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09, 제20권, 제2호, 113~127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09, Vol. 20, No. 2, 113~127

축구선수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에서


실천지능의 활용 가능성 *

윤영길(한국체육대학교)**

국문초록

본 연구는 시합과 훈련에서 발생하는 선수의 경기력 차이를 유발하는 하나의 단서로 실천지능에 주목했
다. 문헌연구, 창의성연구자와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해 실천지능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와 전술운용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Sternberg의 실천지능 주요 개념에 대한 범주화를 시행
하였으며, 창의성연구자를 대상으로 범주화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절차에 따라 실천지능
의 개념, 축구의 실천지능,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의 관련성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천지능은
실생활의 경험에서 지식을 획득하고, 획득한 지식을 목표달성을 위해 활용하는 능력으로 실생활, 적응,
선택, 조성의 구성개념으로 구성된다. 실생활, 적응, 선택, 조성 등 실천지능의 구성개념을 축구에 투영
한 결과 축구 경기나 훈련에서 문제 직면 시 기존 환경과 방식에 적응하는 능력인 적응은 태도 , 기본
기, 개인전술로, 축구 경기나 훈련에서 적응이 용이하지 않으면 대안을 모색하고 선택하는 과정인 선택
은 경기경험과 확산적사고로 , 축구 경기나 훈련에서 선택이 적절하지 않으면 자신에 적절하게 환경을
변형시키는 과정을 의미하는 조성은 전술변화 , 노련함, 시간 조절로 구성된다. 축구 경기나 훈련에서 전
술운용은 훈련이나 경기 과정에서 선수 개인이 상황에 적응하고, 선택, 조성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축구
의 실천지능은 축구의 전술운용에 의미 있는 시사를 제공한다. 축구 경기력에서 실천지능이 중요한 역
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실천지능에 대한 관심이나 실증적 자료가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실천지능, 전술운용, 성공지능, 적응, 선택, 조성, 창의지능, 분석지능

Ⅰ. 서 론 선수도 있다. 스포츠 세계에서 연습과 시합의 차


이는 어디에서 연유하는 것일까?
지금까지 스포츠심리학계에서는 선수 개인의 연
연습 때는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다 시합에서는
습과 시합에서의 성격과 동기 관점에서 경기력 차
저조한 기량을 보이는 선수가 있는 반면, 연습 때
이를 설명하려는 시도를 반복해왔다. 하지만 아직
는 저조하다 시합에서는 최고의 경기력을 보이는
연습과 시합의 차이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지 못하

* 이 논문은 2007년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7-332-G00064).


** ykyun@knsu.ac.kr
114 축구선수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에서 실천지능의 활용 가능성

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연습과 시합의 차이 지능(Sternberg, 1997) 등 다양한 영역으로 개념과


로 인한 문제는 비단 스포츠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 분야를 확대해가고 있다. 불활성지식의 활성화와
각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관련해 최근 성공지능(successful intelligence)에
이처럼 개인이 가진 자원을 실제 상황에서 적절 대한 관심(박춘성과 김동일, 2006; 백순근, 2005;
하게 활용하지 못한 괴리와 관련해 불활성지식 Sternberg, 1985)이 증가하고 있다.
(inert knowledge)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성공지능에서 지능은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불활성지식은 지식의 효용과 관련해 실제 상황이 개인적인 기준에 따라 성공적인 삶을 획득하는 능
나 생활에 직접 적용하기 어려운 지식을 의미한 력인데, 성공을 획득하기 위해 자신의 장점은 극대
다. 과제 수행 과정에서 “무엇을”과 “어떻게"를 고 화하고 약점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능력을 성공지
려했을 때 ”어떻게“에 해당하는 방법지식을 간과 능으로 정의(Sternberg, 2003)하고 있다. 이러한 성
하고 ”무엇을“에 해당하는 내용지식만을 적용하 공지능은 강점을 알고 강점을 최대화하는 노력과
려는 결과가 불활성지식의 문제를 유발(Sternberg, 동시에 약점을 알고 그 약점을 보완하려는 노력의
1997)한다고 할 수 있다. 과정에서 잠재적으로 발현된다(송길연 역, 2004).
이러한 불활성지식은 해당 분야와 사회를 단절시 성공지능은 분석, 평가, 비교나 대조와 관련된 분석
키고 그 단절을 고착화시키는 문제를 야기(신종호와 지능(analytical intelligence), 창조, 발명, 발견과 관
권희경, 2004)하는 동시에 불완전하고 미숙한 이해를 련되는 창의지능(creative intelligence), 배운 것의
초래하여 실제 상황에 적용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 실행과 실생활 적용에 관련되는 실천지능(practical
을 유발하기도 한다(Brown, Collins와 Duguid, 1989). intelligence)으로 구성된다(Sternberg, 1997).
불활성지식의 문제는 최초의 지능검사인 성공지능을 구성하는 세 가지 지능 중 불활성
Binet-Simon 검사가 학습능력 진단을 목적으로 출 지식의 활성화와 관련해 실천지능에 대한 관심
발한데서 시작(이정모 외, 2003)되었다고 볼 수 있 (신종호와 권희경, 2004)이 증가하고 있다. 실천지
다. 이로 인해 지능(IQ)의 개념 역시 필연적으로 능은 자신의 자원을 환경 맥락에 따라 적절히 활
학습능력을 핵심 개념으로 포함할 수밖에 없었다. 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목표의 성과를 높이고
학습능력 평가와 관련해 과거에는 지능을 인간 능 (Sternberg, 2000), 실제 상황에서 활용하는 동시
력의 핵심요소로 간주(황정규, 1984)해왔다. 에 목표달성을 위해 자신의 지식을 인식한 환경
고전적 지능 개념이 인간의 능력을 진단하고 에 최대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강영심과 송연주,
설명하기 위해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제기가 지속 2002; Sternberg와 Hedlund, 2002; Williams,
되어(Dahlstrom, 1993; Gardner, 1983; Sternberg, Blythe, White, Sternberg와 Gardner, 1996)으로
2001)왔다. 이 과정에서 학습능력의 성격이 강했 정의되고 있다. 또한 사교능력, 학습방법 등 비학
던 지능의 개념은 배우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또 업적인 측면이 포함되고, 성인의 경우 지능검사나
는 복잡하고 새로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창의성검사보다 효과적으로 사회적응력을 예언하
(이정모 외, 2003)은 물론 사고 과정까지를 통칭 기도 한다(Gringorenko와 Sternberg, 2001).
(Carroll, 1993)하는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실천지능 연구는 실천지능의 정의(이
지능의 개념은 다중지능(Gardner, 1993), 성공 순묵과 이동희, 1999; Sternberg, 1997; Sternberg,
윤영길 115

