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5

24 장 면역체계

<선천성 면역>
24.1 모든 동물은 선천성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다
• 우리 환경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pathogen)으로 가득 ↔ 면역계가 이에 대한 방어
• 면역계(immune system): 질병을 일으키는 인자들에 대한 신체 방어 체계
•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 특징
- 감염 즉시 활성화
- 같은 침입자를 예전에 만난 경우가 있는지 없는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일어남.
- 무척추동물(선천성 면역에만 의존, 적응성 면역 없음)↔척추동물(선천성/적응성 면역 모두)

• 척추동물의 선천성면역 종류
- 피부와 점막 등의 장벽 (물리적 방어),
- 바이러스 감염을 방해하는 인터페론(interferons),
- 호중구(neutrophils)와 대식세포(macrophages): 염증반응
- 자연살생세포(natural killer cell): 암 세포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인식하여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화확물질을 분비하여 공격.
- 보체계(complement system): 다른 방어 기작과 작용하는 단백질 군.

24.2 염증반응은 손상된 조직을 소독한다


염증반응(inflammatory response)
- 조직 손상은 조직을 소독하고 추가 감염을 억제하는 염증반응을 유발.
• 염증반응과정 (그림 24.2: 가시에 찔린 피부에 박테리아가 감염되었을 때 일어나는 일련의
염증반응과정)
- ① 조직손상 → 비만세포(Mast cells)와 대식세포에서 주변 모세혈관을 확장하는 신호분자 (히스타민:
비만세포가 분비하는 염증반응 관련 신호분자: 24.18 알레르기 반응과도 연관되는 신호분자) 분비
- ②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투과성을 증진시킨다 → 액체(혈류)가 새어나오고 호중구가 감염부위로
이동
- ③ 호중구의 식장용: 세균과 세포 잔해를 잡아먹고 조직은 낫게 됨.

<적응 면역>
24.3 적응 면역반응은 특정 침입자를 막는다
적응 면역(adaptive immunity:후천적 면역(acquired immunity)): 척추동물에서만 발견, 특정 항원(병원균)에
노출되었을 때만 활성화되는 일련의 방어 기작.
- 선천성 면역과 다르게 적응 면역은 이전에 어떤 병원균에 노출되었는가에 따라 개개인마다 다름.

• 항원(antigen): 적응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모든 물질


• 항체(antibody): 혈장에 존재하는 면역단백질로, 특정 항원에 결합하여 침입자의 영향을 억제
• 감염과 예방접종(vaccinations) → 적응 면역을 유발

* 적응면역의 4 가지 특성 (아래 적응면역을 다 배운 후 복습!!)

1. 다양한 항원에 대한 각각의 특이적 면역반응(다양성, 특이성), 2. 자기 분자에는 반응을 나타내지


않음(이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질환 발생) 3. 활성화된 B 세포/T 세포의 증식
4. 면역기억(2 차면역반응)
24.4 림프계는 감염 시 중요한 전쟁터가 된다
• 림프계(lymphatic system)
- 선천성 면역과 적응 면역에 모두 관여.
- 그물망 구조의 림프관: 조직으로부터 체액을 모아 림프액이 되어 혈액으로 돌려보냄
- 림프절(lymph node): 대식 세포와 림프구로 가득 찬 작은 구형의 기관
- 림프(lymph):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사이액과 비슷하지만, 산소와 영양분을 덜 함유한
액체로 림프액이라고도 함
- 림프기관은 감염과 싸우는 백혈구(세포)로 가득 차 있음.
• 림프계는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함
1. 첫째는 조직액을 순환계로 돌려보내는 것
2. 둘째는 감염에 대항하여 싸우는 것.

24.5 림프구는 이중 방어를 한다


(이중방어 = B 세포에 의한 체액성 면역반응 + T 세포에 의한 세포성 면역반응)
• 림프구: 골수의 줄기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세포.
- B 림프구 또는 B 세포(B lymphocyte, B cell): 골수에서 계속 성장
- T 림프구 또는 T 세포(T lymphocyte, T cell): 흉선에서 계속 성장한다.
• 이중 방어 기작을 통해 B 세포와 T 세포는 체액 및 체세포의 감염을 막음.
• 각각 다른 막수용체(항원수용체)를 가진 수십만 종류의 B 세포와 T 세포가 림프계에서 침입자와 만나
반응하기 전까지 이미 생성되어 기다리고 있음 → 림프구의 막수용체가 특정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하면 면역반응 개시
• 이중반응 두 가지
- 체액성 면역반응(humoral immune response): 첫 번째 종류의 반응은 B 세포에 의함. 체액의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함. (세포 바깥 병원균에 대한 반응)
- 세포성 면역반응(cell-mediated immune response): 두 번째 종류는 T 세포에 의한 면역반응.
체세포의 감염에 대한 방어작용을 함. (감염된 세포에 대한 반응)

