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1

바이러스 분류학

역전사 과정을 갖고 있는 바이러스

서브 바이러스(Subviral agents)

1. 바이로이드(viroid) : RNA으로만 구성된 식물의 작은 감염성 물질, 대개 기계적 상해에 의해 전


파되고 일부는 진드기에 의해서 전파된다.
- 작은 원형의 single-stranded (ss) RNA
- 세포의 효소에 의해 복제
- 단백질 코딩하지 않음, 입자 형성하지 않음

> Viroid RNA 복제의 rolling-circle model


- 세포의 핵에 존재하는 RNA polymerase Ⅱ에 의해 복제됨(독버섯에서 얻은 α-amanitin 처리에
의해 복제가 안됨)

2. 위성바이러스(satellite virus) :
- 선형의 단일가작 DNA 또는 RNA, 원형의 RNA
- 복제에 helper virus 도움 필수
- 오직 capsid 단백질 유전자를 갖고 있음
- 자신의 캡시드 단백질로 입자 형성 : 캡시드 단백질 코딩→입자형성

> 위성 RNA(satellite RNA)


- 단백질을 코딩하지 않음
- helper virus의 도움으로 복제 가능
- helper의 캡시드 단백질로 입자 형성

> 사람의 위성 바이러스


1) Adeno-associated virus(AAV)
- Parvoviridae과 Dependoparvovirus 속, 비피막 바이러스
- helper virus (adenovirus, herpesvirus) 존재 시에만 증식이 가능
- 선형의 ssDNA (약 4.7kb) : Rep 단백질과 캡시드 단백질 (VP1, VP2, VP3)
- 사람에서 질병 유발하지 않음
- 유전자 치료 벡터
2) hepatitis D(delta) virus (HDV)
– hepatitis B virus (HBV)가 helper virus
- 외피형 입자(직경 22 nm)
- 원형 ssRNA : 1.68 kb (사람 감염 바이
러스 중에서 가장 작음)
- 게놈 RNA 복제 : 세포의 RNA Pol II (바
이로이드와 유사)
- 입자 형성 : 외피 단백질은 HBV의 것;
ribonucleoprotein는 HD 항원(antigen)

* HBV는 HDV의 공동감염 또는 중복감염시 – HBV 단독 감염보다 간염이 더 심하고 더 빨리 간경


변으로 진행됨

3. 프리온(prion) : PrPSc(병원성을 가진 프리온)


- Prion = proteinaceous infectious particles
- 단백질로만 구성된 여과성 병원체; 핵산 없음
- misfolded prion protein (PrP)들이 축적되어 뇌세포를 죽게 함; 해면상뇌(병)증(spongiform
encephalopathy) -> 프리온 질병
- 양과 염소의 퇴행성 신경 질환인 스크래피(scrapie)에 걸린 동물의 뇌 조직에 서 처음 분리됨
> 감염성 해면상뇌병증(TSE,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을 유발
- 스크래피 : 양과 염소
- 소 해면뇌병증(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광우병(mad cow disease)
- 만성 소모성 질병(chronic wasting disease, CWD) : 사슴
- 변형 CJD (vCJD) – 인간 광우병
- 쿠루병(kuru) – 파푸아뉴기니 Fore 부족: 처음 알려진 인간 프리온 질병
* 크로이츠펠트 – 야콥병(CJD) : 산발성, 가족형, 의인성

> Daniel Carleton Gajdusek(가이듀섹)


- 미국 의사, 의학자
- 쿠루(kuru)의 전염성 증명 : 1976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 파푸아뉴기니 원주민들이 장례의식 사망자의 뇌조직을 먹는 의식(ritual cannibalism)과 쿠루 관
련성 연구
- 쿠루 사망자의 뇌 조직 추출물을 침팬지 뇌에 주입해서 전염성 증명

> Stanley B. Prusiner(프루시너)


- 미국 의사, 의학자(신경학)
- 1997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 스크래피 뇌조직에서 감염성 단백질(27-30 kD) 규명 스크래피 추출물 ① UV 조사 ② DNase 또
는 RNase 처리 ③ Trypsin 처리 : 감염성 사라짐
- 이를 prion이라 명명- 프리온 가설 제안
- 병원성 스크래피 prion 단백질을 PrPSc 라 명명

