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

1장 생명의 과학

학습목표
• 모든 생물이 공유하는 특징.
• 생명의 분류체계 및 진화적 유연관계.
• 생명의 세 영역 비교.
• 실험에서 표준변수,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의
확인.
• 자료분석에 과학적 방법의 적용.
• 과학적 방법의 한계 설명.
1.1 생명이란 무엇인가?

• 생명과학은 생명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 생명은 기본 구성요소를
열거함으로써 정의된다.
– 세포는 생명의 기본 단위이다.
– 모든 생물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세포로 구성된다.
– DNA는 단백질 합성에 사용된다.
1.1 생명이란 무엇인가?

A. 생명은 조직화되어 있다.

• 살아 있는 물체는 체계화된 형태로 조직된 부품으로


구성된다.
• 원자, 분자, 소기관, 세포, 조직, 기관, 기관계, 개체
• 개체, 개체군(집단), 군집, 생태계, 생물권.

• 창발성: 생명체는 연속된 더 작은 부품들의 집합


이상이다.
1.1 생명이란 무엇인가?
1.1 생명이란 무엇인가?

B. 생명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 물질대사.
• 생산자 혹은 독립영양생물.
• 소비자 혹은 종속영양생물.
– 분해자.
• 먹이망.
1.1 생명이란 무엇인가?

C. 생명은 내부 안정성을 유지한다


• 항상성: 일정한 내부 조건 유지.
– 예: 체온 조절.

D. 생명은 스스로 번식하고 자라며 발생한다


• 무성생식: 모든 자손은 동일하다.
• 유성생식: 자손은 새로운 조합의 형질을 가진다.
• 성장과 발생.
1.1 생명이란 무엇인가?

E. 생명은 진화한다
• 적응: 생물이 주어진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생존하고 번식하게 하는 유전 형질이나 행동.
1.1 생명이란 무엇인가?

 자연선택
– 환경에 잘 적응하는 개체가 생존할 것이다.
– 개체의 향상된 번식성공.
 진화: 개체군의 유전적 구성의 변화.
– 찰스 다윈과 알프레드 월레스의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론.
– 진화는 생물학에서 가장 강력한 단일 개념이며 생물 다양성의 근거이다.
요약
요약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 분류학: 생물을 분류하고 명명하는 학문.


 계통학: 종들 사이의 진화적 유연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 계통분류학(Phylogenetic Systematics): 분류학과
계통학을 통합한 학문.

• Taxonomy(분류체계)
A. 분류체계는 종들을 생물군으로 조직한다.
• 종(species): 생물의 고유한 종류, 생물학적 종.
• 속(genus): 유연관계가 가까운 종들을 묶은 집단.
• 학명: 이명법, 속명과 종명을 동시에 표시.
– 예: Homo sapiens.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 린네의 분류체계: 8단계


– 영역(domain), 계(kingdom),
문(phylum), 강(class),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

 분류군
• 각 계급에서 속하는 생물군.

• 예: 알로에 베라(Aloe vera).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 사람의 완전한 분류명


– 진핵생물 영역(Eukarya)-동물계(Animalia)-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영장목(Primates)-사람과(Hominidae)-
사람속(Homo)-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이다.

• 린네의 분류체계는 진화적 유연관계를 반영하지 않는다.


동물의 문 주요 종류
원생동물문 유글레나, 트리파노소마, 야광충, 아메바, 말라리아원충, 짚신벌레, 종벌레, 아키네타 등
해면동물문 흰나팔해면, 유리해면류, 호박해면 등
강장동물문 히드라, 해파리류, 나팔꽃돌산호, 해변말미잘 등
유즐동물문 풍선빛해파리류, 띠빛해파리류, 오이빛해파리류 등
편형동물문 플라나리아, 간디스토마, 간흡충, 갈고리촌충, 민촌충 등
중생동물문 이배충, 직유충 등
유형동물문 끈벌레류
악구동물문 악구벌레 등
윤형동물문 수생바퀴벌레류, 물수레벌레 등
복모동물문 카이토노투스류, 마크로다시스류
동문동물문 극피충류
선형동물문 편충, 요충, 회충 등
유선형동물문 연가시류, 바다유선충류
구두동물문 구두충류, 신극문충류 등
곡형동물문 방울벌레 등
촉수동물문 비벌레류, 주머니이끼벌레, 자루이끼벌레, 개맛 등
성구동물문 별벌레류
새예동물문 새예벌레류
연체동물문 네오필리나, 군부, 네오메니아, 뿔조개, 전복, 소라, 달팽이, 꼬막, 홍합, 굴, 대합, 재첩, 꼴뚜기, 참오징어, 낙지, 문어 등
의충동물문 개불, 보넬리아 등
환형동물문 참갯지렁이, 검정갯지렁이, 흡구벌레류, 실지렁이, 참지렁이, 거머리류
오구동물문 혀벌레 등 기생성
완보동물문 곰벌레류
유조동물문 발톱벌레
절지동물문 전갈,진드기, 거미, 검은큰따개비, 거북손, 갯가재, 갯강구, 가재, 꽃게, 털노래기,지네류,곤충 등
모악동물문 화살벌레류
유수동물문 무초신동물류, 다대신동물류
반색동물문 간벽충류
극피동물문 바다나리류, 불가사리류, 성게류, 해삼류 등
척삭동물문 아래와 같음
미삭동물
척삭동물문
두삭동물
어상강 무악어강, 판피어강, 연골어강, 경골어강
양서강 무족영원목, 도룡뇽목, 개구리목
파충강 거북목, 도마뱀목, 옛도마뱀목, 악어목
조류강 27개목

