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4

, 머물다
홍릉숲에

1
발 간 등 록 번 호 연구자료
11-1400377-000746-01 제 570 호


홍릉숲에서 둥지를 튼
새들의 소리

, 머물다
홍릉숲에
Hongneung Forest Bird
둥지 튼 홍릉숲
꿩, 까치, 멧비둘기, 직박구리,
흰뺨검둥오리, 오목눈이, 박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오색딱다구리는
홍릉숲에 둥지를 틀고, 겨울도 난다.

뻐꾸기, 꾀꼬리, 소쩍새,


새호리기, 호랑지빠귀는 남쪽에서
둥지를 틀기 위해 홍릉숲을 찾는다.

쇠유리새, 파랑새, 되지빠귀, 꺅도요,


노랑할미새, 숲새, 산솔새는
홍릉숲에 잠시 머물다 떠난다.
홍릉숲의 겨울
참매, 되새, 황여새, 검은머리방울새,
멋쟁이새, 콩새, 딱새, 노랑지빠귀,
유리딱새, 양진이, 상모솔새가 북쪽에서
날아들었다.

청둥오리는 작은 연못에 노닐고,


까치는 집을 짓기에 바쁘다.

박새, 곤줄박이, 쇠박새는


먹이대를 찾는다.

나뭇가지와 줄기에 매달린 새들은


잎 떨어진 나무의 친구들이다.
발 간 사

보통 생각하기에 도시숲은 자연숲과 비교하여 생물이


살기 힘들다. 그래서, 도시숲은 까치, 집비둘기만 살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서울의 도시숲, 홍릉숲에서 83종의 새가 살고 있다.
2003년부터 약 10년 넘게 관찰하였고, 최근 3년간 매월
관찰해보니, 까치, 멧비둘기, 박새, 직박구리 등은 매월
보였고, 우리가 흔히 말하는 뱁새, 붉은머리오목눈이도
홍릉숲에서 둥지를 틀었고 꿩 울음소리도 봄철에
홍릉숲에서 들린다.
또한, 참매, 새매 등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생물이
홍릉숲에 살고 있다고 하니, 홍릉숲은 생물에게
풍요로운 곳이다. 홍릉숲에서 자라고 있는 낙상홍의
붉은 열매, 작살나무의 보랏빛 열매, 산수유와
산딸나무의 열매 등 먹이 식물이 풍부하여 새들에게
홍릉숲은 낙원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주요 딱따구리류를 보려면

8 새, 홍릉숲에 머물다
홍릉숲에 오면 된다. 또한, 토양소동물을 먹는
지빠귀류도 많다. 큰나무가 자라고 있으니, 딱따구리류가
집을 짓고, 비록 도심이지만, 울창한 숲과 쌓인 낙엽에서
지빠귀류는 토양소동물을 찾는다.
봄이 오면, 꾀꼬리와 쇠유리새는 남쪽에서 찾아와서
꽃피는 봄을 알리고, 여름에 솔부엉이 소리는 깊어가는
여름밤을 말하고, 가을에 되새들의 무리는 겨울을 나기
위해 느릅나무 열매를 먹기에 바쁘다. 겨울에 북쪽에서
날아온 검은머리방울새들이 편백나무와 소나무의
구과를 먹는다.
계절별로 역동적으로 나타나는 새들의 모습을 작은
책자로 만들었다. 이 작은 책자가 생물이 살기 힘든
도시에 사는 시민들에 활력을 주고, 홍릉숲을 더욱
소중히 보전하고 가꾸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014년 12월

발간사 9
홍릉숲 조류 목록

기러기목 ORDER ANSERIFORMES


오리과 Family Anatidae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Mallard
흰뺨검둥오리 Anas zonorhyncha Eastern Spot-billed Duck

닭목 ORDER GALLIFORMES
꿩과 Family Phasianidae
꿩 Phasianus colchicus Ring-necked Pheasant

사다새목 ORDER PELECANIFORMES


백로과 Family Ardeidae
왜가리 Ardea cinerea Grey Heron

수리목 ORDER ACCIPITRIFORMES


수리과 Family Accipitridae
독수리 Aegypius monachus Cinereous Vulture

1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새매 Accipiter nisus Eurasian Sparrowhawk
참매 Accipiter gentilis Northern Goshawk
말똥가리 Buteo japonicus Eastern Buzzard

도요목 ORDER CHARADRIFORMES


도요과 Family Scolopacidae
멧도요 Scolopax rusticola Eurasian Woodcock
꺅도요 Gallinago gallinago Common Snipe

비둘기목 ORDER COLUMBIFORMES


비둘기과 Family Columbidae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Oriental Turtle Dove

두견이목 ORDER CUCULIFORMES


두견이과 Family Cuculidae
뻐꾸기 Cuculus canorus Common Cuckoo

올빼미목 ORDER STRIGIFORMES


올빼미과 Family Strigidae
큰소쩍새 Otus semitorques Japanese Scops Owl
소쩍새 Otus sunia Oriental Scops Owl
솔부엉이 Ninox japonica Northern Boobook

칼새목 ORDER APODIFORMES


파랑새과 Family Coraciidae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Oriental Dollarbird

물총새과 Family Alcedinidae


호반새 Halcyon coromanda Ruddy Kingfisher

홍릉숲 조류 목록 11
물총새 Alcedo atthis Common Kingfisher

딱다구리목 ORDER PICIFORMES


딱다구리과 Family Picidae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Japanese Pygmy Woodpecker
아물쇠딱다구리 Dendrocopos canicapillus Grey-capped Woodpecker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White-backed Woodpecker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Great Spotted Woodpecker
청딱다구리 Picus canus Grey-headed Woodpecker

매목 ORDER FALCONIFORMES
매과 Family Falconidae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Common Kestrel
새호리기 Falco subbuteo Eurasian Hobby

참새목 ORDER PASSERIFORMES


때까치과 Family Laniidae
때까치 Lanius bucephalus Bull-headed Shrike

꾀꼬리과 Family Oriolidae


꾀꼬리 Oriolus chinensis Black-naped Oriole

까마귀과 Family Corvidae


어치 Garrulus glandarius Eurasian Jay
물까치 Cyanopica cyanus Azure-winged Magpie
까치 Pica pica Eurasian Magpie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Large-billed Crow

여새과 Family Bombycillidae


황여새 Bombycilla garrulus Bohemian Waxwing
홍여새 Bombycilla japonica Japanese Waxwing

12 새, 홍릉숲에 머물다
박새과 Family Paridae
진박새 Periparus ater Coal Tit
곤줄박이 Sittiparus varius Varied Tit
쇠박새 Poecile palustris Marsh Tit
박새 Parus minor Great Tit

직박구리과 Family Pycnonotidae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Brown-eared Bulbul

제비과 Family Hirundinidae


제비 Hirundo rustica Barn Swallow

휘파람새과 Family Cettidae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Asian Stubtail

오목눈이과 Family Aegithalidae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Long-tailed Tit

솔새과 Family Phylloscopidae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Yellow-browed Warbler
쇠솔새 Phylloscopus borealis Arctic Warbler
솔새 Phylloscopus xanthodryas Japanese Leaf Warbler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Eastern Crowned Warbler

꼬리치레과 Family Sylviidae


붉은머리오목눈이 Sinosuthora webbiana Vinous-throated Parrotbill

상모솔새과 Family Regulidae


상모솔새 Regulus regulus Goldcrest

굴뚝새과 Family Troglodytidae


굴뚝새 Troglodytes troglodytes Eurasian Wren

동고비과 Family Sittidae


동고비 Sitta europaea Eurasian Nuthatch

홍릉숲 조류 목록 13
쇠동고비 Sitta villosa Chinese Nuthatch

나무발발이과 Family Certhiidae


나무발발이 Certhia familiaris Eurasian Treecreeper

찌르레기과 Family Sturnidae


찌르레기 Spodiopsar cineraceus White-cheeked Starling

지빠귀과 Family Turdidae


흰눈썹지빠귀 Geokichla sibirica Siberian Thrush
호랑지빠귀 Zoothera aurea White’s Thrush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Grey-backed Thrush
흰눈썹붉은배지빠귀 Turdus obscurus Eyebrowed Thrush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Pale Thrush
붉은배지빠귀 Turdus chrysolaus Brown-headed Thrush
노랑지빠귀 Turdus naumanni Naumann’s Thrush
개똥지빠귀 Turdus eunomus Dusky Thrush

딱새과 Family Muscicapidae


솔딱새 Muscicapa sibilans Dark-sided Flycatcher
쇠솔딱새 Muscicapa latirostris Asian Brown Flycatcher
큰유리새 Cyanoptila cyanomelana Blue-and-White Flycatcher
쇠유리새 Larvivora cyane Siberian Blue Robin
울새 Larvivora sibilans Rufous-tailed Robin
유리딱새 Tarsiger cyanurus Red-flanked Bluetail
흰눈썹황금새 Ficedula zanthopygia Yellow-rumped Flycatcher
황금새 Ficedula narcissina Narcissus Flycatcher
노랑딱새 Ficedula mugimaki Mugimaki Flycatcher
흰꼬리딱새 Ficedula albicilla Taiga Flycatcher
딱새 Phoenicurus auroreus Daurian Redstart
검은딱새 Saxicola stejnegeri Eurasian Stone Chat

참새과 Family Ploceidae


참새 Passer montanus Eurasian Tree Sparrow

14 새, 홍릉숲에 머물다
할미새과 Family Motacillidae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Grey Wagtail
힝둥새 Anthus hodgsoni Olive-backed Pipit

되새과 Family Fringillidae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Brambling
콩새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Hawfinch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 Chinese Grosbeak
멋쟁이 Pyrrhula pyrrhula Eurasian Bullfinch
양진이 Carpodacus roseus Pallas’s Rosefinch
검은머리방울새 Spinus spinus Eurasian Siskin

멧새과 Family Emberizidae


흰배멧새 Emberiza tristrami Tristram’s Bunting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Yellow-throated Bunting

홍릉숲 조류 목록 15
일러두기

1. 본 도감에 수록된 조류는 2012년 3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홍릉에서 관찰된 12목 34과 83종의
기록이며 배열 순서는 International Ornithiligists’
Union의 IOC World Bird List version 4.1을 따른다.
본문 내의 순서 역시 같은 목록 순서를 따름으로써
찾아보기가 쉽도록 구성하였다. 다만, 몇 종의
출현여부는 2003년부터 홍릉숲에서 기록된 자료를
포함하였다.
2. 2012년 3월부터 2014년 11월까지의 관찰은 홍릉숲
정문에서 후문까지 등산로를 따라 매달 2회씩
조사하였으며, 조사기간에 관찰되지 않았으나
파악된 종은 포함하였다. 과별로 집계된 월별
출현 횟수는 최근 3년 간의 매 달을 상·하순으로
나누어 기록한 것이다. 예컨대 5월의 경우 2012년
5월, 2013년 5월, 2014년 5월 등 총 세 번이므로
3회인데, 여기에서 매 달을 상하순으로 나눌 경우

1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총 6회의 관찰 시점이 설정된다. 매년 5월 상하순
두 차례에 걸쳐서 해마다 꾸준히 관찰되었을 경우
출현 횟수는 6을 기록하게 된다. 반면에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을 경우에는 0으로 기록하였다. 이
출현 빈도는 개별 종의 출현 패턴을 나타내서 매월
관찰 가능성이 높은 종들을 비교·분석하고 같은 과
안에서의 종류 판단에 도움을 줄 것이다.
3. 영어 외에도 중국어, 일본어 등 언어로 된 조류
목록을 책의 뒷면에 마련하여 외국인 방문자들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4. 사진 수록은 기본적으로 홍릉 안에서 촬영된 것으로
실었으나, 확보되지 못한 경우 타 지역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수록하였다. 이 경우 사진에는 촬영지와
날짜에 대한 정보를 간략히 기재하였다.
5. 새의 이동성은 텃새(Res, Resident), 나그네새(PM,
Passage Migrant), 여름철새(SV, Summer Visitor),
겨울철새(WV, Winter Visitor)로 나누었다. 텃새는
일년 내내 한 나라, 혹은 지역에 머무는 새이다.
나그네새는 봄과 가을에 번식지 혹은 월동지로
이동하던 도중 잠시 머물러 가는 새이다. 여름철새는
번식을 목적으로 우리나라를 찾는 철새이다.
겨울철새는 월동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에 왔다가
겨울이 지나고 나면 떠나는 새를 뜻한다.

* 길 잃은 새를 뜻하는 미조(Vag: vagrant)의 개념도


있지만 대부분 물새류에서 주로 관찰되며 홍릉숲에서는
해당되는 종을 구분하지 않았다.

일러두기 17
쓰임말 풀이

겨울깃(冬羽, Winter Plumage): 비번식깃(Non-breeding Plumage)과 같은


의미로서 비번식기에 갖는 깃털색, 여름깃과 겨울깃의 차이가 없는 종도
많다.

겨울철새(冬鳥, Winter Visitor): 봄부터 여름에 걸쳐 주로 시베리아 등지에서


번식하고 가을에 우리나라를 찾아와 겨울을 나며 봄이 되면 북으로
돌아가는 새. 대표적인 새로는 기러기류, 오리류, 고니류, 두루미류 등이
있다.

광택깃(翼鏡, Specula): 혹부리오리류나 수면성오리류의 많은 종에서 볼 수


있으며, 둘째날개깃에 녹색이나 푸른색의 금속광택이 있는 깃.

길잃은새(迷鳥, Vagrant): 태풍 등으로 인하여 다른 새들의 무리에 합류하거나


혹은 단독으로 본래의 이동 경로나 분포지역을 벗어나 찾아온 새.
알바트로스, 흰머리기러기, 쇠재두루미 등이 대표적이다.

깃축: 깃털을 지지하는 축.

깃털갈이(換羽, Moult): 깃털이 빠지고 새로운 깃털이 나는 것. 거의 대부분의

1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새들이 가을에 깃털갈이를 하지만 봄에 깃털갈이를 하는 새들도 종종 볼
수 있다. 봄에 하는 새 중에는 몸의 일부만 깃털갈이를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몸 색깔의 변화는 깃털갈이에 의한 것이 많지만 깃털의 가장자리가
닳기 때문인 경우도 있다.

나그네새(旅鳥, Passage Migrant): 우리나라보다 고위도 지역에서 번식하고


저위도 지역에서 월동하는 새로서 우리나라는 봄과 가을에 북상 또는
남하하는 과정에 거쳐 간다. 도요나 물떼새류가 대표적이다.

날개편길이(翼開長, Wing-span  W): 날개를 펼쳤을 때, 날개의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날개 끝까지의 길이.

납막(蠟膜, Cere): 윗부리의 기부를 덮고 있는 부드럽고 볼록한 부분. 매류,


수리류, 비둘기류 등에 있다.

만성성(晩成性, Altricial): 알에서 깨어난 후 몸에 깃털이 없거나 소수의 솜털만


나 있을 뿐, 눈도 뜨지 않고 허리를 세울 수 없어 걸을 수 없는 새끼새. 많은
종류의 산새류와 맹금류가 이에 속하며 2주일 이상 둥지에서 어미새의
도움으로 자란 후 둥지를 떠난다.

머리깃(Crest): 머리 부분에 있는 긴 깃털. 끈 모양으로 길게 밑으로 처진 것은


댕기깃이라고도 한다.

몸길이(全長, Total Length  L): 새의 부리 끝에서부터 꼬리 끝까지의


수평선상의 길이.

몸의 윗면(Upperparts), 아랫면(Underparts): 대체로 눈과 날개를 연결한


선을 경계로 하여 몸의 윗면, 아랫면으로 구별한다. 머리와 몸의
윗면이라고 할 경우에는 등, 어깨깃, 날개, 허리 등을 말한다.

미성숙새(Immature): 첫 깃털갈이 후 어미새가 되기까지 시기의 새. 어미새에


비해 깃털색이 흐리거나 어둡게 보이는 경우가 많다.

쓰임말 풀이 19
범상(帆翔, Soaring): 날개를 편 채 날갯짓을 하지 않고 상승 기류를 이용하여
날아가는 방법을 말한다. 대형 바다새나 수리류에서 많이 관찰된다.

변환깃(Eclipse): 오리류 수컷의 경우 번식깃은 화려하나 번식이 끝난 뒤부터


다시 번식쌍을 이룰 때까지는 암컷과 같은 수수한 색깔이 되며, 이것을
변환깃이라고 한다. 몸의 색깔은 암컷과 전혀 구별할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부리의 색이나 날개의 패턴은 암컷과 구별되기도 한다.

새끼새(雛, Chick): 알에서 깬 뒤부터 깃털이 다 갖추어질 때까지의 새. 작은


새들의 경우에는 둥지를 떠난 뒤부터 어린새로 취급한다.

어린새(幼鳥, Juvenile): 깃털이 완전히 자라서 어미로부터 독립한 후부터 첫


깃털갈이(보통 태어난 해의 가을)를 하기까지의 새.

어미새(成鳥, Adult): 성적으로 성숙한 번식 능력이 있는 새로서 깃털색에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나이에 다다른 새. 작은 새들은 태어난 다음해 봄에
어미새깃(成鳥羽)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수리류나 알바트로스 등의 큰
새들은 어미새 깃이 되는 데 몇 년씩 걸린다.

여름깃(夏羽, Summer Plumage): 번식깃(Breeding Plumage)과 같은


의미로서 번식기에 갖는 깃털을 말한다. 오리류를 비롯한 다양한 종에서
1~2월에 여름깃이 되는 경우도 있다.

여름철새(夏鳥, Summer Visitor): 봄에 동남아시아 등 남쪽으로부터 찾아와


우리나라에서 번식하고 가을에는 다시 남쪽으로 이동하는 새이다.
우리나라에는 주로 4~5월경 찾아와 9~10월까지 머문다. 대표적인
새들로 꾀꼬리, 뻐꾸기, 제비, 백로류 등이 있다.

육추(育雛, Parental Care): 어미새가 새끼새를 기르는 것으로서 먹이 공급,


체온 유지, 포식자 방어 등을 포함한다.

장식깃: 번식에 관계되어 나타나는 화려한 깃털을 말하며 번식기가 끝나면


사라진다. 장식깃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새로는 백로류 등이 있다.

2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정지비행(停止飛行, Hovering): 날갯짓을 빠르게 하여 공중의 한 점에서
움직이지 않고 나는 방법.

조성성(早成性, Precocial): 알에서 새끼가 깨어났을 때 온몸에 솜털이


나 있으며 이내 눈을 뜨고 얼마 안 있어 걸을 수 있는 새끼를 말한다.
물떼새류, 꿩 등이 이에 속한다.

집단 번식지(Colony): 같은 종의 새들이 무리를 지어 번식하는 곳. 백로류,


갈매기류 등에서 많이 관찰된다.

탁란(托卵, Brood Parasitism): 자기 스스로 둥지를 만들지 않고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새끼를 키우도록 하는 것. 두견이과의 새(뻐꾸기류)가
탁란을 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텃새(留鳥, Resident): 일정 지역에서 일년 내내 관찰되는 종.

포란(抱卵, Incubation): 어미새가 알을 품는 것.

쓰임말 풀이 21
새의 부위별 명칭
기본 설명

이마 정수리 눈 (눈테) 어깨 등 날개

부리

옆구리
허리

안발가락
꼬리
가운데발가락

바깥발가락 뒷발가락 발톱 발목 발(부척)

머리

귀깃 옆머리선 가운데머리선 눈썹선

턱밑선

턱선

뺨선

2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접은 날개

둘째날개깃 셋째날개깃 큰날개덮깃 작은날개깃

첫째날개깃 작은날개덮깃

첫째날개덮깃 어깨깃

종아리(경골) 콧구멍

펼친 날개

작은날개덮깃 작은날개깃 가운데날개덮깃 첫째날개덮깃

아랫날개덮깃 첫째날개깃

큰날개덮깃

둘째날개깃

셋째날개깃

개체 부위별 설명 23
도면 읽기
분류

기러기목_오리과

월별기록

1 2 3 4 5 6 7 8 9 10 11 12
중국어명
학명 홍릉 숲에서 관찰된 시기

도래현황(이동성)
국명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Mallard
绿头鸭
マガモ
WV/ab
L 59cm
크기(몸 길이)
영어명
외형 수컷: 금속 광택의 녹색 머리와 뚜렷한 노란색의 부리, 흰색의 가는 목테가 있다. 가슴은 짙은
갈색이며 위꼬리덮깃의 검은색 깃은 위로 말려 있다. 변환깃일 때에도 부리 전체가 노란색이어서
암컷과 구별된다.
암컷: 몸은 황갈색이며 주황색의 부리에는 검은색의 반점이 있다.
일본어명
구별점 유사종 알락오리 암컷은 둘째날개깃이 흰색이다.
번식생태 암컷과 수컷의 외모가 다른 것으로 유명하지만, 여름철에는 수컷의 깃털 무늬가 암컷과
비슷하게 변한다. 홍릉숲에서는 연못이나 저수지 주변이 쉼터가 되며, 수목원 위를 날아 지나는 모
상세정보
습도 종종 보인다.
분포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흔한 새로, 가금인 집오리의 원종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대
체로 겨울철새이지만, 여름에 연못이나 하천에 남아 번식을 하는 텃새인 경우도 많다. 한강 지류에
서도 드물지 않게 발견된다.

24 새, 홍릉숲에 머물다

2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차 례

발간사 �������������������������������� 8

홍릉숲 조류 목록 ������������������������ 10

일러두기 ����������������������������� 16

쓰임말 풀이  ��������������������������� 18

새의 부위별 명칭 ������������������������ 22

도면 읽기 ����������������������������� 24

기러기목 ORDER ANSERIFORMES ���������������� 28


오리과 Family Anatidae ��������������������� 28

닭목 ORDER GALLIFORMES �������������������� 30


꿩과 Family Phasianidae ��������������������� 30

사다새목 ORDER PELECANIFORMES ��������������� 32


백로과 Family Ardeidae ��������������������� 32

수리목 ORDER ACCIPITRIFORMES ���������������� 34


수리과 Family Accipitridae �������������������� 34

차례 25
도요목 ORDER CHARADRIFORMES  ��������������� 38
도요과 Family Scolopacidae ������������������� 38

비둘기목 ORDER COLUMBIFORMES ��������������� 40


비둘기과 Family Columbidae  ������������������ 40

두견이목 ORDER CUCULIFORMES ���������������� 42


두견이과 Family Cuculidae  ������������������� 42

올빼미목 ORDER STRIGIFORMES  ���������������� 44


올빼미과 Family Strigidae �������������������� 44

칼새목 ORDER APODIFORMES ������������������ 48


파랑새과 Family Coraciidae ������������������� 48
물총새과 Family Alcedinidae  ������������������ 50

딱다구리목 ORDER PICIFORMES  ���������������� 53


딱다구리과 Family Picidae  ������������������� 53

매목 ORDER FALCONIFORMES ������������������ 59


매과 Family Falconidae ���������������������� 59

참새목 ORDER PASSERIFORMES ����������������� 62


때까치과 Family Laniidae �������������������� 62
꾀꼬리과 Family Oriolidae �������������������� 64
까마귀과 Family Corvidae �������������������� 65
여새과 Family Bombycillidae ������������������� 70
박새과 Family Paridae ���������������������� 72
직박구리과 Family Pycnonotidae ���������������� 78
제비과 Family Hirundinidae ������������������� 80
휘파람새과 Family Cettidae ������������������� 82

2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오목눈이과 Family Aegithalidae ���������������� 83
솔새과 Family Phylloscopidae  ������������������ 84
꼬리치레과 Family Sylviidae ������������������� 90
상모솔새과 Family Regulidae ������������������ 92
굴뚝새과 Family Troglodytidae  ����������������� 94
동고비과 Family Sittidae �������������������� 96
나무발발이과 Family Certhiidae  ��������������� 100
찌르레기과 Family Sturnidae ����������������� 102
지빠귀과 Family Turdidae ������������������� 104
딱새과 Family Muscicapidae ������������������ 114
참새과 Family Ploceidae �������������������� 128
할미새과 Family Motacillidae ����������������� 130
되새과 Family Fringillidae  ������������������� 134
멧새과 Family Emberizidae  ������������������ 142

관찰 조류 총목록 ������������������������ 146

길드 구성 안내  ������������������������� 150

찾아보기 ����������������������������� 162

홍릉숲의 조류 군집 특성 ������������������� 167

참고문헌 ����������������������������� 170

편집후기 ����������������������������� 171

차례 27
기러기목_오리과

2013.03.21.MKD

2013.03.21.MKD 2014.04.30.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Mallard
绿头鸭
マガモ
WV/ab
L 59cm

외형 수컷 → 금속 광택의 녹색 머리와 뚜렷한 노란색의 부리, 흰색의 가는 목테가 있다. 가슴은 짙


은 갈색이며 위꼬리덮깃의 검은색 장식깃은 위로 말려 있다. 변환깃일 때에도 부리 전체가 노란색
이어서 암컷과 구별된다. 광택깃은 앞뒤로 흰색 띠가 있는 밝은 파랑색이다.
암컷 → 몸은 황갈색이며 주황색의 부리에는 검은색의 반점이 있다.
유사종 알락오리 암컷은 둘째날개깃이 흰색이다.
생태 여름철에는 수컷의 깃털 무늬가 암컷과 비슷하게 변한다. 홍릉숲에서는 연못이나 저수지 주
변이 쉼터가 되며, 수목원 위를 날아 지나는 모습도 종종 보인다.
분포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흔한 새로, 가금인 집오리의 원종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대
체로 겨울철새이지만, 여름에 연못이나 하천에 남아 번식을 하는 텃새인 경우도 많아서 한강 지류
에서도 드물지 않게 발견된다.
소리 수면에서 쉬다가 ‘가악- 가악-’하는 소리를 서너 번 낸다. 날아갈 때에는 낮고 부드럽게 ‘갸
압- 갸압-’하는 소리를 낸다.

28 새, 홍릉숲에 머물다
기러기목_오리과

2013.12.01서울숲PCR

2005.07.14.SJS

1 2 3 4 5 6 7 8 9 10 11 12

흰뺨검둥오리 Anas zonorhyncha


Eastern Spot-billed Duck
斑嘴鸭
カルガモ
Res/c
L 61cm

외형 암수가 비슷하나 수컷의 위꼬리덮깃과 아래꼬리덮깃이 암컷보다 어두운 흑갈색이며, 수컷의


뺨은 암컷보다 더 밝게 보인다. 황갈색의 뺨을 제외한 몸 전체가 균일한 어두운 갈색이다. 뚜렷한 흰
색의 셋째날개깃은 먼 거리에서도 잘 보인다. 검은 부리의 끝은 노란색이며, 다리는 주황색이다. 깃
털갈이에 따른 외형 변화가 거의 없는 편이다.
유사종 청둥오리 암컷의 머리 부분은 균일한 황갈색이고, 부리의 색이 다르다.
생태 활엽수원 연못에서 번식한 새끼새가 정문앞 왕복 4차선 도로를 건너서 산업연구원에서 헤엄
치기를 배워서, 정릉천과 한강에 가서 서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매년 홍릉숲을 위를 날아서 지나
가고, 정릉천 종암대교에서 보이는데, 홍릉숲에서 번식한 새들이다. 종종 홍릉숲에서 어미가 새끼들
을 데리고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멀리서 볼 때, 몸의 색이 전체적으로 어둡지만, 가까이에서 보
면 부리 끝 노란색이 눈에 띈다.
분포 우리나라에서 1년 내내 보이는 흔한 새이다.
소리 청둥오리처럼 ‘가악- 가악-’하는 소리를 낸다. 날아갈 때에도 유사하다.

기러기목_오리과 29
닭목_꿩과

2014.02.27.MKD

2003.05.04.PCR 2013.05.08.선릉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꿩 Phasianus colchicus
Ring-necked Pheasant
雉鸡
キジ
Res/ab
L ♂80/♀60cm

외형 길고 뾰족한 꼬리가 특징적인 지상형 조류.


수컷 → 눈 주위에 닭의 벼슬처럼 붉은 피부가 있으며 번식기에는 넓어진다. 희고 선명한 목테 위는
금속 광택의 어두운 녹색, 목테 아래는 갈색과 황갈색의 바탕에 깃축을 중심으로 하는 어두운 갈색
과 검은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배의 검은색 부분은 나이가 들수록 짙어지는 경향이 있다. 발 뒤꿈치
의 날카로운 ‘며느리발톱’은 번식기에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에 사용된다.
암컷 → 몸 전체가 수수한 황갈색이고 검은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생태 홍릉숲의 텃새 중 가장 크다. 2003년에 문배나무 풀섶에서 알을 낳고 번식하였으나, 들고
양이 증가와 개방에 따라 최근 천장산의 비개방지역에서만 번식하고, 아직 서울에서 봄철에 “꿩-,
꿩-”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이 홍릉이다.
조용히 숨었다가 사람이 다가오면 갑자기 요란한 소리를 내며 날아올라 도망치는 습성이 있고, 탁
트인 곳에서 눈에 뜨이면 빠르게 달려 풀숲이나 덤불에 숨는다. 수컷은 장끼, 암컷은 까투리, 새끼는
꺼병이라 부른다.
소리 봄철 까투리에게 구애하는 장끼의 “꿩- 꿩-” 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다. ‘꿩’이라는 이름도 이
울음소리에서 유래한 것이다. 빠르게 ‘꺼꺼꺼꺼껏-’하는 소리를 반복하며 날아다니기도 한다.
30 새, 홍릉숲에 머물다
닭목_꿩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닭목_꿩과 31
사다새목_백로과

2014.09.27.전북 어청CKH

2014.09.27.전북 어청CKH 2014.09.27.전북 어청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왜가리 Ardea cinerea


Grey Heron
苍鹭
アオサギ
Res/c
L 93cm

외형 머리꼭대기는 흰색. 눈 위에서 뒷머리까지 2~3개의 검은색 댕기깃이 있다. 앞목의 중앙에 검
은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어깨깃도 검은색이다. 날 때 날개깃의 검은색이 등, 날개덮깃의 회색과 대
조를 이룬다.
여름깃 → 부리는 주황색을 띠며, 다리는 붉은색 또는 붉은색을 띤 갈색이다.
겨울깃 → 부리와 다리의 붉은색이 사라진다.
어린새 → 머리에 댕기깃이 없다. 몸 윗면이 갈색과 흐린 회색을 띤다. 어깨깃에 검은색이 없다.
생태 몸집이 큰 해오라기 종류이다. 습지와 숲이 어우러진 환경에서 번식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도시 하천에서도 1년 내내 흔하게 보인다. 체격이 크기도 하거니와 집단 번식지에서 나무의 최상층
꼭대기에 둥지를 틀기 때문에 눈에 잘 띈다. 홍릉에서 종종 하늘을 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분포 도시에서 유난히 큰 새가 날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띈다면 왜가리인 경우가 많다. 가장자리가
검고 둥그스름한 날개를 천천히 퍼덕여 하늘에 뜬다.
소리 ‘왝-, 왝-’하는 소리를 내며 날아간다.

