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모든 피아니스트가 신체에

대해 알아야 할 것들
피아노전공 윤영화 교수
피아니스트의 관심사

• 피아니스트가 일반적으로 주목하는 것들은 제한적임


: 작곡가 작품 시대배경 피아노 ( 악기 ) 등

• 피아니스트가 소홀히 여기는 것 : 통증 부상의 문제


→ 원인을 규명하려는 출발점

• 통증의 원인
1. 의학적 원인
2. 실제적인 부상
3. 신체의 비효율적인 사용 – 나쁜 움직임의 습관
동작에 대한 접근 방식 변화

• 전통적 교습법 (Finger Orientation)


: “ 우리는 손가락으로 피아노를 친다 .”

• 현대적인 교습법
: “ 피아노 연주는 신체 여러 부분의 통합된 움직임을 포함한다 .”
 20 세기
a. Tobias Matthay (Eng)
b. Otto Ortmann (Gr)
c. Dorothy Taubman (USA) : 관찰

 F.M. Alexander (1869-1955) 에서 기초

 Somatic Origin ( 신체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유래 )


 Biomechanically efficient movement → Better quality of movement
Quality of Movement

• Quality of Movement 의 연속성

POOR GOOD

• Poor quality of movement ≠ Poor quality of music


피아노 연주는 반복적인가 ?

YES NO

수천 , 수만개의 동일한 형태의 건반을


모든 다른 음들을 다르게 친다
친다

다른 음을 다르게 칠 수 있는 다른
반복되는 동작을 힘들게 해서는 안 된다
움직임의 연결이 필요하다

즉 , 무엇을 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하느냐가 관건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체에 대해 알아야 하고 신체를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야


한다
피아노 연주는 반복적인가 ? Cont’d

• 하지만 현실적으로 신체 및 동작의 인지에 대해 제한적이다

• 내 몸 전체를 인지하는 걸 배우면 그 확장된 인지만으로도 동작이


개선되고 연주가 개선된다

• 동작의 질을 훈련하는 것은 근감각의 단련과 정확한 Body Map 의 발전과


결합된 attention( 주의 ) 와 awareness( 인지 ) 를 포함한다
The Kinesthetic Sense

• The Kinesthetic Sense ( 동작감각 )


 오감은 일반적으로 시각 , 청각 , 미각 , 촉각 , 후각을 의미
 Sixth sense 는 보통 통찰력 , 직관력을 지칭하지만 , 연주에 있어 sixth
sense 는 동작 감각을 의미함
 동작 감각 : 보지 않고 신체의 정확한 지점을 알 수 있음
 인지 훈련을 통해 신체 전체에 대한 감각을 일깨우고 인지하는
훈련이 필요 → 자신의 관찰자가 되어야 한다
The Body Map ( 신체 지도 그리기 )

• 우리 몸은 움직임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


 크기 , 무게 , 상대적 위치 , 관절이 어디에 있고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고 있음

• Body Map : 몸과 움직임에 대해 내적인 그림을 가지고 있으며 동작을


통합시키기 위해 사용
 신체의 구조에 따라 움직이기 보다는 우리가 어떻게 생겼다고
생각하는 것에 따라 움직이므로 올바른 Body Map 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Body Map 을 개선시킴으로서 보다 좋은 동작을 만들어낼 수 있다

• Body Map 의 개선에는 몸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정보가 필수적


골격체계

• 골격 체계의 기능
① 윗부분을 지지해서 무게를
지탱
② 아랫부분으로 무게를 전달
 ( 예 ) 두개골은 균형이 잡히면
척추 뼈의 꼭대기 경추 뼈에
무게를 전달한다 . 이 균형이
깨지면 나머지는 근육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 .