> 프리온 단백질의 2차 구조 > 프리온 가설의 동물 실험

* PrPSc에 의한 해면상 뇌 질병 유발은 PrPC가 있어야 함

> 해면상뇌병증은 단백질의 구조 변형이 원인


- protein folding disease
- 변형 이성체인 PrPSc가 주형으로 작용해 정상적인 PrPC를 변형 이성체 PrPSc형태로 구조적 전환
- PrPSc이성체 형태들은 서로 응집(aggregation)할 수 있음 : 뇌조직 세포의 사멸 유도
이 과정을 반복함

바이러스 복제 주기
- 복제 주기(replication cycle) = 감염 주기(infectious cycle) = 생활사(life cycle)
-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진입하여, 유전자를 발현하고 복제하여 새롭게 생성된 자손 바이러스가
세포 밖으로 방출하기 까지의 전 과정
1) 진입(enatry) : 부착 → 침투
→ (세포질이동) → 탈피
2) 복제(replication) : 유전자 발
현, 게놈복제
3) 진출(exit) : 조립 → 방출 →
성숙

바이러스 진입
1. 부착(attachment)
- 바이러스 입자의 구조 단백질과 세포 표면의 단백질/당 구조물과 결합
수용체(receptor) : 결합 특이성 높음, 부착인자(attachment factor) : 특이성 낮음
- 바이러스 감염의 세포 친화성 또는 생물 친화성(쏠림성, tropism)은 수용체의 세포 유형 또는 종
(species) 특이적 발현에 기인

> 대표적인 바이러스 수용체


- 면역글로블린 가계(immunoglobulin superfamily) 단백질 : 면역 글로블린 도메인을 가지고 있음
CD4
PVR (poliovirus receptor, CD155)
CAR (coxsackievirus and adenovirus receptor)
- 기능성 세포막 단백질
LDL receptor : rhinovirus 수용체
ACE-2(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 SARS-CoV/SARS-CoV2의 수용체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 human CMV 수용체
- 당단백질의 탄수화물 그룹에 속하는 sialic acid : influenza virus 수용체

> 일부 바이러스는 두 개의 수용체를 이용함


- HIV : CD4(1차 수용체), CCR5/CXCR4(chemokine receptor, 공동수용체coreceptor – 진입에 필요)
- HIV의 세포 친화성 : coreceptor 선택에 따라
CXCR-4 : T-tropic(CD4+ T 림프구 친화성)
CCR5 : M-tropic(대식세포 친화성)
- Adenovirus 2와 5 : CAR 부착 수용체, integrin(인테그린 αvβ3 또는 αvβ5 – 진입에 필요)
> 어떤 바이러스 구조물이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가?
- HIV : gp(glycoprotein)120 ↔ CD4, CCR5/CXCR4
- Adenovirus : 2/5 fiber knob ↔ CAR, penton base ↔ 인테그린
- SARS-CoV-2 : spike ↔ ACE2
- Influenza virus : HA protein ↔ sialic acid(시알산)
* 시알산(sialic acid)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수용체(시알산과 갈락토오즈의 결합)
-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바이러스 : α-2,3 연결 시알산과 결합
-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α-2,6 연결 시알산과 결합

2. 침투 및 탈피
-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침투) 목표지점까지 이동한 후(세포질 이동) 캡시드의 붕괴
로 바이러스 게놈을 노출(탈피)
- 식물바이러스 : 상처, 곤충 매개로 침투
Bacteriophage : 특수한 꼬리로 세포벽에 구멍을 내고 핵산을 주입

> 동물 바이러스의 침투 과정
- 외피형 바이러스 : 직접융합, endocytosis 후 막융합
- 비외피형 바이러스 : endocytosis 후 막융해, 통과 또는 구멍 형성

> 세포막과 외피의 막융합과정

- membrane fusion 단백질 : 세포막과 바이러스막 간의 융합을 촉진하는 바이러스 외피 당단백질


- fusion peptide : fusion 단백질의 한 부위로 막 융합을 주도하고, 일련의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음
- fusion 단백질은 막 융합을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되어야 함
ex) F 단백질(mumps virus), gp41 단백질(HIV), HA 단백질(influenza virus)

외피형 바이러스 진입 전략
1-1) 직접융합 : 세포 표면에서 원형질막과 바이러스막 간의 융합

Paramyxoviruses : mumps virus, measles virus

Retroviruses : HIV

* HIV gp41에 의한 막융합 : gp41 n-말단의 fusion peptide가 세포막에 박혀 있음, gp41 c-말단이
α-나선형으로 구조 변화를 일으켜 두 지질막을 서로 끌어 당김
Herpesviruses : HSV-1

