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학습목표

1.경영진과 지배기구 그리고 감사인은 재무제표의 공시와 관련하여 각각


어떠한 책임을 지는가?
2.감사인은 어떠한 경우에 감사의뢰인과 감사보고서이용자에게 법적인
책임을 지는가?
3.부정의 유형, 부정위험요소 및 그 종류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4.부정의 예방/발견과 관련하여, 경영진과 지배기구 및 감사인은 각각
어떠한 책임을 지며, 발견된 부정의 커뮤니케이션은 어떻게 진행하는가?
5.법규준수와 관련하여, 경영진과 감사인의 책임은 각각 무엇인가?
감사인이 법규위반사항을 발견한 경우 지배기구, 정보이용자 및
규제감독기관에 각각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책임을 지는가?
제1절 감사인 책임의 의의

1. 경영진의 책임과 감사인의 책임

(1)경영진과 지배기구의
(2) 감사인의 감사의견 표명 책임
재무제표 작성책임
• 재무보고체계에 따라 재무제표를 • 재무제표의 공정표시에 대한 감사의견
공정하게 작성하고 표시할 책임 표명책임
• 내부통제의 유지책임 • 재무제표의 공정성을 보증하는 책임을
• 모든 정보를 제한 없이 감사인에게 지지 않음
제공할 책임

<경영진 책임을 기술하고 있는 문서>

감사계약서, 경영진서면진술서, 감사보고서


제1절 감사인 책임의 의의

2. 전문직업감사인으로서의 책임

감사인 책임

[법률적 책임]
[자율적 책임]
① 감사의뢰인에 대한 민사적 책임 : 외부감사법,
민법
• 공인회계사윤리기준 ② 감사보고서이용자에 대한 민사적 책임 :
자본시장법, 외부감사법, 민법, 상법
③ 제도위반 관련 형사적 책임 : 외부감사법,
공인회계사법
제1절 감사인 책임의 의의

3. 감사실패와 감사인의 책임
[감사실패] [감사위험]
감사인이 감사기준 등을 중요하게 왜곡표시된 재무제표에 대해
준수하지 못해 잘못된 감사인이 부적합한 감사의견을 표명할
감사의견 표명 시 발생 위험

[감사실패와 감사인의 책임]

• 수용해야 할 일정수준의 감사위험과 기업실패의 책임은 물을 수 없음


• 감사인이 정당한 주의를 다하지 못한 상황(회계감사기준을 준수하지 못한
경우)에 책임 부담

※기업실패(business failure) : 경영자가 기업의 목표달성에 실패했을 때 발생. 원칙적으로 감사인의 책임과는
무관

4. 증권집단소송제도
• 유가증권발행회사의 주가조작/분식회계/허위공시, 외부감사인 부실감사 등으로
투자자가 손해본 경우 한 사람이 승소하면 나머지 피해자도 보상받는 제도
• 주주 50명 이상, 해당 기업이 발행한 유가증권 총수의 1만분의 1 이상을 보유하면
제기 가능
제2절 법률적 책임

1. 법적 책임의 유형

(1) 감사의뢰인에 대한 법적 책임

구분 외부감사법상 책임 민법상 책임

회계감사 영역 외부감사법에 의한 회계감사 모든 회계감사(임의감사 포함)

위법사유 임무해태(원고입증책임) 고의 또는 과실(원고입증책임)

• 안 날로부터 1년 • 안 날로부터 3년
소멸시효
• 감사보고서 제출일로부터 8년 • 불법행위일로부터 10년

원고 감사의뢰인 피해자(감사의뢰인)

외부감사법상 감사인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


피고
(회계법인, 감사반) (회계법인, 감사반, 공인회계사)
제2절 법률적 책임

(2) 감사보고서이용자에 대한 법적 책임

구분 외부감사법 자본시장법 민법
상장법인이 자본시장법에
회계감사 외부감사법에 따른 모든 회계감사
따라 제출하는 재무서류의
영역 회계감사 (임의감사 포함)
회계감사
중요사항을 감사보고서에 중요사항을 감사보고서에
위법사유 고의 또는 과실
기재누락, 허위기재 기재누락, 허위기재

