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7

무인운전취급규정

분류번호 규정 제00호
제정일자 2018. 00. 00.
관리부서 관제지원부

김포골드라인운영(주)
개 정 기 록 표 [ Log of Revision ]
개정 관리자
번호 일자 개정 내용
담당 검토 승인
V1.0 2018.00.00 김응철 유근규 권형택
무인운전취급규정

무인운전취급규정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김포도시철도에서 열차 또는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 각종 사고
를 미연에 방지하고 여객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수송하기 위하여 열차 및 차량의 운
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열차 또는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서 운전보안의 원칙과 열차의 조성,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 차량의 입환, 운전속도, 폐색, 신호의 취급, 열차의 방호, 사
고에 대 한 조치 등 운전취급의 전반에 관하여 별도로 정한 것 외에는 이 규정에 의
한다.
제3조(용어의 정의)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별표1호〕와 같다. 특별한
규정 이 없는 한 운전업무와 관련하여 제정 시행되는 제 규정에도 적용한다.
제4조(운전관계직원 업무내규)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취급에 있어 소관사항에 대한 작
업의 순서와 방법, 관계자간의 연락방법 및 이례상황 발생 시의 취급방법, 기타 특별
한 주의를 요하는 사항 등에 관하여는 “운전관계직원업무내규”를 별도로 정하여
관계직원에게 숙지시켜야 한다.
제5조(운전의 안전확보) 운전관계 직원은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취급에 있어 지식 및
기능과 운전관계 설비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열차 운전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
제6조(이례상황 발생시의 조치) 열차 또는 차량을 운전 중 이례상황 발생 시 각 관계
자는 상황을 판단하여 이 규정 및 관계규정에 의하는 외에 열차운전에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7조(신호, 전호 또는 통고에 의할 수 없는 경우의 조치) 신호, 전호 또는 통고를 하
도록 정하여진 장소에서 이 방법에 의할 수 없거나 또는 그 방법이 정확하지 아니하
여 이를 확인할 여유가 없을 때에는 열차 및 차량의 운전에 최대의 제한을 지시한
것으로 간주하고 조치하여야 한다.
제8조(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자격) ①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자격은 철도차량의 운전업
무 수행 에 필요한 요건을 갖춘 자가 아니면 운전할 수 없다. 다만, 다음의 각 호에
해당 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 운전실무수습중인 자가 운전실무수습 담당자로 부터 지도를 받으면서 운전하는
경우
2. 교육훈련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훈련을 받기 위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3. 철도차량운전면허시험을 치르기 위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

- 1 -
무인운전취급규정

4. 운전자격을 가진 자로서 특별한 경우 대표이사가 지정한 자가 운전하는 경우


5. 철도차량을 제작⋅조립⋅정비하기 위한 공장 안의 선로에서 철도차량을 운전하
는 경우
6. 철도사고 등의 복구를 위하여 열차운행이 중지된 선로에서 사고복구용 특수차량
을 운전 하는 경우
②제1항 제2호 및 제3호의 경우에는 당해 철도차량에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자 또는
운전면허시험 평가담당자를 동승시켜야 하며 해당차량 앞면 유리에 관계법령이 정하
는 표지[별표 2호]를 붙여야 한다.
③제1항의 운전업무수행에 필요한 요건은 다음 각 호의 조건을 모두 갖춘 것으로 한
다.
1. 해당 차종의 운전면허를 취득하여야 한다.
2. 운전할 구간에서 실무수습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3. 해당 운전면허의 효력정지 또는 취소상태가 아니어야 한다.
4. 신체검사 및 적성검사에 합격하여야 한다.
5. 기타 운전업무 수행에 결격사유가 없어야 한다.
④제3항 2호의 실무수습 교육의 세부기준은 운전관계직원업무내규 제5장 제2절 신규
임용 및 경력직 임용자 교육에 의한다.
제9조(운전관계 직원의 적격성 유지) ① 운전관계 직원은 적격성 유지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검사 및 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1. 신체검사
2. 적성검사
3. 실무수습교육[관제사, 열차안전원, 특수차 운전원]
4. 철도안전교육
②제1항의 검사와 교육에 대하여는 철도안전법령이 정한 바에 따른다.
③유관기관에서 당해업무 수행의 필요요건을 갖춘 자에 대하여는 검사 및 교육의 일부
를 면제할 수 있다.
제10조(음주제한 및 심신이상자의 조치) ①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는 자는 철도
안전법 제41조(철도종사자의 음주 제한 등)에 따른 술을 마시거나 또는 약물을 사용
한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운전업무종사자
2. 관제업무종사자

- 2 -
무인운전취급규정

3. 철도차량의 운행선로 또는 그 인근에서 철도시설의 건설 또는 관리와 관련한 작


업의 현장감독업무를 수행하는 자
4. 철도신호기ᆞ선로전환기 및 조작반 등을 취급하거나 열차의 조성업무를 수행하
는 자
5. 철도차량 및 철도시설의 점검·정비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②직원을 감독하는 직에 있는 자는 운전관계 직원이 지식 및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심신 상태에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승무 기타 직접 운전에 관계되는 업무에
종사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1조(관리자의 직원 관리) ①직원을 관리하는 직에 있는 자는 소속 직원에 대하여
출근·퇴근 시에 점검을 실시하여 휴양, 기타 심신상태 등의 보고를 받음과 동시에
운전취급상 필요한 사항을 부여하는 등 적절한 관리를 하여야 한다.
②관리자가 점검 시 행하는 운전취급상 필요한 사항이란 다음을 말한다.
1. 업무의 지정
2. 주의사항의 전달
3. 복장 및 휴대품 점검
4. 기상 상황 전달
5. 기타 업무에 필요한 주요사항 등
③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실시한 사항에 대하여는 운전관계직원은 업무일지에 기록하여
야 한다.
제12조(정거장 내·외의 경계) 정거장의 경계는 정거장 구역표지가 설치된 곳을 기준
으로 하여 정거장 내ᆞ외로 구분한다.
제13조(응급용 기자재의 정비 및 사고의 복구) 운전사고 복구대책 관계자는 운전사고
에 대비하여 항상 응급복구용 기자재를 정비하고 복구를 위한 관계부서와의 연락방
법과 대비책을 강구하여 두어야 한다.
제14조(무선전화기 및 휴대용무전기의 사용) ①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취급을 할 때
무선전화기 및 휴대용무전기는 다음 각 호의 경우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운전정보 또는 운전명령을 교환할 때
2. 수동운전 할 때
3. 운전상 위급을 요하는 사항을 통보하거나 무선방호 할 때
4. 차량기지구내에서 차량 입환 할 때
②이례상황 발생시 무선전화기 또는 휴대용무전기 고장시 다른 통신수단을 사용하여

- 3 -
무인운전취급규정

상황을 관제사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③열차안전원 또는 고객안전원은 무선전화기 또는 휴대용무전기를 경청하여 관제사와
의 통화에 대비하여야 한다.

제2장 운 전
제1절 열차의 조성
제15조(차량의 연결) 열차를 조성하는 차량은 이를 상호 연결하여야 한다.
제16조(조성 후 및 검수완료시의 확인) ①차량기지에서 차량의 조성 또는 검수를 완
료한 차량은 출고열차로 운행을 개시하기 전에 다음 각 호의 기능에 대하여 이상여
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1. 운전제어와 관련된 장치의 기능
2. 제동장치의 기능
3. 각 차량 간 연결된 상태
4. 그 밖의 운전 시 사용하는 각종 계기판의 기능
②제1항의 기능에 이상이 있는 차량은 열차운행에 충당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7조(조성차수) ①열차의 조성차수는 운행구간의 최소 승강장의 길이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로 한다.
②회송열차 등 영업에 충당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제18조(열차번호) 열차는 열차마다 고유의 열차번호를 붙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경우 열차번호 부여 기준은〔별표 3호〕에 의한다.
제19조(열차의 제동기능 확보) ①열차의 모든 차량은 제동작용이 완전하고 열차 분리
시 자동으로 정차할 수 있는 제동기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②열차에는 전기 또는 공기작용에 의한 제동장치를 사용하고 연결축수 100에 대하여
100%에 해당하는 제동축수가 확보되어야 하며 제동축수가 부족한 경우 영업열차로
운전할 수 없다.
③차량고장 등의 사유로 제2항의 연결축수 100에 대하여 제동축수가 부족한 경우의
운전속도 제한은 다음 표에 의한다.

80이상 40이상~80미만 40미만


제동축수(%)
(제동축수 1개 부족) (제동축수 2개~3개 부족) (제동축수 4개 부족)

속도(km/h) 60이하 45이하 구원조치

제20조(열차의 비품) 열차에는 다음 각 호의 비품을 비치하여야 한다.


1. 소화기 : 객실마다 2개 이상

- 4 -
무인운전취급규정

2. 구름방지막이 : 각 전,후부 객실 밑에 2개 이상
3. 비상용품함(각1개) : 산소호흡기, 들것, 방독면, 손전등, 확성기
제21조(열차의 비상제동거리) 비상제동에 의한 열차의 제동거리는 600m이하로 하여
야 한다.
제2절 열차의 운전
제22조(정거장 외의 운전) 차량은 이를 열차로 하지 아니하면 정거장 외 본선을 운전
을 할 수 없다. 다만, 차량 입환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제23조(열차의 운전시각) ①열차는 정하여진 운전시각에 의하여 운전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한다.
②열차사고 기타로 운전정리상 부득이하여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관제사가 지시하
였을 때는 예외로 한다.
③구원열차 등 긴급운전을 요하는 임시열차는 현 시각으로 운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히 필요 없는 정거장은 통과시킬 수 있다.
제24조(열차의 정시운전) ①관제사는 열차가 지연되었을 경우 회복운전 할 수 있도록
최선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②장애등으로 인하여 열차지연 시 열차안전원이 승차하였을 경우 정차시간 단축 및 허
용 속도 범위 내에서 회복운전에 노력하여야 한다.
제25조(운행 중 이례상황 보고) 열차안전원은 열차운행 중 차량 또는 운전설비의 결
함, 기후상태 등으로 열차운행에 지장의 염려가 있을 때 지체 없이 그 상황을 관제사
에 보고 하여야 한다.
제26조(사전 점검열차 운행) ①영업열차 운행 시작 전 열차안전원에 의한 점검열차를
운행하여 선로에 장애물 없음 및 신호시스템의 이상 없음을 확인하여야 한다.
②열차안전원은 수동운전모드(ATPM모드)로 제한속도를 지키면서 주의운전 하여야
한다.
제27조(열차의 운전위치) ①열차는 최전부 운전대에서 운전하여야 한다. 다만, 밀기
(推進)운전 및 되돌이(退行)운전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②전항에 관계없이 되돌이운전을 할 경우 맨 앞 운전대에서 운전할 수 있을 때는 맨
앞 운전대에서 운전하여야 한다.
제28조(열차의 운전방향) 복선구간에서의 열차의 운전방향은 우측선로로 운전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 선로 또는 열차에 고장이 발생하여 되돌이(退行)운전을 하는 경우
2. 구원열차 또는 공사열차를 운전하는 경우

- 5 -
무인운전취급규정

3. 차량을 입환 하거나 차선을 바꾸는 경우


4. 구내운전을 하는 경우
5. 시운전을 하는 경우
6. 운전사고 등으로 일시 단선운전을 하는 경우
7. 기타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
제29조(밀기운전 및 되돌이운전) ①열차는 다음 각 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밀기운전
또는 되돌이 운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선로, 전차선로(제3궤조) 또는 열차에 고장이 있을 때
2. 공사열차, 구원열차 또는 시운전열차를 운전할 때
3. 역에서 정지위치를 지나 정차 하였을 때 단, 최후부가 정거장을 벗어난 경우는
아니 된다
4. 차량기지 내를 운전하는 경우
5. 차량을 결합, 해체하거나 선로를 바꾸는 경우
6. 기타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
②제1항에 의해 운행 시 열차안전원은 관제사의 승인을 받고 운전하여야 한다.
제30조(본선 전차선 급⋅단전시간) ①급전시간은 첫 영업열차 운행개시 1시간 10분전
부터 막차가 본선구간 운행을 종료하고 차량기지로 입고한 때까지로 한다. 다만, 역
에서 열차운행이 종료되는 때에는 관제사는 차량의 전원장치를 차단하여 기동 정지
시키고 전차선의 단전요구를 하여야 한다.
②급⋅단전시간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관제운영처장은 관계자와 사전에 협의한 후 시
행하여야 한다.
제31조(선로의 차단) ①열차의 운전에 지장을 주는 선로공사, 전차선로공사, 모터카
사용 등은 선로를 차단하고 실시하여야 한다.
②선로 차단취급은 단전시각부터 다음 급전시각 전까지로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기타 선로의 차단공사 및 작업에 관한사항은 선로지장취급내규에 의한다.
제32조(선로차단 구간의 운전개시) 선로차단공사의 보고를 받은 관제사는 작업책임자
로부터 작업완료의 통보가 있을 때까지는 그 구간에 열차를 진입 시킬 수 없다.
제3절 운전모드
제33조(운전모드) ①열차의 운전모드는 다음과 같다.
1. UTO(완전자동운전모드) : 차량의 정상 운행모드로 차량이 ATC(자동열차제어)

- 6 -
무인운전취급규정

시스템에 의하여 완전 무인으로 자동 운행하는 모드이다.