3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사다새목_백로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사다새목_백로과 33
수리목_수리과

2011.01.22.강원 철원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독수리 Aegypius monachus


Cinereous Vulture
秃鹫
クロハゲワシ
WV/sc
L 100~112cm

외형 날개편길이가 3미터(250~295cm)에 달하는 대형종의 수리이다. 몸길이는 1미터가량이며 암


컷이 더 크다. 몸 전체가 검은 갈색으로 야외에서 검게 보인다. 날 때 긴 날개의 끝은 갈라지고 위로
휘어져 있다. 날개는 매우 넓고 길지만 꼬리는 짧고, 날 때 머리는 작게 보인다. 머리는 피부가 드러
나 회갈색으로 보인다. 등과 날개덮깃은 갈색으로 어린새보다 뚜렷이 밝게 보인다.
미성숙새 → 몸 전체에 균일한 흑갈색의 짧은 깃털이 촘촘히 나 있어 전체적으로 검게 보인다. 부리
는 검은색이며, 기부는 살색이다.
생태 몽골과 중앙아시아 북부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에서 월동한다. 사냥을 거의 하지 않는 대신
에 죽은 동물을 찾아 먹는 시각이 뛰어나다. 작은 무리를 이루기도 하며, 먹이가 있는 곳에는 여러
마리가 몰려든다. 몸집이 둔중하고 움직임이 느린 편이며 까마귀나 까치 등에 쫓기기도 한다. 천연
기념물 제243-1호이고, 멸종위기종 II급이다.
분포 홍릉숲과 서울숲 등 서울 동부 지역에서 한강, 중랑천 등지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것으로 추정
되며, 홍릉숲에서는 범상하여 상공을 빙빙 도는 모습이 주로 관찰된다.

3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수리목_수리과

2014.01.28.MKD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새매 Accipiter nisus
Eurasian Sparrowhawk
雀鹰
ハイタカ
WV/uc
L ♂32/♀39cm

외형 참매와 유사하나 몸이 작고, 눈썹선은 가늘다. 눈과 납막은 노란색. 날개편길이는 61~79 cm


이다.
수컷 → 배에 주황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다.
암컷 → 가슴과 배에 갈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다.
어린새 → 몸 윗면이 어두운 갈색이며, 가슴과 배의 줄무늬가 어미에 비해 굵다.
유사종 조롱이는 노란색 눈테가 있고 눈썹선이 없다. 참매는 크고, 뺨과 귀깃의 회색 부분이 더 넓
다. 어린 참매의 배에는 세로줄이 있다.
생태 숲에 사는 작은 수리과 맹금으로, 주로 겨울에 관찰된다. 나뭇가지 사이를 헤치고 빠르게 날아
다니며 먹이를 사냥한다. 가까운 종인 참매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새매는 참매보다 몸집이 작아 집
비둘기와 비슷한 크기이고, 체색도 불그스름하며, 배 부분의 가로줄무늬가 촘촘하다. 수컷은 암컷보
다 더 작으며, 배 부분의 붉은색이 더 뚜렷하다. 천연기념물 제323-4호이고, 멸종위기종 II급이다.
분포 드물게 관찰되는 겨울철새이지만 깊은 산의 숲에서는 번식하기도 한다. 홍릉에 3~4월 이동
시기에 관찰되는데, 2014년 1월 윈도스트라이크로 사망한 한 개체가 있었다.
수리목_수리과 35
수리목_수리과

2013.12.07.PCR

2013.12.07.PCR 2013.11.29.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매 Accipiter gentilis
Northern Goshawk
苍鹰
オオタカ
WV/uc
L ♂50/♀56cm

외형 다른 새매류에 비해 몸이 크며, 흰 눈썹선도 굵고 뚜렷하다. 암수는 유사하다. 몸 윗면은 어두


운 청회색이고, 아랫면에는 세밀한 가로줄무늬가 있다. 날개편길이는 106~131cm이다.
어린새 → 눈썹선이 뚜렷하지 않고 윗면은 갈색이며, 아랫면에는 굵은 세로줄이 있다.
아종 흰참매(A. g. albidus )는 흰색 바탕에 밝은 갈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길잃은새이다.
유사종 새매
생태 숲에 사는 수리과 맹금으로, 겨울에 주로 관찰된다. 새매와 가까운 종으로 외모도 비슷한데,
몸집이 훨씬 커서 큰부리까마귀와 비슷한 크기이다. 다 자란 참매는 흑백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체
색이고, 새매에 비해 눈썹 모양의 흰 무늬도 더 뚜렷하다. 천연기념물 제323-1호이고, 멸종위기종
Ⅱ급이다.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에 어린 참매가 더 흔하게 발견되는데, 갈색과 흰 색의 얼룩무늬이다.
배의 무늬가 가로줄무늬인 새매나 어른 참매와 달리, 어린 참매는 세로로 길쭉한 점박이무늬이다.
홍릉에 겨울철에 계속 찾아오며, 직박구리, 멧비둘기를 포식한다. 홍릉의 참매는 산림생태계의 건강
성을 나타낸다.
3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수리목_수리과

2012.03.13.성남 영장산PCR

2011.01.20.경기 연천PCR 2011.01.20.경기 연천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말똥가리 Buteo japonicus


Eastern Buzzard
普通鵟
ノスリ
WV/c
L ♂52/♀56cm

외형 날 때 날개 아랫면의 암갈색 점이 특징적으로 보인다. 개체별로 깃털 변이가 심하나, 일반적으


로 아랫면이 밝은 갈색이며, 배와 옆구리, 날개 끝은 어두운 갈색이다. 몸 윗면은 균일한 암갈색. 어
미새의 눈은 어두운 갈색이지만, 어린새는 노란색을 띤 갈색이다. 양쪽 날개를 약간 들어 각이 완만
한 V자형으로 날며, 정지비행도 한다. 날개편길이는 122~137 cm이다.
유사종 큰말똥가리는 날 때 첫째날개깃이 밝게 보이며, 꼬리에 가는 줄이 여러 개 있다. 털발말똥가
리는 몸이 전체적으로 흰색과 밤색이며, 꼬리는 흰색이지만 꼬리 끝에 밤색의 굵은 띠가 있다.
생태 서울의 하천이나 공원 등의 도시숲에서도 말똥가리가 날고 있거나, 높은 나무 위에 앉아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앉아 있을 때의 탄탄한 체형이 특징적이고, 날 때의 날개 모양이 둥글넓적
하다. 눈에 잘 띄는 맹금이기 때문에 말똥가리가 날아오르면 다른 새들이 달아나거나 몸을 숨기는
경우가 많은데, 까치나 큰부리까마귀는 오히려 쫓아다니며 괴롭히곤 한다. 말똥가리 부류는 같은 종
끼리도 배와 날개 아랫면의 무늬가 서로 다르게 생긴 경우가 많다.
분포 홍릉에서 범상(soaring)하는 모습을 겨울철에 관찰할 수 있다.

수리목_수리과 37
도요목_도요과

2008.12.16.선릉JSS 2012.10.23.MKD

1 2 3 4 5 6 7 8 9 10 11 12

멧도요 Scolopax rusticola


Eurasian Woodcock
丘鹬
ヤマシギ
PM/uc
L 34cm

외형 꺅도요류에 비해 크고 육중한 도요. 몸 윗면은 짙은 갈색이고, 엷은 갈색의 아랫면에는 검은


가로줄무늬가 있다. 머리꼭대기 뒤쪽과 뒷목에 검은색의 넓은 줄무늬가 있다. 다리는 분홍빛을 띠는
노란색이다. 눈이 정수리와 가까이 달려 있어 천적의 접근을 탐지하는 데 능하다. 날 때 넓고 끝이
둥근 날개를 볼 수 있으며 꼬리 끝의 검은 점 또한 인상적이다.
소리 ‘꽙- 꽈구과괍-’하며 낮은 소리로 운다.
생태 멧도요는 다른 도요들과 달리 숲에서 산다. 꺅도요처럼 숨어서 생활하며 흙 속에서 먹이를 찾
아먹는 습성 때문에 체형이 비슷하지만 체구는 더 크다.
분포 홍릉숲에서는 이동시기에 잠시 경유하는 나그네새(통과철새)이다. 위장색이 뛰어날 뿐만 아니
라 야행성이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는 않는다. 통과시기에 윈도스트라이크로 사체가 발견되었고, 까
치가 포식하는 장면이 찍혔다.

38 새, 홍릉숲에 머물다
도요목_도요과

2004.11.27.서울 탄천LJH

1 2 3 4 5 6 7 8 9 10 11 12

꺅도요 Gallinago gallnago


Common Snipe
扇尾沙锥
タシギ
PM/c
L 26cm

외형 긴 부리와 위장성이 강한 얼룩무늬가 특징적인 중형 도요류. 부리와 마주치는 곳에서 눈썹선


의 넓이는 눈선의 넓이보다 좁다. 날 때 날개 뒤쪽의 가장자리에 흰색이 뚜렷한데, 꺅도요류 중에서
는 유일한 특징이다. 아래날개덮깃의 흰색부분이 넓다. 꼬리깃은 평균 14개(12~18개)이며, 가장 바
깥쪽에 있는 꼬리깃의 폭은 7~12 mm이다.
생태 풀과 덤불이 무성한 습지를 좋아하는 물새인데, 홍릉숲에서 관찰되었다. 한강-정릉천, 서울
숲-홍릉숲 연결 네트웍에서 이동하는 중간에 홍릉숲을 경유지로 거친 것으로 보인다. 얼룩무늬가
정교한 보호색이 되어 눈에 잘 띄지 않을 뿐 아니라, 사람이나 천적을 보고 날아서 도망칠 때 지그
재그 모양의 궤적을 그리면서 날다가 내려앉아서 숨어버리기 때문에 추적하기가 쉽지 않다. 도요새
의 긴 부리는 부드러운 물질로 되어 있으며, 신경이 예민해서 흙 속의 먹이를 잘 탐지해낸다.
소리 ‘꺗-’ 혹은 ‘챳-’하는 소리를 지르면서 달아난다.

도요목_도요과 39
비둘기목_비둘기과

2013.05.16.MKD

2012.04.27.MKD 2013.02.02.서울숲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Oriental Turtle Dove
山斑鸠
キジバト
Res/c
L 33cm

외형 머리와 목, 몸의 아랫면은 회갈색이다. 날개는 진한 회색인데 날개깃 가장자리는 적갈색이어


서 접었을 때의 날개가 얼룩무늬를 띠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날개깃과 꼬리는 검은색이며, 꼬리 끝
에는 흰 띠가 있다. 목 옆에는 회색과 검은색의 줄무늬로 이루어진 반점이 있다. 눈과 다리는 붉은색
이다.
분포 도시든지 농촌이든지를 떠나서 사람 주변의 녹지에서라면 흔하게 볼 수 있는 텃새이다. 겨울
철에는 꽤 큰 무리를 지어 농경지에 모여든다.
생태 화단이나 보도를 걸어 다니며 풀씨 같은 먹이를 찾는다. 집비둘기보다는 약간 작고, 체색이 갈
색 위주여서 숲 바닥에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새끼새가 어버이새의 분비물(피전밀크)을 받아먹으
며 자라기 때문에 1년 내내 번식이 가능하다. 둥지는 가로수나 정원수 위에 잔가지를 얼기설기 얽어
서 투박하게 짓고, 알은 두 개씩 낳는다. 홍릉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소리 ‘구구-구구’, ‘구구-구구’ 하는 특유의 4음절 소리는 멀리에서도 들리며, 수컷끼리 싸울 때에
는 ‘뺑~’하는 특유의 소리를 낸다.

40 새, 홍릉숲에 머물다
비둘기목_비둘기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비둘기목_비둘기과 41
두견이목_두견이과

2010.06.05.전북 진안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뻐꾸기 Cuculus canorus


Common Cuckoo
大杜鹃
カッコウ
SV/c
L 35cm

외형 윗면은 균일한 회색이며 날개 끝과 꼬리는 검다. 다른 뻐꾸기류에 비해 배의 줄무늬가 가늘며,


노란색 눈과 눈테가 뚜렷하다. 배에 가로줄무늬가 있고 등은 진한 회색인 점이 새매와 비슷하며, 뾰
족한 날개 모양과 날씬한 체형은 새호리기와 비슷하게 보인다. 하지만 뻐꾸기는 맹금과 달리 몸을
수평으로 기울인 채 앉는 것을 좋아하며, 날 때는 날개가 슬쩍슬쩍 휘는 것처럼 보인다. 새끼의 뒷머
리에는 흰 반점이 있으며 등에는 갈색이 섞여 있다. 간혹 암컷의 가슴에 갈색 깃이 나타나기도 하며,
적갈색 바탕에 검은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는 윗면을 가진 (적색형) 암컷도 더러 보인다.
생태 붉은머리오목눈이(뱁새) 둥지에 탁란하는 습성으로 유명하다. 대체로 깊고 울창한 숲을 좋아
하는 다른 뻐꾸기 종류들과 달리 뻐꾸기는 숲 가장자리를 좋아하고, 높고 탁 트인 곳에 앉아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눈에 잘 띈다. 포란 기간에 뱁새 등 작은 새들이 둥지를 비운 사이 거기에 알을
낳고 원래의 알을 하나 치운 후 사라진다. 홍릉숲에 많은 뱁새 둥지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소리 ‘뻐-꾹’또는 ‘쿠-쿠’처럼 들린다. 옛 문헌에는 [곽공]으로 쓰였다. 암컷은 종종 아주 빠르게 ‘삐
삐삐삐삐삐삐삑’하면서 몇 초 동안 소리를 낸다.

42 새, 홍릉숲에 머물다
두견이목_두견이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두견이목_두견이과 43
올빼미목_올빼미과

PCR Bird DB

1 2 3 4 5 6 7 8 9 10 11 12

큰소쩍새 Otus semitorques


Japanese Scops Owl
日本领角鸮
サメイロオオコノハズク
PM/uc
L 24cm

외형 소쩍새와 유사하나 크기가 더 크며, 눈이 붉은색이고 귀깃도 더 길다. 드물지만 눈동자가 노란


개체도 있다. 가슴의 세로줄무늬에 약간의 가로줄무늬도 섞여 있다. 발가락은 깃털로 덮여 있으며,
뒷목에 회색 띠가 보이기도 한다. 야행성이며, 번식기가 아닌 때에는 작은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생태 인가 주변의 야산, 숲에 서식하며 주로 곤충과 쥐를 즐겨 먹는다. 전국에 서식하는 흔치 않은
텃새이자 통과철새이지만 홍릉숲에서는 주로 이동시기에 관찰된다. 사람이 접근해도 잘 날지 않으
며, 부리로 딱딱 소리를 내며 위협한다. 둥지로는 나무 구멍이나 건물의 처마 밑을 이용한다. 알을
낳는 시기는 5~6월이다. 알은 흰색이며, 4~5개 낳는다. 천연기념물 제 324-7호이다.
소리 번식기에는 약하고 부드럽게 ‘훗- 훗-’하며 2음절로 운다.

4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올빼미목_올빼미과

2004.05.08.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소쩍새 Otus sunia


Oriental Scops Owl
东红角鸮
コノハズク
SV/c
L 20cm

외형 한국의 올빼미과 조류 중 가장 작다. 회갈색의 몸에는 가로줄이 섞인 세로줄무늬가 있으며, 긴


귀깃이 있다. 발가락에는 깃털이 없다. 적색형도 있다. 문학작품에서는 [접동새]로 표현하기도 한다.
생태 올빼미과의 작은 부엉이이다. 여름철새이며, 우리나라의 올빼미과 새들 중에서는 수가 많고
흔한 편이다. 딱다구리가 파 놓은 나무구멍에서 번식을 한다. 야행성 맹금이며, 나무껍질과 비슷한
보호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낮에는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홍릉숲에서 여름철 저녁에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천연기념물 제324-6호이다.
소리 ‘소~쩍~’으로 2음절 또는 ‘솟~소~쩍’처럼 3음절로 들린다.

올빼미목_올빼미과 45
올빼미목_올빼미과

2010.06.04.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솔부엉이 Ninox japonica


Northern Boobook
北鹰鸮
アオバズク
SV/uc
L 29cm

외형 진한 밤색의 등과 선명한 노란색 눈의 부엉이류이다. 다른 올빼미류와 달리 귀깃과 뚜렷한 얼


굴면이 없다. 부리 주위의 흰색 부분을 제외한 머리 전체는 진한 밤색이다. 흰색의 가슴과 배에는 뚜
렷하고 굵은 세로줄무늬가 있는데, 긴 꼬리에는 가로줄무늬가 있다. 암컷의 체구가 수컷보다 크지만
수컷의 몸 색깔이 더 진한 편이다.
올빼미과 새 중에서 머리에 고양이귀 같은 깃뿔이 있는 종류를 부엉이라고 하지만, 솔부엉이는 예
외이다. 솔부엉이는 다른 올빼미과 새들과 달리 얼굴이 평평하지도 않다.
생태 올빼미과 맹금이며 여름철새이다.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관찰된다. 농촌의 야산이나 도시숲에
서도 번식하고, 곤충을 사냥하기 위해 가로등 주변에 나타나는 습성이 있다. 천연기념물 제 324-3
호이다.
분포 전국의 숲에서 두루 서식한다. 소쩍새 소리와 더불어 여름밤에 가장 흔히 들을 수 있는 울음
소리를 낸다. 특히, 소리를 따라 할 경우 사람 가까이에 날아 오는 습성이 있다.
소리 여름철 홍릉숲에서 ‘혹~호’, ‘혹~호’ 하며 반복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4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올빼미목_올빼미과

0
0 2 4 6 8 10 12 14

소쩍새

솔부엉이

올빼미목_올빼미과 47
칼새목_파랑새과

2012.06.02.전북 진안PCR

2005.07.08.경기 양평LJH 2012.06.02.진안 포동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Oriental Dollarbird
三宝鸟
ブッポウソウ
SV/c
L 29.5cm

외형 몸은 푸른 녹색이며, 머리와 날개 끝은 검다. 야외에서는 몸 전체가 검게 보이기도 하며, 날 때


첫째날개깃의 흰색 반점이 뚜렷하다. 부리와 다리는 붉은색이고, 어린새는 검은색이 섞여 있다. 눈
은 검은색이고 꼬리 역시 검다. 부리 주변에 긴 털이 많이 나 있어서 날아 다니는 벌레를 잡는 데 유
리하다. 펼친 날개 끝에 초승달 같은 흰 무늬가 있어서, 날고 있을 때 이 무늬가 눈에 잘 띈다. 무늬
는 2달러의 모양과 비슷하고, 영명은 이와 연관되어 있다.
생태 여름철새로 도시에서는 농촌에 비해 드문 편이지만, 숲이 우거진 곳에서는 어렵지 않게 보인
다. 길고 뾰족한 날개로 날렵하게 미끄러지듯이 나는 모습이 독특하다. 파랑새는 봄철에 번식을 마
친 까치의 둥지를 이용하여 재번식한다. 홍릉숲에서 여름철에 번식하는 것으로 보이며, 공중에서 먹
이 먹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소리 ‘깹-깹-’ 혹은 ‘땝땝-땝-’하는 독특한 소리를 한 숨에 여섯 번 이상 낸다.

4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칼새목_파랑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칼새목_파랑새과 49
칼새목_물총새과

2014.06.10.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호반새 Halcyon coromanda


Ruddy Kingfisher
赤翡翠
アカショウビン
SV/uc
L 27cm

외형 부리와 다리는 선명한 붉은색이며, 머리꼭대기부터 꼬리까지 몸의 윗면은 적갈색으로 다른 종


과 혼동되지 않는다. 멱부터 아래꼬리덮깃까지 몸의 아랫면은 윗면보다 연한 주황색을 띤다. 허리의
파랑색 세로줄무늬는 야외에서 관찰하기 어렵다. 어린새는 목과 가슴에 비늘무늬가 있고 몸 색깔도
연하다.
생태 숲속에 사는 여름철새이다. 긴 부리는 선홍색이고, 몸은 담홍색이어서 체색이 강렬하다. 물가
의 구새 먹은 나무에 둥지를 만든다. 계곡이나 숲 바닥으로 급강하해서 작은 동물들을 사냥한다. 홍
릉숲에서 2014년 6월 10일 윈도스트라이크로 사망한 한 개체가 있었다. 홍릉숲에서 번식할 가능성
은 낮고, 다른 지역에서 번식 후 이동개체일 가능성이 높다.
소리 ‘히히~호로로로로-’하며 처음에 높다가 점차 낮아지는 소리로 빠르게 낸다.

5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칼새목_물총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칼새목_물총새과 51
칼새목_물총새과

2005.07.08.서울 탄천LJH

2012.05.27.서울숲PCR 2012.05.27.서울숲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물총새 Alcedo atthis


Common Kingfisher
普通翠鸟
カワセミ
Res/r
L 17cm

외형 몸 윗면은 전반적으로 녹색을 띤 푸른색이나, 등은 선명한 파란색이다. 몸 아랫면은 선명한 주


황색이다. 검은색 눈의 앞과 뒷부분에는 주황색의 반점이 있다. 목옆과 멱은 흰색. 검은색의 부리는
길고 곧으며, 암컷의 아랫부리는 붉다. 어린새는 몸 색깔이 탁하다.
분포 활엽수원 연못에서 2003~4년 관찰되었는데, 산업연구원의 연못 등 주변의 습지에서 번식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생태 계곡, 하천, 호수 등지에 서식하며 겨울에는 해안가에서도 관찰된다. 홍릉숲에서는 이동시기
에 주로 관찰되며 번식에 대한 공식 기록은 없다. 물 속으로 뛰어들어 부리로 물고기를 잡아 제자리
로 돌아온다. 파닥거리는 물고기를 앉아 있는 나뭇가지 등에 세게 부딪혀서 기절시킨 다음에 먹는
다. 물가에서 멀지 않은 곳의 흙벼랑에 수평으로 1미터 가량의 굴을 파고 둥지를 만들며 알을 낳아
새끼를 기른다. 순백색 바탕에 얼룩무늬가 없는 알을 약 5개 정도 낳는다.
소리 날카롭게 ‘찌잇-’하며 운다.

52 새, 홍릉숲에 머물다
딱다구리목_딱다구리과

2011.04.14.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Japanese Pygmy Woodpecker
小星头啄木鸟
コゲラ
Res/c
L 15cm

외형 우리나라 딱다구리류 중 가장 작다. 어두운 갈색의 머리에 흰색의 눈썹선과 뺨선이 있다. 등에
흰색의 가로줄무늬가, 배와 옆구리에 갈색의 세로줄무늬가 뚜렷하며, 귀깃은 어두운 갈색이다. 수컷
머리의 붉은 점은 야외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분포 비교적 대경급 수목이 많은 홍릉숲에서는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딱다구리류 중 하나이다..
생태 우리나라의 딱다구리들 중에서 제일 작아 박새나 참새와 비슷한 체격이지만, 나무를 쪼아 일부
러 큰 소리를 내는 ‘드러밍’을 하거나 나무속을 파내 굴을 파는 등 습성은 여느 딱다구리들과 다르지
않다. 다른 딱다구리들에 비해 나무의 높고 가는 부분에 구멍을 파고 둥지를 짓는데, 이런 구멍은 나
중에 박새 등의 둥지가 된다. 겨울에는 도시 공원의 화단 등 사람과 가까운 곳에서도 발견된다.
소리 다른 딱다구리류들과는 달리 특이한 소리로 ‘끼르륵’하며 운다.

딱다구리목_딱다구리과 53
딱다구리목_딱다구리과

2014.01.08.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아물
쇠딱다구리 Dendrocopos canicapillus
Grey-capped Woodpecker
星头啄木鸟
ハイガシラコゲラ
Res/sc
L 20cm

외형 쇠딱다구리보다 약간 크고 짙은 검은색을 띠며 등 가운데의 흰색 무늬와 어깨의 흰 점이 뚜렷


하다. 흰색의 눈썹선은 눈 뒤에서 옆목까지 이어진다. 흰색의 가슴과 배에는 갈색 세로줄무늬가 있
다. 수컷은 뒷머리에 붉은색의 작은 점이 있으나 야외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날 때 허리의 흰 색
과 바깥꼬리깃의 흰색이 선명하게 보인다.
생태 우리나라에서 드문 딱따구리로 일부지역에서 번식하지만, 겨울철에는 고도가 낮은 도시지역
까지 출현한다. 홍릉숲에서 주로 고사목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분포 홍릉숲이 북한산 등 대규모 산림과 연결되어서 북방성 조류가 홍릉숲을 월동지로 이용하러
오는 것으로 이해된다.
소리 ‘뾱-’하는 울음소리가 쇠딱다구리와는 다르고 청딱다구리나 오색딱다구리에 가까운 편이다.

54 새, 홍릉숲에 머물다
딱다구리목_딱다구리과

2012.02.11.전북 남원PCR

2011.01.19.경북 문경PCR 2011.01.19.경북 문경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큰오색
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White-backed Woodpecker
白背啄木鸟
オオアカゲラ
Res/uc
L 28cm

외형 배 윗부분은 흰색이며, 아랫부분은 붉은색이고, 가슴과 옆구리에 검은색 세로줄무늬가 있다.


등은 검은색, 흰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다. 날 때 흰색 허리가 보인다. 부리로부터 이어진 검은색의 뺨
선은 뒷머리와 가슴까지 이어진다. 암컷의 머리꼭대기는 검은색이며, 수컷과 어린새의 경우 붉은색
이다.
유사종 오색딱다구리 → 등에 V자형 모양의 흰색 무늬가 있다. 검은색 세로줄무늬가 없고 허리는
검은색. 어린새는 암수 모두 머리 꼭대기 부분이 어두운 붉은색이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생태 죽은 나무나 수령이 오래된 살아 있는 나무에 직접 구멍을 뚫어 둥지를 만들며 내부에는 아무
것도 깔지 않는다. 번식을 끝낸 둥지는 이듬해에 곤줄박이나 박새 등의 둥지로 재활용된다.
분포 전국적으로 서식하지만 오색딱다구리나 청딱다구리에 비해서는 드문 편이다. 울창한 숲에서
주로 서식한다. 색상이 깔끔하게 구분되는 오색딱다구리와 달리 배나 등의 깃털이 얼룩져있다. 또한
몸집이 더 크고 부리도 길다.
소리 오색딱다구리보다 낮게 ‘꾝-’하는 소리를 낸다.

딱다구리목_딱다구리과 55
딱다구리목_딱다구리과

2011.01.14.전북 진안PCR

2011.04.15.PCR 2011.04.15.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Great Spotted Woodpecker
大斑啄木鸟
アカゲラ
Res/c
L 24cm

외형 몸 윗면은 검은색. 어깨에 뚜렷한 V자형의 희고 큰 점이 있다. 눈의 앞뒤, 멱/가슴/배는 흰색


이며, 부리에서 뻗은 검은색의 뺨선은 뒷머리와 가슴까지 이어진다. 아랫배에서 아래꼬리덮깃까지
붉은색이며, 날 때의 허리는 검은색이다.
수컷 → 머리꼭대기는 검은색, 머리 뒷부분은 붉은색이다.
암컷 → 머리꼭대기에서 뒷부분까지 검은색이다.
어린새 → 암수 모두 머리꼭대기가 어두운 붉은색이다.
유사종 큰오색딱다구리는 몸 아랫면에 검은색 세로줄무늬, 등에 가로줄무늬가 있다. 쇠오색딱다구
리는 크기가 작고 배가 흰색이다.
생태 검은색, 흰색, 붉은색이 깔끔하게 어우러진 외관 때문에 숲속에서도 눈에 잘 띈다. 말라죽은
나무를 쪼아 그 속의 벌레를 잡아먹거나 둥지를 만든다.
소리 높고 선명하게 ‘뺙-’하는 소리를 이따금 내면서 나무를 쪼곤 한다. 봄 번식기에는 그 소리를
빈번하게 내며 부산하게 숲속을 돌아다닌다.

