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9

산업 독성학

환경보건학과 박동욱 교수
산업독성학이란?

직업노출<occupational exposure>과
건강상의 장해를 연구함

직업노출 건강상 장해

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직업노출로 인해 발생될 수


각종 유해인자에 대한 있는 각종 가역적/비가역적
노출(exposure) 건강상 장해나 질병

대상: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노출과


건강상의 장해를 연구함

제1강 산업독성학 개론
왜 필요한가?

화학물질 사용이 계속 증가됨


유해인자<특히 화학물질>의 노출로 인한
직업병 발생 증가
각종 직업병 위험의 사회문제화
 석면 노출로 인한 폐암/악성중피종 등
 화학물질 중독으로 인한

제1강 산업독성학 개론
미리 이해해야 할 용어들

급성독성(acute toxicity)

화학물질에 짧게 노출된 후 나타나는 독성


 STEL, Ceiling의 의미는 ?

만성독성(chronic toxicity)

화학물질에 오랫동안 노출된 후 나타나는 독성


 TWA

제1강 산업독성학 개론
미리 이해해야 할 용어들

무관찰영향수준(NOEL)

만성독성 실험에서 실험기간 동안 치사, 발병 및


병태생리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양
 ThD (Thresh hold Dose)

 SNARL (Suggested No-Adverse-Response Level)

제1강 산업독성학 개론
양-반응관계(dose-response)

양(dose)
동물시험에서 투여되는 화학물질의 양 또는
근로자들이 노출되는 유해인자 농도
 양의종류 - Lethal dose (LD)
Effective dose (ED)
Toxic dose (TD)

반응(response)

실험동물이 나타내는 양적/질적 영향


또는 근로자가 나타내는 건강상의 영향

제1강 산업독성학 개론
SHD(safe humane dose)

동물실험에서 구해진 역치량(ThD 혹은


NOEL)을 사람에게 안전한 양으로 추정한 양

ThD (mg/kg/day) x 70 kg
SHD =
SF

제1강 산업독성학 개론
호흡기계의 해부생리적 구조

호흡기계 구분

코와 비강(nasal cavity)
상부
인두(pharynx)

후두(larynx)

기관(trachea)
하부
기관지(bronchus)

폐포(alveoli)

제2강 호흡기계 독성
호흡기계의 해부생리적 구조
기관지

분지과정

종말
세기관지 폐포
세기관지

 분지가 진행될 수록 조직세포의 특성 변화

 세 기관지로 분지될 수록
배상세포와 섬모세포의 수 감소

제2강 호흡기계 독성
호흡기계의 해부생리적 구조

비강 림프관 폐소정맥
폐포낭

인두

후두

기관

폐소동맥
기관지 폐포관 폐포

제2강 호흡기계 독성
호흡기계 독성 기전
호흡기계 독성 : 재채기, 가려움,
알레르기 반응, 섬유증, 암 등

유해인자 분류

입자상물질
가스상물질
(aerosol)

가스 증기 먼지 미스트 흄 섬유

제2강 호흡기계 독성
호흡기계 독성 기전

침전
충돌

화산
차단

그림 2-2 입자의 호흡기계 축적과정 모식도

제2강 호흡기계 독성
호흡기계 질환 : 진폐증

폐포, 폐포관, 세기관지 등을 이루고 있는


세포사이에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가
증식하는 병리적 현상

궁극적으로 폐의 탄력성이 떨어져


폐가 딱딱해져 호흡곤란, 지속적인 기침,
폐기능 저하 등이 나타남

제2강 호흡기계 독성
호흡기계 질환 : 진폐증
무기성 분진
질환명 주요 원인물질
규폐증(silicosis) 실리카
탄광부진폐증(coal workers’
석탄분진
pneumoconiosis)
석면폐증(asbestosis) 석면
용접자폐증(welders lung) 중금속 융접 흄
주석폐증(stanosis) 주석
바륨폐증(baritosis) 바륨
활석폐증(talcosis) 활석(talc)
알류미늄폐증
알루미늄
(aluminium lung)
베릴륨폐증(berylliosis) 베릴륨
제2강 호흡기계 독성
호흡기계 질환 : 진폐증

