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5

수능 한국사

10일
수능 1등급 완성 학습 계획표
Day 페이지 틀린 문제 / 헷갈리는 문제 번호 적기 날짜 복습 날짜

1 A 11~17 월 일 월 일

2 B 19~28 월 일 월 일

3 C 29~39 월 일 월 일

4 D.E 41~58 월 일 월 일

5 F 59~65 월 일 월 일

6 G 67~77 월 일 월 일

7 H 79~85 월 일 월 일

8 I 87~96 월 일 월 일

9 J 97~106 월 일 월 일


10 의 108~122 월 일 월 일
특별한

최고의 기출 분석 학습 효과를 위한 문제 배열

1 최고의 기출 분석 학습 효과를 위한 개념 분류와 2 쉽고 간결한 개념 정리, 수능 출제 0순위 개념 확인


난이도순 문제 배열 해당 단원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요 개념을 요약 정
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순서와 유형에 따라 문제를 배열해 기출 리하였습니다. 또한 수능 고득점을 위한 필수 내용으로 ‘수능에 반
분석 학습 효과를 더욱 더 높였습니다. 드시 출제되는 0순위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 보조단에는 개념
개념 순서에 따라 check up test, 유형 문제, 1등급 마스터 순으 보충 설명과 용어 풀이를 했습니다.
로 배치하여 단계적으로 공부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수능 출제 0순위 : 시험에 자주 나오는 유형과 개념의 중요 정도, 대비법을 알
려줍니다.
용어 설명 : 중요 용어를 이해하기 쉽게 풀이했습니다.
조선 전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중요도

선사 문화와 여러 나라의 성장 중요도

조선 전기의 정치
선사 문화의 전개 1 조선의 건국과 발전 ➊ 호패법
A03 01

DAY
DAY
2018(6월)/평가원 1
선사 문화의 전개 (1) 건국: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1388) → 과전법 제정(1391) → 정몽주 등 온건 개혁파 신진
16세 이상의 남자에게 오늘날의 신분증과 같은 호패

1 구석기 시대 ➊ 주먹도끼 밑줄 친 ‘이 시대’와 관련된 체험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를 차고 다니도록 한 제도이다.
사대부 제거(1392) → 조선 건국(1392) → 한양 천도(1394)
시기 약 70만 년 전부터 한반도와 만주 지역에 구석기인이 살기 시작

A01 2018/수능 1
이 시대에는 정착 생활이 이루어지면서 강
가나 바닷가 등지에 움집이 만들어졌어요.
수능출제 0순위
•뗀석기 사용: 주먹도끼 , 찍개 등 ◯◯◯ 시대

(가) 시대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2) 조선의
그리고 발전
농경도 시작되었답니다. 당시 생활
도구 •구석기 시대 후기에 슴베찌르개 사용 생활 체험관 을 함께 체험해 볼까요?
•구석기에서 신석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잔석기 사용 태종

왕권 강화 추구(6조 직계제 실시, 사병 혁파), 호패법 시행, 양전 사업 ✽ 조선 초기 왕들의 업적을 구분해 두자.
사냥, 가죽 벗기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➋ 조선 초기 왕 중 태종, 세종, 성종이 많이
주거 동굴, 바위 그늘, 막집 수행 평가 보고서 세종 집현전 설치, 왕권과 신권의 조화 추구(의정부 서사제 실시), 4군 6진 개척
출제된다. 특히 세종은 정치, 경제, 문화 등
➋ 슴베찌르개
경제 사냥, 채집, 고기잡이 •주제: (가) 시대의 사회 변화 세조 왕권 강화 추구(6조 직계제 부활, 집현전과 경연 폐지), “경국대전” 편찬 시작, 직전법 실시 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으므로, 통합해서 알
•조사 내용: 농경이 발전하면서 반달 돌칼과 같은 수확 도구가 사용되고, 아두어야 한다. ‘태-정-태-세-문-단-세-
사회 이동 생활, 경험이 많은 연장자가 무리의 지도자 역할 담당, 평등 사회 성종 홍문관 설치, 경연 활성화, “경국대전” 완성
식량 생산이 늘어났다. 이와 함께 빈부의 격차가 나타나고 계급이 발생하 예-성’을 기억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였으며, 거대한 고인돌이 축조되었다.

2 신석기 시대
•대표적인 유물・유적

① 고인돌 모형 쌓기
2 통치 체제의 정비 ➋ 6조 직계제와 의정부 서사제
슴베는 칼이나 낫 등의 자루 속에 박히는 부분이다.
시기 기원전 8000년경부터 시작
(1) 중앙 통치 기구
② 금관 모형 제작하기
➌ 빗살무늬 토기
•간석기 사용: 농기구, 조리용 도구 등 ③ 빗살무늬 토기 만들기 ① 의정부: 국정 총괄, 6조: 행정 업무 담당
도구 ➌
•토기 사용: 이른 민무늬 토기, 눌러찍기 무늬 토기, 빗살무늬 토기 등 → 음식물 저장, 조리
④ 철갑옷 복제품 입어 보기 ② 3사: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 권력의 독점과 부정 방지(언론 기능)
주거 움집에서 생활
⑤ 세형동검과 거푸집 짝 맞추기 ③ 기타: 승정원(왕의 비서 기관), 의금부(국왕 직속 사법 기관), 성균관(최고 교육 기관)
반달 돌칼 고인돌
•농경과 목축 시작(신석기 혁명), 여전히 고기잡이와 사냥으로 많은 식량을 얻음 ➌
경제 ➍ (2) 지방 행정 조직
•가락바퀴 , 뼈바늘 → 옷, 그물 제작 ▲ 6조 직계제 ▲ 의정부 서사제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 뾰족한 밑 또는 편
① 전국을 8도로 구분 → 관찰사 파견
사회 정착 생활 시작(농경의 영향), 족외혼을 통해 부족 사회 형성, 평등 사회 ① 주먹도끼의 용도를 알아본다.
평한 밑 모양을 하고 있다. ② 도 아래 부・목・군・현 설치 → 모든 군현에 지방관 파견(속현 소멸), 향・소・부곡 소멸
신앙 ② 철제
애니미즘(정령 숭배), 토테미즘(특정 동・식물 숭배), 샤머니즘(무당과 그 주술을 믿음) 출현 갑옷의 제작 기법을 살펴본다.
③ 유향소: 지방 유력 양반들로 구성, 수령 보좌・향리 감찰 / 경재소: 유향소 통제 ➌ 조선의 지방 행정 조직
➍ 가락바퀴
③ 금관이 출토된 고분에 대해 조사한다.
(3) 교육 기관: 4부 학당, 향교, 성균관 / 과거 제도: 문과, 무과, 잡과
④ 비파형 동검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한다.
3 청동기 시대
(1) 시기: 기원전 2000년경~기원전 1500년경에 시작
⑤ 빗살무늬 토기의 지역별 특색을 비교한다.
3 사림의 성장과 붕당의 출현
(2) 도구: 간석기(반달 돌칼 등의 농기구), 청동기(비파형 동검 , 거친무늬 거울 등), 토기(민
➎ (1) 훈구와 사림: 훈구(세조의 집권을 주도한 공신 세력, 고위 관직 독점, 대지주), 사림(지방
무늬 토기 등)
구멍에 막대를 꽂아 회전시켜 실을 뽑는 데 사용하 사족, 중소 지주, 왕도 정치・향촌 자치 추구)
(3) 주거: 움집의 지상 가옥화, 나지막한 산이나 구릉 지대에 주거지 형성, 주거지 주위에 울
A02 였다. 2018(9월)/평가원 1 A04 고3 성종
(2) 사림의 진출: 2017(4월)/교육청
때 본격적으로1 중앙 정계 진출(3사의 언관직) → 훈구 세력의 비리 비판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4]


➎ 비파형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동검
(2점) (3) 사화의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발생
1 타리와 도랑 설치, 정착 생활의 규모 확대
CHECK UP TEST
3 4
(4) 경제: 농경과 목축 발달, 저습지에서 벼농사 시작 무오사화(연산군) 훈구 세력이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구실로 사림 공격

실제 수능 선택지와 제시문 자료로 개념 확인 테스트


(5) 사회: 사유 재산과 빈부 격차 발생, 계급 분화, 지배자인 군장(족장) 등장◯◯
주관(제정일치), 청동 거울과 청동 방울 등으로 자신의 권위를 세움
→ 박물관
정치와 제사
영상 자료실
‘◯◯◯ 시대 체험 교실’ 수강생 모집
최신 문제 우선 배치로 학습 효과 up!
갑자사화(연산군) 연산군 생모 폐위와 관련된 훈구와 사림 제거
농경이 시작되었던 ◯◯◯ 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➍ ➎
조광조의 개혁 정치: 현량과 실시, 소격서 폐지, 위훈 삭제 등 → 훈구 세력이 조광조 일파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습니다. 기묘사화(중종)

(6) 무덤: 고인돌 (당시 지배층의 권력과 경제력 반영), 돌널무덤 등 구석기 시대 (가) 시대 청동기 시대 제거

수능, 선사
평가원에서 출제된 자료와 선택지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 최고의 기출 분석으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개념과
중국의 요령 지방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문화의 전개 (7) 예술: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그림(사냥, 물고기잡이의 성공과 풍요 기원), 고령 장기리 •운영 기간: 2017년 4월 △△일~△△일을사사화(명종) 대윤과 소윤의 권력 다툼 과정에서 사림 피해
•체험 장소: 서울 암사동 유적
바위그림(농사의 풍요 기원)
01 다음 내용이 구석기 시대에 해당하면 ‘구’, 신석기 시대에 해당 03 다음 내용이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 (4) 사림의 집권과 붕당의 형성: 사림이 서원과 향약으로 영향력 확대 → 선조 때 중앙 정치 주 ➍ 현량과
•프로그램 내용

하고 체크할 수 있습니다. 같은 유형으로 반복되는 기출 패턴을


0순위
하면 ‘신’,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면 ‘청’, 철기 시대에 해당하면 ① 신석기 시대에 불교를 받아들였다. 수능출제
(○, ×) 유형의 적용 관계를 면밀히 분석하였습니다. 유형별, 개념 순서
2회 -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 뽑기

1회 - 갈돌과 갈판으로 곡식 갈기 도권 장악 → 외척 청산, 이조 전랑 문제를 둘러싸고 동인과 서인으로 나뉨
천거를 통해 인재를 등용하는 제도이다.

4 신석기
‘철’이라 쓰시오.시대와 청동기 시대 비교 ② 신석기 시대에 진대법이 시행되었다. (○, ×) 3회 - (가)
4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익히는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① 고인돌구분
모형 만들기
② 빗살무늬 토기 만들기
신석기 시대
(
(
)
)
③ 반달 돌칼은 정착
청동기 시대
④ 반달 돌칼은
실을생활과
강력한
영상으로
뽑는농경을
작업에
만나지배자의
시작한
보세요.
✽ 선사(가)시대를시대
사용되었다. 잘 구분해 두자!
출현을
사람들의(○,
선사상징한다.
생활×)
모습을
(○, ×)1번 문
시대는 수능과 모의고사에서 ① 철제 농기구로 밭 갈기
별로 최신 문제를 우선 배열하였습니다.
(1) 임진왜란
0순위➐
수능출제 ➎ 소격서
조선 시대 도교 행사를 주관하던 관청이다.

도구 빗살무늬 토기, 가락바퀴 비파형 동검, 반달 돌칼 제로 출제되고 있다. 특히 신석기 시대와 청 배경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 야욕
③ 토기가 처음 제작되었다. ( ) ⑤ 신석기 시대에 세형 동검과 거푸집이 제작되었다. (○, ×) ② 빗살무늬 토기 제작하기
정답
④ 농경:생활이
정오에 대한 이유를 빠짐없이
시작되었다.
사회
( ) 해설하여 기본 개념을 확실히 이해할
평등 사회 계급 사회
⑥ 빗살무늬 ① 토기는
비파형 동검을
고조선 제작하였다.
관련 문화
으로범위를
주어지고알려준다.
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과 유적이 사진
해당 시기의(○,
모습을×)고르는 ③ 대동여지도 따라 그리기 최신
전개 문제 우선 배치 : 제일 먼저 배치된 최신 기출 문제를 먼저 풀어 유형
•1592년 일본이 조선을 침략 → 선조가 의주로 피난
•이순신이 이끈 수군과 의병의 활약, 명의 원군 파견 등으로 극복
➏ 이조 전랑
경제 농경과 목축 시작 벼농사 시작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⑤ 계급 사회가 성립되었다. ( ) ⑦ 구석기② 시대에는 족장의 무덤으로문제가
고인돌을 만들었다.
자주 출제된다. (○,각×)
따라서 시기별로 ④ 거중기로 무거운 돌 들어 올리기 3사의 관리를 임명하고 자신의 후임을 추천할 수 있

기타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출현 ③ 토기는


명도전을 이용하여 교역하였다.
도구, 경제, 사회 등이 어떻게 다른지 기억 영향 조선(인구 급감, 문화재 소실), 중국(명의 국력 약화, 여진족 성장), 일본(에도 막부 성립, 문화 발전) 어 권한이 매우 강하였다.
⑧ 고인돌 제작
수⑥⑦ 있습니다.
철제 농기구를 만들었어요.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어요.
(
(
)
)
빗살무늬 대부분 강가나 바닷가에서
해벌였다.
④ 철제 무기로 정복 활동을 두자.
발견된다. (○, ×)
⑨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무리를 지어 이동 생활을 하였다.
⑤ 세형 동검 주조용 거푸집 만들기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⑤ 갈돌과 갈판 등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⑧ 명도전을 이용하여 교역하였다. ( ) (○, ×) 4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⑨ 비파형 동검을 처음 제작하였다. ( ) ⑩ 신석기 시대에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옷을 만들어 입었다.


12 동굴과
⑩ 주로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바위 그늘에서 살았다. ( ) (○, ×) ❖ 정답 및 해설 02 ~ 03p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15
⑪ 청동기 시대에는 대표적인 도구로 찍개, 주먹도끼 등을 사용하
였다. (○, ×) 삼국의 성립과 발전 B03 고3 2017(4월)/교육청 9

02
al유물과 유적이 제작된 시기를 쓰시오.
⑫ 신석기 시대에는 정치 권력을 가진 군장이 출현하였다.(○, ×)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DAY

02e다음
1
R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4] CHECK UP TEST
B01 2018/수능 2
고구려의 ◯◯왕은
수도를 국내성에서
맞아. 그 왕은 남진
정책을 추진하면서
평양으로 옮겼어. (가)
밑줄 친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웅장하고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이 성은 삼국 시
( 선사 문화의) 전개 ( ) 대에 중국 세력의 침략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백암성입
③ ④ 04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나라의 이름을 쓰시오. 니다. 이 성을 쌓은 나라는 수와 당의 여러 차례에 걸

01 다음 내용이 구석기 시대에 해당하면 ‘구’, 신석기 시대에 해당 03 다음 내용이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
①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 ( )
친 침공을 물리침으로써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습니다.

하면 ‘신’,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면 ‘청’, 철기 시대에 해당하면 ①


② 신석기 시대에
무천이라는 제천불교를
행사를받아들였다.
거행하였다. ((○, ×))
‘철’이라 쓰시오. ② ① 우산국을 정복했어.
③ 신석기
제사장이시대에 진대법이
다스리는 소도가시행되었다.
존재하였다. ((○, ×))
( ) ( ) ② 훈련도감을 설치했어.
① 고인돌 모형 만들기 ( ) ③
④ 반달
영고를돌칼은 실을하늘에
개최하여 뽑는 작업에
제사를사용되었다.
지냈다. ((○, ×))
⑤ ⑥ ③ 백제의 한성을 점령했어.
② 빗살무늬 토기 만들기 ( ) ④
⑤ 반달
소금과돌칼은
어물을강력한 지배자의
고구려에 공물로출현을 상징한다.
바쳤다. ((○, ×))
⑤ ④ 연통제와 교통국을 조직했어.
③ 토기가 처음 제작되었다. ( ) ⑥ 신석기 시대에
제가 회의를 세형
통해 동검과
중대한 거푸집이
범죄자를 제작되었다.
처벌하였다. ((○, ×))
④ 농경 생활이 시작되었다. ( ) ⑥
⑦ 빗살무늬
서옥제의 토기는 고조선
혼인 풍습이 관련 문화 범위를 알려준다. ((○, ×))
있었다. ⑤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웠어.
⑤ 계급
( 사회가 성립되었다.
) ( ) ( ) ⑦ 구석기 시대에는 족장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만들었다. (○, ×)
⑥ 철제 농기구를 만들었어요. ( ) ⑧ 빗살무늬 토기는 대부분 강가나 바닷가에서 발견된다. (○, ×) ① 당의 3성 6부제를 수용하였다.
⑦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어요. ( ) ⑨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무리를 지어 이동 생활을 하였다. ② 웅진, 사비로 거듭 천도하였다.
⑧ 명도전을 이용하여 교역하였다. ( ) (○, ×) ③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거행하였다.
정답 동검을 처음 제작하였다.
Real
⑨ 비파형 ( ) ⑩ 신석기 시대에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옷을 만들어 입었다. ④ 왕의 칭호로 마립간 등을 사용하였다.
⑩①
01 주로 동굴과
청(청동기 시대에바위
계급이그늘에서 살았다.
발생하고 고인돌이 ( 시대의)
제작됨), ② 신(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설명), ④ ×(반달 돌칼과 관련 없는 내용), ⑤ ×(초기 철기 시대), ⑥ ×(고조선 관련(○,
문화 ×)
범위 ⑤ 낙랑군을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
대표적인 토기), ③ 신(신석기 시대에 이른 민무늬 토기 등의 토기가 처음 제작됨), ④ 신(신석기 ⑪를 알려주는시대에는
청동기 것은 미송리식대표적인
토기, 비파형 동검,
도구로 고인돌),
찍개,⑦ ×(청동기
주먹도끼시대), ⑧등을
○(빗살무늬
사용하토기
시대에 농경과 목축이 시작), ⑤ 청(청동기 시대에 사유 재산과 계급이 출현), ⑥ 철(철기 시대에 는 밑이 뾰족해 강가나 바닷가에 고정해서 사용), ⑨ ○(구석기 시대는 이동 생활, 신석기 시대부
였다. (○, ×)
철제 농기구, 철제 무기 등이 제작), ⑦ 신(신석기 시대에 농경과 목축이 시작), ⑧ 철(철기 시대에 터 정착 생활), ⑩ ○(신석기 시대에는 가락바퀴와 뼈바늘 사용), ⑪ ×(찍개, 주먹도끼는 구석기

02 다음 유물과 유적이 제작된 시기를 쓰시오.


발견되는 명도전을 통해 중국과의 교역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음), ⑨ 청(청동기 시대에 청동으로
⑫ 시대의
신석기 시대에는 정치 권력을 가진 군장이 출현하였다.(○, ×)
도구), ⑫ × (군장의 출현은 청동기 시대) 난이도 : - 상, - 중, -하
비파형 동검과 같은 무기를 제작), ⑩ 구(구석기 시대에는 동굴, 바위 그늘, 막집 등에서 거주) 04 ① 삼한 or 변한(삼한 중 특히 변한은 철이 많이 생산되어 철 수출 활발), ② 동예(무천은 동예의
① ②
02 ① 신석기 시대(빗살무늬 토기), ② 구석기 시대(주먹도끼), ③ 청동기 시대(비파형 동검), ④ 청동
기 시대(미송리식 토기), ⑤ 신석기 시대(가락바퀴), ⑥ 청동기 시대(고인돌)
제천 행사), ③ 삼한(삼한에는 천군과 천군이 다스리는 소도 존재), ④ 부여(영고는 수렵 사회의
전통을 이어받은 부여의 제천 행사), ⑤ 옥저(옥저는 일찍이 고구려에 복속되어 소금, 어물을 바
출처표시 : 수능•평가원 : 대비연도, 교육청 : 실시연도
03 ① ×(불교는 삼국 시대에 수용됨), ② ×(진대법은 삼국 시대의 고구려), ③ ×(가락바퀴에 대한 침), ⑥ 고구려(제가 회의는 고구려의 귀족 회의), ⑦ 고구려(서옥제는 고구려의 혼인 풍습)
B02 고3 2017(7월)/교육청 3 B04 고3 2017(3월)/교육청 3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가)에 2017/수능


예) 20(2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 2016년 11월에 실시한 수능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3점)
( ) ( )
1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③ ④ 04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나라의 이름을 쓰시오. 예) 2017(6월)/평가원 20 : 2016년 6월에 실시한 모의고사
백제의 성장과 쇠퇴 과정 한국사 수행 평가

①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 ( ) 평양성 공격 •과제 : 한강 유역의 유적・유물을 통해 삼국의 역사 알아보기


②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거행하였다. ( ) 예) 2017(3월)/교육청 20 : 2017년 3월에•모둠별
실시한탐구 주제
학력평가 (가)
③ 제사장이 다스리는 소도가 존재하였다. ( ) 유적・유물 탐구 주제
( ) ( )
④ 영고를 개최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 ) 1모둠 고구려의 아차산 보루 장수왕의 남진 정책과 한성 점령
⑤ ⑥
⑤ 소금과 어물을 고구려에 공물로 바쳤다. ( ) 2모둠 백제의 석촌동 고분군 백제의 건국과 고구려 이주민 세력

⑥ 제가 회의를 통해 중대한 범죄자를 처벌하였다. ( ) 3모둠 신라의 북한산 순수비 (가)

⑦ 서옥제의 혼인 풍습이 있었다. ( )


백제 건국 개로왕 전사
( ) ( ) 백제 멸망 ① 진흥왕의 정복 활동
② 이종무의 대마도 토벌
① 사비 천도
③ 윤관의 동북 9성 축조
② 과거제 도입
④ 광개토 대왕의 왜 격퇴
Real 정답 ③ 별무반 조직
⑤ 나・당 연합군의 백제 공격
01 ① 청(청동기 시대에 계급이 발생하고 고인돌이 제작됨), ② 신(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시대의 설명), ④ ×(반달 돌칼과 관련 없는 내용), ⑤ ×(초기 철기 시대), ⑥ ×(고조선 관련 문화 범위 ④ 경국대전 완성
대표적인 토기), ③ 신(신석기 시대에 이른 민무늬 토기 등의 토기가 처음 제작됨), ④ 신(신석기 를 알려주는 것은 미송리식 토기, 비파형 동검, 고인돌), ⑦ ×(청동기 시대), ⑧ ○(빗살무늬 토기 ⑤ 홍경래의 난 진압
시대에 농경과 목축이 시작), ⑤ 청(청동기 시대에 사유 재산과 계급이 출현), ⑥ 철(철기 시대에 는 밑이 뾰족해 강가나 바닷가에 고정해서 사용), ⑨ ○(구석기 시대는 이동 생활, 신석기 시대부
철제 농기구, 철제 무기 등이 제작), ⑦ 신(신석기 시대에 농경과 목축이 시작), ⑧ 철(철기 시대에 터 정착 생활), ⑩ ○(신석기 시대에는 가락바퀴와 뼈바늘 사용), ⑪ ×(찍개, 주먹도끼는 구석기
발견되는 명도전을 통해 중국과의 교역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음), ⑨ 청(청동기 시대에 청동으로 시대의 도구), ⑫ × (군장의 출현은 청동기 시대)
비파형 동검과 같은 무기를 제작), ⑩ 구(구석기 시대에는 동굴, 바위 그늘, 막집 등에서 거주) 04 ① 삼한 or 변한(삼한 중 특히 변한은 철이 많이 생산되어 철 수출 활발), ② 동예(무천은 동예의
수능 한국사

5 고난도 문제를 완벽하게 정복하는 1등급 마스터 6 speci al 실전 기출 모의고사 3회


각 단원별로 가장 난이도가 높은 문항으로, 1등급을 마스터 하기 6, 9월 평가원 모의고사, 11월 수능 대비를 위한 최종 실력 점검
위해 꼭 필요한 문제로 구성했습니다. 모의고사를 별도로 수록하였습니다.

F11
1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고3 2016(3월)/교육청 14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6월 평가원 대비 ■ 문항수 20개
■ 배점 50점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범위 : 전범위 ■ 제한시간 30분

F09 고3 2017(4월)/교육청 18 2016년 3월 10일 1


회 01 고3 2016(7월)/교육청 1
1
회 03 고3 2016(3월)/교육청 2
밑줄 친 ‘이 변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오늘 역사 동아리 친구들
과 창덕궁에 갔다가 근처에
05 (가)에 들어갈 유물로 옳은 것은? (2점) 지도의 비석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서 (가) 터의 표지
◯월 ◯일 석을 발견하였다.
어제 구식 군인들이 서울 주재 일본 공사관을 (가) 은/는 원래
습격한 것에 이어 오늘은 궁궐을 습격하였다. 그 왜구와 여진족에 대비하여 마운령 순수비
변방의 방비를 논의하던 임 ▣ 유물 소개
들은 민겸호를 살해하고, 피신하는 왕비를 쫓았 황초령 순수비
시 회의 기구였는데, 임진
다고 한다. 이 변란으로 왕의 친부인 대원군이 정 •출토지: 서울 암사동 유적
왜란을 거치면서 기능이 확 평양
권을 잡았다. 조선의 정세가 급변하여 장차 사태 (가) 터 표지석 •시기: 신석기 시대 동해
대되었다고 한다. 북한산 순수비
•용도: 식량 저장, 음식 조리 등 (가)
가 어찌될지 조금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징: 600~700℃의 열을 가하여 제작,
단양 적성비
기하학 무늬, 생선 뼈 무늬로 장식 사비

다시는 틀리지 않게 쉽게 이해시키고, 개념을 보강해주는 입체 첨삭 해설!


정답률
교육청 자료, 기타 기
출제 개념 관 공지 자료와 내부
문제의 핵심 주제를 제 회
2
18 정답 ④ ✽6ㆍ25 전쟁의 전개 [정답률 58%] 분석 검토 과정을 거쳐
시하였습니다.
왜 정답 ? 서 제시됩니다.
핵심 문장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④ (가)는 유엔군과 국군이 전개한 인천 상륙 작전, (나)는 중국군의 남하로 일어난 왜 정답?
(가) (나) 국군과 유엔군의 서울 철수(1ㆍ4 후퇴)야. 인천 상륙 작전으로 북진해가던 국군
자료에서 문제 해결에 정답이 되는 핵심 이
6ㆍ25 전쟁 때 참전
과 유엔군이 압록강까지 진격하였으나 중국군의 개입으로 다시 후퇴하였지.
중요한 핵심 문장을 확 유와 문제풀이를 알기
1950년 9월 15일 1951년 1월 4일
인할 수 있도록 밑줄을 •국군・유엔군, 인천 상륙 •중국군, 개성~서울 간도 왜 오답 ? 쉽고 자세하게 수록하
이용하여 알려줍니다. 작전 개시 로를 따라 남하 ① 1945년 9월 미군이 남한에 진주하여 미군정을 실시하기 시작했어. 였습니다.
•국군, 해안 상륙 시작 •국군・유엔군, 서울 철수 ② 1・4 후퇴 이후 국군과 유엔군은 전열을 정비해 서울을 되찾고 38도선 부근까지
자료 해석 왜 오답?
진출하였어. 이후 38도선 인근에서 전선이 고착화되자 1951년 7월 휴전 회담이
낙동강 전선까지 밀렸던 국군이 1・4 후퇴 오답 선택지와 매력적
정답을 찾을 수 있는 시작되었지. 이처럼 6・25 전쟁의 전개 과정은 촘촘하게 출제될 수 있으므로 단
유엔군과 함께 전개함
계별로 확실히 알아두어야 해. 인 오답의 오답이 되는
힌트와 배경 지식을 자료 해석 (가)와 (나)는 6・25 전쟁의 전개 과정에서 있었던 사실
③ 애치슨 선언은 6ㆍ25 전쟁이 일어나기 전인 1950년 1월에 발표되었어. 그 내용
알려줍니다. ① 미군정이 실시되었다.
이유를 상세히 분석해
은 미국 극동 방위선에서 한국과 타이완 등을 제외한다는 것이지.
1945년 9월부터 미군이 남한에서 군정 실시
⑤ 제주 4ㆍ3 사건은 1948년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에 대한 반발로 발생하였어. 오답의 함정에 빠지지
정답 첨삭 해설 ② 휴전 회담이 시작되었다.
1951년 7월부터 휴전 회담 시작
않도록 하였습니다.
✽ 수능 Tip - 특정 지역의 역사
정확한 정답을 확인할
③ 애치슨 선언이 발표되었다. 매력적 오답
수 있도록 선택지를 꼼 1950년 1월, 내용: 미국의 극동 방위선에서 한국 등 제외 이 문제는 여러 사건이 일어났던 특정 지역에 대해 묻고 있어. 따라서 모든

꼼하게 분석했습니다. ④ 중국군이 전쟁에 개입하였다. 사건이 일어난 곳을 알아야만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 하지만 하나의 오답을 정답이라고 착
압록강 근처까지 몰렸던 북한을 돕기 위해 중국군 개입(1950년 10월부터) 사실이라도 어느 지역에 해당하는지 확실하게 알고 있으면 문제를 풀 수 있어.
각하게 되는 이유에 대
⑤ 제주 4・3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수능 한국사가 쉬워진 만큼 자료 자체에 답과 연관되는 내용이 나올 가
오답 첨삭 해설
1948년,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여 발생 능성이 높지. 이 문제의 경우에도 백제의 웅진 시기에 즉위한 무령왕의 무덤을 해 철저하게 분석하고
정답이 아닌 이유를 한 통해 답을 유추할 수 있어.
대책까지 제시합니다.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수능 Tip
키워드 중심으로 알려
줍니다. 수능 문제 해결의 직접
적이고 구체적인 Tip을
수험장 극비 노트
제시합니다.
수험장 생생체험 09

. 삼국의 전성기
출제 0순위 정리
수능을 먼저 정복한 선배들의
부여

•왕위 부자 상속 확립
빈출 주제의 개념을 간편하게
백두산

졸본

요서 지방 국내성
랴오

•“서기”를 편찬하여 왕실 위엄 과시 고구려

평양

우수봉 | 대구 대건고 졸 <백제> •마한 병합, 고구려의 평양성 공격(고국원왕 전사) 전진


고구려 공격

한성
동해

근초고왕 •낙동강 유역의 가야에 영향력 행사 백제


신라 금성

생생한 경험이 100 % 녹아 있는


황해 마한 병합 가야 김해

반달 돌칼과 고인돌 사진만 봐도 청동기 시대인지 바로 파악


파악할 수 있습니다.
동진
•중국의 요서 지역으로 진출 백제의 진출 방향
탐라 규슈

•중국의 산둥 반도와 일본의 규슈와 교류


교류 관계

할 수 있어. 이것으로 부족하다면 조사 내용에서 ‘농경이 발


▲ 4세기 백제의 전성기
전했다’, ‘빈부 격차와 계급이 나타났다’는 것을 통해서도 알
<광개토 대왕> 부여
숙신
수 있지.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건국된 고조선의 대표 유물이 탁자식 고인
실제적인 조언을 •후연과 거란을 격파하여 요동과 만주 일대 장악 거란
동부여

돌과 비파형 동검이라는 것이 생각나서 ④번을 정답으로 고를 수 있었어. 항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이북 지역 차지 후연 백두산

자료 마스터
광개토 대왕릉비
국내성

<고구려>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 ‘영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 사용 고구려

상 출제되는 유형이니 확실하게 공부해 두자~ 평양


동해

광개토 대왕, <장수왕> 동예

지면에 담았습니다.
황해 충주 고구려비
장수왕 •광개토 대왕릉비 건립 장수왕 말기의 신라
남쪽 경계 웅진 대가야 금성
•중국 남북조와 각각 우호 관계 유지 백제
가야 금관가야
전성기 고구려 영토

출제 0순위 자료에 대한 실질적인


•남하 정책 추진(평양 천도), 백제의 수도 한성 함락, 한강 유역 고구려의 진출 방향
천도
탐라

평가원 해설 과 한반도 중부까지 영토 확장(충주 고구려비) ▲ 5세기 고구려의 전성기

이 문항은 교육 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애국 계몽 운동기에 발행된 ‘대한매일신보’의 특징과 •화랑도를 국가 조직으로 개편


신라의 진출 방향
진흥왕 순수비

평가원 해설
고구려 백두산

활동상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습니다. 이의 제기의 주된 내용은 답지 ⑤에서 언급한 •“국사” 편찬, 황룡사 창건

접근법을 알려줍니다.
국내성
황초령비
•한강 유역 장악 → 삼국 경쟁의 주도권 장악, 중국과의 교통로 서안평
마운령비

시일야방성대곡이 ‘대한매일신보’에도 게재되었기 때문에 답지 ①과 함께 정답으로 인정해 진흥왕 때 진출하였다가


상실한 영토(568)

마련 평양 비열홀 진흥왕 때의 영토

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의 신청 내용에 대해 전공 학회 및 외부 전문가에 자문한 결과, ‘대한 <신라> 신라 지증왕 때


우산국 복속(512)
•4개의 순수비, 단양 신라 적성비 건립 북한산비
하슬라

진흥왕 황 해 당항성
실직
단양 적성비
우산

오답으로 이의 제기된
매일신보는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논한 시일야방성대곡의 전문을 영어로 번역하여 게재하였
웅진 국원경(충주) 동 해
백제 성왕 전사(554)
관산성(옥천)
사비
금성
만점 비법!! 백제
대가야
창녕비

다.’라는 사실이 답지 ‘⑤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논한 시일야방성대곡을 게재하였다.’라는 진 금관

근초고왕은 “서기” 편찬, 고국원왕 전사, 광개토 대왕은 ‘영락’ 연호 진흥왕 이전의 영토

수능 선택지 마스터
탐라 왜
술에도 부합합니다. 그러므로 답지 ①과 함께 답지 ⑤를 정답으로 인정합니다. 사용, 장수왕은 남하 정책 추진, 진흥왕은 화랑도 국가 조직 개편!!
▲ 6세기 신라의 전성기

문항에 대해 평가원에서 .[ ~ 수능] 선택지 마스터

선택지만 읽고도 바로 정답을


공식 발표한 해설입니다.
① 백제는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근초고왕)
② 남하 정책을 펼쳐 한강 유역까지 세력을 넓혔다. (장수왕)
③ 황초령과 마운령에 순수비를 세웠다. (진흥왕)
④ 고흥이 “서기”를 편찬하였다. (근초고왕)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집필진 ・감수진 선생님들

“ 자이스토리는 명강의로 소문난 학교・학원 선생님들께서


수능 준비에 가장 효과적이고 가장 우수한 수능, 평가원, 학력평가 기출문제를
10단계에 걸친 검증을 통해 개념별, 유형별, 난이도별로 수록하였습니다.
또한 다시는 그 문제를 틀리지 않도록 쉽게 이해되고


개념이 쌓이는 입체 해설로 구성하였습니다.

[자이스토리 10단계 분석 시스템]

STEP 1 출제 단원 분석 STEP 6 개념 적용 방법 분석

STEP 2 문제 유형 분석 STEP 7 유형의 해법 분석

STEP 3 수험생 입장의 난이도 분석 STEP 8 문제 해결 핵심 단서 분석

STEP 4 학습 효과에 따른 문제 순서 분석 STEP 9 매력적인 오답 분석 풀이

STEP 5 문제에 필요한 개념 분석 STEP 1 0 함께 알아야 할 개념 분석

[ 집필진 ] [ 감수진 ]

강병주 분당 야탑고 교사 강대구 중동고 교사

강승호 과천여고 교사 강문규 경혜여고 교사

곽영수 서문여고 교사 김승환 대전 제일학원

김슬기 경기고 교사 김확훈 옥동 위너 입시학원

심원섭 신일고 교사 박철환 성광고 교사

조용래 인천 영선고 교사 신동필 한영고 교사

천아름 양주고 교사 오영진 강동고 교사

김정현 EBS 강사 오세박 목동 종로학원 부원장

김기배 대치 에스원 학원, 평촌 에스원 학원 이봉규 중산고 교사

배종용 자이스토리 부산본원 이현호 목동 종로학원

서익환 강남구청 인터넷 수능 방송 수능 한국사 강사,


노량진 이투스 역사과, 해커스 공무원 한국사
전국연합 고2
수능수학 가형
한국사

수험장 생생 체험을 통한 수능 선배들의 비법 전수


2018 응 시
■2017년

강현지 부산 경남여고 졸업 (고신대 의예과) 신재혁 대구 능인고 졸업 (계명대 의예과)


고도형 서울 영동고 졸업 (서울대 화학생물공학과) 안현수 목포 홍일고 졸업 (서울대 경제학부) 강민선 곽수빈
고민지 광주 문정여고 졸업 (공군사관학교) 이동건 전주 완산고 졸업 (성균관대 의예과) 서울 명덕외고 졸업 예정 경기 성문고 졸업 예정
구인회 서울 재현고 졸업 (연세대 산업공학과) 이성현 대구 경원고 졸업 (대구한의대 한의예과)
권예원 광주 송원고 졸업 (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이수나 포항제철고 졸업 (연세대 융합인문사회학부)
김경운 광주 숭일고 졸업 (서울대 화학과) 임바다 전주 제일고 졸업 (연세대 생활디자인학과)
김송회 고양외국어고 졸업 (인천대 동북아국제통상학부) 최유리 경기 세마고 졸업 (경희대 국제학과) 구자현 권상우
김형길 인하대 부속고 졸업 (동국대 한의예과) 최윤서 광명제철고 졸업 (서울대 역사교육과) 대전 대성고 졸업 예정 경기 수내고 졸업 예정
남정우 대전 보문고 졸업 (서울대 건축학과) 최지수 서울 미림여고 졸업 (원광대 한의예과)
박지훈 대구 경북고 졸업 (영남대 의예과) 한아인 대구 혜화여고 졸업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방은비 강원외국어고 졸업 (연세대 노어노문학과) 황현주 경기 낙생고 졸업 (고려대 국어교육과)
김도현 김재민
서울 세화고 졸업 울산 현대고 졸업 예정
■2016년
강동희 서울 신일고 졸업 (고려대 수학과) 박소현 경기 고양외국어고 졸업 (고려대 사회학과)
곽은화 대구 혜화여고 졸업 (대구교대 사회교육과) 박진택 서울 명덕외국어고 졸업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김종훈 김홍석
김민제 서울 강서고 졸업 (한양대 의예과) 백진헌 광주 숭덕고 졸업 (고려대 컴퓨터학과)
충남 북일고 졸업 예정 서울 경문고 졸업
김보규 경기 신성고 졸업 (동국대 의학과) 서원덕 서울 국제고 졸업 (서울시립대 행정학과)
김예지 서울 미림여고 졸업 (카이스트) 윤건우 대구 대건고 졸업(경상대 교육학과)
김윤지 경기 동산고 졸업 (한양대 수학과) 윤채림 울산 현대청운고 졸업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김중인 경기 화수고 졸업 (연세대 생활디자인학과) 이승헌 서울 한가람고 졸업 (서강대 철학과) 박승배 박채연
나상운 경기 백석고 졸업 (성균관대 의예과) 이진호 서울 재현고 졸업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광주 고려고 졸업 예정 경남 성민여고 졸업 예정
문성찬 대전 한밭고 졸업 (공군사관학교) 정다은 경기 고양외국어고 졸업 (경희대 한의예과)
문소현 경기 과천고 졸업 (고려대 생명과학부) 지승윤 대구외국어고 졸업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우수봉 이강민
■2015년 대구 대건고 졸업 경북 포항제철고 졸업 예정

강지우 대구 대륜고 졸업 (서울대 의예과) 윤석진 서울 강서고 졸업 (중앙대 의예과)


강채영 경기 흥진고 졸업 (경인교대 교육학과) 윤예인 대구 경일여고 졸업 (한림대 의예과)
김경훈 대구 경신고 졸업 (울산대 의예과) 이승희 광주 숭덕고 졸업 (전남대 의예과)
이보연 이상혁
김동역 광주 살레시오고 졸업 (광주교대 사회과) 이혜정 서울 이대부속고 졸업
서울 대일외고 졸업 예정 수원 동원고 졸업 예정
김명건 경기 풍동고 졸업 (고려대 통계학과)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김민강 광주 고려고 졸업 이효정 대구 정화여고 졸업 (서울대 치의학과)
남명우 광주 살레시오고 졸업 (서울대 의예과) 임유정 서울 이대부속고 졸업 (연세대 교육학과)
백윤성 광주 고려고 졸업 (연세대 의예과) 전형진 경기 흥진고 졸업 이승준 이준희
변우진 경기 수지고 졸업 (고려대 정경학부) (경희대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서울 용산고 졸업 예정 서울 영동고 졸업
성지애 광주 숭덕고 졸업 (동신대 한의예과) 조지훈 광주 살레시오고 졸업 (조선대 의예과)

■2014년 임고운 전형주


청주 산남고 졸업 서울 고대사대부고 졸업 예정
김규한 대구 영진고 졸업 (서울대 경영학부) 이승한 서울 경희고 졸업 (고려대 영문학과)
김규훈 광주 동신고 졸업 (고려대 미디어학부) 이용재 경기 서현고 졸업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김예진 서울 수도여고 졸업 (포항공대 산업경영공학과) 이지현 경기외국어고 졸업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김용희 경기 과천외국어고 졸업 (서울대 디자인학부) 이지환 경기 서현고 졸업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정서연 정예림
김윤아 서울 미림여고 졸업 (단국대 의예과) 이진규 서울 창동고 졸업 (고려대 경영학과) 경기 과천여고 졸업 예정 전주 한일고 졸업
김정연 서울 압구정고 졸업 (연세대 영문학과) 이진용 경기 보정고 졸업 (고려대 경영학과)
김현규 서울 용산고 졸업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이창인 경기 여주고 졸업 (고려대 미디어학부)
김현수 경기 안산동산고 졸업 (을지대 의예과) 정윤하 서울 대일외국어고 졸업 (연세대 행정학과)
노동환 서울 당곡고 졸업 (서강대 자연과학부) 천세원 서울 신림고 졸업 (연세대 행정학과) 정진한 홍석현
윤채린 서울 덕원여고 졸업 (연세대 치의예과) 최재원 서울 우신고 졸업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서울 건대부고 졸업 서울 대성고 졸업 예정
이경태 전남 장성고 졸업 (세명대 한의예과) 홍재우 경기 병점고 졸업 (중앙대 의예과)
문항 배열 및 구성 안내

★ [수능 한국사]에는 258문항이 수록되어 수능 한국사 수록 문항 구성표


있습니다.
대비연도 출처 6월 9월 수능 문항수 비고

평가원 20 20 20 60 전문항 수록
1 최고의 분석으로 학습 효과가 극대화되는
고3 학평 49 49
문제 배열 및 구성! 2018 새교육과정
고2 학평 6 6
•수능 출제 기준에 맞는 유형과 난이도를 분석하여 우수 문항 수록
고1 학평 2 2
개념 순서에 따라 배치했습니다.
평가원 20 20 20 60 전문항 수록
•기출 유형을 익히는 최고의 학습 효과를 위해 최신
고3 학평 59 59
문제를 우선 배치하여 구성했습니다. 2017 새교육과정
고2 학평 3 3
우수 문항 수록
2 2019 수능 대비 최신 기출문항 총정리!! 고1 학평 7 7
•다양한 개념을 포함하고 사고력을 요구하는 양질의 평가원 5 1 5 11
2016 새교육과정
기출 문항은 개념을 다지는 데 아주 효과적입니다. 이전
고3 학평 1 1 우수 문항 엄선 수록
•최신 2개년 수능 전문항과 그 이전 수능 중 우수
총 문항 수 258
문항을 엄선하여 선별 수록하였습니다.

*2018학년도 6월, 9월 모의 + 수능
수능 한국사 문항 배치표
문항 번호 6월 9월 수능

1 A03 A02 A01


2 B23 B16 B01
3 C04 B09 B14
4 C24 C03 C01
5 C20 C16 C14
6 B18 C17 C13
7 D14 D04 D13
8 D20 E03 D01
9 E11 E04 E08
10 F02 E10 E09
11 H09 F06 F05
12 E15 G17 G01
13 G18 G09 G16
14 H11 I11 H08
15 I14 I03 H01
16 G03 I10 I01
17 I04 H02 I09
18 J05 J04 J14
19 J06 J22 J01
20 G10 J15 J02
수능 한국사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활용법+ α

❶ 단원별 핵심 정리로 개념부터 정확히 확인!


● 교과서 단원에 맞춰 구성되어 있어 순서대로 정리하기 편리해요.
● 수능에 출제되는 기본 개념을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꼭 필요한 내용으로 압축했어요.
● [수능 출제 0순위]는 수능 고득점을 위한 필수 내용으로 수능 대비에 대한 구체적인 tip을
알려줍니다.

❷ 수능 선택지&자료로 개념을 check하자!


● 기본 개념을 제대로 익혔는지 수능에 실제로 출제된 선택지와 자료로 테스트합니다.
● 같은 유형, 같은 선지가 반복된다는 것과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한눈에 알 수 있어요.

❸ 각 단원의 고난이도 문제는 1등급 마스터로 해결!


● 가장 어려운 문제는 각 단원 문제 풀이를 충분히 한 후에 도전해야 합니다.
● ‘1등급 마스터’는 고난이도 문제를 각 단원 끝에 배치하여 문제에 충분히 학습한 후
도전할 수 있어요.

❹ 유형별 기출 문제 풀이로 실력 향상!


● 개념 확인 문제는 자료와 관련된 개념을 ‘핵심 어휘’와 연결시켜 반사적으로 찾아야 합니다.
● 유형이 정형화 되어 있으므로 기출 문제를 통해 자주 출제되는 선택지의 문장을 파악합니다.
● 1등급을 좌우하는 주제와 유형은 따로 있습니다. ‘고려 시대의 경제’와 ‘무장 독립 투쟁’ 등이
그것입니다. 해당 문제를 연달아 반복해서 풀어 보세요. 문제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 tip
무장 독립 투쟁은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주제이다. 시험에 자주 나오는 부대는
따로 있는데, 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의 한국 광복군이 그것이다. 한국 광복군의
활동은 미국, 영국, 일본을 기억하고 ‘미국 전략 정보국과 협력’, ‘영국과 인도・미얀마
전선에서 활약’, ‘태평양 전쟁 발발 후 일본인과의 전쟁에 참가’라고 암기해 두면 쉽다.

❺ 실전 기출 모의고사는 시험 직전에!
● 실제 시험을 치를 때와 동일한 조건으로 풀어보아야 자신이 취약한 유형을 파악하고, 시간을
안배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 모의고사를 푼 후에는 정확히 알고 맞힌 문제인지, 틀린 문제는 왜 틀렸는지 꼼꼼하게 각
문항을 확인하세요.

❻ 쉽게 이해되는 입체 첨삭 해설로 다시는 틀리지 말자!


● 정답만 맞는지 틀렸는지 보지 말고, 틀린 문제나 찍어서 맞은 문제 등은 꼭 다시 푸세요.
● 본문에 제시된 정답의 단서를 파악하고, 매력적인 오답에 대한 설명도 놓치지 마세요.
● 수험장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구체적인 수능 Tip을 알려드립니다.

❼ 부록 [수험장 극비노트]로 수험장 최종 눈도장을 찍으세요!


● 수능 한국사의 주요 핵심 개념과 출제 형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수능 출제 0순위 자료에 대한 유형 접근, 핵심 key, 수능 전략 등을 알려줍니다.
● 각 주제는 중요도에 따라 상(★★★), 중(★★)으로 구별하여 수록했습니다.
차 례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A 선사 문화와 여러 나라의 성장 11 D 조선 전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 41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12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42
선사 문화의 전개 15 조선 전기의 정치 45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17 조선 전기의 경제・사회와 문화 48
1등급 마스터 17 1등급 마스터 49
[이화여대, 연세대, 서강대 러닝 연합 동아리] RU:SH 18 [고려대 아이스하키 동아리] TIGRIS 50

B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경제・사회・문화 19 E 조선 후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 51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20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52
삼국의 성립과 발전 23 조선 후기의 정치 55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25 조선 후기의 경제・사회와 문화 56
고대 국가의 경제・사회와 문화 26 1등급 마스터 58
1등급 마스터 28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C 고려의 발전과 변화~경제・사회・문화 29 F 문호 개방과 근대 사회로의 변혁 59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30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60
고려의 발전과 변화 33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63
고려의 경제・사회와 문화 36 개항과 개화 정책의 추진 및 반발 64
1등급 마스터 38 1등급 마스터 65
[비영리 학생 자치 단체] AIESEC 40 [경희대 사진 동아리] K.H.P.C. 66

G 동학 농민 운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개항 이후
경제, 사회, 문화 67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68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을미개혁 72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73
일제의 국권 침탈과 국권 수호 운동 73
개항 이후의 경제, 사회, 문화 변화 75
1등급 마스터 77
[고려대 영어 동아리] S.I.S. Time 78
수능 한국사

★ 최고의 분석으로 학습 효과가 극대화되는 문제 배열과 구성입니다.