단공류(알을낳는포유류) 단공목(Monotremata)
척추동물
사지상강 유 대 류(주머니 포유류) 유대목( Marsupialia)

빈치목(Edentata)
유인목(Pholidota)
포유강
토끼목(Lagomorpha)

설치목(Rodentia)
태반류(태반 포유류)
영장목(Primates)
피익목(Demoptera)

익수목(Chiroptera)

식충목(Insectivora)

식육목(Camivora)
고래목(Oetacea)

관치목(Tubuildentata)

소 목(Artiodactyla)

말 목(Perissodactyla)

바위너구리(Hyracoidea)

장비목(Proboscidea)

바다소목(Sirenia)
태반류 16개항목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B. 분기학 접근법은 공유파생형질에 기초한다


 계통발생
– 진화에 기초한 유연관계의 기술.
– 다양한 계통의 증거 사용.

 분기학
– 조상형질과 파생형질 사이를 구별에 의한 분류군의 정의.

– 조상형질: 집단의 조상과 닮은 유전형질.


– 파생형질: 집단의 조상에서 발견되는 것과 다른 형질.

– 외부군: 연구 대상 생물의 일부가 아닌 비교 생물.


– 분기군:
• 단계통군.
• 단일 진화경로에 의해 묶이는 종들 집단.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C. 분기도는 가상적인 진화적 유연관계를 기술한다


• 공유파생형질을 이용하여 구축된 나무 모양의 모식도.
• 강조점은 유사성이 아니라 진화적 유연관계이다.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 분기도는 진화적 유연관계의 계층체계를 기술한다.


• 동등한 많은 분기도가 같은 진화역사를 말한다.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 분기도 작성
– 관련 있는 형질 선택.
– 자료 수집과 흐름도 작성.
– 대부분의 파생형질을 가진 종들이 뿌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가지에 할당된다.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D. 전통적인 많은 생물군은 단계통군이 아니다


• 측계통군: 공통조상과 일부를 가지지만 그 후손의 전부를
포함하지 않는 생물군. 예: 파충강.
• 다계통군: 한 생물군의 모든 구성원이 공유하는 가장 최근의
공통조상을 배제한다. 예: 내온동물.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E. 생명의 계통수는 3개의 주요 가지를 포함한다


• 영역(domain): 유전학적 증거에 기초하여 가장 넓은 분류학적 범주.
• 세균(Bacteria), 고세균(Archaea), 진핵생물(Eukarya)
• 진핵생물의 원생생물계는 측계통군이다.
1.2 생명의 분류체계는 공통후손에 기초한다
요약
1.3 과학자는 자연세계를 연구한다

A. 과학적 방법은 다수의 상호 관련된 부분을 가진다


• 관찰과 의문.
• 가설.
• 자료수집.
• 분석과 동료평가.
1.3 과학자는 자연세계를 연구한다

B. 실험 고안은 신중한 설계이다


• 실험: 통제된 조건에서 수행되는 조사.
• 표본 크기.
• 변수.
• 대조군.
– 위약.
– 이중맹검.
1.3 과학자는 자연세계를 연구한다

 통계분석과 유의성
1.3 과학자는 자연세계를 연구한다

C. 이론은 포괄적인 설명이다.


 이론 대 가설
– 범위.
– 수용여부 .
– 예측력.

그림 1.16 확인된 예측.


난초의 수분매개자

D. 과학 탐구는 한계를 가진다


• 과학 탐구는 완벽하게 증명하거나 항상 수행하기 쉽지 않다.
• 잘못된 해석.
• 느린 수용.
• 일부 의문은 과학으로 답할 수 없다.
요약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