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생2 단어/반응순서 정리

세포의 구조
펩티도글리칸: 진정세균 세포벽 성분
슈도펩티도글리칸: 고세균 세포벽 성분
라민: 진핵생물의 핵(핵막)을 고정하는 단백질
시스터나(cisterna) 구조: 소포체(ER) 형태
N-linked-glycosylation,O-linked-glycosylation:1차 당화, 2차 당화
lumen: 소포체 내강
G-6-P: 포도당 6번 탄소에 인산기 첨가한 것
G6Pase: [G-6-P -> 포도당] 효소
cis,medial,trans: 골지체에서 단백질들이 거치는 순서
Phagocytosis: 식세포 작용
autophagy: 자가소화작용
Gap junction(간극 연접): 코넥신 6개로 이루어진 코넥손으로 이루어짐
**세포질의 Ca이온 농도가 높아지거나, pH가 낮아지거나, 인산화 되면 통로가 닫힘**
tight junction(밀착 연접): 단백질, claudin, occludin으로 이루어짐
IEA,EA: 세포막 통과X/ 세포막 통과O

세포의 신호 전달
epinephrine: 글리코젠인산분해효소
GRK: GPCR 인산화 효소
arrestin: GPCR의 탈민감화 반응에 관여(arrestin이 GPCR에 붙으면 민감도 떨어짐)
GEF 활성: G 단백질 인산화
AC(adenylyl cyclase): [ATP->cAMP] 효소
PKA(protein kinase A): cAMP에 의해 활성되는 kinase(Ser,Thr 인산화)
PIP2(인산이노시톨-4,5-2)
1. (IP3-DAG pathway) SER에 결합->Ca이온 방출(Ca 이온이 PKC에 같이 결합)
2. (PI3K-Akt pathway) PI3K에 의해 인산화-> PDK1, Akt...단백질 활성
DAG(다이아글리세롤): PKC활성
PKC(protein kinase C)
GRB2: RTK pathway에서 인산기에 붙어서 다른 활성을 하는 중계단백질
SOS: GRB2에 의해 활성화되는 GEF 활성을 갖는 단백질
Ras: Ras->Raf(MAPKKK)->Mek(MAPKK)->Erk(MAPK) 활성 -> 세포분열 전사인자 인산화
Akt(protein kinase B, PKB): 세포 생존 조절 단백질 활성화 효소
IRS-1(insulin receptor substrate-1): insulin pathway에서 인산화되어서 kinase활성을 갖
게 된 receptor가 인산화(Tyr 잔기 인산화)하는 단백질
GRB2: IRS-1에 의해 유인되고 인산화 되는 효소
1. Ras 인산화->Ras pathway
2. PI3K 인산화->PI3K-Akt pathway
GSK: GS을 억제하는 효소 [GS: 글리코겐 합성을 억제하는 효소]
FOXO-1: 포도당 신생합성을 돕는 효소

세포주기
중심절: 염색체를 이어주는 부분의 DNA
방추사부착점(동원체): 세포 분열 때 방추사가 붙는 지점
cyclin: Cdk를 활성화 상태로 만드는 단백질
Cdk(cyclin dependent kinase): cyclin에 의존적인 kinase,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함
CKI(Cdk 저해제): p15, p21, p27...
컨덴션(condensin): 염색사를 염색체로 응축해주는 효소
코헤신(cohesin): 염색분체끼리 붙여주는 효소
MPF(maturation promoting factor): G2기에서 M기로 넘어가는 것을 도와주는 단백질
1. 라민 인산화: 핵 붕괴
2. 컨덴션 인산화: 염색질 응축
3. 방추사 조립 촉진
4. 후기 촉진 복합체(APC): MPF을 억제(M기 탈출 유도), 코헤신 분해, (중기->후기 도움)
5. 골지체 분해
6. 미오신 인산화
Mad/Bud 단백질: 염색체에 방추사가 안 붙었을 때 APC를 불활성화 시키도록 유도
G1-Cdk(cyclin D + Cdk 4,6): Rb 인산화
G1/S – Cdk(cyclin E + Cdk 2): Rb 인산화
S-Cdk(cyclin A + Cdk 2,1): DNA 복제 시작/ 제복제 방지
M-Ckd(MPF, cyclin B + Cdk 1)
Growth factor: 세포 증식을 촉진 및 저해하는 ligand [Ras pathway를 통해 Myc 인산화]
Myc: cyclin D를 전사하는 전사인자
ATM/ATR: DNA 손상을 감지하는 단백질
checkpoint kinase: p53을 인산화하고 있던 Mdm2를 인산화

