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과학영재교육(2018.

4)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10(1), 30-42
http://dx.doi.org/10.29306/jseg.2018.10.1.30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효과

김민솔1·김민주1·김민철2·이동근3·이아진4·한가연5·조운행6
*

1
창원양덕중학교, 2창원반송중학교, 3김해율하중학교,
4
김해능동중학교, 5창원안민중학교, 6창원대학교

Effects of Light Length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Kim, Min-Sol1·Kim, Min-Joo1·Kim, Min-Chul2·Lee, Dong-Keun3·
Lee, A-Jin4·Han, Ka-Yeon5·Cho, Un-Haing6
**

1
Changwon Yangduk Middle School, 2Changwon Bansong Middle School,
3
Kimhae Yulha Middle School, 4Kimhae Neungdong Middle School,
5
Changwon Anmin Middle School, 6Ch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ht length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physi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plant
growth, chlorophyll content,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spectral reflectance were analyzed in 13 plant species growing in
different light length conditions. In lab experiments using Arabidopsis thaliana (Columbia), plants grown under 24h light
showed higher plant growth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lower spectral reflectance at 500-600 nm wavelengths and earlier
flowering compared to the 12h light plants. In field experiments, Zelkova serrata, Erigeron annuus, Galinsoga ciliat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osa L., Pyracantha angusifolia, Oxalis corniculata, Trifolium repens, Agropyron ciliare,
Prunus serrulata, Prunus serrulata and Nandina domestica growing under streetlights and no streetlights were analyzed and
showed a difference in chlorophyll content,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spectral reflectance according to species and growth
st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24h light enhances plant growth and shortens the flowering time in laboratory settings, and
streetlights influence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of plants and the effects depending on the species in field experiments.

Key words: Streetlight, chlorophyll, chlorophyll fluorescence, spectral reflectance

간 옥외조명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식물의 성


1. 연구의 필요성 장, 개화 및 결실, 손상 복구력이 영향을 받고, 이러
한 식물들에 의존하는 초식동물 및 수분자 곤충의 수
식물 생장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로는 온도, 습 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Bennie et al.,
도, 무기물, 빛 등 매우 다양한데, 자연적인 빛은 광 2016). 인공 빛은 식물 성장에 있어서 다양한 효과
합성뿐만 아니라 새싹 형성, 개화, 종자 발아, 생장 를 줄 수 있는데, 잎의 노화를 늦추어 낙엽을 연장시
및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의 하나이다. 그러나 인공적 킴, 조기 새싹 형성 유도, 빠른 성장과 꽃 및 열매 형
인 빛은 정상적인 식물의 생육을 방해하고 식물이 생 성 방해, 식물에 의존하는 곤충 수 감소 등을 일으
산자로서 지탱하는 생태계를 파괴시킬 수 있다. 현대 킨다고 알려져 있다(이상범, 2010; 최윤식, 2008;
에 있어서 산업발달 및 인간활동 증가에 따라 야간에 Griffiths, 2015; Matzke, 1936).
사용되어지는 가로등, 자동차 불빛, 경관 조명 및 야

*교신저자: 조운행, E-mail: uhcho@changwon.ac.kr


**본 논문은 2017-2018년도 창원대학교 자율연구과제연구비 지원을 받았으며, 창원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과정 결과물에서 발췌하였음.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효과 31

