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1

결합조직結合組織

(Connective Tissue)
탄력섬유
(elastic fiber) 모세혈관 형질세포
섬유모세포

비만세포

대식세포

호산구 지방세포 림프구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 신체와 장기의 형태를 만들어주고(provide form) 지지(support)하며, 각 부분들을

잘 부착시키고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다양한 조직군(family of tissues)들로

이루어져 있다.

-> 조직과 조직 연결, 기관과 기관 사이의 빈공간을 채워 기관의 형태 유지와 다른


조직들을 지지하고 연결함.

- 다른 조직들 사이에서

영양물질 및 산소와 대사산물의 교환, 저장이 이루어지는 매질(medium)이며,

신체방어(defense) 및 보호작용(protection)을 도와주고,

특정부위에서는 지방을 저장하여 충격흡수와 체온조절에 관여함

-> 보호기능, 운송기능, 잉여 에너지 저장, 신체 단열(지방세포)


✓ 결합조직은 세포성분과 세포외기질로 구성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고정형 세포 (Fixed cells) : 결합조직 내에 존재하는 세포

• 이주형 세포 (transient or wandering cells) : 주로 혈구세포

-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 ECM , 세포사이물질, 세포의 바깥쪽에 있는 물질)

• 섬유 (Fibers)
: 인대나 힘줄의 가장 중요한 구성 성분

-> 콜라겐섬유(collagen fiber), 탄력섬유(elastic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가 있음

• 무형질(ground substance, 바탕질)


: 어떤 특수결합조작세포들이 그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중요

-> 수분, 점액다당류 등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고정형 세포 (Fixed cells)

- 상주 세포군으로 결합조직 내에서 발생하여 거주하며,


한 곳에 머물며 각각 그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로 안정적이고 수명이 긴 세포

• 섬유모세포(fibroblast)

• 비만세포(mast cell)

• 대식세포(macrophage),

• 지방세포(adipocyte, fat cell)

• 혈관주위세포(pericyte)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이주형 세포 (transient or wandering cells)

- 대부분 골수(bone marrow)에서 기원


: 운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혈류를 순환하고 적정한 자극과 신호를 받음에 따라
그들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결합조직 내로 이주함

: 대부분의 운동성을 갖는 세포들은 단명하므로 줄기세포(stem cells)의 큰 무리로


부터 지속적으로 대체됨

• 형질세포(plasma cell)

• 림프구 (lymphocyte)

• 호중성백혈구(neutrophil), 호산성백혈구 (eosinophil), 호염기성백혈구 (basophil)

• 단핵구 (monocyte)

• 대식세포 (macrophage)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고정형 세포

1. 고정형 세포 (Fixed cells)

✓ 섬유모세포(fibroblast)

- 결합조직 내에서 가장 많은 세포이며 결합조직의 모든 세포외기질(ECM)의


합성에 관여

-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가장 최소로 분화된 세포


- 미분화중간엽세포(Undifferentiated mesenchymal cells)에서 유래되어 콜라
겐섬유, 탄력섬유, 세망섬유를 합성 분비함

- 결합조직의 세포외기질을 합성하므로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소기관들


이 발달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고정형 세포

섬유모세포의 전자현미경사진.
fibroblast의 여러 돌기가 관찰된다. Cytoplasm에는
뚜렷한 과립형질내세망(rER)이 있으며, 골지체(G)의 막은
rER과 가깝게 위치한다.
세포 주위를 콜라겐 섬유들(CF)이 둘러싸고 있다.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고정형 세포

섬유모세포

모세혈관
콜라겐 다발
섬유모세포
섬유모세포

세로절단된 힘줄의 광학현미경 사진.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콜라겐(Co)다발과 활성이 없는
섬유모세포(화살표)가 섞여 있다.
콜라겐에는 단백질의 함량이 높기 떄문에 호산성(eosinophilia)으로 나타난다.
중앙을 가로지르는 모세혈관(Cap)은 섬유모세포와 주위 조직에 산소와 영
양물질을 공급한다.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고정형 세포

✓ 비만세포(Mast cell)

