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제 1 형 과민반응

★ allergy : 항원-항체에 대한 생체의 과민반응


Type 1.anaphylatic(IgE) : 건초열, 아토피, asthma /세포표면
2.cytotoxin antibody : IgG/용혈성 빈혈, 굿파스쳐증후군, Grave’s,MG/세포 표면
3.immune complex : IgG/SLE, post streptococcus gromerulonephritis/세포외액
4.T cell, delayed hypersensitivity reaction/세포매게 면역 반응/결핵, 접촉성 피부염
★Type 1 heyersensitivity
-항체에 감작된 세포와 원인 항원간의 반응
-IgE 매개반응, IgE 가 mast cell 의 FC 수용체에 결합
Mast cell 내의 혈관 활성물질(histamine)방출. 혈관투과성↑→ 부종
-mast cell 활성화(histamine 방출)
1)GI tract : 분비물 증가 연동운동증가→diarreha, vomiting

2)airway : 직경줄고, 분비물 증가 → Wheezing, couphing, 가래, 비강이 붓고 분비물증가

3)blood vessel(속도증가, 투과성증가) → 림프와 림프노드의 flow 증가

-Type 1 의 임상증상 : angioedema, urticardia, hypotention…

-질환 : hay fever(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asthma

-Type 1 의 과민반응 질환 <anaphylactic shock>

원인 : 곤충, 약물(penicillin, lidocaine, 마취제, 아편계 진통제, 조영제등)

병태생리 : IgE 에 대한 반응 → 많은양의 histamine 방출로 쇼크

Mast cell 의 탈과립, basophil 활성

증상 : 혈관 평활근 이완 → 체액 누출 → 저혈압(폐부종, 순환허혈)

기관지 평활근 수축 → 천명, stridor(성대경련), wheezing, 호흡곤란

혈관 투과성 증가 :인후부종, 질식

치료 : 증상관리-기관지 이완제, 혈관이완제, 면역반응 억제제 / 예방 -항원노출 x

Hypersensitivity Reaction

Type Ⅰ Anaphylactic Reaction

Ig-E 매개성 알러지 반응

Hay Fever, Asthma. 아토피. 아나필락스 반응

Type Ⅱ Cytotoxin antibody media

조직-특이적 반응

용혈성 빈혈, Goodpastures`syn, Graves` Disease, 중증근무력증

Type Ⅲ Immune-complex reaction 면역-복합체 반응


SLE, post-streroptocuccus 사구체 신염, Polyartheritis nodosa

Type Ⅳ (T-cell) cell-media

Delayed hypersensitivity

Tbc 결핵, 접촉성 피부염

그림출처: 한국분자 세포생물학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