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알기 쉬운 법인류학 핸드북 목 차

제1장 사람뼈 개론
1. 외표 및 뼈
1) 표면해부학
2) 전신 뼈
2. 각 골격부위별 구성
1) 머리
2) 몸통
3) 팔
4) 다리
제2장 뼈를 이용한 남자와 여자식별
1. 머리뼈를 이용한 남자 및 여자 식별
2. 골반뼈를 이용한 남자 및 여자 식별
제3장 뼈를 이용한 신장추정
1. Trotter 방법
2. Owsley 방법
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계 검시팀 제4장 뼈를 이용한 연령추정
1. 머리뼈를 이용한 연령추정
2. 치아를 이용한 연령추정
3. 골반뼈를 이용한 연령추정
- 1 - - 2 -
제1장 사람 뼈 개론
1. 외표 및 뼈
1) 표면해부학
표면해부학은 신체표면의 특징과 형태를 체내의 깊은 부분과 연관
시켜 연구하는 분야이고, 표면적인 특징은 시각적 관찰을 통해 구별
할 수 있다.

〔그림-2. 인체 후면부 부위별 명칭〕

① 머리와 목 부위 표면해부
머리는 뇌와 눈, 귀, 코, 맛을 느끼는 부위인 미뢰 등 특수감각
기관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호흡기계와 소화기계의 개구 장소를
제공한다.
목은 머리와 가슴을 연결해 주는 복잡한 부위로, 척수, 신경, 기관,
〔그림-1. 인체 전면부 부위별 명칭〕 식도와 큰 혈관들이 위치하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

- 1 - - 2 -
② 몸통 표면 해부
몸통은 등, 가슴, 배, 골반으로 나뉘며, 생명 유지를 위한 주요
장기들이 위치하고 있다. 몸통의 표면 해부학을 통해 내장기관들
의 위치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팔은 손, 아래팔, 위팔로 나누
어지고, 어깨와 연결되어 있다. 신경, 건, 혈관들은 손목의 표층부
에 밀집되어 있어 이 부분이 잘려지는 손상은 위험성이 매우 크다.
다리와 궁둥이에 위치하는 큰 뼈와 근육들은 운동과 무게 지탱에
관여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그림-3. 머리와 부위별 명칭〕

〔그림-4. 목의 부위별 명칭〕 〔그림-5. 배골반사분역과 배골반부위〕


- 3 - - 4 -
2. 각 골격부위별 구성
사람의 뼈는 약 206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통 뼈대와 팔
다리뼈로 나뉜다. 몸통 뼈대는 몸의 축을 이루는 뼈와 머리, 목 ,
몸통의 장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팔다리
뼈대는 팔과 다리, 몸통뼈대로 고정하는 이음뼈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6. 뼈 표면의 특징〕


〔 그림-7. 뼈대 (Skeleton) 〕
- 5 - - 6 -
1) 머리뼈
머리뼈(skull)는 머리덮개뼈와 얼굴머리뼈로 나누어지고, 사람
뼈대 중 가장 복잡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머리뼈는 나이와 성별을 추정하고 인류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머리덮개뼈(Calvaria)는 이마뼈(1개), 마루뼈(2개), 관자뼈(2개),
뒤통수뼈(1개), 나비뼈(1개)와 벌집뼈(1개)로 구성되고 얼굴머리뼈
는 14개의 뼈가 이에 해당하며, 보습뼈와 아래턱뼈를 제외한 나머지
뼈들은 모두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 그림-8. 뼈의 부위별 명칭과 구성 〕


〔 그림-9. 머리뼈(두개골), 앞면 〕
- 7 - - 8 -
〔 그림-11. 머리뼈(두개골), 뒷면과 머리봉합 〕
〔 그림-10. 머리뼈(두개골), 옆면 〕

