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09. 제17권 제2호. pp. 169~172.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009. Vol. 17, No. 2, pp. 169~172.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김대현*(경기대학교)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축구선수


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피험자는 S시 대표
지적장애 축구선수 14명이었으며, 실험군과 비교군은 각각 7명이었다. 실험군은 12주 동
안 플라이오메트릭훈련(주 2회/매 1시간)과 축구훈련(주 2회/매 2시간)을 실시하였다. 비
교군은 12주 동안 축구훈련(주 2회/매 3시간)만 실시하였다.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
무에 따른 축구훈련 전후의 측정치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군은 WAnT의 Peak Power와 Sargent Jump에서 비교군보다 더 높은 향상을 나타냈
다(p<.01). 둘째, 피로물질 중 젖산에서는 실험군이 회복기20분때 훈련 전에 비해 감소하
였고(p<.05), 최대운동직후 비교군은 훈련 전보다 젖산농도가 더 증가한 반면 실험군은
감소하였다(p<.05). LDH, Creatine, CPK, Amomonia에서는 집단에 따른 훈련 시기와 채
혈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Creatine에서는 실험군이 훈련전에
비해 모든 채혈시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비교군에서는 회복기30분에서만
증가하였다(p<.05). 그 외 CPK 반응에서는 비교군에서 훈련전에 비해 모든 채혈시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Ammonia에서는 실험군에서 최대운동 직후 훈련전보다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지적장애인들에게도 축구 훈련시 플라이오메트릭훈
련 프로그램을 적용시키는 것이 더 유용하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그 외 순발력이 필요한
다른 종목에도 충분히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여 진다.

주요어: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축구훈련, 무산소성능력, 젖산, LDH, 크레아틴, CPK,


암모니아, 지적장애인

* benokri@hanmail.net
170 김대현

Ⅰ. 서론

20세기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종목 중 하나는 축구라 해


도 과언이 아니며, 국내의 경우 또한 월드컵을 2002년에 유치하면서 최고의 인기종목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축구는 장애인들의 신체활동 증가와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신체 활동 중에서도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적응 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
고 있으며, 간헐적으로 비연속성 고강도 훈련을 통한 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등 다양한 체
력요인을 발달시킬 수 있는 종목이다(Ekblom, 1986). 축구종목은 무산소성대사능력과 유산
소대사능력 외에도 체력의 요소 중 다양한 요소에서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훈련기법 들을 통해 훈련 되어져야만 높은 운동수행능력을 발휘 할 수 있다. 축구
종목의 에너지 사용 비율은 한 경기 당 무산소성대사가 70%, 유산소대사능력이 30%수준에
서 에너지가 동원되어진다(이용수, 1996). 무산소성대사능력의 의존율이 높은 축구종목에서
높은 체력수준을 유지 및 향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훈련프로그램이 적용 되어야 하며, 그
중 대표적인 훈련방법 중 한 가지는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이 있다.
플라이오메트릭은 저항 트레이닝의 한 형태이면서 신체의 평형성, 협응성, 민첩성, 파워
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이며, 선수들뿐만 아니라 성인의 기능적 신체능력 향상 목적으로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은 근육의 신장성 수축 후에 가능
한 한 빨리 단축성을 할 수 있도록 훈련을 하는데 사용된다. 많은 운동선수들이 상당한 근
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폭발적 운동에서의 필요한 파워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는 순수 근력과 파워사이의 간격을 메우지 못하기 때문이다(Fred, 1980). 플라이오메트릭훈
련은 축구종목을 비롯한 농구, 테니스, 조정, 단거리 육상, 태권도, 펜싱 등 다양한 종목의
훈련프로그램으로 적용되어지고 있으며, 플라이오메트릭은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고 무산소성 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며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12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은 1RM
하지 근력 검사에서 근력의 향상을 나타냈고(이승훈, 조재혁, 2005),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
로 한 연구에서도 최대 힘효율, 평균파워, 총일량에서 기능이 향상 되어졌다고 보고 되어
지고 있으며(이충영, 2004), 순발력 향상을 위해 5-7kg의 중량을 몸에 부착하고 플라이오메
트릭훈련을 실시하여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Petrov, 1976). 유성민
(2008)의 연구에서는 중학교 축구선수들에게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이 민첩성 향상에는 영향
을 미치나 다른 트레이닝보다 효과적인 트레이닝이라는 것을 입증하지 못했으나, 축구선수
의 순발력향상에는 더욱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그 외 대
학 축구선수와 일반대학생의 슬관절 등속성 운동 비교에서는 등속성 근력수준의 차이의
수준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윤태식, 전세일, 신정순, 박병권, 1991), 프로 신인 축구 선수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71

의 체력특성 연구(김용권, 진영수, 전태원, 정성태, 2000)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여성의 8주간 복합트레이닝이 ACHC
와 renin을 증가시켰다고 하였고(김진해, 권영우, 2007), 12주간의 서킷운동이 지적장애학생
들의 배근력, 서전트 점프, 무릎굽혀팔굽혀펴기, 체후굴, 심폐능력 기능의 향상을 나타냈다
고 보고 하였으나(김광호, 선우진, 2000),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무산소성 능력 및 순발
력에 관련된 연구는 미진한 현실이다.
근육의 피로는 운동을 하는 동안에 에너지가 감소되고 대사산물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낮게 나타나거나 높게 나타내었을 경우 근피로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김석진, 최
승권, 2007). 또한, 무산소성 능력과 같이 수초 내에 높은 운동 강도로 근 수축을 하게 되
다보면 우리 몸의 중추신경의 활동근은 젖산, 암모니아 등의 피로물질의 농도가 상승되어
지게 된다(백일영, 2006). 젖산은 고강도의 운동 시 산소 공급의 부족으로 축적되어 운동수
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그로인해 LDH의 활성을 촉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들로 인
해 젖산은 운동수행 후의 피로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중요한 과정으로 시사
되고 있다(Jacobs, 1986). 그 외 크레아틴의 활성수준과 암모니아의 농도의 감소는 단속성
트레이닝과 무산소성 트레이닝을 통해 변화가 되어 질 수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트레이닝
을 통한 근 비대로 인해 발생되어진다는 보고가 있다(조현철, 2003). 마지막으로 CPK는
ATP-PC계를 통해 PC의 저장으로부터 수행되는 ATP합성에 촉매 역할을 가속화 시켜, 운
동 시 ATP의 고갈을 방지하고, ATP의 분해로부터 형성된 ADP를 가인산 반응을 통해 근
수축 중 충분한 ATP수준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피로물질과 관련된
선행연구에는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간헐적 훈련을 실시하여 젖산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낸 결과(Bangsbo, Norregard, & Thorsoe, 1992)와 지적장애아를 대상으로 유산소운동
을 실시하여 LDH 변화 수준을 분석한 연구(장석암, 이장규, 권광선, 2000), 그 외 뇌성마비
장애인을 대상으로 수영훈련을 통해 훈련 후에 CPK 농도가 증가하였다는 보고(김미영, 박
광동, 2005) 등 이 있으나 지적장애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플라이오메트릭훈련 혹은 무산소
성훈련을 실시하여 피로물질의 활성 및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
들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적장애축구선수에게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
훈련을 12주간 실시한 후 나타나는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 변화를 규명하여 체력향상
을 위한 플라이오메트릭훈련 효과를 알아보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72 김대현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피험자는 의학적으로 특별한 질환이 없고 2008년 S시 지적장애 축구대표선수
(학생부) 14명 중 실험군(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 7명과 비교군(플라이오메트릭훈련 미실
시) 7명을 무선배정 하였다. 본 피험자는 2008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 출전한 S시 고등학
교 지적장애 학생들이고, 다운증후군이나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근 기능이상의 중복장애를
갔고 있지 않으며, 지역대표선수 선발 테스트를 통해 선발된 선수들로 구성 되어져 있다.

