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024 Feb; 24(1): 15-26

http://dx.doi.org/10.7583/JKGS.2024.24.1.15

게임과 교육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영록, 이태수
전남대학교 특수교육학부
{adoniser, taesu811}@jnu.ac.kr

The Effect of Image-Generating AI based Language Instruction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Young-rok Jeong, Tae-su Lee


Division of Special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요 약
이 연구는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법이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능력과 학습태도에 미
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12-14세
의 지적장애 학생 10명을 선정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5명씩 배정하였다.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15차시의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실험집단에게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제공하였다.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능력과 학습 태
도에 관한 평가는 중재를 시행하기 전 사전평가와 중재가 모두 끝난 후 사후평가로 실시되었
다. 수집된 평가 자료는 비모수통계 방법인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는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능력과 학습 태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image-generating AI based language
instruction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10 students aged 12-14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m a special school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5 students each. A 15-session intervention program utilizing
image-generating AI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texbook-based lessons. The pre- and post-test of vocabulary abilities and
learning attitud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llected
evelu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Mann-Whitney
U test. As a result, the image-generating AI based intervention significantly improved
the vocabulary skills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Keywords :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지적장애 학생), 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


능), Generative AI(생성형 인공지능), Vocabulary(어휘), Learning Attitude(학습 태도)
Received: Jan. 10. 2024 Revised: Feb. 05. 2024 Ⓒ The Korea Gam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Accepted: Feb. 15. 2024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rresponding Author: Taesu Le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E-mail: taesu811@jnu.ac.kr (http://creativecommons.ot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ISSN: 1598-4540 / eISSN: 2287-8211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JKGS ❙15


―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1. 서 론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특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대안적인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 교수법이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지적장애 학생을 위
gence: AI)을 활용한 새로운 기술의 도입이 지속적 한 어휘 교육은 그림-낱말 카드를 이용하여 전체의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AI를 활용한 산업의 발전 낱말을 교육하는 의미중심 언어지도와 교사에 의해
속도는 앞으로의 모습을 예측하는 것이 어려울 정 학생에게 하나의 낱말의 발음을 중심으로 지도하는
도로 급성장하고 있다[1]. 그런데 이러한 여러 산업 발음중심 언어지도로 이루어졌다[8]. 그러나 이러한
발전처럼 교육 분야에서의 AI 활용 교육에 대한 수 지도는 실제적 적용 가능성이란 부분에서 한계가
요가 급성장하고 있고, 다양한 교육 분야에 AI의 있었고,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높이는데 제한점이
활용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있다[2]. 이러 있었다[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상
한 수요와 변화의 물결은 장애학생의 교육을 담당 생활 속에서의 경험을 표현해보거나 그림 동화와
하는 특수교육 분야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같은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경험한
교육 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다양한 AI 기 내용을 시각화하거나 목표 어휘에 맞고 수업 상황
술 중 이미지 생성형 AI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에 적절한 그림 자료를 즉시 찾는 것은 매우 어려
미지 생성형 AI의 주요 특징은 ‘Text-to-Image’기 운 일이다. 따라서 이미지를 수시로 생성 및 변형하
술을 적용하는 것으로서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 의 여 학생의 수업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차별적인 방
미에 맞게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하는 기술이다[3]. 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Text-to-Image’
생성된 이미지는 AI가 실시간 인터넷 검색을 통해 프로그램인 DALL·E 3(이하 달리3)가 적용할 수
찾은 이미지가 아니고 텍스트의 의미를 분석하여 있을 것이다. 달리3은 텍스트 이미지 변환 인공지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하는 것이다. 이처럼 이미지 능 프로그램이며,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
생성형 AI는 텍스트의 개념을 즉시 시각적으로 표 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공한다[10]. 특히 단어를
현할 수 있으므로 어휘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의 이 추가할 때마다 그에 따른 변화된 이미지를 제공하
해를 돕는데 효과적일 것이다[4]. 기 때문에 시각적인 자극의 변화에 높은 관심을
어휘 능력은 자기 생각과 감정을 올바르게 나타 가지는 지적장애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내어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거나 글을 읽고 쓸 때 있다.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5]. 그런데 지적장애 학생은 지적장애 학생의 인지적 특성은 청각적인 언어
낮은 지능지수로 인하여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는 자극보다 시각적인 자극에 더욱 예민하게 반응하기
데 어려움을 있고, 이전에 학습한 어휘와 새롭게 학 때문에 어휘 중재에 있어서도 이미지와 같은 시각
습한 어휘를 구분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보인다. 또 적 자료와 함께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11]. 그
한 어휘를 사용하는 범위가 좁고, 어휘를 다양한 상 러므로 텍스트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생성형
황으로 확장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상황에 맞 AI는 지적장애 학생의 언어 지도에 효과적으로 적
는 어휘를 사용하지 못한다[6]. 이러한 문제를 해결 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미지 생성형
하기 위하여 다양한 어휘 중재가 사용되어 왔으나, AI에 입력할 텍스트는 학습자의 지적수준이나 주변
지적장애 학생의 관심과 흥미가 낮아 수업 참여에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가능하므로 개별적인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학습 요구가 다양한 지적장애 학생에게 개인화된
실제 지적장애 학생은 주의집중 지속시간이 매우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짧아서 과제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학습의 그러나 현재까지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
내적 동기 또한 매우 낮다[7]. 수법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어휘 습득 능력과 학습