> 바이러스 진입에 이용되는 endocytosis


1)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2) Caveolar endocytosis = Caveolin-
mediated endocytosis
3) Macropinocytosis
1-2) Receptor(clathrin)-mediated endocytosis 후 엔도솜 막과의 융합
> Orthomyxoviruses : influenza virus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A 단백질에 의한 막 융합
- HA : hemagglutinin – 적혈구 응집
- 외피의 당단백질 : 3량체로 작용
- 기능 : 세포 수용체와 결합, 막융합

- fusion peptide 활성화


- 후기 엔도솜의 낮은 pH(5.0-5.5)에 의해 HA분자의 구조 변화

> Flaviviruses : yellow fever virus


> HCV dengue virus
> SARS-CoV SARS-CoV-2

비외피형 바이러스 진입 전략
2-1) Receptor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후 엔도솜 막의 lysis(용해)
2-2) Receptor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후 엔도솜 막의 통과 (permeabilization)
- Reoviruses : rotavirus
- Parvoviruses : AAV

3) Macropinocytosis에 의한 진입
- 바이러스 입자의 결합으로 수용체에 의한 세포내 신호전달로 막 물결(membrane ruffling)이 유
도되는 경우: 액틴 중합 반응이 수반됨
- 외피형 바이러스 : Vaccinia virus (VACV), Ebola virus, Kaposi sarcoma herpesvirus (KSHV),
Epstein-Barr virus (EBV)
- 비외형 바이러스 : adenovirus 3

4) 구멍 매개 침투(pore-mediated penetration)
- Receptor-mediated endocytosis 후 엔도솜 막에 구멍 형성
- poliovirus

5) Caveolin-mediated endocytosis
- SV40

3. 세포질 이동
- 미세소관 매개 수송(microtubule-mediated transport)
- 운동단백질(motor protein) : dynein
* +로 가는 걸 키네신, -로 가는 걸 디네인이라고 하며, 핵은 보통 (-)에 존재
> 바이러스 게놈의 핵 진입 전략

- parvovirus : 세포 표면 부착 → 파괴 → 유입 → 탈피
- Influenza virus : importin매개 핵 수송(능동수송)
- HIV(양성가닥 RNA 게놈) : RNA 게놈의 역전사, 바이러스 dsDNA 복합체, importin 매개 핵 수송

Q 다음 중 바이러스 진입(entry) 과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Clathrin 매개 endocytosis 2) 바이러스 막과 원형질막의 융합 3) 세포질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확산 4) 미세소관 매개 운반 5) 시알산

Q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fusion peptide는 세포막에 삽입되기 위해서 언제 표출되는가?


1)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 가까이 있을 때 2)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질에 있을 때 3) Fusion
peptide의 3량체가 형성되었을 때 4) 바이러스가 수용체와 결합되었을 때 5) 엔도좀이 산성화되
었을 때

4. 바이러스의 복제
-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과 유전체 복제
1) 바이러스 초기유전자(early gene) 발현
- 바이러스 감염 직후 발현되기 시작
- 유전체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음
2) 바이러스 유전체 복제
- 초기단백질의 기능이 필요함
- 많은 바이러스 유전체의 복사본이 만들어짐
- 복제된 유전체는 후기유전자 발현의 주형으로 사용됨
3) 바이러스 후기유전자(late gene) 발현
- 바이러스 유전체 복제 이후에 발현되기 시작
- 후기 유전자는 바이러스의 구조단백질을 암호화함 예) capsid 단백질, 피막 glycoprotein 등

> 바이러스는 핵산 유형에 따라 다른 전략으로 초기 유전자 mRNA와 단백질을 생산함


ss = single-stranded
ds = double-stranded
+ = positive
- = negative

복제
> 바이러스 유전체의 유형에 따른 유전자 발현 전략
> RNA 바이러스의 게놈 복제 전략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


- 양성가닥 RNA 유전체 : mRNA

- Poliovirus의 생활사
- 피코나바이러스의 RNA 게놈 구조

- Poliovirus의 폴리단백질(polyprotein)의 절단

- Poliovirus 생활사
- Poliovirus 복제
: 유전체 RNA는 한 개의 긴 ORF로 구성되어 있고, 감염직후 바로 번역되어 커다란 폴리단백질이
만들어짐; 5’ 말단에 구조단백질들이 3’ 말단에 비구조단백질들이 위치함
: 이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절단되어 완성됨; 2Apro, 3Cpro, 3Dpol (RdRp), VP1-VP4
: 유전체 (+)RNA 복제는 먼저 (-)RNA 중간체를 만들고 이어서 (-)RNA를 전사하여 (+)RNA를 생산