유기성 분진
질환명 주요 원인물질
면폐증(byssinosis) 면섬유(cotton dust)
동물조직, 분비물, 사료,
농부폐증(farmers lung)
미생물 혼합체
목재분진폐증(suberosis) 목분진(wood dust)

제2강 호흡기계 독성

석면 비소
<중피종, 폐암> <폐암 및 피부암>

실리카 베릴륨
<폐암>
폐암 유발 <폐암>

6가 크롬 황산니켈 및
<폐암 및 비강암>
황화니켈
/산화니켈 혼합물
<폐암 및 비강암>

제2강 호흡기계 독성

카드뮴 포름알데하이드

암 발생 의심

제2강 호흡기계 독성
호흡기계 질환 : 천식

기관지염증으로 기관지가 좁아지는 질병


: 호흡곤란, 흉부압박감, 기침, 쌕쌕거림 (천명음)
원인물질 : TDI, TMA, 생물학적인자가 포함된
먼지(곰팡이 등), 목재먼지, 크롬과 니켈,
경유연소물질(diesel exhaust particles)
경유연소물질
가스상물질
20%
탄소알갱이
40%
PAH
40%

제2강 호흡기계 독성
천식

전체 천식환자의 4-10 %가 직업성천식외벽

원인물질
 고분자물질인 반응성염료, TDI,
바이오에어로솔(곰팡이, 동물털 등), 목분진, 크롬,
용접흄, 항생제 등

공정<작업>
 가구 및 목재공장, 폴리우레탄 공장,
도장공정(경화제에 포함), 인조피혁 제조,
바이오에어로솔 발생 작업 등

제2강 호흡기계 독성
피부의 형태와 작용
피부의 생리적 특성

표피 진피

피부를 통한 유해물질의 체내 흡수

제3강 피부독성
피부를 통한 유해물질의 흡수
화학물질의 인체 내 흡수

호흡기 소화기 피부

피부를 통한 흡수 : 수동 확산
 지용성 > 수용성

 각질층의 통과가 가장 느림
 각질층을 파괴하는 화학물질과 공존할 때 용이

 유해물질 흡수 : 각질층  진피(생체변환)

제3강 피부독성
피부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화학물질의 피부흡수 특성
 화학물질의 양, 화학물질의 특성
(지용성, 수용성, 피부자극, 피부감작 등)

 노출시간, 발한, 주변 온도, 각질층 두께

 피부상처, 피부질환 유무 등

 피부부위 : 안면피부, 음낭피부 > 팔, 등쪽

 비극성, 지용성 > 극성, 수용성

 순수한 기체상태

 분자량 < 500


제3강 피부독성
피부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반적인 화학물질의 피부흡수

 비극성, 지용성 > 극성, 수용성

 순수한 기체상태

 분자량 < 500

제3강 피부독성
피부반응 형태
자극성 접촉 피부염 : 피부질환의 90 %이상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광과민반응과 색소 침착

여드름 및 두드러기 등

제3강 피부독성
기타 피부 반응 독성
6가 크롬 : 비중격 천공

과다한 X선, 기타 석유화학물질 노출


: 조직의 각화, 세포육종, 탈모 등

제3강 피부독성
피부흡수를 통한 전신작용
국소적인 피부반응

전신작용 : 혈류를 타고 특정 조직에 작용

ACGIH TLV : Skin표시


 피부를 통해서 흡수될 수 있는 화학물질을 나타냄

 주로 유기용제<표 3-2참조>

제3강 피부독성
생식이란
정자와 여성생식세포가 결합하여 수정이 되고,
착상과 분화의 과정을 거쳐 하나의 생명체로
자라며

분만의 과정을 거쳐 발육하여 생식기능 획득,


노화기 등 전 과정을 말함

제4강 생식독성
생식독성
내분비계교란물질
(endocrine disruptor, 일명 환경호르몬)
 정자수 감소 등 초래

불임의 비율 증가
 직업, 스트레스, 화학물질, 술, 담배, 감염, 영향상태,
환경오염, 과로, 방사선 등 노출 및 상화작용

유산

기형발생
제4강 생식독성
수태능력 시험
암/수컷의 생식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평가

