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20 제 1 장 측량대의

차원(입체), 4차원(동체) 둥으로 표시되는 정량규정은 물론 중력, 지자기, 전기, 탄


성파, 전자파, 음파, 광파 등을 이용하여 지구내부, 지표면, 해양, 공간 등의 정성
적인 해석도 측량학에서 다루고 있다.

2. 측량의 역사

1) 세계적 발달사

<B. C. 3000년 경, 이집트 나일강의 범람으로 인한 경작지 정리를 위해 토지를


잰 것과, 바빌로니아(Babylonia) 사람들의 사원과 이집트(Egypt) 사람들의 피라미
드(Pyramid) 건설을 위한 거리와 각도를 잰 것이 측량의 시초이다.

B.C. 120 : Heron에 의한 diopter(최초의 측량기)


1세기경 : Frontinus의 groma(시준), libella(정준), chorobates(정준 및 시준용)…
로마인
15세기 : 아라비아인에 의한 compass
1590년 : 프랙토시우스(Practosius)의 평판
1610년 : 쉬넬리우스(Schnelleus)의 삼각측량법
1630년 : 버니어(Pierre Vernier)의 유표(불)
리퍼쉬(Jan Lypershey)의 망원경(폴란드)
1645년 : 카스코원(Gascoigne)의 십자선, 시거측량법(영)
1667년 : 오질리브(J아m Ogilive)의 다각측량
즈벤노트(Thevenot)의 기포관
1740년 : 시즌(Sisson)의 Y-level
1800년 : 가우스(Gauss)의 최소제곱법
1831년 : 영 (Young)의 transit
1848년 : 그라바트(Gravatt)의 dumy level
19C 중엽 : 로세다(Aime Laussedat)의 사진측량(불)
플프리히(Karl Pulfrich)의 입체도화기, 정밀좌표 측정기(독 1858〜
1927)

2) 국내적 발달사

1834년 : 청구도, 청구요람(동방제국도, 4군삼한도, 삼국전도, 신라총람도, 고려


총도 수록), 축척 1/160,000, 좌표격자, 경위도, 투영법 표시
1-1 개 설 21

② 환번호

③ 교점번호

⑧ 노선번호

그림 1-1 우리 나라의 수준망도

1861년(철종 12년)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축척 1/162,000, 22단으로 구성


동아여지도 : 축척 1,000,000
1905년 : 도지부 양지과 설치(대구, 평양, 전주)
1909년 : 서울, 경기도, 대구 부근에 구소 3각점 설치(12개)
1910년 : 10월 한일합방으로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설치(1차 7개년계획)
1918년 : 기선 및 검기선 13개소, 5개의 검조장, 삼각점 34,447점, 수준점 1,391
점 등의 측량기준점 설치, 세부측량실시 지적도 작성(1/600대지, 1/1,200
전답, 1/2,400 황무지), 임야도(1/3,000, 1/6,000), 지형도(1/50,000, 1/25,000,
1/10,000)
1945년 : 해방과 더불어 측량기준점이 많이 손실
1950년 : 6^25동란으로 전국 기준점이 많이 파괴, 휴전 후 남한전역에 기준점
22 제 1 장 측량대의

복구 보완
1961년 : 12월 31일 측량법 제정공포
1966년 : 네덜란드 정부협력으로 항공측량의 최신방법 도입
1975년부터는 1, 2 등 삼각점의 전면재측을 계획하여 종래의 삼각측량방식 대신
에 전자파 측거기에 의한 변측량방식인 삼변측량으로 평균거리 10km의 정밀삼각
측량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국 수준노선을 개측 및 반복측량을 위해 일정한 주기
로 정밀수준측량(1등)과 복구를 추진하고 있다.
1981~1985년에 완성한 경위도 원점은 국립지리원에서 수원 신청사의 구내에
측지원점(현재까지 동경원점을 공용해 왔음)을 설치하고 측지경위도(오0=37。16'
31". 9034, 江)=127°03'05". 1451) 및 동학산 삼각점을 기준으로 한 원방위각(170°
58'18". 190)을 설정하였다.
이 밖에도 중력측량, 천문측량, 위성측량을 수행하고 있으며 기본삼각점의 투영
법과 좌표계의 변환도 계획하고 있다.