1999; Sternberg, 2000), 실천지능의 성격(박춘성과 과 매력에도 불구하고 체육학 영역에서 실천지능
김동일, 2006; 송길연 역, 2004; 이순묵, 김아영과 이 을 주제로 한 국내외의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
정은, 2000; 이현미, 2005; Sternberg, 2000), 학교 생 는 실천지능이 비교적 최근에 관심을 갖고 연구
활과 실천지능의 관련성(신종호와 권희경, 2004; 되는 분야라는 영역 특수성과 체육학에서 인지
Gardner와 Sternberg, 2002), 실천지능의 타당성(강 영역 연구의 실증적 어려움 때문으로 사료된다.
영심과 송연주, 2002; 김소연, 2000; Gringorenko와 하지만 축구 경기력에서 최근 중시되고 있는
Sternberg, 2001; Herrick, 2001) 등의 내용으로 진행 전술운용능력은 체력이나 기술의 내용 문제가 아
되어 불활성지식의 활성화와 관련한 이해의 폭과 닌 체력과 기술의 적용 방법이라는 점, 전술운용
깊이를 확장시켜가고 있다.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술운용과 관련된
이러한 실천지능은 절차적지식(이순묵과 차경 절차적지식의 실증적 자료를 제시해야 한다는 점,
호, 2000)과 관계된다. 스포츠 상황에서 과제를 수 절차적지식의 실증적 자료로 실천지식이 핵심이
행한 선수에게 자신이 어떻게 과제를 수행했는지 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경기에서 선수의 전술운용
설명하라고 했을 때 수행과 수행과정에 대한 설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는 실천
명이 어려운 이유의 시사를 제공한다. 지능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사실 스포츠는 순간순간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축구에서 전술운용능력과 실천지능의 관계를
연속적인 대응과 대처 과정이기 때문에 순간적인 실증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축구
변화를 설명하고 묘사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의 실천지능에 대한 개념화와 실천지능과 전술운
특히, 축구는 22명의 선수가 넓은 공간에서 휴식 없 용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첫째, “타학문분야
이 경기를 치르기 때문에 다른 종목에 비해 상대적 에서 실천지능은 무엇으로 개념화되고 있는가?”,
으로 상황 변화가 많고, 변화하는 상황의 맥락에 적 둘째, “타학문분야의 관점과 축구전문가의 관점
합하게 스스로의 플레이, 즉 자신이 구사했던 절차 을 종합했을 때 축구의 실천지능은 무엇인가?”,
적지식을 스스로 설명하기 어려운 종목이다. 셋째, “축구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능력의 관련
축구 경기력에 대한 관심은 최근 행동지식 중 성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심에서 암묵지식(김의수, 이용수와 최은택, 2002; 본 연구를 통해 실천지능과 경기력의 관계를
Hiddink, 2001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 설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동시에 체육학
는데, 이는 현대 축구에서 전술적 우위를 확보하 계는 물론 체육계에 실천지능에 대한 관심을 불
기 위한 압박 강화(Abt, Dickson과 Mummery, 러일으키는 계기를 제공하기를 기대해 본다.
1999), 압박을 해결 방안으로 전술운용능력이 좋
은 선수(Albert, 2002)가 중용되고 있는 최근 추세
(윤영길과 이용수, 2006)에서 확인할 수 있다. Ⅱ. 연구방법
최근의 변화는 경기력의 초점이 “무엇을”에서
“어떻게”로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1. 자료제공자
는 내용지식과 방법지식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성
을 역설한다. 방법지식으로서 실천지능의 중요성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진행하
116 축구선수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에서 실천지능의 활용 가능성

