의 가는 가지, 부석(浮石) 등을 충전시키고 원료액을 탑의 상부
로부터 산포한다. 액은 충전물의 표면을 흘러내려가 탑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공기와 접촉하여 아
세트산균(종초에 있는)에 의하여 아세트화된다. 1회의 흐름으로는 완전히 아세트화되지 못하므로
밑부분에 괸 액을 상부로 다시 보내 순환시켜 발효를 계속시킨다.

Ppt6-3
1 Microorganisms as foods and food amendments
미생물들을 직접 음식물로 먹거나, 음식물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하는 미생물들
• Variety of bacteria, yeasts, and mushrooms are used as animal and human food sources 다양한 세
균이나, 이스트, 버섯
• Probiotics (적절한 양으로 투여될 때 숙주에게 건강상의 이익을 부여하는 살아있는 미생물)
- microbial dietary adjuvants (보조제, 보강제) : e.g. Spirulina, lactic acid bacteria, etc.
미생물을 첨가해서, 숙주에게 먹는 영양분 이상으로 도움을 주게 하는 것
• microbes added to diet in order to provide health benefits beyond basic nutritive value

2비교: Prebiotics
◆ 프리바이오틱스는 결장(대장의 일부)에 있는 박테리아의 수를 한정하며 선택적으로 박테리아
의 성장을 자극하여 인체에 유리한 영향을 주는 물질로 인체 내에서 소화되지 않는 식품 구성요
소.
◆ 주로소당류(oligosaccharides)이며,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s),이 눌린, Isomalto-
oligosaccharides, Lactilol, 유과올리고당(Lactosucrose), 락툴로스 (Lactulose), Pyrodextrins, Soy
oligosaccharides, Xylo-oligosaccharides을 포함 하고 있다.
◆ 이들은 주로 bifidogenic 요인으로서 불리워지며, bifidobacteria의 성장을 자극한다.
◆ 프리바이오틱스는 항암작용, 항균작용, Hypolipidemic(지방성분을 낮춤) 및 포도당 변조를 일으
키는 활동을 한다. 또한 항골다공증 활동을 가지고 있으며 무기질의 흡수와 균형을 개선하는 활
동을 하고 결장에서 식품 안에 들어있는 칼슘과 무기질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 프리바이오틱스는 변비와 간 뇌질환의 약제로서 사용되며, 염증성 장질환을 개선하고 장에 기
생하는 병원균에 대항하여 보호작용을 하며 당뇨병에도 약간의 이익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단, 건강보조식품(약품이 아닌)이므로 이러한 효능은 증명되지 않음.

3 Benefits of probiotics 프로바이오틱스의 장점


• Immunodilation(면역기능 확대)
• Control of diarrhea(설사를 조절)
• Anticancer effects(항암작용)
• In beef cattle (육우에다가 주면,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장균 억제)
Lactobacillus acidophilus decrease E. coli (O157:H7)
• In poultry(가금류에게 고체균에 섞어주면, Salmonella가 닭 안에서 자라는 것을 억제해줌)
Bacillus subtilis limit Salmonella colonization of the gut by the process of competitive exclusion

4 Bacteria as probiotics 프로바이오틱스로 먹는 박테리아의 예


• Lactic acid bacteria
•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 Addition to the diet improves health beyond basic
nutritive value

5 Bacteria as a food and food supplement


• Spirulina: a cyanobacterium (남세균의 덩어리). 학명은 Oscillatoria spirulina.
• Africa의 Chad호수에 자생하며 원주민이 예로부터 식용으로 하고 있다. 단백질 함량 이 60~80%
로 높고 아미노산 조성도 좋은 것으로 신단백질 자원으로서 연구된 적도 있다. Chlorella(조류)와
달라 세포벽이 부드럽기 때문에 소화율이 높다.
먹으면 대변의 색깔이 초록색으로 나타남. 보통 정이나 가루의 형태로 존재함.
6 Algae as a food and food supplement
• Chlorella
클로렐라(chlorella)는 민물에 자라는 녹조류(綠藻類)에 속하는 단세포 생물로 플랑크톤의 일종.
단백질, 엽록소,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
7 Yeast 이스트 as a food and food supplement
이스트를 발효시키는게 아니라, 이스트 자체를 먹기도 함.
• Yeast for baking or nutritional purposes are grown in aerated fermenter (발효조).
• Molasses (糖蜜) is the major ingredient of growth medium
• Cells are recovered from broth by centrifugation • Compressed yeast cakes
• Active dry yeast
• Nutritional yeast
다양한 형태로 이스트를 먹음

