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T 세포매개질환의 원인 (Etiology of T cell-mediated diseases) : Type IV

Hypersensitivity

-. 제 4 형 과민반응 또는 지연형 과민반응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DTH) 은 항체가 관여하지 않는


반응으로 , 세포성 면역계에 의해 유발됨 :

• 덩굴옻나무 (poison ivy) 등에 포함된 화학물질에 대한 접촉과민성 (contact hypersensitivity)


1) 다양한 피부 질환인 접촉성 피부염은 주위 환경 화학물질이 자기 단백질과 결합하여 형성된 신항원 (neoantigen) 에
대한 반응으로 생각됨 . 담쟁이 덩굴 독이나 금속제품과 피부와의 접촉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은 접촉과민성의 한 예

• 제 4 형 과민 반응 중 가장 잘 연구된 예는 결핵균의 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결핵반응 검사 , 즉 투베쿨린


검사임

1) 결핵균의 세포벽에서 추출된 소량의 단백질을 피하조직에 주입된다 . 결핵균에 면역력을 가진 사람들은 주사한 24-
72 시간 후에 주사한 장소 부위에서 염증 반응을 나타낸다 .

2) 활성화된 TH1 세포들은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들을 분비하여 체액 , 단백질 그리고 다른 백혈구들을 주사된 부위로
불러모아 지속적인 염증반응을 가져옴

3) 투베르큘린 검사에서 결핵균 유래의 항원을 피부에 주사한 후 24-72 시간이 지난 후 주사 부위가 붉게 변하면
양성으로 감염이 된 상태를 의미
-. 펜타데카카테콜은 작은분자들로 피부 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

-. 피부의 항원제시세포 ( 랑게르한스 세포 ) 에 의해 섭취되어 처리되고 ,


MHC II 분자들에 의해 제시됨으로써 TH1 세포를 활성화

-. TH1 세포를 활성화의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유도되고 방출된


사이토카인들은 약 48-72 시간 후 단핵구과 호중구를 그 부위로 모이게 함
( 혈관외유출 )

-. 그 결과로 옻나무에 대한 특징적인 증상인 접촉 부위의 발적 및 부종


생성이 초래하고 이들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분해효소 방출하는 분해효소로
인해 조직 손상도 일어남 .

펜타데카카테콜은 작은분자들로 피부
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

그림 15-13. 덩굴 떡갈나무 (poison oak) 에서 2 차 노출 이후에 일어나는 DTH 반응 . 감작된 TH1 세포가 분비한 IFN-γ, MCP-1 (monocyte chemotactic
factor-1), MIF (migration inhibition factor) 등의 사이토카인이 DTH 반응을 매개한다 . 이를 통해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방출하는 분해효소로 인해 조직손상이
일어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