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4

| 수능 필수 유형 훈련서 |

미적분 180 제

정답과 풀이
학습진단표

약점 유형 확인

Ⅰ 수열의 극한
중단원명 유형명 문항번호 틀린갯수

유형 01 수렴하는 수열의 극한의 성질과 ∞ 꼴 수열의 극한값 계산 001, 011, 021, 031, 044, 053 / 6개

유형 02

꼴 수열의 극한 활용 006, 013, 015, 028, 037, 039, 043, / 10개
∞ 054, 056, 058
유형 03 ∞-∞꼴 수열의 극한값 계산 007, 042, 047 / 3개

수열의 극한 유형 04 등비수열의 극한값 계산 002, 014, 025, 057 / 4개

유형 05 등비수열의 극한 활용 008, 016, 020, 027, 038, 045, 049 / 7개

유형 06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005, 023, 033, 051 / 4개

유형 07 급수의 수렴과 성질 022, 041, 052 / 3개

유형 08 분수꼴로 표현된 수열의 급수 003, 017, 036 / 3개

유형 09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과 등비급수의 합 004, 009, 012, 019, 024, 026, 029, / 14개
032, 034, 035, 046, 048, 055, 059
급수
유형 10 등비급수와 도형(1) - 닮음 010, 018, 030, 050 / 4개

유형 11 등비급수와 도형(2) - 개수 변화 040, 060 / 2개

ⅠⅠ 미분법
중단원명 유형명 문항번호 틀린갯수

유형 01 지수·로그함수의 극한과 e의 정의 061, 074, 091, 104 / 4개

유형 02 지수·로그함수의 미분 092 / 1개

유형 03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와 덧셈정리 062, 093, 107, 111 / 4개

유형 04 덧셈정리의 활용 (방정식, 최대·최소) 082, 098 / 2개


여러 가지
유형 05 덧셈정리와 도형 067, 080, 089, 117 / 4개
함수의 미분
유형 06 삼각함수의 극한 066, 079, 083, 101, 120 / 5개

유형 07 삼각함수의 극한과 도형 069, 100, 109, 119 / 4개

유형 08 삼각함수의 미분 087, 097 / 2개

유형 09 몫의 미분법 081 / 1개

유형 10 합성함수의 미분법 064, 075, 085, 094, 108, 116 / 6개


여러 가지
유형 11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 또는 음함수의 미분법 065, 072, 103 / 3개
미분법
유형 12 역함수의 미분법 063, 078, 086, 105, 114 / 5개

유형 13 접선의 방정식 076, 084, 095, 106, 112 / 5개

유형 14 도함수, 이계도함수와 함수의 그래프의 활용 077, 090, 096, 110, 115 / 5개

도함수의 유형 15 변곡점과 함수의 그래프 071, 102, 113 / 3개

활용 유형 16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070, 099 / 2개

유형 17 속도와 가속도 068, 073, 088, 118 / 4개

2 학습진단표
ⅠⅠⅠ 적분법
중단원명 유형명 문항번호 틀린갯수

유형 01 여러 가지 함수의 적분 124, 139, 180 / 3개

유형 02 치환적분법 121, 132, 140, 141, 152, 159, 164, / 8개


176
부분적분법 126, 131, 138, 145, 150, 153, 161, / 9개
여러 가지 유형 03
169, 171
적분법 유형 04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1) - 식 정리 123, 135, 142, 148, 155, 163, 168, / 8개
175
유형 05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2) - 활용 129, 157 / 2개

유형 06 급수의 합과 정적분의 관계 122, 130, 137, 144, 147, 151, 160, / 11개
162, 170, 174, 178
유형 07 정적분과 넓이 127, 136, 143, 156, 158, 165, 172, / 8개
179
정적분의
유형 08 정적분과 부피 125, 134, 149, 154, 166, 177 / 6개
활용
유형 09 속도와 거리 128, 133, 146, 167, 173 / 5개

풀이 시간 확인

Ⅰ 수열의 극한
SET SET 1 SET 2 SET 3 SET 4 SET 5 SET 6

Time

ⅠⅠ 미분법
SET SET 7 SET 8 SET 9 SET 10 SET 11 SET 12

Time

ⅠⅠⅠ 적분법
SET SET 13 SET 14 SET 15 SET 16 SET 17 SET 18

Time

학습진단표 3
Ⅰ 수열의 극한 003
등차수열  의 공차를  라 하면

     에서
001    이므로   
수열  이 수렴하므로 lim    (단,  는 실수)라 하면 이때    이므로
→∞

수열의 극한의 성질에 의하여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이다.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풀이

   
 
    

  이라 하면 lim    이고   
   
→∞

 을  으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lim       
   
따라서 수열의 극한의 성질에 의하여 ∴ 
  
   
 →∞

 ×   답 ①
   
lim   lim   
→∞ →∞     
 

답  004
이차방정식             에서

002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등비수열  은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 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③ 답 ⑤

4 정답과 풀이
    
 
    
 
    
005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lim      , lim      이므로
→∞  →∞   답 ⑤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
lim   
→∞ 
008
또한 lim      이므로    
→∞
   에서     lim  
이므로
→∞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ⅰ)       일 때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ⅱ)    일 때
답 ②
 ×     
   lim  

→∞    

006 (ⅲ)    일 때

  
삼각형 A  B  C  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  lim 
 

 
     
  
cos∠A  B  C   


A B 

B C 
 × A B  × B C 
C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ⅲ)에서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때 함수    는    에서 연속이므로
lim cos∠A  B  C    lim  
→∞

→∞       lim   lim      에서
→  → 
∴    
   
답  lim   lim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즉,    ,    에서    ······ ㉠
 
007 또한 함수    는    에서 연속이므로
A    
    , B    
  이므로 lim     lim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lim      lim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lim 
→∞  
즉,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답 

Ⅰ. 수열의 극한 5

A B    , 
B  C   
009  , ∠B   ° 이므로
∠C  ° ,
두 등비수열  ,  의 공비를  라 하면
∠CB O   ° 이므로 ∠B O C  °
조건 (나)에서
∞  직각삼각형 O  B  C 에서 
O C   
O B  이므로



     ,
   
······ ㉠ 
B C      
B  O  에서  B  O  이므로
∞  
 B O    , 
A B    B B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가))

  
  한편 두 그림  ,  에서 새로 색칠된 부분의 닮음비는



  

       ( ∵ 조건 (나))

두 삼각형 A  B  C , A  B  B  의 닮음비

 
   A B   
A B     
     과 같다.
따라서    에서    이다. 
  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므로
 
이때 ㉠에서    이므로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두 그림  ,    에서 새로 색칠된 부분의
   ,    ( ∵ 조건 (가)) 

닮음비도    이고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넓이의 비는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은 첫째항이     
     이고 공비가  인
 
   

   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이다.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③
이므로 수열     은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다.

 011
∴          


 


    
lim    에서  이 아닌 값으로
답 →∞   

수렴하므로 (분자의 차수)  (분모의 차수)에서
   ,  ≠  이다.
010       
  
그림  에서 반원의 중심(선분 B  A  의 중점)을 O  이라 하자.
lim    
 lim 
  
→∞ →∞


  

 
 lim     
→∞  
 


에서   

6 정답과 풀이
참고
 
∴        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  의
 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 하면
답 ②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은 최고차항의 계수가 (공차)×  인 에 대한 이차식이다.
012 
역으로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  이 에 관한 이차식
      (단, , 는 상수)
lim  
     lim 
  이고
인 경우 일반항        은 에 관한 일차식이고,
→∞ →∞       
이때 수열  은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lim  
       따라서 문제의
→∞
    에서 수열  은 공차가  ×  인 등차수열이고,
     
 lim    이므로      에서 수열  은 공차가  ×   인

→∞        
   
등차수열임을 알 수도 있다.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   이다.
→∞

답 ②
014
  
013 

  이라 하면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일 때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에    을 대입하여 얻은 값이 ㉠과 같다.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인 자연수)
  

 lim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답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15
  
    ······ ㉣ 점 Q 는 점 P 에서 직선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  
㉣에    을 대입하여 얻은 값이 ㉢과 같다. 따라서 원점 O 에 대하여
  삼각형 P Q O 는 ∠P Q O  ° 인 직각삼각형이다.
∴       (단,  ≥  인 자연수)
  
이때 
O P      이고,
    
∴ lim   lim      점 P    과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 
PQ   이므로
답  

Ⅰ. 수열의 극한 7
 
OQ  
  

OP  
PQ
  B  C       , 
A B    A  C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삼각형 A  B  C  의 넓이는


답 ①  ×  ×  
 이고,

또한 이 삼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 이므로

016 삼각형 A  B  C  의 넓이는

       라 하고   를    로 나눈 몫을  
 ×  ×        이다.