Molasses: 당밀.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설탕으로 가공할 때 부수적 으로 나오는 찐득한 시럽을 말
한다. 당밀의 질은 사탕수수나 사탕무 의 성숙도, 설탕 추출량, 설탕 추출 방법 에 따라 달라진다
8 Stages in industrial production of yeast cells
이스트를 배양조에 키워서 수확시켜서 누른후, 케이크 형태로, 혹은 드라이 형태로, 혹은 알약처
럼 먹기도 한다.
9 Mushroom 버섯 as a food source
양송이(양식하는 송이 버섯), 표고버섯, 자연송이(자연송이는 비싸다.)
10 Microorganisms and food spoilage
11 Spoilage of a dairy product 우유가 오래지나면 상함.
12 Spoilage of bread and corn 빵이나 옥수수도 곰팡이가 펴서 다 상함.
어던 빵은 고체균의 일부(Bacillus)가 붙어서 상한다.
Bread also can be spoiled by Bacillus species that
produce ropiness.
식품이 부패하여 점착성의 물질을 생성하는 현상을 총칭하여 로프현상(ropiness) 이라 함
13 Microbial growth and food spoilage 미생물이 자라면서 어떻게 음식을 부패하게 하는가
• Food Spoilage 음식물의 부패
: 음식물의 형태나 냄새, 맛등이 변하는 것, 소비자가 먹지 않게 되는 것을 총칭하는 말
먹어도 실제로 안전한 경우도 있지만 소비자가 소비하지 않게 됨.
• Any change in appearance, smell, or taste of a food product
that makes it unpalatable to the consumer.
• Food may still be safe to eat, but is regarded as
unacceptable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 food determines its susceptibility to microbial spoilage.
어떤 것은 부패하지 않기도 함. 들어있는 화학성분에 따라서
• Perishable : 쉽게 부패하는
• Semiperishable :잘 부패하지 않는 Nonperishable : 거의 부패하지 않는
14 Perishable : 고기, 어류, 가금류(닭,오리)계란, 우유, 대부분의 과일이나 야치
Semiperishable : 감자, 일부 사과, 견과류
Nonperishable : 설탕, 밀가루, 쌀, 말린 콩

15
과일이나 야채는 세균(Bacteria),곰팡이(fungi)에 의해
고기,가금류,계란,해산물은 세균(Bacteria),곰팡이(fungi)에 의해
우유는 세균(bacteria)에 의해
당을 많이 포함한 음식은 세균(Bacteria),곰팡이(fungi)에 의해 부패함.

16 Microbial growth and food spoilage 음식물안에 수분이 얼마나 많은가와 상하는 정도가 관련이
있음.
• Susceptibility to food spoilage is based in large part on moisture content.
• Perishable foods have higher moisture content than nonperishable foods
• Fresh foods are spoiled by both bacteria and fungi.
• Spoilage organisms are those that can gain access to the food and use the available nutrients
(i.e., E. coli frequently contaminates meat products because it is found in animals’ digestive tracts)

대부분의 경우에 쉽게 상하는 음식물은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


신선한 음식물이 세균이나 곰팡이에 의해서 부패함.
음식물을 부패하게 만드는 미생물들은 음식물에 있는 양분에 의해서 자라기 때문에 음식물을 부
패하게 만듬.

17 Food preservation 음식물 보존 : 부패를 지연시키고 식품을 먹어서 생기는 병을 방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됨: 미생물제거, 냉장, 설탕이나 초에 절이기, 건조, 가열, 무균상태에서 음식
물 만들기, 식품보존제(화학약품처리), 방사능 쪼이기
• Methods for slowing spoilage and foodborne disease
• Removal of microorganisms • Cold
• Pickling and acidity
• Drying and dehydration
• Heating
• Aseptic food processing • Chemical preservation
• Irradiation

18 Removal of microorganisms 미생물 제거


• Usually achieved by filtration (여과, 거르기)
액체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
유동성이 있는 고체-액체혼합물을 다공성(多孔性) 여과재를 지나게 하여, 고체는 여과재 의 표면
이나 내부에 퇴적시키고, 액체는 투과시켜 양자를 분리시키는 기계조작
• Commonly used for water, beer, wine, juices, soft drinks, and other liquids

19 Cold 냉장
• Slows microbial growth rate and delays spoilage 낮은 온도에서는 많은 미생물의 생장이 천천히 일어
나서, 부패를 지연시킬 수 있음.
• Psychrotolerant bacteria can grow at refrigerator temperatures 저온성내균도 있기 때문에, 냉장이 항상
부패지연에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 Freezing allows for longer storage, but isn’t suitable for all foods 냉동은 더 오래 부패를 지연시킬 수 있
지만, 모든 음식물이 냉동으로 보관 가능한 것은 아니다.
• 0°C에서 생장이 일어나지만, 생장의 최적온도는 20-40°C인 미생물을 저온내성균(psychrotolerant)
이라고 한다. 이들은 실제로 자연계에서 저온균(psychrophile)보다 더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4°C의
냉장고 안에 보관 하는 과일, 채소, 육류, 우유 등의 식품은 물론이고 온대 지방의 토양이나 물에
서 분리될 수 있다.