그러나 이러한 빛 공해가 식물에 주는 영향에 소를 막아 미래의 식량부족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대한 최근의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며, 기후온난화,
외래종 유입, 공해, 서식지 파괴와 함께 개체, 개체
Ⅱ. 이론적 배경
군, 군집 및 생태계 수준에서 이해와 예측되는 그 영
향이 같은 맥락으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되기도
한다(Gaston, et al., 2016). 실제적으로 빛 공해가
1. 빛 공해가 식물에 미치는 영향
식물에 미치는 영향은 식물종 및 환경에 따라 차이가 빛은 식물이 필요로 하는 중요 요소로서 광합성
있으므로 그 피해 효과도 규정하기 어려운 면이 있 수행을 위한 에너지원, 싹 형성, 개화, 발아 등 성
다. 식물에서 나타나는 어떤 지표를 이용해 피해를 장 및 발달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입었다고 판정할 것인가? 식물의 피해는 그 식물이 (Gaston, et al., 2016). 지나친 양의 빛은 식물에
속한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식물 피해는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공해로 간주된다
다음 세대에 전달되는가? 식물에서 나타나는 피해에 (Chaney, 2002). 가로등, 자동차 빛, 조명 등의 인
근거하여 이를 줄이기 위한 어떤 대책을 수립할 것인 공빛은 식물이 자라는 환경에 따라 강도, 파장 특성,
가? 등이 향후 규명하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빛으로부터의 거리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다. 도로나
실정이다. 공원 주변의 가로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식물들은 빛
의 양과 지속시간 뿐만 아니라 광합성(400-450nm
2. 연구 목적 및 650-700nm) 및 성장 및 발달에 필요한 파장
(625-760nm 및 760-850nm)의 빛을 충분히 받지
본 연구에서는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 및 발달에
못하기 때문이기도 한데(Chaney, 2002), 가로등은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실험
570~650nm을 공급해주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
실에서는 12h 및 24h 빛 길이를 설정하여 식물을 생
(https://www.thenakedscientists.com/arti
장시키고, 야외 환경에서는 가로등 지역과 비가로등
cles/questions/how-do-street-lights-affect-n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
ature, 2013). 형광등은 청색 파장이 높고 적색 파
였다. 낮의 길이가 달라짐에 따라 식물은 성장, 개
장이 낮으며, 백열등은 적색 파장과 적외선 파장이
화, 발아 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를
높고, 수은등은 보라색파장과 청색 파장이 높으며,
규명하기 위해, 생체량, 개화시기, 엽록소 함량, 광
할로겐등은 녹색 파장과 황색 파장이 높고, 고압나트
합성에 척도가 되는 엽록소 형광, 전체적인 식물의
륨등은 적색~적외선 파장, LED등은 청색 파장의 함
생리적 변화를 보여주는 반사율 등을 지표로 분석해
량이 높다(Ashdown, 2016; Chaney, 2002). 인공빛
보았다.
은 잎이 식물에 달려있는 기간을 연장시켜주며, 이른
연구를 통해 학교 교과과정에서는 습득할 수 없
봄 새싹을 더 빨리 싹트게 하여 결빙 및 병균에 대한
었던 식물 성장 및 발달에 대한 빛의 역할을 더욱 이
노출 위험성을 증가시켜준다. 콩과 옥수수에서는 인
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빛 공해에 대
공빛으로 성장을 촉진시키나 낙화를 유도하며, 들벌
한 인식을 높이며 이에 대한 더 많은 흥미와 연구의
노랑이(Lotus pedunculatus)에서는 꽃과 진딧물의
욕 및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심의 많은
수를 감소시켰으며, 오존과 같은 공해물질에 대한 피
불빛들이 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림으로써 불필
해를 더욱 심화시킨다고 알려졌다(Gaston, et al.,
요한 인공조명을 줄여나가고, 또 많은 추가 연구를
2016).
통해 여러 농작물이 받는 피해 정도를 각각 파악하여
나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인공빛에 대한 감
이에 알맞은 대처를 수립하고, 꽃들의 개화시기를 조
수성이 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자작나무, 느
절해 곤충들의 등장시기를 서로 맞추어 식물 번식 감
32 김민솔·김민주·김민철·이동근·이아진·한가연·조운행

