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고난도 천문학 특강

신 용 환 T
고난도 천문학 특강
천체의 관측

신 용 환 T

- 2 -
문제풀이의 원리 신 용 환 T

<천체의 관측> 문제풀이의 원리

(1) 문제풀이를 위한 세 가지 도구

천구 천구면 공전 궤도면

(2) 문제풀이의 알고리즘

- 3 -
1강.
천구 신 용 환 T

천구

(1) 지구의 자전

✳ 지구의 자전 : 서 → 동 , 15°/hr

(2) 천구의 일주 운동

✳ 천구의 북극의 고도 = 관측 지점의 위도(φ)


✳ 천구의 일주 운동 : 동 → 서 , 15°/hr
✳ 일주권은 천구의 적도와 나란하다.
✳ 일주권과 지평선이 이루는 각은 90° - φ 이다.
✳ 별은 천구에 고정되어 있다.

- 4 -
1강.
천구 신 용 환 T

(3) 최대 고도(남중 고도)

✳ 남중 고도 = 90° - φ(관측 지점의 위도) + δ(적위)

(4) 별의 구분(주극성, 출몰성, 전몰성)

㉠ 주극성 : 지평선 위에 항상 떠 있는 별
→ 적위 범위 : +(90° - φ) ~ +90°

㉡ 출몰성 : 지평선 위로 뜨고 지는 별
→ 적위 범위 : -(90° - φ) ~ +(90° - φ)

㉢ 전몰성 : 지평선 위로 뜨지 않는 별
→ 적위 범위 : -90° ~ -(90° - φ)

- 5 -
1강.
천구 신 용 환 T

(5) 위도에 따른 천구의 일주 운동의 변화

㉠ 적도 : 모든 별이 출몰성

㉡ 중위도 : 주극성, 출몰성, 전몰성이 모두 나타남

㉢ 북극 : 관측되는 모든 별이 주극성,
관측되지 않는 별은 전몰성,
출몰성이 없음

- 6 -
1강.
천구 신 용 환 T

(6) 관측 하늘

북쪽 하늘 남쪽 하늘

N S

동쪽 하늘 서쪽 하늘

E W

- 7 -
1강.
천구 신 용 환 T

(7) 남반구에서의 관측
⓵ 남반구 중위도

⓶ 남극

- 8 -
1강.
천구 신 용 환 T

◈ 연습 문제
1. 그림은 어느 지역의 관측자에게 보이는 별 A, B의 위치를 천구 상에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방위각은 북점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 보 기 >

ㄱ. A는 남중할 때까지 방위각과 고도가 모두 증가한다.


ㄴ. B의 방위각은 90°이다.
ㄷ. A와 B가 일주 운동하는 동안 자오선에 위치할 때의 고도는 서로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표는 위도 37°N인 어느 지역에서 자정에 관측한 별 A, B, C의 방위각과 고도를 나타낸 것이다.

별 방위각 고도
A 347° 40°
B 330° 37°
C 0° 32°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방위각은 북점을 기준으로 측정


한다.)

< 보 기 >

ㄱ. B는 주극성이다.
ㄴ. 북극성으로부터 떨어진 각거리는 B가 C보다 크다.
ㄷ. 6시간 후 고도는 A가 C보다 낮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9 -
2강.
천구면과 공전 궤도면 신 용 환 T

천구면과 공전 궤도면

(1) 황도

태양의 연주 운동

✳ 태양의 연주 운동 : 서 → 동 , 1°/day
✳ 황도는 천구의 적도와 약 23.5° 기울어져 있다.
✳ 태양은 천구 상에서 움직인다. (순행 , 1°/day)
※ 별은 천구면에 고정

(2) 천구면

천구면

- 10 -
2강.
천구면과 공전 궤도면 신 용 환 T

(3) 공전 궤도면(황도면)

◈ 천구면에서의 운동

천구면

✳ 별 : 천구면에 고정되어 있다.

✳ 태양 : 황도를 따라 움직인다. → [순행](약 1°/day)

✳ 달 : 백도(≈황도)를 따라 움직인다. → [순행](약 13°/day)

✳ 행성 : 행성의 공전 궤도면(≈황도)을 따라 움직인다. → [순행/역행]

- 11 -
2강.
천구면과 공전 궤도면 신 용 환 T

◈ 매일 같은 시각에 관측하는 경우

4월 18일 정오 4월 19일 정오
→ 태양과 별 A가 정남쪽에 위치 → 별 A가 서쪽으로 1° 이동
→ 태양과 달이 정남쪽에 위치 → 달이 동쪽으로 12° 이동

하루 간격 같은 시각에 별과 달을 관측한 모습

✳ 별의 일주 운동 : 동 → 서 , 360°/day (원인 : 지구의 자전)


✳ 별의 연주 운동 : 동 → 서 , 1°/day (원인 : 지구의 공전)
✳ 별은 하루에 361º 운동한다.
✳ 별의 남중 시각은 매일(약 4분씩) 빨라진다.
= 별이 뜨는 시각은 매일 빨라진다.
= 별이 지는 시각은 매일 빨라진다.

