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Determination of a Chemical Formula

8분반 6조
202011175 이창석
교수님 : 이강욱 교수님
Ⅰ. 실험 목적
이 실험을 통해 염화구리 수화물에 들어있는 물의 양을 결정하고, 염화구리 수용액과 고체 알
루미늄 사이의 반응을 직접 수행해 본다.
반응 결과를 이용해 구리와 염소의 질량 및 몰수를 구하여 염화구리의 화학식을 구하는 과정
에 대해 이해한다.

Ⅱ. 실험 이론

일정 성분비의 법칙 : 한 화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 원소들의 몰비는 간단한 정수로 나타


낼 수 있다. 몰비를 나타낸 정수는 화합물의 실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배수비례의 법칙 : 두 종류의 원소가 화합하여 여러 종류의 화합물을 구성할 때 한 원소의 일


정 질량과 결합하는 다른 원소의 질량비는 항상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난다.
예) 철과 황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보면 가능한 화학식은  또는  가 될 수 있다.

화학식 표현 방법 : 분자식, 구조식, 시성식, 실험식 등...


분자식 : 한 개의 분자에 존재하는 원자들을 개수를 포함하여 나열한 식.
원자를 나타내는 순서는 주로 알파벳 순(유기화합물의 경우 C, H를 먼저 표기하고 나머지
원자를 알파벳 순으로 표기하기도 한다)으로 표현한다.
예) 에탄올의 분자식 : 
분자식만으로는 에탄올과 디메틸에테르가 구분되지 않는다. 때문에 구조식 도입.
구조식 : 어떤 구조를 가진 화합물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분자의 구조를 표현한 식

그림 1 ethanol 의 구조식(왼쪽 입체적 표현, 오른쪽 평면적 표현)

구조식으로 표현하면 분자식이 같은 두 화합물을 완전히 구분할 수 있다.


구조식을 그릴 때 단일 결합과 다중 결합은 반드시 구분하여 그려야 한다. 모든 원자들을 표
현하여 구조식을 그리기에는 너무 번거롭고 따라서 보편적인 작용기의 경우 구조를 생략하기
도 한다.
시성식 : 모든 결합을 생략하고 글자로만 표현하면서도 작용기를 구분하여 표현한 식
예) Ethanol  , dimethyl ether 
실험식 :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원자 간 정수비에 따라 만들어지는 식.
실제 분자량은 실험식량과 같거나 분자량이 실험식량의 정수배가 될 것이다. 따라서 분자량을
측정해야 정확한 분자식을 알 수 있다.
이온 화합물의 경우 양이온과 음이온이 간단한 정수비를 이루면서 이온 결합을 형성하고 있으
며 분자량의 개념이 없어서 실험식을 분자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일정 성분비의 법칙을 이용하여   ∙ 꼴의 염화구리 수화물의


x,y,z를 구해볼 것이다. 주어진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화합물을 천천히
가열하고, 무게를 비교함으로써 화합물에 들어있는 물의 양과 z 값을 구할 수 있다. 그 후 건
조된 시료로 화학 반응을 진행하여 구리 원자를 생성시키고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시료에 포함
된 구리와 염소의 몰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학식을 알아낼 수 있다

Ⅲ. 실험에 사용되는 기자재, 시약

그림 2 준비물

• 뚜껑 달린 가열용기 • 가열용기용 집게
• 약수저 • 링스탠드, 링, 삼각석쇠
• 버너, 혹은 알코올램프 • 50 mL 비커
• 뷰흐너깔때기, 여과용 플라스크 • 뷰흐너깔때기에 맞는 여과지
• 시계접시 • 미지의 고체 염화구리 수화물
• 알루미늄 선, 20 cm • 6 M 염산 수용액
• 95% 에탄올 용액 • 증류수
• 세척병 • 저울
• 유리교반막대 • 가열램프 또는 건조오븐
Ⅴ. 실험 결과

그림 3 염화구리 수화물1g 맞추기


염화구리 수화물을 약 1g을 넣어준다. 이 때 우리가 넣은 양은 대략 1.0235g을 넣어주었다.
가열 용기를 이용하여 가열 후, 질량을 잰다.