티나무, 플라타너스류는 매우 감수성이 높으며 물푸 엽록소 농도 변화를 추정하기도 한다. 특히 엽록체나


레나무, 전나무 및 소나무류는 상대적으로 감수성이 엽록소는 스트레스에 감수성이 있어서 잎 반사율 측
낮았고 적단풍, 사탕단풍 및 참나무류는 중간 정도의 정은 스트레스 요인을 결정하는데도 사용되는데, 특
감수성을 보였다(Chaney, 2002). 히 가시광선은 식물 스트레스 구별에 더욱 효과적이
다(Carter, 1993). 이밖에 반사율 조사를 통해 식물
2. 식물 성장과 발달의 조사 방법 의 생리적인 상태를 진단하는데, 식물 생체량 추정,
광합성 색소 추정도 가능하다(Penuelas & Filella,
Lichtenthaler (1996)는 식물의 대사, 성장 또는 1998).
발달을 막는 좋지 않은 조건이나 물질을 스트레스라
고 간주하였으며, 식물 스트레스는 최적의 항상성
상태가 교란되어 식물생리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Ⅲ. 연구 방법
최적 조건이 아닌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Hopkins
& Hunter, 2009). 이러한 스트레스는 생물적 및 1. 식물 재료
무생물적 요소에 의해 유도되며, 해충, 적절하지 못
가로등을 모방한 실험실에서의 실험을 위해
한 빛, 수분, 공기, 온도, 무기물 등이 대표적인 요소
2017년 4월~8월에 걸쳐 애기장대(Arabidopsis
들인데 스트레스를 받으면 광합성 억제, 막의 손상,
thaliana 야생형 Columbia) 종자를 직경 7.5cm인
성장 및 발달의 억제가 나타난다(유성제, 상미경,
화분 당 4개의 씨앗을 파종하여 온도 23℃, 습도
2017; 정병철, 이춘환, 2002).
64%의 생장기에서 발아 및 생장시켰고, 두 집단으로
식물의 스트레스를 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나누어 대조군에는 12시간, 다른 실험군에는 24시간
잎, 줄기, 뿌리에서의 성장 및 발달 과정에서 나
빛을 쪼이면서 생장시켰다. 빛은 형광등과 청색 및
타나는 외관상의 변화는 물론 광합성, 호흡, 엽록
적색 파장의 식물생장용 LED등을 함께 사용하였으
소 색소, 엽록소 형광, 대사물 형성 등 생리적 변
며 조도는 식물 높이 수준에서 17,000 lux를 유지시
화 관찰이 있다. 엽록소 형광은 엽록소 분자가
켰다. 후세대 생장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위 조건에서
빛을 받아 흥분 상태에서 본래 상태로 돌아갈 때
생장 표기 시킨 식물로부터 수집한 종자는 4℃ 냉장
재방출하는 빛으로서 광합성 에너지 변환의 지표
실에 보관하였다가 상기 조건의 생장기에서 발아 및
로서 사용되는데, 광합성 척도, 스트레스 탐지,
생장시켜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실험은 3회 반복하
질소 균형 지표, 엽록소 농도 측정 등에 사용된다
여 수행하였다.
(http://en.wikipedia.org./wiki/Chlorophyll_fl
가로등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7년 5월
uorescence, Lichtenthaler, 1996). 한편 식물을
과 6월 현재 창원시 및 김해시 일원의 공원과 도
손상시키지 않고 식물의 생리적 상태를 조사할 수 있
로의 가로등 주변에서 자라는 식물들과 가로등
는 반사율(spectral reflectance)을 이용해 스트레스
이 없는 숲 지역에서 자라는 느티나무 (Zelkova
여부를 구분해 내기도 한다. 식물체가 받은 빛은 다
serrata), 개망초(Erigeron annuus), 털쓰레기꽃
양한 파장 영역에서 흡수되거나 반사되는데 이는 식
(Galinsoga ciliata (Raf.) S. F. Blake), 철쭉
물종에 따라 특이적 양상을 보이며, 생리적 상태(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장미(Rosa),
소 농도, 수분 상태, 대사물 변화 등)나 형태적인 변
피라칸다(Pyracantha angusifolia (Franch) C.K.
화(왁스 형성, 털 형성, 세포의 물리적 변화 등)에 의
Schneid), 괭이밥(Oxalis corniculata), 토끼풀
해 변화될 수 있다(Sims & Gamon, 2002). 특히 엽
(Trifolium repens), 속털개밀(Agropyron ciliare
록소가 광합성을 수행하기 위하여 흡수하는 파장인
(Trin.) Franch), 벚나무(Prunus serrulata), 개벚
640 nm와 660 nm 파장대에서의 반사율을 조사해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효과 33