암 관련
p53
1. Cdk inhibitor(p21) 발현-> DNA수선 할 시간 벎
2. puma 발현-> apoptosis 발현
**(->>는 억제) puma ->> BCl-2 ->> Bax -> apoptosis**
Caspase(C + asp + ase)
1. 포스파티딜세린을 scramble -> EAT me
2. DNase inhibitor(ICAD) 억제
3. 핵 단백질(라민), 세포골격 단백질, 골격 기질 단백질 scramble
FasL, TNF-α: 죽음 ligand
**Caspase cascade, ICAD 불활성화**
Bax: 미토콘드리아 외막에 구멍을 냄 -> cytochrome C 방출
ROS(활성산소): Ca 이온 농도를 증가시킴-> 미토 외막에 구멍을 냄 -> cytochrome C 방출
cytochrome C: apoptosis 촉진
TdT: DNA 말단에 dUTP를 붙임
PTEN: PIP3 -> PIP2 함 (Akt 활성 억제)
Rb: E2F를 억제하는 효소
E2F: 세포 분열 단백질 전사 인자
BCl-2: apoptosis 억제
INK4(p16 gene): Cdk inhibitor로 작용
PUMA/Noxa: apoptosis 촉진
BRCA1/BRCA2: 절단된 이중가닥 DNA 수선

-----------------------------------------------------------------------------

GPCR-> Gα
-> AC -> [ATP -> cAMP] -> PKA
-> PLC -> [PIP2 -> IP3 + DAG]
IP3 -> IP3 receptor -> Ca 이온 -> PKC, CaM protein kinase
DAG -> PKC

RTK -> 자가인산화


-> GRB2 -> SOS -> Ras -> Raf -> Mek -> Erk
-> PIK3 -> [PIP2 -> PIP3]
-> PDK1, Akt...-> Akt(PKB) ->> Bad ->> Bcl2

Insulin pathway -> IRS-1


-> GRB2 ...
-> PI3K ->...-> Akt
->> GSK-3 ->> GS -> glycogen 합성
-> GLUT4 삽입 증가
-> FOXO-1 분해 -> 포도당 신생합성 억제

checkpoint [G1 -> S기]: 제한점(효모에서는 START)


Growthfactor -> (Ras pathway -> Erk) -> Myc ->...-> cyclin D -> G1-Cdk

G2 – M Transition [G2 -> M기


(cyclin B가 꾸준히 증가) -> MPF
-> 라민 인산화
-> condensin -> 염색질을 염색체로 응축
-> 방추사 조립 촉진
-> 골지체 붕괴
->> 미오신 -> 수축환 형성
-> APC [M기의 중기 -> M기의 후기]
->> cyclin B(분해)
->> securin ->> separase ->> cohesin(분해)

유사분열 방추사 확인점 [M기의 중기 이전]


if 방추사가 염색체에 안 붙을 경우:
-> Mad/Bub ->> Cdc20 -> APC

DNA 손상/복제 확인점 [모든 세포주기, S기에서 좀 많이]


if DNA손상 or 멈춘 복제 분기점:
->ATM/ATR -> checkpoint kinase ->> Mdm2 ->> p53
-> Cdk inhibitor(p21)
-> puma ->> Bcl-2 ->> Bax -> apoptosis

Eat me 신호
Caspase
->> flippase
-> scramblase
->핵 라민, 세포골격, 골격 기질 단백질 scramble
-> phospatidylserine endophotosis
->> ICAD ->> Caspase Activated DNase (CAD)

Apoptosis pathway [Bcl-2 ->>...Caspase -> apoptosis]


1. 외인성 경로
FasL, TNF-α
-> Caspase cascade
->> ICAD ->> CAD
2. 내인성 경로
1. DNA damage -> p53 -> Bax -> 미토콘드리아 외막에 구멍(oligomer) ->
cytochrome C -> apoptosome -> Caspase cascade
2. ROS or Ca 이온 증가 ->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구멍(MPTP) -> cytochrome C
-> apoptosome -> Caspase cascade

세포 생존 신호 전달 경로
-> Growth factor -> (PI3K-Akt Pathway -> Akt ->> Bad(pro))

암의 특징
1. 자율적인 세포 성장 신호
2. 세포 성장 억제 신호 탈피
3. 면역 파괴 회피
4. 제한되지 않는 복제 능력
5. 암촉진 염증 활성화 능력
6. 침윤과 전이
7. 혈관신생
8. 유전체 불안성과 돌연변이
9. 세포사멸의 회피
10. 에너지 대사의 신규 프로그래밍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