- Poliovirus RNA 게놈의 복제


• VPg 단백질이 RNA 합성 primer로
작용
• CRE : cis-acting replication
element
-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 유전체 구조와 복제 전략

- sindbis virus(신드비스바이러스)의 RNA 게놈 구조

- Togavirus의 생활사
• 유전체 RNA 상에서 비구조단백질 ORF가 5’ 말단 쪽에, 구
조단백질 ORF가 3’ 말단에 위 치함
• 구조단백질들은 한 개의 subgenomic RNA 로부터 번역되
어 폴리단백질로 합성된 후 유전체 절단되어 형성됨
> 코로나 바이러스
- (+)RNA 유전체- 27-32kb (RNA 바이러스 중에서 가장 큼)
- 비구조 폴리단백질 유전자는 유전체의 5’ 말단에 위치하고 2개의 다른 ORF로 구성; ORF1a와
ORF1b
- 구조단백질 유전자는 유전체의 3’ 말단에 위치하고 각 구조단백질은 독립적인 mRNA로부터 만
들어짐

- 코로나바이러스의 게놈 구조

- 코로나바이러스의 생활사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
- 유전체 (-)RNA가 입자 속에 있는 RdRp(RNA-dependent RNA polymerase)에 전사되어 mRNA가
합성되어야 함
- (-)RNA로는 바로 mRNA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RdRp를 가지고 있음, RdRp이 있어야만 mRNA
를 만들 수 있음

>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의 게놈 복제 전략

- VSV(vesicular stomatitis virus) 생활사


- VSV 게놈 구조
* 3’ poly A 꼬리, 5’ cap이 없음 :
mRNA로 쓰이는게 아니니까
• 바이러스 입자에 있는 유전체 RNA
의 3’ 말단에 RdRp (L 단백질-P 단백
질의 결합체)가 결합되어 있음
L: RNA polymerase 활성, mRNA의
capping 및 메틸화 활성을 갖고 있음
• 바이러스 각 유전자의 mRNA 합성은 RNA의 3’ 말단에서 시작되면 연속적으로 모든 유전자의
mRNA 전사를 마칠 때까지 일어남 : IG(intergenic region) 조절 서열-유전자와 유전자 사이의 잘
보존된 조절 서열

- IG(intergenic region)의 기능
1) mRNA 합성 종료
2) mRNA의 polyA 꼬리 붙이기(adenylation) : RNA
polymerase이 연속적 U 서열(7-8개) 부위에서 반복적
으로 왔다 갔다 하며 만들어짐(stuttering mechanism -
동어반복 메카니즘) ‘back-전사’ 과정을 반복
3) 다음 유전자의 mRNA 전사 개시

-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의 게놈 복제 전략


• 유전체 RNA는 - mRNA 전사의 주형 - 유전체 RNA 복제의 주형
• N 단백질 수준에 따라 유전체 RNA가 전사 또는 복제되는지 결정됨

- VSV의 RNA 합성 조절기전


- VSV 생활사

N 단백질 양에 따라 전사와 복제 조절

- Influenza virus

• HA(hemagglutination) – 혈구응집소, 시알산과 결합, 막융합


• NA(neuraminidase- 시알산을 잘라내는 분해효소 바이러스 입자의 방출을 돕는다.
• PB1/PB2/PA : RdRp complex; 전사 개시에 primer를 요구함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RNA 게놈과 단백질 코딩


-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생활사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mRNA 전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mRNA 전사 primer; - 숙주
mRNA로부터 cap 구조를 포함해 5’ 말 단의 10-13
nt를 절단해 primer로 사용함: cap snatching (캡 스내
칭-cap을 훔침) : VSV와 다름
• mRNA의 poly(A) 꼬리는 RNA polymerase의
stuttering에 의해서 만듦 : VSV와 동일
- 인플루엔자 mRNA 전사 및 게놈 복제 조절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생활사

Q RNA 합성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VSV 간에 유사한 점은?