2. AUTO(자동운전모드) : ATP(자동열차보호) 시스템 감시 하에 열차안전원이 출
입문 닫힘과 출발버튼을 취급하여 다음 역까지 자동으로 차량 정위치 정차 및
출입문 열림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3. ATPM(수동운전모드) : ATP(자동열차보호) 시스템 감시 하에 열차안전원이 수
동으로 주간제어기의 역행-제동핸들을 취급해서 차량을 출발시켜 다음 역까지
차량을 정위치 정차하여 출입문 열림/닫힘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4. EM(비상운전모드) : ATC(자동열차제어) 제어 및 감시 없이 열차안전원이 주간
제어기의 역행-제동핸들을 취급하여 비상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모드이다.
②수동운전은 관제실에서 열차의 위치 파악이 가능할 때 시행할 수 있는 유인운전방식
이며 다음과 같다.
1. 차내신호폐색방식에 의한 유인운전 : 차량의 운전모드를 ATPM Mode 또는 동
등 이상의 조건으로 철도차량 등을 운전하는 방식
2. 대용폐색방식 또는 폐색준용법에 의한 유인운전 : 상용폐색방식의 시행이 불가능
할 때 철도차량 등을 운전하는 유인운전방식
③비상운전은 관제실에서 통신장치의 고장 등으로 차량의 위치확인이 불가능할 때 시
행하는 유인운전방식이다.
제34조(운전모드의 변경) 운행중인 열차의 운전모드 변경이 필요한 경우 관제사의 승
인을 받은 후 열차안전원이 열차에 승차하여 운전모드를 변경하여야 한다.
제4절 무인운전방식
제35조(무인운전방식) 열차의 운행은 ATC 시스템에 의한 완전자동운전을 원칙으로
하며 다만, 다음의 경우는 관제사의 승인을 받아 열차안전원이 수동운전을 할 수가
있다.
1. 무인운전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
가. ATC의 관제설비, 지상설비, 차상설비 등의 고장인 경우
나. 제동축수 50% 미만 등 차량고장으로 불가한 경우
2. 특별한 목적으로 수동운전을 시행할 수 있는 경우
가. 되돌이(退行)운전 또는 밀기(推進)운전할 경우
나. 운전실무수습 중인 자가 운전실무수습 담당자의 지도를 직접 받으면서 운전하
거나 운전연습을 위하여 운전연습용 회송열차를 운행할 경우
다. 영업열차 운행 전 선로의 장애물이나 신호상태 등의 점검을 위하여 사전 점검
용 열차를 운전할 경우

- 7 -
무인운전취급규정

라. 설비 또는 차량의 시험을 위하여 운전하는 경우


마. 특수목적으로 제작된 통신기능이 없는 철도차량을 원래의 목적으로 운행하는
경우
바. 구원운전을 할 경우
사. 사고 등이 발생한 지점으로 차량 등을 운행할 경우
아. 특별히 대표이사가 승인하였을 경우
제36조(열차를 비상정지 시켜야 하는 경우) ①관제사는 ATC운행 중에 열차를 정지시
킬 필요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중앙비상정지버튼(CESB)에 의한 비상제동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열차를 정지시켜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열차와 충돌 가능한 장애물이 선로에 들어간 것을 관제사가 인지했을 때
2. 비통신 차량 등의 운전 중 후속 자동운전 차량 등과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
3. 선로전환기 현장 수동취급 사유 발생시
②열차안전원이 승차하여 수동운전 중 열차를 정지시킬 사유가 발생할 경우, 즉시 비
상제동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제37조(ATC장치 고장시의 조치) ①관제사는 열차운행 중 ATC에 의한 열차 자동운
전이 고장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즉시 그 사실을 관제부장에게 보고하고 신속히 관계
부서에 복구지시를 하여야 한다.
②관제사는 완전자동운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열차안전원에게 수동운전을
지시하여야 한다.
③관제사는 차상장치 고장으로 정상운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신속히 차량교
환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5절 비상운전
제38조(간이운전대의 개방과 복귀) 열차안전원은 간이운전대를 개방하여 운전을 하거
나 또는 그 사유가 없어져 복귀할 경우에는 사전에 관제사에게 보고하고 승인을 받
아야 한다.
제39조(열차안전원의 업무) 열차안전원은 비상운전에 대비하여 항상 대기하고, 휴대용
무전기 및 사각 마스터키를 소지하여야 하며 상세한 업무의 범위는 운전관계직원업
무내규로 따로 정한다.
제40조(운전정보 교환 시 무전기 사용) ATC 시스템의 고장이나 비설비구간에서 수동
으로 운전 시 운전정보교환은 무선전화기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이 경우 당사자 간
열차운전에 관한 내용은 서로 무전내용을 복창하여야 한다.
제41조(비상운전 시 운전속도) ①비상운전에 의하여 운전하는 열차는 전방을 확인하

- 8 -
무인운전취급규정

고 정지할 수 있는 속도로 주의운전 하여야 한다. 이 경우의 운전속도는 25km/h이


하의 속도로 운전하여야 하며 실제속도가 현시 되지 않을 때에는 목측에 의한다.
제42조(관제실과 통신 불능 시 운전속도) 비상운전에 의하여 운전하는 열차가 관제실
과 무선통신이 불가할 시 15km/h이하의 속도로 주의하여 다음 역까지 운전하여야
한다.
제6절 운전속도
제43조(열차의 운전속도) ①열차의 운전 최고속도는 80km/h 이하로 한다.
②열차는 각종 제한속도를 초과하여 운행하여서는 안 된다.
제44조(선로형태에 따른 제한속도) 유인운전 시 열차 또는 차량이 내림기울기, 곡선
및 분기기의 운행은 다음의 제한속도 이하로 운전하여야 한다.
1. 내림기울기 제한속도

내림기울기(0/00) 제 한 속 도(km/h)

35 이하 80 km/h
40 이하 75 km/h
45 이하 70 km/h

2. 곡선 제한속도

곡 선 반 경(m) 제 한 속 도(km/h)
80 ~ 99 30 km/h
100 ~ 149 35 km/h
150 ~ 199 40 km/h
200 ~ 249 50 km/h
250 ~ 299 55 km/h
300 ~ 349 60 km/h
350 ~ 399 65 km/h
400 ~ 449 70 km/h
450 ~ 549 75 km/h
550 이상 80 km/h

3. 분기기 제한속도

분기기 번호 편개 분기기 양개 분기기 비 고

# 6 15 km/h 25 km/h 구래역 정거장 Y선


# 8 25 km/h 40 km/h (#6양개, #8편개)

제45조(각종 속도의 제한) 열차 또는 차량은 다음 각 호의 제한속도를 초과하여 운전


할 수 없다.

- 9 -
무인운전취급규정

속도를 제한하는 사항 제한 속도(km/h)


유 치 선
차량기지 내 운전속도 15 km/h이하
선로전환기
관제실과 통화 불능시
무폐색 운행시 15 km/h이하
입고선 및 출고선 속도
유치선 진, 출입 속도
세척고 통과 속도
5 km/h이하
검수고(검수선, 청소선) 진, 출입 속도
차륜전삭기 통과 속도
입환 전호에 의한 운전속도
전령법에 의한 운전속도
25 km/h이하
비상운전 시 운전속도
추진(밀기)운전, 퇴행(되돌이)운전
지령식에 의한 운전속도, 승강장 통과속도 45 km/h이하
시험선의 운전속도 지정속도 이하
서행 신호의 속도 임시신호기의 속도 표시 이하

제46조(차내신호현시에 따른 운전) 열차안전원이 승차하여 차내신호에 의해 수동운전


할 경우 열차의 운전속도는 운전정보장치(CCU)내 차내신호기의 목표속도 이하로 운
전하여야 한다.
제47조(서행신호의 속도) ①열차안전원이 수동운전 시 서행신호의 현시가 있을 때는
그 현시지점을 지정속도 이하로 운전하여야 한다.
②서행신호가 있는 구간을 UTO모드로 운행 시 관제사는 임시속도제한을 설정하여야
한다.
제48조(수신호에 의하여 운전 시 속도제한) ①수동운전 시 진행수신호에 의하여 운전
할 때에는 맨 뒤 차량이 선로전환기 또는 수신호 현시지점을 통과할 때까지 25km/h
이하로 운전하여야 한다.
②수신호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열차무선전화기에 의한 전호를 할 수 있다.
제7절 열차의 제동
제49조(연결 확인 및 제동시험) 열차의 조성을 완료한 때에는 차량부장은 각 차량 간
의 연결기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를 확인하고 제동시험을 하여 제동기능을 확인하여
야 한다.
제50조(열차의 제동) 열차를 정지시키는 방법은 상용제동에 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
다. 다만,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비상제동에 의하여 정차하여야 한다.
1. 객실 내 승객이 비상정지 버튼을 취급하였을 때
2. 긴급히 열차를 정지시켜야 할 사유가 발생 하였을 때

- 10 -
무인운전취급규정

제8절 운전정리
제51조(운전정리의 시행) 열차운행 중 혼란이 생긴 때 또는 혼란의 우려가 있을 때
관제사는 운전정리를 시행하여야 한다. 다만, 재난 시 ATC장치의 고장 또는 통신이
두절되어 관제실에서 제어가 불능 시에는 해당 신호기계실에서 현장취급(LOCAL)을
지시 할 수 있다.
제52조(운전정리의 종류 및 주요사항) 운전정리의 종류 및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다만 부분운행이나 단선운행 등의 세부방법은 별도 기준을 정하여 운용한다.
1. 회복운전 : 열차가 지연되어 정시운행이 필요한 경우 정차시간 및 운전시간을 단
축하여 지연을 회복하는 것을 말한다.
2. 운행변경 : 열차의 운행구간을 일부변경, 단축 또는 연장함을 말한다.
3. 부분운행(단거리 회차운행) : 열차 또는 선로의 고장 시 건넘선이 있는 중간역에
서 회차하여 단축운행 함을 말한다.
4. 단선운행 : 복선구간에서 사고 등 기타로 한쪽 방향의 선로를 사용할 수 없는 경
우 다른 방향의 선로를 사용하여 상·하행열차를 운행하는 것
5. 반복변경 : 열차의 지연 등으로 전동차의 반복 역에서 소정의 충당순서를 변경함
을 말한다.
6. 순서변경 : 계획된 열차의 운행순서를 바꾸어서 운행함을 말한다.
7. 운전휴지 : 시발역에서 종착역까지 전 구간에 대하여 특정열차의 운전을 중지함
을 말한다.
8. 착발선변경 : 정거장 구내에서 계획된 열차의 도착선 또는 출발선을 임시로 변경
함을 말한다.
9. 합병운전 : 2개 열차 이상을 합병하여 1개 열차로 운전함을 말한다.
10. 차량교환 : 차량고장 등으로 소정의 운용순서를 변경하여 다른 차량과 교환함을
말한다.
제53조(운전명령의 발령) ①운전명령이란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 중 발생한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관제사가 특별히 지시하는 것을 말한다.
②운전명령은 무선전화기 등으로 발령하고 관제운영업무내규 제10조(운전명령 및 기
록)에 의해 기록 유지한다.
③운전명령을 발령할 때에는 운전명령번호와 운전명령사항을 통보하여야 한다.
④무선전화기 고장 등으로 운전명령을 발령할 수 없을 때 관제사는 휴대전화 등 다른
통신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⑤운전명령을 받은 열차안전원은 운전명령번호와 운전명령사항을 열차안전원업무일지