16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024 Feb; 24(1): 15-26


― The Effect of Image-Generating AI based Language Instruction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 학습 동기를 보이고, 학습된 무력감을 보이는 경우
지지 않았다. 변화하는 사회와 발전하는 기술을 장 가 많아 부정적인 학습 태도를 보인다[17].
애학생의 교육에 적용하는 실제적인 프로그램의 개
발과 효과성 검증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2.2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어휘 지도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지적장애 학생의 이러한 어휘 능력 특성과 낮은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주의집중과 내적 동기 부족 등의 정의적 영역의
학생들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수법을 찾는 시도가 많
파악하는 것에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특수교육 분야에 AI와 같은 새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최근 언어지도 방법으로
로운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
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스마트 기기, 다양한 디지털
를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방향성을 제안할 것으로
기기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미디어를 활용하는 언
기대한다.
어교육이다. 미디어 기기를 이용하면 시각적인 단
서가 제공되어 명시적으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으
2. 연구 배경
며, 즉각적인 확인을 통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18]. 또한 각종 미디어 기기와 애플리케이
2.1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및 학습 특성
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어 지적장애 학생의
장애가 없는 일반 학생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19].
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새로운 어휘 및 다양한 의 미디어를 이용한 언어지도는 시각적인 정보에
미자질들을 추가해 나아가면서 어휘집을 확장해 나 대한 높은 관심과 흥미를 보인다는 지적장애 학생
간다[12]. 그러나 지적장애 학생은 일반 학생과 비 의 학습 특성에 부합하는 것이다. 실제, 스마트 폰
교했을 때 양적인 차이는 있지만 비슷한 언어발달 [18]이나 애플리케이션[20]을 이용한 언어 지도나
패턴을 보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 어휘의 증강현실[21] 및 가상현실[22] 기반 언어 중재의
양을 늘려간다[13]. 그러나 질적인 측면에서는 한 효과가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
계점을 보인다. 어휘의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고, 구들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기
비슷한 상황에서 동일한 어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 위하여 시각적이며 흥미도가 높은 자료를 활용한
는 경향을 보인다[14]. 또한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교수법을 적용하였고, 모두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다르게 사용한 같은 표현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기도 한다. 이는 지적장애 학생들이 상황을 전 그러나 미디어를 이용한 언어지도 방법의 한계는
체적으로 보는 조망능력이 부족하고, 배경지식을 이미 주어진 개별 단어에 관한 선택하기나 연결 짓
활용하여 의미를 구조화하고 체계화하여 적절한 어 기, 음성인식 등의 구조화된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휘를 선택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15]. 그 때문에 각 단어의 결합과 의미 변화를 즉시적이고
러므로 지적장애 학생은 동일한 정신연령이 비슷한 즉각적으로 학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일반 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어휘 사용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고려할 수 있는 것이 이미
을 보이고, 어휘 발달 속도가 매우 더디다[16]. 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어휘지도 방법이다.
지적장애 학생은 어휘 발달 과정뿐만 아니라 학
습 특성에서도 문제를 보인다. 지적장애 학생은 학
습 활동에 관심과 흥미를 크게 보이지 않으며, 주
의집중 시간이 짧은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낮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JKGS ❙17


―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2.3 이미지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료나 매체를 즉각적으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은 지


