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0

축구공 같기도 한 사진 속의 구조물은 무엇일까?

이것은 세포에서 물질을 수송하는 운반 소낭인 클라스린의 모형이다.

클라스린은 세포 밖에서 안으로 물질을 들여오거나

세포 안의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물질을 운반하는 데 관여한다.

클라스린은 운반에 관여하지 않을 때에는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 재활용된다.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0 17. 12. 5. 오후 12:14


세포의 특성
II
생물의 구성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효소

이 단원에서는 생명체의 유기적 구성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보자. 또 세포 소기관의 구조와 기능 및 물질의 출입 현상, 효소의
작용과 같은 생명 현상을 이해함으로써 세포가 생명체의 구조적 · 기능적 기본
단위임을 알아보자.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1 17. 12. 5. 오후 12:14



래달리기를 하던 친구가 탈수로 쓰러져 병원에 왔어.
그런데 친구가 맞고 있는 링거액을 보니 증류수가 아니라 무기염류가 들어 있는 용액이었어. 0

생각 열기 학습 전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해 보고, 학습 후 다시 생각을 정리해 보자.

1. 탈수 현상이 일어나면 위험한 까닭은 무엇일까? 2. 무기염류가 들어 있는 링거액 대신 증류수를 혈관으로 투여
하면 몸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학습 후 : 학습 후 :

중학교 과학 ② 동물과 에너지 0 1 . 생물의 구성


고등학교 통합과학 자연의 구성 물질, 생명 시스템 02 . 세포의 구조와 기능
03 .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04 . 효소

022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2 17. 12. 5. 오후 12:14


01
•동물과 식물의 유기적 구성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핵산의 기본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자동차는 수많은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속품들이 모여


몸체, 기관, 변속 장치, 제동 장치 등 자동차의 각 부분을 구성하고,
이 부분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조직되어 자동차를 이룬다. 생명체도
이와 같이 유기적으로 구성되는데, 생명체의 구성단위인 세포는
어떤 체계로 생명체를 구성할까?

1 생명체의 유기적 구성
아메바나 짚신벌레와 같은 단세포 생물은 세포 소장 세포(LM)

하나가 한 개체로, 세포 하나에서 생존에 필요한


모든 생명 활동이 일어난다. 반면, 사람을 포함한
다세포 생물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많은 세포가
모여 협력하며 생명 활동을 해 나간다.
100 µm 30 µm
다세포 생물에서는 세포들이 단순히 모여서
▲ 단세포 생물(아메바, LM)
개체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조직
되어 정교한 체계를 이룬다. 세포는 형태와 기능이 여러 가지로 분화되어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세포는 여러 구성 단계를 거쳐 개체를
이루는데, 형태와 기능이 비슷한 세포들이 모여 조직을 이루고, 여러 조직이
모여 고유한 형태와 기능을 나타내는 기관을 이룬다. 그리고 여러 기관이 모여 ▲ 다세포 생물(토끼)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개체를 구성한다. |그림Ⅱ-1| 단세포 생물과 다세포 생물

| 그림Ⅱ-2 | 생명체의 구성 단계

세포 조직 기관 개체

01. 생물의 구성 023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3 17. 12. 5. 오후 12:14


3

사람의 기관계 동물체의 구성 단계


기관계 기관
동물체는 |그림Ⅱ- 3|과 같이 세포가 모여 조직을 이루고, 여러 조직이 모여 기관을
소화계 위, 간, 이자, 소장 등
순환계 심장, 혈관 등 이룬다. 그리고 연관된 기능을 하는 여러 기관이 모여 기관계를 구성하고, 서로 다른 일을
호흡계 폐, 기관, 기관지 등
하는 여러 기관계가 모여 동물 개체를 이룬다.
배설계 콩팥, 방광 등
뇌하수체, 갑상샘, 동물의 조직은 기능과 특징에 따라 상피 조직, 결합 조직, 근육 조직, 신경 조직으로
내분비계
부신 등 ●
구분한다. 상피 조직은 몸의 바깥을 덮고, 몸 안의 기관과 내강을 둘러싼다. 상피 조직은
신경계 뇌, 척수 등
생식계 정소, 난소, 자궁 등 피부와 같은 보호 상피, 침샘이나 위샘과 같은 샘 상피, 눈의 망막이나 후각 상피와 같은
감각 상피, 소장 내벽과 같은 흡수 상피 등으로 구분된다. 결합 조직은 몸의 조직이나
기관을 서로 결합하거나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힘줄, 인대, 혈액, 뼈 등이 결합 조직에

내강
속한다.
몸 안의 비어 있는 부분 또 근육 조직은 몸의 근육과 내장을 구성하는 조직으로, 길이가 길고 신축성이 큰 근육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근육 조직은 골격근, 심장근, 내장근으로 구분되는데, 골격근과
심장근은 가로무늬근이고, 내장근은 민무늬근이다. 신경 조직은 신경 세포와 이를 지지
하는 세포로 구성되며, 자극을 받아들이고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동물의 기관에는 뇌, 심장, 콩팥, 간, 폐, 이자 등이 있다. 기관계는 동물체에서만 볼
수 있는 구성 단계로, 사람은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 내분비계, 신경계, 생식계
등으로 구성된다.

| 그림Ⅱ-3 | 동물체의 구성 단계

세포
세포 조직
조직 기관
기관 기관계
기관계 개체
개체

상피 세포 상피 조직 위

적혈구 결합 조직 간

근육 세포 근육 조직 이자

신경 세포 신경 조직 소장 소화계

024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4 2020. 8. 11. 오전 11:23


식물체의 구성 단계
|그림Ⅱ- 5|와 같이 식물체도 동물체와 마찬가지로 세포가 모여 조직을 이룬다.
그러나 동물체와 달리 식물체는 여러 조직이 모여 조직계를 이루고, 조직계가
모여 기관을 구성하며, 기관이 모여 식물 개체를 이룬다.
식물의 조직은 분열이 왕성하게 일어나는지에 따라 크게 분열 조직과 영구
조직으로 구분한다. 분열 조직에는 생장점과 형성층이 있으며, 영구 조직에는
표피 조직, 유조직, 통도 조직이 있다.
조직계는 식물체에만 있는 구성 단계로, 표피 조직계, 관다발 조직계, 기본
표피 조직계
조직계로 구분한다. 표피 조직계는 표피 조직으로 구성되며, 식물체의 바깥 기본 조직계
표면을 덮어 식물을 보호한다. 관다발 조직계는 통도 조직으로 구성되며, 물과 관다발 조직계

양분의 이동 통로가 된다. 기본 조직계는 대부분 울타리 조직, 해면 조직과


| 그림Ⅱ-4 | 식물의 조직계 조직계는 식물체 전체에
같은 유조직으로 구성되며, 광합성, 양분 저장, 지지 작용 등을 한다. 연속적으로 분포하여 기관들을 연결한다.

식물의 기관에는 생식 기관에 속하는 꽃과 열매, 영양 기관에 속하는 뿌리,


줄기, 잎이 있다.

창의력 키우기 동물체와 식물체의 구성 단계를 비교해 보면 동물체에는 기관계가 있고, 식물체에는 조직계

가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동물체와 식물체의 구성 단계가 다른 까닭을 설명해


보자.

| 그림Ⅱ-5 | 식물체의 구성 단계

세포
세포 조직
조직 조직계
조직계 기관
기관 개체
개체

표피 세포 표피 조직
잎(기관)

표피 조직계

물관 체관 물관 체관
세포 세포 조직 조직

기본 조직계 관다발 조직계

엽육 세포 해면 조직

01. 생물의 구성 025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5 17. 12. 5. 오후 12:15


2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 물질
단백질 생명체는 약 30종류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명체에서 이 원소들은 대부분 화합
(10 %)
지질 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생명체를 구성하는 화합물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핵산과
(2 %)
물 핵산 같은 유기물과 물, 무기염류 등이 있다. 이들은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85 %) (1 %)
탄수화물 한다.
(0.5 %)
무기염류
(1.5 %)
단백질
| 그림Ⅱ-6 | 사람(간)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
단백질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주성분이며,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생명 활동에는
단백질이 관여한다. 단백질은 효소와 호르몬의 성분으로 물질대사와 생리 작용을 조절
하며, 항체로서 외부 물질에 대한 방어를 담당한다. 또 단백질은 물질 수송, 세포의 운동
과 지지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액틴 필라멘트 마이오신 필라멘트


기질

효소
항체
바이러스

200 µm
박테리아
근육 조직

▲ 몸을 구성(근육 단백질) ▲ 생리 작용 조절(효소) ▲ 외부 물질 방어(항체)

| 그림Ⅱ-7 | 단백질의 다양한 기능

단백질은 수많은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화합물로, 생명체에는 20종류의 아미


노산이 있다. 아미노산과 아미노산 사이의 결합을 펩타이드 결합이라고 하며, 많은 아미
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폴리펩타이드가 만들어진다. 단백질은 1개 이상의
아미노산의 구조
폴리펩타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그림Ⅱ- 9|와 같이 폴리펩타이드가 접히거나 꼬여 입체
모든 아미노산은 공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아미노산의 중심에는 구조를 형성한다.
탄소가 있고, 여기에 아미노기,
카복실기, 수소 원자, 곁사슬(R) | 그림Ⅱ-8 | 펩타이드 결합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이 결합할 때에는 한 아미노산의 카복실기와 다른 아미노산의 아미노기
이 연결되어 있다. 곁사슬은 사이에서 물 1분자가 빠져나온다.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달라
아미노산의 특성을 결정한다.
R1 H R2 R1 H R2
곁사슬
R H 2N C C OH + H N C COOH H 2N C C N C COOH
H O
N C C H O H H O H
H OH H 2O
펩타이드 결합
아미노기 H 카복실기

026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6 17. 12. 5. 오후 12:15


2차 구조 폴리펩타이드는 나선
1차 구조 아미노산은

C H C R
N H

N H
처럼 꼬이거나 병풍처럼 접힌다.

N H O C
C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

N H
O C

O C
되어 폴리펩타이드를

C
형성한다.

N H

N H
C

O C
N H O C
C

N H
C
O C

O C

C
N H

N H
C

O C
N H O C
C
3차 구조 2차 구조의 폴리 4차 구조 3차 구조의 폴리

O C
O C
펩타이드가 접혀서 입체 구조 펩타이드가 2 개 이상 모여
를 형성한다. 형성된 구조이다.

| 그림Ⅱ-9 | 단백질의 구조 어떤 단백질은 폴리펩타이드가 2개 이상 모여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헤모글로빈은 α 사슬


2개와 β 사슬 2개, 즉 폴리펩타이드 4개로 구성되어 체내에서 산소를 운반한다.

단백질의 고유한 기능은 단백질의 입체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모든 단백질은 고유의


입체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구조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종류와 배열로 결정된
다. 높은 온도와 강한 산 등으로 단백질의 입체 구조가 변하면 일반적으로 단백질은 그 기
능을 상실한다.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생명체에서 에너지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크게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 그림Ⅱ-10 | 탄수화물의 종류

로 나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인 단당류에는 포도당, 과당, 리보스 등이 있다. 이당류는


단당류 2개가 결합한 것으로, 이당류에는 엿당, 설탕, 젖당 등이 있다. 다당류는 단당류가 단당류(포도당)

수백 또는 수천 개 결합하여 긴 사슬을 이룬 것으로, 생명체의 구성 성분이 되거나 에너


지를 저장한다. 생명체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다당류에는 식물 세포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이당류(엿당)
셀룰로스가 있으며, 에너지를 저장하는 다당류에는 식물 세포의 녹말과 동물 세포의 글리
코젠 등이 있다.

| 그림Ⅱ-11 | 여러 가지 다당류 다당류(녹말)

0.5 µm 12.5 µm 0.5 µm


▲ ‌식물 세포벽을 이루는 셀룰로스(TEM, ▲ 감자에 저장된 녹말 알갱이 (LM) ▲ ‌간 조직에 저장된 글리코젠 (TEM ,
채색) 채색)

01. 생물의 구성 027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7 17. 12. 5. 오후 12:15


지질
지질은 물에 녹지 않고 유기 용매에 잘 녹는 화합물이다. 지질은 그 구조와
성분에 따라|그림Ⅱ- 12|와 같이 중성 지방, 인지질, 스테로이드 등으로 구분된다.
중성 지방은 같은 양의 탄수화물보다 두 배 이상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주요 저장
에너지원으로 이용된다. 동물의 지방은 에너지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단열의 역할도 한다.
고래가 차가운 바닷물에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피부 밑에 두꺼운 지방층이 있기
때문이다.

생체막 인지질은 세포막이나 핵막 등 생체막의 주요 성분이다. 인지질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나타내는 부분이 있어 물에 넣으면 2중층을 형성한다.
세포나 핵, 미토콘드리아 등 세
포 소기관을 둘러싸는 막으로,
인지질과 단백질이 주성분이다. 스테로이드의 한 종류인 콜레스테롤은 동물 세포막을 구성하는 성분이다. 사람의 성호
르몬과 부신 겉질 호르몬은 콜레스테롤로부터 만들어진다.