나무(Prunus verecunda Koehne), 남천(Nandina 1-3], 크기 및 생체량[그림 1과 2], 잎의 발달[그림


domestica) 등 12종으로부터, 나무의 경우 각 종의 3]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더욱이 12h-식물
개체 당 같은 높이에 위치한 최소 20개의 잎을, 초본 은 발아 후 30일이 되어야 개화가 시작되었으나,
류의 경우는 10개체로부터 수집한 유사한 발달 단계 24h-식물에서는 20일째에 이미 시작되었으며 25일
의 20개 잎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째에는 많은 결실과 잎의 노화도 관찰되었다[그림 1
과 3]. 이러한 외관상의 성장 차이는 수치로 나타냈
2. 생장 및 발달 측정 을 때 더욱 명확한 차이를 보였는데[그림 4], 16일
째에 있어서 뿌리 길이는 12h-식물에서의 2.1 cm
애기장대 식물의 생장량 분석을 위해 발아 16일 에 비해 24h-식물 뿌리는 3.1 cm로 더욱 길게 자랐
후 뿌리 길이를 재고 식물체를 60℃에서 2일간 건조 으며, 생체량도 24h-식물이 약 5배나 높게 나타났
시켜 무게를 측정하였다. 25일과 40일 째에는 잎 수 다.
를 세었다. 개화가 시작되는 일수도 12h-식물의 29.5일에
비해 24h-식물은 24.4일을 나타냈는데, 평균 개화
3. 엽록소 농도와 엽록소 형광 분석 에 필요한 일수는 12h-식물에서 34.5일, 24h-식물
에서 20.5일로 나타나, 24h 빛이 식물의 빠른 개화
엽록소 농도 측정은 chlorophyll meter (SPAD-502,
를 유도하였다. 발아 후 20일 째의 잎 수는 빠른 성
Konica MinoltaSensing Inc. Japan)을 이용하여
장으로 인해 24h-식물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나 40일
측정하였다. 광합성 정도를 알 수 있는 엽록소 형
째에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잎의 노화로 인한 낙엽에
광 측정은 형광 측정기(ESL-FL, OPTI_Science,
기인한다.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형광값(Fv/Fm)
발아 후 20일째의 엽록소 형광은 24h-식물에서
은 =(Fm-Fo)/Fm 식을 이용하여 얻어졌으며 여기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더 높은 엽록소 농도와도
서 Fo는 초기 형광 값, Fm은 최대 형광 값이다.
관련이 있어 보이는데, 더욱 빠른 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4. 반사율(Spectral reflectance) 측정
잎 반사율은 545 nm에서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
잎의 반사율은 분광측색계 (CM-700d, Konica 으며, 500 nm-670 nm에서 차이가 나타났다[그림
Minolta, Japan)로 측정한 후 측정값은 Spectramagic 5]. 엽록소 증가는 620-670 nm 대에서 감소를 유
NX program (Konica Minolta, Japan)을 이용해 분 도하는 바, 발아 후 20일 째에 있어서의 12h-식물
석하고 Microsoft Excel로 처리하여 가시광선 과 비교하여 24h-식물에서의 감소는 엽록소 증가로
영역(350nm~700nm) 파장의 반사율을 그래프 보여 진다. 이는 24h-식물에서의 엽록소 형광 증가
로 나타내었다. 와 성장 증가와도 일치하는 바, 반사율이 빛 조건에
따른 성장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도 보여준다. 그
러나 24h-식물에서의 반사율 증가는 식물의 조기
Ⅳ. 연구 결과
노화로 인한 엽록소 농도 감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
겨진다.
1. 가로등 환경을 모방한 실험 24h 빛 효과가 후세대에서도 지속되는지를 알아
보기 위해 종자를 수집하여 발아시켜 생장을 관찰하
Arabidopsis 식물체를 12h(대조군) 또는 24h(실
여 본 바[그림 6], 12h-식물에 비해 발아율은 차이
험군) 빛 조건에서 생장시켰을 때, 외관상으로도
가 없었으나, 더 빠른 성장과 이른 개화가 나타났다.
24h-식물에서의 빠른 성장이 관찰되었는데[그림
34 김민솔·김민주·김민철·이동근·이아진·한가연·조운행

