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농업생명과학연구 46(1) pp.

71-81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 pp.71-81

서해안 방풍림의 식생구조 및 관리 방안


김현준 ․정성훈 ․황창혁 ․김현 ․최수민 ․이상현
1 1 1 2 3 1*
1 2 3
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전북산림환경연구소, 남부산림연구소
접수일 (2012 년 월 일 수정일
01 13 ), (2012 년 월 일 게재확정일
02 16 ), (2012 년 월 일02 24 )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Hyun-Jun Kim
1
․ Seong-Hun Jeong ․ Chang-Hyuk Hwang ․Hyun Kim ․
1 1 1

Soo-Min Choi ․ Sang-Hyun Lee


3 1*

1
Dept. of Forest Environment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
2
Jeonbuk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Jinan 567-883, Korea
3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Jinju 660-300, Korea
Received: JAN. 13. 2012, Revised: FEB. 16. 2012, Accepted: FEB. 24. 2012

초록
본 연구는 서해안 주요 8개 방풍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새만금 유역의 방
풍림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8개 방풍림에 출현하는 식물은 총 25과
40속 4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교목층은 모두 곰솔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수종의 단층구조
를 보이는 방풍림은 2개소이며, 단일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된 방풍림은 2개소였으며, 4개 방풍림은 여
러 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기능적으로 안정적인 방풍림의 구조는
수직적으로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이 모두 존재하는 복층구조가 적합하며, 수평적으로는 교목은 내륙
쪽에 관목은 해안쪽에 식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단순림보다는 침엽수와 상록활엽수를
함께 혼합하여 식재하는 혼효림이 방풍림 기능의 효과를 더 향상시킬 것이며 병해충에 대한 피해도 줄
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검색어 - 방풍림, 관리 방안, 상대우점치, 평균상대우점치, 종다양성지수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about making windbreak forest around
Saemanguem reclaimed lands by analyzing the vegetation structure of 8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and considering the methods of structural improvement. The
total plants existing in the study areas were 25 families 40genus 43 species, and every tree
layer consisted of only one tree species, Pinus thunbergii. There were 2 windbreak stands
consisted of a species, and 2 consisted of multiple layer with a species. While, 4 windbreak
stands consist of various species with several species. To make ecological system and
functions of windbreak forests stabler, TL, STL and SL should be together in the vertical
point, moreover, TL should be appeared at the in side and SL should be planted at the out
side in the horizontal point. It is considered that mixed stand forest might be suitable for
increasing the windbreak forest's functions and decreasing damage caused by disease and
insects.
Key words - Windbreak forest, Management methods, Importance Percentage, Mean Importance
Percentage, Species Diversity Index

*Corresponding author: Sang-Hyun Lee


Tel: +82-63-270-2587
Fax: +82-63-270-2592
E-mail: leesh@jbnu.ac.kr
72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