표 1. 문헌연구 대상 문헌 고, 수집한 자료의 내용을 검토하고 검토한 자료를


구분 대상 종합한 후 타당성 검증을 거쳐 자료를 창출하였다.
송길연 역(2004), 정면진 역(2005), Gardner (1983),
Gardner(1993), Gardner, Csi kszentmihalyi, 문헌연구는 실천지능과 성공지능을 다루고 있
단행본
Williams(2001), Herrick(2001), Sternberg, (1985),
(11권) 는 단행본과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천지능
Sternberg(1997), Sternberg (2000), Sternberg(2003),
Williams, Blythe, White, Sternberg 와 Gardner(1996)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은 적응, 선택, 조
강영심과 송연주 (2002), 문용린과 강민수(2004), 박춘성
성 등 실천지능 구성 요소의 귀납적범주화 결과
과 김동일 (2006), 백순근 (2005), 신종호와 권희경
(2004), 이순묵과 이동희 (1999), 이순묵과 차경호 와 축구의 실천지능 개념화의 타당성 검증에 활
논문 (2000), 이순문, 김아영과 이정은 (2000), 이영만(2006)이
(17편) 현미 (2005), 황정규 (1984), Cleeremans, Desterebecqz
용하였다.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은
와 Boyer(1998), Gardner와 Sternberg(2002), Grigorenko 적응, 선택, 조성 등 내용타당성을 확보한 실천지
와 Sternberg(2001), Sternberg와 Hedlund (2002),
Sternberg(1999), Sternberg (2001)
능 구성요소 외에 실천지능의 소개, 실천지능의
계 28 역할, 축구에서 실천지능 사례 등을 가이드라인으
로 한 반구조화면담을 실시해 축구전문가가 인식
였다. 문헌연구는 실천지능의 개념을 추출하기 위
하고 있는 축구의 실천지능을 탐색하였다.
해 실천지능을 주제로 한 <표 1>의 국내외 단행
실천지능연구자를 대상로 한 면담은 자료제공
본 11권, 논문 17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와 전화와 E-mail을 통해 자료제공 의사를 표시
심층면담은 문헌연구에서 추출한 실천지능 개
한 자료제공자의 연구실로 연구자가 방문해 24
념의 타당성 검증 단계에서 실천지능연구자를 대
분~41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축구전문가를 대상
상으로, 축구에서 실천지능의 의미 및 전술운용에
으로 한 면담은 전화를 통해 자료제공 의사를 밝
서 활용 가능성 탐색 단계에서는 축구전문가를
힌 전문가의 팀숙소나 사무실로 연구자자 방문해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심층면담의 대상 인원과 심
52분~76분에 걸쳐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자료
층면담 선정 기준은 <표 2>와 같다.
제공자 동의를 얻어 SAMSUNG YP-U1으로 녹취
한 후 글2002를 이용해 녹취록으로 제작하였다.
2. 자료 창출
귀납적범주화 결과에 대한 실천지능연구자의
본 연구는 문헌연구, 실천지능연구자와 축구전문 타당성 검증 결과를 토대로, 축구전문가를 대상으
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 로 한 심층면담 결과에 연구자의 해석과 의미부
여를 통해 축구에서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에서
표 2. 심층면담 대상 의 활용가능성을 구성하고, 구성한 자료에 실천지
대상 인원 선정 기준
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지에 실천지능
능연구자와 축구전문가의 내용타당성 검증 과정
실천지능
3 논문 2편 이상 게재한 교육학전공자, 심 을 거쳐 자료를 창출하였다.
연구자
리학전공자
축구전문가집단에서 전문성 인정한 KFA
5
기술위원 경력자 3. 연구절차
대한축구협회의 지도자교육 자격 요건으
축구
5 로 선수 전문성 인정한 프로 100경기 이
전문가
상 출전 선수
본 연구는 실천지능의 의미 탐색, 축구의 실천
지도력이 검증되어 대학 이상 팀에서 감 지능 개념 탐색, 축구 전술운용 능력에서 실천지
5
독을 하고 있는 지도자
계 18명
능의 적용 가능성 탐색 순으로 진행하였다.
윤영길 117

실천지능의 의미탐색 단계에서는 실천지능을 자료창출 과정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을 배제할


주제로 한 국내외의 논문과 단행본을 검토해 실 수 없는 현실적 문제(김두섭 역, 2002)를 감안해
천지능의 성격과 구성 구성개념, 그리고 실천지능 자료의 해석과 분석 행위로서의 연구가 아닌 자
의 개념 구조를 탐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추 료의 나열과 조직에 비중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
출된 실천지능의 구성요소와 개념구조를 의미 단 였다. 구체적 연구절차는 <그림 1>과 같다.
위에 따라 각 단위의 세부내용을 범주화하는 방
식으로 실천지능의 구성요소를 범주화하여 실천 4. 자료분석
지능의 개념적 공통성을 추출하였다. 실천지능연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범주화와 연역적전개 절
구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에서는 적응, 선택,
차를 거쳐 내용을 창출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구
조성 등으로 범주화된 실천지능의 구성요소 범주
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의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축구의
실천지능 면담가이드라인을 제작하였다.
1) 귀납적범주화
축구의 실천지능 개념 탐색 단계에서는 면담가이
문헌연구를 통해 수집된 실천지능의 구성개념,
드라인을 토대로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반구조
개념구조 중 내용이 유사하거나 중복된 자료를 통
화면담을 실시하였다.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축
합해 1차자료(원자료)를 추출하고, 유사한 원자료
구의 실천지능 반구조화면담은 축구에서의 실천지
를 묶어 2차자료(세부영역), 유사한 의미의 세부영
능 사례와 실천지능의 개념을 소개하고 실천지능의
역 자료를 묶어 3차자료(일반영역)로 분류해 실천
구성요소, 축구에서 실천지능의 역할, 실천지능의
지능의 구성요소와 개념구조를 범주화하였다.
예시 등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축구전문가를 대상으
로 한 면담 내용은 자료제공자의 동의를 얻어 녹취
2) 연역적전개
하고, 녹취록을 작성하였다. 실천지능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내용에 실천지능의 구성요소와 개념구조에 대한 귀납
의미를 부여해 축구의 실천지능을 개념화하였다. 적내용분석 결과 나타난 세부영역을 주제로 연역
축구 전술운용 능력에서 실천지능의 적용 가능성 적으로 내용을 전개(조주현, 2007)해 면담을 구성
탐색 단계에서는 축구의 실천지능 개념을 축구전문 하였다. 탐색적 성격의 질적연구에서 연구자 편향
가에게 제시하고, 제시한 축구의 실천지능 개념을 에 따라 연구 결과가 편향될 위험성을 고려할 필
전술운용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요성이 제기(김두섭 역, 2002)되고 있음에 따라 탐
색 단계의 객관성 확보 방안으로 문헌연구 결과
를 가이드라인의 지침으로 활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논의

연구결과에서는 문헌연구와 실천지능연구자를


그림 1. 연구절차
118 축구선수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에서 실천지능의 활용 가능성

