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노화와 만성퇴행성질환에서의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역할
Role of endogenous retrovirus
on aging an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정병훈, 박정화, 김용선*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연구소
Tel. 031-380-1987 / Fax. 031-388-3427 / E-mail. yskim@hallym.ac.kr

1. 서론 조인 텔로미어가 점점 짧아져 결국 텔로미어가 다 소실되면 염


색체의 기능이 소실되어 노화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4). 다섯째,
모든 생명체는 지속적으로 젊음을 유지하지 못하고 일정한 시 복제 노화 이론은 동물 노화 및 수명은 세포 분열 능력에 의해
간이 경과한 후에는 전반적인 생체기능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5). 여섯째, 자가면역 이론 (autoimmune
를 노화 (aging)라 한다. 노화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theory)은 면역 계통의 이상이 생기면 면역시스템이 자신의 신
않았으나 크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으로 나뉘고 있 체 세포를 공격하여 노화가 진행된다는 이론이다 (6). 일곱째,
다. 하나의 생명체가 어떻게 노화하는지에 대하여 확증된 이론 노화시계 이론 (clock of aging)은 생물체가 늙고 죽는 것을 지
은 없으나 여러 가설이 이를 설명하려 노력하고 있다. 현재까지 시하는 유전적 프로그램이 신체 내부 어디엔가 있다는 이론이
제안된 노화의 이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 (7). 여덟째, 소모이론 (wear & tear theory)은 기계도 오래
첫째, 유전자 손상의 축적 이론 (DNA damage accumula- 사용하면 마모가 되는 것처럼 인체의 장기와 기관의 구성세포
tion theory)은 생체가 태어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전정 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소모되고 기능이 저하된다는 이론이
보를 함유하는 유전자 (DNA)가 여러 요인에 의해 손상되고 이 다 (8). 이들 외에도 많은 노화이론이 존재하는데 이 글에서는
러한 손상의 축적된 결과가 노화를 촉진한다는 이론이다 (1). 둘 지금까지 소개되지 않은 노화에 대한 새로운 이론으로 내인성
째, 자유 라디칼 이론 (free radical theory)은 인체 대사과정, 레트로바이러스 이론 (endogenous retrovirus theory on aging)
방사선, 바이러스, 중금속 및 대기 오염 등을 통해 생성된 자유 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라디칼이 세포를 손상시키는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이들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 효소 등의 기능이 떨어짐으로써 세 2.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란?
포가 노화한다는 것이다 (2). 셋째, 소식이론 (caloric restric-
tion theory)은 평상시 식생활에서 섭취하는 열량이 많을수록 레트로바이러스는 RNA를 유전정보로 사용하는 RNA 바이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적을수록 노화가 늦어진다는 이론이다 러스로서 동물과 사람 모두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
(3). 넷째, 텔로미어 소멸 이론 (telomere shortening theory)은 져 있다. 이 바이러스는 독특하게도 유전자 내에 역전사 효소를
시간이 경과하고 세포가 분열을 반복함에 따라 염색체 말단구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스스로 바이러스 RNA 유전

20 … 분자세포생물학뉴스
을 시작할 수 있다. 레트로바이러스들은 DNA 바이러스에 비하
여 더 많은 유전 물질을 수용할 수 있고, 다양한 생물 종의 여
러 세포에 침입할 수 있다. 바이러스 유전자의 기본 구조는 프
로모터 (promoter)인 long terminal repeat (LTR), 중심단백질
을 암호화하는 gag, 역전사 효소를 암호화하는 pol, 외피 단백
질을 암호화하는 env가 있어 LTR-gag-pol-env-LTR의 기본 배
열을 하고 있다 (그림 1).