★ 기출 유형별로 빠짐없이 공부할 수 있도록 고르게 문제를 수록했습니다.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speci al

실전 기출 모의고사
H 일제의 식민 통치~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79
■ 1회 모의고사 [6월 평가원 대비] 108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80
■ 2회 모의고사 [9월 평가원 대비] 113
일제의 식민 통치와 경제 수탈 83 ■ 3회 모의고사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118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84
1등급 마스터 85
[서강대 락 밴드 동아리] 광야 86

I 국내외 민족 운동 및 일제 강점기 사회・문화의 변화


87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88
국내 민족 운동과 사회, 문화의 변화 91
국외 민족 운동과 건국 준비 활동 93
1등급 마스터 95

Ⅵ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J 정부 수립과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통일을 위한


노력 97
개념 핵심 + Check up test 98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101
경제 발전과 사회, 문화의 변화~통일 정책 104
1등급 마스터 106
자이스토리 아너스 헌사

RY HON
TO
OR
XI S

S
FO

EV
UN
R

ER SO OKY

물이 강줄기를 따라 흐르는 것은
그것이 물의 흐름을 가장 쉽게 하는 자연의 순리이기 때문입니다.
최소 저항의 길이라는 이 길을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부딪히고, 또 이쪽저쪽 재며 갈등합니다.
순리대로 힘들이지 않고 가면 되는 길인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은가 봅니다.
모두가 으레 밟고 지나가는 이 길이 때로는 버거운 짐이라 느껴져
어떻게든 거슬러 보려고 하지만 바로 이 길만이 최소 저항의 길인 것입니다.

가장 자유로워야 할, 그리고 무한한 가능성을 알맞게 빚어나가야 할 나이에


여러 가지 족쇄에 얽매여 날개를 움츠러뜨린
이 땅의 수많은 수험생들 여러분,
내 앞에 놓인 이 길을 어차피 지나가야 하는 거라면
저 멀고 높은 곳을 목표로 삼아 한 번 멋지게 이뤄보는 것은 어떤가요?
현재가 불안한 사람일수록 앞날을 알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미래를 아는 사람은 이 세상에 단 한 사람도 없습니다.
그런데 100%는 아니지만 조금이나마
미래를 알 수 있는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자신의 현재를 살펴보는 것입니다.


현재에 충실한 것이 곧 내가 꿈꾸는 미래를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내일을 염려하지 말고 오늘에 충실하면 됩니다.
스스로를 신뢰하고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하면 꿈꾸던 미래가 현실이 됩니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해 고전 분투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오늘날의 교육 환경 모두를 개선하는 것은 역부족이지만,
뜻을 모으고, 머리를 맞대고, 마음의 정성을 쏟아
오로지 공부만을 위한 공부가 아닌 편안한 마음으로 볼 수 있는 교재,
노력한 만큼 뿌듯한 결과를 안겨줄 수 있는 교재를
만들어 드리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습니다.

이 땅의 수험생 여러분께 진심으로 경의를 표합니다!!

수경출판사 올림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선사 문화와 여러 나라의 성장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청동기 시대의 모습: 반달 돌칼과 고인돌의 사진과 지문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내용을 통해 청동기 시대임을 파악하고 청동기 시대의 탐구 2018 1 청동기 시대의 모습
활동을 고르는 문제이다. 전형적인 수능 1번 문제 유형이라
2017 1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2016 0 - -
2015 1 옥저
2019 수능 예측 2014 1 청동기 시대의 사회 모습

1. 선사 시대는 수능에서 1번 문제로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 유적과


유물 사진이 주어지고, 해당 시기의 모습을 고르는 형태로 자주
출제된다. 따라서 교과서와 기존에 출제되었던 문제의 사진 자료
를 꼼꼼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

2. 여러 나라의 성장은 “삼국지” 위서 동이전이 지문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각 나라의 키워드를 기억해 두었다가 지문
에서 찾아내는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

새로운 유형

★ 출제개념
A02 2018(9월)/평가원 1
신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에 대해 묻고 있다.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2점)
★ 핵심은 이것
신석기 시대에는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어 식량을 채집하던 단

◯◯ 박물관
계에서 벗어나 식량을 생산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농경의
영상 자료실 시작으로 이동 생활 대신 움집을 짓고 정착 생활을 하게 되었
구석기 시대 (가) 시대 청동기 시대 다. 또 토기를 제작하여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조리하는 데 사
용하였다. 당시 만들어진 대표적인 토기가 빗살무늬 토기이다.

★ 문항 분석
제시된 자료가 동영상 형태를 표방하였다는 것이 흥미롭다.
텍스트를 통해서 신석기 시대임을 알 수 있었겠으나, 제시된
삽화를 통해서도 신석기 시대임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삽화에
정착 생활과 농경을 시작한 (가) 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는 움집과 빗살무늬 토기가 보이고, 가축을 기르는 모습과 농
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사를 짓는 모습도 보인다. 이 모든 것이 신석기 시대임을 나타
내고 있다.
① 비파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기존까지는 사진 자료가 출제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삽화 형
②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태로 제시된 것이 새롭다. 구석기 시대에는 뗀석기, 신석기 시
③ 명도전을 이용하여 교역하였다. 대에는 간석기를 사용하였다는 것은 기초적인 내용이므로 답
④ 철제 무기로 정복 활동을 벌였다. 을 고르는 것은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⑤ 갈돌과 갈판 등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A03, A04, A08
〔정답 및 해설 2p〕
선사 문화와 여러 나라의 성장 중요도

선사 문화의 전개

1 구석기 시대 ➊ 주먹도끼

시기 약 70만 년 전부터 한반도와 만주 지역에 구석기인이 살기 시작



•뗀석기 사용: 주먹도끼 , 찍개 등

도구 •구석기 시대 후기에 슴베찌르개 사용
•구석기에서 신석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잔석기 사용
사냥, 가죽 벗기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주거 동굴, 바위 그늘, 막집
➋ 슴베찌르개
경제 사냥, 채집, 고기잡이

사회 이동 생활, 경험이 많은 연장자가 무리의 지도자 역할 담당, 평등 사회

2 신석기 시대
슴베는 칼이나 낫 등의 자루 속에 박히는 부분이다.
시기 기원전 8000년경부터 시작
➌ 빗살무늬 토기
•간석기 사용: 농기구, 조리용 도구 등
도구 ➌
•토기 사용: 이른 민무늬 토기, 눌러찍기 무늬 토기, 빗살무늬 토기 등 → 음식물 저장, 조리

주거 움집에서 생활

•농경과 목축 시작(신석기 혁명), 여전히 고기잡이와 사냥으로 많은 식량을 얻음


경제 ➍
•가락바퀴 , 뼈바늘 → 옷, 그물 제작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 뾰족한 밑 또는 편
사회 정착 생활 시작(농경의 영향), 족외혼을 통해 부족 사회 형성, 평등 사회
평한 밑 모양을 하고 있다.
신앙 애니미즘(정령 숭배), 토테미즘(특정 동・식물 숭배), 샤머니즘(무당과 그 주술을 믿음) 출현
➍ 가락바퀴

3 청동기 시대
(1) 시기: 기원전 2000년경~기원전 1500년경에 시작

(2) 도구: 간석기(반달 돌칼 등의 농기구), 청동기(비파형 동검 , 거친무늬 거울 등), 토기(민
구멍에 막대를 꽂아 회전시켜 실을 뽑는 데 사용하
무늬 토기 등)
였다.
(3) 주거: 움집의 지상 가옥화, 나지막한 산이나 구릉 지대에 주거지 형성, 주거지 주위에 울
➎ 비파형 동검
타리와 도랑 설치, 정착 생활의 규모 확대
(4) 경제: 농경과 목축 발달, 저습지에서 벼농사 시작
(5) 사회: 사유 재산과 빈부 격차 발생, 계급 분화, 지배자인 군장(족장) 등장 → 정치와 제사
주관(제정일치), 청동 거울과 청동 방울 등으로 자신의 권위를 세움

(6) 무덤: 고인돌 (당시 지배층의 권력과 경제력 반영), 돌널무덤 등 중국의 요령 지방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7) 예술: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그림(사냥, 물고기잡이의 성공과 풍요 기원), 고령 장기리
바위그림(농사의 풍요 기원)

수능출제 0순위
4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비교
✽ 선사 시대를 잘 구분해 두자!
구분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선사 시대는 수능과 모의고사에서 1번 문
도구 빗살무늬 토기, 가락바퀴 비파형 동검, 반달 돌칼 제로 출제되고 있다. 특히 신석기 시대와 청
사회 평등 사회 계급 사회 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과 유적이 사진
으로 주어지고 해당 시기의 모습을 고르는
경제 농경과 목축 시작 벼농사 시작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따라서 각 시기별로
기타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출현 고인돌 제작 도구, 경제, 사회 등이 어떻게 다른지 기억
해 두자.

1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01

DAY
DAY
5 철기 시대 ➏ 고인돌
(1) 시기: 기원전 5세기경에 시작
(2) 도구: 청동기(독자적 문화 발달, 세형 동검 등), 철기(농기구, 무기 등)
(3) 경제: 철제 농기구 사용으로 농업 생산력 크게 향상
(4) 사회: 철제 무기 사용으로 정복 전쟁 활발 → 부족 사회 통합 촉진 → 만주와 한반도 일대
에서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등 여러 나라 성장 청동기 시대 지배층의 무덤이다. 당시 지배층이 가진
권력과 경제력을 짐작할 수 있다.
(5) 중국과의 교류 활발: 중국 화폐(명도전, 반량전, 오수전) 출토,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붓 출토(한자 사용)
➐ 고조선의 문화 범위
문화 범위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고인돌(탁자식) 분포 지역


비파형 동검 분포 지역

1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백두산

건국 단군왕검이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건국, “삼국유사”에 건국 이야기가 실려 있음 동해

•랴오닝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


➐ ➑ 황해
•문화 범위 : 비파형 동검, 미송리식 토기 , 탁자식 고인돌의 분포 범위를 통해 추정
성장
•기원전 4세기경: ‘왕’의 칭호 사용, 중국의 연과 대립
•기원전 3세기경: 부왕과 준왕 등 강력한 왕 등장, 왕위 세습, 상・대부・장군 등의 관직을 둠

•성립: 중국의 진・한 교체기에 위만이 고조선으로 이주 →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됨(기원전 194)
위만
•발전: 철기 문화 본격 수용, 활발한 정복 활동, 중국의 한(漢)과 남방의 진(辰) 사이에서 중계 무역 ➑ 미송리식 토기
조선
•멸망: 한 무제의 침공으로 멸망(기원전 108) → 한이 고조선 지역에 군현 설치

8조법 중 3개 조항만 전해짐(생명과 노동력 중시, 사유 재산 인정, 계급 사회, 화폐 사용) → 한 군현 설


사회
치 후 법 조항이 60여 조로 증가

2 여러 나라의 성장 ➒ 평안북도 의주군 미송리 동굴 유적에서 처음 발견되


어 미송리식 토기라고 한다. 청동기 시대의 토기로
(1) 부여
양 옆에 손잡이가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① 성장: 만주 쑹화 강 유역의 평야 지대에서 성장, 5세기 말 고구려에 병합됨
② 정치: 5부족 연맹(왕 아래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우가・구가・저가 존재 → 사출도 다스
➒ 여러 나라의 성장
림), 흉년이 들면 가들이 왕을 폐위하거나 죽이기도 함(왕권 미약)

③ 풍습: 순장, 1책 12법 , 영고(제천 행사), 형사취수제 , 소를 죽여 그 굽으로 길흉을 점침 부여
(2) 고구려 백두산

고구려
① 건국: 주몽이 졸본 지방에서 건국 → 국내성으로 천도

② 정치: 5부족 연맹, 왕 아래 상가와 고추가 등 존재, 제가 회의(국가의 중대사 처리) 옥저

③ 경제: 산악 지방에 위치 → 농토와 식량 부족 → 약탈 경제 동예 동해




④ 풍습: 서옥제, 형사취수제, 동맹(제천 행사) 황해
마한 진한
(3) 옥저와 동예
변한
① 위치: 함경도(옥저)와 강원도 동해안(동예)에 위치
② 정치: 변방에 치우쳐 있어 선진 문화의 수용 늦음, 고구려의 압박 → 연맹 왕국으로 성장하
지 못함, 왕이 없고 읍군・삼로 등의 군장이 자기 부족 다스림
③ 옥저: 고구려에 공납 바침, 민며느리제, 가족 공동 무덤 ➓ 1책 12법

④ 동예: 단궁・과하마・반어피 유명, 족외혼, 책화 , 무천(제천 행사) 도둑질을 한 경우 물건 값의 12배로 갚게 한 법이다.

(4) 삼한
① 성립: 고조선 유이민과 한반도 남부의 토착 세력 융합 → 마한, 변한, 진한의 연맹체 등장 형사취수제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맞는 풍습이다.
② 정치: 마한 목지국의 지배자가 마한 왕 또는 진왕으로 추대되어 삼한 전체 주도, 신지・읍
차 등의 군장이 부족 지배, 천군이 소도에서 제사 주관(제정 분리)
③ 경제: 벼농사 발달, 변한 지역에서 철 생산 활발 → 낙랑, 왜 등에 수출, 교역에서 화폐처럼 책화
동예는 각 부족 간의 경계를 중요시하여 서로 침범
사용
하지 않았는데, 만일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④ 풍습: 두레, 5월과 10월의 계절제(제천 행사) 소나 말, 노비로 변상해야 했다.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13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4]
1
CHECK UP TEST

선사 문화의 전개

01 다음 내용이 구석기 시대에 해당하면 ‘구’, 신석기 시대에 해당 03 다음 내용이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
하면 ‘신’,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면 ‘청’, 철기 시대에 해당하면 ① 신석기 시대에 불교를 받아들였다. (○, ×)
‘철’이라 쓰시오. ② 신석기 시대에 진대법이 시행되었다. (○, ×)
① 고인돌 모형 만들기 ( ) ③ 반달 돌칼은 실을 뽑는 작업에 사용되었다. (○, ×)
② 빗살무늬 토기 만들기 ( ) ④ 반달 돌칼은 강력한 지배자의 출현을 상징한다. (○, ×)
③ 토기가 처음 제작되었다. ( ) ⑤ 신석기 시대에 세형 동검과 거푸집이 제작되었다. (○, ×)
④ 농경 생활이 시작되었다. ( ) ⑥ 빗살무늬 토기는 고조선 관련 문화 범위를 알려준다. (○, ×)
⑤ 계급 사회가 성립되었다. ( ) ⑦ 구석기 시대에는 족장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만들었다. (○, ×)
⑥ 철제 농기구를 만들었어요. ( ) ⑧ 빗살무늬 토기는 대부분 강가나 바닷가에서 발견된다. (○, ×)
⑦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어요. ( ) ⑨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무리를 지어 이동 생활을 하였다.
⑧ 명도전을 이용하여 교역하였다. ( ) (○, ×)
⑨ 비파형 동검을 처음 제작하였다. ( ) ⑩ 신석기 시대에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옷을 만들어 입었다.
⑩ 주로 동굴과 바위 그늘에서 살았다. ( ) (○, ×)
⑪ 청동기 시대에는 대표적인 도구로 찍개, 주먹도끼 등을 사용하
였다. (○, ×)
⑫ 신석기 시대에는 정치 권력을 가진 군장이 출현하였다.(○, ×)
02 다음 유물과 유적이 제작된 시기를 쓰시오.
① ②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 ) ( )
③ ④ 04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나라의 이름을 쓰시오.
①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 ( )
②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거행하였다. ( )
③ 제사장이 다스리는 소도가 존재하였다. ( )
( ) ( )
④ 영고를 개최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 )
⑤ ⑥
⑤ 소금과 어물을 고구려에 공물로 바쳤다. ( )
⑥ 제가 회의를 통해 중대한 범죄자를 처벌하였다. ( )
⑦ 서옥제의 혼인 풍습이 있었다. ( )
( ) ( )

Re a l 정답

01 ① 청(청동기 시대에 계급이 발생하고 고인돌이 제작됨), ② 신(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시대의 설명), ④ ×(반달 돌칼과 관련 없는 내용), ⑤ ×(초기 철기 시대), ⑥ ×(고조선 관련 문화 범위
대표적인 토기), ③ 신(신석기 시대에 이른 민무늬 토기 등의 토기가 처음 제작됨), ④ 신(신석기 를 알려주는 것은 미송리식 토기, 비파형 동검, 고인돌), ⑦ ×(청동기 시대), ⑧ ○(빗살무늬 토기
시대에 농경과 목축이 시작), ⑤ 청(청동기 시대에 사유 재산과 계급이 출현), ⑥ 철(철기 시대에 는 밑이 뾰족해 강가나 바닷가에 고정해서 사용), ⑨ ○(구석기 시대는 이동 생활, 신석기 시대부
철제 농기구, 철제 무기 등이 제작), ⑦ 신(신석기 시대에 농경과 목축이 시작), ⑧ 철(철기 시대에 터 정착 생활), ⑩ ○(신석기 시대에는 가락바퀴와 뼈바늘 사용), ⑪ ×(찍개, 주먹도끼는 구석기
발견되는 명도전을 통해 중국과의 교역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음), ⑨ 청(청동기 시대에 청동으로 시대의 도구), ⑫ × (군장의 출현은 청동기 시대)
비파형 동검과 같은 무기를 제작), ⑩ 구(구석기 시대에는 동굴, 바위 그늘, 막집 등에서 거주) 04 ① 삼한 or 변한(삼한 중 특히 변한은 철이 많이 생산되어 철 수출 활발), ② 동예(무천은 동예의
02 ① 신석기 시대(빗살무늬 토기), ② 구석기 시대(주먹도끼), ③ 청동기 시대(비파형 동검), ④ 청동 제천 행사), ③ 삼한(삼한에는 천군과 천군이 다스리는 소도 존재), ④ 부여(영고는 수렵 사회의
기 시대(미송리식 토기), ⑤ 신석기 시대(가락바퀴), ⑥ 청동기 시대(고인돌) 전통을 이어받은 부여의 제천 행사), ⑤ 옥저(옥저는 일찍이 고구려에 복속되어 소금, 어물을 바
03 ① ×(불교는 삼국 시대에 수용됨), ② ×(진대법은 삼국 시대의 고구려), ③ ×(가락바퀴에 대한 침), ⑥ 고구려(제가 회의는 고구려의 귀족 회의), ⑦ 고구려(서옥제는 고구려의 혼인 풍습)

1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A03 01

DAY
DAY
2018(6월)/평가원 1
선사 문화의 전개
밑줄 친 ‘이 시대’와 관련된 체험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이 시대에는 정착 생활이 이루어지면서 강


A01 2018/수능 1
◯◯◯ 시대
가나 바닷가 등지에 움집이 만들어졌어요.
그리고 농경도 시작되었답니다. 당시 생활
(가) 시대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생활 체험관 을 함께 체험해 볼까요?

수행 평가 보고서
•주제: (가) 시대의 사회 변화
•조사 내용: 농경이 발전하면서 반달 돌칼과 같은 수확 도구가 사용되고,
식량 생산이 늘어났다. 이와 함께 빈부의 격차가 나타나고 계급이 발생하
였으며, 거대한 고인돌이 축조되었다.
•대표적인 유물・유적

① 고인돌 모형 쌓기
② 금관 모형 제작하기
③ 빗살무늬 토기 만들기
④ 철갑옷 복제품 입어 보기
⑤ 세형동검과 거푸집 짝 맞추기
반달 돌칼 고인돌

① 주먹도끼의 용도를 알아본다.


② 철제 갑옷의 제작 기법을 살펴본다.
③ 금관이 출토된 고분에 대해 조사한다.
④ 비파형 동검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한다.
⑤ 빗살무늬 토기의 지역별 특색을 비교한다.

A02 2018(9월)/평가원 1 A04 고3 2017(4월)/교육청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 시대 체험 교실’ 수강생 모집


◯◯ 박물관
영상 자료실 농경이 시작되었던 ◯◯◯ 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습니다.
구석기 시대 (가) 시대 청동기 시대

•운영 기간: 2017년 4월 △△일~△△일


•체험 장소: 서울 암사동 유적
•프로그램 내용
1회 - 갈돌과 갈판으로 곡식 갈기
2회 -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 뽑기
3회 - (가)

정착 생활과 농경을 시작한 (가) 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① 철제 농기구로 밭 갈기
② 빗살무늬 토기 제작하기
① 비파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③ 대동여지도 따라 그리기
②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④ 거중기로 무거운 돌 들어 올리기
③ 명도전을 이용하여 교역하였다. ⑤ 세형 동검 주조용 거푸집 만들기
④ 철제 무기로 정복 활동을 벌였다.
⑤ 갈돌과 갈판 등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 정답 및 해설 02 ~ 03p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15


A05 고2 2017(3월)/교육청 1 A07 2017(9월)/평가원 1

(가)에 들어갈 사진 자료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다음 문화유산으로 대표되는 시대의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청동기 시대의 사회

•특징 •대표 유물
- 사유 재산과 계급 발생
- 군장 출현 (가)
- 정복 전쟁 확대
① 계급 사회가 성립되었다.
① ② ③ ② 농경 생활이 시작되었다.
③ 토기가 처음 제작되었다.
④ 주로 동굴과 바위 그늘에서 살았다.
⑤ 대부분 무리를 지어 이동 생활을 하였다.

④ ⑤

A06 2017/수능 1 A08 2017(6월)/평가원 1

다음 보고서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수행 평가 보고서
이것은 움집을 짓고 정착 생활을 했던
◯학년 ◯◯반 ◯◯◯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이 시대의 사회 모습은 어떠했을까요?
■조사 내용
- 주거: 동굴,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에서 생활
- 도구: 주먹도끼, 찌르개, 찍개 등의 뗀석기를 제작하여 사용

■사진 자료

① 농경을 시작했어요.

복원된 막집 주먹도끼
② 불교를 받아들였어요.
③ 골품제가 운영되었어요.
④ 진대법이 시행되었어요.
① 신석기 시대의 신앙 생활 ② 청동기 시대의 농경 문화
⑤ 철제 농기구를 만들었어요.
③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 ④ 삼국의 경제와 대외 무역
⑤ 철기 문화의 수용과 교류

16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A09 01

DAY
고3 2016(10월)/교육청 1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밑줄 친 ‘이 시대’의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은? (2점)

전시 기획안 A11 고3 2016(4월)/교육청 2

■주제: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기획 의도: 이 시대 한반도에 살았던 인류가 남긴 주
청동기 시대에 삼국유사 등의
먹도끼, 찍개 등의 유물을 전시하여 당시의 등장한 우리 역사상 최초의 역사책에는 단군왕검이 건국
생활 모습을 추론해 볼 수 있도록 한다. 국가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가)
■기간: 2016. 10. 1.~2016. 10. 31.
■대표 전시 유물

경기 연천 전곡리 출토 충남 공주 석장리 출토

①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어.


①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② 골품제라는 엄격한 신분 제도를 운영하였어.
②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였다. ③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8조의 법이 있었어.
③ 토기에 음식물을 저장하였다. ④ 제가 회의에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였어.
④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⑤ 천군이 관장하는 소도라는 신성 지역이 있었어.
⑤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A10 고3 2016(3월)/교육청 1
A12 2017(9월)/평가원 2

(가)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가) 에서는 말이나 소와 같은


(가)
(가) 시대의 도구 당시 사람들은 정착 생활을 하면서 움
가축 이름이 붙은 마가, 우가, 저가, 구
집을 짓고 살았습니다. 그리고 이와 같 백두산
고구려
가 등이 사출도를 다스렸습니다. 이
은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습니다.
옥저 나라에 대해 설명해 볼까요?

동예 동해

황해 마한 진한
변한

① 태학을 두었습니다.
① 농경이 시작되었다.
② 팔관회를 개최하였습니다.
② 고인돌이 제작되었다.
③ 해동성국이라 불렸습니다.
③ 서옥제의 혼인 풍습이 있었다.
④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습니다.
④ 명도전을 이용한 교역이 행해졌다.
⑤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하였습니다.
⑤ 천군이 소도에서 제사를 주관하였다.

❖ 정답 및 해설 04 ~ 07p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17


동아리 소개 RU:SH
이화여대, 연세대, 서강대 연합 동아리

함께 달려서 즐겁다! 젊음을 달리는 RU:SH

‘함께 이끄는’, ‘젊음을 달리는’이라는 두 개의 모토로 운영되는 RU:SH는

이화여대, 연세대, 서강대로 구성된 신촌 대학 연합 러닝크루이다.

RU:SH는 러닝이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잡음에 따라 대학생들도

러닝 문화를 같이 즐기자는 취지하에 설립되었다.

여의도, 반포, 남산 등 다양한 장소에서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달리다보면

그동안 쌓였던 스트레스가 풀리는 상쾌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기분에 한 번 빠져들게 되면 두 번 다시 헤어나오기 어렵다고!

무조건 잘 달리는 사람들만 모인 동아리는 아니다.

동아리 사람들과 서로 응원하면서 달리다보면

자연스럽게 러닝을 즐기게 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러닝을 즐기는 자에게 실력 향상은 당연한 사실!

대학 생활을 좀 더 건강하고 즐겁게 보내고 싶다면,

그리고 그런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면 RU:SH가 그 답이 될 것이다.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 ~
경제・사회・문화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고구려의 발전: 고구려의 대외 관계와 발전에 관한 문제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이다. 선택지가 어떤 나라인지 명확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고구려의 발전
난이도는 높지 않았다. 2018 2
원효의 활동
•원효의 활동: 모의고사에 잘 나오지 않던 고대 승려 문제
나・당 전쟁
가 출제되었다. 제시된 사료는 수능특강에 실려 있다.
2017 3 발해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2019 수능 예측
백제 건국 세력과 고구려의 연
1. 삼국 통일과 관련된 문제가 수능 및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여러 2016 2 관성
번 출제되었다. 특히 삼국 통일의 과정(순서)을 잘 기억해 두어야 진흥왕의 업적
한다. 2015 1 법흥왕의 업적
2. 신문왕의 업적은 중요한데 최근 출제되지 않았다. 따라서 한 번 2014 1 진흥왕의 업적
쯤 출제될 가능성이 있다. 신문왕의 업적은 왕권 강화와 연결됨
을 명심해 두자.

3. 서역, 중국, 일본 등과의 문화 교류에 관한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대표 유형

★ 출제개념
B21 2017/수능 4
주어진 자료를 통해 삼국과 가야 문화가 일본에 전파된 사실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을 묻고 있다.

특별 전시 계획서 ★ 핵심은 이것
삼국과 가야의 문화는 일본의 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
1. 주제: (가)
다. 그것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유물이 자료에 나와 있는 금
2. 내용
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삼국 시대)과 고류 사 목조 미륵보살
- 담징이 종이와 먹을 제조했던 사실을 기록한 서적을 전시한다.
- 불상의 형태, 토기의 모양, 벽화에 그려진 인물 옷차림의 유사함이
반가 사유상(일본)이며, 고구려의 수산리 고분 벽화와 일본 다
드러나는 자료들을 비교・전시한다. 카마쓰 고분 벽화의 유사성을 통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
3. 자료 예시
★ 문항 분석
평가원에서 제시한 수능 한국사의 10가지 유형 중 7번째 유형
에 해당한다. 고대 문화의 교류 부분에서는 탐구 활동을 수행
하거나(6번째 유형), 핵심 내용을 고르는 유형(7번째 유형)이
많이 출제된다. 그리고 제시된 사진은 모두 수능특강에 있는
것이며, ‘담징’과 같은 키워드도 나와 있기 때문에 무난히 답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고류 사 목조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을 고를 수 있었을 것이다.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B19
① 발해와 당 사이의 외교
〔정답 및 해설 18p〕
② 통일 신라와 서역의 교류
③ 고려에서 유행한 몽골의 풍속
④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⑤ 조선의 여진에 대한 교린 정책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 ~ 경제・사회・문화 중요도

삼국의 성립과 발전

1 고대 국가의 특징: 왕위 세습권 확립, 불교 수용, 율령 반포, 중앙 관제와 지방 제도 정비 ➊ 4~5세기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수능출제 0순위 광개토 대왕릉비와 호우명 그릇을 통해 4 ~5세기
2 삼국의 형성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알 수 있다.

•태조왕: 옥저 정복,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확립 백제의 전성기(4세기)


고구려
•고국천왕: 왕위 부자 상속 확립, 진대법 실시 / 미천왕: 낙랑군 축출 부여

•성립: 부여와 고구려에서 내려온 유이민 + 한강 유역 토착 세력 백두산

백제


졸본


요서 지방 국내성


•고이왕: 율령 반포, 관등과 공복 제정, 한강 유역 장악


고구려

평양
신라 •내물왕: 김씨 왕위 세습권 확립, 왕호 ‘마립간’ 사용,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도움으로 왜 격퇴 고구려 공격 동해

한성
전진
전기 가야 •3세기경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전기 가야 연맹 형성 백제
신라 금성
황해 마한 병합 가야 김해
연맹 •경제: 농경 발달, 질 좋은 철 생산 → 화폐처럼 사용, 낙랑・왜 등에 수출 동진

탐라 규슈
백제의 진출 방향

3 삼국의 발전
교류 관계

고구려의 전성기(5세기)
•소수림왕: 불교 수용, 율령 반포, 태학 설립 → 중앙 집권 체제 강화
➊ 부여
고구려 •광개토 대왕: 만주 지역 차지, 신라 구원 , 백제 공격(한강 이북 차지) 숙신

•장수왕: 중국 남조 및 북조와 교류, 남진 정책 추진(평양 천도, 백제의 한성 함락) 거란


동부여
후연 백두산
•근초고왕: 마한 정복, 고구려 공격(고국원왕 전사), 중국의 동진・왜의 규슈와 교류, 불교 수용(침류왕) 광개토 대왕릉비
국내성
백제 •무령왕: 22담로에 왕족 파견 → 지방 통제 강화, 무령왕릉(중국 남조의 영향) 고구려

•성왕: 사비 천도, 국호 ‘남부여’, 한강 유역 일부 수복 → 신라의 배신으로 상실, 관산성 전투(전사) 평양


동해
동예

•지증왕: 국호 ‘신라’, 왕호 ‘왕’, 우경 장려, 우산국 복속 황해 충주 고구려비

신라 •법흥왕: 불교 공인(이차돈 순교), 병부 설치, 상대등 설치, 금관가야 병합, 연호 ‘건원’ 장수왕 말기의 신라
남쪽 경계 웅진 대가야 금성
•진흥왕: 화랑도 개편, 한강 유역 장악, 함경도 진출, 대가야 정복 → 4개의 순수비, 단양 적성비 건립 백제
가야 금관가야
전성기 고구려 영토
후기 가야 •고구려 침입 → 금관가야 쇠퇴 → 대가야 중심의 후기 가야 연맹 형성 고구려의 진출 방향
천도
탐라

연맹 •해체: 금관가야가 신라 법흥왕, 대가야가 신라 진흥왕에 의해 멸망

수능출제 0순위
4 신라의 삼국 통일
(1) 고구려와 수의 전쟁: 수 양제의 침입 →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격파(살수대첩) ✽ 삼국 통일 과정을 시기순으로 기억해 두자!
(2) 고구려와 당의 전쟁: 당 태종의 침입 → 안시성 싸움에서 격퇴 최근 삼국 통일과 관련된 문제가 많이 출
제되고 있는데 각 사건의 순서를 묻는 유형
(3) 신라의 삼국 통일: 나・당 동맹 체결 → 백제 멸망(부흥 운동: 복신, 흑치상지 등) → 고구 으로 출제될 수 있다. 나・당 연합군이 상대
려 멸망(부흥 운동: 안승, 검모잠 등) → 나・당 전쟁(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 삼국 통일 적으로 약한 백제를 먼저 무너뜨리고, 고구
려를 멸망시켰다고 기억해 두자.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신라의 전성기(6세기)


신라의 진출 방향

1 통일 신라의 발전
진흥왕 순수비
고구려 백두산

국내성
(1) 신문왕: 김흠돌의 난 진압, 국학 설립, 관료전 지급・녹읍 폐지(귀족의 경제적 기반 약화) 황초령비
마운령비
서안평 진흥왕 때 진출하였다가

(2) 통치 조직 정비 평양 비열홀
상실한 영토
진흥왕 때의 영토

신라 지증왕 때
➋ 우산국 복속(512)
중앙과 지방 중앙: 집사부(장관: 중시)의 권한 강화, 지방: 9주 5소경으로 정비, 상수리 제도 실시 북한산비
하슬라
실직
황해 당항성 우산
단양 적성비
웅진 국원경(충주) 동 해
군사 조직 9서당(중앙군), 10정(지방군) 백제 성왕 전사(554)
사비
관산성(옥천)
대가야 금성
창녕비
백제 금관

2 통일 신라의 쇠퇴 탐라 왜

(1) 중앙: 왕위 쟁탈전 전개, 왕권 약화・상대등 권한 강화, 지방 통제력 상실


➋ 상수리 제도
(2) 지방: 농민 봉기 발생(원종・애노의 난 등), 호족 세력 성장 → 6두품 세력과 연계
지방 향리를 일정 기간 수도에 거주하게 한 제도이다.
(3) 사상: 선종 불교와 풍수지리설 유행 → 중앙 정부의 권위 약화 중앙 정부는 이를 통해 지방 세력을 통제하였다.

20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3 발해의 성립과 발전 02

DAY
➌ 발해의 3성 6부 조직
(1) 건국: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을 이끌고 동모산에서 건국(698)
(2) 발전
무왕 당의 산둥 지방 공격(장문휴), 요서 지방에서 당과 격돌

문왕 당과 친선 관계 수립 → 선진 문물 수용

선왕 대부분의 말갈 복속, 요동 진출 → 해동성국이라 불림

(3) 통치 체제

중앙 통치 조직 당의 3성 6부 제도 수용 → 명칭과 운영 방식은 독자적

지방 행정 조직 5경 15부 62주, 지방관 파견, 말단 촌락은 수령이 자치


➍ 골품 제도
(4) 고구려 계승: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고려국왕이라 칭함, 모줄임천장, 온돌, 기와와 치미 등 신라는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의 상한선이 정해지고
가옥의 규모, 수레의 크기 등이 제한되었다.
고대 국가의 경제・사회와 문화
➎ 고구려의 사신도 중 현무도

1 삼국의 경제와 사회
경제 6세기 초 신라가 동시 설치

사회 신라의 화백 회의(만장일치제), 화랑도, 골품제

2 남북국의 경제와 사회
경제 통일 신라는 성덕왕 때 정전 지급, 민정 문서 작성(세금 징수 목적), 장보고의 활약
사신도는 도교의 방위신인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사회 발해: 지배층의 다수가 고구려계, 피지배층의 다수가 말갈계 그린 그림이다. 이 중 현무는 북쪽의 방위신이다.

➏ 백제 금동 대향로
3 고대 국가의 문화
(1) 불교
수능출제 0순위
① 삼국의 불교 문화재: 고구려(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등), 백제(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등), 신라(황룡사 9층 목탑,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 등)
② 불교 사상의 발달

원효 일심 사상・화쟁 사상 주장, 아미타 신앙 전파(불교 대중화에 기여)

의상 화엄 사상 정립, 관음 신앙 전파, 부석사 등 건립

선종 통일 신라 말 호족의 후원으로 성행 → 9산 선문 성립
도교와 불교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➎ ➏
(2) 도교 문화재: 고구려의 사신도 , 백제의 산수무늬 벽돌과 금동 대향로 ➐ 아프라시아브 궁전 벽화
(3) 유학과 역사서
고구려 교육: 태학과 경당, 역사서: “유기”와 “신집”

백제 교육: 오경박사(유교 경전 교육), 역사서: “서기”

신라 “국사” 편찬(진흥왕), 국학 설치(신문왕), 독서삼품과 실시(원성왕)

(4) 고분과 과학 기술의 발달


삼국 시대 돌무지 무덤 → 굴식 돌방무덤(백제, 고구려) / 돌무지덧널무덤 → 굴식 돌방무덤(신라) 오른쪽에 조우관을 쓰고 환두대도를 차고 있는 두
사람이 고구려 사신으로 보인다.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 무구정광대다라니경(현재 전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

수능출제 0순위
(5) 고대 문화의 교류
✽ 다른 나라와의 문화 교류는 출제 0순위!
① 일본으로의 문화 전파: 담징과 혜자(고구려), 아직기와 왕인, 노리사치계(백제), 조선술과
다른 나라와의 교류에 관한 문제가 많이
축제술(신라) → 일본 아스카 문화 성립과 발전에 기여 출제된다. 관련 유물, 유적의 사진을 꼭 익

② 서역과의 문화 교류: 아프라시아브 궁전 벽화 (고구려), 서역 유리그릇(신라) 혀두어야 한다.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21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4]
1
CHECK UP TEST

삼국의 성립과 발전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01 삼국 중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나라의 이름을 쓰시오. 03 다음 내용이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


① 마한을 정복하였다. ( ) ① 발해는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 ×)
② 삼국을 통일하였다. ( ) ② 발해는 해동성국이라 불렸다. (○, ×)
③ 금관가야를 병합하였다. ( ) ③ 발해는 평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 ×)
④ 웅진 천도를 단행했어요. ( ) ④ 통일 신라는 개경에 나성을 쌓았다. (○, ×)
⑤ 요동 지역을 차지했어요. ( ) ⑤ 발해는 공신들에게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 ×)
⑥ 우산국을 정복하였습니다. ( ) ⑥ 고구려 유민이 발해의 건국에 참여하였다. (○, ×)
⑦ 당과 군사 동맹을 맺었다. ( ) ⑦ 통일 신라의 6두품은 빈공과에 합격하기도 하였다. (○, ×)
⑧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 ) ⑧ 통일 신라는 남원소경을 설치하여 5소경을 갖추었다. (○, ×)
⑨ 광개토 대왕릉비를 건립하였다. ( ) ⑨ 신문왕은 9주 5소경 체제로 지방 제도를 정비하였다. (○, ×)
⑩ 황초령과 마운령에 순수비를 세웠다. ( ) ⑩ 통일 신라는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영토를 되찾았다. (○, ×)
⑪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를 격퇴하였다. ( ) ⑪ 통일 신라는 북진 정책을 추진하여 청천강까지 영토를 넓혔다.
⑫ 사비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고쳤다. ( ) (○, ×)
⑬ 왕의 칭호를 마립간에서 왕으로 바꾸었다. ( ) ⑪ 통일 신라는 북진 정책을 추진하여 청천강까지 영토를 넓혔다.
⑭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정비하였다. ( ) (○, ×)
⑮ 수의 침략을 받았다. ( ) ⑫ 통일 신라는 유학 교육을 위해 국학을 설립하였다. (○, ×)
⑯ 진대법이 실시되었다. ( )

고대 국가의 경제・사회와 문화

04 빈 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2 고구려에 대한 <보기>의 내용을 시기가 빠른 것부터 나열하시오.
① 신라는 황룡사에 ( )을/를 건립하였다.
[보기]
② 신라의 승려 ( )은/는 불교 대중화에 힘썼다.
ㄱ. 태학을 두었다.
③ 장보고는 지금의 완도에 ( )을/를 설치하였다.
ㄴ. 낙랑을 축출하였다.
④ 발해는 ( )을/를 통해 통일 신라와 교류하였다.
ㄷ. 수도를 평양으로 옮겼다.
⑤( )은/는 통일 신라 때 만들어진 인쇄물입니다.
ㄹ. 한강 유역을 확보하였다.
⑥ 신라의 귀족은 ( )에 참여하여 국가 중대사를 논의하였다.
ㅁ. 신라를 도와 왜병을 격퇴하였다.
⑦ 통일 신라의 원성왕은 관리 선발 제도인 ( )을/를 마
ㅂ. 태조왕이 옥저를 복속시켰다.
련하였다.
⑧ 통일 신라의 신문왕은 관리들에게 ( )을/를 지급하고 녹
읍을 폐지하였다.

Re a l 정답

01 ① 백제(근초고왕 때), ② 신라(문무왕 때), ③ 신라(법흥왕 때), ④ 백제(문주왕 때), ⑤ 고구려(광 대표적), ⑧, ⑨ ○(통일 신라의 신문왕은 전국을 9주 5소경으로 정비), ⑩ ×(고려), ⑪ ×(고려),
개토 대왕 등), ⑥ 신라(지증왕 때), ⑦ 신라(진덕여왕 때), ⑧ 백제(무령왕 때), ⑨ 고구려(장수왕 ⑫○(통일 신라 신문왕이 국학 설치)
때), ⑩ 신라(진흥왕 때), ⑪ 신라(내물왕 때), ⑫ 백제(성왕 때), ⑬ 신라(지증왕 때), ⑭ 신라(진흥 04 ① 9층 목탑(선덕여왕 때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② 원효(원효는 아미타 신앙을 전파하며 불교
왕 때), ⑮ 고구려(수의 침략을 살수에서 격퇴), ⑯ 고구려(고국천왕이 처음 실시) 대중화에 기여), ③ 청해진(장보고가 청해진 설치해 해적 소탕), ④ 신라도(신라도를 통해 발해와
02 ㅂ - ㄴ - ㄱ - ㅁ - ㄷ - ㄹ(ㅂ. 태조왕은 1~2세기, ㄴ. 4세기 초반 미천왕, ㄱ. 4세기 후반 소수 통일 신라 교류), ⑤ 무구정광대다라니경(석가탑에서 발견된 통일 신라 때의 목판 인쇄물), ⑥ 화
림왕, ㅁ. 4세기 말 광개토 대왕, ㄷ. 5세기 전반 장수왕, ㄹ. 5세기 후반 장수왕) 백 회의(화백 회의에 진골 귀족이 참여해 국가 중대사 결정), ⑦ 독서삼품과(국학의 졸업생을 대
03 ① ×(통일 신라의 장보고가 설치), ② ○(발해는 선왕 때 해동성국이라 불림), ③ ×(고구려), ④ 상으로 실시), ⑧ 관료전(관리들에게 수조권 수취만 가능한 관료전 지급), ⑫ ○(통일 신라 신문왕
×(고려), ⑤ ×(고려), ⑥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 말갈족을 이끌고 발해 건국), ⑦ ○(최치원이 이 국학 설치)

2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삼국의 성립과 발전 B03 고3 2017(4월)/교육청 9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02

DAY
고구려의 ◯◯왕은 맞아. 그 왕은 남진
B01 2018/수능 2 수도를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겼어.
정책을 추진하면서
(가)
밑줄 친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웅장하고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이 성은 삼국 시


대에 중국 세력의 침략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백암성입
니다. 이 성을 쌓은 나라는 수와 당의 여러 차례에 걸
친 침공을 물리침으로써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습니다.

① 우산국을 정복했어.
② 훈련도감을 설치했어.
③ 백제의 한성을 점령했어.
④ 연통제와 교통국을 조직했어.
⑤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웠어.

① 당의 3성 6부제를 수용하였다.
② 웅진, 사비로 거듭 천도하였다.
③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거행하였다.
④ 왕의 칭호로 마립간 등을 사용하였다.
⑤ 낙랑군을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

B02 고3 2017(7월)/교육청 3 B04 고3 2017(3월)/교육청 3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3점)

백제의 성장과 쇠퇴 과정 한국사 수행 평가


평양성 공격 •과제 : 한강 유역의 유적・유물을 통해 삼국의 역사 알아보기
(가) •모둠별 탐구 주제

유적・유물 탐구 주제
1모둠 고구려의 아차산 보루 장수왕의 남진 정책과 한성 점령
2모둠 백제의 석촌동 고분군 백제의 건국과 고구려 이주민 세력
3모둠 신라의 북한산 순수비 (가)

백제 건국 개로왕 전사
백제 멸망 ① 진흥왕의 정복 활동
② 이종무의 대마도 토벌
① 사비 천도
③ 윤관의 동북 9성 축조
② 과거제 도입
④ 광개토 대왕의 왜 격퇴
③ 별무반 조직
⑤ 나・당 연합군의 백제 공격
④ 경국대전 완성
⑤ 홍경래의 난 진압

❖ 정답 및 해설 08 ~ 09p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23


B05 2017/수능 2 B07 2017(6월)/평가원 2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신라의 성장과 발전 과정
자료로 정리한 삼국 통일 과정

김씨의 왕위 세습 확립
과정 문헌 자료
진덕여왕이 김춘추를 당에 보내어 군대를 보내 줄
나・당 동맹 백제와의 동맹 성립
것을 요청하니 당 태종이 이를 허락하였다.
나・당 연합군이 사비성을 함락하자, 피신하였던 의
백제 멸망
자왕이 항복하였다. 율령 반포

신라군이 당군과 합세하여 평양성을 에워싸니, 보장


고구려 멸망
왕이 항복하였다.
(가)
사찬 시득이 거느린 수군이 기벌포에서 설인귀가 이
(가)
끄는 군대와 싸워 이겼다.

삼국 통일

① 옥저 정복
② 마한 정복 ① 별무반 조직 ② 4군 6진 개척
③ 나・당 전쟁 ③ 삼별초의 항쟁 ④ 한강 유역 차지
④ 우산국 정벌 ⑤ 노비안검법 시행
⑤ 고조선 멸망

B06 2017(9월)/평가원 3 B08 2017(6월)/평가원 7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다음 문화유산이 있는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연개소문이 죽자 맏아들 남생이 뒤를 이어 국정을 맡았으나


그 아우들의 공격을 받아 당으로 달아났다. 석장리
유적
•당의 장수 이적이 신라의 날쌘 기병 5백 명을 뽑아서 평양성 공산성
무령왕릉
을 공격하였다.
•수림성 사람 검모잠이 백성들과 함께 안승을 왕으로 추대하
였다.

우금치
① 거란의 침입과 격퇴 전적비

②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③ 무신 정권의 대몽 항쟁
① 궁예가 후고구려를 세운 곳이다.
④ 병자호란의 발발과 항전
②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곳이다.
⑤ 고구려의 멸망과 부흥 운동
③ 안용복이 조선의 영토로 확인받은 곳이다.
④ 백제가 한성을 함락당한 후 천도한 곳이다.
⑤ 위만 조선의 군대가 한나라 군대와 싸운 곳이다.

2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B11 2017/수능 3

밑줄 친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02

DAY
•이 나라는 영주(營州)에서 동으로 2천 리 밖에 위치하며, 남
B09 2018(9월)/평가원 3
쪽은 신라와 맞닿았다. 동쪽은 바다에 닿고 서쪽은 거란과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접하였다.
•이 나라의 왕들이 학생들을 자주 파견하여 고금의 제도를 배
초 대 장 우고 익히게 하더니, 드디어 해동성국이 되었다.
우리 학교 역사 동아리에서는 대조영이 세운 국가인 ◯ - “신당서” -
◯의 대외 관계를 주제로 발표회를 개최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①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
② 고구려 유민이 건국에 참여하였다.
•발표 내용
③ 영고를 개최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 소주제 1: 수도 상경성 유적과 당 문물의 수용
④ 북진 정책을 추진하여 청천강까지 영토를 넓혔다.
- 소주제 2: 일본에 보낸 외교 문서와 고구려 계승 의식
⑤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고 한강 유역을 확보하였다.
- 소주제 3: (가)

•일자: 2017년 △△월 △△일


•장소: 고등학교 강당

① 삼별초와 대몽 항쟁
② 광해군과 중립 외교 정책
③ 벽란도와 국제 무역의 번성
④ 병자호란과 북벌 운동의 추진
⑤ 신라도와 통일 신라와의 교류

B10 고3 2017(4월)/교육청 2 B12 고1 2016(6월)/교육청 8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다음 정책을 추진한 공통된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지도는 당군을 몰아내고 통일을 이


대동강 ~원산만을 룬 이 나라의 영역을 나타낸 것입 •삼국의 옛 땅에 각각 3개씩 9주를 설치
경계로 통일 이룩
니다. 이 나라는 통일 후 확대된 영 •중앙군인 9서당에 고구려, 백제, 말갈인을 포함
토를 통치하기 위해 어떤 정책을
•고구려와 백제 옛 지배층에게 신라 관직을 수여
마련하였을까요?
매소성
전투
① 영토 확장
② 민족 융합
기벌포 금성
전투 ③ 유학 진흥
④ 국가 재정 확보
⑤ 왕위 계승권 확립

① 과거제를 도입했습니다.
② 백두산정계비를 세웠습니다.
③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을 두었습니다.
④ 전국을 9주 5소경 체제로 정비했습니다.
⑤ 모든 군과 현에 지방관을 파견했습니다.

❖ 정답 및 해설 10 ~ 13p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25


B13 고3 2016(3월)/교육청 3 B15 고3 2017(10월)/교육청 4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에 들어갈 문화유산으로 적절한 것은? (3점)

삼국 시대 문화유산 특별전
지식 Q&A 이 전시물들은 (가) 등과 함께 삼국 시대에
도교가 유행하였음을 보여 주는 유물들입니다.

질문 (가) 의 대외 관계를 알려주세요.

↳ 답변
↳ 무왕 때 장문휴는 수군을 거느리고 당의 산둥 반도를 공격
하였어요.
↳ 문왕 때 당과 친선 관계를 맺고 당의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
금동 대향로 산수무늬 벽돌
였어요.
↳ 선왕 때 가장 넓은 영역을 지배하였으며, 이후 당으로부터
① 측우기 ② 직지심체요절
해동성국이라 불렸어요.
③ 팔만대장경판 ④ 강서대묘 현무도
⑤ 석굴암 본존불상

①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② 22담로를 설치하였다.
③ 민정 문서를 작성하였다.
④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⑤ 골품에 따라 일상생활에 제한이 있었다.

고대 국가의 경제・사회와 문화 B16 2018(9월)/평가원 2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역사 문화
B14 2018/수능 3
유적 탐방
(가) 의 수도를 따라 떠나는 시간 여행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그는 계율을 어기고 설총을 낳은 후에 속인의 옷을 입고


무덤
석촌동 돌무지
서 스스로 소성거사라고 하였다. 큰 박 모양으로 도구를 만들
동해
어 화엄경의 문구를 따서 무애라고 부르고, 노래를 지어 세상
무령왕릉
한성(서울)
에 퍼뜨렸다. 이것을 가지고 곳곳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교화하
황해 웅진(공주)
니, 가난하고 무지한 사람들까지 모두 부처를 알게 되고 나무 사비(부여)
아미타불을 외우게 되었다.
수도
정림사지 수도 이동
① 중국으로부터 풍수지리설을 받아들였다. 오층 석탑

② 교관겸수를 제창하고 국청사를 창건하였다.