24.6 항원 수용체와 항체는 항원의 특정 부위에서 결합한다


•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은 림프구가 항원을 인식하면 개시됨.
- B 세포의 항원 인식: B 세포의 항원수용체(막수용체)가 항원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항원 인식
- T 세포의 항원 인식: 항원수용체에 항원이 결합 + 추가적인 단계가 필요함.
• 항체와 항원수용체는 항원의 항원결정기 또는 에피톱(epitope)에서 결합 (용어 이해)
- 항원결정기 또는 에피톱: 항원 중에서 항체나 항원수용체에 결합하는 부위.
- 항원결합부위(antigen-binding site): 항원수용체나 항체에서 항원결정기를 인식하는 특정 부위.

24.7 클론 선택은 특이 항원에 대한 방어력을 불러일으킨다 (개념의 시각화)


(분화를 완료한 B 세포/T 세포는 클론마다 (세포마다 각각 다른 항원수용체를 지님) 각각 다른 항원을
인식 → 특정 항원을 인식하여 활성화되면 그 클론만 선택되어 여러 번의 세포분열을 통해 다수의
동일한 세포를 만들게 됨)
•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은 클론 선택(clonal selection)과정에 의해서 다양한 항원에 대한
방어작용을 수행.
• 클론선택
- 항원이 체내로 침투되면 항원에 특이적인 수용체를 갖는 림프구만 활성화되는 것
- 선택된 세포들은 수명은 짧지만 항원에 대항할 수 있도록 특화된 효과기세포(effector cell, =
형질세포)로 활성화되고,
- 일부는 면역력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기억세포(memory cell)로 활성화 됨: 나중에 동일한 항원을
접하게 되면 빠르게 효과기세포가 되어 강하게 항원에 대항함 (2 차 면역반응)
-

24.8 1 차 및 2 차 면역반응은 속도, 강도 및 지속 기간이 다르다


• 항원에 처음 노출되면 1 차 면역 반응(primary immune response)이 발생.
• 두 번째로 노출되면, 기억 세포는 더 빠르고, 강하고, 더 장기적인 2 차 면역반응(secondary immune
response)이 시작.
- 1 차 면역반응처럼 2 차 반응도 효과기세포와 기억세포 모두를 활성화시킴.

24.9 항체의 구조가 그 기능과 일치한다


• 항체는 사실상 병원균을 죽이지는 못하는 대신 항원과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항원을
불활성시킴 (중화, 응집, 보체계 활성화로 항원을 불활성화 시킴, 그림 24.9b).
• B 세포 효과기세포가 항체를 생성하여 분비
• 항체는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짐.
• 항체가 외부 세포 표면의 항원에 결합하면 항체는 병원균이 침입한 세포를 제거하는 선천적
면역반응을 돕는다 (선천면역반응의 보체계 활성화, 그림 24.9b)

24.10 집단 면역은 감염병의 발생을 예방한다 (연관성)


• 한 지역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예방 접종을 하면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게 됨.
• 집단 면역(herd immunity): 특정 감염증에 대한 일정 집단의 저항력
- 감염이나 예방접종을 통해 집단의 상당 부분이 전염병에 대한 면역을 가진 상태가 됨
- 따라서 2 차적으로 추가적인 전염병의 확산으로부터 비감염자에대한 간접적인 보호가
가능해지는 상태
- 지역 사회 보호가 공립학교 어린이를 위한 주정부 필수 예방접종의 근거가 됨.

24.11 독감의 집단면역은 왜 어려운가? (과학적사고)


-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예방접종을 받아야지만 집단면역으로 질병의 유행을 방지할 수 있음.
- 독감에 대한 정확한 접종률에 대한 정보와 그림 24.11A 의 자료를 연결해보면 접종률을 높일 필요가
있음.
- 접종률이 낮아서 집단면역이 어려움

24.12 보조 T 세포는 체액성 면역반응과 세포성 면역반응을 자극한다


• 항원제시세포(antigen-presenting cell): 외부항원 (비자기 분자, nonself molecule)과 자기단백질(self
proteins, 주조직접합성복합체(MHC) 단백질)를 함께 세포 표면에 제시하는 세포로 항원-
주조직접합성복합체(MHC)를 보조 T 세포에세 제시함
Ÿ 보조 T 세포: 체액성/세포성 적응 면역반응 둘 모두를 활성화시키는 세포
- 보조 T 세포 수용체는 항원제시세포가 제시하는 자기(주조직접합성복합체)-비자기(항원)
복합체를 인식하여 보조 T 세포를 활성화 시킴.
- 보조 T 세포는 세포성 면역반응의 세포독성 T 세포(cytotoxic T cells)와 체액성 면역반응의 B
세포를 활성화시킴.