그림 4 가열 후 염화구리 색깔
가열 전 염화구리 수화물 1.0235g, 후 0.8105g, 질량 차이 0.213g (증발된  질량)
갈색의 고체 시료를 증류수를 통해 깨끗하게 씻어내고 알루미늄 선을 넣어 반응을 시킨 후,
구리를 알루미늄 선에서 떨어뜨려 용액만 다시 여과 후, 건조 시키면 구리만 얻어낼 수 있다.
페트리 접시 + 구리의 질량 : 5.00294
페트리 접시 질량 : 4.96884
구리의 질량 : 0.0341g
그림 5 질량 변화
질량(g)
가열 전 무게(g) 1.0235
가열 후 무게(g) 0.8105
빠져나간 물(g) 0.213
페트리 접시 49.6884
페트리 접시+구리 50.0294
구리 0.37

표 1 실험 결과 정리 표

원소 분자량(g/mol)
H 1.0079
O 15.9994
Cu 63.546
Cl 35.453
표 2 분자량

H2O Cu Cl
각 질량(g)
(전체 질량 1.0235g)
0.213 0.341 0.4695
몰수(mol) 0.011823 0.005366 0.013243
Cu 몰수를 1로 둘 2.203304 1 2.467837
때 몰수 비
이론적 몰수비 2 1 2
오차율(%) 10.16518 0 23.39184
표 3 몰 수 비 표현
결과적으로 이론적으로는  ∙  가 나타나야 하고, 그 이론값과 근접한
 ∙  결과를 얻어냈다.
Ⅵ. 논의
이 실험에서 오차 발생 원인들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 저울을 통해 질량을 재는 과정에 있어서 소숫점 셋째 자리와 넷째 자리의 값들이 진동하기
때문에 질량 측정에 있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구리를 석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알루미늄 선에 붙어있는 구리를 완전히 제거하기 힘들었다.
때문에 우리가 여과 후 얻어낸 구리의 질량이 원래의 구리의 질량보다 적게 들어간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완전히 구리를 얻어냈다면 Cu의 질량은 증가하고 Cl의 질량은 감소하므로
Cu 와 Cl의 몰수 비가 2.468보다 더 적게 관측되었을 것이다.

그림 6 알루미늄 선에 구리가 붙어있는 모습


- 여과하는 과정과 비커에서 옮기는 과정 등에서 손실되는 구리 질량이 존재했을 것이다.
- 구리가 완전히 알루미늄을 통해 석출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 미량일 것이라 생각하지만, 염화구리 수화물을 가만히 두어도 흡습성이 어느 정도 있어 습
기를 머금은 질량을 측정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전체 질량이 증
가하므로, 결과적으로 물의 몰수가 이론보다 크게 나타남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양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실험이므로 알루미늄 선에 붙은 구


리를 증류수를 이용하여 계속 분리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혹은 훨씬 더 긴 알루미늄 선을
이용하거나 더 좋은 반응성을 가진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을 이용한다면 더욱 많은 양의 구리
를 얻어냈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가열을 통해 물의 비율을 알아내고, 반응성이 큰 금속을
이용하여 구리를 석출시킴으로써 염화구리 수화물의   ∙ 의 비율을 알아낼 수 있
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통해 충분히 염화구리 수화물의 화학식을 예측할 수
있다.