Ⅰ. 서 론 따라서 해안 방풍림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


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우리나라 보안림의
지난 1991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새만금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An, 1985), 남해도의 천연기
종합개발사업은 34 km의 방조제와 54 km의 방수제 념수림과 그 수종에 대한 연구(Mun et al, 1977),
에 의해서 총 40,100 ha가 개발되며, 사업지구 내에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구조와 식물상에 관한 연
28,300 ha의 토지가 조성되고 11,800 ha의 담수호 구(Lee et al, 1998), 난대 기후대 상록활엽수림
가 조성되는 대규모의 국책사업이다. 간척지는 산업 복원에 관한 연구(Park, 2002), 방풍림의 식생구조
의 발달에 따라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와 보호관리방안(Oh, 2002), 새만금 간척지의 방
대단위로 조성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좁은 국 풍림 조성방안(Park, 2009), 고창 구시포 해안 곰
토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간척지를 농경지 솔림의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Park et al, 2009)
로 조성해 왔으며, 최근에는 산업공단, 공항, 항만, 등이 있다.
컨테이너 부두, 해안도시 건설 및 주택단지 조성, 해 이렇게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방풍림은 최근
상관광공원, 유류, 가스 등의 위험물 저장소, 해안쓰 들어 책임관리부서가 명확하지 않고 행정기관에서의
레기매립장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간척지는 미비한 관리 및 방풍림의 중요성에 대한 행정기관과
한국, 일본, 대만, 네덜란드, 미국, 캐나다, 베트남 국민들의 인식부족과 무관심으로 인해 방풍림은 점
등지에서도 제 2차 대전을 전후로 하여 대규모로 건 차 훼손되거나 파괴되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설되어 왔으며, 해양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최근에 (Oh, 2002).
는 매립하는 경우가 적어지고 있으나, 해양국가인 따라서 본 연구는 서해안 주요 8개 방풍림의 식생
일본의 경우에는 대규모 공항이나 주택지 및 산업시 에 따른 생태적 특성을 연구ㆍ비교함으로써 새만금
설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새만금 묘목장 조성사업, 사업지구 내에 해안방풍림 조성계획 시 해안 방풍림
2010). 을 효과적으로 조성하고 체계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이렇게 조성된 간척지는 일반적으로 미사질 토양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으로 높은 염분함량과 토양양분이 결핍되어 있을 뿐 수행하였다.
만 아니라 새만금 사업지구에서 주로 활용하려고 하
는 해저 준설토는 미사성분이 많아 건조할 경우 바
람에 쉽게 비산되는 특수성을 지닌다. 친환경적 지 Ⅱ. 재료 및 방법
속가능한 개발이 현시대의 패러다임인 가운데 생태
적으로 안정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간척지에서의 다 2.1 연구대상지
양한 수목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며 수목은 그 용도 본 연구의 조사 대상지는 서해안의 주요 방풍림
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 인 새만금 인근주변인 전남 백바위해수욕장, 전북
다. 따라서 새만금 간척지는 바람에 의한 피해를 예 고사포해수욕장, 구시포해수욕장, 동호해수욕장, 상
방하기 위해 대규모의 방풍림 조성이 필수적으로 요 록해수욕장, 송림광장, 충남 무창포해수욕장, 춘장
구되고 있다. 대해수욕장의 8개 지역이다. 조사 대상지들이 모두
일반적으로 해안가에 조성된 방풍림(windbreak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어 해발고는 최소 5 m에서
forest)은 해안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해풍 최대 35 m로 낮았으며, 방위는 170°에서 320°로
이나 해일 등의 재해로부터 가옥과 농경지를 보호하 모두 남향과 북서향 사이에 해당하였다. 경사 또한
는 효과와 비사나 염분의 이동으로 인한 피해를 예 모든 조사지에서 5°이하로 경사가 거의 없는 평지
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마을 주민들의 생활 에 가까운 상태였다. 토양은 전형적인 사질 토양으
쉼터 역할을 하기도 하므로 방풍림은 방풍 및 방조 로이었고 해수욕장으로써 인위적인 간섭이 존재하
의 기능뿐만 아니라 해안지대 환경보전의 측면에서 고 있었으나 훼손은 심하지 않고 양호한 편으로 나
중요한 역할을 한다(경상남도, 1994; Lee, 2001). 타났다.
Kim et al. :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 73

Table 1. The status of plots

Plot Location Altitude(m) Aspect( °) Slope( °)


N 36° ′ 00.03″
10
Chunjangdae
E 126° ′ 35.66″
31
15 310 0
N 35° ′ 47.00″
39
Gosapo
E 126° ′ 35.66″
31
5 320 0
N 36° ′ 13.00″
10
Songrim
E 126° ′ 35.17″
31
35 170 5
N 35° ′ 01.57″
36
Sangrok
E 126° ′ 55.27″
28
12 250 0
N 35° ′ 58.33″
13
Baekbawi
E 126° ′ 04.93″
18
11 280 0
N 36° ′ 41.72″
15
Muchangpo
E 126° ′ 52.38″
32
16 300 5
N 35° ′ 11.11″
31
Dongho
E 126° ′ 03.31″
29
9 270 5
N 35° ′ 30.76″
26
Gusipo
E 126° ′ 02.31″
26
35 170 5

2.2 연구방법 1), 수고를 고려하여 평균상대우점치(Mean Importance


1) 식생조사 Percentage : M.I.P.)를 추정하였다(Eq. 2).
식생조사는 각 조사대상지 내 조사구를 선정하고
수관 층위별로 구분하여 식생 및 매목조사를 실시하   (1)
였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20×20 m(400㎡) 크기     
의 조사구에서 출현하는 모든 수목의 수고, 흉고직  
경 및 각 층위의 울폐도를 측정하였으며, 관목층과   (2)
지피층은 5×5 m(25㎡) 크기의 중첩방형구에 출현하
 × 교목층   × 아교목층  × 관목층
는 모든 식생의 수고와 피복도를 측정하였다.  
수관층위 구분은 수관층을 형성하는 수목을 교목 (2) 종다양성지수(Species Diversity Index;
층, 교목층과 관목층 사이의 수목을 아교목층, 수고 S.D.I) 분석
0.5 m 이상 2 m 이하의 수목을 관목층, 그리고 수 종 구성 상태의 다양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인
고 0.5 m 이하의 수목(치수)과 초본류를 지피층로 종다양성지수는 Shannon의 수식을 이용하여 종다양
구분하였다. 도(H'), 최대종다양도(H'max), 균재도(J') 그리고 우
현지조사기간은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 동 점도(D) 등을 구하였다.
안 진행되었으며, 문헌·논문·선행연구에 대한 조
사는 2011년 4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다. ′     log  (3)
 ′max  log 
2) 식물군집구조분석 ′
′  
(1) 상대우점치 분석  ′ max
각 조사구의 층위별로 수종별 상대적 우점도를 조     ′
사비교하기 위하여 Curtis & McIntosh(1951) 방법
을 응용한 Lee et al.(1990)의 방법으로 상대우점치 (3) 방풍림 관리 방안
(Importance Percentage ; I.P.)를 구하였고(Eq. 현지조사와 식생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
74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

