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강의 목표

• 목표 1 : 조기 성 성숙 유발 모델을 통해 HPG 의 개념 이해

• 목표 2 : 생식계 조직의 변화 관찰 및 단계의 이해

• 목표 3 : 조직학적 분석 방법과 결과 분석 방법 이해
시상하부 - 뇌하수체 - 생식소 축
자극

(HPG axis: Hypothalamus-Pituitary-Gonad 시상하부 -


-

axis) 신경분비세포

호르몬 분비 촉진
혹은 억제호르몬

뇌하수체

ACTH
GH
TSH 호르몬
MSH(중엽)
FSH
유선자극 호르몬
LH

비내분비성 내분비성
표적조직 표적조직

혈액으로 운반
되는 대사산물

대사반응
태반 호르몬 ■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ormone (hCG)
LH/FSH

(Placental Hormone) 임산부에서 유래된 당 단백질 호르몬


임신 중 태반의 합포체 영양막 세포에서 생성됨
난자의 발달과 배란을 자극함

FSH/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 (PMSG) LH

말 혈청에서 유래된 당 단백질 호르몬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eCG) 라고도 불림

■ Human placental lactogen (Hpl)


태반에 영양을 공급하고 유방의 젖샘을 자극하는데 관여

■ Estrogen

■ Progesterone
암컷 생식계의
조직학적 분석
구성 세포

Germ cell(Oocyte)
Granulosa cell( 과립구 세포 )
Thecal cell( 외곽 세포 )

난포의 종류

Primordial follicle Graffian follicle


Primary follicle Corpus Luteum
Secondary Follicle Corpus albicans
자궁 외막

자궁 근층 자궁 샘
자궁 내막
질구 개방 확인

조직 수집

생식계 조직
( 난소 , 자궁 )

비 생식계 조직
( 간 , 비장 , 부신 , 신장 ) 조직 무게 측정 조직 크기 비교
Result
질구개방 여부 사진

조직 크기 비교 사진

조직무게 데이터 ( 표 , 그래프 )

조직학적 분석을 위한 사진
Þ 난소 : 황체 개수 , 그래피안 난포 개수
Þ 자궁 : 내막 , 근층 , 외막 두께 , 자궁샘 개수
Þ 표로 정리
레포트 작성 : Discussion
■ 결과 해석

조직 무게 데이터를 통해 PMSG 투여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조직은 무엇인지 .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PMSG 투여를 통해 조직구조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무엇을 뜻하는지 .

통합적으로 PMSG 투여와 연관있는 조직은 무엇이 있는지 .

기타 등등

1. 사람의 사춘기와 Rat 의 사춘기 변화의 ( 호르몬 변화를 포함 ) 공통점과 차이점을 조사한다 .

2. 정상적인 사춘기를 교란시킬 수 있는 원인에 대하여 일찍 오게하는 것과 늦게 오게하는 것 각 1 가지를 조사한다 .

3. 본 실험에서 사용한 PMSG 를 이용한 model 을 활용한 실험모델을 1 가지 수립해본다 .

=> 본인이 직접 새로 설계해도 됨 .

=> 기존 연구의 모델을 설명해도 됨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