글리세롤
글리세롤
글리세롤 콜린
콜린콜린
친수성
친수성
친수성 인산
인산인산
머리
머리머리 글리세롤
글리세롤
글리세롤

소수성
소수성
소수성
꼬리
꼬리꼬리
지방산
지방산
지방산 지방산
지방산
지방산

중성 지방 글리세롤 1분자와 지방산 스테로이드 고리 구조 4개로 되어


3분자로 구성된다.
인지질 친수성 머리와 소수성 꼬리
로 구성된다. 있다.

| 그림Ⅱ-12 | 지질의 종류

자료실 물

물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물질이다.
물 분자는 극성 분자로, 극성을 띠는 물 분자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 수소 결합

하여 수소 결합이 형성된다. 물은 분자 사이의 수소 결합으로 강한 H


O H
응집력이 생겨 다른 액체에 비해 비열과 기화열이 높다. 물은 비열이
높아 외부의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생명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해 주고, 기화열이 높아 체온의 상승을 막아 준다. 또 물은 용해성이
커서 생명체 내에서 물질의 흡수와 이동을 쉽게 하고, 화학 반응의
▲ 물 분자의 구조와 수소 결합
좋은 매개체로서 물질대사가 원활히 일어나도록 해 준다.

028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8 17. 12. 5. 오후 12:15


핵산
핵산은 유전 정보를 저장 및 전달하고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물질로, 핵이나 세포질에
존재한다. 핵산의 단위체는 뉴클레오타이드이며, 뉴클레오타이드는 인산, 당, 염기가 1:1:1
로 구성되어 있다. 뉴클레오타이드는 반복적으로 결합하여 긴 사슬 모양의 폴리뉴클레오
타이드를 이룬다.
핵산에는 |그림Ⅱ- 13|과 같이 DNA (디옥시리보핵산)와 RNA (리보핵산)가 있다. DNA의 구조
DNA 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DNA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두 가닥이 이중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유전 정보를
저장한다. RNA는 DNA와 달리 단일 가닥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로 되어 있으며, 유전
두 가닥이 서로 마주 보면서 꼬
여 있는 이중 나선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염기는 상보적으로 결합
정보를 전달하고 단백질 합성 과정에 관여한다. 하고 있다.
IV - 01. 유전 물질 117쪽
DNA RNA

염기
P 당
인산

뉴클레오타이드

| 그림Ⅱ-13 | 핵산의 구조

DNA와 RNA를 이루는 뉴클레오타이드는 당과 염기에서 차이가 있다. DNA를 디옥시리보스와 리보스 검색

구성하는 당은 디옥시리보스이고, RNA를 구성하는 당은 리보스이다. 또 DNA를 구성


하는 염기는 아데닌(A), 구아닌(G), 사이토신(C), 타이민(T)이고, RNA를 구성하는
염기는 A, G, C과 유라실(U)이다.

1. 동물체의 구성 단계는 세포 → 조직 → ( )→( ) → 개체이다. 만족


동물과 식물의 유기적 구성을
보통
2.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을 연결하는 결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는가?
노력

3. 지질의 한 종류인 중성 지방은 생명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쓰시오.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핵산의 만족
기본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보통

4. 핵산을 구성하는 단위체는 무엇인가? 있는가? 노력

01. 생물의 구성 029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29 17. 12. 5. 오후 12:15


02
•세포의 연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세포 소기관들이 기능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이해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밥을 먹으면 혈당량이 높아지고, 혈당량이 정상보다


높아지면 이자 세포에서는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당량을
낮춘다. 이자 세포에서 인슐린은 어떤 과정을 거쳐 생성되고
세포 밖으로 분비될까?
120 µm

1 세포의 연구 방법
세포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구조적 단위이며, 생명 활동을 수행하는 기능적 단위이다.
따라서 세포의 연구는 다양한 생명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기본이 된다.

현미경 - 세포의 구조 관찰
세포 중에는 개구리 알과 같이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을 만큼 크기가 큰 세포도 있지만,
대부분의 세포는 현미경을 사용해야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크기가 작다. 따라서 세포
수준에서의 생명체 연구는 현미경의 발명 이후에 이루어졌다.
현미경에는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광학 현미경과 전자선을 이용하는 전자 현미경이 있다.
LM 대부분의 세포는 광학 현미경( LM)으로 관찰하면 투명하게 보여 세포 소기관을 관찰하

Light Microscope의 약자
기 어렵지만, 특정 세포 성분을 염색하거나 다른 물질로 표지하면 세포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 그림Ⅱ-14 | 다양한 세포의 모양과 크기

대장균 적혈구 양파 세포 짚신벌레 개구리 알 사람의 신경 세포

1 mm=10^-^3m
1 µm =10^-^6m
1 nm =10^-^9m
1 nm 10 nm 100 nm 1 µm 10 µm 100 µm 1 mm 1 cm 10 cm 1m

전자 현미경
광학 현미경
맨눈

030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0 17. 12. 5. 오후 12:15


20 µm 20 µm 10 µm ◀ 광학 현미경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 세포를 염 ‌위상차 현미경 세포를 염색하지 형광 현미경 형광 염색액을 세포
색하지 않으면 빛이 세포를 바로 않아도 물질에 따른 빛의 굴절률 차 에 주입한 후 특정 파장의 빛을 쪼
통과하여 세포 구조가 잘 구분되지 이가 명암으로 나타나 세포 구조를 이면 형광 염색액의 색깔이 나타나
않는다. 관찰할 수 있다. 세포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 그림Ⅱ-15 | 다양한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상피 세포 해상력


해상력은 매우 가까이에 있는
두 점을 분별하는 능력이다.
● 해상력이 클수록 상이 선명하게
광학 현미경은 전자 현미경에 비해 배율과 해상력이 낮아 세포 소기관의 구조를 상세
보인다.
하게 관찰할 수 없지만, 살아 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광학 현미경
에는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 외에도 위상차 현미경, 형광 현미경 등이 있다.
1930년대에 전자 현미경이 개발되면서 세포 소기관의 미세 구조를 관찰할 수 있게
전자 현미경 사진의 색
전자 현미경의 상은 흑백이지만,
특정 구조를 강조하기 위해 인
되었다. 전자 현미경은 세포의 미세 구조를 연구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표본 제작 과정에서 위적으로 색깔을 입힌다.

세포가 죽는다는 단점이 있다.


전자 현미경에는 주사 전자 현미경과 투과 전자 현미경이 있다. 주사 전자 현미경( SEM)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의 약자
은 전자선을 시료 표면에 주사하여 화면에 시료 표면의 입체 영상을 형성하므로 세포의
표면이나 외부 형태를 연구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투과 전자 현미경( TEM)은 전자선을
TEM

시료의 얇은 단면에 투과하여 화면에 시료 단면의 영상을 형성하므로 세포의 내부 구조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의 약자
를 연구하는 데 적합하다.

◀ 투과 전자 현미경

| 그림Ⅱ-16 |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짚신벌레

30 µm 30 µm 30 µm

LM SEM, 채색 TEM

02. 세포의 구조와 기능 031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1 17. 12. 5. 오후 12:15


원심 분리기 세포 분획법 - 세포 소기관의 분리
용액이 담긴 시험관을 고속으로
세포 소기관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세포 소기관을 종류별로 분리해야 한다.
회전시켜 물질을 분리하는 기구
세포 분획법은 세포 소기관을 크기와 밀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이다. 세포를

균질기로 부수어 얻은 세포 혼합물을 원심 분리기에 넣고 속도와 시간을 다르게 하여
회전시키면 세포 소기관이 크기와 밀도에 따라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느린 회전 속도에
서는 핵이 가라앉아 분리되고, 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점차 작은 세포 소기관이 가라
앉아 분리된다. 세포 분획을 하면 |그림Ⅱ- 17|과 같이 핵, 미토콘드리아, 세포막과 내부
막 조각, 리보솜의 순서로 분리된다. 식물 세포를 세포 분획하면 가장 먼저 세포벽이 분리
되고, 그 후에 핵,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등의 순서로 분리된다.

균질기 1000 20000 80000 150000


10분 20분 60분 3시간

얼음

조직
세포 핵과 세포 찌꺼기 미토콘드리아 세포막과 내부 리보솜
원심 분리기
침전 침전 막 조각 침전 침전

| 그림Ⅱ-17 | 세포 분획법 1000 g는 중력 가속도(g)의 1000배를 뜻한다.

자기 방사법 - 세포 소기관의 기능 연구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그 상태가 항상 일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세포에서는
물질의 이동과 변화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물질의 이동과 변화는 방사성
물질을 이용하는 자기 방사법으로 알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 원소 ^3^5S으로
표지된 아미노산을 세포에 주입하고 이를 추적하면 세포에서 단백질이 합성, 이동, 분비
▲ 자기 방사법의 이용 검은색
부분이 방사성 동위 원소로 표지한 되는 경로를 알 수 있다. 자기 방사법은 광합성과 세포 호흡 등 물질대사의 경로를 밝히는
단백질이다.
연구와 세포 분열이나 유전 연구 등에 이용된다. 현재는 방사능의 위험 때문에 방사성
방사성 동위 원소 검색 동위 원소는 잘 사용하지 않고 형광 물질로 대체하고 있다.

2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세포는 기능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지만, 그 기본 구조는 같다. 세포는 세포막
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포막 안쪽에는 유전 물질과 유전 물질의 정보에 따라 단백질을
합성하는 리보솜이 있다. 세포는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구분되는데, 그 기준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032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2 17. 12. 5. 오후 12:15


과학적 사고력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비교

그림은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원핵세포(세균) 진핵세포(동물 세포)


핵핵

세포막
세포막
리보솜
리보솜
유전
유전
유전
유전물질
물질 물질
물질
리보솜
리보솜
세포막
세포막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소포체
세포벽
세포벽
피막
피막 플라스미드
플라스미드 골지체
골지체

●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에서 볼 수 있는 구조를 비교해 보자.

막성
구분 유전 물질 핵막 세포막 세포벽 리보솜
세포 소기관
원핵세포
진핵세포

●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모든 세포는 세포막, 유전 물질, 리보솜의 기본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세포 안의 원핵세포의 세포벽


원핵세포의 세포벽은 식물 세포
막 구조 유무에 따라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구분된다.
의 세포벽과 달리 당단백질인
원핵세포는 핵막이 없어 유전 물질이 세포질에 퍼져 있으며,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 펩티도글리칸을 포함하고 있다.

관이 없다. 원핵세포로 이루어진 원핵생물은 세균이 대표적이며, 크기는 보통 1 µm∼10 µm


세포벽은 세포의 모양을 유지
하며, 급격한 삼투압의 변화로
로 매우 작다. 세포가 변형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원핵세포의 유전 물질은 원형 DNA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핵세포보다 그 양이


막는다.

적다. 일부 원핵세포에는 플라스미드라고 하는 작은 원형 DNA가 더 있다. 원핵세포의


V - 02. 생물의 분류와 다양성
162쪽

리보솜은 진핵세포의 리보솜보다 크기가 작고, 리보솜을 구성하는 단백질과 RNA 등도


진핵세포의 리보솜과 다르다. 또 원핵세포는 세포막 바깥에 세포벽이 있으며, 어떤 원핵

세포는 세포벽 바깥을 피막이 한 번 더 둘러싼다. 피막
세균을 비롯한 많은 원핵세포
진핵세포는 유전 물질이 핵막으로 둘러싸인 핵 속에 들어 있다. 또 세포질에는 미토콘
에서 세포벽의 바깥을 둘러싸는
드리아, 소포체, 골지체 등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이 있다. 각 세포 소기관에는 특정 층으로, 젤리 같은 반고체 상태
이다.
기능을 하는 단백질이 있어 세포의 생명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진핵세포의
크기는 보통 10 µm∼100 µm로 원핵세포보다 크다.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진핵생물에는
원생생물, 균류, 식물, 동물이 있다.

02. 세포의 구조와 기능 033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3 17. 12. 5. 오후 12:15


3 세포 소기관의 구조와 기능
진핵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세포막은 세포 바깥의 환경과 세포 사이의
물질 교환을 조절한다. 세포막 안쪽에는 핵이 있고, 핵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세포질로
채워져 있다.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골지체, 리소좀과 같이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과, 리보솜, 중심체와 같이 막이 없는 세포 소기관이 있다.

| 그림Ⅱ-18 | 진핵세포의 구조

❶ 세포막 세포를 둘러싼 막으로, ❷ 핵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결정 ❸ 리보솜 세포의 생명 활동에 필 ❺ 골지체 소포체에서 전달된 단백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세포 안팎 하고, 세포에서 일어나는 생명 활동 요한 단백질을 합성한다. 질의 운반과 분비에 관여한다.

❻ 중심체 중심립 2개로 구성되며,


으로의 물질 출입을 조절한다. 을 조절한다.
❹ 소포체 리보솜에서 합성된 단백
질을 가공하고, 골지체로 운반한다. 미세 소관을 합성한다.

동물
세포

인지질 핵막

세포막
염색질 핵 ❷
단백질

미세 소관
거친면 소포체

소포체
매끈면 소포체
❾ 중간 섬유
세포 골격

리보솜 ❸
미세 섬유

❻ 중심체


❽ 리소좀
미토콘드리아 ❼

골지체 ❺

034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4 17. 12. 5. 오후 12:15


동물 세포는 식물 세포와 달리 중심체가 있는데, 중심체는 방추사의 형성에 관여한다.
식물 세포는 동물 세포와 달리 엽록체가 있으며, 세포막 바깥을 단단한 세포벽이 둘러싼다.
또 성숙한 식물 세포에는 액포가 크게 발달해 있다.
개체의 생명 활동이 다양한 세포의 상호 작용으로 일어나듯이, 세포의 생명 활동은 세포
소기관의 유기적인 상호 작용으로 일어난다.