• 임무를 게을리하지 • 임무를 게을리하지


않았음을 증명 않았음을 증명 원고(피해자)가
면책사유
• 원칙은 감사인, • 원칙은 감사인, 피고(감사인) 과실을 입증
금융기관은 원고입증 금융기관은 원고입증

• 안 날로부터 1년 • 안 날로부터 1년
• 안 날로부터 3년
소멸시효 • 감사보고서 • 감사보고서
• 불법행위일로부터 10년
제출일로부터 8년 제출일로부터 3년
감사보고서를
원고 선의의 투자자 피해자
믿고 이용한 제삼자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
외부감사법상 감사인 외부감사법상 감사인
피고 (회계법인, 감사반,
(회계법인, 감사반) (회계법인, 감사반)
공인회계사)
제2절 법률적 책임

(3) 제도위반에 대한 형사적 책임

구분 외부감사법 공인회계사법

중요한 사항의 감사보고서 미기재


위법사유 고의적 진실은폐 및 허위보고
또는 허위기재

피고 감사인(회계법인, 감사반), 소속공인회계사 공인회계사

2. 손해배상기금의 적립
구분 외부감사법 공인회계사법

손해배상공동기금(의무가입) 적립
회계법인 손해배상준비금 적립
또는 배상책임보험가입

감사반 배상책임보험가입 -

개인CPA - 공제사업 가입 또는 보험가입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 부정의 특성과 발생유형

1. 부정과 오류의 차이

부정 오류
• 경영진, 지배기구, 종업원 또는 제3자가 • 재무제표상 금액이나 공시사항에 대한
연루되어 불법적이거나 부당한 이득을 얻기 비의도적인 왜곡표시
위해 의도적으로 저지른 기만행위 • 자료 수집과 처리과정/회계추정/회계원칙
• 감사인은 경영진에 의한 통제무력화 가능성에 적용 오류
높은 관심

2. 부정의 유형

부정한 재무보고 자산의 횡령


① 회계기록이나 문서 조작, 위조 또는 변조
① 입금액 횡령
② 사건, 거래 또는 유의적 정보를 재무제표에
② 물리적/지적 자산의 절도
의도적으로 누락, 허위 기재
③ 공급받지 않은 재화나 용역의 대가 지급
③ 금액, 분류, 표시 또는 공시의 회계원칙을 의
④ 기업 자산을 개인용도로 유용
도적으로 잘못 적용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3. 부정위험의 요소
• 부정위험요소(fraud risk factors) : 경영진이나 종업원이 부정을 행하게 하는
동기나 압력, 부정을 행할 기회를 나타내는 사건이나 상황
• 감사인은 부정유형(재무보고 or 자산횡령)에 따라 세 가지 위험요소를
기업관점에서 파악  효과적으로 부정 발견할 수 있는 감사절차 수립

(1) 부정을 행하는 동기/압력(불씨)


① 부정한 재무보고 : 시장의 이익전망치를
맞추기 위한 이익조정
② 자산의 횡령 : 횡령이 용이한 자산을
취급하는 임직원의 개인적 금융채무

부정위험요소

(3) 부정행위에 대한 태도/ 합리화


(2) 부정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기회(기름)
가능성(산소)
① 부정한 재무보고 : 내부통제에 대한
① 부정한 재무보고 : 기업 또는
지배기구 감시가 비효과적
고위경영진의 법규/규정위반
② 자산의 횡령 : 환금 용이한 재고자산
② 자산의 횡령 : 내부통제를 무시하는
보관과 취급
경영진 태도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도표 3-2] 무엇이 부정을 유도하는가?