24.13 세포독성 T 세포는 감염된 세포를 파괴시킨다


• 항원에 맞는 수용체를 가진 세포독성 T 세포가 감염된 세포의 항원과 결합 →.세포독성 T 세포는
결합한 (감염된) 세포에 작용하는 몇 가지 새로운 독성 단백질을 합성 (독성 단백질들 중 하나가
퍼포린(perforin)).
• 퍼포린은 방출되어 감염된 세포의 세포막에 결합하여 구멍을 냄
• 세포독성 T 세포 효소가 감염된 세포로 들어가 (엔도사이토시스에 의함) 단백질은 분해.
• 단백질 분해로 감염된 세포가 죽게 되며 감염된 세포가 죽게 되면 병원균이 증식할 공간이 부족하게
됨. 또한 감염된 세포의 구성물질은 순환하는 항체에 노출되어 제거됨.
• 세포독성 T 세포는 동일 병원균에 감염된 다른 세포를 죽이기 위해 이동함.

24.14 HIV 는 보조 T 세포를 파괴하고 우리 몸의 방어체계를 약화시킨다 (연관성)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사람 면역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의 감염으로 발생.
• HIV 가 다양한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지만, 주로 보조 T 세포를 공격.

• AIDS 환자: 건강한 면역계를 가진 사람들은 걸리지 않는 기회감염(opportunistic infection)이나 암


등의 질환에 잘 걸리게 됨. (보조 T 세포를 공격하여 적응면역을 약화시키기 때문)
- 현재 AIDS 는 치료 불가하지만 항-HIV 약제가 HIV 의 증식과 AIDS 의 진행을 늦추어 거의
대부분이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음.

24.15 HIV 의 빠른 진화가 AIDS 의 치료를 어렵게 한다(진화와의 연관성)


• HIV 가 증식할 때 새로운 바이러스 종이 돌연변이에 의해서 생성됨.
- HIV 는 RNA 유전체를 지닌 바이러스
- 사람 세포에 감염하면 바이러스의 RNA 를 주형으로 DNA 를 복제하여 (사람은 RNA 를 주형으로
DNA 를 복제하는 효소가 없으며, 바이러스만 지니는 효소 즉 자기 효소로 이용함), 사람의
염색체에 삽입됨
- 역전사효소: 바이러스가 지닌 RNA 를 주형으로 DNA 를 복제하는 효소, 오류를 고치는 편집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증식할 때 매우 빠른 속도로 돌연변이가 일어남
- 변종 바이러스는 면역체계에 의해서 쉽게 제거되지 않아서, 살아남고 증식하고 또 돌연변이가
만들어짐

24.16 면역계는 분자 지문에 의존한다


• 자기 자신의 물질을 인식할 수 있는 림프구의 능력, 다시 말해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적응 면역반응은 건강한 자기 세포를 해치지 않으면서 외부 침입자와 싸울 수
있음: 자기 vs 비자기를 인식하여 면역반응으로 대응
• 각 개인의 세포들은 독특한 자신의 단백질 즉 주조직접합성복합체(major histocomplatibility complex,
MHC)을 가지고 있어, 자기 세포를 비자기(외래 침입원)와 구분.
- 10 개 이상의 유전자가 주조직접합성복합체(MHC) 분자라고 불리는 자기단백질 생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
- 각 개인의 분자 지문으로 작용
- MHC I 형(거의 모든 세포에 존재하며 세포독성 T 세포에 제시됨)과 MHC II 형(대식세포,
수지상세포나 B 세포등 특정한 면역세포에만 존재하며, 항원제시세포에서 중요한 역할.
항원제시세포는 항원과 MHC II 형 분자를 함께 제시함)

<면역계의 이상>

24.17 면역계질환은 자신을 공격하거나 약화된 면역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연관성)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면역계가 자기 자신의 분자를 공격.
면역결핍성질환(immunodeficiency disorders): 면역성이 결핍되어 자주 감염됨.

24.18 알레르기는 특정 환경적 항원에 대한 과잉반응이다 (연관성)


- 알레르기(allergy): 우리 주변의 음식, 추위, 먼지 등 정상적인 개체들은 항원으로 인식하지 않은 것들을
항원으로 인식하여 과민한(과도한) 반응. (히스타민이 작용함)
-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을 알레르기 항원 (allergen)이라 함.
- 항히스타민(antihistamine): 히스타민 작용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킴.
알레르기 증상은 그림 24.18 에서와 같이 2 단계 반응의 결과로 발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