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72

발 간 등 록 번 호 연구자료

11-1400377-000249-01 321호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박찬열, 이성기, 변광옥, 김철민,


정영교, 김은미, 정상배
An Eco-guide Book to the
Wildlife in Jeju Experimental Forests
발간사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는 제주도로부터 2002년 7월 25일 한남 지역


1,191ha와 서귀포 지역 1,550ha 면적을 이전받아 총 2,741ha에 이르는 제주시험
림을 관할하고 있습니다. 시험림에서는 난대산림의 유전자원 보전 및 개량된 종
자의 자원화 연구를 실시하고, 난대림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해 다양한 시
험 및 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시험림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시험기반을 조성하
기 위하여 2004년도에 산림생태, 식물, 척추동물, 무척추동물, 토양, 수자원, 산
림조사 그리고 산림시업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전수조사를 실
시하여 기본적인 자료를 축척한 바 있습니다.
축적된 자료는「제1차기 제주시험림영림계획구영림계획서」를 작성하는 데 기
초가 되었으며, 2006년도 3월 9일에는 FSC(산림관리심의회, Forest Stewardship
Council)로부터 국제산림경영인증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취득하였습니다.
FSC에 의한 국제산림경영인증은 FSC의 원칙 및 기준에 따라 심사하며, 이에 따
른 인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취득 후 이듬해부터 매년 유지 심사를
실시하고 5년 후에는 재심사를 받게 됩니다.
이번에 발간되는『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은 FSC의 유지심사와 재심
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동물상의 변화를 모니
터링하는 자료이기도 합니다. 이 자료집을 위해 연구진은 제주시험림에서 2004
년부터 2008년 9월까지 정기적으로 동물상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포유류 14종,
조류 80종, 양서・파충류 12종을 기록하였다. 제주도의 특성상 담수습지가 부족
하지만, 시험림 내 형성된 산림습지에서 한국 고유종인 삼각산골조개를 비롯한
수서무척추동물 24종을 기록하여 총 130종의 동물에 대한 기본적인 생태를 소개
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제주도에서 식물분야에 대한 다수의 자료집과 논문이 발
간되어 제주도가‘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지만,
우리 시험림을 비롯하여 제주도의 산림 동물상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입니
다. 금번 자료집은 제주도의 산림지역의 동물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
며, 제주도의 동물생태 연구에도 귀중한 정보를 제공할 것입니다.
제주시험림은 한라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아열대, 난대, 온대 기후가 혼
재하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어서, 기후변화에 대응한 동식물상 변화 및 아
시아 지역 해외조림의 현지적응을 위한 전략기지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
가 있습니다. 본 자료집은 제주시험림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해 생물다양
성을 배려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
니다.
끝으로 이번『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자료집이 완성되기까지 수고해
주신 난대산림연구소 직원과 관계 연구진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는 바입
니다.

2008년 12월

국립산림과학원장
일러두기

1. 본 자료집은 난대산림연구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제주시험림에 서식하는 동


물(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수서무척추동물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조류 분류군의 배열은 Howard& Moore(1998)를 원칙으로 하고, 이우신, 구
태회, 박진영의『한국의 새』(2005) 등을 참고하였다.
3. 조류 명칭은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의『한국의 새』(2005) 등을 기준으로 하
여 기타 연구자료를 검토하여 사용하였다.
4. 책 옆면의 색표시는 동물상별 분류이며 조류의 도래현황별 분류는 제주시
험림 한남 지역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5. 용어 설명
•몸길이 : 동물의 몸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동물을 반듯하게 평면
에 눕혔을 때, 조류인 경우 부리 끝에서 꼬리 끝까지의 길이, 포유류인 경
우 코 끝에서 꼬리 끝까지의 길이, 양서・파충류인 경우 입 끝에서 꼬리 끝
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서식지 : 새끼를 키우기 위한 번식지와 겨울을 나는 월동지를 포함하는 개
념으로 대개 일 년간 생활하는 공간을 일컫는다.
•도래시기 :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일 년 중 주로 관찰되는 시기

•개체수 : 우리나라 전체를 기준으로 하며 관찰되는 수의 많고 적음을 나타


낸다. 흔함 > 비교적 흔함 > 흔하지 않음 > 적음 > 희귀함 순이다.
•수명 : 자연 상태에서 태어나서 포식이나 질병, 기타 다른 원인으로 인해
사망할 때까지의 수명으로 생태적 수명을 의미한다.
•둥지 및 산란 :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종과 그렇지 않는 종에 대해서 둥지
및 산란 특성을 나타냈고 산란시기도 기술해 놓았다.
•어린새 : 어미새에게서 독립하여 번식이 가능한 어미새가 되기 전까지의
시기를 일컬으며, 미성숙새까지 포함시킨 개념이다.
•형태 : 암수 형태가 다를 경우 눈에 잘 띄는 수컷의 형태를 먼저 설명하였다.
•납막 : 부리기부의 돌출된 부분으로 맹금류나 비둘기류에 있다.

•필드마크 : 종을 구분할 때 그 종만이 가지고 있는 눈에 띄는 특징을 말한다.

•분포 : 동아시아, 한국, 제주도, 제주시험림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으며 동아


시아는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아시아 동부지역에 위치한 나라를 의미한다.
•관찰시기 : 국립산림과학원 제주시험림(한남지역)에서 관찰된 시기를 연두
색으로 표시하였으며 번식 유무 역시 시험림에 국한하였다. 번식을 하면
‘○’로 표시하였고 하지 않으면‘ x’로 표시하였다. 번식 관계가 불확실한
경우‘ ? ’로 표시하였다. 양서・파충류인 경우 관찰시기는 동면하는 시기
를 제외하였다. 표로 작성하여 사진 윗부분에 삽입하였다.
예) 원앙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X

•텃새 : 일정한 지역에서 일 년 내내 관찰되는 종이다.

•여름철새 : 봄에 동남아시아 등 남쪽에서 찾아와 여름에 번식을 마치고 가을


에 다시 남쪽으로 떠나는 새로, 팔색조, 삼광조, 큰유리새 등 산새가 많다.
•겨울철새 : 시베리아 등 북쪽에서 번식을 마치고 우리나라에 찾아와 겨울을
나며, 봄에 다시 북쪽으로 떠나는 새로서 오리류, 기러기류 등이 대표적이다.
•나그네새 : 봄과 가을에 북상 또는 남하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거쳐 가는 새
로서 도요새나 물떼새가 대표적이다. 통과철새라고도 한다.
•길잃은새 : 기상 악화 등으로 인해 본래의 경로나 서식지를 벗어나 찾아온
새로, 군함조, 사다새 등이 이에 속한다.
제주시험림 야생동물상의 특성

제주시험림에서 2004년부터 야생동물을 조사하여 포유류 14종, 조류 80종, 양


서・파충류 12종, 수서무척추동물 24종 등 총 130종을 기록하였다. 이 중 천연기
념물 14종,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 3종, Ⅱ급 13종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포유류
중 육식성 포식자로 오소리와 족제비 두 종, 초식성 동물로서 노루가 서식하고
있다. 오소리는 사려니오름, 멀동남오름, 거인악 등 오름의 바위 지대에 굴을 만
들어 서식하고 있다. 족제비는 제주시험림의 계곡 주변과 산림에서 땅속 생물과
수서생물을 포식한다. 초식동물인 노루의 밀도가 높은 것은 채종원 등 초지지대
가 많은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류를 이동성(migration habit)에 따라 나누면, 텃새 20종, 여름철새 10종, 나그
네새 6종, 겨울철새 12종, 길잃은새 32종이다. 대개 육지에서는 여름철새와 겨울
철새의 종 수가 높지만, 제주의 산림의 경우 길잃은새의 수가 더 많다. 관찰된 조
류 중 제주시험림을 이동경로로 이용하는 종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육지의 산
림에서는 5종 이상의 딱따구리류와 4종의 박새류가 나타나지만, 제주에는 큰오
색딱다구리 1종과, 박새류 3종(곤줄박이, 진박새, 박새)만 각각 확인되었다. 번식한
새들이 어느 곳에 둥지를 틀었는지에 따라 나누어 보았는데, 나무구멍(hole)에 둥
지를 튼 새는 5종, 덤불 및 지면에 둥지를 튼 새는 8종, 숲지붕층에 둥지를 튼 새
는 9종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종 조성은 육지(mainland)의 도시 및 농촌
지역의 것과 유사하며, 육지의 산림성 조류 군집과는 다른 독특한 모습이다. 제
주 산림생태계에서 한 종뿐인 큰오색딱다구리가 사라지면 큰오색딱다구리가 만
든 나무구멍을 둥지로 살아가는 박새, 곤줄박이, 흰눈썹황금새는 번식하기 힘들
어진다. 큰오색딱다구리는 삼나무와 활엽수에도 구멍을 만들고 있어서, 산림시
업이 큰오색딱다구리의번식에 영향을 준다면 산림성 조류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큰오색딱다구리를 보호할 경우, 박새류 등 산림성 조류는 늘어
나 해충을 포식하여 숲을 유지할 수 있다. 큰오색딱다구리는 제주 산림생태계에
서 중추적 역할을 하며 없어서는 안 될 쐐깃돌 종(keystone species)이다. 파충류 중
쇠살모사의 밀도가 높고,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 비바리뱀은 삼나무숲의 돌
담에서 발견되었다. 수서무척추동물 중 희귀종인 삼각산골조개는 1908년 백록
담에서 발견된 이후, 2008년 3월에 다시 채집되었다. 향후 삼각산골조개에 대해
분류학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서식지인 산림습지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제주시험림은 야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오름 등 낮은 구릉, 채종원의 초지,
고령 임분의 삼나무숲, 난대 기후의 활엽수림과 상록수림, 산림습지 및 계곡 등
다양한 서식지를 갖고 있다. 제주시험림에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하기 위해
서는 오소리, 큰오색딱다구리, 삼각산골조개의 서식을 고려해야 하며, 외래종에
대한 모니터링과 개체군 관리가 있어야 한다. 한편, 야행성 동물 및 박쥐류에 대
해서는 향후 센서카메라와 야간 조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2008년 12월
난대산림연구소 박찬열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ldlife Fauna
in Jeju Experimental Forests

130 species of wildlife in Jeju Experimental Forests (JEFs) from April 2004 to August
2008. Recorded wildlife can be classified into the 14 mammal species, 80 bird species,
12 species of amphibians & reptiles and 24 aquatic invertebrate species. Among these
species, 14 species were on the natural monuments, 3 species on the endangered
species class I and 13 species on the endangered species class II, respectively.
In Mammals, two carnivores-badgers and weasels, and one dominant herbivorous
grazer-roe deers were recorded. A badger (Meles meles) is a top predator utilizing the
rocky grounds as roosting habitats distributed at lower mountain areas of parasitic
cones, SARYONI-ORUM, MULDONGNAM-ORUM and GEOINAK. Weasels (Mustela
sibirica) predate the underground animals and aquatic invertebrates in the JEFs. We

found five exotic animals such as elks (Cervus elaphus), Sika deers (Cervus nippon), feral
dogs (Canis familiaris), feral cats (Felis catus) and feral rabbits (Oryctolagus caniculus). All
exotic animals which are potential threat to the forest ecosystem were introduced by
human for economic use at Jejudo.
Birds can be classified into the 20 residents, 10 summer visitors, 6 passage migrants
and the 32 vagrants according to migration habit. For species composition, summer
and winter visitors are most dominant birds in mainland's forests whereas vagrants
are in the JEFs. This pattern might reflect that migrating birds and vagrants highly
utilize the JEFs as stopover sites during migration. At mainland's forests, we observed
about 5 woodpeckers and 4 tits; however, we just observed the only one species of
White-backed Woodpeckers (Dendrocopos leucotos) and the only three tits-Great tits
(Parus major), Varied tits (Parus varius) and the Coal tits (Parus ater) in the Jejudo including

the JEFs. In the view of nesting guild, breeding birds can be grouped into the 5 hole-
nesters, 8 ground-& bush-nesters and 9 canopy nesters. This species composition is
similar to that of bird communities at agricultural/rural and urban landscapes in
mainlands. Among hole nesters, we can observe only one species of primary cavity
nesters White-backed woodpecker; and five secondary cavity nesters, which are three
species of tits (Parus major, P. varius, P. ater), tricolor flycatchers (Ficedula zanthopygia) and
ruddy kingfishers (Halcyon coromanda). Tree harvesting and thinning old-growth
Japanese cedar forests do not only remove the nest and roosting place of
woodpeckers, but also give detrimental effects on breeding of secondary cavity nesters,
and these can result in low density of forest birds and outbreak of harmful insects
becomes more likely to occur. Therefore, White-backed woodpeckers can be
regarded as a keystone species in the forest ecosystems at Jejudo. We observed rare
reptiles, the Black-headed Snakes (Sibynophis chinensis) at the remnant stonewall. In
2008, the lake fingernail clam (Musculium lacustre) was newly recorded at forest wetlands
in the JEFs since it was first recorded at BAEKROKDAM in 1908. The presence of this
clam suggests the importance of forest wetlands conservation in the JEFs.
In conclusion, Jeju Experimental Forests (JEFs) possessed diverse habitat including
low hills, parasitic cones, old-growth Japanese cedar forests, deciduous and
evergreen forests, forest wetlands and valleys where diverse organisms survive with
interaction networks among them.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scientific consideration of keystone species, badgers, white-backed
woodpeckers and fingernail clams; and with the monitoring and control of five
exotic species in the JEFs. In near future, detailed survey on the nocturnal animal
and bats would be carried out with the sensor camera and night survey.

Warm-temperate Research Center

Park, Chan Ryul Ph.D


황조롱이

말똥가리


멧새

등줄쥐 후투티

멧새와 꿩이 서식하는 채종원과 초지(Grasslands)

검은댕기해오라기

제주도롱뇽

고추잠자리

유혈목이

원앙

큰땅콩물방개 참개구리

원앙과 제주도롱뇽 등 습지 동물의 hot spot, 산림습지(Forest wetlands)


직박구리

박새
동박새

큰오색딱다구리

휘파람새
곤줄박이

다람쥐
흰눈썹황금새

호랑지빠귀 굴뚝새
북방산개구리

동박새와 큰오색닥다구리 등 다양한 산림 동물의 서식지, 숲(Forests)

삼광조(♀)
큰유리새

삼광조(♂)

오소리

무당개구리

쇠살모사
팔색조

오소리, 팔색조, 큰유리새가 살고 있는 서중천 계곡(Valleys)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발간사
일러두기
제주시험림 야생동물상의 특성

I. 제주시험림의 개요 020

II. 제주시험림 야생동물의 종별 특성 026


1. 포유류 028
030노루 032족제비 034오소리 036다람쥐 038등줄쥐 040멧밭쥐 042붉은사슴

2. 조류 044
텃새
046꿩 048멧비둘기 050큰오색딱다구리 052노랑할미새 054직박구리 056때까치
058굴 뚝 새 060호 랑 지 빠 귀 062흰 배 지 빠 귀 064휘 파 람 새 066오 목 눈 이
068곤줄박이 070박새 072동박새 074멧새 076노랑턱멧새 078방울새 080어치
082까치 084큰부리까마귀

여름철새
086뻐꾸기 088두견이 090칼새 092호반새 094팔색조 096제비 098흰눈썹황금새
100큰유리새 102삼광조

나그네새
104벌매 106조롱이 108솔딱새 110제비딱새 112쇠솔딱새

겨울철새
114원앙 116새매 118참매 120말똥가리 122유리딱새 124딱새 126상모솔새
128진박새 130검은머리방울새 132되새 134콩새 136찌르레기

길잃은새
138검은댕기해오라기 140붉은해오라기 142독수리 144붉은배새매 146털발말똥
가리 148매 150황조롱이 152흑두루미 154깝작도요 156솔부엉이 158파랑새
160후투티 162흰털발제비 164힝둥새 166할미새사촌 168검은딱새 170검은지빠귀
172되지빠귀 174숲새 176산솔새 178황금새 180꼬까참새

3. 파충류 182
184쇠살모사 186유혈목이 188대륙유혈목이 190비바리뱀 192누룩뱀 194줄장지뱀

01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4. 양서류 196
198제주도롱뇽 200북방산개구리 202참개구리 204무당개구리 206청개구리

5. 수서무척추동물 208
210삼각산골조개 211참거머리 212아시아실잠자리 213가는실잠자리 214왕잠자리
215고추잠자리 216땅콩물방개 217큰땅콩물방개 218애기물방개 219큰알락물방개
220섬등줄물방개 221물맴이 222엿소금쟁이 223애소금쟁이 224등빨간소금쟁이
225소 금 쟁 이 226왕 소 금 쟁 이 227제 주 실 소 금 쟁 이 228송 장 헤 엄 치 게
229남쪽애송장헤엄치게 230연못하루살이

III.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목록 231

참고문헌 237
색인 239
부록 245
감사의 글 261

표 1. 제주시험림 기상 타워의 관측 자료 023


표 2. 임상별 면적 및 축적 현황 024
표 3. 임상별 영급별 면적 현황 024
표 4. 임상별 영급별 축적 025
표 5. 임종별 면적 현황 025
표 6. 포유류 목록 232
표 7. 조류 목록 232
표 8. 양서・파충류 목록 235
표 9. 수서무척추동물 목록 236

목차 015
주요동물
팔색조

큰오색딱다구리 삼각산골조개

오소리

01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외래동물
꽃사슴

붉은사슴 들개

들고양이

외래동물 017
보호동물

매(천연기념물 제323-7호/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

붉은배새매(천연기념물 제323-2호) 황조롱이(천연기념물 제323-8호) 팔색조(천연기념물 제204호/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흑두루미(천연기념물 제228호/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 독수리(천연기연물


독수리(천연기연물 제243-1호/멸종위기야생동물
제243-1호/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Ⅱ급)

솔부엉이(천연기념물
솔부엉이(천연기념물 제324-3호)
제324-3호) 참매(천연기념물
참매(천연기념물 제323-1호/멸종위기야생동물
제323-1호/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Ⅱ급) 새매(천연기념물 제323-4호)

01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털발말똥가리(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붉은해오라기(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말똥가리(멸종위기야생동물


말똥가리(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Ⅱ급) 원앙(천연기념물 제327호)

두견이(천연기념물 제447호)

벌매(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비바리뱀(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조롱이(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삼광조(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보호동물 019
1
제주시험림의 개요
제주시험림의 개요

일반 현황

제주시험림은 2002년 제주도 내 국유림으로부터 소유 이전된 서귀포시 상효


시험림 11필지 1,550㏊, 남원읍 한남시험림 1필지 1,191㏊ 등 총 12필지 2,741㏊
이며, 침엽수림 228ha(8.4%), 활엽수림 727ha(27.7%), 혼효림 1,372ha(50.5%), 기
타(무림목지 및 개발지 포함) 388ha(14.3%)의 임상별 구조와 인공림 229ha(8.5%),
천연림 2,099ha(77.3%) 등의 임종별 특성에 소나무, 삼나무, 편백 등의 침엽수림
228ha(8.4%), 낙엽활엽수림 704ha(25.9%), 상록활엽수림 22.7ha(0.8%), 혼합활엽
수림 812ha(29.9%), 침활혼효림 560ha(20.6%) 등의 Ⅱ~Ⅶ 영급의 침엽수와 활엽
수가 분포하고 있다.
지황조건으로는 동향~남서의 방위에 최소 300m~최대 1,000m의 표고를 보이
고, 토성은 화산회토 다공성의 무정질 점토광물로 구성되어 비교적 큰 공극률을
가지고 있어 통기성과 배수성이 양호하다. 접근성에 있어서 서귀포시험림은 접
근이 비교적 어려운 지역이 71.4%로 나타난 반면, 한남시험림은 85.0%가 접근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02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기상 현황

제주시험림에 설치한 기상타워에서 2007년에 실측한 자료를 보면, 연평균기 제



온은 17.7도이며 최고 기온은 33.7℃, 최저기온은 -0.3℃를 나타낸다. 강수량은 7 시

월부터 9월에 집중되며 연강수량은 2,166.5mm이다.


표 1. 제주시험림 기상 타워의 관측자료 (기준 : 2007년) 개

구분
평균/합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월별


17.74 7.9 10.2 11.5 14.9 19.4 21.8 25.4 28.2 25.1 20.1 18.1 10.3



온 25.68 16.1 19.0 21.7 25.0 29.4 29.1 33.7 33.1 32.4 27.9 22.5 18.3

(℃)

9.51 0.7 -0.3 1.2 5.6 13.0 14.6 20.2 23.3 20.3 10.7 4.3 0.5

강수량
2,166.5 65.7 44.6 96.4 81.0 154.0 144.4 464.2 330.0 506.1 183.0 0.2 96.9
(mm)
풍속
2.82 2.5 2.9 3.0 2.6 2.8 2.8 2.5 2.9 3.9 2.4 2.5 3.0
(m/s)
습도
66.08 61.0 62.0 61.0 52.0 62.0 81.0 82.0 79.0 75.0 64.0 53.0 61.0
(%)

산림 현황

임상분포 및 구성상태

제주시험림에서 혼합활엽수림의 면적은 812.1ha로 전체 면적의 29.9%를 차지한


다. 그 다음은 낙엽활엽수림이 704.6ha로서 25.9%를 차지하고 있다. 임상별 축적도
면적과 마찬가지로 혼합활엽수림의 총 축적이 98,635.6㎥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
은 낙엽활엽수림이 98,051.0㎥이다. 그러나 침엽수림의 경우, 면적 비율은 8.42%를
차지하지만 총 축적은 84,557.4㎥으로 전체 축적의 약 22.8%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시험림의 개요 023
ha당 축적을 살펴보면 제주시험림의 평균 축적은 약 136㎥정도이고, 임상이
기타(채종원, 개발지, 사유지)인 비입목지 면적 338.4ha를 제외한 입목지 면적
2,328.5ha에 대한 평균 축적은 159㎥정도이다. 침엽수림이 369㎥으로서 상당히
높은 축적을 보이고 있다. 낙엽활엽수림은 평균 139㎥이고 상록활엽수림은 210
㎥으로 상록활엽수림이 더 높은 축적을 나타내고 있다.

표 2. 임상별 면적 및 축적 현황

임상 면적(ha, %) 축적(m3, %) ha당 평균 축적(m3/ha)


침엽수림 228.8(8.4) 84,557.4(22.8) 369
낙엽활엽수림 704.6(25.9) 98,051.0(26.4) 139
상록활엽수림 22.7(0.8) 4,668.0(1.3) 210
혼합활엽수림 812.1(29.9) 98,635.6(26.6) 121
침활혼효림 560.9(20.6) 84,815.5(22.9) 151
기타 388.9(14.3)
합계 2,718.0 370,727.6 136

표 3. 임상별 영급별 면적 현황 (단위 : ha)

임상/영급 Ⅱ Ⅲ Ⅳ Ⅴ Ⅵ Ⅶ Ⅷ 기타 합계
침엽수림 41.4 159.8 17.5 2.5 1.7 5.8 228.8
낙엽활엽수림 321.3 288.1 89.9 5.3 704.6
상록활엽수림 1.7 13.4 7.6 22.7
혼합활엽수림 23.2 427.0 351.0 10.9 812.1
침활혼효림 6.1 72.2 228.9 33.3 73.6 146.9 560.9
기타 338.9 338.9
합계 29.3 863.6 1,041.2 159.2 76.1 153.9 5.8 338.9 2,718

전체임상에 대한 영급별 면적은 Ⅳ영급이 1,041.2ha로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


지하고 있다. 그 다음 Ⅲ영급, Ⅴ영급순으로 차지하고 있다. 임상별로 살펴보면
침엽수림의 경우, Ⅲ영급부터 Ⅷ영급까지 모든 영급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Ⅳ
영급의 면적이 159.8ha로서 가장 많다. 그리고 침활혼효림은 Ⅳ영급의 면적이
228.9ha이며, Ⅶ영급면적이 146.9ha로 나타났다.

02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전체 임상에 대한 영급별 축적 현황을 살펴보면 Ⅳ영급이 182,383.4㎥, Ⅲ영급
이 118,835.2㎥인 것으로 나타나 영급별 면적과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다. 임상
별로는 침엽수림은 Ⅳ영급의 축적이 60,389.9㎥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침활 제

혼효림은 Ⅳ영급의 축적이 38,380.8㎥, Ⅶ영급의 축적이 18,709.4㎥으로서 영급 시

별 면적 분포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낸다.



표 4. 임상별 영급별 축적 (단위 : m2)

임상/영급 Ⅱ Ⅲ Ⅳ Ⅴ Ⅵ Ⅶ Ⅷ 합계

침엽수림 9,624.1 60,389.9 7,691.9 1,683.9 1,048.2 4,119.4 84,557.4


낙엽활엽수림 47,687.3 38,467.0 10,819.5 1,077.1 98,051.0
상록활엽수림 234.5 3,036.8 1,396.7 4,668.0
혼합활엽수림 3,952.5 50,451.8 42,108.8 2,122.5 98,635.6
침활혼효림 275.8 10,837.4 38,380.8 5,160.8 11,451.3 18,709.4 84815.5
합계 228.4 118,835.2 182,383.4 27,191.4 13,135.2 20,834.6 4,119.4 370,727.6

제주시험림 전체 면적은 2,741ha이고 사유지와 개발지 및 잡종재산에 의한 취


득지를 제외한 면적은 2,714ha이다. 사유지와 개발지는 서귀포시험림 내에
1.6ha와 2.2ha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별로는 천연림이 2,309ha로서
전체 84.6%를 차지하고 있고 인공림은 241.4ha로서 8.9%를 차지하고 있다. 천연
림의 면적비율은 서귀포시험림이 91.3%, 한남시험림이 76.6%로 나타난 반면, 인
공림은 한남시험림이 18.3%, 서귀포시험림이 8.9%를 차지하였다.

표 5. 임종별 면적 현황

구 분 천연림 인공림 채종림 사유지 개발지 합계


면적(ha) 2,099.5 229.6 386.8 0.62 1.44 2,718.0
전 체
비율(%) 77.3 8.5 14.2 0.004 0.05 100

서귀포 면적(ha) 1,276.9 12.1 230.4 - - 1,519.4


시험림 비율(%) 84.0 0.8 15.2 - - 100

한 남 면적(ha) 822.6 217.4 156.5 0.62 1.44 1,198.6


시험림 비율(%) 68.6 18.2 13.1 0.009 0.12 100

제주시험림의 개요 025
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의 종별 특성
포유류
Mammals
노루 족제비 오소리 다람쥐 등줄쥐 멧밭쥐 붉은사슴
노루 포유류 _ mammals

학명 Capreolus pygargus 목명 우제 목(ARTIODACTYLA)


영명 Roe Deer 과명 사슴 과(Cervidae)
제주명 노리 속명 노루 속(Capreolus)

몸길이 120cm 서식지 숲 / 초지 개체수 비교적 흔함 주요활동시간 밤이나 새벽녘


뿔이 떨어지는 시기 12월 수명 10년

짝짓기 시기 10월
임신기간 짝짓기 후 수정이 된 상태에서 수정란이 발육하지 않고 자궁 내에 머무는 착상지연 시기를
모두 포함하여 약 280일 정도 걸린다.
출산 대개 5월부터 6월 초순까지 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 키우기 태어난 직후 새끼의 활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새끼를 안전한 풀숲이나 나무 밑에 숨겨
두고 어미 혼자서 돌아다니며 새끼가 커가면서 어미가 새끼를 데리고 다니며 같이 생활하게 된다.

형태 몸은 갈색을 띠며 엉덩이 부분은 흰색이다. 코는 검은색이다. 꼬리가 없다. 수컷은 머리꼭대기


에 뿔이 자라며 다 자란 수컷은 뿔이 세 갈래로 갈라진다. 암컷은 뿔이 없다.
먹이 주로 땅 위에 자라는 풀을 뜯어먹으며 나무의 새순이나 잎(송악, 새우란 등)을 즐겨먹는다. 600가
지가 넘는 식물을 뜯어먹으며 설사할 때 여뀌를 뜯어먹는 등 병에 따라 식물을 골라먹기도 한다.
특이행동 위험을 느끼거나 사람이 접근할 때‘컹컹’하는 개소리와 비슷한 위협적인 큰 소리를 낸다.

분포
•동아시아 러시아, 중국
•한국 울릉도를 제외한 지역에 분포한다.
•제주도 주로 해발 200m이상의 중산간 지역에서 한라산 정상까지 분포하며 숲과 가까운 목장지
대에서 많이 관찰된다. 겨울이 되면 고지대에 있던 노루들이 먹이를 찾아 저지대로 내려온다. 겨
울에는 무리를 지어 지내기도 한다.
•한남 지역 임도나 임도 근처 숲에서 먹이를 먹거나 놀라서 달아나는 2-3마리 정도의 노루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03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배설물

발자국 먹이먹기

노루 031
족제비 포유류 _ mammals

학명 Mustela sibirica 목명 식육 목(CARNIVORA)


영명 Korean Yellow Weasel 과명 족제비 과(Mustelidae)
속명 족제비 속(Mustela)

몸길이 27cm 전후(수컷이 다소 크다) 서식지 숲 / 농경지 개체수 흔함 수명 5-6년

짝짓기 시기 2-3월
임신기간 짝짓기 후 40일 정도 배 속에 품는다.
출산 대개 3월부터 5월까지 10마리 내외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 키우기 돌담 구멍 속에 둥지자리를 만들어 새끼를 낳으며 일정 기간 동안 새끼를 돌담 구멍 속
에 은신시키고 어미가 돌담 구멍과 밖을 오가며 생활한다.

형태 몸은 전체적으로 밝은 갈색을 띠며 다리는 짧고 꼬리는 길다. 입 주위는 흰색이고 눈은 검다.


귀는 짧고 둥글다.
먹이 들쥐, 지렁이, 도마뱀, 뱀 등 가리는 것 없이 먹으며, 과거 닭장에서 닭을 훔쳐 먹어 미움을 사
기도 했다.
특이사항 담이나 벽을 잘 타고 잽싸며 돌담 구멍 사이를 돌아다닐 정도로 날렵하다. 도로를 건너다
교통사고를 당한 사체가 종종 목격된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한국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제주도 해안가 저지대에서 윗세오름까지 관찰되었으며 한라산 정상부근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남 지역 임도 근처 숲 바닥을 돌아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이나 배설물을 관찰할 수 있다.

03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서식지

둥지자리 전체모습

족제비 033
오소리 포유류 _ mammals

학명 Meles meles 목명 식육 목(CARNIVORA)


영명 Eurasian Badger / Badger 과명 족제비 과(Mustelidae)
제주명 지다리 속명 오소리 속(Meles)

몸길이 70cm 전후 서식지 숲 개체수 흔하지 않음 주요활동시간 밤이나 새벽녘 수명 15년 이내


보호유무 약용이나 보신용으로 남획되어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보호가 필요하다.

짝짓기 시기 알려진 바 없다.


임신기간 짝짓기 이후 수정이 된 상태에서 수정란이 발육하지 않고 자궁 내에 머무는 착상지연 시기
를 포함하여 4-12개월 정도 배 속에 품는다.
출산 굴 안에서 3-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 키우기 일정기간 동안 안전한 굴 안에 새끼들을 은신시키고 어미만 굴을 들락거리며 생활한다.

형태 머리는 작고 몸통은 크고 통통하며 꼬리는 짧다. 주둥이는 길고 뭉툭하다. 몸통은 어두운 갈색


이며 머리꼭대기를 가로지르는 흰색의 굵은 띠가 있다. 뺨과 옆목에도 흰색의 굵은 띠가 있다. 귀는
작다. 다리는 짧으며 발톱은 길고 날카롭다.
먹이 지렁이, 뱀, 곤충, 도토리 등을 주로 먹으며 개구리, 벌, 쥐도 먹는다.
특이사항 길고 날카로운 발톱으로 땅을 파고 은신처나 잠자리 굴을 만들며 바위 사이 구멍 속에 여
러 개의 굴과 입구를 만든다. 단독으로 생활하기도 하고 3-5마리가 가족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기도
한다.

분포
동아시아 러시아, 중국, 일본
한국 전국의 산지에 널리 분포한다.
제주도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중산간 지역의 숲속에서 한라산 정상까지 분포하나 개체수는 그리
많지 않다.
한남 지역 주로 배설물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계곡 근처에 큰 굴을 만들어 생활하는 것이
목격된 바 있다. 낮에도 굴 근처를 배회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03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배설물 굴

오소리 035
다람쥐 포유류 _ mammals

학명 Tamias sibiricus 목명 설치 목(RODENTIA)


영명 Siberian Chipmunk 과명 청설모 과(Sciuridae)
속명 다람쥐 속(Tamias)

몸길이 15cm 내외 서식지 숲 / 공원 개체수 흔함 주요활동시간 아침부터 저녁까지 주간대


수명 5-6년

짝짓기 시기 봄부터 가을까지 1회 짝짓기를 한다.


임신기간 약 한 달 정도 배 속에 품는다.
출산 돌담 사이에 5마리 내외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 키우기 일정 기간 동안 돌담 사이에 새끼를 은신시키고 어미가 들락거리며 생활한다.

형태 꼬리가 길다. 몸은 갈색이고 등을 가로지르는 검은색의 굵은 세로띠가 여러 개 있다. 귀는 작


고 둥글다. 흰색의 눈썹선이 있으며 뒷발가락은 5개이다.
먹이 여름에는 곤충이나 달팽이 등을 먹고 가을에 도토리나 밤을 모아서 저장했다가 겨울에 꺼내
먹는다.
특이사항 땅 위나 나무줄기를 타며 먹이를 찾아다닌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시베리아, 일본, 사할린
•한국 전국 산지나 공원 등에서 쉽게 관찰된다.
•제주도 해발 400m이상의 중산간지역 숲이나 계곡에서 한라산 1700m부근까지 관찰되며 토착종
이라기보다는 애완용으로 기르던 개체들이 방생되거나 탈출하여 야생에 적응한 것으로 추정되
나 정확한 근원을 알기 위해서는 유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남 지역 나무줄기를 타며 먹이 찾는 모습이 드물게 관찰된다.

03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옆모습

먹이 둥지자리

다람쥐 037
등줄쥐 포유류 _ mammals

학명 Apodemus agrarius 목명 설치 목(RODENTIA)


영명 Striped Field Mouse 과명 쥐 과(Muridae)
제주명 죙이 / 幽이 속명 등줄쥐 속(Apodemus)

몸길이 10cm 내외 서식지 평지 / 초지 / 산지 개체수 흔함

짝짓기 시기 봄부터 가을까지 3-4회 짝짓기를 한다.


임신기간 알려진 바 없다.
출산 보금자리로 만든 굴에서 한배에 4-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 키우기 굴 속에 새끼들을 은신시키고 어미가 굴을 들락거리며 생활한다.

형태 몸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등을 가로지르는 검은색의 띠가 특징이다. 꼬리는 길고 털이 나


있다. 몸 아랫면은 흰색이다.
먹이 주로 식물성을 먹으며 종자나 농작물, 낟알, 과실을 먹는다.
특이사항 가을철 들이나 밭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걸리는 치명적인 병인 유행성 출혈열이나 쯔
쯔가무시병을 전파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시베리아
한국 전국적으로 흔하게 분포한다.
제주도 해안 저지대에서 한라산 정상까지 분포한다. 초지나 숲에서 주로 관찰된다.
한남 지역 초지나 숲속에 놓아둔 쥐덫에 가장 많이 포획되는 쥐이다.

03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옆모습 쥐트랩

등줄쥐 039
멧밭쥐 포유류 _ mammals

학명 Micromys minutus 목명 설치 목(RODENTIA)


영명 Harvest Mouse 과명 쥐 과(Muridae)
속명 멧밭쥐 속(Micromys)

몸길이 6cm 내외 서식지 초지 개체수 흔함 주요활동시간 야간 수명 2년 내외

짝짓기 시기 7-8월
임신기간 약 20일 정도 배 속에 품는다.
출산 한배에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털이 나지 않은 맨살이다.
새끼 키우기 풀이나 억새 위에 마른 풀줄기를 이용하여 둥근 공 모양으로 지으며 새의 둥지와 매우
비슷하다. 새끼를 낳은 초기에는 둥지에 입구가 없으며 새끼가 어느 정도 자라면 옆으로 입구를 내
서 들락거린다.