③ 당에 유학하고 돌아와 화엄종을 개창하였다. ① 삼국을 통일하였다.
④ 화쟁을 주장하고 아미타 신앙을 전파하였다. ② 마한을 정복하였다.
⑤ 백련사를 결성하고 참회와 염불을 강조하였다. ③ 과거 제도를 시행하였다.
④ 광개토 대왕릉비를 건립하였다.
⑤ 교육 기관으로 성균관을 두었다.

26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B17 고3 2017(7월)/교육청 4 B19 고3 2017(4월)/교육청 7

다음 문화유산을 남긴 고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02

DAY
탐구 활동 계획서
•주제 : (가)
•탐구 방법: 모둠별로 제시된 회화, 공예, 불교 등의 자료를
황남대총 분석하여 관련성을 조사함.
•모둠별 탐구 자료
1모둠 2모둠 3모둠
첨성대

천마총

① 금관가야와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② 마가, 우가 등이 사출도를 다스렸다.
▲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
③ 서희의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확보하였다. ▲ 수산리 고분 벽화 ▲ 김해 출토 토기 유상
④ 대조영이 동모산을 중심으로 건국하였다.
⑤ 제정일치의 지배자인 단군왕검이 통치하였다.

▲ 고류사 목조 미륵보살
▲ 다카마쓰 고분 벽화 ▲ 기후[岐阜] 출토 스에키 반가 사유상

① 조선 통신사의 활동 ② 발해와 당의 해상 교류
③ 고려에 유행한 몽골 풍속 ④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B18 2018(6월)/평가원 6 ⑤ 조사 시찰단과 영선사의 근대 문물 시찰

다음 지도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발해
B20 고3 2017(3월)/교육청 2

다음 특별전에 전시될 수 있는 그림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동해

등주
신라 ◯◯ 박물관은 △△△ 고분 벽화 특별전을 개최한다고 밝혔
당 황해
일본 다. 벽화가 그려진 이 나라의 고분들은 주로 4~7세기에 만들
청해진
하카타 어진 것으로, 중국의 지린 성 환런・지안 지역과 북한의 평양
양저우
및 황해도 안악 지역에 집중 분포한다. 이번에 전시되는 안악
수도
해로
3호분, 강서대묘 등의 벽화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명주
정신세계를 살펴볼 수 있다.
① 삼별초의 대몽 항쟁 - 일보, 2016. 12. 27. -
② 장보고의 해상 활동
③ 통신사의 대일 외교 ① ② ③
④ 이종무의 대마도 정벌
⑤ 이순신과 수군의 활약상
사신도(현무도) 단오풍정 인왕제색도

④ ⑤

수월관음도 고사관수도

❖ 정답 및 해설 14 ~ 18p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27


B21 2017/수능 4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특별 전시 계획서 B23 2018(6월)/평가원 2

1. 주제: (가)
(가)에 들어갈 장면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2. 내용
시간순으로 본
- 담징이 종이와 먹을 제조했던 사실을 기록한 서적을 전시한다.
삼국 통일 과정
- 불상의 형태, 토기의 모양, 벽화에 그려진 인물 옷차림의 유사함이
드러나는 자료들을 비교・전시한다. (가)
3. 자료 예시 고구려, 안시성
싸움에서 승리하다

왜병이 백강
고구려가 멸망하다
전투에서 패배하다

① 대조영, 발해를 건국하다


② 미천왕, 낙랑군을 몰아내다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고류 사 목조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③ 진흥왕, 한강 유역을 차지하다
④ 김춘추, 나・당 동맹을 성사시키다
⑤ 광개토 대왕, 신라를 도와 왜병을 격퇴하다
① 발해와 당 사이의 외교
② 통일 신라와 서역의 교류
③ 고려에서 유행한 몽골의 풍속
④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⑤ 조선의 여진에 대한 교린 정책

B22 2017(6월)/평가원 6 B24 2017(9월)/평가원 4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탐구 활동 보고서 탐구 활동 보고서

▣ 주제 : (가) ◯ 반 ◯◯ 번 이름: ◯◯◯


▣ 수집 자료 1. 주제: 통일 신라의 통치 체제 정비
2. 방법: 문헌 자료 수집 및 분석
3. 문헌 자료의 내용과 분석 결과

문헌 자료 내용 분석 결과
신문왕이 녹읍을 폐지하라고 명령
귀족의 경제 기반 약화
하였다.
9서당 중 황금서당은 고구려인으
피정복민의 포섭과 민족 융합
로 조직하였다.
▲고구려 사신으로 추정되는 두 사람이 그려 ▲외국인을 닮은 원성 (가) 수도의 지리적 치우침 보완
져 있는 아프라시아브 궁전 벽화 (우즈베키 왕릉 무인상(경주)
스탄)

① 개경에 나성을 쌓았다.


① 고려와 원의 교역 ② 조선과 유구의 무역 ② 평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③ 서양 근대 문물의 수용 ④ 고대 국가와 서역의 교류 ③ 강화도로 왕의 거처를 옮겼다.
⑤ 발해와 일본의 외교 관계 수립 ④ 사비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고쳤다.
⑤ 남원소경을 설치하여 5소경을 갖추었다.

28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 정답 및 해설 18 ~ 20p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고려의 발전과 변화 ~
경제・사회・문화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최승로의 시무 28조: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자료로 주고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그에 따라 시행된 정책을 고르는 문제이다. ‘외관’이 지방관 최승로의 시무 28조
을 뜻함을 알았다면 수월하게 풀 수 있었을 것이다.
2018 3 향・부곡・소의 주민
•향・부곡・소의 주민: 자료에 향, 부곡, 소라는 명칭이 삼국유사
나와 있으므로 단답형 문제라 할 수 있다.
삼별초의 활동
•삼국유사: 고려 후기 역사 서술의 특징을 알려주고, 그 시
2017 3 신진 사대부
기에 편찬된 역사서를 고르는 문제이다. 시험에 자주 나오
고려의 경제 정책(역분전)
지 않은 유형이라 난이도가 높았다.
2016 1 최충헌과 이자겸
2019 수능 예측 2015 0 - -
2014 1 공민왕의 개혁 정책
1. 고려 전기에서는 광종, 고려 후기에서는 공민왕의 개혁 정치가
중요하고 시험에도 자주 출제되었다. 따라서 다시 출제될 가능성
이 크다.

2. 서희, 강감찬, 윤관의 활약은 고려 시대 대외 관계에서 중요하므


로 출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3. 지문을 통해 고려 시대임을 파악하고 고려 시대의 경제 모습을


고르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그 경우 전시과나 벽란도가 답이
될 가능성이 크다.

고난도 유형
★ 출제 개념
고려가 실시한 경제 정책에 대해 묻고 있다.
C28 2017/수능 7
밑줄 친 ‘우리나라’가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 ★ 핵심은 이것
연등회와 팔관회가 국가적인 행사로 거행된 것은 고려 시대이
태조께서 통일하신 후에 외관(外官)을 두려고 하셨으나, 초 다. 그리고 고려 태조는 후삼국 통일 과정에서 공을 세운 신하들
창기였으므로 미처 그럴 겨를이 없었습니다. 청컨대 외관을 두 에게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십시오. …(중략)… 우리나라는 봄에 연등회를 열고 겨울에 팔
관회를 개최합니다. 그러나 사람을 많이 동원하여 힘든 일을 ★ 문항 분석
시키니, 이를 줄여 주십시오. 제시된 자료는 최승로의 시무 28조인데, 수능특강 문제에 나와
있으므로 생소한 자료는 아니었을 것이다. 다만 ①~⑤번의 선

① 총융청을 설치하였다. 택지가 까다로운 내용으로 구성되어 체감 난이도는 높았다. 특


히 총융청과 같은 내용은 기존 문제에 잘 등장하지 않던 내용이
②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다. 또 고려 시대의 토지 제도를 ‘전시과’로만 알았다면 답을 맞
③ 백동화를 발행하였다.
추기 어려웠을 것이다.
④ 상평통보를 주조하였다.
⑤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 C21, C24, C25
〔정답 및 해설 34p〕
고려의 발전과 변화 ~ 경제・사회・문화 중요도

고려의 발전과 변화

1 고려의 건국과 발전 ➊ 기인 제도
지방 호족의 자제를 수도에 두고 출신지의 일에 대
(1) 건국: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건국(918), 송악(개경)에 도읍, 후삼국 통일(936) 하여 자문하게 한 제도이다.

수능출제 0순위
(2) 고려의 발전
➊ ➋
✽ 고려 초기 왕의 업적을 기억해 두자!
•호족 정책: 혼인 정책, ‘왕’씨 성 하사, 기인 제도 , 사심관 제도
태조 고려 초기의 왕은 시험에 많이 출제되고
•민생 안정 정책(조세 인하, 흑창 설치), 북진 정책(서경 중시)
있다. 그중에서도 광종이 가장 많이 출제된
광종 노비안검법과 과거제 실시, 백관의 공복 제정, 칭제건원 → 왕권 강화 다. 광종이 실시한 대부분의 정책(노비안검
성종 최승로의 시무 28조, 2성 6부 설치, 지방에 12목 설치(지방관 파견), 향리 제도 정비 법, 과거제, 공복 제정, 칭제건원)은 왕권
강화와 연결되어 있음을 기억해 두자.

2 고려의 통치 체제 ➋ 사심관 제도
(1) 중앙 통치 조직 중앙의 고위 관리를 출신 지역의 사심관으로 임명하
여 지방을 통제하도록 한 제도이다.
2성 6부 중서문하성(최고 관서), 상서성(6부 관장, 정책 집행)

중추원 군사 기밀, 왕명 출납

독자적 기구 도병마사(국방 문제), 식목도감(법률, 제도) → 재신과 추밀이 참여하는 회의 기구 ➌ 고려의 지방 행정 조직


기타 삼사(화폐, 곡식의 출납), 어사대(정치의 잘잘못을 논하고 비리 감찰) 천 리 장
수도
3경
4 도호부


8목
(2) 지방 행정 조직 안북 도호부
북계 동계

① 5도: 일반 행정 구역, 안찰사 파견 / 양계: 군사 행정 구역, 병마사 파견 서경

황주목
안변 도호부
동해
서해도 교주도
② 특징: 향・소・부곡 등 특수 행정 구역 존재, 속현이 주현보다 많음 안서 도호부
개경

➍ 남경
(3) 관리 등용 제도: 과거 제도(문과, 잡과, 승과), 음서 제도 광주목 충주목
양광도
청주목 상주목

3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 정권
황해

전주목
경상도
동경
안남 도호부
진주목
전라도
(1)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 나주목
탐라

문벌 귀족 과거와 음서로 관직 독점, 과전과 공음전(5품 이상 관료에 지급, 세습 가능)으로 경제적 기반 확대

이자겸의 난 왕(인종)의 외척인 이자겸이 난을 일으킴 → 척준경이 이자겸 제거 → 척준경 탄핵(실각)



묘청의 묘청 등이 서경(평양)으로 천도 주장 →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 묘청의 반란 → 김부식이
서경 천도 운동 진압 ➍ 음서 제도
고위 관리나 공신의 자손이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
(2) 무신 정권 리로 진출할 수 있게 한 제도이다.
① 성립: 정중부, 이의방 등이 문신과의 차별 대우에 반발해 무신 정변 일으킴 → 권력 장악
② 최씨 무신 정권: 교정도감(최고 권력 기구)・정방・도방・삼별초 등이 권력 기반
③ 농민과 천민의 봉기: 망이・망소이의 봉기, 만적의 난 등 ➎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4 고려의 대외 관계 구분 개경파 서경파


중심 인물 김부식 묘청, 정지상
거란 1차 침입(서희의 강동 6주 획득), 3차 침입(강감찬의 귀주 대첩) 금의 사대 요구
외교 금 정벌
수용
여진 윤관의 건의로 별무반 편성 → 여진 정벌, 동북 9성 설치
유교 정치 사상 풍수지리설 등
사상
•최우가 강화도로 천도 → 40여 년간 항쟁 → 무신 정권 붕괴, 개경 환도 (사대적) (자주적)
대몽 항쟁
•삼별초의 항쟁: 몽골과의 강화 반대, 진도・제주도로 이동하며 항쟁

5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➏ 도평의사사
(1) 원의 간섭과 수탈: 영토 상실(쌍성총관부 설치 등), 일본 원정 동원(정동행성), 자원 수탈 원 간섭기 때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바뀌고 최고

(2) 권문세족의 성장: 친원 세력, 음서로 관직 진출, 도평의사사 장악, 대농장 운영 기관이 되었다.

30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3) 공민왕의 개혁 정치
➐ 전민변정도감
03

DAY
반원 자주 정책 기철 등 친원 세력 제거, 정동행성 폐지, 몽골풍 금지, 쌍성총관부 공격(영토 회복) 권문세족이 불법으로 빼앗은 토지와 노비를 돌려주
➐ 는 역할을 하였다.
왕권 강화 정책 정방 폐지, 신진 사대부 등용, 신돈 등용(전민변정도감 설치)

(4) 새로운 세력의 성장


➑ 전지와 시지
① 신진 사대부: 성리학 수용, 지방 향리 출신, 과거로 관직 진출
전지는 곡물을 수취할 수 있는 땅이고, 시지는 땔감
② 신흥 무인 세력: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성장(이성계 등) 을 얻을 수 있는 땅이다.

고려의 경제・사회와 문화
수능출제 0순위
1 고려의 경제
(1) 토지 제도 ✽ 고려 경제의 특징적인 모습을 기억해
두자!
역분전 태조 때 후삼국 통일 과정에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지급
제시된 자료가 고려 시대 임을 파악하고

•문무 관리부터 군인・한인까지 18등급으로 구분하여 전지와 시지 지급(수조권 지급) 고려 시대의 경제 모습을 답으로 고르는 문
전시과
•공음전, 한인전, 군인전, 구분전 등 존재
제가 출제되고 있다. 역분전과 전시과 실시,
(2) 수취 제도: 조세(토지 생산량의 10분의 1), 공물(특산물), 역(군역, 요역)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영 등은 고려
시대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므로 꼭 기억해
(3) 산업의 발달
두자!
농업 고려 말 일부 지방에 모내기법 보급(논농사), 2년 3작 시행(밭농사)

화폐 발행 건원중보(성종), 삼한통보・해동통보・은병(숙종) → 유통 부진

국제 교역 예성강 어귀의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영

2 고려의 사회
수능출제 0순위
➒ 교관겸수
(1) 신분 제도: 귀족(왕족과 5품 이상 관료), 중류층(말단 행정 실무 담당, 서리・향리・남반 교(교리, 형식)와 관(참선, 수양)을 함께 닦아야 한다
는 주장이다.
등), 양민(백정, 상인, 수공업자, 향・소・부곡민), 천민(대다수가 노비)
(2) 여성의 지위: 아들과 딸 균등 상속, 아들이 없을 때 딸이 제사, 태어난 순서대로 호적 기재
➓ 돈오점수와 정혜쌍수
3 고려의 문화 돈오점수는 단번에 깨닫고 꾸준히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고, 정혜쌍수는 선과 교학을 나란히 수행해야 한
(1) 유교와 역사서
다는 것이다.
① 교육 기관: 성종이 국자감(중앙)과 향교(지방) 설치
② 성리학 수용: 충렬왕 때 안향이 원으로부터 들여옴
수능출제 0순위
상감 청자
③ 역사서 편찬: 김부식의 “삼국사기”(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기전체), 이규보의 ‘동명왕편’(고
구려 계승 의식), 일연의 “삼국유사”(불교사와 고대 설화 및 단군 신화 수록)
(2) 불교

의천 화엄종 중심으로 교종 통합, 천태종을 창시해 교종 중심으로 선종 통합 시도, 교관겸수 주장

지눌 수선사 결사 조직(불교 개혁 운동), 선종 중심으로 교종 통합 시도, 돈오점수와 정혜쌍수 주장

대장경 간행 몽골의 침입을 부처님의 힘으로 물리치기 위해 팔만대장경 간행


▲ 청자 상감 운학무늬 매병
(3) 과학 기술의 발달
① 인쇄술: “직지심체요절”(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② 화약 무기 제조: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 설치 → 화약과 화포 제작 → 왜구 격퇴에 활용
(4) 귀족 문화의 발달
청자 12세기에 상감 청자 개발

불상 지역적 특색을 드러낸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 입상 등 제작

건축 주심포 양식: 안동 봉정사 극락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

석탑 평창 월정사 8각 9층 석탑(고려 전기),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고려 후기, 원의 영향)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31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6]
1
CHECK UP TEST

고려의 발전과 변화 고려의 경제・사회와 문화

01 다음 내용이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 03 <보기>에서 고려 시대의 경제 모습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① 광종은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 ×)
ㄱ. 청해진을 설치하다.
② 광종은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 ×)
ㄴ.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③ 고려는 총융청을 설치하였다. (○, ×)
ㄷ. 전시과를 시행하였다.
④ 광종은 정동행성을 폐지하였다. (○, ×)
ㄹ. 백동화를 발행하였다.
⑤ 공민왕은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 ×)
ㅁ. 공음전을 지급하였다.
⑥ 고려 시대에 개경에 나성을 쌓았다. (○, ×)
ㅂ. 호포제를 시행하였다.
⑦ 공민왕은 반원 자주 정책을 추진하였다. (○, ×)
ㅅ. 상평통보를 주조하였다.
⑧ 공민왕은 붕당의 폐단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 ×)
ㅇ. 은병(활구)으로 거래하는 상인
⑨ 공민왕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영토를 되찾았다. (○, ×)
ㅈ. 벽란도가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⑩ 고려 시대에 왕이 강화도로 거처를 옮긴 적이 있었다. (○, ×)
ㅊ. 인삼, 담배 등의 상품 작물 재배가 확대되었다.
⑪ 고려 시대 문벌 귀족은 음서로 관직에 나아갈 수 있었다. ㅋ. 개시가 열렸으며 내상들이 대외 무역을 주도하였다.
(○, ×) ㅌ. 공출 제도의 시행으로 유출되는 쌀의 양이 늘어났다.
⑫ 풍수지리설은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이 일어나는 데 영향을 끼
쳤다. (○, ×)
⑬ 이자겸은 금나라의 군신 관계 요구를 받아들이자고 하였다.
(○, ×)

04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보기]
02 다음 내용과 관련된 인물이나 세력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성리학, 교장, 팔만대장경, 직지심체요절, 지눌, 의천, 전
[보기]
시과
윤관, 최승로, 최충헌, 묘청, 삼별초, 서희, 신진 사대부
① 천태종 창시 ( )
① 강동 6주를 확보하였다. ( ) ② 불교 개혁 운동 ( )
② 동북 9성을 쌓았습니다. ( ) ③ 관리에게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였다. ( )
③ 교정도감을 설치하였다. ( ) ④ 금속 활자를 사용해 제작되었습니다. ( )
④ 금국 정벌을 주장했어요. ( ) ⑤ 안향에 의해 고려에 처음 소개되었다. ( )
⑤ 대몽 항쟁을 전개했어요. ( ) ⑥ 의천이 각국의 불교 서적을 수집하여 만들었습니다.
⑥ 권문세족의 횡포를 비판했어요. ( ) ( )
⑦ 시무 28조의 건의 결과를 고찰한다. ( ) ⑦ 몽골의 침략을 물리치려는 염원을 담아 만든 것입니다.
( )

Re a l 정답

01 ① ×(조선 영조), ② ○(광종은 쌍기의 건의로 과거제 도입), ③ ×(조선 후기), ④ ×(공민왕), ⑤ 28조 올림)
×(공민왕 전에 축조), ⑥ ○(거란의 침입 후 개경에 나성 축조), ⑦ ○(공민왕은 내정 개혁, 반원 03 ㄴ(고려 태조가 지급), ㄷ(전시과는 고려의 토지 제도), ㅁ(고려 시대 5품 이상 관리에게 지급), ㅇ
자주 정책 추진), ⑧ ×(붕당의 폐단은 조선 후기), ⑨ ○(공민왕의 반원 자주 정책), ⑩ ○(고려 (은병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고액 화폐), ㅈ(고려 시대 수도 개경 근처의 벽란도가 번성)
시대 몽골의 침입을 피해 강화도 천도), ⑪ ○(과거와 음서를 통해 관직 독점), ⑫ ○(묘청은 풍수 ㄱ. 통일 신라, ㄹ. 개항 이후, ㅂ. 조선 시대 흥선 대원군, ㅅ, ㅊ, ㅋ. 조선 후기, ㅌ. 일제 강점기
지리설을 근거로 서경 천도 주장), ⑬ ○(이자겸의 주도로 금의 군신 관계 요구 수용) 04 ① 의천(교종과 선종의 통합 위해 창시), ② 지눌(불교 개혁 운동과 교종・선종 통합 운동 전개),
02 ① 서희(거란과의 담판으로 강동 6주 확보), ② 윤관(별무반 이끌고 여진 정벌 후 축조), ③ 최충 ③ 전시과(고려 시대 토지 제도), ④ 직지심체요절(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
헌(최고 기구인 교정도감 설치), ④ 묘청(금국 정벌, 서경 천도 주장), ⑤ 삼별초(개경 환도에 반대 ⑤ 성리학(고려 말 안향에 의해 처음 소개), ⑥ 교장(송, 거란, 일본 등의 불교 서적을 수집해 제
해 대몽 항쟁 전개), ⑥ 신진 사대부(성리학 수용해 권문세족 횡포 비판), ⑦ 최승로(성종 때 시무 작), ⑦ 팔만대장경(몽골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막기 위해 제작)

3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고려의 발전과 변화 C03 2018(9월)/평가원 4

다음 명령을 내린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2점)

03

DAY
과인은 몇 해 전, 호복을 벗고 변발을 풀기를 바라는 건
C01 2018/수능 4 의를 기쁜 마음으로 받아들였다. 원이 쇠퇴해가는 지금,
옛 땅을 되찾고자 하니 유인우를 보내 쌍성총관부 지역
다음 건의에 따라 시행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을 탈환하도록 하라.

신(臣) 최승로는 시무 28조를 작성하여 올립니다. …(중략)…


우리 태조께서 나라를 통일한 뒤 외관을 두고자 하셨으나, 건
국 초기여서 일이 번거롭고 많아 미처 그렇게 할 여유가 없었
습니다. 지금 살펴보건대 지방의 토호들이 공무를 빙자하여 백
성을 침탈하고 있으니, 백성들이 견디기 힘들어 합니다. 청컨
대 외관을 두소서. ① 4군 6진을 개척하였다.
② 경국대전을 편찬하였다.
① 22담로를 두어 왕족을 보내 통치하였다.
③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② 5경 15부 62주의 행정 구역을 갖추었다.
④ 반원 자주 정책을 추진하였다.
③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관찰사를 두었다.
⑤ 붕당의 폐단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④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⑤ 9주 5소경 제도를 완비하였다.

C02 고3 2017(10월)/교육청 9 C04 2018(6월)/평가원 3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2점)

(가) 은/는 궁예의 신하로 있으면서 영토 확장에 그래서 (가) 이/가 노비안
후삼국의 혼란기에 많은 양민 검법을 실시하여 억울하게 노비가 된
큰 공을 세웠다. …… 마침내 사람들이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 들이 노비가 되었어. 사람들을 원래 신분으로 회복시켰지.
다. (가) 은/는 자주 서경에 행차하여 국경 지역을 순
시하였는데, 이는 고구려의 옛 땅을 되찾으려 한 것이었다.

① 과거제를 도입하였다.
② 비변사를 폐지하였다.
③ 경국대전을 완성하였다.
④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①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⑤ 기인 제도를 실시하였다. ②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③ 칠정산을 편찬하였다.
④ 정동행성을 폐지하였다.
⑤ 수원 화성을 건설하였다.

❖ 정답 및 해설 20 ~ 22p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33


C05 2017/수능 5 C07 2017(9월)/평가원 5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이 사진은 삼별초와 관련된


고려의 건국과 발전 과정
유적지의 모습입니다. 삼별초
의 활동에 대해 말해 볼까요?
왕건, 고려를 건국하다.

진도 용장성
고려, 후삼국을
통일하다.

태조, 훈요 10조를 남기다.

제주 항파두리성
광종, (가)

① 대몽 항쟁을 전개했어요.
성종, 2성 6부
체제를 마련하다.
② 웅진 천도를 단행했어요.
③ 금국 정벌을 주장했어요.
④ 수원 화성을 건설했어요.
① 청해진을 설치하다.
⑤ 요동 지역을 차지했어요.
② 비변사를 설치하다.
③ 대전회통을 편찬하다.
④ 노비안검법을 시행하다.
⑤ 의정부 서사제를 시행하다.

C06 2017/수능 6 C08 2017(9월)/평가원 6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밑줄 친 인물이 활동한 시기에 볼 수 있었던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
은? (3점)
고려 말에 활동한 신진 사대부에 대
해 말해 봅시다.
경원(인주) 이씨 집안은 왕
예종 문경 태후
실과의 계속된 혼인 관계를
(이자겸의 차녀)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통해 유력한 외척 가문이 되
향리의 자제들이 많았고, 주로 삼았고, (가) 었다. 특히 이자겸은 예종과
과거를 통해 관직에 올랐어요.
폐비 이씨 인종 폐비 이씨 인종에게 딸들을 시집보내고
(이자겸의 삼녀) (이자겸의 사녀)
인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 왕실과 이자겸 집안의 혼인 관계

① 빈공과에 합격한 6두품


② 도평의사사에 모인 권문세족
① 광무개혁을 주도했어요. ③ 음서로 관직에 나간 문벌 귀족
② 화백 회의에 참여했어요. ④ 교정도감의 최고 책임자가 된 무신
③ 권문세족의 횡포를 비판했어요. ⑤ 성균관에서 학문을 연구하는 신진 사대부
④ 청의 문물을 수용할 것을 주장했어요.
⑤ 황무지 개간권에 대한 일본의 요구를 저지했어요.

3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C09 2017(9월)/평가원 7 C11 고3 2016(7월)/교육청 5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3점)

03

DAY
이 그림은 고려 시대에 윤관이 여진
거란(요) 장수 소손녕이 군대를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와 고
족을 몰아내고 비석을 세우는 장면입
니다. 윤관은 어떤 일을 했을까요?
려에 두 차례 서신을 보냈다. 그 내용은 “우리 거란이 이미 고
구려의 옛 땅을 모두 차지하였다. 지금 고려가 우리 영토를 빼
앗으려 하니 토벌하러 온 것이다. 우리에게 복종하지 않는 나
라는 기필코 소탕할 것이니 고려는 속히 항복하라.”라는 것이
었다. 이에 고려는 (가)

① 서희를 보내 외교 담판을 이끌어냈다.


② 윤관에게 별무반을 조직하도록 하였다.
① 동북 9성을 쌓았습니다.
③ 최우의 주도하에 강화로 도읍을 옮겼다.
② 우산국을 정복하였습니다.
④ 이성계에게 요동 지방을 공격하게 하였다.
③ 금관가야를 병합하였습니다.
⑤ 최무선에게 화약과 화포를 제작하게 하였다.
④ 한강 유역을 차지하였습니다.
⑤ 수원 화성을 건설하였습니다.

C10 고1 2016(9월)/교육청 4 C12 2017(6월)/평가원 3

다음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밑줄 친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2점)

•명학소의 백성 망이・망소이 등이 무리를 모아 공주를 공격 신돈이 왕에게 전민변정도감 설치를 요청하고 스스로 판사
하여 함락하였다. 조정에서 채원부와 박강수 등을 보내어 타 가 되었다. 방을 내려 “요사이 기강이 크게 무너져 탐욕을 부
일렀으나 적(賊)이 따르지 않았다. 리는 것이 풍속이 되었다. …(중략)… 이제 도감을 두어 바로잡
•남방에 도적이 봉기하였는데, 그 중에 세력이 큰 자인 김사 고자 한다. …(중략)… 거짓으로 고하는 자는 도리어 처벌할 것
미는 운문에 웅거하고, 효심은 초전에 웅거하여 떠돌아다니 이다.”라고 하였다.
는 자들을 불러 모아 주현(州縣)을 공격하였다. - “고려사” -
- 『고려사』 -
① 장용영을 설치하였다.
(가) (나) (다) (라) (마) ② 균역법을 실시하였다.
고려 귀주 무신 개경 공민왕 조선 ③ 6조 직계제를 시행하였다.
건국 대첩 정변 환도 즉위 건국 ④ 대마도(쓰시마 섬)를 정벌하였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⑤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영토를 되찾았다.

❖ 정답 및 해설 22 ~ 26p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35


고려의 경제・사회와 문화 C15 고3 2017(10월)/교육청 7

(가)에 들어갈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

C13 2018/수능 6
문화유산 카드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국보 제86호
문화 특강 •소재지: 국립 중앙 박물관
고려 후기의 역사서와 역사 인식
•특징: 고려 말 대리석으로 제작된
(가) 탑으로, 기단이 좁고 표면이 정교하
몽골의 침략을 겪으면서 고려에서는 민족적 자주 의식이 고양되었습니 며 원의 영향을 받아 건립되었다.
다. 정치적으로 원의 간섭을 받게 된 이후에는 우리 역사의 독자성과 유구 이러한 양식은 조선 시대의 원각사
함을 강조하는 새로운 역사 서술이 나타났습니다. 이에 우리 박물관에서는 지 10층 석탑에 영향을 주었다.
고려 후기의 역사서와 역사 인식을 살펴보는 교양 강좌를 마련하였으니, 관
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
① ② ③
•일시: 2017년 11월 ○○일 오후 2시
•장소: △△ 박물관 대강당
•강의 주제
주제 1 (가)
주제 2 유구한 역사를 서사시의 형식으로 노래한 제왕운기
경천사지 10층 석탑 월정사 8각 9층 석탑 정림사지 5층 석탑

① 단군과 고조선 관련 기록을 담은 삼국유사 ④ ⑤


②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바탕을 둔 삼국사기
③ 기전체의 형식으로 고려 역사를 정리한 고려사
④ 우리 민족의 전통과 정신을 강조한 조선상고사
⑤ 고조선 이후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한 동국통감
불국사 3층 석탑 다보탑

C14 2018/수능 5 C16 2018(9월)/평가원 5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가) 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태조께서 창업하신 초기에 일부 신하들은 전쟁에 나가


우리 모둠이 발표하기로 한 고려 시대의
특수 행정 구역에 대해 조사해 보았니? 서 포로를 얻거나, 혹은 빚을 갚지 못한 이들을 재물로 사서
응! 향, 부곡, 소 등이 있었더라. (가) (으)로 삼았습니다. …(중략)… 광종 때에 이르러

무신 집권기에 반란을 일으켰던 망이와 망소이가


(가) 들을 안검(按檢)*하여 본래 그 신분이 아니었던 자들
소의 주민이었어. 을 가려내도록 하니, 모든 공신들이 탄식하고 원망하였습니다.
이런 지역들의 주민은 (가) *안검(按檢): 자세히 조사하여 살핌

① 일반 군현민에 비해 세금 등에서 차별 대우를 받았어. ① 매매・상속・증여의 대상이 되었다.


② 형평 운동을 전개하여 차별 철폐를 주장했지. ② 유향소에서 향리의 비리를 감찰하였다.
③ 갑오개혁을 통해 신분 해방이 이루어졌어. ③ 귀족과 양민의 사이에 있는 중간 계층이었다.
④ 의관, 역관 등 기술관직을 세습했지. ④ 개경에 거주하며 음서와 공음전의 혜택을 누렸다.
⑤ 국가로부터 공음전을 지급받았어. ⑤ 화백 회의에 참여하여 국가 중대사를 논의하였다.

36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C17 2018(9월)/평가원 6 C19 고3 2017(7월)/교육청 2

다음 건의 내용에 반영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다음 문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03

DAY
김위제가 남경 천도를 건의하기를, “도선의 비기에 따르면,
‘개경의 지기(地氣)가 쇠락한 뒤에 도읍은 어느 곳으로 향할 종목 국보 제32호
것인가? …(중략)… 송악산(개경)의 지세가 백 년 기한에 어찌 지정일 1962. 12. 20.
시들지 않으랴. 온 세상의 신령한 물고기가 한강에 모이니, 국 분류 서각류/목판각류
운이 번창하리라.’고 했습니다. 실로 한강의 북쪽은 대단한 명 수량 81,258매
당이니, 이곳으로 천도하면 왕조는 영원할 것입니다.”라고 하 보관 장소 해인사
였다. 이 문화재는 고려 무신 정권이 강화 천도 후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만든 것이다. 처음에는 강화도 선원사에 봉안되었다가 1398년에 합
① 단군 신앙을 기반으로 창시되었다. 천 해인사로 옮겨졌다.

② 안향에 의해 고려에 처음 소개되었다.


③ 정제두에 이르러 학문적으로 체계화되었다. ① 기전체 형식으로 서술된 역사서이다.
④ 중국을 다녀온 사신들에 의해 서학으로 들어왔다. ②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이다.
⑤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이 일어나는 데 영향을 끼쳤다. ③ 한양을 기준으로 만든 최초의 역법서이다.
④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에 의해 약탈되었다.
⑤ 몽골의 침략을 막아내려는 염원을 담아 제작되었다.

C18 고3 2017(7월)/교육청 5 C20 2018(6월)/평가원 5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와우! 정말 대단하군요. 이곳 해인사


고려 시대에는 여성의 가정 내 지위가 상당히 높았다. 호적 이 유산은
장경판전에 소장된 유네스코 세계 기
에 이름을 기재할 때 아들과 딸을 구분하지 않고 태어난 순서 록 유산에 대해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가)
에 따라 기록하였고, 여성이 호주가 되는 일도 있었다. 일반적
으로 부모의 제사를 아들과 딸이 돌아가며 지냈으며, 아들이
없는 경우에는 양자를 들이지 않고 딸이 제사를 지냈다. 또한
고려 시대의 여성은 (가)

① 공명첩을 통해 신분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② 선덕여왕, 진덕여왕처럼 국왕이 되기도 하였다.
③ 화백 회의에 참여하여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① 금속 활자를 사용해 제작되었습니다.
④ 부모의 재산을 형제, 자매와 균등하게 상속받았다.
② 통일 신라 때 만들어진 인쇄물입니다.
⑤ 근우회를 조직하여 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였다.
③ 의천이 각국의 불교 서적을 수집하여 만들었습니다.
④ 조선 왕조의 주요 사건을 날짜별로 기록한 것입니다.
⑤ 몽골의 침략을 물리치려는 염원을 담아 만든 것입니다.

❖ 정답 및 해설 26 ~ 30p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37


C21 2017(6월)/평가원 10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가) 국가의 경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화폐 박물관
C23 고3 2015(4월)/교육청 5

전/시/안/내 상설 전시실 다음 상황이 전개된 시기에 볼 수 있었던 모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전시 개요 (가) 의 화폐 (2점)
상설 전시실
이 국가에서는 상업을 장려하기 위해 금속 화폐를 만들었
기획 전시실
지만, 그것이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였다. 백성들은 금속화폐
야외 전시실 대신 곡식이나 베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원은 고려와 강화를 맺은 이후 고려 왕실의 호칭과 격을 낮
추도록 하였으며, 중앙 관제도 개편하도록 강요하였다. 이에
주요 전시물
따라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각각 불렸다. 또한 중
서문하성과 상서성은 하나로 합쳐져 첨의부가 되었고 상서성
의 6부는 4사로 축소되었다. 동시에 중추원이 밀직사로, 어사
대가 감찰사로 격하되었다.
건원중보 해동통보 활구(은병)

① 공녀로 끌려가는 여인
① 지계를 발급하였다. ② 일본 원정에 강제로 동원된 군인
② 전시과를 시행하였다. ③ 권문세족에게 토지를 빼앗긴 농민
③ 영정법을 실시하였다. ④ 강화도 천도를 준비하는 무신 집권자
④ 직전법을 실시하였다. ⑤ 탐라총관부에 관리로 부임하는 몽골인
⑤ 호포제를 시행하였다.

C22 2017(6월)/평가원 9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고려의 불교 C24 2018(6월)/평가원 4

▣ 토의 주제 : (가)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2점)

문익점이 원나라에 갔다가 목화 씨앗을 가지고 돌아와서 정


천익에게 부탁하여 심게 하였다. 처음에는 재배 기술을 알지
수선사를
무신 정변 이후 활발 결성했지.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못하여 거의 다 말라 죽고 한 그루만 살아 남았다. 이후 갖은
하게 활동했어. 강조했어.
노력을 기울인 끝에 문익점이 귀국한 지 3년 만에 재배에 성공
할 수 있었다.

① 권문세족이 대규모 농장을 경영하였다.


② 덕대가 광산 개발 및 운영을 주도하였다.
③ 상평통보가 발행되어 시중에 유통되었다.
④ 인삼, 담배 등의 상품 작물 재배가 확대되었다.
① 원효와 불교 대중화 ⑤ 인천 등 개항장을 통해 외국과의 무역이 증가하였다.
② 의천과 천태종 창시
③ 지눌과 불교 개혁 운동
④ 묘청과 서경 천도 추진
⑤ 의상과 화엄 사상 발전

38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C25 고3 2017(4월)/교육청 8 C27 고3 2017(3월)/교육청 9

밑줄 친 ‘이 제도’를 시행한 왕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3점) (가)에 들어갈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03

DAY
일찍이 태조가 역분전을 정하였는데 경종 대에 이르러 직관
◯◯◯ 지역 답사 참가자 모집
(職官)・산관(散官)의 각 품(品)을 기준으로 이 제도를 정하였
다. …(중략)… 이 제도는 토지의 기름지고 메마른 것을 나누어
○ 답사 일자 및 인원 : 3월 31일, 40명 이내
모두 일정한 전지(田地)를 주었으며 또 전지에 따라 시지(柴地)
○ 참가자 선발 안내
를 준 것이다. …(중략)… 땅이 많은 사람은 전지와 시지가 각
1. 참가 신청 : 아래에 제시된 ◯◯◯ 지역의 유적지 중 하나를
각 1백 10결이었으며 품에 따라 차례대로 줄어들었다.
선택하여 사전 조사 보고서를 제출할 것.

① 지계가 발급되었다. 유적지 학습 주제


부근리 고인돌 청동기 시대의 사회 모습
② 금난전권이 폐지되었다.
고려 궁터 (가)
③ 고구마, 감자가 재배되었다.
정족산성 병인양요의 전개
④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연무당 옛터 조・일 수호 조규의 체결 과정
⑤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① 최우의 강화도 천도
② 세종의 4군 6진 개척
③ 장보고의 청해진 설치
④ 을지문덕의 살수 대첩
⑤ 공민왕의 쌍성총관부 공격

C26 고3 2017(3월)/교육청 4
C28 2017/수능 7
(가)에 들어갈 정치 기구로 옳은 것은? (2점)
밑줄 친 ‘우리나라’가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

태조께서 통일하신 후에 외관(外官)을 두려고 하셨으나, 초


창기였으므로 미처 그럴 겨를이 없었습니다. 청컨대 외관을 두
•역사 대백과 사전: 고려의 정치 기구 (가) 십시오. …(중략)… 우리나라는 봄에 연등회를 열고 겨울에 팔
관회를 개최합니다. 그러나 사람을 많이 동원하여 힘든 일을
정의 시키니, 이를 줄여 주십시오.
정치를 논하고 관리를 감찰하는 업무를 담당한 고려 관청.

기능 ① 총융청을 설치하였다.
(가) 의 관원은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함께 간 ②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쟁, 봉박, 서경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왕이나 고위 관리의 ③ 백동화를 발행하였다.
활동을 견제할 수 있어, 정치 운영에서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④ 상평통보를 주조하였다.
하였다.
⑤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① 집사부 ② 어사대
③ 비변사 ④ 도병마사
⑤ 통리기무아문

❖ 정답 및 해설 30 ~ 34p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39


동아리 소개 AIESEC
비영리 학생 자치 단체

청년들의 잠재력 개발에 힘쓰는 AIESEC

Ⓒ 508062374/Getty Images Bank.com

AIESEC(이하 아이섹)은 청년들이 잠재력을 발견하고 계발할 수

있도록 전 세계 대학생들이 함께하는 비영리 학생 자치 단체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성균관대학교, 서울대, 연세대 등 17개의 대학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이섹은 우리나라 대학생들과 외국의 대학생들을 교환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크게 인턴십과 지역 사회 개발 프로그램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청년들이 외국으로,

외국의 청년들이 우리나라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죠!

성균관대 아이섹은 2016년에 여러 학교에서 다문화 교육을 진행했는데

수단, 루마니아, 불가리아, 캐나다, 카자흐스탄 등 다양한 나라에서 온

외국인들과 함께 활동하면서 자신만의 문화 수용법을 찾을 수 있었답니다.

세계 평화와 인간 잠재력의 실현이라는 AIESEC의 비전을 실천할 때까지

AIESEC의 활동은 계속됩니다!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조선 전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임진왜란(한산도 해전): 자료의 ‘임진년’, ‘명군’ 등의 키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워드를 통해 임진왜란에 관한 문제임을 쉽게 알 수 있었을 임진왜란(한산도 해전)
것이다. 2018 2
세종의 업적(전분6등법 실시)
•세종의 업적(전분6등법 실시): 세종 시기에 있었던 여
2017 1 세종의 업적(4군 6진 설치)
러 사실을 알려주고, 세종 때 있었던 또 다른 사실을 고르는
2016 1 경국대전
문제이다. 모의고사에 자주 나온 유형이다.
2015 1 임진왜란(국왕 피신)
2014 1 향약과 서원의 기능
2019 수능 예측
1. 의정부 서사제와 6조 직계제는 왕권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
어 있어 출제될 가능성이 있다.

2. 최근 수능과 모의고사에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 대한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으므로, 기출 문제를 통한 확실한 정리가 필요하다.

3. 민족 문화의 발달과 관련된 훈민정음 창제, “칠정산” 편찬, 측우


기 제작 등이 출제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 전기임을 알아
야 하고, 세종 때의 사실이라는 것도 알아두어야 한다.

대표 유형

D08 2017/수능 8 ★ 출제 개념
밑줄 친 ‘국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3점) 세종의 정치적 업적에 대해 묻는 문제이다.

★ 핵심은 이것
한국사 인물 카드 세종은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큰 업적을 남겼다. 정치적으로는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하여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루었고, 4군
과 6진을 개척해 현재의 국경선을 갖추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조선 제4대 국왕(재위 기간: 1418 ~ 1450)
는 전분6등법 및 연분9등법 실시, 문화적으로는 “칠정산”, “농사
•주요 업적: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하고 경연
직설” 편찬 등의 업적을 남겼다.
을 활성화하였다. …(중략)… 농민 부담의 경
감과 공평한 과세를 위해 전분6등법과 연분 ★ 문항 분석
9등법을 시행하였다. 재위 기간에 “농사직 조선 전기의 특정 왕에 대해 묻는 전형적인 문제 유형이다. 특히
설”, “칠정산”, “삼강행실도” 등을 편찬하였다. “농사직설”
조선 전기에는 세종이 큰 업적을 남겼으므로 많이 출제되고 있
는데, 이 문제 역시 세종의 업적을 물어보고 있다. 그리고 문제
① 4군 6진을 설치하였다. 를 보면 주어진 자료에서 ‘조선’이라는 시대적 배경을 밝히고 있
② 강동 6주를 확보하였다. 으므로, ①, ④번 중에 답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③ 동북 9성을 축성하였다. 난이도는 높은 편이 아니다.

④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 D07


⑤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정답 및 해설 38p〕
조선 전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중요도

조선 전기의 정치

1 조선의 건국과 발전 ➊ 호패법


16세 이상의 남자에게 오늘날의 신분증과 같은 호패
(1) 건국: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1388) → 과전법 제정(1391) → 정몽주 등 온건 개혁파 신진 를 차고 다니도록 한 제도이다.
사대부 제거(1392) → 조선 건국(1392) → 한양 천도(1394)
수능출제 0순위
(2) 조선의 발전
태종

왕권 강화 추구(6조 직계제 실시, 사병 혁파), 호패법 시행, 양전 사업 ✽ 조선 초기 왕들의 업적을 구분해 두자.
➋ 조선 초기 왕 중 태종, 세종, 성종이 많이
세종 집현전 설치, 왕권과 신권의 조화 추구(의정부 서사제 실시), 4군 6진 개척
출제된다. 특히 세종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세조 왕권 강화 추구(6조 직계제 부활, 집현전과 경연 폐지), “경국대전” 편찬 시작, 직전법 실시 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으므로, 통합해서 알
성종 홍문관 설치, 경연 활성화, “경국대전” 완성 아두어야 한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을 기억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 통치 체제의 정비 ➋ 6조 직계제와 의정부 서사제

(1) 중앙 통치 기구
① 의정부: 국정 총괄, 6조: 행정 업무 담당
② 3사: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 권력의 독점과 부정 방지(언론 기능)
③ 기타: 승정원(왕의 비서 기관), 의금부(국왕 직속 사법 기관), 성균관(최고 교육 기관)

(2) 지방 행정 조직
▲ 6조 직계제 ▲ 의정부 서사제
① 전국을 8도로 구분 → 관찰사 파견
② 도 아래 부・목・군・현 설치 → 모든 군현에 지방관 파견(속현 소멸), 향・소・부곡 소멸
③ 유향소: 지방 유력 양반들로 구성, 수령 보좌・향리 감찰 / 경재소: 유향소 통제 ➌ 조선의 지방 행정 조직

(3) 교육 기관: 4부 학당, 향교, 성균관 / 과거 제도: 문과, 무과, 잡과

3 사림의 성장과 붕당의 출현


(1) 훈구와 사림: 훈구(세조의 집권을 주도한 공신 세력, 고위 관직 독점, 대지주), 사림(지방
사족, 중소 지주, 왕도 정치・향촌 자치 추구)
(2) 사림의 진출: 성종 때 본격적으로 중앙 정계 진출(3사의 언관직) → 훈구 세력의 비리 비판
(3) 사화의 발생
무오사화(연산군) 훈구 세력이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구실로 사림 공격

갑자사화(연산군) 연산군 생모 폐위와 관련된 훈구와 사림 제거


➍ ➎
조광조의 개혁 정치: 현량과 실시, 소격서 폐지, 위훈 삭제 등 → 훈구 세력이 조광조 일파
기묘사화(중종)
제거

을사사화(명종) 대윤과 소윤의 권력 다툼 과정에서 사림 피해

(4) 사림의 집권과 붕당의 형성: 사림이 서원과 향약으로 영향력 확대 → 선조 때 중앙 정치 주 ➍ 현량과
➏ 천거를 통해 인재를 등용하는 제도이다.
도권 장악 → 외척 청산, 이조 전랑 문제를 둘러싸고 동인과 서인으로 나뉨

4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수능출제 0순위 ➎ 소격서
(1) 임진왜란 조선 시대 도교 행사를 주관하던 관청이다.

배경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 야욕

•1592년 일본이 조선을 침략 → 선조가 의주로 피난


전개 ➏ 이조 전랑
•이순신이 이끈 수군과 의병의 활약, 명의 원군 파견 등으로 극복
3사의 관리를 임명하고 자신의 후임을 추천할 수 있
영향 조선(인구 급감, 문화재 소실), 중국(명의 국력 약화, 여진족 성장), 일본(에도 막부 성립, 문화 발전) 어 권한이 매우 강하였다.