   라 하면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lim 

(ⅰ)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이므로  lim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답 ②
→∞  →∞

(ⅱ)    일 때

      018

lim   lim    

→∞  →∞
조건 (가)에서    이고
(ⅲ)    일 때
  
     ,      이므로 조건 (나)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일 때     
→∞  →∞ 
 
(ⅰ)~(ⅲ)에서 lim  이 양수로 수렴하는 경우는    일 때      
→∞

 
   ,    이다. 
   일 때     
∴     
답  
   일 때    
 


017    일 때   

 

A   
   , B    , C   
   에서 ⋮

8 정답과 풀이

     두 이등변삼각형 A  B  C  과 A    B    C    의
∴ 


         ···
 
       

닮음비도    이고
 
  
  
 
  넓이의 비는           
   

이다.


 
따라서 수열   은 첫째항이  , 공비가  인
 
다른풀이
등비수열이다.
  
(가)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나)에서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답 ③
   일 때
     ······ ㉡

   020
㉡÷ ㉠에서    이므로
   
P     , Q     ,
수열    은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다.  
P          , Q  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수열  은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인
     

    × 

P Q   
P   Q     × 

등비수열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②   


   ×  
 

     

019
  

직각삼각형 A  B  P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A B   
P A  sin°   ×    
 이므로 lim 
 →∞


직각삼각형 A  A  B  에서

 
A A    , 

B A    , 
B C    이다.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C  × 
A A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한편 두 삼각형 A  B  C  , A  B  C  의 닮음비는     
 ×  
   
정삼각형 O P Q , O B  C  의 닮음비
이므로        에서
 
OP  
O B          과 같다.
        ,        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므로 ∴    (∵    )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답 ④

Ⅰ. 수열의 극한 9
021 024
lim      , 등비수열  의 첫째항을  (  ≤  ), 공비를  라 하면
→∞

lim       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 이므로    또는    ······ ㉠
 
 
한편,    에서    이고
022  
 
㉠에서    이면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고
 
∞ 
급수   가 수렴하므로  

  
㉠에서    이면    이므로  ≤  에 모순이다.

lim 
→∞ 

 

    에서 lim 
→∞ 



따라서 등비수열  의 첫째항은  , 공비는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④
 

답 ④

025
023 조건 (가)에서        ×   이므로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조건 (나)에서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lim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lim    ,
→∞       lim 
× 
   

 
lim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lim    이다. 답 
→∞    답 

10 정답과 풀이
(ⅱ)    일 때
026
           
수열 log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  이라    lim  
→∞    
하면 (ⅲ)    일 때

   log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log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  log 

참고

  
(ⅰ)~(ⅲ)에서           이다.
이므로
   일 때, log      log  이고 
 

   
함수    가    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 ≥  일 때,
log          lim    lim       에서
→  → 

   
  log    log 
    
lim       lim   
→  →  

      
   log    log 
     
∴    또는   
 log     log 
 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은
   

 log  × 
   
  답 ④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이때 수열  은 첫째항이  ,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므로
 028


∴ 

  
 곡선       와  축의 교점의  좌표는
 
            에서
답 ③

   또는    이므로

참고

013번의 참고 를 이용하면  

P    이고, Q      이다.

 
  log   log  
     ×  ×    
  
log 
 log  log
     
 
  

 
에서 수열 log 은 첫째항이 log이고 공차가 log  인

   
등차수열임을 알 수도 있다. 
 
lim  
 lim  
→∞    →∞   

  
 lim  
→∞   
027   
  
(ⅰ)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답 

Ⅰ. 수열의 극한 11

A B   
029 A B  와 같다.
이때 다음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 A  B  C  D  에서
조건 (나)에서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두 점 H  , F  을 이은 선분이 두 선분 A  D  , B  C  와
         를 만족시키고
만나는 점을 각각 P  , Q  이라 하자.

조건 (가)에서    ,    이므로


수열  은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다.

 

∴   
  
한편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 라 하면


정삼각형의 높이는   이므로 
 A  P    라 하면
  두 삼각형 E  A  H  과 H  P  A  는 서로 닮음이므로
    에서    
  이다.
 

H  P    이고

 
이때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  이므로
 두 삼각형 H  D  G  과 H  P  D  도 서로 닮음이므로

 
   
P D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이때 정사각형 A  B  C  D  의 한 변의 길이는
∞ ∞
 

 

 
∴ 

 


A D        이다.


 또한 두 삼각형 E  B  F  과 F  Q  B  도 서로 닮음이므로
   
     Q F    이다.
 
 
 ∴ 
H F   
H P   
P Q   
F Q 
답 ④

H P   
A B   
F Q 
       

030 이때 
H F   
A  B  이므로

정사각형 A  B  C  D  의 한 변의 길이가  이므로    에서    이다.

넓이는  이고 따라서 정사각형 A  B  C  D  의 한 변의 길이는

네 직각삼각형 A  E  H  , B  E  F  , C  F  G  , D  G  H  의    이므로

넓이는 각각  ,  ,  ,  이다.  
A B   
A B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므로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두 정사각형 A  B  C  D  과 A    B    C    D    의


닮음비도    이고 넓이의 비는

      이다.

          


한편 두 그림  ,  에 새로 색칠된 부분의 닮음비는 따라서 수열   은 첫째항이  , 공비가  인

두 정사각형 A  B  C  D  , A  B  C  D  의 닮음비 등비수열이다.

12 정답과 풀이
033


∴ 

  
 
 
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답 ⑤

   
    
 


이므로

031 
 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lim      에서

 
 이때

 
 
   

lim    이다. lim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lim   lim 
→∞     →∞ 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 


lim    이다.
 ×  →∞ 
   
 
답 ②
답 ③

032 034
      에서 ······ ㉠
 


등비수열  이 수렴하려면
    일 때        ,
 즉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또한 ㉠의  대신    을 대입하면
∞ 
등비급수



     
   이 수렴하려면           ······ ㉡

 ≥  일 때 ㉡ ㉠에서
(ⅰ) (첫째항)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에서   

(ⅱ)    (공비)   인 경우       이다.


      ,  
 따라서 수열  은 첫째항이   , 공비가   인
 

      등비수열이므로

 
∴ 
(ⅰ), (ⅱ)에서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에서 구하는  의 값은  이다.
 
   또는      이므로
 
구하는 정수  는   ,  ,  ,  ,  ,  로  개이다. 이때 수열  은 첫째항이    , 공비가  인
 
답  등비수열이므로

Ⅰ. 수열의 극한 13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
답 ①

035
037
이 공장에서 처음 생산된 비닐은  (톤)이고
함수    는 함수   의 역함수이므로

어느 공장에서 만든 비닐은 생산량의   , 즉  이
 두 곡선      ,     는 직선    에 대하여
 대칭이다.
수거되고 그 중에서   , 즉  이 재활용되는 과정이
 따라서 두 곡선      ,      가 만나는 점 P  은
한없이 반복되므로
곡선      와 직선    가 만나는 점이다.
  