형태 몸 윗면은 갈색이고 몸 아랫면은 옅은 노란색이다. 꼬리는 길고 털이 나 있지 않다.


먹이 종자나 과실, 곤충 등을 먹는다.
특이사항 월트디즈니의 미키마우스의 모델이 된 쥐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시베리아, 일본, 대만, 미얀마
•한국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제주도 주로 초지대나 중산간지역 숲의 가장자리에 억새나 풀이 자라는 곳에 생활한다. 간혹 중
산간지역 과수원의 잡초밭에서 번식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
•한남 지역 개활지나 임도 주변에 억새가 자라는 초지대가 있어 간혹 억새 줄기 사이나 풀 속에 둥
지를 만들고 번식한다.

04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둥지

젖먹이기 새끼

멧밭쥐 041
붉은사슴 포유류 _ mammals

학명 Cervus elaphus 목명 우제 목(ARTIODACTYLA)


영명 Wapiti / ELK 과명 사슴 과(Cervidae)
국명이명 와파티사슴 / 엘크사슴 속명 사슴 속(Cervus)

몸길이 200cm 내외 서식지 숲/ 초지 뿔이 떨어지는 시기 2-3월 수명 15년 용도 한약재, 식용

짝짓기 시기 9-11월
임신기간 약 250일 정도 배 속에 품는다.
출산 이듬해 5-6월경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 키우기 새끼는 어미사슴과 같이 지내다가 다음해 짝짓기 시기가 되면 어미를 떠난다.
특이사항 짝짓기 시기 전에는 수컷은 수컷끼리, 암컷은 새끼들과 함께 생활한다. 발정기가 되면 수
컷은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싸움을 하게 되는데 심하게 싸우다 보면 크게 다치거나 죽는 경우도 있
다. 이 시기가 되면 뿔은 크고 단단하게 굳어 상대방을 제압하는 무기로 사용된다.

형태 몸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이고 귀는 길다. 엉덩이 부분에 흰색의 무늬가 뚜렷하다. 한쪽에
6개로 갈라진 뿔을 가진다.
먹이 나뭇잎이나 목초, 어린 싹, 마른 풀을 먹으며 간혹 열매나 버섯을 먹기도 한다.
특이사항 엘크사슴은 붉은사슴의 아종으로 북미에 서식하는 종이며 녹용이나 식용으로 사육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야생에 서식하는 붉은사슴은 몇 개의 아종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분포
•한국 한약재인 녹용 생산이나 식용으로 도입되어 전국적으로 사육되고 있다.
•제주도 중산간 초지대나 목장에 울타리를 치고 사육되고 있으나 관리 소홀로 인해 사육장을 탈
출하여 야생에 적응한 개체들이 종종 목격된다.
•한남 지역 2-3마리가 숲속을 돌아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을 목격하거나 배설물, 발자국 등을 볼 수
있다.

04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발자국 발자국들

붉은사슴 043
조류
Birds
텃새 Residents
꿩 멧비둘기 큰오색딱다구리 노랑할미새 직박구리 때까치 굴뚝새 호랑지빠귀 흰배지빠귀
휘파람새 오목눈이 곤줄박이 박새 동박새 멧새 노랑턱멧새 방울새 어치 까치 큰부리까마귀

여름철새 Summer Visitors


뻐꾸기 두견이 칼새 호반새 팔색조 제비 흰눈썹황금새 큰유리새 삼광조

나그네새 Passage Migrants


벌매 조롱이 솔딱새 제비딱새 쇠솔딱새

겨울철새 Winter Visitors


원앙 새매 참매 말똥가리 유리딱새 딱새 상모솔새 진박새 검은머리방울새 되새 콩새
찌르레기

길잃은새 Vagrants
검은댕기해오라기 붉은해오라기 독수리 붉은배새매 털발말똥가리 매 황조롱이 흑두루미
깝작도요 솔부엉이 파랑새 후투티 흰털발제비 힝둥새 할미새사촌 검은딱새 검은지빠귀
되지빠귀 숲새 산솔새 황금새 꼬까참새
꿩 텃새 _ Residents

학명 Phasianus colchicus 목명 닭 목(GALLIFORMES)


영명 Ring-necked Pheasant 과명 꿩 과(Phasianidae)
속명 꿩 속(Phasianus)

몸길이 암컷 60cm / 수컷 80cm 서식지 농경지 / 공원 / 숲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이용현황 대표적인 수렵용 새 수명 7년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 마리의 암컷을 거느리는 일부다처의 새이다.


둥지 땅 위에 마른 풀을 얕게 쌓아 오목하고 넓은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3-7월
산란수 무늬가 없으며 녹색빛이 도는 옅은 갈색의 알을 6-10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며 알에서 깨어나 얼마 없어 눈을 뜨고 어미새를 따라다니는 조성성
인 새이다.

형태 수컷과 암컷의 몸빛이 아주 다르다. 수컷은 눈 주위에 붉은 피부가 나출되어 있으며 목에 흰색


의 굵은 띠가 있다. 가슴과 배는 적갈색이며 옆구리는 노란색이고 검은색의 반점이 나열되어 있다.
꼬리는 길고 뾰족하다. 암컷은 몸 전체적으로 갈색을 띤다. 꼬리도 수컷에 비해 짧다.
어린새 몸 전체가 갈색을 띠며 꼬리는 길지 않다.
먹이 땅 위를 돌아다니며 씨앗, 낟알, 콩 등의 식물성과 곤충 같은 동물성 먹이를 먹는다.
필드 마크 꼬리는 길고 뾰족하며 눈 주위의 붉은색의 나출된 피부가 선명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우수리, 일본, 대만, 미얀마
•한국 아주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로, 놀랐을 때 빠르게 달리거나 짧은 거리를 비행하여 도망간다.
번식기가 되면‘꿩꿩’하는 소리를 내며 홰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제주도 농경지, 초지, 숲에서 흔하게 관찰되며 수렵시기가 되면 중산간지역에 수천 마리의 꿩을
방사하기도 한다.
•한남 지역 겨울을 제외한 시기에 숲속을 걸어 다니며 땅 위에 떨어진 씨앗을 주워 먹거나 홰치는
소리를 종종 들을 수 있다.

04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새끼새 주요관찰지

꿩 047
멧비둘기 텃새 _ Residents

학명 Streptopelia orientalis 목명 비둘기 목(COLUMBIFORMES)


영명 Rufous Turtle Dove / Oriental Turtle Dove 과명 비둘기 과(Columbidae)
속명 멧비둘기 속(Streptopelia)

몸길이 33cm 서식지 숲 / 농경지 / 공원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나무나 넝쿨 위에 가는 나뭇가지를 엉성하게 쌓아 알자리가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3-8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2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주며 10일 이상 어미새가 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이다.
어미새는 새끼에게 모이주머니에서 나오는 분비물인‘피죤밀크’를 먹인다.
번식횟수 둥지가 엉성하여 알이나 새끼가 둥지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이런 경우 다시
둥지를 짓고 번식을 시도하는데 1년에 2회 이상 번식을 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아 외형상 구분할 수 없다. 눈이 붉고 옆목의 검은색과 회색의 줄무


늬가 뚜렷하다. 몸의 아랫면은 회갈색이다. 날개의 깃털은 회갈색이지만 깃 가장자리가 붉은 갈색
을 띠고 있어 비늘모양으로 보인다.
어린새 어미새와 거의 비슷하지만 옆목에 검은색과 회색의 줄무늬가 없다. 날개 깃털의 가장자리는
어미새에 비해 옅다.
먹이 땅 위를 걸어 다니며 나무열매나 잡초의 씨앗을 찾아먹으며 나무에서 나무열매를 따먹기도 한다.
필드 마크 옆목에 검은색과 회색의 줄무늬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인도네시아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로,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번식을 하며 도심지 가로수에도 둥지를 틀
정도로 도심지에 잘 적응한 새이다.
•제주도 제주도 전역에 흔하게 분포하며 2월부터 시작하여 10월까지 번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1년 내내 관찰되며 숲속이나 임도 주변 땅 위를 걸어 다니며 먹이를 찾거나 나무 사이
를 민첩하게 날아서 이동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04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알품기

새끼새 주요관찰지

멧비둘기 049
큰오색딱다구리 텃새 _ Residents

학명 Dendrocopos leucotos 목명 딱따구리 목(PICIFORMES)


영명 White-backed Woodpecker 과명 딱따구리 과(Picidae)
속명 오색딱다구리 속(Dendrocopos)

몸길이 28cm 서식지 교목이 자라는 숲이나 야산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하지 않음


보호유무 제주특별자치도 상징새

둥지 죽은 나무나 수령이 오래된 살아 있는 나무에 직접 구멍을 뚫어 둥지를 만들며 내부에는 아무


것도 깔지 않는다. 번식을 끝낸 둥지는 다음해에 곤줄박이나 박새 등의 둥지로 재활용된다.
산란시기 4-6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보통 3-4개 낳고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약 보름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를 먹이며 약 25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몸 윗면은 검은색이고 등과 날개에 흰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배의 아랫부분과 아래꼬리덮깃


은 붉은색이며 몸 아랫면에 검은색의 세로줄 무늬가 있다. 수컷은 머리꼭대기가 붉은색을 띠며 암
컷은 붉은기가 없다. 딱따구리는 발가락이 앞뒤로 두 개씩 나눠져 있어 수직인 나무를 오르기에 적
당하고 꼬리는 단단하여 나무에서 지지대 역할을 한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다.
먹이 죽은 나무 속에 사는 곤충이나 곤충 애벌레를 부리로 두드려 구멍을 만들고 길게 늘어나는 혀
로 꺼내 먹는다. 간혹 나무열매를 먹기도 한다.
필드 마크 가슴과 배의 검은색 세로줄무늬가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대만
•한국 사계절 관찰되는 텃새로, 봄에 숲속에서 나무를 두드려 둥지 만드는 소리를 종종 들을 수 있다.
•제주도 중산간 이상의 숲에서 흔하게 번식하며 관찰된다. 간혹 해안가 소나무숲에서 둥지가 목
격되기도 한다.
•한남 지역 1년 내내 숲속에서 나무를 두드려 먹이 잡는 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으며 고령의 죽은
나무에 튼 둥지를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05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둥지

채식흔적 주요관찰지

큰오색딱다구리 051
노랑할미새 텃새 _ Residents

학명 Motacilla cinere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Grey Wagtail 과명 할미새 과(Motacillidae)
속명 할미새 속(Motacilla)

몸길이 20cm 서식지 얕은 개울 / 하천 / 저수지 주변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수명 5년

둥지 인가 주변 돌 틈이나 개울 옆 절벽이나 바위 틈에 마른 풀줄기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


를 만들며 알자리에는 동물의 털을 깐다.
산란시기 4-8월
산란수 옅은 갈색의 바탕에 갈색의 점이 흐릿하게 흩어져 있는 알을 4-6개 정도 낳고 약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어미새로부터 먹이를 받아먹으면서 성장해 약 12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머리와 등은 짙은 회색이고 흰색의 눈썹선이 뚜렷하다. 다리는 분홍색이며 가슴과 배는 노란


색이다. 꼬리는 길며 검고 바깥꼬리깃은 흰색이다. 허리는 노란색이다. 수컷의 턱과 목은 검은색이
고 암컷은 흰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지만 눈썹선이 다소 불명확하고 배에 약간의 갈색기가 있다.
먹이 개울가나 농경지를 걸어다니며 곤충이나 갑각류를 잡아먹는다. 간혹 날아오르며 곤충을 잡아
먹기도 한다.
특이행동 걸어다닐 때 쉼 없이 꼬리를 까딱거린다.
필드 마크 흰색의 눈썹선과 분홍색의 다리가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캄차카반도, 일본, 대만, 필리핀
•한국 번식을 하는 여름철새로, 봄에 도래하여 번식을 마치고 가을에 떠난다. 겨울에는 관찰되지 않는다.
•제주도 여름에 계곡 근처 바위 틈이나 벼랑의 틈에 둥지를 틀며, 겨울에도 바닷가 근처 농경지나
습지에서 드물지 않게 관찰된다.
•한남 지역 여름에 계곡 주변의 큰 바위 틈에 둥지를 틀며 계곡이나 숲에서 먹이 잡는 모습을 종종
관찰할 수 있다.

05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머리 주요관찰지

노랑할미새 053
직박구리 텃새 _ Residents

학명 Hypsipetes amauroti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Brown-eared Bulbul 과명 직박구리 과(Pycnonotidae)
제주명 비추 / 비치 속명 직박구리 속(Hypsipetes)

몸길이 28cm 서식지 숲 / 공원 / 인가근처 / 과수원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주로 2-3m 높이의 나뭇가지나 나무줄기에 마른 풀줄기나 이끼, 나무뿌리 등을 이용하여 밥그


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4-8월
산란수 분홍빛이 도는 흰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알을 4-5개 낳고 13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알에서 깬 새끼는 초반에는 나비, 매미, 곤충애벌레 같은 동물성을 먹지만 둥지를 떠날
때쯤 되면 나무열매와 같은 식물성을 먹기도 한다. 알에서 깬 후 12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몸은 전체적으로 회색을 띠는 갈색이고 뺨에 밤색의 무늬가 뚜렷하다. 배는 갈색빛이 도는 회


색으로 깃털 가장자리가 흰색이라 흰점이 산재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래꼬리덮깃은 흰색과 검
은색의 줄무늬가 대조를 이룬다. 홍채는 갈색이고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나 뺨의 밤색이 다소 작고 색깔도 옅다.
먹이 여름에는 주로 곤충과 같은 동물성을 먹고 겨울에는 씨앗이나 과일, 열매와 같은 식물성을 먹는다.
특이행동 번식기가 아닌 때는 무리를 지어 날아다니며 시끄럽게 운다. 파도 모양으로 날거나 날갯짓을
하며 난다.
필드 마크 뺨에 밤색의 무늬가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아시아 특산종으로 동아시아에만 분포)
•한국 1년 내내 흔하게 관찰되는 텃새로, 공원, 정원은 가로수에도 둥지를 틀 정도로 도심지 환경
에 잘 적응하여 개체수가 늘고 있는 상태이다.
•제주도 해안가 저지대에서 중산간지역까지 고르게 분포하지만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출현빈도
가 낮다.
•한남 지역 1년 내내 관찰되지만 봄부터 가을까지 출현빈도가 높고 겨울이 되면 관찰되는 개체수
가 감소한다.

05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새끼새

머리 주요관찰지

직박구리 055
때까치 텃새 _ Residents

학명 Lanius bucephal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Bull-headed Shrike 과명 때까치 과(Laniidae)
속명 때까치 속(Lanius)

몸길이 19cm 서식지 농경지 / 숲 / 나무가 있는 개활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관목이나 아교목의 나뭇가지나 덤불 사이에 마른 풀줄기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


든다.
산란시기 4-8월
산란수 옅은 푸른색을 띠는 흰색 바탕에 갈색의 반점이 산재한 알을 4-6개 낳고 암컷이 15일 정도
품는다. 수컷은 알을 품고 있는 암컷에게 먹이를 갖다 주고 주변을 경계하는 역할을 한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를 먹이고 약 2주 정도 지나면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머리와 옆구리는 갈색이며, 눈선은 검고, 흰 눈썹선이 희미하다. 수컷의 등은 회색이며, 날개


에 흰 반점이 뚜렷하다. 암컷은 몸 전체가 갈색을 띠고 눈선은 수컷에 비해 갈색기가 강하며 목과
가슴, 배에 어두운 갈색의 비늘무늬가 있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며 부리끝이 날카롭다.
어린새 암컷과 유사하나 부리색이 옅다.
먹이 나무 꼭대기나 덤불 꼭대기에 앉아서 주변을 살피다가 메뚜기나 도마뱀이 보이면 내려가서 덮친다.
특이행동 도망가려고 발버둥치는 먹이를 제압하기 위해 찔레가시나 뾰족한 나뭇가지에 꽂는다. 잡
은 즉시 먹거나 며칠 저장한 후 먹는다.
필드 마크 머리가 갈색이고 날개에 흰색 반점이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우수리, 사할린, 일본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로, 인가 주변 농경지, 개활지, 숲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저지대 농경지나 풀밭에서 중산간지역 숲까지 흔하게 관찰되며 윗세오름에서 적은 수가
서식한다. 주로 덤불이나 관목이 있는 개방된 장소를 좋아한다.
•한남 지역 주로 가을, 겨울에 임도 주변 나무에 앉아서 먹이를 찾거나 날아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번식에 관한 더 많은 관찰이 필요하다.

05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 강희만

머리 주요관찰지

때까치 057
굴뚝새 텃새 _ Residents

학명 Troglodytes troglodyte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Winter Wren 과명 굴뚝새 과(Troglodytidae)
제주명 고망생이 속명 굴뚝새 속(Troglodytes)

몸길이 11cm 서식지 계곡 주변의 숲 / 울창하고 습한 숲 / 개활임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


함 수명 2-5년

둥지 큰 바위 틈이나 무너진 흙벽에 드러난 나무뿌리 사이에 이끼나 마른 풀, 풀뿌리를 이용하여 둥


근 타원형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8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5-6개 낳고 보름 정도 품는다. 간혹 진한 갈색의 알이 굴뚝새 둥지
에서 관찰되기도 하는데 두견이가 탁란한 알일 가능성이 높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를 먹이고 약 16일 정도 지나면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새 중 상모솔새를 제외하고 가장 작은 종에 속한다. 몸이 작고, 전체적으


로 어두운 갈색을 띤다. 부리는 가늘고, 꼬리는 짧다. 가늘고 흰 눈썹선은 뚜렷하지 않다. 접은 날개
의 가장자리에 옅은 노란색의 점이 나열되어 있다. 부리는 어두운 갈색이고 다리는 갈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다.
먹이 땅 위나 바위, 나무 사이를 쉼 없이 돌아다니며 작은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는다.
특이행동 짧은 꼬리를 치켜세운 채 쉬거나 돌아다닌다. 번식기에 수컷은 아름다운 소리로 지저귄다.
필드 마크 몸집이 작고 꼬리가 짧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일본, 대만, 미얀마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로, 예전에는 인가 근처 돌담에도 번식하였으나 현재는 숲이나 계곡,
물가 근처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는 해안가 숲에서도 관찰되지만 주로 중산간지역 숲이나 계곡에서
흔하게 번식한다.
•한남 지역 계곡이나 숲속을 걸어 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며 봄이 되면 수컷이 지
저귀는 소리로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05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 지남준

앞모습

둥지 주요관찰지

굴뚝새 059
호랑지빠귀 텃새 _ Residents

학명 Zoothera dauma / Turdus daum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White's Thrush / Scaly Thrush 과명 지빠귀 과(Turdidae)
제주명 좀녀새 속명 지빠귀 속(Turdus)

몸길이 29cm 서식지 어둡고 습한 숲 / 공원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교목의 두세 갈래로 갈라진 나무줄기 사이에 이끼와 솔잎을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4-7월
산란수 푸른색 바탕에 갈색의 무늬가 산재한 알을 3-5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
성성인 새이다. 새끼새는 어미새로부터 지렁이나 곤충을 받아먹은 후 15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
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몸 윗면은 누런 갈색, 아랫면은 흰색이며, 전체에 검은 비늘 무


늬가 있다. 날 때 날개 아랫면의 흰색띠가 뚜렷하게 보인다. 부리는 갈색이고 다리는 분홍색이다.
홍채는 갈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다.
먹이 낙엽이 많이 쌓이고 습한 숲속에서 낙엽을 들추며 지렁이를 주로 잡아먹는다.
특이행동 번식기에 새벽녘과 밤에‘호오-’하는 가늘고 긴 금속성 소리를 내며 운다.
필드 마크 몸 전체에 검은 비늘 무늬가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일본, 대만, 자바, 발리, 미얀마
•한국 여름에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면서 남부지방에서는 1년 내내 보이는 텃새이기도 하다.
•제주도 1년 내내 관찰되고 번식하는 텃새로, 주로 계곡 주변이나 울창한 숲 등지에서 번식한다.
•한남 지역 여름에 가는 피리소리처럼 들리는 번식송으로 존재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교목
의 줄기 사이에 이끼를 이용하여 만든 둥지도 종종 관찰된다. 낙엽이 두껍게 쌓여 있어 서식하기
에 적합한 숲이라 종종 관찰된다.

06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둥지

머리 주요관찰지

호랑지빠귀 061
흰배지빠귀 텃새 _ Residents

학명 Turdus pallid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Pale Thrush 과명 지빠귀 과(Turdidae)
제주명 찍구리 속명 지빠귀 속(Turdus)

몸길이 24cm 서식지 평지나 야산의 숲 / 공원 / 과수원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교목의 나무줄기나 나뭇가지 사이에 마른 풀줄기, 뿌리를 이용해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6-7월
산란수 푸른색 바탕에 갈색의 반점이 산재해 있는 알을 3-5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새끼새는 어미새로부터 지렁이나 곤충을 받아먹으며 성장한다.

형태 몸 윗면은 갈색을 띠며, 배는 옅은 갈색이고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지저분


한 노란색이고 홍채는 어두운 갈색이다. 노란색의 눈테가 있다. 수컷은 머리가 어두운 갈색이고 턱
밑은 흰색이고 목은 검다. 가슴은 갈색을 띤다. 암컷은 머리색이 수컷에 비해 옅고 턱밑과 목은 흰
색이다. 날 때 꼬리 끝의 흰색 반점이 뚜렷하게 보인다.
어린새 암컷과 비슷하다.
먹이 숲속을 돌아다니며 낙엽을 들춰 지렁이를 주로 잡아먹으며 겨울에는 땅에 떨어진 나무열매를
주워 먹는다.
필드 마크 날 때 꼬리 끝의 흰색의 반점이 보인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일본, 대만
•한국 여름에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며 남부지방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텃새이다.
•제주도 1년 내내 관찰되는 텃새로, 여름에는 주로 계곡 주변이나 울창한 숲에서 번식을 하며 겨
울이 되면 저지대나 밀감과수원에서 먹이를 찾아먹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숲속에서 걸어 다니며 낙엽을 들춰 먹이를 찾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여름에는 아름다
운 소리로 지저귄다. 교목의 줄기 사이에 이끼를 이용해 만든 둥지를 관찰할 수 있다.

06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 지남준

머리 주요관찰지

흰배지빠귀 063
휘파람새 텃새 _ Residents

학명 Cettia diphone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Bush Warbler / Japanese Bush Warbler 과명 휘파람새 과(Sylviidae)
속명 휘파람새 속(Cettia)

몸길이 14-16cm 서식지 숲 / 관목숲 / 덤불 / 과수원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관목의 나뭇가지나 덤불, 대나무 사이에 마른 풀줄기나 나무껍질을 이용해 중앙부보다 입구가
좁은 타원형에 가까운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8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진한 갈색의 알을 3-6개 낳고 약 13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같이 새끼새를 먹이고 약 13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지만 크기에 있어서 수컷이 암컷에 비해 다소 크다. 몸 윗면은 녹색
과 회색이 섞인 갈색이고 배는 녹색이 섞인 회색이다. 회색의 눈썹선은 뚜렷하지 않다. 부리와 다리
는 어두운 갈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나 녹색기가 강하고 눈썹선이 짧다.
먹이 덤불이나 관목림, 대나무숲을 돌아다니며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는다.
특이행동 번식기가 되면 수컷이 아름다운 휘파람 소리로 암컷을 유혹한다. 겨울이 되면 먹이를 찾아
돌아다니며‘칙칙’소리를 낸다.
필드 마크 눈썹선이 희미하고 소리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사할린, 일본, 대만
•한국 여름에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면서 남부지방에서는 1년 내내 관찰되는 텃새이다. 그
러나 남부지방의 개체들이 1년 내내 그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인지 아니면 여름에 번식한 개체는
월동지로 떠나고 다른 곳에서 월동하러 찾아오는 개체들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제주도 해안가 저지대 과수원에서 한라산 정상까지 분포한다. 1년 내내 관찰되는 텃새로, 두견이
가 주로 탁란하는 새이다.
•한남 지역 봄이 되면 휘파람 소리를 통해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관목에 지은 둥지도 종종
목격된다.

06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알품기

새끼새 주요관찰지

휘파람새 065
오목눈이 텃새 _ Residents

학명 Aegithalos caudat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Long-tailed Tit 과명 오목눈이 과(Aegithalidae)
속명 오목눈이 속(Aegithalos)

몸길이 14cm 서식지 평지나 산지의 숲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2-3년

둥지 교목의 줄기나 나뭇가지에 이끼로 타원형의 둥지를 만들고 거미줄로 부착시킨다. 둥지 외부에
나무껍질를 붙여 나무인 듯 위장한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엷은 붉은색의 흐릿한 무늬가 산재해 있는 알을 8-12개 낳고 약 14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함께 새끼를 키우며 약 15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다. 꼬리는 검은색으로 길다. 꼬리깃 가장자리는 흰색이다. 머리꼭
대기는 흰색이고 눈 앞부터 뒷머리까지 검다. 등은 분홍색이며 날개는 검다. 턱과 목, 가슴은 흰색
이고 배는 회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고 부리가 아주 짧다.
어린새 등의 분홍색 부분이 없고 뺨이 어두운 회색이다.
먹이 나무 사이를 활발히 돌아다니며 거미나 곤충을 찾아먹는다. 겨울에는 무리를 지어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는다.
특이사항 머리 전체가 흰색인 흰머리오목눈이가 겨울에 드물게 관찰되기도 한다.
필드 마크 짧은 부리와 긴 꼬리를 가지고 있다.

분포
•동아시아 시베리아, 중국 북부, 만주, 사할린, 캄차카반도, 일본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로, 인가 근처 공원이나 숲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사람을 별로 경계하
지 않으며 겨울에 먹이통을 찾는 새들 중에 하나이다.
•제주도 1년 내내 관찰되며 주로 중산간지역의 숲에서 번식을 한다. 번식기가 지나면 가늘고 짧은
소리를 내며 수십 마리 무리를 지어 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1년 내내 관찰되며, 숲의 꼭대기층을 따라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는다.

06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오목눈이 067
곤줄박이 텃새 _ Residents

학명 Parus vari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Varied Tit 과명 박새 과(Paridae)
속명 박새 속(Parus)

몸길이 14cm 서식지 숲 / 등산로 주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이나 딱따구리 헌 둥지, 인공새집에 이끼를 이용해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알자리는 동물의 털이나 깃털을 깐다.
산란시기 4-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붉은색 점이 산재한 알을 5-8개 낳고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함께 새끼를 키우며 약 12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머리와 턱, 목은 검은색이고 뺨과 이마는 담황색이다. 날개는


날개와 꼬리가 회색이다. 가슴과 배는 갈색이다. 목과 가슴의 경계 부분에 연노랑색의 무늬가 있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에 비해 색깔이 옅고 흐릿하다.
먹이 나뭇가지나 잎 사이를 돌아다니며 곤충을 잡아먹고, 겨울에는 땅 위에 떨어진 나무열매를 주
워 딱딱한 껍질을 부리로 부수고 속을 꺼내 먹는다.
필드 마크 가슴과 배가 갈색이다.

분포
•동아시아 일본, 사할린
•한국 1년 내내 관찰되면서 번식하는 텃새로, 사람을 별로 경계하지 않아 산길이나 등산로 주변에
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제주도 번식하는 텃새로, 한라산 등산로 주변이나 중산간지역 숲에서 쉽게 관찰된다.
•한남 지역 주로 임도 주변 나무 꼭대기층에서 먹이를 찾아먹거나 날아다니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06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먹이먹기

머리 주요관찰지

곤줄박이 069
박새 텃새 _ Residents

학명 Parus major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Great Tit 과명 박새 과(Paridae)
속명 박새 속(Parus)

몸길이 14cm 서식지 평지나 산지의 숲 / 공원 / 인가근처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2-3년

둥지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이나 딱따구리 헌 둥지, 인공새집, 담구멍 등에 이끼를 이용해 밥


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알자리에는 동물의 털을 깐다. 산란시기 4-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붉은 갈색의 점이 산재한 알을 7-10개 낳고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먹이고 알에서 깬 후 약 12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이마에서 뒷머리까지, 턱과 목이 검은색이다. 뺨은 흰색이다.


배는 흰색이고 배를 가로지르는 검은색의 세로줄이 있다. 등과 어깨는 노란색을 띤다. 날개, 꼬리는
회색이고 날개에 흰색의 가는 줄무늬가 있다. 배를 가로지르는 검은색 줄무늬는 수컷이 암컷보다
폭이 넓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나 배를 가로지르는 검은색의 줄무늬가 없거나 폭이 좁다.
먹이 여름에는 나뭇가지 사이를 돌아다니며 곤충을 잡아먹고 겨울에는 열매나 씨앗을 먹는다. 겨울
에 먹이통에 놓아둔 먹이를 먹기도 하며 쇠기름덩어리를 매달아 놓으면 잘 먹는다.
필드 마크 흰색의 배를 가로지르는 검은색의 줄무늬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시베리아, 일본, 사할린, 대만
•한국 1년 내내 보이며 번식하는 텃새로, 사람을 경계하지 않아 인가 주변 숲이나 등산로 등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는 사람이 인위적으로 놓아둔 먹이통에 먹이를 먹으러
오기 때문에 관찰하기 쉽다.
•제주도 1년 내내 관찰되며 번식도 하는 텃새로, 숲에서는 물론 인가 근처나 공원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임도 근처 나뭇가지 사이를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거나 딱따구리 헌 둥지나 나무구멍에
둥지 트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07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어린새

머리 주요관찰지

박새 071
동박새 텃새 _ Residents

학명 Zosterops japonic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Japanese White-eye 과명 동박새 과(Zosteropidae)
제주명 돔박생이 속명 동박새 속(Zosterops)

몸길이 11-12cm 서식지 숲 / 공원 / 과수원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나뭇가지나 넝쿨 사이에 이끼와 풀줄기, 가는 뿌리, 가는 동물의 털를 이용해 컵 모양의 둥지


를 만들고 거미줄로 나뭇가지와 연결한다. 산란시기 4-7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3-4개 낳고 11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
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먹이고 알에서 깬 후 약 12일 정도가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다. 흰색의 눈테가 뚜렷하다. 몸 윗면은 노란색이 가미된 녹색이며
턱과 목, 아래꼬리덮깃은 노란색이다. 가슴과 배는 흰색이고 옆구리는 옅은 갈색이다. 다리와 부리
는 검은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나 녹색기가 강하고 옆구리에 갈색기가 없다.
먹이 여름에는 나무 사이를 돌아다니며 작은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고 겨울에는 열매나 과일을 먹
는다. 꽃이 피는 봄이 되면 꽃의 꿀을 먹느라 정신이 없다.
필드 마크 흰색의 눈테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태국, 미얀마
•한국 1년 내내 관찰되며 번식하는 텃새로, 주로 남부지방이나 섬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1년 내내 관찰되고 번식하는 새로, 해안 저지대나 중산간지역 숲에서 주로 관찰되며 겨울
에는 감귤밭에서 귤을 먹느라 정신이 없다.
•한남 지역 봄부터 가을까지 나무 꼭대기층에서 먹이를 찾거나 암컷을 유혹하는 번식송을 하느라
정신이 없다가 겨울이 되면 거의 자취를 감추어 적은 수만이 관찰되는데 제주도 해안이나 과수
원으로 이동하거나 바다를 건너 더 남쪽지역으로 먼 거리를 이동할 가능성이 있지만 확인이 필
요하다.

07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둥지

머리 주요관찰지

동박새 073
멧새 텃새 _ Residents

학명 Emberiza cioide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Meadow Bunting 과명 멧새 과(Emberizidae)
제주명 소낭생이 속명 멧새 속(Emberiza)

몸길이 16cm 서식지 농경지 / 초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풀숲이나 땅 위에 마른 풀줄기나 가는 뿌리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4-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갈색과 밤색의 줄무늬가 얽혀 있는 알을 4-5개 낳고 11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먹이고 알에서 깬 후 약 12일 정도가 지나면 둥지
를 떠난다.
특이행동 새끼를 먹일 때는 적들에게 둥지를 숨기기 위해 둥지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내려앉았다가
조심스럽게 둥지로 다가간다.

형태 암컷과 수컷은 몸색깔이 거의 같다. 머리꼭대기와 등, 날개, 가슴과 배, 꼬리는 갈색이다. 눈썹


선은 흰색이고 턱선은 검은색이다. 턱과 목은 흰색이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색깔이 옅고 턱선이 불
분명하다. 암수 모두 다리는 분홍색이고 부리는 회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나 갈색기가 옅다.
먹이 여름에는 곤충을 먹고 겨울에는 씨앗을 먹는다.
필드 마크 검은 턱선이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한국 1년 내내 보이며 번식을 하는 텃새로, 봄에 억새 줄기를 붙잡고 지저귀는 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다.
•제주도 1년 내내 보이며 번식을 하는 텃새로, 해안 저지대에서 한라산 정상까지 분포한다. 주로
초지대에서 관찰된다.
•한남 지역 봄에 억새줄기나 나뭇가지에 앉아 지저귀는 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으며 초지가 있는
개활지에서 주로 생활한다.

07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알 주요관찰지

멧새 075
노랑턱멧새 텃새 _ Residents

학명 Emberiza elegan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Yellow-throated Bunting 과명 멧새 과(Emberizidae)
속명 멧새 속(Emberiza)

몸길이 15-16cm 서식지 숲 / 덤불이 있는 농경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둥지 잎이 무성한 관목의 가지 위나 나무 밑의 땅 위에 마른 풀이나 풀줄기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


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어두운 갈색의 점이 흩어진 알을 5-6개 낳고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해 1-
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
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먹이고 알에서 깬 후 약 12일 정도가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특이행동 둥지 근처에 적이 나타나면 어미새는 날개를 다친 척하며 적을 유인하는 의태행동을 하기도 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은 몸색깔이 다르다. 수컷은 머리꼭대기, 뺨, 가슴이 검은색이다. 눈썹선과 턱, 목


은 노란색이다. 등은 옅은 갈색 바탕에 갈색의 줄무늬가 있으며 옆구리에도 갈색의 줄무늬가 있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몸색깔이 옅고 검은색 부분이 없다.
어린새 암컷과 비슷하다.
먹이 여름에는 나무나 풀 위를 돌아다니며 곤충을 잡아먹고 겨울이 되면 마른 풀 위에서 씨앗을 찾아먹는다.
특이사항 번식기가 끝나면 수십 마리가 무리를 지어 다니며 먹이를 찾는다.
필드 마크 노란색의 눈썹선과 뒷머리에 짧은 댕기깃이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한국 1년 내내 관찰되는 텃새로, 겨울에는 무리를 지어 다니며 개방된 곳에서 먹이 먹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으나 여름이 되면 숲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관찰이 쉽지 않다.
•제주도 해안 저지대에서 한라산 윗세오름까지 분포한다. 겨울에는 해안 저지대 농경지에서 중산
간지역 숲까지 고르게 분포하며 쉽게 관찰되지만 여름에는 주로 중산간지역 숲에서 생활하기 때
문에 관찰이 쉽지 않다.
•한남 지역 겨울에는 수십 마리씩 무리를 지어 임도 주변에서 풀씨를 주워 먹는데 여름이 되면 인
적이 뜸한 숲속으로 들어가 번식하기 때문에 관찰이 쉽지 않다.