적장애 학생의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교육 현장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사례가 늘
것이다. 그리고 추상적인 어휘의 개념 습득을 어려
어나고 있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선행 연구[23]에
워하는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시각화된 자료를 제공
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스토리 생성 및 삽화 생
해줌으로써 어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성 과정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적극적인 참여
이상과 같이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법
를 유도하였고, 스토리북 제작을 통해 영어 작문
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지도에 적용할 수 있는
및 삽화 작업을 통해 자신의 창의력과 표현 능력
교수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을 향상시켰다. 또한 생성형 AI를 사용한 중재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게 어휘와 표현을 선택
3. 연구 방법
하고 수정할 수 있어 개별화된 학습지원이 가능하
였다[24]. 이는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이미지 생성
3.1 연구대상
형 AI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준다.
이미지 생성형 AI는 학습자가 직접 작성한 텍스 전남에 소재한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12∼14
트를 기반으로 이야기를 만들고, 이미지를 생성하 세 지적장애 학생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는 과정 자체가 학습동기가 낮은 지적장애 학생에 학생 정보는 [Table 1]과 같다.
게 학습에 대한 흥미와 주의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게 학습 [Table 1] The Information of Students
과정을 수정하는 것은 개별화된 학습지원이 가능하 Experimental Control
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개별화 교육이 필요 Indexes Group(n=5) Group(n=5) z p
한 지적장애 학생에게 이미지 생성형 AI를 이용한 Score RA Score AR
M 51.8 50.8
교수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IQ 6.00 5.00 -.52 .60
SD 8.50 10.1
이미지 생성형 AI를 지적장애 학생의 언어교육 Adaptive M 67.8 69.4
5.20 5.80 -.32 .75
에 적용할 수 있다. 지적장애 학생이 어휘나 문장 Behavior SD 5.90 6.10
으로 표현하고, 이를 입력함으로써 학생들이 표현 Reading 62.8 5.40 63.6 5.60 -.11 .92
한 어휘의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무엇보다 Writing 64.8 6.10 64.0 4.90 -.64 .52
여러 차례 상이하게 표현한 어휘와 문장의 이미지
의 표현이 다르기 때문에 각 어휘와 문장의 미묘
실험집단은 남학생 4명, 여학생 1명으로 구성되었
한 의미 차이를 인식하는 기회를 갖을 수 있다
고, 평균 지능은 51.8, 평균 적응행동 지수는 67.8, 기
[24]. 또한 이미지 생성 AI는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초학습능력 검사의 읽기와 쓰기 평균 점수는 각각
생성해도 이전 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반복하여 도
63.8, 64.8이었다. 통제집단은 남학생 5명으로 구성
출함으로써 어휘 표현을 반복 학습할 수 있는 기
되었고, 평균 지능은 50.8, 평균 적응행동 지수는
회를 제공한다[25].
69.4, 기초학습능력 검사의 읽기와 쓰기 평균 점수는
지적장애 학생이 자신이 말한 내용이 이미지로
각각 63.6, 64이었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제시되는 것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관심
위하여 비모수 통계방법인 Mann-Whitney U-test
과 흥미를 느껴 수업에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무
를 사용하였고, 평균 순위(Average Ranking, AR)
엇보다 이미지 생성형 AI는 손쉽게 다양한 이미지
점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능, 적응행동,
를 만들어낼 수 있고, 윤리적이고 상식적이라면 이
기초학습능력의 읽기와 쓰기 검사 결과에서 집단 간
미지 생성 범위의 한계도 거의 없다. 시각적인 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18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024 Feb; 24(1): 15-26


― The Effect of Image-Generating AI based Language Instruction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2 진단 도구 어휘 중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으며, 달리3에


서 생성된 이미지의 완성도가 높은 어휘를 바탕으로
3.2.1 지능 검사
선정하였다. 특수교육 경력 10-15년의 특수교육 경
력과 석사학위를 소지한 특수교사 3인에게 어휘와
지적장애 학생의 지능지수는 K-WISC-Ⅴ를 활용
이미지에 관한 적합도를 검토받았다. 중복된 어휘는
하여 파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경력 10
개수로 세지 않으며, 맞춤법에 어긋난 어휘도 의미
년의 교사가 방과 후 조용한 교실에서 각 학생별로
를 설명한다면 정반응으로 간주한다. 평가는 특수교
지능 검사를 하였다.
육 경력 10년의 교사가 학생의 어휘능력을 검사하였
으며, 검사 도구의 문항 내적 신뢰도는 .942였다.
3.2.2 적응행동 검사

3.3.2 학습태도 평가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
여 국립특수교육원 적응행동검사(NISE-K․ABS)
연구대상 학생의 학습 태도를 검사하기 위해 선
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경력 10년
행연구[26]에서 사용한 학습 태도 검사를 본 연구의
의 교사가 부모님과의 면담을 통하여 학생의 적응행
목적에 맞게 내용과 방법을 재수정하여 활용하였다.
동을 검사하였다.
학습태도 평가는 다음의 [Table 2]와 같다.