수열  은 첫째항이  ×  ×    , 공비가
  

 인 등비수열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정식     에서
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6 
     
       
실수  의 값에 관계없이 
P     이므로
 
  

  
부등식        ≥  이 성립하려면      
  
  
O P   
× 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의   
판별식을  라 할 때,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이므로 구하는 정수  의 개수  은  

 ×   

     이다.
답 ②



 

     

  038
 
 
 
  
     
직선    이 곡선   log   와 만나는 점의  좌표는


                ··· log     에서    이다.

∴ P     , P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Q    , Q        이므로

  
  

P  Q    , 
P   Q        , 
Q Q      ,
    

14 정답과 풀이
 
P 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P Q   
P   Q     
Q Q     
P P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P  O Q  은 직각삼각형이고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O P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lim     


 
 
  
P H 
     

Q P  

  

       
 

H O 
P O 
  

답    
∴ lim     lim  
→∞ →∞    

039

 
 
 lim     

 
원점 O 를 지나고 원           에 접하는
→∞

 

 

기울기가  인 답 ⑤

접선의 방정식은     이고,

점   과 직선       사이의 거리는 040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
   과 같다. 그림  에서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MN   이다.
     
즉,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한편 두 그림  ,  에서 새로 그린 반원의 닮음비는
         ,
새로 그린 직사각형의 닮음비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그림  에 새로 생긴  개의 직사각형에서 짧은 변의 길이를

  (      )라 하면 긴 변의 길이는  이다.
∴ lim     lim
→∞ →∞
  

  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의 한 꼭짓점인 호 BN 위의 점을 P 라

 하고,



  점 P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라 하자.

 lim 
→∞ 
 

 
    


다른풀이 직각삼각형 P Q M 에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하여


  
원          의 중심을 Q  이라 하고,           
원점 O 를 지나고 이 원에 접하는 직선의 한 접점을 P  ,         ,        
점 P 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 이라 하자. 
∴    (∵      )

Ⅰ. 수열의 극한 15
직사각형 ABCD 와 그림  에서    
     에서   
 

새로 그려진 직사각형의 닮음비는    이다. ∴         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므로 답 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두 그림  ,    에서 새로 그려진 직사각형의
043

닮음비도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넓이의 비는   
  
 
    이며

  ×    ×    ×   ···      
개수는  배이다.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은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    인  


  

               
 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다.   

 이므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 
∴ lim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답 ⑤
 
  
∴ lim 
→∞ log   ×  × ··· ×  

041   
 lim 
∞   →∞        




  이므로 lim    이고
 →∞
  

∞  


   이므로 lim    이다.
→∞




    
 다른풀이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답 ④
log        이다.
log   ×  × ··· ×  

042  log    log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에서  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  
∴ lim 
   →∞ log   ×  × ··· ×  
     이고,    이다.

   
  lim    
     에서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이면    에 모순이므로   
 답 

16 정답과 풀이

044   
sin   sin   ···   ,
  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sin   sin   ···   에서
     
     이므로
  수열 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구하는 값  은


  
   
  
 
 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 인 등비급수와
 
      
이때 lim    , lim    이므로 
 
→∞   →∞   첫째항이 
이고 공비가   인 등비급수의 합과 같다.
 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lim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 답 ③

045 047

   의 양의 약수는 곡선    과 직선    가 만나는 점의  좌표는

 , 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   
집합   의 원소의 개수는    이다. 
따라서 집합   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    
 또는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두 점   


   
  과 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이다.
     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①
답 

046 048
등비수열  은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  
함수 sin  의 주기는  이므로 첫째항을  (    ), 공비를  (    )라 하면

sin  sin  ···   ,    ×    이다.

Ⅰ. 수열의 극한 17
     
lim 
 ×  ×      × 
 lim  049

→∞  ×    →∞  ×   

 점 A  은 직선    와 직선       의 교점이므로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에서    , 즉 A     이다.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B     이므로 직선 B  A  는      이다.

 
 
(ⅰ)      , 즉      인 경우  
  따라서 점 A  는 두 직선      ,       의
 

     이므로
lim 
→∞ 
교점이므로
  
         에서 점 A  의  좌표는    이다.
  
    
 

lim    이다.


  
→∞ 

 
(ⅱ)    , 즉    인 경우
 

    이므로
lim 
→∞ 

점 A 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 이라 하자.

  
  
    이때 직각이등변삼각형 B    A  B  에서
  
lim        이다.

   
A H   
B   H   
H  B  이다.
  
→∞ 

두 직각이등변삼각형 B  A  B  , B  A  B  의 닮음비는
 
(ⅲ)    , 즉    인 경우


 
B H    
  
 
B  H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므로

lim 
→∞ 
두 직각이등변삼각형

 B    A  B  , B  A    B    의 닮음비도    이고
  
  
 
lim   ∞ 이다. 
→∞
  



넓이의 비는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따라서 수열   은 첫째항이  , 공비가  인
(ⅰ)~(ⅲ)에서 lim    를 만족시키는  
 
→∞  ×   
등비수열이다.
   
경우는    일 때이므로      에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답 ②
     ×    
  
∴ 

   





050
  ×   
 방정식  sin    에서
 

 

sin   또는 sin   에서
  

18 정답과 풀이
   
     또는      이고 (단,  은 정수)      ,      일 때
   
곡선    sin  와 직선    은 그림과 같다. cos   이어야 한다.
따라서 양수  의 최솟값은

   
cos     에서    
  
   이다.
답 

(ⅰ)  ≤  sin    일 때
 
         이고
 
051
등비수열  의 공비를  라 하면
 sin     
   lim  

→∞  sin    
   ,    에서

(ⅱ)  sin    일 때

   
     또는       이고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lim  
 한편  ≥  일 때    ,    의 등비중항은  이므로
→∞    
        이고
(ⅲ)  sin    일 때
  수열 의 공비는  이다.
          이고
  ∞ ∞

 sin   
 ∴ 

        



 sin 
  lim    sin   
→∞  
 
 sin    
(ⅰ)~(ⅲ)에서  이 정수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③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052
이다.
∞   
따라서 함수   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급수 


이 수렴하므로


lim 
→∞      
 lim      에서
→∞   
lim   
→∞

 
  
급수    이 수렴하므로
이때 함수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에서 lim   
→∞    →∞
에서 불연속이므로
∴ lim          
함수       cos 가 모든 실수  에서 연속이기 →∞

위해선 답 

Ⅰ. 수열의 극한 19
조건 (나)에서
053
 ×   
두 수열  과  이 수렴하므로             ⋯    

lim     lim    (단,  는 실수) ······ ㉡
→∞ →∞
이므로
lim     lim    (단,  는 실수)라 하자.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이때

lim     lim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lim 
 



 lim    이므로

→∞ →∞    →∞ 


답  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054 lim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056
   
 lim  원        과 직선    
 의 교점의  좌표는
→∞    
 에 대한 방정식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이므로
 lim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이때 점 A  은 제 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답 

055
조건 (가)에서
    
            ···   ······ ㉠

20 정답과 풀이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이므로 수열  은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lim     
  
       

답 ②
 
 이 홀수일 때            이고,
 

057  
 이 짝수일 때            이므로
 
수열  은 첫째항이  이고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수열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②
 , ,  
 , ,  
 , , ,   059
⋮ ⋮ ⋮
       에서
따라서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일 때    ,
         일 때    이다.
∴ lim   lim   
→∞     →∞  (ⅰ)  ≤  ≤  일 때
답 ①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  
058   lim 
→∞    
  
      에서

 lim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Ⅰ. 수열의 극한 21
(ⅱ)    일 때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므로

 ×    ×    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lim   
→∞    두 그림  ,    에서 새로 그려진 모양의
(ⅲ)  ≥  일 때 
닮음비도    이고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 lim 
     넓이의 비는   
       이며

→∞    
 
개수는  배이다.

   
 lim 


 
  

따라서   은 첫째항이      
 이고,

→∞
 

    
공비가  ×    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 
       합이다.
(ⅰ)~(ⅲ)에서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④

 
답 

060
그림과 같이 그림  에서 호 AD 와 호 CB 가 만나는 점을
P 라 하자.

