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일반생물학

광합성
photosynthesis

유호진 T

- 1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광 합 성 >

- 2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3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4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5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6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명 반 응 ]

1) 광계
cf. P680: 광계 II의 reaction center
P700: 광계 I의 reaction center

- 7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2) 광합성 관련 식물 색소들 (엽록소, carotenoid)

cf. -carotene & vitamin A

- 8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9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10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11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12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13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14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15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16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17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3) Calvin cycle

cf. 순환적 광인산화 vs


비순환적 광인산화

- 18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4) 힐의 실험

- 엽록체 막이 파괴될 정도로 강한 압력으로 식물 세포를 파쇄한 후


-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을 버리고 가라앉은 침전물인 막구조물을 재현탁
- 옥살산철(III) 없이 빛을 조사하면 산소가 발생되지 않지만
- 옥살산철(III) (←    함유)을 첨가하고 빛을 조사하면 산소가 발생, 그리고 옥살산철(II) (←   
함유)가 만들어짐

Q) 위 실험에서 옥살산철(III)은 실제 광합성에서 어떤 분자에 해당하는가?

- 19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5) 벤슨의 실험

Q) 광합성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① 산소 발생량을 측정하는 방법과 ② 이산화탄소의 소모량을 측


정 (= 포도당 생성량을 측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위 실험은 둘 중 무엇을 측정한 것인가?

Q) 구간 C와 F에서 그래프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C에서 광합성이 계속 진행되지


못하고 그래프가 피크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6) Emerson의 상승 효과

7) Duysens의 실험

- 20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8) 광호흡 (photorespiration)

- 21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22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9) C4 식물: 옥수수, 수수, 사탕수수

- 23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24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10) CAM 식물: 파인애플, 선인장, 난초 등

- 25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 C4 식물

- 26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11) C3와 C4의 비교

- 27 -
일반생물학 광합성 유호진 T

12) 광합성 저해제들

(O2- 생성)
① DCMU

① DCMU (3-(3,4-dichlorophenyl)-1,1-dimethylurea)
: PS II의 PQ 결합 부위를 억제

② DCPIP (2,6-Dichlorophenolindophenol (DCPIP, DCIP or DPIP))


: 페레독신보다 전기음성도가 커서 NADP+ 환원효소에 전자가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산화된 형태에서
는 600nm 흡광도가 가장 크다 (즉, 산화된 형태에서는 푸른색). 환원되면 무색으로 변화되어 광합성량
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③ paraquat
: 페레독신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O2-를 형성 (→ 활성산소)

- 2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