- 직경 20-30 ㎛의 난원형의 세포로 핵은 둥글고 세포질에 크로 강한 호염기성과


립(basophilic granule이 차있음

- 피부와 점막의 결합조직에는 풍부하지만, 뇌와 척수에는 없음

-> 비만세포는 병원체를 처음 접하는 피부, 호흡기, 점막 등에 분포하기 때문에


감염 초기 빠른 면역 반응을 보임

- 염증 반응과 면역 반응을 시작하고 지속시키는 기능을 함

-> 면역반응,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면역세포로 히스타민 분비

- 표면에 형질세포가 생산하는 면역글로블린 E(immunoglobulin E, IgE) 수용체

존재
a

Mast cell(비만세포)
a. H&E로 염색된 비만세포. 과립은 짙게
염색되며, 개수가 많기 때문에 어떤 부
위에서는 단단한 덩어리처럼 보인다.
b. 이 전자현미경 사진은 과립이 거의 가득 차 b
있는 비만세포의 세포질을 보여준다.
면역글로블린 E 수용체 (Immunoglobulin E receptor)
세포막에 특이 항체인 IgE가 존재하여 외부의 항원을 인식하고 세포막의 투과성이 변하여
세포질 과립의 내용물이 배출됨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고정형 세포

✓ 대식세포(Macrophase)

포음작용(pinocytosis), 포식작용(phagocytosis), 방어기능, 재생기능

- 대식세포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중요한 선천면역세포 중 하나로, 모든 조직에 다양한 형


태로 분포

- 외부 병원체 및 독성물질에 대한 포식작용을 통해 몸을 보호함

- 대식세포의 작용은 적응면역, 상처 치료, 염증 반응 등 주요 면역반응에도 중요함

- 대식세포의 형태와 역할은 매우 다양함

-> 뇌에서는 미세아교세포, 간에서는 쿠퍼 세포 등으로 불리며 특이적으로 조직내 상주


하는 대식세포와
-> 혈액을 통해 순환하며 역할을 수행하는 단핵구(monocyte)로 나눌 수 있음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대식세포(Macrophase)의 신체 부위의 존재에 따른 명칭

→ 간 : 쿠퍼세포(Kupffer cell)
→ 폐 : 페포먼지세포 (alveolar dust cell)
→ 표피 :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
→ 혈액 : 단핵구 (monocyte)
→ 결합조직 : 대식세포 (macrophage), 조직구(histiocyte)
→ 림프구: 가지돌기세포(dendritic cell)
→ 뼈조직 : 뼈파괴세포 (osteoclast)
→ 뇌 : 미세아교세포 (microglia)
먹물을 포식한 대식세포(macrophage)가 보이는 흰쥐 간(liver)의
광학현미경 사진.
쿠퍼세포(Kupffer cell)라고 하는 간의 대식세포는 먹물에 있는
탄소입자를 포식하여 검게 불규칙한 모양으로 나타난다. 이들
세포는 간세포 주위에 있는 작은 동모양모세혈관(sinusoid)의 내강
쪽에 위치한다.

Micrograph of carbon-laden macrophages


in the lung, H&E stain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고정형 세포

✓ 지방세포(Adipocyte)

- 지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로 성긴결합조직


중성지방 neutral fats을 저장하며, 열의 생산(heat production)을 위해 특수

하게 분화된 세포

: 에너지를 가장 많이 저장하는 곳 (간, 골격근)

: 체온유지, 장기위치의 안정화, 충격흡수


White adipose tissue (단방지방조직, 백색지방조직)
지방세포는 지방성분 때문에 크게 부풀어 있는 둥근세포의 형태, 세포사이에는
풍부한 모세혈관이 분포
Brown adipose tissue (다방지방조직, 갈색지방조직)
중앙에 위치한 둥근핵과 많은 지방방울들이 관찰된다. 혈관분포가 풍부하고 지방세포 내에 있는
많은 수의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지방색소(lipochrome) 때문에 특징적인 색을나타낸다.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2. 이주형 세포 (transient or wandering cells)

✓ 대부분 골수에서 기원
- 염증, 이물질의 침입 및 면역반응 동안에 혈류에서 빠져 나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

- 혈류를 따라 순환하는 백혈구들은 특히 염증이 있거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때


모세혈관 벽을 통하여 결합조직으로 자주 이주

- 짧은 기간 결합조직에 살면서 각기 중요한 기능을 수행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이주형 세포

✓ 형질세포(Plasma cell)

- 항체(면역글로빈 immunoglobulin) 합성을 위해 특수하게 분화된 성숙한 B 림프구


(B lymphocytes)