대상으로 한 면담 결과 나타난 실천지능의 개념 표 3. 실천지능의 개념 관점


을 탐색하였다. 탐색된 실천지능의 개념을 토대로 연구 실천지능의 개념 추출
문제 직면 시 환경과 방식에 적응, 적응이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진행해 축 문용린과 용이하지 않으면 대안을 모색하고 선택, 선
강민수(2004) 택이 적절하지 않으면 자신에 적절하게 환
구의 실천지능을 개념화하고, 축구전술운용에서
경을 변형
실천지능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문제 직면 시 기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신종호와 적응이 용이하지 않으며 대안을 모색하고
권희경(2004) 선택하는 능력, 선택이 적절하지 않으면 자
1. 실천지능 접근 관점의 통합 신에 적절하게 변형하는 능력 적응
자신의 강점을 인식해 활용하고, 자신의 약 선택
실천지능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실 Sternberg(1997) 점을 개선하고 보완해 환경에 적응하거나 조성
환경을 조성, 또는 선택하여
천지능을 주제로 한 연구를 진행한 연구자를 대 환경에 적응하고, 환경을 조성하고, 환경을
Sternberg(2003)
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첫 번째 질문인 “타학 선택하는 경험 관련 능력
Williams,
문분야에서 실천지능은 무엇으로 개념화되고 있 스스로 환경을 인식하고 인식한 환경에 자
Blythe, White,
신의 지식을 목표달성에 최대로 이용할 수
Sternberg와
는가?”에 해답을 모색하기 위해 실천지능을 주제 있는 능력
Gardner(1996)
로 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Cleeremans,
의도와 의식이 개입되지 않는 암묵적 학습
Destrebecqz와
실천지능 연구는 Sternberg에서 기원하는데, 의 과정
Boyer(1998)
암묵
Sternberg(1985)는 전통적인 지능 검사의 타당성 문 송길연 역 학문적 능력과는 다르게 실행할 수 있는 능
지식
(2004) 력
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성공지능의 하위요소로 실
암묵지를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Sternberg(2000)
천지능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실천지능은 실생활의 능력
Gardner, Csi
경험에서 지식을 획득하고, 획득한 지식을 목표달성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융통성 있고 현
kszentmihalyi,
실성 있게 해결하는 능력의 상호작용
을 위해 활용하는 능력(Sternberg, 1997)으로 정의된 Williams(2001) 융통성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개인적인 기준
다. 최근 실천지능을 주제로 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Sternberg(1997)
에서 성공을 달성할 수 있는 능력
되고 있는데, Sternberg는 실천지능연구는 실천지능 Sternberg와
실세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Hedlund(2002)
을 주제로 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피인용이 있었다.
실생활의 경험으로부터 지식을 획득하고 자
신종호와
Sternberg의 실천지능에서 적응, 선택, 조성은 권희경(2004)
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 지식을 활용 실생활
하는 능력
핵심적 개념이다. 문제에 직면했을 때 기존 환경 실제 맥락 속에서 문제해결 방안을 효과적
이영만(2006)
과 방식에 스스로를 적응시키는 문제, 적응이 용 으로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능력

이하지 않을 경우 대안을 모색하고 모색한 대안


않는 채 스스로 습득되고, 특별한 상황에서 특별
중 선택하는 문제, 선택이 적절하지 않으면 자신
히 일어나는 절차적 지식과 관련되어 있고, 개인
에 적절하게 환경을 변형하는 문제는 실천지능의
의 경험을 통해 습득되기 때문에게 개인에게 특
구성 개념이다. 실천지능을 주제로 한 다양한 연
별한 가치가 있다(Sternberg, 2000).
구에서 적응, 선택, 조성은 Sternberg의 관점뿐만
실천지능의 속성으로 융통성 또한 강조되고 있
아니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천지능 연
다. 문제 해결에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융통
구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는 구성개념이다.
성을 발휘하는 능력으로 개념화되기도 한다. 뿐만
또한 실천지능의 속성과 관련해 암묵지의 특성
아니라 이러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실생활 역시
이 강조되고 있다. 암묵지는 환경의 도움을 받지
윤영길 119

중요한 구성개념으로 자리하고 있다.


“축구에서 일이 일어나는 것은 시합이잖
이상의 문헌연구 과정을 통해 실생활, 융통성, 아. 시합에서 일이 일어나지 다른 데서 무슨
암묵지, 적응, 선택, 조성을 실천지능의 핵심적 구 일이 일어나?”(K1)
성 개념으로 추출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실천지능을 실제로 행하는 능력
실천지능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에서 (백순근, 2005)과 결부시킨 관점과 맥을 같이한다.
실천지능의 구성개념으로 방법지는 적응, 조성, 또 다른 관점에서 실생활이라는 개념을 L1은 훈
선택의 구체적 내용이기 때문에 방법지를 구성개 련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념에 포함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과
“시합에서 물론 일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시
융통성은 적응, 조성, 선택의 구체적 방법이기 때
합 때 일어나는 일은 모두 운동 때 어떻게 했느
문에 융통성을 구성개념에 포함시키는 것은 적절 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속을 들여다보면 운동이
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실천지능 개념의 구 쌓이면 시합 때 결과로 나타나는 겁니다.”(L1)
성요소에 대한 실천지능연구자의 의견을 수용하 시합과 훈련과 더불어 일상생활의 의미를 K2,
여 <표 4>의 실생활, 적응, 선택, 조정을 실천지능 P1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의 구성 개념으로 확정하였다.
“시합이나 운동 때 일어나는 일은 선수 자신
이 어떻게 생활하는가와 관련되는 기요. 무슨
표 4. 실천지능의 구성개념과 의미 생각을 하고 있는가가 운동이나 시합에 그대로
구성개념 구성개념의 의미 나타나는 기요(중략).. 시합이나 운동도 중요하
실생활 문제가 발생하는 실제 맥락
적응 문제 직면 시 기존 환경과 방식에 적응하는 능력
지만 결국 사생활이 결정하는 기라요”(K2).
적응이 용이하지 않으면 대안을 모색하고 모색한
선택
대안을 선택하는 과정 “선수 혼자 사는 것이 아닙니다. 숙소에서
조성
선택이 적절하지 않으면 자신에 적절하게 환경을 다른 선수하고 같이 살아야 하니까......다른
변형시키는 과정 선수하고 어울리고 이런 것이 다 시합에서
나옵니다.”(P1)
2. 축구에서의 실천지능 문제가 발생하는 실제 맥락이라는 실생활을 축
구에 투영시킨 결과 시합, 훈련, 사생활의 구성개
실천지능연구자와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
념이 지적되었다. 세 가지 구성 개념에 대해 실천
층면담을 실시해 실생활, 적응, 선택, 조성 등 실천지
지능연구자 S1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능의 구성개념을 축구에 투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합과 훈련은 직접적인 실생활인데 반
1) 실생활 해 사생활이라는 개념은 축구나 축구선수의
직접적인 실생활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
실생활은 문제가 발생하는 실제적 맥락을 의미 문제는 비단 축구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
하는 개념이다. 축구에서 실제로 문제가 발생하는 고 (중략) 사생활의 문제가 실천지능에 직접
맥락을 축구전문가와 실천지능연구자는 다음과 매개된다고 단정하기도 어렵습니다(S1).”
같이 지적하고 있다. 이상을 종합했을 때 축구에서 실천지능이 형성
실생활이라는 개념에 대해 축구전문가 K1은 문 되고 발현되는 실생활 계(dimension)는 시합과
제가 발생하는 맥락으로 경기의 문제를 강조한다. 훈련으로 구성된다.
120 축구선수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에서 실천지능의 활용 가능성

