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83

연구보고 RRC 2014-8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연구책임자 서지영
공동연구자 유창완
김택천

교육과정본부장
이광우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연구보고 RRC 2014-8

발행일 2014년 12월 31일


발행인 조 난 심
발행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 소 서울 중구 정동길 21-15 정동빌딩
전 화 (02)3704-3704
팩 스 (02)730-7487
홈페이지 http://www.kice.re.kr
인쇄업체 리드릭
I S B N 978-89-6687-951-9 93370

※ 본 자료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협력진
고문수(경인교육대학교) 이기봉(부산광역시교육청)

김경호(경기도교육청) 이인범(강원도교육청)

김대진(교육부) 이재인(세종시교육청)

김석권(교육부) 이충렬(대전광역시교육청)

김석언(교육부) 오병택(서울강동교육지원청)

김수진(이화여자대학교) 전용진(상암고등학교)

김승겸(교육부) 정주식(인천효성남초등학교)

김영배(충청남도교육청) 조남기(숙명여자대학교)

김정효(중원중학교) 제성준(인천계양고등학교)

김종우(선유중학교) 제창욱(경기무원중학교)

김종화(광주광역시교육청) 최경석(경상북도교육청)

김허중(서울특별시교육청) 최상호(부산광역시교육청)

노수신(인천연수중학교) 유향(서울국제고등학교)

박정준(인천대학교) 윤현수(청담중학교)

박제훈(개웅중학교) 한승진(서울대학교)

양기열(전라남도교육청) 허창혁(목일중학교)

이규일(경북대학교) 홍은경(독일쾰른체육대학교)

이광재(경기도교육청)
(이상 가나다 순)
학교교육과 사회의 변화 속에서 학교체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 차원에서도 학
교체육 활성화 정책을 도입해 학교 현장에서 예전보다 많은 체육활동의 기회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입시 위주가 아닌 교육 본질에 충실한 교육과정 운영이나 전인적 성장을 도
모하는 교육이 강조되면서 이에 대표적이며 효과적인 교과로 체육교육에 대한 조명이 집
중되는 이 시기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시행 실태를 점검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 방법으로 정책 시행 현장을 조사하였고, 체육교육의 전문가뿐
만 아니라 수요자인 교사와 학생, 운영자인 시·도교육청 관계자 분들을 다각도로 접하면
서 연구와 정책에 대한 의견과 향후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습니다. 이
러한 생생한 정보들의 분석과 규합을 통함에 따라서 정책의 성공적 정착과 정책 효과의
제고를 위하여 연구가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정부의 주요 관심인 학교체육 정책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공적인 수행과 정착을 이
룰 수 있도록 이 보고서를 시발점으로 하는 관계자 여러분의 폭넓고 심도 있는 의견 교
류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더 나은 학교체육 정책과 학교교육의 긍정적 효과 창출을 위
하여 수행되는 본원의 후속 연구들에도 많은 관심과 지원이 있으시기를 부탁합니다.
연구 수행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신 전국 시·도교육청의 교육 전문직, 현장
교사, 정책 전문가, 학교체육 전문가 등 여러 연구 협력진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
며, 아울러 바쁘고 어려운 가운데에도 연구를 성실히 수행해 주신 연구진의 공로를 치하
하는 바입니다.

2014년 12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 직무대리
본 연구에서는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취지 및 추진 방향의 적절함과 정책이 추구하
는 성과 달성의 차원에서 시행 현장을 점검하고자 한다. 또한, 아울러 학교체육의 활성화
및 내실화와 관련하여 실질적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정책 개선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정책 및 교육 현장의 적용 실태를 검토·
분석하였고, 도출된 결과에서 성공적인 정책 추진 및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지원 방안과
향후 정책 수립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먼저 연구의 주제인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에 대한 이해를 위해 우리나라 학교체육 정
책의 변천과 흐름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고,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세부 내용을 고찰
하여 정책의 주요 시행 사항과 추진 방향에 대하여 개괄하였다.
그리고 미국, 일본, 독일, 영국의 학교체육 정책 자료를 수집하여 각국의 학교체육의 정
책적 배경,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학교체육 정책의 동향을 조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다음으로 정책에서 추진하고 있는 과제의 전반적인 시행 실제를 보여주는 근거 자료를
수집하고, 다면의 증거에 기반 해 정책을 점검하고자 설문 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
다. 정책의 수요자 입장을 조사하기 위해 교사 및 학생에 대해 설문 조사 하였으며, 정책
의 시행자 입장에서 시ㆍ도교육청 업무 담당자를 면담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의 경우 초,
중, 고등학교 학교급별 또한, 학생, 교사별로 관련된 질문 주제를 구별해 총 6종의 설문지
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 문항은 정책 세부 목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는데, 그것은 체육활동 내실화, 체육
지도 역량의 강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모델 확산,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지원, 체육
활성화 프로그램 제공, 학생 체육활동 인프라 구축 등 6개 주제이고, 추가로 정책에 대한
수요자 인식을 조사하였다. 면담 조사의 내용은 정책의 세부 내용 중 실질적인 정책 시행
업무를 바탕으로 하여 구성하였는데,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 확대,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 배치 지원, 창의적 체험 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고등학교 체육 시수 및 이수
단위, 학교 스포츠클럽의 운영 등 5개 주제에 관하여 질문하였다.

연구요약 • i
이후 조사 결과 분석에서 나타난 정책의 효과와 문제점에 기반하여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실행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학교체육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즉, 다양한 학교체
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형성된 긍정적 효과를 지속하고, 향후 학생들이 참여에 대한 내
적 동기나 흥미가 유발되고 지속될 수 있도록 정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한, 현 정책에서 효과가 미흡했다고 인식된 정책(지역사회와의 연계, 여학생 체육활동 활
성화)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학교체육 프로그램별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실행 및 지원 방안은 정규 체육과 자율체
육을 분류하여 하위 정책 내용별로 제시하였다.
정규 체육 활성화 정책에서는 첫째,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긍
정적 효과를 지속하기 위해 현재 학교의 ‘스포츠 공간 및 시설’ 여건에 맞는 수업 재편성
에 대한 필요성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체육교과 내 수업 내용으로 편입될 필요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10단위 6
학기 수업 운영에 대해서는 체육활동 효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
하고, 고등학생에게 적합한 체육 선택과목을 설정하며, 10단위를 이수의 최소 단위로 제
시해야 한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과외 자율체육 활성화 정책에서는 첫째, 다양한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공유로 학
생들에게 질적, 양적으로 증가된 활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운영 및 관리 교사에 대
한 적절한 보상으로 지도 효과를 상승시킬 필요성이 있고, 운영 시간 및 제공되는 활동
종류에 따라 관리 또는 지도의 역할이 달리 적용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스
포츠클럽 운영 및 대회 개최와 관련하여 종목을 다양화하고, 운동 기능이 낮거나 소외된
학생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참여의 즐거움을 느끼기 위한 모임의 성격을 갖도록 발
전되어야 한다는 점과, 학생의 활동 결과가 상급학교 진학 시 적절히 반영될 수 있는 기
준을 마련하고,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운영 규모와 방식의 변화와 총괄 운영을 위한 관리
주체가 필요하다는 점, 담당 교사의 업무 경감을 위한 인력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는 점을 제안하였다. 셋째,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하여 여학생의 감성과 운동 능력에
적합한 스포츠 종목 보급을 확대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여학생 참여율을 높일 수 있
는 체육 수업을 설계하고자 조력해야 하며, 학교마다 여학생 스포츠클럽 신설을 의무화하
고 이것을 체육 수업과 연계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인적 자원과 관련된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실행 및 지원 방안으로는 지도자의 역량

ii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첫째,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 확대 정책
의 성공을 위해서 체육 수업 환경의 개선,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 체육전담
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연수 방안 등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둘째, 스포츠
강사의 지원 정책은 스포츠강사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명과 적절한 활용, 구체적인 복
무 지침의 마련, 예산 및 관리와 관련한 정부차원의 지속적 지원 요구, 스포츠강사 관련
업무를 시ㆍ도교육청 담당으로 일원화, 경력과 역량에 따라 강사의 급을 구분하여 지도영
역을 제한하자는 것을 제시하였다.
물적 자원과 관련된 정책 효과 차원은 현재 정책에서 요구한 수준과 내용으로 연계가
시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정책 효과 제고 방안에 앞서 보다 적극적인 정책 시행을 위
한 협력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점이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모색되어야 할 정책 방안을 두 가지 정책 방향
과 각각의 하위에 정책 목적을 반영한 구체적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를 정규 교육과정 체제 안으로 투입하고자하는 정책
방향에 따라 초등학교급에서는 지도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초등체육교사의 제도화 정책
시행을 제안하였다. 중학교급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실효성 제고를 목적으로 이
활동을 교육과정 내 정규 교과 수업으로 확대(시수 및 내용 포함)하는 정책을 제안하였
다. 고등학교급에서는 신체활동 참여 습관화와 평생체육의 연계 가능성을 높이는 체육교
과교육 개선을 목적으로 교육과정의 10단위 6학기 운영의 지속,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시행을 제안하였다. 둘째, 학교체육 정책 운영의 체계화 및 통합 관
리 체제 운영이라는 정책 방향에 터하여 교육부 중심의 민, 관 합동의 학교체육 전담 기
구와 시ㆍ도교육청 주도의 학교스포츠클럽 통합 운영 센터(가칭) 설치에 대한 정책을 제
시하였다.

연구요약 • iii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가. 연구의 필요성 ····························································································· 3
나. 연구 목적 ···································································································· 6
2. 연구 내용 ·········································································································· 7
가.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에 대한 고찰 ························································· 7
나. 외국의 학교체육 정책 동향에 대한 이해 ·················································· 7
다. 정책 시행 관련 학교체육 현장 실태 및 요구 분석 ·································· 7
라.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및 효과 제고 방안 제안 ························ 8
3. 연구 방법 ·········································································································· 9
가. 문헌 연구 ···································································································· 9
나. 설문 및 면담 조사 ······················································································ 9
다. 현장 사례 조사 ··························································································· 9
라. 국외 정책 심층 사례 조사 ········································································· 9
마. 전문가 협의회 ··························································································· 10
바. 워크숍 ········································································································ 10
4. 기대 효과 ········································································································ 10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13

1. 우리나라 학교체육 정책의 변천 ···································································· 15


가. 시대 환경에 따른 체육정책과 학교체육 ·················································· 15
나. 학교체육의 기본 방향 및 주요 업무 분야 ·············································· 21
다. 학교체육 정책 변천으로부터의 시사점 ···················································· 24
2.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세부 내용 고찰 ······················································ 25
가. 정책 추진 배경 ·························································································· 26
나. 정책 추진의 주요 과제 ············································································· 30

차례 • v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39

1. 미국 ················································································································· 41
가.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 41
나.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 45
다. 미국 학교체육 정책의 동향과 시사점 ······················································ 52
2. 일본 ················································································································· 54
가.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 54
나.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 57
다. 일본 학교체육 정책에서의 시사점 ··························································· 65
3. 독일 ················································································································· 70
가.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 70
나.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 73
다. 독일 학교체육 정책에서의 시사점 ··························································· 79
4. 영국 ················································································································· 80
가.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 80
나.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 82
다. 영국의 학교체육 운영 사례 ······································································ 88
라. 영국의 학교체육 정책에서의 시사점 ······················································· 92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95

1. 실태 및 요구 조사의 개요 ············································································· 97
가. 조사 방법 ··································································································· 98
나. 조사 내용 ································································································· 101
2. 정책의 시행 실태 분석 ················································································· 107
가. 정규 체육교육과정의 내실화 ·································································· 107
나. 학생 자율체육 활동의 지원 강화 ··························································· 152
3. 학교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202
가. 현 정책 시행 및 시행 성과에 대한 인식 ·············································· 202
나. 학교체육 정책 방향 및 추진에 대한 요구 ············································· 211

vi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4. 정책의 모범 시행 사례 분석 ········································································ 213
가. 인성교육 실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사례 ············································· 213
나.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운영 사례 ······················································· 217
다. 지역사회 연계 운영 사례 ········································································ 221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25

1. 학교체육에서의 교육적 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설정 ······················· 227


가. 효과를 제고하는 정책 방향의 수립 ······················································· 227
나. 개선을 고려한 정책 방향의 수립 ··························································· 228
2.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실행 및 지원 방안 ················································ 231
가. 학교체육 프로그램별 효과 제고 방안 ···················································· 231
나. 인적 자원 관련 정책 효과 제고 방안 ···················································· 256
다. 물적 자원 관련 정책 효과 제고 방안 ···················································· 266

Ⅵ. 요약 및 제언 ············································································· 271

1. 요약 ··············································································································· 273
2. 정책 제언 ······································································································ 276

참고문헌 ··························································································· 299

ABSTRACT ···················································································· 305

부록 ·································································································· 309

[부록 1] 초등학교 학생용 설문지 ···································································· 311


[부록 2] 초등학교 교사용 설문지 ···································································· 317
[부록 3] 중학교 학생용 설문지 ········································································ 328
[부록 4] 중학교 교사용 설문지 ········································································ 334
[부록 5] 고등학교 학생용 설문지 ···································································· 344
[부록 6] 고등학교 교사용 설문지 ···································································· 350

차례 • vii
<표 Ⅰ-1> 교육과정 총론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 사항 ······································· 5
<표 Ⅱ-1> 학교체육 주요 업무의 변천(1999∼2012년) ··················································· 22
<표 Ⅱ-2> 중학교 체육활동 주당 수업시수의 변화 ······················································· 29
<표 Ⅱ-3> 지역스포츠클럽 활동 인정 방안 ···································································· 36
<표 Ⅲ-1> 체육성적의 GPA 포함여부 (NASPE, 2010) ················································· 45
<표 Ⅲ-2> 일본의 초·중학교 체육교육과정 내용체계 ···················································· 58
<표 Ⅲ-3> 열린 종일학교(OGS)의 예시 ·········································································· 74
<표 Ⅲ-4> 영국 체육교육과정 목표 ················································································ 82
<표 Ⅳ-1> 설문 참여 교사의 표본 특징 ········································································· 99
<표 Ⅳ-2> 설문 참여 학생의 표본 특징 ······································································· 100
<표 Ⅳ-3> 실태 및 의견 조사 내용 ··············································································· 101
<표 Ⅳ-4> 설문지 구성 내용 - 교사용 ········································································· 103
<표 Ⅳ-5> 설문지 구성 내용 - 학생용 ········································································· 104
<표 Ⅳ-6> 면담 내용 ······································································································ 106
<표 Ⅳ-7>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실태 - 교사 ·························································· 107
<표 Ⅳ-8> 초등학교 체육 과목 지도 교사 실태 - 학생 ·············································· 108
<표 Ⅳ-9>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선정 시 우선 고려 요소 - 교사 ·························· 108
<표 Ⅳ-10>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 110
<표 Ⅳ-11> 체육전담교사의 배치로 인한 장점 - 교사 ················································· 110
<표 Ⅳ-12> 체육전담교사의 지도에 대한 인식 - 학생 ················································· 112
<표 Ⅳ-13> 체육전담교사 수업의 이점에 대한 인식 - 학생 ········································ 113
<표 Ⅳ-14> 체육전담교사 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 학생 ····································· 114
<표 Ⅳ-15> 체육전담교사 기피의 이유 - 교사 ······························································ 115
<표 Ⅳ-16> 체육전담교사 확대를 위한 정책적 보완 사안 - 교사 ······························· 116
<표 Ⅳ-17>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배치 실태 - 교사 ····················································· 118

표차례 • ix
<표 Ⅳ-18> 초등체육 수업에서 스포츠강사의 주요 역할 실태(복수 응답) - 교사 ····· 119
<표 Ⅳ-19> 초등체육 수업 외 스포츠강사의 주요 활동(복수 응답) - 교사 ················ 120
<표 Ⅳ-20> 초등학교에 스포츠강사를 배치하는 것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 120
<표 Ⅳ-21>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활용 후 체육 수업의 긍정적 변화 - 교사 ············· 121
<표 Ⅳ-22>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지도 경험 - 학생 ················································· 121
<표 Ⅳ-23>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지도 내용 실태(복수 응답) - 학생 ······················ 122
<표 Ⅳ-24>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 - 학생 ································· 122
<표 Ⅳ-25>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수업의 이점에 대한 인식 - 학생 ···························· 123
<표 Ⅳ-26>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 학생 ························ 124
<표 Ⅳ-27>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활용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 - 교사 ························ 125
<표 Ⅳ-28> 향후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수업 증감에 대한 의견 - 학생 ··················· 126
<표 Ⅳ-29>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의 우선적 개선점 -교사 ··································· 127
<표 Ⅳ-30> 스포츠강사의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 128
<표 Ⅳ-31>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스포츠강사 배치의 찬성 이유 - 교사 ········ 129
<표 Ⅳ-32>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스포츠강사 배치의 반대 이유 - 교사 ········ 129
<표 Ⅳ-33>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 - 학생 ················································· 131
<표 Ⅳ-34>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만족의 이유 - 학생 ········································ 132
<표 Ⅳ-35>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불만족의 이유 - 학생 ····································· 132
<표 Ⅳ-36>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 133
<표 Ⅳ-37>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찬성의 이유 - 교사 ········································ 134
<표 Ⅳ-38>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반대의 이유 - 교사 ········································ 135
<표 Ⅳ-39>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만족도 - 학생 ·············································· 138
<표 Ⅳ-40>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만족의 이유 - 학생 ········································ 139
<표 Ⅳ-41>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불만족의 이유 - 학생 ····································· 140
<표 Ⅳ-42> 3학년의 주당 체육활동 시간(수업 및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배정 실태 - 교사 ························································································· 140
<표 Ⅳ-43>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정규 체육 수업 시수로 확대
운영 실태 - 교사 ························································································· 141
<표 Ⅳ-44>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평균 참여 시간 - 학생 ······················ 141

x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45> 정규체육 수업 시수의 확대로 실제 얻은 이점 - 교사 ······························ 143
<표 Ⅳ-46> 정규체육 수업 시수의 확대로 기대되는 이점 - 교사 ······························· 143
<표 Ⅳ-47>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체육교육과정 운영 연계 실태 - 교사 ········ 143
<표 Ⅳ-48>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체육교육과정과의 연계 차원 - 교사 ·········· 144
<표 Ⅳ-49> 체육활동 내실화를 위한 바람직한 체육 수업 편성 정책에 대한 의견
- 교사 ··········································································································· 145
<표 Ⅳ-50> 바람직한 체육 수업 편성에 대한 의견 - 학생 ·········································· 146
<표 Ⅳ-51> 이번 학기의 주당 체육 수업 시간 - 학생 ················································· 147
<표 Ⅳ-52> 체육 관련 교과의 6학기 편성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 147
<표 Ⅳ-53> 체육 수업의 6학기 편성에 대해 찬성하는 이유 - 교사 ···························· 148
<표 Ⅳ-54> 체육 수업의 6학기 편성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의견 - 교사 ····················· 148
<표 Ⅳ-55>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에 대한 의견 - 학생 ············································ 149
<표 Ⅳ-56>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의 이점 - 학생 ····················································· 150
<표 Ⅳ-57>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의 반대 이유 - 학생 ············································ 151
<표 Ⅳ-58> 고교 체육 수업의 6학기 편성 운영 정책의 성공을 위한 추가적 노력에
대한 의견(복수 응답) - 교사 ······································································ 151
<표 Ⅳ-59>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학교스포츠클럽의 비교 ········································· 153
<표 Ⅳ-60> 학교스포츠 가입 클럽 수 - 학생 ································································ 153
<표 Ⅳ-61> 학교스포츠클럽의 적극적 참여 여부 - 학생 ·············································· 154
<표 Ⅳ-62>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시간대(복수 응답) - 학생 ········································ 154
<표 Ⅳ-63>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이유(복수 응답) - 학생 ··········································· 155
<표 Ⅳ-6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 - 학생 ····································· 156
<표 Ⅳ-65>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 157
<표 Ⅳ-66>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의 장애 요인 - 학생 ················································· 160
<표 Ⅳ-67>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단의 원인 - 학생 ················································· 161
<표 Ⅳ-68>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상의 어려운 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 162
<표 Ⅳ-69>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상의 문제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 164
<표 Ⅳ-70>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서 물적 차원의 문제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 164

표차례 • xi
<표 Ⅳ-71>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서 인적 차원의 문제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 165
<표 Ⅳ-72> 학교스포츠클럽 지도비의 재원 - 교사 ······················································· 166
<표 Ⅳ-73> 학교스포츠클럽 운영비의 재원 - 교사 ······················································· 167
<표 Ⅳ-74>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정부 및 교육청 지원의 개선에 대한 인식
- 교사 ··········································································································· 167
<표 Ⅳ-75>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 - 학생 ·············································· 168
<표 Ⅳ-76> 중·고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 - 학생 ······································· 168
<표 Ⅳ-77>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복수 응답) - 교사 ··························· 169
<표 Ⅳ-78> 중·고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복수 응답) - 교사 ···················· 169
<표 Ⅳ-79>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 구성과 자질에 대한 만족도 - 교사 ····················· 170
<표 Ⅳ-80>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로 가장 적합한 지도자 - 교사 ························ 170
<표 Ⅳ-81>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연계한 교내외 프로그램 운영 실태(복수 응답)
- 교사 ··········································································································· 171
<표 Ⅳ-82>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의 체육교육과정 운영과의 연계 실태 - 교사 ··· 172
<표 Ⅳ-83>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과 체육교육과정과의 연계 차원 - 교사 ············ 172
<표 Ⅳ-84>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시 인성교육 강조 진행 여부 - 교사 ······················ 172
<표 Ⅳ-85>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한 인성교육 지도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내용
- 교사 ··········································································································· 173
<표 Ⅳ-86>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운영 실태 - 교사 ································· 174
<표 Ⅳ-87>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참여 여부 - 학생 ································· 174
<표 Ⅳ-88>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학생 참여도 - 교사 ·························· 175
<표 Ⅳ-89>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참여도 - 학생 ······································· 175
<표 Ⅳ-90>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교사 ···· 176
<표 Ⅳ-91>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학생 ···· 176
<표 Ⅳ-92>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운영 실태 - 교사 ·············································· 177
<표 Ⅳ-93>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 경험 - 학생 ·············································· 177
<표 Ⅳ-94>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학생 참여도 - 교사 ······································· 178
<표 Ⅳ-95>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도 - 학생 ··················································· 178
<표 Ⅳ-96>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교사 ················· 179

xii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97>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학생 ················· 179
<표 Ⅳ-98>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운영 실태 - 교사 ············ 180
<표 Ⅳ-99> 부모와 함께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경험 - 학생 ············· 181
<표 Ⅳ-100>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의 학생 참여도
- 교사 ········································································································· 181
<표 Ⅳ-101> 부모와 함께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도 - 학생 ················ 182
<표 Ⅳ-102> 부모와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 인식 - 교사 ············· 182
<표 Ⅳ-103> 부모님과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 인식 - 학생 ········· 183
<표 Ⅳ-104>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운영 실태 - 교사 ··········································· 184
<표 Ⅳ-105>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경험 - 학생 ··········································· 184
<표 Ⅳ-106>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의 학생 참여도 - 교사 ···································· 184
<표 Ⅳ-107>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도 - 학생 ················································· 185
<표 Ⅳ-108>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교사 ·············· 185
<표 Ⅳ-109>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학생 ·············· 186
<표 Ⅳ-110> 현행 체육 수업의 형태(남녀공학) - 교사 ················································ 187
<표 Ⅳ-111> 현행 체육 수업의 형태(남녀공학) - 학생(중, 고) ··································· 187
<표 Ⅳ-112> 남녀공학에서 효율적인 체육 수업의 형태에 대한 인식 - 교사 ············· 188
<표 Ⅳ-113> 남녀공학에서 효율적인 체육 수업의 형태에 대한 인식 - 학생(중, 고) ··· 188
<표 Ⅳ-114>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우선적인 기반 시설 - 교사 ················ 189
<표 Ⅳ-115>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도에 대한 인식 - 교사 ········································· 189
<표 Ⅳ-116>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복수 응답) - 교사 ····················· 190
<표 Ⅳ-117>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 - 학생 ········································ 191
<표 Ⅳ-118>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개설 실태 - 교사 ··············································· 191
<표 Ⅳ-119>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개설 여부(여학생 응답) - 학생 ························ 192
<표 Ⅳ-120>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에의 참여 의사(여학생 응답) - 학생 ················· 192
<표 Ⅳ-121>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내 체육(스포츠)대회 실시 여부 - 교사 ·········· 193
<표 Ⅳ-122> 여학생 체육(스포츠)대회의 주요 종목 - 교사 ········································ 193
<표 Ⅳ-123>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외 대회 출전 여부 - 교사 ························· 194
<표 Ⅳ-124>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교외 대회에 출전하지 않은 이유(복수 응답)

표차례 • xiii
- 교사 ········································································································· 194
<표 Ⅳ-125> 여학생 스포츠클럽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노력- 교사 ······················· 195
<표 Ⅳ-126>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개선을 위한 요구 - 학생 ······················ 196
<표 Ⅳ-127> 교내 학교체육활동에 필요한 시설 확보에 대한 인식 - 교사 ················ 197
<표 Ⅳ-128> 학교체육활동에 필요한 시설 중 우선적으로 확충되어야 할 것 - 교사 ··· 198
<표 Ⅳ-129> 학교의 체육 시설 중 가장 개선되어야 할 것 - 학생 ····························· 199
<표 Ⅳ-130> 지역사회 체육 시설 활용 실태 - 교사 ···················································· 199
<표 Ⅳ-131>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복수 응답) - 교사 ·········· 200
<표 Ⅳ-132> 체육활동을 위해 활용할 필요가 있는 주변의 체육 시설 - 학생 ··········· 200
<표 Ⅳ-133> 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지원- 교사 ··········· 201
<표 Ⅳ-134> 체육 과목 또는 체육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 학생 ······················· 202
<표 Ⅳ-135>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참여 시간의 증가 경향성 여부 - 학생 ················ 203
<표 Ⅳ-136> 체육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여부 - 학생 ··········································· 204
<표 Ⅳ-137> 체육 수업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 - 학생(중, 고) ·································· 204
<표 Ⅳ-138> 체육 수업이 불만족스러운 이유 - 학생(중, 고) ······································ 205
<표 Ⅳ-139>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또는 학교체육활동의 효과 ···································· 206
(교우관계와 학교생활 만족도 측면)에 대한 인식 - 학생 ·············································· 206
<표 Ⅳ-140>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활동으로 학교 폭력 감소
또는 활기찬 학교 분위기가 조성되었다는 인식 - 교사 ························· 206
<표 Ⅳ-141> 방과 후 스포츠 활동 확대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 207
<표 Ⅳ-142> 학교스포츠클럽과 지역사회 연계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 207
<표 Ⅳ-143>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및 리그 운영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 208
<표 Ⅳ-144> 여학생 체육활동 기반 시설 조성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 208
<표 Ⅳ-145>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식 개선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 209

xiv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146> 기초학력 지원 e-school 구축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 210
<표 Ⅳ-147> 체육 관련 수업시수 확대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 210
<표 Ⅳ-148> 학생선수 통합지원센터 운영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 211
<표 Ⅳ-149> 체육 중점 학급 운영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 211
<표 Ⅵ-1> 현직 교사에서 초등체육교사 선발, 운영 안 ··············································· 284
<표 Ⅵ-2> 초등체육교사 양성 및 선발 체제에 의한 운영 안 ····································· 286
<표 Ⅵ-3> 학교체육 진흥법 내의 학교체육 전담 기구 관련 언급 내용 ····················· 294

표차례 • xv
[그림 Ⅰ-1] 연구 내용 및 절차 ··························································································· 8
[그림 Ⅱ-1]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교육부, 2013b) ·················································· 26
[그림 Ⅲ-1]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협의체 조직 ··························································· 87
[그림 Ⅲ-2] 파트너십 프로그램 운영 ················································································ 88
[그림 Ⅲ-3] afPE의 멤버십 인증 ······················································································· 89
[그림 Ⅲ-4] 브레튼햄 초등학교 체육 수업 장면 ······························································ 89
[그림 Ⅲ-5] 브레튼햄 초등학교 점심시간 체육활동 장면 ················································ 90
[그림 Ⅲ-6] 브레튼햄 초등학교 체육 시설 활용 ······························································ 91
[그림 Ⅲ-7] 쿰베 여학교체육 수업 및 체육평가 기준 안내 ············································ 92
[그림 Ⅳ-1]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실태 및 요구 분석 개요 ··········································· 98
[그림 Ⅴ-1] 여학생 체육 관련한 3가지 정책의 긍정적 영향력에 대한
교사 인식 그래프 ························································································· 230
[그림 Ⅴ-2]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이 만족스러운 이유 - 학생 ······························ 232
[그림 Ⅴ-3] 스포츠 활동에 적용한 대인관계발전 과정(Devito, 2004) ··························· 234
[그림 Ⅴ-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체육교과 편입 ······················································· 237
[그림 Ⅴ-5] 고등학교 체육 10단위 6학기 이수의 이점 - 학생 ····································· 238
[그림 Ⅴ-6] 프로그램별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학생 ············································ 243
[그림 Ⅴ-7]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학생 ········································ 248
[그림 Ⅴ-8]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도에 대한 인식 - 교사 ············································ 253
[그림 Ⅴ-9]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교사 ······························· 257
[그림 Ⅴ-10] 체육전담교사 기피의 이유 - 교사 ···························································· 259
[그림 Ⅴ-11]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기타 업무 ····························································· 261
[그림 Ⅴ-12] 학교체육활동에서 우선 필요한 시설(학교급별) - 교사 ··························· 268
[그림 Ⅵ-1] 정책 제언의 개요 ························································································· 279
[그림 Ⅵ-2] 정규 교육과정 체제로의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흡수 ······················· 280

그림차례 • xvii
[그림 Ⅵ-3] 초등체육 지도 역량 강화 정책 구조 ··························································· 282
[그림 Ⅵ-4] 현직 교사 활용 초등체육교사 선발, 운영 안의 개요 ································· 283
[그림 Ⅵ-5] 초등체육교사 양성 및 선발 체제 안의 개요 ·············································· 285
[그림 Ⅵ-6] 학교스포츠클럽의 정규 수업 편입 효과 ····················································· 287
[그림 Ⅵ-7] 고등학교 체육교육과정 개선 방안 ······························································ 291
[그림 Ⅵ-8] 학교체육 전담 기구 구성 ············································································· 295
[그림 Ⅵ-9] 학교스포츠클럽 통합 운영 센터 업무 구조 ················································ 296

xviii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4. 기대 효과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학교교육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변화와 성장을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는 학교교
육이 따라가기 벅찰 정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교육은 지식기반사회의 조
성과 세계화의 도래 등 사회 변화의 방향을 따라 과거의 틀을 깨고 열린 체제로 변화해
야 한다(조영달, 2007). 이러한 학교교육과 사회의 변화 속에서 학교교육의 성장과 이를
둘러싼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교육의 본질적 가치 회복의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창의성과 인성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학교생활의 질적인 면에 대한 관심과 학생들이 행복
한 학교교육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즉, 입시 위주가 아닌 교육 본질에 충실한 교육
과정 및 전인적 성장을 도모한 교육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본질에 충실하려는 노력 속에서 최근 주목받은 것은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이었다. 학교체육은 교과교육의 측면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에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에 따라 학교체육을 강화하고 활성화하
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었고, 박근혜 정부는 주요 정책 및 국정 과제 중의 하나로 ‘전인
적 성장을 위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을 도입하였다.
학교체육의 활성화는 체육교과교육 측면에서도 학생들에게 건전한 체육문화를 형성하
고 향후 건강한 삶을 구현하도록 도울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이고 기초적인 요소이다. 따라
서 현 정부 이전에도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교과 차원의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어 왔
고(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9; 교육과학기술부·문화관광체육부, 2009; 안양옥, 2005,
2009), 여러 가지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2012년 1월에 발의된 「학교체육진흥법」(법률 제 11690호)이 2013년 3월 23일자
로 공포되면서 그동안 학교교육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었던 학교체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그 주요 골자는 학교체육에 대한 기본 시책의 수립과
시행, 학생건강체력 평가의 실시,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학교운동부 지도자에 대한 지원
및 스포츠강사의 배치, 학교체육진흥원의 설립 등에 대한 것이다. 이 규정은 향후 학교체
육에 대한 정책 집행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학생들의 체력이나 운동부 학생들의 학습권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아울러 체육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바탕이 되리라 기대한다.
이처럼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은 국가와 사회적인 요구와 체육교육의 본질적 요구를 반

Ⅰ. 서론 • 3
영하고, 이를 뒷받침할 법적인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본격적인 정책 추진에 들어갔다. 학
교체육 진흥 정책은 다차원적으로 논의되어 수립되었고, 학교체육 정상화를 이끄는 노력
들이 다각도로 시도되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학생들의 방과 후 학교스포츠 클럽의 확대와 모든 중학생이 체육 수
업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포함하는 주당 4시간의 체육활동을 하도록 하는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관련된 내용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개정하기도 하였
다(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4호). 이로 인하여 모든 중학생은 한 종목 이상의 스포
츠클럽 활동과 주당 4시간의 체육 수업 및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체육교과 272시
간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136시간을 필수 이수하게 되었다.
아울러 주5일제 수업에 맞춰 학생들이 상시 참여할 수 있는 교육지원청 단위 학교스포
츠클럽 리그전을 중학교부터 전환, 확대하였으며, 2014년까지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에 적
용할 예정이다. 또한 초등학교 체육 수업 내실화를 위해 스포츠강사를 확대 배치하여 여
교사 중심의 체육활동 지도의 어려움을 보완하였다. 이밖에도 토요스포츠데이, 교내 스포
츠리그, 스포츠 인성 캠프, 사제 혹은 부모 동행 스포츠 프로그램들을 기획, 운영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스포츠 활성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다양한 스포츠 활동
을 지속하여 즐길 수 있도록 여건을 확충하였으며, 필요한 시설, 기구 등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한편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교육 분야 국정과제로 입시 위주가 아닌 교육 본질에
충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겠다는 목적의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교교육 정상화’를 설
정하고, 하위에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학교체육 활성화(국정과제 69-4)를 강조하
여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체육 전문 인력 배치를 통한 체육활동을 내실화하고, ‘1 학생 1
스포츠’ 문화 조성과 학생체육활동 인프라 구축을 주요 주제로 삼고 있다.
이후 국정과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2013년 6월 학교체육 활성화를 통해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 실현을 목표로 하는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이 추진, 발의되었다. 정책의
기본방향은 내실 있는 정규 체육교육과정 운영을 개선하고 정규 체육시간 외 학생 자율
체육 활동 지원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으로 1) 모든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학교체육
내실화, 2)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 제고, 3) 체육에 소질을 갖고 있는 학생 지원을 주요 과
제로 두고 각 과제를 추진하는 구체적 방안들을 제안하고 있다.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은 학교체육으로 실시하는 다양한 활동들과 프로그램, 교사와 강사의 인적 자원, 체육 인

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프라와 관련한 물적 자원 등의 여러 분야와 일반학생 및 특기자 학생까지 망라하는 방대
한 내용이다.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은 학생들의 체력 증진, 학업 향상, 인성교육, 학교폭력의 예방
및 감소와 더불어 체육활동 생활화로 건전한 스포츠 여가활동과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정책은 일차적으로 체육교육의 내실화를 기본으로 해
야 한다. 따라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은 학교교육 현장에서 체육교과교육의 일환으로 시
행되어야 하며, 해당 교과교육(체육교과교육)의 성과로 연계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확대가 중학교에서 활동의 일부를
체육으로 포함되도록 해야 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이를 위해 교육과정을 개정, 운영하여
(교육부 고시 제2013-7호, 2013.12.18.) 정책의 바탕과 시행의 주안점이 학교교육 내 체육
교과교육에 있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표 Ⅰ-1> 교육과정 총론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 사항

다.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중점


(생략)

⑽ 학교는 학생들의 건강한 심신 발달을 위해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을 편성·운영한다.


㈎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은 ‘ 창의적 체험활동’ 의 ‘ 동아리활동’ 으로 편성한다.
㈏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은 학년별 연간 34∼68시간(총 136시간) 운영하며, 매 학기 편
성하도록 한다. 학교 여건에 따라 연간 68시간 운영하는 학년에서는 34시간 범위 내
에서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을 체육으로 대체할 수 있다.
㈐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의 시간은 교과(군)별 시수의 20% 범위 내에서 감축하거나, 창
의적 체험활동 시수를 순증하여 확보한다. 다만, 여건이 어려운 학교의 경우 68시간
범위 내에서 기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확보할 수 있다.
㈑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의 종목과 내용은 학생들의 희망을 반영하여 학교가 정하되, 다
양한 종목을 개설함으로써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한다.

우리나라는 정부의 교육 정책이 학교교육에 무엇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학교교육을 이해하거나, 학교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책에 대한 파악 및 분석과 함께
정책과 연계된 교육 현장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교육 정책의 파급력이 큰 만큼 정책을

Ⅰ. 서론 • 5
계획하고 실행할 때 충분한 숙고와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 교육의 목표나 효과가 반감
되지 않도록 살펴야 한다.
따라서 정부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체육교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 학교체
육 활성화 정책’ 의 적용 실태를 분석해 정책 효과를 중간 점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정책
개선과 보완을 도모하며, 정책 시행 및 수행 당사자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다각적
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은 다방면의 방대한 정책 내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에 대한 점검 및 보완뿐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 간 및 프로그램
과 인적·물적 자원간의 연계와 관련해서도 정책에서 추구하는 효과를 산출 및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에 대한 문서적, 실증적인 분석을 다각도로 수행
함으로써 ‘ 학교체육’ 목표 달성 및 교육 효과 제고와 함께 체육교과에 요구되는 사회적
기대를 충족할 수 있는 정책 및 방안을 점검해 보고자 한다. 특히 박근혜 정부에서 강조
하는 체육 전문 인력의 배치, 체육활동의 내실화, 인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학교스포츠
클럽 운영 및 리그 개최, 여학생 프로그램 및 체육활성화 기반 마련, 학생체육활동의 실
내외 인프라 구축 등과 같은 핵심적 이슈들을 중심으로 점검함으로써 보다 현장 적합성
이 높고, 의도한 효과를 산출할 수 있는 정책 실행 및 정책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결과는 작게는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의 현황 및 실질적 의미를
제시하고, 크게는 향후 체육교육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미래지향적 정책 및 방안을 제안
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의 취지 및 추진


방향에의 적절함과 본 정책이 추구하는 성과 달성의 차원에서 시행 현장을 점검
(monitoring)하고, 아울러 학교체육의 활성화 및 내실화와 관련된 실질적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정책 개선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책을 다각적으로 검토
하고, 정책 적용 관련 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책의 현장 적용 실태를 심층
분석하고, 성공적인 정책 추진 및 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
색,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2. 연구 내용

가.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에 대한 고찰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의 특징 및 시행 배경 탐색


- 정책 내용(프로그램, 인적 및 물적 자원 관련 현황), 배경, 특징 분석
∘우리나라의 학교체육 관련 정책의 변천 분석

나. 외국의 학교체육 정책 동향에 대한 이해

∘최근 외국 주요국의 학교체육 정책 동향 탐색


- 영국, 일본, 독일, 미국 등 주요 학교체육 선진국의 정책 동향 정보 수집 및 분석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의 세부 추진 주제(학교체육 내실화, 학생 자율체육 활동 지원,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 제고 등)와 유사한 정책 시행 국가인 ‘ 영국’ 의 체육 정책 및
정책 시행 전반에 대한 심층적 조사, 분석
- 정책의 추진 배경 및 세부 내용 조사
- 정책의 추진 사례 조사 및 분석

다. 정책 시행 관련 학교체육 현장 실태 및 요구 분석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실태 및 이에 대한 인식과 의견 조사, 분석


- 정책의 세부 추진 주제별 일반 및 모범 사례 조사 및 분석
- 정책의 세부 추진 주제별 시행 상황 분석 및 관련자(정책 운영자, 교사, 학생) 인식과
의견을 조사, 분석
∘학교체육 관련 다각적인 요구 조사 및 분석
- 학교체육 개선과 체육교육 활성화 및 내실화를 위한 현장 요구 조사, 분석
- 학교체육 정책 방향 및 추진에 대한 요구 조사, 분석
: 다양한 체육교육 관련자들(학계 전문가, 교사, 수요자, 교육 전문직 및 정부)의 학교
체육 정책에 대한 의견 조사, 분석

Ⅰ. 서론 • 7
라.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및 효과 제고 방안 제안

∘학교체육 효과 제고를 위한 학교체육 정책 방향 설정


- 정책의 개선 내용 및 향후 정책 수립의 방향 제안
∘프로그램 연계 및 실행 방안 제안 및 지원
- 정과체육, 학교스포츠클럽, 자율체육 등 학교체육 정책에 포함된 각 프로그램별 정책
효과 및 문제점 규명 및 각각의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 및 지원 방안 제시
- 학교체육 활성화와 내실화를 위하여 각 프로그램 연계의 상승효과 도출 방안 및 다
각적 지원 방안 제시
∘인적 자원 관련 실행 방안 제안 및 지원
- 교사, 초등체육전담교사, 스포츠강사 등을 포함하여 각 역할별 지도 역량 강화 방안
제시
-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 제시
∘물적 자원 관련 실행 방안 제안 및 지원
- 학습 환경 및 자원 활용과 관련된 문제점 및 효과 분석
-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 제시

[그림 Ⅰ-1] 연구 내용 및 절차

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3. 연구 방법

가. 문헌 연구

∘목적 : 정책 및 정책 배경에 대한 이해 제고를 위한 선행 연구 및 자료 분석


∘내용
- 정책 변천 및 구체적 정책 내용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
- 국내외 학교체육 정책 관련 선행 연구 및 자료 분석

나. 설문 및 면담 조사

∘목적 : 단위 학교 및 교육청의 체육교육 현황 및 문제점,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 조사,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관련 시행 실태 및 의견 조사
∘대상 :
- 17개 시도의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시도별 3%를 유층 표집하여, 초등학교
150개교, 중학교 100개교, 고등학교 80개교에서 체육 지도 교사 2명(초등학교는 전
담교사 혹은 담임교사) 및 각 학교 학생 1학급 약 30명에게 설문
- 교육부, 시ㆍ도교육청의 정책 운영 담당 교육전문직 대상으로 면담

다. 현장 사례 조사

∘목적 : 세부 정책 내용 및 주제와 관련한 실행 모범 사례 발굴


∘대상 : 학교체육 정책 관련 효과적 운영 사례자(교육부 사업인 창의경영학교 혹은 시
범학교 등의 연구 과제 수행 중인 또는 완료한 학교, 추천된 지역교육청 관련
자 및 교사 등)

라. 국외 정책 심층 사례 조사

∘목적 :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의 세부 정책 내용 및 주제와 관련된 국외의 정책 동향


및 사례 조사
∘대상 :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의 세부 주제와 가장 밀접한 내용으로 구성된 영국의
정책 및 정책 현장 적용 사례

Ⅰ. 서론 • 9
- 영국은 PESSCL(PE, School Sport and Club Links), PESSYP(The PE and Sport
Strategy for Young People), SSPs(School Sport Partnership) 등의 다양한 학교체
육 관련 정책 시행 중임.
- 영국의 정책은 우리나라에서 주요한 정책 사항으로 제시하고 있는 체육 수업과 스
포츠클럽과의 연계, 정과체육과 방과 후 체육과의 연계 등 유사한 정책 구조로 되
어 있어 정책 내용 및 그 실행 결과의 주요 효과를 벤치마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음.

마. 전문가 협의회

∘목적
-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분석 및 국내외 동향 및 관련 자료 분석 및 평가
- 학교체육 현황 및 요구 조사 결과 분석
- 정책 개선과 학교체육 활성화 및 내실화를 위한 방안 논의
- 연구 주제별 학교체육 및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과 지원 방안 논의
- 기타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및 제안 방안에 대한 의견 수렴

바. 워크숍

∘목적 : 각계의 체육교육 관련자와 함께 연구에서 도출한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실태


분석 결과를 보고하고, 결과와 관련하여 정책 제언 방향 논의
∘대상 : 체육교육 및 학교체육 정책에 관련된 교육부, 시ㆍ도교육청 담당자, 초․중등
체육 교사, 체육교육계 교수 및 전문가
∘방법 : 주제별 발표 및 지정 토론, 종합 토론을 중심으로 논의

4. 기대 효과

◦ 학술적 기대 효과
- 국내외 학교체육 정책에 대한 전반적 개관 자료의 제공
- 교사 및 관련 인적 자원의 체육교육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

1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제시
◦ 정책적 기대 효과
- 정부의 ‘ 전인적 성장을 위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을 위한 구체적인 운영 및
지원 방안 제시로 정책 업무 효과 제고
- 정부의 교육 정책에 대한 긍정적 효과 및 성과 도모
- 향후 관련 정책 추진 및 추가 입안 과정에 선도적이고 실제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질적 방향 및 내용 제공
- 차기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 체육교과 및 교과 외 활동을 포괄하여 학교체육 활성
화 방안의 안착을 위한 구체적, 효과적인 방안 도출
- 교육 본질에 충실하면서도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질과 행복감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학교체육 개선 및 지원 방안의 제공

Ⅰ. 서론 • 11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1. 우리나라 학교체육 정책의 변천


2.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세부 내용 고찰
1. 우리나라 학교체육 정책의 변천

우리나라에서 학교체육은 체육활동이 학생의 균형적 성장의 밑거름이 된다는 사고가


형성되면서 도입되어, 근대식 학교가 본격 시작된 19세기 말에 인간의 올바른 성장을 위
한 체·덕·지의 합일을 강조하며 정규교과목으로 ‘ 체육’ 이 편성되었다. 학교체육은 학교
교육의 교과로서 도입된 이래 구한말과 일제시대에는 ‘ 체조’ 라는 필수교과로 운영되었고,
특히 일제시대에 건강한 황국신민을 육성하고 전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적 목적
으로 체육이 이용되어 제2차세계대전기 동안에는 ‘ 체련’ 이라고 불리면서 학교체육의 성격
이 왜곡되었었다. 이후 일제 식민지로부터 해방되면서 필수교과로 ‘ 체육’ 을 두고 미군정
기에 국민학교는 ‘ 체조’ , 중등학교는 ‘ 체육’ 이라는 명칭으로 다루었다가 짧은 기간 동안
국민학교는 ‘ 보건’ , 초급 중학교와 고급 중학교는 ‘ 체육보건’ 으로 이라는 이름으로 체육
수업을 하였다. 교육과정기에 접어들면서 제1차 교육과정에서 국민학교는 ‘ 보건’ , 중학교
와 고등학교는 ‘ 체육’ 으로 교과명이 사용되었으며 제2차 교육과정부터 ‘ 체육’ 이라는 교과
명으로 정착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학교체육에 대한 정부 부처의 정책 업무는 시대 상황이나 정부 조직 변화에 따라 달라
졌는데, 해방 이후부터 4공화국까지는 교육 부처에서 담당했고, 체육부와 체육청소년부가
있던 1982년부터 1994년 초기까지 체육부, 체육청소년부 등의 체육부서가 학교체육 업무
를 관장했다. 이후 1994년부터 지금까지 체육 부처와 교육 부처의 협조체제로 학교체육
발전에 대한 업무를 공유, 수행하는 체계가 지속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2a).
학교체육 정책은 시대 환경에 따라 변화하여 오면서 각 시기의 주요한 목적과 방향성
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변천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시대 환경에 따른 체육정책과 학교체육1)

(1) 1980년대 이전의 학교체육

우리나라의 체육정책과 제도는 정부수립 후 교육정책을 담당하는 행정기구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정부 내에서는 체육행정을 문교부에서 관장하였기 때문에 담당부서(문화국
체육과)에서 주로 교육적 차원의 체육행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제3공화국 때 ‘ 체력은

1) 이 부분은 문화관광부 및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간한 2004 체육백서, 2009 체육백서, 2010 체육백서,
2012 체육백서에서 ‘체육정책의 변천’과 ‘학교체육 기본 방향’ 관련 자료의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 및
진술하였다.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15


국력’ 이라는 구호 아래 국민체위 향상과 국민체육진흥을 국민 통합의 원동력이자 국가발
전의 기본으로 인식하여 엘리트체육 육성에 총력을 기울였고, 국가 주도로 각종 제도와
조직을 갖춘 체육진흥시책을 추진하기 위한 법적 근거로 국민체육진흥법을 제정하면서
국민체육시대로의 진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후 1970년 3월에는 국무총리를 위원
장으로 하는 국민체육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 국민체육ㆍ학교체육ㆍ체육 시설ㆍ체육기금
ㆍ운동용구 및 기타 체육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심의하여 국가정책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문교부에서는 국민의 일상생활에서 여가를 선용하고 건
강증진을 위한 체육정책을 추진하였으나, 국가체육정책의 주요 관심은 국력과시를 위한
엘리트체육에 중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학교체육 정책은 교과로서 학교체육
을 수행하는 것 외에는 엘리트체육에 중심을 두고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2) 1990년대 중반까지의 학교체육

제3공화국의 국민통합을 위한 체육정책과 연계하여 이후 오랜 동안 학교체육에서도 정


규 체육 수업이나 일반학생 체육활동보다 엘리트 체육(학생선수, 특수 목적으로 설립된
체육중·고등학교 등)을 강조하였다. 5공화국에 들어서면서 스포츠 강대국으로 가기 위한
체육입국을 표방하며 1982년 3월 20일 체육부를 발족해 국민체육 진흥의 본격화, 체육 생
활화, 체육을 통한 국민화합과 복지 증진 및 국위 선양을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 의지를
제시하였다. 이 당시 86아시아경기대회와 88서울올림픽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준
비를 국가적으로 추진하면서 행정부 내에서 체육을 담당하던 국 수준의 조직이 전격적으
로 중앙 부처 수준으로 승격된 것이다. 이는 체육의 위상이 제고되고 체육기능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는 계기가 되었지만 문교부에서 체육부로 학교체육 업
무까지 이관되면서 국가대항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엘리트체육에 체육행정
력이 집중되어 학교체육은 별다른 주목을 끌지 못하였다. 물론 국가적 행사의 준비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건전한 여가활동 등에도 정책적으로 관심을 두어 왔으나,
양 대회 준비에 행정력을 우선적으로 투입함에 따라 다른 정책들은 다소 소홀한 면이 있
었고, 학교체육 역시 교과로서의 성격만을 유지할 뿐 중․고등학교에서 양 대회의 선수 육
성을 위한 엘리트체육 위주로 정책이 추진됨으로써 실질적인 학교체육 발전을 위한 정책
운영이나 지원을 받지 못하였다.
제6공화국 정부에서는 88서울올림픽의 성공을 발판으로 국민생활체육 발전의 제도적
기반을 확고히 구축하고자 했다. 특히, 생활체육진흥에 대한 국가의 행정조직 및 기구의

1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정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국민 모두가 참여하는 생활체육 정책 기반을 마련하
였다. 여기에는 근로청소년, 유아, 여성, 노인, 장애자 및 소외집단을 포함한 각계각층에
적합한 생활체육프로그램의 개발, 국민개개인이 체력을 평가할 수 있는 국민체력 기준치
의 설정, 건강생활체조의 개발 및 보급 등이 포함되었다. 이어지는 문민정부(1993년 이후)
역시 국가시책에 의해 보호받고 있던 엘리트스포츠를 점차 민간차원으로 이양하고, 국민
체력증진과 여가선용을 위한 생활체육의 범국민적 확산에 역점을 두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위기에서 학교체육 주무 부처는 1982년부터 1993년까지 체육부와 체
육청소년부, 1994년의 문화관광부로, 주로 교육 부처가 아닌 체육 부처에서 담당하였고,
이는 초·중·고등학교를 관장하는 교육 부처가 아니기 때문에 학교체육 정책을 교육의
관점에서 제도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구조적 모순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교육
부처에서는 다른 부처에서 학교체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체육 정책에 관여
하거나 관심을 갖지 않은 채 해당 체육 부처의 요청에 소극적으로 업무 협조를 하는 수
준으로만 대응함으로서 국가 정책에서 학교체육은 거의 소외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게
다가 1990년에 이르러 문화관광부의 학교체육 전담 부서가 폐지되면서 그 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3) 1994년∼1997년의 학교체육

1993년 시작된 문민정부에서는 제1차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1993년∼1997년)의 수


립으로 체육 정책이 양적인 팽창에서 질적 성장으로 이어지는 기대를 갖게 하였다. 문화
관광부에서 폐지된 학교체육 업무는 1994년 교육부로 주무 부처가 환원되어 ‘ 지방교육지
원국 학교보건체육과’ 에서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물론 교육부가 학교체육을 담당함으
로써 문화관광부에서 담당할 때 보다 학교체육 발전을 위한 정책을 실현하기 용이한 환
경으로 변화하였지만 1982년 체육부로 학교체육 업무가 이관되기 전의 ‘ 체육국제국 학교
체육과’ 에서 12년 만에 1994년 교육부로 환원될 때는 학교체육 업무가 ‘ 과’ 수준에서 연
구사 1인인 업무를 담당하는 수준으로 축소되면서 명분상으로만 교육부의 업무일 뿐 실
질적인 정책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즉, 교육부는 명분상 학교체육을 덤으로 담당하
게 되었을 뿐 정책을 추진할 여력이나 관심이 없었으며 이 시기의 학교체육 정책은 국민
체육진흥의 일부로서 해당 정책에 맞추어 학교체육 내실화 정책을 추진하는 수준으로 밀
려났다.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17


(4) 1998년∼2002년(국민 정부)의 학교체육

국민의 정부는 “ 사회건강은 생활체육에서” 라는 국정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국민의 체육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도자 및 시설의 확충을 도모하였
고,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또 하나의 대규모 경기인 2002년 월드컵을 준비하는 사업을
포함한 체육 관련 주요 사업을 추진하였다. 즉, 이 당시는 엘리트 체육과 함께 생활체육
에까지 사회적 필요성이 증대되고 체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이에 반해, 학교체육은 교과로서 존재감 외에는 여전히 엘리트 체육의 자원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학교체육의 가치에 대하여 국가나 사회가 왜곡된 인
식을 가졌던 시기였다. 정부 역시 학교체육 전담 부서가 없고 해당 업무가 ‘ 학교보건체육
과’ 에서 1999년 ‘ 학교시설환경과’ 로, 2001년에는 ‘ 학교정책과’ 로 잦은 이관을 경험하면서
담당자인 체육전문직 연구사의 의지에 의해 겨우 명맥을 유지할 뿐 학교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추진되는 고유 정책은 찾기 어려웠다.
당시 학교체육 정책은 『평생체육․생활체육』 활성화에 발맞추어 “ 학생 기초체력 강화
및 국민 건강 증진을 통한 ‘ 삶의 질’ 향상” 을 목표로, 교육과정의 정상적인 운영을 통한
움직임 욕구 실현, 기능 및 체력 증진, 건강에 관한 지식 이해, 바람직한 태도를 함양하도
록 하며, 생활체육 선진화 추세에 따라 학교체육 환경의 새롭고 다양한 조성 및 실내 체
육 시설(체육장, 다목적실)의 확보와 이에 대한 활용과 함께 인접지 체육 시설을 이용해
학생들의 자율체육 활동 강화함으로 여가선용을 유도하고 비행 예방 및 건강한 사회생활
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자 하였다. 생활체육에 대한 강조에 힘입어 평생체육이라는 연
계 차원에서 학교체육에서도 체육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 방과 후 자율체육의 활성화,
학교체육 시설․교구 확보 및 효율적 관리, 월드컵․아시아경기대회 지원 및 월드컵 문화시
민운동의 확산 관련 정책 과제를 운영하였으나 해당 업무부서나 담당자 또한 학교체육
업무만을 전담할 수 없기 때문에 요구에 비해 실제로는 매우 미흡하게 학교체육 정책이
추진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5) 2003년∼2007년(참여 정부)의 학교체육 정책

참여정부의 체육정책 기조는 생활체육 참여율의 획기적 제고(50%)를 통한 국민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 세계 10위 이내의 경기력 유지를 통한 국위 선양, 스포츠산업 육성
을 통한 국가 발전 및 지역균형 발전, 국제 체육교류의 실질화로 국가이미지 제고, 남북
체육교류 활성화로 남북 화해 분위기 구축 등이었다. 이를 위해 성․연령․계층․지역의 차별

1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없이 국민 누구나 쉽게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체육환경을 조성하고, 학교․생활․전문
체육을 체계화․선진화하며, 체육의 산업적․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원 체제를 구
축하고, 체육의 과학화․정보화를 추진하며, 국제체육협력을 강화하고 스포츠이벤트를 유치
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또한 정부 내에 학교체육만을 전담하는 부서는 아니지만 2005년 ‘ 학교체육보건급식과’
가 신설됨으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학교체육 정책을 좀 더 심도 있게 다루고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시작한 중요한 시기이다. 이는 과 수준은 아니지만 교육 관련 부처
에 실질적인 학교체육 담당하는 주관 부서가 생겨남으로써 정책적으로 학교체육에 관심
을 갖고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어 긍정적이며, 전담 연구사의 배
치와 함께 학교체육 활성화를 중심으로 하는 학교체육 정책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는 점
에서 큰 의미가 있다. 물론 부서의 신설 이후에도 당장에 학교체육 정책의 변화가 가시화
되지는 않았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 학생 기초체력 강화 및 건강증진을 통한 ‘ 삶의 질’ 향
상” 을 목표로 학교체육 정책이 추진되었으나 학교체육 기본방향을 질 높은 체육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체․덕․지 전인교육 강화, 흥미 있고 스스로 하는 ‘ 자율체육 활동’ 활성화, 공
부하는 학생선수상 정립 및 학교운동부 운영 투명화,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체육
시설 확충 및 선진화의 4개 과제가 설정되었고, 향후 구체화될 학교체육 정책의 기초를
다지는 노력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 2008년∼2012년(이명박 정부)의 학교체육 정책

이명박 정부는 “ 문화비전 2008∼2012” 에서 밝히고 있듯이 ‘ 신나는 한국인 스포츠로 신


명나는 나라’ 라는 주제로 15분 프로젝트, 즉, 문을 열면 15분 거리에 원하는 스포츠를 즐
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을 체육정책의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이러한 방향에 따라 학교
체육, 생활체육, 전문체육을 비롯해 장애인 체육 분야까지 다양한 실천 과제를 추진하였
다. 이 중 학교체육에서는 체육 친화적 교육 환경개선을 위해 학교 기본체육활동 기반 조
성, 학교체육 활성화 프로그램 및 인력 지원, 전국대회 운영제도 개선, 선수인권 보호체계
구축, 학생선수의 학업과 운동병행 환경 구축 사업 등 학교체육 정상화를 집중적으로 추
진하였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학교체육 담당부서의 명칭이 ‘ 학생건강안전과’ 로 바뀌었으
며 2009년부터 학교체육에 관한 별도의 주요업무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할 수 있게 되었
다. 또한, 정부의 강력한 체육정책 추진에 힘입어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09년 학교체육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19


주요 업무 계획을 통해 “ 건강한 학생 멋있는 학생 즐거운 학교” 를 비전으로 하는
“ SPORT” 를 추진 전략을 설정하였다. SPORT는 ‘ 스포츠과학화’ , ‘ 신체활동중심’ , ‘ 조직 및
협조체계’ , ‘ 재창조’ , ‘ 교수학습’ 등을 의미하는 약어인데, 각각에 대하여 세부 추진 과제를
두고 운영하였고,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 확대 시행, 스포츠 친화적 학교분위기 형성,
신체활동 7560+ 운동 전개, 학교스포츠클럽 육성, 학교체육진흥 관련 법·제도 개선, ‘ 학
교체육진흥위원회’ 확대 구성·운영, 학교운동부 교육적 운영 강화, 학교체육 시설 확충
및 선진화, 체육교육과정 운영의 질 제고,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지원이 그 세부 과제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는 별도로, 체육 저변확대와 제반 스포츠산업의 발전을 위해 학교체
육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도 다양한 학교체육 관련 정책을
마련해 공동으로 추진하였다. 중앙정부 내에 학교체육만을 전담하는 독립 부서가 부재한
상황에서 교육과학기술부와 문화체육관광부 공동으로 “ 학교체육진흥위원회” 를 구성하여
양 부처 상호간 또는 민간과의 의견 교환을 하였으며, 특히 중요한 사업에 대하여는 양
부처 간 MOU를 체결하는 등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협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우리 정부의 이러한 분위기와 함께 세계적으로도 청소년기의 체육활동이 체력강화 뿐
만 아니라, 스포츠맨십, 공동체의식 등 인성 함양과 인지적 발달에의 효과를 인정받으면
서 미국, 호주, 독일,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국가 차원에서 다양한 정책 사업을 통해 청소
년 체육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 대비해 우리나라 청
소년의 체육활동 여건은 상대적으로 미비한 상태라 이에 대한 적극적 대처가 요구되면서
2010년 9월 30일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는 즐거운 학교 및 학생 체력증진을
위한「초·중등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초·중등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은 ‘ 재미있는 체육 수업, 즐거운 학교, 함께하는 스포츠’
를 모토로 모든 학생을 위한 스포츠를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까지 학교스포츠클럽 학생
등록률을 50%, 신체활동 7560+ 실천율을 30%로 증진시키는 것을 추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정과체육영역에서 ‘ 교과활동에서의 체육교육 강화’ , 과외 자율체육 활동영역에서 ‘ 학
교스포츠클럽 확대 및 스포츠 리그 활성화’ , ‘ 학생 체육활동 참여 동기 부여’ , ‘ 학생체육활
동 인프라 구축’ 의 4개 중심 과제와 그 하위에 20대 실행 과제를 추진하였다.

(7) 2013년∼현재(박근혜 정부)의 학교체육 정책

박근혜 정부는 “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 를 국정비전으로 하여 창의교육과 문화가 있


는 삶을 국정목표로 두고 이를 집중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세부 실천 과제를 제시해 정책

2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을 시행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 학교체육은 ‘ 꿈과 끼를 키우는 교육’ 의 일환으로 ‘ 학교
체육 활성화 정책’ 이라는 주제를 통해 여러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
앞서 2013년 6월 발표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은 학교체육의 활성화가 학생들의 체력
증진 및 학업 향상뿐만 아니라 인성 교육에서도 중요하고, 학교폭력이나 따돌림 등의 부
작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 적극 추진하며, 이를 통해 학교에서 교육된 체육활동을 생
활화로 연계하여 스포츠 여가활동과 건강관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다. 여기에는 초등학교의 체육 전담 교원 배치, 중학교 체육 수업 시간의 1시간 확대, 고
등학교 체육 수업 운영 개선을 포함하는 정규 체육 수업의 내실화와 지역사회 자원 등과
연계 운영되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확대, 여학생 체육 활성화의 지원, 학생선수나 체
육 특기가 있는 체육에 소질을 갖고 있는 고등학생에게 맞춤형 교육 지원의 실천 계획이
제시되어 있다.
박근혜 정부가 제시하는 교육 분야 국정 과제의 한 줄기인 ‘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
교교육 정상화’ 의 하위에는 몇 개의 주요한 추진 과제가 있는데 이 중 ‘ 전인적 성장을 위
한 학교체육 활성화’ (국정 과제 69-4)가 학교체육과 관련된 정책이다. 국정 과제의 수행
을 위하여 정부에서는 체육 전문 인력 배치를 통한 체육활동 내실화, 1학생 1스포츠 문화
조성, 학생체육활동 인프라 구축을 정책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내용들은 학교에서 시행
하는 정규 체육교육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 적절한 지도자를 확충하고,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리그 대회 등을 확대하고, 특히 여학생 등과 같은 비
활성화 집단에 대한 직접적 지원을 더욱 증가하고, 학생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의 마
련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의 업무 담당 부서도 교육부 내에 ‘ 인성체육예술교육과’ 를 두고 체육담당 연구사를
배치하였으나 정책 수행의 인력 지원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고무적인 것
은 교육과정을 비롯한 학교에서의 체육교육에 대한 전반적 업무가 한 부서로 집중되었다
는 점이며, 이를 통해 정규교과 및 방과 후나 클럽 활동, 교내외 활동 등 다양한 학교체육
활동이 실질적으로 연계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나. 학교체육의 기본 방향 및 주요 업무 분야

학교체육 정책은 교육 부처에서 매년 제공하는 ‘ 학교체육 기본 방향’ 에 반영되어 시·도


교육청에 안내되며 이를 근거로 시·도 교육청은 시·도별 학교체육 기본 방향을 일선학
교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학교에서는 학교체육 정책을 실천하게 된다. 다음에서는 1999년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21


이후 현재까지 학교체육 정책에 대해 교육부의 ‘ 학교체육 기본 방향’ 에 제시된 정책 추진
방향과 학교체육 주요 업무 계획에 제시된 구체적 내용을 중심으로 흐름을 분석하였다.

<표 Ⅱ-1> 학교체육 주요 업무의 변천(1999∼2012년)


자율체육 체육 자원 및 지역사회 학교체육
연도 교육과정 운영 학교체육 관리
활동 인프라 연계 정책
자율적인 학교 인접지 공공
체육교사의 전 학교체육 연구 시
방과 후 자율체 체육 시설, 교구 및 사회체육
1999 문성 함양 및 주 범학교 운영의 내
육 활동의 확산 확보 및 경제적 시설 이용도
체성 확립 실화
관리 제고
체육교육과정
학교체육 관리(연구 방과 후 자율체
운영의 내실화
학교 운영 내실화, 육의 활성화(다
(교육과정의 정 학교체육 시설, 인접지 체육
학생선수 관리, 체 양한 프로그램
2000 상적 운영, 체육 교구 확보 및 효 시설 이용도
력검사 관리, 우수 개발 운영, 안
수업시간 확보 율적 관리 제고
학교 및 유공자 표 전대책 수립,
및 준수, 교사
창, 연구 논문 발표) 예산 확충)
전문성 제고)
체육교육과정 학교체육 관리(연
운영의 내실화 구학교 운영 내실
(교육과정의 정 화, 체육안전 관리, 학교체육 시설,
방과 후 자율체
2001 상적 운영, 체육 체육 특기생 관리, 교구 확보 및 효
육의 활성화
수업시간 확보 체력검사 관리, 우 율적 관리
및 준수, 교사 수학교 및 유공자
전문성 제고) 표창)
체육교육과정 운 학교체육 관리(연
영의 내실화(교 구학교 운영 내실
육과정의 정상적 화, 체육안전 관리,
학교체육 시설,
운영, 체육 수업 운동부와 체육 특 방과 후 자율체
2002 교구 확보 및 효
시간 확보 및 준 기생 관리, 체력검 육의 활성화
율적 관리
수, 교사 전문성 사 관리, 우수학교
제고, 시ㆍ도교 및 유공자 표창, 월
육청의 역할) 드컵 행사 지원)
체육교육과정 운
학교체육 관리(연
영의 내실화(교
구학교 운영 내실 포스트 월드
육과정의 정상적
화, 체육안전 관리, 학교체육 시설, 컵 대책 및 지
운영, 체육 수업 방과 후 자율체
2003 운동부와 체육 특 교구 확보 및 효 속(월드컵 성
시간 확보 및 준 육의 활성화
기생 관리, 체력검 율적 관리 과의 학교교
수, 교사 전문성
사 관리, 우수학교 육 반영)
제고, 시ㆍ도교
및 유공자 표창)
육청의 역할)

2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자율체육 체육 자원 및 지역사회 학교체육
연도 교육과정 운영 학교체육 관리
활동 인프라 연계 정책
체육교육과정 운 학교체육 활
학교체육 관리(연
영의 내실화(교 성화 추진 방
구학교 운영 내실 포스트 월드
육과정의 정상적 안(학교체육
화, 체육안전 관리, 학교체육 시설, 컵 대책 및 지
운영, 체육 수업 방과 후 자율체 관련 인식 전
2004 운동부와 체육 특 교구 확보 및 효 속(월드컵 성
시간 확보 및 준 육의 활성화 환, 시설 확
기생 관리, 체력검 율적 관리 과의 학교교
수, 교사 전문성 충, 초등교사
사 관리, 우수학교 육 반영)
제고, 시ㆍ도교 의 교과 전문
및 유공자 표창)
육청의 역할) 성 제고)
체육교육과정 운 학교체육 활
학교체육 관리(연
영의 내실화(교 성화 추진 방
구학교 운영 내실
육과정의 정상적 월드컵 경기 안(학교체육
화, 체육안전 관리, 학교체육 시설,
운영, 체육 수업 방과 후 자율체 장 활용 및 문 관련 인식 전
2005 운동부와 체육 특 교구 확보 및 효
시간 확보 및 준 육의 활성화 화 시 민 운 동 환, 시설 확
기생 관리, 체력검 율적 관리
수, 교사 전문성 지속 충, 초등교사
사 관리, 우수학교
제고, 시ㆍ도교 의 교과 전문
및 유공자 표창)
육청의 역할) 성 제고)
질 높은 체육교
육과정 운영을
통한 체덕지 전 학교체육 관리(학
방과 후 자율체 공부하는 학
인교육 강화(교 생 신체능력 검사 학교체육 활성
육의 활성화 생선수상 정
육과정 정상 운 관리, 연구학교 운 화를 위한 학교
2006 (동아리 및 스 립 및 학교운
영 및 평가 자율 영 내실화, 우수학 체육 시설 확충
포츠클럽 활동 동부 운영 투
성 확대, ICT 기 교 및 유공자 표창, 및 선진화
활성화) 명화
술 활용 수업, 연구 논문 발표)
초등교사 직무
연수 운영)
체육교육의 질
학교체육 관리(학
제고(교육과정 학교체육 활성
생 신체능력 검사 학교운동부
운영 충실, 수업 학생 체력 증진 화 여건 마련(체
관리, 연구학교 운 육성 및 교육
2007 및 평가방법 개 및 자율체육 활 육 시설과 교구
영 내실화, 우수학 적 관리
선, 교과전문성 동 활성화 확충, 안전 점
교 및 유공자 표창,
제고를 위항 연 검)
연구 논문 발표)
수 확대)
체육교육의 질 학생 체력 증진
학교체육 관리(학
제고(교육과정 (학생건강체력
생 신체능력 검사 학교운동부
운영 충실, 수업 평가제도 도입)
관리, 연구학교 운 학교체육 활성 교육적 관리
2008 및 평가방법 개 및 자율체육 활
영 내실화, 우수학 화 여건 마련 강화
선, 교과전문성 동 활성화(학
교 및 유공자 표창,
제고를 위항 연 교스포츠클럽
연구 논문 발표)
수 확대) 육성)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23


자율체육 체육 자원 및 지역사회 학교체육
연도 교육과정 운영 학교체육 관리
활동 인프라 연계 정책
신체활동 중심
교수학습 재창조
2009 (Teaching) - 스포츠의 과학화 (Physical 조직과 협조
(Recreation) -
(Sports science) activity) - 신 (Organizatio
체육교육과정 학교운동부 교
- PAPS 확대 시 체활동 7560+ n) - 학교체
운영의 질 제고, 육정 운영 강화,
행, 스포츠 친화적 운동 전개, 학 육 진흥 관련
2010 초등학교 스포 학교체육 시설
학교 분위기 조성 교스포츠클럽 법, 제도 개선
츠강사 지원 확충 및 선진화
육성
교과활동에서
의 체육교육 강
화(교육과정 운 학교스포츠클
PAPS 내실 운영, 학교체육활동
영 충실, 수업 럽 육성, 학생 학교 운동부
2011 신체활동 7560+ 인프라(인적, 물
질 제고, 교사 체육활동 참여 선진화
운동 전개 적 지원) 구축
전문성 강화, 초 동기 부여
등학교 스포츠
강사 지원 확대)
교과활동에서
의 체육교육 강 법·제도 마련 및
화(교육과정 운 학교스포츠클 인프라 구축 -
PAPS 내실 운영,
영 충실, 수업 럽 육성, 학생 학생 체육활동 학교 운동부
2012 신체활동 7560+
질 제고, 교사 체육활동 참여 활성화를 위한 선진화
운동 전개
전문성 강화, 초 동기 부여 법제도 마련, 시
등학교 스포츠 설 환경 개선
강사 지원 확대)

다. 학교체육 정책 변천으로부터의 시사점

우리나라의 체육 정책은 오랜 동안 엘리트체육(전문체육)과 생활체육 중심으로 추진되


어 왔기 때문에 일반 학생들의 체육 수업 또는 학교교육에서의 체육교육과 관련된 학교
체육에 대해 관심을 두거나 효과를 도모하기 보다는 엘리트체육의 자원을 육성하기 위한
선수 관련 지원과 생활체육의 저변 양성이나 확대를 위한 국민생활체육의 한 단면으로
학교체육을 바라봐 왔다. 이에 학교체육 정책의 추진에 대한 여력이 없었고 학교체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였던 것이다.
국가 주도의 체육 정책에 대한 흐름을 분석한 결과에서, 2000년대 후반 들어 학교체육
에 대한 이름을 가진 담당 부서가 신설되면서 조금씩 학교체육 분야에 집중된 체육 정책
의 제안 및 추진이 시도되었고, 2009년부터 학교체육에 대한 별도의 주요 업무 계획이 제
시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체육 분야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나

2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추진된 정책들과 비교해 볼 때 매우 최근에서야 학교체육이 주목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학교체육에 대한 업무에서 체육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나 체육교육의 질 제고에 관한
분야와 체력 검사를 통한 신체 능력 관리 분야, 방과 후 자율체육에 대한 관심과 확산을
도모하는 분야, 학교체육 시설 및 교구 확보에 대한 분야, 학교운동부 및 특기생의 관리
에 대한 분야는 지속적으로 업무를 계획, 운영해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론 각 분야에
대하여 새로운 정책적 시도나 지원 계획이 마련, 시행된 경우(예: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지원, PAPS 및 신체활동 7560+ 운동,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확대, 학교운동부 관련 제도
적 지침 마련 등)가 있지만, 대체로 많은 부분이 성과나 변화를 가시적으로 보여주지 못
하고 문서적, 통상적인 계획에 그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의 학교체육 정책 운영은 교육과 문화체육 분야가 공조하는 체제
로 되어 있고, 정부의 정책 경향은 점차 세계적인 동향과 맞물려 청소년기의 체육활동 촉
진 노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관련 정책을 제안,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과
업무 연속선에서 탄생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은 이에 체육적 입장 보다는 교육적 가치
추구, 교육 문제의 해결 방안 모색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책 방향
을 고려하여 전인적 성장을 위한 학교교육의 관점에서 정책 성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2.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세부 내용 고찰2)

본 절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부의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세부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 정부는 출범초기 국가 발전을 위한 140개 국정과제를 발표하며, 초ㆍ중등
교육과 관련해서는 학생 개개인의 ‘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 을 구체적인 지향점으로
제시하였고, 학교체육에 대한 세부 과제로 ‘ 전인적 성장을 위한 학교체육 활성화’ 를 채택
하여 지식교육에 매몰된 학교교육을 정상화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교육부(2013b)는 문화체육관광부와의 협의 및 체육관련 학계와 유관 기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11월에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방안의 확정안을 발표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발표된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방안은 학교체육 활성화를 통해 꿈
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의 실현을 목표로 학교교육과정 내의 정규 체육 수업을 확대하

2) 본 절의 내용은 학교체육 정책 담당 부처인 교육부(구 교육과학기술부)에서의 업무 담당자(전문직 연구


사 등)의 업무 보고 자료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25


는 한편, 학교교육과정 외의 학생 자율체육 활동의 지원을 강화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으며, 모든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학교체육 내실화,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
화, 체육에 소질을 갖고 있는 학생 지원을 주요 추진 과제로 결정하였다. [그림 Ⅱ-1]은
발표 당시 제시된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과 과제별 세부 추진 방안에 관한 것이다.

[그림 Ⅱ-1]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교육부, 2013b)

가. 정책 추진 배경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학교체육 정책은 기존의 학교운동부 육성 및 체육 시설 확대에


국한되었던 업무 범위를 확장하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으로 대표되는 방과 후 학생 자율
체육 활동에 주안점을 두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초ㆍ중등 학생들의 체력 저하에 대
한 지속적인 사회적 문제 제기가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당시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08년
초ㆍ중ㆍ고 학생들의 체력검사 1∼2급 비율은 33%로 2000년 41%와 비교할 때 전체적으
로 8% 줄었고, 최하등급인 4∼5급 비율은 같은 기간 31%에서 42%로 11% 늘어난 것으
로 조사되었다(반종빈, 2009). 따라서 정부차원의 학생 건강 체력 증진 및 활기찬 학교 문

2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화 조성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였다. 이에 교육부(당시 교육과학기술부)와 문화체육관
광부는 학교스포츠클럽 육성, 초등학교체육보조강사 배치, 다양한 학교 운동장 및 다목적
체육관 건립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문화ㆍ예술ㆍ체육교육 활성화 추진 계획(교육과학기
술부, 문화체육관광부, 2008)을 공동 발표하며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후속 조치로 초ㆍ중등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2010)을 발표하며 학교스포츠클럽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발표하였다.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학교생활기록부 입력을 들 수 있
다. 즉, 기존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등록률 제고에 기
여한 반면, 학생들의 학습 부담 등으로 인해 실제적인 학생 참여로 이어지지 못한다는 우
려에 따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실적을 학교생활기록부에 입력하고 상급학교 진학을 위
한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적극 권장하여 학생들의 실질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를 유도하
였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대상을 확대하여 기존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등록이 가
능했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대상을 초등학교 2학년부터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2008년부터 시작된 전국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개최 종목을 4종목에서 16개 종목(실제 시
행은 10종목으로 조정)으로 확대하도록 하였다.
한편, 초ㆍ중등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에는 이전까지 교육부의 학교체육 담당 부서에서
다루지 않았던 정규 체육 수업 관련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즉, 2009 개정 교육과정의 ‘ 교
과목 집중이수를 통한 학기당 이수 교과목수 축소’ 방침에 따라 초ㆍ중등학교의 정규 교
육과정 내 체육교육이 위축 될 수 있다는 시ㆍ도교육청 및 학교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과 활동에서 체육교육을 강화하는 조치를 추가한 것이다.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초
등학교는 정규 체육 수업의 기준 수업시수를 반드시 준수하도록 하고, 중학교의 경우 체
육 수업이 특정 학년, 학기에 편중되지 않도록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지도ㆍ감독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스포츠 입문자(초보자), 여학생 등의 체육 수업 흥미 제고를 위
해 변형룰을 활용하는 티볼, 풋살, 넷볼 등의 뉴스포츠 활동을 적극 권장하여 수업 내용
및 방법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방안의 발표 후 교육부는 후속 조치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 학
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시ㆍ도교육청별 초
ㆍ중ㆍ고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등록률을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상에서 집계할 수 있도
록 하였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매뉴얼을 개발하여 16개 시ㆍ도교육청에 안내하는
한편, 시ㆍ도별 학교스포츠클럽 등록률을 시ㆍ도교육청 평가에 반영하여 학교스포츠클럽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27


등록률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1b). 그 결과 학교스포츠클럽 등
록률은 2008년 17.1%에서 2012년 84.2%까지 비약적인 증가를 나타내게 되었다(교육부,
2013a).
이처럼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방안은 단기간 내에 학생들의 방과 후 자율체육 활동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은 양적 확
대에 따른 새로운 문제점들을 파생하였다. 특히 2012년부터 전년도 학교스포츠클럽 등록
률을 시ㆍ도교육청 평가에 반영함에 따라 실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시간이 미비
함에도 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 학교스포츠클럽을 등록하는 등록률 부풀리기 현상이 심화
되기 시작하였다(교육부, 2013a). 또한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 동기 제고를 위해 개최
되었던 전국 학교스포츠클럽 대회는 시ㆍ도교육청의 업무량 가중을 불러와 학생들의 지
속적인 스포츠 참여기회를 제공하는 장의 역할을 하기 보다는 토너먼트 형식의 1회성 이
벤트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는 현장의 지적을 받게 되었으며, 시ㆍ도교육청 간 과열경쟁의
우려로 또 다른 형태의 소년체전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내
실 있게 운영하는 학교의 경우에는 학생들의 건강 체력 증진 및 활기찬 학교생활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 및 시ㆍ도교육청의 지속적인 예산 확보가
어려워 학교스포츠클럽의 내실화에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후 초ㆍ중등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방안의 발표로 2009 개정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른
교육과정 내 학교체육의 위축에 대한 우려는 상당 부분 해소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
었다. 그러나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방안 발표와 관련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이 이루어지지 않아 집중이수제에 따라 체육 수업이 매학기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특정 학년에 편중되어 운영될 수 있는 여지가 다분하였다. 특히 고등학교 체육의 경우 고
등학교 2, 3학년의 체육 수업이 선택교과로 전환되어 일부 학년에 체육교과를 개설하지
않는 학교 수가 증가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2010) 조사에 따르면 2010년에 고2, 3학년 체
육교과 개설 학교는 고교 2학년 88.1%에서 고교 3학년에는 68.5%로 급감하였다.
한편, 2012년부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한 학교폭력의 근절을 위해 교육과학
기술부(2012b)는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하였으며, 학교폭력의 근본적 해소방안으
로 중학교에 체육활동을 대폭 확대하면서 학생들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
이 추가로 시행되었다. 2012년 2월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발표된 학생 체육
활동 확대 방안은 주로 학교폭력의 발생 비율이 높은 중학교를 대상으로 그간의 교육과
정 내 체육활동과 교육과정 외 체육활동에서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학생들의 신체활동

2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을 보다 증진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관련하여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 내 체육활동의 확대를 추진하였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학습량 감소를 위해 단위학교에서 학기당 8개 과목만 이수하
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2012년 당시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던 다수의 중
학교에서는 6학기 동안의 안정적인 정규교육과정 내 체육활동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
서 학생 체육활동 확대 방안에는 주당 2∼3시간으로 운영되는 체육 수업에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더하여 주당 4시간의 체육활동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
동 시간을 활용하여 운영되는 체육활동 시간을 ‘ 학교스포츠클럽’ 으로 명명하였으며 이 시
간은 체육 수업의 형태가 아닌 학생들의 희망종목에 대한 수요 조사 후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개설하여 학생들이 자신이 희망하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와 같은 정규 교육과정 내 체육활동의 확대를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
정이 반드시 필요한 바, 교육과학기술부(2012a)는 초ㆍ중등교육과정 총론의 개정을 통해
중학교「학교스포츠클럽」활동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였다.
그 결과 2012학년도 2학기부터 모든 중학교에서 주당 4시간의 정규교육과정 내 체육활
동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갑자기 증대된 체육활동 시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도 교원의
부족 문제는 스포츠강사의 채용을 통해 해결하도록 예산을 지원하였다. <표 Ⅱ-2>는 중
학교 체육 주당 수업시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12c).
둘째, 학교 교육과정 외 체육활동의 확대를 추진하였다. 특히 학생 체육 활성화 방안에
는 그 간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에 따른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 기회 제공 및 단위학교 스포츠클럽의 예산 지원에 주안점을 두었다. 먼저 단위 학교
및 교육 지원청 단위 스포츠클럽 대회를 기존의 토너먼트에서 리그 형태로 전환하는 한
편,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의 종목을 2011년 10종목에서 2012년 28종목으로 확대 운영
하여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기회를 제고하였다.

<표 Ⅱ-2> 중학교 체육활동 주당 수업시수의 변화

구분 개정 이전 개정(2012년)
학년 1 2 3 계 1 2 3 계
체육교과 3 3 2 8 3 3 2 8
학교스포츠클럽 과목 · · · · 1 1 2 4
체육 수업 합계 3 3 2 8 4 4 4 12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29


또한 단위 학교에서 운영되는 학교스포츠클럽의 활성화를 위해 모든 중학생이 학교스
포츠클럽에 1개 이상 가입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스포츠 활동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천하
는 3,000개 학교스포츠클럽을 선정하여 스포츠용품 구입, 대회 참가비, 강사 인건비 등으
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주5일 수업제 전면 도입에 맞춰 학생들이 쉬는 토
요일에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토요스포츠강사를 중학교에 우선 배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2012년 학교스포츠클럽 등록률은 전년도 보다 39.2% 증가
된 84.2%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교육부, 2013a).
정책의 성과 반면에,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학생 체육 확대 방안에
는 집중이수제 개선을 포함하지 않아 단위학교의 정규 체육교과 활동이 위축된다는 우려
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교육부(2012d)는 중·고등학교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
영 시 체육, 예술 교과목은 학기당 8과목 이수에서 제외 할 수 있도록 2009 개정 교육과
정 총론을 개정 하였다.
지금까지 진행된 교육부의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은 학교 교육과정 내의 정규 체육교과
활동의 위축을 막고 학교 교육과정 외의 학생 체육활동을 보다 활성화하여 학생들이 활
기찬 학교생활을 영위하도록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정규 체육교과의 특정 학기
편중 운영을 지양하도록 하는 한편, 부족한 체육 수업 시수를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으로 보완하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방과 후 자율체육 활동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예산 지원, 토요스포츠
강사 배치, 시·도 단위 학교스포츠클럽대회의 운영 방식 개선 및 전국 단위 대회의 개최
종목 수 확대 등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2013년부터 새롭게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지난 정부
에서 추진했던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을 계승·발전시켜 기존의 정책(학교 교육과정 내·외
체육활동)을 보다 내실화 시키는 한편, 그동안 상대적으로 학교체육에서 소외되었던 여학생
및 학생선수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방안을 수립하였다.

나. 정책 추진의 주요 과제

교육부(2013b)에서 발표한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방안은 크게 모든 학생들의 꿈과 끼


를 키우는 학교체육 내실화,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체육에 소질을 갖고 있는 학생지원
의 3가지 과제로 구분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주로 초·중·고등학교의 일반학생에 대한
체육교육과 관련하여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 운동부에 소속
된 학생선수나 보다 심화된 진로 교육과 연결해 관심을 갖는 ‘ 체육에 소질을 갖고 있는

3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학생지원’ 과제와 관련해서는 제외하고 앞서의 두 부분의 과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정책 내용 분석 역시 두 부분에 대해서만 제시하였다.

(1) 모든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학교체육 내실화

모든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학교체육 내실화의 세부 추진 방안은 초등체육전담교


사 배치 확대, 중학교 및 고등학교 수업시수 확대, 방과 후 스포츠 활동 확대 및 지역사회
연계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가) 초등체육전담교사 배치 확대

초등학교의 전담교사 제도는 전 교과목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교사의 특수성을 고려하


여 영어, 체육, 음악, 미술 기타 교과 등 학생 지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교과를 해당
교과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이 있는 초등교원이 전담 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학교장이
지정·운영 할 수 있다. 그런데 초등학교의 경우 여교사 비율이 높아 실외에서 이루어지
는 체육 수업에 대한 부담이 크고 일부 학급 담임교사의 체육 수업에 대한 파행적 운영
으로 인해 초등학생들이 체육활동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며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의 부실화가 초래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a)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08년부터 교육부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공동으로 초
등학교 체육 수업을 지도하는 담임교사를 보조하고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스포츠강사 제도를 지속적으로 확대·시행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체육
전담교사 지정 확대 계획(교육과학기술부, 2011a)을 통해 기존의 체육교과 전담교사에 대
한 지정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초등학교 체육 수업을 내실화 하는 한편, 방과 후 학교스
포츠클럽 활동이 보다 활성화 되도록 추진하였다.
한편, 2013년 출범한 박근혜정부는 대선공약으로 초등학교에 체육전담교사를 확대하겠
다고 발표하였으며, 대통령 당선 후에는 이 공약을 국정 과제에 포함하여 학교체육의 시
발점인 초등학교의 체육교육을 정상화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부
(2013b)는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을 통해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 방안을 구체
화하였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교육부는 2013년 정책 추진 당시 3,948명인 체육전담교
사를 2017년까지 모든 초등학교에 연차적으로 1명 이상 배치하고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의
체육시간을 체육전담교사가 담당하도록 하여 초등체육 수업의 전문성 확보 및 교내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을 활성화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체육교육에 전문성을 가진 교사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31


가 전담교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교대의 체육심화과정 전공자, 체육관련 대학원 졸업자
등을 우선 체육전담교사로 배치하는 한편, 체육교과에 대한 교수능력 향상이 필요한 신규
및 경력 교사가 체육전담교사로 지정될 경우 시·도교육청 차원의 연수 기회를 확대하여
내실 있는 체육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었다.
한편, 2014년 현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 인원은 3,468교에 4,888명이 배치되어
전체 초등학교의 59.1%에 체육전담교사가 배치(교육부, 2014a)되었으며, 초등교사의 체육
교과 전문성 함양을 위해 시·도교육청 단위에서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연수 과정을 개설
할 계획이다(교육부, 2014c).