❼ 미토콘드리아 유기물을 분해하 ❾ 세포 골격 세포의 형태 유지와 ⓫ 엽록체 식물 세포에 있으며, 광 ⓬ 세포벽 식물 세포의 세포막 바
여 세포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한다. 세포의 운동에 관여한다. 합성으로 포도당과 같은 유기물을 깥쪽을 둘러싸며, 세포를 보호하고
합성한다. 세포의 형태를 유지한다.
❽ 리소좀 가수 분해 효소가 들어 ❿ 액포 물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있어 세포내 소화를 담당한다. 물질을 저장한다.

식물
세포

핵막
❷핵 인
염색질

거친면 소포체
❹ 소포체
매끈면 소포체
❿ 액포
세포 골격 미세 소관

❸ 리보솜

❺ 골지체
세포벽 

세포막 ❶
❾ 중간 섬유
세포 골격
미세 섬유

❼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

02. 세포의 구조와 기능 035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5 17. 12. 5. 오후 12:15


핵 | 핵은 세포에서 가장 크고 뚜렷한 세포 소기관으로, 구형이며 보통 세포 하나에 1개씩
있다. 핵은 핵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핵 속에는 유전 물질인 DNA와 인이 있다.
핵막은 외막과 내막으로 된 2중막으로, 소포체 막과 연결되어 있다. |그림Ⅱ- 19|와
같이 핵막 곳곳에는 작은 구멍들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을 핵공이라고 한다. 핵공을 통해
핵과 세포질 사이에 물질이 이동한다.
DNA는 히스톤과 결합하고 있으며, 세포 분열이 시작되면 고도로 응축되어 염색체를
rRNA(ribosomal RNA) 형성한다. 핵 속에는 인이 1개 이상 있으며, 인은 rRNA의 합성 장소이다.

인에서 합성된 rRNA는 핵공을


세포의 특성은 단백질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고, 단백질의 특성은 핵 속에 있는 DNA의
통해 들어온 리보솜 단백질과
함께 리보솜 단위체를 구성한다. 유전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핵은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결정하고, 물질대사, 증식,
유전 등 세포의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DNA는 핵에만 존재할까?


외막
핵막
내막

DNA는 핵에만 존재하는 것이 핵공


아니라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
에도 존재한다. 이들 세포 소기관에
있는 DNA의 유전 정보에 따라
인 염색질

합성된 단백질은 세포 소기관


안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1 µm 0.5 µm

핵(TEM, 채색) 핵막과 핵공(SEM, 채색)

| 그림Ⅱ-19 | 핵의 구조 핵 속에는 DNA와 단백질로 이루어진 염색질과 인이 있으며, 핵막 곳곳에는 핵공이 있다.

자료실 삿갓말의 재생 실험 C형 갓
갓 재생
삿갓말은 바다에 서식하는 단세포 생물이다. 삿갓말의 몸은 자루 절단
헛뿌리
갓, 자루, 헛뿌리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핵은 헛뿌리에 있다.
삿갓말은 갓의 모양에 따라 M형과 C형으로 구분되며, 갓을 잘라

M형 M형 자루에 C형 헛뿌리 이식
내면 남은 부분에서 갓이 재생된다.
그림과 같이 M형과 C형의 삿갓말 자루에 헛뿌리를 교환하여
M형 갓
재생
이식하였을 때 재생되는 갓의 모양은 핵이 있는 헛뿌리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결과로 보아 핵이 생물의 형질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형 C형 자루에 M형 헛뿌리 이식

036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6 17. 12. 5. 오후 12:15


리보솜 | 리보솜은 rRNA와 단백질로 이루어진 작은 알갱이 모양의 세포 소기관으로, 리보솜에서 합성된 단백질
소포체에 붙어 있는 리보솜에서
막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다. 리보솜은 소포체에 붙어 있거나 세포질에 흩어져 있으며,
DNA의 유전 정보에 따라 단백질을 합성한다. 리보솜은 |그림Ⅱ- 20|과 같이 크고 작은
합성된 단백질은 세포막을 구성
하거나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단위체 2개로 구성되는데, 두 단위체는 분리되어 있다가 단백질을 합성할 때 결합하여


그리고 세포질에 흩어져 있는
리보솜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세
완전한 리보솜을 형성한다. 포의 여러 소기관에서 사용된다.

대단위체
리보솜

소단위체 TEM, 채색 0.2 µm

| 그림Ⅱ-20 | 리보솜 리보솜은 단위체 2개로 이루어져 있다.

소포체 | 소포체는 납작한 주머니와 관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모양의 세포 소기관 소포체가 발달한 세포
거친면 소포체는 분비 작용이
으로, 세포질에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다. 소포체는 내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세포
활발한 이자 세포 등에 발달해
에서 물질 수송의 통로 역할을 한다. 소포체 막은 단일 막이며, 핵막과 연결되어 있다. 있다. 매끈면 소포체는 해독 작
용을 하는 간세포나 스테로이드
소포체는 |그림Ⅱ- 21|과 같이 표면에 리보솜이 붙어 있는 거친면 소포체와 리보솜이 붙어
호르몬을 합성하는 부신 겉질
있지 않은 매끈면 소포체로 구분된다. 세포 등에 발달해 있다.

거친면 소포체는 단백질을 가공하고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거친면 소포체는 리보솜
에서 합성된 단백질을 가공한 후 소포체 막의 일부로 둘러싸 운반 소낭을 만든다. 이 운반
소낭은 소포체에서 떨어져 나와 골지체로 이동한다. 매끈면 소포체는 인지질과 스테로이
드의 합성, 독성 물질의 해독, 칼슘 이온(Ca^2^+)의 저장 등에 관여한다.

| 그림Ⅱ-21 | 소포체 소포체는 세포에서 물질 수송의 통로 역할을 한다.

핵막
거친면
소포체

매끈면
소포체

TEM, 채색 0.65 µm

02. 세포의 구조와 기능 037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7 17. 12. 5. 오후 12:15



시스터나 골지체 | 골지체는 단일 막으로 된 납작한 주머니 모양의 시스터나가 쌓여 있는 세포
골지체나 소포체의 일부에서 볼
수 있는 납작한 주머니 모양의
소기관이다. 골지체는 소포체에서 수송한 단백질과 지질을 가공한 후 세포의 다른 곳으로
구조물이다. 소포체의 시스터나는 수송하거나 세포 밖으로 분비한다. 소포체에서 온 운반 소낭의 막이 골지체 막과 결합하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골지체의
시스터나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면서 단백질을 골지체 안으로 전달하면, 골지체는 단백질을 가공한 후 골지체 막의 일부로
않다. 둘러싸 운반 소낭을 만든다. 운반 소낭은 골지체에서 떨어져 나와 세포막 쪽으로 이동하고,
운반 소낭의 막이 세포막과 결합하면서 소낭 속의 단백질이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골지
체는 소화샘 세포나 내분비샘 세포와 같이 분비 작용이 활발한 세포에 발달해 있다.

시스터나 소포체에서 온
운반 소낭

시스터나

TEM, 채색 0.1 µm
골지체에서 나온
운반 소낭

| 그림Ⅱ-22 | 골지체 골지체는 단백질의 가공과 분비를 담당한다.

과학적 사고력

단백질의 합성과 분비

그림은 세포에서 단백질이 합성되어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거친면 소포체 단백질


분비

리보솜

매끈면
소포체 세포막

골지체에서
나온 운반 소낭
소포체에서
나온 운반 소낭
골지체
단백질

● 핵 속의 DNA로부터 단백질이 합성, 분비되는 과정을 세포 소기관과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 이와 같이 단백질이 합성, 분비되는 과정을 추적하는 데 적합한 세포의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

038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8 17. 12. 5. 오후 12:15


엽록체 | 엽록체는 식물 세포에 있는 초록색의 세포 소기관으로, 외막과 내막의 2중막
으로 둘러싸여 있다. 내막 안쪽에는 원반 모양의 구조물인 틸라코이드가 쌓여 층을 형성하
는데, 이러한 층 구조를 그라나라고 한다. 틸라코이드 막에는 광합성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색소와 단백질이 있다. 내막 안쪽에 기질로 채워진 공간은 스트로마라고 하는데, 이곳에
DNA와 리보솜이 있어 엽록체는 스스로 복제하여 증식할 수 있다. 엽록체에서는 빛에
너지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 탄소를 포도당과 같은 유기물로 합성하는 광합성이 일어
나며, 이 과정에서 빛에너지가 화학 에너지로 전환된다.

미토콘드리아 | 미토콘드리아는 외막과 내막의 2중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타원형의 세포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의 공통점

과 내막의 2중막으로 둘러싸여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는 외막
소기관이다.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은 안쪽으로 돌출하여 크리스타라고 하는 주름진 구조를
형성하며, 내막에는 ATP 합성에 필요한 여러 가지 단백질이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있으며, DNA와 리보솜이 있어

내막 안쪽은 액체 상태의 기질이 있고, 이곳에 DNA와 리보솜이 있어 미토콘드리아는


스스로 복제하여 증식할 수 있다.
또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스스로 복제하여 증식할 수 있다. 에너지 전환이 일어난다.
III - 03. 광합성 88쪽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방출하는 세포 호흡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유기물의 화학 에너지가 ATP의 화학 에너지로 전환된다. 따라서 간세포나
V- 01. 생명의 기원 155쪽

근육 세포와 같이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세포에는 미토콘드리아가 많이 들어 있다.

| 그림Ⅱ-23 |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와 에너지 전환 과정 Q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에서는 각각 어떤 형태의 에너지 전환이 일어나는가?

화학
빛 에너지
에너지 (포도당)

외막 외막
내막 내막

틸라코이드
기질
스트로마
크리스타

그라나
외막
내막

스트로마
화학 화학

1.5 µm 0.7 µm
그라나 에너지 에너지
(포도당) (ATP)

▲ 엽록체 (TEM, 채색) ▲ 미토콘드리아 (TEM, 채색)

02. 세포의 구조와 기능 039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39 17. 12. 5. 오후 12:15


리소좀 | 리소좀은 단일 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작은 주머니 모양의 세포 소기관으로, 골지체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만들어진다.
리소좀 속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핵산

가수 분해 효소 등을 분해하는 다양한 가수 분해 효소가 들어
물을 첨가하여 물질을 분해하는
있다. |그림Ⅱ- 25|와 같이 리소좀은 가수 분해
가수 분해 반응의 촉매로 작용
효소를 이용하여 세포 안으로 들어온 세균과 같
0.65 µm
하는 효소 리소좀

| 그림Ⅱ-24 | 리소좀 (TEM, 채색) 백혈구에서 리


은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이를 세포내 소화라고
식포 한다. 리소좀은 이물질뿐만 아니라 제 기능을 소좀이 세포내 소화 작용을 하고 있다.

세포가 바깥에 있는 이물질을


하지 못하는 세포 소기관과 노폐물도 분해한다. 리소좀의 분해 작용으로 나온 산물은 세포
세포막으로 둘러싸서 만든 소낭
의 양분으로 사용된다.

가수
가수가수
분해
분해분해
가수 효소
효소효소
분해 효소 리소좀
리소좀

리소좀
리소좀
리소좀
리소좀
이물질
이물질
분해분해 손상된
손상된
세포세포
소기관
소기관
분해분해

식포식포 손상된
손상된
미토콘드리아가
미토콘드리아가
들어들어
있는있는
소낭소낭
이물질
이물질 세포막
세포막

세포
‌ 밖에서 들어온 이물질 분해 세포 밖의 이물질이 세포막으로 싸여 세포 안으로 손상된 세포 소기관 분해 리소좀은 손상된 세포 소기관이 들어 있는 소낭과

들어오면, 리소좀은 식포와 융합하여 가수 분해 효소로 이물질을 분해한다. 융합하여 가수 분해 효소로 손상된 세포 소기관을 분해한다.

| 그림Ⅱ-25 | 리소좀의 세포내 소화 과정

액포 | 액포는 단일 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주머니 모양의 세포 소기관으로, 성숙한 식물


세포에서 크게 발달한다. 액포는 물을 흡수하여 세포의 수분량을 조절하여 삼투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액포는 식물 세포의 생명 활동에 필요한 영양소나 생명 활동
핵 엽록체
으로 생성된 노폐물을 저장한다. 식물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독성 물질이나 꽃의
색깔을 나타내는 색소도 액포에 저장된다.

창의력 키우기 식물 세포에서는 노폐물을 액포에 저장할 수 있지만 동물 세포에는 이런

세포 소기관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 그렇다면 동물 세포는 생명 활동으로


생성된 노폐물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조사해 보자.
액포

| 그림Ⅱ-26 | 액포 (TEM, 채색) 액포는 물을 비롯한 다양한 물질을 저장하고, 식물 세포의 형태 유지와
삼투압 조절에 관여한다.

5 µm

040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0 17. 12. 5. 오후 12:15


세포 골격 | 세포 골격은 단백질 섬유가 그물처럼 얽혀 있는 구조로, 세포 소기관의
위치와 세포의 형태를 결정짓는 뼈대 역할을 한다. 세포 골격을 구성하는 단백질 섬유에는
|그림Ⅱ- 27|과 같이 미세 소관, 중간 섬유, 미세 섬유의 세 종류가 있다.
미세 소관은 세포 골격을 구성하는 단백질 섬유 중 지름이 가장 큰 원통형 관으로,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세포 소기관, 소낭, 염색체의 이동에 관여한다. 동물 세포에서 미세 소관은
중심체에서 만들어지며, 미세 소관은 세포의 운동 기관인 섬모와 편모를 형성한다.
중간 섬유는 단백질 여러 가닥이 두껍게 꼬여 있는 모양이며, 미세 소관과 미세 섬유의
중간 굵기이다. 중간 섬유는 질기고 안정된 구조로서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며, 핵막의

0.16 mm
유지에도 관여한다.