- 9 - - 10 -
〔그림-12. 머리덮개뼈(두개관)의 바깥면과 속면〕 〔 그림-13. 머리뼈바닥 (두개저), 바깥면 〕

- 11 - - 12 -
2) 몸통(흉골)
몸통은 척추를 이루고 있는 척추뼈, 가슴부위를 이루고 있는 복
장뼈와 갈비뼈, 팔 지지대 부위의 빗장뼈와 어깨뼈, 다리와 연결되는
부위인 엉치뼈, 꼬리뼈, 볼기뼈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뼈는 목뼈(7개), 등뼈(12개), 허리뼈(5개)로 나뉘며 몸의 중
심부분을 지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복장뼈와 갈비뼈는 바구니
모양으로 척추와 연결되어 가슴 속 심장과 허파를 외부의 충격으
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 그림-15. 빗장뼈(Clavicle), 쇄골 〕

〔그림-14. 가슴우리(Thoracic Cage), 흉골 〕 〔 그림-16. 어깨뼈(Scapula), 견갑골 〕

- 13 - - 14 -
〔 그림-18. 골반(Pelvis) 〕
〔 그림-17. 척주(Vertebral Column) 〕

- 15 - - 16 -
3) 팔
팔뼈는 위팔뼈, 노뼈, 자뼈로 이루어져 있고 손은 손목뼈, 손 허
리뼈, 손가락뼈로 이루어져 있다. 팔에서 가장 큰 뼈는 위팔뼈이고
가장 짧은 뼈는 아래팔 부위를 이루고 있는 노뼈이다. 아래팔 부
위를 이루고 있는 자뼈는 가장 길고 가느다란 뼈이다. 사람의 손
은 사지에서 먼 부분을 차지하면서 27개의 뼈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물이다.

〔 그림-19. 엉치뼈(Sacrum)과 꼬리뼈(Coccyx) 〕

〔 그림-20. 위팔뼈(Humerus) 〕

- 17 - - 18 -
4) 다리
다리뼈는 넙다리뼈, 무릎뼈, 종아리의 정강뼈와 종아리뼈로 이루
어져 있으며 발은 발목뼈, 발허리뼈, 발가락뼈로 이루어져 있다.
넙다리뼈는 우리 몸에서 가장 길고 가장 무거우며 가장 단단한 뼈
이다. 또한 개인의 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매우 유
용하다. 정강뼈는 체중을 지탱하는 중요한 뼈로 인대의 부착점과
발목의 바깥쪽 모서리를 형성하는 종아리뼈와 함께 종아리 부위를
이루고 있다. 발뼈는 손뼈보다 1개 모자란 26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다.

〔 그림-21. 노뼈(Radius)와 자뼈(Ulna) 〕

〔 그림-23. 오른쪽 넙다리뼈(Femur) 구조 〕


〔 그림-22. 손목(Wrist)과 손(Hand) 뼈 〕
- 19 - - 20 -
제2장 뼈를 이용한 남자와 여자식별
남성과 여성의 뼈가 각각 가지는 형태적 차이는 서로 겹치는 영
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성별구별이 매우 어려우나 비교적
차이가 다른 부위보다 큰 머리뼈와 골반을 이용하여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1. 머리뼈를 이용한 남자와 여자 식별
학자들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남성의 머리뼈가 여성의 머리뼈보다
더 크고 강건한 형태를 갖는 경향을 보이는 점을 이용한다. 그림1
은 사람 머리뼈에 어느 정도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 그림-24. 오른쪽 정강이(Tibia)와 종아리뼈(Fibula)의 구조 〕