선분 P C 와 선분 P D 는 두 선분 AD , CB 를
각각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반지름이므로 길이는 각각  이다.
따라서 삼각형 CP D 는 정삼각형이고
부채꼴 CP A 와 부채꼴 D P B 는
모두 반지름의 길이가  , 중심각의 크기가 ° 이다.
즉, 호 AP , 호 BP , 선분 AB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두 그림  ,  에 새로 색칠된 모양의 닮음비는

 
AB  
AC         과 같다.

22 정답과 풀이
    sin     에서 ′    cos 
Ⅱ 미분법 이때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   ′   ′   이므로
∴ ′    ′  ′ 
061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답 ④

 ×  
답 ⑤ 065
    sin ,     cos 에서

062 



   sin  cos ,     cos  sin

  
sec     (      )이므로
cos   
   cos  sin
∴   
      sin  cos
cos   , sin   이다. 

 
cos  sin

  
∴ sin     cos   
    
sin  cos

  이 곡선 위의 점   은

 
 
 
  cos    sin   cos    sin
         sin   에서 sin  
  
 sin      일 때이므로 ( ∵   ≤  ≤  )
  
답 ⑤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 cos  sin 
      이다.
  sin  cos 
063 답 ③

       에서
 
 ′       이므로
 
066
 ′ ln   ln    ln      
    ≤        ≤  tan 에서
함수   의 역함수가   이므로    tan
 ≠ 일 때  
≤ ≤  이다.
        
∴ ′  ln    
 ′ln 

이때 lim   ,
답 ④ →

 

lim 
tan

tan
 lim  × 
 

 ×   
064 →    →  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에서   
lim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④

Ⅱ. 미분법 23
067 ∴     (∵     )
따라서 점 P 가 직선    와 만나는 순간의 가속도는
점 A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A′ 이라 하고,
 ×   ×   즉,   이므로

∠AO A′   라 하자. (단,      ) 
구하는 가속도의 크기는        
 이다.

답 ③

069
두 선분 AP , BC 의 교점을 Q 라 하자.
 
∠Q AC     이므로 ∠CQ A  
 

AB  sin 이므로 
BQ  sin  

AC  cos 이므로 
AQ  sin cos  , 
CQ  cos 
직각삼각형 O A′A 에서

PQ  
 

AA′   ∴  CP   CQ
sin     , cos   이고

OA      cos 

이때 ∠AO B   이므로    cos   cos 

 sin     cos  
 


O B × cos   
   sin    cos  ( ∵ sin   )

  
  × cos  cos  sin  sin
   


    × sin    cos   sin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cos   cos  


O B × sin   
   ∴ lim 
  

→  

 


  × sin  cos  cos  sin
   lim 

sin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cos  

 
sin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⑤
∴    
답 

068
   070
      에서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  이때  ′ ≥  이므로
 
점 P 의 시각  에서의 가속도는     이다. 함수   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고,
한편, 점 P 가 직선    와 만나는 시각을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의 좌우에서  ″ 의 부호가 바뀌므로
         ,          
곡선      의 변곡점은         이다.

24 정답과 풀이
또한 lim         이므로 
  cos 
→  ∞  

∴  
함수  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    cos 
따라서 구하는 점  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  cos   
  
     

  cos 
  
답 ③

073
한편, 직선    는 원점을 지나고 기울기가  이므로

    cos 에서     sin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가 성립하도록 하는 
양수  의 최댓값은 원점에서 곡선     에 그은 접선의 
   sin 에서    cos 이므로
기울기이다. 

이때 접점의  좌표를  (    )라 하면 점 P 의 시각  에서의 속도는   sin  cos 이다.



   
  
  ′ 이므로


시각    에서 속도는      이고
  
 

      속력은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따라서    이므로 상수  의 최댓값은  ′   이다.   
     ,   
 
답 ①
∴    (∵    )
답 ③

071
        에서 074
 ′        , 함수    가 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  lim     
→
이때 변곡점의  좌표가  이므로

   의 좌우에서  ″  의 부호가 바뀌어야한다. 즉, lim 

  에서 (단,  ,  는  이 아닌 상수)
→  
즉,  ″       
 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고
∴      →  일 때 (분자) →  이므로 (분모) →  이어야 한다.
답 ②
lim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lim   lim 
072 →

 
→  
 


sin       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에서    이다.

  ∴ 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답 ⑤

Ⅱ. 미분법 25
075 



    ln      ln 에서   

   
lim 
→ 
  에서
 

이므로 점 R 의 좌표는 R      ln 이고 
(분모) →  이므로 (분자) →  이어야 한다. 점 R 와 직선 P Q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      , 즉    




 
 
ln     ln   이다.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P Q R 의 넓이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다른풀이


  ×  ′     ln 에서 ′   이므로

∴  ′   곡선   ln 위의 점 P  ln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한편,     sin    이므로 
 이고
  
  sin    sin     이고,
 
′    sin   × cos   ×  ′ 에서
 
곡선   ln 위의 점 Q   ln 에서의 접선의

′  sin  × cos  ×  ′ 기울기는   이므로

  두 접선은 서로 수직이다.
 sin  × cos  × 
   
즉, 삼각형 P Q R 는 빗변 P Q 의 길이가      인
   
 
  × × ×   
  직각삼각형이다.

∴   ′      
 
답 

076
곡선   ln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이  축의 양의 방향과

  ln 에서 ′   이므로 
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 )라 하면

곡선   ln 위의 점 P  ln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tan   이므로 cos    , sin   이고
       ln 에서        ln  
 

 
  
PR 
 P Q × cos   ×  

 
곡선   ln 위의 점 Q   ln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QR 
 P Q × sin   ×  
 

       ln 에서       ln

  

∴  삼각형 P Q R 의 넓이  × 
PR× 
QR

  
 × × 
 
 



이때 두 접선의 교점의  좌표는 답 ②

26 정답과 풀이
077 079
      에서   
조건 (가)의 lim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cos 

곡선      위의 점 P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분모) →  이므로 (분자) →  이다.
 
          이다. 즉, lim     이므로 이차식    는    를 인수로
→
 
이때 이 접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은 Q     이므로
갖는다.
삼각형 O P Q 의 넓이를   라 하면
          (단,  ,  는 상수)라 하자.
 
    ×    ×       에서 이때      라 하면  →  일 때  →  이므로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cos 
 

            
  lim 
   일 때  ′    이므로
→ 
cos   
 
 
   에서 함수 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  
같다.  
 
 lim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극대 ↘
    
따라서 함수      는    에서 극대이자 최대이므로      ······ ㉠
 조건 (나)에서      이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   
이다.

         에서
답 ④
     ······ ㉡

㉠, ㉡에 의하여    ,   

078 
따라서         이다.

조건 (가)에 의하여 함수   의 역함수는   이다.
∴    
조건 (나)에서     이므로     ,
답 ②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때    
   라 하면 080
′  
′    두 점 A , D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 I 라
   
하자.
 
∴ lim    lim
  
HI 
AD   이고, 
BC   이므로
→        →     

BH   , 
CI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AH  
D I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 이때 ㉠을 대입하면      ······ ㉡

Ⅱ. 미분법 27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이고 이때 삼각형 ABE 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 점 B 에서 선분 AE 에 내린 수선의 발을 B′ 이라 하면
AH        


BB′  
한편 점 E 는 선분 BC 를 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  
AB  
AB′      
    


BE   , 
EC   이다. 따라서 점 E 는 점 I 와 같다. 점 A 에서 선분 BE 에 내린 수선의 발을 A′ 이라 하면

 삼각형 ABE 의 넓이   × 
BE × 
AA′


 × 
AE × 
BB′

에서  × 
AA′  
 × 
 이므로

AA′ 
EF  

직각삼각형 BFE 에서
따라서 두 직각삼각형 EFB , AHD 에서  
cos   , sin   ······ ㉠
 
 
 
sin  cos      ,
  한편 점 C 에서 직선 AD 에 내린 수선의 발을 C′ 이라 하면
 
cos  sin       이다.
  