(나) 중·고등학교 체육 수업 확대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근본 대책으로 2012학년도 2학기부터 모든 중학교에서 주당 4시


간의 정규교육과정 내 체육활동이 시행되고 있으며, 대다수의 학교들이 기존의 주당 2∼3
시간으로 운영되는 체육 수업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더하여 주당 4시간의 체육활동
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규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스포츠클럽
시간 순증에 따른 전체 수업 시수 증가, 스포츠클럽 운영 방식에 따른 단위 학교 교육과
정 편성의 어려움, 전문성을 갖춘 스포츠강사 확보의 어려움, 스포츠강사 예산 확보의 불
안정성 등으로 인해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상에 어려움을 초래하였다.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육부는 2012년 7월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개정하며, 중
학교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의 편성·운영 지침을 명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학년별 연간 34∼68시간(3년간 총 136시간) 운영하고 매학기 편
성하며, 시수의 확보를 위해 타 교과에서 20%의 시수 감축, 창의적 체험활동 순증, 기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중 68시간의 범위 내에서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였다(교육과학기술
부, 2012a). 그러나 실제 학교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확보를 위해 타교과 교사의 시
수를 감축하는 것에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기존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는 경우
창의·인성교육을 지향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사항 중 하나인 창의적 체험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기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의 활용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단위학교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순증하여 운
영 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한 연간 수업시간의 증가는 단위 학교교원의 피로도를 가
중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개정 고시 된 2009 교육과정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종목과 내용을 학생들의 희망을

3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반영하여 학교가 정하되, 다양한 종목을 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중학교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은 기존의 체육 수업과 같은 학급단위 운영이 아닌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활동과 유사한 형태로 학년 또는 2-3학급을 소집단화 하여 학생들의 희망을 반영
후 스포츠종목 별로 재조직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단위학교에서는 1, 2학년 주당
1시간, 3학년 주당 2시간을 학생의 희망을 반영한 스포츠클럽으로 운영하기 위해 전체 교
사의 수업시간표를 재조직해야 하는 어려움이 상존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희망을 반영한
스포츠클럽의 수가 많아질수록 클럽을 지도 할 지도자 수급에도 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특히 일부 시·도교육청에서는 강사 배치 예산의 부족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을 순증하는
학교에만 강사비를 지원한다는 방침을 세워 기존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학교의 경
우 수업시수가 적은 비체육교과 교사가 스포츠클럽 활동을 지도하는 학교도 발생하였으
며, 체육교사 또는 체육 관련 자격증이 없더라도 단위학교의 학교체육소위원회 승인만 얻
으면 스포츠강사로 활동이 가능하여 중학교 스포츠강사의 자질 문제도 제기되었다.
따라서 교육부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으로 인한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문제
점을 해소하는 한편, 일본, 싱가포르, 미국 등 체육교육 선진국의 중학교 3학년 체육 수업
시수를 비교한 후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의 세부 방안으로 중학교 3학년 체육 수업
확대를 포함하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중학교는 2014년부터 학교장의 재량으로 중학
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주당 2시간 운영하는 학년은 2시간 중 1시간을 정규 체육 수
업 시간으로 전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을
체육 수업 시수로 1시간 전환하는 학교는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교원(기간제 교원 포함)
의 추가 배치 등을 지원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고등학교 체육교과는 제6차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전 학년에 걸쳐 주당 평균 2
∼3시간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대학진학 및 취업을 위한 지식교육의 강
화로 인해 제7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는 체육 수업이 전 학년에
걸쳐 안정적으로 편성되지 못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서야 고등학교의 체
육교과 필수 이수 단위가 10단위로 상향 조정되어 전 학년에 걸쳐 안정적으로 체육교과
편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전 학년에 걸쳐 체육 수업의 편
성을 가능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 목적 고등학교 및 체육·예
술 계열 고등학교, 자율형 사립고 등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인정받은 학교는
최대 5단위까지 시수 감축을 허용함으로써 고등학교 유형별로 일부는 안정적인 체육 수
업 시수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또한 체육교과를 집중이수제에서 제외하는 것을 강제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33


사항이 아닌 ‘ 체육, 예술(음악/미술)과목은 8개 이내에서 제외하여 편성할 수 있다’ 라는
학교 선택 사항으로 명시함으로써 전 학년 전 학기에 걸친 체육 수업 운영이 어렵다는
시·도교육청 및 학교 현장의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교육부는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에 중학교 체육 수업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체육 수업도 확대 할 수 있
도록 명시하였다. 관련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2014년도 신입생부터 모든 고등학
교는 학교 유형과 관계없이 체육교과를 10단위 이상, 6개 학기에 걸쳐 편성·운영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후속조치로 초·중등교육과정을 일부 개정 고시하여 체육교
과는 10단위 이상 이수하되, 매학기 편성하도록 할 것을 명시하였다(교육부, 2013b).

(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확대 및 지역사회 연계

2007년부터 정부 주도로 추진된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는 입시 교육에 매몰된 학생들


이 건강 체력을 증진하고 활기찬 학교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이바지하였다. 그간 정부의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시책들은 크게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기반 조성, 각종 프
로그램 확대, 인적·물적 자원 지원의 측면에서 추진되었다. 즉,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실
적을 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 입력하도록 하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
능하도록 하였으며, 학교 단위 교내 스포츠 리그 및 교육 지원청 단위 학교스포츠클럽 리
그 활성화, 전국학교스포츠클럽 대회 개최 종목 확대 등을 통해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기회를 제고하였다. 또한 토요일 학교스포츠클럽의 지도 및 대회 운영을 지원할 토요 스
포츠강사 배치를 확대하는 한편, 모범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운영하는 학교에 대
한 운영비 지원 등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학교스포츠클럽이 확대 될수록 이를 지도하는 체육교사의 업무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학교체육진흥법에 따르면 모든 학교는 학교스포츠클럽을 의무적으로 운영해야 하
며, 학교장은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위해 별도의 전담교사를 지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을 담당하는 교사에게는 클럽을 조직·운영 할 뿐만 아니라 교육행정정보
시스템을 활용한 클럽 등록·활동 내역·종합의견 등을 기재해야 할 책임이 부과된다. 이
와 함께 교내 스포츠 활동 활성화를 위한 토요스포츠데이와 각종 대회의 운영 및 교육
지원청 단위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에도 참가하여 학생 인솔과 지도, 경기 운영 요원 등의
업무를 부수적으로 수행(교육부, 2013d)하는 과중한 업무 부담을 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
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책임은 학교의 모든 교사가 부담 할 수 있도록 명시(교육

3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부, 2013e)되어 있으나, 학교 관리자와 일반교사들의 이해 부족, 학교 일과 시간 이후와
토요일까지 학생들을 지도해야 하는 업무에 대한 부담 등으로 실제 학교에서는 관련 교
과인 체육교사들이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전담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학교스포츠클럽 지
도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부는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운영을 시
작하면서 시·도교육청 및 교육 지원청 단위에서 스포츠클럽 대회 운영을 전담해 줄 수
있는 별도의 기관 및 단체를 선정 할 수 있도록 운영 방식을 개선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2d). 그러나 시·도교육청 학교체육 담당자들의 이해 부족과 상시적인 스포츠 리그 운
영이 가능한 체육 단체의 부재 등으로 인해 서울, 경기 등의 일부지역에서만 리그 전담기
관이 선정, 운영되고 있다.
한편 학교스포츠클럽이 학교체육 시설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관계로 많은 학생들의 참
여를 유도할 수 있었으나, 학생들의 다양한 스포츠 활동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
었으며,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평생스포츠 활동으로의 연계에도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즉,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학교의 시설 여건에 맞추어 지도교사의 지도나 대회 운영이
가능한 종목에 한하여 운영될 수밖에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희
망하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의 전개는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교육부(2014b)의
발표에 따르면 2013년도에 연간 17시간 이상 활동한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은 줄넘기, 축
구, 피구, 걷기, 배드민턴, 농구 등의 순서로 학생들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
역사회의 체육 단체와 연계하여 공공 체육 시설을 활용하거나 학생들이 참여를 희망하는
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스포츠 강좌에 자유롭게 참여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의 마련
이 필요하다. 또한 고등학교 졸업 후 학생들의 계속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가 단절되는 문
제와 국민 생활체육의 형태가 교육부와 교육청이 주도하는 청소년 대상 스포츠클럽과 문
화체육관광부와 국민생활체육회가 주도하는 성인 대상 스포츠클럽으로 이원화되고 있는
문제도 향후 개선되어야 할 문제로 지목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앞서 기술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문제점을 개선
하기 위해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의 세부 추진 방안으로 학교스포츠클럽의 지역사회
연계 운영을 보다 확대하도록 하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학교스포츠클럽에 대
한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시·도교육청 단위 스포츠클럽 리그의 지역사회 연계 운영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학교 주도의 청소년 스포츠클럽과 체육 단체 주도의 성인 스포츠클럽의 일원화를
모색하기 위해 지역사회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종목의 성인 스포츠클럽에 학생들이 참여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35


하는 경우 이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으로 인정하고 기존의 학교스포츠클럽과 지역사회에
서 운영하는 공공·종합형 스포츠클럽 간의 교류 및 연계 운영을 강화하여 공동강습회
추진, 회원 공유 및 리그 참여 허용, 지도자 및 시설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
록 하고 있다. <표 Ⅱ-3>은 지역 스포츠클럽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인정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교육부, 2013g).

<표 Ⅱ-3> 지역스포츠클럽 활동 인정 방안

○ 학생의 안전과 교육의 질이 보장이 되는 공공의 지역형스포츠클럽에서 지도자가


해당학생에 대한 활동 시간과 평가 내용을 공문으로 제출할 경우 인정
▪ 학교가 문체부에서 안내한 지역형스포츠클럽을 선정하여 업무협약 체결
▪ 공공의 지역형스포츠클럽 → 학교로 학생참여 공문 발송
▪ 스포츠클럽 전담교사가 학생들의 수요 파악
▪ 지역형스포츠클럽 → 활동 시간 및 평가 내용 제출
▪ 스포츠클럽전담교사가 NEIS에 활동실적 반영

따라서 교육부는 학교체육 주요 업무 계획을 통해 방과 후 학생 체육활동을 확대하는


한편,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도록 17개 시·도교육청에 안내하였으며, 시·도 및 전
국학교스포츠클럽 대회 개최, 교육 지원청 리그 운영, 토요스포츠강사 지원, 우수학교 스
포츠클럽 지원 등에 총 362억 여 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시·도교육청 및 단위학교에 교
부하였다(교육부, 2014b).

(2)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세부 추진 방안은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및 리


그 운영, 여학생 체육활동 기반 시설 조성,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식 개선의 3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간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의 시행 결과 초·중·
고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등록률은 지속적으로 제고되었다. 그러나 2012년까지의 학
교스포츠클럽 등록률은 실제 활동이 전무한 학생들의 등록률까지 집계되어 ‘ 등록률 부풀
리기’ 라는 학교 현장의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또한 성별에 따른 등록 현황이 집계되지 않
아 남녀학생의 참여 정도를 구분 해 확인 할 수 없었다. 따라서 2013년도부터는 연간 17

3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시간 이상 활동한 학생들의 참여율을 집계(교육부, 2013a)하고 성별에 따른 참여 현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따라서 향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의 현황이 구체적으로 집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학교스포츠클럽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여학생들의 규칙적인 체
육활동 참여는 저조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2010)에 따르면 우리나라 10대 청소년들의 체
육활동 비참여율은 여학생 67.8%로 남학생의 37.7% 보다 무려 30.1%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와 문화체육관광부(2010)는 초·중등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을
통해 정규 체육 수업 시 여학생들이 선호하는 라켓 스포츠, 댄스 스포츠, 레저 스포츠 등
의 종목을 확대하고 여학생 선호 종목들에 대한 교구를 우선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
는 한편, 전국에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연구학교 30개교를 운영하여 시·도교육청 별로
여학생 스포츠 활동 활성화 우수 사례가 확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2012년에는 전국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종목을 28개로 확대하며, 여학생 선호 종목이라 할 수 있는 넷볼,
티볼 등의 뉴스포츠 종목과 댄스 등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
하고 10대 청소년 여학생의 체육활동 비참여율은 여전히 높게 조사되었다
이에 교육부(2013f)는 여학생 체육활동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를 위한 과제를 선정하였다. 초·중·고등학교 여학생 5,1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여학생들은 체육 수업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로 체육 수업의 내용이 재미없고, 체
육복을 갈아입거나, 운동 후 씻을 수 있는 편의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남녀 분리 체육 수업을 선호하여 남녀가 차별화된 방식으로
체육 수업에 참여하기를 희망하였다. 여학생들이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
지 못하는 이유는 학업과의 병행이 어렵고, 희망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이 개설되지 않아서
참여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여학생 체육활동이 활성화되려면 여학생 친화
적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보급 및 실내 체육 시설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에는 여학생의 체육활동 활성
화를 위하여 정규 교육과정 내의 체육활동 운영을 개선하고 정규 교육과정 외의 체육활
동을 지원하는 한편,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반 시설 확충 및 사회적 인식 개
선을 위한 방안들이 포함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정규 교육과정 내 체육
수업 운영 개선을 위해 고등학교 남녀 혼성 체육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남녀공학 고등
학교는 학생들이 희망하는 경우 남녀 분리 체육 수업을 적극 장려하고 여학생들이 선호
하는 스포츠 활동을 체육 수업의 내용으로 반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정규 교육

Ⅱ.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이해 • 37


과정 외의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여학생으로 조직된 학교스포츠클럽에서 학생들이 희
망하는 스포츠 활동을 체험 할 수 있도록 매년 1,000팀을 선정하여 용품 구입, 강사비, 대
회 참가를 위한 각종 운영비를 지원하는 한편, 여학생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 동기 유발을
위해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을 대상으로 한 스포츠 스타들의 강습 지원도 병행할 계획이
다. 또한 학생들이 선호하는 스포츠 종목을 체육 수업을 통해 학습하고 이를 교내 스포츠
클럽 리그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교육 지원청 단위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에 여학생 참여 종목을 3개 이상 운영할 수 있도록 운영 방식을 개선하였다.
여학생의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학교체육 시설에 대한 개선도 반드시 병
행되어야 한다. 특히 계절의 변화에 민감한 여학생의 특성을 감안 할 때 혹한기와 혹서기
에 안정적으로 체육 수업 및 방과 후 체육활동이 전개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요구된다.
물론 그간 정부의 노력으로 과거에 비해서는 실내 체육 시설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학교 실내 체육 시설의 대부분은 1개 학급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여서 2∼3개 학급
을 동시에 수용하며 수업을 전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에는 교내에 별도의 유휴공간을 확보한 학교를 대상으로 강당 외에 별도의 간
이 실내 체육실을 매년 300개씩 설치하여 댄스, 탁구 등의 여학생 선호 종목 및 체력 운
동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한편, 2012년 현재 여학생 탈의실 설치 학교는 3,690교로 전체 학교의 32.0%를 차지하
고 있어 여학생들이 교내 스포츠 활동 참여 전후 옷을 갈아입거나, 씻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교실에서 옷을 갈아입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는 여학생들을
위해 유휴교실을 활용한 탈의실의 설치를 매년 200교씩 설치하도록 하였다(교육부,
2013c).
그러나 실제 2014년도 예산 반영에 있어 다목적 체육실과 탈의실의 설치 예산은 지역
현안 특별교부금으로 구분(교육부, 2014b)되었으며, 시·도교육청에서 대응투자 재원을
마련하여 교육부에 교부금 신청을 하면 교육부에서 심의 후 예산이 교부되므로 학교 현
장의 가시적인 체육 시설 개선은 다소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밖에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교육 지원청 단위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의 여학생 종목 확대, 여학
생 스포츠클럽 강습과 같은 예산은 모두 반영되어 2014년도 학교체육 주요 업무 계획을
통해 시·도교육청에 안내되었다.

3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1. 미국
2. 일본
3. 독일
4. 영국
이 장에서는 다양한 교육정책 및 제도를 갖는 나라들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체육 정
책의 특징 및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장에서 분석되는 여러 나라의 학교체육
정책은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정책 내용 및 운영 구조, 학교적용 상황을 중심으로 이
루어질 것이다.
국외 학교체육 정책 조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최근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
졌고(양윤정 외, 2012), 학교교육 내 체육교과의 독립성을 갖추고 있으며, 체육교육의 확
대 또는 학교에서의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알려진 미
국, 일본, 독일, 영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나라의 학교체육 정책 배경 및 실제에 대
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영국의 경우는 최근에 가장 활성화된 학교체육 정책을
마련, 시행하고 있기에 보다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정책 운영에서 학교 적용 사례까지 광
범위한 접근으로 조사,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1. 미국

가.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1) 체육 및 학교체육정책(National Physical Activity Plan) 방향

미국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미국의 국가적 체육활성화 계획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는 ‘ National Physical Activity Plan3)’ 으로 미국의 체육활성화 계
획이다. 이 계획에는 아래와 같이 8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체육 활성화의 내용이 담겨있다
(National Physical Activity Plan, 2014).

▪ 공공 보건(Public Health)
▪ 건강관리(Health Care)
▪ 교육(Education)
▪ 기업과 산업(Business and Industry)
▪ 교통, 지역, 공공디자인(Transportation, Land Use and Community Design)
▪ 공원, 레크리에이션, 체력, 스포츠(Parks, Recreation, Fitness and Sports)

3) National Physica Activity Plan은 미국전역의 체육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연합단체로 여러 체육단체와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있으며, 많은 체육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는 비영리단체의 공식문서임.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41
▪ 자원봉사 및 비영리단체(Volunteer and Non-Profit Organizations)
▪ 대중매체(Mass Media)

이 중에서 학교체육 영역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분야는 교육(Education) 분야로 이를


세분화하는 7개의 전략과 각각의 세부 정책들이 있다. 이를 통하여 미국 체육정책의 특징
과 지향점을 알 수 있다.

미취학부터 고등학교까지 전 학년에 걸쳐서 활동적이고 포괄적이고 안전하고


전략 1 발전적인 체육활동을 제공한다.

▪ 장학프로그램을 통하여 관련 예산을 증가시킨다.


▪ 다른 지역까지 확산하기 위하여 연구 예산도 제공한다.
▪ 선생님들에게 질 좋은 체육과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초등학교 선생님들을 위한 다양한 세미나를 제공한다.
▪ 유아/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방과 전/후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킨다.
▪ 장애인을 위한 체육 프로그램을 활성화 한다.

체육 수업과 프로그램의 양과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각 주에 학교 정책에 반영하고


전략 2 발전시킨다.

▪ 유아부터 고등학교까지 체육 교사에 대한 주별 기준, 교육과정 시간, 수업 인원, 자격여


부 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질 높은 체육교사를 양성한다.
▪ 체육에서 신체활동에 대한 높은 기준을 강조하여 지역, 주, 국가의 수준에 맞춘다.
▪ 질 좋은 체육 수업과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지속하기 위하여 법률 제정을 한다.
▪ 시설, 장비, 지도자를 공급하기 위하여 지역, 국가 예산을 배정한다.
▪ 체육 수업과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학교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주별 정책에 반영한다.
▪ 학교에서 일 년 마다 건강 체력, 신체지수에 대한 자료를 모니터하고 수집한다.

4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전략 3 학교와 지역에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른 분야와 파트너십을 발전시킨다.

▪ 교육 분야, 청소년 지원 기관,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분야와 같이 서로 협력할 수 있


는 분야부터 계획을 실행한다.
▪ 학교체육관과 지역 레크리에이션 센터의 시설과 프로그램을 서로 공유하도록 의견을
수렴시키고 정책을 발전시킨다.
▪ 지역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학교와 지역 간의 파트너십을 체결하도록 도와준다.
▪ 지역 커뮤니티에서 신체활동의 기회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원봉사, 시민의식, 공공의식
을 고양시키고 해당 기관과 전략적 제휴로 발전시켜 나간다.

0세에서 5세까지의 미취학 아이들에게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신체활동 시설을


전략 4 제공한다.

▪ 미취학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자와 선도기업을 위한 신체활동 관련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발전시킨다.
▪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안전하고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미취학 교육 프로그램의
기준을 강화한다.
▪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미취학아동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아동보육자에게 신체활동 관
련 교육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 장애아동, 비만아동, 움직이지 못하는 아이를 포함한 모든 아이들에게 보육시설에서
신체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을 발전시킨다.

전략 5 방과 전/후에 체육활동 기회를 제공한다.

▪ 장애아들에게 학교에서 안전하게 지내고 움직일 수 있는 안전 도로를 학교와 함께 제


공해야 한다.
▪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주에 확산시키고 기준도 명확하게 해야 한다.
▪ 21세기 지역 학습 센터를 포함하여 방과 후 학교를 관련 예산 중 신체활동 비중을 늘
려나가야 한다.
▪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비용은 지역, 주, 정부의 제원을 이용한다.
▪ 방과 후 학교 현장에 대한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한다.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43
체육 및 여가 시설 이용, 클럽활동, 신체활동 과정 등 체육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전략 6 많은 2차 기관을 지원한다.

▪ 시설, 장비, 지도자 등 많은 자원을 가지고 있는 2차 기관을 위하여 주와 정부의 제정


을 지원하여 질 높은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한다.
▪ 학생들이 신체활동 관련 시설을 이용하기 위하여 2차 기관과의 업무 협약을 맺는다.

전략 7 체육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발전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을 강조한다.

▪ 간호, 의학, 신체 치료, 도시 계획, 교육, 도서관학, 건강 조언자와 같은 영역에서 전국적


인 신체활동 증대 과정에 예산을 제공한다.
▪ 전국적인 신체활동 모듈을 작성한다.

(2) 학교체육의 목표

미국의 중등학교는 종류에 따라 형식과 내용이 매우 다양하게 운영된다. 따라서 특정


학교체육 수업 형식과 내용이 미국의 중등학교를 대표할 수는 없다. 더구나 학교체육은
주정부의 법령에 따라 수업 시수, 내용, 기간 등이 정해졌거나 지역학교의 재량에 맡겨져
있다. 그러나 미국의 전반적인 학교체육의 흐름의 파악은 학교체육의 발전을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AAHPERD4)와 NASPE5) 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제시한 학교체육
의 목적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 단체들을 중심으로 국가 또는 주 단위
의 교육과정이나 교육 프로그램이 구상되기 때문이다.
미국의 학교체육은 ‘ 개인이 건강하게 평생체육활동을 즐길 수 있는 지식, 기능, 신념을
발달시키는 것’ 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AAHPERD, 2013). 이를 NASPE(2004)에서는 ‘ 신
체적으로 교육받은 사람’ 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양 기관의 목표점을 종합하여 포
함된 세부 내용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다양한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운동기능을 습득한다.


▪ 다양한 신체활동이나 운동 수행의 개념과 원칙을 이해하고 전술 지식을 적용한다.

4) 전미건강체육여가댄스연합(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이하 AAHPERD)
5) 전미스포츠체육연합(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 Physical Education: 이하 NASPE)

4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통해 건강과 체력을 증진한다.
▪ 신체활동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마음을 기른다.
▪ 신체활동이 주는 건강, 즐거움, 도전, 자기표현, 대인관계의 가치를 인식한다.

나.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1) 체육교육과정 운영

미국에서는 8개 주를 제외한 43개 주에서 고등학교 졸업을 위해 체육 수업을 이수하도


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적게는 0.5학점을 이수하거나 대부분 1.0학점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
어 체육 수업 시수가 다소 부족한 편이다. 물론 대다수 학교 및 학생들이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체육교육의 기회가 좀 더 제공해야 한다는 우려와 요
구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신체활동 경험의 기회와 특히 기능 수준이 낮거나 여학
생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접근이 요구되는데, 이는 미국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이 교내경
기 및 대교경기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보완이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편 미국의 18개 주에서만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 대한 평가를 의무
화하고 있다. 미국에서 고등학교 성적(GPA)은 대학 입학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 GPA
에 학교체육의 결과가 포함되는 주는 총 14개 정도이다. 미국에서 체육이 GPA에 포함되
는 반영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 체육 수업의 이수를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
향은 미치지 못하고 있다(Division of Adolescent & School Health,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 Health Promotion, 2011).

<표 Ⅲ-1> 체육성적의 GPA 포함여부 (NASPE, 2010)


분류 주(State)

알칸사스, 델라웨어, 플로리다, 하와이, 인디아나, 켄터키, 루이지애나, 미시건,


체육성적 GPA 포함
네바다, 오하이오, 오리건, 사우스다코타, 텍사스, 버지니아,

알라버마, 알라스카,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코네티컷, 콜롬비아, 조지


체육성적 GPA 아, 아이다호, 일리노이즈, 아이오와, 캔사스, 메인, 메릴랜드, 메사추세츠, 미네
불포함 또는 포함여부 소타, 미시시피, 미주리, 몬태나, 네브래스카, 뉴햄프셔, 뉴저지, 뉴멕시코, 뉴욕,
미확인 노스캐롤라이나, 노스다코타, 오클라호마, 펜실베이니아, 로드아일랜드, 사우스
캐롤라이나, 테네시, 유타, 버몬트, 워싱턴, 웨스트버지니아, 위스콘신, 와이오밍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45
(2) 주요 학교체육 프로그램

미국의 건강인적자원부, 질병관리예방센터, 전미심장협회와 같은 의학적으로 권위 있는


공공기관 및 사립단체에서는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하면서 학교체육을 비롯한 신체활동의
적극적 참여를 권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건강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연방정부에서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Carol. M. White Physical
Education 프로그램과 영부인인 미쉘 오바마가 진행하는 Let's Move 프로그램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미국 초등학교에서 인기 있는 BOKS Program과 워싱턴 주의 ‘ 신체활동
계획’ 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 Carol. M. White Physical Education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정책)은 지역사회 교육기관이 유치원생으로부터 고교생에 이르기까지 방과


후 체육활동을 포함하는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재원을 마련, 공
급하기 위해 미국연방정부에서 기획되었다. 따라서 이 정책의 수혜기관은 주(State) 기준
에 부합하는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시해야 한다. 프로그램 내용에는 학생들의
식습관, 영양 그리고 공인된 다음의 신체활동에 관한 내용 중 하나가 포함되어야 한다.

▪ 신체적 건강을 이해하고 개선하며 유지하기 위한 체력운동 교육과 평가에 관한 사항


(그러나 18개 주정부만이 평가를 의무화하고 있음)
▪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위해 다양한 운동기능 및 신체활동 교육
▪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운동기능과 체력운동에 대한 인지적 이해(10개 정도의 주
에서만 웰니스와 건강에 관한 교육을 의무화함)
▪ 신체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사회적, 협력적 기술을 획득하도록 기회를 제공
▪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체육교육의 최신 연구와 이슈, 그리고 경향을 접하
는 기회를 제공

이 프로그램을 통해 2002년 5천만 달러 지원을 시작으로 2004년에는 250개 기관에


$100,000∼$500,000 정도가 지원되었다. 그 후 2006년 349개 기관에 $100,000∼$500,000
정도로 지원을 늘린 바 있다. 이후 2년간 지원이 중단되기도 했지만, 2009년부터 재개되
어 80∼90개 기관이 지원을 받고 있다.

4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나) Let's Move 프로그램

대통령 영부인인 미쉘 오바마가 시작한 이 프로그램은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하는 미국


사회의 분위기를 받아들여 이를 해결하는데 초점이 모아져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학교체육 역시 비만을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의 일환이라는 생각들로 이어지며, 이
프로그램과 같이 비만 해결과 관련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운영은 건강인적자원부, 농림부, 통상위원회, 재무부, 교통부, 환경보호처, 교육부 등이 포
함되어 이루어지고, 미쉘 오바마가 2010년 발족시켰다.
건강인적자원부의 경우 아동 보호 시설에 대한 신체활동과 영양의 가이드라인을 제시
하고, 각 식당 및 식자재상점에게는 소비자가 알 수 있도록 음식 칼로리 및 영양표를 제
공하도록 하고 있다. 농림부와 통상위원회도 음식섭취 및 영양과 관련해 Let’ s Move 프
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교육부와 건강인적자원부는 지역사회와 학교에 비만예방 및 검
진 서비스를 위한 재정을 지원하고 있다. Let’ s Move 프로그램은 학교체육이나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어 학생들의 신체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교육에 활용되고
있다. Let’ s Move 프로그램 중에 근간을 이루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SPARK(Sports,
Play, Active, Recreation, for Kids)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체육 수업
을 통해 즐거움과 운동기술을 습득하여 학생들의 건강 증진과 체력 발달에 도움을 주고
자 1989년부터 연구되어 1994년부터 보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극대화 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학생들의 신체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유치원-초등
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 고등학생으로 구분하여 학년별 체육 수업 프로그
램을 1년 단위로 만들었다. 현재 SPARK 프로그램은 미국 전역 약 50% 이상의 학교에서
체육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유수진, 2011에서 재인용).
이 프로그램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IsPOD(In-School Provention of Obesity and
Disease)라는 프로젝트 이름으로 체육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1,876개의
초·중학교의 5,500명의 교사들과 1,060,0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한 바 있고, 건강 및 체육
관련 단체에서도 장려하고 있다(유수진, 2011에서 재인용).

(다) BOKS Program

현재 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초등학생 움직임 프로그램으로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프


로그램으로 2009년 미국의 Kathleen Tullie 라는 일반교사에 의하여 아이디어가 제시되었
으며 이에 대한 과학적 이론이 접목하면서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다. 현재 미국 44개 주와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47
4개의 나라의 1,000여개의 학교에서 시행중이며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프로그램 효과
아동들에게 신체활동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주며 이는 아동의 행복과 완전
한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신체적 효과 : 운동을 통하여 치매를 줄여준다. 운동은 항우울제보다 효과가 좋다.
▪ 정신적 효과 : 운동은 기억과 인지력을 향상시켜 준다.
▪ 인지적 효과 : 운동을 통하여 새로운 뇌 세포 성장을 도와준다.

과학적 이론
스파크의 저자 존 레이티(Dr. John Ratey)는 ‘ 운동은 뇌에 기적의 영양분을 제공한다.’
고 주장하였으며 그 근거로 다음의 실험을 예로 들었다.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을 한 그룹
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뇌의 활성화 정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지속적인
신체활동은 비활성기의 뇌를 활성기의 뇌의 상태와 가깝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고 보고하였다.

프로그램 미션 및 목표
▪ 미션 : 학생들에게 신체활동을 장려하고 풍부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신, 신체, 사회성
을 발전시킨다.

프로그램 목표
▪ 목표 : 아침에 점프와 같은 활동적인 놀이를 함으로써 학습활동에 필요한 뇌를 활성화
한다. 학생들에게 활동적으로 움직이고 건강을 유지하고 삶의 습관으로 자리 잡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향상시킨다.
학생들의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주어 학교 공동체를 변화시킨다.

프로그램 개요
▪ 각 집단별 친근하고 비경쟁적이고 재미있는 환경 속에서 매우 활발한 활동을 제공한다.
▪ 각 학급은 트레이너, 학교 관계자, 자원 봉사자 들에 의하여 진행된다.
▪ 주당 2-3회, 1 회에 40분 진행, 구조화된 체력과 놀이 활동, 영양 중요성 강조한다.

BOKS Day(40-50분), 방과전 프로그램


▪ 출석 및 준비(10분) - 미팅(2분) - 준비운동(5분) - 달리기활동(10분) - 주별 활동(10분)
- 게임 활동(5분) - 정리운동 및 영양교육(5분)

4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위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프로그램 후에 학교생활, 운동, 건강, 즐거움 등 모든
면에서 향상이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그룹의 학생들에게 행복감, 학
습, 자신감, 집중력, 학교생활, 영양, 건강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라) Washington State Physical Activity Plan

다음은 미국의 주요 도시의 학교체육 정책 중 워싱턴 주의 체육정책 및 계획이다.

Washington 주 신체활동 계획의 주요 목적


: 아동들에게 신체활동의 기회를 확대하기

신체활동은 건강한 아동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체중조절,


근육증가, 심폐지구력 증대, 뼈 강화, 혈압, 스트레스 및 분노 조절, 자긍심 증가 등 많은
효용성이 있다. 가족 구성원은 아이들이 매일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고 강조하고 있다. 2005년 NASPE에서 발표한 아동들의 신체활동 기준은 최소 60분 이상
거의 매일이다. 이에 대한 강도는 적당한 수준에서 점점 강하게 할 수 있다(Nutrition &
Physical Activity Plan, 2008).
아동들의 활발한 신체활동을 위한 필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학교는 종합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아동 놀이의 안전이 보장되어야 한다.
▪ 청소년 체육과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은 잘 갖추어야 한다.
▪ 놀이 장소와 스포츠 시설은 안전과 흥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지역별로 보도와 자전거 길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가족들이 좋은 모범을 보여야 한다.
▪ 가족, 선생님, 학생 돌보미 강사들은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기타 미디어에 최소한의
기준과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 건강관련 전문가들은 규칙적으로 신체활동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과제 A : 모든 학생들을 위한 매일 질 좋은 체육을 학교 교육과정과 정책에 적용한다.

학생들에게 양질의 체육을 제공하는 것은 비만을 억제하고 장기적인 체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워싱턴 주에서는 통합적 학교 건강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
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의 웰빙을 꾸준히 실현시킨다. 이러한 양질의 체육 프로그램의 요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49
인은 아래와 같다.
▪ 신체활동의 기술과 지식을 강조한다.
▪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 체육 시간을 통하여 학생들을 최대한 활기차게 이끈다.
▪ 동작 기술 뿐 만 아니라 자기 조절도 가르친다.
▪ 학생들에게 즐거운 경험을 제공한다.

NASPE의 기준은 초등학생은 일주일에 150분 이상, 중 고등학생에게는 주당 225분의


체육시간을 보장한다. 이는 엄격하게 정책적으로 지켜지고 있다. 워싱턴 주에서는 초중고
일주일에 100분이 기준이며 2010년부터는 주당 150분으로 기준을 상향하였다.

효과적 체육 프로그램을 위한 3가지 주요 전략


1. 장기적으로 신체활동을 증진하는 기술을 가르쳐라
2. 학교에서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시간을 많이 제공하라.
3. 체육교사를 전문가로 양성하라

주요 프로그램(Five for Life)


워싱턴 주의 125개 구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으로 학문적 내용, 활동관련 체력, 운동발
달 기술의 세 가지 요소를 결합한 프로그램이다. 주요 내용은 학생들에게 체력의 5가지
요인에 대한 향상과 유지, 그리고 중요성 인식과 개인적인 목표 작성을 할 수 있도록 하
는 것이다. 루이스 카운티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이는
다른 지역 학생들에 비하여 체력 지수 및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쉘턴의 올림픽 중학교
에서는 학생들에게 최소한 주당 136-204분의 신체활동을 권장하고 있고 이 중에서 반은
심폐지구력 관련 활동으로 정한다. 학생들이 성취도에 따라 카드를 받고 10개의 카드가
모이면 외부 시설에 야외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또한 이를 이용하
여 학교 내의 다양한 교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과제 B : 학생들에게 정규수업 외에 신체활동 기회를 장려하는 정책을 실시한다.

정규수업 외에 신체활동 기회를 주는 것은 아래와 같은 경우이다.


▪ 초등학교 쉬는 시간
▪ 방과 전/후 시간
▪ 학교 오는 안전한 길

5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 학교시간 외에 학교시설을 이용하는 것
▪ 방학기간에 학교에서 하는 신체활동

주요 프로그램(Moses Lake Walking Day)


학생들에게 등하교시간을 이용하여 걷기나 자전거 타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각
지역에서는 학생들의 안전한 이동을 위하여 노력한다. 모스 레이스 가든에 위치한 초등학
교 500여명은 학교와 건강 기업과 함께 만든 안전한 등 하교길을 이용하여 걸어 다니는
활동을 한다.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걸어가는 것을 장려하며 학교에서도 걷기 좋도록 환경
을 꾸미고 안전을 관리한다.

Walking School Bus in Skagit County


Walking School Bus는 등하교 길에 자원봉사자가 세 지점에서 학생들을 만나고 학생
들을 이들이 안내해주는 방향으로 걸어가면서 이동하는 것이다. 방과 후 학교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장기적으로 체력을 증가시키는 신체활동을 가르치고 발전시킨다.
방과 후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단계는 다음과 같다.
▪ 비전을 세운다.
▪ 영양과 신체활동을 청소년 발달
▪ 핵심 활동을 통하여 영양과 신체활동에 대한 것을 경험시킨다.
▪ 지역사회, 가족, 학교와 같이 모든 파트너들이 긴밀하게 협조한다.
▪ 지속적으로 질 좋은 프로그램이 운영되기 위한 펀드를 발전시킨다.

(3) 체육교사 및 지도자 양성과 운영

미국 주정부별 학교체육 기준에 따르면, 초등학교 체육교사에 대한 별도의 자격 요구는


40개 주에서 시행되고 있고, 11개 주에서는 요구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중학교의 경우 7
개 주를 제외한 44개 주에서 체육교사 자격을 요구하고 있고, 또한 고등학교의 경우 3개
주를 제외한 48개 주에서 체육교사 자격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다 교과 전문으로
교육되는 중등학교(중·고등학교)에서 비해 체육교과교육을 위해 일정한 자격 수준의 교
사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 체육교육을 위한 지도자로
교사에 대한 요구는 낮은 편이며, 25개 주 이상은 체육교사 임시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에서 교사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PRAXIS Series라는 시험을 치러야 한다. 이 시
험은 예비교사의 교과내용 지식과 교수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고, PRAXIS 핵심과목 시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51
험, PRAXIS Ⅰ 전문기능 예비시험, PRAXIS Ⅱ 과목평가로 구성된다. 체육교사는 이중
PRAXIS Ⅱ 과목평가에 응시해야 한다. 이 과목평가에는 교수법과 관련지식, 교수-학습
관련 지식, 교수법기초시험 등이 포함된다. 체육교육과 관련한 시험 내용은 교과내용 및
설계, 교과내용학, 움직임 형태 분석과 설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체육교사 자격을 취득한 후 34개 주정부는 체육교사로 하여금 5년 이내의 자격 갱신을
의무화하고 있다. 대부분의 주정부는 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의무적으로 받아야
할 교육 시간이나 점수를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다. 미국 학교체육 정책의 동향과 시사점

최근 연방정부와 관련된 주요 이슈는 학교체육 관련 법안의 통과 여부와 학교체육 관


련 프로그램에 대한 재정 확대로 요약될 수 있다. 학교 관련법(ESEA)의 개정이 이루어지
지 않는 한 읽기, 쓰기, 수학, 과학과 같은 핵심교과목에서 벗어나있는 학교체육은 상대적
으로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기 위해 NASPE 등을 비롯한 공/사립
단체에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단체에서는 학교체육 수업 시수의 증가와 수준 높은 체육 수업을 위해 ESEA의
개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Carol. M. White Physical Education 프로그램에 대한 재정 지
원 확대, 그리고 질병예방관리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이하
CDC)에 예산 지원이 확대되도록 요구하고 있다. CDC는 학교에서의 건강 프로그램 도입
을 장려하기 위해 주정부 교육관련 부서의 협조를 요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CDC에서
는 학교체육, 건강교육, 영양, 정신건강 등의 8가지 영역을 포함한 종합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의 학교체육이 상대적으로 위축된 것처럼 보이지만, 이미 체육문화가 뿌리
내린 미국의 학교체육 정책은 다음과 같은 지향을 두고 더 발전해가고 있다.
첫째, 미국은 학교체육의 영역의 확장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 영역은 학교체육 수업, 방
과 후 체육활동, 지역체육 연계 활동, 사설체육활동 영역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학교
체육의 영역을 학교라는 공간과 체육 수업으로 제한하지 않고, 시간과 공간의 확장이라는
성격을 띠면서 체육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학교체육 정책 방향에도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둘째, 미국은 학교체육 관련 대상 연령의 확대를 꾀하고 있다. 즉, 0세-5세, 미취학아동,
초중고생까지로 학교체육 연령을 확대하고, 태어나서 성인이 되기까지의 체육활동을 교

5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육현장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1, 2학년에 체
육교과목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통합교육이라는 이름 아래 아동의 신체활동을 제한하
고 있다고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 미국의 사례를 통해 볼 때는 오히려 초등학교 저학
년을 포함해 미취학 아동까지도 체계적인 체육활동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미국은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도 중요하지만 교육기관과 선생님들을 위한 프로
그램 또는 세미나가 필요하다는 공감 하에 초등학교 선생님들을 위한 체육교육 세미나
(초등학교에는 보통 체육 선생님이 따로 없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질 높은 체육교육을 제
공할 수 있도록 함)를 개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육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수업의 부실 운영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와 관련하여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넷째, 미국은 교육부에서 뿐만 아니라 그 밖의 지역사회, 정부, 기관, 등등에도 협력을
강하고 있다. 성별, 나이, 국적, 경제적 수준, 학력 수준 등으로 인해 참여가 제한되지 않
도록 체육 프로그램들을 구성하고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여러 시설에 펀드
를 더 지원하여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참여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처럼 선진국
의 학교체육은 고유한 영역이 있으면서도 다른 유관 기관과의 협력을 넓혀가는 추세이고,
대상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최근 이러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보다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섯째, 미국은 안전한 운동 참여(예: 부상 방지)를 위한 연구에 펀드를 더 지원하고 있
다. 최근 세월호 사고 이후 우리 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안전의 문제나 체육교과에 요구
되고 있는 ‘ 안전교육’ 을 체육교과와 무관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체육활동에서의 관
련성을 찾으면서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책무를 담당해
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체육교과에서 전문적인 안전교육에 대한 교육 내용 및 구성
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미국은 청소년들을 위한 체육 프로그램으로 집중 또는 단계(레벨)별 프로그램
을 구성(예: 운동 순서, 운동 기술, 신체의 움직임과 장애가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과거에 비해 다양한 학교체육 프로그램과 사회
체육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있으나 좀 더 보편적이고 활용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이 확대
되고, 특히 여학생이나 체육활동에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53
2. 일본

가.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1) 체육 및 학교체육 정책 동향

(가) 스포츠 기본법 개정 및 스포츠 기본계획 수립

2011년 6월 24일, 일본 제 177회 국회에서 스포츠 기본법이 개정되어 2011년 법률 제


78호로 공포되었다. 일본의 스포츠 기본법은 1961년 제정된 스포츠 진흥법(법률 제 141
호)을 50년 만에 전면 개정한 것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스포츠에 관한 기본 이념을 정하
고 국가 및 지방 공공단체의 책무와 스포츠 단체의 노력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
문서이기 때문에 스포츠에 관한 정책의 가장 기본이 되는 법으로 인정받고 있다(문부과
학성, 2011).
스포츠 기본법 개정에 따라 수립된 스포츠 기본계획6)(문부과학성, 2012)은 향후 10년을
전망하는 스포츠 정책 설정에 기반이 되는 종합적인 스포츠 정책이다. 「연령과 성별, 장
애 등을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관심, 적성 등에 따라 스포츠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한
환경을 정비하는 것」을 기본적인 정책 과제로 두고 이를 위해 ① 아이들의 스포츠 참가
기회의 확대, ② 라이프스테이지에 대응한 스포츠 활동의 추진, ③ 시민이 주체적으로 참
가하는 지역스포츠 환경 정비, ④ 국제 경기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인재양성과 스포츠 환
경의 정비, ⑤ 올림픽과 장애올림픽 등의 국제 경기대회의 참가 및 개최 등을 통한 국제
적 공헌 및 교류의 추진, ⑥ 스포츠계의 투명성, 공평성, 공정성 향상, ⑦ 스포츠계의 선순
환 창출이라는 정책 달성 목표점을 설정하고 있다.
학교체육 분야에서는 아이들의 스포츠 참가 기회의 확대라는 정책목표 아래 학교와 지
역사회가 모든 아이들이 즐겁게 스포츠에 참가 가능한 환경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
한 노력의 결과로서 향후 10년 이내에 아이들의 체력이 1985년경의 수준을 상회하도록
하기 위해, 1차적으로 향후 5년간의 아이들의 체력수준이 향상되고 그것이 유지될 수 있
도록 추진하는 것이 구체적 목표이다.

6) 문부과학성 웹사이트에 게시된 ‘스포츠 기본계획’을 참조.<http://www.mext.go.jp/a_menu/sports /plan/>

5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나) 학교체육 진흥 사업 추진

2011년 8월 24일에 시행 된 스포츠 기본법에서는 학교체육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밝히


고 있다. 학교체육은 청소년의 심신 발달에 이바지해야 하며, 스포츠에 대한 기술 및 평
생 스포츠를 즐기는 태도를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교체육에 관한 지도의 충실, 스포츠 시설의 정비, 지역에서 스포츠 지도자 등의 활용,
기타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도록 노력하여야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문부과학성에서는 스포츠 기본법에 의거 체육 수업 및 운동부 활동 등의 활성화
를 통해 학생이 스포츠의 즐거움, 상쾌함, 성취감 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 “ 학교체육 진흥사업” 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 학교체육 진흥사업” 은 학생들에게 평
생 동안 스포츠를 즐기는 기초를 연마하고 나아가 체력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2009년부터 “ 중학교 무도 필수화를 위한 지역 연계교육 실천학교” 를 실
시하고 있다. 이것은 2012년도부터 교육의 필수가 된 무도와 댄스를 원활히 실시 할 수
있도록 지역의 지도자와 단체 및 무도장 등을 활용해 중학교 무술/댄스지도의 정착시키
기 위한 사업이다. 또한 2010년부터는 “ 지역 스포츠 인재를 활용한 운동부 활동 추진사
업” 을 실시해 오고 있다. 이 또한 학생 등이 다양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기회 확보를
위해 지역 스포츠 지도자의 활용과 소규모 학교의 운동부를 통합하여 활동하게 하는 시
범적 사업이다. 구체적으로 학교체육 진흥사업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유아기부터의 아이들의 체력향상 방안의 추진


▪ 「전국체력/운동능력 등의 조사」에 기초한 체력 향상을 위한 대처 방안의 검증과
개선 사이클의 확립
▪ 유아기의 운동 지침을 기본으로 실천 연구 등을 통해서 보급 계발
② 학교체육에 관한 활동의 충실
▪ 체육 전담교원 배치와 초등학교 체육활동 코디네이터의 보충 등에 의한 지도 체제
의 충실
▪ 무도 등의 필수화에 따른 지도력과 시설 등의 충실
▪ 운동부 활동의 복수학교의 합동 실시와 시즌제에 의한 복수 종목 충실 등, 선도적
인 대체 방안 추진
▪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학교와 지역의 의료기관의 전문가 등과의 연계 추
진, 연수 충실
▪ 장애아동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에 관한 선도적인 대처 방안 추진
③ 아이들의 스포츠 참여를 보장하는 사회 스포츠 환경의 충실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55
▪ 아이들의 스포츠 참가의 양극화 경향에 대응한 종합형 클럽과 스포츠 소년단 등에
의한 아이들의 스포츠 참가 기회를 제공하는 대처 방안 등을 추진
▪ 운동을 좋아하는 계기를 만드는 야외활동과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활동 등의 추진

일본 문부성이 조사한 ‘ 스포츠테스트’ 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과거에 비해 학


생들의 체력 및 운동능력이 저하되었으며, 운동을 즐기는 학생들과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들로 양극화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는 일상생활에서 매일 체육을
실시하는 학생들의 체력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사실도 지적하고 있다. 또한 ‘ 국민의
건강, 스포츠에 관한 조사’ 에 따르면 운동부, 지역스포츠클럽에 소속된 학생은 그렇지 않
은 학생들에 비해 체력과 운동능력이 우수하다는 보고를 하고 있다(문부과학성, 2008).
이처럼 일본 문부성에서는 학생의 체력, 운동능력 등의 조사를 바탕으로 학교체육을 통
해 생애에 걸쳐 스포츠를 해 나가는 자질, 능력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몸에 익힐 수 있도
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심신의 건전한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체육과 보건을 보다 깊게 연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실제 자료에 근거하면서
생애에 걸친 스포츠 라이프의 기초를 습득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익히기 위해 일본이
학교체육에 쏟는 노력은 매우 적극적이고 체계적이다.

(다) 학습지도요령(교육과정)의 개정과 도입

새로 개정된 교육과정이 초등학교에는 2011년 4월부터, 중학교에는 2012년 4월부터, 고


등학교에는 2013년도 입학생부터(수학과 이과는 2012년도 입학생부터)적용되고 있다. 새
로 개정된 학습지도요령은 아이들이 어떠한 현상을 근거로 「사는 힘」을 기르라는 이념
아래 지식과 기술의 습득과 함께 사고력·판단력·표현력 등의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
다. 일본은 미래세대를 이끌어 갈 아이들이 앞으로 사회에서 필요한 '살아가는 힘'을 지
니길 바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학습지도 요령이 개정된 것이다(문부과학성, 2011).
개정된 학습지도요령의 개정 중점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개정 교육 기본법 등을 감안한 학습지도 요령 개정


② 「사는 힘」라고 하는 이념의 공유
③ 기초적·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의 습득
④ 사고력·판단력·표현력 등의 육성
⑤ 확실한 학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수업 시수 확보

5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⑥ 학습의욕의 향상과 학습습관의 확립
⑥ 풍부한 마음과 건강한 몸의 육성을 위한 지도의 충실

특히, 개정된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평생 풍부한 스포츠 라이프를 실현하는 기반을 기르는 것을 중시하고 운동의 즐거움
과 기쁨을 맛볼 수 있도록 하며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
의 지도내용 체계를 조직화하였다.
② 지도내용의 확실한 정착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교육내용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학년 간
의 연결을 고려하여 1학년과 2학년은 교육내용을 필수화하고 3학년은 학교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수하도록 하였다.
③ 체력향상을 중시하고 "몸 만들기 운동“을 한층 더 강조함으로써 학교체육활동이 실생
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④ 기초적인 지식의 확실한 정착을 도모하기 위해 발달 단계를 근거로 지식에 관한 영역
구성을 검토하고 각 영역에 공통되는 내용을 정선하였다.
⑤ 보건 분야에서는 개인 생활의 건강·안전에 관한 내용을 중시하여, 지도 내용을 개선하
였다.
⑥ 건강 유지 증진을 위한 실천력의 육성을 위해 자신의 건강을 제대로 관리하고 개선해
나가는 사고력·판단력 등의 자질과 능력을 육성하도록 하였다.

나.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1)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

2008년 3월 28일 개정된 학습지도요령(교육과정)의 체육 과목 내용체계는 다음 <표 Ⅲ


-2>와 같다.
체육 과목의 개정된 학습지도요령의 구체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및 내용을 1학년 및 2학년, 3학년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또한 많은 영역의
학습을 충분하게 한 다음에 그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스스로 더 탐구하고 싶은 운동을 선
택하게 하였다. 이에 1학년 및 2학년에 몸 만들기 운동, 기계운동, 육상경기, 수영, 구기,
무도, 댄스 및 이론에 관한 것을 모두 필수로 이수하고 3학년에서는 몸 만들기 운동과 이
론에 관한 영역을 필수로 이수함과 동시에 그 이외의 영역을 대상으로는 선택하여 이수
하게 하였다. 3학년의 선택 종목은 운동의 공통된 특성에 따라 기계운동, 육상경기, 수영,
댄스의 대영역과 구기, 무도의 대영역에서 각각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기
는 그 특성에 따라 골형, 네트형, 베이스볼형으로 분류하였다.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57
<표 Ⅲ-2> 일본의 초·중학교 체육교육과정 내용체계
초등학교 중학교
학년군
1-2학년 3-4학년 5-6학년 1-2학년 3학년
몸만들기 운동 몸만들기 운동(필수)
기계/기구 놀이 기계체조 기계운동(필수)
달리기 놀이 달리기 운동 육상 육상경기(필수)
좌항에서 택 1
물 놀이 수영 운동 수영 수영(필수)
영역 표현리듬 놀이 표현운동 댄스(필수)
구기(필수)
게임 구기운동 좌항에서 택 1
무도(필수)
보건(필수) 보건(필수)
보건
체육이론(필수) 체육이론(필수)

둘째, 평생 동안 운동을 즐기는 자질과 능력을 육성하는 관점에서 각 영역을 몸에 익히


게 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명확하게 보여주며 지도 내용의 확실한 정착을 도모할 수 있도
록 몸 만들기 운동, 이론에 관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1학년과 2학년 중 하나의 학
년에서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몸 만들기 운동에 대해서는 심신의 성장이 현저한 시기임을 근거로 몸을 움직이
는 즐거움과 편안함을 맛보게 하는 동시에 건강과 몸 상태에 따라 체력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학교교육 활동 전체 또는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 내용을
개선하고, 이수 시간을 명확하게 하였다. 또한 몸 만들기 운동 이외의 영역에서도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 방법을 개선하였다.
넷째, 이론에 관한 영역은 기초적인 지식을 확실히 정착시킬 수 있도록 발달 단계를 감
안하여 교육내용을 명확하게 지도하고 기준 시간을 확보하게 하였다.
다섯째, 보건 분야에 대해서는 개인 생활의 건강·안전에 관한 내용을 중시하는 관점에
서 2차 재해로 인한 상해, 의약품에 관한 내용에 대해 싣는 등의 개선을 했다. 또한 자신
의 건강을 적절히 관리하고 개선해 나가는 사고력·판단력 등의 자질과 능력을 육성하는
관점에서 건강​
의 개념과 과제 관련 내용을 명확하게 하고 지식을 활용하는 학습활동을

도입하는 등의 지도 방법 연구를 실시하게 하였다.
2008년 3월 28일 개정된 중학교 학습지도요령(교육과정)의 체육 과목의 핵심적 개정

5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특징 중에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중학교 보건체육에서 무술과 댄스를 포함한 모든 영역을
필수로 한 것이 눈에 띤다. 문부과학성은 무술과 무예는 무술 등에서 발생한 일본 고유의
문화이며, 상대의 움직임에 따라 기본 동작과 기본 기술을 익히고 상대를 공격하거나 상
대의 기술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승패를 겨루는 즐거움과 기쁨을 맛볼 수 있는 운동이라
고 말하고 있다. 또한 무술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을 통해 무술의 전통적인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상대를 존중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다고 한다. 교육과정 상의 댄스는 창작댄스,
포크댄스, 포크댄스, 현대댄스로 구성하여 이미지를 파악한 표현이나 춤을 통한 교류를
통해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풍부하게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댄스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동료와 함께 느낌을 담아 춤을 추거나 이미지를 파악하고 자기를 표현하는 즐
거움과 기쁨을 맛보게 한다는 것이다.
개정된 학습지도요령이 2012년부터 전면 시행되고 있는데 문부과학성은 무도수업이 안
전하고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지도자, 시설 및 장비 등의 조건 정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는 지침을 시·도에 내리고 있다. 특히 지도자에 대해서는 그 양성·확보가 중요해
지고 있으며, 교원에 대한 연수의 충실이나 수업에서 외부 지도자를 활용하도록 하고 있
다. 예를 들어 무술의 전문적 지도가 가능한 전직경찰을 교원에 대한 실기 연수회 강사와
수업의 외부 지도자로서 참가시키는 방법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문부 과학성은 중학교
에서 무도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2011년 3월 28일자로 경찰청에 협력을 요청하
였고 각 도와 현의 교육위원회 또는 각 시구 교육 위원모임에서 경찰 등에 대해서 무술
외부 지도자의 소개에 의뢰가 있었을 경우에는 퇴직 경찰관 등의 협력이 가능하도록 하
고 있다. 따라서 각 학교장은 무술 지도자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경찰 및 관계기관 등과도
연계하면서 충실한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 : 전국 체력, 운동능력, 운동습관 등에 관한 조사

전국 체력, 운동능력, 운동습관 등에 관한 조사는 2009년부터 초등학교는 20,848 개(전


체의 98.4 %), 아동 1,087,902명, 중학교 10,500 개교(전체의 95.0 %), 학생 1,039,921명이
가입하였다. 현재의 학습지도요령이 실시되고 첫 번째 조사에서 지금까지의 결과를 살펴
보면 운동하는 어린이들과 하지 않는 어린이들의 양극화가 드러났다. 2014년에는 국가·
지방 공공 단체의 노력으로 각 지역·학교에서의 PDCA 사이클의 원활한 실시를 위해,
특히 운동을 싫어하는 아이들이 참가할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의 운동과 스포츠의 주요
장소인 학교에서의 체육·보건체육 교실에서의 수업 개선 근거 자료를 확보하는 관점에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59
서 조사를 하고 있다(문부과학성, 2014a). 스포츠 기본 계획(2012년 3월 3 일)에서 "1985
년경의 수준을 상회"의 달성과 함께 2020년 올림픽·패럴림픽 도쿄대회 개최를 위해 어
린이들에게 운동이나 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환기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조사의 목적은 첫째, 아이의 체력이 저하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국가가 전국적
인 아이들의 체력 상태를 파악·분석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체력 향상에 관한 시책의 성과
와 과제를 분석하고, 그 개선을 도모한다. 둘째, 각 교육위원회 각 국공사립 학교가 전국
적인 상황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아이의 체력 향상에 관한 시책의 효과와 과제를 파악하
고 그 개선을 도모하는 것과 동시에, 그러한 노력을 통해 아이들의 체력 향상에 대한 지
속적인 검증 개선 사이클을 확립한다. 셋째, 각 국·공·사립학교가 각 학생의 체력과 운
동 습관, 생활 습관, 식습관 등을 파악하고 학교의 체육· 건강에 관한 지도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 있다(문부과학성, 2014a).
2014년도 조사 대상은 국·공·사립학교의 초등학교 5학년, 특별 지원 학교 초등부 5학
년, 중학교 2학년, 중등 교육 학교 2학년, 특별 지원 학교 중학부 2학년이다. 조사항목은
첫째, 학생에 대한 조사로써 실기에 관한 조사(측정 방법 등은 새로운 체력 테스트와 마
찬가지로 8종목)와 운동습관, 생활습관 등에 관한 질문지 조사로 나누어진다. 둘째, 학교
에 대한 질문지 조사로써 아이의 체력 향상에 관한 대책 등에 관한 질문지 조사가 있다.
셋째, 교육위원회에 대한 질문지 조사로써 아이의 체력 향상에 관한 시책 등에 관한 질문
지 조사가 있다(문부과학성, 2014a).

(3) 학교체육에서의 교외활동과 클럽 및 운동부 대회 운영

(가) 스포츠 소년단

스포츠 소년단은 1962년에 재단법인 일본체육협회가 창설 한 역사 있는 스포츠클럽이


다. “ 한사람이라도 많은 청소년들에게 스포츠의 즐거움을” , “ 스포츠를 통해 청소년의 몸
과 마음을 키우는 조직을 지역사회에!” 라는 구호 아래 만들어져 활동하고 있다. 약 20만
명의 지도자들과 약 83만 명의 스포츠를 아주 좋아하는 아동들이 스포츠 소년단에 가입
되어 있다. 스포츠 소년단은 각각 독립적으로 자주적이며 주체성을 가지고 활동을 전개하
고 있다. 스포츠 소년단은 특정 스포츠 종목에서만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야외활동과 문
화·학습활동 등 아동기에 필요한 폭 넓은 분야에서 다양한 교류체험 활동을 연간 계획
에 진행하고 있다. 스포츠 소년단 활동을 통해 아동들은 기쁨과 즐거움을 친구와 함께 경
험하고 동료와의 연대하면서 우정을 키우며 나아가서는 그 과정에서 협동심과 창의성 등

6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을 길러 인간성 풍부한 사회인으로 성장해 가고 있다(일본체육협회, 2014).

(나) 운동부 활동 및 대회

부활동이라 불리는 운동부 활동이 일본만큼 번성한 나라는 없을 것이다. 일본의 학교에
서는 정규수업이 아닌 과외 활동으로 방과 후나 휴일에 운동부 활동이 널리 행해지고 있
다. 부활동은 전후 일본의 군국주의에 대한 반성으로 민주주의적인 국가와 인간을 형성하
기 위한 노력이었고 그 때 높은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어 추진된 것이 스포츠 관련 부활
동이었다. 이에 따라 70% 이상의 중학생과 50% 이상의 고교생이 운동부 활동에 가입하
고 거의 모든 학교가 운동부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절반 이상의 교사가 운동부
활동의 운영을 맡고 있다. 반드시 스포츠에 능숙한 전문교사가 아니더라도 스포츠에 관심
이나 열의가 있는 교사는 누구든 운동부 활동을 담당할 수 있다. 때문에 스포츠 기술이나
경기력 향상 못지않게 스포츠 활동을 통한 인간 교육을 추구하는데도 관심을 갖는다.
초중고의 운동부 활동을 ‘ 학교 중심형’ , ‘ 학교·지역 중심형’ , ‘ 지역 중심형’ 으로 구분할
때 일본은 ‘ 학교 중심형’ 에 속한다. 특히 일본은 학교 간 경쟁스포츠의 기회가 모든 학교
에 제공되고 있고 연맹이 이를 지원하고 있으며, 지역대회와 전국대회가 그 규모가 크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익 재단법인 일본 중학교 체육 연맹은 전국 중학교
학생들의 건전한 심신의 육성, 체력 증강 및 체육·스포츠 활동의 진흥을 도모해 중학교
교육의 충실과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2014년도에는 다음과 같이 지역 및 전국
대회를 개최와 함께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문부과학성, 2013).

① 전국 중학교 체육 대회 개최
② 중학교 체육에 관한 조사 연구
③ 각 지역의 정보 및 자료의 교환
④ 도와 현의 중학교 체육연맹의 조성 사업
⑤ 홍보 게시판 게시

위의 사업은 일본 전국에서 실시되고 있고, 위 사업 외에도 수익 사업 등으로 스포츠


용품 등의 추천 등 기타 이 법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운동부 활동은 지역마다 특색 있게 추진되고 있는데 가나가와 현과 같은 지역에서는 「
카나가와 부활동 드림 플랜 21 」이라는 운동부 활동을 통한 교육 비전을 교육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의 제 1단계(2007∼2010년도)는 ‘ 프로젝트 5(Project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61
5)’ 라는 명칭으로 추진되고 있다. 프로젝트 1은 “ 모두가 주역” 이라는 키워드로, 프로젝트
2는 “ 건강한 학교” , 프로젝트 3은 “ 절차탁마” , 프로젝트 4는 “ 협동과 연대” , 프로젝트 5는
“ 인재육성을 키워드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현재는 「카나가와 부활동 드림 플랜 21
version Ⅱ 」(2011∼2014년도)에 들어간 상태이고 제 1단계의 기본 구상을 계승하면서 미
래를 개척하는 씩씩한 인재의 육성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운동부 활동 참가율 50% 달성(2011 년도 43.2 %)과 문화부 활동 33% 달성(2011년도 28.3
%)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부활동은 문화부 활동이 상
승세에 있으며 운동부 활동은 초·중고 학교와 지역 연계를 통해 경기력 향상 면에서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일본 올림픽 위원회와 국립 스포츠 과학 센터는 각 도와 현의 교육
위원회와 연계하여 스포츠 영재 발굴 육성 사업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2020 도쿄 올
림픽의 유치로 학교 운동부 활동은 더욱 활성화되고 지속될 것이다(문부과학성, 2013).

(다)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

공익 재단법인 일본체육협회가 추진하는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 육성 계획 2013」에


규정된 기본 이념의 실현을 위해서는 각 종합형 클럽의 자립·자율을 위한 노력과 일본
체육 협회가 종사 각종 지원 방안을 일체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두 축의 상
호보완적 노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야기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익 재
단법인 일본체육협회에서는 각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 자신이 자립·자율을 향해 대처
해야 할 사항을 발표하고 일본에서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이 영구적으로 충실한 활동을
해 나가기 위한 활동 환경을 정비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단체와 연계하
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문부과학성, 2014b).

▪ 지역 스포츠클럽 육성 전문위원회 등의 개최 : 사업 실시에 따른 기본 방침의 결정 외


에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 육성 계획 2013]에 따라 향후 종합형 클럽 육성·지원에
관한 각종 전략을 비롯한 사업 전반에 관한 검토를 실시하고 있다.
▪ SC 전국 네트워크(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 전국 협의회) 활동 : 전국에서 육성 된 종
합형 클럽의 보다 원활한 운영과 정착·발전을 위한 목적으로 일상의 클럽 활동에 대
한 제안 및 지원을 실시하고, 종합형 클럽 지원 체제의 충실·강화에 노력하고 있다.
▪ 클럽 어드바이저 배치 : 클럽의 창립에서 자립 활동까지를 일괄적 조언 할 수 있는 클
럽 고문을 도와 현의 체육·스포츠 협회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클럽 어드바이저의 자질
과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관련 연수(클럽 어드바이저 미팅)을 실시하고 있다.

6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 블록 별 클럽 네트워크 액션의 개최 : 설립 준비 중인 단체에서 고급 클럽까지 각각
안고 있는 여러 과제를 제시하고 클럽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구체적인 대처 사례 등
을 협의·검토를 실시하여 과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정보 공유와 클럽 육성·지
원을 위한 네트워크 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각 도와 현의 종합형 클럽 연락 협의회
간 연계·협력 체제를 더욱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의 활동에 관한 정보 제공 : 종합형 클럽의 육성·지원에 관한
제반 문제에 대한 대처 방법과 선진적인 대처 사례 등에 대하여 공식 메일 매거진의
발행 및 본회 HP에서 공개함으로써 클럽활동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클럽 관리 지도자 해외 연수 사업 : 종합형 클럽에서 활동하는 클럽 매니저 등을 지역
스포츠클럽의 선진국인 독일에 파견하고 있다.
▪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 창설 지원 사업 : 종합형 클럽을 창설하기 위해 할 제반 활동
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조성하고 있다.
▪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 자립 지원 사업 : 종합형 클럽이 실시하는 일상 활동, 이벤트
개최, 작업장 등의 제반 사업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조성하고 있다.
▪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 매니저 설치 지원 사업 : 클럽 매니저의 설치에 필요한 경비
의 일부를 조성하고 있다.
▪ 리스크 관리 작업장의 개최 : 종합형 클럽의 운영에 요구되는 사고나 부상에 대한 위험
관리를 법률의 측면에서 이해하고 불행한 사고나 부상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지도
자 및 클럽 운영진의 육성이나 클럽으로의 위기관리 의식의 계발을 실시하고 있다.

이외에 公益財団法人高等学校体育連盟, 公益財団法人日本高等学校野球連盟, 日本オリ


ンピック委員会 등에서도 다양한 운동부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4) 교원양성 시스템의 강화

일본 초등학교에서는 보건체육 면허 취득자가 적기 때문에 체육 수업의 질 보장을 위


해 현직교원 연수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각 학교에서는 학교체육의 수업 질
보장을 위해 체육주임을 두고 있다. 주임은 중학교의 보건체육 면허 취득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교과의 면허 취득자가 맡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지역의 체육주임 위원회가 구
성되어 수업의 질을 보증하기 위한 정보 네트워크와 인적 네트워크가 잘 구성되어 있다.
동시에 교내 연구회 및 공개수업을 통해 체육 수업의 목표와 내용, 방법론에 대한 정보제
공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문부과학성, 2014c).
이 정보 제공은 시·도 교육위원회를 통해서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문부과학성에 의한
강습회나 독립 행정법인 교원연수센터를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아동의 체력향상을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63
위한 지도자 양성 연수 등에서 정보제공 및 인재육성이 실시되고 있고, 또한 문부과학성
및 공익 재단법인 일본 학교체육 연구연합회가 주최하는 전국 학교체육 연구대회처럼, 유
치원에서 특별 지원학교를 포함한 공개수업과 수업을 둘러싼 협의도 실시되고 있다(문부
과학성, 2014c).
또한, 2012년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화 된 무술, 댄스 지도자 양성에 참여하는 지역사
회 지도자, 단체 등의 협력 및 지역의 무도장 등의 활용을 통해 학교의 무도교육에 대한
의지가 강화되고 있다. 이에 무도와 댄스 지도에 미숙한 중학교 체육 담당 교원 등에 대
한 기본 기술 습득을 위한 연수 등이 활발히 개최되고 지역 연계 교육 실천 학교 만들기
에 약 30억 정도의 예산이 문부과학성에서 투입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와 현에 따라
교원을 대학에 파견하는 제도도 존재한다. 또한, 일본 체육학회, 일본 체육과교육학회, 일
본 스포츠교육학회 등의 학회에서 정보교류를 통해 수업개선에 필요한 교원의 자질, 능력
의 육성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존재 하고 있다. 한편, 동아리의 폭력 문제 등의 해결과
양질의 학교체육 프로그램 제공 을 위해 학교체육 지도자의 자질, 능력의 개선을 위한 자
격 부여 제도의 검토와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문부과학성, 2014c).

(5) 학교체육 정책 관리 및 지원 기관의 역할

문부과학성 스포츠·청소년국은 국민이 스포츠를 즐기는 환경의 정비, 올림픽 등으로


활약하는 선수 육성 등 국제 경기력 향상과 아이들의 체력 향상, 학교체육의 충실 등 스
포츠 진흥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학교에서 아이의
안전 확보, 학교 보건, 식육에 관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의 건전 육성을 위
한 자연 체험 활동과 독서 활동의 추진 등에 관한 사무를 실시하고 있다.
① 스포츠의 진흥 : 국민 모두가 평생의 각 시기에 걸쳐 언제 어디서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생애 스포츠 사회」를 실현하는 것은 밝고 활력 있는 사회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중요
한 과제이다. 따라서 아이로부터 고령자까지 각각의 관심사와 목적에 따라 참여할 수 있는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의 육성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아이의 체력 향상을 위한 시책에
도 노력하고 있다. 올림픽 등의 일본인 선수의 활약은 국민에게 꿈과 감동을 주고, 밝고 활
력 있는 사회의 형성에 기여할 것이기 때문에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의 핵심 거점 시설의
정비 등 국제 경기력 향상에 관한 시책도 수행하고 있다.
② 학교 보건교육의 충실 : 최근 학교나 통학로의 사건이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을 감
안하여 가정이나 지역의 연계를 통해 학교가 자녀에게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장소가 되

6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도록 지속적으로 아이들의 안전 확보를 위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2005년 4월에 시작 된
영양교사 제도의 원활한 실시를 비롯해 가정·지역과 연계한 학교의 식육을 추진하고 있고,
흡연이나 음주, 약물 남용, 성교육 등 보건교육 및 알레르기 질환 등 학생의 건강을 둘러싼
문제에 대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③ 청소년의 건전 육성 추진 : 청소년의 풍부한 마음과 사회성을 육성하기 위해 자연
체험 등 다양한 체험 이벤트, 민간단체가 실시하는 어린이 체험 활동 지원, 국립 청소년
교육 시설의 선구적인 청소년 체험 활동 기회의 제공과 지도자의 육성 등을 실시하고 있
다. 또한 청소년의 문제행동 등에 대한 노력으로 아이들에게 규범 의식이나 윤리관, 사회
성, 생명의 소중함과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 등을 몸에 익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도덕교육
의 충실, 가정교육 지원 유해 환경 등의 활동을 학교·가정·지역사회를 통해 진행하고
있다. 또한 아이에게 독서의 기회를 제공하고 도서관을 정비하여 등 독서교육에 기여하고
있다.
이외에 国立教育政策研究所, 日本スポーツ振興センター 등에서도 학교체육 정책을 지
원하고 있다.

다. 일본 학교체육 정책에서의 시사점

(1) 스포츠 기본법 개정과 스포츠 기본계획 수립이 주는 시사점

1961년 제정된 일본의 스포츠 진흥법을 50년 만에 전면 개정한 것이 2011년의 스포츠


기본법이다. 2011년의 스포츠 기본법은 일본의 새로운 도약에 밑거름이 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일본의 체육 및 스포츠 관련 법령은 학교체육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엘리트 체육, 학
교체육, 사회체육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2013년 학교체육에 초점을 맞추어 제정된
한국의 학교체육진흥법과는 대비된다. 이러한 독자적인 한국의 학교체육진흥법을 일본의
스포츠지도자와 학교체육 관계자는 부러워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 보면 한국의 학
교체육진흥법의 제정은 그동안의 학교체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에 대한 반성
일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법으로써 강제함으로써 학교현장의 실천을 유도
하려는 노력일수도 있다.
일본의 학교체육 수업은 세계적으로도 우수하다고 평가받고 있고 학교체육 테두리에서
의 엘리트 스포츠도 앞서 제시한 ‘ 부활동’ 이라는 명칭 아래 잘 운영되고 있다. 한국의 학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65
교체육 수업도 지난 20년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높은 수준의 실천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체육 수업의 부진, 학생선수들의 학력저하, 주 5일제로 인한
비활동적인 여가시간의 증가 등 학교체육의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들을 법령으로 강제함으로써 성숙단계에 있는 학교체육 수업과 균형을 맞추면서 학교체
육 전체의 수준을 전반적으로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법령 안
에는 운동선수의 학습권 보장, 학생들의 운동권 보장, 인권 보호, 비만과 질병예방 등의
다양한 의미들이 내포되어 있다.
한국의 학교체육은 일본의 체육 수업의 실천력, 공부하며 운동하는 운동부 활동을 배울
필요가 있고 무엇보다도 일본의 스포츠 기본법이 학교체육의 활성화를 포함하여 지역사
회, 다양한 연령, 성별, 장애 등을 초월하며 각각을 연계시키는 목표, 내용, 방법 등을 학
습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학교체육진흥법이 학교체육의 정상화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
고 판단되지만 지역사회와 연계된 스포츠 참여와 세대 간의 화합 등을 이루기에는 추가
적인 내용과 방법의 입법 혹은 또 다른 법령의 입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오랜 고민 끝에 얻어낸 입법이 실천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체육 관계자의 끊임
없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2) 일본의 학교체육 진흥 사업과 교육과정 개정이 주는 시사점

스포츠 기본법에 의거 문부과학성에서는 학교체육 진흥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핵심적


특징으로써 유아기 아이들의 체력 향상, 학교체육활동의 충실, 사회 스포츠와의 연계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진흥사업은 일부분 한국의 학교체육 활성화 사업과 그 흐름을 같
이 하고 있다. 최근 한국의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배치와 PAPS 측정 및 통계처리는 일
본의 전담교원 배치 및 체육활동 코디네이터 보충과 전국체력/운동능력 등의 조사와 매
우 유사하다. 일본의 학교체육 진흥 사업에서 눈여겨 볼 것은 체육교육과정의 무도 필수
화에 따른 지도자 양성과 시설 정비에 관한 문제이다. 또한 학교와 지역의 의료기관 전문
가와의 연계도 주목할 만하다.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는 학교체육과 연계된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과 스포츠 소년단을 통한 스포츠 참여 기회의 확대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일본의 학교체육에서 야심차게 진행하고 있는 무도수업의 필수화는 제반 시설 정비와
지도자 양성이 성패를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무도수업을 필수로 지정한 것은 무도수련
이 가지는 위험성보다는 교육적 가치를 우선하였다고 본다. 무도수업이 위험을 동반하기
는 하지만 정확한 지도와 안전의 확보를 통하여 체력과 운동기능 향상과 더불어 인성 함

6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양, 도덕성 체화, 스포츠맨십 배양 등의 사회성 형성에 크게 기여한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었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학교현장의 무도시설의 확충과 체육교사의 연수와 함께 지
역의 무도 경험자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렇게 교육내용 선정과 시설 확충 및 지도자
양성은 한국의 학교체육에도 시사 하는 바가 크다.
최근 세월호 참사 이후 수영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체육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포함되어 있는 수영 활동이 현장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대한 반성이 그
것이다. 한국의 초중고 체육관 설치율이 평균 80%대에 진입하면서 일본의 설치율 90%와
거의 비슷해진 반면 수영장 설치비율은 일본의 평균 50%대와 비교하면 한국은 5%이하
로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한국의 체육교사들은 임용고사를 통하여 대부분 수영 교육이
가능한 수준의 능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시설의 미비로 수영 교육을 제대
로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의식하여 지역의 스포츠 센터와 거점 수영장 등을
활용하여 교통비 및 이동수단을 제공하여 수영 교육을 도모하고 있지만 분명한 한계성을
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최근의 세월호 참사와 국회차원에서의 수영 교육 활성화의
목소리가 반영되어 일본 못지않게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한국도 수영 교육의 정
상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학교와 지역의 의료기관 전문가와의 연계에 관해서도 한국은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한
다. 학생들의 건강검진과 관련하여 지역의 의료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지만 학교
에서의 안전사고 예방과 조치에 관련해서는 대부분 119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학교스포츠
클럽이 활성화 되어 주말리그가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사고 예방과 조치를 위한 보건교사
및 의료 전문가의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일본은 2011년부터 초등학교, 2012년부터 중학교, 2013년부터 고등학교에 개정된 교육
과정을 적용하고 있다. 개정된 체육교육과정에서 주목할 것은 초등학생들에게 기초체력
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과 중고등학생들에게 필수로 이수해야 할 교과내용과 선택으로 이
수해야 할 교과내용을 구분 짓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까지
교과내용으로 ‘ 몸 만들기 운동’ 을 필수로 지정함으로써 유년기 학생부터 청소년기 학생이
즐겁게 활동하면서 건강과 체력수준까지 높아지는데 중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아직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체육 과목을 가르치지 않고 있는 한국의 체육교육에 시
사 하는 바가 크다. 통합적 활동 중의 하나로써 신체활동의 장점을 추구할 것이냐 체육
과목의 독자적인 가치와 효과성을 강조할 것이냐 하는 고민에 빠져있는 한국의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에 선례를 제공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67
또한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1학년에만 필수로 이수해야 할 교과내용이 있었고
2·3학년은 모두 선택 이수하는 교과내용으로 구성되었지만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는 1·2
학년이 필수로 교과내용을 이수해야 하고 3학년만이 선택적으로 교과내용을 이수하게 구
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무도와 댄스가 필수교과내용으로 지정되어 체력, 인성, 창의성, 사
고력, 판단력, 즐거움 등의 다양한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체육 수업 시간이 되도록 노력했
다는 점이다. 일본 교육에서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필수와 선택의 교과내용 간의 계열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만든 일본의 부교재 실기서의 예를 들면 구기영
역에 농구가 1,2학년 내용과 3학년에서 가르칠 내용에 계열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3) 일본의 운동부, 스포츠클럽,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이 주는 시사점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일본의 학교체육의 특징 중의 하나가 운동부 활동이다. 통상


‘ 부활동’ 으로 부르는데 70% 이상의 중학생과 50% 이상의 고등학생이 참가하는 명실상부
한 학교체육의 꽃이다. 학생들은 부활동을 하기 위해서 제반 경비를 거의 지출하지 않는
다. 부활동에 참가하고 싶은 학생들은 가입에 제한도 없다. 부활동을 하는 학생들은 대부
분 학업을 마치고 훈련에 참가하고 일정 수준의 학습능력을 지녀야 한다. 특히, 일본은
야구부 활동이 유명한데 고시엔 대회에는 고등학교 야구부 4200여 팀이 지역예선을 거쳐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 이 4200여 팀에는 다양한 수준의 팀이 섞여 있지만 팀 수준을 분
류하여 시합을 하지는 않는다.
최근 한국도 일본과 유사한 시스템으로 운동부와 스포츠클럽이 혼재된 학교 안에서의
스포츠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기존의 운동부는 유지하면서 스포츠 인권과 학습권에 대한
법령이 제정되고 주말리그 등을 실시하면서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또한 일반 학생들을
주축으로 학교 스포츠클럽이 구성되어 순수 아마추어리즘을 추구하며 리그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운동부 활동과 스포츠클럽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일부 운동부 활동
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제적 부담이 필요하고 고시엔 야구대회처럼 팀의 수준과 관계
없이 운동부 혹은 스포츠클럽 팀들이 모두 참가하는 대회는 개최되지 않고 있다. 일본의
선례처럼 학생들의 수준 혹은 팀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학교체육 테두리 안에서 활동
하는 모든 팀들이 시합을 함으로써 1%가 하는 스포츠에서 모든 학생들이 참여하는 스포
츠 활동으로 거듭 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추가하여 일본의 여학생 부활동 비율이 50%라
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여학생이 좋아하는 라켓 스포츠, 댄스 스포츠, 레저 스포츠 등의
스포츠클럽을 확대하고, 체육 교구 및 수업 자료, 여자 혼성 수업 방법, 체육 교구 개발

6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등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유럽 등에서는 지역의 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본
에서는 학교와 기업을 중심으로 스포츠가 발전해 왔기 때문에 학교를 졸업해 떠나게 되
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기회 역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학교 스포츠를 넘어
서 국민 모두가 각각의 체력이나 연령, 기술, 흥미·목적에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스포
츠를 즐길 수 있는 생애 스포츠 사회를 실현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주
1회 이상 스포츠 활동을 하는 비율은 약 35%로서 50%를 넘는 유럽의 선진국들에 비해
낮다고 한다. 그 목표달성을 위하여 가능한 한 조기에, 성인이 주 1회 이상 스포츠 활동
을 하는 비율이 2명 당 1명(50%)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스포츠 진흥정책이 추진되고
있다(최철호, 2010).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이다.
일본에서 학생들이 스포츠클럽 활동을 한다고 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학교 테두리 안에
서 행해지는 스포츠클럽이 아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을 일컫는
말이다. 종합 형 지역 스포츠클럽은 지역에서 다양한 스포츠를 사랑하는 어린이부터 노인
까지 모여 회원이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다세대·다종 번째 종합 스포츠클럽이다. 일본은
2013년에 3400여개의 종합 지역형 스포츠클럽이 운영 중인데 정부와 문부성은 지속적인
지원으로 이것을 확대해 나가는 중이다. 한국에서도 최근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과 유사
하게 지역의 스포츠 센터 등지에서 다양한 연령과 계층을 상대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것은 주로 청소년·성인에 의한 스포츠 동호회 기능과 학교 스포츠클럽의 기능을
겸비한 것으로 일본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지만 2011년에 80여 곳에서 2015년까지 500여
곳으로 양적 확장을 목표하고 있다. 정부, 체육회, 지자체 등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 참
가자들의 스포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유인 될 때 보다 활성화 될 것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본의 스포츠클럽 중 특이한 하나는 바로 ‘ 스포츠 소년단’ 이
다. ‘ 스포츠 소년단’ 은 스포츠를 좋아하는 아동들이 가입하여 스포츠 활동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체험과 야외활동을 겸하고 있다. 한국의 스카우트, 해양소년단과 유사하지만
중심이 스포츠 활동에 있느냐 수련에 있느냐 하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일본의 ‘ 스포
츠 소년단’ 은 현재 진행형인 한국의 학교 스포츠클럽의 운영형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학교 스포츠클럽이 단순이 스포츠 리그를 중심으로 하는 활동에서 벗어나 문화체험
과 야외활동으로 확장될 때 학생들은 보다 전인적 성장을 이룰 가능성이 높다. 선도적인
한국의 일부 학교에서는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에 캠프, 축제 등을 융합하여 이러한 역할
을 선도하고 있기도 하다.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69
(4) 일본의 학교체육 지도자의 다양화와 양성 시스템 강화가 주는 시사점

일본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와 체육 코디네이터의 배치는 한국의 흐름과 매우 유사


하다. 또한 무도와 댄스 수업의 필수화를 위하여 요구되는 지도자의 부족을 지역의 전문
가와의 협업을 통해서 헤쳐 나가는 모습도 한국의 교육과정 내 스포츠클럽 지도자 구성
에 지역의 스포츠 지도자를 포함시킨 것과 유사하다. 특이한 점은 일본이 무도 수업을 위
해 지역의 무술 전문가나 전직 경찰 등을 연수 강사나 수업의 외부 지도자로서 우선 활
용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한국은 교육과정 내 스포츠클럽 수업의 지도자로
서 교원 자격을 지닌 지도자를 선호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일본 역시 초등학교 체육전
담교사의 배치를 확대해 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체육전담교사의 확보와 스포츠강사
의 지원 정책을 지속하여 초등학교 체육교육 내실화를 가져올 전문적 지도자에 대한 관
심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

3. 독일

가.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1) 체육 정책 방향

독일 체육의 기본 정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① 자율성
② 체육진흥보완성(중앙 정부는 지방 정부가 행하기 어려운 업무를 보완한다는 원칙)
③ 단체 간의 파트너십

체육의 자율성은 독일 체육 정책의 가장 큰 특징이자 중요한 원칙이다. 모든 체육 관계


협회 및 클럽은 자율적으로 안전한 공간을 확보, 스포츠를 즐길 권리가 있으며 이는 그에
따른 책임 또한 그 자율성에 맞게 이행해야 한다. 이러한 자율성의 원칙은 독일 학교체육
구성 및 진행에도 영향을 크게 주고 있다.
체육 관련 기관 및 클럽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해야 하고 만약 부족한 금액이 있으면
주정부나 연방 정부에 사안을 제출, 연방 정부는 이에 합당하다 결론을 내리면 예산을 지
원해 준다. 이러한 과정이 독일 체육에서 말하는 체육진흥보완성이다.

7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체육 자체의 자율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각 주 정부는 파트너십을 구축, 협력하는 모
습을 가지게 되었다. 모든 주가 다른 정책 및 제도를 가지고 운영하기 때문에, 대학 입학
이나, 국외로 전학을 가는 경우 등의 중심이 될 만한 기준을 세우기 위해 각 주 정부 대
표가 모여서 새로운 안건이나, 원칙에 대해 합의점을 찾기 위해 토론을 하고 권고안을 내
는 식의 방식을 택하여 안건을 처리한다. 독일 헌법 7조에 의해 학교는 국가의 감시를 받
지만 교육기관의 관할권은 각 주에 있다. 교육기관에 관한 입법과 행정은 대부분이 주의
권한에 속하는데, 특히 학교와 대학교 그리고 성인교육, 연수교육 등은 주 관할이다. 독일
의 교육의 감독 책임은 기본적으로 각 주에 자치에 맡겨있으며 연방정부의 역할은 크지
않다(DOSB, DSLV & dvs, 2009).
일반적으로 독일의 체육장려는 자율성 원칙에 기반을 둔다. 따라서 국가는 체육협회들
을 여러 방향으로 후원하고 있다. 독일 연방은 첨단 스포츠만을 장려한다. 이런 점에서
연방의 재정보조는 훈련과 시합프로그램, 스포츠의료 관리, 트레이너의 육성과 급료 지불,
체육관의 건설, 체육학적 연구 부분에만 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덧붙여 장애인스포츠와
체육협회의 국제적 활동도 보조를 하고 있고, 체육교사가 제삼세계 국가에서 트레이너나
고문으로 일할 때 파견을 지원한다. 첨단스포츠를 장려하는 이유는 이것을 통해 스포츠
전반의 발전을 후원하려는 것이지만, 독일의 선수들이 유럽선수권이나 세계선수권경쟁에
서, 그리고 올림픽경기에서 다른 나라의 선수들과 동일한 기회를 가지고 참가할 수 있도
록 하기 위함이다(Der Deutsche Olympische Sportbund, 2009).

(2) 체육교과의 방향과 내용

독일에서 체육 과목은 아비투어(Allgemeine Hochschulreife, 대학입학 자격시험) 시험


과목으로 선정할 수 있다. 아비투어는 총 5과목 시험을 치르는데, 이 중 두 과목을 선택
할 수 있다. 이 두 과목에 체육을 선택하는 경우와 안 하는 경우 학교체육 수업의 시간과
질에 차이가 있다. 아비투어 과목으로 체육을 선택 할 경우 주간 4시간의 체육 수업을 들
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에서는 주간 3-4시간, 중·고등학교는 2-3시간임을 감안
하면 체육에 대한 할당이 높은 것이다. 아비투어 체육 과목은 이론 50%와 실기 50%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학교체육 시간에 이루어지는 할당량과 동일하다. 다만 입시 시험의 경
우 이론은 필기와 면접 이론 시험을 보고, 실기는 하나의 개인 종목과 하나의 팀 경기로
나누어 시험을 치르게 된다. 학교에서 보는 체육 시험은 입시 시험의 20%에 반영이 된다.
고등학교 최종 성적은 아비투어 성적과 내신을 총 반영하여 합산이 된다(Ministerium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71
fuer Kultus, Jugend und Sport Baden-Wuerttemberg, 2013).
이에 반해 입시과목으로 체육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체육의 비중은 그렇게 크지 않다.
비록 체육 과목을 주중 2시간 내외로 이수해야 하지만 많은 학생은 이런 경우 체육 수업에
대한 흥미를 많이 잃기도 한다. 이런 경우 최종 성적 반영에는 약 5-7.5%만 반영이 된다.
독일의 체육 수업은 기본과목 수업(Basisunterricht), 선택 수업(Wahlpflichtunterricht)
그리고 장애인을 위한 특별수업으로 나누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NRW주의 초등학교는 체
육교육은 새로운 방향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전까지 구기 종목 중심의 종목 스포
츠 초점에서 벗어나 움직임을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체육교육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체
육 수업에서 축구, 배구, 농구 등의 일정 스포츠를 가르치지 보다는, 움직임을 기초로 한
달리기, 던지기, 뛰기 등 기초 체육활동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다.