▲ 동물 세포의 세포질 분열(SEM,


미세 섬유는 구형의 액틴 단백질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액틴 필라멘트 두 가닥이 서로
꼬인 모양이며, 세포 골격을 구성하는 단백질 섬유 중에서 가장 가늘다. 미세 섬유는 채색)
동물 세포에서는 미세 섬유의 작용
세포막 아래에 퍼져 있으며, 근육 수축, 세포질 분열 등에 관여한다. 으로 세포막이 함입되면서 세포질
분열이 일어난다.

25 nm

소포체
미세 소관

8 nm~12 nm

중간 섬유

7 nm

미세 섬유

| 그림Ⅱ-27 | 세포 골격 세포 골격은 세포의 뼈대 역할을 하며, 미세 소관, 중간 섬유, 미세 섬유로 구성된다.

자료실 섬모와 편모

미세 소관
섬모와 편모는 세포의 운동 기관으로, 일부 원핵생물과 단세포 진핵생물,
동물과 식물의 일부 세포에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모는 길이가 짧고 수
(SEM, 채색)
섬모충류 미세 소관
가 많은 반면, 편모는 섬모에 비해 길이가 길고 수가 적다. 다발

섬모와 편모의 단면을 보면, 미세 소관 2개로 이루어진 미세 소관 다발 9개


섬모와 편모는 운동하는 모습은 서로 다르지만 공통된 구조로 되어 있다.

가 일정한 간격으로 둥글게 배열되고, 가운데에 미세 소관 2개가 있다. 섬


모는 짚신벌레와 같은 섬모충류나 사람의 기관지 등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정자 (SEM, 채색) 0.2 µm

편모는 사람의 정자 등에서 관찰할 수 있다. ▲ 섬모와 편모의 횡단면(TEM, 채색)

02. 세포의 구조와 기능 041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1 17. 12. 5. 오후 12:15


25 µm
중심체 | 중심체는 핵 근처에 위치하며, 직각으로 배열된 중심립 2개로 구성된다. 중심립은
미세 소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 분열 시 중심립은 복제되어 세포 양극으로 이동하며,
중심립에서 방추사가 뻗어 나와 염색체를 끌어당긴다.

미세 소관 다발
중심립
▲ 방추사(LM) 세포 분열 과정
중심립

에서 방추사(초록색)가 염색체
(주황색)를 끌어당기고 있다.

80 nm

중심체 ▲ 중심체 (TEM, 채색)

| 그림Ⅱ-28 | 중심체와 중심립 중심립은 미세 소관 3개로 이루어진 미세 소관 다발 9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둥글게 배열
되어 있다.

세포벽 | 식물 세포는 동물 세포와 달리 세포막 바깥쪽에 세포막보다 두껍고 단단한

이루어진 1차 세포벽이 있고, 일부 식물 세포에서는 세포가 성숙하면서 1차 세포벽과


세포벽이 있어 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의 형태를 유지한다. 어린 식물 세포에는 셀룰로스로

세포막 사이에 셀룰로스와 특정 물질로 이루어진 2차 세포벽이 형성된다.

1 µm

2차 세포벽
세포막

1차 세포벽
액포
1차 세포벽

2차 세포벽

TEM, 채색
세포막
세포 사이 공간
세포질
| 그림Ⅱ-29 | 세포벽의 구조

1. 원심 분리기의 회전 속도와 시간을 늘리면서 동물 세포를 세포 분획할 때, 다음 세포 소기관이 만족


세포의 연구 방법을 설명할 수
분리되어 나오는 순서를 쓰시오. 있는가?
보통
노력

세포막과 내부 막 조각, 핵, 미토콘드리아, 리보솜 만족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점
보통
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는가?
노력

2.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은 무엇인가? 세포 소기관들이 기능적으로 만족

3. DNA의 유전 정보에 따라 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 소기관은 (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 보통

)이다. 설명할 수 있는가? 노력

042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2 17. 12. 5. 오후 12:15


과학적 사고력과
재미있는
과학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생물의 수명을 단축하는

세포의 노화

한 과학 언론에 따르면 현존하는 척추동물 중 수명이 가장 긴 것은 그린란드 상어로,


약 400년을 산다고 한다. 사람은 왜 이렇게 오래 살지 못하고 빠르게 노화할까?
노화란 시간이 흐르면서 생물의 기능이 퇴화하는 현상으로 세포의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세포의 노화를 설명하는 가설에는 유전설, 오류 축적설, 활성
산소설 등이 있다.
‘유전설’은 생물의 수명이 특정 유전자 또는 일련의 유전자로 구성된 프로
그램에 따라 결정된다는 가설이다. 사람의 8번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에 돌연
변이가 생기면 조로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노화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일부 세포에서는 세포 분열 시 염색체 말단이 짧아지는 것을 막아 주는 효소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체세포에서는 DNA가 복제될 때마다 염색체 말단이 짧아진다.
‘오류 축적설’은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기능에 이상이 있는 단백질이 세포에 축적되면서 노화가
촉진된다는 가설이다. 세포는 시간이 지날수록, 유전 정보의 복제 및 발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수정하는 능력이 감소하여 세포에 돌연변이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그 결과 단백질의
기능이 감소하거나 상실되어 신체 구조 및 대사 작용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
‘활성 산소설’은 대사 과정에서 생긴 유해 활성 산소가 세포를 공격함으로써 노화가 촉진된다는
가설이다. 활성 산소가 DNA에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노화 방지 유전자들이
모두 항산화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활성 산소가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사해 준다.
세포의 노화를 설명하는 가설 중 그 어떤 것도 노화의
원인을 충분하게 설명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생명 과학자들은 노화가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 작용
으로 진행된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조사하고 토의하기

● 이 글에서 제시한 가설 외에 노화를 설명하는 가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해 보자.

● 세포의 노화를 설명하는 가설을 참조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해 보자.

02. 세포의 구조와 기능 043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3 17. 12. 5. 오후 12:16


03
•세포막의 구조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막을 통한 물질 출입 현상을 이해하고, 확산, 삼투, 능동 수송을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짠 음식을 먹으면 소장 세포에서 흡수하는 무기염류의


양이 늘어나 체액 삼투압이 높아지므로 갈증을 느낀다. 이때
물을 마시면 세포로 물이 흡수되어 갈증이 해소된다. 세포막을
통해 물질이 이동할 때에는 어떤 원리로 이동할까?

1 세포막의 구조
세포막은 세포를 둘러싸는 막으로,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세포를 보호한다. 또 세포
막은 세포 밖의 환경에서 오는 신호를 세포 안으로 전달하고, 환경과 세포 사이에서 일어
나는 물질 교환의 통로 역할을 한다.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성분은 인지질과 단백질이다. 세포막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진한 선이 두 겹으로 보이는데, 이는 인지질이 2중층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인지질은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머리 부분은 인산 등을 포함하고 있어 친수성을
띠고, 꼬리 부분은 지방산으로 되어 있어 소수성을 띤다. 세포 안과 밖에는 물이 풍부
하므로 인지질은 친수성인 머리 부분이 세포막에서 양쪽 바깥으로 배열하여 물과 접하고,
소수성인 꼬리 부분이 서로 마주 보며 배열하여 2중층을 이룬다.
또 세포막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인지질 2중층 곳곳에 막단백질이 박혀
▼ ‌인지질 층에 박혀 있는 막단백질
(SEM, 채색)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막단백질은 인지질 2중층을 관통하는 것도 있고, 세포막 표면에


붙어 있는 것도 있다.

| 그림Ⅱ-30 |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 2중층과 단백질

27 nm
세포 바깥쪽

40 nm
머리
{친수성}
인접한 세포의 세포막 인지질
2중층 꼬리
{소수성}

세포막
세포 안쪽 막단백질 인지질

▲ 세포막 (TEM, 채색)

044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4 17. 12. 5. 오후 12:16


과학적 사고력

세포막의 특성

형광 제거 부위의 형광 세기
세포 표면에 분포한 막단백질에 형광 물질을 균일하게 형광 제거
부착하고, 그중 일정 부위의 형광 물질을 레이저로 제거하 세포막
였다. 그래프는 형광 제거 부위의 형광의 세기를 시간에 따라
조사한 것이다. 일정 부위의
형광 물질을
제거
● 형광 물질을 제거한 부위는 시간이 지나면서 어떤 변화가 있는가?
O 시간
● 이 실험의 결과로 유추할 수 있는 세포막의 특성을 설명해 보자. 형광 제거 부위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과 막단백질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동성이 있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막의 특성을 바탕으로 세포막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 유동 모자이크막 모델이다.
세포막의 인지질은 막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고, 막단백질은 막의 기능을 결정한다.
세포의 종류에 따라 세포막에 특정한 막단백질들이 있어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한다.
막단백질에는 |그림Ⅱ- 31|과 같이 물질 운반에 관여하는 수송 단백질, 세포 밖의 환경
에서 오는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수용체 단백질, 물질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또 일부 막단백질이나 지질에는 탄수화물이 붙어 있는데, 이 탄수화물은
세포 표면을 보호하거나 세포를 구별하는 데 이용되기도 한다.

| 그림Ⅱ-31 | 세포막의 구조 및 막단백질의 종류와 기능

세포 인식
막단백질에 붙어 있는 탄수화물은
물질 운반
세포를 구별하는 데 이용된다.
막단백질 수송 단백질은 막을 통한
탄수화물
물질의 이동에 관여한다.

콜레스테롤

신호 전달 효소 작용
수용체 단백질은 세포 밖의 특정 화학 물질을 효소로 작용하는 단백질은
인식하여 세포 안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물질대사에 관여한다.

03.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045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5 17. 12. 5. 오후 12:16


2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화학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어난다. 이산화 탄소나
산소와 같이 크기가 작고 극성이 없는 물질은 세포막의 인지질 2중층을 쉽게 통과하지만,
분자에서 양(+)전하를 띠는 부
극성

분과 음(-)전하를 띠는 부분이 대부분의 물질은 막단백질의 도움을 받아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막의 특성을
나누어져 있는 것을 극성이라고
선택적 투과성이라고 한다. 세포 안의 환경은 밖의 환경과 큰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한다. 극성을 띠는 분자를 극성
분자라고 하는데, 물은 대표적인 차이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은 세포막이 세포 안팎으로의 물질 이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극성 분자이다. 극성 물질은 물
때문이다. 물질이 어떤 방식으로 세포막을 통해 이동하는지 알아보자.
에는 녹지만 인지질의 지방산
부분에는 녹지 않으므로 세포막
을 통과하기 어렵다. 확산
물에 잉크를 떨어뜨리면 시간이 지나면서 잉크가 물 전체로 퍼져 나간다. 이는 분자들이
스스로 운동을 하여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현상을
확산이라고 한다.
세포에서도 세포막을 경계로 세포 안팎의 농도 기울기에 따라서 물질이 확산한다.
|그림Ⅱ- 32|와 같이 세포막에서 일어나는 확산에는 물질이 인지질 2중층을 직접 통과하여
이동하는 단순 확산과 물질이 수송 단백질을 통해 이동하는 촉진 확산이 있다. 단순 확산과
촉진 확산이 일어날 때에는 세포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 잉크의 확산 수송 단백질에는 통로 단백질과 운반체 단백질이 있다. 통로 단백질은 이온과 같은
물질이 인지질 2중층을 통과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고, 운반체 단백질은 결합 부위의
구조에 들어맞는 물질이 결합하면 단백질의 구조 변화를 통하여 물질을 운반한다.
우리 몸에서 단순 확산은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 모세 혈관과 조직 세포 사이에서
산소와 이산화 탄소가 교환될 때 일어난다. 촉진 확산은 신경 세포의 흥분으로 Na^+,
K^+이 세포막을 통해 이동할 때, 인슐린의 작용으로 혈액의 포도당이 세포막을 통해
이동할 때 일어난다.

| 그림Ⅱ-32 | 단순 확산과 촉진 확산 Q 단순 확산과 촉진 확산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 포도당
Cl
세포 밖
(고농도) O2

세포 안
(저농도)
통로 단백질 운반체 단백질

단순 확산 촉진 확산

046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6 17. 12. 5. 오후 12:16


과학적 사고력•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단순 확산과 촉진 확산

물질의 이동 속도
그림은 세포 안팎의 농도 차에 따라 단순 확산
과 촉진 확산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속도를 측정 촉진 확산

한 결과이다.

단순 확산

O
세포 안팎의 농도 차

● 세포 안팎의 농도 차가 커질수록 단순 확산과 촉진 확산에서 물질의 이동 속도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 촉진 확산에서 물질의 이동 속도가 일정한 구간이 나타나는 까닭을 토의해 보자.

세포막을 통한 단순 확산에서 물질의 이동 속도는 세포 안팎의 농도 차에 비례한다.