〔 그림-25. 발목(Ankle)과 발(Foot)의 뼈 〕 〔 그림-1. 전형적인 남ㆍ여 머리뼈 앞쪽, 옆쪽 사진 〕

- 21 - - 22 -
머리뼈 부위별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특징은 Walker는 머리뼈에서 남녀식별에 유용한 비계측적인 다섯 부분을
다음 표1에 정리되어 있으며 남성 머리뼈가 여성보다 더 강건하다 제시하여 각 부분에서 5점 척도가 사용되고 점수가 낮을수록 뼈 부분
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더 부드럽고 여성의 특징을 나타낸다고 판단하였다.
이 방법은 다음 그림2에 잘 나타나 있다.
부 위 남 자 여 자
눈구멍모서리(Supraorbital Ridge) 더 두드러짐 덜 두드러짐
미간(Glabella) 더 두드러짐 덜 두드러짐
이마뼈(Frontal Bone) 덜 서있음 더 서있음
관자뼈(Temporal Bone) 더 쳐저있음 덜 쳐저있음
마루뼈(Parietal Bone) 덜 서있음 더 서있음
눈구멍(Orbit) 사각형에 더 가까움 원형에 더 가까움
코곁동굴(Paranasal Sinus) 더큼 더 작음
입천장(Palate) 더 넓음 더 좁음
젖꼭지돌기(Mastoid Process) 더큼 더 작음
목덜미선(Nuchal Line) 더 쳐저있음 덜 쳐저있음
뒤통수뼈관절융기(Occipital Condyle) 더큼 더 작음
턱모양(Shape of Chin) 더 각이 짐 덜 각이 짐
턱끝모서리 더 두드러짐 덜 두드러짐
턱뼈가지(Mandibular Ramus) 더 두꺼움 더 얇음

[ 표-1. 머리뼈에서 남ㆍ여 차이가 보이는 부위 ] 〔 그림-2. 남ㆍ여 판별을 위한 머리뼈점수표 〕

- 23 - - 24 -
2. 골반뼈를 이용한 남녀식별 그림3은 전형적인 남녀 골반 뼈를 보여주고 있는데 여성이 남성
남성의 골반과 여성의 골반은 기능학적 측면에서 볼 때 매우 큰 보다 위골반문과 두덩밑각이 더 넓은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그
차이가 있으며 이런 차이가 뼈의 형태학적 차이를 유발하였다. 림4는 Walker가 제안한 큰 궁둥패임을 이용한 성판별법으로 점수
사람이 진화과정 동안 직립보행과 출산에 유리한 경우만 살아남는 가 높을수록 남성에 가까우며 큰 궁둥패임이 더 깊고 좁아진다.
선택력 때문에 현대인에서 그 차이는 더 두드러진다. 골반이나 골
반을 이루는 뼈대를 이용한 전통적인 남녀식별 방법은 다음과 같다.
부 위 남 자 여 자
전체적으로 더 무겁고 거침 더 가볍고 매끈함

엉치뼈(Sacrum) 더 좁고 굽음 더 넓고 덜 굽음
엉덩뼈오목(Iliac Fossa) 더 깊음 더 얕음
큰궁둥패임(Greater Sciatic Notch) 더 깊고 좁음 더 얕고 넓음
궁둥뼈가시(Ischial Spine) 더 돌출 덜 돌출
두덩결합(Pubic Symphysis) 더 길음 더 짧음 [ 그림-3. 전형적인 남ㆍ여 골반 뼈 앞쪽, 위쪽 사진 ]
두덩밑각(Subpubic Angle) 더 좁음 더 넓은
폐쇄구멍(Obturator Foramen) 타원형 삼각형
큰 골반 좁음 넓음
(Greater Pelvis or False Pelvis)
작은골반 좁음 넓음
(Lesser Pelvis or True Pelvis)
위골반문(Pelvis Inlet) 하트형 원형
볼기뼈절구(Acetabulum) 큼 작음

[ 표-2. 골반뼈에서 남ㆍ여 차이가 보이는 부위 ]


