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6

세무사 1차 기출문제 분석

l 곳E久게
출 제 연 도(문제 수)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Z
7

2-1.S-`、


·재무회계 일반 및 기타 3 5 4 3 2 5
\))
〉F재고자산 2 3 2 2 2 3 `
,( 2
·농림어업 1
꼽유형자산,무형자산 5 4 6 6 4 5 (之J 」
士 r--

·투자부동산 1 1 1 I
f广

·자본화 차입원가 1 1 1 1
广\
강i;,· 금융부채, 충당부채 1 2 1 1 2 1 1

三讐`아
·종업원급여 1 1 1. 上
:乙


·자본 2 2 2 1
〈쿰융자§)격 2 1 1 1 4 1 /i 3`\ 下
갑 1 1 1 1

、V
17· 복합금융상품 尸\l
·주식기준보상거래 1 1 1

남 ·수익 2 3 1 2 1 1 修) I
·리스 1 1 1 1 2 I
!
1 〉검
,,,,
·법인세

之五회계변경과 오류수정 1 1 1 1 1 2
J
>· 주당이익 1 1 1 1 1 1 r1 .,

츠::.·현금흐름표 3 1 1 1 1 ( 1

·고급회계 1 1 2 1 3 二 L〈:
\앙-尹비재 무 회 계소계 25 25 25 25 25 25 白雲 \巨
1S 才
탄 _\o^ 원 가관리회 계 15 15 15 15 15 15 15 2 ,5
` 一
二}0一학감겅
�.”

궁닌l- 계 40 40 40 40 40 40 "(
) \Oo ’
Y군
:
oO
一떨 z
목차Ill
I/\ '

〈총 590 페이지 - 432문제〉
제 01 장 _재무회계 일반 〔 25 문제〕 …….... …………...………….... ………..……· l - 30

제 02 장 _재고지산 〔 3 4 문제〕 …………...…………………..………………………… 1 ~ 38

제 03 장 _유형 · 무형자산 · 투자부동산 〔52 문제〕 ... ……………....…·……… 1 ~


64

제 04 장 _차입원가 〔 8 문제〕 ……………..…………………………...………………·· 1 ~ 10

Q
제 05 장 _T채 · 종업원급여 〔 28 문제〕 …....…………………………… ....……… 1 ~ 42

제 06 장 _자본 〔 19 문제〕 ….....……………………………...……………………...…· 1 - 24

Q
제 07 장 _o 융자산 〔 30 문제〕 …………..…………...………………………………… 1 ~ 44

제 08 장 _복합금융상품 〔 13 문제〕 …......………………………………………·…" 1 ~ 20

제 09 장 _주식기준보상거래 〔 16 문제〕 ...…..…………..…………………………· 1 - 2


0

제 10 장 _수익 爲 2 문제〕 …•………………...………………………….....…………··· 1 ~ 44

제 11 장 _리 스 〔 18 문제〕 …...………………………………………………………·· 1 - 24

제 12 장 _법인세 [12 문제 J ……………..…………………·…………………………·· 1 - 16


제 13 장 Q계 변경과 오류 〔 18문제广…………………………………………"' 1 ~ 22

제 14 장 一주당이 익 〔 14 문제〕 ……..…………………………………………………… 1 ~ 18

제 15 장 ―현금흐름표 〔 21 문제〕 ……..………...………………...…….......………· 1 ~ 34

제 16 장 _사업결합 〔 14 문제〕 …•…·………………………….... ……………………·· l ~ 22

제 17 장 _연결회계 〔 30 문제〕 ………·………·………………………………………… 1 ~ 36

紗제 18 장 _지분법 口 1 문제〕 ……....……………………..………………….....…...... 1 ~ 14

차제 19 장 _환율변동효과 〔 1 2 문創 ………………… …….•·…·……………………· l ~ 16

제 20 장 _파생금융상품 〔 12 문제〕 ……...…………………………………………… 1 ~ 24

냑제 21 장 _재무회계 기타 〔 13 문제〕 …•…·………………………………..…………· l ~ 18

부록 _재무제표 작성 ……………………………………………...…………....………….. 1
~ 10
제 1 장_재무회계일반 • 1-1

·‘。
%후紅
•••
,':!,.;
’,',, .'’
f'’, '\';;t'&'',,' '’'’,i’',’.?','’i•, ,,
' ?, ,', ','''’\'\ \,, . ,,’’,P',''; , ",Fi'' ,'.'',.
재무회계 일반
,’’ ’'"'"' ’ '"'""

01 다음은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중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에 관한 설명이다. 이 중 읊


지 않은 것은?
(공인회계사 2016)

®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 및 기타 채권자는 일반목적재무보고서가 대상으로 하 O


는 주요 이용자이다.
® 일반목적재무보고서는 주요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으며 제
공할 수도 없다
® 일반목적재무보고서는 주요 이용자가 보고기업의 가치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 O
보를 제공한댜
® 회계기준위원회는 재무보고기준을 제정할 때 주요 이용자 최대 다수의 수요를 충족하 C
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 보고기업의 경영진도 해당 기업에 대한 재무정보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일반목적재무 X
보고서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

(l ) 많〈〉 〈
고기업에 욘군깝二느셀곧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재무정보의 많은 부분옳/일반목적재무보고서
:1-, 대책- 및 기타 묘브자는 그들에게 끄그」\\〈\:
에 의존해야만 한다. 따라서 그들은 일반목적재무보고서가 대상으로 히는· 주요 이용지이다.
( 2) 그 정보이용지들은, 예를 들어, 일반 경제적 상황 및 기대, 정치 적 사건과 정치 풍토, 산업
및 기 업 전망과 같은 다른 원천에서 입수한 관련 정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3) 일반목적재무보고서는 판므麟고묘〔〈꼬更드벨브生」虫} 그러냐 주요
이용자가 보고기업의 가치를 추정하는 데 도움 ] 되는 정보를 제곱햏댜 [IBP7 참고4]
(4) 그러나 공통된 정보 수요에 초점을 맞춘다고 해서 보고기 업으로 하여금 주요 이용자의 특
정한 일부에게 가장 유용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 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아니댜 (예를 들
면, 주당이익은 주주에게 가장 유용한 정보이다.)
(5) 경영진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재무정보를 내부에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목적재무보고
서에 의존할 필요가 없댜
.. 情 ..情· 1-2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다02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를 위한 개념체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세무사 2010 수정)

C)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개념체계가 상충되는 경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개념체계


보다 우선한댜
0 ® 재무정보가 유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적합해야 하고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충실하게 표
현해야 한다 재무정보가 비교가능하고, 검증가능하며, 적시성 있고, 이해가능한 경우
그 재무정보의 유용성은 보강된다.
C ® 수익은 기업의 정상영업활동의 일환으로 발생하는 반면, 차익은 기업의 정상영업활동
의 일환이나 그 이외의 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댜 그러나 개념체계에서는 칙의을 之익
과 별개의 요소로 보지 않는다.
又 ® 자산의 취득은 지출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취득 시 지출이 발생하지 않은
증여받은 재화는 자산의 정의를 충족하지 않는다.

C〉 ®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되고 평가되어야 할 재무제표 요소의 화폐금액을


결정하는 과정을 측정이라 한다.


\
(I) 개념체계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아니므로 특정한 회계측정과 공시 에 관한 기준을 정하
지 아니하며, 개념체계가 어떤 경우에도 특정 회계기준에 우선하지 아니한다. 즉, 개념체계
가 특정 회계기준과 사충되는 경우 그 회계기준이 우선한다
(2) 질적 특성은:亡麟짜교느므이다/비교기능성, 검증기능성, 적시성 및 이
:
二 눕성은 목적적합하고 충실하게 표현된 정보의 유용성을 〔》긴키는 질적 특성이다

묘@
6

(3) 차익도 경제적효익의 증기를 나타내므로 본질적으로 수익과 차이가 없다:. 수익의 정의는 시
장성 있는 유가증권의 재평가나 장기성 자산의 장부금액 증가로 인한
' "'
1
� -글

댜 차익은 흔히 관련 비용을 차감한 금액으로 보고된댜 차손도 경제적효익의 감소를 나타


내므로 본질적으로 다른 비용과 차이가 없댜 따라서 이 겐덮젠겐엔시-는_차난나올보브底i 」!
손목 비용의 정의는 미실현손실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기업의 외화차입
금에 관련된 환율상승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미실현손실이다. 차손은 흔히 관련 수익을 차감
한 금액으로 보고된다.
(4) 일반적으로 지출의 발생과 자산의 취득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나 양자가 반드시 일치하
는 것은 아니댜 따라서 기업이 지출을 한 경우 이 는 미래경제적효익을 추구했다는 증거가
될 수는 있지만 자산의 정의를 충족시키는 어떤 항목을 취득했다는 확정적인 증거는 될 수
제 1 장 재무회계일반
_ • 1-3

없댜 마찬가지로 관련된 지출이 없더라도 특정 항목이 자산의 정의를충족할 경우 재무상


태표의 인식대상이 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증여받은 재화는 자산의 정 의
를충족할수있다
〈:

.-
(5 특정 측정기준의 선택과정을 포함한댜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측정기준
이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며, 회수기능-가액은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큰 금액이다.) [ m 10 - 3oJ

I. 개념제계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허용하고있는 대체적인 회계처리방법 의 수를 축소


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여 한국회계기준위원회가 재무제표의 표시 와 관련되는 법규, 회계
기준 및 절차를 조화시킬 수있도록 도움을 제공한다
2. 많은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 및 기타 채권자는 그들에게 직접 정보를 제공하도록
보고기업에 요구할 수 없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재무정보의 많은 부분을 일반목적재무보
고서에 의존해야만 한다. 따라서 그들은 일반목적재무보고서가 대상으로 히는· 주요 이용
자이댜
3. 경영진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재무정보를 내부에서 구할수있기 때문에 일반목적재무보
고서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4. 기타 당사자들 , 예를 들어 감독당국 그리고 (투자자, 대여자 및 기타 재권자가 아닌) 일반
대중도 일반목적재무보고서가 유용하다고 여길 수있다. 그렇더라도 일반목적재무보고서
는 이러한 기타 집단을 주요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다.
5. 재무정보가 유용하기 위해서는간》적합해야 하고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하게 표현해
야 한다 재무정보가 비교가능하고, 검증기능동}며, 적시성 있고, 이해가능한 경우 그 재무
정보의 유용성은 보강된다. 근본적 질적 특성과 보강적 질적 특성으로 구분한다.

구 분 구 성 내 용
三: 예측가치와 확인가치

\」己::〉질적특성 L_ 중요성(기업에 특유한 측면의 목적적합성)

=
<
위 닫: 완전하고, 중립적이며, 오류가 없어야 함
2 폰질적특성 ―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적시성 및 이해가능성

6. 보강적 질적 특성온 가능한 한 극대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강적 질적 특성은, 정보가 목


적적합하지 않거나 충실하게 표현되지 않으면, 개별적으로든 집단적으로든 그 정보를 유용
하게 할 수 없다 .
7. 보강직 질적 특성을 적용하는 것은 어떤 규정된 순서를 따르지 않는 반복적인 과정 이다.
때로는 하나의 보강적 질적 특성이 다른 질적 특성의 극대회를- 위해 감소되어야 할 수도
있다 [E P9 해설 (4)]
댑:· ..情· 1-4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03 다음은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를 위한 개념체계 상의 :느드! 관련된 설명이다 탄답한전


앓것은?
(공인회계사 2010)

0 @ 수취재권과 부동산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자산은 소유권 등 법률적 권리와 관련되어

있댜 그런데 자산을 인식함에 있어서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가 필수적인 것


은 아니댜
© ® 기업이 개발활동에서 습득한 핵심지식을 독점적으로 보유하고 그로부터 미래에 유입
될 것으로 기대되는 효익을 통제한다면 자산의 정의를 충족할 수 있다.

`
〈 ® 일반적으로 지출의 발생과 자산의 취득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댜 따라서 무상으로
증여받은 자산은 자산의 정의를 충족할 수 없다.
® 자산은 과거 의 거래나 그 밖의 사건에서 창출된다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거
래나 사건 자체만으로는 자산이 창출되지 않는다.
C ® 자산에 내재된 미래경제적효익이란 미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기업에 유입되도록 기
여하게 될 잠재력을 말한댜/ 기업의 협급웁출읊二 i소시키는 능력, 예를 들어 대체적인
제조과정의 도입으로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경우도 이 잠재력에 포함될 수 있다.

4
해 설 Q 느

/
(l) 예를 들면, 금융리스자산 또는 기업이 개발활동에서 습득한 핵심지식은 이를 독점적으로 보유
함으로A 그로부터 유입될 "' 것으로
- L`
. • '
기팬브보—효익을」묘脈}다면 자산의 정의를 충족할 수 있다.
(2) 四릅자산의 존재를 판단하기 위해서 물-민간_훨댄간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특
허권과 저작권도 미래에 그로부터 경제적 효익이 창출되어 기업에 귀속되고 기업이 통제한

-
다면 자산이다.
(3)
-
일반적으로 지출의 발생과 자산의 취득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 으나 양자가 반드시 일치하
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업이 지출을 한 경우·이는 미래경제적효익을 추구했다는 증거가
될 수는 있지만/}산의 정의를 충족시키는 어떤 항목을 취득했다는 확정적인 증거는 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관련된 지출이 없더라도 특정 항목이 자산의 정의를 충족할 경우 재무상
태표의 인식대상이 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증여받은 재회는· 자산의 정의
를 충족할 수 있다
(4) 》으므므와
m:! 밑겔2섭L청은 구별되어야 한댜 미래에 특정 자산을 취득하겠다는 경영
진의 의사결정 그 자체만으로는 현 재의무가 발생하지 아니한다.
(5) 미래경제적효익은 직접으로 또는 간접으로 협로一 二의국호가를
一 가져오거나, 현프휴출욜二만촌
시키는 능력이댜 [&mt�금유출 감소시키는 자산 : 특허권과 저작권 등 무형자산〕
제 1 장一재무회계일반 • 1-5


무제표 二| 鬪임에 관한 설명후 후후 것은?
(세무사 2012)

® 부채의 이행가치늪장상적인 영업과정에서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지급될 것으로 예상

F ,
되는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의 할인하지 않은 금액으로 평가한다.
® 자산의 역사직원가는 자산을 취득하였을 때 지급한 현금 또는 현금성자산이나 그 밖의 0
대가의 공정가치를 말한다.
® 자산의 현행원가는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자산을 현재시점에서 취득할 경우에 그 대 @
가로 지불하여야 할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의 금액으로 평가한 것을 말한다.
®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측정기준이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사�詩된다.

(3
x
® 자산의 실현가능가치는 정상적으로 처분하는 경우, 수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가 액을 말한다.

/브 Q

\
-
(1) 역사적 원가一 - -

-
® 奭 : 뽀로겁츠츠顯] 지급한 현금 또는 현금성자샨기나 그 밖의 대가의 골격작격
® 부채 : 부담하는 의무의 대가로 수취한 금액/또는 (최초 인식시점에 판단)정상적인 영업

--
과정에서 그 부채를 이행하기 위해 지급할 것으로 기대되는 현금이냐 현금성자산의 금액
(예, 법인세)
(2) 현행원가
® 자산 : 동일하거나 또 는 동등한 자산을 현재시점에서 취득할 경우에 그 대가로 지불하여
야 할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의 금액
@ 부채 : 첼젠건첼인선 그 의무를 입그혼快 데 필요한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의 할인하지 아
니한 금액

墓_설현 7二년으二브스노L 첫麟)


CD 자산(실현가능가치) : 정상적으로 처분히는- 경우 수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이나 현금
성자산의 금액 方i썬꼬찬흥맏土)(令봅E 人
® 부채(이행가치) : (과거에 인식했던 부채에 대해서)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부채를 상환하
기 위해 지급될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의 丈辻핼지 _ }니―___
一현제가차 z
® 자산 :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그 자산이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 순현금유입액의
현재할인가치
@ 부채 :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그 부채를 상환할 때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순현
금유출액의 현재할인가치
..••::· ...:읍· 1-6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
f음 중 재무제麟 작성과 표시
를 위한 개념제계에 대한 설명
후 1;1!\0121

o 1
CD 어떤 항목이 재무제표 요소에 부합하는 본질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냐 인식기준을 충족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R 당 항목은 주석, 설명자료 또는 부속명세서에 공시될 수 있댜
x @ 지출이 발생하였으난舌당해 회계기간 후에는 관련된 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기능-
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무/재무상태표에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댜
O ® 경제적효익이 여러 회계기간에 걸쳐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수익과의 관련성이 단지
포괄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만 결정될 수 있는 경우 비용은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배분
절차를 기준으로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다.
0 ®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는 지출이거냐(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더라도 재무상
태표에 자산으로 인식되기 위한 조건을 원래 충족하지 못하거나 더 이상 충족하지 못
하는 부분은 즉시 포괄손익계산서에 비용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 제품보증에 따라 부채가 발생하는 경우와 같이 자산의 인식을 수반하지 않는 부채가

~
발생하는 경우에는 포괄손익계산서에 비용을 동시에 인식한다.

