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확장된 약학의 세계

10706 김정림
목차 1. 약사란 무엇인가?
2. 진출분야
3.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약사의 미래동향
4. 미래사회에서 약사가
갖춰야 할 역량
약사에 대하여

”의약품·의약외품의 제조·조제·감정·보관·수입·판매[수여를 포함]와 그 밖의 약학


기술에 관련된 사항을 말한다“
출처: 약사법 2조 1항에서 발췌

→ 의약품과 관련된 모든 일을 담당하여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한다.


약사의
진출분야
일반약국 약사

- 역할: 환자에게 맞는 약물 요법을 제공함으로써 진정한 약료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 약료란? 약물 치료를 통한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을 개선시키기 위해 행해지는 조치.

① 의약품 판매 • 조제
② 병원처방전 감사
③ 복약지도 제공
④ 의료인과의 소통
병원약국 약사

- 역할: 병원 내에 있는 환자들의 처방 검토, 조제, 복약지도, 정보 제공,


의약품 관리, 신약 도입 및 신청, 임상시험,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 실습생
교육 등

일반조제팀 특수조제팀 약무정보팀


병원약국 약사_일반조제팀

① 처방전 검토
② 조제
③ 조제 결과 감사
* 복용하는 약뿐만 아니라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약을 조제, 감사한다.
④ 팀의료 수행
* 장기이식환자, 순환기 환자, 신경과 환자, 중환자실 환자(약물 투여에 주의해야함)를
대상으로 의료팀과 협업하여 진단/처방을 함.
⑤ 병동 약국 운영
* 특수 질병 대상(ex. 심장질환, 폐질환, 노인의료)
병원약국 약사_특수조제팀

① 항암조제 파트 1 & 파트 2(주사조제실 & 항암조제실)


* 시중에서 판매되는 주사제의 특정성분이 환자에게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면 병원에서
주사제를 따로 만들어야 한다.
ex) TPN(Total Parenteral Nutrition)이라고 하는 입으로 음식을 못 먹을 때 영양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수액을 환자 A에게 사용해야 한다고 할 때, A는 혈중 나트륨
수치가 높아 제한해야하는데 시판 TPN에 나트륨이 들어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다.
이때 주사조제실에서 A에게 맞는 TPN(이를 special TPN라고 함)을 만들어준다.
② TPN 시트 짜기
③ 항암환자를 위한 주사제 만들기
* 항암환자 대상 처방전 검토, 조제, 감사
④ 외래 조제 파트(≒일반약국 하지만 마약, 통계약을 다룸.)
병원약국 약사_약무정보팀

① 모든 의약품 관리
② 재고확인
③ 약 구매
④ 특정 약 원내 도입
→ 이 약이 병원에 얼마나 많이 사용될 것인가?
→ 사용된다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⑤ 원외에서 취급되는 약 관리
* 의사가 잘 쓰이지 않는 약을 처방했을 때 근처 약국에 이 약이 없다면 의사가
약무정보팀에게 원외 처방을 알림. 사용이 승인되면 외부 약국에 공문을 통해 알린다.
그외: 신약 도입 후 모니터링(임상시험). 약무행정에 필요한 운영계획 수립, 실습생 교육
제약회사

- 역할: 연구소/공장에서 일하며 창약, 제조, 품질검사, 개량, 마케팅 기획,


의약품인허가

신약연구원
& 의약품인허가 품질보증 담당
개발팀 전문가 QA/QC
제약회사_신약개발연구원

- 신약개발팀: 기존 치료제로 부작용이 발생 or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 개발팀: 개량제품 개발(복용, 사용 편의를 위해) & 임상 개발 과정 관리 및 기획

10년
제약회사_개발팀

-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개선한다.

예시)
울트라셋이알정 → 트라마돌 + 아세트아미노펜
[ 제약회사 ‘얀센’의 해열 진통제 ]

유효성분과 투여경로는 같지만 ‘제재’ 개선(필름코팅 → 서방성 필름코팅)을


통해 용량과 용법이 개선.
→ 복약 순응도 개선(1일 4회 → 1일 2회)
제약회사_의약품인허가전문가

- 인허가(license): 인허 • 허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인가는 국가에서


특정 행위를 하는 데에 동의하는 것. 허가는 특정인에 한해서 그 행위를
행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것.

국민건강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유효성과 안정성을 보장해야함.


→ 인허가를 받아야 함.
→ 받기 위해서 국가의 법적 규제기준을 면밀히 파악하고 허가관련
작업을 수행함.
→ 제품의 인허가, 생산, 마케팅 전 과정에 관여함.
약무직 공무원

- 역할: 대부분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보건복지부에서 일하며 약사법 개정,


안전정책 제정, 약사감시 등을 한다.
① 약학 관련 법 제정
② 국내 약국 감독
③ 의약품 안전 정책/마약류 안전 정책
* ex. 노인ㆍ장애인 등 사회복지시설의 급식안전 지원, 식품위생법, 의료기기법, 인체조직안전법,
④ 임상시험 제도
* 임상시험: 임상시험용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할 목적으로 해당 약물의 약동·약력·약리·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고 이상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험 또는 연구
⑤ 의약품 안전/품질 평가
⑥ 보건복지부 산하 병원(주로 요양병원)에서 투약업무
제약회사_품질보증/확인 담당 QA/QC