▪ 초등학생 학교체육활동 권고 내용
1. 달리기, 뛰기, 던지기
2. 물속에서의 움직임
3. 기구 활용 움직임
4. 체조, 리듬체조 및 댄스
5. 운전, 롤링, 슬라이딩
6. 파트너와 함께 싸우기
7. 놀이
8. 몸 움직임, 체력 증진

▪ 중·고등학생 학교체육활동 권고 내용
1. 몸이 인식과 운동 능력 향상
2. 게임 룰 이해 및 활용
3. 뛰기, 던지기, 육상
4. 수영
5. 체조 및 장비 활용
6. 체조 / 무용, 운동 예술
7. 스포츠 경기
8. 스케이트, 보트, 겨울 스포츠
9. 레슬링과 무술
10. 스포츠 이해

7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나.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1) 학교체육 활성화 프로그램

독일의 학교는 전통적으로 오전에만 수업이 이루어져왔다. 노드라인베스트팔렌


(Nordrhein-Westfalen, 이하 NRW) 주의 경우, 사회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가정의 구성
도 변화함에 따라 오후 시간을 학교에서 보낼 수 있는 방안을 찾았고, 2003/2004년부터
NRW 주 정부와 학교 그리고 스포츠클럽이 함께 협력하여 초등학생들이 방과 후에도 학
교나 스포츠클럽에서 수업 연계 과정을 들을 수 있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NRW
정부는 열린 종일학교 (Offene Ganztagsschule, OGS)를 만들어 초등학생들에게 오후에도
자율적으로 프로그램을 참여할 수 있게 만들었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각 주와 학교에 따
라 자율적으로 정하며 대게는 6개월마다 학부모가 참여하여 학교와 함께 결정한다. 학교
선생님들을 위해 보습교육 일환으로 2004에서 2009에는 종일학교(OGS)를 위한 교육 프
로그램 (Lernen für den Ganztag)을 만들었고, 스포츠 활동을 격려하는 BeSS
(Bewegung, Spiel und Sport, 운동, 게임 스포츠)프로그램을 NRW 지역 초등학교에 보급
했다. 학부모와 스포츠클럽, 학생으로부터 긍정적인 호응을 얻어, 2011년 가족, 아동, 청소
년, 문화 체육부(Ministerium für Familie, Kinder, Jugend, Kultur und Sport, MFKJKS)
와 지역 스포츠 협회와 공식적인 발전 협력협약을 맺었으며 2013년부터 NRW 정부는
1,000클럽에 각 1,000유로씩 지원하여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보급할 스포츠프로그램 개발
에 투자를 하고 있다(MFKJKS, 2014).
BeSS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의 건강 증진을 넘어 스포츠를 통해 인성 교육 및 개발에
효과적이라고 평가 받고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부모와 지역 스포츠클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역의 스포츠클럽은 주정부의 재정 및 정책적인 지원으로 더욱 적
극적이고 발전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하게 되었고 더 많은 수의 회원을 유치 할 수 있었
다. 또한 맞벌이 부부의 증가에 따라 학부모들은 오후 시간까지 노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육아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있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상호간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하는 BeSS 프로그램으로 인해 더욱 활발하게 학교체육 관련 정책이 논의되기 시작
하였다. NRW 주 정부는 이 프로그램을 양질의 확산 및 개발에 대한 분석 및 연구를 하
고 있다. 로란드나울 교수 (Roland Naul)가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2009년에서 2011년 사
이 실시된 열린 종일학교(OGS) 프로그램 및 BeSS 프로그램으로 인해 스포츠클럽과 종
일학교(OGS) 사이에 더욱 지역과 연관을 갖게 되었고, 장기적이고 양질의 내용을 포함한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73
교육적인 콘텐츠 보급에 대한 교육을 진행 중이다. (Naul, 2005b)

<표 Ⅲ-3> 열린 종일학교(OGS)의 예시7)


08:15 수업 시작
2:00 OGS 시작
12:00 – 12:45 제1 그룹 과제 및 자유시간
12:45 - 13:30 점심
13:30 - 14:15 제2 그룹 과제 및 자유시간
14:15 - 14:30 휴식 시간
14:30 - 16:00 그룹 참여, 프로젝트, 자유 놀이, 스포츠 체험
16:00 (금요일, 15:00) 종료

한편,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해 체육 수업에서 여학생들의 흥미와 체력을 배려해서


남녀의 흥미에 맞게 체육 수업을 꾸리고 있다. 예를 들어 여학생에게는 체조로 수업을 진
행하고 남학생들은 축구 경기를 통해 체육활동을 장려한다. 또한 독일내의 많은 주에서는
4학년이 지나면 체육 수업은 남녀 성별을 나누어 수업을 진행한다. 여학생들의 체력 및
흥미를 배려해서 시작하였지만 이에 대해 독일 내에서 남녀 공동 체육 수업에 대한 장단
점 토론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Naul, R., Hardman, Ken.,2002).

(2) 학교스포츠클럽과 스포츠 대회 운영

독일에는 약 91,000개의 스포츠클럽과 2700만 명의 회원이 자율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방정부는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이 외에도 미등록 된 수백
만의 스포츠 관련 기관 및 민간인 조직이 있다.
평균적으로 독일 7세에서 14세의 남자 청소년들은 또래의 여학생들보다 적극적으로 스
포츠클럽에 가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클럽 또한 최소의 비용으로 운동을 누구
나 즐길 수 참여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DOSB, 2009).
독일의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지역 스포츠클럽에 참여한다. 청소년을 위한 교
외활동을 조직하는 두 개의 단체가 있다.
첫째는 청소년올림픽대회(Jugend trainiert für Olympia, JTFO)와 연방청소년게임
7) 출처: http://do.nw.schule.de/paul-dohrmann-schule/unsereschule/ogskonzept.htm

7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Bundesjugendspiele)이다. 청소년올림픽대회 JTFO는 약 80만 명이 참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학교체육 대회이다. 1969년 학교 연합과 독일올림픽위원회 주최로 시작되
었으며 매년 경기가 열린다. 16개 주 8세부터 19세까지 남녀 청소년을 지역 예선을 거치
고 (5단계) 최종 경기를 통해 우승자를 가린다. 개인 및 단체 경기로 이루어 져있으며 진
행되는 종목 또한 다양하다. 2010년 겨울 학기에는, 배드민턴, 농구, 체조, 핸드볼, 유도,
노르딕스키, 탁구, 배구 종목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에게 경기 참가 기회를 제공하고, 경기
를 통해 공정함과, 팀 경기를 통해 동료애를 배우고, 열정 등 긍정적인 스포츠의 영향을
제공하며 특히나 올림픽 가치를 교육시키는 일환으로 매년 열리고 있다. 운동을 즐기는
습관을 들이는 효과와 함께, 뛰어난 능력을 가진 청소년을 발굴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초기의 목적과 달리, 올림픽의 가치에 대한 내용의 교육은 사라지고 경쟁심만 남
는 결과를 불러온다는 점에서 경기 진행 방식에 대한 회의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2010년 6월 8일부터 10월까지 독일 장애인체육회(Deutscher Behindertensport
Verband, DBS)와 함께 처음으로 탁구, 휠체어 농구, 수영을 종목을 중심으로 장애청소년
패럴림픽(JTFP)을 시작, 2차 대회는 2011년 6월 7일부터 10일까지 진행 되었다. 장애청소
년을 상대로 한 프로그램이 많지 않았었는데 전국적인 체육 진흥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 대회는 많은 호응을 얻으며 매년 열리고 있다.
연방청소년게임(Bundesjugendspiele)은 독일 대통령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매년 독일
각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종목별 뛰어난 성적을 거둔 학생들에게 대통령으로부터 증
서를 받게 된다. 던지기, 달리기, 멀리뛰기로 구성되어있으며, 학생들을 운동 격려를 위해
만들어 졌다. 하지만 이 증서가 차별을 불러온다는 의견도 있다.
독일 학생들은 휴식시간 및 점심시간을 활용한 스포츠 및, 동아리 활동 그리고 열린 종
일학교(OGS) 등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다. 특히, 독일은 생활체육 활성화로
시민 중 30%가량이 각종 스포츠클럽에 가입하여 체육활동을 하고 있는데 특히 학령기
연령 아동과 청소년의 스포츠클럽 활동 비율은 7∼14세의 남자 82.19%, 여자 62.62%, 15
∼18세의 남자 69.85%, 여자 48.43%로 매우 높다(DOSB, 2011). 이에 학교는 수업 외 프
로그램과 열린 종일학교(OGS) 프로그램에 지역 스포츠클럽과 협력하여 다양한 연계프로
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대부분 학교가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학교는 필요한 프로그
램을 운영하기 위해 주정부, 지자체, 지역사회, 민간기업, 학부모, 학생 등과 논의하고 이
를 통해 필요한 지원을 받는다. 독일 정부 또는 지자체의 정책이나 프로그램은 대부분 공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75
모제로 실시되고 있으므로 모든 학교가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
만 이를 필요로 하고 원하는 학교가 구비서류를 갖추어 지원하고 이것이 합당하면 정부
의 지원이 이루어진다.
각 주 체육연맹은 이들 특화된 클럽들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을 통해 스포츠 엘리트를
키운다. 독일 내 가장 인구가 많은 NRW 주의 체육연맹은 예산의 25% 정도인 1,500만유
로(약 266억 원)를 전문클럽에 지원한다. 주 내 2만여 개의 스포츠클럽 가운데 3,500개 정
도가 전문클럽이다. 국가대표급 선수들에겐 연방 차원에서의 지원이 이뤄진다. 결론적으
로 독일에선 학교운동부 개념이 없는 대신 스포츠클럽이 생활체육의 공간을 제공하고, 엘
리트선수를 양성하는 역할을 함께 하고 있는 것이다.
독일올림픽위원회와 학교 사이의 가장 긴밀한 협력은 엘리트스포츠학교(Eliteschulen
des Sports)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 세계최고가 되는 동시에 학교 과정을 마치자!”
라는 모토 아래 체육적 재능을 가진 청소년이 학교와, 생활 그리고 체육에 있다. 이 학생
들은 미래의 엘리트 선수가 되는 동시에 학교 교육을 받으며 훈련을 받으면서 두 분야
놓치지 않고 동시에 양질의 발전을 해 나가는 것에 목표를 두고 이루어지고 있다. 선수들
만을 위한 특별한 수업이 아주 세밀하게 계획되어 학생선수가 최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
게 조직되고 훈련이 되고 있다. 2014년 7월 29일 기준으로 독일에는 총 43개의 엘리트스
포츠 학교가 존재한다(www.kmk.org).

(3) 체육교사 및 지도자 양성

최근 독일에서는 국제 기준에 맞춘 학사, 석사 시스템으로 전환하였다. 체육교사가 되


기 위해서는 우선 학사와 석사 과정을 거치고 국가고시에 합격하면 교사자격증이 주어진
다. 우리나라의 사범대에 해당하는 레어암트(Lehramt)는 크게 초등교육을 위한 과정과
중·고등교육을 위한 과정으로 나눠진다. 전통적으로 레어암트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교육학을 전공 필수로 하고, 두 가지의 전공과목을 선택해서 공부해야 했으나, 최근 개정
된 학제 과정에서는 스포츠 외에도 다른 하나의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NRW 주 같은 경우는 초·중·고등학교를 분류하여 각각의 교사 양성 교육을 실시하
고 있다. 전통 학점제인 semester week hours (SWS)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보통 한 과정
은 두 개의 SWS로 제한되어 있다. 이는 일주일에 두 시간짜리 강의가 14주(여름학기, 4
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까지)에서 18주 (겨울학기, 10월 중순부터 2월 중순까지)까지
이루어진다. 한 과정에 대한 참여 시간이 보통 16주 × 2 SWS/주=32시간이다. 학사를 마

7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치면 석사(Master of Education) 2년 과정을 거치고, 이 과정에서 교육학 이외에 두 개의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체육과 함께, 영어, 수학 등을 전공) 석사 과정 중 5개
월 동안 교생 실습 기간(Praxissemester)을 거쳐야 한다. 이를 마치면 국가시험 (우리나
라의 임용고사)을 치르게 된다. 석사 졸업 후 2년간 교사가 되기 위한 과정
(Referendariat)을 마치고 최종 두 번의 시험을 통과하면 정식 교사의 자격을 얻게 된다
(Naul, R. & Völz, C., 2005).
최근 초등학교 체육 수업의 내용은 움직임에 대한 방향의 교육 (Bewegungserziehung)
으로 바뀌고 있다. 지상 및 수중에서의 작은 게임 등을 통해 움직임과 친숙해 지는 교육
을 한다. 중·고등학교 교사는 더욱 스포츠에 대한 룰이나 방법 등을 구기 종목, 체조, 댄
스, 수영 등을 주로 가르친다.
체육 교사의 전문성의 각 주 및 학교의 정책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전문성을 갖기
위해 각 체육교사의 전문 스포츠 종목별로 나누어 그 종목만을 맡아 가르치는 경우를 예
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자율적인 분위기와 정책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체육교사는 스포츠클럽이나 DOSB 혹은 대학 등에서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사의 추가
교육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워크숍이나,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이나 내용을 학습
하고자 하는 교사는 자유롭게 등록하여 수업을 듣고 자신의 전문성을 높이는 노력을 한
다. 하지만 이 또한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4) 체육정책 관련 조직

독일 체육의 통괄 상부 단체인 독일 올림픽위원회 (Deutscher Olympischer Sportbund,


DOSB)는 주문교부장관상임위원회(KMK), 체육부장관상임위원회(Sportministerkonferenz,
SMK)등과 같은 정치적 결정권을 가진 소속 조직 기관의 수장 역할을 맡고 있다. DOSB
의 주요 업무는 체육교육현장에서의 문제들을 조정하며 정치적 문제 및 학교체육의 발전
을 위한 새로운 탄력을 주기 위한 논의를 하고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독일 체육과학협회, 독일체육교사협회 및 독일올림픽위원회에 의해 2009년에 편찬 및
발의 된 체육 수업 및 스포츠를 위한 양해각서 (Memorandum to Physical Education and
Sport)에는 독일체육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환경개선을 위한 독일의 노력을 엿볼 수 있
다. 2009년 당시 학교체육은 열린 종일학교(OGS) 도입 및 김나지움(우리나라의 인문계
중·고등학교)의 학제를 13년에서 12년으로 줄이는 방안이 통과 되어 많은 혼선을 일으
켰다. 열린 종일학교(OGS)의 도입 초기에는 학교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로 인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77
해 예상치 못하게 스포츠클럽과 학교 간의 혼선이 곳곳에서 발생하였다. 일부에서는 학교
에 오래 남아 있는 학생들은 스포츠클럽의 훈련에 비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하였으나 스포츠클럽과 학교체육 수업을 연계하여 진행하는 방안이 제시되면
서 체육 수업의 질 향상 및 지역 스포츠클럽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DOSB, 2011).
독일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체육의 과외 활동으로 두 개의 단체가 조직되어 있다. 그것
은 청소년올림픽대회(Jugend trainiert für Olympia, JTFO)와 연방청소년게임
(Bundesjugendspiele)이다. 청소년올림픽대회 JTFO는 약 80만 명이 참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학교체육 대회이다. 1969년 학교 연합과 독일올림픽위원회 주최로 시작되
었으며 매년 경기가 열린다. 16개 주 8세부터 19세까지 남녀 청소년들이 5단계의 지역 예
선을 거쳐 최종 경기를 통해 우승자를 가린다. 개인 및 단체 경기로 이루어 져있으며 진
행되는 종목 또한 다양하다(JTFO, 2014; Bundesjugendspiele, 2014).
연방청소년게임(Bundesjugendspiele)은 독일 대통령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매년 독일
각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종목별 뛰어난 성적을 거둔 학생들에게 대통령으로부터 증
서를 받게 된다. 운동 종목은 던지기, 달리기, 멀리뛰기로 구성되어있으며, 학생들의 신체
활동 및 운동을 격려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 하지만 이 증서의 수여가 차별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어 비교육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Bundesjugendspiele, 2014).
각 주 체육연맹은 다양한 스포츠클럽 중에 특화된 클럽들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을 통
해 스포츠 엘리트를 키운다. 독일 내 가장 인구가 많은 노드라인베스트팔렌
(Nordrhein-Westfalen, 이하 NRW) 주의 체육연맹은 예산의 25% 정도인 1,500만유로(약
266억 원)를 전문클럽에 지원한다. 주 내 2만여 개의 스포츠클럽 가운데 3,500개 정도가
전문클럽이다. 국가대표급 선수들에겐 연방 차원에서의 지원이 이뤄진다. 결론적으로 독
일에선 학교운동부 개념이 없는 대신 스포츠클럽이 생활체육의 공간을 제공하고, 엘리트
선수를 양성하는 역할을 함께 하고 있는 것이다(Ministerium für Schule und
Weiterbildung des Landes Nordrhein-Westfalen, 2014).
반면 우리나라의 체육중·고등학교와 유사하게 독일 내 16개 지방자치단체에 분산된
엘리트슐레(Eliteschule des Sports)는 2014년 현재 총 41개가 있으며, 기숙사에서 머물며
체육 훈련 및 교육을 받고 있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국립인 우리나라와 달리 학비가 월
400∼410유로(약 72만원) 정도 요구되지만 선수들이 내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관련
종목 협회나 클럽이 지원한다(Deutscher Olympischer Sportbund, 2014).

7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다. 독일 학교체육 정책에서의 시사점

최근 독일 학교체육의 주요 사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DOSB, 2009).

① 체육교육을 통한 이중 목표 (스포츠 활동을 통한 개인의 발전 및 움직임, 놀이, 스포츠


문화의 발견) 달성
② 스포츠 및 스포츠클럽 종일학교(Ganztagschule)의 중요성
③ 주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원자격증 없이 진행하는 체육 수업
④ 학교체육을 통한 건강과 학교체육의 발전

SPRINT Study의 연구 결과 발표 이후로 독일 체육 시스템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많은


연구와 투자를 통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청소년들과 체육 교사들에게 보급하
고 있다. 독일은 생활 체육 및 스포츠클럽으로 유명한 나라이지만 현시점에서 보고되는
많은 논의는 해결하고 개선해야 할 문제로 가득하다. 체육 수업에 흥미를 잃는 학생들과
체육교사에 대한 자질 문제 그리고 기구 및 시설의 낙후로 인한 문제 등 독일 사회가 안
고 개선해 나가야 하는 문제가 많다. KMK 및 각 스포츠클럽 등 관계 담당자들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안건을 내고 개선을 위해 연구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열린 종일학교(OGS)의 BeSS 프로그램 또한 초등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주정부
와 학교, 학부모 및 스포츠클럽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독일
체육 정책의 제1 원칙인 자율성으로 인해 정책은 존재하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는 주체
가 불분명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 외에도 주간 3시간 체육 수업 및 학교와 스포츠클럽의 연계 과정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있어, 많은 체육교사가 확보되지 못한 지역은 이러한 스포츠클럽과의 연계 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 및 지원이 이루어 질 예정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독일의 체육 정책 및 역사에서 눈 여겨 볼 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정부와 학교 그리고 스포츠클럽 등이 체육의 중요성을 인지한다는 점과 인성교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목으로 받아들이고 필요성을 느낀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이 독일
학교체육의 정책을 논의하고 발전시키려는 다양한 계층이 활발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한편, 독일은 지난 4년간 연구와 정부-주-학교-클럽의 노력으로 체육 수업시간을 주당
3시간에서 주당 5시간으로 증가시켰다. 이에 대한 결과로 학생들의 체력은 지난 4년 동안
14% 증가하였고 공격적인 성향의 학생의 수가 반 이상 줄어든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학교체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① 체육 시설에 대한 투자 ①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79
전문가들의 연구 ③ 지속적인 자격을 갖춘 체육교사의 선발 및 관리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도 2008년 이후로 시행되고 있는 스포츠강사제도에 대해서 많은 의견이 있
지만, 독일의 예처럼 조금 더 구체적인 현 시스템의 평가와 문제점을 발견하고 시설 개선
과 학생들에게 체육의 흥미를 전달 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이 있는 강사 혹은 교사를 배치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체육 교사에게 수업의 자율성과 재량권을 주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끼게 하고, 이들에 대한 신분적인 안정을 찾을 수 있는 방법 혹은 포상 시스템을 도입
하여 초·중·고생에게 더욱 적극적으로 체육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
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4. 영국

가.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1) 학교체육의 정책 동향

영국은 1990년 이후 학교체육 및 유소년 스포츠에 더 많은 투자와 관심을 기울이고 있


다. 영국은 학교체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학교체육 정책 수립 및 실행을
위해 교육부, 보건부, 문화부를 비롯한 여러 기관들이 학교를 중심으로 이해 및 협력관계
에 놓이게 되었다(Houlihan, 2000). 최근에는 스포츠가 사회 통합, 건강 증진, 청소년 인성
함양 등 정부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판단하여 관련 기관의 협력적 참여를
강조하면서 2003년 이후부터 상당한 비용을 학교체육 및 관련 파트너십 구축에 투자하고
있다(정현우·박정준·최의창, 2013).
한편 영국 교육기준청(Ofsted)의 학교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에서 학교체육은 대체
로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체육활동은 학교 활동에서 중심축이 되고 있는데, 이는
정부의 적극적인 체육활동 지원 정책과 학교 현장에서 관리자나 교사가 체육활동의 활성
화와 학교 밖 체육활동으로의 연계를 독려하고 안내하는 노력의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http://www.ofsted.gov.uk/resources/school-sport-partnerships-1; 윤선인, 2013).
초기에 ‘ the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Sports Club Links’ (PESSCL)로 알려진 영
국의 학교체육 정책에 따라서 모든 학생들이 체육 수업과 School Sport를 매주 최소한 2
시간씩 이수하도록 하였다. 정책의 도입기인 2006년에는 75%의 참여율이 보고되다가

8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2008년에는 85%까지 올라오면서 성공이 예견되었으며, 2007∼2008년의 PESSCL 조사 결
과에 따르면 모든 학생들이 매주 2시간의 체육 수업과 school sport의 참여도가 93%까지
올라가면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2008년 1월부터 5세에서 19세까지 학생들이 참여하는 학교체육과 스포츠의 양과
질을 증진하기 위한 ‘ the PE & Sport Strategy for Young People’ (PESSYP)라는 새로운
정부 공약이 추진되고 있다. 2003년부터 지속된 5세에서 16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PESSCL 전략의 성공적 적용 결과가 보다 개선, 보완된 PESSYP 정책을 낳은 것이다. 이
정책은 국무총리의 발표로 지속적인 투자가 보장된 공익 서비스 공약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책에서는 5∼16세의 모든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2시간의 체육 수업과 3시간의
교과외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16∼19세의 학생들이 3시간의 야외 스포츠를 교육과정상 필
수적으로 이수하도록 하였으며, 스포츠 전문가 및 학교, School Sport Partnership 프로그
램, 정부 부처 및 기구, 지역 스포츠 기구 및 단체, 지역사회 관계자들이 협력해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주요한 사항이다.
영국의 학교체육의 활성화와 긍정적 성과 도출을 위하여 교육부, Youth Sport
Trust(YST), afPE(Association of Phsical Education) 등의 다양한 기관에서 협력하여 시
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영국 교육부에 소속된 체육교육 및 학교체육팀은 기본적으로 체
육교육의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관련 정책과 규정을 제정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afPE는 2006년 3월 23일에 영국 국회에서 체육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식적으로
설립한 체육교육 관련 지원 기관으로, 체육교육 정책과 지침을 따라 학교 현장의 체육교
육 적용 방안을 개발하는 일을 주로 하고 있다. YST의 경우 기금을 통해 다양한 체육활
동을 위한 프로그램, 교수 전략 및 이를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일선학교의 체육교사는 다양한 지원 체제를 활용하여 교내외 체육활동 및 각종 스포츠
경쟁 프로그램을 직접 추진하게 된다. 이처럼 영국의 체육교육 활성화 방안은 전문적인 체
육활동 프로그램을 후원하는 방식에서 체육교사에게 프로그램 운영의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8)

(2) 체육교육과정의 변화

영국의 체육교육과정은 새롭게 개정되어 2014년도 9월부터 학교에 적용될 예정이다.

8) 이 자료는 인터넷 http://www.ofsted.gov.uk/resources/school-sport-partnerships-1, http://www.ofsted.


gov.uk /resources/beyond-2012-outstanding-physical-education-for-all 사이트를 참고하였음.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81
영국의 새로운 체육교육과정의 운영 중점은 ‘ 경쟁’ 활동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이처럼 경
쟁스포츠 활동을 강조하는 이유는 시합 등의 겨루기 활동을 통해 스포츠에 대한 즐거움
을 느끼고 스포츠를 평생 지속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능력과 대인
관계능력을 기르는 데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특히 신체활동에 소극적이거나
상대적으로 비활동적인 여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는 믿음에 기초하여
이런 변화를 꾀하고 있다9).
그러나 경쟁 스포츠 활동은 학교 급에 따라 차이를 둔다. 우선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학
생들의 신체적 발달과 운동 기능에 맞게 경쟁 스포츠 활동을 적용하고 있다. 즉. 초등 단
계에서는 중등 단계처럼 직접적으로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것을 강조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표 Ⅲ-4> 영국 체육교육과정 목표

•다양한 신체활동을 능숙하게 수행할 역량을 기르기


•지속적으로 신체적 활동을 수행하기
•경쟁적인 스포츠와 활동에 참여하기
•건강하고 활동적인 삶을 살아가기

나.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1) 학교체육 활성화 프로그램10)

(가) 초·중학교의 ‘ School Games’ (스포츠클럽 경기 대회) 운영

영국의 School Games는 학교 내와 학교 간 경기로 진행되는 스포츠대회로, 학교의 상


황에 따라 점심시간, 방과 후, 주말 등에 이루어진다. 가장 작은 운영 단위로는 교내 클럽
간 게임이다. 이를 시작으로 학교 간 경기로 이어지고, 이후 지역 경기, 전국 규모 대회로
점차 확대되는 방식이다. 전국 대회의 경우 미니 올림픽의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
및 전국 규모의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 구성은 종목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9)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national-curriculum-in-england-physical-education
-programmes-of-study/national-curriculum-in-england-physical-education-programmes-of-study
10) 영국의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은 2014년 6월 영국의 교육부를 방문하여
면담한 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자료임.

8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개인 종목의 경우 우승자가 참여하고, 단체 종목의 경우 우승한 학교의 팀이 참여한다.
전국대회는 450여명 정도가 참여하며, 재정 지원은 정부의 문화미디어스포츠부와 관련 단
체인 Change4Life, Sport England 등에서 하고 있다.

(나) Sportivate(Sport+Motivate) 프로그램 : 뉴스포츠 보급 확대

영국에서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좋아하는 스포츠를 발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Sportivat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에 2012년도에는 £ 56,000의 기
금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스포츠를 즐기지 않는 14∼25세의 청소년들
에게 유도, 골프, 테니스, 웨이크보드, 육상, 자유 달리기 등을 포함하여 새로운 스포츠 또
는 접하기 어려운 스포츠 종목에 6∼8주 정도 참여하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참가
자들을 지도하기 위해 스포츠코치가 파견되며, 참가는 무료이거나 최소의 금액만을 내고
경험할 수 있다. Sportivate 프로그램은 현재 2011년 6월에 시작되어 4년의 운영을 계획
하고 있으며, 성공 여부에 따라 2017년까지 매년 £10,000을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 프로그램은 2013년 9월부터는 11∼13세도 참가하도록 확대하였으며 장애인과 흑
인, 소수민족들을 우선적으로 하여 참가 대상자를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한다.

(다) Satellite Club 정책

영국은 학교체육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평생체육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Satellite


Club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정책은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스포츠 경험을 제공하
여 평생 체육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학교와 지역 스포츠클럽을 연계해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다. 이 정책을 운영하기 위해 Satellite Club에는 코치와 활동 장비가 지원되고
있다. 이 정책의 가장 큰 목적은 학생들이 학교 스포츠 활동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
의 스포츠클럽 활동으로 연결해 클럽 구성원으로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정책에서는 14∼25세의 청소년들의 약 50% 정도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반드시 스포츠클럽 회원이 되지 않더라도 스포츠에 대한 친화력을 높이고,
나아가 활동적인 삶의 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은 주
로 방과 후에 지역사회에 있는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가하며, 학교에서 체육교사들은 학생
들이 클럽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체육 수업 및 활동을 통해 기본적인 지도를 하고 있다.
현재 44개의 에이전시가 학교와 클럽의 연계 업무를 대행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2017년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83
까지 모든 학교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체육교사 및 지도자 양성 및 운영

(가) 초등학교 ‘ 체육전담교사’ 양성 제도의 시범적 운영

영국도 한국과 유사하게 초등학교 체육 수업이 상대적으로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인식이 있다. 초등학교에 ‘ 중년의 여교사’ 비율이 높고, 여교사들이 성장 과정에서 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남아 있어 체육 수업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가 여러 과목을 지도하면서 상대적으로 체육 수업에 소극적
이라는 평가도 내리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3년 10월부터 체육
을 전담해서 지도할 수 있는 ‘ 교사 연수과정’ 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연수 과정에
는 현재 120명이 참여하고 있다. 연수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초등학교 교사 양성 과
정에 있는 사람으로 ‘ 체육 전담’ 희망자를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초등학교의 체육전담교
사 양성 프로그램이 성공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매년 체육전담인력을 확대하여 양성할 계
획이라고 한다.

(나) YST의 스포츠지도자 양성 프로그램

YST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체육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지도자 교육을 4일간의


기본 과정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를 이수한 지도자는 초등학교의 보조 코치, 학교의 스포
츠클럽 및 방과 후 활동 등에 지원할 수 있다. 기본 과정을 이수한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4일간의 심화 과정 연수도 운영하며, 심화 과정 연수를 이수한 사람은 지역의 다른 지도
자들을 지도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게 된다.

(3) 영국 체육 단체의 학교체육 지원 사례 및 조직 운영

(가) 청소년 스포츠 재단(Youth Sport Trust, 이하 YST)

YST는 1994년 Sir John Beckwith의 기부에 의해 생긴 비영리 단체로 영국의 대표적
인 청소년 스포츠 활동 지원 단체이며, 학교체육 지원, 스포츠지도자 양성, 체육교육과정
개발, 스포츠 관련 프로그램의 보급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11). YST는 ‘ 스포츠가 삶

11) http://www.youthsporttrust.org/how-we-can-help.aspx

8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을 변화시킨다.’ 는 신념을 갖고, 유소년 및 청소년들이 양질의 체육교육과 스포츠 활동을
제공받음으로써 스포츠와 일상생활에서 최상의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돕겠다는 목적으로
학교에 프로그램 및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YST는 1994년부터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 수업을 지원하는 자료 개발 프로그램인
<TOPS program> 개발, 제공하여 유소년의 체육 및 스포츠 프로그램의 수준을 높이는
데에서 시작해 1997년 체육중점학교 설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음. 2000년대에 들
어서서는 본격적으로 학교스포츠 파트너십 프로그램 운영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YST는 학교스포츠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실행해 체육 정책과 스포츠
정책을 하나로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2008년까지 85% 이상의 학생들이
체육 및 학교스포츠에 참여하도록 하고, 주당 체육 수업 2시간, 방과 후 스포츠 활동 3시
간 참여의 정책 시행에 핵심적인 활동을 한 바 있다. YST는 스포츠를 시작하게 하고
(Sporting Start), 배울 기회를 주며(Sporting Chances), 잘하게 만들겠다(Sporting Best)
는 비전을 가지고 파트너십이 형성되어 있거나 멤버십에 가입되어 있는 학교와 지역사회
에 체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할 지도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YST는 교육부 및 여러 체육 단체, 그리고 체육교사 등과 협력하여 체육교육과정을 개
발하는 데에도 참여하였으며, 학교스포츠 파트너십 효과를 감독하고 측정하기 위해 학교
평가 기관인 Ofsted와 함께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 정도와 제공되는 스포츠 활동의
수, 성별 및 인종에 따른 참여율의 차이, 스포츠 활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 학생의 스포츠
활동 성취도, 파트너십 운영 실태, 학교 내 및 학교 간 스포츠 경기 참여도 등을 조사, 평
가하고 있다. 또한, 국내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제 활동도 펼치고 있고,
체육교육이 낙후된 나라에 교육과정을 비롯해 체육프로그램 및 스포츠를 통한 긍정적 효
과를 추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나) 체육교육연합회(Association for Physical Education, 이하 afPE)

afPE는 학교체육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한 영국 국회의 동의로 2006년에 기존의 체육교
육 단체였던 British Association of Advisers & Lecturers in Physical Education(baalpe)
와 The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PEA UK)을 통합하여
설립되었다12). 영국 정부는 학교체육 정책을 수립할 때 보다 공식적이고 단일한 협의 파
트너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afPE(체육교육연합회)를 공식 파트너로 인정했다.

12) http://www.afpe.org.uk/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85
afPE는 체육교육 관련 연구논문과 현장 교사들의 수업 경험이 담긴 책자를 연 3회 발
간하며, 체육교육과 관련한 주제로 정기적인 포럼도 개최하여 회원들의 체육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afPE는 공식적으로 ‘ 학교체육교육의 질이
우수하다’ 고 평가, 인증하는 ‘ Qualification Mark’ 를 발급하고 있는데, 이 마크를 받은 학
교는 Ofsted(학교평가)에서도 우수한 학교로 평가, 인정받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양질의
체육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비만 문제 해결, 정신적 문제 감소, 학교 출석률 개선, 비행 행
동의 감소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여러 부분에서 우수한 학교로 변화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인식을 낳고 있다.
afPE와 YST의 다른 점은 YST가 스포츠 참여 확대를 통한 긍정적 효과를 꾀하는 체
육 단체의 성격을 갖는 반면, afPE는 학교에서 일어나는 체육교육의 개선에 더 중점을 두
며 체육 수업을 연구하고 체육교사들과 자료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체육교육 단체의 성격
을 가지고 있다. 가령 afPE는 이전 정부에서 초등학교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배치한 특
정 종목의 스포츠코치(YST의 지도 자격 수여자)들이 운동 기능은 우수할지 모르나, 초등
학생을 체육교육 목적에 맞게 적절히 지도하기에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다소 부정적인 입
장을 취하고 있다. YST와 마찬가지로 afPE 역시 교육부 및 여러 체육 단체, 그리고 체육
교사 등과 협력하여 체육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다)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조직 운영

영국은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정부 및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영국은 학교체육 정책 방향 수립과 시행 및 점검에 여러 정부 부처와 관련 기관이 관여
하고 있다. 이에 관여하는 조직 중에 정부 부처로는 교육부(Department for Education),
문화미디어스포츠부(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보건부(Health
Department) 등이 있으며, 체육 관련 단체로는 스포츠잉글랜드(Sport England, 일종의 생
활체육협회), 청소년 스포츠 재단(Youth Sport Trust), 체육교육연합회(Association for
Physical Education) 등이 있다. 이외에도 사안에 따라 현장 교사, 체육교육 전문가 등의
실제적 관련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 부처와 체육 단체 및 체육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협의체에서는 교육부를
중심으로 학교체육 정책 시행의 운영 점검과 향후 방향 논의를 위해 정기적으로 6주마다
1회의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각 기관들은 이 회의에서 각자의 목적에 따라 재정 지원 및
정책적 참여를 하고 있고, 교육부는 학교교육의 관점에서 학교체육 정책을 점검하고 문제

8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를 해결해 나가고 있다.
영국은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조
직 운영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체
육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학교스포츠
파트너십(School Sport Partnerships:
SSPs)을 구축함으로써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학교체육 진흥 정책을 구현
하고자 하는 것이다13). 이러한 파트
너십의 목표는 학생에게 양질의 체육
교육과 학교스포츠 참여의 기회를 제
공해 스포츠를 통한 사회성 및 인성
을 함양하고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학교스포츠 파트
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의 질을 [그림 Ⅲ-1]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협의체 조직
향상하고, 특히 초등학교에 자격을
갖춘 코치를 배치하며, 학교 시설을 보강하고, 학교와 클럽 및 학교와 학교 간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모든 학생의 체육활동 참여를 늘리며, 보다 다양한 스포츠를 체험하게 함으
로써 학생의 성취 및 동기를 증가시키고자 한다(정현우·박정준·최의창, 2013; Flintoff,
2003). 이 정책은 2000년 9월부터 시작되어 2007년에는 460개의 파트너십에 이르고 있고,
잉글랜드의 모든 학교(21,717개교)가 파트너십에 소속되어 있다. 학교스포츠 파트너십은
체육중점학교를 축으로 몇 개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가 그룹을 이루어 함께 프로그램을
운영함. 즉, 파트너십에 소속되면 체육중점학교의 파트너십 매니저를 중심으로 4∼8개의
중등학교가 연결되며 각각의 중등학교는 1명의 학교스포츠 코디네이터를 지원받는다. 또
한, 하나의 중등학교에는 4∼8개의 초등학교가 파트너십을 이루어, 이곳에 배치된 초등체
육지원교사를 중등학교와 연결해준다.

13) 학교스포츠 파트너십은 잉글랜드를 중심으로 실시된 프로그램으로 2000년대 영국 학교스포츠 정책으
로 대표적인 <The PE School Sport and Club Links: PESSCL>(2003∼2007)와 <The PE and Sport
Strategy for Young People: PESSYP>(2008∼2011) 정책의 핵심 내용이며, 초중등 체육 및 학교스포
츠 진흥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정현우·박정준·최의창, 2013; Flintoff, Foster & Wystawnoha,
2011).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87
[그림 Ⅲ-2] 파트너십 프로그램 운영

파트너십 매니저는 파트너십을 전반적으로 관리·운영하며, 각 학교의 스포츠 코디네


이터는 학교 내 파트너십에 대한 운영 업무를 수행하며, 경기 운영 매니저는 지역 학교
간 스포츠 경기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코디네이터와 초등지원교사와 협력하여
학교 간 스포츠 축제 및 학교별 스포츠 대항전 개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나아가 우
수 선수와 코치를 연결해 주기도 함(정현우·박정준·최의창, 2013).
영국은 학교체육 활성화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순환적인 중점 지원 방식
운영을 모든 학교급에 동시에 지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학교 급별로 재정 및 기타 운영을
집중 지원하는 시기를 달리하고 있고 있다. 현재 영국에서는 약 70%의 초등학교에 재정
지원을 하고 있고, 이 중 체육교육을 위해서는 주로 학교의 체육 시설 개선, 체육교사의
교육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예산 운영은 각 학교의 자율에 맡기고 있으
며, 다음 해에는 중학교에 중점 지원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다. 영국의 학교체육 운영 사례

(1) 브레튼햄 초등학교(Brettenham Primary School)의 체육교육

브레튼햄 초등학교는 런던 외곽의 매우 낙후된 지역에 위치한 공립학교로, 청소년 비행


및 다문화 가정이 많고, 무질서하며 학교 주변의 교육 환경이 좋지 않았다. 이 학교의 장

8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은 체육 전공자로 14년 전 교사로 부임한 이래 학
교 상황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 신체활동’
이 비행을 줄일 수 있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도
모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신체활동을 활성화하는
체육 수업을 꾸준히 확대하였다.
처음에는 다른 교사들의 반발이 심했고, 학교장의
의견에 동조하지 않았으나, 담당했던 학급부터 적극
적인 신체활동을 꾸준히 시도한 결과, 학생들이 변
화하기 시작하였음. 이에 다른 교사들의 공감이 확
산되면서 현재는 체육교육의 우수 학교로 인정받았
으며, 지역사회에서도 두드러진 교육 효과를 내고 [그림 Ⅲ-3] afPE의 멤버십 인증
있다14).
브레튼햄 초등학교(Brettenham Primary School) 체육교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담교사’를 중심으로 하여 한 학급을 3명의 교사가 지도하는 체제이다. 한
학급은 약 30명으로 구성되며, ‘ 체육전담교사’ , ‘ 체육보조교사’ , ‘ 담임교사’ 의 3명이 학생들
을 지도한다. 체육 수업을 진행하는 3명의 교사가 하나의 팀으로 활동하며, 수업 내용별로
한 학급을 수준별로 3개의 조로 나누어 각각 한 조씩 담당하여 지도한다.
따라서 체육전담교사는 체육 수업을 전반전으로 진행하고, 보조교사(체육전공자)는 체
육전담교사의 수업 과제 부여에 따라 다른 조를 지도하며, 나머지 담임교사는 기능 수준
이 가장 낮은 조를 지도한다.

[그림 Ⅲ-4] 브레튼햄 초등학교 체육 수업 장면

14) http://www.brettenhamprimaryschool.co.uk/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89
둘째, 점심시간에 전교생의 체육활동 참여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점심시간에 전교생이 운동장 및 학교 곳곳에서 농구, 피구, 하키, 풋살, 이어달리기, 줄
넘기 등의 다양한 신체활동을 수행하고, 교사 또는 자원봉사자가 안전 관리를 위해 동석
한다. 경기 규칙이 필요하거나 부상 위험이 있는 스포츠 활동의 경우에는 교사가 개입해
한 종목씩 담당하여 심판을 보거나, 전체적인 진행을 돕고 있었으며, 간단한 게임이나 개
인 활동은 학생들끼리 자유롭게, 자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은 개인의 흥미에 따
라 다양한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활동 중에 ‘ 식사 인솔 교사’ 가 피켓을 들고 점심
식사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면 해당 학생들은 식당으로 안내받고, 식사 후 남는 시간
도 자유롭게 신체활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징적인 것은 스포츠나 놀이를 즐기지 않는 학생들은 조용한 공간에서 독서를 하
도록 배려하고, 적극적인 신체활동 후 가벼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그림 Ⅲ-5] 브레튼햄 초등학교 점심시간 체육활동 장면

셋째, ‘학생맞춤형 체육 공간’의 마련 및 체육 시설을 짜임새 있게 배치하여 활용하고


있다. 잔디 운동장을 제외하고 신체활동이 가능한 공간의 바닥에는 다양한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피구장, 농구장, 체력훈련장, 이어달리기장, 풋살구장 등을 마련해 놓고 있다. 또
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선을 그려 놓고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수업을
구상하며, 소규모 체육관 내에도 학생들이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하고 충분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체육관 벽은 체육활동 및 다양한 동작을 보여 주는 학생 사진을 게시하여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교실 복도 등에 알림판을 설치하여 학생들이 제작한 스포츠
소식과 클럽 활동 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활용하였다.

9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그림 Ⅲ-6] 브레튼햄 초등학교 체육 시설 활용

(2) 쿰베 여학교(Coombe Girls’ School)의 체육교육

쿰베 여학교는 런던 외곽에 위치한 여자 중·고등학교로, 조용한 주택가 내에 위치하여


학교교육 및 수업 환경은 양호한 편임. 학급당 30명 내외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육관, 잔디운동장, 농구장 등의 체육 시설을 확보하고 있다15).
체육 수업 내용의 구성은 상급학교 진학에 관심이 많은 중등학교의 현실적 상황을 고
려하여 중학교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고등학교는 개인의 흥미
에 따라 자유롭게 활동을 선택하여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
지역사회의 스포츠 단체와의 연계하여 수업 및 체육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쿰베 여학교에서 관찰한 중학교 체육 수업은 ‘ 창던지기’ 였고, 같은 시간에 운동장 다른
공간을 이용해 진행한 고등학교 체육 수업은 ‘ 라운더스’ 수업이었다. 두 가지 수업 내용
모두 한국에서 적용 사례가 극히 드물거나 많지 않은 내용으로, 이 학교에서는 여학생들
이 새로운 스포츠 경험을 하는 데 의미를 두고 수업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 창던지기’ 수

15) http://www.coombegirlsschool.org/sportingclubs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91
업의 경우 ‘ 학생 안전’ 에 대한 교사의 사전 지도와 수업 활동 중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도록 안전한 활동을 유도하는 내용으로 조직화된 수업 전개 과정이 특징적이었다.
교사는 체육관 벽에 설치된 칠판을 이용하여 체육 수업의 목표와 활동 내용을 안내하고,
여기에 평가 기준도 자세히 제시하여 성취 내용 및 수준을 학생들과 사전에 충분히 공유
한다.

[그림 Ⅲ-7] 쿰베 여학교체육 수업 및 체육평가 기준 안내

앞서 언급한 것처럼 쿰베 여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체육 수업에 활동하는 것 이외에 지


역사회의 스포츠 센터 등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
를 통해 학교 내의 스포츠 활동에서 더 나아가 지역사회의 체육 프로그램의 참여로 연계
하여 스포츠 친화적인 태도를 기르고, 평생 체육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의 체육 정책 방향과 동일하게 실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 영국의 학교체육 정책에서의 시사점

(1) 체육 관련 기관의 통합된 협의체 구성 및 지속적이고 안정적 운영

영국의 경우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협의체가 6주마다 정기적으로 모여 학교체육의


운영 방향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기 위한 협의를 하는 의미 있는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학교체육에 관련된 안건들은 여러 입장이 포함될 수 있어
관련 기관 간의 협력이 요구된다. 영국의 경우 3개의 정부 부처와 체육교육 단체, 스포츠
단체, 교사 및 체육교육 전문가를 망라하여 협의체를 구성하여, 학교체육 정책 수립, 시행

9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점검 등을 조직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교
육 및 체육 교사 단체, 대한체육회, 국민생활체육협의회 등에서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 학
교체육발전협의체’ (가칭)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유관 기관들로 구성된 협의체
가 실질적으로 긴밀한 협조 하에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논
의를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2) ‘학교체육전담기구’ 설립과 운영

영국에서도 때로는 체육교육 단체와 스포츠 단체 간의 견해 차이로 협의체에서 단일한


정책 수립 및 시행 방안을 정하기 위한 충분한 논의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이
에 따라 중심은 교육부에 두고 협의체를 운영함으로써 학교교육에서의 체육교육 활성화
의 입장을 주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학교체육은 각 부처 또는 기관들의 이해관계와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실행될 수 있어 학교 현장의 지도자들이 혼란을 경험하
거나 큰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 학교교육 내의 체육교육” 이 근간이 되
도록 교육부가 중심이 되어 부내에 ‘ 학교체육전담기구’ 를 두고 학교체육의 제반 정책 시
행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현 정부에서 기대하고 있는 하나의 교과
이상의 체육교육 역할을 고려하여 볼 때 ‘ 학교체육전담기구’ 를 설치하여 혼란을 줄이고
정책 시행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요구된다.

(3) 초등학교의 체육교육 내실화를 위해 체육교사 지원과 ‘체육전담교사’ 양성 과정


신설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교사의 체육교육 전문성을 확보, 강화할 수 있는


실질적 정책이 필요하다. 영국에서도 학교급에 소속된 교사 특성상 초등학생들의 체육 수
업이 내실 있게 진행되지 못하는 현상이 문제가 되어, 양질의 체육 수업을 제공하기 위하
여 교사를 지원하는 방안과 체육전담교사를 양성하는 두 개의 방안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스포츠강사를 지원하여 초등학교 체육 수업을 돕고, 초등학교 교사들
의 체육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연수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혁신과
실질적 효과를 고려해 볼 때 ‘ 체육교과’ 를 전담하는 교사 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초
등학교 체육교육을 위하여 초등교육과 체육교육의 전문성을 고루 갖춘 ‘ 초등체육교사’ 가
요구되기 때문에 교사 양성 과정에서부터 ‘ 초등체육교육 프로그램’ 을 운영하여 이수자를
대상으로 체육을 전담하는 교사로 임용,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기존의 스포츠

Ⅲ. 국외 학교체육 정책 동향 • 93
강사를 일정한 연수를 거쳐 ‘ 체육전담의 교사’ 로 임용하는 방식은 형평성과 교육전문성의
확보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영국의 정책 사례에서도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양성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양성 과
정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연수 과정을 운영, 인력 확보를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교육
대학에서 초등교사로서의 기본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 중에서 4학년에 ‘ 초등체육교
사’ 를 희망하는 지원자를 선발하고, 이들에게 ‘ 초등체육교육 프로그램’ 이수 과정을 거치
도록 하여 이를 대상으로 초등체육교사로 선발하는 방식을 추진하도록 제안한다.

(4)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교육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방안 운영

영국의 YST에서는 스포츠강사의 경력과 역량에 따라 급을 구분하여 지도 대상과 시간


을 제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스포츠강사의 질적 확보를 위해 연수가 이루어
지고 있지만,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제로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전문
성 강화라는 측면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스포츠강사의 수준에 따라 스포츠를 경험하
는 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많은 편이며, 학교 현장에서 학생에게 직
접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면에서 스포츠강사 자질 확보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스포츠강사의 경력과 역량에 따라 급을 구분하여 지도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제
도적으로 전문성을 갖추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강사를
경력과 역량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하고, 1급은 중·고등학교 학생, 2급은 초등학생
만 지도가 가능하도록 하며, 지도 가능한 시간도 차별화하는 등 스포츠강사 교육의 질을
제도적으로 보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포츠강사의 급에 따라 시간당 강사비를 달리 책
정하여 지급할 수 있는 기준도 마련되어야 한다.

9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1. 실태 및 요구 조사의 개요
2. 정책의 시행 실태 분석
3. 학교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4. 정책의 모범 시행 사례 분석
1. 실태 및 요구 조사의 개요

연구 목적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이 본연의 취지나


추진 방향에 적절하고, 추구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시행되고 있는지 실제 학교체
육 현장을 점검하고, 결과를 반영해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제고하는 개선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정책에서 추진하고 있는 과제들의 전반적 측면에서 시행의
실제를 보여주는 근거 자료를 수집하고, 다면의 증거에 기반 해 정책을 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실질적인 정책 효과의 제고 방안과 향후의 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책
의 시행자와 수요자 양측의 입장을 고려한 실태를 반영하고 각각의 요구와 의견을 조사
를 통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실태 및 요구 조사가 시행되
며,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에는 수집, 조사된 다양한 자료가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실태 조사에서는 조사의 대상이 되는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
료 수집을 위한 조사 방법을 달리 적용하였다. 즉, 대상 집단이 대규모인 경우 무선 표집
을 통한 설문 조사 방법으로, 또한 대상 집단이 소규모 또는 특정할 경우 가능한 최대 범
위를 포함하여 심층 면담 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즉, 정책의 적용 대상자인
교사와 학생의 경우는 모집단이 다수이기 때문에 무선 추출을 통해 선정된 집단에 설문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고 적절한 자료 수집 방법이라고 할 수 있고, 특정한
자격을 가진 대상자로 모집단 자체가 소규모인 정책 운영자 집단 즉 학교체육 정책을 운
영하고 있는 시ㆍ도교육청 담당자의 경우에는 가능한 모든 혹은 대표가 되는 집단을 깊
이 있게 조사하여 심층적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양질의 정보를 수집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각각에 적합한 방법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실태 및 요구 조사에 대한 진행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식화하여 제시하면 다음
[그림 Ⅳ-1] 과 같다.
실태 및 요구에 대한 설문 조사 내용은 응답 대상의 성격과 특성에 적합한 내용을 중
심으로 문항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설문지는 크게 교사용, 학생용으로 구성되었
고, 교사와 학생의 경우 초, 중, 고등학교 각각에 해당되는 적합한 질문을 적용해 정책이
적용되는 주제에 따라 일부 문항이 학교급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제시되어 총 6종이 조사
에 사용되었다. 각 집단에 제시된 설문지는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양적 조사 결과에 내포된 의미를 보다 심층 분석하고, 소수 집단인 정책 운영자 즉, 각
시ㆍ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청에서 학교체육 업무의 담당자들의 현장의 정책 운영에 대한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97
실태와 의견을 조사, 수집하여 보다 타당한 해석을 도출하기 위해 면담 조사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구하고자 하였다. 면담 조사는 제작된 면담지를 1차 배포하여 서면으로
의견을 수집하고, 2차적으로 대면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해 분석을 위해 필요한 자료의 수
집을 공고히 하였다.

[그림 Ⅳ-1]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실태 및 요구 분석 개요

가. 조사 방법

(1) 설문 조사

설문 조사를 위한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교육청별 유층 표집


(stratified sampling) 방식으로 약 3%의 초, 중, 고등학교를 무선 표집하였고, 이에 초등
학교 150개교와 중학교 100개교, 고등학교 80개교를 최종 선정하였다. 조사를 위해 설문
에 응답할 교사는 각 학교에 2명씩으로 초등학교는 5, 6학년을 담당하는 체육전담교사 혹
은 담임교사,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체육 교사로 응답자 요청을 하였고, 최종적으로 초등
학교 교사 194명, 중학교 교사 140명, 고등학교 교사 87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 참
여 교사의 특성은 다음 <표 Ⅳ-1>과 같다.
학생 설문 조사를 위한 대상은 학교급별로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기와 학교체육 활성
화 정책 적용 시기를 고려하여 해당 내용을 직접 그리고 가급적 오랜 기간 경험한 학년
인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선정하여 학교별로 1학급, 약
3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은 최종적으로 초등학생 2,714명, 중학생
1,996명, 고등학생 1,233명이었다. 설문 참여 학생의 특성은 다음 <표 Ⅳ-2>와 같다.

9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1> 설문 참여 교사의 표본 특징
초등교사 중등교사 고등교사
변인 구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남 126 64.9 121 86.4 74 85.1
성별
여 68 35.1 19 13.6 13 14.9
20대 32 16.5 9 6.4 2 2.3
30대 74 38.1 52 37.1 26 29.9
연령
40대 69 35.6 39 27.9 15 17.2
50대 이상 19 9.8 40 28.6 44 50.6
대도시 70 36.1 52 37.1 41 47.1
중소도시 82 42.3 59 42.1 36 41.4
소재지
읍면지역 42 21.6 28 20.0 9 10.3
무응답 0 0.0 1 0.7 1 1.1
담임교사 93 47.9 57 40.7 25 28.7
부장교사 46 23.7 50 35.7 28 32.2
현재 직책
교과전담(초) 또는 담당(중,고) 교사 54 27.8 30 21.4 33 37.9
무응답 1 0.5 3 2.1 1 1.1
남녀공학 95 67.9 43 49.4

학교형태 남학교 32 22.9 25 28.7


(중, 고) 여학교 12 8.6 18 20.7
무응답 1 0.7 1 1.1
전체 194 100.0 140 100.0 87 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99
<표 Ⅳ-2> 설문 참여 학생의 표본 특징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변인 구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남 1,456 53.6 1,190 59.6 627 50.9
성별 여 1,257 46.3 800 40.1 605 49.1
무응답 1 0.0 6 0.3 1 0.1
대도시 1,017 37.5 783 39.2 512 41.5
중소도시 1,210 44.6 774 38.8 549 44.5
소재지
읍면지역 463 17.1 421 21.1 171 13.9
무응답 24 0.9 18 0.9 1 0.1
남녀공학 1,406 70.4 651 52.8

학교형태 남학교 399 20.0 322 26.1


(중, 고) 여학교 174 8.7 244 19.8
무응답 17 0.9 16 1.3
전체 2,714 100.0 1,996 100.0 1,233 100.0

설문 조사는 2014년 7월 9일부터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각 학교급별로 작성된 설문지


가 우편 발송을 통해 전달, 수합되었다.

(2) 면담 조사

면담 조사를 위하여 17개 시ㆍ도교육청 및 각 지역교육청에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대상자는 업무 담당
자로 각 시도의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으며 17개 시도에서 1명 이상 참여(교육청 규모가
비교적 큰 서울, 경기, 부산 지역에서 2명 참여)하여 총 20명이 면담 조사에 응하였다. 면
담 조사는 면담지를 미리 제공하여 관련 정보를 얻고, 면담자별로 추가 또는 심층 조사가
요구되는 내용을 정리하여 오프라인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 조사는 주로 정책 운영 실
태 및 운영상에 나타난 문제점 및 개선 사항을 중심으로 시행되었으며, 설문 분석과는 별
도로 정책 운영자 입장에서의 실태와 의견을 수집하였다.

10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나. 조사 내용

정책 시행 실태 및 관련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에서 얻고자하는 실증적, 구체적


분석 자료 내용들을 정책 목표와 이에 따라 시행된 세부 과제를 중심으로 전문가 논의를
통해 다음<표 Ⅳ-3>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 Ⅳ-3> 실태 및 의견 조사 내용
정책
세부 과제 조사·분석 내용 조사 방법★ 분야
목표
∙학교스포츠클럽 시수 확대 활용 현황(중
수업 시수 학교 3학년)
설문(교사) 실태
체육활동 확대 ∙고등학교 시수 운영 현황(10단위 이상, 6
의 학기 편성·운영)
내실화 ∙체육활동 참여 시간 및 내용
정규 설문(교사, 실태/
체육 수업 개선 ∙정책 적용이 정과 체육 또는 학교내 체육
학생) 인식
교육 교육에 미친 긍정적 영향
과정의 초등학교 실태/
내실화 ∙배치 현황(배치 여부 및 선정 조건) 설문(교사,
체육 전담 교사 인식
∙성과에 대한 인식 및 개선 요구 사항 교육전문직)
지도 배치 확대 및요구
역량의 초등학교 ∙배치 현황 설 문 ( 교 사 , 실태/
강화 스포츠강사 ∙활용(역할) 상황 전문가, 교육 인식 및
배치 지원 ∙활용 효과 및 개선 요구 사항 전문직) 요구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실태
∙정책 시행 전후 지원 비교(2013년/2014년)
학교스포츠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및 지원상의 문제점 설 문 ( 교 사 ,
실태
클럽 지원 및 개선 요구 교육전문직)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에 대한 타당성
인성교육 의견 및 개선 요구
학생 실천을 자료 분석(‘체
자율 위한 인성교육
∙인성교육 목적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상 육교육활성화
체육 학교스포 실천
황 및 성과 를 위한 창의 실태
활동 츠클럽 학교스포츠클 ∙일반화(모델 구축)를 위한 가능성 경영학교’ 보
지원 운영 럽 모델 도출
고 자료)
강화 모델
확산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 만족도
∙체력 증진
∙인성 교육 효과(학교폭력 감소, 활기찬 학 설문(교사, 실태/
성과 도출
교 분위기 등) 학생) 인식
∙신체활동 및 스포츠에 대한 인식, 일상의
여가 및 건강관리 활동으로의 전이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01


정책
세부 과제 조사·분석 내용 조사 방법★ 분야
목표
∙체육 수업 형태(남녀혼합/남녀분리) 및 이
여학생 체육 설문(교사, 실태/
에 대한 수요자 만족도
수업 지원 여학생) 인식
여학생 ∙탈의실 등의 여학생 편의시설 도입 여부
체육활동 ∙여학생 체육을 위한 프로그램 도입 여부
활성화 여학생 및 내용 설 문 ( 교 사 , 실태/
지원 스포츠 활동 ∙학교스포츠클럽에서의 여학생 참여 현황 여학생, 교육 인식 및
지원 및 활성화 실태(여학생 리그 운영 등) 전문직) 요구
∙여학생 스포츠 활동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학교스포츠클럽 외 운영된 체육활동 프로
체육 활성화 프로그램 그램 내용 설문(교사, 실태/
제공 ∙프로그램 적용 성과에 대한 인식 학생) 인식
∙체육교육과정 운영과 연계 여부
∙체육 시설 확충 실태 및 만족도 실태/
학생 체육활동 설문(교사,
∙요구되는 시설 및 기구 인식 및
인프라구축 교육전문직)
∙지역사회 연계 여부 및 내용 요구
∙체육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현행 학교체육의 문제점 및 개선점 설문(교사,
학교체육에 대한 수요자 인식 인식 및
∙학교체육교육 목표(학교교육기여 포함) 학생, 교육전
제고 요구
및 주요 구성 내용에 대한 의견 문직)
∙학교체육에 대한 요구
★ 해당 분야의 분석을 위해 요구되는 조사 방법을 전반적으로 제시함.

제시한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이후 조사 방법과 대상을 고려하여 설문 문항과 면담 질


문 목록이 작성되었으며, 학교급별로 서로 다른 교사용과 학생용 총 6종의 설문지와 교육
전문직을 대상으로 진행된 면담지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설문지 초안은 문항 지시문과 선택지의 명료성, 질문 유형의 적절성, 문항간의
유사성, 문항 배열의 적절성, 응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간섭 요인 등을 중심으로 학교 현
장의 교과 전문가 6인의 검토를 받아 일부 의미가 모호하거나 답하기 곤란한 문항 지시
문과 선택지를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각각 교사용, 학생용의
설문지를 확정하였다.
설문지는 학교급에 해당하는 내용을 고려하여 주제에 따라 차별 또는 공통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학생 체육과 관련하여 필요에 따라 일부 문항은 여학생에게만 질문을
제시하였다. 설문지에는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주제별로 설문 문항이 제시되었으며, 먼
저 배경 변인(앞서 표본 특성 표에 제시된 요인 참고)을 질문하였고, 이후 제시한 주요

10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질문 문항의 내용은 다음 <표 Ⅳ-4>, <표 Ⅳ-5>와 같다.

<표 Ⅳ-4> 설문지 구성 내용 - 교사용


정책 세부 과제 질문 내용
∙중3학년의 주당 체육활동 시간 배정 실태
∙학교스포츠클럽 시수 확대 활용 실태
∙시수 확대 활용으로 인한 실제 이점 및 기대되는 이점에 대한 의견 중
체육
수업 시수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정책에 대한 찬반 의견 및 그 이유
활동 ∙체육활동 내실화를 위한 바람직한 체육 수업 편성에 대한 의견
확대
내실화
∙고등학교 시수 6학기 편성에 대한 찬반 의견 및 그 이유
∙선택과목 운영 실태 및 그 이유 고
∙6학기 편성 정책 성공 방안에 대한 의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 및 그 이유
∙체육전담교사 배치 현황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선정에 우선 고려된 요소
전담 교사 초
∙체육전담교사 배치의 장점에 대한 의견
배치 확대
∙체육전담교사 기피 이유에 대한 의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확대를 위한 보완 요구
체육
지도 ∙초등학교에 스포츠강사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
역량의 ∙초등학교에 스포츠강사 배치 현황
강화 ∙초등학교에서 스포츠강사의 업무 현황(체육 수업/체육 수업 외)

스포츠강사 ∙초등학교에 스포츠강사 활용 수업으로 인한 긍정적 변화
배치 지원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활용상의 어려움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 개선을 위한 요구
∙학교스포츠클럽에서의 스포츠강사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

∙창체 학교스포츠클럽의 스포츠강사 지도에 대한 찬반 의견과 그 이유
∙학교스포츠클럽과 체육교육과정 운영과의 연계 여부 및 내용에 대
초, 중
한 실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의 어려운 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상 발생하는 문제점
- 전반적/물적 지원/인적 지원
학교스 학교스포츠
∙학교스포츠클럽에 요구되는 재원 운영
포츠클 클럽 지원
- 지도비/운영비(대회출전비 등) 초, 중, 고
럽 운영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에 대한 의견
모델
- 지도 주체 운영 실태 -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
확산
- 가장 적합한 지도 주체 형태(지도자)
∙2013년과 비교해 정부 및 교육청 지원 개선에 대한 의견 및 그 이유

인성교육
∙학교스포츠클럽과 연계한 교내외 프로그램 운영 실태
실천 초, 중, 고
∙인성교육 목적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상황(실태/중점 지도 내용)
학교스포츠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03


정책 세부 과제 질문 내용
클럽 모델
도출

성과 도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의 효과에 대한 의견 초, 중, 고

∙체육 수업 운영 형태
여학생 ∙남녀공학의 효율적 체육 수업 형태에 대한 의견 중, 고
체육 수업 ∙효과적인 혼성 학습 체육 수업을 위한 지원 요구
여학생 지원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한 기반 시설 요구 초, 중, 고
체육활
동 ∙여학생 체육활동에 대한 현황
활성화 ∙여학생의 소극적 체육활동에 대한 이유
여학생
지원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실태
스포츠 초, 중, 고
- 운영 여부/운영 종목 - 교외 대회 출전 여부 및 이유
활동 지원
- 여학생 대상의 체육 대회 실시 여부 및 종목
∙여학생 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요구
체육 활성화 ∙학교스포츠클럽 외 운영된 체육활동 프로그램 현황 및 적용 효과에
초, 중, 고
프로그램 제공 대한 의견
∙학교체육 시설 확충도
학생 체육활동 ∙학교체육에 우선 요구되는 시설
초, 중, 고
인프라 구축 ∙지역사회 체육 시설 활용 여부 및 그 이유
∙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지원 요구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으로 인한 학교폭력 및 학교 분위기 개선 효
과 인식
정책에 대한 수요자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세부 내용에 대한 긍정적 효과 인식
초, 중, 고
인식 ∙학교체육에 대한 요구
- 학교체육 정책 중 개선 및 보완 요구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지원 요구

<표 Ⅳ-5> 설문지 구성 내용 - 학생용


정책 세부 과제 질문 내용
∙체육활동 내실화를 위한 바람직한 체육 수업 편성에 대한 의견
∙학교스포츠클럽 시수 실태 중
체육
수업 시수 ∙학교스포츠클럽의 만족도 및 그 이유
활동
확대 ∙주당 체육 수업 시수 현황
내실화
∙선택과목 중 현재 수강 과목 및 만족도와 그 이유 고
∙고등학교 시수 6학기 편성에 대한 찬반 의견 및 그 이유

체육 초등학교 ∙현재 체육 과목 수업의 선생님


지도 전담 교사 ∙체육전담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 초
역량의 배치 확대 - 지도에 대한 동의 여부

10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정책 세부 과제 질문 내용
- 도움이 되는 점 - 좋지 않은 점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수업 실태
- 경험 여부 - 학습한 내용
강화 스포츠강사 - 수업 만족도 초
- 도움이 되는 점
배치 지원 ∙향후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증감에 대한 의견

∙창체 학교스포츠클럽의 스포츠강사 지도에 대한 찬반 의견과 그 이유 중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도
학교스
- 태도 - 참여 내용 : 클럽 수, 참여 시간, 종목
포츠클
- 지도자 - 참여 이유
럽 운영 성과 도출 초, 중, 고
∙학교스포츠클럽에 제공되는 활동에 대한 만족도
모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의 장애
확산
- 참여에 어려운 점 - 중단 경험을 낳은 이유
∙체육 수업 운영 형태
중, 고
여학생 ∙남녀공학의 효율적 체육 수업 형태에 대한 의견
체육 수업 ∙여학생의 소극적 체육활동에 대한 이유
지원 ∙(여학생만)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여부 및 참여 의사 초, 중, 고
여학생
∙(여학생만) 여학생 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요구
체육활
동 ∙여학생 체육활동에 대한 현황
활성화 ∙여학생의 소극적 체육활동에 대한 이유
지원 여학생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실태
스포츠 - 운영 여부/운영 종목 초, 중, 고
활동 지원 - 교외 대회 출전 여부 및 이유
- 여학생 대상의 체육 대회 실시 여부 및 종목
∙여학생 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요구
∙학교스포츠클럽 외 운영된 체육활동 프로그램 참여 실태와 소감
체육 활성화 - 경험 및 지속성 여부
초, 중, 고
프로그램 제공 - 참여 소감(관심과 재미)
∙학교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총 시간
학생 체육활동 ∙학교체육에 우선 요구되는 시설
초, 중, 고
인프라 구축 ∙지역사회에서 활용이 요구되는 체육 시설에 대한 의견

∙‘학교체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학교의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의 변화 양상
∙(초등은 인식만 조사)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
정책에 대한 수요자 - 긍정적 인식 여부
초, 중, 고
인식 - 체육교과에 대한 기대(교육의 이점에 대한 인식)
- 체육 수업에 불만족한 이유
∙학교체육활동(학교스포츠클럽 포함)의 정서적 효과에 대한 인식
∙학교체육활동에의 요구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05


설문 조사 결과의 분석은 각 질문에 대한 응답자 반응 수를 근거로 빈도 분석하였으며,
배경 변인인 성별, 연령, 직책, 학교 소재지, 학교 형태(중·고등학교의 경우)에 대하여 또
2
한 동일한 질문일 경우 학교급에 대하여 X 검정을 통해 응답 경향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
였고, 이에 대하여 유의도 .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
하였다.
면담 조사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는 시ㆍ도교육청 장학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기 때문
에 면담 내용은 주로 정책 운영에 관련된 실태와 의견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면담 내용은
녹음, 전사하여 분석이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사전에 면담지를 미리 제시
하여 관련 정보를 얻고 추가로 보완 및 심층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제시한 면담지에 포함
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 Ⅳ-6>과 같다.

<표 Ⅳ-6> 면담 내용
주제 질문 내용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확대 배치로 나타난(또는 기대되는) 초등체육의 변화
초등학교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제도 운영과 관련해 제기된 민원 또는 업무의 어려움
체육전담교사 배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확대 배치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이나 개선점
확대
∙전문성을 갖춘 적절한 체육전담교사의 양성, 확보를 위한 방안
∙스포츠강사의 배치가 초등학교 체육교육 내실화 및 활성화에 주는 긍정적 부정
적 영향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재정 지원이 축소된다면 향후 운영 방안에 대한 의견
배치 지원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 운영과 관련해 제기된 민원 또는 업무의 어려움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배치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이나 개선점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이 학교체육에 미친 긍정적 영향
창의적 체험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의 체육 수업 전환 비율, 확산을 위한 필요 방안
활동(창체)의 이나 지원에 대한 의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과 관련해 제기된 민원 또는 업무의 어려움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이나 개선점
고등학교 체육 시수 ∙고교 체육 과목 10단위 6학기 편성의 실질적 준수 현황 및 편성이 어려운 이유
및 이수 단위 ∙고교 체육 과목 10단위 6학기 편성과 관련해 제기된 민원 또는 업무의 어려움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해 학교 현장에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사항


∙학교스포츠클럽 운영과 관련해 제기된 민원 또는 업무의 어려움
학교 스포츠클럽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이나 개선점
운영 ∙현재의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운영 방식 및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교육부 또는 시ㆍ도교육청 차원의 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

10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주제 질문 내용
∙현재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사업과 지원 실태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와 관련해 제기된 민원 또는 업무의 어려움
여학생 체육(스포츠)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이나 개선점
활동 지원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육부 또는 시ㆍ도교육청 차원의 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
∙지역사회 체육 시설 연계 업무 또는 사업 사례 소개
체육 시설 연계 지원
∙지역사회 체육 시설 활용의 정책적 방안 또는 교육청 노하우 제시
학교체육 활성화 ∙초, 중, 고등학교의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부나 교육청 차원의 정책 지원 및
정책의 효과 정책 보완에 대한 의견

2. 정책의 시행 실태 분석

가. 정규 체육교육과정의 내실화

(1) 체육 지도 역량의 강화

(가)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의 확대

정책적으로 초등학교에서의 체육 지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체육 수업에 체육전담


교사를 배치, 지도하도록 하여 체육교육과정 운영의 내실을 꾀하였는데 이러한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배치 현황과 배치를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된 요소를 알아보고자 초등교
사에게 질문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의 76.8% 학교에 체육전담교사가 배치되어 있었고, 연령, 지역에
따른 의미 있는 응답 차이는 없었다(<표 Ⅳ-7> 참조). 배치율은 정책의 확대 방향에 비
하면 아직은 미흡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표 Ⅳ-7>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배치됨 배치되지 않음 무음답 전체

초등학교 149(76.8) 43(22.2) 2(1.0) 194(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07


학생들에게 체육 수업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는 누구인지 질문하여 전담교사 배치 실태
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학생들은 체육전담교사(54.9%), 담임교사
(31.7%), 스포츠강사(13.1%)의 순으로 지도받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체육전담교사의
지도 비율은 중소도시가 가장 높았고, 읍면지역은 담임교사의 지도 비율이 가장 높은 것
2
으로 나타나 X 검정 결과 지역별로 의미 있게 다른 응답 경향을 보였다(<표 Ⅳ-8> 참
조). 이에 대해서는 전담교사 배치가 가능한지 결정하는 학교 규모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표 Ⅳ-8> 초등학교 체육 과목 지도 교사 실태 - 학생


(단위 : 빈도(%))
체육
구분 담임교사 스포츠강사 기타 계 X2(Sig.)
전담교사
전체 843(31.7) 1,461(54.9) 349(13.1) 9(0.3) 2,662(100.0)
대도시 339(34.0) 557(55.9) 94(9.4) 6(0.6) 996(100.0)
105.402
중소도시 283(23.9) 719(60.7) 181(15.3) 1(0.1) 1,184(100.0)
(.001)
읍면지역 213(46.4) 177(38.6) 67(14.6) 2(0.4) 459(100.0)

교사들에게 체육전담교사를 선정할 때 우선 고려하는 사항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 교사의 체육 지도 능력(36.6)’ 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 체육교과 선호
도’ (20.6%)와 ‘ 전교생의 체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20.6%)’ 을 고려한다고 응
답하였다(<표 Ⅳ-9> 참조).

<표 Ⅳ-9>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선정 시 우선 고려 요소 - 교사


(단위 : 빈도(%))
교사의 상대적으로 교사의 전교생의 체육
구분 체육 지도 수업시수가 체육교과 활성화에 기여할 기타 계
능력 적다는 점 선호도 수 있는 가능성
초등학교 71(36.6) 4(2.1) 40(20.6) 40(20.6) 39(20.1) 194(100.0)

그러나 면담 조사 결과, 실제로 체육전담교사를 선정하는 데는 특별한 기준이 없고 많


은 문제점을 갖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전담교사를 맡았을 경우 업무나 성과에 특별한 장
점이 없고 오히려 평가에 불이익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교사들은 체육전담

10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교사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담임 업무에 신뢰가 낮거나 학교에서 소외되는 교
사들이 체육전담교사로 배치되는 경우가 잦다고 한다. 시도 평가 항목에 학교의 체육전담
교사 배치율이 고려되기 때문에 각 학교에서 많이 지정을 하고 있으나 실제로 전문성이
나 질적 수준을 고려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상황으로 조사되었다.

우리 시도에서는 체육전담교사가 어떤 사람들이 배치되어 있는지를 보면 나이 많


은 선생님, 나이 많은 남자 분 또는 여자 분들이 하십니다. 실질적으로 체육전담이
라고 하면은 체육에 관심 있는 선생님 또는 대학 때 심화반을 거쳤던 선생님 이런
선생님들이 하시면 좋은데 그런 선생님들이 별로 없어요. 시도평가에 넣으니깐 체육
우선적으로 배치를 하긴 하는데 안하려고 하니깐, 힘드니깐, 나이 많으신 분들 그리
고 다른 업무를 이전에 하다가 힘없이 밀리는 사람들이 주로 체육전담을 맡아서 하
게 되지요. 문제는 전문성이 없으니깐 못 가르치고, 이것을 보완 해주는 것이 스포
츠강사 선생님이신 거죠. 특히 자신 없는 선생님들이 체육 수업을 맡으시니깐 스포
츠강사에게 수업을 완전히 맡기고 자기는 체육실에서 업무만 하고 있게 됩니다(K교
육지원청 A장학사).

교대에서 그나마 체육교육과를 나오신 분이 체육을 하시면 모르겠는데 대부분 선


생님들은 체육 분야가 마치 여자 선생님들이 많아 도와줘야 하고, 옷 갈아입는 시간
이나 수업 환경이 어렵고 기타 등등의 이유로 굉장히 힘들고 소외되고 있다고 생각
을 하셔서 하고 싶어 하지 않기에 학교에서 제일 일 안하시는 분, 담임을 맡기기 조
금 신뢰가 높지 않은 분 그러니까 실제로 소외된 분들에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요.
과연 체육과를 나오신 분이 그것을 할지... 사실 남자선생님들이 초등학교에 없는 학
교도 있는데 남자선생님들이라고 주로 하시는 것도 성차별적인 이야기 인 것 같습
니다. 체육에 정말 관심이 있고 학생들 체육활동을 잘 지도할 분들은 그런 분들은
유능한 분들일 텐데, 교육부에서 제시한 통계 자료를 봐도 교대에서 체육하고 관련
된 심화과정을 받으신 분들의 비율을 보면 30% 채 안 되는 비율이던데 학교에서 전
문성으로 뽑기는 실제로 어렵다고 봅니다(D교육지원청 B장학사).

우리 시도 같은 경우는 소규모 학교가 많은 편입니다. 전 교사가 6∼7명의 선생님


으로 운영이 되는데, 여교사의 비율이 비약적으로 많은 상황에서 전담교사 배치나
체육이 소홀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전담교사 정책이 나오고 학교에서
는 분명히 도움이 되고 확대되어야 된다는 것은 다 느끼고 있어도 학교의 현실에서
는 전담으로 둘 수 있는 인원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죠(S교육지원청 C장학사).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09


다음으로 실제 체육전담교사의 배치 확대에 대해 교사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또한 정
책 시행으로 어떤 긍정적, 부정적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의 응답 결과는 다음 <표 Ⅳ-10>과 같다.
찬성 의견이 응답자의 대부분(86.6%))이었으나 지역별로 차이를 보여 중소도시(92.7%), 읍
면 지역(88.4%), 대도시(78.3%) 순으로 다르게 나타났고, 특히 대도시의 경우는 반대 의견
이 21.7%로 조사되어 지역 간 응답 경향이 매우 차이가 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Ⅳ-10>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찬성 반대 무음답 계 X2(Sig.)
전체 168(86.6) 25(12.9) 1(0.5) 194(100.0)
대도시 54(78.3) 15(21.7) 0(0.0) 69(100.0)
중소도시 76(92.7) 6(7.3) 0(0.0) 82(100.0) 7.472(.024)
읍면 지역 38(88.4) 4(9.3) 1(2.3) 43(100.0)

찬성 의견을 제시한 응답자에게 그 이유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응답자들은 ‘ 교과의 전


문성 및 체계적인 지도를 강화할 수 있다’ 는 의견과 ‘ 수업의 질이 확보될 수 있다’ 는 기대
를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체육전담교사의 배치에 대한 장점으로 교사들은 정책 찬성의 이유와 동일하게 ‘ 체육
수업의 전문성 강화(50.0%)’ 측면을 거론하였고, ‘ 담임교사의 체육 수업에 대한 부담 경감
(20.1%)’ , ‘ 학생들에게 다양한 스포츠 활동 경험을 제공 가능(13. 4%)’ 을 다음으로 제시하
였다(<표 Ⅳ-11> 참조).

<표 Ⅳ-11> 체육전담교사의 배치로 인한 장점 - 교사


(단위 : 빈도(%))
담임교사의 학생들에게 여교사의
체육
체육 학생 다양한 체육
수업의
구분 수업에 만족도 스포츠 수업에 기타 계
전문성
대한 부담 증가 활동 경험 대한 부담
강화
경감 제공 가능 경감

초등학교 97(50.0) 39(20.1) 14(7.2) 26(13.4) 13(6.7) 1(0.5) 190(100.0)

11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면담 조사에서도 체육전담교사가 확대 배치됨에 따라 체육 수업이나 체육교과교육에서
는 긍정적 변화가 더 많이 나타났음이 분석되었다. 수업이나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인력
의 확보는 학교의 체육교육과정 운영, 체육기자재의 안정적 관리나 보전, 학교스포츠클럽
이나 방과 후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가져와 체육 과목에 대한 교육 효과나 긍정적 인식을
주는데 전반적으로 공헌을 하고 있으며, 담임교사들의 체육 수업 및 체육교육 관련 업무
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면서 타 교사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모든 학교나 완전히 그렇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따로 관심을 갖고 수업을


하게 되니까 학생들에게 학습을 좀 더 내실 있게 할 수도 있구요, 다양한 실기 교육
을 할 수 있으면서 학생들이 기초체력이나 운동 기능도 좋아지고, 체육에 대한 관심
이나 긍정적 생각들이 더 많아질 것으로 봅니다(S교육지원청 D장학사) .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면에서는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했을 수 있겠지만 일반 담


임교사들의 체육 수업에 대한 경감 측면에서는 확실히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
로 생각합니다. 실제로 체육전담교사를 우선적으로 배정하는 학년은 가르치기 어려
운 학년, 예를 들면 6학년 같이요, 다음으로 5학년... 그렇게 배정하기 때문에 체육
수업의 질적인 면이 향상된다는 것 보다는 교사들에게 학생 지도가 어렵다는 이유
로 배려해 주는 차원의 효과는 있습니다(D교육지원청 B장학사).

대부분의 긍정적 응답들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혹은 우려되는 바에 대한 의견들도 적지


않아 체육전담교사 확대 배치의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개선해야 할 사항들이 다수 있
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체육전담교사 배치의 확대는 학생들의 신체활동 기회를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지


만, 체육전담교사들의 교과 전문성에는 문제가 많아 체육교육의 교육적 효과는 그다
지 영향을 주지 못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Y교육청 E장학사).

체육교과에 대한 지도 역량이 있는 전담 교사가 배치될 경우 체육의 가치를 고루


반영하는 교육과정의 계획은 물론 효율적인 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심신을 단련하거
나 학교체육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봅니다. 그렇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체육
수업을 제대로 실천하기 어려운 퇴직 직전의 교사를 배치하는 사례도 적지 않아 오
히려 역효과가 나타나기도 합니다(K교육청 A장학사).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11


체육전담교사 수업에 대하여 학생들은 어떤 생각과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 학생들의 인
식을 체육전담교사의 지도에 대한 의견, 체육전담교사 수업에 대한 장단점을 중심으로 질
문하였다. 학생들은 먼저 체육전담교사가 지도하는 것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2
나타내었다(61.3%). 긍정적 응답 비율은 지역별로 X 검정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
었는데 중소도시에서 가장 높은 긍정적 응답(66.7%)을 제시하였고, 읍면지역에서 가장 낮
은 수준의 긍정적 응답(57.2%)을 보였다(<표 Ⅳ-12> 참조). 앞서 체육전담교사의 지도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 중소도시였음을 고려해 볼 때, 체육전담교사의 지도에 대한 긍
정적 효과는 전반적으로 좀 더 신뢰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표 Ⅳ-12> 체육전담교사의 지도에 대한 인식 - 학생


(단위 : 빈도(%))
반드시 지도하는 지도할 절대로
지도해야 것이 필요는 지도하면
구분 상관없다 계 X 2(Sig.)
한다고 좋다고 없다고 안된다고
생각한다 생각한다 생각한다 생각한다
459 1,177 750 261 21 2,668
전체
(17.2) (44.1) (28.1) (9.8) (0.8) (100.0)
150 422 312 104 11 999
대도시
(15.0) (42.2) (31.2) (10.4) (1.1) (100.0)
231 559 286 105 4 1,185 30.085
중소도시
(19.5) (47.2) (24.1) (8.9) (0.3) (100.0) (.001)
72 191 140 51 6 460
읍면지역
(15.7) (41.5) (30.4) (11.1) (1.3) (100.0)

체육전담교사 수업의 이점에 대하여 학생들은 ‘ 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


음(39.1%)’ , ‘ 체력이 향상됨(20.1%)’ , ‘ 스포츠나 운동을 잘할 수 있게 됨(16.5%)’ 순으로
제시하고 있어 전담교사의 수업이 보다 직접적인 체육교육 또는 신체활동의 효과를 주고
2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표 Ⅳ-13> 참조). 또한, 학생 응답 분포는 X 검정에서 성별이
나 지역별로 서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하여 학습
측면(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음)에 좀 더 긍정적인 반면, 남학생들은 학습
측면 못지않게 체력 향상(체력이 향상됨) 면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체력 향상 측면(체력이 향상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중소도시의 응답에서 가장
높았으며, 학습 측면(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음)에서의 긍정적 측면은 읍

11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면 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더불어 읍면지역에서는 운동에 대한 인식 개선(운동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짐) 측면에 대해서도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었다.

<표 Ⅳ-13> 체육전담교사 수업의 이점에 대한 인식 - 학생


성별(%) 소재지(%)
전체
구분 중소 읍면
(%) 남 여 대도시
도시 지역
518 321 197 181 256 73
체력이 향상됨
(20.1) (23.3) (16.5) (19.0) (22.2) (16.4)
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1,006 488 517 369 435 194
있음 (39.1) (35.4) (43.3) (38.7) (37.8) (43.5)
422 250 172 145 216 57
스포츠나 운동을 잘 할 수 있게 됨
(16.5) (18.1) (14.4) (15.2) (18.8) (12.8)
343 190 153 134 124 82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13.3) (13.8) (12.8) (14.0) (10.8) (18.4)
161 82 79 47 83 31
친구들과 사이가 좋아짐
(6.1) (5.9) (6.6) (4.9) (7.2) (7.0)
125 49 76 78 37 9
기타
(4.9) (3.6) (6.4) (8.2) (3.2) (2.0)
2,450 1,380 1,194 954 1,151 44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X2(Sig) 41.593(.001) 72.062(.001)

체육전담교사 수업의 문제점에 대하여 학생들은 ‘ 다른 반과 비교(31.5%)됨’ , ‘ 담임교사


보다 전담교사의 학생 이해가 낮음(19.9%)’ , ‘ 수업 내용과 방법이 부적절함(16.4%)’ 의 순
으로 응답하였다. 학생 응답에 ‘ 기타(14.4%)’ 의 비율이 높은 편인데, 대부분의 응답 내용
이 ‘ (문제점) 없음’ 으로 분석되어 전반적으로 체육전담교사의 수업은 학생들에게 좋은 평
가를 받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표 Ⅳ-14> 참조). 역시, 학생 응답 분포
2
는 X 검정에서 성별이나 지역별로 서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여학생들은 남
학생들에 비하여 학생 이해 부족의 측면(담임교사보다 전담교사의 학생 이해가 낮음)에
좀 더 높은 응답을 보인 반면, 남학생들은 차별 가능성 측면(잘하는 다른 친구와 차별함)
에 여학생보다 높은 응답을 보였다. 지역별로 대도시에서는 차별 가능성 측면(잘하는 다
른 친구와 차별함)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응답률을, 반별 비교 가능성(다른 반과 비교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13


됨)이나 수업의 부적절성(수업 내용과 방법이 부적절함) 측면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응답률을 보였고, 중소도시에서는 차별 가능성 측면(잘하는 다른 친구와 차별함)이 다른
지역에 비해 특히 낮은 응답률을 보인 반면 반별 비교 가능성(다른 반과 비교됨)에 대해
서는 비교적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읍면지역의 응답자들은 반별 비교 가능성(다른 반과
비교됨)과 차별 가능성(잘하는 다른 친구와 차별함), 수업의 부적절성(수업 내용과 방법
이 부적절함) 측면에 대해서 비교적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었다.

<표 Ⅳ-14> 체육전담교사 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 학생


성별(%) 소재지(%)
전체
구분 중소 읍면
(%) 남 여 대도시
도시 지역
701 372 329 244 327 127
다른 반과 비교당할 수 있음
(31.5) (31.4) (31.6) (28.3) (34.0) (33.2)
전담 선생님께서는 담임선생님보다 445 206 239 165 192 82
나를 잘 이해하지 못함 (19.9) (17.4) (23.0) (19.1) (20.0) (21.5)
202 120 82 94 62 44
잘하는 다른 친구와 차별하심
(9.1) (10.1) (7.9) (10.9) (6.4) (11.5)
수업 내용이나 방법이 재미없고 힘이 364 196 168 120 172 66
들음 (16.4) (16.5) (16.1) (13.9) (17.9) (17.3)
194 117 77 76 80 37
담임선생님보다 엄하게 지도하심
(8.7) (9.9) (7.4) (8.8) (8.3) (9.7)
320 174 146 164 129 26
기타
(14.4) (14.7) (14.0) (19.0) (13.4) (6.8)
2,226 1,185 1,041 863 962 38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X2(Sig) 15.836(.007) 52.709(.001)

앞서 분석 결과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를 배치하는데 있어


체육전담교사를 기피하는 현상이 팽배하며 이러한 문제로 확대 배치에 현실적 어려움이
있음이 파악된다. 설문 조사 결과 교사들이 체육전담교사를 기피하는 이유로는 ‘ 체육교육
전문성에 대한 부담(47.1%)’ 에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냈으며, ‘ 체육시간에 학생 관리의 어
려움(21.9%)’ 이 다음의 이유로 제시되었다(<표 Ⅳ-15> 참조).

11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15> 체육전담교사 기피의 이유 - 교사
(단위 : 빈도(%))
체육교육 여러 학년을 체육시간에 학부모
학생 부상에
구분 전문성에 지도해야 학생 관리의 관여에 기타 계
대한 두려움
대한 부담 하는 어려움 어려움 따른 부담
초등학교 88(47.1) 18(9.6) 13(7.0) 41(21.9) 2(1.0) 25(13.4) 187(100.0)

면담 조사에서도 체육전담교사 확대 배치 정책의 가장 어려움은 교사들의 기피에서 비


롯된 부분이 크다고 분석되었다. 조사에 따르면, 담임 업무에서 배제되는 전담교사 제도
자체에서 야기되는 수당 미지급 및 성과 산정 등의 불이익과 함께 체육전담교사가 주로
담당할 업무 자체 즉, 체육 수업이나 학교스포츠클럽 및 방과 후 체육활동 등과 관련된
업무 수행의 어려움도 기피에 큰 영향력을 주는 이유라고 할 수 있었다.

선생님들이 체육 수업만 하느니 차라리 담임을 맡는다고 합니다. 몇 년 전에 중초


교사가 있었죠? 중등자격을 가지고 초등에 들어갔다가 3년 만에 초등교사로 자리로
완전히 자리를 바꿨는데, 그런 분들이 실제로 체육에 대한 가르치는 전문성이 있지
않습니까? 그런 분들도 나중에는 심지어 하지 않으려고 한답니다. 학년 단위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니깐 담임 업무를 맡지 않으면 소외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하지 않
으려고 하는 거죠(W교육지원청 F장학사).