- 11 -
무인운전취급규정

〔별지 제1호〕에 기록유지하고 상황 종료 후 책임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제54조(열차의 지연보고) 열차가 계획된 운행시각보다 지연되었거나 사고 또는 고장
등으로 지연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관제사는 지체 없이 상황을 관제운영처장에게 보
고하여야 한다.
제55조(안전원의 이상보고) 안전원은 순회점검 중 운전에 장애를 주는 차량, 신호, 선
로, 전차선로 등의 이상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종합관제실에 보고하고 순회업무 종료
후 신속히 책임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제56조(고장열차의 이동) 관제사는 본선구간에서 차량고장이 발생한 때에는 열차안전
원에게 차량기지 또는 유치선으로 고장열차를 신속히 이동을 지시하여야 한다.
제57조(열차의 운전상황 보고) ①관제운영처장은 열차운행 중 사고 또는 장애발생으
로 인하여 상당시간 운행에 지장이 예상될 때에는 즉시 대표이사에게 그 상황을 급
보하여야 한다.
②관제운영처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다음날 대표이사에게 업무보고를 하여야 한다.
1. 열차 운행 실적
2. 주요 운전정리 사항
3. 기타 중요한 운전관계 사항

제3장 차량의 입환 및 유치
제1절 차량의 입환
제58조(입환 협의) ① 종착역 및 임시종착역의 입환은 완전자동운전으로 시행하나 회
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관제사는 열차안전원과 입환방법 등을 협의
하여 입환 한다.
②차량기지에서 입환을 할 경우 관제사는 차량의 이동 등을 고려하여 운전이 가능한
관계직원과 작업순서 및 작업방법을 협의하여야 한다.
제59조(입환 시 주의사항) ①운전이 가능한 관계직원에 의한 입환은 시작 전에 입환
에 사용하는 신호 및 진로상태가 이상 없음을 확인한 후 주의운전 하여야 한다.
②완전자동운전에 의한 입환은 진로 및 신호상태를 관제사가 확인하여 입환 한다.
③열차 및 차량을 상호 연결시 30m 전방에 일단 정차한 후, 이동하여 3m 전에 다시
정차하여 천천히 연결한다.
④열차안전원이 입환 시에는 선로전환기 개통방향과 밀착상태를 확인 후 운행하여야
한다.

- 12 -
무인운전취급규정

제2절 차량의 유치
제60조(차량의 유치) ①차량은 본선에 유치할 수 없다. 다만, 주박열차의 유치 등 부
득이한 경우 또는 타 열차 취급에 지장이 없는 종착역 등에 유치하는 경우에는 예외
로 한다.
②제1항 단서의 규정에 불구하고 기울기가 1000분의 10이상의 선로에는 열차 또는
차량을 유치할 수 없다. 다만, 기동상태인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③차량은 차량접촉한계표지 내방에 정차시켜 유치하여야 한다.
④차량은 선로전환기 또는 분기부에 유치할 수 없다.
제61조(유치차량의 구름방지) ①본선에 유치하는 차량은 주차제동 체결 등 차량의 구
름을 방지하여야 한다.
②본선 이외에 유치한 차량이 저절로 움직여 본선으로 굴러 가거나 본선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제1항에 의하여 차량의 구름방지를 하여야 한다.
제62조(동력을 가진 차량의 유치) 동력을 가진 차량을 유치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주
차제동을 체결하고, 열차가 고장 등 불가피한 사유로 지정된 장소에 유치하지 않을
경우 관제사는 주차제동을 체결하여 구름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3절 선로전환기
제63조(선로전환기의 쇄정) ①선로전환기는 열차 또는 차량이 운행 될 경우 연동장치
에 의하여 쇄정되어야 한다. 다만, 연동장치에 의하여 쇄정되지 않은 선로전환기는
수동으로 취급하고 밀착상태 및 개통방향을 확인한 후에 키-볼트 체결 등 전환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제1항 단서의 경우 유지보수담당자는 그 사유를 관제사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관제사
는 해당구간 내 열차의 운전속도를 제한하는 등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64조(선로전환기의 취급 및 수동취급 교육) ①선로전환기는 다음 각 호의 담당자가
취급한다.
1. ATC에 의한 원격제어 시에는 관제사(차량기지구내 포함)
2. LOCAL 시에는 관제사가 지정한 자
②비상시를 대비하여 열차운전취급에 관련하는 다음의 자에게〔별표 제4호〕의 선로전
환기 수동전환 취급요령을 교육하여야 한다.
1. 고객안전원(연동역)
2. 유지보수담당자(신호,통신)
③건넘선이 있는 역에는 선로전환기 수동조작용 핸들을 비치하여야 한다.
1. 차량기지, 양촌역, 구래역, 운양역, 풍무역, 김포공항역

- 13 -
무인운전취급규정

제4절 구름방지막이
제65조(차륜 구름방지막이의 모양과 규격) 바퀴굄목의 모양과 규격은 다음과 같다.

150

[차량용 구름방지막이] [상복구차용 구름방지막이]

제4장 폐색취급
제1절 총칙
제66조(1폐색구간 1열차운전) 1폐색구간에는 열차를 2 이상 동시에 운전시켜서는 아
니 된다. 다만, 다음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 정지신호가 현시되어 정차한 열차가 다음 폐색구간으로 진입할 때
2. 폐색구간 내에서 열차를 분할하여 운전할 때
3. 열차가 있는 폐색구간에 다른 열차를 유도할 때
4. 구원연결을 위하여 열차를 운전할 때
제67조(폐색방식의 종류) 폐색방식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상용폐색방식
가, 완전자동운전폐색식(완전자동운전 시)
나. 차내신호폐색식(수동운전 시)
다. 단선차내신호폐색식(상/하선 각각 양방향 수동운전 시)
2. 대용폐색방식 : 지령식
제68조(폐색준용법의 실시) 관제실에서 실시하는 전령법과 무폐색운전으로 구분한다.
제69조(폐색구간의 경계) 폐색구간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1. 상용폐색방식에 의한 운전 : 앞 열차와 뒤 열차간의 일정블록(로직블록)
2. 대용폐색방식에 의한 운전 : 지령식으로 관제사가 지정한 구간
3. 전령법에 의한 운전 : 관제사가 지정한 장소
4. 무폐색운전 : 최근 정거장 및 정지를 현시하는 진로표시기 전방
제2절 상용폐색방식
제70조(상용폐색식의 시행) ①완전자동운전시는 열차 최전부에 열차안전원을 승차시
키지 않고 시스템 및 관제사의 감시 하에 자동적으로 열차를 운전하는 방식인 완전

- 14 -
무인운전취급규정

자동운전폐색식으로 운전하여야 한다.


②유인운전 시는 자동열차제어장치(ATC)에 의한 차내신호폐색식을 시행하여야 한다.
다만, 장애 등으로 양 방향 단선운행 시는 단선차내신호폐색식을 시행하여야 하며,
ATC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 없을 때에는 대용폐색식 또는 폐색준용법을 실시하여야
한다.
③ATC 시스템은 관제설비, 지상설비, 차상장치로 구분하며 상호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열차와 열차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관제실의 열차운행표시반에 열차의 운행
위치를 현시하여야 한다.
제71조(폐색취급자) ①상용폐색방식의 경우 폐색취급자는 다음과 같다.
1. ATC(Automatic Train Control)제어 : 관제사
2. LOCAL제어 : 관제사가 지정한 자
②대용폐색방식의 지령식 : 관제사
제72조(폐색방식의 변경통보) 고장 또는 기타사유로 다른 상용폐색방식이나 대용폐색
방식으로 일시적 변경하거나 복귀시킬 경우 관제사는 열차안전원에게 그 사실을 사
전에 통보하여야 한다.
제3절 대용폐색방식
제73조(대용폐색방식 및 폐색준용법 시행 기록관리) 관제사와 열차안전원은 대용폐색
방식 또는 폐색준용법을 시행하는 경우 그 상황을 관제사는 관제운영업무내규 제10
조(운전명령 및 기록)에 의해 기록하며, 열차안전원은〔별지 제1호〕 서식에 기록하
고 폐색취급에 정확을 기하여야 한다.
제74조(지령식의 시행) ①복선구간에서 ATC 고장 등으로 상용폐색방식을 시행할 수
없을 경우 시행 한다.
②관제사는 지령식을 시행하기 전에 대형표시반(LDP) 또는 무선전화기, CCTV모니터
등으로 지정하고자 하는 폐색구간에 다른 열차가 없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관제사는 폐색구간을 지정하고자 할 때에는 시행구간의 진로개통표시기가 개통되어
있음을 확인하여야 한다.
④지령식을 시행할 때에는 시행구간, 시행사유, 폐색승인번호 등을 열차안전원에게 통
보하고 관제승인 및 운전명령 일지에 기록하여야 한다.
제75조(지령식의 시행 통고) ①관제사는 지령식을 시행할 때에는 최초로 시행하는 열
차안전요원에게는 지령식 시행 최초 열차임을 통고하여야 하며, 최초열차의 열차안전
원은 해당구간을 25km/h이하로 주의운전 하여야 한다.

- 15 -
무인운전취급규정

②관제사는 열차무선전화기로 운전명령을 발령하고 열차무선전화기를 사용할수 없을


때에는 다른전화기에 의할 수 있다.
제76조(지령식 시행구간) 폐색구간을 지정할 때에는 앞 열차 위치의 후방역까지로 하
여야 하며 다른 열차 등에 의한 충돌 등을 방지할 수 없을 때에는 진입금지 설정을
하여야 한다.
제77조(지령식 시행명령 및 감시) ①관제사는 지령식을 시행할 때는 시행하는 열차안
전원에게 폐색방식의 변경 및 시행구간을 통보하여야 한다.
②관제사는 지령식 시행열차의 운행상태를 계속 감시하여야 한다.
제78조(출발지시) ①관제사는 지령식을 시행하는 구간에 열차 또는 차량이 없음을 확
인한 후가 아니면 열차안전원에게 출발지시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관제사는 지령식 시행열차에 대하여 열차무선전화기로 출발지시를 하여야 한다.
제79조(열차안전원의 확인) 열차안전원은 관제사로부터 지령식을 시행하는 요지의 명
령을 받은 때에는 그 내용을 복창하고, 출발지시를 받은 후가 아니면 출발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4절 폐색준용법
제80조(전령법을 시행하는 경우) 전령법을 시행 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고장열차를 구원하기 위하여 구원열차를 운전 할 때.
2.열차 등이 있는 폐색구간에 다른 열차를 운전시킬 때.
제81조(운전허가증) 전령법의 운전허가증은 운전명령을 받은 열차안전원이 전령자의
역할을 대신한다.
제82조(전령법의 시행지시) 전령법의 시행은 관제사의 운전명령에 의하며 다음과 같
이 시행한다.
1. 관제사는 전령법을 시행하는 폐색구간을 진입금지 설정을 하여야한다.
2. 관제사는 폐색구간의 양쪽 역의 고객안전원에게 무선통화 등을 통해 전령법 시
행을 사전 통보한다.
제83조(전령법에 의한 열차의 운전) ① 전령법에 의해 운행하는 열차 등을 운전하는
경우 열차안전원은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폐색구간으로 설정된 구간내의 차
내신호기가 정상일 경우에는 열차 또는 차량이 정차되어 있는 폐색구간 전까지 차내
신호에 의하여 운전할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차내신호에 따라 운전하는 경우 열차 또는 차량이 정차되어
있는 폐색구간에 진입할 때에는 일단정차 후 15Km/h이하로 운전하여야 한다. 이 경

- 16 -
무인운전취급규정

우 열차의 출발은 관제사의 지시에 의한다.