QA(Quality Assurance) 역할 QC(Quality Control) 역할


- 품목별 제조방법 검증 - GMP(Good Manufacturing
- 품질의 일관성 확인 Practice: 우수 의약품 제조과정
- 사용기기 세척 방법 검증 기준으로 인허가 과정에서 필요함)에 맞춰
- 생산공정이 허가, 제조, 품질 정해진 시험 방법에 따라 평가하며 평가
관리기준에 맞는지 확인 데이터를 실시간 기록하고 분석함

= 화학시험과 기기 분석에 기반하여


= 제품 생산의 A to Z 관리하여
원료와 제품의 품질 검사
품질 보증
연구원
- 역할: 생물체의 기관, 조직에 관여하는 물질 및 기타 의약품의 효과를
연구하여 약을 개발한다.
① 생명작용과정 등 기관 및 조직의 기능에 관한 약품 및 관련물질의 효과를 연구
(동물실험)
② 임상실험과 연관시켜 질병에 대한 면역이나 치료용 투약의 기준을 비교·설정
③ 식품방부제, 색소, 중독성 가스 및 해독물 등 인체에 흡수되는 물질을 분석하여
인체의 조직, 기관 및 생명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④ 인체의 특정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의약품의 효과측정, 특수질병치료용 의약품의
개발, 독성물질의 검출 및 확인 등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외

- 화학제품 업계 진출: 기능성 화장품 생산 및 품질 보증, 판매 허가 업무

- 대학원 진학: 임상약학 교육을 모두 이수한 후 좁은 영역에서 깊은


연구를 진행

- 대학 교수: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이수, 교육 및 연구로 후진 양성

- 식품 업계 진출, 변리사,..etc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약사의 미래 동향
약사의 전망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로 모든 것이 융합,


연결되는 시대.
사회, 경제, 정치, 교육 등에 영향을 끼치며 자율적이고 전문적인
전문적인 기술들이 도입되며 산업구조 및 시장경제에 영향을 준다.
→ 약 연구, 제조, 복용지도 등의 업무를 인공지능이 맡게 될 것.
→ ‘약사’라는 직업이 사라질까?

= 약사의 역할을 어떤 시각으로 보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약사의 전망

i) 단순 기술적인 업무 수행으로만 한정하는 경우


→ 기계에 대체 될 수 있음.

ii) 환자와의 관계를 중요시 하는 경우


→ 환자와의 소통과 공감으로 질병관리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계가 대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제4차 산업혁명과 약사 직능의 변화

- 의료기관에서의 변화
① 임상 약료 서비스 확대
② 약사의 전문성 보강
* 첨단 ICT 기술로 방대한 양의 정보와 최신 의약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환자에게 최적의 약물요법을 계획하고 효율적으로 연구 가능.
- 지역약국에서의 변화
① SNS와 디지털 헬스 기기(웨어러블 워치) 등을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정보 실시간 확인 가능
② 개별 맞춤형 서비스 (비대면 진료, 전자처방전, 약배달)
제4차 산업혁명과 약사 직능의 변화

- 제약산업의 변화
효율적인 의약품 생성
* GMP의 생산공정과 기준을 자동화, 지능화 하여 개발부터 판매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설계기반 품질 고도화를 이룰 수 있다.
- 약무행정과 공공보건에서의 약사의 직능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과 미래정책 수립
* 인터넷, SNS,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으로 향후
미래정책 수립과 관련 법 제정으로 여러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미래사회에서 약사가
갖춰야 할 역량
미래사회에서 약사가 갖춰야 할 역량

직업윤리의식

전문성
환자와의
공감과 소통
환자와의 공감과 소통

환자와의 공감과 소통 → 약사의 사회적 지능에 기반한 업무

기술적 직무 < 사회적 업무


“복약지도” : 의약품의 명칭, 효능, 저장방법, 부작용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
→ 환자에게 약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상담을 통하여 전문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 치료순응도&치료효과를 효율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의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의료서비스의 질↑)
* 환자의 건강을 위해서는 쌍방향의 ‘소통’과 ‘공감’의 사회적 역량은 반드시 필요.
전문성

계속 급변하는 환경과 정책 속에서 막대한 양의 정보들이 저장된다. 이


데이터들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약사의 단순 업무 → 인공지능, 기계 → 팀의료 활동이 증가하게 됨.

단순 직능 사이에서 행해지던 교류 X, 약사 고유의 전문성 을 필요로 함.

*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의견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원활한 정보 활용을 위해서 전문성을 갖추고 끊임없이 학습해야한다.
직업윤리의식

다분야에 자동화 로봇&인공지능의 도입 → 인간과의 경계가 모호해짐


∴ 도덕적 판단, 사회 규제의 정도를 파악하는 역량 필요.

약사의 일 = 생명관련성 → 모든 약학연구의 핵심은 국민의 건강증진


→ 첨단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의 도구화가 일어날 가능성⇧
환자는 의/약사에 대해 신뢰를 하든지, 안 하든지 상관없이 의지할 수밖에 없다.
* 약사는 생명의 가치판단을 올바르게 하는 윤리의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