표 1. 실험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운동기술
집단 성명 포지션 학교 신장(cm) 체중(kg) 장애등급
슛 패스 드리블 집중력
1 최00 CF K고 172 62 지적장애 3급 ○ ○ ○ △
2 이00 GK S고 157 56 지적장애 3급 × ○ △ △
실 3 이00 MF S고 174 89 지적장애 2급 × ○ ○ ○
험 4 신00 SF(right) D고 176 75 지적장애 2급 ○ ○ ○ ○
군 5 남00 CB D고 165 57 지적장애 3급 × △ △ ×
6 최00 SB(left) U고 165 57 지적장애 3급 × ○ △ ○
7 정00 AMF B고 166 58 지적장애 2급 ○ △ × △
M±SD 167.86±6.57 64.86±12.54
1 이00 SF(left) D고 160 65 지적장애 2급 ○ ○ ○ ○
2 김00 SB S고 173 82 지적장애 2급 × ○ △ ○
비 3 한00 CF S고 159 52 지적장애 2급 ○ ○ ○ ○
교 4 홍00 SW U고 174 56 지적장애 3급 × ○ △ △
군 5 권00 SB(right) K고 173 65 지적장애 3급 × ○ × ×
6 조00 MF D고 166 69 지적장애 2급 △ ○ ○ ○
7 이00 GK G고 167 56 지적장애 2급 × ○ △ △
M±SD 167.42±6.24 63.57±10.18

GK: 골키퍼, CF: 최전방 공격수, SF: 사이드 최전방 공격수, MF: 미드필더, AMF: 공격형 미드필더,
CB: 중앙수비수, SB: 사이드 수비수, SW: 최후방 수비수, ○: 높음, △: 보통, ×: 낮음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73

선수 선발 테스트에서는 슛, 패스, 드리블, 돌파능력, 수비능력 등 다양한 기술테스트와


체력 테스트를 실시하여 기능이 높은 선수들을 선발 하였다. 실험군의 최00(CF)와 신00(SF:
right)과 비교군의 이00(SF: left), 한00(CF)의 운동기술 능력은 슛, 패스, 드리블에서 공격수
가 갖추어야 할 운동기술에서 모두 높은 능력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 미드필더(MF)에
속해 있는 실험군의 이00(MF)과 비교군의 조00(MF)의 슛기능은 보통이거나 낮은 수준이나
패스 및 드리블에서는 높은 능력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공격형 미드필더인 실험군의 정
00(AMF)은 슛기능은 우수하나, 드리블 능력은 떨어지며, 그 외 수비수인 실험군의 남
00(CB), 최00(SB:left)와 비교군의 김00(뉴), 권00(SB:right)은 패스 및 드리블 능력에 비해 슛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골키퍼(GK)의 경우는 슛 기능은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그 외 항목에서는 보통 혹은 높은 수준의 기능을 확보하고 있다. 집중력에 있어서
는 포지션의 특성과 상관없이 개개인마다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외 본 피험자의 자
세한 개인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2. 실험설계
본 연구는 피험자를 실험군과 비교군으로 각각 7명씩 구분하였다. 실험군은 12주간 플라
이오메트릭훈련(주 2회/매 1시간)과 축구훈련(주 2회/매 2시간)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였고,
비교군은 12주간 축구훈련(주 2회/매 3시간)만 실시하였다. 훈련시간은 두 집단 모두 1회
기 당 3시간을 실시하였고, 훈련시간을 동일하게 구성한 부분은 훈련량에 의한 차이가 아
닌 플라이오메트릭훈련에 의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며, 위와 같은 설계로 훈련 전․
후 두 집단에 대하여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3. 실험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기기 및 용도는 <표 2>와 같다.

표 2. 실험기기의 종류 및 용도
측정항목 제조사 모델명
Wingate test Lode(네덜란드) Excalibur Sport
Sargent Jump NuryTec(한국) THP2
Lactate Bio red(한국) UV Spectrophotometer
Creatine Bio red(한국) UV Spectrophotometer
LDH Bio red(한국) UV Spectrophotometer
CPK Bio red(한국) UV Spectrophotometer
Ammonia Bio red(한국) UV Spectrophotometer
174 김대현

4. 실험 절차
본 연구의 실험은 피험자 선정 후 사전 WAnT와 Sargent Jump, 처치(플라이오메트릭훈
련, 축구훈련), 사후 WAnT와 Sargent Jump, 사전과 사후검사의 피로물질(Lactate, LDH,
Creatine, CPK, Ammonia)을 정량분석 등의 과정을 통해 진행하였다.

1) 무산소성능력
(1) WAnT(Wingate anaerobic test)
무산소성능력 측정은 전자기식 에르고미터(computer aided electrically braked cycle
ergometer: Lode B.V. Excalibur Sports Netherlands)를 이용하여 30초 WAnT(Wingate
anaerobic test)를 실시하였다. 측정에 앞서 지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2분간 Warm
up을 실시하고 30초간 최대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측정 방법을 인지시킨 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은 0.7 × 체중 = Torque(Nm)로 에르고메타 준비운동을 5분간 실시하고
“시작”이라는 신호와 함께 30초 동안 최대한으로 빠르게 크랭크축을 돌렸다. 이 때 소리로
격려 하였으며 WAnT는 에르고미터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자동 측정하였다. WAnT의
변인은 평균파워(Mean Power), 최고파워(Peak Power), 체중 당 최고파워(Peak Power/kg),
총일량(Total Work)을 측정하였다.

(2) Sargent Jump


Sargent Jump는 Nury tec사의 THP2를 이용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은 한 회기당
2회를 측정하여 그 중 가장 높은 기록을 기록하였고, 측정방법은 몸을 숙였다가 최대한 수
직(Vertical)방향으로 팔을 뻗어 점프한 기록을 측정 하였으며, 측정 시 하지의 관절을 의도
적으로 상지방향으로 굴곡 하지 않도록 하여 측정 하였다.