반면, 촉진 확산에서는 물질의 이동 속도가 세포 안팎의 농도 차에 따라 증가하다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는데, 이는 어느 순간부터 모든 수송 단백질이 물질 운반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삼투
김치를 담그기 위해 배추를 소금물에 담가 두면 배추의 숨이 죽는다. 이는 배추 세포의
반투과성 막
세포액이 소금물보다 농도가 낮아 배추 세포 안의 물이 세포막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갔기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는 막으

때문이다. 세포막과 같은 반투과성 막을 경계로 물의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확 로, 막의 구멍보다 크기가 작은
용매나 용질은 통과할 수 있지
산하는 현상을 삼투라고 한다. 삼투가 일어날 때 반투과성 막에 작용하는 압력을 삼투압
만, 크기가 큰 물질은 통과할 수
이라고 하며, 삼투가 일어날 때에는 세포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없다.

| 그림Ⅱ-33 | 삼투와 삼투압

양쪽 용액의 높이가 더 이상
반투과성 막을 경
변하지 않을 때 반투과성
계로 양쪽 용액의 h 막이 양쪽 용액으로부터
농도가 다르다. 물 분자

이며, 높이 h에 해당하는 용
받는 압력의 차이가 삼투압
설탕 분자

액 기둥의 압력과 같다.

삼투가 일어나 농도가 낮


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물이 확산한다.
반투과성 막

03.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047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7 17. 12. 5. 오후 12:16


3

살아 있는 모든 세포는 수용액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포액과 외부 수용액의 농도가


다르면 반투과성 막인 세포막을 통해 삼투가 일어난다.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수용액은
세포액의 삼투압을 기준으로 등장액, 고장액, 저장액으로 구분된다. 수용액의 삼투압이
세포액과 같으면 등장액, 세포액보다 높으면 고장액, 세포액보다 낮으면 저장액이라고
한다. 세포는 등장액, 고장액, 저장액에서 각각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자.

원형질 식물 세포의 삼투 | 식물 세포를 등장액에 넣으면 식물 세포의 부피는 변화가 없다. 식물


세포에서 생명 활동과 직접적으
세포를 고장액에 넣으면 |그림Ⅱ- 34|와 같이 세포 안의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세포의
로 관련이 있는 부분을 말한다.

핵,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리보 부피가 줄어들다가 세포막이 세포벽에서 떨어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원형질 분리라고
솜, 소포체, 골지체, 세포막 등이
한다.
원형질에 해당한다.
반면, 식물 세포를 저장액에 넣으면 물이 세포 안으로 들어와 세포의 부피가 커지는
데, 이러한 현상을 팽윤이라고 한다. 식물 세포는 세포막 바깥에 세포벽이 있기 때문에
세포를 등장액에 넣으면 세포막
을 통해 물이 이동하지 않을까? 일정 부피가 되면, 부피가 더 이상 커지지 않는다. 이때 세포 내부로부터 세포벽이 받는
세포를 등장액에 넣으면 세포의
압력을 팽압이라고 하며, 팽압이 최대인 상태를 최대 팽윤 상태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변하지 않아 세포막을
통해 물이 이동하지 않는 것처럼 식물 세포가 삼투로 물을 흡수하면 팽압은 증가하고, 삼투압은 감소하며, 흡수력은 작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물이 이동
진다. 흡수력은 삼투압과 팽압의 차이로 나타내는데, 흡수력은 삼투압이 높을수록, 팽압이
한다. 다만, 세포막 안팎으로
이동하는 물 분자의 수가 같아 낮을수록 커진다.
물이 이동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 그림Ⅱ-34 | 식물 세포에서 일어나는 삼투 고장액에 넣어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 식물 세포를 저장액에 넣으면 식물 세포가
물을 흡수하면서 팽압은 증가하고, 삼투압은 감소한다.

고장액 등장액 저장액

물 물

물 물
물 물

원형질 분리 정상 팽윤 상태
압력 상댓값

팽압
)

12
감소

아지면 흡수력이 0이
삼투압과 팽압이 같
10
최대
(

8 삼투압
원형질 팽윤 되어 식물 세포는 더
6 분리 상태
이상 물을 흡수하지
삼투압

흡수력

팽압 4 않는다.
증가 팽압
2 흡수력
팽압
0 1.0 1.1 1.2 1.3
세포의 상대적 부피
▲ 팽압에 따른 식물의 변화

048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8 2020. 8. 11. 오전 11:23


과학적 사고력•과학적 탐구 능력

양파 세포에서 일어나는 삼투 관찰하기


목표 | 양파 세포를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용액에서 일어나는 삼투를 관찰할 수 있다.
실험

문제 인식 세포에서 삼투가 일어나면 세포의 부피가 변한다. 양파 세포를 농도가 다른 여러

양파, 증류수, 0.9 %


용액에 담그면 모양은 어떤 차이를 나타낼까?

소금물, 2 % 소금물, 아세트산


준비물 |

카민 용액, 받침 유리, 덮개 유
리, 스포이트, 페트리 접시, 현미

1. 양파 비늘잎 안쪽에 가로, 세로 각각 5 mm 크기로 칼집을 내고, 핀셋을 이용하여 양파


탐구 과정
경, 핀셋, 칼, 거름종이, 실험용
장갑
표피 조각을 벗겨 낸다.
안전!  칼을 사용할 때 다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양파 표피 조각을 증류수, 0.9 % 소금물, 2 % 소금물이 담긴 페트리 접시에 각각 약 10분


동안 담가 둔다.

3. 각 페트리 접시에서 양파 표피 조각을 꺼내어 받침 유리 3개에 각각 올려놓고, 그 조각이


담겨 있던 페트리 접시의 용액을 한 방울씩 떨어뜨린 후 덮개 유리를 덮는다.

4. 덮개 유리 한쪽에 아세트산 카민 용액을 한두 방울 떨어뜨리고, 반대쪽에서 거름종이로


용액을 흡수하여 양파 표피 조각을 염색한다.

5. 현미경으로 양파 표피 조각의 현미경 표본을 관찰하고, 각 양파 세포의 모양을 그린다.


1 2 4

평가하기
▢ ‌탐구 목표에 맞게 탐구를 수행
하였는가?
▢ ‌탐구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
하였는가?
▢ ‌인성 모둠원과 협력하여
탐구를 수행하였는가?
결과 및 정리

1. 과정 5에서 그린 그림에 양파 표피 세포의 세포막을 경계로


같은 원리 다른 실험 물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화살표로 표시해
보자.
받침 유리 3 개에 혈액을 각각
적혈구의 삼투 관찰하기

2. 용액의 농도에 따라 양파 표피 세포의 모양이


증류수, 생리식염수, 2 % 소금
한 방울씩 떨어뜨리고, 그 위에
달라지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물을 두세 방울씩 떨어뜨린 후
현미경 표본을 만들어 관찰한다.

03.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049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49 17. 12. 5. 오후 12:16


기술 동물 세포의 삼투 | 사람의 적혈구를 등장액에 넣으면 적혈구의 부피는 변화가 없다.
역삼투 적혈구를 고장액에 넣으면 적혈구에서 물이 빠져나가면서 적혈구의 부피가 작아진다.
역삼투는 반투과성 막을 경계로
적혈구를 저장액에 넣으면 적혈구 안으로 물이 들어와 적혈구의 부피가 점점 커지다가
고농도 용액 쪽에 압력을 가해
고농도 쪽에서 저농도 쪽으로 물 결국 세포막이 터져 내용물이 빠져나가는데, 이러한 현상을 용혈이라고 한다.
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역삼투
원리는 오염된 물에서 깨끗한 고장액 등장액 저장액
물을 얻는 데 이용되며, 과즙의 물 물 물
물 물 물
농축과 정제, 커피 추출액 농축 적혈구는 식물 세포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달리 세포벽이 없으므로
저장액에 넣었을 때
용혈이 일어난다.
쪼그라든다. 정상 용혈

| 그림Ⅱ-35 | 동물 세포(적혈구)에서 일어나는 삼투

세포 바깥쪽 창의력 키우기 실생활에서 삼투의 원리를 이용하는 예에는


(K+ 저농도 )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해 보자.
+
(Na 고농도) Na+‒ K+ K
+
펌프

능동 수송
세포에서 확산과 삼투로 물질이 이동할 때에는 농도 기울기에 따라 에너지 사용 없이
물질이 이동한다. 그러나 세포는 농도 기울기를 거슬러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물질을 이동시키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물질 이동 방식을 능동 수송이라고 한다. 능동
+
P 인산 P
세포 안팎의 Na
안쪽 주요 이온 수송은 운반체 단백질을 통해 일어나며, 세포가
ATP 에너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적혈구 세포막에 있는 Na^+-K^+ 펌프는 |그림Ⅱ- 36|과 같이 ATP를 사
세포(적혈구) + P
+
(Na 저농도) ADP (K 고농도)
농도

Na^+ 15 mM 150 mM 용하여 Na^+은 세포 밖으로, K^+은 세포 안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말미암아 적혈구는
이온 세포 안 세포 밖

K^+ 140 mM 5 mM Na^+ 농도를 혈장보다 훨씬 낮게, K^+ 농도를 혈장보다 훨씬 높게 유지할 수 있다.

| 그림Ⅱ-36 | Na^+-K^+ 펌프의 작동 과정 Q 세포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Na^+-K^+ 펌프를 작동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세포 바깥쪽 (K+ 저농도) K


+
+
(Na 고농도) Na+‒ K+
펌프

P 인산 P
세포 안쪽 Na+ ATP
+ + Pi
(Na 저농도) ADP (K 고농도)
Na ^+- K ^+ 펌프에 세포+ 안쪽에 ATP가 사용되어 Na^+-K ^+ 펌프 Na^+-K^+ 펌프에 세포 바깥쪽에 Na^+- K^+ 펌프의 구조가 원래대

Na+‒^+K+ 펌프에 결합한다.


있는 Na 의 구조가 바뀌고, Na^+이 세포 +바깥 있는 K+^+이 +결합한다. 로 돌아가고, K^+이 세포
ATP 가 사용되어 Na + ‒ K + +
세포 안쪽에 있는 Na 이 세포 바깥쪽에 있는 K 이 Na+‒ K+ 펌프의 구조가 원래
이 결합한다. + 안쪽으로
펌프의 구조가 바뀌고, Na 이 Na ‒ K 펌프에 결합한다. 대로 돌아가고, K 이 세포
쪽으로
세포 방출된다.
바깥쪽으로 방출된다. 들어온다.
안쪽으로 들어온다.

050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0 17. 12. 5. 오후 12:16


이 외에도 능동 수송은 소장에서의 양분 흡수, 세뇨관에서의 포도당과 아미노산 재흡수,
뿌리털에서의 무기 양분 흡수, 신경 세포에서의 막전위 유지 등 다양한 생명 활동에
관여한다.

세포내 섭취와 세포외 배출


단백질과 같이 크기가 큰 물질은 확산이나 능동 수송으로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다.
세포는 이런 물질들을 막으로 둘러싸 소낭을 만들어 세포 안팎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물질 이동 방식에는 |그림Ⅱ- 37|과 같은 세포내 섭취와 세포외 배출이 있으며, 이들
작용에는 에너지가 사용된다.
세포내 섭취는 세포 밖의 물질을 세포막으로 감싸 소낭을 만들어 세포 안으로 끌어들
이는 물질 이동 방식으로, 식세포 작용과 음세포 작용이 있다. 식세포 작용은 체내로 침입한
미생물과 같이 크기가 큰 고체 물질을 세포 안으로 끌어들일 때 일어난다. 백혈구는 식세포
작용으로 먹이를 세포 안으로 이동시킨 후 리소좀으로 소화한다. 음세포 작용은 액체에

0.5 µm
녹아 있는 물질을 세포 안으로 이동시킬 때 일어난다. 모세 혈관 벽을 구성하는 세포는
음세포 작용으로 혈액에서 액체 성분을 흡수한다. ▲ 식세포 작용으로 세균을 끌어들
이는 백혈구(SEM, 채색)
세포외 배출은 세포 안에 있는 소낭이 세포막과 융합하면서 소낭 속의 물질을 세포
밖으로 내보내는 물질 이동 방식이다. 세포외 배출은 세포가 노폐물이나 세포 안에서
합성한 물질을 세포 밖으로 분비할 때 주로 일어난다. 이자 세포에서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할 때, 뉴런의 축삭 돌기 말단에서 시냅스 틈으로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할 때 세포외
배출이 일어난다.

| 그림Ⅱ-37 | 세포내 섭취와 세포외 배출

세포내 섭취 세포외 배출

식세포 작용
세포 안에서
합성된 물질
크기가 큰
고체 물질

소낭
형성 운반 소낭

액체에 운반 소낭과
세포막
녹아 세포막 융합
있는 물질
소낭
형성

소낭 속의
세포막 물질 배출
음세포 작용

03.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051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1 17. 12. 5. 오후 12:16


과학적 탐구 능력•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리포솜의 활용 사례 조사하기
목표 | 리포솜이 활용되는 사례를 조사하여 토의할 수 있다.
조사 · 토의

문제 인식 리포솜은 세포막의 주성분인 인지질로 만든 인공


구조물로, 우리 생활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리포솜의 특성은
인지질
무엇이며, 리포솜은 어떤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을까? 2중층

탐구 과정
▲ 리포솜
1. 리포솜이 우리 생활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조사해 보자.

• 리포솜의 특성
조사 내용 • 리포솜이 활용되는 사례
• 리포솜을 활용하는 것의 이점

2. 조사한 내용을 보고서로 만들어 보자.

정리

1. 리포솜 막과 세포막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자.


2. 조사한 리포솜의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리포솜 활용의 실용성과
타당성을 토의해 보자.