레트로바이러스는 비리온 (virion)의 구조에 따라 4개의 집단


그림 1. 5’Cap 및 3’poly A tail을 갖고 있는 역전사 바이러
스의 기본 구조 (위)와 역전사된 후 U3와 U5 유전자 염기서열이
(type A, B, C, D)으로 나누거나 핵산 및 아미노산의 염기 배
중복되어 숙주세포 DNA에 삽입된 상태의 provirus의 구조 (아래) 열에 따라 7개의 집단 (ALSV, B, C, D-type viruses, HTLV-
BLV, lentivirus, spumavirus)으로 나누기도 한다 (표 1) (9).
자를 DNA로 역전사 시켜 숙주의 염색체 내부로 들어가게 되 레트로바이러스 중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endogenous retro-
고, 숙주 내부 염색체에 접합된 DNA는 바이러스 단백질 합성 virus; ERV)는 HIV나 HTLV-1 등과 같은 외인성 레트로바이

표 1. 레트로바이러스의 분류

전자 genome
속 (genus) 종 (species) 현미경 type size (kb) 특 징

새 (bird)에서 존재하며, C-type 비리온과 gag, pol,


Avian leukosisar- Rouse sarcoma
C 7.2 env 구조적인 유전자를 가진다. RSV는 src라는
coma virus(ALSV) virus (RSV), ALV
종양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Mouse mammary tumor
쥐, 원숭이, 인간에서 존재하고 gag, pol, env
virus (MMTV), Human
B-type virus B 10 유전자 이외에 superantigen을 암호화하는 sag를
endogenous retrovirus
가지고 있으나 종양유전자는 가지고 있지 않다.
(HERV)-K
Murine leukemia virus
Mammalian 포유류에 많이 존재한다. 많은 내인성 레트로바
(MuLV), Feline leukemia C 8.3
C-type virus 이러스가 여기에 속한다.
virus (FeLV)
영장류에 주로 존재하고, gag와 pol 유전자는 B-
Mason-Pfizer monkey
type 바이러스와 유사하나 env 유전자는 C-type
D-type virus virus (MPMV), Squirrel D 8.0 바이러스와 유사하다. 이들은 종양유전자를 가
monkey virus (SMRV)
지고 있지 않다.
Human T-cell leuke-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nonvirion 단백질을 암호
mia virus (HTLV) 화하는 tax와 rex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HTLV-1, HTLV-2, BLV C 8.3
-Bovine leukemia 바이러스는 종양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virus (BLV) 숙주에도 내생하지 않는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1, HIV-2), Feline 종양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숙주에도 내
Lentiviruses immunodeficiency virus L 9.2 생하지 않는다 (외인성). 신경성 질병이나 면역
(FIV), Bovine immunodef- 성 질병을 유발한다.
iciency virus (BIV)
Human spuma retrovirus
Spumaviruses (HSRV), Simian foamy S 11.0 종양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virus (SFV)

제16권 제2호 2004년 6월… 21


표 2. 인간 내인성 역전사 바이러스의 특징

전구체 바이러스의 복제수


과 원형 (prototype (copy 유전자 구조 mRNA 발현 단백질 발현
(family)
provirus clone) number)
태반, 대장, 유방암, 뇌,
HERV-E 4-1 30-50 불완전 전구체 검출되지 않음.
종양 세포주
태반에서 다량 검출, 정상조직,
불완전 전구체,
HERV-R ERV-3 1 태아조직, 대식세포주 U937에서 Env
env 있음.
소량 검출
HERV-I RTVL-Ia 3-25 불완전 전구체 실험결과 없음 검출되지 않음.
RTLV-H2 103-104 Transposon구조 기형종세포주, 태반, 종양세포주 검출되지 않음.
HERV-H
RGH2 50-100 불완전 전구체 기형종세포주 검출되지 않음.
ERV-9 V Fix 1.1 30-50 불완전 전구체 기형종세포주, 태반 검출되지 않음.
° 전구체 바이러스
HERV-P HuERS-P1-1 10-20 실험결과 없음. 실험결과 없음.
(LTR만 밝혀짐)
불완전(?) 기형종 세포주와 고환 종양에서 Gag, cORF,
HTDV
HERV-K10 30-50 전구체, 모든유전자를 다량 검출, 태반과 정상 조직에서 protease,
/HERV-K
가지고 있음. 소량 검출 polymerase, Env
HERV-K C4 30-50 불완전 전구체 실험결과 없음. 실험결과 없음.