✳ 달의 공전 : 서 → 동 , 약 13°/day (360°/27.3day)

✳ 달은 천구면 상에서 움직인다.


※ 별은 천구면에 고정되어 있다.

✳ 달의 남중 시각은 매일 (약 50분씩) 느려진다.


= 달이 뜨는 시각은 매일 느려진다.
= 달이 지는 시각은 매일 느려진다.

- 12 -
2강.
천구면과 공전 궤도면 신 용 환 T

◈ 연습 1
그림은 어느 해 하짓날 태양, 금성, 지구, 화성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날 달의 위상은 상현이었고, 관측자는 37°N에서 관측하였다.

(1) 금성이 뜰 무렵, 화성은 어느 쪽 하늘에서 관측되는지 쓰시오.


(2) 금성, 화성, 달 중 남중고도가 높은 천체부터 순서대로 쓰시오.
(3) 금성, 화성, 달 중 지평선 아래로 질 때의 방위각이 가장 큰 천체를 쓰시오.

◈ 연습 2
천문학자 갱플랭크는 12월 20일에 서울에서 보름달이 남중해 있는 것을 관측하였다.
이 때, 화성은 남서쪽 하늘에서, 목성은 동쪽 하늘에서 관측되었다.

(1) 이날 초저녁에 화성은 어느 쪽 하늘에서 보였는지 쓰시오.


(2) 화성, 목성, 달 중 남중고도가 높은 천체부터 순서대로 쓰시오.
(3) 화성, 목성, 달 중 지평선 아래로 질 때의 방위각이 가장 큰 천체를 쓰시오.
(4) 다음날 같은 시각에 달을 관측하면 달의 방위각은 현재보다 커질지 작아질지 쓰시오.

- 13 -
2강.
천구면과 공전 궤도면 신 용 환 T

◈ 연습 문제

1. 그림은 어느 날 자정에 우리나라에서 관측한 별 A, B, C의 위치를 황도, 천구의 적도 및 방위각과 함


께 나타낸 것이다.

별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방위각은 북점을 기준


으로 측정한다.)

< 보 기 >

ㄱ. 남중고도는 A가 C보다 크다.


ㄴ. 이 날은 여름철이다.
ㄷ. C는 봄철보다 가을철에 잘 관찰할 수 있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그림은 추분날 관측자에게 보이는 천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초저녁에 관측한 모습이다.


ㄴ. 별 A는 남서쪽으로 진다.
ㄷ. 다음 날 태양의 남중고도는 오늘보다 낮아진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14 -
3강.
행성의 관측 신 용 환 T

행성의 관측

(1) 행성의 위치 관계

내행성의 위치 관계

위치 관계 변화
내합→서방최대이각→외합→동방최대이각→내합

※ 수성 최대 이각 : 약 30° ※ 금성 최대 이각 : 약 45°

외행성의 위치 관계

위치 관계 변화
충→동구→합→서구→충

※ 공전 각속도 : 외행성 < 지구 < 내행성


※ 외행성은 항상 반달 이상의 위상을 가진다.

- 15 -
3강.
행성의 관측 신 용 환 T

(2) 행성의 시운동

순행 역행
천구 상의 별을 기준으로 천구 상의 별을 기준으로
서에서 동으로 이동 동에서 서로 이동

순행과 역행

내행성의 천구 상 시운동 외행성의 천구 상 시운동

역행 구간 : 내합 부근 역행 구간 : 충 부근

행성의 순행과 역행

- 16 -
3강.
행성의 관측 신 용 환 T

◈ 천구면에서의 운동

천구면

✳ 별 : 천구면에 고정되어 있다.