평가하기
▢ ‌탐구 목표에 맞게 자료를 충실히 조사하였는가?
▢ ‌인성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적극적으로 토의하였는가?

1.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성분 두 가지는 무엇인가? 만족


세포막의 구조와 특성을 설명할
2. 단순 확산과 촉진 확산의 차이점을 쓰시오. 수 있는가?
보통
노력
3. 사람의 적혈구와 양파 표피 세포를 각각 증류수에 넣어 두면 시간이 지나면서 적혈구에서는
세포막을 통한 물질 출입 현상 만족
( ) 현상이 일어나고, 양파 표피 세포에서는 ( ) 현상이 일어난다. 을 이해하고, 확산, 삼투, 능동 보통

4. 세포가 농도 기울기를 거슬러 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수송을 설명할 수 있는가? 노력

052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2 17. 12. 5. 오후 12:16


과학적 사고력과
생활 속
과학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체내의 염분을 능동적으로 배출하는

바닷새

바다에서 풍랑을 만나 오랫동안 표류하다가 살아남은 사람들의 무용담에는 빗물을 받아 마셨


다는 내용이 등장하곤 한다. 사람은 목이 타들어 가는 고통 속에서도 왜 바닷물을 마시면 안
될까?
사람이 바닷물을 마셨을 때 섭취한 염분을 체내에서 모두 제거하려면 오줌을 매우 높은 농도로
농축해야 하지만, 사람에게는 그런 능력이 없다. 사람의 콩팥은 오줌 1 L당 최대 6 g의 Na^+을
혈액에서 제거할 수 있으나 바닷물 속에는 1 L당 12 g의 Na^+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바닷물을
마시면 섭취한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콩팥은 많은 양의 물을 오줌으로 내보내야 한다. 그 결과
체내 수분량이 모자라 탈수가 일어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한편, 바다에 사는 파충류와 조류는 물을 얻기 위해 바닷물을 마신다. 그러나 이 동물들 역시
바닷물에서 염분을 걸러 오줌으로 배출하는 기능은 없다. 그러면 이 동물들은 바닷물로 섭취한
염분을 어떻게 제거할까?
바다에 사는 파충류와 조류는 일반적으로 눈이나 코 가까이에 고농도의 염분을 능동적으로 분
비하는 염분샘이 있어 섭취한 염분의 약 80 %를 제거한다. 염분샘을 이루는 상피 세포의 막에는
Na^+-K^+ 펌프와 Cl^- 통로 단백질 등이 있어 이들의 작용으로 혈액 속의 염화 나트륨(NaCl)이
상피를 가로질러 염분샘으로 이동한다. 염분샘 덕분에 이 동물들은 바닷물을 마셔도 탈수되지
않고 살 수 있다.

조사하고 글쓰기

● 생물의 체액 삼투압 조절 기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해 보자.

● 바닷새가 마신 바닷물과 함께 장으로 들어온 염분이 염분샘으로 분비되기까지의 과정을 능동 수송과


삼투를 포함하여 글로 써 보자.

03.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053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3 17. 12. 5. 오후 12:16


― 공학 ― 예
술 술


과학

수학
세포 소기관 관련 질환에 대한

기사 작성하기
세포가 정상적으로 생명 활동을 수행하려면 모든 세포 소기관이 제 기능을 정확하게 해내야 한다. 만일 사람에서
세포 소기관의 기능에 결함이 생기면 여러 가지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세포 소기관의 결함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조사하고, 과학 전문 기자가 되어 조사한 내용을 기사로 작성해 보자.

미토콘드리아 관련 질환 미토콘드리아 결함과 관련된 대부분의 질환은 근육 조직이나 신경 조직에 그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근육 조직이나 신경 조직에서 ATP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
진다. 또 미토콘드리아에는 독자적인 DNA가 있는데, 이 DNA에 이상이 생기면 미토콘드리아 결함으로
이어져 여러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관련 질환으로는 미토콘드리아성 뇌병증, 미토콘드리아
성 근육증, 리 증후군, 레버 시신경 위축증 등이 있다.

리소좀 관련 질환 리소좀은 다양한 가수 분해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세포 구성 요소나


노폐물을 분해하여 세포가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리소좀에 있어야 할 특정 가수 분해 효소가
결핍되면 이 효소가 분해하는 물질이 세포 안에 과잉 축적되면서 여러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리소좀 관련
질환으로는 고셰병, 파브리병, 테이·삭스병 등이 있다.

페르옥시솜 관련 질환 페르옥시솜(peroxisome)은 단일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세포 소기관


이다. 페르옥시솜에는 카탈레이스가 있어 세포에서 생성된, 독성이 강한 과산화 수소를 분해한다. 또 페르옥
시솜에는 지방산 분해 효소가 있어 긴 사슬 지방산을 짧은 사슬 지방산
으로 분해한다. 페르옥시솜에 있어야 할 특정 효소가
결핍되면 긴 사슬 지방산이 축적되어 여러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페르옥시솜 관련 질환으로는 젤웨
거 증후군, 신생아형 부신 백질 이영양증, 영아형 레
프섬병 등이 있다.

페르옥시솜

0.3 µm
미토콘드리아

054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4 17. 12. 5. 오후 12:16


계획 세우기 1. 4명~5명이 모둠을 이루고, 모둠별로 어느 질환을 조사할지 정해 보자.

2. 선택한 질환을 세포 소기관의 기능과 관련지어 조사해 보자.


•질환의 원인       •질환의 증상      •질환의 치료 방법

산출물 제작하기 3.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사를 작성해 보자.


❶ 독자 정하기: 누가 기사를 읽을 것인지 고려한다.
❷ 기사의 종류 정하기
•보도 기사: 사실을 전달한다.
•해설 기사: 어떤 사건이나 사실의 내용을 알기 쉽게 풀어 설명한다.
•‌면담(인터뷰) 기사: 기자와 상대자의 일문일답 방식, 상대자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하는 방식이 있다.
•‌논설: 개인의 주관이 반영되는 글로, 사실에
근거한 논리 전개가 핵심이다.

❸ 기사 작성하기
•‌기사는 보통 육하원칙(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따라 쓰며, 필요
하면 일부 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사진, 표 등의 자료를 인용할 경우
출처를 밝혀 신뢰성을 높인다.

발표 및 평가하기 4. 모둠별로 작성한 기사를 전시해 보자.

5. 다음 표를 활용하여 평가해 보자.


평가 내용 1모둠 2모둠 3모둠
기사의 내용 구성이 적절한가?
산출물
기사의 내용이 독자에게 잘 전달되도록 기사를 작성하였는가?
태도 모둠원이 협력하여 기사를 작성하였는가?

03.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055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5 17. 12. 5. 오후 12:16


04
•효소의 작용을 활성화 에너지와 기질 특이성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온도와 pH가 효소의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험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유에는 영양소가 고루 들어 있어 어릴 때부터 우유를 많이


섭취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우유를 마셔도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어떤 사람은 우유를 마시면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한다. 왜 그럴까?

1 효소의 작용과 특성

효소의 작용
생명체에서는 물질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거나 필요한 물질을 합성하는 화학 반응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통틀어 물질대사라고 한다.

화학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응물의 에너지가 일정 크기 이상 되어야 하는데,


촉매 반응이 일어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활성화 에너지라고 한다. 세포에
화학 반응 전후에 자신은 변하지
있는 물질이 가지는 에너지는 대부분 활성화 에너지보다 작으며, 외부에서 에너지를
않고, 활성화 에너지를 높이거나
낮추어 반응 속도를 변하게 하는 공급받을 수도 없다. 그런데도 세포에서 물질대사가 원활하게 일어나는 것은 생체 촉매인
물질이다. 생명체에서는 효소가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그림Ⅱ- 38|과 같이 효소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이 빠르게
촉매로 작용하여 화학 반응이
일어나므로 효소를 생체 촉매라 일어나게 한다.
고도 한다.

| 그림Ⅱ-38 | 효소와 활성화 에너지 효소가 있으면 효소가 없을 때에 비해 활성화 에너지가 낮아져 반응이 촉진된다.

Q ‌효소의 유무에 따라 반응열이 달라지는가?


에너지

에너지

활성화 에너지
활성화 에너지

반응물 반응물
반응열 반응열

생성물 생성물

O O
반응의 진행 반응의 진행

▲ 효소가 없을 때 ▲ 효소가 있을 때

056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6 17. 12. 5. 오후 12:16


효소의 특성
효소는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과정에서 반응물과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낮춘다. 이때 효소와 결합하는 반응물을 기질이라고 하며, 기질이 결합하는 효소의 특정
부위를 활성 부위라고 한다.
|그림Ⅱ- 39|와 같이 효소는 기질과 결합하여 효소·기질 복합체를 형성하는데, 효소와
기질이 결합하고 있는 동안 기질이 생성물로 변한다. 화학 반응이 끝나면 효소는 생성물과
분리되고, 분리된 효소는 다시 새로운 기질과 결합하여 촉매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효소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므로 적은 양으로도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기질
기질 생성물

활성 부위 기질

효소
효소 효소
효소 · 기질 복합체

효소에는
효소에는기질과
기질과결합하는
결합하는활성활성
부위 효소는
효소는 효소 · 기질 복합체를 형성 반응이
반응이끝나면
끝나면효소는
효소는생성물과 분리
생성물과
부위가
가 있다.있다. 활성화 에너지를
하여 활성화 에너지를낮춘다.
낮춘다. 분리된다.
된다.

생성물과
생성물과분리된
분리된효소는
효소는다시
다시 사용된다.
사용된다.

| 그림Ⅱ-39 | 효소의 작용
효소와 기질의 결합
효소와 기질이 결합하기 전부터
효소의 주성분인 단백질은 고유한 입체 구조로 되어 있어, 효소는 |그림Ⅱ- 40|과 같이
효소 활성 부위의 구조가 기질의
활성 부위와 입체 구조가 들어맞는 기질과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밀레이스는 입체 구조와 완벽하게 맞는 것은
아니다. 효소의 활성 부위에 어느
녹말과 결합하여 녹말을 엿당으로 분해할 수 있지만, 다른 영양소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정도 맞는 기질이 결합하면 활성
이와 같이 효소가 특정 기질하고만 결합하여 작용하는 특성을 기질 특이성이라고 한다. 부위의 구조가 기질과 꼭 들어
맞도록 변한다. 이는 악수할 때
물질대사는 여러 단계를 거쳐 일어나며, 각 단계마다 기질이 다르다. 따라서 생물이 서로 손을 잡은 후 꼭 쥐는 것에
물질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효소가 필요하다. 비유할 수 있다.

효소
| 그림Ⅱ-40 | 효소의 기질 특이성 효소는 활성 부위와 입체 구조가 들어맞는 기질과만 결합한다.

활성 부위에 활성
들어맞는 기질 부위
기질
효소 · 기질 복합체를
형성한다.

활성 부위에
들어맞지 않는
물질
효소 효소 · 기질 복합체를
형성하지 못한다.

04. 효소 057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7 17. 12. 5. 오후 12:16


2 효소의 구성
효소를 구성하는 주성분은 단백질이며, 아밀레이스와 같은 소화 효소는 단백질로만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단백질이 아닌 다른 물질이 결합해야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있다. 이러한 효소에서 단백질 부분을 주효소라고 하고, 비단백질 부분을
보조 인자라고 하며, 주효소에 보조 인자가 결합하여 완전한 기능을 나타내는 효소를
전효소라고 한다.

기질
보조 인자

주효소 전효소 효소 · 기질 복합체

| 그림Ⅱ-41 | 효소의 구성

일반적으로 보조 인자는 주효소에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활성 부위의 구조를 기질과


결합하기 적합한 형태로 만든다. 보조 인자에는 철 이온(Fe^2^+), 마그네슘 이온(Mg^2^+)
조효소 검색

같은 금속 이온과, 비타민 B_1과 같은 유기 화합물로 된 조효소가 있다. 조효소는 주효소


에 비해 작고 열에 강하며, 조효소 하나가 여러 가지 주효소의 작용에 관여한다.

3 효소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효소가 촉매하는 화학 반응의 속도는 반응이 일어나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효소의 반응 속도는 기질의 농도에 따라 다르다. 효소는 기질과 결합하여 촉매 작용을
하므로 효소  기질 복합체의 양이 많을수
기질
록 반응 속도가 빠르다.
효소의 농도가 일정할 때 기질의 농도에 효소

따른 효소의 반응 속도는 |그림Ⅱ- 42|와


같이 처음에는 기질의 농도에 비례하여 빨
반응 속도

라진다. 이는 기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효소·기질 복합체를 형성하는 빈도가 높아
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질의 농도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모든 효소가 기질과 결합
O
하여 반응 속도가 더 이상 빨라지지 않고 기질의 농도

일정해진다. | 그림Ⅱ-42 | 기질의 농도에 따른 효소의 반응 속도

058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8 17. 12. 5. 오후 12:16


반응 속도

반응 속도
모든 효소의 최적 온도는 같을까?
펩신 아밀레이스 트립신 효소의 최적 온도는 서식 환경의
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온천

의 효소는 최적 온도가 80 °C가


수와 같이 뜨거운 곳에 사는 세균

효소는 최적 온도가 15 °C 정도
넘고, 차가운 곳에 사는 세균의
최적
온도
이다.
0 10 20 30 40 0 2 4 6 8 10
온도(ºC) pH

| 그림Ⅱ-43 | 온도와 pH에 따른 효소의 반응 속도 효소는 최적 온도와 최적 pH에서 활성이 가장 높으며,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반응 속도가 급감한다.

