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중량물 제한차량 운행허가 관련

보 고 서

2022. 10

일 진 전 기㈜
목 차

제1장 제한차량 운행허가 일반사항

1 . 제한차량 운행허가란 ································· 1

2 . 차량 운행제한 주체 ·································· 1

3 . 운행허가 법적 근거 ·································· 1

4 . 운행제한 단속기준 외국과 비교표 ··························· 2

5 . 단속대상 및 운행벌칙 ································· 2

제2장 제한차량 운행허가 위반차량 처벌 기준

1 . 과태로 관련 기준 ··································· 3

2 . 형사처벌 관련 기준 ·································· 3

3 . 행정처분 관련 기준 ·································· 4

4 . 운송보험 관련 불이익 ································· 4

5 . 무허가 운송 사고사례 ································· 5

제3장 제한차량 운행허가 솔루션

1 . 제한차량 운행허가 솔루션 ······························· 6

- ⅰ -
제 1 장 제한차량 운행허가 일반사항

1. 제한차량 운행허가란
1.

도로법 제 77 조 ( 차량의 운행제한 ) 및 도로법시행령 제 79 조에 따라 차량의 제원 및 중량이


일정규모를 초과하는 운행제한 대상 차량 ( 자동차 , 건설기계 ) 에 대하여 차량의 구조나 적재화물의
특수성으로 인한 경우에 신청서 및 구비서류의 심사를 통하여 운행을 허가하는 것

2. 차량 운행제한 주체
1.

국토교통부를 비롯해 도로를 관리하는 모든 지자체 등의 도로관리청


☞ 국토교통부 ( 업무를 대행하는 한국도로공사 및 민자도로 관리자 포함 )
☞ 도 ( 특별자치도 포함 )
☞ 시 ( 특별시 , 광역시 , 특별자치시 포함 )
☞ 군
☞ 자치구

3. 운행 허가 법적 근거
1.

도로의 가용성능 ( 치수 , 하중 등 ) 을 초과하는 차량에 대한 운행제한 조치는 국가기간망의 보전


( 도로구조 안전 ) 및 차량 운행으로 인한 위험 방지 ( 도로교통 안전 ) 를 위해 반드시 필요
구분 법령
도로법 제 77 조 차량의 운행제한 및 운행허가
도로법시행령 제 79 조 차량의 운행제한 등
도로법시행규칙 제 79 조 제한차량 운행허가 등
제 5조 차량의 운행제한 기준
제 6조 운행제한 공고
제 7조 운행제한 예외차량
국토교통부훈령
제 8조 운행허가 대상차량
제 9조 운행허가 제출서류
제 10 조 운행허가 업무 준수사항

중량물 제한차량 운행허가 1


4. 운행제한 단속기준 외국과 비교표

국명 축중량 (ton) 총중량 (ton) 폭 (m) 높이 길이 단속기관


(m) (m)
한국 10.0 40.0 2.5 4.0 16.7 도로관리청
10.0 36.0 1. 2.5 3.8 12.0
일본 도로관리청

미국 9.1( 복축 14.5) 36.4 2.5 4.0 18.3 합동 ( 주별 상


이)
독일 10.0 40.0 2.5 4.0 18.0 경찰
영국 - 38.0 2.5 4.0 18.0 합동
프랑스 13.0( 복축 19) 38.0 2.5 - 18.0 -

EU 통합 11.0 40.0 - - - -

5. 운행제한 차량 단속대상

중량물 제한차량 운행허가 2


제 2 장 제한차량 운행허가 위반차량 처벌 기준

1. 과태료 관련 기준

_ 총중량 및 축하중 기준 초과시

과태료 금액 ( 적별횟수에 따라 달리부과 )


총중량 초과 축하중 초과
1회 2회 3회
5ton 미만 2ton 미만 50 만원 70 만원 100 만원
5ton 이상 2ton 이상 80 만원 120 만원 160 만원
15ton 미만 4ton 미만
15ton 이상 4ton 이상 150 만원 220 만원 300 만원

_ 높이 , 폭 , 길이 기준 초과시

높이 , 폭 초과 길이 초과 과태료 금액
0.3m 미만 3m 미만 30 만원
0.3m 이상 0.5m 미만 3m 이상 5m 미만 50 만원
0.5m 이상 5m 이상 100 만원

2. 형사처벌 관련 기준
1.