느티나무 및 개벚나무였다. 545 nm와 620~670


2. 가로등의 영향 nm 모두에서 증가한 것은 털쓰레기꽃, 속털개밀 및
철쭉이었고 모두 감소한 것은 벚나무, 장미, 개망초
가로등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가로등 주변의 식 및 토끼풀이었다. 2차 관찰의 경우에는, 545 nm에
물(가로등-식물)과 가로등이 없는 환경의 식물(비가 서 증가한 것은 털쓰레기꽃, 속털개밀이었으며 감소
로등-식물)을 수집하여 Arabidopsis 식물에서와 같 한 것은 괭이밥, 장미 및 개망초였고, 차이가 없는
이 엽록소 농도, 엽록소 형광 및 반사율을 조사하여 것은 남천, 벚나무, 피라칸타, 느티나무, 철쭉, 개벚
보았다[그림 7-9]. 엽록소 농도에 미치는 영향[그 나무였다. 620~670 nm 영역에서는 증가한 것이 괭
림 7]에 있어서는 1차 관찰(2017년 5월 27일)에서 이밥, 속털개밀, 철쭉이었으며, 감소한 것은 개망초
엽록소 농도가 비가로등-식물에 비해 가로등-식물 였고 나머지 식물은 차이가 없었다. 545 nm 및
이 높은 식물은 장미, 남천, 개망초, 철쭉, 느티나무 620~700 nm 영역에서 모두 증가한 것은 속털개밀
및 피라칸타였으며, 낮은 식물은 벚나무 및 개벚나무 이었으며 모두 감소한 것은 개망초였으며 나머지 식
였으며, 속털개밀과 토끼풀은 차이가 없었다. 2차 관 물들은 차이가 없었다. 반사율 변화를 종합하여보면
찰(2017년 6월 10일)에서 가로등-식물이 증가를 보 많은 식물들이 가로등에 의해 반사율이 증가 또는 감
인 것은 털쓰레기꽃, 철쭉 및 느티나무였으며, 괭이 소되는 변화를 겪지만 피라칸타, 개벚나무, 느티나무
밥과 남천은 감소되었고 나머지 식물에서는 비가로 등은 엽록소 흡수 파장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
등-식물과 차이가 없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엽록소 았다.
형성에 대한 가로등의 영향이 식물종 및 성장시기에
따라 변화함을 보여주나 철쭉과 느티나무는 그 영향
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Ⅴ. 결론 및 제언
엽록소 형광에 대한 영향[그림 8]에서는 1차 관찰
에서 가로등-식물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은 벚나무, 본 연구는 ‘가로등이 식물 발달에 영향을 주지
장미 및 개벚나무였으며 감소된 것은 철쭉, 나머지는 않는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형식물인
모두 비가로등-식물과 차이가 없었다. 2차 관찰에서 Arabidopsis 식물을 재료로 가로등을 모방한 실험실
는 남천과 속털개밀에서 증가, 토끼풀에서 감소가 나 내에서의 실험과 실제 가로등 환경에서 자라는 12종
타났다[그림 8]. 이러한 결과는 엽록소 형광에 대한 의 식물을 조사하였다. 가로등 모방실험에서, 24h-
가로등의 영향도 엽록소 형성에서 처럼 식물종 및 발 식물은 12h-식물에 비해 빠른 생장, 생체량 증가 및
달단계에 따라 나타나는데, 일부 식물종(장미와 남 개화시기를 앞당기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24h-
천)에서는 엽록소와 유사한 양상이 나탔다. 식물은 엽록소 농도, 엽록소 형광 및 반사율에 있어
잎 반사율에 미치는 영향[그림 9]에서는 545 nm 서도 12h-식물과는 차이를 나타냈으며 빛의 길이가
와 620~670 nm에서의 변화를 중점으로 분석해볼 생장과 개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영
때 1차 관찰에서 비가로등-식물에 비해 가로등-식 향은 후세대에도 영향을 주어 24h-식물에서 수집한
물이 545 nm에서 증가한 경우는 털쓰레기꽃, 속털 종자가 12h-식물의 것에 비해 더 빠른 생장과 개화
개밀, 철쭉, 개벚나무였으며, 감소한 경우는 남천, 가 일어남도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원인이 유전
벚나무, 장미, 개망초, 토끼풀, 피라칸타 등이었고 적인 변화 때문인지 종자 내 양분이나 다른 물질이
변화가 없었던 것은 느티나무였다. 620~670 nm에 더욱 축적 때문인지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
서 증가한 것은 털쓰레기꽃, 괭이밥, 남천, 속털개 연구가 필요하다. Arabidopsis를 이용한 실험결과
밀, 철쭉이었으며, 감소한 것은 벚나무, 장미, 개망 는 빛의 길이가 식물생장 및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초, 토끼풀이었고, 변화가 없었었던 것은 피라칸타, 결론을 내릴 수 있게 해준다.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효과 35