07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새끼새

머리 주요관찰지

노랑턱멧새 077
방울새 텃새 _ Residents

학명 Carduelis sinic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Oriental Greenfinch / 과명 되새 과(Fringillidae)
Grey-capped Greenfinch 속명 방울새 속(Carduelis)

몸길이 14cm 서식지 농경지 / 숲 / 인가주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2-3년

둥지 인가 주변 숲의 소나무에 마른 풀줄기, 솜털, 깃털, 가는 뿌리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


를 만든다. 산란시기 3-6월
산란수 녹색빛이 도는 옅은 푸른색의 바탕에 갈색의 점과 무늬가 산재한 알을 2-5개 낳고 약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새끼새는 약 14일 동안 둥지에서 어미새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자라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은 몸색깔이 같다. 머리는 녹색기가 있는 회색이며 등과 가슴, 배는 갈색이다. 날


개는 검은색이고 노란색의 무늬가 있으며 꼬리는 노란색에 끝에 굵은 검은색의 띠가 있다. 부리와
다리는 분홍색이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몸색깔이 다소 옅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나 몸 전체에 검은색의 점무늬가 산재해 있다.
먹이 여름에는 곤충을 주로 먹으며 봄과 가을, 겨울에는 유채씨나 풀씨를 따먹거나 땅 위에 떨어진
씨앗을 주워 먹는다.
특이사항‘또로롱 또로롱’하는 방울소리를 낸다고 해서 방울새라는 이름을 얻었다.
필드 마크 날개에 노란색의 무늬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사할린, 일본
•한국 1년 내내 관찰되며 번식하는 텃새로, 비교적 이른 시기인 3월부터 번식에 들어간다. 농경지
나 인가 근처 숲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제주도 해안 저지대에서 한라산 고지대까지 고르게 분포하며 사람을 경계하지 않아 관찰이 비교
적 쉽다.
•한남 지역 주로 삼나무나 소나무 주변에서 관찰되며 가을이 되면 어린새들이 수백 마리씩 무리를
지어 돌아다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07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어린새

머리 주요관찰지

방울새 079
어치 텃새 _ Residents

학명 Garrulus glandari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Jay / Eurasian Jay 과명 까마귀 과(Corvidae)
속명 어치 속(Garrulus)

몸길이 33cm 서식지 숲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5년

둥지 가는 나뭇가지나 뿌리를 이용해서 나뭇가지에 속이 다소 깊은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4-6월
산란수 푸른빛이 나는 녹색 바탕에 옅은 갈색의 아주 작은 점들이 산재한 알을 4-6개 낳고 16일 정
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
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먹이고 약 20일 정도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다. 머리와 가슴은 붉은 갈색이고 등은 회색이다. 뺨부분에 검은색
의 띠가 뚜렷하다. 허리는 흰색이고 꼬리는 검은색이다. 접은 날개에 흰색의 반점이 있으며 하늘색
과 검은색이 교차하는 깃털이 눈에 띈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다.
먹이 여름에는 곤충, 도마뱀같은 동물성 먹이를 먹고 심지어 남의 둥지에서 알을 훔쳐먹기도 한다.
가을이 되면 도토리를 저장해 두었다가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 찾아먹기도 한다.
필드 마크 날개의 하늘색과 검은색의 교차된 깃털이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사할린
•한국 1년 내내 관찰되며 번식하는 텃새로, 인가 근처 숲에서 사람을 별로 경계하지 않으며‘갸악
갸악’하는 시끄러운 소리로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주도 1년 내내 관찰되며 번식하는 새로, 중산간지역 숲이나 공원에서 한라산 윗세오름까지 드
물게 관찰되거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한남 지역 먹이를 찾아 돌아다니며 시끄러운 소리를 내기 때문에 임도 주변에서 종종 들을 수 있다.

08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옆모습

둥지

먹이(겨울철) 주요관찰지

어치 081
까치 텃새 _ Residents

학명 Pica pic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Black-billed Magpie / Magpie 과명 까마귀 과(Corvidae)
속명 까치 속(Pica)

몸길이 46cm 서식지 인가 근처 / 농경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10-15년

둥지 교목의 꼭대기층에 나뭇가지를 이용해서 둥근 원형의 큰 둥지를 만든다. 암컷과 수컷이 같이


둥지를 만들며 전신주에 만들기도 한다.
산란시기 2-5월
산란수 푸른색 바탕에 어두운 갈색 점이 산재한 알을 5-7개 낳고 암컷이 약 18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
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먹이고 약 25일 정도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다. 몸 윗면은 검은색이고 어깨깃과 날개 끝부분은 흰색이다. 턱부


터 윗배까지 검은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검은색의 꼬리는 길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다.
먹이 걷거나 껑충껑충 뛰어다니며, 땅 위에서 곤충이나 농작물을 먹는다. 간혹 나무에서 나무열매
를 따 먹기도 한다. 다른 새의 둥지를 침입해서 알이나 새끼를 훔쳐 먹기도 한다.
특이행동 비번식기에는 수백에서 수천 마리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저녁이 되면 잠자리로 이용되
는 장소로 모여든다.
필드 마크 날개의 흰색 띠와 긴 꼬리가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미얀마
•한국 1년 내내 관찰되면서 번식하는 텃새로, 예부터 인가 근처에 서식하면서 좋은 소식을 알려주
는 새였으며 현재는 도심지에서 적응해서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다.
•제주도 1989년 처음 도내로 이입되어 제주도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제
주도 전역에서 관찰된다. 현재 중산간 지역까지 진출한 상태이다.
•한남 지역 시험림 입구에서 2-3마리가 어울려 다니는 것이 종종 관찰된다. 아직까지 까치 둥지가
발견되지 않아 번식은 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08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뒷모습

둥지
ⓒ 최창용

알 주요관찰지

까치 083
큰부리까마귀 텃새 _ Residents

학명 Corvus macrorhyncho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Jungle Crow / Large-billed Crow 과명 까마귀 과(Corvidae)
속명 까마귀 속(Corvus)

몸길이 57cm 서식지 숲 / 인가근처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10-15년

둥지 교목의 꼭대기층에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두꺼운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동물의 털을 깐다.
산란시기 4-6월
산란수 푸른 빛이 도는 녹색 바탕에 갈색 점이 흩어져 있는 알을 3-6개 낳고 암컷이 약 15일 정도 품
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
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키운다.

형태 몸 전체가 검은색이다. 부리는 크고 두툼하며 부리와 이마가 맞닿는 곳의 각이 크게 져 있다.


부리와 다리도 검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나 부리와 이마의 각이 다소 완만하다.
먹이 죽은 동물의 사체나 곤충 등 동물성 먹이와 나무열매, 농작물같은 식물성 먹이를 섭취하는 잡
식성인 새이다. 다른 새 둥지의 알이나 새끼를 꺼내먹고 둥지를 파괴하기도 한다. 등산로나 숲에서
사람들이 버린 음식물찌꺼기를 먹기 위해 사람들을 따라다니기도 한다.
필드 마크 부리가 크고 두툼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필리핀
•한국 1년 내내 관찰되며 번식하는 텃새로, 주로 숲이나 숲 가장자리, 인가 근처에서 쉽게 관찰되
며 번식기가 지나면 무리를 지어 다닌다.
•제주도 해안 저지대 인가 근처에서 한라산 정상까지 고르게 분포하며 사람을 경계하지 않기 때
문에 관찰이 쉽다.
•한남 지역 삼나무나 소나무 꼭대기에 둥지가 종종 관찰되며 숲속이나 숲 상공을 돌아다니며 시끄
럽게 울어대기 때문에 쉽게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08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둥지

새끼새

머리 주요관찰지

큰부리까마귀 085
뻐꾸기 여름철새 _ Summer Visitors

학명 Cuculus canorus 목명 두견이 목(CUCULIFORMES)


영명 Common Cuckoo 과명 두견이 과(Cuculidae)
속명 두견이 속(Cuculus)

몸길이 33cm 서식지 평지와 산지의 숲 / 인가 근처 숲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수명 10년

둥지 둥지를 따로 만들지 않고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대신 키우게 하는 탁란 습성을 가진 새이다.


나무꼭대기나 상공을 날아다니며 탁란할 둥지를 찾으며 주로 붉은머리오목눈이 둥지에 알을 낳는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대리모의 알 색깔과 비슷한 푸른색의 알을 낳는다. 1개의 둥지에 1개의 알을 낳으며 보통
10-20개의 알을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주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
이다. 뻐꾸기 새끼는 알에서 부화한 후 이틀 정도 지나서 부화하지 않은 알이나 새끼를 등으로 밀어
둥지 밖으로 떨어뜨린다. 약 18일 정도 먹이를 받아먹으며 성장한 후 둥지를 떠난다.

형태 날개 폭은 좁고 길다. 몸 윗면은 회색이고 배는 흰색 바탕에 가는 검은색의 가로줄이 있다. 홍


채는 노란색이며 눈테 또한 노란색이다. 몸 전체가 붉은색을 띠는 적색형 개체도 있다. 주로 소리로
구분하는데‘뻐꾹뻐꾹’하고 운다.
어린새 몸 윗면은 회색이 섞인 어두운 갈색을 띠며 깃 가장자리에 흰색의 반점이 있다. 가슴과 배에
어두운 갈색의 가로줄 무늬가 있으며 홍채는 짙은 갈색이다.
먹이 주로 송충이를 잡아먹으며 곤충을 먹기도 한다.
필드 마크 주로 소리로 구분하며 외형상으로는 배의 가는 검은색 가로줄무늬를 본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나무꼭대기나 전깃줄에 앉아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제주도 5월부터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며 주로 해안 저지대나 해발 400m이하의 중산간지역 초지대에
서 관찰된다. 한라산 정상 부근 초지대에서도 탁란할 둥지를 찾아다니는 1-2마리를 관찰할 수 있다.
•한남 지역 5월부터 7월까지 나무꼭대기나 상공을 날아다니며 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지만 그리
흔하지는 않다.

08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윗모습

먹이 주요관찰지

뻐꾸기 087
두견이 여름철새 _ Summer Visitors

학명 Cuculus poliocephalus 목명 두견이 목(CUCULIFORMES)


영명 Lesser Cuckoo / Little Cuckoo 과명 두견이 과(Cuculidae)
속명 두견이 속(Cuculus)

몸길이 27cm 서식지 평지나 산지의 숲 / 인가 근처 숲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하지 않음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447호

둥지 둥지를 따로 만들지 않고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대신 키우게 하는 탁란 습성을 가진 새


이다. 나무 꼭대기나 상공을 날아다니며 탁란할 둥지를 찾으며 주로 휘파람새 둥지에 알을 낳는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대리모의 알 색깔과 비슷한 짙은 갈색의 알을 낳는다. 1개의 둥지에 1개의
알을 낳으며 보통 10-20개의 알을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주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
이다. 두견이 새끼는 알에서 부화한 후 이틀 정도 지나서 부화하지 않은 알이나 다른 새의 새끼를
등으로 밀어 둥지 밖으로 떨어뜨린다. 약 18일 정도 먹이를 받아먹으며 성장한 후 둥지를 떠난다.

형태 우리나라에서 관찰되는 뻐꾸기들 중 크기가 가장 작다. 몸 윗면은 회색이며 배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의 가로줄이 굵다. 목과 가슴은 회색이다. 홍채는 어두운 갈색이며 눈테는 노란색이다.
어린새 몸 윗면은 어두운 갈색이며 날개깃에 흰색의 반점이 있다. 턱과 목은 흐릿한 갈색이며 배의
흑갈색 줄무늬가 선명하지 않다. 먹이 주로 송충이를 잡아먹고 곤충을 먹기도 한다.
필드 마크 주로 소리로 구분하고 다른 뻐꾸기들에 비해 몸집이 작다는 것도 구분하는 특징이 된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우수리,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한국 흔하지 않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상공을 날아다니거나 나무꼭대기나 나뭇가지에 앉아 우
는 소리를 종종 들을 수 있다.
•제주도 해안가 저지대에서 한라산 정상까지 고르게 분포하며 휘파람새의 분포권과 일치하는 경
향이 있다. 여름에 흔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나무꼭대기에 앉아 있는 모습도 종종 관찰된다.
주로 휘파람새 둥지에 탁란을 하며 굴뚝새 둥지에 탁란하기도 한다.
•한남 지역 5월부터 7월까지 나무 꼭대기나 상공을 날면서 우는 소리를 종종 들을 수 있으며 휘파
람새 둥지에 탁란한 것을 종종 목격할 수 있다.

08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새끼새

대리모

먹이 주요관찰지

두견이 089
칼새 여름철새 _ Summer Visitors

학명 Apus pacificus 목명 칼새 목(APODIFORMES)


영명 White-rumped Swift / 과명 칼새 과(Apodidae)
Fork-tailed Swift / Pacific Swift 속명 칼새 속(Apus)

몸길이 19cm 서식지 고산 절벽 / 바닷가 절벽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수명 10-15년

교미형태 무리를 지어 시끄럽게 교미비행을 하며 교미도 공중에서 이루어진다.


둥지 바위 절벽 사이의 틈 속에 해초나 마른 풀줄기에 침을 섞어 벽에 부착시키며 밥그릇 모양의 둥
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2-3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해
1-2일정도 어미새가 품어주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이다.

형태 몸은 전체적으로 검고 허리는 흰색이다. 목은 갈색기가 도는 흰색이다. 날개는 낫 모양으로 뾰


족하다. 꼬리는 제비꼬리형이고 배부분에 흰색의 희미한 줄무늬가 있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다.
먹이 곤충을 잡아먹는다. 주로 높은 하늘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곤충 중에서도 벌이나 파리같은 날
아다니는 곤충을 잡아먹는다.
필드 마크 낫모양의 뾰족한 날개와 제비형 꼬리가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시베리아, 일본, 대만, 필리핀,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반도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봄철 이동시기에 도심지 상공을 지나가기도 한다. 바닷가나
산지의 바위 절벽에서 번식을 한다.
•제주도 차귀도, 우도, 마라도 등 제주도 인근 섬의 해안절벽과 한라산 백록담 암벽에서 번식한다.
•한남 지역 숲 상공을 무리지어 날아다니며 짝짓기 비행을 하거나 곤충을 잡아먹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09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아래모습

앞모습

무리비행 주요관찰지

칼새 091
호반새 여름철새 _ Summer Visitors

학명 Halcyon coromanda 목명 파랑새 목(CORACIIFORMES)


영명 Ruddy Kingfisher 과명 물총새 과(Alcedinidae)
속명 호반새 속(Halcyon)

몸길이 27cm 서식지 계곡 주변의 울창한 숲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하지 않음

둥지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 속에 둥지를 만들며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아름다운 소리로 암컷


을 유혹한다.
산란시기 6-7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5개 정도 낳고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형태 몸은 붉은색을 띠는 주황색으로 선명하고 부리와 다리는 붉은색이다. 부리는 길고 두껍다. 허


리에 하늘색의 가늘고 긴 타원형의 무늬가 뚜렷하다.
어린새 어미새보다 몸색깔이 옅다. 부리색도 어미새에 비해 옅다. 몸 아랫면에 흐릿한 갈색의 비늘
무늬가 있다.
먹이 곤충 중에서도 매미를 주로 먹으며 계곡에 고인 물에 사는 물고기나 개구리 등도 즐겨 잡아먹
는다. 먹이를 잡으면 나무나 바위에 부딪쳐 기절시킨 후 먹는다.
필드 마크 몸 전체가 붉은색을 띠는 주황색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 보르네오, 태국, 말레이시아반도
•한국 흔하지 않은 여름철새로, 계곡이 있는 울창한 숲에서 주로 관찰된다.
•제주도 중산간지역 계곡 주변의 울창한 숲에서 드물게 번식을 한다. 계곡 주변 도로에서 교통사
고 당한 어린새가 구조되기도 한다.
•한남 지역 5월에는 주로 수컷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6월부터 8월까지 먹이를 찾아 계곡과
계곡 주변 숲을 날아다니는 모습이 종종 관찰된다.

09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 지남준

뒷모습

먹이 주요관찰지

호반새 093
팔색조 여름철새 _ Summer Visitors

학명 Pitta nymph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Fairy Pitta 과명 팔색조 과(Pittidae)
속명 팔색조 속(Pitta)

몸길이 18cm 서식지 계곡 주변이나 어둡고 습한 숲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희귀함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204호 /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둥지 홈이 있는 큰 바위나 3-4갈래로 나눠진 나무줄기 사이에 나뭇가지와 이끼를 이용해 타원형의


큰 둥지를 만들고 입구는 옆으로 향한다. 산란시기 6-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흩어진 알을 4-6개 낳으며 약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를 먹이며 약 12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여덟 가지 이상의 몸빛 덕분에 아름다운 새로 손꼽힌다. 땅 위에서 주로 먹이를 잡기 때문에


꼬리가 짧고 다리가 길다. 등은 녹색이고 허리는 하늘색, 배는 붉은색이다. 검은색의 눈선과 옅은
노란색의 눈썹선이 있다. 머리 꼭대기는 밤색이며 가슴은 옅은 갈색이다. 다리는 분홍색이다. 날개
에 흰색의 반점이 있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다.
먹이 습하고 낙엽이 두껍게 쌓인 땅 위를 돌아다니며 낙엽을 들춰 지렁이를 주로 잡아먹으며 간혹
곤충이나 도마뱀을 잡아먹기도 한다.
필드 마크 화려한 몸색깔과 짧은 꼬리로 구분할 수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대만, 일본, 보르네오(월동지)
•한국 번식을 하러 찾아오는 희귀한 여름철새로, 거제도, 보길도, 대전, 지리산 등지에서 번식한
기록이 있다. 이동시기에는 경기도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제주도 해발 100m에서 800m까지 주로 분포하며 계곡이나 인근 숲, 곶자왈 등지에서 70쌍 정도
번식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더 많은 쌍이 번식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남 지역 5월 말부터 팔색조가 관찰되기 시작하며 짝을 찾는 소리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
고 계곡 인근의 큰 바위나 나무줄기에 튼 둥지를 종종 목격할 수 있다.

09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둥지

새끼새

먹이 주요관찰지

팔색조 095
제비 여름철새 _ Summer Visitors

학명 Hirundo rustic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Barn Swallow / House Swallow 과명 제비 과(Hirundinidae)
속명 제비 속(Hirundo)

몸길이 17cm 서식지 인가 근처 농경지 / 하천 / 숲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보호유무 농경지의


감소와 더불어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보호가 요구되는 종임
수명 5년

둥지 비가 들지 않는 처마 밑에 진흙과 마른 풀줄기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으로 만든다.


산란시기 4-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갈색의 점이 산재해 있는 알을 5-6개 낳으며 약 보름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를 먹이며 약 20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다. 몸의 윗면은 검은색이고 가슴과 배는 흰색이다. 목과 가슴의 경


계 부분에 검은색의 굵은 띠가 있다. 이마와 턱은 붉은색이며 깊게 패인 꼬리가 특징적이다.
어린새 이마와 턱의 붉은색기가 약하며 가슴과 배에 붉은색을 띠기도 한다.
먹이 하늘을 빠르게 날아다니며 파리나 벌, 잠자리같은 날아다니는 곤충을 낚아채 먹는다.
필드 마크 깊게 패인 꼬리와 붉은색의 턱이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반도
•한국 여름에 번식하기 위해 찾아오는 여름철새로, 시골에서는 아직까지 흔하게 관찰되지만 도시
에서는 먹이와 둥지자리 부족으로 관찰하기 어렵다.
•제주도 흔하게 관찰되는 여름철새로, 처마 밑에 둥지를 틀며 가을에 월동지로 떠나기 전 도심지
전깃줄에 수천에서 수만 마리가 모여 장관을 이루기도 한다.
•한남 지역 봄, 여름, 가을에 숲 상공에서 먹이 잡는 것이 관찰되며 숲 내에 둥지를 지을 집이 없기
때문에 단지 먹이터로 이용된다.

09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새끼새

새끼 먹이기

머리 주요관찰지

제비 097
흰눈썹황금새 여름철새 _ Summer Visitors

학명 Ficedula zanthopygi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Tricolor Flycatcher / 과명 딱새 과(Muscicapidae)
Yellow-rumped Flycatcher 속명 황금새 속(Ficedula)

몸길이 13cm 서식지 울창한 숲 / 공원 / 정원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하지 않음


보호유무 몇 년 사이 급격히 번식개체수가 감소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을 밝히는 일이 시급함

둥지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이나 딱따구리 헌 둥지, 인공새집에 마른 풀줄기를 이용하여 둥지


를 만든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붉은 갈색의 얼룩무늬가 산재한 알을 4-6개 낳고 암컷이 약 10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같이 새끼새를 먹이고 약 15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다르다. 수컷의 허리와 몸 아랫면은 노랗고, 몸 윗면은 검은색이며,
흰색 눈썹선이 뚜렷하다. 암컷의 허리는 노란색, 몸 윗면은 녹색을 띤 갈색이다. 몸 아랫면은 옅은
노란색이다. 눈썹선이 없다. 암수 모두 날개에 흰 반점이 있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다.
먹이 숲 내 다소 개방된 하층 부위에서 나뭇가지에 앉아 있다가 먹이가 보이면 날아올라 낚아채서
먹는다.
필드 마크 흰색의 눈썹선과 노란색의 허리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동부, 말레이시아반도
•한국 흔하지 않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해안가 숲이나 섬에서 관찰되기
도 한다.
•제주도 봄 이동시기에 바닷가 근처 숲이나 섬에서 관찰되며 여름에는 중산간 지역의 울창한 숲
에서 번식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봄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번식이 시작되는 5월이 되면 나뭇가지에 앉아 암컷을 유혹
하기 위해 아름다운 소리로 지저귀는 수컷의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09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옆모습 주요관찰지

흰눈썹황금새 099
큰유리새 여름철새 _ Summer Visitors

학명 Cyanoptila cyanomelan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Blue-and-white Flycatcher 과명 딱새 과(Muscicapidae)
속명 큰유리새 속(Cyanoptila)

몸길이 16-17cm 서식지 계곡 / 숲 / 공원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둥지 바위나 절벽 틈, 흙벽의 틈에 이끼를 이용해서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3-5개 낳으며 암컷이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같이 새끼새를 먹이고 약 10일 정도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알에서 깬
후 초반에는 곤충 애벌레와 같이 부드러운 먹이를 먹이다가 새끼새가 둥지를 떠날 때쯤 되면 버찌
같은 나무열매를 먹인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다르다. 수컷은 이마부터 등, 날개, 꼬리까지 푸른색을 띠며, 목과 뺨,
가슴은 검은색으로 배의 흰색과 대조를 이룬다. 암컷의 몸 윗면은 어두운 갈색이다. 꼬리는 붉은 갈
색이다. 턱과 목은 흰색이고 가슴은 갈색이다. 배는 흰색이다.
어린새 수컷 어린새는 머리와 등 가슴은 갈색이고 날개와 꼬리는 푸른색이다. 배는 희다.
먹이 날아다니는 곤충을 공중에 날아올라 낚아채서 먹는다. 간혹 나무열매를 먹기도 한다.
필드 마크 몸이 푸른색으로 보이고 흰색의 배와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필리핀, 보르네오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계곡이나 숲에서 주로 번식하고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해안
가 숲이나 섬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제주도 주로 계곡 주변 울창한 숲에서 번식한다. 봄이 되면 나뭇가지에 앉아 아름다운 소리로 지
저귀며 암컷을 유혹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봄에 계곡 주변 숲의 나뭇가지에 앉아 있거나 아름다운 소리로 지저귀는 모습을 종종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계곡의 바위 틈이나 흙벽 사이에 튼 둥지가 목격되기도 한다.

010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둥지

앞모습 주요관찰지

큰유리새 0101
삼광조 여름철새 _ Summer Visitors

학명 Terpsiphone atrocaudat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Black Paradise Flycatcher 과명 까치딱새 과(Monarchidae)
속명 삼광조 속(Terpsiphone)

몸길이 암컷 18cm / 수컷45cm 서식지 습하고 울창한 숲 / 계곡 주변 숲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


하지 않음 보호유무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둥지 Y자형의 나뭇가지나 넝쿨, 잔가지가 있는 일자형 나뭇가지에 이끼와 나무껍질을 거미줄로 붙


여서 역삼각형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외부에 깃털이나 지의류를 붙여 위장한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붉은 갈색의 작은 점이 산재해 있는 알을 3-5개 낳고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품는다. 약 13일 정도 품은 후 새끼가 부화한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함께 새끼를 키우며 약 12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다르다. 형광빛이 나는 푸른색 눈테와 부리가 특징이다. 뒷머리에는
짧은 댕기깃이 있으며, 머리는 광택 나는 검은색이다. 등과 날개, 허리는 어두운 자주색이고 검은
수컷의 꼬리깃은 몸 크기의 두 배가 넘는다. 암컷은 등과 날개 꼬리가 갈색이다.
어린새 몸색깔이 암컷과 비슷하다.
먹이 나비나 나방, 파리 등 날아다니는 곤충을 공중에서 낚아채서 먹는다.
특이사항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나뭇가지 사이를 날아다니며 아름다운 소리를 낸다. 이 소리가 흡사
일본어의‘해, 달, 별’의 발음과 비슷하다고 해서 삼광조라는 이름이 붙었다.
필드 마크 눈과 부리의 푸른 형광색이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필리핀, 수마트라, 보르네오
•한국 흔하지 않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울창한 숲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여름에 번식하러 찾아오는 여름철새로, 제주도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며, 계곡 주변이나
곶자왈 등 사람 출입이 드문 울창한 숲에서 번식한다. 간혹 산책로 주변 나무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한남 지역 봄과 여름에 계곡 주변이나 숲 내 중간층에서 주로 관찰되며 독특한 소리로 지저귀는
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다.

10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새끼 먹이기

머리

암컷 주요관찰지

삼광조 103
벌매 나그네새 _ Passage Migrants

학명 Pernis ptilorhynchus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Oriental Honey Buzzard 과명 수리 과(Accipitridae)
속명 벌매 속(Pernis)

몸길이 암컷 61cm / 수컷 57cm 서식지 평지 / 산지 / 개활지 도래시기 봄 / 가을 개체수 흔하지 않음


수명 25년 보호유무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교목에 나뭇가지와 풀을 이용하여 넓은 쟁반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보통 붉은 갈색의 무늬가 있는 흰색 또는 황백색의 알을 2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
성이다.

형태 몸 윗면은 보통 어두운 갈색이나 갈색을 띠며 아랫면은 깃 색깔과 무늬가 다양하여 갈색인 개


체뿐만 아니라 밝거나 어두운 개체 등이 있다. 다른 맹금류에 비해 머리가 작고 목이 긴 편이다. 목
에 검은색의 세로줄무늬가 있다. 암수 깃털색은 거의 같지만 홍채는 수컷이 주황색이고 암컷이 노
란색이다.
어린새 몸 윗면은 갈색을 띠며 납막은 노란색으로 성조의 회색과 다르다.
먹이 주로 벌이나 그 애벌레를 먹고 벌이 없는 시기에는 작은 포유류나 곤충류 등을 잡아먹는다.
필드 마크 비행시 머리가 작고 다른 맹금류에 비해 목이 길어 보인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한국 흔하지 않은 나그네새로, 평지, 산지 등지에서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무리를 지어 지나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제주도 봄과 가을 적게는 20여 마리에서 많게는 100여 마리가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8월에 어린새의 사체가 발견되어 앞으로 번식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한남 지역 주로 가을철 이동시기인 9월과 10월에 10여 마리 안팎의 개체수가 무리를 이루어 숲
상공에서 선회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간혹 6월, 7월, 8월에 관찰되어 번식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10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윗모습

아래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벌매 105
조롱이 나그네새 _ Passage Migrants

학명 Accipiter gularis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Japanese Lesser Sparrowhawk 과명 수리 과(Accipitridae)
속명 새매 속(Accipiter)

몸길이 암컷 30cm / 수컷 27cm 서식지 평지나 야산의 숲 / 숲 주변의 개활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하지 않음 수명 10년 보호유무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에 주로 둥지를 만드는데, 나뭇가지를 이용해서 넓은 쟁반 모양으로 만
든다. 알자리에는 살아 있는 나뭇잎을 깔기도 한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알은 흰색이거나 붉은 갈색의 무늬가 간혹 있는 경우도 있다. 보통 3-5개의 알을 낳으며 알은
낳는 순서대로 부화한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성으로, 알에서 깬 후 25일 전후로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작은 크기의 맹금류에 속하며 노란색의 눈테가 특징적이다. 노란 납막이 있으며 다리도 노란


색이다. 수컷은 배에 주황색의 가로줄무늬가 있으며 홍채는 주황색인 반면, 암컷은 가슴과 윗배에
어두운 갈색의 가로줄 무늬가 있고 홍채는 노란색이다. 날개를 펼쳤을 때 날개 끝은 5개의 손가락
을 편 것처럼 보인다.
어린새 가슴과 배에 어두운 갈색의 세로줄무늬가 있지만 배 부분에는 굵은 가로줄무늬가 더 선명하
게 보인다. 눈썹선이 희미하게 있다.
먹이 나무 사이를 날아다니며 주로 박새류나 지빠귀류 크기의 산새를 사냥해 먹지만, 작은 설치류
나 곤충을 먹기도 한다. 필드 마크 노란색의 눈테와 납막이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 태국, 싱가포르
•한국 번식도 하면서 1년 내내 관찰되는 텃새이지만, 번식하는 모습은 보기 어렵고 주로 봄과 가
을 이동시기에 관찰된다.
•제주도 겨울에 드물게 관찰되며 해안지역에서 중산간지역까지 분포한다. 번식기에 관찰기록이
없어 번식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한남 지역 가을과 겨울에 개활지나 숲에서 관찰되며 개활지 상공을 날아다니거나 나무 사이를 돌
아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0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뒷모습

어린새 주요관찰지

조롱이 107
솔딱새 나그네새 _ Passage Migrants

학명 Muscicapa sibiric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Sooty Flycatcher / Dark-sided Flycatcher 과명 딱새 과(Muscicapidae)
속명 솔딱새 속(Muscicapa)

몸길이 13cm 서식지 시야가 확보된 숲 / 숲 가장자리 도래시기 봄 / 가을 개체수 흔함 수명 5년

둥지 교목 꼭대기 근처 수평으로 뻗은 나뭇가지에 솔잎과 이끼를 이용해서 컵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6-7월
산란수 푸른빛이 도는 흰색 바탕에 옅은 갈색의 불분명한 점이 있는 알을 3-5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몸의 윗면은 갈색이 강한 회색이며, 가슴과 옆구리는 짙은 회갈


색, 목과 배는 흰색이다. 흰 눈테는 뚜렷하지만 눈앞은 흐리다. 턱은 흰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
색이고 다리가 짧다.
어린새 몸 윗면에 둥글고 흰색의 반점이 있다. 가슴과 옆구리에는 갈색의 흐릿한 점이 흩어져 있다.
먹이 주로 시야가 확보된 숲이나 숲 가장자리의 꼭대기층에서 날파리 같은 작은 곤충을 잡아먹으
며, 나뭇가지에 앉아 있다가 곤충이 날아들면 잽싸게 날아올라 낚아챈 뒤 제자리로 돌아온다.
필드 마크 가슴과 옆구리의 짙은 회갈색이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캄차카반도, 일본, 필리핀, 미얀마, 태국
•한국 흔하지 않게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면서 북한에서는 드물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주로 봄에
섬과 내륙의 가장자리가 확 트인 숲이나 공원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바닷가 근처 숲이나 섬, 중산간지역 숲에서 관찰된다. 빽빽한 숲보
다는 시야가 확보되어 날면서 곤충을 잡을 수 있는 숲을 선호한다.
•한남 지역 가을에 임도 주변 나무 꼭대기층의 나뭇가지에 앉아 있거나 날아올라 먹이를 낚아채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10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옆모습

먹이 주요관찰지

솔딱새 109
제비딱새 나그네새 _ Passage Migrants

학명 Muscicapa griseistict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Grey-spotted Flycatcher / 과명 딱새 과(Muscicapidae)
Grey-streaked Flycatcher 속명 솔딱새 속(Muscicapa)

몸길이 14-15cm 서식지 시야가 확보된 숲 / 숲 가장자리 도래시기 봄 / 가을 개체수 흔함

둥지 알려진 바 없다.
산란시기 알려진 바는 없으나 다른 솔딱새류와 마찬가지로 6-7월일 가능성이 높다.
산란수 알려진 바 없다.
부화형태 다른 솔딱새류의 부화형태로 추정해 보건대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없이 태어나 둥지를 떠
날 때까지 어미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하는 만성성일 가능성이 높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솔딱새와 아주 비슷하게 생겼으나, 가슴과 배에 회갈색 반점이
세로로 줄지어 있어 구별된다. 우리나라에서 관찰되는 솔딱새류 중 가장 크다. 몸 윗면은 어두운 회
색을 띠는 갈색이고 날개에 흰색의 줄무늬가 보인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고 눈테는 흰색이다.
눈앞의 흰색 부분은 불명확하다.
어린새 몸 윗면에 흰색의 반점이 보인다. 가슴과 옆구리의 세로줄무늬도 어미새보다 옅다.
먹이 작은 파리와 같은 날아다니는 곤충을 주로 잡아먹는다. 나뭇가지에 앉아 있다가 곤충이 보이
면 잽싸게 날아올라 낚아챈 뒤 제자리로 돌아온다.
필드 마크 가슴과 옆구리에 회갈색의 세로줄무늬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캄차카반도, 사할린, 일본, 필리핀
•한국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가장자리가 확 트여 시야가 확보된 숲을 선호한다. 백두산에
서 6월과 7월에 여러 마리가 잡혔다는 문헌기록『조선조류지』
( , 1963)을 참고로 유추해 보면 백두산
지역에서 번식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제주도 봄과 가을에 바닷가 근처 숲이나 중산간지역 숲에서 먹이 낚아채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한남 지역 봄과 가을에 임도 주변의 높은 나뭇가지에 앉아 있거나 먹이를 낚아채려고 날아오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11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머리

먹이 주요관찰지

제비딱새 111
쇠솔딱새 나그네새 _ Passage Migrants

학명 Muscicapa dauuric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Asian Brown Flycatcher 과명 딱새 과(Muscicapidae)
속명 솔딱새 속(Muscicapa)

몸길이 13cm 서식지 시야가 확보된 숲 / 숲 가장자리 도래시기 봄 / 여름 / 가을 개체수 흔함

둥지 소나무나 밤나무같은 교목의 꼭대기층 나뭇가지에 이끼를 이용해서 컵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거미줄을 이용해서 매단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푸른빛 도는 흰색의 알을 4-5개 낳고 약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함께 새끼를 키우며 약 13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솔딱새와 비슷하지만, 가슴과 옆구리가 밝은 회색이어서 구별된
다. 몸 윗면은 회색이 섞인 갈색이지만 다른 솔딱새류에 비해 다소 밝다. 턱과 목, 배는 흰색이다. 부
리와 다리는 검은색이고 다리는 짧다. 부리 기부에 빳빳한 털이 나 있어 먹이를 잡을 때 유리하다.
어린새 머리와 등에 흰색의 반점이 흩어져 있다. 날개의 흰색 띠가 어미새보다 선명하다.
먹이 작은 파리와 같은 날아다니는 곤충을 낚아채서 먹는다.
필드 마크 가슴과 옆구리는 밝은 회색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일본, 필리핀, 태국
•한국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면서 드물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숲 가장자리나 공원 등지에
서 관찰된다.
•제주도 주로 봄과 가을 해안가 숲이나 마라도 등에서 관찰되었으나 2007년 7월 어미새를 따라다
니는 쇠솔딱새 어린새가 관음사 부근과 어리목에서 관찰되어 제주도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한남 지역 봄, 가을에 임도 주변 나뭇가지에 앉아 있거나 먹이를 잡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제주
도 내 번식이 확인된 지역과 고도와 환경이 비슷하기 때문에 번식 가능성이 있으나 확인된 바
는 없다.

11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옆모습

어린새

먹이 주요관찰지

쇠솔딱새 113
원앙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Aix galericulata 목명 기러기 목(ANSERIFORMES)


영명 Mandarin Duck 과명 오리 과(Anatidae)
속명 원앙 속(Aix)

몸길이 41-47cm 서식지 숲 / 계곡 / 강 / 저수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하지 않음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327호

둥지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이나 딱따구리 헌 둥지에 자신의 몸에서 뽑은 솜털을 깔고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4-6월 산란수 옅은 갈색의 알을 7-14개 정도 낳고 암컷이 약 30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를 가지고 태어나며 한두 시간 정도 지나 솜털이 마르면 둥지에서 뛰어내려 어미
새를 따라 나서는 조성성인 새이다. 암컷이 새끼 먹이고 돌보는 것을 전담한다.
특이행동 수컷은 짝짓기 전에는 암컷을 다른 수컷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해 항상 옆에 붙어 다니며
암컷을 감시하지만 짝짓기가 끝나고 나면 떠나버린다.