\
지출이 발생하였으나 당해 회계기간 후에는 관련된 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유예늪/재무상태표에 자산.0 己 인식하지 °묘土간다. 대신에 그러한 거래는

•달登
I. 재무제표 요소의 정의에 부합하고 이식기준을 충족하는 항목을 재무상태표나 포괄
손익계산서에:겔겔는 과정을 말하고,〔:교곤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되고
평가되어야 할 재무제표 요소의 화폐금액음:}정화는- 과정이다.
2. 재무제표 요소의 정의에 부합하는 항목이 다음 기준을 모두 충족한다면
· 재무제표에 인식
_ __
되어야한다
〔@ 그 항목과 관련된 미래 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되거나 기업으로부터 유출될 7冷성
이 높다.
® 그 항목의 원가 또는 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3. 인식의 반대는 제거 이다. 자산은 차변에 분개하는 것이 인식이며, 대변에 분개하는 것이
제거이다 부재와 자본은 대변에 분개하는 것이 인식이며, 차변에 분개하는 것이 제거이
다. 수익은 대변에 비용은 차변에 분개하는 것을 인식이라고 한다.

제 1 장―재무회계일반 • 1-7

I. 부재의 본질적 특성은 기업이 현재의무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의무란 특정 방법으로 실행


하거나 수행할 책무 도는 책임을 말한나/ 의무는 구속력 있는 계약이나 법규에 따라 법률
적 강제력이 있을 수 있다(미지급재무). 의무는 정상적인 거래실무, 관행 또는 원활한 거래
관계를 유지하거나 공평한 거래를 하려는 의도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제품보증충당부채).
2. 기업이 거래상대방의 요구에 따라 현재의무를 이행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미래경제적
효익을 갖는 자원을 희생하게 된다/예를 들면 현금을 지급(매입채무)J다른 자산을 이전
(선수금), 용역의 제공(선수임대료), 다른 의무로 대체(금융부채의 조건변경) 및 부재의 자
본전환(전환사채 전환권행사)이다 또한 의무는 젠퀼잔의 권리포기나 권리상실―등 다른 방
법에 의해서 소멸되기도 한다.
3. 자산과 부재의 정의는 그〈〔군三〕三競 식별하기 위한 것이지, 재무상태표에 쳅묘하기 위
해 충족될 필요가 있는 기준을 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의는 인식기준을 충
족하지 못하여 재무상태표에 자산 또는 부채로 인식되지 못한 항목을 포괄한다.(예를 들어
기업이 내부적으로 창출한 브랜드나 고객목록 등은 미래 경제적효익이 있을 수 있지만, 신
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자산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4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자본의 금액은즈잔살과 부재 금액익:::主門라 결정된다/일반적
으로 전느호브웃 그 기업이 발행한 주식의 시가총액, 또는 순자산을 나누어서 처분하거나
계속기업을 전제로 기업전체를 처분할 때 받을 수 있는 총액과 우연한 경우에만 일치한다.
5. 묘〈 존재와 규모에 대한 정보는 이용자의 의사결정 목적에 적합한 정보이다 이
와 같은 적립금으로 전입되는 금액은 바용이 아니라 이임잉여급의 처분에 해당한다.(법정


적립금(이익준비금)과 임의적립금의 적립은 이익잉여금의 처분이다.)

I. 재무보고서는 정확한 서술보다는 상당 부분 추정. 판단 및 모형에 근거한다. ‘개념체계


는 그 추정, 판단 및 모형의 기초가 되는 개념 을 정한다. 그 개념은 회계기준위원회와 재무
보고서의 작성자가 노력을 기울이는 목표이다.(재무보고서의 이용자 아님)
2. 일반목적재무보고서는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 및 기타 채권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으며 제공할 수도 없다. 그 정보이용자들은, 예를 들어, 일반 경제적
상황 및 기대, 산업 및 기업 전망과 같은 다른 원천에서 입수한 관련 정보를 고려할 필요
가 있다.
3. 다른 유형의 경제적 자원은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보고기업의 전망에 관한 정보이용자의
평가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 비록 그 현금흐름을 개별적인 경제적 자원 (또는 청구권)과
관련지을 수는 없을지라도 재무보고서의 이용자는 보고기업의 영업에 이용가능한 자원의
성격과 금액을 알 필요가 있다.
4. 보고기업의 경제적 자원과 청구권의 변동은 그 기업의
재무성과 그리고 채무상품 또는 지
분상품의 발행과 같은 그 밖의 사건 또는 거래에서 발생한다.
답읍· ·):· 1-8 • 1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06){다음 중 재무제표의 질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공인회계사 2010 수정)

o ® 목적적합한 재무정보는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정보는


일부 정보이용자가 이를 이용하지 않기로 선택하거나 다른 원천을 통하여 이미 이를
알고 있다고 할지라도 의사결정에 차이가 냐도록 할 수 있다.
O ® 완벽하게 충실한 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서술에 세 가지의 특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서술은 완전하고, 중립적이며, 오류가 없어야 할 것이다. 물론 완벽함은 달성하기 어렵
댜 회계기준위원회 의 목적은 가능한 정도까지 그 특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0 @ 관측가능하지 않은 가격이나 가치의 추정치는 정확한지 또는 부정확한지 결정할 수 없
댜 그러냐 추정치로서 금액을 명확하고 정확하게 기술하고, 추정 절차의 성격과 한계
를 설명하며,(그 추정치를 도출하기 위한 적절한 절차를 선택하고 적용하는 데 오류가
없다면 그 추정치의 표현은 충실하다고 할 수 있다.
® 비교가능성은 정보이용자가 항목 간 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
는 질적 특성이다/다른 질적 특성과 달리 비교가능성은 단 하냐의 항목에 관련된 것
이 아니댜 비교하려면 최소한 두 항목이 필요하다.
V © 적시성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의사결정자가 정보를 제때에 이용가능하
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정보는 오래될수록 유용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정
보는 보고기간 말 후에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적시성을 갖지 않는다.

해 설 Q
\
/

(I) 재무정보에 예측가치, 확인가치 또는 이 둘 모두가 있다면 그 재무정보는 의사결정에 차이



가 냐도록 할 수 있다/ 재무정보의 예측가치와 확인가치는 상호 연관되어 있다 예측가치를
갖는 정보는 확인가치도 갖는 경우가 많댜 재무정보가 예측가치를 가 위해서 그 자체가
예측치 또는 예상치일 필요는 없다 재무정보가 已갤土仁三‘二〕호후후(과
거 평가를 확인하거나 변경시킨다면) 안의격격률_깊뇨과.(예측가치를 갖는 정보는 반드시
확인가치를 갖는다고 표현하면 잘 못된 문장이 됨)

(2) 완전한 서술 은 필요한 기술과 설명을 포함하여 정보이용자가 서술되는 현상을 이해히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댜/중립적 서술은 재무정보의 선택이나 표시에 편의가
없는 것이댜 중립적 정보는 목적이 없거나 행동예 대한 영향력이 없는 정보를 의미하지
않는다. 오류가 없다는 것은 현상의 기술 에 오류나 누락이 없고, 보고 정보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절차의 선택과 적용 시 절차 상 오류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 맥락에서 오류가 없
다는 것은 모든 면에서 완벽하게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 1 장 재무회계일반
_ • 1-9

(3) 추정치에 불확실성의 수준이 충분히 크다면, 그 추정치가 별로 유용하지는 못할 것이다.


죽, 충실히 표현된 자산이라도 목적적합성이 의문스럽다는 것이다. 더 충실한 다른 표현을
할 수 없다면, 그 추정치가 최선의 이용가능한 정보를 제공히는느 것일 수� 있다.

(4) 단 하나의 경제적 현상을 충실하게 표현하는 데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동일한 경제적
현상에 대해 대체적인 회계처리방법을 허용하면 비교가능성이 감소한다. 일관성은 비교기능성
과 관련은 되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일관성은 동일한 항목에 대해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
는 것을 말한댜 비교가능성은 목표이고 일관성은 그 목표를 달성히는- 데 도움극을 준다. 비교가
능성은 통일성이 아니다. 정보가 비교가능하기 위해서는 비슷한 것은 비슷하게 보여야 하고 다
른 것은 다르게 보여야 한댜 새로운 재무보고기준의 전진 적용으로 인한 비교기능성의 일시적
감소는 장기적으로 목적적합성이나 충실한 표현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수할 수도 있다.

(5) 그러나 일부 정보는 보고기간 말 후에도 오랫동안 적시성이 있을 수 있다.(예를 들면 추세


를 식별하고 평가할 때)
-

1





?.
7

E

E

_

-
.
-K
-F/

f
OJ

(공인회계사 2015)

® 일반목적 재무보고서는-보고기업의 가치를 보 여주기 위해 고안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D

일반목적 재무보고서는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 및 기타 채권자가 보고기업의


가치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 보강적 질적 특성은가능한 한 극대화 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강적 질적 특성은 정보
가 목적적합하지 않거나 충실하게 표현되지 않으면, 개별적으로든 집단적으로든 그 정


보를 유용하게 할 수 없다.
® 재무정보의 예측가치와 확인가치는 상호 연관되어 있어, 예측가치를 갖는 정보는 확인
가치도 갖는 경우가 많다.
® 재무보고서는 사업활동과 경 제활동에 대해 합리적인 지식이 있고, 부지런히 정보를 검 t:)

토하고 분석하는 정보이용자를 위해 작성된다.


c;

/\
® 懿청은할드민보묘너후나또는꾼은기같 물안안길〔》 동첼莖皇또첸
대해 동일한一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일단恐,
..情 .. ::읍· 1-10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스해 설 Q 느
일관성은 비교기능성과 관련은 되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i::붓 동일한 항목에 대해 동
윌莖그뵤溫 적용하는2꿉끌 말한댜 비교가능성은 목표이고 일관성은 그 목표물 단성하는 데
도움을 준댜 비교가능성은 통일성이 아니다./정보가 비교가능하기 위해서는 비슷한 것은 비슷
하게 보여야 하고 다른 것은 다르게 보여야 한다.


I이해가능성]
재무보고서는 사업활동과 경제활동에 대해 합리적인 지식이 있고, 부지런히 정보를 검토하고
분석하는 정보이용자를 위해 작성된다. 때로는 박식하고 부지런한 정보이용자도 복잡한 경제
적 현상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 자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무정보의 질적 麟에 관한 설명무 麟二 것은?
(세무사 2014)

O ® 중요성은 개별 기업 재무보고서 관점에서 해당 정보와 관련된 항목의 성격이나 규모


또는 이 둘 모두에 근거하여 핸덮 _!l업엔」릅유:L一면의_목전전할설을 의미한댜
D ® 충실한 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서술이 완전하고, 중립적이며, 오류가 없어야 한다.
@ ® 보강적 질적 특성은 만일 어떤 두 가지 방법이 현상을 동일하게 목적적합하고 충실하
게 표현하는 것이라면 이 두 가지 방법 가운데 어느 방법을 현상의 서술에 사용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 단 하나의 경제적 현상을 충실하게 표현하는데 여러 방법이 있 을 수 있으나 동일한 경
제적 현상에 대해 대체적인 회계처리방법을 허용하면 비교가능성이 감소한다.
'>-- ® 일관성은 한 보고기업 내에서 기간 간 또는 같은 기간 동안에 기업 간, 동일한 항목에
대해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비교가능성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

일관성은 동일한 항목에 대해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비교기능성은 목표이고 일


관성은 그 목표를 달성히는- 데 도움을 준다. 비교기능성은 통일성이 아니다 정보가 비교가능하
기 위해서는 비슷한 것은 비슷하게 보여야 하고 다른 것은 다르게 보여야 한다.
제 1 장_재무회계일반 • 1-11


09 무회계정보의 질적특성과 개념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세무사 2011)

® 오류가 없다는 것은 현상의 기술에 오류나 누락이 없고, 보고 정보를 생산하는 데 사



용되는 절차의 선택과 적용 시 절차 상 오류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 맥락에서 오류가


없다는 것은 모든 면에서 완벽하게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일반목적재무보고서는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 및 기타 재권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으며 제공할 수도 없다.
® 중요성은 개별 기업 재무보고서 관점에서 해당 정보와 관련된 항목의 성격이나 규모
t:)
또는 이 둘 모두에 근거하여 해당 기업에 특유한 측면의 목적적합성을 의미한다.
® 재무보고서는 사업활동과 경제활동에 대해 합리적인 지식이 없고, 부지런히 정보를 검
토하고 분석하지 않는 정보이용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 추정치로서 금액을 명확하고 정확하게 기술하고, 추정 절차의 성격과 한계를 설명하
며, 그 추정치를 도출하기 위한 적절한 절치를- 선택하고 적용하는 데 오류가 없다면


그 추정치의 표현은 충실하다고 할 수 있다.

\
(I) G8완벽하게 충실한 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서술에 세 가지의 특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서술은 완접하고. :첫적이며. 옥표가 없어야 할 것이다. 물론 완벽함은 단성하기 어렵다.
회계기준위원회의 목적은 가능-한 정도까지 그 특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2) 그 정보이용지들은, 예를 들어, 일반 경제적 상황 및 기대,' 정치적 사건과 정치 풍토, 산업


및 기업 전망과 같은 다른 원천에서 입수한 관련 정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3) ED 회계기준위원회는 중요성에 대한 획일적인 계량 임계치를 정하거나 특정한 상황에서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를 미 리 결정할 수 없다.

(4) 재무보고서는 사업활동과 경제활동에 대해 함리적안 지식이 있고, 부지런히 정보를 검토하
고 분석하는- 정보이용지물- 위해 작성된다.

(5) fB 추정치에 불확실성의 수준이 총분히 크다면, 그 추정치가 별로 유용하지는 못할 것이


다 즉, 충실히 표현된 자산이라도 목적적합성이 의문스럽다는 것이다. 더 충실한 다른 표
현을 할 수 없다면, 그 추정치가 최선의 이용기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는 있다.
답용... 情 1-12 • 1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101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내용 중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것은?


(세무사 2013)

® 개념체계는 유용한 정보가 되기 위한 근본적 질적 특성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효


율적이고 효과적인 일반적 절차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Z_ ® 일관성은 비교가능성과 관련은 되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즉 일관성은 목표이고,


비교가능성은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X ® 오류가 없다는 것은 현상의 기술에 오류나 누락이 없고, 보고 정보를 생산하는 데 사


용되는 절차의 선택과 적용 시 절차 상 오류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충실한 표현
이란 모든 측면에서 정확함을 의미한다.
,o ® 중요성은 개별 기업 재무보고서 관점에서 해당 정보와 관련된 항목의 성격이나 규모
x

또는 이 둘 모두에 근거하여 해당 기업에 특유한 측면의 목적적합성을 의미한다.


® 재무보고서는 사업활동과 경제활동에 대해 박식하고, 정보를 검토하고 분석하는데 부
지런한 정보이용자보다는 모든 수준의 정보이용자들이 자력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작

~
성되어야 한다.

\
(I) 근본적 질적 특성을 적용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이고 효고巳超l 절츠묘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 첫째, 보고기업의 재무정보 이용자에게 유용할 수 있는 경제적 현상을 식별한다.
® 둘째, 이용기능하고 충실히 표현될 수 있다면 가장 목적적합하게 될, 그 현상에 대한 정
보의 유형을 식별한다.
® 셋째, 그 정보가 이용가능하고 충실하게 표현될 수 있는지 결정한댜
(2) 일관성은 비교기능성과 관련은 되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일관성은 동일한 항목에 대해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門므門혼신흐{:》F고 일관성은 그 목표를 달성히는
데 도움을 준댜
(3) 오류가 없다는 것은 모든 며에서 완벽하게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4) - 회계기준위원회는〈》셋] 대한 획일적인 계량 임계치를 정하거나 특정한 상황에서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를 U 리 결정할 수 없다.
(5) 재무보고서는 사업활동과 경제활동에 대해 합리적인 지식이 있고, 부지런히 정보를 검토하
고 분석하는 정보이용자를 위해 작성된다. 때로는 박식하고 부지런한 정보이용자도 복잡한
경제적 현상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 자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운 戶
제 1 장_재무회계일반 • 1-13


10

困」



고」

?'

