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유형자산 – 취득원가의 측정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신일항


유형자산의 의의

• 유형자산의 정의 및 분류
– 유형자산의 정의
• 재화나 용역의 생산이나 제공, 타인에 대한 임대 또는 관리활
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
• 물리적 형태 존재
• 한 회계기간을 초과 사용 예상

1
유형자산의 인식

• 인식기준

• 원가(cost)란 자산 취득을 위하여 지급한 대가의 공정가치


• 자산의 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더라도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다면 유형자산 인식 불가
• 중요한 예비부품과 대기성 장비로서 한 회계기간 이상 사용 예상:
유형자산으로 분류
• 특정 유형자산에만 연계되어 사용되는 예비부품과 수선용구: 유형
자산으로 분류
• 최초 원가 및 후속 원가의 인식에 대해 동일한 기준 적용

2
유형자산의 인식

• 최초 원가
– 안전, 환경 상의 이유로 취득하는 유형자산
• 당해 유형자산을 취득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관련 자산으로부터 미래경제
적효익을 더 많이 얻을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자산 인식

• 후속 원가

– 미래 발생할 종합검사 원가를 충당부채로 인식 불가


• 현재 부담하는 부채가 아님 3
인식시점의 측정

• 원가의 구성요소
– 원가로 측정
• 원가(cost): 자산을 취득하기 위하여 자산의 취득시점이나 건
설시점에서 지급한 현금, 현금성자산이나 제공한 기타 대가
의 공정가치

– 유형자산의 원가 구성 항목

4
인식시점의 측정

– 구입가격
• 취득시점이나 건설시점에 지급한 현금 또는 현금성자산이나 제공한
기타 대가의 공정가치
• 취득관련 세금 포함, 매입할인이나 리베이트 차감

–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

5
인식시점의 측정

– 유형자산의 원가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

6
인식시점의 측정

7
인식시점의 측정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

8
인식시점의 측정-복구충당부채

– 해체, 제거 및 복구에 소요될 추정원가


•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
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
• 유형자산의 원가에 포함

9
인식시점의 측정-복구충당부채

– 해체, 제거 및 복구에 소요될 추정원가

10
인식시점의 측정-복구충당부채

11
인식시점의 측정-복구충당부채

12
인식시점의 측정 - 일반적인 신용기간을 초과한 대금지급의 이연

• 원가의 측정
– 일반적인 신용기간을 초과한 대금지급의 이연
• 현금가격 상당액을 취득원가로 인식
– 현금가격 상당액은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실제 총지급액과 현금가격상당액의 차액을 신용기간에 걸쳐


이자비용으로 인식

13
인식시점의 측정 - 일반적인 신용기간을 초과한 대금지급의 이연

14
인식시점의 측정 - 일괄취득

– 일괄취득
• 총취득원가를 취득일의 상대적 공정가치 비율로 배분
– 배분 대상 자산은 취득후 사용할 자산에 한함
• 토지와 건물 일괄취득 후 건물 즉시 철거시 철거비용은 토지원가에 가산
• 사용하던 구건물의 철거비용
– 당기비용 인식 주장
– 새 건물의 설치장소 준비원가로서 새 건물 취득원가 가산 주장

(비교) 건물 신축 목적으로 취득한 경우??

15
인식시점의 측정 - 교환

상업적 실질 결여?
취득자산과 Yes 제공자산
제공자산의 공정가치 장부금액
측정 불가?

No

취득자산과 제공자산 공정가치


중 더 명백한 금액

16
인식시점의 측정-정부보조금

17
인식시점의 측정-정부보조금

18
End of Document
1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