형태 수컷과 암컷의 몸색깔이 다르다. 수컷은 몸빛이 화려하다. 눈앞과 목, 옆구리는 주황색이고 가
슴은 보라색이며 꼬리는 어두운 갈색이다. 짙은 주황색의 부채 모양의 장식깃이 특징이다. 배는 흰
색이고 다리와 부리는 붉은색이다. 암컷은 몸 전체가 어두운 갈색이고 가슴과 옆구리에 흰색의 둥
근 반점이 나열되어 있다. 흰색의 눈선이 있으며 부리는 검은색이다.
먹이 여름에는 숲속 개울이나 습지에서 수서곤충이나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먹으며 가을과 겨울에
는 주로 도토리를 주워 먹으며 생활한다.
필드 마크 수컷은 몸색깔이 화려하고 암컷은 흰색의 눈선이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한국 번식하는 텃새이면서 북쪽에서 번식을 마치고 찾아오는 겨울철새이기도 하다. 여름에는 새끼
를 돌보는 암컷이 주로 관찰되며 겨울에는 암컷과 수컷이 짝을 이루어 같이 다니는 모습이 관찰된다.
•제주도 겨울을 지내기 위해 찾아오며, 중산간지역 산간 계곡에서 수백에서 수천 마리가 관찰된
다. 낮에는 주로 계곡물이나 나뭇가지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저녁이 되면 도토리가 있는 숲으로
날아가 먹이를 먹는다.
•한남 지역 겨울에 물이 고인 습지에서 1-2마리가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되며 간혹 맹금류에
게 잡아먹힌 깃털이 습지 주변에 널려 있기도 하다.

11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깃다듬기

변환깃

깃털들(맹금류 습격 흔적) 주요관찰지

원앙 115
새매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Accipiter nisus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Eurasian Sparrowhawk 과명 수리 과(Accipitridae)
속명 새매 속(Accipiter)

몸길이 암컷 39cm / 수컷 32cm 서식지 평지나 산지의 숲 / 개활지 / 농경지 도래시기 겨울


개체수 흔하지 않음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323-4호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소나무나 편백나무 등의 침엽수 위에 나뭇가지를 이용해서 넓은 쟁반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알자리에는 나무껍질이나 잎을 깔아 알을 보호한다. 산란시기 4-5월
산란수 붉은 갈색의 점이 있는 푸른 회색의 알을 보통 4-6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
성으로, 약 30일 정도 먹이를 받아먹으면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참매와 비슷하게 보이나 몸집이 작고 눈썹선이 가늘다. 몸 윗면은 푸른 회색이며 암컷은 갈색


기가 있다. 눈은 노란색이다. 수컷은 배에 주황색의 가로줄무늬가 있고 암컷은 갈색의 가로줄무늬
가 있고 눈썹선이 수컷에 비해 뚜렷하다. 날개를 펼치고 날 때 6개의 칼깃(날개 끝에 손가락 모양으로 보
이는 깃털들)이 보인다.
어린새 가슴에 갈색의 줄무늬가 굵다. 몸 윗면의 깃털은 가장자리가 옅은 갈색으로 비늘무늬처럼
보인다. 희미한 눈썹선이 있다.
먹이 주로 작은 크기의 산새를 사냥해 먹는다. 나무 사이나 덤불 근처를 날면서 놀라 달아나는 새를
쫓아가서 사냥한다.
필드 마크 배의 가로줄무늬와 가늘고 흰 눈썹선이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한국 예전에는 번식하는 텃새로 알려졌으나 번식이 확인되지 않아 현재는 겨울철새로 구분된다.
•제주도 겨울에 드물게 관찰되며 과수원, 중산간지역 및 해안가 숲 등지에서 작은 산새를 사냥하
는 것을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봄, 가을, 겨울에 숲의 나무 사이를 잽싸게 날아다니거나 상공을 날아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1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비행

앞모습 주요관찰지

새매 117
참매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Accipiter gentilis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Goshawk / Northern Goshawk 과명 수리 과(Accipitridae)
속명 새매 속(Accipiter)

몸길이 암컷 56cm / 수컷 50cm 서식지 평지와 산지의 숲 / 농경지 / 하천 도래시기 겨울


개체수 흔하지 않음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323-1호 /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의 나무 위에 나뭇가지를 쌓아 넓은 쟁반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같은 둥
지를 보수해서 수년 동안 사용하기도 한다.
산란시기 4-6월
산란수 푸른빛이 도는 흰색의 알을 보통 2-4개 낳는다.
부화형태 새끼는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성으로, 35-40일 정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한 후 둥지를 떠난다.

형태 몸집이 큰 새매류로 눈썹선이 희며 뚜렷하다. 몸 윗면은 짙은 푸른 회색이고 아랫면에는 흰색


바탕에 가늘며 어두운 갈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다. 날개를 펼쳤을 때 6개의 칼깃이 보인다. 아래꼬
리덮깃은 흰색이다. 수컷은 홍채가 주황색이거나 노란색이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와 등에 갈
색기가 강하고 홍채는 노란색이다.
어린새 몸이 전체적으로 갈색기가 강하다. 몸 아랫면에는 짙은 갈색의 굵은 세로줄무늬가 있다. 눈
썹선은 어미새에 비해 뚜렷하지 않다. 홍채는 노란색이다.
먹이 박새나 비둘기 크기의 새나 작은 포유류를 주로 사냥하며 오리나 백로와 같은 몸집이 큰 새를
사냥하기도 한다. 민첩하게 움직이며 공중이나 땅 위에서 먹이를 사냥한다.
필드 마크 흰색의 눈썹선이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한국 주로 겨울에 관찰되는 겨울철새였으나 2006년에 충청북도에서 번식이 확인된 바 있다.
•제주도 겨울에 1-2개체가 저지대 숲이나 과수원, 중산간지역의 산림 등에서 관찰된다.
•한남 지역 겨울에 주로 관찰되나 봄에 간혹 관찰되기도 하며 숲 상공이나 나무 사이를 날아다니
며 작은 산새를 사냥한다.

11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어린새 주요관찰지

참매 119
말똥가리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Buteo buteo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Common Buzzard 과명 수리 과(Accipitridae)
속명 말똥가리 속(Buteo)

몸길이 암컷 56cm / 수컷 52cm 서식지 농경지 / 습지 / 평지와 산지의 숲 / 하천 도래시기 겨울


개체수 흔함 수명 25년 보호유무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교목 위에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넓은 쟁반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알자리에는 풀을 깐다. 한번
만든 둥지는 여러 해 반복 사용한다. 산란시기 4-6월
산란수 붉은 갈색의 점이 있는 흰색의 알을 2-4개 정도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
성으로, 늦게 태어난 새끼는 먼저 태어난 새끼의 공격을 받아 부상당하거나 죽기도 하며 알에서 깬
후 약 40일 전후로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개체마다 깃털의 색깔을 달리하는 변이가 심한 편이다. 몸의 윗면은 어두운 갈색이고 아랫면
은 흰색이다. 배와 옆구리에 어두운 갈색의 굵은 띠가 있다. 날개를 펼쳤을 때 날개 중앙부에 말똥
모양의 큰 무늬가 특징적이다. 날개 끝은 5개로 갈라진다. 턱 밑은 어두운 갈색이다. 날 때 양쪽 날
개를 위로 약간 들고 완만한 V자형을 이루며 간혹 정지비행을 하기도 한다. 홍채는 붉은 갈색이거
나 어두운 갈색이다.
어린새 몸 색깔은 어미새와 거의 흡사하지만 홍채의 색깔은 노란색을 띤다.
먹이 주로 들쥐같은 소형의 포유류를 사냥하며 간혹 작은 산새를 잡아먹기도 한다. 높은 곳에 앉아
먹이를 찾거나 정지비행을 하면서 먹이를 찾은 후 활공을 하여 먹이를 덮친다.
필드 마크 날개 아랫면에 말똥무늬가 있고 턱 밑이 어두운 갈색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필리핀, 태국, 싱가포르
•한국 비교적 흔한 겨울철새로, 농경지나 숲 주변 하늘을 날며 먹이 찾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제주도 겨울에 바닷가 근처 농경지, 초지에서 중산간지역의 숲까지 비교적 흔하게 관찰된다.
•한남 지역 늦가을부터 보이기 시작해 겨울에 숲 상공을 날아다니며 먹이를 찾거나 나뭇가지에 앉
아 휴식 취하는 모습을 종종 관찰할 수 있다.

12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먹이 주요관찰지

말똥가리 121
유리딱새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Tarsiger cyanur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Orange-flanked Blue Robin / 과명 지빠귀 과(Turdidae)
Red-flanked Bluetail 속명 유리딱새 속(Tarsiger)

몸길이 14cm 서식지 숲 / 공원 도래시기 봄 / 가을 / 겨울 개체수 흔함 수명 5년

둥지 고산지대의 벼랑의 틈이나 벼랑에 노출된 나무뿌리, 쓰러진 나무 밑에 이끼나 가는 풀줄기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알자리에는 이끼나 동물의 털을 깐다.
산란시기 6-8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옅은 갈색의 무늬가 산재해 있는 알을 3-5개 낳고 암컷이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다르다. 수컷은 머리부터 꼬리까지 푸른색이며, 옆구리는 주황색, 눈
썹선은 흰색으로 눈 앞의 눈썹선이 넓다. 암컷의 몸 윗면은 갈색이며, 꼬리는 옅은 푸른색이다.
어린새 암컷과 유사하나 옆구리의 주황색이 짙고 꼬리의 푸른색도 암컷에 비해 짙다. 어깨깃도 푸
른색을 띤다.
먹이 나무 사이를 돌아다니며 거미나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다. 곤충이 없는 겨울에는 씨앗이나 나
무열매를 먹는다.
특이행동 단독 혹은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보통 무리를 짓지 않는다.
필드 마크 눈 앞에서 시작되는 흰색의 눈썹선과 주황색의 옆구리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한국 봄과 가을에 흔하게 보이는 나그네새이면서 드물게 겨울을 지내는 개체가 관찰되기도 한다.
•제주도 봄에 바닷가 근처 숲에서 관찰되며, 겨울에 수목원이나 공원에서도 심심치 않게 관찰된다.
•한남 지역 늦가을과 겨울에 임도 주변을 돌아다니며 먹이 찾는 것을 볼 수 있다.

12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머리 주요관찰지

유리딱새 123
딱새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Phoenicurus aurore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Daurian Redstart 과명 지빠귀 과(Turdidae)
속명 딱새 속(Phoenicurus)

몸길이 14cm 서식지 숲 가장자리 / 덤불 / 인가근처 숲 / 공원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5년

둥지 건물 선반 위나 나무구멍, 쓰러진 나무 밑, 바위 틈에 이끼, 나무껍질, 풀줄기, 뿌리 등을 이용


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며 알자리에는 깃털, 동물의 털을 깐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푸른빛이 도는 흰색 바탕에 붉은 갈색의 무늬가 있는 알을 5-7개 낳고 암컷이 14일 정도 품
는다. 매일 1개씩의 알을 낳고 마지막 알을 낳은 직후부터 알을 품기 시작한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새끼새는 어미새로부터 약 15일 정도 먹이를 받아먹은 후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다르다. 수컷의 뒷머리는 어두운 회색이며, 뺨과 목, 날개, 등은 검은색,
가슴과 배는 주황색이다. 날개에 크고 흰 반점이 있다. 암컷은 꼬리를 빼고 전체 몸빛이 옅은 갈색을
띠며, 날개의 흰 반점이 수컷에 비해 조금 작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고 홍채는 어두운 갈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지만 색깔이 다소 흐리다.
먹이 여름에는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으며 겨울이 되며 나무열매를 먹는다.
특이행동 앉았을 때 꼬리를 위아래로 까딱까딱 흔들며‘딱딱’소리를 낸다.
필드 마크 수컷은 가슴과 배가 붉은색이고 날개의 흰색 반점이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사할린,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로, 숲은 물론 건물의 선반이나 심지어 신발장에서도 번식이 관찰될
정도로 사람을 경계하지 않는다.
•제주도 주로 겨울에 흔하게 관찰되며 여름에는 한라산 정상 부근에서 적은 수가 번식하는 것으
로 추정되나 확인이 필요하다.
•한남 지역 겨울에 임도나 숲 가장자리의 나뭇가지에 앉아 먹이 찾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주로
숲의 하층 부위에서 생활한다.

12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옆모습 주요관찰지

딱새 125
상모솔새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Regulus regul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Goldcrest 과명 휘파람새 과(Sylviidae)
속명 상모솔새 속(Regulus)

몸길이 9cm 서식지 침엽수림 도래시기 겨울 개체수 흔함 수명 2-3년

둥지 침엽수의 나뭇가지에 이끼와 나무껍질을 이용해서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거미줄로 나
뭇가지와 연결한다. 알자리에는 동물의 털과 깃털을 깐다.
산란시기 6-7월
산란수 옅은 노란색 바탕에 옅은 갈색의 작은 얼룩들이 산재해 있는 알을 5-7개 낳고 약 20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같이 새끼새를 먹이고 약 20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머리 꼭대기의 검은 띠로 둘러싸인 노란 무늬가‘상모’를 연상케 한다. 몸 윗면은 녹색을 띤다.


날개를 접었을 때 흰색의 띠가 뚜렷하다. 수컷은 머리꼭대기가 주황색이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다
리는 갈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다.
먹이 침엽수림의 꼭대기층을 따라 무리지어 다니며 곤충, 거미, 거미알 등을 찾아먹는다.
특이행동 박새류와 같이 섞여 돌아다니기도 한다.
필드 마크 크기가 작고 머리 꼭대기의 검은색 띠와 노란색 띠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사할린, 일본, 미얀마
•한국 겨울에 흔하게 관찰되는 겨울철새로, 크기가 작고 계속 움직이며 돌아다니기 때문에 자세
히 관찰하기는 어렵다.
•제주도 겨울에 바닷가 근처에서 중산간지역 소나무숲까지 무리지어 돌아다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한남 지역 늦가을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겨울에 삼나무나 소나무 위를 돌아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
을 관찰할 수 있다. 삼나무가 많기 때문에 겨울을 나기에 적합하다.

12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상모솔새 127
진박새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Parus ater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Coal Tit 과명 박새 과(Paridae)
속명 박새 속(Parus)

몸길이 11cm 서식지 침엽수림 / 숲 / 공원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2-3년

둥지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에 이끼를 이용해서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붉은색의 무늬가 있는 알을 5-7개 낳고 15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알에서 깬 후 약 15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머리와 턱, 목은 검은색이고 뒷머리는 흰색이다. 뺨과 옆목은


흰색이다. 날개와 등은 회색이고 날개에 흰색의 가는 띠가 있다. 가슴과 배는 회색이 섞인 옅은 노
란색이다. 다리와 부리는 검은색이다. 머리꼭대기에 짧은 댕기가 있다.
어린새 턱과 목의 검은색 폭은 어미새보다 좁다.
먹이 소나무같은 침엽수의 나뭇가지나 잎 사이를 돌아다니며 작은 곤충을 잡아먹으며 간혹 씨앗을
먹기도 한다.
특이사항 번식기가 지나면 박새나 쇠박새, 동박새 등 다른 새들과 같이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는다.
필드 마크 턱과 앞목이 검은색이며 머리꼭대기에 짧은 댕기가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사할린, 캄차카반도
•한국 1년 내내 관찰되면서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로, 크기가 작고 주로 나무 꼭대기층에서 먹이를
잡아먹기 때문에 관찰이 쉽지 않다.
•제주도 겨울에는 저지대 소나무숲에서도 볼 수 있으나 여름이 되면 한라산 해발 1000m이상의 고
지대로 이동하며 주로 구상나무 군락지에서 관찰된다.
•한남 지역 늦가을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겨울에 소나무나 삼나무에서 먹이 찾는 모습을 볼 수 있
다. 여름에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봄이 되면 번식을 위해 한라산 고지대나 북쪽으로 이동하
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인이 필요하다.

12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진박새 129
검은머리방울새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Carduelis spin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Siskin / Eurasian Siskin 과명 되새 과(Fringillidae)
속명 방울새 속(Carduelis)

몸길이 12-13cm 서식지 침엽수림 / 숲 도래시기 겨울 개체수 흔함 수명 2-3년

둥지 침엽수의 가지 위에 마른 나뭇가지를 이용해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보온을 위해 알자


리에는 깃털, 이끼 등을 깐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옅은 푸른색에 갈색의 점과 줄무늬가 있는 알을 4-5개 낳고 약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알에서 깬 직후에는 주로 암컷이 새끼를 먹이며 그 후에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먹
이를 잡아다 먹이며 약 14일이 지난 후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은 몸색깔이 거의 같다. 수컷은 얼굴, 목, 가슴, 등, 날개에 노란색기가 강하다. 턱
과 이마, 머리 꼭대기는 검은색이고 날개에 검은색의 띠가 있다. 배는 흰색이고 옆구리는 노란색 바
탕에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색깔이 옅고 턱과 목, 가슴, 옆구리는 흰색 바탕
에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부리는 분홍색이다.
먹이 삼나무나 오리나무같이 작은 솔방울 속의 알맹이를 뾰족한 부리로 꺼내 먹는다.
필드 마크 몸 전체에 노란색 기가 강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사할린, 대만
•한국 늦가을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겨울에 침엽수림에서 주로 관찰되며 수백 마리씩 무리를 지어
다니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무리를 지어 다닐 때 보면 벌떼를 연상
케 한다.
•제주도 주로 중산간지역의 삼나무숲이나 소나무숲에서 솔방울 씨앗을 꺼내 먹거나 무리를 지어
날아다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삼나무림이 잘 조성되어 있어 서식하기에 적합하다.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수백 마리씩 무리
를 지어 다니며 주로 삼나무숲에서 나무 꼭대기에 앉아 쉬거나 먹이 먹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13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뒷모습 주요관찰지

검은머리방울새 131
되새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Fringilla montifringill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Brambling 과명 되새 과(Fringillidae)
속명 되새 속(Fringilla)

몸길이 16cm 서식지 농경지 / 숲 도래시기 겨울 개체수 흔함 수명 2-5년

둥지 교목의 나뭇가지에 마른 풀이나 풀줄기를 이용하여 컵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푸른색의 바탕에 갈색의 점과 무늬가 산재한 알을 5-7개 낳고 암컷이 약 14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약간 다르다. 수컷은 머리와 등, 날개, 꼬리가 검다. 턱과 목, 가슴, 어
깨죽지가 주황색이다. 배는 흰색이다. 암컷은 머리가 갈색빛이 도는 회색이며 등은 옅은 갈색에 검
은색 물결무늬가 있다. 부리는 연한 노란색이고 다리는 옅은 분홍색이다.
먹이 여름에는 주로 곤충을 먹고 그 이외의 시기에는 밭에 떨어진 낟알이나 나무열매를 먹는다.
필드 마크 머리가 검고 목과 가슴이 주황색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시베리아, 캄차카반도, 일본, 대만
•한국 겨울에 관찰되는 겨울철새로, 수십에서 수천 마리가 무리를 지어 먹이를 찾아다닌다. 우리
나라에 수십만 마리가 도래했던 적도 있다.
•제주도 겨울에 농경지나 중산간지역 숲에서 관찰되며 육지부와 달리 1-2마리에서 많게는 20-30
마리 정도의 적은 수가 무리를 이루어 도래한다.
•한남 지역 겨울에 삼나무림에서 주로 관찰되며 10여 마리가 무리를 이루어 먹이를 찾아 돌아다닌다.

13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무리비행 주요관찰지

되새 133
콩새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Hawfinch 과명 되새 과(Fringillidae)
속명 콩새 속(Coccothraustes)

몸길이 18cm 서식지 숲 / 공원 도래시기 겨울 개체수 흔함 수명 2-5년

둥지 나무 위에 마른 풀, 나뭇가지, 뿌리, 이끼를 가지고 얕은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4-5월
산란수 옅은 녹색기가 있는 푸른색의 바탕에 진한 갈색의 점이 있는 알을 4-5개 낳고 암컷이 10일
정도 품는다. 수컷은 알을 품고 있는 암컷에게 먹이를 갖다 준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먹이고 약 10일 정도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턱에 검은색의 반점이 특징이다. 머리와 뺨, 허리는 갈색이며
등은 어두운 갈색이다. 날개는 검은색이고 흰색의 띠가 뚜렷하다. 꼬리는 검은색이고 끝은 흰색이
다. 가슴과 배는 어두운 노란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분홍색이다.
먹이 주로 나무 위에서 열매를 따먹으며 겨울에는 땅 위에 떨어진 나무열매를 찾아 낙엽 속을 뒤지
기도 한다.
필드 마크 부리가 두껍고 턱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한국 겨울을 지내기 위해 찾아오는 겨울철새로, 공원이나 농경지, 인가 근처 야산에서 쉽게 관찰
된다.
•제주도 공원이나 중산간지역 숲에서 주로 관찰되며 땅 위에 떨어진 나무열매를 주워 먹거나 나
무에 앉아 쉬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주로 겨울에 관찰되며 1-2마리에서 6-7마리까지 소수의 무리를 이루어 숲속에서 땅 위
에 떨어진 나무열매를 주워 먹는다.

13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콩새 135
찌르레기 겨울철새 _ Winter Visitors

학명 Sturnus cinerace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Grey Starling / White-cheeked Starling 과명 찌르레기 과(Sturnidae)
속명 찌르레기 속(Sturnus)

몸길이 24cm 서식지 인가 근처 / 농경지 / 숲 / 공원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5년

둥지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이나 딱따구리의 헌 둥지, 건물의 틈, 연통 등에 마른 풀줄기를 이


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알자리에는 깃털을 깐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푸른색의 알을 4-6개 낳고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약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
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먹이고 약 20일 정도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이마와 뺨은 흰색이고 뒷머리와 목, 가슴은 검은색이다. 등과


날개는 어두운 갈색이고 허리는 흰색이다. 꼬리는 검고 끝이 흰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선명한 주황
색이며 부리 끝은 검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나 몸 전체가 어두운 갈색이고 부리도 어미새보다 옅다.
먹이 여름에는 땅이나 나무에서 곤충을 잡아먹으며 겨울에는 나무열매를 따먹거나 땅에 떨어진 나
무열매를 주워 먹는다.
필드 마크 이마와 뺨이 흰색이고 부리와 다리가 선명한 주황색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미얀마
•한국 여름에 번식하러 찾아오는 여름철새이면서, 겨울에 무리를 지어 찾아오는 겨울철새이다.
즉, 여름에 번식한 개체들은 따뜻한 남쪽으로 떠나고 북쪽에서 번식한 개체들은 겨울을 나기 위
해 우리나라를 찾아온다.
•제주도 여름에 인가 주변의 연통이나 도로 이정표의 구멍 등에서 번식을 하며, 겨울이 되면 해안
가 지역에서 수백 마리가 무리를 지어 돌아다닌다.
•한남 지역 늦가을에 무리를 지어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딱따구리 헌 둥지가 많아 여름에
번식가능성이 없지 않으나 아직까지 여름에 관찰된 기록이 없고 둥지가 확인된 바 없어 번식 여
부는 불투명하다.

13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무리

먹이 주요관찰지

찌르레기 137
검은댕기해오라기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Butorides striatus 목명 황새 목(CICONIIFORMES)


영명 Striated Heron 과명 백로 과(Ardeidae)
속명 검은댕기해오라기 속(Butorides)

몸길이 48-52cm 서식지 개울 / 논 / 계곡 / 저수지 / 강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둥지 교목 위 10m 안팎의 높이에 마른 나뭇가지로 엉성하게 쌓아 접시 모양으로 둥지를 짓는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옅은 푸른빛의 녹색 알을 3-6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나 혼자 생활할 수 없어 일정 기간 어미새의 도움을 받아야 하
는 준만성성인 새이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다. 머리꼭대기는 푸른색이 도는 검은색이고 길고 가는 댕기가 있


다. 몸 윗면은 푸른빛이 나는 어두운 회색이고 날개 깃털의 가장자리는 흰색이라 비늘무늬처럼 보
인다. 몸 아랫면은 회색이고 가슴 중앙에 흰색의 세로줄이 있다. 눈 앞과 다리는 노란색이고 부리는
검다.
어린새 몸은 전체적으로 갈색기가 강하며 가슴부터 배까지 흰색 바탕에 어두운 갈색의 세로줄무늬
가 있다. 아래부리는 노란색이다.
먹이 논이나 개울의 흐르는 물에서 물고기나 가재, 개구리 등을 잡아먹는다. 목을 움츠리고 물 속을
쳐다보다가 적당한 먹이가 보이면 목을 잽싸게 빼서 긴 부리로 낚아챈다.
특이사항 다른 백로류와 달리 집단을 이루지 않고 단독으로 생활한다.
필드 마크 몸 전체가 푸른빛이 나는 회색이고 날개 깃털의 가장자리가 흰색이라 비늘무늬로 보인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 보르네오
•한국 여름에 번식하러 찾아오는 여름철새로, 단독 혹은 암수가 같이 생활하며 숲속에서 물이 흐
르는 작은 개울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제주도 제주도의 계곡이나 하천은 비가 온 후에 물이 흐르는 건천이기 때문에 번식가능성은 희
박하고 봄과 가을에 저수지나 해안가에서 이동하다 잠시 쉬는 개체들을 종종 볼 수 있다.
•한남 지역 5월 말에 물이 고인 습지에서 관찰되었으며 계속 물이 흐르지는 않지만 물이 고여 있
는 계곡과 습지가 많아 번식 가능성은 있으나 확인이 필요하다.

13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사냥모습 주요관찰지

검은댕기해오라기 139
붉은해오라기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Gorsachius goisagi 목명 황새 목(CICONIIFORMES)


영명 Japanese Night Heron 과명 백로 과(Ardeidae)
속명 붉은해오라기 속(Gorsachius)

몸길이 49cm 서식지 숲 / 숲 근처 습지 / 계곡 도래시기 불규칙함 개체수 희귀함


보호유무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둥지 교목의 나뭇가지 위에 나뭇가지와 뿌리를 이용하여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4-5개 정도 낳고 약 25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나 혼자 생활할 수 없어 일정 기간 어미새의 도움을 받아야 하
는 준만성성인 새이다. 흰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며 약 35일 정도 어미새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자
란 후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몸 윗면은 붉은빛이 도는 어두운 갈색이고 날개를 펼쳤을 때 검
은색의 굵은 띠가 뚜렷하다. 몸 아랫면은 옅은 갈색이고 턱에서부터 배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어두
운 갈색의 세로줄무늬가 있다. 눈 앞과 다리는 노란색이며 윗부리는 검고 아랫부리는 노랗다.
어린새 어미새보다 더 어둡다. 먹이 숲속 습지나 근처에서 지렁이, 물고기, 수서곤충 등을 잡아먹는다.
특이행동 낮에는 나뭇가지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밤에 주로 활동하며 적이 나타나거나 위험이 닥치
면 머리와 목을 쭉 빼고 굵은 나뭇가지인 척 위장하기도 한다.
필드 마크 몸이 붉은기가 있는 어두운 갈색이며 날개를 폈을 때 검은색의 굵은 띠가 선명하다.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필리핀
•한국 부산과 제주도, 전라남도 홍도 등지에서 몇 번의 관찰기록과 채집기록만을 가지고 있는 길
잃은새이다.
•제주도 봄과 가을 탈진하거나 총상으로 구조되는 경우가 많으며 봄에 서쪽 해안가 숲에서 매년
관찰된다. 비공식적인 기록이지만 8월에 관음사 인근 숲속 나뭇가지에 앉아 쉬던 어린 개체를 관
찰한 적이 있으며 5월에 중산간지역 계곡 인근 숲에서 관찰된 바 있어 번식 가능성이 아주 높으
며 확인이 필요하다.
•한남 지역 5월 말 숲속 작은 계곡에서 땅 위를 돌아다니는 한 마리가 관찰되었으며 7월에 한 쌍으로 보이
는 두 마리가 땅에서 먹이 찾는 모습이 목격되어 번식가능성이 아주 높아 번식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14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붉은해오라기 141
독수리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Aegypius monachus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Cinereous Vulture / Black Vulture 과명 수리 과(Accipitridae)
속명 독수리 속(Aegypius)

몸길이 100-115cm 서식지 개활지 / 농경지 도래시기 겨울 개체수 적음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243-1호 /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고산지대 절벽에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넓은 쟁반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알자리에는 풀, 나무
껍질, 깃털 등을 깐다. 약 50일 정도 품는다. 산란시기 3-5월 산란수 붉은 갈색의 점무늬가 흩어져
있는 흰색의 알을 1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
성이다. 약 100일 정도 어미새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한 후 둥지를 떠난다.

형태 몸집이 아주 큰 맹금류로, 몸 전체가 어두운 갈색이지만 야외에서는 검게 보인다. 날개를 펼


쳤을 때 긴 날개는 사각형으로 보이며 꼬리는 짧고 둥글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기부는 살색이고 납
막은 회색이다. 머리와 목은 피부가 나출되어 있어 하얗게 보이며 부분적으로 갈색빛이 도는 회색
의 솜털이 나 있다. 날 때 날개 끝이 7개로 갈라진다. 어린새 몸은 전체적으로 검게 보인다. 머리와
목은 어미새와 달리 검으며 납막은 분홍색이다. 태어나서 5-6년이 지나야 번식이 가능하다.
먹이 주로 죽은 동물의 사체를 먹지만 간혹 약한 먹이를 잡아먹기도 한다. 여러 마리가 먹이 주변으
로 몰려들어 부리로 찢어 먹는다. 필드 마크 몸집은 크고 검으며 부리기부는 살색을 띤다.

분포
•동아시아 몽고, 중국, 일본,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한국 겨울에 적은 수가 도래하는 겨울철새로, 농경지, 강 등에서 관찰되며 최근 철원, 파주, 경남 고성
등지에 수백에서 수천 마리가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 주로 어린새가 도래한다.
•제주도 2002년 11월 16개체가 도래한 이후 1년 내내 제주도 전역에서 관찰되고 있다. 도래 초기
에는 주로 무리를 지어 관찰되다가 현재는 2-3마리씩 적은 수가 무리를 이루어 비행하는 것을 관
찰할 수 있다.
•한남 지역 1-2마리가 여름을 제외한 시기에 관찰되었으며 먹이를 찾아 숲 상공을 선회하거나 이
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4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아래모습

옆모습 주요관찰지

독수리 143
붉은배새매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Accipiter soloensis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Chinese Sparrowhawk 과명 수리 과(Accipitridae)
속명 새매 속(Accipiter)

몸길이 암컷 33cm / 수컷 30cm 서식지 평지나 야산의 숲 / 숲 근처 논이나 개활지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323-2호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교목에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넓은 쟁반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약 20일 정도 암수가 번갈아가
며 품는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흰색이나 옅은 황색의 알을 4개 정도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
성이다. 알에서 깬 후 약 20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비둘기 정도의 크기를 가진 맹금류로, 몸 윗면은 푸른빛이 도는 회색, 가슴은 옅은 주황색이며


배는 흰색이다. 날개를 펼쳤을 때 날개 아랫면은 흰색이고 끝이 검으며 칼깃(날개 끝에 손가락처럼 보이
는 깃털)은 4개이다. 수컷의 눈은 붉지만 검게 보이며 암컷의 눈은 노랗다.
어린새 몸의 윗면은 어두운 갈색이고 가슴과 배에 흑갈색의 세로줄무늬가, 옆구리에는 가로줄무늬
가 있다. 홍채는 노란색이며 눈테가 없다.
먹이 주로 개구리를 잡아먹으며 간혹 작은 산새나 포유류, 곤충 등도 사냥해 먹는다.
필드 마크 주황색의 가슴, 흰색의 날개 아랫면과 검은색의 날개 끝부분이 뚜렷하며 조롱이와는 달리
눈테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우수리,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한국 번식하러 찾아오는 여름철새이며,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수백에서 수천 마리가 무리를 이
루어 이동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제주도 주로 봄과 가을에 수십에서 수백 마리가 무리지어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며 여름에 간혹
숲에서 암수 한 쌍이 관찰되어 번식가능성은 높으나 아직 확인된 바 없다.
•한남 지역 주로 가을에 숲 상공과 숲 사이를 돌아다니며 먹이 사냥하는 모습이 목격된다.

14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 최창용




ⓒ 최창용

암컷

먹이 주요관찰지

붉은배새매 145
털발말똥가리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Buteo lagopus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Rough-legged Buzzard 과명 수리 과(Accipitridae)
속명 말똥가리 속(Buteo)

몸길이 암컷 58cm / 수컷 56cm 서식지 농경지 / 초습지 / 평지와 산지의 숲 도래시기 겨울


개체수 적음 보호유무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교목 위에 나뭇가지를 쌓아 넓은 쟁반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한번 만든 둥지는 여러 해 사용한
다. 약 30일 정도 암컷이 알을 품는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붉은 갈색의 반점이 있는 흰색의 알을 3-5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
성으로, 40일 정도 어미새로부터 먹이를 받아먹은 후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다른 말똥가리류에 비해 몸색깔이 밝게 보인다. 몸의 윗면은 옅은 갈색이며 가슴과 꼬리는 흰


색이다. 꼬리 끝에는 검은색의 넓은 띠가 뚜렷하다. 배는 어두운 갈색이다. 다리는 전체가 흰색의
털로 덮여 있다. 홍채는 노란색 또는 갈색이다. 개체간에 몸색깔의 변이가 심한 편이다. 날 때 날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어린새 어미새와 거의 흡사하여 구분하기 어렵다.
먹이 들쥐 등 작은 포유류를 주로 사냥해서 먹으며, 높은 곳에 앉거나 낮게 날면서 땅 위의 먹이를
찾아다니며 먹이가 나타나면 급강하하여 덮친다. 먹이는 통째로 삼키며 소화되지 않은 뼈나 털은
펠렛으로 뱉어낸다.
필드 마크 몸 전체가 밝게 보이고 꼬리 끝부분에 검은색의 굵은 띠가 있다.

분포
•동아시아 러시아, 일본, 중국
•한국 희귀한 겨울철새로, 수확이 끝난 논이나 농경지 상공을 날면서 들쥐와 같은 작은 설치류 찾
는 모습을 간혹 관찰할 수 있다.
•제주도 최근 겨울에 3회의 기록만이 있는 희귀한 새이다. 2007년 2월 처음 기록된 이후 2008년 2
월에 한경면 두모리와 조천읍 동복리의 관찰기록이 전부이다.
•한남 지역 2007년 2월 한남 숲 상공에서 먹이를 찾아다니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제주도에서 첫
관찰기록이다.

14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뒷모습

먹이 주요관찰지

털발말똥가리 147
매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Falco peregrinus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Peregrine Falcon 과명 매 과(Falconidae)
속명 매 속(Falco)

몸길이 암컷 50cm / 수컷 42cm 서식지 해안 / 하천 / 개활지 / 농경지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적음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323-7호 /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해안이나 산


악지역의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벽의 틈에 둥지를 따로 만들지 않고 알을 낳는다. 약 30일 정
도 주로 암컷이 품는다. 산란시기 3-4월 산란수 붉은 갈색의 무늬가 많이 있는 알을 3-4개 낳는다.
보통 2일 간격으로 알을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흰색의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
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성으로, 40일 정도 어미새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한
후 둥지를 떠나게 된다. 수컷이 사냥해온 먹이를 암컷이 새끼새에게 뜯어 먹인다.

형태 몸 윗면은 회색을 띠는 검은색이고 배에 검은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다. 눈테와 납막은 노란색


이 선명하며 눈 밑에 검은 무늬가 특징적이다. 폭이 넓고 긴 날개는 끝이 뾰족하다.
어린새 몸 윗면은 어두운 갈색이며 아랫면은 옅은 갈색이다. 가슴과 배에 진한 갈색의 세로줄무늬
가 있다. 납막은 어미새와 달리 푸른 회색을 띤다.
먹이 작은 산새에서부터 비둘기 정도 크기의 새를 사냥해 먹으며 바닷가나 저수지에서 괭이갈매기
나 오리처럼 몸집이 큰 새를 사냥하는 것을 간혹 볼 수 있다. 높은 곳을 날면서 먹이를 찾으며 적당
한 먹이가 나타나면 빠른 속도로 급강하하여 날카로운 발톱으로 내리쳐 죽인 후 덮친다.
필드 마크 눈 밑에 검은색의 무늬가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한국 바닷가 가파른 절벽에서 적은 수가 번식하는 텃새로, 봄에 새끼를 키울 때 바다를 건너 무리
를 지어 이동하는 나그네새(통과철새)들을 주로 사냥한다.
•제주도 바닷가 절벽에서 비교적 흔하게 번식하며, 중산간지역 절벽에서도 간혹 번식한다. 해안
저지대에서 한라산 정상까지 분포하며 고지대는 주로 먹이터로 이용된다.
•한남 지역 남원리 해안이나 중산간 지역 절벽에서 번식한 개체가 먹이를 찾아 간혹 한남 숲 상공
을 날아다니기도 한다.