체육전담교사를 싫어하는 것은 현장에 팽배되어 있는 분위기가 맞습니다. 영어를


왜 좋아하냐면 초등 같은 경우는 수업이 클릭(click)수업이라는 것이 있어요. 학교에
서 예산을 일정 부분 200∼300만원을 주면 어느 프로그램 회사에 주면 모든 수업이
딸각 자동적으로 다 뜨게 되어 있는 거죠. 초등학교 가서 수업 하시는 것을 보면 거
의 90프로가 클릭 수업입니다. 영어를 좋아하고 잘해서도 전담교사를 하기도 하겠지
만 수업이 자동적으로 진행이 되니까 쉽기도 하는 겁니다. 하지만 체육 수업은 안
그렇습니다. 장소나 내용도 교사 의존도가 매우 높고, 안전이나 여러 가지 문제도
자주 생기고, 스포츠강사도 관리를 해야 되고요. 게다가 그 사람보다 체육전담교사
가 실기나 수업을 잘 못하게 되면 역전현상이 벌어지는 거죠. 이 분이 예속하게 되
는 것입니다. 수업시간에도 못나가고. 학생들이 강사만 좋아하게 되니깐, 비교가 되
니까 못하게 되는 겁니다(C교육지원청 G장학사).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사실은 힘이 드니깐 전담교사를 안 하려고 합니다. 왜 힘이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15


드냐 하면은 학교운동부가 있으면 운동부를 지도해야 하지 스포츠클럽하면 스포츠
클럽 대회도 해야 하지 그러면 토요일, 일요일도 없어요. 체육전담교사를 맡게 되면
초등학교 같은 경우에는 체육전담은 운동부도 맡아야 하고 수업 이외의 이런 업무
도 해야 하니깐 안하려고 하는 거죠. 그러니까 체육전담만 하는 것이 아니라 스포츠
클럽 대회 리그 준비, 운동부 지도, 주말에 대회 등 업무가 너무 많아지고 힘이 들게
되는 겁니다.(M교육지원청 H장학사)

이와 같은 어려움을 가진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확대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를 갖기


위해 보완해야 할 정책적 사안에 대하여 설문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 Ⅳ-16>과 같다.
교사들은 체육전담교사 확대 정책이 효과적으로 정착하려면 ‘ 체육관(체육 수업 공간)
확보(49.7%)’ 되고, ‘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인센티브가 마련(30.7%)’ 되어야 하며, ‘ 체육전담
교사에 대한 연수(9.5%)’ 가 실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에 내포된 바는 즉, 수업
을 할 수 있는 환경 마련, 전담교사 기피 현상에 대한 정책 보완, 수업 전문성을 높일 수
2
있는 기회 확보가 주요한 사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응답은 직책에 따라 X 검정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는데, 당사자인 전담교사는 ‘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마
련’ 에, 담임교사와 부장교사는 ‘ 체육관(체육 수업 공간) 확보’ 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또한 ‘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연수’ 의 응답에는 담임교사가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교과전담
교사와는 응답률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실질적으로 전문성을 담보로 이미 수업을 시행
하는 전담교사에 비하여 담임교사는 향후 전담교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표 Ⅳ-16> 체육전담교사 확대를 위한 정책적 보완 사안 - 교사


구분 빈도(%) 담임교사(%) 부장교사(%) 교과전담교사(%)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 58(30.7) 18(20.2) 14(31.1) 26(48.1)
체육관(체육 수업 공간) 확보 94(49.7) 52(58.4) 22(48.9) 19(35.2)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연수 실시 18(9.5) 12(13.5) 5(11.1) 1(1.9)
예산 관리 집행 권한 확보 7(3.7) 3(3.4) 1(2.2) 3(5.6)
체육전담교사의 체육교과 시간 우선 확보 9(4.8) 3(3.4) 1(2.2) 5(9.3)
기타 3(1.6) 1(1.1) 2(4.4) 0(0.0)
계 189(100.0) 89(100.0) 45(100.0) 54(100.0)
2
X (Sig) 24.375(.007)

11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면담 조사 결과 의견들은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확대를 위한 정책적 보완 사항을 교
원 배치의 차원과 양성 기관에서부터의 확보 방안 차원으로 크게 나누어 분석될 수 있었
었다. 먼저 교원 배치의 차원에서 현재 초등학교 교사 수의 동결 상황에서 체육전담교사
만을 늘리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향후 효율적 학교운영을 위하여 교원 정원을 증원
해 체육전담교사를 특별 배정할 필요를 제기하였다. 또한 현재 교원을 대상으로 체육전담
교사를 운영한다면 전문성 개발 기회 제공, 현실적 수업 시수 조절, 인센티브 제공(특별
지도 수당 제공, 특별 경력으로 인정해 승진 가산점 부여 등), 전담교사만의 근무 평가 산
정 등으로 보다 많은 교사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이 매우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
되었다.
또한 조사 결과,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확보를 위해 초등교육과 체육교육의 전문성
을 겸비한 전담교사 양성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양성 기관이나 교원임
용시험에서부터 구체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제시되었다. 예를 들면 예전의 중초교사와 같
이 중등 체육교사 자격증 소지자를 대상으로 초등교육 전문성에 대한 연수를 300시간 이
상 실시해 새로운 초등체육전담교사라는 직책을 개설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고, 초등교원
임용시험에서 자격에 대하여 가산점 또는 가산 직위를 주는 방안, 초등교원임용시험에서
체육전담교사 부분 신설해 따로 선발하는 방안 등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어
쨌든 법적으로 또는 정책적으로 초등체육전담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한
데 여기에는 기본 전문성, 연령, 경력, 전문성 확보를 위한 일정 시간의 직무연수 필수 등
의 구체적인 자격 기준 제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안되었다.

사실 현재 상황에서는 체육전담교사 제도가 실효성이 약하다는 것을 다 공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의식수준에서는 법제화 안
에서 제도적인 장치로 이루어지면 실효성이 가장 빠를 것 같습니다. 전담교사에 대
해서 초중등 교육법에 명시되어 있는데 체육/음악/미술/영어/기타 과목으로 되어 있
어요. 그렇게 따지면 모든 과목을 아무런 기준 없이 전담교사로 할 수가 있습니다.
중등은 각 교과목에 전문성이 있지만 초등은 따로 그런 것이 나타나지 않으니 그러
다보니깐 교과전담의 실효성에서 어려워지는 거지요. 해당되는 체육/음악/미술/영어
과목을 명확히 명시해 주고, 보다 더 전문성이라던가 교육활동에서 실효성 있는 대
표적인 선정 기준도 아주 개략적이라도 보여줘야 합니다. 그리고 뭐니 뭐니 해도 실
제 활동에서의 효과를 보려면 담임수당도 주고 뭐도 주듯이 수당을 준다던지 이익
을 줘야 그래야지만 효과성이 나타날 겁니다. 의무와 권리를 다 갖추어야 하는 거지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17


요. 전담교사들만 선발하는 그런 제도들, 어쨌든 요 과목에 대한 실효성을 거두기
위한 그런 부분 쪽으로 간다면 지금 이야기한 몇 가지를 법제화 하고 제도적으로
명시되어야 하는 부분이 필요합니다. 지금 체제에서는 어떻게 하더라도 실효성이 없
어요(Y교육지원청 E장학사).

학교 현장의 배치 차원에서는 무엇보다 꾸준한 운영이 우선입니다. 매년 전담 교


과 배치를 학교 편의에 의해 아무렇게나 배치되는 문제가 심각합니다. 전문성의 유
지와 교육 효과를 위해서라도 영어 파견 연수 이후 3년간 영어교과전담을 해야 하
는 것처럼 체육전담교사도 일정 기간 꾸준히 맡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전문성을 갖춘 적절한 체육전담교사를 배치하고자 한다면 당장으로서는 현장교사의
연수 후 배치방안이 가장 좋을 듯합니다. 초등학교 현직 교사는 학생들의 발달 특성
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교 현장 여건이라든지 현재 학교체육 방향들에 대한 정책
의 이해도 측면에서 여타 다른 이들보다는 우수하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초등학교
체육 목표 특성상 학생들의 체육 기능 향상 수준에 대한 요구가 중·고등학교 보다
많이 강조되지 않기 때문에 일선 학교의 현장교사의 기능 연수 및 보수 교육으로도
충분하리라 보기 때문입니다(T교육지원청 I장학사).

(나)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배치의 지원

2008년 이후 초등학교 체육 수업의 정상화를 위해 교사를 지원하고 양질의 체육교육을


제공하고자 스포츠강사가 배치되었다. 비교적 오랜 기간 스포츠강사 제도가 운영되어 왔
는데 현재 그 운영 실태나 성과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설문 조사 응답자를 대상으로 현재 초등학교의 스포츠강사의 배치 실태를 알아보
았는데 대체로 학교에 1명이 배치(63.6%)되어 있거나 없는(35.3%) 상황이었다(<표 Ⅳ
-17> 참조).

<표 Ⅳ-17>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배치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없음 1명 2명 기타 계
초등학교 66(35.3) 119(63.6) 1(0.5) 1(0.5) 187(100.0)

학교에서 수행하고 있는 스포츠강사의 주요 역할 및 업무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수업


내에서는 ‘ 팀티칭(25.6%)’ 이나 ‘ 시범 활동(23.5%)’ 을 주로 해 수업을 직접적으로 공동 운

11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영 또는 보조하고 있고, ‘ 교구 준비 및 정리(21.4%)’ 와 같이 교사의 운영 부담을 돕는 역
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다(<표 Ⅳ-18> 참조).

<표 Ⅳ-18> 초등체육 수업에서 스포츠강사의 주요 역할 실태(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교구 준비 및 준비 및
구분 학생 관리 시범 활동 팀티칭 계
정리 정리운동
초등학교 41(12.3) 71(21.4) 78(23.5) 57(17.2) 85(25.6) 332(100.0)

이와 관련하여 면담 조사에서는 이러한 스포츠강사의 역할이 오히려 우려의 상황을 낳


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협업 수업이라는 면에서 담당 교사와 독립적 업무 분담이 이루어
지지 않고, 실기 능력을 토대로 스포츠강사가 실제 수업을 주도하려 하면서 이로 인해 담
당 교사와의 갈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고 면담 대상자들은 진술하고 있다. 나아가 일
부 학교에서는 스포츠강사에게 수업을 맡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안전사고 시 법적 책임에
대한 민원이 야기되기도 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대로 스포츠강사에게 많은 부분을 떠맡기
고 수수방관하는 교사들도 있어 이로 인해 스포츠강사들이 맡게 된 업무의 분량과 범위
가 점차 확대되면서 정규직 또는 무기 계약직으로의 직위 향상을 요구하고 근무 내용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스포츠강사가 배치됨으로 해서 학생들에게서 느껴지는 부정적 측면은 없습니다.


다만, 스포츠강사의 단독 수업이 불가한데도 현장에서 담임교사가 배제된 채 스포츠
강사가 홀로 수업하는 경우를 많이 접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칫 현직교사의 직무유
기로도 보일 수 있는 부분이고, 이 외에도 스포츠강사가 학교 수업에서부터 학교체
육 업무 모두를 교사나 학교의 요청으로 떠맡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T교육
지원청 I장학사).

수업 외 스포츠강사가 초등학교에서 주로 하는 활동은 ‘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28.5%),


‘ 체육행사 보조(22.2%)’ 로 과외체육활동에서 주된 역할을 하고 있었다(<표 Ⅳ-19> 참조).
면담 조사에 따르면 해당 업무들은 교사들이 기피하는 체육활동 업무로서 시간적으로나
업무 부담 측면에서 교사들에게는 매우 도움이 되고 있으며 학교체육 활성화에 따라 학
교에서 추진하는 체육활동이 늘어나면서 그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19


<표 Ⅳ-19> 초등체육 수업 외 스포츠강사의 주요 활동(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체육관 체육 자료실 학교스포츠 대회 참여 체육 행사
구분 계
(강당) 정리 정리 클럽 지도 인솔 보조

초등학교 47(12.4) 71(18.7) 108(28.5) 69(18.2) 84(22.2) 379(100.0)

업무 지원 차원의 긍정적 면에서 미루어 봄과 같이 설문 조사로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스포츠강사의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었을 때 교사들은 주로 찬성하는 의견(74.7%)
을 나타내었다(<표 Ⅳ-20> 참조). 그러나 반대하는 의견(22.7%)도 적지 않기에 스포츠강
사 배치 정책에 대해서는 좀 더 긴밀한 논의와 숙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표 Ⅳ-20> 초등학교에 스포츠강사를 배치하는 것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찬성 반대 무음답 계

초등학교 145(74.7) 44(22.7) 5(2.6) 194(100.0)

초등학교에서 스포츠강사를 활용함에 따른 체육 수업의 변화에 대하여 설문 조사 결과


교사들은 ‘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나 참여도가 증가(30.6%)’ 한 것과 ‘ 체육 수업의
효율성이 증가(23.1%)’ 한 것, 그리고 ‘ 체육 수업의 전문성이 확보(20.1%)’ 된 것을 주요한
긍정적 변화로 응답하였다(<표 Ⅳ-21> 참조). 즉, 체육 수업의 질적 향상을 바탕으로 한
학생의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면담 조사에서도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도입 후 방과 후 수업, 학교스포츠 클럽 등의 업
무를 담당하도록 지원받으면서 학교체육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또한 담임선생님과
의 협력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보다 양질의 체육 수업을 받게 되었다는 점이 주요한 효과
라고 볼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초등학교에서는 다수인 여교사의 체육 수업 및 생활
지도 부담감이 감소하면서 보다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체육 수업을 지도할 수 있고, 학
교스포츠클럽이나 방과 후 체육활동에서 적극적으로 임하는 스포츠강사의 모습은 학생들
에게 참여 의지를 불러 일으켜 이러한 체육활동을 활성화시키는데 일조를 하고 있다고
한다.

12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21>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활용 후 체육 수업의 긍정적 변화 - 교사
(단위 : 빈도(%))
체육 학생들의 체육 학생에게
적정한
수업의 체육활동에 수업의 다양한
구분 학생 관리 기타 계
효율성 대한 흥미와 전문성 체육활동
가능
증가 참여도 증가 확보 경험 제공
초등학교 31(23.1) 41(30.6) 27(20.1) 8(6.0) 21(15.7) 6(4.5) 134(100.0)

스포츠강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포츠강사의 지도를 경험하


였는지 학습한 내용은 무엇이었는지, 만족도나 도움이 되는 점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학생
들에게 질문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응답한 초등학생들의 60.8%는 스포츠강사의 지도 경험이 있다고 하였
으며 지역별로 X2 검정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읍면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로, 중소도시
가 가장 낮은 비율로 수업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표 Ⅳ-22> 참조). 이는 전담교사
의 경우와 반대되는 것으로 스포츠강사 정책과 체육전담교사 정책이 서로 상치하는 관계
의 정책임을 시사하고 있다.

<표 Ⅳ-22>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지도 경험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수업한 적 있다 수업한 적 없다 계 X 2(Sig.)
전체 1,589(60.8) 1,025(39.2) 2,614(100.0)
대도시 587(60.1) 389(39.9) 976(100.0)
57.888
중소도시 652(55.5) 523(44.5) 1,175(100.0)
(.001)
읍면지역 336(76.2) 105(23.8) 441(100.0)

2
스포츠강사와 학습한 내용은 주로 여러 스포츠 활동(41.9%)이었으며 역시 X 검정에서
성별, 지역별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고 분석되었다(<표 Ⅳ-23> 참조). 남학생은 여학생
에 비하여 여러 스포츠 활동에 대한 지도를 많이 응답하였고 여학생의 경우는 남학생 보
다 준비운동이나 질서 관련 활동에 대한 지도를 더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대도시 응답자
는 여러 스포츠 활동을, 중소도시 응답자는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읍면지역 응답자는
여러 스포츠 활동이나 질서 관련 활동에 대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응답하였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21


<표 Ⅳ-23>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지도 내용 실태(복수 응답) - 학생
(단위 : 빈도(%))
여러
준비 정리 질서(줄 맞추기, 체육교과서에
구분 스포츠 계 X 2(Sig.)
운동 운동 대형 서기 등) 나오는 활동
활동
554 257 394 462 1,200 2,867
전체
(19.3) (9.0) (13.7) (16.1) (41.9) (100.0)
262 131 176 224 641 1,434

(18.3) (9.1) (12.3) (15.6) (44.7) (100.0) 57.546
292 126 218 237 558 1,431 (.001)

(20.4) (8.8) (15.2) (16.6) (39.0) (100.0)
186 74 123 168 447 998
대도시
(18.6) (7.4) (12.3) (16.8) (44.8) (100.0)
248 130 176 188 492 1,234 25.314
중소도시
(20.1) (10.5) (14.3) (15.2) (39.9) (100.0) (.005)
117 53 95 97 254 616
읍면지역
(19.0) (8.6) (15.4) (15.7) (41.2) (100.0)

<표 Ⅳ-24>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 - 학생


(단위 : 빈도(%))
매우 그저 만족하지 매우
구분 만족한다 계 X 2(Sig.)
만족한다 그렇다 않는다 불만족하다
628 637 267 30 20 1,582
전체
(39.7) (40.3) (16.9) (1.9) (1.2) (100.0)
380 305 153 14 12 864

(44.0) (35.3) (17.7) (1.6) (1.4) (100.0) 22.513
247 332 114 16 8 717 (.001)

(34.4) (46.3) (15.9) (2.2) (1.1) (100.0)
257 210 72 12 3 554
대도시
(46.4) (37.9) (13.0) (2.2) (0.5) (100.0)
255 262 136 15 12 680 29.535
중소도시
(37.5) (38.5) (20.0) (2.2) (1.8) (100.0) (.001)
113 156 58 3 5 335
읍면지역
(33.7) (46.6) (17.3) (0.9) (1.5) (100.0)

12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스포츠강사 수업의 이점에 대하여 학생들은 ‘ 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음
(38.6%)’ , ‘ 스포츠나 운동을 잘할 수 있게 됨(22.7%)’ 순으로 제시하고 있어 스포츠강사의
수업은 앞서 분석된 전담교사 수업에 비하여 스포츠나 운동 방법의 지도 측면에서 효과
2
를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25> 참조). 또한, 학생 응답 분포는 X 검정에서
성별이나 지역별로 서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하여
학습 측면(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음)에 좀 더 긍정적인 반면, 남학생들은
학습 측면 못지않게 기능 향상(스포츠나 운동을 잘 할 수 있게 됨)이나 체력 향상(체력이
향상됨) 면에 대해서도 높은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학습 측면(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음)에서의 긍정적 측면은 중소도시나 읍면 지역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기능 향상(스포츠나 운동을 잘 할 수 있게 됨)측면에서는 대도시의 응답률
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표 Ⅳ-25>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수업의 이점에 대한 인식 - 학생


성별(%) 소재지(%)
전체
구분 중소 읍면
(%) 남 여 대도시
도시 지역
427 260 167 146 203 76
체력이 향상됨
(18.6) (21.3) (15.5) (16.7) (20.3) (19.0)
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886 433 453 312 409 160
있음 (38.6) (35.4) (42.2) (35.7) (40.9) (39.9)
522 310 212 232 199 78
스포츠나 운동을 잘 할 수 있게 됨
(22.7) (25.4) (19.7) (26.6) (19.9) (19.5)
96 47 49 33 41 21
학생들이 수업에 질서 있게 참여함
(4.2) (3.8) (4.6) (3.8) (4.1) (5.2)
144 68 76 54 60 28
다치지 않고 수업을 잘 받을 수 있음
(6.3) (5.6) (7.1) (6.2) (6.0)) (7.0)
친구들과 협동하는 등 운동하면서 태 144 60 84 69 47 28
도가 좋아짐 (6.3) (4.9) (7.8) (7.9) (4.7) (7.0)
77 44 33 27 40 10
기타
(3.4) (3.6) (3.1) (3.1) (4.0) (2.5)
2,296 1,222 1,074 873 999 40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X2(Sig) 35.771(.001) 29.755(.003)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23


스포츠강사 수업의 문제점에 대하여 학생들은 ‘ 다른 반과 비교됨(22.3%)’ , ‘ 담임교사보
다 스포츠강사의 학생 이해가 낮음(21.1%)’ 의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Ⅳ-26> 참조). 학
생 응답에 ‘ 기타(15.2%)’ 의 비율이 높은 편인데, 대부분의 응답 내용이 ‘ (문제점) 없음’ 으
로 분석되어 전반적으로 스포츠강사의 수업은 학생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것을
2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학생 응답 분포도 X 검정에서 지역별로 서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대도시 응답 학생은 차별 가능성 측면(잘하는 다른 친구와 차별함)과 기타
(문제없음)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중소도시와 읍면 지역의 응답 학생은 반별 비교 가능
성(다른 반과 비교됨)과 학생 이해의 부족(담임교사보다 스포츠강사의 학생 이해가 낮음)
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표 Ⅳ-26>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 학생

전체 소재지(%)
구분
(%)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다른 반과 비교당할 수 있음 476(22.3) 161(19.3) 222(24.3) 83(22.9)

선생님께서는 담임선생님보다 나를 잘 이
451(21.1) 158(18.9) 202(22.1) 83(22.9)
해하지 못함

잘하는 다른 친구와 차별하심 302(14.2) 133(15.9) 103(11.3) 65(17.9)

수업 내용이나 방법이 재미없고 힘이 들음 244(11.4) 87(10.4) 105(11.5) 52(14.3)

담임선생님보다 엄하게 지도하심 337(15.8) 138(16.5) 140(15.3) 58(16.0)

기타 323(15.2) 159(19.0) 141(15.4) 22(6.1)

계 2,133(100.0) 863(100.0) 913(100.0) 363(100.0)

X2(Sig) 50.425(.001)

학생들의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배치에는 현장에 나타나는


어려움이나 현실적 문제점이 여러 가지로 제기되고 있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등
학교 스포츠강사 활용상의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 스포츠강사의 학년별 수업 시수 배정
및 시간표 작성(27.8%)’ 과 ‘ 담임교사(특히 여교사)와의 체육활동 능력차에 따른 수업의
어려움(26.2%)’ 을 주로 제시하고 있다(<표 Ⅳ-27> 참조).

12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27>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활용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 - 교사
(단위 : 빈도(%))
담임교사(특히 스포츠강사의 스포츠강사의
스포츠강
여교사)와의 학년별 수업 체육교육과정 및
구분 사의 학생 기타 계
체육활동 능력 차에 시수 배정 및 초등체육교육에
이해 미흡
따른 수업의 어려움 시간표 작성 대한 이해 미흡
초등학교 33(26.2) 22(17.5) 35(27.8) 23(18.2) 13(10.3) 126(100.0)

면담 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면담 대상자들은 학교마다 배치된


스포츠강사가 한정적이기에 어떤 학년에 어느 정도의 시수를 배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어
떤 교사가 도움을 받을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되어 좀처럼 해결되기 어려운 상황을 낳는
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담임교사와 실기 능력이나 적극성에서 차이를 보임에 따라 학생들
이 담임교사를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발생되어 어려운 상황이라고 응답하였다. 이 두 문
제점은 설문 조사에 대한 원인을 설명해 주는 근거 자료가 되었고, 이 외에도 수업 상황
에서 교사와의 갈등으로 나타나는 더 큰 문제점은 수업 보조가 아닌 수업 전담의 운영
사례가 발전되면서 수업 지도에 대한 주객이 전도되고, 이로 인해 스포츠강사들이 업무에
따른 정규직의 요구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지위상의 문제는 충분히 초등교원과의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에 따라 학교에 체육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수업 지원 이외의 역할이 확대되어 수업 보조로 투입된 스포츠강사의 지위와 역할에도
혼란이 오고 있다. 스포츠강사의 지도 역할이 많아지면서 학교에서 학생을 접촉할 기회가
확대되었는데, 이 상황에서 스포츠강사의 교육적으로 부적절한 언행들은 문제와 민원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도 우려가 된다고 한다. 덧붙여 교육청 차원에서도 스포츠강사의 선
발, 배치, 연수 등과 같은 업무의 가중과 복무 지침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사안이 발생하
였을 때 처리가 곤란한 경우가 많아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 스포츠강사의 선발에는 강사
자질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 하는데 사실상 그렇지 못하여 스포츠강사가 문
제를 일으킬 위험은 항상 도사리고 있다는 점도 매우 유감스런 상황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예산 문제가 가장 큰 상황이라고 면담 대상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현재 비
정규직인 스포츠강사를 배치, 운영하기 위해서는 예산 투입이 필수적인데 정부의 예산 배
정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이 정책을 운영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며, 초등학교 체육전담
교사 정책과 더불어 이러한 정부 정책 방향을 반영한 새로운 정책 안이 빠르게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25


초등체육교사는 정규교육과정의 모든 교과를 지도할 수 있는 교육을 받고, 소정
의 과정을 거쳐 선발되었습니다. 일부 스포츠강사가 주장하는 자신들이 수업의 질이
높다고 하는 것은 단순히 실기적인 측면에서는 일부 인정이 되지만, 실기만 강조하
는 교육 방법으로 ‘ 체육’ 의 가치를 되려 실기적인 측면으로 한정하게 되고 체육교육
이나 교과 가치를 하락시키고 있어요. 게다가 초등학생의 특성이나 교수 방법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오히려 체육 수업이 질적으로 하락되지 않을까 우려되기도
합니다. 스포츠강사 정책은 각 시도의 예산과 연계되어 있는 하나의 사업에 불과한
데, 비정규직 노조와 연계해 투쟁의 대상으로 삼고 있어, 교육현장의 갈등 유발 요
인이 되고 있기도 합니다.(D교육지원청 B장학사)

향후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의 개선점이나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학생들에게 스포츠강사 수업의 증감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은 ‘ 지금 정
도가 좋다’ (53.7%), ‘ 지금보다 더 많이 늘어나야 한다(30.9%)’ , ‘ 없어도 된다(15.4%)’ 의 순
2
으로 응답 경향을 보여주었다(<표 Ⅳ-28> 참조). X 검정에서는 지역별로 중소도시의 응
답 학생들의 부정적 응답 경향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표 Ⅳ-28> 향후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수업 증감에 대한 의견 - 학생


(단위 : 빈도(%))
지금보다 더 스포츠강사
지금 정도가
구분 많이 늘어나야 선생님은 없어도 계 X 2(Sig.)
좋다
한다 된다
전체 1,172(53.7) 679(30.9) 336(15.4) 2,187(100.0)
대도시 490(58.6) 242(28.9) 104(12.4) 836(100.0)
39.115
중소도시 458(48.5) 294(31.1) 193(20.4) 945(100.0)
(.001)
읍면지역 217(55.5) 135(34.5) 39(10.0) 391(100.0)

다음으로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의 우선적인 개선점에 대하여 교사들에게 설문 조


사한 결과 수업 보조 업무의 개선(49.0%), 1년 11개월 계약 개선(23.7%)의 순으로 응답된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Ⅳ-29> 참조). 초등학교 교사들은 무엇보다 스포츠강사의 업무가
명확히 규정되어 활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파
악된다.

12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29>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의 우선적 개선점 -교사
(단위 : 빈도(%))
수업 보조 1년에 11개월 방과 후 학교
구분 보수 개선 기타 계
업무 개선 계약 개선 담당 확대
초등학교 93(49.0) 32(16.5) 46(23.7) 13(6.7) 9(5.1) 193(100.0)

반면에 면담 조사 결과, 면담 대상자들은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는 향후 스포츠강사


의 확충 방안보다는 체육전담교사 제도로 보완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 제도가 초등교
사의 체육 수업 전문성 지원을 위한 정책이며 단순히 보조자를 투입한 정책이므로 점차
정상적 교육과정 속에 내실 있는 체육과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초등교사 자체의 전문성
향상 방안으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체육전담교사의 수업에는 스포
츠강사가 보조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있는데, 이는 체육전담교사가 해당 수업 전문성이
충분히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육전담교사의 확대와 스포츠강사 제도는 서로 상
충되는 정책이며 궁극적으로는 지도자인 체육전담교사가 늘어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인
것이다.
더불어 스포츠강사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명 및 적확한 활용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
다. 면담 대상자들은 가칭 초등체육 실기교사 등으로 기존 교원과 구별된 역할과 지위를
규정하여 채용하되 자격 기준을 강화하고, 퇴직 기준이 포함된 일정한 계약 기간을 명시
해 놓아 꼭 필요한 지원으로 적절하고 명확하게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응
답하였다. 또한, 시ㆍ도교육청에 스포츠강사를 담당할 지원 인력을 배치해 업무 창구를
일원화하고, 스포츠강사의 복무 지침을 세부적으로 제시하며 스포츠강사 연수의 강화로
자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사업은 예산 문제가 항상 주요 사안
이기 때문에 모든 것은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중앙 정부의 재정 계획 수립을 바탕으로 진
행되도록 하여 시도의 장기적 수급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것이 지속적 교육 효과를 담보
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하면 안 된다고 응답하였다.

지금 전담교사하고 스포츠강사의 역할이 다르지 않습니까? 전담교사를 초등학교


정규교사이고 스포츠강사는 초등에서 체육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계시는 데 실기보
조로 들어가는 것이지요. 여기에서 체육을 담당하는 선생님은 체육을 어쨌든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사람이어야 하고 실기가 조금 어렵다든지 수업을 잘 진행하기
위해 지원이 필요하다면 도와줄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보조라는 면을 보자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27


면 스포츠강사가 전 학교에 다 들어가 있으면 좋겠지만 전담교사가 있다든지 하는
곳은 배정을 하지 않습니다. 모두에게 보조할 수 없기 때문에 능력이 되는 전담 말
고 여자분 이라든지 나이가 드신 분들처럼 실기 지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
분들 대신에 보조해주는 분을 배치하고 있는 겁니다. 실제 이 제도가 지금 전담도
들어가면 수업에 훨씬 좋겠지만 두 개가 중복된다면 먼 훗날을 보았을 때 더 중요
한 체육전담이 아예 없어지고, 결국 비정규직인 강사는 빠지면서 아무 것도 남지 않
게 될 겁니다(W교육지원청 F장학사).

다 아시다시피. 전담제로 갈 것인지 스포츠강사제로 갈 것인지, 하나를 결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교육부에서는 겉으로는 전담제로 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렇게 양립
해서 두루뭉술하게 가는 정책은 해결책이 전혀 없다고 생각해요. 전담제로 간다하
면... 저는 전담제로 간다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합니다. 전담제가 완전히 정착하기
전에 스포츠강사는 체육을 보완하기 위해서, 보조하기 위해서 생긴 것이고 자기 자
리 내 놓으라 할 형편은 아니라고 봅니다. 제가 볼 때는 전담교사가 잘 정착하면 충
분히 해결이 된다고 생각해요. 스포츠강사는 없어져야 된다고 봅니다. 단지 전담이
다 되기 전까지의 초등스포츠강사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P교
육지원청 J장학사).

(다)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 스포츠강사 지원

초등학교에서 체육 수업 지도 역량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포츠강사가 도입된 것


과 유사하게 중학교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학생 지도를 보
조하고자 스포츠강사가 배치되었다. 두 스포츠강사의 차이는 정규 체육 수업을 지도(보
조)하는가 또는 창체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지도하는가의 차이이며 지위, 자격, 선발
방법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학교 창체 학교스포츠클럽에서의 스포츠강사 지도에 대한 찬반 의견과 그
이유에 대하여 교사에게 설문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대체로 찬성(67.1%)한다고 응답하였
지만 반대라는 의견(31.4%)도 적지 않았다(<표 Ⅳ-30> 참조).

<표 Ⅳ-30> 스포츠강사의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찬성 반대 무응답 계
중학교 94(67.1) 44(31.4) 2(1.4) 140(100.0)

12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창체 학교스포츠클럽에 스포츠강사를 배치하는 것을 찬성하는 이유로는 ‘ 학생들이 보
다 다양한 스포츠를 경험할 수 있어서(56.4%)’ 라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였는데, 그 의미
는 클럽활동의 특성상 특정 종목을 깊고 집중해 다루게 되기에 교사들이 자신이 잘 못하
는 종목에 대하여 보다 전문적인 스포츠강사를 투입함으로서 학생들이 좀 더 수준 높은
활동을 할 수 있고, 교사 혼자서 감당할 수 없는 다양한 종목에 대해 지원을 받을 수 있
기 때문인 것으로 면담 조사 결과 파악되었다(<표 Ⅳ-31> 참조).

<표 Ⅳ-31>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스포츠강사 배치의 찬성 이유 - 교사


구분 빈도(%)
학생들의 스포츠 참여도가 증가할 수 있어서 13(13.8)
학생들의 스포츠 기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서 14(14.9)
체육교사의 수업 부담이 경감되어 13(13.8)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스포츠를 경험할 수 있어서 53(56.4)
학생 인성발달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1(1.1)
기타 0(0.0)
계 94(100.0)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스포츠강사를 배치하는 것을 반대하는 이유로는 ‘ 스포츠


강사의 책무성 부족(40.9%)’ 이라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였는데(<표 Ⅳ-32> 참조), 이는
스포츠강사는 담당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자체 외에는 책임감이 없고, 학생들의
흥미만 맞춰주어 만족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고용가능성을 높이는 데만 관심이 있기 때문
인 것으로 면담 조사 결과 파악되었다. 이러한 스포츠강사의 태도는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체육 수업이나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체육 교사에게는 매우
불편한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고 한다. 학생들은 평가나 지도에 민감하지 않은 창체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에 더욱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스포츠강사를 더 좋아하고 잘 따르지만 체
육교육에 대한 책임은 교사가 담당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표 Ⅳ-32>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스포츠강사 배치의 반대 이유 - 교사


(단위 : 빈도(%))
스포츠 스포츠 스포츠
스포츠 스포츠
강사의 강사의 강사 관리
구분 강사의 강사의 계
체육교육과정 교육자적 업무에 대한
전문성 부족 책무성 부족
이해 부족 소양 부족 부담
중학교 4(9.1) 9(20.5) 18(40.9) 5(11.4) 8(18.1) 44(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29


스포츠강사의 자질에 관한 문제 역시 초등학교와 마찬가지의 상황이다. 특히 현재는 지
방의 시골 지역 등은 강사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고, 그러다보니 아무나 강사를
할 수 있는 현재의 자격 조건 하에서는 마구잡이식의 강사 투여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스포츠강사가 부족할 경우 투입되는 일반 교사 역시
학생에게 체육교육을 하는 데 문제를 낳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는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운영하기 위한 지도자 문제를 교육 내용과 함께 면밀히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하고 있다.

저는 교육과정 상으로 체육이든 스포츠클럽이든 딱 잡히고 나머지는 교육과정 외


적으로 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게 교육과정 내나 외적으로 서로 물려
있다 보니깐 제대로 안 되고 있고 여러 가지 문제가 많아요. 특히 중학교 같은 경우
에는 학교스포츠클럽에 우리 지역은 80%가 외부 스포츠강사들인데... 아마 다른 지
역 같은 경우에는 더 높을 겁니다. 80% 선생님들 중에 65%가 강사이고 15%가 일
반 교과 선생님들이에요. 아이들이 어떻게 보냐면, 스포츠클럽 시간이 더 재미가 있
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아이들은 체육과 스포츠클럽을 따로 별개로 보는 것이 아니
고 체육선생님이 가르치는 체육도 스포츠클럽처럼 동일시하게 되면서 체육이 거꾸
로 무너지기 시작하는 거죠. 옛날 선생님들의 아나공 수업을 이제 막 노력을 해서
지금은 어느 정도 정상 궤도에 올라와서 체육이 노는 수업이 아니라고 다 바꾸어
놨는데 다시 거꾸로 가고 있습니다. 역전 현상이 일어나는 거죠. 스포츠강사가 결국
지원이 안 되면 일반 교과 선생님이 맡게 되고 이것도 마찬가지로 수업이 파행되고
또 아나공 수업이 되는 겁니다(C교육지원청 G장학사).

지금 장학사님이 말씀 하셨듯이 원래 수업하고 스포츠클럽 하고 보면 스포츠클럽


이 더 우위가 되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게 정규 수업하고 스포츠클럽 시간하고 겹치
면 정규 수업하는 애들은 체육관을 못 쓰고 스포츠클럽이 체육관을 쓰게 되니까 학
생들이 스포츠클럽을 더 좋아 할 수밖에 없지요. 늘어난 체육활동을 학교 선생님 본
인이 다 하시다 보면 수업이 과중이 돼서 강사를 구해야 하는 데, 특히 우리 지역
같은 경우는 소규모 학교가 많아요. 그러다 보니깐 강사를 못 구하고.. 그리고 강사
를 뽑는데 강사의 자격도 문제가 있습니다. 지금 누구나 다 할 수가 있어요. 아무나
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성이 떨어지고, 정규 수업이 아니라 아이들을 대충 가르
쳐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어 책임감도 없습니다. 강사의 자격도 아이들 수업을 하는
것인데 아무나 와서 다 합니다만, 이것은 아닌 것 같아요(M교육지원청 H장학사).

13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다음으로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였는데 학생들은 대
2
체로 만족한다고 긍정적인 응답(66.0%)을 하였다(<표 Ⅳ-33> 참조). X 검정 결과 긍정적
응답에 대해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보다 매우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대도시와 읍면 지
역에 비해 중소도시에서 낮은 긍정적 응답률을 나타냈다. 학교 형태에 따라서는 아무래도
남학생의 수가 많은 남학교나 남녀공학보다는 여학교에서 낮은 긍정적 응답률을 보였다.

<표 Ⅳ-33>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 - 학생


(단위 : 빈도(%))
매우 그저 만족하지 매우 배운적
구분 만족한다 계 X 2(Sig.)
만족한다 그렇다 않는다 불만족하다 없다
455 829 483 72 50 57 1,946
전체
(23.4) (42.6) (24.8) (3.7) (2.6) (2.9) (100.0)
335 484 221 40 34 36 1,150

(29.1) (42.1) (19.2) (3.5) (3.0) (3.1) (100.0) 77.877
120 345 262 32 16 21 796 (.001)

(15.1) (43.3) (32.9) (4.0) (2.0) (2.6) (100.0)
237 337 154 22 9 15 774
대도시
(30.6) (43.5) (19.9) (2.8) (1.2) (1.9) (100.0)
108 297 236 39 29 35 744 101.679
중소도시
(14.5) (39.9) (31.7) (5.2) (3.9) (4.7) (100.0) (.001)
110 189 90 10 12 7 418
읍면지역
(26.3) (45.2) (21.5) (2.4) (2.9) (1.7) (100.0)
282 615 384 53 24 34 1,392
남녀공학
(20.3) (44.2) (27.6) (3.8) (1.7) (2.4) (100.0)
149 133 44 8 20 16 370 121.136
남학교
(40.3) (35.9) (11.9) (2.2) (5.4) (4.3) (100.0) (.001)
20 80 53 8 6 7 174
여학교
(11.5) (46.0) (30.5) (4.6) (3.4) (4.0) (100.0)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만족의 이유로 학생들은 ‘ 학생들에게 친밀한 태도를 보여서


(53.0%)’ 라고 응답하였다(<표 Ⅳ-34> 참조). 스포츠강사가 학생의 만족도를 높이려고 노
력하는 적극적인 태도는 학생들에게 긍정적 반응을 일으키고 있고, 특히 여학생에게 만족
을 주는 큰 이유가 되고 있다. 남학생의 경우는 ‘ 스포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었다’ 는 면
2
이 여학생에 비해 만족을 주는 이유로 꼽혔다. 지역별로는 X 검정 결과 대도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 스포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었다’ 는 면과 ‘ 학생들에게 친밀한 태도를 보여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31


서’ 라는 면이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중소도시 지역의 응답자는 ‘ 학생들을 인격적으로 지
도한다’ 는 면과 ‘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활용해서’ 라는 면에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응답
률을 나타냈다. 읍면 지역의 응답자들은 특히 ‘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활용해서’ 라는 면에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으며 이외에 ‘ 스포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었다’ 는 면에도 비교적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표 Ⅳ-34>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만족의 이유 - 학생


(단위 : 빈도(%))
스포츠에 효과적인
학생들에게 학생들을
대한 지도
구분 친밀한 인격적으로 기타 계 X 2(Sig.)
전문성을 방법을
태도를 보임 지도함
갖춤 활용함
전체 217(16.5) 250(19.0) 698(53.0) 146(11.1) 6(0.5) 1,317(100.0)
남 167(20.0) 164(19.6) 407(48.6) 96(11.5) 3(0.4) 837(100.0) 26.354
여 50(10.4) 86(17.9) 291(60.6) 50(10.4) 3(0.6) 480(100.0) (.001)

대도시 108(18.4) 98(16.7) 327(55.7) 52(8.9) 2(0.3) 587(100.0)


16.271
중소도시 60(14.2) 82(19.4) 217(51.4) 60(14.2) 3(0.7) 422(100.0)
(.039)
읍면지역 49(16.3) 67(22.3) 150(50.0) 34(11.3) 0(0.0) 300(100.0)

반면,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불만족 이유로는 ‘ 비효율적인 지도(38.2%)’ , ‘ 스포츠에


대한 전문성의 부족(20.8%)’ , ‘ 지나치게 엄한 태도(19.1%)’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X
2

검정 결과 학교 형태별로 다른 응답 패턴을 보였는데 남녀공학의 경우는 ‘ 비효율적인 지


도’ (46.7%)에, 남학교의 경우는 ‘ 지나치게 엄한 태도(24.2%)’ , 여학교의 경우는 ‘ 스포츠에
대한 전문성 부족(32.1%)’ 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표 Ⅳ-35> 참조).

<표 Ⅳ-35> 스포츠강사의 지도에 대한 불만족의 이유 - 학생


(단위 : 빈도(%))
스포츠에 학생들에게
비효율적인 지나치게
구분 대한 전문성 비인격적인 기타 계 X 2(Sig.)
지도 엄한 태도
부족 지도
전체 60(20.8) 110(38.2) 55(19.1) 53(18.4) 10(3.5) 288(100.0)
남녀공학 37(19.0) 91(46.7) 35(17.9) 28(14.4) 4(2.1) 195(100.0)
32.906
남학교 14(22.6) 12(19.4) 15(24.2) 19(3.6) 2(3.2) 62(100.0)
(.001)
여학교 9(32.1) 6(21.4) 3(10.7) 6(21.4) 4(14.3) 28(100.0)

13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2) 체육활동의 내실화

(가)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확산을 통한 중학교 수업 시수 확대

체육활동의 내실화를 위해서 정부가 중학교에 투입한 정책은 창체 학교스포츠클럽이


다. 이는 방과 후에 실시되는 학교스포츠클럽과는 다른 개념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
리 활동으로 편성되며 연간 34시간 범위 내에서 ‘ 체육’ 으로 대체하여 운영할 수 있기 때
문에 특히 주당 수업 시수가 2시간인 중학교 3학년에서 ‘ 체육’ 수업으로 활용함으로써 수
업 시수를 확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정책에 대한 찬반 의견 및 그 이유를 중학교 교사들
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많은 응답자들이 찬성(60.7%)한다고 응답하였으나 반대 의견
(37.9%) 역시 응답률이 높았다(<표 Ⅳ-36> 참조).

<표 Ⅳ-36>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찬성 반대 무음답 계

중학교 85(60.7) 53(37.9) 2(1.4) 140(100.0)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찬성의 이유로 교사들은 ‘ 학생의 건강 및 체력의 증


진 효과(37.6%)’ , ‘ 학생들의 활기찬 학교생활에 도움(37.6%)’ 에 대해 가장 많은 응답을 보
여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이
예측되었다. ‘ 학교폭력 감소 효과(17.7%)’ 역시 응답률이 비교적 높아 정책이 추구했던 목
2
적에 어느 정도 접근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표 Ⅳ-37> 참조). X 검
정 결과 연령별, 직책별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20대는 ‘ 학생의 건강 및 체력의
증진 효과’ 를, 30대와 50대는 ‘ 학생들의 활기찬 학교생활에 도움’ 을, 40대는 이 두 요소를
동일하게 찬성 이유로 언급하였다. 또한 담임교사는 ‘ 학생의 건강 및 체력의 증진 효과’
를, 교과 담당 교사는 ‘ 학생들의 활기찬 학교생활에 도움’ 을, 부장교사는 이 두 요소를 동
일하게 찬성 이유로 언급하고 있는데, 특히 부장교사의 경우는 ‘ 학교폭력 감소 효과’ 에
대해 긍정적으로 기대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33


<표 Ⅳ-37>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찬성의 이유 - 교사
(단위 : 빈도(%))
스포츠 학생들의
학생의 학생의 건강
학교 폭력 기능의 활기찬
구분 인성 발달 및 체력의 계 X 2(Sig.)
감소 효과 향상 학교생활에
가능성 증진 효과
가능성 도움

전체 15(17.7) 5(5.9) 32(37.6) 1(1.2) 32(37.6) 85(100.0)

20대 0(0.0) 0(0.0) 5(71.4) 0(0.0) 2(28.6) 7(100.0)

30대 6(18.8) 0(0.0) 11(34.4) 1(3.1) 14(43.8) 32(100.0) 22.605


40대 1(4.8) 0(0.0) 10(47.6) 0(0.0) 10(47.6) 21(100.0) (.031)

50대 이상 4(18.2) 5(22.7) 6(27.3) 0(0.0) 7(31.8) 22(100.0)

담임교사 4(10.3) 0(0.0) 19(48.7) 1(2.6) 15(38.5) 39(100.0)


19.615
부장교사 7(26.9) 1(3.8) 9(34.6) 0(0.0) 9(34.6) 26(100.0)
(.012)
교과담당 교사 0(0.0) 3(20.0) 3(20.0) 0(0.0) 9(60.0) 15(100.0)

실제로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편성, 운영하면서 어떤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는지


를 중심으로 면담 조사를 한 결과 학생들에게 신체적, 심리정서적으로 다양한 효과가 있
음을 찾아볼 수 있었다. 학생에게 투입된 다양하고 많은 신체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으로
학생들의 체육활동 참여 기회가 확대되었고, 실제적으로 신체활동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여러 면에서 활동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특히 움직임이 적은 여학생
의 경우 효과가 더 크게 발생하여 정부의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한 부분인 여학생 체
육의 활성화에도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활동 체험을 통해 학생들은 자존
감, 성취감, 배려심, 리더십 등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고, 이는 학생 정신적 건
강의 증진뿐 아니라 건전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이 되었고, 결과적으로 활기
찬 학교문화의 조성이나 학교폭력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였다. 스포츠 활동을 통
해 학생들은 흥미와 즐거움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가 되고, 좋은 교우관계 형성으로 학교
폭력 예방 효과 및 학생 인성교육에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또한 이러한 학교 분
위기는 폭력과 따돌림이 없는 즐겁고 행복한 활기찬 학교 풍토를 조성함으로써 다수의
잠재적 일탈 가능성이 줄어들어 학교폭력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부에 매년 보
고되고 있는 학교폭력 발생율의 감소는 정책 시행에 의한 긍정적 성과라고 할 수 있고,

13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실제 체육교육 활성화를 위한 창의경영학교의 학교 분위기나 학교폭력 발생률은 현저히
개선되었음이 보고되었다.
더불어 체육 수업으로 운영되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학생들에게 수행평가나 시험
등을 위한 체육활동이 아닌 자유롭게 신체활동을 할 수 있다는 분위기를 제공하여 보다
높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나아가 본인이 흥미를 느끼는 스포츠 활동을 지속함으로써
학생 개개인별로 한 종목 이상씩의 특기가 신장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고 면담 대
상자들은 응답하였다.

교사나 스포츠강사나 각자의 역량이 다 다릅니다. 전공별로 따지면 발휘할 수 있


는 종목도 있고 할 수 없는 종목도 있는데 그 부분을 누군가가 와서 채워준다면 아
이들에게는 굉장한 만족감을 줄 수 있죠. 결국은 자신의 스포츠 활동 경험이나 능력
이 스포츠클럽 리그라든지 전반적으로 맞물려서 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봤을 때는
학생들에게 굉장히 좋은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도 특히 참여도가 남학
생들에게는 엄청납니다. 아이들은 학교 오는 것 자체를 활동을 즐기러 오는 학생도
굉장히 많습니다. 학교폭력을 직접적으로 예방하는 차원도 있지만 학생들이 스포츠
활동에 몰입하고 참여를 하면 다른 것에 신경 쓸 여력이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학교폭력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죠.(S교육지원청 D장학사)

반면에,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반대의 이유로 교사들은 ‘ 체육 공간 및 시설


의 부족으로 운영이 어려움(59.4%)’ 과 ‘ 체육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부족으로 체육교육에 혼
란을 야기함(28.4%)’ 에 대부분 응답하였다(<표 Ⅳ-38> 참조).

<표 Ⅳ-38>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반대의 이유 - 교사


(단위 : 빈도(%))

체육 공간 및 체육교육과정과의 창의적
기존 학교
시설의 연계성 부족으로 체험활동의
구분 스포츠클럽과 기타 계
부족으로 체육교육에 혼란 다양성 훼손
의 혼동
운영이 어려움 야기 가능성

중학교 44(59.4) 21(28.4) 3(4.1) 2(2.7) 4(5.4) 74(100.0)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반대 이유와 관련하여 실태에 대한 면담 조사 결과


체육교육과정 운영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과의 혼란 문제, 지도자와 관련된 문제,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35


수업 환경의 문제, 업무 운영상의 문제 등으로 크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면담 대상자들은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시간과 체육 수업을 혼돈하고 있고, 학
습해야 할 교과 내용이나 평가의 부담에서 벗어나는 학교스포츠클럽에만 더 관심과 흥미
를 가짐으로 정규 체육 수업을 멀리하는 경향을 나타내 체육교육과정 운영에서 곤란이
발생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체육 수업조차도 계획된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등의 행
사를 준비하는데 치우치는 등 주객이 전도된 체육 학습활동이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하였
다. 또한, 창체 시간의 일부를 활용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우선 운영하기 때문에 다양
한 범교과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창체 시간이 축소, 폐지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정규 체육 수업
으로 포함시켜 교육과정 편성, 계획 하에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지도자와 관련하여 또한 면담 대상자들은 문제점을 제시하였는데, 급하게 시작된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으로 인해 부족한 지도자를 일반교사나 스포츠강사 등으로 채우게
되면서, 투입된 일반교사의 전문성 부족은 내실 있는 스포츠클럽 활동을 기대하기 어려우
며, 책무성이나 소속감, 수업전문성이 부족한 스포츠강사는 기능 위주의 스포츠클럽 활동
을 할 뿐 기존의 체육교과교육의 목표나 지향점과는 먼 체육 수업을 함으로써 적절한 교
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그나마도 소규모 농산어촌 지역에서는 강사 수급이
어려워 부적격자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강사
선발 기준이 반드시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담당하는 유형별 지도자 비율은 우리 지역의 경우


일반교과 교사 65%, 체육교과 교사 15%, 스포츠강사 20%입니다. 체육교과에 대한
교수능력이 부족한 일반교과 교사가 수업을 담당하다 보니 전문성이 턱없이 부족하
여 교사의 부담감은 높고 이에 따라 파행 수업(자습, 아나공식 수업 등)이 굉장히
많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학생들은 이러한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정규 수업과
동일시하여 똑같은 체육 수업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 정규 체육 수업에서 많
은 문제점이 생겨납니다. 창체 수업도 정규 수업의 일환이며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
해 생겨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도 엄연히 체육 수업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정규 체
육교과 교사가 담당하는 체육교과로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흡수되어야 합니
다. 따라서 개선점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포함되어 중학교 정규 체육 수업이
4, 4, 4시간으로 확대되는 것이 실현되어야 합니다(C교육지원청 G장학사).

13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학교스포츠클럽이 2012년부터 시행이 되었는데 급하게 시작이 되다보니 강사를
구하기 어려웠고 자격 기준이 대학교 3∼4학년부터 가능했습니다. 학교 스포츠클럽
이 정규 수업인 데도 불구하고 체육교사와 매우 차이 나는 사람이 이 수업을 담당
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많은 겁니다. 체육 수업인데 전문성은 진짜 없는 지도자가
배치되는 것이지요. 염려스러운 것 중에 한 가지가 학생들이 바라봤을 때는 다 똑같
은 체육이라는 겁니다. 정규수업도 체육이고, 학교스포츠클럽도 체육이고. 그러다 보
니깐 아이들도 체육 수업을 보는 눈이 혼란스러운 거죠.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
스포츠강사들 중에는 수업을 잘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수업에 대한 절차나 방법이나
이런 부분들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있었고, 저희들도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을 어떻
게 하는 것이 잘하는 것인지 그 부분에 대해서 고민이나 생각을 많이 하고 어려웠
습니다. 물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체육 수업과는 다른 점이 있겠고, 그래서 학교
스포츠클럽에 대한 수업은 어떻게 하는 것이 정말 바람직한 것인가 체육 수업과는
좀 차별화 되는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는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우리가 더 고민하고
더 교육하고 그런 부분들이 전제가 될 필요가 있습니다(Y교육지원청 E장학사).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학생들의 선택권을 존중하여 동 시간에 다양한 클럽을 편


성해 수업하고 있어 공간 부족, 인원 제한, 원하지 않는 클럽 배정, 장비 부족 등 수업 환
경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응답되었다. 이러한 활동 공간의 문제는 안전사고나
학생들의 만족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정책의 적절한 시행 및 긍정적 성과 도출에 걸
림돌이 될 수 있다는 의견들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교사에게 부가되는 행정적 업무의 과중 문제와 복무나 연수, 수업 등 전반
에 걸쳐 스포츠강사 관리를 체육교사가 담당함에 따른 업무 부담이 큰 문제가 있고, 강사
비 등의 예산 문제가 시ㆍ도교육청으로서는 감당하기 곤란한 상황이라 운영 여부와 질적
확보에 예산의 제한이 항상 존재한다는 어려움을 제시하였다.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대하여 학생들은 만족하고 있는지 설문 조사 한 결과 약
65.5%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표 Ⅳ-39> 참조). X2 검정 결과 남학생의 만족도가 현
저히 높았고, 대도시와 읍면 지역의 응답자의 만족도가 높은 반면 중소도시의 응답자의
만족도는 비교적 낮았다. 학교 형태에서는 남학생의 수에 비례하여 남학교가 가장 높고,
남녀공학, 여학교의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
답 집단의 크기는 매우 작았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37


<표 Ⅳ-39>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만족도 - 학생
(단위 : 빈도(%))
매우 그저 만족하지 매우
구분 만족한다 계 X 2(Sig.)
만족한다 그렇다 않는다 불만족하다
전체 479(25.9) 733(39.6) 470(25.4) 116(6.3) 52(2.8) 1,850(100.0)
남 367(33.4) 436(39.7) 206(18.7) 56(5.1) 34(3.1) 1,099(100.0) 112.223
여 112(14.9) 297(39.6) 263(35.1) 60(8.0) 18(2.4) 750(100.0) (.001)

대도시 228(31.9) 299(41.8) 140(19.6) 33(4.6) 15(2.1) 715(100.0)


67.160
중소도시 127(17.6) 278(38.5) 234(32.4) 57(7.9) 26(3.6) 722(100.0)
(.001)
읍면지역 122(30.3) 153(38.0) 92(22.8) 25(6.2) 11(2.7) 403(100.0)
남녀공학 299(22.1) 542(40.0) 383(28.3) 95(7.0) 35(2.6) 1,354(100.0)
109.793
남학교 156(46.3) 119(35.3) 41(12.2) 9(2.7) 12(3.6) 337(100.0)
(.001)
여학교 22(14.9) 68(45.9) 44(29.7) 9(6.1) 5(3.4) 148(100.0)

만족하는 이유에 대한 질문에서 학생들은 ‘ 스포츠를 통한 즐거움의 증가’ (51.8%) 때문


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 건강 및 체력 향상’ (24.9%), ‘ 스포츠 기능 향상’ (12.1%)
순으로 이유를 거론하였다(<표 Ⅳ-40> 참조). 응답 결과를 통해 신체활동 참여를 통한
심리정서적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어 정책이 추구하는 목적과 지향점에 적절한 방
향으로 정책이 운영,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X 검정 결과 남학생은 ‘ 건
2

강 및 체력 향상’ 때문에 만족하는 반면 여학생은 ‘ 교우관계의 발전’ 으로 만족하는 것으


로 응답 경향이 서로 달랐으며 이를 통해 여학생에서 왕따 등 학교폭력 문제의 감소 효
과를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지역별로는 읍면 지역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 스포츠를 통
한 즐거움의 증가’ 이유가 응답률이 조금 낮은 반면 ‘ 스포츠 기능 향상’ 의 이유에 응답률
이 조금 더 높았다.
이 결과는 읍면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움직임이나 신체활동 기회가 좀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기능 향상을 위한 전문적 교육을 받을 기회가 적었기 때문일 것으
로 분석된다. 학교 형태별 차이 분석에서는 여학교에서 ‘ 스포츠를 통한 즐거움의 증가’
이유에 응답률이 비교적 낮았고, 자료 분석에서 추론해 볼 때 남녀공학의 여학생들에서
‘ 교우 관계 발전’ 의 이유가 다른 응답자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13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40>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만족의 이유 - 학생
(단위 : 빈도(%))
스포츠를
건강 및 스포츠 통한 교우 관계 스포츠맨
구분 기타 계 X 2(Sig.)
체력 향상 기능 향상 즐거움 발전 십의 형성
증가
319 155 663 119 12 13 1,281
전체
(24.9) (12.1) (51.8) (9.3) (0.9) (1.0) (100.0)
217 107 431 67 9 3 834

(26.0) (12.8) (51.7) (8.0) (1.1) (0.4) (100.0) 16.936
102 48 232 52 3 10 447 (.005)

(22.8) (10.7) (51.9) (11.6) (0.7) (2.2) (100.0)
146 58 294 46 7 2 553
대도시
(26.4) (10.5) (53.2) (8.3) (1.3) (0.4) (100.0)
95 45 233 42 3 6 424 20.817
중소도시
(22.4) (10.6) (55.0) (9.9) (0.7) (1.4) (100.0) (.022)
75 52 133 30 2 5 297
읍면지역
(25.3) (17.5) (44.8) (10.1) (0.7) (1.7) (100.0)
224 95 474 86 11 5 895
남녀공학
(25.0) (10.6) (53.0) (9.6) (1.2) (0.6) (100.0)
69 34 145 23 1 2 274 43.335
남학교
(25.2) (12.4) (52.9) (8.4) (0.4) (0.7) (100.0) (.001)
25 24 41 9 0 6 105
여학교
(23.8) (22.9) (39.0) (8.6) (0.0) (5.7) (100.0)

반면에 불만족하는 이유에 대하여 학생들은 ‘ 원하지 않은 스포츠 종목 배정’ (32.0%),


‘ 좁은 공간 및 스포츠 시설 부족’ (25.0%), ‘ 체계적이지 못한 수업 내용’ (21.0%) 순으로 응
답하였다(<표 Ⅳ-41> 참조). 전반적으로 활동 자체에 대한 불만 보다는 자신이 원하고,
마음껏 움직일 수 있는 내용과 공간 시설에 대한 불만이기 때문에 활동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종목으로 활동을 제공하고 운영 가능한 시설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필요 과제라고 하겠다.
X2 검정 결과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제공된 종목에 대한 불만이 현저하게 컸으
며, 학교 형태별 차이에서는 여학생 수에 비례해 여학교나 남녀공학에서 종목에 대한 불
만을 더 많이 제기하였고, 남학교에서는 지도교사의 전문성 문제에 대하여 가장 높은 불
만을 제시하였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39


<표 Ⅳ-41>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불만족의 이유 - 학생
(단위 : 빈도(%))
지나친 원하지
좁은 공간 체계적이 지도교사
경쟁 부상에 않는
구분 및 스포츠 지 못한 전문성 계 X 2(Sig.)
위주의 대한 우려 스포츠
시설 부족 수업 내용 부족
활동 종목 배정
82 18 12 69 105 42 328
전체
(25.0) (5.5) (3.7) (21.0) (32.0) (12.8) (100.0)
48 14 9 40 44 24 179

(26.8) (7.8) (5.0) (22.3) (24.6) (13.4) (100.0) 13.679
34 4 3 29 61 18 149 (.018)

(22.8) (2.7) (2.0) (19.5) (40.9) (12.1) (100.0)
68 15 11 55 85 23 257
남녀공학
(26.5) (5.8) (4.3) (21.4) (33.1) (8.9) (100.0)
4 2 1 13 5 15 40 43.547
남학교
(10.0) (5.0) (2.5) (32.5) (12.5) (37.5) (100.0) (.001)
9 0 0 1 14 4 28
여학교
(32.1) (0.0) (0.0) (3.6) (50.0) (14.3) (100.0)

현재 중학교 3학년의 주당 체육활동 시간 배정 실태와 학교스포츠클럽 시수 활용 실태


를 파악하고 정규 체육 수업 시수로의 확대 방안에 대한 의견을 도출하고자 관련 질문으
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학교 3학년의 주당 체육활동 시간 배정 실태는 대부분 교육과정에 제안된 운영 안에
맞도록 4시간(60.0%)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표 Ⅳ-42> 참조). 또한 창체 학교스포
츠클럽 활동을 정규 체육 수업 시수로 확대 운영하고 있는 경우는 30.4%에 불과하여 그
리 활성화되어 있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표 Ⅳ-43> 참조).

<표 Ⅳ-42> 3학년의 주당 체육활동 시간(수업 및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배정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계

중학교 9(6.4) 6(4.3) 33(23.6) 84(60.0) 8(5.7) 140(100,0)

14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43>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정규 체육 수업 시수로 확대
운영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확대 운영함 확대 운영하지 않음 계

중학교 42(30.4) 96(69.6) 138(100.0)

관련하여 학생들에게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에 참여하는 시간을 질문하였는데


대부분의 학교에서 1시간(55.9%)을 운영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2시간(38.4%) 운영한다는
응답에 빈도가 높았다(<표 Ⅳ-44> 참조). X2 검정 결과 남학교 보다 여학교에서, 또한 다
른 지역에 비해 읍면 지역에서 2시간 운영하는 비율이 더 높아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
내었다.

<표 Ⅳ-44>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평균 참여 시간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0시간 1시간 2시간 계 X 2(Sig.)
전체 111(5.7) 1,091(55.9) 748(38.4) 1,950(100.0)
남 70(6.1) 679(58.7) 407(35.2) 1,156(100.0) 12.105
여 41(5.2) 411(51.8) 341(43.0) 793(100.0) (.002)

대도시 61(7.9) 405(52.3) 308(39.8) 774(100.0)


148.787
중소도시 33(4.4) 526(70.3) 189(25.3) 748(100.0)
(.001)
읍면지역 16(3.8) 154(36.9) 247(59.2) 417(100.0)
남녀공학 50(3.6) 857(61.4) 488(35.0) 1,395(100.0)
115.420
남학교 36(9.7) 187(50.4) 148(39.9) 371(100.0)
(.001)
여학교 25(14.5) 41(23.7) 107(61.8) 173(100.0)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을 체육 수업으로 전환하는 비율이 낮은 이유와 또한


이를 확산시키기 위해 필요한 방안이나 지원 사항에 대하여 면담 조사한 결과 이것은 교
원 수급의 문제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정규 수업으로 전환한다는 것은 학생의 동아리 활
동 수준이 아닌 전문적인 체육 수업으로 이어져야 하며 지도자는 학교의 체육교육을 전
적으로 책임질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체육 교사 즉 정규 교사나 최소한 기간제 교사 등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41


이 지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하는데 예산과 교원의 부족으로 전환이 어려운 상황
이라고 한다. 만약 교사가 지원되지 않는다면 현재의 체육교사가 고스란히 수업의 증가분
을 감당하여야하기 때문에 업무 부담이 매우 과중할 수 있다. 또한 타 교과와의 시수 조
정 문제도 불거질 가능성이 있어 학교에서 교육과정 편성 시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도 제
시되었다. 따라서 전환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나 교육과정 편성 주관자가 교육과정
에 대해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며, 이들에게 체육교육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을 넓
혀야 할 것이다.

3학년에서 2시간을 창체 학교스포츠클럽을 한다면 대부분 순증을 하고 1시간은


기존 창체를 쓰는 것이 대부분 일 것입니다. 순증은 체육 선생님들이 무조건 시간이
플러스 되는 것입니다. 기존처럼 창체 시간으로 운영하며 그 시간을 그 학교 내에
교사들이 해야 되는 시간인데 이제 시간을 체육교사가 해야 하는 것이지요. 그렇게
되면 정원하고 관련이 되게 됩니다. 그리고 함께 예산 문제가 거론이 되지요. 근데
기간제 교사나 시간강사의 수당도 인건비에서 따로 주는 것이 아니다 보니깐 학교
현장에서 체육교사의 수업 시수를 살펴보아서 관리자들과 교육과정담당자들과 협의
해서 수업 시간이 적은 학교에 한해서 정규 교과 시간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입니
다. 절대 시수가 넘게 되면 학교에서 전환하기 어려운데 우리 지역 같은 경우도 평
균 시수를 따져보면 중학교 시수가 19∼21 시간 사이 정도 되어 쉽지 않습니다. 2
시간 중에 1시간이 순증일 경우에는 체육교사가 무조건 시간이 플러스 되는 그런
개념이 되는 거지요. 기존 창체 시간을 가져간다는 것은 다른 교과에서 감원이 된
다는 그런 개념이기 때문에 다른 교과에서 반발하고, 그래서 전환하기가 어렵거든
요. 아무튼 이런 저런 상황들이 전환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정책들이 좋은
취지로 시작되었겠지만 학교현장에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많이 있습니다. 정원을
늘리든지 아니면 기간제나 추가적인 인건비 지원이 되어야 그런 것이 운영 가능하
고 교육과정도 좀 더 내실화 될 수 있는 여지가 있겠다고 하겠습니다(Y교육지원청
E장학사).

시수 확대를 통해 실제로 얻었던 이점에 대해 교사들은 ‘ 학생의 신체활동 활성화


(50.0%)’ 와 ‘ 학교폭력 감소(23.8%)’ 라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자
체의 효과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표 Ⅳ-45> 참조). 즉, 체육 시수 확대 즉 신체활
동 및 스포츠 활동 기회를 확대 제공하는 것은 분명히 심리정서적 효과를 함께 가져온다
는 것을 제시하고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14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45> 정규체육 수업 시수의 확대로 실제 얻은 이점 - 교사
(단위 : 빈도(%))
학교 폭력 인성 교육 체육 수업의 학생의 신체활동 체육지도자의
구분 계
감소 효과 증대 안정적 운영 활성화 전문성 확보
중학교 10(23.8) 3(7.1) 6(14.3) 21(50.0) 2(4.8) 42(100.0)

정규체육 수업 시수를 확대한다면 기대되는 이점이 어떤 것인지 교사들에게 설문 조사


한 결과에서는 ‘ 학생의 신체활동 활성화’ (48.5%), ‘ 체육 수업의 안정적 운영 가능
성’ (30.3%), ‘ 학교폭력 감소에 영향’ (12.3%)의 순으로 응답되었다(<표 Ⅳ-46> 참조).

<표 Ⅳ-46> 정규체육 수업 시수의 확대로 기대되는 이점 - 교사


(단위 : 빈도(%))
체육 수업의
학교폭력 인성 교육 학생의 신체활동 체육지도자의
구분 안정적 운영 계
감소에 영향 기회 증대 활성화 전문성 확보
가능성
중학교 16(12.3) 9(6.9) 39(30.0) 63(48.5) 3(2.3) 130(100.0)

정규체육 수업 시수로의 확대를 기대하면서 현재의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체육


교육과정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실태에 대해 교사에게 의견 조사를 한 결과 56.1%가
연계되었다고 긍정적 응답을 한 반면, 28.8%가 연계되지 않았다는 부정적 응답을 제시하
2
였다(<표 Ⅳ-47> 참조). 특히 여학교의 경우 X 검정 결과 연계성에서 부정적 응답이 많
이 제시되어 다른 학교 형태에 비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표 Ⅳ-47>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체육교육과정 운영 연계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잘 연계되어 연계된 연계되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있다 편이다 않았다 연계되지 않았다
전체 31(22.3) 47(33.8) 21(15.1) 27(19.4) 13(9.4) 139(100.0)
남녀공학 21(22.3) 29(30.9) 16(17.0) 19(20.2) 9(9.6) 94(100.0)
남학교 5(15.6) 17(53.1) 3(9.4) 7(21.9) 0(0.0) 32(100.0)
여학교 4(33.3) 1(8.3) 2(16.7) 1(8.3) 4(33.3) 12(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43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체육교육과정과 연계된 차원에 대하여 교사들은 주로 교
수·학습 내용 차원(43.0%)과 체육교육과정의 목표 차원(38.0%)에서 연계되었다고 응답
하였다(<표 Ⅳ-48> 참조).

<표 Ⅳ-48>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체육교육과정과의 연계 차원 - 교사


(단위 : 빈도(%))

체육교육과 체육교육과정의 체육교육과정의 체육교육과


구분 정의 목표 교수·학습 교수·학습방법 정의 평가 기타 계
차원 내용차원 차원 차원

중학교 38(38.0) 43(43.0) 16(16.0) 2(2.0) 1(1.0) 100(100.0)

지금까지 논의한 창체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의 개선점에 대하여 면담 조사한 결과 필


요한 정책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제기되었다. 먼저 지도자의 문제로 체육 정규 교사와
같이 수업 전문성을 갖춘 지도자를 배치하여 적절한 학습 효과를 도모하고, 부작용을 방
지할 필요가 제시되었다. 이를 위해 교원 연수에 대한 규정을 개정해 수업 전문성 신장에
대한 강제성 있는 연수 수강을 법적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면담 대상
자들은 교사들이 현재 승진과 관련해 점수를 쉽게 획득하기 위한 연수만 신청할 뿐 실제
로 수업 전문성 신장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연수가 원활히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
하였다. 이에 체계적인 연수 시스템 마련과 더불어 교사들이 수업전문성 신장 및 자기계
발에 대한 의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또한 스포츠강사를 활용할 경우 시
ㆍ도교육청 차원에서 전담 부서를 설치하여 선발, 관리, 유지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하고 운영해야 하며 정부에서 적절한 스포츠강사 활용을 위한 지속적인 예산 지원을
해 줌으로서 계획적인 관리, 운영이 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운동장, 체육
관, 장비 등의 시설이나 기구에 대해서도 예산 지원이 필요한 사안과 인접지 시설 활용에
대한 사안을 구별하여 MOU 체결 등 적극적이며 체계적인 계획 수립과 운영이 요구된다
고 응답하였다.
무엇보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역시 체육 수업임을 학생이나 지도자가 인식할 수 있도
록 창체가 아닌 교과 수업 내에 포함시켜 체육교과 수업 시수를 확대(3-3-3)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고, 그래야 정식 수업으로서 정규 체육교사를 확보하고 체육 수업 안
에서 교육 목표에 맞고 교육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스포츠클럽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

14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정규 체육 수업의 목표와 성격을 고려해 볼 때 체육활동 내실
화를 위해 바람직한 체육 수업 편성 정책에 대한 의견을 교사와 학생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교사의 경우 ‘ 중학교 3학년 체육 수업 시간을 주당 1시간씩 확대(67.2%)’ , ‘ 정규 체
육 수업과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시간 모두 확대(25.5%)’ 의 순으로 응답하여 정규 체육 수
2
업 중심의 우선 확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Ⅳ-49> 참조). X
검정 결과 연령별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20대는 정규 수업과 창체를 모두 확
대하는 방안을 더 선호하였고, 30대 부터는 정규 체육 수업을 확대하는 방안을 선호하였
는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그 응답 빈도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표 Ⅳ-49> 체육활동 내실화를 위한 바람직한 체육 수업 편성 정책에 대한 의견 - 교사

전체 연령(%)
구분
(%)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중학교 3학년 체육 수업 시간을 주당 1
92(67.2) 3(33.3) 34(65.4) 26(70.3) 29(74.4)
시간씩 확대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 확대 7(5.1) 1(11.1) 3(5.8) 0(0.0) 3(7.7)
정규 체육 수업과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2(1.5) 0(0.0) 2(3.8) 0(0.0) 0(0.0))
시간 모두 축소
정규 체육 수업과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35(25.5) 4(44.4) 13(25.0) 11(29.7) 7(17.9)
시간 모두 확대
기타 1(0.7) 1(11.1) 0(0.0) 0(0.0) 0(0.0)
계 137(100.0) 9(100.0) 52(100.0) 37(100.0) 39(100.0)
2
X (Sig) 24.881(.015)

학생들의 경우 ‘ 정규 체육 수업과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시간 모두 확대(34.05%) ’ , ‘ 창


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 확대(28.0%)’ , ‘ 중학교 3학년 체육 수업 시간을 주당 1시간
씩 확대(26.5%)’ 의 순으로 응답하여 교사들보다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선호하는 것
2
으로 분석되었다(<표 Ⅳ-50> 참조). X 검정 결과 남학생은 정규 수업과 창체를 모두 확
대하는 방안을 더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의 확대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공학에서는 정규 수업과 창체를 모두 확대하는 방안을,
남학교에서는 정규 수업을 확대하는 방안을, 여학교에서는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45


확대하는 방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각각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표 Ⅳ-50> 바람직한 체육 수업 편성에 대한 의견 - 학생


(단위 : 빈도(%))

중학교 3학년 정규체육 정규체육


창체
체육 수업과 창체 수업과 창체
학교스포츠
구분 수업시간을 학교스포츠 학교스포츠 기타 계 X 2(Sig.)
클럽 활동
주당 1시간씩 클럽 시간 클럽 시간
시간 확대
확대 모두 축소 모두 확대

전체 484(26.5) 512(28.0) 195(10.7) 621(34.0) 15(0.8) 1,827(100.0)

남 326(29.5) 276(25.0) 79(7.1) 419(37.9) 5(0.5) 1,105(100.0)


68.683
(.001)
여 158(21.9) 236(32.7) 116(16.1) 202(28.0) 10(1.4) 722(100.0)

남녀공학 318(24.4) 373(28.6) 125(9.6) 479(36.8) 7(0.5) 1,302(100.0)


85.907
남학교 135(38.1) 82(23.2) 31(8.8) 103(29.1) 3(0.8) 354(100.0)
(.001)
여학교 27(16.6) 57(35.0) 39(23.9) 35(21.5) 5(3.1) 163(100.0)

(나) 고등학교 10단위 6학기 이수 운영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체육교과의 필수이수 단위를 상향조정하


여 전 학년에 걸친 체육 수업의 편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제 10단위 6학기 편성 이수를 시행하고 있는지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에게 이번
학기의 주당 체육 수업 시간을 알아보았다. 주당 체육 수업 시간은 대부분 2시간(75.9%)
이라고 응답하고 있어 이를 미루어보아 10단위 6학기 이수가 긍정적으로 지켜질 것으로
예측되었다(<표 Ⅳ-51> 참조). 그러나 X2 검정 결과 남학생(또한 남학교)의 경우가 1시간
편성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응답되었고, 남녀공학의 경우는 다른 학교 형태에 비해
3시간 편성에, 여학교의 경우는 2시간 편성에 상대적으로 많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도시에서는 1시간 편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고, 중소도시에
서는 2시간 편성이, 읍면 지역에서는 1시간 및 3시간 편성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오히려
2시간 편성이 현저히 낮게 응답되었다.

14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51> 이번 학기의 주당 체육 수업 시간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0 시간 1 시간 2 시간 3 시간 4 시간 계 X 2(Sig.)

전체 4(0.3) 133(10.8) 933(75.9) 134(10.9) 25(2.0) 1,229(100.0)

남 4(0.6) 109(17.4) 418(66.9) 69(11.0) 25(4.0) 625(100.0)


93.196
(.001)
여 0(0.0) 24(4.0) 515(85.3) 65(10.8) 0(0.0) 604(100.0)

대도시 1(0.2) 94(18.4) 386(75.7) 4(0.8) 25(4.9) 510(100.0)


350.037
중소도시 2(0.4) 5(0.9) 480(87.6) 61(11.1) 0(0.0) 548(100.0)
(.001)
읍면지역 1(0.6) 34(19.9) 67(39.2) 69(40.4) 0(0.0) 171(100.0)

남녀공학 0(0.0) 67(10.3) 480(73.8) 103(15.8) 0(0.0) 650(100.0)


174.649
남학교 1(0.3) 62(19.4) 202(63.1) 31(9.7) 24(7.5) 320(100.0)
(.001)
여학교 0(0.0) 4(1.6) 240(98.4) 0(0.0) 0(0.0) 244(100.0)

체육 관련 교과를 고등학교에서 6학기 편성하는 것에 대한 찬반 의견을 교사에게 질문한


결과 교사들은 거의 대부분이 찬성(95.4%)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표 Ⅳ-52> 참조).

<표 Ⅳ-52> 체육 관련 교과의 6학기 편성에 대한 찬반 의견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찬성 반대 계

고등학교 83(95.4) 4(4.6) 87(100.0)

그 이유에 대해서는 ‘ 학생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 기회를 확대(65.4%)’ 할 수 있기 때문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 스포츠 종목의 심화 과정 운영(12.4%)’ , ‘ 다양한 체육 선택
교과의 학습(11.1%)’ , ‘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 해소(10.7%)’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Ⅳ
-53> 참조). X 검정 결과 응답 경향성은 30대와 40대가 ‘ 학생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 기
2

회를 확대’ 측면에 가장 많이 응답한 것에 비해 50대는 비교적 낮은 비율로 응답하고 있


으며 다양한 체육 선택 교과나 신체활동 경험 기회의 확대 측면 때문에 찬성한다고 상대
적으로 다른 견해를 나타냈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47


<표 Ⅳ-53> 체육 수업의 6학기 편성에 대해 찬성하는 이유 - 교사
(단위 : 빈도(%))
학생들의 다양한 학생들의 스포츠 다양한
규칙적인 체육 학업 종목의 신체활동
구분 계 X 2(Sig.)
신체활동 선택교과의 스트레스 심화과정 경험 기회
기회 확대 학습 해소 운영 확대

전체 53(65.4) 9(11.1) 195(10.7) 10(12.4) 8(9.9) 81(100.0)

20대 0(0.0) 0(0.0) 1(50.0) 0(0.0) 1(50.0) 2(100.0)

30대 21(87.5) 1(4.2) 1(4.2) 0(0.0) 1(4.2) 24(100.0)


26.943
(.008)
40대 12(85.7) 0(0.0) 1(7.1) 1(7.1) 0(0.0) 14(100.0)

50대 이상 20(48.8) 8(19.5) 7(17.1) 0(0.0) 6(14.6) 41(100.0)

체육 수업의 6학기 편성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교사들은 ‘ 체육 공간 및


시설의 부족(60.3%)’ , ‘ 입시 부담으로 인한 변칙적인 수업 운영(25.0%)’ 순으로 응답하였
2
다(<표 Ⅳ-54> 참조). X 검정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체육 공간 및 시설의 부족에 대하
여 상대적으로 문제점이 나타난다는 응답을 더 많이 제기하였다.

<표 Ⅳ-54> 체육 수업의 6학기 편성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의견 - 교사


(단위 : 빈도(%))

여러 타 입시부담
체육 공간
학년을 교과목의 으로 인한
구분 및 시설의 기타 계 X 2(Sig.)
지도해야 편성 시 변칙적인
부족
하는 부담 갈등 발생 수업 운영

전체 5(7.4) 41(60.3) 4(5.9) 17(25.0) 1(1.5) 68(100.0)

20대 0(0.0) 0(0.0) 0(0.0) 1(50.0) 1(50.0) 2(100.0)

30대 2(10.0) 8(40.0) 2(10.0) 8(40.0) 0(0.0) 20(100.0)


44.259
(.001)
40대 0(0.0) 11(91.7) 0(0.0) 1(8.3) 0(0.0) 12(100.0)

50대 이상 3(8.8) 22(64.7) 2(5.9) 7(20.6) 0(0.0) 34(100.0)

14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에 대해 학생에게 의견을 설문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대부분 긍
2
정적인 응답(79.4%)을 나타내었다(<표 Ⅳ-55> 참조). X 검정 결과 남학생 및 남학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더 많이 나타나고 여학교로 갈수록 긍정의 수준이 낮아지는 경
향성을 보였으며 지역별로는 대도시에서 긍정하는 응답 수준과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Ⅳ-55>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에 대한 의견 - 학생


(단위 : 빈도(%))

매우
매우 바람직 바람직 바람직
그저 바람직하지
구분 하다고 하다고 하지 않다고 계 X 2(Sig.)
그렇다 않다고
생각한다 생각한다 생각한다
생각한다

전체 525(43.6) 431(35.8) 198(16.5) 48(4.0) 1(0.1) 1,203(100.0)

남 355(57.9) 179(29.2) 73(11.9) 5(0.8) 1(0.2) 613(100.0)


121.899
(.001)
여 170(28.8) 252(42.7) 125(21.2) 43(7.3) 0(0.0) 590(100.0)

대도시 263(52.6) 167(33.4) 63(12.6) 7(1.4) 0(0.0) 500(100.0)


44.415
중소도시 191(35.6) 203(37.8) 110(20.5) 32(6.0) 1(0.2) 537(100.0)
(.001)
읍면지역 71(42.8) 61(36.7) 25(15.1) 9(5.4) 0(0.0) 166(100.0)

남녀공학 269(42.6) 236(37.3) 104(16.5) 22(3.5) 1(0.2) 632(100.0)


118.809
남학교 194(62.2) 94(30.1) 21(6.7) 3(1.0) 0(0.0) 312(100.0)
(.001)
여학교 53(21.7) 102(41.8) 66(27.0) 23(9.4) 0(0.0) 244(100.0)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의 이점으로 학생들은 ‘ 건강 및 체력 향상(33.3%)’ , ‘ 스트레스


해소(28.4%)’ , ‘ 다양한 체육활동 경험(19.9%)’ 의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X2 검정 결과, 학교
의 남학생 수(비율)에 비례하여 ‘ 건강 및 체력 향상’ 에 더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고, 여학
생 수(비율)가 많아질수록 ‘ 스트레스 해소’ 에 대한 응답률이 더 높게 제시되는 경향을 보
였다(<표 Ⅳ-56> 참조). 지역적으로는 다른 지역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대도시에서는
‘ 다양한 체육활동의 경험’ 에, 중소도시에서는 ‘ 규칙적인 신체활동 기회의 마련’ 에, 읍면 지
역에서는 ‘ 건강 및 체력 향상’ 그리고 ‘ 스트레스 해소’ 에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었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49


<표 Ⅳ-56>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의 이점 - 학생
(단위 : 빈도(%))
다양한 규칙적인
건강 및 스트레스 교우 관계 체육 기능
구분 체육활동 신체활동 계 X 2(Sig.)
체력 향상 해소 발전 향상
경험 기회 마련
406 243 347 55 24 146 1,221
전체
(33.3) (19.9) (28.4) (4.5) (2.0) (12.0) (100.0)
242 155 162 10 21 33 623

(38.8) (24.9) (26.0) (1.6) (3.4) (5.3) (100.0) 114.127
164 88 185 45 3 113 598 (.001)

(27.4) (14.7) (30.9) (7.5) (0.5) (18.9) (100.0)
180 117 132 20 16 44 509
대도시
(35.4) (23.0) (25.9) (3.9) (3.1) (8.6) (100.0)
163 101 160 29 7 84 544 29.512
중소도시
(30.0) (18.6) (29.4) (5.3) (1.3) (15.4) (100.0) (.001)
63 25 56 6 1 18 169
읍면지역
(37.3) (14.8) (33.1) (3.6) (0.6) (10.7) (100.0)
219 133 177 36 7 73 645
남녀공학
(34.0) (20.6) (27.4) (5.6) (1.1) (11.3) (100.0)
126 73 83 7 15 16 320 78.799
남학교
(39.4) (22.8) (25.9) (2.2) (4.7) (5.0) (100.0) (.001)
53 36 84 12 2 54 241
여학교
(22.0) (14.9) (34.9) (5.0) (0.8) (22.4) (100.0)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에 반대하는 학생들은 그 이유에 대하여 ‘ 학업 성적 관리에 대


한 부담(41.1%)’ , ‘ 탈의실 등 체육 수업에 대한 편의 시설 부족(23.3%)’ , ‘ 차별성 없는 수
업 내용으로 과목 흥미 저하(20.6%)’ 의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Ⅳ-57> 참조). X 검정 결
2

과, 남학생과 남학교에서는 ‘ 학업 성적 관리에 대한 부담’ 을 주요한 반대 이유로 제시하


였으며, 여학생 및 여학교에서는 ‘ 학업 성적 관리에 대한 부담’ 과 함께 ‘ 차별성 없는 수업
내용으로 과목 흥미 저하’ 를 그 이유로 제시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남녀공학에서는 역시
‘ 학업 성적 관리에 대한 부담’ 과 함께 ‘ 탈의실 등 체육 수업에 대한 편의 시설 부족’ 을 그
이유로 제시하였다. 동성의 학교에 비하여 양성이 있는 학교에서 특히 체육 수업에 대한
편의시설의 요구가 큰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는 대도시로 갈수록 ‘ 학업 성적
관리에 대한 부담’ 을 큰 이유로 제시하고 있으며, 읍면 지역으로 갈수록 ‘ 탈의실 등 체육
수업에 대한 편의 시설 부족’ 에 응답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15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57>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의 반대 이유 - 학생
(단위 : 빈도(%))
차별성없는 탈의실 등
학업 성적
수업내용 부상에 체육 수업에
구분 관리에 기타 계 X 2(Sig.)
으로 과목 대한 우려 대한 편의
대한 부담
흥미 저하 시설 부족
고등학교 311(41.1) 156(20.6) 105(13.9) 176(23.3) 8(1.1) 756(100.0)
남 166(46.9) 20(5.6) 61(17.2) 101(28.5) 6(1.7) 354(100.0) 93.597
여 145(36.1) 136(33.8) 44(10.9) 75(18.7) 2(0.5) 402(100.0) (.001)

대도시 138(47.3) 41(14.0) 49(16.8) 60(20.5) 4(1.4) 292(100.0)


33.236
중소도시 138(38.9) 96(27.0) 39(11.0) 81(22.8) 1(0.3) 355(100.0)
(.001)
읍면지역 35(31.8) 19(17.3) 18(16.4) 35(31.8) 3(2.7) 110(100.0)
남녀공학 130(32.6) 77(19.3) 65(16.3) 123(30.8) 4(1.0) 399(100.0)
94.461
남학교 108(61.0) 10(5.6) 26(14.7) 30(16.9) 3(1.7) 177(100.0)
(.001)
여학교 70(40.2) 65(37.4) 15(8.6) 23(13.2) 1(0.6) 174(100.0)

향후 고등학교 체육 수업의 6학기 편성 운영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착, 운영되기 위해서


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교사들에게 질문한 결과 교사들은 ‘ 체육 선
택 교과의 변화 및 확대(47.0%)’ , ‘ 선택 교과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28.0%)’ 의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Ⅳ-58> 참조).

<표 Ⅳ-58> 고교 체육 수업의 6학기 편성 운영 정책의 성공을 위한 추가적 노력에 대한


의견(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체육 선택 선택교과에
체육 선택 선택교과에
교과운영에 맞는
구분 교과의 변화 맞는 평가 계 X 2(Sig.)
대한 교사 교수·학습
및 확대  방법 개발 
연수  방법 개발 
고등학교 47(47.0) 13(13.0) 28(28.0) 12(12.0) 100(100.0)
남녀공학 24(45.3) 6(11.3) 16(30.2) 7(13.2) 53(100.0)
17.808
남학교 19(67.9) 4(14.3) 4(14.3) 1(3.6) 28(100.0)
(.037)
여학교 4(21.1) 3(15.8) 8(42.1) 4(21.1) 19(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51


X2 검정 결과, 남학교의 경우 ‘ 체육 선택 교과의 변화 및 확대’ 에 다른 학교 형태에 비
하여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으며 여학교에서는 ‘ 선택 교과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에 더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응답 경향을 볼 때 향후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정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체육 선택 교과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여
교과목 선정 및 내용 개정에서 실질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제기된다.
고등학교 체육교과 10단위 6학기 편성과 관련하여 면담 조사 결과 특성화 고등학교 등
학교 특성상 일반적인 교육과정 편성 운영이 어려운 학교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교에서
10단위 6학기 편성이 이루어지고 있고 교육청에 문의 민원이 잦아 관심이 큰 것으로 파
악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학교 특성에 맞게 선택과목을 운영하는 방안에
대하여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또한 인력 및 시간 부족으로 현장 지도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실질적 교육과정 운영 형태에 대한 실태 파악이 되지 않는다는 문
제점도 제시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체육 시수가 증가하였으므로 체육 교원 수급 문제가
원활히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 무엇보다 고등학교에서는 입시 위주의 학교
교육에 따라 체육교육이 소홀히 될 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노력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논의되었다.