- 혈액으로 부터 림프구가 결합조직으로 들어가 활성화되어 형질세포로 분화

- B 림프구에서 기원한 형질세포는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

: 신체에 널리 분포. 특히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의 점막고유판 (lamina

propria)과 림프기관(lymphatic organs)에 주로 분포

: Antigens의 침입에 반응하여 형성되는 특수한 globulin 단백질


✓ 형질세포(Plasma cell)

- 형질세포는 난원형으로 세포질은 짙은 호염기성을 띰


- 핵은 둥글고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며 핵 주위에
염색이 안되는 골지복합체가 관찰됨
❖ 세포성분(Cellular components) – 이주형 세포

✓ 백혈구(Leukicytes)

- 모세혈관 (capillary), 소정맥 (venule)의 벽을 통해서 결합조직으로 이동

- 백혈구의 종류

1) 호중성 백혈구 (호중구, Neutrophilic leukocytes)

: 활발한 포식작용, 박테리아, 세포찌꺼기, 이물질 제거 기능

2) 호산성 백혈구(호산구, Eosinophilic leukocytes)

: 세포질내 산호성과립이 분포, 알러지, 기생충감염, 질병시 증가

3) 호염기성 백혈구(호염구, Basophilic leukocytes)

: 혈액내 히스타민의 공급처, 비만세포와 공통점이 많음

: 백혈구 전체의 1% 정도
✓ 호중성 백혈구 (호중구, Neutrophilic leukocytes)

- 분엽 핵 (lobulated nucleus)을 가지고 있으며, 세포질 내 산성 및 염기성 염료에


다같이 약하게 염색되는 호중성의 특수과립을 가진 과립백혈구
- 포유류에서 가장 많은 비율(40~75%)을 차지하는 백혈구로 선천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함

- 급성염증 부위에서 호중구는 식세포작용을 통하여 세균을 포식하고 그 결과


고름을 형성하는데 이는 죽은 호중성 백혈구와 그 파편이 축적된 것

혈액도말표본에서 관찰되는 호중성백혈구의 광학현미경 사진.


사진 A에 나타난 미성숙 호중성백혈구(Ne)는 U자 형의 짙게 염색되는 핵을 갖고 있다. 사진 B에 나타난 좀 더 성숙된 호중
성백혈구는 핵이 미세한 염색질 끈에 의해 연결된 네 개의 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호중성백혈구는 주변에 있는 적혈구(
RBC ) 보다 크다. 삽입된 사진 C 에서는 호중성 백혈구의 핵에 존재하는 바소체( 화살표 ) 가 관찰된다.
✓ 호산성 백혈구 (호산구, Eosinophilic leukocytes)

- 정상 결합조직에는 소수이나 호흡기도 및 소화계통의 점막고유판에 다수 분포


- 세포독성물질 (cytotoxin)을 분비, 기생충 감염 부위, 특히 과민성 염증(allergic i
nflammation) 부위에 많이 분포되어 알러지 염증부위에 유인되어 allergy 반응을
완화시키고 항원-항체 복합체를 포식, 제거

- 호중구와 마찬가지로 백혈구화학주성인자들 (leukocyte chemotatic factors)에


의해 염증부위로 끌어당겨 진다

혈액도말표본에서 관찰되는 호산성 백혈구의 광학현미경 사진.


호산성백혈구(Eo)의 세포질에 뚜렷한 호산성 과립이 밀집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핵은 두 개의 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이 과립백혈구는 적혈구(RBC) 보다 직경이 크다.
✓ 호염기성 백혈구(호염구, Basophilic leukocytes)

- 호염구 세포질에는 큰 과립이 많기 때문에 핵이 가려 핵 관찰이 어렵다

- 세포핵은 두개의 엽으로 구분되며 비만 세포와 형태 및 기능이 유사함 ( 두 세포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히스타민을 저장하고 자극에 따라 분비함)
- 호염구는 염기성 염료에 잘 염색되어 H&E 염색에서 헤마톡실린에 염색되어
보라색으로 관찰됨

혈액도말표본에서 관찰되는 호염기성 백혈구의 광학현미경 사진.