[ 그림-4. 남ㆍ여 판별을 위한 큰 궁둥패임 점수표 ]
- 25 - - 26 -
Phenice 방법은 성인이면서 두덩뼈 부분이 온전한 경우 정확하 제3장 뼈를 이용한 신장추정
고 빠른 남녀식별이 가능하다. 그림5는 Phenice 방법에 따른 남녀 간 골 학자들은 모든 연령에 걸쳐 사람의 신장은 팔 또는 다리의
의 골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뼈 길이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통해 신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경우 남성과 달리 배쪽활(Ventral Arc)이 관찰되고 두덩밑 그러나 그 연관성이 완벽하지 않고 인종마다 연관성이 다르게 표
오목도(Subpubic Concavity)는 직선인 남성과 비교하여 완만한 현되어 인종별 신장 추정공식을 이용해야 했다. 인구집단 내지 인
편이다. 두덩뼈아래가지의 안쪽면(Medial Aspect of the Inferior 종을 알 수 없다면 다음의 일반적인 신장추정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Ramus of Pubis)도 여성의 경우 보다 날카로운 모서리 형태를 보인다.
추정 신장=67.09 + 1.26×(넙적뼈 길이 + 정강뼈 길이) ± 3.74
1. Trotter 방법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신장추정 방법은 Trotter가
1970년에 발표한 방법이다. 2차 세계대전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대상
으로 연구하여 공식을 도출하였다. 다음의 표1은 인종에 따라 위팔뼈,
노뼈, 자뼈, 넙적뼈, 종아리뼈의 길이를 이용한 Trotter의 공식이다.
(단위 cm)
백인남성 흑인남성
3.08× 위팔뼈 +70.45 ± 4.05 3.26× 위팔뼈 +62.10 ± 4.43
3.78× 노뼈 +70.45 ± 4.32 3.42× 노뼈 +81.56 ± 4.30
3.70× 자뼈 +70.45 ± 4.32 3.26× 자뼈 +79.29 ± 4.42
2.38× 넙적뼈 +70.45 ± 3.27 2.11× 넙적뼈 +70.35 ± 3.94
2.68× 종아리뼈 +70.45 ± 3.29 2.19× 종아리뼈 +85.65 ± 4.08
백인여성 흑인여성
3.36× 위팔뼈 +57.97 ± 4.45 3.08× 위팔뼈 +64.67 ± 4.25
4.74× 노뼈 +54.93 ± 4.24 2.75× 노뼈 +94.5 ± 5.05
4.27× 자뼈 +57.76 ± 4.30 3.31× 자뼈 +75.38 ± 4.83
2.47× 넙적뼈 +54.10 ± 3.72 2.28× 넙적뼈 +59.76 ± 3.41
2.93× 종아리뼈 +59.61 ± 3.57 2.49× 종아리뼈 +70.90 ± 3.80

동아시아 남성 멕시코계 남성
2.68× 위팔뼈 +83.19 ± 4.25 2.92× 위팔뼈 +73.94 ± 4.24
3.54× 노뼈 +82 ± 4.60 3.55× 노뼈 +80.71 ± 4.04
3.48× 자뼈 +77.45 ± 4.66 3.56× 자뼈 +74.56 ± 4.05
2.15× 넙적뼈 +72.57 ± 3.80 2.44× 넙적뼈 +58.67 ± 2.99
2.40× 종아리뼈 +80.56 ± 3.24 2.50× 종아리뼈 +75.44 ± 3.52
[ 그림-5. 골반뼈를 이용한 남ㆍ여 판별을 위한 Phenice 방법 ]
[ 표-1. 긴뼈로부터 성인의 키를 추정할 수 있는 공식 ]
- 27 - - 28 -
2. Owsley 방법 제4장 뼈를 이용한 연령추정
법의학적 신장추정을 위해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Owsley가 만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뼈대의 각 부위들은 형태적인 변화를 나
어낸 방법이다. 다음의 표2는 Owsley가 제시한 방법에 따른 인종별 타내고 20세가 넘어가면 퇴행변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바탕
공식을 보여주고 있다. 으로 뼈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망당시의 연령추정은
연속 개념의 성장을 임의적 단계로 나누기 때문에 복잡하고 같은
Owsley 공식 = 해당 인수× 해당긴뼈 측정값 + 해당 상수 연령대의 뼈일지라도 그 발달상태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전문 법인류학자들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단위 mm)
인수 뼈 길이(mm)
길이(mm) 상수 90% PI N 1. 머리뼈를 이용한 연령추정
백인남성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머리뼈의 봉합선(Suture Line of skull)
0.05566 넙적뼈길이+정강뼈길이 21.64 ±2.5‶ 62
0.05552 넙적뼈길이+종아리뼈길이 22.00 ±2.6‶ 54 이 점차 융합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Buikstra와 Ubelaker는 17개
0.10560 넙적뼈길이 19.39 ±2.8‶ 69 의 머리봉합선을 대상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완전히
0.10140 정강뼈길이 30.38 ±2.8‶ 67
0.15890 자뼈길이 26.91 ±3.1‶ 62 열려 있는 것 0점, 최소로 닫힌 것 1점, 심하게 닫힌 것 2점, 완
0.12740 위팔뼈길이 26.79 ±3.3‶ 66 전히 융합되면 3점으로 하여 총점에 따라 평균연령을 추정한다.
0.16398 노뼈길이 28.35 ±3.3‶ 59
그림1은 계측에 사용되는 머리뼈 봉합선을 나타내고 있다.
백인여성
0.06524 넙적뼈길이+정강뼈길이 12.94 ±2.3‶ 38
0.06163 넙적뼈길이+종아리뼈길이 15.43 ±2.4‶ 42
0.11869 넙적뼈길이 12.43 ±2.4‶ 48
0.11168 정강뼈길이 24.65 ±3.0‶ 43
0.11827 위팔뼈길이 28.30 ±3.1‶ 45
0.13353 자뼈길이 31.99 ±3.1‶ 40
0.18467 노뼈길이 22.42 ±3.4‶ 38
흑인여성
0.11640 넙적뼈길이 11.98 ±2.4‶ 18
흑인남성
0.16997 자뼈길이 21.20 ±3.3‶ 14
0.10521 정강뼈길이 26.26 ±3.8‶ 19
0.08388 넙적뼈길이 28.57 ±4.0‶ 17
0.07824 위팔뼈길이 43.19 ±4.4‶ 20