러스 (exogenous retrovirus)와 기본구조는 같으나 생식세포의 이 발견되었다.


염색체 내에 이미 삽입되어 있어 정상적으로 멘델의 법칙에 따
라 유전된다 (10). 이러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는 provirus 3.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와 만성퇴행성질환과
DNA의 형태로 닭, 쥐, 소, 말, 원숭이 등 거의 모든 동물에 존 의 연관성
재하고 있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현되거나 방
사선, 단백질 합성 저해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발현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간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HERV)
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의 게놈 상에는 다수의 는 인간의 유전자 속에 삽입되어 멘델의 법칙에 따라 다음 세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가 삽입되어 있으며 전체 게놈의 약 1~5% 대로 유전된다. 이렇게 게놈에 삽입되어 존재하는 바이러스 전
를 차지한다. 인간의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human endoge- 구체가 어떠한 기전에 의하여 완전한 바이러스로 발현이 되는
nous retrovirus, HERV)는 인간 게놈 전반에 걸쳐 넓게 분포 지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최근 내인
하고 있는데 원시 시대에 외부로부터 침입한 레트로바이러스가 성 레트로바이러스의 종류가 더욱 다양하게 발견되고 있고, 이
생식세포에 감염되어 삽입된 것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들 바이러스가 각종 질환들과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추정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HERV는 영장류의 진화 초기에 게 바탕으로 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들 바이러스
놈에 삽입되었으며, 인간이 구대륙 원숭이로부터 분리되기 이전 가 원인 불명의 퇴행성 질환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
에 이미 증폭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HERV-K, 과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HERV-H, HERV-R, HERV-W, HERV-F, HERV-L, HERV- 대부분의 만성 퇴행성 질환들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밝
I 등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PBS (primer binding site)에 상보 혀져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자가 면역 기전, 유전적 배경, 그
적인 tRNA의 아미노산 종류를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표 2) 리고 환경적 요인들이 작용할 것으로 여긴다. 다양한 역학조사
(11). 마우스에 존재하는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는 MuLVs와 결과 복잡한 병인들 중 환경적 요인의 하나로 바이러스가 제시
MMTV 등이 존재하고, 돼지에는 PERVs (porcine endogenous 되었으며, 최근에는 레트로바이러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는
retroviruses), 고양이에는 FeLVs (feline leukemia viruses) 등 데 그 이유는 원인 불명의 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는 많은 환자

22 … 분자세포생물학뉴스
에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었기 때 에서만 검출되었다 (18). 최근에는 Dolei A. 박사 연구팀이 다
문이다. 뿐만 아니라 전자현미경적, 면역학적, 그리고 생화학적 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뇌척수액과 혈액에서 내인성 레트로 바
조사 결과 퇴행성 질환에 미지의 바이러스가 관여할 것이라는 이러스를 조사하였는데 31명의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뇌척수
증거들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첫째, 액 검체 중 25명 (80.6%)에서 MSRV가 검출되었고, 39명의
HERV 특이성 초항원 (superantigen)이 제 1형 당뇨병과 관련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혈액 검체 중에서는 36개의 검체에서
성이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으며 (12, 13), 둘째, 합성한 HERV MSRV가 검출된 반면, 건강한 사람의 혈액에서는 39명의 검체
외피 단백에 대한 면역 반응이 HIV 감염 환자의 질병 진행 정 중 5개 (12.8%) 검체에서만 MSRV가 검출되었다 (19). 또한
도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으며 (14), 셋째로 HERV에 반 Dolei A. 박사 연구팀의 또 다른 임상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
응하는 자가항체와 상호 작용을 하는 자가 항체를 전신성 홍반 발성 경화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질병의 경과에 대한 전향적 연
성 낭창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환자 (15)와 쇼그렌 구에서 MSRV가 양성으로 나타나는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증후군 (Sjögren’s syndrome) 환자 (16)에서 검출하였다는 보 경우 축삭의 소실, 신경교세포의 증식 및 탈수초 현상이 더욱
고 등이 있다. 심하게 진행되었으며, 기능적 손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것
이에 여기서는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 질환, 그리고 정신분 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 (20). 이들 연구결과들은 다발성
열증 등 병인이 밝혀지지 않은 대표적인 만성 퇴행성 질환들과 경화증의 원인으로서 내인성 레트로 바이러스의 관련성을 제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연관 관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하고 있다.

