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일반 생물학 및 실험

1. Title : 생명에 대한 탐험- 생명의 다양성과 통일성: 원생생물 관찰


2. Date : 4월 5일 일요일
3. Object
생명의 다양성과 통일성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생명의 탐험에 필요한 현미경의 구조와 작동
원리,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배우고 다양한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에 대해 배운다.

4. Introduction
1. 현미경 (microscope)
현미경은 육안으로 관찰하기 힘든 작은 물체를 확대하여 관찰하는 실험기구로 생물학에서
는 필수 기기의 하나이다. 현미경은 배율과 해상력으로 성능이 구분되는데 배율이란 물체를
얼마나 확대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해상력이란 확대된 상이 얼마나 뚜렷하게 구별되
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1) 현미경의 종류
① 광학현미경 (light microscope, compound microscope)
- 시료를 얇은 박편 형태로 만들어 시표를 투과한 빛을 관찰, 주로 단편 관찰
② 입체현미경 (dissecting microscope, stereo microscope)
- 시료에 반사되어 나온 빛을 이용하여 입체 표면의 관찰에 사용
③ 편광현미경 (fluorescence microscope) - 광학적 이방성 조사에 사용
④ 한외현미경 (ultramicroscope) -분해율이 높아서 콜로이드 입자 등을 보는데 사용
⑤ 자외선현미경 (ultraviolet microscope) - 가시광선 대신 자외선을 사용
⑥ 위상차현미경 (phase contrast microscope)
- 피검체의 광학적 두께 차이에 의해 상에 생긴 명암으로 관찰
⑦ 전자현미경 (electron microscope) - 조명광선 대신 전자의 흐름을 이용
ⅰ)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ⅱ)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2) 현미경의 구조
① 대안렌즈 (Ocular lens)
② 경통 (Tube)
③ 대물렌즈 교환기 (Objective revolver)
④ 대물렌즈 (Objective lens)
⑤ 조동나사 (Macroscrew)
미동나사 (Microscrew)
⑥ 지지 손잡이 (Arm)
⑦ 재물대 (Stage)
⑧ 광원 (Lamp)
⑨ 집광기
⑩ 클립

3) 현미경 사용 시 유의사항
① 현미경 운반 시 항상 두 손을 사용하여 한 손은 바닥을 받쳐 주고 한 손은 손잡이를 잡

-1-
일반 생물학 및 실험

고 수평을 유지한다.
② 렌즈가 이상이 있을 경우 조교에게 말하고 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③ 현미경 관찰시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대물렌즈 교환기
를 돌려 렌즈를 저배율로 하고 조동나사를 돌려 대물렌즈를 최대한 재물대에 붙인
후 반납한다.
④ 현미경 관찰 시 조동, 미동나사 등 모든 기기를 무리하게 다루지 않는다.

4) 현미경 보는 법
① 재물대에 관찰할 slide glass를 놓고 slide glass와 대물렌즈가 거의 맞닿을 정도로
접근 시킨다. 이때 반드시 맨눈으로 보면서 조동나사를 움직여 slide glass와 대물렌
즈를 접근시킨다.
② 접안렌즈를 통해 보면서 조동나사를 이용하여 재물대를 천천히 내리면서 상을 찾는다.
상이 찾아지면 미동나사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초점을 맞춘다.
③ 저배율 관찰 후 고배율에서 관찰하고자 할 때는 대물렌즈교환기를 돌려 원하는 배율의
대물렌즈로 선택한 후 미동나사로 초점을 맞춰 관찰한다.
특정배율에서 초점을 맞추면 배율이 바뀌어도 초점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④ 왼눈으로 상을 보면서 오른 눈으로 스케치를 한다.
⑤ 빛이 통과한 상이므로 점으로 스케치 한다.

2. 원생생물계(Kingdom Protista()

Classification of Kingdom
Monera - unicellular prokaryotes What is Protista ?
Protista - unicellular eukaryotes ① Locomotion
Pseudopodium
Cilia
Flagella
② Digestion
Autotroph
Heterotroph - Phagotroph (Holozoic)
- Osmotroph (Saprozoic)
③ Respiration - Diffusion
④ Excretion & Osmoregulation
Cortractile vacuole - pump out excess water
⑤ Reproduction
Asexual - fission (binary and multiple)
Fungi - multicellular eukaryotes - budding
Plantae - photosynthetic eukaryotes Sexual - conjugation (Paramecium)
Animalia - motile eukaryotes

원생동물은 대부분 단세포상태로 살아가는 진핵생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세포기