14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비행

어린새

머리 주요관찰지

매 149
황조롱이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Falco tinnunculus 목명 매 목(FALCONIFORMES)


영명 Common Kestrel 과명 매 과(Falconidae)
속명 매 속(Falco)

몸길이 암컷 39cm / 수컷 33cm 서식지 평지와 산지의 개활지 / 농경지 / 도시 도래시기 1년 내내


개체수 흔함 수명 15년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323-8호

번식형태 한 마리의 수컷과 한 마리의 암컷이 번식을 하는 일부일처제 형태이다.


둥지 절벽이나 높은 인공구조물에 나뭇가지와 풀을 이용하여 둥지를 직접 만든다. 간혹 까치 둥지
를 뺏기도 한다. 암컷이 약 30일 정도 품는다. 산란시기 4-5월
산란수 붉은 갈색의 점이 산재한 노란기가 있는 흰색의 알을 3-6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
성으로, 알에서 깬 후 약 30일 정도 지나 둥지를 떠난다.

형태 등과 날개는 붉은빛을 띠는 갈색이고 배는 갈색을 띤다. 몸 전체에 검은색의 반점이 나열되어


있다. 수컷은 머리가 회색을 띠고 검은색의 뺨이 뚜렷하다. 암컷은 머리가 갈색으로 흰색의 눈썹선
이 있다. 꼬리 끝에는 검은색의 굵은 띠가 있다.
어린새 암컷과 유사하나 몸 색깔이 어두우며 몸 윗면의 검은 점이 더 크다. 몸 아랫면의 세로줄무늬
는 길게 이어져 보이기도 한다. 먹이 들쥐와 같은 작은 포유류나 작은 조류, 딱정벌레같은 곤충 등
을 잡아먹는다. 높은 곳에 앉아서 먹이를 찾거나 정지비행을 하면서 먹이를 찾는다. 정지비행 중에
는 꼬리를 쫙 펴고 몸과 날개를 움직이면서 머리는 한곳에 고정시킨다.
필드 마크 등과 날개는 붉은 갈색을 띠며, 꼬리 끝의 넓고 검은 띠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필리핀, 미얀마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로, 숲이나 농경지는 물론 도심지에서도 잘 적응하여 생활하며, 심지
어 아파트 베란다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제주도 겨울에 흔하게 관찰되며 여름에는 바닷가 절벽에 드물게 번식하고 한라산 정상 부근에서
먹이 사냥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
•한남 지역 늦가을에 숲 상공보다는 개활지와 초지에서 간혹 보이며 정지비행을 하면서 먹이 찾는
것을 볼 수 있다.

15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정지비행 주요관찰지

황조롱이 151
흑두루미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Grus monacha 목명 두루미 목(GRUIFORMES)


영명 Hooded Crane 과명 두루미 과(Gruidae)
속명 두루미 속(Grus)

몸길이 97cm 서식지 농경지 / 논 / 개울 도래시기 봄 / 가을 / 겨울 개체수 적음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228호 /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둥지 지의류와 덤불이 자라는 이끼 낀 습지에 이끼와 풀을 이용하여 둥지를 만드는데 다른 두루미


류에 비해 둥지가 작다.
산란시기 5월
산란수 푸른빛이 도는 녹색의 알을 2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이 난 채로 태어나 솜털이 마르면 어미새를 따라다니며 먹이를 받아먹는 조성성
인 새이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같다. 머리꼭대기는 붉은색이고 머리와 턱, 목은 흰색이다. 부리는 옅


은 갈색이다. 눈 앞과 눈 주위는 검은색이다. 몸의 나머지 부분은 검은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나 머리와 목에 갈색기가 있고 부리는 분홍색에 가깝다.
먹이 습지나 논에서 민물고기를 잡아먹으며 겨울에는 수확이 끝난 논에서 떨어진 낟알을 주워 먹는다.
필드 마크 흰색의 목과 대조를 이루는 검은색의 몸이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러시아, 중국, 일본
•한국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수천 마리가 한반도 상공을 지나가며 날씨가 나쁘면 내려앉아 쉬기
도 한다. 겨울에는 순천만 일대에서 20-30마리가 겨울을 나기도 한다.
•제주도 주로 봄에 성산읍, 남원읍과 대정읍 해안에서 한라산 방향으로 날아가 한라산을 넘어 북
쪽으로 이동하는 무리가 관찰된다. 날씨가 나빠 상승기류를 이용할 수 없게 되면 내려앉아 하룻
밤을 지새우고 떠나기도 한다.
•한남 지역 일본 이즈미에서 월동한 개체들이 번식지로 가는 도중에 지나가게 되는 경로상에 위치
해 있어 초봄에 무리지어 지나가는 장면을 관찰할 수 있다.

15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어린새

무리비행

머리 주요관찰지

흑두루미 153
깝작도요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Actitis hypoleucos 목명 도요 목(CHARADRIIFORMES)


영명 Common Sandpiper 과명 도요 과(Scolopacidae)

몸길이 20cm 서식지 개울 / 해안가 / 하천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수명 10년

둥지 땅 위나 나무뿌리의 오목한 곳에 마른 풀과 풀줄기로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4-7월
산란수 옅은 갈색 바탕에 어두운 갈색의 점이 산재한 알을 4개 낳고 암컷이 약 2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 솜털이 마르면 어미새를 따라다니며 먹이를 먹는 조성성인 새
이다.
특이행동 새끼 근처에 적이 나타나면 어미새는 날개를 다친 척하며 적을 새끼로부터 멀리 유인하는
의태행동을 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다. 흰색의 눈썹선이 뚜렷하다. 몸 윗면은 어두운 갈색이고 날개를
펼쳤을 때 흰색의 띠가 보인다. 가슴은 어두운 갈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가슴과 접은 날개 사이에
흰색의 띠가 있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나 날개에 비늘무늬가 있고 눈선이 흐릿하다.
먹이 걸어 다니며 작은 조개류나 곤충을 잡아먹는다.
필드 마크 가슴과 접은 날개 사이에 흰색의 띠가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시베리아, 캄차카반도, 일본, 필리핀, 보르네오, 미얀마
•한국 여름에 번식하러 찾아오는 여름철새로, 해안가 습지나 내륙의 개울, 냇가, 계곡의 물가 등에
서 관찰된다.
•제주도 주로 해안가에서 관찰되며 8월에 용수저수지에서 어린새 한 마리가 관찰된 바 있어 번식
의 가능성은 높지만 아직 확인된 바 없다.
•한남 지역 8월 말에 임도에서 서성거리던 한 개체가 관찰되었는데 이동하다가 인근 계곡의 물가
나 습지를 이용하려고 잠시 들렸을 가능성이 높다.

15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옆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깝작도요 155
솔부엉이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Ninox scutulata 목명 올빼미 목(STRIGIFORMES)


영명 Brown Hawk Owl 과명 올빼미 과(Strigidae)
제주명 옥밤 속명 솔부엉이 속(Ninox)

몸길이 29cm 서식지 숲 / 공원 / 인가 근처 야산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하지 않음


보호유무 천연기념물 제324-3호

둥지 느티나무같은 활엽수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구멍을 이용하며, 둥지바닥에 낙엽이나 나무껍질


을 깐다. 같은 둥지를 여러 해 사용하기도 한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흰색의 알을 2-5개 정도 낳으며 암컷이 약 24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에 솜털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일정 기간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성장하는 준만성
성으로, 암수가 같이 새끼새를 먹이며 약 25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몸 윗면은 짙은 갈색이고 가슴에서 배까지 짙은 갈색의 굵은 세로줄무늬가 있다. 홍채는 노란


색이며 귀깃이 없다. 부리 주위는 흰색을 띠며 머리는 짙은 갈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다.
먹이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맹금류로, 가로등 불빛이나 유리창 불빛에 날아드는 나방이나 딱정벌레
를 주로 잡아먹는다. 발가락에는 뻣뻣한 털이 많이 나 있어 곤충 잡기에 유리하다.
필드 마크 귀깃이 없으며 홍채가 노란색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한국 다른 야행성 맹금류에 비해 흔하게 관찰되는 여름철새로, 도시 근교의 숲이나 공원 등에서
번식하며 도심의 공원에서도 종종 번식하는 장면이 목격된다.
•제주도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탈진하거나 유리창에 부딪친 개체들이 많이 발견되며 마라도 등지
에서 봄에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주로 이동시기에 통과하는 것으로 보이며 가끔 번식이 확인되
기도 하나 극히 소수이다.
•한남 지역 2004년 가을 야간 조사에서 야간등 주변에 모여든 나방을 잡아먹기 위해 울타리 위에
앉아 있는 한 개체가 관찰된 적이 있고 2008년 가을에도 한 개체가 관찰되었다. 번식 유무를 확인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야간 조사가 필요하다.

15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새끼새

머리

발가락 주요관찰지

솔부엉이 157
파랑새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Eurystomus orientalis 목명 파랑새 목(CORACIIFORMES)


영명 Dollarbird / Broad-billed Roller 과명 파랑새 과(Coraciidae)
속명 파랑새 속(Eurystomus)

몸길이 29cm 서식지 평지나 산지의 숲 / 농경지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둥지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이나 딱따구리의 헌 둥지를 이용하며 간혹 까치 둥지를 빼앗아 이


용하기도 한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3-5개 낳고 약 20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알에서 깬 후 20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몸은 푸른빛을 띠는 녹색이며, 부리와 다리는 붉다. 날 때 검은색의 날개에 흰색 반점이 뚜렷


하게 보인다. 머리와 꼬리는 검은색이다. 번식기에‘켁켁’하는 날카로운 소리를 지른다. 나무 꼭대
기나 전깃줄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나 부리와 다리색이 어미새보다 붉지 않고 어둡다.
먹이 공중에 날아다니는 딱정벌레나 풍뎅이 같은 곤충을 잡아먹는다. 나무 꼭대기나 전깃줄에 앉아
서 주변을 살피다 적당한 먹이가 나타나면 낚아챈다.
필드 마크 푸른빛을 띠는 녹색의 몸과 붉은색의 부리와 다리가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 태국, 보르네오, 말레이시아반도
•한국 흔한 여름철새로, 숲이나 농경지의 나무 꼭대기에 앉아 있는 모습을 종종 관찰할 수 있다.
•제주도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주로 관찰되며 6월에도 관찰된 바 있어 번식가능성은 있으나 확인
이 필요하다.
•한남 지역 5월, 6월에 개활지 및 임도 근처 나무 꼭대기에 앉아 있는 모습이 관찰된 바 있다.

15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 지남준



어린새

머리 주요관찰지

파랑새 159
후투티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Upupa epops 목명 파랑새 목(CORACIIFORMES)


영명 Hoopoe / Common Hoopoe 과명 후투티 과(Upupidae)
속명 후투티 속(Upupa)

몸길이 27cm 서식지 농경지 / 풀밭 / 인가주변의 개활지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수명 5-10년

둥지 오래된 나무 구멍이나 담 구멍 속에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보통 5-8개 낳으며 암컷이 약 17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약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성인 새이다. 알에서 깬 후 약 25일 전후로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다. 길게 뻗은 머리깃을 펼치면 왕관 모양이 된다. 장식깃 끝부분은
검은색이다. 부리는 길고 아래로 휘어져 있다. 몸은 황갈색이며 날개와 등, 꼬리의 흰색과 검은색의
줄무늬가 특이하다. 배는 흰색이다. 꼬리는 검은색이며 꼬리 가운데에 흰색의 굵은 가로띠가 있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다.
먹이 주로 곤충(땅강아지)이나 지렁이 등을 먹는다. 땅 위 동물의 배설물이나 두엄 위를 부리로 콕콕
찌르며 먹이를 찾는다.
필드 마크 길게 뻗은 머리장식깃과 날개, 등, 꼬리의 희고 검은 줄무늬가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한국 번식하러 찾아오는 여름철새로, 땅 위를 걸어 다니거나 두엄을 부리로 찌르면서 먹이 찾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제주도 소수의 개체가 드물게 번식하지만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농경지나 풀밭에서 주로 관찰된다.
•한남 지역 봄에 개활지 풀밭 위를 걸어 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을 관찰한 적이 있다.

16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뒷모습

먹이 주요관찰지

후투티 161
흰털발제비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Delichon urbic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House Martin / Asian House Martin 과명 제비 과(Hirundinidae)
속명 흰털발제비 속(Delichon)

몸길이 12cm 서식지 평지와 산지의 개방된 환경 도래시기 봄 / 가을 / 겨울 개체수 흔하지 않음


수명 5년

둥지 오래된 건물의 처마 밑이나 산지의 절벽에 진흙을 이용해서 밥그릇 모양으로 만든다.
산란시기 4-7월
산란수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4-5개 낳고 보름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어미새로부터 먹이를 받아먹으면서 성장해 약 25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나게 된다.

형태 몸 윗면은 검은색이고 허리는 흰색이다. 몸 아랫면은 흰색이며 날개 아랫면과 꼬리 아랫면은


검은색이다.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다. 다리와 발가락은 흰색의 깃털로 덮여 있다. 꼬리는 약간 오
목하게 들어가 있다.
먹이 하늘을 빠르게 날아다니며 하루살이나 작은 파리 같은 비행곤충을 낚아채 먹는다.
필드 마크 흰색의 허리와 다리, 발가락이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미얀마, 태국
•한국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희귀하게 도래하는 나그네새로, 무리를 지어 날아다니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제주도 1997년 4월 첫 관찰 이후, 남원 해안에서 2004년 2월에 1개체, 2007년 1월 6개체, 2008년
1월 19개체가 관찰되었다. 제주도에서는 주로 겨울에 관찰된다.
•한남 지역 2007년 10월에 100개체 이상이 무리를 이루어 숲 상공을 날며 먹이를 찾는 것이 관찰
되었다.

16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아래모습 주요관찰지

흰털발제비 163
힝둥새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Anthus hodgsoni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Olive-backed Pipit 과명 할미새 과(Motacillidae)
속명 밭종다리 속(Anthus)

몸길이 16cm 서식지 숲, 숲 가장자리 도래시기 봄 / 가을 / 겨울 개체수 흔함 수명 5년

둥지 초지대 풀 속에 둥지를 만들며 땅 위에 밥그릇 모양으로 오목하게 파서 마른 풀줄기를 이용한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옅은 노란색의 바탕에 어두운 갈색의 점이 산재한 알을 3-5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주로 나방이나 곤충 애벌레 등을 먹고 성장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같다. 몸 윗면은 갈색을 띠는 녹색이고 흰색의 눈썹선과 눈썹선 아래
에 흰색의 둥근 반점이 뚜렷하다. 배는 흰색이며 검은색의 반점이 세로로 나열되어 있다. 홍채는 갈
색이다. 다리는 옅은 갈색이거나 분홍색이다. 뒷발가락의 발톱은 뒷발가락보다 약간 짧고 둥글게
굽어 있다.
어린새 어미새와 유사하다.
먹이 여름에는 주로 곤충류를 잡아먹으며 거미류를 먹기도 하고 겨울에는 씨앗을 먹는다.
특이행동 놀라거나 위험을 느끼면 나무나 전깃줄로 날아오르며 꼬리를 계속 흔든다.
필드 마크 흰색의 눈썹선과 눈썹선 아래의 둥글고 흰 반점이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대만, 필리핀, 미얀마
•한국 흔한 나그네새이면서 적은 수가 도래하는 겨울철새로, 나무가 있는 개활지나 숲에서 주로
관찰된다.
•제주도 주로 겨울에 관찰되었으나 2007년 7월 한라산 정상 부근에서 새끼 4마리를 키우고 있는
것이 관찰되어 번식이 확인되었다.
•한남 지역 가을에 임도 주변이나 숲속에서 먹이를 찾거나 날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16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옆모습

새끼새 주요관찰지

힝둥새 165
할미새사촌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Pericrocotus divaricat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Ashy Minivet 과명 할미새사촌 과(Campephagidae)
속명 할미새사촌 속(Pericrocotus)

몸길이 20cm 서식지 숲 도래시기 봄 / 여름 / 가을 개체수 흔하지 않음

둥지 교목 위에 나무껍질이나 마른 풀줄기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흰색의 바탕에 옅은 갈색이나 갈색의 점이 산재한 알을 4-5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새끼는 알에서 깬 후 15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날개는 좁고 길며, 꼬리도 길다. 이마는 흰색이다. 몸 윗면은 회색이고, 아랫면은 흰색이다. 부리
와 다리는 검은색이고 홍채는 갈색이다. 수컷은 눈선과 뒷머리가 검은색이다. 암컷은 회색을 띤다.
먹이 주로 나무에서 생활하며 나무 사이를 돌아다니며 곤충을 잡아먹는다.
특이행동 완만한 파도 모양으로 날아다닌다.
필드 마크 이마는 희고 검은색의 눈선이 뚜렷하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한국 흔하지 않은 나그네새이며 적은 수가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숲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해안가 근처 및 중산간지역 숲에서 드물게 관찰된다.
•한남 지역 봄에 나무 위에서 먹이 잡는 모습이 관찰된 바 있다.

16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할미새사촌 167
검은딱새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Saxicola torquat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Common Stonechat / Siberian Stonechat 과명 지빠귀 과(Turdidae)
속명 검은딱새 속(Saxicola)

몸길이 13cm 서식지 농경지 / 덤불 / 개활지 도래시기 봄 / 여름 / 가을 개체수 흔함

둥지 풀밭에 마른 풀줄기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짓고 알자리에는 깃털, 뿌리, 동물의 털
을 깐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녹색빛이 도는 푸른색 바탕에 갈색의 무늬가 있는 알을 6-7개 낳고 암컷이 14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새끼새는 어미새로부터 곤충이나 곤충 애벌레를 받아먹으며 성장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다르다. 수컷의 머리와 등, 날개, 꼬리는 검고, 가슴은 주황색이며, 허
리와 날개의 흰 반점이 뚜렷하다. 암컷의 머리와 날개는 어두운 갈색이고, 가슴은 옅은 주황색이다.
겨울이 되면 꼬리를 제외하고 몸 전체가 갈색을 띠고 날개의 흰색 반점도 사라진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먹이 풀줄기나 나뭇가지에 앉아서 주변을 살피다가 풀잎이나 풀줄기에 붙어 있는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는다.
필드 마크 날개에 흰색의 점이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일본, 대만, 보르네오, 필리핀, 미얀마, 태국
•한국 봄과 가을에 흔하게 보이는 나그네새이면서 일부는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덤불이나 개활
지, 농경지 등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농경지나 풀밭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한남 지역 봄에 개활지에 자라는 억새 줄기에 앉아 먹이 찾는 모습을 관찰한 적이 있다.

16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앞모습 주요관찰지

검은딱새 169
검은지빠귀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Turdus cardi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Grey Thrush / Japanese Thrush 과명 지빠귀 과(Turdidae)
속명 지빠귀 속(Turdus)

몸길이 22cm 서식지 평지나 야산의 숲 도래시기 봄 / 가을 개체수 적음

둥지 나뭇가지 위에 이끼와 마른 풀줄기, 뿌리 등을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푸른색 바탕에 붉은 갈색의 무늬가 있는 알을 3-4개 낳고 약 12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같이 새끼새를 먹이며 약 14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은 다르다. 수컷의 머리와 얼굴, 가슴, 날개는 검다. 몸 아랫면은 흰 바탕
에 검은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노란 부리와 눈테가 뚜렷하다. 암컷의 몸 윗면은 녹색을 띤 갈색이
고, 옆구리와 날개 아랫면은 주황색이며, 가슴과 옆구리에 흑갈색 반점이 줄지어 있다.
어린새 수컷 어린새는 갈색기가 있는 검은색이고 부리와 눈테가 선명하지 않다.
먹이 땅 위를 돌아다니며 지렁이나 곤충 애벌레를 잡아먹는다.
필드 마크 노란색의 부리와 배의 반점이 특징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대만
•한국 봄과 가을에 적은 수가 도래하는 나그네새로, 주로 섬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주로 봄에 마라도나 서쪽 해안가 숲에서 관찰되며, 겨울에 구좌읍 하도리에서 수컷 한 마
리가 창문에 부딪쳐 구조된 적이 있다.
•한남 지역 5월말 숲에서 번식송이 들렸으며 10월에 수컷 1개체가 나무 사이를 날아서 이동하는
것이 목격된 바 있다. 시기적으로 볼 때 번식 및 월동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추후 세심한 관찰
이 필요하다.

17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 강희만



가슴

발가락

먹이 주요관찰지

검은지빠귀 171
되지빠귀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Turdus hortulorum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Grey-backed Thrush 과명 지빠귀 과(Turdidae)
속명 지빠귀 속(Turdus)

몸길이 23cm 서식지 울창한 숲 / 공원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하지 않음

둥지 나뭇가지나 줄기 사이에 마른 풀줄기와 뿌리, 진흙을 섞어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알자


리에는 가는 풀뿌리나 줄기를 깐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녹색빛이 도는 푸른색 바탕에 갈색의 무늬가 있는 알을 4-5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가며 새끼새를 먹인다.

형태 부리가 노랗다. 다리는 갈색이다. 수컷은 머리와 가슴, 등이 회색을 띠며, 옆구리는 주황색이
다. 배는 흰색이다. 암컷의 몸 윗면은 녹색빛이 도는 갈색이며, 가슴에 검은 반점들이 흩어져 있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지만 몸색깔이 전체적으로 흐릿하다.
먹이 땅 위를 돌아다니며 낙엽을 들춰 지렁이를 잡아먹거나 곤충 애벌레를 잡아먹는다.
필드 마크 수컷의 머리와 가슴, 등 날개는 회색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우수리
•한국 여름에 흔하지 않게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며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해안가 숲이나 섬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제주도 주로 봄에 해안가 근처 숲이나 마라도 등지에서 관찰되며 여름에 곶자왈이나 계곡 주변
의 울창한 숲에서 둥지가 발견되기도 한다.
•한남 지역 숲이 울창하고 낙엽층이 두꺼워 먹이인 지렁이가 많으며 번식에 적합한 환경을 가지고
있어 번식 가능성이 높으나 아직 둥지가 확인된 바 없다.

17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뒷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되지빠귀 173
숲새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Urosphena squameiceps / Cettia squameicep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Short-tailed Bush Warbler / Asian Stubtail 과명 휘파람새 과(Sylviidae)
속명 휘파람새 속(Cettia)

몸길이 10cm 서식지 울창한 숲 / 덤불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수명 2-3년

둥지 숲 속 쓰러진 고목 밑이나 나무뿌리, 풀 주변에 낙엽과 이끼, 풀뿌리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


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흰색 바탕에 붉은 갈색의 점이 산재한 알을 5-7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같이 새끼새를 먹인다.

형태 암컷과 수컷은 몸색깔이 같다. 몸이 아주 작으며, 꼬리가 짧다. 몸 윗면은 갈색, 아랫면은 연노
란색이며, 흰 눈썹선이 뚜렷하다. 부리는 갈색이고 다리는 분홍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다.
먹이 숲속의 땅 위나 하층부를 돌아다니며 작은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는다.
특이행동 주로 풀숲이나 덤불 속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관찰하기 어렵지만,‘씨, 씨, 씨, 씨’하며 특
이한 울음소리를 내므로 존재 여부는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필드 마크 꼬리가 아주 짧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사할린, 일본, 대만
•한국 여름에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해안가 숲이나 섬에서 무리를
지어 도래하여 땅 위를 돌아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제주도 주로 봄에 해안가 근처 숲이나 마라도 등에서 관찰되며 가을에도 중산간지역 숲에서 간
혹 관찰된다. 아직 번식은 확인된 바 없다.
•한남 지역 8월에 숲의 하층부를 돌아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이 관찰된 바 있다.

17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윗모습

뒷모습 주요관찰지

숲새 175
산솔새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Phylloscopus coronatus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Eastern Crowned Willow Warbler 과명 휘파람새 과(Sylviidae)
속명 솔새 속(Phylloscopus)

몸길이 12-13cm 서식지 숲 / 공원 도래시기 여름 개체수 흔함

둥지 숲속의 나무뿌리 밑, 땅 위, 언덕의 움푹 파인 곳에 마른 풀줄기, 이끼, 낙엽으로 둥근 모양의


둥지를 틀며 입구는 옆으로 뚫려 있다. 알자리에는 깃털, 동물의 털을 깐다.
산란시기 5-6월
산란수 표면에 무늬가 없는 흰색의 알을 4-6개 낳고 약 13일 정도 품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같이 새끼새를 먹이고 약 13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몸 윗면은 녹색, 아랫면은 흰색, 눈썹선은 연노란색이다. 머리 꼭대기에 흐린 녹색 중앙선이


있다. 윗부리는 어두운 갈색이고, 아랫부리는 연노란색이다. 다리는 갈색이다.
어린새 어미새와 비슷하다.
먹이 숲의 꼭대기층을 돌아다니며 잎이나 나뭇가지에 붙어 있는 작은 곤충을 잡아먹거나 공중으로
날아올라 잎에 붙어 있는 곤충을 낚아채서 먹는다.
필드 마크 머리 꼭대기에 흐릿한 흰색의 중앙선이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동부, 일본,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반도, 싱가포르
•한국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며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해안가 숲이나 섬에서도 쉽게 관찰된다.
•제주도 주로 봄에 해안가 근처 숲이나 마라도 소나무숲에서 나무 사이를 돌아다니며 먹이 찾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사람을 별로 경계하지 않아 다른 솔새류에 비해 관찰이 쉽다. 아직
번식은 확인된 바 없다.
•한남 지역 가을철 월동지로 이동하던 개체가 잠시 들렀을 가능성이 크다.

17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비행

머리 주요관찰지

산솔새 177
황금새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Ficedula narcissin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Narcissus Flycatcher 과명 딱새 과(Muscicapidae)
속명 황금새 속(Ficedula)

몸길이 13-14cm 서식지 숲 도래시기 봄 / 가을 개체수 적음

둥지 교목의 나뭇가지나 넝쿨에 마른 잎을 이용해서 깊은 밥그릇 모양으로 둥지를 만들며 알자리에


는 이끼나 길고 가는 동물의 털을 깐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분홍색 바탕에 붉은 갈색의 얼룩이 있는 알을 4-5개 낳고 암컷이 품는다. 알은 품은 지 약 12
일이 지나면 새끼가 부화한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암컷과 수컷이 같이 새끼새를 먹이고 약 12일 정도 지나서 둥지를 떠난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다르다. 수컷은 노란 눈썹선이 특징이다. 턱과 목, 가슴과 허리는 노


란색이다. 허리를 제외하고 몸 윗면은 검은색이고 날개에 흰색의 반점이 있다. 배 아랫면은 흰색이
며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암컷은 몸 윗면이 녹색을 띠는 갈색이고 허리 아래부분이 붉은 갈색
을 띤다. 몸 아랫면은 흰색이다.
어린새 암컷과 비슷하지만 허리에 노란색이 강하다.
먹이 하루살이나 작은 파리와 같이 날아다니는 곤충을 주로 잡아먹는다. 나뭇가지나 풀줄기에 앉아
서 먹이를 찾다가 적당한 먹잇감이 나타나면 날아서 낚아챈 후 제자리로 돌아온다.
필드 마크 눈썹선이 노랗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한국 봄과 가을에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주로 봄에 서해안 섬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주로 봄에 해안가 숲이나 마라도 등지에서 관찰된다. 간혹 중산간지역 숲에서 관찰되기
도 한다.
•한남 지역 봄에 임도 근처 숲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이 관찰된 바 있다. 소수이긴 하지만 이동하다
가 잠시 쉬면서 먹이를 찾아먹기 위해 규칙적으로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

17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앞모습

머리 주요관찰지

황금새 179
꼬까참새 길잃은새 _ Vagrants

학명 Emberiza rutila 목명 참새 목(PASSERIFORMES)


영명 Chestnut Bunting 과명 멧새 과(Emberizidae)
속명 멧새 속(Emberiza)

몸길이 14cm 서식지 숲 / 농경지 도래시기 봄 / 가을 개체수 흔하지 않음

둥지 나무 밑 땅 위에 마른 풀줄기를 이용하여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산란시기 5-7월
산란수 옅은 노란색의 바탕에 옅은 녹색과 갈색의 점이 흩어져 있는 알을 3-4개 낳는다.
부화형태 몸의 대부분이 솜털이 나 있지 않은 상태로 알에서 깨어나 몸을 가누지 못하고 보온을 위
해 1-2일 정도 어미새가 품어준다. 그리고 10일 이상 어미새가 가져다주는 먹이를 먹고 자라는 만성
성인 새이다.

형태 암컷과 수컷의 몸색깔이 다르다. 수컷은 머리와 턱, 목, 등, 허리가 붉은색이다. 가슴과 배는 노


란색이다. 다리는 붉은색이다. 암컷은 머리꼭대기가 갈색이고 얼굴은 옅은 갈색을 띠며 옅은 노란
색의 눈썹선과 턱선은 불분명하다. 몸 아랫면은 노란색이며 가슴과 옆구리에 검은색의 가는 줄무
늬가 있다. 허리는 갈색이다.
어린새 암컷과 비슷하나 갈색기가 옅다.
먹이 여름에는 쉽게 구할 수 있는 곤충을 먹으며 겨울에는 풀씨를 먹는다.
필드 마크 붉은색의 머리, 목, 가슴과 노란색의 배가 뚜렷한 경계를 이룬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시베리아, 일본, 대만
•한국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관찰되는 나그네새로, 잠시 들러서 쉬고 영양을 보충한 후 번식지나
월동지로 떠난다.
•제주도 봄에 주로 관찰되며 해안가 숲의 가장자리나 마라도 초지에서 관찰된다.
•한남 지역 가을에 임도 주변 땅 위에서 씨앗을 주워 먹거나 풀씨 따먹는 모습이 관찰된 바 있다.

18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암컷

머리 주요관찰지

꼬까참새 181
파충류
Reptiles
쇠살모사 유혈목이 대륙유혈목이 비바리뱀 누룩뱀 줄장지뱀
쇠살모사 파충류 _ Reptiles

학명 Agkistrodon ussuriensis 목명 뱀 목(SQUAMATE)


영명 Red-tongue Viper Snake 과명 살모사 과(Viperidae)

몸길이 55cm 서식지 숲 / 초지 주요활동시간 밤


독의 유무 독사나 불독사로 불리며 살모사와 까치살모사와 비슷하여 혼동되기도 한다. 쇠살모사의
독은 혈액독으로 한번 물리면 독이 혈액을 따라 서서히 퍼지면서 먹이를 죽게 한다. 사람이 물린 후
시간이 오래 경과하면 물린 부위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괴사하면서 썩게 된다.

산란시기 보통 9월에 짝짓기를 하고 다음해 8월부터 10월 사이에 새끼를 낳는다.


산란수 한배에 4-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특이사항 대부분 뱀은 알을 낳는 난생이지만 쇠살모사는 어미 배 속에서 알을 깨고 나오는 난태생
이다.

형태 붉은색의 혀가 가장 큰 특징이며, 꼬리 끝은 검은색을 띠고 머리는 삼각형이다. 몸길이는 다른


뱀에 비해 짧으며 통통하다.
먹이 밤에 개구리, 쥐, 도마뱀 등을 사냥해 먹으며 먹이를 소화시키기 위해 따뜻한 바위나 풀 위에서
똬리를 틀고 일광욕하는 장면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한국 우리나라에서 흔한 독사로, 전국에 골고루 분포한다.
•제주도 제주도에 서식하는 뱀류 중 가장 폭넓게 분포하는 종으로, 해안지대에서 한라산 정상까
지 분포한다.
•한남 지역 임도 주변이나 숲 속 바위 위에서 쉬는 모습을 종종 관찰할 수 있다.

18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휴식장면

삼각형의 머리

먹이 은신처

쇠살모사 185
유혈목이 파충류 _ Reptiles

학명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목명 뱀 목(SQUAMATE)


영명 Tiger Keelback Snake 과명 뱀 과(Colubridae)
제주명 돗줄래 속명 유혈목이 속(Rhabdophis)
국명이명 꽃뱀 / 화사

몸길이 80-100cm 서식지 민물 습지 / 초지 / 숲


독의 유무 기존에 독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 입 안 뒤쪽 깊숙이 독니가 있어 치명적인 독
이 나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깊이 물리지 않으면 독이 주입되지 않는다.

산란시기 9-10월에 짝짓기를 하며 다음해 7-8월에 산란한다.


산란수 1회에 알을 10-20개 낳는다.

형태 몸의 색깔이 화려하다고 해서 꽃뱀이라고 하며 녹색의 몸 바탕에 주황색과 검은색의 띠가 몸


윗면과 옆면에 있다.
먹이 연못이나 습지에서 주로 개구리를 잡아먹는다. 물에서 헤엄을 잘 치고 가끔 물고기를 사냥하
기도 한다. 위협을 느끼면 잽싸게 도망가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코브라처럼 머리를 곧추세우고 공
격자세를 취한다.

분포
•한국 전국 습지나 연못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제주도 해안 저지대에서 윗세오름 주변의 습지에서도 관찰된다.
•한남 지역 임도 주변에서 사람의 출현에 놀라 달아나는 모습이 관찰되며, 가끔 임도에서 차에 치
여 죽은 사체가 목격되기도 한다.

18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위장색

머리

먹이 먹이사냥

유혈목이 187
대륙유혈목이 파충류 _ Reptiles

학명 Amphiesma vibakari ruthveni 목명 뱀 목(SQUAMATE)


영명 Asian Keelback Snake 과명 뱀 과(Colubridae)
제주명 샛배염

몸길이 45cm 서식지 숲 / 계곡 / 농경지 / 초지 개체수 흔하지 않음 독의 유무 독이 없음

산란시기 5월에 짝짓기를 하며 7-8월에 산란한다.


산란수 1회에 4-7개의 알을 낳는다.

형태 우리나라에서 가장 작은 뱀에 속하며 어두운 갈색의 몸은 가늘고 길며 머리는 유선형이며 검


다. 이런 몸구조로 인해 행동이 매우 민첩하다.
먹이 작은 개구리나 지렁이를 주로 잡아먹는다.

분포
•한국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흔하지 않지만,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개체수는 비교적 많아 관찰이 쉽다.
•제주도 저지대에 위치한 초지대나 인가 주변, 농경지 등에서 한라산 1100m 부근까지 비교적 흔
하게 관찰된다.
•한남 지역 임도 주변에서 사람의 출현에 놀라 달아나는 개체들이 종종 관찰된다.

18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윗모습

머리 먹이

대륙유혈목이 189
비바리뱀 파충류 _ Reptiles

학명 Sibynophis chinensis 목명 뱀 목(SQUAMATE)


영명 Black-headed Snake 과명 뱀 과(Colubridae)
제주명 샛배염

몸길이 50-70cm 서식지 오름 / 숲 / 곶자왈 개체수 흔하지 않음


보호유무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 독의 유무 독이 없음

산란시기 알려진 바 없다.


산란수 알려진 바 없다.

형태 머리는 검고 나머지 부분은 밝은 갈색을 띤다. 머리 뒷부분에서 삐져나온 검은색 댕기가 있다.
몸은 가늘고 길다.
먹이 주로 곤충이나 도마뱀, 장지뱀류를 먹는다.
특이사항 1981년 성판악 사라오름 근처에서 처음 관찰되어 알려지게 되었다. 현재 제주도에만 분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식지의 북방한계선이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남부, 대만
•한국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관찰되었으며 남해안에 서식할 가능성은 있으나 아직 확인된 바 없다.
•제주도 중산간 지역 숲이나 곶자왈, 목장 지대에서 주로 관찰된다.
•한남 지역 삼나무림에서 사람 출입에 놀라 도망가는 것을 관찰한 적이 있다.