2) 혈액채취 및 분석
WAnT 실시 후 피로물질(Lactate, LDH, Creatine, CPK, Ammonia)을 측정하였다. 혈액
채취에 앞서 모든 피험자의 보호자에게 연구 참여와 혈액 채혈 동의서를 받은 후 채혈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측정 8시간 전부터 금식하였으며, 측정을 실시하기 전 30분간 안정
을 취한 후 아침에 공복 상태로 안정시 채혈을 실시하였다. lactate는 안정시, 최대운동직후,
회복기10분, 회복기 20분 총 4회를 채혈 하였으며, 그 외 LDH, Creatine, CPK, Ammonia는
안정시, 최대운동직후, 회복기30분 후, 총 3회에 걸쳐 채혈 하였다. 시차에 따른 변인의 변
화가능성을 고려하여 처치전후 동일한 순서와 시간대에 채혈 하였으며, 상완의 전완정맥에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75

카테터를 설치하여 10ml을 채혈하였다.

(1) Lactate
혈중 lactate 분석은 YSI lactate analysis system(Italy) 을 사용하였으며, 운동 전, 최대운
동직후, 회복10분, 회복20분 간격으로 피험자의 손끝에서 사혈 침을 이용하여, 모세관으로
혈액을 옮긴 후, micro pipette을 사용하여 분석기로 분사 후 결과를 output 하였다.

(2) LDH
Spectrophotometer(Inova 3000)를 사용하였으며, 효소용액(R-1)과 검체 0.75ml와 기질액
(R-2)0.25ml를 37℃에서 2~3분간 예가온 후 혈청 0.02ml와 잘 혼합한 후 37℃에서 340nm
파장으로 정제수를 대조로 1분째와 3분째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Creatine
Spectrophotometer(Inova 3000)를 사용하였으며, 알칼리 시약(R-1) 표준 0.8ml와 정색시
약(R-2)0.2ml를 37℃에서 2~3분간 예가온 후 시료 0.1㎕와 함께 잘 혼합한 후 37℃에서
520nm 파장으로 정제수를 대조로 1분째와 2분째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CPK
Spectrophotometer(Inova 3000)를 사용하였으며, 효소용액(R-1)과 검체량 1.0ml를 혼합하
여 37℃에서 2~3분간 예가온 후 혈청 0.02ml와 잘 혼합한 후 37℃에서 340nm파장으로 정
제수를 대조로 1분째와 3분째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Ammonia
Spectrophotometer(Inova 3000)를 사용하였으며, bethelot 반응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분
석하였다. 먼저, 혈중 암모니아를 생성할 수 있는 효소의 활성을 소실시키는 제단백 용액
2ml에 혈액 1ml를 혼합하여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phenol 4%, sodium
nitroprusside 0.015%와 KOH 4.1%를 첨가하여 알칼리성으로 만든 다음, 탄산칼륨 28%와
염소산칼륨 3%가 함유되어 있는 시약을 사용하여 발색시킨 후 , 파장 630nm에서 암모니
아 수치를 측정하였다.

3)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의 처치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은 실험군에게만 실시하였고 12주 동안 매주 2회, 1일 1시간을 실시하
였으며, 운동 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명을 대상으로 원격 심박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운동
176 김대현

시 30분 동안 심박수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운동 강도는 최대심박수의 무산소운동은 80% 이


상일 때 적절한 운동을 실시한 것으로 보았다. 훈련 프로그램에서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은 부
상예방을 위한 준비운동을 실시한 후 본 운동을 실시하였고 정리운동을 실시하였다<표 3>.

표 3. 플라이오메트릭훈련계획
빈도/강도 훈련 내용
준비운동: 10분
본운동: 40분
① 스킵핑(Skipping)
② 두발로 뛰어오르기(Double Leg Bound)
주 2회/1시간 ③ 연속 빠르게 뛰기(Double Leg Speed Hop)
④ 스쿼트 점프(Squat Jump)
⑤ 옆면 뛰기(Side Jump)
⑥ 두발 교차하며 뛰어오르기(Alternate Leg Bound)
정리운동: 10분

4) 축구훈련의 처치
본 연구는 지적장애 축구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훈련을 12주 기간 동안 준비기, 강화훈련
기, 실전대비기, 정리기로 나누어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표 4>와 같다. 실험

표 4. 축구훈련계획

일정 빈도/강도 훈련 내용
- 체력 훈련 : 체력 및 기초기술 측정 평가
준비기 실험군: 주 2회/2시간 - 기술 훈련 : 볼키핑, 트래핑 훈련
비교군: 주 2회/3시간 - 정신력훈련 : 시청각교육(축구기술)
- 팀-웍 훈련 : 연습경기
- 체력 훈련 : 런닝, 잔발 달리기(순발력 향상)
강화 - 기술 훈련 : 불 컨트롤 훈련, 패스훈련
실험군: 주 2회/2시간
훈련기 - 정신력훈련 : 팀원들과 친해지기
비교군: 주 2회/3시간 - 팀-웍 훈련 : 5:2 경기(패스 훈련)
- 연습경기
- 체력 훈련 : 인터벌 트레이닝(지구력향상)
실전 - 기술 훈련 : 슈팅 훈련, 골키퍼 훈련
실험군: 주 2회/2시간
대비기 - 정신력훈련 : 연습하면서 대화하기, 이름 크게 부르기
비교군: 주 2회/3시간 - 팀-웍 훈련 : 7:4 경기
- 연습경기
- 체력 훈련 : 순발력 훈련
- 기술 훈련 : 패스 및 슈팅 훈련
정리기 실험군: 주 2회/2시간
- 정신력훈련 : 우승하는 이미지 트레이닝
비교군: 주 2회/3시간 - 팀-웍 훈련 : 실전 연습경기
- 연습경기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77

군은 축구훈련을 매주 2회, 1일 2시간을 실시하였으며, 비교군은 축구훈련을 12주 동안 매


주 2회, 1일 3시간을 실시하였다.

5.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er. 1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WAnT 및
Sargent Jump는 실험군과 비교군의 출발점이 다른 특성으로 인해 훈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고려해서 두 집단 간의 평균비교는 사전검사 측정값을 공변인으로 하
여 사후검사 측정값을 비교하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공분산
분석 실시 전 통계적으로 변량동등성(homogeneity of regression)검사를 실시하여 오차 분
산의 동등성 검증인 Levene's Test of Equality of Variances를 실시한 후 조건이 충족되어
지면 처치 전․후의 상호작용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평형성 검정을 실시 한 후 공변량분
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피로물질은 처치 전․후의 변화량을 분석하기 위
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과 이원변량반복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주효과 검증은 Contrast 방법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무산소성능력 변화
12주 동안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무산소성능력 변인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집단과 무산
소성능력 변인의 변량 동등성 전제조건이 충족 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동등성검증
(homogeneity test)을 실시하였다. 변량 동등성 전제조건을 충족한 항목에 한하여 처치 전
후의 평형성 검증을 실시하고 사전검사 데이터를 공변인으로 설정하여 사후검사 데이터의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1) WAnT(Wingate anaerobic test)