③이미 폐색구간에 있는 열차 등은 그 위치를 이동할 수 없다. 단, 관제사가 폐색방식
의 변경을 열차에 통보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84조(무폐색운전을 하는 경우) ①폐색방식이나 폐색준용법을 시행할 수 없을 때 열
차안전원의 주의력에 의존하여 최근역이나 정지된 진로개통표시기 전방까지 운전하
는 것을 말한다.
②열차안전원은 무폐색운전을 하는 경우 비상운전모드로 25km/h 이하의 속도로 운전
하고, 관제사와 무선통신이 불가할 시 15km/h 이하의 속도로 주의운전 하여야 하며
이상을 발견 시는 즉시 정차할 수 있는 자세로 운전하여야 한다.

제5장 철도신호
제1절 총 칙
제85조(신호의 종류) 신호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신호 : 형, 색, 음 등으로 열차 또는 차량에 대하여 운전조건을 현시하는 것을
말한다.
2. 전호 : 형, 색, 음 등으로 직원 상호간에 의사를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3. 표지 : 형, 색 등으로 물체의 위치, 방향, 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제86조 (신호기의 종류) 신호기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차내신호기 : 진행신호(목표신호), 정지신호
2. 입환신호기 : 진행신호, 정지신호
제87조(주간 및 야간의 현시방식) 주간과 야간에 현시 또는 표시방식을 달리하는 신
호는 일출부터 일몰까지는 주간방식, 일몰부터 일출까지는 야간방식으로 하여야 한
다. 다만, 이상기후로 인하여 주간방식에 의한 확인이 곤란한 경우에는 야간방식에
의한다.
제88조(열차감시가 되지 않거나 부정확한 경우의 취급) ①열차 운행중 ATC시스템에
의한 열차의 감시가 불가능할 때 관제는 신호가 원활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전
열차를 중앙비상정지버튼(CESB)에 의한 비상정차를 명령하여야 한다.
②이 경우 관계부서에 수리를 요청하고 열차안전원 및 고객안전원을 열차감시 및 승객
안내를 위해 출동시켜야 한다.
제2절 차내신호기
제89조(차내신호기) ①차내신호기는 지상의 신호정보를 차상장치에서 수신하여 이를
운전실의 표시장치(CCU화면)에 현시한다.

- 17 -
무인운전취급규정

②차내신호기의 현시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정지신호 : CCU 표시속도가 0km/h를 현시
2. 진행신호(목표신호) : CCU 표시속도가 해당구간의 운전목표속도를 현시
제90조(차내신호기의 조건) 차내신호기는 다음 각 호의 경우 정지신호(목표속도
0km/h)를 현시하여야 한다.
1. 폐색구간 내에 열차 또는 차량이 있을 때
2. 폐색구간 내에 있는 선로전환기가 정당한 방향으로 개통 되지 않았을 때
3. 사고 기타 장애로 인하여 관제사가 전열차 중지 요청하였을 때
제91조(차내신호기가 정지신호를 현시한 경우) 수동운전 시 차내신호기가 “정지(목
표속도 0km/h)”를 현시한 경우 열차는 자동으로 정차되어야 한다. 다만, 차내신호
기 고장 시 열차안전원은 즉시 정차하여 관제사에 보고하고 그 지시에 따라야 한다.
제3절 입환신호기
제92조(입환신호기) ①입환신호기는 종착역 또는 차량기지 및 입환을 하기 위하여 설
치한 신호기이다.
②주신호기는 입환신호기로서 차량 또는 열차에 대해서 신호를 현시하는 것으로 한다.
제93조(입환신호기의 신호현시) 입환신호기의 신호종류 및 현시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정지신호 : 적색등
2. 진행신호 : 등황색등
제94조(입환신호기에 의한 운전) 열차 또는 차량은 입환신호기에 진행신호가 현시되
어 있을 때에는 다음 입환신호기 또는 차량정지표지까지 운전할 수 있다.
제95조(입환신호기의 정위) 입환신호기는 적색등이 현시된 상태를 정위로 한다.
제4절 임시신호기
제96조(임시신호기) 선로고장 기타의 사유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열차 또는 차량을 정
해진 속도로 운전할 수 없는 경우 그 지점에 임시신호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관
제시스템으로 임시속도을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임시신호기를 생략 할 수 있다.
제97조(임시신호기 종류) 임시신호기의 종류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서행예고신호기 : 서행신호기에 종속되어 전방에 서행신호가 있음을 예고하는 신
호기
2. 서행신호기 : 서행운전구역에 진입하는 열차 또는 차량에 대하여 서행을 지시 하
는 신호기

- 18 -
무인운전취급규정

3. 서행해제신호기 : 서행운전구역에서 진출하는 열차 또는 차량에 대하여 서행을


해제하도록 지시하는 신호기
제98조(임시신호기 현시방법) 임시신호기는 반사재를 사용하며, 서행속도는 서행신호
기 및 서행예고신호기의 하단에 숫자로 표시하며 모양은 다음과 같다.(단위 : mm)

[서행예고신호기] [서행신호기] [서행해제신호기]

260
400 200
K/H K/H 140
400
3개(흑색삼각형을 (등황색원을 그린 (녹색원을 그린
그린 백색삼각형판) 백색사각형판) 백색사각형판)

제99조(임시신호기 설치위치 및 설치방법) ①임시신호기의 설치위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서행예고신호기는 서행신호기의 설치지점으로부터 전방 200m이상 떨어진 지점
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서행신호기는 서행구역의 시작지점, 서행해제신호기는 서행구역이 끝나는 지점에
서 열차 또는 차량의 길이를 더한 지점에 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서행구역은 지장개소로부터 앞, 뒤 양방향 50m를 각각 연장한 거리를 말한다.
②임시신호기는 열차안전원이 확인하기 쉬운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신호기명 서행예고신호기 서행신호기 서행해제신호기
신호현시 서행예고신호 서행신호 서행해제신호
백색테두리 녹색원판
등황색판 백색테두리
주, 야간
반사재사용
서행속도 서행속도 량수표시

열차진행방향 200m 이상 지장개소


50m 50m 전동차
서행구역 편성길이

제100조(임시신호 현시 시 운전취급) ①열차안전원이 승차하여 수동운전 중 서행예고


신호기 현시를 확인하였을 때는 곧 이어 서행신호기의 현시가 있을 것을 예상하고
주의운전 하여야 한다.
②서행신호가 현시 시에는 지정된 속도를 초과하여 운전할 수 없다.
③서행해제신호가 현시되어 있을 때에는 열차의 맨 앞 차량이 그 신호기를 지난 후부
터 서행을 해제할 수 있다.
제101조(임시 제한속도 설정) 서행운행 구역이 발생하였을 경우 또는 긴급히 서행운

- 19 -
무인운전취급규정

행이 필요한 경우 임시속도 설정을 하여야 한다.


제102조(임시신호 현시가 없는 경우의 조치) 임시신호기 또는 이에 대용하는 수신호
의 현시를 예고한 지점에 신호의 현시가 없거나 현시가 부정확 할 때에는 소정의 신
호가 현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열차안전원이 발견하였을 시 관제에 그 상
황을 신속히 보고하여야 한다.
제103조(임시신호기 사용기간 등의 지정) ①임시신호기의 사용기간, 설치구간 및 속
도 등은 기술관리처장이 지정하고 관제운영처장의 협조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다
만, 긴급을 요하는 서행은 우선 관제사가 시행하고 그 사유를 통보할 수 있다.
②임시신호기는 기술관리처장이 설치하고, 사용이 끝난 신호기는 신속히 철거하여야
한다.
제5절 수신호
제104조(수신호 방식) ①차내신호기 및 임시신호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 또는 신호
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 신호를 현시할 필요가 있을 때 전호기 또는 전호
등에 의한 신호를 현시하는 것을 말한다.
②수신호는 신호를 현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안전한 장소에서 현시하고 상당거리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시행하여야 한다.
③관제사는 수신호에 의하여 열차를 운행시킬 때에는 그 사유를 미리 열차안전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제105조(수신호 현시방법) 수신호의 현시방법은 다음과 같다.
신호의 현 시 방 법
종 류 주 간 야 간
적색기를 현시한다.
정 지 적색등을 현시한다.
다만, 적색기가 없을 때에는 양팔을 높이 들
다만, 적색등이 없을 때에는 녹색등 이외
수신호 거나 녹색기 이외의 물건을 급격히 흔들어
의 등을 급격히 흔들어 이에 대신한다.
이에 대신한다.
진 행 녹색기를 현시한다.
다만, 녹색기가 없을 때에는 한팔을 높이 든 녹색등을 현시한다.
수신호 다.
적색기와 녹색기의 기폭을 걷어잡고
서 행 머리위에서 교차시킨다. 다만, 전호기
깜빡이는 녹색등을 현시한다.
수신호 가 없을 때에는 양팔을 머리위에 교차
하여 이에 대신한다.

제106조(정지수신호 현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지수신호를 현시하여야


하며 정지수신호 현시위치는 정거장시단 또는 정거장종단 위치에서 현시한다. 다만
관제의 지시에 의해 정지위치가 지정되었을 때는 생략할 수 있다.
1. 신호기 또는 선로전환기의 고장 등이 발생되어 열차를 승강장에 진입 또는 승강
장에서 출발시켜서는 아니 될 때

- 20 -
무인운전취급규정

2. 열차 또는 차량을 긴급히 정차시킬 사유가 발생하였을 때


제107조(진행수신호 생략 및 현시) ①관제사는 진행수신호 현시를 생략할 때에는 운
행표시반에서 선로전환기의 쇄정 및 진로에 열차 또는 차량이 없는 것을 확인한 경
우에는 운전명령에 의하여 진행수신호의 현시를 생략할 수 있다.
②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진행수신호를 현시하여야 하며 진행수신호의 현시
위치는 정거장시단 또는 종단위치에서 현시한다.
1. 신호기 또는 선로전환기의 고장으로 수동 취급하여 열차를 역에 진입 또는 역에
서 출발시키고자 할 때
2. 정지수신호에 의하여 정차한 열차를 출발시키고자 할 때
제108조(정지수신호가 현시된 경우의 취급) 정지수신호의 현시를 발견한 열차안전원
은 다음 각 호에 따라야 한다.
1. 정지수신호 현시지점 외방에 열차를 정차시켜야 한다. 다만, 정지수신호의 현시
지점 외방에 정차할 수 없는 거리에서 정지수신호가 있을 때에는 신속히 정차하
여야 한다.
2. 제1호에 의하여 정차한 열차는 진행수신호의 현시 또는 관제사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출발할 수 없다.
제109조(수신호의 생략)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수신호를 생략할 수 있다.
1. 진로는 정상이나 신호기의 고장일 경우 관제실에서 현장 진로상태를 확인하고,
운전관제의 승인을 받아 열차안전원에게 열차를 역으로 진입 또는 역에서 출발
하도록 통보하였을 때
2. 선로전환기에 키-볼트 체결 등의 전환방지 조치를 하고, 운전관제의 승인을 받
은 후 열차안전원에게 열차를 진입 또는 출발하도록 통보하였을 때
제6절 전호
제110조(동일방향에 2이상의 전호가 있는 경우의 취급) 동일방향에 대하여 2이상의
서로 다른 전호방식이 있는 경우에는 열차 또는 차량을 즉시 정차하여 확인하여야
하며, 확인을 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최대한 제한을 받는 전호방식에 의한다.
제111조(출입문 여닫음 전호) 출입문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외에 출입문 여닫음 전
호에 의하여 여닫음 시기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열차감시자는 승강장카메라를 향
하여 출입문 여닫음 전호를 하여야 한다.