(1)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2) 자가면역질환 (autoimmune disease)


다발성경화증은 중추신경계의 만성적인 자가면역 질환으로서 자가면역 질환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원인으로 인하여 면역
뇌와 척수에 걸쳐서 작은 탈수초 변화가 되풀이하여 산발적으 계가 자기 (self)와 비자기 (non-self; 세균 등의 외부 침입자)를
로 일어나는 병이다. 이 질병의 발병 원인에 대한 정확한 이론 구별하지 못 하고 자기로부터 생성된 항원을 공격하여 생기는
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병이 잘 생길 수 있는 유전적 소인을 가 질병군이다. 대부분의 자가 면역질환을 원인 불명의 것으로 여
지고 있는 사람이 환경적 요인에 노출되었을 때 이들이 복합적 기고 있으나 외부로부터 침입한 바이러스나 세균의 초항원에 대
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질환의 특징적 한 면역반응이 자기에게까지 공격을 가하는 경우를 생각한다면,
인 증상은 여러 곳에 염증성 병소가 다발적으로 생기고 그와 함 자가 면역 질환의 원인으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가능성을
께 중추신경계의 축삭 (axon)을 싸고 있는 수초 (myelin)가 파 제시하지 않을 수 없다.
괴됨으로써 탈수초 상태가 되어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유발 자가 면역의 형태로 나타나는 신체의 변화로는 류마티즘이 있
부위에 따라 운동 마비, 언어장애, 의식장애, 사고장애 등이 나 다. 이는 인체 관절 부위에 관절염이 일어나고 그 결과 근골격
타나고, 사지의 운동 마비나 감각이상, 배뇨장애의 증상도 나타 계 및 전신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군을 말하며, 대표적 질환으로
날 수 있으며, 또 다른 중요한 증상으로는 시신경염이 있다. 특 는 대칭성, 다발성의 관절염을 일으켜 만성적인 전신 질환에 이
히 다발성 경화증은 질환의 HERV 관련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 르게 되는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인구의
지금까지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HERV-W 1~2%에서 나타나며, 서양의 경우 남녀 비율이 약 1:3이나, 우
과 (family)에 속하는 다발성 경화증 연관 바이러스 (multiple 리나라의 경우 남녀 비율이 1:6.8로 여성에서 더욱 높은 이환
sclerosis related virus, MSRV)를 따로 분리해 낼 수 있었다 율을 보이는 질환이다. 이 질환의 초발 연령은 30~40대이나 연
(17). 령의 증가에 따라 이환율이 증가하여 65세 이상의 여성 중 5%
Garson J.A. 박사 연구팀은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이 혈청에 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이 나타난다. 이렇듯 인구의 상당수가 앓
서 내인성 레트로 바이러스의 발현을 조사하였는데 17명의 다 고 있는 류마티스 관절염 역시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이 규명되
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혈청 중에서 9개 (53%) 검체에서 MSRV 지 않았으며, 이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Garson J.A.
가 검출된 반면, 건강한 사람의 혈청에서는 44명 중 3명 (7%) 박사팀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9명의 관절활액 (synovial fluid)