4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2) 광해군: 전후 복구 노력(경기도에 대동법 실시, “동의보감” 편찬 등),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 추진 ➐ 임진왜란의 전개

(3)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04

DAY
•배경: 인조반정(1623) 이후 서인의 친명배금 정책
정묘호란
•전개: 후금의 조선 침략 → 인조의 강화도 피난 → 후금과 화의(형제 관계)

•배경: 후금이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군신 관계 요구 → 조선의 거부


병자호란
•전개: 청 태종이 조선 침략 →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항전 → 삼전도의 굴욕(청과 군신 관계 체결)

(4) 양 난 이후의 대외 관계

① 청: 북벌 운동 추진(효종), 백두산정계비 건립(1712)
② 일본: 광해군 때 국교 재개, 기유약조 체결, 통신사 파견

조선 전기의 경제・사회와 문화

1 조선 전기의 경제
(1) 토지 제도
① 과전법: 전・현직 관리에게 경기 지방의 토지 지급(수조권 지급), 원칙상 세습 불가 ➑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② 직전법: 수신전, 휼양전 등으로 토지 세습 증가 → 토지 부족 →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 지급


③ 관수관급제: 지방 관청에서 조세를 징수하고 이를 관리에게 다시 지급

(2) 수취 제도: 전세(세종 때 전분6등법, 연분9등법 실시), 공납(토산물 징수), 역(군역과 요
역) → 16세기 이후 방납의 폐단과 방군수포(포를 받고 군역을 면제해 줌) 성행

2 조선 전기의 신분 구조: 법적으로 양천제, 실제적으로 반상제


(1) 지배층: 양반(주요 관직 독점, 지주층), 중인(기술관, 향리, 서얼 등)
(2) 피지배층: 상민(농민, 상인, 수공업자 등, 조세와 국역 부담), 천민(대부분 노비)

3 조선 전기의 문화
(1) 성리학의 발달
이황 도덕적 행위 근거로 심성 중시, “성학십도”와 “주자서절요” 저술, 일본 성리학에 영향
➒ 백두산정계비
이이 현실적・개혁적 성향, “동호문답”과 “성학집요” 저술

(2) 서원과 향약
① 서원: 중종 때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 서원이 시초, 선현에 제사, 학문 연구
② 향약: 향촌의 자치 규약으로 향촌 사회의 풍속 교화, 질서 유지
(3) 민족 문화의 융성 조선과 청의 국경 문제가 발생하자 양국 관리는 회
① 훈민정음 창제: 세종이 우리말의 자유로운 표현을 위해 창제 담을 통해 국경선을 확정하고 백두산정계비를 건립
하였다.
② 편찬 사업

역사서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실록” 등 ➓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


지도, 지리서 혼일강리역대국도 지도, “동국여지승람” 등 전분6등법은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6등급으로 나누
어 면적을 달리하는 제도이다. 연분 9등법은 그 해의
윤리, 의례서 “삼강행실도”, “국조오례의” 등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어 전세를 차등 수취하
는 제도이다.
③ 과학 기술의 발달

농업 세종 때 우리 풍토에 맞는 농사법을 정리한 “농사직설” 간행


몽유도원도
천문학 앙부일구(해시계), 자격루(물시계) 제작, “칠정산” 편찬

④ 양반 문화의 발달

그림 15세기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안견의 몽유도원도 등

자기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분청사기 유행 → 16세기 이후 백자 유행 세종 때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를 듣고 안견이 그린


건축 서울 원각사지 10층 석탑(고려 시대 경천사지 10층 석탑의 영향) 그림이다.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43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3]
1
CHECK UP TEST

조선 전기의 정치 조선 전기의 경제・사회와 문화

01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왕을 쓰시오. 03 다음 내용이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


① 직전법을 실시하였다. ( ) ① 중인은 신량역천으로 분류되었다. (○, ×)
② 4군 6진을 개척하였다. ( ) ② 노비는 조세와 역의 의무가 있었다. (○, ×)
③ 병자호란이 발생하였다. ( ) ③ 노비는 신분상으로는 양인이나 천대받았다. (○, ×)
④ 기묘사화가 발생하였다. ( ) ④ 태종 때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제작되었다. (○, ×)
⑤ 경국대전 편찬이 시작되었다. ( ) ⑤ 서원은 선현에 대한 제사와 교육을 담당하였다. (○, ×)
⑥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하였다. ( ) ⑥ 서원은 사림의 정치적 여론을 형성하는 근거지였다. (○, ×)
⑦ 중립 외교 정책을 추진하였다. ( ) ⑦ 서원과 향약은 신진 사대부가 성장하는 기반이 되었다.
⑧ 대마도(쓰시마 섬)를 정벌하였다. ( ) (○, ×)
⑨ 개국 공신을 축출하고 왕권을 강화하였다. ( ) ⑧ 서원과 향약은 향촌 사회에 대한 사림의 영향력을 확대시켰다.
⑩ 집현전을 설치하고 문물 제도를 정비하였다. ( ) (○, ×)
⑪ 경국대전을 반포하여 통치 규범을 마련하였다. ( ) ⑨ 이황은 우리나라 서원의 시초인 백운동 서원을 세웠다.(○, ×)
⑫ 사림 세력 중 명망이 높았던 조광조를 등용하였다. ( ) ⑩ 16세기에 방군수포가 행해지고 군역의 대립이 성행하였다.
⑬ 김종직 등 사림을 중용하여 훈구 세력을 견제하였다. ( ) (○, ×)
⑭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기 위하여 집현전을 없앴다. ( ) ⑪ 16세기에 보부상이 장시에서 농산물, 수공업 제품 등을 판매하
⑮ 국가 행사에 필요한 의례를 정리한 국조오례의를 편찬하였다. 였다. (○, ×)
( )
04 조선 전기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02 임진왜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ㄱ. 칠정산이 편찬되었다.
ㄴ. 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되었다.
[보기]
ㄱ. 기벌포 전투가 발생했다. ㄷ. 전등이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ㄴ. 처인성 전투가 발생했다. ㄹ. 정감록 등의 예언서가 유행하였다.
ㄷ. 국왕이 의주로 피신하였다. ㅁ. 자동 시보 장치를 갖춘 물시계를 만들었다.
ㄹ. 이순신과 수군이 활약하였다. ㅂ. 우리 풍토에 맞는 농사법을 모은 농서가 편찬되었다.
ㅁ. 황룡사 9층 목탑이 소실되었다. ㅅ. 조선 왕조의 주요 사건을 날짜별로 기록한 책이 편찬되
ㅂ. 군신 관계를 맺는 조건으로 강화가 이루어졌다. 었다.
ㅅ. 무력으로 철령 이북의 땅을 수복하였다. ㅇ. 서울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계산한 역법서를 제작하
였다.
ㅈ. 건국의 정당성을 내세우기 위해 이전 왕조의 역사를
서술하였다.

Re a l 정답

01 ① 세조(세조가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한 직전법 실시), ② 세종(최윤덕, 김종서를 시켜 ㄱ(나・당 전쟁), ㄴ(고려와 몽골의 전쟁), ㅁ(고려 시대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 ㅂ(병자호란), ㅅ
4군 6진 개척), ③ 인조(청의 군신 관계 요구를 거부해 발생), ④ 중종(기묘사화는 훈구 세력이 조 (고려 공민왕)
광조 등의 사림을 제거한 사건), ⑤ 세조(세조 때 편찬 시작, 성종 때 완성), ⑥ 세종(의정부 서사 03 ① ×(조선 시대 신량역천은 수군, 봉수군 등), ② ×(노비는 조세 부담이 없었음), ③ ×(노비는
제 실시로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추구), ⑦ 광해군(명과 후금 사이에서 추진), ⑧ 세종(이종무를 신분상 천인), ④ ○(태종 때 세계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 지도 제작), ⑤ ○(서원은 선현에 대
시켜 정벌), ⑨ 태종(개국 공신 축출, 6조 직계제 실시 등으로 왕권 강화), ⑩ 세종(학문 연구 기관 한 제사와 교육 담당), ⑥ ○(서원은 사림의 근거지), ⑦ ×(서원과 향약을 기반으로 사림 성장),
인 집현전 설치), ⑪ 성종(성종 때 조선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 반포), ⑫ 중종(훈구 세력 견제를 위 ⑧ ○(서원과 향약을 기반으로 사림 성장), ⑨ ×(중종 때 주세붕), ⑩ ○(16세기 군역의 문란), ⑪
해 등용), ⑬ 성종(김종직 등 사림 세력 중용), ⑭ 세조(집현전 폐지, 6조 직계제 실시 등으로 왕권 ○(15세기 말에 장시 출현, 보부상이 장시에서 활동)
강화 추진), ⑮ 성종(국조오례의 편찬, 홍문관 설치) 04 ㄱ(세종 때), ㄴ(성종 때), ㅁ(세종 때 제작된 자격루), ㅂ(세종 때 농사직설 편찬), ㅅ(조선 전기부
02 ㄷ(임진왜란 때 선조가 의주로 피신), ㄹ(이순신과 수군의 활약에 힘입어 임진왜란 극복) 터 편찬된 조선왕조실록), ㅇ(세종 때 칠정산 편찬), ㅈ(조선 전기에 고려사, 고려사절요 편찬),
ㄷ(개항 이후), ㄹ(조선 후기)

4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조선 전기의 정치 D03 고3 2017(10월)/교육청 5

밑줄 친 ‘이 사건’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D01 2018/수능 8 윤휴가 은밀히 상소를 올려, “이 사건은 하늘이 우리를 돌봐


04

DAY
주지 않아 일어난 것입니다. 짐승 같은 오랑캐들이 핍박해 와
밑줄 친 ‘전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우리를 남한산성으로 몰아넣고 삼전도의 치욕을 주었으며, 백
성을 죽였습니다. …… 수치를 씻어 군부(君父)에게 보답하며,
한국사 독서 카드 지난날의 허물을 지우려면 오랑캐를 정벌해야만 합니다.”라고
•서명: 징비록 하였다.
•저자: 유성룡
•주요 내용
① 별무반이 편성된 목적을 찾아본다.
국가의 중요 직책에 있었던 저자가 임진년부터 7년에
걸친 일본과의 전쟁 과정에서 경험한 내용 등을 기록한 ② 4군과 6진의 개척 과정을 알아본다.
것이다. 국방과 정치 전반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③ 효종 때 추진된 북벌 운동의 배경을 파악한다.
우리 군의 패전 상황과 어려움, 원병으로 온 명군이 일 ④ 숙종 때 안용복의 영토 수호 활동을 살펴본다.
으킨 폐해까지도 기록하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일
⑤ 망이・망소이의 봉기가 일어난 이유를 조사한다.
본의 침략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과실을 되돌아보면
서 후대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고자 했다.

① 인천 상륙 작전이 성공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②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
③ 한산도 해전에서 수군이 적을 대파하였다.
④ 친명 배금 정책이 원인이 되어 일어났다.
⑤ 서희의 외교 담판으로 적을 물리쳤다.

D02 고3 2017(10월)/교육청 6 D04 2018(9월)/평가원 7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밑줄 친 ㉠에 의해 시행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왕이 말하기를 “지난 갑오년(태종14) 국가의 중대사가 아닌


<수행 평가 과제>
일에 한해 육조가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여 시행토록 하였는데,
조선 시대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시조 만들기
이때 이후로 대부분의 일이 육조로 넘어가 의정부는 관여하지
3학년 ◯반 ◯◯번 성명: ◯◯◯ 않고 있다. 이는 정승을 임용하는 본래의 뜻에 어긋나니 ㉠`이
시조의 소재: (가) 를 시정하도록 하라.”고 하였다.

연산군이 노했나 사람을 잡아들이네


① 도병마사를 두었다.
사초의 글들이 뭐가 그리 잘못인가
② 교정도감을 설치하였다.
아뿔사 조의제문이 젊은 양반 잡는구나
③ 독서삼품과를 마련하였다.

중종의 훈구 견제 조광조를 부르시고 ④ 비변사를 축소・격하하였다.


현량과 위훈 삭제 훈구가 펄쩍 뛰고 ⑤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하였다.
급기야 주초위왕으로 사약을 내리누나

① 사화의 발생
② 예송의 전개
③ 갑신정변의 발발
④ 무신 정권의 성립
⑤ 위화도 회군의 단행

❖ 정답 및 해설 35 ~ 36p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45


D05 고3 2017(7월)/교육청 10 D07 고3 2017(4월)/교육청 14

(가), (나) 사이 시기에 들어갈 장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밑줄 친 ‘국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2점)

(가) (나)
◯◯고등학교 역사 소논문 발표회
이순신 장군의 지략으로
조선 국왕은
한산도에서 승리하였다.
당장 나와 훈민정음을 창제한 조선 제4대 국왕의 탄신일을 맞아 그의
항복하라. 업적을 주제로 한 소논문 발표회를 개최합니다.

▶ 일자: 2017년 월 일
▶ 장소: ◯◯고등학교 강당
▶ 발표 소논문
- 정책 연구 기관으로서의 집현전 설치 의미
① 지금은 명과 싸울 때가 아니다. ② 인조반정이 일어나 - 농사직설 간행이 연분9등법 제정에 미친 영향
개경으로 회군한다. 광해군이 쫓겨났대. - 한양을 기준으로 한 역법서 칠정산 편찬의 의의

① 훈요 10조를 남겼다. ② 4군 6진을 개척하였다.


③ 수원 화성을 축조하였다. ④ 사비 천도를 단행하였다.
⑤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③ ④
서경 천도! 저 분이 장보고
금국 정벌! 장군이구나.

⑤ 서양 세력에 항전한
후 척화비를 세웠네.

D08 2017/수능 8

밑줄 친 ‘국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3점)

한국사 인물 카드

D06 고3 2017(3월)/교육청 6
•조선 제4대 국왕(재위 기간: 1418 ~ 1450)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으로 적절한 것은? (3점)
•주요 업적: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하고 경연
을 활성화하였다. …(중략)… 농민 부담의 경
청의 군대가 개성을 지나자 세자빈과 봉림 대군 등은 강화도
감과 공평한 과세를 위해 전분6등법과 연분9
로 피하였다. 임금도 뒤따르기 위해 숭례문으로 이동하였으나,
등법을 시행하였다. 재위 기간에 “농사직설”,
강화도로 가는 길이 청의 군대에 막혀 남한산성으로 들어갔다. “칠정산”, “삼강행실도” 등을 편찬하였다. “농사직설”
그러자 청의 대군이 뒤따라와 남한산성을 포위하였다.

① 무신 정변의 원인을 파악한다. ① 4군 6진을 설치하였다.


② 척화비 건립의 계기를 조사한다. ② 강동 6주를 확보하였다.
③ 호포제 실시의 목적을 분석한다. ③ 동북 9성을 축성하였다.
④ 병자호란의 전개 과정을 알아본다. ④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⑤ 강동 6주의 확보 배경을 찾아본다. ⑤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46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D09 2017(9월)/평가원 8 D11 2017(6월)/평가원 4

(가) 국왕이 시행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04
한국사 인물 카드

DAY
(가) 의 전개 과정
(가) 모둠별 탐구 주제

▣ 조선 제3대 왕(재위 기간: 1400~1418) 모둠 탐구 주제


수군의 활약
▣ 주요 업적 1
- 이순신의 활약, 남해 제해권 장악
•국왕 중심 정치 강화
의병의 활동
•호구 파악을 위한 호적 작성과 호패법 실시 2
- 곽재우, 조헌, 고경명 부대의 활약
•신문고 설치 명의 참전
3
- 조•명 연합군의 왜군 격퇴

① 척화비 건립 ② 우정총국 설치
③ 홍범 14조 반포 ④ 6조 직계제 실시
⑤ 전민변정도감 설치 ① 임진왜란 ② 병자호란 ③ 만주 사변
④ 청・일 전쟁 ⑤ 러・일 전쟁

D10 2017(6월)/평가원 8 D12 고1 2016(3월)/교육청 8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이 표는 조선의 통치 한국사 용어 사전
통치 체제의 정비
체제와 관련된 주요
(가) 국정 총괄 기관 이조 기구들을 정리한 것 [조선, 중앙 통치 기구]

호조 입니다.
국왕 비서 기관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합하여 부르는 말이다. 사
승정원 예조
(왕명 출납) 헌부는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였고, 사간원은 국왕이
병조
의금부 사법 기관 형조 바른 정치를 하도록 일깨워주었으며, 홍문관은 국왕
사헌부 감찰 기관 공조 의 통치 자문을 맡았다. 는 언론 활동을 통하여

사간원 간언(간쟁) 기관 (가)

홍문관 자문 기관

① 역사서를 편찬하고 보관하였다.


① 의정부 ② 춘추관 ③ 상서성
② 국가 재정의 출납과 회계를 담당하였다.
④ 교정청 ⑤ 정당성
③ 수령의 자문에 응하고 백성들을 교화하였다.
④ 권력의 독점과 부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였다.
⑤ 지방에서 행정권, 사법권, 군사권을 행사하였다.

❖ 정답 및 해설 37 ~ 40p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47


조선 전기의 경제・사회와 문화 D15 고2 2017(3월)/교육청 7

다음 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장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D13 2018/수능 7 드라마 ‘ 대왕’ 제작 기획서

(가)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2점) 1. 기획 의도: 조선 전기 민족 문화의 꽃을 피운 의 업적


재조명
그래서 (가) 은/는 우리의 농업
기술을 조사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농
2. 주요 등장 인물: , 소헌 왕후, 정인지, 이천, 장영실
조선은 민본 정치를
추구하면서, 농업을 서인 “농사직설”을 편찬하게 했지.
측우기 등도 이 왕
3. 줄거리
근본으로 삼았어. 때 발명되었어. 은 집현전 학자들을 중심으로 학문 연구에 힘쓰는 한편,
이천과 장영실을 등용하여 측우기, 앙부일구 등 과학 기기의
제작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① 훈민정음을 반포하는 국왕
② 한성순보를 읽고 있는 관리
③ 임술 농민 봉기에 가담하는 농민

① 녹읍을 폐지하였다. ④ 노비안검법 시행을 비판하는 공신

② 대동법을 시행하였다. ⑤ 불국사 3층 석탑을 건립하는 장인

③ 균역법을 제정하였다.
④ 진대법을 처음 만들었다.
⑤ 전분6등법을 실시하였다.

D14 2018(6월)/평가원 7 D16 고3 2016(10월)/교육청 5

밑줄 친 ‘그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신문 기사의 제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대사헌 채수가 아뢰기를 “지금 전하께서 의관과 역관 중에 제◯◯호 한 국 사 신 문


그 기술이 훌륭한 자를 발탁하여 문무 관직에 쓰려고 하시는데,
저는 그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그들은 모두 보잘것없는 무리 조선 제4대 국왕 특집
로 본래 양반 사족이 아닌데도 외람되게 조정의 은혜를 많이 받 의정부 서사제 실시 4군 6진 설치
아왔으며, 국가에서 장려함도 이미 지극했습니다.”라고 하였다. 6조 직계제와 달리 6조의 업 최윤덕과 김종서 장군이 북쪽
무가 의정부를 거쳐 국왕에게 의 여진을 축출하고 4군과 6
① 사출도를 다스렸다. 올라가게 하였다. 진을 개척하였다.
② 공음전을 지급받았다.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 실시
③ 화백 회의에 참가하였다. 토지의 비옥도와 한 해의 풍
(가)
④ 신량역천으로 분류되었다. 흉에 따라 조세를 징수하는
⑤ 잡과 등을 통해 선발되었다. 새로운 제도를 마련하였다.

① 진대법 실시 ② 당백전 발행
③ 훈민정음 창제 ④ 전민변정도감 설치
⑤ 불국사 3층 석탑 건립

48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D17 고3 2016(7월)/교육청 8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밑줄 친 ‘이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이들의 매매는 관청에 신고하여야 한다. 사사로이 몰래 매매


D19 고3 2017(7월)/교육청 7
04

DAY
하였을 경우에는 관청에서 그 대가로 받은 물건을 모두 몰수
한다. 밑줄 친 ‘개혁’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무릇 이들의 소생은 그 어미의 역을 따른다. 다만 그 남자가
양인 여자와 혼인하여 태어난 소생은 그 아비의 역을 따른다.
- “경국대전” - 조선의 4대 사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① 조세・공납・역의 의무를 졌다.
•발생 시기: 1519년(중종 14)
② 음서와 공음전의 특권을 보장받았다. •관련 인물: 조광조, 남곤, 심정 등
③ 양인이지만 천역에 종사하여 천대받았다. •발생 배경
④ 재산으로 간주되어 상속의 대상이 되었다. 조광조 등 사림은 중종에 의해 중용되어 왕도 정치
를 실현하기 위해 개혁을 추진함. 그 과정에서 훈구 공
⑤ 속현의 조세 징수와 행정 실무를 담당하였다.
신들이 반발하여 사화가 발생함.
<조광조>

① 서원 정리 ② 태학 설립
③ 장용영 설치 ④ 현량과 실시
⑤ 독서삼품과 시행

D18 고3 2016(7월)/교육청 11 D20 2018(6월)/평가원 8

밑줄 친 ‘이 상인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밑줄 친 ‘국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2점)

조선은 수도 한양의 도시 백악산


도성
구획을 설계하면서 경복궁 경복궁
창덕궁
북쪽에 산이 있어 공간이 협 종묘
•조선의 9대 국왕
돈의문 흥인문 •재위 기간: 1469~1494년
소하였기 때문에 앞쪽에 시
종루 •주요 업적
장 거리를 조성하였다. 여기 숭례문
국가와 왕실의 의례를 유교 예법에 따라 정리한
에서 정부의 허가를 받아 상 목멱산
“국조오례의”를 간행하고, 집현전을 계승한 홍문
한강
점을 개설한 이 상인들이 장 관을 두어 경연을 활성화하였다. 또한 서거정 등
시장 구역
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을 시켜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
체로 정리한 “동국통감”을 편찬하게 하였다. 「국조오례의」

① 대동법 시행을 계기로 등장하였다.


② 지방 장시를 옮겨 다니며 장사하였다. ① 공신들에게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③ 벽란도에서 아라비아 상인과 교역하였다. ②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하였다.
④ 청해진을 거점으로 중계 무역을 주도하였다. ③ 9주 5소경 체제로 지방 제도를 정비하였다.
⑤ 왕실과 관청에 물품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았다. ④ 방납의 폐단을 줄이고자 대동법을 시행하였다.
⑤ 김종직 등 사림을 중용하여 훈구 세력을 견제하였다.

❖ 정답 및 해설 41 ~ 45p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49


동아리 소개 TIGRIS
고려대 아이스하키 동아리

‘호랑이’의 학명에서 유래

Ⓒ 88326338/Getty Images Bank.com

TIGRIS는 고려대학교 아마추어 아이스하키팀의 팀 이름으로

“호랑이”의 학명에서 유래하였습니다.

2001년부터 가을 정기 고연전의

아이스하키 오프닝 게임을 개최하면서

국내 여러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클럽 각 팀의

고대 출신들이 모여서 프로젝트 팀으로

활동해 온 것이 기원이 되었습니다.

2004년도부터는 고려대학교 아이스하키 클럽으로

정식 창단하여 학내 유일무이한

아이스하키 팀으로 함께 활동해오고 있습니다.

TIGRIS는 고려대학교 동문 아이스하키 팀으로서

졸업생 및 재학생 모두가 함께 한 팀으로서 운동하고 있으며,

산하 조직으로 재학생 동아리 모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조선 후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조선 후기 경제 상황: ‘상평통보’를 통해 제시된 자료가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조선 후기임을 알아야 한다. 키워드가 하나라서 어려웠을 조선 후기 경제 상황
수 있다. 2018 2
조선 후기 사상(실학)
•조선 후기 사상(실학): 유형은 다르지만 작년에 이어 실
균역법
학이 출제되었다. 실학이 조선 후기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2017 2
실학자의 토지 제도 개혁 방안
면 쉽게 풀 수 있다.
정조의 정책
2016 2
대동법과 균역법
2019 수능 예측 비변사
2015 2
1. 영정법, 대동법, 균역법 등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변화는 출제 조선 후기의 사회 상황
비중이 아주 높다. 따라서 핵심 내용과 어떤 왕 때 실시되었는지 균역법
2014 2
등을 꼼꼼히 정리해 두어야 한다. 조선 후기의 문화적 사실
2. 탕평책을 실시한 영조와 정조의 정책을 묻는 문제는 전형적이며
자주 출제되고 있다.

3. 조선 후기의 실학이 출제될 수 있다. 여러 실학자가 주장한 내용


을 일일이 외우기보다는 큰 틀에서 실학을 알아두자.

고난도 유형
★ 출제개념
통공 정책이 단행된 시기를 묻고 있다.
E15 2018(6월)/평가원 12
★ 핵심은 이것
다음 조치가 단행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조선 후기에는 나라의 허가를 받지 않은 난전의 활동이 활발
했다. 그러자 시전 상인은 금난전권(난전을 금지할 수 있는 권
좌의정 채제공이 아뢰기를, “마땅히 평시서로 하여금 30년
리)을 이용해 난전의 활동을 억압하였다. 정조는 육의전을 제
이내에 새로 개설된 시전을 조사하여 모두 혁파하도록 하고,
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폐지하는 통공 정책을 단행하였
형조와 한성부에 분부하여 육의전 이외의 시전은 난전을 한 자
다. 그로 인해 조선 후기 사상의 활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들을 붙잡아 처벌하지 못하도록 하십시오.”라고 하니, 왕이 그
에 따랐다. ★ 문항 분석
일반적으로 이 문제와 같이 특정 사건이 시기적으로 어디에
1392 1519 1592 1680 1811 1894
해당하는지 고르는 유형은 어렵게 느껴진다. 게다가 시험에
(가) (나) (다) (라) (마) 잘 등장하지 않았던 통공 정책이 나왔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
조선 건국 기묘사화 임진왜란 경신환국 홍경래의 난 갑오개혁 는 더욱 높았을 것이다. (경신)환국 후에 영조와 정조 등이 즉위
① (가) ② (나) ③ (다) 하였고, 정조가 통공 정책을 실시하였으며, 정조 사후 홍경래의
④ (라) ⑤ (마) 난이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통해 답을 고를 수 있어야 한다.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E02, E04


〔정답 및 해설 52p〕
조선 후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중요도

조선 후기의 정치

1 통치 체제의 변화 ➊ 5군영
임진왜란 중 삼수병으로 구성된 훈련도감이 설치되
(1) 비변사의 기능 강화: 16세기 초에 임시 회의 기구인 비변사 설치, 임진왜란을 거치며 최고 고 인조 때 어영청・총융청・수어청, 숙종 때 금위영
정치 기구가 됨 → 왕권 약화 이 설치되어 완성되었다.

(2) 군사 제도 변화: 5군영 (중앙군), 속오군 편성(지방군)
수능출제 0순위
(3) 수취 체제의 개편
•배경: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 시행의 어려움, 양난 이후 몰락 농민 증가 ✽ 용어를 통해 기억하자!
영정법
•내용: 풍흉에 관계없이 토지 1결당 쌀 4~6두 징수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은 매시험 마
(인조)
•결과: 수수료・운송비 등 여러 부가세 증가, 지주가 소작인에게 세금 부담 전가 → 농민의 부담 증가 다 거의 1문제씩 출제된다. 최근의 경향은
•배경: 방납의 폐단으로 인한 농민의 부담 증가 세세한 내용을 묻기보다 기본적인 내용을
•내용: 가호에 부과하던 공납을 토지 결수에 따라 현물 대신 쌀, 면포, 동전 등으로 징수 묻고 있다. 따라서 용어를 통해 그 의미를
대동법 ➋ 파악해 두자.
•시행: 광해군 때 경기도 지방에서 최초 실시 → 100여 년에 걸쳐 전국적으로 확대 (지주층의 반대가
(광해군) 영정법은 연분9등법에 관계없이 전세를
심했기 때문)
•결과: 농민 부담 감소, 공인 등장, 상품 화폐 경제 발달 토지 1결당 쌀 4 ~6두로 영원히 정한다는
것이다. 대동법은 본래 각 지방마다 특산물
•배경: 군포 징수의 폐단(백골징포, 황구첨정, 족징, 인징 등), 양반의 증가와 상민의 감소(상민의 군포
을 납부하던 것을 크게(大) 똑같이(同) 쌀로
부담 증가)
균역법 거둔다는 것이다. 균역법은 군역을 균등히
•내용: 군포 부담을 1년 2필에서 1필로 줄여줌
(영조) ➌ 한다는 것으로 1년에 1필씩 군포를 납부하
•부족액 보충 방법: 결작(지주에게 1결당 2두 징수), 선무군관포 , 어장세・선박세 등을 정부 재정으로
도록 하였다.
전환

2 붕당 정치의 전개와 탕평 정치 ➋ 대동법의 실시

(1) 붕당 정치의 전개: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선조) →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분화(선

조) → 북인이 정권 장악(광해군) → 서인이 주도(인조 반정 이후) → 두 차례의 예송 (현
종)으로 서인과 남인이 대립
(2) 붕당 정치의 변질: 숙종 때 환국 발생 → 특정 당이 권력 독점, 상대 당에 대한 탄압과 보
복 빈번,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화
(3) 탕평 정치
•탕평 정치: 탕평 정책에 동의하는 탕평파 중심의 정국 운영, 재야 산림의 존재 부정, 이조 전랑의 권

영조 한 축소, 붕당의 근거지인 서원 대폭 정리, 탕평비 건립
•개혁 정책: 균역법 시행, 신문고 부활, “속대전”과 “동국문헌비고” 등 편찬 ➌ 선무군관포
•탕평 정치: 노론, 소론, 남인을 고루 등용 무술 시험을 거쳐 선발한 지방의 군관을 선무군관이
정조 •왕권 강화: 규장각 육성, 초계문신제 실시, 장용영 설치, 화성 건설 라 한다. 이들에게 해마다 군포 한 필씩을 부과하였다.
•개혁 정치: 서얼에 대한 차별 완화, 신해통공(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 폐지)
➍ 예송
현종 때 자의대비의 상복 문제로 발생한 논쟁이다.
3 세도 정치의 전개와 농민 봉기 1차 예송 때는 서인의 주장이 받아들여졌으나, 2차
예송 때는 남인의 주장이 받아들여졌다.
(1) 세도 정치
① 등장: 정조 사후 어린 순조 즉위 → 외척을 중심으로 소수 유력 가문이 권력 독점 ➎ 탕평비

② 전개: 3대 60여 년 간 안동 김씨, 풍양 조씨에 의한 세도 정치 전개


③ 폐단: 수령의 매관매직 성행, 과거 시험에서 부정 성행, 삼정(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
(2) 농민 봉기의 발생
홍경래의 난 •배경: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 삼정의 문란
(1811) •전개: 홍경래가 평안도 가산에서 봉기 → 한때 청천강 이북 장악 → 관군에 의해 평정됨

•배경: 삼정의 문란
임술 농민 봉기
•전개: 단성과 진주에서 농민 봉기 발생 → 전국으로 확산
(1862) 영조는 탕평의 뜻을 알리기 위해 탕평비를 세웠다.
•정부의 대응: 삼정이정청 설치(삼정의 개혁 착수 → 흐지부지 됨), 암행어사 파견

5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조선 후기의 경제・사회와 문화 ➏ 선대제 수공업
수공업자가 상인에게서 자금과 원료를 미리 지급받
1 조선 후기의 경제 고 물건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04

DAY
(1) 농업의 변화
수능출제 0순위
➐ 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
① 모내기법 확산: 생산량 증가, 이모작 가능(벼, 보리 등), 노동력 절감으로 광작 유행
② 상품 작물 재배: 인삼, 담배, 목화, 채소 등을 재배하여 판매, 쌀의 상품화 활발
(2)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① 장시의 발달: 5일장이 일반적, 18세기 중엽 전국에 1,000여 개소 존재
② 포구 상업의 발달: 포구가 상업의 중심지로 발달, 객주와 여각이 활동
③ 화폐의 유통: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유통, 유통 화폐 부족 현상인 전황 발생
(3) 수공업과 광업
➏ ▲ 신분별 호구 구성비(대구 지방)
① 수공업: 관영 수공업 쇠퇴, 민영 수공업 발달(선대제 수공업 성행)
② 광업: 민영 광산 확대, 분업 형태로 진행(덕대, 물주 등) ➑ 노비종모법
노비는 어머니의 신분을 따르는 제도로서 아버지가 노
2 조선 후기의 사회 비라도 어머니가 양인이면 그 자녀는 양인이 되었다.

(1) 신분제의 동요 ➒ 향전
양반 권력을 잡은 양반과 몰락 양반인 향반 및 잔반으로 분화 조선 후기 향촌 지배권을 둘러싸고 구향(전통 사족)
과 신향(양반으로 상승한 부농층)이 대립한 것을 말
중인 서얼과 기술직 중인이 대규모 소청 운동 전개 한다.

•일부 농민이 부농층으로 성장, 대다수가 몰락


상민 ➓ 유형원의 균전론
•납속책과 공명첩, 양반의 족보 매입과 위조 등으로 신분 상승 추구
유형원은 관리, 선비, 농민 등 신분에 따라 토지를 차

노비 군공, 납속, 도망 등을 통해 신분 상승 / 정부는 노비종모법 시행, 공노비 해방 등 지급하자고 주장하였다.

(2) 향촌 사회의 변화 이익의 한전론


➒ 이익은 가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토지인
향촌 질서의 변화 양반의 향촌 지배력 약화, 부농층 성장 → 향전 발생
영업전은 매매를 금지하고 나머지 토지는 매매를 허용
가족 제도의 변화 부계 중심, 장자 상속과 양자 제도 일반화 해 점진적인 토지 소유 균등을 이루자고 주장하였다.

수능출제 0순위
3 실학
➓ ✽ 실학의 큰 틀을 알아두자.
•유형원: “반계수록” 저술, 균전론 주장
농업 최근에는 실학자의 세세한 주장을 묻기
•이익: “성호사설” 저술, 한전론 주장
중심의 개혁론
•정약용: “목민심서”, “경세유표” 저술, 여전론과 정전제 주장 보다 실학을 큰 틀에서 묻고 있다. 그리고

•유수원: “우서” 저술,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화와 전문화 주장 실학 관련 자료를 주고 그 시대의 모습을 고
상공업 •홍대용: “의산문답” 저술, 성리학 극복 주장, 중국 중심 세계관 비판 르는 문제도 출제되고 있으므로, 실학이 조
중심의 개혁론 •박지원: “열하일기” 저술, 수레와 선박의 이용, 화폐 유통 필요성 강조 선 후기에 발달한 학문임을 꼭 기억해 두어
•박제가: “북학의” 저술, 절약보다 소비를 통한 생산력 증대 주장 야 한다.

4 국학: 역`사(“동사강목”, “발해고” 등)와 지리(“택리지”, ‘대동여지도’ 등) 연구 활발


5 과학 기술의 발달: 곤여만국전도 전래, 정약용이 거중기 제작・배다리 설계
6 새로운 사상의 등장
인왕제색도
천주교 17세기경 서양의 학문으로 소개 / 평등 사상, 내세 사상 등을 내세우며 확산 → 정부의 탄압

동학 몰락 양반 출신 최제우가 창시 / 인내천 사상, 후천개벽 주장 → 정부의 탄압

7 서민 문화의 발달
(1) 배경: 서민의 경제력 향상, 서당 교육의 보급 등
(2) 내용: 한글 소설(“홍길동전”, “춘향전” 등), 사설시조, 판소리, 탈춤, 민화 등
진경 산수화를 개척한 정선의 작품으로 인왕산의 모
8 문화의 새 경향: 회화(진경 산수화와 풍속화 유행), 공예(청화 백자 제작) 습을 실감나게 표현하였다.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53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4]
1
CHECK UP TEST

조선 후기의 정치 조선 후기의 경제・사회와 문화

01 <보기>의 내용을 영정법, 대동법, 균역법으로 구분하여 쓰시오. 03 조선 후기의 경제 모습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보기]
ㄱ. 토산물 대신에 쌀, 베 등을 징수하였다. ㄱ. 경제적으로 몰락한 양반이 늘었다.
ㄴ. 공인이라는 상인이 출현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ㄴ. 권문세족이 대규모 농장을 경영하였다.
ㄷ. 지주에게 결작으로 1결당 쌀 2두를 부과하였다. ㄷ. 농지 개혁으로 농지가 유상 분배되었다.
ㄹ. 풍흉에 관계없이 전세 부담액을 1결당 4두로 고정하 ㄹ. 상평통보가 발행되어 시중에 유통되었다.
였다. ㅁ. 한강을 중심으로 경강상인이 활동하였다.
ㅁ. 어장세, 선박세 등의 잡세 수입으로 재정 부족분을 보 ㅂ. 덕대가 광산 개발 및 운영을 주도하였다.
충하였다. ㅅ. 상권을 수호하기 위해 상회사가 설립되었다.
ㅇ. 화폐 정리 사업으로 상인들이 타격을 받았다.
① 영정법: ( ) ② 대동법: ( ) ㅈ. 인천 등 개항장을 통해 외국과의 무역이 증가하였다.
③ 균역법: ( )

02 다음 내용이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 04 다음 내용이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


① 정조는 수원 화성을 건설하였다. (○, ×) ① 천주교는 왕조 교체, 후천 개벽을 예언하였다. (○, ×)
② 정조는 사심관 제도를 실시하였다. (○, ×) ② 공인은 장시들을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계하였다. (○, ×)
③ 영조는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하였다. (○, ×) ③ 천주교는 서양 선교사가 국내에 처음 전파하였다. (○, ×)
④ 정조는 5군영을 무위영과 장어영으로 개편하였다. (○, ×) ④ 양명학은 정제두에 이르러 학문적으로 체계화되었다. (○, ×)
⑤ 비변사는 양난을 거치면서 국정 전반을 관장하게 되었다. (○, ×) ⑤ 조선 후기에는 조상 제사 문제로 서학이 탄압받았다. (○, ×)
⑥ 임술 농민 봉기는 삼정이정청이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⑥ 동학은 인간 평등을 강조한 인내천 사상을 내세웠다. (○, ×)
(○, ×) ⑦ 조선 후기에는 양반의 위선을 풍자한 탈춤이 유행하였다.
⑦ 정조는 규장각을 학문 연구와 인재 육성의 기구로 삼았다. (○, ×)
(○, ×) ⑧ 조선 후기에는 한양을 기준으로 한 역법서인 칠정산이 편찬되
⑧ 정조는 정국을 주도하기 위해 여러 차례 환국을 일으켰다. 었다. (○, ×)
(○, ×) ⑨ 조선 후기에는 서당 교육의 확대로 서민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
⑨ 비변사는 세도 정권 시기에 핵심 권력 기구로 기능하였다. 졌다. (○, ×)
(○, ×) ⑩ 조선 후기에는 족보를 위조하여 신분 상승을 도모하는 상민이
⑩ 영조는 서얼 출신의 학자들을 규장각 검서관으로 기용하였다. 늘었다. (○, ×)
(○, ×) ⑪ 조선 후기에는 서민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 사설시조가 유
⑪ 비변사는 국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임시 기구로 출발하였다. 행하였다. (○, ×)
(○, ×)
⑫ 임술 농민 봉기는 서북민에 대한 차별에 반발하여 시작되었다.
(○, ×)

Re a l 정답

01 ① ㄹ(영정법은 전세를 1결당 4두로 고정한 법), ② ㄱ(대동법), ㄴ(대동법으로 어용 상인인 공인 03 ㄱ(조선 후기 경제적으로 몰락한 양반 증가), ㄹ(조선 후기 상평통보가 널리 유통됨), ㅁ(조선 후
출현), ③ ㄷ, ㅁ(균역법 실시로 부족해진 재정을 보충하기 위한 방안) 기 경강상인, 송상, 만상 등이 활동), ㅂ(조선 후기 광산 경영 전문가인 덕대 출현)
02 ① ○(정조가 개혁의 이상을 담아 건설), ② ×(사심관 제도는 고려 시대), ③ ×(정조), ④ ×(개 ㄴ(고려 말), ㄷ(광복 후), ㅅ(개항 이후), ㅇ(개항 이후), ㅈ(개항 이후)
항 이후의 사실), ⑤ ○(비변사는 조선 후기에 최고 기구가 됨), ⑥ ○(임술 농민 봉기에 대한 대 04 ① ×(예언 사상), ② ×(보부상), ③ ×(중국을 오가던 사신에 의해 처음 전파), ④ ○(정제두가
응으로 정부는 삼정이정청 설치), ⑦ ○(정조가 규장각 설치, 육성), ⑧ ×(숙종), ⑨ ○(세도 정치 양명학 연구, 강화학파 성립), ⑤ ○(제사 거부, 평등 사상 등으로 탄압 받음), ⑥ ○(동학은 인내
시기 비변사가 핵심 권력 기구, 세도 가문이 비변사 장악), ⑩ ×(정조), ⑪ ○(삼포왜란을 계기로 천, 후천개벽 주장), ⑦ ○(조선 후기에 유행한 서민 문화), ⑧ ×(조선 전기), ⑨ ○(조선 후기 서
임시 기구인 비변사 설치), ⑫ ×(홍경래의 난에 대한 설명) 민의 경제력 상승, 서당 교육 확대로 서민 의식 수준 향상), ⑩ ○(족보 위조, 매입, 공명첩 등으로
신분 상승 도모), ⑪ ○(조선 후기에 유행한 서민 문화)

5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조선 후기의 정치 E03 2018(9월)/평가원 8

밑줄 친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E01 고3 2017(10월)/교육청 10
공물을 방납하는 폐단이 날로 심해져 각 고을
04

DAY
밑줄 친 ‘이 제도’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적절한 것은? (3점) 에서 생산되는 물건이라도 방납인들이 먼저 대
신 납부합니다. 행여 직접 가져와 납부하는 자가
비로소 이 제도가 실시되었다. 이에 백성에게 군포 1필을 징 있다 하더라도 방납인들이 조정하여 퇴짜를 놓
수하여 백성의 부담이 줄어들었다. …… 줄어든 군포 수입은 게 하고 결국 자신들의 물건으로 납부하게 합니
어염세와 선박세 등을 나라 재정으로 돌려 보충하였고, 또한 다. 그런 후에 값을 마구 올려 10배의 이익을 취
양민 중에서 먹고 살 만한 사람들을 선무군관으로 만들어 그들 하니, 이것은 백성들의 피땀을 짜내는 것입니다.
에게 포를 징수하였다.

①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하였다.


① 공인의 등장 과정을 살펴본다.
② 관리에게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였다.
② 시무 28조의 내용을 파악한다.
③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였다.
③ 결작을 징수한 배경을 알아본다.
④ 토산물 대신에 쌀, 베 등을 징수하였다.
④ 과전법을 시행한 목적을 찾아본다.
⑤ 지주에게 결작으로 1결당 쌀 2두를 부과하였다.
⑤ 전민변정도감의 설치 의도를 조사한다.

E02
한국 지리
파일(F) 편집(E ) 보기(V ) 즐겨찾기(A ) 도구(T ) 도움말(H)
고3 2017(10월)/교육청 2 E04 2018(9월)/평가원 9

(가)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밑줄 친 ‘이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3점)

한국 지리
파일(F) 편집(E ) 보기(V ) 즐겨찾기(A ) 도구(T ) 도움말(H)

한국사 Q & A 이것은 규장각의 초계문신을 대상으로 치


른 시험에서 정약용이 제출한 답안지입니
Q : 궁금합니다. 다. 답안지 위에는 시험을 주관한 이 왕이
(가) 의 업적에 대하여 알려 주세요. 직접 채점하여 매긴 성적이 적혀 있습니다.

A : 답변합니다.

그는 탕평 정치를 펼쳤으며, 규장각을 권력과 정책을 뒷받침하는 기


구로 육성하고,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였으며, 『대전통편』을 편찬하였습니
다. 또한 정치ㆍ군사적 기능을 갖춘 수원 화성을 축조하였습니다.

① 당백전을 발행하였다.
① 장용영을 설치하였다. ② 동북 9성을 축조하였다.
②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③ 수원 화성을 건설하였다.
③ 노비안검법을 시행하였다. ④ 사심관 제도를 실시하였다.
④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였다. ⑤ 교육입국 조서를 발표하였다.
⑤ 화랑도를 국가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 정답 및 해설 45 ~ 47p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55


E05 고3 2017(4월)/교육청 4 E07 2017(9월)/평가원 9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밑줄 친 ‘이 제도’로 옳은 것은? (2점)

먼저 경기에 (가) 을 시행하였는데 토지 결수를 헤 이제 우리 지역에서 집집마다 이미 경기도에서는 이 제도가 시행


현물로 내던 공물을 토지 결수 되고 있다고 합니다. 방납의 폐단을
아려 쌀로 징수하기 때문에 백성들이 편하게 여겼다. 오직 부
에 따라 쌀로 내야 한다네. 없애기 위해서라지요.
호들은 방납의 이익을 잃을까 백방으로 저지하여 다른 도에
확대하여 시행하지는 못하였다. …(중략)… 김육이 말하기를
“ (가) 은 백성에게 편리하니 만약 이를 충청도와 전
라도에도 시행한다면 백성을 편안케 하고 나라에 큰 보탬이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① 대동법 ② 과전법
③ 균역법 ④ 영정법
⑤ 호패법 ① 전시과 ② 대동법 ③ 방곡령
④ 진대법 ⑤ 호포제

E06 2017/수능 9
조선 후기의 경제・사회와 문화
다음 가상 대화의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양민의 군포 부담이 많다고 들었


소. 이제부터 군포를 1필씩 납부하 예, 줄어든 군포 수입은 지주에게 E08 2018/수능 9
는 (가) 을 시행하여 양민의 결작을 부과하고 어염세와 선박세
부담을 줄이도록 하시오. 등을 국가 재정으로 돌려 보충하는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2점)
방안을 마련해 보겠습니다.
이 문서는 한글로 쓴 약속
증서이다. 이순이 장대윤에
게서 상평통보로 70냥을 빌
렸는데, 그 돈을 갚지 못하
면 자신이 경작하는 토지 가
운데 세 마지기를 장대윤에
게 넘기겠다는 내용이다.

① 진대법 ② 과전법 ③ 영정법 ① 아라비아 상인들이 벽란도에 와서 무역하였다.


④ 균역법 ⑤ 직전법 ② 관리들을 대상으로 전시과 제도가 시행되었다.
③ 담배를 비롯한 상품 작물이 재배되었다.
④ 고액 화폐로 활구가 유통되었다.
⑤ 백성에게 정전이 지급되었다.

56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E09 2018/수능 10 E11 2018(6월)/평가원 9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밑줄 친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양난 이후 모내기법이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각지의 장시를


04

DAY
연결하는 유통망이 갖추어졌다.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고 상공
<한국사 주제 발표> 업이 발전하면서 서민의 경제적 지위도 향상되었다. 이러한 변
•주제: 조선 후기 사상계의 새로운 경향 화를 반영하여 이 시기 문화에도 새로운 양상이 나타났다. 문
•발표 내용
학에서는 한글 소설과 사설 시조가 서민의 사랑을 받았고, 회
1모둠: 윤휴와 박세당, 주자의 경전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다.
2모둠: 강화 학파, 지행합일의 실천성을 강조하는 양명학을
화에서는 서민들을 주인공으로 하여 그들의 일상 생활을 화폭
연구하다. 에 담은 그림들이 유행하였다.
3모둠: (가)
① ② ③

① 6두품 지식인, 골품제의 한계를 비판하다.


② 북학파, 상공업 중심의 개혁론을 주장하다.
고사관수도 양직공도 대장간
③ 최충, 9재 학당을 설립하여 유학을 진흥시키다.
④ 이황과 이이, 이기론을 중심으로 성리학을 발전시키다. ④ ⑤
⑤ 신진 사대부, 성리학을 도입하여 사회 모순을 개혁하려 하다.

천마도 몽유도원도

E10 2018(9월)/평가원 10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E12 2017/수능 10

다음 주장을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탐구 활동 보고서
3학년 △반 이름: 농민, 선비, 관리 등에게 그 역할에 따라 차등을 두어 토지
를 분배해야 합니다.
○ 탐구 주제: (가)
○ 탐구 자료
산천을 경계로 여(閭)라는 구역을 정합니다. 여의
유형원
농지는 공동으로 경작하고, 수확량은 노동량에 따
라 분배해야 합니다.

정약용
① 서인과 남인의 예송
이것은 ◯◯◯이/가 국가로부터 공명첩을 구입한 사실을 확 ② 6두품 세력의 골품제 비판
인해 준 문서이다. 이 문서에 따르면, ◯◯◯은/는 공명첩을 ③ 관민 공동회의 헌의 6조 채택
구입하여 가선대부라는 관품과 군역 면제 등의 혜택을 받았다. ④ 실학자의 토지 제도 개혁 방안
○ 탐구 결과 ⑤ 개경 세력과 서경 세력의 갈등
이 시기에 부유해진 상민들은 공명첩을 사들이는 방법으로
양반의 지위를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① 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
② 고려 후기 신진 사대부의 성장
③ 고려 무신 집권기 하층민의 저항
④ 고려 전기 문벌 귀족의 정권 장악
⑤ 신라 말기 진골 귀족의 왕위 쟁탈전

❖ 정답 및 해설 47 ~ 51p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57


E13 2017(9월)/평가원 10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역사 다큐멘터리 제작 기획서
E15 2018(6월)/평가원 12
■제목: (가)
다음 조치가 단행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방영 시간: ◯◯월 ◯◯일 (수) 22시
■기획 의도
좌의정 채제공이 아뢰기를, “마땅히 평시서로 하여금 30년
민화, 한글 소설, 판소리 분야의 대표 작품을 소개하여 문화
의 새로운 경향을 살펴봄. 이내에 새로 개설된 시전을 조사하여 모두 혁파하도록 하고,
■대표 작품 형조와 한성부에 분부하여 육의전 이외의 시전은 난전을 한 자
‘까치 호랑이’, 홍길동전, 심청가 들을 붙잡아 처벌하지 못하도록 하십시오.”라고 하니, 왕이 그
에 따랐다.

① 고구려의 고분 문화 1392 1519 1592 1680 1811 1894


② 통일 신라의 불교 문화
(가) (나) (다) (라) (마)
③ 고려의 자기 공예 문화
조선 건국 기묘사화 임진왜란 경신환국 홍경래의 난 갑오개혁
④ 조선 전기의 양반 문화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⑤ 조선 후기의 서민 문화

E16 고3 2016(10월)/교육청 4

다음 문화유산을 건설한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수원 화성 안내도

장안문
행궁
화성의 북쪽 문
서장대
E14 고1 2016(9월)/교육청 5 화성에 주둔한 장용영
의 군사를 지휘하던 곳
(가)에 들어갈 인물로 옳은 것은? (2점)
① 녹읍을 폐지하였다. ② 과거제를 도입하였다.