2) 적응
“시합이나 훈련에서 어떤 장면이 연출되
적응은 문제에 직면했을 때 기존 환경과 방식 었을 때 (기존 환경과 방식에 적응하기 위해
에 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축구 경 서는) 개인전술이 있어야죠. 그래야 자신이
처한 환경에 무난하게 적응할 수 있고, 팀의
기나 훈련에서 문제에 직면했을 때 기존 환경과
플레이 방식에 녹아들어갈 수 있어요(P2)."
방식에 적응하는 능력을 축구전문가는 다음과 같
이 지적하고 있다. “개인전술이 있는 선수는 어떤 팀에 들어
적응이라는 개념에 대해 J1은 경기나 훈련에서 가도 자기 플레이를 한단 말입니다. 그 팀플
의 태도를 강조한다. 레이에 쉽게 적응하니까 팀을 옮겨 게임을
해도 그렇게 영향을 받지는 않습니다(J2).
“훈련 때 잘하는 선수가 있고 연습 때 잘
실천지능의 적응과 관련해 개인전술을 언급하
하는 선수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오래 보
면 시합 때 잘하는 선수는 훈련 때도 잘해 는 관점은 실천지능의 현실 세계에서 활용되는
요..... 다만 최선을 다하는지 문제는 분명히 양상(강연심, 송연주, 2002; Sternberg와 Hedlund,
있어요(J1). 2002)을 중시하는 관점과 궤를 같이한다.
경기나 훈련에 임하는 자세나 태도가 실천지능 이상을 종합했을 때 축구 경기나 훈련에서 문
이 형성되고 발현되는데 의미 있는 변수이다. 경 제 직면 시 기존 환경과 방식에 적응하는 능력인
기나 훈련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적극적으로 적응은 태도, 기본기, 개인전술로 구성된다.
해결하는 시도는 해결의 실마리가 된다.
또한 실천지능의 실제생활 적응(박춘성과 김동 3) 선택
일, 2006) 문제와 관련해 경기나 훈련에서 발생한 선택은 적응이 용이하지 않으면 대안을 모색하
문제에 적응하는 문제와 관련해 K1은 기본기를 고 선택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축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대안을 모색하고 선택하는 과정을 축구전문가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연습 때하고 시합 때가 다른 애들은 기본
기 차이야. 기본기가 있으면 연습 때 하던 것 대안을 모색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경기경험
이 그대로 나와. 그런데 기본기가 부족한 애 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들은 시합 때 훈련하는 것이 나오지 않을 때
가 있어. 그러니까 시합이나 훈련에서 직면 "경기 상황에서 기존 방식으로 안 되면 다
하는 환경과 방식에 적응하는 능력은 기본기 른 방법을 시도하는 선수는 경기 경험이 많
라는 말이지(K1)” 은 선수들입니다. 이 선수들은 언제, 어떻게
바꿔야하는지 알고 있습니다. 시합 경험이
축구경기에서 특정 상황에 직면했을 때 선수의 쌓이면서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는 거죠(J1)."
기본기는 반응보다는 반사에 가깝다. 따라서 경기
경기경험은 선수 개인의 실천지능의 내용인 암
나 훈련에서 선수가 처한 상황과 상황에 적응하
묵지식의 활용(Sternberg, 2000)과의 관련을 추정
기 위해 발현되는 기본기 사이에 모종의 개연성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기경험은 훈련과정에
을 추정할 수 있다.
도 영향을 미치는데 K1은 훈련에서 경기경험의
문제 직면 시 기존 환경과 방식에 적응하는 능
영향력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력으로 P2와 J2는 개인전술을 언급하고 있다.
윤영길 121