제16권 제2호 2004년 6월… 23


에서 역전사 바이러스를 조사한 결과, 2명 (22%)의 환자에서 4.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와 노화와의 상관관계
multiple sclerosis-associated retrovirus (MSRV)/HERV-W가
검출되었고 (21), 혈장 검체에서는 약 50%에서 검출되었다. 노화에 대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연관에 대한 연구는 오
뿐만 아니라, Conrad B 박사팀의 보고에 따르면, 인슐린 의 래 전부터 몇몇 연구팀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나 많은 관심을 불
존성 당뇨병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DDM)을 러일으키지 못 하였다. 그러나 최근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성
앓고 있는 환자에서도 T 세포가 다량 확인되는 염증성 병소에 되면서 인간 게놈상의 1~5%에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관련
서 역전사 효소의 활성도가 높았으며, MHC-II 의존성 super- 유전자가 발견되었고 또한 많은 노화 관련 퇴행성 질환들에서
antigen이 HERV의 envelope gene으로부터 유래되었음을 확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발현과의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이 분
인할 수 있었다 (13, 22). 야의 많은 관심이 부각되기 시작되었다. 그리고 최근 대표적인
노화연구 실험동물의 하나인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3)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SAM) 마우스에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발현과 퇴행성 신
정신분열병은 가장 심각하고도 만성적인 정신 질환의 하나로 경변화와의 관련 사실이 밝혀지면서 노화에 대한 내인성 레트
서 평생 이환율이 약 1%에 이른다. 정신질환의 대부분이 그렇 로바이러스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듯이 정신분열병 역시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재태 감염, 어릴 때의 충격, 출생 계절, 대가 (1) 노화에 따른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발현 증가
족 생활, 성인기의 심한 스트레스, 도시생활 등 다양한 원인이 1995년에 Koizumi A. 박사팀은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발
제시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최근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의 현이 노화에 따른 생물지표 (biomarker)로서 유용한지를 조사
연구팀은 바이러스가 정신분열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증거 하였다. 3개월 (젊은 마우스)과 27개월 (늙은 마우스)된 C57BL/6
를 발견하였다는 것이다. Robert Yolken 박사를 비롯한 이 연 마우스를 가지고 RT-PCR 방법에 의해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구팀은 급성과 만성 정신 분열증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내인성 의 LTR 부분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3개월 된 마우스에서는 조
레트로 바이러스를 조사한 결과, 각각 30%와 7%의 환자에서 직 부위별로 특이적으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LTR 부분이
내인성 레트로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발견한 반면 정신 분열증 발현되지만, 노화된 27개월 된 마우스에서는 모든 조직 부위에
이 아닌 여타의 신경과적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와 건강한 사 서 이들 유전자가 관찰되었다 (25). 더나아가, Plagemann
람의 뇌척수액에서는 바이러스 유전자를 발견하지 못 하였다. 또 P.G.W. 박사팀은 C58/M마우스를 가지고 노화에 따른 ecotrop-
한 정신분열증환자의 사후 부검에서 전두엽 (frontal cortex)에 ic MuLV의 발현을 in-situ hybridization 방법을 통하여 뇌에
HERV-W의 RNA가 많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3). 서 조사하였는데, 마우스가 노화됨에 따라 이들 바이러스의 발
또한 캐나다의 한 연구팀은 일란성 쌍생아 연구에서 인간 레 현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26). 이들 결과로서 내
트로바이러스의 종류인 MSRV 및 ERV-9와 유사한 염기서열 인성 레트로바이러스가 마우스의 노화에 관련이 있다는 증거를
을 갖는 SZRV (schizophrenia associated retrovirus)를 발견 보여주고 있다.
하였으며, 이 바이러스가 태반에 존재함으로써 재태 기간 중 감
염을 일으켜 신경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영향을 줌으로써 정 (2) 노화촉진마우스(SAM)에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에
신분열병에 이환되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24). 의한 노화촉진
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병이 원인불명의 사고 및 행동 장애 노화촉진마우스는 노화 연구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마우스
가 아니라 적어도 그 일부는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의 모델로서 일본 교토대학에 Takeda T. 교수에 의해 1975년에
활성화 결과 형성된 바이러스 입자에 의한 기질적 손상이 그 원 개발되었다 (27). 그 후 노화현상이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생쥐
인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에 비해 빨리 오는 마우스를 senescence-prone series (SAMP)
로 명명하였고, 그 당시 모두 다섯 개의 strains인 SAMP1, P2.
P3, P4와 P5를 얻었다. 또한 일반 마우스와 같이 노화가 촉진