호염기성 백혈구(Ba)는 많은 양의 푸르게 염색되는 커다란 염기호성 특수과립을 갖고 있으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핵은 과립에 가려져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염기호성백혈구는 적혈구(RBC)보다 크다.
❖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

1. 섬유 (Fibers)

- 세포외 바탕질(extracellular matrix)에 존재

- 세포외 바탕질의 섬유는 장력과 탄력성을 제공

- 섬유의 종류
• 콜라겐(아교)섬유 (collagen fiber)

• 탄력섬유 (elastic fiber)

• 그물(세망)섬유 (reticular fiber)

-아교섬유와 탄력섬유는 결합조직에 존재하는 2개의 주된 섬유성 단백질로서 독특한


생화학적 및 기계적 특성을 지니며, 이는 그들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
❖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 - 섬유

✓ 콜라겐(아교)섬유 (collagen fiber)

- 아교섬유는 결합조직 섬유 중에서 가장 흔하다.

- 아교질(collagen)로 구성되며 섬유모세포, 연골모세포, 뼈모세포가 생산

- 세포 밖으로 분비된 아교질이 중합작용에 의해 아교섬유가 됨

- 아교섬유는 주로 다발을 형성, 결합조직에 널리 분포함


- Collagen 분자는 서로 얽힌 polypeptide 사슬 3개가 모여 삼중나선 구조를
이룬다.
섬유모세포와 콜라겐원섬유의 전자현미경 사진.
세로방향으로 절단된 원섬유(왼쪽 위)에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I형 콜라겐의 특징적인 줄무늬가 관찰된다.
원섬유의 길이를 따라 매 67 nm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어두운 부위와 밝은 부위는 구성성분인 트로
포콜라겐 분자가 일정하게 겹쳐 배열하면서 나타나는
것이다. 옆에 있는 섬유모세포의 세포질에는 밀집되어 있는
과 립 형 질 내 세 망 ( R E R ) 의 수조가 다수 존 재 한다 .
과 립 형 질 내 세 망 은 리보 솜 이 부 착 되 어 있는 납 작 한
주머니 (*)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평행하게 쌓여
배열하다. 그 사이 세포질에 미토콘드리아(Mi)가 있다.

가로절단된 콜라겐원섬유의 전자현미경 사진.


콜라겐 원섬유는 세포외기질(ECM) 내에 (상대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둥근 원의 구조로 나타난다.
이 부 위의 섬 유 모 세 포 의 세 포 질 돌 기 에 는 과립형질내
세 망 (RER)이 관찰되며, 다른 세포소기관들은 세포질에
있다.
❖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섬유

✓ 탄력섬유 (elastic fiber)

- 조직이 늘어나야 하는 환경에 적응하도록 한다.

- 현저한 신장성이 있어 1.5배 정도로 신장할 수 있다.

- 폐(lung), 피부(skin) 및 방광(urinary bladder)에 많이 관찰된다.


-혈관에서 평활근 세포가 탄력 섬유를 생성하나 다른 부위에서는 섬유모세포 (fibrblast)
에서 합성된다.
콜라겐섬유와 탄력섬유(elastic fiber)
갈라지는 섬세한 실 같은 것이 elastic fiber(E)이다.
Collagen fiber(C)도 뚜렷하다. 이들은 갈라지지
않고 서로 교차하지만, 훨씬 더 두껍다.
❖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섬유

✓ 그물(세망)섬유 (Reticular fiber)

- 여러 조직과 기관의 세포 성분을 지지하기 위한 뼈대가 된다.

- 그물섬유라는 이름은 이 섬유가 그물처럼 배열된 모양이기 때문이다.


- 지방세포(adipocyte), 간세포(hepatocyte), 평활근세포(smooth muscle cell), 혈관의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및 신경섬유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림프절(Lymph node)에 있는 그물(세망)섬유
reticular fiber.
Reticular fiber (화살표)는 서로 이어지면서
불규칙한 그물구조를 형성한다.
❖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

2. 무형질(amorphous substance, ground substance, 바탕질)

- 겔(Gel)상태의 무색 투명한 세포사이 물질

- 수분, 염류, 단백당(proteoglycan), 당단백(glycoprotein)이 풍부

- 여러 종류의 결합조직의 세포와 섬유(fiber) 포함

- 영양분과 노폐물의 확산 통로, 미생물의 침입을 막음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분류