3.2.3 기초학습능력 검사(읽기, 쓰기)


[Table 2] Learning Attitude Test
Num Question
지적장애 학생의 언어 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Domain 1: Emotion
국립특수교육원 기초학습능력검사(NISE-B․ACT) 1 They seem to enjoy class time.
They think it would be good if class
의 읽기와 쓰기 검사를 하였다. 특수교육 경력 10년 2
time passed quickly.
의 교사가 방과 후에 조용한 교실에서 기초학습능력 They show signs of boredom when
검사 중 읽기와 쓰기 검사를 진행하였다. 3 they don't understand the lesson
content.
They think there is joy in participating
3.3 평가 도구 4
in class.
5 They concentrate well in class.
3.3.1 어휘 능력 평가 They show curiosity about the class
6
content.
They think of class as an enjoyable
이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이 시각적인 정보에 7
activity.
더 집중한다는 학습특성을 고려하여 이미지를 보고 They participate in class with a relaxed
8
자유롭게 연상되는 단어를 표현하도록 하는 표현어 mind.
Domain 2: Behavioral Intention
휘 능력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
They try to engage in activities
에 이미지 10개(꽃, 과일바구니, 고양이, 책장, 필통, 9 unrelated to the lesson during class
버스, 사슴, 학교 복도, 놀이터, 가족 식사)를 순서대 time.
They only want to play with their
로 제시하여 이미지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 10
friend next to them during class time.
게 작성하도록 한다. 그림마다 3분의 시간을 제공하 They consider class time as a time to
11
여 작성한 어휘의 개수를 세는 검사이다. 평가에 사 sleep.
용된 어휘와 이미지는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학습자가 직접 작성하는 방식에서 촬영된 수업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JKGS ❙19


―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장면을 관찰자가 관찰하고 작성하는 방식으로 수정 들에게 시각화된 자료를 제공해주어 어휘의 이해도
하였고, 문항의 수도 11개로 축소하였다. 수정한 학 를 높여주는 역할로 활용하였다.
습 태도 검사 도구는 감정적 요소를 묻는 문항(8개)
과 행동 의도적 요소를 묻는 문항(3개)으로 나뉘어 3.4.3 중재 프로그램 개발
져 있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응
답하도록 제작되었고, 검사의 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이미지 생성형 AI를 이용한 언어지도 방법은 지
특수교육전공 교수 1인과 특수교사 2인이 내용 검토 적장애 학생에 대한 총체적 언어지도의 원리를 적용
를 하였으며, 검사 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930이었 하였다[27]. 총체적 언어지도의 원리는 듣기, 말하기,
다. 읽기, 쓰기를 모두 통합하는 것으로써 가장 대표적
인 방법이 그림-낱말카드를 이용하여 언어지도를
3.4 연구 설계 및 중재 하는 것이다. 이미지 생성형 AI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에서 총체적 언어지도의 원리에 입각
3.4.1 연구 설계
하여 어휘에 대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결합한
언어지도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
이미지 생성형 AI는 ‘Text-to-image’ 구조로 사
법이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 학습 태도에 미치
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면 텍스트를 바탕으로 이미
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지를 생성하는 방식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3]. 최초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를 투입하기 전 어휘 능력
에 입력한 텍스트를 바탕으로 AI는 몇 가지 예시 그
검사와 학습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
림을 제시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가 있으면
집단의 초기 수행능력을 비교하였다. 중재를 투입한
선택하여 저장하고, 수정 사항이 있다면 텍스트를
이후에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중재 효과를 비교하
구체화하거나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다른 이미지를
였다.
요청한다.
연구대상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두 가지 형태의
3.4.2 이미지 생성형 AI 프로그램
어휘 학습을 경험했다. 첫째, 직접 작성한 텍스트가
이미지화되는 과정에서 어휘에 대한 명확한 상을 학
이 연구에서는 이미지 생성형 AI 프로그램 중 달
습했다.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했던 어휘를
리3를 사용하였다. 달리3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
더 명확하게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생성
는 창조적인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으로써, 사용자가
된 이미지를 다시 살펴보며 생각이나 느낌을 말하는
제공하는 텍스트 설명을 바탕으로 고해상도 이미지
과정에서 새로운 어휘를 떠올리는 학습을 했다. 이
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상세하고 복잡
미지 생성형 AI는 사용자가 말하는 텍스트만을 이
한 텍스트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미지를 생성하
미지로 생성하지 않는다. 원하는 텍스트에 맞는 배
는 특징이 있다[10].
경, 모습 등을 임의적으로 만들어 이미지를 제공한
이 프로그램을 지적장애 학생이 단독으로 학습에
다. 이는 학습자에게 새로운 어휘를 배울 수 있는 학
활용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교사와 함께하는 수업의
습 자료가 된다.
도구로 활용하였다. 입력한 텍스트로 생성된 이미지
중재 프로그램은 15차시 수업으로 구성하였고, 지
에서 파생되는 여러 어휘를 학습하고, 새롭게 학습
적장애 학생의 어휘 지도 시 구체적인 어휘에서 추
하거나 알고 있던 어휘를 활용하여 새로운 이미지
상적인 어휘 순으로 지도하여야 한다는 선행연구
생성하는 과정에서 어휘 학습을 하도록 활용하였다.
[28]에 기초하여 3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1영역
그리고 추상적인 어휘를 어려워하는 지적장애 학생