수정능력, 임신유지, 분만, 기형발생,


차세대의 발육/성장/학습능력을 관찰

제4강 생식독성
기형유발성 시험
기관형성 시기에 시험물질을 투입하여

임신말기에 기형발생을 관찰

제4강 생식독성
주산수유기 시험
기관형성이 지난 시기(임신 3개월 후)
시험물질을 투여하여 이유기까지
분만 후의 발육/성장/학습능력 평가

제4강 생식독성
생식독성을 초래하는 직업과 인자
생식독성을 초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직업
<표 4-1 참조>

성별 생식독성
 성에 특이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도 있음
 예 : DBCP는 남자에게만 정자감소를 초래함

 납, 수은, 열 등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침

제4강 생식독성
경태반 발암(transplacental carcinogen)
화학물질이 태반을 통해 다음 세대에
암을 일으키는 물질
 DES (dietylstilbestrol)

제4강 생식독성
생식독성 사례 : 2-BP
모 전자부품에서 사용한 2-브로모프로판(2-BP)
 여성 근로자가 집단으로 무월경 현상을 보임

 역학조사결과 2-BP 노출과 생식능력부전(정자수가


적거나 난소기능이 상실)이 유의하게 관찰됨
<표 4-4 참조>
 세계에 보고된 첫 사례

 2-BP에 과다한 노출
 국소배기장치 설치하지 않음
 보호구 착용하지 않음

제4강 생식독성
생식독성 사례 : DDT
DDT(DichroloDiphenylTrichloroethane)
; 합성살충제

 비소화합물 대신 1946 년부터 광범위하게 사용

 분해되지 않고 환경 중에 남아 있어
생축적(bioaccumulation)됨

 간암, 신경계이상, 생식독성 등의 치명적인


건강상의 장해

 레이첼 카슨 “봄의 침묵”

제4강 생식독성
유전독성이란
탈리도마이드 사례

유전독성 : 돌연변이(mutagenecity)와
기형유발성이 포함됨
발암성(carcinogenecity)도 관련
 돌연변이
 유해인자 노출로 DNA 및 염색체에 구조적
그리고 수적 이상이 오는 것

 기형
 태아의 각 신체 장기에 기형을 유발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DNA와 RNA구조
DNA/RNA = 오탄당 + 인산 + 염기
 DNA 염기

A adenine T thymine

G guanine C cytosine

 RNA는 T대신 Uracil이 결합


 상보적인 수소 결합(A-T, G-C)에 의한
이중 나선 구조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전사 및 해독과정
DNA정보를 복사해서 핵 밖으로 전달함

 DNA 이중 나선 구조가 풀리고,


이 가닥에 맞는 m-RNA<전령 RNA> 가닥이 생김
(A  T, G  C)

 m-RNA가 핵 밖으로 나와,


t-RNA<운반 RNA>에 의해 세포질로 이동하여
리보솜에 부착함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돌연변이 유발 기전

소규모 돌연변이 (small scale mutation)


 DNA염기서열에 새로운 염기가 삽입 (insertion),
탈락 (deletion), 치환 (substitution)

대규모 돌연변이 (large scale mutation)


 염색체 구조나 수에 변화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돌연변이 유발 기전
염기치환 : 기존의 염기가 다른 염기로 치환