24 … 분자세포생물학뉴스
되지 않는 마우스를 senescence-resistant series (SAMR)라고
명명하였고, 모두 세개의 strains, SAMR1, R2와 R3를 얻게 되
었다. 현재 SAMP에는 모두 14가지 strains이 존재하고, SAMR
에는 4가지 strain들이 존재하고 있다. 평균수명을 살펴보면,
SAMR은 정상적인 노화과정을 보여 보통 마우스와 같은 24개
월 정도의 수명을 나타내고 있으나, SAMP는 노화의 과정이 빠
르게 진행되어 12개월 정도의 수명을 갖고 있다. 또한 8개월 된
마우스에서 노화 등급점수를 살펴본 결과, SAMP는 3.67이고,
SAMR은 1.26 정도로서 SAMP가 3배 정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7). 이들 노화촉진마우스들은 세대를 걸쳐 연속적으
로 유전되기 때문에 어떤 유전자가 노화를 촉진하는데 관여하
리라 생각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정확한 유전자는 밝
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본 연구팀이 마우스의 내인성 레
트로바이러스의 하나인 MuLV가 노화촉진마우스의 노화를 촉
진하는데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28). MuLVs은
감염시키는 숙주에 따라서 3가지로 분류된다 (29). Ecotropic
MuLVs은 마우스 세포들에서 생성되어 유일하게 마우스 세포
들에서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들을 일컬으며, xenotropic
MuLVs은 마우스 세포들에서 생성되어 마우스 세포가 아닌 다
른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들을 일컬으며, polytrop- 그림 2. 12개월령의 노화촉진마우스 (SAMP8)의 뇌에 대한 전
ic MuLVs은 마우스 세포들에서 생성되어 마우스 세포나 다른 자현미경 사진. (A)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Akv)가 발현되지 않
는 신경세포- 건강한 모습을 보임. (B)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세포 모두를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들이다. 본 연구팀들과 (Akv)가 발현된 신경세포-세포질에 공포 (★)가 생기고 신경세포
오래 전부터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미국의 R.I. Carp 박사 의 용해 (화살표)현상이 보임. Bars, 1µm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노화촉진마우스에서 MuLV가 과발현
된다는 사실을 보고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ecotropic MuLV (vascular endothelium) 등에서 과발현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는 노화촉진마우스인 SAMP1, P2, P7, P8, P10, P11의 뇌에 전자현미경을 통해 이 바이러스가 발현되는 신경세포에서만 노
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노화가 촉진되지 않는 SAMR1, R3, 화촉진의 지표인 신경세포 사멸이 관찰됨을 발견하였다 (그림
R4, R5의 뇌에서는 이 바이러스가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30). 2). 이들 결과들은 노화촉진마우스에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또한 SAMP8 마우스의 뇌에서 연령에 따라 이 바이러스의 발 인 Akv MuLV가 노화를 촉진하는데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
현을 조사한 결과 나이가 많아질수록 이 바이러스는 기하급수 주고 있다.
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이 SAMR1마우스에서는 전혀 발현
되지 않았다 (31). 더 나아가, 본 연구팀은 이들 ecotropic 5. 결론
MuLVs 중에서 Akv MuLV가 노화촉진마우스에서 노화를 촉
진한다고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28). 12개월령의 SAMP8 마 노화에 따른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변화는 매우 다양하고 광
우스와 SAMR1 마우스의 뇌에서 RT-PCR 분석을 한 결과 범위하다. 즉 내분비계, 면역계, 신호전달계, 유전자, 뼈 대사, 근
SAMP8 마우스의 뇌에서만 Akv MuLV 발현되었고, 면역조직 육계, 신경계, 혈액 및 대사 등 생체의 거의 모든 생리적 작용
화학 염색법을 통해 이 바이러스는 뇌의 신경세포, 별아교세포 이 변하기 때문에 이렇게 복잡한 노화현상을 한가지의 단일 이
(astrocyte), 희소돌기아교세포 (oligodedroglia), 혈관내피세포 론으로 노화를 완벽하게 설명하기는 힘들다. 현재까지 내인성