✳ 태양 : 황도를 따라 움직인다. → [순행](약 1°/day)

✳ 달 : 백도(≈황도)를 따라 움직인다. → [순행](약 13°/day)

✳ 행성 : 행성의 공전 궤도면(≈황도)을 따라 움직인다. → [순행/역행]

- 17 -
3강.
행성의 관측 신 용 환 T

(3) 회합 주기와 공전 주기

① 회합 주기

㉠ 회합 주기 : 행성의 상대적 위치가 반복되는 주기


㉡ 내행성의 회합 주기 : 내합에서 내합까지 걸린 시간
㉢ 외행성의 회합 주기 : 충에서 충까지 걸린 시간
→ 다른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측정해도 상관없음

㉣ 회합주기의 특징
→ 지구와 공전 속도가 비슷할수록 회합주기가 길다.
→ 수성 회합 주기 : 1년 미만
→ 화성 회합 주기 : 가장 길다.
→ 지구에서 멀어질수록 회합 주기가 1년에 수렴
지구와의 회합 주기

② 태양계 행성의 공전 주기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회합주기
115 583 - 780 398 378 369 367
[일]
공전주기 88 225 365 687 4330 10752 3066 60143
[일] (0.24년) (0.62년) (1년) (1.88년) (11.8년) (29.4년) (84.0년) (164.8년)

태양계 행성의 회합 주기와 공전 주기

회합 주기와 공전 주기의 관계식 유도

✳ 회합 주기 = 위치 관계 주기 = 위상 · 시직경 · 밝기 변화 주기
✳ 지구와 공전 속도가 비슷할수록 회합주기가 길다.
✳ 회합 주기와 공전 주기의 관계
내행성 외행성

- 18 -
3강.
행성의 관측 신 용 환 T

◈ 다양한 관측자료 해석

행성들의 지는 시각 변화

- 19 -
3강.
행성의 관측 신 용 환 T

◈ 연습 문제

1. 그림은 서울(37.5°N)에서 어느 해 하짓날에 나타나는 목성, 천왕성, 해왕성의 고도 변화를 나타낸 것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이날 천왕성의 남중고도는 태양보다 작다.


ㄴ. 목성은 충과 동구 사이에 위치한다.
ㄷ. 04시에 해왕성과 천왕성은 남서쪽 하늘에서 관측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다음 그림은 우리나라에서 어느 한 해 동안 태양, 수성, 금성, 화성이 지는 시간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위의 자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10월 중순에 수성은 별자리 사이를 동에서 서로 이동한다.


② 9월에 금성의 위상은 초승달 모양이다.
③ 6월에 금성은 서방 최대 이각에 위치한다.
④ 6월 중순에 화성은 새벽에 남중한다.
⑤ 9월에 화성과 태양이 이루는 이각은 점차 감소한다.

- 20 -
4강.
일식과 월식 신 용 환 T

일식과 월식

(1) 일식

그림자와 일식

금환 일식

㉠ 부분 일식 : 태양의 일부가 가려짐(달의 반그림자 지역에서 관측 가능)


㉡ 개기 일식 : 태양의 전체가 가려짐(달의 본그림자 지역에서 관측 가능)
* 개기 일식 때 태양의 대기를 육안으로 관찰 가능
㉢ 금환 일식 : 달이 태양의 전체를 가리지 못해 둥근 고리모양으로 보이는 현상
*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공전하기 때문에 발생
*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멀 때 일식이 발생하면 금환 일식 관측 가능

✳ 일식의 발생 : 삭일 때 발생 가능
✳ 일식의 진행 : 태양의 오른쪽부터 가려진다.

일식의 진행 : 태양의 오른쪽부터 가려짐

- 21 -
4강.
일식과 월식 신 용 환 T

◈ 일식 관측 영역의 이동

일식 관측 영역의 이동 : 서 → 동

◈ 개기일식과 금환일식

개기일식 금환일식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울 때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멀 때


태양의 대기를 육안으로 관측 가능 태양의 대기를 육안으로 관측 불가능

- 22 -
4강.
일식과 월식 신 용 환 T

(2) 월식

그림자와 월식

㉠ 부분 월식 : 달의 일부가 가려짐 (달의 일부가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갔을 때)


㉡ 개기 월식 : 달의 전체가 가려져 붉게 보임 (달의 전체가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갔을 때)
㉢ 레드문 : 개기 월식이 일어났을 때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
* 태양 빛 중 붉은 빛만 지구 대기에 의해 굴절되어 달에 반사되기 때문에 발생
㉣ 반영식 : 달이 어둡게 보임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갔을 때)

✳ 월식의 발생 : 망일 때 발생 가능
✳ 월식의 진행 : 달의 왼쪽부터 가려진다.