넘어옵니다. 전에 (박)은선이 힐킥 하나로 중


"시합하고 나면 좋아지는 애들이 있어 이
국이 완전히 넘어갔어요(A)."
런 애들은 시합에서 배우는 거지. 시합에서
배우고, 시합 때 했던 것을 훈련에서 해보고, 확산적 사고와 실천지능이 관련되어 있을 개연
훈련에서 해본 것을 시합에서 써보고. 그러 성(윤영길, 2007)은 이미 제기된 바 있다. 확산적
면서 는다니까. 이런 애들한테는 시합이 정
사고는 선수의 선택 과정에서 선택 대안을 증가
말 중요한거지(K1)."
시키고, 다양한 선택 안은 상황의 맥락을 자신이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전의 경험이나
보유한 지식과 정보에 따라 재구성하고 실행하는
지식을 최대한 이용하는 능력으로 실천지능을 규
능력인 실천지능(Sternberg, 2000)과 관련될 수 있
정하고 있는 관점(Williams등, 1996)에서 본다면
다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경기 경험을 최대한 이용하는 능력도 실천지능의
이상을 종합했을 때 축구 경기나 훈련에서 적응
구성개념으로 편입할 수 있다.
이 용이하지 않으면 대안을 모색하고 선택하는 과
선택은 적응이 용이하지 않으면 대안을 모색하고
정인 선택은 경기경험과 확산적사고로 구성된다.
선택하는 과정으로 확산적사고가 지적되기도 한다.
선택과정에서 확산적사고의 의의를 L2는 다음
4) 조성
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조성은 선택이 적절하지 않으면 자신에 적절하
“좋은 선수들은 문제에 직면하면 행동이 게 환경을 변형시키는 과정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빨라, 행동이 빠르다는 말은 단순히 몸이 빠 축구에서 환경이 적절하지 않을 때 자신에 적절
르다는 것이 아니라 생각이 빠르다는 말인
하게 환경을 변형시키는 과정의 의미를 축구전문
데, 생각이 빠르다는 것은 보이는 것만 보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야” 가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선택이 적절하지 않으면 자신에 적절하게 환경
생각이 빠르다는 의미는 특정 영역과 관련해 외
을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전술변화의 의미를 S2는
부에서 지각한 단서를 해석해 내적인 정보로 수용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하는 동시에 해결책을 만든다는 의미로 개인이 하
나의 영역에서 정보를 끌어들이고 이를 인지적 과 “유럽 리그에서 감독하고 선수하고 가끔 사
정을 통해 확산시키는 과정을 강조하는 창의성 관 이가 벌어질 때가 있는데 ....... 선수가 시합하
다 아니다 싶으면 감독에게 이야기하기도 해.
점(Csikszentmihalyi, 1996)과 맥을 같이한다.
감독 말고 선수가 자기 생각대로 경기를 하는
특히, 창의성에 있어 개인, 영역, 분야의 상호관
게 맞을 때도 있다니까. 벤치에서 보이지 않는
계와 상호 관계에서 파생되는 사고의 확산이 강 것이 운동장 안에서 보일 때도 있어(S2).”
조(Csikszentmihalyi, 1996)되는데, 대안을 모색하 S2의 진술은 적응과 선택에서 적절한 방안을 찾
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차원이 다른 생각의 의미
지 못하는 경우 조정을 통해 해결책을 찾는 과정은
를 A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암묵지를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시합 때 팀의 틀이 있잖아요. 그런데 시 (Sternberg, 2000)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합을 하다보면 가끔씩 그 틀을 깨는 선수가 자신의 의도대로 환경을 변화시키는데 노련함
나옵니다. 감독인 나도 놀라는데 상대방은
은 의미 있는 변수인데 O는 노련함을 활용한 환
완전히 정신이 없어져요. 한방에 분위기가
경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22 축구선수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에서 실천지능의 활용 가능성

용린과 강민수 , 2004)이기도 하다.


“노련함은 자신에 맞게 경기 환경을 변화
시키는 경우라고 생각하는데,...... 노련한 선 이상을 종합했을 때 축구 경기나 훈련에서 선
수들은 시간을 끌어야 되는 상황이 되면 고 택이 적절하지 않으면 자신에 적절하게 환경을
의적으로 경기를 지연시키잖아. 골키퍼 같으 변형시키는 과정을 의미하는 조성은 전술변화, 노
면 드러누워서 안 일어나고, 필드플레이어들
련함, 시간 조절로 구성할 수 있다.
은 상대 측면으로 공을 가지고 가서 공격을
지연하고, 이런 것이 팀이 처한 환경을 변형 실생활, 적응, 선택, 조성 등 실천지능의 구성개
시키는 과정(O)......" 념을 축구에 투영한 결과 실생활은 경기와 훈련

이러한 능력은 선수 개인이 학습하거나 습득했 으로, 적응은 태도, 기본기, 개인전술로, 선택경기
다기 보다는 이전 경기에서 경험을 통해 얻은 능 경험과 확산적사고로, 조성은 전술변화, 노련함,
력(이현미, 2005) 중의 하나이다. 시간조절로 구성하였으며 구체적인 구성 내용은

유사한 맥락에서 축구의 실천지능과 관련한 조 <그림 2>와 같다.


성에 있어 시간 조절의 의미를 L2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경기 상황을 자신에 적절하게 변형시키


는 문제는 템포 조절과 관계가 있을거야.......
좋은 선수들은 템포를 조절할 줄 알아. 빨리
해야 하는 상황인지 지연해야 하는 상황인지
를 잘 알고 있어(L2).”
축구는 플레이의 흐름이 중시되는 아날로그 경
기로 순간순간 선택이 경기 결과로 이어진다. 템
포조절은 흐름을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적절하지 그림 2. 축구의 실천지능 구성

않은 환경을 자신에게 적절하게 변형시키는 대표


적인 과정 중의 하나이다. K2 역시 템포 조절의 3. 축구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 관련성 탐색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축구의 축구 경기력 결정 인지기술을 다룬 관
“시합에서 자기 페이스로 끌고 가는 방법 점에 주목하면 생각하는 플레이, 창의성, 순간판
은 타이밍인기라. 내 팀이 원하는 호흡에 플 단력(윤영길과 이용수, 2006)등의 축구지능이 대
레이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팀이 경기를 주도 두되고 있다. 사실 축구지능으로 명명된 이들 요
하는 기라. 그란데 그게 쉽지 않아. 플레이
인의 성격은 실천지능에서 언급되는 암묵지(송길
속도를 바꾸는 기는 시간을 바꾸는 기라서
아무나 못하요(K2)” 연 역, 2004)의 실제적 내용에 해당한다.
성공지능이 창의지능, 분석지능, 실천지능으로
템포조절은 플레이의 시간구조를 변형시키는
구성된다는 사실을 감안했을 때 경기 상황에서 주
일이다. 지금까지 플레이되던 계(dimension)와는
어진 상황을 지각해 분석하고 분석한 상황에 대한
다른 계(dimension)를 이동하면서 플레이를 진행
창의적인 해결책을 탐색하고 이를 실천하는 능력은
시킨다는 의미이다. 이는 현실의 문제 해결을 위
축구 경기에서의 인지적 과정을 적절히 설명해준다.
한 융통성 있고 현실성 있는 방법의 모색 과정(문
윤영길 123