- 21 -
무인운전취급규정

구분 전호의 방식

출입문을 닫아라 양팔을 수직으로 올려 뻗고 손뼉치는 동작을 반복한다.


양팔을 수직으로 올려 손등을 마주 붙였다가 어깨 수평까지 내렸다가 올리
출입문을 열어라
는 동작을 반복한다.

제112조(비상전호) 비상전호는 위험이 절박하여 열차 또는 차량을 긴급하게 정차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 시행하는 것으로 전호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주간 : 양팔을 높이 들거나 녹색기 이외의 물건을 급격히 휘두른다.
2. 야간 : 녹색등 이외의 등을 급격히 휘두르거나 양팔을 높이 든다.
제113조(이동금지전호) ①열차 또는 차량의 이동을 금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이동금지
전호기를 게출 하여야 한다.
②이동금지전호기는 그 필요가 있는 차량의 앞, 뒤에 안전요원이 쉽게 확인 할 수 있
는 위치에 게출하여야 한다.
③이동금지전호기의 게출 및 철거는 차량부장이 하여야 하며 전호기 게출 방식은 다음
과 같다.

종류 및 표시방식 주 간 야 간
이동을 금지한다. 적색기 게출 적색등 게출
이동금지를 해제한다. 적색기 철거 적색등 철거

④열차안전원이 승차한 전동차에 이동금지전호를 설치 할 경우에는 차량부장이 그 사


유를 열차안전원에게 통보한 후 설치하며, 설치사유가 소멸되었을 때에는 즉시 철거
하고 열차안전원에게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제114조(입환전호 및 통고전호) ① 입환전호와 통고전호는 차량입환을 할 때에 입환
전호자가 열차안전원에게 행하는 것으로 전호방식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입환전호

구 분 주 간 야 간
녹색기를 좌우로 흔든다.
오너라 녹색등을 좌우로 흔든다.
녹색기가 없을 때에는 한 팔을 좌우로 움직인다.
녹색기를 상하로 흔든다
가거라 녹색등을 상하로 움직인다.
녹색기가 없을 때에는 한 팔을 상하로 움직인다.
정지하라 적색기를 현시한다. 적색등을 현시한다.
녹색기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크게 1회 상
속도를 녹색등을 상하로 또는 좌우로
하로 움직인다.
움직이면서 크게 1회 상하로 움
절제하라 녹색기가 없을 때에는 한 팔을 상하 또는 좌우로 움
직인다.
직이면서 크게 1회 상하로 움직인다.
적색기폭을 걷어잡은 팔을 위로 뻗고 녹색기로 “가
조금 전․후진 거라”또는“오너라”의 전호를 한다. 적색등을 상하로 움직인 후 “가
거라”또는“오너라”의 전호를
하라 적색기가 없을 때에는 한 팔을 머리위로 올리고 다른 한다.
한 팔로 “가거라”또는“오너라”의 전호를 한다.

- 22 -
무인운전취급규정

2. 통고전호

구 분 주 간 야 간

녹색기 및 적색기폭을 걷어잡고


적색등과 녹색등을 번갈아
연 결 머리위 높이에서 수평으로 깃대
가면서 여러번 현시한다.
끝을 맞댄다.

②입환전호자는 전호를 계속 현시하여야 하고, 열차안전원은 입환전호를 확인 할 수


없을 때에는 즉시 정차하여야 한다.
제7절 표지
제115조(열차표지) 열차에는 앞쪽에 앞표지를, 뒤쪽에는 뒤표지를 다음 각 호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한다.
1. 앞표지 : 열차의 맨 앞쪽 차량의 전면에 백색등 1개 이상
2. 뒤표지 : 열차의 맨 뒤쪽 차량의 후면에 적색등 1개 이상
3. 되돌이운전을 할 때에는 되돌이운전 하기 전에 표시한 열차표지를 변경 할 수
없다. 다만, 되돌이운전을 위하여 맨 앞쪽차량의 전면에 앞표지등이 있을 때에는
이를 밝혀야한다.
제116조(차막이표지) 선로의 차막이가 설치된 곳에는 다음과 같은 모양의 차막이표지
를 설치하여야 한다.(단위 : mm)

제117조(정거장구역표지) ①정거장구역 내⋅외의 경계지점에는 정거장구역표지를 설


치하여야 한다.
②정거장구역표지의 설치위치는 최 외방 장내경계표지 또는 장내 상당의 폐색경계표지
설치위치에 상⋅하선 동일한 위치로 한다.
③선로 내에 설치가 곤란할 때에는 측면 벽에 정거장구역표지를 설치할 수 있다.
④정거장구역표지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단위 : mm)

- 23 -
무인운전취급규정

제118조(차량접촉한계표지) ①선로의 분기 또는 교차개소에는 그 선로를 운행하는 열


차 또는 차량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한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차량접촉한계표지를 설
치하여야 한다.
②차량접촉한계표지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 (단위 : mm)

50
20 50
적 0 10

백 0 32
색 20 0

0

30
0
제119조(정지위치표지) ①역에 열차 또는 차량이 정지할 맨 앞, 뒤 위치를 표시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그 위치에 정지위치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정지위치표지는 승객의 승, 하차에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며 설치 기준은 다
음 각 호와 같다.
1. 측면정지위치표지 : 열차 출입문과 승강장의 승차위치표시가 일치되도록 비상운
전대 전부쪽으로 적당한 지점의 우측면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
에는 좌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2. 전면정지위치표지 : P0를 기준으로 지정된 위치의 선로중앙에 설치하여야 한다.
③열차안전원이 운전 할 경우 정지위치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비상운전대 측면을
감안하여 측면표지와 일치하도록 열차 또는 차량을 정지시켜야 한다.
④정지위치표지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단위 : mm)

- 24 -
무인운전취급규정

제120조(선로곡선표지) ①선로의 곡선으로 인하여 열차의 운전속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구간의 시작지점에는 선로곡선 표지를 설치하고, 곡선이 끝나는 지점에는 그 구
간 운행열차의 길이를 더한 지점에 속도제한해제표지를 부착하여야 한다.
②선로곡선표지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

제6장 사고발생 시 조치
제1절 총칙
제121조(사고발생에 대한 조치) ① 철도사고(이하“사고”라 한다)가 발생한 경우에
특히 인명에 위험이 발생한 때에는 인명구조를 최우선으로 조치하여야 한다. 또한 병
발사고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지체 없이 관계열차 또는 차량을 정지시켜야 하며, 이
규정에 정하여져 있지 않은 이례사태가 발생한 때에는 그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여
가장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수단에 의한 적합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관제사는 사고가 신고 되었을 경우 및 장애물검지시스템, 탈선검지시스템에 알람이
현시됐을 경우에는 중앙비상정지버튼(CESB), 시스템 대기, 급전차단 등의 조치를
신속히 하여야 하며, 관계부서에 통보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알람이 현시됐을 경우
라 함은 열차의 충돌, 탈선, 폭주, 화재 등으로 인명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는 때를 말한다.
③관제는 즉시 그 상황을 열차·고객안전원, 기술관리처 및 유지보수담당자에게 통보
하여야 하며, 통보를 받은 해당 직원 들은 즉시 현장에 출동하여 고객안내 대피 등
최대한 신속히 복구하여야 한다.
④열차화재 등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관제는 비상대응계획에 의한 조치 및 내
용을 보고하여야 한다.
⑤열차안전원은 운행시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때는 즉시 관제에 보
고하여야한다.
제122조(사고의 통보방법) 관제는 사고, 장애, 기타의 사유로 인하여 열차가 정차하였

- 25 -
무인운전취급규정

을 때에는 그 사실을 열차안전원에게 다음 각 호의 방법에 따라 통보하여야 한다.


1. 열차무선전화 또는 휴대용무전기를 사용한다.
2. 통화가 즉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개인 휴대전화 등 다른 통신수단을 강구하여
야 한다.
제123조(사고발생시 관제의 조치) 사고발생의 보고를 받거나 인지한 경우에 관제는
관계부서에 통보함과 동시에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는 열차안전원을 통한 구원조치를
하여야 하고, 사고 조치를 위하여 선로내로 진입할 경우에는 단전 등 관련조치를 취
하고 선로출입 허가대장〔별지 제2호〕에 기록 후 시행하여야 한다.
제124조(장시간에 걸친 사고의 경우 운전취급) 사고의 수습이 장시간이 걸린다고 인
정되는 경우의 운전취급 및 사고복구에 대하여는 별도로 정한 규정에 의한다.
제125조(사고복구의 우선순위) 사고 복구작업에 있어서의 우선순위는 다음 각 호의
순위에 의하여야 한다.
1. 인명구조 및 보호
2. 2차 사고예방
3. 본선의 개통
4. 재산피해 최소화
제2절 운전사고 및 장애발생 시의 조치
제126조(역간 도중에서 정차한 경우) ①열차가 역간 도중에서 고객에 의한 비상정차
또는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해 열차가 정지되었을 경우 관제는 다른 열차의 접근을
차단하고 필요시 단전을 요청 한다.
②관제는 즉시 상황을 관제부장 및 열차안전원에게 상황 전달을 하고 원인파악 및 열
차의 운행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이 경우에 열차안전원에게 열차를 다음 역까지 수동운행토록 지시할 수 있다.
제127조(승강장 외의 승·하차 금지) 승강장 외의 본선에서 여객은 승·하차 할 수
없다. 다만, 사고 등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 한다.
제128조(관계직원의 현장 출동) ①관제는 원활한 열차운행과 고객불편 해소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객안전원을 현장
에 출동하도록 지시하여야 한다.
1. 역구내 사상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2. 차량고장 또는 열차출입문 및 승강장안전문 설비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3. 역구내 선로내 장애물 발견 또는 통보를 받았을 때
4. 열차운행과 관련 여객불편사항을 통보 받았을 때

- 26 -
무인운전취급규정

5. 정거장간 도중에 정차한 열차의 여객을 유도대피 시킬 때


6. 기타 안전 확인이 필요할 때
②제1항의 지시를 받고 현장에 출동하는 고객안전원은 확인 및 조치한 사항을 관제
에 보고하여야 한다.
제129조(고객의 임의하차 방지 및 대피시의 조치) ①관제 및 열차안전원은 열차운행
중 철도사고 또는 운행장애 발생으로 정거장간 도중에 정차하였을 때에는 고객이 임
의로 하차하지 못하도록 안내 및 조치하여야 한다.
②정거장간 도중정차 열차에서 긴급히 고객의 대피가 필요한 경우 관제는 열차안전원
과 고객대피 방법을 협의하여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대피하도록 하여야 한다.
③제2항에 따라 여객 대피에 임하는 열차안전원과 고객안전원은 고객이 당황하지 않도
록 유도하고 가능한 장애인 및 노약자를 최우선하여 대피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130조(고객 유도대피 방법) ①관제 및 열차안전원은 정거장간 도중정차 열차에서
고객을 긴급히 대피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음 각 호에서 적용 가능한 대피방법을 정
하여 신속하게 조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1. 열차안전원은 정거장간에 정차한 열차에서 고객을 정거장까지 유도 대피시킬 때
에는 관제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2. 관제는 유도하는 정거장의 고객안전원 또는 관계자에게 유도대피의 지원을 지시
하여야 하며, 지시를 받은 고객안전원 또는 관계자는 고객의 대피 및 상태를 확
인한 후 관제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3. 관제는 고객을 선로로 대피시킬 때에는 인접선 열차나 뒤 열차에 대하여 방호조
치를 하여야 한다.
4. 열차안전원은 여객이 대피할 때에는 출입문 및 승강장안전문을 개방하고 하차하
도록 안내방송을 시행하여야 한다.
5. 열차안전원은 관제의 지시를 받을 수 없고, 선로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것이 안전
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인접선 열차나 뒤 열차에 대하여 방호조치를 하며, 안전
한 방법으로 유도 대피시켜야 한다.
제131조(본선 내 고객하차 유도방법) 열차안전원은 정거장간에 열차가 정차한 때에는
고객이 객실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안내방송을 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로
고객을 하차시킬 때에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1. 관제에게 보고하고 본선 내 단전요청 및 인접선을 운행하는 열차의 정지요청 등
안전조치를 한다.
2. 긴급한 때에는 관제의 지시에 따라 전체 출입문을 개방한다.