㈜ 미국의 부정조사연구기관인 Oversight Systems 발표자료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도표 3-3] 부정위험요소의 예시

구분 동기/압력 기회 태도/합리화
∙ 수요의 급격한 감소, 산업 또는 경제 ∙ 산업 또는 해당 기업의 영업성격에 ∙ 기업가치와 윤리기준에
전반에 걸친 기업실패의 위험 증가 따라 존재하는 특수관계자거래 대한 경영진의
∙ 상장유지조건 또는 채무약정조건을 또는 불공정거래 비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충족해야 하는 등 경영진에게 ∙ 주관적 판단이나 불확실성을 지원체계
부정한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 내포하는 다수의 회계추정 존재 ∙ 기업이나 고위경영진의
재무보 ∙ 기업의 성과에 따라 경영진의 상여 ∙ 재무보고절차와 내부통제에 대한 법규나 규정의 위반
고 금이나 주식옵션이 영향을 받음 지배기구의 비효과적인 감시 ∙ 공격적이거나
∙ 매출 등 성과보상 목표달성에 ∙ 회계 및 내부감사 인원의 빈번한 비현실적인 예측치를
과도한 압력 교체, 내부통제의 취약 공표하는 경영진의 관행

∙ 횡령이 용이한 자산을 취급하는 ∙ 거액의 현금, 고가 또는 환금이 ∙ 내부통제를 무시하는


임직원의 개인적 금융채무 용이한 재고자산의 보관과 취급 경영진 태도
자산의
∙ 자산을 관리하는 종업원과 경영진 ∙ 자산의 부적절한 내부통제 ∙ 내부통제 미비점을
횡령
간 대립관계 (적절하지 않은 물리적 보호장치) 개선하지 않음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4. 부정한 재무보고(분식회계, 이익조정, 이익유연화)의 방법

유형 내용

• I/S에서 비중이 가장 높아 작은 비율의 조정만으로도 큰 폭의


(1) 수익의 과대계상 이익조정 가능
• ①가공의 수익인식, ②수익의 조기인식, ③매출환입의 조정
• 재고자산에 대한 전수조사 : 현실적으로 어려움
(2) 자산의 과대계상
• 재고자산 과대계상, 연구비의 자산화, 수익적 지출의 자산화
• 비용 누락 ⇒ 당기순이익 과대계상, 관련 부채 과소계상
(3) 비용의 과소계상
• 대손상각비/퇴직급여/감가상각비 과소계상
• 비용을 과소계상할 때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상대계정
(4) 부채의 과소계상
• 매입채무 과소계상, 미지급비용 기재 누락, 충당부채 인식누락
• 재무제표 본문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5) 공시누락, 허위공시 영향을 미치는 주석 누락
• 진행중인 중요한 소송사건/담보제공자산 공시누락
• 실물활동의 조정수단 : 신용조건 완화 등 방법으로 밀어내기 매출,
연구비/광고비 지출 축소, 수익실현 가능한 자산의 조기 매각
(6) 기타의 이익조정수단
• 실물활동 이익조정행위 인지 ⇒ 경영진 성실성 고려, 관련
감사위험을 감사계획에 적절하게 반영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Ι. 부정의 예방과 발견 책임

1. 지배기구와 경영진의 부정예방 및 발견 책임

부정예방 및 발견 책임 내용

• 높은 수준의 윤리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통제환경 조성


(1) 윤리적 환경의 조성과 • 윤리헌장의 제정/운용
부정의 예방정책 수립 • 반부정 캠페인 및 예방프로그램의 도입, 내부제보자 보호정책
및 보호정책 및 부정 처벌에 대한 경영진의 의지 표명 등

① 부정위험요소의 파악
(2) 부정위험요소를
② 부정위험요소의 완화 노력
평가하는 경영진의 노력
③ 부정예방목적의 내부통제 강화

• 재무보고 공정표시의 확보, 경영진 및 종업원의 부정위험


평가와 재무통제, 법규준수 등 적절한 통제가 운용되는지
(3) 지배기구의 감시장치
확인할 책임
강화
• 감사위원회 : 일상적인 통제업무 감시, 경영진의
부정위험요소 평가절차 및 운용에 대한 감사절차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Ι. 부정의 예방과 발견 책임

2. 감사인의 부정발견 책임

• 부정과 오류로 인한 왜곡표시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을 파악할 수 있도


록 합리적 확신수준하에서 감사증거를 수집하고 적절한 감사의견을 표명할 책임
• 재무제표 왜곡표시의 발생원인(오류 또는 부정)에 따라 감사인 책임을 달라지지 않