20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024 Feb; 24(1): 15-26


― The Effect of Image-Generating AI based Language Instruction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은 1-5차시 수업에 해당하며 이미지에 대한 생각이 3.4.4 중재 프로그램 운영


나 느낌을 교사가 제시한 어휘 탐색구조(전체와 부
분, 색, 모양, 모습, 배경)를 활용하여 어휘를 찾아 학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습한다. 이때의 수업은 교사가 주도하여 어휘를 탐 교수법이 적용된 수업 15차시를 제공하였다. 중재는
색하고 학습한다. 2영역은 6-10차시 수업이며 교사 2023년 12월 4일부터 2023년 12월 29일까지 약 4주
가 제시한 어휘 탐색구조 없이 학생 주도로 어휘를 간 실시하였고, 차시마다 40분씩으로 구성하여 일주
찾아 학습한다. 수업 중 교사의 촉구가 제공되지만 일에 3-4회 실시하였다.
학습의 주도권은 학생에게 넘어가게 된다. 3영역은 중재 프로그램은 ‘도입’, ‘전개’, ‘정리’의 형태로 구
11-15차시 수업으로 1, 2영역에서 학습했던 어휘 학 성하였다. ‘도입’에서는 주요 학습 내용을 확인하고,
습 내용과 더불어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을 생성할 이미지를 학생들이 선정하였다. 선정한 이미
상상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어휘를 학습한다. 중재 지를 텍스트로 입력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확인한 다
프로그램의 내용 및 지도계획은 다음의 [Table 3]과 음 설명에 더 적합한 이미지를 선택한다.
같다. ‘전개’에서는 1차로 생성된 이미지를 보고 학생들

[Table 3] Contents of instruction program


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말하도록 한

Num Content
다. 원하는 이미지가 아닌 경우나 다른 형태로 바꿔
Domain 1: Teacher-Led 보고 싶은 경우에 알맞은 어휘를 입력하여 또 다른
Whole Recognition of the Central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어휘에 대
1
Subject
한 학습과 모호한 어휘에 대한 명확한 개념 형성 학
2 Part Recognition of the Central Subject
Identifying the Color or Texture of the 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5차시까지는 교사가 주도
3
Subject 하여 어휘 학습과 함께 이미지를 살펴보는 방법과
Recognizing the Shape or Appearance of
4 생각이나 느낌을 발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6-10차
the Subject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where 시는 앞서 학습한 방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5
the Subject is Located 느낌을 말하며 어휘 능력을 향상 시켜나가는 학습을
Domain 2: Student-Led
한다. 11-15차시는 이미지에 정확히 표현되어 있지
Whole Recognition of the Central
6 않지만 상상을 통해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Subject
7 Part Recognition of the Central Subject 어휘 능력을 향상 시켜나가는 학습을 한다.
Identifying the Color or Texture of the ‘정리’에서는 수업 중에 생성한 이미지를 보고 발
8
Subject
Recognizing the Shape or Appearance of 표했던 생각이나 느낌에 대한 어휘를 다시 살펴보며
9
the Subject 어휘 학습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where 통제집단 학생들은 같은 기간 동안 교과서 중심
10
the Subject is Located
Domain 3: Vocabulary Learning not Included 의 수업을 받았다. 교사가 교과서의 내용에 따른 이
in the Image 미지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이미지 속에 나타난
Imagining the Mood and Reason of the 어휘를 읽어주고, 따라 말하고, 써보는 등 전통적인
11
Subject
Speaking about the Person to Whom
교수법에 기반한 어휘 지도를 하였다.
12
the Subject is Conveyed and Why
Talking about Feelings towards the
13
Subject and the Reasons
14 Discussing Future Events and Reasons
15 Speaking about Changing Future Events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JKGS ❙21


―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3.4.5 평가 4.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학생의 어휘능력 수준을 파악하기 4.1 어휘능력에 미치는 효과


위해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어휘능력 평가를 실시하
였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 10개(꽃, 과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능력을 평가하였고, 그 분

일바구니, 고양이, 책장, 필통, 버스, 사슴, 학교 복도, 석 결과는 다음의 [Table 4]와 같다.