20 Pickling (절임) and Acidity(산도를 낮추는 것)


• pH is an important factor in microbial growth pH는 미생물의 생장에 중요한 요인이다.
• Most foods are neutral or acidic 우리가 먹는 음식물은 대부분 중성이거나 약산성이다.
• At pH less than 5 most spoilage organisms are inhibited pH가 5보다 낮아지면 대부분의 음식물을 부패
시키는 미생물이 잘 자라지 못한다.
• During pickling process acetic acid is added to a solution with sugar or salt 그래서 절이는 과정에 식초를
첨가해 산도를 낮추곤 함.
• Pickled foods include pickles, fish, peppers and fruits 절이는 음식물에는 오이,어류, 과일, 고추 등이 있
다.

21 Drying and dehydration 건조


• Moisture content is critical for microbial metabolic processes. 음식물의 수분의 정도는 상하는 것에 중
요한 영향을 끼침.
• Sugar and salt reduce the availability of water for microbial growth (in effect, dehydrating it 음식물에 당이
나 소금을 많이 넣으면, 물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옴. ,
• I.e., jams, jellies, meats, fish 대표적으로 잼, 젤리, 고기, 어류 등이 말려서 장기간 보존하는 예이다.
• Lyophilization (freeze-drying) is the physical removal of frozen water under vacuum 냉동건조 동결건조 음
식물을 얼린 다음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키는 것, 오래 보존하는 방법으로 매우 좋은 방법이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
• Very expensive, but very effective
22 Heating 가열: 박테리아를 많이 죽이거나 멸균을 통해
• Used to reduce the bacterial load (i.e., pasteurization 저온간헐살균)of a
product or to actually sterilize(멸균) it (i.e., canning)
• Canning isn’t always 100% effective
통조림을 만드는 것은 언제나 효과적이지 않음. 오래되면 상해서 부풀기도 한다.
• Results in swollen cans (DO NOT EAT!)

23 Pasteurization(저온간헐살균)
• Kills pathogens and substantially reduces number of spoilage organisms 병원균을 죽이거나 세균의 숫자
를 낮추는 것
• Different pasteurization procedures heat for different lengths of time 저온살균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사
용가능. 온도, 시간 등이 과정에 따라 다름.
Ex)
• 63-65 oC/30 min
• 71.7oC/15-20 sec
• 110oC/2 sec
• shorter heating times result in improved flavor 고온에서 시간을 짧게 할수록 음식물의 맛을 변하지
않게 할 수 있음.
24 Canning 통조림을 만드는 것
• Food heated in special containers (retorts) to 115°C for 25 to 100 minutes (sterilization) 음식물을 큰 통에
넣고 115도에서 25~100분동안 멸균시키는 것, 장기보존은 가능하지만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님. 상
하기도 하고, 가공과정이 잘못될 수도 있고, 캔이 손상받아 오염된 물이 들어갈 수 있기도 함.
** Spoilage of canned goods
• spoilage prior to canning
• underprocessing
• leakage of contaminated water into cans during cooling process
25 통조림 멸균하는 공장의 모습
26 통조림 안에 미생물이 자라게 되면, 찌그러들기도 하고 부풀기도 하고, 지나치면 터지기도 함.
따라서, 통조림을 먹기전에는 통이 변형이 되지 않았는가를 확인해봐야 한다.
Changes in sealed cans as a result of microbial spoilage

27 Aseptic: 무균의 , 방부의


• Aseptic Food Processing 무균상태에서 식품을 가공하는 것
• Several foods are now processed and packaged aseptically 많은 식품들이 지금은 무균상태시설에서 가
공된다. 사람들이 거의 관여하지 않고 밀폐된 공간(무균상태의)에서 음식물을 처리한다. 무균상태
에서 처리된 음식물들은 매우 오랜 시간 보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균상태 음식 처리 과정
은 고온에서 짧은 시간 가열하고, 무균상태 컨테이너에 보관하는 것이다. 통조림, 쥬스 통 등이
멸균된 통에 고온살균한 액체를 집어 넣어서 보관하는 것이다.
• This food can be stored on shelves for months or longer • Involves flash heating and packing in sterile
containers
(i.e., juice boxes and milk substitutes)
28 통의 재질을 표시한 것