나. 학생 자율체육 활동의 지원 강화

(1)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지원

(가) 학교스포츠클럽의 개요 및 학생 참여 실태

‘ 학교스포츠클럽’ 이란 초등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체육활동에 취미


를 가진 동일 학교의 학생으로 구성 및 운영되는 스포츠동아리를 말하며, 학생선수의 경
우 등록 대상에서 제외한다. 즉, 학교스포츠클럽의 등록 학생은 일반 학생으로 체육관련
상설 동아리, 방과 후 학교의 특기 적성반,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
(현, 교육부)는 2007년부터 학생들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시범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허현미 외, 2014).
학교스포츠클럽은 초·중·고의 모든 학교 급에서 공통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현 정
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정책이다. 그러나 학교스포츠클럽은 중학교에서 창
의적 체험활동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는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과 차이가 있다. 중학교

15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에서 실시하고 있는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은 정규 교과 시간에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 학교스포츠클럽은 정규 교과 시간 이외에 ‘ 참여 희망 학생’ 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표 Ⅳ-59> 참고).

<표 Ⅳ-59>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학교스포츠클럽의 비교


구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학교급 중학교 초·중·고등학교
참가 대상 전체 학생 참가 희망 학생
정규 시간
운영 시간 정규 교과 이외의 시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학생들이 학교 급별로 ‘ 학교스포츠클럽’ 에 가입한 실태에 관해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의 경우 올해 학교스포츠클럽에 가입하지 않은 학생이 31.3%였고, 1개라도 가입
한 학생은 68.7%였다. 중학교의 경우 학교스포츠클럽에 가입하지 않은 학생이 31.6%였
고, 1개라도 가입한 학생은 68.4%였다.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스포츠클럽에 가입하지 않은
학생이 56.2%로 초·중학교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고, 1개라도 가입한
학생은 43.8%였다(<표 Ⅳ-60> 참고).

<표 Ⅳ-60> 학교스포츠 가입 클럽 수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없음 1개 2개 3개 4개 이상 계 X 2(Sig.)

초등학교 772(31.3) 933(37.9) 409(16.6) 160(6.5) 190(7.7) 2,464(100.0)


370.397
중학교 589(31.6) 816(43.7) 227(12.2) 43(2.3) 191(10.2) 1,866(100.0)
(.000)
고등학교 612(56.2) 245(22.5) 131(12.0) 83(7.6) 18(1.7) 1,089(100.0)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학교스포츠클럽 가입률이 떨어지는 현상은 학교스포츠클럽의 적


극적 참여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스포츠
클럽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62.5%였고, 중학교는 64.2%, 고등학교는
36.7%로 다른 학교 급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표 Ⅳ-61> 참고).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53


<표 Ⅳ-61> 학교스포츠클럽의 적극적 참여 여부 - 학생
(단위 : 빈도(%))
매우 그런 그렇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X 2(Sig.)
그렇다 편이다 않다 그렇지 않다

초등학교 896(35.7) 673(26.8) 449(17.9) 230(9.2) 261(10.4) 2,509(100.0)


323.605
중학교 533(58.6) 645(34.6) 391(21.0) 113(6.1) 181(9.7) 1,863(100.0)
(.000)
고등학교 245(22.5) 154(14.2) 321(29.5) 188(17.3) 179(16.5) 1,087(100.0)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정규 교과 시간 이외에 참여하는데, 시간대별로 파악


한 결과, 초등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시간은 아침시간(수업 전)이 41.2%로 가
장 많았고, 점심시간 21.1%, 방과 후 17.9%, 주말 13.3%로 나타났다. 중학교의 경우 초등학교와
달리 방과 후 시간이 39.6%로 가장 높았고, 점심시간이 29.8%, 주말이 23.5%로 나타났고,
아침시간(수업 전)은 7.0%에 불과하였다. 고등학교의 경우 점심시간이 44.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방과 후 시간이 36.3%, 주말이 13.1%로 나타났다(<표 Ⅳ-62> 참고).

<표 Ⅳ-62>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시간대(복수 응답)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아침시간(수업 전) 점심시간 방과 후 주말 계

초등학교 989(44.1) 505(22.5) 429(19.1) 318(14.2) 2,241(100.0)

중학교 75(7.0) 318(29.9) 423(39.6) 251(23.5) 1,067(100.0)

고등학교 31(6.0) 229(44.6) 186(36.3) 67(13.1) 513(100.0)

이러한 결과를 분석해보면, 초등학생들이 아침시간에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비율


이 높은 이유는 초등학생들이 참여하는 스포츠 종목과 깊은 관계가 있다. 초등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시간에 참여한 운동 종목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구기운동 37.9%이 가장
많았지만, 줄넘기를 한다는 응답도 24.4%에 달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인 아침시간에 참
여하기 손쉽기 때문에 아침시간을 활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목적과 학생 만족도

학생들에게 현재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이유에 관해 질문하였다.

15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63>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이유(복수 응답)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체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어서 849(17.7) 551(15.2) 326(23.8)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서 512(10.7) 479(13.3) 180(13.2)

다양한 스포츠(운동)를 경험할 수 있어서 701(14.6) 468(12.9) 197(14.4)

스포츠 활동(운동)이 즐겁기 때문에 754(15.8) 673(18.6) 173(12.7)

친구와의 관계가 좋아지기 때문에 322(6.7) 399(11.1) 78(5.7)

공부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188(3.9) 101(2.8) 9(0.6)

비만을 예방하기 때문에(다이어트의 효과가 있기에) 271(5.7) 178(4.9) 120(8.8)

스포츠 활동(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389(8.1) 261(7.2) 93(6.8)

스포츠(운동) 기능(기술)의 실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582(12.2) 389(10.8) 143(10.5)

대회 출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219(4.6) 115(3.2) 48(3.5)

계 4,787(100.0) 3,499(100.0) 1,367(100.0)

X2(Sig) 342.635(.000)

초등학생의 경우 ‘ 체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어서(17.7%)’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


고, ‘ 스포츠 활동이 즐겁기 때문에(15.8%)’ , ‘ 다양한 스포츠를 경험할 수 있어서(14.6%)’ ,
‘ 스포츠 기능의 실력이 향상되기 때문에(12.2%)’ 등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도 ‘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서(10.7%)’ 라는 응답이 있었고, 비만 예방,
친구 관계 개선, 대회 출전, 공부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중학생의 경우 ‘ 스포츠 활동이 즐겁기 때문에(18.6%)’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 체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어서(15.2%)’ , ‘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서
(13.3%)’ , ‘ 다양한 스포츠를 경험할 수 있어서(12.9%)’ , ‘ 친구와의 관계가 좋아지기 때문에
(11.0%)’ , ‘ 스포츠 기능의 실력이 향상되기 때문에(10.8%)’ 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그
러나 비만 예방, 학업에 도움, 대회 출전 등을 위해 스포츠클럽에 참여한다는 응답은 상
대적으로 적었다.
고등학생의 경우 ‘ 체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어서(23.8%)’ 가 가장 높았고, ‘ 다양한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55


스포츠를 경험할 수 있어서(14.4%)’ , ‘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서
(13.2%)’ , ‘ 스포츠 활동이 즐겁기 때문에(12.7%)’ 등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도 ‘ 스포츠 기능의 실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에(10.5%)’ 라는 응답이 있었고, 비만 예방, 대
회 출전, 학업에 도움, 친구 관계 개선을 이유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다는 응답은 상
대적으로 적었다(<표 Ⅳ-63> 참고).
이상의 설문 결과로 볼 때, 초·중·고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가장 큰
목적은 체력 유지 및 향상과 스포츠 활동이 주는 즐거움을 얻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스포츠를 경험하고 배우는 것에 대한 욕구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
차적 목적으로 볼 수 있는 비만 예방이나 대회 출전, 학업 능력 향상, 친구 관계 개선 등
에 큰 의미를 두지는 않았다.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활동에 만족하는지 알아보았다. 초등학
생의 경우 만족한다는 응답이 74.4%였고, 만족하지 못한다는 응답은 3.3%에 불과했다. 중
학생의 경우 만족한다는 응답이 62.7%였고, 만족하지 못한다는 응답은 5.0%로 낮은 수준
이었다. 고등학생의 경우 만족한다는 응답은 56.2%였고, 만족하지 못한다는 응답은 5.9%
였다(<표 Ⅳ-64> 참고).

<표 Ⅳ-6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 - 학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만족하는 만족하지
구분 보통이다 만족하지 계 X 2(Sig.)
만족한다 편이다 않는다
않는다
초등학교 880(35.7) 953(38.7) 547(22.2) 55(2.2) 28(1.1) 2,463(100.0)
205.905
중학교 385(21.1) 759(41.6) 588(32.3) 65(3.6) 26(1.4) 1,823(100.0)
(.000)
고등학교 206(19.5) 389(36.7) 402(38.0) 41(3.9) 21(2.0) 1,059(100.0)

이러한 설문결과를 보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낮은 수준이지만, 학교 급이 올라갈
수록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에서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이유를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어떤 점에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알아보았다. 초
등교사 집단의 경우 ‘ 스포츠 활동의 즐거움 체험(20.9%)’ 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

15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로 ‘ 다양한 스포츠 경험(19.4%)’ 을 도움이 되는 점으로 꼽았고, ‘ 체력 유지 및 향상
(17.2%)’ , ‘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14.5%)’ 순으로 응답하였다. 중학교교사 집단의
경우 ‘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22.1%)’ 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로는 ‘ 스포츠
활동의 즐거움 체험(17.4%)’ , ‘ 체력 유지 및 향상(12.9%)’ , ‘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10.4%)’
순으로 응답하였다. 고등학교교사 집단의 경우 ‘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20.8%)’ 를
가장 도움이 되는 점으로 꼽았고, 다음으로는 ‘ 체력 유지 및 향상(16%)’ , ‘ 스포츠 활동의
즐거움(15.6%)’ , ‘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10.4%)’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Ⅳ-65> 참고).

<표 Ⅳ-65>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체력 유지 및 향상 94(17.2) 52(12.9) 40(16.0)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 79(14.5) 89(22.1) 52(20.8)
다양한 스포츠(운동) 경험 106(19.4) 62(15.4) 23(9.2)
스포츠 활동(운동)의 즐거움 체험 114(20.9) 70(17.4) 39(15.6)
교우관계 발달 26(4.8) 22(5.5) 24(9.6)
대회 출전에 대한 경험 28(5.1) 12(3.0) 10(4.0)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 27(4.9) 42(10.4) 26(10.4)
학업 능률의 향상 6(1.1) 5(1.2) 15(6.0)
스포츠 활동(운동)에 대한 관심 증가 39(7.1) 37(9.2) 17(6.8)
스포츠(운동) 기능(기술)의 향상 25(4.6) 6(1.5) 0(0.0)
비만 예방 2(0.4) 4(1.0) 3(1.2)
기타 0(0.0) 1(0.2) 1(0.4)
계 546(100.0) 402(100.0) 249(100.0)
2
X (Sig) 111.384(.001)

이상의 결과를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이유와 비교해보면, 초등학교의 교사와


학생 집단 간에는 참여 이유에 대한 내용과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내용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중·고등학생 집단의 참여 이유에 대한 내용과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내용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 중·고등학생 집단은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주된 이유로 ‘ 체력
유지 및 향상’ 을 꼽았는데, 중·고등교사 집단에서는 ‘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 를 가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57


장 도움이 되는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초·중·고등학교 학생과 교사 집단
모두의 공통된 인식은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것이 건강과 체력 향상, 학업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었고, 스포츠 활동 자체가 주는 즐거움과 다양한 스포츠 경험
을 가치 있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중·고등학교 교사 집단의 약 10% 정도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해 ‘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 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는
데, 이는 ‘ 스포츠 활동을 통한 즐거움 향상’ 과 ‘ 학업 스트레스 해소’ 그리고 ‘ 교우 관계 발
달’ 등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목적이나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내용 중
‘ 대회 참여’ 에 관한 것은 극히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스포츠클럽대회는 교육청
이나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대회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혹은 민간 기업에서 운영하는
대회까지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전국규모로 개최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대회에 대한 찬반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전국 규모의 대회를 찬성하는 입장은 상대적으로 소수지만, 주로 학생들에 참여
동기를 높여주고, 시도의 대표로 참가하면서 자긍심을 길러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학교스포츠클럽 전국대회는 학생들의 자부심과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의 동기를 높


여줄 수 있습니다(B교육지원청 C장학사).

전국 학교스포츠클럽대회가 없다면 아무래도 스포츠클럽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인센티브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전국대회에 출전하는 학생들의 스포츠클
럽 참여 열망은 생각보다 더욱 열기가 크기 때문에 전국대회를 추진하는 것이 적절
하다고 봅니다(C교육지원청 L장학사).

그러나 대부분의 행정 전문가들은 전국규모의 학교스포츠클럽대회에 대한 부적절성과 부


작용에 대해 언급하였다. 즉, 전국 학교스포츠클럽대회가 운영상의 문제점과 학교 급과의
불일치 그리고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스포츠클럽대회의 취지를 살리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학교스포츠클럽 전국대회는 운영하지 않는 것이 교육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합니


다. 그 이유는 대회에 참가하는 학생들의 경기력 수준 및 참가팀의 수가 한계가 있
고, 학생이 진학하는 학교 상황(지도자, 학교장 의지, 분위기 등)에 따라 대회에 참
가하는 것이 연계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아울러 일반 학생들이 전국대회에 참가

15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하려면 예산도 부족하고 그러다보니 비교육적인 환경의 숙소에서 숙박을 하는 문제
도 발생하고 있습니다(S교육지원청 O 장학사).

초등학교의 경우 전국대회에 참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초등학교의 경우


각 시도대회 수준을 최종 대회로 마무리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 중학교의 경우 전국
을 몇 개 권역으로 나누어 최종대회로 하고, 고등학교 정도만 전국대회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봅니다(S교육지원청 K장학사).

학교스포츠클럽 전국대회는 제2의 소년체육대회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과열되고


있으며, 학교스포츠클럽 본연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국대회 규모를
축소하든지, 전국대회를 폐지하고 지역대회에 더 많은 예산을 지원하여 축제의 분위
기를 드높이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K교육지원청 C장학사).

(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의 장애 요인과 중단의 원인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데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초등학생의


경우 ‘ 참여할 시간을 만들기 어려움(숙제, 학원 등 때문에)(32.9%)’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
았다. 그 다음으로는 ‘ 운동 실력이 부족함(17.4%)’ , ‘ 피곤함(16.8%)’ 등으로 인해 학교스포
츠클럽 참여가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 외에 ‘ 다칠 수 있어 두려움(10.0%)’ , ‘ 대회 출전이
부담스러움(8.7%)’ 이라는 의견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 부모님이 스포츠 활동에 참여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심(4.1%)’ 이라는 의견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경우 ‘ 피곤함(36.6%)’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 참여할 시간
을 만들기 어려움(숙제, 학원 등 때문에)(27.7%)’ 에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 운동 능력이
부족함(21.2%)’ 때문에 어렵다는 의견도 많은 편이었다. 그러나 대회 출전이 부담스러움,
부상에 대한 우려, 부모님의 스포츠 활동 참여에 대한 반대 때문에 어렵다는 의견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경우 ‘ 참여할 시간을 만들기 어려움(숙제, 학원 등 때문에)(31.5%)’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 운동 능력이 부족함(27.6%)’ , ‘ 피곤함(27.6%)’ 이라는 응
답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왔다. 그러나 대회 출전이 부담스러움, 부상에 대한 우려, 부모님
의 스포츠 활동 참여에 대한 반대 때문에 어렵다는 의견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
-66> 참고).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59


<표 Ⅳ-66>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의 장애 요인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참여할 시간을 만들기 어려움(숙제, 학원 등 때문에) 729(36.7) 443(29.0) 262(31.7)
대회 출전이 부담스러움 193(9.7) 45(2.9) 53(6.4)
부모님이 스포츠 활동(운동)에 참여하는 것을
91(4.6) 53(3.5) 27(3.3)
좋아하지 않으심
운동 능력(실력)이 부족함 384(19.3) 339(22.2) 230(27.8)
다칠 수 있어 두려움 221(11.1) 83(5.4) 24(2.9)
피곤함 371(18.7) 565(37.0) 230(27.8)
계 1,989(100.0) 1,528(100.0) 826(100.0)

이상의 설문 결과를 보면,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은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할 시간이 없


어 어렵다는 응답이 많았고, 중학생은 피곤하기 때문에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기 어렵
다는 응답이 많았다. 그러나 대회 출전의 부담과 부상의 우려, 부모님의 스포츠 활동 반
대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학생들은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다가 중단한 이유에 관해 조사하였다. 초등학생의
경우 ‘ 시간 부족(22.5%)’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 흥미가 없어짐(15.4%)’ , ‘ 피곤함
(11.1%)’ 이라는 의견도 제시하였다. 그러나 부모님의 권유나 부상에 대한 우려, 대회 출전
부담, 운동 능력 부족 등으로 인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중단했다는 의견은 적었다. 다
만 기타(27.0%) 의견이 높게 나타나 다양한 이유로 그만 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학생의 경우 ‘ 피곤함(31.2%)’ 때문에 그만두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 시간 부족
(22.3%)’ , ‘ 흥미가 없어짐(21.9%)’ 이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이외에 부모님의 권유나
다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대회 출전 부담, 운동 실력 부족으로 그만두었던 경우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교와는 달리 기타(7.9%) 사유로 그만두었다는 의견은 적
었다.
고등학생의 경우 ‘ 피곤함(35.7%)’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 시간 부족(30.3%)’ ,
‘ 흥미가 없어짐(16.1%)’ 때문이라는 응답도 많았다. 그러나 부모님의 권유, 부상에 대한 두
려움, 대회 출전 부담, 운동 실력 부족 등으로 그만둔 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67> 참고).

16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67>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단의 원인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흥미가 없어짐 277(15.4) 232(21.9) 87(16.1)

부모님의 권유 153(8.5) 52(4.9) 7(1.3)

다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91(5.1) 38(3.6) 6(1.1)

피곤함 201(11.1) 330(31.2) 193(35.7)

시간 부족 404(22.5) 236(22.3) 164(30.3)

대회 출전에 대한 부담 79(4.4) 11(1.0) 6(1.1)

운동 능력(실력) 부족 108(6.0) 74(7.0) 71(13.1)

기타 485(27.0) 84(7.9) 7(1.3)

계 1,798(100.0) 1,057(100.0) 541(100.0)

X2(Sig) 569.622(.000)

이상의 설문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은 학업이나 다른 활동들로 피로하기 때문에 학교스


포츠클럽에 참여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고, 시간이 부족하거나 흥미가 없어져 학교스포츠
클럽 참여를 중단하는 경우 역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모님의 권유나 부상
에 대한 두려움, 대회 출전 부담, 운동 실력 부족 등은 모든 학교 급의 학생들이 학교스포
츠클럽 활동을 중단하는 주요한 사유는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라)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및 운영의 어려움과 문제점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상의 어려운 점에 대하여 교사 집단의 의견(3가지 복수응답)을 조


사하였다. 해당 항목을 빈도 분석한 결과, 초등 교사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 운영상
수반되는 행정 업무의 과다(20.9%)’ ,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17.1%)’ ,
‘ 스포츠 지도 능력 및 경험의 부족(13.6%)’ 순으로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 체육활동
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부족(12.6%)’ , ‘ 학력향상중심의 학사 운영(11.0%)’ 등을 꼽았다. 이
외에 ‘ 수용 능력을 넘는 과다한 학생 참여’ , ‘ 학생의 무관심으로 참여 저조’ , ‘ 관리자의 인
식 부족’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61


중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초등학교 교사 집단에서는 높지 않았던 ‘ 수용 능력을 넘는
과다한 학생 참여(21.5%)’ 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 운영상 수반되는 행정 업무의 과다(18.8%)’ ,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
(17.5%)’ 등으로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고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다른 학교 급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던 ‘ 학력향상중심의
학사 운영(22.7%)’ 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19.6%)’ , ‘ 운영상 수반되는 행정 업무의 과다(19.1%)’ 순
으로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표 Ⅳ-68> 참고).

<표 Ⅳ-68>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상의 어려운 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의 무관심으로 참여 저조 44(8.7) 40(10.6) 29(12.9)

수용 능력을 넘는 과다한 학생 참여 54(10.6) 81(21.5) 27(12.0)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 87(17.1) 66(17.5) 44(19.6)

학력향상중심 학사 운영 56(11.0) 41(10.9) 51(22.7)

관리자의 인식 부족 28(5.5) 12(3.2) 21(9.3)

체육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부족 64(12.6) 31(8.2) 31(13.8)

운영상 수반되는 행정 업무의 과다 106(20.9) 71(18.8) 43(19.1)

스포츠 지도 능력 및 경험의 부족 69(13.6) 35(9.3) 8(3.6)

계 508(100.0) 377(100.0) 254(100.0)

X2(Sig) 102.197(.001)

이러한 설문 결과에서 나타난 내용을 종합해보면, 초·중·고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학


교스포츠클럽 운영으로 인한 행정업무가 많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
교 급별로 보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상 수반되는 행정업무를 가장 어
려워했지만, 중학교 교사들은 과다한 행정업무 못지않게 수용 능력을 넘는 과다한 학생들
이 참여하는 것에 대해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고등학교 교사들은 학력향상 중심
의 학사 운영으로 인해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이 가장 어렵다고 답해 입시 위주의 학교 현

16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실을 반영하고 있었다.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과 관련하여 일선 학교체육교사들과 교육청 차원의 어려움도 가
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어려움은 학교스포츠클럽 업무 부담의 가중, 휴일 근무로
인한 과로, 안전사고로 인한 민원 문제 등이다.

최근 학교스포츠클럽 업무가 폭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교육지원청의 경우 본


청 체육장학사 3명이 기존 엘리트체육, 정과체육에 추가하여 학교스포츠클럽 업무
등을 감당해야 하니 쓰러지기 일보 직전입니다. 특히 각종 대회를 휴일에 개최하다
보니 연중 휴일이 없을 지경입니다(B교유청 L장학사).

모든 체육활동이 학교스포츠클럽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정상적인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기 어렵습니다. 각 종목별로 운영요원으로 체육교사가 동원되기 때문에 체
육교사들의 업무가 늘어나고 있어 스포츠클럽 업무는 기피하고 있습니다(I교육지원
청 P장학사).

한편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 집단에서는 ‘ 체육 시설 및 용·기구 부족(28.4%)’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 학생이 희망하는 스포츠 종목 개설의 어려움(26.4%)’ 이 그 다음을
차지했다. ‘ 지도하기에 과다한 학생수(19.5%)’ , ‘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자질(12.9%)’ , ‘ 체
육교육과정과의 괴리(12.9%)’ 라는 순으로 응답하였다. 중학교 교사 집단에서는 ‘ 체육 시
설 및 용·기구 부족(29.9%)’ , ‘ 학생이 희망하는 스포츠 종목 개설의 어려움(29.4%)’ 등을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 지도하기에 과다한 학생수(18.2%)’ , ‘ 학교스포츠클
럽 강사의 자질(11.5%)’ 순으로 응답하였다. 고등학교 교사 집단에서는 ‘ 체육 시설 및
용·기구 부족(32.2%)’ , ‘ 학생이 희망하는 스포츠 종목 개설의 어려움(30.6%)’ 등을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 지도하기에 과다한 학생수(19.0%)’ , ‘ 체육교육과정과의
괴리(11.6%)’ , ‘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자질(6.6%)’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Ⅳ-69> 참고).
이상의 설문 결과로 볼 때, 초·중·고의 모든 학교 급에서 체육 시설 및 용·기구의
부족과 학생이 원하는 종목을 개설할 수 없어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생 수가
과다한 것도 문제로 지적하고 있었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63


<표 Ⅳ-69>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상의 문제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채육시설 및 용·기구 부족 141(28.4) 112(29.9) 78(32.2)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자질 64(12.9) 43(11.5) 16(6.6)
체육교육과정과의 괴리 64(12.9) 41(11.0) 28(11.6)
학생이 희망하는 스포츠 종목 개설의 어려움 131(26.4) 110(29.4) 74(30.6)
지도에 적정한 참여 학생 수 유지 97(19.5) 68(18.2) 46(19.0)
계 497(100.0) 374(100.0) 242(100.0)
X2(Sig) 26.945(.003)

다음은 교사들에게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있어 물적 차원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 체육활동 장소의 부족(30.4%)’ 을 가장 큰 문
제로 지적하였고, ‘ 체육용·기구의 부족(29.4%)’ , ‘ 낙후된 체육 시설(20.7%)’ , ‘ 활용 가능한
지역 시설의 부족 및 연계 미확보(19.5%)’ 순으로 응답하였다. 중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도 ‘ 체육활동 장소의 부족(31.3%)’ 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였고, ‘ 체육용·기구의 부족
(25.0%)’ , ‘ 활용 가능한 지역 시설의 부족 및 연계 미확보(24.7%)’ , ‘ 낙후된 체육 시설
(18.9%)’ 순으로 응답하였다. 고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도 ‘ 체육활동 장소의 부족
(32.1%)’ 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였고, ‘ 체육용·기구의 부족(25.6%)’ , ‘ 활용 가능한 지역
시설의 부족 및 연계 미확보(21.5%)’ , ‘ 낙후된 체육 시설(20.7%)’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Ⅳ-70> 참고).

<표 Ⅳ-70>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서 물적 차원의 문제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활용 가능한 지역
낙후된 체육 체육활동 체육 용품·
구분 시설의 부족 및 계 X 2(Sig.)
시설 장소의 부족 기구 부족
연계 미확보
초등학교 105(20.7) 154(30.4) 149(29.4) 99(19.5) 507(100.0)
17.338
중학교 72(18.9) 119(31.3) 95(25.0) 94(24.7) 380(100.0)
(.027)
고등학교 51(20.7) 79(32.1) 63(25.6) 53(21.5) 246(100.0)

16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이상의 설문 결과로 볼 때, 초·중·고의 모든 학교 급에서 체육활동 장소의 부족을 가
장 큰 문제로 지적하였고, 체육 용·기구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많이 제시되었다. 이는 학
교스포츠클럽이 확대되면서 보다 다양한 활동 공간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은 교사들에게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인적 차원의 문제점을 알아
보았다. 설문결과 초등학교에서는 ‘ 지도자 확보의 어려움(31.7%)’ 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
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 지도자 인건비 충당의 어려움(28.0%)’ , ‘ 지도자의 지도 전문성 부
족(26.0%)’ , ‘ 지도자와 학생 간의 문제 발생 시 해결 방안 미비(14.3%)’ 순으로 응답하였
다. 중학교에서는 ‘ 지도자 확보의 어려움(31.2%)’ 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였고, 그 다음
으로는 ‘ 지도자의 지도 전문성 부족(25.1%)’ , ‘ 지도자 인건비 충당의 어려움(22.5%)’ , ‘ 지
도자와 학생 간의 문제 발생 시 해결 방안 미비(21.2%)’ 순으로 응답하였다. 고등학교에
서는 ‘ 지도자 인건비 충당의 어려움(31.0%)’ 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 지도자 확보의 어려움(30.6%)’ , ‘ 지도자의 지도 전문성 부족(21.1%)’ , ‘ 지도자와 학생 간
의 문제발생 시 해결 방안 미비(17.2%)’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Ⅳ-71> 참고).

<표 Ⅳ-71>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서 인적 차원의 문제점(3가지 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지도자
지도자 지도자의 지도자와 학생간의
인건비
구분 확보의 지도 전문성 문제발생 시 해결 계 X 2(Sig.)
충당의
어려움 부족 방안 미비
어려움
초등학교 160(31.7) 141(28.0) 131(26.0) 72(14.3) 504(100.0)
28.014
중학교 118(31.2) 85(22.5) 95(25.1) 80(21.2) 378(100.0)
(.001)
고등학교 71(30.6) 72(31.0) 49(21.1) 40(17.2) 232(100.0)

이상의 설문 결과로 볼 때,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인적 차원의 가장


큰 문제점은 초·중학교에서는 지도자 확보의 어려움을 지적하였고, 고등학교에서는 지
도자 인건비를 충당하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에 많은 스포츠강사가 투여되면
서 전국적으로 스포츠강사에 대한 수요가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고등
학교는 스포츠클럽 강사비에 대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가장 큰 문
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65


(마) 학교스포츠클럽 지도비 및 운영비 지원

다음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지도비의 재원을 어떻게 충당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초등학교의 경우 교육봉사(무보수)가 39.1%로 가장 높았고, 교육청 지원이
23.6%, 방과 후 강사비(수익자부담)로 충당한다는 응답이 21.3%였다. 그러나 중학교의 경
우 교육청 지원이 75.7%였고, 방과 후 강사비(수익자부담)로 충당한다는 응답이 14.7%였
다. 고등학교의 경우 교육청 지원이 46.3%였고, 방과 후 강사비(수익자부담)로 충당한다
는 응답이 20.7%, 초과근무수당이 12.2%였다(<표 Ⅳ-72> 참고).

<표 Ⅳ-72> 학교스포츠클럽 지도비의 재원 - 교사


(단위 : 빈도(%))

초과 방과 후 외부 교육
교육청
구분 근무 강사비 기관 봉사 기타 계 X 2(Sig.)
지원
수당 (수익자부담) 지원비 (무보수)

초등학교 10(5.7) 37(21.3) 41(23.6) 7(4.0) 68(39.1) 11(6.3) 174(100.0)


114.099
중학교 3(2.2) 20(14.7) 103(75.7) 4(2.9) 5(3.7) 1(0.7) 136(100.0)
(.000)
고등학교 10(12.2) 17(20.7) 38(46.3) 5(6.1) 12(14.6) 0(0.0) 82(100.0)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주로 아침과 점심시간에 많이 이루


어져 무보수로 이루어지는 교육봉사가 많았고, 그로 인해 교육청으로부터의 지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중학교의 학교스포츠클럽은 방과 후에 이루어지는 비
율이 높고 교육청에서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고등학교는 초과근무수당으로 지도비를
대신하는 경우가 다른 학교 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비(대회출전비 등)의 재원을 어떻게 충
당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 지원이 69.0%로 가장 많았고, 교육청
지원이 21.7%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중학교의 경우 교육청 지원이 62.5%였고, 학교 지원
은 35.3%였다. 고등학교의 경우 학교 지원이 54.9%였고, 교육청 지원이 34.1%였다. 그러
나 수익자 부담이나 외부기관 지원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비를 대신하는 경우는 초·
중·고 모든 학교 급에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73> 참고).

16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73> 학교스포츠클럽 운영비의 재원 - 교사
(단위 : 빈도(%))
외부
수익자 학교 교육청 관련 협회
구분 기관 기타 계 X 2(Sig.)
부담 지원 지원 지원
지원

초등학교 11(6.0) 127(69.0) 40(21.7) 2(1.1) 1(0.5) 3(1.6) 184(100.0)


61.595
중학교 1(0.7) 48(35.3) 85(62.5) 2(1.5) 0(0.0) 0(0.0) 136(100.0)
(.000)
고등학교 6(7.0) 45(54.9) 28(34.1) 1(1.2) 0(0.0) 2(2.4) 82(100.0)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는 중학교에 비해 교육청 지원보다는 학교체


육 예산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중학교는 교육청 지원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나 고등학교에 비해 중학교 학생들이 외부 스포
츠클럽 대회에 출전하는 횟수가 많아 상대적으로 교육청 지원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정부 및 교육청의 지원이 2013년 이전 보다
그 이후에 더 바람직하게 수행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바람직하
게 지원되었다는 응답이 37.5%였고, 그렇지 못하다는 응답은 19.3%였다. 중학교 교사 집
단의 경우 바람직하게 지원되었다는 응답이 45.3%였고, 그렇지 못하다는 응답은 20.2%였
다. 고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바람직하게 지원되었다는 응답이 46.5%였고, 그렇지 못하
다는 응답은 10.8%였다(<표 Ⅳ-74> 참고).

<표 Ⅳ-74>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정부 및 교육청 지원의 개선에 대한 인식 - 교사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바람직하게 바람직하게
바람직하게
구분 바람직하게 개선된 보통이다 개선되지 계
개선되지
개선되었다. 편이다. 않았다.
않았다.

초등학교 13(7.0) 57(30.5) 81(43.3) 19(10.2) 17(9.1) 187(100.0)

중학교 9(6.5) 54(38.8) 48(34.5) 13(9.4) 15(10.8) 139(100.0)

고등학교 3(3.6) 36(42.9) 36(42.9) 5(6.0) 4(4.8) 84(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67


이러한 인식의 결과는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원이 2013년 이전에도 지원되어 왔기
때문에 2013년을 기준으로 하여 크게 달라졌다고 체감하는 부분이 적을 수 있다. 특히 학
교마다 스포츠클럽의 종목과 팀이 확대되면서 개별 학교에 지원되는 절대 금액이 줄어들
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바)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 및 주체에 대한 만족도

학생들이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에는 의무적으로 지도교사를 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에게 본인이 참여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 선생님이
누구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담임선생님이 38.8%로 지도 주체 중 가
장 비율이 높았고, 체육 전담 선생님이 29.2%, 스포츠강사 선생님이 21.4%로 조사되었다
(<표 Ⅳ-75> 참고).

<표 Ⅳ-75>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체육전담교사 방과 후 교사 스포츠강사 담임교사 기타 계
초등학교 509(29.2) 90(5.2) 374(21.4) 677(38.8) 94(5.4) 1,744(100.0)

중학교의 경우 스포츠강사 선생님이 50.5%로 지도 주체 중 가장 비율이 높았고, 체육


선생님이 35.5%였으나, 담임교사나 타교과(체육 이외 교과) 교사는 비율이 매우 낮은 편
이었다. 고등학교의 경우 체육선생님이 74.6%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담임교사나 타교과
교사는 낮은 비율을 나타냈고, 지도자가 없다는 비율도 높은 편이었다(<표 Ⅳ-76> 참고).

<표 Ⅳ-76> 중·고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체육교사 스포츠강사 담임교사 지도자 없음 기타 계
중학교 418(35.5) 595(50.5) 76(6.5) 21(1.7) 68(5.8) 1,178(100.0)
고등학교 415(74.6) 16(2.9) 47(8.5) 78(14.0) 0(0.0) 556(100.0)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초등학교의 학교스포츠클럽은 학교 급의 특성상 담임교사와 체육


전담교사가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중학교는 스포츠강사가 늘어나면서 학교스포츠클럽

16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지도 담당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등학교는 스포츠강사가 많지 않기 때문에
학교스포츠클럽을 체육교사가 대부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에 대한 동일한 내용을 교사 집단에게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는 담임교사가 35.5%로 가장 많았고, 스포츠강사
28%, 체육전담교사 26.2% 순이었다(<표 Ⅳ-77> 참고).

<표 Ⅳ-77>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교육봉사활동
스포츠 체육전담 학교운동부
구분 담임교사 희망자 기타 계
강사 교사 코치
(대학생)
초등학교 93(28.0) 87(26.2) 118(35.5) 12(3.6) 2(0.6) 20(6.0) 332(100.0)

중학교의 경우는 스포츠강사가 42.6%로 가장 많았고, 체육교사 35.4%, 타교과교사


16.1%라는 응답이 나왔다. 고등학교의 경우 체육교사가 68.5%로 가장 많았고 타교과교사
13.7%, 스포츠강사 12.9% 순으로 응답되었다(<표 Ⅳ-78> 참고).
이러한 조사 결과는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의 지도자가 누구인지에 관해 응답한 결
과와 유사하였다.

<표 Ⅳ-78> 중·고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교육봉사활동
스포츠 타교과 학교운동부
구분 체육교사 희망자 기타 계
강사 교사 코치
(대학생)
중학교 95(42.6) 79(35.4) 36(16.1) 13(5.8) 0(0.0) 0(0.0) 223(100.0)
고등학교 16(12.9) 85(68.5) 17(13.7) 6(4.8) 0(0.0) 0(0.0) 124(100.0)

현재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의 구성과 자질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


학교 교사 집단에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70.7%,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3.2%로 나왔
다. 중학교 교사 집단에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68.5%,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15.0%
로 나왔다. 고등학교 교사 집단에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78.1%,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
이 3.4%로 나왔다(<표 Ⅳ-79> 참고).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69


<표 Ⅳ-79>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 구성과 자질에 대한 만족도 - 교사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만족하는 만족하지
구분 보통이다 만족하지 계 X 2(Sig.)
만족한다 편이다 않는다
않는다

초등학교 66(34.6) 69(36.1) 50(26.2) 3(1.6) 3(1.6) 191(100.0)


28.014
중학교 37(26.4) 59(42.1) 23(16.4) 13(9.3) 8(5.7) 140(100.0)
(.001)
고등학교 23(26.4) 45(51.7) 16(18.4) 2(2.3) 1(1.1) 87(100.0)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 구성과 자질에 대한 만족도는 초·중·고의 모든 학교 급에서


높게 나타났고, 만족하지 못한다는 응답은 낮게 나타났으나, 중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불
만족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원인 파악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할 주체로 가장 적합한 지도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
였다. 초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로 가장 적합한 주체는 스포츠강
사라는 응답이 37.2%로 가장 높았고, 체육전담교사 27.7%, 협회 소속 전문 강사 18.8%
순으로 응답되었다. 중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체육교사가 52.5%로 가장 높았고, 스포츠강
사 36.7%, 협회 소속 전문강사 8.6% 순으로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고등학교 교사 집단
의 경우 체육교사가 53.5%로 가장 많았고, 스포츠강사 32.6%, 협회 소속 전문강사 10.5%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Ⅳ-80> 참고).

<표 Ⅳ-80>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로 가장 적합한 지도자 - 교사


(단위 : 빈도(%))
교육
체육전담 담임교사 협회 소속
봉사활동
스포츠 교사(초) (초) 전문 강사
구분 희망자 기타 계 X 2(Sig.)
강사 체육교사 타교과 교사 (운동부
(대학생,
(중, 고) (중, 고) 코치 등)
대학원생)

초등학교 71(37.2) 53(27.7) 16(8.4) 36(18.8) 8(4.2) 7(3.7) 191(100.0)


48.745
중학교 51(36.7) 73(52.5) 0(0.0) 12(8.6) 3(2.2) 0(0.0) 139(100.0)
(.001)
고등학교 28(32.6) 46(53.5) 1(1.2) 9(10.5) 2(2.3) 0(0.0) 86(100.0)

17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이러한 조사 결과는 현행 학교스포츠클럽의 지도자의 구성과 자질에 대한 만족도와 비
교했을 때, 초등학교의 경우 앞으로는 스포츠강사, 체육전담교사, 협회 소속 전문강사가
학교스포츠클럽을 담당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인식을 보여준 것이다. 이는 현재는 담임교
사가 학교스포츠클럽을 담당하는 비율이 가장 높지만, 향후에는 스포츠에 대한 전문 지도
능력을 갖춘 지도자가 더 필요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중·고등학교의 경
우 현재는 타교과교사나 스포츠강사가 지도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향후에는 스
포츠 지도에 전문성이 있는 체육교사가 담당하는 바람직하다는 인식을 보여준 것이다.

(사)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및 체육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교내외 스포츠클럽대회에 어느 정도 참가하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경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중·고 모든 학교 급에서 ‘ 교육청 스포
츠클럽대회(초 49.6%, 중 43.5%, 고 35%)’ 에 가장 많이 참여한다고 응답하였다. 그 뒤를
이어 ‘ 교내 스포츠클럽대회(초 29.6%, 중 31.2%, 고 33.6%)’ 에 많이 참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중·고등학교는 초등학교에 비해 ‘ 지역협회에서 주최한 스포츠클럽 대회’ 에 참가하
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81> 참고).

<표 Ⅳ-81>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연계한 교내외 프로그램 운영 실태(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교내 교육청 지역협회에서 지역협회에
스포츠클 스포츠클럽 운영하는 서 주최한
구분 없음 계 X 2(Sig.)
럽대회 대회 스포츠클럽 스포츠클럽
개최 참가 활동 참가 대회 참가

초등학교 20(7.0) 84(29.6) 141(49.6) 21(7.4) 18(6.3) 284(100.0)


62.852
중학교 7(2.5) 86(31.2) 120(43.5) 25(9.1) 38(13.8) 276(100.0)
(.000)
고등학교 10(7.3) 46(33.6) 48(35.0) 12(8.8) 21(15.3) 137(100.0)

학교스포츠클럽 운영과 체육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여부에 관해 초등학교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에 대해 교사들은 ‘ 연계성 있게 운영된다’ 는 응답이 67.3%였으며,
‘ 그렇지 못하다’ 는 응답은 11.6% 정도였다. 이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이 체육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운영된다는 인식을 보여준 것이다(<표 Ⅳ-82> 참고).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71


<표 Ⅳ-82>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의 체육교육과정 운영과의 연계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잘 연계되어 연계된 연계되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있다 편이다 않았다 연계되지 않았다
초등학교 28(14.7) 100(52.6) 40(21.1) 18(9.5) 4(2.1) 190(100.0)

그렇다면 이러한 학교스포츠클럽은 체육교육과정의 어떤 차원과 연계되었다고 생각하


는지 알아보았다. 이에 관해 교사들은 ‘ 체육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내용 차원(52.4%)’ 과
가장 연계성이 높다고 인식하였고, ‘ 체육교육과정의 목표 차원(30.6%)’ 과도 비교적 연계
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표 Ⅳ-83> 참고).

<표 Ⅳ-83>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과 체육교육과정과의 연계 차원 - 교사


(단위 : 빈도(%))
체육교육과정 체육교육과정의 체육교육과
체육교육과정
구분 의 교수·학습 교수·학습방법 정의 평가 기타 계
의 목표 차원
내용차원 차원 차원
초등학교 52(30.6) 89(52.4) 24(14.1) 3(1.8) 2(1.1) 170(100.0)

(아) 학교스포츠클럽 운영과 인성교육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는 교사들은 인성교육 측면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시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는지 교사들을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 인성교육을 강조한다’ 고 응답한 비율
이 77.7%였고, ‘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1.2%에 불과하였다. 중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는
82.8%가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4.2%였다. 고
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도 78.8%가 인성교육을 강조한다고 응답하였고, 2.4%가 ‘ 그렇지
않다’ 고 응답하였다(<표 Ⅳ-84> 참고).

<표 Ⅳ-84>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시 인성교육 강조 진행 여부 - 교사


(단위 : 빈도(%))
매우 그런 그렇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그렇지 않다
초등학교 52(30.6) 80(47.1) 36(21.2) 2(1.2) 0(0.0) 170(100.0)
중학교 38(27.1) 78(55.7) 18(12.9) 3(2.1) 3(2.1) 140(100.0)
고등학교 24(28.2) 43(50.6) 16(18.8) 2(2.4) 0(0.0) 85(100.0)

17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그렇다면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한 인성교육 지도 시 어떤 내용에 중점을 두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것은 ‘ 협동, 준법성, 배
려 등의 사회적 인성 체득(71.7%)’ 이라는 항목이었고, ‘ 인간관계 개선(9.4%)’ , ‘ 열정, 인내,
자신감 등의 개인적 인성 체득(9.4%)’ , ‘ 스트레스 관리, 폭력성 완화 등의 정서 순화
(8.9%)’ 등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응답하였다. 중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도 ‘ 협동, 준법
성, 배려 등의 사회적 인성 체득(71.4%)’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나머지 항목
은 초등학교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고등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는 ‘ 협동, 준법성, 배려
등의 사회적 인성 체득(53.0%)’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학교 급에 비해 다소 낮게 나
타났고, ‘ 스트레스 관리, 폭력성 완화 등의 정서 순화(22.7%)’ 라는 항목에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표 Ⅳ-85> 참고).

<표 Ⅳ-85>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한 인성교육 지도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내용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인간관계 개선 18(9.4) 12(8.6) 13(15.7)

협동, 준법성, 배려 등의 사회적 인성 체득 137(71.7) 100(71.4) 44(53.0)

열정, 인내, 자신감 등의 개인적 인성 체득 18(9.4) 13(9.3) 6(7.2)

스트레스 관리, 폭력성 완화 등의 정서 순화 17(8.9) 15(10.7) 19(22.7)

문제 장면에서 바람직한 선택을 하는 올바른 판단력 향상 1(0.5) 0(0.0) 1(1.2)

계 191(100.0) 140(100.0) 83(100.0)

X2(Sig) 17.773(.023)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교사들은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면서 ‘ 협동, 준법성, 배려 등의


사회적 인성 체득’ 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스
포츠의 종류가 단체 스포츠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대인관계를 통해 사회적 인성을
체득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 스트레
스 관리, 폭력성 완화 등의 정서 순화’ 측면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73


(2) 프로그램 중심의 체육활동 운영 지원

(가)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방과
후에 학원이나 기타 보충 수업으로 인해 신체활동 시간을 제대로 확보할 수 없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에 관해 우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그 결과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 운영하고 있다’ 는 응답이 초등학교 교사 집단에서는 83.9%
로 나왔고, 중학교는 74.2%, 고등학교는 54.5%라고 나왔다(<표 Ⅳ-86> 참고).

<표 Ⅳ-86>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운영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운영함 운영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156(83.9) 30(16.1) 186(100.0)


24.987
중학교 95(74.2) 33(25.8) 128(100.0)
(.000)
고등학교 42(54.5) 35(45.5) 77(100.0)

그러나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비율을 보면, 프로그램


운영 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 결과를 보면 초등학생 58.1%, 중학생
36.0%, 고등학생 26.6%가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표 Ⅳ-87> 참고).

<표 Ⅳ-87>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참여 여부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참여함 참여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1,431(58.1) 1,033(41.9) 2,464(100.0)

중학교 679(36.0) 1,205(64.0) 1,884(100.0) 387.150(.000)

고등학교 304(26.6) 839(73.4) 1,143(100.0)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참여도는 어느 정도인지 교

17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사를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학교 급의 교사들은 학생들의 ‘ 프로그
램 참여도(초 81.6%, 중 72.3%, 고 66%)’ 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표 Ⅳ-88> 참고).

<표 Ⅳ-88>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학생 참여도 - 교사


(단위 : 빈도(%))
매우 높은 매우
구분 보통이다 낮다 계 X 2(Sig.)
높다 편이다 낮다
초등학교 72(44.2) 61(37.4) 28(17.2) 2(1.2) 0(0.0) 163(100.0)
17.493
중학교 39(38.6) 34(33.7) 21(20.8) 5(5.0) 2(2.0) 101(100.0)
(.025)
고등학교 10(20.0) 22(44.0) 13(26.0) 4(8.0) 1(2.0) 50(100.0)

이번에는 ‘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에 대한 참여도를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설


문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 60.8%, 중학생 45.4%, 고등학생 35.0% 정도가 ‘ 참여했다’ 고
응답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의 참여도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참여도에 비해 낮
은 수준으로 나타났다(<표 Ⅳ-89> 참고).

<표 Ⅳ-89>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참여도 - 학생


(단위 : 빈도(%))
그다지 전혀
꾸준히 대체로
구분 보통이다 참여하지않 참여하지 계 X 2(Sig.)
참여했다 참여했다
았다 않았다
731 408 340 106 288 1,873
초등학교
(39.0) (21.8) (18.2) (5.7) (15.4) (100.0)
319 196 212 85 324 1,136 217.269
중학교
(28.1) (17.3) (18.7) (7.5) (28.5) (100.0) (.000)
103 102 97 55 228 585
고등학교
(17.6) (17.4) (16.6) (5.4) (39.0) (100.0)

‘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이 학생 신체활동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 긍정적인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초등학교 교사 87.8%, 중학교 교
사 88.7%, 고등학교 교사 86.0%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표 Ⅳ-90> 참고).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75


<표 Ⅳ-90>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교사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그렇지
구분 보통이다 그렇지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않다
초등학교 69(42.3) 74(45.4) 16(9.8) 4(2.5) 0(0.0) 163(100.0)
중학교 44(45.4) 42(43.3) 9(9.3) 1(1.0) 1(1.0) 97(100.0)
고등학교 17(34.0) 26(52.0) 6(12.0) 1(2.0) 0(0.0) 50(100.0)

그러나 학생들은 ‘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의 긍정적 효과에 대해 초등학생


59.1%, 중학생 46.8%, 고등학생 43.4%가 긍정적인 편이라고 응답하여 80% 이상이 긍정
적이라고 응답한 교사들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표 Ⅳ-91> 참고).

<표 Ⅳ-91>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학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구분 그렇지 계 X 2(Sig.)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초등학교 609(33.9) 452(25.2) 368(20.5) 104(5.8) 263(14.6) 1,796(100.0)
89.778
중학교 284(26.1) 225(20.7) 259(23.8) 61(5.6) 259(23.8) 1,088(100.0)
(.000)
고등학교 106(20.9) 114(22.5) 108(21.3) 38(7.5) 140(27.7) 506(100.0)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의 참여 여부, 참여도, 긍


정적 효과에 대해 교사 집단과 학생 집단의 인식이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데 이러한 차이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에 참여하고
있다는 학생들(초 1,431명, 중 679명, 고 304명)과 참여도 및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응답
한 학생들의 수치가 비슷하다는 점이다. 이는 ‘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에 참여
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도 이 항목의 설문 문항에 응답하였기 때문에 참여도나 긍정적 효
과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에 비춰볼 때, 고등학교는 과반수가 약간 넘지만, 70∼80%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서 ‘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이 운영되고 있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적극 참여하고 있었으며, 활동에 대한 만족도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

17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다. 다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모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
에 ‘ 프로그램 운영’ 과 ‘ 프로그램 참가’ 비율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며, 전교생이
동일한 시간에 동시에 참여할 수는 없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나)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학교에서 주 5일제 수업이 도입되면서 토요일에 학생들이 학원을 가기보다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권장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은 적극 권장되었고,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졌다.
우선,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여부에 관해 질문하
였다. 그 결과 ‘ 운영한다’ 는 응답률은 초등학교 89.6%, 중학교 96.4%, 고등학교 84.8%인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학교에서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92> 참고).

<표 Ⅳ-92>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운영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운영함 운영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163(89.6) 19(10.4) 182(100.0)
9.007
중학교 133(96.4) 5(3.6) 138(100.0)
(.011)
고등학교 67(84.8) 12(15.2) 79(100.0)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관해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 참여 경험이 있는 학생’ 은 초등학생 35.3%, 중학생 32.0%, 고등학생 10.7%였으며, ‘ 참여
한 경험이 없는 학생’ 은 초등학생 64.7%, 중학생 68.0%, 고등학생 89.3%로 많은 학생들이
참여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93> 참고).

<표 Ⅳ-93>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 경험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참여함 참여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838(35.3) 1,537(64.7) 2,375(100.0)
235.322
중학교 603(32.0) 1,279(68.0) 1,882(100.0)
(.000)
고등학교 119(10.7) 995(89.3) 1,114(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77


‘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의 학생 참여도를 교사 집단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
보았다. 설문 결과, 초등학교 교사 70.0%, 중학교 교사 72.1%, 고등학교 교사 56.3%가 ‘ 학
생들의 참여도’ 가 높은 편이라고 응답하였고, ‘ 참여도가 낮은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
3.5%, 중 3.9%, 고 9.9%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학생들
의 참여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응답하였다(<표 Ⅳ-94> 참고).

<표 Ⅳ-94>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학생 참여도 - 교사


(단위 : 빈도(%))
매우 높은 보통 매우
구분 낮다 계 X 2(Sig.)
높다 편이다 이다 낮다
초등학교 44(25.9) 75(44.1) 45(26.5) 5(2.9) 1(0.6) 170(100.0)
15.797
중학교 38(29.5) 55(42.6) 31(24.0) 2(1.6) 3(2.3) 129(100.0)
(.045)
고등학교 15(21.1) 25(35.2) 24(33.8) 7(9.9) 0(0.0) 71(100.0)

‘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도’ 에 대해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프로그램


참여도에 대해 ‘ 꾸준히 또는 대체로 참여했다’ 는 응답은 초등학생 48.3%, 중학생 37.7%,
고등학생 19.0%였고, ‘ 그다지 또는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 는 응답은 초등학생 37.9%, 중
학생 45.0%, 고등학생 69.3%로 높게 나타났다. 즉,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토요
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도가 떨어졌으며, 교사 집단이 인식하고 있는 학생의 참여도와
비교했을 때 학생들이 참여도는 상당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95> 참고).

<표 Ⅳ-95>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도 - 학생


(단위 : 빈도(%))
그다지 전혀
꾸준히 대체로
구분 보통이다 참여하지않 참여하지 계 X 2(Sig.)
참여했다 참여했다
았다 않았다
409 315 205 98 471 1,498
초등학교
(27.3) (21.0) (13.7) (6.5) (31.4) (100.0)
252 165 190 120 377 1,104 177.179
중학교
(22.8) (14.9) (17.2) (10.9) (34.1) (100.0) (.000)
58 25 51 43 259 436
고등학교
(13.3) (5.7) (11.7) (9.9) (59.4) (100.0)

17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신체활동 활성화에 어느 정도 긍정적 효과가 있
었는지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 83.0%, 중학교 교사
86.4%, 고등학교 교사 79.5%가 ‘ 긍정적인 편’ 이라고 응답하였고, ‘ 그렇지 못한 편’ 이라고
응답한 교사는 소수에 불과하였다(<표 Ⅳ-96> 참고).

<표 Ⅳ-96>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교사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그렇지
구분 보통이다 그렇지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않다
초등학교 67(42.1) 67(40.9) 26(15.9) 2(1.2) 0(0.0) 164(100.0)
중학교 51(40.8) 57(45.6) 14(11.2) 2(1.6) 1(0.8) 125(100.0)
고등학교 24(32.9) 34(46.6) 14(19.2) 1(1.4) 0.(0.0) 73(100.0)

이와 관련하여 이번에는 학생들은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해 어떻


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52.1%, 중학생 41.4%, 고등학생 29.0%였고,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라고 응답한 비율을 초등학생 32.5%, 중학생 34.7%, 고등학생 52.3%였다. 이 결과 역시 교
사 집단의 인식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이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인식은 낮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97> 참고).

<표 Ⅳ-97>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학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구분 그렇지 계 X 2(Sig.)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초등학교 462(32.6) 276(19.5) 219(15.5) 66(4.7) 393(27.8) 1,416(100.0)
107.238
중학교 232(22.2) 201(19.2) 251(24.0) 63(6.0) 300(28.7) 1,047(100.0)
(.000)
고등학교 66(17.9) 41(11.1) 69(18.7) 35(9.5) 158(42.8) 369(100.0)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은 많은 학교에서 개설되어 운영되고는


있으나, 토요일에 별도로 학교를 등교하여 참여하는 학생 비율은 초·중학교에서 30% 정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79


도였으며, 고등학교는 이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에 참여
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초 838명, 중 603명, 고 119명)과 참여도 및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수치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는 ‘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에 참여
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도 이 항목의 설문 문항에 응답하였기 때문에 참여도나 긍정적 효
과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은 ‘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프로그램’ 수준으로 개설 및 운
영되고 있으나, 주말이라는 특성상 참여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그
러나 참여했던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대부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 부모와 함께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스포츠 활동을 통해 부모와


의 친밀감을 높여주고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신체활동 중심의 여가 생활
을 유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권장되어 왔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일선 학교에서 얼마나 운영되고 있는지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
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15.6%, 중학교 15.9%, 고등학교 6.8%가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 운영하지 않는다’ 는 응답은 초등학교 84.4%, 중학교 84.1%, 고등학교
93.2%로 나타나 많은 학교에서 운영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98> 참고).

<표 Ⅳ-98>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운영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구문 운영함 운영하지 않음 계
초등학교 27(15.6) 146(84.4) 173(100.0)
중학교 18(15.9) 95(84.1) 113(100.0)
고등학교 5(6.8) 68(93.2) 73(100.0)

이러한 프로그램에 학생들은 얼마나 참여 경험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초등학생 집단은


12.0%, 중학생 집단은 5.4%, 고등학생 집단은 1.3%가 부모님과 함께하는 가족 참여 스포
츠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99> 참고).

18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99> 부모와 함께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경험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참여함 참여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280(12.0) 2,051(88.0) 2,331(100.0)
중학교 100(5.4) 1,747(94.6) 1,847(100.0) 140.632(.000)
고등학교 14(1.3) 1,072(98.7) 1,086(100.0)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는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그 결


과 초등학교 교사 52.1%, 중학교 교사 11.1%, 고등학교 교사 5.0%가 ‘ 참여도가 높은 편’
이라고 응답하였고, ‘ 참여도가 낮은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교사 22.9%, 중학
교 교사 66.7%, 고등학교 교사 65.0%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보면 중·고등학교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초등학교 교사들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참여도는 높은 것
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Ⅳ-100> 참고).

<표 Ⅳ-100>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의 학생 참여도 - 교사


(단위 : 빈도(%))
매우 높은 보통 매우
구분 낮다 계 X 2(Sig.)
높다 편이다 이다 낮다
초등학교 11(22.9) 14(29.2) 12(25.0) 5(10.4) 6(12.5) 48(100.0)
30.847
중학교 1(2.2) 4(8.9) 10(22.2) 17(37.8) 13(28.9) 45(100.0)
(.000)
고등학교 1(5.0) 0(0.0) 6(30.0) 7(35.0) 6(30.0) 20(100.0)

그러나 학생 집단의 경우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은 25.3%, 중학생은 10.6%, 고등학생은


5.6%가 ‘ 꾸준히 또는 대체로 참여했다’ 고 응답했고, ‘ 그다지 또는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
는 응답률도 초 60.3%, 중 73.5%, 고 86.1%에 달해 참여도는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초등학교 급에서 학생의 참여도에 대한 교사와 학생 집단 간의
인식 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101> 참고).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81


<표 Ⅳ-101> 부모와 함께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도 - 학생
(단위 : 빈도(%))
그다지 전혀
꾸준히 대체로
구분 보통이다 참여하지않 참여하지 계 X 2(Sig.)
참여했다 참여했다
았다 않았다
148 138 161 114 566 1,127
초등학교
(13.1) (12.2) (14.3) (10.1) (50.2) (100.0)
55 32 130 56 548 821 154.768
중학교
(6.7) (3.9) (15.8) (6.8) (66.7) (100.0) (.000)
4 16 30 36 272 358
고등학교
(1.1) (4.5) (8.4) (10.1) (76.0) (100.0)

부모와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이 얼마나 긍정적 효과가 있었는지 교사들을 대상으
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 56%, 중학교 교사 30.3%, 고등학교 교사 15.0%가
‘ 긍정적인 편’ 이라고 응답하였고, ‘ 그렇지 못한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24%,
중학교 51.1%, 고등학교 40%였다. 이는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교사들은 부모와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이 긍정적이라는 인식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표 Ⅳ-102> 참고).

<표 Ⅳ-102> 부모와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 인식 - 교사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그렇지
구분 보통이다 그렇지 계 X 2(Sig.)
그렇다 편이다 않다
않다
초등학교 17(34.0) 11(22.0) 10(20.0) 6(12.0) 6(12.0) 50(100.0)
24.139
중학교 2(4.7) 11(25.6) 8(18.6) 9(20.9) 13(30.2) 43(100.0)
(.002)
고등학교 2(10.0) 1(5.0) 9(45.0) 3(15.0) 5(25.0) 20(100.0)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 긍정적인 편’ 이라고 응


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30.0%, 중학생 18.4%, 고등학생 12.2%였다. 반면 ‘ 그렇지 못한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46.8%, 중학생 54.3%, 고등학생 60.0%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 역시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은 부모님과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의 긍
정적인 효과가 크지 않다고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103> 참고).

18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103> 부모님과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 인식 - 학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구분 그렇지 계 X 2(Sig.)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초등학교 156(14.7) 162(15.3) 209(19.7) 37(3.5) 498(46.8) 1,062(100.0)
97.964
중학교 88(11.3) 55(7.1) 179(23.0) 34(4.4) 423(54.3) 779(100.0)
(.000)
고등학교 7(2.4) 29(9.8) 50(16.9) 32(10.8) 177(60.0) 295(100.0)

이상의 결과로 볼 때, ‘ 부모와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 은 개설·운영하는 학교가 매


우 적어 학생들의 절대적인 참여 경험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생
의 경우 중·고등학생에 비해 참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낮았지만, 참여했던 학생들의 인원(초 280명, 중
100명, 고 14명)과 비교해본다면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참여했던 학생을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 부모와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 은 우리의 학교와 사회 현실에 비춰볼 때,
개설 및 운영하기는 쉽지 않지만, 일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긍정적
효과가 높다고 인식하게 된다는 점이다. 특히 부모의 손길을 더 많이 필요로 하는 초등학
생들은 다른 학교 급의 학생들에 비해 참여 경험이 많고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도 상
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앞으로도 더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
다. 물론 우리 사회의 여가 문화가 가족 단위로 점차 다양화되고 있지만, 주말에도 출근하
는 사업장의 경우로 인해 자녀들과 함께 하지 못하거나, 주말에 학원 수업 등으로 인해
프로그램 참여가 불가능 경우도 많아 이러한 외적인 환경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라)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방학 중에도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스포츠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교


사들을 대상으로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알아보았다. 우선, 이 프로그램을
‘ 운영한다’ 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76.7%, 중학교 76.0%, 고등학교 41.7%였다. ‘ 운영하
지 않는다’ 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23.3%, 중학교 24.0%, 고등학교 58.3%였다(<표 Ⅳ
-104> 참고).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83


<표 Ⅳ-104>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운영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운영함 운영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138(76.7) 42(23.3) 180(100.0)
중학교 95(76.0) 30(24.0) 125(100.0) 33.315
(.000)
고등학교 30(41.7) 42(58.3) 72(100.0)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경험 여부를 학생들에게 질문하였다. 그 결과 초


등학생 28.6%, 중학생 18.3%, 고등학생 8.3%가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표 Ⅳ-105> 참고).

<표 Ⅳ-105>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경험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참여함 참여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661(28.6) 1,651(71.4) 2,312(100.0)
중학교 338(18.3) 1,513(81.7) 1,851(100.0) 195.247(.000)
고등학교 90(8.3) 993(91.7) 1,083(100.0)

또한, 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참여도는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 참여도가 높


은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67.9%, 중학교 56.4%, 고등학교 55.4%였고, ‘ 참여
도가 낮은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7.1%, 중학교 13.8%, 고등학교 10.4%로 나
타났다(<표 Ⅳ-106> 참고).

<표 Ⅳ-106>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의 학생 참여도 - 교사


(단위 : 빈도(%))
매우 높은 매우
구분 보통이다 낮다 계
높다 편이다 낮다
초등학교 39(27.9) 56(40.0) 35(25.0) 8(5.7) 2(1.4) 140(100.0)
중학교 20(19.8) 37(36.6) 30(29.7) 8(7.9) 6(5.9) 101(100.0)
고등학교 6(16.2) 109(39.2) 75(27.0) 20(7.2) 9(3.2) 37(100.0)

18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이번에는 동일한 문항에 대해 학생들의 참여도는 어느 정도인지 학생 집단에게 설문하
였다. 그 결과 ‘ 참여도가 높은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45.2%, 중학교 29.0%,
고등학교 14.4%였고, ‘ 참여도가 낮은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43.2%, 중학생
54.4%, 고등학생 71.8%로 나타났다(<표 Ⅳ-107> 참고).

<표 Ⅳ-107>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도 - 학생


(단위 : 빈도(%))
그다지 전혀
꾸준히 대체로
구분 보통이다 참여하지 참여하지 계 X 2(Sig.)
참여했다 참여했다
않았다 않았다
360 242 155 74 500 1,331
초등학교
(27.0) (18.2) (11.6) (5.6) (37.6) (100.0)
176 95 155 64 444 934 168.597
중학교
(18.8) (10.2) (16.6) (6.9) (47.5) (100.0) (.000)
20 38 55 38 250 401
고등학교
(5.0) (9.5) (13.7) (9.5) (62.3) (100.0)

방학 중에 개설·운영된 스포츠 프로그램이 신체활동 활성화에 얼마나 긍정적 영향을


줬는지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편’ 이라고 응
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80.0%, 중학교 74%, 고등학교 80.6%였고, ‘ 그렇지 못한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4.3%, 중학교 9.0%, 고등학교 5.6%로 나타나 교사들은 대체로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표 Ⅳ-108> 참고).

<표 Ⅳ-108>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교사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그렇지
구분 보통이다 그렇지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않다

초등학교 56(40.0) 56(40.0) 22(15.7) 4(2.9) 2(1.4) 140(100.0)

중학교 29(29.0) 45(45.0) 17(17.0) 3(3.0) 6(6.0) 100(100.0)

고등학교 11(30.6) 18(50.0) 5(13.9) 1(2.8) 1(2.8) 36(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85


그러나 동일한 질문에 대해 학생 집단의 인식은 차이를 보였다.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
램이 ‘ 긍정적인 효과’ 가 있다는 응답은 초등학생 43.7%, 중학생 33.7%, 고등학생 19.1%였
으며, ‘ 그렇지 못한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38.1%, 중학생 44.2%, 고등학생
56.9%로 나타나 교사 집단에 비해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표
Ⅳ-109> 참고).

<표 Ⅳ-109>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학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구분 그렇지 계 X 2(Sig.)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초등학교 388(30.5) 168(13.2) 232(18.2) 38(3.0) 447(35.1) 1,273(100.0)
136.104
중학교 161(18.3) 136(15.4) 195(22.1) 42(4.8) 347(39.4) 881(100.0)
(.000)
고등학교 15(4.4) 50(14.7) 81(23.9) 32(9.4) 161(47.5) 339(100.0)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은 초·중학교에서는 70% 정도의 학교


들이 개설·운영하고 있으나, 참여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많지 않은 편이며,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참여율은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을 참
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수(초 661명, 중 338명, 고 90명)와 참여도가 높고 긍정
적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 수가 비슷한 수치를 보여준 것은 다른 프로그램과 마찬가
지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다만 방학 중에 학교에 등교하는 학생들이 적고, 학원 수업이나 보충 수업 참여
로 인해 ‘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에 참가할 시간과 여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상황을 고
려하여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도 그에 맞는 운영의 묘를 살릴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지원

(가) 남녀 혼성 학급의 체육 수업 형태

남녀 혼성 학급이 증가하면서 신체적, 기능적 차이로 인해 남학생과 여학생이 동일한


학급에서 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며, 여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어렵게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행 체육 수업의 형태에 관해 교사와 학생

18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의 의견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우선, 현행 체육 수업의 형태가 어떠한지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중학교
교사 집단은 현행 체육 수업의 형태 중 ‘ 남녀혼성’ 이 66.7%로 가장 많았고, ‘ 남녀분반
(16.2%)’ , ‘ 수업 내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15.2%)’ 이 그 뒤를 이었다. 고등학교 교사
집단은 ‘ 남녀혼성’ 이 46.3%로 가장 많았지만, ‘ 남녀분반’ 도 40.7%로 적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표 Ⅳ-110> 참고).

<표 Ⅳ-110> 현행 체육 수업의 형태(남녀공학) - 교사


(단위 : 빈도(%))
학습 내에서 수업 내용에 따라
구분 남녀 혼성 남녀 분반 계 X 2(Sig.)
남녀 분리 지도 탄력적으로 운영
중학교 70(66.7) 17(16.2) 2(1.9) 16(15.2) 105(100.0) 14.489
고등학교 25(46.3) 22(40.7) 3(5.6) 4(7.4) 54(100.0) (.002)

이와 관련하여 현행 체육 수업의 형태에 대한 학생 집단의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학생


집단이 참여하고 있는 현행 체육 수업의 형태는 교사 집단의 응답률과 유사한 결과를 보
였다(<표 Ⅳ-111> 참고).

<표 Ⅳ-111> 현행 체육 수업의 형태(남녀공학) - 학생(중, 고)


(단위 : 빈도(%))
학급 내에서 남녀 수업 내용에
구분 남녀혼성 남녀분반 계 X 2(Sig.)
분리 참여 따라 다름
중학교 980(59.5) 283(17.2) 90(5.5) 293(17.8) 1,648(100.0) 210.382
고등학교 397(43.6) 395(43.4) 26(2.9) 93(10.2) 911(100.0) (.000)

남녀공학에서 체육 수업은 어떤 형태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지 교사 집단의 인


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 남녀 분반’ 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입장이 중학교 45.7%, 고등학
교 60.0%로 나왔고, ‘ 수업 내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해야 한다는 입장도 중학교
35.2%, 고등학교 20%가 응답하였다. 그러나 ‘ 남녀 혼성’ 이 효율적이라는 입장은 중학교
16.2%, 고등학교 14.5%에 불과하였다(<표 Ⅳ-112> 참고).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87


<표 Ⅳ-112> 남녀공학에서 효율적인 체육 수업의 형태에 대한 인식 - 교사
(단위 : 빈도(%))
학습 내에서 남녀 수업 내용에 따라
구분 남녀혼성 남녀분반 계
분리 지도 탄력적으로 운영
중학교 17(16.2) 48(45.7) 3(2.9) 37(35.2) 105(100.0)
고등학교 8(14.5) 33(60.0) 3(5.5) 11(20.0) 55(100.0)

이에 관해 학생 집단에게도 효율적인 체육 수업의 형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러나 학생 집단은 교사 집단과는 달리 중학생 41.5%, 고등학생 35.7%가 ‘ 남녀혼성’ 이 가
장 효율적이라고 인식하였고, 그 다음으로 ‘ 수업 내용에 따라 다름’ 에 중학생 27.9%, 고등
학생 27.4%가 응답하였다. 남녀공학의 효율적인 체육 수업에 대해 교사와 학생 집단 간
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교사는 수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남녀의 신체적, 기능적 차이로
인해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남녀를 분리하여 진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인식하
고 있지만, 학생들은 남녀혼성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고, 남녀 분리를 하더라도 학급 내에
서 분리하는 방식이 더 효율적인 수업 형태라고 인식하였다(<표 Ⅳ-113> 참고).

<표 Ⅳ-113> 남녀공학에서 효율적인 체육 수업의 형태에 대한 인식 - 학생(중, 고)


(단위 : 빈도(%))
학급 내에서 수업 내용에
구분 남녀혼성 남녀분반 계 X 2(Sig.)
남녀 분리 참여 따라 다름
중학교 675(41.5) 342(21.0) 156(9.6) 453(27.9) 1,626(100.0) 12.057
고등학교 324(35.7) 232(25.6) 103(11.3) 249(27.4) 908(100.0) (.007)

그러나 수업형태를 변화하는 것보다는 혼성학급에서 운영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및 수행평가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방안이라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나) 여학생을 위한 체육 기반 시설 요구 분석

여학생들의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어떤 시설이 필요한지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


르면,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시설은 ‘ 여학생 체육활동을 위
한 간이시설 확충’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초등학교 교사 35.4%, 중학교 교사 40.6%로 가

18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장 높았고,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 ‘ 여학생 전용 탈의실 운영(40.0%)’ 을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시설로 꼽았다. 이외에 초등학교는 ‘ 여학생 전용 탈의실 운영(25.7%)’ , ‘ 여학생 전용
체육교실 운영(24.6%)’ 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중학교는 ‘ 여학생 전용 체육교실 운영
(29.2%)’ , ‘ 여학생 전용 탈의실 운영(19.8%)’ 에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표 Ⅳ-114> 참고).

<표 Ⅳ-114>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우선적인 기반 시설 - 교사


(단위 : 빈도(%))
여학생 여학생
여학생 여학생 여학생
체육활동을 체육활동을
전용 전용 전용
구분 위한 위한 기타 계 X 2(Sig.)
탈의실 세면실 체육교실
간이시설 지역시설
운영 운영 운영
확충 연계
초등학교 45(25.7) 8(4.6) 43(24.6) 62(35.4) 9(5.1) 8(4.6) 175(100.0)
18.925
중학교 21(19.8) 5(4.7) 31(29.2) 43(40.6) 6(5.7) 0(0.0) 106(100.0)
(.041)
고등학교 26(40.0) 5(7.7) 12(18.5) 18(27.7) 4(6.2) 0(0.0) 65(100.0)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대부분의 학교 급에서 여학생 체육활동을 위한 간이시설과 여학


생 전용 체육교실을 우선적으로 필요로 했으며, 여고생들은 신체적 변화로 인해 체육복을
갈아입을 별도의 공간을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여학생의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체육


활동에 ‘ 활발히 참여’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초등학교 77.9%, 중학교 63.6%, 고등학교
69.8%로 높게 나타났고, ‘ 활발히 참여하지 않는다’ 는 응답은 초등학교 22.1%, 중학교
36.4%, 고등학교 30.2%였다. 학교 급별로 비교해보면, 초등학생이 가장 활발히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생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115> 참고).

<표 Ⅳ-115>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도에 대한 인식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활발히 참여함 활발히 참여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148(77.9) 42(22.1) 190(100.0)
7.235
중학교 68(63.6) 39(36.4) 107(100.0)
(.027)
고등학교 44(69.8) 19(30.2) 63(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89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에 대해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
에 따르면, 초등학교 교사 집단은 ‘ 남학생과의 운동 능력 차이에 따른 소외감(25.4%)’ 이라
는 항목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프로그램 부족
(21.7%)’ , ‘ 즐거운 체육활동에 대한 경험 부족(18.8%)’ 등에 많이 응답하였다. 중학교 교사
집단은 ‘ 즐거운 체육활동에 대한 경험부족(26.9%)’ 을 여학생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가장
큰 이유로 꼽았고, 그 다음으로는 ‘ 남학생과의 운동 능력 차이에 따른 소외감(19.3%)’ , ‘ 여
학생에 적합한 체육 프로그램 부족(17.6%)’ 등에 답하였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
‘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프로그램 부족(22.2%)’ , ‘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시설 부족(22.2%)’
을 또 다른 이유로 꼽았다. 이외에 ‘ 즐거운 체육활동 경험 부족’ 과 ‘ 탈의실 등 편의시설
부족’ 때문에 체육활동에 소극적이라고 응답하였다(<표 Ⅳ-116> 참고).

<표 Ⅳ-116>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프로그램 부족 30(21.7) 21(17.6) 16(22.2)
즐거운 체육활동에 대한 경험 부족 26(18.8) 32(26.9) 14(19.4)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시설 부족 18(13.0) 17(14.3) 16(22.2)
탈의실 등 편의시설 부족 8(5.8) 17(14.3) 14(19.4)
여학생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일 것이라는 교사의 부정적
6(4.3) 4(3.4) 6(8.3)
인식
여학생이 체육활동에 적극적인 것에 대한 학부모의 부
15(10.9) 5(4.2) 2(2.8)
정적 인식
남학생과의 운동 능력 차이에 따른 소외감 35(25.4) 23(19.3) 4(5.6)
계 138(100.0) 119(100.0) 72(100.0)
2
X (Sig) 52.852(.000)

그러나 여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교사 집단의 인식과 차이가 컸다. 우선 초·중·고의 모든 학교 급 여학생들이 공통적으
로 ‘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 부족(초 47.6%, 중51.3%, 고 54.2%)’ 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그 다음 순위로 ‘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활동 부족(초 15.9%, 중 16.0%, 고 13.4%)’ 을 소극
적인 이유라고 응답하였다. 아울러 여학생들은 ‘ 다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초 13.4%, 중

19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7.6%, 고 9.5%)’ 과 ‘ 자신의 신체 모습 또는 운동하는 모습에 대한 부담감(초 8.9%, 중
10.0%, 고 9.3%)’ 도 상대적으로 많이 응답하였다(<표 Ⅳ-117> 참고).

<표 Ⅳ-117>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활동 부족 368(16.8) 235(16.7) 117(13.4)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 부족 1,100(50.1) 752(53.7) 473(54.4)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시설 부족 135(6.2) 61(4.3) 27(3.1)
옷 갈아입는 곳, 씻는 곳 등 편의시설 부족 75(3.4) 124(8.8) 89(10.2)
다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310(14.1) 112(8.0) 83(9.5)
자신의 신체 모습 또는 운동하는 모습에 대한 부담감 206(9.4) 147(10.5) 81(9.3)
계 2,194(100.0) 1,404(100.0) 870(100.0)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모든 학교 급의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할 체육활동을 제공하고, 여학생이 안정감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체육 수업 환경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여학생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여
학생들이 운동에 대한 부담감을 적게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하는 체육교사들의 노력도 필
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라)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실태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해보


았다. 설문 결과,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을 ‘ 개설하고 있다’ 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56.6%, 중학교 78.7%, 고등학교 61.9%로 나타났다(<표 Ⅳ-118> 참고).

<표 Ⅳ-118>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개설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개설함 개설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107(56.6) 82(43.4) 189(100.0)
14.755
중학교 85(78.7) 23(21.3) 108(100.0)
(.001)
고등학교 39(61.9) 24(38.1) 63(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91


이와 관련하여 여학생 집단에게 ‘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개설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
과에 따르면, 초등학생 44.7%, 중학생 54.3%, 고등학생 74.7%가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개설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 결과는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개설 여부에 관한 교사 집
단의 응답률과는 모든 학교 급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과거에 비해 여학생 학교스포
츠클럽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표 Ⅳ-119> 참고).

<표 Ⅳ-119>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개설 여부(여학생 응답)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개설됨 개설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600(44.7) 741(55.3) 1,341(100.0)
130.423
중학교 406(54.3) 342(45.7) 748(100.0)
(.000)
고등학교 367(74.7) 124(25.3) 491(100.0)

향후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있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 여학생들에게 질문하였


다. 여학생들은 초등학교 58.4%, 중학교 56.4%, 고등학교 44.0%가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 수치는 중학교까지 과반수를 넘었으나, 학교 급
이 올라갈수록 여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의사가 약간씩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표 Ⅳ-120> 참고).

<표 Ⅳ-120>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에의 참여 의사(여학생 응답)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참여할 것임 참여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773(58.4) 550(41.6) 1,323(100.0)
30.479
중학교 411(56.4) 318(43.6) 729(100.0)
(.000)
고등학교 212(44.0) 270(56.0) 482(100.0)

한편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내 체육대회를 실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교사 집단에게


질문하였다. 그 결과 교내 체육대회를 실시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31.0%, 중학교
72.4%, 고등학교 82.0%였다.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여학생 체육대회를 실시한다는 비율
이 높게 나타났다(<표 Ⅳ-121> 참고).

19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121>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내 체육(스포츠)대회 실시 여부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실시함 실시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57(31.0) 127(69.0) 184(100.0)
72.022
중학교 76(72.4) 29(27.6) 105(100.0)
(.000)
고등학교 50(82.0) 11(18.0) 61(100.0)

이와 관련하여 여학생 체육대회에서 주로 실시하는 종목은 무엇인지 교사 집단을 대상


으로 질문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여학생 체육대회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
는 종목은 ‘ 줄넘기(43.7%)’ 였고, 그 다음은 ‘ 피구(31.0%)’ 였다. 중학교 여학생은 체육대회
에서 ‘ 피구(49.3%)’ 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 줄넘기(29.6%)’ 가 그 다음 순이
었다. 고등학교의 경우 ‘ 줄넘기(32.6%)’ 가 가장 많았고, ‘ 피구(26.1%)’ , ‘ 발야구(26.1%)’ 가
그다음 순이었다(<표 Ⅳ-122> 참고).
이처럼 여학생 교내 체육대회의 종목은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으로 개설된 종목
과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여학생을 위해 어떤 종목을 개설했는지 주관식으로 질문한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의
경우 ‘ 피구’ 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 줄넘기’ , ‘ 배드민턴’ , ‘ 축구’ 등이 그 뒤를 이었
다. 중학교의 경우 ‘ 피구’ 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 댄스’ , ‘ 배드민턴’ , ‘ 줄넘기’ , ‘ 축구’
등의 순이었다. 고등학교의 경우 ‘ 배드민턴’ 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 피구’ , ‘ 줄넘
기’ , ‘ 티볼’ 등의 순이었다. 이외에도 뉴스포츠를 포함한 다양한 종목이 개설된 양상을 보
였지만, 개설된 클럽 수는 상대적으로 소수에 불과하였다.

<표 Ⅳ-122> 여학생 체육(스포츠)대회의 주요 종목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창작댄스 줄넘기 발야구 육상 피구 기타 계 X 2(Sig.)
초등학교 5(7.0) 31(43.7) 2(2.8) 5(7.0) 22(31.0) 6(8.5) 71(100.0)
33.427
중학교 7(9.9) 21(29.6) 5(7.0) 2(2.8) 35(49.3) 1(1.4) 71(100.0)
(.000)
고등학교 6(13.0) 15(32.6) 12(26.1) 1(2.2) 12(26.1) 0(0.0) 46(100.0)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대회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여학생들이 참여하


는 스포츠클럽이 다양하게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93


그렇다면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은 교외 대회에 얼마나 출전하고 있는지 교사를 대상
으로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 출전한 경험이 있다’ 고 응답한 비율이 초등학교는
88.2%, 중학교는 70.3%, 고등학교는 64.6%였다. 이로 보건대 여학생들이 교외대회에 출전
한 경험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123> 참고).

<표 Ⅳ-123>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외 대회 출전 여부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출전함 출전하지 않음 계 X 2(Sig.)
초등학교 102(88.7) 13(11.3) 115(100.0)
15.571
중학교 64(70.3) 27(29.7) 91(100.0)
(.000)
고등학교 31(64.6) 17(35.4) 48(100.0)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교외 대회에 출전하지 않는 이유를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설


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에서는 ‘ 대회 참여 선수 부족(28.0%)’ 으로 인
해 교외 대회 참여가 어렵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 여학생 경기 능력 부
족(22.0%)’ , ‘ 여학생 대회의 부족(22.0%)’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중학교에서는 ‘ 대회 참
여 선수 부족(31.1%)’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 여학생의 경기 능력 부
족(28.9%)’ , ‘ 여학생의 스포츠 경기 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25.8%)’ 등의 순으로 응답하
였다. 고등학교에서는 ‘ 여학생의 경기 능력 부족(32.3%)’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 대
회 참여 선수 부족(25.8%)’ 이 그 뒤를 이었고, ‘ 여학생의 스포츠 경기 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19.4%)’ 도 높은 편이었다(<표 Ⅳ-124> 참고).

<표 Ⅳ-124>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교외 대회에 출전하지 않은 이유(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여학생의 경기 능력 부족 5(20.0) 13(28.9) 10(32.3)
여학생 대회의 부족 5(20.0) 4(8.9) 3(9.7)
대회 출전비 등의 부족 3(12.0) 3(6.7) 3(9.7)
부상 등에 대한 우려 3(12.0) 0(0.0) 1(3.2)
대회 참여 선수 부족 7(28.0) 14(31.1) 8(25.8)
여학생 스포츠 경기 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 2(8.0) 11(25.8) 6(19.4)
계 25(100.0) 45(100.0) 31(100.0)

19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현재는 학교 자체, 지역 교육지원청 및 시ㆍ도교육청 차원에서
여학생 종목을 확대하여 여학생 스포츠클럽대회를 운영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지만,
모든 학교 급에서 스포츠클럽대회에 참여할 선수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경기 능력도 상대적으로 떨어져 교외 대회에 출전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마)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요구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노력이 무엇인지 교사를 대상으로 알아


보았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초·중학교 급에서 가장 필요한 노력은 ‘ 여학생을 위한 스포
츠 활동 규칙 개선 및 프로그램의 제공(초 40.3%, 중 46.7%)’ 이라는 응답이 나왔고, 그 다
음으로는 ‘ 여학생 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초 33.1%, 중 35.2%)’ 이 필
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고등학교에서는 ‘ 여학생 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46.0%)’ 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 여학생을 위한 스포츠 활동 규칙 개선 및
프로그램의 제공(28.6%)’ 이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아울러 고등학교에서는 ‘ 탈의실
및 샤워장 편의시설 지원(23.8%)’ 도 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표 Ⅳ-125> 참고).

<표 Ⅳ-125> 여학생 스포츠클럽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노력- 교사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여학생 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 60(33.1) 37(35.2) 29(46.0)
여학생을 위한 스포츠 활동 규칙 개선 및 프로그램의
73(40.3) 49(46.7) 18(28.6)
제공
보호 장비 지원 9(5.0) 1(1.0) 0(0.0)
탈의실 및 샤워장 편의시설 지원 10(5.5) 12(11.4) 15(23.8)
여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지도자 인력 구성 26(14.4) 6(5.7) 1(1.6)
기타 3(1.7) 0(0.0) 0(0.0)
계 181(100.0) 105(100.0) 63(100.0)
2
X (Sig) 39.260(.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95


이와 관련하여 여학생들에게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개선을 위한 요구가 무엇
인지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가장 응답률이 높은 항목은 ‘ 여학생을 위한 다양한
스포츠클럽 프로그램 제공(초 39.8%, 중 37.5%, 고 39.5%)’ 이었다. 그 다음으로 ‘ 여학생을
위한 편의 시설(탈의실, 샤워장 등) 설치(초 25.8%, 중 32.5%, 고 34.9%)’ 요구가 높았다.
‘ 여학생용 용품이나 기구 지원(초 13.1%, 중 14.8%, 고 15.2%)’ 에 대한 요구는 그 다음 순
이었다(<표 Ⅳ-126> 참고).

<표 Ⅳ-126>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개선을 위한 요구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여학생을 위한 다양한 스포츠클럽 프로그램(운동) 제공 507(39.8) 269(37.5) 190(39.5)
여학생용 용품이나 기구 지원 167(13.1) 106(14.8) 73(15.2)
여학생을 위한 편의 시설(탈의실, 샤워장 등) 설치 329(25.8) 233(32.5) 168(34.9)
보호 장비 지원 79(6.2) 17(2.4) 13(2.7)
여학생에게 적합한 규칙 설정 104(8.2) 65(9.1) 35(7.3)
여학생만 참여하는 대회 개최 65(5.1) 15(2.1) 1(0.2)
기타 22(1.7) 13(1.8) 1(0.2)
계 1,273(100.0) 718(100.0) 481(100.0)
2
X (Sig) 71.573(.000)

이상의 설문결과로 볼 때, 교사와 학생들은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 개선을 위해


‘ 여학생을 위한 스포츠클럽 프로그램’ 의 제공을 공통적으로 중요시 여겼고, 여학생 편의
시설에 대한 요구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교육청 차원에서는 여학생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도
하고, UCC 콘테스트 대회 등의 간접 활동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여학생
우수 스포츠클럽을 지원하고 있으며,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종목도 의무적으로 개설하
기도 하고, 스포츠스타를 활용하여 강습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학생 체육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종합적인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
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주로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한 운영 주
체 역량의 강화와 보상 체계 마련, 그리고 행·재정적 지원 강화, 교육적 노력 등에 관한
것이다.

19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여학생 체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여학생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합니
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을 적극 펼친 유공교원에 대한 인사상 우대도 필요하고, 지
도교사에 대한 다양한 연수 기회도 제공해야 합니다. 아울러 여학생 스포츠클럽활동
전문가 연수도 제공해야 합니다(S교육지원청 O장학사).

여학생 체육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설 및 환경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와 해결 방안


이 마련되어야 하고 여학생 심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학생 교사 간 공감대 형
성 프로그램과 체육교사의 인식 개선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체험형 직무연수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해야 합니다. 아울러 교육부에서는 체육 시설의 현대화 노력,
체육단체와의 학교체육 발전 협약을 통해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합니다. 그리고
시ㆍ도교육청에서는 ‘ 여학생 체육활성화 TF 팀’ 을 구성하여 장학자료 개발은 물론
수업컨설팅과 현장개선방안을 협의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K교육지
원청 L장학사).

(4) 학생 체육활동 인프라 구축

(가) 체육 시설의 확충

학생들의 체육활동을 위한 교내 시설의 확보 정도를 알아보았다.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 체육 시설이 충분하거나 갖추어져 있는 편’ 이라는 의견은 초등학교 57.9%,
중학교 46.0%, 고등학교 34.6%였다. 반면 ‘ 체육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거나 전혀 갖추
어져 있지 않은 편’ 이라는 의견은 초등학교 12.7%, 중학교 27.3%, 고등학교 34.6%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필요한 시설이 충분히 갖추어
져 있지 않으며, 모든 학교 급에서 체육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표 Ⅳ
-127> 참고).

<표 Ⅳ-127> 교내 학교체육활동에 필요한 시설 확보에 대한 인식 - 교사


(단위 : 빈도(%))
충분히 갖추어져 전혀
갖추어져
구분 갖추어져 있는 보통이다 갖추어져 계 X 2(Sig.)
있지 않다
있다 편이다 있지 않다
초등학교 19(10.0) 91(47.9) 56(29.5) 18(9.5) 6(3.2) 190(100.0)
22.780
중학교 17(12.2) 47(33.8) 37(26.6) 27(19.4) 11(7.9) 139(100.0)
(.004)
고등학교 5(6.0) 24(28.6) 30(35.7) 18(21.4) 7(8.3) 84(100.0)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97


그렇다면 학교체육활동에 필요한 시설 중 가장 우선적으로 확충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모든 학교 급에서 가장 필요한 시
설로 응답한 것은 ‘ 다목적 체육관(초 59.7%, 중 44.5%, 고 37.6%)’ 이었다. 두 번째 순위로
응답한 항목은 학교 급마다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교는 ‘ 실내운동교실(16.7%)’ , 중학교는
‘ 현대화 운동장(21.2%)’ , 고등학교는 ‘ 탈의실 및 사워장 등의 편의시설(23.5%)’ 등 이었다
(<표 Ⅳ-128> 참고).