한편, 가로등-식물과 비가로등-식물에서 엽록소 두 가지 이상 지표에서 감수성을 보이고 내성을 보이


농도, 엽록소 형광 및 반사율은 식물종 및 생장 시기 지 않았던 철쭉은 가로등에 감수성을 보인다. 본 연
에 따라 다르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 또한 빛의 구에서는 빛의 길이 효과만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나
길이가 식물생장에 영향을 줌을 지지해 준다. 본 연 향후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그러나 왜 이런 지표들
구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가로등 효과는 식물 종간에 사이에 차이가 나는지 및 각 지표들 사이에 원인-결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식물에 따라 빛 길이에 대한 과에 대한 관계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분석을 필요
민감도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나 식 로 한다.
물 종에 따라 생장 및 발달 시기가 차이가 있기 때문 본 연구에서 얻어진 실험결과와 생리적 지표들에
인 것으로도 보여진다. 1차 관찰 결과에 근거하여 요 대한 정보들은 거리의 가로수를 심을 때 및 공원 조성
약해보면, 가로등의 영향에 있어서 엽록소 농도와 엽 등에 있어서의 식물 배치 시 고려해야 할 내용을 제시
록소 형광 사이에 관계는 가로등에 의해 엽록소가 농 해준다. 또한 빠른 생장과 개화기를 앞당기는 빛 효과
도 높아지는 철쭉은 엽록소 형광이 감소되나, 장미는 는 식물을 이용하는 동물(특히 곤충)의 출현시기와 일
엽록소 농도 및 형광이 모두 높았으며, 벚나무와 개벚 치하지 않아 식물 생산성을 감소시키고 생태계에 영
나무는 엽록소 농도가 낮았으니 형광은 증가를 나타냈 향을 줄 수도 있다. 빛 공해에 의한 식물들의 번식 감
다. 엽록소 농도와 반사율과의 관계를 요약해보면, 엽 소는 많은 생물들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도시의 불필
록소 농도가 높아졌던 장미와 개망초는 반사율이 감소 요한 인공조명을 줄이고, 도로 조명 설계 시에 가로등
하였으며, 엽록소 형광과 반사율 변화와의 관계를 알 불빛이 농작물에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보면, 엽록소 형광이 높아진 장미와 벚나무는 반사 가로등 광원의 배광 곡선에 적절한 차광판을 설계하
율 감소가 나타났고, 엽록소 형광이 낮았던 철쭉은 반 여 부착하는 등의 많은 다각적인 노력을 하여 빛 공
사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빛의 길이가 해를 줄여나가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빛 공해의 피
조사된 엽록소 농도, 엽록소 형광 및 반사율 같은 생 해 개선에 대해 중요성을 알리고 빛공해 방지법 수립
리적 지표를 통해 식물발달에 영향을 주며 식물종 사 의 필요성을 부각하여 관련법을 제정해나가도록 해