인 방풍림의 식생 및 관리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지의 위치 또한 해안가에 인접해 있는 방풍림의


표준지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식물출현종수에 다소
Ⅲ. 결과 및 고찰 차이가 발생할 수는 있으나, Oh(2002)가 조사한 남해
물건리 방풍림(66과 135속 147종)이나 Lee et
3.1 식물상 al.(2010)가 조사한 완도 정도리 방풍림(93과 250속
서해안 주요 8개 방풍림에 출현하는 식물은 총 25 335종) 등과 비교하여 서해안의 식생이 비교적 단순한
과 40속 43종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본 연구가 식물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해안 방풍림의 경우, 관목층
상 위주의 연구가 아닌 수목현황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나 지피층이 없는 지역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 Number of tree species by TL, STL and SL in the 8 windbreak forests
Gosapo Gusipo Dongho Muchangpo
Species a b c
TL STL SL TL STL SL TL STL SL TL STL SL
Alangium platanifolium
Albizzia julibrissin
Carpinus laxiflora
Celtis sinensis 1
Pinus thunbergii 29 19 8 52 14 2 98
Quercus acutissima
Quercus mongolica 5 6
Robinia pseudo-acacia 41 5
Rosa multiflora
Stephanandra incisa
Zanthoxylum schinifolium

Baekbawi Sangrok Songlim Chunjangdae


Species
TL STL SL TL STL SL TL STL SL TL STL SL
Alangium platanifolium 2
Albizzia julibrissin 5
Carpinus laxiflora 2 3
Celtis sinensis 7
Pinus thunbergii 31 3 40 31 12 27 5
Quercus acutissima 11
Quercus mongolica 27
Robinia pseudo-acacia 107
Rosa multiflora 15
Stephanandra incisa 132
Zanthoxylum schinifolium 75
a b c
TL : Tree Layer, STL : Sub-Tree Layer, SL : Shrub Layer

서해안 주요 8개 방풍림은 대부분 곰솔이 교목층 초, 개망초, 달맞이꽃, 담쟁이덩굴, 미국자리공, 말


을 이루고 있었으며, 그 외에 팽나무, 신갈나무, 아 냉이 등 18과 30속 32종이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이
까시나무 등이 관목층을 이루고 있었다(Table 2). 이 국화과, 벼과, 콩과, 장미과, 백합과에 속하는 것으
는 인공식재 된 곰솔림 내에 시간이 경과 하면서 타 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쇠무릎, 으름덩굴, 엉겅퀴,
수종들이 자연 번식하여 발아한 것으로써 토양 속 여우팥, 환삼덩굴, 참싸리, 주름조개풀, 둥글레, 청
염분농도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덩굴, 청가시덩굴, 미역취, 민들레, 토끼풀 등이
지피층에서는 쥐방울덩굴, 갯메꽃, 댕댕이덩굴, 망 조사되었다(Table 3).
Kim et al. :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 75