Ⅶ. 참고문헌
옥스토비의 일반화학 제 7판 David.W.Oxtoby H.P.Gillis Alan Campion 사이플러스 출판
기초화학실험 김성균 남창훈 정병혁 정현숙 펴낸 곳 DGIST PRESS
Calculation of Atomic/Ionic Radius

Ⅰ. 실험 목적
우리는 모든 물질이 일반적으로 어떤 조건에서 고체, 액체, 기체 중 한 가지 상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상에 따라 거시적인 부피나 모양은 얼마든지 달라지게 되지만 분자 간 인
력, 이온 간의 인력에 따른 상태의 변화만 일어날 뿐, 원자, 이온 자체의 크기나 모양은 변하
지 않는다. 따라서 “원자나 이온의 크기나 모양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자연스
럽게 가질 수 있다. 본 실험에서 여러분은 간단한 실험과 계산을 통해 원자와 이온 반지름을
측정, 계산해 보고 문헌에 알려진 값과 비교해 보는 과정을 통해, 실험을 할 때 발생하는 오
차 원인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 보게 될 것이다.

Ⅱ. 실험 이론
1) 기본적인 개념
대부분의 물질은 고체 상태에서 분자나 원자와 같은 단위체들이 모여 규칙적인 결정을 이룬
다. 결정 구조는 반복되는 원자들이 모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결정성 물질은 단위체들 간의
결합 세기가 일정하므로 일정한 녹는점이나 승화점을 보인다. 고체가 결정성을 갖지 않는 경
우는 비정질(Amorphous)이라고 하며 주로 고분자나 유리, 비정질 실리콘 등이 이러한 구조
를 가진다. 비정질 고체의 경우 단위체들 간의 결합 세기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넓은 구간의
녹는점을 갖거나 특정한 녹는점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2) 단위 세포(Unit Cell)
단위 세포(unit cell) : 결정 내에서 반복되는 가장 작은 단위.
각 단위 세포 안에는 표면이 딱딱한 원자들이 맞닿아 있다고 가정.

단순 입방 격자 (Simple Cubic Cell) 가장 단순한 형태의 격자


정육면체의 각 꼭짓점에 원자가 위치
ex) 폴로늄(Polonium)의 홑원소 고체 물질.
면심 입방 구조(faced-centered cubic, FCC),
체심 입방 구조(the body-centered cubic, FCC)
육방 밀집 구조(the hexagonal close-packed, HCP) 존재.

그림 1 단위 세포 종류

단위세포가 한 가지 원소로 이루어진 입방형 금속성 결정 구조를 생각해 보자.


R : 세포 내의 원자의 반지름, a: 단위 세포의 한 변의 길이
n : 한 단위 세포 내에 존재하는 원자의 실제 개수
모서리에 존재하는 원자는 1/4개, 면 중심은 1/2개, 꼭짓점은 1/8 개로 계산.
CN(coordination number) : 단위 격자 내에 어떤 원자가 맞닿아 있는 원자의 개수
APF(the atomic packing factor) : 전체 격자의 부피에서 실제 원자(구형이라 가정)가 차지
하고 있는 실제 부피의 비율
Unit Cell n CN a/R APF
SC 1 6 2 52%

BCC 2 8  68%


FCC 4 12  74%

표 1 단위 세포 별 값

4) 이온 결합성 결정 구조
 
간단한 형태의 이온 화합물의 화학식 :  
이온 화합물의 가장 안전한 구조 : 최대한 많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만나는 구조 (격자 에너지
는 양이온-음이온 간의 쿨롱 에너지 이므로)
이온결합에서 CN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비율과 상대적인 크기에 관련 있다. 예를 들어
 에서 Na+의 CN은 6 이지만 Cs+Cl-에서 Cs+의 CN은 8이 되는데, 그 이유는
 는 rock salt 구조를 갖지만 CsCl은 그와 다른 cesium chloride 구조를 갖기 때문
이다. 두 이온 화합물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이유는 양이온과 음이온 간의 상대적인 크기
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림 2 이온결합 구조(왼쪽 NaCl, 오른쪽 CsCl)

Ⅲ. 실험에 사용되는 기자재, 시약


그림 3 준비물
• 철덩어리 • 구리 덩어리
• 알루미늄 덩어리 • NaCl
• KCl • LiCl
• 저울 • 시약접시
• 약수저 • 주사기
• 시계접시 • 메스실린더
• 비커 • 스포이드
• 적하병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