[ 표-2. 긴뼈로부터 성인의 키를 추정할 수 있는 공식 ]


[ 그림-1. 연령판별 위한 머리뼈 봉합선 ]
- 29 - - 30 -
2. 치아를 이용한 연령추정
사람뼈대의 나이를 추정하는 데 있어 정확도가 높은 방법 중에
하나가 치아의 맹출 과정과 마모 정도로 판단하는 것이다. 치아의
맹출과 발생은 일정한 편이고 여러 현장에서 흔하게 발견되기에
청소년의 나이추정에 주로 이용된다. 그림2는 Ubelaker에 의해
제시된 연령별 치아 발생 양상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 그림-3. 치아의 마모도에 따른 나이판별표 ]


3. 골반뼈를 이용한 연령추정
연령을 추정할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법은 볼기뼈에 있는 두
덩결합면의 변형을 이용하는 것이다. 청년의 경우 수평능선 및 울
퉁불퉁한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가 35세 이후부터 주름의 두드러
짐이 줄어들고 면 가장자리에 테두리가 형성되는데 이 변화는 나
[ 그림-2. 치아의 발생에 따른 나이판별 ] 이에 따라 점진적으로 나타난다.

성인의 치아는 점차 마모되기 시작하고 마모의 정도와 양상은


치아 발생순서, 치아형태, 크기, 식습관 등의 많은 인자에 영향을
받는다. 같은 인구집단 내에서 마모의 정도가 균등하다면 이는 연
령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성인의 연령추정에 이용할 수
있다. Miles는 첫째 큰 어금니, 둘째 큰 어금니, 셋째 큰 어금니가
각각 6세, 12세, 18세에 나고 각 어금니 간의 마모도 차이가 6~7
년 차이가 있는 것을 바탕으로 연령추정을 하였다. 그림3은 Miles
의 어금니 마모도에 따른 연령추정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 그림-4. 연령판별을 위한 두덩결합면의 변형단계 ]
- 31 - - 32 -
뼈의 연령을 추정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이용해야 하는가에 대
한 정답은 없다. 앞에서 언급한 방법들의 신뢰도가 서로 많이 다
르기 때문에 추정 값의 오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하다
면 하나 이상의 모든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뼈가 조각나거나 완
전한 뼈대를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아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없더라도 기본적으로 모든 뼈대가 검사되어야 신뢰할 수 있는 결
과가 나온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 3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