56 새, 홍릉숲에 머물다
딱다구리목_딱다구리과

2014.05.26.CKH

2013.04.15.PCR 2011.10.13.서울 보라매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청딱다구리 Picus canus


Grey-headed Woodpecker
灰头绿啄木鸟
ヤマゲラ
Res/c
L 30cm

외형 등은 연한 녹색, 머리와 배는 무늬가 없는 회색이며, 옆구리는 흰색에 가깝다. 수컷은 이마가


하트 모양으로 빨갛다. 암수 모두 검은색의 가는 뺨선이 있으나, 수컷의 것이 좀 더 진하다. 첫째날
개깃은 띄엄띄엄한 흰색 점이 가지런히 박혀 있는 검은색이다.
분포 주로 숲 안쪽 보다는 숲 가장자리에서 둥지를 만들어 번식한다. 홍릉숲에서 산림보전연구동
뒷편 느티나무 및 오동나무에서 번식하고 있다.
생태 외관이 전체적으로 회색조이지만, 등의 깃털은 햇빛을 받으면 밝은 라임색으로 빛난다. 오색
딱다구리보다 낮고 부드럽게 ‘뾱’하는 소리를 띄엄띄엄 내기도 한다. 쇠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처럼
봄과 겨울에 도시숲에서도 쉽게 눈에 띄는 딱다구리이다.
소리 번식기에 날카로운 음조로 ‘히요-히욧-횻횻횻-’하며 독특한 울음소리를 낸다. 비번식기에는
이따금 요란한 소리로 ‘끼끼끼끼낏’거리며 날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딱다구리목_딱다구리과 57
딱다구리목_딱다구리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쇠딱다구리 아물쇠딱다구리 큰오색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청딱다구리

58 새, 홍릉숲에 머물다
매목_매과

2012.06.05.경북 예천PCR

2012.06.05.경북 예천PCR 2004.01.경기 파주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Common Kestrel
红隼
チョウゲンボウ
Res/uc
L ♂33/♀38.5cm

외형 꼬리는 회색이며, 꼬리 끝에 검은색의 넓은 띠가 있다. 날개깃은 검은색이며, 눈테와 발은 노


란색이다. 정지비행을 하는 대표적인 맹금류이다. 날개편길이는 68~76cm이다.
수컷 → 머리와 꼬리는 푸른빛을 띤회색이며, 등과 날개 윗면은 적갈색 바탕에 검은색의 반점이 많
다. 가슴과 배는 밝은 갈색 바탕에 흑갈색의 세로줄무늬가 있다.
암컷 → 머리와 꼬리가 등과 같은 적갈색이다. 등과 날개덮깃에는 줄무늬와 반점이 수컷보다 조밀
하게 있다. 꼬리에는 흑갈색의 가는 줄이 7~8개 있다.
분포 홍릉숲에서 겨울철에 범상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생태 전국의 숲, 도시의 숲, 빌딩, 아파트에서 번식한다.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절벽이나 높은 인공구조물에 나뭇가지와 풀을 이용하여 둥지를 직접 만
든다. 간혹 까치 둥지를 빼앗기도 한다. 산란시기는 4~5월이고 암컷이 약 30일 정도 품는다. 알은
노르스름한 흰색에 붉은 갈색의 점이 산재해 있다. 3~6개 낳는다. 새끼는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
나며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성으로, 알에서 깬 후 약 30일 정도 지
나면 둥지를 떠난다. 천연기념물 제 323-8호이다.

매목_매과 59
매목_매과

2008.06.19.CCY

2010.09.27.PCR 2010.09.27.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새호리기 Falco subbuteo


Eurasian Hobby
燕隼
チゴハヤブサ
SV/uc
L ♂33.5/♀35cm

몸외형 몸 윗면은 흑갈색이며, 아랫배와 아래꼬리덮깃은 붉은색이다. 가슴과 배에는 흑갈색의 굵은


세로줄무늬가 있다. 날 때 날개 모양이 가늘고 길며 날개 아랫면에 줄무늬가 조밀하게 있다. 수컷은
암컷보다 가슴 부분이 밝게 보인다. 날개편길이는 72~84cm이다.
어린새 → 아랫면 전체가 노란색을 띤 갈색이며 어두운 갈색의 세로줄무늬도 더 굵다.
유사종 매는 더 크며 배에 세밀한 가로줄무늬가 있다. 황조롱이는 날 때 꼬리가 더 길며, 눈 밑의
검은 무늬가 뚜렷하지 않다.
생태 매과 맹금은 까마귀과 새들이 봄에 사용했던 둥지를 쓰거나, 절벽의 자연적인 틈, 또는 건축물
의 빈 자리 등을 보금자리로 삼기도 한다. 새호리기는 공중을 빠르게 날면서 곤충이나 새를 사냥하
며, 홍릉숲에서 까치 둥지를 다시 사용하여 번식한다. 까마귀처럼 날개끝이 손가락 모양으로 갈라진
수리과 맹금과 달리 매과 맹금의 날개는 비둘기처럼 끝이 뾰족한 칼 모양인데, 새호리기는 매과 맹
금 중에서도 유난히 길고 뾰족한 날개와 날씬한 체형이 특징이다.
분포 홍릉숲에서 번식 후 ‘히~삐,삐,삐,삐’하며 빠르게 소리내며, 새끼를 기르는 모습을 볼 수 있으
며, 인근 아파트까지 분포한다. 멸종위기종 Ⅱ급이다.
60 새, 홍릉숲에 머물다
매목_매과

새호리기

매목_매과 61
참새목_때까치과

2014.07.04.강원 평창CKH

2014.07.04.강원 평창CKH 2014.11.22.경기 하남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때까치 Lanius bucephalus


Bull-headed Shrike
牛头伯劳
モズ
Res/c
L 20cm

외형 수컷 → 머리는 갈색, 등은 회색이다. 눈선과 날개깃은 검은색이며 꼬리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검어진다. 날개의 흰 반점이 특징이며, 날 때 더욱 뚜렷이 보인다. 멱에서 배까지는 흰색이다. 여름
깃은 머리와 등이 회색을 띠며 가슴의 적갈색 부분이 좁아진다.
암컷 → 머리는 갈색, 눈선과 등은 진한 갈색이다. 가슴과 배는 연한 적갈색에 조밀한 비늘 무늬가
있다. 날개에 흰 점이 없다.
유사종 칡때까치는 흰색의 눈썹선이 없다. 노랑때까치는 체색이 옅은 갈색이다.
생태 육식성이 강한 산새이다.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 부리가 맹금처럼 날카롭고 강하다. 나뭇가지
나 전깃줄에 앉아 긴 꽁지깃을 빙글빙글 돌리는 습성이 눈에 잘 띈다.
분포 우리나라 때까치 종류 중 현재 유일하게 전국적으로 1년 내내 관찰되는 종이다. 숲보다는 민
가 근처 평지에서의 관찰 빈도가 높다. 홍릉에서 번식가능성은 낮고 이동시기에 관찰되었다.
소리 ‘때때때때때때’하고 빠르게 운다. 다른 새의 소리를 흉내내기도 한다.

6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때까치과

때까치

참새목_때까치과 63
참새목_꾀꼬리과

2014.05.09.CKH

2014.05.09.CKH 2014.05.19.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꾀꼬리 Oriolus chinensis


Black-naped Oriole
黑枕黄鹂
コウライウゲイス
SV/c
L 26cm

외형 몸 전체가 선명한 노란색이며, 부리는 붉은색이다.


수컷 → 몸 전체가 선명한 노란색이며, 검은색 눈선의 폭이 넓다. 꼬리는 검은색으로 바깥꼬리깃은
노란색이다.
암컷 → 등은 흐린 노란색이며, 눈선의 폭이 좁다.
어린새 → 암컷과 유사하나 가슴과 배가 흰색이며 검은색 세로줄이 있다.
생태 꾀꼬리는 잎이 무성한 나뭇가지에 매달리는 둥지를 짓는데, 잎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꾀꼬
리는 밝게 빛나는 노란 바탕의 몸에 군데군데 검고 진한 무늬가 있어 공중에서 날 때는 눈에 잘 띄
지만, 잎이 무성한 나뭇가지 사이로 날아다니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홍릉에서 번식하여, 대표적인
여름철새이다.
소리 ‘꾀꼴꾀꼴’ 또는 ‘휘홀휘홀’처럼 들리는 아름다운 울음소리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홍릉숲의
꾀꼬리는 ‘고-꾀꼬리-요’하며 소리낸다. 하지만 새끼를 돌볼 때에는 ‘갸아앗-’하는 거친 소리를 고
양이처럼 내며 둥지를 지킨다.

6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까마귀과

2013.05.09.PCR

2009.12.19.PCR 2009.12.19.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어치 Garrulus glandarius
Eurasian Jay
松鸦
カケス
Res/c
L 33cm

외형 날 때 허리와 날개에 드러나는 흰 점이 뚜렷한 산림성 조류. 머리와 몸 아랫면은 적갈색이고


몸 윗면은 회갈색이며 담청색 광택의 독특한 날개덮깃에는 검은 줄무늬가 있다. 부리, 뺨선과 꼬리
깃, 날개깃은 검다.
분포 홍릉숲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멧비둘기 둥지를 포식하거나, 다른 새의 새끼를 먹는 경우도
있다.
생태 참나무가 많은 활엽수림에 사는 텃새이다. 다른 까마귀과 새들처럼 영리하면서도 사납다. 맹
금이나 다른 까마귀과 새가 나타나면 거친 울음소리를 내며 쫓아내지만, 주변에서 들리는 새소리나
기계음, 사람의 말소리 등을 따라 할 줄도 안다. 잡식성이어서 다른 새의 새끼를 잡아먹기도 한다.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는데, 어치의 경우에는 가을에 도토리를 물어다 땅속에 잔뜩 묻어놓았다
가 겨울에 찾아먹는다. 어치가 찾아먹지 못한 도토리는 봄에 싹을 틔운다.
소리 까치보다 탁하게 ‘과악- 과아악-’하고 운다.

참새목_까마귀과 65
참새목_까마귀과

2013.05.13.PCR

2013.05.13.PCR 2012.05.06.전남 영광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물까치 Cyanopica cyanus


Azure-winged Magpie
灰喜鹊
オナガ
Res/c
L 37cm

외형 긴 꼬리와 검은색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등과 날개, 꼬리는 청회색이다. 꼬리 끝은 흰색이며


등과 배는 회색이다.
어린새 → 머리에 흰 점이 섞여 있으며, 꼬리는 짧다.
분포 물까치는 홍릉숲에서 가을철에 10마리 이내로 관찰되는데, 홍릉숲에서 번식하지 않지만, 다
른 숲과 연결되어 가을철에 장과류 식물 등이 많아서 찾아오는 것으로 추측된다.
생태 산과 도시의 경계에 있는 가장자리의 숲에서 많이 나타난다. 몇십 마리씩 무리를 지어 생활하
며 이동할 때 한두 마리씩 줄을 지어서 나무나 덤불 사이를 날아 지나가는 습성이 있다.
소리 ‘꾸-이 구잇-귓뀟뀟-’하는 소리로 거듭해서 울며, 시야에서 사라질 때까지 한참을 반복한다.

6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까마귀과

2013.03.31.경기 용인PCR

2013.05.13.PCR
2012.04.30.MKD 2014.02.13.MKD

1 2 3 4 5 6 7 8 9 10 11 12

까치 Pica pica
Eurasian Magpie
喜鹊
カササギ
Res/ab
L 46cm

외형 녹색 광택이 나는 긴 꼬리가 있다. 흰색의 어깨깃과 배를 제외한 몸 전체가 검은색이며, 날 때


는 흰색의 첫째날개깃이 뚜렷하게 보인다. 날개깃은 햇빛 아래에서 짙은 푸른색 광택을 내기도 한다.
분포 홍릉숲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주변 건물의 식당 주변 등에 둥지가 다수 분포한다. 특히, 여름
번식 후 털갈이를 마친 까치 무리가 홍림원에서 다수 관찰된다. 홍림원의 잔디밭에서 먹이를 다수
먹기도 한다.
생태 외딴섬이나 깊은 숲속을 제외한 거의 모든 곳에 서식한다. 대도시인 서울에도 적응을 잘 해서,
전신주나 가로등, 가로수, 조명탑 등에 둥지를 짓는다. 검고 흰 무늬와 긴 꼬리가 인상적이어서 멀리
서도 눈에 잘 띈다. 홍릉숲에서는 겨울이 끝나갈 무렵부터 까치 부부들이 나뭇가지를 물어다 아름드
리나무 꼭대기에 지어놓은 둥지를 보수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낙엽을 헤치며 먹이를 찾는 모습도
자주 보인다.
소리 익숙한 ‘깍-’ 소리 외에도 다양한 소리를 내는데, ‘삐르륵-’거리는 소리로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참새목_까마귀과 67
참새목_까마귀과

2013.07.03.MKD

2014.04.11.CKH 2014.04.25.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Large-billed Crow
大嘴乌鸦
ハシブトガラス
Res/c
L 57cm

외형 부리가 크고 두툼하며, 머리와 부리가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어린새 → 어미새와 비슷하나 푸른색의 광택이 없다.
분포 홍릉숲에서 번식가능성은 낮으나, 주변 산림과 연결되어 무리를 지어 홍릉숲으로 날아 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홍릉숲에서 까치나 어치 처럼 지면에 내려앉는 모습이 잘 보이지 않고, 대체로
높은 나무 위에 앉아있다.
생태 우리나라의 참새 목 산새 중에서 제일 크다. 산이나 숲에서 사는 종이었지만, 근래에는 도시에
서도 자주 보이게 되었다. 번식기인 봄에는 거칠고 우렁찬 소리로 우짖으며 세력권을 과시한다.
소리 큰부리까마귀는 사람 말소리와 비슷한 음조로 ‘아압-아아압-’하며 크게 운다. 짧게 ‘깜밥-’하
는 소리를 반복하며 놀기도 한다.

6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까마귀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어치 물까치 까치 큰부리까마귀

참새목_까마귀과 69
참새목_여새과

7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여새과

1 2 3 4 5 6 7 8 9 10 11 12

황여새 Bombycilla garrulus


Bohemian Waxwing
太平鸟
キレンジャク
WV/c
L 20cm

외형 긴 머리깃을 가진 회갈색의 조류. 꼬리 끝에는 선명한 노랑색 띠가 있다. 눈선과 멱은 검은색


이며, 날개의 흰 줄과 노랑색이 눈에 띈다. 배는 회색이다.
분포 겨울철에 월동하기보다는 북상하거나 남하하는 무리가 홍릉숲에 날아들어, 장과류 및 느릅나
무류 열매를 먹고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생태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하며, 홍여새와 혼성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번식하지는 않고, 나뭇가
지에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겨우살이류를 즐겨 먹고 겨우살이류 분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소리 약한 소리로 ‘찌리리리리’하는 소리를 반복해서 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홍여새 Bombycilla japonica


Japanese Waxwing
小太平鸟
ヒレンジャク
WV/uc
L 18cm

외형 형태와 습성이 황여새와 비슷하다. 꼬리 끝은 붉은색이며, 날개에는 흰 점이 없다. 검은색의


눈선이 뒤로 가며 넓어진다. 배 중앙은 흐린 노란색으로 보인다.
생태 숲 가장자리나 도시의 정원, 공원 등에 서식한다. 황여새와 같이 나뭇가지 끝에 주로 있다.
분포 도래하는 개체수가 보통 황여새보다 적으며, 황여새 무리에 섞이기도 한다.
소리 황여새와 비슷하나 3음절로 ‘찌리리’하며 낸다.

참새목_여새과 71
참새목_박새과

2010.11.29.PCR

2011.04.15.PCR 2011.04.15.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진박새 Periparus ater


Coal Tit
煤山雀
ヒガラ
Res/c
L 11cm

외형 박새류 중에서 가장 작다. 머리꼭대기는 검은색으로 작은 댕기가 있으며 암컷은 약간 짧다. 윗


목과 뺨은 흰색이고 멱은 검은색이다. 몸의 윗면은 어두운 청회색으로 날개에는 두 줄의 가느다란
흰색 띠가 있다. 가슴은 연한 크림색이고 배와 옆구리는 흐린 회색이다. 등, 허리는 연한 녹색을 띤
회색이다. 꼬리는 연한 흑갈색을 띠며 다리는 청회색이다. 어린새는 머리꼭대기, 뒷목의 양쪽 옆이
어두운 회색이며 뒷목 가운데에는 연한 흰색의 무늬가 있다.
생태 우리나라의 박새류 중에서 제일 작다. 침엽수림에서 먹이자원을 다수 이용하며, 다른 박새류
와 비교하여 높은 수관층에서 먹이 활동을 한다. 홍릉숲에서 번식하지만, 다른 박새류에 비해 번식
밀도는 낮고, 인공새집을 이용하지는 않고, 건물 틈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소리 빠르고 날카롭게 ‘쯔비빙~, 쯔비빙’하면 3음절로 반복되는 소리를 낸다.

7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박새과

2013.05.13.MKD 2012.08.01.평창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곤줄박이 Sittiparus varius


Varied Tit
赤腹山雀 · 杂色山雀
ヤマガラ
Res/c
L 14cm

외형 눈 언저리부터 어깨까지 검은색이다. 이마와 얼굴은 크림색을 띤 흰색인데 정수리에서 뒷목


까지도 이런 색깔이다. 멱과 아랫목은 검은색. 등과 배는 적갈색이며, 윗가슴과 배의 가운데는 크림
색을 띤 흰색이다. 날개와 꼬리는 청회색이다.
분포 박새보다 숲 안쪽에 분포하는 경향이 있고, 인공새집는 드물지만 흔한 산새이다. 가을철에 잣
등 구과류를 이용하기도 하고, 나무 줄기에 꽂아 두기도 한다.
생태 우리나라의 박새 종류 중에서 제일 크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디자인한 박새용 인공새집에서
곤줄박이도 번식한다. 곤줄박이는 산새들 중에서는 비교적 사람과 쉽게 친해지는 새로, 사람의 손에
있는 먹이를 물어가도록 길들이는 것도 가능하다.
소리 ‘쯔쯔~비~비~”하는 4음절 금속성 소리를 낸다. 봄철에는 ‘쮸리쮸리-삐이-’하는 노래를 부
르기도 하는데 ‘뿌이뿌이- 츄리리-’하는 패턴도 있다. 침입자를 경계할 때의 ‘삐이~삐이~삐이’ 하
는 경계음이 박새과 새들 중 가장 날카롭고 강한 느낌이다.

참새목_박새과 73
참새목_박새과

2008.02.13.PCR

2009.09.20.서울 도봉PCR 2010.12.04.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쇠박새 Poecile palustris 沼泽山雀


Marsh Tit ハシブトガラ
Res/c
L 11cm

외형 머리꼭대기가 검고 광택이 있다. 윗면은 갈색을 띤 연한 회색으로 날개에 흰 줄이 없다. 눈 밑,


멱의 양 옆, 목 옆은 흰색이며 멱은 검은 색이다. 가슴, 옆구리, 배는 회색을 띤 흰색이다. 꼬리는 연
한 갈색을 띤 회색이다.
분포 박새보다는 드물지만 흔한 산새이다. 도시에서도 비교적 쉽게 관찰되다. 단풍나무류 열매, 느
릅나무류 열매 등 먹기 힘든 열매를 매달려서 이용하기도 한다. 겨울철에 활엽수원에서 주로 발견
되며, 지면에서 먹이를 이용하기도 한다.
생태 박새와 습성이 비슷한데, 박새와 달리 검은 정수리 부위를 제외하면 몸의 대부분이 연한 회색
이기 때문에 쉽게 눈에 띈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박새는 복부에 검은 깃털이 세로 나있지만, 쇠박새
의 배에는 아무 무늬도 없다는 점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소리 박새나 곤줄박이보다 낮고 탁한 소리로 ‘쬬-쬬-쬬-’소리내기도 하지만, 고음으로 빠르게
‘쬬-쬬-쬬-쬬-쬬’ 연속적으로 소리낸다. 경계음도 박새보다 낮고 끝소리가 떨어지는 형태이다. 음
성이 전체적으로 박새보다 낮지만, 빠르게 낼 때는 밝게 들린다.

7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박새과

2011.06.02.PCR

2008.05.21.PCR 2011.04.15.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박새 Parus minor
Great Tit
大山雀
シジュウカラ
Res/ab
L 14cm

외형 머리꼭대기와 목은 검은색이고 뺨은 흰색이다. 배 가운데에는 검은색 세로줄이 있다. 수컷은


암컷보다 검은색의 폭이 넓고, 어린새는 불명확하다. 날개는 어두운 회색으로 한 개씩의 흰색 띠가
있다. 윗등과 어깨는 회색을 띤 녹색이지만 등의 아래쪽으로는 연한 푸른색을 띤 회색이 강하다. 옆
구리는 흐린 흰색, 허리와 위꼬리덮깃은 푸른색을 띤 회색이다. 부리는 검은색, 다리는 회색을 띤 검
은색으로 어린새는 다리가 회갈색이다.
분포 동아시아의 흔한 산새이다. 울창한 숲은 물론 도시의 작은 녹지에서도 보인다. 홍릉숲 인공새
집에서 박새는 약 50쌍이 번식한다.
생태 숲속에서는 딱다구리가 파놓은 나무구멍에 둥지를 짓지만, 인공새집을 비롯해 사람이 만든
구조물에도 둥지를 짓는다. 홍릉숲에 해충방제 및 기후변화 연구를 위해 인공새집을 연구-제작-보
급하고 있다. 박새는 먹이대에도 금방 익숙해지는데, 해바라기씨, 땅콩, 식빵, 애벌레, 끓여서 정제한
동물기름 등을 좋아한다.
소리 봄철 ‘뿌잇찌, 뿌잇찌’를 여러번 반복하는 노래를 부른다. 둥지가 위협을 받으면 ‘쯔삐삐삣- 매
매맵-’하는 경계음을 내다가 아주 위험할 경우에는 ‘츠삐요- 츠삐요-’하는 경고음을 낸다.
참새목_박새과 75
참새목_박새과

박새 곤줄박이

쇠박새 진박새

7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박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진박새 곤줄박이 쇠박새 박새

참새목_박새과 77
참새목_직박구리과

2010.11.28.PCR

2011.04.15.PCR 2011.04.15.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Brown-eared Bulbul
栗耳短脚鹎
ヒヨドリ
Res/c
L 28cm

외형 머리와 등은 푸른색을 띤 회색이며, 날개는 회갈색이다. 눈 뒤로 밤색의 반점이 있다. 배에서


꼬리쪽으로 갈수록 흰색 반점이 많아진다. 머리 꼭대기로 뾰족하게 치켜 올라온 깃털들이 인상적이
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으로 비슷한 크기의 다른 새들과 헷갈리지 않는다.
분포 우리나라에서 도시와 농촌 등 모든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이다. 도시의 소음에도 상호 소
통할 수 있을 정도로 날카롭게 높은 음을 내서인지, 도시에 적응을 잘한다. 활엽수원 연못에서 흐르
는 물을 혀를 내밀면서 먹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생태 나무 위에 사발 모양의 둥지를 짓는다. 봄에는 꽃꿀, 겨울에는 나무열매를 먹기 때문에 도시의
정원수 주변에서 자주 보인다. 물결 모양의 비행방식이 특징이며, 땅에 내려 앉을 때, 곡선 모양으로
잘 내려 앉는다. 홍릉에서 미국낙상홍나무 열매를 먹기도 하고, 자목련과 개나리 꽃에 있는 개미류
등 수분매개 곤충류를 잡아먹기도 한다.
소리 날카롭게 ‘삑-삐죽-’거리는 울음소리이다. ‘꾜록키릭꾜로록’하며 다소 거칠게 노래를 부르기
도 한다.

7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직박구리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새목_직박구리과 79
참새목_제비과

2014.05.28.서울 성수동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제비 Hirundo rustica
Barn Swallow
家燕
ツバメ
SV/c
L 18cm

외형 윗면은 광택이 있는 어두운 청색, 이마와 멱은 적갈색이다. 멱 아래에는 검은색의 띠가 있다.


배는 흰색 또는 엷은 주황색을 띤 흰색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바깥꼬리깃이 더 길다.
유사종 귀제비는 허리가 황갈색이며, 아랫면에 세로줄무늬가 있다.
분포 홍릉숲에서 번식하지 않지만, 서울숲 주변 성수동 및 서울 동부지역에서 번식한 제비가 하늘
에서 날아다니기도 한다.
생태 예로부터 사람 주변에서 살아온 친숙한 새이다. 서울에서는 점점 마릿수가 줄어들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둥지를 짓는데, 진흙개펄이 있어야 하고, 번식 후 새끼를 기르고 이동하는데
하천숲이 있어야 하지만, 부족하다. 여름철에 하천이나 연못 주변에서 날벌레를 잡아먹거나 물을 차
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소리 ‘쭈잇~쭈잇, 지지지지~쭈이’하는 소리를 내며, ‘젭-젭’하는 소리도 곧잘 낸다. 이 소리는 제
비 종명의 원형인 [졉이]와 관련이 된 듯하다.

8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제비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새목_제비과 81
참새목_휘파람새과

2012.06.06.강원 대관령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Asian Stubtail
鳞头树莺
ヤブサメ
SV/c
L 10.5cm

외형 소형 산새이며 꼬리가 짧다. 풀숲이나 덤불에 있기 때문에 관찰하기 힘들다. 윗면은 갈색, 아
랫면은 노란색을 띤 흰색이다. 흰색의 눈썹선과 어두운 갈색의 눈선이 뚜렷하다. 눈썹선은 길게 어
깨 가까이까지 이어지는데 짧은 꼬리와 대비되는 모습이 독특하다.
분포 홍릉숲에서 이동시기에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번식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중간기착지로 이
동한다.
생태 도시숲에서도 번식하지만, 덤불 속에서 주로 활동하기 때문에 눈에는 잘 띄지 않는다. 인적이
드문 곳에서는 숲 바닥의 덤불과 풀숲 사이로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동글동글한 체형에 유난히
짤막한 꽁지, 그리고 뚜렷한 눈썹무늬가 눈에 잘 띈다.
소리 ‘츠스스시시씨씨씻’하며 작다가 점점 커지는 소리로 풀벌레와 비슷하게 5초 정도 소리 낸다.

8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오목눈이과

2010.03.16.PCR 2014.04.08.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Long-tailed Tit
银喉长尾山雀
エナガ
Res/c
L 14cm

외형 몸은 작고, 꼬리가 길다. 머리와 배는 흰색이고, 검은색의 넓은 눈썹선은 등까지 이어져 있다.
등은 어두운 분홍색과 검은색으로 되어 있다. 날개와 꼬리는 검은색이며 둘째날개깃 가장자리와 바
깥꼬리깃은 흰색이다. 어린새는 몸 색깔이 탁하고 어두우며 눈썹선도 더 넓다.
아종 검은색의 눈선이 있는 오목눈이(A. c. magnus)는 흔한 텃새이지만, 머리 전체가 흰색인 흰머
리오목눈이(A. c. caudatus)는 흔하지 않은 겨울철새이다.
생태 잎이 무성한 나뭇가지 속에 둥지를 짓는다. 둥지는 까치 둥지처럼 돔 형식으로 짓고, 출입구는
아랫쪽에 둔다. 둥지는 주로 편백나무 등 나뭇가지가 밀집한 수종을 선호한다. 흰색, 검은색, 분홍색
이 섞인 체색과 긴 꼬리가 특징이다.
분포 홍릉숲에서 번식하며, 비번식기에 박새류와 어울려 혼성군을 형성한다. 초봄에 꽃눈과 잎눈
등 새순을 매달려 먹기도 한다.
소리 ‘쥬릿~쥬릿~’하는 빠르게 독특한 소리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참새목_오목눈이과 83
참새목_솔새과

2014.09.30.CKH

2012.09.27.MKD 2014.10.08.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Yellow-browed Warbler
黄眉柳莺
キマユムシクイ
PM/c
10.5cm

외형 여름에는 몸의 윗면이 노란색을 띤 녹색이다. 엷은 노란색의 눈썹선과 날개에 있는 두 줄의


띠가 선명하다. 머리중앙선은 가늘고 흐려서 잘 보이지 않는다. 허리는 뚜렷하지 않은 연한 노란색
이고 위꼬리덮깃은 녹색이다. 셋째날개깃 바깥 가장자리는 노란색이며 큰날개덮깃과 가운데날개덮
깃은 황백색이다.
분포 홍릉숲에 번식하지 않고 무리를 지어 봄과 가을에 이동하며, 버드나무류 등 잎이 편평하게 난
소지에서 빠르게 먹이를 낚아채서 먹거나 정지비행하여 먹는다.
생태 노랑눈썹솔새는 대체로 봄과 가을철에 우리나라를 거쳐 이동하는 나그네새이지만, 수가 많고
또 특징적인 외모 때문에 솔새 중에서 눈에 잘 띄는 편이다. 머리와 날개에 노랗고 검은 얼룩이 있
는 녹황색 새들이 무리지어 나뭇가지 사이를 날아다니는 모습으로 보인다.
소리 ‘찌-쮸-이-지이이-’하는 소리를 내며, 소리로 쉽게 구분한다. 짧게 ‘쮸잇-’하는 소리를 반복
하기도 한다.

8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솔새과

2014.05.20.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쇠솔새 Phylloscopus borealis


Arctic Warbler
极北柳莺
コムシクイ
PM/c
L 12.5cm

외형 몸 윗면의 녹색은 탁한 편이다. 몸 아랫면은 노란색이 약한 회백색이다. 눈썹선은 길고 뚜렷하


며 흐린 노란색이다. 날개에 눈에 살짝 띄는 흰색 줄이 하나 있는데 뚜렷하지는 않다. 다리는 연한
황갈색이다.
분포 홍릉숲에서 번식하지 않고, 이동시기에 관찰된다.
생태 숲이나 정원, 공원 등에서 먹이를 먹는다. 나무의 높은 쪽 가지에서 목을 쭈욱 내밀어 먹이를
먹는 행동(perch-gleaning)으로 주로 먹이를 잡아 먹는다. 벌레를 잡는 활동을 하기 때문에 쉬이 눈
에 띄지 않는다.
소리 풀벌레처럼 ‘찌리리리리리’하는 소리로 운다. 중간에 ‘찟-’하는 소리가 섞이기도 한다.

참새목_솔새과 85
참새목_솔새과

2014.05.15.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솔새 Phylloscopus xanthodryas
Japanese Leaf Warbler
日本柳莺
メボソムシクイ
PM/c
L 12.5cm

외형 눈썹선이 있으며, 몸 윗면은 쇠솔새보다 탁한 녹색이다. 쇠솔새보다 눈썹선, 뺨, 몸 아랫면이


연한 노란색이다. 대개 날개선이 한 개 있지만 뚜렷하지 않다. 쇠솔새와 구별하기 어렵지만, 소리는
뚜렷하게 다르다.
분포 홍릉숲에서 번식하지 않고, 이동시기에 관찰된다.
생태 숲, 정원과 공원 등지에 서식한다.
소리 쇠솔새보다는 조금 느리지만 절주감이 있게 ‘쮸리쥬리쮸리쥬리’하는 소리를 반복해서 운다. 뒤
따라 오는 소리가 첫소리보다 약간 작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소리가 점점 커진다. ’21-32-43-
54’의 음고저 패턴을 보인다. 쇠솔새의 ‘찟-’하는 소리보다 탁하게 ‘깹-’ 혹은 ‘짯-’에 가까운 소리를
낸다.