(세무사 2017)

® 유용한 재무정보의 근본적 질적 특성은 목적적합성과 표현충실성이다. 유용한 재무정 ',


보의 질적 특성은 재무제표에서 제공되는 재무정보에도 적용되며, 그 밖의 방법으로
제공되는 재무정보에도 적용된다.
®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적시성 및 이해가능성은 목적적합하고 충실하게 표현된 정보

C)
의 유용성을 보강시키는 질적 특성이다. 보강적 질적 특성을 적용하는 것은 어떤 규정
된 순서를 따르지 않는 반복적인 과정이다. 때로는 하나의 보강적 질적 특성이 다른
질적 특성의 극대화를 위해 감소되어야 할 수도 있다.
® 검증가능성은 합리적인 판단력이 있고 독립적인 서로 다른 관찰자가 어떤 서술이 표현

x
충실성이라는 데, 비록 반드시 완전히 일치하지는 못하더라도, 의견이 일치할 수 있다
1
는 것을 의미한다 계량화된 정보가 검증가능하기 위해서 묘잎一접_춘정츠]이어야 한댜
® 표현충실성은 모든 면에서 정확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류가 없다는 것은 현상
의 기술에 오류나 누락이 없고, 보고 정보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절차의 선택과 적
용 시 절차 상 오류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 맥락에서 오류가 없다는 것은 모돈 면에서

완벽하게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목적적합한 재무정보는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재무정보
C)
에 예측가치, 확인가치 또는 이 둘 모두가 있다면 그 재무정보는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해 설 Q �
정보강一검증기능하기 위해서 닫일二선준정건의의의느핼二밑뜨뇨』EL 가 능한 금액의《「
검증될 수 있다.

-드
a o가下성은 합리적인 판단력이 있고 독립적인 서로 다른 관찰자가 어떤 서술이 충실한 표
현이라는 데, 비록 반드시 완전히 일치하지는 못하더라도, 의견이 일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
ul한다.



.

f-K



ES

·
·

B
T
x

7
.

-
·

,
.

1
·
·.










-



?' ,,I
?—

F
_
-

.
x


­
-

-

UF

구^
1

0 」


,

2
1
1
·
-人

'I,
Qz

®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은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 및 기타 재권자가 기업에 지�


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유용한 보고기업 재무정보를 제공하는 것 이다
G〉 ® 수익이나 비용의 비경상적, 비정상적 그리고 비반복적인 항목이 구분 표시되는 경우
포괄손익계산서의 예측가치는 제고된다.
X '7 ® 재무제표를 작성 할 때 기업이 가장 보편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측정기준은 공정가치이
댜 재고자산을 시가로 평가하는 것이 이에 대한 적절한 예가 될 수 있다.
O ® 재무정보가 유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적합해야 하고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충실하게 표
현해야 한다 재무정보가 비교가능하고, 검증가능하며, 적시성 있고, 이 해가능한 경우
그 재무정보의 유용성 은 보강된다.
^、 ® 측정기준으로 현행원가에 의할 때 부채는 현재시 점 에서 그 의무 를 이행하는데 필요한
현금 이나 현금성자산의 할인하지 아니한 금액으로 평가한다.

설 0
妄 』해 느
재무제 표를 작성할 때 기업이 가장 보편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측정 기준은 역_사적 원간의다. 역
사적 원가는 일반적으로 다른 측정 기준과 함께 사용된냐/예를 들어, 재고자산은 통상 으巳巳}
麟와 술실莖갓恒부皇〈교》}여 전꼬로 평가되고, 시장성 있는 유가증권은 시가로 평가되기
도 하며 연금부재(장기성재무를 말함) 는 현재가치로 평가된다. 일부 기업은 비화폐성자산에 대
한 가격변동효과를 반영하지 못하는 역사적 원가 모형에 대한 대응책으 로 현행원가기준을 사용
하기도 한댜(예 ; 유형자산 재평가모형)

戶l 공정가치는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냐 부


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유출가치)을 말한다. 공정가치는 시장에 근거한 측정치
이 며 기업 특유의 축정치가 아니다
2. 기업특유가치는 지산의 계속적 사용으로부터 그리고 내용연수 종료시점에 처분三똑냄L터 또는 문챈
편 결제로부민》쩝園 것으로 기대되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말한다 [mi》 P2 - 25 참고2]
3.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마래현금호류의 현재가치
이다(사용가치 는 자산의 기업특유가치에 해당한다.)
4. 상각후원가 는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재의 최초인식시점의 축정금액에서 상환된 원금을 차감
하고, 최초인식금액과 만기금액의 차액에 유효이지윤법을 적용하여 계산된 상각누계액을
가김 한 금액 [m:i} PIO - 6 문제 6번]
og 제 1 장_재무회계일반 • 1-15

__







K



?'
E

-


-

-
X


T^
(공인회계사 2010 수정)

®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자산과 부채는 반드시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유동부채와 비


유동부채로 구분하여 표시해야 한다.
@ 자본의 구성요소인 기타포괄손익누계액과 자본잉여금은 포괄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
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
®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은 반드시 단일의 포괄손익계산서에 두 부분으로 나누어 표 X
시 한댜
® 기타포괄손익은 관련 자산과 부재의 미실현평가손익을 당기손익에 반영하지 않고 자
./
본에 별도의 항목으로 잠정적으로 분류했다가 나중에 전부 이익잉여금에 직접 반영될
예정인 항목이댜
® 재분류조정(reclassification adjustments)은 당기나 과거 기간에 인식한 기타포괄손익을 ?
당기의 손익으로 재분류하는 회계처리이다.

~해
설 Q 노
` (l) 유동성 오선엔 따본 표시방법이 신뢰성 있고 더욱 목적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하고t:/유동자산과 미유동자산. 유동부재와 비유동부재로 재무상태표에 구분하여 표시한다
유동성 순서에 따른 표시방법을 적용할 경우 모든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의 순서에 따라 표 l ~
虐적〈
8

시한다〕言성 있고 더욱 목적적합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자산과 부재의 일부는 유동성/비유


동성 구분법으로, 나머지는 유동성 순서에 따른 표시방법으로 표시하는 것이 걸홉된다.
(2) 자본의 구성요소 중 기만폰괄촐협눗겔액과C尸〕匠금이 포괄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를 연
결시키는 역할을 한댜
(3)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은 단일의 포괄손익계산서에 두 부분으로 나누어 표시혼:::긴맏
이 두 부분은 당기손익 부분을 먼저 표시하고 바로 이어서 기타포괄손익 부분을 표시함으
로써 함께 표시한다 당기손익 부분을 별개의 손익계산서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별개의 손익계산서는 포괄손익을 표시하는 보고서(이 보고서는 당기순손익으로부터 시작한
다) 바로 앞에 위치한다.
(4) 기타포괄손익은 재분류조정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기도 하며, 이익잉여금으로 직접 대
체되기도 한댜
(5) 재분류조정은 재평가잉여금이나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에 의해서는 발생하지 않는댜
재평가잉여금은 자산이 사용되는 후속기간 또는 자산이 제거될 때 이익잉여금으로 대체될
수 있댜 [FVOC[지분상품평가손익과 FVPL금융부재평가손익(OCI인식)도 재분류조정 안함]
겁읍... 情 1-16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기타포괄손익 부분에는 당해 기간의 기타포괄손익 의 금액을 표시하는 항복을 성격별로 분류
(지분법 적용대상 관계기업과 공동지배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포함)하여 표시한다
(I)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2)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때에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재무제표 표시와 관련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공인회계사 2014)

® 기업이 재무상태표에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그리고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 하


여 표시하는 경우, 이연법인세자산(부채)은 유동자산(부채)으로 분류하지 아니한다.
r ® 보고기간말 이전어尸강기차입약정을 위반했을 때 대여자가 즉시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재무닌보고기간 후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전에 채권자가 약정위반올 이유로 상환을 요
구하지 않기로 할윌한다면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乙 ® 기업은 변경된 표시방법이 재무제표이용자에게 신뢰성 있고 더욱 목적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며, 변경된 구조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비교가능성을 저해하지 않
을 것으로 판단할 때에만 재무제표의 표시방법을 변경한다.
® 극히 드문 상황으로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것이 오히려 ‘개념체
계'에서 정하고 있는 젠푼젠표윈」픈뜬仁산혼민어 재무제표이용자의 오해를 유발할 수 있
다고 경영진이 결론을 내리는 경우에눈全民련 감독체계가 이러한 요구사항으로부터의 일탈
을 의무화하거나 금지하지 않는다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요구사항을 달리 적용한다.
O ® 기업이 기존의 대출계약조건에 따라 보고기간 후 적어도 ]2개월 이상 부채를 차환하
거나 연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그런 재량권이 있다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만기가 도래한다 하더라도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브Q
\

C
차입약정을 위반했기 때문에 대여자가 즉시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장기금융부채는 보고기간
채권자가 약정위반을 이유로 상환을 요구하지 않기뢰::》:교〔
二물포釋불분릎한또 그러냐 대여자가 몬三』갑깝::번
보고기간 후 적어도 l2개월 이상
의 유예기간을 주는 데 합의하여 그 유예기간 내에 기업이 위반사항을 해소할 수 있고 또 그
유예기간 동안에는 대여자가 즉시 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면 그 부채는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제 1 장_재무회계일반 • 1-17

"' 보기 ®에서 개념체계와 상충된다는 의미가 아니고 ,C꾼구젠프터 뭔웃k 유용한 정보제공)과


상충된다는 것이다. 다만, 재무제표의 목적은 개념체계에서 정의하고 있다

1. 다음 모두에 해당하는 경우라 하더라도(금융부채가 보고기간 조; 12.'.쁘윌그브에 靈:》이


도래하면 이를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1) 원래의 결제기간이 12 개월을 초과하는 경우 (유동성장기부재)
(2) 보고기간 후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전에 장기로 차환하는 계약 또는 지급기일이 장기로
재조정하는 계약이 체결된 경우
2. 유동부재와 비유동부채의 구분은 보고기간말 기준으로 한댜(재무제표 발행승인일 기준이
아니댜)

:
제표 표시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후후 것은?
(공인회계사 2013)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요구하거나 허용하지 않는 경우 자산과 부재 그리고 수익 ,X


과 비용은 상계하지 않는다. 따라서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을 차감하여 재고자산울 순액
으로 표시할 수 없다.
® 기타포괄손익의 항목은 이와 관련된 법인세효과 반영 전 금액으로 표시하고 각 항목들
에 관련된 법인세효과는 단일금액으로 합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 회계정책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추정에 관련된 공시와는 별도로,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금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경영진이 내린 판단을 유의적인 회계정책의 요약 또는
기타 주석 사항으로 공시한다.
® 영업손익을 포괄손익계산서 본문에 구분하여 표시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영업손익은 영
업의 특수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경우나 비용을 성격별로 분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는 수익에서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를 차감하여 산출한다.
® 수익과 비용의 어떠한 항목도 포괄손익계산서, 별개의 손익계산서(표시하는 경우) 또
는 주석에 틀멀솥의二장목으로 표시할 수 없다


해 설 Q 소
재고자산에 대한 재고자산평가충당금과 매출재권에 대한 대손충당금과 같은《〔〔:::尹 차감
하여 관련 자산을 순액으로 측정하는 것은 상계표시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
댑t ,.:祠 1-18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16 7 ,입은 비용을 분류하는 방식에 따라 성격별 포괄손익계산서와 기능별 포괄손익계산서를


土\할 수 있다 다음 항목 중 성격별 포괄손익계산서와 기능별 포괄손익계산서에 공통으
로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세무사 2010)
/® 매출원가 ® 수익 ® 금융원가
® 지분법 적용대상인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의 당기순손익에 대한 지분
® 법인세비용

::Q

\
(I) 기업은 비용의 성격별 또는 기능변 분류방법(매출원가법) 중에서 신뢰성 있고 더욱 목적적
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비용의 분석내용을 표
시한다
(2) 비용의 군\됴놋 상품매입, 상품의 변동, 감가상각비, 원재료의 구입, 릅비, 종업원
I
급여와 광고비 등으로 표시하는 것이며 비용의〈::군〕〈전F 빼�, 물류원가와 관리
활동원가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금융원가. 법인세비용 및 관계기업지분의 이익에 대한
지분(지분법손익)은 성격별 분류와 기능별 분류에 똑같이 표시된다.
(3) 비용을 기능별로 분류하는 기업은 감가상각비, 기타 상각비와 종업원급여비용을 포함하여
비용의 성격에 대한 추가 정보를 공시한다.
(4) 기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재분류조정 포함)와 관련한 법인세비용 금액은 포괄손익계산서나

(CD
주석에 공시한다 기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는 다음 중 한 가지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댜
관련 법인세 효拜 차감한 순액으로 표시
® 기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법인세 효과 반영 전 금액으로 표시하고, 각 항목들에
관련된 법 인세 효과는 단안 금액으로 합산하여 표시
(5) 수익과 비용의 어느 항목도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을 표시하는 보고서 또는 주석에 특별
손익 항목으로 표시함 수 없댜
(6) 모든 수익과 비용 항목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달리 정하지 않는 한 당기손익으로 인식
한다 일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는 특정항목을 당기손익 이외의 항목으로 인식하는 상황
을 규정하고 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오류의 수정과 회계정책의 변경 효과(전기오류수정손익과 회계
정책 변경의 누적효과)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요구하거나 허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않는 7�픈깔손
익(기타포괄손익군문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등)
제 1 장_재무회계일반 • 1-19

17 겁|음 중 재무제표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인회계사 2012)

X
@ 기업이 재무상태표에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하여 표시


하는 경우, 이연법인세자산(부재)은 유동자산(부채)으로 분류한다.
® 기타포괄손익은 재평가잉여금의 변동, 해외사업장의 재무제표 환산으로 인한 손익, 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재측정 손익, 현금흐름위험회피의 위험회피수
단의 평가손익 중 효과적인 부분 등을 포함한다.
® 유동자산에는 보고기간 후 12 개월 이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경우에도 재
고자산 및 매출채권과 같이 정상영업주기의 일부로서 판매, 소비 또는 실현되는 자산
이 포함된다.
® 재무제표가 계속기업의 가정하에 작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사실과 함께 재무제표가
작성된 기준 및 그 기업을 계속기업으로 보지 않는 이유를 공시하여야 한다.
® 회계정책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추정에 관련된 공시와는 별도로,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금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경영진이 내린 판단은 유의적인 회계정책의 요약 또는
기타 주석사항으로 공시한다.

』해 설
Q 노
기업이 재무상태표에 유동자산과 비유도자산, 그리고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하여 표시하
는 경우:�군법인세자산(부却은:〈;t산(부채)으로 분류하지 아니한다


m파 이연법인세자산과 이연법인세부재는 할인하지 아니한다 .(현재가치 평가하지 않는다.)