-2-
일반 생물학 및 실험

동물성
편모충강

식물성 편모충강

관을 갖고 있다. 이런 세포기관에는 세포의 이동 및 먹이의 포획에 관여하는 위족


(pseudopodium), 섬모(cilium), 편모(flagellum)와 삼투압의 조절에 관여하는 수축포(contractile
vacuole), 세포내 소화기관인 식포(food vacuole), 및 세포구(cytostome)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종속영양생물(heterotroph)로 다른 미생물이나 고형영양물을 체내로 섭취하여 세포내소화를
하여 살아간다. 이들의 분류는 주로 이들의 운동방법, 즉 편모, 섬모, 또는 위족의 유무에 따
라 다음과 같이 크게 나눈다.

subkingdom Protozoa
Phylum Sarcomastigophora (육질편모충류)
; 편모 혹은 위족을 운동기관으로 갖는 원생동물로 편모충류와 아메바류로 크게
나눈다.
◉ subphylum Mastigophora - have flagella
◉ subphylum Opalinata - have cilia
◉ subphylum Sarcodina - have pseudopodia
Phylum Labyrinthomorpha
Phylum Apicomplexa (포자충류)
; 포자를 형성하여 번식, 하나 혹은 여러 개의 포자(종충: sporozoite)을 형성한다.
이들은 대개 편모와 섬모를 가지지 않고 기생하여 살아간다. - 말라리아 병원충.
Phylum Myxozoa
Phylum Microspora
Phylum Ascetospora
Phylum Ciliophora (섬모충류) - have cilia
; 원생동물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여기에 속하는 종류는 유사관계가 다른계에
비하여 크다. 이들은 섬모를 이용하여 운동하거나 음식물을 섭취한다. 대부분
세포구(cytostome)를 가지며 두 종의 핵을 가진다. 이중 거대핵(macronucleus)은 세포
대사에 관여하고 소핵(micronucleus)은 생식에 관여한다. - 짚신벌레
Diversity of Protozoa
약 7만여종의 원생동물들은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
주로 민물, 바다, 하수, 습한 토양, 많은 종의 동물의 체내 혹은 식물 내 에서 살아 갈 수 있
다.

5. Materials & Methods


짚신벌레(Paramecium), 유글레나(Euglena)아메바(Amoeba), 콜피디움(Colpidium), 스포이드,
Light Microscope, Slide, Cover-glass
일반 생물학 및 실험

① 원생생물샘플 한 방울을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slide glass 위에 떨어뜨린다.


② Cover glass를 덮고 저배율 → 고배율로 관찰한다.
③ 생물의 형태와 운동성을 관찰하여 스케치한다.
④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해 원생동물의 크기를 측정해 본다.
6. Data & Results
1) 관찰된 다양한 원생동물 스케치

X 200배 X 400배
크기 : 220μm 크기 : 50μm

배율은 실험 영상에서 현미경 관찰 시 사용한 배율로 작성했다. 첫 번째 사진은 아메바이고,


척도는 20μm이다. 아이패드로 화면을 최대로 키웠을 때 기준으로, 총 11칸 정도의 크기이므
로, 아메바의 크기는 20μm*11칸=220μm가 된다. 두 번째 사진은 유글레나로, 척도는 100μm
이다. 아이패드로 화면을 최대로 키웠을 때 기준으로, 척도의 절반 정도의 크기이므로 유글
레나의 크기는 100μm*1/2칸=50μm가 된다.

7. Discussion

원생동물을 관찰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생물은 생명의 구조와 기능의 단위인 세포로 구성
되어 있다. 세포는 새로운 세포를 만들 수 있고 다세포 생물의 성장을 위한 기본이 된다. 원
생동물은 간단한 구조로 진핵생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짚신벌레나 아메바처럼 분화가
쉬워 진핵생물 연구에 적합하다. 또, 식물, 동물, 균류와 함께 진핵생물에 속하며, 대부분 단
세포 상태로 살아가는 진핵생물이므로, 진핵생물의 진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여러 종류의 원생동물은 민물, 바다, 하수, 습한 토양, 많은 종의 동물이나
식물 내부 등 여러 환경에서 살아가며 생태계에 있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
을 한다. 따라서, 원생동물에 대한 관찰은 생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생김새, 다리의 모양 (섬모, 편모, 위족), 단세포/다세포, 엽록체의 유무, 운동성 등 분류기준
을 적용해 알려지지 않은 종을 동정해보았다.
일반 생물학 및 실험

이 생물은 회색이며, 앞부분은 둥글고 뒷부분은 원형으로 뾰족하여 짚신 모양을 이루고 있


다. 다리는 가지고 있지 않으며, 동물성 단세포 생물이다. 엽록체는 가지고 있지 않으며, 몸
전체에 균일하게 섬모라는 털이 자라 섬모를 이용하여 운동한다. 입은 몸의 중앙부에서 깔
때기 모양으로 열리며, 세균이나 작은 편모충류를 섬모 운동을 통해 물과 함께 잡아먹고 식
포를 형성하여 소화시킨다. 눈, 코와 같은 감각기관이 없고, 빛과 같은 자극에 적응하며 살
아간다. 또한, 삼투압의 조절에 관여하는 수축포를 가지고 있으며 중심에 대핵과 소핵 2가
지의 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이 생물은 짚신벌레인 것을 알 수
있다.