염기삽입 : 기존 염기서열 중간에


새로운 염기가 첨가

염기탈락 : 기존 염기서열에서 한 개 이상의


염기가 빠져 나옴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돌연변이 유발 기전

A 염색체전도
1 1
2 2
3 6
4 5
5 4
6 3
7 7
8 8
B 염색체전위

1 가 가 1
2 나 나 2
3 다 3 다
4 라 4 라
5 5
6 6
7 7
8 8

그림 5-5 염색체의 구조적 돌연변이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발암성
암 (CANCER)
 암 또는 악성종양은 세포분열에 대한 자기통제를
벗어나 세포증식이 지속적으로 일어남

 혈액과 림프를 타고 전신으로 이동


 완전한 분화가 일어나지 않음

 세포 내 어떤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유도됨으로써


시작됨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화학물질의 발암기전
다단계이론

개시 촉진 진행
(initiation) (promotion) (progression)

개시
 비가역적인 세포 내 변화가 초래되는 시기로
형태학적으로 정상세포와 구분이 되지 않음

 DNA에 여러 형태의 염기치환, 삽입, 탈락 등


단순돌연변이가 고착화되는 시기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화학물질의 발암기전
촉진
 개시인자처럼 DNA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음
 비 유전독성 발암인자 (DEA, 석면과 같은 고체, 벤젠 등)

진행
 암세포는 형태학적으로 정상세포와 구분되면
주위조직으로 침윤되고 전이됨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발암물질의 구분
국제암연구원회(IARC)

Group 1 carcinogen to humans

Group 2A 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Group 2B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Group 3 / Group 4

제5강 유전독성과 직업성 암


유기용제에 대한 기초지식
유기용제 (solvent)
: 다른 물질을 녹이는 용해능력이 있는 물질
 금속제품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
 세척

 도장, 인쇄, 표면코팅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유기용제의 주요 독성과 기전
중추신경계 (central nerve system; CNS)
활성 억제

생체막과 조직에 대한 자극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CNS 활성억제 일반적인 원리
탄소사슬의 길이가 길수록 억제 효과 증가
 지용성이 증가하기 때문

탄소수가
탄소 수 5개 까지 더 증가될 수록 노출위험성이
이 원리가 적용됨 증기압이 낮아짐
감소하기 때문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CNS 활성억제 일반적인 원리
할로겐족이 첨가되면 억제효과 훨씬 증가하고
알코올 작용기는 다소 증가
 마취작용 증가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CH2Cl2) < (CHCl3) < (CCl4)

 메탄과 에탄<억제작용 없음>에 알코올기가


첨가되어 메탄올, 에탄올로 되면
 중추신경억제제가 됨

불포화화합물 > 포화화합물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생체막과 조직 자극 원리
작용기(아민, 유기산,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류 등)가
부착되면 증가

불포화 > 포화

분자크기가 증가
 자극 특성은 감소하지만 지방제거작용은 증가함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방향족 유기용제의 독성
한 개 이상의 벤젠고리로 구성된 화합물

독성은 지방족, 지환족보다 훨씬 강함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방향족유기용제 : 벤젠(C6H6)
많은 화학물질의 첨가제, 합성물질로 이용
 접착제, 시너, 솔벤트 (0.2~0.3 % 미량함유)
; 1 % 이하 함유 규제

독성
 중추신경계 작용 억제

 백혈병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방향족유기용제 : 벤젠(C6H6)
발생산업 및 환경
 고무제품, 석유화학공장, 구두제조, 페인트 사용,
인쇄업, 주유소 등
 주유소, 자동차배가스, 담배, 벽지제조, 가구 등

노출기준
 ACGIH : 0.5 ppm

 노동부 : 1 ppm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방향족유기용제 : PAH
벤젠고리가 2개 이상인 화합물

대사과정
 중간대사산물<산화아렌>이 암을 초래함

산화아렌
PAH 대사산물
(aren oxide)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유기용제 중독 사례
원진레이온 이황화탄소중독