WAnT의 측정변인 중 Mean Power의 경우 실험군의 평균치는 훈련 전후에 각각
397.57±68.88watt, 418.71±69.85watt로 5.3%가 증가하였고, 비교군의 평균치는 훈련 전후에
각각 240.14±57.98watt, 287.14±48.31watt로 19.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효
178 김대현

과(F = 1.38, p = .264) 에서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eak Power의 경우 실험군의 평균치는 훈련 전후에 각각 582.857±147.109watt, 658.57±
112.05watt로 13%가 증가하였고, 비교군의 평균치는 훈련 전후에 각각 399.71±100.77watt,
429.85±33.50watt로 7.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처치 후의 Peak Power에 대한 주
효과(F=11.76, p=.006) 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훈련 전후 WAnT시 무산소성능력 변인의 ANCOVA 분석 결과

변인 집단 훈련 전(M±SD) 훈련 후(M±SD) 향상도(%) F p

Mean Power 실험군 397.57±68.88 418.71±69.85 5.3


1.38 .264
(watt) 비교군 240.14±57.98 287.14±48.31 19.6

Peak Power 실험군 582.85±147.10 658.57±112.05 13


11.76 .006**
(watt) 비교군 399.71±100.77 429.85±33.50 7.5

Peak Power/kg 실험군 8.74±1.96 11.31±5.42 29.4


.73 .411
(watt) 비교군 6.78±1.99 7.10±1.37 4.7

Total Work 실험군 11,511.42±1661.84 12,977.14±2209.56 12.7


.96 .346
(J) 비교군 7,205.00±1739.51 8,635.00±1466.34 19.9
** p <.01

Peak Power/kg의 경우 실험군의 평균치는 훈련 전후에 각각 8.74±1.96watt, 11.31±5.42


watt로 29.4%가 증가하였고, 비교군의 평균치는 훈련 전후에 각각 6.78±1.99watt, 7.10±
1.37watt로 4.7%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처치 후의 Peak Power/kg에 대한
주효과(F =.73, p=.411) 에서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otal Work의 경우 실험군의 평균치는 훈련 전후에 각각 11,511.42±1661.84J, 12,977.14±
2209.56J로 12.7%가 증가하였고, 비교군의 평균치는 훈련 전후에 각각 7,205±1739.51J,
8,635±1466.34J로 19.9%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처치 후의 Total Work에
대한 주효과(F=.96, p=.346) 에서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Sargent Jump
Sargent Jump에서는 실험군의 평균치가 훈련 전후에 각각 36.37±5.27cm, 42.55±5.71cm로
17%가 증가하였고, 비교군의 평균치는 훈련 전후에 각각 32.28±7.82cm, 34.01±7.30cm로
5.4%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처치 후의 제자리높이뛰기에 대한 주효과(F=12.50,
p=.005) 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79

표 6. 훈련 전후 Sargent Jump의 ANCOVA 분석 결과 (cm)


훈련 전 훈련 후 향상도
변인 집단 F p
(M±SD) (M±SD) (%)
실험군 36.37±5.27 42.55±5.71 17
Sargent Jump 12.50 .005**
비교군 32.28±7.82 34.01±7.30 5.4
** p <.01

2. 피로물질 변화
12주 동안 플라이오메트릭훈련에 따른 피로물질의 각 변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기
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및 이원변량반복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Lactate 변화

표 7. 훈련전후 WAnT시 Lactate의 변화 (mmol/L)

변량분석
집 단 훈 련 안정 시 최대운동 회복기 10분 회복기 20분
조건 p

집단(G) .000***
훈련전 1.77±.57 5.89±.95 5.44±.94 4.60±.65 훈련(T) .849
G×T .028*
실험군
채혈(a) .000****
훈련후 1.74±.40 6.03±.80 5.26±.93 2.61±.63# 채혈(b) .018*
채혈(c) .000****
G×a .003**
G×b .740
훈련전 2.13±.75 4.62±.98 4.13±1.26 2.44±.62 G×c .446
T×a .006**
비교군 T×b .376
T×c .013*
훈련후 1.65±.39 6.03±.80 4.94±.90 2.48±.38 G×T×a .017*
G×T×b .762
G×T×c .245

G: 실험군 vs. 비교군, T: 훈련전 vs. 훈련후, a: 안정시 vs. 최대운동, b: 최대운동 vs. 회복기10분,
c: 회복기10분 vs. 회복기20분, * p<.05, ** p<.01, *** p<.001, **** p<.0001, #(집단내 훈련 전과
유의한차) p<.05
180 김대현

Lactate의 변화의 차이를 <표 7>과 같이 분석한 결과, 측정시기와 집단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최대운동직후의 젖산은 처치 전 보다 처치 후에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
을 보였고(p<.01), 회복기 20분에서는 처치 전 보다 처치 후에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최대운동직후 구간에서 실험군이 비교군보다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p<.01).
또한, 채혈시기와 집단간에는 최대운동직후 구간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모든 집
단에서 최대운동직후에 상승하여 회복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
험군은 회복기 20분의 젖산 농도가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유의하게 낮아졌으며(p<.01),
훈련 후에 실험군이 비교군보다 총 젖산 변화량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p<.05).

2) LDH 변화
LDH의 변화를 <표 8>과 같이 분석한 결과, 측정시기와 집단사이에 상호작용효과는 나
타나지 않았으며 최대운동직후와 회복기30분간에서 처치 전후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채혈시기와 집단 간에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든 집단에서
최대운동직후에 상승하여 회복기30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훈련 후에 실험군이 비
교군보다 총 LDH 변화량이 유의하게 낮아지진 않았지만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두 집
단 모두 감소되었다.

표 8. 훈련 전․후 WAnT시 LDH변인의 변화 (lU/L)


변량분석
집 단 훈 련 안정 시 최대운동 회복기 30분
조건 p

훈련전 144.57±45.47 193.42±72.68 172.85±80.09 집단(G) .586


훈련(T) .028*
실험군
G×T .436
훈련후 133.42±25.90 158.57±35.45 130.71±26.59 채혈(a) .011*
채혈(b) .001***
훈련전 164.71±30.70 189.57±41.42 164.14±38.11 G×a .416
G×b .818
비교군 T×a .116
T×b .995
훈련후 152.71±18.46 169.42±18.29 151.14±13.70 G×T×a .424
G×T×b .547

G: 실험군 vs. 비교군, T: 훈련전 vs. 훈련후, a: 안정시 vs. 최대운동, b: 최대운동 vs. 회복기30분,
* p<.05, *** p<.001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81

3) Creatine 변화
Creatine의 변화를 <표 9>와 같이 분석한 결과, 측정시기와 집단사이에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최대운동직후와 회복기30분간에서 처치 전후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
지 않았다.