I. 정상영업주기를 명확히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기간이 12 개월인 것으로 가정한다.


2. 정상영업주기 내에 사용되는 운전자본(영업활동 현금흐름 관련 자산과 부채)의 일부인 매
입채무 그리고 종업원 및 그 밖의 영업원가에 대한 미지급비용은 보고기간 후 12 개월 후
에 결제일이 도래한다 하더라도 유동부재로 분류한다.
3. 투자자산(투자주식, 투자사재, 투자부동산) 및 영업용자산(유형자산, 무형자산)을 포함한
비유동자산의 처분손익은 처분대금에서 그 자산의 장부금액과 관련처분비용을 차감하여
표시한댜
4. 외환손익 또는 단기매매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손익과 같이 유사한 거래의 집합에서 발
생하는 차익과 차손은 순액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그러한 차익과 차손이 중요한 경우에는
구분하여 표시한다
···.::·!!·:· . , .. 和 1-20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

표 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무사 2016)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는 재무제표에 표시되어야 할 항목의 순서나 형식을 규정하지


아니한다

® 충당부재와 관련된 지출을 제 3자와의 계약관계에 따라 보전 받는 경우, 지출과 보전


받는 금액은 상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 기업이 기존의 대출계약조건에 따라 보고기간 후 적어도 12 개월 이상 부채를 차환하

거나 연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그런 재량권이 없다면 차환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선택 지분상품의 재측정손익, 확정급여제도의 재
三싶요소, 현금흐름위험회피파생상품의 평가손익 중 효과적인 부분은 재분류조정이 되
는 기타포괄손익이다.
® 회계정책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추정에 관련된 공시와는 별도로,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금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경영진이 내린 판단은 유의적인 회계정책 또는 기타 주
석 사항과 함께 공시한다

/
\
(]) 1B유사한 항목은 중요 성 분류에 따라 재무제표에 구분하여 표시한다. 상이한 성격이냐
기능을 가진 항목은 구분하여 표시한다. 다만 중요하지 않은 항목은 성격이나 기능이 유사
한 항목과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댜 (® 현금및현금성자산)
(2) 충당부재를 결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출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3자가 변제할 것이 예상되
는 경우 기업이 의무를 이행한다면 변젠量보授L것으l z匡L확실희꽤그디는냐中계二한한여 변제
금액을 인식하고 별도° 자산으로 회계처 리한댜 다만, 자산으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 충당

( )
\\\\\::::〈\:군]\\\\\
3 연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그런 재량권이 있다면, 보고기간 후 12 개월 이내에 만기가
도래한다 하더라도 비유동부재로 분류한다.
`/재분류조정은 재평가잉여금의 변동이냐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에 의해서는 발생하지 않
는다 [프므지분상소품전간손익과 FVPL급;교교교〕:교급급;》)도 재분류조질〈〔’
.
(5) 주석은 유의적인 회계정책 및 그 밖의 설명으로 구성된다
제 1 장_재무회계일반 • 1-21

|익 공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세무사 2013)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포괄손익계산서의 본문에 영업이익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 비용을 7년뿔로 분류하는 기업은 수익에서 답日크》) 및 惡필더》\됴교\물류원가 등

울 포함)를 차감하여 영업이익을 측정한다.



® 금융회사와 같이 영업의 특수성으로 인해 매출원가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 영업수익
에서 영업비용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영업이익을 측정할 수 있다.

® 영업이익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기업의 영업성과를 반영하는 그 밖의 수익 또는 비
용항목이 있다면 영업이익에 이러한 항목을 가감한 금액을 조정영업이익 등의 명칭으 二

로 포괄손익계산서 본문에 보고한다.


@ 영업이익의 산출에 포함된 주요항목과 그 금액을 포괄손익계산서 본문에 표시하거나 ?
주석으로 공시한다.


해 설 Q 느
영업이익(또는 영업손실)에 포함되지 않은 항목 중 기업의 영업성과를 반영하는 그 밖의 수익
또는 비용 항목이 있다면 이러한 항목을 추가하여 근::」》》信E는 조정영업손실) 등의 명칭
울 사용하맷::느그다할 수 있댜

판매비와관리비는 제품, 상품, 용역 등의 판대활동과 기업의 관리활동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서 매출원가에 속하지 아니하는 비용을 말하며, 급여, 퇴직급여, 명예퇴직금,복리후생비, 임
차료,접대비,감가상각비,무형자산상각비,세금과공과,광고선전비,연구비,경상개발비,대
손상각비 등을 포함한다 한편,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영업활동과 관련하여 비용
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퇴직급여충당부재환입, 판매보증충당부채환입 및 대손충당금환입
등은 판매비와관리비의 부(-)의 금액으로 한다. [EB 영업외수익 아님]
5\
.

s
·
.
·


T

BE 한 比 1

.

7
1
x
.
.

-
--
.
.
.
·

T^
.
.


은 1 민재 薔 鬪 후 포
의 재 나 X 는 회
E

-



두 劉 된 본
얄 lCr다 의

것 101陶 臨 다 발 만 괄
옳 백A 는


명 ―브
중 匡u의 또 因 떼 접 0

f
음 존래 한 에 러

H
〈 권 은 과 닌 적 狀 L2
11n Uh n n

E K 7 -K으 익 포 인
무x 7

�유 心 田 과 제 u」--o
1소 K 天 익 경 이 고

fo
( L



仁」


밖 f _


-K
7
但 駒 _ 이 괄
과 부 용 효 _ 적
( E

출 K
1[

그평 부 I 는

0은
— 정 o 적 배
H 으


u



L
2

L
7
H

-
-

H 昆 늄v

7합 기
C


-

" 으
I
깃 깃


C0

O
·
n
\ [呼

"

1 10분

_
건f

o? 」

— 처

성이

련적
관계
익 00



것될 四

고우 다

생결 익

무 〈Fg

도경 된
7_
h
曰`

f
n

二절
"


y身`

간 준


정 겨
또 壇

0
적무

―」
A


-K

_人「

n

〈�:::,
(공인회계사 2013)

@안(다) ® (翼 (나), (라)

® (小, (다), (라) (라)

'-- -- ― —--- -- 노
관련되어 있다
/(가) 수취재권과 부동산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자산은 소유권 등 법률적 권리와
그러나 소유권이 자산의 존재를 판단함에 있어 펄수적인 것은 아니다.

✓ (나) 자산은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

로 기대되는 자원이다

(다) 자본거래(주주와의 거래@ 거래로 순자산이 증감하는 것이 수익과 비용이다 수익과


비용은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으로 구분한다

(라) 비용은 수익셴〔 대울하여 인식하는—것이 원칙이지만, 다음과 같이 인식한다.


준으로
® 비용은 발생된 원가와 특정 수익항목의 가득 간에 존재하는 직접적인 관련성을 기
포괄손악계산서에 인식한다.(예, 매출원가)

® 경제적효익이 여러 회계기간에 걸쳐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수익과의 관련성이 단지 포


괄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만 결정될 수 있는 경우 비용은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배분절차
를 기준으로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다.(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는 지출이거나,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더라도 재무상태표


에 자산으로 인식되기 위한 조건을 원래 충족하지 못하거나 더 이상 충족하지 못하는 부
분은 즉시 포괄손익계산서에 바용으로 인식되어야 한다.(예, 광고선전비)
제 1 장 재무회계일반
_ • 1-23

€체계와 재무제후| 작성과 표시에 대한 紅 설명을 모두 모은 것은?

(가) 현금은 자원에 대한 구매력을 통하여 기업에 효익을 제공하므로 자산의 정의를 | C
만족한cf.

(나) 특정 항목이 자산, 부채 또는 자본의 정의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법률적 형식과


거래의 실질 및 경제적 현실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다) 경영진이 미래에 특정 자산을 취득하겠다는 의사결정은 미래의 약속이므로 현재
의 의무라는 부채의 정의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라) 재무제표는 기업이 계속기업이며 예상 가능한 기간 동안 영업을 한다는 가정 하

c, /
에서 작성되기 때문에 기업이 1년 이내에 경영활동을 청산할 계획이 있다면 계속
기업 가정에 위반되며 재무제표를 작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마) 수익과 비용 항목의 원천이 기업의 미래 현금 창출능력을 평가하는 데 목적적합


하다면 기업은 포괄손익계산서에서 정상영업활동의 일환으로 발생하는 수익과 비 | O
용 항목 및 그렇지 않은 수익과 비용 항목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공인회계사 2017)

® (가), (나), (다), (라) ® (나), (다), (마) ® (가), (다)


® (나), (라), (마) 넘(가), (다), (마)

/:Q \

(!) 수취재권과 부동산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자산은 소유권 등 법률적 권리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소유권이 자산의 존재를 판단함에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나)
(2) 기업은 그 경영활동을 청산하거나 중요하게 축소할 의도나 필요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가
정을 적용하며, 만약 이러한 의도냐 필요성이 있다면 재무제표는 계속기업을 가정한 기준과
는 민른 기춥촐 적용하여 덜〕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으며 이때 적용한 기준은 별도로 공


시하여야 한다 (라)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기본가정은 계속기업 하나이다.


/
...:용· ... :읍· 1-24 • 1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재무제표 표시에 관한 설명무 堅頃읍 것은?


(세무사 2017)

® 기업은 비용의 성격별 또는 기능별 분류방법 중에서 신뢰성 있고 더욱 목적적합한 정보


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비용의 분석내용을 표시한다.
《 상법 등 관련 법규에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작성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재무상태
표의 이익잉여금에 대한 보충정보로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주석으로 공시한다.
® 영업이익에 포함되지 않은 항목 중 기업의 영업성과를 반영하는 그 밖의 수익 도는 비
용 항목이 있다면 이러한 항목을 추가하여 조정영업이익 등의 명칭을 사용하여 주석으
로 공시할 수 있다

이익의 분배에 대해 서로 다른 권리를 가지는 보통주 종류별로 이에 대한 기본주당이
익과 희석주당이익을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한다. 그러나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
익이 부의 금액(즉 주당손실)인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돈전
® 기업이 상당 기간 계속 사업이익을 보고하였고, 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에 필요한 재무
자원을 확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세한 분석이 없이도 계속기업을 전제로 한 회계처리
가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이 부의 금액(즉, 주당손실)인 경우에도 표시한다

I. 비용은 발생된 원가와 특정 수익항목의 가득 간에 존재하는 직접적인 관련성을 기준으로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한다. 수익에 원기물- 대응시키는 과정에는 동일한 거래나 그 밖의
사건에 따라 직접 그리고 공통으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을 동시에 또는 통합하여 인식하
는 것이 포함된댜 재화의 판매에 따라 수익이 발생됨과 동시에 매출원가를 구성하는 다양
한 비용요소가 인식되는 것이 그 예이다.
2. 그러나 이 개념체계 하에서 대응개념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자산이나 부채의 정의를 충족
하지 못하는 항목을 재무상태표에 인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아니한다. [� 지출이 발생
하였으나 수익을 창출하지 못한 경우에도 경제적 효익이 없는 지출은 자산으로 인식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제 1 장 재무회계일반
_ • 1-25

’ 자산 또는 부채의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거래원가가 존재하는 경우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주된 시장


의 가격에서 동 거래원가를 조정해야 한 댜 이 때 거래원가는 운송원가를 포함하지 않
(세무사 2016)

之)
는다
® 부채의 현행원가는 현재시점에서 그 의무를 이행하는데 필요한 현금이나 현금성자산
의 할인하지 아니한 금액을 의미한다. T〉
® 자산의 역사직원가는 자산취득의 대가로 취득 당시에 지급한 현금 또는 현금성자산이 己
나 그 외 대가의 공정가치를 의미한다.
궁 자산이냐 부채의〈〈〉거래에서 자산을 취득하거나 부재를 인수하는 경우에, 거래가격
은 자산을 취득하면서 지급하거나 부채를 인수하면서 받는 가격이다.
® 동일한 자산이냐 부채의 가격이 관측기능히지 않을 경우 관련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
의 사용을 최대화하고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다른 가치평
가기법을 이용하여 공정가치를 측정한다.

해 설 Q

\
/

자산이나 부재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용도]는 주된 (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의 가격에
서 거래원가는 조정하지 않는다
一 거래 원가는 다른 기준서에 따라 회계처리한다. [mi’ 거래원가
.---
를 차감하면 순공정가치가 된댜l 긴쁘첼乙民 운송원가를」:맏핼칙」店착} [EE'공정가치를 측
정할 때 운송원가는 단군한다는 말이다] 가장 유리한 시장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는 운송원가와


거래원가를 차감하여 결정한다.


[가장 유리한 시장의@:맙 공聖凶효청] 麟
어떤 자산을 매각할 경우 A시장에서 수취할 가격은 W! IO이고, 운송원가는 W20이고, 거래
원가는 W!O이댜 B시장에서 수취할 가격은 W!20이고, 운송원가는 W25이고, 거래원가는
와5
W20이댜(주된 시장이 없다고 가정)
(I) A시장에서 수취할 순금액 : 110 - 20 - IO = 80
(2) B시장에서 수취할 순금액 : 120 - 25 - 20 = 75
(3) 가장 유리한 시장은 A시장이며, 공정가치는
.一_ - W90(110 - 20)이다 .
- `
겁佳 ,.::읍· 1-26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공정가치 측정 1
1. 공정가치는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
재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유출가격)을 말한다. 공정가치가 시장에 근거한 측정치
이며 기업 특유의 측정치가 아니다. (기업특유의 측정치는 기업의 입장에서 추정한 가치이
며, 사용가치와 순실현기능_가치 같은 경우가 해당한다.)
2. 일부 자산과 부재의 경우 관측기능·한 시장거래나 시장정보릅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자산과
부재의 경우에는 관축기_능한 시장거래와 시장정보가 이용가능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공정가치측정의 복적은 현행 시장 상황에서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에 자
산을 매도하거냐 부채를 이전하는 정상거래가 일어나는 경우의 가격(유출가격)을 추정히순:
- 、

것이라는 접에서 동일하다.


3.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의 가격이 관측가능하지 않을 경우 관련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의
사용을 최대화하고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다른 가치평가기법
을 이용하여 공정가치릅 측정한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세 가지 가치평가기법은 시장접근
법, 원가접근법 및 이익접근법이다.
4. 가치평가기법이나 그 적용방법의 변경으로 인한 수정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에 따라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한다.
5. 공정가치측정은 자산울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는 거래가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시장에
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1) 자산이나 부재의 주된 시장
(2) 자산이나 부채의 주된 시장이 없는 경우에는 가장 유리한 시장
6. 주된 시장은 해당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거래의 규모와 빈도가 가장 큰 시장

/가장 유리한 시장은 거래원가나 운송원가를 고려했음 때 자신을 매도하면서 수취하는 금


액을 최대화하거냐 부재를 이전하면서 지급하는 금액을 최소화하는 시장
8. 상이한 활동을 하는 다른 기업은 다른 시장에 접근할 수도 있기 때문에 동일 자산이나 부재에
대한 주된(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은 기업별로 디눕스 수 있다 따라서 주된(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은 기업의 관점에서 고려되며 이에 따라 다른 활동을 하는 기업 간의 차이는 허용된다.
9. 자산이나 부재에 대한 주된 시장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시장의 가격이 측정일에 잠재적으
로 더 유리하다고 하더라도, 공정가치측정치는 주된 시장의 가격(그 가격이 직접 관측가능
하거나 혹은 다른 가치평가기법을 이용하여 추정이 되더라도)을 나타내도록 한다.
10. 비급융자산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시장참여자가 경제적 효익을 창출하기 위하
여 그 자산을 최고 최선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최고 최선으로 사용할 다른 시장참여자에
게 그 자산을 매도하는 시장참여자의 능력을 고려한다. 최고 최선의 시정은�, 기업이 다로
게 사용함 의도가 있더라도 시장참여자의 관접에서 결정된다
..情 ..::읍· 1-28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


(I)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는 자산울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유출가격)이다. 유입가격은 거래가격이다.
(2) 공정가치는 시장에 근거한 측정치이므로, 시장참여자의 위험에 대한 가정을 포함하여, 시장
참여자가 자산이나 부채의 가격을 결정할 때 사용하게 될 가정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겨과
적으로 기업이 자산을 보유하고자 하는 의도나 부채를 결제 또는 이행하고자 하는〈 :L
공정가치를 측정함 때 관련되지 않는다.
(3)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된 (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의 가
격에서 거래원가는 조정하지 않는다. 거래 원가는 다른 기준서에 따라 회계처리한다.
[Ee거래원가를 차감하면 순공정가치가 된다.] 거래원가는 운송원가를 포함하지 않는다.
[EB 공정가치를 측정할 때 운송원가는 차감한다는 말이다.] 가장 유리한 시장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는 운송원가와 거래원기를龜 차감하여 결정한다.
(4) 공정가치의 정의는 자산과 부재에 중점을 두는데 이는 자산과 부채가 회계에서 측정의 주
요 대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기준서는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기지분상품에도 적용된다.
(사업결합이전대가, 출자전환이 해당한다.)
(5) 맞는 내용이다 티파 측정일에 자산의 매도나 부채의 이전에 대한 가격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관측가능한 시장이 없더라도, 공정가치측정은 자산을 보유하거냐 부채를 부담하는
시장참여자의 관점에서 고려된 거래가 측정일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제 1 장=재무회계일반 • 1-29

25 }�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중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상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읊


지 않은 것은?
(공인회계사 2018)

®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은 재무보고서에 포함된 정보(재무정보)에 근거하여 보고


기업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현재 및 잠재적 투자자, 대여자 및 기타 채권자에게 가

/J

x
錢할 정보의 유형을 식별하는 것이댜
\2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은 재무제표에서 제공되는 재무정보에 적용되며, 그 밖의
방법으로 제공되는 재무정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D
® 목적적합한 재무정보는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할 수 있다. 정보는 일
부 정보이용자가 이를 이용하지 않기로 선택하거냐 다른 원천을 통하여 이미 이를 알
고 있다고 할지라도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 재무정보의 예측가치와 확인가치는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예측가치를 갖는 정보는 확
인가치도 갖는 경우가 많다.

