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20201332 화학 김현성

1. 공룡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클로닝 하였는가?

쥬라기 공원 책에서는, 우 박사는 2 가지의 방법으로 클로닝에 필요한 DNA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첫 번째로,
죽은 공룡들의 뼈를 분석하여, 대략 20%의 단백질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Loy 박사는 공룡의 뼈 분석의
임무 전에도 다양한 호주의 유대류들을 분석하였고, 50ng 이라는 작은 물질에도 단백질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온전한 DNA 구조를 얻을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두 번째로, 우 박사는 벌레가 안에 있는 화석으로도
공룡의 DNA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벌레가 화석에 들어가게 된다면, 오랜시간이 지나가도 벌레의 몸만이 아닌
몸 내부까지 보존됨을 설명하였다. 특히 모기처럼 다른 동물들의 피를 뽑는 벌레들이 존재할 것이고, 따라서 공룡의
피를 뽑은 벌레들의 화석을 분석하여서 공룡의 피를 뽑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벌레들은 종종 나무 껍질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보통 나부에서 수액이 흘러서 벌레들을 덮고, 고체화가 되면서 화석이 생긴다. 단 한 방울의 피에도 DNA
가 수십억 개나 들어있기 때문에, 화석화되서 보존된 모기의 피를 특별한 기술을 이용하여 추출을 한다. 유전
공학자들은 슈퍼 컴퓨터, 서열 계산기를 활용하여서 유전자의 서열을 출력하는데, 공백이 존재하는 곳마다 개구리의
DNA 를 사용하여 남은 공백을 채워서 아기 공룡이 클로닝 될 수 있게 한다.

2. 만들어진 공룡이 야생에서 계속 번식하지 못하도록 어떠한 유전자 조작을 해 놓았는가?

우 박사는 결론적으로 쥬라기 공원에서 공룡을 포함한 모든 동물들을 암컷이라고 설명하였고, 모든 공룡들의
염색체를 조작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우 박사는 척추가 있는(등뼈) 동물들의 모든 태아는 본래 암컷이지만, 발육 시기
중 정확한 시간에 태아에서 호르몬이 주입된다면 수컷으로 변형된다고 하였다. 하지만, 우 박사는 이런 현상이
생기는 환경을 변형하였고, 수컷으로 변형되게 하는 환경을 방지하여서 모든 공룡의 태아는 암컷으로 태어나게
하였다. 또한, 암컷끼리는 짝짓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임신이 불가능하여서 번식이 불가능하게 된다.

3. 영화의 소설 속에서 파충류인 공룡이 변온동물이 아닌 항온동물로 표현되는데, 작가는 왜 그렇게


생각하였는가?

작가는 공룡이 변온동물(파충류)보다 항온동물(조류)에 더 가깝다고 설명하였다. 첫 번째 이유는, 변온동물은


상대적으로 활동량이 적고, 많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못한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영화나 책에서 공룡은 매우
활동적이며, 지치지 않는 체력을 여러 차례 보여준다. 또한, 공룡은 거대한 몸을 가지고 있는데, 주변에 온도에
의존하는 변온동물로 살아가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이에 활동량이 더 많고 몸의 온도를 더 원활하게
유지하는데 더 유용한 항온동물이 조금 더 적합할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발견된 벨로시랩터 화석을 분석해본 결과,
조류처럼 뒤로 향한 치골이 공룡한테서 발견되었다. 새의 척추골이랑 비슷한 모양을 가졌고, 기낭으로 이루어진
척추골이 공룡한테 에서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런 조류의 증거에 의해서 항온동물(조류)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마뱀처럼 변온동물인 파충류는 굽은 다리를 가지고 있고, 종종 4 개의 다리로 움직여야만 걸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들은 몸의 온도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 몸을 땅과 붙으려고 하고, 2 개의 다리로 서있을 힘이 충분하지
않다. 하지만, 공룡은 2 개의 다리로도 전혀 문제없이 뛸 수 있고, 또한 굽은 다리가 아닌 직선으로 쭉 뻗어있는
다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조류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과학자들은 공룡의 물질대사를
조사하였는데, 약 5.5m 의 키를 가진 공룡에게 피를 밀어 올려줄 수 있는 압력을 조사하였고, 이 압력은 항온동물의
심장에서만이 피를 올려줄 수 있는 압력으로 결론지었다. 따라서, 공룡은 변온동물이 아닌 항온동물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