• 종업원 부정보다는 경영진 부정으로 인한 중요한 왜곡표시를 적발하지 못할 위험
이더큼
• 전문가적 의구심의 자세를 유지하고 부정으로 인한 중요왜곡표시위험을 신중하게
고려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Ι. 부정의 예방과 발견 책임

[도표 3-4] 부정의 최초 발견경위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Ι. 부정의 예방과 발견 책임

3. 부정발견시 커뮤니케이션

상황 내용

• 감사 또는 감사위원회에 통보할 의무
• 위반사실을 통보받은 감사 또는 감사위원회는 회사의 비용으로
회사의 회계처리 외부전문가를 선임하여 위반사실 등을 조사. 그 결과에 따라
위반 사실을 발견 회사의 대표자에게 시정 등을 요구
• 조사결과 및 회사의 시정조치 결과 등을 즉시 증권선물위원회와
감사인에게 제출
•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하여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이사의 직무수행에
위반되는 중대한 사실을 발견하면 감사 또는 감사위원회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통보하고 주주총회 등과 증권선물위원회에 보고
법령이나 정관에
• 위의 사실을 감사 또는 감사위원회로부터 통보받은 경우에도
위반되는 중대한 사실
증권선물위원회에 보고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II. 법규준수

1. 법규준수에 대한 책임

경영진의 책임 감사인의 책임

• 법규위반을 예방/적발할 책임은 없음


• 법규에 따라 영업활동이 수행되도록 관리 • 법규위반에 의해 재무제표가 중요하게
• 법규위반사항을 예방/적발할 책임 왜곡표시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합리적
확신을 얻을 책임

준법감시인(compliance officer)

• 2011년 상법개정으로 도입
• 일정규모 이상의 상장기업은 ‘준법지원인제도’ 도입 의무화
• 경영진과 임직원이 정해진 법과 규정을 준수하고 기업경영을 투명하게 수행하는지
감시, 이사회에 보고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ΙI. 법규준수

2. 법규위반과 관련한 감사절차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ΙI. 법규준수

2. 법규위반과 관련한 감사절차

(1) 법규체계의 이해와 위반사항의 식별

①기업과 기업환경의 이해단계에서 기업의 관련 법규체계를 이해


②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규위반사항 식별을 위한 감사절차 수
행 : 경영진과 지배기구에 질의, 인허가기관 등과의 왕복문서 검사
③식별되었거나 의심되는 위반내용 없음 : 상기 ①과 ②의 절차로 종결
④위반사항 식별 또는 의심: 위반사항에 대한 세부적 감사절차 수행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ΙI. 법규준수

2. 법규위반과 관련한 감사절차


(2) 법규위반사항의 감사절차

1)행위의 성격 및 발생상황의 이해 : 법규위반의 징후(예: 과태료 납부)가


법규위반으로 진전되는지 파악
2)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정보 수집 : 벌금, 강제 영업중단, 소송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3)경영진과의 논의 및 발견사항의 문서화 : 지배기구가 감사인과 동일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
4)기업 또는 감사인의 법률고문과 협의 : 기업의 법률고문과 협의가 부적절하면,
감사인의 법률고문과 협의
5)위반의 시사점을 평가
• 경영진의 연루가능성, 서면진술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
• 감사인의 시정조치를 경영진(지배기구)가 미이행 ⇒ 감사계약 해지 고려,
해지 불가능하면 감사보고서 기타사항문단에 위반사항 언급
제3절 부정발견과 법규준수 고려의 책임

ΙΙΙ. 법규준수
3. 법규위반사항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대상 내용

① 감사과정에서 알게 된 법규위반사항 : 지배기구에 통지


② 법규위반이 의도적, 중요하다고 판단 : 가급적 조기에 지배기구에
(1) 지배기구 통지
③ 경영진/지배기구가 연루된 것으로 의심 : 감사위원회, 이사회에 통

① 법규위반사항을 재무제표에 적절히 반영하지 않음 : 한정의견 또는


부적정의견
(2) 감사보고서반영
② 법규위배 여부에 대한 감사증거를 수집할 수 없음 : 한정의견 또는
의견거절

• 특정법규 등에 의한 법적 보고의무가 있는 경우 : 비밀유지의무를


(3) 규제감독기관
고려하여 결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