CC′ 
AA′   
 이므로
 
직각삼각형 CC′D 에서

또한 
AC    
      
 이고 
C′D   
   
CD  
CC′    
    
   
평행선의 성질에 의하여 ∠ACI  ∠CAD   이므로
이때 
AC′ 
AD  
D C′      
직각삼각형 AHC 에서
직각삼각형 AC′C 에서
 
sin    , 
AC   
    

   AC′  
CC′     
    

  이므로
cos     이다.

  
   
 
cos     , sin     ······ ㉡
∴ sin     sin cos  cos sin 
   
  
   
  ㉠, ㉡에 의하여
 ×  × 
    ∴ sin     sincos  cossin
     
  ×  ×   
     
답 ⑤
다른풀이


BC   이고 점 E 는 선분 BC 를    로 내분하므로

081
BE   , 
EC  
   
이때 사각형 AECD 에서      에서

두 선분 AD , EC 는 서로 평행하고
              

AD  
EC   이므로 평행사변형이다.  ′    

  
따라서 
AE  
CD  
   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⑤

28 정답과 풀이

082 lim 
→

  cos   

sin   sin      sin cos  이므로 
  cos    
 
 lim 
 
방정식 cos   sin     에서 → 
cos   sin cos     , cos   sin       cos 
 lim  
→     cos    
  
 
cos    또는 sin   또는 sin  

 ≤  ≤  에서
   lim 
→

  cos 

×


  cos    
  
 
   × 
방정식 cos    의 해는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방정식 sin   의 해는     또는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에서
방정식 sin   의 해는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모든 해의 합은 ∴          
      답 ②
               
     

다른풀이 084
방정식 cos   sin      에서   cos ,   sin   에서
cos   sin  cos   sin     
  cos ×  sin ,   sin  cos 
 
sin   cos  또는 sin   cos 

구하는 해는 곡선   sin    ≤  ≤   가  
 sin   cos  
∴       tan
곡선   cos  또는 곡선   cos  와 만나는 점의   
cos  ×  sin 


 좌표와 같다.

이때    에 대응하는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  tan    이고
  
곡선 위의 점의 좌표는
    

  cos    ,   sin     에서
따라서 그림의 대칭성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해의 합은    
 ×    이다.  

답 ④

 
   

이므로

  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083 
즉       이다.
 


  cos     

lim    에서 이 접선의  절편은  
 ,  절편은  이므로
→   
(분모) →  이므로 (분자)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즉, lim 
  cos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답 

Ⅱ. 미분법 29
085  ′           
 ′   이고
함수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
lim    에서 (분모) →  이므로 (분자) →  이다. 함수    는     , 즉    에서 미분가능하지
→ 
않다.
즉, lim   이다.
→ ∴   

 
이때 함수    tan    는    에서 연속이고
  ∴         
답 
함수    는       에서 연속이므로
합성함수    는    에서 연속이다. TI P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가 역함수 를 가질


따라서    이므로
때,   라 하면 역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     
lim   lim   ′   ······ ㉠ ′   (단, ′ ≠)
→  
→ ′
가 성립한다.
 
 ′    sec    에서
  위의 식을 바탕으로 ′의 값을 구할 수 없을 때는
(ⅰ) ′의 값을 정의할 수 없거나,
 (ⅱ) ′  인 경우
 ′    sec    ×  
 
   이고
 이다. 이때 함수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ⅰ)은
가능하지 않고, (ⅱ)를 생각해주어야 한다. 이때 함수    위의
′   ′   ×  ′  에서
점  에서의 접선은 축과 서로 일치하거나 평행하고,
′  ′   ×  ′  ′  ×  ‘역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것과 같으므로
이므로 ㉠에서 ′   함수   의 그래프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은 축과 서로
일치하거나 평행하다. 미분계수의 정의를 생각할 때, 축과 평행한
 접선이 생길 때 그 점에서의 미분계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 ′    
 ′  일 때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답 ⑤

참고

086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이때 함수   가 역함수    를 갖기 위해서는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이어야 한다. ······ ㉠
한편,     라 하면
역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    (단,  ′ ≠  )
 ′
함수  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087
′  의 값이 존재하지 않기 위해서는 직각삼각형 O BA 에서
 ′    이어야 한다. TI P 
AB  
O A × sin  sin ,
이때 ㉠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
OB  
O A × cos   cos 
방정식         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
정사각형 ABCD 의 넓이는 
AB  sin 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부채꼴 O AP 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삼각형 AO B 의 넓이는  × sin × cos  이므로
∴    (∵    ) 

30 정답과 풀이
     정사각형 ABCD 의 넓이 
따라서 함수   는    에서 최댓값    

  부채꼴 O AP 의 넓이 
  삼각형 AO B 의 넓이 가지므로


 
 sin       sin cos 
   점 P 의 속력의 최댓값은  
    



  이다.

  답 ③
 sin       sin cos 
 
 
 ′    sin cos      cos   sin  
 
089

   
∴  ′        
   ∠D AB   라 하면 ∠D O B   이다.
답 ④

088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직각삼각형 O BC 에서

               
BC 
 tan       이므로

OB 
이므로 점 P 의 속력은
ta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tan   
 
이때            이라 하면
tan    tan     ,
    
 ′           
tan  tan    
 
     

 ∴ tan   ( ∵ tan   )
   또는    일 때  ′    이므로 

또한, 직각삼각형 ABC 에서
   에서 함수 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BC 
같다. tan         이다.

AB 

 () ⋯  ⋯  ∴ tan  tan       

′       tan      tan

 ↘ 극소 ↗ 극대 ↘   tan    tan

lim    , lim    이고  


 
→ →∞   
  
   
함수   는    일 때 극소,   × 
  
 답 ③
   에서 극댓값      를 가지므로

함수  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090
함수       ln 의 정의역은      이고
  
′     ′  ln  

     , 즉  ln   에서
     또는    이므로

Ⅱ. 미분법 31
조건 (가)에 의하여
         (단,  ,  는 상수)라 하면
  
∴ lim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ln     이므로 
ln
조건 (나)에 의하여

     에서        ······ ㉠  ln  
ln
   
′     ′  ln     ′     이므로 답 ③
 
조건 (나)에 의하여
 
 ′       에서      
 
······ ㉡ 093

 두 직선     ,    가 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 ㉡을 연립하면   
,    이므로 

예각의 크기를 각각  ,  라 하면

        
 tan   , tan   이고

∴     

답       에서     

tan  tan
∴ tan   tan     
  tantan
091 
 
  
 


 
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답 ②

즉,     
∴ 
094
답  함수     ln

 ≥ 
    
에서

두 함수    ln ,       라 하면


092 
′     , ′       이고


   라 하면  → ∞ 일 때  →   이므로
 함수    가  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     에서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이다.
 lim 
→  

 lim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ln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이때       log   에서 함수     의    에서의 미분계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이므로
 ln 답 ②

32 정답과 풀이
095 
부채꼴 BO C 의 넓이는  ×   ×    이고,

함수     의 그래프 위의 점    에서의 삼각형 BO C 의 넓이는
접선의 방정식이      이므로  
 ×  ×  × sin     sin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 ′        ×    이고,
    이다. 이때 삼각형 ABC 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따라서 곡선 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
BC
   이므로
방정식은      sin

∴          
답 ③
원   의 넓이는  ×  

BC  
  sin 

  sin  
∴        sin    
 
096  ′    cos   sincos
sin
함수     (      )의 도함수는
  cos

 
∴ ′          

cos  ×   cos    sin × sin 답 ④
 ′   
  cos 


cos  
  cos
( ∵ sin    cos    ) 098
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sin   sin cos   cos 
  
     일 때 함수  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 
  sin   sincos  sin  
 
다음과 같다.
 cos   sin   
 () ⋯  ⋯ ()
 
′       sin   sin  sin      sin  
 
 ↗ 극대 ↘
 sin   sin    sin  

따라서 함수    는    에서 극댓값 sin   (   ≤  ≤  )라 하고,

            이라 하면
sin   
 




  cos 

        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일 때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에서 함수 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답 

  ⋯  ⋯ 

097 ′   

 

  ↗  ↘ 
원   의 중심을 O 라 하면 ∠BO C   이므로 

Ⅱ. 미분법 33
따라서 함수   는
 
   일 때 최댓값    을 갖고,
 
   일 때 최솟값    을 갖는다.
 