이에 반응에 대한 차이가 나타남을 뒷받침해준다. 야 할 것이다. 참고로 미국, 호주, 영국, 일본, 이탈
엽록소 농도에 근거할 때 가로등에 의해 변화가 리아 등 많은 나라에서에서는 이미 빛 공해 방지법을
유도되지 않은 괭이밥, 털쓰레기, 개망초 및 속털개 제정하여 식물의 원활한 성장을 돕고 생태계에 주는
밀은 가로등에 내성을, 엽록소 농도가 감소한 벚나무 피해를 막고자 노력하고 있다(좋은빛정보센터,
와 개벚나무는 가로등에 감수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 http://www.goodlight.or.kr/link.do;jsessionid
되며, 엽록소 형광에 근거할 때 변화가 없었던 남촌, =L7hWCbaesxCotCgInJ93jYGbCkzHqlj9UCN46
개망초, 느티나무, 피라칸타, 괭이풀, 털쓰레기, 속 LJjBztY1Db09Pesjx9mgkweuI3n.KECOGICWAS
털개밀 및 개벚나무는 가로등에 대한 내성을, 형광값 _servlet_gih?link=int/law/GihForLaw). 우리나
이 감소한 철쭉은 감수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라에서도 인간조명에 의한 빛공해방지법 시행규칙을
한편, 620-670 nm 파장영역에서 전체적으로 반사 마련하여 빛 공해로부터 인간 및 생물을 보호하고 있
율이 증가한 털쓰레기, 괭이밥, 남천, 속털개밀, 철 다(환경부령 제498호, 2013년).
쭉은 가로등에 의해 더욱 피해를 입으며, 벚나무, 장
미, 토끼풀, 피라칸타, 느티나무, 개벚나무 등 변화
가 없는 식물은 가로등에 더욱 내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두 가지 이상 지표에서 내성을
보이고 어떠한 지표에서도 감수성을 보이지 않았던
개망초, 느티나무 및 피라칸타는 가로등에 저항을,
36 김민솔·김민주·김민철·이동근·이아진·한가연·조운행

발아 후 15일 발아 후 20일

발아 후 25일 발아 후 30일

발아 후 35일 발아 후 50일

[그림 1] 낮의 길이가 A. thaliana (Columbia) 생장에 미치는 영향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효과 37

[그림 2] 발아 후 16일 째에 있어서 낮의 길이에 따른 A. thaliana (Columbia) 식물체 생장 차이

[그림 3] 발아 후 45일 째에 관찰된 낮의 길이에 따른 A. thaliana (Columbia) 잎 생장 변화 차이


38 김민솔·김민주·김민철·이동근·이아진·한가연·조운행

[그림 4] 낮의 길이가 A. thaliana (Columbia) 생장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효과 39

[그림 5] 낮의 길이가 A. thaliana (Columbia) 잎 반사율에 미치는 영향

[그림 6] 낮의 길이가 A. thaliana (Columbia) 발아율과 2세대 생장에 미치는 영향


40 김민솔·김민주·김민철·이동근·이아진·한가연·조운행

[그림 7] 가로등이 엽록소 농도(μg g-1)에 미치는 영향

[그림 8] 가로등이 엽록소 형광(Fv/Fm)에 미치는 영향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효과 41