8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솔새과

2014.04.25.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Eastern Crowned Warbler
冕柳莺
センダイムシクイ
SV/c
L 12.5cm

외형 윗면은 녹색이며, 아랫면은 흰색이다. 머리꼭대기는 탁한 녹색이며 흐린 녹색의 머리 중앙선


이 있다. 눈썹선은 흐린 노란색이며 그 주위는 약간 어둡게 보인다. 큰날개덮깃의 앞끝은 흰색이다.
꼬리는 녹색을 띤 갈색이다.
유난히 밝은 녹색의 광택이 특징적인 솔새이다. 아랫부리가 통째 밝은 노란색이고 몸통이 형광을
띤 녹색으로 밝은 빛을 띠면 산솔새일 가능성이 높다.
분포 홍릉에서 번식가능성은 낮고, 이동시기에 관찰되며 주로 봄철에 소리로 알 수 있으며, 가을철
에는 소리를 거의 내지 않는다.
생태 숲의 바닥에 둥지를 짓고 번식한다. 나무 위나 덤불 속에 사는 종이 많고, 녹색이나 갈색 보호
색을 띠고 빠르게 움직이기에 관찰하기 어려우며, 생김새가 서로 비슷하여 종을 구분하기 어렵다.
소리로 쉽게 구분할 수 있으며, 산솔새는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솔새 중 가장 흔한 편이다. 산솔새
는 나무의 소지보다는 가운데에서 먹이활동을 주로 하는 경향이 있다.
소리 ‘찌-쥬이쮸이쮸이-쯔이~잇’하며 빠르게 우는데, 끝의 ‘쯔이잇’하는 소리가 특징적이다.

참새목_솔새과 87
참새목_솔새과

오목눈이 노랑눈썹솔새

쇠솔새 산솔새

8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솔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노랑눈썹솔새 쇠솔새 솔새 산솔새

참새목_솔새과 89
참새목_꼬리치레과

2014.05.13.CKH

2014.04.15.CKH 2008.05.12.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붉은머리오목눈이 Sinosuthora webbiana 棕头鸦雀 Res/ab


Vinous-throated Parrotbill ダルマエナガ L 13cm

외형 몸이 전체적으로 밝은 갈색이며, 배는 황갈색이다. 날개는 접고 있을 때 적갈색으로 보인다.


부리가 짧고 굵으며 전체적으로 흑갈색이나 부리 끝은 밝게 보인다. 부리는 검은색이고 다리는 어
두운 분홍색이며 꼬리가 길다. [뱁새]라고 불리기도 한다.
분포 홍릉숲에서 주로 길가 주변의 명자꽃나무, 화살나무, 철쭉 등지에서 둥지를 틀고 번식하며, 대
개 둥지 높이가 1미터 정도로 높다. 도시숲에서 부족한 관목층을 선호한다.
생태 흔한 텃새이다. 사람 눈높이보다 낮은 곳에서 주로 생활하며, 보행로 주변의 관목 조경수 가지
속을 날아다니다가 사람 바로 앞까지 접근하기도 한다.
봄철 번식기에는 나무껍질이나 마른풀, 거미줄 등을 엮어 덤불 속에 둥지를 만드는데, 겨울에 낙엽
이 지면 이 둥지들이 눈에 잘 띄게 된다.
소리 비번식기에 수십 마리가 무리를 지어 다니는데, 덤불 속에서 ‘배배배뱁’거리는 낮은 소리를 내
다가 이따금 ‘삐-비-비-’하는 높은 소리를 지른다.

9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꼬리치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새목_꼬리치레과 91
참새목_상모솔새과

2013.03.28.PCR 2004.04.03.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상모솔새 Regulus regulus


Goldcrest
戴菊
キクイタダキ
WV/c
L 9cm

외형 작고 동그스름해보이는 체형의 소형 산새이다. 부리가 얇고 뾰족하며 눈 주위가 희다. 등은 어


두운 연두색. 머리꼭대기는 노란색이고, 수컷은 붉은색 반점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검은색이다. 눈테
는 흰색, 날개는 검은색이며 두 줄의 흰색 띠가 있다.
분포 겨울철 도시숲의 침엽수림에서 주로 관찰된다. 홍릉숲 침엽수원에서 겨울철에 쉽게 볼 수 있
고 3월까지 머물기도 한다.
생태 부산하게 침엽수 가지 사이를 오가며 곤충 등의 먹이를 찾는데, 움직이는 방식이나 날개 무늬,
체형 등이 진박새와 비슷하다. 상모솔새는 굴뚝새와 함께 유라시아에서 제일 작은 새이다. 홍릉숲에
서 번식하지 않지만, 월동하는 특성은 대규모 도시숲과 연결된 홍릉숲의 특성을 반영한 듯하다.
소리 얇고 가늘지만 쨍쨍한 금속성의 소리로 ‘찟-찟-찟-’하며 운다.

9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상모솔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새목_상모솔새과 93
참새목_굴뚝새과

2010.11.28.PCR

2013.12.01.서울숲PCR 2013.12.01.서울숲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굴뚝새 Troglodytes troglodytes


Eurasian Wren
鹪鹩
ミソサザイ
Res/c
L 10cm

외형 소형 조류로서 몸은 둥글고 부리는 가늘다. 짧은 꼬리는 위로 약간 치켜올려져 있다. 몸 전체


가 어두운 갈색에 검은색의 조밀한 가로무늬가 있으며 눈썹선은 불명확하다. 야외에서는 보통 그저
검게 보인다. 날 때 날개의 끝은 넓고 둥그스름하며 같은 자리에서 폴짝폴짝 뛰며 나는 행동을 자주
한다.
분포 홍릉숲에서 산림보전연구동 주변에서 관찰되며, 하수도 주변 및 침엽수원까지 분포한다.
생태 상모솔새와 함께 유라시아에서 제일 작은 새이다. 겨울철에 더 자주 보인다. 땅에 바짝 붙어서
포물선을 그리며 짧게 날고, 서있을 때에는 보통 꼬리를 위로 높이 치켜든다.
소리 번식기 때 소리는 숲 속의 세레나데라고 불릴 정도로 아름다우나, 비번식기에 음성은 ‘찌릿’하
는 등 독특하여 구분된다.

9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굴뚝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새목_굴뚝새과 95
참새목_동고비과

2011.09.09.강원 남이섬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고비 Sitta europaea


Eurasian Nuthatch
普通鳾
ゴジュウカラ
Res/c
L 14cm

외형 작고 길쭉하게 생긴 소형 산새. 등은 청회색이고 가슴은 흰색이다. 아랫배에서 아래꼬리덮깃


까지가 주황색을 띤다. 부리는 뾰족하고 긴 편이며 검은색의 굵은 눈선이 있고, 가느다란 흰색의 눈
썹선이 보이기도 한다. 아래꼬리덮깃은 주황색 사이사이 흰 색이 섞여서 줄무늬 모양처럼 보인다.
분포 나무가 울창하고 해발고도 500미터 이상 숲에서 주로 분포 한다. 홍릉숲에서 번식가능성은
낮지만, 대규모 숲과 연결되어 출현빈도는 보통이다.
생태 청딱다구리처럼 몸집이 큰 딱다구리가 판 굴을 차지해서 둥지를 짓는데, 이때 출입구는 몸 크
기에 맞도록 진흙을 발라 좁힌다. 나무줄기에 붙어 자유롭게 위아래로 오르내릴 수 있다. 겨울에는
먹이를 찾기 위해 박새류나 쇠딱다구리, 나무발발이 등의 다른 산새들과 함께 무리를 짓곤 하며, 견
과류를 먹으러 먹이대에 찾아오기도 한다.
소리 맑지만 눌린 듯한 소리로 ‘투잇-투잇-투잇-’ 혹은 ‘휘-이-휘-이-휘-이-’하며 소리 낸다.

9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동고비과

동고비

참새목_동고비과 97
참새목_동고비과

2013.02.14.서울숲PHM

1 2 3 4 5 6 7 8 9 10 11 12

쇠동고비 Sitta villosa


Chinese Nuthatch
黑头鳾
チョウセンゴジュウガラ
WV/r
L 12cm

외형 등은 어두운 회색이고, 몸의 아랫면은 탁한 분홍색이다. 머리꼭대기와 눈선이 검은색이며 눈


썹선은 뚜렷한 흰색이다. 암컷은 머리의 검은색이 더 연하며 눈선도 뚜렷하지 않다. 아래꼬리덮깃은
무늬가 없는 주황색이며 동고비와 구별된다.
생태 동고비와 가까운 종으로, 동고비보다 몸집이 작고 눈 위에 눈썹 모양의 흰 무늬가 두드러진다.
드문 겨울철새인데, 특히 추운 겨울에 더 자주 관찰된다. 나무발발이와 함께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
소리 동고비보다 소리가 밝아서 ‘투잇-투잇-’보다는 ‘쀳쀳쀳’에 가까운 소리를 반복하며 운다.

9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동고비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고비

쇠동고비

참새목_동고비과 99
참새목_나무발발이과

2012.12.14.서울숲PHM

1 2 3 4 5 6 7 8 9 10 11 12

나무발발이 Certhia familiaris


Eurasian Treecreeper
旋木雀
キバシリ
WV/uc
L 13cm

외형 딱다구리와 비슷하게 생긴 소형 산새이다. 부리는 위가 검은색, 아래가 엷은 갈색이다. 등에는


갈색과 흰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눈썹선은 흰색으로 뚜렷하다. 턱과 멱에서 가슴까지 흰색이고 아랫
배와 아래꼬리덮깃은 황갈색이다. 발은 붉은색, 발가락 셋이 앞으로 향해 있는 것이 딱다구리와 다
르다. 날개에는 황백색의 띠와 꺽쇠 모양의 검은 줄무늬 두 개가 있다. 나무에 오를 때 꼬리로 몸을
지탱한다. 날 때 날개깃을 가로 지르는 황갈색의 긴 줄이 인상적이다.
생태 나무줄기에 붙어서 위로 기어오르는 모습이 특징이다. 겨울에 우리나라를 찾는 다른 산새들
처럼 해마다 보이는 수가 크게 다른데, 유난히 추운 겨울에는 도시숲에서도 빈번하게 발견되지만
보통은 매우 드물다. 나무에 기어 올라가다가 끝까지 올라가면 내리꼰지듯이 날아 내려와 밑둥부터
다시 올라가는 행동을 반복한다.
소리 ‘쯔쯔쬬-쯔쯔쯔쯔쬬-쮸잇’하는 노랫소리를 반복한다. 금속성의 ‘쯔읏-쯔르르르릇-’하는 소리
를 내기도 한다.

10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나무발발이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새목_나무발발이과 101
참새목_찌르레기과

2011.05.24.전북 진안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찌르레기 Spodiopsar cineraceus


White-cheeked Starling
灰椋鸟
ムクドリ
SV/c
L 24cm

외형 머리, 멱, 가슴은 검은 회색이며 눈 주위, 뺨, 멱에 불규칙한 흰 반점이 있다. 이마는 흰색이고 등


은 회색이다. 배와 허리는 회백색이다. 부리는 오렌지색이고 끝은 검은색이다. 다리는 오렌지색이다.
어린새 → 어미새에 비해 갈색이 많다.
유사종 쇠찌르레기 수컷의 뺨은 적갈색이며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생태 사람의 발길이 많이 닿는 곳에서도 번식을 한다. 딱다구리가 파 놓은 구멍에서도 번식을 하며
한 배에 4~6마리의 새끼를 키운다.
분포 1990년대 정도에 홍릉숲을 포함한 서울 도시숲에서 보였으나, 농촌의 마을숲 근처에서 번식
하는 것으로 보이며, 최근 이동 중에 관찰된다.
소리 ‘찌릇, 찌르릇’하는 소리로 운다. ‘미르릇’하는 소리로 들리기도 한다.

10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찌르레기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새목_찌르레기과 103
참새목_지빠귀과

2014.04.15.CKH

2014.04.15.CKH 2014.05.13.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흰눈썹지빠귀 Geokichla sibirica


Siberian Thrush
白眉地鸫
マミジロ
PM/sc
L 23cm

외형 수컷 → 온 몸이 검은색이며, 흰색의 눈썹선이 뚜렷하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배와 아래꼬리덮깃


에 희미한 흰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날 때 날개 아랫면에 흰색의 띠가 보인다.
암컷 → 등은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며 눈썹선은 뚜렷하지 않은 흰색이다. 멱은 흰색이며 배에는 흰
색과 갈색의 반점이 섞여 있다.
유사종 검은지빠귀의 부리는 노란색이며 배는 흰색이다. 호랑지빠귀는 눈썹선이 없으며 몸이 황갈색
이다.
생태 우리나라에서 관찰되는 지빠귀 중에는 이동시기에 우리나라를 지나치는 나그네새(통과철새)가
많다. 이러한 나그네새들을 관찰할 수 있는 시기는 매우 제한되어 있고, 수가 희소한 경우가 많아서
관찰하기 어렵다. 하지만 녹지가 희소한 도시에서는 이동 중인 산새들이 도시숲으로 몰려들 수밖에
없기 때문에, 희귀한 나그네새가 눈에 띌 가능성이 오히려 높다.
소리 ‘삐휘릿-’, ‘쿄롯-’ 등 음절을 하나씩 끊어서 노래한다.

10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지빠귀과

2008.04.24.PCR

2014.04.24.CKH 2014.04.24.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호랑지빠귀 Zoothera aurea


White's Thrush
虎斑地鸫
トラツグミ
SV/c, Res/sc
L 29.5cm

외형 몸의 윗면은 황갈색이고 멱과 가슴, 배는 흰색이며 몸 전체에 검은색과 진한 갈색의 얼룩무늬가


섞여 있다. 꼬리의 가장자리는 검은색이며 양쪽 끝은 흰색이다. 날 때 날개 아랫면에 있는 검은색과
흰색의 띠가 특징적이다. 암수는 비슷하며 다리는 살색이다.
분포 주로 여름철새이지만 겨울에도 발견된다. 사람 가까이에서 흔하게 번식한다. 홍림원 잔디밭에
서 지렁이를 포식하는 장면을 해질녘에 볼 수 있다.
생태 축축한 숲 바닥에서 주로 지내며 지렁이를 잡아먹는데, 몸의 얼룩무늬가 보호색이다. 날아갈 때
날개 밑면의 검고 흰 무늬가 진하고 꽁지 귀퉁이의 두 흰색 점이 작지만 눈에 잘 띈다. 지빠귀들은 어
두울 때 활동하며 날다가 건물에 부딪혀죽는 일이 비교적 흔한데, 지빠귀 중 수가 많고 몸집이 큰 호
랑지빠귀에게 이런 사고가 특히 자주 발생한다.
소리 밤이나 어두울 때 ‘히-히-호-호-’하는 소리를 내는데, 일반인들이 무서움을 느끼기도 한다.

참새목_지빠귀과 105
참새목_지빠귀과

2013.05.08.서울 선릉PCR

2014.04.22.CKH 2014.04.22.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Grey-backed Thrush
灰背鸫
カラアカハラ
SV/uc
L 23cm

외형 수컷 → 머리, 등, 멱 및 윗가슴은 회색이며 아랫가슴과 배는 흰색이다. 윗가슴과 옆구리는 주황


색이며 날개와 꼬리는 어두운 회색이다.
암컷 → 등은 갈색이며 배는 흰색이다. 옆구리는 주황색이며 턱, 가슴과 옆구리에는 검은색 세로줄
반점이 있다.
분포 여름에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지빠귀 중에서는 몸집이 작은 편이다.
생태 암수 모두 공통적으로 가슴과 날개 아랫면이 붉은색이다. 지빠귀 종류는 그늘진 곳에서 살고 보
호색을 띠어서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청회색을 띤 되지빠귀 수컷은 눈에 잘 띄는 나무 위에서 큰 소리
로 노래 부르는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소리 흰배지빠귀와 울음소리가 비슷한데, 되지빠귀는 ‘쿄로롱’거리는 울음소리 중간에 ‘찍’하는 추임
새가 들어가며 흰배지빠귀보다 빠른 템포로 소리 낸다.

10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지빠귀과

2014.07.04.강원 평창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흰눈썹 Turdus obscurus 白眉鸫 PM/uc

붉은배지빠귀 Eyebrowed Thrush マミチャジナイ L 22.5cm

외형 흰색의 눈썹선이 있다.


수컷 → 머리, 멱 및 윗가슴은 푸른색을 띤 회색이며, 부리 기부에는 흰색의 반점이 있다. 등과 날개
및 꼬리는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며 배는 흰색이다. 가슴과 옆구리는 주황색을 띤다.
암컷 → 수컷과 유사하나 머리와 등이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며, 흰색인 면에 회색의 약한 세로줄무
늬가 있다.
유사종 되지빠귀, 붉은배지빠귀.
생태 산이나 공원 등의 숲에 서식한다. 어두운 그늘에서 낙엽을 뒤집으면서 지렁이를 잡는다. 접근하
면 두 발로 통통 뛰면서 도망가고 ‘씨릭-’하는 소리를 내면서 날아 도망가기도 한다. 드물게 무리를 지
어 밝은 곳에서 먹이를 찾아 먹을 때에 사람이 접근함에도 불구하고 도망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분포 이동시기에 홍릉숲에서 잠시 관찰된다.
소리 ‘삐롱- 튜잇튜잇-’하며 시작하는 맑은 울림의 소리를 낸다.

참새목_지빠귀과 107
참새목_지빠귀과

2014.04.24.CKH

2014.04.08.CKH 2014.04.22.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Pale Thrush
白腹鸫
シロハラ
Res/uc
L 23cm

외형 바깥꼬리깃 끝에 흰색의 반점이 있다.


수컷 → 머리와 멱은 회색이며, 등은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다. 배는 흰색이며, 옆구리는 어두운 갈
색이다.
암컷 → 머리는 등과 같은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며 흰색의 턱선이 있다. 수컷에 비해 색이 밝다.
생태 숲바닥이나 잔디밭에서 펄쩍펄쩍 뛰어다니는 모습이 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수수한 회갈색인
데, 날 때는 호랑지빠귀처럼 꽁지 귀퉁이의 흰 점무늬가 보인다.
분포 여름에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지빠귀이며 겨울에도 발견되곤 한다.
소리 다소 완만하게 ‘쿄롱 쿄롱 쿄로롱 쿗키로롤’하며 노래를 부른다. 무언가에 놀랐을 때에는 ‘박박-
박박박-’하는 소리를 반복해서 낸다.

10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지빠귀과

2014.09.30.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붉은배지빠귀 Turdus chrysolaus


Brown-headed Thrush
赤胸鸫
アカハラ
PM/sc
L 23.5cm

외형 수컷 → 머리는 검은색을 띤 갈색이며 등, 날개, 꼬리는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다. 배의 가운데와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며 가슴과 옆구리는 적갈색이다. 눈테는 노란색이지만 가까운 거리가 아니면
잘 보이지 않는다.
암컷 → 수컷과 유사하나 색이 연하며 멱은 탁한 흰색에 갈색 세로줄무늬가 있다.
유사종 흰눈썹붉은배지빠귀는 흰색의 눈썹선이 있다.
생태 숲, 특히 활엽수림에서 자주 관찰된다. 우리나라에서 번식도 하는 종이지만 홍릉수목원에서의
번식은 아직 기록되지 않았다. 몸통이 되지빠귀나 흰배지빠귀보다 좀 더 크다.
분포 봄가을에 서/남해안과 도서지역에서 규칙적으로 관찰된다.
소리 ‘휠릴릭- 휘롱-’하는 맑은 소리로 운다. 되지빠귀처럼 ‘찍-’하는 소리도 내지만 도입부가 훨씬
유려하다.

참새목_지빠귀과 109
참새목_지빠귀과

2013.03.11.MKD

2014.02.14.MKD 2014.02.27.MKD

1 2 3 4 5 6 7 8 9 10 11 12

노랑지빠귀 Turdus naumanni


Naumann's Thrush
红尾鸫
ハチジョウツグミ
WV/c
L 23cm

외형 등은 녹색을 살짝 띤 갈색이며 가슴과 옆구리에 적갈색 반점이 있다. 암컷의 경우 반점 대신 적


갈색 바탕에 세로점이 찍혀 있다. 꼬리의 가장자리깃은 뚜렷한 적갈색이며 눈썹선은 연한 적갈색이
다. 암컷의 눈썹선은 흰색이며 뺨선 역시 흰색이고 검은색의 턱선이 있다. 아랫부리 기부의 일부와 발
은 노란색이며 배의 중앙은 흰색이다.
생태 수십 마리씩 무리로 숲이나 들판에서 겨울을 난다. 개똥지빠귀와 매우 닮았고, 함께 무리를 짓
기도 한다. 노랑지빠귀가 땅바닥에서 먹이를 찾을 때는 적갈색의 몸빛깔이 주변과 어우러져 눈에 잘
띄지 않고, 들쳐지는 낙엽의 움직임이 더 눈에 잘 띄지만, 날아가거나 가지에 앉아있으면 붉은 무늬가
두드러진다. 도망할 때 빨간 꽁지깃이 딱새처럼 선명하다.
분포 개똥지빠귀와 함께 겨울철새인 지빠귀이다.
소리 날아갈 때 ‘낏낏’하는 독특한 소리를 낸다.

11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지빠귀과

2011.01.07.PCR

2014.03.12.MKD 2013.05.08.MKD

1 2 3 4 5 6 7 8 9 10 11 12

개똥지빠귀 Turdus eunomus


Dusky Thrush
斑鸫
ツグミ
WV/c
L 23cm

외형 머리꼭대기부터 등에서 꼬리까지 몸의 윗면은 어두운 갈색이며, 눈썹선과 멱은 노란색이 도는


흰색이다. 흰색의 가슴과 배, 옆구리에는 검은색의 반점이 있으며 날개깃은 갈색을 띠지만 개체에 따
라서 차이가 많다. 아랫부리 기부의 일부와 발은 노란색이며 꼬리에 특별한 무늬가 없다.
생태 홍릉숲에서는 겨울에 노랑지빠귀가 주로 보이고, 개똥지빠귀는 드물다. 배와 얼굴의 깃털에 붉
은 빛이 도는 노랑지빠귀와 달리, 개똥지빠귀는 검고 노란 얼룩이 뚜렷하다. 노랑지빠귀는 날개 윗면
이 등처럼 갈색이고 꽁지가 붉은색인데, 개똥지빠귀는 꽁지는 갈색이고 날개 윗면이 붉은색이다.
분포 개똥지빠귀와 노랑지빠귀는 지역 때문에 외모가 약간 달라진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다른 종으
로 보는 입장도 지지를 받고 있다.
소리 ‘끼깃’ 하는 소리를 내며 날아 간다.

참새목_지빠귀과 111
참새목_지빠귀과

호랑지빠귀 되지빠귀

흰눈썹붉은배지빠귀 흰배지빠귀

붉은배지빠귀 개똥지빠귀
11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지빠귀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흰눈썹지빠귀 호랑지빠귀 되지빠귀 흰눈썹붉은배지빠귀


흰배지빠귀 붉은배지빠귀 노랑지빠귀 개똥지빠귀

참새목_지빠귀과 113
참새목_딱새과

2014.10.01.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솔딱새 Muscicapa sibirica


Dark-sided Flycatcher
乌鹟
サメビタキ
Pm/uc
L 13.5cm

외형 몸 윗면과 가슴, 옆구리는 어두운 회갈색이다. 배는 흰색이다. 날개덮깃 가장자리와 셋째날개깃


의 테두리는 밝은 색이다. 흰색의 눈테가 있다. 꼬리는 회색을 띤 갈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어린새 → 머리와 등에 흰 점이 많고, 가슴과 옆구리에 회갈색 반점이 있다.
유사종 제비딱새는 가슴에 세로줄무늬가 있고 날개에 흰 줄이 뚜렷하다.
생태와 분포 이동 중에 홍릉숲에 잠시 머물며, 숲의 안쪽에서 날아다니는 곤충을 낚아 채서 포획하여
제 자리로 돌아오는 행동(sally)을 잘 한다.
소리 1초 정도에 걸쳐 ‘삐삐삐삐삣’하며 아주 빠르게 운다. 다음 소리까지 4~5초 정도 간격을 두고
다시 소리를 낸다. 쇠솔딱새보다 좀 높은 톤으로 ‘찌이-’하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11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딱새과

2014.09.16.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쇠솔딱새 Muscicapa latirostris


Asian Brown Flycatcher
北灰鹟
コサメビタキ
Pm/c
L 13cm

외형 이마, 머리꼭대기, 등은 갈색을 띤 흐린 회색이며 흰색의 눈테가 있다. 배와 가슴은 흰색이지만,


가슴에는 불분명한 회색의 줄무늬가 있다. 날개의 흰 줄은 불명확하여 야외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아랫부리 기부는 황백색이다.
어린새 → 머리와 등, 날개에 흰 점이 많다.
유사종 솔딱새, 제비딱새
생태 홍릉숲에서의 번식 실태는 없으나, 기록을 볼 때 둥지는 높은 나뭇가지 위에 이끼류, 풀 줄기, 마
른 화본과 식물 등을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으로 만들고 푸른색 또는 엷은 갈색을 띤 회백색의 알을
4~5개 낳는다.
분포 흔한 통과철새이며, 강원도 방태산과 충북 월악산, 광릉, 창원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드문
여름철새이다.
소리 작고 가는 소리로 ‘삐이-’하고 운다. 솔딱새보다 어두운 소리로 ‘치치치치칫’하고 울기도 하는데
속도는 비슷하다.

참새목_딱새과 115
참새목_딱새과

2012.06.08.경기 포천PCR

2014.10.01.CKH 2014.10.01.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큰유리새 Cyanoptila cyanomelana


Blue-and-White Flycatcher
白腹蓝(姬)鹟 · 白腹琉璃
オオルリ
PM/uc
L 16.5cm

외형 수컷 → 이마, 머리꼭대기로부터 등까지는 광택이 있는 파란색이다. 얼굴, 가슴, 옆구리는 검은


색, 배는 흰색, 꼬리는 푸른색이다. 어린 수컷은 암컷과 비슷하나 날개와 허리가 파란색을 띠며, 정도가
다양하다.
암컷 → 등은 연한 녹색을 띤 갈색. 가슴과 멱은 회갈색. 배는 흰색이다.
생태 흔한 여름철새이다. 수컷의 푸른 광택은 깃털이 햇빛을 반사시켜 보이는 것으로, 흐린 날씨에는
칙칙한 검은색으로 보인다. 암수 모두 배 부분이 흰데, 숲에서는 눈에 잘 띄는 색이다. 수컷은 번식기에
나무 위에서 노래를 부르곤 한다. 둥지는 계곡 근처의 바위 사이에 만든다.
소리 ‘삐율-삐히-삐리릿’하며 아름답게 우는데 패턴이 아주 다양하다. 노래 가운데에 그런 음색의 ‘삐
히히휘-’하는 소리가 섞이면 큰유리새일 가능성이 아주 높다.

11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딱새과

큰유리새

참새목_딱새과 117
참새목_딱새과

2013.05.02.강원 평창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쇠유리새 Larvivora cyane


Siberian Blue Robin
蓝歌鸲
コルリ
PM/sc
L 14cm

외형 수컷 → 머리부터 꼬리까지 몸의 윗면은 선명한 파란색이며, 눈 주위는 검은색을 띤다. 멱과 가


슴, 배의 아랫면은 흰색이다. 수컷의 어린새는 머리꼭대기와 등, 날개덮깃이 파란색이지만 다 큰 수컷
만큼 선명하지는 않다.
암컷 → 아랫면은 연한 갈색이다. 허리와 꼬리는 파란색을 띤다.
유사종 울새는 위꼬리덮깃과 꼬리가 적갈색이며 멱과 가슴에 비늘무늬가 있다.
생태 수컷은 파란색과 흰색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배색이어서 눈에 잘 띄지만, 암컷은 푸른빛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숲 주변에서 들리는 울음소리로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숲의 지면에서 주로 생
활하며, 여름철새이다. 관목과 중간 정도 키의 풀숲에서 많이 관찰된다.
분포 봄철 이동시기에 홍릉숲을 비롯한 도시숲을 통과한다.
소리 ‘삐-츌삐-츌삐-츌-’ 혹은 ‘쮸삐쮸삐쮸삐’하는 소리를 반복하는데 패턴이 심히 다양하다. 소리가
세고 쨍쨍해서 아주 선명히 들리는 것이 특징이다.

11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딱새과

2014.09.30.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울새 Larvivora sibilans
Rufous-tailed Robin
红尾歌鸲
シマゴマ
PM/c
L 14cm

외형 암수의 모양은 같다. 머리와 등, 날개는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며 위꼬리덮깃과 꼬리는 적갈색이
다. 멱과 가슴, 배는 흰색이며 멱과 가슴에 등과 비슷한 색의 비늘무늬가 있다. 검은색의 부리는 얇고
긴 편이며 눈 언저리에는 흰색의 눈테가 있다. 다리와 발은 밝은 갈색이다. 숲 내부의 바닥에서 먹이
를 찾기 때문에 관찰하기 어렵다.
생태 숲 바닥에서 생활하며, 덤불 속에서 주로 지내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분포 봄철과 가을철에 통과철새로 화단이나 생울타리에서 소리내기에 쉽게 알 수 있다.
소리 ‘휘힛- 또르르르르르르르-’하며 맑은 소리로 운다.