∴     ×    
 
선분 CD 의 중점을 H 라 하면,
답 ②
   

OH   
     이므로
 

OH 
099 

OE
 sin 에서 
O E  ,
sin

             이라 하면 
OH 
  tan 에서 
EH  

EH ta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AE  
AO  
OE   ,
sin
에서    또는    일 때  ′    이므로
  

함수 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E  
CH  
EH     이고
 tan
 ⋯  ⋯  ⋯ 
    × 
AE × 
CE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sin  tan 
또한 lim     ∞ , lim     이므로 ∴ lim  ×   
→  ∞ →∞ → 

함수  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lim  ×        sin
sin  tan  
 
 lim            
     sin

→  sin  tan 

   
 × × ×   
   
∴     
답 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가  이 되도록 하는

상수  의 값의 범위는        이다.
 101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sin   
답 ①
 lim 
→ 
   sin 
 lim 
→ 

100 sin    sin 


 lim 
→ 
선분 AB 의 중점을 O 라 하면 
CD   이고

OC 
O D   이므로 →

sin 
 lim  ×   sin 
 
삼각형 O CD 는 정삼각형이다.   ×     

34 정답과 풀이
다른풀이
104
        sin  라 하면
P     이므로
    이므로
      점 Q 의 좌표는 Q     이고,
      
lim   lim 
→  →  점 R 의 좌표는 R   이다.
 ′   따라서 삼각형 P Q R 의 넓이는
이때 ′    sin     cos 이므로  
   × 
PQ × 
Q R      
 
∴ ′         
답 ①      
∴ lim   lim 
→   →  

102  lim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답 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이때    와    의 좌우에서  ″  의 값의 부호가     
lim    에서 (분모) →  이므로 (분자) →  이다.
→ 
변하기 위해서는
즉, lim     에서     이므로
 ″    에서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실근이  와  이어야 한다.      
lim    ′    이다.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값은 → 

  이때 두 함수    와    는 서로 역함수이므로

답 ④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lim    에서
103 →  
(분모) →  이므로 (분자) →  이다.

  ln    ,       에서
 즉, lim      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이다.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① 답 ①

Ⅱ. 미분법 35
106 

∴ sin  sin   
 
    
 sin  cos   cos  sin
lim  의 극한값이 존재하고,
→   

 →  일 때 (분모) →  이므로 (분자)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따라서 lim           , 즉   
→ 답 ②
 
     이라 하면

108
 
′     × ln ×  ′  이고
 
      이므로
조건 (가)에서
 
       
lim   lim      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이므로    을 대입하면
 ′ 
 ′   ′ 에서  ′   
   × ln ×  ′ 
조건 (나)에서
  ′ ln 
       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따라서 함수      의 그래프 위의 점   에서의
   을 대입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 이므로
 ′     ′   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즉      이다.
 ′    ······ ㉠
이때 접선      은 점   를 지나므로
한편, 조건 (나)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답 
㉠÷ ㉡에 의하여
 ′    
107 
  


 ′
cos   cos    sin  sin   ∴  
  
 cos   sin   답 ④
 cos  cos    sin sin  
 cos    sin   
   cos   
109
 
   cos       O A   에서 
AB  tan , 
O B   이고
cos 

   
   cos    ( ∵      )


OC  
AB 이므로

     sin
   sin   BC    tan   이다.
 cos  cos 

 
∴ sin       × 
BC × 
OD
 

    sin
이때  와  는 모두 양수이고,      이므로  × × 
  cos 
    sin
     에서 cos    
  cos 

36 정답과 풀이
  
이때      라 하면      이고 tan  tan 


 
 

tan        이므로



  tan × tan 
tan  
  tan
 →   일 때  →   이다. 

tan   
    에서 tan  
  
∴ lim   lim 

  sin   
   tan   
∴ tan    
 
→     
 
→  
 cos   
   답 
  cos 
 lim 
→   sin
112
→  

   cos 
 lim  × 
 
×

sin           를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답 ①    
∴ ′   (단,    ≠  )
  
이때 곡선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110 
 이므로

        (단,  ,  는 상수)라 하자.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 접선이 점    을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답 
함수    가  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      을 만족시키고
 ′   ′  에서 113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ln  이라 하면

함수    는    
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 ′  ln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ln    ,   
 
     
 
즉,    의 좌우에서  ″  의 부호가 바뀌므로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
변곡점은   이다.



답  
이 변곡점이 직선     위에 있으므로

 
111 

  × 

∴ 
 


  


cot      에서 tan      이고,
   답 ①

Ⅱ. 미분법 37
114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    

함수   의 역함수가   이므로 ∴ 


    라 하면     이다. 답 
tan
즉,    에서 tan  
 
∴    (∵       )
 
116
따라서     이므로 
(ⅰ)      일 때, cos   sin   이므로

          
lim 

  lim 
 sin
→ →      이다.
cos
  × ′
sin 



   
lim  
 ′

      lim 

sin    cos 
cos  
 cos 
 →   

 × 
 ′ × 
→∞
sin

cos 
 
  ′  sin cos 
 ′ ······ ㉠
  
    tan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tan × sec 이므로  


(ⅱ)      일 때, sin  cos    이므로
 
 ′      ×   
cos
      이다.
∴ ′       sin 
 ′ 
cos  
따라서 구하는 값은 ㉠에서  ×    sin   cos  
    lim 
sin 
 sin 
답  cos  
→∞
  
sin 
 ′   sin cos 
115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③
       

   
      

117
   
∠D BC  (      ) ( ∵ 
BC  
CD ) TI P
   또는    에서  ′     이므로 
   일 때, 구간   에서 함수    의 증가와 감소를 라 하고, tan   라 하면
나타내는 표는 다음과 같다. 직각삼각형 BCE 에서 tan       이므로

  ⋯  ⋯  tan      tan
tan  tan         
′       tan    tan
      
   ↗  ↘        ( ∵ cot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  는    에서 최댓값     를 갖고,      ,       


 
   에서 최솟값      를 가지므로 ∴  
 

38 정답과 풀이
직각삼각형 BCA 에서 tan         이므로 한편 삼각형 ABC 의 넓이는
tan  tan            
 × 
AB  
BC  
CA  ×  

tan        tan    

  tan      tan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AB × AC × sin   ×  ×  × sin
 
   
  

  sin
∴ cot     
이므로     
  cos  sin 이다.
답  
sin
∴    
TI P     cos
 
BC CD 이므로 이때      라 하면  →   일 때  →   이므로

CD     
  tan    이다. ∴ lim 

BC →   
sin   
× 
    cos  
 lim 
→     
 cos   

118 × 
sin
    cos
좌표평면 위의 점 P    에 대하여  lim 
→ 

     cos

점 P 의 속력은    
 



 


 ······ ㉠  lim  
 × sin
→      cos

   
점 Q 의 속력은  이고, 점 R 의 속력은  이다.
     lim 
→ 
 × sin
  cos

한편, 점 P 는 곡선       (  ≥  ) 위에 있으므로
  →  

 sin
 lim  ×  × 


  cos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답 ③
㉠, ㉡을 연립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120
(ⅰ)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sin    ≤  이므로
답 ③
≤  
sin   
   
≤


     

119 이때 lim 
  

  이므로
→∞  
삼각형 ABC 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
BC        ×  × cos
lim 
→∞

sin
   
  
  이다. 
 
  cos  (ⅱ)      일 때

∴    
CD    
BC    
  cos            이므로

Ⅱ. 미분법 39
 sin   

    
 sin    
    

sin
   sin

lim  
sin   
따라서   sin 이다.
→∞    
(ⅲ)        일 때

 sin   

    
 ×  
sin   
 
이고, 
    라 하면  → ∞ 일 때  →   이므로
sin    sin
lim   lim    에서
→∞   →  

sin
lim 
→∞

 
  
  이다. 
따라서 lim 
→∞

sin
   
  

    이다.