효소의 작용은 온도와 pH의 영향도 받는다. 이는 효소의 주성분인 단백질의 입체


구조가 열과 pH에 따라 쉽게 변하기 때문이다. 효소의 입체 구조가 변하면 효소는 기질과
결합하기 어려우므로 반응 속도가 느려지거나 촉매 기능을 잃는다.
효소의 활성이 가장 높아 반응 속도가 최대가 되는 온도와 pH를 각각 최적 온도와 최적
pH라고 한다. 우리 몸에 있는 효소의 최적 온도는 체온 범위인 35 °C∼40 °C이며, 이보
다 높은 온도에서는 효소가 변성되어 반응 속도가 급격하게 느려진다. 효소의 최적 pH
는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효소는 대부분 pH 7의 중성 부근에서 활성이 높지만, 펩신
은 pH 2의 강한 산성에서 활성이 높다.

창의력 키우기 효소는 최적 온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는 활성이 낮아 반응 속도가 느리다. 저온과 고온

에서 효소의 반응 속도가 느린 까닭을 생각해 보자.

자료실 효소의 저해제

효소와 결합하여 효소의 촉매 작용을 방해하는 물질을 저해제


기질 기질
라고 한다. 저해제는 효소의 어느 부위에 결합하느냐에 따라서
경쟁적
활성 부위의
경쟁적 저해제와 비경쟁적 저해제로 구분된다. 저해제
구조 변형
경쟁적 저해제는 입체 구조가 기질과 유사하여 효소의 활성
부위에 기질과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효소의 작용을 저해한다.
효소 효소
이때 기질의 농도가 높아지면 저해 효과가 줄어든다.
비경쟁적 저해제는 활성 부위가 아닌 효소의 다른 부위에 비경쟁적
저해제
결합하여 활성 부위의 구조를 변형함으로써 기질이 결합하지
못하게 한다. 이때에는 기질의 농도가 높아지더라도 저해 효과 경쟁적 저해제 경쟁적 저해제가 비경쟁적 저해제 비경쟁적 저해제가
활성 부위에 결합하면 기질이 결합 효소에 결합하면 활성 부위의 구조가
는 줄어들지 않는다.
할 수 없다. 변형되어 기질이 결합할 수 없다.
저해제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지만, 어떤 저해제는 물질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또 어떤 저해제는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약품으로 이용된다.

04. 효소 059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59 17. 12. 5. 오후 12:16


과학적 탐구 능력•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효소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알아보기


목표 | 효소의 작용을 알아보는 실험을 설계 · 수행하여 온도와 pH에 따라 효소의 활성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실험

문제 인식 효소의 작용은 온도와 pH의 영향을 받는다. 카탈레이스의 활성이 온도와 pH에

감자, 3 % 과산화 수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까?

소수, 10 % 염산 수용액, 10 %
준비물 |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뜨거운 물, 가설 설정


얼음, 비커, 온도계, pH 검사지,
온도와 pH에 따라 카탈레이스의 활성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 예상하여 가설을 세운다.
강판, 거름종이, 핀셋, 가위,
초시계, 보안경, 실험용 장갑

탐구 설계 및 수행

1. 설정한 가설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한다. 이때 고려할 변인은 무엇인지 생각하고,


실험 방법 예시를 참고한다.

• 조작변인은 무엇이며, 어떤 방법으로 다르게 할 것인가?


고려할
• 종속변인은 무엇이며, 어떤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가?
변인
• 실험을 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통제 변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감자즙을 묻힌 거름종이를 과산화 수소


과산화
평가하기 수에 넣으면 감자즙에 들어 있는 카탈레 수소수
실험 방법
이스가 과산화 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
▢ ‌가설을 타당하게 설정하여 예시
하며, 이때 발생하는 산소 기포 때문에 감자즙을
그에 맞게 탐구를 설계하고 묻힌 거름종이
수행하였는가? 거름종이가 떠오른다.
▢ ‌탐구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나타내고 타당하게 해석하였 2. 모둠원의 역할을 나누고 설계한 방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한다.
는가? 안전!  실험을 하는 동안 과산화 수소수가 피부에 닿지 않게 한다.

▢ ‌인성 모둠원과 협력하여 주의!  한 비커의 과산화 수소수로 같은 실험을 반복하면 과산화 수소수의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탐구를 수행하였는가?
3. 실험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나타낸다.

결과 및 정리

1. 실험 결과 감자에 들어 있는 카탈레이스의 작용이 가장


활발한 온도와 pH는 각각 얼마인가?

2. 실험 결과가 가설과 일치하는가? 만일 일치하지 않는


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 토의해 보자.

3. 이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을 이야


기해 보자.

060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0 17. 12. 5. 오후 12:17


4 효소의 종류와 이용
생명체에서는 많은 물질대사가 일어나며, 이에 관여하는 효소도 다양하여 사람의 몸
에서 발견된 효소만 해도 2700여 종류에 이른다. 효소는 촉매하는 반응의 종류에 따라
|표Ⅱ- 1|과 같이 6가지로 분류한다.

| 표Ⅱ-1 | 효소의 종류

종류 작용
수소나 산소 원자 또는 전자를 다른 분자에 전달하여 산화 환원 반응에 관여
산화 환원 효소 한다.
H2 + H2
H + H
기질의 ●작용기를
2 2
NH + 떼어 다른 분자로 옮겨+
준다. NH2 작용기
2
전이 효소 H2 + H2
NH2 + + NH2 화학 반응에 동시에 관여하는
+ H2O H+ OH
 아미노기(-NH_2), 카복실기
NH2 + + NH2 몇 개의 원자 집단
물 분자를 H
첨가하여 + 기질을
H2O 분해한다.
+ H2 H+ OH
(-COOH) 등
2
가수 분해 효소 +
H2 + H2O + H2 H+ OH
NH2 + +작용기 + NH2
H2
가수 분해나 H2
+작용기
NH2산화가+ 일어나지 +않고 기질에서 + 작용기를
NH2 떼어 내거나 기질에 작
+ H2O H+ OH
용기를 붙인다. 작용기
부가 제거 효소 NH2 + + NH2
+ H2ATP
O ADP + Pi H + OH
+
+ ATP
+ H2O ADP
작용기+ P i H+ OH
+
+ ATP ADP + Pi
기질의 분자 구조를 변형하여작용기 성질이 다른 물질로 바꾼다.
+ +
이성질화 효소
작용기
ATP ADP + Pi
+ ATP ADP + Pi
에너지를 사용하여 두 분자를 연결한다.
연결 효소 + ATP ADP + Pi
+

|그림Ⅱ-44| 효소의 이용
인류는 효소의 존재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전부터 생활에
◀ 의약품
효소를 이용하였다.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에서 포도주와
빵을 만든 것이나 우리 조상들이 된장, 김치, 젓갈과 같은 ▼ 생활용품

발효 식품을 만들어 온 것도 미생물의 효소를 이용한 것


이다.
19세기에 효소의 존재가 밝혀지고, 효소가 생명체 밖에
서도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효소는 본격적으로
산업에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효소는 화학 공업, 환경 산업,
의학, 생명 공학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다양한 분
야에서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발효 식품 ▶

04. 효소 061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1 17. 12. 5. 오후 12:17


과학적 탐구 능력•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생활 속에서 효소를 이용한 사례 조사하기


목표 | 일상생활에서 효소를 이용하는 사례를 조사하여 효소의 다양한 쓰임을 발표할 수 있다.
조사 · 발표

문제 인식 얼룩진 청바지를 만들 때 청바지를 돌에 문질러서


만들기도 하지만, 효소를 첨가하여 가공하기도 한다. 청바지
가공처럼 생활 속에서 효소를 이용한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탐구 과정

1. 생활 속에서 효소를 이용한 사례를 모둠별로 조사해 보자.

• 식품 가공, 의약품 · 생활용품 생산, 섬유 산업 등에서 효소를 이용한 사례


조사 내용 • 사례에 이용된 효소의 종류
• 사례에서 효소를 이용하는 것의 장점 또는 기대 효과

2. 조사한 사례를 보고서로 만들어 발표해 보자. 발표자는 효소가 자기 자신의 역할을 말하
는 것처럼 설명해 보자.

정리

1. 모둠별 발표를 듣고 생활 속에서 효소를 이용한 사례를 정리해 보자.


2. 발표 내용에 대해 평가해 보자.

평가 내용 1모둠 2모둠 3모둠


내용은 충실하며 과학적으로 타당한가?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명확하게 전달하였는가?
모둠원이 협력하여 탐구를 수행하였는가?

1. 화학 반응이 일어나게 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효소의 작용을 활성화 에너지와 만족
기질 특이성 중심으로 설명할 보통
수 있는가? 노력
2. 효소가 특정 기질하고만 결합하여 작용하는 특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온도와 pH가 효소의 작용에 영 만족
향을 미칠 수 있음을 설명할 수 보통

3. 기질의 농도 이외에 효소의 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두 가지 쓰시오. 있는가? 노력

062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2 17. 12. 5. 오후 12:17


스스로
마무리하기 지금까지 배운 학습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고, 자신의 실력을 평가해 보자.

II.  세포의 특성

01. 생물의 구성 23쪽~29쪽 02. 세포의 구조와 기능 30쪽~43쪽

1. 생명체의 유기적 구성 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비교

동물체의 구성 단계 식물체의 구성 단계 구분 유전 물질 핵막 리보솜 막성 세포 소기관


세포 → 조직 → 기관 → 기관 세포 → 조직 → ❶ 원핵세포 있다. 없다. 있다. 없다.
계 → 개체 → 기관 → 개체
진핵세포 있다. 있다. 있다. 있다.

2.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 물질
2. 세포 소기관의 구조와 기능
• 단백질: 생명체를 구성하는 주성분이며, 물질대사와 생리
동물 단백질 합성 세포의 식물
작용의 조절(효소와 호르몬의 성분), 외부 물질 방어(항체) 세포 생명 활동 조절
세포

등의 역할을 한다. ❺ 핵 액포
• ❷ : 에너지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크게 단 세포막

당류, 이당류, 다당류로 구분한다. ❻

• 지질: 중성 지방은 저장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인지질은 생체 세포 물질 수송의


통로 역할 세포벽
막의 주요 성분이며,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의 구성 성분이다.
골지체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 핵산: ❸ 는 유전 정보를 저장하며, ❹ 는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단백질의
유전 정보를 전달하고 단백질 합성 과정에 관여한다. 가공과 분비 세포 호흡 광합성

03.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44쪽~55쪽 04. 효소 56쪽~62쪽

1. 확산: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분자가 이동하는 현 1. 효소의 작용과 특성

• 단순 확산: 물질이 인지질 2중층을 직접 통과한다.


상으로,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다. • 효소는 ❾ 를 낮추어 물질대사를 촉진한다.
• ❿ : 효소는 활성 부위의 입체 구조에 들어맞는
• 촉진 확산: 물질이 수송 단백질을 통해 이동한다. 기질과만 결합한다.
2. 삼투: 반투과성 막을 경계로 물의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생성물
기질
쪽으로 확산하는 현상으로,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다. 활성 부위
• 식물 세포의 삼투: 식물 세포를 고장액에 넣으면 ❼ 기질 효소
효소
가 일어나고, 저장액에 넣으면 팽윤이 일어난다. 효소 · 기질 복합체

• 동물 세포의 삼투: 동물 세포를 고장액에 넣으면 부피가


줄어들고, 저장액에 넣으면 용혈이 일어난다. 2. 효소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❽ : 운반체 단백질을 통해 농도 기울기를 거슬러 • 효소의 농도가 일정할 때 기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
물질을 운반하는 것으로, 에너지가 소비된다. 속도가 증가하다가 기질의 농도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반

• 우리 몸에 있는 효소의 최적 온도는 35 °C∼40 °C이며,


4. 세포내 섭취와 세포외 배출: 세포가 물질을 막으로 둘러싸 응 속도가 일정해진다.
소낭을 만들어 세포 안팎으로 이동시키는 물질 이동 방식
으로, 에너지가 소비된다. 최적 pH는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 ❶ 조직계 ❷ 탄수화물 ❸ DNA ❹ RNA ❺ 리보솜 ❻ 소포체 ❼ 원형질 분리 ❽ 능동 수송 ❾ 활성화 에너지 ❿ 기질 특이성

스스로 마무리하기 063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3 17. 12. 5. 오후 12:17


스스로
마무리하기

1단계·개념 적용

01. 그림은 소화에 관여하는 여러 기관을 나타낸 것이다. 04. 그림은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모습을 순서 없이 나타
낸 것이다.

쓸개 위

이자

소장 대장

(가) (나)

이와 같이 연관된 기능을 하는 여러 기관이 모여 이루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지는 동물체의 구성 단계를 쓰시오. ① (가)는 원형의 DNA를 가진다.


② (가)에서는 유전 물질이 막으로 싸여 있다.
③ (나)의 세포벽은 셀룰로스가 주성분이다.
02. 단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④ (나)에는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이 있다.
① 성호르몬의 주성분이다. ⑤ (가)와 (나)에는 모두 세포막과 리보솜이 있다.

③ 폴리펩타이드 1개로만 구성된다.


② 단위체는 뉴클레오타이드이다.