참새목_딱새과 119
참새목_딱새과

2009.02.23.PCR

2009.12.19.PCR 2013.04.22.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유리딱새 Tarsiger cyanurus


Red-flanked Bluetail
红胁蓝尾鸲
ルリビタキ
PM/c, WV/uc
L 14cm

외형 수컷 → 머리부터 꼬리까지 몸의 윗면은 밝은 파란색이며, 부리에서 눈까지 흰색의 눈썹선이 있


다. 멱과 가슴, 배는 흰색이며 옆구리는 밝은 주황색이다. 수컷의 어린새는 암컷과 유사하나 꼬리의 파
란색과 옆구리의 주황색이 더 진하고 작은날개덮깃 주변이 파랗다.
암컷 → 머리와 등은 연한 녹두색을 띤 갈색이며 멱과 배는 흰색이다. 옆구리의 주황색은 수컷보다
다소 연하며, 허리와 꼬리는 연한 파란색이다.
생태 딱새처럼 사람 눈에 잘 띄는 곳에서 꼬리를 파르르 떨곤 한다. 딱새와 달리 꽁지가 파란색이며,
날개 밑의 옆구리 부분이 주황색이고, 날개 윗면에 무늬가 없다. 흰색, 파란색, 주황색이 어우러진 유리
딱새 특유의 모습을 지닌 수컷은 드물게 발견된다.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나그네새이지만, 겨울에 홍릉숲에 비교적 오랜 기간 머무르며 쉽게 관찰된다.
소리 딱새와 유사하게 ‘힉-’하고 울지만 끝소리가 살짝 올라가므로 ‘히익?’하듯이 들린다.

12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딱새과

1 2 3 4 5 6 7 8 9 10 11 12

흰눈썹황금새 Ficedula zanthopygia


Yellow-rumped Flycatcher
白眉鹟
マミジロキビタキ
PM/uc
L 13cm

외형 수컷 → 몸 윗면은 대부분 검은색, 멱과 몸 아랫면은 선명한 노란색. 눈썹선은 흰색이며 날개에


흰색 무늬가 있다. 꼬리와 부리는 검은색이며 다리는 짙은 갈색이다.
암컷 → 황금새의 암컷과 비슷하나 허리가 노란색이고 날개에 흰색 무늬가 있다. 이마에서 등까지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며 몸 아랫면은 노란색을 띤 흰색이다.
유사종 황금새의 눈썹선은 노란색이다.
생태 둥지는 나무 구멍이나 인공 새둥지 상자, 혹은 지붕의 기와 밑에 이끼류를 깐 후 화본과 식물의
잎과 줄기 등으로 만들고 5~6개의 알을 낳는다.
분포 전국적으로 드물게 번식하는 여름철새이지만 홍릉숲에서 번식하는 모습은 아직 관찰되지 않았다.
소리 큰유리새와 유사한 음색이지만 울림이 더 강하다. 음절도 빠르고 짧아서 대비가 된다. ‘삐르르삐
휘-’하는 소리가 반복된다.

참새목_딱새과 121
참새목_딱새과

1 2 3 4 5 6 7 8 9 10 11 12

황금새 Ficedula narcissina


Narcissus Flycatcher
黄眉鹟
キビタキ
PM/sc
L 13.5cm

외형 수컷 → 몸 윗면은 검고 눈썹선과 허리, 몸 아랫면은 밝은 노란색이다. 날개에는 흰색 반점이 있


다. 멱은 주황색이 섞인 노란색이다.
암컷 → 등은 연한 갈색이며, 꼬리와 허리는 옅은 적갈색이다. 암수 모두 배와 아랫꼬리덮깃은 흰색
이며,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아종 남방황금새(F. n. owstoni) 수컷은 머리꼭대기와 등, 어깨가 어두운 녹갈색이며, 멱과 몸 아랫면이
주황색을 띠지 않는 노란색이다. 눈썹선은 콧구멍까지 이어진다. 암컷은 몸 윗면이 연한 녹갈색이며
허리와 눈앞, 멱은 흐린 노란색이다.
생태 숲, 숲 가장자리, 공원이나 정원 등에서 머물렀다 가는 나그네새이다. 행동이 빠른 것은 여타 솔
딱새류와 비슷하지만 이동 빈도가 높아 내륙 지역에서는 같은 장소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쉽게 관찰
하기 어려운 종이라고 할 수 있다.
분포 전국적으로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이다. 아종인 남방황금새는 일본 오키나와열도에 분포한다.
분류학자에 따라 북방황금새와 남방황금새를 모두 황금새의 아종으로 보거나, 별개 종으로 보기도 한다.
소리 흰눈썹황금새보다 느리게 운다. ‘삐호히힛-’하며 음정이 올라가는 소리가 독특하다.
12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딱새과

2014.10.01.CKH

2014.09.30.CKH 2014.09.30.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노랑딱새 Ficedula mugimaki


Mugimaki Flycatcher
鸲鹟
ムギマキ
PM/c
L 13cm

외형 수컷 → 머리와 몸의 윗면은 검은색, 흰색의 눈썹선은 짧다. 큰날개덮깃과 바깥꼬리깃의 기부에


흰색 띠가 있다. 턱, 멱, 가슴은 오렌지색. 배의 나머지는 흰색이다. 어린 수컷의 윗면은 잿빛을 띤 갈색
이다.
암컷 → 등과 꼬리는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고 바깥꼬리깃에 흰색 띠가 없다.
유사종 흰눈썹황금새는 허리가 노란색이다.
생태 봄과 가을에 우리나라를 거쳐 이동하는 나그네새로, 도시숲에서도 발견된다. 수컷의 번식깃은
검은색, 흰색, 붉은색이 선명하게 구분되는 배색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주로 관찰되는 것은 몸 윗부분이
수수한 갈색에 배 부분이 선명한 노란색인 암컷, 혹은 갈색이 섞인 검은색을 띤 어린새의 모습이다.
분포 남부 시베리아 및 중국 동북 지역에서 번식하고 아시아 남부 및 필리핀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에
서 겨울을 난다. 봄, 가을에 홍릉숲을 통과한다.
소리 딱새와 비슷하게 ‘휘힛휘힛-삣쪼르르-’하면서 지저귄다.

참새목_딱새과 123
참새목_딱새과

1 2 3 4 5 6 7 8 9 10 11 12

흰꼬리딱새 Ficedula albicilla


Taiga Flycatcher
红喉鹟
オジロビタキ
PM/r
L 12cm

외형 수컷 → 머리와 등은 회갈색. 멱과 윗가슴은 주황색. 배는 황갈색을 띤 흰색이다. 꼬리는 검은색


이며 바깥꼬리깃은 흰색이다.
암컷 → 멱과 가슴은 크림색. 꼬리는 가운데꼬리깃 2쌍을 제외한 나머지 꼬리깃 기부의 2/3가 흰색
이다.
유사종 쇠솔딱새의 꼬리는 회갈색, 바깥꼬리깃의 기부에 흰색이 없다.
생태 드문 철새이다. 딱새나 유리딱새와 비슷한 외모인데, 꽁지 모서리와 아랫부분의 깃털이 흰 색이
고, 이 꽁지를 위로 치켜드는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눈 주위에도 흰 띠가 있다. 수컷의 멱
부분이 붉은 것도 이 종의 특징이다.
소리 ‘찌리리리리-쮸빗쮸빗쮸빗-’하며 지저귄다. 국내에서는 듣기 어렵다.

12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딱새과

2013.11.30.PCR

2013.05.28.서울숲PCR 2012.06.05.경북 예천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딱새 Phoenicurus auroreus
Daurian Redstart
北红尾鸲
ジョウビタキ
Res/c
L 14cm

외형 수컷 → 머리 꼭대기와 뒷목은 회색이며 얼굴과 멱은 검은색이다. 등과 날개는 검은색이며 날개


에는 흰색의 반점이 있다. 가슴과 배, 허리, 바깥꼬리깃은 적갈색이다.
암컷 → 머리와 등, 가슴은 연한 갈색이며 허리와 바깥꼬리깃은 적갈색이다. 날개에는 흰색의 반점
이 특징적이다.
유사종 유리딱새 암컷은 꼬리가 파란색이며 날개에 흰 반점이 없다.
생태 지면을 돌아다니다 나뭇가지나 바위, 말뚝 등 위에 올라서서 꽁지를 위아래로 파르르 떠는 행동
을 한다.
분포 흔한 텃새로 농촌에서는 민가의 건축물이나 농기계 안에도 둥지를 짓는다. 홍릉숲에서는 주로
겨울에 관찰된다. 수컷의 희고 검고 붉은 체색이 두드러지게 눈에 띄지만, 날개 위의 흰 삼각형 무늬나
붉은 꽁지깃은 암수 공통의 특징이다.
소리 ‘힉- 힉-’하는 소리를 낸다. 그 사이사이에 ‘딱-’하는 소리를 낼 때도 있다. 노래를 부를 때에는
‘삐히히-찌로쮸리쮸리-’하면서 다양하게 우는데 처음의 ‘삐히히-’하는 소리가 특징이다.

참새목_딱새과 125
참새목_딱새과

2009.06.21.강원 양구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검은딱새 Saxicola stejnegeri


Eurasian Stone Chat
黑喉石鵖
ノビタキ
SV/c
L 13cm

외형 수컷 → 머리, 등, 꼬리는 검은색이며 어깨에는 흰색의 긴 띠가 있다. 허리는 흰색이며, 목은 뒷부


분을 제외하고 흰색의 띠가 있다. 가슴과 배는 흰색이며 윗가슴은 적갈색을 띤다. 날 때 어깨의 흰 띠
와 허리의 흰 부분이 특징적으로 보인다.
암컷 → 머리와 등은 어두운 회갈색이며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가슴과 배는 흰색이며 가슴과 옆
구리 부분이 연한 적갈색을 띤다.
겨울깃 → 전체적으로 색이 흐려진다.
생태 들판에서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이동시기에 도시숲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번식기의 수컷은 검
은색, 흰색, 붉은색의 눈에 띄는 체색이지만, 암컷이나 어린새, 비번식기인 수컷은 갈색의 얼룩진 모습
이다.
소리 ‘휘이-찌로로쮸잇-’하며 소리 낸다.

12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딱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솔딱새 쇠솔딱새 큰유리새 쇠유리새

울새 유리딱새 흰눈썹황금새 황금새

노랑딱새 흰꼬리딱새 딱새 검은딱새

참새목_딱새과 127
참새목_참새과

2013.02.02.서울숲PCR

2013.11.03.서울숲PCR 2013.11.03.서울숲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새 Passer montanus
Eurasian Tree Sparrow
(树)麻雀
スズメ
Res/ab
L 14.5cm

외형 암수가 같다. 등은 갈색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목 뒤에는 흰색 가로줄이 있고 날개에는 두 개


의 흰색 띠가 있다. 배는 회색이다. 겨울에는 부리 아랫부분에 노란빛이 나타난다.
어린새 → 눈 앞부분, 뺨 및 멱의 검은색이 흐리며 부리의 기부가 노란색이다.
유사종 섬참새의 등은 붉은색을 띤 갈색이며 뺨에 검은색이 없다.
생태 주로 사람 주변에서 살아 예로부터 친근한 새이다. 사람의 건축물에 있는 작은 틈 속에 둥지를
짓고, 농경지의 곤충이나 농작물, 사람이 흘린 음식물 등을 먹는 등 사람들의 환경에 잘 적응하였다. 외
모나 크기가 비슷한 멧새류 및 박새류와 달리 전체적으로 황갈색이고, 흰 뺨에는 검은 점무늬가 있다.
분포 울창한 숲속이나 섬에서는 드물다. 여름철 번식기에 둥지 주변을 분주히 오가거나 날개깃이 난 새
끼들을 데리고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인다. 겨울에는 정문 근처의 수목원에서 작은 무리를 지어 다닌다.
소리 ‘짹- 짹-’하는 소리를 주로 낸다.

12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참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참새목_참새과 129
참새목_할미새과

2013.05.02.강원 평창PCR

2014.07.03.강원 평창CKH 2014.07.03.강원 평창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Grey Wagtail
灰鹡鸰
キセキレイ
SV/c
L 20cm

외형 배와 허리는 노란색이다. 머리와 몸 윗면은 푸른 회색이다. 눈썹선은 흰색이며 다리는 분홍색이


다. 날 때 날개면에 흰색의 줄이 보인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위꼬리덮깃은 노란색이다. 꼬리는 검은색,
가장자리깃은 흰색이다.
여름깃 → 수컷은 멱이 검은색이지만 암컷은 흰색이다.
겨울깃 → 수컷의 멱이 흰색으로 바뀐다.
유사종 긴발톱할미새의 수컷은 멱이 노란색이다. 날개에 흰 줄이 2개 있으며 다리가 검은색이다.
생태 주로 물가에서 발견된다. 쉬지 않고 꼬리를 까딱거리는, 할미새류 특유의 행동을 한다. 계곡, 하
천, 개활지, 농경지 등 수변이 있는 장소에서 많이 발견된다. 4월~8월에 인가 주변 돌 틈이나 개울 옆
절벽, 바위 틈 등에 마른 풀줄기를 이용해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며 알자리에는 동물의 털을 깐다.
분포 전국적으로 흔히 도래하는 여름철새이다. 평지의 개천 가까이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지만 간혹
산속의 계곡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소리 ‘치칫-’하는 소리를 내며 솟구친 후 포물선을 그리는 것을 반복하면서 날아간다. 번식기에는 ‘치
치치치칫-’하는 노래를 부른다.
13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할미새과

2014.04.08.CKH

2014.04.08.CKH 2014.04.08.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힝둥새 Anthus hodgsoni


Olive-backed Pipit
树鹨
ビンズイ
PM/c
L 16cm

외형 등은 갈색을 띤 녹색이며 희미한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가슴과 옆구리는 황갈색이며, 검은색 줄
무늬가 뚜렷하다. 눈썹선은 흰색이며, 귀깃에는 흰 점이 있다.
유사종 밭종다리는 몸 윗면의 갈색이 강하고, 귀깃에는 흰 점이 없으며, 검은색 턱선이 뚜렷하다.
생태 나뭇가지에 앉아 있을 때와 땅 위에서 걸어다닐 때 모두 꼬리를 위아래로 흔들거린다. 꼬리를 움
직거리는 것은 할미새과 새들의 공통된 특징이기도 한데, 힝둥새는 노랑할미새와 비슷하게 적당한 속
도로 꼬리를 흔든다.
분포 시베리아 동남부 및 중국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난다. 일본
중부, 중국 서남에서는 텃새이기도 하다. 홍릉숲에서는 봄철에 통과할 때 관찰된다.
소리 ‘찌찌삐요찌이 쀼이-쀼이-쀼이-’하는 맑은 소리를 내며, 위험을 느껴 달아날 때에는 ‘씨릿- 씨
릿-’하는 소리 내며 날아간다.

참새목_할미새과 131
참새목_할미새과

노랑할미새

힝둥새
13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할미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노랑할미새

힝둥새

참새목_할미새과 133
참새목_되새과

2013.02.02.서울숲PCR

2014.03.07.MKD 2009.10.19.전북 진안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Brambling
燕雀
アトリ
WV/c
L 16cm

외형 수컷 여름깃 → 머리와 등은 검은색. 날 때 허리는 흰색. 멱, 가슴, 어깨는 황갈색, 배는 흰색이다.


날개에 두 줄의 흰 띠가 있다. 부리는 검은색.
수컷 겨울깃 → 연한 흑갈색의 머리에는 두 개의 회색 줄무늬가 있으며 황갈색의 등에 검은색 반점
이 있다. 부리는 연한 노란색.
암컷 → 수컷의 겨울깃과 비슷하나 전체적으로 연한 색을 띤다.
유사종 날 때 멋쟁이와 비슷하지만 큰날개덮깃과 배는 회색이다.
생태 종종 수만 마리가 모인 아주 큰 무리를 짓기도 하지만, 홍릉숲에서는 작은 무리를 지어 먹이를
찾는 모습이 주로 보인다. 지면에서 씨앗을 찾는다. 늦겨울에서 초봄 무렵에 주로 발견된다. 정면에서
는 가슴의 붉은 부분이 눈에 잘 띄고, 날아서 도망칠 때는 등의 흰 부분이 잘 보인다. 먹이대에 담긴 곡
식이나 견과를 먹기도 하는데, 다른 종 뿐 아니라 같은 종끼리도 서로를 쫓아내는 습성이 관찰된다.
소리 ‘쀼잉-’하는 소리를 내면서 날아다닌다.

13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되새과

2009.02.23.PCR

2009.02.23.PCR 2014.04.18.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콩새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Hawfinch
锡嘴雀
シメ
WV/c
L 18cm

외형 부리가 두껍고 여름에 회갈색, 겨울에는 엷은 살색을 띤다. 꼬리는 검은색이며, 끝이 흰색이다.
수컷 → 머리는 갈색, 뒷머리와 목 옆은 회색, 등은 어두운 갈색, 날개는 푸른 광택이 있는 검은색, 첫째
날개깃 기부와 큰날개덮깃은 흰색. 몸의 아랫면은 연한 갈색이다.
암컷 → 몸 전체의 색이 흐리다.
유사종 밀화부리
생태 겨울철새이며, 늦겨울에서 초봄 무렵 사이에 홍릉숲에 들른다. 비교적 흔한 되새 무리 중에서는
몸집이 큰 편이다.
분포 두툼한 부리로 먹이대의 곡식이나 견과를 먹기도 한다. 부리가 튼튼해서 껍질이 단단한 열매를
잘 까먹는다.
소리 휘슬소리를 연상시킬 정도로 선명하고 강한 ‘쯘-’ 소리를 이따금 낸다. ‘핏-’하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참새목_되새과 135
참새목_되새과

2013.02.02.서울숲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


Chinese Grosbeak
黑尾蜡嘴雀
コイカル
PM/uc
L 19cm

외형 부리는 엷은 주황색으로 끝이 검은색이다.


수컷 → 머리, 뺨은 광택이 있는 검은색, 목 뒤와 등은 회갈색이고 날개는 광택이 있는 검은색으로
날개깃 끝과 첫째날개덮깃은 흰색이다. 가슴과 배는 담황색, 허리는 엷은 회색, 꼬리는 검은색이다.
암컷 → 머리와 등이 회갈색이다.
유사종 큰부리밀화부리는 크며, 머리의 검은 부분이 적고, 날개의 흰색 띠도 다르다.
생태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경우도 있지만, 홍릉숲에서는 주로 겨울과 봄철에 관찰되는 철새이다.
콩새와 유사한 종이지만, 수컷은 얼굴이 검기 때문에 구별이 쉽다. 보통 암수가 섞인 무리가 불규칙적
으로 나타난다.
소리 ‘삐-삐이-삐욜’하는 소리 외에도 다양한 패턴으로 아름다운 소리를 낸다.

136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되새과

2013.02.02.경기 포천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멋쟁이새 Pyrrhula pyrrhula


Eurasian Bullfinch
红腹灰雀
ウソ
WV/uc
L 15cm

외형 수컷 → 이마, 턱 밑, 머리 꼭대기는 검은색이고 멱과 뺨은 붉은색이다. 가슴은 회색을 띤 붉은색,


뒷목과 배는 회색, 허리는 흰색이다. 꼬리와 날개는 검은색, 날개에 회색 띠가 있다.
암컷 → 배와 등은 회갈색이다.
아종 재색멋쟁이(P. p. griseiventris)는 가슴이 회색이며, 붉은배멋쟁이(P. p. cassinii)는 아래꼬리덮깃을
제외한 배 전체가 붉은색이다. 바깥꼬리깃은 흰색이다.
생태 되새과 새들은 대체로 북방 산림지대에서 살며 겨울에는 나무열매나 씨앗을 주식으로 삼는데,
서식지의 먹이 사정이나 개체수 변화 등의 요인에 의해 남쪽으로 이동하는 수가 변화한다. 그래서 되
새과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겨울철새 중에는 해마다 발견되는 마릿수가 크게 달라지는 종이 많다.
분포 홍릉숲에서는 겨울에 불규칙적으로 발견되는 철새이다.
소리 ‘위익- 위익-’하는 소리를 내면서 날아간다.

참새목_되새과 137
참새목_되새과

2014.03.14.MKD

1 2 3 4 5 6 7 8 9 10 11 12

양진이 Carpodacus roseus


Pallas's Rosefinch
北朱雀
オオマシコ
WV/c
L 15cm

외형 수컷 → 머리와 등은 진홍색, 이마와 멱에는 흰색 반점이 있다. 등에 검은색 줄무늬가 많다. 허리


는 진홍색, 날개와 꼬리는 흑갈색으로 깃 가장자리는 연한 붉은색을 띤다. 가슴은 진홍색이고 배는 흰
색이다.
암컷 → 몸은 황갈색이며 머리와 가슴은 붉은색을 띤 갈색, 허리는 붉은색.
유사종 붉은양진이(적원자)는 이마와 멱에 흰색 반점이 없다. 긴꼬리홍양진이는 날개에 두 줄의 흰색
띠가 선명하다. 암컷은 엷은 갈색이다.
생태 먹이대의 곡식이나 견과를 먹기도 한다. 풀줄기에 앉아 이삭을 쪼아먹거나 지면의 씨앗을 먹는다.
분포 겨울철새이며, 홍릉숲에서도 작은 무리가 발견되곤 한다. 수컷의 선명한 붉은 체색이 특징이다.
소리 아주 가늘고 약하게 ‘찌잉-’하는 소리를 반복한다.

138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되새과

2014.02.24.PCR

2014.04.02.PCR 2014.04.02.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검은머리방울새 Spinus spinus


Eurasian Siskin
黄雀
マヒワ
WV/c
L 12.5cm

외형 수컷 → 머리와 턱밑은 검은색, 등은 노란색을 띤 녹색이며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날개에는 노


란 줄무늬가 있다. 눈 뒤, 가슴, 허리는 노란색이다. 배는 흰색을 띠며 어두운 갈색의 줄무늬가 있다.
암컷 → 머리는 초록색을 띤 회색, 배는 흰색이며 옆구리에는 줄무늬가 많다.
분포 홍릉숲에서 겨울철과 초봄까지 편백나무, 삼나무 등 침엽수림의 지면에서 구과를 먹거나 가지
끝에서 매달려 구과를 이용한다.
생태 수컷은 밝은 노란색과 검은색의 얼룩무늬이고, 암컷은 수컷보다 옅다. 암수 섞인 무리로 나무
위를 날아다니거나, 지면에서 씨앗 등의 먹이를 찾는다. 참새나 박새보다 작은 새 수십 마리가 찌르
르거리는 금속성의 울음소리를 내면서 요동치듯 날아가고 있으면 검은머리방울새일 확률이 크다.
색상이나 작은 체구 때문에 자칫 상모솔새나 노랑눈썹솔새 등과 혼동할 수 있다.
소리 ‘쀼잇~ 쀼히오-’하는 높은 음의 소리를 주로 내는데 되새보다 밝고 얇은 느낌이다. 이따금 선
명하게 ‘삐롯-’하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참새목_되새과 139
참새목_되새과

되새 밀화부리

멋쟁이새 검은머리방울새

140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되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되새 콩새 밀화부리 멋쟁이새

양진이 검은머리방울새

참새목_되새과 141
참새목_멧새과

2014.04.18.CKH

2014.04.17.CKH 2014.04.17.CKH

1 2 3 4 5 6 7 8 9 10 11 12

흰배멧새 Emberiza tristrami


Tristram's Bunting
白眉鹀
シロハラホオジロ
PM/c
L 14cm

외형 수컷 → 머리와 멱은 검은색이다. 머리 중앙선, 눈썹선 및 턱선은 흰색이며 귀깃에는 흰 점이 있


다. 등은 회색을 띤 갈색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허리와 꼬리는 적갈색이다. 배는 흰색이며 가슴과 옆
구리에 갈색 줄무늬가 있다.
암컷 → 수컷과 비슷하나 머리 부분의 검은색이 흐리며 뺨은 회갈색이고 뺨 주위는 검은색이다.
유사종 노랑눈썹멧새는 눈썹선이 노란색이며 가슴의 줄무늬가 뚜렷하다.
생태 수컷의 경우 머리의 검고 흰 얼룩이 두드러지는데, 암수 모두 정수리를 가로질러 흰 깃이 나
있고, 등과 꽁지를 덮는 깃털이 적갈색이라는 점이 다른 멧새 무리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분포 우리나라의 멧새류 중에서 흔한 편이지만, 대체로 봄이나 가을에 우리나라를 거쳐 다른 지역
으로 이동하는 통과철새이다.
소리 ‘삐-쀼이쀼이-찌이찌이-쬬쬬’하는 소리로 지저귄다. 평시에는 ‘칫-’하는 전형적인 멧새소리
를 주로 낸다.

142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멧새과

2009.12.05.PCR

2011.01.11.전북 진안PCR 2012.06.08.강원 대관령PCR

1 2 3 4 5 6 7 8 9 10 11 12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Yellow-throated Bunting
黄喉鹀
ミヤマホオジロ
Res/c
L 16cm

외형 머리깃을 자주 세운다.
수컷 → 뺨과 가슴은 검은색이며 머리깃은 갈색을 띤 검은색이다. 가슴의 검은색은 삼각형이다. 눈
썹선과 멱은 노란색이다. 등은 갈색으로 연한 회색과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허리는 회색, 배는 흰
색이고, 옆구리에 밤색 줄무늬가 있다. 겨울에는 뺨과 가슴의 색이 흐려진다.
암컷 → 멱은 엷은 노란색, 눈썹선은 노란색을 띤 갈색이며 가슴에는 검은 무늬가 없다.
유사종 쑥새는 눈썹선과 멱이 흰색이다.
분포 홍릉숲에서 겨울철과 봄철에 출입제한구역의 임도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생태 멧새 종류 치고는 드물게 우리나라에서 1년 내내 관찰되며, 흔한 편이다. 노랗고 검은 머리 무
늬가 특징이다. 수컷은 무늬가 더 진하고 뚜렷하며, 특히 가슴에는 흰 바탕에 검은 역삼각형 무늬가
있어 눈에 잘 띈다. 또한 멧새과 새들의 공통적인 특징이 꽁지의 가운데에 난 깃은 검고 가장자리의
깃은 흰 것인데, 사람을 보고 도망칠 때 이 꼬리 모양이 눈에 잘 보인다. 겨울에는 먹이대의 곡식을
먹기도 한다.
소리 ‘쀼이-찌찌쀼리찌찌쪼-’하면서 아주 빠르고 수다스럽도록 여러가지 소리를 섞어 지저귄다.
‘칫-’하는 멧새 일반의 소리도 자주 낸다.
참새목_멧새과 143
참새목_멧새과

노랑턱멧새

14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참새목_멧새과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흰배멧새

노랑턱멧새

참새목_멧새과 145
관찰 조류 총목록

목 과 종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ORDER ANSERIFORMES 1과 2종

기러기목 청둥오리
오리과 Family Anatidae
흰뺨검둥오리

ORDER GALLIFORMES 1과 1종
닭목
꿩과 Family Phasianidae 꿩
ORDER PELECANIFORMES 1과 1종
사다새목
백로과 Family Ardeidae 왜가리
ORDER ACCIPITRIFORMES 1과 4종
독수리 제 243-1호 II 급

수리목 새매 제 323-4호 II 급
수리과 Family Accipitridae
참매 제 323-1호 II 급
말똥가리
ORDER CHARADRIFORMES 1과 2종
도요목 멧도요
도요과 Family Scolopacidae
꺅도요

ORDER COLUMBIFORMES 1과 1종
비둘기목
비둘기과 Family Columbidae 멧비둘기
ORDER CUCULIFORMES 1과 1종
두견이목
두견이과 Family Cuculidae 뻐꾸기
ORDER STRIGIFORMES 1과 3종
큰소쩍새 제 324-7호
올빼미목
올빼미과 Family Strigidae 소쩍새 제 324-6호

솔부엉이 제 324-3호

ORDER APODIFORMES 2과 3종
파랑새과 Family Coraciidae 파랑새
칼새목
호반새
물총새과 Family Alcedinidae
물총새
ORDER PICIFORMES 1과 5종
딱다구리목
딱다구리과 Family Picidae 쇠딱다구리

146 새, 홍릉숲에 머물다


목 과 종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아물쇠딱다구리
큰오색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청딱다구리
ORDER FALCONIFORMES 1과 2종
매목 황조롱이 제 323-8호
매과 Family Falconidae
새호리기 II 급
ORDER PASSERIFORMES 22과 58종
때까치과 Family Laniidae 때까치
꾀꼬리과 Family Oriolidae 꾀꼬리
어치
물까치
까마귀과 Family Corvidae
까치
큰부리까마귀
황여새
여새과 Family Bombycillidae
홍여새
진박새
곤줄박이
박새과 Family Paridae
쇠박새
참새목 박새
직박구리과 Family Pycnonotidae 직박구리
제비과 Family Hirundinidae 제비
휘파람새과 Family Cettidae 숲새
오목눈이과 Family Aegithalidae 오목눈이
노랑눈썹솔새
쇠솔새
솔새과 Family Phylloscopidae
솔새
산솔새
꼬리치레과 Family Sylviidae 붉은머리오목눈이
상모솔새과 Family Regulidae 상모솔새
굴뚝새과 Family Troglodytidae 굴뚝새
동고비과 Family Sittidae 동고비

새, 홍릉숲에 머물다 147


목 과 종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쇠동고비
나무발발이과 Family Certhiidae 나무발발이
찌르레기과 Family Sturnidae 찌르레기
흰눈썹지빠귀
호랑지빠귀
되지빠귀
흰눈썹붉은배지빠귀
지빠귀과 Family Turdidae
흰배지빠귀
붉은배지빠귀
노랑지빠귀
개똥지빠귀
솔딱새
쇠솔딱새
큰유리새
쇠유리새
울새
유리딱새
솔딱새과 Family Muscicapidae
흰눈썹황금새
황금새
노랑딱새
흰꼬리딱새
딱새
검은딱새
참새과 Family Ploceidae 참새
노랑할미새
할미새과 Family Motacillidae
힝둥새
되새
콩새
밀화부리
되새과 Family Fringillidae
멋쟁이
양진이
검은머리방울새

148 새, 홍릉숲에 머물다


목 과 종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흰배멧새
멧새과 Family Emberizidae
노랑턱멧새

위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홍릉숲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12목 34과 83종이다.

•기러기목에서 오리과 1과의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등 2종이 관찰되었다.