역사 통합 검색
③ 독서삼품과를 마련하였다. ④ 초계문신제를 시행하였다.
⑤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역사 통합 검색
【인물 정보】
•생몰 연도: 1762년(영조 38년)~1836년(헌종 2년)
E17 2017(6월)/평가원 11

•호: 다산, 여유당 등 다음 주장이 나타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3점)


•주요 저작 및 활동

목민심서 경세유표 거중기 설계


육지로 천 리를 가는 것이 뱃길로 만 리를 가는 것의 편리함
을 당하지 못하므로 통상이란 반드시 뱃길을 중요하게 여긴다.
…(중략)… 나라의 재주 있는 장인들을 모아 배를 만들되, 청나
인터넷 라의 배처럼 견고하고 치밀하게 만들어야 한다.
-박제가, “북학의”-
인터넷

① 벽란도가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① 정약용 ② 정몽주
② 농지 개혁으로 농지가 유상 분배되었다.
③ 김유신 ④ 이순신
③ 한강을 중심으로 경강상인이 활동하였다.
⑤ 최치원
④ 상권을 수호하기 위해 상회사가 설립되었다.
⑤ 화폐 정리 사업으로 상인들이 타격을 받았다.

58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 정답 및 해설 51 ~ 53p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문호 개방과 근대 사회로의 변혁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초기 개화 정책: 1880년대 초반에 있었던 개화 정책에 관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한 문제이다. 선택지의 시기가 너무 명확했기 때문에 난이 2018 1 초기 개화 정책
도는 높지 않다.
2017 1 갑신정변 때의 14개조 혁신 정강
2016 0 - -

2019 수능 예측 2015 0 -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1. 흥선 대원군의 대내 정치와 대외 정치의 핵심 내용을 묻는 문제 2014 2
가 출제될 수 있다. 갑신정변 때의 개혁 방안

2. 조선이 일본과 맺은 강화도 조약이 출제될 수 있다. 강화도 조약


의 핵심 내용과 의의를 정리해 두자.

3. 갑신정변 때 발표된 개혁 정강은 갑오개혁, 동학 농민군의 폐정


개혁안, 광무개혁 등의 내용과 함께 출제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경
우 난이도는 다소 높아질 것이다.

고난도 유형 ★ 출제 개념
급진 개화파가 14개조 혁신 정강을 언제 발표했는지를 묻고
F10 2017/수능 11
있다.
다음 정강이 발표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 핵심은 이것
임오군란 후 청의 간섭이 이루어지고 개화 정책이 후퇴하자 급
정강 진 개화파의 불만이 커졌다. 그리하여 1884년에 갑신정변을 일
으키고, 지조법의 개혁과 재정의 일원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14
1. 대원군을 즉시 귀국하게 할 것
개조 혁신 정강을 발표하였다.
2.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제정할 것
3. 지조법을 개혁할 것 ★ 문항 분석
…(중략)…
제시된 자료가 갑신정변 때의 14개조 혁신 정강임을 파악하기는
12. 재정은 모두 호조에서 관할할 것
수월했을 것이다. 하지만 언제 발표되었는지 고르는 것이 어려
웠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기를 묻는 문제는 학생들이 어려워하
(가) (나) (다) (라) (마) 는 유형인데, 인과 관계를 따져가며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다.
척화비 강화도 통리기무아문 조사 사찰단 임오군란 전주 화약
건립 조약 체결 설치 파견 발발 체결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 F06, F07
① (가) ② (나) ③ (다)
〔정답 및 해설 58p〕
④ (라) ⑤ (마)
문호 개방과 근대 사회로의 변혁 중요도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1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➊ 당백전

(1) 통치 체제의 정비
① 세도 정치 폐단 시정: 안동 김씨 세력 축출,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② 통치 조직 정비: 비변사의 기능 축소(이후 폐지) →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 부활
③ 법전 편찬: “대전회통”, “육전조례” 경복궁 중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한 것으로

④ 경복궁 중건: 왕실의 위엄 회복 목적, 당백전 발행・원납전 징수・백성의 노동력 동원・ 명목상의 가치가 상평통보의 100배에 달하였다.

양반의 묘지림 벌목 → 양반과 백성의 반발 ➋ 호포제 실시로 나타난 군포 부담층의 변화


(2) 민생 안정 정책 (경북 영천)
<실시 전(1792)> <실시 후(1872)>
•전정: 양전 사업 실시, 은결 색출 → 세금 부과

삼정의 개혁 •군정: 양반에게도 군포를 부과하는 호포제 실시
•환곡: 향촌 주민이 자치적으로 운영하는 사창제 실시

•배경: 서원이 붕당의 근거지 역할, 면세의 혜택, 백성 수탈


서원 철폐
•내용: 전국 600여 개의 서원 중 47개만 남기고 모두 철폐

수능출제 0순위
2 통상 수교 거부 정책
(1) 병인양요(1866) ✽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은 다양한 형태로
출제될 수 있다.
① 배경: 병인박해(흥선 대원군의 천주교 박해)
최근 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
② 전개: 프랑스군이 강화도 침략 → 문수산성(한성근), 정족산성(양헌수)에서 프랑스군 격퇴
은 자료의 핵심 주제를 고르거나, 자료를 통
→ 프랑스군 철수(외규장각 도서 약탈) 해 병인양요임을 추론하는 단순한 형태로
(2) 오페르트 도굴 사건(1868): 오페르트가 남연군(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의 묘 도굴 시도 출제되었다.
(3) 신미양요(1871) 하지만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사건의
① 배경: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 순서를 묻거나 두 사건 사이에 들어갈 사실
을 고르는 형태로도 출제될 수 있기 때문에
② 전개: 미군의 강화도 침략 → 초지진과 덕진진 점령 → 광성보에서 어재연 장군의 항전
➌ 사건의 선후 관계를 꼭 정리해 두어야 한다.
③ 영향: 흥선 대원군이 통상 수교 거부 의지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전국 각지에 척화비 건립

개항과 개화 정책의 추진 및 반발 ➌ 척화비

1 조선의 문호 개방
(1) 강화도 조약(1876)
배경 흥선 대원군의 하야 → 고종의 친정, 통상 개화론 대두 / 일본의 문호 개방 요구(운요호 사건)

➍ •조선이 자주국임을 인정(조선에 대한 청의 간섭 배제 목적)


내용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 데도 싸우지 않으면 화친
•부산 외 2개 항구 개항, 해안 측량권 허용, 영사 재판권(치외 법권) 인정 등
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것
성격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조약 이다.”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부속 조약 조・일 수호 조규 부록(거류지 설정 등), 조・일 무역 규칙(무관세, 무항세 등)

(2)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➍ 강화도 조약의 내용(일부)

배경 “조선책략” 유포, 청의 알선 제1조 조선은 자주의 나라이며, 일본과 평등한


권리를 갖는다.
내용 치외법권과 최혜국 대우 인정, 거중 조정, 관세 부과
제4조 조선은 부산 외에 두 곳(원산, 제물포)을 개
항하고 일본인의 왕래 통상함을 허가한다.

2 개화 정책의 추진 제10조 일본 인민이 조선 지정의 각 항구에서 죄


를 범한 것이 조선 인민과 관계되는 사건
(1) 통리기무아문 설치(1880): 개화 정책 총괄, 아래에 실무를 담당하는 12사 설치 일 때에는 모두 일본 관원이 재판한다.

(2) 군사 제도 개편: 신식 군대인 별기군 설치, 5군영을 2영(무위영, 장어영)으로 개편

60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수능출제 0순위
(3) 근대 시설 설치: 기기창(무기 제조), 박문국(인쇄), 전환국(화폐 발행), 우정총국(우편)
➎ 별기군
(4) 외교 사절과 시찰단의 파견
•개항 후 일본에 파견한 공식적 외교 사절
수신사 ➏
•제2차 수신사로 파견되었던 김홍집이 “조선책략” 을 가져옴

05

DAY
조사 시찰단 일본의 근대 문물 시찰, 개화 정책에 관한 정보 입수를 위해 파견됨

영선사 청의 근대 무기 제조 기술 습득 목적, 귀국 후 기기창 설치 주도



보빙사 미국과 수교 후 미국 공사 파견에 대한 답례로 파견 신식 군대로 일본인 교관의 근대식 훈련을 받았다.

3 위정척사 운동 ➏ 조선책략
(1) 의미: 성리학과 성리학적 질서를 지키고, 서양의 종교와 사상 등을 배척하자는 운동 일본에 있던 청의 외교관 황준헌이 쓴 책으로 조선
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 친중국, 결일본, 연미
(2) 전개
국 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시기 배경 활동, 주장 주요 인물

1860년대 서양의 통상 요구 척화주전론 이항로, 기정진


➐ 보빙사
1870년대 강화도 조약 체결 왜양일체론(개항불가론) 최익현

1880년대 “조선책략” 유포 영남 만인소(개화반대론) 이만손, 홍재학

1890년대 일본의 침략 강화 항일 의병 투쟁 유인석, 이소응

4 임오군란
(1) 배경: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 일본의 경제적 침탈로 인한 곡물 가격 급등(하층민의
불만 고조) ➑ 갑신정변 때의 14개조 혁신 정강(일부)
(2) 전개: 구식 군인이 정부 고관 살해, 일본 공사관과 궁궐 습격, 도시 빈민 합세 → 흥선 대 1. 청에 잡혀간 흥선 대원군을 곧 돌아오게 하며,
원군의 재집권, 개화 정책 중단 → 청군 개입(흥선 대원군 압송) → 민씨 세력 재집권 종래에 청에 대하여 행하던 조공의 허례를 폐지
한다.
(3) 결과: 청의 내정 간섭 심화(고문 파견),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청 상인의 내지
2. 문벌을 폐지하고 인민 평등의 권리를 세워, 능
통상 허용), 일본과 제물포 조약 체결(배상금 지불, 공사관 경비를 위한 일본군 주둔 허용) 력에 따라 관리를 임명한다.
3. 지조법을 개혁해 관리의 부정을 막고 백성을
5 개화파의 형성과 분화 보호하며, 국가 재정을 넉넉하게 한다.
9. 혜상공국을 혁파한다.
(1) 통상 개화론자(박규수 등)가 김옥균, 박영효 등에 영향을 미침 → 개화파 형성 12. 모든 재정은 호조에서 관할한다.

(2) 개화파의 분화 13. 대신과 참찬은 의정부에 모여 정령을 의결하


고 반포한다.
분화 개화의 속도와 방법, 대외 정책에 대한 차이로 온건 개화파・급진 개화파로 분화(임오군란 전후) 14. 의정부, 6조 외 모든 불필요한 기관을 없앤다.
- “갑신일록” -
•김윤식, 김홍집, 어윤중 등
온건 개화파
•청의 양무운동이 모델, 동도서기론 주장, 청과의 전통적인 관계 중시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 ➒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각축


급진 개화파
•일본의 메이지 유신이 모델, 문명개화론 주장, 청에 대한 사대 외교 반대

6 갑신정변
(1) 배경: 청의 내정 간섭 심화, 일본으로부터의 차관 도입 실패(급진 개화파의 입지 약화), 프
랑스와의 전쟁으로 청군 일부 철수
(2) 전개: 급진 개화파가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계기로 정변 일으킴 → 개화당 정부 수립,

14개조 혁신 정강 발표 → 청군의 개입으로 3일 만에 실패
(3) 결과
•조선과 일본이 체결
한성 조약
•조선이 일본에 배상금 지불, 공사관 신축 비용 부담

•청과 일본이 체결
톈진 조약
•양국 군대가 조선에서 철수, 향후 조선에 파병할 때 상대국에 알리도록 함 ➓ 조선 중립화론
➒ 부들러는 조선이 독자적으로 영세 중립국을 선언할
(4) 갑신정변 이후의 국제 정세 : 조선이 청 견제를 위해 러시아와 비밀 협약 추진 → 영국이 것을 제안하였다. 유길준은 열강이 보장하는 조선의

거문도 점령(1885~1887) → 조선 중립화론 대두(독일 부영사 부들러, 유길준) 중립화를 주장하였다.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61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3]
1
CHECK UP TEST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개항과 개화 정책의 추진 및 반발

01 흥선 대원군에 대한 설명으로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03 <보기> 중 1880년대 정부의 개화 정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


① 호포제를 시행하였다. (○, ×) 시오.
[보기]
② 영정법을 실시하였다. (○, ×)
ㄱ. 별기군 설치
③ 대전회통을 편찬하다. (○, ×)
ㄴ. 집강소 설치
④ 비변사를 설치하였다. (○, ×)
ㄷ. 기기창 설치
⑤ 단발령을 시행하였다. (○, ×)
ㄹ. 조선 형평사 창립
⑥ 척화비를 건립하였다. (○, ×)
ㅁ. 삼군부 부활 ▲ 별기군
⑦ 정동행성을 설치하였다. (○, ×)
⑧ 방곡령 철회를 요구하였다. (○, ×)
⑨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 (○, ×)
⑩ 수원 화성을 건설하였습니다. (○, ×)
⑪ 교육입국 조서를 발표하였다. (○, ×)
⑫ 방납의 폐단을 줄이고자 대동법을 처음 시행하였다. (○, ×) 04 갑신정변에 대한 설명으로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①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켰다. (○, ×)
② 급진 개화파가 주도하였다. (○, ×)
③ 해산된 군인들이 주도하였다. (○, ×)
02 흥선 대원군 집권 시기에 있었던 사실을 모두 고르시오. ④ 청군의 진압으로 실패하였다. (○, ×)
[보기]
⑤ 이후 조선 중립화론이 제기되었다. (○, ×)
ㄱ. 병자호란 ⑥ 복벽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일어났다. (○, ×)
ㄴ. 통감부 설치 ⑦ 청에 대한 조공을 폐지하자고 주장하였다. (○, ×)
ㄷ. 운요호 사건
⑧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발생하였다. (○, ×)
ㄹ. 서울 진공 작전
⑨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하여 일어났다. (○, ×)
ㅁ. 외규장각 도서의 약탈
⑩ 청의 내정 간섭이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ㅂ. 제너럴 셔먼호 사건
▲ 흥선 대원군
⑪ 국내에서 신간회가 창립되는 데 영향을 끼쳤다. (○, ×)
ㅅ. 어재연이 이끈 광성보 항전
⑫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의 원인이 되었다. (○, ×)
ㅇ. 프랑스가 병인박해를 구실로 조선에 침입하였다.
⑬ 이후 영국은 러시아를 견제한다는 구실로 거문도를 점령하였다.
(○, ×)
⑭ 탁지아문을 설치하여 재정의 일원화를 시도하였다. (○, ×)

Re a l 정답

01 ① ○(흥선 대원군이 군정의 개혁을 위해 시행), ② ×(조선 후기 인조), ③ ○(흥선 대원군이 법 03 ㄱ(1880년대 정부는 기존의 5군영을 2영으로 축소, 신식 군대인 별기군 설치), ㄷ(1880년대 정부
전 체제 정비를 위해 편찬), ④ ×(조선 전기에 설치됨), ⑤ ×(흥선 대원군이 물러난 후 을미개혁 는 근대 무기 제조 공장인 기기창 설치)
때 시행), ⑥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이후 흥선 대원군이 척화비 건립), ⑦ ×(고려 원 간섭기 때 ㄴ(1890년대 동학 농민군), ㄹ(일제 강점기 백정 출신들), ㅁ. (흥선 대원군 집권기 = 1880년대 전)
설치됨), ⑧ ×(흥선 대원군이 물러난 후 조・일 통상 장정 체결, 이에 근거해 일부 지방관이 방 04 ① ×(1907년 일제), ②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가 주도), ③ ×(갑신정변은 해산된 군
곡령 내림, 일본이 철회 요구), ⑨ ×(고려 공민왕), ⑩ ×(정조가 개혁의 이상을 담아 건설), ⑪ 인과 관련 없음), ④ ○(청군의 진압으로 갑신정변 실패, 이후 청의 영향력 확대), ⑤ ○(갑신정변
×(흥선 대원군이 물러난 후 갑오개혁 때 발표됨), ⑫ ×(조선 후기 광해군이 처음 시행) 이후 부들러, 유길준 등이 제기), ⑥ ×(갑신정변은 입헌 군주제 추구), ⑦ ○(갑신정변 때 청에 대
02 ㅁ(흥선 대원군 집권 시기 병인양요 발생, 프랑스군이 퇴각하면서 외규장각 도서 약탈), ㅂ(흥선 한 조공 폐지 주장), ⑧ ×(신미양요), ⑨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 때 급진 개화파가 갑신정변 일
대원군 집권 시기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평양에서 불타는 사건 발생), ㅅ(흥선 대원군 집권 으킴), ⑩ ○(갑신정변이 청군에 의해 진압되었기 때문), ⑪ ×(일제 강점기의 정우회 선언 등), ⑫
시기에 있었던 신미양요), ㅇ(흥선 대원군 집권 시기 프랑스가 강화도를 침입한 병인양요 발생) ×(임오군란 후 청의 영향력 확대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⑬ ○(갑신정변 후에 거
ㄱ(조선 인조 때), ㄴ, ㄷ, ㄹ(흥선 대원군이 물러난 후) 문도 사건 발생), ⑭ ×(갑신정변을 일으킨 급진 개화파는 호조로 재정 일원화 시도)

6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F03 고1 2016(11월)/교육청 6

다음 대화에 나타난 정책을 실시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F01 고3 2017(10월)/교육청 11

다음 주장이 제기된 당시에 볼 수 있던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점)


05

DAY
경복궁 중건 공사비가 많이 부족한 모양이오. 우리 고을에도
원납전이 이렇게나 많이 할당되었으니 걱정이오.
최익현이 상소를 올리기를, “원납전의 징수를 그만두어야 합
니다. 모두가 말하기를, ‘이 돈은 앞으로 없어질 것이다.’라고
하는데 단지 집집마다 바치라는 방만 볼 수 있을 뿐 영구히 혁
파한다는 명령을 들을 수 없으므로 여러 사람들의 의혹이 짙어 한 사람당 당백전 한 닢씩 납부해야 한다지요. 조상님의 묘지
가고 있습니다. 또한 당백전도 폐기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림도 베어 가더니, 돈까지 강제로 걷으려나 봅니다.

① 역분전을 지급받는 공신 ① 12목을 설치하였다.


② 경복궁 중건에 동원되는 농민 ② 호포제를 실시하였다.
③ 중방 회의에 참여하는 상장군 ③ 화랑도를 개편하였다.
④ 대마도 토벌을 위해 출정하는 병사 ④ 경국대전을 반포하였다.
⑤ 화폐 정리 사업 실시에 놀라는 상인 ⑤ 평양 천도를 단행하였다.

F02 2018(6월)/평가원 10 F04 2017(6월)/평가원 12

(가)에 들어갈 사건으로 옳은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열강의 침략에 맞서다 한 국 사 신 문 ◯◯◯◯년 ◯◯월 ◯◯일

1. 주제 : (가) 의 전개 과정 인물 탐구 (가)
2. 자료
프랑스 군함 여러 척이 다가오니 강화도의 군사들이 어찌할 줄 몰랐다. 그는 고종이 즉위한 후 실권자가 되
이윽고 프랑스 군인들이 갑곶에 내려 진영을 갖추고 쳐들어와 본읍을 차지 어 개혁을 추진하였다. 통치 체제를 정
하고 제멋대로 돌아다녔다. …(중략)… 양헌수 부대가 정족산성에 매복하였 비하기 위해 중앙 정치 기구를 개편하
다가 올라오는 프랑스군을 향해 좌우에서 총을 쏘았다. 적의 지휘관이 총에 고, “대전회통”을 편찬하였다. 그리고
맞아 말에서 떨어지고 적병 십여 명이 죽었다. 혼쭐이 난 그들은 급히 본진 유생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전국의 서원
으로 도망갔다.
을 정리하여 47개만 남기고 모두 철폐
하였다. …(중략)… 두 차례의 양요를 겪
① 병인양요 ② 병자호란 은 후 그는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널리

③ 귀주 대첩 ④ 기벌포 전투 알리기 위해 전국에 척화비를 세웠다. ▲ 척화비

⑤ 처인성 전투

① 태조의 북진 정책
② 광해군의 외교 정책
③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와 대외 정책
④ 영조의 탕평파 육성과 민생 안정 정책
⑤ 광종의 과거제 실시와 왕권 강화 정책

❖ 정답 및 해설 54 ~ 55p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63


개항과 개화 정책의 추진 및 반발 F07 고2 2017(3월)/교육청 9

밑줄 친 ‘우리’가 일으킨 사건으로 옳은 것은? (3점)

F05 2018/수능 11
년 월 일
두 해 전에 일어난 군란 이후 청의 간섭은 날로 심
다음 가상 대화가 이루어진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
해지고 있다. 흥선 대원군이 청에 볼모로 잡혀가 있
은? (2점)
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이에 급선무는 청의 속박
통리기무아문에서 마련한 부국강병 에서 벗어나 완전한 자주국을 수립하는 것이다. 나
대책을 보고해 보시오. 의 생각을 동지들인 박영효, 홍영식 등에게 전하여
예, 별기군을 신설하여 신식 군사 훈련을
받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의견 일치를 보았으며, 우리는 곧 모종의 거사를 일
으키기로 하였다.

① 광무개혁
② 갑신정변
③ 홍경래의 난
① 무역선을 타고 청해진에서 당으로 향하는 상인 ④ 서울 진공 작전
② 별무반에 편입되어 여진 정벌에 나서는 군사 ⑤ 서경 천도 운동
③ 조사 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을 방문한 관료
④ 신돈의 개혁 정치에 환호하는 노비
⑤ 화백 회의에 참석하는 진골 귀족

F06 2018(9월)/평가원 11 F08 2017(9월)/평가원 13

(가)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이 책은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


가 일으킨 (가) 의 준비와 전개 과정 정책 총괄 기구인 신식 군대인
이 기록된 “갑신일록”이다. 근대 국가 수 통리기무아문 설치 (가) 창설
립을 지향한 정치・사회 개혁 운동으로서 1880년대
조선 정부의 개화 정책
(가) 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
이다. 근대 시설로 외교 사절로
기기창, 박문국 등 설립 영선사, 보빙사 등 파견

① 훈련도감이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②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발생하였다.
① 삼별초 ② 장용영 ③ 별기군
③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하여 일어났다.
④ 훈련도감 ⑤ 북로 군정서
④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었다.
⑤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의 원인이 되었다.

6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F11 고3 2016(3월)/교육청 14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F09 고3 2017(4월)/교육청 18 2016년 3월 10일


밑줄 친 ‘이 변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오늘 역사 동아리 친구들

05

DAY
과 창덕궁에 갔다가 근처에
서 (가) 터의 표지
◯월 ◯일 석을 발견하였다.
어제 구식 군인들이 서울 주재 일본 공사관을 (가) 은/는 원래
습격한 것에 이어 오늘은 궁궐을 습격하였다. 그 왜구와 여진족에 대비하여
변방의 방비를 논의하던 임
들은 민겸호를 살해하고, 피신하는 왕비를 쫓았
시 회의 기구였는데, 임진
다고 한다. 이 변란으로 왕의 친부인 대원군이 정
왜란을 거치면서 기능이 확
권을 잡았다. 조선의 정세가 급변하여 장차 사태 (가) 터 표지석
대되었다고 한다.
가 어찌될지 조금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① 매향 활동을 하였다.
② 개화 정책을 담당하였다.
① 서경 천도를 목표로 하였다.
③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3사라 불렸다.
② 장용영 설치의 배경이 되었다.
④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의 고관이 참여하였다.
③ 노비안검법 시행에 반발하였다.
⑤ 흥선 대원군의 개혁으로 기능이 축소되었다.
④ 제물포 조약 체결의 원인이 되었다.
⑤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전개되었다.

F12 고3 2016(4월)/교육청 15

다음 계획에 의해 전개된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F10 2017/수능 11
거사 계획
다음 정강이 발표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 목표
一. 비상수단으로 민영익 이하 사대당의 주요 인물을 제거하
정강 여 청국의 간섭을 끊고 독립국의 체면을 바로 잡을 것
…(중략)…
1. 대원군을 즉시 귀국하게 할 것
一. 국왕에게 요청하여 튼튼한 책임 내각을 조직하게 할 것
2.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제정할 것
3. 지조법을 개혁할 것 ▣ 임무 배정
…(중략)… •홍영식: 총괄 대표 •박영효: 실행의 총지휘
12. 재정은 모두 호조에서 관할할 것 •서광범: 참모 •김옥균: 일본 공사관과 교섭
•서재필: 병사 인솔

(가) (나) (다) (라) (마) ▣ 병력


척화비 강화도 통리기무아문 조사 시찰단 임오군란 전주 화약 우리 측 병사 약 1,000명, 일본 원병 약 200명
건립 조약 체결 설치 파견 발발 체결

① (가) ② (나) ③ (다)


① 급진 개화파가 주도하였다.
④ (라) ⑤ (마)
② 순종의 인산일을 기하여 일어났다.
③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았다.
④ 개혁 추진 기구로 군국기무처를 두었다.
⑤ 윌슨이 제기한 민족 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 정답 및 해설 56 ~ 59p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65


동아리 소개 K.H.P.C.
경희대 사진 동아리

“순간에서 영원으로…”

Ⓒ 503839623/Getty Images Bank.com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카메라 하나 달랑 메고

산으로, 들로, 거리로, 최고의 사진을 찍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경희 사진 연구회 K.H.P.C.의 모토입니다.

매년 두 번의 사진전(정기전 ,신인전)과

특별전을 열고 있는 경희 사진 연구회는

그 역사만큼이나 깊은 열정과 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희대학교 서울 캠퍼스 학생회관

4층에 자리 잡은 저희 동아리는

최고의 시설과 최고의 실력으로 지금도

작품 활동에 여념이 없습니다.

사진을, 사람을 사랑하는 사람들!

경희 사진 연구회 K.H.P.C.는

앨범 속의 사진처럼 영원히 기억될 것입니다.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동학 농민 운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개항 이후 경제, 사회, 문화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동학 농민 운동: 지도를 보고 동학 농민 운동을 답으로 고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르는 문제이다. 제시된 지도는 교과서나 수능특강에 있는 동학 농민 운동
것과 유사하다. 2018 2
상권 수호 운동
•상권 수호 운동: 외국인 상인의 내지 통상에 반발한 시전 제1차 갑오개혁
상인의 철시 운동이 나오게 된 배경을 고르는 문제다. 정미의병
2017 3
대한매일신보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
근대 문물의 수용
2019 수능 예측 2016 4 개항기 경제 침탈과 그에 대한
대응
1. 2년에 한번 꼴로 동학 농민 운동이 출제되었다. 키워드를 중심으
로 정리해 두자. 정미의병 시기의 사실
근대사의 현장
2. 독도와 간도의 역사가 최근 모의고사에서 자주 출제 되었다. 철 개항기 일제의 경제 침탈과 그
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에 대한 대응
2015 4
3. 일제의 국권 침탈 중 특히 을사늑약에 관한 내용이 출제될 수 을사늑약에 근거하여 일어난
사실
있다.
개성, 전주, 경주의 역사
동학 농민 운동
2014 2
신민회

새로운 유형
★ 출제개념
화폐 정리 사업에 대해 묻고 있다.
G18 2018(6월)/평가원 13

★ 핵심은 이것
밑줄 친 ‘이 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905년 일본인 재정 고문 메가타는 화폐 정리 사업을 단행하
였다. 그에 따라 당시 한국인이 사용하고 있던 상평통보와 백
제 △△호 한국사 신문 ◯◯◯◯년 ◯월 ◯◯일
동화는 일본 제일은행권으로 교환해야 했다. 하지만 백동화는
품질에 따라 구분되어 낮은 품질은 교환 대상에서 아예 제외
백동화 교환으로 상인 피해 급증
되기도 했다. 그 때문에 화폐 정리 사업으로 한국 상인과 은행
최근 이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서울, 평양, 인천 등지 은 큰 타격을 입었다.
에 설치된 교환소에서 백동화를 일본 제일은행권으로
교환해 주고 있다. 백동화는 그 질에 따라 갑・을・병 ★ 문항 분석
종으로 구분하였는데, 을종은 실제 가치보다 낮은 가
화폐 정리 사업에 관한 문제가 신문 형태로 제시되었다. 또 시
격으로 교환해 주고, 병종은 아예 교환해 주지 않고 있
다. 이로 인해 을종과 병종 백동화를 많이 가지고 있던 ▲ 백동화 험에 잘 나오지 않았던 백동화의 사진 자료가 제시되었다. ‘일
상인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본 제일은행권으로 교환’, ‘백동화’ 등의 키워드를 통해 밑줄
친 이 사업이 화폐 정리 사업임을 파악하기는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④번 선택지가 헷갈렸을 수는 있는데, 흥선 대원군이
① 전민변정도감에서 실시하였다.
경복궁 중건 비용 마련을 위해 발행한 것은 당백전이다.
② 영정법이 시행되는 계기가 되었다.
③ 일본인 재정 고문 메가타가 주도하였다.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G17
④ 경복궁 중건 비용 마련을 위해 추진되었다. 〔정답 및 해설 68p〕
⑤ 공인이라는 상인이 출현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동학 농민 운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개항 이후 경제, 사회, 문화 중요도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을미개혁
수능출제 0순위
1 동학 농민 운동(1894)
(1) 개항 이후 농민층의 동요: 지배층의 수탈, 일본으로의 곡물 유출에 따른 곡물 가격 폭등 ✽ 1894년에 발생한 사건을 시기별로 정
리해 두자!
등이 원인
1894년에는 동학 농민 운동, 일본군의 경
(2) 전개
복궁 점령, 청・일 전쟁, 갑오개혁 등 중요
교조 신원 운동 동학 교도들이 교조 신원과 동학의 탄압 중지 요구 사건들이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➊ 최근 시험에는 이 사건들 사이의 선후 관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 → 전봉준을 중심으로 사발통문 을 돌려 봉기 → 고부 관아 점령, 만석
고부 농민 봉기
보 파괴 → 후임 군수의 중재로 자진 해산 계를 묻는 문제가 계속 출제되고 있다. 따라

안핵사 이용태의 탄압 → 동학 농민군이 무장에서 봉기 → 백산에서 4대 강령, 격문 발표 → 황 서 인과 관계를 고려하여 여러 사건을 시기


제1차 봉기 별로 정리해 두어야 한다.
토현, 황룡촌 전투에서 동학 농민군이 관군에 승리 → 전주성 점령(1894. 4.)

정부가 청에 원군 요청 → 청이 군대 파견, 일본도 톈진 조약을 근거로 군대 파견 → 정부와 동학


전주 화약 ➋
농민군이 전주 화약 체결(1894. 5.) → 동학 농민군이 집강소 설치, 폐정 개혁안 실현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청・일 전쟁 도발 → 동학 농민군의 재봉기 → 논산에서 남접과 북접 연


제2차 봉기
합, 서울로 북상 →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1894. 11.) → 전봉준 체포

성격과 의의 반봉건・반외세, 갑오개혁과 항일 의병 운동에 영향

2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➊ 사발통문

(1) 청・일 전쟁(1894~1895)과 삼국 간섭


① 전개: 동학 농민 운동 과정에서 청과 일본이 조선에 파병 → 일본군의 선제 공격으로 청・
일 전쟁 발발 → 평양 전투, 서해 해전 등에서 일본 승리

② 결과: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 조선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 강화
③ 삼국 간섭(1895): 러시아가 프랑스, 독일을 끌어들여 일본에게 랴오둥 반도 반환 요구 → 일
본 굴복 →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 주모자를 알 수 없도록 봉기에 동의한 사람들의 이
름을 사발 모양처럼 둥글게 적은 통문이다.
(2) 제1차 갑오개혁
① 과정: 조선 정부가 내정 개혁을 위해 교정청 설치 → 일본이 경복궁 점령 → 김홍집 내각
➍ ➋ 폐정 개혁안 12개조(일부)
성립 → 군국기무처 설치
1. 동학교도는 정부와의 원한을 씻고 모든 정사에
② 내용 협력한다.
3. 횡포한 부호(富豪)를 엄중히 징벌한다.
정치 개국기년 사용, 궁내부 설치(왕실 사무와 정부 사무 분리), 6조를 8아문으로 개편, 과거제 폐지
5. 노비 문서를 소각한다.

경제 탁지아문으로 재정 일원화, 은본위 화폐 제도 확립 7. 젊어서 과부가 된 여성의 개가를 허용한다.


9. 관리 채용에는 지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한다.
사회 공・사 노비 제도 혁파(신분제 폐지), 과부의 재가 허용 10. 왜와 통하는 자는 엄중히 징벌한다.
12. 토지는 균등히 나누어 경작하게 한다.
(3) 제2차 갑오개혁
① 과정: 청・일 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일본의 내정 간섭 강화 → 김홍집・박영효 연립 내각
➌ 시모노세키 조약
구성 → 홍범 14조 반포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와 청의 이홍장 사이에서 체결
② 내용: 8아문을 7부로 개편, 사법권을 행정권에서 분리(재판소 설치), 교육입국 조서 반포 된 조약이다. 청이 일본에 막대한 배상금 지불, 랴오
둥 반도와 타이완 할양 등을 내용으로 한다.
(4) 제3차 갑오개혁(을미개혁)
① 과정: 삼국 간섭 → 친러 정책 추진 → 일본이 명성 황후 시해(을미사변, 1895) → 김홍집 ➍ 군국기무처
내각 구성 제1차 갑오개혁을 주도한 기구로 국정 전반에 걸쳐
② 내용: ‘건양’ 연호 사용, 단발령 시행, 태양력 사용 약 210건의 안건을 처리하였다.

(5)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의 평가


➎ 아관 파천(1896)
① 의의: 갑신정변, 동학 농민 운동의 개혁 요구를 반영한 근대적 개혁
을미사변 이후 신변에 위협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
② 한계: 일본의 강요에 의한 추진, 국방력 강화 미흡 공사관으로 피신한 사건이다.

③ 중단: 고종의 아관 파천 으로 김홍집 내각이 붕괴되면서 중단됨

68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➏ 독립문

1 독립 협회

(1) 조직: 서재필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 독립신문 발간 → 독립문 건설을 명목으로 독립 협
회 창립(1896. 7.)
06

DAY
(2) 활동

자주 국권 운동 고종의 환궁 요구, 만민 공동회 개최 → 러시아의 이권 침탈 저지 독립 협회는 중국의 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이 있던
자리에 독립문을 건립하였다.
자유 민권 운동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요구

자강 개혁 운동 관민 공동회에서 헌의 6조 채택 → 고종의 수락, 중추원 관제 반포 ➐ 만민 공동회

(3) 해산: 보수 세력이 독립 협회가 공화정을 추진한다고 모함 → 황국 협회(보부상으로 조직


된 단체)가 만민 공동회 습격 → 고종이 군대를 동원해 해산시킴

2 대한 제국
(1) 성립: 고종의 경운궁 환궁 → 연호를 ‘광무’, 국호를 ‘대한 제국’으로 정하고 환구단에서 ▲만민 공동회 기록화
황제로 즉위(1897) 만민 공동회는 독립 협회의 주최로 개최된 최초의
➑ 근대적 민중 집회이다.
(2) 대한국 국제 반포(1899): 대한 제국이 전제 군주국이며 자주 독립국임을 천명함
(3) 광무개혁 ➑ 대한국 국제(일부)
원칙 구본신참(옛 것을 근본으로 하고 새 것을 참고한다는 뜻) 제1조 대한국은 세계 만국이 공인한 자주독립 제
국이다.
정치 원수부 설치 → 황제가 군대 통솔
제2조 대한국의 정치는 만세토록 불변할 전제 정

경제 양전・지계 사업 실시, 식산흥업 정책 실시 치이다.
제3조 대한국 대황제는 무한한 군주권을 누린다.
교육 기술・실업 교육 강화, 유학생 파견

➒ 지계
일제의 국권 침탈과 국권 수호 운동

1 러・일 전쟁과 일제의 국권 침탈


•1904년 한반도와 만주를 둘러싸고 러시아와 일본의 전쟁 발발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은 한・일 의정서 강요(1904), 가쓰라・태프트 밀약과 제2차 영・일 동
(1904~1905)
맹・포츠머스 조약 체결 → 열강으로부터 한반도에 대한 독점적 지위권을 인정받음

제1차 한・일 협약(1904) 외교 고문과 재정 고문 파견 → 대한 제국의 내정 간섭 본격화

제2차 한・일 협약 •내용: 대한 제국의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대한 제국이 발행한 토지 소유권 증명서이다.
(을사늑약, 1905) •저항: 고종이 헤이그 특사 파견, 안중근이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처단

한・일 신협약 ➓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가 실린 관보


행정 각 부에 일본인 차관 임명, 비밀 각서에 따라 대한 제국의 군대 해산
(정미 7조약, 1907)

2 간도와 독도
(1) 간도: 대한 제국이 간도 관리사(이범윤) 파견, 간도를 함경도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 일제
는 청과 간도 협약(1909)을 체결해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

(2) 독도: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 공포, 러・일 전쟁 중 일본이 자국 영토로 불법 편입

3 국권 침탈에 대한 저항
대한 제국은 칙령 제41호를 통해 울릉도를 울도군으
(1) 의병 항쟁 로 승격시키고, 독도를 관할하게 하였다.

구분 배경 경과 및 특징
최익현
을미의병 을미사변, 단발령 유생 주도, 아관 파천 후 고종의 해산 권고 조칙으로 해산
을사늑약 체결 후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킨 최익현은
을사의병 을사늑약 평민 의병장 등장(신돌석), 최익현 의 활약 우리 측 군대와 대치하게 되자 의병을 자진해산 하
고 체포되었다. 이후 일본에 의해 쓰시마 섬으로 유
•해산 군인 가담으로 의병의 전투력 강화 배되었고, 그곳에서 순국하였다.
정미의병 고종 강제 퇴위, 군대 해산
•13도 의병 연합 부대(13도 창의군) 결성 → 서울 진공 작전 전개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69
(2) 애국 계몽 운동
105인 사건
① 보안회(1904):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저지 운동 전개
일제가 데라우치 총독 암살 미수 사건을 조작한 뒤
② 헌정 연구회(1905): 입헌 군주제 추구 민족 운동가들을 체포하여 105인에게 유죄 판결을
③ 대한 자강회(1906): 고종의 강제 퇴위 반대 운동 전개 → 통감부에 의해 해산 내린 사건이다. 이로 인해 신민회가 와해되었다.

수능출제 0순위
④ 신민회

조직 안창호, 양기탁, 이승훈 등이 비밀 결사로 조직 ✽ 신민회의 활동에 주목하자!


신민회는 다른 애국 계몽 운동 단체와 마
목표 공화 정체의 국민 국가 수립
찬가지로 민족의 실력 양성을 위해 노력하
•실력 양성 운동: 대성 학교(평양)와 오산 학교(정주) 설립, 태극서관과 자기 회사 운영 였다. 그리고 다른 단체와 다르게 독립운동
활동 기지 건설에도 노력하였다. 이런 점 때문에
•독립 운동 기지 건설: 서간도 삼원보에 한인촌 건설, 신흥 무관 학교 설립
애국 계몽 운동 단체 중에서 출제 빈도가 가
해산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 으로 해산 장 높다. 신민회의 활동 중 삼원보 개척과
신흥 무관 학교 설립은 꼭 기억해 두자.

개항 이후의 경제, 사회, 문화 변화

1 열강의 이권 침탈과 경제적 구국 운동


열강의 이권 침탈
점령・조차 두만강 유역 경원
종성
개항장 삼림 채벌권
삼림 채벌권 (러)1896
(1) 열강의 이권 침탈 광산 채굴권
철도 부설권 광산(미)1896 경성 광산(러)1896
전신 가설권 갑산
해저 전신 시설권 압록강 유역
성진
아관 파천 이후 열강이 최혜국 대우 규정을 이용하여 본격적으로 각종 이권 침탈 용암포 점령
삼림 채벌권
(러)1896
(러)1903~1904 신의주 이원
금광(미)1896
용암포 운산 한성~경성
•화폐 정리 사업(1905): 재정 고문 메가타가 주도, 상평통보와 백동화를 일본 제일 은행권으 한성~의주 은산 광산(영)1900 전신 가설권
(일)1885
전신 가설권 원산
평양
로 교환하도록 함 → 국내 상공업자와 은행 몰락 (청)1885 남포
동해
일본의 경제 침탈 금광(일)1897
당현
•토지 약탈: 철도 부지, 군용지 확보 등을 구실로 대규모 토지 차지 → 동양 척식 주식회사를 경의 철도 부설권
송화 경원 철도 부설권
(일)1904
울릉도
(프)1896~1899 한성 전등・전화・전차
설립(1908)하여 관리 →(일)1904
제물포
부설권(미)1896 울릉도

0순위
경인 철도 부설권 작산 금광(일)1900 삼림 채벌권
수능출제 (미)1896→(일)1897 한성~부산 (러)1896

(2) 경제적 구국 운동 대전
군산
전신 가설권
(일)1885
대구
황해 경부 철도 부설권
① 방곡령: 일본으로의 곡물 유출 확대로 곡물 가격 폭등 → 함경도, 황해도 등에서 방곡령 선 (일)1898
마산 부산
목포
마산만 조차
포(1883년의 조・일 통상 장정 근거) → 일본의 항의로 철회, 배상금 지불 거문도
(러)1899

거문도 점령

② 상권 수호 운동: 시전 상인이 황국 중앙 총상회 조직, 객주와 일부 상인이 상회사 조직 제주도 (영)1885~1887

③ 이권 수호 운동: 독립 협회가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 한・러 은행 폐쇄시킴


④ 국채 보상 운동(1907): 일본에 진 차관으로 경제적 예속 심화 → 서상돈 등이 대구에서 시
작 → 언론 기관과 애국 계몽 운동 단체의 호응으로 확산 → 통감부의 탄압으로 실패 국채 보상 운동을 시작한 김광제와 서상돈

2 근대 문물의 발달
(1) 언론의 발달
한성순보 최초의 근대적 신문, 박문국에서 발행, 순한문

독립신문 최초의 민간 신문, 한글판과 영문판 발행


김광제(사진 왼쪽)와 서상돈(사진 오른쪽)은 국망의
황성신문 을사늑약 후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게재, 국한문 혼용
위기가 국채 때문이라 생각하고 대구에서 국채 보상
대한매일신보 영국인 베델과 양기탁이 운영 → 일본의 간섭에서 비교적 자유로움, 강한 항일 논조 운동을 제창하였다.

(2) 근대 교육의 전개
1880년대 원산 학사(1883) , 육영 공원(1886)
원산 학사
1890년대 교육입국 조서 반포 → 각종 관립 학교 설립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학교로 함경도 덕원 주민과
1900년대 을사늑약 전후 수많은 사립 학교 설립 관리들이 힘을 합쳐 세웠다. 근대 학문과 무술 등을
교육하였다.
(3) 국학 연구와 종교 활동
국어 국문 연구소 설립(주시경이 활동)

국사 신채호의 ‘독사신론 ’ 독사신론


신채호가 대한매일신보에 연재한 논설로 민족주의
종교 나철과 오기호가 대종교 창시 / 박은식의 유교 구신론(유교) / 한용운의 조선 불교 유신론(불교)
역사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70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1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3] CHECK UP TEST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을미개혁 일제의 국권 침탈과 국권 수호 운동

01 동학(농민군)에 대한 설명으로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04 신민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06

DAY
[보기]
① 홍범 14조를 반포하였다. (○, ×)
ㄱ. 정우회 선언을 발표하였다.
② 교조 신원 운동을 추진하였다. (○, ×)
ㄴ. 브나로드 운동을 추진하였다.
③ 과부의 재가 허용을 주장하였다. (○, ×)
ㄷ. 105인 사건으로 시련을 겪었다.
④ 공주에서 우금치 전투를 벌였다. (○, ×)
ㄹ. 대성 학교와 오산 학교를 설립하였다.
⑤ 황토현 전투에서 관군을 물리쳤다. (○, ×)
ㅁ.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추진하였다.
⑥ 일본군의 경복궁 무력 점령에 반발해 제2차 봉기를 일으켰다.
ㅂ.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저지하였다.
(○, ×)
ㅅ. 고종의 강제 퇴위에 반대하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ㅇ. 비밀 결사의 형태로 운영되었다.
02 동학 농민 운동과 관련된 <보기>의 내용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ㅈ. 고종의 비밀 지령으로 조직되었다.
나열하시오. ㅊ. 만주에서 의열 투쟁을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보기] ㅋ. 원산 총파업을 지원하였다.
ㄱ. 논산에서 남접과 북접이 연합하였다. ㅌ. 단체의 일원이 훙커우 공원에서 일본군 고관을 폭살하
ㄴ. 장성 황룡촌 전투에서 관군에 승리하였다. 였다.
ㄷ. 백산에 집결하여 농민군 4대 강령을 발표하였다.
ㄹ. 안핵사 이용태의 탄압에 항거하여 무장에서 봉기하
였다.

05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신문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보기]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ㄱ. 황성신문 ㄴ. 독립신문
ㄷ. 한성순보 ㄹ. 대한매일신보
03 다음 내용이 독립 협회와 관련 있으면 ‘독립’, 대한 제국과 관련
있으면 ‘대한’이라 쓰시오. ① 박문국에서 발행한 최초의 신문이었다. ( )
① 광무개혁 ( ) ② 최초의 한글 신문으로 국민 계몽에 힘썼다. ( )
② 대한국 국제 반포 ( ) ③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논한 시일야방성대곡을 처음 게재하
③ 양전 사업과 지계 발급 ( ) 였다. ( )
④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였다. ( ) ④ 영국인 베델이 발행인으로, 국채 보상 운동을 지원하였다.
⑤ 자유 민권 운동 전개 ( ) ( )

Real 정답

01 ① ×(갑오개혁 때 고종), ② ○(동학은 교조 최제우의 억울한 죽음을 풀어달라고 주장), ③ ○(동 회 개최), ⑤ 독립(독립 협회가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등을 주장 → 자유 민권 운동)
학 농민군이 제시한 폐정 개혁안의 내용), ④ ○(동학 농민군은 우금치에서 관군 및 일본군과 격 04 ㄷ(105인 사건으로 신민회 해산), ㄹ(신민회의 실력 양성 운동), ㅁ(신민회는 서간도에 삼원보
돌), ⑤ ○(동학 농민군은 황토현, 황룡촌 전투에서 관군에 승리), ⑥ ○(동학 농민군은 일본의 침 개척), ㅇ(신민회는 비밀 결사 조직)
략에 반발해 제2차 봉기 일으킴) ㄱ(일제 강점기에 발표됨, 신간회 창립 배경), ㄴ(동아일보), ㅂ(보안회), ㅅ(대한 자강회), ㅈ(일제
02 ㄹ - ㄷ - ㄴ - ㄱ 강점기 때 독립 의군부), ㅊ(일제 강점기 때 의열단), ㅋ(일제 강점기 때 신간회 등), ㅌ(한인 애국
(ㄹ. 제1차 동학 농민 운동 발발, ㄷ. 제1차 동학 농민 운동을 일으킨 동학 농민군이 4대 강령 발 단원 윤봉길)
표, ㄴ. 4대 강령 발표 후 황룡촌 전투에서 관군에 승리, ㄱ. 제2차 동학 농민 운동 때) 05 ① ㄷ(1883년 박문국에서 발행한 최초의 신문), ② ㄴ(독립 협회에서 발행한 최초의 한글 신문),
03 ① 대한(대한 제국이 추진한 개혁이 광무개혁), ② 대한(대한 제국이 1899년 대한국 국제 반포), ③ ㄱ(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을 처음 게재), ④ ㄹ(영국인 베델이 발행인으로, 강한 항일 어조
③ 대한(대한 제국의 광무개혁 내용), ④ 독립(독립 협회가 최초의 근대적 민중 집회인 만민 공동 를 띰)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71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을미개혁 G03 2018(6월)/평가원 16

밑줄 친 ‘이 세력’이 전개한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

전주 화약을 맺은 이후 이 세력이 여러 고을에 집강소를 세


G01 2018/수능 12
우니, 수령은 이름만 있을 뿐이었고 심지어 추방당한 경우도
다음 지도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있었다. 그 지도자 전봉준은 금구 원평에 자리 잡고서 전라우
도를 호령하였고, 김개남은 남원성에 머물며 전라좌도를 통솔
하였다.
우금치 전투
공주 ( )
옥천
고부 봉기
논산 ① 무신 정권에 저항하였다.
( ) 삼례 전주 전주 화약
고부
태인 ( )
② 서경 천도 운동을 펼쳤다.
황토현 전투
고창 정읍
( )
영광 ③ 고구려 부흥 운동을 이끌었다.
장성
황룡촌 전투
( ) 함평 나주 ④ 황토현 전투에서 관군을 물리쳤다.
⑤ 전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세웠다.