제16권 제2호 2004년 6월… 25


레트로바이러스가 노화와 노화에 따른 만성퇴행성 질환과의 관 McClure, M.A. (1989) Origins and evolutionary rela-
련성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에 있으므로 앞으로 사람뿐만 아 tionships of retroviruses. Rev. Biol. 64, 1-30.
니라 동물에서의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기능연구는 매우 활 10. Leib-Mosch, C., Brack-Werner, R., Werner, T., Bach-
발하게 전개되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노화에 따른 내인성 레트 mann, M., Faff, O., Erfle, V. and Hehlmann, R. (1990)
로바이러스의 발현 변화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이들 바이러 Endogenous retroviral elements in human DNA. Can-
스 발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밝히는 연구가 cer Res. 50, 5636S-5642S.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이들의 발현변화가 노화와 관련된 각종 11. Lower, R., Lower, J. and Kurth, R. (1996) The virus-
퇴행성 질환과의 관련 가능성이 밝혀진다면 인류의 노화기전의 es in all of us: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signifi-
규명 및 노화에 따른 각종 원인 불명의 퇴행성 질환의 지표 및 cance of human endogenous retrovirus sequences.
예방 차원에서도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Proc. Natl. Acad. Sci. U.S.A. 93, 5177-5184.
12. Benoist, C. and Mathis, D. (1997) Autoimmune dia-
6. 참고문헌 betes. Retrovirus as trigger, precipitator or marker?
Nature. 388, 833-834.
1. Gensler, H.L. and Bernstein, H. (1981) DNA Dam- 13. Conrad, B., Weissmahr, R.N., Boni, J., Arcari, R.,
age as the primary cause of aging. Q. Rev. Biol. 56, Schupbach, J. and Mach, B.(1997) A human endoge-
279-303. nous retroviral superantigen as candidate autoimmune
2. Harman, D. (1992)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utat gene in type I diabetes. Cell 90, 303-313.
Res. 275, 257-266. 14. Urnovitz, H.B. and Murphy, W.H. (1996) Human
3. Yu, B.P,, Lim, B.O. and Sugano, M. (2002) Dietary endogenous retroviruses: nature, occurrence, and clin-
restriction downregulates free radical and lipid per- ical implications in human disease. Clin. Microbiol.
oxide production: plausible mechanism for elongation Rev. 9, 72-99.
of life span. J. Nutr. Sci. Vitaminol. 48, 257-264. 15. Blomberg, J., Nived, O., Pipkorn, R., Bengtsson, A.,
4. Mikhelson, V.M. (2001) Replicative mosaicism might Erlinge, D. and Sturfelt, G. (1994) Increased anti-
explain the seeming contradictions in the telomere the- retroviral antibody reactivity in sera from a defined
ory of aging. Mech. Ageing Dev. 122, 1361-1365. population of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
5. Chkhotua, A., Shohat, M., Tobar, A., Magal, N., matosus. Correlation with autoantibodies and clinical
Kaganovski, E., Shapira, Z. and Yussim, A. (2002) manifestations. Arthritis Rheum. 37, 57-66.
Replicative senescence in organ transplantation-mech- 16. Garry, R.F. (1994) New evidence for involvement of
anisms and significance. Transpl. Immunol. 9, 165- retroviruses in Sjogren’s syndrome and other autoim-
171. mune diseases. Arthritis Rheum. 37, 465-469.
6. Walford, R.L (1974) Immunologic theory of agingL 17. Perron, H., Garson, J.A., Bedin, F., Beseme, F., Paran-
current status. Fed. Proc. 33, 2020-2027. hos-Baccala, G., Komurian-Pradel, F., Mallet, F.,
7. Ishikawa, F. (2000) Aging clock: the watchmaker’s Tuke, P.W., Voisset, C., Blond, J.L., Lalande, B.,
masterpiece. Cell Mol. Life Sci. 57, 698-704. Seigneurin, J.M. and Mandrand, B. (1997) Molecular
8. Steen, B. (2001) Biological aging-a mini review. Focus identification of a novel retrovirus repeatedly isolat-
on heart/blood pressure and nutrition. Lakartidningen. ed from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The Col-
98, 1924-1928. laborative Research Group on Multiple Sclerosis. Proc.
9. Doolittle, R.F., Feng, D.F., Johnson, M.S. and Natl. Acad. Sci. U.S.A. 94, 7583-7588.