19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머리 먹이

비바리뱀 191
누룩뱀 파충류 _ Reptiles

학명 Elaphe dione 목명 뱀 목(SQUAMATE)


영명 Cat Snake 과명 뱀 과(Colubridae)
제주명 구랭이

몸길이 80-100cm 서식지 초지 / 농경지 개체수 흔함 독의 유무 독이 없음

산란시기 4-5월에 짝짓기를 하며 8월에 산란한다.


산란수 알은 15개 내외 정도 낳고 50일 정도 지나면 부화한다.

형태 등은 갈색이며 배는 황색이다. 몸에 다이아몬드 모양의 무늬가 있다.


먹이 쥐나 다람쥐, 개구리를 먹으며 나무나 경사진 바위 등을 잘 타기 때문에 새알이나 새끼새를 잡
아먹기도 한다.
특이사항 성질은 다소 사나운 편이다.

분포
•한국 전국 어디서나 흔하게 볼 수 있다.
•제주도 제주도 전역에서 흔하게 볼 수 있으며 보통 11월에 동면에 들어가지만 12월과 1월에 따뜻
한 날 관찰되기도 한다.
•한남 지역 임도 주변에서 사람의 출현에 놀라 도망가는 모습이 종종 관찰된다.

19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윗모습

허물 먹이

누룩뱀 193
줄장지뱀 파충류 _ Reptiles

학명 Takydromus wolteri 목명 뱀 목(SQUAMATE)


영명 Wolter Lizard 과명 장지뱀 과(Lacertilidae)
제주명 장꼴애비 속명 장지뱀 속(Takydromus)

몸길이 15cm 내외 서식지 초지 / 숲 개체수 흔함

산란시기 7월에 풀 속이나 땅에 쌓인 나뭇잎 속에 낳는다.


산란수 보통 5개 내외의 알을 낳는다.
특이사항 짝짓기 철이 되면 뒷다리 밑의 구멍에서 페로몬을 풍긴다.

형태 몸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몸의 옆부분에 연두색의 줄무늬가 머리에서부터 뒷다리까지 뻗


어 있다. 다리는 4개이며 긴 꼬리를 가지고 있다.
먹이 주로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는다.
특이사항 위험을 느끼거나 잡혔을 때 꼬리를 끊고 달아나며 꼬리는 다시 생긴다.

분포
• 한국 중부 이남지역에서 관찰된다.
• 제주도 초지대나 농경지, 숲 등에 빛이 잘 드는 곳에서 주로 관찰된다.
• 한남 지역 빛이 잘 드는 풀잎이나 초지에서 일광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9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머리 윗모습

줄장지뱀 195
양서류
Amphibians
제주도롱뇽 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무당개구리 청개구리
제주도롱뇽 양서류 _ Amphibians

학명 Hynobius quelpartensis 목명 도롱뇽 목(CAUDATA)


영명 Cheju Salamander 과명 도롱뇽 과(Hynobiidae)

몸길이 7-12cm 서식지 숲 속 습지 / 계곡 주요활동시간 야간 특이사항 한국특산종

산란시기 2-4월
산란수 투명하고 길쭉한 알주머니에 25-50개의 알이 들어 있으며 물이 고여 있는 웅덩이의 작은 돌
맹이나 수초에 알을 붙인다.
부화 산란 후 3주 정도 지나면 알에서 깨어나며 물 속 땅 바닥을 기어 다니며 생활한다. 유생시기에
는 아가미로 호흡한다. 7월-8월이 되면 성체가 되어 아가미가 퇴화된다.

형태 몸이 길고 다리는 짧다. 몸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이나 검은색을 띤다.


먹이 거미나 곤충, 지렁이를 먹으며 낮에는 바위 밑이나 쓰러진 고목 밑에서 쉬고 있다가 밤이 되면
먹이를 찾아 밖으로 나온다.
유생 갈기 모양의 아가미가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월동 겨울에는 고사목이나 바위 밑에서 꼼짝 않고 지낸다.

분포
•한국 제주도를 비롯하여 남해안 지역에 서식한다.
•제주도 산간 계곡이나 숲속 물웅덩이에서 유생이 관찰되며 그 주변 고사목이나 바위 밑에서는
성체가 종종 관찰된다. 한라산 윗세오름 주변 습지에서도 서식한다.
•한남 지역 표고재배목을 담그기 위해 만들어놓은 물웅덩이나 작은 계곡의 고인 물 속에서 알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주변의 고사목 아래서 성체를 종종 관찰할 수 있다.

19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윗모습

알 은신처(고사목아래)

제주도롱뇽 199
북방산개구리 양서류 _ Amphibians

학명 Rana dybowskii 목명 무미 목(ANURA)


영명 Dybowski's Brown Frog 과명 개구리 과(Ranidae)
제주명 개가비 속명 개구리 속(Rana)

몸길이 6-7cm 서식지 숲 / 숲속 습지

산란시기 2-5월
산란수 물이 고인 웅덩이나 개울에 동그란 공 모양의 알집 속에 검은색의 작은 알이 하나 들어 있는
데 이런 알을 500-2000개 정도 낳아 알 덩어리를 만든다.
특이행동 수컷들은 무리를 지어 소리를 낸다.
특이사항 가장 일찍 산란하는 종이다.

형태 몸은 어두운 갈색이고 뒷다리에 검은색의 굵은 띠가 여러 개 있다. 눈 아래쪽으로 굵고 검은색


의 띠가 있다.
올챙이 눈과 콧구멍 사이가 짧으며, 배는 거무스름하면서 금가루를 뿌려 놓은 듯한 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먹이 곤충, 거미, 지렁이를 주로 먹는다.

분포
•한국 전국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진 산에 주로 서식한다.
•제주도 주로 숲이나 숲속 습지에서 관찰되며 1월에 날이 따뜻해지면 나와서 산란하는 경우도 있
다. 윗세오름 근처 습지 고인 물에서 10월까지 올챙이가 관찰된다.
•한남 지역 1월부터 물웅덩이에서 알 덩어리가 관찰되며 숲 바닥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는 모습
이 관찰되기도 한다.

20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올챙이

앞모습 뒷모습

북방산개구리 201
참개구리 양서류 _ Amphibians

학명 Rana nigromaculata 목명 무미 목(ANURA)


영명 Black-spotted Pond Frog 과명 개구리 과(Ranidae)
제주명 개가비 속명 개구리 속(Rana)

몸길이 6-9cm 서식지 물가 / 풀숲


보호유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준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음

산란시기 4-6월
산란수 알 덩어리의 크기는 약 30cm 정도이며 약 3000개의 알이 들어 있다. 접착성이 없어 다른 물
체에 부착하지 않고 물속에 잠겨 있다.
특이사항 가장 산란시기가 늦은 종이다.

형태 옅은 갈색의 바탕에 검은색의 얼룩무늬가 있으며 등을 가로지르는 연두색의 가는 줄무늬가 특


징이다. 보통은 등의 줄무늬가 3개이지만 개체에 따라 1개가 없는 경우도 있어 금개구리와 혼동되
기도 한다. 몸의 색깔은 개체에 따라 변이가 심하며 녹색, 갈색, 연한 회갈색, 노란색 등 다양하다.
올챙이 배가 하얗고 눈을 따라 선 2개가 희미하게 나 있으며 콧구멍과 눈 사이의 거리가 멀다.
먹이 곤충, 지렁이를 주로 잡아먹으며, 간혹 물고기나 거미를 먹기도 한다.
특이사항 유혈목이의 주요먹잇감이다.

분포
•한국 전국적으로 논, 저수지, 연못 등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 저지대에서 한라산 정상 백록담에서까지 관찰된다.
•한남 지역 숲속 습지나 물가에서 쉽게 관찰된다.

20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어린 개체

옆모습 물 속 모습

참개구리 203
무당개구리 양서류 _ Amphibians

학명 Bombina orientalis 목명 무미 목(ANURA)


영명 Wrinkled Frog / Red-bellied Frog 과명 무당개구리 과(Bombinatoridae)
국명이명 고추개구리 / 비단개구리

몸길이 4-5cm
서식지 산 / 개울가 / 계곡

산란시기 3-6월
산란수 맑은 계곡 물에 산란하며 뭉쳐져 있지 않고 물 위에 떠다니는 나뭇잎이나 나뭇가지, 돌 표면
에 0.5cm 정도의 알이 몇 개 들어 있는 작은 알 덩어리를 붙인다.

형태 어두운 녹색, 녹색, 갈색의 바탕에 불규칙한 검은색의 반점이 흩어져 있다. 배는 붉은색 또는
주황색을 띤다.
올챙이 투명한 피부를 갖고 있어 내장기관이 다 보이며 검은색으로 보이고 눈은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튀어나와 있지 않다.
먹이 곤충을 주로 먹는다.
특이행동 위협을 느끼면 뒤집어서 붉은색의 배를 보이며 독이 있음을 알린다. 피부에서는 흰 독액이
분비되는데 사람의 피부에 닿았을 경우 강한 자극을 준다.

분포
•동아시아 일본, 시베리아
•한국 주로 숲속 얕은 물에서 관찰된다.
•제주도 남방한계선으로, 숲속이나 계곡의 고인 물에서 주로 관찰된다.
•한남 지역 숲속 고인 물이나 계곡 물웅덩이에서 관찰되며 무당개구리만의 둔탁하고 독특한 소리
를 내기 때문에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20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윗모습

아래모습 서식지

무당개구리 205
청개구리 양서류 _ Amphibians

학명 Hyla japonica 목명 무미 목(ANURA)


영명 Tree Frog 과명 청개구리 과(Hylidae)
제주명 개가비 속명 청개구리 속(Hyla)

몸길이 2.5-4cm
서식지 논밭 / 숲 / 주로 평지나 습지 주변에서 살며, 번식기가 끝나면 관목이나 풀밭에서 생활한다.

산란시기 4-7월
산란수 알을 몇 개씩 묶어서 여러 곳에 흩어 낳으며, 한 쌍이 낳는 알은 200~350개에 불과하다.

형태 몸 윗면은 녹색이고 눈 뒤로 검은색의 띠가 있다.


올챙이 배가 황금색이며, 약간 자란 올챙이는 꼬리부분이 붉고, 눈은 머리 가장자리에 붙어 있다.
먹이 거미, 애벌레 등을 잡아먹는다.
특이사항 앞뒤 발가락에 흡판이 발달되어 있어 나뭇잎에 붙거나 나무줄기를 타고 올라가기에 적합
하다. 덩치에 비해 울음소리가 크다.

분포
•동아시아 중국, 러시아, 일본
•한국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제주도 주로 해안저지대 농경지나 중산간 지역 숲, 1100고지에서도 관찰된다.
•한남 지역 숲속 습지나 물가 주변에서 그리고 나무줄기, 나뭇잎에서 관찰된다.

20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번식
한남 ○



앞모습

뒷모습

아래모습 서식지

청개구리 207
수서무척추동물
Aquatic Invert
ertebrates

삼각산골조개 참거머리 아시아실잠자리 가는실잠자리 왕잠자리 고추잠자리 땅콩물방개


큰땅콩물방개 애기물방개 큰알락물방개 섬등줄물방개물맴이 엿소금쟁이 애소금쟁이
등빨간소금쟁이 소금쟁이 왕소금쟁이 제주실소금쟁이 송장헤엄치게 남쪽애송장헤엄치게
연못하루살이
삼각산골조개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Sphaerium (Musculium) lacustre


목명 백합 목(VENEROIDA)
과명 산골 과(Sphaeriidae)

몸길이 5-12mm
형태 및 특징 각피는 회백색으로 새로 형성된 부위는 황색이고 성장성이 뚜렷하다. 태각은 뚜렷하고
광택을 내며 각정은 몸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며 전체적인 형태는 사각형에 가깝다.

서식지 강가나 오래된 못의 진흙바닥


먹이 소형 플랑크톤
번식시기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산란특성 난태생으로 유폐가 약 40개 안쪽아가미에 있다가 밖으로 나온다.

개체수 흔하지 않음

분포
•동아시아 일본
•한국 경기 양수리, 경남 양산, 전남 나주 등 주로 강가에서 서식한다.
•제주도 봉개, 용수, 용흥 등 논농사 지역과 오래된 연못에서 확인된다.
•한남 지역 과거 버섯재배용으로 사용하던 인공연못에서 집단으로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생태사진 성패와 유패들

21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참거머리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Hirudo nipponica
목명 턱거머리 목(ARHYNCHOBDELLIDAE)
과명 거머리 과(Hirudinidae)

몸길이 50-70mm
형태 및 특징 가늘고 길며 바퀴 모양의 주름이 있다. 몸의 마디는 34개이며 몸체의 앞뒤 양 끝의 배
쪽에 각각 한 개의 흡반이 있고 앞쪽에 있는 흡반 밑에 입이 있다. 이 흡반으로 몸무게 2~5배의 피
를 빨아 먹는다.

먹이 올챙이, 대형동물 등의 체액을 빨아먹는다.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흔하지 않음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중국
•한국 전국의 논이나 연못에서 확인된다.
•제주도 주로 소를 방목하는 오래된 연못에서 확인된다.
•한남 지역 소규모 개체가 서식한다. 수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생태사진 포식

211
아시아실잠자리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Ischnura asiatica
목명 잠자리 목(ODONATA)
과명 실잠자리 과(Coenagrionoidae)

몸길이 20-25mm
형태 및 특징 성충의 몸은 초록색인데, 암컷은 개체에 따라 초록색과 붉은색을 띠기도 한다. 수컷은
암컷에 비해 눈 뒤쪽의 무늬가 작고 둥글며, 앞어깨의 줄은 가늘고 긴 검은 줄무늬가 있으며, 배의
등쪽은 검은색이다.
유충은 수생식물이 많은 연못이나 저수지에서 볼 수 있으며, 성충는 계곡의 연못이나 습지, 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기도 한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흔함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중국 •한국 전국의 계곡의 연못이나 습지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규모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성충

21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가는실잠자리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Indolestes peregrinus
목명 잠자리 목(ODONATA)
과명 청실잠자리 과(Lestidae)

몸길이 28-32mm
형태 및 특징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희미한 갈색 바탕에 흑갈색 무늬가 있다. 그러나 성충
이 되면 전체적으로 고운 푸른색으로 변하는데, 머리꼭대기・뒷머리・이마는 청동색이 도는 흑갈
색이고, 윗입술은 청록색이다. 가슴 뒤쪽의 중앙 바깥쪽에 볼록 튀어나온 청동색이 도는 흑갈색의
세로무늬가 있다. 가슴 옆은 푸른 하늘색이거나 녹갈색이다. 배는 하늘색이고 청동색을 띤 흑갈색
무늬가 있다. 다리는 갈색인데 종아리 마디에 검은 무늬가 있다. 날개는 무색투명하고 날개맥과 가
두리 무늬는 갈색이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흔함

분포
•동아시아 일본, 중국 •한국 전국의 농수로, 연못이나 습지 수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규모 개체가 서식한다. 무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성충

213
왕잠자리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Sympecma paedisca
목명 잠자리 목(ODONATA)
과명 왕잠자리 과(Aeshnidae)

몸길이 50-55mm
형태 및 특징 머리, 얼굴, 뒷머리는 녹황색이고 이마혹은 흑갈색이다. 정수리는 남색인데 앞가두리
에 검은색 띠가 있다. 큰턱과 아랫입술은 노란색이다. 가슴은 녹색으로 무늬가 거의 없다.
배의 제1-제2마디 등쪽은 수컷이 연한 푸른색, 암컷이 황록색이고, 배의 밑부분은 은백색 광택이 난
다. 제3마디 이하는 수컷이 검은색, 암컷이 진한 갈색으로 마디마다 좌우에 연한 세로무늬가 있다.

먹이 유충단계 : 올챙이, 곤충, 작은 물고기 / 성충단계 :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흔함

분포
•동아시아 일본, 중국, 대만
•한국 전국의 농수로, 연못이나 습지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규모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성충 유충

21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고추잠자리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Crocothemis servilia
목명 잠자리 목(ODONATA)
과명 잠자리 과(Libellulidae)

몸길이 28-32mm
형태 및 특징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잠자리는 몸 전체와 날개가 오렌지색이고 앞가두리맥과 밑부분
의 기부는 짙은 오렌지색이다. 배마디 옆면에는 작은 톱니 모양이 발달해 굵어 보인다. 성숙한 수컷
은 몸 전체가 붉게 변하는데, 날개 밑부분은 붉은색으로 변하고 나머지 부분은 투명해진다. 성숙한
암컷은 희미한 오렌지색으로 변한다.

먹이 유충단계 : 올챙이, 작은 물고기 / 성충단계 :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흔함

분포
•동아시아 일본, 중국, 대만
•한국 전국의 늪, 연못
•제주도 연못 수

•한남 지역 소규모 개체가 서식한다. 무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생태사진 표본

215
땅콩물방개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Agabus japonicus
목명 딱정벌레 목(COLEOPTERA)
과명 물방개 과(Dytiscidae)

몸길이 6-7.4mm
형태 및 특징 타원형이며 체색은 금속빛이 돈다. 머리와 앞가슴등판은 검은색이고 머리에는 두 개의
적갈색 얼룩무늬가 있다. 딱지날개는 적갈색, 다리는 적흑색이다.

먹이 올챙이, 작은 물고기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흔함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한국 전국의 늪, 연못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다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표본

21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큰땅콩물방개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Agabus browni
목명 딱정벌레 목(COLEOPTERA)
과명 물방개 과(Dytiscidae)

몸길이 9-12mm
형태 및 특징 체형은 장타원형이며 머리와 가슴은 검은색이고 가슴의 가장자리 테두리는 적갈색이
다. 앞가슴등판의 양쪽 가두리가 황갈색이며 강한 광택이 돈다.

먹이 올챙이, 작은 물고기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흔함

분포
•동아시아 일본
•한국 전국의 늪, 연못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표본 생태사진

217
애기물방개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Rhantus pulverosus
목명 딱정벌레 목(COLEOPTERA)
과명 물방개 과(Dytiscidae)

몸길이 10-15mm
형태 및 특징 몸은 갈색과 검은색이 섞여 있으며 앞가슴등판과 딱지날개 사이에 닻이 거꾸로 뒤집힌
모양의 검은색 무늬가 있다. 앞가슴등판은 갈색이며 딱지날개에는 검은색 얼룩점이 흩어져 있다.

먹이 올챙이, 작은 물고기
번식시기 4-9월

개체수 흔함

분포
•동아시아 시베리아, 중국, 일본
•한국 전국의 늪, 연못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표본

21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큰알락물방개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Hydaticus pacificus
목명 딱정벌레 목(COLEOPTERA)
과명 물방개 과(Dytiscidae)

몸길이 10-11mm
형태 및 특징 전체적으로 체색의 변이가 심하고 날개딱지의 바탕색이 작은 반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빛에도 잘 모여드는 특징이 있다.

먹이 올챙이, 작은 물고기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적음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한국 전국의 늪, 연못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생태사진 표본

219
섬등줄물방개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Copelatus japonicus
목명 딱정벌레 목(COLEOPTERA)
과명 물방개 과(Dytiscidae)

몸길이 5.2mm
형태 및 특징 몸은 비교적 납작하며 옆면은 연속적이다. 몸빛깔은 다양하다. 머리 부분은 적갈색, 촉
각은 황갈색을 띤다. 앞가슴등판의 앞가장자리는 넓고, 뒷가장자리에는 1줄의 점무늬가 있으며 중
앙에 얕은 세로줄이 있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적음

분포
•동아시아 중국, 일본
•한국 제주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표본 생태사진

22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물맴이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Gyrinus (Gyrinus) japonicus


목명 딱정벌레 목(COLEOPTERA)
과명 물맴이 과(Gyrinidae)

몸길이 7mm
형태 및 특징 체형은 난형이며 등면에 강한 융기가 있다. 머리에는 점각이 없고 겹눈 사이에 오목하
게 들어간 부분이 두 개 있다. 배면은 흑색이고 다리는 황갈색이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소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중국, 사할린, 시베리아
•한국 저수지, 연못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표본 생태사진

221
엿소금쟁이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Gerris nepalensis
목명 노린재 목(HEMIPTERA)
과명 소금쟁이 과(Gerridae)

몸길이 8mm
형태 및 특징 무시형, 장시형 2가지가 있다. 무시형의 몸은 흑색이고, 비교적 폭이 넓은 소형종으로
서, 머리는 흑색, 정수리 기부의 불명료한 V자 모양 무늬가 갈색이며, 더듬이 및 주둥이는 흑색이
다. 앞가슴등 전엽의 중앙의 가는 세로선 및 후엽 뒷가장자리에 연한 세로선, 각 다리의 기부 및 넓
적다리마디의 배면과 생식절은 갈색이다. 몸의 아랫면은 앞가슴판의 대부분과 각 다리홈타기 아랫
면을 제외하고는 흑색이며, 회청색의 미모가 뒷가슴 기부의 각 배 옆부분, 각 배마디옆판의 경계 부
근 및 몸 아랫면을 온통 덮고 있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다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한국 저수지, 연못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다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생태사진

22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애소금쟁이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Gerris latiabdominis
목명 노린재 목(HEMIPTERA)
과명 소금쟁이 과(Gerridae)

몸길이 15mm
형태 및 특징 체색은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은빛 털이 밀생한다. 더듬이는 가늘고 한 마디는 나머지
3마디 합보다 짧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다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중국, 러시아
•한국 저수지, 하천, 연못
•제주도 하천, 연못
•한남 지역 다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성충

223
등빨간소금쟁이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Gerris gracilicornis
목명 노린재 목(HEMIPTERA)
과명 소금쟁이 과(Gerridae)

몸길이 10-15mm
형태 및 특징 체색은 암갈색에서 흑갈색이며 일반적으로 붉은빛이 없는 갈색으로 진하고 연한 색의
변화가 있다. 몸은 굵은 편이고 머리는 검은색이다. 겹눈은 흑갈색이며, 촉각은 갈색이다. 주둥이
끝마디는 검은색이다. 배는 납작하고 뒤쪽으로 가면서 넓어진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소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중국, 태국
•한국 저수지, 연못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짝짓기

22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소금쟁이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Aquarius paludum
목명 노린재 목(HEMIPTERA)
과명 소금쟁이 과(Gerridae)

몸길이 11-16mm
형태 및 특징 몸과 다리는 검은색이며 머리, 앞가슴 및 배의 바깥가장자리는 갈색이다. 반딱지날개
는 어두운 색이며, 날개맥은 검은색이다. 몸의 아랫면은 검은색이고 은회색의 부드러운 털이 나 있
다. 다리홈타기의 배면은 연한 색, 생식마디는 갈색이다.
머리는 튀어나와 있다. 겹눈은 반구 모양이며 촉각은 3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앞다리는 비교적 짧
고 넓적다리마디의 중앙부가 약간 부풀어 올라 있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다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중국, 시베리아 •한국 저수지, 연못
•제주도 연못, 하천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수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표본 생태사진

225
왕소금쟁이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Aquarius elongatus
목명 노린재 목(HEMIPTERA)
과명 소금쟁이 과(Gerridae)

몸길이 19-27mm
형태 및 특징 몸빛깔은 검은색 또는 갈색이며 한국에서 가장 큰 소금쟁이이다. 몸은 흰색의 부드러
운 털로 덮여 있고 성숙한 개체의 경우 점차 회황색으로 변한다. 머리, 앞가슴의 등면, 배끝 몇 마디
의 뒷가장자리는 노란색을 띠며 몸의 아랫면은 검은색이고 회색의 가는 털로 덮여 있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소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중국
•한국 저수지, 하천
•제주도 하천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생태사진

22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제주실소금쟁이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Hydrometra okiwana
목명 노린재 목(HEMIPTERA)
과명 실소금쟁이 과(Hydrometridae)

몸길이 7-9mm
형태 및 특징 매우 가는 몸과 실 모양의 다리를 가지며 물 표면 위에서 서식하는 노린재류 중 가장 연
약한 모습을 하고 있다. 몸 빛깔은 어두운 갈색인 것이 많으나 검은색이나 연한 색 등 변이가 많다.
몸은 가늘고 긴 막대 모양을 하고 있다. 날개가 긴 형과 짧은 형이 있다. 머리는 길며 위끝은 부풀어
올라 있다. 겹눈은 검은색이며 반구처럼 튀어 올라 있다. 촉각은 가는 털 모양이며 제1마디가 가장
굵고 짧다. 주둥이는 가늘고 길며 겹눈과 머리의 뒷가장자리와의 중간에 달한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개체수 소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대만, 중국 •한국 연못, 늪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수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생태사진

227
송장헤엄치게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Notonecta triguttata
목명 노린재 목(HEMIPTERA)
과명 송장헤엄치게 과(Notonectidae)

몸길이 11-14mm
형태 및 특징 체형은 굵은 원통형으로 끝부분이 급격히 좁아진다. 눈은 붉은색이며 유충의 배의 등면
은 연녹색이다. 더듬이는 4마디로 되어 있다. 뒤로 누워서 헤엄치는 특징이 있어 이름이 붙여졌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다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한국 연못, 논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생태사진

22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남쪽애송장헤엄치게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Anisops Kuroiwai
목명 노린재 목(HEMIPTERA)
과명 송장헤엄치게 과(Notonectidae)

몸길이 6-7mm
형태 및 특징 체형은 가는 원통형으로 끝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머리와 꼬리의 등부분은 검은색을
띤다. 더듬이는 3마디로 되어 있다.

먹이 작은 곤충
번식시기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개체수 소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한국 연못, 늪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다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동
한남 물

생태사진

229
연못하루살이 수서무척추동물 _ Aquatic Invertebrates

학명 Cloeon dipterum
목명 하루살이 목(EPHEMEROPTERA)
과명 꼬마하루살이 과(Baetidae)

몸길이 7mm
형태 및 특징 수컷 성충의 체색은 전체적으로 옅은 갈색이며 적갈색의 짙은 무늬가 가슴, 앞 넓적다
리마디 및 배마디 등판의 양 가장자리에 있다.
몸길이는 7㎜ 정도이고 꼬리길이는 16㎜ 정도이며 유충의 체색은 갈색으로 머리, 가슴 등에 불규칙
한 옅은 색의 무늬가 있다.

먹이 식물, 부식질
번식시기 6-8월

개체수 다수

분포
•동아시아 일본, 중국
•한국 하천, 호수
•제주도 연못
•한남 지역 소수의 개체가 서식한다.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한남

생태사진

23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3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목록
표 6. 포유류 목록 The List of Mammals

종명(Species) 학명(Scientific name)

노루 Capreolus pygargus
족제비 Mustela sibirica
오소리 Meles meles
다람쥐 Tamias sibiricus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
제주땃쥐 Crocidura russula quelpartis
한라산뒤쥐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등줄쥐 Apodemus agrarius
멧밭쥐 Micromys minutus
붉은사슴 Cervus elaphus
꽃사슴 Cervus nippon
들고양이 Felis catus
들개 Canis familiaris
토끼 Oryctolagus caniculus
포유류 14종(도입종 5종 포함)

표 7. 조류 목록 The List of Birds

도래현황
종명(Species) 학명(Scientific name) 보호유무
Korea Jeju-do Hannam-ri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us SV PM Vag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Res/SV PM Vag
붉은해오라기 Gorsachius goisagi Vag PM Vag ES II
원앙 Aix galericulata Res WV WV NM
벌매 Pernis ptilorhynchus PM PM PM ES II
왕새매 Butastur indicus PM Vag Vag
솔개 Milvus migrans WV PM Vag ES II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WV WV Vag NM/ ES I
독수리 Aegypius monachus WV Res/NB Vag NM/ ES II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SV PM Vag NM
조롱이 Accipiter gularis Res PM/WV PM ES II
새매 Accipiter nisus WV WV WV NM
참매 Accipiter gentilis WV WV WV NM/ ES II

23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도래현황
종명(Species) 학명(Scientific name) 보호유무
Korea Jeju-do Hannam-ri

말똥가리 Buteo buteo WV WV WV ES II


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WV Vag Vag ES II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Res Res Vag NM/ ES I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Res Res Vag NM
새호리기 Falco subbuteo SV PM PM ES II
매 Falco peregrinus Res Res Vag NM/ ES I
꿩 Phasianus colchicus Res Res Res
흑두루미 Grus monacha PM/WV PM/WV Vag NM/ ES II
깝작도요 Actitis hypoleucos SV Res/NB Vag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Res Res Res
뻐꾸기 Cuculus canorus SV SV SV
벙어리뻐꾸기 Cuculus saturatus SV SV SV
두견이 Cuculus poliocephalus SV SV SV NM
큰소쩍새 Otus lempiji Res/PM WV Vag NM
솔부엉이 Ninox scutulata SV PM/SV Vag NM
쏙독새 Caprimulgus indicus SV SV Vag
칼새 Apus pacificus SV SV SV/NB
호반새 Halcyon coromanda SV SV SV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SV PM Vag
후투티 Upupa epops SV PM Vag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Res Res Res 주
팔색조 Pitta nympha SV SV SV NM/ ES II 시

제비 Hirundo rustica SV SV SV/NB 림
흰털발제비 Delichon urbica PM WV Vag 야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SV Res Res 생

힝둥새 Anthus hodgsoni WV SV/WV Vag 물
할미새사촌 Pericrocotus divaricatus SV/PM PM Vag 목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Res Res Res 록

때까치 Lanius bucephalus Res Res Res/NB


굴뚝새 Troglodytes troglodytes Res Res Res
유리딱새 Tarsiger cyanurus PM/WV PM/WV WV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목록 233


도래현황
종명(Species) 학명(Scientific name) 보호유무
Korea Jeju-do Hannam-ri

딱새 Phoenicurus auroreus Res WV WV


검은딱새 Saxicola torquata SV PM Vag
호랑지빠귀 Zoothera dauma SV Res Res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SV SV Vag
검은지빠귀 Turdus cardis PM PM/WV Vag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Res Res Res
개똥지빠귀 Turdus naumanni WV WV Vag
휘파람새 Cettia diphone SV Res Res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SV PM Vag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PM PM Vag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SV PM Vag
상모솔새 Regulus regulus WV PM/WV WV
제비딱새 Muscicapa griseisticta PM PM PM
솔딱새 Muscicapa sibirica PM PM PM
쇠솔딱새 Muscicapa dauurica SV/PM SV/PM PM
흰눈썹황금새 Ficedula zanthopygia SV SV SV
황금새 Ficedula narcissina PM PM Vag
큰유리새 Cyanoptila cyanomelana SV SV SV
삼광조 Terpsiphone atrocaudata SV SV SV ES II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Res Res Res
진박새 Parus ater Res Res WV
박새 Parus major Res Res Res
곤줄박이 Parus varius Res Res Res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Res Res Res
멧새 Emberiza cioides Res Res Res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Res Res Res
꼬까참새 Emberiza rutila PM PM Vag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WV WV WV
방울새 Carduelis sinica Res Res Res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spinus WV WV WV
콩새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WV WV WV

23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도래현황
종명(Species) 학명(Scientific name) 보호유무
Korea Jeju-do Hannam-ri

찌르레기 Sturnus cineraceus SV/WV SV/WV WV


꾀꼬리 Oriolus chinensis SV PM Vag
어치 Garrulus glandarius Res Res Res
까치 Pica pica Res Res Res/NB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Res Res Res
조류 80종

- 이동성 : Res(Residents, 텃새), SV(Summer Visitors, 여름철새), WV(Winter Visitors, 겨울철새), PM(Passage
Migrants), 나그네새, Vag(Vagrants, 길잃은새), NB(Not Breeding, 비번식)
- 보호유무 : NM(Natural Monument, 천연기념물)
ESⅠ(Endangered Species I,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ESⅡ(Endangered Species Ⅱ,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 2006년 10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조사기록을 기초로 조류목록을 작성했으며, 2004년 기록을 참고하였음.

표 8. 양서・파충류 목록 The List of Amphibians and Reptiles

구분 종명(Species) 학명(Scientific name) 보호유무

제주도롱뇽 Hynobius quelpartensis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
양서류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제

청개구리 Hyla japonica

쇠살모사 Agkistrodon ussuriensis 험

유혈목이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야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ruthveni 생

파충류 비바리뱀 Sibynophis chinensis ES II 물

누룩뱀 Elaphe dione 목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도마뱀 Scincella vandenburghi
양서류 5종 / 파충류 7종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목록 235


표 9. 수서무척추동물 목록 The List of Aquatic Invertebrates

Phyla(계) Class 강 Order 목 Family 과 Species 종

Mollusca Bivalvia Veneroida Sphaeriidae


Musculium lacustre 삼각산골조개
(연체동물) (이매패강) (백합목) (산골과)
Annelida Hirudinea Arhynchobdellidae Hirudinidae
Hirudo nipponi 참거머리
(환형동물) (거머리강) (턱거머리목) (거머리과)
Coenagrionoidae
Ischnura asiatica 아시아실잠자리
(실잠자리과)
Lestidae
Indolestes peregrinus 가는실잠자리
(청실잠자리과)
Odonata
(잠자리목) Aeshnidae
Sympecma paedisca 왕잠자리
(왕잠자리과)
Libellulidae Crocothemis servilia 고추잠자리
(잠자리과) Orthetrum sp.
Laccophilus sp.
Agabus japonicus 땅콩물방개
Dytiscidae A. browni 큰땅콩물방개
Coleoptera (물방개과) Rhantus pulverosus 애기물방개
(딱정벌레목) Hydaticus pacificus 큰알락물방개
Copelatus japonicus 섬등줄물방개
Arthropoda Insecta
(절지동물) (곤충강) Gyrinidae
Gyrinus (Gyrinus) japonicus 물맴이
(물맴이과)
Gerris nepalensis 엿소금쟁이
Gerris latiabdominis 애소금쟁이
Gerridae
G. gracilicornis 등빨간소금쟁이
(소금쟁이과)
Aquarius paludum 소금쟁이
A. elongatus 왕소금쟁이
Hemiptera
(노린재목) Hydrometridae
Hydrometra okiwana 제주실소금쟁이
(실소금쟁이과)
Veliidae
Microvelia horvathi 호르바드깨알소금쟁이
(깨알소금쟁이과)
Notonectidae Notonecta triguttata 송장헤엄치게
(송장헤엄치게과) Anisops Kuroiwai 남쪽애송장헤엄치게
Ephemeroptera Baetidae
Cloeon dipterum 연못하루살이
(하루살이목) (꼬마하루살이과)
Total 3 3 6 13 24

23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참고문헌

BirdLife International. 2001. Threatened birds of Asia: the BirdLife international Red Data Book.
Cambridge. UK: BirdLife International.
Carig Robson. 2000. A Guide to the Birds of South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Klots, E. B. 1966. Freshwater Life. Putnam. pp. 221~235.
Mackinnon J. and K. Phillipps. 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Rob Hume. 2002. Birds of Britain and Eupope. Dorling Kindersley.
Michael Walters. 1994. Birds' Eggs. Dorling Kindersley.
V.E.Flint, R.L. Boehme, Y.V. Kostin, A.A. Kuznetsove. 1984. A Field Guide to Birds of the USSR.
Princeton University Press.

今森光彦. 2000.『水近の昆 』. 山と溪谷社. pp. 241∼273.


加盛. 2006.『臺灣鳥類圖鑑』. 田野影像.
山形則男. 吉野俊幸. 五百日丸.『日本の鳥 550 山野の鳥』, 2000, 文一綜合出版.
中根猛彦. 1973.『原色甲蟲大圖鑑(第2卷)』. 北隆館. pp. 55∼66.
川合楨次. 2005.『日本産水生昆 』. 東海大學出版會. pp. 591∼658.

강영선. 1962.『한국동물도감-조류』. 문교부.


