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문제 1.

(물음 1)

회계거래 인식은 발생주의 원칙이 기준이 된다. 발생주의 원칙은 경제적 사건이나 거래를 인식할
때 현금이 유출/유입되는 기간이 아닌 해당 거래나 사건이 발생한 시점 또는 기간에 인식한다는
원칙이다. 따라서, 자산, 부채, 수익과 비용 모두 발생주의 원칙에 따라 인식한다.

자산은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해당 항목 원가 또는 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재무상태표에 인식한다.

부채는 기업이 현재 부담하는 의무를 이행함에 따라 경제적 효익을 갖는 자원의 유출가능성이 높


고, 유출될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재무상태표에 인식한다.

수익은 가득기준과 실현기준에 의해 인식된다. 기업이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제공해야 할 수행


의무를 모두 이행했을 때 수익이 가득되었다고 한다. 아울러, 수익은 실현되었거나 실현가능한 시
점에 인식하는데, 재화나 용역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그 대가로 현금또는 현금청구권을 수취한 경
우가 이에 해당한다.

비용은 수익-비용의 대응 원칙에 따라 수익을 인식한 회계 기간에 대응해서 인식한다. 수익-비용


대응원칙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동안에 이루어진 자원의 희생이 특정한 수익과 관련이
있어야 하고, 관련된 수익과 동일기간에 인식되어야 한다. 즉, 비용은 수익과 인과관계를 가지면
서 인식되어야 한다.

(물음 2)

대부분의 기업은 주주와 경영자가 분리되어 있다. 이 때, 회사 경영자는 자유롭게 업무를 수행할
권한을 가짐과 동시에 조직의 목표에 맞게 업무를 수행할 책임을 함꼐 가진다. 이 책임을 경영자
의 수탁책임이라고 하며, 회계는 경영자가 수탁책임을 이행하고 있는지 평가하는데 유용한 정보
를 제공한다.

(물음 3)

비용과 원가는 혼용되지만 다른 개념이다. 원가는 재화와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 자원이
나 서비스를 화폐가치로 표현한 금액이다. 반면, 비용은 소멸된 원가로서 한 회계기간의 수익에
대응된다.

자산은 원가의 총합이며 토지를 제외한 모든 자산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천천히 비용화가 된다.
수익창출에 사용되지 않아 소멸되지 않은 원가는 자산으로 인식되며, 수익창출과정에서 사용되어
소멸된 원가는 비용으로 인식한다.
문제 2.

(물음 1) 거짓

발생주의 회계는 현금주의 회계보다 목적적합성이 높고 표현의 충실성이 낮다. 현금주의 회계는
현금의 유출입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표현의 충실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나, 기업의 경영
성과를 정확하게 반영하기는 어렵다. 현금주의 기준에서는 감가상각비와 같이 실제로 기업에 영
향을 주는 지표들을 반영하지 못한다. 발생주의 회계는 순자산의 잔액, 원가정보 등 회계정보이용
자들의 의사결정을 돕는 더 유용한 정보를 줄 수 있다. 그러나, 신뢰성 부족이라는 문제가 지속적
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외부감사제도와 같은 신뢰성 제고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물음 2) 거짓

거래의 이중성에 따르면 모든 거래는 반드시 인과관계에 의하여 차변요소와 대변요소가 서로 결


합되어서 발생하며, 항상 차변과 대변에 같은 금액으로 결합된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차변 요소
또는 같은 대변 요소 사이에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없다. 부채의 증가와 자본의 증가는 모두 대
변요소이기 때문에 결합할 수 없다.

(물음 3) 거짓.

회계정보는 오래될수록 유용성이 떨어지고, 오래된 정보는 일반적으로 적시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적시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추세분석
시에는 과거정보가 필요하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