차 봉기
차 봉기
격전지

① 개항 이후 농민층의 동요와 동학 농민 운동
② 문벌 귀족 사회의 변동과 서경 천도 운동
③ 서양 세력의 침략과 병인양요
④ 세도 정치와 홍경래의 난
⑤ 백제의 멸망과 부흥 운동

G02 고3 2017(7월)/교육청 11 G04 2017/수능 12

(가)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밑줄 친 ‘법령’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역사 토크 콘서트
한 국 사 신 문
◯◯◯◯년 ◯◯월 ◯◯일

(가) 은/는 1894년에 전봉준, 김개남 등이 보국안민과 제폭


마침내 신분제 폐지되다!
구민을 내세우며 농민들과 함께 전개한 것입니다. 역사 토크 콘서트를
통해 그들이 꿈꿨던 세상과 그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합니다. 김홍집 내각은 그동안 제기되었던
사회 문제를 군국기무처에서 논의하
전봉준과의 가상 대화 였다. 그 결과 공・사노비 제도를 폐지
할 것, 귀천에 관계없이 인재를 등용할
‘녹두 장군의 꿈’ 것, 남녀의 조혼을 금지할 것 등이 포
군국기무처 회의 모습 함된 개혁 법령을 발표하였다.
2017년 7월 ◯일 ◯시 ◯◯ 문화 회관

① 민립 대학 설립을 주장하였다.
① 서원 정리
② 반봉건・반외세의 성격을 띠었다.
② 경인선 개통
③ 명성황후 시해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③ 전시과 제도 시행
④ 우정국 개국 축하연을 기회로 일어났다.
④ 과부의 재가 허용
⑤ 공화 정체의 근대 국가 수립을 추구하였다.
⑤ 전민변정도감 설치

7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G05 고3 2016(10월)/교육청 10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가)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 의 전개 G07 2017(6월)/평가원 13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모둠별 탐구 주제

06

DAY
모둠 탐구 주제 (가) 의 주요 활동
갑 황토현 전투와 황룡촌 전투
•독립문을 세우다 •헌의 6조 결의를 주도하다
을 전주성 점령과 전주 화약
1. 외국인에게 의지하지 말고 관민이
병 집강소 설치와 개혁 추진
합심하여 전제 황권을 공고히 할 것
정 남ㆍ북접의 논산 집결과 우금치 전투
2. 외국과의 이권에 관한 조약은 각 대
신과 중추원 의장이 함께 서명하여
시행할 것
① 갑오개혁에 영향을 주었다. 3. 재정은 탁지부에서 모두 관리하고
② 최씨 무신 정권기에 발생하였다. 예산과 결산을 공포할 것
③ 구식 군인들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④ 2・8 독립 선언에 영향을 받아 일어났다.
① 만세보를 발행하였다.
⑤ 공화 정체의 근대 국가 수립을 추구하였다.
②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였다.
③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저지하였다.
④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를 제정하였다.
⑤ 고종의 강제 퇴위에 반대하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G06 2017(9월)/평가원 11
일제의 국권 침탈과 국권 수호 운동
다음 기사의 내용을 활용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G08 고3 2017(10월)/교육청 12
한 국 사 신 문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년 ◯◯월 ◯◯일
(가) (나)
근대적 교육 제도가 마련되다!
한국사 신문 한국사 신문
갑오개혁기 조선 정부는 근대 교육
을 전담할 부서로 학무아문을 만들었
을사늑약 체결 고종 황제 강제 퇴위
다. 고종은 교육이 나라를 보존하는 일제의 강요로 을사늑약이 체 고종 황제가 황위를 황태자에
근본이라 여기고, 부국강병을 위해 근 결되었다. 이로써 우리의 외교권 게 양위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대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을 강조하였 은 박탈당하였으며, 통감부가 설 이에 대하여 황실의 한 고위 관
다. 이에 1895년 한성 사범 학교를 설 치된다고 한다. 한편, 고종 황제 계자는 일제의 강압에 의한 것이
립하였다. 는 즉각 조약의 무효를 선언하 라고 밝혀 백성들의 반발이 예상
였다. 된다.
▲ 한성 사범 학교 관제

① 독립문이 건립되었다.
① 시무 28조의 건의 결과를 고찰한다. ②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② 삼강행실도의 편찬 과정을 조사한다. ③ 대한국 국제가 반포되었다.
③ 교육입국 조서의 반포 목적을 분석한다. ④ 헤이그 특사가 파견되었다.
④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내용을 살펴본다. ⑤ 6・10 만세 운동이 전개되었다.
⑤ 황국 신민 서사의 제정 의도를 파악한다.

❖ 정답 및 해설 60 ~ 63p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73


G09 2018(9월)/평가원 13 G11 고3 2017(4월)/교육청 19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밑줄 친 ‘이 섬’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이 비석은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 기념비입니다.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는 현


헤이그 만국 평화 회의를 제창한 이는 누구인가. 약소국을
재의 울릉군에 해당하는 울도군이 이 섬을 관할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
침략한 이들이다. 그러한 까닭에 평화 회의에 특사를 파견해 다. 이는 이 섬이 대내외적으로 우리 영토임을 확실히 밝힌 것으로 러・일
침략의 부당성을 알리려는 우리의 노력은 결실을 거둘 수 없었 전쟁 중에 일본이 이 섬을 침탈한 행위가 불법임을 보여주는 근거입니다.

다. 오히려 일본은 특사 파견을 빌미로 (가)

① 단발령을 시행하였다.
② 정동행성을 설치하였다.
③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켰다.
④ 방곡령 철회를 요구하였다.
⑤ 을사늑약 체결을 강요하였다. ① 간도 협약의 내용을 살펴본다.
② 청해진이 설치된 곳을 알아본다.
③ 안용복의 영토 수호 활동을 조사한다.
④ 외규장각 도서가 약탈된 지역을 파악한다.
⑤ 서희의 외교 담판 결과 획득한 지역을 찾아본다.

G10 2018(6월)/평가원 20 G12 고3 2017(3월)/교육청 8

다음 학습 주제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학습 주제 : 동해를 지키는 섬, ◯◯의 역사 대한매일신보


이 섬은 신라 지증왕 때 일본 측 자료인 태정관 문서 그런데 러・일 전쟁 중
우산국을 복속시킨 이 에도 이 섬이 일본 영토가 에 일본이 불법적으로
래 줄곧 우리 땅이었어. 아니라고 명시되어 있지. 강탈한 일도 있었어.

① 안용복의 활약상을 조사한다. ① 근우회의 여성 운동


② 운요호 사건의 현장을 답사한다. ② 신민회의 애국 계몽 운동
③ 제물포 조약의 내용을 분석한다. ③ 한인 애국단의 의열 투쟁
④ 제주 4・3 사건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④ 북로 군정서의 청산리 대첩
⑤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발생 원인을 알아본다. ⑤ 한국 광복군의 국내 진공 작전

7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G13 고2 2017(3월)/교육청 15 G15 2017(6월)/평가원 14

밑줄 친 ‘이곳’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밑줄 친 ‘이 단체’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3점)

일본인들이 울릉도와 이곳 주변에서 불법적인 어로 활동을 한국사 용어 사전

전개하자 조선 숙종 때 안용복은 일본으로 건너가 우리 영토임


◯◯◯
을 확인받았다. 일본은 1877년 태정관 문서를 통해 울릉도와 이 단체는 안창호, 양기탁 등이 중심
이곳이 일본과 관계없음을 명시하였으며, 대한 제국은 1900년 이 되어 조직한 비밀 결사로 국권 회복
06

DAY
칙령 제41호를 통해 울릉도를 울도군으로 승격하고, 이곳을 관 과 공화 정체의 근대 국가 건설을 목표
할하게 하였다. 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교육 진흥’, ‘국
민 계몽’, ‘산업 진흥’을 강조하였다. 국
① 간도 협약의 내용을 분석한다. ▲ 안창호
외에서는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통한
② 백두산정계비가 건립된 배경을 살펴본다.
군사적 실력 양성을 꾀하였으나 105인 사건으로 해체되었다.
③ 고구려의 천리장성이 축조된 지역을 조사한다.
④ 병인양요와 신미양요가 일어난 지역을 알아본다.
⑤ 러・일 전쟁 중 일제가 불법 편입한 지역을 찾아본다. ① 형평 운동을 전개하였다.
②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였다.
③ 원산 총파업을 지원하였다.
④ 교조 신원 운동을 추진하였다.
⑤ 대성 학교와 오산 학교를 설립하였다.

G14 2017(6월)/평가원 15
개항 이후의 경제, 사회, 문화 변화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 교내 한국사 논술 대회 ◉
G16 2018/수능 13

▣ 대주제: 우리 역사 속의 간도 다음 요구가 나오게 된 배경으로 옳은 것은? (2점)


▣ 취지: 1. 청과 영유권 갈등이 발생한 간도 지역의 역사적 상황
을 살펴본다. 몇 년 전부터 청과 일본 상인이 상점을 한성에 개설하므로,
2. 우리 민족의 터전으로서 간도의 역사적 의미를 파악
우리는 영업 이익을 잃게 되어 생업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
해 본다.
에 우리 시전 상인들은 가게 문을 닫고 시위에 나서며 정부에
▣ 소주제: (가)
다음을 요구한다.
간도 관리사 이범윤의 파견
외국 상인들을 인천 개항장으로 물러나게 하고, 한성은 우리
간도 협약의 체결 배경과 영향
상인들만 영업하게 하라. 그러면 양측이 모두 생업을 보전할
…(중략)…
•일시: 2016년 ◯월 ◯일 ◯시 수 있을 것이다.
•장소: 시청각실
①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이 체결되었다.
② 물산 장려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① 수신사의 활동
③ 정부의 주도로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었다.
② 백두산정계비문의 해석
④ 일제에 의해 토지 조사 사업이 실시되었다.
③ 우산국 정복의 추진 배경
⑤ 양전 사업과 더불어 지계 발급이 시작되었다.
④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발생
⑤ 백제 부흥 운동의 전개 과정

❖ 정답 및 해설 64 ~ 67p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75


G17 2018(9월)/평가원 12 G19 2017/수능 14

밑줄 친 ‘이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밑줄 친 ‘신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제 △△호 한국사 신문 △△△△년 ◯◯월 ◯◯일


선고문
나랏빚 청산을 우리 손으로 피고인은 ‘장인환 등이 한국의 독립과 자유를 방해하는
스티븐스를 저격했으니 그야말로 애국지사’라는 내용의 기
대구 광문사에서 서상돈이 담배를 끊은 돈으로 성금을 모아 1,300만 원
사를 게재했다. 이를 본 사람은 누구나 피고인이 항일을 주
의 나랏빚을 갚자고 하자,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이 모두 찬성하였다. 서상
창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략)… 피고인은 치외 법
돈은 의연금 800원, 김광제는 3개월치 담뱃값 60전과 의연금 10원을 함께
내놓았다. 그러자 사람들이 경쟁적으로 의연금 대열에 참여하였다. 앞으로 권에 의지하여 신문지법의 규제를 벗어났다. 이 때문에 일
이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본에 저항하는 사람들은 피고인이 양기탁과 함께 발행하는
신문을 이용하려 한다. …(중략)… 본 재판관은 영국 법령

① 독립 협회가 주도하였다. 에 따라 피고인을 3주간 수감할 것을 명한다.

② 청군의 진압으로 실패하였다.


③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① 국채 보상 운동을 지원하였다.
④ 대한 제국의 국채를 갚자는 취지로 전개되었다. ② 최초로 발행된 순 한글 신문이었다.
⑤ 통신사가 에도 막부에 파견되는 계기가 되었다. ③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기관지 역할을 하였다.
④ 조선 총독부의 ‘문화 통치’ 방침에 따라 창간되었다.
⑤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논한 시일야방성대곡을 게재하였다.

G18 2018(6월)/평가원 13 G20 고3 2016(3월)/교육청 10

밑줄 친 ‘이 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가) 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제 △△호 한국사 신문 ◯◯◯◯년 ◯월 ◯◯일

백동화 교환으로 상인 피해 급증
경의선(1906)
신의주
최근 이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서울, 평양, 인천 등지
에 설치된 교환소에서 백동화를 일본 제일은행권으로 동해

교환해 주고 있다. 백동화는 그 질에 따라 갑・을・병 (가)


종으로 구분하였는데, 을종은 실제 가치보다 낮은 가격 인천
한성
으로 교환해 주고, 병종은 아예 교환해 주지 않고 있다.
경부선(1905)
이로 인해 을종과 병종 백동화를 많이 가지고 있던 상 ▲ 백동화
황해
인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부산

① 전민변정도감에서 실시하였다.
② 영정법이 시행되는 계기가 되었다.
① 청에 의해 부설되었다.
③ 일본인 재정 고문 메가타가 주도하였다.
② 영국인 베델에 의해 운영되었다.
④ 경복궁 중건 비용 마련을 위해 추진되었다.
③ 러・일 전쟁을 계기로 착공되었다.
⑤ 공인이라는 상인이 출현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④ 당백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충당하였다.
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통된 철도이다.

76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G23 2017(9월)/평가원 12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농민군의 전주성 점령 이후에


G21 고3 2017(3월)/교육청 15
학습 주제:
이 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말해 볼까요?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과정

06
(가) 이후에 제

DAY
전주 화약이 체결 2차 봉기가 일어났지만
우수 학술서 판매 기획전 되고 집강소가 설 우금치 전투에서 농민군
『베일에 가려진 나라-대한 제국』 치되었습니다. 이 패하고 말았습니다.
목차
1. 제국의 수립
2. 광무개혁의 추진
3. 외교 활동의 전개
① 자유시 참변
4. 제국의 멸망
② 헤이그 특사 파견
독자 댓글 코너 등록
③ 명성 황후 시해 사건
이 책을 통해 대한 제국 때 있었던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④ 동양 척식 주식회사 설립
되었어요. 그 중에서도 (가) 이/가 기억에 남아요.
⑤ 일본군의 경복궁 무력 점령

① 지계 발급 ② 장용영 설치
③ 통신사 파견 ④ 제물포 조약 체결
⑤ 병참 기지화 정책 실시

G22 2017/수능 13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태황제(고종 황제)를 복위시 13도 창의군의 군사장인 허위가


켜라. 선발대를 이끌었다. …(중략)…
•외교권을 돌려놓아라. 그 목적은 통감부를 무너뜨리고
•통감부를 철거하라. 한・일 신협약 등을 파기하기
…(중략)… 위함이었다.
•군대 시설의 자유를 회복하라.

① 서울 진공 작전의 결과를 알아본다.


② 진주 농민 봉기의 목적을 분석한다.
③ 인천 상륙 작전의 과정을 정리한다.
④ 공주 우금치 전투의 원인을 찾아본다.
⑤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영향을 살펴본다.

❖ 정답 및 해설 68 ~ 71p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77


동아리 소개 S.I.S. Time
고려대 영어 동아리

영어 공부와 인격 교류를 나눌 수 있는 곳

Ⓒ pedrosek/shutterstock.com

대학문화를 주도하는 지성인의 전당인 S.I.S. TIME은

대한민국 최초의 영어 동아리로서 어언 50년 이상의 고유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TIME은 영어공부는 물론이고 깊은 인격적 교류를 나눌 수 있는 동아리입니다.

TIME은 고대 재학생은 물론이고 여느 타대생이라도

참여할 수 있는 열린 동아리입니다.

누구나 앞에 나가서 칼럼의 발표, 진행 등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의 장입니다.

모든 것은 여러분의 자유의사와 참여,

동아리의 기여도에 달려 있습니다.

TIME은 시험기간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보통 저녁 여섯시부터 여덟시까지 칼럼을 진행합니다.

청춘의 꽃이라 불리는 대학 생활,

이제 TIME에서 일궈나가 보시는 게 어떨런지요.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일제의 식민 통치 ~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3・1 운동의 결과: 모의고사에서는 3・1 운동의 결과로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이 많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 문 3・1 운동의 영향
제는 ‘일제가 이른바 문화 통치를 표방하였다.’가 답이다. 2018 2
산미 증식 계획의 결과
•산미 증식 계획의 결과: 작년에 이어 산미 증식 계획이
2017 1 산미 증식 계획
출제되었다. ‘방곡령 선포’라는 선택지가 다소 헷갈렸을 수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
있다. 2016 2
1920년대 경제 상황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
2019 수능 예측 독립 의군부와 대한민국 임시
2015 3
정부
1.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이후의 지문을 주고 해당 시기의
3・1 운동의 배경
사실을 고르는 문제가 전형적인 유형인데, 그중에서도 1930년대
이후의 사실을 고르는 문제의 출제 가능성이 높다. 3・1 운동의 영향
2014 2
1920년대 경제 상황
2. 3・1 운동은 자주 출제되고 있는데, 특히 그 영향인 대한민국 임
시 정부 수립과 관련된 선지가 출제될 가능성이 있다.

3. 주어진 자료를 통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임을 파악하고 그 활동


을 고르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대표 유형
★ 출제 개념
회사령이 시행되던 시기에 일제가 실시한 정책을 묻고 있다.
H06 2017(9월)/평가원 14
★ 핵심은 이것
다음 법령이 시행된 시기에 일제가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일제는 1910년대에 회사령을 실시하여 우리 민족 자본의 성장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
조선총독부 관보
하여 우리 민족의 토지를 약탈하였다.
◯◯◯
★ 문항 분석
제1조 회사의 설립은 조선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일제 강점기와 관련하여 출제되는 전형적인 문제 유형이다. 일
…(중략)… 제 강점기는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이후의 3시기로 나누
제5조 회사가 본령이나 본령에 의거하는 명령과 허가의 조건
어 출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문제는 1910년대 일제의 정책을
을 위반하거나 공공질서와 선량한 풍속에 반하는 행위
묻고 있다. 다른 보기에도 일제 강점기에 관한 내용이 있어 다소
를 할 때, 조선 총독은 사업의 정지와 회사의 해산을 명
헷갈렸을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유형의 문제를 많이 풀어봤다면
한다.
쉽게 맞출 수도 있었을 것이다.

① 귀속 재산 처리 ② 토지 조사 사업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 H05, H11
③ 식량 배급과 공출 ④ 병참 기지화 정책 〔정답 및 해설 74p〕
⑤ 양전 사업과 지계 발급
일제 식민 통치 ~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중요도

일제의 식민 통치와 경제 수탈

1 1910년대 일제의 통치와 경제 수탈 ➊ 1910년대 조선 총독부 기구표

총독 정무총감 총독관방
(1) 무단 통치
➊ 총무부
① 조선 총독부 설치(1910): 일제 강점기 식민 통치의 최고 기관, 조선 총독이 입법・행정・사
내무부
법・군사 등 통치의 전권 행사
탁지부
② 헌병 경찰 제도: 헌병이 경찰 업무와 일반 행정 업무 수행, 재판 없이 즉결 처분권 행사 가능
➋ 농상공부
③ 억압적 통치: 조선 태형령 제정, 관리와 교원이 칼을 차고 제복 입음, 언론・출판・집회・
사법부
결사의 자유 박탈
④ 제1차 조선 교육령(1911): 한국인의 고등 교육 제한, 보통 교육・실업 교육 위주 편성 경무총감 경무총감부

(2) 경제 수탈
① 토지 조사 사업(1910~1918)
➋ 조선 태형령(일부)
명분 근대적 토지 소유권 확립, 공정한 지세 부과 제1조 3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구류에 처해야 할
실제 목적 토지 약탈, 식민 지배에 필요한 재정 확보 자는 그 정상에 따라 태형에 처할 수 있다.
제11조 태형은 감옥 또는 즉결 관서에서 비밀리
•토지 소유자가 필요한 서류를 구비해 정해진 기간 내에 신고해야 토지 소유권 인정받음 에 행한다.
내용
•지주의 소유권만 인정, 관습적인 경작권 부정 제13조 본령은 조선인에 한하여 적용한다.

•신고하지 않은 토지, 마을이나 문중의 공유지 등이 조선 총독부 소유가 됨 → 동양 척식 주식회사


결과 가 이주한 일본인에게 헐값으로 불하
•많은 한국 농민이 기한부 계약에 의한 소작농으로 전락 → 화전민이 되거나 해외로 이주 1910년대 조세와 지세 변화
(만 엔)
② 기타: 회사령 공포(회사 설립 허가제), 어업령, 삼림령, 조선 광업령 공포 5,000
조세 총액
지세 총액 3,852.0
4,000

2 1920년대 일제의 통치와 경제 수탈 3,000

2,000 1,887.6
(1) 문화 통치 1,336.3
1,005.9 1,117.8
1,000 906.2
698.0
600.1
① 배경: 3・1 운동 이후 국제 여론 악화, 무단 통치의 한계 인식
0 1910 1913 1916 1919(년)
② 본질: 민족 내부 분열 조장, 가혹한 식민 통치 은폐 (정태헌, “일제의 경제 정책과 조선 사회”, 1996)

③ 내용
표방 실제 토지 조사령(일부)
조선 총독에 문관 임명 가능 일제 패망 때까지 한 명도 문관 총독 임명되지 않음 제1조 토지의 조사 및 측량은 본령에 의한다.
➌ 제4조 토지 소유자는 조선 총독이 정하는 기간
헌병 경찰제 폐지, 보통 경찰제 실시 경찰 기관・인원・비용 증가, 치안 유지법 제정(1925)
내에 주소・씨명, 명칭 및 소유지의 소재,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일부 허용(조선일보, 동 지목, 자번호(字番號), 사표(四標), 등급,
검열 제도로 탄압
아일보 등 발행) 지적, 결수(結數)를 임시 토지 조사 국장
보통 학교의 수업 연한 연장 한국인의 취학률 저조 에게 신고해야 한다.

④ 영향: 일부 지식인이 민족 개조론, 자치론, 참정론 주장


(2) 경제 수탈(산미 증식 계획)
수능출제 0순위 ➌ 치안 유지법
일제가 국가 체제나 사유 재산 제도를 부정하는 사
배경 일본의 쌀 부족, 쌀값 폭등 → 한국에서 쌀을 들여 오려 함
상을 통제하고 탄압하기 위해 제정한 법률이다.
내용 품종 개량, 수리 시설 확충(수리 조합 설립), 밭을 논으로 바꿔 쌀 증산 추진

결과 쌀 생산량이 늘어났으나, 그 이상 일본으로 반출됨 → 국내 식량 부족 → 만주에서 잡곡 수입
➍ 쌀 생산량과 일본으로의 반출량
한국인 1인당 쌀 소비량
25,000 1.5

3 1930년대 이후 일제의 통치와 경제 수탈


생산량 일본인 1인당 쌀 소비량
(천 석) (석)
일본 수출량
20,000 1.12 1.10 1.12 1.13 1.13 1.2
1.08
15,174
(1) 식민지 공업화 정책: 대공황 → 만주 사변(1931) → 한반도의 병참 기지화, 북부 지방에 군 15,000 12,708
14,324 14,773
17,298 13,511 0.9

0.63 0.63
수 공업 집중 육성 10,000
0.60
0.53 0.54
0.45
0.6

5,429 7,405
4,722
(2) 남면북양 정책: 일본 방직 공업 원료 확보를 위해 한반도 남부에 면화 재배, 북부에 양 사 5,000
1,750
3,316
5,426
0.3

0
육 강요 0
1920 1922 1924 1926 1928 1930 (년)
(조선 총독부, "조선 미곡 요람", 1937)
(3) 농촌 진흥 운동: 농촌 통제와 소작 쟁의 억제 목적, 농촌 경제 문제를 농민 탓으로 떠넘김

80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수능출제 0순위
(4) 황국 신민화 정책
➎ 황국 신민 서사(아동용)
배경 일제의 침략 전쟁 확대, 한국인의 민족 의식을 말살해 침략 전쟁에 동원하기 위함
1. 우리들은 대일본 제국의 신민입니다.

내용 일선 동조론, 내선 일체, 황국 신민 서사 암송・신사 참배・창씨 개명 강요,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2. 우리들은 마음을 합하여 천황 폐하에게 충의를
다합니다.
(5) 전시 동원 체제 강화 3. 우리들은 인고 단련하여 훌륭하고 강한 국민이
되겠습니다.
국가 총동원법 중・일 전쟁 이후 인적・물적 자원 수탈 목적으로 제정(1938)

인적, 물적 자원 수탈 지원병제, 징병제, 국민 징용령, 일본군 위안부 / 금속류・미곡 공출, 산미 증식 계획 재개


07

DAY
수능출제 0순위
4 각 시기별 일제의 식민 통치 비교
✽ 3가지 시기로 구분하여 알아두자.
시기 통치 정책 경제 수탈
일제 강점기를 1910년대, 1920년대, 1930
1910년대 무단 통치(조선 태형령) 토지 조사 사업, 회사령 년대 이후로 구분해서 알아두어야 한다. 각
1920년대 문화 통치(치안 유지법) 산미 증식 계획 시기에만 해당하는 정책을 잘 암기해 두어야
하는데 1910년대의 토지 조사 사업과 조선
1930년대 이후 민족 말살 통치(황국 신민 서사, 창씨 개명) 국가 총동원법 태형령, 1920년대의 치안 유지법 제정, 1930
년대 이후의 국가 총동원법이 그것이다.

➏ 3・1 운동 수감자의 직업별 비율


노동자 무직자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3.9% 3.1%

상공업자

1 1910년대 국내외 민족 운동
13.8%

기준 8,511명
학생・지식인
20.8% 농민
국내 독립 의군부(복벽주의)와 대한 광복회(공화주의) → 비밀결사 (일부 지주 포함)
58.4%

국외 신흥 강습소 → 신흥 무관 학교(간도) / 권업회(연해주) / 대한인 국민회(미국)

수능출제 0순위
2 3・1 운동
(1) 배경: 일제의 무단 통치, 고종 독살설(국내),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2・8 독립 선언(국외) ✽ 3・1 운동은 영향이 자주 출제된다.
(2) 전개: 민족 대표가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서 낭독, 학생・시민이 탑골 공원에서 만세 시위 전 3・1 운동은 일제 강점기 최대 규모의 항
일 운동이므로 시험에 자주 출제된다. 3・1
개 → 주요 도시로 확산 → 농촌으로 확산(무력 투쟁화) → 만주, 연해주, 미국 등으로 확산
운동 후 독립운동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
(3) 일제의 탄압: 헌병 경찰, 군대를 동원해 무력 진압, 학살 자행(제암리 학살 사건 등) 로 전개하기 위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

(4) 의의 및 영향: 일제 강점기 최대 규모의 항일 운동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영향, 중 립되었다는 사실을 기억한다면 많은 문제를
국의 5・4 운동 및 인도의 반영 운동 등에 영향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3 대한민국 임시 정부
(1) 수립
3・1 운동 후 대한 국민 의회(연해주), 대한민국 임시 정부(상하이), 한성 정부(서울) 등 수립 → 상하이에 ➐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
과정 ➐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1919)
블라디보스토크
조직 삼권 분립에 입각한 민주 공화제
백두산
대한 국민 의회
(1919. 3.)
(2) 활동
① 연락망: 연통제(국내 비밀 행정 조직), 교통국(통신 기관) 한성 정부 동해
(1919. 4.)
② 자금 모금: 독립 공채 발행, 국민 의연금 모금 경성
황해
③ 외교 활동: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 제출, 미국에 구미 위원부 설치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
(3) 국민 대표 회의(1923) (1919. 4.) (1919. 9.)
대통령: 이승만
상하이 국무총리: 이동휘
배경 연통제・교통국 와해, 독립운동 세력의 분열

전개 창조파(임시 정부 해체 후 새 정부 수립)와 개조파(임시 정부 개편)의 대립

결과 성과 없이 결렬 → 다수의 독립 운동가 이탈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81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3]
1
CHECK UP TEST

일제의 식민 통치와 경제 수탈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01 다음 내용이 1910년대에 해당하면 ‘무단’, 1920년대에 해당하면 03 3・1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문화’라 쓰시오. ① 조선일보 등 언론의 지원을 받았다. (○, ×)
① 치안 유지법이 실시되었다. ( ) ② 순종의 장례식에 맞추어 계획되었다. (○, ×)
② 헌병 경찰 제도가 시행되었다. ( ) ③ 대구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
③ 토지 조사 사업을 시행하였다. ( ) ④ 광주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
④ 이광수의 자치론이 등장하였다. ( ) ⑤ 국채 보상 기성회 조직에 영향을 주었다. (○, ×)
⑤ 허가제에 기초한 회사령을 실시하였다. ( ) ⑥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 (○, ×)
⑥ 자원 수탈을 위해 광업령을 제정하였다. ( ) ⑦ 일본 유학생들의 2・8 독립 선언에 자극을 받았다. (○, ×)
⑦ 교원들에게 제복을 입고 칼을 차게 하였다. ( ) ⑧ 평화적 시위에서 무력 저항으로 바뀌었다. (○, ×)
⑧ 도에 평의회, 부와 면에 협의회가 설치되었다. ( )
⑨ 공유림 등의 소유권 확인을 위해 임야 조사 사업을 시작하였다.
( )

02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옳은 것을 04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으면 ○, 틀리면 × 하


<보기>에서 모두 고르시오. 시오.
[보기] ① 독립신문을 발행하였다. (○, ×)
ㄱ. 식량 배급과 공출 ②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였다. (○, ×)
ㄴ. 국가 총동원법 제정 ③ 정우회 선언을 발표하였다. (○, ×)
ㄷ. 국채 보상 운동 전개 ④ 대한 자강회를 조직하였다. (○, ×)
ㄹ. 황성신문을 발행하는 언론인 ⑤ 2・8 독립 선언을 발표하였다. (○, ×)
ㅁ. 소학교 명칭을 국민학교로 바꾸었다. ⑥ 브나로드 운동을 추진하였다. (○, ×)
ㅂ. 환구단에서 즉위식을 거행하는 고종 ⑦ 한・일 관계 사료집을 편찬하였다. (○, ×)
ㅅ. 암태도 소작 쟁의에 참가하는 소작농
⑧ 민주 공화정의 수립을 추구하였다. (○, ×)
ㅇ.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
⑨ 오산 학교와 대성 학교를 설립하였다. (○, ×)
ㅈ. 혁명적 농민 조합 운동이 전개되었다.
⑩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철회시켰다. (○, ×)
ㅊ. 군수 산업 위주로 경제 체제를 개편하였다.
⑪ 경복궁 중건 비용 마련을 위해 노력하였다. (○, ×)
ㅋ. 조선 청년 총동맹 결성식에 참석하는 지식인
⑫ 연통제를 통하여 독립 운동 자금을 전달하였다. (○, ×)
ㅌ. 개화 정책을 논의하는 통리기무아문의 관리들
⑬ 외교론에 대한 비판 등으로 국민 대표 회의를 개최하였다.
ㅍ.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꿀 것을 강요하였다.
(○, ×)
ㅎ. 민립 대학 설립을 위해 모금에 동참하는 기업인
⑭ 지계 발급 사업을 실시하였다. (○, ×)

Re a l 정답

01 ① 문화(1925년 치안 유지법 제정, 실시), ② 무단(1910년대의 모습), ③ 무단(1910년부터 1918년까 보상 운동), ④ ×(광주 학생 항일 운동), ⑤ ×(3・1 운동은 일제 강점기, 국채 보상 기성회 조직
지 실시), ④ 문화(1920년대 이광수의 자치론 등장), ⑤ 무단(1920년에 회사령 폐지됨), ⑥ 무단 은 일제 강점기 이전), ⑥ ○(3・1 운동 후 독립운동을 조직적, 체계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대한민
(1915년 일제가 광업 자원 약탈을 위해 제정), ⑦ 무단(1910년대의 강압적인 모습), ⑧ 문화(1920 국 임시 정부 수립), ⑦ ○(1919년 2・8 독립 선언에 자극받아 3・1 운동 발생), ⑧ ○(3・1 운동이
년대 일제의 통치), ⑨ 무단(1917년부터 실시) 농촌으로 확산되면서 무력 저항으로 바뀜)
02 ㄱ(민족 말살 정책 시기 식량 배급제 및 공출제 실시), ㄴ(인적・물적 자원 수탈을 위해 1938년에 04 ①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기관지로 독립신문 발행), ②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미국에 설
제정), ㅁ(1941년), ㅇ(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 ㅈ(1930년대 이후의 농민 운동), ㅊ(민족 말살 정책 치), ③ ×(사회주의 단체인 정우회), ④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관련 없음), ⑤×(일본 유학생들
시기에 일제는 대륙 침략을 위한 군수 산업 육성), ㅍ(민족 말살 정책인 창씨개명) 이 발표), ⑥ ×(동아일보), ⑦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⑧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3권 분
ㄷ(일제 강점기 이전), ㄹ(일제 강점기 이전), ㅂ(일제 강점기 전인 1897년), ㅅ(1920년대에 암태도 립에 입각한 민주 공화정 수립 추구), ⑨ ×(신민회), ⑩ ×(보안회), ⑪ ×(흥선 대원군), ⑫ ○(대
소작 쟁의 발생), ㅋ(1924년에 조직됨), ㅌ(일제 강점기 이전), ㅎ(1920년대 모습) 한민국 임시 정부는 연통제, 교통국 운영), ⑬ ○(1923년 국민 대표 회의 개최), ⑭ ×(대한 제국)
03 ① ×(3・1 운동 후 조선일보, 동아일보 창간), ② ×(고종의 장례식에 맞추어 계획), ③ ×(국채

8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일제의 식민 통치와 경제 수탈 H03 고3 2017(4월)/교육청 6

다음 판결이 있었던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점)

H01 2018/수능 15 판결문

(가) 정책이 초래한 결과로 옳은 것은? (3점)


주문
이 건물은 옛 익옥 수리 조합 사무소로 일제에 의한 수탈의 역사를 보여 줍니다. 제1 피고인 ◯◯◯을 징역 2년에 처한다.
차 세계 대전 이후 일제는 자국의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민지 조선에서
경지 정리와 개간, 벼 품종 개량, 대규모 수리 조합 창설 등을 추진하는 (가) 을/
이유
07

DAY
를 실시하였습니다. 익옥 수리 조합도 이 수탈 정책에 적극 참여하였습니다.
1. 피고인 ◯◯◯은 △△학교 교사로서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조선의 쌀이 부족한 것은 미곡 공출제 때문이다.”라고 말함.
2. 교실에서 “조상으로부터 전해져 온 성명까지 일본식으로 사
용하도록 강요하니 실로 억울하다.”라고 말함.
3. “내선일체는 도저히 실현될 수 없는 것이며 조선인에 대한
차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독립의 길밖에 없다.”라고 검
사에게 진술함.

① 메가타의 주도로 화폐 정리 사업이 시행되었다. ① 만적의 난에 참여하는 노비


② 회사 설립을 허가제로 규정한 회사령이 공포되었다. ② 녹읍 폐지에 반발하는 진골 귀족
③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독점 판매권이 폐지되었다. ③ 황국 신민 서사를 암송하는 학생
④ 한국인의 식량 사정 악화로 다량의 만주산 잡곡이 수입되었다. ④ 황룡사 9층 목탑 건립에 동원된 장인
⑤ 곡물 유출을 막기 위해 함경도 등지에서 방곡령이 선포되었다. ⑤ 몽골과의 강화에 반대하는 삼별초 소속의 병사

H02 2018(9월)/평가원 17 H04 2017/수능 15

다음 내용의 일기가 쓰였던 당시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은? (3점)
조선 총독부는 현재 (가) 을 그뿐만 아니라 농민이 부담해야 하는
실시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증산량보 수리 조합비와 비료 대금이 너무 많아
19△△년 ◯◯월 ◯◯일 다 일본으로 나간 양이 더 많습니다. 농가 빚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경찰, 군수, 면장이 주민들에게 일본식 성명으
로 고칠 것을 강요하고 있다. 그들은 성명을 고치
지 않은 사람이 집을 짓거나 매입하는 경우에 인
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학교에
입학하려는 아이들의 성명을 일본식으로 고치지
않았다면 취학 연령 아동임을 입증하는 증명서를
발부해 주지 않고 있다.

① 회사령
① 집현전에서 근무하는 관리 ② 미곡 공출
② 은병(활구)으로 거래하는 상인 ③ 국민 징용령
③ 황국 신민 서사를 암송하는 학생 ④ 물산 장려 운동
④ 조선 형평사 창립을 준비하는 백정 ⑤ 산미 증식 계획
⑤ 지계아문에서 지계를 발급받는 농민

❖ 정답 및 해설 71 ~ 73p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83


H05 고3 2016(10월)/교육청 13 ① 동학 농민군을 공격하는 일본 군인이요.
② 경인선 개통을 준비하는 일본 기술자요.
다음 두 법령이 시행된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③ 강화도 조약 문서에 서명하는 일본 외교관이요.
④ 방곡령의 철회와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일본 상인이요.
⑤ 일본식으로 성과 이름을 바꾸도록 강제하는 일본인 교사요.
제1조 회사의 설립은 조선 총독 제1조 3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구류에 처해야 할 자는
제5조 회사가 …(중략)… 선량 그 정상에 따라 태형에
한 풍속에 반하는 행위 처할 수 있다.
를 할 때, 조선 총독은 제13조 본령은 조선인에 한하
회사의 해산을 명할 수 여 적용한다.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있다.

① 아관 파천이 단행되었다. ②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었다. H08 2018/수능 14

③ 대한국 국제가 제정되었다. ④ 헌병 경찰 제도가 시행되었다. 다음 판결문에 나타난 민족 운동이 끼친 영향으로 옳은 것은? (2점)
⑤ 종로에서 만민 공동회가 열렸다.
판결문
H06 2017(9월)/평가원 14 •주문: 피고 ◯◯◯을/를 징역 3년에 처한다.
•이유: 피고 ◯◯◯은/는 이화학당 생도인데, 3월 초 경성에서 손병희 등
다음 법령이 시행된 시기에 일제가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이 조선 독립 선언을 발표하고 학생과 시민이 조선 독립 만세를 외
치며 시위를 하고 있음을 보고, 며칠 후 고향으로 돌아와 태극기를
조선총독부 관보 만들어 시장에서 수천 명의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 시
위를 함으로써 치안을 방해하였다.
◯◯◯

제1조 회사의 설립은 조선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① 고종이 강제 퇴위를 당하였다.
…(중략)… ②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제5조 회사가 본령이나 본령에 의거하는 명령과 허가의 조건
③ 안중근이 동양 평화론을 집필하였다.
을 위반하거나 공공질서와 선량한 풍속에 반하는 행위
④ 영은문 자리에 독립문이 건립되었다.
를 할 때, 조선 총독은 사업의 정지와 회사의 해산을 명
⑤ 일제가 이른바 문화 통치를 표방하였다.
한다.

① 귀속 재산 처리 ② 토지 조사 사업
③ 식량 배급과 공출 ④ 병참 기지화 정책
⑤ 양전 사업과 지계 발급 H09 2018(6월)/평가원 11

다음 선언으로 시작된 운동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 (3점)


H07 2017(6월)/평가원 16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2점) 우리들은 이에 우리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


인이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 …(중략)… 유
사 이래 수천 년에 처음으로 이민족 압제의
이 자료들은 일제가
고통을 당한 지 이제 10년이 지난지라 …….
중・일 전쟁 후 본
격적으로 추진했던
정책의 내용을 보여
줍니다. 이 시기에는
또 어떤 모습을 볼
수 있었을까요?

▲ 황국 신민 서사를 강제로 암 ▲ 조선 신궁에 강제로 참배하


송하는 학생들 는 학생들 ① 홍범 14조가 반포되었다.
② 독립 협회가 창립되었다.
③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었다.
④ 국채 보상 기성회가 조직되었다.
⑤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8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H10 2017(6월)/평가원 5 H12 고2 2017(3월)/교육청 16

다음 가상 편지에 나타난 민족 운동이 시작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른 것은? (3점)

◯◯에게
한국사 묻고 답하기
잘 지내고 있니?
질문 중ㆍ일 전쟁 이후 일제가 실시한 정책을 알려주세요.
지금 경성은 독립 만세를 외치는 함성으로 가득해.
어제 낮 태화관에서 민족 대표들이 독립 선언서를 낭독했고, 탑골 ↳
07
답변 국가 총동원법을 실시하였어요.

DAY
공원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독립 만세를 외쳤어. 소문에는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일찍부터 준비를 해 왔다고 해. 아마도 최근
↳ 답변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하였어요.

미국 대통령 윌슨이 제창한 민족 자결주의에 영향을 받은 것 같아. ↳ 답변 (가)


자세한 이야기는 조만간 만나서 하자.
△△가

① 회사령을 공포하였어요.
(가) (나) (다) (라) (마)
② 치안 유지법을 제정하였어요.
대한 제국 국권 대한민국 신간회 8・15
갑신정변 ③ 화폐 정리 사업을 단행하였어요.
수립 피탈 임시 정부 수립 결성 광복
④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어요.
① (가) ② (나) ③ (다) ⑤ 국민 징용령과 징병제를 실시하였어요.
④ (라) ⑤ (마)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H13 고3 2016(10월)/교육청 19

(가) 정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H11 2018(6월)/평가원 14

다음 법령이 공포된 시기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2점)

조선 총독부 관보 제 ◯◯호 19△△년 △월 △일

토지 조사령
국립 서울 현충원에는 3・1 운동을 계기로 상하이에 수립된
제1조 토지의 조사 및 측량은 본령에 의한다. (가) 의 주요 인사들을 모신 묘역이 있다. 이 묘역에는
(중략) 제2대 대통령 박은식, 국무령 이상룡, 홍진, 한국광복군 총사
령 지청천 등이 안장되어 있다.
제4조 토지의 소유자는 조선 총독이 정하는 기간 내에 그 주소, 성명
또는 명칭 및 소유지의 소재, 지목, 결수 등을 임시 토지 조사 국
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① 의열단을 결성하였다.
② 광무개혁을 추진하였다.

①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③ 연통제와 교통국을 운영하였다.

②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었다. ④ 반민족 행위 처벌법을 제정하였다.

③ 치안유지법이 실시되었다. ⑤ 오산 학교와 대성 학교를 설립하였다.

④ 헌병 경찰 제도가 시행되었다.
⑤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

❖ 정답 및 해설 73 ~ 78p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85


동아리 소개 광야
서강대 락 밴드 동아리

음악 하나에 모든 것을 담는 락 밴드

Ⓒ 451507257/GettyImages Bank.com

국문과 노래패에서 출발한 광야는

자유로운 음악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장르를 불문하고, 우리가 노래를 만들고

공연하는 일련의 것들은 그저 서로가 즐거운 시간을 갖도록,

그리고 서로가 미칠 수 있도록 하는 시간과

자리를 마련하고 싶어서 일 것입니다.

사랑의 아픔도 어느 때건

볼륨노브 12시가 넘어간 기타 소리이기만 하면

그저 만족합니다.

공연하면서 음악 하나에

마음 속 모든 것을 담겠다는 생각 말고는

더 이상의 꾸밈이 없습니다.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국내외 민족 운동 및 일제 강점기
사회・문화의 변화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신간회: 제시된 삽화에서 (가)가 신간회임을 추론하고, 신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간회에 대한 옳은 설명을 골라야 한다. 정답은 ‘정우회 선언 신간회
을 계기로 결성되었다.’이다. 2018 2
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 제시된 사료는 낯설었으나, 사료의 내용은
청산리 대첩
어렵지 않았다. 무장 독립 전쟁은 학생들이 많이 어려워하 2017 2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는 부분이라 정답률은 높지 않았다.
근우회 성립 및 신간회 해소
사이의 사실
2016 3
한국 광복군과 조선 의용대
2019 수능 예측
신채호
1. 일제 강점기 민족 유일당 운동으로 구성된 신간회와 관련된 문제
1930년대 민족 운동
는 계속해서 출제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간회가 광주 학생 항
일 운동 때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고 민중 대회를 계획한 사실이 광주 학생 항일 운동
2015 4
주목된다. 민족주의 사관
1930년대 전반 무장 독립 전쟁
2. 박은식, 신채호 등의 역사관과 관련된 자료를 주고 해당 인물의
활동을 고르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박은식
한국 국민당 결성과 대한민국
3. 한국 광복군은 꾸준히 시험에 출제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건국 강령 발표 사이의 사실
출제될 것으로 보인다. 2014 4
한국사에 영향을 준 열강 사이
의 조약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고난도 유형
★ 출제 개념
만주에서 활약한 독립군 부대인 조선 혁명군에 대해서 묻고
I23 2017(9월)/평가원 16
있다.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 핵심은 이것
3부는 항일 무장 투쟁을 효율적으로 전개할 목적으로 1920 조선 혁명당 산하에 조직된 조선 혁명군은 양세봉이 지휘하였
년대 후반부터 통합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남만주의 국 으며, 1930년대 전반 중국군과 연합하여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민부와 북만주의 혁신 의회로 통합되었다. 국민부는 조선 혁명 리하여 영릉가 전투와 흥경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당을 조직하고 그 산하에 무장 부대인 (가) 을/를 결
성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 문항 분석
(가)가 조선 혁명당 산하의 무장 부대라 하였으므로, 어떤 독립

①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다. 군 부대인지 찾기는 수월했을 것이나 답을 고르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1930년대 전반 만주에서 활약한 조선 혁명군과
② 조선 혁명 선언을 발표하였다.
한국 독립군은 서로 비교해서 정리해 두어야 한다.
③ 105인 사건으로 시련을 겪었다.
④ 영릉가 전투와 흥경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 I15
⑤ 인도와 미얀마 전선에서 영국군과 합동 작전을 전개하였다. 〔정답 및 해설 89p〕
국내외 민족 운동 및 일제 강점기 사회・문화의 변화 중요도

국내 민족 운동과 사회, 문화의 변화

1 실력 양성 운동 ➊ 조선 물산 장려회 홍보 포스터

(1) 물산 장려 운동
배경 회사령 폐지, 일본 상품에 대한 관세 철폐 움직임

•평양에서 조만식 등이 조선 물산 장려회 조직(1920) → 전국적으로 확산
전개
•구호: ‘내 살림 내 것으로’, ‘조선 사람 조선 것으로’

한계 일제의 탄압, 사회주의 세력의 비판 (자본가와 일부 상인에게만 이익)

(2) 민립 대학 설립 운동 ➋ 물산 장려 운동에 대한 사회주의자의 비판

배경 제2차 조선 교육령에 따라 대학 설립 가능 물산 장려 운동의 사상적 도화수가 된 것은 누구


인가? 저들의 사회적 지위로 보나 계급적 의식으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조직(1922) 로 보나 결국 중산 계급의 이익에 충실한 대변인
전개
•구호: ‘한민족 1천만이 한 사람 1원씩’ → 모금 운동 전개 인 지식 계급이 아닌가?

결과 일제의 탄압, 자연 재해로 모금 부진 → 실패 → 일제가 경성 제국 대학 설립


➌ 브나로드 운동 포스터
(3) 문맹 퇴치 운동
① 문자 보급 운동: 조선일보 주도,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1929년 시작

② 브나로드 운동 : 동아일보 주도, ‘배우자, 가르치자, 다 함께 브나로드’, 1931년 시작

2 만세 운동과 민족 협동 전선 운동
(1) 6・10 만세 운동(1926)
수능출제 0순위
① 배경: 식민지 차별 교육에 대한 불만 고조, 순종의 서거 브나로드는 러시아어로 ‘민중 속으로’라는 뜻이다.

② 전개: 사회주의 계열, 천도교 계열, 학생 단체가 추진(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연대 계기) →


➍ 타협적 민족주의
사회주의 계열, 천도교 계열 사전 발각 → 학생 중심으로 순종의 인산일 때 만세 시위 전개
1920년대 민족주의 내부에서 타협적 민족주의 세력
(2) 신간회(1927~1931) 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현재는 독립이 불가능하므로
➍ ➎ 독립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독립에 도달하는 한
배경 타협적 민족주의 등장, 6・10 만세 운동, 중국의 제1차 국・공 합작 , 정우회 선언 등
단계로서 자치권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와 같
창립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신간회 결성 은 주장을 하였다.

강령 민족의 단결 도모, 정치적・경제적 각성 촉구, 기회주의자 배격


➎ 제1차 국・공 합작(1924)
활동 민중 계몽 활동, 노동・농민 운동 지원,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진상 조사단 파견, 대규모 민중 대회 계획 중국에서 있었던 국민당과 공산당의 합작이다. 반제
해소 타협적 민족주의 대두, 코민테른(공산주의 국제 연합)의 노선 변화 → 사회주의 세력 이탈 국주의와 반군벌을 목표로 하였다.