도로법 제 115 조 ( 벌칙 )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 년 이하의 징역이나 1 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1. 제 78 조제 1 항 및 제 3 항을 위반하여 차량의 적재량 측정을 방해한 자
2. 정당한 사유 없이 제 78 조제 2 항에 따른 도로관리청의 적재량 재 측정 요구에
따르지 아니한 자
3. 정당한 사유 없이 제 81 조에 따른 도로관리청의 처분 또는 행위에 항거하거나
이를
방해한 자
4. 차량의 운행제한을 위반했을 경우 처벌대상은 운행제한을 위반한 자 또는
위반을 지시ㆍ요구한 자
중량물 제한차량 운행허가 3
3. 행정처분 관련 기준
1.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 21 조 ( 벌칙 )


① 제 5 조제 1 항 후단의 운송사업자에 대한 행정처분의 세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1. 신고한 운송약관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 그 즉시 위반차량 운행정지 (10 일 )
2.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로 화물자동차를 운행하거나 그 가입이
실효된 상태로 화물자동차를 운행한 경우
☞ 1 차 : 위반차량 운행정지 (20 일 )
☞ 2 차 : 위반차량 운행정지 (30 일 )

4. 운송보험 관련 불이익

_ 적재물 배상책임보험
제 39 조제 15 항 ( 보상하지 아니하는 손해 )
• 도 로 교 통 법 시 행 령 제 22 조 또 는 도 로 법 시 행 령 제 79 조 의 적 재 중 량 이 나
적재용량 기준을 초과하여 적재함으로써 생긴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
•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실제 적재중량에 대한 적재중량 또는 실제
적재용량에 대한 적재용량의 비율로 그 손해를 보상
1. 도로교통법 제 39 조에 의해 출발지를 관할하는 경찰서장의 허가를 받거나 도로법
제 77 조에 의해 관리청의 허가를 받아 , 그 허가 받은 내용과 범위 내에서 운행한

중량물 제한차량 운행허가 4


1.

5. 무허가 운송 사고사례

1.

https://youtu.be/erT-nW0fsRM

21.03.09 ( 이포대교 ) 다리 하중 40 톤인데… 야밤에 몰래 옮긴 “ 197 톤“ 변압기


• 강이나 하천을 건너는 다리에는 각각 설계 하중이 정해져 있습니다 . 안전을 위해서 지날 수 있는
무게를 제한해 놓은 건데 , 화물을 실은 차량의 무게가 이 하중을 넘는 경우에는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 관리 감독 하에 다리를 건너야 합니다 . 하지만 이걸 피해서 수백 톤 무게의
화물차들이 남한강을 건너는 모습이 KBS 취재진에게 포착됬습니다 .

_ 무허가 운송 사고사례 영상 관련 처벌
ㆍ 교량 구조검토 실시
ㆍ 교량 정밀안전진단 실시
ㆍ 위반차량 운행정지 (10 일 )
ㆍ 운행제한을 위반한 자 또는 위반을 지시ㆍ요구한 자 (1 년 이하의 징역 또는 1 천만원 이하의
벌금 )

중량물 제한차량 운행허가 5


제 3 장 제한차량 운행허가 솔루션

1. 제한차량 운행허가 솔루션

※ 제한차량 운행허가 신청서 양식 : 도로법 시행규칙 [ 별지 제 37 호 서식 ] 에 있음 .

• 제한차량 운행허가 신청서의 양식에 있는 내용을 충실히 작성하여야 한다 .


• 특히 , 신청 운행경로 기입 시 노선에 관한 내용을 상세하게 작성해야 한다 .
• 제한차량 운행허가 신청서 외 첨부자료 ( 노선도 , 상차도 , 차량등록증 , 시설물
구조검토서 ) 를 필히 지참해야 한다 .
• 반드시 , 운행 노선 상의 모든 기관과 협의를 진행하여야 한다 .
• 운송 시 , 허가 노선 , 허가 기간 및 각 기관 별 허가조건 등 허가에 관한 내용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해야 한다 .
• 시설물의 통과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운행해야 한다 .
• 교량 보강이 필요할 경우 필히 교량 하부 보강을 진행 후 , 운행하여야 한다 .

중량물 제한차량 운행허가 6


THANK YOU
일 진 전 기㈜
경기도 화성시 만년로 905-17( 안년동 )
031-220-050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