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공학생물학및실험(2)

2022141043 화공생명공학부 1 분반 2 조 김민정


1.
쥐 해부 실험 (2022/11/30)

2.
사람과 같은 포유류인 쥐를 해부하여 각 기관의 위치와 모양을 관찰하고 동물 실험에 쥐가 쓰이는
이유를 알아본다.

3.

4.

5.
1) 쥐는 인간과 같은 포유류이며 척추 동물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고 따라서 인체 구조가
비슷하다. 동시에 쥐는 크기가 작으며 내교배를 통해 유전자가 동일한 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점과 번식력이 좋다는 점에서 실험동물로 잘 쓰인다.

2) 포유 동물의 기관계는 골격계, 근육계, 생식계, 호흡계, 순환계, 피부계, 내분비계, 림프계, 신경계,
소화계, 배설계, 면역계로 총 12 가지다. 각각의 기능을 알아보면

골격계 – 뼈, 관절, 인대로 구성되어 몸통을 지지하고 장기를 보호하며, 사지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근육계 – 근육의 수축, 이완을 통해 힘을 만들고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체온을 유지하며 소화운동,
호흡운동, 심장 박동에도 사용된다.

생식계 – 다른 기관과 달리 성별에 따라 구조가 다르며, 생식에 관여하며 체액, 호르몬 등을 분비한다.

호흡계 – 외호흡에 관여하며 산소를 얻고 혈액 속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순환계 – 혈액이나 림프액을 통해 영양분이나 호르몬을 인체 부위로 운반한다. 가스 교환과 노폐물


배출도 담당한다.

피부계 – 항상성 유지와 보호를 담당하고 체온조절, 수분 보호, 감각수용기 포함, 노폐물 배출 등을
담당한다.

내분비계 – 호르몬을 혈액으로 분비하여 표적세포나 표적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

림프계 -조직액을 다시 혈액으로 보내거나 지방을 혈액으로 운반하고 병원체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신경계 – 자극에 대한 반응과 전달, 이를 통해 판단하고 명령하고 이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소화계 – 음식물을 부수고 분해하여 몸으로 흡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배설계 – 물질대사를 통해 생성된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면역계 – 외부 물질 침입에 대해 방어하며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자가 방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

6.
Campbell, Reece (2015), Biology, Pearson, 10th edition

‘기관계’, 동물학백과, 한국통합생물학회, https://m.terms.naver.com/list.naver?


cid=63057&categoryId=6305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