표 9. 훈련 전후 WAnT시 creatine변인의 변화 (mg/ml)


변량분석
집 단 훈 련 안정 시 최대운동 회복기 30분
조건 p

집단(G) .200
훈련전 .243±.079 .271±0.49 .257±.053
훈련(T) .000****
실험군 G×T .240
훈련후 .357±.079### .343±.079# .329±.076## 채혈(a) .407
채혈(b) 1.00
G×a .675
훈련전 .214±.038 .271±.049 .243±.053 G×b .356
비교군 T×a .081
T×b .118
훈련후 .286±.069 .271±.095 .342±.076# G×T×a .643
G×T×b .118

G: 실험군 vs. 비교군, T: 훈련전 vs. 훈련후, a: 안정시 vs. 최대운동, b: 최대운동 vs. 회복기30분, ***
p<.001, #(집단내 훈련전과 유의한 차) p<.05, ## p<.01, ### p<.001

또한, 채혈시기와 집단 간에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훈련 전에는 최대운동직후에 상승하여 회복기30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냈으나 훈련 후에는 최대운동직후에 감소하여 회복기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비
교군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훈련 전에는 최대운동직후에 상승하여 회복기
30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훈련 후에는 최대운동직후에 감소하다가 회복기30분
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에서는 채혈 각 시기마다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며(안정시: p<.001, 최대운동직후: p<.05, 회복기30분: p<.01), 비교군에
서는 안정시와 회복기30분에서만 증가한 경향을 나타냈다(안정시: p<.001, 회복기30분:
p<.01). 그러나 두 집단 간 훈련 전후 Creatine 변화 추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

4) CPK 변화
CPK의 변화를 <표 10>과 같이 분석한 결과, 측정시기와 집단사이에서 상호작용효과가
182 김대현

나타나지 않았고, 최대운동직후 구간의 CPK는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5). 채혈시기와 집단 간에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든
집단에서 최대운동직후에 상승하여 회복시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군은 모든
채혈 구간에서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군은 훈련 전에
비해 모든 채혈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안정시: p<.01, 최대운동:
p<.05, 회복기30분: p<.05). 그러나 훈련 전후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10. 훈련 전․후 WAnT시 CPK변인의 변화 (lU/L)


변량분석
집 단 훈 련 안정 시 최대운동 회복기 30분
조건 p

집단(G) .337
훈련전 88.00±7.08 87.85±7.08 81.85±6.10
훈련(T) .036*
실험군 G×T .056
훈련후 85.14±10.23 90.85±.62 83.00±.62 채혈(a) .006**
채혈(b) .001***
G×a .294
훈련전 59.85±7.08 63.28±6.10 58.14±6.10 G×b .716
비교군 T×a .019*
T×b .164
훈련후 70.57±10.23## 78.28±.62# 67.14±7.85# G×T×a .651
G×T×b .449

G: 실험군 vs. 비교군, T: 훈련전 vs. 훈련후, a: 안정시 vs. 최대운동, b: 최대운동 vs. 회복기30분, *
p<.05, ** p<.01, *** p<.001, #(집단내 훈련전과 유의한 차) p<.05

5) Ammonia 변화
Ammonia의 변화를 <표 11>과 같이 분석한 결과, 측정시기와 집단사이에서 상호작용효
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최대운동직후 구간의 Ammonia가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유의하
게 낮아지게 되어(p<.01) 회복기30분에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또한, 채혈시기
와 집단 간에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든 집단에서 최대운동직후에 상승
하여 회복시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군은 최대운동직후 Ammonia가 훈련 전
에 비해 훈련 후에 유의하게 낮아졌으나(p<.01) 비교군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았지
만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 훈련 전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83

표 11. 훈련 전․후 WAnT시 Ammonia변인의 변화 (㎍/㎗)

변량분석
집 단 훈 련 안정 시 최대운동 회복기 30분
조건 p

집단(G) .766
훈련전 65.20±4.28 106.25±4.28 70.75±.05
훈련(T) .061
실험군 G×T .818
훈련후 67.42±16.52 80.42±.22# 70.38±.22 채혈(a) .000****
채혈(b) .000****
G×a .846
훈련전 66.21±4.28 96.82±.05 72.10±.05 G×b .552
비교군 T×a .007**
T×b .001***
훈련후 62.25±16.52 82.20±.22 71.61±9.20 G×T×a .172
G×T×b .244

G: 실험군 vs. 비교군, T: 훈련전 vs. 훈련후, a: 안정시 vs. 최대운동, b: 최대운동 vs. 회복기30분, **
p<.01, *** p<.001, **** p<.0001, #(집단내 훈련전과 유의한 차) p<.05

Ⅴ. 논의

1. 무산소성능력
윙게이트 검사는 5초 동안 ATP-PC 시스템에 의한 에너지 대사를 30초간 Lactate 시스템
에 의한 무산소성 대사능력으로 평가하기 위한 개념을 바탕으로 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조현철, 김종규, 2005).
본 연구 결과,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Mean Power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훈련 전에 비해 무산소성능력은 향상되어졌
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들(Frontera, Meredith, O'Reilly, Knuttgen, & Evans, 1988;
Morganti, Nelson, Fiatarone, Dallal, Economos, & Grawford, 1995)은 저항성 운동프로그
램이 1-RM 하지 근력의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고, 그와는 다르게 이승훈, 조재혁(2005)의
연구에서는 단거리 인터벌 훈련과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중 하지근력 및 근지구력에서 단거
리 인터벌 훈련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고 보고되었다.
윙게이트 테스트는 단시간의 폭발적인 힘이 요구 되었을 때 ATP-PC계 및 젖산계에 의
한 에너지 동원양상이 나타난 결과로 간주되며 WAnT와 같은 단속적 운동은 작업근육의
폭발적인 힘을 요구하기 때문에 속근섬유의 해당과정속도에 비례한 NADH의 생성 속도에
184 김대현