1) mRNA 합성에서 유전체 RNA 합성으로 전환은 RNA 결합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 2) poly(A)
꼬리 붙이기(polyadenylation)은 짧은 U 서열 부위에서 일어난다. 3) 바이러스 mRNA가 음성가닥
유전체 RNA보다 작다. 4) 모두 맞다.
이중나선 RNA 바이러스
- Reoviridae : reovirus, rotavirus
- 유전체 dsRNA가 입자 속에 있는 RdRp에 의해 전사되어 mRNA 가 합성되어야 함

- reovirus의 생활사

* ISVP = infectious sub-viral particle


• Core안에 존재하는 유전체 RNA는 전혀 세
포질에 노출되지 않음 - 불완전 탈피
• 바이러스 mRNA 전사는 Core 안에서 일
어나고, 합성된 mRNA는 5-배 꼭지 점에 있
는 turret 채널을 통해서 세포 질로 나옴
• 유전체 RNA 복제는 새로 형성되는 입자 안에서 일어남

- rotavirus
DNA 바이러스

> 다양한 바이러스 DNA의 구조

- simian virus 40(SV40)


• 원형의 dsDNA 유전체(5.2 kb)
• 히스톤 단백질(HI 제외)과 결합하여 core nucleosome를 이루고 있어 minichromosome 형성
• 피막없음, 정20면체 대칭성

- SV40의 게놈 구조
• 원형의 dsDNA (5.2 kb)
• 조절지역 : Ori와 2개의 프로모터(PE, PL)
• 2개의 유전자와 alternative splicing으로 여러 단백질을 발현
1) 초기 유전자(early gene)
- Large T-antigen (LT-Ag, T-항원) : 종양발생
- Small T-antigen (ST-Ag)
2) 후기 유전자(late gene) - VP1, VP2, VP3, VP4

- SV40 게놈의 조절 부위
• 조절지역에 LT-Ag 결합의 효과
부위 I – 초기 유전자 전사 억제 (자가조절)
부위 II – DNA 복제 개시
부위 III – 후기 프로모터 활성화

- LT-Ag이 전기에서 후기로의 전환을 촉진


: 초기유전자 발현 → T-항원(대부분의 일을 함) → DNA 복제 및 후기 유전자 발현

- SV40 L(Large)T-Ag의 다양한 기능


① 후기 유전자 발현 촉진
② SV40 DNA 복제에 필수적이고, 복제에 필요한 유일한 바이러스 인자
- DNA 복제에 필요한 숙주 인자들을 복제 기원점으로 유인
- 자체적으로 ATPase, DNA helicase 활성 갖고 있음
③ 숙주 세포의 S기 진행을 지연시킴: S기 arrest
④ 숙주 세포의 re-replication block(재 복제 억제 기작)을 억제함
⑤ 비허용(non-permissive) 숙주(햄스터, 생쥐 등 설치류)에서 종양 유발
- 종양억제단백질인 Rb, p53 기능 억제
- 배양 중인 비허용 세포에서 형질전환 일으킴
* SV40 S(small)T-Ag는 바이러스 증식에 비필수적
- SV40 DNA 합성은 LT-Ag 6량체의 기원점 결합으로 시작되며 양방향으로 진행됨

- SV40 생활사

- 허피스바이러스
> 모든 허피스바이러스는 두 개의 다른 감염 형태를 갖고 있음
- 생산감염(productive infection) : 유전자 발현 및 복제 후 자손 바이러스 생산
- 잠복감염(Latent infection) :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거의 없음; 대개 아주 제한적으로 발현됨 바
이러스 유전체는 에피솜(episome) 상태로 유지됨
*HSV-1 – 감각신경절에 잠복감염

> HSV-1 유전체 DNA 구조


• 선형의 dsDNA (152 kb)
- 말단 반복서열(TR, terminal repeat)
- 비반목서열 UL과 US : U = Unique, L
= long, S= short
- 내부의 반복서열 IR (inverted repeat)
• 감염 후 세포의 도움으로 TR부위가 연결되어 원형의 dsDNA전환됨
• 90개 단백질 코딩
• 유전자 표시 UL48 = UL의 48번째 ORF = VP16 - 표피에 있는 단백질

> 허피스바이러스의 생활사


1) 극초기(초전기) 유전자 (immediate early gene) ; α gene
• 감염 후 최초로 발현되는 바이러스 유전자
• 극초기 유전자는 발현을 위해 새로운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이 필요 없음; 표피에 있는 VP16 단
백질에 의해 전사가 촉진되기 때문에
• 극초기단백질
- ICP0과 ICP4 : 초기 유전자의 전사 촉진 인자로 작용 ICP0는 전사 촉진 및 유비퀴틴 E3 ligase
활성을 갖고 있음
- ICP27: 바이러스 mRNA의 핵 방출 촉진