Table 3. The list of understory vegetation in the 8 windbreak forests


Gosa Gusi Dong Muchang Baek Sang Song Chunjang
Scientific name
-po -po -ho -po -bawi -rok -rim -dae
Achyranthes japonica ○
Akebia quinata ○ ○
Aristolochia contorta ○ ○ ○
Artemisia princeps ○ ○ ○
Calystegia soldanella ○ ○ ○
Carex humilis ○ ○ ○ ○ ○
cirsium japonicum ○ ○ ○
Cocculus trilobus ○
Digitaria sanguinalis ○
Dunbaria villosa ○ ○ ○
Erigeron acanadensis ○ ○
Erigeron annuus ○ ○ ○ ○
Humulus japonicus ○
Lespedeza cytobotrya ○ ○ ○
Mallotus japonicus ○
Oenothera odorata ○ ○
Oplismenus undulatifolius ○ ○ ○
Oxalis corniculata ○ ○ ○ ○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Persicaria senticasa ○
Phytolacca americana ○ ○ ○
Polygonatum odoratum ○
Polygonum aviculare ○
Pueraria thunbergiana ○
Rubus parvifolius ○ ○ ○
Sasa borealis ○
Smilax china ○ ○
Smilax sieboldii ○
Solidago virgaurea ○ ○
Taraxacum platycarpum ○
Thlaspi arvense ○
Trifolium repens ○ ○
3.2 조사지별 식물군집구조 고사포해수욕장 방풍림의 식생 개황을 살펴보면,
조사지의 식물군집 구조분석은 단층구조형과 다층 교목층의 평균수고는 12.0 m, 평균흉고직경은 26.9
구조형 방풍림의 2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cm, 울폐도는 80%로 조사되었다. 반면, 아교목층,
단층구조형 영역에는 고사포, 동호, 상록, 춘장대해 관목층, 그리고 지피층에는 존재하는 식생이 없어
수욕장 방풍림이 속하였고, 다층구조형 영역에는 구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
시포, 무창포, 백바위, 송림광장 등이 해당되었다. 었다.
반면에 동호해수욕장 방풍림의 식생 개황은 교목
1) 단층구조형 방풍림 층의 평균수고는 10.2 m, 평균흉고직경은 52.8 cm,
① 조사구 개황 울폐도는 60%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교목층의 평균
76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

수고는 2.6 m, 평균흉고직경은 5.9 cm, 울폐도는 어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나타났다.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층에서는 울폐도가 5% 춘장대해수욕장 방풍림의 식생 개황을 살펴보면,
로 식생의 수가 적은 것으로 조사된 반면에 지피층 교목층의 평균수고는 13.8 m, 평균흉고직경은 26.0
에서는 울폐도가 90%로 나타나 생태적으로 안정된 cm, 울폐도는 60%로 조사되었고, 아교목층의 평균
상태를 이루고 있었다. 수고는 8.4 m, 평균흉고직경은 16.0 cm, 울폐도는
한편, 상록해수욕장 방풍림의 식생 개황을 살펴보 35%로 조사되었다. 반면, 관목층과 지피층에는 존재
면, 교목층의 평균수고는 5.5 m, 평균흉고직경은 하는 식생이 없어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불안정한 상
16.1 cm, 울폐도는 80%로 조사되었다. 반면, 아교목 태를 보였다.
층, 관목층, 그리고 지피층에는 존재하는 식생이 없

Table 4. The status of the windbreak forests in Gosapo, Dongho, Sangrok and Chunjangdae (unit : m, cm, %)
a
TL STL SL HL
Plot Mean Mean Mean Mean
Coverage Coverage Coverage Coverage
Height DBH Height DBH
Gosapo 12.0 26.9 80 - - 0 0 0

Dongho 10.2 52.8 60 2.6 5.9 20 5 90

Sangrok 5.5 16.1 80 - - 0 0 0

Chunjangdae 13.8 26.0 60 8.4 16.0 35 0 0


a
HL : Herb Layer

② 상대우점치 단일수종으로 구성 된 상록해수욕장 방풍림은 교목


단일수종으로 구성 된 고사포해수욕장 방풍림은 층에서 곰솔의 상대우점치와 평균상대우점치가 모두
교목층에서 곰솔의 상대우점치와 평균상대우점치가 100%로 나타났다. 춘장대해수욕장 방풍림은 단일수
모두 100%로 나타났다. 동호해수욕장 방풍림은 단일 종으로 구성되었으나 비슷한 시기에 식재한 곰솔의
수종으로 구성되었으나, 수직구조가 교목층, 아교목 생장 속도에 차이가 있어 교목층과 아교목층으로 구
층, 관목층의 모든 층위에서 곰솔이 다층으로 분포 분이 되고, 상대우점치와 평균상대우점치는 각각
하고 있어 방풍효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100%로 나타나고 있다.

Table 5. The value of I.P and M.I.P of the windbreak forest in Gosapo, Dongho, Sangrok and Chunjangdae by tree
species (unit: %)
I.P
Plot Species M.I.P
TL STL SL
Pinus thunbergii 100.0 0.0 0.0 100.0
Gosapo
Total 100.0 0.0 0.0 100.0
Pinus thunbergii 100.0 100.0 100.0 100.0
Dongho
Total 100.0 100.0 100.0 100.0
Pinus thunbergii 100.0 0.0 0.0 100.0
Sangrok
Total 100.0 0.0 0.0 100.0
Pinus thunbergii 100.0 100.0 0.0 100.0
Chunjangdae
Total 100.0 100.0 0.0 100.0
Kim et al. :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 77