도장 근로자, 접착제 사용 근로자의 유기용제 중독

벤젠노출에 의한 골수이상증식, 백혈병 등

제6강 유기용제의 독성
금속의 흡수와 배설
흡수

호흡기계 소화기계

대사 : 흡수된 후 생화학적 변화

4에틸납 3-에틸납

배설

제7강 중금속의 독성
흡수 <absorption>
호흡기계 흡수
 금속은 대부분 흄, 먼지, 미스트의 형태임
 수은은 증기상태로 흡수

소화기계 흡수
 식품과 함께 소화관으로 흡수
 단순확산, 특이적 수송과정, 음세포 작용
 영향인자 <교재 참조>

제7강 중금속의 독성
일반적인 독성 기전 <효소억제>
필수아미노산의 곁사슬 <side chain>과
친화력이 매우 큼
 결합하여 효소구조나 기능을 변화시킴

제7강 중금속의 독성
주요 중금속의 독성

수은

카드뮴

크롬

제7강 중금속의 독성
납 <lead>
건강상의 영향 : 소화기계, 조혈계, 신경계,
골격기계, 신장과 심장혈관에
영향
 근육약화, 산통, 쇠약, 변비, 두통, 안면창백,
기억상실, 불면증, 식욕부진, 체중감소, 빈혈,
초조감, 손목마비, 손처짐 등
 Silent disease

제7강 중금속의 독성
어린이 납 노출
성인보다 호흡량이 많고 칼슘대신 납을 흡수

노출원
 장난감, 놀이기구, 건물 등에 칠해진 페인트
 공단 주변

제7강 중금속의 독성
수은 <mercury>

증발하는 유일한 금속 : 온도계, 기압계,


전기계기, 형광등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

독성사례

무기수은 형광등 제조업체 문송면 사망

유기수은 미나마타병

 독성

유기 > 무기
제7강 중금속의 독성
수은 <mercury>

제7강 중금속의 독성
수은 <mercury>

제7강 중금속의 독성
크롬 <chromium>
부식에 강하기 때문에 금속제품에
도금으로 사용됨

독성
 궤양, 비중격천공 <코뚤림병>
 비강암, 폐암 <6 가 크롬>

제7강 중금속의 독성
비소 <arsenic>
토양과 광석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

독성

방광암 피부암

독성기전
 효소의 –SH기와 결합하여 기능을 억제

제7강 중금속의 독성
비소 <arsenic>

제7강 중금속의 독성
직업역학의 정의
근로자 집단에서 발생하는 건강상의 장해와
생리적 / 심리적 이상상태 등에 대한 빈도와
분포를 기술하고 이러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냄

근로자들이 노출되는 각종 직업적요인 (원인)과


건강장해 및 이상상태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명함

제9강 직업역학
원인과 결과 / 노출과 영향

원인 결과

직업/일 등 직업병
유해인자 노출 스트레스 / 영향 등

제9강 직업역학
원인(cause); 직업요인 노출
건강상의 장해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직업과 관련된 모든 내용이 직업요인으로써
원인이 될 수 있음
 유해인자, 근무기간, 공정, 직업, 기계 등 <표 9-1>
 정성적 / 정량적으로 노출변수를 활용할 수 있음

제9강 직업역학
결과 ; 건강상의 장해
직업과 관련된 원인의 노출로 발생된 결과
 암 / 생식독성 / 진폐 등
 생리적 이상상태 등

제9강 직업역학
원인과 결과의 연관성
직업적인 노출 <원인>로 인해서
건강상의 영향 <결과>이 발생된 것인지 혹은
아닌지에 대한 연관을 검증하는 분석

제9강 직업역학
원인과 결과의 연관성
연관성의 강도 = p = 0.05

특이성 (specificity)

시간적 속발성

양-반응관계 <표 9-4>

생물학적 타당성

원인을 제거했을 때 질병발생을 저지

다른 연구결과와 유사성

제9강 직업역학
원인에 대한 조사
표 9-1에 있는 직업 노출변수를 조사하거나
측정하는 것
 과거 노출여부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움
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조사대상 근로자 혹은
사업장을 대상으로 조사
 쉽지 않음