29 Chemical Preservation 화학약품 처리


• Over 3,000 compounds are used as food additives 음식물의 첨가제로 사용하는 것이 3000가지가 넘음
• A small number of these are used to control microbial growth 이중 일부가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됨
• i.e., sodium propionate, sodium benzoate, nitrites, etc.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첨가제의 예들
• Some, such as nitrites, are controversial because studies show they may be harmful to human health 사람의
건강에 나쁠 수 있다는 연구가 있기 때문에 논쟁이 됨
• Significantly extends shelf life of finished foods 음식물의 보존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음.
30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와 그것들이 각각 억제하는 미생물의 종류가 다양하게 있다.
31 화학첨가제가 건강에 나쁘다 해서 넣지 말자 하기도 한다. 하지만, 넣었을때와 안 넣었을 때
부패하는 속도가 확연히 다르다.
32 다양한 음식물에 첨가제를 넣은 모습. 축산에서도 항생제 등을 투입함. 음식물을 씻거나 할 때
화학약품을 이용 가능. 즉, 다양한 화학약품이 음식물 처리에 사용된다. 마트에 가서 보면 음식물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표시가 보이기도 한다. 이 뜻은 이 표시가 없으면 화학약품처리했음
을 의미한다.

33 Microbial product-based inhibition 미생물이 생산한 물질을 이용해서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


하는 것
• Bacteriocins <- 대표적인 예시, 다른 세균의 생장을 억제함.다른 세균의 에너지 대사를 방해, 원형
질막에 구멍뚫기, RNA합성을 억제하기도 한다. 그 중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 nisin이라는 물질인데,
low-acid food를 처리할 때 사용된다.
• bacteriocins의 정의 : bactericidal proteins active against related species
some inhibit energy generation of susceptible bacteria
:some form pores in plasma membranes
some inhibit protein or RNA synthesis
e.g., nisin
- used in low-acid foods to inactivate Clostridium botulinum during canning process

34 low-acid foods
- pH 4.6 이상의 식품.
- 통조림식품과 같이 장기간의 상온 유통저장을 목적으로 가열살균 하는 식품의 경 우 식품위생
상의 입장에서 pH 4.6 이상 의 식품을 저산성 식품 (low-acid food), pH 4.6 미만의 식품을 산성식품
(acid food)으로 구별한다.
- Nisin 첨가: 이것은 내열성이 강한 포자를 형성하는 보툴리누스 A 및 B 형 균이 pH 4.6 이상의 식
품 중에서 발육하여 인체에 대한 치사독소를 생산하기 때문이다.

35 Irradiation 방사능 쪼이기


방사능을 쪼여서, 세균이나 곰팡이, 일부 곤충같은 것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가능,
사용하는 방사선 종류에는 감마선, 베타선, X선등이 있다.
적당량을 사용하면 식품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또는 매우 민감하게 반
응하기도 한다.
따라서 방사능을 사용한 식품은 다 표시를 한다.
• Food is irradiated with ionizing radiation to reduce bacterial, fungal, and insect contamination
• Uses gamma or beta radiation, or X-rays
• Irradiated foods must be labeled
36 신선육,갈은 고기에 일정량의 방사능 쪼아 세균을 죽임,
향신료, 효소등에는 매우 많은 도수를 쪼여서 세균을 죽임.
돼지고기에도 방사능을 쪼여서 보존력을 높임.
나사에서 우주비행사가 먹는 고기에는 굉장히 많은 방사능을 쪼여서 멸균을 시키기도 함.
KGy -> 얼마만큼의 방사능을 조사했는가.
37 방사능을 조사해서 처리한 식품은 Radura라는 symbol을 붙여야 함. 나라마다 색은 다름. 의미
는 가운데에 있는건 방사능을 조사했다는 의미, 밑에 있는 건 조사처리할때, 안전을 충분히 했다
라는 의미.
The Radura, the International Symbol for Radiation
The Radura is usually green and resembles a plant in circle. The top half of the circle is dashed. Graphical details
and colours vary between countries.
<Radura의 뜻>
Radiation + durus (hard, lasting) 방사능을 이용해서 음식물을 오래보존하게 한다.

38 다양한 식품에 Radura가 붙어있는 모습. 과일, 곡류, 어패류, 육류 등에도 가능하다. 중요한 것
은 방사능처리를 한 식품에는 이러한 표시를 붙이도록 하는 것이 국제적인 조약이라는 것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