③ 종다양성지수 는 식생은 교목층에만 존재하였으며 1개의 수종으로


층위별 종다양성지수를 분석한 결과, 고사포해수 구성되어 우점도(D)가 1.00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욕장 방풍림의 교목층은 단일수종으로 구성되었기 춘장대해수욕장 방풍림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단일
때문에 우점도(D)가 1.00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호 수종으로 구성되었으며 우점도(D)가 모두 1.00으로
해수욕장 방풍림은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이 모두 나타났다. 그리고 관목층에는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곰솔의 단일수종으로 구성되어 있어 우점도(D)가 것으로 분석되었다.
1.00으로 나타났다. 상록해수욕장 방풍림의 경우에

Table 6. Species diversity index by layers in Gosapo, Dongho, Sangrok and Chunjangdae
Number of Total
Plot Layer H' Hmax J' D
species number
TL 1 29 0.00 0.00 0.00 1.00
Gosapo STL 0 0 - - - -
SL 0 0 - - - -
TL 1 52 0.00 0.00 0.00 1.00
Dongho STL 1 14 0.00 0.00 0.00 1.00
SL 1 2 0.00 0.00 0.00 1.00
TL 1 40 0.00 0.00 0.00 1.00
Sangrok STL 0 0 - - - -
SL 0 0 - - - -
TL 1 27 0.00 0.00 0.00 1.00
Chunjangdae STL 1 5 0.00 0.00 0.00 1.00
SL 0 0 - - - -

고사포, 상록, 춘장대 해수욕장의 방풍림은 곰솔의 반면, 아교목층에는 식생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관
단일수종으로 구성되어있어 전체적으로 방풍림의 역 목층과 지피층은 울폐도가 각각 40%와 20%로 나타
할을 하기에는 불합리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러 났다.
나 동호해수욕장의 방풍림은 단일수종이라도 교목층, 또한, 백바위해수욕장 방풍림의 식생 개황을 살펴
아교목층, 관목층의 층위별로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보면, 교목층의 평균수고는 10.4 m, 평균흉고직경은
4개 지역 중 가장 생태적으로 우위가 있는 것으로 24.0 cm, 울폐도는 60%로 조사되었고, 아교목층의
판단된다. 평균수고는 6.0 m, 평균흉고직경은 24.7 cm, 울폐도
는 15%로 조사되었다. 관목층과 지피층의 울폐도는
2) 다층구조형 방풍림 각각 50%와 70%로 나타났다. 층위별로 식생이 고르
① 조사구 개황 게 분포하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상태
구시포해수욕장 방풍림의 식생 개황을 살펴보면, 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송림광장 방풍
교목층의 평균수고는 13.3 m, 평균흉고직경은 28.9 림의 식생 개황을 살펴보면, 교목층의 평균수고는
cm, 울폐도는 65%로 조사되었다. 반면, 아교목층과 13.4 m, 평균흉고직경은 25.7 cm, 울폐도는 70%로
관목층에는 울폐도가 각각 0%와 10%로 생태학적인 조사되었고, 아교목층의 평균수고는 4.5 m, 평균흉
측면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나타나고 있었으나 지피 고직경은 17.5 cm, 울폐도는 20%로 조사되었다. 그
층은 울폐도가 70%로 식생의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리고 관목층과 지피층의 울폐도는 각각 65%와 80%
조사되었다. 그리고 무창포해수욕장 방풍림의 식생 로 나타나 층위별로 식생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생
개황을 살펴보면, 교목층의 평균수고는 15.2 m, 평 태학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분
균흉고직경은 9.9 cm, 울폐도는 85%로 조사되었다. 석되었다.
78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

Table 7. The status of the windbreak forest in Gusipo, Muchangpo, Baekbawi and Songrim (unit: m, cm, %)

TL STL SL HL
Plot Mean Mean Mean Mean
Coverage Coverage Coverage Coverage
Height DBH Height DBH

