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9 주차 : 불꽃실험

Flame test
일반화학실험Ⅰ 9 주차

담당조교 : 고찬희
1. Purpose

2. Theory

3. Chemicals & Apparatus

4. Procedure

5. Data & Results

01
금속 이온의 불꽃색을 확인하고 금속 이온의
원자 구조와 원자 스펙트럼을 이해한다 .

02
원소의 종류 ( Elements )
원자의 구조 ( Atomic structure )
에너지 준위 ( Energy level )
바닥 상태와 들뜬 상태 ( Ground state & excited state )
스펙트럼 ( Spectrum )
불꽃 반응 ( Flame test )
분광학 ( Spectroscopy )

03
Chemicals
Density (g/
Name Formula MW (g/mol) mp (°C) bp (°C) mL) Flame Test

Sodium Chlo-
NaCl 58.44 801 1413 2.165 Yellow
ride

Sodium Ni- NaNO3 84.9947 308 380 2.257 Yellow


trate

Copper(II) CuCl2
Chloride 134.45 498 993 3.386 Green

Copper(II) Ni- Cu(NO3)2 187.56 114.5 170 3.05 Green


trate

Potassium
KCl 74.5513 770 1420 1.984 Purple
Chloride

Potassium Ni- KNO3 400 (decom-


101.1032 334 2.109 Purple
trate pose)

Strontium SrCl2 158.53 874 1250 3.052 Red


Chloride

Strontium Ni- Sr(NO3)2 211.63 570 645 2.986 Red


trate

Barium Chlo- BaCl2 208.23 962 1560 3.856 Yellow Green


ride

Barium Ni- Ba(NO3)2 592 (decom-


261.34 - 3.24 Yellow Green
trate pose)

Hydrochloric
HCl 36.461 -35 57 1.18 -
Acid
04
Apparatus
• 니크롬선
• 뷰테인 연료
• 토치
• 목장갑
• Microtube rack
• Test tube
• 네임펜
• 스탠드
• 검은색 도화지

05
Ⅳ. Procedure

1. 3 M HCl 용액 5 mL 를 test tube 에 옮긴다 .


2. 불꽃색을 관찰할 11 가지의 용액을 각각 2mL 씩 취해 test tube 에 옮기고 , 각각의
test tube 에 어떤 용액을 옮겼는지 네임펜으로 표시한다 .
3. 니크롬선을 3 M HCl 용액에 담근 후 토치를 이용해 겉불꽃 ( 불꽃의 가장자리 ) 에 대어
빨갛게 가열되도록 한다 .
4. 2 에서 취한 각 용액에 니크롬선을 담근 후 겉불꽃에 대어 불꽃색을 관찰하고 사진으로
기록한다 . 이 때 검은색 도화지를 뒤에 놓고 정확한 불꽃색을 관찰한다 .
5. 사용한 니크롬선을 3 과 같이 깨끗이 소독하고 , 나머지 용액에 대해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한다 .
6. Unknown solution 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고 , 이 용액에 어떤 금속
양이온이 들어 있을지 생각해 본다 .

06
Ⅳ. Procedure( 주의사항 )

1. 불꽃은 눈에 보이는 것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 색이 없는 끝부분에서 실험을 수행해야


불꽃색을 관찰하기에 용이하다 .
2. 불꽃 실험 중에는 매우 조심해야 하며 반드시 목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
3. 산성 용액 사용에 주의해야 하며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
4. 불꽃 실험이 끝나면 바로 토치를 끄고 뷰테인 연료를 분리해야 한다 .
5. Ba2+ 과 Sr2+ 의 불꽃은 수명이 짧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 (Ba2+ 과 Sr2+ 이 들어
있는 용액은 가장 먼저 실험하는 것을 권장함 .)
6. Na+ 은 소량으로도 긴 수명과 강한 색상을 가지는 불꽃색을 나타내므로 다른 용액이
Na+ 로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Na+ 이 들어 있는 용액은 가장 나중에 실험하는
것을 권장함 .)
7. 원형 구조로 되어 있는 니크롬선의 끝에 최대한 용액을 많이 묻혀야 불꽃색을 관찰하기
쉽다 .
8. HCl 용액은 니크롬선 기둥 부분까지 충분히 세척할 수 있을 정도로 사용한다 .
07
Ⅳ. Procedure

실험 세팅 예시

08
Ⅵ. Discussion

(1) 겉불꽃을 이용하는 이유는 ?

(2) 니크롬선을 사용하는 이유는 ?

09
Ⅵ. Discussion

(3) 용액에 포함된 금속 이온이 다른 경우 불꽃색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

(4) 서로 비슷한 색깔의 불꽃색을 가져 구분하기 어려운 금속 이온은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

1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