- 기능과 형태가 매우 다양한 조직으로 고유결합조직, 특수결합조직,


배아결합조직으로 분류됨

1. 고유결합조직

: 성긴결합조직(loose), 치밀결합조직(dense), 그물조직, 지방조직

2. 특수결합조직

: 혈액(blood), 연골(cartilage), 뼈(bone) 등

3. 배아결합조직

: 중간엽 결합조직, 점액성 결합조직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분류

1. 고유결합조직의 종류

✓ 성긴결합조직(loose connective tissue)

- 세포성분이 많고, 섬유성분이 적으며 유연성이 있는 조직


- 신체에 광범위하게 분포
- 성긴결합조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세포 유형은 특정한 자극에 반응하여 혈관으로
부터 국소적으로 이주해 들어온 이주형세포(transient wandering cell)이므로 염증과
면역반응(inflammatory and immune reaction)이 일어나는 장소가 된다.
ex) 소화관의 점막에 존재하는 점막고유판(lamina propria)에 면역세포가 다수 분포.
성긴결합조직

섬유모세포

소정맥
진피 성긴결합조직의 광학현미경 사진.
불규칙하게 배열하는 콜라겐섬유(Co)와
세포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작은
림프구
소정맥(V)을 둘러싸고 있다. 형질세포(PC
콜라겐섬유 ), 섬유모세포(Fi) 및 무리를 이루고 있는
림프구(Ly)가 관찰된다
형질세포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분류
1. 고유결합조직의 종류

✓ 치밀결합조직(dense connective tissue)

: 세포성분이 적고, 섬유성분이 많은 조직 (대부분 섬유로 구성)

: 섬유의 방향성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나뉨

① 치밀불규칙결합조직(dense irregular connective tissue) : 피부의 진피

: 일정한 방향성이 없이 뒤섞여 있는 섬유들로 구성되어 있어 모든 방향에서 오는


외부의 힘에 대해 반응할 수 있다.

ex) 소화관(intenstinal tract)의 점막하층(submucosa)의 섬유다발들이 여러방향으로


주행하고 있어 장기가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팽창되는 것에 견딜 수 있다.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분류
1. 고유결합조직의 종류

✓ 치밀결합조직(dense connective tissue)

② 치밀규칙결합조직(dense irregular connective tissue) : 인대, 힘줄, 근막

: 섬유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고 있으며, 따라서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저항할 수 있다.

ex) 힘줄(tendon), 인대(ligament)는 평행한 방향의 아교섬유(collagen fiber)로


이루어져 있어 탄력성을 가지며 근육의 수축에 의해 발생한 장력을 전달해 준다 .
성긴결합조직

섬유모세포
섬유모세포

치밀불규칙결합조직
섬유모세포

치밀불규칙결합조직과 성긴결합조직의 특징이 대조되어 나타나는 불화성화된


젖샘(mammary gland)의 광학현미경 사진.
치밀불규칙결합조직(DI)에서는 밀집되어 있는 콜라겐이 서로 얽혀 있는 그물의
형태로 관찰된다. 성긴결합조직(Lo)은 성글게 배열하는 가는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섬유모세포(화살표)가 이 결합조직의 주된 세포 유형이다.
모세혈관

섬유모세포

콜라겐섬유
섬유모세포
섬유모세포

세로절단된 인대(ligament)의 광학 현미경 사진.


전형적인 치밀규칙결합조직이 관찰된다. 서로 가깝게 있는 콜라겐
섬유(Co)들이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다. 납작한 섬유모세포 (
화살표)의 핵들이 줄지어 섬유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이들 콜라겐다발 사
이에서 모세혈관(Cap)이 관찰된다.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분류
1. 고유결합조직의 종류

✓ 그물조직(reticular tissue)

- 그물세포 (망상섬유, Reticular fiber)가 그물처럼 짜여진 조직

- 간, 림프, 비장(Spleen), 골수에서 틀을 형성

✓ 지방조직 (Adipose tissue)

- 섬유가 적고, 지방세포가 많은 성긴결합조직

✓ 탄력조직 (Elastic tissue)

- 탄력섬유가 주가 되는 치밀결합조직

✓ 색소조직 (Pigment tissue)

- 색소세포가 많은 성긴결합조직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분류
2. 특수결합조직(Special connective tissue)의 종류

✓ 연골(cartilage)

- 지지와 뼈 성장에 관여

- 연골세포 (chondrocyte),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로 구성

연골의 구조

- 연골세포(chondrocyte)