•닭목에서 꿩과 1과의 꿩 1종이 기록되었다.
•사다새목에서 백로과 1과의 왜가리 1종이 기록되었다.
•‌수리목에서 수리과 1과의 독수리, 새매, 참매, 말똥가리 등 4종이 기록되었다.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인
동시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인 독수리, 새매, 참매 등이 특기할 만하다.
•도요목에서 도요과 1과의 멧도요, 꺅도요 등 2종이 기록되었다.
•비둘기목에서 비둘기과 1과의 멧비둘기 1종이 기록되었다.
•두견이목에서 두견이과 1과의 뻐꾸기 1종이 기록되었다.
•‌올빼미목에서 올빼미과 1과의 큰소쩍새, 소쩍새, 솔부엉이 등 2종이 기록되었다. 이 세 종은 모두 문화재청
이 지정한 천연기념물이라는 것이 특기할 만한 점이다.
•칼새목에서 파랑새과의 파랑새, 물총새과의 호반새, 물총새 등 2과 3종이 기록되었다.
•‌딱다구리목에서 딱다구리과 1과의 쇠딱다구리, 아물쇠딱다구리, 큰오색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청딱다구
리 등 5종이 기록되었다.
•매목에서 매과 1과의 황조롱이, 새호리기 등 2종이 기록되었다.
•‌참새목에서 가장 많은 22과 58종이 기록되었다. 때까치과의 때까치 1종, 꾀꼬리과의 꾀꼬리 1종, 까마귀과
의 어치/물까치/까치/큰부리까마귀 등 4종, 여새과의 황여새/홍여새 등 2종, 박새과의 진박새/곤줄박이/쇠
박새/박새 등 4종, 직박구리과의 직박구리 1종, 제비과의 제비 1종, 휘파람새과의 숲새 1종, 오목눈이과의
오목눈이 1종, 솔새과의 노랑눈썹솔새/쇠솔새/솔새/산솔새 등 4종, 꼬리치레과의 붉은머리오목눈이 1종,
상모솔새과의 상모솔새 1종, 굴뚝새과의 굴뚝새 1종, 동고비과의 동고비/쇠동고비 등 2종, 나무발발이과의
나무발발이 1종, 찌르레기과의 찌르레기 1종, 지빠귀과의 흰눈썹지빠귀/호랑지빠귀/되지빠귀/흰눈썹붉은
배지빠귀/흰배지빠귀/붉은배지빠귀/노랑지빠귀/개똥지빠귀 등 8종, 솔딱새과의 솔딱새/쇠솔딱새/큰유리
새/쇠유리새/울새/유리딱새/흰눈썹황금새/황금새/노랑딱새/흰꼬리딱새/딱새/검은딱새 등 12종, 참새과의
참새 1종, 할미새과의 노랑할미새/힝둥새 등 2종, 되새과의 되새/콩새/밀화부리/멋쟁이/양진이/검은머리
방울새 등 6종, 멧새과의 흰배멧새, 노랑턱멧새 등 2종이 여기에 속한다.

<천연기념물>
독수리(제 243-1호), 새매(제 323-4호), 참매(제 323-1호),
큰소쩍새(제 324-7호), 소쩍새(제 324-6호), 솔부엉이(제 324-3호), 황조롱이(제 323-8호)

<멸종위기종>
독수리(멸종위기종 2급), 새매(멸종위기종 2급),
참매(멸종위기종 2급), 새호리기(멸종위기종 2급)

새, 홍릉숲에 머물다 149


길드 구성 안내

번호 이름 학명 이동성 둥지 짓기 먹이 먹기
1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WV * *
2 흰뺨검둥오리 Anas zonorhyncha Res B w
3 꿩 Phasianus colchicus Res B b
4 왜가리 Ardea cinerea Res * *
5 독수리 Aegypius monachus WV * *
6 새매 Accipiter nisus WV * *
7 참매 Accipiter gentilis WV * *
8 말똥가리 Buteo japonicus WV * *
9 멧도요 Scolopax rusticola PM * *
10 꺅도요 Gallinago gallinago PM * *
11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Res C b
12 뻐꾸기 Cuculus canorus SV * *
13 큰소쩍새 Otus semitorques PM * *
14 소쩍새 Otus sunia SV * *
15 솔부엉이 Ninox japonica SV H *
16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SV H c
17 호반새 Halcyon coromanda SV * *
18 물총새 Alcedo atthis SV * *
19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Res H c
20 아물쇠딱다구리 Dendrocopos canicapillus Res * c
21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Res * c
22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Res H c
23 청딱다구리 Picus canus Res H c
24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Res * *
25 새호리기 Falco subbuteo SV C *
26 때까치 Lanius bucephalus Res * *
27 꾀꼬리 Oriolus chinensis SV C c
28 어치 Garrulus glandarius Res C c
29 물까치 Cyanopica cyanus Res * c
30 까치 Pica pica Res C c

150 새, 홍릉숲에 머물다


번호 이름 학명 이동성 둥지 짓기 먹이 먹기
31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Res * c
32 황여새 Bombycilla garrulus WV * *
33 홍여새 Bombycilla japonica WV * *
34 진박새 Periparus ater Res * c
35 곤줄박이 Sittiparus varius Res H c
36 쇠박새 Poecile palustris Res H c
37 박새 Parus minor Res H c
38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Res C c
39 제비 Hirundo rustica SV * *
40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SV B b
41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Res C c
42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PM * c
43 쇠솔새 Phylloscopus borealis PM * b
44 솔새 Phylloscopus xanthodryas PM * b
45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SV B b
46 붉은머리오목눈이 Sinosuthora webbiana Res B b
47 상모솔새 Regulus regulus WV * *
48 굴뚝새 Troglodytes troglodytes Res B b
49 동고비 Sitta europaea Res H c
50 쇠동고비 Sitta villosa WV * *
51 나무발발이 Certhia familiaris WV * *
52 찌르레기 Spodiopsar cineraceus SV H c
53 흰눈썹지빠귀 Geokichla sibirica PM * b
54 호랑지빠귀 Zoothera aurea SV·Res * b
55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SV * b
56 흰눈썹붉은배지빠귀 Turdus obscurus PM * b
57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Res C b
58 붉은배지빠귀 Turdus chrysolaus PM * b
59 노랑지빠귀 Turdus naumanni WV * *
60 개똥지빠귀 Turdus eunomus WV * *
61 솔딱새 Muscicapa sibilans PM * c
62 쇠솔딱새 Muscicapa latirostris PM * c

새, 홍릉숲에 머물다 151


번호 이름 학명 이동성 둥지 짓기 먹이 먹기
63 큰유리새 Cyanoptila cyanomelana PM * b
64 쇠유리새 Larvivora cyane PM * b
65 울새 Larvivora sibilans PM * b
66 유리딱새 Tarsiger cyanurus PM·WV * *
67 흰눈썹황금새 Ficedula zanthopygia PM * c
68 황금새 Ficedula narcissina PM * c
69 노랑딱새 Ficedula mugimaki PM * *
70 흰꼬리딱새 Ficedula albicilla PM * *
71 딱새 Phoenicurus auroreus Res * c
72 검은딱새 Saxicola stejnegeri PM * *
73 참새 Passer montanus Res * *
74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PM * w
75 힝둥새 Anthus hodgsoni PM * *
76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WV * *
77 콩새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WV * *
78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 PM * *
79 멋쟁이새 Pyrrhula pyrrhula WV * *
80 양진이 Carpodacus roseus WV * *
81 검은머리방울새 Spinus spinus WV * *
82 흰배멧새 Emberiza tristrami PM * *
83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Res B b
1. 이동성:
‌ 텃새(Res, Resident), 나그네새(PM, Passage Migrant), 여름철새(SV, Summer Visitor), 겨울철
새(WV, Winter Visitor)
2. 둥지 짓기: 나무구멍(H, Hole), 숲지붕층(C, Canopy), 지면·관목층(B, Bush), 구분 불가(*)
3. 먹이 먹기: 숲지붕층(c, canopy), 지면·관목층(b, bush), 물가(w, waterfront), 구분 불가(*)

152 새, 홍릉숲에 머물다


번호 종명 학명(Scientific name) 영명(English name)
1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Mallard
2 흰뺨검둥오리 Anas zonorhyncha Eastern Spot-billed Duck
3 꿩 Phasianus colchicus Ring-necked Pheasant
4 왜가리 Ardea cinerea Grey Heron
5 독수리 Aegypius monachus Cinereous Vulture
6 새매 Accipiter nisus Eurasian Sparrowhawk
7 참매 Accipiter gentilis Northern Goshawk
8 말똥가리 Buteo japonicus Eastern Buzzard
9 멧도요 Scolopax rusticola Eurasian Woodcock
10 꺅도요 Gallinago gallinago Common Snipe
11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Oriental Turtle Dove
12 뻐꾸기 Cuculus canorus Common Cuckoo
13 큰소쩍새 Otus semitorques Japanese Scops Owl
14 소쩍새 Otus sunia Oriental Scops Owl
15 솔부엉이 Ninox japonica Northern Boobook
16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Oriental Dollarbird
17 호반새 Halcyon coromanda Ruddy Kingfisher
18 물총새 Alcedo atthis Common Kingfisher
19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Pygmy Woodpecker
20 아물쇠딱다구리 Dendrocopos canicapillus Grey-capped Woodpecker
21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White-backed Woodpecker
22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Great Spotted Woodpecker
23 청딱다구리 Picus canus Grey-headed Woodpecker
24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Common Kestrel
25 새호리기 Falco subbuteo Eurasian Hobby
26 때까치 Lanius bucephalus Bull-headed Shrike
27 꾀꼬리 Oriolus chinensis Black-naped Oriole
28 어치 Garrulus glandarius Eurasian Jay
29 물까치 Cyanopica cyanus Azure-winged Magpie

새, 홍릉숲에 머물다 153


번호 종명 학명(Scientific name) 영명(English name)
30 까치 Pica pica Eurasian Magpie
31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Large-billed Crow
32 황여새 Bombycilla garrulus Bohemian Waxwing
33 홍여새 Bombycilla japonica Japanese Waxwing
34 진박새 Periparus ater Coal Tit
35 곤줄박이 Sittiparus varius Varied Tit
36 쇠박새 Poecile palustris Marsh Tit
37 박새 Parus minor Great Tit
38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Brown-eared Bulbul
39 제비 Hirundo rustica Barn Swallow
40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Asian Stubtail
41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Long-tailed Tit
42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Yellow-browed Warbler
43 쇠솔새 Phylloscopus borealis Arctic Warbler
44 솔새 Phylloscopus xanthodryas Japanese Leaf Warbler
45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Eastern Crowned Warbler
46 붉은머리오목눈이 Sinosuthora webbiana Vinous-throated Parrotbill
47 상모솔새 Regulus regulus Goldcrest
48 굴뚝새 Troglodytes troglodytes Eurasian Wren
49 동고비 Sitta europaea Eurasian Nuthatch
50 쇠동고비 Sitta villosa Chinese Nuthatch
51 나무발발이 Certhia familiaris Eurasian Treecreeper
52 찌르레기 Spodiopsar cineraceus White-cheeked Starling
53 흰눈썹지빠귀 Geokichla sibirica Siberian Thrush
54 호랑지빠귀 Zoothera aurea White's Thrush
55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Grey-backed Thrush
56 흰눈썹붉은배지빠귀 Turdus obscurus Eyebrowed Thrush
57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Pale Thrush
58 붉은배지빠귀 Turdus chrysolaus Brown-headed Thrush
59 노랑지빠귀 Turdus naumanni Naumann's Thrush
60 개똥지빠귀 Turdus eunomus Dusky Thrush

154 새, 홍릉숲에 머물다


번호 종명 학명(Scientific name) 영명(English name)
61 솔딱새 Muscicapa sibilans Dark-sided Flycatcher
62 쇠솔딱새 Muscicapa latirostris Asian Brown Flycatcher
63 큰유리새 Cyanoptila cyanomelana Blue-and-White Flycatcher
64 쇠유리새 Larvivora cyane Siberian Blue Robin
65 울새 Larvivora sibilans Rufous-tailed Robin
66 유리딱새 Tarsiger cyanurus Red-flanked Bluetail
67 흰눈썹황금새 Ficedula zanthopygia Yellow-rumped Flycatcher
68 황금새 Ficedula narcissina Narcissus Flycatcher
69 노랑딱새 Ficedula mugimaki Mugimaki Flycatcher
70 흰꼬리딱새 Ficedula albicilla Taiga Flycatcher
71 딱새 Phoenicurus auroreus Daurian Redstart
72 검은딱새 Saxicola stejnegeri Eurasian Stone Chat
73 참새 Passer montanus Eurasian Tree Sparrow
74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Grey Wagtail
75 힝둥새 Anthus hodgsoni Olive-backed Pipit
76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Brambling
77 콩새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Hawfinch
78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 Chinese Grosbeak
79 멋쟁이새 Pyrrhula pyrrhula Eurasian Bullfinch
80 양진이 Carpodacus roseus Pallas's Rosefinch
81 검은머리방울새 Spinus spinus Eurasian Siskin
82 흰배멧새 Emberiza tristrami Tristram's Bunting
83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Yellow-throated Bunting

새, 홍릉숲에 머물다 155


표 4 같은 한자가 상하로 인접해 있을 경우 병음 대신 기호(-)를 넣어 생략하였다.
각 칸의 병음(중국어 발음 부호)은 이름의 조합 및 구성 원리에 따라 적절히 띄어서 표기하였다.

번호 종명 중국어명(中文) 발음[fāyīn]
1 청둥오리 绿头鸭 [lǜtóu yā]
2 흰뺨검둥오리 斑嘴鸭 [bānzuǐyā]
3 꿩 雉鸡 [zhìjī]
4 왜가리 苍鹭 [cāng lù]
5 독수리 秃鹫 [tūjiù]
6 새매 雀鹰 [quèyīng]
7 참매 苍鹰 [cāng yīng]
8 말똥가리 普通鵟 [pǔtōng kuáng]
9 멧도요 丘鹬 [qiūyù]
10 꺅도요 扇尾沙锥 [shànwěi shāzhuī]
11 멧비둘기 山斑鸠 [shān bān jiū]
12 뻐꾸기 大杜鹃 [dàdùjuān]
13 큰소쩍새 日本领角鸮 [Rìběn lǐng jiǎo xiāo]
14 소쩍새 东红角鸮 [dōng hóngjiǎo -]
15 솔부엉이 北鹰鸮 [běi yīng xiāo]
16 파랑새 三宝鸟 [sānbǎo niǎo]
17 호반새 赤翡翠 [chìfěicuì]
18 물총새 普通翠鸟 [pǔtōng --]
19 쇠딱다구리 小星头啄木鸟 [xiǎo -- zhuómùniǎo]
20 아물쇠딱다구리 星头啄木鸟 [xīngtóu -- -]
21 큰오색딱다구리 白背啄木鸟 [báibèi -- -]
22 오색딱다구리 大斑啄木鸟 [dàbān -- -]
23 청딱다구리 灰头绿啄木鸟 [huītóu lǜ-- -]
24 황조롱이 红隼 [hóng sǔn]
25 새호리기 燕隼 [yàn sǔn]
26 때까치 牛头伯劳 [niútóu bóláo]
27 꾀꼬리 黑枕黄鹂 [hēizhěn huánglí]

156 새, 홍릉숲에 머물다


번호 종명 중국어명(中文) 발음[fāyīn]
28 어치 松鸦 [sōng yā]
29 물까치 灰喜鹊 [huī--]
30 까치 喜鹊 [xǐquè]
31 큰부리까마귀 大嘴乌鸦 [dàzuǐwūyā]
32 황여새 太平鸟 [tàipíng niǎo]
33 홍여새 小太平鸟 [xiǎo -- -]
34 진박새 煤山雀 [méi shānquè]
35 곤줄박이 赤腹山雀·杂色山雀 [chìfù--]·[zásè--]
36 쇠박새 沼泽山雀 [zhǎozé--]
37 박새 大山雀 [dà--]
38 직박구리 栗耳短脚鹎 [lì'ěr duǎnjiǎo bēi]
39 제비 家燕 [jiāyàn]
40 숲새 鳞头树莺 [líntóu shùyīng]
41 오목눈이 银喉长尾山雀 [yínhóu chángwěi -]
42 노랑눈썹솔새 黄眉柳莺 [huángméi liǔyīng]
43 쇠솔새 极北柳莺 [jíběi --]
44 솔새 日本柳莺 [Rìběn --]
45 산솔새 冕柳莺 [miǎn --]
46 붉은머리오목눈이 棕头鸦雀 [zōngtóu yāquè]
47 상모솔새 戴菊 [dàijú]
48 굴뚝새 鹪鹩 [jiāoliáo]
49 동고비 普通鳾 [pǔtōng shī]
50 쇠동고비 黑头鳾 [hēitóu -]
51 나무발발이 旋木雀 [xuánmù-]
52 찌르레기 灰椋鸟 [huīliáng -]
53 흰눈썹지빠귀 白眉地鸫 [báiméi dìdōng]
54 호랑지빠귀 虎斑地鸫 [hǔbān - -]
55 되지빠귀 灰背鸫 [huībèi -]
56 흰눈썹붉은배지빠귀 白眉鸫 [báiméi -]
57 흰배지빠귀 白腹鸫 [báifù-]
58 붉은배지빠귀 赤胸鸫 [chìxiōng -]

새, 홍릉숲에 머물다 157


번호 종명 중국어명(中文) 발음[fāyīn]
59 노랑지빠귀 红尾鸫 [hóngwěi -]
60 개똥지빠귀 斑鸫 [bān -]
61 솔딱새 乌鹟 [wūwēng]
62 쇠솔딱새 北灰鹟 [běi huī-]
63 큰유리새 白腹蓝(姬)鹟·白腹琉璃 [báifùlán(jī)-]·[--liúlí]
64 쇠유리새 蓝歌鸲 [lán gēqú]
65 울새 红尾歌鸲 [hóngwěi - -]
66 유리딱새 红胁蓝尾鸲 [hóngxiélánwěi -]
67 흰눈썹황금새 白眉鹟 [báiméi -]
68 황금새 黄眉鹟 [huángméi -]
69 노랑딱새 鸲鹟 [qú-]
70 흰꼬리딱새 红喉鹟 [hónghóu -]
71 딱새 北红尾鸲 [běi hóngwěi -]
72 검은딱새 黑喉石鵖 [hēihóu shíbī]
73 참새 (树)麻雀 [(shù)máquè]
74 노랑할미새 灰鹡鸰 [huījílíng]
75 힝둥새 树鹨 [shùliù]
76 되새 燕雀 [yàn què]
77 콩새 锡嘴雀 [xīzuǐ-]
78 밀화부리 黑尾蜡嘴雀 [hēiwěi làzuǐ-]
79 멋쟁이새 红腹灰雀 [hóngfùhuī-]
80 양진이 北朱雀 [běi zhū-]
81 검은머리방울새 黄雀 [huáng -]
82 흰배멧새 白眉鹀 [báiméi wú]
83 노랑턱멧새 黄喉鹀 [huánghóu -]

158 새, 홍릉숲에 머물다


번호 종명 일본어명(日本語名) 발음(シュメイ, 슈메이)
1 청둥오리 マガモ 마가모
2 흰뺨검둥오리 カルガモ 카루가모
3 꿩 キジ 키지
4 왜가리 アオサギ 아오사기
5 독수리 クロハゲワシ 쿠로하게와시
6 새매 ハイタカ 하이타카
7 참매 オオタカ 오오타카
8 말똥가리 ノスリ 노스리
9 멧도요 ヤマシギ 야마시기
10 꺅도요 タシギ 타시기
11 멧비둘기 キジバト 키지바토
12 뻐꾸기 カッコウ 캇코-
13 큰소쩍새 サメイロオオコノハズク 사메이로오오코노하즈쿠
14 소쩍새 コノハズク 코노하즈쿠
15 솔부엉이 アオバズク 아오바즈쿠
16 파랑새 ブッポウソウ 붓포-소-
17 호반새 アカショウビン 아카쇼-빈
18 물총새 カワセミ 카와세미
19 쇠딱다구리 コゲラ 코게라
20 아물쇠딱다구리 ハイガシラコゲラ 하이가시라코게라
21 큰오색딱다구리 オオアカゲラ 오오아카게라
22 오색딱다구리 アカゲラ 아카게라
23 청딱다구리 ヤマゲラ 야마게라
24 황조롱이 チョウゲンボウ 쵸-겐보-
25 새호리기 チゴハヤブサ 치고하야부사
26 때까치 モズ 모즈
27 꾀꼬리 コウライウゲイス 코-라이우게이스
28 어치 カケス 카케스
29 물까치 オナガ 오나가
30 까치 カササギ 카사사기

새, 홍릉숲에 머물다 159


번호 종명 일본어명(日本語名) 발음(シュメイ, 슈메이)
31 큰부리까마귀 ハシブトガラス 하시부토가라스
32 황여새 キレンジャク 키렌쟈쿠
33 홍여새 ヒレンジャク 히렌쟈쿠
34 진박새 ヒガラ 히가라
35 곤줄박이 ヤマガラ 야마가라
36 쇠박새 ハシブトガラ 하시부토가라
37 박새 シジュウカラ 시쥬-카라
38 직박구리 ヒヨドリ 히요도리
39 제비 ツバメ 츠바메
40 숲새 ヤブサメ 야부사메
41 오목눈이 エナガ 에나가
42 노랑눈썹솔새 キマユムシクイ 키마유무시쿠이
43 쇠솔새 コムシクイ 코무시쿠이
44 솔새 メボソムシクイ 메보소무시쿠이
45 산솔새 センダイムシクイ 센다이무시쿠이
46 붉은머리오목눈이 ダルマエナガ 다루마에나가
47 상모솔새 キクイタダキ 키쿠이타다키
48 굴뚝새 ミソサザイ 미소사자이
49 동고비 ゴジュウカラ 고쥬-카라
50 쇠동고비 チョウセンゴジュウガラ 쵸-센고쥬-가라
51 나무발발이 キバシリ 키바시리
52 찌르레기 ムクドリ 무쿠도리
53 흰눈썹지빠귀 マミジロ 마미지로
54 호랑지빠귀 トラツグミ 토라츠구미
55 되지빠귀 カラアカハラ 카라아카하라
56 흰눈썹붉은배지빠귀 マミチャジナイ 마미챠지나이
57 흰배지빠귀 シロハラ 시로하라
58 붉은배지빠귀 アカハラ 아카하라
59 노랑지빠귀 ハチジョウツグミ 하치죠-츠구미
60 개똥지빠귀 ツグミ 츠구미
61 솔딱새 サメビタキ 사메비타키
62 쇠솔딱새 コサメビタキ 코사메비타키

160 새, 홍릉숲에 머물다


번호 종명 일본어명(日本語名) 발음(シュメイ, 슈메이)
63 큰유리새 オオルリ 오오루리
64 쇠유리새 コルリ 코루리
65 울새 シマゴマ 시마고마
66 유리딱새 ルリビタキ 루리비타키
67 흰눈썹황금새 マミジロキビタキ 마미지로키비타키
68 황금새 キビタキ 키비타키
69 노랑딱새 ムギマキ 무기마키
70 흰꼬리딱새 オジロビタキ 오지로비타키
71 딱새 ジョウビタキ 죠-비타키
72 검은딱새 ノビタキ 노비타키
73 참새 スズメ 스즈메
74 노랑할미새 キセキレイ 키세키레-
75 힝둥새 ビンズイ 빈즈이
76 되새 アトリ 아토리
77 콩새 シメ 시메
78 밀화부리 コイカル 코이카루
79 멋쟁이새 ウソ 우소
80 양진이 オオマシコ 오오마시코
81 검은머리방울새 マヒワ 마히와
82 흰배멧새 シロハラホオジロ 시로하라호오지로
83 노랑턱멧새 ミヤマホオジロ 미야마호오지로

새, 홍릉숲에 머물다 161


찾아보기

한국어명 찾아보기
개똥지빠귀 • 111 박새 • 75 직박구리 • 78
검은딱새 • 126 붉은머리오목눈이 • 90 진박새 • 72
검은머리방울새 • 139 붉은배지빠귀 • 109 찌르레기 • 102
곤줄박이 • 73 뻐꾸기 • 42 참매 • 36
굴뚝새 • 94 산솔새 • 87 참새 • 128
까치 • 67 상모솔새 • 92 청둥오리 • 28
꺅도요 • 39 새매 • 35 청딱다구리 • 57
꾀꼬리 • 64 새호리기 • 60 콩새 • 135
꿩 • 30 소쩍새 • 45 큰부리까마귀 • 68
나무발발이 • 100 솔딱새 • 114 큰소쩍새 • 44
노랑눈썹솔새 • 84 솔부엉이 • 46 큰오색딱다구리 • 55
노랑딱새 • 123 솔새 • 86 큰유리새 • 116
노랑지빠귀 • 110 쇠동고비 • 98 파랑새 • 48
노랑턱멧새 • 143 쇠딱다구리 • 53 호랑지빠귀 • 105
노랑할미새 • 130 쇠박새 • 74 호반새 • 50
독수리 • 34 쇠솔딱새 • 115 홍여새 • 71
동고비 • 96 쇠솔새 • 85 황금새 • 122
되새 • 134 쇠유리새 • 118 황여새 • 71
되지빠귀 • 106 숲새 • 82 황조롱이 • 59
딱새 • 125 아물쇠딱다구리 • 54 흰꼬리딱새 • 124
때까치 • 62 양진이 • 138 흰눈썹붉은배지빠귀 • 107
말똥가리 • 37 어치 • 65 흰눈썹지빠귀 • 104
멋쟁이새 • 137 오목눈이 • 83 흰눈썹황금새 • 121
멧도요 • 38 오색딱다구리 • 56 흰배멧새 • 142
멧비둘기 • 40 왜가리 • 32 흰배지빠귀 • 108
물까치 • 66 울새 • 119 흰뺨검둥오리 • 29
물총새 • 52 유리딱새 • 120 힝둥새 • 131
밀화부리 • 136 제비 • 80

162 새, 홍릉숲에 머물다


학명 찾아보기
Accipiter gentilis • 36 Falco tinnunculus • 59 Phylloscopus coronatus • 87
Accipiter nisus • 35 Ficedula albicilla • 124 Phylloscopus inornatus • 84
Aegithalos caudatus • 83 Ficedula mugimaki • 123 Phylloscopus xanthodryas • 86
Aegypius monachus • 34 Ficedula narcissina • 122 Pica pica • 67
Alcedo atthis • 52 Ficedula zanthopygia • 121 Picus canus • 57
Anas platyrhynchos • 28 Fringilla montifringilla • 134 Poecile palustris • 74
Anas zonorhyncha • 29 Gallinago gallnago • 39 Pyrrhula pyrrhula • 137
Anthus hodgsoni • 131 Garrulus glandarius • 65 Regulus regulus • 92
Ardea cinerea • 32 Geokichla sibirica • 104 Saxicola stejnegeri • 126
Bombycilla garrulus • 71 Halcyon coromanda • 50 Scolopax rusticola • 38
Bombycilla japonica • 71 Hirundo rustica • 80 Sinosuthora webbiana • 90
Buteo japonicus • 37 Hypsipetes amaurotis • 78 Sitta europaea • 96
Carpodacus roseus • 138 Lanius bucephalus • 62 Sitta villosa • 98
Certhia familiaris • 100 Larvivora cyane • 118 Sittiparus varius • 73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 135 Larvivora sibilans • 119 Spinus spinus • 139
Corvus macrorhynchos • 68 Motacilla cinerea • 130 Spodiopsar cineraceus • 102
Cuculus canorus • 42 Muscicapa latirostris • 115 Streptopelia orientalis • 40
Cyanopica cyanus • 66 Muscicapa sibirica • 114 Tarsiger cyanurus • 120
Cyanoptila cyanomelana • 116 Ninox japonica • 46 Troglodytes troglodytes • 94
Dendrocopos canicapillus • 54 Oriolus chinensis • 64 Turdus chrysolaus • 109
Dendrocopos kizuki • 53 Otus semitorques • 44 Turdus eunomus • 111
Dendrocopos leucotos • 55 Otus sunia • 45 Turdus hortulorum • 106
Dendrocopos major • 56 Parus minor • 75 Turdus naumanni • 110
Emberiza elegans • 143 Passer montanus • 128 Turdus obscurus • 107
Emberiza tristrami • 142 Periparus ater • 72 Turdus pallidus • 108
Eophona migratoria • 136 Phasianus colchicus • 30 Urosphena squameiceps • 82
Eurystomus orientalis • 48 Phoenicurus auroreus • 125 Zoothera aurea • 105
Falco subbuteo • 60 Phylloscopus borealis • 85

새, 홍릉숲에 머물다 163


영명 찾아보기
Arctic Warbler • 85 Eurasian Jay • 65 Mugimaki Flycatcher • 123
Asian Brown Flycatcher • 115 Eurasian Magpie • 67 Narcissus Flycatcher • 122
Asian Stubtail • 82 Eurasian Nuthatch • 96 Naumann's Thrush • 110
Azure-winged Magpie • 66 Eurasian Siskin • 139 Northern Boobook • 46
Barn Swallow • 80 Eurasian Sparrowhawk • 35 Northern Goshawk • 36
Black-naped Oriole • 64 Eurasian Stone Chat • 126 Olive-backed Pipit • 131
Blue-and-White Flycatcher • 116 Eurasian Treecreeper • 100 Oriental Dollarbird • 48
Bohemian Waxwing • 71 Eurasian Tree Sparrow • 128 Oriental Scops Owl • 45
Brambling • 134 Eurasian Woodcock • 38 Oriental Turtle Dove • 40
Brown-eared Bulbul • 78 Eurasian Wren • 94 Pale Thrush • 108
Brown-headed Thrush • 109 Eyebrowed Thrush • 107 Pallas's Rosefinch • 138
Bull-headed Shrike • 62 Goldcrest • 92 Red-flanked Bluetail • 120
Chinese Grosbeak • 136 Great Spotted Woodpecker • 56 Ring-necked Pheasant • 30
Chinese Nuthatch • 98 Great Tit • 75 Ruddy Kingfisher • 50
Cinereous Vulture • 34 Grey-backed Thrush • 106 Rufous-tailed Robin • 119
Coal Tit • 72 Grey-capped Woodpecker • 54 Siberian Blue Robin • 118
Common Cuckoo • 42 Grey-headed Woodpecker • 57 Siberian Thrush • 104
Common Kestrel • 59 Grey Heron • 32 Taiga Flycatcher • 124
Common Kingfisher • 52 Grey Wagtail • 130 Tristram's Bunting • 142
Common Snipe • 39 Hawfinch • 135 Varied Tit • 73
Dark-sided Flycatcher • 114 Japanese Leaf Warbler • 86 Vinous-throated Parrotbill • 90
Daurian Redstart • 125 Japanese Pygmy Woodpecker • 53 White-backed Woodpecker • 55
Dusky Thrush • 111 Japanese Scops Owl • 44 White-cheeked Starling • 102
Eastern Buzzard • 37 Japanese Waxwing • 71 White's Thrush • 105
Eastern Crowned Warbler • 87 Large-billed Crow • 68 Yellow-browed Warbler • 84
Eastern Spot-billed Duck • 29 Long-tailed Tit • 83 Yellow-rumped Flycatcher • 121
Eurasian Bullfinch • 137 Mallard • 28 Yellow-throated Bunting • 143
Eurasian Hobby • 60 Marsh Tit • 74