④ ‌단위체가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⑤ 단백질의 기능은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03.
침전물 A∼C에는 각각 핵, 리보솜, 미토콘드리아 중
그림은 동물 세포의 세포 분획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하나가 있다.
20000
20분
150000
180분
05. 그림은 동물 세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1000 E
10분
상층액
세포 상층액
혼합물
A
침전물 A 침전물 B 침전물 C
D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B C

ㄱ. A
‌ 보다 C에 있는 세포 소기관이 더 작고 가
보기

⑴ ‌독성 물질 해독과 칼슘 이온 저장에 관여하는 세


ㄴ. ‌A에 있는 세포 소기관은 메틸렌블루 용액에
볍다.
포 소기관의 기호와 이름을 쓰시오.

ㄷ. B
염색이 잘 된다.
⑵ ‌연결되지 않은 시스터나가 층층이 쌓인 구조로 분
‌ 에 있는 세포 소기관에서 세포 호흡이 일어
비 작용이 활발한 세포에 발달해 있는 세포 소기
난다.
관의 기호와 이름을 쓰시오.

064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4 17. 12. 5. 오후 12:17


06. 그림은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모습을 순서 없이 나 08. 그림은 고장액에 있던 식물 세포를 저장액에 넣었을 때
타낸 것이다. 식물 세포의 상대적 부피에 따른 삼투압과 팽압의 변화
를 나타낸 것이다.

압력 상(댓값
삼투압

)
(가) (나)
5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팽압
0
1.0 1.2 1.4
① 동물 세포에는 (가)가 없다. 세포의 상대적 부피

⑴ ‌세포의 상대적 부피가 1.4일 때의 흡수력을 구하


② (가)에서는 빛에너지가 화학 에너지로 전환된다.
③ ‌간세포나 근육 세포와 같이 에너지 소비가 큰 세
포에는 (가)가 특히 많이 들어 있다. 시오.
④ ‌(나)에서는 유기물의 화학 에너지가 ATP의 화학 ⑵ ‌세포의 상대적 부피가 1.0 미만일 때 세포막이
에너지로 전환된다.
⑤ ‌(가)와 (나)에는 모두 DNA와 리보솜이 있어 스스
세포벽에서 떨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로 복제하고 증식할 수 있다.

07. 그림은 진핵세포에서 관찰되는 세포 골격 세 종류를 나


타낸 것이다. 09. 그림은 체내에서 일어나는 어떤 화학 반응에서 효소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에너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에너지

A
(가) (나) (다)

⑴ (가)∼(다)의 이름을 각각 쓰시오.


B
반응물 D
C
⑵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생성물
는 대로 고르시오. O
반응의 진행
보기
ㄱ. (가)는 세포막 아래에 퍼져 있다. ⑴A
‌ ∼D 중 효소가 없을 때의 활성화 에너지를 쓰
ㄴ. (나)는 핵막의 유지에 관여한다. 시오.

⑵ A∼D 중 효소가 있을 때의 반응열을 쓰시오.


ㄷ. (다)는 섬모와 편모를 형성한다.

스스로 마무리하기 065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5 17. 12. 5. 오후 12:17


스스로
마무리하기

2단계·개념 심화

세포 Ⅰ∼Ⅲ을 방사성 동위 원소 ^3H로 표지된 아미노


10. 그림은 효소가 작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12. 표는 정상 세포와 세포 소기관에 이상이 생긴 돌연변이
A

로 옮겨 세포 소기관 A∼C와 세포 밖의 방사능 검출


산을 첨가한 배지에서 일정 동안 배양한 후, 정상 배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이다. 세포 소기관 A∼C는 각각 골


C

B 지체, 소포체, 리보솜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A B C
방사능 검출 여부
구분
고르시오. 세포 밖
정상 세포    

ㄱ. A는 B의 활성 부위에 결합한다. - - -
보기
세포Ⅰ
ㄴ. B는 한 번 사용하면 재사용하지 못한다.

-
ㄷ. ‌B의 농도가 일정할 때 A의 농도가 증가하면
세포Ⅱ   
세포 Ⅲ -   -
(: 방사능 검출됨, -: 방사능 검출 안 됨)
ㄹ. C가 형성되어야 활성화 에너지가 낮아진다.
반응 속도가 계속 증가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보기
ㄱ. 세포 Ⅱ는 소포체에 이상이 있다.
ㄴ. ‌세포 Ⅲ에서는 단백질이 합성되지 않는다.

C → B → A의 순으로 이동한다.
ㄷ. ‌정상 세포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세포 소기관

11. 그림은 사람의 소화 효소 A∼C의 pH에 따른 효소의

같은 조직에서 채취한 동물 세포 X와 Y를 그림 (가)와


반응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13.
같이 농도가 다른 두 용액 A와 B에 각각 넣고 시간에
반응 속도

A B C

따른 세포액의 삼투압 변화를 조사하였더니 그 결과가


그림 (나)와 같았다.
세포액의 삼투압
상(댓값 )

세포 X 세포 Y 세포 X
1.1
0 2 4 6 8 10
pH 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0.9


세포 Y
고르시오. 0
t
용액 A 용액 B 시간

ㄱ. ‌효소 A와 효소 B는 같은 소화 기관에서 작
보기
(가) (나)

⑴ ‌세포 X와 Y 중 부피가 처음보다 작아지는 것을


ㄴ. 효소 B와 효소 C의 최적 pH는 같다.
용한다.

ㄷ. ‌효소 A가 pH 7에서 작용하지 못하는 것은


쓰시오.

입체 구조가 변하기 때문이다.


⑵ t 시점에 세포 X와 Y에서의 세포막을 통한 물의
이동에 대해 설명하시오.

066 II. 세포의 특성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6 17. 12. 5. 오후 12:17


01. 그림은 세포 분획법을 이용하여 어떤 동물 세포의 세포 소기관을 단계적으로 분리하는 과정
을 나타낸 것이다. 침전물 A∼D에는 각각 핵, 리보솜, 세포막과 내부 막 조각, 미토콘드리
과학적 사고력 
과학적 탐구 능력

아 중 하나가 있다.

균질기
1000 20000 80000 150000
10분 20분 60분 3시간
얼음
조직
세포
균질기로 파쇄 원심 분리기 A B C D

침전액 A∼D에서 DNA 함량과 O_2 소비량을 조사하였을 때 각각의 양이 가장 많을 것으


로 생각되는 침전액의 기호를 쓰고, 그 까닭을 설명해 보자.

02. 그림은 어떤 세포에서 물질 A∼C가 농도에 따라 세포막

이동하는 양
을 통해 이동하는 양을 나타낸 것이다. 물질 A∼C 는
과학적 사고력  KCN 처리
과학적 탐구 능력 A B

각각 단순 확산, 촉진 확산, 능동 수송 중 하나의 방식으 C

로 이동하며, 물질 KCN은 세포 호흡 저해제이다. 물질


A∼C가 각각 어떤 방식으로 세포막을 통해 이동하는지 O
물질의 농도
쓰고, 그 까닭을 설명해 보자.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 03. 콩팥 질환으로 콩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을 동맥에 연결된 관
투석막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때 인공 콩팥을 이용하여 혈액에서 노폐물을 걸러 내
능력 는 혈액 투석을 한다. 그림은 반투과성 막인 투석막을
경계로 환자의 혈액과 투석액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정맥에 연결된 관
흐르게 하여 노폐물을 걸러 내는 인공 콩팥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신선한 사용한
투석액 투석액
⑴ ‌인공 콩팥에서 요소와 과잉의 물을 제거하는 원리
를 조사하여 설명해 보자.

⑵ ‌콩팥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정상인의 콩팥을 이식받는 것으로, 많은 콩팥 질환 환


자들이 장기 기증을 기다리고 있다. 콩팥 기증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발표해 보자.

과학적 탐구 능력  04. 싹튼 겉보리를 말려서 빻은 엿기름가루를 우려낸 물에 밥을 섞은 다음 따뜻한 곳에 1일∼2일


과학적 문제 해결력 정도 놓아 두면 식혜가 된다. 이 식혜를 끓여서 식힌 후 냉장고에 넣어 두면 오랫동안 음료
수로 마실 수 있다. 식혜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종류와 그 작용을 조사하여
글로 써 보자.

스스로 마무리하기 067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7 17. 12. 5. 오후 12:17


진로와
직업 생명 과학과 함께하는 직업의 세계

생명 과학의 한 분야인 세포 생물학에서는 세포 소기관의 구조 및 조직화, 세포의 생리적 특성, 세포의


대사 과정, 세포 주기, 세포와 환경의 상호 작용 등을 현미경 수준과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고, 여러 생명
현상을 세포의 성질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세포 생물학의 연구로 세포가 유전 정보를 어떻게 저장,
이용, 전달하는지 밝혀졌고, 우리 몸의 면역 체계와 신호 전달 체계 등도 알게 되었으며, 암과 노화 관련
연구도 발달하였다.
세포 생물학의 성과는 유전학, 생화학, 분자 생물학, 면역학 등 생명 과학의 다른 분야가 발달하는 데
기초가 된다, 의학 분야에서도 세포 생물학의 성과가 활용되어 왔으며, 앞으로는 세포 생물학이 유전 질
환, 노화, 암 등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에 더욱 이바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세포 생물학의 연구
는 농업 · 임업 · 수산업 · 축산업 분야에서 미지의 생물자원을 개발하는 데에도 활용되어 식량 문제 해결
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생명 과학 연구원

생명 과학 연구원은 생명의 본질을 밝히고 다양하고 복잡한 생명 현상을 탐구하는 사람으로,


연구 분야에 따라 인체 전문가, 동물 전문가, 미생물 전문가, 식물 전문가 등으로 구분한다. 생명
과학 연구원은 실험실에서 과학 기구를 이용하여 생물 표본을 연구하거나 자연에서 생물의 특징
과 행동을 관찰하여 생명체의 기원, 분포, 상호 관계 등을 조사한다. 또한 획득한 자료를 의학,
농업, 약품 제조 등의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획득한 자
료와 관련한 심화 연구를 한다.
생명 과학 연구원은 자연 법칙과 과학적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연구에 적용할 수 있
는 추론적 판단력이 필요하며, 생명 현상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관찰하는 능력과 논리적 사고
▼ 생물 연구
력, 분석력, 도전 정신 등을 두루 갖추어야 한다. 생명 과학 연구원이 되려면 일반적으로 생
명 과학과, 생명 공학과, 생체 공학과 등 관련 학과의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나 분야에 따라서는 대졸 정도의 학력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생명 과학 연구원은 주로 정부 출연 연구소, 기업 부설
연구소, 생명 공학 관련 벤처 기업으로 진출하며, 이
외에도 의약품 제조업체, 식품 제조업체, 화학제품 제
조업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인구의 노령화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유전자 산업 및 바이오 산업
의 성장에 힘입어 이 분야의 첨단 지식을 갖춘 전문 인력
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068 진로와 직업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8 17. 12. 5. 오후 12:17


세포 병리사
세포 병리사는 신체 여러 부위에서 얻은 세포를 검사하여 암을 포
함한 다양한 질병을 진단한다. 세포 병리사는 여러 종류의 증상이 없
는 암의 조기 선별 검사와 암의 진단을 위한 세포 검사를 한다.

서 2년 이상 경력을 쌓은 후 대한 세포 병리학회에서 주관하는 시험을 거쳐


세포 병리사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임상 병리사가 조직  세포 분야에

자격을 취득한다.
세포 병리사는 국내 종합 병원과 국공립 병원의 검사실이나 병리과 등에서 일할 수
있으며, 국제 세포 병리사 시험에 합격하면 다른 나라에서도 활동할 수 있다. ▲ 세포 검사

원예 종묘 기사

원예 종묘 기사는 식물의 재배를 연구하고 새로운 작물 품종을 개발


및 보급하는 사람이다. 원예 종묘 기사는 국립식량과학원과 국립원예특
작과학원 등에서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고, 작물의 재배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기온 등의 조건을 연구하여 개량된 품종을 생산한다.
원예 종묘 기사가 되려면 원예학, 작물 육종학, 작물 생리학, 토양학,
비료학 등을 배우고 종묘 생산 기술도 익혀야 한다.
이미 국내의 많은 종묘 회사가 외국 기업에게 팔렸고, 씨앗을 수입하는
데 많은 외화를 쓰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국내 농업 생산성과 농가 소득
▲ 품종 연구
을 높이려면 국산 종묘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므로 원예 종묘 기사의 수요
는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 일러스트레이터

의료 일러스트레이터는 의학 정보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사람이다. 의


료 일러스트레이터는 의료진이 수술 방법을 쉽고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
는 그림 자료를 만들거나 의학 지식이 부족한 환자가 수술이나 치료법,
수술 경과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그림 자료를 만든다. 또 의대생용
강의 자료를 개발하거나 의학 논문에 들어가는 삽화를 그리기도 한다.
의료 일러스트레이터가 되려면 생물학이나 미술을 전공하고 의과 대
학 해부학 실습실 등에서 수련을 거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전문 양성 과
정이 있는 외국으로 유학을 가기도 한다.
▲ 수술 삽화 제작
교육, 연구 분야뿐 아니라 의족  의수 등 인체 보조 기구 제작, 의학
관련 전자책 제작 등 의학 관련 삽화가 필요한 곳은 무궁무진하므로 전문성
을 갖춘 의료 일러스트레이터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진로와 직업 069

생명과학(교과서) Ⅱ-2단원(020~069)(3차수정).indd 69 17. 12. 5. 오후 12:1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