: 연골의 바탕질 속에는 연골세포만 들어있으며, 연골소강 기질내에 위치함

: 바탕질의 무형질 성분과 섬유성분을 합성하고 분비함

- 바탕질 (기질, matrix)

: 연골세포 사이를 채우는 물질, 겔 형태의 무형질과 섬유성분으로 구성

- 연골막(perichondrium)
: 연골을 싸는 치밀결합조직으로 신경과 혈관이 분포, 영양분과 산소 등 물질의 확산을 통해 연
골세포로 전달
연골세포(chondrocyte)

연골막(perichondrium)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분류

- 연골의 종류

: 섬유, 바탕질의 양, 섬유의 종류에 따라 구분

1. 유리연골 (hyaline cartilage)


- 가장 많이 분포하는 연골, 후두, 기관, 기관지, 관절 연골
- 연골 바탕질 안에는 아교섬유가 가득 들어 있어서, 튼튼하면서도 약간의 유연성

을 갖는 조직이 된다.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분류

2. 탄력연골 (elastic cartilage)


- 연골 바탕질 안에 탄력섬유가 많아 탄력성이 크다.

귀바퀴연골, 바깥귀길, 후두덮개

3. 섬유연골 (fibrocartilage)
- 아교섬유가 많고 치밀하기 때문에 다른 연골에 비해 견고하며 압력과 충격의

흡수율이 높아 뼈 손상을 막아준다.

척추사이원반, 관절원반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분류
2. 특수결합조직(Special connective tissue)의 종류

✓ 뼈조직 (bone tissue)

- 근육을 지지, 장기 (vital organ)등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 혈구세포 (blood cell)를 생산하는 골수 (bone marrow)로 구분된다.

- 칼슘이온과 인산염의 저장 및 분비 역할을 한다.

- 뼈조직은 해면골과 치밀골의 분포 양상에 차이가 있다.

: 뼈의 바깥부분은 빈 틈이 없고 치밀한 치밀골(compact bone)로 구성

: 내부는 trabecula(뼈잔기둥)가 얼기설기 얽힌 해면골(spongy bone)로 구성

*치밀골(compact bone) - 긴뼈의 뼈몸통(골간)과 뼈의 표면층에서 주로 발견 치밀하고 딱딱하다.


뼈구조의 80% 차지
*해면골(spongy bone) - 망상골(cancellous) 밀도가 덜한 긴뼈의 뼈 끈부위와 기타 뼈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뼈구조의 20% 차지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분류
3. 배아결합조직 (embryonic connective tissue)

✓ 배아의 중간엽은 몸의 여러 결합조직의 기원이다.


→ Mesoderm(중배엽)은 embryo(배아)의 germ layer(배엽층)의 가운데 층으로서,
우리 몸의 거의 모든 결합조직을 만든다.

→ Mesenchyme(중간엽)의 성숙과 증식을 통해서 여러 가지 결합조직이 생겨나고,


근육, vascular system(혈관계통), urogenital system(비뇨생식계통), body cavity (
몸통공간 체강*)의 serous membrane(장막*) 등도 발달한다.

→ 어느 특정한 부위에서 어떤 종류의 결합조직이 완성될 것인가에 대한 근거가 되는


것은 mesenchymal cell(중간엽세포)이 증식하고 조직화하는 방식이다.

*체강(體腔); 체벽(體壁)과내장사이의 빈 곳

* 장막(漿膜);체강의내면을 덮고 있는 판으로서 장액을 분비


❖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분류
3. 배아결합조직 (embryonic connective tissue)

- Embryonic connective tissue(배아결합조직)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 중간엽 결합조직(mesenchymal CT)


-배아(embryo)와 태아(fetus)의 발생중인 장기들 사이에 있는 공간을 채우고 있는
조직

✓ 점액성 결합조직(mucous CT)

- 탯줄에서 관찰되는 조직
-Ground substance는 Wharton’s jelly로 잘 알려져 있으며, 가늘고 성긴 collagen
fiber 사이에 있는 세포 바깥의 넓은 공간을 채우고 있다.
Embryonic connective tissue(배아결합조직)
a. 발생 중인 태아 중간엽의 세포.
b. 탯줄에 존재하는 gel 형태의 Wharton’s Jelly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