164 새, 홍릉숲에 머물다


중국어명 찾아보기
(树)麻雀 • 128 普通翠鸟 • 52 红尾鸫 • 110
三宝鸟 • 48 普通鳾 • 96 红胁蓝尾鸲 • 120
丘鹬 • 38 普通鵟 • 37 红腹灰雀 • 137
东红角鸮 • 45 松鸦 • 65 红隼 • 59
乌鹟 • 114 极北柳莺 • 85 绿头鸭 • 28
冕柳莺 • 87 树鹨 • 131 苍鹭 • 32
北朱雀 • 138 栗耳短脚鹎 • 78 苍鹰 • 36
北灰鹟 • 115 棕头鸦雀 • 90 蓝歌鸲 • 118
北红尾鸲 • 125 沼泽山雀 • 74 虎斑地鸫 • 105
北鹰鸮 • 46 灰喜鹊 • 66 赤翡翠 • 50

喜鹊 • 67 灰头绿啄木鸟 • 57 赤胸鸫 • 109


大嘴乌鸦 • 68 灰椋鸟 • 102 赤腹山雀 · 杂色山雀 • 73
大山雀 • 75 灰背鸫 • 106 银喉长尾山雀 • 83
大斑啄木鸟 • 56 灰鹡鸰 • 130 锡嘴雀 • 135
大杜鹃 • 42 煤山雀 • 72 雀鹰 • 35
太平鸟 • 71 燕隼 • 60 雉鸡 • 30
家燕 • 80 燕雀 • 134 鳞头树莺 • 82
小太平鸟 • 71 牛头伯劳 • 62 鸲鹟 • 123
小星头啄木鸟 • 53 白眉地鸫 • 104 鹪鹩 • 94
山斑鸠 • 40 白眉鸫 • 107 黄喉鹀 • 143
戴菊 • 92 白眉鹀 • 142 黄眉柳莺 • 84
扇尾沙锥 • 39 白眉鹟 • 121 黄眉鹟 • 122
斑嘴鸭 • 29 白背啄木鸟 • 55 黄雀 • 139
斑鸫 • 111 白腹蓝(姬)鹟·白腹琉璃 • 116 黑喉石鵖 • 126
旋木雀 • 100 白腹鸫 • 108 黑头鳾 • 98
日本柳莺 • 86 秃鹫 • 34 黑尾蜡嘴雀 • 136
日本领角鸮 • 44 红喉鹟 • 124 黑枕黄鹂 • 64
星头啄木鸟 • 54 红尾歌鸲 • 119

새, 홍릉숲에 머물다 165


일본어명 찾아보기
アオサギ • 32 クロハゲワシ • 34 ノビタキ • 126
アオバズク • 46 コイカル • 136 ハイガシラコゲラ • 54
アカゲラ • 56 コウライウゲイス • 64 ハイタカ • 35
アカショウビン • 50 コゲラ • 53 ハシブトガラ • 74
アカハラ • 109 コサメビタキ • 115 ハシブトガラス • 68
アトリ • 134 ゴジュウカラ • 96 ハチジョウツグミ • 110
ウソ • 137 コノハズク • 45 ヒガラ • 72
エナガ • 83 コムシクイ • 85 ヒヨドリ • 78
オオアカゲラ • 55 コルリ • 118 ヒレンジャク • 71
オオタカ • 36 サメイロオオコノハズク • 44 ビンズイ • 131
オオマシコ • 138 サメビタキ • 114 ブッポウソウ • 48
オオルリ • 116 シジュウカラ • 75 マガモ • 28
オジロビタキ • 124 シマゴマ • 119 マヒワ • 139
オナガ • 66 シメ • 135 マミジロ • 104
カケス • 65 ジョウビタキ • 125 マミジロキビタキ • 121
カササギ • 67 シロハラ • 108 マミチャジナイ • 107
カッコウ • 42 シロハラホオジロ • 142 ミソサザイ • 94
カラアカハラ • 106 スズメ • 128 ミヤマホオジロ • 143
カルガモ • 29 センダイムシクイ • 87 ムギマキ • 123
カワセミ • 52 タシギ • 39 ムクドリ • 102
キクイタダキ • 92 ダルマエナガ • 90 メボソムシクイ • 86
キジ • 30 チゴハヤブサ • 60 モズ • 62
キジバト • 40 チョウゲンボウ • 59 ヤブサメ • 82
キセキレイ • 130 チョウセンゴジュウガラ • 98 ヤマガラ • 73
キバシリ • 100 ツグミ • 111 ヤマゲラ • 57
キビタキ • 122 ツバメ • 80 ヤマシギ • 38
キマユムシクイ • 84 トラツグミ • 105 ルリビタキ • 120
キレンジャク • 71 ノスリ • 37

166 새, 홍릉숲에 머물다


홍릉숲의 조류 군집 특성

 박찬열, 최광호, 강완모, 성주한

홍릉숲에는 총 12목 34과 83종의 조류가 서식한다. 이동성 패턴에서 텃새 28종(34%), 나그네새 24종
(29%), 겨울철새 17종(20%), 여름철새 14종(17%) 순으로, 이동성 조류가 66%를 차지한다. 홍릉숲에서 번
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조류는 총 25종이다. 관찰된 조류 중 78종(94%)이 산새이고, 물새는 청둥오리, 흰
뺨검둥오리, 왜가리, 멧도요, 꺅도요 등 5종이었다. 법적보호종으로는 천연기념물이며 멸종위기종 Ⅱ급인
독수리, 새매, 참매 등 3종을 비롯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소쩍새, 솔부엉이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새는 멧비둘기, 붉은머리오목눈이, 꿩, 까치, 직박구리, 박새, 참새 순이며, 이 7종은


3년간의 조사에서 매월 관찰되었다. 홍릉숲에서 산새류를 다수 관찰할 수 있는데, 그 중 특기할 만한 것
은 딱따구리류 5종, 지빠귀류 8종, 박새류 4종, 되새류 6종이다. 도시숲이지만, 큰키나무가 많은 홍릉숲에
서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딱따구리류 대부분을 만날 수 있다. 쇠딱다구리, 아물쇠딱다구리, 큰오색딱다
구리, 오색딱다구리, 청딱다구리 등 5종이 관찰되었는데, 까막딱다구리를 제외하면 우리나라 숲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딱따구리류이다. 대표적 산림성 조류인 박새류 4종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딱따구리류-
박새류 둥지망이 홍릉숲에서 건전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맹금류인 참매와 새매의 서식이
확인되었고, 설치류 및 소형조류를 포식하는 소쩍새, 솔부엉이 등 생태계의 고차포식자가 서식하고 있어
서, 홍릉숲의 먹이망은 건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홍릉숲에서 번식하는 조류군집을 둥지자원 및 먹이자원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번식
중인 조류 중 덤불층이나 지면의 둥지자원을 이용한 조류는 7종(흰뺨검둥오리, 꿩, 숲새, 산솔새, 붉은머리
오목눈이, 굴뚝새, 노랑턱멧새)이었으며, 숲지붕층에서 이용한 종은 8종(멧비둘기, 새호리기, 꾀꼬리, 어치,
까치, 직박구리, 오목눈이, 흰배지빠귀), 나무 구멍을 자원으로 이용한 종은 10종(솔부엉이, 파랑새, 쇠딱
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청딱다구리, 곤줄박이, 쇠박새, 박새, 동고비, 찌르레기)이었다. 붉은머리오목눈이는
철쭉, 화살나무 등 밀집한 덤불층에서 지면으로부터 1미터 이상의 높이에 둥지를 틀어 들고양이와 들개의
포식에 대비하였다. 비록 도시숲이지만, 홍릉숲은 자연숲처럼 나무구멍에 둥지를 튼 조류 종수가 높았다.
홍릉숲의 양호한 임상이 산림성 조류 군집의 서식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먹이자원 측면에서 25종이 숲지붕층에서, 18종이 덤불층 및 지면에서 먹이를 이용하였고, 물가에서 먹이
를 이용하는 종은 흰뺨검둥오리와 노랑할미새 등 2종이었다. 홍릉숲의 연못은 비록 작지만, 물새의 서식지
와 산새의 물 공급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곳으로 판단된다.

새, 홍릉숲에 머물다 167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t Hongneung Forest

 Park Chan-Ryul, Choi Kwangho, Kang Wanmo, Sung Joo Han

In total, 83 bird species under 12 orders and 34 families were recorded at Hongneung Forest.
Among them, twenty-eight species were residents (34%), 14 species were summer visitors
(17%), 17 species were winter visitors (20%), and 24 species were passage migrants (29%).
The Hongneung Forest was used as breeding habitat by 25 species. We recorded five species
of waterfowls, including Mallard, Eastern Spot-billed Duck, Grey Heron, Eurasian Woodcock,
and Common Snipe, and listed legally protected species such as natural monument and
endangered species II class, Cinereous Vulture, Eurasian Sparrowhawk, and Northern
Goshawk. We also observed two species of natural monuments, Nothern Boobook and
Oriental Scops Owl. Commonly observed birds were Oriental Turtle Dove, Vinous-throated
Parrotbill, Ring-necked Pheasant, Eurasian Magpie, Brown-eared Bulbul, Great Tit, and Tree
Sparrow, and these seven birds have been recorded all the month in a three years survey. You
can observe a number of forest birds at Hongneung Forest. In line with this, it is remarkable
that five species of Woodpeckers, eight Thrushes, four Tits and six birds of Fringilidae, can be
observed. Despite urban forests in Seoul, you can meet five species of woodpeckers, including
Pygmy Woodpecker, Grey-capped Woodpecker, White-backed Woodpecker, Great-Spotted
Woodpecker, and Grey-headed Woodpecker, except largest-sized Black Woodpecker, at
Hongneung Forest. Also, you can easily observe four species of tits. Therefore, these suggest
that Hongneung Forest does possess a sound nest-web between tits and woodpeckers.
In addition, high-level predators, such as raptors of Eurasian Sparrowhawk and Northern
Goshawk, and predators of rodents and small birds, including Northern Boobook and Oriental
Scops owl, have been observed to inhabit at Hongneung Forest, indicating the soundness of
food-web.

Breeding birds were composed of seven bush and ground-nesters (Eastern Spot-billed Duck,
Ring-necked Pheasant, Asian Stubtail, Eastern Crowned Warbler, Vinous-throated Parrotbill,
Eurasian Wren, and Yellow-throated Bunting), eight canopy nesters (Oriental Turtle Dove,
Eurasian Hobby, Black-naped Oriole, Eurasian Jay, Eurasian Magpie, Brown-eared Bulbul,
Long-tailed Tit, and Pale Thrush), and 10 hole-nesting species (Northern Boobook, Oriental
Dollarbird, Pygmy Woodpecker, Great Spotted Woodpecker, Grey-headed Woodpecker, Varied
Tit, Marsh Tit, Great Tit, Eurasian Nuthatch and White-cheeked Starling). Vinous-throated
Parrotbills made their nests above 1 meter height from the ground, which are located at the
middle parts of dense branch and twig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Euonymus
alatus to defend against attacks by feral dogs and cats. Although The Hongneung Forest
belong to urban forests, hole nesters were dominant in this forest like natural forests do. Thus,
It would be suggested that the large-sized trees and well-conserved conditions of the forest
provide good habitats for forest-dwelling birds. The breeding birds also consisted of 25 canopy
foragers, 19 species of bush and ground-foraging birds and two bird species (Eastern Spot-
billed Duck and Grey Wagtail), which search for prey near waterside areas. Although there
are small water areas (e.g., ponds and swamps) at Hongneung Forest, these ponds have an
important role for waterfowl habitat and water supply resources for forest birds.

168 새, 홍릉숲에 머물다


洪陵林鳥類群集特性

 朴贊烈, 崔光浩, 姜玩模, 成周翰

洪陵树林里栖息着12目34科83种鸟类。其中有留鸟28种(33.7%)、夏季候鸟14种(16.9%)、越冬
候鸟17种(20.5%)、迁移候鸟24种(28.9%)。繁殖于树林里的有25种,目前观察到的鸟类中水禽
类有; 绿头鸭、斑嘴鸭、苍鹭、丘鹬、扇尾沙锥等5种。法定保护种有5种,属于天然纪念物与
濒危物种2及的;秃鹫、雀鹰、苍鹰等3种与指定为天然纪念物的;红角鸮、北鹰鸮等2种。

出现频率最高的是进3年来每月都曾经观察到的;山斑鸠、棕头鸦雀、雉鸡、喜鹊、栗耳短脚
鹎、大山雀、(树)麻雀等7种。洪陵林里有许多陆禽,其中最有特点的是;啄木鸟类5种、地鸫
类8种、山雀类4种、燕雀类6种。虽然洪陵林是城市林,但内部有很多高树。可观察韩国里大部
分种类的啄木鸟。除了黑啄木鸟;小星头啄木鸟、星头啄木鸟、白背啄木鸟、大斑啄木鸟、灰
头绿啄木鸟等5种是在韩国内可看到的全部,而且这里有代表性的森林鸟类;山雀。所以我们可
以说洪陵林的啄木鸟类与山雀类的生态系保存得很佳。我们又确认到属于猛禽的苍鹰与雀鹰的
生动、还有捕捉啮齿动物和小型鸟类的红角鸮、北鹰鸮等高等捕食鸟类。洪陵林的食物链维持
得非常良好。

对繁殖于洪陵林内部之鸟类的鸟巢资源与食物资源的具体说明如下。繁殖在树林内部灌木层与
地面曾的有7种;斑嘴鸭、雉鸡、鳞头树莺、冕柳莺、棕头鸦雀、鹪鹩、黄眉鹀。利用树冠层的
有8种;山斑鸠、燕隼、黑枕黄鹂、松鸦、喜鹊、栗耳短脚鹎、银喉长尾山雀、白腹鸫。利用树
洞的有10种;北鹰鸮、三宝鸟、小星头啄木鸟、大斑啄木鸟、灰头绿啄木鸟、赤腹山雀、沼泽
山雀、大山雀、普通鳾、灰椋鸟。棕头鸦雀把巢挂到大字杜鹃或卫矛等灌木的1米高之处以防野
狗和野猫的袭击。虽然是城市林,但洪陵林里有许多种鸟类繁殖于树洞内。树林内部高树与优
良林状对鸟类的生态提供有利之处。

摄食活动方面有25种利用树冠层,18种利用灌木与地面层,在水边摄食的有斑嘴鸭、灰鹡鸰等2
种。树林内的池塘虽然不大,但在于斑嘴鸭等水禽类的栖息处提供与其他陆禽类的水份供给方
面是很有利用价值的场所。

새, 홍릉숲에 머물다 169


洪陵林の鳥類群集の特性

 朴贊烈, 崔光浩, 姜玩模, 成周翰

洪陵(ホンヌン)林には総12目34科83種の鳥類が生息している。移動パターンによって分けてみると留鳥
28種(34%)、旅鳥24種(29%)、冬鳥17種(20%)、夏鳥14種(17%)の順であり、移動性鳥類が66%にもな
る。その中で洪陵林に繁殖している鳥は合わせて25種であると判断される。観察された鳥類の中で水鳥
はマガモ、カルガモ、アオサギ、ヤマシギ、タシギなどの5種類であった。法的保護種としては天然記
念物であり絶滅危機種Ⅱ級でもあるクロハゲワシ、ハイタカ、オオタカなどの3種をはじめとして天然
記念物に指定されているコノハズク、アオバズク等の洪陵林に生息し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た。
出現頻度の一番高い鳥はキジバト、ダルマエナガ、キジ、カササギ、ヒヨドリ、シジュウカラ、スズ
メの順であり、この7種は3年間のモニタリングで毎月観察された種でもある。洪陵林では山鳥類が多
く見られるが、目を引くのはキツツキ類5種、ツグミ類8種、カラ類4種、アトリ類6種である。都市
林ではあるとも大樹の多い洪陵林では韓国に生息する啄木鳥の全種類に会うことのできる。韓国の森で
見ることのできるキツツキ類の中からクマゲラを除いてコゲラ、ハイガシラコゲラ、オオアカゲラ、ア
カゲラ、ヤマゲラ等の5種類が観察された。また代表的な山林性鳥類であるカラ類は4種が観察できる
が、これはキツツキ類-カラ類のNest webが健全に維持されていることを表してくれる。そして猛禽類
のオオタカ、ハイタカと齧歯類及び小型鳥類を飽食するコノハズク、アオバズクなど生態系の高次飽食
者が生息しており、洪陵林のFood web(フードウェブ)は健全であると判断される。
洪陵林に繁殖する鳥類の営巣資源及び採餌資源について具体的に説明すると下記のようである。繁
殖している鳥類のなかで営巣資源を低木層または地面から利用する鳥類は7種(カルガモ、キジ、ヤブ
サメ、センダイムシクイ、ダルマエナガ、, ミソサザイ、ミヤマホオジロ)であり、樹冠層から利用する
種は8種(キジバト、チゴハヤブサ、コウライウゲイス、カケス、カササギ、ヒヨドリ、エナガ、シロハ
ラ)、樹洞を巣に用いる種は10種(アオバズク、ブッポウソウ、コゲラ、アカゲラ、ヤマゲラ、ヤマガ
ラ、ハシブトガラ、シジュウカラ、ゴジュウカラ、ムクドリ)であった。ダルマエナガはツツジや錦木な
どの密集した低木層で1メートル以上高いところに巣を掛け野猫及び野犬の飽食に備えた。洪陵林は都
市の中に位置するが自然林のように樹洞に巣を作った鳥類の種数が高かった。洪陵林の大樹と良好な林
相は山林性鳥類の生息に有利な影響を与えると考えられる。
採餌資源を採る場所によって分けてみると樹冠層からは25種、低木層及び地面からは18種が餌を採
り、水辺で餌を採る鳥類にはカルガモとキセキレイの2種がいた。洪陵林の池は小さいがカルガモを始
めとした水鳥の生息地として、また山鳥の水供給源としてとても重要な場所であると判断される。

<참고문헌>
이우신·구태회·박진영,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2014.
박진영·최종수, <우포늪의 조류>, 2010.
박찬열·이성기 외 5명,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2008.

「국문 및 영문 문헌 인용 예시」
박찬열, 최광호, 강완모, 성주한, 2014. 새, 홍릉숲에 머물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제 570호, 171쪽,
현대아트컴. 서울.

Park CR, Choi KH, Kang W, Sung JH. 2014. Hongneung Forest Bird. Research Report No. 570. 171p.
HyundaiArtCom,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Summaries).

170 새, 홍릉숲에 머물다


편집후기

2003년 3월부터 홍릉숲에서 관찰된 총 83종의 조류를 정리하였습니다. 본문에서 번식기와


비번식기 홍릉 조류 군집의 삽화 그리고 황금새, 흰눈썹황금새, 홍여새, 황여새 그림은 명관도씨가
직접 그렸으며, 명관도씨는 인공새집 조사를 하면서 조류 관찰자료도 정리해주었습니다.
강희영씨는 일본어 조류명과 발음을 정리해 주었으며, 홍정현씨는 요약을 일본어 문장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중국어 조류명과 발음을 최광호씨가 정리하였고 요약을 중국어 문장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최창용 박사는 새호리기, 이장호 박사는 꺅도요와 파랑새, 조성식씨는 멧도요,
서울그린트러스트 박향미씨는 쇠동고비와 나무발발이 사진을 제공해주었습니다.

이 도감은 홍릉숲에서 근무하는 많은 분들의 관심과 제보가 있어서, 새에 관한 이야기를 듣거나,


직접 촬영하러 가거나 사체를 수집할 수 있었습니다.

심국보 연구관님은 온 몸이 붉은 새를 보았다고 전화를 주어 가보니, 호반새가 본관 건물의


유리창에 부딪혀 쓰러져 있었습니다. 임주훈 연구관님은 맹금류가 홍림원에서 먹이를 먹는다고
하여 가보니, 참매가 멧비둘기를 잡아서 홍림원과 배드민턴 장 옆 대나무숲에서 뜯어 먹고
있었습니다. 조재형 연구관님은 직박구리 등 흔한 새를 직접 찍어 보내 주기도 하고, 어느 곳에
가면 이러한 새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습니다. 또한, 수목원 관리를 하시는 분들은
붉은머리오목눈이와 꿩의 둥지가 있는 곳을 알려주었고, 일부러 풀베기를 늦게 한다는 것도
알려주셨습니다. 홍릉숲에서 야외 활동을 자주 하시다보니, 흰뺨검둥오리 가족이 정문을 가로질러
산업연구원 연못으로 가는 장면이나, 배수로에 빠진 새를 구해주었던 이야기도 해주었습니다.

홍릉숲에서 조류학자이신 원병오 교수님께서 1960년대에 북방쇠찌르레기를 포획하여 가락지를


부착하였고, 이를 계기로 북한에 계신 고 원홍구 박사님을 만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예전에
인공새집에 북방쇠찌르레기가 번식하였지만, 지금은 찌르레기 한 마리 관찰하는 것도 힘들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홍릉숲에는 아직 다양한 조류가 찾아오고 있습니다. 향후, 도심생물다양성의
중심으로서 길이 보전되길 바랍니다.

다시 한 번, 도움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리며, 비록 도심이지만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있는


홍릉숲이 시민들에게 쉼터와 생물들에게 소중한 공간으로 잘 보전되길 빕니다.

 박찬열

새, 홍릉숲에 머물다 • 171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기술서비스헌장

우리 국립산림과학원 전 직원은 산림자원의 조성·이용과 환경이 조화된 임업기술을 개발하


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우리의 고객인 국민에게 신뢰와 사랑을 받는 공무원이 되기 위하
여 다음과 같이 실천하겠습니다.
하나. 산림은
‌ 우리 모두의 재산이며 생명의 원천이라는 인식 하에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 및 기술보급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하나. 모든 서비스는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신속·정확·공정하게 처리하겠습니다.
하나. ‌국민에게 불친절한 자세와 잘못된 행정처리로 불만족이나 불편을 초래할 경우 즉시 시
정함은 물론 적절한 보상을 해드리겠습니다.
하나. 우리의 실천노력에 대하여 고객에게 매년 평가를 받고 그 결과를 공개하겠습니다.
이와 같은 우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비스 이행표준’을 제정하여 실천할 것을 약속드
리며, 언제나 국민과 함께하는 국립산림과학원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고객여러분께 부탁드리는 말씀

모든 고객께서는 친절하고 공정한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우리 산림공무원은 고객여러


분께 고객만족과 감동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 헌장을 선포하고 실천해 나가고자 하
오니 아낌없는 성원과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불친절하거나
‌ 만족스럽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즉시 알려주시고 반드시 성명·주소·연락
처 등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2. ‌공무원이 자긍심을 갖고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친절하고 모범이 되는 공무원은 적극 알려
주시고 격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3. ‌홍릉수목원과 산림과학관은 임업·임산업의 지식정보를 한자리에 전시한 대국민 교육의
장으로서 관람객의 편의제공을 위하여 예약실명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학술목적인 단체관람은 평일에만 가능하며
- 관람예정 7일 전까지 예약하셔야 하며, 신청일로부터 30일 이후까지만 예약이 가능합니다.
- 일반관람은 예약 없이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에만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의견제출·신고 또는 연락주실 곳

● 주 소 : (우)130-712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번지(청량리2동 207번지)


● 팩 스 : (02)967-5101, 961-2525
● 전 화 : 원 장 실 (02)961-2500
연구지원과장실 (02)961-2511
민 원 실 (02)961-2522~3
● 인터넷 : http://www.kfri.go.kr
● ‌인터넷 홈페이지/전자민원창구/질의응답, 민원신고센터에 의견을 보내주시면 신속하고
정중하게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1. 외국수종육성에 관한 시험. 1959. 구. 1988.