3) 국토기본도

1910〜1918 : 축척 1/50,000, 경도 15', 위도 15'


1966〜1972 : 축척 1/25,000, 경도 7'30'', 위도 7'30"
1966-1972 : 축척 1/10,000, 경도 3', 위도 3'
1973~현재 : 축척 1/5,000, 경도 1'30", 위도 1'30"

3. 측량의 분류

1) 醉1 의한 분류

(D 지표면측량(ground surveying)
지형해석, 토지이용, 지구형상측량, 지구의 극운동 및 변형측량 둥이 있다.

② 지하측량(underground surveying)
지하매 설물측량, 지하수측량, 중력측량, 지자기측량, 전기즉 량, 탄성 파즉량, 지 진
측량 등이 있다.

③ 해양측량(sea surveying)
수평위치결정, 수직위치결정, 해안선측량, 해저지형 및 지질측량, 조석 및 조류
1-1 개 설 23

측량, 해양조사측량 등이 있다.

④ 공간측량(space surveying)
천문측량, 위성측량, 삼차원측량, 공간삼각측량, 초장기 선간섭 계 (VLBI), 레이저
거리측량 등이 있다.

2) 대장에 의한 분류

(1) 시설물측량(facility surveying)


선형물측량, 수공물측량, 건축물 및 조형물측량, 비행장측량, 해양공사측량, 시설
물변형측량 등이 있다.

(2) 환경 현상 및 자원측량(environmental phenomena and resources surveying)


경관측량, 일조량측량, 소음 및 진동측량, 자원측량, 기상측량, 인구 추정, 교통
량측량, 대기관측, 수질관측, 환경영향평가 등이 있다.

(3) 사진에 의한 해석(analysis by photographs)


사진측량, 사진판독, 원격탐측(remote sensing) 등이 있다.

(4) 관측값의 처리 및 수치해석(treatment of observation value and numerical


analysis)
관측값의 오차처리, 수치분석 등이 있다.

(5) 기 타
① 도형분석 : 2, 3차원 도형해석과 지도투영 및 전산기에 의한 도형해석
② 계 획 론: 수리계획, 토목계획 및 공정관리, 국토계획, 도시계획, 시스템 분석 스^
의 해석이론 韻은 방으의 待 以

3) 4혘이 대소에 의한 분류 %》으는 ?꺼 크은*

구'수로
(1) 측지학적 측량(대지측량): 지구곡률을 고려 쮸후작오
(2) 평면측량(국지측량, 소지측량) : 지구곡률을 무시한 평면
평면에 따른 거리 L, 곡면에 따른 거리 S, 지구곡률반경 R, 투영면의 거
리 / (그림 1-2)

S3 S3
L - S = S — (1-1)
12 7?2 24』?2
24 제 1 장 측량대의

지즉랴과 평면측량의 한곘〈단= = 6,400 km) R

허용 정밀도 반경 직경 면적

1/106 11km 22km 380km2


1/105 35km 70km 3,848km2
1/104 110km 220km 38,000km2

예제 1니 지구곡률로부터 거리오차에 따른 정도를 1/1,000,000까지'허용한다면


반경 몇 !잊I이냇며이라 생각할 수 있는가? 이 때 건리의』우차=냐? 또
지도투영정도를 1G 로 할 때 촛쳥경수는?

단, 지구는 구로 보고, 평균곡률 반경은 6,370km로 한다.

© 1) 평면측량의 한계

S = RO (radian)

L = 2R tan ~흘

t , (응 / + (으 )3 + (으)5

tanT = 으—1—十 1x3 十 1x3x5 H—


포변이 으午즌 거이 U
tan흘 느 을十으
分名에 7/ 5

L = 2쩨 + 으) = Rd+쯔 지•7睦반겨 K
早*I거기 Z

L-R6 =

L~s = 으

L—S = 이 = 1
S — 12R2 — 1,000,000

J 127?2 = J 12X63702
— V 1,000,000 — V 1,000,000

22km(직경)
그림 1-2 측지측량과 평면측량
반경 11km, 면적 380km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