놀이터, 가족 식사)를 제시하고, 이미지에 대한 생각


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림마다 [Table 4] Comparison in vocabulary acquisition

3분의 제한 시간을 두고 최대한 많은 내용을 작성하 Experimental Control


Test Sta. Group (n=5) Group (n=5) z p
도록 안내하였다. 연구대상 학생들이 작성한 내용
Score AR Score AR
중 문법적 의미가 있는 문법형태소(형식형태소)는 Pre- M 5.62 5.36
5.80 5.20 .31 .847
제외하고 어휘적 의미가 있는 어휘형태소(실질형태 Test SD 3.47 4.40
소)만 어휘 개수로 기록하였다. Post- M 12.96 5.56
7.40 3.60 1.99 .047
둘째, 학습태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중재 프로 Test SD 7.01 4.67

그램을 투입한 수업 장면을 촬영하고 시청하며 학습


태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는 특수교육 경력 15 [Table 4]를 살펴보면, 사전평가에서 실험집단의
년, 12년, 10년의 교사 3인이 실시하였고, 같은 수업 평균 어휘 평가 점수는 5.62점이었고, 통제집단은
장면을 보고 학습태도 검사 결과의 일치도가 100% 5.36점이었다. 두 집단의 차이를 Mann-Whitney U
가 될 때까지 훈련하였다. 학습 태도 검사 점수는 특 검정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원점수를 평균 순위 점수
수교사 3인의 검사한 결과의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Average Ranking: AR)로 변환하였다. 실험집단의
검사는 11문항이고,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평균 순위는 5.80이었고 통제집단의 평균 순위는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 태도가 긍정적임을 나타낸다. 5.20이었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았다(z=-.31, p〉.05). 반면, 사후 평가에서 실
3.4.6 자료 처리 험집단의 평균 점수는 12.96점이었고 통제집단은
5.56점이었다. 이를 순위 점수로 변환하였고, 그 결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지적인 과 실험집단의 평균 순위는 7.40, 통제집단은 3.60이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비모수 통계 었다. 사후 평가에 대한 두 집단의 평균 순위의 차이
인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1.99, p〈.05). 이를
통해 두 집단의 지능과 적응행동 등에 관한 기초 역 통해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법이 지적장
량이 동질한지 확인하였다. 또한 어휘 습득과 학습 애 학생의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 평가 인할 수 있었다.
점수와 사후 평가 점수에 대하여 비모수 통계인
Mann-Whitney U-test로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를 4.2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위해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지적장애 학생의 학습태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는 다음의 [Table 5]와 같다.

22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024 Feb; 24(1): 15-26


― The Effect of Image-Generating AI based Language Instruction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able 5] Comparison in learning attitude 부합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지적장애 학생들의 낮은


Experimental Control 주의집중 문제를 개별화된 시각적 정보를 즉각적으
Test Sta. Group (n=5) Group (n=5) z p 로 생성할 수 있다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선
Score AR Score AR
행연구[25]의 주장과도 부합한다. 학생들이 말한 텍
Pre- M 42.95 38.75
6.40 4.60 .94 .347 스트를 시각적인 이미지로 생성하는 과정에서 어려
Test SD 2.96 7.41
Post- M 54.31 39.08 운 어휘의 개념을 학생들이 훨씬 빠르게 이해하는 모
8.00 3.00 2.61 .008
Test SD 0.29 6.79 습을 이 연구에서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이 원하는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생성하는 과정에서 기존 어휘

[Table 5]를 살펴보면, 사전평가에서 실험집단의 의 개념을 확인하는 기회가 학생에게 주어졌고, 관련

학습태도의 평균 점수는 42.95점이었고, 통제집단은 어휘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38.75점이었다. Mann-Whitney U 검정을 위하여 두 둘째, 이미지 생성형 AI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

집단의 원점수를 평균 순위 점수로 변환하였다. 그 습 태도를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 순위는 6.40이었고 통제집단 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AI를 활용한 영어 스토리

은 4.60이었으며,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및 삽화 생성 과정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

의하지 않았다(z=-.94, p〉.05). 반면, 사후 평가에서 도하고, 표현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선행연구[23] 결

실험집단의 학습태도에 대한 평균 점수는 54.31점이 과를 재확인한 것이다. 또한 이미지 생성형 AI 프로

었고, 통제집단은 39.08점이었다. 이를 평균 순위 점 그램을 미술 수업에 활용하여 미적 표현에 자신감이

수를 변환하면, 실험집단의 평균 순위는 8.00, 통제 부족한 학습자들이 미술 수업에 몰두하게 되었고, 적

집단은 3.00이었다. 이러한 두 집단의 평균 순위에 극적인 학습태도로 이미지 창작을 멈추지 않았다는

대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2.61, p 선행연구[29] 결과와도 부합한다. 하지만 이 선행연

〈.01). 이는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법이 구들은 장애학생이 아닌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

지적장애 학생의 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 구이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보였던 공통점을 발견할