Gusipo 13.3 28.9 65 - - 0 10 70

Muchangpo 15.2 9.9 85 - - 0 40 20

Baekbawi 10.4 24.0 60 6 24.7 15 50 70

Songrim 13.4 25.7 70 4.5 17.5 20 65 80

② 상대우점치 100%로 각각 단일수종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시포해수욕장 방풍림은 교목층에서 곰솔의 상대 관목층은 국수나무와 산초나무가 각각 29.5%와
우점치가 100%이며, 관목층은 아까시나무의 상대우 27.7%로 높게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자귀나무
점치가 6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곰솔과 신갈나 (17.3%), 찔레꽃(8.4%), 상수리(6.5%), 곰솔(5.6%),
무는 각각 16.4%와 18.1%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 서어나무(4.9%) 순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평균상대
리고 평균상대우점치는 곰솔이 79.1%로 가장 높고, 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곰솔(50.9%)이 가장 높은 것
다음으로 아까시나무가 16.4%, 신갈나무가 4.5%인 으로 나타났고, 상수리나무(1.1%)가 가장 낮은 것으
것으로 분석되었다. 로 나타났다. 그 외에 서어나무가 34.2%, 국수나무
무창포해수욕장 방풍림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 가 4.9%, 산초나무가 4.6%, 자귀나무가 2.9%, 그리
과, 교목층은 상대우점치가 100%인 곰솔만으로 구성 고 찔레꽃이 1.4%로 분석되었다.
되었으며 관목층은 팽나무(32.0%), 신갈나무(32.4%),
아까시나무(35.6%)가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그 ③ 종다양성지수
리고 평균상대우점치는 75.0%로 곰솔이 가장 높았으 방풍림별 종다양성지수를 분석한 결과, 구시포해
며, 아까시나무, 신갈나무, 팽나무는 각각 8.9%, 수욕장 방풍림의 교목층은 단일수종으로 구성되어
8.1%, 8.0%로 나타났다. 있어 우점도(D)가 1.00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개의
백바위해수욕장 방풍림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수종으로 구성된 관목층은 우점도(D)가 0.64로 나타
결과, 교목층은 100%의 상대우점치를 보이는 곰 났다. 무창포해수욕장 방풍림은 단일수종으로 구성
솔만으로 구성되었으며, 아교목층은 상대우점치가 된 교목층은 우점도(D)가 1.00으로 나타나고 있는
각각 50%인 곰솔과 아까시나무로 구성된 것으로 반면, 관목층은 균재도(J')가 0.84로 높게 나타나고
나타났다. 관목층의 경우 아까시나무의 상대우점 있다. 백바위해수욕장 방풍림은 단일수종으로 구성
치가 46.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박쥐나 된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우점도(D)는 1.00으로 높게
무(21.1%), 신갈나무(17.6%), 팽나무(14.7%) 순으 나타났으며, 4개의 수종으로 구성된 관목층은 균재
로 높게 나타났다. 평균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 도(J')와 우점도(D)가 각각 0.53, 0.47로 나타났다.
과, 곰솔은 66.7%, 아까시나무는 24.4%, 박쥐나 송림광장 방풍림은 단일수종으로 구성된 교목층과
무는 3.5%, 신갈나무는 2.9%, 팽나무는 2.4%로 아교목층의 우점도(D)는 1.00으로 높게 나타났다.
분석되었다. 관목층은 7개 수종으로 구성되었으며 균재도(J')가
송림해수욕장 방풍림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0.66으로 높은 반면, 우점도(D)는 0.34로 다소 낮은
교목층은 곰솔이 100%이고 아교목층은 서어나무가 것으로 나타났다.
Kim et al. :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 79

Table 8. The value of I.P and M.I.P of the windbreak forest in Gusipo, Muchangpo, Baekbawi and Songrim by tree
species (unit: %)
I.P
Plot Species M.I.P
TL STL SL
Pinus thunbergii 100.0 0.0 16.4 79.1
Quercus mongolica 0.0 0.0 18.1 4.5
Gusipo
Robinia pseudo-acacia 0.0 0.0 65.5 16.4
Total 100.0 0.0 100.0 100.0
Celtis sinensis 0.0 0.0 32.0 8.0
Pinus thunbergii 100.0 0.0 0.0 75.0
Muchangpo Quercus mongolica 0.0 0.0 32.4 8.1
Robinia pseudo-acacia 0.0 0.0 35.6 8.9
Total 100.0 0.0 100.0 100.0
Alangium platanifolium 0.0 0.0 21.1 3.5
Celtis sinensis 0.0 0.0 14.7 2.4
Pinus thunbergii 100.0 50.0 0.0 66.7
Baekbawi
Quercus mongolica 0.0 0.0 17.6 2.9
Robinia pseudo-acacia 0.0 50.0 46.6 24.4
Total 100.0 100.0 100.0 100.0
Albizzia julibrissin 0.0 0.0 17.3 2.9
Carpinus laxiflora 0.0 100.0 4.9 34.2
Pinus thunbergii 100.0 0.0 5.6 50.9
Quercus acutissima 0.0 0.0 6.5 1.1
Songrim
Rosa muliflora 0.0 0.0 8.4 1.4
Stephanandra incisa 0.0 0.0 29.5 4.9
Zanthoxylum schiniflolium 0.0 0.0 27.7 4.6
Total 100.0 100.0 100.0 100.0