[그림 9] 가로등이 잎 반사율(%)에 미치는 영향

611-620.
참고문헌 Carter, G. A. (1993). Responses of leaf spectral
reflectance to plant stress. American Journal of
유상제, 상미경 (2017) 근권 미생물에 의한 식물의 생 Botany, 80(3), 239-243.
물·환경적 복합스트레스 내성 유도. Research in Chaney, W. R. (2002). Does night lighting harm trees?
Plant Disease, 23(2), 99-113. Forestry and Natural Resources. West Lafayette,
이상범 (2010). 야간 조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 평가 IN: Purdue University.
방안에 관한 연구: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 Gaston, K. J., Davies, T. W., & Cruse, D. (2016).
경정책평가원. Ecological effects of artificial light an night in
정병철, 이춘환 (2002). 식물의 스트레스와 유전자 조 wild plants. Journal of Ecology, 104(3), 611-620.
작을 이용한 식물의 스트레스 향상. 생물학전문연 Griffisths, S. (2015). Are street lamps rearly such a
구정보센터 BioWave (http://bric.postech.ac.kr/ bright idea? Light pollution is affecting plant
webzine) 7월호. growth and insect number. MailOnline March.
최윤식 (2008). 환경 친화적 옥외조명과 조명이 생태 (http://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2997
계(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335).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okins, W. G., & Hunter, N. P. A. (2009). Introduction
Ashdown, I. (2016). Botanical light pollution. All to plant physiology. (홍영남 역). 서울: 월드사이
Things Lighting, 1-16. 언스. (원저 John Willey & Sons Inc. 출판).
Bennie, J. T., Davies, D., Cruse D., & H. J. Gaston. Lichtenthaler, H. K. (1996). Vegetation stress: An
(2016). Ecoloigical effects of artificial light at introduction to the stress concept in plants. Journal
night on wild plants. Journal of Ecology, 104(3), of Plant Physiology, 148, 4-14.
42 김민솔·김민주·김민철·이동근·이아진·한가연·조운행

Matzke, E. B. (1936) The effect of street lights in


delaying leaf-fall in certain tress. American Journal
of Botany, 23(6), 446-452.
ㆍ투고일 : 2017년 11월 27일
Penuelas, J., & Filella, I. (1998). Visible and near
ㆍ심사일 : (1차) 2017년 12월 17일
infrared reflectance techniques for diagnosing plant
physiological status. Trends in Plant Science, 3(4), ㆍ심사일 : (2차) 2017년 12월 26일
151-156. ㆍ게재확정일 : 2017년 12월 28일
Sims, D. A., & Gamon, J. A. (2002). Relationships
between leaf pigment content and spectral
reflectance scross a wide range of species, leaf
structures and developmental stag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1(2-3), 337-354.

국문초록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해 식물생장, 엽록소 농도, 엽록소 형광 및
잎 반사율을 포함하는 생리적 지표들이 다른 빛 길
이 조건에서 자라는 13종의 식물에서 분석되었다.
Arabidopsis thaliana (Columbia) 식물을 재료로 가로
등 모방실험에서, 24h 빛 조건에서 자란 식물은 12h
빛 조건에서 자란 식물에 비해 더 높은 식물성장 및
엽록소 형광과 500-600 nm 파장영역에서의 낮은 반
사율 및 빠른 개화를 보여주었으며, 가로등과 가로
등이 없는 환경에서 수집한 12종의 식물들: 느티나
무(Zelkova serrata), 개망초(Erigeron annuus), 털쓰
레기꽃(Galinsoga ciliata),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장미(Rosa L), 피라칸타(Pyracantha
angusifolia), 괭이밥(Oxalis corniculata), 토끼풀
(Trifolium repens), 속털개밀(Agropyron ciliare), 벚
나무(Prunus serrulata), 개벚나무(Prunus serrulata
남천(Nandina domestica)도 식물 종 및 성장 시기에
따라 가로등이 엽록소 농도, 엽록소 형광 및 반사율
의 차이를 유도하였다. Arabisopsis에서의 24h 빛에
의한 성장 및 개화 촉진, 가로등에 의한 식물 종 및
성장 시기에 따른 생리적 지표 변화는 빛의 길이가
식물 생장 및 발달에 영향을 줌을 뒷받침해준다.

주제어:가로등, 엽록소, 엽록소 형광, 반사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