<표 Ⅳ-128> 학교체육활동에 필요한 시설 중 우선적으로 확충되어야 할 것 - 교사


(단위 : 빈도(%))
활용할 수 탈의실 및
현대화 다목적 실내 운동 있는 샤워장
구분 기타 계 X 2(Sig.)
운동장 체육관 교실 지역사회 등의
체육 시설 편의시설
초등학교 22(11.8) 111(59.7) 31(16.7) 11(5.9) 10(5.4) 1(0.5) 186(100.0)
36.265
중학교 29(21.2) 61(44.5) 13(9.5) 16(11.7) 18(13.1) 0(0.0) 137(100.0)
(.000)
고등학교 16(18.8) 32(37.6) 10(11.8) 6(7.1) 20(23.5) 1(1.2) 85(100.0)

다목적 체육관은 기후의 영향을 적게 받고 다양한 종목의 활동을 할 때 용이하기 때문


에 가장 선호하는 시설이다. 그런데 선호하는 시설 중에 초등학교에서는 실내운동교실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런 시설은 초등학생들이 체격도 상대적으로 작고 아기자기한
신체활동에 적합하기 때문에 선호한다고 볼 수 있다. 중학교에서는 현대화 운동장을 선호
했는데, 최근 학교에 인조잔디를 조성한 학교가 많아지고 비가 오더라도 운동장의 상태가
빨리 원상복구 되기 때문에 선호하는 경향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교의 경우 학
생들이 체육활동을 하면서 좀 더 쾌적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체육활동을 하고 싶은 욕구
가 강하기 때문에 탈의실 및 샤워장 등의 편의시설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것
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교의 체육 시설이 확충되는 것도 필요하지만, 노후 또는 파손으로 인해 개선이 필요
한 경우도 많다. 이에 대해 체육 시설을 직접 사용하고 있는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학생들이 가장 개선되어야 할 체육 시설로 꼽은 것은 모든 학교 급에서 ‘ 인조 잔
디 운동장(초 29.6%, 중 28.3%, 고 24.6%)’ 이었다. 고등학교에서는 ‘ 옷 갈아입는 곳’ 이라
는 응답이 가장 많아 탈의실 등의 사용에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 체육

19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시간에 사용하는 용·기구(초 21.6%, 중 16.3%, 고 20.6%)’ 의 개선도 필요하다는 인식이
많았다(<표 Ⅳ-129> 참고).

<표 Ⅳ-129> 학교의 체육 시설 중 가장 개선되어야 할 것 - 학생


(단위 : 빈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운동장에 설치된 운동 기구 424(18.5) 230(13.4) 153(14.0)
체육시간에 사용하는 용·기구(체육 기구실에 있는 것) 525(22.8) 287(16.7) 227(20.7)
옷 갈아입는 곳 281(12.2) 445(25.8) 282(25.7)
강당(체육관) 348(15.1) 262(15.2) 162(14.8)
인조 잔디 운동장 720(31.3) 498(28.9) 271(24.7)
계 2,298(100.0) 1,722(100.0) 1,095(100.0)

(나)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생 체육활동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 활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활용 정도를


알아보았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 잘 활용하거나 활용하는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
학교 25.3%, 중학교 27.4%, 고등학교 9.3%에 불과하였다. 반면 ‘ 활용하지 못하거나 전혀
활용하지 못한다’ 라는 응답은 초등학교 53.7%, 중학교 51.8%, 고등학교 75.3%로 과반수
를 넘었다(<표 Ⅳ-130> 참고).

<표 Ⅳ-130> 지역사회 체육 시설 활용 실태 - 교사


(단위 : 빈도(%))
잘 전혀
활용하는 활용하지
구분 활용하고 보통이다 활용하지 계 X 2(Sig.)
편이다 못한다
있다 못한다
초등학교 6(3.2) 42(22.1) 40(21.1) 68(35.8) 34(17.9) 190(100.0)
19.857
중학교 9(6.5) 29(20.9) 29(20.9) 41(29.5) 31(22.3) 139(100.0)
(.011)
고등학교 1(1.2) 7(8.2) 13(15.3) 43(50.6) 21(24.7) 85(100.0)

그렇다면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모든 학교 급에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인 것은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199


‘ 지역 체육 시설에 접근 어려움(초 41.5%, 중 37.6%, 고 49.4%)’ 이었다. 그 다음으로 모든
학교 급에서 공통적으로 응답한 것은 ‘ 이동 및 학교 밖 수업 중의 안전사고 위험(초
27.0%, 중 35.3%, 고 17.2%)’ 이었다. 아울러 ‘ 지역 체육 시설에 대한 정보 부족’ 도 활용
시 어려움으로 나타났다(<표 Ⅳ-131> 참고).

<표 Ⅳ-131>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복수 응답) - 교사


(단위 : 빈도(%))
이동 및 학교
지역 체육 지역 체육 지역 체육 체육 수업
밖 수업 중의
구분 시설에 대한 시설에 접근 시설 이용의 내용과의 계 X 2(Sig.)
안전사고
정보 부족 어려움 비용 부담 관련성 부족
위험
초등학교 38(15.3) 103(41.5) 29(11.7) 11(4.4) 67(27.0) 248(100.0)
56.344
중학교 6(4.5) 50(37.6) 21(15.8) 9(6.8) 47(35.3) 133(100.0)
(.000)
고등학교 14(16.1) 43(49.4) 3(3.4) 12(13.8) 15(17.2) 87(100.0)

체육활동을 위해 활용할 필요가 있는 주변의 체육 시설에 관한 의견을 학생 집단을 대


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초·중학생들이 가장 활용할 필요가 있는 시설
로 응답한 것은 ‘ 수영장(초 33.4%, 중 42.7%)’ 이었고, 고등학생들의 경우는 ‘ 축구장
(29.5%)’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초·중학생은 ‘ 축구장(초 23.2%, 중
23.1%)’ 이었고, 고등학생은 ‘ 배드민턴장(28.2%)’ 이라는 응답이 많았다(<표 Ⅳ-132> 참
고).

<표 Ⅳ-132> 체육활동을 위해 활용할 필요가 있는 주변의 체육 시설 - 학생


(단위 : 빈도(%))
배드
구분 수영장 축구장 농구장 탁구장 기타 계 X 2(Sig.)
민턴장
854 597 310 450 215 132 2,558
초등학교
(33.4) (23.3) (12.1) (17.6) (8.4) (5.2) (100.0)
752 407 100 361 112 28 1,760 329.684
중학교
(42.7) (23.1) (5.7) (20.5) (6.4) (1.6) (100.0) (.000)
241 328 72 313 155 2 1,111
고등학교
(21.7) (29.5) (6.5) (28.2) (14.0) (0.2) (100.0)

20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다음으로 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교사 집
단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모든 학교 급에서
‘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 지원(초 30.5%, 중 49.3%, 고 37.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초등학교에서는 ‘ 보조강사 지원(28.9%)’ , ‘ 재정 지원(17.1%)’ 등이 필요하다
고 응답하였다. 중학교에서도 초등학교보다는 약간 낮았지만, ‘ 보조강사 지원(15.9%)’ 을
요구하는 응답이 높았다(<표 Ⅳ-133> 참고).

<표 Ⅳ-133> 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지원- 교사


(단위 : 빈도(%))
지역사회의
보조강사 체육 교구 대회 주최 재정
구분 체육 시설 기타 계 X 2(Sig.)
지원 지원 및 후원 지원
지원
초등학교 54(28.9) 27(14.4) 57(30.5) 12(6.4) 32(17.1) 5(2.7) 187(100.0)
28.575
중학교 22(15.9) 18(13.0) 68(49.3) 16(11.6) 14(10.1) 0(0.0) 138(100.0)
(.001)
고등학교 12(14.6) 13(15.9) 31(37.8) 5(6.1) 19(23.2) 2(2.4) 82(100.0)

한편,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활용하기 위한 시ㆍ도교육청 차원


의 노력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시ㆍ도교육청 차원에서 지역의 유관기관과 업
무협약을 맺어 학생들이 지역체육 시설을 활용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교육지원청의 경우 지역의 13개 경기단체, 1개 대학, 2개 프로스포츠 구단과


업무협약을 통한 학생체육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학생들이 지역체육 시
설을 이용할 경우 30% 이용료 감면도 해주고 있습니다(W교육지원청 C장학사).

저희는 중학교 스포츠클럽 활동 시 학교 주변 체육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예


산을 지원하고 있고, 공용시설은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단위학교에서
스포츠클럽 운영 시 교육지원청 테니스장도 개방하고 있습니다(J교육지원청 L장학
사).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향후 학교체육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


활용도를 더욱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여 학생들이 안전하고 쉽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01


게 이동할 수 있도록 체육 시설을 확보해나가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이 학교에서는 시설
의 한계로 인해 경험하기 어려운 수영장과 같은 시설이 확대되어야 하며, 학교스포츠클럽
확대로 인해 축구, 배드민턴, 농구, 탁구 등의 수요가 많아지므로 이에 대한 보완도 필요
할 것이다.

3. 학교체육 정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가. 현 정책 시행 및 시행 성과에 대한 인식

(1) 학교체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학생들이 학교체육의 중요성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체육 과


목 또는 체육활동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 매
우 중요하거나 중요한 편’ 이라고 응답한 초등학생은 69.8%, 중학생은 59.6%, 고등학생은
57.1%였다. 그러나 ‘ 중요하지 않다거나 전혀 중요하지 않다’ 라고 응답한 초등학생은
4.0%, 중학생은 6.4%, 고등학생은 10.1%로 매우 적은 수준이었다(<표 Ⅳ-134> 참고). 이
는 학생들이 체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다. 그러나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긍정적 인식보다 부정적 인식이 비율이 약간 높다는 것
은 학교체육에 대한 중요성이 다소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
이 학교체육 정책의 영향인지 아니면 학교 급이 올라가면서 다른 교과에 대한 학습 부담
과 학습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체육 과목 또는 체육활동의 중요성이 저하되는 것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표 Ⅳ-134> 체육 과목 또는 체육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 학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중요한 중요하지
구분 보통이다 중요하지 계 X 2(Sig.)
중요하다 편이다 않다
않다
초등학교 803(30.5) 1,035(39.3) 690(26.2) 84(3.2) 21(0.8) 2,633(100.0)
118.184
중학교 486(24.5) 696(35.1) 674(34.0) 98(4.9) 29(1.5) 1,983(100.0)
(.000)
고등학교 296(24.3) 400(32.8) 399(32.8) 110(9.0) 13(1.1) 1,218(100.0)

20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2) 학교의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의 변화 양상

학생들이 학교에서 참여하고 있는 체육활동 시간은 학교 급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 증가하고 있다거나 증가
하는 편’ 이라는 응답은 초등학생 44.6%, 중학생 49.5%, 고등학생 31.5%로 나타났다. 그러
나 ‘ 증가하지 않는 편이거나 증가하지 않았다’ 는 응답은 초등학생 18.8%, 중학생 14.9%,
고등학생 30.8%였다(<표 Ⅳ-135> 참고).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참
여 시간이 가장 높게 증가한 집단은 중학생들이었다. 이는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증가하면서 학생들이 체육활동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실감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참여 시간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부정적인 응답도 다른 학교 급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등학생들의 경우 체육 10단위 증배가 이루어졌고, 2014년도 1학년부
터 적용되었지만, 증가하지 않은 편이라는 응답이 다른 학교 급에 비해 많은 이유는 대부
분의 고등학교에서 1학년 때는 체육 수업이 상대적으로 많이 편성되어있었기 때문에 별
다른 변화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설문에 참여한 1학년 학생들은 중학교에서 주당
2시간의 체육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고등학교에서 특별히 추가된 체
육활동을 경험하지 못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2, 3
학년에 올라가서도 체육활동을 꾸준히 지속 또는 증가하여 참여하는지 추가 조사가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표 Ⅳ-135>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참여 시간의 증가 경향성 여부 - 학생


(단위 : 빈도(%))
증가하지
증가하고 증가하는 보통 증가하지
구분 않은 계 X 2(Sig.)
있다 편이다 이다 않았다
편이다
초등학교 416(16.2) 727(28.4) 941(36.7) 312(12.2) 168(6.6) 2,564(100.0)
176.090
중학교 285(14.4) 694(35.1) 705(35.6) 207(10.5) 88(4.4) 1,979(100.0)
(.000)
고등학교 130(10.6) 251(20.5) 466(38.1) 243(19.9) 133(10.9) 1,223(100.0)

(3)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

학생들의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긍정적 인식 정도와 체육교과에 대


한 기대, 그리고 체육 수업에 대한 불만족의 이유를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 체육 수업이
‘ 매우 즐겁거나 즐거운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79.2%, 중학생 70.4%, 고등학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03


생 72.2%였다. 그러나 ‘ 즐겁지 않거나 전혀 즐겁지 않다’ 는 응답률은 초등학생 4.7%, 중
학생 6.5%, 고등학생 4.8%에 불과하였다. 이는 체육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매우 높
은 편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특히 초등학생들은 다른 학교 급에 비해 체육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136> 참고).

<표 Ⅳ-136> 체육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여부 - 학생


(단위 : 빈도(%))
즐거운 전혀 즐겁지
구분 매우 즐겁다 보통이다 즐겁지 않다 계
편이다 않다
초등학교 1,226(46.1) 882(33.1) 427(16.1) 88(3.3) 37(1.4) 2,660(100.0)
중학교 639(32.2) 757(38.2) 456(23.0) 94(4.7) 36(1.8) 1,982(100.0)
고등학교 395(32.4) 486(39.8) 281(23.0) 34(2.8) 25(2.0) 1,221(100.0)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 수업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이 가장 큰 이점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은 ‘ 건강 및 체력 향상(중
46.3%, 고 44.2%)’ 이었고, ‘ 신체활동 참여를 통한 즐거움(중 21.7%, 고 28.1%)’ , ‘ 신체 움
직임의 다양한 기능 향상(중 15.0%, 고 16.2%)’ 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정서심리적 이
점이라고 볼 수 있는 ‘ 교우 관계 발전’ , ‘ 스포츠맨십 등의 긍정적 태도 형성’ , ‘ 체육활동에
대한 자신감 획득’ 등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
-137> 참고).

<표 Ⅳ-137> 체육 수업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 - 학생(중, 고)


(단위 : 빈도(%))
구분 중학교 고등학교
건강 및 체력 향상 899(46.3) 534(44.2)
신체 움직임의 다양한 기능 향상 291(15.0) 196(16.2)
신체활동 참여를 통한 즐거움 422(21.7) 340(28.1)
교우 관계 발전 168(8.6) 81(6.7)
스포츠맨십 등의 긍정적 태도 형성 83(4.3) 38(3.1)
체육활동에 대한 자신감 획득 56(2.9) 19(1.6)
기타 24(1.2) 1(0.1)
계 1,943(100.0) 1,209(100.0)
2
X (Sig) 38.008(.000)

20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그렇다면 중학생들과 고등학생들은 체육 수업에서 어떤 점이 불만족스러운지 알아보았
다. 학생들은 ‘ 원하지 않는 체육활동 종목(중 42.1%, 고 42.5%)’ 때문에 체육 수업이 불만
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 좁은 공간 및 스포츠 시설 부족
(중 25.1%, 고 25.9%)’ 때문에 체육 수업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 체계적이
지 못한 수업 내용(중 13.0%, 고 17.7%)’ 도 불만족의 원인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138> 참고). 그런데 학생들은 지도교사의 전문성 부족이 체육 수업 불만족의 이
유라고 응답한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지도교사 자체에 대한 불만보다는 체육
수업의 설계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 Ⅳ-138> 체육 수업이 불만족스러운 이유 - 학생(중, 고)


(단위 : 빈도(%))
지나친 원하지 지도
좁은 공간 체계적
경쟁 부상에 않는 교사의
구분 및 스포츠 이지 못한 계 X 2(Sig.)
위주의 대한 우려 체육활동 전문성
시설 부족 수업 내용
활동 종목 부족
359 126 186 99 603 58 1,431
중학교
(25.1) (8.8) (13.0) (6.9) (42.1) (4.1) (100.0) 26.891
236 58 161 57 387 12 911 (.000)
고등학교
(25.9) (6.4) (17.7) (6.3) (42.5) (1.3) (100.0)

학생들에게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또는 학교체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교


우관계와 학교생활 만족도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 매우 좋아졌거나 좋아진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67.6%, 중학생 63.2%, 고등학생 61.3%였다. 그러나 ‘ 좋아
지지 않았거나 전혀 좋아지지 않았다’ 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생 7.1%, 중학생 7.4%, 고
등학생 4.1%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은 학교체육활동을 통해 교우관
계도 개선할 수 있고, 학교생활도 만족스럽게 할 수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
인다(<표 Ⅳ-139> 참고).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활동으로 학교 폭력 감소 또는 활기찬 학교 분위기가
조성되었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초등학교 77.5%, 중학교 85.7%, 고등학교 76.1%로 높게 나타났고,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2.6%, 중학교 3.5%, 고등학교
3.6%에 불과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이 초·중·고 모든 학교 급에서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05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특히 중학교 교사들이 다른 학교 급에 비해
더 높은 응답률을 보인 것은 ‘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의 증가로 인해 좀 더 두드러진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표 Ⅳ-140> 참고).

<표 Ⅳ-139>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또는 학교체육활동의 효과


(교우관계와 학교생활 만족도 측면)에 대한 인식 - 학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좋아진 보통 좋아지지
구분 좋아지지 계 X 2(Sig.)
좋아졌다 편이다 이다 않았다
않았다
초등학교 827(32.5) 892(35.1) 641(25.2) 125(4.9) 57(2.2) 2,542(100.0)
65.386
중학교 515(27.0) 692(36.2) 561(29.4) 88(4.6) 53(2.8) 1,909(100.0)
(.000)
고등학교 287(24.2) 440(37.1) 409(34.5) 36(3.0) 13(1.1) 1,185(100.0)

<표 Ⅳ-140>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활동으로 학교 폭력 감소 또는 활기찬


학교 분위기가 조성되었다는 인식 - 교사
(단위 : 빈도(%))
매우 그런 그렇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그렇지 않다
초등학교 38(19.9) 110(57.6) 38(19.9) 4(2.1) 1(0.5) 191(100.0)
중학교 40(28.6) 80(57.1) 15(10.7) 2(1.4) 3(2.1) 140(100.0)
고등학교 16(19.0) 48(57.1) 17(20.2) 3(3.6) 0(0.0) 84(100.0)

(4) 학교체육 정책 방향 및 추진에 대한 요구

현행 학교체육의 다양한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세부 분야별로 조사하였다. 우선, 방과 후 스포츠 활동 확대 정책이 학교
체육 발전에 어느 정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 매우 그
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교사 73.6%, 중학교 교사 86.1%, 고등
학교 교사 69.9%였다. 그러나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4.3%, 중학교 2.2%, 고등학교 4.8%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의 확대 정책에 관해서는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20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내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중학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
나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141> 참고).

<표 Ⅳ-141> 방과 후 스포츠 활동 확대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단위 : 빈도(%))
매우 그런 그렇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그렇지 않다
초등학교 51(27.0) 88(46.6) 42(22.2) 6(3.2) 2(1.1) 189(100.0)
중학교 48(35.0) 70(51.1) 16(11.7) 1(0.7) 2(1.5) 137(100.0)
고등학교 20(24.1) 38(45.8) 21(25.3) 4(4.8) 0(0.0) 83(100.0)

학교스포츠클럽과 지역사회 연계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


고 있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편’ 이라고 응
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47.8%, 중학교 44.9%, 고등학교 40.9%였다. 그리고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초등학교 12.7%, 중학교 14.7%, 고등학교 22.9%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스포츠클럽이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그다지 높지 않은 현실과 관
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표 Ⅳ-142> 참고).

<표 Ⅳ-142> 학교스포츠클럽과 지역사회 연계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단위 : 빈도(%))
매우 그런 그렇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그렇지 않다
초등학교 26(13.8) 64(34.0) 74(39.4) 20(10.6) 4(2.1) 188(100.0)
중학교 22(16.2) 39(28.7) 55(40.4) 14(10.3) 6(4.4) 136(100.0)
고등학교 7(8.4) 27(32.5) 30(36.1) 18(21.7) 1(1.2) 83(100.0)

다음은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및 리그 운영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얼마나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39.7%, 중학교 56.8%, 고등학교 45.6%였고, ‘ 그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07


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초등학교 18.3%, 중학교 11.8%, 고등학교
24.7%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중학교의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및 리그 운영 정
책이 상대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중학교의 학교체육 발전에도 기
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임을 알 수 있다(<표 Ⅳ-143> 참고).

<표 Ⅳ-143>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및 리그 운영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단위 : 빈도(%))
매우 그런 그렇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그렇지 않다
초등학교 25(13.4) 49(26.3) 78(41.9) 30(16.1) 4(2.2) 186(100.0)
중학교 21(17.8) 46(39.0) 37(31.4) 11(9.3) 3(2.5) 118(100.0)
고등학교 8(10.4) 27(35.1) 23(29.9) 16(20.8) 3(3.9) 77(100.0)

다음은 여학생 체육활동 기반 시설 조성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고 있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33.9%, 중학교 44.4%, 고등학교 46.8%였고,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초등학교 22.0%, 중학교 22.2%, 고등학교 27.3%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여학생 체육활동 기반 시설 조성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정책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평가와 비교해 볼 때 그다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144> 참고).

<표 Ⅳ-144> 여학생 체육활동 기반 시설 조성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단위 : 빈도(%))
매우 그런 그렇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그렇지 않다
초등학교 21(11.3) 42(22.6) 82(44.1) 35(18.8) 6(3.2) 186(100.0)
중학교 19(16.2) 33(28.2) 39(33.3) 20(17.1) 6(5.1) 117(100.0)
고등학교 8(10.4) 28(36.4) 20(26.0) 15(19.5) 6(7.8) 77(100.0)

20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식 개선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36.9%, 중학교 47.1%, 고등학교 40.8%였고,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초등학교 21.2%, 중학교 14.3%, 고등학교 23.7%였
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식 개선 정책 역시 학교체육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정책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평가와 비교해 볼 때 그다지 크
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Ⅳ-145> 참고).

<표 Ⅳ-145>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식 개선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단위 : 빈도(%))
매우 그런 그렇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그렇지 않다

초등학교 19(10.3) 49(26.6) 77(41.8) 33(17.9) 6(3.3) 184(100.0)

중학교 17(14.3) 39(32.8) 46(38.7) 12(10.1) 5(4.2) 119(100.0)

고등학교 13(17.1) 18(23.7) 27(35.5) 18(23.7) 0(0.0) 76(100.0)

기초학력 지원 e-school 구축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
한 비율은 초등학교 27.6%, 중학교 28.3%, 고등학교 20.5%였고,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초등학교 20.6%, 중학교 19.9%, 고등학교 22.9%였다. 이러한 결과
로 볼 때, 기초학력 지원 e-school 구축 정책은 다른 정책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평가와
비교해 볼 때 가장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낮기 때문
에 긍정적 영향에 대한 평가가 낮을 수도 있음을 배제할 수 없다(<표 Ⅳ-146> 참고).
다음은 체육 관련 수업시수 확대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중학교 88.6%, 고등학교 79.3%였고,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중학교 2.1%, 고등학교 2.3%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체육 관련 수업시수
확대 정책은 다른 학교체육 정책에 비해 가장 높은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물론 체육 수업시수가 확대되면 학생들의 체육활동이 증가되기 때문에 이러한 평가는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09


당연한 결과일 수 있으나, 정규 교육과정 시간 이외에 스포츠클럽 활동 등이 활성화된 선
진외국에 비해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로 인해 다양한 체육활동을 할 수 없는 우리 청소
년들의 상황을 반영한 의견이라고 볼 수 있다(<표 Ⅳ-147> 참고).

<표 Ⅳ-146> 기초학력 지원 e-school 구축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단위 : 빈도(%))
매우 그런 그렇지 전혀
구분 보통이다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그렇지 않다
초등학교 14(7.6) 37(20.0) 96(51.9) 31(16.8) 7(3.8) 185(100.0)
중학교 6(4.6) 31(23.7) 68(51.9) 17(13.0) 9(6.9) 131(100.0)
고등학교 5(6.0) 12(14.5) 47(56.6) 16(19.3) 3(3.6) 83(100.0)

<표 Ⅳ-147> 체육 관련 수업시수 확대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그렇지
구분 보통이다 그렇지 무응답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않다
중학교 67(47.9) 57(40.7) 11(7.9) 0(0.0) 3(2.1) 2(1.4) 140(100.0)
고등학교 32(36.8) 37(42.5) 12(13.8) 2(2.3) 0(0.0) 4(4.6) 87(100.0)

학생선수 통합지원센터 운영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교사를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
한 비율은 중학교 30.0%, 고등학교 28.7%였고,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중학교 21.4%, 고등학교 27.5%였으며, 일부 무응답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생선수 통합지원센터 운영 정책이 다른 학교체육 정책에 비해 낮은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긍정적 영향에 대한
평가가 낮을 수도 있음을 배제할 수 없다(<표 Ⅳ-148> 참고).

21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표 Ⅳ-148> 학생선수 통합지원센터 운영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그렇지
구분 보통이다 그렇지 무응답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않다
중학교 7(5.0) 35(25.0) 59(42.1) 22(15.7) 8(5.7) 9(6.4) 140(100.0)
고등학교 4(4.6) 21(24.1) 34(39.1) 23(26.4) 1(1.1) 4(4.6) 87(100.0)

마지막으로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체육 중점 학급 운영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설문 결
과, ‘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 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2.1%였고, ‘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 는 응답은 28.7%였으며, 무응답도 일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체육
중점 학급 운영 정책이 다른 학교체육 정책에 비해 낮은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시행을 경험한 교사들이 적기 때문에 긍정
적 영향에 대한 평가가 낮을 수도 있음을 배제할 수 없다(<표 Ⅳ-149> 참고).

<표 Ⅳ-149> 체육 중점 학급 운영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 발휘 - 교사 인식


(단위 : 빈도(%))
전혀
매우 그런 그렇지
구분 보통이다 그렇지 무응답 계
그렇다 편이다 않다
않다
고등학교 7(8.0) 21(24.1) 29(33.3) 23(26.4) 2(2.3) 5(5.7) 87(100.0)

나. 학교체육 정책 방향 및 추진에 대한 요구

(1) 현 정부의 학교체육 정책의 개선 및 보완점에 대한 요구

현 정부의 학교체육 정책 중 반드시 개선 및 보완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지 초·중·고 교사들에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초·중학교 교사 집단에서 가장 많이
나온 의견은 ‘ 체육 시설 개선 및 확충’ 에 관한 의견이었다. 이는 학생들을 위한 여러 가지
체육 활성화 정책을 시행하더라도 가장 근본적으로 체육 시설 즉, 공간 및 용·기구가 부족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11


하기 때문에 모든 체육 정책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사 집단에서 가장 많이 나온 이야기는 ‘ 체육 수업 시수를 확대해 달
라’ 는 것이었다. 체육 수업 시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중학교 교사 집단에서도 두
번째로 많이 나온 내용이다. 특히 고등학교는 체육 수업 시수가 2014년 1학년 학생들부터
확대되어 10단위 이수를 강조하고 있지만, 이를 3개년으로 나누어보면 주당 체육 수업 시
수는 1∼2시간에 불과해 입시와 취업 준비로 지친 학생들에게 절대 부족한 신체활동을
보충해주기에는 부족하다는 인식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 집단
에서는 체육 수업 시수를 확대해달라는 요구가 극히 소수였다.
초등학교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온 의견은 ‘ 안정적인 예산 및 재정 확보’ 에 관한 내용
이었다. 초등학교에서 이러한 의견이 많이 제시된 이유는 체육 시설 확보와 스포츠강사에
지급되는 비용에 대한 지원 요구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초등학교
에서는 스포츠강사 확대에 대한 요구나 체육교과전담 교사 배치에 대한 요구도 많이 제
기되었다. 이 외에 초등학교에서는 ‘ 불필요한 프로그램 및 대회를 폐지’ 하자는 의견이 일
부 제시되었다.
중학교에서는 체육교사 증원에 대한 요구도 많이 나왔다.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
업의 증가와 중3 체육 수업시수가 일부 학교에서 증가되면서 상대적으로 체육교사가 담
당해야 할 수업시간이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긍정적 효과 제고를 위한 요구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긍정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향후 관심을 두어야 할 것과 지원


해 주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초·중·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조사 결
과, 모든 학교 급에서 가장 요구가 많았던 내용으로는 ‘ 체육 시설 및 기구 확충 또는 개
선’ 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 지속적인 재정 및 예산 지원’ 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개선 및 보완점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교과
와는 달리 체육교과는 외부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어 이에 필요한 ‘ 활동 공간’ 과 ‘ 용·기
구’ 가 부족하면 체육활동 자체가 불가능하고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기 때문
인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고등학교 교사 집단에서는 ‘ 학교 관리자 및 타교과 선생님의 인식제고’ 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유독 많이 제시되었다. 이는 고등학교가 입시 위주의 교과가 중심이 되어 운
영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체육교과의 비중이 낮고, 다른 교과의 수업이나 활동에 밀려

21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제대로 체육활동을 펼쳐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고등학교에서 행
정업무 과다로 인해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일부 제시되었다.
초등학교에서는 ‘ 교사들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연수 확대’ 에 대한 의견도 일부 제시되
었는데, 이는 초등교사들이 체육교과에 대한 전문성과 실기 능력의 어려움을 겪는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이 긍정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체육활동의 환경을 조
성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급선무이며, 이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
다. 아울러 체육활동을 지도할 지도교사들이 체육교육의 자부심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4. 정책의 모범 시행 사례 분석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중 ‘ 인성교육 실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모델’ , ‘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지원’ , ‘ 학생 체육활동 인프라 구축’ 의 주제에 대한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
는 모범적인 사례를 발굴하여 우수성과 의의를 분석하였다.16)

가. 인성교육 실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사례

(1) 서울 ○○중학교

(가) 학교 환경

서울특별시 S구에 위치한 30학급 1200명 규모의 공립 남녀공학중학교로 사교육에 노출


된 지역적 환경으로 인해 스포츠 활동 시간 및 장소가 제한적이며 학부모들의 성취기대
가 높아 학생들이 학업스트레스가 많은 편이고 사교육이 만연하여 스포츠클럽활동 시간
이 부족한 환경에 있다. 이러한 학력위주의 교육환경으로 인해 신체활동 부족에 따른 체
력 저하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스포츠 활동 참여로 인한 학습 시간 결손을 염려하는 학부
모들이 자녀의 체육활동을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학교에서
는 다양한 학교스포츠클럽을 개설하여 체육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공동체가 함

16) 학교체육 정책연구학교, 체육교육혁신형 창의경영학교 등의 운영상 수행된 정책 현장 적용 결과 발표


회에서 우수 사례로 제시된 내용을 참조하였음.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13


께할 수 있는 체육행사 운영, 체육활동 활성화를 통해 학생의 신체적 건강은 물론 협동,
배려의 태도를 기르고자 하였다.

(나)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한 변화

1)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추진

전교생 1인 1기 스포츠클럽 참여를 목표로 다양한 학교스포츠클럽을 개설 운영함으로


써 1인 1기 및 1교 1기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목표를 두고 학교스포츠클럽 활
성화를 추진하였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희망하는 다양한 학교스포츠클
럽(스포츠동아리)을 개설하여 운영하며,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적극적 참여 유도를 위
한 홍보활동을 강화하였다. 또한 여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을 개발하여 운
영함으로써 건전한 취미활동 및 특기를 육성하고 학교스포츠클럽이 활성화되도록 추진하
였다.

2) 운영 성과의 사례

가) 최○○학생의 사례
인근학교에서 불미스러운 사고(폭행)로 강제전학 온 최○○은 전학을 오고서도 학교규정
위반 및 행동으로 몇 차례에 걸쳐 선도위원회 및 폭력대책위원회에 회부되는 등 학교생활이
곤란한 학생이었으나, 토요스포츠데이 체육행사 도움학생과 학교스포츠클럽 축구동아리에
참여하여 열심히 체육활동을 하면서부터 단 한차례의 선도위원회 및 경고 없이 착실하게
학교생활을 했으며, 큰 탈 없이 고등학교에 진학하였다. 이후 지금까지 후배들을 위하여 행
사에 도움학생으로 참여하는 등 모범을 보이고 있다.

나) 이◇◇학생의 사례
미국에서 5년간 생활하다가 전입한 이◇◇는 우리나라 입시제도 및 사교육에 의존하는
교육 환경에 회의를 느끼고 학부모와 함께 외국인학교 또는 대안학교에 전학하려고 생각
하던 중, 학교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추진하면서 개설한 학교스포츠클럽 농구동
아리 주장을 맡아 활동하면서 즐겁고 자신감 있는 학교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는 또한 야
구동아리 및 토요스포츠데이 체육활동에 참여하면서 즐겁고 자신감 있는 학교생활을 하
게 되었고, 수영대회 등에 참가하면서 즐겁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누리게 되었다. 결국 학
생은 전학하려던 생각을 접고 특목고 진학을 목표로 학업에도 열심히 임하게 되었다.

21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다) 장애우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한 변화

1) 장애우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장애학생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소외되지 않도록 학교는 장애우의 수준에 맞는 종


목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문 강사 초빙 및 지역사회 스
포츠시설을 이용하여 장애학생의 체육활동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장애우 학교스포츠클럽
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2) 운영 성과의 사례 : 박△△학생의 사례

특수학급 학생인 박△△는 학교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추진하면서 장애학생을


위해 개설한 학교스포츠클럽 개별학급 골프동아리에서 2년간 열심히 활동하였다. 그 결과
제1회 태화 나눔 골프대회(2012. 09.18) 2등, 전국 지적장애우 골프대회(2012.10.13) 드림리
그 우승 등 우수한 성적으로 냈을 뿐 아니라 체육활동 참여를 통해 학교생활 및 개인적
인 생활에서도 한층 더 안전감을 갖고 지내게 되었다.

(2) 경기 □□고등학교

(가) 학교 환경

경기도 Y군에 위치한 12학급 360명 규모의 사립 특성화고등학교로 원거리 통학생 비


율이 높고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대한 잘못된 선입감과 거부감을 갖고 있었으며 체육관
을 제외한 자체 기반 체육 시설이 부족하였다. 또한 가정환경도 경제적 어려움 및 한 부
모․조손가정이 많아 방과 후 학생들에 대한 돌봄에 어려움이 따르는 학생들이 많았다. 이
러한 환경에 의하여 학부모의 관심이 소홀할 뿐 아니라 학생 개인의 자기주도적 실천 의
지가 부족하여 학업성취능력이 낮은 편이었고, 기본적인 생활습관․인성지도가 절실히 요
구되는 실정이었다. 이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아침 시간, 점심시간, 체육시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방과 후 시간 등을 이용
하여 자발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연습을 하는 등 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즐거운 학교생활을 영위하고 학생의 신체적 건강은 물론 협동, 배려
의 태도를 기르고자 하였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15


(나)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추진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통해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학교


스포츠클럽 운영을 통한 자율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로 건강 체력 증진 및 활기찬 학교
분위기 형성을 목표로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추진하였다.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10
개 학교스포츠클럽(위스포츠, 트레킹, 골프, 농구, 배드민턴, 수상스키, 탁구, 축구, 하이킹,
뉴스포츠 등)을 개설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정규 교육과
정과 연계한 ‘ 월, 화, 수, 토요일 스포츠데이’ 의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
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운영으로 학생들의 자율
체육 활동을 활성화 시키고자 하였다.

(다) 운영 성과의 사례

1) 학교의 변화

학교스포츠클럽대회의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자율체육 활동이 활성화되고 건강 체력


및 바른 인성 함양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스포츠를 통한 인성교육을 실천한 결과 학교
폭력 발생 건수가 2012년 2건에서 2013년 0건으로 줄어들었다.

2) 구▽▽ 학생의 변화

“ 선생님과 함께 했던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서로에게 공감을 가질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으며, 스포츠가 우리에게 어떤 즐거움을 준다는 것을 몸으로 느
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다양한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통해서 친구들과 함께 즐
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내가 좋아하는 풋살, 배드민턴 종목으로 자체적으로 학교스포츠
클럽 리그를 만들어 선후배가 주기적으로 함께할 수 있는 장이 만들어졌으며, 지역에서
개최하는 마라톤 대회를 통하여 사제 간의 정도 나눌 수 있었다.”

3) 이○○ 학생의 학부모 공감

선생님들과의 공감산행을 통하여 학생들의 맑고 티 없이 웃는 모습, 레프팅·윈드서


핑·수상스키를 타면서 두려움과 스릴을 즐기는 학생들의 순수한 모습을 보면서, 내가 하
고 싶은 것을 하면서, 즐기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알게 해주는 것만 같았다. 마라
톤 시합을 마치고 건네는 물 한 모금에 친구들 간의 우의가 돈독해지고, 축구 시합에서

21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비록 졌지만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고 상대 선수에게 웃으면서 악수를 청하는 모습에서
학교 폭력이란 단어는 찾아 볼 수가 없었다. 우리 학교에서 스포츠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만족해하고 즐거워했지만 제일 좋았던 것은 내 자식이 스포츠를 방과 후에도 즐기고 자
체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를 만들어 리더십과 건강함을 느끼고 많은 것을 배우고 느
끼게 되었다는 점이다.

나.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운영 사례

(1) 인천 ○○여자중학교

(가) 학교 환경

인천직할시 K구에 위치한 25학급 890명 규모의 공립 여자중학교로 학교 분위기가 안


정적이며 교사의 교육 열정이 높고, 학생의 학업성취 의욕이 높으나 학생과 학부모의 학
원의존도가 높은 편이며 지역사회와의 연계 프로그램이 미흡한 편이다. 또한 학부모의 자
녀교육에 대한 개인주의적 경향이 강해 최근 인근 신설교 및 주변지역으로 우수학생이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여중은 개성적·탄력적으로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여 기초실력과 창의성을 배양하고, 배려와 나눔의 인성교육으로 일탈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학교 단계에 맞는 다양한 진로·스포츠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생들 개개인 속에 숨어 있는 꿈과 끼를 펼치도록 도와줌으로써, 글로벌 시대를 열어가
는 학교, 학생들이 가고 싶어 하고 행복해 하는 학교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학교스포츠클럽을 개설하여 체육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공동체가
함께할 수 있는 체육행사 등을 운영하였다.

(나)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추진

3년 연속 학력 최우수교를 수상할 정도로 학력은 우수 학교였지만 2013년 당시 요양호


대상자가 3.8%(43명)에 이르렀다. 여학생들의 특성상 신체활동을 꺼려하는 학생이 많아
학생들의 건강과 체력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통한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의 교육환경과 학생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체육활동 여건 조성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 교육과정 및
방과 후 교육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였다. 또한 계양산
목상동 솔밭 및 삼림욕장, 오조산 공원, 계양청소년문화회관, 계양문화회관, 계산국민체육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17


센터 등 지역사회의 활용 가능 물적자원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 체육활동 참여로 여중생
들이 ‘ 보는’ 스포츠에서 ‘ 하는’ 스포츠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노력을 하였다.
이와 같이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여건 조성을 위해 학교체육활성화 자문단을
구성하였으며, 기자재를 확충하고 다목적 강당인 ‘ 예솔관’ 을 개관하여 탁구, 플로어볼, 핸
드볼 등의 실내 스포츠 활동공간을 마련하였다. 또한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 연수를 연
중 실시하여 체육활동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홍보하였으며, ‘ 학교스포츠클럽
발대식’ , ‘ 두뇌를 깨우는 아침체조’ , ‘ 스포츠 기자단(Victory)’ 운영 등으로 체육활동 활성
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다) 운영 성과의 사례

1) 자기주도적 스포츠 활동 참여

틈새 스포츠클럽 리그전 및 토요 리그전 등의 학교장배 학교스포츠클럽 대항전을 통해


실제 경기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보고 즐기는 스포츠로의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더
나아가 스포츠를 즐기는 평생체육의 기회가 제공되었다.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여학생 참
가 가능 종목 10개에 250여명의 학생들이 10개 종목에 모두 출전하여 서부에서 7개 종목
에 입상하였으며 인천시 대회에도 2개 종목에 출전하였다. 전통놀이 마당, 인천유나이티
드와 함께하는 축구교실, SK와이번즈 야구교실 등의 지역사회 연계 체육프로그램 운영으
로 여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분위기가 한층 고조되었다.

2) 학생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

학생들의 다양한 체육활동 참여가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고 건강을 증진시


킨다는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다양한 체육활동에 참여한 후에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생 수도 증가하였다. 학교장배 교내 리그전 등의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건전한
또래 문화를 형성하여 학교생활을 보다 활기차게 할 수 있게 되었다.

(2) 경북 ○○여자고등학교

(가) 학교 환경

경상북도 S시에 위치한 18학급 540명 규모의 공립 여자고등학교로 스포츠 활동에 대한

21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관심과 흥미도가 떨어지고 기초 체력이 부족하며 대학입시위주의 교육과 학력 향상에 편
중된 교육 환경으로 신체활동의 필요성과 스포츠 활동 참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환경 아래에서 ○○여고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으로 학생들의 체육활동을 활성화
하고 건강 체력 증진 및 활기찬 학교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힘썼다. 또한 다양한 스포츠 활
동 체험을 통해 학업으로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올바른 인성과 공동체의식을 함양하
는 한편 지역사회와 협력 체제 구축을 통한 생활 체육 참여도를 향상시키고 평생 체육활
동 기반을 조성하여 여학생의 체육활동 참여를 권장하고자 하였다.

(나)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추진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통해 여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을 활성화하여 건강 체력 증진 및


활기찬 학교분위기를 조성하고자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이벤트성 학교체육대회
를 교내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전으로 전환함으로써 지속적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권장
하였다. 즐거운 토요스포츠데이 운영과 더불어 목련스포츠클럽대회를 개최하고 여학생들
의 운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즐겁게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목련스포츠클럽대회의 경우 목련스포츠운영위원을 조직하여 학생들이 대회의 전반적인
운영과 경기 진행을 했고, 봉사 활동을 겸하도록 하였으며, 배드민턴(단식, 복식, 사제동
행, 교직원), 킨볼, 피구, 넷볼 대회를 점심·저녁 식사 후의 자투리 시간 및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개최하였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평생스포츠 종목으로 방송댄스, 피트니스, 요가, 승마, 건강달리기, 배드민턴, 탁
구, 테니스, 핸드볼, 검도, 태권도 등 11종목 13개 강좌를 선정하여 지역사회의 시설을 이
용하고 전문적인 지도 강사를 위촉하여 매주 토요일 2∼4시간 즐거운 토요스포츠데이를
운영하였다.

(다) 운영 성과의 사례

1) 학생에 의한 목련스포츠클럽대회 운영

본교는 여학생 학교체육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스포츠 활동에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
여 활기찬 학교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힘썼다. 또한 바람직한 인성 함양을 도모하기 위
해 여학생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교내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전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들로 구성된 스포츠 봉사단(목련스포츠운영위원)을 조직하여 대회의 경기 규칙,
운영 규정 등을 결정하고, 안내 홍보 전략을 수립하게 하였다. 대회 운영 과정에서 학생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19


들 스스로 경기 일정을 짜고 선수를 선발하였으며, 경기 전 작전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도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행동들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경기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
고 서로를 격려하며 자신감을 얻게 되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경기를 진행하
는 과정에서 기량이 뛰어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 선배와 후배가 어울려 활동함으로
써 하는 과정에서 서로를 배려하고 격려하는 멘토링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멘토-멘티
의 형성은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기여하였다. 또한 상대를 경쟁상대로만 여기던 태도에서
함께 즐기는 대상으로 태도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2) 핸드볼 학교스포츠클럽 동아리 우생순의 1학년생 수기

나는 처음 스포츠클럽을 신청할 때 핸드볼에 흥미도 관심도 없었다. 그리고 중학교 수행평


가 때 잠시 해본 핸드볼은 어렵기만 했다. 하지만 나는 친구와 선생님의 권유로 핸드볼 스포
츠클럽에 가입하게 되었다.
우리는 처음부터 핸드볼 시합을 계획하고 연습했기에 매일 점심·저녁 시간마다 모여 연습을
했다. 처음 연습을 하기 위해 모였을 때 우리는 한없이 어색하고 경기 규칙도 몰라 핸드볼이라는
것이 어렵기만 했다. 다행히도 핸드볼을 작년에 미리 경험해 본 선배들이 있었기에 우리는 연습
을 시작할 수 있었다.
공을 주고받고 공격하는 동안 내 마음과는 다르게 공은 이리저리 휙휙 날아다녔고, 공을 제대
로 받을 수도 없었다. 또한 고등학교에 들어와 운동할 기회가 없어서인지 체력도 따라주지 않았
다. 그래서 과연 공격이나 제대로 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앞섰다. 하지만 꾸준히 그리고 차
근차근 기본 동작을 배우고 공에도 점점 익숙해지고 선배들과의 관계도 점점 가까워져 팀의 분
위기가 가족처럼 화기애애해졌다. 또한 실력도 체력도 날로 향상되었다. 그리고 정식 핸드볼 경
기장에서 코치님께 배우며 포지션을 익히고 다른 팀의 선수들과 경기를 하여 팀워크도 생기고
핸드볼에 대한 관심도 솟아났다. 그래서 핸드볼 경기를 찾아보고 전략을 짜는 등 이전과는 다르
게 핸드볼에 애착을 가지게 된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비록 부족한 실력이었지만 우리는 ○○시 대표로 경상북도 도민체전에 참가해 다른 팀과 승
부를 겨루었다. 운이 좋게도 첫 상대로는 쉬운 상대를 만나 큰 점수 차로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
었지만, 다음 상대는 결코 쉽지 않은 상대였다. 그래서 우리는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체육관에
모여 연습을 하였다. 역시 상대는 강했었고 전반전 마쳤을 때는 많은 점수 차로 지고 있었다.
후반전에 들어가서는 전날의 연습과 팀워크를 발휘하여 점수 차이를 조금씩 좁혀갔지만 아쉽게
시간 부족으로 경기에서는 지고 말았다. 그렇지만 우리의 노력으로 동메달이라는 값진 성과를
거두어서 뿌듯했다.

22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이런 스포츠클럽을 통해 평소에 접해보지 못한 운동에 대해 알게 되었고 지나가다가도 핸드
볼이라는 말을 들으면 돌아보게 될 정도로 애착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평소에는 가까워지기 힘
들었던 선후배 관계도 가까워 졌으며 체력도 향상되었다. 그래서 나는 앞으로 스포츠클럽이 더
욱 활성화되어 이렇게 평소에 접해보기 힘든 핸드볼과 같은 활동들을 더욱 많이 체험할 수 있었
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 지역사회 연계 운영 사례

(1) 충남 ○○중학교

(가) 학교 환경

충청남도 B군에 위치한 19학급 640명 규모의 공립 중학교이다. 이 학교는 학생의 체육


활동 참여인원 대비 시설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종목의 수준별 운영에 한계를 안
고 있고 지도 강사 및 운영 여건이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교육공동체의 적극적인 지원
과 학생수요자의 적극적인 활동을 바탕으로, 학생 체육활동 참여가 학교체육과 평생체육
의 관계를 긴밀하게 해 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학교체육활동을 통해 올바른 인격
이 형성되고 학교폭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나) 체육활동의 지역사회 연계 추진

충남 내륙의 중심에 위치한 B군은 지리적으로 백마강을 끼고 있어 최고의 농업지대이


다. 이로 인해 농촌 일을 같이 해야 하는 맞벌이 부부 가정, 한부모 가정, 조부모 가정이
많은 편이다. 이들 가정의 취약점인 자녀에 대한 관심과 배려의 부족으로 자녀가 유해매
체를 쉽게 접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폭력성과 금품 갈취 등 학교 폭력의 연
결고리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과 유해매체를 가감 없이 받아들여 삐뚤어진 학생 행동을
교정할 방법을 찾기 위해 고심하였다. 그 결과로 교육청과 경찰서의 전문가가 스포츠 활
동을 통해 학생들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여 마음에 담아 두었던 아픈 기억과 얘기하기
어려운 것들을 쉽게 들어주고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학교 부적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 좋은 친구반’ 아이들은 지역사회 기관의 동호인들과
스포츠 활동도 함께하고, 대화도 하면서 ‘ 지역사회와 함께’ 라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21


(다) 운영 성과의 사례

학교스포츠동아리클럽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참여하는 의식을 심어주는 자생적


동아리를 운영하였다. 이 동아리가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계속 활동하는 지속적인 동아리
가 되는 전통을 심어주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 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스포츠와 상담을
병행하는 활동을 지속하였다. 이를 통해 즐거운 학교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교육공
동체가 함께하는 활동 중심의 스포츠 활동으로 관심을 전환하고자 하였다. 스포츠 동아리
활동을 통한 평생스포츠 기반 조성에 역점을 두고 ‘ 지역사회와 함께’ 라는 프로그램을 통
해 친절한 경찰 행복한 학교를 실천하고자 ○○경찰서, ○○교육청 축구동아리와 정기적
인 경기를 실시하고 있다. 학생들과 대화를 통해 학교생활에 대한 어려움을 이야기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축구하는 경찰관을 통해 학교 폭력을 조기 예방하고자 하였다. 아울
러 학생들의 실패와 부정적 마인드를 참여와 긍정적 생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성인의 배려와 지도로 학생들의 긍정적 마인드가 형성되도록 여러 지역사회 단체 수차례
의 경기도 가졌다. 일반학생의 경기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지역사회 체육
인들의 관심을 끌어내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경찰서는 학교 폭력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었는데 연초에 간
부급들이 1학년에서 3학년까지 각반의 명예부담임이 되어 경찰제복을 입고 1시간씩 특강
을 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많은 예산이 없어도 기관과 기관이 MOU를 체결하면 더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2) 서울 ◇◇고등학교

(가) 학교 환경

서울특별시 E구에 위치한 24학급 600명 규모의 고등학교이다. 이 학교는 학교체육 활


성화와 관련한 담당자 수가 부족하여 전교생 대상 프로그램 운영 데이터 산출이 어려웠
으며 학교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학력 위주의 입시제도에 의한 학생 체육활동이 제
한을 받고 있었다. 반면 체지덕을 갖춘 인제를 자체 선발하는 학교로 학생들의 체육활동
참여 의지가 높았고 학교체육 시설이 우수하며 E구민체육센터와 시설 사용 협조 MOU를
맺고 있어 학교체육 활성화의 여건이 조성되어 있었다.

22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나) 신체활동 활성화 여건 조성을 지역사회와 연계 추진

서서울특별시 E구시설관리 공단과 ◇◇고의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다양한 체육활동이


가능하도록 체육 시설을 확보함으로써 학생들의 체육활동이 질적으로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담당교육청, 체육협회, 서울시 등에서 추진한 체육활성화 관련 사업에 공모
하여 선정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 자전거 통학 시범학교’ ,
대한핸드볼 협회 ‘ 학교스포츠클럽 핸드볼 팀 운영 지원 사업’ , 서울시교육청 ‘ 2012 서울시
교육감배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공모(플로어볼)’ 에 선정되었다. 그리고 서울대학교 체육교
육과와 연계하여 체육사업 추진의 이론적 바탕을 확립하고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다질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다) 운영 성과의 사례

서울특별시와 같은 대도시 지역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학교체육활동을 운영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고는 서울특별시 E구시설관리 공단, 서울대학교 체육교
육과와 연계할 뿐 아니라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대한핸드볼 협회 등의 사업에 공모하는
방법을 실천 사례로 보여줌으로써 학교체육 활성화를 단위학교에서 어떤 방식으로 바라
보아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우수한 사례가 되었다.
이와 같이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사회와 연계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학교는 졸업 전까지 200m 완주 능력을 쌓도록 하는 수영인증제 등
체·덕·지(體·德·知)를 갖춘 글로벌 리더 양성 교육을 하고 있다. 또한 1인 2기 체육
활동을 통해 유도, 검도, 플로어볼, 핸드볼, 국궁, 방송댄스, 요가, 필라테스, 테니스, 골프
등의 활동을 내실 있게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다.

Ⅳ.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시행 현장 실태 및 요구 • 223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1. 학교체육에서의 교육적 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설정
2.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실행 및 지원 방안
1. 학교체육에서의 교육적 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설정

가. 효과를 제고하는 정책 방향의 수립

학교체육 정책은 다양한 대상(학생, 지도교사, 학생선수 등)과 내용(시기와 주제가 다양


한 활동 프로그램), 교육과정적 특성(정규 체육과 과외 자율체육 등) 등 여러 분야에 초점
을 두고 시행되고 있다. 실태 조사 결과 학교체육 정책의 시행 주제와 내용에 대하여는
정책의 수요자와 운영자 모두 대부분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었다. 또한 정책 시행을 통해
다양한 효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정책 시행에서 나타난 긍정적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도록 향후 정책 수립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정규 체육 시간 활동을 통해 신체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향후 체육 수


1
업 시수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정규 체육에서 중학교 창체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나 고등학교 10단위 6학기 운영에


대하여 신체적, 정서적 효과뿐만 아니라, 학교분위기의 개선을 가져와 학교폭력의 예방이
나 감소 그리고 즐거운 학교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정책 목적에도 부합한 결과를 낳았
다고 분석되었다. 특히 체육 관련 수업 시수의 확대 정책의 효과에 대하여 교사들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학업으로 지친 중, 고등학교 학생 및 교사의 요구가 크므로,
정규 교육과정으로 포함됨으로써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이 보다 실효성 있게 적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모든 학교에서 보편적으로 신체활동 참여의 기회가 확대되고 체육활동
이 증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정규 체육 수업 시수로의 확보를 향후
정책 수립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율 활동과 클럽 활동을 통해 획득한 긍정적 교육 효과를 지속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


2
육활동 프로그램과 체계적 운영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과외 자율체육 활동에 제공된 다양한 체육활동 프로그램 역시 설문 조사 결과 신체적,


정서적인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아가 학
생들이 교내외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스포츠 활동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갖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설문 조사에서도 방과 후 스포츠 활동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27


확대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데에 교사의 인식이 매우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정책 수립 시에도 다양한 프로그램과 체계적 운영을 통
해 신체활동 기회 증가 및 클럽 활동 참여 경험으로 얻게 되는 교육적 효과를 지속할 필
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체육교육의 질적 제고와 이를 통한 교육 효과의 지속성 확보를 위하여 체육활동을 지도


3 하는 전문성 있는 지도자를 지원하는 정책을 지속하는 방향으로 향후 정책을 수립하여
야 한다.

실태 조사 결과, 초등학교의 체육전담교사 배치 확대와 스포츠강사의 지원은 체육 수업


에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도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보다 전문성 있고 차별성
있는 지도자 및 지도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역시 높았으며, 체육교육과정의 안정
적 운영과 교사 업무 경감이라는 학교체육 운영상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학교의 경우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 등에 스포츠강사가 다양한 운동
종목의 지도 인력으로 보강됨으로써 보다 양질의 스포츠 활동을 제공, 운영할 수 있는 가
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정책 수립 시에도 지속적으로 전문적이고
차별화된 지도자 및 지도 인력의 지원 정책을 시행하여 체육교육 및 신체활동 교육의 효
과 유발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나. 개선을 고려한 정책 방향의 수립

실태 조사 결과 다양한 학교체육 정책을 시행하는데 있어 환경적, 상황적 제약으로 인


해 일부 운영이 미흡한 부분이 있고, 뜻하지 않게 부정적 영향력을 일으키는 요소가 나타
나기도 하여 정책의 원활한 시행이나 효과를 저어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정
책 시행에서의 부정적 요소를 보완, 수정, 개선하여 향후에는 교육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정책 수립 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공간 및 시설 활용 등을 비롯해 지역사회 연계 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1
적극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실태 조사에서 교사 및 학생들은 공간 및 시설 여건의 부족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22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을 비롯하여 학교체육활동에 제공되는 신체활동이 제한되는 것과 현재 정책 운영 체제의
공간 및 시설 활용에의 비효율성도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요구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 등
에 공간 및 시설 등의 협조를 받을 수 있는 지역사회와의 연계 정책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발휘했는가에 대하여도 역시 교사의 인식은 다른 정책들에 비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다. 실제로 학생의 활동에 필요한 공간, 시설, 지도자의 활용을 위해 지역사회
의 기여, 협조가 미흡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정책 수립 시에는 물적 자원의
구축 문제 해결과 더불어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협조 체제 마련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방안이 모색,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외 체육활동 운영을 위하여 정부 및 지역청 주도의 교외 체육활


2
동 운영 전담 기구가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교내 활동에서 더 나아가 교외 활동 및 대회 참여 등 활동 폭이 넓어짐에 따라 담당 교


사 등은 지도상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운영자의 입장에서도 이러한
대규모 활동에 대한 운영 책임과 업무 부담의 증가로 힘들어 하고 있으며, 책임있는 특정
기구 또는 집단에 전담된 체계적인 운영이 되지 못함으로써 운영상의 비효율성과 문제점
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에서 시행하는
세부 정책 내용이 다양하고 많기 때문에 체육교과 관련 업무로서 각각의 정책에 필요한
역할의 업무 부담을 모두 갖게 되는 체육교사는 학생들에게 정책 투여를 통한 긍정적 교
육 효과를 예측하면서도 집중하여 시행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며 시행을 한다고
해도 질적인 면이 확보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정책 수립 시에는 정부 및 지역청 중심으로 운영 전담 기구가 마련되어 운영 인력 지원
과 효과적 운영을 도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 효과를 담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지도자 전문성 확보 방안을 현재보다 더 공고


3
히 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도모 하여야 한다.

정책에서 지원하는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나 스포츠강사가 정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지원한 바는 크나 부적절한 전문성을 갖춘 지도 인력도 적지 않게 발견되고 있어 교육
효과의 도출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형식적인 운영과 부실한 교육을 제공하는 결과를 낳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29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에서의 교사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더 말할 필요가 없기 때문
에 적절한 전문성과 지도 역량을 갖춘 지도자를 교육 현장에 투입함으로서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이들을 격려하여 보다 나은 교육 효과를 추구하려는 정책적 노
력이 필요하다. 또한 각 지도자의 역할과 책무에 대한 분명한 안내와 관리를 통하여 효율
적이며 효과적인 지도 인력의 확보, 제공, 활용을 지속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실질적으로 여학생의 참여율과 참여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에서 여학생을


4
위한 정책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여학생 체육 활성화 정책의 도입, 적용으로 여학생 체육활동 기회나 장이 다수 마련된


데 비하여 실제는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 남학생과 동일한 방식의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이 운영되고 있고, 여학생의 감성이나 운동 능력,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실태
조사에서 분석되었다.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및 리그 운영 정책이나 여학생 체육활
동 기반 시설 조성 정책, 그리고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식 개선 정책이 학교
체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발휘했는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에서도 전반적으로 낮
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한 노력에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Ⅴ-1] 여학생 체육 관련한 3가지 정책의 긍정적 영향력에 대한 교사 인식 그래프

따라서 실질적으로 여학생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체육 수업 설계의 노력과 여학생


에 적합한 스포츠 종목 보급의 확대 및 프로그램 개발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여

23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학생의 체육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기반 시설을 조성하고, 무엇보다 여학생 체육
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인식 개선이 보다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실행 및 지원 방안

가. 학교체육 프로그램별 효과 제고 방안

(1) 정규 체육 활성화 정책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에서 추구하는 주요한 중점 사항은 ‘ 학교체육의 내실화’ 이고, 학


교체육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 정규 체육교과 수업’ 이다. 따라서 정규 체육 수업이
정상적으로 내실 있게 운영되어야 정책에서 도모하는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런데 체육 수업이 일부 학교 급에서 충실하게 운영되지 못하거나, 현재 부실한
정규 체육의 수업들로 학생들에게 절대적인 신체활동 시간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아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해 정규 체육교과 수업의 정상화가 우선되어야 한
다는 데 많은 전문가들이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17) 다음에 정규 체육 활성화와 관련하여
시행된 몇 가지 세부 정책 내용(과제)별로 각 정책의 시행 효과, 시행에서 나타난 문제점,
그리고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하여 정책을 개선 및 지원해야 할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자 한다.

(가)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인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중학교에서 시행된 대표적인 정책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이었다. 이 정책은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를 목표로 시행되었다. 학
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중학교 모든 학년에서 주당 1∼2시간씩 실시하도록 하였고, 해당 학
교의 체육교사의 지도를 중심으로 실시하되, 체육교사가 부족할 경우 타교과 교사들과 스
포츠강사가 지원되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17) 본 연구 과제에서 실시한 워크숍(‘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시행 실태 분석에 대한 결과 보고 워크숍’)


참조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31


1) 정책 시행의 효과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 을 운영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두었다.


첫째, 학생들의 신체활동 활성화로 건강 및 체력이 증진되었고, 스포츠를 통한 즐거움에
대한 체험 기회가 증가하였다.
이는 설문 조사에서의 학생들의 응답 결과뿐만 아니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관찰한
교사들의 의견에서도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운영 주체인 체육교사들은
이 수업에 대해 60.7%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는데, 주된 이유가 학생의 건강 및 체력 증
진에 효과가 있고 학생들의 활기찬 학교생활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었다.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만족도 응답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학생들
의 65.5%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해 만족했으며, 불만족은 9.1%에 불과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로 꼽은 것은 ‘ 스포츠를 통한 즐
거움’ 이 증가했다는 것으로 51.8%의 학생들이 이에 공감하였고, ‘ 건강 및 체력’ 이 향상되
었다는 응답도 24.9%였다.
이러한 응답 결과에 대한 학생들의 구체적 의견을 종합해 보면, 중학생들이 학교스포츠
클럽 활동 수업에 대해 즐겁다는 평가를 내리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 정도로 압축된다.
먼저 ① 자신들이 원하는 체육 종목을 선택하여 꾸준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좋다는 점, ②
해당 스포츠를 좋아하는 학생들끼리 모여서 경기를 즐길 수 있다는 점, ③ 상대적으로 자
유로운 분위기에서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그림 Ⅴ-2]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이 만족스러운 이유 - 학생

23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둘째, 폭넓은 교우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었고, 학교폭력의 예방과 감소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
[그림 Ⅴ-2] 에서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자체로 교우관계가 발전
했다고 평가를 내리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들의 생활 관리를 관
찰하고, 책임지고 있는 교사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정책의 투여 이후에 학교폭력 감소
에 효과가 있었다는 응답은 17.7%였고, 또한 정책 시행이 학생들의 ‘ 활기찬 학교생활’ 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도 37.6%에 달한 것으로 볼 때,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라는 변인이
교우 관계 발전이나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 것은 아니지만, 분위기
형성과 긍정적 결과 유도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의 긍정적 평가와 관련한 응답 내용을 종합해보면, 특히 학기 초에 서먹서먹한
관계에 있는 동료들끼리 어떤 스포츠 활동을 함께 하다보면 몸으로 부딪히면서 친밀해진
다고 하고 있다. 또한, 스포츠 활동을 할 때 ‘ 스포츠 경기 의례’ 즉, 서로 인사하고, 악수
를 하며 경기를 시작하고 경기 중에 넘어진 선수가 있으면 일으켜주기도 하면서 상대에
대한 친밀도가 높아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물론 경기 중에 감정이 격해지거나 승패가 갈
리는 경우 감정이 상하는 경우도 있지만, 경기가 끝나고 시간이 흐르면 대부분 잊고 서로
간에 친밀감이 생긴다는 것이다.
이처럼 학생들 간의 접촉과 연루 그리고 친밀감 형성을 통해 대인관계가 발전하는 과
정은 대인관계 발전의 6단계 모형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모형에서 1단계는 접촉의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먼저 지각적 접촉이 발생한다. 체육활동에서는 여러 상대와의 만남
이 일어나고 상호작용이 개시되며,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 직접적 대면상태를 제공한다.
이 단계에서는 언어적이든 비언어적 행동이든 간에 친근감, 따뜻함, 개방성, 역동성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지각적 접촉이 일어나면 상대방의 ‘ 개인적인 정보 발견하기’ 가 이루어진
다. 2단계인 연루의 단계에서는 서로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상호감정이 발생한다. 이
단계에서는 상대방에 대해서 탐색하거나 배우려고 한다. 이 때 상대방을 더 알게 되면 상
호작용이 강화되고 연루를 계속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포츠 활동을 비롯한 다양한 활
동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평가가 계속된다. 3단계인 친밀감 형성 단계에서는 상대방에게
좀 더 헌신함으로써 동료가 되거나 가장 절친한 친구가 된다(Devito, 2004). 신체활동의
측면에서 보면 팀원들에 대한 친밀감을 바탕으로 각종 제스처와 같은 행동이 일어난다.
이러한 표현 행동은 호의적 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조사 결과에서는 이러한 대인관
계의 발전 과정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며, 이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33


를 통해 학생들 간의 친밀감은 더욱 강해지고 결과적으로 학교 폭력 예방 및 감소의 효
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림 Ⅴ-3] 스포츠 활동에 적용한 대인관계발전 과정(Devito, 2004)

2) 정책 시행상의 문제점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 을 운영하면서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학생 차원에서의 불만은 ① ‘자신이 희망하는 스포츠 종목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
우’와 ② 많은 학생들이 동시에 참여하기 때문에 ‘활동 공간이 좁고 스포츠 시설이 부족
한 경우’에 많이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대도시의 대규모 학급을 가진 학교의 경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
다. 대도시의 학교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한 학년 단위로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가 많은데 한꺼번에 많은 학생들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기 때문에 이를 수용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 발생하고 있다. 더구나 학생들이 많아도 스포츠클럽의 개수를 여러
개로 운영하면 학생들이 원하는 스포츠 종목에 참여할 수 있지만, 스포츠클럽 지도자 수
나 공간 등의 제한으로 인해 학생들의 다양한 종목에 대한 욕구를 제대로 채워줄 수 없
는 게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포츠 활동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나서서
원하는 종목에 배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스포츠 활동에 소극적인 학생들은 오히려 원하지
않는 종목에 배정될 때가 많아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싶지도 않은데 원하지 않는 종목에 억지로 배정되면서 결국 스포츠클럽활동의
분위기가 저하되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한다.
둘째, 교사 차원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은 ① ‘스포츠 활동 공간과 시설이 부족’하다는
점과 ② ‘지도자 전문성의 부족으로 체육교육과정 및 체육 수업과 연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23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스포츠 활동 공간과 시설의 부족 현상은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
할 수 있다. 그런데 교사들은 여기에 더하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정작 체육 수업의 질
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체육 수업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
은 바로 ‘ 스포츠강사’ 와 ‘ 타교과 교사’ 의 수업 운영 방식이 지나치게 부실하다는 점이며,
이는 정규 체육 수업에까지 분위기 저하와 체육활동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
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체육교사가 지도하지 않는 경우, 수업 중의 학생 관리
가 되지 않아 체육복을 입지 않는다거나 활동을 원하지 않으면 잡담으로 소일을 하는 경
우가 많아진다고 한다.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평가가 반영되지 않아 부담이 덜
된다며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도, 역으로 점수와 상관없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수업 참여
를 강제하기 힘든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특히 타교과 교사들의 경우 가르칠
전문성이나 책무성이 적어 ‘ 아나공’ 식으로 학생들을 운동장에 풀어놓고 방치하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결국 이런 이유로 인해 일반 교과교사나 스포츠강사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을 하
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는 체육교사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고 모든 스포츠강
사나 타교과 교사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지역과 학교에 따라서는 체육교사
보다 스포츠 종목의 전문성이 높아 학생들의 선호도가 더 높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즉,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지도 전문성이 중요한데 현재의 상황은 지역과 학
교에 따라 지도 전문성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교육과정 편성이나 교육 목표에 비추어 의
도한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학교에서 실시하는 체육활동으로서 체육교육
목표를 성취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도 효과성이나 연계성이 미흡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3)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 및 지원 방안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바라보는 시각은 대상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 교사들


입장에서 학교관리자나 일반교과 교사들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대부분 학교스포츠클럽
을 운영하기 때문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이수할 내용이 어느 특정 활동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일괄적으로 시행하면서 학교교육과정의 운영상
에 혼란스럽다며 우려를 하고 있다. 체육교사들은 학생들이 보다 많은 신체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는 원칙적으로 찬성하고, 학교교육 현장에서 스포츠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는 것은 긍정적인 방향이지만, 운영상의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
문제에 대해서는 보완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35


그런데 학생들은 운영자들의 입장과는 다소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은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도시의 학생들이
주로 지적하는 것처럼 공간 및 시설의 부족과 희망하는 종목에 모두 참여할 수 없다는
문제는 있지만, 기존의 체육 수업과는 차별성이 있고, 자신들이 원하는 스포츠 활동을 주
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 학교생활이 즐거워지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이 기다려진
다는 점이다.
이러한 입장을 종합해 볼 때,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은 학생들이 선호하고 교육적
효과 역시 높지만, 운영상에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과 지원 방
안을 마련하여 효과 제고를 꾀하여야 한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선 현재 학교의 ‘스포츠 공간 및


시설’ 여건에 맞는 수업 재편성이 필요하다.

물론 학교스포츠 공간 및 시설 확보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하지만, 현실적인 한계


도 인정해야 한다. 현재 한 학년이 동시에 진행하거나, 학교 규모가 작은 경우는 전교생
이 한꺼번에 참여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어 있는데, 동시에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는 방식은
스포츠 공간 및 시설의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이를 해
결하기 위해선 두 가지 정도 접근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
업을 2∼3개 학급 단위로 묶어 편성하여 참여 규모를 줄이는 방법과 ②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 시간을 2시간씩 묶어 오후에 운영함으로써 학교 시설뿐만 아니라, 인근의 지역
사회 체육 시설로 이동해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법이다. 실제로 금요일 오후에 격주 단위
로 동아리 활동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번갈아 실시하여 참여 학생을 분산하고, 지역
체육 시설로 활용 범위를 넓히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수업 재편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에 대한 적절한
운영 지침을 제공하고 효율적 운영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교육과정 내


정규 체육교과 수업으로 편입될 필요가 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전문성이 부족한 스포츠강사와 일반교과 교사의 참여를 제한해야

23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하거나 이들 지도자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연수를 진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지만, 현
실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을 진행할 교사가 부족한 상황에서 대안이 되기에는
마땅치 않고, 전문성 향상도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따라서 근본적인
해결책은 체육교사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을 담당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를 위해서는 체육 수업 즉,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내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포함해 운
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현재 교육과정 개정이 추진되는 상황에서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으
로 ‘ 스포츠클럽 활동’ 영역을 포함하거나 체육과 교육 내용에서 적합한 일부 내용을 스포
츠클럽 활동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 영역을 확대시켜야 한다. 체육교
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에서 추구하는 목표에 공통점은 많
지만, 활동의 성격과 내용이 달라 분명한 차별성은 있다. 특히 학생들이 희망하는 스포츠
종목을 선택하여 활동할 수 있다는 점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가장 큰 장점이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의 효과를 지속하면서도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체육교
육과정에서 이를 통합하는 것이다.

[그림 Ⅴ-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체육교과 편입

이렇게 체육교육과정으로 포함했을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은 학교스포츠클럽의 장점


이었던 ‘ 학생들이 희망하는 스포츠 활동을 자기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해야
한다는 것과 ‘ 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해 학생들이 평가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 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37


(나) 고등학교 체육교과 10단위 6학기 이수 운영

고등학교의 유형에 따라 특목고나 특성화고 등에 주어진 교육과정의 자율성은 대학 진


학이나 취업에 유리한 교과목의 확대로 이어졌지만, 체육교과목은 최소 단위만을 이수하는
결과가 빚어졌다. 이로 인해 학생들의 신체활동이 부족해져 건강·체력의 약화를 가져왔
다는 신문 기사가 자주 등장한다. 이에 교육부 편성 지침으로 2014년도 고등학교 1학년부
터 전국의 모든 고등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체육 수업을 6학기 모두에 걸쳐 10단위를 이수
하여 시행하도록 하였다.

1) 정책 시행의 효과

연구 결과 분석에 따르면 ‘ 고등학교 체육 10단위 6학기 이수’ 정책을 시행한 결과 다음


과 같은 효과를 거두었다.
첫째, 학생들은 10단위 6학기 체육 수업에 대해 건강 및 체력 향상을 가장 큰 이점으
로 꼽았고,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의견을 주로 제시하
였다.
물론 이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이 고등학교 1학년이므로 체육 10단위 6학기 이수의 장
점을 상급 학년의 다른 학생들과 비교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수에 대한 전반적인 장단
점에 대해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의 의견은 고등학
생들의 입장에서 학업 스트레스와 장시간 책상에 앉아 생활하면서 겪는 제한적인 신체활
동으로 인해 건강 및 체력이 저하된다는 것을 느끼고 있고, 체육 수업이 이를 해소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Ⅴ-5] 고등학교 체육 10단위 6학기 이수의 이점 - 학생

23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둘째, 교사들은 고등학교 체육 수업 시수 확대로 인해 ‘학생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기회가 확대’된다는 것이 가장 큰 효과라고 보았다.
물론 보다 다양한 체육 선택과목을 가르칠 수 있고, 스포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으며, 학업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체육활동
시간의 절대적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 목적에 가장 부합하게 학생들의 신체활동 기
회 확대를 중요한 효과 요인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이런 의견이 많은 이유는 그 동안 입
시 위주의 교육 과정 운영으로 인해 뒷전으로 밀려 체육 수업을 확보하기 어려웠던 고등
학교의 현실을 극복하고 학생들에게 체육교육의 효과를 성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일 것이다. 고등학교 10단위 6학기 편성에 대해 95.4%의 절대 다수의 체육교사가 찬
성하고 있어 이 정책에 대한 기대와 의욕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고등학교 체육
수업시수 확대 정책에 대해 학생들의 79.4%가 바람직하다고 여기고 있으며, 4.1%의 극소
수 학생들만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 역시 이 정책이 운영자와 참여자
모두에게 희망하는 방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2) 정책 시행상의 문제점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체육 10단위 6학기 편성 운영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학생 차원에서는 체육 수업을 6학기로 편성하는 경우 ① 학업 성적 관리에 대한 부
담이 있고, ② 늘어난 수업에 비해 탈의실 등 체육 수업에 대한 편의 시설이 부족하다는 문
제가 있으며, ③ 여러 과목이 차별성 없는 수업 내용으로 되어 있어 과목에 대한 흥미가 저
하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고등학생들은 체육활동에 대해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지만, 대학입시를 준비해야 하는
시간을 줄여 체육활동을 하는 것에 대해 심리적 부담이 크며, 적극적으로 체육활동을 하
고자 하나 실제 체육활동에 필요한 편의 시설 부족이라는 불편이 수업을 저해하기도 한
다는 의견을 주고 있다. 아울러 고등학교 과정에서 선택, 운영되는 체육교과별 수업이 기
존의 체육 수업과도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지적은 고등학교 체육 수업을 지도하는 교사
들이 각 과목에 대한 준비나 지도 역량 및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
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특성화고에서는 졸업을 앞두고 현장실습을 나가는 학생들
이 많아 수업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39


둘째, 교사 차원에서는 체육 수업이 10단위 6학기로 확대되면서 ① ‘체육 공간 및 시설
의 부족’ 문제가 있으며, ② 편성과 달리 ‘입시부담으로 인해 변칙적인 수업 운영이 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체육 공간 및 시설의 부족 문제는 수업 시수가 확대됨에 따라 예상할 수 있는 상황이
다. 그러나 보다 큰 문제는 체육교과를 편성해놓고 실제 운영을 하지 않는 일부 사례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학교교육의 정상화 차원에서도 시ㆍ도교육청 등의 장학이 필요한 부
분이다. 한편, 모든 고등학교에 체육 수업을 10단위를 기준으로 이수하라는 지침이 어떤
학교의 경우는 오히려 체육 수업 시수를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

보통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12단위를 했는데, 이게 10단위가 나오면서 단위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요즘 일반고 아이들이 다 쓰러져 자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
서 일선 교장선생님들은 예체능교육 활성화로 이런 분위기를 바꿔보고 싶어 하거든
요. 그런 상황에서 10단위로 줄어드니까 자연히 줄어들게 된 거죠(J교사, 2014년 10
월 전문가협의회).

따라서 모든 학교에 일괄적으로 체육 수업 확대 지침을 내리는 방식은 학교의 특성과 상


황이 적절히 반영되지 않아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 및 지원 방안

고등학교 체육 수업 시수의 확보는 학생들의 건강 및 체력 증진과 학업 스트레스 해소


등에 큰 도움이 되고 있고, 교사들도 이런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대학입시와 취업 준비 등의 상황으로 인해 학생들이 6학기를 지속적으로 참
여하는 것에 대한 부담도 있고, 현실적으로 참여가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와 문제점을 종합해 볼 때, 고등학교 체육교과 10단위 6학기 이수 운영에 대한 효과
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과 지원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체육활동으로 인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학업능률에도 큰 도움이 된다는 과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학부모, 교원들의 인식 제고 노력을 펼쳐나가야 한다.

실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학기 초의 긴장감을 1년 내내 계속 유지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오히려 고등학교 3학년 때도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여 신체적, 정서적인 환

24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기 효과를 도모하는 것이 오히려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체활동의
긍정적 효과에 대하여 학생, 학부모 및 교원들에게 인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
서 조사한 미국의 학교체육 정책 중에 뇌과학 이론을 활용한 움직임 프로그램인 BOKS프
로그램의 활용 예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관련한 연구들이 시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체육인 및 교육 수요자의 인식 제고 노력을 위해서는 먼저 일선 체육
교사들이 체육 수업 운영의 효과에 대한 자신감과 확신이 있어야 하고, ‘ 운동이 뇌에 미
치는 영향’ 등의 관련 주제로 연수, 교육 등을 통해 체육교사들부터 인식 변화를 갖고 관
련 지식을 습득해 안내,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고등학생에게 적합한 내용과 과목별 차별화된 목표 등으로 체육 선택과목이 재구조화 되


어야 하며 ‘선택’의 의미를 살릴 수 있도록 체육 관련 선택과목의 수를 늘려야 한다.

지난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에서 체육이 공통과목이었으나,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라지고, 3개의 선택과목(운동과 건강생활, 스포츠 문화, 스포츠 과
학)으로 재구성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공통과목이었던 ‘ 체육’ 이 없어지면서 선택해야
할 과목의 수가 줄어드는 결과가 빚어졌다. 이로 인해 현재 정책과 같이 6학기를 이수해
야 할 때 3개의 선택과목은 학사 운영상 ‘ 선택’ 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관련한 교육과
정의 개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의 요구에 맞고, 평생 체육의 기초가 되는 고등
학교 단계에 적합한 체육 선택과목으로 교과목이 재구조화되며, 과목의 수 역시 현실적으
로 선택할 수 있는 만큼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모든 고등학교에 10단위 6학기 이수라는 지침을 최소 이수단위로 규정하고, 체육 수업을


더 희망하는 학교에서는 학교재량으로 확대할 수 있는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의 10단위 6학기 이수에 대한 운영 지침이 일부 특수목적고등학교나 특성화고등학


교를 비롯해 체육 수업이 부족한 학교를 위한 조치에서 시작된 것이기는 하나, 기존에 체
육 수업 시수가 더 많았던 학교들이나 학교의 특성상 6학기를 이수하기 어려운 학교들까
지 동일한 방침으로 적용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여건과 상황을 고려하
여 6학기 동안 10단위 이수 이상이 가능한 희망 학교들을 고려하여 학교재량으로 확대할
수 있는 규정을 교육과정 및 편성 운영 지침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에 10단위 6학기 이수
지침은 최소의 이수단위가 되고 여건에 따른 확대 여지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41


(2) 과외 자율체육 활성화 정책

(가) 비정과 시간 체육활동 프로그램

학생들이 정규 체육 관련 수업 이외에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은 크게 ‘ 아침 및 점심


시간’ , ‘ 방과 후 시간’ , ‘ 주말 시간’ , ‘ 방학’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학생들은 이러한 비정과
(과외) 시간에 자신들이 선호하는 체육활동에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교육부와 시ㆍ
도교육청에서는 학생들의 자율적인 체육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비정과 시간, 즉 과외 시
간을 활용하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재정적 지원을 해왔다. 대표적으로 ‘ 아침 및 점심 체
육활동 프로그램’ , ‘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 ‘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프로
그램’ , ‘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이 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형태는 학교에 따라
전교생이 참여하는 경우도 있고, 학급 단위, 스포츠클럽 단위, 방과 후 수업 희망 학생 단
위 등 다양하다.

1) 정책 시행의 효과

다양한 시간에 여러 가지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두


고 있다.
첫째, 자투리 시간에 다양한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따라 학생들에게 체육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최근 핸드폰 게임과 비활동적인 여가를 보내는 학생들이 늘어나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자투리 시간에 학생들로 하여금 적극적인 신체활
동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여 건전하고 건강한 여가를 보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
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
램, 부모와 함께 하는 스포츠 프로그램, 방학 스포츠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했던 학생들이
참여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교사들이
관찰한 바를 참고하면 해당 활동들에 대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태도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참고로 아래 [그림 Ⅴ-6] 은 프로그램들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의견들인데 조
사 대상인 모든 학생들의 응답 결과로, 참여하지 않았던 학생들까지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실제 참여 인원을 기준으로 미루어 재산정한다면 높은 수치라고 할 수 있다.

24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그림 Ⅴ-6] 프로그램별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 - 학생

둘째, 학생들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체육활동 기회가 마련됨에 따라 학생들의 실질적 신


체활동량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많은 학생들이 방과 후에 학원으로 내몰리는 상황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
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학생들의 방과 후 시간을 제한하여 이 시간의 체육활동 역시
제한하고 있다. 즉, 학생들은 체육활동을 원하지만, 시간적인 제약을 받는 것이다. 이런
학생들을 위해 아침이나 점심시간에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개설해 학생들의 참여율을 높
인다든지, 토요 휴무일이 시행되면서 토요일에 체육활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 스포츠 강
좌’ 를 개설하거나 ‘ 학교체육 시설 개방’ 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은 자투리 시간 등의 활동
가능한 시간을 확보하여 더 많은 신체활동 참여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셋째, 비정과 시간의 체육활동은 교우 관계와 부모님과의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


고 있다.
학생들이 점심시간에 학급 대항 구기대회에 참여하면서 즐거움을 얻기도 하지만, 학급
구성원들의 유대감도 높일 수 있다. 조사 결과 예를 들어 점심시간에 교내스포츠대회를
운영하는 경우 팀 또는 학급 등의 단체 활동으로 얻을 수 있는 협동심과 친밀감을 유발
시켜 학생들의 비행이나 다툼이 줄어드는 효과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자연스럽게 학교 폭력의 예방 및 감소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부모님과 함께하는 스포츠
프로그램 역시 부모님들이 시간을 내기가 쉽지 않지만, 휴일 등을 활용하여 운영한 경우
들에서 학생들이나 부모님의 평가가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관계 발전에도 좋은 효과를 나
타내었다고 한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43


2) 정책 시행상의 문제점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비정과 시간 체육 프로그램 운영 정책은 다


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일부 비정과 시간 체육 프로그램이 실적 보고를 위해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각 시ㆍ도교육청에 학교체육활동 운영 보고 자료로 아침 시간이나 방과 후에 체육활동
에 참여하는 인원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부 학교에서는 예를 들어 간간히 아침 시
간에 운동장 1∼2바퀴를 돌고 교실에 들어가는 것까지 아침 운동 참여 실적으로 포함하
여 알린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육활동 프로그램이 교사의 지도에 의해 내실 있게 운영
되지 않는 경우까지 잘 운영되는 것이라고 오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둘째, 비정과 시간 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에 대한 관리 및 지도가 충실히 이루
어지지 못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아침, 점심, 방과 후, 토요일, 방학 등의 다양한 시간에 프로그램을 개설 운
영한다고 했지만, 특히 아침이나 점심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은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서 놀이 수준으로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관리한다기보다는
방치하는 수준이라고도 볼 수 있다. 아울러 초등학교의 경우 관리 및 지도자의 부족으로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이나 가족 참여 프로그램, 그리고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이 1
∼2개 정도밖에 개설되지 않는 현실에서 많은 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줄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3)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 및 지원 방안

학교에서 많은 업무를 추진하는 교사의 입장에서는 비정과 시간에 쉬기보다 다양한 행


정적 업무나 수업 연구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실에서 자투리 시간까지
학생들의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관리하라고 업무를 부여하는 것은 어쩌면 가혹
한 일일 수 있다. 그러나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일상적인 신체활동이 활
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적절한 운영자가 이를 운영
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실적 어려움을 타개하고 비정과시간의 체육활동 프로그
램 시행의 적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24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비정과 시간에 운영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많아져야 한다.

현재 1∼2개의 프로그램으로는 많은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거나 수용하기 어렵다. 지


역사회의 체육 시설 활용 등을 고려한 프로그램과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요구를 적극 반
영하는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더 많은 신체활동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학부모들과
자녀들이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을 잘 조직해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것도 보다 큰 교육적
효과를 꾀하기 위하여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원활한 운영
이나 목적 달성을 하기 까지 다양한 변수에 의하여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중
장기적인 계획과 안목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점차 견고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초등학생들은 아직 부모에게 의지하고 부모와의 소통이 많이 이루어지는 편입니


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는 더욱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참여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할 수 있지요. 예를 들어 근로자의 날이나 토요일날 운동회를 개최하여 부
모님과 함께 달리기나 줄넘기를 한다든지 또는 반대항 짝피구, 티볼 등을 함께 하면
자녀와 부모 관계가 매우 좋아질 것 같습니다(S교사, 2014년 10월 워크숍).

비정과 시간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나 적절한 보상이 이


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의 체육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사의 헌신적인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교사의


개인적인 차원의 노력 위주로 운영하기 보다는 이를 시스템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무리 어떤 헌신적인 교사가 그 학교에서 학생들의 비정과 시간의 체육활동을 열심히
진행하였더라도 그 교사가 다른 학교로 전근가게 되면 해당 학교의 프로그램 운영이 정
지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고, 한 사람의 교사에 의존하는 운영은 그 사람의 유고를 해
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적절하지 않다. 실제로 특히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경우는
휴일에 제대로 휴식도 취하지 못하면서, 매우 낮은 수당을 받고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의
무를 요구하게 되어 이는 매우 무리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인센티
브나 적절한 보상 등이 재정적 도움 혹은 승진과 같은 교사평가, 다른 업무의 경감 등의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45


비정과 시간의 프로그램 운영 시 체육활동의 종류에 따라 학생 관리, 활동 지도, 프로그램
운영 등 요구되는 역할을 활동에 차별화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현장 방문해 조사한 영국의 브레튼햄 초등학교 사례에서 볼 수 있었던 점


심 체육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이 스포츠 경기를 하는 경우, 교사들이 심판의 역할을 수
행하고, 달리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의 경우는 기록을 측정해주는 역할자가 있고, 단순한
공놀이를 하고 싶은 학생들에게는 공을 대여해주는 방식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아주 적극적인 신체활동을 원하지 않는 학생들은 뒤뜰에 앉아서 하는 놀이 환경
을 조성해주고, 신체활동보다는 책을 꼭 읽고 싶어 하는 학생에게는 독서의 기회를 제공
해주고 있다. 이런 방법은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점심시간에 학생들이 무질
서하게 복도를 뛰거나, 학생들 간의 다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각 활동 장
소에서 순차적으로 교사의 신호와 인솔에 따라 학교식당으로 이동하여 점심식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주된 활동인 점심식사에도 무리가 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을 우리나라의 대
규모 학교에서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겠지만 일부 희망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
램을 적용하면서 각각의 프로그램에 요구되는 관리 또는 지도의 차별화된 방식의 운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및 대회 개최

현재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은 전교생이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실시하


는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과는 다르다. 이 활동은 희망하는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는 활동이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인원과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발생한다.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은 대부분 방과 후에 이루어지고, 토요일이나 방학 중에 이루어지는 경우
도 있다.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대회에 출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주로 주말을 이용해 경기를 하거나 일부는 방과 후에 실시하기도 한다. 2008
년부터는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가 실시되고 있다. 그 동안 학교스포츠클럽의 개수는
급속히 증가하였고, 차츰 학교스포츠클럽의 전통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1) 정책 시행의 효과

학교 현장에서 학교스포츠클럽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두


고 있다고 분석된다.