따라 증가되어진다(Vanhall, 2000). 또한, 급격한 호흡수와 환기량의 증가는 동정맥산소 탈


포화(desaturation)로 호흡중추피로에 의해 조절되는 과환기(hyperventilation)를 유발시킨다
고 보고 되어지고 있다(Wasserman, Hansen, Sue, & Whipp, 1986). 이러한 Peak Power는
WAnT 측정 30초 중 가장 센 힘을 측정한 것으로서 순발력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플라이오메트릭의 특성인 근육의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수축이 작용하여 근육을 빠르
게 신장시키게 되어 본 연구결과에서도 운동 실시 전 보다 실시 후에 그 기능이 향상 되
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체중당 Peak Power에서는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집단 간 유의
한 차이는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두집단 모두 향상되어졌고 Peak Power의 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Peak Power를 체중 1kg으로 나누어 측정한 체중당 Peak Power의 값은
Peak Power의 값보다도 선수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한 측정항목이라 할 수 있다.
무산소성운동능력 즉, ATP-PC계의 능력은 근육속에 저장된 ATP-PC양과 ATP-PC를 분해하
여 에너지를 방출시키는 ATPase(adenosine triposphatase)와 CPK(creatine phosphokinase)의
활성에 달려 있으며, 젖산계의 능력은 무산소성 해당과정에 작용하는 효소의 활성과 근육세
포 및 세포 주위의 완충능력에 크게 의존한다(Sharp, Costill, Fink, & King, 1986). Peak
Power와, Minimum Power, Mean Power를 중심으로 Total Work는 wingate test실시 동
안 피험자가 발휘한 기계적 에너지의 총일량을 의미한다. Total Work의 결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Mean Power처럼 두집단 모두 훈련 전에 비
해 향상되어졌고, 실험군에 비해 비교군의 향상수준이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일반인
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서는 Total Work, Minimum Power 등의 수치에는 큰 관심을
갖지는 않으나 운동 수행에 있어 피로나 통증을 느끼면 운동을 중지해 버리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지적장애인의 경우 운동 수행의 시간과 운동량의 증가는 매우 가치가 있는
자료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운동에 있어서 가장 센 힘을 만들어 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쉽게 가르칠 수 있고, 아주 짧은 시간에 폭발적인
힘을 낼 수 있는 완전한 훈련프로그램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Sargent Jump
에서는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실험군이 더 높은 향상을 나타냈으며 그 결과는 8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육상선수의 순발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보고(정상현, 1994)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김광호와 선우진(2000)의 연구에서도 12주간의 서킷운동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서전트 점프에서 기능의 향상을 나타냈다고 보고 하였다. 이처럼 지적장
애인 또한 적절한 훈련프로그램이 적용되어진다면 무산소성 능력이나 순발력에 있어서 그
기능의 향상을 나타낼 수 있다.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85

2. 피로물질
젖산은 포도당의 무산소성대사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운동 중에 근육세포의 ATP요구
량이 미토콘드리아에서 재합성되는 양을 초과할 경우에 생성되는 것으로 근육내의 에너지
대사과정에서 혈당이 분해되어 생성된 부산물로서 체내 산성화의 주요인으로 작용하며, 근
피로발생의 주된 원인으로서 효율적인 운동수행 시 핵심적인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Costill, Barnett, Sharp, Fink, & Katz, 1983). 본 연구 결과, 실험군과 비교군간에 젖산 수
준이 a, b구간(최대운동직후 vs. 회복기 10분)까지는 훈련 전 그래프와 동일한 양상을 나타
내고 있으나 실험군은 훈련 전에 비해 더 높은 Peak Power를 발휘하고도 c구간(회복기 10
분 vs. 회복기 20분)에서 훈련 전과는 다르게 젖산의 수치가 줄어드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혈중 젖산 농도의 분석은 운동수행 후의 피로상태 평가를 위해서 가
장 중요한 과정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Jacobs, 1986). Bangsbo et al.(1992)는 축구선수
들을 대상으로 간헐적 형태의 프로그램을 트레드밀 러닝에 적용시킨 결과 NOD 그룹과
HCD 그룹에서 젖산의 농도가 운동전 2.5mmol/L에서 운동후 4.6mmol/L와 4.7mmol/L로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와는 다르게 실제 축구시합 상황에서
발생되는 젖산의 변화량을 측정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선수들의 실제 축구시합
상황에서의 수치는 알 수 없다. 실험실 환경에서 진행된 본 연구에서는 훈련 전에 비해 최
대운동직후 활성 되어 진 젖산의 농도에서도 비교군의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나는 양상과
회복기30분에 훈련 전에 비해 감소되지 않은 경향을 통해 플라이오메트릭을 함께 실시한
실험군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LDH(Lactate Dehydrogenase)는 근활동중 근세포에서 젖산의 형성과 전환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Everse & Kaplan, 1975), 산화 환원 효소로서 해당과정에서 초성포
도산을 환원하여 젖산을 생성한다(Murry, Mayes, Granner, & Rodwell, 1990). 또한, LDH
는 운동 후 증가하며, LDH의 활성 증가는 운동 단위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마이오신을
더 빠르게 수축시키지만, 식이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Nemeth, Benjamin, Rosser,
Choksi, & Kirsten, 1992). 본 연구에서는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훈련 전에 비
해 훈련 후에 두집단에서 안정시의 LDH 수치가 증가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LDH활성
에 대한 순간운동의 연구에서 Altland와 Highman(1961), Papadopouls, Leon과 Bloor(1967)
는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LDH 동위효소 활성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으
며, 장석암, 이장규, 권광선(2000)은 지적장애아를 대상으로 유산소운동을 실시하여 채혈시
기 간 훈련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LDH가 증가 되어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훈련 전에 비해 운동직후와 회복기때 발생
된 LDH의 추이가 훈련 후에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장석암 등(2000)의 연구에서는 피험
186 김대현