- 27 -
무인운전취급규정

3. 하차한 여객을 안내할 때에는 정차한 지점에서 가까운 역을 향해 중앙대피로를


보행하도록 유도한다.
제3절 열차방호
제132조(열차의 방호) 1. 고장 기타의 사유로 정지한 열차가 타 열차의 운행에 위험
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관제는 지체 없이 전 열차중지에 의한 열차방호를 하여
야 한다.
2. 사고가 발생하거나 발생 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관제는 열차를 가능한 정거장에 대
기하도록 하여야 한다.
3. 제1항의 열차방호를 시행한 관제는 지체 없이 그 상황을 관제운영처장에게 보고하
여야 한다.
제133조(열차방호의 종류와 방법) 열차방호의 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전 열차중지 및 대기 설정을 한다.
2. 지장 받을 열차를 정지시킨다.
3. 필요시 진입금지 설정을 한다.
제134조(열차방호를 하는 경우)
1. 장애물 검지(탈선검지)시스템의 경보가 동작됐을 경우
2. 열차안전원 또는 역사 및 열차내부 승객의 비상통화장치에 의한 사고 접수 시
3. 관제실에 의한 열차감시 및 통제가 불가능 한 경우
제135조(인접선로를 지장 한 경우의 조치) 장애물검지(탈선검지)시스템에 의한 경보
발생시 즉시 관제는 구간비상정지 설정을 하고 인접선로에 대한 지장여부를 철저히
확인하여야 한다.
제136조(선로전환기 장애발생 시 조치) ①선로전환기 또는 ATC제어반에 장애발생으
로 인하여 관제실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없을 때에는 관제운영처장은 즉시 기술관
리처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장애로 인하여 장시간 열차지연이 예상될 때 관제는 안전에 지장이 없는 한
다음 각 호의 자에게 선로전환기의 수동전환을 지시할 수 있다.
1. 고객안전원(운전취급역)
2. 유지보수담당자
③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선로전환기 수동전환 지시를 받은 고객안전원은 운전명령에
의하여 관제의 승인을 받아 선로전환기를 수동전환하고 열차안전원은 관제가 지시한
지점까지 운행할 수 있다.
④선로전환기를 수동으로 전환할 때에는 선로전환기 수동전환취급요령〔별표 제4호〕

- 28 -
무인운전취급규정

에 의하여 전환하고, 개통방향을 관제에 보고하여야 한다.


제137조(구원운전 시 조치) ①관제사는 구원운전을 시행하고자 할 경우 열차안전원
등 관계자에게 그 사유 및 고장열차의 위치를 정확히 통보하고 폐색방식의 변경을
통한 구원열차의 운행을 승인하여야 한다.
②구원을 요구한 후 관제사는 고장열차 또는 차량을 정차지점에서 절대로 이동할 수
없다. 단, 관제사가 구원열차안전원에게 폐색변경을 통보한 경우에는 그러지 아니하
다.
③구원열차는 자동운전방식으로 “정지” 신호지점까지 운전한 후 비상운전모드로 전
환하여 15km/h 이하의 속도로 현장까지 운전하여야 한다. 다만, 구원열차가 ATC신
호 방식에 의할 수 없을 경우에는 전 구간 25km/h 이하의 속도로 주의하여 운전하
여야 한다.
④구원운전은 관제실에서 열차운행상황 파악이 가능하고, 구원열차의 열차안전원과 통
신이 가능할 때 관제사가 취급한다. 다만, 통신불능 등의 사유로 관제가 취급할 수
없을 경우에는 휴대전화 등의 통신수단 등을 이용하여 지시하여야 한다.
제138조(열차가 정지위치를 벗어나 정차한 경우의 조치) ①열차가 역의 정지위치를
벗어나 정차한 경우에 관제사는 열차감시를 철저히하여 정지위치를 수정하고 후속열
차 운행을 감시하여야 한다.
②정지위치를 수정하기 위하여 되돌이운전 시 후속열차의 운행을 통제하여야 하며, 열
차안전원에 의해 정위치 정차하며 불가할 시 다음 역으로 통과 할 수 있다. 이 경우
의 관제사는 다음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열차·고객안전원에게 상황 전달 및 승객안내서비스 지시
2. 객실·승강장 안내방송 및 안내게시기를 이용하여 고장에 대한 상황을 알려야
한다.
제139조(열차화재 발생 시 조치) 열차에서 화재 및 연기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관제사
는 비상대응계획에 의한 안전조치를 취하고, 다음 각항의 조치를 하여야한다.
1. 정거장 간에서 열차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는 가능한 한 최근정거장까지 운행함을
원칙으로 하고 승객대피를 위한 초기안내 및 초기소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정거장간에 승객를 하차시킬 때에는 열차방호 및 전차선 단전을 하여야 한다.
3. 화재차량에 다른 열차들이 접근하지 못 하도록 하며 필요시 단전을 하여야 한다.
4. 열차·고객안전원등 가동할 수 있는 인력을 최대한 사고현장에 배치하여 승객대
피 및 화재진압을 지시한다.

- 29 -
무인운전취급규정

제140조(역사 화재발생 시 조치) ①관제는 역의 승강장 대합실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


여 고객의 승·하차 취급이 불가능하거나 위험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해당 역에 열
차의 진입을 차단하고, 해당구간에 대하여 완벽한 소화조치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
후에 열차를 정상운행토록 하여야 한다.
②화재발생 역에 정차중인 열차가 있을 때 관제사는 하차고객의 안전이 우려되는 경
우 안내방송을 시행하여 고객을 다시 승차시킨 후 즉시 해당 역을 출발하여야 한다.
제141조(사상사고 발생 시 조치) ①열차운행 중에 사상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신고되었
을 경우 관제사는 다음 각항의 조치를 하여야한다.
1. 즉시 119구급대 요청과 동시에 열차·고객안전원을 급파하여 조치한다.
2. 이미 사망하였을 경우에는 열차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열차·고객안전원은 외부
기관과 협조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가까운 역사를 통하여 후송한다.
②제1항의 조치 중 관제사는 후속열차 및 인접선로를 운행하는 열차를 통제하며 필요
시 단전조치 후 안전하게 처리한다.
③제1항 2의 지시를 받은 고객안전원은 그 진행상황을 관제사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④관제사는 사상사고의 수습이 완료된 것을 통보받은 후 열차운행을 재개 하여야한다.
제142조(열차안전원이 열차에서 떠날 경우의 조치) 열차안전원이 순회중인 열차에서
떠날 경우에는 관제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4절 차량 및 선로의 고장
제143조(차량고장인 경우의 조치) ①열차운행 중 차량고장 기타의 사유로 자력운행을
계속할 수 없다고 인정하였을 때에는 열차안전원에게 통보하여 구원연결 후 합병운
전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승차하고 있는 고객은 최초 도착역에서 모두 하차시켜야 한
다.
②제1항의 경우 차량기지까지 운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차량교환을 하여야 한다.
제144조(출입문 고장 시 열차운전) 열차운전 중 출입문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관
제사는 다음 각호에 따라 조치하여야 한다.
1. 출입문 1개가 열리지 않을 때에는 폐문 조치 후 차량교환 역까지 운행하고, 2개
이상의 출입문이 열리지 않을 때에는 해당 역에서 승객을 하차시키고 회송 조치
한다.
2. 출입문이 1개 이상 닫히지 않을 때에는 해당 역에서 승객을 하차시키고 회송
조치한다.
3. 출입문 고장 등으로 회송 조치 시 고객안내방송 실시, 승객하차 확인, 차내 유실
물 여부 등 조치를 하여야 한다.

- 30 -
무인운전취급규정

제145조(운행 중 출입문이 열렸을 때의 조치) 관제사는 정거장간 운행열차에서 출입


문이 열려 정차한 때의 조치사항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객실 원격 감시설비로 여객의 이상유무 확인
2. 열차내 여객안내방송 시행
3. 열차안전원에게 이상유무 확인 및 응급조치 지시
4. 제3항의 응급조치에도 출입문이 닫히지 않을 때에는 열차안전원에게 전체출입문
바이패스 스위치 취급 및 여객분승, 고장 출입문을 감시하도록 한 다음 최근역까
지 운행한 후 회송 하여야 한다.
제146조(전차선 급전중지 및 재 급전 요청) ①사고 등에 의하여 전차선의 급전을 일
시중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 관계자는 즉시 관제사에 보고하고 단전을 요청하여야 한
다.
②사고가 복구되어 열차운행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에는 그 상황을 관제에 보고하고 재
급전을 요청하여야 한다.
③제1항 및 제2항의 보고를 받은 관제는 현장의 상황을 파악한 후 전력관제에 단전
및 재급전을 요청하여야 한다.
제147조(전차선 정전 시 조치) ①열차운행 중 전차선이 정전되었을 경우 관제사는 타
력운전으로 최근 역까지 운행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전차선 정전 시 관제는 정지한 열차에 대하여 구름방지, 축전지 방전예방 등의 조치
를 하여야 한다. 다만, 정전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전차선이 재 급전되면 관제는 운전정리를 시행하여 열차가 정시운행이 되도록 하여
야 한다.
제148조(선로내 침입자 발견 및 선로이상 시 조치) ①열차운행 중 선로에 확인되지
않은 침입이 신고된 경우 관제는 해당구간을 진입금지 설정하여 타 열차의 접근을
막아야 한다.
②침입자가 확인되었을 경우 즉시 해당구역을 단전하여야 한다.
③상황 종료 후 해당구간에 이상 없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열차안전원에 의한 사전점검
운행을 하여야 한다.
제149조(열차내 비상인터폰 작동시의 조치) 관제사는 열차내 비상인터폰 작동 또는
열차안전원의 이상상황 보고가 있을 때에는 차내 CCTV 모니터를 통한 확인 및 다
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환자 또는 여객 불안전상황 발생 시 고객안전원 출동 지시(필요시 관계기관 통보)

- 31 -
무인운전취급규정

2. 관제가 조치가능한 사항은 직접 조치, 조치 불가 사항은 관계부서 조치 의뢰


3. 열차·고객안전원의 조치가 필요한 사항은 그 요지통보 및 조치지시
제5절 승강장안전문 고장 시 조치
제150조(승강장안전문의 확인) ①승강장안전문이 개방되어 있을시에는 열차를 진·출
입을 할 수 없다. 단, 점검을 하거나 고장으로 인하여 안전조치를 한 이후에는 그러
지 아니하다
②승강장안전문의 임의개방이 확인되었을 경우 선로에 승객이 침입한 것으로 간주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151조(승강장안전문 고장 시 안전조치) 승강장안전문 고장발생 시 기술부서에 통보
하고 다음 각 호에 따라 조치하여야 한다.
1. 승강장안전문이 자동으로 열리지 않을 경우 고객안전원은 승강장안전문을 수동
조작하거나 인접 승강장안전문으로 유도하여 승객 승·하차에 지장이 없도록 하
여야 한다.
2. 고객안전원은 승강장안전문이 닫히지 않을 때에는 관제의 지시에 따라 바이패스
스위치 취급 및 안전펜스를 설치하고 승객을 감시·통제 하여야 한다.