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수 있었다. 선행연구[23]의 결과처럼 자기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한 텍스트가 즉각적으로 이미지화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매우 흥미로워하였다. 1차로 생성
5. 결 론
한 이미지를 계속 수정 변형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의 흥미를 느끼고 매우 높은 주의집중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
력을 보여주었다.
수법이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태도에 어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
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탐구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
한 교수법이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능력과 학습 태도
과에 기초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
무엇보다 선행연구의 교수 방법과 차별화된 장점을
이 연구대상 학생들의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
찾아볼 수도 있었다. 첫째, 학습자의 요구나 관심사
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디어를 이용하여
에 맞는 더욱 개인화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시각적이며 흥미로운 자료를 제시했을 때 어휘력이
자료를 즉시 생성할 수 있으므로 돌발적으로 필요하
향상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한 것이다[19,
거나 추가로 필요한 자료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
20, 21]. 그 이유는 지적장애를 포함한 발달장애 학생
다. 셋째, 학습자가 AI와 상호작용하며 학습 자료를
은 청각적인 언어자극보다 시각적인 자극을 더 선호
만들어가므로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하고, 예민하게 받아들인다는 선행연구[11]의 주장에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JKGS ❙23


―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그러나 이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으므로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on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Problem Behaviors and Attention i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첫째, 장애의 정도와 신기성 효과 측면을 고려해야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Vol. 4, No. 1,
할 것이다. 연구대상 학생들은 모두 경도 지적장애 pp. 35-49. 2023.
학생이었다. 장애 정도가 심화될수록 연구대상 학생 [3] Eun-chae Lee & Moon, Mi-kyung, "A Study on
들과 다른 반응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the Creation of a Child's Hand Drawing
Learning Model for Text-to-Image", Proceedings
미지 생성형 AI를 비롯한 AI 프로그램을 처음 접한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연구대상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신기성 효과 Vol. 30, No. 2, pp. 505-506. 2022.
가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이는 어휘 및 학습태도 [4] Wanzek, J., Vaughn, S., Wexler, J., Swanson, E.
검사 점수를 상향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생 A., Edmonds, M., & Kim, A. H., "A Synthesis
of Spelling and Reading Interventions and
각한다. 추후 이러한 점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해 보
Their Effects on the Spelling Outcomes of
인다. Students with LD", Journal of Learning
둘째, 학생들의 어휘능력을 평가할 때 질적인 측면 Disabilities, Vol. 39, No. 6, pp. 528-543. 2006.
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이미지 생성형 [5] Breach, C., McLaughlin, T. F., & Derby, K. M.,
“An Evaluation of Copy Cover and Compare
AI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어휘의 양적인 측
Spelling Intervention for an Elementary Student
면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생각이나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Replication”,
느낌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 단순히 많은 이야기 Journal on Educational Psychology, Vol. 9, No.
를 한다고 해서 정확히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 3, pp. 24-31. 2016.
[6] Vandereet, J., Maes, B., Lembrechts, D., &
의 생각이나 느낌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어휘 능
Zink, I., “Expressive Vocabulary Acquisition in
력의 질적인 측면의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peech or
셋째, AI 프로그램을 장애 학생의 교육적 자료로 Manual Signs?”, Journal of Intellectual &
활용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AI와 교육 분야의 융 Developmental Disability, Vol. 36, No. 2, pp.
합 연구는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AI 91-104. 2011.
[7] Kim, S. Y., Lory, C., Kim, S. J., Gregori, E., &
와 특수교육 분야의 융합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
Rispoli, M., “Teaching Academic Skills to
다. 현실적 제약과 개별 자료 생성의 한계 등 다양한 People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문제로 인하여 학습이 어려웠던 장애 학생에게 AI는 Disability”, in Adaptive Behavior Strategies for
유능한 조력자 역할을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idence-Based Practices Across
인지하여 AI와 특수교육 분야의 융합 연구가 활성화
the Life Span, pp. 103-135, Cham: Springer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
[8] Tae-su Lee & Seung-hoon Lee, "The Effect of
Functional Language Games on Word Recognition
REFERENCES
and Semantics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Research,
[1] Kyeong-geun Han, “Suggestions for the Education Vol. 48, No. 2, pp. 71-93, 2013.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9] Hye-jin Lee & Tae-su Lee, "The Effect of the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Using Graphic
Research on Physical and Multiple Health Organizers on the Wri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erly Education for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Vol. 60, No. 3, Education Research, Vol. 26, No. 1, pp. 87-108,
pp. 47-65. 2017. 2019.
[2] Shin-young Park, "Effects of a Play-Based [10] Hana Park, "A Case Study on the Utilization