자가 정상인보다 활동력이 작고 체력수준이 낮으며 능동적인 운동수행이 불가능한 지적장


애인임을 고려한다면 일반적인 운동의 강도나 기간에서 나타나는 결과가 장애인들에게는
정상인들 보다는 더 많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정상인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하여 다른 결과를 나타낸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실험 결과의
LDH의 수준은 경험하는 운동종류, 성별, 운동기간과 효소의 활성과 어떠한 관계에 영향을
받았음을 추측하게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효소활성도가 수행한 운동의 형태, 강도 및
기간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연구 대상자의 체력수준에서도 크게 영향을 받음
을 나타낸다(Reinhart, Staubli, Kochli, & Straub, 1982; Berg, Haralmbie, 1978).
크레아틴은 크레아틴과 크레아틴 인산의 최종 산물로서 Creatine 인산으로부터 비가역적
인 효소 없이 물이 제거됨으로서 주로 근육에서 생성된다. Creatine은 아미노산(amino
acid)의 일종으로 근세포 내에 PCr형태로 저장되는 주요 에너지원으로 운동 수행능력과 관
련된 연구는 최근에 이르러 이루어져왔다(Balsom, Harridge, Soderlund, Sjodin, & Ekblom,
1993; Greenhaff, Bodin, Harris, Hultman, Jones, & Mcintyre, 1993). 이러한 PCr은
Creatine의 외적인 공급에 의해 근 세포내의 저장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보고(Balsom,
Soderlund, Sjodin, & Ekblom, 1995; Green, Simpson, Littlewood, Hultman, Macdonard,
& Greenhaff, 1996; Vandenberghe, Goris, Van Hecke, Van Leemputte, Vangerven, &
Hespel, 1997)이래 그 효과에 대한 증명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은 훈련 전에
비해 모든 채혈시기에서 크레아틴이 증가되었으나 비교군에서는 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
다. 실험군의 CK의 높은 농도는 더 많은 트레이닝을 유지 할 수 있는 능력을 반영하는 것
일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운동선수들의 Creatine 섭취는 요소 질산/Creatine 비율이 더 낮
아 질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Kreider, Ferreira, Grindstaff, Plisk, & Reinhardy, 1988).
혈중 CPK는 근손상 정도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운동에 의해 유발된 근육 통증과
산화적 손상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Jennifer와 Jeffry(2001)는 CPK 및
LDH의 혈중 활성도 증가는 근 손상의 간접적인 지표로 곧 조직의 손상을 추측할 수 있다
고 제시하여 효소의 활성도를 통해 과격한 운동 강도에 위한 부상을 예방하는 기초 자료
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훈련 전 두 집단 평균이 73.16IU/L, 훈련 후
두 집단 평균이 77.33IU/L로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활성 되었으며 실험군 보다는 비
교군에서 안정시 CPK의 농도가 훈련전보다 훈련 후에 많이 증가 되었다. 그러나 최대운동
직후나 회복기30분 구간에서는 동일한 추이를 나타냈다. CPK는 비혈장성 특이성 효소이며
ATP-PC계 대사를 조절하는 주 효소로서 크레아틴 인산화 과정과 ATP-PC계를 통해 PC의
저장으로부터 수행되는 ATP합성에 촉매 역할을 가속화 시켜, 운동 시 ATP의 고갈을 방지
하고, ATP의 분해로부터 형성된 ADP를 가인산 반응을 통해 근 수축 중 충분한 ATP수준
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김미영, 박광동(2005)의 연구에서는 뇌
성마비 장애인을 대상으로 수영훈련을 통해 LDH 동위효소와 CPK 농도의 변화에 미치는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87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그 연구결과 남녀 두 집단 모두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유의하게 CPK 농도가 증가하여 본 연구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운동
전에 비해 향상 되어진 무산소성능력에 비례하여 CPK의 농도도 증가되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암모니아는 Phosphofructokinase(PFK)의 활동을 자극하고(Katanuma, Okata, & Nishii,
1966), 크렙스 회로와 당신생작용(gluconeogenesis)을 저해하며, 미토콘드리아의 산화를 감
소시킨다(Mutch & Bainister, 1983). 그 결과로 암모니아의 작용에 의해 많은 젖산의 생성
을 유발하고, 빠른 글리코겐의 저하를 가져와 근 피로를 유발시키고, 피로와 관계되어진
pH의 감소를 시작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Koyuncuoclu, Keyer,
Simsek, & Sagduyu, 1978; Maclaren, Gibson, Parry-Billings, & Edward, 1989). 암모니아
의 중추적 피로 작용의 기전은 암모니아가 독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암모니아의 축
적시에는 기면상태(lethargy), 경련(convulsions), 운동실조(ataxia), 그리고 혼수상태(coma)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운동 시 갑자기 증가되는 암모니아는 중추신경에 영향을 미
치게 되어 운동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훈련 전 암모니아 수준이
훈련 후에 a구간, b구간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실험군에서는 처치 후에 최대운동직
후 구간에서 처치 전보다 암모니아 수치가 낮게 발생 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현재까
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운동 시 암모니아 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보면
운동강도, 운동기간, 체력수준, 근 구성 형태의 차이, 땀 배출 능력에 따른 제거 차이 등을
들 수 있으며, 암모니아의 수치가 운동 전에 비해 낮게 나타난 것은 지적장애인의 생리학적
기전 또한 장애가 없는 사람들과 다르지 않게 운동을 통한 근육량의 증가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ATP-PC계 대사시 발생되는 Creatine의 활성도가 암모니아에 미치는 영향 때문
으로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실험군이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WAnT를 통한 크레아틴
농도변화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인해 암모니아의 수치는 낮아진 것이라 보여 진다.

Ⅵ.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축구선수에게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


을 12주간 실시한 후 나타나는 무산소성능력과 피로물질의 변화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지
적장애축구선수 14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계획한 훈련을 시킨 다음, WAnT 운동 시 무
산소 파워 반응과 Sargent Jump를 통해 무산소성능력을 알아보았고, 피로물질의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안정시, 최대 운동 직후, 그리고 회복기 30분(lactate: 회복기 10분,
20분 실시)의 Lactate, LDH, Creatine, CPK, Ammonia의 반응을 집단 간 비교․분석한 결
188 김대현

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은 Peak Power와 Sargent Jump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2.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은 피로물질반응의 각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훈련 전에
비해 Lactate, Creatine, Ammonia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로 지적장애 축구선수들에게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이 포함된 축구훈련이 긍정


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고, 지적장애 축구선수들에게 있어 체력수준의 향상을 위
한 훈련프로그램 적용 시 플라이오메트릭훈련 및 다양한 무산소성 운동을 추가하는 방법
을 고려해야만 할 것이며, 보다 명확한 플라이메트릭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하
지 전체의 근파워 및 근지구력을 측정하는 WAnT 보다는 등속성근기능 테스트를 실시한
다면 보다 명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참고문헌

김광호, 선우진(2000). 서킷운동이 훈련가능 정신지체학생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


국체육학회지, 39(1), 781-790.
김미영, 박광동(2005). 수영훈련이 뇌성마비 청소년의 혈장 LDH 동위효소와 CPK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4), 637-644.
김석진, 최승권(2007). 척수손상자의 운동 후 고온 반침수가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
특수체육학회, 15(2), 15-32.
김용권, 진영수, 전태원, 정성태(2000). 프로신인 축구선수의 체력 특성 연구. 대한스포츠학
회지, 18(1), 83-91.
김진해, 권영우(2007). 8주간 복합트레이닝이 정신지체 여성의 체지방과 혈중 ACTH, renin
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8(4), 649-656.
백일영(2006). 운동과 에너지 대사. 서울: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유성민(2008).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중학교 축구선수들의 순발력 및 민첩성에 미
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윤태식, 전세일, 신정순, 박병권(1991). 대학축구선수와 일반대학생의 슬관절의 등속성 운동
비교. 대한재활의학회지, 14(1), 223-234.
이승훈, 조재혁(2005). 12주간의 단거리 인터벌 훈련과 플라이오메트릭훈련이 하지 근력 및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89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3), 481-494.


이용수(1996). 축구선수의 경기 중 활동 형태와 생리적 요인의 변화. 한국체육과학 연구원
스포츠 과학, 57, 27-35.
이충영(2004). 12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태권도 선수의 대퇴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2693-2706.
장석암, 이장규, 권광선(2000). 정신지체아의 유산소 트레이닝 후 젖산탈수소 효소의 변화.
한국체육학회지, 39(1), 489-497.
정상현(1994).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과 웨이트 트레이닝이 육상선수들의 순발력 향
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현철(2003). 장기간 크레아틴과 호르몬 제재의 섭취가 반복 최대 운동시 무산소성 파워
및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발육발달, 11(1), 144-156.
조현철, 김종규(2005). Wingate 운동 수행시간에 따른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평가. 한국체육
학회지, 44(2), 305-314.
Altland, P. D., & Highman, B. (1961). Effects of exercise on serum enzyme values and
tissues of rat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1(20), 393-395.
Balsom, P. C., Harridge, S. D. R., Soderlund, K., Sjodin, B., & Ekblom, B. (1993).
Creatine supplementation per se dose not enhance exercise performance. Acta
physiological Scandinavia. 149, 521-523.
Balsom, P. C., Soderlund, K., Sjodin, B., & Ekblom, B. (1995). Skeletal muscle
metabolism during short duration high intensity exercise: influence of creatine
supplementation. Acta physiological Scandinavia. 54, 303-310.
Bangsbo. J., Norregaard. L., & Thorsoe, F. (1992). The effect of carbohydrate diet on
intermittent exercise performance. Int. Journal of Sports Medicine, 13, 152-157.
Berg, A, & Haralmbie, G. (1978). Changes in serum creatine kinase and hexase
phosphate isomerase activity with exercise duration.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39, 191-201.
Costill, D. L., Barnett, A., Sharp, R., Fink, W., & Katz, A. (1983). Leg muscle pH
following sprint runn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5.
Ekblom, B. (1986). Applied physiology of soccer. Sports Medicine, 3(1), 50-60.
Everse, J., & Kaplan, N. O. (1975) Mechanisms of action and biological function of various
dehydrogenase isozymes. In : Isozymes. Physiological function, Ed by C. L. Markert
: New York : Academic, 29-44.
Fred Wilt. (1980). Plyometrics. The Athletic Journal, 76-90.
Frontera, W. R., Meredith, C. N., O'Reilly, K. P., Knuttgen, H. G., & Evans, W. J.
190 김대현

