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일반생물학

세포 내 신호전달
cell signaling

유호진 T

- 1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세포 간 신호전달의 예 (나열하는 것이 의미 없을 정도로 세포 간 신호교환은 다양하다.)


① 효모 교배형과 a교배형 사이에서의 신호 교환
② bacteria들 사이에서의 quorum sensing (정족수 감지)
③ biofilm(생물막)을 형성하는 많은 bacteria들 사이에서의 임무 분업
④ spore를 생성하는 자실체(fruit-body)를 만들기 위한 myxobacteria(활주박테리아) 간의 정보교환
⑤ plasmodium(변형체)를 형성하기 위한 myxomycota(점균류) 간의 정보교환
⑥ 호르몬에 의한 신호 전달, 신경세포에 의한 신호 전달 등
etc. 수 없이 많다.

1. 특정 세포에서 분비되는 신호물질은 작용하는 범위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


① autocrine (자가분비)
② paracrine (측분비); 많은 local regulator (국소조절자)가 해당 (growth factor도 주로 이러한 방
식으로 작용한다.) → 근거리 신호전달
③ endocrine (내분비); 호르몬 → 원거리 신호전달 (호르몬, 신경)

2. 세포 간 신호전달은 분비되는 물질 뿐만 아니라 세포 간 직접적인 접촉, 전기적 신호, 휘발성 물질


등에 의해서도 매개된다.

① 세포 간 직접적인 접촉
- 동물세포: 간극연접 (gap junction)을 통해
- 식물세포: 원형질연락사 (plasmodesmata)를 통해
- 세포-세포 막단백질간의 접촉을 통해

② 전기적 신호
- 막의 전위차를 이용하는 방식 (탈분극 or 과분극)
- 식물에서도 체관을 통해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기도 한다.

③ 휘발성 물질
- 자스몬산, 일부 페로몬 등

- 2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3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4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3. 신호전달의 세 단계
① 수용 reception
- 수용체 위치; 막 or 세포 내부 (cytoplasm이나 nucleus 내)

② 전달 transduction
- signal transduction pathway
- 수용체가 전사인자로 작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다단계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cascades pathway)

③ 반응 response
- 특정 단백질(효소와 같은)의 활성화 or 비활성화
- cytoskeleton의 재배열
- 특정 유전자의 전사
- etc.

- 5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① 수용 (reception)
a. 세포막 수용체; 3가지
- GPCR (G-protein coupled receptor)
- RTK (receptor tyrosine kinase)
- (ligand-gated) ion channel receptor

b. 세포내 수용체
- steroid hormone receptor
- thyroid hormone receptor
- NO (nitric oxide) receptor

- 6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7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8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9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10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② 전달 (transduction)

- protein kinase vs protein phosphatase


- second messenger; cAMP, cGMP, Ca2+, NO, CO

* cAMP (cyclic AMP)의 생성 및 분해, 그리고 작용

- 11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adenylyl cyclase


(adenylate cyclase)

cf. 콜레라 독소의 작용; 대장내벽의 상피세포의 G protein의


GTP→GDP 전환능력을 상실케하여 A.C가 계속 활성화

비아그라; 페니스 해면조직의 동맥(artery)의 평활근(smooth


muscle)을 이완시키는 신호전달물질로 cGMP가 작용. 비아그
라는 cGMP PDE (phosphodiesterase)를 저해한다.

* 칼슘이온과 이노시톨 삼인산 (IP3)

- 12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여러 신호 물질에 대한 세포 내 반응 (GPCR과 steroid 호르몬 수용체)

- 13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③ 반응 (response); 세포신호전달은 세포질 내의 활성이나 전사를 조절한다.


예1) 에피네프린에 의한 글리코젠 분해

예2) 교배인자 (mating factor)에 의한 효모의 특정 방향으로의 생장

- 14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15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16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17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18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19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4. 세포신호전달의 특이성과 반응의 조절

5. 신호전달의 효율: 골격단백질(scaffold protein)과 신호전달 복합체

- 20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21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22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5. apoptosis (세포자살) 기작

- Bcl-2(C.elegans 에선 Ced-9)가 미토콘드리아의 외막의 투과성을 억제하여 cytochrome c의 방출


을 억제하고 있다(anti-apoptotic). BAX (Bcl-2 Associated X protein)가 활성화되면
conformational change를 일으켜 미토콘드리아의 외막에 pore를 형성함(pro-apoptotic) →
cytochrome c가 세포질로 방출됨. → cytochrome c와 Apaf-1 (Apoptosis peptidase activating
factors; C.elegans 에선 Ced-4)이 결합하여 apoptosome 형성 → caspase-9(C.elegans에선
Ced-3)의 cleavage와 dimerization을 유도 → 다른 caspases의 활성화 → apoptosis

<gene homology>

mammalian C.elegans

Bcl-2 Ced-9

Apaf-1 Ced-4

caspase-9 Ced-3

* apoptosis의 예
- 발생 과정에서 특정 세포의 사멸
- 면역계에서 특정 세포의 사멸 (바이러스 감염세포나 암세포는 몇몇 면역세포에 의해 세포자살을 명
령받는다.)
- etc.

- 23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apoptosis와 necrosis의 비교

- 24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25 -
일반생물학 cell signaling 유호진 T

- 2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