C)
® 근본적 질적 특성 중 하나인 표현충실성은 그 자체가 반드시 유용한 정보를 만들어 내
는 것은 아니댜
O
해『


:

\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은 재무제표에서 제공되는 재무정보에도 적용되며, 프」止윈그묘겔


으로 제공되는 재무정보에도 적용된다. 보고기업의 유용한 재무정보 제공 능력에 대한 포괄적
제약요인인 원가도 이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러나 질적 특성과 원가 제약요인 적용시의 고
려 사항은 정보의 유형별로 달라질 수 있다.

戶충실한 표현 그 자체가 반드시 유용한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니다. 정보가 유용하기 위


해서는 목적적합하고 충실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목적적합하지 않은 현상에 대한 충실한 표
현과 목적적합한 현상에 대한 충실하지 못한 표현 모두 정보이용자가 좋은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垂 정답 : I.@ 2.® 3.® 4.® 5.@ 6.@ 7. @ 8.@ 9.@ 10.@

—――
13.@— 14.@ 15.CD 16.CD 17.CD 18.© 19.©__20.@
I 1.@ 12.® 一_._ ―、 ’'= 一
21.@ 22.© 23.CD 24.@ 2s.@

' '
. · +· 1-30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 Memo
.::
•••

>---―·―._._._ . _._._._.一,_._ . ―·―._ . _._.一,_ . _._._ . _ . _._·-._ . _ . _.―·―._._._._._._._ . ―._._.一,_._._ . ―·


제 2 장_재고자산 • 2-1

재고자산

' 번 ~ 12번
I 계산형 기본 문재 : 1 〕

01 다음의 자료는 (주)민국의 20x1 년도 재고자산과 관련된 내용이다.

D 기초재고자산: W485,000
재고자산평가충당금(기초): 없음
당기매입엑 W4,000,000
D (주)민국은 재고자삭혼三촌실과 재고자산덜::검을 매출원가에 포함한다

상품 장부Xl고 실지재고 단위당원가 단위당 순실현가능가치


A 1,000개 9007H W100 W110
B 4007H 3507H W200 W180
C 5007H 5007H W250 W220

(주)민국이 20x1 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할 매출원가는?


(공인회계사 2017)

CD W4,202,000 @ W4,215,000 ® W4,222,000


® W4,237,000 @ W4,242,000


해 설 £)

(I) 재고자산감보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을 매출원가에 포함하는 경우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다.
® 매출원가 = (기초재고금액 + 매입) - 기말재고금엑
® 기말재고금액 = 실제수량 x Min(취득원가, 순실현기능기치)
(2) 기말재고 : 900 x Min(!00, 110) + 350 x Min(200, 180) + 500 x Min(250, 220) = 263,000
(3) 매출원가 : 485,000( 기초재고) + 4,000,000(매입) - 263,000(기말재고) = 4,222,000
답용... 情 2-2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4) 별해 매출원가 : 485,000 + 4.000.000 - 305.000 + 20.000 + 22.000 = 4,222,000

수정전시산표


기 초 재 고 485,ooo 1 매 X X X

매 입 4,000,000

고 입가
(차) 매 출 원 가 485,000 (대) 기 又R 485,000
(차) 매 출 원 가 4,000,000 (대) 매 4,000,000


(차) 기 말 재 고 305,000 (대) 매 출 305,000
' l,OOO(A) x 100 + 400(B) x 200 + 500(C) x 250 = 305,000
• 장부수량 X 취득원가


(차) 재 고 자 산 감 모 손 실 20,000 (대) 기 X}] 고 20,000
' 1OO(A) x 100 + 50(B) x 200 = 20,000
• 수량감소 X 취독원가
(차) 재 고 자 산 평 가 손 실 22,000 (대) 재 고 자 산 평 가 충 당 금 22,000
' 350(8) x (200 - 180) + 500(C) x (250 -220) = 22,000
• 기말 BIS 재고자산평가충당금 - 기초 BIS 재고자산평가충당금
2ox1 년 말 재무상태표
재 고 자 산 285,000
재고자산평가충당금 (22,000)
263,000

(5) 회계처리 결과

485,000(기초 재고) + 4,000,000(매입)


= 4,180,000(매출원가) + 20,000(재고감도손실) + 22,000(재고평가손실) + 263,000(기말재고)

�-
I. 기조재고(순액) + 매입
= 매춤워가 + 정상감모1 심 + 비정상감모1 심 + 재고평가수심 ( - 환입) + 기말재고(순액)

(재고자산 관련 당 기 비용)
2. 재고자산감모손실 = (장부수량 - 실지수량) x 취득원가

(I) 정상감모손실 = 정상감모수량 X 취득원가

(2) 비정상감모손실 = 비정상감모수량 X 취독원가

3. B/S 재고자산평가손실충당금 = 실지수량 X (취득원가 - 순실현가능가치)


4. 기말 재고자산 장부금액 = 실지수량 x Min(취득원가, 순실현가능가치)
5. 당기 재고지산평가손실(환입) = 기말 BIS 재고자산평가충당금 - 기초 BIS 재고 지산평가충당금

6.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을 별도 비용처리할 때 매출원가(판매된 재고


원가) = 기 초재고 취독원가 + 매입 - 기말재고 장부수량 취득원가
제 2 장_재고자산 • 2-3

02 (주)한국의 20x1년 말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W200,000, 순실현가능가치는 W160,000이


댜 20x2년 중 재고자산을 W1,600,000에 매입하였다 20x2년 말 장부상 재고자산 수
량은 200단위지만 재고실사 결과 재고자산 수량은 190단위(단위당 취득원가 W2,200, 단
위당 순실현가능가치 W1 ,900)였다. 회사는 재고자산으로 인한 당기비용 중 재고자산감모
손실을 제외한 금액을 매출원가로 인식할 대, 20x2년 매출원가는?(단, 20x1 년 말 재고
자산은 20x2년에 모두 판매되었다)
(세무사 2015)

CD Wl,377,000 ® Wl,394,000 @ Wl,399,000


@ Wl,417,000 @ W!,421,000

/으Q -

(I) 매출원가(평가손실 포함) = (기초재고금액 + 매 °’ ) (재고감모손실 + 기말재고금액)
(2) 재고자산감모손실 ::수량감소) x::원가)= 22,000
(3) 기말재고금액 : 190단위(실지수량) x Min(2;200 , 1,900) �
]�프쁘分) 二
\3
61,000


(4) 매紅가 : `60, 000 (기초 + 一 22, 000 更모손실) - 361,땐〔기말재고) \느프], 000
별해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을 별도 바용처리할 때 매출원가

매출원가(판매된 재고원가) = 기초재고 취득원가 + 매입 - 기말재고 장부수량 취득원가

수정전시산표
고입


기 R 200,000 | 재 고 자 산 평 가충 당 금 40,000
Ul 1,600,000

(차)매 원 200,000 (대) 기 초 X} | 고 200,000


(차)매 출 원 가 1,600,000 (대) 매 1,600,000


(차) 기 말 재 고 440,000 (대) 매 가 440,000


• 200단위 X 2,200 = 44 0, 000
(차) 재 고 자 산 감 모 손 실 22,000 (대) 기 말 재 고 22,000
(차)매 출 원 가 17,000 (대) 재 고 자 산 평 가 충 당 금 17,000
• 기말재고자산평가충당금 : 190단위 X (2,200 - J,900) = 57,000

• 재고자산평가손실 : 57,000(기말충당금) - 40,000(기초충당금) = 17,000

20X1 년 말 재무상태표
재 고 자 산 418,000
재 고자산평가충 당금 (57,000)
361,000

* 매출원가 : 200,000 (기초재고 凰:門강) + ], 600,000(매입)- 440,000 (기말재고 장부수량 취


독원가)+ 17, 000(재고자산평가亡실) = 1, 3 77, 000
"情 .. 情 2-4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03 (주)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의 품목(A)와 품목(B)는 서로 다른종목이며, 재고자산을


저가법으로 평가할 때 종목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20x1 년의 기초재고자산은 W200,000이
며 20x1년 중에 매입한 재고자산의 품목(A)와 품목(B)의 합계는 총 W6,000,000이[.!. 단,
기초의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은 없다 아래에서는 (주)한국이 20x1년 12월 31일 현재 실지

1 1
재고조사를 통해 보유중인 재고자산의 수량 및 단위당 가치에 대한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흥卜목 장부수량 실제수량 단위당 취甄가 단위당 순실현가능가치


품목(A) 5007H 400개 W400 I W450
품목(B) 5007H 450개 I w100 | w80

(주)한국이 재고자산과 관련하여 20x1년도에 당기비용으로 인식할 금액은 얼마인가? 만약


20x2년 12월 31일 현재 재고자산 품목(B)의 단위당 순실현가능가치가 W120으로 회복될
경우,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액으로 인식할 금액은 얼마인가? 단, (주)한국은 판매가격의 하
락으로 인해 감액된 재고자산 품목(B)의 수량을 20x2년 12월 31일까지 계속 보유하고
있으며, 20x2년도 중 품목(B)의 추가취득은 없다고 가정한다.
(공인회계사 2016)

20xl년도 당기비용 2ox2년도 품목(B)의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액


® W5,900,000 Wl8,000
@ WS,950,000 Wl8,000
® WS,959,000 W9,000
® WS,995,000 W9,000
® W6,004,000 W9,000


\

(I)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을 매출원가에 포함하는 경우 매출원가(재고자산 관련


당기비용)는 다음과 같다.
@ 매출원가(재고자산 관련 당기비용) = (기초재고금액 + 매입) - 기말재고금액
® 기말재고금액 = 실제수량 x Min(취득원갸 순실현기능기치)
(2) 기말재고 : 400 x Min(400, 450) + 450 x Min(!00, 80) = 196,000
(3) 재고자산 관련 당기비용 : 200,000 + 6,000,000 - 196,000 = 6,004,000
(4) 순실현가능가치가 상승한 명백한 증거가 있는 경우에는 최초의 장부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한다
(5) 2ox2년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액 : 450 x [Min(120, I00) - 8이 = 9,000
제 2 장 재고자산
_ • 2-5

04 (주)한국은 하나의 원재료를 가공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주)한국은 재고자산에 대하여
실지재고조사법과 가중평균법을 적용하고 있다. 다만, (주)한국은 감모손실을 파악하기 위
하여 입 · 출고수량을 별도로 확인하고 있다. (주)한국의 원재료와 제품재고 등에 대한 정보
는 다음과 같다

(1) 원재료
• 20x1년 초 장부금액은 W25,000(수량 500단위, 단가 W50)이며, 20x1년도 매
입액은 W27,000(수량 500단위, 단가 W54)이다
• 입 · 출고 기록에 의한 20x1년 말 원재료 재고수량은 500단위이나 재고조사 결
과 460단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20x1 년 말 원재료 단위당 현행대체원가는 W50이다.

(2) 제품
• 20x1년 초 장부금액은 W100,000(수량 500단위, 단가 W200)이며, 20x1년도
당기제품제조원가는 W200,000(수량 500단위, 단가 W400)이다.
• 입 · 출고 기록에 의한 20x1년 말 제품 재고수량은 200단위이나 재고조사 결과
150단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20x1년 말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W350이며, 단위당 판매비용은 W30이다.

(3) 기타
• 20x0년 말까지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

동 재고자산과 관련하여 (주)한국의 20x1년도 재고자산평가손실과 재고자산감모손실 합계


액은 얼마인가?
(공인회계사 2013)
CD W!S,600 ® Wl6,000 @ Wl6,420
® Wl7,080 @ Wl8,000


\

(I) 원재료 단위당 원가 : (25,000 + 27,000) -c- 1,000단위 = 52


(2) 제품 단위당 원가 : (I00,000 + 200,000) -c- 1,000단위 = 300
(3) 재고자산감모손실 : 40단위 X 52 + 50단위 X 300 = ] 7,080
(4) 제품이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이 예상된다면 원재료에 대해서 평가손실을 인식하지 않는
다. 제품의 순실현가능가치(W320)가 취득원가(W300)보다 커서 저가법이 적용이 안 되므
로, 원재료 평가손실도 인식하지 않는다.
m파 제품이 원가이상으로 판매되는지에 관계없이 재공품은 재공품 자체로 저가법 적용한다.
'…;;· 2-6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

05 상품매매업을 하는 (주)한국은 확정판매계약(취소불능계약)에 따른 판매와 시장을 통한 판


매를 동시에 실시하고 있다. 다음은 (주)한국의 20x1 년 말 보유 중인 재고내역이다.

종목 실사수량 단위당 취득원가 단위당 정상판매가격


상품A 100개 W150 w160

상품 B 200개 200 230


상품 C 3007H 250 260

(주)한국의 경우 확정판매계약에 따른 판매의 경우에는 판매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나, 시장


을 통해 판매하는 경우에는 상품의 종목과 관계없이 단위당 W20의 판매비용이 발생한다.
재고자산 중 상품 B의 50%와 상품 C의 50%는 확정판매계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보유하
고 있는 재고자산이다 상품 B의 단위당 확정판매계약가격은 W190이며, 상품 C의 단위당
확정판매계약가격은 W230이다. 재고자산평가와 관련한 20x1 년도 당기손익은?(단, 재고자
산의 감모는 발생하지 않았다.)
(세무사 2015)
® W5,000 손실 ® W5,500 이익 @ W6,500 손실
® W7,500 이익 ® WS,000 손실

’(!) 확정판매계약 또는 용역계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재고자산의 순실현기능-가치는 계


약가격에 기초한다 만일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의 수량이 확정판매계약의 이행에 필요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 수량의 순실현가능가치는 일반 판매가격에 기초한다.
[E8 P25 참고 3]

(2) 재고자산평가손실 : I,000 + I,000 + I,500 + 3,000 = 6,500

단위당
종목 T
A랴o 재고자산평가손실
취독원가 순실현가능가치
상품A 100 개 150 140 1,000
상품 B 100 개 200 210
100 개 200 190 1,000
상품 C 150 개 250 240 1,500
150 개 250 230 3,000
제 2 장_재고자산 • 2-7

06 다음은 (주)대한의 20x1년도 매입과 매출에 관한 자료이며, 재고자산의 평가방법으로 평


균법을 적용하고 있다, 실지재고조사법 또는 계속기록법을 적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20x1
년의 매출원가는 각각 얼마인가?(단, 장부상 재고와 실지재고는 일치한다,)

일자 적요 수량 단7f 금액

1월 1일 71초재고 1007H 50 5.000


3월 1일 매입 200개 65 13.000

5월 1일 매출 (2007H)

7월 1일 매입 200개 75 15.000

9월 1일 매출 (100개)

10월 1일 매입 507甘 77 3.850


(세무사 2009)

실지재고조사법 계속기록법
© Wl6,750 Wl7,850

® Wl6,750 W19,000

® W19,000 W20,100

® W20,IOO W17,850

® W20,100 W19,000

》 :Q
\

(!) 실지재고조사법(총평균법)
® 평균단가 : (5,000 + 13,000 + 15,000 + 3,850) -c- 550 = 67
® 매출원가 : (200 + JOO) X 67 = 20,JOO
(2) 계속기록법(이동평균법)
® 3월 1일 평균단가 : (5,000 + 13,000) -c- 300 = 60
® 5월 1일 매출원가 : 200 X 60 = 묘요옌一
@ 7월 1일 평균단가 : (JOO X 60 + 15,000) 7 300 = 70

® 9월 1일 매출원가 : 100 x 70 = 7,0Ge-


® 당기 매출원가 : 12,000 + 7,000 = 19,000
답용· 댑:· 2-8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07 (주)한국백호법은 선입선출법에 의한 저가기준 소매재고법을 이용하여 재고자산을 평가하고


있으며, 재고자산 관련자료는 다음과 같다.