(1988). Strength conditioning in older men; Skeletal muscle hypertrophy and


improved functio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4(3), 1038-1044.
Green, A., Simpson, E., Littlewood, J., Hulman, E., Macdonard, I., & Greenhaff, P.
(1996). Carbohydrate ingestion angment creatine retention during creatine feeding
in humans. Acta physiological Scandinavia. 158, 195-202.
Greenhaff, P. L., Bodin, K., Harris, R., Hultman, E., Jones, D., & McIntyre, D. (1993).
The influence of oral creatine supplementation on muscle phosphocreatine
resynthesis following intense contraction in man. Journal of Physiology. 467, 17.
Jacobs, I. (1986). Blood lactate : implications for training and sports performance. Sports
Medicine, 3, 10-25.
Jennifer, M. S., & Jeffry, B. B. (2001). Role of vitamin E and oxidative stress in exercise.
Nutrition, 17, 809-814.
Katanuma, O., Okada, M., & Nishii, Y. (1966). Regulation of the urea cycle and TCA
cycle by ammonia. In Weaver. G(ed): Advances in Enzyme Regulation. New York,
Pergamon Press, 4. 317-335.
Koyuncuoclu, H, Keyer, M., Simsek, S., & Sagduyu, H. (1978). Ammonia intoxication:
changes of brain levels of putative neurotranmitter and related compounds and
its relevance to hepatic coma. Pharmacol of Reserch Communication. 10, 787-807.
Kreider, R., Ferreira, M., Grindstaff, P., Plisk, S., Reinhardy, J. (1988). Effects of creatine
supplementation on body composition, strength and sprint performanc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0, 73-82.
Maclaren, D. P. M., Gibson, H., Paryy-Billings, M., & Edward, R. H. T. (1989). Exercise
and Sport Science Review. A review of metabolism and physiological factors in fatigue.
7(2), 29-66.
Morganti, C. M., Nelson, M. E., Fiatarone, M. A., Dallal, G. E., Economos, C. D., &
Crawford, B. M. (1995). Strenght improvements with 1 year of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in older wom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7(6), 906-912.
Murry, R. K., Mayes, P. A., Granner, D. K., & Rodwell, V. W. (1990). Harper's
Biochemstry., London :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103-166.
Mutch, B. J. C., & Banister, E. W. (1983). Ammonia metabolism in exercise and fatigue:
a review.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5(1), 41-50.
Nemeth. P. M., Benjamin, W. C., Rosser, R. M., Choksi, B. J. N., & Kirsten, M. B.
(1992). Metabolic response to a high-fat diet in neonatal and adult rat muscle.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무산소성능력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191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62(31), 282-286.


Papadopouls, N. M., Leon, A. A., & Bloor, C. M. (1967). Effect of exercise on plasma
and tissue levels of lactate dehydrogenase and isoenzymes in rats. Proc. Soc.
Exptl. Biol. Med., 125, 999-1002.
Petrov, V. (1976). How to devlop Jumping ability. Sports Games, 2, 4-13.
Reinhart, W. H., Staubli, M., Kochli, H. P., & Straub, P. W. (1982). Creatine kinase and
MB-fraction after a long distance race. Clin. Chim. Acta., 125, 307-310.
Sharp, P. L., Costill D. L., Fink W. J., & King D. D. (1986). Effects of eight weeks of
bicycle ergometer training on human muscle buffer capa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s, 7, 13-17.
Vandenberghe, K., Goris, M., Van Hecke, P., Van Leemputte, M., Vangerven, l., &
Hespel, P. (1997). Long term creatine intake is beneficial to muscle performance
during resistance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3(6), 2055-2063.
Vanhall, G. (2000). Lactate as a fuel for mitochondrial respiration. Acta Physiological
Scandinavia, 168, 643-656
Wasserman, K., Hansen, J., Sue, D., & Whipp, B. (1986). principles of exercise testing
and interpretation. Philadelphia, Pa, Lea and Febiger. 34-35.

논문제출일 : 2009년 4월 30일


논문수정일 : 2009년 5월 30일
게재승인일 : 2009년 6월 19일
192 김대현

The Effects of Soccer Training According to Appearance of Execution


in Plyometrics Training on Anaerobic Abilities and Fatigue Substances
in Intellectual-Disabled Soccer Players
Dae-Hyun Kim*(Kyonggi University)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the effects of soccer training
according to appearance of execution in plyometrics training on anaerobic abilities and
fatigue substances in intellectual-disabled soccer players. Testee included 14 intellectual-
disabled soccer players who stand for S cit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7 people,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carried out plyometrics training(twice a week/every one hour) and soccer training(twice
a week/every two hours) for 12 weeks. The comparative group had been carried out
soccer training(twice a week/every three hours) for 12 week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easurement value before
and after soccer training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execution in plyometrics
training. First, the group with training showed the higher enhancement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WAnT's Peak Power and Sargent Jump(p<.01). Second, in lactate
among fatigue substances, the group with training was reduced compared to before
training at that time of 20 minutes in the recovery period(p<.05). Right after the
maximum exercise, the comparative group was increased lactate concentration more
than before training.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training was reduced(p<.05). In
LDH, Creatine, CPK, Ammonia,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indicated in the
training period and the blood-gathering period according to group. However, in
Creatine,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he blood-gathering
period compared to before training(p<.05). However, the comparative group was
increased only in 30 minutes of the recovery period(p<.05). Additionally in the CPK
responses,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he blood-gathering
period compared to before training(p<.05). In Ammonia,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dicated the significant reduction more than before training right after the maximum
exercise. The conclusion was obtained to be more useful to apply plyometrics training
program given soccer training even to the intellectual disabled. It is seen to have value
enough to be applied even to other items necessary for muscle power in addition to it.

key word : Plyometrics Training, Soccer Training, Anaerobic Abilities, Lactate, LDH,
Creatine, CPK, Ammonia, Intellectual Disabled

* benokri@hanmail.ne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