26 … 분자세포생물학뉴스
18. Garson, J.A., Tuke, P.W., Giraud, P., Paranhos-Bac- 26. Anderson, G.W. and Plagemann, P.G.W. (1995)
cala, G. and Perron, H. (1998) Detection of virion- Expression of ecotropic Murine leukemia virus in the
associated MSRV-RNA in serum of patients with mul- brains of C58/M, DBA2/J, and in utero-infected CE/J
tiple sclerosis. Lancet 351, 33. mice. J Virol. 69, 8089-8095.
19. Dolei, A., Serra, C., Mameli, G., Pugliatti, M., Sechi, 27. Takeda, T. (1999) Senescence-accelerated mouse
G., Cirotto, M.C., Rosati, G. and Sotgiu, S. (2002) (SAM): a biogerontological resource in aging research.
Multiple sclerosis-associated retrovirus (MSRV) in Neurobiol. Aging 20, 105-110.
Sardinian MS patients. Neurology 58, 471-473. 28. Jeong, B.H., Jin, J.K., Choi, E.K., Lee, E.Y., Meek-
20. Sotgiu, S., Serra, C., Mameli, G., Pugliatti, M., Rosati, er, H.C., Kozak, C.A., Carp, R.I. and Kim, Y.S. (2002)
G., Arru, G. and Dolei, A. (2002) Multiple sclerosis- Analysis of the expression of endogenous murine
associated retrovirus and MS prognosis: an observa- leukemia viruses in the brains of senescence-acceler-
tional study. Neurology 59, 1071-1073. ated mice (SAMP8)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21. Gaudin, P., Ijaz, S., Tuke, P.W., Marcel, F., Paraz, expression and brain pathology. J. Neuropathol. Exp.
A., Seigneurin, J.M., Mandradn, B., Perron, H. and Neurol. 61, 1001-1012.
Garson, J.A. (2000) Infrequency of detection of par- 29. Hartley, J.W., Wolford, N.K., Old, L.J. and Rowe,
ticle-associated MSRV/HERV-W RNA in the synovial W.P. (1977) A new class of murine leukemia virus
fluid of patients with rhematoid arthritis. Rheumatol-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pontaneous lym-
ogy 39, 950-954. phomas. Proc. Natl. Acad. Sci. U.S.A. 74, 789-792.
22. Conrad, B., Weidmann, E., Trucco, G., Rudert, W.A., 30. Carp, R.I., Meeker, H.C., Chung, R., Kozak, C.A.,
Behboo, R., Ricordi, C., Rodriquez-Rilo, H., Fine- Hosokawa, M. and Fujisawa, H. (2002) Murine
gold, D. and Trucco, M.(1994) Evidence for super- leukemia virus in organs of senescence-prone and -
antigen involvement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 resistant mouse strains. Mech. Ageing Dev. 123, 575-
litus aetiology. Nature 371, 351-355. 584.
23. Karlsson, H., Bachmann, S., Schroder, J., McArthur, 31. Meeker, H.C. and Carp, R.I. (1997) Titers of murine
J., Fuller, E.F. and Yolken, R.H. (2001) Retroviral leukemia virus are higher in brains of SAMP8 than
RNA identified in the cerebrospinal fluids and brains SAMR1 mice. Neurobiol. Aging 543-547.
of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Proc. Natl. Acad.
Sci. U.S.A. 98, 4634-4639.
24. Deb-Rinker, P., Klempan, T.A., O’Reilly, R.L., Tor- 저자약력
rey, E.F. and Singh, S.M. (1999) Molecular charac- 김용선
1978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사
terization of a MSRV-like sequence identified by RDA
1982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석사
from monozygotic twin pairs discordant for schizo- 1989 뉴욕 주립대학교 의과대학, 이학박사
phrenia. Genomics 61, 133-144. 1990-현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25. Wada, Y., Tsukada, M., Kamiyama, S. and Koizumi, 1994-현재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 연구소, 소장
A. (1993) Retroviral gene expression as a possible
biomarker of aging.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5, S235-S239.

제16권 제2호 2004년 6월… 2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