원 가 소 매가
기 초 재 고 액 W2,000,000 W3,000,000
당 기 매 입 액 6,000,000 9,600,000
매 입 운 반 비 100,000
매 입 할 인 318,000
당 기 매 출 액 10,000,000
종 업 원 할 인 500,000
^
t 인 상 액 200,000
^
고드. 인 하 액 300,000

(주)한국백호법이 20x1 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할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공인회계사 2013)

CD W6,so2,ooo Cg) W6,562,000 @ W6,582,000


® W6,602,000 @ W6,642,000


\
( I ) 판매가능재고원가 : 2,000,000 + 6,000,000 + I 00,000 - 318,000 = 7,782,000
(2) 판매가능재고매가 : 3,000,000 + 9,600,000 + 200,000 - 300,000 = 12,500,000
(3) 기말재고매가 : 12,500,000 - I0,000,000(매출) - 500,000(종업원할인) = 2,000,000
(4) 저가기준 매입원가율 : 5,782,000 + 9,800,000 '::: ,59%
6 :凶A I Jo· A 조눕~\ q,loJ Ow +-Joo.u00 ·군_ m...J,_\급戶―
(5) 저가기준 선입선출법 기말재고원가 : 2,000,000 x 59% ,,; I,180,000


(6) 매출원가 : 7,782,000 - 1,180,000 = 6,602,000

I. 소매재고법의 경우 기말재고매가는 항상 동일하고, 원가율이 가정에 따라 다르다


(I) 판매가능재고원가 : 기초 + 매입 + 매입운임 - 매입에누리 - 매입할인 - 매입환출
-비정상파손
(2) 판매가능재고매가 : 기초 + 매입 + 순인상액 - 순인하액 - 매입환출- - 비정상파손
(3) 기말재고매가(항상동일) . 판매가능재고매가 _ (순매출액 + 종업원할인 + 정상파손)
(4) 기말재고원가 = 기말재고매가 X 원가율(가정에 따라 다르다)
2. 저가기준원가율은 원기율 산정시 순인하액을 차감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상적인 원가율식
에서 분모에 순인하액을 다시 가산하면 된다.
제 2 장_재고자산 • 2-9

08 유통업을 하고 있는 (주)기흥은 재고자산평가에 있어 소매재고법을 사용하고 있다 20x1


년 재고자산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원가 판 □ H7f
71초재고 W140,000 W190,000
매입액 900,000 1,200,000

당기 중 매출액은 W1,000,000, 매출환입은 W50,000이며 순인상액은 W60,000(판매가)


순인하액은 W30,000(판매가)이다 종업원에 대한 매출과 관련하여 종업원할인이 W30,000
발생하였다. 또한 당기 중 재고자산의 파손이 나타났는데 판매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파
손의 원가와 판매가는 각각 W5,000과 W7,000이고, 종업원의 부주의로 인한 비정상표문곤
의 원가와 판매가는 각각 W10,000과 W15,000이다 이상의 자료에 근거할 때 선입선출소
매재고법, 가중평균소매재고법에 의한 기말재고자산금액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원가
율 계산시 소슷점 다섯째자리에서 반올림할 것.)
(공인회계사 2006 수정)

선입선출소매재고법 가중평균소매재고법
® W370,825 W355,975
® W306,185 W306,436
® W340,670 W325,820

| ®
®
W3!6,826
W328,160
W317 ,803
W328,985

/브
\

(I) 판매가능재고원가 : 140,000(기초) + 잎-0 ,000(매입) -」으9oo얀旦旦巳묘긴 = 1,030,000


(2) 판매가능재고메가 : 190,000(기초) + 1,200,000(매입) + 60,000(순인상) - 30,000(순인하) - 15,000(비
깊造誌)一= 1,405,000
(3) 기말재고대가
/ ;,fl c1_,u..I I다’.)O 국"" - I〈 :,)d 표
1,405,000 - 950,000(순매출액) - 30,000(종업원할인) - 7,000(정상파손)
/스/"一
= 418,000
(4) 매입원가§ : 迎밀필요 + l,215,000 = 73.25%
査.o크/)`;���; · _��一__ ―_/ 다·~0 <\S.0" 나v·C 〉`') 나,'`

5
( ) 선입선출법 기말재고원가 : 4]8,QQQ X 73.25% = 306,185
(6) 가중평균원가율 : 1,030,000 c- 1,405,000 = 73.31%
(7) 가중평균 기말재고원가 : 4)8,QQQ X 73.31% = 306,436
m퀼정상파손 원가와 종업원할인 원가는 소매재고법을 적용할 할 때 , 필요 없는 자료이다. 판
매가능재고원가에서 기말재고원가를 차감하여 매출원가를 산정하 기 때문에 결국 정상파손
원가와 종업원할인 원가는 매출원가에 포함되게 되는 것이다.
겁용... 情 2-10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09 다음은 (주)대한의 20x1년도 매출 및 매입관련 자료이다.

총매출액 W1 ,170,000

□H출에누리와환입 120,000

71초상품재고원가 ?
총매입액 600,000

매입에누리와 환출 30,000

7|말상품재고원가 120,000

(주)대한의 매출원가대비이익률이 25%일 때, 20x1년 기초상품재고원가는 얼마인가?


(세무사 2009)

Q) W307,500 ® W337,500 @ W390,000


® W410,000 @ W427,500

》:
(I) 매출원가대비이익률이 25%라는 것은 매출원가가 100이면, 매출총이익이 25이고 매출액은

125이라는 의미이다.
(2) 매출총이익률 : 25 + 125 = 20%
(3) 원가율 : 100 + 125 = 80%
(4) 순매출액 : I,170,000 - 120,000 = 1,050,000
(5) 순매입 액 : 600,000 - 30,000 = 570,000
(6) 매출원가 : ] ,050,000 X 80% = 840,000

(7) 기초상품재고액 + 매입 - 기말상품재고액 = 매출원가


(8) 기초상품재고액 : 840,000 + 120,000 - 570,000 = 390,000

戶 매출종이익률법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I. 매출액 x 원기율. = 매출원가
2. 기초재고 + 매입 = 매출원가 + 기말재고
제 2 장 재고자산
_ • 2-11

10 (주)한국의 8월 21 일 홍수로 인하여 손상되고 남은 재고자산의 금액은 W200,000이다.


(주)한국은 모든 판매와 구매를 외상으로 하고 있다. (주)한국의 당 회계연도 회계자료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1 ) 1월 1일 8월 21일
재고자산 500,000 ?
□H출六H권 2,000,000 2,400,000

(2) 1월 1일부터 8월 21일까지 발생한 거래


매출채권 현금회수액 7,000,000 매출할인 10,000
매입액 6,300,000

(3) 8월 21 일 현재 F.O.B 선적지 조건의 운송중인 매입상품 W10,000이 있다.

매출총이익율을 20%라고 할 때 홍수로 인한 재고손실액은 일마인가?


(공인회계사 2000)

CD W662,000 CV W670,000 @ W672,000


© W680,000 @ W682,000

~
(I ) 8월 21 일까지 순매출액 : 7,4 I0,000 - I 0,000 = 7,400,000

[8월 21일까지 매출관련 순액분개]


\

(차) 현

a 7,000,000 (대) 매 출 7,410,000
uB 출 久}| 권 400,000
IJ}] 출 할 인 10,000

(2) 8월 21일까지 매출원가 : 7,400,000 x ( I - 20%) = 5,920,000


(3) 8월 21일의 재고자산 : 500,000( l /1 ) + 6,300,000(매 입) - 5,920,000(매출원가) = 880,000
(4) 재해손실 : 880,000 - I0,000(미착품) - 200,000(손상된 후 재고) = 670,000
댑t ,.:불 2-12 • 1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11 (주)계림은 회계감사를 받기 전, 20x1 년 말 현재 재무상태표에 재고자산 W5,000,000을


보고하였다. (주)계림은 실지재고조사법을 사용하여 기말에 창고에 있는 모든 상품만을 기
말재고로 보고하였다 회계감사 도중 공인회계사는 다음 사항을 알게 되었다.
(1) (주)계림은 20x1년 10월 8일에 새로 개발된 단위당 원가 W100,000의 신상품을
기존의 고객 10명에게 각각 전달하고, 사용해본 후 6개월 안에 W150,000에 구입
여부를 통보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20x1년 12월 31일 현재 4곳으로부터 구입하
겠E는 의사를 전달받았고, 나머지 6곳으로부터는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했다.
(2) (주)계림은 20x1년 12월 2일 미국의 A사와 프랑스의 B사에 각각 W500,000,
W400,000의 상품을 주문하였다. 동년 12월 30일에 양사로부터 주문한 상품이
선적되었음을 통보받았고, A사에 주문한 상품은 20x2년 1월 2일에, B사에 주문
한 상품은 20x2년 1월 27일에, 각각 도착하여 (주)계림에 인도되었다 A사 상품
에 대한 주문조건은 도착지인도조건(F.O.B. destination)이고 B사 상품에 대한 주
문조건은 선적지인도조건(F.O.B. shipping point)이다.
(3) (주)계림은 20x1년 12월 15일에 원가 W250,000의 상품을 (주)통성에게
W300,000에 판매하였다 그 대금으로 판매 당일 W50,000을 수령하였으며, 나머
지는 향후 5개월간 매월 15일에 W50,000씩 받기로 하고 상품을 인도하였다.
(4) (주)계림은 20x1년 12월 20일에 자금이 부족하여 잘 일고 지나는 고객에게 원가
W100,000의 상품을 W150,000에 판매하여 인도하고, 1개월 후 W160,000에 재
매입하기로 약정하였다
(5) (주)계림은 20x1 년 12월 27일에 원가 W150,000의 상품을 W200,000에 판매하
고 판매다금을 수수하였다 고객은 상품에 대한 법적권리가 있으며 통제한다. 하
지만 고객은 20x2년 2월 8일에 동 상품을 인도받기를 원해서 (주)계림의 창고
한쪽에 따로 보관하고 있다.
위의 내용을 반영하여 재무상태표에 재고자산을 보고하면 얼마인가?
(공인회계사 2011)
CD WS,450,000 @ WS,750,000 @ WS,950,000
@ W6,850,000 @ W7, l00,000

:(I) 기업이 자산을 원래 판매가격 이상의 금액으로 다시 살 수 있거나 다시 사야 하는- 경우는


금융약정이댜(판매자의 자산이댜) [티9 PIO - 39]
(2) 기업이 제품을 물리적으로 점유하고 있더라도 고객이 제품을 통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
__

품의 미인도청구 판매를 수익으로 인식한다. (판매자의 자산이 아니다.) [EE) PIO - 21]
(3) 기말재고자산 금액 : 5,000,000 + I00,0QO x 6 + 400,000 + I00,000 - 150,000 = 5,950,000
기나v D 胃寬 ?\/\: "'\\
(凱) ::\ \:靈
제 2 장_재고자산 • 2-13

12 (주)세무의 20x1년 기초재고자산은 W200,000이고 당기 매입액은 W1 ,000,000이다 (주)


세무는 실지재고조사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20x1년 12월 31일 실사를 통하여 창고에 보
관 중인 상품이 W300,000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추가 고려사항이 다음과 같을 때, (주)세
무의 20x1년 매출원가는?(단, 재고자산감모손실 및 재고자산평가손실은 없다.)

o 20x1년 6월 1일에 (주)한국으로부터 판매를 수탁받은 상품(원가 W120,000) 중 원


가 W20,000이 판매되었고, 나머지는 기말 현재 (주)세무의 창고에 보관 중이며 기
말실사 금액에 포함되어 있다.
o 20x1 년 12월 21 일에 (주)민국으로부터 FOB 선적지인도조건으로 매입한 상품(송장
가격 : W60,000)0I 20x1년 12월 31일 현재 선박으로 운송 중에 있다. 이 상품
은 20x2년 1월 8일에 도착한다.
o 20x1년 12월 31일에 반품조건부로 상품(원가 W50,000)을 wso,ooo에 (주)대한에
판매 · 인도하였다 (주)세무는 판매된 상품 중 10%가 반품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반품기간은 20x2년 2월 10일까지이다
(세무사 2016 수정)

Q) W735,000 @ W820,000 @ W890,000


@ W935,000 ® W940,000
O


』―

(I) 위탁판매에서 수탁자가 보관 중인 재고자산은 위탁자의 자산이다”꼬:!) PIO - 15] \

(2) 선적지인도조건으로 매입한 운송중인 상품은 매입자의 재고자산이다.


(3) 반품이 예상되는 재고자산에 대해서는 수익을 인식하지 않고 흰불부치]로 인식한다. 환불부
재를 결제할 때 고객에게서 재고자산을 회수할 기업의 권리에 대하여 자산(반환재고회수권)
올 인식한댜 반품조건부로 판매한 재고자산은 판매자의 자산아 아니다[GB PIO - 9)
출채 산

(차) 80,000 (대) 매 72,000


부자

환 8,000
출재

가권
hu

원회
매반
(구^

45,000 (대) X}] 고 50,000



5,000

(4) 기말재고 : 300,000(실시금액) - 100,000(위탁자 재고) + 60,000(미착품) = 260,000


+

(5) 매출원가 : 200.000(기초) 1.000,000(매입) - 260,000(기말) - 5.000(반환재고회수권)


935,000(매출원가)
(6) 선적지인도조건으로 매입한 운송중인 상품은 매입액 Wl,000,000에 포함되었다. 문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기업은 정상적인 회계처리를 한 것이다.
겁읍· ·):· 2-14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I- 계산형 응용 문재 :13번 ~ 20번 ,

13 (주)대한의 20x1년도 재고자산(상품A)과 관련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x1년도에 매


출원가, 감모손실, 평가손실로 인식할 비용의 합계액은?

(1 ) 기 초 재 고 W700,000(재고자산평가충당금 WO)

(2) 매 입 액 W6,000,000

(3) 매 출 액 WB,000,000

(4) 기 말 재 고 장부수량 3,000개, 개당 취득원가 W200

실사수량 2,500개, 개당 순실현가능가치 W240

재고자산 감모 분 중 50%는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세무사 2013)
CD W6,ooo,ooo ® W6,050,000 @ W6, I OO,OOO
® W6, 150,000 ® W6,200,000

/으Q
\
(1) 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을 매출원가에 포함하는 경우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다
CD 매출원가 = (기초재고금액 + 매입 ) - 기말재고금액
® 기말재고금액 = 실제수량 x Min(취득원가, 순실현가능가치 )
(2) 기말재고 : 2,500 x Min(200, 240) = 500,000
(3) 비용합계(재고자산감모손실 + 재고자산평가손실 + 매출원가) : (700,000 + 6,000,000) -
500,000 = 6,200,000
별해

(I) 매출원가 : 700,000(기초재고원가) + 6,000,000(매입원가) - 600,000(기말장부재고원가) =


6,100,000
(2) 재고자산감모손실 : 500(수량감소) X 200(취득원가) = 100,000
(3) B/S 재고자산평가충당금(재고자산평가손실)은 없음 : 기말 순실현가능가치가 취득원가보다
높기 때문
(4) 비용합계 : 6,I00,000 + I00,000 = 6,200,000
제 2 장_재고자산 • 2-15

14 다음은 (주)서울의 20x"1년 단일상품거래와 관련한 자료이다.

· 기초재고 W120,000 · 당기매입 W500,000

· 매°느| t 15,000 · 보험료


OO
c::,
l
2,000

· 하역료 3,000 · 매입할인 2,000

· 재고자산평가손실 1,000 · 매입에누리 13,000

·관세납부금 7,000 · 관세혼玉丘; 5,000

·정상감모손실 3,000 ·비정상감모손실 2,000

· 저가기준평가 및 감모손실 조정 후 기말재고 75,000

상기 자료에 의한 (주)서울이 정상적인감모손실과 저가법적용에 따른 평가손실을 매출원가


에 포함한다고 할 때 20xi 년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공인회계사 2009 수정)

CD W547,000 @ W550,000 ® W552,000


® W555,000 @ W557,000

`

(I) 당기대입 : 500,000 + 15,000 + 2,000 + 3,000 - 2,000 - 13,000 + 7,000 - 5,000 =

~-
507,000
(2) 매출원가 : ( 120,000 + 507,000) - (75,000 + 2,000) = 550,000

. 기조재고(순액) + 매입

= 매촘위가 + 정상캄모, 심 + 비정상감모손심 + 재고평가, 심 ( _ 기 입) + 기 말재고(순액)

(재고자산 관련 당기 비용)

2. 재고자산감모손실 = (장부수량 - 실지수량) X 취득원가


(I) 정상감모손실 = 정상감모수량 X 취득원가

(2) 비정상감모손실 = 비정상감모수량 X 취득원가

3. 8/S 재고자산평가손실충당금 = 실지수량 X (취득원가 - 순실현가능가치)


4. 기말 재고자산 장부금액 = 실지수량 x Min(취득원가, 순실현가능가치)
5. 당기 재고지산평가손실(환입) = 기말 B'S 재고자산평가충당금 - 기초 B'S 재고자산평가충딩금
..情 ..沿 2-16 • 1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15 12월 말 결산법인인 (주)국세는 기초상품재고액이 W1,240,000이며 당 회계연도의 순매입


액은 W24,380,000이다 (주)국세는재고자산감모손실 중 40%는 원가성(정상적인)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항목별 저가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상품은 종류가 다른 代라 B로
구성되어 있는데 실사 걸과는 다음과 같다.