월식의 진행 : C → B → A

- 23 -
4강.
일식과 월식 신 용 환 T

◈ 개기일식과 개기 월식의 비교

개기 일식 개기 월식
달의 위상 삭 망
짧다. 길다.
지속 시간
(약 5분) (약 100분)
좁다. 넓다.
관측 지역
(달의 본 그림자 지역) (달이 관측되는 모든 지역)

◈ 일식과 월식이 매달 발생하지 않는 이유

황도면과 백도면

✳ 황도와 백도는 5° 기울어져 있다. → 일식 · 월식은 매달 발생하지 않음

- 24 -
4강.
일식과 월식 신 용 환 T

◈ 연습 문제

1. 그림은 2012년 5월 21일 우리나라에서 관측한 부분 일식의 진행 과정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부분 일식은 A → C → B 순으로 진행되었다.


② C일 때 코로나를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다.
③ 이 날 달의 위상은 삭이다.
④ 이 날 태양이 달보다 지평선 위로 먼저 떴다.
⑤ 이 날 저녁에는 태양이 달보다 먼저 졌다.

2. 그림은 2014년 10월 8일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개기 월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이 날 달은 C → B → A 로 이동하였다.
ㄴ. 이 날은 태양의 남중 고도보다 달의 남중 고도가 높다.
ㄷ. 개기 월식의 지속 시간은 개기 일식의 지속 시간보다 길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25 -
5강.
실전 문제 신 용 환 T

실전 문제

1. 그림은 어느 지역에서 관측한 별 A의 위치를 천구에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관측 지역의 위도는 이다.


ㄴ. A의 남중 고도는 °     이다.
ㄷ. 6개월 뒤 A의 남중 고도는 °     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그림 (가)는 해 뜨기 직전 태양에 대한 금성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는 태양에 대한 금성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일 때 금성은 (나)의 C에 위치한다.


ㄴ. ㉠ 부근에서 금성은 순행한다.
ㄷ. 금성의 시지름은 ㉠보다 ㉤일 때 크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26 -
5강.
실전 문제 신 용 환 T

3. 그림은 어느 날 북반구 중위도에서 관측한 행성들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관측한 시각은 초저녁이다.


ㄴ. 목성과 토성은 서구 부근에 위치한다.
ㄷ. 해왕성의 이각은 증가하고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 그림은 2019년 한 해 동안 태양, 수성, 금성, 화성의 뜨는 시각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A는 금성이다.
ㄴ. 이 기간 동안 화성은 합에 위치한 적이 있다.
ㄷ. 4월에는 수성과 금성 모두 동쪽 하늘에서 관측 가능하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27 -
5강.
실전 문제 신 용 환 T

5. 그림은 어느 한 해 동안 수성, 금성, 화성의 밝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A는 이 행성의 공전 주기에 해당한다.


② 5월 말에 수성은 외합 부근에 위치한다.
③ 8월에 금성은 저녁에 관측된다.
④ 금성은 6월에 순행한다.
⑤ 3월 초에 화성은 별자리 사이를 동에서 서로 지난다.

6. 그림은 서울에서 추분날과 그로부터 1주일 후에 관측한 달의 모습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단, 달의 공전 궤도면은 황도면과 나란하
다고 가정한다.)

< 보 기 >

ㄱ. (가)는 서쪽 하늘을 관측한 것이다.


ㄴ. (가)는 (나)보다 먼저 관측한 것이다.
ㄷ. 달의 남중고도는 (가)가 (나)보다 높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28 -
5강.
실전 문제 신 용 환 T

7. 그림은 어느 날 태양-지구-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관측했을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이 날 일식이 관측되는 지역이 있다.


ㄴ. 이 날 태양의 남중 고도는 달의 남중 고도보다 높다.
ㄷ. 약 6개월 후 보름달이 관측되는 날에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달의 남중 고도보다 높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8. 그림 (가)는 2009년에 일어난 일식 때 각 지역에서 태양이 최대로 가려진 비율과 그 때의 시각(한국


표준시 기준)을 나타낸 것이고, (나)는 11시 정각(한국 표준시 기준)에 A, B, C지역에서 관측한 일식의
모습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다음날 달은 태양보다 늦게 떠오른다.


ㄴ. 달의 본그림자 이동방향은 A→B→C이다.
ㄷ. 11시 정각에 A지역에서 관측한 일식의 모습은 (ㄱ)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29 -
연습문제 정답 신 용 환 T

정답

1강. 천구
1) ③
2) ⑤

2강. 천구면 / 공전궤도면


1) ②
2) ②

3강. 행성의 관측
1) ①
2) ②, ⑤

4강. 일식과 월식
1) ①, ③, ⑤
2) ⑤

5강. 실전 문제
1) ③
2) ①
3) ①
4) ④
5) ②, ⑤
6) ①
7) ①
8) ⑤

- 3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