2. 한국산 야생용 식물-초본편. 1959. 38.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VI. 소련:극동시베리아.
3. 세계인공림에 관한 회의보고서. 1968. 1989.
4. 야생동물실태조사 제 3보. 1968. 39. 임업투자수익율표. 1989.
5. 한국수목해충총목록. 1969. 40. 산림자원조사보고서-경상북도(대구직할시포
6. 한국조류분포목록. 1969. 함) 기본 계획구. 1989.
7. 광릉시험림의 솔잎혹파리구제에 관한 보고. 41. 산림자원조사보고서-남부영림서 기본계획구.
1969. 1989.
8. 야생식용식물도감. 1969. 42. 미립목지의 주요수종 수확예측. 1989.
9. 야생동물실태조사 제4보. 1969. 43. 산림토양단면도집. 1989.
10. 해외파견기술훈련보고서-토양조사와 토지이 44. 해외임산공업현황-I. 대만·일본. 1989.
용구분. 1970. 45. 목재도장기술. 1989.
11. 한국의 펄프종이 공업. 1970. 46. 대나무재배기술. 1990.
12. 주요 임산물 통계자료. 1970. 47. 산림자원조사보고서-경남(부산직할시 포함)
13. 포푸라 주요 병해충의 생태와 방제. 1970. 기본계획구. 1990.
14. 포푸라이용의 현황과 전망. 1970. 48. 일본의 소나무재선충병연구. 1990.
15. 조림수익율표. 1972. 49. 소련·중국의 임업정책연구. 1990.
16. 송이생산기술 연찬회자료. 1981. 50. 열대재의 재질과 가공성. 1990.
17.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I. 파푸아뉴기니아. 51. 꿩기르기. 1991.
1981. 52. 산림과 물. 1991.
18. 한국의 송이에 관한 조사보고서. 1981. 53. 일본의 제재기술동향. 1991.
19. 목재보존 기술자료. 1981. 54. 일본의 목재보존의 기술동향. 1991.
20.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II. 중남미. 1982. 55. 세계주요국의 임정연구. 1991.
21.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III. 아프리카. 1983. 56. 산림자원조사보고서-전라북도(광주직할시 포
22. 송이연구 및 생산기술자료. 1984. 함) 기본 계획구. 1991.
23.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IV. 동남아시아. 1984. 57. 산림자원조사보고서-전라남도 기본계획구.
24. Compilation of Abstracts on Gall Midges of 1991.
Woody Plants(수목혹파리에 관한 초록집). 58. 환경과 야생동물. 1991.
1984. 59. 한국의 임산업. 1991.
25. 주요수종의 수익성. 1985. 60. 목재건조기술. 1991.
26. Report on Biological Control of the Pine 61. 목재접착·조색·도장기술. 1991.
Gall in Korea. 1985. 62. 도시·산림·환경. 1991.
27. 미국과 일본의 산림자원정책. 1985. 63. 석재자원조사보고서(I). 1992.
28. 오지리의 산림조사평가와 표준오차계산표. 64. 세계의 임산업. 1992.
1985. 65. 아까시나무 자원과 이용. 1992.
29. 일본의 임산버섯 연구 및 생산기술. 1986. 66. 세계주요국의 산림·임업법률연구. 1992.
30. 산지이용구분조사보고서. 1986. 67. 수목 및 목재의 성분이용. 1992.
31.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V. 북미. 1986. 68. 겨울철새의 도래실태. 1992.
32. 임산버섯생산기술 연찬회자료. 1987. 69. 산림자원조사보고서(충북). 1992.
33. 간벌소경재의 가공이용기술. 1987. 70. 산림자원조사보고서(충남). 1992.
34. 산림자원조사보고서-강원도 기본계획구. 71. 임업연구를 위한 기초통계학. 1992.
1987. 72. 북한의 임업. 1992.
35. 산림자원조사보고서-동부영림서 기본계획구. 73. 한국산 버섯 색인집. 1992.
1987. 74. 목질탄화 및 탄화물의 토양개량재 이용. 1992.
36. 산림자원조사보고서-중부영림서 기본계획구. 75. 목재열기 건조 스케줄. 1993.
1988. 76. 산림자원조사보고서(경기도, 서울, 인천, 원주
37. 간벌작업지 프라스틱수라집재에 관한 사례연 영림서 포함 기본계획구). 1993.
77. 산림자원조사보고서(제주도 기본계획구). 109. 우리나라 목재수급실태. 1995.
1993. 110.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충청남도 기본계획구).
78. 합판산업 구조개선방안. 1993. 1995.
79. 산림휴양·생태관광계획. 1993. 111.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전라북도 기본계획구).
80-1. 열대목재의
‌ 합리적 이용 및 목재산업 국제 1995.
화 증진 방안. 1993. 112.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경상북도 기본계획구).
80-2. Study
‌ on Rational Utilization of Tropi- 1995.
cal Timber and Globalization of Korean 113. 임업연구 기본계획. 1995.
Wood Industry. 1993. 114. 뉴질랜드의 임업 및 임산업 투자환경-북섬지
81. 석재자원조사보고서(II). 1994. 역을 중심으로. 1995.
82. 해외조림투자환경. 1994. 115. 구조용 목질재료의 이용과 환경영향. 1995.
83. 활엽수자원보고서(경상남도 기본계획구). 116. 한국수목병명목록집. 1995.
1994. 117. 열대활엽수의 해외조림투자환경(말레이시아,
84. 활엽수자원보고서(전라남도 기본계획구). 솔로몬, 파푸아뉴기니아를 중심으로). 1996.
1994. 118. 觀연구성과설명회 자료집(임산공업분야)
85. 활엽수자원보고서(제주도 기본계획구). 1994. -산업환경변화에 대응한 임산공업의 새로운
86. 목재·재질재료의 성능향상 및 가공·이용기 모색. 1996.
술. 1994. 119. 한·일 산림생산공학 학술회의. 1996.
87. 표고재배기술 연구자료. 1994. 120.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1996.
88. 천마재배기술 연구자료. 1994. 121. 계방산 및 울릉도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89. 톱밥 종합이용. 1994. 1996.
90. 일본 목재보존공업기술 동향. 1994. 122.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전국 총괄). 1996.
91. 임목종자와 양묘. 1994. 123.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경기도 기본계획구).
92. 한국의 목재자원과 수급 및 임산업현황. 1996.
1994. 124.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강원도 기본계획구).
93. 산림측량실무. 1994. 1996.
94. 목조주택 시공기법. 1994. 125.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충청북도 기본계획구).
95.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1994. 1996.
96. 통나무집 축조기술. 1994. 126. 한국산림과 온실가스-흡수·저장 및 저감방
97. 목질재료의 신접착기술. 1994. 안-, 1996.
98. 訣임업연구성과설명회 자료(목재산업분야). 127. 산림생장 및 수확예측 모델론. 1996.
1995. 128. 환경보전형 곤충병원미생물을 이용한 잔디해
99. 訣임업연구성과설명회 자료(임산버섯분야). 충 방제. 1996.
1995. 129. 임업연구원소장 곤충표본목록 I 나비목.
100. 訣임업연구성과설명회 자료(특수임산물리용 1996.
분야). 1995. 130.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1997). 1997.
101. 산림생태계 생물다양성 조사분석 및 표본관 131. 나무의 신비. 1997.
리 방법. 1995. 132. 우리나라의 산촌지역 구분조사. 1997.
102. 속성활엽수의 해외조림투자환경(베트남, 미 133. 한국의 목재수급실태. 1997.
얀마, 칠레, 134. 산림자원조사보고서. 1997.
서호주를 중심으로). 1995. 135. 중국의 임업·임산업 현황과 투자환경. 1997.
103. 솔잎혹파리 논문집 I. 생태, 피해, 방제전략. 136. 일제시대의 국유림관리 -보호·처분·경영
1995. 을 중심으로-. 1997.
104. 솔잎혹파리 논문집 II. 생물적, 화학적, 임업적 137. 목조건축의 외장용 목재. 1997.
방제. 1995. 138. 조선시대 산림사료집. 1997.
105. 솔잎혹파리 논문집 III. 일본, 유럽, 미국. 139. 임도망계획방법. 1998.
1995. 140.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1998.
106. 한국수목해충목록집. 1995. 141. 표고 재배기술. 1998.
107. 임업분업론과 중국의 임업발전방향. 1995. 142. 폐목재발생 및 재활용실태. 1998.
108. 중국의 임업산업정책과 구역비교연구. 1995. 143. 산림의 온실가스 저감방안. 1998.
144. 목질탄화물(숯과 목초액)의 농업 및 환경적 질에 미치는 영향 및 저감대책 -. 2001.
이용. 1998. 186. 주요국의 산림·임업정책. 2001.
145. 설악산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관광 187. 주요국의 산림·임업법률. 2001.
개발 잠재력 평가. 1998. 188. 임업경제동향 2001년/겨울. 2002.
146. 우리나라 야생동물의 보호·관리실태. 1999. 189. 임업경제동향 2002년/봄. 2002.
147. 표고 재배기술향상. 1999. 190. 임업경제동향 2002년/여름. 2002.
148.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1999. 191. 도시림의 합리적 이용·관리방안. 2002.
149. 자연휴양림 이용특성 및 효율적 관리방향(1). 192. 외국의 산불예방과 진화. 2002.
1999. 193.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2002.
150. 송이 증수 및 품질향상 기술. 1999. 194. 중국임업 및 임산업투자환경. 2002.
151. 주요 수종의 육종계획. 1999. 195. 임업경제동향 2002년/가을. 2002.
152. 임업의 새로운 조류. 1999. 196. 산림수문 장기모니터링 자료집(산림유역의
153. 송이 증수 및 인공재배 연구. 1999. 물순환 조사). 2002.
154. 임업경제성분석 프로그램 사용설명서. 1999. 197. 북미산 활엽수재의 재질과 용도. 2002.
155. 임업경제성분석 지침서. 1999. 198. 백두대간의 생태계 현황 및 관리범위 설정.
156. 목재인증제의 동향. 1999. 2003.
157. 도시림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1999. 199. 세계의 산림자원과 목재무역. 2002.
158. 새로운 표고재배기술. 2000. 200. 2002 수요열린 세미나 자료집. 2003.
159. 폐목재의 수집체계 개선 및 재활용 촉진방안. 201. 임업경제동향 2002년/겨울. 2003.
2000. 202. 임업경제동향 2003년/봄. 2003.
160. 식·약용식물 재배법. 2000. 203. 생물반응기와 생물체 대량배양. 2003.
161. 임업연구원 소장 곤충표본목록 II 곤충류(나 204. 대기오염과 산림생태계 변화모니터링. 2003.
비목제외). 2000. 205. 임업경제동향 2003년/여름. 2003.
162. 임업경제동향 2000년/봄. 2000. 206. 흰개미의 생태와 방제. 2003.
163. 한국기록종 버섯 재정리 목록. 2000. 207. 홍릉수목원의 버섯. 2003.
164. 백합나무 조림기술. 2000. 208. 주요국의 산림계획제도. 2003.
165. 밤나무 재배기술. 2000. 209. 임업경제동향 2003년/가을. 2003.
166. 임업경제동향 2000년/여름. 2000. 210. 북한 산림·임업동향. 2003.
167.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2000. 211.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국가보고서 작성 기초
168. 송이산 가꾸기 및 송이증수. 2000. 연구. 2003.
169. 한국과 일본의 산지관리 제도. 2000. 212. 제초제 내성 관여 유전자와 효소, 제초제의
170. 혼농림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2000. 생화학 및 대사, 형질전환 식물의 잔류물질.
171. 원목규격과 해설. 2000. 2003.
172. 폐탄광지의 환경복원녹화 기술개발 국제심포 213. GM 수종의 환경적 고찰. 2003.
지엄. 2000. 214. 포플러의 생물학. 2003.
173. 임업경제동향 2000년/가을. 2000. 215. 조선시대 국용임산물(전국지리지의 임산물
174. 임업경제동향 2000년/겨울. 2001. 항목을 중심으로). 2004.
175. 임업경제동향 2001년/봄. 2001. 216. 2003 수요열린 세미나 자료집. 2004.
176. 일본의 산촌진흥시책. 2001. 217. 임업경제동향 2003/겨울. 2004.
177. 비무장지대 조사방안 토론회. 2001. 218. 산림수자원 모니터링. 2004.
178. 임업경제동향 2001년/여름. 2001. 219. 채종원의 효율적 관리방안. 2004.
179. 숯과 목초액 이용. 2001. 220. 임도밀도 목표량 산정연구. 2004.
180. 온·한대림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 221. 임업경제동향 2004년/봄. 2004.
한 기준 및 지표. 2001. 222. 동북아 지역의 사막화 원인과 대책. 2004.
181. 임업경제동향 2001년/가을. 2001. 223. 휴양림 목조시설 유지관리 매뉴얼. 2004.
182. 한국의 근·현대 산림소유권 변천사. 2001. 224. 알기 쉬운 소나무재선충. 2004.
183. Green GNP와 산림자원계정. 2001. 225. 임업경제동향 2004년/여름. 2004.
184. Traditional Knowledge for Soil Erosion 226. 생태계접근법의 개념과 이행지침. 2004.
Control in\the Republic of Korea. 2001. 227. 임산물품질인증지침. 2004.
185. 산림유역의 비점오염원 관리-산림작업이 수 228. 두릅나무 및 음나무 재배기술. 2004.
229. 임업경제동향 2004년/가을. 2004. 270. 액화목재의 제조기술 및 이용. 2006.
230. 표고와 송이의 최근 재배동향. 2004. 271. 임업경제동향 2006년/가을. 2006.
231. 기후변화 협약 관련 IPCC 우수실행지침. 272. 제주시험림 생태관광타당성 조사. 2006.
2004. 273. 기후변화협약과 산림. 2006.
232.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수종. 2004. 274. 소나무재선충병 바로알기. 2006.
233. 2004 토요세미나 자료집. 2005. 275. 북한 산림·임업 동향 및 주요 수종(III).
234. 임업경제동향 2004년/겨울. 2005. 2006.
235. FSC 산림인증 심사용 Check list. 2005. 276. 통계로 본 산림자원의 변화와 임산물 수급추
236. 임업경제동향 2005년/봄. 2005. 이. 2006.
237. 목재 유통구조 분석. 2005. 277. EU·일본의 임업보조금. 2006.
238. 광릉시험림 천연소나무림 실태조사. 2005. 278. 2006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7.
239. 일본의 임지개발허가제도. 2005. 279. 소나무의 유전변이와 유전자원보존. 2007.
240. 임업경제동향 2005년/여름. 2005. 280. 임업경제동향 2006년/겨울. 2007.
241. 2005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5. 281. 독일 및 이탈리아의 농산촌관광 정책과 현황.
242. 임산물품질인증지침(개정판). 2005. 2007.
243. 산지이용구분도 구축방법의 문제점 및 개선 282. 산림 항공사진 검색 시스템 사용자 메뉴얼.
방안. 2005. 2007.
244. 실내공기환경과 목질제품. 2005. 283. 임업경제동향 2007년/봄. 2007.
245. 임업경제동향 2005년/가을. 2005. 284. 2007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7.
246. 항공사진 입체표본철. 2005. 285. 핀란드 및 독일의 산림부문 온실가스 통계체
247. 이차대사산물 생산공장으로서의 식물세포배 제. 2007.
양. 2005. 286. 임업경제동향 2007/여름. 2007.
248. WTO/DDA 목재류 분야 협상의 최근 동향. 287. 대나무·대나무숯·죽초액. 2007.
2005. 288. 산림유전자원 표본목록. 2007.
249. 수목유래 isoflavonoids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289. 제주지역의 임목유전자원. 2007.
위한 핵자기공명 및 질량 분석 자료. 2005. 290. 일본의 산촌진흥대책 추진매뉴얼. 2007.
250. 독일가문비나무의 생물학. 2005. 291. 개량종자 생산을 위한 채종원 조성 및 관리.
251. 잣나무의 엽록체 유전체. 2005. 2007.
252.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수종 II. 2005. 292. FSC 산림경영인증 및 CoC 목제품원료인증
253. 목침목의 할열 방지 및 폐침목의 재이용. 교육자료집. 2007.
2005. 293. 임산물품질시험 인증지침. 2007.
254. WTO/DDA 농업협상의 논의쟁점과 단기소 294. 임산염료 자원을 이용한 천연염색(I). 2007.
득 임산물의 대응방향. 2005. 295. 꽃송이버섯. 2007.
255. 세계의 산불위험예보시스템. 2005. 296. 수목유래 Isoflanovoids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256. 2005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6. 위한 핵자기 공명 및 질량분석자료(III). 2007.
257. 임업경제동향 2005년/겨울. 2006. 297. 목질탄화물의 흡착이용. 2007.
258. 표고재배 및 병해충 관리. 2006. 298. 임업경제동향 2007/가을. 2007.
259. 임업경제동향 2006년/봄. 2006. 299. 산림항공사진 영상판독시스템과 수치임상도
260. 일본 국유림 레크레이션 숲 관련 제도. 2006. 제작 사용자 매뉴얼. 2007.
261. 2006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6. 300. 한국의 도시숲. 2007.
262. 임업경제동향 2006년/여름. 2006. 301. 리기다소나무림 관리방안. 2007.
263. 일본 국유림 레크레이션 숲 관련 제도 II. 302. FSC CoC 목제품원료인증 교육자료집. 2007.
2006. 303. 산불관리 원칙과 전략적 활동 지침. 2007.
264. 수목의 오존내성 매카니즘과 피해반응. 2006. 304. 백두대간의 지리적 범위 구명 방안. 2007.
265. 소나무재선충병의 국제 연구동향. 2006. 305. Post-2012 산림탄소 배출권 계정논의 동향.
266. 수목의 생리활성 탐색. 2006. 2007.
267. 기내배양을 이용한 산림자원의 증식. 2006. 306. 북한의 산림·임업 동향 및 주요 수종(IV).
268. 수목유래 Isoflanovoids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2007.
위한 핵자기 공명 및 질량분석자료(II). 2006. 307. 2007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7.
269. 산지계류의 생태적 복원방법. 2006. 308. 지역개발과 산지법의 신경향. 2008.
309. 일본의 산림기능구분과 산림관리. 2008. 346. 항공영상 활용 현장조사 시스템(소프트웨어)
310. 임업경제동향 2007/겨울. 2008. 스탠드 얼론 버전(Stand Alone Version) 사용
311. 을수동 산림생태지도. 2008. 자 매뉴얼. 2009.
312. 지속가능한 관광 및 생태관광 인증. 2008. 347. 산림입지도(1:5,000) 제작 표준매뉴얼. 2009.
313. 임업경제동향 2008/봄. 2008. 348.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 민유림 총괄편.
314. 2008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8. 2009.
315. 코린도 칼리만탄 조림지 임목자산 평가조사 349. 2009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9.
보고. 2008. 350. 홍릉수목원의 보물찾기-버섯 99선. 2009.
316. 임업경제동향 2008/여름. 2008. 351. 일본의 산촌지역 도농교류 우수사례. 2009.
317.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현지조사 매뉴얼-. 352. 임업경제동향 2009/여름. 2009.
2008. 353. 일본의 보안림제도. 2009.
318. 수치임상도(1:25,000) 표준 제작체계. 2008. 354.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 국유림 총괄편.
319. 산림작업용 장비. 2008. 2009.
320.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L.)-생장특 355. 미국의 국가산림자원조사 지도제작 프로그램.
성과 관리기술-. 2008. 2009.
321.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2008. 356. 운문골 산림생태지도. 2009.
322. 모두베기에 의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 357. 미국의 도시녹지 탄소계정. 2009.
2008. 358. 식물호르몬 분석 실무. 2009.
323. 남산숲의 식생과 토양 특성. 2008. 359. 2009 한국의 산림경관 및 생태계 관리권역.
324. 임산염료 자원을 이용한 천연염색(II). 2008. 2009.
325. 지역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한 시험림 조성 및 360. 일본의 포름알데히드방출 목질제품 관리제도.
특산수종 발굴. 2008. 2009.
326. 수치임상도 제작 운영·관리 프로그램 사용 361. 산림종자유전자원 DB 구축 현황. 2009.
자 매뉴얼. 2008. 362. 조경수 재배기술 관리. 2009.
327. 영상탑재 현장조사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363. 임업경제동향 2009/가을. 2009.
2008. 364. 산림 벌채 부산물의 압축화 기술. 2009.
328. 북한의 산림·임업 동향 및 주요 수종(V). 365. 주요 조림수종의 양묘기술. 2009.
2008. 366. 제주지역의 야생버섯. 2009.
329. 해외 바이오매스 이용 현황-일본-. 2008. 367. 북한의 산림·임업 동향 및 주요 수종(IV).
330. 산림의 유전자원 보존. 2008. 2009.
331. 임업경제동향 2008/가을. 2008. 368. 주요국의 국유림 정책 및 경영실태. 2009.
332. 외래 유전자 도입 포플러 데이터베이스. 369. 산림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2009.
2008. 370. 숲과 물이 만나는 수변림. 2009.
333. 산림생태계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접근! 산지소 371. 잔불 재확산 방지 관리 기술. 2009.
생물권. 2008. 372. 2008~2009 산림재해백서. 2009.
334. 희귀 산림유전자원 보존 연구. 2008. 373. 중국 대나무 도감. 2009.
335. 유실수의 유용성분 분석. 2008 374. Feasibilit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336. 국내외 숲해설 관련 인증제도. 2008. community based forest management for
337. 호두과피 탈피기 개발 및 이용. 2008 improving watershed condition and poor
338. 품질인증 방부처리목재 수종별 방부처리도와 household welfare in west Java, Indonesia.
자상처리 기준 추가 타당성 조사. 2008. 2009.
339. 산지계류의 생태적 복원기법 II-생태적 복원 375. 일본의 바이오매스타운 조성정책과 추진사례.
계획과 분석. 2008. 2010.
340. 산불피해지 생태변화 조사방법 매뉴얼. 2008. 376. 2009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10.
341. 유럽 산촌지역의 현황 및 제도분석. 2009. 377. 1991~2009년 산불발생위치지도. 2010.
342. 2008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9. 378. 임업경제동향 2009/겨울. 2010.
343. 임업경제동향 2008/겨울. 2009. 379. 일본의 환경영향평가제도. 2010.
344. 산림유전자원 종자목록-난대산림연구소 보 380. Cytokinin의 분자생리학. 2010.
유편(2009) 2009. 381. 임업경제동향 2010/봄. 2010.
345. 임업경제동향 2009/봄. 2009. 382. 백합나무 시설양묘 시업기술. 2010.
383.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현장 종동정 매뉴얼. 418. 임업경제동향 2011/여름. 2011.
2010. 419. 곤충페로몬 및 식물체정유를 이용한 산림해
384. Forest Eco-Atlas of Korea. 2010. 충 방제제 개발. 2011.
385. 정사항공사진을 활용한 제5차 수치임상도 420. 두륜산 산림생태지도. 2011.
(1:25,000) 제작 매뉴얼. 2010. 421. 2011년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제주
386. 2010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10. 시험림 산림경영인증 재심사 보고서. 2011.
387. 유성번식을 통한 무병 천마의 기내생산방법. 422. 2011 제주시험림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현
2010. 지이행 성과. 2011.
388. 임업경제동향 2010/여름. 2010. 423. 방부목재 가이드북(개정판). 2011.
389. 지상부 바이오매스 공간분포 추정에 관한 주 424. 국가별 목재펠릿 정책 및 유럽의 시장 동향.
요국 연구 동향 분석. 2010. 2011.
390. 세계 산림 수종별 바이오매스 추정. 2010. 425. 일본의 바이오매스타운 녹색관광 추진사례.
391. 옥외시설 및 건축외장재의 유지관리 매뉴얼. 2011.
2010. 426. 중국 대나무 도감–2. 2011.
392. Ligneous Flora of Jeju Island. 2010. 427. 산림치유지도사를 위한 소아천식질환 가이드
393. 지속가능한 난대림 산림경영 연구의 이론과 북. 2011.
실제. 2010. 428. 산림탄소순환마을 보급형 목조주택 모델.
394. 일본의 산림 탄소상쇄 사업 지침. 2010. 2011.
395. 백합나무 특성 및 관리. 2010. 429. 중국의 산림자원조사 체계. 2011.
396. 임산염료 자원을 이용한 천연염색(III). 2010. 430. 인도네시아의 CDM 국가 가이드. 2011.
397. 인도네시아의 산림·임업. 2010. 431. 조선에 있는 산림과 전설. 2011.
398. 해외 바이오매스 이용 현황-유럽 및 미주-. 432. 목질판상제품의 산업현황 및 국제표준화 동
2010. 향. 2011.
399. 임산물품질인증 지침. 2010. 433. 특용자원 표준재배지침서–2. 2011.
400.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 사례집. 2010. 434. 산림미생물 유전자원의 관리. 2011.
401. 임업경제동향 2010/가을. 2010. 435. 임업경제동향 2011/가을. 2011.
402. 솔껍질깍지벌레 피해분포도. 2010. 436. 산림유전자원 현지내 보존림 현황. 2011.
403.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 수종(VII). 43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분야 감축활동 및
2010. 연구동향–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2011.
404. 산림 바이오매스 에너지. 2010. 438. 미국의 도시녹지 수목 재적 및 바이오매스 평
405. 산림탄소상쇄 사업설계가이드라인-시범사업 가. 2011.
용. 2011. 439. 숲으로 떠나는 마음 여행. 2011.
406. 산림유전자원 현지외보존 현황. 2011. 440. 우리나라의 산림자원 현황 –제5차 국가산림
407. 2010 산림재해백서. 2011. 자원조사(2006-2010) 주요 결과. 2011.
408. 임업경제동향 2010/겨울. 2011. 441. 호두나무 재배기술. 2011.
409. 산림청지정 희귀멸종위기 식물 제166호 산개 442. 일본의 보안림 정비지침 및 카나가와현 산림
나리. 2011. 정비 사례. 2011.
410. 일본의 바이오매스타운 조성·운영 지원 법 443. 소나무재선충병 예찰·진단 지침서. 2011.
률 및 제도. 2011. 444.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 수종(VIII).
411. 임업경제동향 2011/봄. 2011. 2011.
412. 홍릉 숲에 사는 개미. 2011. 445.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413. 편백 시설양묘 시업기술. 2011. 사. 2011.
414. 산불감시카메라 가시권 분석을 통한 ‘산불탐 446. 아시아의 기후변화와 산불. 2011.
지 가시권 지도’. 2011. 447. 포르투갈, 헝가리 산림 현황 및 연구. 2012.
415. 제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및 산림의 건강활력 448. 광릉 숲의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고사목에 서
도 조사 현지조사지침서. 2011. 식하는 딱정벌레. 2012.
416. 산림입지토양도(1:5,000) 제작 표준매뉴얼– 449. 임업경제동향 2011/겨울. 2012.
ver. 2.0-. 2011. 450. 2011 산림재해백서. 2012.
417.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개미의 분포 451. 인도네시아 주요 열대수종. 2012.
와 풍부도의 변화 예측. 2011. 452. 산림병해충 기술교본. 2012.
453. 홍릉 숲에 사는 나비. 2012. 493. 산양삼 표준재배지침. 2013.
454. 단기소득임산물 경영지원시스템 모형 개발. 494. 원목규격 및 재적표. 2013.
2012. 495. 임업경제동향 2012/겨울. 2013.
455. 거제수나무 시설양묘 시업기술. 2012. 496. 2012 산림재해백서. 2013.
456. 임업경제동향 2012/봄. 2012. 497. 난대 자원화 유망수종 육성기반 조성 연구.
457. 낙엽송의 개화결실 특성과 종자결실 증진. 2013.
2012. 498. 고사리 산지 식재기술(II). 2013.
458. 국제 산림정책 동향. 2012. 499. 일본의 목재이용촉진법 및 지역재 인증 규정.
459. 한국개미분포도감(2007~2009). 2012. 2013.
460. 임업경제동향 2012/여름. 2012 500. 주요국의 불법목재규제법 및 산림인증 규정.
461. 한국나비분포도감(1996-2011). 2012. 2013.
462. 일본의 버섯 현황과 관련 제도 및 정책. 2012. 501. 국제 산림정책 동향. 2013년 1호. 2013.
463. 산림작업안전매뉴얼. 2012. 502. 임업경제동향 2013/봄. 2013.
464. 제주도의 착생식물. 2012. 503. 포플러 유전자 발현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
465. 인도네시아의 REDD+: 인도네시아 국가전략 자 매뉴얼. 2013.
및 일본의 시범사업 사례. 2012. 504. 산림생명공학 Q&A 자료집. 2013.
466. 환경정화용 산림유전자원-호랑버들. 2012. 505. 소아 환경성 질환 산림치유 프로그램 진행지
467.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2012. 침서. 2013.
468. 목조 패시브하우스 설계기술. 2012. 506. 임업경제동향 2013/여름. 2013.
469. 한그린 목조주택 설계 도면집. 2012. 507. 헛개나무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
470. 바이오매스의 열화학적 변환 공정을 이용한 2013.
바이오오일의 생산과 이용. 2012. 508.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설계 가이드라
471. 해외 산림탄소상쇄 프로그램의 운영표준. 인. 2013.
2012. 509. 남부산림권역 곰솔 자원 및 임분관리. 2013.
472. 한국나비분포변화 1938-2011. 2012. 510. 수목대사체 분석 및 응용. 2013.
473. 표고의 생화학적 특성. 2012. 511. 청량리 홍릉터의 역사와 의미. 2013.
474. 사찰건축물 보존을 위한 임업적 산림재해 관 512. 자연이 살아 숨쉬는 사방(사방-자연과의 공
리 방안. 2012. 존). 2013.
475. 주요 잔디해충의 생태와 관리. 2012. 513. 조선시대의 산사태 및 낙석피해 기록. 2013.
476. 외국도입수종재의 성질 및 용도. 2012. 514. 특용수종 음나무 및 두릅나무 재배기술. 2013
477. 목재를 이용한 주거환경이 지구환경 및 인간 515. A List of Monocotyledonous Plants from
의 신체발달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2012. Jeju Island. 2013.
478. 임목종자의 저장과 종자수명. 2012. 516. 우리나라의 해안방재림 실태 (II). 2013.
479. 대기오염과 수목피해. 2012. 517. 한국잔디에 발생하는 병해와 잡초. 2013.
480. 통합의학적 산림치유 프로그램 매뉴얼. 2012. 518. 방부처리목재의 경시적 야외 내후성 변화.
481. 산림경관자원 조사·경관계획. 2012. 2013.
482. 산림유역의 수질보전을위한 최적관리기법. 519. 목재 에너지림을 위한 단벌기 경영기법 : 독
2012. 일 바덴 뷰르템베르크주(州)의 사례. 2013.
483. 우리나라의 해안방재림 실태. 2012. 520. 전과정평가를 통한 국산 원목의 수종별 온실
484. 복분자딸기. 2012. 가스 배출량 산정. 2013.
485. 북한의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 수종(IX). 521. 목질계 바이오에탄올의 생산기술과 공정.
2012. 2013.
486. 목재에너지림 조성 및 관리 사례–영국·독 522. 우리나라 근대임업(양묘, 조림)에 대한 시험
일편-. 2012. 연구 자료. 2013.
487. 나라꽃 무궁화 재배 및 관리. 2012. 523. 산림토양진단 방법과 활용. 2013.
488. 유실수 특용수 전정기술. 2012. 524. 산림수자원조사 표준 매뉴얼. 2013.
489.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실무 매뉴얼. 2012. 525. 산림토양 산성화 영향 모니터링 조사·분석
490. 분재 재배 및 병해충 관리. 2012. 매뉴얼. 2013.
491. 임업경제동향 2012/가을. 2012. 526. 목재생산을 위한 작업도(로) 시설 방법. 2013.
492. 국제 산림정책 동향. 2012. 527. 마가목. 2013.
528.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8.5에 따른 산 550. 임업경제동향 2014/여름. 2014.
림거미의 분포와 풍부도의 변화예측. 2013. 551. 농작물재해보험을 위한 복분자딸기 표준수확
529. 대경간 목구조 건축 해외사례 모음집. 2013. 량 연구. 2014.
530. 시민과 함께하는 인공새집 모니터링. 2013. 552. 피나무 시설양묘 시업기술. 2014.
531. 임업경제동향 2013/가을. 2013. 553. 유전자변형나무의 안정성평가에 관한 논의.
532. 산림작업용 장비 및 임목수확시스템. 2013. 2014.
533. 한국 산림전통지식 현황과 발전방향. 2013. 554.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8.5에 따른 딱
534. 새천년개발목표(MDGs)와 지속가능한 산림 정벌레 풍부도의 변화예측. 2014.
경영(SFM)을 위한 주요국의 산림 공적개발 555. 수목 유래 리그난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위한
원조(ODA) 현황과 전략. 2014. 핵자기공명 및 질량분석 자료(IV). 2014.
535. 세계 산림탄소 정책과 시장 동향. 2014. 556. 가선집재 작업매뉴얼. 2014.
536.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 수종(X). 2014. 557. 천마의 생장과 기능성물질 생산. 2014.
537. 국제산불심포지엄을 통해본 산불연구 및 정 558. 경골목조건축 표준일위대가. 2014.
책동향. 2014. 559. 토종다래 재배기술. 2014.
538. 2013 산림재해백서. 2014. 560. 전국단위 산림기능구분도 제작 및 경제림 육
539. 임업경제동향 2013/겨울. 2014. 성단지 구획조정. 2014.
540. 일본 지자체의 산촌진흥 및 산촌재생을 위한 561. 최근 일본의 표고 원목재배 신기술. 2014.
추진시책과 사례. 2014. 562. 북미지역 산림치유 프로그램. 2014.
541. 산업재산권 등록자료집(목재이용기술 100선). 563. A List Dicotyledoneae herbaceous plants in
2014. Jeju Island. 2014.
542. 산림과학 실험분석 적합화를 위한 선형 및 비 564.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목재의 마이크로피브릴
선형 모형. 2014. 경사각과 수축률 측정. 2014.
543. 임도망 계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사용자 매 565. 선흘곶자왈의 역사문화자원. 2014.
뉴얼. 2014. 566. Standard and Specification of Wood Prod-
544. 임업경제동향 2014/봄. 2014. ucts. 2014.
545.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분석기법과 그 응용. 567. 한국의 재선충속(Bursaphelenchus) 선충.
2014. 2014.
546. 숲속의 독버섯. 2014. 568.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지역 산림식생 모니터
547. 임업경제성분석 프로그램 매뉴얼. 2014. 링. 2014.
548. 산불위험지 조사 지침서. 2014. 569. 개화모니터링 매뉴얼. 2014.
549. 표준재배 지침서(특용수 편). 2014. 570. 새, 홍릉숲에 머물다. 2014.

홍릉숲에서 둥지를 튼
새들의 소리

Hongneung Forest Bird


, 머물다
홍릉숲에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제570호

새, 홍릉숲에 머물다
인쇄 2014년 12월
발행 2014년 12월
발행인 윤영균
집필 박찬열, 최광호, 강완모, 성주한
발행처 국립산림과학원
주소 130-712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전화 Tel. 02-961-2612 Fax. 02-961-2629
홈페이지 www.kfri.go.kr
디자인·인쇄 (주)현대아트컴 (02-2266-4482)

ISBN 978-89-8176-225-4 93520

비매품

·‌이책의 저작권은 국립산림과학원에 있으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종이도 나무에서 나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