• 우리가 골격과 자동적인 자세


적응에 의지하면 경직되지 않은
몸의 움직임들이 가능해진다
( 그림 출처 ) https://ko.m.wikipedia.org/wiki/%ED%8C%8C%EC%9D%BC:Human_skeleton_back_en.svg
두개골

• 원형

• 척추뼈 꼭대기에 위치하며 , 어느


부분도 지지하지 않음

• 귀는 앞뒤 , 좌우의 중앙에 위치

• 아랫턱은 두개골의 일부가 아님

• 두개골에는 움직이는 부분이 없음

( 그림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Planes-of-the-skull_fig1_228479947
척추

목 • 총 24 개
 3 구역으로 구성
 목 7 / 가슴 12 / 허리 아래
5
가슴  그 아래에 엉치뼈와 꼬리뼈가
위치

• 꼬리뼈 (4 개의 등뼈의 흔적 ) :
허리 무게를 견디지 못함

• 엉치뼈 (5 개의 등뼈의 뭉침 흔
엉치뼈 ,
꼬리뼈
적 ) : 척추뼈의 일부이며 기능
상으로 골반의 일부 . 척추를 통해
내려오는 무게를 받아 골반
( 그림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7/08/2015070801268.html
척추 Cont’d

• 척추의 구성
① Body : 원통형
② 디스크 : 디스크에 의해 분리 (Disc 는 탄력성이 있어 충격을 흡
수)
③ 프로세스 : 3 개의 돌출된 뼈로서 근육을 고정시키고 갈비뼈와 연결
(facets)
④ Foramen ( 구멍 ) : 척수의 통로

• 척추 뼈의 모양 : 앞뒤가 다름
 앞 : 무게 지지 , 전달 → 몸의 중심부에 위치
 뒤 : 신경 보관 , 갈비뼈 연결

• Core support : Body 와 디스크를 통해 힘을 전달하며 그 힘을 전달받은


엉치뼈는 몸의 중심에 위치
척추의 움직임 Cont’d

• 척추의 끝은 엉치뼈이며 , 머리와


목은 다른 골격 단위임
 상반신과 하반신을 구분하는
기준이 허리라 생각하고 ,
머리와 목이 한 단위라 여기는
잘못된 선입견은 피아노
연주에 장애로 작용

• 디스크의 신축성으로 척추의


수축과 이완은 내재되어 있는
특성임
a) inhalation b) exhalation • 긴장은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방해하기 때문에 힘의 배분이
중요
( 그림 출처 ) https://doctorlib.info/anatomy/yoga-anatomy/2.html
척추의 작동 법칙 Cont’d

1. 머리가 움직임을 이끈다

2. 척추가 순서대로 따라온다

3. 동작은 전체 척추에 배분된다

4. 척추는 늘어남과 줄어듦에 자연스럽게 반응해야 한다


골반

• 무게 전달 기능
골반의 대퇴부
아래허리뼈 엉치뼈 아치
엉덩이뼈 의자

• Arch 부분과 hip joint 는 같은


선상에 위치

• 상체와 하체는 hip joint 를 기점으로


움직임 (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낮은 위치 )

( 그림 출처 ) 네이버블로그 _ 바른몸체형교정원
대퇴부와 하퇴부

• 대퇴골의 위는 hip joint, • Tibia(Shin bone) 와 fibula 두


아래는 knee joint 로 개로 구성
연결  Tibia : 무게를 지탱하며
무릎뼈에서 발목뼈로
• Hip joint 는 둥근 머리와 전달
목으로 구성되어 잘  Fibula : tibia 에 연결되어
움직이도록 형성 있으며 무게 전달 능력은
없음
• 대퇴골 긴 뼈는 옆에서
볼 때는 수직으로
내려오지만 앞에서 볼
때는 몸의 중심을 향해
살짝 뒤로 기울어져
있음 ( 그림 출처 ) https://www.pinterest.co.kr/pin/426927239648418694/
족부

• 힘의 전달 방향
Hip joint Knee joint Ankle joint

• Ankle joint 는 발뒤꿈침뼈 앞 부분


위에 위치

( 그림 출처 ) https://www.dreamstime.com/human-anatomy-foot-bone-vector-illustration-human-anatomy-foot-bone-image103006968
족부 Cont’d

• 발에서 무게를 지탱하는 부분은


Arch 형태 ( 발뒤꿈치뼈와 발의
Ball 사이 )
 발가락은 Arch 의 구성요소가
아님

• Arch 를 통해 무게를 앞뒤로 배분


 뒤는 heel 쪽으로 , 앞은 ball
쪽으로
 엄지발가락 뒤와 새끼발가락
뒤에 2 개의 ball 이 있고 Arch
로 연결

• 발은 세 개의 발을 가진 삼각대로
( 그림 출처 ) https://www.epainassist.com/joint-pain/foot-pain/complete-guide-for-causes-of-foot-pain
다음 시간에 또 만나쟈 
by 영화쌤
챠이♡ 하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