2) 초기 유전자 (early gene) : β gene


• 바이러스 DNA 복제에 작용함
• 초기단백질
- UL9 : 복제기점(ori) 결합, ATPase 와 helicase활성
- ICP8 (ssDNA-binding protein); 복제 시 단일가닥 DNA에 결합 후기 전사 촉진으로 전기에서 후
기로의 전환 유도도 함
- UL30 (DNA polymerase)/UL42(processivity factor)
- UL5/UL8/UL52 : helicase-primase로 작용

3) 후기 유전자 (late gene) : γ gene


- DNA 복제가 진행되면서 발현이 증가됨
- 캡시드 단백질, 피막 당단백질 등 구조단백질

4) 유전체 복제
• 3개의 DNA 복제 기원점
• 일단 원형 DNA을 주형
으로 복제되고, 이 후
rolling-circle 기작 복제하
여 유전체의 연쇄체
(concatemer) 형성
> hepes simplex virus-1의 생활사
*Vhs : tegument 단백질로 숙주의 mRNA 분해를 촉지하여 선천면역인자 (IFN, cytokines)의 발현
을 억제함
단일가닥 DNA 바이러스
> Parvoviridae
Dependoparvovirus - Adeno-associated virus
- 사람 감염, 질병 유발하지 않음, 아주 약한 면역 반응
- 분열하는 세포 및 휴지기 세포에 감염
- 유전자 치료 벡터
- 위성바이러스의 하나
Protoparvovirus - Canine parvovirus
- 구토, 설사, 무기력증 : 심각하면 사망
- 백신있음

> Adeno-associated virus의 유전체 구조


• 말단에 반복서열(TR, terminal repeat)의 hairpin 구조
• p5와 19 프로모터
- 4개의 Rep 단백질 발현
- 모든 Rep 단백질 ATPase 및 helicase 활성
- Rep78/Rep68: ITR(inverted TR)의 nicking 활성(이중
가닥 중에서 한가닥만 자름)
• p40 프로모터
- 3개의 캡시드 단백질: VP1, VP2, VP3
- 한 개의 비구조단백질: AAP(assembly-activating
protein)

> AVV 생활사


1)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2) 엔도솜 막의 투과
3) 미세소관을 통해서 핵으로 이동
4) 핵막을 파괴하여 핵으로 들어 감 : 재조합 AAV는 핵공을 통해서 들어 감
5) 탈피로 노출된 ssDNA는 세포 DNA polymerase에 의해 dsDNA로 전환
6) 전사 → Rep 단백질 발현
7) DNA 복제 → 세포의 DNA 복제기구와 Rep 단백질
8) 전사 → 캡시드 단백질
9)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 형성
10) 세포를 용해하여 자손 바이러스 방출

> AVV DNA 복제


: DNA가 자체적으로 프라이머 작용을 한다.
> Retroviridae
• 역전사과정으로 복제하는 (+) ssRNA (~ 9 kb) 바이러스
• Simple retrovirus : Gag, Pol, Env 등 기본적인 3개의 유전자를 갖고 있음 예) MLV (murine
leukemia virus, 쥐백혈병), RSV (Rous sarcoma virus) 등
• Complex retrovirus: 기본 유전자 이외 약 6개 보조단백질 유전자를 갖고 있음 예) HIV, SIV(원숭
이류, HIV와 유사)

> 단순 레트로바이러스의 입자 구조
- enveloped
- 동일한 2개의 RNA 유전체 분자; 각각
한 분자의 tRNA(역전사과정에서 primer
역할을 함)와 결합
- 정이십면체 캡시드
>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체 RNA 구조
- 세포의 mRNA와 동일 : 5’ 말단에 cap구조, 3’ 말단에 poly(A) 꼬리

- R= repeat region
- U5= untranslated 5’ sequence
- PBS = primer binding site
- 5’SS= 5’ splice site
- Y (psi) = packaging sequence 숙주세포와 virus 세포의 유전체 RNA를 구분
- 3’SS= 3’ splice site EnV 합성을 위해 필요
- ppt= polypurine(A, G) tract 역전사과정에서 사용
- U3= untranslated 3’ sequence