24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첫째,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즐거움을 얻고, 체력 유지와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다.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이유를 보면 스포츠 활동이 즐거워서라는 응답이
많고, 체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해서라는 응답 역시 적지 않다. 학교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 교실에서 보내야 하는 학생들이 운동장이나 체육관이라는 공간에서 친구들과 함께
자신들이 좋아하는 스포츠 경기를 할 수 있는 것은 학업에 보다 주안점을 두고 있는 우
리나라 교육 분위기에서 공부에서의 환기를 주고, 다른 활동으로 얻기 어려운 신체적, 정
서적인 발달과 학교생활의 즐거움과 행복감을 주는 긍정적 교육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과외 자율체육 활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
면서 학교체육활동에 대한 분위기를 선도해 나가고 있다.
최근 들어 점심시간에 학급 대항으로 구기대회를 실시하면서 ‘ 학생 심판’ 을 운영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학생 심판은 주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고, 학생들의 심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체육교사가 심판 보는 방법을 지도
하거나, 학생과 교사가 함께 심판이 되어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물론 이런
방법은 초등학교에서는 어렵다고 할 수 있지만 중·고등학교에서는 많이 활용하고 있으
며,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심판의 역할 뿐만 아니라 학교체육 시설 곳곳에
서 일상적으로 체육활동을 하는 모습을 보이며 활기찬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역할을 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다른 학생들의 체육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에 참가하면서 체계적인 스포츠 활동 경험을 쌓게 되고, ‘스
포츠의 경기 의례 및 예절’을 배우는 계기가 되고 있다.
학생들은 학급 내에서 친구들과 공놀이 하는 수준을 탈피하여 보다 전문적인 스포츠
기술을 배우고, 경기 전술을 배우며 스포츠클럽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
동을 하는 학생들은 학교 내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간 경기를 통해 자신들의 실력을 확
인하기도 한다. 또한 승패의 경험을 통해 때로는 승리의 기쁨을 누리기도 하고 패배의 슬
픔을 맛보고 재도전을 향한 투지를 불태우기도 한다. 학생들의 이러한 경험은 자신의 감
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좋은 약이 되기도 하고, 새로운 것과 목표에 대한 도전
의식도 길러준다. 특히 정식 스포츠클럽대회에서는 다른 팀의 선수들과 경기 전과 후에
인사와 악수를 나누고, 상대 선수가 넘어지면 일으켜 세워주는 등 경기 에티켓도 체험하
게 된다. 이런 대회의 경험은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경기 예절을
경험하면서 인성 교육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스포츠 참여 태도 역시 좋아지고 있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47


[그림 Ⅴ-7]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내용에 대한 만족도-학생

2) 정책 시행상의 문제점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학교스포츠클럽 운영과 대회 개최에서 몇 가


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대회 중심으로 운영되면서 운동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 중심
으로 경기 참여가 이루어져, 운동 기능이 다소 부족한 학생들의 스포츠클럽 참여를 제한하
는 상황을 낳고 있다.
특히 이런 현상은 스포츠클럽에 참여하고자는 학생들에게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스
포츠클럽활동이 운동을 좋아하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분위기라기보다는 잘하는 학생들 위
주로 운영되는 분위기라서 참여하고 싶어도 운동 기능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제한이 된
다는 것이다. 스포츠클럽이라는 모임 성격이 동호회와 같이 해당 스포츠를 좋아하는 사람
(학생)들끼리의 집단이 되어야 하는데 대회 참여 및 우수 성적 산출을 위하여 기형적으로
잘 못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문제는 오히려 스포츠클럽활동이 체육 활성화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필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에서 활동하고 싶지만, 참여할 시간을 만들지 못해 스포츠클럽에 가
입하지 못하거나 중도에 그만두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학업 분위기나 스포츠 활동이 상급학교 진학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학생들은 참여하고 싶으나, 방과 후에 학원에 가야 하거
나 학교에서 다른 방과 후 수업을 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더구나 학부모들이
자녀들이 스포츠 활동으로 시간을 뺏겨 학업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우려하는 경우도 있고,
이는 상급학교로 갈수록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포츠클럽대회에 참가하는 경우

24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교외 경기 등으로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현실적인 갈등도 나
타나고 있었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뉴스포츠나 기타 소수가 참여하는 스포츠클럽 활동보다도
인기 종목 위주로 편성되고, 재정적 지원도 학생들의 참여가 많은 종목을 중심으로 되고
있다.
학생들이 원하고 자발적인 참여자가 많은 종목의 경우 교육청에서 재정적 지원이 없이
도 수익자 부담의 형태로 충분히 운영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데, 학생들의 참여가 많다
는 이유로 재정적 지원은 인기 종목 위주로 되고 있다.

인기 종목인 축구, 농구, 야구와 비인기 종목인 탁구, 배구, 킨볼 등의 운영에는


상당한 차이가 보인다. 학교에 따라 조금은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학교스포츠클
럽 빅3인 축구, 농구, 야구는 방과 후 활동과 연계되어 충분히 수익자 부담으로 운
영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청에서는 지원금을 풍부하게 지원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스포츠클럽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보편적 지원으로 인해 시설, 용기구, 인
건비 문제들이 함께 나타나고 있다(Y교사, 2014년 10월 워크숍).

오히려 비인기 종목이나 뉴 스포츠와 같이 잘 알려지지 않고 선호하지 않은 종목들은


해당 활동을 활성화 하고 이를 위한 홍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종목들에 특별히 재
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의 규모가 너무 크고, 지나친 경쟁 중심의 대회로 치우치는 경
향이 있다.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들 간의 경기를 통해 체력, 운동
능력, 인성 등의 발달에 도움을 얻고 있다. 하지만, 학교스포츠클럽 대회가 전국 규모로 치
러지면서 지역 대회가 내실을 갖추지 못하고 전국 대회 대표팀 선발에만 급급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 시도에서는 대회 일정을 맞추려고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학교 대표팀을 선발하
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전국대회로 치러지면서 일선 시·도 교육청 장학사들의 업
무가 늘어나 장학사들이 주요하게 해야 할 학교체육 장학 업무는 제대로 손도 못 대는 상황
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전국규모의 학교스포츠클럽대회는 폐지해야 한다고 봅니다. 종목별로 과열 경쟁


이 발생하고, 개인의 스펙으로 활용하기 위해 대회에 참가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
습니다(I교육청P장학사, 2014년 8월 장학사협의회).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49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 담당 체육교사와 장학사의 업무가 과중하고, 주말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피로도가 높다.
주말 스포츠클럽리그대회가 개최되면서 담당 체육교사와 운영진(심판)들은 주말에도
쉬지 못하고 사생활 침해를 받으며 높은 피로도를 느끼고 있다. 주말의 대회 업무는 4월
부터 11월 말까지 주말을 반납해야 하는 체육교사들의 업무가 되었으며 이에 다른 업무
에 비해 더욱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소규모 학교에서는 체육교사가 한
명이기 때문에 업무는 더 가중되는 경향이 있다. 결국 교사들은 이러한 체육활동 운영 때
문에 수업 전문성 향상이나 정과 체육에 대한 관심은 덜 쏟게 된다고 한다.

체육 수업을 끝내고 나면 담임업무와 행정업무를 하고 게다가 방과 후 스포츠클


럽 지도와 운영 그리고 대회 참가로 너무 바쁜 학교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자연적으
로 수업 연구에 신경 쓸 시간이 없습니다. 2009년 개정된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체
육 수업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인성적인 내용 요소를 함께 가르칠 수 있도록 하고
있죠. 하지만 말은 참 쉽습니다. 그런데 그러한 체육 수업이 말처럼 쉬울까요?(P교
사, 2014년 10월 전문가협의회).

3)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 및 지원 방안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나 대회 등의 참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


하고,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과 대회 개최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노력과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이 더욱 다양해지고, 운동 기능이 낮은 학생의 참여를 확대하도록 경


기 결과보다는 참여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모임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현재와 같이 인기 종목 위주의 지원을 하기 보다는 인지도와 관계없이 여학생들이나


운동 기능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스포츠클럽에 재정적 지원이 더
먼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참여의 즐거움을 느끼는 것, 좋아하는 활동
을 하는 것이 학교스포츠클럽의 취지이고 기본적인 구성 원칙이라는 점이 간과되지 않도
록 동호회적인 모임이 장려되는 정책이 시행되고, 대회 등의 운영에서도 참여 팀으로 동
호 팀 차원으로 선수가 구성되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25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활동이 상급학교 진학 시 적절히 반영될 수 있는
기준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선진국에서는 체육과에 진학하지 않더라도 학창 시절의 체육활동이 상급 학교에 진학


하고자 할 때 ‘ 학생의 도전 정신과 인내력 그리고 인성’ 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확인, 적용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대학의 학생 선발 시 학생의 종합적인 역량과
인성을 판단하는 활동의 하나로 ‘ 학교스포츠클럽의 지속적 참가 여부’ 를 포함하도록 교육
부에서 정책적으로 권고할 필요가 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리그 참가 실적 등을 관련 대학 및 학과 진학 시 인센티브


를 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이를 대학에 적극 홍보하고, 입학사정관제에서도 주요
반영 항목에 넣도록 해야 한다고 봅니다(S시 K장학사, 2014년 10월 전문가협의회).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운영 규모와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고, 현재의 시ㆍ도교육청의 주관


에서 점차 체육관련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여야 한다.

현재 학교스포츠클럽대회는 초·중·고 모든 학교 급에서 동일한 방식과 규모로 전국


대회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급에 따라 참여 효과가 다르고, 참여를 위한 준비나
대회를 참여하는 자체가 초등학교와 같은 어린 학생들에게는 무리가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각 학교 급에 적절하게 대회 규모를 달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의 경우 전
국대회 참가에 무리가 있으므로 각 시도대회 수준으로 대회를 마련하고, 중학교의 경우는
전국을 몇 개 권역으로 나누어 최종 대회를 치르는 방식을 제안한다. 그러나 고등학교 정
도는 전국대회를 실시하는 것도 무리가 없다는 의견이 많다. 아울러 업무 폭주와 경기단
체 등과의 조율에 대한 효용성을 고려해 볼 때 시ㆍ도교육청과 지역 교육지원청이 스포
츠클럽대회를 주관 및 운영하기보다는 지방자치 단체에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에 대하여 면담조사 결과 얻은 다음의 모범 사례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경북 포항시는 지자체 장이 관심도가 높아서 초·중·고 학생들이 다 참여하는


챔피언스리그를 합니다. 개회식도 성대하게 하고 결과가 끝나면 시가 행진식도 하면
서요. 오히려 도교육청에서 주관하는 학교스포츠클럽 리그가 여기에 예속이 돼서 아
주 작은 대회가 되어버렸어요. 스포츠챔피언스 리그가 초창기에는 800∼900명 정도
참여하다가 올해는 종목도 많이 늘리고 해서 포항시 소속학교의 3분의 2가 출전을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51


해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자자체에서 관심을 가지고 지역교육청에서 협력해
서 학생들을 뽑아주고 참여시켜주면 자자체에서 돈과 인력을 대주고 심판과 업무보
조 등의 운영도 전부 포항시 체육회에서 관리를 하는 겁니다(K시 C장학사, 2014년
8월 장학사협의회).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교사의 업무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학교스포츠클럽 행정 업무’ 담당


인력이 정책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앞서 국외 학교체육 정책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던 영국의 학교스포츠 파트너십 정책에


서는 체육중점학교의 파트너십 매니저를 중심으로 4∼8개의 중등학교가 연결되고, 각 중
등학교에는 1명의 학교스포츠 코디네이터를 지원받는다. 또한 각 중등학교 하위에 다시 4
∼8개의 초등학교가 파트너십을 이루고 있는데 이 정책 내에서 따로 경기 운영 매니저를
두고 있어 학교간 스포츠 경기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
한 협력 체제는 교사의 업무를 경감하고 보다 전문적인 운영 효과를 도모할 수 있어 앞
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행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현재와 같이 학교 단위에서 학
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할 경우에는 해당 업무에 참여하는 교사를 위해 ‘ 교사평가’ 에 긍정적
피드백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권고할 필요가 있다.

(3) 여학생 체육 활성화 정책

(가)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운영과 대회 개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체육활동 참여율이 낮아 여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를 높이는


기회와 동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학생 체육 활성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시행된 주요 정
책 내용으로는 ‘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을 지원하고 여학생들이 참여하는 ‘ 여학생 학교스
포츠클럽대회’ 개최 등이 포함되었다.

1) 정책 시행의 효과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시행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여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지고 있다.
교사들이 볼 때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활발히 참여한다고 인식하는 응답 비율이 초등

25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학교 77.9%, 중학교 63.3%, 고등학교 69.8%였다. 이 결과를 통해 현재 여학생의 체육활동
참여도가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있
을 경우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여학생 비율이 초등학생 58.4%, 중학생 56.4%, 고
등학생 44.0%로 나타나 현재 학생들의 참여 활성화를 엿볼 수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림 Ⅴ-8]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도에 대한 인식 - 교사

둘째, 교내외 여학생 스포츠대회 및 스포츠클럽대회를 개최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설문 조사 결과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내 체육(스포츠)대회를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초등학교 31.0%, 중학교 72.4%, 고등학교 82.0%였고, 교외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대회에
출전하고 있다는 학교도 초등학교 88.7%, 중학교 70.3%, 고등학교 64.6%인 것으로 나타
났다. 물론 학교 대표로 출전하는 여학생들의 숫자가 절대적으로 많지는 않지만, 각 학교
별로 출전하는 여학생 팀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여학생 체육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는 기대를 갖게 한다.
셋째,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을 개설하는 학교가 확대되고 있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에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을 개설하고 있다고 응답한 교
사는 초등학교 56.6%, 중학교 78.7%, 고등학교 61.9%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학생
들의 응답은 초등학교 44.7%, 중학교 54.3%, 고등학교 74.7%로 교사의 응답률과 차이는
있었지만, 두 경우를 통해 과반수 이상의 학교에서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개설 운영되
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여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이 개설되는 것에 의미를
두는 이유는 여학생들의 참여 희망이나 참여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짐으로 여학생들의 체
육활동이 활성화될 것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가 교사들이 보기엔 ‘ 남학생들과의 운동 능력 차이에 따른 소외감’ 으로 인한 것이라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53


는 인식이 많고, 학생들 입장에서는 ‘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 부족’ 과 ‘ 여학생에 적합한 체
육활동 부족’ 때문이라는 이유가 많은 것으로 볼 때, 여학생들이 선호하는 종목과 수준에
맞는 활동을 제공하는 ‘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이 운영될 경우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된다.

2) 정책 시행상의 문제점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여학생 학교체육 활성화가 주로 일부 여학생들이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나 대
회 참가 중심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어 보다 많은 학생들을 위한 정규 체육 수업에서의 여학
생 체육 활성화를 위한 대책은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남녀 혼성 수업으로 인해 체육 수업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교사들
이 많다는 지적에서도 알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체육교사들은 현재와 같은 혼성 수업에
서 자주 나타나는, 체육 수업에서의 여학생들의 상대적인 소외 현상을 막기 위해 남녀 혼
성으로 수업하는 참여 형태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모든 체육 수업에서 남녀
분반 운영이 어렵다면, 활동 종목에 따라 필요를 구분해 일부라도 분리해서 실시해야 한
다는 입장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방식이 남학생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어 여학
생에게 부적절한 면이 있다.
여학생들은 남학생과 감성이 다르고 원하는 신체활동의 형태나 참여 방법에 대하여 서
로 차별화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남녀 동일하게 혹은 이미 체육활동 참여 활성도
가 높은 남학생 중심으로 학교스포츠클럽 등의 체육활동을 운영하는 것은 여학생들의 참
여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여학생을 위해 개최된 스포츠클럽대회에
서도 나타나는데 즉, 여학생들이 교외 스포츠클럽대회에 참가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로 제시한 것이 여학생 대회에 개설된 스포츠 종목에 참여할 ‘ 경기 능력 또는
운동 능력’ 이 부족하다는 응답이어서 여학생들에 맞는 스포츠 종목인지 고려해 보아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학생의 감성에 맞는 다양한 체육활동 종목을 발굴하여
알리고 지도하고 투자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물론 여학생을 위한 대회 개최도 필
요하겠지만, 이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 학교 내에서 여학생들이 꾸준히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목을 체육 수업에서 지도하고, 이를 스포츠클럽으로 조직해야 하는데 현재로서

25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는 이런 과정이 부실하다는 문제가 있다.

3)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 및 지원 방안

여학생의 운동능력이 남학생과 달라 본질적으로 체육활동을 기피한다는 인식은 분명


잘못된 것이다. 여학생에 맞는 체육활동 및 환경 조성과 여학생의 정서에 맞는 프로그램
을 개발, 적용한다면 여학생들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일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모색하면
서 정책적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 노력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학생의 감성과 운동 능력에 맞는 스포츠 종목의 보급이 확대되고, 전통적인 스포츠 종


목도 여학생을 지도하기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변형, 개발되어야 한다.

최근 넷볼, 킨볼, 플로어볼 등 여학생들이 선호하고 활동하기에 적합한 뉴스포츠 종목


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뉴스포츠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의 거부감이 적고 활동이
좀 더 활발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여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체적 접촉이 적고 협동
성이 강조되는 스포츠들의 보급이 더 필요하다. 또한 전통적인 스포츠 종목도 여학생 수
준과 특성에 맞게 지도할 수 있도록 변형된 스포츠 프로그램 및 여학생에 초점을 둔 수
업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남녀 혼성 학급이라고 하더라도 여학생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체육 수업 설계 노력이


필요하며 관련 자료가 보급, 활용되어야 한다.

초등학교 여학생들의 경우 고학년으로 갈수록 체육활동을 기피하는 경향이 늘어간다.


이는 남학생과의 체육활동에 대한 실력차이에서 오는 창피함, 외모적으로 망가져야 하는
부담감 등 사춘기로 접어드는 여학생들에게 체육활동은 점점 부담감으로 작용한다고 한
다. 이러한 혼성 수업으로 오는 부작용들을 해소하기 위해 남녀 분반이 현실적으로 어렵
다면 동일 학급 내에서 종목에 따라 여학생을 배려하고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수업 자
료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물론 수업 상황을 변화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더구나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시행 초기이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안목으로 지속적인 추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55


학교마다 여학생 스포츠클럽 신설을 의무화하고, 여학생 스포츠클럽 활동 종목과 체육 수
업과 연계성을 갖고 상승효과를 도모하도록 해야 한다.

여학생 스포츠클럽 종목과 체육 수업이 별개로 진행될 경우 어느 하나라도 동기유발


되지 않는 다면 여학생들은 불필요하거나 싫어하는 부정적 인식으로 일관할 가능성이 많
고, 이러한 태도를 갖고 있는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체육 수업
에서 흥미를 느낀 학생들이 해당 종목의 스포츠클럽에 참여하여 꾸준히 활동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내 대회나 교외 대회 등에 참여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참여 유도를 해야 한다.
현재처럼 일부 기술적 저난도의 특정 종목(피구, 발야구, 줄넘기)에 치우친 여학생 대회는
여학생의 스포츠 경험을 제한하고, 새로 신설된 여학생 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 운영에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학교에서 여학생 체육을 뿌리내릴 수 있
는 방안을 마련하고 여기에 학교스포츠클럽 대회가 여학생 참여의 기폭제가 될 수 있도
록 해야 한다.

나. 인적 자원 관련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학생들의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시행한 가장 대표적인 인적 차원의 정책은


초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 체육전담교사’ 제도와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 수업을 보조하
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 ‘ 스포츠강사’ 지원 사업이다. 중학교에서의 스포츠강사 지원은
초등학교에서처럼 체육 수업에서의 보조적인 역할이 아니라,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
을 전적으로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1)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 확대

(가) 정책 시행의 효과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배치는 대도시와 중소도시가 높고, 읍면 지역으로 갈수록 배


치율이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는데 연구에서 분석 결과 체육전담교사의 배치를 통해 얻
은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들의 평가에 따르면 체육전담교사 배치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체육 수업 지도
가 가능해졌다고 한다.
체육전담교사의 배치 확대 정책에 대해서는 대부분 교사들이 찬성(86.6%)하였다. 여러

25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보다 나은 체육 전문성을 갖춘 교사의 지도를 보장
할 수 있기에 체육활동이나 신체활동에 익숙하지 않고 체육 수업을 어려워하는 담임교사
가 지도하는 것보다는 체계적인 수업이 이루어진다고 말하였다.

[그림 Ⅴ-9]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대한 찬반 의견-교사

둘째, 학생 차원에서는 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고, 체육활동을 보다 체계적


으로 하게 되어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졌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체육전담교사의 지도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61.3%)인 인식을 보여주었고, 그
이유도 운동 학습의 효율성이나 체력 등의 운동 효과 때문이라고 응답하고 있어 실제 전
담교사는 학습 및 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초등학
교에서 담임교사와 가장 많이 그리고 손쉽게 하는 활동은 늘 해왔던 피구 등이나 줄넘기
등과 같은 간단한 신체활동이 대부분인데 체육전담교사의 경우 담임교사 때보다 잘 짜인
수업 설계에 따라 지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다양한 스포츠나 운동을 배우고 좀 더
재미있는 방법으로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선호하고 있었다.
셋째, 체육전담교사 운영으로 학교의 체육교육과정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기자재 등의
관리와 보전이 향상되었으며, 학교스포츠클럽이나 방과 후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가져왔고,
모든 체육활동에 대한 담임교사의 업무가 경감되는 효과가 있었다.
체육 수업은 실내교실 수업과는 달리 다양한 체육 용·기구를 활용하게 된다. 매 시간
필요한 장비를 담임교사가 준비하고 정리하는 것은 같은 수업에 대해 준비 행동을 각 반
교사들이 반복한다는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체육전담교사를 운영하면
체육 수업 용·기구를 한번 설치하고 다른 학급도 계속 체육 수업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관리와 보전이 훨씬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체육 수업에서 용·기구는 수업에서 매우 중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57


요한 요소인데 이를 준비하고 정리하는데 드는 수고가 의외로 체육 수업을 부실하게 만
드는 원인이 될 때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대한 지원 역할은 생각보다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외에도 최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나 비정과 체육활동이 활성화되고 있
는데, 이런 부분까지 모두 담임교사가 담당하기엔 어려움이 많기에 체육전담교사는 담임
교사의 업무 경감에 여러 모로 도움이 된다. 특히 교외 스포츠클럽대회에 학생들을 인솔
하려면 인솔자 즉 지도자의 역할이 필요해 교사의 출장이 요구되는데 이런 역할을 체육
전담교사가 있어 체육활동의 담당자로 부담해 준다면 교육의 신뢰도도 높고, 교사들의 업
무 부담은 경감하며, 나아가 학생들의 과외 체육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게 만드는 점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나) 정책 시행상의 문제점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 체육전담교사’ 의 배치 확대는 몇 가지 문제


점을 안고 있다.
첫째, 학교 규모에 따라 소규모 학교의 교원 수로는 체육전담교사를 선정해 따로 두기 어
렵다.
대도시나 중소도시 학교의 경우 교원 수가 많기 때문에 체육전담교사를 배치할 여유가
있으나 읍면지역의 경우 소수의 교원으로 체육전담교사까지 배치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
움이 크다. 따라서 현재 교원 수급이 모든 학교에 나아가 모든 학년에 체육전담교사를 배
치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점을 정책 시행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체육전담교사의 선정 시 교사의 체육지도 능력이 고려되기 보다는 학교의 상황
과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떠맡겨지는 방식으로 정해지기 쉽고, 심지어 체육전담교사를
기피한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체육전담교사가 되기 원하기보다 대부분 기피하는 현상이 나
타나고 있었는데, 이렇게 기피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아래 [그림 Ⅴ-10]에서 제시된 설
문 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나고 있고, 실제 교육청 장학사나 현장 초등교사와의 심층면담
결과 이 외에 또 다른 기피 이유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표적으로는 ① 체육교육
전문성에 대한 부담, ②체육 수업 환경이 학생 관리나 실제 수업에 어려운 상황, ③ 담임
을 맡지 않아 발생하는 경제적 차원과 승진 차원의 불이익, ④ 수업뿐 아니라 학교스포츠
클럽이나 방과 후 체육활동 등의 업무 부담 과중 등의 이유가 이면에 있다는 것이다.

25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그림 Ⅴ-10] 체육전담교사 기피의 이유 - 교사

(다)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 및 지원 방안

체육전담교사가 제도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 및 지원 방안이 마련


되어야 한다.

체육관(양질의 체육 수업 공간) 확보 등 체육 수업 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체육 수업은 수업환경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많은 초등학교에는 체육관이


없는 게 현실이다. 뜨거운 태양 아래 화장을 한 상태에서 땀을 흘리는 여교사의 모습을
상상한다면 교사들의 체육 수업 기피 현상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정책적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당장 체육관 등의 실내 체육 시설을 건립하기 어려운
조건이라면 앞으로 학생 수가 점차 줄어들어 사용하지 않는 빈 교실이 늘어날 것으로 예
상되는 상황에서 교실 두 칸을 ‘ 실내 운동 공간’ 으로 만들어 활용하는 등 학교체육 활성
화라는 정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한 시설 환경 개선에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초등
학교들의 경우 신체활동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이런 공간에서 체육활동이 얼마
든지 가능하다. 또한 이런 공간은 비가 오거나 추운 날씨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신체활동의 기회 확대나 체육 수업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와 같이 체육 수업 공간의 확보를 위한 아이디어나 개선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며, 우수한 사례 및 아이디어에 대하여는 정책적으로 보급하여 실질적 개선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59


체육전담교사의 업무 어려움에 대하여 경제적, 경력적 보상 등의 적절한 인센티브가 마련
되어야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체육전담교사는 담임 수당이나 교원 성과급에서 불이익을 받게


되고, 승진에도 결코 유리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결국 체육전담교사를 기피하는 현상
으로 연결되고 있어 이에 보완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체육전담교사를 기피하는 이
유를 면밀히 조사, 분석하여 어려운 업무 수행에 대한 보상과 함께 불이익을 받지 않는
제도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즉, 별도의 수당의 지급, 과외로 참여한 다양한 지도자 활동
에 대한 교원 성과 인정 등의 혜택과 가산점을 제공해야 한다.

연수, 보고, 평가 등을 실시하여 체육전담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제도를 마


련해야 한다.

앞서 제시한 혜택과 함께 체육전담교사는 반드시 역할에 상응하는 전문성을 갖추어야


할 의무가 있다. 물론 체육전담교사가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에는 대부분 동의하겠
지만 일부 여론은 현재의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체육전담교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체육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는 점에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왜냐하면 초등학교 교사로 임용
된 이후 어느 정도의 연수 과정을 통해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 그러한 연수 등의 교
육 제도가 실효성 있게 운영될 가능성이 있을지 등 제도의 시행에서 나타날 수 있는 난
제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체육교과는 다양한 스포츠 및 운동에 대한 실기 능력과 지도
방법을 체득해야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이러한 지도역량을 함양하기는 사실 쉽지 않다. 이
런 차원에서 초등영어전담교사처럼 자격을 갖추기 위한 연수 시간을 대폭 늘리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양성 및 선발 과정을 별도로 두자는 의견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중등교사를 초등학교 전담교사로 임용하여 활용하는 방식
(즉, 중초교사)은 피해야 한다는 것이 지배적인 입장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
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영국의 학교체육 정책에서는 체육전담교사 양성을 위한 제도를
정책적으로 마련하고자 시도하고 있었다. 영국도 초등학교에 중년의 ‘ 여교사’ 비율이 높
고, 여교사들이 성장 과정에서 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남아 있어 체육 수업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국에서는 2013년 10

26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월부터 교육부 주관으로 체육을 전담해서 지도할 수 있는 ‘ 체육전담교사 연수 과정’ 을 시
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연수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초등학교 교사 양성 과정에
있는 사람 중 교육대학교 재학생들로 향후 ‘ 체육 전담’ 을 희망하는 자들이며, 정부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성공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매년 그 수를 늘려 초등학교 체육전담인력을
확대하여 지속적으로 양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러한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양성 방식에 관해 우리나라의 교육대학교에서도 신중하
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다음에 논의할 스포츠강사의 지원 정책과도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

(2) 스포츠강사 지원

(가) 정책 시행의 효과

연구 결과의 분석에서 ‘ 스포츠강사’ 지원 정책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초등학교의 경우 스포츠강사의 지원으로 담임교사의 체육 수업 및 학교체육활동에
대한 교사의 업무 경감 효과가 있었다.
여러 과목을 지도해야 하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는 체육 교사의
역할과 체육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수업에 대한 어려움과 함께, 학교
스포츠클럽 등의 다양한 체육활동에 대한 지도와 관리를 담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업무에 대하여 스포츠강사들이 여러 모로 도움이 되고 있다고 조사에서 응답되었다.

[그림 Ⅴ-11]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기타 업무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61


초등학교 여교사의 비율이 2013년 기준 78.2%에 달할 정도로 높아진 현실을 감안하더
라도 초등학교 여교사들이 체육 수업과 관련해 겪는 수업 전문성 부족과 수업 관리 등의
어려움을 덜어주는데 스포츠강사가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초등학
교 스포츠강사 배치를 찬성하는 비율이 74.7%에 달한 것에서도 예측할 수 있으며, 조사
결과 스포츠강사들은 체육 수업의 보조 외에도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와 체육 행사 보조
등 다양한 학교체육활동에서 지원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교사의 업무에
경감 효과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둘째, 스포츠강사는 신체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도록 학생들을 동기유발 함으로써 신체
활동 참여율이나 학교스포츠클럽 등의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력을 제공하였다.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활용 후 체육 수업의 긍정적 변화 중에서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와 참여도 증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체육 수업의 효율성이 증가하였다
는 의견이 그 다음이었다. 이는 스포츠강사들이 활발히 움직이면서 스포츠나 운동에 참여
하는 분위기를 이끌어 가며 담임교사와 다르게 적극적인 수업에 참여하도록 학생들을 자
극한 것으로 예측 된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스포츠강사 만족도가 80%로 높게
나타나는 것에서도 볼 수 있고, 스포츠강사가 초등학생들의 체육활동을 활성화하는데 긍
정적인 영향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중학교의 경우 스포츠 기능이 우수한 강사에게 배우는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에 대
한 만족도가 높아졌다.
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에서 중학교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을 진행
하는 스포츠강사의 배치를 찬성하는 가장 주된 이유가 ‘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스포츠를
경험할 수 있다’ 는 것을 꼽은 것을 통해 스포츠강사의 기능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아
울러 중학생들도 스포츠강사에 대해 66%가 만족한다는 의견을 나타냈고,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로 학생들에게 친밀한 태도를 보인다는 점과,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사용하고 스
포츠에 대한 전문성이 있다는 의견을 상대적으로 많이 제시하였다. 즉, 체육 수업에서 하
지 못하던 또 다른 스포츠 체험을 위해 활동에 참여하면서 스포츠강사의 기능적 우수성
이 학생들에게 긍정적 자극이 되어 스포츠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나) 정책 시행상의 문제점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스포츠강사 도입의 제도는 몇 가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26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첫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경우 정해진 역할 이외의 과도한 업무 수행을 담당하고 있
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비해 낮은 처우와 불안정한 고용 여건 등을 불만화하며 갈등이 커지
고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스포츠강사가 수업을 직접 주도하는 경우도 있고, 팀티칭 혹은 코-티
칭의 수준을 넘어서 수업의 주요한 많은 부분을 담당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것
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경우 초등학교의 체육교육으로서의 적절성을 갖추지 못한 파
행적인 수업이 시행되기도 하고 또는 안전사고 등에서 법적 책임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
도 있어 우려가 되고 있다. 이런 문제와 함께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들이 자신들의 업무가
수업 보조의 역할을 넘어선데 대한 지위를 요구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어 사회적인 문
제로 파급될 우려가 있다. 즉, 스포츠강사들이 낮은 급여와 불안정한 고용 상황에 있지만
실제 학교체육의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의 불합리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스포츠강사의 역할도 문제다. 스포츠강사는 체육 수업의 보조강사인데 어떻게 보


면 팀티칭으로 볼 수 있지만 교사는 스포츠강사와 함께하는 수업을 더 부담스럽게
생각하고 있다. 자기가 맡은 학생이 스포츠강사의 체육 실기 능력을 보고 담임교사
를 무시하기도 하고 담임교사는 더더욱 체육 수업을 기피하게 되고 그래서 스포츠강
사가 전적으로 수업을 맡고 이런 악순환이 반복된다(I시 J교사, 2014년 10월 워크숍).

이와 같이 많은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학교체육의 지도 측면에서 주도적 위치에 선


스포츠강사들의 직위 향상 요구(정규직 또는 무기계약직으로의 전환 요구)는 향후 더 큰
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해결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스포츠강사의 교육적으로 부적절한 언행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되기도 한다.
학교 현장의 스포츠강사의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조사 결과 강사의 수준과 자질
에 따라 학생들에게 때로는 ‘ 친밀하게’ 때로는 ‘ 차별하는’ 지도자로 비춰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강사의 교육적으로 부적절한 태도와 언행은 학생을 넘어서 학부모 등
을 통해 불만이 제기되고 있고, 관련된 민원도 발생하고 있어서 학교체육 현장에 적절한
자격을 갖춘 스포츠강사의 채용을 위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스포츠강사를 채
용하는 과정이 학교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포츠강사의 자질을 검증하기 쉽지 않고
지역적 여건에 따라 스포츠강사를 구하기도 어렵다는 점은 적절한 교육을 담보하는 질적
수준을 가진 강사의 수급 방안이 제도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일부 스포츠강사들의 경우 스포츠강사 업무를 제 2의 직업으로 여기고, 책무성이나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63


전문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스포츠강사들이 자신의 직업 영속성을 위해 학생들의 흥미나 요구에만 맞춰주고 정작
학교교육에서 감당해야 하는 정규 교육과정의 이수나 학교교육의 지도자라는 태도와 의
무를 갖추는 데에는 소홀하여 학교 내 체육교육 현장에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현재
의 미흡한 자격 조건은 마구잡이식의 강사 투여를 부추기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특히
중학교에서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에도 영향을 주고 있고, 이러한 분위기가 연결
되어 나아가 정규 체육 수업에서도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어 해결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다)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 및 지원 방안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개선 및 지원방안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명과 적확한 활용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제도에 있어서 자격기준을 강화하고, 기존 교원과 구별된 역할과


지위를 규정하며, 퇴직 기준이 포함된 일정한 계약 기간(장기)을 명시해 두어 제도를 공
고히 해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의 경우 스포츠강사와 전담교사의 배치 실태가 서로 반비
례인 상황이다. 학교체육 발전을 위해 궁극적으로는 보조 역할인 스포츠강사의 지원에 의
존하기보다는 전문성을 갖춘 정식 교사인 체육전담교사의 배치 제도를 통해 초등체육의
수업 내실화를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방문 조사한 영국의 브레튼햄 초등학교의 경우는 담임교사,
전담교사, 스포츠강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초등학교 체육 수업을 내실화하고 있어 이를 벤
치마킹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브레튼햄 초등학교의 경우 한 학급(약 30명)의 체육 수업에
체육전담교사, 스포츠강사, 담임교사 3명의 교사가 지도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이
중에서 체육 수업을 주도하는 사람은 체육전담교사이다. 체육전담교사는 체육 수업 프로
그램을 설계하고 체육 수업의 전반적 관리와 진행을 담당하며, 가장 체육활동이 우수한
집단을 지도하고 스포츠강사는 체육전담교사의 지시를 따르며 중간 정도의 체육활동의
수준을 보이는 집단을 지도한다. 담임교사는 역시 체육전담교사의 지시에 따르면서 가장
수준이 낮은 집단을 지도해 협업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영국의 특수한
사례라고 할 수 있겠지만, 전문성을 갖춘 별도의 체육전담교사와 스포츠강사가 담임교사

26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와 어떻게 적절히 역할 분담하여 체육 수업을 내실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좋은 참고 자료
라고 할 수 있다.

스포츠강사의 복무 지침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자격을 강화하거나 지속적인 연수 등을


통해 전문성과 자질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학교의 경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스포츠강사 수요를 감


당하지 못해 강사의 자질을 제대로 점검하는 기준도 마련되지 못한 채 강사 구하기에 급
급한 형편인 경우가 많다. 또한 스포츠강사들은 수업만 하기 때문에 학교스포츠클럽과 관
련된 행정적인 업무까지 수행하는 체육교사들은 이들을 관리하고 함께 수업을 운영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또 다른 고충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포츠강
사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관련한 수업 및 제반 운영에 대한 업무 처리를 하는 등 책
임감 있는 업무 수행 체제를 갖추어 이 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복무상의 혼
란은 지침을 마련해 정확히 하고, 자격 강화 및 꾸준한 교육을 통해 스포츠강사들의 전문
성을 유지, 확보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스포츠강사의 활용의 효과성 제고와 지속적이고 안정적 운영을 위해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과 시ㆍ도교육청 차원의 강사 통합 관리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향후 교육부와 시ㆍ도교육청의 스포츠강사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줄어들거나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된다. 이럴 경우 그 동안 뿌리내리기 시작했던 초등학교 체육 수업
활성화와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상당히 위축되거나 과거로 회귀할 여지가 많을
것으로 우려가 된다. 연일 보도되듯이 시ㆍ도교육청의 재정 상황이 매우 열악한 상황에서
현 정책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교육 복지와 관련하여 정부 차원에
서의 예산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스포츠강사의 자질 확보와 관리 방안에 대하여 여러 문제점이 제기된바, 학교 차
원에서 스포츠강사를 선발, 관리를 하는 것 보다는 시ㆍ도교육청에서 스포츠강사를 통합
관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본다. 시ㆍ도교육청의 창구 일원화는 보편적 자격을 갖
춘 스포츠강사의 배치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며, 주기적으로 관리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강
사의 질 관리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학교의 행정 업무의 경감에도 바람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65


직한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스포츠강사의 경력과 역량에 따라 급을 구분하여 지도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제도적으로


해당 전문성을 갖춘 자원을 배치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학교급별로 요구되는 전문성의 수준과 내용에는 약간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자


원을 배치하기 위해서 체계화된 제도로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스포츠강사 제
도 역시 경력과 역량에 따라 지도 가능 영역을 제한함으로 잘못된 자원이 유입될 수 있
는 경로를 차단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포츠강사를 경력과 역량
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하고, 1급은 중고등학교 학생, 2급은 초등학생만 지도가 가능
하도록 하며, 지도 가능한 시간도 차별화하는 등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포
츠강사의 급에 따라 시간당 강사비 등의 처우를 달리 책정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도 마
련하는 등 스포츠강사 교육의 질을 제도적으로 보강할 필요가 있다.

다. 물적 자원 관련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물적 자원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학교체육 시설과


용·기구이다. 또한 학교 인근의 지역체육 시설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물적 자원이
다. 이러한 시설과 장비 이외에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도 넓은 차원에서 물적 자원으로 볼 수 있다.

(1) 정책 시행의 효과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지원된 물적 자원의 효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내 체육활동 시설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시행으로 예산 등이 지원됨으로써 학교의 체육활동 시설은 개
선되고 있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보더라도 초등학교
57.9% 중학교 46.0%, 고등학교 34.6%의 교사들이 학교 내 체육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고 응답하였고, 약 20% 내외의 교사들이 잘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응답을 하고 있어 실
질적으로 과거보다는 체육활동 시설의 상황이 나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6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둘째, 학교 밖에서 다른 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났다.
다양한 체육활동을 운영하게 되면서 학교 시설에서 벗어나 학교 주변의 시설과 프로그
램을 이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또한 학교대항 학교스포츠클럽대회를 진행하면서 지역적
으로 상대적 여건이 나은 학교에서 경기를 진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이 다양한
시설을 활용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경우 원
활한 스포츠 활동 체험을 위하여 주변에 잘 만들어진 체육 시설이나 환경을 이용하는 사
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에 출전하는 학생들의 대회 참가비, 스포츠용품, 유니폼 등의
지원이 늘어 학부모들의 재정적 부담을 줄여주었다.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대회참가비 이외에도 시도에 따라 상황은 차이가 있겠
지만,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스포츠클럽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교의 경우 추가적인 강사
비와 대회참가비, 그리고 장비와 유니폼을 구입할 수 있는 비용이 지급되고 있다. 이런
지원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들은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 좀 더
많은 활동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2) 정책 시행상의 문제점

첫째, 중학교나 고등학교의 경우 증가된 체육 관련 수업만큼 체육 시설이 확보되지 못해


교사와 학생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중학교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 대부분 한 학년 전부가 함
께 활동을 하는 방법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 지나치게 많은 학생이 동시에 운동장이
나 체육관에서 스포츠 활동을 하다 보니 공간이 겹치고, 경기를 하고 싶어도 비좁은 공간
에서 간이 게임 정도로 만족해야 하는 문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대도시가
더 심하며, 체육관이 없는 학교의 경우 이런 불편이 더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설문 조사에서도 학교체육활동에서 가장 필요한 시설로 교사들이 다목적 체육관이라
고 응답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의 경우 다목적 체육관에 대한 요구가 특히 높은데, 이는 운동장에서 겪
는 초등학교 여교사들의 어려움과도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학교의 경우 현대
화 운동장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은 학생들이 축구 경기 등을 많이 하게 되면서 일반 운
동장은 우천 후 운동장을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67


[그림 Ⅴ-12] 학교체육활동에서 우선 필요한 시설(학교급별) - 교사

둘째, 학교의 체육 시설이 비효율적으로 배치되어있고,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나 정책이


부재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체육관을 짓더라도 대부분 하나의 트인 공간으로 만드는 경우가 대부
분이다. 이런 공간은 대부분 한두 학급이 공간을 차지하면 더 이상의 수업을 함께하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처럼 여러 학습이 동시에 나오는
경우 수용이 더 어려워진다. 이러한 시설 배치에 대해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개선 방안
이 요구된다.
셋째,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활용하고 싶어도 지역 체육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고
학생 이동의 위험이 뒤따른다.
지역 체육 시설이 있어도 대부분 한 시간 수업으로 이루어진 체육 관련 수업시간에는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들어 실제 시설을 활용하는 활동은 매우 어렵다. 또한
방과 후에 인조잔디구장이나 수영장 등을 이용하고 싶어도 지역 주민이 활동하는 시간과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 실효성이 적고, 특히 최근 안전의 문제가 커지면서 학생들이 이동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문제도 교사들의 지역사회 체육 시설 이용을 꺼리게 만
들고 있다.

26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3)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개선 및 지원 방안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편성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잘 활용하는 학교에서는 대체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을 2


시간씩 묶어 진행한다. 또한 주로 6, 7교시나 3, 4교시에 진행함으로써 수업이 끝나고 다
음 수업 시간에 급하게 참여해야 하는 부담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한 시간으로 체육 관
련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지역사회 시설 이용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주
변의 활용 가능한 양질의 시설이 있는 경우는 수업 편성의 묘를 발휘하여 활용 효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시ㆍ도교육청이 연계하여 지역사회 체육단체와 MOU를 체결함으로서 청소년들이 시설 또


는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과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지역사회 체육단체와 MOU를 체결하여 수업뿐만 아니라 방과 후나 주말 등에 청소년


들이 친구들과 함께 스포츠 시설 및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체육 수업에서 연계 확장된 신체활동의 생활화나 평생 체육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좋
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학생들이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을 활용할 때 비용을
일부 지원하거나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보다 양질의 기회를 제공하는 지방
자치단체 또는 시ㆍ도교육청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서비스 차원에서 지역사회 체
육 시설의 위치와 활용 가능성 등을 파악하기 쉽도록 ‘ 지역사회 체육 시설 맵’ 을 제작하
여 보급하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영국의 사례(쿰베 여학교)
에서도 고등학생들이 학교 내 시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스포츠 센터 등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연계하고 있고,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는 스포츠 친화적인
태도를 기르고, 지역사회에서는 잠재적 고객 확보를 통해 평생체육으로의 체육활동 활성
화를 이끄는 효과를 내고 있었다.

학교 내 체육 시설을 학교 환경에 맞게 재설계할 필요가 있고, 지역사회 체육 시설도 학


교 인근에 지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영국의 브레튼햄 초등학교의 사례를 보면, 아스팔트 바닥 위에 ‘ 연


습 경로’ 를 그려 활용하기도 하고, 체육관 벽에 다양한 동작을 익힐 수 있는 사진을 활용

Ⅴ.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실행 효과 제고 방안 • 269


하기도 하면서 학교 내 환경을 활용하여 부족한 체육 시설을 확보하거나 효과적으로 이
용하고 있었다. 시설과 환경이 대체로 충분하지 못한 우리나라 학교 현실을 볼 때, 이와
같은 개선과 보완의 노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인근의 지역사회 시설 활용 사례를 비
롯하여 환경 활용의 아이디어가 우수한 사례에 대해서는 학교들이 서로 공유할 수 있도
록 하면서 자원 활용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

학교체육 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전담 기구의 마련과 유관기관들로 구성된


협의체 조직이 필요하다.

학교체육은 업무상 다양한 부처 또는 기관들이 연계되어 있고 서로 다른 관점으로 학


교체육을 보고 있어 자칫 혼란이나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학교체육 정
책의 여러 분야에 대하여 정책 수립, 운영 및 예산 지원 등을 효과적이고 발전적으로 하
기 위해서는 여러 기관과 단체의 협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잡한 구조에서 우리
나라에 현재 학교체육을 전담하고 있는 중심적 기구가 설치되지 않았고, 이에 이해의 충
돌 발생 시 중재와 통합, 안정적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조사했던 영국의 정책 사례에서는 정부 부처, 학교체육 관련 단체, 스포츠
단체, 교사단체 등의 다양한 학교체육 관련 단체들이 6주에 한 번씩 모여 학교체육의 중
요한 사안을 결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 학교체육 활성화’ 라는 국가적 정책 방
향에 따라 여러 세부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전담 기구와 관련 협의체의
구성이 요구된다. 더 이상 체육교과라는 하나의 교과 차원으로만 정책을 바라보기 어렵
고, 학생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의 중요한 축으로서 학교체육이 기능해야 한다는 관점
에서 조직적인 추진체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27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Ⅵ. 요약 및 제언

1. 요약
2. 정책 제언
1. 요약

본 연구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의 취지 및 추진


방향에의 적절함과 정책이 추구하는 성과 달성의 차원에서 시행 현장을 점검하고, 아울러
학교체육의 활성화 및 내실화와 관련된 실질적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정책 개선 및 지
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정책 및 교육 현장의 적용 실태를 문서
적, 실증적으로 다각적 관점에서 검토, 분석하고, 결과에서 도출된 성공적인 정책 추진 및
효과 제고를 위한 향후 정책과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먼저 연구의 주제인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에 대한 이해를 위해 우리나라 학교체육 정
책의 변천과 흐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고,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세부 내용을 고찰
하여 정책의 주요 시행 사항과 추진 방향에 대하여 개괄하였다. 정책 내용의 분석을 통해
정규 체육교육과정의 내실화와 학생 자율체육 활동 지원 강화라는 두 차원의 정책 목표
가 분류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실태 및 의견 조사를 위한 조사 틀을 구성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교육 정책 및 제도를 운영하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의 학교체육 정책 자료 수집
으로 학교체육의 정책적 배경, 학교체육 정책의 실제, 학교체육 정책의 동향 및 시사점에
초점을 두고 조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정책에서 추진하고 있는 과제들의 전반적 측면에서 시행의 실제를 보여주는
근거 자료를 수집하고, 다면의 증거에 기반 해 정책을 점검함으로써, 실질적인 정책 효과
의 제고 방안과 향후의 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책의 시행자와 수요자 양측
의 입장에 따른 정책의 현장 적용 실태와 요구 및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대상자 집
단의 특징을 고려하여 시행자 즉, 시ㆍ도교육청의 업무 담당자에 대한 면담 조사와 수요
자 즉, 교사 및 학생에 대한 설문 조사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설문 조사의 경우 학교급
별, 대상별로 관련된 질문 주제와 문항을 구별하여 총 6종의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다.
설문 조사는 17개 시ㆍ도교육청별로 유층 표집된 초등학교 150개교, 중학교 100개교,
고등학교 80개교에서 체육 지도 교사 2명, 1개 학년(초: 6학년, 중: 3학년, 고: 1학년) 1학
급의 학생에 대해 이루어졌다. 설문지에 포함된 문항을 구성한 주요 주제들은 정책 세부
목표인 체육활동 내실화, 체육 지도 역량의 강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모델 확산,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지원, 체육 활성화 프로그램 제공, 학생 체육활동 인프라 구축이며, 추가
로 정책에 대한 수요자 인식을 조사하였다. 면담 조사의 내용은 정책의 세부 내용을 반영

Ⅵ. 요약 및 제언 • 273
하되 실질적 정책 시행 업무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 확대, 초등학
교 스포츠강사 배치 지원,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고등학교 체육 시수
및 이수 단위, 학교 스포츠클럽의 운영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 조사되었다. 또한 실태 조
사와 함께 인성교육 실천, 여학생 체육 활성화, 지역사회 연계 운영 차원에서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모범 시행 사례를 수집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을 맺기 위해 조사를 통해 얻은 실증적 자료의 분석으로 도출한 정책의 효
과와 문제점에 터하여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실행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학교체육교육 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으로 다양한 학교체육 프로그램의 제공
을 통해 형성된 긍정적 효과의 지속과 향후 학생의 참여에 대한 내적 동기와 흥미의 유
발 및 지속을 위한 정책 방안의 마련을 제안하였고, 현 정책에서 효과가 미흡하다고 인식
된 지역사회 연계 정책과 여학생 체육활동 관련 정책에 대한 보완 및 실질적 현장 요구
를 조사 반영한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학교체육 프로그램별 정책 효과 제고를 위한 실행 및 지원 방안은 정규 체육과 자율체
육을 분류하여 하위 정책 내용별로 제시하였다.
정규 체육 활성화 정책에서는 첫째,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해 건
강 및 체력 향상, 참여의 즐거움, 교우 관계 개선, 학교폭력 예방과 감소에의 영향 등 신
체활동 참여의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교사 및 학생 응답에서 고루 분석되었으나 제공된
신체활동이 제한되며 개인이 희망하는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활동 공간과 시설이 부족
한 것과, 지도자 전문성 부족으로 체육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이루지 못한 문제점이 제기되
었다. 이에 따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현재 학교의
‘ 스포츠 공간 및 시설’ 의 여건에 맞는 수업 재편성에 대한 필요성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체육교과 내 수업 내용으로 편입될 필
요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10단위 6학기 수업 운영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 기회의 확대와 이로 인한 건강, 체력의 향상,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효과가 분석되었으며, 입시 위주의 고등학교 학사 운영에서의 적용의 어려움
과 시설, 공간 부족, 과목간의 차별성 없는 수업 내용에 대한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체육활동 효과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노력과 고등학생에게 적합하도록 체육 선택
과목을 재설정, 10단위를 이수의 최소 단위로 제시해야 한다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과외 자율체육 활성화 정책에서는 첫째, 비정과 시간의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제공은 자
투리 시간에 다양한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긍정적

27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인식과 신체활동량의 증가, 교우 및 부모와의 관계 발전에 도움이 되었다는 효과가 분석
되었다. 그러나 일부 형식적인 운영과 지도의 내실이 부족한 문제점이 도출되었고, 이에
대하여 비정과 시간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종류가 다양해질 것과 이 시간을 운영,
관리하는 교사에 대한 적절한 보상으로 지도 효과를 상승시킬 필요성이 있고, 운영 시간
및 제공되는 활동 종류에 따라 관리 또는 지도의 역할에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및 대회 개최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클
럽 활동을 통해 즐거움과 체력 향상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참여하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체육활동에 대한 분위기를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고, 대회 등에 참가하면서 체계적인
스포츠 활동 경험을 쌓고 경기 의례 및 예절을 배우는 계기가 된다는 긍정적 효과가 분
석되었다. 이에 반하여 대회 중심의 운영은 운동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의 참여가 제한받
고, 참여 시간을 만들지 못해 중도 포기하는 학생의 발생과 인기 종목 위주의 편성 및 지
원,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의 지나친 경쟁 중심 운영, 담당 체육교사나 장학사의 업무 과중
으로 인한 문제들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 지원하기 위하여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의 다양화와 운동 기능이 낮거나 소외된 학생들을 포함할 수 있는 참여의 즐거움을
위한 모임 성격으로 발전의 필요성, 참여 학생의 활동 결과가 상급학교 진학 시 적절히
반영될 수 있는 기준의 마련,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운영 규모와 방식의 변화와 운영 관리
주체 구성의 필요성, 담당 교사의 업무 경감을 위한 인력 지원 방안의 모색과 관련해 제
안하였다. 셋째, 여학생 체육 활성화 정책은 정책 시행에 따라 여학생의 신체활동 참여도
가 높아지고 여학생을 위한 교내외 스포츠 대회 개최 비율이 늘었으며, 여학생 학교스포
츠클럽을 개설하는 학교가 확대되고 있다는 긍정적 효과가 분석되었다. 반면 일부 여학생
의 참여에 그치고 있어 정규 체육 수업을 포함한 전반적인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
한 방안이 미흡하다는 점과,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방식이 남학생과 동일한 방식으
로 진행되고 있어 여학생에게 부적절한 면이 있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고, 이의 개선 및
지원을 위하여 여학생의 감성과 운동 능력에 적합한 스포츠 종목 보급의 확대 및 프로그
램의 개발 필요성, 여학생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체육 수업 설계의 노력, 학교마다 여학
생 스포츠클럽 신설의 의무화 및 이것이 체육 수업과 연계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인적 자원과 관련하여 정책 효과 제고 방안은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지도자의 역량 강
화 방안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는데 첫째,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 확대 정책으로 담임
교사의 지도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체육 수업의 지도가 가능해졌고, 체육전담교사의

Ⅵ. 요약 및 제언 • 275
지도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학교로서는 체육교육과정이 안정적으로 운영되
고, 기자재 등의 관리와 보전이 향상되었으며, 학교스포츠클럽이나 방과 후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가져왔고, 담임교사의 업무 경감 효과를 낳았다고 보고되었다. 반면에 소규모
학교에서의 교원 수 부족으로 인한 배치 불가와 부적절한 전담교사의 선정의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체육 수업 환경의 개선,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 체육전담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연수 방안 등의 실시를 통한 정책 개선 및 지원 안이 도출되었다. 둘
째, 스포츠강사의 지원으로 담임교사의 체육 수업 및 학교체육활동에 대한 업무 부담이
경감되고, 스포츠강사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으며, 이로 인해 체육활동에 대한 흥
미와 참여도가 증가하여 체육활동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고, 수업의 효율성도 증가되
었다는 긍정적 효과가 분석되었다. 그러나 스포츠강사 역할의 불분명과 파행적 운영, 담
임교사와의 갈등, 스포츠강사의 지위 개선 요구, 스포츠강사의 교육적 부적절성과 업무에
대한 책무성 부족 등의 문제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포츠강사
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명과 적확한 활용의 필요와, 구체적인 복무 지침 마련, 예산 및
관리와 관련한 정부차원의 지속적 지원 요구, 스포츠강사 관련 업무를 시ㆍ도교육청 담당
으로 일원화, 경력과 역량에 따라 강사의 급을 구분하여 지도 영역을 제한할 필요성을 중
심으로 개선, 지원 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물적 자원과 관련하여 정책에서 요구한 수준과 내용으로 현재 적절한 연계
방안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협력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점
이 분석되었다. 이에 지역사회 체육단체와의 MOU 체결 등으로 청소년들의 시설 및 프로
그램에 대한 활용 방안과 재정적 지원이 모색되어야 하며, 지역사회 체육 시설 파악이 용
이하도록 시설도(맵)을 제작, 보급하며, 연계를 주도할 수 있는 정부주도 및 유관 단체가
포함된 학교체육 발전 협의체‘ (가칭) 등의 조직이 필요하고, 학교체육 관련 업무를 전담
할 교육부내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개선 및 지원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2. 정책 제언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은 학교교육 현장에서 체육교과와 관련하여 시행되고 있기 때문


에 정책이 목표한 바와 같이 학교교육 및 체육교과교육의 성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향후 모색되어야 할 정책 방안에 대하여 정책의 긍정적 성과를

27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지속, 확대하는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학교교육 내에서의 체육교과교육의 개선 및 지원에
초점을 두고 제시하였다.
연구에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나타난 시행
효과를 더욱 확대하고, 시행 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측면에서 향후의 정책 방향의 설정,
시행되는 프로그램의 개선 및 지원, 인적 자원의 개선 및 지원, 물적 자원의 개선 및 지원
에 대한 지원 요청 사항이나 보완 방안을 도출하여 연구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 내용은 Ⅴ장에서 자세히 제시되었고, 결론에 터하여 본 장에서는 향후 학교체육의
활성화 및 내실화를 위한 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정책 제언은 Ⅴ장에 기술된 결론 중
정책화 할 수 있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유사한 주제를 통합하여, 각각에 요청되는 개선 및
지원 방안으로부터 필요한 정책의 방향과 세부 내용을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진의 결론 분석, 추출, 정책화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 개선 정책, 지도자 전문성 확
보 정책, 정책 운영 효율화 정책이라는 대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 세 가지 주제에 해당하
는 정책 방향을 적합한 학교급 또는 기구와 연결하여 제언할 정책이 구상되었다.

체육교육과정 개선 정책

⁍ 체육 수업 시수 내 운영 방안 확보로 정규 체육 시간 활동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신체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도모
활동의 정규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교의
체육 수업 편입
‘스포츠 공간 및 시설’ 여건에 맞는 수업 재편성

⁍ 고등학생에게 적합한 내용과 과목별 차별화된 목표를 갖도록 체육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재구조화 (체육관련 선택과목 수의 확대 개편)
교육과정 개편
⁍ 고등학교에 10단위 6학기 이수를 최소 이수단위로 규정

고등학교
⁍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 학생 활동 결과가 상급학교 진학 시 반영
학교스포츠클럽
될 수 있는 기준의 마련
활동 체계화

Ⅵ. 요약 및 제언 • 277
체육 지도자 전문성 확보 정책

⁍ 양질의 체육교육 제공 및 효과 제고를 위해 체육활동 지도 전문성을


체육 지도의
갖춘 지도자 지원
전문성 확보된
⁍ 연수, 보고, 평가 등의 실시로 체육전담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출
교사 지원
수 있는 제도를 마련

⁍ 비정과 시간의 업무, 고난도 업무 등이 포함된 다양한 체육활동 프


업무에 적절한
로그램을 운영, 관리하는 담당 교사에 대해 인센티브나 보상 체계
복무 기준 및
마련
보상 체계 마련
⁍ 체육전담교사의 업무 어려움을 고려한 복무 기준의 마련

⁍ 스포츠강사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명과 복무 지침 마련으로 적절하


강사 전문성
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확보 및 유지
⁍ 스포츠강사 자격 강화와 전문성 확보 및 유지를 위한 연수 및 교육
방안 마련
방안 마련

체육 정책 운영 효율화 정책

⁍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외 체육활동 운영을 위한 정부 및 지역청


정부 주도의
주도의 운영 전담 기구의 마련
전담 기구
⁍ 학교체육 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전담 기구의 마련과
설치, 운영
유관기관들로 구성된 협의체 조직 구성

학교체육 행정 ⁍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교사의 업무를 줄여줄 수 있는 ‘학교스포츠클


업무를 정부 럽 행정 업무’ 담당 인력의 지원
주도로 통합 ⁍ 스포츠강사 활용의 효과성 제고와 지속적이고 안정적 운영을 위해
운영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과 시ㆍ도교육청 차원의 강사 관리 방안 마련

27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앞의 세 가지 정책 주제는 다시 두 가지 정책 방향으로 귀결된다. 즉, 교육과정과 지도
자의 개선은 학교 현장의 체육교육 및 신체활동 교육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정책 운
영 효율화는 정책 운영자 입장 즉 정부 혹은 시ㆍ도교육청의 업무 담당자와 밀접하게 연
결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진은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개선 및 효과 극대화를 위해
정책 효과를 정규 교육과정 체제 안으로 투입하는 방향과 학교체육 운영의 체계화 및 통
합 관리 체제 마련에 대한 방향에 해당하는 하위 정책들을 개발, 제안하였다.

[그림 Ⅵ-1] 정책 제언의 개요

정책 방향 1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를 정규 교육과정 체제 안으로 투입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은 일반적인 보통 학교에서의 정책 시행에 따른 보편적인 효과를


도모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학교별로 변수가 많은 과외 활동이나 추가적인 교육 기회
가 아닌 누구나 이수하는 정규 교육과정 체제 내에서 효과를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향에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추출하였던 체육교육과정 개선과 지도자 전문성 개
선을 중심으로 학교급별로 시급하게 요구되는 정책 목적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제시하는 형태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Ⅵ. 요약 및 제언 • 279
[그림 Ⅵ-2] 정규 교육과정 체제로의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흡수

(1) 초등학교 : 체육활동 지도 역량의 강화

정책 방안 ■ 초등체육교사를 제도화 한다.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교사의 체육교과 지도에 대한 전문성 부족과 지도 환경의 어려움


으로 인해 많은 교사들이 체육 수업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학생들에게 양질의 체
육교육을 제공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체육전담교사의 배치
확대에 대한 정책이 시행되었고, 모든 초등학교에 1인 이상의 전담교사를 두고자 시도하
고 있다.
초등학교의 체육활동은 어떤 학교급보다 지도자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 정규 체육 수업
뿐만 아니라 자율체육의 활동이라 할지라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거나 활동을 운
영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며, 학생들의 기량 향상이나 참여 동기 등을 높이기 위한 격
려, 참여 효과의 질적 확보 등을 위하여 지도자의 다각적인 지원 활동은 필수적이다. 따
라서 체육전담교사를 비롯하여 초등학생의 체육활동을 지도, 운영하는 지도자는 학생들
의 이러한 특성에 맞도록 광범위하고 다종의 역량을 필요로 한다.

28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또한 현재 초등학교에서 체육활동 시간이 수업뿐만 아니라 아침, 점심, 방과 후 등 다
양한 시간대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는 점에서 지도자의 업무 부담은 많다. 또한 체
육활동은 시설 및 교구를 준비,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또 다른 업무가 포함된다. 학교
체육 활성화 정책의 시행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비롯해 보다 다양한 활동이 제공되
고 여러 가지 교구들이 마련되는데 활동을 할 운동장 등은 좁고 관리해야 할 교구들의
양과 종류가 만만치 않다면 체육교사에게 곤란함이 더할 것이다. 더 나아가 교내외 대회,
지역사회의 교류 확대 등은 대회를 개최하거나 혹은 참여를 위해 학생들과 함께 이동해
야 하는 어려움이 더한다.
이와 같이 초등학교 체육활동에서 지도자는 다른 과목에 비해 현실적으로 많은 부담이
있다는 것에 교사는 누구라도 동의할 것이다. 학생에게 정규 체육과 교육과정을 이수시키
고, 때때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기량을 향상시키고, 대회의 경험을 갖게 하는 모
든 것이 체육교육이나 신체활동 참여의 중요한 효과를 위해 실시되어야하기 때문에 여기
서 발생하는 지도 활동을 지도자의 업무에서 제외할 수는 없다. 따라서 체육활동을 담당
한 인력의 수와 질을 적절히 확보하여 이러한 부담을 나누어주고, 체육교육의 효과를 제
고하는 제도적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어떤 체육활동이든지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과교육 활동의 일환이라고 본다면 학
교교육의 정식 지도자인 교사가 그 역할을 감당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태 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은 체육활동에서 체육전담교사나 스포츠
강사의 전문적 지도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교사들은 체육전담교사에 대해서
는 지도의 전문성을 가장 강점으로 들고 있으나, 스포츠강사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흥미
제고 측면에의 영향력을 더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둘 다 강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학생의 교육에 바람직한 지도자로서의 적합성이나 전문성을 미루어볼 때, 초등학
교 학생 교육에 보다 적절한 전문성을 갖춘 정규 교사의 투입이 요구된다.
그러나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현재 많은 초등 교사들이 체육활동 지도를 기피하고 있고,
제도적으로 보완하고자 배치한 전담교사에는 여러 학교에서 부적절한 능력을 보이는 교
사가 담당하고 있어 이러한 잘못된 행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영국의 학교체육 정책 사례에서 영국도 역시 높
은 여교사의 비율이나 체육 지도에 자신 없어하는 교사들로 인해 초등학생들의 체육 수
업이 내실 있게 진행되지 못하는 현상이 문제가 되어 양질의 체육 수업을 제공하기 위하
여 담임교사들에게 보조 인력을 지원하는 방안과 체육전담교사를 양성하는 두 개의 방안

Ⅵ. 요약 및 제언 • 281
이 시행되고 있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정책적으로 스포츠강사를 지원하여 초등학교 체육 수업을
돕고 있으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보조 역할을 해야 하는 스포츠강사가 정식 체육 수업
에서 교사의 역할까지 담당하고 있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학생들이 교사를 보
는 시각에서 왜곡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체육전담교사나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육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연수가 지속적으로 실시되고 있지만
참여자나 참여 효과가 적고,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근본적인 혁신과 실질적 효과를 고려해
볼 때 ‘ 체육교과’ 를 전담하는, 이를 위해 체육 지도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준비해 온 교사
인력을 양성, 투입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장기적인 안목에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을 고려한다면 초등학교 체육교육을 위
하여 초등교육과 체육교육의 전문성을 고루 갖춘 ‘ 초등체육교사’ 가 요구되기 때문에 교사
양성 과정에서부터 ‘ 초등체육교육 프로그램’ 을 운영하여 이수자를 대상으로 초등체육교사
로 임용, 활용하는 체제를 마련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단기적으로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일정한 선발 기준을 통과한 교사들을 적격한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준비를 시키고 적정한 복무 관련 기준을 설정하여 각 학교에 배치하
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그림 Ⅵ-3] 초등체육 지도 역량 강화 정책 구조

28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바에 따르면 초등학교 체육 수업을 기피하고 어려워하는 이유로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제시하는 바는 체육 교수 및 실기 수행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수업
이 이루어지는 장소 및 환경으로 인한 어려움, 학생 관리와 안전에 대한 부담 및 전담교
사로서 여러 학년을 지도해야함에 따른 교재 연구의 부담, 수당 미지급 및 성과 산정에서
의 불이익(경제적 문제), 교원 평가에서의 불이익(승진 등에서의 불이익) 등이라는 것이
다. 따라서 선발 및 자격 취득 및 유지 과정의 구안이나 복무 기준을 정할 때 이러한 불
만 및 요구들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로운 교사 자격에 대한 제도이니
기준을 정하기 위해 대규모 의견 조사와 공청회 등을 거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단기 계획 현직 교사에서 선발, 운영

단기 계획은 기본적으로 초등교육에 관한 전문성을 갖춘 적절한 대상을 확보한다는 점


과 현재의 교원 수급 정책 방향에 큰 혼란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단기간의 연수 등으로 체육교육 전문성이 어느 정도 준비될 수 있는지 예측하기 어렵고,
각 학교에 체육을 전담할 교사(초등체육교사)를 적정 인원 배치한다고 할 때 교원 수급을
위한 예산 확보 등에 다소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현직 교사를 운용하는 초등체육교사 제도에서는 해당 교사의 전문성 확보와 유지에 가
장 큰 주안점을 두고 정책을 운영해야 한다는 점, 모든 학교에 배치할 수 있도록 예산과
교원 확보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 실질적으로 체육전담교사(초등체육
교사)의 배치 효과 확보를 위하여 학교평가 등에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내용으로 반
영이 요구된다는 점이 중요한 관점이라고 하겠다.

[그림 Ⅵ-4] 현직 교사 활용 초등체육교사 선발, 운영 안의 개요

현직 교사에서 선발, 운영하기 위한 기본 (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Ⅵ. 요약 및 제언 • 283
<표 Ⅵ-1> 현직 교사에서 초등체육교사 선발, 운영 안18)

1. 선발 기준

가. 기본 자격요건 : 체육교육에 관심이 있는 교사


교육대학교 체육 심화과정 이수자, 초등체육 관련 대학원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체육 담당 부장 또는 전담교사 경력자, 체육과 관련 시ㆍ도교육청 현장연구대회
입상자 우대(면접 심사 생략)

나. 최종 자격 취득을 위한 과정
- 서류 및 면접 심사
- 자격 연수 실시
초등체육교사 직무 연수 80시간 이수
* 연수 분야 :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이해, 초등학생의 신체 및 운동발달, 초
등학교 체육 교수·학습 방법, 내용 영역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실습 포함),
체육 교재 연구(실습 포함), 학교체육 정책의 이해, 보건 및 안전 교육(실습 포
함), 신체활동의 과학적 원리, 스포츠 지도법(실습 포함) 등
※ 최종 자격 취득 후 체육 수업 전문성 향상 및 유지를 위해 매년 정기적인 체육
직무 연수 30시간 이상 이수 의무화
- 연수 출석률 및 평가 결과의 일정 수준 달성
- 자격 취득

2. 복무 기준

가. 복무 조건 :
- 주당 수업 시수 최대 16시간 초과 금지
- 초등학생의 인성·생활 지도를 위한 담임교사와 교과통합 지도(담임교사 주당 1시간,
전담교사 주당 2시간 배정)19)
- 소규모 학교에서는 타교과 지도를 병행하거나 여러 학교를 대상으로 순환 교사 근무
가능

나. 인센티브
- 인사 전보 우선권(다른 기관 전보 유예)
- 수업 외 업무 경감 : 체육관련 업무 외에 담당 금지
- 학기 중 체육관련 직무 연수 참여 기회 보장
- 승진 가산점 부여(*구체적 (안) 생략) : 고난도 업무 가산점 제공

18) 장용규 외(2013)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관한 연구’에서 제안한 안을 기초로 하여 작성

28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3. 기타

- 시ㆍ도교육청 및 학교평가 항목에 반영 : 전담교사 활동 보고 자료 및 현장 평가


- 전담교사 미배치 학교에 강사 운영비 지원
- 각 학교에서는 고학년부터 우선 배치
- 자격 취득 및 재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비 지원(연수 후 의무 복무 차원)
- 교육 예산 확보를 고려하여 교육부와 시ㆍ도교육청 차원에서 교원 배치 안 마련

장기 계획 초등체육교사 양성 및 선발 체제 수립

장기 계획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지속적·안정적으로 초등학교의 체육을 전담할 교사


수급이 가능하고 체계적으로 전문성을 갖춘 적절한 대상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
다. 그러나 교육대학의 양성 과정이나 임용 시험의 선발 과정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
고, 다른 교과의 전담교사 양성에 대한 반발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
므로 설계 단계에서부터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준비될 필요가 있다.
이 계획에서는 각 교육대학에서 체육전담을 위한 교사를 양성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
을 마련하고, 임용 시험 과정에서 공정하고 타당한 선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한 관
점이라고 하겠다.

[그림 Ⅵ-5] 초등체육교사 양성 및 선발 체제 안의 개요

19) 장용규 외(2013)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관한 연구’ 참조

Ⅵ. 요약 및 제언 • 285
장기적으로 ‘ 초등체육교사’ 양성 및 선발 체제를 수립하기 위한 기본 (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 Ⅵ-2> 초등체육교사 양성 및 선발 체제에 의한 운영 안20)

1. 선발 기준

가. 자격요건 : 초등학교 2급 정교사 이상의 자격 소지자로서 예비교사 과정에서 초등


학교 체육전담교사 프로그램을 이수한 자를 ‘ 신규 초등체육교사’ 로 선발
※ 장기적으로 인턴십(교생 실습의 확대) 과정 이수 방안 모색

나. 선발 방법
- 초등학교 교사 선발 1차 시험 실시(지원 구분)
- 초등학교 교사 선발 2차 시험에서 초등체육교사 과정으로 시험 실시
시험 과목 : 교직적성 심층 면접/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수업 실연(체육)
체육 수업 지도에 대한 지식과 수업 지도 능력에 대한 검증
- 합격자 결정 : 초등교사 선발 시험과 동일한 평가 방법으로 합격자 결정
- 초등체육교사 직무 연수 80시간 이수
* 연수 분야 :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이해, 초등학생의 신체 및 운동발달, 초등
학교 체육 교수·학습 방법, 내용 영역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실습 포함), 체
육 교재 연구(실습 포함), 학교체육 정책의 이해, 보건 및 안전 교육(실습 포함),
신체활동의 과학적 원리, 스포츠 지도법(실습 포함) 등
※ 최종 자격 취득 후 체육 수업 전문성 향상 및 유지를 위해 매년 정기적인 체육
직무 연수 30시간 이상 이수 의무화
- 자격 취득

2. 복무 기준

가. 복무 조건
- 기본 안은 단기 계획과 동일
- ‘ 초등체육교사’ 로 9년간 의무 복무(교대 재학 기간 + 한 학교 근무기간 5년)
- 의무 복무 기간 종료 후 본인 희망에 의해 일정한 연수(90시간 이상의 출석 연수)를
이수하여 담임교사로 전환 가능

20) 장용규 외(2013)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에 관한 연구’에서 제안한 안을 기초로 하여 작성

28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나. 인센티브
- 인사 전보 우선권(다른 기관 전보 유예)
- 수업 외 업무 경감 : 체육관련 업무 외에 담당 금지
- 학기 중 체육관련 직무 연수 참여 기회 보장
- 의무 복무 기간이 끝나면 승진 가산점 부여(*구체적 (안) 생략)

3. 기타

- 선발을 통해 부족한 체육교사(체육교과전담)는 단기 계획에 의한 현직 교사 활용


방안으로 대체
- 이 외에 다른 내용은 단기 계획과 동일

(2) 중학교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실질적 제고 및 확산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체육교과의 정규 수업으로 편입한다.


정책 방안
(시수 확보 및 교육과정에 포함)

신체활동이나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긍정적인 발달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교


육적으로 효과를 낼 수 있는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그에 알맞은 특정한 교수 전략과 주
도면밀한 실행 계획에 따라 실시되어야 한다(이재용, 2013).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을 통해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발달과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반드시 적절한 운영 방법
이 제시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지도자의 전문성과 열의가 주요한 열쇠가 될 것이며, 제공
되는 프로그램, 즉 활동 내용의 특성이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림 Ⅵ-6] 학교스포츠클럽의 정규 수업 편입 효과

Ⅵ. 요약 및 제언 • 287
교육적 효과 창출을 위한 지도교사의 전문성 확보
학교스포츠클럽을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포함시키면서 정부에서 학교교육 내에서 학생
들에게 신체활동 참여의 기회를 확대시켜 주었다. 따라서 참여에 대한 구조적 여건이 마
련된 가운데 이제는 실질적으로 교육적 효과의 창출을 위한 개선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교육적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이를 지도하는 교사들이 해당 활
동의 목적에 맞는 교육적 활동을 구현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학교스포츠클
럽 활동이 체육활동이기 때문에 먼저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체육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할 것이고, 스포츠에 대한 기능적, 지식적, 교수적 전문성이 요구된다. 즉, 교육자로서
의 전문성과 스포츠 활동에 대한 전문인으로서의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어떤 형태이던지 스포츠클럽으로서의 활동이기 때문에 운동기능
내용도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다루는 신체활동 보다 심화될 수 있고, 스포츠를
조직화하여 즐기는 체험으로 이어져야하기 때문에 보다 더 스포츠 전문성이 필요한 활동
이다.
지도 교사가 관심과 열정을 보이는 교육은 학생들에게 참여 동기와 적극성을 유발시키
며, 인성 발달이나 체육활동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체육
교사는 자신의 전공 분야이기 때문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지도 상황에서 어떤 교사나
강사보다도 열의와 책무성을 갖고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일반 교사가 담당해 지도
하면서 전문성이나 지도에 대한 책무성에 가장 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
반 교사들은 체육 수업에 필요한 상규적 활동(복장, 준비운동, 학습자 관리 등)을 제대로
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형성이나 실제 스포츠에 참여
하면서 학습해야 할 기본적인 내용들이 지도되지 않고 혼란한 수업 분위기를 야기하고
있다.21) 이 경우처럼 체육활동을 반드시 체육의 전문성을 갖춘 지도자가 담당해야 한다
는 것은 운동기능 측면과 더불어 안전과 질서, 태도의 학습 측면에서도 중요한 원리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학생들은 체육 수업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성격 구분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서로 다른 지도자나 수업 환경으로 인해 혼란하고
있으며, 자유롭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보다 오히

21) 본 연구 과제에서 실시한 워크숍(‘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시행 실태 분석에 대한 결과 보고 워크숍’,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4-80)의 윤현수의 토론 내용 참조

28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려 학습에서 보다 몰입이 요구되는 체육 수업에 대하여 부정적 태도를 갖는 부적절한 현
상이 발생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긍정적 효과들을 정규 체육 수업으로 포함
한다면 당연히 지도자 역시 전문성을 갖춘 지도자를 만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창의적 체
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을 정규 체육 수업으로 확대 운영해야 한다는 논리를 제기한다.
물론 교사 수급을 위한 선발 및 예산상의 문제가 제기될 것이나 효과가 담보된 양질의
교육을 평등하게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제도적인 지원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실질적
으로는 전문성의 집약으로 수당으로 소비되는 현재보다 예산 절감이 될 가능성이 높다.

두 가지 교육 프로그램의 상승효과를 위한 정규 체육교육과정 내 통합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앞서 정책 분석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육교육 효과와 함께
인성교육 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 목표로 시행되었다. 즉, 다양한 신체활동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신체활동이나 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일상의 여가 및 건강관리
활동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하는 발판을 마련함과 동시에 학교폭력 감소나 활기찬 학교
분위기 조성 등과 같은 인성교육의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이 두 가지의 교육 효과는 신체활동을 제공하고 신체활동 참여에 노출한다고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이 다양한 신체활동 체험의 기회를 얻고, 활동의 즐거움을
느끼도록 적절히 고안된 방법과 내용으로 지도하며, 활동을 통해 신체활동이나 스포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고, 일상 및 평생 체육으로 연계하고자 하는 동기를 갖도록 유도하
는 교사의 역할이 제시되어야 함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신체활동
이 단지 학생들의 정서 해소의 장으로 끝나는 활동이라면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활동 및 수업은 유목적적인 교육 효과를 꾀하여야 하며 이를 위
해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신체활동이 보다 내실화 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는 근본
적으로 체육활동 및 체육 수업의 내실화를 바탕으로 보다 풍부한 체육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해당 수업이 ‘ 여가 활동 시
간’ 이나 ‘ 스포츠 훈련 시간’ 이 아니기 때문에 활동에 관련된 신체 및 정서 발달의 긍정적
효과를 추출하여 효과 제고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동이 프로그램화 되어 운영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체육과 교육과정에 의한 체육 수업에서 달성하지 못하거나 제공
할 수 없는 측면의 내용과 방법으로 또 다른 양질의 교육 효과를 추구할 수 있다는 기대
를 낳는다. 따라서 체육활동을 다루는 학교교육 내용의 측면에서 연계, 통합이 필요하다.

Ⅵ. 요약 및 제언 • 289
정규 체육 수업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통합은 신체적 발달, 운동
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인지적, 정서적 가치까지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필수적인 것은 두 종류의 수업의 긍정적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에게 제
공할 학습 프로그램에 담긴 교사의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교육적 조치이고, 활동이다. 체
육과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두 종류의 체육활동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내용적으
로 새로운 영역 혹은 학습 요소를 추가하거나 교수·학습 방법적으로 영역별 교수·학습
운영 또는 지도 방안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정규 체육 수업으로의 통합은 공간과 시설의 부족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목적을 달성하
기에 어려운 환경이라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하다. 현재 창의적 체험활
동을 해당 학년 전체 학생이 모두 같은 시간에 활동하도록 운영하여 나타났던 문제를 정
규 체육과 수업으로 통합해 학년 초 시간표 구성 때 충돌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공간
및 시설 사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고, 현재 창의적 체험활동과 체육 수업의 양쪽에서
요구되는 용·기구의 사용에 대한 예산 중복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환경 개선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고등학교 : 신체활동의 참여 습관화와 평생체육의 연계 가능성을 높이도록 체육교과


교육 개선

■ 체육교과 10단위 6학기 운영을 지속한다(최소 단위로 규정).


정책 방안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활성화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한다.

10단위 6학기 운영의 지속


본 연구에서 시행한 실태 조사 결과, 고등학교 체육 수업의 10단위 6학기 이수에 대하
여 학생이나 교사들은 규칙적인 신체활동 기회 확대로 인한 건강 및 체력의 향상과 스트
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었다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효과의 지속과
교육적 의미 확대를 위해 즉, 일상에서 신체활동 참여의 습관화와 평생체육의 연계 교육
을 위해서 고등학교에서는 10단위 이상 6학기 편성 의무를 지속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아
울러 이 정책 효과의 제고를 위해 고등학교 체육 수업은 집중이수제 형태로 운영되어서
는 안 되며, 편성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교육 내용이 풍부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학교교
육과정 운영에 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 학교체육 개선을 위한 정책으로 제시되었던
최소 단위로서 10단위 이수에 대한 부분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반드시 명시하도

29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록 해야 한다. 학교 재량에 의해 체육 시수를 10단위 이상 확대할 수 있는 상황이 실제
많이 나타나고 있는바 최소 단위수로 10단위를 지정해야 오히려 축소되는 역효과를 막을
수 있다.
또한, 10단위 운영과 6학기 수업을 위하여 교육과정에서 차별화된 4개 이상의 체육 선
택과목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현재 체육 교과는 3개 선택과목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6
학기 즉 3개년 간 운영한다고 했을 때 선택이라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다. 따라서 체육 교과의 선택과목이 4개 이상 구성되어야 하며, 각 과목은 차별화된 목표
와 내용을 갖도록 하여 선택하는데 혼란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과목들은 고등학교 시
기와 학생들의 요구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하여 학습 몰입도와 효과를 높이며, 각 과목
에서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 선택의 장점을 살리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더불어 1학
년 과정에는 선택적 내용보다 초, 중학교 과정과 연계, 종합하는 체육교육 내용을 고루
접할 수 있는 ‘ 체육’ 과목으로 신설하여 각 학교가 어느 정도 기본적인 소양 교육을 동일
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확보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림 Ⅵ-7] 고등학교 체육교육과정 개선 방안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활성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학교급은 고등학교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고등학생 수준 정도에서는 스스로 클럽을 운영할 수 있는 자력의 힘이 있기 때문
에 체육 수업에서 시작된 스포츠클럽 활동은 지도자 없이도 운영 가능하며, 방과 후 및
휴일 등의 여가 활동과 이어지는 상설 동아리화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활
동은 학교를 졸업하고 평생체육활동으로 연계하는 데 기반이 되며, 학생들에게 신체활동

Ⅵ. 요약 및 제언 • 291
참여 습관화와 건강한 생활 습관을 기르도록 하는 매우 현실적인 기초 역할을 할 수 있
다. 현재 초, 중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던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들어가 운영되지
않는 까닭에 중단하게 되는 경우가 잦다(오대균, 2014). 정책에서 의도하는 바가 학생들의
꾸준한 참여를 목표로 하는 운영이라면 고등학교에서도 중학교 수준 정도로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스포츠클럽과 관련하여 대회 출전 등의 활동 참여 결과는 입학사정관제 등에 활용
하여 학생들의 풍부한 교육 경험으로 제시될 수 있다. 대학에서도 점차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 선발을 위한 자료를 고려하고 있으며 이에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경력들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 창의력, 인성 등을 확인하고 해당 학생의 전인적 성장에 대하여 심사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기 때문에 학교스포츠클럽은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고등학교에서는 특히 강사나 자원 등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지원하는 것이 적절하다.
잠재적 고객의 확보를 위해서도 지역사회의 협력이 보다 순조로울 수 있으며, 실제 본 연
구에서 조사한 영국의 고등학교급 체육 운영 사례에서도 이러한 이유로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 있었다.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의 참여 동기를 높이기 위하여 체육 과목 또는 내용의
일부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유사한 형식으로 제시함으로 체육 수업에서부터 체육활동
에의 흥미와 관심을 높이고 학교스포츠클럽과 같은 활동의 필요성을 느끼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더 나아가 일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고, 향후 지속적인 클럽
활동이나 대회 참여 등에 대한 관심을 이끌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정책 방향 2 학교체육 정책 운영의 체계화 및 효율화를 위한 통합 관리 체제 운영

(1) 체계화 : 정부 주도의 학교체육 전담 기구 운영으로 정책 안정화 및 체계화

■ 정부 부처와 유관단체로 협의체를 구성하고 운영 주체로 ‘학교체육 전담


정책 방안
기구’를 설치한다.

학교체육에 관련된 안건들은 여러 입장이 포함될 수 있어 관련 기관 간의 협력이 요구


된다. 우리나라에서 학교체육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의 분산된 부처에서 정책 운영
업무를 담당, 주관하고 있다. 정책의 안정적인 시행과 발전적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운영

29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과 재원의 확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기에 각 부처나 기관은 각각 요구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학교체육과 관련하여 주무행정기관은 교육부의 인성체육예술교육과라고
할 수 있지만,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여성부 등 여러 부처의 관련 협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한체육회나 산하 경기연맹, 국민생활체육협의회 등과 같은 체육계와
한국교원총연합회나 전국체육교사협의회 등의 교사 단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나 한국
스포츠개발원 등의 체육 연구 기관 및 관련 학회도 각자의 위치에서 학교체육의 활성화
나 교육 효과 제고를 위한 협의체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시행령으로 제정된 ‘ 학교체육 진흥법’ 에서 학교체육에 관한 협의체로 ‘ 학교체육진
흥원’ 을 조직,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교육부에서 간헐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학교
체육진흥중앙위원회 외에 학교체육을 활성화하고 지원하기 위한 상시 조직체는 구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시행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교체육진훙원과 같은 상시적이고 체계적인
학교체육 전담 기구가 마련되어 구체적인 정책 운영, 프로그램 운영, 예산 확보 및 사용
등에서 보다 효율적인 정책 운영이 필요하다.
앞서 본 연구 과정에서 외국의 학교체육 정책에 대해 조사, 분석한 바에 따르면 미국에
서는 교육부라는 구심점을 두고 체육학회(NASPE), 건강인적자원부, 질병예방관리센터
(CDC), 주요 스포츠 단체, 교사협회 등 공공기관 및 사립 단체에서 프로그램별로 내용 및
목적에 관련된 재정과 운영 지원을 하고 있다. 운영하고 있는 정책에 최대한 많은 사람들
의 참여와 프로그램 효과를 내기 위해서 교육부 중심의 학교체육이라는 정책 주제 하에
여러 유관기관와의 협력을 넓혀가는 추세인 것이다. 일본도 문부과학성 내에 스포츠·청
소년국을 두고 스포츠 진흥, 학교 보건교육의 충실, 건전한 청소년 육성책 차원에서 학교
체육과 스포츠 정책이 통합된 효율적 관리 체제를 개설하고 있다. 영국은 학교체육의 활
성화와 긍정적 성과 도출을 위하여 교육부를 비롯한 3개의 관련 정부 부처와 Youth
Sport Trust(YST), afPE(Association of Phsical Education) 등의 다양한 기관(체육교육
단체, 스포츠 단체, 교사 및 체육교육 전문가 등)들이 협력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각각은 단체의 성격에 맞는 역할로 정책 수립, 운영 지원, 예산 지원 등 학교체육의 발전
을 위하여 정기적인 협의와 조직적인 참여를 한다.
이러한 외국의 사례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서도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체육 관련
기관이 통합된 협의체의 구성 및 지속적이고 안정적 운영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이러한 협의체를 주도적으로 조직, 관리를 할 수 있는 정부 중심의 체육전담 기구가
설치되어야 한다.

Ⅵ. 요약 및 제언 • 293
<표 Ⅵ-3> 학교체육 진흥법 내의 학교체육 전담 기구 관련 언급 내용

학교체육 진흥법
[시행 2013.3.23.] [법률 제11690호, 2013.3.23., 타법개정]

제1조(목적) 이 법은 학생의 체육활동 강화 및 학교운동부 육성 등 학교체육 활성화에 필요한 사항


을 정함으로써 학생들이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신체와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8. "학교체육진흥원"이란 학교체육 진흥을 위한 연구, 정책개발, 연수 등을 실시하는 조직을 말한다.

제16조(학교체육진흥위원회 등) ① 학교체육 진흥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교육부장


관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소속으로 학교체육진흥중앙위원회를, 시·도 및 시·도교육청과 시·
군·구 및 교육지원청 소속으로 학교체육진흥지역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개정
2013.3.23.>

② 학교체육진흥중앙위원회 및 학교체육진흥지역위원회는 직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 공


무원 또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있는 관계 전문가를 참석하게 하여 의견을 듣거나 관련 기
관·단체 등에 자료 또는 의견 제출 등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③ 학교체육진흥중앙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학교체육진흥지역위


원회의 구성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해당 시·도의 조례로 정한다.

제17조(학교체육진흥원) ① 학교체육 진흥을 위한 다음 각 호의 사업과 활동을 위하여 교육부장관


소속으로 학교체육진흥원을 설립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1. 학교체육 진흥을 위한 정책연구


2.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3. 학생 체력통계의 체계적 수집 및 분석
4. 제8조에 따른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종목·평가기준 및 시스템 개발·운영
5. 그 밖에 학교체육 진흥에 필요한 사항

② 제1항에 따른 학교체육진흥원의 구성·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18조(지역사회와 협력) 학교의 장은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지역의 관계 기관


또는 관계 단체의 장에게 협력을 요청할 수 있다.