       
(ⅰ)~(ⅲ)에서     
sin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함수  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이때 방정식      의 실근의 개수가  이므로


직선    는 세 점   sin ,   ,  sin 을
지나야 한다.
∴   sin
답 ③

40 정답과 풀이
Ⅲ 적분법
   cos    sin  sin
 cos    sin   (단,  는 적분상수)

121   

이때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 cos    sin  
cos 
cot   이므로 sin   라 하면 ∴       
sin
답 ④
cos     이고
   
  일 때   ,   일 때   
    124
 

 주어진 식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co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이때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ln   ln 
 

 ln  

   ln
    ′       
 


    ln      (단,  는 적분상수)
답 ④
    이므로   
즉,      ln      이다.

122       ln         ln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답 




   
 125



   

  
단면의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

 ln   

이므로

    ln    
       
단면의 넓이는  ×  이다.
   
  따라서 입체도형의 부피는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답 ④ 
이때 ln      라 하면     이고

     일 때    ,       일 때    이므로
123
 
 
 
   
         sin 의 

   

    
         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sin    cos  에서 ∴   
 ′    sin   cos  이므로 답 ③

Ⅲ. 적분법 41
126

       








 
sin   에서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이고,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ln  
  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이므로      ln
  
 
  
sin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답
   
 



이때    sin , ′    



이라 하면


128
 주어진 조건에서
 

 ′
 
 cos  sin ,   sin   cos
 
 

   

 
sin
 

따라서 점 P 가    에서    까지 움직인 거리를  라
 

  하면
 


 sin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cos sin  sin   cos 
 
    



따라서 



 cos sin    sin  cos  
 

 



sin        이다. 
  

 
 cos sin cos   sin  
 
  

   
(가) :    
, (나) :     , (다) :   
   




 sin cos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sin   라 하면 cos    이고


   
답 ④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 




 

sin cos   
 

127

 



  
두 영역  와  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답 ③

42 정답과 풀이
129 131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함수 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③
 ↘ 극소 ↗ 극대 ↘

따라서 함수    의 극댓값은   , 극솟값은   이므로


  132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에서 ln   라 하면     이고,

      

  

   일 때    ,    일 때   ln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ln
  

     

     ln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ln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④

답 

133
130 

 



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구하는 곡선의 길이를  이라 하면
 

∴ lim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⑤ 답 

Ⅲ. 적분법 43
    cos 라 할 때,  ′    cos   sin 이고
134
 ′   ′    이고
단면인 반원의 지름의 길이가    이므로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cos  ≤  이므로,

     
  
단면의 넓이는  × 
      

 ≥  일 때  cos  ≤  이다.
따라서 그림과 같이 구간    에서 곡선    cos  는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  는

직선    보다 아래쪽에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간    에서 곡선    cos  와 직선    로

    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라 하면


답 ②   
   cos 



135   
   cos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sin   의     sin  
  
  sin 

 
          cos  
양변에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답 ⑤
    cos      cos  sin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137


   cos  cos     ×  sin  cos
   ≤  ≤  인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에서 
       이고



 
      sin  cos  
O A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cos  

   
  
따라서
답 ②


 
lim  
O A
→∞ 
136  
구간   에서 곡선    cos  와
 lim 
→∞    

  
  

직선    가 만나는 점의  좌표는   
 cos    ,  cos     에서

  lim 
 →∞    


  
      
   또는 cos     

∴    또는   

  
   

44 정답과 풀이
이때      라 하면     이고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다)에서 곡선      는 점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시 조건 (나)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답 

다시 조건 (다)에 의하여

138
조건 (나)의 좌변은
  
  
  ′ ln    ln   
 

 

따라서 닫힌구간     에서 함수      의

 
  ln   
 
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조건 (나)의 우변은 ln   라 하면     이고

   일 때  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     

 ln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ln   
 
  
 
 에서  

 따라서   ≤  ≤  일 때
  
 
   ln 이고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의 값은

조건 (가)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ln 모든 해의 합은             
답 
답 ③

140
139 조건 (가)에서

조건 (가)에서      일 때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은 적분상수)
조건 (나)에서 곡선     는 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Ⅲ. 적분법 45
이때  ″  의 한 부정적분은   ′  이므로


142
  
 ″     ′      (단,   는 적분상수)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단,  는 적분상수) ······ ㉠

 

한편, 조건 (나)에서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ln 
 

   

에서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시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
   
 
  
     
   143
답 ② 주어진 그래프에서 대칭성에 의하여
넓이가 같은 부분을  와 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41
cos  cos  
 cos   sin 
   sin  
이므로
 

 
 

cos cos  

cos   sin 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  

이때 sin   라 하면 cos   이고,   sin       sin  


 
   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  cos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다른풀이

   
 두 곡선    sin    ,     cos   는
     
   모두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  ≤  ≤  에서 두 곡선이 만나는 점의  좌표는
    
    
 ,  ,  이다.
답 ⑤  

46 정답과 풀이
이때 구하는 넓이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④ 답 

144 146
삼차함수                  의 주어진 식에서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 ′    
  
ln 이므로 
      
 

ln

ln ln
 
    
 


ln   라 하면     이므로

ln 
 
         

  
이때 lim 
→∞    



   
   
   이므로 ln 
     (단,   은 적분상수)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최솟값은 또한
ln ln 
 이다. 
      
   

답 
ln 
       (단,   는 적분상수)
 
이므로
145
ln ln 
 ≤  ≤ 일 때            (단,  는 적분상수)
  
     
   ln     ln     ln 에서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이때 주어진 곡선의 길이를  이라 하면 답 ③

Ⅲ. 적분법 47
따라서 ㉠의 좌변은
147  

      
sin     
   cos 
lim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sin  sin

이고 ㉠의 우변은
   

 
  
 
 
sin   cos     cos  

     
 
이때    sin    이고    sin    이므로
    
 
 sin  cos 
이므로
sin  sin  sin  cos 에서
 sin  cos
∴ sin   sin    cos   sin    

다른풀이

조건 (나)에서


  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sin  ······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cos   
    sin    sin 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단,  는 적분상수)
  
∴ lim 
→∞  
 
 
       

 이때 조건 (가)에서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다.

  ㉠의 양변에    를 대입하면
  
 

 
답 ②   

sin  이므로


148        (단,  은 정수)

   
      
조건 (나)에서  
sin    
sin  ······ ㉠ 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sin    sin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단,  는 적분상수)  
sin    sin      
 
 sin      cos 
 

이때 조건 (가)에서     이므로 

 ∴ sin   sin    sin   cos  
      이다.
 답 ③

48 정답과 풀이
이때 함수    cos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고,
149 함수   cos 의 그래프는 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높이가  일 때 단면의 넓이를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cos    ,
 

높이가  일 때까지 넣은 물의 양을   라 하면
 

 
 
 

    




 cos   

 cos 

 따라서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일 때의 물의 양에서 구의 부피   을 제외한 값이 즉,    에서    이고,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이므로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1

이때 모든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이므로  
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
   
답 ④ 

   

150  
  ln  
      (단,  ≠  )라 하면  

  ln
조건 (가)에서       , 즉      이다.
 답 ④
조건 (나)에서    라 하면    이고,
   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152

ln



   cos      ln 에서      이다.
 



 ln   라 하면     이고


     cos 



 
    일 때  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ln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cos 
    
 답 
 

Ⅲ. 적분법 49
한편,
153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cos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sin  ×   

위 식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cos sin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따라서  ′        cos  sin   이므로
 
sin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②
∴         
답 

154
EP   (  ≤  ≤  )라 하면 
 
P S      이므로 156

     에서  ′   × ln 이므로
사다리꼴 P Q RS 의 넓이를   라 할 때
 ′   ln

   ×  
PS  
QR× 
PQ 따라서 직선  의 방정식은    ln      이다.