> 레트로바이러스의 생활사


- 바이러스 유전체 RNA는 탈피되면서 역전사되어 dsDNA로 전환 : 단백질들과 PIC 형성
- PIC는 핵으로 들어가 바이러스 DNA는 세포 염색체 DNA로 삽입됨: provirus 형성
- 바이러스 유전자 전사-> Gag, Gag-Pol, Env 단백질
- PIC = pre-integration complex

> HIV 입자의 진입과정


- HIV의 PIC는 핵공을 통해 수송됨
- 분열하지 않은 세포에서도 HIV proviral
DNA가 염색체 DNA로 삽입됨
- 다른 레트로바이러스는 분열하는 세포에
만 감염됨; 이들의 PIC는 핵막이 붕괴되었
다가 재형성되는 피동적인 과정에 의해서 핵
안으로 들어감(큰차이)
SU = gp120 TM = gp41

> 레트로 바이러스 유전체의 역전사 및 삽입


> 숙주 세포 DNA로 proviral DNA 삽입

>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사


- U3에 전사에 필요한 프로모터와 enhancer가 있음
- 전사는 세포 RNA polymerase II에 의해 R 지역 첫 번째 염기에서 시작
- 바이러스 RNA transcript는 R/U5 경계에서 잘리고 3’ poly(A) tail이 만들어짐

> MLV의 Gag와 Gag-Pol 폴리단백질 발현


*종료억제(suppression of
termination) - 번역 종료
암호 UAG codon이
pseudoknot 구조에 의해
CAG codon으로 오인되어
glutamate가 삽입됨
> 역전사 과정으로 바이러스 RNA는 dsRNA 복사본으로 전환됨
•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의 활성
- RNA-dependent DNA polymerase 활성: RNA 가닥을 주형으로 DNA 가닥을 복사(합성) 함-
RNA/DNA hybrid 형성
- ribonuclease H (RNase H) 활성: RNA/DNA hybrid에서 RNA 가닥을 분해; DNA 가닥은 남아 있음
- DNA-dependent DNA polymerase 활성: DNA 가닥을 주형으로 DNA 가닥을 합성함, 이중나선
DNA 형성
- 단점 : 교정(proofreading) 기능 없어서 높은 실수 율; 낮은 충실도(fidelity), 변이종이 많이 만들
어짐

• 바이러스 RNA의 역전사 과정의 최종 산물


- 이중나선 DNA = proviral DNA
- 바이러스 단백질(integrase 등)과 세포단백질들과 결합하여 preintegration complex (PIC) 형성
- PIC는 핵으로 들어가 proviral DNA가 무작위로 염색체 DNA로 삽입되어 provirus가 형성됨(HIV
의 경우 능동수송/ 잠복기에도 감염)

> 역전사과정

LTR = long terminal repeat


> 레트로바이러스 생활사 요약

진출(exite)
1. 입자 조립(virion assembly)
- 캡시드 조립
- 조직적으로 게놈(유전체) 패키징(packaging)

① 순차적 조립 : 캡시드 먼저 조립 후 유전체 핵산이 패


키징됨(어느 한 과정이라도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진행되지
않음 ex) bacteriophage)
② 공조적 조립 : 캡시드 조립과 DNA 패키징이 동시에 일
어남

> Poliovirus의 순차적 조립


> Herpesvirus의 순차적 조립

a 지역의 패키징 신호서열 = pac1와 pac2

> Influenza virus의 공조적 조립과 출아

> 레트로바이러스의 순차적 조립과 출아


Y (psi)염기서열 :
- 패키징 신호로 Gag 단백질이 인식함
- genomic mRNA만 패키징됨
- kissing loop를 통해 2개의 유전체 RNA가
결합

2. 방출
• 세포 용해
- poliomavirus (예, SV40), 아데노바이러스
• 착외피(encapsidation) 과정 : 지질막으로 둘러싸임
- 캡시드 조립 후 일어남 : flavivirus -ER 막에서
- 캡시드 조립과 공조적 일어남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원형질막에서

3. 성숙 (maturation)
• 바이러스 입자가 감염력을 획득하는 과정
- picornavirus (예, poliovirus)
- 레트로바이러스: 입자에 있는 protease(활성을 낮추면 감염률 하락)에 의해 캡시드 단백질 절단

바이러스 감염의 종류

• 자손 바이러스(progeny virus) 생산
- 생산적 감염(productive infection)
- 비생산적 감염(non-productive infection)
• 임상적 감염 증상 발생
- 증상 감염(symptomatic infection) : 전형적인 임상적 감염 증상이 나타남
- 무증상 감염(asymptomatic infection): 성공적 감염으로 자손 바이러스가 생산되나 감염 병리는
나타나지 않음; 항체 검사로 감염 경력 알 수 있음
예) Poliovirus : 200 명 감염자 중에서 평균적으로 1명이 증상 감염; 나머지는 무증상 감염