제6장 이상기후
제1절 이상기후
제152조(이상기후) 이상기후라 함은 폭풍, 폭우, 폭설, 혹한, 혹서, 안개, 결빙 등을 말
하며 이로 인하여 열차의 정상운행에 지장 또는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를 말한
다.
제153조(이상기후 시 상황전달) ①관제는 기상청에서 이상기후에 대한 예보가 있을
때에는 기상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관계직원에게 통보하고 운행 중인 열차 및
선로 기타의 상태를 영상정보처리기기로 감시를 강화하여야 한다.
②이상기후에 대한 통보를 받고 출동한 관계자는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에 각별히 주
의 하여야 하며, 관련부서장은 자연재해 발생에 대비하여야 한다.
제154조(이상기후 발생 시 조치) ①관제는 이상기후로 재해의 발생이 예상 될 때에는
본선 운행열차에 대하여 열차운전속도의 감속 등 상황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관제는 자연재해 등으로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이 위험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열차
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등 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제2절 안개 및 폭설
제155조(안개 또는 폭설 시 조치) 안개 또는 폭설의 상황을 접수하였을 때에는 지하

- 32 -
무인운전취급규정

구간에 열차 또는 차량을 운행 시 관제는 운전에 지장이 있을 경우 열차안전원을 통


하여 열차 및 선로상태 등을 감시토록 지시한다.
제3절 침수
제156조(집중호우 예보 시 조치) 관제운영처장은 집중호우가 빈번한 하절기에는 일기
예보의 기상상황을 청취하여 집중호우로 인한 지표수 유입우려가 있는 역이나 현업
에 대하여는 지표수 유입을 방지하는 차수판 및 차수막 등의 설치준비를 지시하여
침수예방에 적극 대처하도록 하여야 한다.
제157조(선로침수로 인하여 운행의 지장) ①선로의 침수로 인하여 운행에 지장이 있
다고 판단될 때에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조치하여야 한다.
1. 선로의 침수를 발견한 관계직원은 그 상황을 관제에 신속히 보고하고 지시를 받
아야 한다.
2. 제1호의 보고를 받은 관제는 관계부서에 배수조치 및 열차를 일시 운행 중지시
키고, 필요 시 승객의 하차 등 안전조치를 강구하며, 열차를 침수 우려가 없는
장소에 대피시켜야 한다.
②선로침수의 경우 열차운행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취급한다.
1. 레일 상단면 밑으로 일부가 침수되었거나, 침수 확인 시 열차를 그 전방에 정지
시키고 열차가 통과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15km/h 이하의 속도로 임시속도
설정하여 주의운행 시켜야 한다.
2. 레일 상단면 위로 침수 시에는 침수지점 전방에 모든 열차운행을 중지시켜 각
역에 정차토록 하여야 한다.
3. 제1호 및 제2호의 수위측정은 열차를 정지시킨 후 열차안전원이 현장에서 레일
면을 기준으로 목측으로 파악한다.

제7장 재난
제1절 지진
제158조(지진의 경보발령) 관제사는 지진이 발생하였거나 관계기관으로 부터 지진발
생의 예측을 통보받은 경우에는 상황에 따른 지진경보를 발령하여 열차의 운전속도
를 제한하고 열차의 운전을 중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제159조(지진경보 발령기준) 지진경보 발령기준은 다음에 의한다.

- 33 -
무인운전취급규정

종 별 구 분 현 상

진도3 - 가옥이 흔들린다.


예 보 - 창문이 소리를 내며 흔들린다.
(약진) - 형광등처럼 매달린 물건이 흔들린다.

- 가옥의 전등이 심하게 흔들린다.


진도4 - 그릇의 물이 넘친다.
경 보
(중진) - 걷고 있는 사람이 느낀다.
- 많은 사람들이 집밖으로 뛰어 나온다.

진도5 - 벽에 금이 생긴다.
- 비석이 넘어진다.
(강진) - 굴뚝, 돌담, 축대 등이 파손된다.
비 상
진도6 - 가옥파괴가 30% 이하이며 산사태가 발생하고 땅에 금이 간다.
경 보 - 대부분의 사람이 서 있을 수 없다.
(열진)

진도7
- 가옥파괴가 30% 이상이며 땅이 갈라지고 산사태가 발생한다.
(격진)

160조(지진경보 시 조치) ①관제사는 지진경보를 통보받았을 때에는 발령기준에 따라


다음 각 호에 의한 운행통제를 하여야 한다.
1. 예보(진도3) 발령 시는 전방에 이상 없음을 확인하며 주의운전 하여야 한다.
2. 경보(진도4) 발령 시는 열차를 즉시 정지 하여야 하며,열차안전원은 관제사의 지
시에 의해 25km/h 이하의 속도로 최근역까지 주의운전 후 정지 하여야 한다.
3. 비상경보(진도5이상)발령 시는 열차를 즉시 정지 하여야 하며,열차안전원은 관제
의 지시에 의해 15km/h 이하의 속도로 최근역까지 주의운전 후 정지 하여야 한
다.
②관제 및 열차안전원은 비상경보 발령 시 상황을 파악하여 승객의 하차를 유도하고
고객안전원은 승객을 안전한 장소에 대피시켜야 하며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관제는 지진경보가 해제된 경우에는 전 구간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생구간
최초의 열차는 선로에 이상이 없는지 주의운전 하여야 하며, 이상이 없는 경우 정상
운행을 하여야한다.
제2절 공습경보
제161조(공습경보 통보) ①공습경보(경계, 공습, 화생방)가 발령되면 관제사는 즉시
운행 중인 열차와 역 등 관계 부서에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경보의 발령사실을 관제
사보다 먼저 통보받은 부서에서는 관제사에 급보하여야 한다.
②관제 및 열차·고객안전원은 민방위방송 등을 청취하여 경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
여 야하며, 관제는 필요시 안내게시기 및 방송장치를 이용하여 승객에게 상황을 전파
하여야 한다.

- 34 -
무인운전취급규정

제162조(공습경보 시 취급) ①관제는 경보가 발령되면 열차의 운행위치와 상황을 파


악하여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역에 열차의 정차 또는 승객의 대피를 지시하는 등 필
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열차안전원은 열차에서 승객하차를 유도하고 안전한 장소에 대피시켜야 한다.
③관제는 공습경보가 해제되면 즉시 모든 열차와 역 등 관계부서에 전달하고 공습경보
가 해제된 후 최초로 운행하는 열차에 대해서는 전방에 장애가 있을 것을 예상하여
열차안전원에게 사전 점검열차 운행을 지시하여야 한다.
제3절 생화학물질(유독가스)발견 시 조치
제163조(생화학물질(유독가스) 발견 시의 조치) ①관제는 운행 중인 열차 또는 역 내
에서 유독가스 발생 신고를 받았을 경우에는 즉시 군 관련기관 출동 요청 및 다음
각 호에 의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해당열차를 최근 역까지 운행시키고, 승객을 모두 하차시킨 후 회송조치를 하여
야한다.
2. 역 내인 경우 해당 역에 대해서는 열차가 통과하도록 조치하고 역사 내 승객이
동요하지 않도록 안내방송 및 안내게시기를 통하여 신속히 대피를 유도하여야
한다.
3. 관제는 생화학물질로 오염된 역에 대하여는 열차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긴급 정
지시키는 등의 안전조치를 시행하여야 한다.
②정거장간을 운행 중인 열차인 경우 신고나 의뢰를 받은 열차·고객안전원은 안내방
송과 동시에 승객을 오염되지 않은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키고, 역사에서 발생한 경
우에는 고객안전원은 관제에 무정차 통과를 요구한다. 이 경우 열차·고객안전원은
방독면 등 보호 장비를 착용하여야 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은 2019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

- 35 -
무인운전취급규정

[별표 제1호] (제3조 관련)

용어의 정의

1. 완전자동운전 : 열차안전요원이 열차안에서 직접 운전하지 아니하고 관제실에서의


원격제어에 따라 열차가 자동으로 운행되는 방식을 말한다.
2. 열차 : 본선에서 운전할 목적으로 조성되어 열차번호를 부여받은 차량을 말한다.
3. 운전관계직원 : 운전업무에 종사하는 열차안전원, 모터카 운전원과 운전취급업무를
하는 관제사 및 열차 운전과 밀접한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 등을 말한다.
4. 차량 : 열차외의 전동차, 모터카를 말한다.
5. 운전실무수습 : 철도차량운전면허 소지자가 김포도시철도 본선 전구간 및 차량기지
내에서 운행 할 열차에 대한 수동운전법, 차량고장조치, 각종 기기취급법과 선로,
신호시스템 등의 숙지, 비상 시 구원연결 등 운전실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교육훈련
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6. 철도차량운전면허 : 철도안전법에 따라 철도차량을 운전하고자 하는 자가 국토교통
부장관으로부터 받은 운전면허를 말한다.
7. 열차안전원 : 철도차량운전면허 제2종을 소지하고 열차의 고장조치 업무, 필요시
열차운전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말한다.
8. 고객안전원 : 역사 운수수입 관련 고객서비스업무 및 부속된 시설물 관리업무 등,
현장에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말한다.
9. 관제운영처장 : 김포도시철도(주) 관제운영처의 열차운행 관련업무와 역사운영의
전반적인 업무 등을 통합 관리하는 관제운영처의 책임자를 말하며, 대표이사의 명
을 받아 업무를 대행하는 사람을 포함한다.
10. 유지보수담당자 : 각종 설비, 시설물 등의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기술관리처
직원을 말한다.
11. 전환구역 : 무인자동운전구역과 검수지역 사이의 경계지역을 말한다.
12. 연결축수 : 열차로 조성된 전 차량의 차축 총수를 말한다.
13. 제동축수 : 열차로 조성된 차량의 제동이 작용하는 차축의 총수를 말한다.
14. 선로 : 궤도 및 이를 지지하는 공작물을 말하며 열차의 운전에 상용되는 본선과
그 외의 측선으로 구분된다.
15. 본선 : 열차운전에 상용하는 선로를 말한다.
16. 정거장 : 승객의 승․하차, 열차의 조성, 차량의 입환 등을 위한 장소를 말하며, 정
거장은 다음과 같다.

- 36 -
무인운전취급규정

1) 운전취급역역 : 열차의 입환 및 반복운전 등이 가능하도록 건넘선 등을 갖추고


승객에 관한 여객업무를 수행하는 장소를 말한다.
2) 역 : 운전설비가 설치되지 않고 승객에 관한 업무 등을 수행하는 장소를 말한다.
3) 차량기지 : 신호기와 선로전환기 및 이들의 조작설비와 선로를 갖추고 차량의
조성, 입환, 검수, 정비 및 입, 출고에 대한 운전조작을 하기 위한 장소를 말한
다.
17. 구원열차 : 고장 등 자력으로 운전할 수 없는 열차 또는 차량을 구원하기 위하여
운전하는 열차를 말한다.
18. 밀기(推進)운전 : 열차 또는 차량의 맨 앞쪽 운전실에서 운전하지 않고 진행하는
방향의 맨 앞 이외의 운전실에서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19. 되돌이(退行)운전 : 열차표지를 변경함이 없이 맨 앞쪽 또는 뒤쪽 운전실에서 처
음 진행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열차를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20. 운전모드 : 간이운전대에 설치한 운전모드 선택스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선택되는
운전방식을 말한다.
21. 중앙비상정지버튼(CESB) : 관제실에 설치되어 있고 비상정지 상태를 위한 버튼
으로서 각 전자연동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이 버튼을 누를 경우 전자연동장치 제
어 영역 내에 있는 열차를 정지시킨다.
22. 상용폐색방식 : 열차의 운전을 위하여 해당구간의 운전설비 실정에 맞게 신호체계
를 설정하고 늘 사용하는 폐색방식을 말한다.
23. 대용폐색방식 : 폐색장치의 고장 또는 기타의 사유로 인하여 상용폐색방식을 시행
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폐색방식으로 경전철의 특성상 지령식에 의한 운전취급법
만 가능하다.
24. 폐색방식 : 1폐색구간에 1열차 이외의 다른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않기 위하
여 시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25. 지령식 : 복선구간에서 주신호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로 종합관제실(OCC) DLP
화면에 의해 열차의 운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열차무선을 사용할 수 있을 때
관제사 지시에 의해 운전하는 대용폐색방식을 말한다.
26. 폐색준용법 : 상용폐색방식과 대용폐색방식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 열차운전의 안
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폐색방식에 가까운 방법으로서 시행하는 운전보안방식을 말
한다.
27. 전령자 : 전령법을 시행하여 열차를 정거장으로부터 출발시킬 때 열차의 안전운행
을 위하여 전부 운전실에 승차시켜 운전허가증 역할을 하는 직원을 말한다.

