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1.

C형 바이러스 간염
개요
- 주로 젊은 층에 잘 발생
- 임산부가 감염되면 치명적
전파
고위험 :수혈받은 사람, 약물 사용자, 투석환자
경피적 손상 : 감염될 확률 3~10%
예방
- 환자 혈액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지 않는 것
감염
- 혈액감염 (50%)
직원
- 경피적으로 노출된 직원 : IG0.06ml/kg 투여
- 노출 당시 HCV-antibody 기본 검사 + 노출 15주 후 다시 검사

2. 포도알균속의 병원성
- 마이크로코쿠스과 (Micrococcaceae)
- 조건 무산소성
- 그람양성 포도송이 모양 (편모나 아포 X)
- 화농성질환, 식중독의 원인균
★병원성
1 ) 화농성 염증
2 ) 식중독
3 ) 피부화상증후군
4 ) 독소성 쇼크증후군
5 ) 구강 병원성
치료
- 항생물질에 대한 감수성 높음
- 항생제감수성 검사 실시 후 치료해야 함

3. 사슬알균의 용혈 종류
a-용혈 (불완전용혈) : 집락 주위에서 녹색 용혈환 형성, 녹색 사슬알균
B-용혈 (완전용혈) : 집락주위에 투명한 용혈환 형성 A, B, C 및 G군의 사슬알균의 대부분
y-용혈 (비용혈) : 전혀 용혈을 나타내지 않음

*완전 용혈성 사슬 알균군


1 ) 용혈독 : sterptolysin O
2 ) 발적독 : 성홍열 환자의 피부에 발적, 용원성 균주 / Dick test(항독소 유무조사)
3 ) 효소 : DNA 분해효소, 섬유소 용해효소, 히알루론산 분해효소

4. B군 사슬 알균 환자의 임상적 증상
- 화농성 사슬알균 (베타-용혈 : 완전 용혈)
- 성홍열(발열, 두통, 구토, 복통, 오한, 인후염)과 류마티스열
: 성홍열의 붉은 딸기 모양 혀 ( 처음엔 백색 딸기 혀 -> 벗겨지면서 붉은고기 색깔 -> 붉은 딸기
모양혀)
- 중이염, 편도선염, 유양돌기염, 농가진 등
- 여성 생식기에 정상적으로 존재
: 출산 중 신생아에 감염되어 신생아 패혈증, 수막염, 폐렴 등을 일으킴
치료
: 신속한 항생제 치료

5. 디프테리아
- Corynebacterium속 / 디프테리아균
- 협막 없음 / 운동성 없음
- 회백색 위막이 형성됨
- 사람에게만 자연감염되는 세균
- 메틸린블루로 염색하면 세포의 양단에 이염소체과립이 관찰됨
- 유아와 소아에게서는 위막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어 호흡곤란으로 사망하는 예가 있음
치료
-페니실린, 백신접종

6. 여행자 설사를 일으키는 원인균


- 장독소원성 대장균 < 장내세균과(enterovacteriaceae) / 대장균속(genus Escberichia) >
- 장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scbericbia coli, ETEC)이 주요 병원체임
- 여행자 설사 = 물갈이
7. 가공식품에 의한 식중독의 원인균
- 보툴리눔균 (clostridium botulinum) ★
: 식중독의 대표적인 병원체
: 햄, 소시지 등 가공식품에 의한 식중독 원인균
- 포도알균 식중독 (황색포도알균)
- 가스괴저 식중독
: 부패한 육류, 육류 가공품에 속해있는 perfringens를 많이 섭취하면 식중독이 유발됨
*가스괴저균
- 혈액우무배지에서 집락
옆 : 완전용혈
외부 : 불완전용혈

8. 바이러스의 감염과정
: 흡착 -> 침투 -> 탈외각 -> 복제 -> 조립 -> 방출
1 단계 : 흡착
-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 표면에 흡착하는 과정
- 바이러스 표면(캡시드 또는 외피)의 단백질이 숙주세포의 세포 표면 단백질과 결합되어 일어남
2 단계 : 침투
-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 내로 침입하는 과정
- 바이러스의 외피는 분리됨
3 단계 : 탈외각
- 바이러스의 핵산과 캡시드가 분리되는 단계
4 단계 : 복제
- 바이러스 핵산의 복제와 바이러스 단백질 합성
5 단계 : 조립
- 복제된 핵산과 합성된 바이러스 단백질에서 뉴클레오캡시드가 조립되는 단계
6 단계 : 방출
- 외피비보유바이러스 : 세포 내에서 완성된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 밖으로 뚫고 방출됨
- 외피보유바이러스 : 세포 내에서 완성된 뉴클레오캡시드가 숙주세포막(또는 바이러스 종에 따라 핵막)을
둘러싸고 세포 밖으로 나옴

9.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 원인 바이러스 : VZV(varicella-zoster-virus) / (헤르페스 바이러스, herpesvirus에 속함)
- 소아에게 초기 감염되어 수두를 일으킴
- 주 증상 : 수포(띠 모양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소수포), 구강 점막에도 발현, 신체의 한 부분에만 통증
수반
- 치유 후 바이러스는 다양한 장소의 신경절에 잠복하였다가 성인이 된 후 저항력이 저하되면 대상포진을
일으킴
- 노출 후 처치로 VZIG 투여 (감염을 변형시키고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음)