(3)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➏ 형평 운동 포스터


① 배경: 일제의 식민지 차별 교육, 한・일 학생 충돌 → 경찰의 편파적 처리
② 전개: 광주 학생들의 대규모 시위 → 전국적 확산(신간회 지원)

3 사회・경제적 민족 운동과 민족 문화 수호 운동

(1) 형평 운동
① 배경: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잔존 → 차별 철폐 주장
② 전개: 진주 백정 주도로 조선 형평사 결성, 형평 운동 전개
(2) 농민 운동과 노동 운동: 암태도 소작 쟁의(농민 운동)와 원산 총파업(노동 운동)이 대표적
➐ 일제의 식민 사관
(3) 민족 문화 수호 운동
한국의 역사는 발전하지 못하고 정체
① 한국사 연구 정체성론
되어 있다는 주장
한국인에게는 당파 싸움의 기질이 있
•박은식: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저술, 민족혼 강조 당파성론
민족주의 사학 다는 주장
•신채호: “조선사연구초”, “조선상고사” 저술, 낭가 사상 강조
한국은 주체적인 역사 발전의 능력이

사회 경제 사학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저술, 유물 사관 입장에서 정체성론 비판 타율성론 없고, 항상 외세에 의해 역사가 전개
되어 왔다는 주장
② 국어 연구: 조선어 연구회(가갸날 제정), 조선어 학회(우리말 큰 사전 편찬 시도)

88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국외 민족 운동과 건국 준비 활동 ➑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1 1920년대 무장 독립 투쟁

(1)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봉오동 전투(1920. 6.) 대한 독립군(홍범도) 등이 봉오동에서 일본군에 대승을 거둠

일제가 훈춘 사건 을 조작해 대규모 병력 파견 → 북로 군정서(김좌진), 대한 독립군(홍
청산리 대첩(1920. 10.)
범도) 등이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 대파(독립 전쟁에서 가장 큰 승리)

(2) 독립군의 시련
08

DAY
① 간도 참변: 청산리 대첩 후 일제가 간도 지역의 한인 마을 파괴, 한인 학살
② 독립군 부대가 밀산으로 이동 → 대한 독립군단 결성(총재: 서일) → 러시아의 자유시로 이 ➒ 훈춘 사건
동 → 독립군 내부 분쟁, 러시아 적군의 배신으로 독립군 다수 희생(자유시 참변) 일제가 중국 마적을 매수해 훈춘의 일본 영사관과
일본인을 습격하도록 한 사건이다.
(3) 독립군의 재정비
① 만주에 3부(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성립 → 1920년대 후반 3부 통합 운동 → 국민부
➓ 미쓰야 협정
(조선 혁명당, 조선 혁명군)와 혁신 의회(→ 한국 독립당, 한국 독립군)로 재편
➓ 1. 한국인이 무기를 가지고 다니거나 한국으로 침
② 미쓰야 협정(1925) : 일제와 만주 군벌이 독립군 체포, 인도 등에 합의 → 독립군 위축 입하는 것을 엄금하며, 위반자는 검거하여 일본
경찰에 인도한다.
2 의열 투쟁 2. 만주에 있는 한인 단체를 해산시키고 무장을
해제하며, 무기와 탄약을 몰수한다.
(1) 의열단 3. 일본이 지명하는 독립운동 지도자를 체포하여
일본 경찰에 인도한다.
조직 3・1 운동 후 김원봉 등이 만주 지린에서 조직(1919)

활동 신채호가 작성한 ‘조선 혁명 선언’을 지침으로 활동 / 박재혁, 김익상, 김상옥, 나석주 등의 의거


관동 대학살(1923)
변화 1920년대 후반 개별적인 폭력 투쟁의 한계 인식 → 군사력 양성 모색 1923년 일본 관동 지방에서 대지진이 일어나 민심이
동요하였다. 그러자 일본은 ‘한국인이 우물에 독을
(2) 한인 애국단 넣었다.’와 같은 유언비어를 퍼뜨렸다. 이에 일본 군
경과 민간인들이 한국인을 학살하였다.
조직 김구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침체 극복을 위해 조직(1931)

활동 이봉창, 윤봉길의 의거 → 중국 국민당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인정, 적극적으로 지원


1930년대 무장 독립 투쟁
독립군과 중국군의 활동 지역

3 해외 동포의 활동: 관동 대학살


한국 독립군 1931년 이전의 일본군 점령지
(일본),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연해주), 만보산 사건(만주) ①쌍성보 전투(1932) 치치하얼 1932년의 일본군 점령지
②경박호 전투(1932)
③사도하자 전투(1933) 하얼빈
④동경성 전투(1933)

4 1930년대 이후의 무장 독립 투쟁
⑤대전자령 전투(1933) ① ⑤

닝안 ② ④
조선 혁명군 창춘
⑥영릉가 전투(1932) 지린
옌지
(1) 만주에서의 무장 독립 투쟁 ⑦흥경성 전투(1933) 블라디보스토크
펑톈 푸순
⑥ ⑧ 청진
북만주 지청천의 한국 독립군이 중국군과 연합 → 쌍성보・사도하자・대전자령 전투 승리 ⑦
안둥 신의주
동북 항일 연군
남만주 양세봉의 조선 혁명군이 중국군과 연합 → 영릉가・흥경성 전투 승리 ⑧보천보 전투(1937)

수능출제 0순위
(2) 중국 관내에서의 무장 독립 투쟁
•김원봉 등이 좌우 연합의 민족 혁명당 창당 → 민족주의 세력 이탈 → 조선 민족 혁명당 중심으로 ✽ 한국 광복군의 활동에 주목하자!
조선 조선 민족 전선 연맹 결성 → 산하 부대로 조선 의용대 조직 한국 광복군은 무장 독립 투쟁에서 가장
의용대 •의의: 중국 관내에서 결성된 최초의 독립군 부대 많이 출제된다. 한국 광복군의 활동은 미국,
•변화: 일부는 화북으로 이동(조선 의용대 화북 지대), 일부는 한국 광복군에 합류
영국, 일본을 기억하고 ‘미국 전략 정보국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 부대로 창설(1940), 사령관: 지청천 협력 ’, ‘영국과 인도・미얀마 전선에서 활
한국
•활동: 김원봉이 이끈 조선 의용대 일부 합류, 영국군을 도와 인도・미얀마 전선에서 활약, 미국 전 약’, ‘태평양 전쟁 발발 후 일본인과의 전쟁
광복군
략 정보국(OSS)과 협력하여 국내 진공 작전 준비
에 참가’라고 암기해 두자.

5 건국 준비 활동과 국제 사회의 독립 약속
(1) 대한민국 임시 정부: 충칭에 정착 후 한국 광복군 창설, 대한민국 건국 강령 공포(삼균주
의 반영, 1941)
(2) 국제 사회의 독립 약속: 카이로 회담(최초로 한국의 독립 결의), 포츠담 회담(독립 재확인)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89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4]
1
CHECK UP TEST

국내 민족 운동과 일제 강점기 사회, 문화의 변화 국외 민족 운동과 건국 준비 활동

01 다음 내용이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03 다음 내용이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① 신채호는 조선상고사를 집필하였다. (○, ×) ① 김원봉을 중심으로 의열단이 조직되었다. (○, ×)
② 백남운은 조선사 편수회에 참여하였다. (○, ×) ② 조선 혁명군은 105인 사건으로 시련을 겪었다. (○, ×)
③ 조선 형평사는 한글이라는 잡지를 간행하였다. (○, ×) ③ 나석주가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 ×)
④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신간회의 지원을 받았다. (○, ×) ④ 한국 독립군은 봉오동에서 일본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 ×)
⑤ 6・10 만세 운동은 신민회 결성에 영향을 주었다. (○, ×) ⑤ 조선 의용대의 일부 병력이 한국 광복군에 합류하였다.(○, ×)
⑥ 6・10 만세 운동은 의열단 조직에 영향을 주었다. (○, ×) ⑥ 조선 혁명군은 중국 의용군과 함께 항일전을 수행하였다.
⑦ 형평 운동은 ‘우리가 만든 것 우리가 쓰자.’라고 주장했다. (○, ×)
(○, ×) ⑦ 북로 군정서는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에서 승리하였다.
⑧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민립 대학 설립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 ×)
(○, ×) ⑧ 1940년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한인 애국단을 조직하였다.
⑨ 민족주의 역사관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정신을 강조하 (○, ×)
였다. (○, ×) ⑨ 1940년대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대일 선전 포고문을 발표하
⑩ 신간회는 순종의 장례식을 이용하여 6・10 만세 운동을 준비 였다. (○, ×)
하였다. (○, ×) ⑩ 한국 독립군은 미얀마 전선에 공작대를 파견하여 일본군 포로
⑪ 형평 운동은 ‘계급을 타파하고 모욕적 칭호를 폐지하라.’라고 를 심문하였다. (○, ×)
주장했다. (○, ×) ⑪ 한국 독립군이 쌍성보에서 승리하였다. (○, ×)
⑫ 신채호는 역사 연구 방법에서 실증을 중시하고, 진단 학보를 ⑫ 조선 의용대는 중국 국민당의 지원하에 창설되었다. (○, ×)
발행하였다. (○, ×)
⑬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는 토대가
되었다. (○, ×)
04 한국 광복군에 대한 설명으로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① 인도・미얀마 전선에 투입되었다. (○, ×)
02 다음 내용과 공통적으로 관련된 단체를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 ② 자유시 참변으로 세력이 약해졌다. (○, ×)
③ 아관 파천 이후 대부분 해산하였다. (○, ×)
•원산 총파업을 지원하였다. ④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에 대승을 거두었다. (○, ×)
•정우회 선언이 계기가 되었다. ⑤ 미군과 협력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계획하였다. (○, ×)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돕기 위하여 민중 대회를 계획하 ⑥ 영릉가 전투와 흥경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 ×)
였다.
⑦ 팔로군과 함께 화북 지역에서 항일전을 수행하였다. (○, ×)
⑧ 중국 관내에서 조직된 최초의 한인 부대이다. (○, ×)
[보기]
신민회, 신간회, 국채 보상 기성회

Re a l 정답

01 ① ○(신채호가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저술), ② ×(백남운은 사회 경제 사학자, 조선사 편수 주가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폭탄 투척), ④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 ⑤ ○(김원봉이 이끄는 조
회는 일제가 조직), ③ ×(조선어 연구회 및 조선어 학회가 잡지 ‘한글’ 간행), ④ ○(신간회가 광 선 의용대 일부가 한국 광복군에 합류), ⑥ ○(1930년대 전반의 한・중 연합 작전), ⑦ ×(청산리
주 학생 항일 운동 때 진상 조사단 파견), ⑤ ×(신민회 결성은 1907년, 6・10 만세 운동은 1926 대첩에만 해당), ⑧ ×(1930년대), ⑨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후 대일 선전 포고문 발표), ⑩
년), ⑥ ×(의열단 결성은 1919년, 6・10 만세 운동은 1926년), ⑦ ×(물산 장려 운동의 구호), ⑧ ×(한국 광복군에 대한 설명), ⑪ ○(쌍성보, 대전자령 전투 등에서 승리), ⑫ ○(조선 의용대, 한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이 광주 학생 항일 운동보다 전), ⑨ ○(민족주의 사학자인 신채호・박은 국 광복군 모두 중국 국민당의 지원으로 창설됨)
식 등이 대표적), ⑩ ×(6・10 만세 운동 후 신간회 조직), ⑪ ○(형평 운동은 백정들의 신분 해방 04 ① ○(한국 광복군이 영국군을 돕기 위해 인도・미얀마 전선에 투입), ② ×(한국 광복군 창설 전
운동), ⑫ ×(실증 사학에 대한 설명, 신채호는 민족주의 사학자), ⑬ ×(3・1 운동에 대한 설명) 자유시 참변 발생), ③ ×(을미의병), ④ ×(청산리 전투는 한국 광복군 창설 전), ⑤ ○(한국 광복
02 신간회(정우회 선언을 계기로 조직,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및 원산 총파업 지원) 군의 활동, 그러나 실행되지 못함), ⑥ ×(조선 혁명군), ⑦ ×(조선 의용군), ⑧ ×(조선 의용대)
03 ① ○(1919년 김원봉이 만주에서 의열단 조직), ② ×(신민회에 대한 설명), ③ ○(의열단원 나석

90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국내 민족 운동과 사회, 문화의 변화 I03 2018(9월)/평가원 15

다음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I01 2018/수능 16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역사 인물 카드

지난 11월 3일에 일어난 광주 학생 시 허헌, 홍명희 등 (가) 의 인사들이 •이름: ◯ ◯ ◯


위 사건의 진상을 보고하기 위해 민 민중 대회를 추진하려다 지도부를 비롯 •호: 단재(丹齋)
중 대회가 열릴 예정이었다네요. 해 관련 인물 수십 명이 일제 경찰에 체 •생몰 연대: 1880~1936
포되어 안타깝게도 무산 되었다는군요 •주요 활동

08
- 대한매일신보에 ‘독사신론’ 연재

DAY
- ‘조선 혁명 선언’ 작성

① 별무반을 조직하였다.
② 척화비를 건립하였다.
①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③ 어린이날을 제정하였다.
② 정우회 선언을 계기로 결성되었다. ④ 조선상고사를 집필하였다.
③ 국채 보상 운동을 주도하였다. ⑤ 대동여지도를 제작하였다.
④ 105인 사건으로 해체되었다.
⑤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였다.

I02 고3 2017(10월)/교육청 17 I04 2018(6월)/평가원 17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가) 단체의 설립 목적을 드러낸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한국사 동아리 발표회 (가) 취지서


•일시: 2017년 10월 ◯◯일 17시 공평은 사회의 근본이요 애정은 인류의 본령
•장소: 학교 시청각실 이라. …(중략)… 이 사회에서 우리 백정의 연혁
•주제: (가) 의 성립과 활동 을 아는가 모르는가. 결코 천대받을 우리가 아니
다. 우리도 조선 민족 2천만의 1인이라. 애정으로
제1 발표: 자치론의 대두와 정우회 선언
써 상호 부조하여 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고 공동
제2 발표: 지회의 설립과 활동
의 존영을 기하고자, 이에 본사의 취지를 선명히
제3 발표: 민중 대회 개최 계획과 좌절 표방코자 하노라.
제4 발표: 해소론의 대두
① 고율 소작료를 인하하라.
① 가갸날을 제정하였다. ② 굴욕적 대일 외교 반대한다.
② 집강소를 설치하였다. ③ 우리가 만든 것 우리가 쓰자.
③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④ 좌우 합작으로 민주 임시 정부 수립하자.
④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지원하였다. ⑤ 계급을 타파하고 모욕적 칭호를 폐지하라.
⑤ 오산 학교와 대성 학교를 설립하였다.

❖ 정답 및 해설 78 ~ 80p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91


I05 고3 2017(3월)/교육청 12 I07 2017(9월)/평가원 15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다음 격문이 발표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탐구 수업 활동지 구속된 광주 조선 학생을 즉시 탈환하자!


○ 주제 : (가) 의 전개 식민지 노예 교육에 반대하자!
○ 목표 : 1920~1930년대 국내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살펴 조선인 본위의 교육 제도를 확립하라!
본다. 전국 학생 대표자 대회를 개최하라!
○ 수집 자료 대중적 시위운동을 조직하라!
조선 학생 청년 대중이여! 궐기하라!

① 신간회의 지원을 받았다.


② 정우회 선언이 계기가 되었다.
③ 신탁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났다.
④ 조선 물산 장려회가 주도하였다.
⑤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는 토대가 되었다.
① 위정척사 운동 ② 농촌 진흥 운동
③ 자유 민권 운동 ④ 실력 양성 운동
⑤ 상권 수호 운동

I06 2017(9월)/평가원 17 I08 고1 2016(3월)/교육청 17

다음 운동이 전개된 시기에 볼 수 있었던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다음 구호를 내세운 두 운동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은? (3점)
(2점)
조 입 다 배
선 어 함 우
제 ◯회 학생 여름 ◯◯◯◯운동 사 라 께 자
람 ! 브
!
남녀 학생 총동원,
이 나 가

휴가는 봉사적으로 선 짠 로 르
학생 여러분! 물 드 치
산 것 동 자
여름 방학 일주일간의 노력이면 장

을 아
일 !
당신 고향 마을의 회 보

‘문맹’이 소멸될 것이요,


위생 사상이 보급될 것입니다. ① 민족의 실력 양성을 추구하였다.
② 신민회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았다.
③ 독립 협회의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① 황성신문을 발행하는 언론인
④ 국가 총동원법 제정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② 문자 보급 운동을 전개하는 청년
⑤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배경이 되었다.
③ 암태도 소작 쟁의에 참가하는 소작농
④ 조선 청년 총동맹 결성식에 참석하는 지식인
⑤ 민립 대학 설립을 위해 모금에 동참하는 기업인

9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국외 민족 운동과 건국 준비 활동 I11 2018(9월)/평가원 14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충칭에 있었던 대한민국 지청천이 사령관으로 미국 전략 정보국(OSS)과


I09 2018/수능 17 임시 정부의 산하 군사 조 활동했지. 연합하여 국내 진공 작전
직인 (가) 의 활동에 을 추진하였어.
밑줄 친 ‘우리 군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대해 얘기해 보자.

우리들의 염원인 우리 조국 삼천리 강토에의 진주(進駐)를


실현코자 국내 진공 작전을 계획하였으니, 당시 주중 미군 현
지 사령관의 원조를 받아 우리 군대의 일부 대원을 선발하여
08

DAY
특수 비밀 훈련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중략)… 우리와 미국
사이에 군사 협의를 통해 미국은 제1차로 특수 훈련을 받고 있
는 우리 대원들을 산둥에서 미국 잠수함으로 국내에 잠입시켜
중요 지점을 파괴 또는 점령케 하는 동시에, 때를 잃지 않고 비 ① 인도・미얀마 전선에 투입되었다.
행기와 선박으로 진주군을 상륙시켜 점령할 계획이었다. ② 황토현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③ 자유시 참변으로 세력이 약해졌다.
① 양세봉의 지휘하에 활동하였다. ④ 정족산성에서 프랑스 군대를 물리쳤다.
②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창설하였다. ⑤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에 대승을 거두었다.
③ 쌍성보 전투에서 일본군을 무찔렀다.
④ 옌안에서 중국 공산당과 연합하였다.
⑤ 봉오동에서 일본군에 대승을 거두었다.

I10 2018(9월)/평가원 16 I12 고3 2017(7월)/교육청 15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자네, 며칠 전에 김상옥이 그럼, 들었지. 근래 (가) 단원의


종로 경찰서에 폭탄을 던 활약이 대단하더군. 조선 총독부에 폭
한인 애국단의 의열 투쟁
졌다는 소식 들었나? 탄을 던진 김익상도 그 단원이라네.

김구 이봉창 윤봉길
독립운동의 활로를 일왕의 마차
모색하고자 행렬에 폭탄을 (가)
한인 애국단을 조직함. 투척함.
① 독립문 건립을 추진하였다.
② 물산 장려 운동을 주도하였다.
①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함.
③ 김원봉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② 샌프란시스코에서 외교 고문 스티븐스를 사살함.
④ 오산 학교와 대성 학교를 설립하였다.
③ 훙커우 공원에서 폭탄으로 일본군 수뇌부를 살상함.
⑤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철회시켰다.
④ 중국 호로군과 연합하여 쌍성보 전투를 승리로 이끎.
⑤ 조선 혁명 선언을 작성하여 민중 직접 혁명론을 주장함.

❖ 정답 및 해설 80 ~ 84p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93


I13 고3 2017(7월)/교육청 16 I15 고3 2017(3월)/교육청 16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다음 대화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가) 의 주요 격전지 남만주에서는 조선 혁명군이 북만주에서도 한국 독립군이
10월 21 ~ 22일 10월 22일 중국군과 함께 영릉가 전투, 중국군과 함께 쌍성보 전투,
독립군 연합 부대 독립군 연합 부대 흥경성 전투 등에서 일본군을 동경성 전투 등에서 일본군을
(홍범도) 완루구 (김좌진, 홍범도)
물리쳤습니다. 격퇴하였습니다.
고동하
천수평 어랑촌
10월 25 ~ 26일
독립군 연합 부대 10월 21일
(홍범도) 백운평
북로 군정서(김좌진)
두 만
백두산 강
10월 21일
북로 군정서(김좌진)

① 귀주 대첩 ① 간도 참변의 배경
② 살수 대첩 ② 청・일 전쟁의 영향
③ 명량 대첩 ③ 한・중 연합 작전의 전개
④ 청산리 전투 ④ 조선 의용대의 항일 투쟁
⑤ 기벌포 전투 ⑤ 독립 의군부의 결성 계기

I14 2018(6월)/평가원 15 I16 2017/수능 16

밑줄 친 ‘의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932년 4월 29일,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


서 일왕의 생일과 상하이 사변의 승리를 축 1920년 10월, 대규모 일본군이 북로 군정서의 근거지로 쳐
들어왔다. 독립군은 백운평의 숲에 매복했다가 일본군이 들
하하는 기념식이 열렸다. 이때 기념식 단상
어오자 맹렬히 사격을 가했다. 그 후 완루구와 천수평에서 독
에 폭탄을 던져 일본군 장성과 고관 다수를
립군은 다시 일본군을 물리쳤다. 큰 타격을 입은 일본군은 격
처단한 의거가 일어났다.
분하여 어랑촌에 있는 독립군을 공격했지만, 역시 독립군이
그로 인해 만보산 사건 이후 급속도로 악
승리했다. 이후 독립군은 천보산으로 이동해 다시 일본군과
화된 중국인의 반한 감정이 크게 줄어들었다. 또 중국 국민당
싸웠다.
정부가 한국 독립운동에 지원을 아끼지 않게 되어, 독립운동
국면의 대반전이 이루어졌다.

①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이 일으켰다. ① 독립 의군부의 활동


② 복벽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일어났다. ② 청산리 대첩의 경과
③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③ 조선 의용대의 활약
④ 일제의 국가 총동원법 공포 후 발생하였다. ④ 영릉가 전투의 전과
⑤ 국내에서 신간회가 창립되는 데 영향을 끼쳤다. ⑤ 한인 애국단의 활약

9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I17 2017(6월)/평가원 17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I19 고3 2017(10월)/교육청 15
검색어 ▼ (가) 검색
지도에 표시된 활동을 전개한 군사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검색 결과
연혁 (2점)

1940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주요 활동 거점
군으로 창설
1943년 인도・미얀마 전선 투입
08
미국 전략 정보국( )의

DAY
영국군과 공동 작전 전개 지원하에 훈련 실시

1945년 국내 진공 작전 추진
시안
푸양
충칭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여 창설( )
① 별기군 ② 의열단 ③ 훈련도감 인도・미얀마
④ 한국 광복군 ⑤ 13도 창의군 전선 파견

①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② 국내 진공 작전을 계획하였다.
③ 조선 독립 동맹의 군사 기반이었다.
④ 자유시 참변으로 다수가 희생되었다.
⑤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았다.

I18 고3 2016(7월)/교육청 16 I20 고3 2017(4월)/교육청 13

(가) 단체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3점) 다음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919년 11월, 만주 지린 시 파호문 밖 중국인의 집에 열 세 열차 안에서 벌인 언쟁을 발단으로 전라도 광주에서 한・일
명의 조선 청년들이 주위의 눈을 피하여 조심스럽게 모여들었 두 나라 학생들 간에 싸움이 벌어졌다. 이 싸움이 한국인과 일
다. 이들은 밤새 토론을 펼친 끝에 (가) 결성에 합 본인의 집단 충돌로 확대되어 쌍방에서 각기 수십 명의 부상자
의하고 김원봉을 단장으로 추대하였으며, 독립을 위해 끊임없 가 발생하였다. 일본 경찰은 불온한 사상을 가진 한국 학생들
는 의열 투쟁을 전개하기로 하였다. 이후 김익상, 김상옥, 김 이 이번 사건의 주모자들이라며 그 책임을 물어 한국 학생들을
지섭, 나석주 등이 목숨을 걸고 의거를 일으켰다. 체포하였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전국 각지의 학생들이 반일
운동을 일으켰다.
① 청산리 대첩을 주도하였다.
②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였다. ① 신간회의 지원을 받았다.
③ 종로 경찰서에 폭탄을 던졌다. ② 순종의 인산일을 기해 일어났다.
④ 민립 대학 설립을 추진하였다. ③ 김옥균, 박영효 등이 주도하였다.
⑤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다. ④ 신군부 계엄군에 의해 진압당했다.
⑤ 중국의 5・4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정답 및 해설 84 ~ 88p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95


I21 고3 2017(4월)/교육청 11 I23 2017(9월)/평가원 16

(가) 군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3부는 항일 무장 투쟁을 효율적으로 전개할 목적으로 1920


우리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 (가) 총사령
년대 후반부터 통합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남만주의 국
부 성립 의식을 거행하였다. 이로써 전투 역량이 더욱 발
민부와 북만주의 혁신 의회로 통합되었다. 국민부는 조선 혁명
휘되고, 작전 지휘가 좀 더 민첩한 군사 조직이 마련된 것
당을 조직하고 그 산하에 무장 부대인 (가) 을/를 결
이다. (가) 총사령부가 충칭에서 성립되자 일제
성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침략을 반대하는 자와 왜적을 원수로 보는 자는 열렬한
지지를 표하였다.
①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다.
② 조선 혁명 선언을 발표하였다.
① 동북 9성을 축조하였다. ③ 105인 사건으로 시련을 겪었다.
② 살수 대첩에서 승리하였다. ④ 영릉가 전투와 흥경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③ 청산리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⑤ 인도와 미얀마 전선에서 영국군과 합동 작전을 전개하였다.
④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⑤ 인도, 미얀마 전선에서 영국군과 연합 작전을 펼쳤다.

I22 2017/수능 17 I24 고3 2016(4월)/교육청 20

(가)의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밑줄 친 ‘이 단체’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3점)

성명서
한국사신문 ◯◯◯◯ 년 ◯월 ◯일
우리는 독립운동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국민 대표
회의에 참석했다. (가) 은/는 민족 대표 33인 우리 민족의 힘을 하나로!
이 전 민족을 대표해 독립을 선언한 운동을 계기로 만 1927년 5월 7일 와세다 스콧트홀에서 이 단체의 동
들어졌다. …(중략)… (가) 이/가 독립운동을 경 지회 창립 대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국내와 마
이끄는 데에 적절하지 못한 조직과 제도를 가지고 있 찬가지로 다음의 강령을 내걸었다.
다면, 본 회의를 통해 개조하는 것이 우리의 책임이다.
•우리들은 정치・경제적 각성을 촉진한다.
•우리들은 단결을 공고히 한다.
① 대성 학교를 설립하였다. •우리들은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한다.
② 대한 자강회를 조직하였다.
국내에서 이 단체가 창립된 이후 동경 지회가 조속
③ 정우회 선언을 발표하였다. 히 출범할 수 있었던 것은 민족 유일당을 결성하려는
④ 브나로드 운동을 추진하였다. 움직임이 동경 지역에서도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기
⑤ 대일 선전 포고문을 발표하였다.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① 독립문 건립
② 만민 공동회 개최
③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지원
④ 대성 학교와 오산 학교 설립
⑤ 삼원보에 독립 운동 기지 건설

96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 정답 및 해설 88 ~ 90p


Ⅵ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정부 수립과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 통일을 위한 노력

2018 수능 출제 분석 수능 5개년 출제 유형 분석
•김규식의 활동: 인물사 문제가 오랜만에 출제되었다. 김 학년도 문항수 출제 문제 유형 난이도
규식은 이승만이나 김구에 비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 김규식의 활동
려웠을 수 있다. 2018 3 6월 민주 항쟁
•6월 민주 항쟁: 모의고사에서 자주 출제된 6월 민주 항쟁 1970년의 경제 정책
이 출제되었다. 선택지가 촘촘해 난이도가 높았다. 농지 개혁법
2017 3 4・19 혁명
•1970년의 경제 정책: ‘경부 고속 국도 개통’이라는 내용
7・4 남북 공동 성명
을 통해 당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고 있었음을 알
양전 사업과 농지 개혁
수 있다.
유엔 총회의 결정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정 사이의 사실
2016 5 발췌 개헌, 9차 개헌 헌법이
2019 수능 예측 적용되던 시기의 사실
12・12 사태 직후의 경제 모습
1. 6・25 전쟁에 관한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특히 6・25 전쟁 때 개성 지방과 통일 정책
유엔군과 국군이 인천 상륙 작전을 전개한 것이 주목된다. 최규하 정부 시기의 사실
2. 6월 민주 항쟁의 원인과 결과가 출제될 수 있는데 특히 5년 단임 6・25 전쟁의 전개 과정
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2015 4 미・소 공동 위원회와 모스크
바 3국 외상 회의
3. 통일에 관한 문제는 꾸준히 출제되고 있는데, 특히 7・4 남북 공 1970년대 후반의 경제 상황
동 성명과 6・15 남북 공동 선언이 출제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950년대 전반의 상황
각 정부별로 통일 정책을 물어볼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대비가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필요하다. 2014 4 4・13 호헌 조치와 9차 개헌
이후의 헌법
통일 정책
대표 유형

J13 2017(6월)/평가원 20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 출제 개념


이승만 정부 시기에 발행한 4・19 혁명에 대해 묻고 있다.
(가) ★ 핵심은 이것
1. 배경 이승만 정부 시기에 있었던 3・15 부정 선거 등이 원인이 되어
•자유당의 장기 집권과 부패
4・19 혁명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 이승만 대통령은 하야하고
•3・15 부정 선거
내각 책임제로 개헌이 되어 장면 내각이 수립되었다.
2. 전개 과정
•선거 당일 규탄 시위 → 김주열 시신 발견 → 전국적으로 시 ★ 문항 분석
위 확산 → 경찰 발포, 비상계엄령 선포 → 대학 교수단 시위 수능 한국사가 쉬워지면서 민주화 운동의 세부적인 내용을 묻
→ 이승만 대통령 하야
는 것보다 여러 가지 자료를 종합해 어떤 민주화 운동인지를 파
3. 결과
악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다. 이 문제가 바로 그 유형으로
•내각 책임제로 개헌
•장면 내각 수립
제시된 자료에 3・15 부정 선거와 같은 키워드가 많이 있기 때
문에 무난히 풀 수 있었을 것이다.

① 4・19 혁명 ② 6월 민주 항쟁 ★ 같은 유형 다른 문제 : J10
③ 물산 장려 운동 ④ 5・18 민주화 운동 〔정답 및 해설 96p〕
⑤ 민립 대학 설립 운동
정부 수립과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 통일을 위한 노력 중요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1 광복 후 한반도 정세 ➊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후 좌・우익의 대립

(1)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여운형 중심의 좌우 합작 단체, 전국에 지부 설치, 치안대 조직


(2)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1945. 12.)
결정 내용 한국의 임시 민주 정부 수립, 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 한반도에 대한 최대 5년간의 신탁 통치

국내 반응 우익: 격렬한 반탁 운동, 좌익: 반탁 → 결정 지지로 선회
▲ 신탁 통치 반대(우익)

2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1)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 3.~5.): 임시 정부 수립 협의에 참여할 단체를 둘러싸고
미국과 소련의 의견 대립으로 결렬
(2) 좌우 합작 운동(1946~1947)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결정 지지(좌익)

배경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 결렬, 이승만의 정읍 발언
➋ 이승만의 정읍 발언(1946. 6.)
전개 김규식(중도 우익)과 여운형(중도 좌익) 중심으로 좌우 합작 위원회 구성 → 좌우 합작 7원칙 발표
“우리는 무기 휴회된 미・소 공위가 재개될 기색
(3) 유엔의 결정: 미국이 한반도 문제를 유엔에 상정 → 인구 비례에 따른 총선거 실시 결정(유 도 보이지 않으며 통일 정부를 고대하나 여의케
되지 않으니 남방만이라도 임시 정부 혹은 위원회
엔 총회) → 소련의 입북 거부 →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 총선거 실시 결정(유엔 소총회)
➌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 이북에서 소련이 철퇴하
(4) 남북 협상: 분단 가능성 고조 → 김구 와 김규식의 남북 협상 → 큰 성과없이 끝남 도록 세계 공론에 호소하여야 될 것이니 …….

3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 전쟁 ➌ 김구의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1948. 2.)

(1) 단독 정부 수립 반대 움직임: 제주도 4・3 사건, 여수・순천 10・19 사건 나는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려다 38도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일신의 구차한 안일을 취하여 단독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정부를 세우는 데는 협력하지 아니하겠다.

5・10 총선거(1948)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적 보통 선거, 제헌 국회의원 선출


➍ 애치슨 선언(1950. 1.)
제헌 헌법(1948. 7. 17) 민주 공화국, 대통령 중심제, 삼권 분립
미국 국무장관 애치슨이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을 발
정부 수립(1948. 8. 15) 국회에서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선출 → 정부 수립 표한 것으로 한반도가 제외되어 있었다.

(3) 제헌 국회의 활동 ➎ 6・25 전쟁의 전개

① 친일파 청산 노력: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조직 → 이승만


백두산

정부의 비협조, 친일 경찰의 반민 특위 습격 사건 등으로 위축, 실패 중국군의 개입


(1950. 10. 25.)
청진

혜산 유엔군 최대 북진선
② 농지 개혁: 유상 매입과 유상 분배가 원칙, 1가구당 3정보 상한, 농민 중심의 토지 소유 실현 초산 (1950. 11. 25.)
신의주 흥남
정주 흥남 철수
(4) 6・25 전쟁(1950~1953) 평양 탈환
평양
(1950. 12. 9.) 동해

(1950. 10. 19.)


➍ 휴전 협정 조인
① 배경: 미・소 양군 철수, 애치슨 선언 , 북한의 전쟁 준비 해주
고성
속초
(1953. 7. 27.)

서울 수복
➎ (1950. 9. 28.)
판문점 울릉도
② 전개 : 북한 남침 → 서울 함락 → 유엔군 파견 → 인천 상륙 작전 → 서울 수복 → 압록강 인천
서울 독도
국군 최후 방어선
황해 안동 (1950. 9. 2.)
유역까지 진출 → 중국군 개입 → 1・4 후퇴 → 서울 재수복 → 정전 협정 대전
대구
유엔군의 인천 상륙 작전 울산
(1950. 9. 15.)
부산

4 이승만 정부의 독재와 4・19 혁명


광주
목포
거제도

반공 포로 석방
남해 (1953. 6. 18.)
제주도
(1) 이승만 정부의 독재: 발췌 개헌, 사사오입 개헌, 진보당 사건 등

수능출제 0순위
(2) 4・19 혁명
배경 이승만 정부의 독재, 자유당 정권의 부정부패, 3・15 부정 선거 ✽ 4・19 혁명의 자료를 파악해 두자.
최근에는 4・19 혁명의 세세한 내용을 묻
마산에서 부정 선거 규탄 시위 → 김주열 학생 시신 발견 → 고려대 학생이 시위 후 피습 당함 → 학생・시민
전개 ➏ 기보다 여러 자료를 주고 그 자료가 4・19
의 대규모 시위 → 경찰 발포, 비상계엄 선포 → 대학 교수단의 시국 선언 및 시위 → 이승만 대통령 하야
혁명과 관련 있음을 고르는 문제가 출제되
결과 허정 과도 정부 수립, 내각 책임제와 의회 양원제를 골자로 한 개헌 고 있다. 따라서 3・15 부정 선거와 대학 교
수단의 시국 선언 등의 자료를 파악해 두자!

98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5 박정희 정부 ➏ 대학 교수단의 가두시위

(1) 정권 장악:5・16 군사 정변(1961) → 군정 실시 → 제5대 대통령으로 당선(1963)
(2) 한・일 국교 정상화: 경제 개발 재원 마련 의도, 김종필과 오히라의 비밀 회담 → 학생들의

6・3 시위 → 계엄령 선포 → 한・일 협정 체결(1965)
(3) 베트남 파병: 미국으로부터 경제, 군사적 지원을 조건으로 파병(브라운 각서) → 베트남 특수
(4) 유신 체제
성립 남북 통일을 위한 사회 질서 안정을 명분으로 계엄령 선포 → 유신 헌법 제정 및 공포(1972)

유신 헌법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대통령 선출(간선제), 대통령의 임기 6년(중임 제한 없음), 대통령이 긴급 ➐ 5・16 군사 정변의 주역들
내용 조치권・국회 해산권・국회의원 3분의 1 추천권 보유

09

DAY
붕괴 YH 무역 사건 → 김영삼 국회의원직 제명 → 부・마 민주 항쟁 → 10・26 사태

6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1) 5・18 민주화 운동(1980)
수능출제 0순위
① 배경: 신군부의 권력 장악(12・12 사태), 비상계엄 전국 확대
② 전개: 광주 지방의 시위 → 계엄군의 무차별 진압 → 시민군 조직 → 계엄군이 유혈 진압 앞줄 가운데 서 있는 인물이 박정희다. 박정희는
5・16 군사 정변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국가 재건 최
(2) 6월 민주 항쟁(1987)
고 회의를 설치하여 군정을 실시하였다.

배경 전두환 정부의 강압 통치,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정부의 4・13 호헌 조치 발표
➑ 6・3 시위(1964)
전개 시위 중 이한열 중태빠짐 → 6월 10일 대규모 시위 → 6・29 민주화 선언(대통령 직선제 개헌 약속)

결과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로 개헌이 이루어짐

경제 발전과 사회, 문화의 변화


수능출제 0순위
1 경제 발전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굴욕적인 한일 회담에 반대하
1950년대 미국의 경제 원조 → 삼백 산업 발달 는 6・3 시위가 전개되었다.

1960년대 제1, 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경공업 중심, 경부 고속 국도 개통(1970) ➒ YH 무역 사건


1970년대 제3, 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중화학 공업 중심, 수출액 100억 달러 달성 YH 무역이 부당 폐업하자 노동자들은 야당인 신민
당사에서 회사 정상화와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는 농
1980년대 •전두환 정부: 3저 호황 / •김영삼 정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가입, 외환 위기 발생
성을 벌였다. 경찰이 이들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여성
이후 •김대중 정부: 노사정 위원회, 금 모으기 운동 등 → 외환 위기 극복 노동자 한 명이 사망하였다.

2 사회, 문화의 변화: 새마을 운동(도시와 농어촌의 격차 해소 목적), 노동 운동(전태일) ➓ 4・13 호헌 조치


정부가 개헌 논의를 중단시키고 현행 헌법(대통령

통일을 위한 노력 간선제)을 유지하겠다고 선언한 조치이다.

7・4 남북 공동 성명의 발표
1 남북 관계 진전을 위한 노력
박정희 정부 7・4 남북 공동 성명(1972) : 자주・평화・민족적 대단결의 통일 원칙 합의 → 남북 조절 위원회 설치

전두환 정부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과 예술 공연단 교환(1985)

노태우 정부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김대중 정부 제1차 남북 정상 회담(2000) → 6・15 남북 공동 선언 → 경의선 복원, 개성 공단 착공, 이산가족 상봉


7・4 남북 공동 성명은 1972년 7월 4일 서울과 평양
노무현 정부 제2차 남북 정상 회담(2007) → 10・4 남북 공동 선언 에서 동시에 발표되었다.

수능출제 0순위
2 남북 통일 문서
✽ 키워드를 중심으로 알아두자!
7・4 남북 공동 성명(1972) 남북 기본 합의서(1991) 6・15 남북 공동 선언(2000)
7・4 남북 공동 성명의 키워드는 ‘자주,
•남북 고위급 회담으로 채택 평화, 민족 대단결’이고 6・15 남북 공동 선
분단 이후 최초로 통일의 기본 원
•남북한 정부 당사자 간에 공식 합 남북한 통일 방안의 유사성 확인
칙 합의(자주・평화・민족 대단결) 언의 키워드는 ‘남측의 연합제 안과 북측의
의된 최초의 문서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다.

Ⅵ.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99


Real 수능 선택지 & 자료 [2018~2015]
1
CHECK UP TEST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경제 발전과 사회, 문화의 변화

01 다음 내용이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02 다음 내용이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① 4・19 혁명은 3・15 부정 선거가 원인이었다. (○, ×) ① 전두환 정부 시기 금융 실명제가 실시되었다. (○, ×)
② 이승만 정부 시기 한・일 협정이 체결되었다. (○, ×) ② 1970년대에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 ×)
③ 6・25 전쟁 시기 인천 상륙 작전이 전개되었다. (○, ×) ③ 전두환 정부 시기 국제 통화 기금(IMF)의 관리 체제가 극복되
④ 6・25 전쟁 발발 전 애치슨 선언이 발표되었다. (○, ×) 었다. (○, ×)
⑤ 4・19 혁명은 헌법 개정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 ×) ④ 12・12 사태가 발생했을 당시 저유가・저금리・저달러의 3저
⑥ 한・일 협정 체결에 반대하는 6・3 시위가 있었다. (○, ×) 호황을 누리고 있었다. (○, ×)
⑦ 5・10 총선거에서는 제헌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 ×)
⑧ 5・18 민주화 운동은 여야 간 정권 교체를 가져왔다. (○, ×)
통일을 위한 노력
⑨ 5・18 민주화 운동 시기 5・16 군사 정변이 발발하였다.
(○, ×)
⑩ 6・25 전쟁 시기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03 다음 내용이 옳으면 ○, 틀리면 × 하시오.
① 김대중 정부는 정전 협정을 체결하였다. (○, ×)
(○, ×)
② 7・4 남북 공동 성명은 좌우 합작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⑪ 5・18 민주화 운동을 계승하여 4・19 혁명이 발생하였다.
(○, ×)
(○, ×)
③ 김대중 정부 시기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을 채택하였다.
⑫ 대한민국의 농지 개혁 때는 소유 농지의 상한이 설정되었다.
(○, ×)
(○, ×)
④ 7・4 남북 공동 성명에서는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의 통일
⑬ 5・10 총선거는 미・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는 결과를 낳았다.
3대 원칙이 제시되었다. (○, ×)
(○, ×)
⑤ 7・4 남북 공동 성명과 6・15 남북 공동 선언 발표 사이의 시
⑭ 6월 민주 항쟁 때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은폐를 규탄하였다.
기에 남북 기본 합의서가 채택되었다. (○, ×)
(○, ×)
⑥ 남북 기본 합의서와 6・15 남북 공동 선언 발표 사이 시기에
⑮ 대한민국의 농지 개혁은 유상 매수, 유상 분배에 의해 이루어
남북 조절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 ×)
졌다. (○, ×)
⑯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 시가지에서 계엄군과 시민은 대
치하였다. (○, ×) 04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정부를 쓰시오.
⑰ 6・29 민주화 선언은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 설치를 내용
으로 한다. (○, ×)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남북 사이에 철도를 연결하기로 하였다.
•남북 경제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개성에 공단 건설을
합의하였다.

Re a l 정답

01 ① ○(3・15 부정 선거와 자유당 정권의 부정부패가 원인), ② ×(박정희 정부 시기), ③ ○(인천 02 ① ×(김영삼 정부), ② ○(1970년대 중화학 공업 중심의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③
상륙 작전으로 6・25 전쟁의 전세 역전), ④ ○(애치슨 선언은 6・25 전쟁의 발발 배경), ⑤ ○ ×(김대중 정부), ④ ×(12・12 사태 후인 1980년대 중반 무렵 3저 호황)
(4・19 혁명으로 내각 책임제 개헌 이루어짐), ⑥ ○(박정희 정부의 한・일 협정 체결에 반대해 03 ① ×(정전 협정 체결은 김대중 정부 전인 1953년), ② ×(좌우 합작 운동은 1940년대, 7・4 남북
6・3 시위 발생), ⑦ ○(5・10 총선거로 임기 2년의 제헌 국회의원 선출), ⑧ ×(김대중 대통령 당 공동 성명 발표는 1972년), ③ ×(노태우 정부 시기), ④ ○(박정희 정부 때 자주, 평화, 민족적 대
선으로 여야 간 정권 교체 이룩), ⑨ ×(5・16 군사 정변은 1961년, 5・18 민주화 운동은 1980년), 단결의 통일 원칙을 담은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⑤ ○(7・4 남북 공동 성명은 1972년,
⑩ ×(6・25 전쟁 전인 1945년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개최), ⑪ ×(4・19 혁명이 먼저 발생), ⑫ 6・15 남북 공동 선언은 2000년, 남북 기본 합의서는 1991년), ⑥ ×(남북 기본 합의서는 1991년,
○(농가당 3정보를 상한으로 함), ⑬ ×(미・소 공동 위원회 개최가 먼저), ⑭ ○(박종철 고문치사 6・15 남북 공동 선언은 2000년, 남북 조절 위원회 구성은 1972년)
사건 은폐 규탄, 대통령 직선제 요구), ⑮ ○(정부가 지주의 땅을 사들이고 농민에게 대가를 받고 04 김대중 정부(제1차 남북 정상 회담 후 6・15 남북 공동 선언 발표, 6・15 남북 공동 선언에 따라
분배 = 유상 매수, 유상 분배), ⑯ ○(계엄군과 시민 대치, 계엄군이 시민을 무차별적으로 진압), 경의선 복구 및 개성 공단 건설 추진)
⑰ ×(6・29 민주화 선언 발표 전에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 설치)

100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J03 고3 2017(10월)/교육청 19

다음 연설이 행해진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J01 2018/수능 19 무기 휴회된 미・소 공동 위


원회가 재개될 기색도 보이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지 않으며, 통일 정부를 고대
하나 여의케 되지 않으니, 이
제 우리는 남방만이라도 임시
역사 인물 보고서 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3학년 △반 ◯◯◯ 조직하여 38선 이북에서 소
련이 철퇴하도록 세계 공론에
1. 이름: 호소하여야 할 것입니다.
2. 선정 이유: 독립 운동에 헌신하였으며, 광복 이후 통일 정
부 수립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임
09

DAY
3. 주요 약력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되어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다. (가) (나) (다) (라) (마)
•1935년: 김원봉의 주도로 결성된 민족 혁명당에 참여하다.
8ㆍ15 모스크바 5ㆍ10 대한민국 6ㆍ25 사사오입
•1944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부주석으로 선임되다.
광복 3국 외상 회의 총선거 정부 수립 전쟁 발발 개헌
•1946년: (가)
•1948년: 김구와 함께 평양에서 개최된 남북 협상에 참가하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① 갑신정변을 주도하다.
② 조선 혁명 선언을 작성하다.
③ 좌우 합작 운동에 앞장서다.
④ 훙커우 공원에서 의거를 일으키다.
⑤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다.

J02 2018/수능 20 J04 2018(9월)/평가원 18

밑줄 친 ‘시민들의 요구’로 옳은 것은? (3점) 밑줄 친 ‘이 선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사진은 박종철 추모 집회 모습입니다. 정부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은폐 조작한 사


실이 드러나자, 민주화를 염원하던 시민들의 분노가 들끓었습니다. 정부를 규탄하는
시위에 참가한 어느 대학생이 최루탄에 맞아 사경을 헤매게 되면서, 민주화 시위는 더 이 우표는 1948년에 실시된 선거를 기념하
욱 거세지고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결국 집권 세력은 6・29 민주화 선언을 통 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 선거는 우리 역
해 시민들의 요구를 수용하였습니다. 사상 최초로 실시된 보통 선거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① 군국기무처에서 추진하였다.
② 제헌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③ 집강소 설치에 영향을 주었다.
① 광주에서 계엄군 철수
④ 신간회가 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② 3・15 부정 선거 책임자 처벌
⑤ 미・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는 결과를 낳았다.
③ 굴욕적인 한・일 협정 체결 반대
④ 유신 헌법 철폐와 민주 헌정 회복
⑤ 호헌 조치 철회 및 대통령 직선제 개헌

❖ 정답 및 해설 90 ~ 92p Ⅵ.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101


J05 2018(6월)/평가원 18 J07 고3 2017(4월)/교육청 17

밑줄 친 ‘이 전쟁’ 기간 중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2점) 다음 민주화 운동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 (3점)

사진은 거제 포로수용소 모습입니다. 전쟁 중 포로가 된 북한 군인과


현재의 상황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겹쳐 있지만,
중국 군인이 이곳에 수용되었습니다.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시작된
이 전쟁은 유엔군과 중국군이 참전하면서 국제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 시위의 근본 원인은 4.13 호헌 조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시위의 구호가 ‘호헌 철폐’에 모아지고 있고 일
반 시민들이 전에 없이 호응하는 까닭도 4.13 호헌 조
치와 그에 따른 일방적인 정치 일정의 강행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① 초계문신제가 실시되었다.
②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었다.
① 반민특위가 조직되었다. ③ 고부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② 5・10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④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가 조직되었다.
③ 인천 상륙 작전이 전개되었다. ⑤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④ 7・4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다.
⑤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J06 2018(6월)/평가원 19 J08 고3 2017(3월)/교육청 20

(가) 사건이 있었던 시기의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밑줄 친 ‘전쟁’ 당시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수행 평가 보고서
(가) 을/를 겪은 여고생의 기록을 읽고
3학년 ◯반 △△△
○ 자료 소개
1980년 5월, 당시 19세였던 한 여학생이 전남 도청에서 자원 봉사자로
활동하며 보고 들은 내용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것임.
○ 자료의 주요 내용 요약
- ◯◯일: 신군부에서 파견한 공수 부대가 학생과 시민들을 무차별로 구
타하였다.
(중략)
- 일: 시외 전화가 차단된 데 이어 시외 버스 등 교통수단도 마비되
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① 별기군이 창설되었다.
② 미 군정청이 설치되었다.
① 4・13 호헌 철폐 집회에 참가한 회사원 ③ 베트남에 국군이 파병되었다.
② 광주 시가지에서 계엄군과 대치하는 시민 ④ 인천 상륙 작전이 전개되었다.
③ 3・15 부정 선거를 규탄하며 행진하는 교수 ⑤ 여자 정신 근로령이 제정되었다.
④ 3선 개헌 반대 시위에서 구호를 외치는 학생
⑤ 5・16 군사 정변의 발발 소식을 알리는 아나운서

10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J09 2017/수능 18 J11 2017(9월)/평가원 18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교내 한국사 논술 대회 참가 신청 안내

1. 주제: ◯◯◯ 전쟁의 전개 과정과 결과


(가) 의 주요 내용
제헌 국회가 농민을 좋은 일이야. 자작 2. 참고 자료
위한 조치를 취했군. •정부가 사들이는 농지 농이 늘어나겠어. - 북한의 남침을 규탄하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문
- 농가 아닌 자의 농지
- 자경하지 않는 자의 농지 - (가)
- 가구당 3정보 초과 부분 농지 - 1・4 후퇴 당시 피난민 모습 사진
- 인명 피해 및 산업 시설 피해 통계
•분배받은 농지 대금의 상환 방법
- 해당 농지 평년작 주 생산물의 - 한・미 상호 방위 조약문

09
1.5배를 5년 동안 나누어 상환 3. 유의 사항

DAY
- 참고 자료를 이용하여 논술문을 작성할 것

① 방곡령
① 인천 상륙 작전 사진
② 식량 배급제
② 한인 애국단의 활동을 소개한 서적
③ 농지 개혁법
③ 봉오동 전투에 참가한 부대의 조직도
④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④ 청산리 대첩의 전개 과정이 표시된 지도
⑤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
⑤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발표한 대일 선전 포고문

J10 2017/수능 19 J12 2017(6월)/평가원 19

(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다음 상황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사진으로 보는 (가)

이 사진은 1960년 (가) 의 전개


과정에 있었던 대학교수들의 시위 모습이
다. 대학교수들은 마산, 서울 등에서 일어
난 학생들의 저항을 ‘부정과 불의에 항거
하는 민족 정기의 표현’이라고 규정하였
▲ 신탁 통치 절대 반대를 주장하는 사람들 ▲ 삼상 결정 절대 지지를 주장하는 사람들
다. …(중략)… 이후 내각 책임제 개헌이
이루어졌고 장면 내각이 수립되었다. ① 애치슨 선언의 역사적 의미를 파악한다.
② 인천 상륙 작전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③ 조선 중립화론이 제기된 계기를 알아본다.
① 5・10 총선거에 영향을 주었다. ④ 국채 보상 운동에 참여한 단체를 찾아본다.
② 3・15 부정 선거가 원인이었다. ⑤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 사항을 조사한다.
③ 6・10 만세 운동을 촉발시켰다.
④ 2・8 독립 선언이 계기가 되었다.
⑤ 5・18 민주화 운동을 계승하였다.