乞卜품 장부상재고 실제재고 단위당원가 판매단7f 단위당추정판□H닌|

A 1,000단위 900단위 900 950 100

B 800단위 750단위 700 800 50

(주)국세가 정상적인감모손실과 저가법적용에 따른 평가손실을 매출원가에 포함한다고 할


때 포괄손익계산서에 매출원가로 보고할 금액은 얼마인가?
(세무사 2007 수정)

CD W24,330,000 @ W24,205,000 @ W24,280,000


@ W24,255,000 ® W24,2 I 7,500

~(I) 정상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을 매출원가에 포함하는 경우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다.


® 매출원가 = (기초재고금액 + 매입) 一 (기말재고금액 + 비정상재고감모손실)
_

@ 기말재고금액 = 실제수량 x Min(취득원가, 순실현가능가치)


(2) 매출원가 : ( 1,240,000 + 24,380,000) - (75,000 + 1,290,000) = 24,255,000
® 비정상재고감모손실 : ()00 X 900 + 50 X 700) X 60% = 75,000
@ 기말재고금액 : 900 ~ X 850 + 750 X 700 = J,290,000
(3) 회계처 리(참고)

(차) 매 출 원 가 1,240,000 (대) 기 __,__


Z之. 又l 고 1,240,000
(차) 매 출 원 가 24,380,000 (대) 매 입 24,380,000
(차) 기 딜} 又H 고 1,460,000 (대) 매 출 원 가 1,460,000
' 1,000단위 X 900 + 800단위 X 700 = ] ,460,000
(차) 매 출 원 가 50,000 (대) 기 말 X}] 고. 125,000
재고자산감모손실 75,000
* l00단위 X 900 + 50단위 X 700 = 125,000
(차) 매 출 원 가 45,000 (대) 재고자산평 가 충 당 금 45,000
* 900단위 X (900 - 850) = 45,000
제 2 장_재고자산 • 2-17

16 (주)국세는 상품재고자산의 단위원가 결정방법으로 매입시마다 평균을 계산하는 가중평균법


을 채택하고 있다 (주)국세의 20x1 년 상품재고자산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수량 단위당원가
기초재고(1월 1일) 200개 100
매입(2월 1 0 일) 200 200
매출(5 월 1 일) 300
매입(1 2월 1일) 100 300
장부상기 말 재 고 200
실사결과기말재 고 150

20x1 년 말 현재 상품재고자산의 단위당 순실현가능가치가 W200이라면 (주)국세가 20x1


년에 인식하여야 할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은 각각 얼마인가?(단, 20x1년
기초재고의 단위당 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는 동일하였다고 가정한다.)
(세무사 2010)

재고자산감모손실 재고자산평가손실
e@ ® ® ®

W9,000 W3,750
W9,000 W6,000
WI0,000 WS,000
Wll,250 W3,750
Wll,250 WS,000
Q
/


\

(1) 평균단가
@ 2월 10일 : (200 x @l00 + 200 x @200) ― 400 = 150
@ 12월 1일 : (100 X @150 + 100 X @300) -:- 200 = 225
(2) 재고자산감모손실 : (200 - 150) X @225 = 11,250
(3) 재고자산평가손실 ] 50 X (@225 - 200) = 3,750
댑t .. :> 2-18 • �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17 (주)세무의 20x1 년도 및 20x2년도 상품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o 20x1 년도 기말재고자산: W4,000,000(단위당 원가 W1 ,000)

o 20x2년도 매입액: W11,500,000(난위당 원가 W1 ,250)

o 20x2년도 매출엑 W1 5,000,000

20x2년 말 장부상 상품수량은 4,000개였으나, 실지재고조사 결과 기말수량은 3,500개로


확인되었다. 20x2년 말 현재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예상 판매가격은 단위당 W1 ,500이
며, 단위당 W300의 판매비용이 예상된다. (주)세무가 선입선출법을 적용할 때, 20x2년도
에 인식할 당기손익은?
(세무사 2017)

CD W3 ,000,000 이 익 CV W3,700,000 이 익 ® W3,875,00 0 이 익

@ W4,300,0 00 이 익 @ W4,500,0 00 이 익

/工Q

\
(I) 기초재고 수량 : 4,000,000 --:- 1,000 = 4,000단위
(2) 당기매입 수량 : 11,500,000 --:- 1,250 = 9,200단위
(3) 기말재고 장부수량(4,000단위)의 단위당 취득원가 : 1,250(선입선출법)
(4) 기말재고 단위당 순실현가능가치 : 1,500 - 300 = 1,200
(5) 기말재고 장부금액 : 3.500(실지수량) x Min(l.250, 1,200) = 4,200,000
(6) 재고자산 총비용(매출원가 + 재고자산감모손실 + 재고자산평가손실) : 4,000,000(기초재고)
+ 11.500.000(당기매입) - 4.200.000(기말재고) = 11,300,000
(7) 당기순이익 : 15,000,000(매출) - 11,300,000(재고자산 총비용) = 3,700,000
제 2 장_재고자산 • 2-19

18 (주)대한은 20x1 년 3월 31 일에 회사 창고의 화재로 재고자산의 80%가 소실되었다. 다음


은 2월과 3월의 매출액 및 매출원가에 관한 자료이다.

2월 3월
매 월 당 월

액 W400,000 W300,000
초 월 말

"
T nl x
H


""

80,000 60,000
H H

01I

240,000 180,000
고 60,000 ?

(주)대한은 화재로 인한 재고손실을 모두 보상받을 수 있는 보험에 가입하고 있으며 보험


회사에 피해액을 보고하여야 한다. (주)대한의 20x1 년 3월 31 일 현제 재고 중 화재로 소
실된 재고금액을 2월의 매출총이익률을 적용하여 추정하면 얼마인가?
(세무사 2009)

CD W36,000 ® W39,000 @ W45,000


@ W52,000 @ W60,000
O


.(

\
(I) 매출총이익률 + 원가율 = 100%

매출총이익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률 = 원가율
매출액 매출액

(2) 2월 매출원가 : 80,000 + 240,000 - 60,000 = 260,000

(3) 2월 원가율 : 260,000 7 400,000 = 65%

(2월 매출총이익률 : 140,000 7 400,000 = 35%)

(4) 3월 매출원가 : 300,000 X 65% = 195,000

(5) 3월말 재고 : 60,000(3월 초) + 180,000(매입) - 195,000(매출원가) = 45,000

(6) 소실된 재고금액 : 45,000 X 80% = 36,000


..情 .. 용· 2-20
:: • 1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19 다음은 (주)국세의 20x1 년도 회계자료 중 일부이다. 이를 이용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 당기현금매출액 W50,000 ·매출총이익 W90,000

·기초매출채권 WB0,000 ·매출채권회수액 W260,000

·기초상품재고 W120,000 · 당기상품매입액 W200,000

·기말상품재고 W110,000

(주)국세의 20x1 년 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될 매출채권은 얼마인가?(단, 대손상각은 고려하


지 않는다)
(세무사 2010)

CD W60,000 @ W70,000 ® WS0,000


® W90,000 @ Wl00,000

/으Q

\
(I) 매출원가 : 120,000(기초) + 200,000(매입) - 110,000(기말) = 210,000
(2) 매출액 : 210,000(매출원가) + 90,000(매출총이익) = 300,000
(3) 외상매출액 : 300,000 - 50,000 = 250,000
(4) 기말매출재권 : 80,000(기초) + 250,000(당기증가) - 260,000(회수) = 70,000
(5) 매출관련 순액 분개(참고)
출권

·
(차) 현 금 310,000 (대) 매 300,000

5구^

lJB 10,000
' 50,000(현금매출) + 260,000(매출채권 회수) = 310,000
제 2 장_재고자산 • 2-21

20 (주)세무의 20x1년 재고자산 관련 현황이 E로과 같을 때, 20x1 년 말 재무상태표의 재


고大岭은?

o 20x1 년 말 재고실사를 한 결과 (주)세무의 창고에 보관 중인 재고자산의 원가는


W100,000이다

o 20x1 년도 중 고객에게 원가 W80,000 상당의 시송품을 인도하였으나, 기말 현재


까지 매입의사를 표시하지 않았다.
o 20x1 년도 중 운영자금 차입목적으로 은행에 원가 W80,000의 재고자산을 담보로
인도하였으며, 해당 재고자산은 재고실사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

O (주)한국과 위탁판매계약을 체결하고 20x1년도 중 원가 W100,000 상당의 재고자


산을 (주)한국으로 운송하였으며, 이 중 기말 현재 미판매되어 (주)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의 원가는 W40,000이다.

O (주)대한으로부터 원가 W65,000의 재고자산을 도착지인도조건으로 매입하였으나


20x1년 말 현재 운송중이다
(세무사 2017)

CD W220,ooo ® W260,000 ® W300,000


® W320,000 @ W365,000

.I.해 설 Q 느
(I) 시송품은 비록 상품에 대한 점유는 이전되었으냐 매입자가 매입의사표시를 하가 전까지는
판매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2)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고 그 담보로 제공된 저당상품은 저당권이 실행되기 전
까지는 담보제공자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당권이 실행되어 소유권이 이전되기
전에는 단순히 저당만 잡힌 상태이므로 담보제공자의 재고자산에 속한다.
(3) 적송품은 수탁자가 제 3자에게 판매하기 전까지는 위탁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4) 기말재고 : I00,000(창고보관) + 80,000(시송품) + 80,000(저당상품) + 40,000(적송품) =
300,000
답읍...情· 2-22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I 서술형 문재 : 21 번 ~ 24번

:고자산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쪽 麟후 것은?


(세무사 2016)

`® 완성될 제품이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생산에 투입하기 위해 보유


한 원재료 가격이 현행대체원가 보다 하락한다면 평가손실을 인식한다. )<
® 후속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에 보관이 필요한 경우 이외의 보관원가는 재고자산의 취
독원가에 포함할 수 없으며 발생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한다. o
® 재고자산을 후불조건으로 취득하는 경우 계약이 실질적으로 금융요소를 포함하고 있
다면, 해당 금융요소는 금융이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이자비용으로 인식한다. 亡)
® 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 은 감액이나 감모가
(J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한다.
® 당기에 비용으로 인식하는 재고자산 금액은 일반적으로 매 출원가로 불리우며, 판매된
재고자산의 원가와 배분되지 않 은 제조간접원가 및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인 부분의 금
액으로 구성된다.


완성될 제품이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그 생산에 투입하기 위해 보유

하는 원재료 및 기타 소모품을 감액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여( 하락하고'
의 잘못 번역) 완성될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가능가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해당 원재료
를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댜 (원재료를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다에서 순실현가능가치는 현
행대체원가를 의미한다.) [mi} P24 하단 사례 참고]

I. 당기에 비용으로 인식하는 재고자산 금액은 일반적으로 매출원가로 불리우며, 판매된 재고자
산의 원가와 배분되지 않은 제조간접원가 및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인 부분의 금액으로 구성된
댜 또한 기업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물류원가와 같은 다른 금액들도 포함될 수 있다
2. 생산단위당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은 낮은 조업도나 유휴설비로 인해 증가되지 않으며, 배
부되지 않은 고정제조간접원가는 발생한 기간의 비용(매출원가에 포함)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비정상적으로 많은 생신이 이루어진 기간에는, 재고자산이 원가 이상으로 측정되지 않도록 생
산단위당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을 감소시켜야 한다. [mi}P26 문제 24번 해설 (4)]
제 2 장_재고자산 • 2-23

다工田의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무 三 것은?

(세무사 2010)

® 재고자산의 단위원가 결정방법으로 후입선출법은 허용되지 않는다. 0


타 재고자산에 대한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적용은 동일한 용도나 성격을 지닌 재고자산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적용해야 하나, 지역별로 분포된 사업장이나 과세방식이 다른 사업

°
장간에는 동일한 재고자산이라도 원칙적으로 다른 방법을 적용한다.
® 재고자산으 서로 유사하거나 관련 있는 항목들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
는 한 {:〕로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하는 저가법을 적용한댜
® 완성될 제품이 원가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그 제품의 생산에 투입
하기 위해 보유하는 원재료는 감액하지 아니한다. 〈)
® 재고자산의 감액을 초래했던 상황이 해소되거나 경제상황의 변동으로 순실현가능가치
가 상승한 명백한 증거가 있는 경우에는 최초의 장부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한댜 @


해 설 Q 노
(1) 통상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없는 재고자산항목의 원가와 특정 프로젝트별로 생산되고 분리
되는 재화 또는 용역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개별법이 적용되지 않는 재고
자산의 단위원가는 선입선출법이나 가중평균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2) 성격과 용도 면에서 유사한 재고자산에는 동일한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하여야 하며, 성
격이나 용도 면에서 차이가 있는 재고자산에는 서로 다른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재고자산의 지역별 위치나 과세방식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동일한 재고자산
에 다른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정당회� 수는 없다.
(3) 저가법은 항목별로 적용한다. 다만, 서로 유사하거나 관련있는 항목들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조별기준 적용 가능). 그러나 완제품 또는 특정 영업부문에 속하는 모
든 재고자산과 같은 분류에 기초하여 저가법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아니하다(총계기준
은 안된다).

(4) 그러나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여( 하락하고'의 잘못 번역) 완성될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기능­
가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해당 원재료를 순실현기능-가치로 감액한다.
(5)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은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 금액의 차감액으로 인식
한다(재고자산으로 인한 비용을 줄인다는 의미이다.)
..情 .. 情 2-24 • 1 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다음 중 재고자산 회계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공인회계사 2011)

® 자가건설한 유형자산의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재고자산처럼 재고자산의 원가를 다른


자산계정에 배분하는 경우에는 다른 자산에 배분된재고자산 원가는 해당 자산의 내용
연수 동안 비용으로 인식한다 〈
\¢ 재고자산을 순실현기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
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한다 순실현가능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재고자산 평가손실의
(
환입휩달입이 발생한 기간의 비홉흘록―인실된재고자산 금액의 차감앨으로 인식한댜



® 생물자산에서 수확한 농림어업수확물로 구성된재고자산은 순공정가치로 측정하여 수
확시점에 최초로 인식한댜
@ 순실현가능가치를 추정할 때에는 재고자산으로부터 실현가능한 금액에 대하여 추정일
현재 사용가능한 가장 신뢰성 있는 증거에 기초하여야 한다. 또한 보고기간 후 사건이
C)
보고기간말 존재하는 상황에 대하여 확인하여 주는 경우에는, 그 사건과 직접 관련된
가격이나 원가의 변동을 고려하여 추정하여야 한다.
® 완성될 제품이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그 생산에 투입하기
위해 보유하는 원재료 및 기타 소모품을 감액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원재료 가격이 하
락하여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가능가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해당 원재료를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하지 않는다.

/쓰Q
\


그러나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여( 하락하고'의 잘못 번역) 완성될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기능기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해당 원재료를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다. [EE' 보기 ®은 P21 - 10]

_ 工재료의 원가는 W!,000이고, 현행대체원가가 W900 이다.


(I) 제품이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이 예상된다면 원재료에 대해서 평가손실을 인식하지 않
는댜(예를 들어, 제품의 원가는 WS,000이고 순실현가능가치가 W6,000인 경우 원재료
평가손실 WIOO을 인식하지 않는다.)
(2)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가능가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원재료에 대한 평가손실
WlOO을 인식한다(예를 들어, 제품의 원가는 WS,000이고 순실현가능가치가 W4,500 인
경우 원 재료 평가손실 WlOO과 재품 평가손실 wsoo을 인식한다.)
제 2 장_재고자산 • 2-25

.e
己현가下가치는
_Al- '--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재고자산의 판매를 통해 실현할 것으로 기대하
는 순매각금액을 말한다. 순실현가능가치는 정상적인 영업과정의 예상 판매가격에서 예상
되는 추가 완성원가와 판매비용을「 차감한 금액이다. 원재료의 현행대체원가는 순실현기능­
가치에 대한 최선의 어용가능한 측정치가 될 수 있다.