Table 9. Species diversity index by layers in Gusipo, Muchangpo, Baekbawi and Songrim
Number of Total
Plot Layer H' Hmax J' D
species number
TL 1 19 0.00 0.00 0.00 1.00
Gusipo STL 0 0 - - - -
SL 3 55 0.31 0.85 0.36 0.64
TL 1 98 0.00 0.00 0.00 1.00
Muchangpo STL 0 0 - - - -
SL 3 12 0.40 0.48 0.84 0.16
TL 1 31 0.00 0.00 0.00 1.00
Baekbawi STL 1 3 0.00 0.00 0.00 1.00
SL 4 143 0.32 0.60 0.53 0.47
TL 1 31 0.00 0.00 0.00 1.00
Songrim STL 1 2 0.00 0.00 0.00 1.00
SL 7 252 0.56 0.85 0.66 0.34

백바위해수욕장과 송림광장의 방풍림은 교목층, 서해안 주요 8개 방풍림의 구조를 살펴보면, 전


아교목층, 관목층의 모든 층위에서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아교목층은 곰솔의 단일수종으로 구성되어
복합구조를 이루고 있어, 아교목층이 존재하지 않는 있었으며, 3개 지역에서는 아교목층이 존재하는 반
구시포해수욕장과 무창포해수욕장의 방풍림보다 생 면, 나머지 5개 지역에서는 아교목층이 존재하지 않
태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았다. 또한 관목층은 5개 지역에서 존재하였으며 3
개 지역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다. 단일수종의 단층구
3.3 방풍림 관리 방안 조를 보이는 방풍림은 2개소이며, 단일수종의 다층
80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

구조로 구성된 방풍림은 2개소이다. 4개 방풍림은 평사리 방풍림은 팽나무, 소나무, 이팝나무, 말채나
여러 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 무 등이 상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났다. 생태적으로 안정되고, 방풍의 효과를 거두기 (Oh, 2002). 이처럼 새만금 유역에 방풍림 조성 시
위해서는 여러 수종의 다층구조가 가장 합리적인 방 단순침엽수림보다는 혼효림으로 구성하여 천연갱신
풍림의 구조인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 지역에 방 을 유도하여 방풍림이 생태적으로 안정되도록 조성
풍림을 조성할 때, 방풍림의 수직구조는 복층구조로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를 하고, 만약 단일수종으로 식재를 하더라도 한편, 방풍림 내 가축이나 사람의 통행으로 인한
연차적으로 식재하여 가능하면 단층구조보다는 복층 뿌리노출, 토사유출, 박피 등 인위적인 피해가 발생
구조를 이루도록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상층수관부가 단일
단된다. Park(2009) 또한 단일수종 식재의 경우에 수종으로 구성된 경우 병해충 발생 시 그 피해면적
육지쪽에서 해안쪽으로 연차적으로 식재를 함으로써 이 급격히 확산될 것으로 우려된다. 현재 솔잎 병해
복층구조를 이루도록하고, 방풍림의 수평구조는 교 충 피해는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주요도서에서도 넓
목성 수종을 방풍림의 안쪽에 식재를 하고 관목성 게 확산되고 있으며 집단적인 방제사업이 진행되고
수종은 해안가쪽으로 식재를 함으로써 해안가에서 있으므로(Kim, 2008), 보호ㆍ관리 측면에서도 방풍
불어오는 바람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목성 수종의 피 림의 식생구조를 침활혼효림으로 조성ㆍ유지함이 타
해를 줄이도록 방풍림을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 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으로 보인다고 제시하였다.
서해안 주요 8개 방풍림에서 초본식물은 총 32종 Ⅳ. 결론
중 미국자리공, 망초, 개망초, 토끼풀 등 4종의 귀화
식물이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왕성하게 자라고 있는 서해안 주요 8개 방풍림에 출현하는 식물은 총 25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 40속 4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가 방
외래식물의 도입은 생태적으로 자생식물의 생장 풍림 일대의 식생 분포현황이 아닌 새만금과 비슷한
에 미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것이므로 외래식 환경의 해안가에 인접해 있는 방풍림의 표준지조사
물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관리대책 중 최선의 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식물출현종수이 적은 것으로
방법은 침입을 미리 방지하는 것이며 일단 침입한 판단된다. Oh(2002)가 조사한 남해 물건리 방풍림
종에 대해서는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66과 135속 147종)이나 Lee et al.(2010)가 조사한
모색하여야 한다(Kim, 2008). 따라서 새만금 사업 완도 정도리 방풍림(93과 250속 335종) 등과 비교하
지역 내의 방풍림 조성에 있어서의 외래식물의 침 여 서해안의 식생이 비교적 단순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문제는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 물리적 또는 화 또한 서해안 방풍림의 경우, 관목층이나 지피층이
학적 방제가 효과적이지만 방풍수종의 건전한 생장 없는 지역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변 식생
을 위해서는 효율적이면서도 생태학적으로 안정되 의 자연적인 유입이 이루어진 점에서 천연갱신의 가
도록 외래식물을 생물학적 방법으로 방제해야 할 능성과 토양의 염분농도 변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것으로 판단된다. 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해안 주요 8개 방풍림의 경우, 모든 지역의 교 새만금 인근지역 8개 방풍림 중 대부분의 교목층
목층과 아교목층이 주로 곰솔만으로 구성되고 있는 은 곰솔로 구성되었으며, 관목층에서만 다른 수종들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해안 물건리 방풍림은 팽 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목본류(9과 11속 12종)에 비
나무, 푸조나무,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 등이 상층 해 초본류(18과 30속 32종)가 더 다양한 것으로 조
을 구성하고 있으며, 남해안 미조리 방풍림은 느티 사되었다. 새만금 지역 내에 방풍림 조성 시 방풍림
나무, 서어나무, 굴피나무 등이 상층을 형성하고 있 의 구조는 수직적으로는 다양한 종으로 구성하여 교
고, 남해안 장수리 방풍림은 이팝나무, 굴참나무, 느 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이 모두 존재하는 복층구조가
티나무, 모감주나무, 갈참나두 등이, 그리고 남해안 적합하며, 수평적으로는 교목은 내륙쪽에 관목은 해
Kim et al. :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 81