곡선      와 직선  및 두 직선    ,    로
 

 ×       × 
  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ln     ln× 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ln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①
답 ④

157
155
함수      의 그래프는  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   cos   
    ′   의


방정식    에서      이므로

양변에    을 대입하면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만나는 점의  좌표는
      이므로      ······ ㉠     또는    이다.

50 정답과 풀이
(ⅰ)    일 때
158
         라 하면
     에서     ······ ㉠
     에서     이므로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따라서 부등식  
    
  를 한편  ′   이므로 


만족시키는 정수  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ⅱ)  ≥  일 때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부등식  
     
    를
 

∴    ,     
만족시키려면 

구간     에서      인 값이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 의 값의 범위는         이므로
정수  의 값은     ,     , ⋯ ,    이고,
그 개수는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에서   
(ⅰ), (ⅱ)에 의하여    이므로 이때 두 곡선      ,     는 직선    에 대하여
 
대칭이므로
  
  
두 곡선      ,     와  축, 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다른풀이
 


 
     log     
   

ln


    에서   ln , 즉    ln 이고

 
  
     log     
 ln    이때  와  를 서로 바꾸면    ln 이므로



   
ln 함수       의 역함수는     ln (    )이고

∴         

답   ′    , ′     이다.


Ⅲ. 적분법 51
 한편,      라 하면     이고,
       에서     ······ ㉠
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  이므로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참고


㉠, ㉡에서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두 곡선     ,    ln 는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곡선      ,      와  축, 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라 하면 
   의 좌우에서  ′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  
  



  

함수   는    에서 극대이자 최댓값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   

  
 

답 ④      
 

159
 
   
  × ×   ×   
     
답 ③
주어진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참고

위의 그림에서
위의 그림과 같이 함수   의 그래프에서
   일 때,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의 값은    일 때

최대임을 알 수 있다.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이므로 함수   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60

주어진 조건에서     이고,

점 B   에서 직선 O A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할 때,

52 정답과 풀이
직각삼각형 O HB 에서 ∠HO B      이므로


162
∠O BH    이다.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삼각형 O A B 는 
OB 
A B   인   
     
   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
O H  sin   sin  에서







        
답 ②
 
O A 
O H  sin 

따라서 163
   
  
 
O A   lim   sin 
 
lim 
→∞  →∞          sin    cos  의

 
 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lim 
→∞      
sin  ( ∵ sin   )


 
    cos   sin  
   
  sin    
 이때 함수    의 한 부정적분을    라 하자.

  
 
   cos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답 

  ×      
 
답 ①
161
      라 하면    이고,
164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ln   라 하면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ln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ln   ln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ln  ln
답 ⑤ 

Ⅲ. 적분법 53
따라서  에 대한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ln   에서
  
  

ln ln  ln    이므로  
ln   또는 ln   또는 ln   이므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  는
  
즉,    또는   
또는     이다.

       



  




  
이때       에 의하여    또는    이므로   ln     ln      ln
  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곱은 답 ①
 
×  
 
답 ① 167
   
165
점 Q 의 시각  에서의 좌표는   이다.
  
   

즉, 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     의 
     
양변에    을 대입하면   이고   이다.

   
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까지 점 Q 가 움직인 거리는

     
      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한 방정식      에서    또는   ln 이다.         
 
구간  ln 에서    ≤  이므로

곡선     와 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라 하면         

ln
  

   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  ln   ln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ln
∴   ln
∴         
답 ①
답 

166 168
조건 (가)에서 식의 양변에    을 대입하면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함수    의 그래프와  축 및

   조건 (가)에서 식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두 직선    ,     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     cos  에서
  라 하면  ′  cos    

54 정답과 풀이
이를 조건 (나)의 식에 대입하면
170
cos         cos  

     cos   cos         ln 에서  ′     이므로

   cos    에서 곡선   ln 위의 점 P    ln    에서의 접선의
    cos  이므로
방정식은
 ′    cos

         ln  

    cos    sin   


이 접선의  절편은      ln   이므로
(단,  는 적분상수)
삼각형 P Q H  의 넓이는
㉠에 의하여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   ln   × ln  
    sin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이므로

 
lim  
169 
→∞   

함수   의 이계도함수가 존재하고   


 ln   
 
  lim   
 →∞    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고  ″    ″  이다. 

  ln  

함수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ln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ln

 ′

    

 
이므로    ′  라 하면  ln      ln  
  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이다.  ln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답 


   ′     
 171

     라 하면    이고
        
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이다.
     

 ∴   ln   
∴      

  

답 ④
  
  ln    
 ln   ln

Ⅲ. 적분법 55
 
     ln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ln    
 
     답 ⑤
 ln     ln     ln
답 ⑤
174
  
172   lim  
         
    ···
→∞ 

곡선     과 직선    가 만나는 점은    이고,     


     
곡선     과 직선    가 만나는 점은    이다.     

 lim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TI P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라 하면     이고
두 곡선    ,    과 직선   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   일 때 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ln    ln 

 

        
ln ln

ln  ∴    ×   

답 ① 답 

TI P

17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까지 곡선      의 길이  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5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의 양변에    를 대입하면      ······ ㉡
이므로
㉠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56 정답과 풀이
따라서  ′    sin   cos 이므로 
   ln        ×     ln   

  sin   cos   
 

 cos    sin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cos    
 

   ′ 
(단,  는 적분상수)
   
 cos    sin       
 
㉡에 의하여          이므로   
    
따라서     cos    sin   이다.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답 ①

답 ②

178
176 반원의 중심을 O 라 하면 ∠P  O P    이다.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함수    는   ln 를 제외한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  ln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이때 점 P  에서 선분 P  P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 라 하면
 ′ ln    이다.
  
P H   
O P  × sin   sin 
즉,  ln         에서     
  따라서 삼각형 P  P P  의 넓이는
∴     
  
   × 
P P  × 
P H 
ln
  
 

 
 에서       라 하면      이고,
  
  ×  × sin   sin 
   일 때    ,   ln 일 때    이므로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ln  ln 

  lim 
 →∞     
sin 


답 ②     
  lim 
 →∞     
sin 


  
177 
  lim  
  →∞      

sin  ( ∵    )

입체도형을 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인  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    이므로



   sin


단면의 넓이는    이다.
 
  cos

 
     cos  
따라서 입체도형의 부피는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sin    ×   
   
위 식의 양변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답 

Ⅲ. 적분법 57
179
 
구간     에서    cos   이고
 
곡선     을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키면     이고
이를 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시키면
 
  
 
    ,  ′    이다.
  
조건 (나)에 의하여
     이다.
곡선       는 점   을 지나므로 직선  의




  
≤    에서  ′  ≥  ′  ,

방정식은    이다. 즉   ≥  ′   이므로


 
두 곡선    ,      는 점   에서 만난다. 양변을 적분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때, 두 곡선           는
서로 직선 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곡선     와  축,  축, 직선    , 직선   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그림과 같이 구간      에서
  
  

    ×     
ln 
함수      의 그래프는 직선      와
 
이므로          이다.
ln 일치하거나 아래에 놓여 있으므로
∴          

답 
   



    


    
180

 


조건 (가), (다)에 의하여 
      


≤ cos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에서  ″   cos 이므로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에서        , 

즉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에서       ,

에서 최댓값은      이다.
즉     이다. (단,   과   는 적분상수) 

 
따라서 구간   에서     cos   이고,


∴         
    
함수 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답 

58 정답과 풀이
Memo

10 학습진단표
Memo

10 학습진단표
Memo

10 학습진단표
Memo

10 학습진단표
Memo

10 학습진단표
Memo

10 학습진단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