- 37 -
무인운전취급규정

28. 무폐색운전 : 폐색방식(상용 및 대용폐색방식)이나 폐색준용법을 시행 할 수 없을


때 안전요원의 주의력에 의존하여 안전운행을 보증하는 것으로 전도인식 양호한
경우는 언제라도 정차할 수 있도록 15km/h이하의 속도로 운전하고 그러하지 못
할 시는 투시거리 내에서 정차할 수 있는 속도로서 때때로 기적을 짧게 여러번 울
리면서 주의운전하는 것을 보안요건으로 하여 운전하는 것으로 신호시스템의 장애
시 안전요원이 관제사의 지시를 받을 수 없을 때 무폐색으로 운전할 수 있다.
29. LOCAL제어 : 열차운행종합제어설비(ATS)고장 등으로 관제실에서 종합제어할
수 없을 때 관제사의 지시에 의하여 건넘선이 있는 역에서 자체적으로 열차 또는
차량의 신호 및 진로를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30. 차내신호폐색식 : 자동열차제어장치에 의해 운전기능의 일부를 자동화하고 열차운
행의 조건인 신호를 차상에 현시하는 유인운전방식을 말한다.
31. 단선차내신호폐색식 : 사고 기타 장애로 인하여 양방향을 단선만 사용하여 열차를
수동으로 운행되는 폐색방식을 말한다.
32. 연동 : 신호기 또는 선로전환기 등의 조작에 일정한 순서 및 제한을 붙여 상호 잠
금(鎖錠)장치 관계로 묶는 것을 말한다.
33. 열차방호 : 정거장외(또는 폐색구간)의 선로에서 열차가 정차한 경우 또는 선로에
열차의 정지를 요하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 진행하여 오는 열차를 정지시키기 위하
여 제동거리를 고려하여 정지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34. 전차선로 : 3궤조 및 이를 지지하는 공작물을 말한다.
35. 특수차 : 궤도자동차, 모터카, 멀티플타이탬퍼, 바라스트콤팩터, 궤도검측차, 레일
탐상차, 분진흡입차, 레일연마차 등 선로를 운행하는 모든 자주식 차량을 말한다.
36. 관제사 : 김포도시철도(주) 대표이사(이하“대표이사”라 한다)의 책임으로서 열
차운전에 관한 지시를 하는 직원을 말한다.
37. ATC(Automatic Train Control) : 열차의 자동제어 및 감시 장치를 말하며
ATS, ATO, ATP를 포함한다.
- ATS(Auto Train Supervision): SRS, D/L, Dispatcher등에 의한 열차감시
- ATO(Auto Train Operation): 열차자동운전
- ATP(Auto Train Protection): 전자연동장치, 열차보호
38. 영상정보처리기기 : 종합관제실(OCC) 및 역사에서 승객의 승․하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기지, 역사내 승강장, 대합실, 화장실, 기능실 입구 등 주요지점 또
는 차량내부 등에 설치한 영상장치를 말한다.
39. 확인운전 : 상용폐색식 시행구간의 차내신호기 “0” 신호 현시구간을 운전할 경

- 38 -
무인운전취급규정

우에 안전요원이 관제사의 운전명령을 받고 15km/h 이하의 속도로 주의운전하


는 것을 말한다.
40. 차내신호기 : 전동차 운전실내에 설치하여 신호를 현시하는 것을 말한다.
41. 수신호 : 신호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 또는 이를 설치하지 아니하였을 때 전호기
또는 전호등에 의해 현시하는 신호를 말한다.
42. 운전정리 : 사고 기타 사유로 인하여 열차가 지연되는 등 정상운행에 차질이 발생
할 경우에 열차의 정상운행을 위하여 관제사가 취하는 조치를 말한다.
43. 부분운행 : 운행장애 시 장애구역을 제외한 반복운행 모드로 역사 간 만 운행되는
방식(루프방식)을 말한다.
44. 차량입환 : 입환신호 및 전호에 의하여 차량을 이동하거나 연결 또는 분리하는 작
업을 말한다.
45. 유치차량 : 정거장내 또는 차량기지구내의 유치선에 세워놓은 차량을 말한다.
46. 주의운전 : 특별한 주의력을 가지고 이례시 즉시 정차할 수 있는 속도로 운전하는
경우를 말한다.
47. 주신호기 : 신호부속기 또는 종속신호기와는 달리 방호할 구역을 가지고 있는 신
호기를 말한다.
48. 앞열차 : 2 이상의 열차가 동일방향으로 운전하고 있을 때 앞에 운행하는 열차를
말한다.
49. 폐색 : 선로의 일정구간에 2 이상의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아니하는 것을 말
한다.
50. 폐색구간 : 일정한 구간에 2 이상의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아니하기 위하여
정한 방호구역을 말한다.
51. 운전사고 :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 중 인명의 사상 또는 도시철도시설의 손상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52. 비상운전 :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위험 또는 잠정적으로 위험한 상황의 경우에 수
행되는 운전으로 열차의 위치를 관제실(OCC)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행하는
운전이다.
53. 사고복구차 : 사고 시 복구를 위해 사용하는 차.
54. 단선운행 : 복선구간에서 한쪽 선로로만 양방향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55. 회송열차 : 영업열차 운행 종료 후 또는 본선에서 차량고장으로 특정 역에서 차량
기지까지 운행하거나 영업열차로 운행하기 위하여 기지에서 특정 역까지 이동하기
위한 열차를 말한다.

- 39 -
무인운전취급규정

56. 완전자동모드(UTO MODE) : 차량의 정상 운행모드로 차량이 ATC(자동열차제


어) 시스템에 의하여 완전 무인으로 자동 운행하는 모드이다.
57. 자동모드(ATO/ATP MODE) : ATP(자동열차보호) 시스템 감시 하에 열차안전
원이 출입문 닫힘과 출발버튼을 취급하여 다음 역까지 자동으로 차량 정위치 정
차 및 출입문 열림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58. 수동모드(ATPM MODE) : ATP(자동열차보호) 시스템 감시 하에 차상 열차안전
원이 수동으로 주간제어기의 역행-제동핸들을 취급해서 차량을 출발시켜 다음 역
까지 차량을 정위치 정차하여 출입문 열림/닫힘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59. 비상운전모드(EM MODE) : ATC(자동열차제어) 제어 및 감시 없이 차상 열차안
전원이 주간제어기의 역행-제동핸들을 취급하여 비상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모드
이다.

- 40 -
무인운전취급규정

[별표 제2호] (제8조 관련)

교육훈련차량 부착 표지(제8조 제2항관련)

4.0㎝

4.0㎝ 5.0㎝ 4.0㎝

20㎝ 기 능 교 육

4.0㎝

63㎝

4.0㎝

4.0㎝ 5.0㎝ 4.0㎝

20㎝ 기 능 평 가

4.0㎝

63㎝

주) 1. 바탕은 청색, 글씨는 노란색으로 한다.


2. 앞면 유리 우측(운전석을 중심으로 한다) 상단에 부착한다.

- 41 -
무인운전취급규정

[별표 3호] (제18조 관련)

열차번호 부여 기준

1. 모든 정기열차는 1개의 열차번호를 부여한다.

2. 열차번호는 상/하행선을 구분하여 부여한다..

3. 열차는 시발역에서 종착역까지 동일한 열차번호를 부여한다.


4. 시, 종점 및 구간 반복열차는 시간별로 순차 부여한다.

5. 열차번호 부여기준 (예시)

구 분 정기열차 기타

상 선 2000(짝수)

하 선 2001(홀수)

- 42 -
무인운전취급규정

[별표 제4호] (제64조, 제136조 관련)

선로전환기 수동전환 취급요령

1. 선로전환기 수동취급 전환요령

가. 선로전환기 장애발생으로 인하여 선로전환기 수동전환 시 취급에 대한 승인과 함께 장애구간

의 작업내용별 보호조치를 설정하고 아래 사항을 지시한다.

① 선로전환기 수동전환 사유

② 수동전환 할 선로전환기의 위치와 명칭

③ 작업자 보호조치

나. 선로전환기 수동취급자의 책임

관제사의 선로전환기 수동전환 지시를 받은 안전요원 및 유지보수담당자는 다음 절차에 따라

취급한다.

① 관제사의 지시내용을 기록

② 수동전환 할 선로전환기 위치와 명칭 파악

③ 통신수단(휴대용 무선전화기) 확보

④ 지시받은 선로전환기 구역을 점유한 열차 및 기타 지장물의 없음을 확인

⑤ 지장여부를 관제사에게 보고

⑥ 선로전환기 수동 전환

• 선로전환기 상부의 수동취급 덮개에 채워진 자물쇠를 열쇠로 연다.

• 덮개를 열고 내부에 있는 레버를 수동위치로 돌린 다음 수동핸들을 삽입구에 넣는다.

• 원하는 개통방향으로 양 레일이 밀착하여 더 이상 전환이 안 될 때까지 수동핸들을 돌린다.


• 수동핸들을 삽입한 상태로 두고 개통방향 및 밀착과 쇄정상태를 확인한다.

다. 안전원 및 유지보수담당자는 선로전환기 수동전환 후 개통방향을 확인하고 텅레일과 기본레

일이 밀착 및 쇄정되었는지 확인한 후 관제사에게 보고하고 안전원은 열차를 이동시 안전조


치(열차구름 방지조치 등)를 해제한 후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진로를 확인 후 전도 운행한다.

2. ATS제어로 복귀

수동으로 전환한 선로전환기가 보수가 완료되면 유지보수담당자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시행하

고 관제사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가. 수동핸들 삽입구 레버를 삽입구와 어긋나도록 원상 복귀

나. 수동핸들 삽입구의 덮개를 닫는다.


다. 열쇠로 자물쇠를 잠근다.

라. 열쇠를 보관함에 넣는다.

- 43 -
무인운전취급규정

[별지 제1호 ] (제53조 관련)

열차안전원 업무일지

20 년 월 일 요일 날씨:

승 무 현 황

승차역 편 성 시 간 하차역 시 간 비 고

주요
지시
사항

객실

제동
차량상태
점검사항
출입문

기타

사고

민원

사항

- 44 -
무인운전취급규정

[별지 제2호] (제123조 관련)

선로출입 허가대장

담 당 부 장

20 년 월 일 요일

단전
연번 진입/출역 진입시간/진출시간 목 적 소 속 성 명 비 고
여부

1 ~ : ~ :

2 ~ : ~ :

3 ~ : ~ :

4 ~ : ~ :

5 ~ : ~ :

6 ~ : ~ :

7 ~ : ~ :

8 ~ : ~ :

9 ~ : ~ :

10 ~ : ~ :

11 ~ : ~ :

12 ~ : ~ :

13 ~ : ~ :

14 ~ : ~ :

15 ~ : ~ :

16 ~ : ~ :

17 ~ : ~ :

- 4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