지구상에 이름이 붙여진 생물 종의 수를 예측하는 것은 과학자마다 계산법이 달라 그 수치


가 다양하다. 우선, 영국 옥스퍼드대 진화생물학자인 로버트 메이는 생물 피라미드를 이용해
숫자를 계산했다. 그는 육상동물의 몸집이 작아질수록 숫자는 오히려 늘어난다는 사실을 알
아내고, 인간과 포유류 등의 큰 동물 종의 숫자를 기반으로 작은 동물들의 규모를 예측했다.
지구상에는 이름이 붙여진 종이 170만 종 정도 된다고 예측했다. 다음으로, 이탈리아 로마대
연구진은 생물 분류법은 종-속-과-목-강-문-계의 단계를 따르며, 상위그룹으로 갈수록 숫자가
줄어들어 전체는 피라미드 모양을 이룬다는 생물분류체계를 이용해 이탈리아 내 식물의 다
양성을 추산해냈다. 3개의 장소에서 속과 과의 숫자를 기록한 후 비례에 따라 어림값을 예
측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계산법을 이용해 1750년부터 지금까지 발견된 숫자를 토대로 870
만 종이라는 결과값을 산출했다. 나는 두 가지의 이론 중 로버트 메이의 계산법이 옳다고
생각한다. 과학자인 앤서니 C. 재네터스는 멸종은 대부분 종에 이름이 붙여지고 모양이 설
명되기 전에 일어난다고 말했는데, 이 말에 동의해 870만 종 보다는 이름이 붙여진 생물 종
의 수가 적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베트남전에서 미국의 무차별 폭격을 받은 베트남의
한 지역에서 새로운 종의 사슴과 야생돼지가 발견되기는 했지만, 육상에서는 이제 새로운
종류의 포유류가 발견될 가능성은 거의 없고, 미국 남부에서 상아 부리 딱따구리가 다시 나
타난 것처럼 멸종되었다고 여겨졌던 새들이 가끔 발견되는 일은 있지만, 지구의 대부분의
새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870만 종이라는 큰 수만큼의 이름을 가진 생
물 종이 많이 존재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또, 육상동물의 몸집이 작아
질수록 숫자는 오히려 늘어난다는 사실을 직접 알아냈으며 생물 피라미드를 이용해 숫자를
계산했다는 점이 굉장히 설득력있고 나름의 정확한 계산법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따라
서 로버트 메이의 이론에 동의하여 지구상에 이름이 붙여진 생물 종의 수는 약 170만 종 정
도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반 생물학 및 실험

8. Further study
* 진핵생물의 진화연구에 원생생물이 중요한 이유는?

원시에는 원핵생물이 진핵생물로 발달하기 이전에 물속에 살고 있다가 원시 지구의 여러가


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아 무산소 호흡을 하는 종속 영양 생물에서 스스로 광합성을 하는
독립 영양 생물로, 광합성을 하는 독립 영양 생물에서 다시 산소호흡을 하는 종속 영양 생
물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진핵생물이 발달하기 시작했는데, 원생생물은 진핵
생물 중 동물계, 식물계, 균계에 속하지 않는 모든 진핵생물을 말하며, 종속 영양 생물이다.
계의 분류과정을 참고하면 원생생물은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중간단계 정도라 생각된다.
따라서 진핵생물의 진화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진핵생물의 최초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간
단한 구조로 진핵생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짚신벌레나 아메바처럼 분화가 쉬워 진핵생물
연구에 적합한 원생생물이 중요한 것이다.

*참고문헌: EBS 수능완성 생명과학2/ 한국교육방송공사/ 2019/ 76, 88, 94 page 참고


원생생물 관찰 실험동영상, 실험PPT, 레포트 Introduction 내용 참고
생명과학-개념과 현상의 이해/TAYLOR 외 4명/김명원 외 10명/라이프 사이언스/2019/9판/2-3
pages 참고
강영선 외 3명/한국산 짚신벌레 분류에 관한 연구(1)/동물학회지/1962/5권 2호/18-22 pages
참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