1. 생산적 감염
- 용해성 감염(lytic inf.): poliovirus, influenza virus, HSV(상피세포)
- 지속성 감염(persistent inf.): hepatitis B virus의 간세포 감염
2. 비생산적 감염
- 잠복 감염(latent inf.) : 바이러스 유전체가 핵에서 에피좀(episome)으로 존재 주기적으로 재활성
되어 생산적 감염으로 전환할 수 있음
예) HSV, varicella zoster virus(VZV)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 감각 신경세포 (잠복)감염, Epstein-
Barr virus (EBV) : B 림프구
- 형질전환 감염(transforming inf.) : 바이러스 유전체가 염색체 DNA로 삽입되어 감염세포가 종양
세포로 형질전환
예) DNA 종양 바이러스 (polyomavirus, papillomavirus) HPV(인간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한 자궁경부

- 유산 감염(abortive inf.) : 바이러스 증식이 실패하는 경우 숙주면역반응 또는 항바이러스제 의해
생활사가 차단되어서

바이러스 배양과 검출(진단)

바이러스 배양
1. 동물 배양
- monkey, mice, rabbit, guinea pig, ferrets 등
- 동물실험모델 감염 병리 연구 안정성과 약효성 검증- 항바이러스제 및 백신 개발
- 족제비 :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연구에 좋은 모델
*생물안전등급 3 대상 바이러스: SARS-CoV, rabies virus, yellow fever, West Nile virus, hantaviruses

* 생물안전등급 4 대상 바이러스: Ebola virus, smallpox virus

2. 수정란 (embryonated egg) 배양 – 증식이 되는 단계에서 많이 이용


- 1931년 Ernest W. Goodpasture(미국 병리학자)가 개발
- influenza virus, herpes simplex virus, mumps virus 등 배양
- 바이러스 분리 및 동정
- 보존용(stock) 바이러스 배양
- 백신 생산 : 인플루엔자 백신

> 수정란에 바이러스 접종 장소


- 장뇨막(chorioallantoic membrane)
- 양막강(amniotic cavity
- 난황낭(yolk sac)
- 요막강(allantoic cavity)

3. 세포배양(cell culture)
> 동물 세포를 실험실에서 적절한 배양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는 기술- 5% 이산화탄소 공급하는
incubator가 필요함
> 1949년 하버드 의대 John F. Enders 교수팀이 사람 태아 세 포배양에서 poliovirus 배양 성공
- 1954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 소아마비 불활성화 백신 (Inactivated polio vaccine = IPV)


- 1952년 Jonas Salk가 Dr Enders의 세포배양법을 사용해 poliovirus를 생산하고 화학처리(formalin)
하여 제조함
- 1955년 판매 허가를 받음

> 소아마비 경구용 백신 (oral polio vaccine = OPV)


- 1957년 Albert Sabin 개발함 (생백신-항체생성률이 높음)
- live, attenuated (weakened) poliovirus을 제조해 배양한 것임
-1961년 판매 허가됨(냉장보관)

> 바이러스 복제/감염 연구 모델


> 바이러스 대량 생산 : 백신 개발에 응용

1) 세포주(cell line)
- 형질전환되어 무한 증식이 가능한 세포
예) HeLa(사람 자궁경부암)
HEK 293 (Human Embryonic Kidney) : adenovirus E1A로 형질전환
Vero (African green monkey의 신장 상피세포)
BHK (Baby Hamster Kidney)
2) 1차 세포 (primary cell)
- 조직에서 세포를 분리해 배양하는 세포
- 일정 횟수로 분열한 후 더 이상 증식하지 않음
예) MEF(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 세포병변효과 (cytopathic effect = CPE)


- 배양 중인 세포에 바이러스 감염 후 나타나는 형태적 변화
- 세포 용해 (cell lysis) – 세포 파괴됨; 플라크(plaque) 형성
- 둥그러짐(cell rounding)
- 액포(vacuolation)
- 다핵체(syncytium) : 세포 융합, herpesvirus, 일부 paramyxovirus (measles virus 등)
- 함입체(inclusion body) : 바이러스 증식 장소, 아데노바이러스(핵 함입체), 광견병 바이러스(세포
질 함입체(Negri body))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