축구 경기에서 체력과 기술을 강조하던 이전의 자신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촉진할 개연성이 있다.
흐름과는 달리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게 된 배경에 축구 경기상황에서는 체력, 기술, 전술, 심리 요
는 전술 변화의 영향이 크다(김의수 등, 2002). 인의 상호작용이 경기력을 결정한다. 하지만 이들
1998년 월드컵을 기점으로 압박은 전술운용에 있 개별적 경기력 영향 요인이 어떤 경로를 거쳐 경
어 중요한 과제로 대두(Abt, Dickson과 Mummery, 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심이 체육계에
1999)되고 있는데 효율적인 압박을 위해서는 개인 서 아직 본격화되지 않고 있다. 실천지능은 실제
의 움직임보다 팀의 조직적 움직임이 강조되고, 이 로 행하는 능력(백순근, 2005), 또는 현실 세계에
를 위해서는 전술이해 능력의 중요성이 커져가고 서 활용되는 양상(강연심, 송연주, 2002; Sternberg
있다(윤영길과 이용수, 2006). J2는 전술의 의미를 와 Hedlund, 2002)이 중시된다.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또한 실천지능은 스스로 환경을 인식하고, 인
식 내용을 목표달성에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능
요즘은 중앙에서 밀집된 플레이를 하다
공간이 생기면 공간에 침투시켜 골을 만드는 력(Williams 등, 1996)이 강조되기도 한다. 축구에
형태로 가고 있습니다. 맨체스터 같은 경우 서의 전술운용능력 요인은 경기상황에서 개인의
호날두나 루니, 나니 같은 선수들이 침투하 체력과 기술 등 축구 경기에 필요한 내용지식(이
는 공간에 패스가 들어가서 침투하고 골을
정모 외, 2003)을 경기에 적용하게 해주는 방법지
만듭니다(J2).
식(이정모 외, 2003)의 성격이 강하다.
경기 상황에서 최전방과 최후방의 간격을 좁힌
축구의 전술운용은 선수 개인의 체력과 기술,
결과로 압박이 강화되고, 체력이나 기술을 바탕으
심리요인 등이 경기나 훈련에서 융합된 결과이다.
로 한 선수는 압박이 강화되면 플레이가 위축될
전술운용은 축구에서 선수 개인이 상황에 적응하
수밖에 없다. 압박 상황에서 적응하거나 선택, 조
고, 선택, 조성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경기나 훈련
성하는 등의 실천지능은 압박을 해결할 수 있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적응과 선택, 그리고 조성인
암묵지식으로 작용을 한다.
축구의 실천지능은 축구의 전술운용에 있어 의미
경기에서 압박의 강화되면 필연적으로 전술적 이
있는 시사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전술운용에
해도가 높은 선수가 중시된다(Albert, 2002), 이러한
있어 적응과 선택 그리고 조성의 과정은 실천지
전술적 요구는 팀이 공을 소유한 시간은 최대화하
능은 물론 분석지능과 창의지능이 유기적으로 작
면서 선수 개인이 공을 소유한 시간을 최소화하려
용하고 있을 개연성을 암시한다.
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윤영길과 이용수, 2006).
전술운용이 중시되는 흐름과 더불어 현대 축구
의 큰 변화는 기술적 분화이다. 스포츠 과학이 현
장에 적용되면서 시설과 장비 역시 경기력을 극대
Ⅳ. 결론 및 제언
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노력의 결
과로 선수는 경기 중에 지금까지와는 다른 기술을 실천지능은 창의지능, 분석지능과 더불어 성공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Barry와 Milburn, 1999). 지능을 구성하는 하위개념으로 사회적 관심이 증
시설과 장비의 변화는 환경의 상대적 변화를 의미 가하고 있다. 실천지능이 경기력 발현에 의미 있
하는데, 조성의 경험을 통해 개인은 환경 변화에 는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실천지능을 주제로 한
124 축구선수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에서 실천지능의 활용 가능성

체육학 영역의 연구는 미개척인 상태로 남아있다. 거를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실천지능은 실생활의 경험에서 지식을 획득하 실천지능을 주제로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고, 획득한 지식을 목표달성을 위해 활용하는 능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실천지능이라는 개념
력으로 실생활, 적응, 선택, 조성의 구성개념으로 적 생소함은 연구 진척을 어렵게 했다. 하지만 본
구성된다. 실생활, 적응, 선택, 조성 등 실천지능 연구는 스포츠심리학의 연구주제로 실천지능의
의 구성개념을 축구에 투영한 결과 축구 경기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훈련에서 문제 직면 시 기존 환경과 방식에 적응 향후 다양한 종목을 대상으로 한 실천지능의
하는 능력인 적응은 태도, 기본기, 개인전술로, 축 개념화, 실천지능의 경기력 매개 과정 등 실천지
구 경기나 훈련에서 적응이 용이하지 않으면 대 능을 주제로 한 연구는 물론, 실천지능과 더불어
안을 모색하고 선택하는 과정인 선택은 경기경험 성공지능을 구성하고 있는 분석지능, 창의지능에
과 확산적사고로, 축구 경기나 훈련에서 선택이 대한 후속연구를 기대해본다.
적절하지 않으면 자신에 적절하게 환경을 변형시
키는 과정을 의미하는 조성은 전술변화, 노련함,
시간 조절로 구성된다. 참고문헌
축구 경기나 훈련에서 전술운용은 훈련이나 경기
과정에서 선수 개인이 상황에 적응하고, 선택, 조성
강영심, 송연주(2002). 성공지능과 전통지능의 고
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경기나 훈련 상황에서 발생
등학생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력 비교.
하는 적응과 선택, 그리고 조성인 축구의 실천지능
교육심리연구, 16(4), 83-103.
은 축구의 전술운용에 의미 있는 시사를 제공한다.
김두섭 역(2002). 질적 연구 방법론. 나남: 서울.
본 연구는 시합과 훈련에서 발생하는 선수의
김소연(2000). Sternberg의 지능 및 사고양식 이론
경기력 차이의 원인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의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훈련과 시합의 차이를 유발하는 하나의 단서로
김의수, 이용수, 최은택(2002). 꿈은 이루어진다.
실천지능에 주목했다. 축구 경기력에서 실천지능
대한미디어: 서울
이 중요한 역할을 할 개연성에도 불구하고, 실천
문용린, 강민수(2004).성공지능 검사에 대한 경험
지능에 대한 체육학계의 관심이나 실증적 자료의
적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8(3),
부족으로 인해 축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
103-119.
천지능을 논의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박춘성, 김동일(2006). 실천지능의 영재변별력에
본 연구를 통해 스포츠에서의 실천지능 연구의
대한 실증적 연구. 교육심리연구, 20(4),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체육학계에
891-908.
실천지능 연구의 계기를 제공하는 동시에 축구계
백순근(2005). 교사용 실천지능검사 개발을 위한
에 실천지능에 대한 관심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
구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2005년 춘계
로 기대된다. 향후 실천지능을 주제로 한 연구가
학술대회 발표논문.
지속된다면 스포츠는 물론 인간의 생활 전반에서
송길연 역(2004). 성공지능 가르치기. 시그마 프
연습과 실제 상황의 차이를 설명해줄 수 있는 논
레스: 서울.
윤영길 125