안쪽에 식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단 groves and their component tree species grown in
순림보다는 침엽수와 상록활엽수를 함께 혼합하여 Namhae islands. J. Korean Insti. Lands. Architec. 10:
식재하는 혼효림이 방풍림 기능의 효과를 더 향상시 45-50.
킬 것이며 병해충에 대한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판 Oh, H. K. 2002.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단된다. management of windbreak forest: In case of four sites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S.
Ⅴ. 감사의 글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Oh, H. K., Y. H. Han, K. U. Park, and M. S. Beon.
본 논문은 산림청 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 (과제번 201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호 S111111 L050140)에 의한 연구 결과의 일부임. Obongsan-Kuksabong sector, Imsil. J. Agric. Life Sci.
42: 42-53.
≫ Literature Cited Oh, H. K., Y. S. Kim, and D. G. Kim. 2007. The
distribution of flora and management status for the
Jiang, H. and H. Akira. 2009. The effects of windbreak inner windbreak forests at Jangsoo-ri and Pyeongsa-ri
forests on the summer thermal environment in a in Yeosu city. J. Korean Env. Res. Reveg. Tech. 10:
residence. J. Asian Architec. Building Engin. 8: 291- 44-56.
298. Park, J. M. 2009. Construction measures of windbreak
John, D. W. 1997. A field study of the mean pressure forests in Saemanguem reclaimed land. Jour. Korea
about a windbreak. Boundary- Layer Meteorology 85: Soc. For. Eng. Tech. 7: 217-232.
327-358. Park, J. M., S. W. Kim, and S. H. Park. 2009. Study
Kim, D. G. 2010. Soil salinity and salt spray drif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tolerance of native trees on the coastal windbreaks in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Gochang-
the south-sea, Korea. Kor. J. Env. Eco. 24: 14-25. gun. Kor. J. Env. Eco. 23: 365-375.
Kim, H. S. 2008.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Park. S. G. 2002. A studies for restoration of evergree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broad 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 Korea.
Gwanmaedo, Jindo-gun, Jeonnam. Korean J. Plant M.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Res. 21: 5-11. 경상남도. 1994. 방풍림 관리실태 및 보전대책-방풍
Lim, D. O., H. W. Choi, and I. C. Hwang. 2010. 림 조성의 역사적 배경과 기능분석-. pp. 9-94
Wind alley and flora plant species diversity of the 농림수산식품부. 2010. 새만금 묘목장 조성사업.
Wando Jeongdo-ri windbreak forests in 안양수. 1985. 우리나라 보안림의 실태에 관한 조사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4: 연구. 원광대석사학위논문.
503-518. 이정환, 손영모, 김점수, 이광수, 정원옥, 김삼식.
Lim, D. O., H. W. Choi, and J. J. Jang. 2010. 1998.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구조와 식물상. 경
Vegetation structure and conservation of the Jeongdori 상대학교 농과대학 부속연습림 연구보고. 8: 29-
windbreak forests on Wando island in 48.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4: 이천용. 2001. 환경을 지키는 숲 보안림. 임업연구
69-77. 원. pp.119-124.
Mun, C. K. and S. S. Kim. 1977. Natural monumen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