2. 순실현가능가치는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재고자산의 판매를 통해 실현할 것으로 기대하


는 순매각금액을 말한다. 공정가치는 측정일에 재고자산의 주된 (또는 가장 유리한) 시장
에서 시장참여자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그 재고자산을 판매하는 정상거래의 가격을 반영
한댜 순실현가능가치는 기업특유가치이지만, 공정가치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는 순공정가치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순실현가능가치가 기업특유가
치라는 것은 기업이 추정한 금액이란 의미이다.)

3. 확정판매계약 또는 용역계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는


계약가격에 기초한다. 만일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의 수량이 확정판매계약의 이행에 필
요한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 수량의 순실현가능가치는 일반 판매가격에 기초
한댜(예를 들어, 기말 보유 재고자산이 100단위이며, 30단위는 단위당 W200에 판매하는
확정계약이 체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30단위는 확정계약가격(W200)에 기초하여
추정하며, 나머지 70단위는 일반판매가격에 기초하여 추정한다 .) [IB P6]

4 순실현가능가치를 추정할 때에는 재고자산으로부터 실현가능한 금액에 대하여 추정일 현


재 사용가능한 가장 신뢰성 있는 증거에 기초하여야 한다. 또한 보고기간 후 사건이 보고
기간말 존재하는 상황에 대하여 확인하여야주는 경우에는, 그 사건과 직접 관련된 가격이
나 원가의 변동을 고려하여 추정하여야 한다. [IB P2l - 2]

5. 표준원가법이나 소매재고법 등의 원가측정방법은 그러한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가 실제 원


가외 유사한 경우에 편의상 사용할 수 있다.

6. 소매재고법은 이 익률이 유사하고 품종변화가 심한 다품종 상품을 취급히는· 유통업 에서 실


무적으로 다른 원가측정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흔히 사용한다. 소매재고법에서 재고
자산의 원가는 재고자산의 판매가격을 적절한 총이익률을 반영하여 환원하는 방법으로 결
정한다 이때 적용되는 이익률은 최초판매가격 이하로 가격이 인하된 재고자산을 고려하
여 계산하는데, 일반적으로 판매부문별 평균이 익률을 사용한다.

7. 기타 원가는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범위내에서


만 취득원가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특정한 고객을 위한 비제조 간접원가 또는 제품 디자
인원가를 재고자산의 원가에 포함히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별주문을 받
아 생산된 제품에 추가로 주문기업 로고를 표시해야 하는 경우, 기업로고 표시원가는 재
고자산원가에 포함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情 .. 情 2-26 • 1 차 재무회계 가출BEST문제

@무채택국제회계기준의 재고자산관련 회계처리에 대한 다음 내용 중 가장 興三


것은 무엇인가?
(공인회계사 2009 수정)

® 재고자산의 매입원가는 매입가격에 수입관세와 제세금, 매입운임, 하역료 그리고 완전


품 및 용역의 취득과정에 직접 관련된 기타원가를 가산한 금액이다.

:
@ 재고자산의 매입과 관련된 매입할인, 리베이트 및 기타 유사한 항목은 매입원가를 결
정할 때 차감한다
\융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고 그 담보로 제공된 저당상품의 경우 저당이 설정
되는 시점에서 담보제공자의 재고자산에서 제외한다.
®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전환원가를 포함한다. 전환원가는 직접노무원가 등 생산량과
직접 관련된 원가를 포함한다 또한 원재료를 완제품으로 전환하는데 발생하는 고정
및 변동 제조간접원가의 체계적인 배부액을 포함한다.
®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가 상승한 명백한 증거가 있는 경우에는 최초의 장부금액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한다.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은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 금액의 차감액으로 인식한다.

广 「
(I) 제세금 중 과세당국으로부터 추후 흰급-� 수 있는_금액은 제 한다 (® 관세환급금과 부

가가치세 대급금)
(2) 매입할인, 리베이트, 매입에누리 및 매입환출은 매입원가에서 차감한다.
(3) 저당상품은 저당권이 실행되어 소유권이 이전되기 전까지는 담보제공자의 재고자산이다.
(4) 제품의 원가는 원재료원가에 전환원가(직접노무비와 제조간접비)를 가산한 금액이다. 고정
제조간접원가는 생산설바의 정상조업도에 기초하여 전환원가에 배부하는데, 실제조업도가
정상조업도와 유사한 경우에는 실제조업도를 사용홀} 수 있다.
(5)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한다.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


한 평가손실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한다. 재고자산의 감액을 초래했던 상황이 해소
되거나 경제상황의 변동으로 순실현가능가치가 상승한 경우 환입한다

매출운임은 판매비와관리비로 비용처리한다. 즉, 매출운임을 매출액(수익)에서 차감하는 것이


아니다
제 2 장_재고자산 • 2-27

- : 객관식십화문재:25번 ~34번 ]

25 20x1년에 설립되어 제품과 상품을 판매하는 (주)분당의 20x1년 말 재고자산에 대한 자


료는 다음과 같다.

단우|당
종목 장부수량 실사수량
취득원7f 현행대체원가 순실현7는?f大|

乞卜품 100개 90개 W1,500 W1,300 W1,400

제품 120개 100개 2,000 2,100 2,300

원재료 50개 507H 800 700 600

X�공품 307H 307H 1,200 1,100

원재료와 재공품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주)분당이 20x1년 회계연도에 재고자


산평가손실로 인식할 금액은 얼마인가?

CD W9,000 ® WI0,000 @ Wl2,000


® Wl7,000 @ W2!,000

/:Q
\

(!) 상품 평가손실 : 90개 x (l,500 - l,400) = 9,000


(2) 재공품 평가손실 : 30개 x (1,200 - l,IOO) = 3,000
(3) 20xI년 재고자산평가손실 : 9,000 + 3,000 = 12,000
(4) 제품이 원가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면 원재료에 대해서 평가손실을 인식하지 않
는다.
(5) 제품이 원가이상으로 판매되는지에 관계없이 재공품은 재공품 자체로 저가법 적용한다.
(6) 저가법 계산문제 풀 때 상품, 제품 및 재공품은 순실현가능가치 적용하고, 원재료는 현행대
체원가 적용한다 재공품의 순실현가능가치는 예상 판매가격에서 예상되는 추가완성원가와
판매비용을 차감한 금액이다.
댑t ..::용· 2-28 • 1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26 (주)대구가 보고기간말 현재 창고에 보관중인 재고자산은 W100,0000|다 다음 자료를 이


용하여 (주)대구의 기초재고자산을 계산하면 얼D卜인가?(단, 회사는 원가에 25%의 아익을
가산하여 판매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1) 당기 재고자산 관련 매입채무 증가액은 W60,000이며, 선급금 감소액은 W40,000


이다 또한 현금흐름표 재고자산 공급자에 대한 현금유출액은 WS00,000이다

(2) 당기총매출액은 W1 ,200,000이고, 매출환입은 W50,000이다.

(3) 도착지인도조건으로 매입한 상품 W40,000이 보고기간말 현재 도착하지 않고 운


송중이다

(4) 도착지인도조건으로 W37,500에 판매한 원가 W30,000의 상품이 보고기간말 현


재 도착하지 않고 운송중이다.
(5) 당기 12월 1 일 자금이 부족하여 원가 W50,000의 상품을 인도하고, 현금 W62,500
을 수령하였다. 동 상품은 2개월 후 W65,000에 재매입하기로 약정하였다.

CD Wl80,000 ® W200,000 @ W220,000


® W230,000 @ W240,000
O-


i

\
(1) 원가율 : 100 -;- 125 = 80%
(2) 순매출액 : 1,200,000 - 50,000 = 1,150,000
(3) 매출원가 : I,150,000 x 80% = 920,000
(4) 매입액 : 900,000

(차) nR 입(대차차액) 900,000 (대) 매 입 채 무 (증 가 ) 60,000


선급금(감소) 40,000
현 금 800,000

(5) 기말재고금액 : I00,000 + 30,000(도착지조건 판매) + 50,000(재매입약정 판매) = 180,000


(6 ) 기초재고(x x x) + 매입(900,000) - 기말재고(180,000) = 매출원가(920,000)
기초재고금액 : 200,000
(7) m 매입 = 매출원가 + 기말재고 - 기초재고 [매입 = 매출원가 + 재고증가( - 재고감소)]

(차) n}| 가 920,000 (대) 재 고 자 산 ( 감 소 ) 20,000


매입채무(증가) 60,000
선급금(감소) 40,000
현 금 800.000
제 2 장 재고자산
_ • ,2-29

27 (주)대한은 회계감사를 받기 전 20x1 년 말 현재 자산 W6,000, 부채 W3,000, 수익


W5,000, 바용 W4,000을 보고하였다 (주)대한은 실지재고조사법을 적용하여 창고에 있는
상품만 기말재고로 보고하였다 회계감사 중 궁인회계사는 다음 사항을 발견하였다.

(가) (주)대한의 전년도 기말재고자산은 W200 과대평가되었다


(나) 20x1 년 12월 15일 (주)대한은 (주)만세에 원가 W300의 상품을 인도하고 매출
W500을 인식하면서 , 동 상품을 W600에 재매입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폿옵션을
(주)만세에게 부여하였으며, 재매입가격은 예상 시장가치보다 높다.

(주)대한은 위 사항이 대출약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우려하고 있다. 대출약정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부채바율이며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기말부채
부채비율=
기말자본

위 사항을 반영하는 경우 부채비율의 변동으로 올바른 결과는? 단, 위 사항은 각각 독립


적이라고 가정한다.
(공인회계사 2017 수정)

(7t) (나)
@ 7口1-...LA 7口1--_A
® 불변 증가
® 증가 증가
® 불변 7o1-....LA
@ 증가 불변

::Q 소
(I) 전기말(당기초) 재고자산이 과대되면 전기 매출원가는 과소되고, 당기 매출원가는 과대된다.
따라서 당기말 현재 재무상태표 자산, 부채 및 자본은 변동이 없으며, 부채비율도 불변이다

(차) 미 처 분 이 익 잉 여 금 200 (대) 매 출 원 가 200


(전기매출원가)

(2) 고객이 요청하면 기 업이 원래 판매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자산을 다시 사야 하는 의무(풋


옵션)가 있는 경우 재매입가격이 자산의 예상 시장가치보다 높다면 그 계약은 사실상 금융
약정이댜 (재매입가격이 자산의 예상 시장가치보다 높다는 것은 행사가능성이 유의적이라
는 의미이다) [ID PIO - 39]
팝용· .. :불 2-30 • 1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3) (나)의 경우 매출(W500)을 취소하고 차입금(W500) 인식하며, 매출원가(W300) 취소하고


재고자산(W300)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부채는 W500 증가하고, 자본 W200 감소하여 부채
비율은 증가한댜

대 대
( (
))


5 3
0 0
0 0

1
_
Kr n
(차) 매 500


un
(차) 재 고 자 산 가 300

"
28 (주)대한은 재고자산과 관련하여 실지재고조사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오는: 별도로 입 · 출
고 수량에 대한 기록을 병행하고 있다. (주)대한의 20x1년도 재고자산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주)대한의 20x1년 초 재무상태표상 상품재고액은 w7o,ooo이며, 당기 순매입


액은 W580,000이다
• (주)대한은 20x1년 10월 초에 (주)소한에게 원가 W1 00,000의 상품을 발송하
였으며, 발송운임은 발생하지 않았다 (주)소한은 20x1년 12월 중순에 수탁받
은 상품의 75%를 판매하였다고 (주)대한에 통보하였다. (주)대한은 이에 대한
회계처리를 적절히 수행하였다. (주)소한은 기말 현재 수탁상품 중 미판매분을
보유하고 있다

• (주)대한은 20x1 년 11월 초에 원가 W15,000의 상품을 W18,000에 (주)동방에


게 인도하면서 매출로 회계처리하고, 20x2년 3월에 공정가치와 관계없이
W20,000에 재매입하기로 약정하였다

• (주)대한아 20x1년 12월 말에 장부상 기말재고 수량과 실사 재고수량을 비교


한 결과, 정상적인 감모손실(매출원가에 가산)은 W5,000이며 비정상적인 감모
손실(별도 비용으로 계상)은 W8,000이다.

• (주) 대한이 20x1년 12월 말 창고에 있는 기말재고를 실사한 금액은


W150,000이며, 이 금액은 재고자산에 대한 기말 평가를 하기 전의 금액이다.
기초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이 없으며, 기말에 계산된 재고자산평가손실은
W35,0000 /cf.

위 거래와 관련하여 (주)대한의 20x1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할 재고자산 비용총액은


얼0圈7f?
(세무사 2011 수정)

Q) W456,000 @ W465,000 @ W478,000


® W480,000 @ W 495,000
제 2 장_재고자산 • 2-31


해 설 Q 노
(I) 기말재고 : l00,000 X 25% + 15,000 + (150,000 - 35,000) = 155,000
(2 ) 재고자산 관련 총비용 : 70,000(기초재고) + 580,000(매입) - 155,000(기말재고) = 495,000
(3 ) 재고자산평가손실 차감 전 기말재고(실지수량 X 취독원가) : 25,000(적송품-) + 15,000(재매
입약정) + 150,000(창고실사) = 190,000
(4)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 차감 전 기말재고(장부수량 취득원가) : 25,000 +
X

15,000 + 150,000 + 5,000(정상감모) + 8,000(비 정상감모) = 203,000


(5) 회계처리(참고)

[기말수정분개l
수성전시산표
기 초 又R 고 70,000
lll 입 580,000

(차) 매 닫
5 원 가 70,000 (대) 기 초 X] 고 70,000

(차) 매 출 원 가 580,000 (대) 대 입 580,000

(차) 기 멀} X} 고 203,000 (대) 매 닫



원 가 203,000

(차) 매출원 가 ( 정 상 감 모 ) 5,000 (대) 기 말 XR 고 13,000


비정 상재고감모손 실 8,000

(차) 재 고 자 산 평 가 손 실 35,000 (대) 재 고 자 산평 가충당금 35,000

기말 재무상태표
XR 고 산 又}- 190,000
재 고 자 산평 가충당금 (35,000)
155,000
.. 情 ..::촙 2-32 • 1차 재무회계 기출BEST문제

29 (주)대한유통의 상품에 관련된 다음 자료를 활용할 때 (주)대한유통이 정상적인감모손실과


저가법적용에 따른 평가손실을 매출원가에 포함한다고 할 때 재무상태표상 기말재고 금액
과 포괄손익계산서에 매출원가로 보고할 금액은 각각 일마인가?

71초재고 W78,000
..... ..............

탕7l □ H입액 150,000


........................

취득원가로 파악한 기말재고액 43’ 500


·············· ········

수량감소를 조정한 후 순실현가능가치 39,000


........................................... ··· ··· . . . ...

정상감모손실 2 ’ 000
........ .......

닌 I정상감모손실 1,000
`4``. . .. `·· ·········· ···.... 藝••••••••••••••• • •••• ................

재고자산평7t손실 1,500

(세무사 2006 수정)

기말재고 매출원가
® W39,000 W185,500

® W40,000 W188,000

® W39,000 WI 88,000

® W40,000 Wl85,000

@ W39,000 Wl84,500


해 설 Q 느
(!) 정상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을 매출원가에 포함하는 경우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다.
® 매출원가 = (기초재고금액 + 매입) - (기말재고금액 + 비정상재고감모손실)
@ 기말재고금액 = 실제수량 x Min(취득원가. 순실현기능기치)
(2) 기말재고금액 : 39,000(수량감소를 조정한 후 순실현가능가치)
(3) 매출원가 . 78,000(기초) + 150,000(매입) - 39,000(기말재고) - 1,000(비정상감모) = 188,000
(4) 회계처리(참고)

(차) 매 출 원 가 78,000 (대) 기 초 又H 고 78,000


(차) 매 출 원 가 150,000 (대) 매 입 150,000
(차) 기 멀l- X} 고 43,500 (대) 매 출 원 가 43,500
(차) 매 출 원 가 2,000 (대) 재 고 又]- 산 3,000
비정상감모손실 1,000
(차) 매 출 원 가 1,500 (대) 재 고 자 산 평 가 충 당 금 1,500

You might also like