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팜핑 학회 3 조 자료조사

-도핑금지약물 성분이 포함된 일반 의약품에 관한 고찰

202221707 약학과 박현우

I. 스포츠 금지 약물 규정

1.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거나 그러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

2. 선수의 건강에 실제적 또는 잠재적 위험이 있는 경우

3.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경우

II. 도핑금지 성분 모음 (빨간 글씨 : OTC 로 자주 사용되는 성분) (파란 글씨 : ETC)

(분류)

S0: 비승인 약물 (전세계 어디에서도 승인되지 않은 약물)

S1~5: 상시 금지 약물 (경기 기간 포함)

S6~9: 경기기간 중 금지 약물

P1: 특정 종목 금지 약물

- S1 동화작용제 (아나볼릭제제)

: 인체 내의 동화작용에 도움을 주는 약물로 근육을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대표약물) Testosterone, stanozolol, Clenbuterol

- S2 펩티호르몬, 성장인자

: 인체 다양한 조절기능에 관여해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각종 호르몬 및 관련 약물이 속한 분류.

대표약물) Erythropoietin, human growth hormone 등

- S3 베타-2 작용제

교감신경 베타수용에 작용하는 약물로 기관지 확장에 효과를 지녔다. (이뇨제와 병용 금지)

대표약물) salbutamol, Formoterol 등 (흡입용 천식약은 일정 용량 허용)

- S4 호르몬 및 대사 변조제

: 인위적으로 호르몬 및 대사변조제를 투여해 특정 호르몬의 체내 농도를 변화시키는 약물.

대표약물) Insulin

- S5 이뇨제 및 은폐제

: 인체 수분량을 조절하는 약물로 체급조절, 감량 등 남용되는 약물이다.

대표약물) Furosemide, Spironolactone 등


- S6 흥분제

: 신체 활동성을 높이고 피로감을 낮춰 지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약물이다. 일반 감기약


복용 후 도핑에 걸렸다면 교감신경 흥분제 ‘슈도에페드린’ 성분 복용 가능성 있다.

대표약물) Pseudoephedrine

- S7 마약

: 신경인성 통증 및 암성 통증 치료제로 법에 따라 엄격하게 통제받고 있는 약물이다.

대표약물) Morphine, Fentanyl 등

- S8 카나비노이드

: 대마 추출물로 국내에서는 마약관리 법률에 따라 운동선수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사용해서는


안되는 약물이다.

- S9 글루코코르티코이드

: 부신피질호르몬으로 항염증을 작용할 수 있는 약물로 근골격계, 피부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돼


운동선수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대표약물) prednisolone, Triamcinolone (연고는 OTC 로, 도핑 검출되지 않아 사용 가능) 등

전신 순환되는 약물 (좌제, 경구제, 정맥주사제, 근육주사제) : 도핑에 검출됨

전신 순환되지 않는 약물 (관절낭주사, 국소스테로이드연고제) : 도핑에 검출되지 않아 사용 가능.

- P1 베타차단제

: 교감신경의 베타수용체를 차단해 심장박동수를 감소시키고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약물이다.


사격, 양궁 등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하는 특정 종목에서 금지하고 있다.

스포츠 도핑금지 대표 약물 중 OTC 에 해당하는 것은 Pseudoephedrine 밖에 없다. 따라서


Pseudoephedrine 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한다.

III. Pseudoephedrine 의 스포츠에서의 작용

Pseudoephedrine 이 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Systematic Review 연구를 인용한다.


2015 년 3 월부터 EMBASE, MEDLINE, PsychINFO and The Cochrane Library 에서 진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한 결과, Pseudoephedrine 이 운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pseudoephedrine 의 투여 용량에 의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0mg~120mg 의 pseudoephedrine
을 투여했을 때는 모든 연구에서 운동 능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180mg 을 초과하여
pseudoephedrine 을 투여했을 때 통계적,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운동능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pseudoephedrine 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을 때,


pseudoephedrine 을 복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운동 수행 시간(time trial performance)과 체내
생화학적 표지 (biochemical markers)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심장박동 수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이 결과는 실험군의 나이가 어릴수록, 평소에 운동을 자주 할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다만, pseudoephedrine 이 체내에 미치는 영향(심박수 증가 등)은 도핑 허용 약물인
카페인에 비교했을 때 더 적게 나타났다.
출처 및 참고 문헌

“스포츠 금지 약물” – 한국도핑방지위원회

‘도핑금지 성분 모음’-약사 공론 https://www.youtube.com/watch?v=wiNEnPohT9Q

Over-the-counter drug use amongst athletes and non-athletes, https://pubmed.ncbi.nlm.nih.gov/12629472/

약물 성분 검색-약학정보원

Effects of pseudoephedrine on parameters affecting exercise performance: a meta-analysis, Maria D


Gheorghiev, Farzad Hosseini, Jason Moran, Chris E Cooper,
https://sportsmedicine-open.springeropen.com/articles/10.1186/s40798-018-0159-7

Effect of pseudoephedrine in sport: a systematic review, Kien V Trinh, Jiin Kim, and Amanda Ritsma,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11703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