24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024 Feb; 24(1): 15-26


― The Effect of Image-Generating AI based Language Instruction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Image-Gene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Vol. 13, No. 2, pp. 215-222, 2022.
DALL·E", Journal of Formative Media, Vol. 26, [20] Hee-seung Choi & Nam-jin Kim, "The Effect
No. 1, pp. 102-110, 2023. of an AAC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11] Guthrie, J. T., & Seifert, M., "Letter-Sound Using Smartphone Messaging Apps on the
Complexity in Learning to Identify Words", Language Skills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69, No.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 in Intellectual
6, pp. 686-696, 1977. Disabilities, Vol. 17, No. 1, pp. 133-152. 2015.
[12] Hana Yu, "Development of Generative Naming [21] Byung-kang Ahn, In-ho Bae, Hee-joon Park,
in School-Age Children", A dissertation for & Soon-bok Kwon, "The Effect of Augmented
Ph.D. Degree, Yonsei University, 2007. Reality-Based Speech Therapy Program on the
[13] Seong-gyu Choi, "Comparison of Receptive Improvement of Expressive Vocabulary Skills
Vocabulary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Differences Journal of Speech-Language Therapy Research,
between Mental Age and Chronological Age", Vol. 27, No. 2, pp. 111-124. 2018.
Journal of Speech-Language Therapy Research, [22] Tae-Su Lee, & Min-Jeong Kim, “The Effects
Vol. 13, No. 4, pp. 61-77. 2004. of Intervention using VR-based Serious Game
[14] Ji-yeon Yoon, Seong-ji Park, & Han-young on Coffee Making Skills and Class Interest of
Park, "Comparison of Noun and Verb Expressiv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cabulary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ol. 22, No. 2,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p. 3-14, 2022.
through Analysis of Lexical Diversity in Picture [23] Dong-kwang Shin, Yong-sang Lee, & Won-jun
Naming Tasks and Spontaneous Speech", No, "The Impact of Creating English Storybooks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Using Generative AI on Elementary Students'
Vol. 14, No. 1, pp. 31-44. 2014. Learning Motivation", English Education, Vol. 22,
[15] Jin-ah Park & Young-wook Kim, "Characteristics No. 4, pp. 177-196. 2013.
of Cohesive Marker Use in Expository Writing of [24] Yohan Hwang, "A Review of the Advent of
School-Age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the PROMPT Literacy Era: Focusing on the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 31, Utilization of ChatGPT and DALL·E for
No. 1, pp. 1-20. 2015. English Education", English Education, Vol. 22,
[16] Young-tae Kim, "Child Language Disorders No. 2, pp. 263-288. 2023.
II", in Understanding Communication Disorders, [25] Gettinger, M., "Effects of Error Correction on
edited by Shim, Hyun-sub, 3rd ed., pp. Third Graders' Spelling", The Journal of
147-166, Seoul: Hakjisa, 2017. Educational Research, pp. 39-45, 1993.
[17] Eun Ko, Ju-Saek Kwon, Woo-Ri Kim, Tae-Su [26] Jeong-su Kim, “A Study of the Development
Lee, Hong-Jung Cho, & Hye-Seung Choi, and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STEAM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Seoul: Program Based on Augment Reality for Mental
Knowledge Community, 2015. Retardation”, A dissertation for Ph.D. Degree,
[18] Tae-Su Lee, & Kyu-Hyeok Lee, “The Effect of Dankook University, 2015.
Community-based Media Literacy Intervention [27] Chang-wook Kang & Jung-mi Lim, "A
on Application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Qualitativ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usage Ability of Students with Mild Holistic Language Approach in Facilitat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Thought Expansion on the Sentence Expansion
Contents Association, Vol. 22, No. 11. pp.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158-166, 2022. Disabilit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
[19] Tae-Su Le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Hearing Disorders, Vol. 16, No. 3, pp. 113-132,
Abilities to Use Smart-Phone and Applications 2007.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8] Lana, N. & Kuperman, V., "Learning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and abstract novel words in emotional contexts: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JKGS ❙25


―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Evidence from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Language Learning and Development, pp. 1-16,
2023.
[29] Yoon-kyung Jang, In-hwa Yoon, & Ji-won
Park, "Understanding Image Generation AI
Tools and Exploring Their Potential in Art
Education", Journal of Art Education, pp.
277-298. 2023.

정 영 록 (Jeong, Young rok)

약 력: 2015-현재 함평영화학교 교사
2021-현재 전남대학교 특수교육과 박사과정
2023 전남대학교 특수교육과 강사

관심분야: 특수교육, 교수방법, 교육용 콘텐츠

이 태 수 (Lee, Tae su)

약 력: 2006 서울대학교 교육학(특수교육)박사


2008-현재 전남대학교 특수교육학부 교수

관심분야: 특수교육, 장애인용 콘텐츠 개발, 교수방법

26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024 Feb; 24(1): 15-2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