10. 결핵의 특징과 치료법


- 미코박테리움속 /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 항산성 막대균
- 코흐 4대 가설 탄생
- 호흡기 분비물, 환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일어남
1 ) 원발성 감염 : 어떤 개인에게 첫 번째로 감염되는 것
2 ) 속발성 감염 : 투베르쿨린 양성반응 / 영양결핍, 과밀집상태, 스트레스, 호르몬 불균형이 원인
*집단 검진 프로그램
- PPD 5TU (만도 테스트)
- 투베르쿨린 검사 (피부 테스트) - 투베르쿨린검사 양성 = 결핵균에 노출된 적 있음
치료
- 최소 3개월에서 6개월까지 2종 이상의 항결핵제로 병용하여 치료

11. 아구창을 일으키는 진균


- Candida albicans (칸디다증)★ / 기회감염 진균증
- 균교대증에 의해 일어남

12. 예방접종시 과도한 긴장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것


- 급성 스트레스 반응 (vasovagal syncope, VVS) ★
발병 : 예방접종 전, 중 또는 몇 분 이내
피부 : 창백하고 차가우며 축축함 (쇼크 징조)
호흡기 : 정상 또는 깊은 호흡
순환기 : 서맥, 일시적인 저혈압, 누워서 다리 올리면 대부분 회복
소화기 : 오심, 구토
신경계 : 일시적인 의식상실, 어지러움(머리를 아래로 누운 자세에서 회복됨)
13. 람블편모충
- Giardia lamblia에 의해서 나타나는 급성위장염
- 오염된 물에서 의해 사람에게 전파되는 편모가 있는 원생동물
- 식품이나 성교에 의한 전파도 보고됨
- 물에 전파된 포낭은 위장관에서 발아하여 폭발성의 악취가 나는 물같은 설사, 장경련, 고창, 구역질,
불쾌감 등의 증상을 나타냄
치료 및 예방
- 퀘나크린, 메트로니다졸

14. 파상풍
- 그람양성 막대균 / 절대 무산소성 세균 / Clostridium속
- 협막 없음, 아포 있음
- 강력한 외독소 생산 : 용혈독과 신경독
증상
- 서서히 증상이 발생함
- 근육경직, 신경학적 이상증후군
- 전신 증상 : 과민, 두통, 미열, 오한, 전신성 통증
- 더 진행되면 경련성의 근육 수축, 안면경련 -> 비웃는 듯한 표정
- 환자의 목과 등이 경직되어 활모양으로 휘는 후궁반장이 나타남

예방과 치료
-3종 혼합백신 DPT의 접종

*Clostridium
- 파상풍의 병원체
- 토양에 존재함

15. 성매개감염병의 제어가 어려운 이유


1 ) 전체 STDs 환자 발생 건수의 1/3이 10대임
2 ) 타 질병의 증상과 혼합되는 증상을 일으킴
3 ) 치료 동기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음

16. 단순포진바이러스(HSV) 치료약제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 - 헤르페스
- 제1형 : 구강, 점막, 구순, 각막 등 상반신에 감염
- 제2형 : 생식기를 중심으로 하반신에 감염
*수두와 대상포진
- 초면역글로불린에 의한 예방법이 대상포진의 증상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게 쓰임
- > 2차 감염이 대상포진과 관련이 있는 환자에게만 효과가 있음
- VZIG 투여
- 손씻기 잘하기

치료 및 예방
- 아시클로비르 (acyclovir)
: 구아닌 유사물질
: 수포액으로부터 바이러스의 확산을 억제하며 수포성 병변의 치료 촉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함
: DNA 중합효소의 작용을 특이적으로 방해 -> DNA 복제를 차단시킴

17. 공수병
= 광견병
- 동물에 감염될 경우 (동물의 침 속에 있는 바이러스가 상처를 통하여 전파됨)
- 전구 증상이 지난 후 처음 1~2일간 침범 부위의 피부가 저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그 후에는 보
채고 흥분하거나 불안해하고 우울해 함
- 질병이 진행되면서 음식이나 물을 보기만 해도 특히 목의 근육에 경련이 일어남
- 침을 많이 흘리고 안면에 바람이 스치기만 해도 인후 및 경부 근육에 경련을 일으킴
- > 경련, 마비, 혼수 상태에 이르며, 호흡근마비로 사망함
치료 및 예방
- 물린 자국에서 바이러스를 즉시 빨아내고 세척하는 것이 중요함
- 물린 후 필요에 따라 사람면역글로불린과 백신을 투여할 수 있음
- 물린 상처는 철저하게 세척하고 필요에 따라 항균치료와 파상풍 예방접종을 실시하며,
상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봉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임

26. 포도알균 식중독의 원인, 관련음식, 예방하기 위한 음식관리방법


원인
- 그람양성 알균인 황생포도알균에 의해서 유발
- 장독소를 6가지로 생성하는 데 그중에서도 장독소 A가 포도알균 식중독 발생과 가장 연관되어 있음
- 우유, 계란, 설탕, 닭, 칠면조, 가금류, 육류 등
- 저온에서 증식할 수 없기 때문에 냉장보관하기
- 따뜻한 온도에서 여러 시간 방치했던 식품은 버리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