강창완, 김은미. 2006.『주머니속 새도감』. 황소걸음.
권오길, 박만갑, 이상준.『원색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pp. 51∼401.
김은미. 2006.「한라산일대에 서식하는 팔색조(Pitta nympha)의 분포와 번식생태」. 한라산천연보호구
역학술보고서.
김은미, 오장근, 강창완. 2007.「한반도 남부지역에서 힝둥새(Anthus hodgsoni)에 대한 첫 번식 기록」.
한국조류학회지. 14(2):pp.157-159.
김은미, 오홍식, 김상범, 김원택. 2004.「제주도에서 팔색조(Pitta nympha Temminck & Schlegel)의 분
포와 서식환경」. 한국조류학회지.10(2):pp.77-86.

참고문헌 237
김훈수, 이창언, 노분조. 1990.『동물분류학』. 집현사. pp. 299~309.
농업과학기술원.『논생태계수서무척추동물도감』. 광문당. pp. 25~361.
박종길, 서정화. 2008.『한국의 야생조류길잡이 산새』. 신구문화사.
박종길, 서정화. 2008.『한국의 야생조류길잡이 물새』. 신구문화사.
박행신. 1998.『제주의 새』. 제주대학교 출판부.
손상호, 이용욱. 2007.『주머니속 양서파충류도감』. 황소걸음.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한국의 수서곤충』.(주)생태조사단. pp. 11~223.
원병오. 1981.『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원병오. 1993.『한국의 조류』. 교학사.
윤명희. 한상훈. 오홍식. 김장근. 박정길. 2004.『한국의 포유동물』. 동방미디어.
윤일병. 1995.『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pp. 1~237.
이우신. 1994.『우리가 꼭 알아야 할 우리새 백가지』. 현암사.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타니구찌 타카시. 2005.『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한라산의 동식물목록』. pp. 145~187
제주야생동물연구센터. 2008. 정기보고회 및 세미나 자료. 제주야생동물연구센터.
조복성. 1969.『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곤충류Ⅱ)』. 문교부. pp. 165~257.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 출판부. pp. 60~136.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한국동물명집』. 아카데미서적. pp. 3~303.
한라산연구소. 2007.『한라산데이터북』. p. 18.

●인터넷사이트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
http://kr.dic.yahoo.com/search/term/result.
http://search.paran.com/search/index.

23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국명 색인
무당개구리 204
가는실잠자리 203 물맴이 221
검은댕기해오라기 138
검은딱새 168
검은머리방울새 130 박새 70
검은지빠귀 170 방울새 78
고추잠자리 215 벌매 104
곤줄박이 68 북방산개구리 200
굴뚝새 58 붉은배새매 144
까치 82 붉은사슴 42
깝작도요 154 붉은해오라기 140
꼬까참새 180 비바리뱀 190
꿩 46 뻐꾸기 86

남쪽애송장헤엄치게 229 산솔새 176


노랑턱멧새 76 삼각산골조개 210
노랑할미새 53 삼광조 102
노루 30 상모솔새 126
누룩뱀 192 새매 116
섬등줄물방개 220
소금쟁이 225
다람쥐 36 솔딱새 108
대륙유혈목이 188 솔부엉이 156
독수리 142 송장헤엄치게 228
동박새 72 쇠살모사 184
되새 132 쇠솔딱새 112
되지빠귀 172 숲새 174
두견이 88
등빨간소금쟁이 224
등줄쥐 38 아시아실잠자리 212
딱새 124 애기물방개 218
땅콩물방개 216 애소금쟁이 223
때까치 56 어치 80
연못하루살이 230
엿소금쟁이 222
말똥가리 120 오목눈이 66
매 148 오소리 34
멧밭쥐 40 왕소금쟁이 226
멧비둘기 48 왕잠자리 214
멧새 74 원앙 114

국명 색인 239
유리딱새 122 흑두루미 152
유혈목이 186 힝둥새 164
흰눈썹황금새 98
흰털발제비 162
제비 96 흰배지빠귀 62
제비딱새 110
제주도롱뇽 198
제주실소금쟁이 227
조롱이 106
족제비 32
줄장지뱀 194
직박구리 54
진박새 128
찌르레기 136

참개구리 202
참거머리 211
참매 118
청개구리 206

칼새 90
콩새 137
큰땅콩물방개 217
큰부리까마귀 84
큰알락물방개 219
큰오색딱따구리 50
큰유리새 100

털발말똥가리 146

파랑새 158
팔색조 94

할미새사촌 166
호랑지빠귀 60
호반새 92
황금새 178
황조롱이 150
후투티 160
휘파람새 64

24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학명 색인
Ⓐ Ⓓ
Accipiter gentilis 108 Delichon urbica 162
Accipiter gularis 106 Dendrocopos leucotos 50
Accipiter nisus 116
Accipiter soloensis 144 Ⓔ
Actitis hypoleucos 154 Elaphe dione 192
Aegithalos caudatus 66 Emberiza cioides 74
Aegypius monachus 142 Emberiza elegans 76
Agabus browni 217 Emberiza rutila 180
Agabus japonicus 216 Eurystomus orientalis 158
Agkistrodon ussuriensis 186
Aix galericulata 114 Ⓕ
Amphiesma vibakari ruthveni 188 Falco peregrinus 148
Anisops kuroiwai 229 Falco tinnunculus 150
Anthus hodgsoni 164 Ficedula narcissina 178
Apodemus agrarius 38 Ficedula zanthopygia 98
Apus pacificus 90 Fringilla montifringilla 132
Aquarius elongatus 226
Aquarius paludum 225 Ⓖ
Garrulus glandarius 80
Ⓑ Gerris gracilicornis 224
Bombina orientalis 204 Gerris latiabdominis 223
Buteo buteo 120 Gerris nepalensis 222
Buteo lagopus 146 Gorsachius goisagi 140
Butorides striatus 138 Grus monacha 152
Gyrinus (Gyrinus) japonicus 221
Ⓒ Ⓗ
Capreolus pygargus 30 Halcyon coromanda 92
Carduelis sinica 78 Hirudo nipponi 211
Carduelis spinus 130 Hirundo rustica 96
Cervus elaphus 42 Hydaticus pacificus 219
Cettia diphone 64 Hydrometra okiwana 227
Cettia squameiceps 174 Hyla japonica 206
Cloeon dipterum 230 Hynobius quelpartensis 198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134 Hypsipetes amaurotis 54
Corvus macrorhynchos 84
Copelatus japonicus 220 Ⓘ
Crocothemis servilia 215 Indolestes peregrinus 213
Cuculus canorus 86 Ischnura asiatica 212
Cuculus poliocephalus 88
Cyanoptila cyanomelana 100

학명 색인 241
Ⓛ Ⓣ
Lanius bucephalus 56 Takydromus wolteri 194
Tamias sibiricus 36
Ⓜ Tarsiger cyanurus 122
Meles meles 34 Terpsiphone atrocaudata 102
Micromys minutus 40 Troglodytes troglodytes 58
Motacilla cinerea 52 Turdus cardis 170
Muscicapa dauurica 112 Turdus dauma 60
Muscicapa griseisticta 110 Turdus hortulorum 172
Muscicapa sibirica 108 Turdus pallidus 62
Musculium japonicum 210
Mustela sibirica 32 Ⓤ
Upupa epops 160
Ⓝ Urosphena squameiceps 174
Ninox scutulata 156
Notonecta triguttata 229 Ⓩ
Zoothera dauma 60
Ⓟ Zosterops japonicus 72
Parus ater 128
Parus major 70
Parus varius 68
Pericrocotus divaricatus 166
Pernis ptilorhynchus 104
Phasianus colchicus 46
Phoenicurus auroreus 124
Pica pica 82
Pitta nympha 94
Phylloscopus coronatus 176


Rana dybowskii 200
Rana nigromaculata 202
Regulus regulus 126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184
Rhantus pulverosus 218


Saxicola torquata 168
Sibynophis chinensis 190
Sphaerium lacustre japonicum 210
Streptopelia orientalis 48
Sturnus cineraceus 136
Sympecma paedisca 214

24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영명 색인
Ⓑ Flycatcher, Yellow-rumped 98
Badger 34 Flycatcher, Narcissus 178
Badger, Eurasian 34 Frog, Black-spotted Pond 202
Bluetail, Red-flanked 122 Frog, Dybowski's Brown 200
Brambling 132 Frog, Red-bellied 204
Bulbul, Brown-eared 54 Frog, Tree 206
Bunting, Chestnut 180 Frog, Wrinkled 204
Bunting, Meadow 74
Bunting, Yellow-throated 76 Ⓖ
Buzzard, Common 120 Goldcrest 126
Buzzard, Oriental Honey 104 Goshawk 118
Buzzard, Rough-legged 146 Goshawk, Northern 118
Greenfinch, Grey-capped 78
Ⓒ Greenfinch, Oriental 78
Chipmunk, Siberian 36
Crane, Hooded 152 Ⓗ
Crow, Jungle 84 Hawfinch 134
Cuckoo, Common 86 Heron, Japanese Night 140
Cuckoo, Lesser 88 Heron, Striated 138
Cuckoo, Little 88 Hoopoe 160
Hoopoe, Common 160

Deer, Roe 30 Ⓙ
Dollarbird 158 Jay 80
Dove, Oriental Turtle 48 Jay, Eurasian 80
Dove, Rufous Turtle 48
Duck, Mandarin 115 Ⓚ
Kestrel, Common 150
Ⓔ Kingfisher, Ruddy 92
ELK 42 Ⓛ
Lizard, Wolter 194

Falcon, Peregrine 148 Ⓜ
Flycatcher, Asian Brown 112 Magpie 82
Flycatcher, Black Paradise 102 Magpie, Black-billed 82
Flycatcher, Blue-and-white 100 Martin, Asian House 162
Flycatcher, Dark-sided 108 Martin, House 162
Flycatcher, Grey-spotted 110 Minivet, Ashy 166
Flycatcher, Grey-streaked 110 Mouse, Harvest 40
Flycatcher, Sooty 108 Mouse, Striped Field 38
Flycatcher, Tricolor 98

영명 색인 243
Ⓞ Tit, Great 70
Owl, Brown Hawk 156 Tit, Long-tailed 66
Tit, Varied 68

Pheasant, Ring-necked 46 Ⓥ
Pipit, Olive-backed 166 Vulture, Black 142
Pitta, Fairy 94 Vulture, Cinereous 142

Ⓡ Ⓦ
Redstart, Daurian 124 Wagtail, Grey 52
Robin, Orange-flanked Blue 122 Wapiti 42
Roller, Broad-billed 158 Warbler, Eastern Crowned Willow 173
Warbler, Japanese Bush 64
Ⓢ Warbler, Short-tailed Bush 174
Salamander, Cheju 198 Weasel, Korean Yellow 32
Sandpiper, Common 154 White-eye, Japanese 72
Shrike, Bull-headed 56 Woodpecker, White-backed 50
Siskin 130 Wren, Winter 58
Siskin, Eurasian 130
Snake, Asian Keelback 188
Snake, Black-headed 190
Snake, Cat 192
Snake, Red-tongue Viper 184
Snake, Tiger Keelback 186
Sparrowhawk, Chinese 144
Sparrowhawk, Eurasian 116
Sparrowhawk, Japanese Lesser 106
Starling, Grey 136
Starling, White-cheeked 136
Stonechat, Common 168
Stubtail, Asian 174
Swallow, Barn 96
Swallow, House 96
Swift, Fork-tailed 90
Swift, Pacific 90
Swift, White-rumped 90


Thrush, Grey 170
Thrush, Grey-backed 172
Thrush, Pale 62
Thrush, Scaly 60
Thrush, White's 60
Tit, Coal 128

24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부록

1. 제주도 조류 목록 (2008년 9월 현재)

제주도에서 1회 이상 확인된 조류는 모두 기재하였으며(문헌 포함). 배열순서는『한국의 새』(2000, 이 등)


에서 따랐던 Howard & Moore(1998)의 분류체계를 참고하였다. 종명은 국명(Korean Name) / 학명
(Scientific name) / 영명(English name)순으로 정리하였다. 이동성(우리나라 기준)은 텃새(R, Residents), 겨울철
새(WV, Winter Visitors), 여름철새(SV, Summer Visitors), 나그네새(PM, Passage Migrants), 길잃은새(V, Vagrants)로
구분하였다.

제주도의 조류 목록(Checklist of the Birds on Jeju Island)


총 18목 65과 375종 (Orders 18 Families 65 Species 375)

아비목 Order GAVIIFORMES


아비과 Family Gaviidae
1 아비 Gavia stellata Red-throated Diver(Loon) 겨울철새
2 큰회색머리아비 Gavia arctica Arctic Diver(Loon) 겨울철새
3 회색머리아비 Gavia pacifica Pacific Diver(Loon) 겨울철새
4 흰부리아비 Gavia adamsii Yellow-billed Diver(Loon) 겨울철새

논병아리목 Order PODICIPEDIFORMES


논병아리과 Family Podicipedidae
5 논병아리 Tachybaptus ruficollis Little Grebe 겨울철새, 텃새
6 큰논병아리 Podiceps grisegena Red-necked Grebe 겨울철새
7 뿔논병아리 Podiceps cristatus Great Crested Grebe 겨울철새, 텃새
8 귀뿔논병아리 Podiceps auritus Horned Grebe 겨울철새
9 검은목논병아리 Podiceps nigricollis Black-necked Grebe 겨울철새

슴새목 Order PROCELLARIIFORMES


슴새과 Family Procellaridae
10 흰배슴새 Pterodroma hypoleuca Bonin Petrel 길잃은새

제주도 조류 목록 245
11 슴새 Calonectris leucomelas Streaked Shearwater 여름철새
12 쇠부리슴새 Puffinus tenuirotris Short-tailed Shearwater 나그네새

바다제비과 Family Hydrobatidae


13 바다제비 Oceanodroma monorhis Swinhoe's Storm Petrel 여름철새

사다새목 Order PELECANIFORMES


사다새과 Family Pelecanidae
14 큰사다새 Pelecanus onocrotalus Great White Pelican 길잃은새

얼가니새과 Family Sulidae


15 갈색얼가니새 Sula leucogaster Brown Booby 길잃은새

가마우지과 Family Phalacrocoracidae


16 민물가마우지 Phalacrocorax carbo Great Cormorant 겨울철새, 텃새
17 가마우지 Phalacrocorax capillatus Temminck's Cormorant 텃새
18 쇠가마우지 Phalacrocorax pelagicus Pelagic Cormorant 겨울철새, 텃새

군함조과 Family Fregatidae


19 큰군함조 Fregate minor Great Frigatebird 길잃은새
20 군함조 Fregate ariel Lesser Frigatebird 길잃은새

황새목 Order CICONIFORMES


백로과 Family Ardeidae
21 왜가리 Ardea cinerea Grey Heron 여름철새, 텃새
22 붉은왜가리 Ardea purpurea Purple Heron 나그네새
23 중대백로 Egretta alba Great Egret 여름철새, 겨울철새
24 중백로 Egretta intermedia Intermediate Egret 여름철새
25 쇠백로 Egretta garzetta Little Egret 여름철새, 텃새
26 노랑부리백로 Egretta eulophotes Chinese Egret 여름철새
27 흑로 Egretta sacra Pacific Reef Heron 텃새
28 황로 Bubulcus ibis Cattle Egret 여름철새
29 흰날개해오라기 Ardeola bacchus Chinese Pond Heron 여름철새, 겨울철새
30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us Striated Heron 여름철새
31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Black-crowned Night Heron 여름철새 , 텃새
32 붉은해오라기 Gorsachius goisagi Japanese Night Heron 길잃은새
33 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sinensis Chinese Little Bittern 여름철새
34 큰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Schrenck's Bittern 여름철새
35 열대붉은해오라기 Ixobrychus cinnamomeus Cinnamon Bittern 길잃은새
36 검은해오라기 Ixobrychus flavicollis Black Bittern 길잃은새
37 알락해오라기 Botaurus stellaris Eurasian Bittern 겨울철새

황새과 Famil Ciconiidae


38 먹황새 Ciconia nigra Black Stork 겨울철새

24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39 황새 Ciconia boyciana Oriental White Stork 겨울철새

저어새과 Family Threskiornithidae


40 검은머리흰따오기 Threskiornis melanocephalus Oriental Ibis 길잃은새
41 노랑부리저어새 Platalea leucorodia Eurasian Spoonbill 겨울철새
42 저어새 Platalea minor Black-faced Spoonbill 여름철새, 텃새

기러기목 Order ANSERIFORMES


오리과 Family Anatidae
43 큰고니 Cygnus cygnus Whooper Swan 겨울철새
44 고니 Cygnus columbianus Tundra Swan 겨울철새
45 혹고니 Cygnus olor Mute Swan 겨울철새
46 개리 Anser cygnoides Swan Goose 겨울철새
47 큰기러기 Anser fabalis Bean Goose 겨울철새
48 쇠기러기 Anser albifrons White-fronted Goose 겨울철새
49 흰이마기러기 Anser erythropus Lesser White-fronted Goose 겨울철새
50 회색기러기 Anser anser Greylag Goose 길잃은새
51 흰기러기 Anser caerulescens Snow Goose 겨울철새
52 흑기러기 Branta bernicla Brent Goose 겨울철새
53 황오리 Tadorna ferruginea Ruddy Shelduck 겨울철새
54 혹부리오리 Tadorna tadorna Common Shelduck 겨울철새
55 원앙 Aix galericulata Mandarin Duck 겨울철새, 텃새
56 홍머리오리 Anas penelope Eurasian Wigeon 겨울철새
57 아메리카홍머리오리 Anas americana American Wigeon 겨울철새
58 청머리오리 Anas falcata Falcated Teal 겨울철새
59 알락오리 Anas strepera Gadwall 겨울철새
60 가창오리 Anas formosa Baikal Teal 겨울철새
61 쇠오리 Anas crecca Common Teal 겨울철새
62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Mallard 겨울철새, 텃새
63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Spot-billed Duck 겨울철새, 텃새
64 고방오리 Anas acuta Pintail 겨울철새
65 발구지 Anas querquedula Garganey 겨울철새
66 넓적부리 Anas clypeata Northern Shoveler 겨울철새
67 큰흰죽지 Aythya valisineria Canvasback 길잃은새
68 흰죽지 Aythya ferina Common Pochard 겨울철새
69 붉은가슴흰죽지 Aythya baeri Baer's Pochard 겨울철새
70 댕기흰죽지 Aythya fuligula Tufted Duck 겨울철새
71 검은머리흰죽지 Aythya marila Greater Scaup 겨울철새
72 흰줄박이오리 Histrionicus histrionicus Harlequin Duck 겨울철새
73 검둥오리 Melanitta nigra Common Scoter[Black Scoter] 겨울철새
74 검둥오리사촌 Melanitta fusca Velvet Scoter 겨울철새
75 흰뺨오리 Bucephala clangula Commm Goldeneye 겨울철새
76 흰비오리 Mergus albellus Smew 겨울철새
77 바다비오리 Mergus serrator Red-breasted Merganser 겨울철새

제주도 조류 목록 247
78 호사비오리 Mergus squamatus Chinese Merganser 겨울철새
79 비오리 Mergus merganser Common Merganser[Goosander] 겨울철새, 텃새

매목 Order FALCONIFORMES
수리과 Family Accipitridae
80 물수리 Pandion haliaetus Osprey 나그네새, 겨울철새
81 벌매 Pernis ptilorhynchus Oriental Honey Buzzard 나그네새
82 솔개 Milvus migrans Black Kite 겨울철새, 텃새
83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White-tailed Sea Eagle 겨울철새, 텃새
84 참수리 Haliaeetus pelagicus Steller's Sea Eagle 겨울철새
85 독수리 Aegypius monachus Cinereous Vulture[Black Vulture] 겨울철새
86 왕새매 Butastur indicus Grey-faced Buzzard 나그네새, 여름철새
87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Hen Harrier 겨울철새
88 개구리매 Circus spilonotus Eastern Marsh Harrier 겨울철새
89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Chinese Sparrowhawk 여름철새
90 조롱이 Accipiter gularis Japanese lesser Sparrowhawk 텃새
91 새매 Accipiter nisus Eurasian Sparrowhawk 겨울철새
92 참매 Accipiter gentilis Goshawk[Northern Goshawk] 겨울철새
93 말똥가리 Buteo buteo Common Buzzard 겨울철새
94 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Rough-legged Buzzard 겨울철새
95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Upland Buzzard 겨울철새
96 항라머리검독수리 Aquila clanga Greater Spotted Eagle 나그네새, 겨울철새
97 흰죽지수리 Aquila heliaca Imperial Eagle 겨울철새
98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Golden Eagle 겨울철새, 텃새

매과 Family Falconidae
99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Common Kestrel 텃새
100 비둘기조롱이 Falco vespertinus Amur Falcon 나그네새
101 쇠황조롱이 Falco columbarius Merlin 겨울철새
102 새홀리기 Falco subbuteo Eurasian Hobby 여름철새
103 매 Falco peregrinus Peregrine Falcon 텃새

닭목 Order GALLIFORMES
꿩과 Family Phasianidae
104 메추라기 Coturnix japonica Japanese Quail 겨울철새
105 꿩 Phasianus colchicus Ring-necked Pheasant 텃새

두루미목 Order GRUIFORMES


두루미과 Family Gruidae
106 검은목두루미 Grus grus Common Crane 겨울철새
107 흑두루미 Grus monacha Hooded Crane 나그네새, 겨울철새
108 두루미 Grus japonensis Red-crowned Crane 겨울철새
109 재두루미 Grus vipio White-naped Crane 나그네새, 겨울철새

24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뜸부기과 Family Rallidae
110 흰눈썹뜸부기 Rallus aquaticus Water Rail 나그네새, 겨울철새
111 알락뜸부기 Coturnicops exquisitus Swinhoe's Rail 나그네새
112 쇠뜸부기 Porzana pusilla Baillon's Crake 나그네새
113 쇠뜸부기사촌 Porzana fusca Ruddy(Ruddy-breasted) Crake 여름철새
114 한국뜸부기 Rallina(Porzana) paykullii Band-bellied Crake 나그네새
115 흰배뜸부기 Amaurornis phoenicurus White-breasted Waterhen 나그네새, 여름철새
116 뜸부기 Gallicrex cinerea Watercock 여름철새
117 쇠물닭 Gallinula chloropus Moorhen 여름철새, 텃새
118 물닭 Fulica atra Coot 겨울철새, 텃새

느시과 Family Otididae


119 느시 Otis tarda Great Bustard 겨울철새

도요목 Order CHARADRIIFORMES


물꿩과 Family Jacanidae
120 물꿩 Hydrophasianus chirurgus Pheasant-tailed Jacana 길잃은새

호사도요과 Family Rostratulidae


121 호사도요 Rostratula benghalensis Painted Snipe 나그네새, 텃새

검은머리물떼새과 Family Haematopodidae


122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Eurasian Oystercatcher 텃새

장다리물떼새과 Family Recurvirostridae


123 장다리물떼새 Himantopus himantopus Black-winged Stilt 나그네새, 여름철새
124 뒷부리장다리물떼새 Recurvirostra avosetta Avocet 나그네새, 겨울철새

제비물떼새과 Family Glareolidae


125 제비물떼새 Glareola pratincola Oriental Pratincole 나그네새

물떼새과 Family Charadriidae


126 댕기물떼새 Vanellus vanellus Northern Lapwing 겨울철새
127 민댕기물떼새 Microsarcops cinereus Grey-headed Lapwing 나그네새
128 검은가슴물떼새 Pluvialis fulva Pacific Golden Plover 나그네새
129 개꿩 Pluvialis squatarola Grey Plover 나그네새, 겨울철새
130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Long-billed Plover 텃새
131 꼬마물떼새 Charadrius dubius Little Ringed Plover 여름철새
132 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Kentish Plover 나그네새, 텃새
133 왕눈물떼새 Charadrius mongolus Mongolian Plover 나그네새
134 큰왕눈물떼새 Charadrius leschenaultii Greater Sand Plover 나그네새
135 큰물떼새 Charadrius veredus Oriental Plover 나그네새

제주도 조류 목록 249
도요과 Family Scolopacidae
136 흑꼬리도요 Limosa limosa Black-tailed Godwit 나그네새
137 큰뒷부리도요 Limosa lapponica Bar-tailed Godwit 나그네새
138 큰부리도요 Limnodromus semipalmatus Asiatic Dowitcher 나그네새
139 쇠부리도요 Numenius minutus Little Curlew 나그네새
140 중부리도요 Numenius phaeopus Whimbrel 나그네새
141 마도요 Numenius arquata Eurasian Curlew 나그네새, 겨울철새
142 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Far Eastern Curlew 겨울철새
143 학도요 Tringa erythropus Spotted Redshank 나그네새
144 붉은발도요 Tringa totanus Redshank 나그네새
145 쇠청다리도요 Tringa stagnatilis Marsh Sandpiper 나그네새
146 청다리도요 Tringa nebularia Common Greenshank 나그네새
147 청다리도요사촌 Tringa guttifer Spotted(Nordmann's) Greenshank 나그네새
148 삑삑도요 Tringa ochropus Green Sandpiper 나그네새
149 알락도요 Tringa glareola Wood Sandpiper 나그네새
150 뒷부리도요 Tringa cinereus Terek Sandpiper 나그네새
151 깝작도요 Tringa hypoleucos Common Sandpiper 여름철새, 텃새
152 노랑발도요 Tringa brevipes Grey-tailed Tattler 나그네새
153 꼬까도요 Arenaria interpres Ruddy Turnstone 나그네새
154 지느러미발도요 Phalaropus lobatus Red-necked Phalarope 나그네새
155 멧도요 Scolopax rusticola Eurasian Woodcock 나그네새
156 청도요 Gallinago solitaria Solitary Snipe 나그네새, 겨울철새
157 큰꺅도요 Gallinago hardwickii Latham's Snipe 나그네새
158 바늘꼬리도요 Gallinago stenura Pintail Snipe 나그네새
159 꺅도요사촌 Gallinago megala Swinhoe's Snipe 나그네새
160 꺅도요 Gallinago gallinago Common Snipe 나그네새, 겨울철새
161 꼬마도요 Lymnocryptes minimus Jack Snipe 길잃은새
162 긴부리도요 Limnodromus scolopaceus Long-billed Dowitcher 길잃은새
163 붉은가슴도요 Calidris canutus Red Knot 나그네새
164 붉은어깨도요 Calidris tenuirostris Great Knot 나그네새
165 세가락도요 Calidris alba Sanderling 나그네새, 겨울철새
166 좀도요 Calidris ruficollis Red-necked Stint 나그네새
167흰꼬리좀도요 Calidris temminckii Temminck's Stint 나그네새
168 종달도요 Calidris subminuta Long-toed Stint 나그네새
169 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 Calidris melanotos Pectoral Sandpiper 나그네새
170 메추라기도요 Calidris acuminata Sharp-tailed Sandpiper 나그네새
171 민물도요 Calidris alpina Dunlin 나그네새, 겨울철새
172 붉은갯도요 Calidris ferruginea Curlew Sandpiper 나그네새
173 넓적부리도요 Eurynorhynchus pygmeus Spoonbilled Sandpiper 나그네새
174 송곳부리도요 Limicola falcinellus Broad-billed Sandpiper 나그네새
175 목도리도요 Philomachus pugnax Ruff 나그네새

갈매기과 Family Laridae


176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Black-tailed Gull 텃새

25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177 갈매기 Larus canus Common Gull[Mew Gull] 겨울철새
178 재갈매기 Larus argentatus Herring Gull 겨울철새
179 줄무늬노랑발갈매기 Larus heuglini Heuglin's Gull 겨울철새
180 노랑발갈매기 Larus cachinans Yellow-legged Gull 겨울철새
181 큰재갈매기 Larus schistisagus Slaty-backed Gull 겨울철새
182 수리갈매기 Larus glaucescens Glaucous-winged Gull 겨울철새
183 흰갈매기 Larus hyperboreus Glaucous Gull 겨울철새
184 붉은부리갈매기 Larus ridibundus Black-headed Gull 겨울철새
185 검은머리갈매기 Larus saundersi Saunder's Gull 겨울철새, 텃새
186 세가락갈매기 Rissa tridactyla Black-legged Kittiwake 겨울철새
187 큰부리제비갈매기 Sterna nilotica Gull-billed Tern 길잃은새
188 구레나룻제비갈매기 Chlidonias hybridus Whiskered Tern 나그네새
189 흰죽지갈매기 Chlidonias leucopterus White-winged Black Tern 나그네새
190 제비갈매기 Sterna hirundo Common Tern 나그네새
191 에위니아제비갈매기 Sterna anaethetus Bridled Tern 길잃은새
192 검은등제비갈매기 Sterna fuscata Sooty Tern 길잃은새
193 쇠제비갈매기 Sterna albifrons Little Tern 나그네새, 여름철새
194 붉은부리큰제비갈매기 Hydroprogne caspia Caspian Tern 길잃은새
195 큰제비갈매기 Thalasseus bergii Greater Crested Tern 길잃은새

바다오리과 Family Alcidae


196 알락쇠오리 Brachyramphus marmoratus Marbled Murrelet 겨울철새
197 바다쇠오리 Synthliboramphus antiquus Ancient Murrelet 겨울철새, 텃새
198 뿔쇠오리 Synthliboramphus wumizusume Crested Murrelet 텃새
199 흰수염바다오리 Cerorhinca monocerata Rhinoceros Auklet 겨울철새, 텃새

비둘기목 Order COLUMBIFORMES


비둘기과 Family Columbidae
200 양비둘기 Columba rupestris Hill Pigeon 텃새
201 흑비둘기 Columba janthina Black Wood Pigeon 텃새
202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Rufous Turtle Dove 텃새
203 홍비둘기 Streptopelica tranquebarica Red-collared Dove 길잃은새
204 녹색비둘기 Treron(Sphenurus) sieboldii White-billed Green Pigeon 길잃은새

두견목 Order CUCULIFORMES


두견과 Family Cuculidae
205 밤색날개뻐꾸기 Clamator coromandus Chestnut-winged Cuckoo 길잃은새
206 매사촌 Cuculus fugax Hodgson's Hawk Cuckoo 여름철새, 나그네새
207 검은등뻐꾸기 Cuculus micropterus Indian Cuckoo 여름철새
208 뻐꾸기 Cuculus canorus Common Cuckoo 여름철새
209 벙어리뻐꾸기 Cuculus saturatus Oriental Cuckoo 여름철새
210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Lesser Cuckoo 여름철새

제주도 조류 목록 251
올빼미목 Order STRIGIFORMES
올빼미과 Family Strigidae
211 소쩍새 Otus scops Eurasian Scops Owl 여름철새
212 큰소쩍새 Otus lempiju Collared Scops Owl 겨울철새, 텃새
213 수리부엉이 Bubo bubo Eurasian Eagle Owl 텃새
214 올빼미 Strix aluco Tawny Owl 텃새
215 금눈쇠올빼미 Athene noctua Little Owl 겨울철새
216 솔부엉이 Ninox scutulata Brown Hawk Owl 여름철새
217 칡부엉이 Asio otus Long-eared Owl 겨울철새
218 쇠부엉이 Asio flammeus Short-eared Owl 겨울철새

쏙독새목 Order CAPRIMULGIFORMES


쏙독새과 Family Caprimulgidae
219 쏙독새 Caprimulgus indicus Grey Nightjar(Jungle Nightjar) 여름철새

칼새목 Order APODIFORMES


칼새과 Family Apodidae
220 바늘꼬리칼새 Hirundapus caudacutus White-throated Needle-tailed Swift 나그네새
221 칼새 Apus pacificus White-rumped Swift 여름철새
222 쇠칼새 Apus affinis House Swift 길잃은새

파랑새목 Order CORACIIFOEMES


물총새과 Family Alcedinidae
223 뿔호반새 Ceryle lugubris Greater Pied Kingfisher 길잃은새
224 물총새 Alcedo atthis Common Kingfisher 여름철새, 텃새
225 호반새 Halcyon coromanda Ruddy Kingfisher 여름철새
226 청호반새 Halcyon pileata Black-capped Kingfisher 여름철새

파랑새과 Family Coraciidae


227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Dollarbird 여름철새

후투티과 Family Upupidae


228 후투티 Upupa epops Hoopoe 여름철새

딱다따구리목 Order PICIFORMES


딱다구리과 Family Picidae
229 개미잡이 Jynx torquilla Wryneck 나그네새, 겨울철새
230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Pygmy Woodpecker 텃새
231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White-backed Woodpecker 텃새
232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Great Spotted Woodpecker 텃새
233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Black Woodpecker 텃새

25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참새목 Order PASSERIFORMES
팔색조과 Family Pittidae
234 팔색조 Pitta nympha Fairy Pitta 여름철새

종다리과 Family Alaudidae


235 쇠종다리 Calandrella brachydactyla Greater Short-toed Lark 나그네새
236 북방쇠종다리 Calandrella cheleensis Asian Short-toed Lark 나그네새
237 뿔종다리 Galerida cristata Crested Lark 텃새
238 종다리 Alauda arvensis Eurasian Skylark 겨울철새, 텃새

제비과 Family Hirundinidae


239 갈색제비 Riparia riparia Sand Martin 나그네새
240 제비 Hirundo rustica Barn Swallow 여름철새
241 귀제비 Hirundo daurica Red-rumped Swallow 여름철새
242 흰털발제비 Delichon urbica House Martin 나그네새

할미새과 Family Motacillidae


243 물레새 Dendronanthus indicus Forest Wagtail 여름철새
244 긴발톱할미새 Motacilla flava Yellow Wagtail 나그네새
245 노랑머리할미새 Motacilla citreola Citrine Wagtail 길잃은새
246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Grey Wagtail 여름철새
247 알락할미새 Motacilla alba White Wagtail 여름철새
248 백할미새 Motacilla lugens Black-backed Wagtail 겨울철새
249 검은등할미새 Motacilla grandis Japanese Wagtail 텃새
250 큰밭종다리 Anthus richardi Richard's Pipit 나그네새
251 쇠밭종다리 Anthus godlewskii Blyth's Pipit 나그네새
252 힝둥새 Anthus hodgsoni Olive-backed Pipit 나그네새, 겨울철새
253 한국밭종다리 Anthus roseatus Rosy Pipit 길잃은새
254 붉은가슴밭종다리 Anthus cervinus Red-throated Pipit 나그네새
255 흰등밭종다리 Anthus gustavi Pechora Pipit 나그네새
256 밭종다리 Anthus rubescens Buff-belled Pipit 나그네새, 겨울철새

할미새사촌과 Family Campephagidae


257 할미새사촌 Pericrocotus divaricatus Ashy Minivet 나그네새, 여름철새

직박구리과 Family Pycnonotidae


258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Brown-eared Bulbul 텃새

때까치과 Family Laniidae


259 칡때까치 Lanius tigrinus Tiger(Thick-billed) Shrike 여름철새
260 때까치 Lanius bucephalus Bull-headed Shrike 텃새
261 노랑때까치 Lanius cristatus Brown Shrike 여름철새
262 긴꼬리때까치 Lanius schach Long-tailed Shrike 나그네새
263 물때까치 Lanius sphenocercus Chinese Great Grey Shrike 겨울철새

제주도 조류 목록 253
264 큰재개구마리 Lanius excubitor Great Grey Shrike 겨울철새

여새과 Family Bombycillidae


265 황여새 Bombycilla garrulus Waxwing[Bohemian Waxwing] 겨울철새
266 홍여새 Bombycilla japonica Japanese Waxwing 겨울철새

굴뚝새과 Family Troglodytidae


267 굴뚝새 Troglodytes troglodytes Winter Wren 텃새

바위종다리과 Family Prunellidae


268 바위종다리 Prunrella collaris Alpine Accentor 겨울철새
269 멧종다리 Prunrella montanella Siberian Accentor 겨울철새