29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학교체육은 각 부처 또는 기관들의 이해관계와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실행
될 수 있어 학교 현장의 지도자들이 혼란을 경험하거나 큰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도 있
다. 따라서 “ 학교교육 내의 체육교육” 이 근간이 되도록 교육부가 중심이 되어 부내에 ‘ 학
교체육 전담 기구’ 를 두고 학교체육의 제반 정책 시행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현재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는 영국에서 때로
는 체육교육 단체와 스포츠 단체 간의 견해 차이로 협의체 내에서도 단일한 정책 수립
및 시행 방안을 정하기 위한 충분한 논의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영
국은 중심을 교육부에 두고 협의체를 운영함으로써 학교교육에서의 체육교육 활성화의
입장을 주지하고 있다.

[그림 Ⅵ-8] 학교체육 전담 기구 구성

현 정부에서 학교체육에 기대하고 있는 바는 하나의 교과 교육인 체육교육 역할 이상


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이를 전적으로 담당하는 ‘ 학교체육 전담 기구’ 를 설치하여
정책 운영상의 혼란을 줄이고 정책 시행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 학교체육 전담 기구’ 의 주도 하에 정기적으로 각종 유관 단체들
로 구성된 학교체육에 관한 협의체 즉 ‘ 학교체육진흥원’ 또는 ‘ 학교체육발전협의체(가칭)’
등과의 회의를 마련하여 학교체육 정책 방향 및 운영 방안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기 위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통합 관리 체제를 마련하는 것은 학교체육 활성화와
효과 제고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Ⅵ. 요약 및 제언 • 295
(2) 효율화 : 정책 시행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통합 운영 센터 설치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프로그램,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전반적 운영을


정책 방안
통합 관리하는 ‘학교스포츠클럽 통합 운영 센터’를 설치, 운영한다.

정부 차원에서 각 지역의 시도교육청 차원으로 발전된 전담 기구 또는 협의체는 정부


가 추진하고 있는 세부 정책에 대한 실제적인 운영 관리와 지원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서 조사한 영국 사례에서처럼 스포츠 파트너십 제도와 같은 성격의 기구는 우리나라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통합적, 체계적 운영 관리 체제로 벤치마킹한다면 충분한 효
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학교스포츠클럽 통합 운영 센터(가칭)’ 를 마련하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교내 리그
지원, 학교스포츠클럽 교외 리그 주관, 학교스포츠클럽 및 학교자율체육활동을 위한 프로
그램 개발과 보급, 비인기 스포츠클럽(여학생, 비인기 종목 등)의 관리 지원, 우수 학교스
포츠클럽에 대한 보호(예 : 5년 이상 지속된 전통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은 해체되지 않도
록 교육청 차원에서 보호, 지원하여 전통의 명맥을 계승함 등)와 같은 여러 학교의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통합 관리나 통합 및 연계 운영이 요구되는 지원 활동을 하도록
한다. 또한 스포츠강사 등의 학교체육활동 보조 인력들에 대한 선발과 관리를 주관하여
부적절한 강사 활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
을 위한 다양한 강사 풀을 구성해 학교에 소개 및 연결하고, 시설과 장비가 풍부한 학교
를 해당 스포츠 활동의 거점, 중점 학교로 운영해 인근 학교의 학생들까지 참여할 수 있
도록 연계 운영을 주도함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운영 방식을 개선하고, 운영
자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전담 조직의 역할을 함으로써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효율
이 매우 높일 수 있다.

[그림 Ⅵ-9] 학교스포츠클럽 통합 운영 센터 업무 구조

29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정책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시행과 더불어 정부에서부터 학교
현장까지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보다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
가 크다고 할 수 있다.

Ⅵ. 요약 및 제언 • 297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08). 학교체육 활성화 사업 관련 주요 현황. 내부 보고 자료(2008. 12.)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학교체육 주요 업무 계획 업무 보고 자료집. 내부 보고 자료
(2009. 2.)
교육과학기술부(2010). 고2, 3학년 체육교과 선택 현황. 교육과학기술부 내부 자료(2010.
5. 7.).
교육과학기술부(2011a).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지정 확대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내부 자
료(2011. 7. 8.).
교육과학기술부(2011b). 시·도교육청 체육담당 과장 회의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내부 자
료(2011. 7. 1.).
교육과학기술부(2012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2012. 7. 9.).
교육과학기술부(2012b).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12. 2. 6.)
교육과학기술부(2012c). 2012년도 학교체육 주요 업무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내부 자료
(2012. 2. 15.).
교육과학기술부(2012d). 시ㆍ도교육청 체육담당 과장 회의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내부 자
료(2012. 8. 16.).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2008). 문화예술·체육교육 활성화 추진 계획. 교육과학
기술부 내부 자료(2008. 10. 15.).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2009). 2009년도 스포츠강사 지원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보고 자료(2009. 2.)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2010). 초·중등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내부 자료(2010. 9. 30.).
교육부(2013a). 2013년도 학교체육 주요 업무 계획. 교육부 내부 자료(2013. 2. 25.).
교육부(2013b).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 교육부 내부 자료(2013. 11. 1.).
교육부(2013c). 2012년 초·중·고 탈의실 현황. 교육부 내부 자료(2013. 3. 26.).
교육부(2013d).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운영 매뉴얼. 교육부 내부 자료(2013. 4. 9.).
교육부(2013e).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매뉴얼. 교육부 내부 자료(2013. 4. 23.).
교육부(2013f).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교육부 내부 자료(2013. 4. 30.).
교육부(2013g).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 계획. 교육부 내부 자료(2013. 11. 1.).

참고문헌 • 299
교육부(2014a). 2014년도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치 현황. 교육부 내부 자료(2014. 4. 17.).
교육부(2014b). 2014년도 학교체육 주요 업무계획. 교육부 내부 자료(2014. 2. 28.).
문부과학성(2008). 일본의 문교시책. 문부과학성.
문부과학성(2011). Web. 유치원교육요령, 소·중학교학습지도요령개정. 2014년 6월 14일
인용.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ation/micro_detail/__icsFiles
/afieldfile/2011/03/30/1234773_001.pdf>
문부과학성(2011). Web. 스포츠기본법. 2014년 5월 20일 인용. <http://www.mext.go.jp/
a_menu/sports/kihonhou/index.htm?utm_source=twitterfeed&utm_medium=twitter>
문부과학성(2012). Web. 스포츠기본계획. 2014년 5월 20일 인용. <http://www.mext.go.jp/
a_menu/sports/plan/>
문부과학성(2013). 運動部活動の在り方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 . 2014년 8월 1일 인용.
<http://www.mext.go.jp/a_menu/sports/jyujitsu/__icsFiles/afieldfile/2013/05/27/133
5529_1.pdf>
문부과학성(2014a). 平成25年度 全国体力·運動能力、運動習慣等調査結果. 2014년 7월 4
일 인용.
<http://www.mext.go.jp/a_menu/sports/kodomo/zencyo/1266482.htm>,
<http://www.recreation.or.jp/kodomo/index.html>
문부과학성(2014b). 総合型地域スポーツクラブ. 2014년 7월 10일 인용
<http://www.mext.go.jp/a_menu/sports/club/index.htm>
문부과학성(2014c). 教員の資質向上方策の見直し及び教員免許更新制の効果検証に係る調
査. Retrieved 2014, 6, 9, from http://www.mext.go.jp/a_menu/01_h.htm
문화관광부(2005). 2004 체육백서. 문화관광부 체육국.
문화체육관광부(2010). 2009 체육백서.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
문화체육관광부(2010). 2010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내부 자료
(2010. 12. 31.).
문화체육관광부(2011). 2010 체육백서.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2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내부 자료
(2012. 12. 31.).
문화체육관광부(2013). 2012 체육백서.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
반종빈(2009. 10. 14.). 초중고생 약골화, 체력 저등급 매년 증가. 연합뉴스, p. 1.
서지영, 김기철, 김대진, 조미혜, 장용규, 김병준, 김윤희, 신기철, 김택천, 김갑철, 허창혁
(2011). 2011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30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CRC2011-10
안양옥(2005). 한국체육의 지향과 초등체육의 역할. 한국체육정책학회 춘계학술세미나 자
료집, pp1-17.
안양옥(2009). 학교체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2009 학교체육진흥세미나 자료집, pp3-33.
양윤정, 김기철, 장근주(2012). 체육, 음악, 미술 교과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계에 관한 국제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2012
오대균(2014).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운영 개선을 위한 중학교 우수 사례 질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수진(2011). 미국의 최신 건강중심 체육교육수업의 소개.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
12권 3호. pp101-109.
이재용(2013). 체육과 스포츠를 통한 인성교육. 제5회 체육교육한마당 자료집. pp.19-36,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일본체육협회(2014). スポーツ少年団. 2014년 8월 1일 인용. <http://www.japan-sports.or.jp/
club/tabid/66/Default.aspx>
장용규, 안양옥, 류태호, 임종은, 최범규, 권민혁, 박상봉(2013).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 배
치에 관한 연구. 교육부 위탁 연구. 서울 : 교육정책연구소.
정현우·박정준·최의창(2013). 영국 “ 학교스포츠파트너십” 성과 분석을 통한 학교체육정
책 개발 및 실행의 실제적 시사점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2), pp2-9.
조영달(2007). 미래교육 변화와 중등교육. 학지사.
최철호(2010). 일본 스포츠 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1).
pp251-274.
허현미, 김택천, 한태룡, 김기철(2014).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레인보우북스.
Bestandserhebung(2011). Frankfurt am Mein.
Devito, J. A. (2004).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ook. Boston, MA : Person
Education.
Division of Adolescent & School Health,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 Health Promotion (2011). School health guidelines to promote
health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2014년 4월 7일 인용.
<http://www.cdc.gov/mmwr/
preview/mmwrhtml/rr6005a1.htm?s_cid=rr6005a1_w>
Deutscher Sportbund(2009). DSB-Sprint-Studie - Sportunterricht in Deutschland; Eine

참고문헌 • 301
Untersuchung zur Situation des Schulsports in Deutschland. Meyer und Meyer,
Aachen
Deutsche Olympische Sportbund(2014). Frankfurt am Mein.
DOSB, DSLV & dvs(2009). Memorandum on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Sports,
Frankfurt am Mein
Flintoff, A.(2003). The school sport co-ordinator programme : changing role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Sport, Education and Society, 8(2), 231-250.
Flintoff, A., Foster, R., Wystawnoha, S.(2011). Promoting and sustaining high quality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sport through school partnership. European
Physica Education Review, 17(3), 341-351.
Houlihan, B.(2000). Sporting excellence, schools and posts development : the politics of
crowded policy spaces. European Physica Education Review, 6(2), 171-193.
http://www.afpe.org.uk/ 검색일자 : 2014. 7. 14.
http://www.brettenhamprimaryschool.co.uk/ 검색일자 : 2014. 7. 15.
http://www.coombegirlsschool.org/sportingclubs 검색일자 : 2014. 7. 16.
http://www.kmk.org 검색일자 : 2014. 7. 5.
http://www.youthsporttrust.org/how-we-can-help.aspx 검색일자 : 2014. 7. 20.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national-curriculum-in-england-physical-
education-programmes-of-study/national-curriculum-in-england-physical-educati
on-programmes-of-study 검색일자 : 2014. 7. 20.
http://www.physicalactivityplan.org/theplan.php, 검색일자 : 2014. 10. 20.
http://kess.kedi.re.kr/index 교육통계 서비스, 검색일자 : 2014. 10. 20.
Jugent Trainiert Fuer Olympia[JTFO] (2014). Web. available at : (accessed10 April
2014)
MFKJKS North Rhine-Westphalia(2014). Bewegung, Spiel und Sport im Ganztag,
viewed 20 July 2014 <http://www.mfkjks.nrw.de/sport/bewegung-spiel-und-sport
-im-ganztag/>
Ministerin für Schule und Weiterbildung(2014). Wissenschaft und Forschung des
Landes Nordrhein-Westfalen : Richtlinien und Lehrpläne für die Sekundarstufe
II - Gymnasium / Gesamtschulein Nordrhein-Westfalen - Sport
Ministerium fuer Kultus, Jugend und Sport Baden-Wuerttemberg(2013). Vorgaben zu
den unterrichtlichen Voraussetzungen für die schriftlichen Prüfungen im Abitur

30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in der gymnasialen Oberstufe im Jahr 2014 Leitfaden Baden-Württemberg
MinisteriuM für Kultus, Jugend und sport für die gymnasiale Oberstufe zur
Weiterentwicklung des Schulsports
National Physical Activity Plan(2014). Web. 2014년 8월 20일 인용.
<http://www.physicalactivityplan.org/reportcard/NationalReportCard_longform_fin
al%20for%20web.pdf>
Naul, R., Hardman,Ken. (2002).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in Germany, Psychology
Presss
Naul, R. & Völz, C. (2005). Bewegung, Spiel und Sport im Ganztag : pädagogische
Ansprüche zwischen Schulsport und Kinder- und Jugendhilfe. In A. Gogoll &
A. Menze-Sonneck (Hrsg.), Qualität im Schulsport. Hamburg : Czwalina
Naul, R. (2005). Bewegung, Spiel und Sport in offenen Ganztagsschulen.
Sportunterricht, 54 (3), 68-72; Zimmer, U., 2005, Gemeinschaftsgrundschule Brake
- Beispiel einer offenen Ganztagsschule. Sportunterricht, 54 (3), 78-82.
Naul, R. (2005b). Bewegung, Spiel und Sport in offenen Ganztagsschulen,
Sportunterricht, Schorndorf
Nutrition & Physical Activity Plan(2008). Web. 2014년 8월 20일 인용.
<http://depts.washington.edu/waaction/plan/NutritionPhysicalActivityStatePlan.pdf
>
Ofsted(2011). Web. 24 Jun 2011. School Sport Partnerships. 2014년 5월 21일 인용.
<http://www.ofsted.gov.uk/resources/school-sport-partnerships-1>

참고문헌 • 303
ABSTRAC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Invigorating Policy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Seo, Ji Young
Yu, Chang 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the purpose and progress direction's
outcome of 'effectiveness of invigorating policy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in
the implementation field. Also, it is intended to derive improved policy and support
measures which can be derived a substantial effects associated with invigorating and
substantial effect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different kinds of methods to analyze and examine policies and realities in
the education field. In addition,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s to adjust policy
enforcemen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plan for support and future plan policies
successfully.
First, to understand the invigorating policy for physical education, we analyzed the
flow and changes of physical education policy of schools in Korea, and also discussed
the details of it to summarize major policy plans and progress directions.
We collected policy data for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and England. We also investigated and analyzed each nation’ s policy
background, virtuality of policy and trend policy for physical education and drew a
conclusion from implications.
Next, we collected base data from evidence that showed all-round implementation
virtuality, including a questionnaire survey and expert interview for examine policy
based on many-sided evidences. To investigate consumers’ stance of polic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offered to teachers and students. To interview
implementers’ stance of policy, we interviewed an expert who works at Metropolitan

ABSTRACT • 305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we distinguish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also students, teachers based on question’ s
topic and collected data by 6 types of questionnaires.
The survey centrically composed questions’ main topics of particular objects such
as substantiality of physical activity, reinforcement of physical instruction
competences, diffusion of school sports club models, assistance of girl students’
physical activity invigoration, supply physical invigoration programs, student’ s
physical activity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investigated consumers’ stance about
policy. The interview content was comprised of detailed contents of policy among
effective policy enforcement tasks based on expansion of placement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ssistance of placement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f school sports club, high school hours of
PE class and semester hour, and questions of school sports club’ s management.
We suggest policy’ s effects and problems based on enhancing the policy effects for
practice and support way in reference to the results of the analyzed survey.
To enhance physical education’ s effects in school, we composed policy directions. In
other words, providing various physical eduction programs in school formed
maintaining the positive effects. From now on, students’ participation on intrinsic
motivation and interest arise and continue to develop policy pla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for physical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for
implement as well as support plan distinguish between a regular physical education
and intramural activities and suggest by low rank contents.
In ou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y for regular physical education, to
maintain the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f school sports club,
the government needs to reorganize the class based on our present school condition of
‘ sports space and facility’ . To enhance the quality of sports clubs in schools, activities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physical education course. Second, the class operation
of 10 units of 6 semesters in high school, the effor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ocial
awareness of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to establish chooses the suitable
subject for physical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suggest to complete the

30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10 units as the smallest unit.
In ou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y for intramural activities, first, it seems
essential to develop various physical activities programs and to provide students not
only quantitative but qualitative activities. It needs to reward proper compensations to
operational and managemental teachers that they could increase teaching effects. Also,
it needs to apply differently by operation hours and provided kinds of activities
depending on roles of management and instruction. Second, it is essential to diversify
the school sports club and competitions. It needs to have a characteristic meeting
which is enjoyable for every student; including those who have low sports ability.
Also, it is important that the result of the student’ s activity feed into the standard
when a student enter to an advanced to school and needs to have a management
authority for school sports club size, ways of change and management. We suggested
that to reduce responsibility of teachers, work is necessary for the human resource
plan. Third, for girl students’ physical activity invigoration, it needs to expand kinds
of sports events by female students’ emotion and capacity for exercise ability,
develope programs, assist to raise female participation rate by designing a PE class,
and last each school have to compel girl school sports club foundation and all of these
have to associate with the PE class.
It has been analyzed tha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human resources on the
basis of the building reinforcement capacity of leaders who conduct PE activities.
First, in order for the placement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to succe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 PE classes, offer incentive granting to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and have a teaching training program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Second, for sports instructor
supporting policy, it seems essential to investigate the role of instructor specifically
and adequate utilizations, concrete the guideline of service, budget and administration
based on the government level of continuous support needs. Also, it is important that
sports instructor’ s business unify into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 responsibility. Last, distinguishing the instructor’ s level depending on their
career and capability so that to propose the limit of teaching area.

ABSTRACT • 307
In terms of material resources, in the current policy, the government is not
connected with demanding level and content so we analyzed that more assertive
cooperation plan will be seek.
Lastly,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have proposed a policy proposal as
a specific measure which reflects the two policy direction and purpose of each
sub-policies.
First, according to direction of policy, it include the effectiveness of invigorating
policy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into a regular school curriculum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suggests the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 s
institutionalization policy plan to reinforce the capacity of teaching. In middle schools,
the research suggests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with
the purpose of a regular class (including hours and contents) expanded into policy
plan. In high school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habituation and the purpose of
improvement of PE class education system to last the 10 units of 6 semester. Also, it
suggests the policy plan of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Second, we presented the policy proposals to install the school sports club integration
operations center (tentative name) and school physical education exclusive charge
organizati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policy systematic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30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부록

[부록 1] 초등학교 학생용 설문지


[부록 2] 초등학교 교사용 설문지
[부록 3] 중학교 학생용 설문지
[부록 4] 중학교 교사용 설문지
[부록 5] 고등학교 학생용 설문지
[부록 6] 고등학교 교사용 설문지
[부록 1] 초등학교 학생용 설문지

학교체육 실태 및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교육부가 실시하고 있는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에 대한 학생


들의 의견을 듣고, 학생들이 보다 활기차고 즐거운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하고자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설문 조사를 통해 학교에서의 체육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학교체육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모으고자 합니다. 본 설문 결과는 반드시 연구에만 사용할 것이니 학생
여러분의 생각을 자유롭게 있는 그대로 적어주기 바랍니다. 학생들의 의견은 앞으로 체
육 수업과 학교체육이 발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교체육 연구팀 드림

* 설문에 대한 의문 사항이 있으면 아래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유창완 (E-mail : ycw680@kice.re.kr, 전화 : 02-3704-3818)

※ 각 설문 문항의 해당되는 항목에 ✔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은 설문 응답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성별 : ___ ① 남 ___ ② 여
2. 학교 소재지 : ___ ① 대도시(특별시, 광역시) ___ ② 중소도시 ___ ③ 읍면 지역

◎ 다음은 체육 수업에 대한 질문입니다.

1. 학생은 체육 수업 시간이 즐겁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부록 • 311
2. 현재 체육 과목을 가르쳐주시는 선생님은 누구입니까?
___ ① 담임선생님 ___ ② 체육전담 선생님 ___ ③ 스포츠강사 선생님
___ ④ 기타 ( )

3. 체육 수업 시간을 체육전담 선생님께서 맡아 가르치시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___ ① 반드시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___ ② 그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___ ③ 상관없다. ___ ④ 그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___ ⑤ 절대로 그러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4. 체육전담 선생님과 수업을 하면 특히 도움이 되는 것이 어떤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체력이 향상됨 ___ ② 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음
___ ③ 스포츠나 운동을 잘 할 수 있게 됨 ___ ④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___ ⑤ 친구들과 사이가 좋아짐 ___ ⑥ 기타( )

5. 체육전담 선생님과 수업을 하면 가장 좋지 않은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다른 반과 비교당할 수 있음
___ ② 전담 선생님께서는 담임선생님보다 나를 잘 이해하지 못함
___ ③ 잘하는 다른 친구와 차별하심
___ ④ 수업 내용이나 방법이 재미없고 힘이 들음
___ ⑤ 담임선생님보다 엄하게 지도하심
___ ⑥ 기타( )

6. 스포츠강사 선생님과 체육 수업을 해 본 적이 있습니까?


___ ① 예 ___ ② 아니오(☞ 9번으로 이동)

7. 스포츠강사 선생님에게 주로 어떤 내용을 배웠습니까?(배운 내용에 모두 표시하세요.)


___ ① 준비운동 ___ ② 정리운동 ___ ③ 질서(줄 맞추기, 대형서기 등)
___ ④ 체육교과서에 나오는 활동 ___ ⑤ 여러 스포츠 활동
___ ⑥ 기타( )

8. 스포츠강사 선생님에게 배운 체육 수업에 대하여 만족합니까?


___ ① 매우 만족한다. ___ ② 만족한다. ___ ③ 그저 그렇다.
___ ④ 만족하지 않는다. ___ ⑤ 매우 불만족하다.

31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9. 스포츠강사 선생님과 수업을 하면 특히 도움이 되는 것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체력이 향상됨 ___ ② 스포츠나 운동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음
___ ③ 스포츠나 운동을 잘 할 수 있게 됨 ___ ④ 학생들이 수업에 질서 있게 참여함
___ ⑤ 다치지 않고 수업을 잘 받을 수 있음
___ ⑥ 친구들과 협동하는 등 운동하면서 태도가 좋아짐
___ ⑦ 기타( )

10. 스포츠강사 선생님과 수업을 하면 가장 좋지 않은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다른 반과 비교당할 수 있음
___ ② 선생님께서는 담임선생님보다 나를 잘 이해하지 못함
___ ③ 잘하는 다른 친구와 차별하심
___ ④ 수업 내용이나 방법이 재미없고 힘이 들음
___ ⑤ 담임선생님보다 엄하게 지도하심 ___ ⑥ 기타( )

11. 앞으로 스포츠강사 선생님이 가르치시는 수업이 늘어났으면 좋겠습니까?


___ ① 지금 정도가 좋다. ___ ② 지금보다 더 많이 늘어나야 한다.
___ ③ 스포츠강사 선생님은 없어도 된다.

◎ 다음은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질문입니다.

12. 학생은 학교스포츠클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13. 올해 학교에서 참여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은 몇 개 입니까?


___ ① 없음(☞18번으로 이동) ___ ② 1개 ___ ③ 2개 ___ ④ 3개
___ ⑤ 4개 이상

14.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시간은 주로 언제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 ① 아침시간(수업 전) ___ ② 점심시간 ___ ③ 방과 후 ___ ④ 주말
___ ⑤ 기타( )

부록 • 313
15. 올해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참여한 운동은 어떤 것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 ① 줄넘기 ___ ② 구기운동(공을 가지고 하는 운동)
___ ③ 창작댄스 ___ ④ 뉴스포츠(티볼, 플라잉디스크, 플로어볼 등)
___ ⑤ 민속놀이 ___ ⑥ 기타( )
16. 참여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 선생님은 누구십니까?
___ ① 체육전담 선생님 ___ ② 방과 후 선생님 ___ ③ 스포츠강사 선생님
___ ④ 담임선생님 ___ ⑤ 기타( )
17.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 ① 체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어서
___ ②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서
___ ③ 다양한 스포츠(운동)를 경험할 수 있어서
___ ④ 스포츠 활동(운동)이 즐겁기 때문에
___ ⑤ 친구와의 관계가 좋아지기 때문에
___ ⑥ 공부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___ ⑦ 비만을 예방하기 때문에(다이어트의 효과가 있기에)
___ ⑧ 스포츠 활동(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___ ⑨ 스포츠(운동) 기능(기술)의 실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___ ⑩ 대회 출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___ ⑪ 기타( )
18. 학교스포츠클럽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활동들에 대해 만족합니까?
___ ① 매우 만족한다. ___ ② 만족하는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만족하지 않는 편이다.
___ ⑤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19.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___ ① 참여할 시간을 만들기 어려움(숙제, 학원 등 때문에)
___ ② 대회 출전이 부담스러움
___ ③ 부모님이 스포츠 활동(운동)에 참여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심
___ ④ 운동 능력(실력)이 부족함
___ ⑤ 다칠 수 있어 두려움
___ ⑥ 피곤함
___ ⑦ 기타( )

31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20.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다가 중단한 경험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 ① 흥미가 없어짐 ___ ② 부모님의 권유 ___ ③ 다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___ ④ 피곤함 ___ ⑤ 시간 부족 ___ ⑥ 대회 출전에 대한 부담
___ ⑦ 운동 능력(실력) 부족 ___ ⑧ 기타( )

21. (여학생만 응답) 여러분의 학교에는 여학생만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 있습니까?


___ ① 있다. ___ ② 없다.

22. (여학생만 응답) 여학생만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 마련된다면 참여하겠습니까?


___ ① 예 ___ ② 아니오

23. (여학생만 응답) 여학생만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 잘 운영되려면 어떤 것이 마련되


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여학생을 위한 다양한 스포츠클럽 프로그램(운동) 제공
___ ② 여학생용 용품이나 기구 지원
___ ③ 여학생을 위한 편의 시설(탈의실, 샤워장 등) 설치
___ ④ 보호 장비 지원
___ ⑤ 여학생에게 적합한 규칙 설정
___ ⑥ 여학생만 참여하는 대회 개최
___ ⑦ 기타( )

◎ 다음은 학교에서 하는 여러 체육활동에 대한 질문입니다.

24. 체육 과목이나 학교에서 실시하는 체육활동이 학교에서 배우는 여러 다른 과목 또는


활동들과 비교하여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중요하다. ___ ② 중요한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중요하지 않다.
___ ⑤ 전혀 중요하지 않다.

25. 일주일 동안 학교에서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은 보통 어느 정도입니까?(체육 수업,


학교스포츠클럽, 자율체육 활동 등을 모두 더하여 써 주세요.)
_________ 시간 __________ 분

부록 • 315
26. 학교에서 하는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작년보다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생각
합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27. 학교스포츠클럽 이외에 다음에 제시하는 학교에서 운영되는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도와 느낌을 해당되는 칸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참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점점 더
경험이 학생은 꾸준히 참여하였습니까? 체육활동에 관심과 재미를
체육 프로그램 종류 있습니까? 느꼈습니까?
꾸준히 대체로 그다지 전혀 전혀
보통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예 아니오 참여 참여 참여하지 참여하지 그렇지
이다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했다 했다 않았다 않았다 않다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프로그램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부모님과 함께 하는 가족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방학 중 스포츠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프로그램

27.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


합니까?
___ ①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활동 부족
___ ②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 부족
___ ③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시설 부족
___ ④ 옷 갈아입는 곳, 씻는 곳 등 편의시설 부족
___ ⑤ 다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___ ⑥ 자신의 신체 모습 또는 운동하는 모습에 대한 부담감
___ ⑦ 기타( )

28. 우리 학교의 체육 시설 중 가장 개선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운동장에 설치된 운동 기구
___ ② 체육시간에 사용하는 용·기구(체육 기구실에 있는 것)

31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___ ③ 옷 갈아입는 곳 ___ ④ 강당(체육관) ___ ⑤ 인조 잔디 운동장
___ ⑥ 기타( )
29. 체육활동(운동)을 위해 주변의 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면 어떤 시설이 가장 필요하
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수영장 ___ ② 축구장 ___ ③ 농구장
___ ④ 배드민턴장 ___ ⑤ 탁구장
___ ⑥기타( )
30.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나 여러 학교체육활동을 통해 친구 관계가 좋아지고, 학교생활이 즐
거워졌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31. 현재 체육활동을 하면서 어려운 점이나 부탁하고 싶은 사항을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부록 2] 초등학교 교사용 설문지

학교체육 실태 및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지

※ 각 설문 문항의 해당되는 칸의 번호에 표시 (✔ 또는 ○)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은 설문 응답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성별 : _____ ① 남 _____ ② 여
2. 연령 : _____ ① 20 대 _____ ② 30 대 _____ ③ 40 대 _____ ④ 50 대 이상
3. 학교 소재지 : ____ ① 대도시(특별시, 광역시) ____ ② 중소도시 ____ ③ 읍면 지역
4. 지도 학년 : _____ ① 1학년 _____ ② 2학년 _____ ③ 3학년
_____ ④ 4학년 ______ ⑤ 5학년 _____ ⑥ 6학년
5. 현재 직책 : _____ ① 담임교사 _____ ② 부장교사 _____ ③ 교과 전담 교사

부록 • 317
◎ 다음은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와 스포츠강사 운영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초등학교 체육교육을 위하여 전담교사를 배치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찬성 _____ ② 반대
2. 그 이유에 대하여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3. 귀교는 체육전담교사가 배치되어 있습니까?


_____ ① 예 _____ ② 아니요(☞ 5번으로 이동)
4. 귀교에서 체육전담교사를 선정할 때 어떤 요소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습니까?
_____ ① 교사의 체육 지도 능력
_____ ② 체육 전담을 하면 상대적으로 수업시수가 적다는 점
_____ ③ 교사의 체육교과 선호도
_____ ④ 전교생의 체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
5. 초등학교에 체육전담교사가 배치되면 어떤 장점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체육 수업의 전문성 강화
_____ ② 담임교사의 체육 수업에 대한 부담 경감
_____ ③ 학생들의 만족도 증가
_____ ④ 학생들에게 다양한 스포츠 활동 경험 제공 가능
_____ ⑤ 여교사의 체육 수업에 대한 부담 경감
_____ ⑥ 기타( )
6. 체육전담교사를 기피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체육교육 전문성에 대한 부담 _____ ② 여러 학년을 지도해야 하는 어려움
_____ ③ 학생 부상에 대한 두려움 _____ ④ 체육 시간에 학생 관리의 어려움
_____ ⑤ 학부모 관여에 따른 부담
_____ ⑥ 기타( )
7.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가 확대되려면 어떤 점이 가장 보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 ____ ② 체육관(체육 수업 공간) 확보
_____ ③ 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연수 실시 _____ ④ 예산 관리 집행 권한 확보

31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_____ ⑤ 체육전담교사의 체육교과시간 우선 확보
_____ ⑥ 기타( )
8. 초등학교에 스포츠강사를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찬성 _____ ② 반대
9. 귀교의 스포츠강사는 몇 명입니까?
_____ ① 없음(☞ 14번으로 이동)_____ ② 1명 _____ ③ 2명 _____ ④ 기타 ( )
10. 귀교의 스포츠강사는 체육 수업에서 주로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학생 관리 _____ ② 교구 준비 및 정리 _____ ③ 시범 활동
_____ ④ 준비 및 정리운동 _____ ⑤ 팀티칭 _____ ⑥ 기타( )
11. 귀교의 스포츠강사는 체육 수업 이외에 어떤 활동을 주로 하고 있습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체육관(강당) 정리_____ ② 체육 자료실 정리 ____ ③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_____ ④ 대회 참여 인솔 _____ ⑤ 체육 행사 보조 ____ ⑥ 기타( )
12. 스포츠강사를 활용한 후 체육 수업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무엇입니까?
_____ ① 체육 수업의 효율성 증가
_____ ② 학생들의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와 참여도 증가
_____ ③ 체육 수업의 전문성 확보
_____ ④ 적정한 학생 관리 가능
_____ ⑤ 학생에게 다양한 체육활동 경험 제공
_____ ⑥ 기타( )
13. 스포츠강사를 활용하면서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_____ ① 담임교사(특히 여교사)와의 체육활동 능력 차에 따른 수업의 어려움
_____ ② 스포츠강사의 학생 이해 미흡
_____ ③ 스포츠강사의 학년별 수업 시수 배정 및 시간표 작성
_____ ④ 스포츠강사의 체육교육과정 및 초등체육교육에 대한 이해 미흡
_____ ⑤ 기타( )
14. 스포츠강사 제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____ ① 수업 보조 업무 개선 ____ ② 보수 개선 ___ ③ 1년에 11개월 계약 개선
_____ ④ 방과 후 학교 담당 확대 _____ ⑤ 기타( )

부록 • 319
◎ 다음은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대한 질문입니다.

15.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생에게 어떤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체력 유지 및 향상 _____ ②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
_____ ③ 다양한 스포츠(운동) 경험 _____ ④ 스포츠 활동(운동)의 즐거움 체험
_____ ⑤ 교우 관계 발달 _____ ⑥ 대회 출전에 대한 경험
_____ ⑦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 _____ ⑧ 학업 능률의 향상
_____ ⑨ 스포츠 활동(운동)에 대한 관심 증가
_____ ⑩ 스포츠(운동) 기능(기술)의 향상
_____ ⑪ 비만 예방
_____ ⑪ 기타( )

16.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학생의 무관심으로 참여 저조
_____ ② 수용 능력을 넘는 과다한 학생 참여
_____ ③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
_____ ④ 학력향상 중심 학사 운영
_____ ⑤ 관리자의 인식 부족
_____ ⑥ 체육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부족
_____ ⑦ 운영상 수반되는 행정 업무의 과다
_____ ⑧ 스포츠 지도 능력 및 경험의 부족
_____ ⑨ 기타( )

17.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는 누구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스포츠강사 _____ ② 체육전담교사
_____ ③ 담임교사 _____ ④ 학교 운동부 코치
_____ ⑤ 교육봉사활동 희망자 (대학생 등) ____ ⑥ 기타 ( )

32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18.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의 구성과 자질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19.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할 주체로서 가장 적합한 지도자는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스포츠강사 _____ ② 체육전담교사
_____ ③ 담임교사 _____ ④ 협회소속 전문 강사 (운동부 코치 등)
_____ ⑤ 교육봉사활동 희망자 (대학생, 대학원생 등)
_____ ⑥ 기타 ( )
20.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21.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체육 시설 및 용·기구 부족
_____ ②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자질
_____ ③ 체육교육과정과의 괴리
_____ ④ 학생이 희망하는 스포츠 종목 개설의 어려움
_____ ⑤ 지도에 적정한 참여 학생 수 유지
_____ ⑥ 기타 ( )
22.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는데 발생하는 물적 지원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 ① 낙후된 체육 시설 ___ ② 체육활동 장소의 부족
____ ③ 체육 용품·기구 부족___ ④ 활용 가능한 지역 시설의 부족 및 연계 미확보
_____ ⑤ 기타 ( )
23.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는데 발생하는 인적 지원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지도자 확보의 어려움
_____ ② 지도자 인건비 충당의 어려움
_____ ③ 지도자의 지도 전문성 부족
_____ ④ 지도자와 학생간의 문제발생 시 해결 방안 미비

부록 • 321
_____ ⑤ 기타 ( )
24.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비의 재원은 주로 어떻게 충당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초과 근무 수당 _____ ② 방과 후 강사비(수익자부담)
_____ ③ 교육청 지원 _____ ④ 외부 기관 지원비
_____ ⑤ 교육 봉사(무보수) ⑥ 기타 ( )
25.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비(대회출전비 등)의 재원은 어떻게 충당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수익자 부담 _____ ② 학교 지원
_____ ③ 교육청 지원 _____ ④ 외부 기관 지원
_____ ⑤ 관련 협회 지원 _____ ⑥ 기타 ( )
26.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정부 및 교육청의 지원이 2013년 이전 보다 2014년 이후가
더욱 바람직하게 운영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27.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28. 귀교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연계한 교내외 프로그램이 있습니까?(있는 대로 고


르세요.)
_____ ① 없음 _____ ② 교내 스포츠클럽대회 개최
_____ ③ 교육청 스포츠클럽대회 참가
_____ ④ 지역협회에서 운영하는 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_____ ⑤ 지역협회에서 주최한 스포츠클럽 대회 참가
_____ ⑥ 기타 ( )

29. 귀교에서 실시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은 체육교육과정 운영과 연계되어 진행되고 있습


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32번으로 이동)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32번으로 이동)

32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30. 학교스포츠클럽은 어떤 차원에서 체육교육과정과 연계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체육교육과정의 목표 차원 _____ ② 체육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내용 차원
_____ ③ 체육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차원 _____ ④ 체육교육과정의 평가 차원
_____ ⑤ 기타( )
31.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시에 인성 교육에 대한 부분을 특별히 강조하여 진행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32.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해 인성교육을 지도하기 위해 가장 중점을 두는 내용은 무엇입
니까?
_____ ① 인간관계 개선
_____ ② 협동, 준법성, 배려 등의 사회적 인성 체득
_____ ③ 열정, 인내, 자신감 등의 개인적 인성 체득
_____ ④ 스트레스 관리, 폭력성 완화 등의 정서 순화
_____ ⑤ 문제 장면에서 바람직한 선택을 하는 올바른 판단력 향상
_____ ⑥ 기타 ( )

◎ 정부에서는 정규 체육 시간 이외에 다양한 체육활동을 자율적으로 실시할


것을 권장한 바 있습니다. 다음 체육 프로그램은 그 중 대표적인 내용에 대
한 질문입니다.

33. 학교스포츠클럽 외에 운영되는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귀교의 상황에 답하여


주십시오.
귀교에서 이 프로그램이 학생의 신체활동
운영하고 학생들의 참여도는 어떠합니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체육 프로그램 종류 있습니까?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매우 높은 보통 매우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예 아니오 낮다 그렇지
높다 편이다 이다 낮다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아침 및 점심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체육활동 프로그램
토요스포츠데이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프로그램

부록 • 323
귀교에서 이 프로그램이 학생의 신체활동
운영하고 학생들의 참여도는 어떠합니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체육 프로그램 종류 있습니까?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매우 높은 보통 매우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예 아니오 낮다 그렇지
높다 편이다 이다 낮다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방학 중 스포츠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프로그램

◎ 다음은 여학생 체육에 대한 질문입니다.

34. 귀교의 여학생들은 체육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예(☞ 36번으로 이동) _____ ② 아니요
35.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프로그램 부족
_____ ② 즐거운 체육활동에 대한 경험 부족
_____ ③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시설 부족
_____ ④ 탈의실 등 편의시설 부족
_____ ⑤ 여학생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일 것이라는 교사의 부정적 인식
_____ ⑥ 여학생이 체육활동에 적극적인 것에 대한 학부모의 부정적 인식
_____ ⑦ 남학생과의 운동 능력 차이에 따른 소외감
_____ ⑧ 기타( )
36.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 중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_____ ① 여학생 전용 탈의실 운영
_____ ② 여학생 전용 세면실 운영
_____ ③ 여학생 전용 체육 교실 운영
_____ ④ 여학생 체육활동을 위한 간이 시설 확충
_____ ⑤ 여학생 체육활동을 위한 지역시설 연계
_____ ⑥ 기타 ( )

32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37. 귀교에는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있습니까?
_____ ① 예 _____ ② 아니오(☞ 41번으로 이동)

38. 귀교에는 어떤 스포츠 종목의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있습니까?

39. 귀교의 여학생 스포츠클럽은 교외 대회에 출전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예(☞ 41번으로 이동) _____ ② 아니오

40. 여학생 스포츠클럽이 교외 대회에 출전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여학생의 경기 능력 부족 _____ ② 여학생 대회의 부족
_____ ③ 대회 출전비 등의 부족 _____ ④ 부상 등에 대한 우려
_____ ⑤ 대회 참여 선수 부족
_____ ⑥ 여학생의 스포츠 경기 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

41. 귀교에서는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내 체육(스포츠)대회를 실시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예 _____ ② 아니오(☞ 43번으로 이동)

42. 여학생 체육(스포츠)대회를 실시하고 있다면 주로 어떤 종목을 실시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창작댄스 _____ ② 줄넘기 _____ ③ 발야구
_____ ④ 육상 ____ ⑤ 피구 _____ ⑥ 기타( )

43. 여학생 스포츠클럽이 활성화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여학생 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
_____ ② 여학생을 위한 스포츠 활동 규칙 개선 및 프로그램의 제공
_____ ③ 보호 장비 지원
_____ ④ 탈의실 및 샤워실 편의시설 지원
_____ ⑤ 여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지도자 인력 구성
_____ ⑥ 기타( )

부록 • 325
◎ 다음은 체육 시설 및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44. 귀교는 체육활동에 필요한 충분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45. 체육활동에 필요한 시설 중 가장 우선적으로 확충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_____ ① 현대화 운동장 _____ ② 다목적 체육관 _____ ③ 실내 운동 교실
_____ ④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체육 시설
_____ ⑤ 탈의실 및 샤워장 등의 편의 시설
_____ ⑥ 기타 ( )

46. 귀교는 학생 체육활동을 위해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을 활용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48번으로 이동)_____ ② 그런 편이다.(☞ 48번으로 이동)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47.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지역 체육 시설에 대한 정보 부족
_____ ② 지역 체육 시설에 접근 어려움
_____ ③ 지역 체육 시설 이용의 비용 부담
_____ ④ 체육 수업 내용과의 관련성 부족
_____ ⑤ 이동 및 학교 밖 수업 중의 안전사고 위험
_____ ⑥ 기타( )

48. 학생들의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어떤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_____ ① 보조강사 지원 _____ ② 체육 교구 지원
_____ ③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 지원 _____ ④ 대회 주최 및 후원
_____ ⑤ 재정 지원 _____ ⑥ 기타( )

32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 다음은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강조하거나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한 질문입니다.

49. 학교스포츠클럽을 포함하여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의 적용으로 귀교에서


학교폭력이 감소하거나 활기찬 학교 분위기가 조성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50.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다음의 정책들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별로 ∨표시로 응답해 주세요.)

전혀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체육활성화 정책 구분 그렇지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확대 ① ② ③ ④ ⑤

학교스포츠클럽과 지역사회 연계 ① ② ③ ④ ⑤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및 리그 운영 ① ② ③ ④ ⑤
여학생 체육활동 기반 시설 조성 ① ② ③ ④ ⑤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식 개선 ① ② ③ ④ ⑤

기초학력 지원 e-school 구축 ① ② ③ ④ ⑤

51. 현 정부의 학교체육 정책 중 반드시 개선 및 보완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을


적어 주십시오.

52.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이 학교에서 긍정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관심을 두어야할 것과
지원해 주어야 할 것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자유롭게 적어 주십시오.

부록 • 327
[부록 3] 중학교 학생용 설문지

학교체육 실태 및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지

※ 각 설문 문항의 해당되는 항목에 ✔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은 설문 응답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성별 : ___ ① 남 ___ ② 여
2. 학교 소재지 : ___ ① 대도시(특별시, 광역시) ___ ② 중소도시 ___ ③ 읍면 지역
3. 학교 형태 : ___ ① 남녀공학 ___ ② 남학교 ___ ③ 여학교

◎ 다음은 창의적 체험활동(창체)의 일환으로 실시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는 방과 후나 주말에 실시하는 ‘ 학교스포츠클럽’ 과 다른
것이니 혼동하지 않기 바랍니다.

1. ‘ 창체 학교스포츠 클럽’ 수업에 일주일에 평균 몇 시간 참여하고 있습니까?


___ ① 0시간(☞ 5번으로 이동) ___ ② 1시간 ___ ③ 2시간
2. ‘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에 만족합니까?
___ ① 매우 만족한다. ___ ② 만족한다. ___ ③ 그저 그렇다.
___ ④ 만족하지 않는다. ___ ⑤ 매우 불만족하다.
3. 2번 질문에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 ① 건강 및 체력 향상___ ② 스포츠 기능 향상 ___③ 스포츠를 통한 즐거움 증가
___ ④ 교우 관계 발전 ___ ⑤ 스포츠맨십의 형성 ___ ⑥ 기타( )
4. 2번 질문에서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 ① 좁은 공간 및 스포츠 시설 부족 ___ ② 지나친 경쟁 위주의 활동
___ ③ 부상에 대한 우려 ___ ④ 체계적이지 못한 수업 내용
___ ⑤ 원하지 않는 스포츠 종목 배정 ___ ⑥ 지도교사의 전문성 부족
___ ⑥ 기타( )

32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5. 체육활동에서 스포츠강사 선생님의 지도에 대하여 만족합니까?
___ ① 매우 만족한다. ___ ② 만족한다. ___ ③ 그저 그렇다.
___ ④ 만족하지 않는다. ___ ⑤ 매우 불만족하다. ___ ⑥ 배운 적이 없다.
6. 5번 질문에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 ① 스포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춤 ___ ②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활용함
___ ③ 학생들에게 친밀한 태도를 보임___ ④ 학생들을 대한 인격적으로 지도함
___ ⑤ 기타( )
7. 5번 질문에서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 ① 스포츠에 대한 전문성 부족 ___ ② 비효율적인 지도
___ ③ 지나치게 엄한 태도 ___ ④ 학생들에게 비인격적인 지도
___ ⑤ 기타( )
8. 학교에서 일어나는 체육활동의 내실화를 위해 가장 바람직한 체육 수업 편성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___ ① 중학교 3학년 체육 수업시간을 주당 1시간씩 확대
___ ②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 확대
___ ③ 정규체육 수업과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시간 모두 축소
___ ④ 정규체육 수업과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시간 모두 확대
___ ⑤ 기타( )

◎ 다음은 창체 이외의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질문입니다.

9. 학생은 학교스포츠클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10. 올해 학교에서 참여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은 몇 개 입니까?
___ ① 없음(☞15번으로 이동) ___ ② 1개 ___ ③ 2개 ___ ④ 3개
___ ⑤ 4개 이상
11.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시간은 주로 언제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 ① 아침시간(수업 전) ___ ② 점심시간 ___ ③ 방과 후 ___ ④ 주말
___ ⑤ 기타( )

부록 • 329
12. 올해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참여한 운동은 어떤 것입니까?

13. 참여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 선생님은 누구십니까?


___ ① 체육선생님 ___ ② 스포츠강사 선생님 ___ ③ 담임선생님
___ ④ 지도해 주시는 분이 없음 ___ ⑤ 기타( )

14.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 ① 체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어서
___ ②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서
___ ③ 다양한 스포츠(운동)를 경험할 수 있어서
___ ④ 스포츠 활동(운동)이 즐겁기 때문에
___ ⑤ 친구와의 관계가 좋아지기 때문에
___ ⑥ 학업 능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___ ⑦ 비만을 예방하기 때문에(다이어트의 효과가 있기에)
___ ⑧ 스포츠 활동(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___ ⑨ 스포츠(운동) 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___ ⑩ 대회 출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___ ⑪ 기타( )

15. 학교스포츠클럽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활동들에 대해 만족합니까?


___ ① 매우 만족한다. ___ ② 만족한다. ___ ③ 그저 그렇다.
___ ④ 만족하지 않는다. ___ ⑤ 매우 불만족하다.

16.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___ ① 참여할 시간을 만들기 어려움(숙제, 학원 등 때문에)
___ ② 대회 출전이 부담스러움
___ ③ 부모님이 스포츠 활동(운동)에 참여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심
___ ④ 운동 능력(실력)이 부족함
___ ⑤ 부상에 대한 두려움
___ ⑥ 피곤함
___ ⑦ 기타( )

33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17.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다가 중단한 경험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 ① 흥미가 없어짐 ___ ② 부모님의 권유 ___ ③ 부상에 대한 두려움
___ ④ 피곤함 ___ ⑤ 시간 부족 ___ ⑥ 대회 출전에 대한 부담
___ ⑦ 운동 능력 부족 ___ ⑧ 기타( )

18. (여학생만 응답) 여러분의 학교에는 여학생만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 있습니까?


___ ① 있다. ___ ② 없다.

19. (여학생만 응답) 여학생만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 마련된다면 참여하겠습니까?


___ ① 예 ___ ② 아니오

20. (여학생만 응답) 여학생만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 잘 운영되려면 어떤 것이 마련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여학생을 위한 다양한 스포츠클럽 프로그램(운동) 제공
___ ② 여학생용 용품이나 기구 지원
___ ③ 여학생을 위한 편의 시설(탈의실, 샤워장 등) 설치
___ ④ 보호 장비 지원
___ ⑤ 여학생에게 적합한 규칙 설정
___ ⑥ 여학생만 참여하는 대회 개최
___ ⑦ 기타( )

◎ 다음은 학교에서 하는 여러 체육활동에 대한 질문입니다.

21. 체육 과목이나 학교에서 실시하는 체육활동이 학교에서 배우는 여러 다른 과목 또는


활동들과 비교하여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중요하다. ___ ② 중요한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중요하지 않다.
___ ⑤ 전혀 중요하지 않다.

22. 자신이 학교에서 하는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작년보다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부록 • 331
23. 학생은 체육 수업 시간이 즐겁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24. 체육 수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건강 및 체력 향상 ___ ② 신체 움직임의 다양한 기능 향상
___ ③ 신체활동 참여를 통한 즐거움 ___ ④ 교우 관계 발전
___ ⑤ 스포츠맨십 등의 긍정적 태도 형성 ___ ⑥ 체육활동에 대한 자신감 획득
___ ⑦ 기타( )

25. 체육 수업이 불만족스럽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좁은 공간 및 스포츠 시설 부족 ___ ② 지나친 경쟁 위주의 활동
___ ③ 부상에 대한 우려 ___ ④ 체계적이지 못한 수업 내용
___ ⑤ 원하지 않는 체육활동 종목 ___ ⑥ 지도교사의 전문성 부족

26. 학교스포츠클럽 이외에 다음에 제시하는 학교에서 운영되는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도와 참여 소감을 해당되는 칸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참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점점
경험이 학생은 꾸준히 참여하였습니까? 더 체육활동에 관심과 재미를
체육 프로그램 종류 있습니까? 느꼈습니까?
꾸준히 대체로 그다지 전혀 전혀
보통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예 아니오 참여 참여 참여하지 참여하지 그렇지
이다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했다 했다 않았다 않았다 않다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프로그램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부모님과 함께 하는 가족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참여 스포츠 프로그램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27.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


합니까?
___ ① 여학생에 적합한 활동 프로그램의 부족 ___ ②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 부족
___ ③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시설 부족 ___ ④ 탈의실, 샤워장 등 편의시설 부족
___ ⑤ 다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33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___ ⑥ 자신의 신체 모습 또는 운동하는 모습에 대한 부담감
___ ⑦ 기타( )

28. 여러분 학교의 체육 수업 형태는 어떠합니까?


___ ① 남녀혼성 ___ ② 남녀 분반 ___ ③ 학급 내에서 남녀 분리 참여
___ ④ 수업 내용에 따라 다름

29. 남녀공학에서 어떤 체육 수업의 형태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___ ① 남녀혼성 ___ ② 남녀 분반 ___ ③ 학급 내에서 남녀 분리 참여
___ ④ 수업 내용에 따라 다르게 참여

30. 우리 학교의 체육 시설 중 가장 개선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운동장에 설치된 운동 기구
___ ② 체육시간에 사용하는 용·기구(체육 기구실에 있는 것)
___ ③ 옷 갈아입는 곳 ___ ④ 강당(체육관) ___ ⑤ 인조 잔디 운동장
___ ⑥ 기타( )

31. 체육활동(운동)을 위해 주변의 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면 어떤 시설이 가장 필요


하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수영장 ___ ② 축구장 ___ ③ 농구장
___ ④ 배드민턴장 ___ ⑤ 탁구장 ___ ⑥ 기타( )

32.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나 여러 학교체육활동을 통해 친구 관계가 좋아지고, 학교생활이


즐거워졌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33. 학교의 체육활동에서의 문제점이나 부탁하고 싶은 사항을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부록 • 333
[부록 4] 중학교 교사용 설문지

학교체육 실태 및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지


※ 각 설문 문항의 해당되는 칸의 번호에 표시 (✔ 또는 ○)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은 설문 응답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성별 : _____ ① 남 _____ ② 여
2. 연령 : _____ ① 20 대 _____ ② 30 대 _____ ③ 40 대
_____ ④ 50 대 이상
3. 학교 소재지 : _____ ① 대도시(특별시, 광역시) _____ ② 중소도시
_____ ③ 읍면 지역
4. 학교 형태 : _____ ① 남녀공학 _____ ② 남학교 _____ ③ 여학교
5. 지도 학년 : _____ ① 1학년 _____ ② 2학년 _____ ③ 3학년
6. 현재 직책 : _____ ① 담임교사 _____ ② 부장교사 _____ ③ 교과 담당 교사

◎ 다음은 체육 수업 시수 확대에 대한 질문입니다.

1. 귀교의 교육과정에서는 3학년의 주당 체육활동 시간(수업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


스포츠클럽 포함)을 어느 정도 배정(편성)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1시간 _____ ② 2시간 _____ ③ 3시간 _____ ④ 4시간
_____ ⑤ 5시간 이상

2. 귀교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대신 정규체육 수업 시수를 확대 운영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예 _____ ② 아니오(☞ 4번으로 이동)

3. 정규체육 수업 시수가 확대되면서 귀교에서 얻게 된 이점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학교 폭력 감소 _____ ② 인성 교육 효과 증대
_____ ③ 체육 수업의 안정적 운영 _____ ④ 학생의 신체활동 활성화
_____ ⑤ 체육지도자의 전문성 확보

33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4. 정규체육 수업 시수가 확대된다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학교 폭력 감소에 영향 _____ ② 인성 교육 기회 증대
_____ ③ 체육 수업의 안정적 운영 가능성 _____ ④ 학생의 신체활동 활성화
_____ ⑤ 체육지도자의 전문성 확보

◎ 다음은 창의적 체험활동(창체)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5. 귀하는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찬성 _____ ② 반대(☞ 7번으로 이동)
6.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__ ① 학교 폭력 감소 효과 _____ ② 학생의 인성 발달 가능성
_____ ③ 학생의 건강 및 체력의 증진 효과 _____ ④ 스포츠 기능의 향상 가능성
_____ ⑤ 학생들의 활기찬 학교생활에 도움
7.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__ ① 체육 공간 및 시설의 부족으로 운영이 어려움
_____ ② 체육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부족으로 체육교육에 혼란 야기
_____ ③ 기존 학교스포츠클럽과의 혼동
_____ ④ 창의적 체험활동의 다양성 훼손 가능성
_____ ⑤ 기타( )
8. 체육활동 내실화를 위해 가장 바람직한 체육 수업 편성 정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중학교 3학년 체육 수업시간을 주당 1시간씩 확대
_____ ②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 확대
_____ ③ 정규체육 수업과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시간 모두 축소
_____ ④ 정규체육 수업과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시간 모두 확대
_____ ⑤ 기타( )
9. 귀교에서 실시하는 창체 학교스포츠클럽은 체육교육과정 운영과 연계되어 진행되고
있습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11번으로 이동)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11번으로 이동)

부록 • 335
10. 창체 학교스포츠클럽은 어떤 차원에서 체육교육과정과 연계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체육교육과정의 목표 차원 _____ ② 체육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내용 차원
_____ ③ 체육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차원 _____ ④ 체육교육과정의 평가 차원
_____ ⑤ 기타( )

11. 창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간에 스포츠강사를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_____ ① 찬성 _____ ② 반대(☞ 13번으로 이동)

12. 스포츠강사 배치를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__ ① 학생들의 스포츠 참여도가 증가할 수 있어서
_____ ② 학생들의 스포츠 기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서
_____ ③ 체육교사의 수업부담이 경감되어
_____ ④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스포츠를 경험할 수 있어서
_____ ⑤ 학생 인성 발달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_____ ⑥ 기타( )

13. 스포츠강사 배치를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__ ① 스포츠강사의 전문성 부족 _____ ② 스포츠강사의 체육교육과정 이해 부족
_____ ③ 스포츠강사의 책무성 부족 _____ ④ 스포츠강사의 교육자적 소양 부족
_____ ⑤ 스포츠강사 관리 업무에 대한 부담

◎ 다음은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대한 질문입니다.

1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생에게 어떤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체력 유지 및 향상 _____ ②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
_____ ③ 다양한 스포츠 경험 _____ ④ 스포츠 활동의 즐거움 체험
_____ ⑤ 교우 관계 발달 _____ ⑥ 대회 출전에 대한 경험
_____ ⑦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 _____ ⑧ 학업 능률의 향상
_____ ⑨ 스포츠 활동에 대한 관심 증가 _____ ⑩ 스포츠 기능의 향상
_____ ⑪ 비만 예방 _____ ⑪ 기타( )

33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15.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① 학생의 무관심으로 참여 저조 _____ ② 수용 능력을 넘는 과다한 학생 참여
_____③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 ____④ 학력향상 중심 학사 운영
____ ⑤ 관리자의 인식 부족 _____ ⑥ 체육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부족
____ ⑦ 운영상 수반되는 행정 업무의 과다 ____⑧ 스포츠지도 능력 및 경험의 부족
_____ ⑨ 기타 ( )
16.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는 누구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스포츠강사 _____ ② 체육 교사
_____ ③ 타교과 교사 _____ ④ 학교 운동부 코치
_____ ⑤ 교육봉사활동 희망자(대학생 등) _____ ⑥ 기타 ( )
17.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의 구성과 자질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18.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할 주체로서 가장 적합한 지도자는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스포츠강사 _____ ② 체육 교사
_____ ③ 타교과 교사 _____ ④ 협회소속 전문 강사(운동부 코치 등)
_____ ⑤ 교육봉사활동 희망자(대학생, 대학원생 등)
_____ ⑥ 기타 ( )
19.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20.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체육 시설 및 용·기구 부족
_____ ②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자질
_____ ③ 체육교육과정과의 괴리
_____ ④ 학생이 희망하는 스포츠 종목 개설의 어려움
_____ ⑤ 지도에 적정한 참여 학생 수 유지
_____ ⑥ 기타 ( )

부록 • 337
21.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는데 발생하는 물적 지원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낙후된 체육 시설 _____ ② 체육활동 장소의 부족
_____ ③ 체육 용품·기구 부족 _____ ④ 활용 가능한 지역 시설의 부족 및 연계 미확보
_____ ⑤ 기타 ( )

22.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는데 발생하는 인적 지원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지도자 확보의 어려움
_____ ② 지도자 인건비 충당의 어려움
_____ ③ 지도자의 지도 전문성 부족
_____ ④ 지도자와 학생간의 문제발생 시 해결 방안 미비
_____ ⑤ 기타 ( )

23.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비의 재원은 주로 어떻게 충당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초과 근무 수당 _____ ② 방과 후 강사비(수익자부담)
_____ ③ 교육청 지원 _____ ④ 외부 기관 지원비
_____⑤ 교육 봉사(무보수) ____ ⑥ 기타 ( )

24.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비(대회출전비 등)의 재원은 어떻게 충당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수익자 부담 _____ ② 학교 지원
_____ ③ 교육청 지원 _____ ④ 외부 기관 지원
_____ ⑤ 관련 협회 지원 ____ ⑥ 기타 ( )

26.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정부 및 교육청의 지원이 2013년 보다 2014년 이후가 더욱


바람직하게 운영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26.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33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27. 귀교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연계한 교내외 프로그램이 있습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없음
_____ ② 교내 스포츠클럽대회 개최
_____ ③ 교육청 스포츠클럽대회 참가
_____ ④ 지역협회 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_____ ⑤ 지역협회 스포츠클럽 대회 참가
_____ ⑥ 기타 ( )

28.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시에 인성 교육에 대한 부분을 특별히 강조하여 진행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29.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해 인성교육을 지도하기 위해 가장 중점을 두는 내용은 무엇


입니까?
_____ ① 인간관계 개선
_____ ② 협동, 준법성, 배려 등의 사회적 인성 체득
_____ ③ 열정, 인내, 자신감 등의 개인적 인성 체득
_____ ④ 스트레스 관리, 폭력성 완화 등의 정서 순화
_____ ⑤ 문제 장면에서 바람직한 선택을 하는 올바른 판단력 향상
_____ ⑥ 기타 ( )

◎ 정부에서는 정규 체육 시간 이외에 다양한 체육활동을 자율적으로 실시할 것


을 권장한 바 있습니다. 다음 체육 프로그램은 그 중 대표적인 활동들에 대
한 질문입니다.

30. 학교스포츠클럽 외에 운영되는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귀교의 상황에 답하여


주십시오.

부록 • 339
귀교에서 이 프로그램이 학생의 신체활동
학생들의 참여도는
운영하고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어떠합니까?
체육 프로그램 종류 있습니까?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매우 높은 보통 매우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예 아니오 낮다 그렇지
높다 편이다 이다 낮다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아침 및 점심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체육활동 프로그램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참여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스포츠 프로그램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 다음은 여학생 체육에 대한 질문입니다. (학교 형태에 따라 해당되지 않는 문항


에는 응답하지 않아도 됩니다.)

31. 귀교의 여학생들은 체육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예(☞ 33번으로 이동) _____ ② 아니요
32.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있는 대로 고르
세요.)
_____ ①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프로그램 부족
_____ ② 즐거운 체육활동에 대한 경험 부족
_____ ③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시설 부족
_____ ④ 탈의실 등 편의시설 부족
_____ ⑤ 여학생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일 것이라는 교사의 부정적 인식
_____ ⑥ 여학생이 체육활동에 적극적인 것에 대한 학부모의 부정적 인식
_____ ⑦ 남학생과의 운동 능력 차이에 따른 소외감
_____ ⑧ 기타( )
33. 귀교의 체육 수업 형태는 어떠합니까?
_____ ① 남녀혼성 _____ ② 남녀 분반 _____ ③ 학급 내에서 남녀 분리 지도
_____ ④ 수업 내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34. 남녀공학에서 어떤 체육 수업의 형태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남녀혼성 _____ ② 남녀 분반 _____ ③ 학급 내에서 남녀 분리 지도
_____ ④ 수업 내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34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35. 효과적인 혼성 학급의 체육 수업을 위해 반드시 지원되어야 하는 요구 사항이 있다면
적어 주십시오.

36.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 중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_____ ① 여학생 전용 탈의실 운영
_____ ② 여학생 전용 세면실 운영
_____ ③ 여학생 전용 체육 교실 운영
_____ ④ 여학생 체육활동을 위한 간이 시설 확충
_____ ⑤ 여학생 체육활동을 위한 지역시설 연계
_____ ⑥ 기타 ( )
37. 귀교에는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있습니까?
_____ ① 예 _____ ② 아니오(☞ 41번으로 이동)
38. 귀교에는 어떤 스포츠 종목의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있습니까?

39. 귀교의 여학생 스포츠클럽은 교외 대회에 출전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예(☞ 41번으로 이동) _____ ② 아니오
40. 여학생 스포츠클럽이 교외 대회에 출전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여학생의 경기 능력 부족 _____ ② 여학생 대회의 부족
_____ ③ 대회 출전비 등의 부족 _____ ④ 부상 등에 대한 우려
_____ ⑤ 대회 참여 선수 부족 ____ ⑥ 여학생의 스포츠 경기 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
41. 귀교에서는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내 체육(스포츠)대회를 실시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예 _____ ② 아니오(☞ 43번으로 이동)
42. 여학생 체육(스포츠)대회를 실시하고 있다면 주로 어떤 종목을 실시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창작댄스 _____ ② 줄넘기 _____ ③ 발야구
_____ ④ 육상 _____ ⑤ 피구 _____ ⑥ 기타( )

부록 • 341
43. 여학생 스포츠클럽이 활성화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여학생 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
_____ ② 여학생을 위한 스포츠 활동 규칙 개선 및 프로그램의 제공
_____ ③ 보호 장비 지원
_____ ④ 탈의실 및 샤워장 편의시설 지원
_____ ⑤ 여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지도자 인력 구성
_____ ⑥ 기타( )

◎ 다음은 체육 시설 및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44. 귀교는 체육활동에 필요한 충분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45. 체육활동에 필요한 시설 중 가장 우선적으로 확충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_____ ① 현대화 운동장 _____ ② 다목적 체육관 _____ ③ 실내 운동 교실 _____
④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체육 시설
_____ ⑤ 탈의실 및 샤워장 등의 편의 시설
_____ ⑥ 기타 ( )
46. 귀교는 학생 체육활동을 위해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을 활용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48번으로 이동)_____ ② 그런 편이다.(☞ 48번으로 이동)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47.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지역 체육 시설에 대한 정보 부족
_____ ② 지역 체육 시설에 접근 어려움
_____ ③ 지역 체육 시설 이용의 비용 부담
_____ ④ 체육 수업 내용과의 관련성 부족
_____ ⑤ 이동 및 학교 밖 수업 중의 안전사고 위험
_____ ⑥ 기타( )

34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48. 학생들의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어떤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_____ ① 보조강사 지원 _____ ② 체육 교구 지원
_____ ③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 지원 _____ ④ 대회 주최 및 후원
_____ ⑤ 재정 지원 _____ ⑥ 기타( )

◎ 다음은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강조하거나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한 질문입니다.

49. 학교스포츠클럽을 포함하여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의 적용으로 귀교에서


학교폭력이 감소하거나 활기찬 학교 분위기가 조성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50. 학교체육활성화를 위한 다음의 정책들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각 항목별로 ∨표시로 응답해 주세요)
전혀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체육활성화 정책 구분 그렇지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중학교 체육 관련 수업시수 확대 ① ② ③ ④ 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확대 ① ② ③ ④ ⑤
학교스포츠클럽과 지역사회 연계 ① ② ③ ④ ⑤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및 리그 운영 ① ② ③ ④ ⑤
여학생 체육활동 기반 시설 조성 ① ② ③ ④ ⑤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식 개선 ① ② ③ ④ ⑤
기초학력 지원 e-school 구축 ① ② ③ ④ ⑤
학생선수 통합지원센터 운영 ① ② ③ ④ ⑤

51. 현 정부의 학교체육 정책 중 반드시 개선 및 보완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을 적어 주십시오.

52.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이 학교에서 긍정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관심을 두어야할 것과
지원해 주어야 할 것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자유롭게 적어 주십시오.

부록 • 343
[부록 5] 고등학교 학생용 설문지

학교체육 실태 및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지


※ 각 설문 문항의 해당되는 항목에 ✔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은 설문 응답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성별 : ___ ① 남 ___ ② 여
2. 학교 소재지 : ___ ① 대도시(특별시, 광역시) ___ ② 중소도시 ___ ③ 읍면 지역
3. 학교 형태 : ___ ① 남녀공학 ___ ② 남학교 ___ ③ 여학교

◎ 다음은 체육교과 및 체육 수업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이번 학기 동안 일주일에 체육 수업이 평균 몇 시간 배정되어 있습니까?


___ ① 0시간 ___ ② 1시간 ___ ③ 2시간 ___ ④ 3시간
___ ⑤ 4시간
2. 고등학교 과정에서 체육 과목을 총 6학기 동안(3년 내내) 배우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합니까?
___ ①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___ ②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___ ③ 그저 그렇다. ___ ④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___ ⑤ 매우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3.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건강 및 체력 향상 ___ ② 다양한 체육활동 경험 ___ ③ 스트레스 해소
___ ④ 교우 관계 발전 ___ ⑤ 체육 기능 향상 ___ ⑥ 규칙적인 신체활동 기회 마련
___ ⑦ 기타( )
4. 체육 과목의 6학기 편성에 반대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학업 성적 관리에 대한 부담 __ ② 차별성 없는 수업 내용으로 과목 흥미 저하
___ ③ 부상에 대한 우려 ___ ④ 탈의실 등 체육 수업에 대한 편의 시설 부족
___ ⑤ 기타( )

34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5. 체육 관련 선택과목 중 현재 수강하고 있는 과목은 무엇입니까?
___ ①  운동과 건강생활 ___ ②  스포츠 문화 ___ ③  스포츠 과학
___ ④ 기타( )
6. 현재 수강하고 있는 체육 선택과목 및 수업에 만족합니까?
___ ① 매우 만족한다.(☞ 7번으로 이동) ___ ② 만족한다.(☞ 7번으로 이동)
___ ③ 그저 그렇다. ___ ④ 만족하지 않는다.(☞ 8번으로 이동)
___ ⑤ 매우 불만족하다.(☞ 8번으로 이동)
7. 수강하고 있는 체육 선택과목 및 수업이 만족스러운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 ① 심화된 체육교과 지식 습득 가능
___ ② 다양한 체육활동 경험
___ ③ 새로운 과목에 대한 기대
___ ④ 기타( )
8. 수강하고 있는 체육 선택과목 및 수업이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 ① 체계적이지 못한 교과 내용 ___ ② 차별성 없는 수업 방법 및 평가
___ ③ 지도교사의 전문지식 부족 ___ ④ 대학 진학에 도움이 안 됨
___ ⑤ 기타( )

◎ 다음은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질문입니다.

9. 학생은 학교스포츠클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10. 올해 학교에서 참여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은 몇 개 입니까?
___ ① 없음(☞ 15번으로 이동) ___ ② 1개 ___ ③ 2개 ___ ④ 3개
___ ⑤ 4개 이상
11.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시간은 주로 언제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 ① 아침시간(수업 전) ___ ② 점심시간 ___ ③ 방과 후 ___ ④ 주말
___ ⑤ 기타( )
12. 올해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참여한 운동은 어떤 것입니까?

부록 • 345
13. 참여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 선생님은 누구십니까?
___ ① 체육선생님 ___ ② 스포츠강사 선생님
___ ③ 담임선생님 ___ ④ 지도해 주시는 분이 없음___ ⑤ 기타( )
14.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 ① 체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어서
___ ②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서
___ ③ 다양한 스포츠(운동)를 경험할 수 있어서
___ ④ 스포츠 활동(운동)이 즐겁기 때문에
___ ⑤ 친구와의 관계가 좋아지기 때문에
___ ⑥ 학업 능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___ ⑦ 비만을 예방하기 때문에(다이어트의 효과가 있기에)
___ ⑧ 스포츠 활동(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___ ⑨ 스포츠(운동) 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___ ⑩ 대회 출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___ ⑪ 기타( )
15. 학교스포츠클럽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활동들에 대해 만족합니까?
___ ① 매우 만족한다. ___ ② 만족한다. ___ ③ 그저 그렇다.
___ ④ 만족하지 않는다. ___ ⑤ 매우 불만족하다.
16.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___ ① 참여할 시간을 만들기 어려움(입시 준비, 학원 등 때문에)
___ ② 대회 출전이 부담스러움
___ ③ 부모님이 스포츠 활동(운동)에 참여하는 것을 염려하심
___ ④ 운동 능력(실력)이 부족함
___ ⑤ 부상에 대한 두려움 ___ ⑥ 피곤함 ___ ⑦ 기타( )
17.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다가 중단한 경험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 ① 흥미가 없어짐 ___ ② 부모님의 권유 ___ ③ 부상에 대한 두려움
___ ④ 피곤함 ___ ⑤ 시간 부족 ___ ⑥ 대회 출전에 대한 부담
___ ⑦ 운동 능력 부족 ___ ⑧ 기타( )
18. (여학생만 응답) 여러분의 학교에는 여학생만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 있습니까?
___ ① 있다. ___ ② 없다.

34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19. (여학생만 응답) 여학생만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 마련된다면 참여하겠습니까?
___ ① 예 ___ ② 아니오
20. (여학생만 응답) 여학생만 참여하는 학교스포츠클럽이 잘 운영되려면 어떤 것이 마련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여학생을 위한 다양한 스포츠클럽 프로그램(운동) 제공
___ ② 여학생용 용품이나 기구 지원
___ ③ 여학생을 위한 편의 시설(탈의실, 샤워장 등) 설치
___ ④ 보호 장비 지원
___ ⑤ 여학생에게 적합한 규칙 설정
__ ⑥ 여학생만 참여하는 대회 개최
___ ⑦ 기타( )

◎ 다음은 학교에서 하는 여러 체육활동에 대한 질문입니다.

21. 체육 과목이나 학교에서 실시하는 체육활동이 학교에서 배우는 여러 다른 과목 또는


활동들과 비교하여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중요하다. ___ ② 중요한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중요하지 않다.
___ ⑤ 전혀 중요하지 않다.
22. 자신이 학교에서 하는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작년 이전보다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23. 학생은 체육 수업 시간이 즐겁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24. 체육 수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건강 및 체력 향상 ___ ② 신체 움직임의 다양한 기능 향상
___ ③ 신체활동 참여를 통한 즐거움
___ ④ 교우 관계 발전 ___ ⑤ 스포츠맨십 등의 긍정적 태도 형성

부록 • 347
___ ⑥ 체육활동에 대한 자신감 획득
___ ⑦ 기타( )

25. 체육 수업이 불만족스럽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좁은 공간 및 스포츠 시설 부족 ___ ② 지나친 경쟁 위주의 활동
___ ③ 부상에 대한 우려 ___ ④ 체계적이지 못한 수업 내용
___ ⑤ 원하지 않는 체육활동 종목 ___ ⑥ 지도교사의 전문성 부족

26. 학교스포츠클럽 이외에 다음에 제시하는 학교에서 운영되는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도와 참여 소감을 해당되는 칸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참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점점 더
경험이 학생은 꾸준히 참여하였습니까? 체육활동에 관심과 재미를
체육 프로그램 종류 있습니까? 느꼈습니까?
꾸준히 대체로 그다지 전혀 전혀
보통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예 아니오 참여 참여 참여하지 참여하지 그렇지
이다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했다 했다 않았다 않았다 않다

아침 및 점심 체육활동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프로그램
토요스포츠데이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프로그램
부모님과 함께 하는
가족 참여 스포츠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프로그램
방학 중 스포츠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프로그램

27.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


합니까?
___ ① 여학생에 적합한 활동 프로그램의 부족 ___ ② 체육활동에 대한 흥미 부족
___ ③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시설 부족 ___ ④ 탈의실, 샤워장 등 편의시설 부족
___ ⑤ 다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___ ⑥ 자신의 신체 모습 또는 운동하는 모습에 대한 부담감
___ ⑦ 기타( )

28. 여러분 학교의 체육 수업 형태는 어떠합니까?


___ ① 남녀혼성 ___ ② 남녀 분반 ___ ③ 학급 내에서 남녀 분리 참여
___ ④ 수업 내용에 따라 다름

34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29. 남녀공학에서 어떤 체육 수업의 형태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___ ① 남녀혼성 ___ ② 남녀 분반 ___ ③ 학급 내에서 남녀 분리 참여
___ ④ 수업 내용에 따라 다르게 참여

30. 우리 학교의 체육 시설 중 가장 개선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___ ① 운동장에 설치된 운동 기구
___ ② 체육시간에 사용하는 용·기구(체육 기구실에 있는 것)
___ ③ 옷 갈아입는 곳 ___ ④ 강당(체육관) ___ ⑤ 인조 잔디 운동장
___ ⑥ 기타( )

31. 체육활동(운동)을 위해 주변의 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면 어떤 시설이 가장 필


요하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수영장 ___ ② 축구장 ___ ③ 농구장 ___ ④ 배드민턴장
___ ⑤ 탁구장 ___ ⑥ 기타( )

32. ᄍ거워졌다고 생각합니까?


___ ① 매우 그렇다. ___ ② 그런 편이다. ___ ③ 보통이다. ___ ④ 그렇지 않다.
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33. 학교의 체육활동에서의 문제점이나 부탁하고 싶은 사항을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부록 • 349
[부록 6] 고등학교 교사용 설문지

학교체육 실태 및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지

※ 각 설문 문항의 해당되는 칸의 번호에 표시 (✔ 또는 ○)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은 설문 응답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성별 : _____ ① 남 _____ ② 여
2. 연령 : _____ ① 20대 _____ ② 30대 _____ ③ 40대 _____ ④ 50대 이상
3. 학교 소재지 : _____ ① 대도시(특별시, 광역시) _____ ② 중소도시
_____ ③ 읍면 지역
4. 학교 형태 : _____ ① 남녀공학 _____ ② 남학교 _____ ③ 여학교
5. 지도 학년 : _____ ① 1학년 _____ ② 2학년 _____ ③ 3학년
6. 현재 직책 : _____ ① 담임교사 _____ ② 부장교사 _____ ③ 교과 담당 교사

◎ 다음은 고등학교 체육 수업 시수 확대 및 6학기 편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1. 귀하는 2014학년도 1학년 학생들부터 체육 관련 교과를 6학기로 편성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찬성 _____ ② 반대 (☞ 3번으로 이동)

2. 체육 수업을 6학기로 편성하는 것에 대해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__ ① 학생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 기회 확대
_____ ② 다양한 체육 선택 교과의 실시
_____ ③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 해소
_____ ④ 스포츠 종목의 심화과정 운영
_____ ⑤ 다양한 신체활동 경험 기회 확대
_____ ⑥ 기타 ( )

350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3. 체육 수업을 6학기로 편성할 경우 어떤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여러 학년을 지도해야 하는 부담 _____ ② 체육 공간 및 시설의 부족
_____ ③ 타 교과목의 편성 시 갈등 발생
_____ ④ 입시 부담으로 인한 변칙적인 수업 운영
_____ ⑤ 기타 ( )
4. 귀교에서는 2014학년 1학년 학생들의 3개년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각 학년별로 어떤
과목을 선택하였습니까? (선택한 과목을 모두 고르세요.)
_____ ① 운동과 건강생활 _____ ② 스포츠 문화 _____ ③ 스포츠 과학
5. 4번에서 1∼2개의 체육 관련 선택 교과목만 선택하였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_____ ① 교재 연구에 대한 부담 _____ ② 체육 선택 교과의 부적합성
_____③ 학생들의 체육 선택 교과에 대한 부담감 _____ ④ 학교 관리자의 인식 부족
_____⑤ 기타( )
6. 귀하는 고등학교 체육 수업 시간을 6학기로 편성·운영하는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 어떤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체육 선택 교과의 변화 및 확대
_____ ② 체육 선택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 연수
_____ ③ 선택 교과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 개발
_____ ④ 선택 교과에 맞는 평가 방법 개발
_____ ⑤ 기타( )

◎ 다음은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대한 질문입니다.

7.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생에게 어떤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체력 유지 및 향상 _____ ②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
_____ ③ 다양한 스포츠 경험 _____ ④ 스포츠 활동의 즐거움 체험
_____ ⑤ 교우 관계 발달 _____ ⑥ 대회 출전에 대한 경험
_____ ⑦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 _____ ⑧ 학업 능률의 향상
_____ ⑨ 스포츠 활동에 대한 관심 증가 _____ ⑩ 스포츠 기능의 향상
_____ ⑪ 비만 예방 _____ ⑪ 기타( )

부록 • 351
8.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① 학생의 무관심으로 참여 저조 _____② 수용 능력을 넘는 과다한 학생 참여
_____③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_____④ 학력향상 중심 학사 운영
_____⑤ 관리자의 인식 부족 _____ ⑥ 체육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부족
_____⑦ 운영상 수반되는 행정 업무의 과다_____⑧ 스포츠지도 능력 및 경험의 부족
_____ ⑨ 기타 ( )
9.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주체는 누구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스포츠강사 _____ ② 체육 교사
_____ ③ 타교과 교사 _____ ④ 학교 운동부 코치
_____⑤ 교육봉사활동 희망자(대학생 등) _____ ⑥ 기타 ( )
10.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의 구성과 자질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11.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할 주체로서 가장 적합한 지도자는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스포츠강사 _____ ② 체육 교사
_____ ③ 타교과 교사 _____ ④ 협회소속 전문 강사(운동부 코치 등)
_____ ⑤ 교육봉사활동 희망자(대학생, 대학원생 등)
_____ ⑥ 기타 ( )
12.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13.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체육 시설 및 용·기구 부족
_____ ②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자질
_____ ③ 체육교육과정과의 괴리
_____ ④ 학생이 희망하는 스포츠 종목 개설의 어려움
_____ ⑤ 지도에 적정한 참여 학생 수 유지
_____ ⑥ 기타 ( )

352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14.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는데 발생하는 물적 지원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낙후된 체육 시설 _____ ② 체육활동 장소의 부족
_____ ③ 체육 용품·기구 부족
_____ ④ 활용 가능한 지역 시설의 부족 및 연계 미확보
_____ ⑤ 기타 ( )

15.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는데 발생하는 인적 지원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중요도 순으로 3가지를 선택해 순위를 기록하세요.)
_____ ① 지도자 확보의 어려움
_____ ② 지도자 인건비 충당의 어려움
_____ ③ 지도자의 지도 전문성 부족
_____ ④ 지도자와 학생간의 문제발생 시 해결 방안 미비
_____ ⑤ 기타 ( )

16.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비의 재원은 주로 어떻게 충당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초과 근무 수당 _____ ② 방과 후 강사비(수익자부담)
_____ ③ 교육청 지원 _____ ④ 외부 기관 지원비
_____ ⑤ 교육 봉사(무보수) ____ ⑥ 기타 ( )

17.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비(대회출전비 등)의 재원은 어떻게 충당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수익자 부담 _____ ② 학교 지원
_____ ③ 교육청 지원 _____ ④ 외부 기관 지원
_____ ⑤ 관련 협회 지원 _____ ⑥ 기타 ( )

18.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정부 및 교육청의 지원이 2013년 보다 2014년 이후가 더욱


바람직하게 운영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19.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부록 • 353
20. 귀교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연계한 교내외 프로그램이 있습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없음 _____ ② 교내 스포츠클럽대회 개최
_____ ③ 교육청 스포츠클럽대회 참가 _____ ④ 지역협회 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_____ ⑤ 지역협회 스포츠클럽 대회 참가 _____ ⑥ 기타 ( )

21. 귀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지도 시에 인성 교육에 대한 부분을 특별히 강조하여 진행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22.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해 인성교육을 지도하기 위해 가장 중점을 두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_____ ① 인간관계 개선
_____ ② 협동, 준법성, 배려 등의 사회적 인성 체득
_____ ③ 열정, 인내, 자신감 등의 개인적 인성 체득
_____ ④ 스트레스 관리, 폭력성 완화 등의 정서 순화
_____ ⑤ 문제 장면에서 바람직한 선택을 하는 올바른 판단력 향상
_____ ⑥ 기타 ( )

◎ 정부에서는 정규 체육 시간 이외에 다양한 체육활동을 자율적으로 실시할 것


을 권장한 바 있습니다. 다음 체육 프로그램은 그 중 대표적인 활동들에 대
한 질문입니다.

23. 학교스포츠클럽 외 운영되는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귀교의 상황에 답하여


주십시오.

귀교에서 이 프로그램이 학생의 신체활동


학생들의 참여도는
운영하고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어떠합니까?
체육 프로그램 종류 있습니까?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매우 높은 보통 매우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예 아니오 낮다 그렇지
높다 편이다 이다 낮다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아침 및 점심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체육활동 프로그램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354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귀교에서 이 프로그램이 학생의 신체활동
학생들의 참여도는
운영하고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어떠합니까?
체육 프로그램 종류 있습니까?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매우 높은 보통 매우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예 아니오 낮다 그렇지
높다 편이다 이다 낮다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부모와 함께 하는 가족 참여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스포츠 프로그램
방학 중 스포츠 프로그램 ① ②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 다음은 여학생 체육에 대한 질문입니다. (학교 형태에 따라 해당되지 않는 문항


에는 응답하지 않아도 됩니다.)

24. 귀교의 여학생들은 체육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예(☞ 26번으로 이동) _____ ② 아니요

25. 여학생들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있는 대로 고르


세요.)
_____ ①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프로그램 부족
_____ ② 즐거운 체육활동에 대한 경험 부족
_____ ③ 여학생에 적합한 체육 시설 부족
_____ ④ 탈의실 등 편의시설 부족
_____ ⑤ 여학생이 체육활동에 소극적일 것이라는 교사의 부정적 인식
_____ ⑥ 여학생이 체육활동에 적극적인 것에 대한 학부모의 부정적 인식
_____ ⑦ 남학생과의 운동 능력 차이에 따른 소외감
_____ ⑧ 기타( )

26. 귀교의 체육 수업 형태는 어떠합니까?


_____ ① 남녀혼성 _____ ② 남녀 분반 _____ ③ 학급 내에서 남녀 분리 지도
_____ ④ 수업 내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27. 남녀공학에서 어떤 체육 수업의 형태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남녀혼성 _____ ② 남녀 분반 _____ ③ 학급 내에서 남녀 분리 지도
_____ ④ 수업 내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부록 • 355
28. 효과적인 혼성 학급의 체육 수업을 위해 반드시 지원되어야 하는 요구 사항이 있다면
적어 주십시오.

29.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 중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_____① 여학생 전용 탈의실 운영 _____ ② 여학생 전용 세면실 운영
_____③ 여학생 전용 체육 교실 운영 _____④ 여학생 체육활동을 위한 간이시설 확충
_____⑤ 여학생 체육활동을 위한 지역시설 연계
_____⑥ 기타 ( )
30. 귀교에는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있습니까?
_____ ① 예 _____ ② 아니오(☞ 34번으로 이동)
31. 귀교에는 어떤 스포츠 종목의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이 있습니까?

32. 귀교의 여학생 스포츠클럽은 교외 대회에 출전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예(☞ 34번으로 이동) _____ ② 아니오
33. 여학생 스포츠클럽이 교외 대회에 출전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여학생의 경기 능력 부족 _____ ② 여학생 대회의 부족
_____ ③ 대회 출전비 등의 부족 _____ ④ 부상 등에 대한 우려
_____ ⑤ 대회 참여 선수 부족
_____ ⑥ 여학생의 스포츠 경기 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
34. 귀교에서는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내 체육(스포츠)대회를 실시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예 _____ ② 아니오(☞ 36번으로 이동)
35. 여학생 체육(스포츠)대회를 실시하고 있다면 주로 어떤 종목을 실시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창작댄스 _____ ② 줄넘기 _____ ③ 발야구
_____ ④ 육상 _____ ⑤ 피구 _____ ⑥ 기타( )

356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36. 여학생 스포츠클럽이 활성화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여학생 스포츠클럽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
_____ ② 여학생을 위한 스포츠 활동 규칙 개선 및 프로그램의 제공
_____ ③ 보호 장비 지원
_____ ④ 탈의실 및 샤워장 편의시설 지원
_____ ⑤ 여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지도자 인력 구성
_____ ⑥ 기타( )

◎ 다음은 체육 시설 및 지역사회 연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37. 귀교는 체육활동에 필요한 충분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38. 체육활동에 필요한 시설 중 가장 우선적으로 확충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_____ ① 현대화 운동장 _____ ② 다목적 체육관 _____ ③ 실내 운동 교실
_____ ④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체육 시설
_____ ⑤ 탈의실 및 샤워장 등의 편의 시설
_____ ⑥ 기타 ( )

39. 귀교는 학생 체육활동을 위해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을 활용하고 있습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41번으로 이동)_____ ② 그런 편이다.(☞ 41번으로 이동)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40. 지역사회 체육 시설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있는 대로


고르세요.)
_____ ① 지역 체육 시설에 대한 정보 부족 _____② 지역 체육 시설에 접근 어려움
_____ ③ 지역 체육 시설 이용의 비용 부담 _____④ 체육 수업 내용과의 관련성 부족
_____ ⑤ 이동 및 학교 밖 수업 중의 안전사고 위험
_____ ⑥ 기타( )

부록 • 357
41. 학생들의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어떤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_____ ① 보조강사 지원 _____ ② 체육 교구 지원
_____ ③ 지역사회의 체육 시설 지원 _____ ④ 대회 주최 및 후원
_____ ⑤ 재정 지원 _____ ⑥ 기타( )

◎ 다음은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강조하거나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한 질문입니다.

42. 학교스포츠클럽을 포함하여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의 적용으로 귀교에서


학교폭력이 감소하거나 활기찬 학교 분위기가 조성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_ ① 매우 그렇다. _____ ② 그런 편이다. _____ ③ 보통이다.
_____ ④ 그렇지 않다. _____ ⑤ 전혀 그렇지 않다.

43.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다음의 정책들이 학교체육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각 항목별로 ∨표시로 응답해 주세요)
전혀
매우 그런 보통 그렇지
체육활성화 정책 구분 그렇지
그렇다 편이다 이다 않다
않다
고등학교 체육 관련 수업시수 확대 ① ② ③ ④ 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확대 ① ② ③ ④ ⑤
학교스포츠클럽과 지역사회 연계 ① ② ③ ④ ⑤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및 리그 운영 ① ② ③ ④ ⑤
여학생 체육활동 기반 시설 조성 ① ② ③ ④ ⑤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식 개선 ① ② ③ ④ ⑤
기초학력 지원 e-school 구축 ① ② ③ ④ ⑤
학생선수 통합지원센터 운영 ① ② ③ ④ ⑤
체육 중점 학급 운영 ① ② ③ ④ ⑤

358 •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44. 현 정부의 학교체육 정책 중 반드시 개선 및 보완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을 적어 주십시오.

45.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이 학교에서 긍정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관심을 두어야할 것과
지원해 주어야 할 것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자유롭게 적어 주십시오.

부록 • 35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