❖ 정답 및 해설 92 ~ 96p Ⅵ.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103


J13 2017(6월)/평가원 20 J15 2018(9월)/평가원 20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다음 회담을 추진한 정부의 통일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 지금 평양에서는 남북 정상 회담이 열리고 있습니다. 남


북 정상이 직접 만나는 것은 분단 이후 처음입니다. 이번
1. 배경
회담에서는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 정착, 남북 간 교류와
•자유당의 장기 집권과 부패 협력 등을 주요 의제로 다루고 있습니다.
•3・15 부정 선거
2. 전개 과정
•선거 당일 규탄 시위 → 김주열 시신 발견 → 전국적으로 시
위 확산 → 경찰 발포, 비상계엄령 선포 → 대학 교수단 시위
남북 정상의 만남
→ 이승만 대통령 하야
3. 결과
•내각 책임제로 개헌
•장면 내각 수립
① 정전 협정을 체결하였다.
② 좌우 합작 운동을 전개하였다.
① 4・19 혁명 ② 6월 민주 항쟁 ③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③ 물산 장려 운동 ④ 5・18 민주화 운동 ④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였다.
⑤ 민립 대학 설립 운동 ⑤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경제 발전과 사회, 문화의 변화 ~ 통일 정책 J16 고3 2017(7월)/교육청 18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J14 2018/수능 18 (가) 은/는 1991년


12월 제5차 남북 고위급 회담
다음 가상 대화에 나타난 시기의 정부가 시행한 경제 정책으로 옳은 것
에서 채택되었다. 이것은 세
은? (2점)
계 냉전 체제가 해체되는 가
하지만 경제 성장 못지않게 노동자들의 운데 남북한 정부 간에 이루
올 여름 경부 고속 국도가 개통된 것 근로 조건 개선도 중요해. 이번에 일어 <제5차 남북 고위급 회담> 어진 최초의 공식 문서로 남
은 대단한 일이었어. 이로 인해 우리 난 전태일 분신 사건은 노동자의 열악
북한 상호 체제 인정 및 상호 불가침에 합의했다는 점에서 큰
나라 경제가 더욱 성장할 거야. 한 노동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었어.
의의를 지닌다.

① 6・29 선언
② 좌우 합작 7원칙
③ 남북 기본 합의서
④ 7・4 남북 공동 성명
① 남북 협력 사업으로 개성 공단 조성 ⑤ 6・15 남북 공동 선언
②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가입
③ 미국과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④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⑤ 금융 실명제 실시

10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J17 2017/수능 20 J19 2017(9월)/평가원 20

밑줄 친 ‘이 성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연표로 이해하는 남북 화해와 협력


남북 적십자 회담을 계기로 남북한은 1972년에 서울과 평양
에서 동시에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 성명은 분단 이
연도 주요 사건
후 남북한이 최초로 통일과 관련된 사항을 합의하여 발표한 것
이다.
1972 7・4 남북 공동 성명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
결의 통일 3대 원칙 합의
① 실력 양성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② 좌우 합작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1991 (가) •상대방의 체제 인정 및
③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채택되었다. 존중
•남북 불가침 합의
09

DAY
④ 미・소 공동 위원회의 개최가 결정되었다. •남북 교류・협력 실시
⑤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의 통일 3대 원칙이 제시되었다.

2000 6・15 남북 공동 선언 •이산가족, 친척 방문단 교


환 등 인도적 문제 해결
노력
•남북 경제 협력 활성화 방
안 합의

① 대한국 국제 반포
② 2・8 독립 선언 발표
③ 좌우 합작 7원칙 발표
④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⑤ 6・29 민주화 선언 발표

J18 2017(9월)/평가원 19

(가), (나) 사이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가) (나) J20 2017(6월)/평가원 18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1972년에 서울과 평양
분단 이후 남북한이 최초로 자주
에서 동시에 발표된
적・평화적・민족적 대단결의 통
(가) 에 대해 말씀 일 3대 원칙을 합의한 것입니다.
1970년, 경부 고속 국도 개통 1977년, 수출 100억 달러 달성 해 주세요.

① 군국기무처 설치
② 국가 총동원법 제정
③ 국채 보상 운동 전개
④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⑤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① 정우회 선언
② 조선 혁명 선언
③ 6・29 민주화 선언
④ 7・4 남북 공동 성명
⑤ 대한민국 건국 강령

❖ 정답 및 해설 96 ~ 100p Ⅵ.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105


1 등급 마스터 THE FIRST CLASS MASTER
J23 고3 2017(10월)/교육청 18

밑줄 친 ‘방북’의 결과로 옳은 것은? (3점)

우리에게도 이제 새날이 밝아 온 것 같습니다. 55년간의 분


J21 고3 2017(7월)/교육청 20
단과 적대에 종지부를 찍고, 남북의 정상이 만나 민족사에 새
다음 사건이 발생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전기를 열 수 있는 그런 지점에 이른 것입니다. 이번 저의 방북
이 한반도에서의 평화, 남북 간의 교류 협력, 그리고 우리 조국
한국사 신문 19◯◯년 ◯월 ◯일
의 통일로 가는 길을 닦는 데 첫걸음이 됐으면 더 이상 다행이
없겠습니다.
경찰, 반민 특위를 습격하다!

어제 경찰이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이하 반민 특위) 사무실을 습 ①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②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격하여 반민 특위 소속 특경대장과 대원들을 불법적으로 체포ㆍ연행하였다.
③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④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이 사건은 반민 특위가 노덕술 등 친일 경찰 출신 간부들을 검거하자, 이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반민 특위의 활동이 크게 위
⑤ 6・15 남북 공동 선언 발표
축되어 친일파 청산의 기회를 놓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J24 고3 2017(4월)/교육청 20

1945 1948 1961 1972 1979 1987 (가), (나) 사이 시기에 있었던 통일 노력으로 옳은 것은? (3점)

(가) (나) (다) (라) (마) (가) (나)


8ㆍ15 5ㆍ10 5ㆍ16 유신 헌법 10ㆍ26 6월
광복 총선거 군사 정변 제정 사태 민주 항쟁
한국사 신문 한국사 신문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10・4 남북 공동 선언 채택

서울에서 열린 제5차 남북 고 평양에서 열린 제2차 남북 정


위급 회담에서 남북 수석 대표는 상 회담에서 남북 정상은 합의된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남북 관계 발전과 평화 번영을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에 서 위한 선언’에 서명하였다.
명하였다.

① 정전 협정 체결 ② 전주 화약 체결
③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④ 6・15 남북 공동 선언 채택
⑤ 김구와 김규식의 남북 협상 추진
J22 2018(9월)/평가원 19

밑줄 친 ‘이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J25 고3 2017(3월)/교육청 17

오늘 대담에서는 이 운동 30주년 이한열 군이 최루탄을 맞고 쓰러지 밑줄 친 ‘이번 총선거’로 구성된 국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을 맞아 당시 시위에 참여했던 분 자 시민들의 저항 열기가 고조되었
을 모시고 말씀을 나눠 보겠습니 고, ‘호헌 철폐’, ‘독재 타도’의 목
다. 그때 상황은 어떠했나요? 소리는 더욱 커져 갔습니다. 5월 10일, 빛나는 한 표로 새 시대의 문을 열자!
8・15 광복 후 처음 치르는 이번 총선거에서
진정한 애국자인 ◯◯◯에게 투표합시다.

국회의원 입후보자
기호△번 성명:◯◯◯
약력: 뒷면 참조

유권자의 뜻을 받들어 민주적인 헌법을 제정하겠습니다.


① 신민회가 해산되는 결과를 낳았다.
②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냈다.
③ 통감부가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①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였다.

④ 일본과의 수교에 반대하여 전개되었다. ②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⑤ 3・15 부정 선거가 원인이 되어 일어났다. ③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


④ 반민족 행위 처벌법을 제정하였다.
⑤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다.

106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 정답 및 해설 100 ~ 102p


s p e c i a
l

수능 한국사
실전 기출 모의고사
[20문항, 제한시간 30분]

1 회 모의고사 - 6월 평가원 대비
[범위 : 전범위]

2회 모의고사 - 9월 평가원 대비
[범위 : 전범위]

3회 모의고사 -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범위 : 전범위]
1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문항수 20개
6월 평가원 대비 ■

■ 배점 50점
■ 범위 : 전범위 ■ 제한시간 30분

1
회 01 고3 2016(7월)/교육청 1
1
회 03 고3 2016(3월)/교육청 2

(가)에 들어갈 유물로 옳은 것은? (2점) 지도의 비석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마운령 순수비
▣ 유물 소개
황초령 순수비
•출토지: 서울 암사동 유적
평양
•시기: 신석기 시대 동해
(가) 북한산 순수비
•용도: 식량 저장, 음식 조리 등
•특징: 600~700℃의 열을 가하여 제작,
단양 적성비
기하학 무늬, 생선 뼈 무늬로 장식 황해 사비
금성
창녕 척경비

① ② ③

① 진흥왕의 영토 확장 과정을 조사한다.


② 동북 9성의 축조와 반환 상황을 정리한다.
③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면서 확대된 영토를 찾아본다.
④ ⑤ ④ 광개토 대왕이 신라를 지원하게 된 계기를 살펴본다.
⑤ 나・당 전쟁 중에 있었던 대표적인 전투를 알아본다.

1
회 02 2015/수능 1
1
회 04 고3 2016(7월)/교육청 4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다음 지도의 제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궁예
철원 김순식
(가) 나라 사람들이 장사를 이 나라는 함경도 동해안에 왕건
양길 명주
지낼 적에는 큰 나무 곽을 만드는데, 송악
위치했습니다.
북원경
길이가 10여 장(丈)이나 되며 한쪽 끝
을 열어 놓아 문을 만든다.
아자개
사람이 죽으면 시체는 모두 가매장을 사벌
하되, 겨우 형체가 덮일 만큼 묻었다가 견훤
가죽과 살이 다 썩은 다음에 뼈만 추려 완산
곽 속에 안치한다. 소율희

금관경

①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거행하였다.


② 제사장이 다스리는 소도가 존재하였다.
③ 소금과 어물을 고구려에 공물로 바쳤다.
① 삼정의 문란과 농민 봉기
④ 철이 많이 생산되어 주변 나라에 수출하였다.
② 신라 말 호족 세력의 대두
⑤ 제가 회의를 통해 중대한 범죄자를 처벌하였다.
③ 임진왜란 시기의 의병 활동
④ 무신 집권기 하층민의 저항
⑤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한 무인들

108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1
회 05 고3 2016(10월)/교육청 3
1
회 07 고3 2016(3월)/교육청 7

(가) 종교의 문화유산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밑줄 친 ‘새로운 유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고구려는 소수림왕 때 전진으로부터 온 승려 순도를 통해


(가) 을/를 받아들였다. 한국사 인물 카드
•백제는 침류왕 때 동진에서 온 승려 마라난타를 통해
•이름 : 안향
(가) 을/를 수용하였다. •생몰년 : 1243~1306
•신라는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가) 을/ •주요 활동
를 공인하였다. 고려 충렬왕 때 활동한 학
자로서, 원에서 인간의 심성
① ② ③ 과 우주의 원리를 탐구하는
새로운 유학을 들여왔다.

10

DAY
① 독서삼품과를 통해 보급되었다.
④ ⑤ ② 신진 사대부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③ 서경이 명당이라는 설을 뒷받침하였다.
④ 9산 선문 형성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⑤ 사신도와 산수무늬 벽돌에 반영되어 있다.

1
회 06 2016(6월)/평가원 3
1
회 08 고3 2016(7월)/교육청 10

다음 왕의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시기별 토지 면적>
왕이 교지를 내려, “기철 등이 나라의 법도를 흔들고 관리의
만결
임용도 마음대로 하였다. 이제 다행히 간악한 반역의 무리 기 180 (가)
160
철 등을 나라의 떳떳한 법으로 처단하였다. 이제부터는 법령 140
120
과 기강을 정돈하여 온 나라 사람이 모두 함께 새로이 출발할 100
것을 기약하노라.”라고 하였다. 그리고 원나라의 연호를 쓰지 80
60
않았다. 40 원장부 결수
20 실제 수세 결수
0
태종 세종 대 선조 선조 광해군 인조 숙종 영조 시기
6 24 34 12 3 45 45
① 정방을 혁파하였다.
② 강화도로 천도하였다. ① 과전법이 직전법으로 바뀌었다.
③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② 몽골의 침입으로 농토가 황폐해졌다.
④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였다. ③ 임진왜란으로 토지 대장이 소실되었다.
⑤ 중서문하성 등 옛 관제를 복구하였다. ④ 권문세족의 대토지 소유가 확대되었다.
⑤ 양전 사업이 진행되어 지계가 발급되었다.

❖ 정답 및 해설 103 ~ 106p 1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109


1
회 09 고2 2017(3월)/교육청 11
1
회 11 고3 2016(4월)/교육청 9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지도를 통해 알 수 있는 사건의 배경으로 옳은 것은? (2점)

강화도 1차 도하
광성진
각 고을에서 거두는 공물이 방납인에 의해 중간에서 부래도

막혀 물건 값이 수십, 수백 배까지 되는 등 그 폐해가 손돌목


덕진진
심합니다. 특히 경기 지방은 더욱 그러합니다. 이에 백 2차 도하
성에게서 공물을 토산물 대신 토지 결수를 기준으로 하
여 쌀로 거두게 하소서. 적암포
초지진

3차 도하
정족산성 강

① 대동법 실시 ② 전시과 운영 프랑스 군과의 격전지 해
양헌수 부대 도하 협
③ 연분9등법 시행 ④ 독서삼품과 도입 양헌수 부대 이동로
⑤ 전민변정도감 설치
① 병인박해 발생
② 애치슨 선언 발표
③ 운요호의 무력 시위
④ 광해군의 중립 외교
⑤ 최영의 요동 정벌 추진

1
회 10 고3 2016(7월)/교육청 12
1
회 12 고3 2016(4월)/교육청 14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밑줄 친 ‘농민군’의 주장으로 옳은 것은? (3점)

전라북도 원평에 유일하게 남아 있던 집강소가 120여 년 전의


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발달 모습으로 복원되었습니다. 집강소는 전주 화약 이후 전봉준을
비롯한 농민군들이 전라도 각 지역에 설치한 자치 기구입니다.

화면의 봉산 탈춤처럼 당시 서민 문화의 발달을


보여주는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① 서경으로 천도하라.
② 소격서를 폐지하라.
① 독창적인 상감 청자가 등장하였어요. ③ 별기군을 철폐하라.
② 소박한 정서를 담은 민화가 많이 그려졌어요. ④ 헌의 6조를 수용하라.
③ 춘향가, 심청가 등 판소리가 인기를 얻었어요. ⑤ 노비 문서를 소각하라.
④ 홍길동전을 비롯한 한글 소설이 널리 읽혔어요.
⑤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 사설시조가 유행하였어요.

110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1
회 13 고3 2016(10월)/교육청 17
1
회 15 2014(6월)/평가원 17

다음 대화의 소재가 된 민족 운동으로 옳은 것은? (3점) 다음 법령이 시행된 시기에 일제가 실시한 경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고종의 강제 퇴위와 해산된 군인들도 13도 창의군을 결성해
군대 해산에 참여하였지. 서울 진공 작전을
반발하여 전개되었어. 전개하였어. 제1조 회사의 설립은 조선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제2조 조선 외에서 설립한 회사가 조선에 본점이나 지점을
설립하고자 할 때는 조선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제5조 회사가 본령이나 본령에 의거하여 발하는 명령과 허가
조건에 위반하거나 공공질서와 선량한 풍속에 반하는
행위를 할 때 조선 총독은 사업의 정지, 지점의 폐쇄, 또
는 회사의 해산을 명한다.

① 정미의병 ② 형평 운동 ① 토지 조사령을 공포하였다.


10

DAY
③ 원산 총파업 ④ 6・10 만세 운동 ② 국가 총동원법을 제정하였다.
⑤ 광주 학생 항일 운동 ③ 남면북양 정책을 시행하였다.
④ 미곡 공출 제도를 실시하였다.
⑤ 산미 증식 계획을 실행하였다.

1
회 14 고2 2016(11월)/교육청 13
1
회 16 2014/수능 3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다음 글을 쓴 역사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본회는 일본에 국채 1천 3백만 원을 보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옛 사람이 이르기를 나라는 없어질 수 있으나 역사는 없어
•보상 방법은 국민의 의연금을 모금하기로 함. 질 수 없다고 하였으니, 그것은 나라는 형체이고 역사는 정신
•의연금을 바치는 사람은 본회의 회원으로 인정하고 이름과 이기 때문이다. 이제 한국의 형체는 허물어졌으나 정신만이라
금액을 신문에 공포함. 도 오로지 남을 수 없는 것인가.
•위의 목적을 달성한 후 본회를 해산함.
① 조선사 편수회에 참여하였다.
① 조선책략 유포에 반대하였다. ② 민족주의 사학을 발전시켰다.
② 근우회의 후원으로 확산되었다. ③ 한국사의 타율성을 강조하였다.
③ 박규수, 오경석 등이 주도하였다. ④ 진단 학회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④ 중국의 5・4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⑤ 유물 사관의 관점에서 역사를 연구하였다.
⑤ 대한매일신보 등 언론의 지원을 받았다.

❖ 정답 및 해설 107 ~ 110p 1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111


1
회 17 고3 2016(3월)/교육청 18
1
회 19 고3 2016(4월)/교육청 16

(가)에 해당하는 단체로 옳은 것은? (2점)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는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 성공회 대성당 출입문 위에는 “고문 살인 은폐 조작 규탄 및


호헌 철폐 국민 대회”라고 쓰인 대형 플래카드가 내걸렸다. 국
1. 결성: 김원봉ㆍ윤세주 중심, 만주 지린에서 비밀 결사로 조직
민운동 본부는 “국민 합의를 배신한 4・13 호헌 조치의 무효
(1919)
를 전 국민의 이름으로 선언한다”라는 제목의 국민 대회 선언
2. 활동 지침: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
문과 결의문을 미리 배포했다. 선언문에는 “희망찬 민주 국
3. 주요 활동
- 일제 식민 기관 파괴: 김익상(조선 총독부), 김상옥(종로 경 가를 건설하기 위한 거보를 전 국민과 함께 내딛는다. …(중
찰서), 나석주(동양 척식 주식회사) 략)… 이로써 4・13 폭거를 철회시키기 위한 민주 장정을 시
- 황푸 군관 학교 입교, 조선 혁명 간부 학교 설립 작한다.”라고 쓰여 있었다.

① 근우회 ② 의열단 ③ 대한 광복회 ① 유신 헌법 폐지를 주장하였다.


④ 한국 독립군 ⑤ 13도 창의군 ②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였다.
③ 대통령이 하야하는 계기가 되었다.
④ 내각 책임제 정부의 수립을 가져왔다.
⑤ 계엄군의 진압에 맞서 시민군이 조직되었다.

1
회 18 고1 2017(3월)/교육청 18
1
회 20 고3 2016(7월)/교육청 17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3점)


자료가 발표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현실에 있어서 나의 유일한 염원은 3천만 동포와 손을 잡고 (가) (나)

통일된 조국의 달성을 위하여 공동 분투하는 것뿐이다. 이 육


신을 조국이 요구한다면 당장이라도 제단에 바치겠다. 나는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려다가 38도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일
신의 구차한 안일을 취하여 단독 정부를 세우는 데는 협력하
지 아니하겠다.
- 김구,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 - 북한의 핵 확산 금지 조약 탈퇴(1993) 개성 공단 가동 시작(2004)

(가) (나) (다) (라) (마) ① 진보당 사건이 일어났다.


8ㆍ15 대한민국 휴전 협상 한ㆍ일 7ㆍ4 남북 공동 남북 정상 ② 6월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광복 정부 수립 개시 협정 체결 성명 발표 회담 개최
③ 좌우 합작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7・4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다.
④ (라) ⑤ (마) ⑤ 최초의 남북 정상 회담이 개최되었다.

11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2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문항수 20개
9월 평가원 대비 ■

■ 배점 50점
■ 범위 : 전범위 ■ 제한시간 30분

2
회 01 2014(6월)/평가원 1 회
2
03 2016/수능 1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다음 유물들이 처음 제작되었던
탐구 활동 계획서
시대의 생활상에 대해 말해 볼까요?
•주제 : (가)
•방법 : 문헌 자료와 유적 자료를 조사한다.
•참고 자료
- 문헌 자료

10

DAY
비류와 온조는 주몽의 아들이다.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낳은 아들 유
리가 와서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남쪽으로 내려갔다. 한산에 이르
러 살 만한 곳을 찾았는데 비류는 미추홀, 온조는 위례성에 자리를 잡았
다. 후에 비류의 백성과 신하들이 모두 온조에게 돌아와 합쳤다.
①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어요. - “삼국사기” -
② 거대한 고인돌이 만들어졌어요. - 유적 자료
③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살았어요.
④ 빈부 격차와 계급 분화가 심화되었어요.
⑤ 주먹도끼가 대표적인 도구로 사용되었어요.
장군총

석촌동 돌무지무덤

① 고구려의 부여 정복
②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2
회 02 고3 2016(10월)/교육청 2 ③ 백제와 신라의 동맹 관계

(가), (나) 천도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④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군사 원조
⑤ 백제 건국 세력과 고구려의 연관성
(가) (나)
고구려의 천도 백제의 천도

국내성
백두산 백두산
2
회 04 고3 2016(7월)/교육청 2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평양성 동해 평양성 동해
(가) 에는 신지, 읍차 등으로 불리는 군장 세력이 있
한성
한성 었고, 종교적 지배자로 천군이 있었다. 일찍부터 농업이 발달
황해 황해
웅진 하였으며, 철제 농기구를 이용하여 벼농사를 많이 지었다. 봄
금성 금성
과 가을에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①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①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② 고구려가 한성을 점령하였다. ② 8조법으로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다.
③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③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④ 발해가 산둥 반도를 공격하였다. ④ 소도라 불리는 신성 지역이 존재하였다.
⑤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단행하였다. ⑤ 책화를 통해 부족의 생활권을 보호하였다.

❖ 정답 및 해설 111 ~ 114p 2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113


2
회 05 고3 2016(4월)/교육청 12
2
회 07 고3 2016(10월)/교육청 7

(가), (나) 사이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가) 시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가) 거란의 장수가 10만의 군사를 이끌고 침략하였다. 강감찬


이 흥화진에 이르러 큰 줄로 소가죽을 꿰어 성 동쪽의 개 사진으로 보는 (가) 시대의 문화유산
천을 막아서 기다렸다. 적이 도착하자, 막고 있던 물줄기
를 터뜨리고 복병을 일으켜 크게 이겼다.
(나) 원종 11년에 개경으로 환도하게 되어 날짜를 정하고 알렸
으나 삼별초는 이에 따르지 않았다. …(중략)… 배중손 등
이 봉기하여 “몽골병이 크게 침입하여 백성을 마구 죽이
니 무릇 나라를 돕고자 하는 자는 다 모이라.”라고 하니
잠깐 사이에 사람들이 크게 모였다. 청자 상감 삼국유사 개성 경천사지
운학문 매병 10층 석탑

① 이종무가 대마도를 토벌하였다.


② 공민왕이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① 경복궁이 중건되었다.
③ 이성계가 황산에서 왜구를 물리쳤다. ② 석굴암이 축조되었다.
④ 을지문덕이 살수대첩을 승리로 이끌었다. ③ 판소리가 유행하였다.
⑤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동북 9성을 개척하였다. ④ 팔만대장경이 조판되었다.
⑤ 진경산수화가 출현하였다.

2
회 06 고3 2016(3월)/교육청 4
2
회 08 고3 2016(3월)/교육청 8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점) (가)에서 (나)로 토지 제도가 바뀌게 된 배경으로 적절한 것은? (3점)

옹주는 지극히 예뻐하던 딸이 공녀로 가게 되자 근심하고 번 (가) 전・현직 관리에게 경기 지방의 토지를 과전으로 지급하
민하다가 병이 생겼다. 결국 지난 9월에 세상을 떠나니 나이 는 과전법을 시행하였다.
55세였다. 우리나라의 자녀들이 서쪽 원나라로 끌려가기를 거 (나) 수신전, 휼양전을 폐지하고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
른 해가 없다. 비록 왕실의 친족과 같이 귀한 집안이라도 숨기 급하는 직전법을 시행하였다.
지 못하였으며 어미와 자식이 한번 이별하면 만날 기약이 없다.
- ‘수령옹주 묘지명’ - ① 귀족들의 녹읍이 부활하였다.
② 권문세족이 대농장을 경영하였다.
① 몽골풍이 유행하였다. ③ 관리에게 지급할 과전이 부족해졌다.
② 북벌 운동이 전개되었다. ④ 공납에서 방납의 폐단이 성행하였다.
③ 이양선이 자주 출현하였다. ⑤ 5품 이상의 관리에게 공음전이 지급되었다.
④ 훈구 세력과 사림 세력이 대립하였다.
⑤ 무열왕의 직계 후손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114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2
회 09 고3 2016(7월)/교육청 9
2
회 11 2014/수능 8

다음 교서가 발표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다음 그림이 그려진 시기의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붕당의 폐해가 요즈음보다 심각한 적은 없었다. 처음에는


예절 문제로 분쟁이 일어나더니, 이제는 한쪽이 다른 쪽을 역
적으로 몰아붙이고 있다. …(중략)… 이제 유배된 사람들의 잘
잘못을 다시 살피도록 하고, 관리의 임용을 담당하는 관리는
탕평의 정신을 잘 받들어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라.
- “영조실록” -

조광조가 현량과 시행을 건의하다. ① 조상 제사 문제로 서학이 탄압받았다.


(가)
동인과 서인이 형성되다. ② 양반의 위선을 풍자한 탈춤이 유행하였다.
(나)
10

DAY
③ 중인들이 결성한 시사의 문학 활동이 활발하였다.
서인이 반정을 일으켜 집권하다.
(다) ④ 한양을 기준으로 한 역법서인 칠정산이 편찬되었다.
서인과 남인 사이에서 예송이 일어나다.
(라) ⑤ 평민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 사설시조가 유행하였다.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가 시작되다.
(마)
흥선 대원군이 집권하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2
회 10 고3 2016(3월)/교육청 5
2
회 12 고3 2016(4월)/교육청 8

(가)에 해당하는 사건으로 옳은 것은? (2점) 다음 상황이 전개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우리 개화당 동지들은 최후의 거사 한 번으로 큰일이 성공 헤이그에 특사로 파견된 이위종은 국제 기자 협회에서 공개
되리라 믿고 결국 (가) 을/를 일으켰던 것이다. … 연설을 하였다. 그는 “일본이 한국과 체결했다고 주장하는 조
(중략)… 나와 홍영식, 서광범이 이 일의 집행을 책임지기로 하 약은 한국 황제와 정부에서 조인한 일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고, 김옥균은 일본 공사관과의 일체 교섭을 맡고, 이규완 등이 한국은 일본에 외교권을 위임한 사실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사관학교 생도들을 인솔하여 계획된 바를 감행하기로 하였다. 불구하고 일본이 한국에 대하여 보호 정책을 행함은 불법 행
- 「박영효의 회고담」 - 위입니다.”라고 열강에 호소하였다.

① 기묘사화 ② 임오군란 ③ 갑신정변


(가) (나) (다) (라) (마)
④ 신미양요 ⑤ 아관 파천 강화도 임오 갑오 대한 제국 을사 국권
조약 군란 개혁 수립 늑약 피탈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 정답 및 해설 115 ~ 118p 2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115


2
회 13 고3 2016(4월)/교육청 10
2
회 15 2014/수능 16

밑줄 친 ‘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밑줄 친 ‘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새벽에 눈이 떠지더니 잠이 오지 않아 그대로 두 손을 모으


S#3. 대한 천일 은행의 개성 지점 고 오늘의 거사가 반드시 성공하기를 기도하였다. 식사도 못
하고 태화관으로 향해 떠났다. 4명이 불참한 가운데 오후 2시
개성 상인 : 구화폐를 일본 제일 은행에서 발행한 신화폐로 교환
경 나는 긴장 속에 독립 선언서를 다시 배포하였다. 손병희 선
하도록 한 정부의 사업으로 제가 보유한 백동화의
생이 나더러 크게 낭독하라기에 오자를 고치고 그의 지시에
가치가 폭락하였습니다. 그래서 자금 상황이 어려운
따라 읽었다.
데 대출이 가능할까요?
은행원 : 품질이 좋지 않은 백동화는 아예 교환조차 해주지 않아
은행도 자본 규모가 줄어 어려움이 큽니다. 하지만 우 ① 순종의 인산일을 계기로 계획되었다.
선 가옥과 인삼 밭을 담보로 대출해 드리겠습니다. ② 광주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③ 치안 유지법에 의해 지도부가 검거되었다.
④ 국민대표 회의가 개최되는 발단이 되었다.
① 보안회의 반대 운동으로 실패하였다.
⑤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
② 금난전권을 폐지하는 계기가 되었다.
③ 평양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④ 일본인 재정 고문 메가타의 주도로 추진되었다.
⑤ 경복궁 중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
회 14 고3 2016(7월)/교육청 18
2
회 16 고3 2016(10월)/교육청 18

다음 글이 발표된 시기에 볼 수 있었던 모습으로 옳은 것은? (2점) 다음 계획을 바탕으로 추진된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그때 또 사이렌이 울었다. …(중략)… 이 사이렌을 들으면


모든 가족이 사용인까지 모두 정결한 곳에 정렬해 정성스러운 사업 계획
마음으로 궁성을 요배해야 할 것이다. …(중략)… 대체 내선일
1. 추진 배경: 일제의 우민화 교육
체란 무엇이냐 하면 내가 재래의 조선적인 것을 버리고 일본
제2차 조선 교육령(1922)
적인 것을 배우는 것이다. 한마디로 하면 이것이다. 그래서 조
2. 목표: 고등 교육을 위한 최고 학부의 설립
선의 2,300만이 모두 호적을 들추어 보기 전에는 내지인인지
3. 자금 조달: 1천만 원 모금 운동 전개
조선인인지 구별할 수 없게 되는 것이 그 최후의 이상이다.
4. 설립 계획
- 이광수, ‘심적 신체제와 조선 문화의 진로’ -
•제1차: 법과ㆍ경제과ㆍ문과ㆍ이과 및 예과 설치
•제2차: 공과 신설
① 창씨개명에 앞장서는 지식인 •제3차: 의과ㆍ농과 설치
② 단발령 시행에 반대하는 유생
③ 헌병 경찰로부터 태형을 받는 시민
④ 신간회 창립 소식에 환영을 표하는 학생 ① 군국기무처의 주도로 추진되었다.
⑤ 러・일 전쟁 수행을 위해 이동 중인 일본군 ② 순종의 인산일을 기하여 일어났다.
③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반대하였다.
④ 만주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⑤ 대학 설립을 통해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116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2
회 17 고3 2016(4월)/교육청 17
2
회 19 고3 2016(3월)/교육청 20

(가)에 해당하는 항일 투쟁으로 옳은 것은? (2점) 다음 상황이 전개되던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Post Card 정부는 사회 정의 실현과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1993년


◯ ◯ 에게 금융 실명제를 전격 단행하였다. 은행의 가명 계좌를 실명 계

안녕? 좌로 바꾸는 이 조치로 금융 시장이 위축되는 등의 부작용이

난 지금 독립 전쟁사에서 최대 크게 무찌른 전투야. 이곳에 오니


생기기도 했지만, 장기적으로 경제 개혁의 기초를 놓았다는
규모의 승리를 거두었다고 평가받 독립을 위해 투쟁한 독립 운동가들 점에서 국민의 환영을 받았다. 또한 정부는 시장 개방 정책을
는 (가) 의 기념비가 있는 의 의지가 느껴지는 것 같아. 더욱 강화하기 위해 1996년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
곳에 와 있어. 그럼 잘 지내. 입하였다.
(가) 은/는 북로 군정서
와 대한 독립군 등의 연합 부대가 친구 가
(가) (나) (다) (라) (마)
백운평, 어랑촌 등지에서 일본군을
10

DAY
8ㆍ15 6ㆍ25 한ㆍ일 협정 7ㆍ4 남북 서울 올림픽 남북 정상
광복 전쟁 발발 체결 공동 성명 개최 회담
① 신미양요 ② 행주 대첩
① (가) ② (나) ③ (다)
③ 청산리 대첩 ④ 매소성 전투
④ (라) ⑤ (마)
⑤ 쌍성보 전투

2
회 18 고1 2016(3월)/교육청 12
2
회 20 고3 2016(10월)/교육청 20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가) (나)
추계 학술 발표 - 발표 주제 -

1950년 9월 15일 1951년 1월 4일 제1주제: 남북 총리급 회담


•주제: 정부의 정책
•국군・유엔군, 인천 상 •중국군, 개성 ~서울 간 개최
- 통일ㆍ외교 분야 -
륙 작전 개시 도로를 따라 남하 제2주제: (가)
•국군, 해안 상륙 시작 •국군・유엔군, 서울 철수 •주최: △△ 역사연구회 제3주제: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제4주제: 소련 및 중국과 수교
① 미군정이 실시되었다.
② 휴전 회담이 시작되었다.
③ 애치슨 선언이 발표되었다. ① 남북 정상 회담 개최
④ 중국군이 전쟁에 개입하였다. ② 좌우 합작 7원칙 발표
⑤ 제주 4・3 사건이 발생하였다. ③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④ 한・미 상호 방위 조약 체결
⑤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참여

❖ 정답 및 해설 119 ~ 122p 2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117


3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문항수 20개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

■ 배점 50점
■ 범위 : 전범위 ■ 제한시간 30분

3
회 01 고3 2016(4월)/교육청 1
3
회 03 고2 2016(6월)/교육청 6

밑줄 친 ‘이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2점) 지도는 어느 시기의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가) (나)
<수행 평가 보고서>
국내성
주제: 공주 석장리 유적으로 보는 ◯◯◯ 시대

3학년 ◯ 반 ◯모둠
평양
1. 유적 소개
1964년 남한에서 최초로 발굴된 ◯◯◯ 시대의 유적이다. 이
한성
곳에서 이 시대의 대표적 유물인 찍개, 주먹도끼 등의 뗀석
기가 출토되어 한반도에는 이 시대가 없었다는 일본 식민사 금성 사비 금성

학자들의 주장이 허구임이 밝혀졌다.


수도 수도
2. 유적과 유물 사진
① 태조왕이 옥저를 복속시켰다.
② 고이왕이 관등제를 마련하였다.
③ 장수왕이 한강 유역을 장악하였다.
④ 문왕이 당의 3성 6부제를 도입하였다.
⑤ 성덕왕이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발굴 당시 유적 모습> <출토 유물>

①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다.


② 철제 농기구가 사용되었다.
③ 권력을 가진 지배자가 등장하였다.
④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생활하였다.
⑤ 빗살무늬 토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저장하였다.

3
회 02 고3 2016(7월)/교육청 3
3
회 04 고1 2017(3월)/교육청 6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삼국 통일의 진행 과정>
이 유물은 고구려를 계승한 (가) 의
나・당 사비성 기벌포 삼국
(가) 문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넷째 딸인 정효 공주
동맹 함락 전투 통일
의 묘지석이다. 그 내용 중 ‘대흥’이라는 독자적
① 살수 대첩 ② 발해 건국 인 연호가 사용된 점을 통해 자주성을 엿볼 수 있
③ 관산성 전투 ④ 대가야 멸망 다. (가) 은/는 전성기를 누린 선왕 이
⑤ 고구려 멸망 후 당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① 청의 침입을 받았다.
② 교정도감을 설치하였다.
③ 경국대전을 완성하였다.
④ 화백 회의를 개최하였다.
⑤ 대조영에 의해 건국되었다.

118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3
회 05 고3 2016(10월)/교육청 11
3
회 07 고3 2016(3월)/교육청 6

지도의 행정 구역을 마련한 국가에서 볼 수 있던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가) 국가에서 실시한 경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2점)

S#1. 배 위(송나라 상인 두 명이 대화를 하고 있다.)

상인 1 : 자네는 어디에 장사하러 가는가?


상인 2 : 나는 벽란도까지 간다네.
상인 1 : 벽란도가 어디인가?
상인 2 : (가) 의 수도인 개경과 가까운 무역항일세.
듣자하니 얼마 전 대식국 상인*들도 다녀갔다는군.

* 대식국 상인 : 아라비아 상인
10

DAY
① 지계를 발급하였다.
① 5도 양계에 관리를 파견하는 국왕 ② 대동법을 시행하였다.
② 삼정 문란에 불만을 터트리는 농민 ③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③ 9서당을 지휘하는 진골 출신의 장군 ④ 농사직설을 보급하였다.
④ 을사늑약 체결 강요에 분개하는 기자 ⑤ 은병(활구)을 유통시켰다.
⑤ 상평통보를 받고 물건을 판매하는 상인

3
회 06 2014(9월)/평가원 6 3
회 08 고3 2016(10월)/교육청 8

(가), (나) 정책의 공통적인 목적으로 적절한 것은? (3점) 다음 전쟁이 전개된 시기에 볼 수 있던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점)

(가) 쌍기가 건의하여 처음으로 과거 제도를 설치하였다. 시 •우리 배들은 한산도 앞바다로 왜의 수군을 유인한 후 학익
(詩), 부(賦), 송(頌) 및 시무책(時務策)을 시험하여 진사 진을 펼쳐 공격하였다. 우리 군사들은 지자총통과 현자총통
를 뽑았다. 등을 쏘면서 돌진하였다. 전투 결과 왜선 47척을 불태우고
(나) 왕이 명하기를, “정방은 권신이 처음 설치한 것이니, 어 깨뜨렸으며 12척을 나포하였다.
찌 조정에서 벼슬을 주는 뜻이 되겠는가. 이제 마땅히 없 •명량에서 우리 수군이 일제히 북을 치며 지자총통과 현자
애고, 3품 이하 관리는 재상과 함께 의논하여 진퇴를 결 총통을 쏘고, 화살을 빗발처럼 쏘았다. 왜선 30척을 쳐부수
정할 것이니, 7품 이하는 이부와 병부에서 의논하여 아뢰 자, 적들은 달아나서 다시는 우리 수군에 감히 가까이 오지
도록 하라.”라고 하였다. 못했다.
- “난중일기” -

① 인사 제도를 개혁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② 문벌 귀족의 정치적 기반을 약화시키고자 하였다. ① 귀주 대첩을 보고하는 강감찬
③ 조세 제도를 개혁하여 민생을 안정시키고자 하였다. ② 별무반 편성을 건의하는 윤관
④ 붕당 간의 격렬한 대립과 갈등을 조정하고자 하였다. ③ 왜군에 맞서 의병을 이끄는 곽재우
⑤ 호족 세력을 통제하여 중앙 집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④ 살수에서 적의 군대를 물리치는 을지문덕
⑤ 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에 맞서 싸우는 양헌수

❖ 정답 및 해설 123 ~ 126p 3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119


3
회 09 고3 2016(10월)/교육청 12
3
회 11 고3 2016(10월)/교육청 9

(가) 제도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적절한 것은? (3점)

(가) 실시에 따른 각 계층의 반응

혁신 정강의 주요 내용
공물을 토지 결수에 토지가 적은 이제 방납을 이 혁신 정강을 발표한
따라 쌀 등으로 사람은 부담이 하기가 어려울 •정치: 청에 대한 조공 폐지 급진 개화파에 대해
거둔다니 반대합니다. 줄어들겠군요. 것 같군요. 말해 볼까요?
•경제: 지조법 개혁
재정의 호조 일원화
•사회: 인민 평등권 보장
능력에 따른 관리 등용

① 비변사를 폐지하였습니다.
지주 농민 방납업자
② 갑신정변을 일으켰습니다.
① 공인이 등장한 배경을 살펴본다.
③ 한인 애국단을 조직하였습니다.
② 원 간섭기의 제도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④ 농지 개혁법을 제정하였습니다.
③ 전시과 제도에 따라 지급된 토지를 찾아본다.
⑤ 신간회 결성을 주도하였습니다.
④ 최승로의 시무 28조가 끼친 영향을 조사한다.
⑤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의 내용을 분석한다.

3
회 10 고3 2016(3월)/교육청 11
3
회 12 고3 2016(3월)/교육청 13

다음 건축물이 건립된 당시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밑줄 친 ‘이 단체’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

서재필이 미국으로부터 돌아와 중추원 고문관이 되어 서울


에 머물렀다. 이에 이르러 안경수 등 30여 명이 이 단체를 설
화성 드디어 완공되다!
립하였는데 독립문 및 독립 공원 건립의 사무를 관장하였다.

2년여 간의 공사 끝에 마침내 안경수가 회장이 되었고 서재필에게는 여러 가지 일을 고문하


화성이 완공되었다. 공사를 비 도록 하였다.
교적 짧은 기간에 마칠 수 있었 - “대한계년사” -
던 이유는 정약용이 만든 거중
기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화성 ①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완공 소식을 들은 왕께서도 매우 기뻐하시며 곧 행차하겠
② 육영 공원을 설립하였다.
다고 말씀하셨다.
③ 홍범 14조를 반포하였다.
④ 관민 공동회를 개최하였다.
① 불교가 공인되었다.
⑤ 교조 신원 운동을 전개하였다.
② 칠정산이 편찬되었다.
③ 상감 청자가 유행하였다.
④ 한글 소설이 널리 읽혔다.
⑤ 팔만대장경판이 만들어졌다.

120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3
회 13 고3 2016(7월)/교육청 13
3
회 15 고3 2016(4월)/교육청 19

(가)에 들어갈 정답으로 옳은 것은? (3점) (가) 정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904년 영국인 베델을 발행인으로 하


여 창간되었으며, 이후 국채 보상 운동을 저는 중국 안동에 제가 설립한 이륭양행 안에
적극 후원한 이 신문은 무엇일까요? 교통국이 설치되도록 지원하였습니다.
교통국은 상하이에 있는 (가) 와/과
국내・만주 지역 독립 단체들 간의 비밀 통신
(가) 을 담당하였지요. 또한 저는 이륭양행을 통해서
(가) 이/가 발행한 독립신문이 국내와 만
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조지 루이스 쇼

① 지계를 발급하였다.
②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다.
10

DAY
③ 3・1 운동을 계기로 수립되었다.
④ 삼권 분립과 공화제를 표방하였다.
① 한성순보 ② 독립신문 ③ 황성신문 ⑤ 구미 위원부를 두어 외교 활동을 하였다.
④ 제국신문 ⑤ 대한매일신보

3
회 14 2013(6월)/평가원 20
3
회 16 고3 2016(3월)/교육청 15

다음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시기의 모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일제 강점기의 국내 최대
학교에 입학하고 수업은 며칠 받아보지도 못했다. 오늘도 민족 운동 단체에 대해 발 정우회 선언을 배경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표해 보세요. 으로 창립된 이 단체 조사단을 파견하기도
우리는 수업 시간에 군수품 생산에 동원되었다. 두 시간 수업
는 (가) 했어요.
이 끝나면 교실은 공장이 되었고, 군복에 단추를 달았다. 학생
누구도 선생님께 어디다 쓰는지 묻지도, 알려고도 하지 않았
다. 집에 돌아왔더니 엄마가 사색이 되어 있었다. 오빠의 징병
영장이 나온 것이다.

① 징용 영장을 받고 근심하는 청년
② 조선 태형령을 집행하고 있는 경찰
③ 일본 궁성을 향해 절을 하는 사람들 ① 국채 보상 운동을 이끌었어요.
④ 황국 신민 서사를 외우고 있는 학생 ② 고종을 복위시키려는 목표를 세웠어요.
⑤ 신사 참배에 반대하다가 투옥된 종교인 ③ 대성 학교와 오산 학교를 설립하였어요.
④ 민족 유일당 운동의 영향으로 만들어졌어요.
⑤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반대하였어요.

❖ 정답 및 해설 127 ~ 130p 3회 실전 기출 모의고사 121


3
회 17 고2 2016(11월)/교육청 18
3
회 19 고3 2016(10월)/교육청 14

(가)에 해당하는 단체로 옳은 것은? (2점)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3점)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련
목표
결성 폭력 투쟁 전개
김원봉 중심 → 독립 달성

(가)
신채호 주요 활동
활동 지침 김익상, 김상옥,
조선 혁명 선언 나석주 등의 의거
폭탄 투척

① 의열단 ② 신민회
③ 신간회 ④ 독립 협회
⑤ 조선 건국 동맹
① 4・19 혁명 ② 5・10 총선거
③ 6월 민주 항쟁 ④ 유신 헌법 공포
⑤ 신탁 통치 반대 운동

3
회 18 고3 2016(7월)/교육청 20
3
회 20 2014(6월)/평가원 20

다음 상황이 나타나게 된 배경으로 옳은 것은? (2점) 다음 남북 합의의 결과 실행된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이번 결정의 핵심은 민주주의 임시 독립은 수포로 돌아간 것이나


정부 수립에 있으니, 이를 거부하는 다름없다. 삼천만이 똘똘 뭉쳐 신
•통일은 외세에 의존하거나 외세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자주
것은 독립을 지연시킬 뿐이다. 탁 통치안을 배격해야 한다. 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통일은 서로 상대방을 반대하는 무력행사에 의거하지 않고
평화적 방법으로 실현하여야 한다.
•사상과 이념・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우선 하나의 민족으
로서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하여야 한다.

① 유엔에 동시 가입하였다.
② 개성 공단 건설 사업을 추진하였다.

① 유신 헌법이 제정되었다. ③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② 한・일 협정이 체결되었다. ④ 분단 이후 최초로 남북 정상 회담을 개최하였다.

③ 3・15 부정 선거가 치러졌다. ⑤ 남북 조절 위원회를 구성하여 남북 대화를 진행하였다.

④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⑤ 신군부 세력이 12・12 사태를 일으켰다.

122 자이스토리 수능 한국사 ❖ 정답 및 해설 131 ~ 132p


수능 1등급을 위한 절대평가 키워드 시리즈
절대평가 키워드 독해 - 절대평가, 1등급을 완성한다!

구문독해 (20일 완성) 유형독해 (20일 완성) 1등급 독해 (24일 완성)


•기본 구문 유형 마스터 •독해 유형 전략 마스터 •고난도 3점 유형 마스터
•쉽고 빠른 문장 해석 비법 •독해 원리와 해법 적용 •고난도 유형만의 풀이전략과
•학습한 구문이 적용된 독해 •정답과 오답을 가려내는 실전 연습문제
필수 유형 문제 단서 찾기 훈련 •매력적인 오답의 원리 이해와
해결 전략

절대평가 키워드 듣기 35회 모의고사 - 연습을 실전처럼!!

절대평가 수능 유형 정복 - 유형 강화 모의고사 5회

새수능 난이도 분석 - 적중 실전 모의고사 25회

고난도 문제 집중 훈련 - 1등급 모의고사 5회

기본 실력 상승 연습 - Dictation / 어휘 Review Test

| 절대평가 듣기 실전 모의고사 35회 |

절대평가 문법 기본 - 내신 + 수능 기본 문법 25일 완성

고등 필수 영문법 개념 단계별 정리

문법 이해와 적용 - 유형별 적용 훈련 코스
(Grammar Check- up, 단원 종합 문제, 수능 어법 유형 Master, 실전 테스트)

문법 학습을 바탕으로 한 1등급 독해 실력 상승


✽독해의 기본 문법을 단계별로 정리해서 완벽한 독해력을 완성한다.

| 절대평가 문법 기본 |
개념 + 연산 + 쉬운 기출 유형으로
심플하게 수학을 마스터한다!!

시리즈
수학(상), 수학(하)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1 쉽게 이해되는 꼼꼼한 개념 정리

수학은 수많은 개념의 총체적인 모임입니다. 그래서 수학을


쉽게 하려면 개념 사이의 관계와 흐름을 제대로 잡고 있어야
합니다. 심플 자이스토리는 개념을 심플하게 구성해 개념 사
이의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 이런 개념 사이의
관계와 흐름을 잘 잡을 수 있도록 독특한 어드바이스들이 있
습니다.

2 개념을 적용시키는 연산 훈련 강화

수학의 기본기는 연산입니다. 연산이 쉽다고 소홀히 하면 쉬


운 문제를 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플 자이스토리는 개념
을 배운 후 바로 적용하도록 연산 문제를 배치하여 연산근육
을 강화시키도록 하였습니다. 연산 실력이 탄탄하면 어떤 문
제도 실수로 틀리지 않습니다.

3 내신+수능에 꼭 필요한 쉬운 기출 유형 총정리

수학은 학교 시험이나 수능에 자주 출제되는 패턴이 있습


니다. 그 패턴을 익숙해지도록 공부하면 점수를 얻기 쉬워
집니다. 이런 패턴을 유형이라고 합니다. 학교 시험과 수
능에서 나오는 쉬운 기출 유형을 분석하여 쉽게 풀어갈 수
있도록 문제를 구성하였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