제9강 직업역학
결과에 대한 조사
결과인 건강상의 장해 수,
생리적 이상상태 등을 측정함

발생률 <incidence rate>

유병율 <prevalence rate>

제9강 직업역학
위험도<risk>
직업 노출변수로 구분된 집단에서
질병이 발생할 혹은 발생한 확률임
즉 원인인자에 노출된 집단에서
질병이 발생할 (한) 위험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임

상대위험도 (relative risk)

교차비 (odd ratio)

기여위험도 (attributable risk)

제10강 역학
상대위험도
특정 직업요인 <또는 유해인자>에 노출된
집단에서의 질병 발생율을 비노출 집단에서의
질병 발생율로 나눈 값 <표 9-6 참조>
 원인과 질병발생과의 관계를 가장 직접적으로
구명할 수 있는 방법
 1이상 = 위험증가

제10강 역학
교차비
질병이 발생한 집단 (사례군)과 발생하지 않은
집단 (대조군)에서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교차의 비
 노출의 선후 (앞뒤)관계를 규명하지 못함
 연관이 있음을 의미

제10강 역학
기여위험도
어떤 유해인자의 노출에 따른
순수한 위험도를 평가

기여위험도
(AR) = 노출군에서의
발생률 - 비노출그룹에서
발생률

제10강 역학
역학연구 방법에서 언급되는 주요 용어

사례군 / 대조군

코호트

위험

보정

맹검법

표준사망비 (standardized mortality ration)

제10강 역학
사례-대조연구
질병이 있는 사례군을 선정하고 이 사례와
역학적 특성이 비슷한 대조군을 선정하여
이 두 집단의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여부를
비교함

제10강 역학
사례-대조연구
사례군에서 직업요인에 노출되었던
비율 (a / a + c)과 대조군 (b / b + d) 중에서
노출되었던 비율의 차이를 분석 <표9-8참조>

제10강 역학
코호트 연구
위험요인에 노출된 집단과 노출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고 일정 기간 동안 추적하여
관찰한 후 어느 시점에서 두 집단의 질병 발생율을
비교함
 순간 시점에서 조사한 단면연구와 다름
 가장 이상적인 연구
 연관성 및 위험도를 밝힐 수 있기 때문

제10강 역학
생물학적 모니터링이란
Biological monitoring은 화학물질에 노출된
근로자의 몸으로 들어간 정도를
생물학적변수 (혹은 검체)를 이용하여 추정함

화학물질의 노출정도를 추정 노출모니터링

건강위험을 평가 영향모니터링

제11강 생물학적 모니터링(1)


생물학적 모니터링 종류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
 화학물질의 노출 정도를 추정

영향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

 화학물질의 노출에 따른 건강위험을 평가

제12강 생물학적 모니터링(2)


생물학적 검체 <biological media>

화학물질의 생체 흡수, 생체변환, 결합,

제거 등과 관련하여 노출이나 영향을

추정할 수 있는 생체조직, 세포 등

제11강 생물학적 모니터링(1)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
근로자의 생물학적 변수 (소변, 혈액, 호기 등)에서
결정인자를 측정하여 노출을 추정
 측정값을 생물학적 노출지수 (biological exposure
indices, BEIs)와 비교하여 노출 정도를 평가

제12강 생물학적 모니터링(2)


영향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하지 않은
노출상태를 모니터링
 일종의 건강감시 (medical surveilance)

 비가역적인 건강영향 예방

제12강 생물학적 모니터링(2)


개인시료와 생물학적 모니터링과의 관계

개인시료 : 인체 외부에서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을 의미함
 외부 노출 (external exposure)
 자극물질의 노출에 적정

생물학적인 모니터링
 전신영향을 나타내는 물질의 모니터링에 적합

제12강 생물학적 모니터링(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