신종호, 권희경(2004). 성공지능의 교육적 의의와 Abt, G. A., Dickson, G., & Mummery, W. K.
활용 가능성 탐색. 교육심리연구, 18(3), (1999). Goal scoring patterns over the
121-138. course of a match: Analysis of the
윤영길(2007). 일반성과 특수성 관점에서 본 축구 australian national soccer league. School of
선수의 창의성.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Health and Human Performance.
18(3), 145-164. Central Queensland University,
윤영길, 이용수(2006). 축구 경기력 결정 요인의 Pockhampton, Australia.
구조와 위계적 중요도. 한국스포츠심리 Albert, R.(2002). 전술의 발달. 기술보고서 506.
학회지, 17(4), 87-100. 대한축구협회.
이순묵, 이동희(1999). 학교장면에서의 실제적 지 Barry, E. B., & Milburn, P. D.(1999). The traction
능. 교육심리연구, 13, 307-330. of football boots. RMIT university,
이순묵, 차경호(2000). 실용지능과 묵시지의 혼동: Melbourne, Australia.
암묵적 학습을 매개변수로 한 연결. 한국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1989).
심리학회지: 일반, 19(1), 29-5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이순문, 김아영, 이정은(2000). 남년 고등학생의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
실용지능 구조의 차이. 교육심리연구, 32-42.
15(1), 5-24. Carroll, J. B.(1993). Human cognitive abilities: A
이영만(2006). 초등학생의 성공지능의 발달과 학 survey of factor-analytic studies. New
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York: Cambridge of University Press.
19(2), 102-123. Cleeremans, A., Destrebecqz, A., & Boyer,
이정모, 김민식, 감기택, 김정오, 박태진, 김성일, M.(1998). Implicit learning: News from
이광오, 김영진, 이재호, 신현정, 도경수, the front.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2,
이영애, 박주용, 조은경, 곽호완, 박창호, 406-416.
이재식, 이건효(2003). 인지심리학. 학지 Csikszentmihalyi, M.(1996). Creativity: Flow and
사: 서울.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이현미(2005). 2004 한국과학영재올림피아드 참가 New York: Harper Collins.
수학영재와 과학영재의 실천지능 비교. Dahlstrom, W. G.(1993). Tests. American
교육심리연구. 교육심리연구, 19(3), Psychologists, 48, 393-399.
835-859. FIFA(2002). 2002 KOREA/JAPAN World CupTM
정명진 역(2005). 실용지능. 부글 Technical Report. FIFA.
조주현(2007). 발레영재성 구성 요인의 탐색과 상 FIFIA(2007). www.fifa.com
대적 중요도 산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지, 18(1), 15-32.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황정규(1984). 인간의 지능. 서울: 민음사. Books.
126 축구선수의 실천지능과 전술운용에서 실천지능의 활용 가능성

Gardner, H.(1993). Creating mins. New York: Intelligence, g, and Work Psychology.
Basic Books. Human Performance, 15, 143-160.
Gardner, H., & Sternberg, R. J.(2002). Practical Sternberg, R. J.(1985). Beyond IQ: A triarchic
intelligence for School: Developing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NY:
metacognitive sources of achieve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in adolescence. Developmental Review, 22, Sternberg, R. J.(1997). Thinking styles. NY:
162-2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Gardner, H., Csikszentmihalyi, M., & Williams, Sternberg, R. J.(1999). Successful intelligence:
D.(2001). GOOD WORK: When Excellence funding a balance. Cognitive Science
and Ethics Meet. The Hill & Barlow 3(11), 436-442.
Agency, Boston. Sternberg, R. J.(2000). Practical intelligence in
Grigorenko, E. L. & Sternberg, R. J.(2001). Everyday life. Cambridge of University
Analytical, creative, and practical Press.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self-reported Sternberg, R. J.(2001). Giftedness as Developing
adaptive functioning: a case study in Expertise: a theory of the interface
Russia . Intelligence, 29, 57-73. between high abilities and achieved
Herrick, M. J.(2001). The validity of practical excellence. High Ability Study, 12,
intelligence measures as construct in the 159-179.
context of academic and vocational program Sternberg, R. J.(2003). Wisdom, Intelligence, and
in school. Minneapolis: University of Creativity Synthesized. New York:
Minnesota P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iddink, G.(2001). Korean team and European Williams, W. M., Blythe, T., White, N.,
teams-Comparative View. NFC완공기념세 Sternberg, R. J. & Gardner, H.(1996).
미나. 대한축구협회. Practical Intelligence for School. Harper
Sternberg, R. J. & Hedlund, J.(2002). Practical Collins College Publishers Inc.
윤영길 127

ABSTRACT

Conception and Applicative Implication of Practical Intelligence


in Football Player's Tactics

Yun, Young-Kil(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is study was; 1) to collect the concept of Practical Intelligence and its elements/factors; 2) to gather the
elements/factors of Practical Intelligence in football competition and training by in-depth interviews with
football specialists ; and 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Intelligence and tactical application
in football competition and training.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In order to find the concept and elements/factors of Practical Intelligence, 10 books and 16
articles were utilized as literatur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shows Adaptation, Selection and Shaping as a
components of Practical Intelligen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football specialists. In football
competition and training, Adaptation: attitude, skills, and Individual tactics, Selection: experiences and
creativity, Shaping: tactical application, expertise, and pace control. Adaptation, Selection, and Shaping can be
used for players in purpose of tactical enhancement on football competition and training.

Key words : Practical Intelligence, Tactical Application, Successful Intelligence, Adaptation, Selection, Shaping,
Creative Intelligence, Analytic Intelligence

접수일: 2009년 3월 08일


심사완료일: 2009년 4월 20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