지빠귀과 Family Turdidae


270 울새 Luscinia sibilans Rufous-tailed Robin 나그네새
271 흰눈썹울새 Luscinia svecicus Bluethroat 나그네새
272 진홍가슴 Luscinia calliope Siberian Rubythroat 나그네새, 여름철새
273 쇠유리새 Luscinia cyane Siberian Blue Robin 여름철새
274 유리딱새 Tarsiger cyanurus Orange-flanked Blue Robin 나그네새, 겨울철새
275 검은머리딱새 Phoenicurus ochruros Black Redstart 길잃은새
276 딱새 Phoenicurus auroreus Daurian Redstart 텃새
277 부채꼬리바위딱새 Rhyacornis fuliginosa Plumbeous Water Redstart 길잃은새
278 검은딱새 Saxicola torquata Common Stonechat 나그네새, 여름철새
279 검은등사막딱새 Oenanthe pleschanka Pied Wheatear 길잃은새
280 꼬까직바구리 Monticola gularis White-throated Rock Thrush 나그네새
281 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Blue Rock Thrush 텃새
282 흰눈썹지빠귀 Zoothera sibirica Siberian Thrush 나그네새
283 호랑지빠귀 Zoothera dauma White's Thrush 여름철새, 텃새
284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Grey-backed Thrush 여름철새
285 검은지빠귀 Turdus cardis Grey Thrush 나그네새
286 검은목지빠귀 Turdus ruficollis Black-throated Thrush 길잃은새
287 대륙검은지빠귀 Turdus merula Blackbird 나그네새
288 붉은배지빠귀 Turdus chrysolaus Brown Thrush 나그네새
289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Pale Thrush 여름철새, 텃새
290 흰눈썹붉은배지빠귀 Turdus obscurus Eye-browed Thrush 나그네새
291 개똥지빠귀 Turdus naumanni eunomus Dusky Thrush 겨울철새

붉은머리오목눈이과 Family Panuridae


292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Vinous-throated Parrotbill 텃새

휘파람새과 Family Sylviidae


293 휘파람새 Cettia diphone Bush Warbler[Japanese Bush Warbler] 여름철새, 텃새
294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Short-tailed Bush Warbler[Asian Stubtail] 여름철새
295 큰개개비 Locustella pryeri Japanese Marsh Warbler 길잃은새

25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296 쥐발귀개개비 Locustella lanceolata Lanceolated Grasshopper Warbler 나그네새
297 알락꼬리쥐발귀 Locustella ochotensis Middendorff's Grasshopper Warbler 나그네새
298 북방개개비 Locustella certhiola Pallas' Grasshopper Warbler 나그네새
299 섬개개비 Locustella pleskei Styan’s Grasshopper Warbler 나그네새, 여름철새
300 쇠개개비 Acrocephalus bistrigiceps Black-browed Reed Warbler 나그네새
301 개개비 Acrocephalus arundinaceus Oriental Great Reed Warbler 여름철새
302 큰부리개개비 Acrocephalus aedon Thick-billed Warbler 나그네새
303 개개비사촌 Cisticola juncidis Fan-tailed Warbler 여름철새, 텃새
304 솔새사촌 Phylloscopus fuscatus Dusky Warbler 나그네새, 여름철새
305 긴다리솔새사촌 Phylloscopus schwarzi Radde's Warbler 나그네새, 여름철새
306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Yellow-browed Warbler 나그네새
307 노랑허리솔새 Phylloscopus proregulus Pallas' Leaf Warbler 나그네새, 여름철새
308 쇠솔새 Phylloscopus borealis Arctic Warbler 나그네새
309 되솔새 Phylloscopus tenellipes Pale-legged Willow Warbler 나그네새, 여름철새
310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Eastern Crowned Willow Warbler 여름철새
311 상모솔새 Regulus regulus Goldcrest 겨울철새

딱새과 Family Muscicapidae


312 제비딱새 Muscicapa griseisticta Grey-spotted Flycatcher 나그네새
313 솔딱새 Muscicapa sibirica Sooty(Dark-sided) Flycatcher 나그네새
314 쇠솔딱새 Muscicapa dauurica Asian Brown Flycatcher 나그네새, 여름철새
315 흰눈썹황금새 Ficedula zanthopygia Tricolor Flycatcher 여름철새
316 황금새 Ficedula narcissina Narcissus Flycatcher 나그네새
317 노랑딱새 Ficedula mugimaki Mugimaki Flycatcher 나그네새
318 흰꼬리딱새 Ficedula parva Red-throated Flycatcher 나그네새
319 큰유리새 Cyanoptila cyanomelana Blue-and-White Flycatcher 여름철새
320 파랑딱새 Eumyias thalassina Verditer Flycatcher 길잃은새

까치딱새과 Family Monarchidae


321 삼광조 Terpsiphone atrocaudata Black Paradise Flycatcher 여름철새

오목눈이과 Family Aegithalidae


322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Long-tailed Tit 텃새

스윈호오목눈이과 Family Remizidae


323 스윈호오목눈이 Remiz consobrinus Chinese Penduline Tit 겨울철새

박새과 Family Paridae


324 쇠박새 Parus palustris Marsh Tit 텃새
325 진박새 Parus ater Coal Tit 텃새
326 박새 Parus major Great Tit 텃새
327 곤줄박이 Parus varius Varied Tit 텃새

제주도 조류 목록 255
동고비과 Family Sittidae
328 동고비 Sitta europaea Eurasian Nuthatch 텃새

나무발발이과 Family Certhiidae


329 나무발발이 Certhia familiaris Common Treecreper[Eurasian Treecreper] 겨울철새

동박새과 Family Zosteropidae


330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Japanese White-eye 텃새

멧새과 Family Emberizidae


331 멧새 Emberiza cioides Meadow Bunting 텃새
332 쇠검은머리쑥새 Emberiza yessoensis Japaness Reed Bunting 겨울철새
333 흰배멧새 Emberiza tristrami Tristram's Bunting 나그네새
334 붉은뺨멧새 Emberiza fucata Chestnut-eared Bunting 여름철새
335 쇠붉은뺨멧새 Emberiza pusilla Little Bunting 나그네새, 겨울철새
336 노랑눈썹멧새 Emberiza chrysophrys Yellow-browed Bunting 나그네새
337 쑥새 Emberiza rustica Rustic Bunting 겨울철새
338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Yellow-throated Bunting 텃새
339 검은머리촉새 Emberiza aureola Yellow-breasted Bunting 나그네새
340 꼬까참새 Emberiza rutila Chestnut Bunting 나그네새
341 무당새 Emberiza sulphurata Yellow Bunting 나그네새
342 촉새 Emberiza spodocephala Black-faced Bunting 나그네새, 겨울철새
343 검은멧새 Emberiza variabilis Grey Bunting 겨울철새
344 북방검은머리쑥새 Emberiza pallasi Pallas' Reed Bunting 겨울철새
345 검은머리쑥새 Emberiza schoeniclus Reed Bunting 겨울철새
346 긴발톱멧새 Calcarius lapponicus Lapland Longspur 겨울철새

되새과 Family Fringillidae


347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Brambling 겨울철새
348 방울새 Carduelis sinica Oriental Greenfinch 텃새
349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spinus Siskin 겨울철새
350 긴꼬리홍양진이 Uragus sibiricus Long-tailed Rosefinch 겨울철새
351 적원자 Carpodacus erythrinus Common Rosefinch 나그네새
352 양진이 Carpodacus roseus Pallas's Rosefinch 겨울철새
353 솔잣새 Loxia curvirostra Common Crossbill[Red Crossbill] 겨울철새
354 멋쟁이 Pyrrhula pyrrhula Bullfinch 겨울철새
355 콩새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Hawfinch 겨울철새
356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 Chinese Grosbeak 여름철새
357 큰부리밀화부리 Eophona personata Japanese Grosbeak 나그네새, 겨울철새

참새과 Family Ploceidae


358 섬참새 Passer rutilans Russet Sparrow 겨울철새, 텃새
359 참새 Passer montanus Tree Sparrow 텃새

25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찌르레기과 Family Sturnidae
360 붉은부리찌르레기 Sturnus sericeus Red-billed Starling 길잃은새
361 쇠찌르레기 Sturnus philippensis Chestnut-cheeked Starling 나그네새, 여름철새
362 북방쇠찌르레기 Sturnus sturninus Daurian Starling 여름철새
363 흰점찌르레기 Sturnus vulgaris Common Starling 겨울철새
364 찌르레기 Sturnus cineraceus Grey(White-cheeked) Starling 여름철새, 겨울철새
365 잿빛쇠찌르레기 Sturnus sinensis Grey-backed Starling 나그네새
366 분홍찌르레기 Sturnus roseus Rose-colored Starling 길잃은새

꾀꼬리과 Family Oriolidae


367 꾀꼬리 Oriolus chinensis Black-naped Oriole 여름철새

바람까마귀과 Family Dicruridae


368 검은바람까마귀 Dicrurus macrocercus Black Drongo 나그네새

숲제비과 Family Artamidae


369 흰가슴숲제비 Artamus leucorhynchus White-breasted Wood Swallow 길잃은새

까마귀과 Family Corvidae


370 어치 Garrulus glandarius Jay 텃새
371 까치 Pica pica Black-billed Magpie 텃새
372 갈까마귀 Corvus dauuricus Daurian Jackdaw 겨울철새
373 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 Rook 겨울철새
374 까마귀 Corvus corone Carrion Crow 텃새
375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Jungle Crow 텃새

제주도 조류 목록 257
2. 한국보호야생조류 목록 The List of Protected Birds in Korea

종명(Species) 문화재청 환경부

크낙새 천연기념물 제197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따오기 천연기념물 제198호
황새 천연기념물 제199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먹황새 천연기념물 제200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고니 천연기념물 제201-1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큰고니 천연기념물 제201-2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혹고니 천연기념물 제201-3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두루미 천연기념물 제202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재두루미 천연기념물 제203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팔색조 천연기념물 제204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저어새 천연기념물 제205-1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노랑부리저어새 천연기념물 제205-2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느시 천연기념물 제206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흑비둘기 천연기념물 제215호
흑두루미 천연기념물 제228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까막딱다구리 천연기념물 제242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독수리 천연기념물 제243-1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검독수리 천연기념물 제243-2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참수리 천연기념물 제243-3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흰꼬리수리 천연기념물 제243-4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참매 천연기념물 제323-1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붉은배새매 천연기념물 제323-2호
개구리매 천연기념물 제323-3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새매 천연기념물 제323-4호
알락개구리매 천연기념물 제323-5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잿빛개구리매 천연기념물 제323-6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매 천연기념물 제323-7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황조롱이 천연기념물 제323-8호
올빼미 천연기념물 제324-1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수리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2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25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종명(Species) 문화재청 환경부

솔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3호


쇠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4호
칡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5호
소쩍새 천연기념물 제324-6호
큰소쩍새 천연기념물 제324-7호
개리 천연기념물 제325-1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흑기러기 천연기념물 제325-2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검은머리물떼새 천연기념물 제326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원앙 천연기념물 제327호
노랑부리백로 천연기념물 제361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뜸부기 천연기념물 제446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두견 천연기념물 제447호
호사비오리 천연기념물 제448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호사도요 천연기념물 제449호
뿔쇠오리 천연기념물 제450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검은목두루미 천연기념물 제451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넓적부리도요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청다리도요사촌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가창오리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붉은가슴흰죽지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큰기러기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흰이마기러기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검은머리갈매기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적호갈매기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알락꼬리마도요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흰목물떼새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시베리아흰두루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비둘기조롱이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새홀리기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쇠황조롱이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한국보호야생조류 목록 259
종명(Species) 문화재청 환경부

말똥가리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물수리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벌매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솔개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조롱이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큰말똥가리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털발말똥가리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항라머리검독수리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흰죽지수리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긴점박이올빼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삼광조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뿔종다리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붉은해오라기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큰덤불해오라기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소계 46종 61종
합계 72종

26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감사의 글
이 생태도감은 많은 분들의 사진과 그림 그리고 관심으로 짜였기에 그 고마움을 일러두고자 합니다.

우선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의 많은 분들 도움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본원 연구기획과의 조병훈 박


사님은 꼼꼼하게 초고에 대해 지적을 주셨고, 연구자료집에 대한 행정 절차도 명쾌하게 알려주셨습니다. 우리
연구소 1층엔 연구지원팀이 있는데, 이 분들은 시험림에 다니면서 보았던 동물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해주셨습
니다. 올해 여름 제주에 오신 김창성 행정실장님은 행정 지원뿐만 아니라 자료집을 모두 읽고 고쳐야 할 부분을
지적해 주셨습니다. 또한, 1층에서 식물을 연구하시는 김찬수 박사님은 생물상 자료집을 만들 때 주의할 점을 알
려주셨고, 강영제 박사님은 제주시험림의 외래 동물에 대해 정보를 주셨습니다. 손석규 박사님은 우리 연구소의
연구자료집이 제때에 나올 수 있도록 시간을 알려 주셨고, 종종 자료집의 출간을 위해 조언을 아끼지 않았습니
다. 시험림에 자주 다니시는 권봉삼 선생님과 이승배 주사님이 시험림에서 발견하였던 야생동물의 관찰 지점을
알려 주어 다시 확인하는 기회를 가졌고, 오경석 선생님은 붉은해오라기의 관찰 정보를 알려 주셨습니다. SFM
모델림 연구실의 김대현 박사님과 한성호 선생님은 자료집을 제작하는 막바지에 오탈자 수정에 많은 도움을 주
셨습니다.
우리 연구소 밖에서도 야생동물에 관심이 많은 여러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제주 한라병원의 지남준 선
생님은 호반새, 파랑새, 굴뚝새 사진과 흰배지빠귀 알 사진을 주셨고, 한라일보의 강희만 기자님은 검은지빠귀
와 때까치 알 사진을 직접 주셨습니다. 홍도에 있는 국립공원관리공단 철새연구센터의 최창용 연구원은 까치
알 사진과 붉은배새매 암수 사진을 보내주셨고, 파충류 중 뱀류에 대한 정보는 제주대학교 박사과정 김병수 선
생님과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 김영호 선생님이 도움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자연사박물관의
김완병 선생님은 제주도 조류상 목록에 대해 기본 정보를 주셨고, 그 자료를 토대로 우리가 수정하여 보완하였
습니다. 바쁜 와중에도 영문 요약의 교정을 해 준 환경부 국제협력과 이아람 선생님에게도 감사드립니다.
사진이 많은 생태도감에서 그림으로 서식지를 표현하는 데, 삽화를 보내 준 고경화 선생님께 감사드리고 싶습
니다. 무엇보다도 이 생태도감에는 강창완 선생님의 사진이 많이 있습니다. 야외에서 사진을 찍는 데 필요한 고
집과 기다림 그리고 느긋함을 그의 사진에서 엿볼 수 있습니다. 많은 분량의 사진을 몸소 편집하며, 표지 사진에
대해 밤새 토론을 아끼지 않았던 도서출판 한그루 김영훈 사장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끝으로, 제주의 산림생태계를 오랫동안 살피지 않고 이렇게 책으로 불쑥 내민다는 것은 제1 저자로서 부끄러
운 일입니다. 제주시험림을 포함한 산림생태계에서 긴긴 세월 동안 사람과 생물이 만들어 온 짜임과 스밈을 표
현할 수 있는 날이 오길 기대합니다.

261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1. 외국수종육성에 관한 시험. 1959.
2. 한국산 야생용 식물 - 초본편. 1959.
3. 세계인공림에 관한 회의보고서. 1968.
4. 야생동물실태조사 제 3보. 1968.
5. 한국수목해충총목록. 1969.
6. 한국조류분포목록. 1969.
7. 광릉시험림의 솔잎혹파리구제에 관한 보고. 1969.
8. 야생식용식물도감. 1969.
9. 야생동물실태조사 제 4보. 1969.
10. 해외파견기술훈련보고서 - 토양조사와 토지이용구분. 1970.
11. 한국의 펄프종이 공업. 1970.
12. 주요 임산물 통계자료. 1970.
13. 포푸라 주요 병해충의 생태와 방제. 1970.
14. 포푸라이용의 현황과 전망. 1970.
15. 조림수익율표. 1972.
16. 송이생산기술 연찬회자료. 1981.
17.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Ⅰ. 파푸아뉴기니아. 1981.
18. 한국의 송이에 관한 조사보고서. 1981.
19. 목재보존 기술자료. 1981.
20.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Ⅱ. 중남미. 1982.
21.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Ⅲ. 아프리카. 1983.
22. 송이연구 및 생산기술자료. 1984.
23.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Ⅳ. 동남아시아. 1984.
24. Compilation of Abstracts on Gall Midges of Woody Plants(수목혹파리에 관한 초록집). 1984.
25. 주요수종의 수익성. 1985.
26. Report on Biolog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in Korea. 1985.
27. 미국과 일본의 산림자원정책. 1985.
28. 오지리의 산림조사평가와 표준오차계산표. 1985.
29. 일본의 임산버섯 연구 및 생산기술. 1986.
30. 산지이용구분조사보고서. 1986.
31.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Ⅴ. 북미. 1986.
32. 임산버섯생산기술 연찬회자료. 1987.
33. 간벌소경재의 가공이용기술. 1987.
34.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강원도 기본계획구. 1987.

262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35.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동부영림서 기본계획구. 1987.
36.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중부영림서 기본계획구. 1988.
37. 간벌작업지 프라스틱수라집재에 관한 사례연구. 1988.
38.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Ⅵ. 소련:극동시베리아. 1989.
39. 임업투자수익율표. 1989.
40.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경상북도(대구직할시포함) 기본 계획구. 1989.
41.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남부영림서 기본계획구. 1989.
42. 미립목지의 주요수종 수확예측. 1989.
43. 산림토양단면도집. 1989.
44. 해외임산공업현황 - Ⅰ. 대만・일본. 1989.
45. 목재도장기술. 1989.
46. 대나무재배기술. 1990.
47. 산림자원조사보고서-경남(부산직할시 포함) 기본계획구. 1990.
48. 일본의 소나무재선충병연구. 1990.
49. 소련・중국의 임업정책연구. 1990.
50. 열대재의 재질과 가공성. 1990.
51. 꿩기르기. 1991.
52. 산림과 물. 1991.
53. 일본의 제재기술동향. 1991.
54. 일본의 목재보존의 기술동향. 1991.
55. 세계주요국의 임정연구. 1991.
56.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전라북도(광주직할시 포함) 기본 계획구. 1991.
57.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전라남도 기본계획구. 1991.
58. 환경과 야생동물. 1991.
59. 한국의 임산업. 1991.
60. 목재건조기술. 1991.
61. 목재접착・조색・도장기술. 1991.
62. 도시・산림・환경. 1991.
63. 석재자원조사보고서(Ⅰ). 1992.
64. 세계의 임산업. 1992.
65. 아까시나무 자원과 이용. 1992.
66. 세계주요국의 산림・임업법률연구. 1992.
67. 수목 및 목재의 성분이용. 1992.
68. 겨울철새의 도래실태. 1992.
69. 산림자원조사보고서(충북). 1992.
70. 산림자원조사보고서(충남). 1992.
71. 임업연구를 위한 기초통계학. 1992.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263


72. 북한의 임업. 1992.
73. 한국산 버섯 색인집. 1992.
74. 목질탄화 및 탄화물의 토양개량재 이용. 1992.
75. 목재열기 건조 스케줄. 1993.
76. 산림자원조사보고서(경기도, 서울, 인천, 원주영림서 포함 기본계획구). 1993.
77. 산림자원조사보고서(제주도 기본계획구). 1993.
78. 합판산업 구조개선방안. 1993.
79. 산림휴양・생태관광계획. 1993.
80-1. 열대목재의 합리적 이용 및 목재산업 국제화 증진 방안. 1993.
80-2. Study on Rational Utilization of Tropical Timber and Globalization of Korean Wood Industry. 1993.
81. 석재자원조사보고서(Ⅱ). 1994.
82. 해외조림투자환경. 1994.
83. 활엽수자원보고서(경상남도 기본계획구). 1994.
84. 활엽수자원보고서(전라남도 기본계획구). 1994.
85. 활엽수자원보고서(제주도 기본계획구). 1994.
86. 목재・재질재료의 성능향상 및 가공・이용기술. 1994.
87. 표고재배기술 연구자료. 1994.
88. 천마재배기술 연구자료. 1994.
89. 톱밥 종합이용. 1994.
90. 일본 목재보존공업기술 동향. 1994.
91. 임목종자와 양묘. 1994.
92. 한국의 목재자원과 수급 및 임산업현황. 1994.
93. 산림측량실무. 1994.
94. 목조주택 시공기법. 1994.
95.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1994.
96. 통나무집 축조기술. 1994.
97. 목질재료의 신접착기술. 1994.
98. ’
95임업연구성과설명회 자료(목재산업분야). 1995.
99. ’
95임업연구성과설명회 자료(임산버섯분야). 1995.
100. ’
95임업연구성과설명회 자료(특수임산물리용분야). 1995.
101. 산림생태계 생물다양성 조사분석 및 표본관리 방법. 1995.
102. 속성활엽수의 해외조림투자환경(베트남, 미얀마, 칠레, 서호주를 중심으로). 1995.
103. 솔잎혹파리 논문집 Ⅰ. 생태, 피해, 방제전략. 1995.
104. 솔잎혹파리 논문집 Ⅱ. 생물적, 화학적, 임업적 방제. 1995.
105. 솔잎혹파리 논문집 Ⅲ. 일본, 유럽, 미국. 1995.
106. 한국수목해충목록집. 1995.
107. 임업분업론과 중국의 임업발전방향. 1995.

264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108. 중국의 임업산업정책과 구역비교연구. 1995.
109. 우리나라 목재수급실태. 1995.
110.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충청남도 기본계획구). 1995.
111.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전라북도 기본계획구). 1995.
112.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경상북도 기본계획구). 1995.
113. 임업연구 기본계획. 1995.
114. 뉴질랜드의 임업 및 임산업 투자환경 - 북섬지역을 중심으로. 1995.
115. 구조용 목질재료의 이용과 환경영향. 1995.
116. 한국수목병명목록집. 1995.
117. 열대활엽수의 해외조림투자환경(말레이시아, 솔로몬,파푸아뉴기니아를 중심으로). 1996.
118. ’
96연구성과설명회 자료집(임산공업분야)-산업환경변화에 대응한 임산공업의 새로운 모색. 1996.
119. 한・일 산림생산공학 학술회의. 1996.
120. 임업경제동향 - 연차보고서. 1996.
121. 계방산 및 울릉도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1996.
122.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전국 총괄). 1996.
123.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경기도 기본계획구). 1996.
124.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강원도 기본계획구). 1996.
125.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충청북도 기본계획구). 1996.
126. 한국산림과 온실가스 -흡수・저장 및 저감방안-, 1996.
127. 산림생장 및 수확예측 모델론. 1996.
128. 환경보전형 곤충병원미생물을 이용한 잔디해충 방제. 1996.
129. 임업연구원소장 곤충표본목록 Ⅰ 나비목. 1996.
130.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1997). 1997.
131. 나무의 신비. 1997.
132. 우리나라의 산촌지역 구분조사. 1997.
133. 한국의 목재수급실태. 1997.
134. 산림자원조사보고서. 1997.
135. 중국의 임업?임산업 현황과 투자환경. 1997.
136. 일제시대의 국유림관리 -보호・처분・경영을 중심으로-. 1997.
137. 목조건축의 외장용 목재. 1997.
138. 조선시대 산림사료집. 1997.
139. 임도망계획방법. 1998.
140.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1998.
141. 표고 재배기술. 1998.
142. 폐목재발생 및 재활용실태. 1998.
143. 산림의 온실가스 저감방안. 1998.
144. 목질탄화물(숯과 목초액)의 농업 및 환경적 이용. 1998.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265


145. 설악산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관광개발 잠재력 평가. 1998.
146. 우리나라 야생동물의 보호・관리실태. 1999.
147. 표고 재배기술향상. 1999.
148.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1999.
149. 자연휴양림 이용특성 및 효율적 관리방향(1). 1999.
150. 송이 증수 및 품질향상 기술. 1999.
151. 주요 수종의 육종계획. 1999.
152. 임업의 새로운 조류. 1999.
153. 송이 증수 및 인공재배 연구. 1999.
154. 임업경제성분석 프로그램 사용설명서. 1999.
155. 임업경제성분석 지침서. 1999.
156. 목재인증제의 동향. 1999.
157. 도시림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1999.
158. 새로운 표고재배기술. 2000.
159. 폐목재의 수집체계 개선 및 재활용 촉진방안. 2000.
160. 식・약용식물 재배법. 2000.
161. 임업연구원 소장 곤충표본목록 Ⅱ 곤충류(나비목제외). 2000.
162. 임업경제동향 2000년/봄. 2000.
163. 한국기록종 버섯 재정리 목록. 2000.
164. 백합나무 조림기술. 2000.
165. 밤나무 재배기술. 2000.
166. 임업경제동향 2000년/여름. 2000.
167.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2000.
168. 송이산 가꾸기 및 송이증수. 2000.
169. 한국과 일본의 산지관리 제도. 2000.
170. 혼농림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2000.
171. 원목규격과 해설. 2000.
172. 폐탄광지의 환경복원녹화 기술개발 국제심포지엄. 2000.
173. 임업경제동향 2000년/가을. 2000.
174. 임업경제동향 2000년/겨울. 2001.
175. 임업경제동향 2001년/봄. 2001.
176. 일본의 산촌진흥시책. 2001.
177. 비무장지대 조사방안 토론회. 2001.
178. 임업경제동향 2001년/여름. 2001.
179. 숯과 목초액 이용. 2001.
180. 온・한대림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기준 및 지표. 2001.
181. 임업경제동향 2001년/가을. 2001.

266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182. 한국의 근・현대 산림소유권 변천사. 2001.
183. Green GNP와 산림자원계정. 2001.
184. Traditional Knowledge for Soil Erosion Control in the Republic of Korea. 2001.
185. 산림유역의 비점오염원 관리 - 산림작업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및 저감대책 -. 2001.
186. 주요국의 산림・임업정책. 2001.
187. 주요국의 산림・임업법률. 2001.
188. 임업경제동향 2001년/겨울. 2002.
189. 임업경제동향 2002년/봄. 2002.
190. 임업경제동향 2002년/여름. 2002.
191. 도시림의 합리적 이용?관리방안. 2002.
192. 외국의 산불예방과 진화. 2002.
193.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2002.
194. 중국임업 및 임산업투자환경. 2002.
195. 임업경제동향 2002년/가을. 2002.
196. 산림수문 장기모니터링 자료집(산림유역의 물순환 조사). 2002.
197. 북미산 활엽수재의 재질과 용도. 2002.
198. 백두대간의 생태계 현황 및 관리범위 설정. 2003.
199. 세계의 산림자원과 목재무역. 2002.
200. 2002 수요열린 세미나 자료집. 2003.
201. 임업경제동향 2002년/겨울. 2003.
202. 임업경제동향 2003년/봄. 2003.
203. 생물반응기와 생물체 대량배양. 2003.
204. 대기오염과 산림생태계 변화모니터링. 2003.
205. 임업경제동향 2003년/여름. 2003.
206. 흰개미의 생태와 방제. 2003.
207. 홍릉수목원의 버섯. 2003.
208. 주요국의 산림계획제도. 2003.
209. 임업경제동향 2003년/가을. 2003.
210. 북한 산림・임업동향. 2003.
211.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국가보고서 작성 기초 연구. 2003.
212. 제초제 내성 관여 유전자와 효소, 제초제의 생화학 및 대사, 형질전환 식물의 잔류물질. 2003.
213. GM 수종의 환경적 고찰. 2003.
214. 포플러의 생물학. 2003.
215. 조선시대 국용임산물(전국지리지의 임산물 항목을 중심으로). 2004.
216. 2003 수요열린 세미나 자료집. 2004.
217. 임업경제동향 2003/겨울. 2004.
218. 산림수자원 모니터링. 2004.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267


219. 채종원의 효율적 관리방안. 2004.
220. 임도밀도 목표량 산정연구. 2004.
221. 임업경제동향 2004년/봄. 2004.
222. 동북아 지역의 사막화 원인과 대책. 2004.
223. 휴양림 목조시설 유지관리 매뉴얼. 2004.
224. 알기 쉬운 소나무재선충. 2004.
225. 임업경제동향 2004년/여름. 2004.
226. 생태계접근법의 개념과 이행지침. 2004.
227. 임산물품질인증지침. 2004.
228. 두릅나무 및 음나무 재배기술. 2004.
229. 임업경제동향 2004년/가을. 2004.
230. 표고와 송이의 최근 재배동향. 2004.
231. 기후변화 협약 관련 IPCC 우수실행지침. 2004.
232.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수종. 2004.
233. 2004 토요세미나 자료집. 2005.
234. 임업경제동향 2004년/겨울. 2005.
235. FSC 산림인증 심사용 Check list. 2005.
236. 임업경제동향 2005년/봄. 2005.
237. 목재 유통구조 분석. 2005.
238. 광릉시험림 천연소나무림 실태조사. 2005.
239. 일본의 임지개발허가제도. 2005.
240. 임업경제동향 2005년/여름. 2005.
241. 2005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5.
242. 임산물품질인증지침(개정판). 2005.
243. 산지이용구분도 구축방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05.
244. 실내공기환경과 목질제품. 2005.
245. 임업경제동향 2005년/가을. 2005.
246. 항공사진 입체표본철. 2005.
247. 이차대사산물 생산공장으로서의 식물세포배양. 2005.
248. WTO/DDA 목재류 분야 협상의 최근 동향. 2005.
249. 수목유래 isoflavonoids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위한 핵자기공명 및 질량 분석 자료. 2005.
250. 독일가문비나무의 생물학. 2005.
251. 잣나무의 엽록체 유전체. 2005.
252.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수종 Ⅱ. 2005.
253. 목침목의 할열 방지 및 폐침목의 재이용. 2005.
254. WTO/DDA 농업협상의 논의쟁점과 단기소득 임산물의 대응방향. 2005.
255. 세계의 산불위험예보시스템. 2005.

26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256. 2005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6.
257. 임업경제동향 2005년/겨울. 2006.
258. 표고재배 및 병해충 관리. 2006.
259. 임업경제동향 2006년/봄. 2006.
260. 일본 국유림 레크레이션 숲 관련 제도. 2006.
261. 2006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6.
262. 임업경제동향 2006년/여름. 2006.
263. 일본 국유림 레크레이션 숲 관련 제도 Ⅱ. 2006.
264. 수목의 오존내성 매카니즘과 피해반응. 2006.
265. 소나무재선충병의 국제 연구동향. 2006.
266. 수목의 생리활성 탐색. 2006.
267. 기내배양을 이용한 산림자원의 증식. 2006.
268. 수목유래 Isoflanovoids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위한 핵자기 공명 및 질량분석자료(II). 2006.
269. 산지계류의 생태적 복원방법. 2006.
270. 액화목재의 제조기술 및 이용. 2006.
271. 임업경제동향 2006년/가을. 2006.
272. 제주시험림 생태관광타당성 조사. 2006.
273. 기후변화협약과 산림. 2006.
274. 소나무재선충병 바로알기. 2006.
275. 북한 산림・임업 동향 및 주요 수종(Ⅲ). 2006.
276. 통계로 본 산림자원의 변화와 임산물 수급추이. 2006.
277. EU・일본의 임업보조금. 2006.
278. 2006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7.
279. 소나무의 유전변이와 유전자원보존. 2007.
280. 임업경제동향 2006년/겨울. 2007.
281. 독일 및 이탈리아의 농산촌관광 정책과 현황. 2007.
282. 산림 항공사진 검색 시스템 사용자 메뉴얼. 2007.
283. 임업경제동향 2007년/봄. 2007.
284. 2007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7.
285. 핀란드 및 독일의 산림부문 온실가스 통계체제. 2007.
286. 임업경제동향 2007/여름. 2007.
287. 대나무・대나무숯・죽초액. 2007.
288. 산림유전자원 표본목록. 2007.
289. 제주지역의 임목유전자원. 2007.
290. 일본의 산촌진흥대책 추진매뉴얼. 2007.
291. 개량종자 생산을 위한 채종원 조성 및 관리. 2007.
292. FSC 산림경영인증 및 CoC 목제품원료인증 교육자료집. 2007.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269


293. 임산물품질시험 인증지침. 2007.
294. 임산염료자원을 이용한 천연염색(I). 2007.
295. 꽃송이버섯. 2007.
296. 수목유래 Isoflanovoids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위한핵자기 공명 및 질량분석자료(Ⅲ). 2007.
297. 목질탄화물의 흡착이용. 2007.
298. 임업경제동향 2007/가을. 2007.
299. 산림항공사진 영상판독시스템과 수치임상도 제작 사용자 매뉴얼. 2007.
300. 한국의 도시숲. 2007.
301. 리기다소나무림 관리방안. 2007.
302. FSC CoC 목제품원료인증 교육자료집. 2007.
303. 산불관리 원칙과 전략적 활동 지침. 2007.
304. 백두대간의 지리적 범위 구명 방안. 2007.
305. Post-2012 산림탄소 배출권 계정논의 동향. 2007.
306. 북한의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수종(IV). 2007.
307. 2007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7.
308. 지역개발과 산지법의 신경향. 2008.
309. 일본의 산림기능구분과 산림관리. 2008.
310. 임업경제동향 2007/겨울. 2008.
311. 을수동 산림생태지도. 2008.
312. 지속가능한 관광 및 생태관광 인증. 2008.
313. 임업경제동향 2008/봄. 2008.
314. 2008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8.
315. 코린도 칼리만탄 조림지 임목자산 평가조사보고. 2008.
316. 임업경제동향 2008/여름. 2008.
317.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매뉴얼. 2008.
318. 수치임상도(1:25,000) 표준 제작체계. 2008.
319. 산림작업용 장비. 2008.
320.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L.) - 생장특성과 관리기술 -. 2008.

270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기술서비스 헌장 ●

우리 국립산림과학원 전 직원은 산림자원의 조성・이용과 환경이 조화된 임업기술을 개발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우리의 고객인 국민에게 신뢰와 사랑을 받는 공무원이 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천
하겠습니다.

하나. 산림은 우리 모두의 재산이며 생명의 원천이라는 인식 하에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연구


개발 및 기술보급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하나. 모든 서비스는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신속・정확・공정하게 처리하겠습니다.
하나. 국민에게 불친절한 자세와 잘못된 행정처리로 불만족이나 불편을 초래할 경우 즉시 시정함은 물
론 적절한 보상을 해드리겠습니다.
하나. 우리의 실천노력에 대하여 고객에게 매년 평가를 받고 그 결과를 공개하겠습니다.

이와 같은 우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서비스 이행표준’을 제정하여 실천할 것을 약속드리며, 언


제나 국민과 함께하는 국립산림과학원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고객여러분께 부탁드리는 말씀 ●
모든 고객께서는 친절하고 공정한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우리 산림공무원은 고객여러분께 고
객만족과 감동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 헌장을 선포하고 실천해 나가고자 하오니 아낌없는 성원
과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불친절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즉시 알려주시고 반드시 성명・주소・연락처 등을 알


려주시기 바랍니다.
2. 공무원이 자긍심을 갖고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친절하고 모범이 되는 공무원은 적극 알려주시고
격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3. 홍릉수목원과 산림과학관은 임업・임산업의 지식정보를 한자리에 전시한 대국민 교육의 장으로서
관람객의 편의제공을 위하여 예약실명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학술목적인 단체관람은 평일에만 가능합니다.
- 관람예정 7일 전까지 예약하셔야 하며, 신청일로부터 30일 이후까지만 예약이 가능합니다.
- 일반관람은 예약 없이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에만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 의견 제출・신고 또는 연락주실 곳 ●

◎ 주 소 : 우 130-712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번지(청량리동 207번지)


◎ 팩 스 : (02)967-5101, 961-2559
◎전 화:원 장 실 (02)961-2500
연구지원과장실 (02)961-2511
민 원 실 (02)961-2522~3
◎ 인터넷 : http://www.kfri.go.kr
◎ 인터넷 홈페이지/전자민원창구/질의응답, 민원신고센터에 의견을 보내주시면 신속하고 정중하게 처
리해 드리겠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321호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2008년 12월 일 인쇄
2008년 12월 일 발행

발 행 인 : 최완용
편 집 : 박찬열
집 필 : 박찬열, 이성기, 변광옥, 김철민, 정영교, 김은미, 정상배
촬 영 : 강창완, 김은미, 정상배

발 행 처 : 국립산림과학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Tel. 064-730-7232 Fax. 064-732-5840
인 쇄 처 : 도서출판 한그루(Tel. 064-723-7580)

■ 종이도 나무에서 나옵니다 <비매품>

ISBN 978-89-8176-488-3 93520


이 책의 저작권은 국립산림과학원에 있으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나 복제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